E. Benvenis t e (1 9 02-1976) 인도·유럽 언어학자이자 일반 언어학자 16 세에 소르본느 대학에서 고전어, 인도·유럽어학 수학 고등교육원 (E.P.H.E.) 교수 콜레쥬 드 프랑스 교수로서 Me ill e t와 연구, 파리언어학회 정회원, 이사, 비문 • 고전학회 회원, 회장 등을 역임 Ori gine s de laf orm ati on des noms en ind o-europe e n( 1935 )Noms d'age n t et n oms d'actio n en ind o-europe e n( 1948) Hit tite e t i nd o-europe e n( 1962 ) Problemes de ling u is ti q u e ge nerate I ( 1966) , JI( 1974) 등 18 권의 저서와 300 여 편의 논문, 서평들이 있다. 김현권 서울대 문리대 및 동대학원 졸업(문학박사) 파리 7 대학 언어학과 수학 현재 방송통신대학 불어불문학과 교수 『일반 언어학의 제문제』 (E. Benven i s t e) 등의 역서와 「에밀 벤베니스트의 언어학」 등 다수의 논문과 저서가 있다. 아르케 (arche, dp x ii)는 ‘시초' , ‘시작’ 이라는 어원적 의미를 가지며, 학술적으로는 ‘원리’를 의미합니다.

인도 • 유럽사회의 제도 • 문화 어휘연구 II

VOCABULAIRE DES INSTITUTIONS INDO-EUROPEENNE

2. Pouroir , droit , reli gion by Emi le Benven ist e Cop yright © Les Ed ition s de Minu it , 1969 All righ ts reserved. Korean Translati on Cop yrigh t © 1999 Arche Publi sh i ng House Korean tran slati on ed ition is pub li sh ed by arrang em ent wi th Les Edit ion s de Mi nuit. 이 책의 한국어판 저작권은 Les Edit ion s de M inuit와 독점 계약한 도서출판 아르케에 있습니다. 저작권법으로 한국 내에서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

인도 • 유럽사회의 제도 • 문화 어휘연구 Il

에밀 벤베니스트 지음 김현권 옮김 툴툴

차례

제 1 편 왕권과그특권

제 1 장 Rex ―― 11

제 2 장 Xsay-와 이란의 왕권 ―― 20

제 3 장 그리스의 왕권 ―― 28

제 4 장 왕의 권위 ―― 42

제 5 장 명예와 명예의 표시 ―― 53

제 6 장 마법적 힘 ―― 70

제 7 장 Kratos ―― 86

제 8 장 왕권과 귀족 ―― 103

제 9 장 왕과 그 백성 ―― 108

제 2 편 법률

제 1 장 Themis ―― 119

제 2 장 Dike ―― 127

제 3 장 Ius 와 로마에서의 서약 ―― 132

제 4 장 *Med-와 척도의 개념 ―― 148

제 5 장 Fas ―― 160

제 6 장 Censor 와 Auctoritas ―― 173

제 7 장 Quaestor 와 Prex ―― 184

제 8 장 그리스에서의 서약 ―― 195

제 3 편 종교

제 1 장 신성 ―― 213

아베스타어 Spanta : yaozdata / 214

라틴어 Sacer : sanctus / 223

그리스어 Hieros / 229

그리스어 Hosios , hosie / 237

그리스어 Hagios / 242

제 2 장 신주(神酒) 헌납 ―― 250

1 Sponsio / 250

2 Libati o / 259

제 3 장 희생 제사 ―― 267

제 4 장 서원 ―― 279

제 5 장 기도와 간구 ―― 293

제 6 장 징조와 전조의 라틴 어휘 ―― 306

제 7 장 종교와 미신 ―― 318

옮긴이 해제 /339

인도 • 유럽 제어 목록표 /346

참고문헌 /347

찾아보기 내용 /351

인용문 /371

어휘 /398

인도 • 유럽사회의 제도관계 • 문사화회 어지위휘 연구 I ―― 경제, 친족 관계, 사회 지위

제 1 편 경제

제 1 부 가축과 부

제 1 장 수컷과 종축 ―― 23

제 2 장 재고해야 할 어휘 대립 : Sus와 Porcus ―― 29

제 3 장 Probaton과 호메로스 시기의 경제 ―― 42

제 4 장 가축과 화폐 : Pecu와 Pecunia ―― 53

제 2 부 주다와 취하다

제 5 장 증여와 교환 ―― 75

제 6 장 주다, 취하다 , 받다 ―― 93

제 7 장 환대 ―― 101

제 8 장 개인적 충성 ―― 120

제 3 부 구매

제 9 장 구매의 두 가지 방식 ―― 147

제 10 장 구매와 되사기(보상) ―― 152

제 11 장 명칭이 없는 직업, 상업 ―― 164

제 4 부 경제적 의무

제 12 장 계산과 평가 ―― 17

제 13 장 임대차 ―― 182

제 14 장 가격과 임금 ―― 191

제 15 장 신용과 믿음 ―― 202

제 16 장 대여 • 차용· 부채 ―― 213

제 17 장 무보상과 감사 ―― 234

제 2 편 친족관계

서론 /241

제 1 장 부친 개념의 중요성 ―― 246

제 2 장 어머니의 지위와 모계 혈통 ―― 255

제 3 장 외혼제의 원리와 적용 ―― 262

제 4 장 〈혼인〉의 인도 • 유럽어 표현 ―― 280

제 5 장 혼인에서 유래하는 친족(혼족) ―― 287

제 6 장 친족 용어의 구성과 접미사법 ―― 298

제 7 장 친족 용어에서 파생된 단어들 ―― 312

제 3 편 사회 지위

제 1 장 기능의 삼분화 ―― 327

제 2 장 사회 귀속의 네 집단 ―― 345

제 3 장 자유인 ―― 377

제 4 장 Philos ―― 392

제 5 장 노예와 이방인 ―― 415

제 6 장 도시와 공동체 ―― 424

제 1 편

왕권과그특권

제 1 장 rex 요약 이탈리크어, 켈트어, 인도어 등 인도 • 유럽 세계의 동서 양극 지방에서만 확인되는 rex 〈왕〉는 종교와 법과 관련된 아주 오래 된 용어군에 속한다. 라틴어 re go 와 그리스어 ore g o 〈직선으로 펴다〉(여기에서 어두의 o- 는 음운론적인 이유로 설명된다)의 비교와 라틴어 re g-의 고대저 의미(예컨대 reg er e fine s, e reg ion e, rectu s , rex sacrorum 에서 나타나는 의미)에 대한 조사를 통해 봉 때 rex 는 근대적인 의미의 왕보다는 사제에 가까운데, 그것은 rex 가 도시들의 입지를 구획짓고 법규를 정하는 권한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도 • 유럽어 상태를 간접적으로밖에 알 수 없는 몇 가지 개념이 있 다 . 왜냐하면 이들 개념이 전적으로 사회 현실에만 관련되어 있어서 언 어 전체에 공통된 어휘 사실을 통해서는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그렇다. 그 가운데 하나가 〈사회〉의 개념이다. 서부 인도 • 유럽어에서 이 개 념은 공통적인 하나의 용어로 지칭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어군에서는 이 용어가 없는 듯하다. 그렇지만 그 용어는 실제로 다른 방식으로 표 현되고 있는데, 특히 〈왕권〉 (ro y aume) 이란 명칭으로 표시되고 있다. 다 시 말해 사회의 경계는 한 가지 권한, 죽 왕권과 일치한다 . 그래서 왕을 가리키는 명칭들의 문제가 제기되는 것이다 . 이 문제는 사회와 이 사회 를 특칭짓는 내부적 분화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동시에 사회 내부의 집 단들을 규정하는 계층에 대한 연구와도 관련된다. 어휘로 표현된 이 〈왕〉의 개념에 접근하려고 할 때 rex 로 표시되는 명칭이 오직 인도 • 유럽 세계의 양극 지방에만 출현하고, 중앙 지방에 서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 놀라게 된다. 한편으로는 라틴어 rex, 아

일랜드의 켈트어 ri, 골어 -r i x 가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산스크리트어 raj -(an) 가 있다. 그러나 이들 두 양극 지방 사이에 있는 이탈리크어, 게르만어, 발트어, 슬라브어, 그리스어뿐만 아니라 히타이트어에는 이 용어가 전혀 없다 이 상관 관계는 이들 언어에 공통된 어휘의 분포를 정확히 판단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방드리예스J. Vendr y es1 ) 가 연구한 좀더 광범위한 다음 현상에 대한 가장 괄목할 만한 증거를 rex 의 경우 에서 찾아야 한다. 죽 인도 • 유럽 세계의 양극 지방의 인도 • 이란 사회 와 이탈로 • 켈트 사회 내에 종교와 법제와 관련된 용어가 남아 있다는 현상이 그것이다.

*1) 『 파리 언어학회지 Memoir es de la Sodete de Lin g u i s ti q u e de Par i s 』 , t. xx, 1918, 265 이하.

이 현상은 위에 언급한 이들 사회의 구조 자체와 관련되어 있다. 양 극의 〈중간 지대〉의 언어 내에서 〈왕〉의 명칭의 흔적이 더 이상 발견 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단순한 역사적 사건이 아니다 . 이탈로 • 켈트 사 회와 인도 • 이란 사회는 똑같이 그 구조가 오래 되었고, 아주 보수적인 경향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이들 사회에서는 다른 곳에서는 소멸된 제 도와 어휘가 오래 지속되었다. 인도 • 이란 사회와 이탈로 • 켈트 사회에 공통된 잔류 현상을 설명하는 기본적인 사실은 신성한 종교적 전동을 간직하고 있는 강력한 사제 집단들이 존재했다는 점이다(이들은 이러한 전통을 형식주의자들처럼 엄밀하게 유지해 왔다) . 이러한 사제 집단들로서는 로마인들의 아르왈리스 Arval i s 사제단 2) 과 움브리아인들의 이구위움의 fratr es A ti ed ii(아티에두스 사제단싸울 들 수 있고, 켈트인에게 있어서는 드루이드교의 승려들을 들 수 있다 . 또 동방 에서는 인도의 브라흐만이나 아타하르바 사제들 (a t harvans), 그리고 이

2) Fratr es Arvales : 농사와 관련된 축제를 관장하는 임무를 맡은 12 명의 사제단 . 이들은 농업의 여신 디아Di a 를 섬기는 사제들이기도 하다. 3) 제 1 권, 제 3 편 1 장 342 쪽 참조 또한 제 1 권 1 편 2 장 각주 6) 참조.

란의 아트호라바 승려들(료 8ravans) 이나 마술사들을 들 수 있다. 인도 • 유럽 민족의 종교적 관념이 대부분 그대로 남아서 우리에게까 지 알려진 것은 바로 이러한 종교적 제도가 지속적으로 시행되었기 때 문이며, 이런 제도가 오늘날 우리에게 최선의 근거 자료가 된 위대한 제례 의식 내에서 규제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자료가 어떤 곳에서는 그대로 보존되었고, 다른 곳 에서는 상실된 이유가 오직 그 사회가 아주 오래 되었기 때문이라고 생 각해서는 안 된다. 제도의 구조 내에서 일어난 변화로 인해 rex 의 구체 적 개념이 다른 민족들에게는 알려지지 않았던 것이다. 물론 그리스어 와 게르만어에는 〈왕〉으로 번역될 수 있는 단어들이 있다. 그러나 그리 스어 bas i leus 는 산스크리트어 ra j와는 아무런 공통점이 없으며, 〈왕〉 또는 〈우두머리〉를 뜻하는 그리스어 단어가 여럿 존재한다는 것은 그 제도가 혁신된 것임을 잘 보여 준다. . 라틴어 r 죤 x, re gi s 의 명사 어간 *re g-는 아일랜드어 r i와 골어 -ri x 의 어간과 정확히 대응하며, 이는 Durnno-rix , Ver-c ing e t o-r ix와 같은 복 합 고유명사의 구성항에서 볼 수 있다. 산스크리트어 r 료j-에 의해 가정 되는 형태도 역시 똑같고, 따라서 그 고대의 어간은 *r 죤g-이다. 이 형 태는 트라케의 왕족 명칭 Rhesos 에서도 역시 볼 수 있다. 이 용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개념의 의미적 기저는 무엇인가? 라틴어 rex 는 파생동사 reg o, reg er e, 중성 파생어 reg -n o-m, 여성 파 생어 r 죤gm a( 이것은 산스크리트어 ra jfli〈여왕〉처럼 특이한데, 그것은 접미 사 n 을 이용해 형성된 이 두 단어가 〈운동, 움직임〉을 나타내며, 고대 남성 이 여성화한 것이기 때문이다) 등의 한 단어족을 만들어 냈다. re gi o 와 rec tu s 는 여기에서 제외되었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이 단어군과는 분리 되기 때문이다. 라틴어에서도 rex 와 rec tu s 는 이제 아무런 관계가 없다. 그렇지만 분명하고도 잘 알려진 유형의 형태론적인 관계들로 인해 re gi o 와 rec tu s 는 rex 의 어근과 결부된다. 이러한 파생어 가운데 어떤

것은 다른 언어에서 그 대응짝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라틴어 rec t us 는 고트어 ra iht s( 독일어 rech t)와 대응되지만, 게르만어에서 명사적 용어인 *re g-는 없다. 먼저 그 밖의 인도 • 유럽 제어들이 그 흔적 상태로라도 어떤 관련 형태를 보존하고나 있지 않은지 자문해 보아야 한다 . re go 와 rex 의 단 어족과 서로 비교시켜 볼 수 있는 그리스어 동사가 있기는 하지만 그것 은 꽤 차이가 있어서 형태적으로 비교하는 것을 주저하게 된다. 그 동 사는 ore g o(o p evw) 인데 이 단어는 〈펼치다〉로 번역된다 . 이 비교의 기 초를 어디에서 찾아야 할지를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그것을 일반적으 로 미심쩍게, 그리고 단지 하나의 가능성으로서만 제시하고 있다. 만일 이 비교를 배척하거나 인정 가능한 것으로 만든다면 우리는 〈왕권〉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중요한 의미를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 우선 문제는 음성적 인 것이다 . 라틴어 re g o 의 어기 * re g - 와 그리스 어 o-re g - o 의 어기 reg -사 이의 대응이 명확하므로 그리스어의 어두 o- 는 합리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가? 이러한 세부적인 문제는 무의미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인도 • 유럽(조)어〔祖語 ) 4 ) 의 가장 오래 된 형태론 과 관련된다 . 그리스어의 이와 유사한 조건에서 , 특히 r 앞에서 a, e, o 의 세 모음 가운데 하나가 어두음 첨가(p ro t hese) 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다른 언어에서는 어두 모음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 환 경이다 . 예컨대 라틴어 ruber 〈붉은〉에 대해 그리스어 eruth r 6s(ep u8 p 6c ; ) 는 어두 첨가모음 e - 를 가지고 있다. 이 특수한 경우에서 ore g 5 〈펼치 다〉와 동일한 현상을 목격할 수 있다 . 이러한 특성을 여기에서 자세하 게 논의할 수는 없지만 이것이 일반 언어학적 조건에 속한다는 사실을 지적하는 것으로 그치겠다 . 세계의 언어가 모두 유음 r 과 l 을 반드시 가 4) 여기서는 인도 • 유럽 제어의 공통 조어가 문제시되므로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 〈인도 • 유럽(조)어〉로 쓴다.

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 이 두 유음을 반드시 구별해야 할 필요성이 있 다고 믿어서도 안 되고, 모든 언어에서 이들을 찾아 내려고 해도 쓸데 없는 일이다. 사실상 언어에 따라 r 이나 l 이나 이 두 유음이 함께 나타 날 수 있다. 놀랄 만한 대조는 중국어와 일본어의 경우인데, 중국어에서 는 l 은 있으나 r 은 없고, 반면 일본어에서는 r 은 있으나 1 은 없다 . 다른 언어에서 l 과 r 은 언어에 실질적으로 출현하는 것 같으나 두 개의 별개 음소로는 대응하지 않는다. 프랑스어에서는 ro i와 lo i가 혼동될 수 없는 데 , 그 이유는 r 과 l 이 두 개의 서로 다른 음소이며, 이들 각 음소는 음 운 체계 내에서 그 실체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r 과 l 이 서로 구별되지 않는, 다시 말해서 조음 방식이 가변적이어서 하나의 유옴뿐­ 인 다양한 언어(예컨대 폴리네시아어)도 있다. 그러면 인도 • 유럽(조)어는 어떤가? 공통어의 체계에는 물론 그 기 능이 똑같지는 않지만 기능적 가치를 지닌 r 과 l 두 음소가 있었다. 죽 r 은 일반적으로 1 보다 더욱 다양하고 빈번히 나타난다. 그러나 이 두 음 소 r 과 l 이 인도 • 이란어에서는 상당히 광범위하게 혼동되기는 하지만 이 두 음소는 공통어의 시기부터 존재했다 . 그러나 인도 • 유럽(조)어에 이 두 유음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확인하 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 주지하다시피 한 언어의 모든 음소들은 아 무 위치에서나 모두 출현하는 것이 아니다. 각 음소에 대해 어떤 위치 에서는 출현이 허용되나 다른 위치에서는 출현이 허용되지 않는다 . 그 리스어에서는 단어의 어말 자음이 -n, -r 또는 -s 로만 끝나며, 단지 예 의는 부정의 ou(k) 뿐이다. 그리하여 각 언어에는 각기 그 음운 체계의 용법을 특칭짓는 가능한 음소들과 불가능한 음소들의 목록이 있다. 그런데 많은 언어에서 어두에 r 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핀 • 우 글어, 바스크어, 그리고 그 밖의 언어에서도 단어의 어두는 r 로 시작할 수 없다. 차용어에 어두 r 이 있는 경우에 다른 모음을 선행시켜 r 을 어 중 위치로 만든다. 바로 이러한 상황이 〈공통〉 인도 • 유럽어의 상황이

기도 하다. 죽 r 이 어두 위치에서는 허용되지 않는다 . 예컨대 히타이트 어에서 어두 r 이 없는 반면 어두 l 은 출현한다 . 아르메니아어도 마찬가 지다 . 어두에 r 을 지닌 차용어를 체계에 적합하게 만들기 위해 아르메 니아어는 어두에 e 를 첨가시키거나 더욱 후기에 와서는 원래의 r- 을 정 상적인 r 과는 다론 아주 강한 굴림소리 r 로 교체했다 . 또한 그리스어도 마찬가지인데, 〈어두 첨가 모음〉이 r 앞에 출현하여, 그 결과 어두는 er-, ar-, or- 이 되었다 . 이 점을 강조해야겠다 . 그리스어, 아르메니아어 , 히타이트어가 어두 r- 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이유는, 이들 언어가 인도 • 유럽(조)어의 어두음 r - 이 없는 상태를 지속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 언어는 고대의 상태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 한편으로 라틴어와 다른 한편으로 인도 • 이란어 가 단어의 첫머리에 r 을 지니고 있는 것은 음성적 변화 때문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인도 • 유럽(조)어에서 어두의 1 은 존재했으며, 그래서 그대 로 보존되고 있다. 공통 조어 어근 *le i kw- 와 그리스어 leip o ()...d:J tuJ), 라 틴어 linq uo( 이들은 어두음 첨가가 없다)를 비교해 · 보라. 그리스어가 어 두 r- 울 보여 준다면, 그것은 언제나 거친 호기(呼氣), 죽 p (=rh - ) 와 함께 출현한다 이것은 고대의 인도 • 유럽 (조)어 *sr-또 는 *wr- 울 나 타낸다. 이 밖에 어두의 *r- 은 언제나 어두 모음이 첨가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론상으로는 rex 와 그리스어 or6 g6 의 비교를 반대할 근거 가 없다. o- 는 장애물이 아니며, 라틴어에 보존되지 않은 고대의 어두 음을 확증해 주는 요소이다. 이제 그리스어 형태의 의미를 확정할 때이다 . 현재 oreg5 또는 oreg numi(6 p t:vv uµl), 그리고 파생어 6rgu ia( op vu t a ) (〈양팔을 뻗은 길이, 한 발〉의 의미로 명사화된 완료분사의 여성형)는 단지 〈펼치다〉를 의미하는 것만은 아니다. 이 의미는 또 다른 동사 pe ta n - n umi(lt E CctV YUµl) 의 의미이기도 하다. 그러나 p e t annum i는 〈넓게 펼치 다〉이지만 oreg o, ore gn urn i는 〈직선으로 펼치다〉를 의미한다. 좀더 명 시적으로 표현한다면 〈서 있는 지점으로부터 앞쪽으로 직선을 긋다〉

또는 〈칙선 방향으로 앞으로 향하다〉의 의미이다 . 호메로스의 작품에서 ororekha t a i (6 p w ptx a 1: a t)는 말들이 힘껏 뛰면서 양다리를 한껏 벌린 동 작을묘사한다. 이러한 의미가 라틴어에도 역시 있다. re gi o 란 중요한 단어는 원래는 〈 지역, 영역 〉 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직선으로 도달한 지접〉을 의미 한다 . 그래서 e re gi one 〈반대로〉, 죽 〈직선상의 지점에 , 정면에〉라는 의 미가 설명된다. 점술가들의 언어에서 re gi o 는 〈땅이나 하늘에 그어진 직선이 이르는 지점〉을 가리키며, 그리하여 〈여러 방향으로 그어전 그 러한 직선들 사이에 포함된 공간〉이란 의미를 가리킨다. 마찬가지로 형용사 rec tu s 를 〈사람들이 긋는 이러한 직선처럼 곧은〉 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이 의미는 물질적 개념이자 정신적인 개념이기도 하다 죽 〈똑바로 곧은 것〉은 규범을 가리키고 , re gu la 는 〈직선을 그리 는 도구〉로서 re g le 〈규율〉를 정하는 것이다. 〈똑바로 곧은 것〉은 도덕 적 차원에서 〈왜곡된 것〉 , 〈굽은 것〉과 반대가 된다. 〈똑바로 곧은 것〉 은 〈올바른 것〉과 〈정직한 것〉에 상응하기 때문에 그 반대어 〈왜곡된 것〉, 〈굽은 것〉은 〈부패한 것〉, 〈허위〉와 동일시된다 . 이러한 의미 표상 은 이미 인도 • 유럽어적인 것이다. 라틴어 rec tu s 에는 고트어 형용사 ra i h t s 가 대응되며 , 그 의미는 그리스어 eu t hus 〈올바론, 똑바로 곧은〉로 번역된다. 또 고대 페르시아어 ras t a 도 대응되는데, 이 형용사는 〈올바 른 길을 포기하지 말라〉는 규범에서 〈길〉을 수식한다 . rex 와 동사 re g ere 란 형태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애당초 이처 럼 전적으로 물질적인 개념에서 출발해야 했다. 그러나 이 물질적 개념 은 곧 정신적인 의미로 발달했다. 이 양면적 의미는 reg er e fin es 라는 중요한 표현에서 나타나며, 이는 건물을 짓기 전에 하는 행위로서 종교 적 행위를 가리킨다. 그래서 rege r e fin es 는 직역하면 〈직선으로 경계를 표시하다〉라는 의미이다. 이것은 대제사장이 신전이나 도시를 지울 때 땅 위에 신성한 영역을 정하는 일을 가리킨다 . 따라서 이 일의 주술적

특성아 분명하게 드러난다. 죽 의부와 내부를 경계짓고, 신성의 왕국과 세속의 왕국의 경계를 구분하고, 자국과 의국의 영토 경계를 정하는 일이다. 이처럼 경계선은 지고한 권한을 지닌 인물, 죽 rex 에 의해 그 어전다. rex 의 의미에는 지고한 통치자의 의미보다는 선(線)을 긋는 사람, 즉 사람들이 따라야 하는 동시에 올바른 것을 구현시키는 길을 정하는 사 람의 의미를 찾아야 한다. 어근 *re g-가 표현하는 구체적인 개념은 우 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원래의 rex 에 훨씬 생생하게 나타난다. rex 의 성 질과 권한에 대한 이러한 개념은 이 단어의 형태 자체와도 서로 일치한 다. rex 와 같이 접미사가 없는 무어간 형태(fo rme a t hema tiq ue) 는 *de i k- 에서 파생된 합성 행위자 명사 i u-dex 의 둘째 항으로 사용된 -dex 와 같은 단어들이 갖는 모습을 지니고 있다. 이 사실은 라틴어 이 의의 언어에서도 증명된다. 예컨대 - r i x 가 있는 골어 합성명사 Dumno-ri x, Ver-c ing e t o- ri x 가 그것이다. 산스크리트어에서 raj -는 자 립 상태보다는 합성 형 태로 더 빈번히 나타난다. 즉 sam-r 하j-〈모든 사 람에게 공통이 되는 왕〉, sva-r 햐j-〈자기 자신(의)에 대해 왕인 자〉가 그 것이다. 사실 라틴어에서조차 rex 는 구체적 한정사와 함께 출현하는데, 특히 고대의 고정 성구에서 많이 나온다. 예컨대 rex sacrorum( 희생 제 사의 왕)이다. rex 는 reg er e fines( 제사를 주관하다)라는 표현이 갖는 의 미와 같이 reg er e sacra 라는 임무를 맡았다. 이처럼 인도 • 유럽 사회의 왕권에 대한 개념을 대강 정의할 수 있다. 인도 • 유럽 사회의 rex 는 정치적이라기보다는 훨씬 종교적이다. 그의 임무는 권력을 지배하고 행사하는 것이 아니라 규율을 정하고, 고유한 의미에서 〈똑바로 곧은 것〉을 정하는 일이다. 그리하여 이처럼 정의된 rex 는 통치자라기보다는 사제 개념과 훨씬 가깝다. 바로 이러한 왕권의 개념을 한편으로는 켈트족과 이탈리크인들, 다른 한편으로는 인도인들 이 보존하고 있는 것이다.

이 개념이 제사 의식을 행해야 할 의무를 지닌 대(大) 사제단의 존재 와 결합되어 있었다. 따라서 오직 권력에만 기반을 두고 있는 고전적인 유형의 왕권이 확립되기까지 오랜 기간에 걸친 발달과 근본적인 변화 가 필요했고, 마침내 정치 권력이 종교적 권력으로부터 점차 독립되었 으며 , 종교적 권력은 사제들의 고유한 것이 된 것이다 .

제 2 장 x~ 료y-와 이란의 왕권 요약 이란은 제국이며, 통치의 개념은 rex 의 개념과 아무런 공동점이 없다. 통치 개념은 페 르시아 칭호 x~ay 8 iy a x~a y a8 iy助 am( 그리스어 basile u s basile c on, 페르시아어 5 햐히­ ~ah), 죽 〈왕 중 왕〉으로 표현된다. 이 칭호는 왕권 x§a y-을 지닌 자로서의 통치자를 가리킨다. 그런데 아케메니데스 왕조의 왕을 수식하는 단어 vazraka 는 또한 아후라마 즈다 (Ahuramazda) 신(神)과 또한 대지(大地)도 수식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단어는 왕 권이 본질적으로 신비스런 것이라는 접을 드러내 준다. 우리가 방금 조사한 용어들은 아 왕권이란 개념을 표현하는 한 가지 방식에 지나지 않는다 . 죽 인도 • 유럽 세계의 양극 지방인 이탈로 • 켈 트어 영역과 인도어 영역에만 공통된 표현이다. 이 기본적 개념에 비추어 볼 때, 이란어는 인도어와는- 분리된다. 인 도의 특칭적 용어인 raj -란 용어는 이란의 고대 어휘에는 나타나지 않 는다. 이란어에서 거기에 해당하는 명칭은 코탄 (Kho t an ; 인도와 접경한 이 란의 남동부의 끝 지방) 지역의 방언에서만 그 흔적이 남아 있으며, 기원 8 세기부터 불교 문학과 특히 그 번역서에서 확인되고 있다 . 이 코탄어 에는 rri〈왕〉, rri s- p ru 〈왕의 아들〉란 용어가 있고, 이것은 산스크리트 어 raj a 와 raj a- p u tr a 에 대응하는 명칭이다. 그렇지만 이 방언에 통용되 는 수많은 차용어가 있고, 이 방언이 알려진 시기가 비교적 늦기 때문 에 그것이 인도어에서 차용된 차용어가 아니라고 완전히 확신할 수는 없다.

이란어에서 〈왕〉의 명칭으로서 *raz- 란 용어는 통용되지 않았는데, 그것은 엄밀히 말해서, 왕도 왕국도 없었고, 단지 이란 제국만이 있었기 때문이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인해 이 어휘가 혁신되었다 . 인도 • 유럽 세계에서, 특히 그리스인과 로마인들의 견지에서 보면, 제국의 개념을 만들어 낸 것은 이란이었다. 과거에 히타이트 제국이 있 었지만, 이 제국은 이웃 민족들의 역사적인 모델이 되지 못했다. 원래의 제국 체제는 이란 민족이 만든 것이며, 그것과 관련된 새로운 어휘를 만들어 낸 것도 이란 용어이다. 인도와 이란에 공통된 어휘 가운데 산스크리트어에서는 k~a tr a 로 나 타나고, 이란어에서는 x~a8ra 로 나타나는, 둘 다 왕권을 의미하는 용어 가 하나 있다. 그것은 k$ 하 (x~a y)의 파생어로서 〈자기 지배하에 두다, 마음대로 처리하다〉를 뜻하며, 이란어에서 가장 중요하면서도 많은 파 생어를 만들어 낸 어근이다. 고대 페르시아어(『아베스타 경』에서는 그렇 지 않다)에서는 바로 이 어근의 파생어인 x~a y a8 iy a 로 왕을 지칭했다. 이 고대 페르시아어의 어휘가 적어도 25 세기 동안이나 사용되다가 규 칙적인 발달 과정을 거쳐 근대 페르시아어 亞탸가 되었다. 이 단어의 형태를 통해 자세한 분석을 할 수 있다. 죽 x~ay a8 iy a - 는 추상적인 *x~a y a8a 에서 -y a 가 붙어 파생된 형용사이며, 추상어인 *x~aya 8 a-자 체도 동사 어간 *x~a ya- 에서 -8a 가 첨가되어 파생된 파 생어이다. 그래서 〈왕〉은 〈왕권을 지닌 자〉로 명명되고 있다.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추상적 개념이 일차적이라는 것이다. 이 접은 역시 추상어인 산스크리트어 k~a tr a 와도 아주 흡사한데, 이 단어는 파생어 k~a triy a 〈전사 계급에 속하는 자〉를 만들어 냈고, 이 파생어의 원래의 의미는 〈 k~a tr a- 를 지닌〉이었다. 그런데 x~a y a8( i)y a- 라는 형태는 페르시아어의 음성 체계와는 상충 된다는 점을 지적하챠 즉 페르시아어의 음성 체계에서 음성군 -8(i) y- 는 -~y-가 되는데, 예컨대 이란어 ha8 y a 〈진실한〉가 고대 페르시아어

ha~ iy a 가 된 것과 같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결론이 나온다. x~ay a8 iy a 는 고유한 의미의 페르시아어 방언형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 용어는 그것 이 광범하게 사용되었던 언어에서 생겨난 것이 아니라 -O iy-에서 -~y-로 의 발달이 일어나지 않았던 이란어에서 생겨났다는 것이다. 이 용어는 언어적인 이유와 역사적인 이유에서 이란 북서 지방의 메디아족 1) 이 사 용한 언어임에 틀림없다. 〈왕〉이란 페르시아어 명칭은 페르시아 민족 이 메디아족에게서 차용한 것이다. 이 결론은 역사적인 관점에서 중요 굵}다 .

1) M 존 d i a : 기원전 9 세기경 이란 고원에 정착한 인도 • 유럽의 유목 민족 . 왕 우바크 샤하트라 Uvaksha tr a 는 기원전 7 세기경 아시리아 제국을 멸망시키고, 동맹국들과 이 제국을 분할하였고, 아나톨리아를 정복했다.

이 용어는 아케메니데스 왕조의 칭호의 특칭을 보여 주는 표현법 x~ay a8 iy a x~a y a8 iy anam 〈왕 중 왕〉에 들어 있다. 페르시아가 최초로 이 칭호의 표현을 확정했고, 이것은 곧 그리스인들에게 basile u s basile o n (pQU t A cbc O Q O t A t uv) 이란 형태로 페르시아 민족의 왕을 지칭하는 명칭 이 되었다 . 이 표현은 〈왕들 가운데 있는 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왕들을 지배하는 왕〉을 의미하는 신기한 표현이다. 이것은 초왕 권(超王權)으로 모든 사람들이 왕으로 간주하는 자들에게 행사하는· 제 2 단계의 높은 왕권이다. 그런데 이 표현은 비정상적인 면을 드러내는데, 그것은 우리가 기대하는 어순이 아니라는 점이다. 근대적인 표현 ~ahan 亞햐에서는 어순이 도치되어 있다. 이 어순은 한정 요소 (de t erm in an t)를 전치시키는 이란어 명사군의 통사법이다. 바로 이 점에서 이것이 페르 시아어가 아니라 의국어에서 유래한 데 대한 이차적 지표가 된다 . 이 표현은 그대로 수용되었음에 틀림없으며, 아케메니데스 왕조의 왕권과 더불어 성립된 것으로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 아마도 이 표현은 이미 메디아족에게서 구성된 것 갇다. 이란어는 이 어근에서 다수의 다른 용어들을 파생시켰다. 우선 아베

스타어 x~a8ra 인데, 이것은 산스크리트어 k~a tr a 에 대응하며, 그와 다론 페르시아어 형태로는 x~a 똔 a 가 있다. 이것은 왕의 권력과 이 왕권이 행 사되는 영역 , 죽 왕권과 왕국을 가리킨다. 다리우스 왕이 찬사( 讚 辭)에 서 〈아후라마즈다 2) 가 내게 이 x~a~a 를 내려 주셨다〉고 말할 때, 그것 은 이 두 가지, 죽 왕권 자체와 왕국을 함께 의미하는- 것이다 . 이 단어 는 중요한 고대 페르시아 합성어 x~a 현a P5Van 〈지방 왕국의 동치자〉을 만들어 내었다. 인접 방언의 형태 _— 이오니아어 t ~a t 8 p血 euw(eksa i­ thr ap eu o, 지방 왕국의 통치자의 권한을 행사하다)에는 거의 그대로 나타 난다-로 그 단어는 지방 왕국의 통치자의 칭호가 되어, 그리스어에 서 sa tr a p즌 s 가 되 었고, 여기 에서 〈 sa tr a p e 〉가 유래한다 . 이 칭호는 〈왕 국을 지키는〉을 의미한다. 이 칭호를 지닌 귀족충은 큰 지방을 다스리 는 임무( 〈 sa tr a pi es 〉)를 맡았고 , 그리하여 제국 수호의 직무를 수행했던 것 o] 댜

2) Ahurarnazda : 아베스타어로 〈현명한 주님〉이란 뜻으로 마즈다교의 주신(主神) 이다. 그는 우주의 창제자이자 인간을 행복과 선으로 인도하는 신이다. 이 종교의 후기에 와서 이 선신( 善 神)은 악의 신인 아흐리만(Ahrim an) 과 투쟁을 벌인다.

제국으로 형성된 세계에 대한 이 개념 __ 이란에서 이 개념이 고정되 었다――은 정치적일 뿐만 아니라 종교적인 것이다. 말하자면 지상과 천 상의 어떤 체제가 페르시아 통치자들의 왕권을 모델로 하고 있는 형국이 다. 페르시아 제국이 아닌 이란인들의 영적 세계와 특히 조로아스터교의 종말론에서 신자들이 가는 곳은 x~a8ra 〈왕국〉 또는 x~a8ra va iry a 〈바라 는 왕국 (또는 왕권)〉로 지칭되고 있다. 의 인화된 X~a8rava irya( 중기 이 란어 ~ahr 죤 var) 는 이른바 〈불멸의 성녀들〉로 불리는 천사 가운데 한 천 사를 가리키며, 이들 각 천사는 세상의 한 요소를 상칭하면서 물질적인 역할과 종말론적인 역할을 이중으로 담당한다. 바로 여기에 선지자적 유대교와 기독교의 종말론에 나오는 〈하늘의 왕국(천국)〉의 원형이 있으며, 이 모습은 이란의 이 관념을 그대로 반영

하고있댜 왕권을 가리키는 이란어 어휘는 이 어근 x~a - 로 구성된 다른 형태들 도 이용했다 . 고유한 아케메니데스 왕조 시기의 용어만 있는 것이 아니 다 . 새로운 칭호도 만들어졌다 . 이 사실은 xM-개 념의 중요성과 이란 세계의 통일성을 잘 보여 준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x~avan 〈통치자〉인 데, 이것은 코탄 방언에서 사용되었던 칭호이다. 이 칭호는 인도 • 스퀴 타이의 소왕권(小王 權 )을 가리키는 칭호에서도 다시 나온다 . 이 곳의 동전에는 왕의 이름과 함께 I>A ONANO I> AO 라는 칭호가 새겨져 있는 데, 이것을 음성적으로 전사하면, $aunanu $au 이다 . 이것은 ~ahan Mh 의 대응어가 아니라 이와 동일한 유형에 기초해서 x~avan 에서 파생 된, ~au 를 이용해 구성한 표현이다 . 또 지역적인 칭호로 사용된 용어도 있었다 복동 지방의 중기 이란어 —방언인에 는소 x그w디 t' w아 란어 형—태— 의사 마〈왕르〉칸에트 대 지한방 또까 지다 른포 명함칭되이는 있듯다이. 죽생 x각w된t 'w다 , xwa t aw 는 고대의 xwa-ta w -(ya ) , 즉 〈스스로 권력이 있는 자, 오직 자 신으로부터 그 권력을 취하는 자〉를 나타낸다 이 단어의 구성은 아주 괄목할 만하다(메이예가 최초로 이 점을 알아차리고 지적했다). 이 단어는 그리스어 au t o-kra to r(au l:O KPCl l:!Jlp)의 정확한 대응짝이다 . 이 이란어가 그리스어에서 번역된 것인지는 결정할 수 없다. 그 이유 가운데 한 가 지는 소그디아어의 이 합성어가 훨씬 고형일 수가 있기 때문인데, 그 증거로는 베다 산스크리트어의 수식어 sva- t ava 〈스스로 권세가 있는〉 가 있다. 또 다른 이유는 그리스어 칭호 au t o-kra to r 가 5 세기 이전에는 출현하지 않는다는 점 때문이다 . 이 칭호 xwa t awa- 가 이란어 자체 내에서 구성된 것이든 그렇지 않 든 간에, 그것은 다른 관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그것은 중기 페르시아 어로 전해 내려와 xud 료란 형태가 되었고, 현대 페르시아어에서 〈신〉, 죽 절대 주권을 지닌 것으로 간주되는 〈신〉의 명칭이 되었다.

그리하여 이 관념과 왕권의 개념 - 라틴어 rex, 산스크리트어 r 히로 번역되는 것처럼 一―사이의 거리가 얼마나 되는지를 가늠할 수 있다. 그것은 〈지배자〉의 특성을 지닌 왕권이 아니며, 통치자의 역할이 인도 • 유럽 세계의 이데올로기처럼 〈똑바른 길을 긋는〉 것도 아니다. 이란에 서 우리는 고전적인 서구인들의 눈에는 아케메니데스 왕권으로 보이지 만, 실은 그 왕권에 육화(肉化)된 절대 권력의 도래를 관찰할 수 있는 것 01 댜 페르시아의 아케메니데스 왕권의 전통이 보여 주는 그 독창적인 면 모는 왕의 명칭뿐만 아니라 그 명칭을 수식하는 몇몇 수식어에도 나타 난다 . 페르시아의 이란어는 왕권과 관련된 몇 가지 용어를 지닌 유일한 언 어이다. 이 용어에 고대 페르시아 형용사 vazraka 〈위대한, 큰〉가 포함 되는데, 이 형용사는 근대 페르시아어에 와서 buzur g가 되었다. 이것은 전적으로 페르시아어에 속하는 형용사이다. 기타의 어떠한 이란 방언에 서도 나타나지 않으며, 인도어는 이것에 대응하는 단어를 전혀 보여 주 지 않는다. 아케메니데스 왕조의 문헌, 예컨대 왕의 포고문(布告文)에서 이 형용사는 구체적인 특수 개념을 수식하는 단어로 출현한다. a) bag a vazraka 〈위대한 신〉는 아후라마즈다를 가리키는 명칭이며, 오직 그만을 가리킨다. 어떤 문헌들은 다음과 같은 칭송으로 시작 하고 있다. baga vazraka ahurarnazda 〈위대한 신은 아후라마즈다 십니다〉. b) vazraka 를 왕에게 적용하면, x~ay a8 iy a vazraka 가 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왕의 칭호에서, 왕의 명칭 뒤에 항상 반복되 어 왕에 대한 의전(儀典)으로 사용된다. 〈위대한 왕〉 x~a y a8 iy a vazraka, 〈왕 중 왕〉 x~a y a8 iy a x~a y a8 iy캄面 n, 〈국가들의 왕〉 x~a­ ya8 iy a dahy u nam. 왕의 지위를 세 가지로 규정하고 있다. 〈왕〉

이란 칭호에 첨가된 〈위대한〉이란 수식어는 그리스인들에게는 전 혀 낯선 것이었다. 그래서 여기에서 페르시아의 왕을 가리키기 위 해서 basile u s meg as {P a tA Et> <;; µeva c;;)가 생겨났다 . 둘째 칭호인 〈왕 중 왕〉은 다른 모든 왕권을 포괄하는 제국의 주권자로서 그 를 지고(至高)의 통치자로 만든다 . 마지막 칭호인 〈국가들의 왕〉 은 아케메니데스 제국의 모든 속국(蜀國)들, 예컨대 페르시아, 메 디아, 바빌로니아, 이집트 등도 역시 〈국가들〉이기에 이들 속국에 대한 왕의 권위를 확립시켜 준다. c) vazraka 는 또한 〈땅〉, 죽 bum i에도 적용되어 넓은 의미의 왕의 통치 영역을의미한다. 이 형용사에 대한 분석은 아직 부분적으로는 가설로 남아 있다. 그것 온 어근 *vaz- 〈힘이 센, 활력으로 가득 찬〉(라틴어 ueg eo 참조) —— 베 다 산스크리트어 명사 어근 v 료j a- 〈세력, 전두〉에 대응한다 - 의 파생 어로서, 미확인된 -r 어간 형태 *vazar 또는 *vazra- 에 -ka 가 첨가되 어 파생된 파생어라는 것이 거의 맞다. 『베다 경』의 〈영웅적〉 용어집에 서 vaj a 는 그 파생어와 함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그 일차적인 의미 의에도 다양한 의미가 있다. v 료j a 는 신, 영웅, 말〔言語)이 지닌 고유한 힘을 가리키며, 이 힘으로 승리가 보장됨이 확실하다. 이것은 또한 제사 의 신비한 효력과 제사가 가져다 주는 모든 것, 죽 번영, 만족, 세력을 가리킨다. 나아가 증여(贈與)로 드러나는 세력을 가리키기도 하는데, 여 기에서 관용, 부(富)의 의미가 나온다. 이러한 개념이 vazraka 가 사용된 페르시아어 용법에서 그대로 반영 되어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아후라마즈다 신(神)이 vazraka 로 묘사되는 이유는, 그가 이 신비한 힘(인도어 v 줍j a-) 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왕 역시 이 신비한 힘을 지닐 자격이 있는 자이다. 그리고 대지(大地)도 역 시 모든 것을 지지하며 먹여 살리는 자연적 요소로서 이 신비한 힘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vazraka- 로 수식되는 이러한 한정은 계급으로 구성된 도식에 따라 분류되는 것 같다. 죽 종교적 권력의 원천으로서 신과 군사력을 지배하는 주권자로서의 왕, 그리고 풍요의 원형인 대지가 그것이다. 이 처럼 하나의 단순한 형용사가 풍부한 개념적 내용을 담을 수 있다는 것 을잘알수있다.

제 3 장 그리스의 왕권 요약 왕에 대한 인도 • 이란어의 개념과 이탈리크어의 개념을 비교해 볼 때 〈왕〉을 가리 키는 그리스어 명칭 bas il eCrs 와 wanaks 가 암시하는 것은 훨씬 전화되고 분화된 개념 ―여러 접에서 게르만어의 관념과 가깝다-이다 . 이 두 용어의 어원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둘 다 미케네어 덱스트로부터 확인되며 , 둘째 용어만이 권력의 소지자를 가리킨다는 접에서 이 두 용어는 서로 대립된다. bas il eCrs 에 대해 말하자면 , 이것은 인도어 ra j-처럼 신은 아니지만 주술적 • 종교적인 유형의 기능들- 이들은 앞서 연구한 삼분 체계에 따라 원래부터 구조화되었다­ 을 행사한다. 자기 권위의 싱칭(원래부터 그리스에서 기원한다)인 왕홀은 처음에는 권 위자의 말을 소지한 자 , 죽 사자(使者)의 지팡이에 지나지 않았다 . 원시 그리스 제도의 어휘보다 인도 • 유럽 사회의 정치 구조의 변화 를 더 잘 가늠하게 해 주는 것은 없다. 역사의 여명기로부터 왕권과 이 와 관련된 모든 것이,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새로운 명칭들 이 그리스어에 있는데, 지금까지 어떤 것도 이들 명칭을 설명하지 못하 고있다. 그리스어에는 왕을 가리키는 두 가지 명칭인 bas il eus(Paa t leu<;) 와 wanaks(w 6. va~) 가 있다. 이 두 용어는 동일한 평면에 있지 않을 뿐 아 니라 전적으로 엄밀한 어원론적 해석을 거부한다. 이들은 다른 언어에 그 대웅어가 없고, 그리스어에서조차 부분적으로라도 이들과의 친근 관 계를찾아볼수없다. bas il eus 의 기원에 대한 논의는 많이 있었으나 아무런 성과가 없었다. 어기 (rad ic al) 의 확인은 불가능하나 형태 구성에 대한 어느 정도 그럴싸

한 분석은 가능하다 . bas il eus 는 형 태는 -i l- 이 선행하고, 그 뒤 에 접 미 사 - eus 가 첨가된 파생어이다 형태소 -ii-은 소아시아의 인명에 고유 한 파생 요소이다 . 예컨대 Troil -o s , Murs- il -os( 히타이트어 Mur~ ili~는 여기에 대응한다) 같은 단어이다. 이 사실이 우리가 지적할 수 있는 전 부이다. 어기 bas- 에 대해 살펴보면, 어원 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수많은 가설 가운데 어떤 것도 오늘날 논의될 수가 없다. bas i leus 란 용어도 사실 미 케네 점토판에서 인지된 것으로, 이 점토판에는 q a-s i -re - u 란 형태로 쓰여 있다. 그 여성 파생어는 q a - s i - re - w i-y a 로 아마도 bas il eus 에 해 당하는 단어 일 것이다. 기호 q a - 의 음성적 가치가 확실하다면 basile u s 의 첫음 b- 는 고대의 연구개 순음 g w- 를 나타낸다. 따라서 미케네어의 형태를 g was il eus 로 표시해야 할 것이다 . 비교의 기회가 언젠가 제공된 다면 바로 여기에서 출발해서 비교해야 한다 . 현재로서는 단지 재구 과 정의 초입 단계에만 진입해 있을 따름이다. wanaks 의 경우에는 사정이 비슷하기도 하지만 위의 경우와 다르다. bas il eus 처럼 그것은 호메로스와 미케네어의 용어이다. 그러나 이것은 훨씬 광범위한 방언 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어의 영역 밖에서 한 번 나타난다. 고대의 많은 비문에서 이 칭호는 포세이돈과 디오스쿠로이!) 같은 신 들이나 지고한 권력을 지닌 사람들에게 부여되었다. 예컨대 퀴프로스의 그리스어와 페니키아어의 이언어 병용으로 비문에서 wanaks 는 페니키 아어 a. don 〈주군〉을 번역한 용어이다. 기원전 약 600 년에 유래하고 고 프뤼기아어로 쓰인 헌사에서 미다스 왕2 ) 이 wanaks 로 수식되고 있다는 1) Dios couroi : 제우스와 레아의 쌍둥이 아들인 카스토르와 퐁뤼데우케스를 가리 킨다 . 2) Mida s : 프뤼기아의 왕으로서 이 미다스 왕이 통치할 무렵(기원전 8 세기) 프뤼기 아는 황금과 철 덕택에 가장 번성한다 . 그러나 기원전 7 세기 직후 키메로이족에게

멸망한다. 아주 유명하고 대중화된 전설들의 주인공으로 자주 등장하는 왕이다 .

점은 홍미롭다. 그렇지만 이 단어가 프뤼기아어에 고유한 토착어인지 그리스어에서 차용된 것인지는 확실히 말할 수 없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자료는 미케네어가 제공하는 자료인데, 여기에서 그 용어는 여러 가지 형태로 출현하고 있다 . 죽 wa- n a-ka(=wanaks), wa-n a-ke-te , wa-na-ka-te ( =wanakte i, 단수 여격), wa- na - ka - te - ro (=wanakte r os, 비교 접미사를 지닌 형태) , wa-na-sa-wi -y a, wa- n a- so-i 또는 wa-no - so- i(해석이 불확실하다) 등의 형태이다. 나아가 미케네어에서 이 용어가 사용된 문맥들은 bas i leus( 실제로는 g was i leus) 와 wanaks 라는 두 칭호 사이의 관계에 빛을 던져 준다 bas il eus 는 한 지역의 우두머리, 죽 유력자일 뿐이며 결코 왕이 아닌 것 같다. 그는 정치적인 권위는 전혀 지니고 있지 않은 듯하다. 이와 반대 로 wanaks 는 우리가 그 통치 영역의 넓이는 정확히 규정할 수 없지만 왕권의 소지자로 간주된다 . 그렇다면 이 칭호는 신들이나 사제들의 전 유물인가? 이룰 확증하기란 어렵지만 확증할 수 있는 가능성은 있다 . 호메로스 서사시에서 bas i leus 와 wanaks 두 칭호가 갖는 각각의 지 위는 미케네 사회에서 이 두 인물을 특징짓는 지위에 상응한다 . 단지 wanaks 는 가장 지고한 신들에게 부여된, 신을 가리키는 수식어라는 점만을 기억하면 된다. 트로이아 사람들의 신(神)인 아폴론이 바로 이 wanaks 의 전형이다. 제우스 (Zeus) 역시 wanaks 이기는 하지만 그리 빈 번하게 이 칭호로 불리지는 않는다 . 또한 디오스쿠로이도 wanake( 어간 wanak t-에 기초해서 구성된 굴절과 대조되는 쌍수 형태이다)로 특정하게 지칭된다. bas il eus 와 wanaks 사이의 의 미 관계를 적어도 가장 중요한 특칭들 로 좀더 명확히 기술하는 편이 유익할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 면, 왕의 형제들과 아들들이 wanaks 란 칭호를 가졌다고 한다 . 그래서

bas il eus 와 wanaks 의 관계는 〈왕〉과 〈왕자〉의 관계였던 것으로 추정된 다 . 바로 이 관계는 wanaks 란 칭호가 디오스쿠로이 Al6(J K OUPOl, 죽 왕 의 세손들에게 부여된 이유를 설명해 준다 .• 그 렇지만 wanaks 가 왕자와 왕의 형제에게만 국한된 칭호라는 점은 인정할 수 없다 . 왜냐하면 호메 로스에게서조차 어떤 인물이 bas il eus 가 되기도 하고, 동시에 wanaks 도 되가 때문이다 . 죽 한 칭호가 다론 칭호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오뒤세이아』 20, 194 에서 볼 수 있다 더욱이 오직 wanaks 만이 신을 수식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예컨대 『일리아스』 가운데 가장 장엄한 덱 스트 가운데 하나인 제우스 도도나이오스 Zeus Dodona i os 에 대한 기원 (祈願)은 Z 햐 civ a(=Zeu ana)… ( 16, 233) 로 시작하고 있다. 신은 결코 bas il eus 라 불리지 않는다 반면에 bas il eus 는 인간 사회에 널리 퍼져있 댜 아가멤논뿐만 아니라 수많은 일반 사람들이 이 칭호를 받고 있다. 비교급 bas il eu t eros 와 최상급 bas il eu t a t os 로 미루어 보건대 basile is 사 이에는 등급(급수)과 위계 같은 것이 있다. 반면 wanaks 는 호메로스 작 품에서 이와 갇은 형태의 변동이 전혀 없다 . 의미가 아직 불확실한 미 케네어 wanak t ero- 를 잠시 보류한다면, wanaks 란 칭호는 절대적인 자 질을 가리킨다. 나아가 bas il eus 는 거의 대부분의 경우, 한정사가 없다 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그냥 bas il eus 라고 되어 있다. 속격으로 한정 된 bas il eus 의 예는 두세 개뿐이다 . 이와 반대로 wanaks 는 일반적으로 wanaks andr8n 〈남자들의 wanaks 〉처럼 공동체 집단의 명칭이 한정사 로 사용되거나 wanaks Lu ki es 〈뤼키아의 wanaks 〉처럼 국가 명칭이 한 정사이다 . 마찬가지로 동사 wanasso 〈 wanaks 이다,~(가)되다〉는 특정 장소나 지역 명칭과 함께 구문을 구성한다. 그 이유는 wanaks 만이 왕권의 실체를 가리키기 때문이다. 반면 bas il eus 는 g enos 〈종족〉의 우두머리가 지닌 전통적인 칭호지만 영토상 의 통치권 개념이 없고, 다수의 사람들이 같은 지역에서 소유할 수 있 는 칭호에 지나지 않는다. 이타케에 살고 있는 많은 bas il ees 가 있었다

(『오뒤세이아』 1, 394). 단 한 도시, 예컨대 파이아케스3 ) 의 도시에만 13 인 정도의 bas il ~es 가 있었다(『오뒤세이아』 8, 390). 존경을 받는 인물인 bas i leus 는 집회에서 몇몇 특권이 있었지만 권한의 행사는 오직 그것을 행사할 수 있는 wanaks 에게 국한되었다. 바로 이것이 속사 wanasso 가 의미하는 바이기도 하다. 고유명사, 예컨대 아가멤논의 딸 이름인 lph i - anassa 〈권세로 다스리는〉 같은 단어에 보존된 표현도 역시 이룰 증거 하고 있다. 여성 (w)anassa 는 데메데르, 아테나 여신 같은 명사를 수석 하는 부가 형용사이다. 또 오뒤세우스가 나우시카를 처음 보았을 때 그 녀가 여신(女神)인 줄 알고 그녀를 이처럼 불렀다 .

3) Paia k es : 스케이라 섭에 사는 족속들 파이아케스인들의 왕 알키노스는 오뒤세우 스에게 환대를 베풀고 접대 선물을 주고, 그에게 배를 주어 고향인 이타케로 가도 록한다.

* 호메로스의 왕권에 대한 개념에는 과거의 의미 표상이 남아 있는데, 이것은 다른 인도 • 유럽 사회에서도 어떤 방식으로 나타난다 . 특히 왕 이 정의의 규율과 신의 가르침을 따르는 경우, 그는 자기 백성을 위해 번영을 이룩하는 주체이자 그 수호자라는 관념이 그것이다. 『오뒤세이 아』 (19, 110 이하)에서 선왕(善王)에 대해 다음과 갇은 찬사를 읽을 수 있다 . 죽 〈선왕 (bas il eus) 은 신들을 경의하고, 정의에 따라 살며, 수많은 용감한 사람들을 통치하며 (anasson), 검은 대지는 그를 위해 밀과 보리 를 생산하며, 나무는 열매를 가득 맺으며, 가축 떼는 수없이 증가하며, 바다는 물고기로 가득하지요. 그의 선정 덕택으로 백성들은 그의 치하 에서 태평성대를 누리고 있지요 ` 〉 이러한 내용의 글은 고전 문학에서 오랫동안 계승되었다. 작가들은 정의에 따라 통치되는 백성들의 행복과 거짓과 죄악으로 인해 생겨난

불행을 즐겨 대립시켰다 . 하지만 이것은 도덕적 교훈을 위한 상두어구 가 아니다. 실제로 호메로스는 왕 자신을 에워싸고 있는 생물들과 자연 의 풍요와 번영을 증진시키는 기능을 지닌 왕의 신비하고도 생산적인 덕을 칭송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념이 훨씬 나중에 게르만 사회에서도 다시 출현하는 것은 사실이며 , 이것은 거의 같은 용어들을 통해 확증되고 있다. 스칸디나비 아인들에게 왕은 대지와 바다의 번영을 보증해 준다. 그의 치세(治世) 는 풍요한 결실과 여자들의 다산(多産)으로 특칭지어전다 . 백성들은 왕 에게 관례적으로 사용되는 고정 표현 ar ok fri ar 〈풍요와 화평〉에 따라 이를 요구한다. 이것은 마치 사람들이 아데네의 부포니아 제(際 )4) 에서 〈화평과 풍요를 위해〉 제사드리는 것과 같다 . 이것은 쓸모없는 관례적인 고정 표현이 아니다. 암미아누스 마르켈리 누스5 ) 는 부르군트족이 패배하거나 재난을 당한 뒤에 그들의 왕을 잡아 죽이는 의식을 행하곤 했는데, 이는 그가 자기 백성을 잘 되게 하고 번 영시킬 수 있는 능력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여기에서도 다른 형태이기는 하지만 아케메니데스 왕조의 페르시아 왕의 기도에 혼을 불어 넣는 관념을 재발견할 수 있다. 다리우스 왕은 다음과 같이 기도한다. 〈아후라마즈다 신이여, 다른 신들과 갇이 나를 구원해 주시 고 이 나라를 적과 흉년과 거짓으로부터 보호해 주소서.〉 우리는 앞(제 1 권, 338 쪽 이하)에서 이 기도문에 대해 언급했다. 이 기 도에는 사회의 삼분(三分) 구조와 각 계층의 활동에 상응하는 악(惡)이 나타난다. 죽 종교적 정신 (drau g a, 거짓말), 땅의 경작 (du~ iy ara, 흉작), 군대의 활약 (ha in a, 적군)이 그것이다. 다리우스 왕이 자기 왕국이 피할 4) Bou p ho 函 제 : 소〔牛漫 희생 제물로 사용하여 드리는 제사. 5) Amm ian us Marc ellin us(330-400 년) : 로마의 가장 위대한 마지막 역사가. 그의 역사는 타키두스의 『 역사』를 계승하고 있다. 그가 최초로 지은 13 권의 역사는 상 실되고 없다.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신께 간구하는 이 모든 불행은 그 자신이 몸소 백 성들에게 베풀어 주어야 할 선행과는 대립된다. 더욱이 그가 아후라마 즈다 신의 총애를 받는 한 그는 자신의 왕국의 번영, 적군의 격되, 진리 를 구하는 정신의 승리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 번영과 부의 공급자로서 이러한 왕에 대한 이미지는 앵글로 • 색슨어 에서 〈주군(主君)〉을 가리키는 명칭을 만들어 냈다. 영어의 용어 lord (主君)는 고대의 복합어 hla fo rd 를 계승하는데, 여기에서 그 첫 요소는 hlaf , 죽 〈빵〉(영어 lo af〈(빵) 덩어리〉)이다. hla fo rd 에서 *hlaf- w eard 〈빵을 지키는 자〉를 재구할 수 있는데, 이 단어는 음식물을 부양할 군 주, 먹을 것을 제공하는 자, 빵 덩어리의 주인을 뜻한다. 마찬가지로 lad y〈부인, 숙녀〉는 고대 영어 hlaef- d ig e, 죽 〈빵을 반죽하는 여자〉이 다. lord 의 하인들, 즉 그에게 복종하는 자들은 〈빵을 먹는 자들〉이다. 중세 경제에서 영국의 소(小) 〈영주〉는 자기 영지에서 인도 • 유럽 사회 의 관념에 따라 호메로스에게서 나오는 〈왕〉이 소유했던 것과 같은 역 할을하고 있는것이다. 이 모든 민족들이 왕의 기능에 대해 동일한 관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베다의 왕권과 그리스의 왕권 사이에는 차이가 드러나는데, 이 러한 차이로부터 이제 우리가 비교, 논의하려는 두 가지 정의가 니온디·. 『마누의 법전 Lo i s de manu 』 6) 에 왕은 단 하나의 문장으로 그 특칭을 규정하고 있다. 죽 〈왕은 인간 형상을 한 (nara rilp ena) 위대한 신적 존 재 Mahati: deva tahi이다〉. 이 정의는 다른 표현들로 확인되고 있다. 즉 〈여덟 가지 신성한 것, 죽 경의와 숭배와 순례의 대상이 있다 . 그것은 브라흐만, (산성한) 암소, 불, 금, g h :rt a( 녹인 버터), 태양, 물, 그리고 (8 6) Manu 또는 Manava : 인도 신화에 따르면 마누는 인류의 시조이자 최초의 왕이며 법 제정자이다. 그는 후세에 법전을 남겼는데, 그것이 『 마누의 법전 M tf­ navadhanna g函 m 이다. 종교 문제에 관해서는 아직도 이 법전이 권위를 행사하고. 있다 .

번째의 것으로) 왕이다.〉 이것과 대립되는 정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 『 정치학』 I, 1259 쪽) 이다. 〈왕과 신하와의 관계는 가장( 家 長)과 그 자식들의 관계와 같다.〉 한 마디로 왕은 des p 6 t존s , 즉 어원적 의미로 집안의 주인이며, 분명히 절대적 주인이지만 신은 아니다. 호메로스의 어법으로 bas il eus 는 확실히 d i o g enes 〈제우스에게서 태어 난〉와 d i o trp hes 〈제우스에게 양육된〉이다. bas il eus 는 제우스로부터 그 에게 주어진 특권들과 상징 , 예컨대 왕홀 같은 것을 가지고 있다. 그가 왕이 된 것 , 그리고 그가 소지한 모든 것 , 예컨대 그의 상칭이나 권세는 신이 그에게 부여한 것이지만, 그가 그것을 신의 후예로서 소지한 것은 아니다 . 그리스 세계와 게르만 세계에 고유한 이처럼 본질적인 변화는 인도 나 로마의 왕에 대한 관념과 대립되는 유형의 왕권을 부각시키고 있다. 죽 로마의 rex 는 실제로 인도의 r 히와 동일한 차원에 있으며, 이 두 인 물은 그 역할과 명칭에 공통점이 있다. 그리스 사회와 게르만 사회에서 드러나는 더욱 〈근대적〉이고, 더욱 〈민주적인〉 왕에 대한 이 관념은 독자적으로 구현된 것임에 틀림없다 . 이 관념은 공통된 명칭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 인도와 로 마는 아주 보수적이다. 용어상의 우연한 일치는 매우 유익하다 . 예컨대 r 즌g-란 용어는 인도 • 유럽어 영역의 두 양극 지방인 이탈리크 제어와 인도어에 남아 있다. 바로 이 곳에서 가장 전통적인 제도》 가장 오랜 개 념이 그대로 보존되고 있고, 이들 제도와 개념은 사제단(司祭團)에 의해 계승된 종교 조직과 밀접히 연계되어 유지된 것이다(앞의 18 쪽 참조). 이와 반대로 중앙 유럽에는 민족들의 대이동으로 고대의 사회 구조 가 전복되었다. 그래서 고려해야 되는 것은 그리스와 게르만 사회뿐만 이 아니다 . 이와 동일한 사회 조칙을 가진 듯이 여겨지는, 별로 알려지 지 않은 다른 민족들 예컨대 일뤼리아족과 베네치아족들도 고려해야

하는데, 우리는 이들에 대한 증거가 거의 없거나 간접적인 증거만 있을 따름 0] 다. * 왕과 왕권과 관련된 일련의 용어 가운데 왕의 기능을 고유하게 상징 하는 표지 가운데 하나인 왕홀( 王 勿)의 명칭도 포함시켜야 한다 . 이 명 칭은 그리스어로 ske ptr on(OK 처 m p ov) 이다 . 이것은 인도 • 유럽어의 용어 가 아니라 사실상 그리스어에만 국한되어 있다. 이 점이 참 이상하디는­ 생각이 드는데, 그것은 왕홀 제도가 많은 인도 • 유럽 민족들에게 퍼진 시기가 아주 오래 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용어는 그리스어로부터 라틴어와 슬라브어로 계승되었으며, 그 후 라틴어로부터 게르만어로 계 승되었고, 그리하여 대부분의 유럽 지역에 퍼졌다 . 이러한 점 때문에 인도 • 이란어에 이 개념이 결여되어 있다는 사실이 더욱 두드러지게 부각된다. 인도나 마즈다교 시기의 이란에는 왕홀에 대한 명칭이 없다. 이러한 의미의 어떤 단어도 『리그 베다』나 『아베스타 경』에는 나타나지 않는 다. 이는 부정적 사실이지만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 어떤 학자들은 아케메니데스 왕조의 부조(浮形)에 왕의 시종이 지니고 다니는 물건에 이 왕홀이 새겨져 있는 것으로 생각하기도 했는데, 그 왕홀의 소지자는 이 유적에서 vassa-bara 〈 vassa 를 가지고 있는 자〉로 기록되어 있다. 그 렇다면 그는 왕의 홀을 가지고 다니는 자인가? 오늘날 이 왕홀이 활이 라는 것에 모두 동의하고 있다. 따라서 그 용어는 왕의 궁수(弓手)이거 나 활을 가지고 다니는 자를 가리킬 것이다. 그러나 아케메니데스 왕조 의 페르시아뿐만 아니라 이란 전체와 인도에 대한 이러한 조사는 부정 적이다. 호메로스의 왕권에 대한 개념 가운데 왕홀이 지니는 중요성은 잘

알려져 있다. 그것은 왕이 〈홀을 지닌 자〉, 죽 OKnmo0XOt pao t A i cc (sk 존pto il kho i bas i l 윤 es) 로 규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호메로스와 일상 그 리스어에서 나타나는 그 명칭 자체는 sk~ ptr on 이며, 이것이 라틴어 sce ptr um 이 되었다 . 그러나 도리스어로 쓰인 핀다로스의 작품에서는 ska pt on(OK ttJtl: OV ) 으로도 나온다. 나아가 모음 계제가 다르기는 해도 라 틴어 sc ipi o 와 그리스어의 sk ip on(oK i nwv) 도 있다. 호메로스에 있어서 이 sk~ ptr on 은 왕 , 선지자, 사자( 使者 ), 재판관, 그 리고 본질적으로나 어떤 계기에 권위를 부여받는 모든 인물들이 지니 는 상칭이다 . sk~ ptr on 은 웅변가가 연설을 시작하기 전에 그의 말이 권 위를 지닌 연설이 될 수 있도록 그에게 건네진다. 〈홀〉 그 자체는 지팡 이 , 즉 여행객이나 거지의 지팡이에 지나지 않는다 . 그것이 왕과 같은 인물의 손에서는 위엄을 지닌 물건이 된다. 예컨대 아가멤논의 훌 같은 것인데, 호메로스는 제우스까지 거슬러 울라가 그로부터 이 홀을 전해 받은 모든 자들의 이름을 열거하고 있다 . 이 신성한 홀은 숭배와 경배 의 물건으로 카이로네아7 ) 에 보관되었고, 파우사니아스 8) 에 따르면, 매년 제사 때 보관 임무를 맡은 제관(祭 官 )이 간수하도록 했다. 그렇지만 그 것은 sk~ ptr on 으로 부르지 않고 d6ru 로 불렀는데, 이 단어의 문자적 인 의미는 〈나무〉이다(파우사니아스, 『 그리스 안내기 』 IX, 40, 11). 따라서 그것은 긴 지팡이 , 창대였다. 그런데 로마 초기에 왕홀은 has t a 라 명명 되었는데, 예컨대 유스티누스9 ) 의 『보편사』 43, 3 에 따르면 hasta s qua s Graeci scep tra dic e re ... 〈그리스인들이 sceP trum으로 부르는 has t a 〉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래서 has t a 는 라틴어에서 창대로서 〈홀〉에 해당하는 용어이다 . 게르만인들의 홀에 대해 말하자면, 라틴어 역사가들은 이것 7) Ka iron ea : 테베 근처의 케피소스에 건설된 고대 그리스 도시 . 8) Pausan ias : 기원 2 세기 뤼디아 출신의 그리스 여행가이자 지리학자 . 9) Marcus Junian us Jus ti nu s : 기원 2 세기의 라틴 역사가. 44 권으로 된 『 보편사 His to r ia 11n i versa li s 』 가 있다 .

을 〈창(槍)〉, 죽 con tu s 라고 불렀다 . 게르만어 명칭은 고대 고지 독일어 chunin -ger ta , 고대 영어 cyn e- g ard 〈왕의 막대기, 지팡이〉이다. 그런데 고대 고지 독일어 g er t a 〈막대기, 지팡이〉(고트어 g azds 〈가시〉)는 라틴어 has t a 와 대응한다 . sk~ ptr on 의 고유한 의미 작용을 찾아 내어, 이로부터 이 표지에 대해 사람들이 지니고 있던 관념을 추론해 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지를 살 펴보면, 왕권의 상칭들이 단순한 장식 이상의 의미가 있기 때문에 그것 은 왕권의 개념 자체에서 출발한다 . 더욱이 왕홀과 왕관은 왕권 자체이 다. 통치하는 것은 왕이 아니라 왕관인데, 그것은 왕관이 왕을 만들기 때문이다. 이 왕관이 영속적으로 계승됨으로써 왕권의 기초로 사용된 다. 오늘날에도 사람들은 〈왕관(王冠)의 재산(왕실 재산)〉이라고 한다. 왕의 아들은 〈왕관의 세자〉(독일어 Kronp r inz)라고 한다. 그래서 왕은 왕관으로부터 그 권력을 취하며, 그는 이 왕관의 보관 소지자에 지나지 않는다. 아와 같이 신비한 개념이 또한 호메로스의 sk~ ptr on 에도 있다. 즉 어떤 인물이 자기 손에 이 sk 윤ptr on 이 있을 때만 통치하고, 심판하 고, 연설한다. 이 그리스어 용어의 구성과 그 일차적 의미는 전혀 신비한 것이 아니 다. sk~ ptr on 은 동사 ske pto-〈-에 기대다〉의 도구 명사이다. 그것은 사 람들이 기대는 물건, 즉 지팡이이다. 그러나 이 어원적 의미는 이 표지 와 결부되어 있는 권력의 기원에 대해서는 아무런 사실도 밝혀 주지 않 는다. 이 번역 자체도 너무 간단하다 . 〈기대다〉는 다른 방식으로도 표 현되는데, 예컨대 klm5 같은 동사이다. ske pt o- 의 원래 의 미는 〈자신의 전 체중을 어디에 의지하다, 거기에 지지하다〉이다. 호메로스는 자기 동료들이 받치고 있는 다친 사람의 거동을 묘사하면서 그가 움직이도 록 부축하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전 체중을 의지한다〉고 말하고 있다. 『오뒤세이아』에 나오는 거지는 자기 지팡이에 〈의지하고〉 있다. 여기에 서 동사 sk 윤인 5- 의 파생 의미인 〈핑계를 갖다 대다, 변명하다〉, 죽 기

존의 사실에 〈의지해서 자신을 옹호하다〉가 생겨났다.

때로 이 동사를 비극 작가들의 예에 따라 〈날다, 비약하다〉로 번역하 기도 한다 이는 개정해야 할 번역이다. 아이스퀼로스의 『아가멤논』 10) 에 나오는 어떤 구절에서 신호로 사용되는 횃불을 어떤 곳에서 다른 곳으 로 전달하는 것을 묘사하는 내용 중 이 동사가 사용된 네 개의 예문이 연속적으로 출현하고 있다 (302 - 308-310 행). 화로에 횃불들이 연쇄적으 로 붙는다. 그 횃불은 멀리 떨어진 곳까지 날아가서 불빛이 고르고피스 호수를 넘어 어느 지점에 〈쏜살같이 떨어지자〉 (eske p sen) 그 다음 불이 지체 없이 연달아 다시금 환히 밝힌다 . 〈보라 횃불이 덤벼들 듯이 떨어 져 (esk 존p sen), 아라크나이온 산(山) 꼭대기에 이른다 . 〉 뒤이어 〈보라, 횃불이 아트레이다이의 지붕 위에 쏜살같이 떨어전다 (sk~pt e i)〉가 나온 다 . 그 불길이 어느 산 꼭대기에서 시작해서 여러 산 꼭대기로 옮겨 가 면서 〈스스로를 의지한다〉. 여기에서 묘사되고 있는 것은 언제나 동일 한동작이다 .

10) Ai skh y los 의 『 아가멤논 A g amemnon 』은 그의 3 부작 『 오레스테이아 Ores t e i a 』 가 운데 제 1 부작으로서 아가멤논의 귀환과 죽음을 이야기하고 있다(제 1 권 1 편 제 1 장 각주 2 참조) .

소포클레스는 재앙을 초래하는 신에 대해 얘기하면서(『오이디푸스 왕 』, 28) 그 신이 도시에 덤벼들 듯이 떨어지고 , 쏜살같이 내려온다 (sk~ p sas) 고 말한다 . 끝으로 어느 비문( 『 그리스 비문집 I. G . 』 II2, 1629) 에 폭풍우가 삼킬 듯이 떨어진, 〈쏜살같이 떨어전〉 3 단 노를 가전 배에 대 한 얘기가나온다. 모든 곳에서 이 동사의 의미는 〈몸으로 짓누르다, 전 체중을 의지하 다〉이다. 따라서 sk~ ptr on 은 사람들이 몸을 기 대어 넘어지지 않도록 지 지하는 지팡이이다 . 그런데 이러한 목적에 부응하는 유일한 지팡이 종 류는 바로 〈걷는 데 사용하는 지팡이〉이다. 그러면 그 명칭이 정의하는 바와 같은 이러한 도구가 어떻게 그와 갇

은 지고한 권위를 보장해 주는가? 지금껏 제시된 여러 가지 설명을 무시할 수도 있다. 죽 그것(지팡이) 자체가 권력의 표시, 권위의 표지, 웅변가의 지팡이는 아니다. 그것은 마술 지팡이는 더욱 아니다. 마술 지팡이는 rhabdos 로 표현되기 때문이 다. 또한 sk~ ptr on 은 마술사의 표지도 결코 아니다 . sk~ ptr on 은 〈의지 하는 지팡이, 걷는 데 사용하는 지팡이〉를 의미하므로 이것을 지닐 자 격이 있는 여러 부류 사람들의 손에서 이 sk~ ptr on 이 갖는 여러 기능을 어떤 방식으로 조화롭게 통일시키느냐를 자문해 보아야 할 것이다. sk~ ptr on 의 최초 모습은 〈사자(使者)〉의 지팡이로 우리에게 나타난 다. 그것은 순례자의 상징이다. 그는 행동하기 위해, 말을 전달하기 위 해 권위를 가지고 나아가기 때문이다 . 이 세 가지 조건, 즉 걷는 사람, 권위 있는 사람, 전언을 지닌 사람으로서의 조건은 단 하나의 기능, 즉 사자의 기능을 함축한다 . 이 사자의 기능이 이 세 가지 모두를 결합시 키며, 그 기능만이 이 세 가지를 설명할 수 있다. sk~ ptr on 이 전언을 지 닌 사자에게 필요한 까닭에 그것은 그가 지닌 그 기능의 상징이며, 합당하게 신임받은 자로서의 신비한 표시가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sk~ ptr on 은 전언을 지닌 인물, 죽 권위를 지닌 전언의 전달을 임무로 하는 신성한 인물로 묘사되게 된 것이다. 예컨대 제우스로부터 부여받 은 sk 습ptr on 은 계속적으로 여러 사람의 소지자를 거쳐 마침내 아가멤 논의 손에 들어오게 된다. 제우스는 그의 이름으로 말하는 자들을 지명 하여 그들에게 정당하게 신임을 받은 표지로서 그것을 주는 것이다. 인도 • 유럽 세계에 이 왕홀이 불균형하게 분포된 것은, 따라서 왕권 에 대한 개념이 가변적이라는 것을 나타내 준다. 인도 • 이란인들에게 왕은 신이다. 그래서 그는 왕훌 같은 표지로 합법성을 부여받을 필요가 없다. 그러나 호메로스에 나오는 왕은 인간에 지나지 않으며, 그렇기 때 문에 제우스로부터 그 칭호와 그것을 증명할 상징들을 부여받는 것이 다. 게르만족에게 왕은 극히 인간적인 권위를 행사하는 반면, 로마의

rex 는 인도의 ra j와 본질적으로 같으며, 동일한 신적 권한을 부여받 는다 . 그리스의 영향으로 왕이 그 상징으로 sce ptru rn 을 갖게 된 것은 로마 초기이다. 이 물건과 마찬가지로 이 단어는 그리스 문명을 통해 로마인 들에게 계승되었다 . 로마의 rex 가 차지하는 최초의 지위에 대해서, 이러 한 후기에 이루어진 차용어에 근거해서 추론할 수는 없다 . 이러한 모든 과정은 이차적인 현상으로 이루어진 역사적 전파로 인해서 최초의 근 본적 차이점이 어떤 방식으로 은폐되고 감추어질 수 있었는가~문 잘 보 여 준다.

제 4 장 왕의 권위 요약 그리스어 kra i ne in은 (고개를 끄덕이는 표시로서 )(kra i no 는 kara 〈머리〉란 명사에서 파생되었다) 허락을 내리는 신성 (d i v init e) 에 대한 표현이며, 나아가 신적 권위 를 모방 하여 어떤 계획이나 제안을 집행할 수 있는 권한을 주는 왕- 그 자신이 이 를 실행 하는 것은 아니다-에 대해 사용된다 . 따라서 kra i no 는 말이 행동으로 실현되도록 하는 권위의 행위를 나타내는 구체적 표현으로 나타난다. 이 권위의 행위는 원래는 신 적( 神 的)인 것이지만 , 그 후 왕의 행위가 되었고, 심지어 문맥에 따라 분화된 확장 의 미를지닐 수도있다. 그리스의 왕권에 속하는 어휘를 연구하게 되면, 〈지배하다, 다스리 다〉라는 개념과 관련된 동사와 명사의 관계가 일방적이라는 사실을 관 찰할 수 있다 . 그 주요 동사들은 명사로부터 파생된 것이지 그 반대 관 계는 아니다. 예컨대 동사 bas il eue in은 명사 bas il eus 에서 파생된 명사 파생동사이고, 동사 anasse in은 명사 anaks 에서 파생된 명사 파생동사 이다. 이돌 동사 자체만 본다면, 이들은 기어 명사에 포함된 요소 의에 특별한 것을 우리에게 알려 주는 것이 없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그렇지만 현존하는 명사에서 파생된 것으로 볼 수 없는 중요한 동사 가 하나 있다. 적어도 호메로스 그리스어라는 공시태의 관점에서 본다 면, 이 동사는 일차적인 형태로 나타난다. 이 서사시의 언어에서 그 동 사 형태는 kra i a in o 이며, 축약된 형태는 kra in o 이다. 오직 시어(詩語)로만 나타나는 이 동사는 호메로스에게서 꽤 빈번하 게 출현하지만, 〈지배하다, 다스리다〉의 의미로도 비극 작품에서 널리

확인되고 있다 . 그러나 호메로스에서 사용된 대부분의 용법에서 이 kra i no 는 〈실행하다, 수행하다〉를 의미한다. 모든 곳에서 대체로 이 동 사를 이와 같이 번역하고 있다. 이 동일한 그리스어에서 이 동사가 가 질 수 있는 의미의 편차를 알아 보기 위해 호메로스의 두 표현을 비교 해 보자. kr 競 non eeldor 는 〈이 소원을 성취하다〉로 번역되는 반면, basil ~e s kra i nous i는 〈왕들이 다스린다〉로 번역된다 . 이 두 가지 의미 룰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을까? 그렇지만 왕권과 관련된 특정 개념이 어떠한 기본 관념으로부터 형성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 형태론적 관점에서 볼 때 kra i no 는 〈머리〉란 명사에서 파생된 명사 파생동사이다 호메로스의 현재형 kra i a i no 은 *kras0n- y o 에 기초해서 형성된 것이고, 이 형태 자체는 그리스어 kara, 산스크리트어 sIr$an 〈머리〉 등으로 나타나는 인도 • 유럽어 어간에 기초해서 형성된 것이다 . 그러면 이 기저 명사와 파생동사의 의미 관계는 어떤 것인가? 프랑스 어 che f(우두머리<머리)와 achever 〈이룩하다, 달성하다〉 사이의 관계와 동일한 관계일 것이다. 그리스어 자체에서도 이와 동일한 의미론적 평 행 관계를 지적할 수 있는데, 동사 ke p halo i 6o 가 그것이다 . 고대 그리 스인들이 krain e in , 죽 〈머리를 어디에 두다〉라고 말했을 때는 이와 갇 은 관념을 이미 염두에 두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비교로 해결되는 문제는 전혀 없다. 위의 프랑스어 의 비교는 전혀 차원이 다르다 . 죽 achever 는 〈머리끝에 이르다〉를 의 미한다. 이 〈 che f〉는 물론 머리아기는 하지만 행동의 최종 단계로서의 의미가 있다 여기에서 〈행동의 끝까지 이르다, 극한까지 이르다〉라는 의미가 나온다. 그런데 그리스어에서 〈머리〉는 ke p hal~ 이든 kara 이든 간에, 이와 반대의 은유만을 의미한다. 즉 출발접, 출처, 기원의 은유가 그것이다. 따라서 이것을 〈끝점, 극한〉을 가리키는 후기 라틴어의 ca p u t나 프랑스어 che f와 동일시할 수 없다. ke p halo i 6o 는 〈이룩하다, 달성하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요약하다, 귀결하다, 근본으로 되돌아가

다〉 (ke p hal~) 는 의미이거나 또는 흔히 말하듯이 〈책의 장에 머리를 달 다〉 라는 의미이다 . 그러므로 이러한 평행 사실들은 kra i no 의 구성에 대해서 아무런 해 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고대인들의 설명은 쓸모없게 되었다 . 호메로 스가 사용한 용법들에 대한 완벽한 연구를 통해서만 거기에 대한 설명 을얻을수있다. 이들 용법을 모두 조사하여 이 동사를 그것이 사용된 문맥에 위치시 켜 보자. kra i a i no 와 e pi kra i a i no 에 대한 호메로스의 모든 용례에 대한 거의 모든 목록이 여기에 나온다. 『일리아스』 (1, 41=504. 『오뒤세이아』 20, 115 참조)에서 t6d e moi kr~ 죤 non eeldor 는 신께 드리는 기도문이며, 이는 〈내 소원을 이루다〉로 번역된다. 『일리아스』 2, 419 @c £QQt', ob8' &po n@ ot tJtCK PQ to wc Kp ov t uv (hos ep h at', oud' ara po hoi ep e krain e Krovio n , 이 렇 게 말했으나 크로 노스의 아돌은 그의 말을 들어 주기는커녕)을 읽어 보면, 신이 이 소원을 반드시 〈이루어 주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 신이 스스로 그것을 수 행하지 않는다 그는 이 소원을 받아들일 수 있고, 오직 이러한 신의 허 락만이 그 소원이 성취되게 한다. 그 동사가 나타내는 행위는 언제나 위에서 아래로 이루어지는 신적 권위의 행위로서 수행된다. 신만이 kra in e in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데, 이것은 실제적인 행위의 수행을 의 미하는 것이 아니라 1) 인간이 바라는 소원이 신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는 것과 2) 소원의 수행을 허락하는 신적인 권위의 행위를 가리킨다. 바로 이것이 이 동사의 의미의 두 구성 요소이다. 이 동사가 표현하 는 과정에는 언제나 그 행위자로서 신, 왕의 신분과 관련된 인물 또는 초자연적인 세력이 있다. 이 과정은 〈승인〉, 죽 어떤 조치가 실행되도 록 하는 유일한 방도인 승낙의 행위이다. 인용된 구철 (2, 419) 에 나오는 신은 따라서 이러한 승낙을 거부했고, 이러한 승인 없이는 그 소원은

내용이 없고, 아무런 효과가 없는 말로 끝나 버린다. 『일리아스』 5, 508 의 i:oi i 6'£Kp al va tv£ v £(iln µac; o lPou ·AJ t6 }..)..wvoc ;(toO . d'ekraia i n e n eph e tm a s Phoib o u Ap 6l lonos, 이리하여 그는 황금칼을 가진 포이보스 아 폴론의 명령을 이행하였으니)에서 아폴론의 명령이 아레스 Ares 에 의해 〈수행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까? 그러나 이 동사는 오직 신에 대해 서만 적용된다는 점을 다시 강조하자. 사실상 아레스는 명령을 수행하 지 않는다. 문맥이 이를 증명한다. 그는 전사들 위로 구름을 덮어 포이 보스 I) 의 소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렇지만 그 일의 수행 자체 는 전사들이 맡아서 한다 만일 그들에게 그 일을 실행하는 승인이 나 지 않으면 그들은 그 일을 수행할 수 없다. 그 일의 수행에 대한 승인 은 신적 권위를 지니는 것이기 때문이다 . 이 설명은 문제의 이 상황과 인물들에 대한 단순한 고찰로써 분명해진다. 어떤 구절 (9, 100 이하)은 이미 고대 주석가들의 관심을 사로잡은 바 있댜 t& (JC Xp h JtE p i µtv odo0at tJt0C , 삽 6' tJt血 00 (J a t, Kp n처 va t 6t Kat ct}.Afil, o-c' civ nva 8uµoc; ttV@ Yllt c tJtEt v ctc dya 0 6V. (To se khr~ pe n men ph asth ai epo s, 적 epa k oO. s ai , kre~na i de kal 십 lo i, h6t' an tina thu mos ano g죤i eip ei n eis aga t h 6 n.) 이것은 네스토르2 ) 가 아가멤논에게 자신이 앞에서 한 충고를 잊지 말 도록 그에게 촉구하는 연설이다. 왕의 권위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에 대 1) Phoib o s : 아폴론의 별칭. 〈빛나는 자〉란 뜻이다. 2) Nesto r : 넬레우스의 아들이자 필로스 P y los 의 전설적 왕이다 . 아폴론 덕택에 3 세대나 오래 살았다. 트로이아와의 전쟁에서 유익한 충고와 중재를 하는 뛰어난 장수 0l 다.

한 책임을 지고 있는 그로서는 자신에게 전해지는 슬기로운 충고를 들 어야만 한다 . 〈그대 다른 사람들보다도 더욱 말을 많이 하고, 많이 들어 야 하며, 필요한 경우 다론 사람이 그 마음에서 우러나서 모든 사람의 안녕울 위해 말할 때는 그의 조언에 따라 실천해야 할 것이오 . 〉 이 구 절에 대한 마종 P. Mazon 의 번역 3 ) 은 수정되어야 한다. 우선 kr 존 ~na i de kai dll5 i란 구문을 해명 해야 한다 . 이 구문은 직접 목적보어 e p os 가 생 략된 것으로 설명되는데, 이 목적보어는 그 앞의 행 〈말 (e p os) 을 발화 하고, 듣는다〉에서뿐만 아니라 그 다음 행의 e ip e i n 〈발화하다〉으로부터 끌어 낼 수 있다. 따라서 이 구문은 kr 즌 ~na i (ep o s) allo i로 이해되며, kr~non kal emol e p os 〈내가 하는 말을 들어 주소서〉(『오뒤세이아』 20, 115) 와 정확히 평행을 이룬다. 따라서 위의 구절은 다음과 감이 번역할 수 있다. 〈그대는 다른 어떤 사람보다도 더욱 말을 많이 하고, 귀를 기 울이고, 선을 위해 다른 사람이 그의 마음에서 우러나서 말을 할 때는 그의 말까지 인정해야 (kr~na i)할 것이오.〉 아킬레우스의 대답 (9, 310) 처 nc p 8i Kp QV t u tC KG i tE t c Acoµt vo v ea1: a t (h ~p e r d~ kraneo te kal tet e l esmenon es t a i)에서 두 동사 kra in e in과 t ele in이 등위 접속되어 있다. 마종의 번역은 〈그대에게 그 일을 내가 어떻게 하려는지, 그 일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숨김없이 노골적으로 알려야만 하겠소〉이다. 이 번역은 kra in e i n 〈수행 가능하게 승인하다〉과 t ele i n 〈수행하다〉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강조하지 못하고 있다 . 그래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번역한다. 〈나는 내 의도를 정확히 알 려야만 하겠소. 그래서 내가 그것을 확인하고, 어떻게 그것이 실행될 것 인지를 보겠소.〉 아킬레우스가 아카이오스인들을 구원하는 것을 거부한 뒤에 아이아 스4 ) 는 〈떠납시다! 우리 계획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이번 여행에 43)) IAliiaads e ,: P살. 라M미az스on ,왕 P a텔 ris라, 몬B의el le아s-들Le로tt re그s ,리 4스 v인ol s가., 운19데37 -체1 9 격38이. 가장 건장하고 아

킬레우스 다음으로 가장 용감한 영웅이다.

서 승인받은 (kranees t ha i) 것으로 여겨지지 않으니 말이오〉 (9 , 626) 라고 말한다 . 따라서 아킬레우스에게 보내는 사절은 아무 성과가 없다는 것 이다 그것은실패했다. 『 오뒤세이아 』 (5, 169) 에 나오는 noesa i와 kra i ne in의 대립을 고려하면 서 이제 새로운 단계의 분석으로 접어든다. 칼립소가 〈무엇을 구상하는 (no 용 sa i) 데 있어서나 실행하는 (kr~na i) 데 있어서 나보다 뛰어난 신들 이 기뻐한다면 〉 그녀는 오뒤세우스가 자기 집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전 력을다해 노력한다 눈에 띄는 사실은 kra i ne in의 절대적 용법과 kra i ne i n 의 행위가 또한 신들에게 맡겨져 있다는 점이다. 신들은 〈수행한다〉 . 그러나 언제나 자 신의 고유한 영역 내에서 수행한다. kra i ne in은 결코 인간 개인의 일을 수행하는 데 대한 표현이 아니다. 이제 동사의 구문에 따라 용법들이 분화되면서 의미의 전이가 일어나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 . 이미 위의 예(특히 eldor 와 사용된 예들)에서 살펴보았듯이 타동 구문이 있고, 또 자동 구문이 있다 이 자동 구문을 이제 몇몇 예를 인용해 설명해 보자 . 이 자동 구문은 『 오뒤세이아 』 에 출현하며, kra i ne in에 〈 지고한 권위 로 결정한다〉란 의미를 부여한다. 바로 여기에서 알키노스는 파이아케 스인들에게는 〈 12 사람의 왕들이 kra i nous i한다〉 (8, 390) 라고 말할 수 있 는 것이다. 이것은 〈다스리다, 지배하다〉와 같은 의미이나 이 동사가 반드시 왕적 직책의 행사와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언제나 권위에 따라 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호메로스 이후에 kra in e in의 자동사 구문은 이와 같은 의미로 계속 사용된다. 예 컨대 아이스퀼로스의 ep ra ksan hos ekranen 〈제우스가 지고한 권위로 결정한 대로 그것이 그들에게 일어났다〉( 『 아가멤논 』 369) 같은 것이다. 또한 에페보스 E p hebos 5 ) 의 서약문-이는 비문 덱스트의 종류로서는

5) e p掃 bos : 18 세 청년이 되면 시험을 거쳐 시민으로 자기 행정 구역의 명부에 등

록되는그리스청년들

유일한 자료이기 때문에 특별히 관심을 끄는 증거이다 _ 에서도 나타 난다 . 6) 죽, 도시의 최고 집정관들을 향해서 〈본인은 지혜로써 권위를 행사하는 자들(t on kra in 6n to n) 에게 복종할 것입니다〉라는· 선서에서 나 온다 .

*6) Lou is Robe rt에 의해 밝혀져서 출간된 덱스트 『 비명 및 문헌학적 연구 E tu des ipigra p h iq u es et p h i lolo giq ues 』, 1938, p. 302.

비극 작가들에게서 kra in e i n 의 타동사 구문은 특히 수동태로 나타난 다. 이 구문은 지고하고 위대한 권세에 의해서 이루어전 일들을 표현하 는 데 이용된다. 예컨대 〈나의 어머니는 미래가 어떻게 실현될 것인가 (kra i no it o) 를 여러 번 내게 예언했다〉(아이스퀼로스, 『 사슬에 묶인 프로 메데우스 Prom . 』 211), 〈모이라 7 ) 가 이 일들을 그런 방식으로 수행해야 (krana i)된다는 사실은 확정된 것이 아니다〉(같은 책, 592), 〈그의 부친 더 쿠 누 A 의 저주가 그 때 완전히 이루어질 (kran t Mse t a i) 것이다〉(같은 책, 911). 〈그리하여 시민들에 의해 만장일치의 표결이 이루어졌고 (ke­ kranta i) 결정되었다 . 〉(아이스퀼로스 『 탄원하는 여인들 Su pp l. 』 943)

7) Moir a: 의인화된 그리스의 운명의 여신. 거역할 수 없는 어쩔 수 없는 종국으로 사람을 이끈다. 복수는 모이라이 Mo irai이다 .

또한 호메로스의 부정(否定) 형용사 akraan t os( 고전어 akran t os) 〈실행 되지 못한〉(『일리아스 』 2, 138) (이것은 나중에 〈헛된, 무익한〉을 뜻하게 되었다)와 관련된 행위는 언제나 초개인적인 힘에 의해 이루어진 행위 이다. 『오뒤세이아』에 나오는 두 구절에서 이 형용사는 그 의미를 완전 히 나타내고 있다 . 죽 그 한 구절 (2, 202) 에서 , 그것은 실행되지 못한 예 언에 적용되고 있고, 다른 구절 (19, 564) 에서, 그것은 꿈에 대한 유명한 설명에서 나온다. 여기에서 호메로스가 환상에 지나지 않는 꿈인 6nar 와 〈곧 실현되는 길몽인 hu p ar 〉(같은 책, 547) 를 구분했디는· 점을 기억 해야 한다. 꿈은 인간의 현실과는 상관 없이 자신의 고유한 차원에서

존재하는 현실이 있다. 이러한 꿈의 두 유형 사이의 관계는 이러한 꿈 의 현실 차원에서 제기해야 한다. 죽 어떤 꿈들(여기에서는 그리스어 원 문의 모음 압운의 작용을 무시한다)은 상아문( 象 牙門)들을 통해서 오는 데, 이들은 〈실행될 수 없는 (akraan t a) 말들을 하며〉 속인다. 반면 다른 꿈들은 뿔 의 문들을 통해서 오며 , 이둘은 전실한 것들 (e tu ma) 이 실행되 도록 허락한다 (kra i nous i). 꿈의 지고한 권세는 그 진실성에 대한 조건 이다 . 이 진실성은 내재적인 까닭에 오직 예언자에게만 감지되며, 인간 사( 人間事 )를 통해서 그 진실성 여부가 확인되게 되어 있다. 이처럼 이 두 형용사는 서로 상응한다. 죽 akraan t a 는 실행되지 않을 일들을 가리 키고, 반대로 e tu ma 는 진실로 입증되는 일들을 가리킨다. 이제 이 조사를끝내기 위해 좀더 난해한 kra i ne in의 용법을보자 . 이들 은 『 헤르메스에게 바치는 호메로스의 찬가 Hy mne homeriq u e d Hennes 』 의 세 예문으로 , 이들을 차례대로 인용해 보자. 헤르메스는 자기 목소 리에 맞추어 듣기 좋은 노래가 나오는 시타르(현악기)를 조화롭게 연주 하면서 목소리를 높여 혹암의 대지뿐만 아니라 불멸의 신들을 〈찬양한 다 . 〉 (kra i non)(427 행) 엥베르J. Humber t가 선택한 〈찬양하다〉란 번역 [B ude -'fr)은 고대의 주석가들에게서 차용한 것이다 . 이 동사의 용법은 호메로스가 보여 주는 용법과는 아주 차이가 나며, 또 그 후에 볼 수 있 는 용법과도 차이가 있다. 관례적인 번역으로 보기에는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학자들은 kra in on 을 〈경배하다, 찬양하다〉(tim 8n g era ir on) 로 번역한 헤쉬키오스의 주해 8) 로 만족했다. 이 주해가 이 구절에도 적용되 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 주해는 , 겉보기에는 아주 이상한 용법에 대해 고대의 주석가들이 당혹감을 느꼈다는 것을 보여 준다. 다른 주석가들 은 kra in on 을 a p o t el8n 〈노래를 끝까지 불러 끝내다〉으로 번역할 생각 울 했는데, 그렇지만 이것은 아주 인위적인 것이다. 우리 견해로서는 여 8) 제 1 권 2 편 1 장의 각주 1) 참조`

기의 kra i no 는 『오뒤세이아』에서 정의된 것처럼 정의된다. 신은 만물의 기원을 찬양하고, 그 노래로 신들을 〈존재의 지위로 끌어 올린다〉. 무 모한 은유 같지만 그 자신도 신(神)인 시인의 역할과 일치한다. 시인은 만물을 존재하게 한다. 그리고 만물은 그의 노래 안에서 탄생한다. 이 예 는 이 용어의 역사를 단절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 지속성을 나타내 준다 .

본문상의 여러 조건들로 인해서 559 행에서 이 문제는 좀더 복잡하게 된다 . 그러나 문제의 성격은 동일하다 . 이 시인은 모이라이 Mo f ra i에 대 해 언급하는데, 이 모이라이는 예언하는 능력을 갖추고 점성술을 가르 치는 운명의 여신들이다. 이들은 트리아이 ,9) 죽 벌의 형상을 한 여자들 (f emmes-abe ill es) 이다 . 아폴론은 헤르메스 10) 에게 자신의 예언의 비밀을 알려 주기를 거절하고, 자신이 어린애였을 때 자신에게 이 예언술의 일 부를 가르쳐 준 트리아이를 그에게 선물한다. 〈 … 세 명의 처녀 자매들 이 태어나면서부터 나에게 예언술을 가르쳐 주었고, 나는 그것을 어린 시절 나의 소들에게 시험했소` 부친은 그것을 반대하지 않았소 . 이로 인 해서 이 처녀들은 이곳 저곳으로 날아가서 밀랍을 잔뜩 먹고는 모든 것 울 실현시켰소 (kra i nous im). 이들이 황금색 꿀을 잔뜩 먹고 예언의 열 정에 사로잡힐 때는 기꺼이 전리를 밝히려고 하지요 . 그 반대로 그 달 콤한 신들의 음식을 빼앗겼을 때는 이들은 그대를 망치려고 하지요 * 이 제 나는 그대에게 이들을 양도해 주겠소`〉(엥베르의 번역) 이 벌의 형상을 한 여자들이 날아가서 밀랍울 잔뜩 먹고 나면 krain o usin hekas t a 〈모든 것이 실현되게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 여 신들은 이러한 모든 것을 실현시키는 데 필요한 예언적인 능력 이상의 9) Thriai(M oir ai) : 파르나스 산의 세 운명의 처녀들로 삼위일체이다. 이들은 아폴 론이 거주하던 이 산에서 그에게 운명을 맞히는 도구 (kl 죤 ro i)로써 점술을 가르쳤 다고 한다. 헤시오도스는 이들을 제우스와 데미스의 딸들로 묘사하고 있다. 10) Hermes : 그리스 신으로 올림피아인들의 전령이다. 제우스와 마이아의 아들이다. 여행자들의 안내자이자 사자(死者)들의 군대의 안내자이기도 하다. 수완과 계략이 뛰어난신이다.

어떤 능력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니다 . 그들은 예언적인 천부적 재능을 단지 유일한 능력으로 가지고 있을 뿐이다. 이제 여기에서 사용두1 kra in e i n 의 의미는 앞 구절의 의미와 동일하다 . 그것을 실행시키는 능력 이지만 예언의 차원에서 갖는 실행 능력이다. 일들을 〈실행시키는〉 것 이 아니라 그것들을 〈예언한다〉. 또는 kra in e in을 설명하는 그 뒤의 구 절 (561 행)에서 말하듯이 그것은 al 존t he i죤 n a g oreue in〈진리를 말하다〉의 의미이다. 예언적인 말은 사물들을 존재하게 만든다. 이제 가장 해석하 기 어려운 마지막 예가 『호메로스의 찬가』의 529 행에 나온다. 아폴론은 제우스의 독점적인 특권이자 아폴론 자신에게만 양도된 이 천부적 예 언 능력을 거부한다. 그러나 아폴론은 헤르메스를 실망시키지 않기 위 해 그에게 조그마한 능력과 다음과 갇이 기술된 권한울 부여한다. 〈잎 이 세 개 달린 금으로 된 풍요와 부의 놀라운 지팡이. 이것이 그대를 모든 위험에서 보호하며, 선한 신의(神意), 말, 행위들을 실현시킬 (ep ikr ain o usa) 것이오. 나는 이것을 제우스의 입을 통해 안다고 확실히 말해 두겠소.〉(엥베르의 번역) 이 본문은 사실상 확실하지 않다 . 필사본에서는 e pi kra in ousa 의 보어 로 대격 t heous 〈신들〉가 제시되고 있으나 이것은 의미가 전혀 통하지 않는다. 그래서 학자들은 이를 t hemous 〈칙령, 신의〉로 교정했다. 이 교 정 덕택에 이 구절은 이해가 가능하게 되었고, epi kra in e in은 호메로스 의 서사시에서 그 의미를 되찾게 되었다. 그 지팡이는, 아폴론이 제우스 의 입울 통해 들어 알고 있던 조언, 죽 그의 신탁에 〈실현에 대한 승 인〉을 내린다. 우리는 여기에서도 kra i ne in을 다른 곳에서 번역했던 것 과 다르게 해석할 이유가 전혀 없다. 그리하여 우리는 kra in o 의 의미 작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 다. 첫째 관념은 인간이 바라는 계획의 성취를 권위로 승인함으로써 그 계획이 실제로 실현되도록 하는 의미이다. 여기에서 앞에서 검토한 용 법들이 생겨난다 죽 권위를 가지고 정치적 결정을 내리다, 내린 결정을

승인하고, 실행되도록 하는 권위를 행사하다, 좀더 일반적으로 실행력 있는 권위를 부여받다란 의미가 그것이다. 이와 같은 하나의 일정한 의미에서 출발해서 kra i ne i n 과 kara 〈머리〉 의 관계를 밝혀 본다면, 기존의 학자들이 한 것과는 다르게 이 관계를 고찰해 볼 수 있다. 죽 그것은 머리를 끄덕임으로써 표시되는 승인이다. 이 승낙은 신이 머리를 끄덕이는 신호로 표명된다(그리스어 neuo, 라틴 어 ad-nuo 〈(승인의) 표시를 보내다〉, in -nuo 〈몸짓을 하다〉, nu tu s 〈머리 끄덕이는 표시〉). 『아프로디테에게 바치는 호메로스의 찬가 H y mne homeriq u e d A p hrod ite 』의 222 행에서 다음과 같은 글을 읽을 수 있다. 〈제우스는 고개를 끄덕였고 (e p eneuse) 그의 바람이 실행되도록 승인했 다 (ekre 죤 nen). 〉 이 시인이 의도했건 의도하지 않았건 간에, 그것은 이처럼 kra in o 의 고유 의미로 생각되는 의미를 밝히는 역할을 하고 있다. 나중에 가서 소포클레스는 kra in e in을 사용하여 나라에 대한 지배권을 가리키게 되 는데 (K p a t vc t V Y&c, xup ac , 땅, 영토를 지배하다), 이 인간적인 권력은 신 의 동의를 가리키는 제스처로 규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바로 이러한 신의 승낙, 신의 승낙하는 표시로 고개를 끄덕이는 행위 는 말을 현실의 차원에서 실행되게 한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동사 kra in e in이 가리키는 왕권이 승낙의 제스처로부터 유래하고, 신은 이 제 스처로써 말 이외의 그 어떤 것으로도 실현될 수 없는 것을 실현시키는 것이다.

제 5 장 명예와 명예의 표시 요약 그리스어에서 gl!r as 는 신하들이 때때로 왕에게 부차적으로 부여하는 영예의 몫으로 서, 그의 존엄을 별도로 나타내는 표시이다 . 이것을 gl! ron 〈늙은이〉과 비교하는 것은 민간 어원에 지나지 않는다. gl!r as 처럼 tiin 6 도 왕의 특성에 관여하고, 또 명예로운 물질적 급부가 포함되는 경 우 그것은 신에게서 기원하는 영원한 존엄의 표시이며, gl! ras 와는 구별된다 . 즉 신들 은 운명으로부터 받고, 인간은 제우스로부터 받는 명예로운 할당(자기 몫)을 가리키기 때문에 , 出 n 앉는 일관되게 법적인 의미를 지니는 그리스어 ti no 〈지불하다〉, p o in e 〈몸 값, 징벌〉의 단어군과 구별되어야 한다. 호메로스의 왕권이 갖는 특권은 명예와 명예의 표시와 관련되는 다 수의 용어로 표현된다. 이들 용어는 고대의 제도와 연관된 특수한 의 미를 지닌 어휘에 속하는데, 이것은 덱스트 분석을 통해서 찾아보아야 한다. 그러면 이러한 조사를 호메로스 서사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한 단어의 분석으로부터 시작해 보겨·. 이 단어는 g eras(v tp a~) 로 서, 보통 〈명예〉, 〈명예에 의한 몫〉, 〈명예의 표시〉로 번역되며, 이 번 역은 실제로 모든 곳에서 적절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단어가 사회적 제 상황에 대해 우리에게 알려 주는 바와는 별개로 우리가 이 단어에 대해 각별히 관심을 갖는 이유는, 그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어원상의 비교에 기초해 설명되고 있기 때문이다. 보통 g eras 가 g eron 〈늙은이〉과 관련 있는 것으로 가르치고 있다. 따라서 이 개념을 나이와 연관된 특권으로, 늙은이들에게 주어지는 존경, 명예로

정의하고 있다 . 그래서 그것은 사회적 지위나 정치적 권능보다는 어떤 연령의 부류에 고유한 권한으로 정의된다 . 형태상의 관점에서 본다면 g eras 는 중성이며 , 그 구조 자체는 이 형 태가 고형(古形)임을 보여 준다. -as(-as) 로 된 형태는 사실상 중성의 범주 가운데 가장 오랜 형태에 속한다 . 예컨대 a t Aoc 〈밝은 빛〉, Kp tGC 〈살, 고기〉, ttp oc 〈신이 보내는 전조〉 같은 형태인데, 이들은 어간 모음 e( 이것은 인도 • 유럽어의 고대 중성에 고유한 특칭이다)와 접미사 - as( 변 이형들도 있다)에 의해 그 기능이 특별히 명시되고 있다 . 미케네어 ke-ra 에서 g eras 의 어원을 확인하려는 제안도 있었다 . g eras 에서 형용사 g erar6s(vE pa p6 c;)가 파생되었고, 이 형용사에서 다 시 명사 파생동사 g era i ro(VE p al p(i))가 파생되었다. 이것은 곧 g eras 와 대응되는 고형 *g erar 를 상정하게 한다 . g eras 는 -s- 어간인데, 이것은 부정형 a g eras t os(av tp ao -c o c;)로 확인된다. 이처럼 -as 형의 중성은 인도 • 유럽어 중성의 옛 유형에 따라서 - ar 형의 어간과 나란히 이웃해 있다. g eras 의 의미는 몇몇 용법으로부터 밝혀지는데 , 특히 『 일리아스 』 제 1 권의 중심부에 나온다 . g eras 는 정확히 말해서 아가멤논과 아킬레우스 롤 분쟁에 빠지게 한, 서로의 소유권을 주장하는 대상이다.

이 장면은 잘 알려져 있다. 신탁은 아가멤논에게 그가 포로로 잡고 있는 크뤼세이스1 ) 를 돌려 주라고 요구한다. 그는 한 가지 조건을 달아 거기에 동의한다. 〈하지만 지체 없이 다른 명예의 몫(g eras) 을 마련하여 아르고스인들 가운데 나만이 그러한 몫 (a g eras t os) 을 빼앗기지 않도록 해 주시오 결례가 될지 모르지만 말이오. 여러분들 모두가 보다시피 내 자신의 명예의 몫(g eras) 이 다른 곳으로 가 버리고 있으니 말이오.〉 (118 - 120 행) 물론 여기에서 g eras 는 포로로 잡힌 처녀를 가리킨다 . 그 1) Chrys~ is : 트로이아 전쟁 때 아가멤논에게 사로잡힌 포로. 그녀의 아버지이자 아폴론의 사제인 크뤼세스에게 크뤼세이스의 반환을 거철하자 화가 난 신은 그리 스 군대에 페스트를 전영시킨다 .

것은 물론 명예의 몫이다. 하지만 아가멤논은 어떤 자격으로 그 처녀를 받았을까? 아킬레우스는 활기차게 대답한다 . 〈기상이 늠름한 아카이아인들이 어떻게 그대에게 그러한 명예의 몫을 줄 수 있겠는가? 내가 아는 한 우 리에게는 보관된 공통 재산이 없소. 함락한 도시에서 우리가 약탈한 것 은 모두 분배가 끝났소 그것을 백성들에게서 다시 거두어 들인다는 것 이 합당하오?〉 (123-126 행) 그러므로. g eras 는 본질상 먼저 취하는 특권 으로서, 도시의 약탈을 동해 빼앗은 전리품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사회 집단의 전체 구성원들에 의해 부여되는 몫이다. 죽 약탈한 모든 전리품 가운데 바로 이 ge ras, 즉 우두머리의 몫을 미리 제외하고서 나머지를 공통으로 니누어 취하게 된다. 아킬레우스는 계속 말한다. 〈아무튼 그 여인을 신에게서 내 주시오` 하지만 언젠가 제우스께서 트로이아 성을 함락하도록 허락해 주신다면 우리 아카이아인들은 그대에게 그녀의 대가로 세 배, 네 배 보상해 줄 것이오.〉 (127-129 행) 따라서 상황이 새로운 g eras 를 하사하는 데 유리 한경우에 그렇다. 이 논쟁은 계속되고, 아가멤논은 화를 낸다. 따라서 그가 자신의 보 상의 몫을 받으러 갈 곳은 아킬레우스, 아이아스 또는 오뒤세우스이다. 그리하여 아가멤논 , 아이아스, 오뒤세우스, 아킬레우스 이 네 영웅이 g eras 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모두 basil ~e s, 죽 왕족에 속 한사람들이다 . 이 모티브는 반복해서 여러 번 니온다. 그래서 g eras 는 『일리아스』 제 1 권 전체의 핵심 단어이다 . 이 단어에 앞으로 전개될 사건의 흐름이 모두 달려 있다. 아가멤논이 아킬레우스에게 브리세이스를 탈취한 순간 부터 자신의 g eras 를 빼앗긴 아킬레우스는 스스로를 a tirn os(& t마 o<;), 죽 불명예스럽게 여긴다. 〈아트레우스의 아들, 막강한 권력을 지닌 아 가멤논이 나를 모욕하고 내게서 내 명예의 몫(g eras) 을 빼앗아 가졌으

니 말이오 자신이 직접 말이요.〉 (355-356 행) 바로 여기 에서 아킬레우 스의 원한이 생겨났고, 차후에 아가멤논은 그가 아킬레우스에게 그의 g eras 를 빼앗은 날 자신이 마치 미친 발작에 들린 것처럼 되었다고 말 하게된다 . 『일리아스』의 노래 제 9 권, 334 행에 이러한 보상의 몫을 부여하~근 조건 이 명세되어 있다. d pt 0 대 WO t (ar i s t ~ess i)와 ~aot AE uot (b asil e asi), 죽 귀족들과 왕들에게 그들의 ger as, 죽 그들의 명예의 몫을 배당해 주는 것은 언제나 아가멤논이다. 다른 곳에서 아킬레우스는 자기에게 다가오는 트로이아인인 아이네 이아스에게 질문한다. 〈그대는 무슨 일로 나와서 나를 맞서는가? 그대 는 트로이아인들을 지배하고 프리아모스의 자리를 얻기를 바라는가? 그대가 나를 죽일지라도 프리아모스는 그대의 손에 그의 g eras 를 주지 않을 것이다. 그에게는 아들이 여럿 있고, 그렇게 어리석지 않으니 말이 다. 그렇지 않다면 그대가 만일 나를 죽였다면 트로이아인들이 이미 그 대에게 t ernenos 를 주었을 것이오 . 〉(『일리아스 』 20, 178 행 이하) g eras 는 무훈에 대한 대가로 주어질 수도 있다. 그것은 실제의 왕권 울 포함하는데, 예컨대 아킬레우스의 말에 따르면, 아이네이아스가 권 력을 행사하는 주권자인 프리아모스에 의해서 그에게 양도되기롤 바라 는 바의 왕권이다. 이 특권은 프리아모스의 아들에 대한 언급으로 미루 어 보건대 세습적일 수도 있고, 또 세습적인 것이다 . 이 g eras 를 부여할 때 영지(t ernenos) 의 할당도 함께 이루어지지만, 이들은 별개의 것이다. 트로이아의 점령 때 네오프톨레모스2 ) 는 용맹이 뛰어난 인물이었다. 그리하여 그는 자신의 몫 (rno il' a) ―一 모든 전사들이 이 몫에 권리를 가 지고 있다-과 아울러 훌륭한 g eras 를 받는다. 이 g eras 의 성질은 구 체적으로 직시되어 있지 않다. 그것은 『일리아스』 제 1 권에 나오는 크뤼 2) Neop t6l emos: 아킬레우스의 아들이자 트로이아를 함락한 자.

세이스 또는 알키노스 왕에게 g eras 로서 주어져서 자신의 파이아키아 궁에서 하녀로 삼은 에우리메두사 같은 여자일 수도 있다( 『 오뒤세이아』 7, 10- 11 ).

『 오뒤세이아』의 제 4 권에서, 왕인 메넬라오스3 ) 가 자기 손님들에게 그 들에게 이미 대접한 고기 의에 (57-59 행) 자기 자신의 ger as, 죽 소고기 의 등심 (v& ta) 을 추가로 하사하는 고기로 접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65 - 66 행) .

3) Menelaos : 신화에 나오는 스파르타의 왕으로서 아트레우스의 아들이자 아가멤 논의 형제이다 . 헬레나와 결혼하여 그녀 아버지의 왕국을 계승한다.

지옥에서 오뒤세우스가 자신의 재산과 자기 가족의 현재 운명에 대 해 알고자 했을 때 그는 자신의 g eras 가 어떻게 되었는지 묻는다. 〈내 부친과 아들은 어떻게 되었는지 말해 주시오. 그들은 아직도 내 ger as 를 가지고 있나요? 〉 ( 『 오뒤세이아 』 11, 174 행) 사람들이 대답한다 . 〈아무 도 그대의 g eras 를 가지고 있지는 않네. 텔레마코스가 그대의 ter nenea 를 관리하고 있소〉 이 두 개념은 서로 관련이 없다. t ernenos 는 왕위의 특권인 g eras 와는 구별된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각 구혼자들은 페넬로 페 4 ) 와 결혼함으로써 오뒤세우스 왕의 전유물인 g eras 를 얻고자 하는 것 01 다. 이 예들은 g eras 가 어떤 의미를 표상하는지를 보여 준다. 그것은 원 칙적으로 왕의 권한에만 속하는 예의적인 하사품, 특히 전리품의 특별 한 몫과 백성이 획득하여 부여하는 물질적 특권이다. 예컨대 명예로운 상석(上席), 가장 맛있는 고기의 배당, 포도주 잔의 수여 등이다. 뤼키 아의 왕인 사르페돈이 왕의 특권을 열거하는 것을 들어 보자(『일리아 스 』 12, 310 행 이하). 〈대체 무엇 때문에 우리는 수많은 특권, 최귀빈의

4) Penelop~ : 오뒤세우스의 아내이자 텔레마코스의 어머니 . 그녀는 자기 남편이 없 는 20 년 동안 궁에 있는 많은 구혼자들의 끈질긴 구혼을 거철했다 . 그래서 정철을 지킨 아내의 상칭이 된다 .

자리, 고기, 술잔으로 존경을 받고 있는가? 왜 그들이 우리 모두를 신으 로 우러러 보고 있는가? 무엇 때문에 큰 영지를(t emenos meg a) 부여 받는 권리를 향유하는가? …그렇다면 우리가 해야 할 의무는 사람들이 우리에 대해 말할 수 있도록 선두 대열에서 싸워야 되는 것이 아닌가 . …우리 왕들은 명예가 없는 자들이 아니라 선두 대열에서 싸우는 용감 한자들아다.〉 이러한 것은 시인들의 비유적인 언사가 아니다. 우리는 제도의 실물 을 다루고 있다. 역사가들은 이들에 대한 기억울 보존하고 있다 . 투퀴디 데스(『펠로폰네소스 전사(戰史)』 I , 13) 는 원시 그리스에 대해 이야기하 면서 간결한 표현으로 다음과 갇이 말한다. 〈일정한 g era 를 포함하는 세습적 왕권들〉 따라서 g era 는 basile ia , 즉 왕권의 정의를 구명하는 요 소 °l 다. 헤 쿠 F E ,,,.._(『역사』 VI, 56 이하)는 고대의 스파르타 왕들의 특권에 대 해 상세한 이야기를 한다. 이들은 두 가지 거룩한 권리를 가지고 있는 데, 자기가 원하는 전쟁을 치를 권리와 전쟁에서 원하는 만큼의 가축과 제물로 바치는 동물의 털과 등심 고기 (v&m; 앞의 『 오뒤세이아』 4, 65 참조)를 갖는 특권이다. 평화시에 이들의 권리를 나열한 항목 수는 훨씬 많다. 즉 공식 연회 에서 차지하는 최상석의 자리, 만물의 첫 산물을 진상받는 것, 다른 회 식자보다 두 배의 몫을 접대받는 것(각 항목은 호메로스의 덱스트라는 것 울 나타내기 위해 고안된 것 갑다) 등이다. 또한 이들은 희생 제사에 사 용되는 희생 제물의 허가권을 가지며, 경기에서 귀빈석을 차지한다(앞 의 『일리아스 』 12, 311 참조). 왕들이 회식 에 나타나지 않을 때는 이들의 몫을 따로 챙겨 주며, 회식에 참가할 때는 이들의 몫은 다른· 사람의 두 배이다. 또한 이들은 주어전 신탁을 보관한다. 이러한 역사적 증거는 다시금 『헤르메스에게 바치는 호메로스의 찬 가』 (128-129 행)의 구절에 빛을 던져 준다. 이것은 헤르메스가 아주 어

릴 때 행한 제사에 관한 이야기이다. 그는 가축 가운데 암소를 두 마리 잡아 이를 제사에 바친다 . 그는 암소를 쇠꼬치로 찔러 굽고 넓게 펼친 댜 그러고는 그 고기를 열두 조각으로 나누고 제비롤 뽑는다 . 그러고 나서 그는 〈각 rno i ra 에 g eras 를 추가시킨다〉. 헤르메스는 요리할 수 있도록 살코기들을 미리 다듬었다. 06. pK a<; ... Kai vf;i- ca n p6. aµ t a(122 행 )(sarkas ...k ai n8 ta ger asrnia ) . 이 구절에서 n8t a g erasrn i a 〈왕이 취할 부분인 등심〉를 발췌해 보자. 향연에서 g eras 로서 접대되는 것은 언제나 등심이다 . 이처럼 〈 열두 부분으로 나눈 고기에 헤르메스는 규정상 g eras 로 사 용되는 n8 t a 를 한 조각 더 얹는다 . 그는 잘못을 저지르지 않도록 그것 을 두 번 반복한다 . 그는 신들 한 사람 한 사람에게 g eras 를 선사하는 데, 이것은 결국 단 하나로 귀착된다 . 이 용어는 여기에서 아주 구체적 이다 . 그것은 〈고기에 대한 특권〉이다. 우리가 얻은 이 정의는 아주 일관되고, 덱스트를 통해 계속해서 분석 한 특칭을 도처 에 지니고 있다. 이제 g eras 의 어원과 g eras 와 g eron 〈늙 은이〉의 비교 문제를 재론할 수가 있다. 이 비교는 1906 년 오스토프5 ) 가 제안했고 ,6) 그 후 모든 곳에서 인정되 고 있다 . 오人두프는 호메로스의 간략한 표현에서 이 비교롤 시작하고 있다. To Y6. p ytpa< ; EO 'Ci YEP6V' CW V(to ga r ger as esti g er6n to n) 〈그것이 연장자들의 특권이니까〉. 이 표현은 『일리아스』에서 두 번 (4, 323 ; 9, 422) 출현하는데 , 바로 여기에서 g eras 가 늙은이들(g eron t es) 에게 고유 하게 속해 있디는 결론을 내린 것 같다. 이는 단어의 형태 자체가 부과 5) Hermann Os t ho ff (1847-1909 년) : 독일의 비교 역사 언어학자. 고전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전공하고, 그 후 산스크리트어를 연구했다. 라이프찌히에서 소장 문법가 로서 활약을 했다 . Karl Bru gm ann 과 함께 여섯 권으로 된 r 형태론 연구 Morp h olog isch e Un t er s uchun g en 』를 지 었다 . *6) 『 인도 • 게르만어 연구 Indo g ennan i sche Forschung .!I, XIX, 1906, p. 217 이하 .

하는 어원에 대한 예시가 될 것이다 . 그러나 이 표현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를 문맥 내에 포함시켜 읽어 보자. 『일리아스 』 4, 323 에서 네스토르는 다음과 같이 선언한다. 〈 나는 싸 우기에는 너무나 늙었소. 하지만 나는 전사들 사이에서 섞여 조언과 목 소리로 그들을 인도하겠소 바로 그것이 늙은이들의 ger as, 그들의 특권 이니까 . 〉 다른 예 (9, 422) 에서 아킬레우스는 아가멤논이 보낸 장로들을 다음과 같은 말로 내쫓는다. 〈그러니 가서 아카이아인들의 장수들에게 내 말을 전하시오. 그러한 것이 늙은이들의 특권(g eras) 이니까.〉 오人뚜立가 단서를 드러내 주는 것으로 판단한 이 표현은 단순한 은 유적인 용법에 지나지 않는다 . 죽 g eras 는 그 구체적인 의미를 넘어서 비유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충고를 듣게 하는 것, 권력자들을 화해시 키기 위해 중재하는 것이 늙은이들의 ger as, 즉 연로한 나이로 인해 전 장에서 제의된 자들의 특권이라는 것이다 . 여기에서는 어원에 필요한 사실을 끌어 낼 게 전혀 없다 이와 동일한 구조를 가전 다른 표현으로 이 점을 확신할 수 있다. 이 표현은 두 번이 아니라 여섯 번을 읽을 수 있고, Q_ 두프는 이 표현을 몰랐던 것이다 . 그것은 Tb vdp Yt pa c EOt i. 8av6vi:w v(to gar ger as esti th an6n to n) 〈그러한 것이 죽은 자들의 특권 이다〉라는 표현이다 . 죽은 자들이 재물을 받는 것은 이들에게 귀속되는 특권(g eras) 이다. 여기에서 g eras 가 죽음과 관련이 있다고 결론을 내리 려는 생각은 할 수 없을 것이다 . 그러므로 g eras 〈득권〉와 g eron 〈늙은이〉을 연관지을 만한 것이 전혀 없다 . 이 두 용어가 나란히 이웃해 나타나는 이 표현은 이 둘 사이의 어원적인 관련성을 보여 주는 것이 전혀 아니다. 더욱이 g eras 가 늙은 이의 몫이라는 사실은 어디에서도 볼 수 없다. 분명 연로하다는 것은 존경을 받을 만하다. 그리고 늙은이들은 고대인들의 협의체인 원로원을 구성했다. 그러나 왕의 명예에 대한 보상이 늙은이들에게 주어지지는 않으며, 이 용어의 정확한 의미에서 늙은이는 왕적 특권을 받아 본 적

이 없다. 오스토프는 민간 어원 (e ty molo gi e p o p ula i re) 으로 인해 잘못 생각했으며, 모든 것을 설명하려는 의도에서 이것을 고대의 『일리아스』 주석가들에게 제안했던 것이다

도 될 수 없고, 자기 지위를 상실한다 . 호메로스 시대의 사회에서 이 개념은 바로 이와 같은 특성으로 규정 된다. 우리가 이 개념을 인도 • 유럽어의 선사에서 발견할 수 없다면, 우리는 적어도 이 제도가 그리스의 가장 오래 된 왕권 형태에 속하는· 것으로확신한다. 우리가 연구해 오는 어휘 가운데 많은 단어가 제도와 관련이 없어 보 인다. 이들 단어는 아주 일반적인 의미 작용만 갖는 듯이 짐작된다. 그 용법의 어떤 면모만이 그 단어들이 갖는 제도사의 특성을 드러내 줄 수 있다. g eras 는 시(詩)에서 빈번히 볼 수 있고, 고대 그리스어의 단계에 국 한되는 반면, 우리가 이제 고찰하려고 하는 단어 tim e(n 曲)는 그리스 어의 모든 시기에서, 그리고 모든 장르에서 확인된다. 이 단어가 그리스 어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이와 동일한 단어족에 속하는 형태들의 수로 이미 판가름된다. 더욱이 이 단어는 아주 명료하고 일관되게 사용된 것 이어서 ti me 〈명예, 존엄〉(여기에서 동사 ti mao 가 파생)는 고대의 동사 ti6 (tt u) 〈존경하다〉의 추상명사라는 사실을 환기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사실상 tim e 는 몇몇 사회 조건을 드러내 주는 가장 구체적인 용어 가운데 하나이다. 따라서 이것을 분석해야만 하고, 이 문제의 중요성을 최대로 부각시키기 위해 우선 ti m i!와 관련되는 어원 전체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 단어는 아주 광범하고 다양한 단어족을 구성하기 때문 에 그 형태는 때로 어려움을 초래한다. 우선 그 주요한 형태를 들어 보 자. tio, tima o, a tirn os 〈tirnf!가 없는〉 의에도, 出 5( tt vu) 〈지불하다〉, nnurn ai(t lvuµa t)〈지불하게 하다, 죄가를 치르게 하다〉, tisis ( tl ate ;) 〈벌, 보복〉, a tit os(an toe;)〈지불하지 않은, 벌을 받지 않은〉 등의 어근 을 들어야 한다. 잘 알다시피 이들 용어는 부채의 변제, 죄과의 대가와 관련이 있다. 또한 죄과를 갚는 데 지불해야 하는 벌금인 po in ~(JtOt vf\), 라틴어 poe na, p un tt e 와도 연관이 있다.

그리스어 의에도 산스크리트어 ca y a t e 〈지불하다, 지불하게 하다, 벌 하다, 칭계하다〉 , ca y a ti〈존경하다〉 , ca yu〈존경스런〉, 아베스타어 kay, 6ka y - 〈벌하다〉 , ka 존 8a, ka~na 〈복수, 증오〉 一一 이 마지막 단어는 그리 스어 p o in~에 대응한다――등도 대웅어로 인용할 수 있다 . 이처럼 인도 • 이란어와 그리스어에서, 어근 *kwe i-에서 실질적으로 파생되어 조직되는 형태의 전체를 제시할 수 있다 . 그러나 이들의 의미상 차이가 난점을 야기시킨다 . 즉 여기에서 우세 한 관념은 〈 벌하다〉인가, 아니면 〈존경하다〉인가? 〈벌을 받다, 복슈=하 다〉란 개념에서 〈존경하다, 존경하게 만들다〉란 개념으로 의미가 전이 될 수 있는가? 이 두 가지 의미 작용을 통합하기에는 그 연관성이 너무 막연하다 . 그래서 이미 오래 전에 슐츠 W . Schulze 가 자신의 『서사시의 문제 Qu aesti on es epi cae 』 (1892) 에서 이 두 단어족의 어원을 구별할 것을 제안했다 . 먼저 한경의 형태 * kwer - 가 있을 수 있다 . 여기에서 파생된 tio, tim ~ 그리고 〈존경〉의 의미를 지닌 산스크리트어 형태가 있다. 또 한편 e 형 의 형태 * kwe i-가 있고, 여기에서 파생된 형태인 tino , tinu mai, tisis , 그리고 〈벌주다〉의 의미를 지닌 산스크리트어의 형태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두 가지 선택 중에서 어떤 것을 취할지 입장을 분 명히 밝히지 않고 있다 슐츠는 단일 기원을 설정하는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 공적이 있고, 그 어원을 밝힐 수 있는 수단을 제공했다 . 문제는 ti m~ 와 그 유관 단어들의 의미가 p o in~의 단어족과 비교를 가 능케 하는 것인지 또는 금지시키는 것인지를 아는 것이다 . 그래서 tim~ 를 〈명예, 공경〉으로 번역하는 것으로는 불충분하다. 연관되는 이웃 의 미를 지닌 용어들과의 관계에서 그 정의를 더욱 상세히 규명해야 한다. 가장 분명한 예 가운데 몇몇 예를 뽑아 보.A}. 우선 g eras 와 tirn~가 상호 관련된 개념으로 연관되어 있는 구절을 예 로 들어 보자. 그것은 『일리아스 』 제 1 권의 아가멤논과 아킬레우스의 논

쟁이다. 아가멤논이 아킬레우스로부터 자기 몫의 전리품을 제의시키려 고 하자 아킬레우스는 그에게 비난을 퍼붓는다. 〈내가 여기에 찾아 울 아무런 개인적인 관심이 없소- 우리가 그대를 따라 온 것은 그대를 기 쁘게 하기 위해, 그대와 메넬라오스에게, 트로이아인들을 이건 tim e (nµftv cipV UJ lEV O t, 159 행)를 주기 위해서요〉 (1, 158-160) tim e 를 〈보상〉으로 번역한 것(마종의 번역)은 부적당하다. 왜 아가멤 논이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없고, 또 그가 정복했던 자들에게 보상을 어떻게 받을 것인지도 알 수 없다. 사람들이 어떤 인 물에게 그의 존엄과 지위 때문에 수여하는 명예의 몫과 물질적 이권이 문제시된다. 아가멤논은 대답한다. 〈그래, 생각이 그렇다면 가시오. 내 곁에는 내게 tim e( tim esous i)를 가져다 줄 사람들이 얼마든지 있고, 특 히 사려 깊은 제우스께서 계시오`〉 (174 행 이하) 바로 이것이 중요한 특 칭이다. 사람들, 그리고 신들이 그에게 주는 배려, 즉 이 tim e 는 따라서 왕적 지위의 속성이다. 사람들과 신들에게서 부여받는 이 ti me 에는 존 경, 경의의 표시, 그리고 물질적 이권이 동시에 포함된다. 이러한 정의는 다수의 다른 증거둘로 보완될 수 있다 네스토르는 아 가멤논에게 언쟁을 만류하려고 노력하면서 말한다. 〈아카이아인들이 그 에게 주었던 g eras 를 (아킬레우스에게) 내던져 주시오.〉 그리고 또 아킬 레우스에게 〈왕과 다두지 마시오` 제우스께서 k O. dos 〈영광〉를 내려 준 왕(아래 6 장 참조)은 똑같은 tim e 를 나누는 법이 아니오. 그는 더 많은 사람들을 거느리니 그가 더욱 위대하오〉 (1 권 276 행 이하)라고 말한다. 바로 여기에서 g eras 와 tim e 의 중요한 차이점이 드러난다. 죽 g eras 를 주는 것은 사람이지만, tim얹는 운명에 의해 부여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 해서 그것은 사람의 운명에 속한다. 『일리아스』 (15, 189) 같은 덱스트는 이를 확증한다. 더쿠누 A 의 세 아들인 제우스, 포세이돈, 하데스는 모 든 것을 서로 배분한댜 세상을 세 부분으로 나누고, 각자 자기의 운 (elakhen) 에 따라 주어전 tim e 를 그 몫으로 가졌다. 그래서 인간이나

신이나 똑같이 ti me 의 할당을 결정하는 것은 운명이다. 따라서 핵심 단 어 mo ir a 〈운, 운명〉와 lakhe i n 〈운, 운수〉이 여기에서 결정적인 증거 역 할을 한다 그 누구도 이러한 전유물의 정당성을 의심할 수 없을 것이다 . ti me 와 왕권 사이의 관계를 만일 조금이라도 의심한다면 그 의심은 『일리아스』 6, 193 에 의해 사라질 것이다. 뤼키아의 왕은 벨레로폰테스 를 붙잡아 두기 위해 그에게 자기 딸과 〈자신의 모든 왕적 tiin e 의 절반 (tlm es basile id o s hemi su p as 존 es) 〉을 준다. 이미 인용한 (g eras 에 대한) 구절에서 아킬레우스는 자기에게 다가오는 아이네이아스를 놀린다 . 〈이 싸움이 그대에게 트로이아인들을 지배하는 패권과 프리아모스의 tiin6 를 줄 것이라고 바라는가?〉(『일리아스 』 20, 180 이하) 이 표현은 tiin 6 를 왕권의 행사와 관련짓고 있다. 다음과 같은 왕들 (bas il @es) 의 득권 가운 데는 이 tiin a i가 물론 포함된다. 죽 명예로운 자리와 최고의 상석을 차 지하고, 풍부한 고기를 접대받고, 포도주가 가득한 잔을 받는 것 등(『일 리아스』 12, 310). 명예뿐만 아니라 bas i leus 의 지위와 관련하여 운명이 부여하는 물질적 이권들이다. 그러면 tim e 의 기원은 무엇인가? 호메로 스는 이를 분명한 용어로 말한다 . 〈(왕의) tim e 는 제우스께서 주신 것이 며, 제우스께서 그들을 사랑했기 때문이오늘〉(『일리아스』 2, 197) ti me 는 신에게서 기원하는 것이다. 이러한 확언을 다른 곳에서도 찾아볼 수 있 다. 또한 tiing를 지배하는 동사들은 증여를 의미하는 동사들 6t 6 6vat (d i d6na i)〈주다〉, o Jt6.t nv(o p aze in)〈부여하다〉, (}>tp e t v( p here in)〈수여 하다〉이다. 또는 철회를 의미하는 동사들이다. 예컨대 아킬레우스에게 포로로 잡힌 여자를 뺏으면서 그의 ti me 의 몫을 빼앗는 경우에 사용된 다 이 tim e 의 개념은 운명에 의해서 왕위에 있는 인물에게 부여되는 신 적 기원의 권위로 정의되며, 권력뿐만 아니라 존경을 받는 특권과 물질 적인 공납도 포함된다. 따라서 tirn e 는 사람들이 최고 동치자나 영웅에 게 때에 따라 주는 물질적인 공여와는 다르다. tiin&에는 종교적인 의미 작용이 있는가? tim e 가 hos i e(ocrln) 와 연관

되어 있는 구절이 나오는 『헤르메스에게 바치는 호메로스의 찬가』 (172 행)를 인용하면서 이를 주장하기도 한다. 이것은 호메로스의 시에서 이 러한 tirn~의 의미 가치를 암시하는 유일한 예이다. 헤르메스는 자신을 나무라는 자기 모친에게 그처럼 멸시를 당하면서 어둠에 있기를 바라지 않는다고 대답한다. 어두운 동굴 속의 자기 집에 웅크리고 있기보다는 불멸의 신들과 사는 것이 훨씬 낫다 . 그래서 그는 다음과 같이 덧붙여 말한다. 〈그래서 명예(ti mes) 의 대가로 나는· 아폴 론과 같은 신성한 특권들(t ~s hos i es) 을 가질 것이오. 나는 그 일에 곧 착수할 것이오.〉(엥베르의 번역) 따라서 ti m~ 와 hos i존가 신성 특권으로서 어떤 관계가 있다면 이로 인 해 tirn~가 신의 특권이 될 수 있을까? 그렇다면 이러한 의미는 이 때까 지 우리가 살펴본 모든 의미를 벗어난다. 그것은 사람들이 권세를 지닌 인물들에 대해 갖는 단순한 경의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면 이것은 hos i e 의 의미인가? 찬가의 다른 구절에서 헤르메스 는 자신이 원하는 소망이 성취되기를 바라서 아폴론에게 자신이 소망 했던 바를 모두 자백한다. 〈그대는 제 1 인자요. 그대는 불멸의 신들 가 운(ek데 p 거as 즌하 s 고ho s있 i존소 s) (4제70우) _스—께 서이는것 은그 대〈공를정 사한 랑것 〉가일운 데뿐 이tK다 n ―6.o一 n c두 b고m n있c 으며, 그리고 그대에게 놀라운 선물을 하사하셨소.〉 hos i존s 를 〈공정한 것〉으로 번역한 것(엥베르의 번역)은 종교적인 의미 가치가 없기 때문에 의의이다. 뒤의 h6s i os 에 대한 연구(제 3 권, 1 장)에서 이 형용사가 h i er6s 와 등가치를 지닌 의미가 아니라는 점을 살펴볼 것 이다. 〈성스러운〉 것과 〈세속적 인〉 것이 대립되듯이 그것은 h i er6s 와 대립된다 따라서 『헤르메스에게 바치는 찬가』 (173 행 이하)의 첫 구절은 다음과 같이 해석되어야 한다. 〈出 n& 에 대해서 나 역시 아폴론이 누리는 이 hos i즌에 대해 권한을 가지고 싶소〉 여기에서는 신성한 특권이 아니라

세속적인 이득이 문제시되는 것이다. 이것을 잘 보여 주는 증거는 다음 구절이다. 〈내 부친께서 그것들을 하사하지 않으시면 나는 스스로 도적 둘의 왕이 될 것이오. 누가 나를 벌준다면 나는 퓌톤에 가서 삼발의 향 로 황금, 솥을 빼앗을 것이오.〉 이는 신성(종교)의 영역 밖에서 신이 누 리는 이권이다. 따라서 여기에서 tirn 6 에 특별한 의미를 부과할 이유가 없다. 이 단어는 그것이 일상적으로 지닌 뜻으로 해석되며, 종교적인 개 념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이제 남아 있는 이 문제의 나머지 절반을 살펴보자. 여기에서 관련되 는 개념은 tln umai, tisis , p o in e 와 이에 대응하는 다른 언어들의 형태가 표현하는 개념으로서 , 다음과 같이 기술될 수 있다 . 〈보상금을 지불하 게 하다 . 죄과, 특히 극악무도한 범죄에 대한 벌금을 요구하다.〉 이 개 념은 ti me 와 관계가 있는가? 우선 형태 자체를 고찰하여 어기 모음 체계의 차이를 보자 . 한편으로 는 ttµ기(h)n 6), tt u( ti 6) 가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ti vuµK 벌주다, 누구 를 위하여 지불하게 하다〉(=1: ElVU- ; 5 세기 크레타의 비문에 나오는 ano- 1:E lVU1W(a p o t e in u to)를 참조)가 있다 . 형태적인 차이는 이들 개념을 분 리시키는 차이점을 드러내 준다. 호메로스 시의 어떤 구절에서 tirn 6 는 p o in e 와 동일한 가치를 지닌 의미라고 주장되었다. 다음 덱스트에 근거해서 이 두 단어족의 친근 관 계를 주장했다 그래서 그것을 다시 읽어 보자 . 아가멤논은 아카이아인 들과 트로이아인들을 맺어 줄 엄숙한 동맹 서약을 하고, 모든 신들에게 증인으로 서 줄 것을 부탁한다 . 〈알렉산드로스가 메넬라오스를 죽이면 그로 하여금, 그 자신을 위해서 헬레네와 그녀의 보물을 갖게 하소서. 우리는 바다를 여행하는 배를 타고 떠나겠나이다. 그러나 금발의 메넬 라오스가 알렉산드로스를 죽이게 되면 트로이아인들로 하여금 헬레네 와 그녀의 모든 보물을 우리에게 돌려주게 하시고 아르고스인들에게 후세에 이들을 가져다 걸맞은 보상(tirn en a p o ti nemen) 을 지불하게 하

소서. 프리아모스와 프리아모스의 아들들이 보상을 지불하기(ti m~n tf ne in)를 거절한다면 죄값(p o in e) 을 받아 내기 위해 내가 나서서 싸울 것이며, 전쟁을 끝까지 치르기 전에는 이 자리를 떠나지 않을 것이오 、〉 (『일리아스 』 3, 275 이하 . 마종의 번역) 여기에서 한편으로 tino , a p o ti no 〈지불하다〉, tim e 사이의 어원적 관계 를 고려하고, 또 tim e 와 po in e 사이의 어원적 관계를 찾아 보려고 했다 . 그렇다면 사실상 이 두 관계 모두가 검토의 대상이 된다. 이 동맹 서 약은 메넬라오스가 승리하는 경우 트로이아인들은 헬레나와 모든 보물 들을 돌려주고, 또 아가멤논과 아르고스인들에게는 별도로 ti me 를 치를 것이라는 점을 예상하고 있다 . 이것은 단순히 재물의 변제를 넘어서는 공물이다. 죽 그것은 왕권의 인정과 이 왕권에 수반되는 명예를 부여하 는 것을 함축하고 있다. 이 사실과 그 동맹의 서약이 이루어지는 조건 들로 미루어 보면 tim e 는 트로이아인들이 돌려준 재물에 추가해서 이 들이 치른 보상과 갇은 것임이 드러난다. 바로 이 예에서 우연히 tim e 가 동사 〈대신 값을 치르다〉와 연관된다 . 그래서 호메로스가 ti me 를 a p o tin o 의 형태론적인 상관어로 생각했다고 결론지울 수 없다 . 오히려 그 반대로 이 동일한 텍스트는 tim e 와 p o in e 의 차이를 보여 준다. 트로 이아인들이 tim e 를 거부한다면 아가멤논은 p o i ne 를 받기 위해 싸울 근 거가 생긴다. 바로 여기에 p o in e 가 전혀 별개의 것이라는 사실이 드러난 다. p o in e 는 서약을 어긴 대가로 치르는 처벌과 속죄에 대한 보상이다. 그리스어 외의 언어에서도 이와 비교의 대상이 될 수 있는 형태들 역 시 경의나 명예의 관념과는 상관이 없으며, 모두 처벌과 관련된다 . 예컨 대 라틴어 p oena 의 경우가 그렇다. 이 단어는 그리스어 형태 p o in a 에 서 차용한 고대의 차용어로서 형법의 용어이다. po ena, punir e 가 honos 〈명예〉의 개념과 공통점이 전혀 없다는 것도 분명하다. 아베스타 어에서 동사 ka y-와 그 파생어 ka 존 n 료-, kae8-a - 는 〈복수하다, 가벼운 죄나 피해의 보상을 받다〉는 개념과 관계 있다. 아베스타어에서 이 단

어군에 속하는 어떤 용어도 산스크리트어 ca y a ti〈존경하다〉와 대응하지 않는다. 요컨대 그리스어 이의의 언어에서 〈존경하다, 명예롭게 하다〉란 의미 와 비교할 수 있는 형태는 오직 소수의 인도어 형태인 동사 caya - , 형 용사 ca y u- 〈영예로운〉뿐이다 그렇지만 그리스어에서 이 두 단어족 사이에 밀접한 접촉이 이차적 으로 일어났다 여기에서 특히 tirn ore 祐〈구원하다, 도와주다, 벌하다〉, ti moros 〈보호사, 복수자〉가 생겨났다. 이를 문자적으로 직역하면

제 6 장 마법적 힘 요약 kudos 는 거의 서사시에만 나오는 용어로 고대와 근세의 모 든 전동 을 통해 kleos 〈영광〉와 거의 동의어가 되어 버렸지만 아주 특수한 의미 를 지니고 있다 . 즉 그것은 거역할 수 없는 마법적 힘을 가리키며 , 신들이 선택한 영웅 들 에게 때때로 부여하여 그 둘의 승리 를 확보하는 신들의 전유물이다 . kfi do s ares t ha i는 전사에 대해 적용할 때는 업밀히 〈(신들에게서) k (l dos 를 탈취하다〉 를 뜻하며, 그 결과 이러한 부 적의 효력으로 영광에 둘러싸이다라는 뜻이다 . 이와 같은 의미의 k (l dos 와 고대 술 라브어 ~udo 〈 기적 , 경이〉 사이의 형태적 대응은 자연스럽다. 다시 말해서 이 두 용어에 공통된 〈 초자연적 힘 〉 이란 개념으로 이 대응이 완전히 이해된다 . 이 어휘를 연구할 때 용어 사이의 관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 들 용어 각각을 개별적으로 취할 경우, 이들의 의미는 항상 분명한 것 은 아니며, 그 연관 관계 내에서 밝혀진다 . 이 경우 그 완전한 의미를 드러내 주고, 새로운 의미 가치를 나타나게 하는 몇몇 의미 한정을 목 격할 수 있다. 호메로스에게서 아주 은밀하게 작용하는 의미 가치들을 밝히기 위해서는 때로는 연속된 건 텍스트를 읽어야 한다 . 다시 말해서 어떤 중요한 용어가 그것이 관련되는 많은 관계들로 인해 관심을 다소 벗어난 용어에도 빛을 던져 줄 수가 있다. ger as, 血 16 에 이어 이제 이들 개념과 관련되면서 눈에 띄는 또 다른 개념을 살펴보자. 이 개념은 k 0. dos(Ku6o c;)이다. 한결같이 〈영광〉으로 번역되는 이 중성명사와 그 명사, 동사 파생어인 kudr6s, kudalirn o s, kudano, kudain o , kudia n eir a 등에 대한 수백 가지의 · 예들을 호메로스

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영광〉이라는 전통적 의미는 호메로스의 몇몇 구절의 문맥에서 필요한 의미로, 이미 고대의 주석가들이 제시한 것이다. 이 의미로 고정 된 것은 고대이며, 그 후 고전학의 전통에 속해 전해 내려왔다 . 하지만 이 호메로스의 어휘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아직도 초보 단계 에 머물러 있다는 접을 지적해야겠다 . 우리는 고대로부터 해석 체계를 물려받고 있으며 , 이것을 아직 고수하고 있고, 여기에 근거해서 어휘를 해석하고 번역을 하고 있다 . 확실한 덱스트를 복원하고, 또 이 서사시의 방언적인 여러 특칭을 규명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인 반면, 우리 의 해석 수준은 아직 대부분 정확성에 대한 고려보다는 심미적 관례가 더욱 존중되는 시대의 해석 수준에 머물러 있다. 호메로스의 텍스트롤 더욱 깊이 연구할수록 개념들의 실제적 성질과 이들 개념에 대해 전통 적 학문이 내리고 있는 모습 사이에 괴리를 느끼게 된다. 이러한 면에서 최근의 몇몇 연구는 실질적인 전보를 보여 주지 못하 고 있다. 예컨대 다섯 개의 그리스 단어 kleos, ki1d os, tirn~, pha ti s, doxa 에 대한 연구를 한 그라인들 Gre indl 의 박사학위 논문 (M uni ch, 1938) 은 편리하게 자료를 수집하고 있으나 연구의 근본 성질은 문학적 이고 심리적인 것이다 이 저자는 k fr dos 가 위풍당당한 의모와 전쟁에 서 승리나 다름없는 이득을 가리키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그 의미 는

시어( 詩語 )에서 동일한 형식의 표현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죽 호메 로스 그리스어 klewos ap ht h i t on , 베다 산스크리트어 §ravas ak~ta m 〈영원 불멸의 영광〉이 그것이다 . 이것은 전사(戰 士 )의 최고의 보상을 가리키며 , 이 〈영원 불멸의 영광〉은 인도 • 유럽 사회의 영웅이 가장 바 라는 것이자 이것을 위해 죽음도 불사한다. 이것이 아주· 드물기는 하지 만 그 증거 가운데 하나이며, 여기에서 서사시어는 아닐지라도 적어도 공통 인도 • 유럽어 시대로부터 사용된 시적 표현이 존재했음을 추론할 수있다. 이 사실로부터 k ft dos 가 〈영광〉이란 의미를 가질 수 없는 것으로 추 정된다. 서사시의 용어법에서 주요 용어들은 아주 특수하며 동의어가 없다. 선험적으로 볼 때 kleos 〈영광〉와 k1ldos 는 서로 의미 가치가 동일 하지 않으며, 그래서 차후 살펴보겠지만 실제로 k ft dos 는 결코 〈영광〉 울 의미하지 않는다 . 모든 곳에서 받아들이고 있는 이 번역은 사용되어 서는 안 된다. 이 두 개념 사이에는 특별한 관계조차 없다. 이들 개념은 각각 수식하는 수식사들의 수와 성질도 다르다. kleos 는 es t hl6n 〈아름다 운〉, me g a 〈위대한〉(비교사인 me tz on 과 me gi s t on 〈더 위대한, 아주 위대 한〉과 함께 사용), e 따 d 〈큰〉, asbes t on 〈꺼지지 않는〉, ap ht h i t on 〈불멸 의〉, hup our ani on 〈하늘 아래의〉으로써 수식되고, 복수형 klea 가 있으 며, 한정사들(〈인간의 영광〉 등)이 사용되고, 과장법으로 찰 사용된다 (〈하늘 끝까지 치솟는 그의 영광〉). 반면 k ft dos 는 두 가지 부가 수식어 me g a 〈위대한, 큰〉, hu p era t eron 〈보다 우수한〉만이 사용되고, asp et o n 〈거대한〉이 단 한 번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복수형이 없고, 한 정의 구 (s ynt a gm e) 에서 사용되지 않으며, 아무런 수식이 없다. 이와 같 은 차이로 보아 k1ldos 는 별개의 개념이며, 그 자체로 별도로 정의해야 할 것이라는 점을 이미 예측할 수 있다 . 따라서 k1ldos 의 의미는 사전과 주석서들이 제시하는 〈영광〉의 의미 가 아니다 . 오직 문맥에 의거해서 그 용법으로부터 정의에 필요한 요소

를 분석해 냄으로써 그 의미를 다시 밝혀야 한다. 이번에도 호메로스에 대한 전통적인 주해는 근본적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kOdos 의 구문은 그리 다양하지 않다. 속격과 처격형 kude i:가 유일하 게 나타나는 분사형 g a io n 과 단 하나의 구에서만 결합하는 형식 kudei: g a io n 을 제의하고 유일하게 사용된 격 형태는 주격과 대격 kOdos 이다. 전체 60 회 이상의 용례들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 한 용례군에서 kOdos 는 동사 〈주다〉의 목적어로 사용되고, 문법상의 주어는 신의 명 칭이다. 디른 용례군에서 kOdos 는 동사 〈얻다〉의 목적어로 사용되고, 문법적 주어는 사람 명칭이다. 그래서 이 둘을 별도로 분석해야 한다. 첫째 용법의 범주에서 kOdos 는 신이 〈주는〉 (d i dos i, op az ei) , 〈선사 하는〉 (ore g e i) 어떤 것을 가리키거나 그 반대로 〈빼앗아 가는〉 (a p ~ura) 어떤 것을 가리킨다. kOdos 를 주는 것은 그것을 받는 자의 승리를 약속 하는 것이다. 죽 전쟁에서 kOdos 를 갖는 자는 틀림없이 승리한다. 바로 이것이 kOdos 의 근본 특성이다. 그것은 패권의 부적(符籍)으로 작용한 다. 우리는 물론 부적이라고 말하는데, 그 이유는 신이 kOdos 를 하사함 으로써 주술적인 힘처럼 거부할 수 없는 즉각적인 승리를 거두게 되고, 신이 자신의 뜻에 따라 어떤 때는 이 사람에게, 어떤 때는 다른 사람에 게 kOdos 를 주면서 전쟁이나 싸움의 결정적인 순간에 언제나 승리를 보장해 주기 때문이다. 여신 아데나는 마차 경기에서 디오메데스1 ) 를 돕기 위해 경쟁자 에우 멜로스가 탄 마차의 연결 부위를 부수어 버린다. 결국 에우멜로스는 땅 에 나됭굴고 디오메데스가 그롤 추월하게 된다. 그 이유는 〈아테나 여 신이 그의 말에게 힘을 가득 불어넣어 그에게 k l'.l dos 를 주었기 (e p 'au t o i 1) Diom edes : 원래는 트라케의 전설적 인 왕으로 사람 고기로 자신의 말을 키웠다. 헤라클레스가 그를 죽여 자신의 말들의 먹이로 삼았다 . 『 일리아스』 에서는 오뒤세 우스를 도와 중요 임무를 달성하는 천사로 나온다. 아테나 여신의 보호를 받아 아 레스를 공격하고, 아프로디테에게 상처를 입힌다.

kO. d os e t h 즌 ke) 때문이다〉. 그러자 곧 다론 사람들은 누구에게서 이 승 리가 디오메데스에게 주어진 것인지를 깨닫고서 그에게 그것을 문제삼 울 수가 없었다. 안틸로코스는 그의 등 뒤에서 자기 말들을 격려하며 이들에게 소리를 지른다. 〈내 너희들더러 저 디오메데스의 말들과 다두 라고는 하지 않겠다. 아데네 여신이 지금 그들에게 속력을 주었고, 그에 게는 k O. dos 를 주었으니(동일한 형식의 표현이다) 말이다 . 〉( 『 일리아스 』 23, 400-406) 이제 모든 사람들에게 사실이 분명히 드러났다. 죽 신이 어떤 사람에게 k O. dos 를 주었을 때 이 사람은 승리를 확신하고, 그 적대 자나 경쟁자들은 그에게 대항해 봤자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을 안다 (또한 5, 225 참조). 바로 이러한 이유로 아킬레우스는 파트로클로스가 자기 대신에 헥토르를 대적하려는 순간에 제우스에게 간청하게 된다 . 〈그에게 k O. dos 를 보내 주소서. 그리고 그의 마음을 강하게 하소서.〉 (16, 241) 이것 역시 네스토르가 청하는 것이기도 하다. 아킬레우스는 아가 멤논에 대항해서 자기 고집을 주장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제우스께 서 k O. dos 를 주신 홀을 가진 왕에게는 tirn~가 결코 같지 않기 때문이 오.〉 (1, 279) 디오메데스와 네스토르의 전차가 헥토르를 바짝 추격하고 그에게 가까이 붙어 위협을 가했을 때, 제우스는 이들 앞에 큰 천둥을 내린다. 놀란 네스토르는 즉시 자기 동료에게 경고한다. 〈고삐를 돌려 달아니는 일만 남았소 그대는 모르는가 . 오늘 제우스께서 k O. dos 를 허 락하신 것은 우리 적대자라는 것을. 그가 원하시기만 한다면 그는 우리 에게도 그것을 내려 주실 것이오.〉 그렇지만 디오메데스는 저항한다 . 비겁하다는 비난을 받지 않을까? 그는 네스토르의 충고를 무시하고 헥 토르에게 대적하기를 고집한다. 그러자 제우스는 〈트로이아인들에게 그 둘의 복수를 미리 알려 주면서〉 천둥을 세 번 울린다. 그러자 헥토르는 몹시 기뻐한다 〈나는 잘 알고 있다. 제우스 신께서 나에게 승리와 큰 k O. dos 를 약속하지만 다나오스인들에게는 파멸을 내리신다는 것을.〉 (8, 140-160) 그리하여 그는 급히 돌진하여 다나오스인둘이 저항할 수 없

도록 공격을 한다. 〈제우스께서 k ft dos 를 주셨기에 . 〉(같은 권 , 216) 위험 에 직면해서 아가멤논은 전사들의 용기를 호령과 조소로 북돋우고 제 우스에게 말한다 〈그대는 일찍이 어떤 강력한 왕에게서 큰 k O. dos 를 빼앗음으로써 그를 이토록 눈멀게 한 적이 있나이까?〉(같은 권, 237) 특칭적인 용법들로 표시되고 있는 이 긴 이야기에서 새로운 조건 하 나가 k O. dos 의 정의에 추가된다 . 우리는 이러한 특권이 신에게서 유래 한다는 것 , 그것이 왕 또는 영웅에게 하사되며, 신이 그에게 승리를 보 장해 준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다. 그렇지만 전쟁의 혼란 가운데서 신 이 와서 그에게 k O. dos 를 준다는 것을 어떻게 알며, 또 그의 적도 그것 을 어떻게 깨닫는가? 이들은 각자 신의 선택을 드러내 보여 주는 놀라 운 칭후로 그것을 안다 . 전쟁 중에 번개가 훨씬 많아져 번쩍거리며 내 리치거나 , 질주하던 적의 마차가 부서진다든가 헥토르를 겨누고 있던 테우크로스 2) 의 활의 줄이 끊어전다든가, 활이 그 목표물을 빗나가 엉뚱 한 곳을 맞춘다든가 하는 칭후가 그것이다. 헥토르가 그것을 피한 것이 아니라 제우스가 그의 편에 있기 때문이다. 〈가장 용감한 전사의 활이 제우스의 힘으로 빗나가는 것을 나는 두 눈으로 보았다. 제우스의 도움 은 사람들에게 참으로 쉽게 알려진다. 어떤 자들에게는 우세한 kO. d os 를 선사하시고, 어떤 자들에게는 기를 꺾고 도움을 거절하신다. 그래서 그 분은 아르고스인들의 용기를 꺾고 우리를 도우려 오셨다 . 〉 (15, 488 행 이하) 여기에서 kO. d os hu p er t eron 의 의미가 나온다. 제우스가 개입 하지 않는다면 양쪽 진영의 힘은 균형을 이룰 것이다. 〈트로이아인들과 아카이아인들이 싸우며, 아버지 제우스는 이 둘 중 어느 편에 kO. d os 를 내릴 것이다.〉 (5, 33) 제우스가 핵토르를 좋아하여, 그에게 〈우세한 kO. d os> (1 2,4 37) 를 내림으로써 이 힘의 균형을 기울게 하는 것은 헥토 2) Teukros : 트로이아 전쟁의 영웅으로 텔라몬과 헤시오네의 아들. 아카이아 군대 의 최고 궁수로 유명하다.

르가 큰 위험에 처하는 때이다. 이 모습은 이 두 진영의 세력 관계를 다른 형태로도 고취시키고 있다. 죽 제우스가 자신의 총애하는· 자에게 k il dos 를 내렸고, 드디어 상대방이 패배했고, 그는 트로이아인들이 〈제 우스의 명령을 수행하면서〉 달려든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다 . 이 신들의 주인은 〈그들의 용기를 크게 불러일으키고, 아르고스인들의 마음을 현 혹케 하여 그들에게 k il dos 를 거부하는 한편 이들의 적들은 격려했다. 왜냐하면 그분이 k il dos 를 주고자 하는 자는 헥토르이기 때문이었 다〉 (15, 593 이하). k il dos 가 지닌 힘은 일시적이다 . 제우스나 아데네 여신은 이것을 주어 영웅이 전두에서 승리하게 하거나 그가 인정한 정도까지 자신의 전황을 유리하게 이끌고 가도록 한다. 죽 이 신들은 그에게 〈죽이는 kil do s>( 5 , 260 ; 17, 453. 이것은 〈죽이는 krato s >( 1 1,1 92 ; 207) 와 비교되는 표현이 다)를 준다. 서로 적대하는 상대방 중 어느 편이 이 특권을 받느냐 하 는 것은 언제나 유동적인 전황에 따라서, 그리고 즉각적으로 주어진다 . 그것은 이 특권이 위기의 순간에 전황을 유리하게 복원시키기 때문이 다. 그래서 신들은 자신만의 고유한 선택권을 행사하며, k il dos 를 아카 이아인들과 트로이아인들에게 번갈아 가며 부여하면서 자신들의 개인 적인 상대 적수들을 조정한다. 우리는, 제우스가 이것을 어떤 방식으로 사용하여 아킬레우스가 승리한 뒤에 신들의 전영에서 생겨난 분쟁을 조정했는지 알 수 있다 . 어떤 신들은 아킬레우스가 헥토르의 몸에 가한 손상에 분노를 느껴 아르게이폰데스를 보내어 그에게서 헥토르를 빼앗 아 오기를 원한다. 또 다른 신들은 거기에 반대한다. 그 이유는 헥토르 와 아킬레우스에게 있어서 出 n6 가 똑갇지 않기 때문이다. 죽 헥토르는 죽은 몸이지만 아킬레우스는 여신의 아들이었던 것이다. 이 때 제우스 가 개입한다. 〈안 된다. 이들에게 出 n6 가 동일하지 않을 것이므로 시신 울 빼앗아 오려고 하지 마라.〉 그는 아킬레우스의 어머니인 데티스를 오게 하여 그녀에게 말한다. 〈어떤 신들이 아르고스의 살해자 아르게이

폰테스에게 시체를 빼내도록 재촉하고 있소. 허나 나는 앞으로도 그대 의 a i d8s 와 p h il 6 t es 를 잃지 않기 위해 이러한 k ft dos 를 아킬레우스에게 내리기로 했소〉(이 책 제 1 권 , 제 3 편, 제 4 장 참조) 바로 이것이 제우스의 계획이다 . 죽 아킬레우스가 헥토르의 시신을 돌려주지만 프리아모스가 몸소 와서 그 몸값을 지불하되 아킬레우스에게 멋진 선물을 가져오는 경우에만 그렇게 할 것이다 (24, 109 행 이하). 이리하여 아킬레우스가 헥 토르의 몸을 되돌려 주면서도 그 승리는 훼손되지 않을 것이다 .

몇몇 예에서 신이 아니라 그 적수가 k fi dos 를 영웅에게 주기도 한다 . 이러한 경우에 그것은 단순한 문체상의 비유이다. 전사가 운이 나빠 위 험에 빠지거나 무모한 나머지 위험에 빠져 적의 공격을 받는 때에 그 자신이 상대방 적수에게 k fi dos 를 〈제공한다〉. 예컨대 페리페테스가 자 기 방패에 부딪혀 헥토르 앞에 넘어졌을 때 그는 헥토르에게 〈 k fi dos 를 준다〉 (15, 644). 헤카베 3) 는 자기 아들 헥토르에게 트로이아 성에 머물기 를 간청하고 아킬레우스를 대적하러 감으로써 〈그에게 큰 k fi dos 를 주 지〉 말 것을 간청한다 (22, 57). 그래서 우리는, 그가 스스로 자신의 무덤 울 파는 무모한 사람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

3) HekaM : 트로이아의 왕 프리아모스의 아내. 19 명의 어린아이를 낳은 여자로 모 성애의 상칭이다.

이제 둘째 예문들의 군으로 넘어가 보면, 여기에는 kfi do s aresth a i 〈 k fi dos 를 탈취하다〉란 표현법이 압도적인데, 이것은 전장의 전사에 대 해 사용되고 있다(그러나 결코 신에 대해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 어구 가 그처럼 빈번하게 (20 여 회) 출현한다는 사실은, 그것이 일정한 의미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 그래서 k fi dos 가 이 용법으로 사용될 때 신에 의해 부여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 의해서 〈탈취되는〉 것이라는 사실은 이미 새로운 의미를 알려 주는 것이며, 주의할 필요가 있다. 신의 동의 없이 k fi dos 를 〈빼앗는〉 것이 어떻게 인간의 권한에

속할 수 있는가? 이미 우리가 살펴보았듯이 신들만이 그것을 인간에게 부여하는 것이 아닌가? 이 특권은 단 한 번 신의 선물로서 제시되고 있 다 . 〈제우스께서 내게 함선 옆에서 k O. dos 를 탈취하고, 아카이아인들을 바다로 쫓아내게 해 주셨다 (edoke) 〉라고 헥토르는 트로이아 군중들에 게 의친다( 『 일리아스 』 18, 293). 하지만 아주 극히 드문 예들을 제외하 고 전사가 〈 k O. dos 를 탈취하는〉 상황에서는 신에 대한 언급이 없다. 더 욱이 이 표현법에는 수혜자를 지시하는 여격이 흔히 수반된다. 죽 〈누 구에게(위해서) k O. dos 를 탈취해 주다〉. 여기에서는 이 특정 어구가 문제시되는데, 이를 출현시킨 정황과 동 시에 형식적인 연결 구조의 통사적 특성을 연구해 보아야 한다. 이처럼 분석함으로써 이 어구에는 두 유형의 용법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용법은 다음과 같다. 죽 이것은 특출한 공적을 단독으로 세운 전사에 대해 주어지는 선물이다. 그가 성공하는 경우 , 그는 자신의 왕, 자신의 백성 또는 자기 자신을 위해서 〈 k O. dos 를 탈취할 것이다〉. 그러 면 크나큰 보상이 그에게 약속된다. 이 때 이 어구는 전망적(p ros p ec tif) 문맥에 위치하며, 미래로 표현되 고, 흔히는 여격의 수혜자 명사가 수반된다. 우리는 일련의 에피소드에 나오는 이 도식을 추적해 보려고 한다. 변 장한 아테나가 판도라에게 대담한 행위를 해 보라고 부추긴다 . 죽 화살 로 메넬라오스를 쏴 보라고 부추긴다 . 〈그대는 모든 트로이아인들을 위 해, 그 중에서도 특히 알렉산드로스 왕을 위해 kha ri s 와 k O. dos 를 빼앗 게 될 것이오. 용감한 메넬라오스가 그대의 화살에 쓰러지면 그대는 그 에게서 영광스런 선물을 받을 것이오.〉( 『 일리아스』 4, 95) 아킬레우스에 게 특사로 파견된 오뒤세우스는 싸옵울- 재개할 것을 요구한다 . 〈아카이 아인들은 그대를 신처럼 받들 것이오. 그대가 그들을 위해 큰 k O. dos 를 탈취할 데니까. 이제야말로 헥토르를 죽일 수 있을 데니까.〉 (9, 303) 헥

토르는 아카이아인들에게 가서 야간 정찰을 위해 자기 진영에서 자원 자를 찾는다. 이 모험을 감행하는 자는 큰 보상을 받을 것이고, 〈그는 자신을 위해 k ft dos 를 탈취할 것이다〉 (10, 307). 포세이돈은 다나오스인 들을 부추긴다. 〈그대들은 이번에도 헥토르에게 승리를 양보하여 그로 하여금 우리 함대를 빼앗고 k ft dos 를 탈취하도록 할 작정인가?〉 (14, 365) 아킬레우스는 파트로클로스를 헥토르와의 전두에 보내면서 그에 게 이른다. 〈그러나 내가 계획을 일러두겠으니 이것만은 명심하여 잘 거행토록 하라. 그래야만 그대는 나를 위해 모든 다나오스인들에게서 큰 ti me 와 k O. dos 를 빼앗게 될 것이다. …그러나 그대는 함선에서 그들 울 몰아내는 대로 돌아오라. 설사 제우스께서 그대에게 k ft dos 를 빼앗 는 것을 다시 허락한다 하더라도 나 없이 호전적인 트로이아인들과 싸 우려들지 않도록 하라.〉 (16, 84-88) 트로이아인들의 군대는 〈파트로클 로스의 주위를 맴돌며 그의 시체를 그들의 도시로 끌고 가 k ft dos 를 빼 앗으려는 거만한 속셈이 있었다 . 〉 (17, 286 이하) 헥토르가 말하기를 〈제 우스께서 내게 함선 옆에서 k O. dos 를 빼앗고, 아카이아인들을 바닷가로 내쫓게 허 락하셨다 . 〉 (18, 293) 아킬레우스는 〈 k O. dos 를 뺏으려는 열망으 로〉 달려들어 적들을 쳐부순다 (20, 502 ; 12, 407 ; 21, 543 참조). 그러나 〈아폴론은 그가 k ft dos 를 빼앗도록 내버려 두지 않고〉 (21, 596) 아게노 르로 변장한 아폴론은 아킬레우스에게 추격을 받자 그를 전장에서 멀 리 떨어지게 한 뒤 자신의 신의 모습으로 되돌아온다 . 화가 난 아킬레 우스는 그에게 말한다. 〈모든 신들 가운데 가장 잔혹한 이여, 그대는 나 를 속여 성벽으로부터 이리로 향하게 했구려. …지금 그대는 나에게서 큰 k ft dos 를 빼앗고, 트로이아인들을 구해 주었구려.〉 (22, 18) 핵토르를 쫓아가던 아킬레우스는 자기 백성들에게 화살을 쏘지 못하게 신호를 보냈으니 〈다른 자가 헥토르를 맞혀 k ft dos 를 빼앗고, 자기는 두번째가 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 (22, 207) 제우스의 저울은 헥토르에게 결정적인 날을 표시했다. 그러자 아테나 여신이 아킬레우스에게 이야기

하러 왔다 . 〈이제야말로 우리는 헥토르를 죽이고 아카이아인들을 위해 큰 kOdos 를 그들의 함선으로 가져갈 것이라고 믿는다 . 〉(같은 책, 217) 이 표현법이 완료 행위를 지시하는· 과거 시제로 되어 있다는 것은 예 의적이다. 여기에 대한 한 가지 유일한 예가 있는데, 거기에는 또 하나 의 예의적 특칭이 결부되어 있다. 죽 복수 주어가 사용된 점이다 . 그 예는 승리한 아르고스인들이 우렁차게 부르는 찬가이다 . 〈우리는 큰 kOdos 를 빼앗았소 우리가 고귀한 헥토르를 죽였으니 말이오 . 〉 (22, 393) kOdos ares th a i의 두번째 유형의 용법은 조건법 과거로 된 형태이 다. 죽 만일 신아 적대자를 구하기 위해 개입하지 않았다면 영웅은

〈 k 1'.i dos 를 빼앗다〉라는 표현에서 〈승리〉의 의미로 그 의미가 전이되었 고 그 중간 과정으로 굉장한 공을 세운 영웅이 그 덕으로 신만이 줄 수 있는 k 1'.i dos 를 탈취해 가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어떤 면에서 그 는 신에게서 그것을 빼앗는다. 그리하여 k1'.i d os ares t ha i란 표현 방식은 kleos ares t ha i〈영광을 빼앗다〉( 『 일리아스 』 5, 3) 라는 표현과 마찬가지 로 영웅 찬가의 목록에 속한다. 더욱이 이처럼 영웅에 의해서 획득된 k 1'.i dos 는 흔히 왕을 위한 것이 된다. 디오메데스가 말한다. 〈나는 아가 멤논이 아카이아인들을 싸우도록 격려한다고 해서 그에게 화를 내지는 않네 . 아카이아인들이 트로이아인들을 이겨 신성한 일리오스를 - 함락하 는 날 그에게 k 1'.i dos 가 돌아갈 테지만 아카이아인들이 지는 날에는 그 에게 큰 슬픔이 돌아갈 데니 말이네.〉 (4, 415) 그리하여 k 1'.i dos 와 出海 둘 다 왕의 권한이라는 것과 또한 두 명사가 동일한 동사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둘 사이에 유사성이 있다. 〈우리가 그대를 따라 이 곳에 온 목 적은 그대를 기쁘게 하고 메넬라오스와 그대를 위해 트로이아인들의 ti빠를 얻게 (amumeno i) 하려 함이오.〉 (1, 159) kf t dos 는 또한 한 민족 전체 공동체 에도 해당될 수 있다 {13 , 676). k ft dos 의 새로운 의미 전이가 일어나 그것이 사람들의 특성을 가리 키는 데 사용된다 어떤 영웅들에 대해서 그들이 아카이아인들의 〈큰 k ft dos 〉라고 말하기도 하고(아가멤논 , 네스토르 오뒤세우스), 트로이아인 둘의 〈큰 k 1'.i dos 〉라고 말하기도 한다(헥토르). 이들 영웅에게만 승리의 부적이 따라다닌다. 여기에서 제시된 k ft dos 의 정의, 성질, 그리고 그것이 신과 인간과의 관계와 또한 전황(戰況)을 나타내 주는 것 등에 의해서 k ft dos 에서 파생 된 파생어의 의미를 더욱 분명하게 한정할 수 있다 . 죽 형용사 kudr6s 는 특히 최상급의 형태 k ft d i s t os 로 가장 지고한 신들, 특히 제우스와 인간 가운데는 유일하게 아가멤논을 수식한다는 것, 또한 kudal im os 는 영웅 과 백성들에게 주어진다는 것이다. k ft dos 에서 파생된 동사 가운데 특

히 kud ai no 가 있는데, 이것은 문자적으로는 〈 k ft dos 로 채우다〉란 뜻이 다 . 예컨대 실질적인 의미로 〈 k ft dos 를 갖게 하다, 승리의 부적 을 갖게 하다〉 (13, 348 ; 14, 73) 란 의미이며, 여기에서 〈상처 입은 몸에 악을 이 길 수 있는 힘을 주입하다〉(예컨대 레토와 아르데미스가 간호하는 아이네 이아스에게 하듯이 (5, 448) )란 의미가 파생된다. 또한 비유적인 의미로 〈지고의 권한으로 명 예롭게 하다 , 지고의 권한을- 주다〉 (10 , 69 ; 『 오뒤세 이아 』 14, 438) 를 의미한다. k ft dos 의 의시적 의미 (deno t a ti on) 는 아주 · 강하여 그것이 비유적 용법으로 수없이 사용되더라도 그 근본적인 의 미 가치는 드러난다 . 그런데 이 가치는 물론 그 기원에서는 주술적인 성질을 띠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이 의미 가치에 의해 생기는 대립 관계에 따라 나타난다. k ft dos 는 마법처럼 작용한다. 죽 제우스가 그것 (k ft dos) 을 허락해 주는 전사나 진영의 승리를 보장하기도 하지만 그 상대방의 팔과 가슴이 마술에 걸린 것처럼 〈굳어지거나〉 , 〈묶이게〉 된 다 . 이러한 모티브가 많은 에피소드에 나오며 , 이 k ft dos 의 힘을 나타나 게 한다. 아가멤논이 자기 군대의 퇴로 앞에 서서 말하기를 〈지금 제우 스께서 축복받은 신들과 동등하게 어떤 사람들에게(t ous men kudanei) k ft dos 를 허락해 주시지만 우리에게는 가슴과 팔을 묶으신다 (ed 존 sen) 는 것을 알고 있소 . 〉 (14, 73) 〈제우스께서 아카이아인들의 마음에 현혹됨 (th el g e) 을 일으키고, 트로이아인들과 헥토르에게 k ft dos 를 허락하신 다 . 〉 (12, 255) 〈트로이아인들은 날고기를 먹는 사자때와도 같이 제우스 의 명령에 따라 함대를 향해 쳐들어 갔다. 그는 언제나 그들에게 큰 용 기를 불러일으켰으나 아르고스인들의 마음에는 현혹됨(t hel g e) 을 일으 켜 k ft dos 를 주기를 거철하고 이들의 상대방은 격려했다. 그분의 마음 은 프리아모스의 아둘 헥토르에게 k ft dos 를 베풀기를 결정했으니, 그래 야만 그가 부리처럼 생긴 함선 위에 사나운 불을 던져….〉 (15, 595-6) 아폴론은 다나오스인들 앞에서 방패를 혼들며 큰소리를 지르며 〈그들 의 마음에 현혹을 일으켰다 (e th elxe). 그러자 그들은 싸움에서 열화 갇

은 분노를 잊었다 …아카이아인들은 기세가 꺾여 달아났다 . 아폴론이 그들에게 공포를 보냈고, 트로이아인들과 헥토르에게는 k ft dos 를 허락 해 주었기 때문이다〉 (15, 327). k ft dos 의 용법을 좀 자세하게 모두 살피고, 그들의 결합, 대립, 파생 관계 내에서 그 특성을 규정짓고, 그처럼 잘못 이해된 이 용어의 정확 하고 올바른 의미를 찾아야 했다 . 왕 또는 영웅의 k ft dos 는 신들이 자신 들의 선호에 따라 전두의 양 진영 가운데 어느 한 진영에 부여하기도 하고 , 이를 곧장 거두기도 하면서 전쟁의 균형을 꾀하고, 헌납물로써 자 신들을 경배하는 영웅을 구하고, 자기 자신들의 경쟁 관계를 유지케 하 는 강력한 마력이다 . 이와 같이 가변적인 은총은 , 제우스가 그 중재 역 할을 하는 신들의 차원에서 일어나는 파벌의 역학 작용을 반영한다. 따 라서 k ft dos 는 이 편에서 저 편으로, 아카이아인들에게서 트로이아인들 에게로, 그리고 헥토르에게서 아킬레우스에게로 이동하는, 보이지 않는 마술적 특권으로서 , 기적들에 둘러싸인 기적 그 자체이며, 승리의 도구 이다 . 이는 제우스만이 영원히 간직하고 있으며, 어느 날 왕이나 영웅에 게 주는것이다. 이러한 의미 기술은 이 용어의 어원에 새로운 길을 열어 준다. 오래 전부터 그리스어 k ft dos 와 슬라브어 fo do 〈기적, 경이로운 일〉의 형태상 의 일치가 지적되어 왔다 . 그러나 전통적으로 k ft dos 에 주어전 〈영광〉 이라는 의미는 이 비교에 부적합한 것이었다. 지금 이 문제는 새로운 용어로 제기된다. 죽 k ft dos 는 결코 〈영광〉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승 리를 보장해 주는 마술적인 특권이라는 것이다. k ft dos 의 기적적 특성, 즉각적이면서 엄청난 효과, 적대자들에게 일어나는 혼란, 이 모든 것은 슬라브어 fo do 와 k ft dos 를 비교 가능케 하기 때문에 이들의 어원적 일 치를 완전히 인정할 수 있다 . 더욱이 이 두 용어는 각각 하나의 공통된 동사 어근 , 죽 슬라브어 t u ti〈느끼다〉와 그리스어 koe tn〈알아보다, 주목 하다〉과 결부되며, 그 고유의 의미는 〈새로운 별난 것을 알아채다, 새

롭거나 이상한 것을 깨닫다〉임이 틀림없다 . 이것은 그리스어 k t'.l dos 와 슬라브어 fo do 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중심적인 의미 가치와도 잘 부 합한다. 우리가 인용한 대부분의 예문 또는 모든 예문은 『 일리아스 』 에서 따 온 것인데 , 이 인용둘은 이 단어가 사용된 거의 모든 용례이다 . 『오뒤세 이아』는 k t'.l dos 가 나오는 예문을 거의 보여 주지 못하는데, 특히 가필 한 것으로 짐작되는 용례를 제의하면 그렇다. 어떤 용례 (『 오뒤세이아 』 4, 275 ; 22, 253) 는 이미 연구된 바 있고, 그 밖의 용례 (3, 57 ; 19, 161) 는 왕과 가장의 권위와 관련된 것이다. 이 모든 예문에서 k t'.l dos 는 어떤 성공이든 어떤 영역에서 나타나는 우세성이든 간에, 언제나 그 성공과 우세에 선행하는 조건이다. 우리는 klldos 를 본질적으로 마술적인 승리로서 실현되는 지고의 패권으로 정 의할 근거가 있다. 이 패권이 제우스의 수중에 있을 때는 영원한 것이 고, 신들이 인간에게 부여해 줄 때는 일시적인 것이다 . 어떤 상황에서도 왕, 장수, 용감한 전사들에게 그 뛰어남을 보장해 주고, 결국 그들에게 승리를 보장해 주는 것은 신적 총애로 이들에게 속하게 된 이 부적 때 문이다. k t'.l dos 가 없는 승리란 없지만, 이 k t'.l dos 가 반드시 승리와 관련 되는 것은 아니다 기술된 바는 없지만 이것을 물질적인 모습으로 그려 볼 수 있다 . 죽 이것을 지닌 자들에게 빛나는 광채를 부여하는 것과도 같다. 부가 형용사 klldr6s 가 신들과 관련되면 존엄의 관념, 광채의 관념 이 있게 되는데, 이것은 k t'.l dos 의 소유를 의부로 드러내 주기 때문이다 . 우리가 애당초 출발했던 개념으로 다시 돌아오면, 이제 이들 개념이 어떻게 서로 구별되는지를 깨닫게 된다. g eras 는 오직 물질적인 재물만 을 가리키며, 인간의 몫에 속하고, 최고의 인물에게 주는 급부이며, 헌 납물로 표시하는 그의 지위와 패권에 대한 인정이다. tim~는 신에게 바 치는 명예이며, 때로는 인간의 공적(功 續 )에 대해 그 공적을 존경과 선 물의 형태로 보상하기 위해 신들이 인간에게 주는 명예이다. 마지막으

로 k O. dos 는 신적 존재의 전유물로서 인간에게 달린 문제가 아니라 오 직 신들의 손에 달린 것이며, 마법적 힘으로써 그것을 받는 사람들을 신들의 지위에 앉힌다. 그것을 소유하면 일정한 상황에서 패권을 넘겨 주는데, 흔히 전장에서 승리에 대한 보장이다 . k O. dos 란 용어의 분석을 통해 우리는 그리스어 용어가 우리에게 거의 알려 준 바 없는 새로운 영역, 죽 왕권의 마법적 힘이라는 영역으로 새 로운 길을 개척하게 되었다. 고대 상태의 인도 • 유럽어의 개념에서 나 타나는 왕은 정치적이고 동시에 종교적인 역할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인간 관계뿐만 아니라 인간과 산들의 관계를 지배하는 전권(全權)을 지 니고 있었다. 이 사실로부터 그는 법과 주술이 함께 있는 가공할 만한 권위를 지니게 되었다. kO. d os 같은 개념이 호메로스의 시의 세계처럼 마법적인 의미 가치가 전혀 없는 세계에 살아 남아 있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 그것은 아 마도 그 용법의 대부분이 형식화된 고정 표현으로 남아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미 고대인들은 이 용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게 되었고, 그 것을 kleos 〈영광〉나 ni ke 〈승리〉와 동일시했던 것이다. 이러한 이성주의 적 해석을 뛰어넘어 그 용어의 힘과 전정한 가치를 밝혀야 한다.

제 7 장 krato s 요약 kra t os 는 〈육체적 힘〉(i skh6s sth ~ nos), 〈영혼의 힘〉 (alk~) 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 라 전쟁이나 집회에서 차지하는 〈우위, 우세〉를 의미한다. kra t os 에 일관된 이 의미는 파생어 kra t er6s 의 일부 용법에서 확인된다. 이 파생어는 특히 전쟁에서 〈무적의, 대적 할 자가 없는〉을 뜻한다. 그러나 kra t er6s 의 또 다른 용법에서 그 의미는 kra tai 6s 〈단단한, 잔인한〉, kra 떠 s 〈단단한 , 거칠은〉와 비교된다. 어원은 이러한 특이한 상황을 설명한다 . 죽, kra t os 는 〈전사의 (마법적) 힘, 용기〉를 가리키는 인도 • 이란어 kra tu-와 비교해야 한다는 것이다 . 또 kra tu s 는 전혀 다른 단 어군, 죽 오직 〈단단한, 거친〉의 의미를 지닌 고트어 hardus 의 어근과 관련된다. 그리 스어에서 이 두 어근의 의미 중첩이 일어났는데, 이 사실은 특히 kra t er6s 의 일련의 용 법을동해서 나타난다 . 우리가 살펴본 용어들은 호메로스 사회의 몇몇 이상적 개념의 경계 를 구분하게 한다. 이들 용어 덕택에 왕의 지위가 규정되고 basile ia , 즉 왕권의 속성을 정할 수 있었다. 이들 용어 가운데 세 가지, 즉 kOdos, time , g eras 가 분석되 었다. 위의 세 용어와 밀접하게 연관되기 때문에 고찰해야 할 또 다른 특성 이 문헌에 나타나 있는데, 이것은 그 의미 작용 자체로 보아 이 왕권의 이해에 핵심적인 중요성을 띠고 있다. 그것은 kra t os(K pt'li: o i;)란 용어로 서, 일반적으로 아주 잘 알려진 단어이고, 그 의미가 단순하기 때문에 쉽게 분석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용어는 처음부터 〈힘, 권력〉 이 의의 다론 의 미는 없었을 것이다. 그 형 태는 krato s 또는 kar t os 로서 차 이가 없다. 이 고대의 중성형으로부터, 어간 krat- , kar t-에 기초를 둔

일련의 많은 파생어가 생겨났다 . 즉 형용사 krate r 6s 또는 kar t er6s 와 비교급 kreis s on, 최상급 krati st o s 또는 kartis t o s , 그리고 동사 kar t e i n 이다 . -u_ 어간에 기초해서 형용사 kra tu s 와 동사 kra tu e in이 파생되었고, 마지막으로 -ai- 어 간에 기초해 서 생 긴 파생 어 로 kra t a i 6s 와 합성 어 krata i p o us, kra t a igu alos 가 있다. 모든 곳에서 받아들이고 있는 〈힘, 권력〉으로 이 단어를 번역하는- 것 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대부분 아주 정식화된 용례들을 통해서 이러한 의미를 더욱 상세히 규명하고, 그 최초의 개념을 정확히 한정시켜 보도­ 록해 보자 . kra t os 가 단순히 〈힘〉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은 적어도 여섯 개의 다른 호메로스의 용어도 이러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에서 뒷받침된다 . 죽 bia , is, isk hus, sth e nos, alk~, d 血 am i s 가 그것이다. 이 처럼 많은 용어로 인해 번역자들은 큰 어려움에 부닥친다. 하지만 똑같 은 의미 가치를 지닌 용어들은 정확한 정의에 의해서만 선택된다. 다시 말해서 이 〈힘〉을 지칭하는 일곱 가지 다른 방식 사이의 〈차이점〉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가짐으로써 정확히 번역할 수 있다는 말이다. 이들 용어의 번역에서도 자의성과 불확실성이 난무하고 있으며, 각자의 판단 에 따라 번역하기 때문에 각 예문을 달리 번역하고 있다 . 우선 디오메데스가 아가멤논을 준엄하게 부르는 곳에서 alk~ 와 연관 되어 있는 kra t os 의 경우가 곧 문젯거리로 떠오른다. 〈제우스께서 그대 에게 난처한 선물을 주셨습니다. 그분께서는 그대에게 왕홀을 주어 누 구보다도 존경을 받게 해 주었지만 그분은 그대에게 가장 큰 kra t os 인 alke 는 주시지 않았습니다.〉( 『 일리아스』 9, 39) 디오메데스가 원하는 것 은 무엇인가? 다음과 같은 번역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분은 그대에 게 용기를 주시기를 거부하셨다. 그렇지만 그것은 지고의 힘이다 . 〉(마종 의 번역) 이 문제들 내에서는 모든 것이 서로 관련 있기 때문에 각 용어 의 의미를 정확히 한정하려고 하면 동의어가 너무 많아서 서로 복잡하

게 얽혀 버린다. 그래서 kr at os 와 alke 의 경계를 획정하도록 하자 . 맨 먼저 alke 가 뜻하는 바가 무엇인지 밝혀 보자. alke 는 분명히 어떤 종류의 〈힘〉이지만 육체적인 힘은 아니다 . 육체 적인 힘은 s t henos 라 불린다 . alke 란 힘의 성질을 알기 위해서 이러한 자질이 결여됨으로써 비난을 받는 발화문을 이용해야 한다 . 왜 디오메 데스는, 아가멤논이 alke 가 없다고 그를 비난하고 있는 것일까? 그 이 유는 다음과 같다. 아가멤논이 불운의 공격을 받고, 제우스가 자신을 배 반한 이상 전두가 대패했다고 판단하여 , 그의 백성들에게 자리를 들고 일어나 떠날 것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자, 우리 배를 타고 우리 고향으 로 떠납시다 . 길이 넓은 트로이아를 우리는 함락할 수가 없을 테니.〉 (9 , 27) 이 때 디오메데스가 그를 부른다 . 〈제우스님께서 그대에게 alke 를 주시지 않았소 …그대 마음이 그토록 귀국하기를 재촉한다면 가십시 오 …다른 사람들은 트로이아를 함락할 때까지 여기 머무를 것입니다. 아니, 그들에게도 배를 타고 고향땅으로 달아나라고 하십시오. 그렇지 만 우리 두 사람, 나와 스테넬로스는 트로이아에서 끝장을 볼 때까지 의로이 싸울 것입니다 . 우리는 신과 함께 여기에 온 것이니까요 * 〉 (9 , 39 이하)

전쟁을 포기한다는 것은 더 이상 alke 가 없는 것이다 . 마치 사슴들이 달리기에 지쳐 〈가슴속에 alke 라고는 전혀 없기 때문에〉 (4 , 245) 멈춰서 는 것처럼 오뒤세우스가 결전에 임해 자기 거처에서 동료 세 사람과 〈수많은 용감한〉 구혼자들 앞에서 홀로 있게 되었다 . 이 때 아테나 여 신이 멘토르1 ) 의 모습으로 변장하고 그에게 다가와 오뒤세우스에게 간 청한다. 〈멘토르여, 나를 불행에서 구해 주소서 . 〉 아테나 여신은 먼저 다음과 같이 그를 나무란다. 〈오뒤세우스여. 그대는 용기도 alk& 도 없는 1) Mento r : 오뒤세우스의 친구로서, 오뒤세우스는 그에게 이타케에 있는 자신의 제 뭉울 맡겼다 . 아데나 여신은 오뒤세우스와 그의 아들을 구하기 위해 번번이 그의 모습으로 변장해 나타난다 .

가요? 이제 그대 집과 재물이 있는 곳에 왔으니 구혼자들 앞에서 어떻 게 alk i mos 하다고 한탄하는 거요?〉( 『 오뒤세이아』 22, 226 ; 231 이하) 여기에서 一一 이와 반대 상황에서 ― 一 alke 의 정의가 추출된다. 죽 절대 물러설 수 없는 위험에 대항하다, 공격에 굴복하지 않다, 백병전에 서 굳게 버티다의 의마가 그것이다 . 이러한 것이 바로 alke 이다. 이러한 것이 모든 예문에 나오는 이 개념의 특징들이다. 아카이아인들이 트로이아의 공격에 굴복하고 있을 때 칼카스의 모습 으로 변장한 포세이돈은 두 아이아스에게 이렇게 말한다 . 〈그대 두 분 이 아카이아 군대를 구할 수 있을 것이오· 그대들이 마음속에 alke 를 지니고 싸늘한 패주를 생각하지 않는다면〉( 『 일리아스 』 13, 48) alke 냐 도주냐를 언제나 양자택일해야 한다. 메넬라오스는 에우푸 근 님 ,,,._5 구부터 파트로클로스의 시신을 방어하면서 그를 위협한다. 〈나는 그대의 분노 를 부숴 버리리라. 그대가 만일 내게 대항해 온다면 말이다. 나 그대에 게 명하노니 물러가서 무리 속으로 들어가라〉 그러나 에우푸己닙人-는 그에게 대답한다. 〈 alke 냐 패주냐 하는 것은 싸움이 결정할 것이 다.〉 (17 , 42) 아킬레우스와 아이네이아스 사이에 장시간의 교전이 있은 후 아이네이아스가 결론을 내린다. 〈하지만 그대는 alke 로 넘치는 나를 행동으로 맞서 싸우기 전에는 말만 가지고 싸움터에서 돌아서게 하지 는 못하리라.〉 (20, 256) 군대가 패배할 때 장수는 수하의 사람들에게 〈 alk 韓룰 되찾아라, 회상하라〉, 두려움 없이 굳게 지켜라, 물러서지 말라 고 수없이 격려한다. 아이아스들이 파트로클로스의 시신 앞에서 몸으로 막는다. 〈 alke 로 옷을 입고〉 이들은 세 번이나 핵토르의 공격을 물리친 다. 헥토르 역시 〈자신의 alke 를 믿고서〉 무리 속으로 뛰어들기도 하고, 때로는 멈춰 서기도 하지만 〈한 발치도 물러서지 않는다〉. 마치 들판의 목자들이 죽은 짐승의 시체에서 사자들을 쫓아 낼 수 없듯이 〈두 아이 아스도 헥토르를 위협하여 시체에서 물러서게 할 수 없었다.〉(1 8, 157 이하) 다음과 같은 비교는 쓸모없는 것이 아니다 . 죽 야수들도 위험에

처하게 되면 alke 를 드러낸다 . 〈마치 표범이 우거진 수풀에서 사냥꾼을 향해 달려나와 개들이 짖는 소리를 듣고도 마음속으로 두려워하거나 달아나지 않듯이(사냥꾼이 먼저 선수를 써서 그 놈울 찌르거나 맞춰도 그 는 alke 를 버리지 않고 먼저 공격을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죽는다).〉 (21, 573 이하) 반대 의미를 지닌 두 대구적(對句的) 숙어인 alke 와 ph6 bos 가 파생어 alk im os 〈 alke 를 가전〉와 p hobe in 〈질겁하게 하다, 패주시키 다〉에서 다시 나타난다. 예컨대 헥토르가 이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제우스는 언제나 더 강력한 법이어서 alk i mos 한 전사도 달아나게 (ph obei) 하십니다.〉 (17, 177) 그러나 기적에 의해 드러나는 alke 가 제 우스에게서 오는 것이라면 그것을 깨트릴 수 없다 . 헥토르의 면전에서 무시무시한 우뢰와 번개가 용감한 디오게네스의 전차 앞에 떨어지자 그의 동료 네스토르는 겁에 질려 말한다. 〈자, 통말굽의 말들을 돌려 달 아나도록 합시다. 그래도 모르는가, 제우스께서 그대에게 alk 터를 주시지 않는다는 것을?〉 (8, 140) 제우스가, 테우크로스가 헥토르에게 겨눈 화살 울 돌리고, 활시위를 부러뜨리자 헥토르는 거기에 속지 않는다. 〈제우 스의 alke 는 사람들에게 쉽게 알려지는 법이다.〉 (15, 490) 바다를 휘몰아치며 함선들을 갈팡질팡하게 하고 선원들을 죽음으로 위협하는 풍랑의 분노를 묘사하는 가운대서 헤시오도스가 가리키는 alke 도 바로 이와 같은 자질이다. 〈이 불행에 대항할 alke 가 없다 . 〉(『신통 기』 876) 모든 것이 파멸될 미래상을 결론짓는 데에도 바로 이와 같이 정식화된 표현이 사용된다. 〈악에 대항할 alke 가 없을 것이다.〉( 『 노동과 날들』 201) 이와 같은 표현 방식을 핀다로스, 헤쿠두두人에게서 계속 찾 아볼 수 있는데 그 모든 곳에서 alke 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죽 그들 이 위험에 굴복하지 않고, 그 운명이 어떻게 되건 상관없이 굳게 버티 는 영혼의 힘, 죽 〈정신력〉아다.

* alk~ 의 성질을 한정했으므로 이제 우리는 kra t os 의 정의를 내릴 수 있다. 앞에서 인용한 『 일리아스』의 한 구절이 이 두 용어의 특질을 동 일시하고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그렇지만 이 두 용어가 동등한 것이 라고는 볼 수 없을 것 같다. 또 다른 예도 역시 이들이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 표지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 준다 . 이도메네우스2 ) 는 소리친다. 〈동지들이여 이리로 와서 혼자 있는 나를 도와 주오, 나를 향해 달려오 는 걸음이 날쎈 아이네이아스의 공격이 심히 두렵소이다. 그는 싸움터 에서 전사를 죽이는 데 아주 kra t os 할뿐더러 꽃다운· 청춘의 나이요 ` 이 것이 그의 가장 큰 kra t os 요〉( 『 일리아스 』 13, 481 이하) 여기에서 krato s 는 육체적인 우월성 , 죽 젊음의 꽃인 kra t os 이다. 앞에서 이것은 alke 였 다 . 이 논리적 형식 〈 x 는 kra t os 이다〉에서 x 는 여러 가지 논항이 울 수 있는 변수이고, 서술어 〈(는)…이다〉는 동일성을 함축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 조건을 가리 킨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kra t os 의 다양한 조건이 생 긴다. 어떤 것은 나이와 신체적 상태에 따른 ` 것이고, 또 어떤 것은 alke 처럼 여러 가지 능력에서 생기는 것이다. 여기에 또 디른- 한가지 조건 _ _이 조건이 아주 중요한 원초적인 것이다_울 추가해 보자. 그것 은 신들의 선의( 善 意)이다. 이것이 kra t os 의 가변적인 힘의 관계를 보여 준다. 〈이제 이 활을 버리고 우리를 신들께 맡기자. 내일 신이 자신이 원하는 자에게 kra t os 를 줄 것이다〉라고 오뒤세우스는 자기의 젊은 적 수들에게 말한다(『오뒤세이아』 21, 280). 여기에서 kra t os 는 강력한 힘의 시험(테스트)에서 이기는 능력이다. 그런데 kra t os 가 나타나는 상황을 고찰해 보면, 이러한 상황이 언제나 이러한 시험으로 귀착되며, 모든 곳 2) Idomeneus : 크레타의 전설적 왕으로서 미노스의 손자이다 . 『 일리아스』에 나오 는 주요 영웅 가운데 한 사람

에서 kra t os 는 어떤 사람의 우세성을 가리키고, 자기 진영의 사람들이 나 적군들에 대한 그의 우세한 힘을 확인해 주는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 다. 바로 이 〈(힘의) 우세〉가 〈크다〉 (me g a) 거나 〈가장 크다〉 (rne gi s t on) 라고 말해지는 것이다. 그 밖의 수식어들은 없다. 힘의 우세가 일시적인 것이므로 그것은 언제나 승패에 이용된다. 이 때 그것은 육체적인 힘의 우세일 수 있다 . 이도메네우스는 아이네이아 스가 자기에게 다가오는 것을 보고 동료들을 다시 불러 모은다 . 〈나는 심히 두렵소. 꽃다운 청춘의 나이요, 가장 우세한 이 힘 (krato s meg as ) 울 가지고 있소 . 만일 우리 두 사람이 이러한 기개에다 나이까지도 같 다면 곧 그가 큰 승리 (me g a kra t os) 를 차지하게 되거나, 아니면 내가 차지하게 되련만〉( 『 일리아스』 13, 486) 아데나 여신이 포이닉스의 모습 으로 변장하고서 메넬라오스에게 헥토르로부터 파트로클로스의 시신을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지키라고 재촉하자 메넬라오스는 아테나 여신 에게 대답한다. 〈포이닉스여, 제발 아테나께서 내게 kra t os 를 주시고 빗 발치는 저 화살과 창을 막아 주셨으면….〉 〈그러자 여신 아테나가 기뻐 했다. 그가 모든 신 중에서 첫번째로 그녀에게 기도를 올렸기 때문이다 . 그래서 그녀는 그의 어깨와 무릎에 힘을 넣어 주고 그의 가슴속에는 파 리의 대담성을 불어 넣었다.〉 (17, 561 이하) 상처를 입은 글라우코스는 아폴론에게 간청한다. 〈그러니 왕이시여, 그대는 나를 위해 이 무서운 상처를 고쳐 주소서. 그리고 고통을 참재우고 내게 kra t os 를 주시어 내 가 뤼키에의 전우들을 싸우도록 격려하고 나 자신도 고인의 시체를 둘 러싸고 싸울 수 있도록 해 주소서.〉 (16, 524) 아폴론이 아킬레우스에 대 항해 아이네이아스를 내달리게 했다. 헤라는 거기에 마음이 움직여 신 둘을 불러 모은다. 〈아니면 우리 가운데 누구 한 분이 아킬레우스 곁에 서 그에게 큰 kra t os 를 주어 그가 용기를 잃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 오.〉 (20, 121) 제우스가 외치길 〈그 때는 내가 헥토르에게 kra t os 를 주 어 적군들을 도륙케 하리라〉 (11, 192; 17, 205 참조). 펠레우스가 자기

아들 아킬레우스를 아가멤논에게 보내면서 아킬레우스에게 이렇게 당 부한다. 〈 kr at os 는 아테나와 헤라가 그럴 마음만 있다면 네게 내려 주 실 것이다 . 허나 너는 거만한 마음을 가슴속에서 억누르도록 하라.〉 (9, 254) 제우스는 싸우는 두 군대의 어느 편에 kra t os 를 내려 줄 수 있다. 이 힘의 우세를 받는 수혜자는 한 개인이 아니라 백성들이다. 테티스는 제 우스에게 무지한 자기 아들을 위해 간청한다. 〈아카이아인들이 그를 존 중하고 그에게 전보다 더 큰 경의를 표할 때까지 트로이아인들에게 kra- t os 를 주소서.〉(1, 509) 이러한 〈(힘의) 우위〉는 신들의 기분에 따라 그 진영이 바뀐다. 트로이아인들의 공격을 맞아 디오메데스는 오뒤세우스 에게 말한다. 〈내 기꺼이 버티고 서서 견디어 보겠소빽 하지만 우리의 도 움도 오래 가지는 못할 것이오. 제우스께서는 우리보다는 트로이아인들 에게 kra t os 를 내리시길 원하시니 말이오、〉 (11, 319) 〈마님(안드로마케) 은 트로이아인들이 고전을 하고 아카이아인들에게 큰 kra t os 가 있다는 것을 들었습니다.〉 (6, 387) 〈자, 날랜 함선에 이를 때까지 채찍질을 계 속하십시오. kra t os 가 · 아카이아인들의 것이 아님을 그대 자신도 알고 있을 것입니다.〉 (17, 623) 〈만일 신께서 진실로 우리에게 kra t os 를 내리 시길 원하신다면 노가 많이 달린 함선으로 뛰어들어야 할 것인가?〉 (13, 743) 〈허나 이 때 제우스께서는 필로스인들에게 큰 kra t os 를 내려 주셨 소〉 (11, 753) 〈제우스께서 일리오스를 아껴 이를 파괴하려고 하지 않고 아르고스인들에게 큰 kra t os 를 주려고 하지 않는다면, 그 때는 우리도 노여움을 거두지 않을 것임을 그가 알아야 하리라.〉 (15, 216) 그러나 이 힘의 〈우세〉는 전두에서 확인되는 것뿐만이 아니다. 방금 조사한 『일리아스』에 나오는 모든 예문을 보면 알 수 있다. 그것은 군 중들이 있는 곳에서 영웅의 또 다른 행동에서도 드러난다 (12, 214 참 조). 그리하여 그것은 왕이나 장수가 행사하는 〈권력〉이라는 의미까지 있다. 아킬레우스는 어떤 사람(아가멤논)이 〈나보다 더 kra t os 가 강하다

고 해서〉 자기 동료들에게서 그의 당연한 몫을 빼앗으려고 하는 데 분 개한다. 아카이아인들이 그에게 명예의 상으로 주었고 창으로 정복해서 얻은 그 여인을 〈통치자 아가멤논이 그의 손에서 빼앗는다〉 (16 , 54 이 하). 여기에서 kra t os 는 왕의 권력, 죽 개인적이면서도 영원한 특권이라 는 것을 알 수 있다 . 이것은 폴뤼페모스가 자신의 다른 퀴클로페스인들 에 대해 가전 krato s rne gi s t on( 『 오뒤세이아 』 1, 70), 알키노스가 자기 관 할 구역에서 가전 권한 (11, 353), 텔레마코스가 자기 집에서 가진 권한 (21, 353) 같은 것이다. kra t os 의 이러한 두 가지 의미 가치, 즉 힘의 겨룸이나 솜씨의 우열 시험에 있어서 〈우세, 우위〉의 의미와 더 특수한 〈(권위에 위한) 권력〉 의 의미는 호메로스가 사용한 동사 kra t e i n 의 용례에서도 다시 나타난 다. 그래서 한편으로는 〈우세하다, 승리하다〉( 『 일리아스 』 5, 175 ; 21, 315) 의 의미와 다론 한편으로는 〈권력을 행사하다〉란 의미가 나타난다. 이 후자의 동사는 흔히 속격의 한정사와 국가 이름이나 민족 명칭과 함 께 사용되어 〈아르고스인에 대해〉 (1 , 79), 〈모든 사람들에 대해〉(1 , 288) 〈권력을 행사하다〉처럼 나타나거나 『 오뒤세이아 E 에서는 여격의 명사와 함께 〈죽은 자들에 대해〉 (11, 485), 〈인간들과 신들에 대해〉 (16, 265) 〈권력을 행사하다〉로 사용된다 . 이제 파생 형용사 kar t er6s 의 의미를 고찰하는 일이 남았다. 여기에 서 예기치 못한 문제가 나타난다. 원칙상 kar t er6s 는 isk hur6s, sth e nar6s 와 같은 동일한 의미군에 속한 다른 형용사들처럼 동일한 -r-접 미사 로 형성되어 있고, 〈 kra t os 가 있는〉을 뜻한다. 많은 용례에서 그것은 kra t os 란 용어가 갖는, 위에 서술된 정의를 분명하게 보여 준다 . 그래서 그것은 늘 부가어로 사용되어 어떤 영웅들., 특히 디오메데스 같은 자를 수식하거나 때때로 서술어로 사용되어 여러 종류의 인물을 수석한다 . 〈그대는 아주 kar t er6s 하구려. 여신이 그대를 낳았기에〉라고 네스토르 는 아킬레우스에게 말한다(『일리아스』 1, 280). 죽 〈그대는 힘이나 용기

가 다른 사람들보다 우세하다〉. 그리고 a i khrn 존t ~s kra t er6s 는 〈나무랄 데 없고 비할 데 없는, 무적(無敵)의〉로 번역될 수 있다 . 최상급 kra- ti s t os 는 이러한 의미 자질을 최고도로 지닌 단어이다. 제우스는 〈내가 모든 신 중에서 가장 강한 자 (kar ti s t os) 〉라고 공언한다 (8, 17). 그는 지 고의 권력을 지니고 있는 자이기 때문이다. kra t er6s 와 kra t os 의 의미 관계가 일단 밝혀졌기 때문에 이 모든 예는 주석이나 자세한 증명이 필 요없다. 아러한 의미로 쓰인 kra t er6s 의 예문은 쉽게 찾을 수 있다. 하지만 빈도가 더욱 높은 또 다론 형용사도 있다. 사전에서는 분명히 지적하고는 있지만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는지는 지적하고 있지 않다. 그렇지만 몇 가지 점에서 차이가 있다. kr at os 에서 kra t er6s 로 넘어가면서 이 형용사에서 명사와 같은 개념 의 성질을 기대할 수 있다. 죽 kra t os 가 언제나 영웅, 용사, 장수의 자질 울 가리키는 것이기 때문에 형용사 kra t er6s 는 칭송의 의미 가치가 있 디는 사실이 분명하고, 또 실제로 확인도 된다. 그런데 kra t er6s 의 다른 용법, 즉 비난이나 질책을 의미하는, 칭찬의 의미가 아닌 용법들에 대해 의의로 놀라게 된다. 프리아모스의 부인인 헤카베가 자기 아들을 죽이 러 왔던 아킬레우스에게 말을 건네면서 그를 aner krate r 6s(24, 212) 라 고 부르는데, 이는 분명히 전사로서 그의 용기를 칭송하는 말이 아니다. 마종은 이것을 〈잔인한 영웅〉으로 번역하고 있다. 아레스에게 주어진 krate r 6s(2, 515) 의 의미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이것을 신의 다른 부가 어 , 죽 살인자 (m i a ip h6nos), 사람을 죽이는 자 (andro p h6nos), 죽을 수 밖에 없는 인간들에게 해로운 (bro t olo ig os), 파괴자(ai d 죤 los) 등과 비교 해 보아야 한다 . 그 어떤 부가어도 신을 호의적인 관점에서 제시하지 않는다. 그 의미 차이가 훨씬 더 커짐에 따라 이러한 차이가 또 다른 관계에 서도 드러난다. kra t 6s 가 오직 신과 인간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반면, kra t er6s 는 동물과 사물까지도 수식할 수 있다. 그래서 그 의미는 항상

〈냉혹한, 잔인한, 난폭한〉이다 시 인 호메로스는 사자를 kra t er6s 라고 부 르는데, 그 이유는 사자가 지닌 용기 때문이 아니라 새끼들과 함께 있 는 암사슴들에게 〈해를 끼치는 운명〉(『오뒤세이아』 4, 335) 을 가할 채비 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 사자가 암사슴의 우리 에 들어가 〈그의 krate r oi 한 이빨로〉 물어 뜯고 씹는다(『일리아스 』 11, 114 ; 175 참조). 전두 (husm i n 존), 불화 (er i s) 에도 역시 이 부가 형용사가 사용된다 . 그래서 다 음 문맥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eris kra t ere 는 homoii os pt 6lemos 〈처 철한 전두(?)〉 (13, 358) 와 연관되고, krate r e huam i ne 는 형용사 arga l ee p oludakrus 〈처참하고 수많은 눈물을 홀리게 하는 (전두)〉 (17, 543) 와 연관되어 있다 . 또한 kra t er6s 가 고통과 질병의 명칭들과 결합되어 있다 는 사실은 매우 의미심장하다 . 형용사 kra t er6s 가 helkos 〈부상〉와 병치 되는 경우 (helkos karte r 6n, 『일리아스』 16, 517 ; 523) 에 이를 수식하는 다른 부가 형용사들이 〈고통스러운〉 (ar g aleos), 〈치명적 인〉(l u gr 6s), 〈나쁜〉 (kak6s) 이라는 점을 유의한다면, kra t er6s 의 의미를 잘못 이해할 수는 없다 . 고정 상투 어구가 되어 버린 표현 kra t죤 r'al g ea p askhon 〈심 한 고통을 참아 내면서〉 (2, 721) 에서 al g ea 〈고통〉와의 결합도 마찬가지 이다. 또한 krate r on p en th os 〈격심한 고동〉 (11, 249) 에서 p en t hos 〈고 동〉와의 결합, krate r e ana gk 학잔인한 운명〉 (6, 458) 에서 ana gk 죤〈필연〉 와의 결합, desan krate r 8i eni desm8 i〈그들은 그를 잔인한 결속으로 묶었다〉 (5, 386 ; 마종의 번역)에서 desm6s 〈결속〉와의 결합에서도 마찬 가지이다. 또한 제우스에게 상처를 입은 아레스의 다음과 같은 불평에 서 사용된 고정 성구 karte r a er g a 〈고통스런 일들〉에도 역시 유의하라. Ze11 pa te r , ou nemes 國 horon tad e karte r a erga . 마종은 이 문장을 〈아버지 제우스여, 이 모든 잔혹한 일들을 보시고도 노영지 않으십니 까?〉 (5, 872 ; 757 참조)로 번역하고 있다. 칭 찬의 의 미가 있는 krate r 6s 의 의미와는 정말 거리가 멀다. kra t er6s 가 합성어 kra t er8nux 〈억센 말 궁을 가전 (여우, 사자, 말)〉를 구성하는 것도 바로 이러한 〈단단한〉의

의미이며, 또 비유적으로 사용된 krate r os rn O.t hos 〈딱딱한 말, 상처를 입히는 말〉에서 고대인들은 kra t er6s 가 skler6s 〈단단한〉와 동일한 의미 룰 갖는 것으로 이미 관찰하고 있다 .

우리가 구별한 호메로스의 kra t er6s 의 두 가지 의미 가치롤 헤시오도 스에 나오는 앞의 표현과 부분적으로 동일한 표현에서 다시 찾아볼 수 있다 . 죽 이 형용사가 arnurnon 〈나무랄 데 없는〉(『신통기 』 1013) 과 사 용될 때는 좋은 의미가 있고, 사람을 죽이는 자(『방패 Boucl i er 』 98, 101) 로 아레스를 묘사하거나 용( 『 신통기』 322), 에리뉘스3 ) (『신통기 』 185), 〈거친 영혼을 지닌〉 (kar t er6 p hron, 『 신통기』 297), 에키드나4 ) 를 묘사할 때는 나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헤시오도스에게서도 kra t er6s 가 쇠에 적용되거나 (s i d 죤 ros krate r ota t o s , 『 신통기』 864), 납에 적용되면(『노동과 날들 Trav .. !l, 147) 〈단단한〉이라는 물질적인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3) Eri nys : 그리스의 지옥신들 로마시대에는 푸리아이 F uriai〈분노의 여신들〉로 불 렸다 . 4) Ekhid n a : 반은 여자의 형상을 하고, 반은 뱀의 형상을 한 그리스 신화의 괴물로 서 타르타로스와 가이아의 후손이다.

이제 어간 kra t a i-에 기초해서 생긴 명사형을 살펴보자. 형용사 kra t a i 6s 는 어떤 인물들을 묘사하는 부가 형용사이고, 또한 운명의 여신 (rnotr a krata i e ) , 사자를 묘사하는 부가 형용사이다. 이 때 그것은 좋은 의미 가치나 나쁜 의미 가치를 가질 수 있다 . 그러나 합성어에서는 의 미 가치의 선택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예컨대 kra t a ip edos 는 분명히 〈굳은 땅에〉를 의미하며, kra t a igu alos 는 〈단단한 가슴받이가 있는 (갑 옷)〉을 의미한다. 그리고 특히 호메로스 이후에 생간 karta i p o us (krata i p o us) 〈단단한 발을 가전〉는 수노새를 수식하는 부가 형용사이 고 의미상 khalk6 p ous 〈청동발을 가전 (말)〉(『일리아스』 8, 41) 와 상통 한다 . 마지막으로 kratu s Ar g e1 p h6n t존s 란 표현에 고정적으로 사용된 형용

사 kra tu s 는 〈단단한〉의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의미는 명사 파생 동사 kra tun e in〈단단해지다〉에서 확실하게 드러나며, 호메로스에서는 밀집 군대의 작전을 묘사하고 있다. 밀집 군대는 방패와 창을 곤두세우 고 새까맣게 빽빽이 몰린 (4, 282) 형태를 하고 있다. 그것은 빽빽하게 서로 연결된 전선의 모습을 보여 준다. 바로 여기에서 금속 가공에 사 용되는 단단한 물체로서 이 밀집 군대를 형상화시키는 아주 물질적인 비유들이 선택된다. 예컨대 밀집 군대들을 〈부수고〉, 〈일부를 떼어 내 고〉 (16, 394) 빽빽한 밀집 대열에 〈부딪치고〉 (13, 145) 이 밀집 대열을 〈단단하게 한다〉 (ekar tu nan t o pha lag gas , 11, 215). 고전 그리스어에서 도 kar tun e in의 고유한 의미가 역시 드러난다. 예컨대 히포크라테스에 서는 뼈의 〈굳어짐〉을 의미하는데, 크세노폰에서는 다음과 같은 예문이 나온다. 다른 그리스인들이 아이들을 내쫓으며 그들의 발을 〈약하게 하 자〉 (ha p al 血 ous i) 스파르타인들은 이들을 맨발로 걷게 하면서 이들의 발을 〈단단하게 만든다〉 (kra tun ous i)(『라케다이몬인들의 공화국』 II, 3). kra 血 s 에서 파생된 이 kra tun e in과, kra t e in에서 파생되어 이차적으로 발달한 그리스 비극 작품의 kra tun e in〈통치하다〉의 차이를 강조해야 겠다. 따라서 이러한 조사로 드러난 아주 특이한 의미 상황에 유의해야겠 는데, 그 특칭은 아직 한 번도 지적된 바 없다. 죽 kra t os 를 중심으로 형성된 어휘장이 동질적인 단어족이 아니라는 점이다 . 그것은 두 가지 별도의 단어군으로 분할되는데, 이를 서로 분리해서 다음과 같이 그 특 성을규명할수 있다. 1) 첫째 단어군은 전쟁이나 집회에서 차지하는 육체적 또는 정신적 인 개념의 〈우세함〉, 〈유리함〉을 나타내는 kra t os 에 의해서 연결 된다. 그것은 도덕적이고 정치적인 내용과 관련된 일련의 용어들 로 발전된다. 그리하여 〈권력〉을 개인적인 능력 (e g kra t ~s, akrat~ s 〈자신을 동제하는 또는 통제하지 못하는〉)으로 표현하거나 〈권력〉

을 영토적이고 정치적인 〈세력〉으로 표시한다. 예컨대 krate m 〈지배자이다, 권위를 갖다〉과 -krate s , -krato r, krate ia 등으로 구 성된 수많은 파생어와 합성어, 그리고 비교급과 최상급 kreis s on, krati st o s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의미 발달의 통일성을 구성하는 것은 바로 이 개인적이거나 집단적인 정치 〈권위〉이다. 2) 둘째 단어군은 〈단단한〉(〈부드러운〉의 반대어)이란 물리적 개념에서 생겨나는 것으로서 kratu s, kartun e in〈단단하게 만들다〉, krata i - 〈단단한〉 등이다 . 이 단어군은 고유한 의미로나 비유적인 의미로 〈거친, 잔인한, 고통스런〉의 의미만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사회적 • 정치적 의미 가치로 발달하지 못했고, 그리고 좋지 않은 내포 의 미를 지닌 것으로 그 특성이 규정된다. 이들은 서로 구별되는 두 의미 영역이다. 이 두 영역 사이에 형용사 kra t er6s 의 의미 영역이 전개되는데, 그 용법은 양분된다 . 우리가 보았 듯이 그 용법의 일부는 kra t os 에 속하면서 권위의 소지롤 가리키고, 또 다—른 부 용상,법 은질 병k,ra 떠불 s화 〈 단—단—한 을〉에 수 식속한하다면.서 kr〈a 고t e통r6스s 를런, 〈힘강든한〉 , 으잔로혹 한번〉역 것하 여 이러한 차이점을 뒤섞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아러한 작위적 번역 은 문제를 모호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kra t er6s 가 〈강한〉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충분하게 증명되었다. 한 가지 보충적인 증거를 댄다 면, 이 형용사는 중복 표현 없이 i s 〈육체적인 힘〉를 수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krate r~ is Oduse8s 〈오뒤세우스의 거친 힘〉( 『 일리아스』 23, 720. 마종의 번역)이다 . 현재로서는, kra t er6s 의 용법 가운데 kra t - 로 구성된 다른 용어들에 의해 구별되면서 혼동되어서는 안 되는 두 가지 개념, 죽 〈우세, 지배〉의 추상적인 개념과 〈단단한〉의 물리적 개념 두 가지가 공존한다는 사실을 결론짓는 것으로 만족하자. 그런데 용법의 분석과 그리스어 자체 내의 의미 가치의 대조에서 우

리가 끌어 낸 이러한 의미 구별은 그리스어 의의 언어들의 어원 대응에 서도 그 정당성이 발견된다. 이 때까지 비교 언어학자들은 kra t 6s 의 단어족의 대응 사실을 두 7} 지 방향에서 찾았다 . 죽 한편으로는 고트어 hardus 와 다른 한편으로는 인도 • 이란어 kra tu-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둘 중 어느 한 가지 바교를 선택해야만 한다고 생각했다 . 그래서 이들은 이 두 가지 의마가 전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이 둘을 함께 인정하려 들지 않았 다. 어쨌든 그리스어 kra t os 를 〈힘〉으로 번역하는 것을 전혀 의심하지 않았다 . 바로 이 점이 오류였다. 이제 그리스어의 형태에 원래의 진정한 의미를 재구함으로써 이 어원론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갱신할 수 있게 되었다는 사실이 분명하다. 고트어 형용사 hardus 는 독일어 hart, 영어 hard 처럼 〈단단한〉을 의 미한다. 그것은 그리스어 sk i죤 ros 〈단단한〉, aus t존 r6s 〈가혹한, 거친〉를 번 역하는 데 이용된다. 이로부터 부사 harduba 〈단단하게, 가혹하게〉, 합 성어 hardu-ha irt e i〈마음의 냉혹함 , skl 죤 rokard i a 〉와 동사 gah ardja n 〈단단해지다, skl 존 rune in〉이 파생된다. 이제 모든 점에서 kar tu-에서 기 원하는 고트어 hardus 〈단단한〉가 그리스어 k p a i: us 〈단단한〉, kap i:uv w (<*kartu -또 는 *kr tu-)와 정확하게 대응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들 은 동일한 형태의 형용사이며, 그 의미도 동일하다. 왜냐하면 그리스어 kra tu s 와 kar tun e in은 물리적 속성으로서 〈단단한〉을 가리키기 때문 이다. 베다 산스크리트어 kratu - , 아베스타어 xra tu-의 의미 영역은 전혀 다르다. 이 명사는 지적이고 정신적인 능력을 가리키며, 전사, 시인, 신 자들에게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정신, 정열, 영감의 〈힘〉을 가리킨다. 이 는 아주 복잡한 개념이며, 그 후의 사색을 통해 그 의미가 더욱 풍부 해지고, 엄밀하게 되었다 .S) 여기에서는 그 최초의 개념으로 환원된 인 도 • 이란어 kra tu-가 언제나 〈우세〉를 의마하는 호메로스 그리스어

*5) K. Ronnow, 『 동양의 세계 Le Monde O ri en t al 』, XXVI, 1932, p . 1-90 에서 상세하 게 분석 . 그 이후 발표된 연구는 L. Renou, 『 베다와 파니니 연구 Ett ,d es vediq u es et p an i neennes 』 , IV, 1957, p. 59 ; IV, 1958, p .18 에서 논의되고 있다 .

kra t os 와 분명하게 연관된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 이 두 언어군에서 그것은 명사이며, 더 이상 형용사로 사용되지 않는다 . 단 지 그 조어법이 약간 다룰 뿐이다(인도 • 이란어에서는 -en 형의 남성 명 사이고, 그리스어에서는 -en 형의 중성 명사이다) . 이 개념의 핵심은 동 일하다 . 이 두 어휘군을 하나로 통일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는 생각하지 않 는다 . 왜냐하면 인도 • 유럽어에서 이들이 형태상 아주 유사하기는 하지 만 실제로 동일하지 않은, 별개의 두 어기에서 유래하기 때문이다. 즉 1) 〈단단한 〉 을 의미하는 형용사로서 그리스어 kratu s, 고트어 hardus 로 대표되는 형태와 2) 〈세력〉 , 〈우세〉를 가리키는 명사로서 인도 • 이란어 kra tu-와 그리스어 kra t os 에 의해 계승되는 형태이다 . 그런데 게르만어 에서는 고트어 hart, 영어 hard 등의 형태가 정신적 또는 정치적인 의 미 가치로 전혀 발전하지 않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 또 인도 • 이란 어에서도 kra tu-의 형태들이 〈단단한〉이란 관념과 아무런 관계를 보여 주지 않는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 이 사실은 우리가 앞에서 지적한 그리스어 내의 불일치, 죽 kra tu s 〈단단한〉와 krato s , kra t e in〈지배하다〉 의 불일치를 한결 분명히 드러낸다 . 그러나 형용사 kra t er6s 는 두 단어 족의 의 미를 혼합시 켰다 . 죽 한편으로 그것은 isk hur6s, s th enar6s 의 모 델을 따라 kra tu s 의 쌍립어를 만들어 〈단단한 , 잔인한, 고통스러운〉의 의미를 지니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 kra t os 에서 〈권위를 지닌, 우세한〉 울 의미하는 형용사를 만들어 냈다. 이렇게 해서 kra t os 의 개념은 그 고유한 정의를 되찾게 되었고, 동 시에 인도 • 유럽어의 대웅울 찾아 내게 되었다. 호메로스의 서사시에 나오는 이 개념에 대한 탐구의 기초가 닦였다. 이제 호메로스 이후 그

리스어의 정치 어휘에서 이 kra t os 가 아주 많이 증가되어 나타나기 때 문에 이 용어의 발달 과정을 추적하는 것은 그리스어 학자들이 할 일 O] 다.

제 8 장 왕권과귀족 요약 왕은 게르만어(영어 king, 독일어 Kon ig 등)에서는 태어난 자, 죽 잘 태어난 자, 고 귀하게 태어난 자(어근 *gen - 〈태어나다〉)를 가리킨다. 그러나 귀족은 다른 명칭 -아주 교훈적이다――을 지니고 있는데, 예컨대 독일 어 edel 이다 . 이는 * a tt a- 〈음식을 주는 자로서의 부친〉에서 파생된 고대의 *a t alo 에서 유래한다. 이 귀족의 명칭은 인도 • 유럽 사회의 대가족들이 양육을 행했음울 가정케 한다. 사실상 호메로스의 이야기에 나오는 atta , ata l 6s, ati tallo 갇은 용어의 용법은 이 러한 가정을 뒷받침한다 . 인도 • 유럽어의 서부 영역에서 이러한 의미 기술을 계속해 나가면, 게르만 세계의 〈왕〉의 명칭과 〈귀족〉의 명칭을 고찰하게 된다. 영어 kin g, 독일어 Kon ig 등으로 나타나는 〈왕〉의 명칭은 *kun- ing -az 에 근거를 두고 있다 . 이 용어는 어기 kun( 고트어 k uni〈종족, 가 족〉 참조)에서 접미사 -ing이 첨가된 파생어이며, 어기 kun 자체는 어 근 *g en- 〈태어나다〉에서 파생된 명사형으로서 라틴어 gen s, 그리스어 g enos 와 동일한 용어군에 속한다. 〈왕〉은 그 출생 덕택에 〈그 혈통에 속한 자〉, 죽 그 혈통을 대표하는 자, 그 혈통의 우두머리인 자로 명명 된다. 게다가 그 출생을 명명할 때마다 그 출생이 고귀한 귀족임이 드 러난다. 타키투스는 게르만인들에 대해서 Reg es ex nobil itat e . .. sumunt 〈왕들은 고귀한 신분을 지닌 자들 가운데서 선택된다〉(『게르마니아』 VII, 1) 라고 말한다. 이러한 관념에서 본다면 〈왕〉은 자기 종족들의 대 표자로간주된다. 독일어 edel 로 표현되는 〈귀족〉의 개념은 게르만어에서 전혀 다르게

나타난다. 그래서 이 개념은 훨씬 어려운 문제를 제기한다. 그 단어는 이미 고대 영어, 중기 영어, 고대 고지 독일어에서 오늘날 의 형태와 그리 다르지 않은 형태로 출현한다 . 이들 형태는 모두 고대 의 *a t alo- (고대 노르웨이어 edal 등 참조)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독일 어 Adel 〈귀족〉에 대응하는 uodal 과 교체되면서 출현한다. 게르만어에 서 재구된 이 어간 *a t alo 는 어원적인 비교를 허용하지 않는다 . 그래서 이 게르만어의 형태는 완전히 고립되어 있는 것 같다 . 하지만 그 의미 는 전혀 다르지만 이에 대응되는 형태가 하나 있는데, 그것은 그리스어 형용사 a t al6s( ttCO Ms) 〈어린아이의, 어린애 같은, 유아의〉이다. 이 형용 사에서 동사 a t allo(a 댜서 U) 가 파생되는데, 그 의미를 번역하면 〈어린아 이처럼 뛰어놀다, 깡총 뛰다, 재미있게 놀다〉가 될 것이다 . 그리고 여기 에서 마지막으로 중복형 현재 a tit allo(an C CLA Mil)〈어린아이에게 젖을 먹 이다, 어린아이를 기르다〉가 파생된다. 이 모든 것이 그리스어에서는 그리 명확하지 않다. 특히 게르만어군의 개념과는 아무런 개념상의 관 련성이 없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어원 사전들은 의미상의 불일치로 인 해 이들을 대응시키는 것을 피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그리스어 단어들의 의미를 자세히 조사할 필요기· 있다. 이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면 이 어휘의 다른 영역으로 접어들게 되지만 그것은 여전히 제도의 세계 내에서 이루어진다. 동사 a t allo 는 실제로 확인되지 않는 반면, a tit allo 는 명확하게 확인되 며, 그 의미도 〈기르다, 음식물을 주다〉보다 훨씬 더 자세하다. 이 단어 는 분명히 tr e p ho 〈음식물을 주다〉와 관련해서 사용된다. 예컨대 『일리 아스』 24, 60 〈나는 그를 먹이고 길렀소〉 갇은 것이다. 그러나 『오뒤세 이아』 18, 323 의 〈그녀는 그를 어린아이처럼 길렀다〉에 유의하라. 이 두 행은 기본적인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죽 〈어린아이처럼 기르다〉, 다 시 말해서 실제로 가족이 아닌 자를 가족에 속한 자처럼 길렀다는 뜻이 다. 모든 예문에서 이 동사는 자신의 자식이 아닌 어린아이에게만 적용

되고 있다. 예컨대 아킬레우스의 어머니 헤라(『일리아스』 24, 60) 같은 자이다 . 그래서 자기 자신의 아이에 대해서는 이 동사를 결코 사용하지 않는다. 헤시오두스두 역시 이러한 의미로 이 단어를 사용한다(『신통 기 』 480). 이제 이 동사가 무엇을 지시하는지 알 수 있다. 그것은 과학 용어에 서 사용되는 명칭인 〈양육〉을 가리키는 제도, 죽 양(육) 부모로서 봉사 하는 일을가리킨다. 이러한 관습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켈트 사회와 스칸디나비아 사회 에서 그렇다 . 그리고 왕가의 아들들에 대해서는 이 제도가 관례화되어 있다. 귀족 가문은 다른 가족에게 자신의 자식들을 맡겨 일정한 연령이 될 때까지 양육하는 관습이 있었다 . 이는 혈연에 기초한 친족 관계보다 때로는 훨씬 강한 진정한 친족 관계로서 두 가문 사이에 확립되기도 한 다. 스칸디나비아의 옛 법규에 gr a g as 란 법이 있었는데, 이것은 맡겨진 아이의 지위와 그를 양육하는 부모의 행동 지침을 정한 것이었다. 켈트 족에게 이 현상은 역사적 전통과 전승을 통해 잘 알려져 있다. 보통 왕 가의 아이들은 다른 가족, 일반적으로는 의가(外家), 죽 이 아이의 의할 머니에게 맡겨진다. 한 가지 특수 용어가 양육하는 부천을 가리키는데 그것은 a it e 이다. 이 용어는 라틴어 att a, 그리스어 a tt a 에 대응하며, 이 러한 관습을 지칭하는 동사는 스칸디나비아어로 fo s tr a 이다. 위베르는 켈트족에 대한 자신의 저서t)에서 이러한 제도에 대한 증거를 수없이 들 고 있다. 양육은 코카사스의 귀족, 특히 그루지야의 귀족에서도 확인된다. 이제 그리스에서 이 양육 제도가 존재했음을 상정할 수 있다. 그리스 에서 이 제도는 동사 a tit allo 에서 인지된다. 이 개념과 관련되는 다른 용어도 분명히 존재했겠지만 이들 용어는 우연히 산발적으로만 보존되 *1) H. Hubert, 『 켈트족과 텐느 시기까지의 켈트족의 확장 Les Celt es et I' e 꾸 ans i on celtiq u e jus qu ' d l'tp oq u e de la Tene 』, Rena iss ance de Livr e, Par is, 1932.

고 있다 . 예컨대 크레타 섬의 고르뒤네 비문에서 a tit al t as( ci n i:cu-.i: as) 가 나오는데, 이것은 trop h eus, 죽 〈양(육) 부천〉을 가리킨다.

이 동사가 지닌 제도적 의미를 고정시켰기 때문에 이와 결부될 수 있 는 전통을 찾아볼 수 있다. 아킬레우스가 포이닉스에 의해서 어떻게 양 육되었는지(『일리아스』 9, 485-495), 그리고 다른 시인들에 따르면 그가 케이론 2) 에 의해 어떻게 양육되었는가를 한번 회상해 보자. 신비하고 전 설적인 전승을 추적하면 또 다른 확증을 찾을 수도 있다. 본질적인 것 은 이러한 관습을 확인하며 그것을 명명하는 일이다. a tit allo 는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건 어떤 전통에 따라 양육하기 위해서전 그 이유야 어찌 되었든 간에, 오직 자기 가정이 아닌 곳에서 양육된 어린아이들에 대해 서만사용된다.

2) Kheir 6n : 머리는 사람이고 몸은 말의 형상울 한 괴뭉 모습의 야만 민족인 켄타 우로이의 한 사람으로 선량한 지혜를 지니고 있었다. 아폴론과 아르데미스가 그에 게 의술과 사냥을 가르쳤고, 그는 그 후 아킬레우스를 포함하여 여러 영웅들을 가 르쳤다.

이제 그리스어 형용사의 어기 *a t alo 켜춘 조사해 보자. 이것은 이상하 게도 토카라어 a t al 과 일치하지만 , 이 단어는 〈사람〉을 의미한다 . 그것 이 우연의 일치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다 . a t al6s 의 구성 자체는 a tt a 로 대표되는 단어에서 파생된 -lo-파 생어를 생각나게 한다 . 이 a tt a 는 인 도 • 유럽 사회 전체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부친울 가리키는 명칭이다. 예컨대 고트어 att a, 라틴어 a tt a 〈부친〉, 그리스어 att a, 산스크리트어 여 성 a tti(누나/ 언니에 대한 친밀 명칭), 아일랜드어 ait e, 히타이트어 att a~ 〈부천〉(p a t er 는 히타이트어에서는 출현하지 않는다)이다. a tt a 라는 형태는 어중의 자음 중복으로 어린아이의 언어에 속하는 형 태로 간주된다(p a p a, rnamrna 참조 ).3) 그렇지만 아일랜드어의 형태 a it e 〈양육 부친〉는 양육 제도가 역사 시

*3) a tta에 대해서는 제 1 권, 246 쪽 이하 참조.

기에 아일랜드에도 있었다는 사실 때문에 특별한 의미 가치를 갖는다 . 그래서 a it e 는 혈통의 부천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양육 부친을 가리 키는 명칭이 되었다. 그리스어에서 a tt a 가 양육 부천을 가리키는 구체적 인 명사였다면, 텔레마코스가 자기를 길러 준 에우마이오스4 ) 를 a tt a 란 용어로 불렀다는 것은 우연한 사실이 아니다 .

4) Euma ios : 『 오뒤세이아』 에 나오는 인물로 오뒤세우스에게 충성을 바치는 돼지치 기. 오뒤세우스가 이타케에 도착하자 그를 자신의 집에 묵게 한다 .

이러한 조사를 끝내면서, 게르만어 Edel 로 되돌아가 보자 . 대가문에 서 , 특히 왕가에서 자식들을 양육 부친에게 맡기는 것이 전통이었다면, 그렇게 양육되었다는 사실 자체는 어떠한 고귀함을 함축할 것이다. Edel 은 고유한 의미에서 〈유아〉를 가리키되, 양(육) 부모에 의해 길러 전 어린아이들은 고귀한 신분에서 태어날 수밖에 없다는 것을 함축하 고 있다 . 바로 이러한 사실로 인해 고대 고지 독일어 adal 〈종족〉, 앵글 로 • 색슨어 adelu 〈귀족 출신의〉 등이 가리키는 관계가 명확히 한정된다. 이러한 가설 안에서 선사 시대의 전통에서 나타나는 산발적이고 단 편적인 여러 사실이 일차적으로 통일되며, 그렇게 됨으로써 형태적 일 치점이 가정된 의미와 들어맞는다.

제 9 장 왕과그백성 요약 〈백성〉을 가리키는 호메로스에 나오는 두 명사 d@mos 와 J a6s 는 그 의미와 기원이 서로다르다. d@mos 는 일정한 영토와 거기에 사는 백성들을 동시에 가리킨다 . 이것은 도리스어 기원의 용어이다 . la6s 는 남자와 전사의 공동체 를 가리키며, 그 우두머리와의 관계 , 죽 lao i의 〈목자〉(p o im ~n) 또는 〈지도자〉 (6rkhamos) 에 대한 관계에 의거해서 규정된다. 호메로스에서는 주로 테살리아와 프뤼기아의 영웅들이 po im ~n la6n 의 칭호 를 받는다 . 다른 증거둘_一문학, 비문 등-은 la6s 란 용어의 이러한 분포 를 확증하고 있다 . 따라서 la6s 는 그리스어의 관점에서 봉 때 아카이아 기충에 속한다 . 그러나 그것은 또 한 그리스 문헌 전통이 막 시작될 무렵에 어떤 아이올리스 • 프뤼기아 공동체가 존재 했음을 증거한다. 그리하여 호메로스의 서사시에 그러한 표지들을 발견한다는 것은 그 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 . 왕의 지위와 특징을 규정하는 데 있어서 이 왕권의 행사를 받는 사람 들, 즉 때로는 주군(主君)으로서 때로는 가장 직접적인 대표자로서 섬 기는 왕의 〈백성들〉을 가리키는 용어도 고려해야 한다 . 호메로스에 〈백성〉을 가리키는 두 가지 다른 명칭, 죽 d@mos{6ft µo <;) 와 la6s(}..a6<;) 가 있는데, 이를 하나하나 자세히 고찰할 필요가 있다 . 또 한 왕이 〈백성의 목자〉, 죽 poi m @ n la6n 이라는 은유로 사용되는 것은 찰 알려져 있다. 이 표현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가? 더욱 정치적인 의미를 지닌 다른 몇몇 칭호, 죽 6rkhamos 〈지도자〉, ko ir anos( 지휘자), kosm~ to r(KO OJlftt w p)〈명령자〉처럼 p o i m~n 은 d~mos 를 지배하지 않고 단지 la6s 만 지배한다. 반면 anaks( 군주), ag 6s , 그리고 이따금 6rkhamos 는 오직 andr6n 〈사람들, 남자들〉만을 지배한다.

이처럼 우리는 필요에 따라서 d@rnos 와 la6s 를 〈백성〉으로 번역하고 있다. 이 두 개념의 차이를 명료하게 설명하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왜 냐하면 차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또 그 차이점이 현저하기 때문이다. 정치적이고 영토상의 개념인 d@rnos 는 일정한 영토와 거기에 사는 백성을 가리킨다. 여기에서 〈백성〉의 의미는 e t hnos(eBvo c;)와는· 다른 것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e t hnos 는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 벌 등에 대해 서도 사용되나 d@rnos 는 이러한 경우에는 결코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 다. 더욱이 e t hnos 는 ethn os laOn, ethn os he t a ir on 이란 표현을 구성하 여 전우(戰友)들의 집단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끝으로 호메로스의 예문들로부터, d@rnos 는 오직 공통의 사회 조건에 의해서만 결속된 사 람들의 집단이며, 친족 관계나 정치적인 성격의 집단에 대한 귀속에 의 해서 결속된 집단은 아니라는 결론이 나온다 . la6s( 이 용어는 단수보다는 흔히 복수로 사용된다)의 특성은 남자들의 집단과 그 우두머리와의 인간적 관계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것은 고대 전사들의 사회에 고유한 조직 - 우리는 이를 이미 게르만족에게서 확 인할 수 있다-으로서, lao i는 우두머리의 수행원들이다. 이들은 우 두머리의 명령에 따른다. 이들은 우두머리에게 충성과 복종을 맹세한 다. 이들이 상호간의 동의에 의해서 우두머리에게 결속되지 않으면 laoi 가 될 수 없다. 그의 대의명분을 위해 이들은 전두에 참가한다. 이러한 상황을 우리는 이미 친숙하게 알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이 『일리 아스』의 서사시적 특성 때문일 수도 있다. 어쨌든 la6s 는 무기롤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백성의 명칭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이 용어는 늙은이나 어린이에게는 적용되지 않고, 오직 성년의 남자들에게만 관련된다. 따 라서 la6s 는 d@rnos 와는 달리 전사들의 공동체이다. 복수 lao i는 이 러한 공동체가 다수의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여기에서 poi m en laOn 이란 표현이 사용된 조건을 좀더 신중하게 연 구해야 한다. 이러한 자격이 누구에게 적용되었으며, 『일리아스』와 『오

뒤세이아』에서 어떤 상황에서 이 표현이 사용될까? 이는 아마도 한번 도 제기된 바 없는 질문인 듯하다. 이 표현은 아주 오래 된 것으로 그 고어적 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것 은, 『오뒤세이아』에는 단지 12 회의 예가 출현하는 데 비해 『일리아스』 에서는 44 회나 출현한다는 것이다. 더욱이 이 후자의 예들은 모두 정식 적 표현의 성격을 지닌 구절에서 사용되는데, 이러한 것은 『오뒤세이아』 를 지은 시인에게는 과거의 흔적으로 남아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예문들을 분류하여, 이 표현이 적용된 인물들의 목록을 작성하면 특 이한 사실을 확인하게 되는데, 이를 잘 숙고해 보아야 한다. 우리는 이 표현이 대부분의 경우 아가멤논, 아킬레우스, 마카온, 이아손, 라피토스 인(드뤼아스), 네스토르와 결부되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목록은 해당되는 이름을 빠침없이 열거한 것이 아니라, 곧 살펴 보겠지만 아카이아 세계 내의 한 집단에 속하는 자들의 이름이다. 이 열거된 모든 인물들 사이에 공통점이 있는가? 이들은 모두 우리 가 그 선조와 출신을 알 수 있는 남자들이다. 시인은 우리에게 이들의 출신지가 어디인지를 말해 주고 있다. 아킬레우스는 테살리아 1) 의 한 지 방인 프티아, 죽 프티오티스 출신이고, 마카온은 테살리아의 한 고장인 이토메 출산이고, 이아손은 아르고나우데스인들이 원정을 떠난 데살리 아의 한 고장인 이올코스 출신이다. 라피토스인인 드뤼아스는 다른 라 피토스인들처럼 데살리아 복부 출신이다. 마지막으로 네스토르는 필로 스의 왕이지만 그의 전설에 얽힌 여러 가지 특칭과 irut61 a N t o1 (i)p라는 표현으로 미루어 보아 그도 테살리아 지방과 결부된다(이 점은 이미 지 적한 바 있다). 우리는 여기에서 이 서사시의 가장 오래 된 기층에 도달한 셈이다. 가장 주목받는 가 운데 몇몇 사람들이 데살리아 출산 1) Thessal ia : 그리스 북부 지방으로 산맥으로 둘러싸인 광활한 평야 지대.

이라면, 그것은 간단히 넘길 우연한 사실이 아니다. 이미 상투 어구가 되어 버린 이 칭호는 그 후 모든 아카이아인들의 왕들에게까지 확대 적 용되었고, 그리하여 아가멤논에게도 부여되었다.

반대 진영에 이러한 칭호를 받는 다른 몇몇 사람들이 있다 . 헥토르, 비에노르 휘페이론, 휘페레노르 , 아게노르 등이다 . 이들에 대해 우리는 아는 바가 그리 없다 이들은 트로이아 지방2 ) 에 속한다. 이 중 어떤 자 들은 순수한 트로이아인들이지만 프뤼기아인들도 있다.

2) Troia : 소아시아 복서부의 고대 도시가 위치한 지역으로 에게 해(海)에 근접해 있다 .

이것이 호메로스의 두 집단에 나오는 poi r ne nes la5n 의 분포에 대한 대강의 모습이다 첫째 집단은 전형적인 테살리아인들이고, 둘째 집단 은 일리온 • 프뤼기아인 3 ) 들이다.

3) 일리온Ili on 은 트로이아 를 가리키는 또 다른 그리스 명칭이다 .

이 점이 확정되었으므로 이제 조사를 더욱 심도 있게 하기 위해 la6s 란 용어를 다시 살펴보자. 이 단어는 그리스어 이의의 언어에서는 대응 이 없는 단어이다 . 따라서 이것을 인도 • 유럽어 어휘 내에 포함시킬 수 도 없고, 그 선사(先 史 )로써 설명할 수도 없다 . 그러나 그것은 그리스어 내에 많은 연관 단어를 가지고 있어서 분석을 한층 깊게 할 수 있고, 새로운 몇 가지 세부 사항을 우리에게 알려 준다 .

간접적이기는 하지만 la6s 에 대한 중요한 역사적 자료는 케르케스가 데살리아로 원정한 사실에 대한 해쿠두 E 人의 기록(『역사』 VII, 197) 이 다. 케르케스4 ) 가 이 지방에 있는 아카이아의 알로스에 이르자 그의 안 내자들이 제우스 라퓌스티오스5 ) 에 대한 그 지방의 전설을 그에게 이야 기한다. 아타마스는 프뤼코스에 대항하여 이노와 공모하고, 아카이아인

4) Xerxes : 고대 페르시아어로 Khsha y arsha 이다. 아케메니데스 왕조의 왕을 지칭 하는 그리스 명칭으로서, 다리오스 1 세의 아들인 케르케스 1 세(기원전 486-485 년) 를 가리킨다. 5) Lap hy st io s : 원래는 〈탐욕스런 자〉란 뜻이다. 제우스의 별칭이다.

들은 그를 벌하기 위해 그의 후손들에게 적용되는 한 가지 법률을 공포 한다. 장자들은 원로원의 공관에 들어가는 것이 금지되고, 이를 어기면 사형에 처한다 . 만일 거기에 들어가서 나올“ 때면 희생 제물로 바쳐진다 는 것이다. 이것은 이상한 이야기지만 제우스 라퓌스티오스에게 장자를 의무적으로 바치는 희생 제사에 대한 기억울 전하는 것으로 침작된다 . 이러한금지 사항을이야기하면서 헤쿠 F 뚜 A 는다음괴 」 같이 말한다 . gPY Eo8at t00 An tt OU 〈l@ It on 의 접근을 금지하다〉. 그리고 그는 다음과 같이 주석을 덧붙인다. }..nt -cou 6t KaMouot to np u- ca vft iov ot Axato l 〈아카이아인들은 l@ It on 을 원로원 공관이라고 부른다〉 . 이 장면이 아카이아 프티오티스에서 일어났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 le 'it on (lfut on 의 이오니아어 형태)이란 단어는 주석가들과 특히 헤쉬키오 스에게 보존되고 있는 일련의 형태와 결부된다. 죽 Mnov • to apX E LOV (l a 'it on 은 따 arkhe i on 〈행정관의 저택〉), Mnwv • -c& v onµoot wv -c6 nwv (laI t 6n 은 ton d 존 mos io n t6p o n, 죽 〈공공장소〉) , J..n nnM- cn • ttp E t a (l존i ­ t즌 le t존는 hi ere i a 〈공직의 여사제〉, J.. e t 1oa p xa t(l e it oarkha i)는 희생제사를 담당하되 공직을 가진 자들, 행정관들의 칭호이다. 또 다른 주석 - 이것은 그 출처가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은 우리 에게 행위자 명사를 보여 주고 있다. 죽 An t저p E c; • lEp o t oi:E q ia v oqi 6 po t A8aµavE c;(I죤t ~res 는 hier i ste p h a nop h6 roi A th arnanes) 〈성스러운 왕관을 지닌 아타마네스인들〉. 그런데 헤쿠두두 A 가 얘기하는 전설은 아타마스 의 아들들과 후손들과 관련된다 . 그래서 le t er 라는 단어는 바로 아타마 네스인들, 죽 그 이름의 시조(始祖)가 아타마스인 족속들의 언어에서 유래하고 있다 . 또 다른 행위자 명사 *le ito r 는 명사 파생동사 leit or euo 〈행정권을 행사하다, 공직을 수행하다〉에서 확인되는데 , 이 동사는 오 직 데살리아의 비문에서만 나타난다 . 이러한 증거가 우리에게 가르쳐 주는 것은 무엇인가? la(w)6s 의 파생 어인 la(w )it on 을 대표하는 le 'it on 이란 기본 용어는 이 아카이아 민족에

게는 행정 관청, 공관을 가리켰다 . 인용된 이들 용어의 분포에 따르면 이러한 전통이 있는 곳은 데살리아와 아르카디아이며, 그 밖의 지방에 서는 이 전통이 없다 따라서 la6s 는 아카이아 단어라는 결론을 당연히 내릴 수 있다 헤쿠두뚜 A 가 이야기하는 그 전설의 주인공들은 아카이 아인들로서 그리스 자체 내에서 아카이아 프티오티스라는 명칭을 지닌 지방의 출신들이다. 데살리아, 베오티아의 일부, 몇몇 섬과 소아시아 일 부와 함께 이 지방울 아이올리스 지방으로 간주한다 . 아이올리스 방언 은 호메로스의 그리스어와 더불어 다소 모호하지만 실제적인 하나의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그것은 이 서사시의 언어의 고유한 많은 특성들 울 이 아이올리스 방언에서 찾을 수 있다는 의미에서 그렇다. 그런데 여기에서 아카이아어로 주어진 이 용어는 아타마스와 연관되어 있다. 아타마스는 아이올리스인들의 조상인 아이올리스의 아들이다. 그리하여 역사적인 전승과 방언적 분포가 서로 일치한다. 그래서 la6s 는 그리스 어의 아카이아 기충에서 기인하는 것임에 틀림없다 . 이 사실은 고유명 칭학에 의해서도 확증된다 죽 la6s 는 많은 고유명사들과 합성어를 형 성하는데, Lao-medon, Lao - koon 처럼 첫째 요소를 구성하거나 Mene laos(Menelas) 와 -las 로 된 모든 명사에서처럼 둘째 요소를 구성한다. 고유명사의 수는 상당히 많다. 가장 오래 된 이름을 지닌 자들 가운데 아이올리스 지방 출신의 인물이 상당수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 걸 음 나아가 사람들이 의식하지는 못하지만, la6s 란 단어, 더욱 정확하게 는 위에 인용된 la( (J))it o- 의 파생어는 공동 그리스어의 잘 알려진 합성어 에서도 나타난다. 죽 그것은 l~it ou rg6 s (Allt- , Ac ti:o up v6c;)와 추상명사 le it our 양 a(Ac tt ou pyt a) 〈공적 봉사, 공무〉인데, 이들은 *l 죤it o-wer g로 분 석된다. 따라서 헤쿠두두 A 에서도 지역 방언으로 제시되어 있고, 그래 서 해석이 곁들여져 있는 이 le Yt on 이란 단어는 공통어로 넘어온 제도 명칭에 기어로서 사용되었다. le it our 엉 a (liturgi e) 는 〈공적인〉 봉사, 죽 국가에 대한 시민의 공적인 부역이었다 . 이 합성어도 역시 아이올리스 •

아카이아어에서 기원하는 것임에 틀림없다. 그래서 그것은 Ih t os 가 〈공 적인〉 것을 가리키는 일상적인 용어로 사용되던 방언에서 필연적으로 생겨날수밖에 없었다. 그리스 영토의 다른 지방, 즉 도리스의 영역에서 보면, 이 공적 봉사 〔公務벼 개념은 크니두스에서는 damoOr g os(6aµou pf os) 로 표현되고 있다. l 존it ourg 6s 와 damoOr g os 는 의미상 정확히 일치하나 이들의 차 이점 자체가 시사적이다 . 죽 damos 는 아이올리스 • 아카이아어 형태 la(w)6s( 그리고 la. (w) it on) 와 일치하는 도리스어의 형태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그리스어 내에서 이들 단어에 대한 일종의 지질충 (地質層) 분석인 것이 드러난다. 따라서 〈백성〉 개념에 대한 두 가지 상이한 기원이 이미 호메로스에 서 나타나 있다. 따라서 la6s 는 아카이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야 하는 반면, d~mos 는 도리스인들의 침입 시기, 따라서 훨씬 나중 시기와 연관 지어야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는 자료의 반 정도밖에 고찰하지 못했다. 『일리 아스』에서 poi m ~ n Ia ei n 이란 칭호는 또한 아카이아인들과 그리스인들 의 영웅이 아니라 트로이아인들의 영웅에게 주어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laos 로 된 고유 명칭을 지닌 자들 가운데는 아시아인, 예컨대 프뤼기 아인에서 기원하는 인물들도 있다 . 사실상 이 단어가 프뤼기아어에서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 고대 프뤼기아 비문에서 고유명사 Akenano- lawos 와 lawal t ae i란 단어가 나타나는데, 이 후자의 단어는 〈백성을 먹 이는 (라틴어 alo 참조) 자〉(q u i pop ul urn alit)를 의미하는 합성어로 해 석될 수 있다. 어쨌든 이 단어의 첫째 요소는 l 겼 w6s 〈백성〉이다. 어휘 요소들이 그리스어와 프뤼기아어에 공통된 듯이 여겨지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우리는 언어적인 이유뿐만 아니라 역사적인 이유 에서 그리스인들과 프뤼기아인들을 구별한다. 그러나 그리스인들은 이 들과의 차이접보다는 유사성을 더 느꼈을 가능성이 높다. 호메로스에

있어서 프뤼기아와 트로이아의 세계는 그리스 세계와 똑같다. 언어가 이들의 관계에 방해 요소가 되지 않는다. 영웅들은 똑같은 차원에서 해 석되고 이해된다 . 이들이 도움을 비는 신들은 동일한 신들이다. 이들은 동일한 제도, 동일한 환대 관계, 동일한 가족 형태를 지니고 있다 . 이들 은 혼인을 서로 교환하며, 서로의 지역을 드나들며 여행한다 . 호메로스 에게 트로이아의 전쟁은 그리스인들과 이방인들의 대립 전쟁이 아니라 같은 세계 내에서 일어난 내전이다. 반면 카리아인 6) 들은 〈이방어( 異 邦 語 )를 말하는 자들 〉 로 묘사되고 있다 .

6) Ka ria : 소아시아 남서부의 연안 지방으로 페니키아의 식민지였다가 도리스인들 에 의해 그리스화되었다 . 이 곳 주민을 카리아인들이라고 한다.

고대의 전승은 프뤼기아 세계와 데살리아 세계 또는 아이올리스 세 계를 서로 밀접하게 연관짓고 있다. 프뤼기아인들, 즉 ~pu a£<;;, ~pu a£<;; 는 원래 트라케 출신들로 간주되었다. 아타마네스족이 자리잡은 지역에 위치하고 있던 프뤼기아인들은 트라케족과 동일한 집단에 속하는 한 인종적 분파에 지나지 않는다. 이들의 공동체나 위치상의 인접성을 보 여 주는 증거가 서사시에 끊임없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은 놀랄 일이 아 니다. 동일한 목록에 속하는 것으로 또한 6rkharnos la6n( 백성의 지도자)이 란 칭호가 있다 . 6rkhamos 란 형태는 arkho 〈명령하다〉와 관련되나 어 두의 o - 는 전치사 ava(=ana) 에 대응하는 6v 의 o - 처럼 아이올리스어 에서 특수하게 다루어진 것임을 보여 준다. poi m ~n la8n 이란 칭호를 정확히 평가하려면, 인종적이고 사회적인 이러한 전체적 관점 내에서 평가해야 한다. 그것은 양육에 기초한 사회 구조에서 전사의 직업이 우두머리에 종속된 〈밴드(병사 집단)〉의 형태 로 행해지던 시기로 거슬러 울라가는 것이다. lawos 란 용어에 대한 가장 오래 된 증거 가운데 하나가 미케네어 ra 一 wa-ke 一 t a=Lawa g e t as

〈 lawos 의 우두머리〉(핀다로스에게서 나오는 도리스어 la g e t as 〈백성의 우 두머리〉 참조)라는 사실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그러나 〈왕권〉의 개념은 또 다른 권력의 관념을 도입시키고 있다 . 죽 왕의 권위는 안내자로서의 권위, 〈목자〉로서의 권위이며 , 7 ) 우리는 이 사실을 호메로스 그리스어뿐 만 아니라 이란어와 히타이트어에서도 볼 수 있다 . *7) 『히타이트어와 인도 • 유럽어 Hi ttite et i ndo-eur opie n 』, Pa ris, 1 962, p.1 0 0 참조 `

제 2 편

법률

제 l 장 the rnis 요약 산스크리트어 i;ta, 이란어 arta , 라틴어 ars, artu s , ritu s 에 공통된 어근은 전체를 구 성하는 부 분들 간의 조화로운 순응으로서의 〈질서〉를 의미하는데, 인도 • 유럽어에서 는 법적인 지칭의 의미가 없다 . 〈법 〉 은 산스크리트어 dhaman, 그리스어 t hem i s 이다. 이것은 문자적인 의미로서는 신( 神 )에 의해서 확립된 규칙(어근 * dh 존〈존재하게 하다, 생기게 하다〉)이다 . 이 규칙 은 가족법을 규정한다 . 그래서 th e mi s 는 〈 가족 간의 관계법〉인 d i ke 와 대립된다 . 사회의 일반적인 구조는 다수의 개념에 의해 크게 구분되는 집단들 로 규정되며, 그것은 법을 구성하는 규범의 집합에 근거를 두고 성립한 다 . 가장 원시적이라고 할지라도 모든 사회와 더욱이 전혀 원시적이지 않은 인도 • 유럽 사회 - 이 사회는 고도의 발전된 물질 문명과 풍부 한 문화를 지니고 있음을 살펴보았다-는 인간과 재산에 관한 법의 제 원칙에 의해 지배된다. 이들 규칙과 규범은 어휘를 통해 표시되고 있다 . 우리는 인도 • 유럽 사회의 법적 조칙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공통 시기로부터 법을 지칭하는 용어가 있었는가? 이 개념의 일반성과 언어 전체와 연관되는 이러한 질문에 부정적인 대답을 해야 할 것 갇다. 〈법〉을 지칭하는 용어는 많으나 그 용어는 각 언어에만 고유하다. 하지 만 그 주요 용어는 공통 어휘의 여러 요소와 관련되며, 인도 • 유럽어 시 기까지 거슬러 울라가는 법률적 개념의 특성을 이미 입증해 주고 있다. 우리는 역사적으로 확인된 용어들의 기원, 그리고 공동 형태에서 출

발하여 그 의미를 특수하게 분화시켜 제도 명칭이 된 그 발전 과정을 동시에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인도 • 유럽어 상태 때부터 아주 중요한 개념을 한 가지 제시할 수 있는데 그것은 〈질서〉의 개념이다 . 이 개념은 베다 산스크리트어 rta , 이란어 ar t a( 특수한 음성 변화에 의해 아베스타어에서는 a~a) 로 나타난다. 이것은 인도 • 유럽족의 법적인 세계뿐만 아니라 종교적이고, 도덕적인 세계의 주요 기본 개념 가운데 하나이다. 죽 우주의 배치 , 별들의 운행, 계절과 해의 순환을 규제할 뿐만 아니라 인간과 신들의 관계 , 그리고 인간들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대질서〉이다. 따라서 그것은 모든 사 회의 종교적이고도 도덕적인 기초이며, 이 원리가 없다면 모든 것이 무 질서와 혼돈으로 변할 것이다. 이 개념의 중요성은 여기에서 파생된 어휘 형태의 수가 상당히 많은 데에서 나타난다 . r t a 와 ar t a 에서 파생하여 어휘와 고유 명칭에 나타나 는 인도어와 이란어의 모든 파생어를 상세하게 열거한다는 것은 쓸데 없는 일일 것이다 . 이 용어가 인도 • 이란어에서 아주 오래 된 것이라는 사실은 더욱이 형태론의 고어적 특성에서도 드러난다 . 죽 〈 ar t a 를 충실 히 따르는 자 , 죽 도덕적으로 완성된 자〉는 산스크리트어로 :rta- van, 여성 :rt a-v 頭라고 불린다 . 또한 이란어로는 arta v an, ar t avarI 로 명명된 다. 이러한 남성 - van 과 여성 -v 頭의 접미사 형태의 현저한 차이는 고 대의 이른바 혼성 굴절(fl ex i on he t erocl itiq ue) 로 불리는 것과 동일한 작용에 의해서 설명된다 . 이 혼성 굴절의 잔존 형태는 그리스어 hudor 〈물〉, huda t os( 속격), 라틴어 it er 〈여정〉, itin e ri s( 속격)의 계열체에 남아 있다. 더욱이 『아베스타 경』에서 이 개념은 의인화되어 있다. 죽 여기에는 Ar t a 란 신이 나온다. 인도 • 이란어는 -tu-형의 추상명사 집미사로써 어간 베다 산스크리트어 rtu, 아베스타어 ra tu-를 파생시켰는데 , 이것은 계절의 질서, 시간의 순환 주기를 특수하게 지칭했다 . 또한 일반적으로

규칙, 규범을 지칭하기도 했다. 이 모든 형태는 어근 ar- 와 연관된다 . 이 어근은 인도 • 이란어 이외 언어들의 형태 구성에서 잘 알려져 있고, 또 앞에서 기술한 다수의 형 태적 범주와도 잘 부합된다. 이 어근은 그리스어 ara ri sko 〈조정하다, 맞 추다, 조화시키다〉(아르메니아어 arnel 〈하다, 만들다〉)의 어근이며, 이 어 근에 다수의 명사 파생어가 관련되어 있다. 즉 _t-형의 라틴어 ars, ar ti s 〈자연적 성향, 자질, 재능〉, -tu-형의 라틴어 ar tu s 〈관절, 접합〉, 그 리고 다른 형태의 기어로 구성된 라틴어 r itu s 〈배치 , 의식(儀式)〉, 그리스 어 ar tu s( 아르메니아어 ard, 속격 ardu 〈배치, 법규〉), 또한 현대의 ar 떠따 〈배열하다, 갖추다〉, 그리고 *-dhmo- 형의 그리스어 ar t hm6s 〈연결, 결 속〉, *_dhro- 형의 그리스어 ar t hron 〈관절, 지체(股 體 )〉 등이다. 이 모든 파생어에서 동일한 개념이 아직 현저하게 남아 있다. 즉 하 나의 전체를 이루는 각 부분 사이의 배열 , 질서, 긴밀한 조정의 개념이 그것이다 . 물론 그 파생어들은 언어에 따라 개념이 다양하게 분화되기 는 하지만, 바로 이것이 인도 • 유럽어 시기부터 다양하고 수많은 어휘 로 나타나는 〈질서〉의 종교적인 면, 법률적인 면, 전문적인 면을 포괄 하는 일반적인 개념이다 . 그러나 각 영역에서 분화된 별도의 용어가 필 요했다. 이러한 이유로 〈법〉이 더 엄밀한 표현들을 갖게 되었는데, 이 들 표현을 고유한 영역에서 고찰해야 한다. 이제 법을 가리키는 주요한 표현을 살펴보자. 베다 산스크리트어 에는 우선 dharma-, 중성 dharman 이 있는데, 이 는 〈법〉에 해당하지만 원래의 고유한 의미는 〈유지, 규정, 법규〉 (dhar­ 〈유지하다〉에서 유래)이며, 경우에 따라서 〈관습, 규칙, 관용〉을 뜻한다. 이것은 종교, 철학, 법의 영역에서 아주 중요한 용어이나 오직 인도에만 국한되어 나타난다. 이 인도 • 이란어의 어간 dhar- 에 라틴어 firrn us 의 어근이 대응되는 것 같은데 , 그것은 dharman 처럼 -m 으로 단어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

다. 여기에서 법은 〈단단하게 유지하는 것 , 확고하게 확립된 것〉을 나 타낸다. 〈법〉과 또한 〈자리〉, 〈장소〉를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dhaman 에 또 다른 이 미 지가 반영 되 어 있다. dharnan 의 형 태 구성 은 dharman 의 구 성과 균형을 이루고 있다 . 이 어형은 dha 〈두다, 놓다〉 , 인도 • 유럽어 * dh 존-〈놓다, 위치시키다, 확립하다〉에서 유래하며, 이 어근에서 라틴어 facio, 그리스어 tit hem i가 생겨났다 . * dh 곤의 의미는 단순히 어떤 물건 울 땅 위에 두는 것만이 아니라 〈창조적인 방 식 으로 두다〉 , 〈존재를 확 립하다〉를 뜻하는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 따라서 파생어 dhaman 은 〈일정한 곳에 두기 , 확립〉을 가리키되 어디에 위치되어 창조된 것과 동 시에 두는 위치 , 확립시키는 장소를 가리킨다. 다시 말하자면 영역 , 자 리뿐만 아니라 세계 내에 위치된 것 , 창조된 것을 가리킨다. 여기에 근거해서 dharnan 이 가리키는 〈법〉의 의미가 또한 정의된다 . 〈법〉은 우선 〈창립〉이며, 설립된 제도이며 , 이 때부터 그 존재가 생긴다. 이러한 개념 구성은 인도 • 이란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 다른 언 어에서도 동일한 어근에서 파생되고, 법률 어휘와 연관된 용어를 찾을 수 있다 . 그리스어에는 아주 중요한 다수의 용어들이 있다. 우선 the sm6s (도리스어 the tr u n6s, tet r u n6s ; 고대의 중복 형태 * dhedruno - 〈 법률, 규 칙, 규범〉)가 있다. 그러나 가장 눈에 띄는 형태는 th em i s 이다. th e mi s 의 형태 구성은 th eme th la( 호메로스에 나오는 형태로 the meil ia) 의 구성과 유사한데, 이 후자의 단어는 건축과 관련된 것으로서 〈토대 , 기초〉를 가리킨다. th e mi s 는 주지하다시피 옛 굴절형울 보여 준다 . 죽 호메로스에서 속격은 th em i s t os 이고, 복수는 the m ista , t hem i s t es 로 나 타난다. 이들은 그 후에 속격 the m isto s , 대격 t he min으로 형 태가 표준 화 된다 t he mi s 는 아마도 고대의 중성형 같다 . 현재로서는 이것과 비 교된 바 있는 미케네어 ti-mi-t o 에서 형태상으로나 의미상으로 끌어 낼 수 있는 유용한 사실은 전혀 없다 .

어기의 음량을 제의한다면 t hem i s 는 형태 구성 관계로 볼 때, 아베스 타어 da mi-와 정확하게 비교될 수 있다 . 그런데 이 비교는 놀라운 것 이다 왜냐하면 dunam i s 의 접미사법처럼 -mi s 로 된 접미사법은 아주 드물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실로 인해 t he mi s 는 아주 오래 된 단어이며, 고대의 굴절을 표준화하는 형태론적 재배열을 겪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아베스타어 dam i-는 행위자 명사의 기능을 가졌고, 〈창조자〉 를 뜻한다. 그리스어 t hem i s 에 대응하는 이와 동일한 어근에서 파생된 -man 형의 중성 파생어, 죽 dhaman 〈법〉에서 그것을 찾을 수 있다 이 것은 엄밀한 의미로 미트라 M itr a 와 바루나 Varuna 가 정한 질서 내에서 집과 가족과 관련되는 규정을 가리킨다. 이러한 특징이 주요한 이유는, 그것이 이 법이 적용되는 영역을 보여 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t hem i s 는 무엇을 뜻하는가? 여기에는 놀라운 상관 관계가 있다. 죽 t hem i s 는 가족법을 가리키며, 종족에 속한 여 러 가족 간의 법 인 d i k 존와 는 대립된다는 것이다.!)

*1) 아 두 용어의 역사, 이들의 자세한 의미 작용과 관계는 Gusta v e Glo tz의 우수한 연구, 『그리스 형법에 나타난 가족의 연대성 La so/i da ri te de la fam il le dans le droit crim in e l gre cJ, Pa ris. 1904( 특히 p. 2 1) 에 나와 있다.

이 점을 강조해야겠다. 왜냐하면 사전들이 이러한 구별을 전혀 고려 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t hem i s 는 신에게서 기원한다. 이 의 미만이, 표면상으로 아주 다양해 보이는 여러 가지 뜻을 이해할 수 있 게 하며, 이들을 하나로 통일시킨다. 서사시에서 th e mi s 는 g enos 의 우 두머리(족장)의 권위 아래에서 가정 내의 일상 생활에서건 예의적인 상 황, 예컨대 동맹, 결혼, 전두 같은 상황에서건 각자가 지켜야 할 권리와 의무를 정하는 규정이다. t hem i s 는 원래 하늘에서 유래하는 bas il eus 의 고귀한 특권이며, 그래 서 복수 th em i s t es 는 이러한 규정들의 집합, 죽 신들에 의해 구상된 법

전, 불문법(不文 法 ), 진술집과 신탁에 의한 판결집을 가리킨다. 이들은 g enos 의 질서를 세울 때마다 재판관(이 경우에는 가족의 장)의 양심으로 지켜야 할 행동 규범을 정한 것이다. 이러한 개념의 가장 구체적인 특성은 아주 관례화된 용법에서도 찾 아볼 수 있다 . 평범한 표현 h@ the mi s es ti n 을 살펴보자. 이것은 일반적 으로 〈관례대로〉로 번역된다 예컨대 『 일리아스』 2, 72 - 73 에서 〈내 우 선 넓 the m is es ti n( 관례에 따라) 말로써 그들(아카이아인들의 아들들)을 시험하고자〉 . 아가멤논은 여기서 자기 군대를 책임지고 있는 bas il eus 로서 말하고 있다. 그는 이 군대의 우두머리이며, t he mi s 를 행사한다 . the mi s 는 그에게 따라야 할 행동 규범, 준수해야 할 관례들을 규정하고 있다 . 이 th em i s 는 t he mi s t es 로 구체적으로 표현되는데, 이것은 실제의 판결 둘이다. 『일리아스』의 16, 387 에서 〈부정한 t hem i s t es( 판결)를 내려 정 의를 추방하는 인간들에게 전노하신 제우스께서 그의 노여움을 보이고 자…〉에서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폭력의 지배하에서 부당한 판결을 내 리는 인간들에 대한 제우스의 전노를 볼 수 있다 . 때로는 그 용법을 정확히 이해하는 데는 문맥이 필수적이다. 파트로 클로스가 전쟁에 뛰어들어 그의 모든 적들을 물리친다 . 그런데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그의 죽음이 갑자기 준비되고 있었다. 왜냐하면 포이보 스 아폴론 자신이 변장하여 그를 대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두구는 요란한 소리를 내며 말발굽 아래로 굴러 떨어졌고, 피와 먼지로 더럽혀 졌다. ••• 전 같으면 이 두구가 먼지에 더럽혀진다는 것은 허락될 수 없 는 일이었고 (ou the m is ~en), 그것은 신적(神的) 인간 아킬레우스의 머 리를 지켜 주었다. 그러나 이 때에는 제우스께서 이 두구를 헥토르에게 주어 머리에 쓰게 했으니 ….〉( 『 일리아스 』 16, 796 이하) 그 표현 자체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명백히 지시한다. 죽 아킬레우스에게 속한 이 두구 가 결코 먼지로 더럽혀져서는 안 되는 이유는 바로 신의 명령 때문이 다. 아킬레우스는 〈신적 인간〉 (an~r the io s , 798 행)이기 때문이며, 그는

신의 가족에 속한다. 그리고 그의 군대까지도 이러한 신적 특권의 혜택 을누린다.

이러한 사회 조직과 그 곳을 지배하는 t hem i s 는 시인 호메로스가 퀴 클로페스족 2) 의 나라에 대해 개략적으로 그린 정반대의 모습에서 더 잘 드러난다 . 그에 따르면 퀴클로페스족은 a t hem i s t es 라고 불리는데, 이들 에게는 의결 집회도 없고, t hem i s t es 도 없다는 것이다. 각자는 자기 아 내와 자식들에게 자신의 법(t hem i s t eue i)을 선포하고, 아무도 타인들의 법에 대해서도 관여하지 않는다고 한다( 『 오뒤세이아 』 9, 106-115). 바로 이것이 t hem i s 의 정의를 가장 명료하게 보여 주는 것이다. g enos 도 없 고 왕도 없는 곳에서는 t hem i s 도 없고, 집회도 없다 . 각 가족들은 자기 의 고유한 법으로 살아간다. 이 퀴클로페스족은 분명히 야만인들로 판 단된댜

2) Ky kl 6p es : 원래 그리스 신화에서 퀴클로페스는 우라노스와 가이아의 세 아들들 로서 이마에 의눈을 가진 자들이다. 이 작품에서는 사람을 잡아 먹는 반도덕적이 고 반사회적인 유목 족속걸 g 가리킨다.

이제 t hem i s 와 d i k 존 두 용어의 상호 관계를 보여 주는 텍스트를 살 펴보자 . 여기에서 어느 한 용어에서 출발해서 다론 용어를 연구할 수 있댜 오뒤세우스가 에우마이오스에게 자신을 알리지 않은 채로 응집을 받 고서 그의 환대에 감사한다. 〈제우스와 제신들이, 그대가 원하는 모든 것을 허락해 주시기를 빕니다!〉 에우마이오스는 대답하길 〈그대보다 더 욱 비참한 자가 온다고 하더라도 손님에 대한 모독을 th e rni s 는 제게 허 용하지 않습니다 (ou moi the rn is est') . 모든 손님들과 모든 빈자(貧者) 들이 한결같이 제우스께로부터 오기 때문이지요〉(『오뒤세이아 』 14, 53 o] 하). 이방인이라고 하더라도 그는 the rni s 덕택에 집안 내에 영접을 받는 다. 그가 제우스로부터 보냄울 받았기 때문이다 . 에우마이오스는 계속

해서 말한다. 〈그대에게 보잘것 없는 선물을 드릴 수 있을 뿐입니다. 하 지만 그걸 기꺼이 드립니다. 왜냐하면 이것이 종들의 d i k 존이며, 새로운 주인들이 힘을 가지면 언제나 두려워하기 때문이지요.〉 그는 여기에서 구혼자들의 잔인하고 변덕스럽고 폭군적인 지배를 염두에 두고 말하는 것이다. 이제 이 d i k 존의 용례는 분명히 가정의 영역 자체를 벗어나며 , 다른 집단과의 관계를 문제삼는다는 것을 보여 준다. 정의의 법은 이들 이 적용되는 영역의 한계점에서 엄밀하게 정의된다. 따라서 이 모든 사실은 the mi s, t hem i s t es 가 이들을 적용해야 하는 자들에 의해 만들어지거나 자의적으로 규정된 것이 아니라 신에게서 기원한다는 것을 상기시켜 준다. 네스토르는 이러한 점을 아트레우스의 아들인 아가멤논에게 말한다. 〈그대는 많은 lao i를 다스리고 있소` 그들 의 논의를 이끌도록 제우스께서 그대에게 홀과 t hem i s t es 를 맡겼소.〉 ( 『 일리아스 』 9, 97) 제우스의 지명자인 왕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독점 적 특성을 부여받는다. 그 하나는 물질적인 것으로서 왕홀이고, 다른 하 나는 t he mi s t es 에 대한 지식이다 . 이와 정반대의 극에 가장 비천한 신분의 돼지치기 에우마이오스가 또한 제우스에게서 온 손님을 성심껏 접대하기 위해 t hem i s 를 내세우 고 있다. 모든 곳에서 gen os 내의 질서와 신의 판결 사이의 이러한 관 계가 확실히 드러난다 호메로스의 문명권 밖에서 t hem i s 에 정확히 대 응하는 용어는 인도어 dhaman 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것은 신의 의지 , 죽 미트라와 바루나의 의지에 의해 제정된 가정의 질서와 가족의 질서 를가리킨다 .

제 2 장 dik e 요약 라틴어 d i co 와 그리 스어 d i ke 는 개별적인 특수 정황에 따라서 이루어져야 하는 일 을dik a결 s정-p하6 l 는os —양식은화 된법 전법을(성 관문리법하)고의, 개권념위을로 표di상c it한, 죽다 . 적재합판한관 선-고호를메 내로리스는 사그람리이스다어. t hem i s 의 개념과 짝을 이루는 것은 d ik즌이다. t he mi s 는 가족 집단 내 부에서 행사되는 정의(正 義 )를 가리키는 반면, d ik존는 가족 집단 간의 관계를 규정하는 정의이다 . 이제 우리는 이 두 개념 표현의 의미심장한 차이접을 알 수 있다 . 그 첫째 차이점은 이들 용어의 형태 구성과 관련된다 . 앞에서 th e mi s 는 *dh 한에 접미사가 첨가되어 파생되었고, 이 접미사는 인도 • 이란어에 대응어가 있다는 사실을 살펴보았다 . d ik e 는 이와 다르다. 그것은 어근 *de i k- 에 여성 -5 가 붙어 파생되었고, 거기에 대응하는 명사 요소들은 무접미사 어근임을 보여 준다. 예컨대 어근一명사 산스크리트어 dis - 〈방향, 지역〉 , 라틴어 *dix (d ic is caus 료〈형식상으로〉에 남아 있다) 같은 것이다. th e mi s 와 d ik e 의 또 다른 차이점은 이들 개념이 갖는 각각의 의미 표상에서 드러난다. th e mi s 의 근저에는 〈두다, 위치시키다, 확립하다〉 라는 어근이 있다. 따라서 이 용어의 의미는 직접적으로 분명히 드러나 고 그 제도적인 의미 가치는 이 어근의 동사형에서 볼 수 있는 똑같은 관념에서 유래한다 . 이와 반대로 d i ke 에서는 이 용어가 갖는 의미로는

즉각 해명되지 않는 어근이 있다. 그리고 이 어근은 그리스어에서조차 동사형과 명사형에서 서로 다르게 변화했다. 문제의 이 어근은 *de i k- 인데, 이것은 산스크리트어 dis - , 이란어 dis - , 라틴어 dic o , 그리스어 de i knurn i로 각각 대표된다 그러나 이들 형태가 정확히 대응은 하고 있으나 그 의미는 일치하지 않는다 . 왜냐하 면 그리스어 de i knumi는 〈보여 주다, 지시하다〉를 의미하고, 라틴어 d ic o 는 〈말하다〉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석 작업을 통해 d i k 죤 가 〈정의(正義)〉의 의미를 지닌다는 사실을 밝혀 줄 수 있는 뜻을 찾아 내야한다. 인도 • 이란어와 그리스어가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말하다〉의 의미 보다는 〈보여 주다〉의 의미가 일차적인 것으로 당연히 간주되지만, 〈보 여 주다〉의 의미에서 〈말하다〉의 의미 이전을 복원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바로 이것이 해결해야 할 첫째 문제이다. 그러면 〈보여 주다〉의 옛 의미 표상을 재구해 보자. 1) 어떤 방식으로 〈보여 주는〉 것일까? 손가락으로 보여 주는 것인 가? 이런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일반적으로 그 의마는 〈말로 보여 주다〉를 뜻한다. 이러한 첫번째 의미 한정은 〈가르치다〉를 뜻하는 인도 • 이란어 d i s- 의 많은 용법에서 확인된다. 〈가르치는〉 것은 손짓이 아니라 말로 하는 것으로 귀착된다. 더욱이 라틴어에는 재 고해야 할 합성어가 하나 있는데, *de i k- 와 i us 가 결합된 iu- dex 가 그것이다. 여기에서 *de i k- 는 발화 행위를 가리킨다. 2) 어떤 방식으로 〈보여 주는〉 것인가? 부차적으로, 예로써? 아무나 〈보여 줄〉 수 있을까? 라틴어 합성어 i u-dex 는 〈권위로 보여 준다는 사실〉을 함축하 고 있다. 이 의미가 그리스어 de i knu mi가 갖는 항정적인 의미가 아닌 것은 그리스어에서 어근 *de i k- 의 의미가 약화되었기 때문 이다. 라틴어 d ic ere 의 전체 역사는 권위의 메커니즘을 밝혀 준다.

죽 오직 재판관만이 dic e re i us( 법을 말하다)할 수 있다. 이러한 결 합은 이탈리크어군에서도 나타난다. 죽 오스카어 med-d i ss 에서 i us 가 med - 와 교체된 상태로 나타나고, med-d i ss 는 라틴어화하 여 medd i x 가 되었다 . medd i x 〈최고 재판관〉에서 med- 는 라틴어 medeor 〈치료하다〉와 관련된다. i udex 에 대응하는 이 오스카어에 서, 〈법〉을 가리키는 용어 med- 는 별개의 것이지만, d ic ere 는 그 대로상존하고 있다 . 또한 사법관이 책력이 정하는 날에만 권한울 행사할 수 있는, 세 가지 직무를 규정하는 라틴어 표현, 즉 do, dic o , add ic o 를 기 억해야 한다. 죽 그는 〈주고〉, 〈어떤 규칙들을 표명하고〉, 〈판결에 따라 부여하는〉 권한울 가지고 있다. 이와 동일한 의미 표상은 재 판상의 용어에서 나타나는 d ic ere 의 빈번한 용법이다. 예컨대 die m d i cere 〈심리 날짜를 정하다〉, mult ar n d ic ere 〈벌금형을 내리 다〉 같은 것이다. 3) 〈보여 주는데〉, 무엇을 보여 주는가? 눈에 보이는 것, 현존하는 사물인가? 여기 에 *de i k- 가 갖는 마지막 의 미 특칭 이 있다. 죽 당위적인 것, 예컨대 판결의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명령을 보여 주 는것이다. 이러한 의미 표지는 제도 용어로서 그리스어 d i k 즌가 갖는 최초의 의 미를 한정한다. 산스크리트어 d i s 와 라틴어 dic is causa 란 형태를 비교 하면 *d i x 의 기능은 규범적이라는 것을 나타내 준다. 그래서 dic is causa 는 문자 그대로 〈당위적인 것을 말의 권위로 보여 주는 일〉, 다시 말해 재판의 강제적 명령을 뜻한다. d i ke 의 이러한 강제적인 의미 가치는 여러 예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아킬레우스의 방패에 대한 기술에서 상세하게 묘사된 재판 광경이 등 장한다(『일리아스』 18, 497 이하). 두 사람의 변론인이 법정 앞에 서 있

다. 군중은 아주 흥분하여 두 편으로 나뉘어 어느 한 편을 든다 . 시비는 po in ~, 즉 살인자의 몸값으로 사용되는 피의 대가이다 . 군중 한가운데 는 다듬은 돌 위에 신성한 원을 그리고 앉아 있는 노인들이 있다 . 이들 은 한 사람 한 사람 일어서서 차례로 발언을 한다 . 이들 가운데는 〈 가 장 공정한 판결을 내릴〉 (d i k 존 n ithu nta t a eip o i, 508 행) 재판관에게 돌아 갈 황금 두 탈란트가 놓여 있다 . p o i n 존는 d i k 존, 죽 가족 집단 간의 정의에 관계되는 송사( 松事 )의 전 형이다. 호메로스의 표현에 나오는 용어들은 그리스어와 라틴어에서 동 일한 구문을 이루고 있음을 보여 준다. 그리스어는 d i k 즌 n e ipe in〈 d i k 존 룰 말하다〉이고, 마찬가지로 라틴어도 d ic ere 이다. 이제 이러한 〈보여 주는 것〉이 어떻게 발화 행위에 이르게 되었는가를 알 수 있다. 죽 그 리스어 명사 d i k 존는 동사 〈말하다〉 (e ip e in)를 필요로 했다는 접이다 . 그 런데 라틴어에서는 〈보여 주다〉 ( * de i k - )란 동사 자체가 〈말하다〉로 의 미가 변한 것이다 . 마지막으로 형용사 ith us( ith un t a t a) 〈(직선의 의미로) 곧은 , 똑바른〉를 살펴보자. 이 형용사가 갖는 이미지는 물론 *de i k- 에 내포된 의미이다. 즉 당연히 해야 할 것을 보여 주다, 규범을 정하다는 의미이다. 왜냐하 면 d il<존는 관례적 형식(fo rmule) 이기 때문이다. 이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판결을 내리는 것은 심사숙고나 토론을 필요로 하는 지적인 작업 이 아니다. 일정한 사례 에 적합한 판례(fo rmule) 를 주고받는 것이 며, 따 라서 재판관의 역할은 이 판례들을 가지고서 적용하는 일이다. 이것으 로써 아주 오래 된 희귀한 〈재판관〉의 용어 가운데 하나인 호메로스 그리스어 d ilca s- p 6los 가 설명된다. 이것은 a i-p 6los 〈영소치기〉, bou- k6los( 여기에서는 p 6los 의 변이형 - kolos) 〈소치기〉, o i ono - p 6los 〈새의 비행을 관찰하는 자(그리고 새의 비행으로 운수를 점친다)〉와 같은 방식 으로 구성된 이상한 명칭이다. d i kas- p 6los 로서 재판관은 〈 d i ka i를 감 시하는 자〉이다. 이 단어는 첫째 항에 복수 대격을 지닌 고어적 성격의

병치어이다. d i ka i는 물론 전수되는 법률 판례로서, 재판관은 이를 보관 하고 적용하는 책임을 맡고 있다. 이러한 의미 표상은 우리가 알고 있는 전무적인 문명을 지닌 민족들 의 법전 같은 것으로서 친족, 씨족, 부족노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루어 지는 구두상의 판례집에 해당하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것이 우리가 통상 d i ke 에 부여하는 의미의 시발점이다. 죽 〈관례, 존재 양식〉이 그것이다 . 여기에서 또한 우리는 제도상의 의 미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지옥에 내려간 오뒤세우스가 자기 모친을 만났을 때, 왜 그가 그녀를 포옹할 수 없는가를 묻는다. 그러나 그녀가 대답하기를 〈바로 그것이 죽어야 할 인간들의 d ik e 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an' au1n 6tK n t.0 1t. pp o1&v( 『오뒤세이아』 11, 218). 그것은 〈존 재 양태〉가 아니라 〈강제적인 규정〉이며, 〈운명을 규정하는 양식〉이다. 바로 여기에서 출발해서 우리는 부사적 용법 d i k 존 n 〈어떤 방식으로〉, 죽 〈어떤 존재 범주의 규범에 따라〉의 의미에 이르게 된다. 〈관례적인〉 방 식은 실제로 자연적이든 관습적이든 의무적인 것이다. 이제 운명을 결정하고 부여하는 이러한 양식은 그리스어에서는 〈정 의〉 자체가 된다 . 그러나 우리가 의미하는 〈정의〉의 윤리적 개념은 d ik죤 에는 내포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윤리적 개념은 d i k 즌가 악습을 없애기 위해 이용되는 제반 상황에서 점차 생겨나기 시작했다. d i k 존가 bia , 죽 권력의 지배에 종지부를 찍기 위해 개입되는 때에, 이러한 정의의 양식 은 바로 정의 자체의 표현이 된다. 이 때 d i k 즌는 정의의 힘과 동일시되 며, 그래서 d i k 타를 가전 자는 dik a io s , 죽 〈정의로운〉 것이다.

제 3 장 i us 와 로마에서의 서약 요약 라틴어 i us 는 〈법〉으로 번역할 수 있는데, 이것은 d i k 존와 유사하게 파생동사로 i urare 가 있다. 이 동사는 〈서약하다〉를 의미한다. 의미적 관접에서 우선 이상한 이 파 생은 두 가지 상보적인 조사에 의해 밝혀진다 . 죽, 1) 아베스타어 y ao li-와 비교되고, 또 라틴어 동사 dic o (i us dic e re, i udex) 와 특별 한 친근성을 갖고 있다는 접을 고려할 때 i us 는 〈준수 규정〉으로 정의될 수 있다. 2) 많은 텍스트를 통해서 보면 , 로마에서 〈서약하는 것〉, 죽 i urare 는 관례적인 형 식, 죽 ius i urandurn 〈서약〉(문자적인 의미는 〈규정화해야 할 관례적 형식〉이다) 을 공표하는 것이라는 사실이 드러난다. 서약 행위에서 가장 본질적인 것이 무엇 인가를 보여 주는 의미심장한 중복 표현이다 . 사실 서약자는 자신에게 부과된 정 형화된 말을 한 마디씩 반복해야 한다. adiu r at in qua e adactu s est uerba 〈정형 화된 양식에 따른 용어들로써 선서하다〉 . 재판 관행과 관련된 또 다른 라틴 용어인 arb it er 는 이상하게도 〈증인〉과 〈재판관〉 을 동시에 의미한다. 실제 문헌들은 arb it er 〈중재자, 십판관〉는 언제나 보이지 않는 증 인이며, 일정한 재판 행위에서는 공평하고 지고한 i udex 〈재판관〉가 되기에 합당한 자 라는것을보여 준다 . d i k 즌의 용법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리스어 d i ke 와 라틴어 ius 사이의 상관 관계가 긴밀한 것이 드러난다. 이 두 용어가 기원이 다르기는 하 지만 평행되는 계열을 구성한다. 죽 d ik존 n eip em 은 ius d ic ere 에 대응 하고, d ik a i os 는 i us tu s 에 대응하고, d i kas p 6los 는 i udex 에 상당히 근접 하고 있다. 나아가서 th em i s 와 관련해서 d i k 존가 신권(神權)에 대한 인 간의 권리를 가리킨다는 사실과, 또한 마찬가지로 i us 가 라틴인들이 fas 라고 부르는 것과 대립된다는 사실을 지적해야겠다. 그러면 이 i us 란 단어는 고유하게 무엇을 지칭하는가? 이 단어에는

알 수 없는 모호성이 깔려 있다 주지하다시피 i us 는 〈법 , 권리〉를 가리 킨다. 그러나 이러한 어휘적 의미는 이 용어가 지닌 진정한 의미 작용 울 우리에게 보여 주지 않는다. 이 참된 의미 작용을 i us 와 그 파생어 사이의 관계에서 찾게 되면 우리는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 죽 i us 의 동사가 i uro 〈서약하다〉라는 점이다. 이것이 그 동사와 분리되어 어떻게 이처럼 특이한 의미 차이가 생겨났는가? 언뜻 보기에 〈법〉과 〈서약하다〉 사이에는 설명이 불가능한 거리가 있다 . 그렇지만 i us 와 iur are 사이에는 형태적 관계가 있음이 확실하다. 왜냐하면 〈서약〉은 ius i urandum 으로 불리기 때문이다. 이 표현은 무엇을 의미하며, 왜 수 동의 미래분사 i urandum 이 사용되었는가? 그리고 i us 와 i uro 의 관계는 무엇인가?

에르누-메이예의 사전 I) 에는 ius i urare 란 표현을 인용하고 있는데, 불행히도 출처가 없다. 이는 〈서약의 신성한 정식화된 말을 공표하다〉 를 의미하는 것 같다 . 우리가 알기로는 이러한 고정 성구는 발견되지 않는다. 우리 에게는 단지 ius i urandum 이라는 표현만이 남아 있을 뿐 이다. 이 표현에서는 i us 와 i uro 의 차이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따라 서 이 명사와 동사와의 관계는 역사 시기 이전 관계에서만 밝혀질 수 있는데, 이 문제는 어원에 대한 조사를 필요로 한다. i us 의 대응어들이 잘 확인되었지만 이들은 각기 다른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 켈트어군의 아일랜드어 형용사 hu i sse< * yu s tiy os 는 분명히 〈정당한〉을 의미한다. 접미사 차이룰 제의한다면, 여기에서 라틴어 i us tu s 가 인지된다. 그러나 우리는 단지 파생어에 대해서만 알고 있고, 이 켈트어의 기어 명사를 모른다는 점에서 이 비교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라곤 전혀 없다. 라틴 어 i us 의 대응어가 나타나는 곳은 인도 • 이란어이다. 죽 베다 산스크리 1) A. Emout et A. Meil let, 『 라틴어 어원 사전 Dic ti o n nair e etym o log iqu e de la lang 11e lati ne J, Pa ris, 1932.

트어 yoh , 아베스타어 y ao~ 인데, 이들은 정확히 대응되는 동일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베다 산스크리트어 y oh 는 〈번영〉을 의미하고, 아베스타어 y ao~ 는 〈정화, 순화〉를 뜻한다. 형태들이 서로 대응되는 만큼, 그 개념 들은 반대로 상이하기 때문에 문젯거리다. 그렇지만 우리는 여기에서 인도 • 이란어와 이탈로 • 켈트어 사이의 이러한 밀접한 어휘적 상관 관 계를 보고 있다. 이것은 오직 인도 • 유럽 세계의 양극 지방에서만 아직 도 그 표현이 남아 있는 용어 가운데 하나이다 . y oh 의 의미는 〈행복, 건강〉임에 틀림없다 . 이 단어는 sam 과 짝을 이루고 있는 고정 성구에 만 나타난다. 예컨대 한 단어로 된 5am y oh 나 samca yo sca 감은 표현 인데, 이는 〈행복과 건강〉을 의미한다. 이 성구는 다음과 같이 소원을 비는 정형화된 표현에서 나타난다 . 〈오 루드라여 , 당신의 인도 아래에 서 마누가 그 희생 제물에서 얻은 번영과 행복을 우리가 얻게 하여 주 소서!〉( 『 리그 베다 』 1,·1 1 4, 2) 이란어 역시 정식화된 고정 표현에서만 y ao~ 를 간직하고 있다 . 여기 에서 y ao~ 는 da - 〈주다, 돌려주게 하다〉란 동사와 결합하여 새로운 동 사 y ao t da 〈정화시키다〉를 구성하고 있다. 이 동사는 라틴어 er 존 do 와 비 교할 수 있는 옛 합성어이다. 이 아베스타어 동사 y ao t da- 로부터 많은 파생어가 파생되어 나왔다. 죽 행위자 명사 y ao t da t ar_ 〈정화시키는 임 무를 맡은 자〉, 추상명사 y ao t d 죠ti-〈정화〉 등이다. 이들 파생어로부터 y ao~( 이것은 독립 용법으로는 확인되지 않는다)의 고유한 의미를 재구하 기 위해 y ao t da- (문자적인 의미는 〈y ao~ 를 주다〉)를 〈규정에 일치되게 만들다, 제사에 요구되는 상황에 두다〉라는 의미로 복원시켜야 한다. 여기에서 문제는 희생 제물 제사를 드리는 조건, 죽 제사를 지내는 자 가 제물을 제사에 적합하게 만들어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바로 이것 이 종교적 규칙을 가장 기본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 제사의 각 행위는 제사 의식에 맞게 수행되어야 하고, 이러한 제사 행위의 가장 핵심인

제물은 그 자체로 홈이 없어야 한다 . 이러한 제사상의 완전 무결성이 y ao t d 학가 표현하는 조건이다 . 이로써 베다 산스크리트어 y oh 의 의미 가 더 잘 이해된다. 즉 그것은 기쁘고 즐거운 것으로서의 〈행복〉이 아 니라 불운이나 병이 들지 않은 물리적(신체적) 완전무결 상태, 완벽한 상태 를 의미한다 . 여기에서 * y aus 의 인도어와 이란어 사이에 용법상의 차이가 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베다 산스크리트어에서 y oh 는 소원을 비는 표현이 다. 죽 이것은 번영과 신체적인 완전 상태가 상대방에게 주어지기를 기 원하는 용어이다. 이 사실로부터 yoh 는 발화해야 하는 말로서만 그 효 력을 지닌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베스타어 y ao~ 의 조건은 다르다. 여기 에서 y ao~ 와 da - 〈주다, 행하다〉가 결합했다는 사실 자체는 y ao~ 가 실 현되어야 할 상태이며 , 발화하는 말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 준다. 그래서 * y aus 의 개념은 한편으로는 〈행해야 할 것〉이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말해야 할 것〉을 의미한다 . 이러한 개념상의 차이는 〈행위〉 자체가 혼 히 〈말〉로 되어 있는 법과 의식( 儀 式)의 영역에서는 대단히 중요한 의 미가있다 . 이란어와 베다 산스크리트어 덕택에 우리는 라틴어 i us 의 선사까지 거슬러 울라갈 수 있다. 인도 • 유럽어 *y aus 는 〈의식의 규제에 필요한 규칙성의 상태, 정상적 상태〉를 의미한다. 라틴어에서 이러한 정상적 상태는 우리가 방금 인도 • 이란어에서 구별한 이중적인 상황에 영향을 받는다. i us 의 개념은 이 두 가지 조건을 같이 수용하고 있다 . 그 한 가 지 조건은 다음과 같은 표현에 나오는 파생어 i us tu s 가 나타내는 상황 이다. 죽 ius ta e nu pti ae 〈정당한 결혼〉, ius ta uxor 〈합법적 아내〉 같은 표현인데, 여기에서 i us tu s 는 〈i us 의 상태에 일치하는〉의 뜻이다. 또 다 론 조건은 ius d i cere 란 표현에서 드러난다. 여기 에서 i us 는 준수해야 할 것을 규정하는 〈정상적인 정형화된 말〉을 의미한다 . 이와 같은 것이 로마 〈법〉 개념의 기초이다.

일반적으로 i us 가 추상적 개념이 아니라 〈정형화된 규례〉(fo rmule) 이 며, i ura 는 법의 판례집이라고 생각하는 데는 충분한 근거가 있다. 풀라 우두스의 omniu m leg um atq u e iur um fi c t or 〈모든 법과 판례집의 제정 자〉( 『 에피디쿠스 E pi d i cus 』 522-523) 를 참조

이 i ura 는 d i ka i나 t hem i s t es 처럼 권위에 의한 결정을 나타내는 정형 화된 규례이다. 이들 용어의 엄밀한 의미가 나타나는 모든 곳에서, ius 와 i ura 뿐만 아니라 th em i s t es 와 d i ka i에 대해서도 〈확정된 덱스트〉, 〈확립된 관례〉라는 개념을 재발견할 수 있고, 이 덱스트를 소지하는 것 은 어떤 개인, 가문, 집단의 특권이라는 점을 엿볼 수 있다 . 이 i ura 의 전형은 가장 오래 된 로마법인 l/' 12 동판법 』 2) 에서 나타난다. 이것은 원래 i us 의 상태를 규정하는 정형화된 표현 ita ius es t o 〈i us 는 다음과 같다〉 를 선언하는 판결로 되어 있다 . 그것은 의미가 서로 일치하는 다음과 같은 용어들로 표현되는 말의 제국〔發話의 帝國)이다 . 죽 라틴어 iu- dex, 오스카어 med-dis s, 그리스어 d i kas- p 61os( 그리고 dik a s eip ei n ), 게르만어 eo-sa g o 〈규칙을 말하는 자〉, 〈재판관〉 같은 용어들이다.

2) 제 1 권 1 편 제 7 장 각주 2) 참조.

〈법〉의 구성 요건은 행하는 행위(fair e) 가 아니라 말하는 〈발화, 선고 (p rononcer) 〉이다. i us 와 dic e re, i u - dex 에서 이러한 항구적인 결합을 볼 수 있다. i us 와 마찬가지로 동사 d ic ere 도 rnu lt arn(d ic ere) 〈벌칙금〉, d i ern(d ic ere) 〈심리일〉과 같은 사법적인 관례 표현을 만들어 낸다. 이 모든 것은 역시 동일한 권위에 속한 권한이며, 동일한 고정 성구로 표 현된다. 사법 영역의 모든 용어, 예컨대 iud ex, iud ic a re, iud ic iur n, iuris- dic tio 같은 것은 바로 이러한 발화 행위인 ius d ic ere 를 통해서 발달했다 . 이에 따라 i us 의 의미는 〈법〉의 표현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이 개념

과 i us 에서 바로 파생된 동사 i urare 의 관계가 직접 파악되지 않는다. 따라서 i us 에 대해 우리가 제시하려는 해석은 잠정적인 시도이다 . 이 해석이 유효하려면 i us 와 i urare 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이처 럼 특이한 파생 관계로 인해 우리는 새로운 방향을 모색케 되고, 법에 대한 새로운 장을 열게 된다. 라틴어 이의의 언어에서도 〈법〉의 개념과 〈 서약〉의 개념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가? 인도 • 유럽어 영역에 속하는 다른 언어에서도 이러한 접에 대한 조사가 필요 하다 . 그러나 그 결과는 부정적이겠지만 적어도 그것은 라틴어 표현의 독창성은 드러내 줄 것이다 . 〈서약하다〉를 뜻하는 공통 인도 • 유럽어 동사가 존재했다는 것을 확 증짓는 대응은- 거의 한 가지인데, 산스크리트어 am- 〈서약하다〉(특히 명령법 amr-~va 〈서약하다〉로 나타난다)과, 역시 동일한 의미를 지닌 그 리스어 6mnum i의 대응이다 . 이 대응에는 이 두 가지 용어만이 포함되 어 있다 어쨌든 형태상으로나 의미상으로 이 대응은 정확하고 엄밀하 다. 이 인도어 am- 이 이란어에 존재했는지는 말할 수 없으나 이 고립 된 흔적만으로도 공통 표현을 확정하기에 충분하다. 그리스어에서는 동사와 명사 사이에 불균형이 있다. 즉 명사 〈서약〉 온 다른 단어인 h6rkos 로 표현된다는 것이다 . 이 단어는 그리스어 내에 서는 herkos 〈경계, 장벽〉와 연관되었다 . 그래서 사실을 말하자면, 모호 하고 만족스럽지 못한 다음과 갇은 설명이 나왔다. 서약은 사람들이 자 신에게 부과하는 금지나 제약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이다 . 어쨌든 이 것은 인도 • 유럽어의 대응 사실이 아니며 , 단지 이차적 인 발달의 결과 에 지나지 않는다 (8 장 참조). 위의 예를 제외하고 〈서약하다〉란 동사 표현에 대해 우리는 단지 두 언어에 국한된 (때로는 단 한 언어에 국한된) 형태만을 볼 수 있다 . 근대 페르시아어에서 〈서약하다〉는 sog an d xurdan( 문자적으로는 〈 so g and 를 먹다 , 소비하다〉란 뜻이다)이며, 중기 페르시아어는 sokand

xvar- 이다. sokand 러는 이 단어는 고대 아베스타어 saok;:}n t a 〈유황〉로 거슬러 울라간다 그래서 〈서약하다〉는 〈유황을 삼키다〉란 뜻이다 . 이 표현은 문자 그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서약은 신명심판(神明審判)이었 다 . 죽 서약하는 자의 성실성 여부를 검증하는 것은 유황을 삼키는 행 위였다. 오스카어에서 〈서약하다〉라는 동사는 동사형 de i ua tu ns 〈그들은 서약 한다〉로 우리에게 알려져 있다. 동사 어기 de i ua- 는 라틴어 동사 *d i uare 에 대응한다 . 이것은 그 원래 의미가 〈신들을 증인으로 세우다〉 를 뜻하는 분명한 표현이지만, 라틴어에는 없는 것이다. 그 밖의 인도 • 유럽 제어에서 서약의 표현은 서약하는 형식과 일치 한다. 아일랜드어 t on g은 라틴어 t an g o( 만지다)에 대응한다. 마찬가지로 고대 슬라브어 p r i se g a ti와 pri se gn o ti는 어원적으로 〈만지다〉를 의미한 다. 산스크리트어 am - 의 일차적 의미는 〈잡다〉이다. 이러한 상관 관계 는 서약하면서 어떤 물건이나 존재를 만지는 습관에서 설명된다. 누구 에 대해서, 또는 무엇에 대해서 서약하는 것은, 거짓 서약을 하는 경우 이 물건이나 사람에게 하늘의 저주가 주어지기 때문이다. 마지막 표현은 켈트어와 게르만어에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아 일랜드어 oeth , 고트어 a ip s 이며, 독일어 Eid , 영어 oa th이다. 이 형태는 문자적으로 볼 때 어근 〈가다〉의 동사성 명사이다 . 여기에 대한 기억이 독일어 용어 E i de gan g에 남아 있는데, 이것은 문자적인 의미로는 〈서 약으로 향해 가는 일〉, 다시 말해 서약을 맹세하는 장소로 가는 것을 가리키는데, 이는 오래 된 과거 관습이 남아 있던 것이다 . 엄숙한 서약 에는 몇 가지 행위가 포함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서약을 맹세하는 장소로 가는 것이다. 사람들은 〈서약으로 향해 간다〉, 죽 라틴어로 ire in sacrarnentu m, 고대 러시아어로 iti na ro tu〈서약으로 향해 가다〉 (8 장참조)이다. 그래서 이제 거의 모든 언어에서 상응하는 표현을 갖게 되었다. 그리

스어와 산스크리트어만이 인도 • 유럽어 시기에서 유래하는 동사를 가 지고 있다. 그래서 라틴어 이의의 언어에서는 i us 와 i urare 의 관계를 이 해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어떤 상응 표현도 발견할 수 없다. 그래서 이 표현이 생겨난 기원을 밝히기 위해 라틴어 자체로 돌아가야 한다. 로마 세계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서약을 하는가? 일련의 분명한 증거가 서약 을 맹세하는 방식에 대한 정보를 주며, 그래서 어떻게 i urare 가 i us 로부 터 파생될 수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우선 플라우투스의 『맞줄 Rudens 』 3) 의 한 장면 (1331 행 이하)을 읽어 보자. 그리푸스 Gr ip us 와 라브 락스 Labrax 가 서로를 속이려고 하면서 협약을 맺는다. 그리푸스는 라 브락스롤 서약케 하려고 한다 1333 행 그리푸스가 말한다. Tang e ararn hanc Veneris . 라브락스가 대답한다 . tan g o. 〈손을 이 비너스의 제단 위 에 얹어라 . _얹었네 . 비너스에게 서약을 하라__무슨 서약을 해야 하는가? _ 내가 너에게 명하는 바로 그 서약.〉 1335 행 라브락스가 말 한다. Praei uerbis qu i du i s 〈너가 원하는 말을 불러다오 . …— — 이 제단 을 잡아라 —— 잡았네〉 . 이 다음에 서약문이 나오는데, 이것은 그리푸스 가 제정하여 라브락스가 따라서 반복해야 한다.

3) 풀러우두스의 가장 낭만적인 작품 가운데 하나로서 해안가에서 벌어지는 장면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라브락스가 난파당한 배에서 빠져 나온 두 처녀를 구하고, 나 중에 서로 행복하게 결합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희곡의 양식으로 바뀌기는 했으나 바로 이것이 라틴인들 사이에 서 약을 맹세하는 성스러운 방식이다. 다른 사람으로 하여금 서약을 하도 록 재촉하는 사람은 pra eir e uerb i s 〈먼저 준비된 말을 하다〉를 해야 한 다 . 즉 그는 서약문을 발화하고 서약을 맹세하는 자가 신성한 물건에 손을 대고 이것을 그대로 따라 반복해야 한다. 가장 본질적인 것은 서 약식의 바로 이 부분이다. 이러한 엄숙한 관습은 겔리우스( 『 아티카의 밤 Noc t es A tti cae 』, II 24)4)

4) Aulus Ge lli us( 기원 123-165 년)의 『 아티카의 밤 』 은 문법 정보, 법률, 철학 , 역사,

전기, 문예 , 비평 등 다양한 분야의 그리스와 로마 작가 300 여 명들로부터 발췌한 글을 보존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서만 고전 작가들의 문헌을 정할 수 있는 것이 많다. 제 1 권 1 편 제 11 장 각주 3) 참조

에 의해 확인된다 . 도시의 수령들은 ap u d consules, uerbis concep tis 〈집정관 앞에서 형식을 갖춘 말로써〉 서약하라고 명령을 받는다, 이들 은 집정관의 양손 가운데서 〈정해전 용어들로〉 서약을 하되, 일정한 양 식 규정에 따라 한 단어 한 단어를 따라서 반복한다.

풀리니우스5 ) 는 『 트라야누스의 찬가 Panegy riqu e de Traj an 』 64 장에서 트라야누스가 모든 형태의 헌법을 준수하는 신중한 태도를 찬양하고 있다. 트라야누스는 집정관 앞에서 서약을 하려고 한다 . 집정관은 다른 사람들에게 이 서약을 시키는 것으로 만족할 수도 있었다. 민회의 모 든 의식이 끝났으므로 마지막으로 너는 집정관의 자리에 이르렀다 . adig e ndurn te pra ebes in uerba ... 〈 그대는 일정한 양식으로 서약을 하 러 나서라 . 정해진 말로…〉 , 그대가 나서서 황제들(p r incip es) 이 일반적 으로 모르는 말로 서약하고, 다른 자들을 서약지 못하게 하라….” 황제 의 이점(利點)은 그 자신이 그 서약에 간다는 점이다 . 그러자 서 있는 트라야누스 앞에 앉아 있던 집정관이 〈서약의 정해전 양식을 불러 주 고〉(p rae i u it ius iu r andum) 트라야누스는 단어들을 분명하게 발화하고 표현하고, 서약했다 . 그는 이 서약의 말들을 어길 경우 신들의 전노에 자신의 머리와 집을 맡긴다 . 그래서 그는 〈신이 현존하는 데서〉 (att en denti du s dii s), 〈똑같은 것을 서 약해야만 하는 모든 사람들 앞에 서〉 (obseruan ti bus his . qu i b u s ide m iur andum est) 서약을 했다.

5) Pli nius Caeliu s Secundus, C.(62-113 년?) : Plin ius Secundus 의 조카. 퀸틸리 아누스 문하에서 공부했다 . 시, 비극, 서사시, 애가, 연설문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글을 썼다. 작가로서 그의 명성은 그의 서간문에서 유래한다. 그가 살던 당시의 로 마에 대한 많은 글이 남아 있다. 『 트라야누스 찬가』는 트라야누스 황제 (Marcus Ulpi ns Traja n us ; 98-117 년)의 성격과 그의 공적에 대한 찬양을 담은 긴 연설문 이다.

이 같은 표현이 티두스 리위우스에게서 여러 번 반복되어 나온다. Brutu s … po p u lum .. .iur eiu r ando adeg it mi ne m Romae pa ssuros reg na re (II, 1, 9) 〈그(부루두스)는 백성을, 로마에서는 아무도 왕이 될 수 없다는 이 서약에 가게 했다〉 . 만리우스6 ) 는 호민관에게 자기가 불러준 단어대 로 서 약하지 않으면 그를 죽이 겠다고 위 협한다. nis i, in qua e ipse concep iss et uerba, i urare t〈만약 자신이 했던 말로 맹세하는· 것이 아니 라면〉. 호민관은 공포에 사로잡혀 강요된 단어로 서약을 한다 . adiu r at, in qua e adactu s est uerba 〈맹세한다, 자신이 발설했던 말로〉(같은 책, VII, 5). 또한 잘 알려진 디음 구절도 회상해 보자. 한니발이 어릴 적 제 단에 이끌려 가서 제단에 손을 대고,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자신이 로 마 민족의 적 이 될 것 이 라고 서 약한다 . tac ti s sacri s, iur ei ur ando adac t um 〈제단에 손을 대고 서약한다〉(같은 책, XXI 1, 4). 〈어떤 사람을 서약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동사 ad ig ere 〈~로 이끌다, 강제하다〉가 필 수적이다. 왜냐하면 서약자는 자기에게 불러 준 말을 그대로 따라 반복 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타키투스는 『역사』 I, 37 에서 자기 군대에 게 서약하는 장군에 대해 서술하면서, sacrarnento ad igit〈군대 서약으 로 이끌다〉라고 썼다 . 다음과 같은 것들이 ius i urandurn 〈맹세해야 할 서약〉의 의례적인 표현이다 죽 pra eir e uerb i s 〈관례적 형식으로 (법적) 양식에 따라 정하여 말한다〉, uerbis concep tis, adig e re in ius iu r - andurn 〈서약을 시키다〉이다. 이리하여 i urare 는 〈서약하다〉가 의미하는 것, 죽 신의 가호 아래에 서 엄숙히 맹세하는 행위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 서약 자체, 죽 맹세 는 sacramen turn이라고 불렸다. 이 용어는 로망어에 보존되었고, 오늘 날 프랑스어 serrnen t이 되 었다. 로마에서 sacrarnen turn 은 일찍부터 군 6) Manliu s Torqu a tu s : 고대 로마의 덕을 보여 주는 반 전설적 인 로마의 영웅. 켈 트족의 거인을 죽이고 그의 목걸이를 빼앗은 용기 있는 자로 전해 내려온다.

대의 서약이 되었다. 따라서 여기에서 두 가지 개념을 구별해야 한다. 죽 sacrarnen tu m 은 신에게 헌신하여, 자신의 약속을 어길 경우 신들의 복수를 자초하는 서약이다 또 다른 하나는 i urare 로서, 발화된 일정한 형식의 말을 반복하는 행위이다. 서약하는 행위에는 참여자가 두 사람 요구된다. 즉 pra eit uerb i s 를 하는 사람, 즉 i us 를 발화함으로써 절차를 진행하는 자와 엄밀한 의미의 i ura t하는 자, 즉 이 일정한 형식의 말(이 것은 ius i urandum 〈발화해야 하는 정식화된 말〉으로 불린다)을 되풀이하 는 자이다. 일정하게 정해진 이 말을 발화하는(q u i pra eit ) 자가 말한 뒤에는 이 말은 반드시 반복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이 정형화된 형식에 신성한 용어로써 맹세의 글이 규정되기 때문이다. 이리하여 i urare 에 대한 문자적인 분석에 이르게 되었다. 규범, 모델 울 정하는 일정한 형식인 i us 에서 출발해서 i urare 를 〈i us 를 발화하다〉 로 정의할 수 있고, i us 는 in uerba alic u iu s qu i p rae it〈진행하는 자가 지시한 용어로〉 발화되어야 한다. ius i urandum 이 강제적 성격을 띠는 이유는 바로 이러한 강요된 관계 때문이다 . adig e re in uerba 〈말로 서 약하다〉, iur are in uerba ma gi s tri〈지휘관의 말로 맹세하다〉 등의 표현 은 서약자가 반복해야 하는 표현의 구속성을 가리킨다. 이 분석의 끝에 와서, 우리는 i us 에 대한 조사가 우리에게 가르쳐 준 것, 죽 i us 는 일정한 형식의 말, 여기에서는 서약자가 취해야 할 태도를 표현하는 일정한 형식의 말, 죽 그가 준수해야 할 규정을 i urare 에서 확 인할 수 있다. 그러나 ius i urandum 은 절차상의 성격과 발화 행위의 엄숙성을 가리키는 것이지 서약 자체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i us 의 어원적 대응 관계와 라틴어 파생이 명세하는 그 완전한 의미 가치를 정리하면서 우리는 〈법〉의 개념을 넘어 소급해 올라갔다. 이 단 어의 의미 가치는 단지 정신적인 개념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종교적인 개념으로부터 생겨났다. 죽, 대상(사물 또는 사람)이 가납되어 그 대상이 자기 역할을 수행하고, 그 모든 효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의

준수, 수행해야 하는 조건이라는 인도 • 유럽어적 개념이 그것이다. 베 다 산스크리트어 yoh , 아베스타어 y ao t da 에는 이러한 의미적 가치가 들어 있다 다론 한편 라틴어에서는 i urare 를 중개로 하여 i us 와 sacra- mentu m 사이의 관계를 확인했다. 이리하여 법의 종교적이고 구전적( 口 傳的)인 기원이 기본적인 용어에 분명히 드러나고 있다.

i udex 의 의미군에 전혀 다론 형태의 용어를 추가할 수 있다. 이는 라 틴어에만 출현하며 , 움브리아어에 대응어가 나타난다 . 그것은 arb it er( 움 브리아어 ar p u tr a ti〈 arb itr a tu〉)로서 역시 재판관을 가리킨다 . i udex 와 arb it er 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흔히 혼용되기도 한다 . 그것은 후자의 용어가 전자 용어의 특정한 하위어인 까닭이다. 따라서 그는 특 수한 종류의 재판관, 〈중재자〉이다. 여기에서는 어원이나 이란어의 고 유 의미가 문제되지 않는다 . arb it er 는 두 가지 서로 다른 뜻이 있다. 한 가지 의미는 증인, 죽 어떤 것을 목격하는 자이고, 다른 의미는 중재자, 즉 법적인 권한을 가지고 양쪽의 문제를 명명백백히 해결하는 자이다. 그러면 〈증인〉이 어떻게 〈재판관-중재자〉, 〈결정을 내리는 자〉가 될 수 있는가? 에르누-메이예 사전은 이 두 가지 의미, 즉 증인, 재판관­ 중재자를 연관시키지 않고 차례로 제시하고 있다. 발데-호프만의 사전 7) 에 따르면, 그 원래의 의미는 〈공평무사한 증인으로서 소송 당사자들을 분별하여 판결을 내리는 자〉와 갑은 것이다. 그러나 두 가지 의미를 섞 어서 정의를 내리는 것은 자의적인 방식이다. 여기 에서도 용법 에 대한 조사가 요구된다. 우선 arb it er 를 〈증인〉으로 번역하면서 학자들은 그 의미 작용을 정확히 설명하지 않고 있다. 다음에 나오는 풀리우두스의 몇몇 예문은 가장 오래 되고 가장 의미 7) A. Walde, J. B. Hofm ann, r 라틴어 어원 사전 Late in i s c hes ety molo 양. sches wi , · r te rb11ch 』 , Heid e lberg, 1930-1954.

가심장한용례이다 . 『포로들 Ca pti u i 』 219 Secede hue nunci am si 떠 de tur, pro cul, ne arbit ri dic ta nostr a arbit ra ri que ant 〈너가 진정 원한다면 이리로 오너라. 멀리 좀 비켜서서 , 그래서 arb itri가 우리 말들을 arb itrari할 수 없게 하라.〉 여기에서 〈증인〉의 의미가 불충분함을 벌써 알 수 있다. 『거 래상 Merca t or 』 1005 eamus intro, non uti bi l es t rue locus fac tis tuis durn rnernorarnus, arbit ri ut sin t, 뻔 pra ete r eant pe r 떠 as 〈(집 안으로) 들어갑시다. 이 곳은 그대의 행위에 대해 논하기에는 적합하 지 않소. 우리가 얘기하는 동안에, 행인들이 이 문제에 대해 arb itri가 될 수 있으니까.〉 『군인돌 M i les 』 158 mihi quide m iam arbit ri uicin i sunt, meae quid fiat dom i lta pe r im p lu u ium intro spe c ta nt 〈이제 내 이웃들이 내 집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에 대한 arb itri이다 . 이들은 나의 집안의 일들을 작은 연못을 통해 지켜본다 . 〉 『군인들 M i les 』 1137 Sequimini ; sim u l cir cu mspi cite ne qui s adsit arbit er 〈나를 따라 오면서 주위를 잘 둘러 보라. arb it er 가 있지 않을까 해서.〉

이 구절들은 분명히 arb it er 와 t es ti s 의 차이룰 보여 준다. t es ti s 는 당 사자들이 보이는 곳에 있고, 이들도 그의 존재를 알고 있다 . 그러나 arb it er 는 자신의 존재는 보이지 않으면서 보고 듣는다. 『군인들』 1137 은 이를 잘 보여 주고 있다. 사람들이 이러한 점에 주의하지 않으면 모 든 일이 arb it er 의 눈앞에서 벌어지고, 그 행위 당사자들은 이를 까맣게 모른다 . 법정에서는 arb it er 의 증인를 채택해서 증거 능력이 있는 것으 로 결코 보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 용어가 함축하는 의미는 〈당사자들 에게는 보이지 않은 채로 본다〉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동사 arb itr ar i〈증인이 되다〉도 마찬가지 조건임을 보여 준다. 죽 풀 라우투스의 『아울루라리아 Aulula ri a 』 8) 에 나오는 인물은 어떤 일이 벌어 지는지를 알기 위해서 〈정찰파견, spe c ulatu m mi sit me 〉되었다 . 〈아무 도 의심하지 못하도록 나는 여기에 앉아 있겠습니다 . 〉 그래서 hinc ego et hue et illuc pot e r o qui d aga n t arb itr ar i er 〈여기에서 이편 저편에서 하는 일들을 arb itr ar i할 수 있을 것입니다〉 (607 행). 죽 상대방에게 몸을 숨기고 드러내지 않은 채로 양쪽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지켜보겠다는 것 0] 다.

8) 풀라우두스의 최고의 회국 가운데 하나로서 불행한 인물 에우클리오에 대한 이 야기이다 . 그는 슬픔과 공포 속에서 자신의 황금 항아리를 파묻는데, 그 옆에서 역 시 땅을 파 뒤집는 수닭에 대한 복수를 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이다. 셰익스피어 의 셜록, 몰리에르의 아르파공에 비교되는 인물이다.

그러면 arb it er 〈재판관〉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arb it er 는 어떻게 은밀한 증인에서 지고(至高)의 재판관으로 변할 수 있는가? i udex 의 가장 오래 된 의미는 법정에서 재판으로 판결을 내리는 임 무를 맡은 모든 권위자라는 것을 기억해야만 한다. 원칙적으로 그는 왕 이고, 집정관이며, 모든 권한울 지니고 있는 자이다. 그러나 실제적인 여러 가지 이유로 이 권한이 소송의 성격 에 따라 iud ex, iud ex pri u a tu s, iud ex selectu s, 또는 arb it er 라고 불리는 사적(私的)인 재판관

에게 위임되었다 . 이 arb it er 는 법으로 예견하지 못한 모든 경우에, 이를 판단하는 지고한 권한을 가지고 있다 . 실제로 법으로 예견하지 못한 경 우에 대비해서 leg is ac ti o 〈소송〉가 있었고, 소송 당사자들은 이러한 요 구를 했다. 죽

정할 수 있는 최고의 권한이다. 여기에서 의미가 더욱 확장되어 〈어떤 물건의 가격을 정하다〉라는 의미가 나왔다. 우리가 어떤 용어의 전문적인 용법을 확인할 때마다 그 용어가 속한 영역 내에서 설명을 찾아야 되겠지만, 그것은 최초의 의미를 정확히 정 의한 후에 탐구해야 한다. 더 일반적으로 말해서, 제도 어휘 내에서 개 념의 고유한 의미 가치를 밖혀 내는 작업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 져야한다 .

제 4 장 *med- 와 척도의 개념 요약 역사 시기에 어근 *med- 는 〈통치하다〉 , 〈생각하다〉 , 〈간호하다〉, 〈 재다〉 등의 아 주 다양한 개념을 가리켰다 . 그 원래의 의미는 모호한 공통 의미로 환원시키거나 역사 적인 여러 가지 의미의 이질적인 복합으로부터 추출될 수 없다 . 그 의미는 〈무게 측 정〉의 〈척도〉가 아니라 〈철도〉로서의 〈척도〉 개념으로 정의될 수 있다 . 죽 그것은 병 든 육체에 질서를 회복하거나 그것을 확보하는 의미(라틴어 medeor 〈간호하다〉, medic u s), 우주 내에서 질서를 회복하는 의미(호메로스 그리스어 Zeus (I d 존t hen) me- deon 〈조정자 제우스〉), 전쟁과 같이 가장 위급한 일로부터 석사와 갇이 가장 일상 적인 일에 이르기까지 모든 인간사에 질서를 회복하는 고유한 의미가 있다 . 끝으로 〈 medea 를 아닌호메로스 그리스어 medea eid o s)> 사 람은 사상가가 아니라 철학자이 다_ 바로 이 〈우두머리와 조정자들〉(호메로스 그리스어 h 존g e t ores ede medonte s ) 이 모든 상황에서 요구되는 적철한 조치를 취할 줄 아는 사람들이다. *med- 는 따라서 ius , d i ke 와 동일한 레지스터에 속한다. 죽 그것은 정의로서가 아니라 질서로서 확립된 규칙을 의미하며, 통치자(조정자)로서의 사법 행정관은 이를 작성할 임무 를 지니고 있 다. 죽 오스카어의 med- d is s (iu - dex 참조)가 그것이다 . 과거의 연구에서 여러 번 지적되었듯이, 인접 방언들에서 필수적인 기본 표현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라틴어에서 형성된 용어 i udex 도 마찬 가지이다. 그 어느 곳에서도 이와 비견되는 용어가 발견되지 않는다. 죽 법으로 서의 i us 가 라틴어 이외의 전체 인도 • 유럽어 방언에서는 나타나지 않 울 뿐만 아니라 이탈리크어군 내에서조차 이 개념은 서로 다른 어간으 로 지칭되고 있다. 라틴어 i udex 에 대해 이미 라틴어화된 오스카어 med-d ix가 있다. 그 의미는 동일하다. 죽 재판관의 기능 외에도 공동

체 집단에 권위를 행사하는 책무를 지니고 있는 최고의 행정관이다. 별 개의 어간 med- 에 기초해서 오스카어는 라틴어 i u-dex 와 유사한 합성 어를 만들어 냈다. 그런데 원래의 형태 rnedd i ss 는 오스카어에만 고립 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이 오스카어에 대한 정보가 빈약함에도 불 구하고 우리에게는 이 형태에서 파생된 일련의 파생어가 있다 . 예컨대 rneddik i a i ( in iud ic io, 재판에〉, rned i ca ti onem( 단수 대격)〈i ud ic a ti onem, 재판을〉, medic im < iud ic ium ,재 판〉과, medd i x 〈최고 집정관〉에 기초해 서 직접 파생된 rnedd i xud( 탈격)〈i ud ici o, 판결로〉가 그것이다.

희귀한 짧은 비문에서만 나타나는 기타의 몇몇 이탈리크어의 구어 방언(펠리그니어 ,1) 볼스키어 2 ) ) 에서도 rnedd i x 가 사용되고 있다. 오스카어 합성어의 첫 구성 요소인 실사(명사) med- 는 움브리아어에 서는 rners 로 나타나고 〈i us 〉또는 〈fa s 〉로 번역되고 있다. 또한 파생어 rners t o- 〈i us tu s 〉에서도 나타난다.

1) 펠리그니어는 라티움과 캄파냐 사이의 아펜니노 산맥에 위치한 고대 이탈리아의 산악 지방인 삼니움 Sa mni um 에 살던(기원전 5 세기경) 종족인 펠리그니족 Pae ligni 이 사용하던 구어 방언이다. 2) 볼스키어 역시 이탈리아 중부 방언으로 라티움 La ti um 의 남동부에 위치한 고대 이탈리아의 민족인 볼스키족이 사용하던 방언이다. 이들의 서부에는 라틴족이 , 남 부에는 펠리그니족이 살았다 . 이들은 기원전 4 세기경 로마에 정복당했다.

여기에서 i us 의 지위를 가지고 있는 어근 *med- 는 라틴어에는 없는 것이다. 라틴어에서 그것은 rnedeor(rnedeo) 의 단어군으로 드러나며, 이 어근에는 또한 빈도 동사(fr e q uen t a tif)로 불리는 동사의 현재형도 포함 되어 있다. 이 어근은 이탈리크어군에서 〈법 (dro it)〉의 개념에 대한 새 로운 표현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제 이를 검토하여 그 의미를 상세히 해명해 보려 한다 . 언뜻 보아서는 라틴어 medeor- 〈치료하다〉에서 출발하여 어떻게 해 서 행정관의 권한 행사를 가리키는 용어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잘 알 수 없다. 그러나 *med- 가 지닌 의미의 다양성은 아주 광범위하고, 그래서

그 전체를 연관지어 고찰해야 한다 먼저 그 형태들을 각 형태의 구별 된 의미와 함께 제시한 다음, 어떻게 이러한 의미들이 분화되었는지를 탐구하여 이 모든 의미가 용인할 수 있는 최초의 의미를 추적해야 한다 . 라틴어 medeo(medeor) 〈치료하다〉는 명사 파생어로 med i cus 〈의사 〉 가 있는데 , 이 파생 명 사 자체 또한 medic a re(medic a ri) , medic a ti o, medic ina , med ic amen tu m 과 또한 remed i um 과 같이 많은 형 태군들의 기원이 되고 있다. 이 med - 의 의미 가치는 아주 전문적으로 분화된 것 같다 . 이러한 의학적 의미는 이란어에서 관찰되는 의미와 신기하게도 일치한다 죽 아베스타어의 vi -mad( 의사)(동사 접두사 v i-는 격리의 개 념을 강조한다)가 그 단어이다. 이와 반대로 아일랜드어에서 mi d i ur( 라 틴어 medeor 처럼 중동태의 굴절형)는 〈나는 판단한다〉를 의미하며, 동 사 접두사 con- 이 첨가된 con- mi da th ar 는 〈나는 권위를 행사한다, 나 는 권한울 가지고 있다, 나는 지배한다〉를 의미한다 . 그리고 켈트어의 이 *med- 는 또한 추상명사 파생어 mess(<* m ed-tu

결정을 내리는 여자〉(후에 클뤼타임네스트라3 ) 가 된다)라는 유명한 이름 에 나온다 이 어근은 또한 게르만어에서는 오늘날까지 내려오는 잘 알 려진 동사들에 의해서도 나타난다. 예컨대 고트어 mit an 〈재다〉, 고대 고 지 독일어 mezzan, 독일어 messen 〈재다〉, 그리고 파생 현재형 * meda 一 에서 생긴 고트어 mi ton , 고대 고지 독일어 mezzon 〈숙고하다, 계획을 세우다〉(독일어 ermessen 참조)가 있다. 또 고대의 모음 교체를 증거하 는 명사 고대 고지 독일어 Maz, 독일어 Mass 〈척도〉가 있다 . 이 대응어 를 아르메니아어 mit, 속격 mt i(-i 어간)〈생각〉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는 어기 모음 즌롤 지닌 명사로서, 형태상으로는 그리스어 *m~dos (m~dea) 에 대응한다.

3) Klyt aimn@ st ra : 스파르타의 전설적 인 왕 륀다레오스와 별의 여왕 레다의 딸. 클 뤼타임네스트라는 미케네 왕 아가멤논과 결혼하나 차후에 자기 정부와 함께 트로 이아에서 귀환하는 자기 남편을 암살한다 . 아이스퀼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 스 등 비국 작가의 작품에 등장하는 유명한 등장 인물이 된다.

또 이와 별도로 라틴어 현재형 med it or 를 들 수 있는데, 이것은 medeor 의 의미와는 아주 거리가 멀기 때문에 별개의 동사가 되었다. 죽 그 일차적인 의미는 〈명상하다, 숙고하다〉이지만, 그 후 곧장 〈수행 하다, 행사하다〉의 의미가 되었다. 학자들은 이 단어에서 그리스어 mele tful〈행하다 , 행사하다〉이 미친 영향을 모두 인정한다. 말하자면 라 틴인들은 그들이 사용하는 어휘의 단어에서 고대의 d/1 교체를 쉽게 인정한 것 같다. 이 교체의 기원은 라틴어 내에서 일어난 음성적인 현 상이거나 방언적인 현상이었다 . 예를 들면 oleo/odor,

부터 형용사 modes tu s 〈완화된〉, 동사 moderor 〈억제하다, 지배하다〉, modera ri〈절제하다〉가 파생되 었다. 실제로 modes tu s 는 *modus, 속격 *moder i s 로 추정되는 중성을 가정하게 되는데, 이는 sceles tu s 〈범죄의〉 와 scelus 〈범죄〉, sceler i s( 속격)의 관계와 동일하다. 그 후 이 명사는 -o-어 간 굴절과 생물성 명사로 바뀌었다. 이처럼 관련 형태를 모두 포괄적으로 제시했다. 어형성의 유형은 아 주 분명하다. 이들은 별다른 논의가 필요없이 서로 잘 상응한다. 단지 의미가 문제이다. 어근이 인접 언어에서 서로 다른 의미 가치를 지닌 용어들을 파생시킨 사실로 보아 이들 의미 가치 가운데 어떤 것이 재구 에서 가장 우선적인 것인지 단번에 결정할 수 없다 . 라틴어와 이란어에 의거해서 생각할 수 있는 것처럼 그것은 〈치료하다〉란 의미일까? 아니 면 게르만어처럼 〈재다〉란 의미일까? 아니면 그리스어처럼 〈몰입하다, 숙고하다〉란 의미일까? 일반적으로 학자들은 *med- 를 〈생각하다, 숙고하다〉로 번역하고, 거 기에서 다수의 전문적인 의미 가치, 죽 〈무게를 재다, 측량하다, 판단하 다〉 또는 〈환자를 간호하다〉 또는 〈통치하다〉라는 의미를 파생시키고 있다. 여기에서 또다시 우리가 관심을 가지고 해결하고자 하는 이 문제점 에 대해서도 인도 • 유럽어 어근의 의미를 세밀하게 추적할 때마다 부 딪히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1) 일반적으로 어떤 어근에 대해서 아주 모호하고 아주 일반적인 의 미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이러한 의미가 특수한 가치로 분화되도록 하 고 있다는점이다. 그러나 사실 〈간호하다〉라는 개념과 〈동치하다〉라는 개념은 별개의 것이다. 인도 • 유럽어 어휘에서 〈숙고하다〉, 〈재다〉, 〈통치하다〉, 〈간호 하다〉란 개념은 동일한 형태로 공존할 수 없고, 한 개념에서 다른 개념 울 도출할 수도 없는 전혀 별개의 개념이다. 더욱이 〈생각하다〉처럼 아

주 일반적인 개념에 대한 관례적인 용어가 있는데, 그 가운데서도 특히 어근 *men - 이 있다 . 그런데 인용된 형태들의 의미로는 *med- 와 *men - 이 혼동될 수가 없다는 것은 여기에서 잘 알 수 있다. 왜냐하면 * med- 는 * men- 처럼 단지 정신적인 활동, 성찰, 숙의 과정만을 가리키 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2) 또한 사람들은 흔히 역사 시기에 어떤 어근의 최초 의미로부터 다 양하게 실현된 여러 의미를 가능한 한 아주 교묘하게 합침으로써 이 어 근의 최초 의미를 설명하려고 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각 개념이 아주 다르고, 각 언어사에서 특수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이 개념들의 집체물 을 재구한다는 것이 과연 합당한가? 그래서 비교 언어학자들은 두 가지 작업을 한다. 그 첫째 작업은 〈추 상화 (abs tr ac ti on) 〉이다 . 죽 역사적으로 확인되는 의미로부터 구체적인 의미를 가진 것을 제거하는 작업이다. 그리하여 남게 되는 나머지의 막 연한 의미가 최초의 의미로 간주된다 . 둘째 작업은 〈병치(j ux t a p os iti on) 〉 이다 . 이것은 그 후의 모든 의미를 추가하는 작업으로서, 실제 용법에 의존하지 않는 정신의 시각에 의해서만 관찰하는 것이다. 사실상 우리 가 추적하는 의미는 역사적으로 논의된 의미 가치 하나하나를 심층적 으로 분석할 경우에만 포착할 수 있다. 〈판단하다〉, 〈치료하다〉, 〈통치 하다〉와 같은 단순한 별개의 개념은 다른 방식으로 결합된 의미 체계를 우리 언어에 전위시키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여기에서 의미 작용 의 기본 의미를 재구하기 위해서는 전체 의미의 모든 구성 요소들을 분 석해 내야한다. 별개의 두 언어인 라틴어와 이란어에서 확인되는 의미인 〈환자를 간 호하다〉에서 출발해야만 할까? 〈재다〉란 개념을 이러한 전문적이고 엄 밀한 의미로 환원시키기는 불가능하다 . 하지만 선험적으로, 그리고 혼 란스럽기는 하지만 지배적인 관념이 〈척도〉의 개념이 아닌가 하는 생 각이 든다 . 그리스어 med imn os 에만 국한되어 나타나는 이 척도의 개

념은 라틴어 modus, 게르만어군에 속하는 고트어 mi tan , 독일어 rnessen 에 보다 폭넓게 나타나고 있다 동시에 그리스어 rnedornai, rnedea 를 통해서 숙고, 의도의 개념이 더 분명하고 명확하게 나타난다 . 라틴어 modus 로부터 출발해 보자. 이것은 〈척도〉이지만 사물의 고 유한 크기를 가리키는 척도가 아니다. 〈재다〉에 대해서 라틴어는 별개 의 동사 me ti or 를 사용한다 . modus 는 사물에 부여된 척도이다. 죽 사 람이 지배하는 척도인데, 척도에는 숙고와 선택을 전제로 하고, 또한 어 떤 결정을 상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측정〉의 의미로서 척도 가 아니라 〈절도〉로서의 척도이다. 다시 말해 척도가 없는 것에 적용되 는 척도이며, 제한이나 구속의 의미로서의 척도이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modus 는 물질적인 의미보다는 정신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다. rnodes tu s 는 〈절도가 갖추어전 사람, 절도를 지키는 사람〉이다. 또한 rnoderar i는 〈(절도를 벗어나는 것을) 철도에 맞게 하다〉를 의미한다 *med- 가 〈척도〉를 의미한다면, 그것은 *me- 와는 전혀 다른 방식의 의미 작용이 있다는 것을 라틴어가 보여 준다. 이 *me- 와 연관된 인도 • 유럽어 *mens- 〈달(천체)〉, 라틴어 mens i s 〈달(달력)〉는 크기, 치수의 척 도로서 고정된 수동적인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이것을 나타내는 표지 가 곧 한 달의 시일을 측정하는 달(천체)이다. 그러나 modus 에는 이와 전혀 다른 사실을 볼 수 있다. 죽 그것은 숙고, 성찰을 전제로 하면서 혼돈된 상황에 적용되는 제한, 구속의 의미를 지닌 척도이다. 바로 이것 이 우리의 출발점이다. 이제 그리스어를 이용해서 이 언어가 제공하는 증거들의 의미를 자 세히 규명해 가면서 분석을 좀더 깊이 해 보자. 그리스어 현재분사 medon 의 부류로 간주되는 그리스어 *medo 는 보 통 〈보호하다, 통치하다〉로 번역되고 있고, 분사 medon 은 〈주군(主君), 주인〉으로 번역되고 있다. 중동 현재형 medoma i는 〈감시하다, 어떤 일

에 몰두하다〉로 번역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동일한 동사이다. 그래 서 동일한 해석을 받아야 한다 .

한편으로 고정된 관용 표현에서 제우스 Zeus 와 지명(地名)과 함께 사 용된 m 존 dean 의 용법을 고찰해야 한다. 예컨대 Id 죤t hen medeon 은 문 자적인 의미로는 〈이데 산에서 다스리시는〉( 『 일리아스 』 3, 276 ; 7, 202) 이다 Dodones medeon 〈도도네를 지배하시는〉(1 8, 234)4) 참조 또 한편 빈번하게 나타나는 표현 heg ~tor es 존 de medon t es 〈지휘자들과 지도자 (왕)들〉(『일리아스 』 2, 79) 도 고찰해야 한다. 여기에서 동사나 그 분사의 파생어를 〈보호하다〉나 〈지배하다〉로 번역하는 것이 만족할 만한가? medeon 이 Zeus 갇은 인물에게 적용되는 것으로 봐서 이 해석이 만 족스런 것이 분명하다 . 이는 〈통치하는, 지배하는〉이라는 권위를 함 축하는 모호한 번역으로 그치고 있다. 하지만 명사군 h 죤g~t ores 존 de medon t es 에서 두 가지 개념을 구분해 내야 한다 동사 h 존g ~om ai에는 계산을 하고 계획을 세우는 활동(행위)의 개념이 함축되어 있다. 그리고 medon 에는 우선 권위의 개념을 엿볼 수 있고一―이는 라틴어에서 갇 은 방식으로 나타난다――다음으로는 조치를 취하여 지도한다는 개념 이 있다.

4) 원문에서는 『 일리아스』 18, 234 로 기록하고 있으나 이 표현은 16, 234 에 나옴.

중동형 medoma i를 더욱 자세히 설명 해 보자 . 이 동사는 medo 따i 다는 훨씬 다양한 목적 보어를 갖는데, 예컨대 전두와 관련된 용어들 이다. pol emoio medes t ho 〈전두에 몰두해 있다〉(『일리아스』 2, 384), medometh a alk@s 〈용감하게 저항하는 일에 전념하자〉 (5, 718 ; 4, 418 참조) . 그러나 또한 s it ou 〈밀, 고체 음식〉, d6 rp o i o 〈저녁 식사〉 (24, 2) 같이 〈음식〉과 관련되어 있는 medoma i의 용법도 있다. 또한 〈회귀, n6s t ou 〉(『오뒤세이아』 11, 110 ; 12, 137) 와 관련되거나 더욱 막연하게 생각하는 대상들을 목적어로 갖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일리아스』 4,

21 에서 아테나와 헤라 두 여신은 〈트로이아인들의 불운을 깊이 생각하 고 있었다, kaka ... rnedes t h 존 n 〉 감은 것이다. 이 마지막 용례에서 rnedorna i는 rn~dorna i와 일치하고 있는데, 그것 은 아주 빈번하게 〈(불운에 대비하여) 준비하다 , 미리 숙고하다〉라는 의 미로 신(神)에 대해 말할 때 사용된다 . 예컨대 〈사려 깊은 제우스는 밤 새도록 그들의 불행을 깊이 생각하고 있었다〉 (kaka … rn~deto , 7, 478), 〈제우스는 그들의 죽음을 깊이 생각하고 있었다〉 (rn~de t ' 6leth r on, 『 오 뒤세이아 』 14, 300) 같은 것이다 . 명사 rn~dea 의 예를 들어 보자. 이것은 boula i〈기획 , 의도〉와 흔히 함 께 사용되고 있고(예컨대 『일리아스 』 2, 340), 또 학식 있고 지혜로우며 선견지명이 있는 자들과 연관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pep n u rnena rnMea e i dos 〈현명한 계책을 알고 있는〉( 『 일리아스 』 7, 278 ; 『 오뒤세이 아 』 2, 38) 와 같다. 바로 이들이 주요한 용법이다. 여기에서 이 동사의 의미 〈미리 숙고 하다 , 조언하다, 지배하다, 염려하다…〉와 〈동치하다〉의 의미를 끌어 낼 수 있다. 이 모든 활동 , 행위에는 권위의 개념이 혼합되어 있고, 명사에 는 지고의 결정이라는 관념이 혼합되어 있다. 이제 사물에 적용된 〈척도〉의 개념을 더욱 정밀하게 정의할 수 있다. 죽 여기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전문적인 성격의 척도이다 . 관습에 따라 실시되는 수단과 이미 검증된 효과로서의 개념이다. 순간적으로 급조된 절차도 아니고, 계획을 만들어 내야 하는 숙고의 개념도 전혀 아니다. 이 〈척도〉는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정한 상황에서 언제나 적 용이 가능한 것으로 간주된다 . 따라서 그것은 일반적인 〈고찰하다〉란 개념과는 거리가 멀고, 〈보호하다〉나 〈통치하다〉와도 거리가 멀다. *med- 에 대한 대략적인 정의를 내리자면, 〈실제적인 난관의 해결을 위 해 권위를 가지고 적철한 조치를 취하다, 일정한 문제를 관례적인 수단 울 사용하여 규범으로 귀착시키다〉와 같은 뜻이 될 것이다 . 명사

*rnedes- 나 *rnodo- 는 〈혼란스런 상황의 질서를 회복할 수 있는 필요 한 조치〉를 뜻할 것이다. 이러한 개념이 모든 언어에서 똑같은 방식으 로 전수되고 있지는 않다. 아 개념은 언어에 따라 분화되고 있으나 그 최초의 의미를 인지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 현재 우리는 라틴어 rnedeor, 아베스타어 vI-rnad- 가 원래 〈치료하다〉뿐만 아니라 〈병을 처방에 따라 조치하다〉란 의미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것은 단순한 동어 반복이 아니다. 이 개념은 〈환자를 건강한 상태로 옮기다〉 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탈이 난 유기체를 예견된 처방에 따르게 하 다 , 혼돈 상태에 질서를 회복하다〉란 뜻을 가리킨다. 그리스어도 물론 이와 동일한 의미이다. 그래서 필요한 수단으로 전 쟁, 출항, 식사까지 일정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권위로 규정된 조처들 울 가리킨다 . 이 모든 문제에는 알려진 전문적인 기술이 포함되어 있다. 제우스가 rnedon 〈지도자, 왕〉으로 불릴 때, 전통적이 된 이 부가어는 신들의 우두머리가 엄숙한 서약을 할 때나 도움이 필요할 때 , 일정한 상황에서 예컨대 〈척도〉를 적용할 수 있는 힘과 관련이 있다 . 죽 특정 한 난관을 해결하기 위해서 그의 개입을 원할 수 있다 . 왜냐하면 그는 동사 rnedo 가 함축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마지막으로 오스카어 rnedd i x 에 나타나는 법률적 의미에 이르 게 되었다. 이 모든 의미 구성 요소가 여기에서 재발견되며, med- 와 ius 사이에 확인된 등가치적 의미를 해명하는 데 사용된다. 우선 권위 의 개념이 있는데, 이는 d ic o 의 용법 속에 나타난다. 중심 개념은 당면 한 어떤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여러 조처의 목록 가운데서 선택된 〈척 도〉의 개념이다. med- 나 i us 가 진정한 의미의 파생어를 만들어 내지 못했다는 이 놀 라운 사실에 유의하자. 그것은 이들이 실제로 사용되던 형태가 아니기 때문이다 . 라틴어에서 i us 에서 파생된 파생어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동사 i uro 〈서약, 서약하다〉는 더 이상 i us 의 의미역에 속하지 않고, 단

지 선역사적인 의미 가치를 통해서만 이와 관련된다. 공시적인 관계가 단절되었다. 그 밖에 i us 는 오직 형용사 i us tu s 〈법을 준수하는〉만을 파 생시키고 있는데, 이는 modus/modes tu s 와 평행하고 있다. 그런데 모 든 파생어들은 실제로 i udex 에 기초해서 형성되고 있다. 예컨대 iud ic ium , iud ic a ri, iud ic a no 등이 그렇다 오스카어에서도 마찬가지로 medd i x 에 기초해서 파생어가 형성되고 있는데, med ic a ti nom 과 같은 단어이다. 따라서 파생어들이 형성되는 것은 행위자 명사의 중개를 통 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 이 사실로부터, 이 두 가지 법률 용어 i us 와 med- 는 통용되는 형태가 아니라 비생산적인 형태라고 결론지울 수 있 다. 다른 사실로써 이러한 지적을 뒷받침할 수 있다 라틴어에서는 형용 사든 명사든 i us 의 파생어가 없다. 이들이 존재한다면 다음과 같은 의 미 일 것이다. 〈법률가, 법을 알고, 집 행하고, 행사하는 사람〉 . medic u s 에 대응해서 *i ur ic us 나 그와 유사한 용어가 없다. 물론 합성어는 있으 나 병치어이다. 죽 iur is p rudens 〈법에 정통한 (자)〉(그리고 pru denti a 〈법률학〉), iur is consul tu s 〈법에 경험이 많고, 유식한 (자)〉, iur is p e ritu s 〈법을 잘 아는, 능통한 (자)〉 같은 것이다 바로 이 점도 i us 가 어떤 파생어를 만들어 내지 못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 주는 또 다른증거가된다. 파생어를 만들어 내지 못하는 이유는 아마도 법이 단지 관례적인 규 정들의 집합으로 간주되었고, 이 법을 집행하는 것이 하나의 전문 기술 로 간주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법은 학문이 되지 못했고, 새로운 창조 작업을 허용치 않았다. 그것은 규범으로, 전술과 처리 지침의 집합으로 고정되고, 알려져서, 적용된 것이다. 그리하여 최고 집정관은 어떠한 소송에 부과되는 〈척도〉를 보여 주 는 역할을 했다. 우리는 법이란 것이 어떤 것을 보여 주고, 발화하고, 선언하는 것이라는 점을 이미 확인했다. 죽 그리스어 dik a sp6 l os, 라틴 어 iud ex, meddis s , 게르만어 eosa g o 와 갇은 유사한 형태가 그것이다.

그리하여 법이 전문적인 도구의 수준을 넘어 도덕적인 개념으로- 형성 되어 갈 당시에 , 다시 말해서 d i k 존에서 형용사 d i ka i os 가 파생되고, ius 와 i us tu s 가 i us titi a 〈정의〉의 개념으로 확장되던 시기에 일어났던 인도 • 유럽 제어와 인도 • 유럽 민족의 제도상의 대변화 가운데 한 가지 변화 를 예측할수 있다 . 법 자체는 갱신되고, 결국 올바르고 정당한 것과 동일시되어야 한다. 그러나 법과 정의의 개념이 서로 접근되는 데는 오랜 역사가 필요했다. 법 의 명 칭 자체가 변화되 어 , 로망 제 어 에서 i us 가 dir e ctu rn( derectu rn) 〈 곧은 것〉으로 대체된 원인은 , 이 두 개념이 언제나 아주 밀접하게 관 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이다. 〈법 (dro it)〉은 〈왜곡된〉과 상반되는 〈올바 른, 곧은 (dro it)〉인 것이다 . 그래서 게르만어 Rech t처럼 d ir ec turn이 제 도 용어로서 i us 의 위치룰 차지하게 된 반면, 영어에서 〈법, 정의 (dro it)〉는 곧 〈법률(l o i)〉과 동일시되고 있다. 영어는 〈법, 정의〉를 연 구한다”라고 하지 않고, 〈법률〉을 공부한다”라고 말한다 . 이 모든 사실은 상호 관련이 있다. 즉 i us 에서 i us titi a 로 바뀌는 역사 적 발전 과정, 그리고 법과 정의의 역사적 분화 과정, 즉 i us titi a 와 d i rec tu rn 의 분화 과정은 법이 고대 인도 • 유럽 민족의 의식에서 어떤 방식으로 표상되었느냐 하는 문제와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관련 경로 는 우리가 알기도 어렵고 , 현재로서는 알 수도 없다. 사람들의 의식이 더욱 세련됨에 따라서 현실적이고 관례적인 성격을 지닌 이러한 개념이 어떻게 발전해 오면서 점차 명확하게 되었는지, 그 리고 이따금 도덕적 개념과 동일시되기도 하면서 이러한 도덕적 개념 울 결과적으로 낳게 되었는지 밝히는 일은 바로 이러한 제도 어휘를 통 해서 가능한 것이다 .

제 5 장 fas 요약 *-t o- 형의 두 파생어인 라틴어 fas tu s 와 f es tu s 는 서로 정반대의 의미 를 지니면서 존재한다는 사실로 인해서, 흔히들 제시된 fas 와 단어군 fan um, f e ri ae 의 비교가 훼손 될수있다 . 분명히 f as 는 라틴어 fari(그리스어 P 掃mi , 인도 • 유럽어 * bha- )와 비교되어야 한 다 . 이러한 어원은 형태상의 관점에서 아무런 오류가 없기 때문에 의미론적인 증명이 필요하다 . 죽 〈말하다〉 ( * bh 료-)와 〈신의 법〉(fa s) 사이의 관계 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 가? 사실상 어근 * bha - 는 발화를 산출하는 사람과는 상관없이 발화 그 자체 를 특 정하 여 지칭하며, 무엇을 의미하는 것으로서의 발화가 아니라 존재로서의 발화 를 가리킨다 는 사실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래서 말해전 것(라틴어 fac tu m) 이나 스스로 말해지는 것(라틴어 fama , 그리스어 p hem 존, 호메로스 그리스어 demou p h~m i s) 〈백성의 목소 리, vox p o puli)은 인간의 말이 아닌 절대적인 말로서 적극적인 종교적 의미가치 를 담 고 있다. 그래서 p h~m 존는 그 자체로서 신이다(th e6s ... ti s)( 헤시오도스 『 노동과 날들 』 764). 라틴어에서 fas의 사용 조건, 죽 fas es t+부정법 〈f as 는 … 로 존재한다〉는 (신의) 발화가 (신의) 법을 곧 지칭하는 것임을 보여 준다. 그리스어 th es p ha t os 〈(운명에 의해) 경계가 지어진〉 : a thes p ha t os 〈무한한〉의 쌍에 서 ph 존mi의 동사적 형용사 -p ha t os 는 어근 bha - 가 지니고 있던 특수한 의미 가치 를 잘 반영해 준다. 지금까지 고찰한 법의 표현은 모두 인간의 법과 관련되어 있다 . 일반 적인 사회 관계를 규정하고, 또 가족 내부나 가족 간의 일정한 집단들 사이에 개입되는 법이다. 그러나 적어도 인도 • 유럽어 내에서, 예컨대 라틴어에는 〈신의 법〉

을 가리키는 특수한 용어가 있다. 그것은 i us 와는 구별되는 fas 이다. 이 두 용어의 관계는 우선 의미상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i us: fas 의 이러한 대립은 인도 • 유럽어의 선사 시기에 직접 반영되었던 것으로는 생각되 지 않는다 . 하지만 라틴어가 이러한 대립을 정말 만들어 낸 것인지 살 펴볼 이유가 있다 . 이 대립이 적어도 이탈리크어에서 존재하지 않았다고는 확언할 수 없다. 우리는 아직 이탈리아의 방언에 대해 아는 바가 거의 없어서 이 러한 침묵으로부터 주장을 끌어 낼 수 없다 . 오직 움브리아어만이 문헌 에서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 형식의 글로 된 의례가 모든 어휘를 제공해 줄 수는 없다. 우리가 포착하지 못한 주요 개념이 분명히 움브리아어에 있다. 따라서 라틴어에서 - 이 언어에 국한해야만 되기 때문에 -ius : fa s 의 대립이 있고, 이 대립이 그 파생어들 ius tu s : fas tu s 에 반영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ius est: fas es t〈인간의 법에 의해 허용되었다: 신의 법에 의해 허용되었다〉 같은 평행 표현에도 반영되어 있다. 형태론적 견지에서 fa s 는 곡용하지 않는 중성명사이다 . 그것은 -s 어간이며, ius 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를 넘어서 그 어원을 탐색해야 한다. 어떤 학자들은 fa s 가 종교적 의미 가치 때문에 f anurn 〈사원, 절〉 으로 대표되는 단어군과 결부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이러한 비교에서 fa s 에 대한 이 종교적 의미 가치가 확인되기 때문이라 고한다. 몇 가지 형태론적인 이유로 인해서 이러한 해석은 분명히 배제되어 야 한다. f anurn 은 단모음 a 가 있는 고대의 *fa snom 에서 유래한다. 이 차적인 특성을 지닌 모음의 장음화는 음성군 -asn- 이 걸 n- 으로 축약 될 때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제 이 *fa snom 은 *dhas-nom 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이 형태는 어근의 다른 모음 계제에서 오스카 어와 움브리아어에 찰 알려져 있는 〈사원〉이란 명사와 관계된다 . 죽 오

스카어 fiisn a, 움브리아어 fe sna 이다. 따라서 모음 교체 * f esna( 오스카어 , 움브리아어) / * fa snom( 라틴어에서는 어간의 약계제에서)이 있다 . 더욱 오 래 된 언어 단계를 재구할 경우 , 이것은 *dh 존 s - na / * dhas-nom 이 된 다 . 더욱이 f es i ae( f er i ae) 〈축제들〉와 형용사 f es t us 〈축제의 , 장엄한〉도 라틴어에서 이와 동일한 단어군에 속한다. 어간 * dhas- 와 * dhes- 는 어 떤 종교적인 대상이나 의식을 가리키는데, 그 의미는 아직 확정할 수 없 다. 어쨌든 그것은 신성(神聖)의 개념을 나타내는 종교 영역에 속한다. 이 *dh 즌 s 는 다른 언어에서도 발견된다 . 예컨대 아르메니아어 복수 d i kc 〈신들〉 ( - kC 는 복수 표지이다)인데, 이 형태는 * dh 즌 s - es 에 근거를 두 고 있다 . 그리고 고대 그리스어 복합어 the sph a to s , the sp es io s , the - skelos 에서도 나타나는데, 이들 단어에서 th es- 는 d i kc 의 * dhes- 와 대 응한다 . t hes- 의 의미는 이 시적( 詩 的) 형용사들을 신의 개념과 결부시 킨다. 죽 t hes p ha t os 〈신의 칙령에 의해 결정된〉, t hes p es i os 〈기적적인〉 (세이레네스 1) 의 노래에 적용되어 신에게서 기원한다는 것을 표현한다) , thes p es i os( 조어법이 다소 불분명하다)〈경이로운(아마도 〈신적인〉의 뜻도 함축)〉 등이다. 마지막으로 여기에 t he6s 〈신〉도 위치시켜야 할 가능성 이 있다(이는 오래 전부터 제시된 가설이다). 이 t he6s 에 대한 가장 진 리에 가까운 원형은 물론 *th esos 일 것이다 . 아르메니아어 d i kc( 신들) 가 존재함으로써 비로소 그리스어 - 아르메니아어 어휘 쌍의 짝이 구성 된다 . 이것과 fa s 를 비교하는 것이 타당한가? 라틴어에서 이 단어군의 특성 을 지닌 대표적 단어인 f e ri ae 의 의미를 고찰해 보자. f er i ae 는 〈축제들〉 이고, f es tu s 는 〈축제일로 정해전〉을 뜻한다. 그러면 fa s tu s 는 어디에 위 치해야 할까? 이들이 공통 기원을 갖는다면, -t o 로 된 별개의 두 형용 1) Se 遜 nes : 날개가 달린 여자 모습이나 여자 머리를 한 새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신화적인 바다의 신들 노래로 항해자들을 유혹하여 암초에 배 를 좌초시키고, 이 둘을 잡아먹었다고 한다 .

사가 동일한 어간에 기초해서 구성된다는 것은 이해하기가 어렵다 . 더 욱이 fa s tu s 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법정을 휴정하는 것이 허용된 날을 die s fa s tu s 라고 부르는데 , 이 날은 사법관이 자신의 행위를 간결하게 지시하는 세 동사, 즉 do 〈 주다〉 , d i co 〈헌납하다〉, add ic o 〈판결에 의해 주다〉 를 발화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바로 이것이 마크로비 우스 2 ) 가 『 사두르날리아 Sa t.』 I, 16 에서 기록하고 있는 바이다. 죽 Fasti (die s ) sunt qui b u s lice t far i pra eto r i tria verba solemnia : do, dic o , addic o . Hi s contr ar ii sunt ne fa s ti〈재판일(길일)은 사법관에서 do, dic o , add ic o 라는 세 개의 법정 단어의 선언이 허용된 날이다. 이에 반대되는 날은 법정을 열 수 없는 날(불길한 날)이다〉 . fa s ti는 〈업무가 가능한 날 〉 이며 , 이 때 사법관과 시민들의 활동이 이루어진다. 바로 여기에서 fas ti d i es 가 〈달력〉이란 의미를 취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fa s tu s 〈업무 를 할 수 있는 날〉는 f es tu s 〈축제일로 정해진 날〉와 정반대가 된다. 바 로 이 사실은 학자들이 제시한 fas 와 f er i ae 의 비교를 불가능하게 만들 기에 충분할 것이다 . 더욱이 이러한 비교는 일반적인 견해의 지지를 받 지 못했다.

2) Ambrosiu s Theodosiu s Macrob i us( 기원 400 년경) : 중세기의 철학과 문법의 최 고 권위자 가운데 한 사람 . 그의 『 사두르날리아 Sah1mal i a J는 시학, 철학, 고대의 전승 등을 모은 총론서이다.

따라서 이러한 비교를 버리고, fa s 의 다른 기원을 찾아야 한다. 필요 한 듯이 생각되는 기원이 이미 제시된 바 있다. 이 어원은 고대인의 언 어 감각 —— 이것은 확실한 보증은 안 되지만 이 경우에는 이를 고려해 야 한다-울 그 어원 자체로 또한 삼을 수도 있는데, 이들 고대인의 감각에 따르면 fa s 는 fari, *fo r 〈말하다〉와 결코 분리되지 않았다. 이것은 분명 자명한 설명 -—-이 는 언급하는 것만으로도 족하다―― 은 못 된다. 사전(辭典)에 정의되어 있는 바처럼, 〈말하다〉의 개념과 〈신에 특유한 권리〉의 개념 사이에는 직접적인 연관성을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이처럼 아주 확실한 어원을 제시하는 학자들은 이 어원을 증 명하려고 하지 않는다 . 이 어원을 정당화시킬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fari의 고유한 의미를 엄밀히 연구하는 것이다 . fa s 와 함께 고려해야 하는 것은 그 반의어 ne fa s 〈종교에 대해 저지른 죄, 불경죄〉인데, 여기에는 non 보다 더욱 고형(古 形 )인 부정( 否定 )의 ne - 가 포함되어 있다 . 이 사실을 고려하는 이유는 ne fa s 가 사실은 ne- fas es t란 표현에서 생겨났기 때문이다 . 이 표현에서 ne - 는 접두사가 아니라 문장의 부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부정의 접두 사는 ne- 가 아니라 물론 in-이다 . ne g o ti um 이 설명되어야 하는 것도 역시 강조된 부정사 nee 가 있는 통사적 표현에 의해서이다. 즉 그것 은 nee ostiu m es t라는 표현에서 생겨난 것이다(제 1 권, 164 쪽 이하 참 조) . fa s 의 조어법은 고대의 불변하는 중성 단어, 예컨대 ius , mos( 관습) 같은 단어의 조어법이다. 이 후자의 단어들은 굴절을 이차적으로 갖게 된 단어이다. fa s 와 *for, fari , fatus sum 의 관계는 이 동사 - 이 동사는 그 종교 적 의미 가치로 인해 강조되어야 한다――의 어떤 형태에 의해 이미 제시된 것으로 나타난다. 그것은 *fo r 의 분사인 중성 faturn〈오명〉이며, 이것은 흔히 〈불운〉(fat a li s 〈치명적인〉를 참조)을 뜻한다 . 이 단어는 그 어원의 시초부터 명사화되어 독립되었다 . 동사 *for 그 자체는 역사 시기 초부터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오직 시 (詩)에서만 〈말하다〉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동사는 고대의 수많은 파생어를 만들어 냈다. 죽 fa cundus 〈유창한, 말을 쉽게 하는〉, fa bula 〈대화, 대화의 단편, 우화, 전설〉, fa ma 〈유명한〉(좋은 의미로 사용 됨)(여기에서 f amosus 〈평판이 좋은〉와 그 반의어 inf a mi s 〈평판이 좋지 않 은, 평판이 나쁜〉가 생겨났다)가 그것이다 . 이들 각 단어의 주위에는 일 련의 많은 파생어가 있다{예컨대 fa bula 로부터 파생된 fa bular i〈이야기하

다〉, fa bula ti o 〈담화, 대화〉 등). 이 라틴어 동사는 그리스어 P 混mi, pha to 와 대응되며, 이들 동사의 굴절형 중 일부분은 능동이고, 일부분은 중동 이다. 또 그리스어 Ph6me 〈평판이 있는〉, p h 윤 m i s( 앞의 의미와 거의 동일 한 의미)〈소문, 대화, 소리〉, 그리고 p ha ti s 〈소문〉가 대응한다. 이 어근 은 인도 • 이란어에는 전혀 없는 것이다. 그것은 인도 • 유럽어 영역의 중앙 지역에 국한되어 있다. 그래서 라틴어와 그리스어 의에 아르메니 아어 ba y〈발화〉(그리스어 p ha ti s 에 정확히 대응하는 *ba ti-에 기초한다), ban 〈단어, 말, 물건〉 , 삽입구 ba y〈~라고 그는 말한다〉에서 이를 확 인할 수 있다. 또 부분적으로 게르만어에서 볼 수도 있고(고대 영어 bo i an 〈자랑하다〉), 술라브어 baju ba j a ti〈이야기하다, 주문을 의다〉, 좀더 복잡한 접미사법으로 구성된 bal iji에서도 부분적으로 확인된다 . 이들 형태의 출발점으로 어원 사전들은 고대 슬라브어처럼 다소 전 문적으로 의미가 분화되간 하지만 오직 〈말하다〉의 의미만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말하다〉의 개념이 〈신의 법〉의 의미로 구체화된 어떠한 표시도발견할 수 없다. 여기에서 〈말하다〉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발화〉를 나타내는 다른 모든 표현 가운데 이 개념은 어떤 방식으로 고정되는가? 이와 관련해서 아주 중요한 라틴어 형태가 있다. 그것은 현재분사 inf ans 〈나이가 적은 어린애, 말을 하지 못하는 자〉이다. 와로는 fatur와 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우리에게 다음과 갇이 말하고 있다(『라틴어론 L. L. 』 VI, 52). Fatu r is qui prirnu rn homo sig nifica bil ern ore rnittit uocern. Ab eo ante qua rn id facian t, pue ri dic u ntu r infan te s ; cum id facian t, iar n fari . . . 〈사람이 말한다(fatur)는 것은 의미가 있는 말을 처 음으로 내뱉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어린아이들이 이러한 말 을 할 수 있기 전에는 inf an t es 라고 불리는 것이다. 그러나 어린애들 이 이러한 짓을 할 때는, 그들은 이미 말을 한다(i arn fari)라고 하는 것이다.〉

우리는 또한 어린아이가 〈말을 한다〉거나 〈말을 하지 못한다〉고들 한다. 그리하여 분절된 말, 죽 언어 현상으로서, 인간성의 발현으로서의 발화 행위를 두고 말한다 . 마찬가지로 fa bula 는 〈 대화〉, 〈연극 행위〉 등 의 다양한 의미를 통해서 〈발화로 구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드 러나는데, 우리가 보통 〈음악 연주를 시작하다〉라고 말하는 의마와 똑 같은 뜻이다 . 그래서 fa bula 는 전설, (연기)행위, 말로 구현되는 어떤 사 항울 가리킨다. 즉 인간의 말로 전위되는 행위를 목격하는 것이다 . 이야 기, 우화, 희곡 등 무엇이든 간에, 그것은 이처럼 말로 전위되는 행위의 기법 자체만을 고려한 것이다. 바로 여기에서 fa bula 는 발화로만 된 것, 현실성이 없는 것을 가리키게 된 것이다. 또한 이 어근에서 파생된 다 른 파생어도 이러한 방식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 예컨대 fa cundus 는 〈발화 재능을 지닌 자〉, 죽 말의 내용과는 상관없는 언어 표출의 재능 울 지닌 자, 말을 유창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아주 풍부한 단어를 자기 마음대로 구사하는 자를 가리킨다. f arna 〈명성, 소문〉에서는 새로운 특 칭을 발견할 수 있다. 즉 그것은 개인적이 아닌, 비인칭적인 발화 행위 이다. 어린아이가 벌써 〈말한다, iam fatu r 〉고 할 때, 사람들은 어린이 가 말하는 내용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인간에 공통된 바개인적인 능력의 표출, 다시 말해서 인간이 말을 할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f arna 는 비인칭적이고 집단적이며, 인간 현상, 소문, 평판으로서의 말이다. 〈~라는 소문이 흘러 다닌다〉는 것은 음성으로 된 〈소리〉로서의 발화, 인칭이 박탈되었기 때문에 실수한 음성적 현상 으로서의 발화이다. 바로 이러한 것이 그리스어 p ha ti s 〈평판, 소문, ~ 에 대해 말해진 바의 것〉가 의미하는 것, 죽 담화도 아니고, 논리가 정 연한 발화도 아닌 것을 뜻한다. 이와 똑같은 의미가 또한 沖 6m i s 로부터 나온다. 『일리아스』 (10, 207) 에 어떤 사람이 트로이아인들에게 가서 어떤 沖~mi s 를 알 수 있는지를 물어 본다 . 죽 어떤 특정인의 말이 아니라 비인칭적인 〈사람들이 ~라

고들 말한다〉는 것이 여기에서 문제시되는 것이다. 『오뒤세이아 』 에서 아주 빈번히 출현하는 것은 demou p h€m i s 〈사람들의 소문, 백성들의 목소리〉이다. 어떤 사람이 demou ph €mi s( 6, 273-274) 때문에, 죽 사람 들이 말하는 소문 때문에 어떠한 행동을 감히 못 하는· 것이다. 이 단어 는 개인의 담화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 이제 沖 em 타를 보자 . 이에 대한 아주 의미심장한 예가 있다 제우스 가 오뒤세우스에게 많은 고초를 겪게 한 뒤에 그를 자기 집에 데려다 주기를 원했는지 확인해 줄 것을 그는 제우스에게 부탁한다 . 〈부디 저 안에서는, 깨어 있는 사람들 중 누군가가 내게 p hem 존를 말하게 해 주 시고, 이 바깥에서는, 제우스의 다른 전조가 나타나게 해 주소서.〉( 『 오 뒤세이아 』 20, 100) 오뒤세우스는 신성을 지닌 말로서 , 징조에 해당하는 제우스의 의지의 표현으로서 p hem 죤룰 기다린다. 그래서 사실은 무엇보 다도 먼저 여자를 기다리는 것이다. 그런데 천둥이 치고, 말(p hem 즌)이 떨어진다. 이 p hem 탸는 오뒤세우스에게는 s€ma, 죽 전조이다 (100 행과 111 행) . 또한 헤 쿠 두 E 人( 『 역사 』 III, 1 53) 에게서도 t eras 〈기적〉가 수반되 는 沖 em 峰 볼 수 있다 . 소포클레스( 『 오이디푸스 왕』 86 등)에서 ph eme t he8n 〈신들의 p hem 존〉이 나오는데, 이는 〈신탁〉을 의미한다 . 이 모든 사실은 서로 연관이 있다. 죽 p heme 는 발화의 산출로서 말 소리로 된 소문 , 명성, 평판이며, 또한 신탁의 말 역시 그러하다 . 마지막 으로 왜 어근 沖 em i, 또는 라틴어 *fo r 가 신의 발화 현상을 가리키는지 룰 알 수 있다 . 그것은 비인간적인 것이기 때문이고, 어린애의 입에서 최초의 말의 출현이 신비한 것처럼 알 수 없는 혼란된 것, 신비한 것을 표현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沖 ~me 의 의미는 헤시오도스 『노동과 날들』 (763 - 764) 에 선명 하게 표현되어 있다. 〈 Ph6mE 는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반복해서 말하더 라도 결코 소멸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p hem 존 그 자체는 말하자면 신적 인 것이기 때문이다 . 〉 바로 여기 에서 d 如 mou p h€ mi s 가 그처럼 중요하

고, 어떤 일에 착수하려는 때에 사람으로 하여금 망설이게 하는· 이유가 있는 것이다. 그것은 바로 신의 예고, 경고이기 때문이다. Vox pop ul i, uox dei, 죽 백성의 〈목소리 〉는 신의 그 무엇을 알리는 말인 것이다. 또한 fatu m 이 인간에게서 기원하지 않고, 인간과도 관련되지 않는 발화 행위가 되는 이유는 이러한 초인간적 기원에서 무언가 신비하고, 운명 적이고, 결정적인 것을 끌어 내는 발화 행위이기 때문이다. 끝으로 아주 일반적 인 동사 p has t ha i는 겉으로 드러나는 것보다 훨씬 많은 뜻을 담고 있다. 학자들은 p has i의 〈사람들이 ~라고들 한다, 소 문에 따르면…〉이라는, 강한 의미 가치를 별로 고려하지 않고 있다 . 또 p ha t o 는 단순히 〈그는 말한다〉가 아니라 문자 그대로 〈이 발화는 그에 게서 나왔다〉라는 의미를 지녀야 한다. 인간적 기원이 아닌, 흔히 신에게서 기원하는 이와 같은 말의 힘은 마술적인 신비한 힘이 된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슬라브어 bal iji는 주술 사든 의사든 말의 신령한 힘, 주문의 신비한 힘을 마음대로 이용하는 자, 그것을 사용하고 인도하는 자를 가리키는 것이다 . 이제 fa s 를 재론할 때가 되었다 . 우리는 이 개념이 〈발화〉라는 일반 적인 의미에 얼마나 깊이 물들어 있는지, 이 의미로부터 fa s 가 어떻게 그 종교적 의미 가치를 끌어 내는지를 알 수 있다 . 그러나 우리는 아직 도 fa s 가 왜 특이하게 〈법〉에 적용되는지를 모르고 있다 . 이 의미는 fas 가 고대에 실제로 사용되던 고정 표현에서 분석되어야 한다. 죽

어가 장엄한 발화 행위, 실증적인 명령, 즉 fa s 냐 ne fa s 냐 하는 의미 가 치는 바로 이 단어의 기원에서 생겨난 것이다 . 허락 사항과 . 금지 사항 을 결정하는 신의 발화 행위를 알고, 그것을 규범화하는 것은 주교(主 敎)나 사제의 고유 권한이다 . 다른 영역에서도, 특히 신탁과 이와 같은 근거에서 집단 의사(意思) 에 대해서도 그리스어 p Mrn i가 〈예라고 말하다, 긍정하다, 긍정적으로 대답하다〉라는 의미를 지니게 되었고, ou 沖funi가 〈아니오라고 말하 다, 거부하다〉라는 의미를 지니게 된 것이다. fa s 가 faturn 과 특별한 연관은 없지 만, 역시 이와 같은 일반적 인 의 미 에 속한다. 그러나 이 일반적 의미는 라틴어 자체 내에서는 확립되지 않았던 것이다. 이 일반적 의미가 이 어근 *bha 거층 갖는 형태 전체에 스며들었고, 이 어근은 이미 인도 • 유럽어 어휘에서 최초로 출현하는 어린아이의 말에서부터 신의 목소리가 드러나는 탈인간화된, 비인간적 인 집단 의사 표현에 이르기까지 발화의 초인적인 신비한 힘을 벌써 의 미하고 있었던 것이다. * 이제 한 가지 아주 중요하지만, 꽤 어려운 의미를 지닌 그리스어 파 생어를 조사해야 한다. 그것은 沖존mi에서 파생된 동사적 형용사 -p ha t os 이다. 이것은 p ala i-p ha t os 〈옛날에, 과거에 발화되고 표명된 것〉, 고대의 시어에서 사용된 형용사 t hes- p ha t os 와 반의어 a- th es p ha t os 에 서 합성어를 구성하고 있다. 학자들은 th es p ha t os 를 〈신에 의해 발화 된〉으로 해석하고(th es 가 〈신〉이란 명칭 th e6s 를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짐작되는 어간이기 때문에), 그래서 그 단어를 어떤 현상의 부가어로 사 용하여 〈경이로운, 기적 같은〉의 의미로 해석한다. 그러면 ath e sph ato s 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학자들은 이 단어에 대해서도 실질적으로 동일

한 의미인 〈경이로운, 기적적인 〉 이란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 이것은 문 자적으로는 〈신이라고 할지라도 말로 표현할 수 없는 〉 을 가리킨다 . 긍 정적인 형용사와 부정적인 형용사를 동일한 의미로 귀착시키거나 , 그것 이 용인된 이유는 거의 동일한 의미 가치를 갖는 듯이 보이는 용법들을 설명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이 해석은 언어학자에게는 이상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즉 어떻게 하나의 형용사의 긍정형과 부정형아 동일한 의 미를 지닐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 분명히 th es p ha t os 는 전대미문의 신적인, 신탁에 관한 사실에 대해 사용된다 . 그래서 그것은 운명(바로 이것이 t hes p ha t os 의 지배적인 의미 이다)과 관련된다. 그리고 중성 복수 넒 t hes p ha t a 는 신의 포고를 가리 킨다 그러나 the sph a t6 n esti (r noi, soi 등)란 표현은 특수한 의미 가치 가 있다. 그것은 〈숙명적〉인 성격의 통보(通報)이자 〈신들이 정한 운 명〉에 대한 예견이다.

예컨대 , 『일리아스』 5, 64 가 그렇다. ou n 8e&v tK 8tc r ¢aTa Mn 〈신 들이 그의 생명을 한시적으로 정한 것을 그는 알지 못했다〉(그가 자기 죽음을 맞으러 가고 있었다는 사실을 그는 알지 못했다).

사포3 ) 와 핀다로스에게 thes p ha t os 는 모든 신적인 통보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존재를 파괴하러 오는 것에 대해서 적용된다. 그리하여 우 리는 th es p ha t os 에 다음과 감은 의마를 부여하려고 한다 . 죽 〈신의 발 화 행위에 의해 한계가 지어전 어떤 것〉이 그것이다 . the sph a to s , p ala ip h t os( 형용사) 같은 표현에서 신적 특성은 동사적 형용사에 의해 분명히 드러난다. 그러나 th es p ha t os 의 첫 용어는 〈신〉 으로서가 아니라 〈한계〉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ath es p ha t os 를 고찰해 보자 이 부정 형으로부터 우리는 그 의 미 3) Sa pp hO( 기원전 7-6 세기) : 그리스 레스보스 섭 출신의 여류 시인 . 현재 보존된 650 여 행의 시 가운데 『 아프로디테에게 바치는 시가 Ode d A p hrod it e 』 가 유일하 게 손상되지 않고 전편으로 남아 있다.

가 〈어떤 한계, 경계가 정해져 있지 않은 것〉이 되어야 한다고 추론할 수 있다 바로 이것이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문자적인 의미이다 . ath e sp h ato s 6mbros( 『 일리아스』 3, 4) 란 표현이 있는데, 이것은 경이로 운 , 신적인, 기적 감은 비〔雨〕란 뜻인가? 전혀 그렇지 않다 . 그것은 〈끝이 없는 무한한 비이며, 어떤 한계가 정해져 있지 않은 비〉이다. 또 ath e sp h ato s t halassa( 『 오뒤세이아 』 7, 273) 의 개념은 시적인 과장이 섞 인 동일한 의미, 〈끝없는, 한이 없는〉이다. 또 ath e sph ato i b6es( 『오뒤세 이아 』 20, 211) 는 경이로운 황소들이 아니라 그 수가 무한하다는 뜻이 다. s it os 와 함께 쓰인 예( 『 오뒤세이아 』 13, 244) 도 마찬가지 뜻으로, 무 한한 양( 華 )의 밀을 가리킨다. 『오뒤세이아』에서 알키노스는 자기 손님(오뒤세우스)에게 모험담을 얘기하고 말을 시킨다 . 그는 밤을 이용하여야 한다. 〈지금 우리 앞에 끝 이 없는 (a t hes p ha t os) 밤이 다가오고 있다 . 〉( 『 오뒤세이아』 11, 373) 이러 한 의미를 헤시오도스의 『 신통기 』 (830) 에 나오는, 홍미 있으나 일반적 으로 잘못 해석되고 있는 용법에서 검증할 수 있다. 그것은 대지(大地) 신의 아들인 티포에우스에 대한 구절이다. 그는 괴물로서, 그의 어깨에 100 개의 뱀 머리가 나오며, 이 무시무시한 모든 머리에서 괴음이 울리 고 갖가지의(p an t o i존 n) a t hes p ha t os 한 말이 발화된다. 이것은 때로는 신들만이 이해할 수 있는 음성아고, 때로는 강아지가 짖는 울음소리와 비슷하고, 때로는 휘파람 부는 소리 갑다. 그런데 이 구철에서 p an t o i존 n 은 a th es p ha t on 에 의해 보완되고 있다. 그래서 그것은 실제로 〈온갖 종류의 (모든 성질의), 그리고 그 수가 무 한한〉을 의미해야 한다. 두번째 예를 헤시오도스의 『노동과 날들』 662 에서 볼 수 있는데, 이 시인은 여기에서 자기 자신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 〈무사(무사이) 신들은 내게 이 a th es p ha t on 한 노래를 부르는 방법을 가르쳐 주었다.〉 문헌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해석하고 있다. 〈내가 항해에서도 군선에서

도 듣는 것이 전혀 없다고 할지라도 나는 바다, 군선, 항해, 바다의 법 칙들을 노래하련다.〉 이 시인이 아무런 경험이 없어서 충고를 한다는 것은 대담한 용기가 필요하다. 〈그대에게 제우스의 계획을 말하지 않으 려고 한 것은 아니다 . 왜냐하면 무사(무사이) 신들은 〈경계가 없는 노 래〉를 부르는 것을 내게 가르쳐 주었기 때문이다.〉 사실상 〈경계가 없 는 노래〉는 〈어떤 노래든지〉를 뜻한다. p an t o i en 〈모든 종류의〉 참조. 바로 이것이 바다에 대해 아는 것이 전혀 없어도 감히 항해를 노래하려 고 하는 이유이다. 이러한 해석은 이 용어의 분석 자체가 제시하는 것 이다. 죽 a t hes p ha t os 는 〈일정한 경계가 없는〉의 뜻이고, t hes p ha t os 는 〈~에 경계가 부과된〉이란 뜻이다. 결론적으로 -p ha t os 로 구성된 합성어에서 그 성격상, 그리고 그 권위 로 인해서 신적(神的)인 발화 행위라는 관념이 나타난다. 동사 ph 존 m i의 고유하고도 심원한 의미 작용에 대한 더 분명한 증거를 바랄 수는 없는 만큼, p h 존mi가 일상 대화의 용법에 아주 멀리 퍼져 일반화되어 인간 발화 행위의 어떤 면모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되기까지 한다는 점을 강조해야겠다. 이 일상화된 용법에서 출발해서 pM me, ph~ mi s, pha ti s 와 같은 동사적 형용사와 용어에 잘 보존되어 있는 의미로 거슬러 울라 가야한다.

제 6 장 censor 와 aucto r ita s 요약 그 직능이 가장 특정하게 규범적인 것으로 되어 있는 로마의 행정관은 censor 로 불 린다. 또 그가 소집하는 원로원 의원들은 권한울 부여받은 자신들의 견해를 피력할 때

censor 는 행정관이지 만, 동사 censeo 는 〈추정하다, 판단하다 , 견해를 피력하다〉를 의미할 뿐이다 반면 census 는 전문적인 활동, 즉 재산을 감정하고, 시민을 분류하는 활동을 가리킨다. 이 동사는 라틴어 이외의 다른 이탈리크어군에서도 알려져 있다. 예컨대 오스카어에서 부정법 censaurn 〈 censere 〉과 라틴어를 모방한 명사 kenzstu r, kenzsur 〈 censor 〉가 있다. 다른 한편 인도 • 이란어에 대응하는 어간은 동사형과 명사형이 아주 발달했음을 보여 주지만, 눈에 띄는 의미적 차이가 있다. 그것은 산스크리트어 어근 sarns- 〈칭찬하다, ~에 대한 칭찬의 말을 발 화하다〉와 추상명사 sas ti〈찬송, 칭찬, 찬가의 낭송〉이다. 산스크리트어 sarns_ 와 나란히 이란어에도 다음과 같은 형태가 있다. 1) 아베스타어 sa n. h 〈엄숙하게 말하다, 의견을 말하다〉, 2) 고대 페르시아어 Banh- 와 Bah-. 이것은 똑같이 〈선언하다〉로 번역된다. 그리하여 인도 • 유럽어 동사 어간 *kens- 를 재구할 수 있다 이 형태의 의미는 모든 사전에서 한결같이 〈엄숙히 선언하다〉로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라틴어 용어가 지닌 아주 명확한 의미가 이처럼 막연한 정의 와는 잘 부합하지 않는다. 게다가 이 정의는 또한 다른 다수의 동사에 도 적용될 수 있다. censor 로 불리는 행정관은 우선 시민의 인구 조사 임무를 맡고 있다. censor 란 명칭이 지니는 그 모든 의미 작용은 census 〈국세 조사〉이다. 개인의 사적인 재산울 감정하여 각자에게 일정 한 계급을 부여하는 이러한 계층화 직무는 이미 전문적으로 분화된 그 어근의 의미로부터 유래되어야 하는 것이다. censor 는 원로원의 소집 (lec ti o senatu s) 임무를 맡고 있다. 그리고 종 족을 감시하고, 모든 종류의 무절제한 행위를 전압하는 임무도 맡고 있 다. 한 가지 예를 들면 지나친 과소비뿐만 아니라 도덕적인 규율을 위 반하는 행위 등이다. 여기에서 도덕적 의미를 지닌 censura 〈검열〉이 나 왔다. 마지막으로 그는 조세 칭수, 공공 사업을 관장하고, 낙찰자들과 국가 간의 관계를 조정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 이러한 여러 가지 직무

는 모두 censor 의 기본 직무인 census 〈국세 조사〉, 죽 시민들을 분류하 는 일과 연관되어 있다.

동사 censeo 는 자주 인용되는 고정 표현에서 사용된다(티무스 리위우 스 『 로마사』 I, 32, 11- 12 ). 누마 1) 가 작성한 선전 포고 절차에서 rex( 왕) 는 원로원의 의원들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자문을 구한다. die qui d censes 〈어떤 생각인지 를 말하라〉 -상대방이 대답한다-p uro pioq ue duello q uaerendas(res 가 내포되어 있다) censeo 〈정정당당한 전 쟁을 통해서 우리의 의무 를 다해야 한다는 생각에 동의한다〉 . 고정 표 현으로 원로원 의원은 전쟁을 지지하는 견해롤 표명하고, 그 필요성을 부각시킨다 . 바로 이 동사는 원로원 의결을 통해서 확정된 규칙을 선포 하는 기능을 갖는다

1) Numa Pom pili us( 기원전 715 - 672 년) : 로마의 2 대 왕.

바로 이러한 용법에서 censeo 를 〈판단하다, 생각하다, 평가하다〉로 번역하는 것으로 만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동일 어근을 지닌 명사 censor 와 census 는 인도 • 유럽어 어근의 고유 의미를 반영하는 더욱 명확한 의미 가치를 필요로 한다.

뒤메질이 바로 이 의미를 자세히 밝히려고 노력했다 .2) 그는 로마의 〈국세 조사〉를 이미 잠정적으로 포함하는 정의(이것은 인도 • 유럽어에 적용될 수 있다)에서 §ams - 의 개념을 사회학적으로 설명했다 . 즉 〈 censor 와 census 의 전문 기술적 의미는 이차적인 의미가 되어서는 안 되며, 그 반대로 가장 보편적인 일차적 의미를 지녀야 된다 . 애초부터 다음과 감은 정치적 • 종교적 개념을 분명히 제시해야 한다 . 죽 (사람 , 행위 , 의견 등을) 위계상의 그 적절한 제자리에 위치시켜, 이러한 것을

*2) 그의 저서, 『 세르위우스와 포르두나 : 칭찬과 비난의 사회적 기능과 로마의 국세 조사의 인구적 요소들에 대한 논고 Serv i us et la Forhme, Essai s11r la fon ct ion soci ale de Louang e et de Blame et s11r les elements ind o- eu rop ee ns du cens roma i n 』 , Pa ris, 1943.

공적인 정당한 평가에 의해서, 칭찬과 준엄한 비난을 통해서 수행해야 한다〉 (188 쪽). 통상적인 번역과는 대조적으로, 여기에서 아주 자세한 정의를 하고 있는데, 이러한정의를 통해서 라틴어 census, censor 의 의미는 인도 • 유럽어 공동체의 시기까지 거슬러 울라가게 된다. 이러한 정의를 인도 • 유럽어적인 것으로 제기하는 경우, 이 정의에는 라틴어 단어의 의미를 거의 그대로 모방한 요소가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일한 어근에 속하는 다른 단어들, 특히 이란어의 단어에 대한 연구 롤 통해서 우리는 여러 가지 뜻을 더 잘 설명할 수 있는, 다소 다른 견 해에 이르게 된다 . 고대 페르시아어의 증거를 분석하는· 것이 유익할 것 01 다. 1) 비문에서, 왕은 산스크리트어 §ams-, 라틴어 cens- 에 대응하는 동사의 현재 3 인칭 형태 8a tiy를 이용하여 자기 자신의 연설을 한 다. 그는 각 덱스트의 단락마다 다음과 같은 고정 형식의 표현을 도입하고 있다. 8ati y d 캄 a y avahu~ x~a y a8 iy a 〈다리우스 왕께서 이처럼 말씀하신다(선포하신다, 발표하신다)〉. 그 뒤를 이어 다양 한 길이의 설명이 나오고, 그러고 나서 위의 고정 형식 표현이 다 론 내용의 발화를 도입하기 위해 다시 나오고… 이런 방식으로 덱스트의 끝까지 이어전다. 이러한 표현 양식이 아케메니데스 왕 조의 모든 시기를 통해 사용된다. 2) 다리우스 왕은 자기 선조들을 그 시조인 Haxarnan i~(아케 메네스) 까지 열거하고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우리 는 자신들 (8ah y am ahiy)을 아케메니데스라고 부른다〉. 3) 다리우스 왕은 자기에게 충성을 다하는 민족들의 복종심과 자기 의 확고한 권력을 자랑한다. 〈짐에 의해서 그들에게 명령된 , 지 시된 (a8 ahiy a) 모든 것을 그들은 낮밤으로 수행했다 . 〉 4) 다리우스는 마침내 헤쿠干투스가 쓴 사이비 스메르디스인

(Smerdis ) 승려 가우마타 Gauma t a 에 이른다. 이 엉터리 승려는 그의 신하들을 속여서 왕권을 속임수로 찬탈했다. 그는 자신이 명 한 학살 때문에 심한 공포심에 사로잡혀 있었다 . 〈아무도 그에게 반대하는 말을 감히 한 마디도 말하지 8asta n aiy 못하고 있었다.〉 5) 다음에 왕의 권위를 찬탈한 모든 반역자들의 이름이 열거되고 있 다 . 각 반역자는 동일한 용어로 언급되고 있다 . 〈이러한 자가 반 역을 했다. 그는 “나는 유일한 합법적 왕이다”고 말하면서 (a8aha) 권력을 잡았다.〉 6) 비문 끝에 왕위 죽위에 대한 이야기와 자기 정치에 대해 설명한 뒤에, 다리우스는 미래의 독자를 향해 말한다 . 〈만일 그대가 이 비문을 읽게 되면 , 그리고 다른 사람에게 이 글을 읽히게 되면, 그 리고 이 비문이 담고 있는 내용을 말하게 (8ah y) 되면, 아후라 마 즈다가 그대를 보호하고 그대의 후손은 영원할 것이다. 만일 그대 가 이 비문의 내용을 숨기면 아후라 마즈다는 그대를 피하고 그대 는 후손을 얻지 못할 것이다 . 〉 7) 마지막으로 〈다리우스의 유언〉이라고 불리는 비문에, 이 왕은 사 람이 다른 사람에 반대해서 말하는 (Sa tiy) 것에 관해서 따라야 할 규율을표명한다. 우리는 이 동사의 모든 형태와 용법을 살펴보았다. 물론 주마간산식 독서를 통해 우리는 구절에 따라서 〈말한다, 발화하다, 처방하다〉 또는 〈~로 불리다〉와 같은 등가치적 의미로 만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의미를 더욱 자세히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가장 빈번히 나타나는 용법 인 1) 이 가장 유용한 것은 아니다 . 이 고정 형식 표현은 다른 용법들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오히려 4) 를 보자. 아무도 가우마 타에 반대해서 아무것도 감히 〈말하려고〉 하지 않았다 . 모두들 그를 두 려워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고대 페르시아어에 〈말하다〉를 나타내는 다

른 동사(g aub- )가 있다. 아것은 〈전실을 말하다〉란 의미이다(많은 사람 둘이 왕위 찬탈자의 정체를 알고 있었다. 그리고 아우마타는 자기 정체가 알려지는 것이 두려워 수많은 사람들을 죽이게 했다). 분석적으~ 말해서 〈말하다〉는 여기에서 〈그가 실제로 어떤 자였는지를 말하다〉를 뜻한다 . 마찬가지로 5) 반란자들의 우두머리들은 왕의 칭호를 거짓으로 자칭하 고 있었다. 그들은 〈(허위로) 말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전실을 말 하는 것으로 가장했고, 그들의 주장은 권위 에서 나왔다. 다음으로 6) 그대가 이러한 사실을 백성들에게 선언하여 알리는 경 우, 즉 그대가 〈(그 선언에 담긴 사실을) 말한다면〉, 다시 말해서 그대가 그것의 참된 내용을 발표하면 7) 디론 사람에 반대해서 어떤 사람이 〈말하는〉 내용, 즉 이 발화는 진실을 자처하며 , 그것은 법적인 소추를 받을수도 있다. 이제 용법 2) 로 다시 돌아가 보자. 2) 시조(始祖)인 Haxam ani~(아케 메네스)로부터 자기 선조들의 이름을 열거한 뒤에 다리우스 왕은 다음 과 같이 결론을 내린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아케메니데스족이 라고 불린다 . 〉 이것은 왕조의 정당화를 선언하는 말이다. 즉 우리는, 우 리 자신들의 진정하고도 참된 신분으로서 우리가 아케메니데스족이라 는사실을진술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일상적인 용법을 언급해 보자. 죽 덱스트의 각 전개 과정을 도입하는 이 동사의 용법이다 . 왕이 8a tiy한다, 죽 그는 진상을 〈공언한다〉 . 다시 말해서 다리우스 왕은 자신이 얘기하는 사실의 실상 내에서, 그리고 아후라 마즈다와 왕에 대한 의무의 실상 내에서 전실을 확립하고자 한다. 사실적인 진실과 규범적인 진실 이 두 가지를 동시에 확립하고자한다. 그래서 이러한 조사 끝에 우리는 이 동사의 정의를 얻을 수 있는데, 그것은 거의 다음과 같을 것이다. 죽 〈권위를 가지고서 진실인 것으로 단언하다, 사물의 본질과 일치하는 어떤 것을 말하다, 행동의 규범을 발

화하다〉이다. 이처럼 〈말하는〉 자는 지고의 위치에 있다. 그는 사물의 전실을 선언함으로써 그것을 확정짓는다. 그는 필수적으로 부과되는 것, 죽 사실의 전상 또는 의무의 진실의 의무를 엄숙히 발표한다. 바로 이와 같은 의미가 인도 • 유럽 제어의 한 언어인 고대 이란어가 우리에게 제시해 주는 증거이다 . 고대 페르시아어는 아베스타어 sanh_ 의 용법에 의해서 확증되는 반면 , 그 의미는 베다 산스크리트어에서는 칭찬을 나타내는 발화 표현 sams- 〈선언하다 . 칭찬하다〉로 발달했다. 이제 우리는 censeo 를 재론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의 정의는 censeo, census, censor 가 로마 제도에서 획득한 의미의 전문화를 설명할 수 있 다. censor 는 권위로써 사실의 전실을 구체적으로 천명하는 것이기 때 문에, 그는 사회 내에서 각자의 입장과 지위를 표명하는 것이다. 바로 이것이 census, 즉 지위와 재산의 계층적 평가이다. 더욱 일반적으로 censeo, 그것은 모든 사물을 그것의 정당한 가치로 〈평가, 감정하는 것〉 이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권위가 필요하다. 바로 여기에서 quid censes?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죽 왕이 원로원 의원들에게 하는 질문이 생겨났다. * censor 의 보완적인 개념이 있는데, 이 개념은 라틴어의 용법에서 censor 와 언제나 함께 연관되어 있고, 또 우리의 정의에 함축된 내용이 기도 하다. 그것은 〈권위〉의 개념이다. 그래서 censeo 는 auct or , auc t o rit as 와 아주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 이들 단어는 무엇을 의미하며, 어원적인 근거는 무엇인가? auc t or 가 au g eo 의 행위자 명사러는 것은 분명하며, 보통 〈성장시키다, 증가시키 다〉로 번역된다. au g eo 에 대응하는 단어로 그리스어 현재형 auxano 가 있고, 또 한편 교체형으로 *weg -, 독일어 waschen 이 있다. 이러한 교

체의 두 상관 형태로 나타나는 인도 • 유럽어 어간은 〈증가시키다〉를 의미한다 . 그러나 인도 • 이란어의 대응 형태는 오직 명사적인 것뿐이 다. 산스크리트어 o j a }:l (-s 로 된 중성)〈힘, 권력〉, 아베스타어 aog ar -, aoJ ah- 〈힘〉, 산스크리트어 형용사 ug ra- , 아베스타어 u gr a - 〈강한〉. 라틴어 자체에서도 aucto r 의에도 고대의 남성화된 중성 au gu r( 새점 L 鳥 占져 명칭)가 있고, 별도의 단어군에 속하는 파생어 au gu s tu s 가 있다 . 우리는 이 단어군이 지닌 두 가지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이들은 정치 영역과 종교 영역에 속하며, 몇 가지 하위 단어군으로 나뉜다 . 죽 aug eo , aucto r , au gur의 단어군이다. 〈권위〉의 개념이 과연 어떻게 해 서 순전히 〈증가시키다, 성장하다〉를 의미하는 어근에 기원을 두게 되 었는지 알아 보고자 한다. 사전들은 한결같이 이 동사를 이처럼 번역함으로써 auc t or 를 〈자라 게 하는 자, 작가(作家)〉로 제시하고 있다. 이 정의는 이상하게 보이고, 또 어쨌든 부족한 듯이 보인다. auc t or 의 깊은 의미는 단지 〈성장시키다〉의 의미와 관련되는 것 같지만 이것은 전혀 만족스런 것이 아니다. auc t or 의 개념, 그 추상명사 auc t or it as 의 개념은 aug eo 가 실제로 가지고 있는 〈증가하다〉란 의미와 조화되기 어 렵고, 이는 논란의 여지가 없다 . 그러나 이것이 동사 au g ere 의 일차적 의 미 인가? au gur는 잠시 보류하고 뒤 에 가서 다시 살펴보자. 인도 • 이 란어에서 어근 au g-는 〈힘〉을 가리킨다는 사실이 관심을 끈다 . 더욱이 아베스타어 ao J ah- 와 그 파생어와 마찬가지로 산스크리트어 oj as- 는 무 엇보다도 신들의 〈힘〉을 가리킨다. 아베스타어 형용사 aoJ ahvan t-〈힘 이 있는〉은 거의 오로지 신만을 수식하는 수식어이다. 이것은 벌써 자 연의 권능, 특수한 효력을 지닌 힘을 가리키며, 신들이 지니고 있는 속 성으로서의 힘이다. 인도 • 이란어에 고유한 의미에 대한 조사는 보류하 고 라틴어에만 국한해 보자 . 여기에서 문제는 흔히 그렇듯이 일차적 용

어의 고유 의미를 정확하게 정의하는 것이고, 그 결과 그 파생어도 설 명할 수 있다 . 그런데 다양한 용법에서 나타나는 auc t or 의 의미는 au g eo 에 부여하는 〈증가시키다〉의 의미에서 파생될 수 없다. au g eo 가 지닌 의미의 상당 부분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채로 있고, 바로 여기에 그 의미의 본질적인 부분이 있으며, 이 본질적인 부분으로부터 특수한 의미 한정이 생겨나서 서로 다른 단위들로 분열된 것이다 학자들은 au g eo 를 〈증가시키다〉로 번역하기를 고집한다. 이것은 고 전어에서는 정확하지만 그 전통의 초기에서는 그렇지 못하다. 우리로서 는 〈증가시키다〉는 〈성장시키다, 기존의 것을 더욱 크게 만들다〉와 의 미적으로 등가치이다 . 바로 이것이 au g eo 와의 차이로서, 학자들에게 간 과된 부분이다. 가장 오래 된 용법에서 au g eo 는 존재하는 것을 성장시 키는 현상이 아니라 자신의 내면으로부터 밖으로 산출시키는 행위를 가리킨다. 죽 성장 환경에서 어떤 것을 드러나게 만드는 창조적 행위이 며, 신의 특권이나 위대한 자연의 힘이 지닌 특권이지 인간이 지닌 특 권은 아니다. 루크레티우스3 ) 는 탄생과 죽음의 보편적 리듬 가운데 생물 의 발생 과정을 추적하면서 이 동사를 빈번히 부각시키고 있다. qu odcumq u e alia s ex se res aug et alitq ue 〈자기로부터 생겨나서 다론 것들을 키우는 모든 물체〉(『자연론』 322 행), morig e ra ad fruge s aug en das atq u e ani man ti s 〈식물들과 생물들을 쉽게 탄생시키는〉 (V, 80 행) . 고대의 기도문에서 로마인들에게서 au g ere 는 신들에게서 기대하는 은혜, 자신들의 모든 일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은혜를 가리켰다. Diui diu i a e q u e ... , uos pre cor qu aesoq u e uti qu ae in meo impe ri o ges ta sunt, ger untu r, pos tq u e ger entu r, ... ea uos orn nia bene iuu eti s, bon is aucti bu s aux iti s 〈신들과 여신들이여, 당신께 간구하여 기도하오니 나의 impe ri ur n 아래에서 과거에 이루어전 일, 지금 이루어지는 일, 앞으로 3) 제 1 권 1 편 제 8 장 각주 10) 참조

이루어질 일이 어떤 것이든 당신들이 이를 도와서 이들이 훌륭하게 성 장하도록 하소서〉(티두스 리위우스, 『로마사』 29, 27). auc t or 란 행위자 명사가 나타내는 것도 바로 이러한 의미이다 . 모든 영역에서 〈증진시키는〉 자, 선취권을 지닌 자, 어떤 행위를 최초로 유 발시키는 자, 기초를 닦는 자, 보증하는 자, 마지막으로 〈장본인, 저자〉 롤 auc t or 라고 명 명 했다. auc t or 란 개념은 특수한 많은 뜻으로 분화되 었 으나 그 개념은 au g eo 〈밖으로 나오게 하다, 증진시키다〉의 일차적 의 미와 분명 관련된다. 이로써 auc t or it as 라는 추상명사의 완전한 의 미 가 치가 파악된다. 죽 그것은 산출의 행위 또는 최고 행정관이 지닌 자질, 또는 증거의 효력, 선취권 등을 가리키며, 이 모든 것은 auc t or 의 의미 적 기능의 한 가지와 연관된다. 또한 au g eo 와 종교적 용어 au gu r 를 연관시킬 수 있다 . 이것은 벌써 라틴인들의 언어 의식에 있었다. au gu r 는 우선 신들이 어떤 사업에 부 여하여 그 전조(前兆)로서 드러니는· 일의 〈향상, 중전〉을 가리키는 고 대의 중성명사인 것 같다. 이는 au g ere 라는 행위가 신(神)에게 기원을 두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 준다. au gu r 의 쌍립 어 인 *au gu s 는 형용사 au gu s tu s 에서 파생되었고, augu s tu s 는 문자적으로 〈 *au gu s 가 있는〉, 즉 〈이러한 신적(神的)인 성장을 지닌, 신이 성장을 시키는〉을 뜻한다 . 고대로부터 이 모든 언어 사실이 다섯 가지의 독립된 단어군으로 분 할되 었다. 1) au g eo 와 aug rne n, aug rne ntu m, auctu s, 2) auc t or 와 aucto r i tas , aucto r o, 3) au gur와 aug uri u m , aug uro, 4) 고유명 사가 된 칭호 au gu s tu s 와 이로부터 생겨난 aug us ta l is , aug us te u rn 등, 5) aux ili um 과 auxil ior , auxil iaris. au g eo 의 일차적 의미는 auc t or 를 거쳐 auc t or it as 에서 다시 발견된다. 〈권위 (au t or it e) 〉를 가지고 표명된 모든 발화는 세상에 변화를 가져오 며, 어떤 것을 창조한다. 이러한 신비한 특질은 aug eo 가 표현하는 것, 죽 식물을 자라게 하는 힘, 법이 생기도록 하는 힘 그것이다. au ct or 인

자, 증진시키는 자, 이 사람만이 인도인들이 o j ah 라고 부르는 이러한 특 질을 갖추고 있는것이다 〈증가시키다〉가 aug eo 의 이차적인 의미이자 이것의 의미가 약화된 것아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알 수 없는, 강력한 의미 가치들이 이 auc t or it as 에 참재하고 있다 이 재능은 어떤 것을 생기게 하는, 따라서 문자 그대로 무( 無 )에서 유( 有 )를 존재하게 만드는 극소수의 사람들에 게만 고유하게 주어지는 것이다 .

제 7 장 q uaes t or 와 *pre x 요약 라틴어 q uaero 〈찾다, 요구하다〉(여기에서 qua esto r , q uaes t us 가 생겨났다)는 어원 이 없는 단어로서 pre cor, * p rex 〈기도하다, 기도 〉 와 아주 밀접한 관계 를 맺고 있는데, 이 관계를 자세히 설명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라틴어 자체 내에서 이 두 용어는 오래 된 고정 표현 Mars pa te r , te pr ecor q uaes oque 〈 아버지 마르스여, 당신께 기도하고 간청하나이다〉에서 중복되어 나타나는 잉여적인 것으로 보일 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 에서도 *p rek- 의 파생어(아일랜드어 fras a, 고대 고지 독일어 fo rscon) 는 라틴어 q uero 의 의미와 서로 일치하고 있다 . 따라서 * p rek- 가 단독으로 출현하는 언어에서 결정적인 표지가 없기 때문에 이 두 용어의 차이를 알아볼 수 있는 곳은 라틴어 자체 랸 l 다 . 순전히 말로 요구하는 것(p recor, p rocus) 을 가리키는 *p rek- 에 대해서, qua ero, q uaes tu s 〈획득 수단, 이익〉, q uaes ti o 〈질문, 고문〉, q uaes t or 〈예심판사 〉 와 〈재무관〉의 단어군은, 사람들이 찾고자 하는 것을 얻기 위해 이용하는 수단이 비언어 적 • 물질적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정의된다 . 지금까지 연구한 용어에서, 출발점이 되는 의미를 결정하도록 일반적 으로 도와 준 것은 어원이었다 . 그러나 어원이 없는 경우도 있다. 그래 서 이 경우에는 오직 공인된 용법만을 가지고 조사해야 한다. 바로 이러한 조건에서는 어휘의 대립, 분화된 차이가 그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두 용어의 관계를 맺게 하면서 서로를 구별짓 고, 고찰 중인 용어를 각각 밝혀줄 수가 있다. 그런데 고찰할 어휘 계열, 특히 라틴 어휘에서 두 단어가 나타나는데, 그 하나는 동사 q uaero 이고, 다론 하나는 이 동사의 행위자 명사 q uaes t or 이다. 이 동사의 의미는 일반적인 것이지만, 그 파생어의 의미 는 특수하게 분화되었다. q uaero 는 〈찾다, 구하다〉로 번역된다. 반면

q uaes t or 는 예심판사의 자격과 동시에 재물을 관리하는 자의 자질을 가 진 행정관(재무관)을 가리킨다. 재판 용어에서 q uaero 〈찾다 , 탐구하다, 심문하다〉는 그리스어 z 존t e i n 과 등가치적인 의미를 지닌다. 그렇지만 이 동사의 용인된 번역은 이 동사에서 유래하는 quaes t or 란 명칭의 의 미를 잘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 더욱이 다른 언어에서 라틴어 q uaero 와 동일한 용법을 갖는 동사가 있는데 , 그 어근은 라틴어 pre cor, * p rex 에서 나타난다. 라틴어 동사 q uaero 와 pre cor 사이에는 차이점이 있고 , 더욱이 p recor 에 대응하는 어근의 형태들은 어떤 유형의 행위 - 여기에서 q uaes t or 가 전문적으 로 분화되었다――를 가리킨다 . 따라서 유사한 의미를 지닌 두 동사가 언어에 따라서 서로 달리 분화된 것이 문제이다 . 어원이 전혀 없는 상 황에서 이들 용법의 제 조건만이 우리에게 해결의 빛을 던져 준다 . 우선 q uaero 를 그 자체로, 그리고 q uaes t or 와 관련지어 고찰해 보~}. 원래 q uaes t or 는 디음과 같은 완전한 명칭을 지닌 행정관을 가리켰다 . 즉 qua esto r pa ric idi et aerar i〈공공 재물 관리와 살인자 심문의 책무를 맡은 자〉 또는 더 단축해서 qua esto r p ar ici d i가 그것이다. 국가 재정 (aerar i um) 의 관리자로서 q uaes t or 의 직무는 일차적인 그의 직무와 비 교해 볼 때 이차적이었다 . 다음의 페스두스, 『 요약 』 247, 19 를 참조하라 . 즉 pa rric idi qua esto r es app e llabantu r qui solebant creari causa rerum cap ital i um q uaerendarum 〈주요 범죄에 대해 심문하기 위해서 만들어 진 자들을 pa rric idi q uaes t ores 라고 불렀다〉. q uaes t or 를 설명하는 고정 형식 표현에서 q uaero 가 의도적으로 사용 되었음에 유의해야 한다. 벌써 여기에서 이 동사의 의미를 더 자세히 해석하도록 하는 전문 기술적인 용법이 나타난다. 죽 우리는 q uaero 의 전문화된 용법에서 출발해서 q uaes t or 의 의미 가치를 찾고, 특히 qua esto r p ar ici d i란 칭호에서 그것을 찾아야 한다 . 여기에서 pa ric idi u m , p ar ici da 란 주제에 대해 잠시 논의해 보자 . 아

주 오래 된 이 용어에 대해 아주 상이한 일련의 해석이 최근에 제시되 었는데, 이 용어에 대해서는 로마인들조차 뚜렷한 견해가 없었다 .

우선 p ar i-의 어원을 p a t er 로 보는 해석이 있다. 이 어원은 분명히 거부해야 한다. 오늘날 많은 비교 언어학자들이 p ar i - ci da 의 첫 요소를 〈사람〉 일반을 의미하는 단어로 보아야 한다고 제의한다. 이는 바케르 나겔의 주장 1) 으로 그는 p ar ici da 가 사람을 살인하는 살인자 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용어라는 생각에 근거를 두고 있다. 또한 서부의 어휘 이의에 서는 알려져 있지 않은 〈사람〉의 명칭을 p ar i - 에서 재발견할 수 있으 며, 이는 산스크리트어 Puru$a 〈사람〉에 대응한디는 것이다 . p uru~a 가 *p ur~a 에 근거한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이러한 비교에는 형태상의 큰 난점은 없다. 그러나 이러한 비교를 가로막는 장애물은 합성어의 의미 자체와 로마인들의 고대 법제에서 나타나는 그 관례이다.

*1) 『 그노몬 Gnomon 』 VI, 1930, p.4 9 9 이하= 『 소논문집 Klein e Sch rift en 』 II, 1302 이하

우리 견해로는 p ar i - 의 전통적인 어원을 그리스어 P 즌 6s( 고대의 *pa - so- )로 해석하는 것을 견지하는 입장이 필요하다고 본다 . 왜냐하면 이 어원이 여러 번 입증되었고, 재차 확증된 것이기 때문이다 - 예컨대 가장 최근에 제르네 L. Gerne t 2) 에 의해서 증명되었는데, 그는 법률적인 논증을 통해 이러한 해석을 고수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 주고 있다.

*2) 『 문헌학지 Revue de Ph i lolo gi e 』 , 63, 1937, pp. 13 -29.

그리스어 용어 p e6s 는 원래 〈결혼에 의한 친족〉을 가리켰다. 예컨대 『 일리 아스』 (3, 163) 에서 이것이 phi los 와 연관되 어 있음울 볼 수 있다 .3) 『오뒤세이아』 (8 , 581 이하)에서 다른 친족 명칭과 함께 사용된 것을 볼 수 있고, 이들 친족 명칭은 이 용어의 의미를 분명히 보여 주고 있다. 〈그대는 일리오스 앞에서 죽은 P 존 6s 가 있던가요? 사위든 장인이었든, 틀림없이 고귀한 사람이었겠지요` 사실 사위와 장인은 우리 자신의 혈

*3) 제 1 권 , 392 쪽 이하.

육 다음으로 우리와 가장 가까운 사이지요、 아니면 다정하고 고귀한 어 떤 전우가 전사했던가요? 슬기로운 것을 알고 있는 전우야말로 형제 못지않으니까요.〉 그리하여 P 즌 6s 는 한편으로 g arnbros 〈사위〉와 pe n- t her6s 〈장인〉와 연관을 맺고 있고, 다른 한편으로 he t a i ros 〈동료, 전우〉 또는 p h il os 와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P 존 6s 는 혼인 관계를 맺은 자를 가리킨다 P 존6s 가 정의하는 친족의 범주는 바로 이것이다 죽 부족 내 에서 맞은 혼인에 의한 친족이다 . 아 친족 관계는 아주 명확한 의무를 부과하는데, 특히 자기 편에 속한 자에게 폭력을 가하는 경우에 그렇다. 존속 살해에 대한 누마 폼필리우스의 유명한 덱스트를 언급해 보자 ( 페 스무스, 위 의 인용서 ) . Si qui s hom ine m lib e rum dolo sci en s morti duit , p a rric ida s es t o 〈어떤 자가 자유인을 의도적으로 속여 죽음에 이르 게 하면, 그는 p arr ici das 가 될 것이다〉. 이 글에서는 로마의 모든 법전 과 의례에서처럼 이들 단어가 그 완전한 의미를 가져야 한다 . 자유-인, 죽 출신이 자유인인 사람을 의도적으로 속여 죽이는 자는 parrici das 임 에 틀림없고, 〈혼인에 의한 친족(혼족)의 살해자〉로 간주되어야 한다. 우리가 살펴보았듯이 한편으로는 가족 내에만 고유한 가족법의 규정 이 있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여러 가족 사이의 관계를 정하는 가족· 간 의 법이 있다. th em i s 와 d i k 존는 이와 같은 법규의 의미적 영역 내에 연 루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사람들이 자유인을 죽인 자를 parricida s 와 동일시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가족의 살해자 개념이 사회 자체 내의 살해자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다. 살인 일반은 고대의 법규에서는 살인으로 처벌을 받는 대상이 아니다. 처벌을 받을 수 있으려면 살인이 그 집단의 사람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 그래서 자연적 집단의 경계를 넘어서는 윤리 역시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qua esto r p ar ici d i의 활동이 집 행되는 곳은 모든 혼인 관계까 지 확대된 가족 집단으로 간주되는 사회 집단이다. 이러한 의미 한정을 이용해서 동사 q uaero 의 의미를 파악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심문하다,

조사하다〉란 의미는 q uaes t or 와 q uaes t or 의 파생어와 아주 분명하게 연 결되어 있어서 그 일차적인 의미로 제시될 수 있다. 그 원래의 참된 , 옛 의미를 보증하는 다른 예에서 출발하는 것이 좋겠다. 이 예는 밭〔町의 재계식( 齋 戒式) 때 Mars p a t er( 아버지 마르스)에게 간구하는 오래 된 기도이다(카토 『 농경론 』 141). 이 문헌은 옛 어법이 풍부하여 그 자체로 아주 중요하다 . 고대의 내용이 그대로 보존되어 우 리에게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 책에 〈 su-oue- t au ri li a 〉라고 불리는 제사를 거행하는 장면이 나오 는데, 이 용어의 조어법은 앞에 4 ) 분석된 바 있으며 , 아주 심원한 사회적 상칭을 나타낸다 . 제사에 사용되는 동물들의 순서와 성질은 우연한 현 상이 아니다. 여기에서 세 마리 상칭적인 동물들이 나온다. 돼지는 대지 의 신 케레스에게 바쳐진다. 돼지는 땅의 풍요한 생산력과 연관된다. 황 소는 전통적으로 유피데르나 제우스에게 바쳐진다. 그것은 가장 신성하 고, 장엄한 제사에 사용된 동물이며, 똑같지는 않지만 위대한 신들의 사 제들이 제사를 직접 집행하는 제사이다. 이 두 동물 사이에는 언제나 흔히 양, 거세하지 않은 숫양이 있는데, 이것은 전사( 戰 士)의 동물이다. 바로 이것이 정확히, 상칭적 동물로 표상되는 세 사회 계급이다. 또 바 로 이것이 재계식 제사의 핵심이다. 〈 suoue t aur ili a 〉라고 불리는 이 제 사는 세 사회 계층들을 상칭적으로 집합시키고, 이 엄숙한 단체 제사에 서 간구하는 위대한 Mars 신에게 이들을 복종시킨다. 이 상칭은 이와 갇은 기도가 고대에서 유래함을 보여 준다. 그런데 이 기도는 다음과 같은 간구로 시작된다 . Mars pat e r , te pre cor qua esoq ue uti sie s uolens pr op itius ... 〈 아버지 마르스여, 당신이 기꺼이 호의를 가져 주시기를 내가 당신께 기도하고, 내가 당신께 구하오니〉. 이것은 동일 어구의 반복인가? 어떤 학자들은 이 종교어를 불필요한, 따) 제 1 권 , 32 쪽.

잉여적인 것으로 비난하는 것을 당연시한다. 용어들이 마치 동일한 표 현을 중첩시켜 놓은 듯이 중복되고, 심지어 세 번이나 반복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 그런 것이 아니다 조사해 보면, 이러한 병치가 실제로 동 일한 또는 거의 유사한 용어들을 관련짓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간 파할 수 있다. 각 용어는 각기 그것의 완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바로 이것이 모든 기도의 효력의 조건이다. 두번째 예는 루크레티우스가 제공하고 있다. pre ce q uaes it(『자연론』 V, 1229) 〈그는 기도로 구한다〉. 이처럼 *p rex 와 q uaero 가 결합되어 있 는 예가 우리의 분석에 가장 유용하다 . 마지 막으로 특히, 동사 q uaero 와 반복적 의 미를 지닌 형 태 qua eso 〈줄기차게 요구하다〉가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자문해 보아야 한다. 나 는 고대 로마법에서 결혼식의 목적을 표현하고 있는 고정 형식 표현을 다른 관점에서 조사할 기회가 있었다 . 그 표현은 libe rum(-orum) qua esundum(-o r um) causa( gr a ti a) 〈(합법적인) 어린애를 얻기 위해〉 5) 이다. 여기에서는 이 동사를 〈얻다〉 이의의 다른 방식으로 번역할 수 없다. 어쨌든 여기에서는 줄기차게 요구하고, 여러 번 반복해서 기도하 는 것을 문제로 삼는 것은 아니다. 끝으로 명사 파생어 q uaes tu s 는 그 일반적인 용법으로는 〈이득〉과 자기 생계를 구하는 수단, 죽 〈직업〉을 가리킨다. 이 용어는 q uaes t or 로 시작해서 q uaes ti o 〈(법적) 심문〉 또한 〈고문〉(여기에서 q uaes ti ono 〈고문 울 이용해서 탐색하다, 고문하다〉가 생겨났다)으로 이어지는 법률적 용어 의 계열을 완전히 벗어나 있다. q uaero 의 의미군에 속하는 주요한 용어 의 계열과 이들 의미의 다양성을 거의 모두 제시했다. 이제 또 다른 정확한 의미 한정을 위해서 이와 관련된 동사 p recor 로 념어가자. *5) 제 1 권, 381 쪽 이하 .

이 현재형은 잘 알려진 어근 *p erk-/ * p rek- 에서 파생되었다 . 그리 고 이 어근은 아무런 의미적 차이 없이 두 가지의 어간으로 대개 나타 나고있다. 라틴어에는 *pre x, pre cor, p osco( p reco 의 시작상(相) 현재), po stu l o 가 있다. 이들 동사 각각을 특정하게 한정하는 의미 차이와 마찬가지로, 이들 형태 사이의 관계는 언어 의식 내에 그대로 간직되어 있다 . 라틴어 이의의 언어에서는 1) 동사 어간으로, 산스크리트어 p:rcc ha- 〈요구하다〉, 이란어 p:r s(<* p erk- )와 fras (<*p re k-) ; 고대 슬라브어 pro siti , 리두아니아어 p ra~ yti가 있고, 2) 명사로, 산스크리트어 pra t- (vi v 료 ka) 〈재판관(문자적인 의미는 p ra t를 자르는 자)〉가 있다. 의미는 이 용하기 좋게 한정되어 있다. 그것은 p ra t가 법률적인 의미에서의 〈질문, 심문, 심리〉를 뜻하며, 따라서 q uaes t or 의 q uaes ti o 에 대응하는 등가치 적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산스크리트어 p ra t에는 또한 고대 고 지 독일어 £ra ga < F r age , 질 문〉가 대응하는데, 이것은 *p rex 와 단지 어 기의 5 가 차이가 있을 뿐이다. 3) 다른 의미 영역에서, 라틴어 p rocus 는 결혼을 〈요구하는〉 자, 죽 구혼자를 가리킨다. 이 자세한 의미는 리두아니아어 pii'~ti(구혼하다)에 서 다시 나타난다. 4) 라틴어 p osco 가 가지고 있는 현재 형 태소 _ske_ 가 있는 동사로 아베스타어와 페르시아어 fr asa 〈조사하다, 요구하다〉와 〈처벌하다, 벌주 다〉가 있다. 예컨대 avam hu fra~ ta m a p rsam( 여기 hu fr a~ t am 에는, 이 동사의 분사 fr a~ ta-가 포함되어 있다)〈다리우스 왕은 말하기를, 내게 불 복한 그 자, 나는 그 자를 심문했다. 그리하여 그는 심문을 철저히 받았 다〉. 죽 이것은 〈나는 그를 심하게 처벌했다〉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재판관에 대해 사용되는 고대 고지 독일어 fo rscon 〈탐색하다, 조사하 다〉이 있다. 이처럼 대다수의 언어에서 *p rex- 의 특수한 형태와 용법이 q uaero 와

일치하지만, 언제나 라틴어만은 예의이다 . 죽 산스크리트어, 이란어, 고 대 고지 독일어가 서로 일치한다.

*p rek- 의 용법과 특수한 형태들의 요약표

Lat. *pre x vsk.hr..a . pfrraa g t-av iv ii k a lliatt.. ppirro~ c tiu s skr. p:rcc h- pre cor v(s.ks 1r.. p:rs-p , roi rs. itf ir as 참조) lit. pra ~y ti v.h.a. fors con POSCO ir. frasa (q uaero 의 단어족에 속하는 단어와 의미가 일치하는 단어 - 라틴어 이외의 언 어에서는 사실이다- 는 이탤릭체로 되어 있다.)

하지만 라틴어 자체에서는 두 동사가 아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서 이들의 의미 작용까지 서로 긴밀하게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을 보았 다. 이제 이들이 어떻게 일치하며,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 수 있 다. 두 경우가 모두 요구를 표현하는 것이지만, 그 수단이 서로 다르다. 즉 pre cor, *p rex 는 행위자 명사 p rocus 〈결혼을 요구하는 자〉와 비교되 어야 하고, *p rex 는 사람들이 신에게서 바라는 것을 얻기 위해서 특별 히 신들에게 향해서 오직 말로써 구하는 요구이다. 바로 이 같은 특칭 이 p rek- 의 변별적 특성이다. 이것은 상위의 권위자를 향해서 하는 언 어적 요구이며, 말 이의의 다른 수단을 사용하지 않는 요구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q uaero 는 파생명사 qua esti o, 특히 q uaes tu s 와 더불 어 다른 요구 절차를 가리킨다. 즉 q uaes tu s 〈획득 수단, 이익 자체〉,

q uaes ti o 〈질문 , 심문-고문〉, 동사 qua ero 자체는 모두 언어적인 요구로 무엇을 알거나 얻으려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물리적 수단으로 무엇을 손에 넣으려는 것이다 .

그것은 정확히 말해서 사람들이 구하기를 간청하는 정보나 요구된 호의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물질 , 흔히는 이득을 가리키며 , 생계나 활동에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는 구체적인 어떤 것을 말한다 . 이러한 의미는 libe rum qua esundum causa 〈어린아이를 얻으려는 이 유〉 같은 표현에서 증명되는데, 이는 무엇을 (알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얻으려고 노력하다〉를 뜻한다. qua estu s , q uaes ti o 도 또한 이러한 의미 룰 분명히 보이고 있으며, 그것은 qua erere u ictu m 〈양식을 구하다 , 생 계를 얻다〉, qua erere rem 〈부유해지다〉에서도 드러난다 . 또한 테렌티우 스에서도 이러한 의미를 읽을 수 있다. hunc abduce, uin ci, qua ere rem( 『 두 형제 Ad. 』 6) 482) 〈그를 데리고 와서 묶고, 그에게서 어떤 것을 얻어라〉, 즉 〈적절한 수단을 사용해 그에게서 진실을 강제로 토로하게 하라〉를 뜻한다. 사람들은 물리적 수단을 이용하여 막연히 res 로 지칭 하는 어떤 것을 얻으려고 노력한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단지 그것을 얻 으려고 사용된 수단만이 고려될 뿐이다 . 그것은 말로 요구함으로써 이 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

6) 『 두 형재 』 는 고집 센 형과 순종적인 동생의 교육에 관한 이론과 그 결과 를 다루 고 있다 . 제 1 권 1 편 제 8 장 각주 9) 참조

따라서 pre cor q uaeso que 라는 고정 형식 표현은 동어 반복이거나 수 사적 인 중복이 전혀 아니다 p recor 는 *p rex 를 이용하여 요구하는 것이 다. 따라서 요구하는 자와 요구를 받는 자 사이에 내재하는 발화가 증 거 수단이다. 이 발화는 그 자체로 효과적인 방책이다 . 그러나 qua eso 가 p recor 와 다른 것은 , q uaeso 가 어떠한 것을 획득하는 데 이용되는 적합한 수단을 사용하는 것을 함축하고 있다 . 예컨대 세 가지 동물을

제사물로 바치거나 의례적인 가도문과 제사 제물을 결합시킨다든가 하 는것이다 . 이러한 의마를 재구하기 위해서 라틴어 이의의 언어, 특히 이란어에 서 나타나는 *p rek- 의 형태를 이용해야만 한다. 앞에서 이란어 fras , fr a~ t a 가 〈벌(罰)〉, 일반적으로 〈고문〉의 의미를 갖는다는 점을 강조했 댜 이제 우리 연구의 출발점, 죽 q uaes t or 라는 라틴어 칭호의 문제를 재 론할 때가 되었다. 이제 q uaes t or 는 단지 〈심문을 하는〉 직책을 맡은 자가 아니라는 점 이 분명하다. 그의 역할은 물론 q uaerere 하는 것이다. 죽 물리적 수단을 이용하여 어떤 범죄에서 협의자를 찾아서 체포하거 나(이 때 이 단어는 q uaes tu s 와 연관이 있다), 아니면 자신이 관리해야 하는 국고(國庫)의 돈을 칭수하고 지출하면서 이것을 획득하려고 하는· 것 0] 다 . 동사의 용법에 비추어 바로 이러한 의미 작용을 q uaes t or 라는 행위자 명사에 대해서 부여하려고 한다. 루크레티우스의 pre ce q uaes it라는 예 도 동어 반복적 표현이 아니다. q uaerere 의 피지배어(목적보어)는 p acem 〈평화, 신의 은총〉이고, 이것이 그가 획득하려는 〈실질적〉 대상 이다. 그러면 어떤 방법으로? *p rex 로써, 즉 언어적인 요구를 이용해서 이다. 다른 상황에서는 다른 수단을 통하여 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는 의미의 이중적 기능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고대 의 기능 작용을 그대로 보여 주는 것이다. 우리에게 있어 〈요구하는 것〉은 〈획득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이 개념은 문맥에서 여러 가 지 방식으로 자세히 드러난다. 그러나 고대 라틴어에서도 두 가지 의미 표상을 구별할 수 있었다. 이 의미 표상은 고대 사회에서는 명확하고 구체적인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오직 어휘만이 이러한 형식을 드러내 밝혀 줄수 있다 . 동사 자체나 그 파생어들도 우리에게 훨씬 풍부한 의미 체계에 대한

증거를 보존하고 있거나, 비교를 통해서 이를 보여 준다 . 그 예가 라틴 어 p rocus 와 p recor 이다. 만약 우리가 라틴어 p rocus 와 리두아니아어 pii'~ti를 비교하게 해 주는 이러한 의미 가치를 모른다면, 어근 *pre k- 가 순수히 언어적 활동을 가리키되 아무런 물질적 수단 없이, 하급자가 상급자에게 일반적으로 하는 요구리는 것을 알 수 없을 것이다 . 바로 이러한 점에서 *p rek- 〈호의를 구하다, 은총을 구하다〉가 라틴어 동사 q uaero 와 행위자 명사 q uaes t or 로 대표되는 어근으로부터 분리된 것이 다 . 그렇지만 이 어근은 아직 다른 언어에서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제 8 장 그리스에서의 서약 요약 위증자를 처벌하는 일 을 맡은 초인적 세력의 보증하에서 이루어지는 업숙한 선언인 서약은 〈 맹세하다 〉 라는 개념뿐만 아니라 공통된 인도 • 유럽어적 표현도 없다. 인도 • 유럽 제어는 서약의 선서로 봉 수 있는 신명 심판( 神 明審判)이 갖는 특수한 여러 양태 와 일치해서 여러 가지 표현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그리스어에서, 이미 호메로스의 표 현 h6rkon omnun ai-〈선서를 하다〉를 특정적으로 의미한다――에서 그 구체적 기원을 파악할 수 있다. 죽 〈 h6rkos 를 잡는다는 것〉은 서약을 어길 경우에 즉각 발휘 되는 불길한 힘을 가진 물건, 축 h6rkos 를 잡는다는 의미이다. 고대의 성례식에서 사 용되는 관용 표현 ist5 ZeUs ... 는 목격자로서, 따라서 반박할 수 없는 재판관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신들에 대한 호소이다(라틴어 iud ex arbit er 참조). 라틴어 sacramen tu m 〈서약〉, 그리고 아마도 히타이트어 lingai s( 그리스어 ~lenkhos? 참조)는 서약의 선서를 특정적으로 규정하는 저주의 참재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 말의 효력과 그 적절한 절차가 있는 종교적 표현 가운데 어떤 표현도 서약보다 더욱 엄숙한 것은 없으며, 또 어떤 표현도 그보다 더욱 사회 생활에 필요한 것은 없다 . 하지만 그것을 나타내는 공통된 표현을 찾으 려고 해도 찾을 수는 없을 것이다. 바로 이 점이 또 유의할 만한 사항 이다. 모든 고대어에서 볼 수 있고, 또 원래 이 개념과 관련 있는 것으 로 말할 수 있는 인도· 유럽어 용어는 없다. 각 언어는 이에 상응하는 고유의 표현을 갖고 있으나, 대부분의 언어 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어원이 없다. 이들 용어의 기원을 알 수 없다는 것은, 이들이 지칭하는 제도의 중요성과 일반성과는 대조된다. 이를 깊 이 숙고해 보면, 우리는 이 제도가 광범위하게 출현하는 반면 공통형이 빈약하게 나타나는 이러한 불일치가 생겨난 이유를 알게 된다. 그것은

서약이 독립적인 제도가 아니며, 또 그것이 그 자체로 의미 작용을 가 지면서 그 자체만으로 충족되는 행위가 아니기 때문이다 . 선서를 보증 하고 신성하게 만드는 것은 의식(儀式)이다 . 서약의 의도는 모든 문명 권에서 언제나 동일하다. 그러나 그 제도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실제로 이 제도를 특칭짓는 두 가지 구성 요소가 있다. 1) 선서의 성질이다 . 바로 이러한 성질 때문에 각별한 엄숙성을 띠게 된다. 2) 힘이다. 이 힘은 선서를 수용하게 하고 엄숙한 것으로 만든다. 바로 이것이 필요하고도 일정하게 요구되는 서약의 두 요소이다. 이 서약은 상황에 따라서 두 가지 형태를 띤다 . 그것이 법률상의 사실과 관련될 때는 진실의 서약 또는 단언적 서약이 될 것이고, 약속을 보증 하는 것일 때는 구속의 서약 또는 약속의 서약이 된다 . 이 서약을 예상된 신명 심판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 서약을 하는 자 는 그에게 필수적인 것, 소유물, 자기 친족, 심지어 자기 물품까지 걸고 자신의 선서에 대한 진실성을 보증한다. 서약의 여러 표현과 몸짓 행위 사이에는 필연적인 상관 관계가 없다. 말로 하거나 관례적 표현을 사용 하는 의식(儀式)과 그 실제의 행위는 매번 다를 수 있다. 특정한 용어로 표현되는 서약이 발견되는 경우 이 용어는 서약의 사실 자체보다 서약 행위가 띠는 방식과 관련된다. 어떠한 상황에서 이 서약이 이루어지는 지를 언제나 알 수 있다면, 그 용어의 고유한 의미를 지금보다 훨씬 잘 밝힐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흔히 이러한 조건이 알려져 있지 않은 까 닭에, 그 표현이 모호한 채로 남아 있다. 게르만어군의 고트어에 a ip s 가 있는데, 이 용어는 모든 게르만어에 전해 내려온다. 죽 고대 아이슬란드어 eid r , 고대 고지 독일어 eid , 고대 영어 ap, 영어 oa t h 이다. 이것은 고대 아일랜드어 oe t h 와 정확히 대응 하고 있다. 게르만어와 켈트어의 대웅이 아주 정확해서, 대부분의 문화

용어처럼 차용이 이루어진 것인지 아닌지, 차용되었다면 차용이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자문해 볼 수 있다. 고트어 a ips 와 고대 아일랜 드어 Be t h 가 *o it o- 로 귀착된다면, 그것은 어근 〈가다〉의 파생형으로, 따라서 〈행진〉으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난점은 〈행전〉과 〈서약〉 의 관계를 아는 일이다. 역사가 아미라K. van Am i ra 처럼 이 〈행전〉이 〈서약하러 엄숙하게 가는〉 행위였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라틴어 in ius i re 〈서약에 가다〉 참조 . 이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다수의 고대 문명권에 서 잘 알려져 있는 의식을 특히 상기해 봄으로써 다론 해석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서약의 선서에는 제사가 함께 있었다 . 즉 동물을 두 부분으 로 자르고, 선서자나 선서자들이 반으로 절단된 희생 제물 사이룰 통과 해야만 했다 . 이러한 의식은 히타이트어에서 이미 확인되고 있다. 이 의 식의 흔적을 14 세기의 리두아니아에서 볼 수 있다. 1351 년 리투아니아 의 대공( 大 公)이 헝가리의 왕에게 선서하는 서약의 끝에 가서 선서자가 제물로 바친, 두 동강 난 황소 사이로 지나가면서,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경우에는 자기 운명이 이와 같이 될 것이라고 선서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의식이 게르만 세계에서는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o it o- 에 대한 이와 같은 해석은 가 설로남아 있다. 인도 • 유럽어 전체는 아니지만 많은 언어에서처럼 게르만어에서도 서약을 가리키는 동사와 명사는 다르다. 〈서약을 선서하다〉라고 말하지 는 않는다 . 그 동사는 고트어 swaran( 독일어 schworen, 영어 swear) 으 로, 이것은 그리스어 6µooaK 맹세하다〉를 번역한 것이다. ufa r -swaran 은 t m-OPKELV 〈거짓 서약하다〉를 묘사한 용어이다. 이 동사는 게르만 어 이의의 언어에 대응어가 나오는데, 이탈리크어군의 오스카어 sverrune i이다. 이것은 명사형의 단수 여격으로 〈웅변가에게, 보증인에 게〉를 뜻한다. 그러나 이것과 sermo 를 비교하고 있으나 이는 잘못이며, 그것을 serere 와 연관지어야 한다. 이 게르만어 동사는 또한 아이슬란드

어 svara 〈대답하다〉, 고대 고지 독일어 andsvava 〈대답하다〉(영어 answer) 를 파생시킨다 . 어형성에 대해서는 라틴어 re - s p ondeo 와 비교 해 보라. 이 점에서 swaran 의 의미는 s p ondeo 의 의미, 즉 〈보증하다, ~에 대한 책임을 지다〉와 거의 동일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이처럼 게르만어 *swer- 〈보증인으로 처신하다〉는 명사 보어로서, 동사에 수반 되는 명사에 의해서 표현되는 〈서약〉의 개념과 잘 부합된다. 그리스어에서도 동사 6mnum i와 명사 h6rkos 는 서로 다르다 . 이 동 사는 단독으로도 〈서약하다〉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 두 용어 가운데 어 느 것도 서약과 관련된 용법 이의의 용법이 없다. 따라서 그리스어 내 에서는 어떤 것도 그 고유한 의미 작용을 밝혀 주지 않는다. 그런데 비 교 언어학자들은 그 변이형들을 확증하는 경우에만 재구 자료를 발견 할 수 있다 . 여기에서 그 의미는 변동이 없고 고정되어 있다 . 그러나 이 그리스어 동사의 어원은 몇몇 귀납적 추론을 가능케 한다 . 현재형 6m- nu mi의 어기 om- 은 비교가 가능하다. 그것은 오래 전부터 동일한 의 미를 지닌 산스크리트어 동사 arn_ 과 비교가 되었다. 이 산스크리트어 동사는 오래 되었고, 베다와 브라흐만 문헌의 확실한 조건에서 확인되 고 있다. 이 대응이 6mn umi의 기원을 밝혀 줄 수 있는 유일한 것이다 . 베다 산스크리트어에서 am_ 은 때로는 단순형으로, 때로는 동사 접두사 san- 과 함께 나타난다. 예컨대 그리스어에서 6mn umi에 대해 접두사가 첨가된 형 태 sun-6mn umi〈국가 함께 선서하다〉처럼 사용된다. 우리는 전설에서 그 명령형을 찾아볼 수 있다. 죽 어떤 인물이 자신이 말한 것 울 잘 지킬 것이라고 서약한다. 그러자 신이 다음과 같이 말한다. rta m arnI~va 〈 r t a 로써 서약하라〉(죽 r t a 를 보증인으로 삼아 서약하라) - 그 러면 그 인물은 r t証 1 助 1I t〈 r 뵤로 맹세했다〉 . 『샤타파타하_브라흐마나』 에서, eta d dha deval:t ... sarna mir e 〈그리고 신들이 그것을 함께 맹세했 다, 그것을 서로에게 맹세했다〉. 또한 sarnam y a t e 〈그는 다른 사람에 대

해 일정 기간 약속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 용법과 더불어 다행히도 그 고유한 의미 작용이 있다 죽 am - 은 원래 접두사가 있거나 없거나 간에 〈취하다, 잡다〉를 의미한다 그래서 tam abhy am Iti Va r unah 는 다른 동사가 사용된 tam g r 恥 a ti Varunah 〈바루나흐가 그롤 잡는다〉와 의미 가치가 동일하다 . 병의 엄습에 〈사로잡힌 , 잡힌〉 자는 abhy an t a 라고 불린다. 이것은 동일 한 동사 am 의 분사형이다. 따라서 이것은 이 개념의 선사(先史)에 귀 중한 지표가 된다 그래서 〈잡다〉의 의미에서 출발해야 한다 . 그 흔적 이 그리스어에 남아 있지는 않지만 이 개념이 그 표현을 전체적으로 해 설하는 데 포함되어야 한다. 휘프노스1 ) 가 헤라에게 자기 아내로 어린 카리데스 여신들 2) 가운데 한 여신인 파시테아를 줄 것을 맹세시키면서 그는 그녀에게 엄숙한 서약을 요구한다.

1) Hy pn os : 밤의 여신 눠스의 아들로서 오케아노스 강과 바다의 아버지의 흐름을 잠재우고 파시데아의 사랑을 얻기 위해 제우스를 깊이 잠재운다. 헤라가 파시데아 를 휘프노스에게 주기로 약속한 까닭이다. 2) Kharite s : 세 명의 미( 美 )의 여신으로서 무사이와 더불어 아폴론의 수행 여신이다. 제우스와 바다의 신 오케아니스의 딸(오케아니데스 요정)의 딸들로 알려져 있다.

〈한 손으로 풍요한 대지를 짚고, 다론 손으로 반짝이는 바다를 잡고, 스뤽스 강의 신성한 물로써 내게 맹세를 하라. 그래서 쿠쿠_누 A 를 둘러 싼 지하의 모든 신들이 우리의 증인이 되도록 하라.〉(『일리아스』 14, 271) 이제 h6rkon om6sa i란 표현에서 동사의 보어로 사용된 명사 h6rkos 룰 고찰해 보자 . horkos 의 의미는 전혀 변동을 보여 주지 않는다. 호메 로스 이래로 시어에서 6mnum i와 사용된 h6rkos 는 순수히 〈서약〉만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더욱이 중요한 파생어 e pio rkos 〈위증, 거짓 맹세〉 와 epi orke in〈위증하다, 거짓 맹세하다〉을 지적하자. 이는 별도의 조사 를 필요로 하는 용어이다 .

h6rkos 를 설명하기 위해 어원적 근거를 이용할 수 없다. 기껏해야 고 대의 주석가들이 사용한 후에 계속해서 이용된 h6rkos 〈서약〉와 herkos 〈방책, 울타리〉의 비교만이 있을 뿐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잘 알려진 만 족할 만한 유형의 변이 같다. herkos 가 중성이므로 그 교체형은 herkes- /h6rko- 가 될 것이다 . 그러나 herkos 의 의미는 단지 〈방책, 성벽〉만을 가리킨다. 그리고 우리는 호메로스의 고정 표현 herkos od6n to n 〈치아 들의 방책〉 3) 을 잘 알고 있다. 따라서 어기의 모음 교체가 일어나면서 〈서약〉이 〈방책〉과 비교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해야만 할 것 같다 . 이 의미 관계를 어떤 식으로 표상하든 그리스 관념으로는 이러한 해석을 선택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 요컨대 그것은 만족스런 것이 아니다 . 그렇 지만 그리스어 내에서 이 의미를 밝히는 것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호메로스의 그리스어에서 h6rkos 는 모든 종류의 서약을 가리킨다. 죽 사람들이 하려고 하는 것을 보증하는 것, 죽 협정, 계약 또는 과거와 관 련된 진술을 뒷받침하는 것, 다시 말해서 법적 서약이다. 따라서 h6rkos 의 의미는 서약의 성질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다 .

3) 〈치아들의 방책〉이란 입을 다뭉면 아랫니와 윗니의 두 치아열이 나란히 배열되 어 이것이 마치 울타리(방책)처럼 보인다는 비유적 표현.

그러나 호메로스의 h6rkos 는 발화 사실과 상관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신들의 〈위대한 서약〉의 표현 형식을 보자. 〈그렇다면 대지와 저 위의 넓은 하늘과 (지옥으로) 떨어지는 스뤽스 강4 ) 의 물이 증인이 되게 하소서. 스뤽스 강이야말로 축복받은 신들에게는 가장 위대하고 가장 가공할 서약(맹세)이기 때문입니다 . 〉(『일리아스』 15, 36 이하) 『데메데르에게 바치는 호메로스의 찬가』 259 행 참조 〈신들의 h6rkos, 스뤽스의 아무런 톰이 없는 물이 증인이 되기를〉 여기에서 〈신들의 h6-

4) Sty x : 지옥을 흐르는 강으로서 검고 얼음같이 찬 깅물은 마법적인 효과가 있다 고 한다. 테티스는 아킬레우스에게 이 강물을 적셔 상처를 입지 않게 만들었다. S tyx라는 이름은 신들이 맹세를 할 때 이룰 어길 수 없는 것으로 만들기 위해 부 르곤했다.

rkos 〉는 hudor 와 병치되어 있다. 즉 h6rkos 는 곧 스튀스의 물이다. 사실 『신통기』 (400 행)에서 헤시오도스는 스뤽스를 요정으로 만들고, 제우스는 이 요정을 〈신들의 위대한 h6rkos 〉로 만들어 요정을 영예롭 게 하기를 원했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제우스는 신들 가운데 어떤 신 이 거짓말을 했는지 알고자 하고 (784 행 이하), 그는 이리스를 멀리 보내 어 물병 속에 있는 〈신들의 위 대한 h6rkos 〉를 도로 찾아오라고 한다. 이것이 불쑥 치솟은 바위에서 철철 흘러나오는 유명한 물, 곧 스뤽스의 물이댜 보다시피 스뤽스의 물은 저주의 힘을 지닌 물질로서, 그 자체만으로 도 신들의 h6rkos 가 된다. 또 다른 유형의 h6rkos 가 있다 즉 아킬레우스가 아트레우스의 아들 아가멤논에게 엄정한 약속을 하도록 원한다. 그에게 제우스의 the - m i s t es 의 보증으로 그의 홀을 준다 . 그러고는 덧붙여 말한다. 〈이 홀은 그대에게 meg as h6rkos 가 될 것이다.〉(『일리아스』 1, 239) 이는 말하는 방식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문자적인 해석은 h6rkos 와 사물, 죽 신성한 물건, 권위의 막대기 등을 동일시하도록 한다. 본질 적인 것은 매번 물건 자체이지 발화 행위가 아니다. 이제부터 동사와 명사가 그 최초의 의마 작용에서 서로 일치되는 가능성을 느낄 수 있 다 . 죽 6mnum i가 〈강하게 꽉 잡다〉라는 선사적(先史的)인 의미로 귀 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h6rkos 는 그리스어 자체 내에서 물질적인 의 미 표상의 흔적을 지니고 있다. 바로 여기에서 〈 h6rkos 를 잡다〉란 표현 이 생겨났다. 물건 또는 물체로서 이 h6rkos 는 신성시되는 물건이며, 선서한 말을 어기면 처벌하는 힘을 담고 있는 물체이다 . 바로 이런 연유로 해서 그리스인들은 h6rkos 를 의인화했다. 그래서 그것은 불길한 것이다. 또한 헤시오도스의 말을 인용해 보자.

에서 Horkos 가 위증자들에게 재앙이 되기 위해서만 나타났다고 하는 것을 참조 그것은 곧 잘못된 판결로 이어진다(위의 책, 219). 산화적 상상은 이 단어의 의미 자체에 내포된 이 개념을 단지 의인화 시키면서 맹세를 어길 경우에 출몰하는 Horkos 를 파괴적인 힘으로 묘 사하고 있다. 왜냐하면 명사 h6rkos 는 위증자를 처벌하는· 독자적인 마 법적 힘, 신의 전능을 지닌 물체를 가리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개념의 구성 배경에는 〈서약〉의 또 다른 명칭 속에 담긴 관 념이 드러난다. 라틴어에서, 앞에서 연구한 ius iur andurn 외에도 sacramen tu rn( 이 용어에서 지금 고찰 중인 serrnen t〈서약〉이 생겨났다)은 〈 sacer( 신성한)하게 만든다〉는 개념을 함축하고 있다. 서약은 인간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장 두려운 요소인 신성의 특질과 관련되어 있 다 . 죽 〈서약〉은 여기에서 자신을 sacer 하게 만드는 작용으로 나타난다. sacer 한 것으로 선고된 자는 아무에게나 죽임을 당할 수 있었다는 사실 울환기해 보자 . 이러한 〈신성화〉는 산스크리트어 sa p-〈저주하다〉에서 파생된 용어 sa p a th a 〈거짓 맹세〉와 슬라브어군의 고대 슬라브어 kl~ ti〈저주하다〉에 서 다시 나타난다. kl~ti s~ 는 러시아어 kl j as t〈저주하다〉, kl j as t' sj a 〈서약 하다〉처럼 〈서약하다〉이다. 이 표현은 서약의 현상학을 잘 드러내 보인 다. 서약자는 거짓 맹세를 하는 경우에는 저주를 받게 되며, 따라서 그 는 이 가공할 힘이 것들여 있는 물건이나 물체에 손을 대고 자신의 서 약 행위를 성대한 의식으로 만든다. 이제 〈거짓 맹세, 위증〉을 가리키는 h6rkos 의 합성어에 대한 이러한 해석의 정당성을 검증해야 하는대, 이 용어는 의면상의 명확성에도 불 구하고 난점이 많아 현재에도 논란이 있기 때문이다. 이 단어는 두 가지 서로 다론 구문에서 사용된다. 가장 오래 된 구문 은 명사 속사와 함께 구성되는 것으로. epi ork os ornn (m a i〈 e pi orkos 가 되도록 서약하다〉이고, 다른 구문은 피지배어(목적보어)로 대격이 사용

되는 구문으로 epi ork on omnuna i이다. 첫째 구문은 헤시오도스의 『노 동과 날들』 804 에 나오고, 둘째 구문은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3, 279 에 나온다.

이 합성 용어의 문자적인 의미는 여러 번 논의되었다. 최근의 해석은 슈비처 Schw y zer5) 의 해석이다 e pi +h6rkos 가 〈거짓 서약, 맹세를 하 다〉, 〈위증하다〉를 의미한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슈비처는 아르킬로 코스6 ) 의 한 구절 (D i ehl, 『서정의 시집 Anth o l. L y r . 』 I, 265) 에서 출발하고 있다. 〈과거에 동료였던 그 자가 서약을 발로 짓밟아 뭉겠다, 짓밟았 다〉(l ax eb 존 eph ' horkio i s .)

*5) 『인도 • 유럽어 연구 Indo g erman i sche Forschun g』 45, 1927, 255 이하.

e pi가 이 개념을 분석적으로 나타내는 표현 안에 출현한다는 사실에 비추어 본다면, 이 해석은 이 합성어에 대한 문자적인 해설이 될 것이 다. 따라서 e pio rkos 는 ho ep i h6rko i (bas) 이며, 따라서 〈 h6rkos 를 짓밟 는 자〉를 의미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논증의 결함을 알 수 있는데, 본질적인 용어인 동사 ba i no 〈걷다〉가 합성어에서는 삭제되어 있다는 점이다 . 물론 e pi의 명사 구문은 발견할 수 있으나 〈발로 짓밟다〉란 개 념은 없다. 바로 이 점이 슈비처의 해석을 추종하기 어렵게 만든다. e pio rkos 〈위증, 거짓 맹세〉와 동사 e pi orke in〈위증하다, 거짓 맹세하 다〉에 대한 해설은 e pio rkos 란 형태가 고형(古形)일 수가 없다는 관찰 에서 출발해야 한다. 만일 이것이 고형이라면, *e p horkos 란 형태를 예 상해야 한다. 따라서 여기에서 문제는 형용사(또는 동사. 이는 어떤 요소 룰 일차적인 것으로 제시하느냐에 따라서 결정된다)이며, 이 형용사는 ep i 와 h6rkos 가 함께 출현하는 고정 성구의 연접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 고정 성구는 실제로 존재한다. 그것을 역시 헤시오도스(『노동과 날들』 194) 의 철(鐵)의 시대에 대한 기술에서 발견할 수 있다. 이 시대에는 그

6) Ar khi lokhos( 기원전 712-648 년) : 그리스의 가장 오래 된 대표적 서정 시인. 현 재 남아 있는 단편으로 『애가 Eleg i es 』와 『풍자시 ia mnes 』가 있다.

누구도 선과 악에 개의치 않을 것이며, 가장 존중해야 할 관례들이 깨 어질 것이라고 말한다 . 〈비겁자가 뒤틀린 말을 하면서 용감한 자를 해 치고, 거기다가 서약을 덧붙여 말할 것이다 epi d'h6rkon omeit ai. > 여 기에서 합성어의 구성 요소들 epi -orkos 가 서로 분리된 채로 나오는 것 울 볼 수 있다 . 그리고 이돌이 어떻게 해서 〈위증, 거짓 맹세〉의 의미를 낳게 되었는지 알 수 있다 죽 그것은 맹세한 서약과 그것을 뒷받침하 는 거짓말을 암암리에 연결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그 개념은 사람들이 거짓으로 알고 있는 말이나 약속에 서약 (h6rkos) 을 추가한다 (e pi)는 개념이다. 이러한 사실은 헤시오도스에 나오는 두번째 예(『노 동과 날들』 282) 에서 확증된다 . 〈거짓 서약을 함으로써 허위 증언을 의도적으로 하는 자. hos de ke mar turi존i s i hek8n epi ork os om6ssas pse useta i. . . >『 헤르메스에게 바치는 호메로스의 찬가』 에서 헤르메스 자 신이 새빨간 거짓 진술에 대한 근거로 발화한 〈위대한 서약〉에 대한 예 롤 제시한다 (274 행과 383 행). 그래서 〈 h6rkos 를 추가하는 (e pi orkos) 〉 행 위는 명시적이든 암시적이든 언제나 서약자가 자신의 말을 지키지 않 는 것, 거짓 맹세를 하는 것, e pio rkos 가 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서약을 (자기 말에) 덧붙이다〉가 아주 이른 시기부터 〈거짓 서약을 하 다〉를 의미하게 된 것은 기만적인 서약 __ -기만적 서약을 이용하면서 이것이 관행이 되고, 또 격언이 되었다――울 암암리에 참조함으로써 이루어졌다 . 그리하여 e pio rkos 란 용어는 우리에게 관습의 한 특칭을 보여 준다. 그것은 지킬 의도가 없는 약속이나, 거짓으로 알고 있는 주 장을 사람들이 h6rkos 로써 쉽게 뒷받침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드러내 준다. 이상하게도 언어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는 근거가 그리스 역사가 들 중 최초의 역사가인 헤쿠干뚜人 자신이 되었는데, 이는 자신의 의도 와는 상관없이 그렇게 된 것이다. 헤쿠干뚜人는 메디아인과 그리스인들 의 싸움에 대한 일화를 이야기한다. 라케다이몬인들은 퀴로스에게 그리 스의 어떤 도시에 피해를 입히지 말 것을 경고한다(왜냐하면 그들이 이

롤 허용치 않기 때문이다). 그러자 퀴로스는 자신에게 전언을 가져온 전 령에게 대답한다. 〈그들의 도시 한가운데 지정된 장소에서 모여 (거짓) 맹세로 서로를 속이는 이 사람들에 대해서 나는 아무런 두려움도 없 다.〉( 『 역사 』 I , 153, allelous ornn(m tes exap at 8 s i) 이 표현은 문자적으 로는 〈서약으로 서로를 속이다〉를 의미하나, 이것은 분명 서약이 거짓 말이라는 것을 함축하고 있다 . 여기에서 속임수의 의도에 의해서 서약 이 어떻게 술책이 되는가를 완연히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헤시오도스 는 계속 수많은 다른 예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 글라우코스 7) 가 신탁에 가서 조용히 묻기를, 자신에게 맡겨져 있으나 반환하고 싶지 않은 위탁 물을 서약으로써 (h6r koi) 자기 것으로 이용할 수 없느냐고 한다. 퓌티 아 8) 가 그에게 근엄하게 대답을 한다 . 〈물론 당장 그처럼 서약으로 이기 고, 재산을 획득하는 데는 이득이 있다. 그러므로 맹세하라. 왜냐하면 죽음도 또한 말을 지키는 자들을 기다리는 까닭이다 . 그러나 손도 발도 없는 익명의 서약의 아들이 있다. 하지만 재빨리 그는 (거짓 맹세자를) 추격하여 마침내 그를 잡고 말 것이며, 그의 자손대대와 집안을 파괴할 것이다. 반면 약속을 지키는 자의 후예는 이 다음에 더 행복한 운명을 가지게 될 것이다.〉(『역사』 VI, 86) 또한 다른 곳에서 에테아르코스가 자기 손님에게 자기의 모든 요구에 동의하도록 맹세시키고, 그것을 이 용하여 그로 하여금 강제로 자기 딸을 죽게 만든다. 〈서약의 허위〉(t용i ha p a t히 toi l h6rkou) 에 대해 분노한 상대방은 이와 같이 강제로 부과된 의무에서 교묘하게 빠져니온다(I V, 154). 아리스톤이 친구 아내를 빼앗 는 것도 이 허위 맹세(t 8 i h6rkoi kai t~i ha p a t e i)의 술책을 이용해서이 다(『역사』 VI, 62). 이리하여 합성어 e pio rkos 의 분석은 옛 습속의 기술과 일치한다. 죽 7) Glaukos : 코린토스의 전설적인 왕으로서 시쉬포스의 아들이자 벨레로폰테스의 아버지 . 8) Py thia : 델포이의 제우스의 여사제로서 신탁을 전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

일찍부터 고정된 〈거짓 맹세〉를 나타내는 표현에서 우리는 그리스인들 의 사회 생활에서 나타나는 h6rkos 의 기만적이고 사기 행각의 관습에 대한 증거를 볼 수 있다 ep iork os, epi orke1n 이 『 일리아스 』 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칭이 그처럼 오래 된 것이라는 사실 울 확인한 것이 이상스러울 따름이다 ? 바로 이러한 것이 h6rkos 와 6mnum i에 포함된 개념에 대한 어원상의 해석과 관념상의 해석이다 .

*9) 고대 그리스의 맹세의 표현에 대한 이전의 논문( 『 종교사지 Rev. His t. Relig .. !I, 1947-8, p . 81-94) 에서 우리는 e pi orkos 란 용어를 다르게 설명했다. 우리가 여기 에서 제시하는 해석은 Leumann 이 『 호메로스의 단어들 Home ri sche wo ·r t er 』 , 1950, p .79 에서 제시한 해석과 비슷하다. h6rkos 란 용어에 대한 연구는 J. Bollack, 『 그리스어 어원학지 Rev. tt. gr. 』 , 1958, p.1 이하와 R. Hiers che, 앞의 책, p, 35 이하에 나와 있다. 디론 연구는 F ris k 의 어원 사전의 e p i orkos 와 h6rkos 항목에 인용되어 있다.

이제 〈서약하다〉를 나타내는 히타이트어의 용어를 알 수 있다 . lin g - 〈서약하다〉과 명사 l ing a i-(속격형 - iyas) 〈서약〉 , 명사 파생동사 lin ga nu- 〈서약을 시키다 , 선서시키다〉(특히 장교가 부하들에게 부과하는 군대의 서약 선서를 가리킨다)이다. 스터트반트 S tu r t evan t는 히타이트어 ling - 이 elenkhos 에 대응하는 것으로 가정했다 . 그런데 elenkhos 는 〈협의, 다론 사람을 설득할 만큼 충분한 증거〉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철학 용 어 〈반박〉이 생겨났다. 이리하여 〈서약하다〉는 히타이트어에서는 〈협 의를 두다〉를 의미하게 되었는데, 이는 그리스어와 라틴어의 의미 표상 과는 상당히 일치한다. 사람들은 서약을 함으로써 스스로에게 미리 조 건적으로 협의를 두고, 만일 위증의 경우에는 이러한 협의가 효력을 갖 게 된다. 이 개념은 라틴어 표현 sacramen tum에서도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 이 표현은 어원적인 문제나 철학적인 문제보다는 오히려 법적인 문제 롤 야기시킨다. 우리는 sacramen tum의 여러 가지 의 미를 잘 알고 있 다. leg is acti o sacramen ti는 소유권 반환 청구를 위해서 pon tif ex 〈대주

교〉 앞에서 행해지던 고대의 관습과 관련된 특수한 형태의 수속 절차이 다. 증거가 정상적으로 입증되지 않는 경우, 소송을 제기한 자에게 poena 〈벌금〉가 부과된다. 또 다른 표현 형식은 군대 서약을 규정하는 것으로서 특별한 종류의 것이다 . 즉 consuli bu s sacramento dic e re 〈 sacramen tu m 으로 집정관에게 맹세하다〉이다 . sacramen tu m 은 sacer 의 파생어가 아니라 명사 파생동사 sacrare 〈(어떤 범죄를 저지른 자를) sacer 라고 선언하다〉, 〈저주를 선고하다〉에 서 파생된 용어이다. 그래서 sacramen tu m 은 고유한 의미에서 자신의 인격 (군대의 sacramen tum)이나 담보물(법적 sacramen tu m) 을 미리 저 주하는 데 사용하는 물건이나 사실을 가리킨다 . 일정한 형식으로 말이 발화되면서 사람들은 참재적으로 sacer 의 상태에 둘어가게 된다 . 자신 들이 취한 약속을 어기는 경우에 이러한 상태가 효력을 발휘하고, 신의 복수가 초래된다. 모든 상황에서 이 약속의 절차는 똑같은 방식으로 수 행되며 , 어느 정도는 그 용어들에서 이룰 엿볼 수 있다 . 이제 선서를 규정하는 특수한 표현 형식과 그 양상을 고찰해 보자. 우리에게는 아주 놀라운, 그러나 일반적으로 학자들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있는 것이 하나 있다. 그것은 호메로스에서 서약의 덱스트가 나올 때마다 등장하는 고정 형식 표현이다. 사람들이 제우스와 신들에게 간 청한다. Iot U VOv zcuc np@ ta ... r i ,:c Kai ' H t A t oc( 『 일리아스 』 19, 258 이하)〈제우스와 대지와 태양이 그것을 아시기를(증인이 되어 주시기를)〉. 그 목적은 자신이 구속되어 있는 약속의 덱스트를 신들에게 알리려는 것이 아니다 . 여기에서 i s t o 의 완전한 어원적 의미를 해석해야 한다. 〈그가 아시기를〉뿐만이 아니라 고유한 의미로 〈그가 보시기를〉이 그것 이다 . 이 용법에서 어근 *w i d- 는 그 완전한 의미 가치가 살아 있다. 서 약의 증인으로 신들을 세우려는 것이다. 아주 오랜 옛날의 증인은, 어떤 사실을 〈알기〉 때문이 아니라 무엇보다도 그것을 〈본〉 목격자로서의 증인이다 .

이는 어원론자의 단순한 추론이 아니다. 다른 인도 • 유럽 제어도 *we i d- 의 의미에 대해 분명하고 오래 된 증거를 제시하고 있으며, 이 들은 그리스어와 일치한다. 예컨대 〈증인〉이란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 는 산스크리트어 ve tt ar 는 어기의 모음 계제를 제의하면, 그리스어 isto r 〈증인〉에 대응하는 형태이며, 〈보는 자〉를 의미한다. 고트어 완료 분사 we itw o p s( 산스크리트어 vidv as, vidu ~-참 조)는 보았기 때문에 아는 자 이다 . 아일랜드어 fi adu(< * we i don) 〈증인〉도 마찬가지이다. 그리스어 i s t or 는 이와 같은 계열에 속하며, 이 어근 *w i d - 의 고유한 의마 가치 는 『샤타파타하 브라흐마나 』 에 표명된 규칙에 따라서 밝혀진다 . yad ida nrm dvau viva damanam ey at a r n aham adarsam aham asrau~am iti ya eva braya d aham adarsam iti tas ma eva sraddadh y ama 〈이제 두 사람이 서로 논쟁하면서(소송을 하면서), 한 사람은 〈나는 보았다〉고 말하고, 다른 사람은 〈나는 들었다〉고 말한다면, 〈나는 보았다〉고 말하 는 바로 그 자를 우리는 믿어야 한다〉. 본 사람과 들은 사람 사이에서 신뢰해야 하는 대상은 언제나 본 사람 이다. 시각적인 증거가 갖는 좀더 기본적인 가치는 증인의 명칭 자체 i s to r 에서도 나타난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사람들이 신을 증인으로 세 우고, 이들로 하여금 〈보도록〉 요구하는 것이다 . 시각의 증거는 반박될 수 없다 그것이 유일한 증거이다. 라틴어에서 나오는 서약에서도 신들이 증인이 되어 줄 것을 요구하 는 철차가 수반되나 그 표현 형식은 다르다. 티두스 리위우스(『로마사.!I I, 24, 7) 에 따르면 로마와 알바 사이에 〈알려진 최초의 맹약〉에서 그것 울 읽을 수 있다 . 맹약이 체결된 후 서약에 참여한 성직자가 선언한다. Audi.. . Jup piter ; audi, pat e r pat r at e pop ul i Alba ni ; audi tu pop ul us Albanus 〈들으소사 .. 제우스여, 알바누스의 사람들의 사제장들이여 들으 시기를, 너 알바누스 백성들도 들어라〉 . 사람들이 유피테르에게, pat e r p a tr a tu s 〈의교 담당 사제단의 장〉에게, 알바의 백성들에게 들을 것을

요구한다 . 로마에서는 서약의 증인이 되기 위해서는 〈들어야〉 한다 . 엄 숙한 형식의 발화문에 큰 중요성을 두는 로마인들에게는 보는 것이 듣 는 것보다 중요하지는 않다. 하지만 호메로스의 중요한 한 구절 『 일리 아스 』 18, 498 이하에 나오는 i s t or 의 특수한 용법 에 불확실한 점이 있 다(이 문제를 다른 관점에서 이미 연구한 바 있다 1 0 )) . 죽 여기에서 i s to r 는 〈증인〉을 의미하는 것안가 , 아니면 〈재판관〉을 의미하는 것인가? 아킬 레우스의 방패에 대해 분석한 장면에서 두 사람이 한 남자를 죽인 살인 자의 몸값 지불을 위해서 p o ini!를 둘러싸고 논쟁하며 싸움을 벌이는 것을 볼 수 있다. 두 사람 모두 그 결정을 위해 i s to r 에게 간다 (501 행). 여기에서 증인이 문제시되는 것이라~ 점은 이해하기 어렵다. 그것은 증인이 임석하면 논쟁이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 따라서 〈중재자, 재판 관〉이 문제시된다. 우리로서는, 재판관은 증인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 러한 의미상의 변동 때문에 이 구절을 분석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i sto r 가 목격자이며, 논쟁을 종식시킬 수 있는 유일한 자인 까닭에 isto r 에 〈성실성의 문제에 대해 결심 판결로 결정하는 자〉라는 의미를 부여 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중재자, 재판관〉을 가리키는 라틴어 arb it er 란 용어의 고 유한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했다시피 arb it er 는 사실상 두 가지 기능을 가리킨다. 1) 우선 〈증인〉(가장 오래 된 의미). 이것은 풀라 우두스에서 나타나는 유일한 의미이다. 또한 고전 시기에 remoti s arb itri s 는 〈증인 없이〉를 의미한다. 2) 〈중재자, 재판관〉 . 실제로 이 의 미는 iud ex arb it er 의 고유한 기능으로 설명된다. 우리가 앞에서 살펴보 았듯이 11) arb it er 는 어원적으로는 제삼자로서 어떤 소송에 〈갑자기 출현 하는 자〉이며, 그래서 누구에게도 눈에 띄지 않은 증인이 되어, 결과적 으로 그의 증언으로 논란에 결말을 짓게 하는 자를 가리킨다. 법에 의 *•1110 )) a앞r의b it e1r3 에0 쪽대. 해서는 앞의 143 쪽 이하 참조`

해서 iud ex arb it er 는 증인으로서의 재판관인 것처럼, 마치 자신이 현장 그 자리에 있었던 것처럼 결정하는 권한을 지니고 있다 . 이 모든 것이 호메로스 서약의 고정 형식 표현에서도 환기된다. 왜 사람들이 신들을 부르는가? 그것은 거짓 맹세에 따르는 처벌이 인간의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고대의 인도 • 유럽 법전 가운데 그 어떤 것도 거짓 맹세에 대한 제재를 규정하지 않는다 . 신들이 서약에 대한 보증인 이기 때문에 벌은 신들에게서 오는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거짓 맹 세는 신들에 대한 범죄이다 . 서약으로써 자신을 구속하는 것은 신의 복 수에 미리 몸을 맡기는 것이다. 그것은 사람들이 신들에게 〈보고〉, 〈듣 고〉 할 것을 간청하고, 또 맹세하는 행위에 언제나 임석하기를 간청하 기 때문이다.

제 3 편

종교

제 l 장 신성 요약 〈신성〉의 명칭에 대한 연구는 특이한 언어 상황에 칙면케 한다. 그것은 한편으로 공통 인도 • 유럽어에 이풀 지칭하는 특정 용어가 없고, 다른 한편으로는 많은 언어(이 란어 , 라틴어, 그리스어)에 이중적 인 명칭이 있기 때문이다. 이 조사는 역사적 용어의 함축 의미를 밝히면서, 하나가 아니라 두 가지 기호를 요구하는 듯이 보이는 표현이 갖는 개념의 구조를 명확히 설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확인된 용어 쌍, 예컨대 아베 스타어 sp an ta : yao ~data , (또한 고트어 ha ils : weih s 참조), 라틴어 sacer : sanctu s , 그리스어 hier 6s : ha gi os 의 각각에 대한 연구는 선사 시기에 긍정과 부정의 양면을 지 닌 개념을 재구하기에 이른다 . 죽 긍정적인 측면은 〈신의 현존을 지니고 있는 것〉이고, 부정적인 측면은 〈인간의 접촉이 금지된 것〉이 그것이다(그리스어 h6s i os 는 신성의 지칭에 속하지 않는다. 이중적인 대립, 죽 hi er6s 와의 대립과 d ikai os 와의 대립은 이 단어의 의미 가치를 결정한다. 죽 〈신에 의해 인간에게 허용된 것〉이 그것이다). 다음에 나오는 여러 장은 특별히 인도 • 유럽어의 종교 어휘를 연구 하되, 적어도 그 기본 개념에 대한 것이다. 우리는 여기에서도, 다른 제 도에 대해 제기되었던 동일한 방법론적 난점에 부딪힌다. 문제는 어휘 체계로 인도 • 유럽 사회의 실체에 도달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규칙 적인 대응에 의해서 완전하게, 죽각적으로 정의할 수 있는 어휘 부분에 실제로 국한한다면 우리는 점차 연구 대상이 해체되어 가는 것을 반드 시 보게 된다. 비교문법이 얻고자 하는 목표는 메이예의 논문 1) 에 해설되어 있다. 비 *1) 『역사언어학과 일반언어학 Ling uisti q 11 e his to r iq 11 e et ling 1 1i sti q 11 e g {n{rale 』, I. Pari s, 1921, 323 쪽 이하.

교는 일반적인 용어만을 제공하지만 , 현실에 대한 연구는 각 민족이 자 신에 특유한 신앙과 종교 의식을 가지고 있었음을 알려 주기 때문에 종 교와 관련된 인도 • 유럽어의 개념에 단도직입적으로 도달할 수 없다는 점을 이 논문은 우리에게 보여 주고 있다. 비교문법은 그 방법 자체로서 특정한 발달을 제거시키고 공통의 기반 을 재구하는 데 이른다. 이러한 방식의 연구로는 결국 극소수의 인도 • 유럽 어휘만이 남게 된다. 그렇게 되면 종교 자체, 예배 의식이나 사제, 심지어 어떤 인격신을 가리키는 공통 용어가 전혀 존재할 수 없다. 요 컨대 〈신〉의 개념 자체만이 인도·유럽 공통사회에서 기인하게 될 것 이다 신의 개념은 *de i wos 란 형태로 잘 확인되고 있고, 그 형태의 고 유 의미는 〈빛나는〉과 〈하늘의〉이다. 이러한 특질로 인해 신은 인간과 대립되는데, 인간은 〈지상의, 땅의〉(이것이 바로 라틴어 homo 의 의미이 다)를 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는 인도 • 유럽어 종교 어휘를 인도 • 유럽어 전체에서 증 명된 대웅 관계 내에서 찾지 않고서도 거기에 대해 알 수가 있다. 고찰 된 용어의 종교적 의미 가치가 단 한 언어에서 출현하더라도, 이들 용 어가 어원에 기초해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종교 어휘에 속한 기본 적인 용어의 분석을 시도할 것이다. 아베스타어 一 spa n ta : yao ~data 실제로 우리는 어떤 용어의 종교적 의미 가치가 흔히 단 한 언어에서 만 지각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것이다. 그래서 이 의미 가치가 어 느 정도 남아 있는지, 또 어느 정도 이 의미 가치가 새로이 발달한 것 인지를 탐구하는 작업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관심사는 바로 이러한 의 미 가치의 분화와 그 변증법적 발달에 있다.

우선 〈신성(神 聖 ) 〉 이라는 아주 중요한 제 1 의 개념에서 출발하자 . 이 개념과 관련해서 수많은 다른 종교적 개념과 용어가 정리된다 . 이 〈신 성〉의 개념을 나타내는 어휘는 언어에 따라 아주 풍부하고 상당히 다르 다. 그래서 공통의 용어를 보여 주는 언어들은 드물다. 그러나 운 좋게 이러한 공통 용어가 있는 경우에 이것을 최대로 이용하여, 그 용어의 의미 작용을 가능한 한 명확하게 설명할 필요가 있다 . 그런데 인접한 언어군, 죽 슬라브어, 발트어, 이란어군에서 아주 의미심장한 용어가 하나 나타난다. 즉 고대 술라브어 sv~ tu(러시아어 svj at 6 j ), 리두아니아 어 ~venta s , 아베스타어 s p an t a 로 대표되는 단어이다. 이 대응에 의해서, 서로 다른 성질의 신앙에서 아주 강력한 종교적 의미 가치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한 개의 형용사가 한정된다. 술라브 어와 발트어에서 그 형용사는 기독교 어휘에 속하며, 〈거룩한, 성스러 운, sanc tu s 〉를 뜻한다 . 반면 이란어군에서는 마니교의 신앙에서 아베스 타어의 형태로 나타나며, 우리가 〈신성〉으로 부르는 것과 의미상 거의 동일한가치를지닌다 각 언어에서 이 용어는 다론 잔존 어휘나 이차적 파생어와 어원적 관 계를 맺고 있다. 발트어군에서, 리두아니아어 ~ven t as 는 고대 프러시아 어 swi nts, 라트비아어 sve t s 와 감은 부류를 형성한다. 이들은 동일한 형태와 동일한 용법을 지니기 때문에 추가된 새로운 사실이 전혀 없다. 그러나 이란어에서 s p an t a- 는 별개의 상당히 많은 용어와 연관된다. 형 태적 인 면에서 볼 때, s p an t a 는 어기 s p~n- 에 기초해서 구성된 -t a- 형 동사적 형용사이다. 어기 s p an_ 은 비교급 형태 s p an- y ah- 와 최상급 형 태 s pan- i~t a- 에서 나타난다. 고대의 규칙 에 따라 비교급과 최상급은 원금의 어간에 기초해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어기에 근거해서 구성 된다. 동일한 어기 s p an- 은 중성명사 spa n -ah, s pan-ah- 〈 s p an t a 의 성 질〉을 파생시킨다. 그리고 이 명사로부터 파생된 형용사가 spa n ah- van t이다.

〈 sanc tu s 〉로 번역되는 형용사 s p an t a 는 『아베스타 경 』 의 종교 어휘 에서 기본적인 중요성을 지닌 용어이다 . 다른 형용사 arnarata ( > a rna~a) 〈불멸의〉와 더불어 그것은 arna~a-s p an t a 란 칭호를 형성한다. 이 명칭 은 인간의 물질 생활과 정신 생활을 지배하는 일곱 신들의 모임이다. 이들은 추상적인 명칭을 지니고 있지만, 일찍부터 각 신들이 하나의 원 소(元素), 예컨대 물, 흙, 식물, 금속 등에 육화되어 있다. 이 신들 각각 은 덕의 상징이자 세계의 구성 원소를 보존하는 신이다. 이들 신은 지 고의 신인 아후라 마즈다를 중심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조로아스터의 설법인 『가타』 찬가에서뿐만 아니라 『아베스타 경』의 「야슈트 Ya S't s 」 찬가집 2) 에 수록된 신화적 • 서사시적 덱스트에서도 끊임없는 간구의 대 상으로 불리고 있다. 이들의 집합명사 arna~a s pan t a 는 〈불멸의 거룩한 것들〉로 번역될 수 있다.

2) r 야스나』에 나오는 찬가에 이어서 후대에 지어진 신들을 찬미하는 노래로서 다 른 찬가와 더불어 『 소 아베스타 경 』 을 구성한다 .

이 밖에도 s p an t a 는 흔히 종교 세계의 가장 중요한 개념을 특칭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 그것은 m?Ora 〈효력 있는 말〉, rna iny u 〈(신적) 영혼〉, xra tu〈정신력, 정신의 강인한 힘〉, g a8a 〈노래, 찬가〉와 결합되어 서용된다. 생물 명칭과 함께 사용되어 그것은 haorna 술〔베다의 soma 주(酒)〕의 신에 대한 부가어이며, 우주론에서 소와 같이 중요한 동물에 대한 부가어 gao-s p an t a 로 사용된다. 그것은 땅의 신인 Ararna ti의 명 칭 자체의 한 요소가 되기도 한다. 그래서 s p an ta -arrna ti는 중기 이란 어에서 S p andarrna t가 되었고, 두 요소가 아주 밀접하게 결합되어 이 명사는 더 이상 합성어로 인지되지 않았다. 이란 차용어가 많고, 또 이 란 전통을 따르는 수많은 용어를 간직하고 있는 아르메니아어 어휘에 는 디오뉘소스에 해당하는 명칭 S p andararne t와 명사 sandara-rnetk c 〈지하 세계〉가 남아 있다. 이 명사의 sand- 는 고대 s p an t a- 의 방언형

을 나타낼 수도 있다. sandaname t에서 파생된, 아르메니 아어 자체 에서 생겨난 파생어도 있다 . 예컨대 sandarame t -a yin은 그리스어 khth 6 - n i os 〈지하의〉를, sandarmer-akan 은 그리스어 ka t a-kh th 6n i s 〈땅 밀의〉 를 번역한 것이다. 따라서 아르메니아어 에서 S p andarame t가 풍요의 신 으로서 디오뉘소스의 역할을 하게 된 것은 고대의 땅의 신이었기 때문 이다 그러나 그 세부적 발달 사항은 아직도 분명하지 않다. s p en t a 를 중심으로, 동일 단어군에서 파생되기는 했으나 때로는 서로 상관이 없 는 여러 형용사와 명사를 재분포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우선 성질 형 용사 spe n ta - 7} 급수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항상 보여 주는, 비교 급과 최상급 spa n y a h-, spe n i~ ta- 의 에도 종교적 진리 에 대한 지식 또 는 이해를 가리키는 mas ti와 결합하는 명사 spa n ah

는〉을 의미한다 . 마지막으로 셋째 합성어 savo-g a 죤諒는 〈피조물에 이 익이 되는〉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증대(번식)는 인간의 통상적인 수단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신만이 지닌 속성이다 . 이 세 부가 어는 언제나 신의 속성을 수식한다. 따라서 이들은 초자연적인 성격의 특성, 죽 피조물의 세계에 증대(번식)를 만들어 내는 특성을 요약하고 있다. 형용사 sura 는 〈강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또한 많은 신들, 자라두스트라 Zara8u~ tr a 같은 몇몇 영웅들, 그리고 〈서광〉과 같 은 개념에 대한 수식어로도 사용된다 여기에서 일차적인 의미를 제공 하는 동일한 어근을 지닌 유관 형태들과 비교를 해 보자. 베다 산스크 리트어 동사 頭_, sva_ 는 〈팽창하다, 성장하다〉를 의미하되 〈세력〉과 〈번영〉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여기에서 sura- 〈강한, 용감한, 굳센〉 가 나왔다. 이와 동일한 개념적 관계에 의해서 한편으로는 그리스어 현 대형 kue t n 〈임신하다, 태(胎) 내에 아이를 갖다〉, 명사 kOma 〈(물결의) 팽창 , 파도〉와 다른 한편으로 kOros 〈힘, 통치권〉, kur i os 〈최고의 권위를 지닌 자〉가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비교는 〈팽창하다〉라는 의미가 지닌 최초의 실체가 무엇인지 세 언어 각각에서 그 독자적이고 구체적인 발달 과정을 밝혀 준다. 세 언어 모두는 명사나 형용사 *ku_ro —— 이는 〈힘, 세력〉, 〈권위〉의 의 미를 지녔다―一의 구성이 _ro_ 인 점에서 일치한다. 그러나 이란어는 이 의미가 지닌 함축적인 내용을 독창적인 의미 가치로 발달시켰고, 그 로부터 여기에 연구된 바와 같은 종교적인 개념을 끌어 내었다. 그리스어에서처럼 인도 • 이란어도 그 의미가 〈팽창〉에서 〈힘, 세력〉, 〈번영〉으로 발달했다. 아베스타어 형용사 sura 에 의해 정의되는 이 〈힘〉은 충만한 힘, 팽창의 힘이다 . 마지막으로 s p an t a 는 이러한 자질, 죽 내적 발달, 성장, 힘을 지니고 있는 개념이나 존재를 가리킨다 . 그리 하여 그리스어 kueo 〈임신 상태에 있다〉와 kur i os 〈최고 권위를 지닌

자〉, 아베스타어 sura 〈강한〉와 sp en ta 사이의 관계가 복구되는데, 바로 이러한 관계를 통해 〈신성〉의 개념에 대한 특이한 기원이 점차 명확해 진다. s p en t a 한 존재나 사물은 넘치는 초자연적인 힘으로 팽창한다 . 그 것은 중립적 의미와 타동적 의미에서 성장시키고(성장하고), 증대시키는 (증대되는) 속성이 있는 권위의 힘과 효력을 지니고 있다 . 이러한 의미 작용이 이란어의 언어 의식 내에서 오랫동안 살아 있었다 . 펠레비어로 된 『 아베스타 경 』 의 번역과 주해서는 s p en t a- 를 aPzon i k 〈넘쳐 흐르는 듯이 풍부한, 힘으로 팽창된〉으로 번역, 해설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는 슬라브어 용어는 비록 기독교적 개념 (ha gi os, 거룩한) 의 번역으로만 출현하지만, 우리는 고대 슬라브어 sv~ tu의 원래 개념이 자연주의적 의미 표상을 지녔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s p en t a - 의 단어군에 속하는 이란어의 형태――이들 형태는 그 수가 꽤 많다――는 종교적인 의미 가치를 지니게 된 이후부터 아주 중요해 졌다. 이들은 초자연적인 힘과 동시에 몇몇 신화에 나오는 형상들의 〈신성〉을 가리키게 되었다 . 이처럼 거룩함과 신성의 특성은 생명을 탄 생시키고, 자연의 생산울 낳게 하는 풍요한 넘치는 힘이라는 개념으로 정의되는 것이다. * 이제 게르만어군에서 이와 동일한 관념, 죽 〈신성〉의 개념을 표현하 는 다른 표현을 살펴보자. 슬라브어 SV 안 U 와 상관 있는 게르만어 용어 는 고트어 형용사 we i hs( 그리스어 ha gi os 를 번역한 것)이고, 여기에서 동사 we i han( 독일어 we i hen) 〈신성하게 만들다; 그리스어 ha gi aze in)과 we i hnan 〈신성하게 된 ; 그리스어 ha gi azes t ha i〉이 파생되었다. 추상명 사 we ihip a 는 그리스어 ha gi asm6s 〈신성화〉를 번역한 용어이고, weih a 는 〈사제〉를 가리킨다.

이 단어는 게르만어군 전체에서 나타난다 . 죽 앵글로 • 색슨어 W ih- da g〈성일(聖日)〉 , 고대 고지 독일어 w i h 〈거룩한, heili g>,고 대 아이슬 란드어 ve 〈사원, 신성한 곳〉 등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게르만어 이외의 언어에서는 아주 제한되고, 불확실하며, 명확히 규정하기 어려운 대응 만이 있다 . 이와 비교할 수 있을 것으로 짐작되는 유일한 형태는 라틴 어 u ictirn a 〈신에게 바친 침승〉이다. 그러나 이 라틴 단어의 조어법은 거의 불분명하다 . 이것은 접미사 - i rna 가 첨가된 거의 유일한 예로서 이와 동일한 의미군에 속하는 디론· 형용사 sacrirn a ―一 이는 페스두스 의 고대 주석에 의해서만 알려져 있고, 바쿠스 신에게 바치는 순한 햇 포도주를 가리킨다_도 여기에 추가된다. 따라서 어기 이의에는 비 교가 전혀 명확하지도 않고 만족스럽지도 않다 따라서 여러 번 제시된 가설이기는 하지만, 이 어간의 말위 자음의 교〈그체가가 신 있성는하 게제 3만 의들 도대록응〉어 또를는 움이브와리 유아사어 한명 의령미법라 면ev e—ie— tu 에一서― 찾이것아이볼 수 있다 . 문맥도 이러한 해석을 유도하는데, 이 해석은 사실 부분적으로 는 어원론적인 해석이다. eve i e- tu(-t o 로 된 라틴어 명령법 참조)라는 형 태는 * e-we ig -e - t od 에서 파생되었을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해석을 받 아들인다면, 이 두 언어군에서 동일한 의미 작용을 찾아볼 수 있다. 따 라서 고트어의 〈신성〉의 개념은 신의 전유물로 바쳐진 〈신성화된〉 대 상의 성질에 의해 정의된다는 사실을 확증할 수 있다. 이 개념이 이란어, 발트어, 슬라브어가 번역한 개념과 얼마나 다른지 도 알 수 있다 . 현재로서는 이러한 차이로부터 끌어 낼 수 있는 결론은 없다. 이 차이를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 이 조사의 끝에 가서, 각 언어에서 사용되고 있는 여러 용어를 조사한 후에야 우리에게 유일 하게 나타나면서 인도 • 유럽 민족들에게서 아주 다양한 표현을 보이는 이 개념의 더욱 깊은 의미 작용을 어떻게 한정해야 할지 알게 될 것이다. 한 가지 놀라운 사실은 거의 모든 언어에서 〈신성〉의 개념에 대하여

하나의 용어가 아니라 두 가지 용어가 있다는 것이다. 이란어에서는 s pdn t a_ 라는 단어 의에 i us 와 관련해서 이미 살펴본 동사 yao~da 를 상 기해 볼 수 있다 .3) 이러한 이원성은 게르만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죽 고트어 we i hs 〈신성한〉와 룬 비문(碑文)의 hail ag , 독일어 he ilig이다. 그 리고 라틴어 sacer 와 sanctu s , 그리스어 ha gi os 와 h i er6s 이다 . 이러한 이 원성은 각 언어에 고유한 용어로 고찰해야 하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우선 게르만어 자료를 고찰해 보자. 오늘날 독일어 he ilig로 대표되는 개념의 출발점으로 전혀 다른 개념, 죽 〈안녕, 건강, 신체적, 육체적 건 전함〉의 개념을 표현하는 고트어 형용사 ha il s 를 지적할 수 있다. ha ils 는 그리스어 i>V lTJS , i> Vl Q lVWV 〈건강한, 튼튼한〉을, g a - ha il s 는 그리스어 6A0KAn pos 〈전체의, 완전한〉를, 부정 형용사 un-ha i ls 는 그리스어 &ppu o 1:0s , KQ K @s EXWV 〈아픈, 병든〉을 번역한 것이다 . 그리고 명사 un-ha ili 〈환자, 병자〉가 있다. 이 명사 어간으로부터 동사 (g a)ha ilj an 〈건강하게 만들다, 치료하다〉과 gah ai lnan 〈건강하게 되다, 낫다〉이 파생되었다. 고트어에서 고대 아이슬란드어로 넘어가면 의미 작용이 다소 달리 나타난다. 고대 아이슬란드어 he il은 〈길조〉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고 대 영어 hael 은 〈길조, 행복, 전조〉를 의미한다. 그리고 아이슬란드어 파생동사 he il sa 는 〈인사하다, 안녕울 빌다〉를 의미한다. 다른 한편 게 르만어군 전체에서 공통된 접미사를 이용하여 형성된 형용사 *ha ilag a - 가 있다. 이것은 중성형 ha il a g를 페트로사 Pe tr ossa 의 금반지에 새겨진 고대의 룬 문자 비문 Guta n Iow i ha i la g에서 볼 수 있다. 이 비문은 〈고트족의 신에게 바쳐진〉이라는 의미이다 . 룬 문자로 된 다른 비문에 서도 역시 wodin i ha il a g가 나타나며, 이는 〈보탄 4) 에 의해서 행운이 주 어전〉으로 번역된다. 이 형용사는 다른 게르만어에서도 확인되는데, 예 *3) 앞의 134 쪽. 4) Wota n : 고대 스칸디나비아의 신인 오딘 Od in의 독일어 명칭 . 〈분노〉란 뜻이다. 전쟁의 신이며, 룬 문자로 기록된 글의 신이며, 시(詩)의 신이다.

컨대 고대 아이슬란드어 heil ag r , 고대 고지 독일어 heil a g 〈 he ili s 〉이다 . 영어에서 그것은 hol y가 되었는데, 이는 고트어 ha il s 에 대응하는 whole 〈전체의〉과 연관된다. 이 두 개념은 오늘날에는 분화되 었지만 고대에는 아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었다 . 이 단어군이 유사한 발달을 한 곳은 오직 게르만어뿐이다 . 그러나 어 원상으로 볼 때 그것은 고립된 것이 아니다. 고대 슬라브어 &lu 〈건강 한, 전체의, saluus 〉를 이것과 연관지어야 한다. 또한 파생 현재형 c~lj9 〈치료하다〉도 마찬가지이다. 발트어군에서는 고대 프러시아어 kail s 〈 he il〉와 추상명사 ( - un 으로 된 여성 대격형) ka il us ti skun 〈 좋 은 건강〉이 이와 대응된다. 마지막으로 켈트어에서도 역시 대응이 나타나는대 , 게일 어 coel 〈전조〉, 고대 브르타뉴어 coel 〈전조의 해석자〉을 비교할 수 있다 . 이 모든 형태의 원형은 형용사 * ka il os 로 귀착되며 , 이 형태는 인도 • 이란어와 그리스어에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고, 서부 언어에서조차 슬 라브어, 게르만어 , 켈트어군에만 국한되어 나타난다. 발트어가 어두 k- 를 지닌 고대 형태로 게르만어에서 이룰 차용했는지 확신할 수 없다 . 고트어 이후 ha il s 〈건강 상태가 좋은, 육체적 완전무결함을 누리는〉 는 또한 그리스어 kha i re 〈건강하세요!〉로 번역되어 기원(祈 願 )의 형태 로서 기능을 한다. 신체적 온전함은 아주 특칭적인 종교적 의미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건강(신체적 완전함)〉을 지닌 자, 다시 말해서 완전무결한 육체적인 특질을 지닌 자는 〈건강〉을 타인에게 부 여할 수 있다 〈완결무결하다〉는 것은 사람들이 바라는 행운이며, 사람 들이 기대하는 운세이다. 이처럼 완벽한 〈온전성〉을 신의 은총, 신성한 의미 작용으로 보았다는 것은 자연스럽다 . 신은 본래적으로 완전성, 건 강, 행운을 선천적 자질로 가지고 있으며, 그것을 인간에게 신체적 건강 과 예고된 행운의 형태로 나누어 준다. 비록 덱스트의 성격 때문에 이 개념의 출현이 허용되지는 않아서 고트어에 he ilig란 개념이 명백히 출 현하지는 않지만, 참재적으로는 나타난다. 역사의 흐름을 통해 최초의

고트어 용어 we i hs 가 hail s, ha ilig s 로 교체되었다 . 라틴어 —sac er : sanctu s 이제 중요한 단어군에 대한 연구로 넘어가 보자. 이는 현대적인 형 태로 나타나는 , 〈 신성〉의 개념을 지시하는 단어들로만 구성되는 단어 군이다 . 라틴어에는 sacer 와 sanctu s 두 단어가 있다. 그러나 이들의 관계는 형태론적인 관점에서는 아주 명백하지만 문제가 되는 것은 이 두 용어 의 의미 작용이다 . 라틴 용어인 sacer 는 우리에게 있어서는 〈신성〉의 가장 엄밀하고 구 체적인 의미 표상을 담고 있다. 세속과 신성의 구별이 가장 분명히 드 러니는 것은 라틴어이다 . 또한 〈신성〉의 모호성을 발견할 수 있는 곳도 라틴어이다. 죽 그것은 신에게 바쳐진 것과 지울 수 없는 오염으로 가 득 찬 것, 장엄한 것과 저주받은 것, 숭배받을 가치가 있는 것과 공포심 울 느끼게 하는 것을 가리킨다. 이러한 양면적 가치는 sacer 와 sanctu s 를 구별하는 데 도움을 준다. 왜냐하면 sanc tu s 와 관련된 형용사에는 이것이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신성〉의 메커니즘과 희생 제사와의 관계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해 주는 것도 sacer 와 sacri fica re 사이에 확립된 관계이다 . 우리에 게 익숙한 이 〈희생 제사〉라는 용어는 공통점이 전혀 없어 보이는 관념 과 행위를 연관짓고 있다. 〈희생 제사를 드리다〉가 원래는 〈신성하게 만들다〉 (sac rifici urn 〈희생 제사〉 참조)를 의미하는 데도 왜 실제로는 〈죽 이다〉를 뜻하게 되었는가? 왜 희생 제사는 반드시 죽임을 포함해야 하 는가? 이러한 기본적인 함축 의미에 대해서 위베르와 모스의 논문5 ) 은 가장

*5) Hubert et Mauss, 『희생 제사의 성질과 기능에 관한 논고 Essa i sur la natu re et Jes f(? ncti on s du sa crifi ce 』 , in M. Mauss, 『 저작, 집 OEuvres 』, 제 1 권 , Pa ris, Ed., d e Minuit, 1968, pp. 1 93-307.

명약관화한 빛을 던져 준다 . 이 논문은 , 희생 제사가 행해지는 것은, 세 속 세계가 사제를 매개로 하여 예배 의식을 통해서 신적인 것과 교류하 기 위한 것이라는 사실을 보여 주고 있다 짐승을 〈신성하게 〉 만들기 위해서는 이승의 세계와 단절시켜야 하며, 그래서 두 세계를 구분하는 이 경계를 넘어야 한다. 바로 이것이 죽임을 당하는 이유이다. 여기에서 sacerdos 러는 용어의 아주 깊은 의미 가치가 유래한다. sacerdos 는 어 근 *dh 존-〈만들다, 두다〉를 이용해서 구성된 *sakro-dh ot -s 에 근거하 여 만들어전 용어이다. 여기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만들다, 수행하다〉 (facio 참조)라는 의미 가치가 생겨났다. sacerdos 는 sacr ifici um 의 행위 자이다 . 즉 〈희생 제사 드리는 것〉을 허용하는· 권한을 지닌 자이다. 형용사 sacer 의 고형은 * sakros 로서 이 형태에는 변이형, 죽 이탈리 크어 형용사 sakr i-가 있는데 , 이것은 고대 라틴어의 복수형 sacres 에서 부분적으로 관찰된다 . 이 * sakros 는 어근 *sak- 에서 파생된 -ro 형의 파 생어이다. 그런데 sanc tu s 는 원래 san ci o 의 분사이며, 이 분사 역시 동 일 어근 *sak- 에서 비음 집중사가 첨가되어 파생된 것이다 . 비음 집중 사가 첨가된 이 -i o 형의 라틴어 현재와 *sak- 의 관계는 리두아니아어 의 j un gi u 〈결합시키다〉와 j u g - 의 관계와 같다. 그리고 이 파생 절차는 널리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형태론적 관계는 서로 다른 의미를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san ci o 와 sanctu s 전체를 어근 * sak- 와 결부시키는 것으로 는 충분하지 않다. 그것은 sacer 가 다시 동사 sacrare 를 파생시켰기 때 문이다. 또 san ci o 는 〈 sacer 하게 만들다〉를 의미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 리하여 sacrare 와 sanc ir e 의 관계를 명확히 규명해야 한다. 우리는 페스두스에서 여기에 대한 명확하고도 유용한 정의를 읽을

수 있다 . homo sacer is est que rn pop ul us iud ic a uit ob malefic iur n ; neq ue fas est eum irnmo lari, sed qui occi di t par ric idi non darnnatu r . sacer 라고 불리는 자는 인간 사회의 밖으로 추방당하는· 진정으로 더러 운 홈울 가지고 있다 . 그렇기 때문에 그와의 접촉은 피해야 한다 . 그를 죽이더라도 그 때문에 살인자가 되지 않는다 . 인간에게 homo sacer 가 갖는 관계는 sacer 한 동물이 신에 대해 갖는 관계와 동일하다. 즉 인간 이나 동물이나 sacer 한 것은 인간 세계와는 관련되는 사항이 전혀 없다 는점이다 .

sanc tu s 6) 에 대해서는 『 디게스타 D ig es t e 』 7 ) I, 8, 8 에 정의가 나온다. sanctu m est quo d ab iniur i a homi nu m defe n sum at que munit urn es t〈 sanc tum은 인간의 접촉으로 인한 훼손으로부터 방어되고 보호된 것이다〉 . 또한 『 디게스타』 I, 8, 9 § 3, 참조 : pro p ri e dic imu s sancta qua e neq ue sacra, neq ue pro fa n a sunt, sed sancti on e qua darn con firrn ata , ut leg es sancta e sunt . ... ; quo d enim sancti on e qua darn subnix u m est, id sanctu m ist, et si deo non sit consecra turn〈신성하 지도 않고, 세속적이지도 않으나 형벌에 의해서 확인된 것들울 고유한 의미의 sanc t a 라고 지칭한다. 예컨대 법은 sanc t ae 하다 . 그래서 형벌을 받게 되는 것, 그것은 신에게 바쳐진 것이든 아니든 sanc tu m 하다〉. 이 정의는 순환적이다. 즉 sanc tum은 sanc tum이란 단어의 추상형인 sanc ti o 에 의해서 지지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 어쨌든 sanc tum은 〈신에 게 바쳐진 것〉이 아닌 것, sacer 라고 불리는 것도 아니고, 또 〈세속적 인〉 것, 죽 sacer 와 대립된 것도 아니다. 그래서 그것은 그 어느 것도 6) 이 단어에 대한 자료로서 유용한__아직도 유효한-연구에 대해서는 L in k 의 박사 학위 논문 , 『이교도적 용법에 나타난 어휘 sanc tu s 에 대하여 De voc is sanctu s usu p a g ano 』, Koe nigsb erg, 1910 을 참조할 것. 7) 동로마 황제인 풀라비우스 페트루스 삽바티우스 유스티니아누스(재위 527- 56 7 년)가 집대성한 책으로 사회, 법률, 제도 등이 담겨 있다 .

아니기 때문에 sanc ti o 에 의해서 확립된 것, 굳어전 것이고, leg es sanc t ae 〈신성한, 어길 수 없는 법들〉처럼 어떠한 훼손이든지 훼손을 가 하는 경우, 형벌로 처벌을 받기 때문에 보호되는 것을 가리킨다 lex sanc t a 에서는 이 형용사가 아직도 과거분사가 지닌 힘을 온전하게 간직 하고있다 . 위르길리우스에 나오는 오래 된 지명 Amp sa nctu s (Amp sa ncti ualles) 〈암프상크투스 계곡〉가 진정 uin d iq u e sancti (S erviu s ), 죽 〈온 사방이 sanc ti한〉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amb- 는 〈양쪽의〉를 의미하기 때문에, 이것은 sanc tu s 가 〈방어물로 둘러싸인, (경계나 장애물에 의해 서) 방어된〉을 의미하는 것으로 확정할 수 있다 . leg em sanc ir e 란 표현에서 sanc ti o 는 본래 법을 위반하는 자에게 부 과하는 형벌을 규정하는 특정 부문의 법을 가리킨다. 그래서 san ti o 는 흔히 poe na affi cere 〈형벌을 과하다〉와 똑같은 의미를 지닌다. 그런데 고대 로마법에서 형벌은, 보복자로 개입하는 신들이 손수 내린다. 이러 한 경우에 적용된 원리는 다음과 같이 간략한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 다. Qui lege m uio l auit , sacer es t o 〈법을 위반한 자는 sacer 하도록〉. 이 런 종류의 법을 leg es sacra t ae 〈거룩한 법들〉로 불렀다. 따라서 법은 위 반할 수 없는 것이 되었고, 이러한 〈형벌 (sanc ti on) 〉은 법의 효력을 발 생케 한다. 여기에서 법의 포고를 허용하는 이러한 구절에서 사용된 동 사 sanc ir e 의 용법 이 생겨난 것이다. 사람들은 leg em sancir e, lex sanc t a 라고 말했을 뿐만 아니라 leg e sanci re , 죽 법 에 의 해서, 법적 조 치로써 어떤 것을 위반할 수 없는 불가침의 것으로 만들다라고 말했다. 이 모든 용법에서, 결국 sanc ir e 는 어떤 규정의 적용 영역을 정하고, 이러한 규정을 신의 보호 아래 둠으로써 있을 수 있는 범법자에게 신의 형벌을 내리게 하여, 그것을 위반할 수 없는 신성불가침의 것으로 만들 었다는결과가니온다. sacer 와 sanc tu s 의 차이는 다수의 상황에서 드러난다. 자연 상태 인

sacer 와 행위의 결과인 sanctu s 사이에는 차이점만 있는 것이 아니다 . uia sacra 〈 신성한 길〉, mons sacer 〈신성한 산〉, die s sacra 〈신성한 날〉 라고 말한다. 반면 murus sanctu s , lex sanc t a 라고 말한다. sanc tu s 한 것은 벽이다 그러나 벽이 둘러싸고 있는 영지(領地)는 아니다. 이 영지 는 sacer 하다고 말한다 어떤 유형의 형벌에 의해서 보호되고 있는 것이 sanc tu m 〈신성한 곳 , 침범할 수 없는 곳〉이다. 신성한 것과 접촉한다는 것은 sanc tu s 한 상태가 아니다. sacer 한 것을 접촉함으로써 자신이 sacer 해지는 자에 대해서는 아무런 〈형벌〉이 없다. 그는 공동체에서 추 방되 며, 처 벌을 받지 않고 그를 죽이는 자도 없다. sanc tu m 은 sacrum 울 모든 접촉으로부터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것은 sacrwn 〈신성한 것 , 대상〉의 주위에 위치하는 것 같다 .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신성의 고대적 의미 가치가 형벌로 이관됨에 따라서 점차 사라졌다. murus 만이 아니라 모든 영지와 신의 세계와 접 촉하는 모든 것도 sanc tu s 하다. 이것은 부정적 성격의 정의(신성하지도 않고 세속적이지도 않은 것)가 아니라 적극적인 개념이다. 죽 신의 은총 이 있는 것으로 드러난다. 그래서 이 때문에 인간들의 차원 위로 고양 시키는 자질을 부여받는 자는 sanc tu s 가 된다. 신의 권능은 그로 하여 금 인간과 신의 중간에 서 있는 매개자로 만든다. sanc tu s 는 죽은 자(영 웅들), 시 인들 (ua t es), 사제들과 이들이 거주하는 장소에 적용된다. 결국 은 이 부가어가 신 자체 에까지 적용되고 (deus sanc tu s 〈거룩한 신〉) , 신 탁, 권위를 지닌 사람들에게까지 적용된다 . 그리하여 점차 의미 전이가 일어나서 sanc tu s 가 uenerandus 〈경의하는〉와 똑같은 의미를 지닌 단어 가 되어 버렸다. 여기에서 이 단어의 의미 전화는 끝났다. 죽 이 때 sanc tu s 는 초인간적 자질을 수식하는 것이다. 따라서 sacer 와 sanc tu s 를 구별짓는 의미를 한정하려고 한다면 , sacer 는 묵시적인 신성이고, sanc tus 는 명시적 신성이라는 차이가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 sacer 는 그 자체로 고유한, 신비스런 의미 가치가 있다 .

sanc tu s 는 인간이 책임을 지고 있는 금지의 결과 생긴 상태이며 , 법에 의거하고 있는 규정에서 생겨난 것이다 이 두 용어의 차이는 이들이 결합된 합성어 sacrosanc tu s 〈신성불가침의〉에서 드러니는대, 이것은 sacrum 에 의해서 sanc tu s 하게 된 것을 가리킨다 죽 진지한 성사(聖事) 에 의해서 보호되는 것을 가리킨다. 이러한 차이를 강조하는 것은 불필요한 일이 아니다. 이러한 차이를 무시하는 자들이 흔히 저지르는 오류를 보면, 어떤 비교언어학자 8) 는 와 로의 『시골일』 3, 17 을 인용하기도 한다.

그 는 이 구절로부터 sacer 의 비교급이 sanc ti or 라는 결론을 내린다. 인도 • 유럽어 비교급의 접미사 -i os 는 어 근 자체에 첨가되기 때문에 sanc ti or 는 *sa ci or 를 대신한다. 최상급 sacerr irn us 는 거기 에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라틴어 최 상급이 인도 • 유럽어 형태를 보존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한다 . 이 러한 추론은 실상을 오해하고 있는 것이다 만약 우리가 sanc ti or 를 sacer 의 비교급으로 간주해야 된다면, 이 두 형용사는 요컨대 서로 교체 가능해야 할 것이고, sacer 는 비교급에서 sanc tu s 의 형 태를 빌려 사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면 위의 글은 〈마치 이들(물고기들)이 신성한 것처럼, 그리고 뤼디아에서보다 여기가 더욱 신성한 것처럼〉으로 번역 해야 할까? 분명 그렇지 않다. 이 물고기들은 한편으로는- 〈신성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뤼디아에 있는 물고기들보다도 〈더욱 sanc ti〉하다 . sacer 는 절대적 성질이며, 급수가 없다. 찰 해야 상상할 수 있는 최고의 표현은 sace rrirn us 〈모든 것보다 월등히 신성한〉이다. 그러나 sanc tu s 는 상대적인 영역에 속한다. 죽 어떤 것이 다소간 sanc tu m 할 수 있다. 이 점 에 대해서는 와로의 다른 저작 『라틴어론』 VIII, 77 에서 확인된 8) Spe c ht, 『비교 언어연구지 Zeit sch ri ft Jar vergl ei c h ende S p rachf o rschun g』, 65, 1938, p. 1 37.

다. 이 문법서의 비교급과 최상급의 구성 방식에 대한 논의를 보겨-. 와 로는 이와 관련해서 원급에서 동일한 형태를 갖는 형용사들이 보여 주 는 차이에 대해 관심을 집중시킨다 . 그는 macer 〈약한 , 가는〉, sacer, t ener 〈 부드러운〉의 세 형용사를 예로 들고 있고, 이들의 최상급은 동일 하다고 한다. 죽 rnacerrirn us, sacerr irn us, t enerr i rnus 이다. 그러나 그는 비교급에서 단지 두 단어의 비교급 rnacr i or 와 t ener i or 만을 제시하고 있다. 그가 *sacr i or 를 인용할 수 없었던 이유(하지만 그는 sacer 와 sacerr i rnus 를 들고 있다)는 sacer 가 비교급이 없었기 때문이다 . 이것이 비교급이 없는 이유는 이 단어의 의미가 비교급을 허용치 않았기 때문이 다. 그래서 위에 인용한 구절은 이미 이 사실을 알려 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스어 —hie r 6s 그리스어의 사실 역시 자세한 조사를 요구한다. 여기에서도 hi er6s 와 hag ios 두 용어가 문제시된다. 이 두 용어는 그리스어 내적으로나 의적 으로 이들 각각에 부여해야 하는 정확한 의미와 또 그 어원 때문에 많 은문제를제기한다. 일반적인 견해로는 h i er6s 도 인도 • 유럽어 어원을 가지고 있다고 한 다. 그러나 인도 • 유럽어 어원은 이 용어의 용법 자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산스크리트어는 여기에서 결정적 역할을 한다 . hier 6s, 음성적으로는 ha i ar6s( 아이올리스 방언)는 베다 산스크리 트어 i1?ir뱌와 대응한다. 의미상의 난점에도 불구하고, 이 비교에 대해 의의를 결코 제기한 적이 없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베다 산스크리트어 형용사 i$ira}:l는 어떤 종류의 신들, 신화의 인물 둘, 종교적 개념의 서술어로 사용되며, 어떤 성질을 표현한다. 그 번역 은 다양하나 모두 〈기운〉, 〈활기〉와 관련된다. 제시된 등가치를 지닌 단

어들은 i$(i)〈생생하다, 열렬하다, 힘 있다〉에서 근거하고 있으며, i$ira h 에서 파생된 것들이다. 이와 같은 의미가 베다 찬가에 나오는, 신을 수 식하는 수식어로 사용되었고, 사실은 약간 모호하나 추정이 가능한· 의 미이다. 결국 i$i ra 와 hi er6s 의 비교가 형태적으로는 잘못이 없지만 그 리스어 h i er6s 를 분석할 수 있는 조건은 될 수 없다 . i$i rah 를 좀더 명확 히 규명하기 위한 출발점은 h i er6s 의 내적 분석이 제시하는 의미와 반 대된다 .9) 부가어 i$i rah 는 바람의 명칭과 함께 사용된다. 예컨대 isi r o va tal_l〈질풍〉 또는 〈어지럽게 부는 바람〉과 같다. i$ir ah 가 asva- 〈말〉 와 결합될 때도 그 의미는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asvail: i manoja v ebhir i$iri h 〈생각처럼 빠르고, 맹렬한 말들과 함께〉. 또한 춤추는 부인 인드라 와도 결합되어 사용된다 . nrta v i~iro babh ut ha 〈오! 춤추는 자여, 그대 는 혈기왕성하고, 날렵하구려〉. 이를 ke tu〈깃발, 군기〉에 대해서도 적용 할 수 있다. isir am ke tum〈펄럭이는 깃발〉(거의 같은 의미로).

*9) J. Duchesne-Guil lem in, 『 보이사크 기념논집 Melang es Bo i sa q』 I, 335 는 hier 6s 와 관련하여 i 5 ir랴에 대해 좀더 상세한 설명을 하고 있다. 또한 L. Renou, 『 베다 와 파니니 연구 E ti ,des vediq u es et p an i neenes 』 IV, p . 40 과 A. Pag liar o, 『의미론 비판 시론 Sag gi di cri tica seman ti ca 』, 1953, p. 89 이하 참조

하지만 이 부가어는 또한 다른 개념, 예컨대 목소리도 수식한다. vacarn anamIv 하 n i$ir 5m 〈홈 없고, 강력한 목소리〉. 또한 소마 주(酒)나 하늘 의 암소 우유 같은 것도 수식한다. 이 때 그 의미는 〈원기를 북돋? t>, 〈기운차게 만드는〉이다. 다른 범주들도 또한 이처럼 수식할 수 있다 . 예컨대 희생 제사를 드 리는 자의 정신과 정신 상태와 같은 것이다. 사람들은 i~ira m mana l:i라 고 말하는데, 이는 그리스어의 대응 표현 hier on menos 보다 훨씬 더 충 격적인 고정 표현이다. 예컨대 i~iren a te manasa suta s y a bhaksrmahi (『리그 베다』 VITI, 48, 7) 〈오! 짜낸 (소마) 술이여, 열렬한 영감을 받은 정신으로 우리가 그대를 맛볼 수 있기를〉 . J O)

*10) L. Renou, r 베다 연구 E ti ,des ved iq ues 』 IX, 1961, p. 69 는 다음과 갇이 번역한다. 〈들뜬 영혼으로 우리는 그대, 짜낸 (소마) 술에 참여하기를 바라노라 . 〉 i$ir a- 에 대한 설명 노트 123 쪽도 참조.

형태론적으로 볼 때 i~i ra- 의 구성은 명확하다 그것은 여성 i s- 〈정력 울 돋구고, 기운을 솟게 하는 봉헌주〉의 명사 파생동사인 i sa y a ti〈그는 기운차게 만든다 , 강하게 만든다〉에서 파생된 형용사이다. 등가치적 의 미들을 확정시키기는 어렵지만 i s i ra- 를 신의 자질 차원에서 〈생생한, 기운찬, 재빠른〉과 갇은 일반적인 의미로 결론지울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념이 〈신성〉의 개념에 이르는 경우가 드문 것은 아니다. 한 가지 예 만 든다면, 아일랜드어 noib < s a cer,s anc tu s 〉 (<*no i bo_) 는 *ne i bo- 와 모 음 교체 관계에 있고, 이 * ne i bo- 에서 명사 nrab 〈생명력〉가 파생되었다. 이들은 비교 조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hi er6s 의 연구에 필요한 예비 적 자료이다 그러 면 h i er6s 는 무엇을 의 미 하는가? 호메로스의 각 구절이 즉각 보여 주는 이 용어의 의미를 차례로 해석 해 보면, 우리는 그 다양한 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학자들 은 h i er6s 를 세 단어로 구별지으려고 했다. 서사시의 언어에서 hi er6s 는 사실상 신성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는 생각되지 않는 사물이나 존재 에 적용된다. 이러한 견해를 또한 보이사크 Bo i sa q에게서도 볼 수 있다. 즉 〈신성한〉을 의미하는 hi er6s 가 있고, 〈강한〉을 의미하는 다른 hier 6s 가 있고, 〈활발한〉을 의미하는 제 3 의 hi er6s 가 있다는 것이다 . 오늘날 학자들도 이러한 구별이 작위적인 것이라는 점을 인정한다. 그래서 모 든 학자들이 이 단어 의미의 단일성에 대해서는 동의하고 있다. 그러면 그 의미가 어떻게 발달해 왔는가? 학자들은 출발점이 〈강한〉의 의미이 고 다음으로 〈신의 영향력에 의해서 힘으로 가득 찬〉이라는 의미가 되 었고, 여기에서 이차적으로 〈신성한〉의 의미가 발달했다고 한다. 이러 한 계보 단계를 반드시 수용해야 할까? 이를 한 번 검토하는· 것이 바람

직한 일일 것이다. 우선 이들 용법을 조사해 보자 . 우선 h i er6s 는 born6s 〈제단〉, heka t 6rnb 존〈희생 제사〉 같은 제사에 대 한 지칭을 수반하고 있다 . 다음으로 트로이아 갇은 도시 명칭, 그리고 성채(pt o li e t hron, 『오뒤세이아 』 1, 2), 트로이아의 성벽 (kredernna, 『일리 아스 』 16, 100), 데베와 그 성벽, 페르가몬, 에우보이아 , 알페이오스 강과 같은 지명을 수식한다. 그래서 h i er6s 가 존경, 경외를 뜻히는· 부가어라 고 인정할 수 있다. 이제 더욱 특이한, 따라서 더욱 유익한 결합어들을 보자 . 재판관들이 hier8 i eni kuklo i (h i er6s 한 원( 圓 )에〉( 『 일리아스 』 18, 504) 자리잡고 있 다. 재판관들 자신이 〈신성하지〉는 않지만 그들도 제우스에게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간주된다 . 장엄한 서약식에서 헤라가 증인으로 택한 제우 스의 hier~ ke p hale 〈거룩한 머리〉를 청하는데( 『 일리아스 』 15, 39), 여기 에서 이 단어의 의미는 즉각 해석된다 . 그러나 왜 hi er6s 가 마차에 대해서 사용될까( 『 일리아스 』 17, 464)? 그 구절 전체를 읽어 볼 필요가 있다. 〈강한, 힘이 센〉으로 번역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말들이 앞으로 나아가기를 거부하고 있기 때문에 움직이 지 않는 마차가 여기 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441, 451, 456 참조) . 그래서 제우스는 말들을 부추겨 아우토메돈의 마차를 끌고 오도록 이 말들에 게 힘을 불어 넣는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마차가 h i er6s 하다고 표현되 는 것이다. 이 상황에서 마차는- h i er6s 하나, 그것은 본래적 인 부가어는 아니다 . 마찬가지 이유로_ _ 그러나 여기에서는 더욱 명확하다――제우스 가 싸움 중인 두 나라의 운명을 달아 보는데, 그 저울이 h i ra 로 수식된 다(『일리아스』 16, 658). 밀을 타작하는 마당도 같은 부가어를 가지고 있다(『일리아스 』 5, 499). 여기에서도 문맥이 다음과 갈이 우리에게 정 보를 준다. 〈바람이 hi era i한 마당에서 밀 깍지들을 날리게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금발의 데메테르가 알곡과 깍지들을 가려낼 때….〉 여기

에서 h i er6s 를 사용한 것은 타작 마당과 타작 행위를 보호하는 신과 이 둘을 결부시켰기 때문이다. 여러 번 반복된 고정 표현 hier on @mar 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것 은 〈새벽과 신성한 날이었을 때〉(『일리아스』 8, 66) 이다. 왜 〈신성한가〉. 전체 구절을 읽어 보아야 한다 . 그것은 각별히 의미가 있는 날, 죽 제우 스가 이다 산의 꼭대기에서 신들에게 트로이아와의 접전에 개입하는 것을 막은 뒤에, 그 접전의 채비를 바라보는 날이다. hie r on @mar 가 나 오는 모든 예문에서 그것은 이와 다소 비슷한 상황과 관련 있다. h i er6s 는 또한 군대의 수식어이다(『오뒤세이아』 24, 81). 그러면 그 군 대는 〈거룩하고〉, 〈강한〉 것인가? 여기에서도 문맥을 살펴보자. 여기에 서는 아킬레우스에게 바치는 예식을 문제삼고 있다. 〈우리 그대의 뼈와 파트로클로스의 뼈들을 모았고, hi er6s 한 군대는 크고, 고고한 흙을 쌓 아 올렸다.〉 여기에서도 그것은 상황적인 부가어이지 본래적인 부가어 는 아니다. 이것은 군대가 수행하는 경건한 의식에 참여한 군대를 수식 하고있다. 이러한 용법은 다양성의 욕구에서 생겨난 것이 아니라 이들 용법이 사용된 문맥에서 결정되고 있는 것이다. hie r ~ ela i존〈 h i er6s 한 울리브나무〉(『오뒤세이아』 13, 372) 에서는 수많 은 전설에서 언급되고 있는 나무에 대해 전통적인 수식어가 사용되었 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문맥이 이와 무관한 것은 아니다. 이 울리브나 무 밀에 아테나 여신과 오뒤세우스가 앉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정황을 벗어나서는 결코 이러한 표현을 찾아볼 수 없다. 작은 골짜기가 h i er6s 로 수식되고 있는 것(『오뒤세이아』 10, 275) 은 오뒤세우스가 변장한 신을 만나는 곳이 바로 키르케 11) 의 처소 근방이기 11) Kir k 존 : 태양의 신 헬리오스의 딸로서 마법사. 섬에서 난파당한 오뒤세우스가 키 르애케고에 키 의르해케 로자 기하 여동금료 들그이들 을돼 지인로간 변모하습는으 로광 경다을시 보되고돌서리 게그 미한다약.들 의오 뒤효세력우을스 와없

키르케의 사랑으로 아들 텔레고노스가 태어난다.

때문이다. 이 부가어가 〈수니온 (Sun i on) 〉, 즉 〈아데네의 신성한 곶〉 (『오뒤세이아 』 3, 278) 에 적용된 것은 그 곳이 이미 그처럼 신성한 것으 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이미 거기에는 아데나 여신의 신전이 세워져 있 던 까닭이다. 이제 h i er6s 가 물고기에 사용된 단 하나의 특이한 예( 『 일리아스 』 16, 407) 가 남았다. 파트로클로스는 자기 창 끝으로 적군을 들어 울리는데, 이는 마치 바위에 앉아서 h i er6s 한 물고기를 바다 밖으로 낚아 내는 모 습과 흡사하다. 신성한 물고기? 펄펄 기운차게 살아 움직이는 물고기? 이 형용사는 〈펄쩍펄쩍 뛰는, 요동치는〉을 의미하는 것 같다. 그것은 낚시줄 끝에서 몸부림치는 물고기의 동작을 묘사한다. 바로 이 예는, hi er6s 가 바교에 의해서 타당한 근거로 제시될 수 있는 의미 작용을 지 닌 유일한것이다 . 인명과 함께 사용된 hiero n menos 란 표현- 예컨대 『오뒤세이아 』 8, 421, hier on menos Al kin 6o i o 〈알키노스의 신성한 힘〉 - 은 벌써 작시법상의 편의적 도구로써 사용된 허사에 지나지 않는다 . 이 형용사 hi er6s 가 생생한 용법으로 사용되었을 때 , 그것이 지녔던 의미 가치를 여기에서는 더 이상 읽을 수 없다 . 우리는 hi er6s 의 주목할 만한 용법을 빠짐없이 제시했다고 생각하는 데, 모든 용법에서, 즉 지명이나 강의 명칭(강은 신적인 것이다)과 함께 사용되었든, 인명이나 사물 명칭과 함께 서용되었든, 신의 명칭이나 인 간의 명칭과 사용되었든 또는 원소의 명칭과 사용되었든지 간에 우리 는 동일한 의미 가치를 확인했다 . 죽 모든 곳에서 hi er6s 는 〈신성〉의 영 역에 속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질이 자연적 • 본래적 연관에 의거해 이 개념에서 연유하든 아니면 상황에 의해서 이 개념과 연관되든지 상관없 이 그렇다. 이러한 의미 가치 없이는 희생 제물을 바치는 행위가 ta hie r a

〈신성한 것들〉로 명명될 수 없었을 것이다 .

* 그리스어와 인접하지만 그리스어 의부에서, 그리고 심지어는 인도 • 유럽어의 외부에서 h i er6s 와 유사한 형태를 지니면서 그 원형으로 상정 되는, 동일한 의미 영역에 속하는 일련의 단어가 있다 . 이들 단어는 이탈 리크 제어와 에트루리아어에서 신과 신적인 것과 관련되는 형용사이다. Aesar 는 수에토니우스 12 ) 가 Caesar 란 명칭을 설명하기 위해 인용한 에트루리아 • 라틴어의 단어이다. 이것은 아마도 〈신〉의 명칭일 것이다. 이것이 인도 • 유럽어이면서 에트루리아어와 접촉이 빈번했던 이탈리크 제어에서 그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 예컨대 오스카 어 ais u sis < s a cri ficiis> , 볼스키어 esaris tr om < sa cri ficium > , 움 브리아어 esono< di u i n u s> 또 는 같 은 형태이다

12) Sueto n i us Tran quill us( 약 69-140 년) : 카이사르 전기를 쓴 작가. 그 밖에도 작 품을 많이 썼으나 현재 남아 있는 것은 거의 없다 . 『 이름을 떨친 남성들 De Vir is 11/ 11s tri b11s 』 가운데 일부가 남아 있다.

다른 한편 에트루리아어 자체 내에서도 형용사 ais u na, ais n a, eis n a (장소와 시기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는 〈신적인〉을 뜻하거나 희생 제사 와 관련이 있다. 분명히 이 이탈리크어의 어기는 hi er6s 와 i$ir뱌의 어 기와 다소 유사하며, 언어학자들은 여기에서 에트루리아어와 인도 • 유 럽어 사이의 (넉넉잡아 선사적인) 친족 관계의 증거를 찾고자 했다 . 예 컨대 크레츠머 같은 학자는 지중해안에서 원시 인도 • 유럽어의 기충의 흔적을찾으려고 했다. 이 특수한 경우에 관해, 그러한 방대한 논제를 여기에서 다룰 개제는 못 된다. 단지 두 계열의 형태 사이의 차이를 지적해야만 하겠다. 어기 *a i s- 는 〈신〉을 의미하는 것 같고 ,13) 그렇기 때문에 hi er6s 〈신성한〉와

*13) 어간 ais ar 로부터 켈트 • 게르만어 용어 * i samo - 〈철〉(독일어 Eis e n, 영어 iron 등)가 유래하는 것 같고, 이 명칭은 이 금속을 〈하늘의〉라는 것으로 지칭하고 있 다. 엔티카 Cel ti ca 』 m, 1955, p. 279 이하 참조.

산스크리트어 i~i r 뱌의 어기와는 공통점이 전혀 없는 것 같다 .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이 두 형용사의 본래 의미는 이와는 - 전혀 다르기 때문이 다. 그리스어와 그 밖의 언어에서 h i er6s 의 단어족과 관련지을 수 있는 〈신〉을 가리키는 용어는 전혀 없다 . 이 둘은 전혀 다른 별개의 개념이 다 . 형용사 〈신적인〉은 그리스어에서는 t he io s 이며 , h i er6s 〈신성한 〉 오片근 절대로 혼동되지 않는다 . 라틴어 에서도 마찬가지로 d i u in us( 신적 인 ) 는 sacer 와 명 백히 구별된다 .

* 지금부터 그리스어의 〈신성한〉의 의미가치에 나타나는 좀 특수한 점 울 살펴볼 수 있는데 , 이것은 라틴어에서 sacer 가 의미하는 것과는 일치 하지 않는다 . sacer 에는 신적인 것에 귀속되는 별도의 영역이라는 개념만이 있다. 그래서 sacer 의 의미는 p ro f anus 〈f anurn 의 외부에〉라는 의미와의 대립 에 의해 밝혀진다 .u) sacer 의 영역은 장소를 어떤 방식으로 배치함으로 써 〈분리되는〉 별도의 영역이다. sacer 하게 만든다는 것은 신적인 것에 할당함으로써 인간의 영역 밖으로 배제하는 것, 인간의 영역 밖에 두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앞에서 분석한 호메로스의 예에 의 거해서 보면 , hi er6s 에서는 신의 영향 , 죽 신의 개입이나 정황에서 생겨 날 수 있는, 때로는 영속적이고 때로는 일시적인 속성을 볼 수 있다. 그리스어에서는 〈오점, 홈〉과 등가치적 의미를 지니면서 동시에

*14 ) p ro fan es 와 p ro f anare 의 의미에 대해서는 『 뒤메질 헌증 논집 Hommage s d G. Dumlzil. 1( Collecti on Lato m us, Vol. 45, 1960, p. 46 이하) 참조

sacer 한 사람을 죽음에 노출시킬 수 있는 〈신성한 것〉이리는· 이러한 오 염된 의마는 관찰되지 않는다 . 그리 스어 -h6sio s , hos i존 h i er6s 와 아주 유사한 단어는 형용사 h6s i os 이다. 이것은 〈신성한 것〉 과 역시 관련 있으나 그것이 담고 있는 뜻은 다르다. 리델과 스코트가 지은 『그리스어 사전』은 h6s i os 가 무엇보다도 〈산법에 의해서 처벌을 받는, 거룩한, 신성한〉을 의미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 h6s i os 의 의미는 흔히 한편으로는 d i ka i os( 인간의 법에 의해서 처벌을 받는)와의 관계와 다른 한편으로는 hi er6s( 신에게 바쳐진)와의 관계에 의존한다.〉 그래서 이것은 역설적인 의미 작용을 갖는 용어이다. h6s i os 는 신성 한 것에도 적용되고, 세속적인 것에도 적용된다. 이 형용사의 적용 영역 울 엄밀하게 한정함으로써 이러한 의면상의 모순에서 벗어날 수 있다. 죽 신적인 법에 의해서 규정되거나 허용된 것을 h6s i os 라고 부르나 인 간 관계에는 그렇지가 않다. 그리하여 dik a io s kai h6sio s , dik a ia kai h 6sia 같은 표현은 〈인간 관계에서 인간과 신에 의해서 규율로 정해전 것〉을 의미한다. h6s i a 로 불리는 의무는 d ik a i a 에 의해 지칭되는 의무처 럼 인간에 대한 의무이다. 어떤 의무는 인간의 법 (d i ka i a) 에 의해 규정 되고, 어떤 의무는 신의 법 (h6s i a) 에 의해 규정된다. 이제 hiera kal h6s i a 란 표현에서 둘째 계열의 용법을 고찰해 보자. 걷보기와는 달리 h6s i os 의 의미는 변하지 않는다. 그 대립은 다른 사항 에 근거를 두고 있다. 한편으로는 ta hiera , 죽 신성한 것, 신에게 고유 하게 귀속된 것과, 다른 한편으로는 ta h6sia , 죽 인간에게 허용된 것의 대립이다. 신에게 국한된 hi er6s 의 영역은 신이 인간에게 양도한 h6sio s 의 영역과 대립된다. 따라서 h6s i os 의 고유한 의미는 언제나 동일하다.

죽 〈신에 의해서 인간들에게 규정되거나 허용된 것〉이다. 그러나 hie r6 s 〈인간에게 금지된〉와 h6s i os 〈 인간에게 양도된〉의 대립은 후에 hie r 6s 〈신성한〉와 h6s i os 〈세속적인〉의 대립으로 바뀌는데 , 이러한 후 자의 대 립은 다음과 같은 용법을 보여 준다. kosmein t~n p6l in kai toi s hie r ois kal toi s hos ioi s 〈신성한 기념물뿐만 아니라 세속적인 기념물로 도시를 꾸미다〉(아소크라테스, VII, 66).15}

15) Isocra t ~s( 기원전 436-338 년) : 아티카 출신의 아데네 웅변가 . 고르기아스의 제자 였다 . 또한 소크라데스의 가르침을 받았다 . 몇몇 법률 관계 담화 를 제의하고 그의 글은 화려한 웅변이다. 그의 걷작으로 『 웅변 Paneg uri k8s 』 과 『 평화론 』, 『 소피스트 들에 대항해서 』, 『 교환론 An ti dos i s 』 등이 있다 .

h6s i os 의 이와 같은 해석은 고전 시기의 예문들에 대한 조사로 드러 나지만 가장 오래 된 용법에 이미 주어져 있다. 이들 옛 용법은 형용사 h6s i os 의 용법일 뿐만 아니라 이 형용사의 여성형을 보여 주는 이오니 아어 명사 hos i존의 용법이기도 하다 . 사실 호메로스에게서 읽을 수 있 는 것은 hos i존뿐이다. 즉 『 오뒤세이아 』 에서 두 번, 호메로 스 의 『 찬가 』 에서 다섯 번 출현한다 . 각 예들은 h6s i os 의 정의를 한정하는 데 기여 하고있다 『 오뒤세이아』에 나오는 2 회의 예문은 부정적인 고정 형식 표현 oukh' hos i존이다. 예컨대 oud' hosie kaka rhap tei n allelois in (1 6, 423) 같은 표현이다. 그 의미는 〈서로에 대해서 나쁜 의도를 획책하는 것은 신의 법에 의해서 허용되지 않는다〉이다. 마찬가지로 하녀가 학살된 구 혼자들 앞에서 승리에 찬 환호를 부르짖을 준비를 하는 순간에, 오뒤세 우스는 그녀를 나무라며 신중할 것을 권고한다 . 〈그것은 신의 법 (oukh' hosi존)에 의해서 허용되지 않는다.〉 (22, 412) 따라서 hos i e 는 신에 의해 인간 사회에 부과된 규율이다. hos i존의 이 의미는 우리가 hos i존에 부여 한 의미, 죽 신에 의해 인간에게 규정되거나 허용된 것과 잘 일치된다. 호메로스의 『찬가』에 나오는 다섯 개의 용법은 아주 다른 듯이 보인

댜 여기에서 문헌학자들은 hos i즌를 〈신들에 대한 인간의 예배 의무〉, 〈제사 의식〉 , 〈헌납물〉로 생각한다. 그렇다면 다른 모든 곳에서 우리에 게 제시된 관계와는 정반대의 관계가 된다 . 따라서 이러한 의미가 여기 에서 타당한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1) 헤르메스는 암소 두 마리를 굽게 한 뒤 〈제비뽑은 고기들을 12 조 각으로 나누고 각 토막에 완전한 헌납물의 가치를 부여한다. 그러자 영 광에 빛나는 헤르메스는 신성하게 바친 고기들을 맛보고 싶은 욕구가 생겼다〉 (r 헤르메스에게 바치는 찬가」 I, 130. 엥베르의 번역). 그 표현은 hosie kreaon 인데, 이것은 문자대로 직역하면 〈(신에게 바치는) 고기의 헌납〉, 〈fl esh - of fri n g의 의식〉(리델 一 스코트)이다. 그러나 그 뒤에 나오는 문장은 이러한 번역을 의심스럽게 만든다. 〈이들(=고기들)의 기분 좋은 냄새가 비록 그가 불멸의 신이었으나 그의 정신을 어지럽혔다. 그러나 이러한 강한 식욕의 힘에도 불구하고, 그의 넓은 마음속으로는 이 고기 들을 그의 신성한 목구멍 (h i er@s kata de ir @s) 으로 내려가게 할 수는 없 었다〉 . 이 시인은 hos i즌를 hi er6s 와 분명히 대조시키고 있다. 이 젊은 신은 고기를 hos i즌하기를 원하지만 〈그것을 자기의 신성한(hi er6s) 목 구멍으로 내려가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 이 텍스트는 의심의 여지없 이 명확하다. 즉 신은 hos i퍼를 실행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처럼 명명된 행위는 신의 자격 에 내재하는 hi er6s 의 자질에 손상을 입힐 것이기 때 문이다. 이로부터 우리는 hos i e 가 엄밀히 h i er6s 와 정반대의 것을 가리 킨다고 결론지어야 한다. 그것은 〈헌납물〉이나 〈제사 의식〉이 아니라 그 반대이다 죽 〈신성한 것〉에 접근 가능하도록 만드는 행위이다. 죽 신에게 헌납된 고기를 인간이 소비할 수 있는 음식으로 바꾸는 행위로 서 (그러나 헤르메스는 신이기 때문에 이것을 자기 자신에게는 허락할 수 가 없었던 것이다) 탈신성화시키는 행위이다. 위에 인용한 문맥에서 hos i존 kreaon 은 〈고기의 (탈신성화된) 소비〉를 의미해야 한다. 그래서 다른 의 미로 해석될 수 없다. 우리는 hos i존에서, 앞에서 제시한 h6s i os 〈신에 의

해 인간에 양도된〉의 의미를 재발견할 수 있다. 단지 여기에서는 음식 물의 헌납이라는 특정한 조건으로 변모되어 있는 것이다 . 2) 같은 r 찬가」 173 행에서 헤르메스는 자기 모친에게 말한다. 〈명예 (ti me) 에 관해서는 나는 아폴론과 똑같은 hos i e 를 확보한 것입니다 부 천(제우스)께서 나에게 (그것을) 주시지 않는다면, 저는 도둑들의 왕이 되려고 합니다 . 그리고 그것은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도 역시, hos i죤 는 〈신성한 특권, 제사〉로 번역되어 있다.

대한 보상을 찾으려고 하는 것이다. 그가 갈망하는 재물을 명명하기 위 해 ti m~ 와 hos i존를 선택한 것은 헤르메스가 다른 신들과의 관계에 대해 서 가진 조건을 드러내 주는 것이다. 즉 그는 법적으로 열등하고, 신에 게 받게 된 고기가 탈신성화된 연후에 그것을 먹는 인간의 지위로 격하 된 것이다 . 3) 헤르메스는 또한 아폴론에게 아침하는 말에서 hos i e 를 한 번 사용 하고 있다. 〈제우스의 아들이여, 그대는 불멸의 신들 가운데 첫째 자리 를 차지하고 있구나. 그대는 용감하고 강하며, 사려 깊은 제우스가 그대 룰 총애하고_―이것은 지극히 당연한 것이다__그대에게 놀라운 재 능을 주었구나. 〉 (469 행 이하 엥베르의 번역) ek pas es hos i존s 〈모든 정당 성 가운데서, 아주 정당하게〉란 표현은 또한 이 hos i존를, 반드시 자기보 다 지위가 아래인 신에게 지고의 신이 양보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4) 또 다른 두 개의 예가 「찬가」에 나온다 . 그 하나는 불행히도 덱스 트의 누락 부분 바로 앞에 나온다. 자기 딸의 죽음으로 괴로워하는 데 메데르는 비탄에 참겨 있다. 그의 시녀 메타네이라가 그녀에게 포도주 한 잔을 건네자 그녀는 이를 거절한다. 왜냐하면 그녀에게는 포도주가 금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녀는 단지 어떤 음료수를 달라고 한 다 . 시녀는 그것을 준비하여 그녀에게 내민다. 데메테르는 그것을 hosie s eneken ―이는 〈제사 의식을 행하기 위해〉로 번역되었다一―받는다 U 데메데르에게 바치는 찬가」 211). 우리는 오히려 다음과 갇이 이해하고 자 한다. 〈신적인 법에 의해 허용된 것에 따라서.〉 그 다음 구절은 소실 되고없다 . 5) 마지막 예문을 「아폴론에게 바치는 찬가』 237 행에서 볼 수 있다. hos hosie e g ene t o 〈그 제사 의식들이 확정되었다〉(리델 - 스코트). 여기에 서도 번역은 수정되어야 한다. 여기에서는 온케스토스에 있는 포세이돈 에게 헌납된 신성한 숲에서 이루어지는 한 가지 관습이 문제가 되고 있 다. 여기에서는 말이 끄는 전차가 인도되어 나오는데 , 마부는 말들이 제

멋대로 가게 내 버려 두고, 자신은 걸어서 그 뒤를 따라 나온디- . 마구 날뛰는 말들이 전차를 끌어맨 부분을 나무에 부딪쳐 부숴 버리자 말들 은 간수하고, 전차는 (신전에) 기대어 넘어전 채로 버려 둔다 . 그러고는 신을 불러 마차를 그의 보호 아래 맡긴다. 이 오래 된 관습이 이해되자 면 삽입절 〈그래서 처음에는 hos i존가 있었다〉는 신에 의해 허용되거나 양도된 것과 관련되어야 한다 . 이룰 퀴레네 1 7) 의 신성한 법의 다음 규정 과 비교해야 한다. 죽 ton hiar 8n hosia p an ti〈모든 사람들이 신성한 장 소에 자유롭게 접근 (hos i a) 할 수 있다〉 . 온케스토스의 이 hos i a 는 분명 히 마부가 자기 말들은 끌고 가면서 포세이돈의 신성한 영지에 전차만 을 버려 두는 것이다.

17) Ky r@n~ : 아프리카 복부(동부 리비아)의 키레나이카의 고대 도시 . 기원전 7 세기 에 도리스인들의 식민지였다가 기원전 1 세기에 로마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

이상 해석이 호메로스의 hos i e 가 나오는 예에 요구되는 해석이다. 이 해석은 형용사 hos i os 의 용법과 일치하는데, 그것은 이 형용사가 언제 나 〈신의 법에 의해 (인간에게) 허용된〉이라는 개념을 지니고 있는 까 닭이다. 우리는 의미 연구를 이끌어 갈 어원을 전혀 이용할 수 없는 만 큼 이러한 문헌상의 증명을 더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리스어 -hag ios 이제 ha gi os 로 넘어가 보자 .18) 이 단어족에는 하나의 동사와 두 개의

*18) 우리는 Ed. W illig er 의 자세한 연구, 『 Ha gi os, 신성의 용어법 탐구 Ha gi os, Un- ters uchung e r zur Tennin o log ie des He ilig en 』 , 1992 를 이용했다 . 또한 P. Chan- train e 와 0. Masson, 『 A. DebrWUler 기념 논집 Fests c hri ft A. Debrunner 』 , 1954, p. 8 5 이하 참조 이들은 신성의 양면 가치를 참작하면서 ha gi os 를 a g os 〈홍, 오 점 〉와 연관시키고 있다.

형용사가 포함된다. 즉 동사 hazomai, 형용사 ha gi os 와 ha gn 6s 이다. 이 세 용어를 이제 고찰해야 한다. 이들 세 형태 사이의 문체적 차이와 시 기적인 차이는 아주 명확하다. 동사 hazoma i는 호메로스 시기이고 시 적 어휘인 반면, ha gi os 는 그렇지 않고 우선 이오니아어로 된 헤로도토 스의 저작에서 출현한다 . 그 대신 호메로스의 부가어 ha gn 6s 는 특히 시 어에 속한다 . 동사 hazoma i〈겁내다〉는 호메로스에게서는 두려움을 나타내는 동사 로 구문을 구성한다 . 즉 hazeto ... m~ Nukti ... ap ot h u m ia erdo i〈그는 밤의 여신을 불쾌하게 할 수도 있는 일을 하는 것이 두려웠지요〉( 『 일리 아스 』 14, 261). 연속되는 두 구절을 대비시킬 수 있는데, 그 하나는 〈겁 내다〉가 de i do 로 표현되는 구절 , 즉 〈나에게 신뢰를 가지고, 아레스를 두려워하지 마라 (m~ t e ... de i d it h i)〉( 『 일리아스 』 5, 827) 와 몇 행 뒤에 나오는 hazoma i가 사용된 구절, 즉 〈아레스를 두려워하지 마라 (m 존 d' hazeo) >(8 30 행 ) 이 다 .

우리가 가장 오래 된 예문( 『 일리아스 』 1, 21) 을 해석할 수 있는 것도 이처럼 신과 관련해서 가능하다. 크뤼세스1 9) 가 아트레이데스2 0) 에게 자기 딸을 돌려 달라고 간청하러 와서 그에게 그 대가로 몸값을 준다. 그는 그들에게 제우스의 아들 아폴론을 〈두려워하라〉 (haz6meno i)고 간청한 댜 그는 신에 대한 경의심을 환기시키기를 원한다. 마찬가지로 아폴론 의 사제, 그의 아들과 부인이 〈경의심〉 (haz6menoI) 으로 죽음을 면했다 고들 한다( 『 오뒤세이아 』 9, 200). 이 동사는 신 또는 신적 인물 앞에서 느끼는 경의심을 가리킨다. 그러나 피해 입는 것을 자제하는 부정적인 경외이다. 윌링거 W illing er 처럼 haz6ma i와 seboma i〈신을 두려워하다, 경의하다〉의 놀라운 유추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유추는 파생 형용사 19) Kh rys@ s : 0 년론의 사제(司 祭 )로서 크뤼세이스의 부친이다. 20) A tr e i d 존 s: 아트레우스의 야들들인 아가멤논과 메넬라오스를 가리킨다 . 또는 이 둘의 후손들인 오레스데스, 아이기 ,>..E 人 F 아트레이데스에 포함하기도 한다.

ha gn 6s 와 sernn6s 〈경의하는 〉 ( <* seb-nos) 의 평행 관계로 보완된다 이 호메로스의 예 외에도 『 비극 』 작품에서 발췌한 많은 예를 들 수 있고, 이들은 앞의 예들을 뒷받침한다. 그 의미에 대한 일차적 정의를 내리기 위해서 동사로부터 출발하는 것이 훨씬 나울 듯하다. 왜냐하면 형용사 ha gn 6s 가 그 자체만으로는 자세한 것을 알려 주는 것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이 형용사는 흔히 여신들의 이름과 동격으로 위치된다. 예컨대 아르데미스 , 페르세포네, 그리고 한번은 heor t~〈축제〉( 『 오뒤세이 아 』 21, 258-259) 와 함께 사용되었댜 『 바극 』 에서 ha gn 6s 는 신의 영토 , 신의 adu t on 〈성역〉에 적용되고 있다. 이것은 또한 〈땅 , 대지〉의 부가어 (hagn ~ aroura, 아이스퀼로스, 『 테바이 함락의 7 장수 Se pt . 』 753) 로 사용 되었지만 실제로는 모친의 가슴을 가리키는 과감한 은유이다. 모든 예 문에서 ha gn 6s 는 〈금지된〉 영토의 개념이나 신에 대한 경외로 보호된 장소라는 개념을 환기시킨다. 바로 여기에서, 『 비극 』 에서 ha gn 6s 가 〈의 례적으로 순수한, 의례에 필요한 상태에 부응하는〉 것으로서의 사람을 가리키게 되었다. 이는 새로운 의미이다. 왜냐하면 ha gn 6s 는 건물 , 영토 , 희생 제사의 동물뿐만 아니라 동정녀에게도 적용되는데, 이것은 hazornai 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이다. 세번째 용어인 ha gi os 가 남았다. 우선 이 용어는 이오니아 산문, 예 컨대 헤쿠두두人에게서, 일반적으로 〈신전〉의 부가어로서뿐만 아니라 특정 신전 , 즉 헤라클레스 신전의 부가어로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 비극 』 에서는 출현하지 않는다 . 아리스토파네스는 이 형용사를 신비스 런 일에 대한 수식어로 제시한다 . 헤쿠두두人의 뒤를 이어 역사가들은 ha gi os 를 신전의 부가어로 일관되게 사용하고 있다. 파우사니아스에게 서 ha gi os 는 신전이 신의 형벌의 위협 덕택에 갖가지 오염으로부터 보 호된다는 것을 함축하고 있다 . 마지막으로 스트라본에게 있어서 hag ios 는 신성한 장소나 사물이 번번히 사용되는 부가어로 남아 있다. 이처럼 모든 용법이 아주 일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ha gi os 가 그 기원으로부터

ha gn os 와 분화되 었음을 보여 준다 . 이 점 에서 ha gi os 와 hazoma i의 어 원이라는 난점에 이르게 되었다 . 전통적으로 학자들은 이 용어를 산스크리트어 y a j-〈희생 제사를 드 리다〉의 대웅어로 삼았다 . 이 비교는 모든 어원 사전에서 제시되고 있 다 . 하지만 크레츠머가 이 비교에 이의를 제기했고, 메이예는 더 명시적 인 방법으로 역시 이의를 제기했다 .2 1 ) 메이예는 오히려 ha gi os 를 라틴어 sacer 와 비교할 것을 제의했다. 이 경우 , 우리는 그리스어에서 라틴어 sacer 의 * sak - 와 교체 관계에 있는 어간 *sa g - 를 갖게 된다 .

*21 ) Krets c hmer, 『 말 Glo tt a 』 , 10, 155 이하. Me illet, 따리 언어학회지 Bull. de la Soc. de Ling u isti q u e de Pari sJ , 21, p.1 2 6, 그리고 『 라틴어 어원 사전 Die t . ety m. de la lang ue /a ti ne 』 의 sacer, s anctu s 항목.

비록 두 가지 형태 * sak-/ * sa g - 를 제시하는 데 동의하더라도 의미 상으로 sacer 에 대응하는 그리스어 용어는 ha gi os 가 아니라 hi er6s 라는 사실을 확인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sacerdos 〈사제 〉는 hi ereus 와, sacra u i a 〈성스런 길〉는 hie r a od6s 와, sac ri le gu s 〈신성모독 (sac ri le 一 gi um) 〉는 hi er6sulos 와, Sac rip or tu s 〈신성한 하구(河 口 )〉는 Hier os lirn ~ n 과 등가치적 의마를 지니게 된다 . 번역 사실들 ― _라틴어에서 그리스 어로의 번역이든 그리스어에서 라틴어로의 번역이든_―- 은 역시 동일한 의미를 표현한다. 예컨대 sacrosanc tu s 〈신성불가침의〉란 표현은 hier os kai asulos 로 번역되고, sacer morbus 〈신성한 병, 간질〉에 대한 그리스 어 번역은 hier a n6sos 이다. 또 sacra …p u bli ca ... et pri ua t a 〈신성한 공 공의 (재산)과 개인의 (재산)〉는 디오뉘시오스2 2) 에게서는 ta hier a … koin a …k ai i d i a 로 번역되고 있다. 또 os sacram 〈신성한 뼈〉은 hier on os t eon 으로 대응 번역되고 있고, hier on p ne11ma 〈신성한 영혼〉는 sacer

22) Di on y s i os( 기원전 1 세기) : 소아시아의 카리아의 수도 할리카르나소스 (Ha lika masos) 출신으로 로마에 정착한 그리스의 역사가이자 비평가. 로마에서 수사학을 가르쳤다 . 작품으로 20 권으로 된 『 로마 고고학 』 (이 중 11 권이 현재 남아 있음) , 『 단어의 배열에 대한 논의 』 , 『 고대의 웅변가들 』 등이 있다.

s piritu s( 세네카)에 대응 번역되고 있다. 그래서 sacer 의 대응을 ha gi os 에서 찾는다면 큰 어려움에 봉착한다 이들은 전정으로 서로 다른 개념이다. 그리스어에서 h i er6s 와 M gi os 의 관계는 sacer 와 sanc tu s 의 관계와 대개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sacer 와 hi er6s 〈신성한〉 또는 〈신적인〉은 신에게 헌납된 사람이나 사물에 대 해 사용된다. 반면 ha gi os 는 sanc tu s 처 럼 대상이 모든 침 해로부터 보호 된다는 부정적 개념을 함축하되, 긍정적으로 그것이 신의 현존을 담고 있음-이것은 h i er6s 가 특정적으로 갖는 의미이다 - 울 함축하는 것은아니다 . 따라서 ha gi os 와 산스크리트어 y a j-의 고전적인 비교를 이용할 수밖 에 없다. 음성적으로 볼 때 난점은 없다. 두 형태는 모두 고대의 *ye g - 에 근거를 두고 있다. 베다 산스크리트어에서 y a j-는 희생 제사의 행위 를 의미하는데, 이것은 인간 세계의 요소를 신의 세계로 이관시키는 작 용을 하는 행위이다. 바로 이러한 행위에 의해서 인간 세계와 신의 세 계 사이에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 . 바로 이 행위에 의해서 신들이 음식 물을 공급받는다. 이 동사가 구체적이고 긍정적인 행위 를 지시하는 점 에서 그것은 모든 침범이나 피해를 배제하는 그리스어 hazoma i가 표현 하는 부정적 행태와는 아주 다른 듯이 보인다. 사실상 이 둘의 차이는 겉보기처럼 그리 크지 않다. 산스크리트어 yaj - 외에도 아베스타어 y az - 는 단지 〈회생 제사를 드리다〉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 예컨대 고대 페르시아어 y ad - 처럼 〈신을 경의 하다〉도 의미한다. 그리고 그것은 희생 제사에만 특수하게 적용되는 것 이 아니라 제사 의식 일반에도 적용된다. 그 파생어 가운데 아주 중요 한 한 가지가 있는데 , 이것은 베다 산스크리트어에서 신을 일관되게 수 식하는 부가어가 되었고, 『아베스타 경 』 에서는 〈신〉이란 명칭 자체가 되었다 . 죽 산스크리트어 yaj a t a , 아베스타어 y aza t a 가 그것이다. 문자적 인 의미는 〈제사 의식을 받을 자격이 있는 자〉이다 . 베다 산스크리트어

는 좀더 일반적 의미를 지닌 동사-죽 sacr ifi care 〈희생 제물을 바치 다 〉 라기보다는 colere 〈신을 숭배하다, 경배하다〉에 해당한다――를 의 례적 용법으로 전문화시켰다고 생각할 근거가 충분히 있다 . 이러한 점 때문에 y a j 구 } 대격의 신의 명칭과 도구격으로 된 헌납된 대상의 명칭 과 함께 구문을 구성한다는 사실이 설명된다 죽 〈어떤 것으로써 신에 게 제사를 드리다 〉 이다. 만일 이 동사가 〈희생 제물을 바치다〉를 의미 한다면, 여격의 신의 명칭으로 된 구문을 기대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렇지가 않다 . 크뤼세스가 아가멤논에게 한 말( 『 일리아스 .! 1, 20-21), 즉 〈내 딸을 놓 아 주고 몸값을 받아라 그리하여 아폴론에 대한 그대의 경외심 (haz6rneno i … A p 6llona) 을 보여라〉를 다시 읽어 본다면, 이 용법을 지나치게 엄밀 히 해석하지 않는 이상 『베다 』 와 『 아베스타 경 』 이 우리에게 제공해 주 는 용법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판단할 수 있다 . 신에 대해서 요구하는 것은 부정적인 태도가 아니라 그에게 드려야 할 긍정적인 예배이다. 따 라서 이 개념의 중요성에 비추어 보아 이 비교가 그리 엄밀한 것은 아 닐지라도 전통적인 이 비교를 폐기해야 할 이유는 없다 . 이들 용어에 대한 조사로부터 이들 용어가 아주 오래 된 것이라는 접 과 그 어원적 차이가 동시에 드러난다 . 이들 용어 각각은 고유한 역사 와 내용을 지니고 있다 . 그래서 신성을 가리키는 개념의 공통된 선사로 는 거슬러 올라갈 수 없다. 더욱이 가장 오래 된 많은 언어가 각 언어에서 서로 달리 나타나는 두 가지 표현 , 죽 신성의 양면성을 표현하는 상보적 용어 두 개를 지니 고 있음을 앞에서 확인했다. 그리스어에서는 hi er6s 와 hag ios , 라틴어 에서는 sacer 와 sanctu s , 아베스타어에서는 s p an t a 와 y ao 갑 da t a23) 가 그 것 01 댜 *23 ) y ao~da- 의 해석에 대해서는 앞의 134 쪽 참조

그러나 이들 용어 쌍을 이용해서 동일한 모델은 구성할 수 없다. 이 둘은 오직 한 언어 내에서 기능을 행하며, 이들 용어 쌍의 관계는 동일 한 차원에서는 확립될 수 없다. 이 개념들이 때로 구별된 다른 용어들 과 서로 대응되기도 한다. 아베스타어 s p an t a 와 그리스어 h i er6s 에서, 이들이 어원적으로는 서로 다른 형태지만 동일한 관념을 드러내 모이 는데, 열정으로 가득 찬 힘, 풍요로 팽창된 힘의 관념이 그것이다. 이것 에 대응하여 고트어 ha il s 는 완전함, 완벽한 수행이라는 관념을 가지고 있다. 죽 대상이나 존재를 온갖 감소로부터 보호하는 세력, 이들을 손상 되지 않게 하는 세력이 그것이다. 이와 반대로 라틴어 sacer 는 모든 인 간 관계로부터 분리되고 차단된 상태, 신에게서 기원하는 장엄하고도 불길한 특질을 단지 암시할 뿐이다. 아베스타어 s p an t a 로 지시되는 자연적 특질과 y ao i da t a 의 상태의 차 이는 아주 다르다. 인도 • 유럽어 *dhe- 의 이란어 형태와 밀접하게 연 결되어 있는 중성 *y aos 에서, 규범과 엄격히 부합하는 일치의 관념을 찾아볼 수 있다. 죽 〈종교적 활동이나 행위에 맞게 만들다, 어떤 대상을 모든 예배 의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상태에 두다〉가 그것이다. 이는 예 배 의식의 순수성을 보장하는 조처에서 생긴 결과이다. 라틴어 sacer 와 sanc tu s 를 연결짓는 어원적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으 나, 새로이 형성된 sanc tu s 의 조어법은 이러한 신조어가 이차적 성격임 울 분명히 보여 준다 . 이 인도 • 유럽어의 개념은 라틴어에서 혁신된 듯 이 보이는데, 그것은 바로 인도 • 유럽어 자체의 시기에서도 신성의 이 러한 두 측면을 함축하는 단일 용어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 당시에 이미 개념들의 이원성이 있어서 각 언어가 자기 방식대로 이룰 특기한것이다. 마지막으로 hi er6s 와 ha gi os 는 이 개념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울 분명히 보여 준다. 죽 한편으로 신성한 힘과 동요에 의해서 활기가 주어진 것이라는 긍정적 측면과 다른 한편으로 금지된 것, 접촉해서는

안 되는 것이라는 부정적 측면이 그것이다 각 언어의 어휘 내에서 , 하나의 동일한 개념의 양면, 죽 신적인 힘으 로 가득 찬 것과 인간과의 접촉이 금지된 것을 보여 주는 이와 같은 두 가지 특성이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이상의 연구에서 볼 수 있다.

제 2 장 신주(神酒) 헌납 요약 그리스어 동사 spe n do, sp en domai, 그리고 명사 s p onde 가 표현하는 바와 같이 포도주, 기름, 우유, 물 등 신주(액체)의 헌납은 〈안전 보장의 헌납〉으로 특~ 정 의협정할 —수_ 있에다는. 따자라연서히 위s p험 on을de 수가반 선하행는되 었모다든. 일-여행, 원정뿐만 아니라 협약, 평화 확실한 안전, 보장의 개념 역시 라틴어 s p ondeo 의 의미, 오직 법 률 적인 의미의 기 초가 되어 있다. 여기에서 신주의 헌납은 사라졌지만 그 기능은 살아 있다. 죽 filiam s p ondere 는 맹약의 보증인으로 자처하면서 자기 딸을 다른 사람에게 아내 (s p onsa) 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res p ondere 에 대해 말하자면, 이것은 〈~에 대해 보증을 하면 서〉 , 〈~라고 대답하는 것〉이다. 그리스어 le i bo 와 라틴어 li bo 의 대응에 의해서 전적으로 정의되는 〈헌납〉이 khoe 도 아니고, s p ond& 도 아니라면 그것은 무엇인가? 그리스어 le i bo 의 단어군은 〈액체가 스며나오는 것〉, 〈배수, 물기를 빼는 것〉이라는 개념을 표현한다. 그리하여 le i bo 〈몇 방울을 붓다〉는 khe 학(많이) 쏟아 붓다〉와 대립한다. 기능이라는 관접에서 볼 때, loib e 는 s p onde 와 대립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마치 예방하는 제의(祭儀)가 속죄의 재의와 대립하는것과같다. 라틴어 li bare 〈신주(액체)를 붓다, 가볍게 스치다, 맛보다 , ~의 일부로 취하다, ~울 해치다〉의 놀랄 만한 다의성은 〈몇 방울을 봇다〉라는 옛 의미로부터 〈아주 작은 일부 를 선취하다〉라는 의미를 취한다면 이해될 수 있다 . l spo n sio 많은 용어가 〈서약〉을 중심으로 단어군을 이루며, 제도상의 필요 때 문에 이와 결부되는 용어를 언급할 필요가 있다. 제사는 서약의 선서와 맹약의 체결에 수반된다 . 그것은 그리스어인

s p endo 〈신주를 봇다〉 , 같은 의미의 히타이트어 뱌ip an t와 i~pa nt, 즉 spa n d- , 그리고 라틴어 s pondeo 로 표현된다.

명약관화하게 서로 연관된 이 세 형태는 동일한 방식으로 규정될 수 없는 개념과 연관되어 있다. 라틴어에서 s p ondere 는 법률 용어이다. 그 리고 히타이트어에서 s p and- 는 희생 제사의 양태를 가리킨다 . 그런데 희생 제사의 개념은 이 라틴 용어에는 전혀 없다 . 그리스어 s p endo 는 히타이트어와 라틴어가 별도로 제시하고 있는 두 가지 의미 작용 , 죽 〈신주(액체)를 봉납하다〉 1 ) 와 〈협약을 맺다〉를 결합시키고 있다. 어기의 모음 계제를 가진 명사 파생어 s p ond 십는 〈신주 헌납〉을 의미하나 복수 에서는 〈협정, 휴전, 휴전 조약〉을 가리킨다 . s p ond~ 가 선서와 함께 이 루어지는 경우에, 서약과의 밀접한 관계를 파악하게 되는 것은 그리스 어이다 . 이러한 연관성으로 인해서 이 그리스어 동사가 능동과 중동에 서 〈협약을 체결하다〉라는 전문적 의미로 분화된 것을 이해할 수 있다 . 따라서 그 원초적 의마는 약속을 엄숙하게 축성하는 신주 헌납의 의미 였다고추정할수 있다.

1) lacte , vin o li bare(P lin.)에서 보듯이 li ba ti on 은 제단이나 회생 동물에 포도주나 우유, 기름을 뿌리는 행위로서 신을 경배하고 축성하는 행위이다. 이 세 가지 액체 를 일일이 열거하기도 번거롭고, 또 〈액체〉로 번역하기에는 너무 일반적이고 광범 위하여, 대표적으로 포도주를 뿌리는 행위, 죽 신주( 神 酒) 행위로 li ba ti on 을 번역 한다.

여기에 한 가지 언어학적인 문제가 있다 . 그리스어와 라틴어에서 s p end - 가 정치적인 뜻으로나 법률적 뜻으로 발달한 것이 되려면 이 동 사의 의미 • 역사에서 이러한 발달을 예비한 그 무엇이 있어야만 한다. 그런데 그리스어 s p ond~ 의 의미는 오로지 〈신주 헌납〉에만 국한되 어 있고, 이러한 관습의 고유한 의미를 자세히 규정해 주는 것이 전혀 없다 . 만일 이 동사가, 신주 헌납이 협약이 맺어지는 경우에만 언제나 이루어진다는 것을 함축하는 것이라면, 이 의미의 전문화는 그것만으로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흔히 이러한 행위에는 어떤 필연성이 있으리라 고는 전혀 생각지 않는다 『오뒤세이아』에서 s p onde 는 맹약과 전혀 상 관없이 이루어진다 . 저녁마다 구혼자들은 신주를 바치는데, 이 사실은 체결된 어떠한 맹약도, 어떠한 제의 행위도 나타내 주지 않는다. 오뒤세 우스와 그의 동료들은 협약이 이루어지지 않는데도 몇 차례 신주를 바 친다 . 일반적으로 s p onde 가 언급되는 곳에는 집단적 약속이 따르지 않 는다. 하지만 헤쿠두두人는 이미 〈협정을 체결하다〉라는 의미 작용으로 사용된 s p endoma i와 s p onde 를 폭넓게 확인해 주고 있다. 예를 들면 spe n desth a i e ir en 죤 n 〈평화 협정을 맺다〉 같은 것이다 이러한 대조에는 특이한 것이 있다. 이룰 고대의 용법, 그 중에서도 우선 가장 의미심장 한 호메로스의 용법을 자세히 조사하지 않고서는 달리 해결할 수 없을 것 0] 다. spo ndai akr 죤t o i(『일리아스』 2, 341 ; 4, 159) 가 언급된 것은 서약과 관 련해서이지만, 서약의 당사자들은 오른손을 서로 잡고 있다. 단지 의식 (儀式)이 문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것은 호메로스에 나오는 유일한 s p ond~ 의 예이며, 그래서 이 용어의 용법이 바로 일정하게 규 정된 행위의 종결을 가리키는 것이다. 몇몇 예에서 s p endo 는 연설에 수반된다. 『일리아스』 16, 227 에서 아 킬레우스는 Zeus Donaio s Pelas gi k6s 〈제우스, 도도네인들과 펠라스고 스인들의 (왕)〉를 향해 말한다 . 그는 손을 들어, 잔을 잡고 포도주를 붓 는다. 그러고 나서 그는 하늘을 바라보면서 기도한다 . 그는 제우스에게 자기가 전쟁에 내보낸 동료가 무사히 귀환하게 해 달라고 간구한다. 이 점에 유의하자. 24, 287 에서, 위험한 일을 시도하려는 전날 밤이다. 프리아모스.는 아 카이아인들에게 죽은 자기 아들을 돌려 달라고 요구할 참이다. 자기 부 인의 조언에 따라 그는 신주 봇기를 한다. 그는 신들 앞에 서서 제우스 에게 간구한다. 그의 부인이 미리 그에게 말한다. 〈(이 술잔을 받아 아버

지, 제우스에게 헌주하시고) 적군들 사이에서 안전하게 갈 수 있도록 길 조의 표시로 우리 오른쪽에 새를 보내 달라고 기도하십시오 . 그러면 그 대의 출발을 막지 않겠나이다 . 〉 그러자 프리아모스가 말한다. 〈아버지, 제우스여 , 아킬레우스의 집에 가게 허락해 주소서. 그리고 길조의 표시 로 내가 믿고 아카이아인들에게 갈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새를 주 소서 .〉 따라서 신주 봇기는 안전을 보장받기 위한 기도와 함께 이루어진다. 제우스에게 바치는 액체 헌납물을 붓는 것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위 해 위험한 기도를 시작하려는 순간에 일어나며, 그것은 관련 당사자가 무사히 돌아오는 것을 보장해 주는 봉납물이다. 이것에 대한 확증이 헤 쿠두두人( 『 역사 』 VII, 54) 에 나온다 . 케르케스가 그리스를 침공하려고 할 때, 신주를 부으면서 신에게 어떤 불운이 그롤 방해하여 에우로페를 완전히 공략하지 못하게 하고, 그 국경에 이르지 못하게 하는 일이 없 게 해 달라고 빈다. 그 개념은 물론 신의 도움으로 자신을 위험에 대비 시키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것이 호메로스의 『 오뒤세이아 』 18, 151 에서 다시 찾아볼 수 있는 문맥 조건이다. 오뒤세우스는 여느 때처럼 가장을 하고 구혼자 들의 집에 머무르고 있다 . 사람들이 그에게 저녁 식사를 하자고 권한다. 그는 신주를 붓고, 오뒤세우스가 방금 문제시되었기 때문에 구혼자들에 게 경고한다. 〈오뒤세우스가 이리로 되돌아 오는 날 그의 길을 방해하 는 자는 불행이 있으리라. 이 때 아무도 거기에 없도록 기원하자.〉 자기 집을 탈환하기 위해 그는 스스로 결전 채비를 한다. 목적은 언제나 어려운 일에 개입된 자들을 보호하는 것이다. 문맥이 흔히 그 용법을 명백히 밝혀 준다. 예컨대 『오뒤세이아』 3, 334 에서 위 험한 항해를 시작하거나 계속하는 경우에 사람들은 포세이돈에게 신주 를바친다. 태양의 황소들에 대한 일화 (12, 363) 에서 허기전 오뒤세우스의 동포

둘은 어떤 사람도 이 황소들을 죽여서는 안 된다는 금지령에 따라서 보 호받고 있는 소 떼를 만난다 그런데 이들은 그 중 한 마리를 목 졸라 서 굽게 했다. 그러나 그 고기를 먹기 전에 이들은 포도주가 없어서 물 로 신주를 바친다. 이들은 자신들이 신성모독의 죄를 범한 사실을 알고 있다. 그래서 이들은 적어도 관련된 신의 노여움을 풀기를 원한다. 더욱 이 이러한 의도는, 페이시스트라토스가 변장한 아데나 여신과 함께 한 텔레마코스를 자기의 잔치에 맞아들이면서 말한 의도적인 용어에서 드 러난다. 〈이방인이여 , 우선 우리 왕이신 포세이돈에게 기도하시오 . 당신 이 지금 온 곳은 바로 그의 잔치요` 신주를 부으시오. 관례대로 간구하 시오 . 그러고 나서 당신 천구에게 잔을 돌리시오. 그래서 그가 꿀같이 달콤한 이 포도주를 다시 돌리도록 말이오. 또한 불멸의 신들에게도 간 구해야 된다고 생각하오 . 모든 사람이 신들이 필요한 게 아니겠소?〉 ( 『 오뒤세이아 』 3, 43 이하 베라르 Berard 의 번역본 2)) 바라는 은총을 늘어 놓으면서 포세이돈에 대한 아테나의 기도가 이어진다. 초청된 손님들이 참잘 준비를 하는 때에 포세이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절차가 행해 진다( 『 오뒤세이아 』 3, 333 ; 18, 425 등 참조).

2) Odys se e, V. Berard, Pa ris, Belles-L ett res , 3 Vol, 1 924.

핀다로스가 비유적으로 (O lti rn 한 o i) spe n dein ao i da i s( 『이스트미아 축 가 Is t hm . 』 6, 9) 〈(울림포스 신에게) 노래와 함께 신주를 바치다〉라고 말 할 때, s p ond~ 가 주어지는 자는 구세주 제우스 Sot~ ri Olurn 한 o i〈울림 포스의 구세주〉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이는 시련을 맞은 위대 한 승리자의 승리를 보장하기 위해서 하는 것이다. 이와 동일한 조건이 산문이나 운문 등의 문헌을 통해서 재발견된다. 그리스인들은 페르시아의 해군을 참패시킨 후에 가능한 한 빨리 아르 데미시온3 ) 에 되돌아가기를 바라는 때에 구세주 포세이돈에게 신주와

3) 에게 해에 있는 그리스의 섬 에우보이아의 복부에 있는 곶 . 이 곳 바다에서 케르 케스 1 세의 선단이 그리스인들에게 대파당했다(기원전 5 세기경).

기도를 드린다(헤로도토스 『 역사 』 VII, 192). 에우리피데스의 『오레스테 스 Ores t e 』 (1, 688 행 )4) 에서 아폴론은 헬레나에게 빛나는 운명과 사람들 로부터 존경을 받으면 〈영원히 신주를 받을 것이다〉라고 약속한다. 그 래서 그녀는 디오스쿠로이와 함께 〈인간들을 풍랑의 위험으로부터 보 호하는〉 (vaiJC a ts µwf ou aa 8aM. a 때 s) 일을 맡게 된다 선원들은 죽을 고비를 넘간 후 바로 이들에게 감사를 드린다. 그 후 헬레나는 뱃사람 들의 s ponda i를 받을 자격이 있는 특권을 갖게 된다 .

4) 그리스 비극 작가 에우리피데스 (Eu ripi d~s ; 기원전 480-406 년)의 작품. 오레스 데스는 원래 아가멤논과 클뤼타임네스트라의 아들로서 아트레우스의 가족 일원이 다. 그는 자기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어머니 클뤼타임네스트라를 죽인다.

따라서 동사 s pendo 가 헤쿠두두 A( 『역사』 IV, 187) 에서 학자들이 인 정하듯이 〈(물을) 가볍게 뿌리다〉의 의미를 갖는다는 사실은 가능성이 없다. 이 역사가는, 리비아인들이 그들의 어린아이들이 경련이 일어났 을 때 치료약을 가지고 있었다고 말한다. 죽 그들은 아이들에게 〈영소 의 오중을 뿌려 적시면서〉 ((e pi) sp ei s a nte s ) 아이들을 구한다는 것이다. 왜 이 용법에서만 유독- 이 동사가 다른 모든 용법에서 지니고 있는 의 미를 포기했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없다. 분명 여기에서도 위험을 피하 려는 의도에서 수행한 의식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 헤쿠두두 A 는 단순 히 〈물을 뿌리다, 주다〉를 나타내기 위해서 s pendo 란 동사가 필요했던 것이 아니다. 더욱 가능성이 있는 것은, 어린아이가 이 어려운 난관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행한 진정한 의미의 〈신주 붓기〉가 문제가 된다는점이다. 아티카의 웅변가들에게서, 그리고 이 동사의 후기 역사에서 이 동사 는 종교적인 행위를 표현할 뿐만 아니라 또한 정치적인 의미를 갖게 되 었다. 중동형 s p endoma i가 점차 우세하게 사용되는 경향을 보였다. 요 컨대 s p endo 가 신주의 헌납을 통해서 신들을 보증인으로 간주하는 현 상을 가리킨다면, 중동형은 이 과정이 이를 수행하는 자나 이 과정에

개입되는 자들과 연관이 있음을 나타낸다. 실제로 이것은 〈서로를 보증 인으로 삼다〉를 뜻하게 되고, 여기에서 〈(상대방에 대해 서로) 약속하 다〉의 의 미를 갖게 되 었다. 그래서 헤 쿠 두 두 A 는 tri~k onta ete a e ir ~n 존 n s p endes th a i〈삼십 년 간의 평화 조약을 맺다〉( 『 역사 』 VII, 148) 라고 말 한다 . 두 맹약 당사자가 존중하기로 약속한 것은 상호 안전보장 조약이 다. 예컨대 선원은 바다의 위험에 대비하여 자신의 안전을 확실히 하고, 마찬가지로 여기 조약의 경우에도 상대방의 불성실, 있을 수 있는 약속 위반에 대비해서 자신의 안전을 확고히 한다. spe ndesth a i t용i pre sbeia i 〈사자(使者)에게 안전통행을 보증하다〉(아이스키네스 , 5) 『 크테시폰에 대 한 반론 Contr e CUs ip hon 』 63)

5) Aiskhin~(기원전 390-314 년) : 그리스의 웅변가. 인용된 저서 외에 『 티마르코스 에 대한 반론 』, 『 불충한 사자에 대하여 』 등이 있다 .

종교적인 의미에서 출발하여 어떻게 정치적 의미와 법률적 의미로 발달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능동과 중동의 역할 역시 분명히 드러나지 만, 도리스어에서 여성의 신분에 대한 고르뒤네의 대법률 문헌에서는 다소 달리 나타난다. 즉 능동에서는 여자에게 e pi s p ende in〈돈을 보증하 다〉이다. 이혼이나 아내 유기의 위험에 대비하여 이러한 금전을 여자에 게 보장하는 것은 그녀의 아버지나 형제이다. 중동에서 ep isp e ndesth a i 는 〈보증으로서 받다〉를 의미한다. 이러한 칭표를 뒷받침하는 많은 덱스트가 있다. 우리는 이 동사의 고 유한 의미 가치를 보여 주면서 종교적인 뜻과 거기에서 파생된 정치 어 휘에서 갖는 뜻을 동시에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덱스트를 선택했다. 결론적으로 s p ond~ 의 어원적 • 종교적 의미는 〈안전을 보장하는 헌납〉 이다. 이제 이러한 의미 발달의 과정에서 우리는 라틴 대웅어 s p ondeo 를

발견할 수 있다. 이 동사는 법률적 용법에서 〈재판에서 보증인으로 나 서다, 다른 사람을 위해 자신이 개인적으로 보증을 서다 〉 를 뜻한다. 이 것은 혼인에서 사용되는 관용적인 표현이 되었다 . s p onsus 〈남편〉, s p onsa 〈 아내〉 같은 용어 자체가 주는 내용이다 . 또한 구혼과 승낙의 표 현 형식도 알고 있다 . 풀라우투스는 이들을 그대로 다시 사용하고 있다 ( 『 3 누무스의 남자 』 1157, 1162). spo nden(=spo n desne)… t ua m gna ta r n uxorem m i h i?〈당신은 당신의 딸을 내게 아내로 주기를 약속하는가?〉 라고 구혼자는 그 처녀의 아버지에게 묻는다 . 그 처녀의 아버지는 s p ondeo 〈그걸 약속하네〉라고 대답한다. 다시 묻고 대답한다 . filar n tua m spo n den mihi uxorem dari- S po n deo. 이와 반대로 그 처녀의 아버지는 청년에게 묻는다. 〈그대는 이 처녀와 결혼하겠는가?〉 그 대답 은 s p ondeo 〈나는 그것을 약속합니다〉(아울루스 겔리우스, 『아티카의 밤 』 IV, 4, 2). s p ons i o 는 이들 개념을 취하여 법률적인 의미로 발달시켰다. 로마에만 특정한 이 법률적 개념은 , 그리스어가 방금 우리에게 제공하 는 개념과 어떻게 연관되는가? 그리스어나 라틴어나 문제는 언제나 보 증과 안전이다 헬라 세계에서 신주는 그것을 헌납하는 자의 안전을 보 장하는 데 사용된 것과 마찬가지로, 로마에서도 안전이 문제되었으나 그것은 법률적인 것으로서 s p onsor 가 재판에서 보장하는 안전이다. 그 는 판사, 소송 상대방, 법을 참재적인 결손一― 예컨대 용의자, 형사 피 고인이 결석하는 것 -으로부터 보장하기 위해서 거기에 임석하는 것 이다 . 혼인에서 s p ons i o 는 자기 딸에 대해서 아버지가 구혼자에게 주는 안전 보장이며, 곧 약속이다 . s p ondeo 와 함께 re-s p ondeo 를 고찰해야 한다 . res p ondeo 의 의미와 s p ondeo 와의 관계는 풀라우두스(『포로들 』 899) 에서 나오는 대화에서 문자 그대로 나온다 . 식객 에르가실루스는 헤기온에게 오래 전에 사라 졌던 그의 아들이 되돌아온다는 좋은 소식을 가져온다. 헤기온은 에르 가실루스에게 그가 사실을 말한 것이라면 매일 그롤 먹여 주겠다고 약

속한다. 그러자 이번에는 에르가실루스가 약속한다. 898 행 … spo n den tu ist u d ?-Sp on deo. 899 행 At ego tuu rn tibi aduen iss e filiur n resp on deo. 〈약속합니까?- 약속하오· -나로서는 당신께 당신의 아둘이 왔다고 약속하오`〉 (에르누의 번역) 이 대화는 법률적인 표현 형식에 기초해서 구성되어 있다. 죽 한 사 람이 s p ons i o 〈엄숙히 약속하다〉하고, 다른 사람이 re - s p ondeo 〈그 대신 ~할 것을 보증하다〉하는 것이다. 아는 그 이후 상호적인 안정 보장의 형태가 되었다. 즉 〈그 대신에, 당신의 아들이 무사히 도착했다고 당신 에게 보증한다〉. 이처럼 교환되는 이러한 보증(프랑스어 표현 rep on dre de 〈책임지다, 보증하다〉 참조)으로부터 라틴어에서 이미 잘 확립된 〈대답하다〉라는­ 의미가 생겨났다 . respo n deo, res p onsum 은 신들의 해석가들, 사제들, 특히 장점(腸占)을 치는 사제들에 대해 사용되었는데, 이들은 헌납물의 대가로 약속을 하고, 증여물의 대가로 안전을 보장했던 것이다. 그래서 이것은 바로 신탁과 기도의 〈대답〉이었던 것이다. 이 사실은 이 동사의 법률적 뜻을 해명해 준다. 죽 resp on dere de i ure 는 〈법률적인 심리를 하다〉를 뜻한다. 법률가는 자기 능력으로써 자신이 제시하는 견해의 가치를 보증하는 것이다. 게르만어의 대칭 표현을 보자. 고트어 swaran 〈맹세하다, 엄숙한 발화 롤 표명하다〉에 대해서 고대 영어 and-swaru 〈대답〉(영어 answer 〈대답 하다〉)이다. 이것은 거의 문자 그대로 res p ondere 의 의미이다. 그리스어와 라틴어의 선사에서 종교 어휘 가운대 가장 중요한 용어 의 의미 작용과 일반적으로 헌납을 가리키는 다른 동사들에 대해서 어

근 * s p end- 에 귀속된 의미 가치를 바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자세히 규 명할 수 있다 . 라틴어에서 최초에 지녔던 의미작용의 상당 부분이 사라졌으나 그 본질적인 내용은 남아 있다 . 바로 이 내용이 한편으로 s p ons i o 의 법률 적 개념과 다른 한편으로 s p ond~ 의 그리스어적 관념과의 관계를 결정 하고있다. 2 Liba ti o 종교 제도의 어휘 가운데 〈신주를 바치다〉라는 동사가 있다. 이 동사 는 그리스어 spe n do, 라틴어 s p ondeo 와 나란히 이 두 고전어에만 국한 되어 나타난다. 그 동사는 그리스어 leib o , 라틴어 lIb5 이다 . 그 의미는 아주 분명하고, 용법도 일정하다 . 표현 자체도 그리스어에 서 라틴어에 아르기까지 문자 그대로 서로 일치한다. 그리스어 동사 le i be in의 일상적 번역은 일반적으로 〈쏟아 봇다〉이며, 호메로스에게서 만 〈포도주를 붓다〉이다 . 죽 라틴어 liba re u in um 〈포도주를 붓다〉처럼 leib e in o in on 으로 나타난다. 동사 le i bo 와 연관된 명사는 lo i b~ 〈신주〉이 며 , 이들의 관계는 s p ond~ 와 s p endo 의 관계와 동일하다. 〈쏟아 붓다〉의 의미는 비종교적인 용법 덕택으로 모든 곳에서 용인 되고 있다 . 예컨대 호메로스에게서 확인되는 dakrua le i be in〈눈물을 쏟 다〉뿐만 아니라 leib e in oin o n D ii〈제우스신에게 포도주를 신주로 바치 다〉에서도나타난다 . 그러나 이들을 더 자세히 조사해 보면, 의미가 그렇게 단순한 것이 아니러는 사실이 드러난다 . 이 동사가 가리키는 의식(儀式)에 대한 해 석에는 여러 가지 난점이 있다. le i be in이 단지 〈붓다〉만을 의미한다면 le i be in과 쏟아 붓는 행위를 고유하게 지시하면서 또한 원래의 종교적

인 의미도 갖는 다른 동사, 죽 kheo 와 행위 명사 kho~ 사이에 어떤 관 계를 설정해야 하는지 자문해 볼 수 있다 . 의식에서 이 붓는 행위가 갖 는 중요성을 우리는 찰 알고 있다 특히 장례식에서 무덤에 kho~ 를 붓 는 행위의 중요성 말이다. 이 동사 *g 'heu- 는 인도 • 유럽어 어휘에서 가장 찰 확립된 단어 가운데 하나이다. 이것은 인도 • 이란어군에서 산 스크리트어 hav - (ho-) 〈액체의 봉납(물)을 바치다〉로 나타나며 , 이것은 베다의 종교 의식에서 가장 핵심적인 의식이다. 그리고 중성 ho tr a 는 이 봉납하는 것(행위)을 가리키고, 행위자 명사 ho ti;는 이 봉납물을 바 치는 사람을 가리킨다 . 이란어에서 이를 나타내는 용어는 이들과 정확 히 대응한다. 죽 zav- 는 〈봉납하다〉, zao tr - 는 봉납하는 사람, zao8ra- 는 봉납(물)을 가리킨다 . 아르메니아어 j awnem 〈헌납(물)을 바치다, 바 치다〉도 이와 동일한 의례적인 의미 가치를 갖는다. 이 어근 * g 'heu 는 치음 첨가로 확장되어 라틴어 fu ndo 〈붓다〉, 게르 만어군의 고트어 giut a n , 독일어 gi essen 〈붓다〉이 되었다. 방언권의 크 기와 의미 작용의 일관성으로 판단해 볼 때 〈붓다〉라는 일차적 의미를 바로 이 그리스어 동사 kheo 에 결부시켜야 할 것이다 . 따라서 le i bo 는 이와 동일한 개념을 표상할 수 없다 . 적어도 같은 방식으로 표상할 수 없고, 또 동일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도 없다. 더욱이 라틴어 li bare 〈신주를 붓다, 바치다〉는 일련의 다른 개념을 보 여 준다. 그것은 또한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 의미를 지시한다 . 〈가볍게 스치다 , 살짝 닿다〉, 〈맛보다〉(li bare 또는 de li bare 는 꽃에서 꿀울 노획 하는 벌들의 술책에 대해 사용된다), 〈소비하기 위해, 사용하기 위해 어 떤 것의 일부를 취하다〉(일상적인 뜻으로), 〈어떤 것(생물, 사물)에 손상 울 입히다〉 등이다 . 라틴어 li bare 에서 인지할 수 있는 이러한 여러 가 지 의미 가운데 당장 그 의미적 통일성을 구축하기는 쉽지 않다 . 그러 나 이들 여러 의미가 〈붓다〉리~ 개념에서 파생되는 것이 아니러는· 점 은 분명하다. 이 라틴 단어의 선사는 겉보기보다는 그리 단순하지 않다.

어원학자 발데 Walde 의 견해에 따라서 이 라틴어 동사가 두 개의 다론 어근 , 즉 〈 붓다 〉 를 나타내는 어근과 〈뽑다, 빼앗다〉를 의미하는 다른 어근을 계승하는 것이라고 하더라도 그 선사(先 史 )는 여전히 단순한 것 이 아니다. 여기까지 미치지는 않더라도 최근의 어원 사전들은 단일한 의미를 가정하는 데 따르는 난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리스어와 라틴어의 용법을 다시 비교해야 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증거를 가전 제 3 의 언어가 여기에는 없기 때문 0] 다 . leib o 의에, 그리스어에서 비종교적 용법을 지니면서 그 의미가 기저 의미 작용을 확실히 알려 줄 수 있을 만큼 분명한 단순한 형태를 지적 할 수 있다. 이러한 증거는 별로 이용된 적이 없었다.

우선 어근-명사 *lip s, 속격 lib6 s, 대격 l ib a 〈물방울〉인데, 이들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고대의 단어에서 고립된 격 형태이다 . 예컨대 melito s li ba( 아폴로니오스 데 로데스 ) 6) 〈꿀의 방울〉, 어원상의 비유가 있 는 eks ommato n leib o usi li ba( 야기스퀼로스 『 에우메니데스 Eum . 』 54)7) (여기에서 눈물이 물방울로서 비유되고 있다), 그리고 -ad - 로 된 파생명 사 l i bas 〈방울방울 (액체가) 배어 나오다, 흘러 나오다〉 같은 것이다. 여 기에서 솟아 나오는 물에 의해서 생건 〈작은 샘〉, 〈물 웅덩이〉의 의미 가 생겨났다 이 li bas 에서 지소사 l i bad i on 과 여과되어 나오는 물에 대 해 말할 때 사용되는 현재형 li bazes t h ai〈물이 배어 나오다, 물에 젖어 있다〉가 생겨났다 . 또한 부사 le i bden 〈방울방울〉도 찾아볼 수 있다. 마 6) Ap ol lon ios de Rhodes( 기원전 3 세기) : 그리스의 시인이자 문법가. 로데스에서 수사학파 를 만들고 알렉산드리아에서 도서관을 운영했다. 아르고스 해군들의 원정 울 노래한 서사시 『 아르고스 해전기 Ar g onau ti ka 』 가 있다. . 7) 아이스퀼로스의 3 부작 비극 『 오레스데이아 Ores t e i a 』 (기원전 458 년)의 제 3 부 . 아 이스퀼로스의 최고작으로 인정받으며 , 작품 전체가 손상되지 않고 그대로 전해 내 려온 유일한 작품이다 . T 아가멤논 A g amemnon J , 『 헌주하는 여인들.Kh o ep horo i.,과 함께 그의 3 부작 비극을 이룬다 . 제 1 권 1 책 제 1 장 각주 2) 참조틀

지막으로 le i b 존t hron 〈수로(水 路 )〉도 있다.

따라서 이제 le i bo 를 좀더 정밀하게 정의할 수가 있다. 예컨대 k6mai leib o usi ela i a( 宁마코스 )8) 〈머리카락에서 기름 방울이 맺혀 떨어진다〉 , ap h ros pe ri st6 m a leib e t a i(헤시오도스 『 방패 』 390) 〈침이 그 입에서 방 울방울 떨어진다〉, t~k ein kai le i be in(플라톤, 『 공화국 Re p ubl iq ue 』 411 b) 〈녹아서 방울방울 떨어지다〉 .

8) Kalim akhos( 기원전 315~240 년) : 그리스의 시인이자 문법가이며 학자 . 그리스 문학사 기술의 기초가 되는 수많은 저서의 목록을 작성한 『 작품목록 Tableaux 』 과 시작품으로 『 찬가』, 『 풍자시 E pig ramme 』 등이 있다 .

le i bo 가 많이 흐르는 액체를 계속해서 쏟아 붓는 것―이것이 바로 kheo 의 의미이다- 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이와 반대로 le i bo 는 〈한 방울씩 떨어뜨리다 , 한 방울씩 붓다〉를 뜻한다 . 그릇이 액체를 더 이상 간직할 수 없어서 거기에서 액체가 방울-방울 빠져나오는 것을 가 리킨다 . 그래서 땅 밀에 숨겨진 샘은 물을 쏟아 봇듯이 할 수 없다. 그 것은 물을 방울방울 스며나오게 한다 . 마찬가지로 dakrua le i be i n( 호메 로스에서 자주 나오는 시행의 끝 표현)은 〈눈물을 평평 쏟다〉가 아니라 〈눈물을 방울방울 짜내다, 말하자면 여과하듯아 찔끔찔끔 홀리다〉를 뜻 한다 우리가 인용한 표현을 이처럼 이해하기 위해서 별도의 의미 전환 을 통한 해석은 필요없을 것이다 . 이 의미가 호메로스의 한 예에서 분 명히 나타나는데, 이에 대해서는 별로 고찰한 바가 없었다. 즉 『오뒤세 이 아 』 7, 107 ... oth o neon ap o leii be ta i bug ron ela i on( 옷감의 약한 실들 이 끊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거기에 기름을 뿌리자)〈아마로 짠 옷감에서 기름이 방울방울 떨어진다〉 . 우리가 조사한 모든 예문에서 나오는 이 동사에 대해 이러한 해석이 요구된다 . 이러한 해석을 또한 종교적 표현 oin o n le i be in에도 적용해야 한다. 죽 컵에 잔뜩 담긴 포도주를 〈쏟아 붓는 것〉이 아니라 〈포도주를 여과하듯이 붓다, 포도주 몇 방울을 똑똑 홀리다〉를 뜻한다.

명사 lo i be 도 똑같이 해석되어야 한다. 이것은 이중적 표현, 즉

한 형태는 우선 중성명사 li bum 〈기념일과 어떤 예배 의식에 바쳐진 신성한 과자〉이다 . 오위디우스는 『 제사력 Fas t es 』 9J III, 761 에서 아버지 신에게 봉납물을 바치는 상황에서 li bum 이 li bare 와 어떻게 서로 관련 될 수 있는지 를 보여 주고 있다 . lib o q ue infus a calenti …c andid a mella damus 〈우리는 (꿀울 주신 아버지께) 뜨거운 libu m 위에 꿀을 뿌 려 바친다〉. 바로 이 점을 유념해야 한다. li bum 이라고 불리는 과자는 꿀에 담긴 채로 제공된다 . 그리하여 li bum 은 좀더 정확하게 〈액체(예컨 대 꿀 같은 것)가 철철 흘러 넘치는 상태의 과자〉로 정의할 수 있다 . 이것은 de li buo( 확인된 형태가 아니다)에서 파생된 동사적 형용사로서 명사형인 de li bu tu s 에 의해 확증되며, 몇몇 고대의 고정 성구에 보존되 어 나타난다 deli bu to ca pill o 〈누구의 머리카락이 향수로 흘러 넘치다〉, 9) 개오정위일디 등우이스 (기Pu록b l된i u s달 O력v이id 다i u .s 제N a1 s권o )1 의 책 작제품 5 장으 로각 주로 마7)의 참 조각`종 제사, 축제, 법정

delib u tu s g aud i o( 테렌티우스, 『 포르미오 Phorm .. !l, lO ) 856) 〈기쁨으로 넘치 는〉, 문자적으로는 〈기쁨으로 흘러 넘치는〉이다 . 따라서 그 의미는 〈방 울방울 떨어지는 액체에 홈뻑 적셔전〉이다.

10) 테렌티우스의 희극 작품 가운데 하나로서 두 사촌과 이들에게 붙어 사는 젊은이 가 이들을 역경에서 구해 내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 제 1 권 1 책 제 8 장 각주 9) 참조 .

라틴어 자체 내에서, 그리스어를 라틴어에 확대 적용시키지 않고서도 이러한 방법으로 몇몇 종교적인 용법을 직접 해석해 낼 수 있는 방도를 발견할 수 있다. 예컨대 탈격 구문 liba re melle, uin o 같은 것으로, 이 는 fac ere uin o , u icti m 효〈포도주로써, 희생물로써 제사 의식을 거행하 다〉와 바교될 수 있다. lib a re melle, u in o 에서 우리는 그리스어 leib e n o i non 과 정확하게 등가치적 의미를 지닌 표현을 결국 찾아 낼 수 있다. 그 의미는 〈포도주, 꿀을 이용해서 이 액체를 방울방울 호르게 하는 신 주를바치다〉이다. 이 의미가 , 이 단어족에 속하는 용어들이 고유한 의미의 라틴어 역사 에서 최초로 지녔던 의미이다. li bare 가 여러 가지로 분화된 다양한 의 미 속에서 그 역사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우선 최초의 의미 작용을 정확 히 설정해야 한다 . 그 최초의 의미는 〈붓다〉가 아니라 〈방울방울 흐르 게 하다〉를 의미한다 . 죽 〈국소량의 액체를 받쳐서, 말하자면 그 용기 에서 액체를 여과시켜 짜내듯이 하다〉를 의미한다. 여기 에 기초해서 liba re, liba ti o 등의 종교적 용법 에서 본질적 인 액 체 (신주)의 헌납 개념이 일상적인 용법으로 사용되는 〈적은 일부를 추출 하다, 채취하다〉라는 개념으로 대체되었다 예컨대 루크레티우스에서 liba re ae q uor 〈바닷물을 조금 채취하다〉나 은유적인 의미 가치의 delib a ta deum n urnin a 〈무엇인가를 빼앗겨서 약화된 신의 힘〉 같은 것 이다. trunc um de li bare 에서도 동일한 동사를 볼 수 있다. 이것은 황소 가 끄는 수레가 지나가면서 나무껍질의 〈일부를 살짝 벗겨 내다〉는 의

미이다. 이 동사는 어떤 라틴 문법가의 정의에 따르면, 음식물에 대해서 도 사용된다 . 즉 liba re est aliq u id leuit er conti nge re ut si qu is inu it at u s ad conuin u iu r n uel pot u r n per exig uu rn qui d d arn de esca uel po ti on e surna t〈 l i bare 는 무엇에 가볍게 손을 대다는 뜻이다. 예컨대 음식을 먹거나 마시는 곳에 초대된 어떤 사람이 음식물이나 음료를 아 주 조금 먹는 경우에 사용된다〉. 바로 아와 같은 것이 li bare 에 부여된 새로운 의미 가치이며, 일어난 의미 변화이다. 최초에는 신에게 헌납한 액체 가운데서 〈소량을 추출하 다〉의 의미였다. 그 후 〈소량(예컨대 음식물)을 취하다〉, 〈벌들이 꽃에 서 꿀을 획득하듯이 조금씩 채취하다〉를 뜻하게 되었다. 이 라틴어 동사의 뜻은, 라틴어 내의 l i bum 과 de li buo 에서 우리가 파 악할 수 있는 기원이 되는 의미에 근거해서 서로 조화된다. 그런데 바 로 이 기원의 의미가 바로 그리스어의 용법이 우리에게 제시해 주는 의 미이다. 그리하여 그리스어 사실에 대한 고찰을 한 후에 라틴어 사실에 대한 고찰을 함으로써 이 두 언어의 전통을 더욱 긴밀하게 연관시키는 상세한 설명에 이르게 된다. 순수히 언어학적인 문제는 아니지만 마지막으로 논의할 한 가지 사 항이 있다. 〈신주〉가 어디에 사용되는가, 또 이 의식의 의미는 무엇인 가 하는 점이다 . 이 문제는 어떤 상황에서 le i be in이 사용되는가를 살펴 보는 문제로 귀결된다 . 이 동사는 s p ende in과는 교환되지 않는다 . 호메 로스의 한 용법(『일리아스』, 7, 481) 을 그 문맥에서 고찰해 보자. 아카이 아인들이 그들의 전영에서 향연을 베풀고 있었을 때 〈제우스는 그들에 게 나쁜 의도를 가지고 무시무시한 천둥을 치게 했다. 그들은 혼비백산 하여 포도주 잔을 부었다. 그들 중 아무도 감히 제우스에게 신주를 바 치기 (leip sa i) 전에 마시 려고 하지 않았다〉 . 그 의도는 분명하다. 즉 마시기 전에 신주를 몇 방울 뿌려서 신의 격 노를 진정시켜야만 하는 것이다 . 이것은 우리가 s p endo 에 대해 살펴보

았듯이 어떤 협의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전노의 결과를 다른 곳으로 돌 리기 위한 것이다 . 이와 동일한 관념이 폴뤼페모스를 무찌르는 오뒤세 우스의 일화에서 패러디(p arod y)로 나타나고 있다( 『 오뒤세이아 』 9, 349). 퀴클롭스가 오뒤세우스의 두 동료를 삼켰다 . 그의 화를 풀어 주기 위해서 오뒤세우스는 그에게 오래 된 포도주 한 부대를 갖다 준다 . 〈퀴 클롭스여, 그대가 인간의 살을 먹었으니 이 포도주를 마시도록 하시오. 그러면 우리 함선이 감추어 두고 있던 포도주의 품질이 어떤지 알게 될 것이오 . 그대가 나를 불쌍히 여겨 니를· 집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하는 경 우에 대비하여 lo i be 를 그대에게 갖다 주었소. 그런데도 그대의 분노는 끝이 없으니.〉 오뒤세우스는 이 lo i be 로 폴뤼페모스의 분노를 가라앉히 려고 하는데 , 이는 앞에서 본 것처럼 마치 그리스인들이 제우스의 화를 전정시키려고 한 것과 같다. 이로써 lo i be 는 바로 그것이 위치해야 할 자리에 자리잡게 되는 것이다 .

제 3 장 희생 제사 요약 〈 희생 제사 〉를 가리키는 공통된 용어가 부재하는 대신에 다양한 언어에서, 그리고 흔히 각 언어 내에서 희생 제사 행위의 다양한 형식에 대응하는 아주 다양한 지칭이 있다. 즉 신주 헌납(산스크리트어 juh oti , 그 리스어 spe n do), 엄정한 구두상의 언약(라 틴어 uoueo, 그리스어 eukhomai) , 성대한 향연(라틴어 dap s) , 훈증(그리스어 thu o), 광휘(光 輝 )의 의식(라틴어 lustr o) 등이 그것이다 . ha gi os 가 산스크리트어 y a j-와 연관성이 있는 한, 〈희생 제사〉와 〈신 성〉의 개념 사이의 관계가 설정된다 . 베다 산스크리트어에서 y a j一는 원 래는 〈희생 제사〉를 가리켰다. 그러나 우선――이 동사의 구문 자체 (즉 대격의 신의 명칭과 도구격의 목적보어)가 입증하듯이 __ y aj 는 신을 경의하고, 그의 은총을 간청하며, 봉납물로서 그의 권능에 감사를 표하 는것을뜻한다. 우리는 여기에서 적극적인 행위와 의식에 대한 연구에 착수하려고 하는데, 이러한 것들에 의해서 신성이 규정되고, 보존될 수 있다 . 이러 한 것이 바로 〈희생 제사〉로서의 헌납(물)이며, 이는 신성하게 만드는 수단이자 인간적인 것을 신적인 것으로 바꾸는 수단이다. 이 헌납(물)은 여러 가지 성질을 띠고 있으며, 이것이 〈물건〉이냐 〈기도〉이냐에 따라서 서로 다른 용어를 가지고 있다 . 왜냐하면 기도 그 자체도 헌납(물)이며, 그 효력에 의거해서 작용한다. 기도는 의식을 수 반하는 고정된 표현 양식을 가지며, 왕 또는 사제를 중개로 하여 인간 과신을관계짓는다.

물질적인 헌납물은 고체일 수도 있고, 액체일 수도 있다. 죽 〈신주 헌납〉(li ba ti on) 또는 〈희생 동물 헌납〉 (mac t a ti on) 으로 불릴 수 있는 것이다. 회생 제사와 관련되는 모든 용어 가운대 가장 일반적으로 확인 된 용어롤 가전 것은 〈신주 헌납〉인 것 같다. 이것은 산스크리트어에서 hav-, j uho ti〈희생 제사를 드리다〉, ho t ar- 〈희생 제사를 드리는 사제〉, ho tr a- 〈희생 제사〉로 나타나는 어근에서 파생되었다. 이란어의 대응형 zav- 는, 부분적으로 zao t ar 〈사제〉와 zao8ra 〈희생 제사〉를 파생시키고 있다. 바로 이들이 중요한 용어이며, 이 각각은 빈번히 사용되는 많은 파생어를가지고 있다. 이 어근은 또한 아르메니아어에서는 종교적 의미 가치를 지닌 j awnem 〈바치다, 헌신하다〉으로 확인되고 있다 . 마지막으로 그리스어에 서는 kheo 〈쏟아 붓다〉로 확인되고 있다. 이 모든 형태는 인도 • 유럽어 *g heu- 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접미사를 지닌 현재형인 라틴어 fun do, 고트어 giut a n < gies sen,쏟 아 붓다〉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 어 근은 모든 인도 • 유럽 제어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인도 • 유럽 제어에서 종교적 의미 가치를 내포하게 되었고, kheo 의 몇몇 파생어도 이러한 종 교적 의미 가치를 역시 보여 주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좀더 제한된 대응이지만, 〈신주 헌납〉의 영역과도 관 련되면서 그 방언적 분포가 홍미로운 다음의 대응을 상기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죽 그리스어 spe ndo, s p ond~ 〈신주 헌납〉와 라틴어 spo ndeo ―을 신지니주고 헌있납다으 _로_ 뒷 와받 히침타하이는트 행어위 ,i ~즉p a n〈 t(맹明i약p a〉n의 t )행〈신위주의를 의바미치다 작〉 용(2만50 쪽 이하 참조)의 대응이 그것이다. 〈희생 제사〉를 가리키는 라틴 용어법 가운데 라틴어에만 국한되나 방언 시기 이전에 형성된 형태의 잔존 모습임에 틀림없는 용어가 있는 데, 그것은 동사 mac t are 이다. 고전 시기에 이 동사가 갖는 가장 빈번한 의미는 〈동물을 희생 제물로 바치다〉였다. 이 동사는 명사형 mac tu s 와

분리될 수 없다. 사실을 말하자면, 이 명사형은 오직 호격 rnac t e 로만 확인이 가능한데 , 특히 고정 성구 mac t e(an i mo) 〈명예를! 용기를!〉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이는 동사 rnac t are 의 의미와는 좀처럼 부합되 지 않는다 . 이들 형태의 관계는 아주 불분명해서 mac t are 를 두 동사로 간주하게 만든다. 즉 하나는 〈죽이다〉를 의미하고, 다른 하나는 〈앙양 시키다〉 또는 이와 유사한 의미이다. 그러나 이는 분명 배제해야 할 견 해 01 다 . rnac t are 는 rnac tu s 에서 파생된 명사 파생동사로 간주되어야 하나 그 의미 관계는 오직 용법에 대한 조사를 통해서만 밝혀질 수 있다. 라틴 주석가들은 mac tu s 를

리고 sacrare 가 갖는 구문 변화와 유사한 구문 변화를 통해서 macta r e u icti mam 〈제물을 희생 제사로 바치다〉이라는 표현이 생겨났다 바로 여기에서 mac t are 〈죽이다, 죽임을 당하게 하다〉가 파생되었다. 이는 에 스파냐어 ma t ar 〈죽이다〉에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 이 두 용어 하나하나는 기본 개념과 그 명칭이 지닌 , 다양하게 변하 는 함축 의미 사이에 확립시킨 연관성에 의해서 희생 제사 , 헌납(물) , 신주 헌납의 개념에 추가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또 한 가지 예가 있다 라틴어 uoueo, uo tu m 은 물론 〈바치다 , 맹세 하다, 희생 제사로 신성하게 하다〉이다 . 그러나 이 라틴어 동사의 대웅 어들은 그 최초의 의미 작용을 좀더 명확히 밝혀 준다. 우수J 베다 산스 크리트어 동사적 형용사 va g ha t〈희생 제물로 서원하다〉, 〈희생 제물을 바치는〉와 다음으로 그리스어 eukhomai, eukh~ 이다 우선 첫눈에는 이 그리스어의 개념이 꽤 다른 듯이 보인다 . 죽 〈기도하다〉, 〈약속하다〉와 또한 〈자랑하다〉, 〈엄숙하게 단언하다〉가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동일 한 계열의 어원에 속하는 중요한 네번째 용어는 아베스타어 동사형 ao ge} da 〈그는 말했다〉(과거의 단수 3 인칭)이다. 우리는 여기에서 아주 다양한 의미를 대하고 있는데, 라틴어 uoueo 〈바치다. 맹세하다〉는 의미가 명료하고, 아베스타어 ao ge} da 〈그는 말했 다〉는 꽤 모호하다. 또 그리스어는 〈말하다〉도 아니고, 〈바치다〉 , 〈회생 제사를 드리다〉도 아니다 . 그것은 〈맹세하다〉, 〈서원을 공개적으로 표 명하다〉, 〈어떤 사물의 질을 인정하다〉를 의미하고, 결과적으로는 〈자 신을 ~으로 여기다, ~로 행세하다〉를 의미한다 . 이것은 무엇을 서약 하는 엄숙한 단언이나 자신이 무엇을 하거나 무엇이 되려는 책임을 스 스로 전다는 엄숙한 단언을 가리킨다 . 이처럼 상세한 의미는 또 다른 의미를 유발시킨다. 아베스타어 동사형 ao ge} da 는 겉보기보다 더욱 유 익하다 . 이 용법을 관찰해 보면, 중요한 인물이나 신들을 대하는 엄숙한 상황에서 출현하고 있다. 그것은 약속과 서약의 모습을 지닌 발화 행위

이며, 이 행위의 권위를 이를 말하는 자들에게서 부여받고 있다(제 4 장 참조) .

* 이처럼 의미 가치가 동일한 한 어근에서 파생된 다수의 형태를 연결 하는 대응어에서 불균형한 분포를 보이고 있디는· 점을 알 수 있다. 단 하나의 언어에서만 엄밀한 종교적 의미 가치가 확립되는 경우는 빈번 하다. 더욱이 단어가 일반 어휘 속으로 편입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특수 화되기도 한다. 이 지적은 새로운 예로 예시된다. 이 단어는 다른 여러 언어에서 어휘적으로 나타나지만 단지 한 언어에서만 종교 어휘로 나 타난다. 그것은 라틴어에만 특수한 〈헌납(물)〉을 가리키는 명칭이다. 죽

여기에서 비교 용어는 확실하지만 이러한 비교를 통해 끌어 낸 의미 는 아직 명확하게 분석된 적이 없다.

fi cum 〉(풍부하고 화려하게)를 뜻한다. 〈 헌납물을 드는 식사 〉 와 〈풍부한 , 장엄한 , 넓은 , 관대한 〉 이 어떻게 조화될 수 있는가?

에르누-메이예의 『 라틴어 어원 사전』에 따르면 daPs 의 일차적 의미 는 〈희생 제물〉이다. 그 확증은 가이우스의 『 법률요강 Ins t. 』i) 4. 28 에 근거를 두고 있다. 죽 pec unia m accep tam in dap e m, id est in sacrifi ciur n i m p endere 〈 daPS 로 죽 받은 돈은 희생 제물로 소비해야 한 다〉이다. 여기에서 〈희생 제사에 뒤이은 식사 의례〉가 생겨났고 , 그 후 세속적인 의미로 〈식사, 음식〉의 의마가 되었다고 이 사전은 기술하고 있다.

2) G ai us( 기원 2 세기) : 로마의 법학자. 사비누스 학파의 학자. 로마 지배령의 그리 스 출신 학자로 추정된다. 『 12 동판법 해설 .l , 『 지방 법령에 대하여 .!I , 『 일상사』 등이 있으나 주요 저작으로 법에 대한 기초적인 교육을 목적으로 쓴 『 법률요강 Ins ti­ tution es Commen t a rii 』 이 있다.

라틴어 이외에는 아르메니아어 t awn 〈축제〉, 고대 아이슬란드어 tafn〈희생 제사의 동물 헌납에 바쳐진 짐승〉이 구성하는 단어군이 있 다. 그리고 그리스어 da p an 죤〈소비〉가 있고, 이와 관련된 da pto〈니누다 , 찢다〉가 있다. 이 대응을 통해서 우리는 단어족과 의미가 분명히 다른 또 다른 라틴 어 단어에 이르게 되는데, 그것은 damnum 〈손해〉이다. 이 용어는 로마 의 고대법에서 필수적인 용어이다. damnurn 이란 형태는 고대의 *d ap - nom 을 거쳐서 da p ane 와 같은 유형의 형태로 소급되고 , 또한 -n 으로 접미사화가 된 동일한 어근을 내포하고 있다 . 그러나 〈식사〉, 〈헌납 (물)〉, 〈소비하다〉 , 〈손해〉의 이 모든 의미는 통일성이 없고, 심지어는 상충되어 보이기조차 한다. 따라서 위에 인용한 사전은 daPS 와 damnurn 의 관계를 인정하기를 주저하고 있다 . 우리 견해로는 형태적인 비교는 꽤 정확하기 때문에 의미적 비교의 조건을 탐구하게 된다. 이룰 위해서 그 의미를 정의해야 한다 . 왜 dap s

가 헌납(물)이나 희생 제물이 아니라 특별히 〈식사〉를 뜻하게 되었는지, 형용사 da p a tic us 가 화려함 , 광대함을 함축하게 되었는지, 마지막으로 형태가 암시하는 da p an 즌와 damnurn 과의 비교를 어떻게 입증할 것인 지 말이다 엄밀히 말해서 daPs 는 신에게 바친 헌납물 일반을 가리키는 것이 아 니라 축 성식 뒤에 제공되는 식사, 성대한 석사, 화려한 축제를 가리킨 댜 우리는 이와 같은 유형의 식사를 아주 다른 사회에서 찾아볼 수 있 다 . 이 식사에서는 소비하는 돈을 과시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는 일종의 〈 희생 제사 〉 인데, 그것은 근검 정신을 지닌 오늘날에 와서는 든 비용에 아랑곳없이, 쓴 돈을 되찾을 수 없디는 사실을 알면서도 호화로운 사치 를 위해 돈을 소비한다는 사실을 이해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그러하다 . 〈소비〉가 원래 의미하는 것은 바로 이와 같은 돈의 투입이며, 어떤 보 상을 기대하지 않고 〈희생 제물〉로 아낌없이 써 버리는 돈〈비용)이다. 그래서 상거래에서 〈덤평으로 처리한〉 (sac rifi e) 상품이라고들 말하는 것이다. 더더욱아 오늘날에 와서도 〈희생 제물을 바치듯이〉 (o ffrir), 〈식 사, 향연을 제공하다〉 (o ffri r) 라고 말하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따라서 daPS 는 이득이나 보상 없이 어떤 사람을 영광스럽게 하기 위해 바친 연회이며, 따라서 dap at i cu s, da p a ti ce 의 의미는 풍부의 개념, 초대한 손 님을 대할 때 자신의 관용을 과시하기 위해 〈희생한다〉는 관념을 환기 시킨다 . 라틴어 daPS 와 그리스어 da p an 얹는 이처럼 종교적인 축제나 〈회생 제사〉 때에 쓰는 대량의 소비라는 공통 특칭으로 서로 연결된다 . 그래서 〈소비〉의 개념은 결코 단순한 개념이 아니다(제 1 권 87 쪽 이하 참조) . da p an 존와 darnnum 사이의 아주 명백한 형태 관계가 밝혀졌으므로 이 관계를 어떤 의미 관계의 기초 위에 설정해야 하는지 알아야 한다 . darnnurn 은 우선 풀라우투스( 『 군사들』 699) 에서 분명히 드러나듯이 〈소 비〉를 가리킨다 . 여기에서 어떤 사람이 혼인으로 초래된 재정적인 곤란,

즉 자기 부인이 그에게 부과한 소비(경비)에 대해 불평한다. haec atq u e eiu s modi darnna 〈그녀의 이와 같은 방식의 소비〉 . 이 〈 소비〉, 즉 엄밀 히 말해서 그것은 〈돈의 손실〉 (darnnum) 이다 이 의미는 또한 형용사 damnosus 에도 그대로 남아 있으며 , 바로 〈소비하는 , 낭비하는〉이라는 의미이다. 마지막으로 역시 풀라우두스에 나오는 damnare 에서도 그 의 미가 남아 있다. 그 예는 여럿 있으나 한 가지만 보면 다음과 같다( 『 3 누무스의 남자 』 829, 넵투누스에게 드리는 기도). “그대를 칭송하면서 사 람들아 pau p er ib u s te par cere so litu m〈그대는 가난한 자들에게 관용을 베푸는 습관도 있지만〉, diu i t es darnnare atq u e domare 〈 재물 속에 묻 혀 있는 부자들을 못살게 구는 버릇도 있다〉고 공공연히 말하는 것을 듣지 못했습니까?” 여기에서 damnare 는 〈 소비를 강요하다 〉 를 의미해 야 하는데, 그것은 〈소비〉가 언제나 돈의 〈희생 제사 〉 로서 고려되고 있 기 때문이다. 그래서 바로 이것이 〈손해〉로서의 darnnum 의 의미 기원이다. 죽 그 것은 원래적으로 반대 급부 없이 들인 돈이다. 〈벌금〉도 당연히 아무런 대가 없이 들인 돈이다. 그렇지만 원래 darnnare 는 통상적인 벌금을 과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사람으로 하여금 아무 대가 없이 소비를 강제하 는것이다

이처럼 라틴어 darnnum 같이 법에 명시되거나 그리스어 da p an 존같이 경제에 명시된 개념 사이의 관계를 확증할 수 있다. 희생 제사(제물)와 관련된 용어에 대한 이러한 조사에는 또한 그리스 어 동사 t huo 〈제물로 바치다, 회생시키다〉와 이 동사에 의존되어 있는 다수의 파생어도 포함된다. 아 동사의 기원은 확실하다 . t huo 는 현재형 *dhu- y o 에 근거한다. 이 현재형의 어기는 원래 〈연기를 내다, 피우다〉 를 의미하며 , 라틴어 s uffi o 〈연기에 노출시키다, 연기를 씌다〉와 직접 연관된다. 이 어원은 그리스어 파생어에서 확증되지만 이 파생어와 * dhu- 의 관계는 명확하지 않다 . 이 파생어는 〈유황〉을 가리키는 명칭 으로서, 호메로스 그리스어의 the eio n 또는 t he io n 이다. 호메로스 그리 스어 형태가 분명히 나타내 주듯이 이는 물론 형용사 t he i os 〈신의〉와 아무런 관계가 없다 . 이것은 고형 *dhwes- i on 의 어기에 접미사 -s 가 첨가된 형태이다. 리두아니아어 현재 dves i u 〈숨을 쉬다, 숨을 헐떡거리 다〉 참조 . 그리스어에서 〈희생 제사, 제물〉은 따라서 〈훈증〉의 개념에서 생긴 것으로서, 불태우는 기름(지방), 굽는 고기의 냄새, 신에게 바치는 헌납 물로서 위로 뻗어 울라오는 연기를 가리킨다. 그래서 이러한 관념은 베 다 덱스트와 호메로스 덱스트의 많은 예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 비교가 그리스어의 〈희생 제사〉의 개념에 빛을 약간 던져 준다면, 이것은 또한 아마 이와 연관성이 있는 라틴어 단어군도 설명할 수 있 다 . 집마사 -ro 가 첨가된 형태 *dhwes-ro 에서 출발해서 라틴어의 어간 feb ro-, feb ruum, feb ruare, 그리고 f ebruar i us 란 명사에 이르게 된다. 이 전체 단어군은 〈정화(淨化)〉와 관련되는데, 이 정화는 특정 의례로 예시되는 기능이 있다. 죽 정화의 달어 ]인 fe bru ari us 〈 2 월〉는 고대 로 마력의 끝달을 가리킨다. 이 〈정화〉는 어원상으로는 〈연기로 훈증하는 것〉이며, 훈증의 매개체는 그리스어 〈유황〉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그 이

유는 유황이 정화하기 위한 연기를 피우는 데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이 중요한 두 어휘군의 선사(先 史 )는 아주 엄밀하게 실시된 비교에서 명확해진다. 그렇지만 이것이 확실한 사실이 아니러는· 점을 강조하자. 예컨대 f ebro- 의 파생에서 라틴어 f-의 기원은 여럿이며, - br- 는 달리 해석될 여지가 있다 . 따라서 f ebro - 가 *d hwes-ro 이외의 다른 원형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증명할 수는 없다. 이 사실은 단지 신빙성 이 있는 설명을 제공한다는 것으로 충분하다. 로마 세계에서 〈정화〉를 가리키는 용어를 검토하면서 우리는 또 다 른 용어를 하나 취하게 되는데, 그것은 논란이 많은 문제를 야기시킨다. 그 용어는 lustr ur n, lus tr are 이다 이것은 5 년마다 연병장(마르스의 연병 장)에 모인 사람들을 정화시키면서 군대의 검열을 수반하는 엄숙한 의 식을 거행하는 행사를 가리켰다. 이 개념에는 세 가지 어휘 단위가 포 함되어 있다. 첫째는 lustr u m, 죽 경과한 시간이다. 이 축제는 규칙적으 로 5 년마다 열린다 . 다음으로 lustr ar e, 죽 검 열하다(p erlus tr are oculi s 〈어떤 것 전체를 눈으로 훑어 보다〉)가 있다. 마지 막으로 lustr at i o, 즉 정 화가있다. 이들 단어의 어원적인 고유한 의미 작용에 대해 학자들은 많은 논의 를 했다. 두 가지 설명이 개진되었는데 , 이를 간략히 상기해 보자 . 어떤 학자들은 lus trum을 〈빛나다〉를 의미하는 어근, 죽 lux 의 어근 - 여 기에서 동사 ill us tr aro 와 형용사 ill us tri s( 이 형용사는 동사에서 파생했고 그 반대는 아니다)가 파생되었다-과 관계지어야 한다고 추정한다 . 그런데 lus tr are 와 ill us tr are 는 형태상으로 분리될 수도 없으며, 의미상 으로 비교될 수도 없다. 그 이유는 ill us tr are 가 lux 로 직접 해명되기는 하지만 lus tr are 의 기술적인 의미 가치를 전혀 보여 주지 않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중성 lus tru m 도 luna 가 *louksna 에 근거하듯이 *loukstr or n 에 근거해서 파생될 수도 있다. 그러나 ill us tr are 와 lustr ar e 사이에 어 떤 관계도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lus tru rn 에 대해 다른 설명을 찾으려

는 입장을 취했다. 그래서 학자들은 이것을 〈씻다〉를 의미하는 어근 , 죽 그리스어 louo 와 결부시키려고 했다 . 그러나 lus tr um 은 louo 의 고유 의미에는 이질적인 요소이다 . 즉 〈 씻다 〉 는 〈정화하다 〉 가 아니며, lus tr um 은 뭉을 뿌리거나 물에 잠수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유형의 정화 개 념을 전혀 환기시키지 않는다. 게다가 음성적인 난점도 있다. 만일 louo 의 어근으로 소급하게 되면 고형 *lowes tr om 을 얻게 되고 이것은 규칙 적으로 * los tr um 이란 형태를 산출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lus trurn은 방 언형이 되는 것이다 . 결정적인 설명이 없어도 우리는 이 용어의 고유한 의미 작용을 상세 히 해명할 수 있다 .

가장 명시적인 텍스트는 아주 짧다(티두스 리위우스 『 로마사』 I, 44). 이 텍스트는 인구 센서스를 처음 시행할 때, (5 년제) 빛의 의식을 치르 는 내용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 의례가 제정된 것은 세르위우스 툴리우 스3 ) 가 포고한 인구 센서스 때였다. 인구 센서스를 시행한 후 툴리우스 는 모든 로마 시민들에게 백인 부대로 열을 지어 연병장에 출두할 것을 명한다.

3) Serviu s Tu lli us( 기원전 578-534 년) . 로마의 6 대 왕.

Ibi inst r uc tu m exerci tum omnem suoueta u ri lib u s lustr au it , idq ue condit um lustr um ap pe llatu m, qui a is censendo finis fac tu s es t〈모든 백인 부대가 일단 정렬한 후에 그는 이들을 suoue t a urili a 로써 정화시킨 다 . 이는 condit um lus trum으로 불렸는데, 그것은 이 행사가 인구 조사 의 끝에 이루어 졌기 때문이다〉. 베이 예 J. Bay e t~)는 condit um lustr um 을 〈 5 년제 의식의 폐막〉으로 번역한다 . 그러나 이 문장의 바로 앞에 나 오는 문장에는 다음과 같은 지적이 있는데, 아마도 이 점에 유의해야 할 듯싶다. edix it ut omnes dues Roma ni …i n carnp o Martio prima luce adessent. 모 든 로마 시민들은 새벽에(여명에) 마르스 광장(연병장)

4) J. Baye t & G. Bai lle t, P ari s, Ed., B ude, 1940(1- X ).

에 백인 부대, 보병대, 기병대로 행렬을 지어 출두해야만 했다. 따라서 pri m a luce 〈하루의 시작에, 여명에〉가 이 행사의 의례적인 조건이었고, 그것이 우연한 상황은 아니었다. 우리는 lus tr a ti o 가 어떤 방식으로 시행되었는지 잘 알고 있다. 정화 시키는 자들, 즉 사제들이나 왕들은 정화할 사람들의 무리나 건물 주위 를 빙빙 도는데, 언제나 오른쪽으로 돈다 . 그래서 정화는 이처럼 주위를 순회하는 행위를 야기시켰다. 그리하여 lus tr are 는 〈편력하다, 관통하다, 검열하다〉와 동시에 〈정화하다〉를 의미하게 되었다 . 선행 문장의 pri m a luce 를 lus tru m 과 연관지울 수 있다면 다음과 같은 해석 이 니올 수 있다. 즉 lus tr are 는 문자 그대로의 의미인 〈빛을 비추다〉가 될 수 있다. 이 때 정화자들의 행진은 그 빛으로 주위를 비추는 태양의 이미 지가 된다. 그리하여 사제의 행동거지와 이 천체(태양)의 행태는 서로 일치하게 될 것이다 . 어원적 관점에서 가장 단순한 이러한 설명은 사실에 근거를 두고 있 으며, 전통과도 가장 간단하게 서로 일치한다. 사람 주위를 순회하는 것 이 끝나고, 모든 사람들을 검열하면 인구 센서스는 종료된다. 죽 is censendo finis foe tu s es t〈이로써 국세 조사가 끝마쳐졌다〉가 되는 것 이다.

제 4 장 서원 요약 그리스어 eukhes t h ai와 라틴어 uoueo 의 어근은 인도 • 이란어에서도 출현한다 . 라 틴어 uoueo, uo tu m 은 〈서원〉을 가리키는 특수한 표현이며, 이란어 aog -, 산스크리트 어 oh - 는 〈업숙하게 또는 당당하게 표명하다〉를 의미한다. 그러나 호메로스 그리스어 eukhes t h ai는 보통 〈기도하다〉나 〈자랑하다〉로 번역된다 . 이러한 다의성에 대한 이상한 느낌은 우리가 어근 *we g hw- 에 〈서원〉의 이중적인 의미를 인정한다면 사라진다 . 죽 업숙하게 서원한 사물과 신앙(헌신)의 대가로 요구한 보증이 그것이다. eukhes thai의 〈자랑하다〉 또는 〈선언하는 실체에 대해서 업숙히 보 증인 노릇을 하다〉라는 의미는 첫째 의미 가치와 결부되고, 둘째 의미 가치로부터는 〈기 도하다〉 또는 〈자신의 서원으로써 신의 가호를 요청하다〉라는 의미가 생겨났다. 이러한 의미의 단일성은 또한 eukhom ai의 어근에서 파생된 호메로스 그리스어 명사 eukhos, eukhol~ 로 확장된다. 사실상 eOkhos 가 전쟁 상황에서는 〈영광〉 또는 〈승리〉를 지칭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의미 작용이 〈서원〉을 뜻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그것은 인간 의 eukhes thai에 대한 응답으로 내려진 신의 사역이라는 의미에서 그렇다). 그리하여 *we g hw- 는 발화의 영역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것은 *s p end- 가 행위의 영역에 위치하는 것과 동일하다. 죽 안전 보장을 목적으로 하는 업숙한 서약이자 자기 자신을 담보로 하는 전정한 맹세(라틴어 deuo ti o) 이기 때문이다. 그리스어에서 서약의 용어법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면서 우리는 이 서 약의 여러 양태를 가리키는 다수의 동사와 서약 의식을 묘사하는 다른 동사, 예컨대 sp en do 같은 것을 살펴보았다. 서약을 선서할 때나 또 다 른 정황에서 또 다른 동사가 s p endo 와 아주 빈번하게 연관된다. 그것 은 예컨대 호메로스에 나오는 다음 명령에서 사용된 eukhes th a i이다. sp ei s o n ... kai eukheo 〈헌주하고 …기 도하십시오〉(『일리아스』 24, 287). 그래서 s p ende in과 eukhesth a i 사이에 실제적으로 확립된 연관성이 있다.

이 두 동사가 함께 사용된 구절은 아주 많다 . 그래서 분명히 아 두 행위는 서로 연관되어 있다. s p endo 에 대해서 증명한 것처럼 , 이 동사 의 고유한 의미 작용도 증명해야 한다. 동사 eukhes t ha i는 전체 문헌 전통을 통해서 언제나 중동태로 사용되며, 그 의미는 두 가지이다 . 1) 〈기도하다〉 , 2) 〈자랑하다 , 뽐내며 자랑스레 말하다 〉 . 이 두 가지 의미 작용은 명사 파생어 eukhe( 호메로스 『 오뒤세이아 』 10, 526 에서 단 한 번 출현), eOkhos 〈기도〉와 eukhole 〈허풍, 호언장담〉에서도 나타난다 . 고대 주석가들도 이미 이 두 가지 의미를 인정하고 있으나 한 의미에 서 다른 의미로 어떻게 전이되었는지는 모르고 있다 . 한 의미는 엄밀히 종교적인 행위와 연관되고, 다른 의미는 자만한 발화 행위와 연관되어 있다 . 그래서 이 둘은 아무런 공통점이 없어 보인다. 다른 언어로 눈을 돌려 보면 , 이 어근이 인도 • 이란어와 이탈리크어 에서 확인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산스크리트어의 종교 어휘에서 oh-, oha ti〈웅변조로 알리다〉 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산스크리트어 oh- 에 대해 아베스타어 aog - 가 대응하는데, 이는 단지 〈말하다, 발화하다〉를 의미한다. 예컨대 아후 라 마즈다는 자라두스두라에게 〈말한다〉 (ao g ada) . 〈기도〉를 가리키는 어떤 것도 여기에서 볼 수 없다. 아베스타어와 산스크리트어에는 이 〈기도〉 개념을 나타내는 다수의 다른 용어가 있다. 라틴어에서 대응하는 동사는 uoueo 와 파생어 uotu m , uoti uu s, 그리 고 de-uoueo, de-uo ti o 이다. 그런데 라틴어에서 그 의미는 〈기도하다〉 가 아니라 〈신에게 서원하다, 신에게 바치다〉이다. 움브리아어 용어 vufru〈 uo ti uus 〉에서도 분명 이와 동일한 의미 작용을 인정해야 한다 . 따라서 적어도 이탈리크어군에서는 이 어근이 〈서원〉을 나타내는 표현 으로 축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 추가해서 아르메니아어에 고립되어 나타나는 형태 g o g〈말해 진〉를 들 수 있는데, 이것은 사라전 동사로부터 파생된 형태이다 .

이 모든 형태가 모두 하나의 원형 *we g hw- 로 소급된다 . 그러나 그 의미가 언어에 따라 다르므로 이를 어떻게 통일시키는지 알 수 없다. 〈서원〉이라는 라틴어 의마는 특수하다. 인도 • 이란어에는 이 의미가 없 댜 그리스어는 〈기도〉의 개념을 한결 강조하면서도 동시에 〈허풍〉이 란 개념도 보여 주는데, 이 개념은 전자의 〈기도〉 개념으로 환원되지 않는다. 용법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진정한 의미 관계를 확립시켜 보자. 그리 스어 eukhes t ha i의 의미를 분석하는 데 도움을 주는 표지는 eukhesth a i 가 s p ende in과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우리는 어떤 의도에 서 eukhes t ha i로 지칭되는 행위가 이루어지는지를 탐구하기 위해서 s p ende in의 고유한 의미 작용을 이용해야 한다 . 호메로스에 나오는 한 가지 예를 고찰해 보자. 『일리아스』, 24, 287 …s pe i s o n Dii pat r l kal eukheo oik ad ' hik es t ha i〈제우스에게 신주를 바치고 그에게 너의 집 에 돌아갈 수 있게 해 달라고 기도하라 (eukheo) 〉. 이 번역이면 충분하다. 그러나 더욱 정확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여기에 서 제우스에게 비는 소원에 s p ond~ 가 같이 표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 다. 그런데 s p ond~ 는 호메로스와 고대의 용법에서는 안전 보장을 보 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헌납(물)이다(앞의 257 쪽 참조) . 여기에서 s p ende in의 행위에는 eukhes th a i로 지칭된 어떤 종류의 발화가 수반된 다. 발화와 행위가 서로 보완하고 있다 . 죽 이들은 동일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s p ond~ 를 바치는 헌납자, 죽 프리아모스가 적국에서 위험 울 겪고 귀환이 불확실한 경우에 자기 집으로 돌아올 수 있는 그 은총 울 제우스에게 부탁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eukhes th a i는 〈서원을 표명 하다〉로 번역할 수 있겠다. 그러나 이 〈서원〉이란 용어에는 모호한 의미 작용이 있음을 잘 알아 야 한다. 즉 두 가지 별개의 뜻이 있는데, 이를 라틴 용어 uotu m, uoueo 의 용법에서 볼 수 있다 죽 한편으로는 어떤 행위를 수행하기로

〈서원(맹세)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서원(소원)을 표명하다〉이다. 첫째 경우의 서원(맹세)은 어떤 일을 수행하기로 약속하는 것이다. 예컨대 신 전을 지어 바치기로 서원(맹세)한다 . 그래서 이것은 신에게 한 약속이 다 . 그러나 동시에 이 〈서원(소원)〉은 사람들이 신을 확신하는 대가로 신으로부터 얻기를 희망하는 바의 내용이다. hoc erat in uo ti s 〈바로 이 것이 내가 바라던 바요〉라고 호라티우스( 『 풍자시 Sa t .』 II, 6, 1 )1)는 말한 다. 바로 이러한 의미 차이에 대응해서 라틴어에는 두 가지 표현이 있 다 . 한 가지는 uotu m soluere 〈자기가 한 서원을 이행하다〉이다. 신에게 조각상을 바치기로 〈서원한〉 사람은 전쟁의 위험에서 벗어나면 그 의 무를 이행해야 한다 . 또 한 가지는 uoti p o ti r i〈(사람에 대해 말하면서)그 의 서원을 얻다(소원을 풀다)〉이다. 다시 말해서 〈신으로부터 사람이 표 명했던 소원을 얻어 내어 달성하다〉를 뜻한다 .

1) Quintus Horati us Flaccus( 기원전 65~8 년) : 로마의 가장 위대한 서정 시인. 작 품으로 『 서정 단시 Odes 』 , 『 장단격시 E p odos 』, 『풍자시 Sati re s J , 『 서간집 E pi s tl es 』 등이 있다 .

바로 이 두 가지 의미 가치를 강조하자. 때로는 간구하는 자가 신에 게 소원을 들어 줄 것을 바라는 희망을 의미하고, 때로는 신에게 자신 이 달성하고자 약속하는 내용이다. 디론· 언어들의 형태를 해석하기 위 해서도 이 두 가지 개념을 고려해야 한다. 우선 인도 • 이란어 자체를 보자. 산스크리트어 oh - 〈발화하다〉와 아 베스타어 ao g-는 서로 대응하되 형태상으로뿐만 아니라 특칭적인 의미 적 연관 관계로도 그렇다 . 예컨대 『리그 베다』 VIII, 5, 3 : vacam da to y a th o hi se 〈사자(使者)로서 내가 발화하는 말〉, 『 아베스타 경 』 의 「야슈 트」 XIII, 90 : yo pao ir yo va 뱌i m aox t a 〈첫번째로 그 말을 발화한 사람〉 와같은것이다. 이 동사는 단순한 〈발화 행위〉 이상의 것을 나타낸다. 죽 ho t ar( 봉납 을 행하고, 신에게 헌납(물)을 보고하고, 이 봉납에 참여하도록 초대하는

자)의 어떤 행위를 표현한다. oh- 와 헌납(물) 사이의 관계는 그리스어 eukhes t ha i와 s p ende in의 관계와 똑같다. 더욱이 이 베다 산스크리트어 동사 oh - 는 〈자랑하다, 무엇을 자랑으로 삼다, 자만심을 갖고 어떤 것 울 단언하다〉를 의미한다. 이 의미는 그리스어 용어의 중요한 의미 중 한 가지와 결부된다. 마지막으로 oh- 와 연관된 것으로서 〈희생 제사를 드리는 자〉를 지칭 하는 명사형 va g ha t가 있는데, 이 사람은 희생 제서를- 거행하고, 그 축 성을 선언한다 . 그는 (신에게 바치는 희생 제사 때에) 권위를 가지고 이들 의 사자(使者)로서 신들에게 바라는 것 (dut o y a t ha) 을 분명하게 말한다 . 이란어에서 동사 ao g-는 〈말하다〉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것은 아무 에게나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아주 중요한 고위 인사들, 신들, 그 대변인인 자라두스트라에 대해 사용되며, 이들의 발화는 ao g-를 사 용해서 시작된다. 그것은 이들의 말이 권위를 가지고 표명된 결정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이 의미가 베다 산스크리트어보다 아베스타어에서 더 욱 광범위하지만 그 기본적인 의미 작용은 두 언어에서 동일하다. 죽 〈서약하는 말을 권위를 가지고 발화하다, 엄숙하게 보증을 하다(이 의 미는 희생 제사가 이루어지는 동안 더욱 명료해전다)〉. 대가를 받을 것으 로 기대하고 봉납을 드리는 때에 서원의 발화문을 가능케 하는 것은 바 로 이와 같은 사실 때문이다. 이제 이탈리크어로 넘어가게 되면, 라틴어 uoueo, uo tum〈서원〉과 움브리아어 vu f e t es 〈 uo ti s(consecra ti s) 〉(신에게 바친 서원들), 그리고 〈 uo ti uum 〉(서원에 의해 약속한)으로 번역되는 vufru를 고찰해야 한다. 첫눈에는 라틴어 uouere 〈바치다, 서원하다〉의 정확한 의미가 그리스 어 eukhes t ha i〈기도하다〉나 eukh~ 〈기도〉의 의미와 일치하지 않는 것 갇다. 그렇지만 여기에도 동일한 제도가 있다. 이 제도의 기원을 분석하 는 일이 과제다. 이 작업은 이들 용어의 의미를 두 언어에서 자세히 밝 힘으로써만 달성할 수 있다.

라틴어에서 〈바치다, 서원하다〉의 의미는 로마사의 한 일화에서 예시 되는데, uouere 의 개념은 여기에서 명백하게 드러난다(티투스 리위우스 『로마사』 VIII, 10, 11). 여기 에서는 데키우스 무스 2) 를 화제로 삼고 있는 데, 그는 기원전 340 년에 지옥의 신들이 로마인들에게 승리를 허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신을 그들에게 〈헌신한다〉 . 지옥의 신들에게 이 처럼 자기 자신을 예기한 대로 헌납하는 행위는 데키우스 무스가 이들 에게서 기대하는 도움의 대가로 그가 이들에게 맡기는 담보인 것이다 .

2) Deciu s Mus : 삼니웅 전쟁 때 로마의 전설적 영웅. 로마에 승리를 보장하기 위 해 적군 속으로 돌진하다 목숨을 잃었다고 한다.

예기된 헌신이라는 이 행위는 언제나 상승 작용을 하는 상호성의 원 리에 기초하고 있다 우리는 이 원리를 다른 제도들을 통해서 이미 알 고 있다. 죽 무엇을 제공하게 되면 그것은 반드시 더 나은 증여를 초래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헌신한〉 사람은 - 생명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신에게 미리 확보되는 신세가 되는 것이다. 〈헌신한다〉는 것은 가 장 구속력 있는 헌납이다. 로마 종교에서 〈서원〉이 가장 엄격한 규제의 대상이었다는 사실을 상기하는 것이 유익하다 . 공인된 형식으로 〈헌신〉 이 국가와 종교의 대표자들에게 수용되기 위해서는 우선 nuncup at i o, 죽 서원(맹세)의 엄숙한 표명이 필요하다. 그러고 나서 어떤 규범에 따 라서 이 서원을 명백히 표현해야 (uo tum conci pe re) 한다. 이 형식화된 표현은 사제가 주도권을 가지고 있으며, 서원자는 이를 정확히 따라서 반복해야 한다. 그런 후에 권위자가 이 서원을 접수하고, 공식적인 재가 를 동해 공인해야 한다 . 바로 이것이 uotu m soluere 이다. 마지 막으로 이러한 종류의 모든 의식 거행에서처럼 그 서약이 지켜지지 않았을 경 우에 대비해서 제재가 예정되어 있다 . 죽 자신의 약속대로 의무를 이행 하지 않은 자는 uoti reus 〈서원을 어겨 기소된 자〉이며, 이처럼 고소되 면 처벌받는다 . 죽 uoti damna tu s 〈서원을 이행하도록 처단받은〉이다.

로마법의 정신 전체는 이러한 규정 속에 존재한다 . 이제 그리스어를 향해 눈을 돌려 보면, 증거의 다양성과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다른 종류의 용어들이 드러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이들은 라틴어가 보여 주는 것처럼 〈서원〉의 엄밀한 개념과는 이질적인 듯이 보인다 . 이 문제 전체를 재론하고, 많은 예문을 검토해야 한다. 우선 호메로스의 어휘에서 e fi khos 의 영역 전체와 관계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 문제는 e fi khorna i의 두 가지 의미, 죽 〈기도하다〉 와 〈 자랑스레 단언하다〉에 관한 것이다. 그 수가 아주 많은 예들(이 동사는 100 회 이상 출현한다)을 고찰하면, 통상적인 번역이 반드시 필요할 것 같다 . 경우에 따라 e fi khe t a i는 때로 〈(그가 가장 용감하다는 것을 , 그는 어떤 자의 아들이라는 것을) 그는 힘주 어 단언한다〉를 의미하기도 하고, 또 때로는 〈그는 기도한다〉를 의미하 기도한다 . 그리스어 전시기를 통해서 종교적 의미를 보존해야 할 이 동사가 어 떻게 호메로스에서 〈힘차게 단언하다〉를 의미하는 데 사용되었는가? 그렇다면 어원 사전들의 의도대로 그 전정한 의미는 〈큰소리로 선포하 다〉, 〈엄숙하게 표명하다〉를 가리키는 것이 아닐까? 이 경우, 〈서원〉의 전체 의미 발달은 라틴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호메로스에 나오는 이 동사와 명사의 특칭적인 예를 검토하는 것 의 에 다른자료는 없다 . 호메로스의 『 일리아스 』 4, 101 이하에 나오는 번역은 의심이 가지 않 는다 . 〈네가 귀환하는 길에 아폴론에게 제물로 100 마리의 소를 바칠 것 을 서원하라 (eukheo). 〉 이 예는 다른 구절에 나오는 eukhorna i의 의마 룰 해명해 줄 수 있다. 번역서에 따르면, 이들 구절에서는 〈기도〉의 문 제가 주제이나 〈기도하는〉 행위가 의식 행사에 대한 기술 내에 포함되 어 있다 . 제단 주위에 100 마리의 소를 제물로 바치면서, 대제사장 크뤼

세스가 자기 딸을 돌려 받았을 때 그가 하는 기도가 일례이다 . 〈그러자 크뤼세스가 두 손을 들고, 그들을 위해 큰소리로 기도를 울 렸다 . ‘‘크뤼세와 신성한 킬라를- 지켜 주시고, 데네도스를 강력하게 다스 리시는 은궁( 銀弓 )의 신이여, 내 기도를 들어 주소서. 전에 그대는 내 기 도를 들어 주시어 … 그와 같이 오늘도 내 소원을 이루어 주시어 다나오 스인들을 수치스런 파멸에서 구해 주소서 . ” 이렇게 eukh~(l uk h6menos) 〈기도〉를 말하자 포이보..::!:::.. 아폴론이 그것을 들어 주었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도 euksan t o 〈기도하고〉하고 , 자신들 앞에 보리를 뿌리면서….〉 (『일리아스 』 1, 450 이하) 이 전체 장면은 〈기도〉라는 동사 자체, 죽 eukhes t ha i에 의해 연결되 고 있다 . 〈전에 그대는 내게 euksamenos 를 들어 주시어.〉 (453) 마종은 〈그대는 내 서원 (mes voeux) 을 들어주었다〉로 번역함으로써 의미를 고 려하여 (ad sensum) 그 기본적인 개념을 번역하고 있다 그래서 〈기도〉 와 〈서원〉이 구별되지 않는다 . 이것은 동일한 활동이다. 죽 여기에서 〈기도〉는 다나오스인들을 위한 〈서원〉을 표현하며 , 따라서 희생 제사가 수반된다. 이러한 헌납물로써 신을 구속하면서 〈이 재앙을 피하게 해 달라〉는 명령으로써 신에게 기대하는 도움을 예상하는 것이다 . 두번째 예(『일리아스 』 2, 410 이하)에서도 그 표현 양식은 동일하다. 그래서 문맥을 고려해야 한다 . 아가멤논이 희생 제사를 드린다. 〈그들 이 황소 주위에 둘러서서 보리를 집어들자 통치자 아가멤논이 그들 가 운데서 큰소리로 말했다 (eukh6menos mete p h e). “오… 제우스여, … 연 기에 그울린 프리아모스의 궁전을 내가 땅 위에 메어치며, 사나운 불길 도 그 문들을 태우고, 헥토르의 가슴 위에서 그의 웃옷을 청동으로 갇 기갈기 찢어 놓기 전에는 결코 해가 져서 어둠이 찾아 오지 못하게 해 주소서 . 그리하여 그의 주위에는 그의 수많은 전우들이 얼굴을 먼지 속 에 쳐박고… . 〉 그는 이렇게 말한다. 그러나 더쿠누人의 아들은 〈그의 서원을 들어 주려고 하지 않는다 ….> 헌납자는 신에게 어떤 조건하에

서 희생 제물을 바친다. 죽 그것은 그가 표명하는 〈 서원〉으로서, 자신 의 〈기도〉의 대상이다. 문헌의 상관 관계에서 볼 때 이 구절은 서원을 가리키는 동사 (eukhoma i)와 신에게 이 서원이 수용되는 것을 가리키는 동사 (e pi - kra i a i no, 이행하다 , 실현시키다)를 제시하고 있다 . 마지막으로, 마치 단계가 있는 것처럼 『 일리아스』 6, 302 이하에서 이 의식 행사의 진행을 또한 자세히 설명하는· 새로운 세부 사항을 발견 할 수 있다. 여자들이 아테나 여신의 신전으로 간다 . 〈그러자 그들은 모 두 통곡을 하며 두 손을 들어 아테나에게 기도를 올렸고 … 그리고 테 아노는 베일을 받아 머리결이 고운 아데나의 무릎 위에 울려 놓고, 제 우스의 딸에게 간구하면서 (eukhomene, 304) 이 서원을 빌었다 ….> 여 기에서 헌납의 대상―― 이 경우에는 신전에 갖다 놓은 베일-울 , 그 다음에는 팔을 하늘을 향해 뻗으면서 아데나에게 간청을 , 마지막으로는 다음과 같은 요청의 발화를 차례로 상세히 열거한다 . 〈제발 디오메데스 의 창을 꺾어 주시고 한 살짜리 암송아지 열두 마리를 지금 당장 신전 안에서 제물로 바치겠나이다.〉 바로 이것이 완벽한 〈서원〉이다. 죽 요청하는 것과 헌납하는 것, 죽 , 다시 말해서 헌납한 사물과 동시에 이것을 서원하는 말이 있 어야한다. 호메로스의 관용적 표현 hos ep h at' eukh6menos 가 나오는 모든 예 에서 이러한 조건을 찾아볼 수 있다. 죽 그것은 예상하는 실제적인 헌 납물이지만, 언제나 사람들이 기대하는 어떤 것에 대한 대가로 바치는 것이다 . 그래서 〈기도〉의 의미는 너무나 모호한 것이어서 언제나 〈서 원〉으로써 구체화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제 두번째 범주의 용법으로 넘어가자. 이 용법에서 eukhoma i는 부 정법 절로 구성되거나 술어 명사와 함께 구문을 구성한다 . 〈이 진영에 서 오늘 단연 가장 위 대하다고 〈자부하는, eukheta i etn a i> 아가멤논〉 ( 『 일리아스 』 1, 91), 〈그러나 전부터 〈그대가 자부하던, eukheai etn a i)>

그러한 사람으로서 전칭을 향해 일어서시오.〉 (4, 264) 우리는 이 의미를 종교적 용법에 기초해서 설명하려고 하는데, 그 이 유는 이 의미가 종교적 용법의 한 변종이기 때문이다 . 이것은 신들 앞에서 발화하는 동일한 메커니즘의 단언이다 . 이번에는 신으로 하여금 존재에 대한 단언을 보증하도록 구속한다. 이러한 확인 울 뒷받침하기 위해서 사람들이 상칭적으로 바치는 것이 자신의 몸이 댜 〈내가 어떤 자의 아들로서, 또는 모든 자들 가운데 가장 용감한 자 로서 나 자신을 신들께 바친다〉 강조의 의미 가치가 유래하는 것은 이와 같은 은유적 헌신으로부터 이다. 그리고 eukhoma i는 약속(맹세)의 동사로 남게 된다. 〈나는 ~ 라 고 약속(맹세)한다〉. 그리고 〈나는 (가장 용감한 자 또는 어떤 자의 아들 이라고) 맹세한다〉라고 말할 수도 있다 . 종교적인 의미에서 헌납물의 헌납을 우리가 실제적인 것으로 보든 (호메로스에서 나오는 첫째 의미) 약속된 것으로 보든(라틴어의 의미) 그 것은 여기에서는 존재에 대한 단언을 뒷받침하는데, 이 단언 그 자체가 여기에서는 바로 헌납물이다. 죽 단언을 확실하게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진정한 〈헌사〉가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민중 프랑스어에서 그 평행 사 실을 감히 인용해 보면, 그것은 이러한 의미로 쓰인 동사 의 용법이다. je vous pro mets qu' il est bie n celui qu' il dit @tr e 〈그는 바로 자신이 누구라고 말한 그 사람이라는 것을 당신께 약속하오(맹세 하오)〉. 이는 자신이 발화한 절(節)의 진리에 자신을 스스로 구속시키는 방법이다. 이 용법 가운데 단 하나의 변종이 그 문법적 구문 때문에 이러한 해 석을 허락하지 않는다 . 이는 오직 하나의 예문에서만 나타나지만 아주 홍미롭다. eukhoma i가 미래나 현재에 적용되는 반면, 이 예에서 그것 은 과거와 관련되어 있다. 이 예문은 방패에 대한 묘사를 하는 특이한 구철이다(『일리아스』 18, 499-500). 군중이 대회의장에 운집해 있다 .

〈그 곳에는 시비가 벌어져 두 사람이 죽은 사람의 죄값 (PO in 6) 때문에 서로 다두고 있었다 . 한 사람은 백성에게 내 보이며 대가를 다 치렀다 고 주장했고 (eukhe t o), 한 사람은 아무것도 받지 않았다고 부정 했다 (anain e to ) . 그래서 두 사람은 재판관 앞에서 시비를 가리고자 했다. 백 성들은 두 편으로 나뉘어 각기 제 편을 성원했고, 전령들은 백성들을 제지했다 . 한편 노인들은 다듬은 돌 위에 신성한 원을 그리고 앉아 ….> 아종의 번역) eukhes t ha i에 대한 이러한 번역과 이 광경에 대한 해석은 모든 곳에서 수용되고 있는 듯하다. 그렇지만 이러한 번역이 용인될 수 있는 것이라고는 생각지 않는다. 학자들은 이처럼 기술된 광경의 의미 와 관심을 이해조차 못 하고 있다. 죽 한 사람은 PO in6 를 지불했다고 주장하고, 다른 한 사람은 그것을 받았다는 것을 부정하고 있다는 것이 그것이다 . 도대체 이러한 분쟁이 어떤 점에서 군중들을 열광케 하고, 몸 값의 지불이 있었는지를 단순히 확언하는 것이 문제라면 문제를 해결 하는 데 왜 노인들의 도움을 청해야 할까? 따라서 살해된 사람의 POi ne 와 이 소란스런 시비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더구나 이와 같은 논란이 어떻게 해서 상칭으로 표현될 수 있는지, 또 그 기술자(여기에서 는 방패롤 만드는 헤파이스토스)가 어떤 방식으로 그와 같은 시비의 전 위를 가리는 내기를 묘사했는지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이 구문은 반론의 여지가 없는 것이 아니다 . 선행성이 단순 아오리스 트에 의해 표현되기 때문에 eukheto a p odo fin a i를 〈그는 지불했다고 주 장한다〉로 번역할 수 있을까? anain e to heles t ha i가 〈아무것도 받지 않 았다고 부인했다〉를 의미할 수 있을까? ana i nes th a i가 결코 〈부인하다〉 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그리고 언제나 〈거부하다〉를 의미하는 것이기에 말이다. 그러면 이 의미대로 둘째 문장을 해석한다면, 〈다른 사람은 어떤 것 도 받기를 거부한다〉를 의미한다 . 유추에 의해서 첫째 문장의 의미를 죽각 해석할 수 있다. 죽 〈한 사람이 모든 피값을 지불하기로 약속하자

(맹세하자)〉. 그렇다면 이 논란의 의미는 완전히 뒤바뀐다. 죽 〈한 사람 이 모든 피값을 지불하기로 약속하자(맹세하자), 다른 사람이 어떤 것도 받기를 거부한다〉. 이 경우 그 광경은 전혀 다른 함축 의미를 갖는다. 이는 아주 심각한 논란이다. 살인을 범한 자가 희생자의 가족에게 몸값을 지불함으로써 피를 보상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것은 반좌법(反 座法 )으로 시행된 원 래의 규율이 완화된 형태이다 . 고대의 법에 따르면 살인자의 살인에 대 한 대가는 오직 자기 피로써만 치르는 것이 가능했다 . 여기에서 살인자는 모든 죄값을 지불하기로 맹세한다. 그러나 피해를 입은 상대방은 아무것도 받지 않으려고 거부한다. 다시 말해서 그가 살 인자의 피 자체를 요구하기 때문인 것이며, 따라서 그는 상대방에 대해 엄정한 권리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 p o in e 를 제공하는 자의 목숨 자 체가 경각에 달려 있다. 그래서 우리는 왜 군중들이 열광하여 양편으로 나뉘는지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장노회의가 소집되고, 전령들이 돌아 다니는 이유 등도 이해된다. 우리는 이 기술자가 이용한 이 방책을 상 상할 수 있다. 죽 희생자의 주검 앞에서 이루어지는 한편의 제의와 상 대방의 거부 __~ 이러한 광경이 눈앞에 그려질 수 있다. 그래서 eu- khes th a i는 여기에서는 〈어떤 일을 했다고 단언하다〉를 의미하지 않고, 그래서 과거 사건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 . 반면 그것은 다른 모든 곳에 서처럼 〈무엇을 약속(맹세)하다, (지키지 않으면) 신의 처벌을 받는다는 조건으로 서원하다〉를 의미한다. 어떤 번역도, 사전도 이와 같은 해석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리프 Lea f 의 『일리아스』에 대한 문법 주석에 한 가지 가능성으로 단지 언급되어 있다. 이러한 해석이 필수적인 것 같다. 그러므로 eukhoma i는 과거를 지칭하거나 수행된 사건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오직 현재나 미래의 상황을지칭할뿐이다.

이제 명사 e fi khos 를 간단히 살펴보자 . 이 명사는 호메로스에서 일정 하게 출현하나 여성 eukhe 는 차후에 와서 광범하게 사용된다. 파생어 eukhole 와 관련해서 e fi khos 를 고찰해 보자 . e fi khos 의 동상적인 번역은 〈승리, 개선〉이다. 이미 그리스인들도 다 양한 동의어들을 인정하고 있다. eukhole 는 헤쉬키오스에서는 eukhe (기도), ka ik hes i s( 자랑), t hus i a( 희생), n i ke( 승리), t e rp s i s( 쾌락), khara (기쁨)로 주석되고 있다 . e fi khos 가 사용되는 일반적 구문에서 이것은 언제나 증여의 동사 〈주다, 허락하다, 거절하다〉 등의 보어로 사용된다 . 다음은 한 예이다( 『 일리아스 』 5, 285). 〈그대는 옆구리를 정통으로 맞았 으니 생각건대 필시 오래 버티지는 못하리라. 그대는 내게 큰 영광 (rne g' e fi khos) 을 주었도다.〉(마종의 번역) e fi khos 는 〈승리〉인가, 〈영광〉인가? 어느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전쟁에서 전사는 〈서원〉을 하는데, 단 한 가지 서원만을 한다 . 죽 승리를 쟁취하겠다는 서원뿐이다 . 전사에게 〈서원〉을 허락한다는 것은 〈승리〉를 주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그 용 법의 조건이 이러한 눈에 띄는 의미 전이를 설명하는 까닭이다. 따라서 e fi khos 를 〈서원〉의 의미로 귀착시킬 수 있고, eukhole 는 더욱 구체적 으로 〈헌납〉의 동기, 죽 헌신의 동기를 가리킨다. 제사 의식에 eukhes t ha i는 사람들이 신에게 요구한 은총을 받기 위 해 신에게 헌납하기로 약속한 어떤 것을 가리킨다. 여기에서 두 가지 의미가 분리된다 . 죽 한 가지는 신에게 약속한 이익을 엄숙하게 보증하 는 것, 죽 eukhesth a i hi ere i on 〈희생 제물을 서원으로 약속하다〉(라틴어 uouere t ern p lurn) 이고 다른 하나는 기대하는 은총을 분명하게 표명하 는 것, 죽 eukhesth a i tha nato n p hu g e in이다. 다시 말해서 〈신에게 죽 음으로부터 벗어나게 해 달라고 은총을 구하는 것〉이다. eukhole 의 의 미 전화는 이 동사의 의미 발달과 평행한다. 죽 허풍스런 자랑으로 간 주될 수도 있을 상황에서 엄숙하게 공개적으로 표명하는 진실한 단언 이라는 의미이다. 그리하여 이 단언이 가장 용기 있는 단언이 되는 것

이다. 예컨대 eukhol~ aris t o n e i na i〈가장 용감하게 달려든다고 장담한다〉 는 자신의 우월성을 스스로 보증하는 과장된 허풍이 있는 단언이 된다. 따라서 e fi khoma i의 종교적 의 미는 〈신에 대해 서약을 발화하다〉이 며, 이 서약은 은총으로 보상받을 수 있을 것으로 소망하는 서약이다 . 그 어떤 것으로도 〈기도하다〉로 번역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는다. 이 번 역은 전체 용법과도 부합하지 않을 뿐 아니라 특정한 한 예와도 일치하 지 않는다. 우리의 출발점으로 되돌아 가서, 이제 우리는 eukhes t ha i가 spe n dein 과 어떻게 서로 결부되는지를 알 수 있다 . 여기에서는 〈의석(儀式)〉과 〈신화(神話)〉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발화 행위는 헌납의 행위와 동일한 의미 작용을 가지고 있다. 이 두 가지 행위는 모두 두 민족, 두 군대를 구속하는 서약의 선서를 수반하는 까닭이다. 안전 보장의 의식 으로서 s p ond~ 는 있을 수 있는 불행에 대해, 약속의 위반에 대해 당사 자들을 지켜 준다. 그리고 eukh~ 도 발화로 표명하는 동일한 언어 행위 이다. 이것은 공개적이고, 엄숙하고, 심지어 과장끼가 있는 발화이며, 두 당사자가 서약하기 때문에 상황에 적합한 발화이다. 서약은 당연 히 deuo ti o 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우리가 살펴본 대로, 그리스어 h6rkos 는 서약한 말을 어기는 경우에 전능한 신의 복수를 예상하면서 신에게 헌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명한 은총을 대가로, 신에게 이러한 헌신을 보증한 것으로 공언한 다. 죽 사람들은 사전에 미래의 전능한 신에게 몸을 맡기는 것이다. 마 찬가지로 서약을 분명한 형식으로 발화하면서부터 미리 〈헌납한〉 존재 가 되는 것이다. 모든 사실이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그 기본적인 용법 에서(호메로스는 이 관용돌에 대한 귀중한 증언이다) 나타나는 이들 동사 는 서로를 인정하고 있으며, 서로를 필요로 한다는 사실은 우연이 아니 다. 이러한 고정 성구를 통해서 우리는 진정 인도 • 유럽적이면서도, 다 수의 인도 • 유럽 사회에 공통된 제도의 흔적을 발견하게 된다.

제 5 장 기도와간구 요약 이마 연구한 *pr ek-외 에 〈기도하다〉를 가리키는 다수의 용어로써 인도 • 유럽 제 어 사이에 제한된 비교를 할 수 있다 . 히타이트어 mal t a i-〈기도하다〉와 친근 관계가 있는 형태의 존재를 입증해 주는 히타이트어-슬라브어-발트어-아르메니아어(-게르만 어?)의 원래 방언군과 관련지어 보면 이란어, 켈트어, 그리스어는 모두 어근 *g hwedh 一〈기도하다, 원하다〉에서 파생된 용어를 보여 주고 있다. 그리스어 lite , li ssom ai〈기도, 기도하다〉와 라틴어 lit are 〈길조를 얻다, 신을 달래다, 진정시키다〉 사이의 의미 차이에 어원학자들은 난감해했다. 그렇지만 어기의 실질적 동일성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비교를 하지 않을 수 없다 . 호메로스에서 〈기도〉로 아주 모호하게 번역되고 있는 lit e 가 원래 〈보상을 얻기 위한 기도 또는 보상의 승낙〉(그래 서 eukhole 〈 헌납의 기도〉와 대립된다)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관찰하게 되면, 이 난점 은 해소된다. 그리스어 lit e 와 라틴어 litare 사이의 어원적 관계가 출현하는 것은 속죄 (賊罪)라는 공동된 관념 내에서이다. 라틴어와 그리스어에서 〈간구하다〉, 〈간구하는 자〉를 가리키는 단어는 이 간구를 특칭짓는 몸짓을 가리키는 구체적 의미 가치가 있는 어근에서 파생되었다. 라틴어 su pp lex 는 어원적으로는 〈~의 발 아래 (sub) 몸을 굽히다(*p lek- )〉를 의미한다. 분명 그 기원에는 간구의 물질적 헌납, 헌납뭉을 가리키던 su ppli cum 은, 이 보상의 헌납 (물)이 신체적 고통인 경우에는 〈체형, 형벌〉의 의미를 갖는다. 그리스어 hi ke t존s 〈간구하는 자〉에 대해서는, 호메로스의 다수의 예들(예컨대 『 오뒤 세이아』 5, 445-450 ; 9, 266-269) 은 이것과 hi kan5 〈도달하다 , 만지다, 접촉하다〉의 비교를 가능케 한다. 사실상 간구의 몸짓은 간구를 받는 상대방의 몸을 만지는 것이기 때문 0l 다. 헌납과 기원으로 이루어지는 이 모든 의식 행사는 희생 제사의 작용 으로 인간과 신을 서로 관계짓는다. 그러나 이 행위와 발화가 대립되거 나 행위에 발화가 추가되며, 이 발화는 다시금 행위에 의해서 영향을

행사하고, 보완이 된다 . 지금까지 우리가 살핀 용어들을 통해 고찰한 것 은 인간과 신의 이러한 관계의 〈실천적인〉 측면이었다. 모든 곳에서 〈희생 제사를 드리는 것〉은 〈행위〉로 제시되어 있다 . 라틴어 sacri- fica re, sacrum fa cere 〈희생 제사를 행하다〉와 또한 fa cere 와 (명사)탈격 (tau ro fa cere) 〈황소로 제사를 행하다〉이든지, 그리스어 rheze i n 〈행하 다〉, 인도 • 이란어 kar - 〈행하다〉이든지 모두 그렇다. 그렇지만 모든 종 교적 〈행동〉에는 〈기도〉가 따른다 이는 완전한 제사 의식을 구성하는 두 가지 요소이다. . 죽 신의 세계에 접근하는 두 가지 수단이다. 〈기도〉에 대해서는 다수의 언어에 공통된 단어를 거의 발견할 수 없 다. 이들 단어 가운데 하나가 여기에서 연구되었다. 이 단어는 어근 * p rek- 에서 유래한다 . 이 어근의 파생어들은 이 어휘의 여러 영역에 속 하는데, pre cor, *pre x, p reces 가 그것이다. 이 어근을 재론하는 것은 단 지 p recor 〈얻으려고 노력하다, 적절한 말로써 권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 하는 것을 요구하다〉라는 고유 의미를 상기하기 위해서이다 . 이 과정은 발화라는 매개를 필요로 한다. 고대 로마의 관용적인 표현에는 〈무엇을 구하려고, 얻으려고 노력하다〉는 의미의 q uaeso( q uaero) 가 흔히 동사 p recor 와 연관되 어 있다. 다수의 언어에 공통된 인도 • 유럽어 용어 하나가 밝혀졌다. 이 용어 는 히타이트어 동사 mal t a i〈기원을 낭송하다, 기도하다〉와 그 중성 파 생어 malde~ar 〈기도, 기원〉를 같은 것으로 파악함으로써 밝혀졌다 .1) 이 히타이트어 동사는 발트어와 슬라브어에만 알려져 있던 형태와 결 부되며, 달리 특별한 관계가 없던 방언들을 이상하게도 서로 연관지어 준다. 히타이트어 mal tai - 와 리투아니아어 meld~iu mels ti〈기도하다〉, malda 〈기도〉를 비교해 보라 . 또 고대 슬라브어 mol j 9 와 중동형 moli ti *1) 『 파리 언어학회지 Bull. d e la Soc. de Ling . d e Pa ri s 』 33, 1932, p.1 3 3.

(s 한)를 비교해 보라. 이들은 『복음서』의 8 t oµm 〈기도하다〉, J[QP dKOA@ 〈도움을 구하다, 청하다〉와 n p oocuxoµ Q L 〈기도하다〉를 각각 번역한 것 이다. 그리고 폴란드어 rnodli~ s i~〈기도하다〉, rnodla 〈기도〉, 체코어 rnodla 〈우상, 신전〉와도 비교해 보자. 따라서 발트어와 슬라브어는 현 재형 *meld- y o 로 확증된다. 어기의 끝 자음의 음성적 차이를 제외하면, 아르메니아어 rnar t cern 〈나는 기도한다, 나는 간청한다〉과도 비교할 수 있다. 이 단어에서 f는 *t 또는 *t h 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므로 d/t(h ) 의 교체가 일어난 것이며, 이처럼 의미적 상관성이 있는 곳에서는 이를 인정해야만 한다 . 모든 곳에서 명확히 드러나는 의미 〈기도하다, 기도 문을 낭송하다, 간청하다〉로 인해 히타이트어, 발트어, 슬라브어의 어군 울 한 부류로 분류하게 되는데, 이 어군에는 또한 의미가 약화되기는 했으나 독일어 rnelden, 고대 고지 독일어 rneldon, rneld j an 〈말하다, 표 명하다〉의 단어족도 추가시킬 수 있다. 우리는 여기에서 히타이트어가 종교 제도의 한 용어를 재구하는 데 직접적으로 이용 가능한 증거를 제 공하고 있는 매우 드문 한 가지 예를 볼 수 있다 . 또 다른 어휘 단위는 *g hwedh- 〈기도하다, 원하다〉라는 형태로 제시 된다 이 어휘 단위에는 이란어군의 고대 페르시아어 Jad iy a -, 아베스타 어 j ad ya- 〈(신에게) 기도로 간청하다〉, 소그디아어 료-g ad-ak 〈서원〉가 포함된다. 이 영역의 반대 극지방에는 아일랜드어 gui d im〈요구하다, 기 도하다〉, gui de 〈기도〉가 있다. 이 두 영역 사이에 그리스어 형태들이 자리잡고 있으며, 둘로 나뉜다. 한편으로는 p o th eo 〈원하다, 후회하다〉 와 다른 한편으로는 t hessas thai〈간청하다〉이다. 게르만어는 〈기도〉의 고유한 용어법을 이용하고 있는데, 고트어 b i d j an 〈요구하다, 기도하다〉, b i da 〈요구, 기도〉이다 그러나 이들 형태 가 두 단어군, 죽 독일어 b itt en 과 be t en 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이는 까 닭에 게르만어의 내적 • 의적 관계는 복잡하다. 두 가지 어원론적 가능 성이 고찰되었다. 죽 한편으로 라틴어 fido , 그리스어 p e ith o 의 단어족

(제 1 권, 135 쪽 이하 참조)과의 관련성이고, 다른 한편으로 *bhedh- 에서 유래하는, 고대 색슨어 kn i o-beda 〈(무릎을 꿇은) 기도〉와 산스크리트어 j nu-badh- 〈무릎을 꿇은〉와의 비교가 그것이다. 주요 문제는 그리스어에 독특한 명사형의 문제이다. 〈기도〉 또는 〈간 청〉은 명사 파생동사 li ssorna i〈기도하다, 간청하다〉의 기어( 基語 )인 그 리스어 lit誌로 표현된다. 우리는 이와 아주· 유사한― ― 심지어는 같다고 까지 말할 수 있다一― 형태만을 비교할 필요가 있는데 , 라틴어 l it are 가 그것이다. 그러나 이 동사는 뜻이 꽤 다르다 . 즉 l it are 는 〈간청하다〉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헌납자에 대해 말할 때는 제사의 결과로 〈길조를 얻다〉를 의미하고, 희생 제물(짐승)에 대해 말할 때는 〈길조롤 나타내 보이다〉를 의미한다. 그래서 l it are 의 의미는 확장되어 〈신을 달래다, 원 하는 것을 신에게서 얻다, 신을 전정시키다〉를 의미하게 되었다. 이러 한 의미 차가 확연한 것이어서 그리스어 l it e 와 라틴어 l it are 의 관계를 규정하는 데 주저하게 된다. 라틴인들은 이 그리스어와 라틴어 용어의 친근성을 의식하고 있었으며, 그리하여 몇몇 라틴 주석가들은 이를 그 리스어에서 차용한 차용어로 해설하고 있다. … ali i ex Graeco, a pre ci bu s qua s illi At1 :tts d ic un t〈다른 자들은 그리스 출신인데, 이들은 기도를 lit as 라고 부른다〉(페스두스 103, 13). 이러한 페스투스의 지적으 로 l it are 를, 그리스어 l it 6 에 그대로 나타나는 *lit a 의 명사 파생동사로 간주하게 된다. 이 점에 있어서 견해가 아직도 나뉘어져 있다. 에르누-메이예의 사전 은 그리스어에서 차용한 차용어로 생각하나 의심쩍어하며 , 의미에 대해 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다. 호프만J. B. Ho fm ann 은 l it are 를 그리스어의 차용어로 간주한다 . 그리고 그는 litar e 가 우선 〈간청하다〉를 의미했고, 그 후 sac rifi care 와 관련해서, 그리고 이와 대립적으로 〈호의적으로 간 청의 헌납을 하다, 헌납물을 바치다〉라는 의미를 가졌던 것으로 추정하 면서 그 의미 차를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별로 설득력이 없다 .

우리도 또한 l it are 가 *l it a 의 명사 파생동사라는 점과 이 명사 자체는 그리스어 l it 6 에서 차용되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리스어 l it e 〈기도, 간청〉와 라틴어 l it are 〈길조를 얻다〉 사이의 의미 차이는 관례상 공인된 번역으로 만족한다면 극복할 수 없는 것으로 남게 된다. 그래서 여기에 서는 특히 그리스어 lit~, li ssorna i의 의미를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 과제 다 , 〈간청하다〉라는 의미가 지나치게 단순한 의미이기 때문이다. 이러 한 〈간청〉이 목표로 하는 것은 과연 무엇인가? 그것은 어떤 태도에서 연유하는가? l it e 를 좀더 자세하게 정의하기 위해서 『일리아스』의 유명한 구절 (9, 500 이하)로 되돌아가야 한다 여기 에서는 기도의 여신들(Lit a i)이 아킬 레우스에게 사자로 왔을 때, 이들이 신의 사람들로 언급되고 있다. 포이 닉스는 아킬레우스에게 분노를 잊고, 무기를 다시 둘라고 간청한다. 〈그대는 결코 무자비한 마음을 가져서는 아니 되오 ` 덕과 명예와 힘에 있어 더 위대한 신들의 마음도 돌릴 수가 있는 법이오. 그래서 어떤 사 람이 죄를 짓거나 잘못을 저질렀을 때는 … 그들에게 간청하러(li ss6- rnenoi) 가지요 기도의 여신들 (L it a i)은 제우스의 딸들이지만 … 오류의 여신(미망의 여신, 맹목의 여신, A t존) 뒤를 열심히 따라 다니는 것이 그 들의 일이오 … 그러나 오류의 여신은 힘이 세고 걸음이 날래므로 기도 의 여신들을 크게 앞질러 온 대지 위를 돌아다니며 인간들에게 해를 끼 치오 . 그러면 기도의 여신들이 이룰 고치기 위해 뒤따라 가지요` 이 때 가까이 다가오는 제우스의 딸들을 공경하는 자에게는 그들이 큰 이익 울 주고 기도를 들어 주지만, 어떤 자가 그들을 따돌리고 완강히 거부 할 때는 그들은 더쿠수人의 아들 제우스에게로 가서 그 자가 넘어져 죄 값을 치르도록 오류의 여신 (A t즌)이 그를 따라 다니게 해 달라고 간청하 지요〉(마종의 번역) 이 구절로부터 Hss6rna i의 의미에 대한 두 가지 귀 중한 암시를 끌어 낼 수 있다. 사람들이 위반이나 찰못으로 죄를 지었 울 때, 신들에게 〈간청한다, li ss6rneno i〉 (501 행). 따라서 이 간청 (lit 6) 은

신에게 저지른 잘못에 대한 사죄를 얻으려는 경향이 있다 . 우리는 기도 의 여신들의 역할을 동일한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요컨대 이 알레 고리는 미망으로 죄를 범했기에 고통을 받는 자에게 기도의 여신(Lit e) 이 치료를 해 주고, 그의 서원을 들어 준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그가 기 도의 여신을 거부하면, 이 여신은 그에게 제우스의 형벌을 가져다 줄 것이다. lit e 는 신에게 범한 무례함을 보상해야 한다. 신들에게만 하는 것이 아니다. 크뤼세스가 아폴론의 화환을 감아 매고, 황금 홀을 들고, 엄숙한 걸음걸이로 화려하게 출현한다. 그는 모든 아카이아인들에게 간 청한다 (e li sse t o) (『일리아스』 1, 15). 〈그대들이 프리아모스의 도시를 함 락하고, 무사히 귀국하는 것울 울림포스의 궁전에 사는 여러 신들께서 부디 허락해 주시기를! 다만 제우스의 아들인 아폴론을 두려워하여 내 사랑하는 딸을 돌려주고 대신 몸값을 받아 주시오.〉 이것은 아카이아인 들아 아폴론의 사제에게 모욕을 주었기 때문인데, 신은 그에 대한 대가 를 요구하는 것이다. 크뤼세스의 이 l it e 는 보상의 요구다 . 또 제우스의 아들 아킬레우스에게 행한 모욕에 대해서 테티스가 제우스에게 간청하 는 것(li ssomen 존)도 마찬가지이다 (1, 502 이하) . 또는 노인들과 부모들 과 아내가 멜레아그로스에게 노여움을 잊게 하기 위해 그에게 비는 간 청 (9, 553 이하)도 마찬가지다. 또한 메넬라오스에게 화를 풀라고 간청 하는 안틸로코스 (23, 608 이하)도 마찬가지다. 이와 동일한 개념으로 환 원되는 다른 구절도 많이 있다. 그래서 l it e 는 e O. khos 와 eukhole 와는 다른것이다. 요컨대 lit e 는 신이나 인간에게 범한 모욕을 보상하기 위한 것이거나 자신을 위해 신으로부터 모욕에 대한 보상을 얻기 위해 하는 기도이다. 이제 라틴어 l it are 와 그리스어 lisso rnai 사이의 관계가 복원될 수 있 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중간 형 태 인 라틴어 *l it료는 그리스어 lit e 와 똑같이 〈모욕한 신에게 보상을 하기 위한 기도〉를 의미할 것이다. 명사 파생동사 l it are 에서는 〈신에게 보상의 헌납을 수락하게 하다〉라는 개념

을 엿볼 수 있는데, 이 사실은 사실상 이 단어의 관례적인 용법인 것이 다 . 신은 속죄의 희생 제사가 있은 후에야 좋은 칭조를 보임으로써 자 신이 이룰 수락한 것을 나타낸다(플라우두스 『 소 카르타고인』 489 ; 티두 스 리위우스 , 『로마사 』 27, 23 참조). 우리는 동일한 의미를 지닌 용어들이 우리 언어에서 갖는 의미 작용 울 다른 언어로 전위시키는 경향이 있다 . 기도하고, 간청하는 데 있어 서, 우리는 모든 언어에서 거의 비슷하면서 오직 감정의 강도에 있어서 만 서로 다론 개념을 볼 수 있다 . 이와 같이 번역함으로써 우리는 고대 의 용어로부터 그 특정한 의미 가치를 제거한다 . 그래서 애초에 의미 차이가 있던 것으로 인식했던 곳에 의미적 통일성을 확인할 수 있다 . 이 왜곡된 번역들을 교정하기 위해서는 살아 있는 용법을 언제나 계속 해서 접하고, 거기로부터 착상을 얻을 필요가 있다. 간청의 표현은 두 고전어에서는 서로 다르지만 오늘날보다는 고대 세계에서 훨씬 명확하다 . 왜냐하면 이 표현은 물질적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인데, 이들 용어에서 더 이상 지시되지는 않으나 아직도 찾아볼 수 는있다. 라틴어 동사 su ppli care 〈간청하다〉는 형용사 su pp lex 에 기초해서 형 성되 었고, 이 형용사로부터 또한 명사 su pplici um 이 파생되 었다. 이 명 사는 아주 특이한 의미로 발전했다 .2)

*2) 이 라틴어 사실들은 전체적으로 He inz e 의 연구 , 『 라틴어 사전학 고문서지 Archiv frir / ate in i sc he Lex i co g r aph i e 』 , t. xv, p. 8 9 이하에 설명되어 있다.

sub+ p lex 에서 유래하는 su pp lex 에 대해서는 두 가지 가능한 해석이 있다 우선 라틴 주석가 자신들이 명시적으로 제시하는 해석으로서, -p lex 와 동사 p lacare 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는 라틴 시인(페스두~ 309 쪽에서 인용)에게서 나오는 합성 어 분리 법 에 의 해 sub uos p laco 로 예 시되며,

그러나 이 해석은 음성적 난점을 야기시킨다 p laco 에는 어기의 장음 5 가 있는데, 이것은 -p lex 에 의해 가정되는 단음 a 가 될 수 없다 . 사실 상 민 aco 는 상태동사 p laceo 〈나는 기분이 유쾌하다〉에 근거해서 여가에 서 p laco 〈나는 유쾌하게 만든다〉, 〈나는 수락하게 한다〉는 뜻이 생겨났 다. 라틴인들의 언어 감정과 이 어원을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p laceo 와 -ple x 사이의 관계를 더더욱 상정할 수 없다. su pp lex 에 대한 진정한 해명은, 이것이 속하는 -p lex 로 구성된 형용 사들, 즉 그리스어 ha-pl o 11s, d i-p lo11s 에 대응하는 sim -pl e x, du-pl e x 등의 계열에서 제시된다 . (i m)- pli care 와 t _ 로 접미사화된 현재형 ple cto , amp le cto r 등에서 확인되는 명사형 *p lek- 를 이 -p lex 에서, 인 지할 수 있다. 그 관념은 분명 〈굽히다, 구부리다〉이다 . 예컨대 sim p le x 는 〈단 한 번 굽힌 것, 구부린 것〉이고, p lec t o 〈굽히다, 접다〉는 실을 짜 고 감고 짠 실 전체를 묶기 위해 사용된다. 또 am p lee t or 는 문자적으로 는 〈~주위에 자신을 구부리다〉를 의미하고, 여기에서 〈포옹하다〉가 생겨났다 . com- p lex 〈~로 굽혀진, 휘어전〉, 다시 말해서 〈~와 밀접하 게 연관되어 있는〉에서도 이 -p lex 를 발견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것 이 com p lex 의 일차적인 의미이다. 그 후에 기독교 시대의 라틴어에서 com p lex 는 〈나쁜, 사악한 행동과 연관된〉이란 뜻으로, 그리고 <~ 에 대 한 책임이 있는〉, 〈공범의〉 뜻으로 의마가 축소되었다 . su pp lex 를 이 계열 속에 통합시켜 보면, 이것은 간구하는 자의 위치 를 묘사한다. 죽 〈~의 발 아래 몸을 굽힌 자〉이다 . 따라서 현재형 sup plico , su ppli care 는 〈 su pp lex 의 위치를 취하다〉를 의미한다 중성명사 su pplici um 에 가서는 이 관접이 완전히 변한다. 고대 라틴 어 시기로부터 시작해서 풀라우투스 이후에 su pplici urn 은 〈형벌, 고문〉 만을 의미하게 되었다. su pplici um 과 sup pli c a re 사이에는 이미 프랑스 어 su pp l ic e( 형벌)와 su ppli er( 간구하다)와 같은 의미 차이가 생겨났다. su pplici um 은 아주 특이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 단초는 다음과

갇이 생각할 수 있다. 문자적인 의미인 〈 su pp lex 라는 사실, su pp lex 로 행동하는 것〉에서 출발해서, su pp l ici um 은 우선 사물에, 실제적으로는 헌납물에 적용되었고, 이러한 사실 때문에 su pp lex 는 신에게 복종하는 태도를 가리켰다. 이러한 (최초의) su pplici urn 의 의마와 더불어 su ppli care 〈신에게 헌납물을 바치다〉와 su ppli ca ti o 〈헌납, 기도, 신의 분 노를 가라앉히기 위한 제사〉의 의미가 나란히 생겨났다.

그리하여 우리는 이미 su pp lex 에서 그 어원이 드러내 주지 않는 내 포 의미를 보게 되는데, 이 의미는 〈간구, 간청〉의 특수한 정황, 죽 신 의 노여움을 전정시키려는 의도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우리가 보다 자 세하게 알 수는 없는 조건들 내에서 아주· 이론 시기에 이 의미족에 속 하는 용어 전체가 신을 진정시키는 관념으로 그 의미가 축소되었던 것 o] 다 .

그 후 사람들이 인간 관계에 대해서도 이들 용어를 같은 의미로, 은 유적으로 사용했다 . 예컨대 풀라우투스 거래상』 991 에서 sup plici sib i sumat qui d uolt ips e ob hanc iniuri am 〈내가 그분에 대해 범한 이러 한 불의에 대한 보상으로 그분이 su pplici um 으로 원하는 바를 취하게 하소서〉. 모욕을 당한 자는 어떤 su pp li c i um 을 〈취한다〉 (surna t!). 이 예를 통해서 왜 su pplici urn 이 dare 〈주다〉, sumere 〈자신에게 취하다〉와 함께 이미 고전적으로 된 구문을 구성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 일례를 들면, 테 렌티우스 『자학자 Heau t』)) 138 에서 …i lli de me sup pliciur n dabo 〈나는 그에게 나에 대한 대가로 벌을 줄 것이다〉 같은 것이다. 여 기 에서 de me 는 su pplici um 이 대가(代價)라는 것을 보여 준다. 이 su pplici urn 의 구문은 사실상 po enas dare 에서 사용된 p oena 의 구문이 다 . 이러한 조건에서 사용된 su pplici um 은 그 후부터 특수한 의미를 지 3) 원제목은 Heau t on ti moro11menos 이며, 자신의 아들을 국의로 쫓아 낸 아버지가 스 스로에게 벌을 과하는 이야기로 구성된 희곡이다. 제 1 권 1 책 제 8 장 각주 9) 참조`

니게 되었다. 그것은 잘못에 대한 대가를 신체적 보상만으로 치러야 하 는 상황에 한하여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보상 〉 을 의미하게 되었다 . 따라서 종교적인 용법의 제 조건이 어떻게 그 후 법률적인 의미로 고 정되었는지를 잘 보여 준다 . su pp l ici urn 은 p lacere 〈진정시키다 〉 의 한 방편이다 . 이렇게 해서 su pplici urn 과 sup pli ca ti o 사이의 의미 단절이 일어났다 . 특수한 정황이 단어족들을 해체시켜 이들 중 어떤 단어들을 다른 의미군으로 편입시켰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이 개념을 나타내는 그리스어 사실로 넘어가기 전에 라틴어 사실을 우리는 간략하게 분석했다. 이 개념은 그리스어에서 행위자 명사 h i ke t존 S 〈간구하는 자〉로 표현된다 . 이것이 고전적 형태이고 , 그 후의 전통에서 사용되었다 . 반면 변이형 hik t o r , h i k t ~r 는 비극 작품에만 국한되어 있 다 . 그 파생어로는 부가어(형용사) hi ker t h i os 〈 h i ke t존 s 에 관한〉(사실상은 〈간구하는 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지닌〉의 의미)와 명사 파생동사 hik e te u o 〈hi ke t죤 s 이다〉(이는 라틴어 su ppli co 와 같은 의미 가치를 지닌다)가 있다. 명사 h i ke t존 s 는 hi ko 〈오다, 도착하다〉에서 파생되었고, 현재형 hik a no, hi kneorn ai도 역시 h ik o 에서 생겨났다. 형태론적 관점에서 이러한 파생 법은 규칙적인 것이다. 그러나 이들 여러 가지 현재형은 단지 〈도착하 다〉란 단순한 개념을 가리키고 있을 뿐이다. 〈도착하다〉와 〈간구하는 자〉라는 아주 구체적인 개념과의 관계를 상 정할 수 있는가? 빌헬름 슐츠 W il helm Schulze 같은 비교 언어학자는 hi ke t죤s 가 이들 동사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고, 따라서 다른 어근 *ik - (어두 기음이 없다)와 관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예를 들면 그리스 어 ai tEt o 0 at, n p oo0xco0a t를 번역한 고트어 a i h tr on 〈구걸하다 , 애원 하다, 간청하다〉의 어근과 결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이는 의미상으로 따) 『 서사시의 문제 Qu aesti on es epica eJ, 1892, p. 4 93.

h i ke t존 s 와 비교가 가능하지만 난점이 있다. 즉 슐츠는 hi ke t es 의 어두 기음이 h i ko 와의 이차적 비교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가정했음에 틀림없 댜 그리스어 자체 내에서 다른 설명이 가능하지 않다면 h i ke t es 에 대한 이러한 설명에 따라야 할 것이다. 그런데 h i ke t죤 s 와 hik o 사이의 형태적 관계는 음성적으로나 형태론적으로 상당히 만족할 만하다. 형태들의 의 적 단일성은 명백하다. 문제는 의미이다. h i ko 는 한결같이 〈도착하다〉로 번역되고 있다. d6mon hi kes th a i〈자 기 집에 도착하다〉란 표현은 호메로스에 나오는 아주 전부한 표현이다 . 하지만 가장 빈번한 용법이 반드시 의미심장한 것은 아니지만 여러 가 지 아유 때문에 일반화된 용법이 최초 의미 가치의 특칭적 요소를 소멸 시키는 경우도 있다. 이 동사는 아주 다양한 의미를 보여 주며, 이와 같이 다양한 의미는 거의 고찰된 바가 없다 . 예컨대 호메로스( 『 일리아스 』 , 4, 303 이하)에서 : 〈누구든지 혼자 앞으로 달려 나가 트로이아인들과 싸우려 하지도 말며 … 허나 누구든지 자기의 전차에서 적의 전차에 닿게 되면(hi k 존t a i) 창 을 던지도록 하라〉 마찬가지로 〈희생 제물의 연기가 하늘에 닿았다 (hike )(1, 317)>. 또한 kleos( 『 일리아스』 8, 192 ; 『 오뒤세이아』 9, 20) 와 함께 사용되어, 영광이 하늘에 〈도달했다〉. hi kneoma i처럼 h i ko 의 의미 룰 특정화하는 어떤 것이 있다 . 그리고 hi kano 에 대해서는 이것은 상상 한 감정 , 느낌을 지시하는 용어를 주어로 가지고 있다. 예컨대 분노(『일 리아스』 9, 525), 슬픔, 고뇌 (6khos)(23 , 47 : 2, 171 등)가 그것이다. 그래 서 고뇌가 영웅의 마음에 〈와 닿는다〉. 그리고 신체적 인 감각 (13, 711) 도 주어로 사용된다 . 예컨대 피곤이 양무릎에 〈이르렀다〉. 일상적 인 표현 d6mon hi kes th a i가 그 완전한 의미 효력을 되찾는 것 은 바로 이러한 의미, 죽 (이동이나 노력의 끝에) 자기 집에 도착하다, 이르다에 기초해서이다. 몇몇 예문에서는 더욱 명확한 의도가 나타난다. 〈그래서 지금 내가

그대의 무릎에 〈이르러〉 있는(ta sa gou nath ' hik a nomai) 것입니다 . 혹 시 그대가 단명한 내 아들을 위하여 방패와 두구를 ... 만들어 주실까 하고.〉(『일리아스』 18, 457) 이 동사는 〈도달하다〉의 의미를 잘 보여 주 지만 그것은 동시에 h i ke t존s 의 의미로 전이되고 있다 . 〈그래서 내가 그 대의 무릎을 잡고 그대에게 간청하는 것입니다.〉 『 오뒤세이아 』 의 긴 구 철에서 우리가 분리시켰던 개념들이 분명하게 재구성되고 있다 . 폭풍이 그를 내동댕이쳤던 강가에서, 강의 신에게 드리는 오뒤세우스의 기도를 보자. 〈나는 … 고대하던 그대에게 왔나이다 (h i kano) . 지금 내가 천신만 고 끝에 그대의 흐름과 그대의 무릎에 지금 온 (h i kano) 것처럼 떠돌아 다니다가 온 (h i k 존t a i) 사람은 그가 누구든 간에 불사신들께도 존귀한 존 재일 것입니다〉 끝행은 동사 h i kano 와 hike te s 사이의 관계를 완벽하 게 보여준다.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 주인이시여, 내가 당신의 간구하 는 자라는 것을 공언합니다.〉(『오뒤세이아』 5, 445 이하) 이에 대한 명백 한 시사를 얻기 위해서는 이 구절 전체를 읽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들 용어의 연쇄 자체는 hi kano 와 hik e t죤 s 의 두 개념이 연관된 것으로 생각 했음을 보여 준다. 이리하여 hi ke t es 의 어형성이 정당화된다. 죽 그것은 h i k5 의 행위자 명사라는 점이다 . 더욱이 단지 한 예문으로만 이 결론을 내릴 수 없다. 또한 아주 명백한 다른 예도 있다(『오뒤세이아』 9, 267-9). 〈우리는 마침내 그대의 무릎에 이르렀소 (h i k6me t ha). … 신들 울 공경하시오! 우리는 그대의 hi ke t a i요`〉 우리는 hi ke t es 가 어근에서 파생된 행위자 명사로 인정되어야 하고, h i k6 는 이 어근의 현재 어간이라고 결론지울 수 있다 . 용법의 조건 때문에 이처럼 특이한 의미의 발달이 유도되었다. 〈간구 하는 자〉라는 의미는 서사시에 있는 전쟁의 관습에 의해 설명된다. 죽 적에게 쫓겨서 죽임을 피하려는 자는 자신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서 상 대 적수가 결전에서 그를 찔러 상처를 입히기 전에 적의 무릎에 매달려 애원해야 한다. 예컨대 『일리아스』 21, 65 에서 아킬레우스는 뤼카온에

게 자기 창을 던져 그를 노린다. 그러나 뤼카온은 이를 피하여 그에게 달려가 무릎을 붙잡고 소리친다. 〈그대 무릎을 잡았고, 나는 그대에게 간구하는 자가 되었습니다 (h i ke t es)(= 그대 무릎을 잡고 비옵니다) . 〉 따 라서 행위자 명사 h i ke t존s 가 〈간구하는 자〉가 된 것은 동사 h ik es th a i와 g ouna t a( 〈무릎에 닿다, 잡다, 이르다〉)의 결합 때문이다.

제 6 장 칭조와전조의 라틴 어휘 요약 라틴어는 그 문어적 문법으로 신의 창조, 즉 계시를 가리키기 위해 구별 없이 사용 되는 용어가 아주 많은 게 특색이다. 그러나 어원은 다음 용어 사이에 문헌기 이전의 의미 분화를 포착케 한다 . • omen 〈전실한 전조〉 • mons tru m 〈비정상적인 것으로 경고를 나타내는 피조뭉〉 (moneo 〈경고하다〉) • os t en tu m 〈관찰자의 면전에서 (obs-) 그 시야에 펼쳐지는( * t en-) 현상〉 • p or t en tu m 〈시각에 내다보이는(p or-) 미래를 계시하는 광대한 전망〉 • p ro digi um 〈신적 권위(ai o ; Ai us 참조)를 지니면서 공개적으로(p rod-) 발화되어 전조로서 기능하는 말〉 칭조와 전조1 ) 와 관련되는 용어에 대한 검토는 라틴어에서 이들 용어 가 상대적으로 풍부하다는 주요한 이유 때문에 라틴어에 국한될 것이 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라틴어는 그리스어와 대조되고 또 다른 인도 • 유럽 제어와의 대조가 더욱더 확연하다. 그리스어에서는 t eras 〈신적 징 조 전조, 기적〉만이 발견될 뿐이며 더욱이 어원도 명확하지 않다. 다른 언어들은 아주 특칭적인 지칭조차 없다. 라틴어에서 우리는 명확한 의미 가치를 지니면서 일반적으로 어 형성이 분명한 일련의 단어를 이용할 수 있다. 그 주요한 용어는 *1) 역사적이고 종교적인 이 문제에 대한 전체적 조망에 대해서는 Raym o nd Bloch, 『고대 고전기의 전조들 Prodig es dans l'an ti qu it e class iq ue 』, Pa ris, 1963 을 참조. 이 저서의 79-80, 845 쪽에서도 라틴어 용어법을 역시 다루고 있다.

rnir a culurn, omen, rnonstr ur n, oste n tu rn , por te n tu rn , p rod igi urn 이 다 이 여섯 개의 용어에 대해서 그리스어는 단지 t eras 만을 대응시킬 수 있다 이 그리스어 용어는 라틴어의 여섯 어휘 단위로 니누어전 의미 표상 전체를 포괄한다 . 우리는 semeio n , s~ma 는 고려하지 않을 것이다. 이들은 초자연적 현상에 적용되더라도 오직 〈기호〉 일반을 가리키며, 라틴어 s ign um 에 대응하기 때문이다 .

우선 그 정확한 의미 작용에 의거해서 라틴어 자체에서 이들 용어 각 각의 경계를 획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일상적인 용법에서는 서로 대치가 가능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세르위 우스 『 아이네이아스 주해 ad Aen. 』 2> III, 366 은 Con fus a ple rurnq ue p onum tu r 〈대부분의 경우 이들을 구별하지 않고 사용한다〉라고 기록하 고 있다 현대의 사가( 史家 )들도 이 견해를 지지한다. 동일한 현상을 이 야기하기 위해서 몇 줄의 간격을 띄우고서 이들 단어는 하나씩 구별 없 이 사용되고 있다 . 문헌학자들에게 결정권을 넘기도록 하겠다.

2) Serviu s Maurus Honoratu s : 기원 4 세기 말의 라틴 문법가이자 스콜라 학챠 문학과 역사에 대한 박식한 지식의 소유자였다. 그는 주로 위르길리우스의 작품에 대한 방대한 주해서를 쓴 것으로 유명하다 .

비록 이들 칭조에 대해 로마인들이 가지고 있던 의미 표상에 의거하 여 이들 용어가 분명히 구별되지는 않지만, 우리의 의도는 이 각 용어 에 대해서 어원적인 의미 작용을 분석하고, 이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 이 무엇인가를 밝히는 것이다. 이들은 omen 을 제의하고는 모두 라틴어의 형태론적 구성을 하고 있 으며, 이차적으로 형성된 어휘이다. omen 의 단어 구성은 어간이 모음 5 로 축약되어 있다는 난점을 보여 준다 이 사실로 인해 몇 가지 재구 가능성이 생기는데, 이들은 사실 어 원론자들에 의해 가정되기는 했어도 어느 가능성도 증명된 것 같지는 않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o-rnen 의 의미와 형태 구성을 별 제약 없이

설명할 수 있는 비교를 해 보려고 한다. 라틴어 어기 5- 는 히타이트어 동사 어간 ha- 〈믿다; 전실된 것으로 간주하다〉와 직접 비교가 된다. 따라서 omen 은 〈진리의 선포〉로서 해석이 가능하다. 결정적인 상황에 서 발화된 우발적인 말은 omen 으로서, 전정한 전조로서 , 운명의 칭조 로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이것은 상서로운 〈길조〉의 말 , 운명을 예고 하는 말이 된다 . 이에 대한 다수의 예가 키케로의 『 신에 대하여 De d i u i na ti one 』, I, 46 장에 보고되고 있다 . 중성 mons tr urn 은 현대 mons tr are 와 분명 연결된다 . 그러나 아주 분 명히 드러나는 의미 차이가 있다 . mons tru m 과 monstr ar e 가운데서 어 느 것이 선행하는 것인지를 선험적으로 결정할 수는 없다 . 그렇지만 mons tr are 가 형태론적 이유로, 죽 -s tr um 으로 된 명사형이라는 점 때 문에 mons tr urn 의 명사 파생동사일 개연성 이 있다. 그러나 전통의 초기 부터 이 두 용어는 공통점이 전혀 없다. mons tr are 는 〈나타내 보이다 , 제시하다〉와 거의 비슷한 의미이다. 반면 mons tru m 은 일반적으로 〈일 상적인 것에서 벗어난 사물〉을 가리키며, 그래서 때로 흉측스런 어떤 것, 사물의 자연적 질서를 역겹게 위반한 것, 〈괴물〉을 가리킨다. 위르 길리우스가 말한 monstru rn horrendurn 〈공포의 괴물〉이다 . 라틴인들은 이 단어의 형태 구성을 의식하고 있었다. 이들은 monstr um 이 moneo 에서 파생된 mones trurn과 같다고 밝히고 있다. monestr um 이 존재했든 않았든 mons trurn과 mons tr are 가 moneo 와 연관되 어 있음 이 확실하다 . moneo 에 근거를 둔다면, mons tr urn 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 관계를 찾아 내기 위해 우리는 종교적인 성찰을 통해서 그 의미작용 이 아직도 왜곡되지 않은 명사 파생동사 mons tr are 를 이용할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師)가 하듯이 〈품행을 가르치다, 따라야 할 방도를 규정하다〉를 의미한 다. 예컨대 qu i tibi neq u iq u am saep e monstr au i bene 〈너에게 그렇게 자주 좋은 교훈을 헛되이 가르쳐 준 나(풀라우두스 『바키스 자매 Bacch. 』 133), quo ti en s monstr au i tibi ut ... 〈얼마나 많이 너에게 ~하라고 권고 했던가 …〉(『메나에크미 형제 Men. 』 788), non per ic l umst ne qui d rect e mons tr es 〈너가 훌륭한 권고를 주는 데는 아무런 위험이 없다〉(『프세우 돌루스』 289). 따라서 mons tr are 로부터 mons tr um 으로 소급해 울라가 서, 종교적 용법 때문에 사라진 문자적인 의미를 탐구하면, monstr um 울 신이 내려 준 〈권고, 충고〉, 〈경고〉로 이해해야 한다. 그런데 신들은 전조로 칭조로 의사를 표시하는데, 이들 전조나 칭조는 인간들이 이해 하는 데 혼란을 불러일으킨다. 신의 〈경고〉는 초자연적 존재나 사물의 모습을 취한다 이는 페스투스가 말하는 바와 같다. 〈자연계로부터 벗 어난 것을 mons tr a 라고 부른다. 예컨대 다리가 달린 뱀, 네 날개를 가 전 새, 머리가 두 개인 사람 등.〉 신적인 전능만이 이처럼 자신의 〈경 고〉를 드러낸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mons trum의 의미가 그 지칭에서 소멸되었다. 단지 전조의 원리 내에서는 〈괴물〉이 신적인 〈교훈〉, 〈경 고〉를 나타낸다는 사실 외에는 mons trum이라는 형태 내에서는 〈흉칙 스런, 괴물 같은〉의 개념이 전혀 요구되지 않는다. 이러한 일차적 의미 명세로 mons trum을 oste n tu m , p or t en tu m 과 구 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왜냐하면 후자의 두 용어에서 〈보이다, 지시하 다〉의 의미 가치가 아직은 막연하나마 남아 있기 때문이다. os t en tu m 과 por te n tu rn 사이에 용법상의 분명한 차이는 없다. 동일한 현상이 상서로운 사건을 예고하든 그렇지 않든 간에, 그것들은 이 두 용어 중 어느 용어로도 차별 없이 지칭될 수 있다. 두 동사의 현재 os t endo 와 p or t endo 를 고찰해 보자. 이들은 아주 불균형한 사용 빈도를 보이고 있다. 죽 os t endo 는 광범위하게 확인되나 p or t endo 는 por te n - tu m 처럼 전조의 영 역 에 국한된 것으로 나타난다. 반면 os t endo 와

oste n tu m 사이의 편차는 명확한 것은 아니지만 mons tr are 와 mons- trum 사이의 편차와 동일한 성질을 갖고 있다. 인도 • 이란어 t an 一 , 그리스어 t e i no 와 친근성이 있는 단순동사 ten do 〈펼치다〉는 인도 • 유럽어 어근 *t en- 〈펼치다〉에서 파생된 것이다 . 이 처럼 구체적인 뜻으로 사용된 이 용법은 동사 접두사에 의해 더욱 명세 된다. 즉 ob-/obs- 는 일반적으로 행위가 〈어떤 것과 우연히 부딪쳐서, 길을 방해하듯이 반대 방향으로〉 (obu i am 〈도중에, 앞에〉 참조) 일어났음 을 가리킨다. 이 동사 접두사는 또한 고대의 예문에서 그 완전한 의미 효력을 갖는데, 예컨대 카토의 농업서에 나오는 예이다 . ag er qui soli oste n tu s er it〈태양에 노출된 받〉 . 여기에서 os t en tu s 는 물론 〈~와 부딪 히게 펼쳐진〉을 의미한다 . 이 의미 관계는 os t endo 를 문자적으로 설명 해 주고, 그 용법의 일부만을 내포하는 다음과 같은 종교적 의미도 설 명해 준다 . 죽 전조로서 os t en tu m 은 〈정면에 펼쳐진, 눈앞에 제시된〉 것으로서 〈보여진, 제시된〉뿐만 아니라 〈(해석해야만 되는 징조로서) 시 야에 일어난〉을 의미한다. 타키두스는 전조를 이야기하면서 ob t endo 와 os t en turn을 연결짓고 있다(『역사』 3, 56). p or t endo 를 고찰해 보자. 여기에서 본질적인 것은 동사 접두사 po r- 이며, 이에 대한 예는 거의 남아 있는 것이 없으나 남아 있는 예는 모 두 의미심장하다. 예컨대 p o rrig o 〈펴다, 확장하다; 무엇을 제시하다, 제 공하다〉, p olluo 〈더럽히다, 신성을 모독하다〉, p o lli ceo(r) 〈약속하다〉. p olluceo 와 p orr ici o 의 두 동사는 헌납물과 관련되어 있다. p or t endo 와 더불어 이러한 것이 p or- 가 있는 예인데, 놀라운 사실은 이들 모두가 종교적 영역에 속한다는 점이다. p o lli ceo(r) 의 일상적인 용법만이 적어 도 예의이다. 죽 l ic eo 는 〈경매에 부쳐지다〉를 의미하고, li ceor 는 〈경매 하다, 경매를 통해 획득하다〉를 의미한다. 동사 접두사 p or- 는 po l- li ceor 에 〈판매시에 경매를 하다, 요구한 가격보다 더 비싸게 어떤 것을 제시하다〉라는 어원적 의미를 부여한다(풀라우두스 『거래상』 439 참조).

여기에서 일상적인 의미 〈약속하다〉가 생겨났다 .

사전에서는 그 공통 기원 때문에 pro - , p rae- 와 동일한, 거의 동일한 의미를 Por- 에 부여하고 있다 . 그러나 이들 동사 접두사는 동의어가 아 니다 . 왜냐하면 이들은 라틴어에서 별개의 형태를 가지며 , 더욱이 이들 은 서로 자유롭게 교체되지 않는다는 점 때문이다. pro - , p rae 二 Por- 가 각기 이들의 의미 경계를 획정하는 고유한 특칭들로서 그 특성이 규 정된다고 상정해야만 한다 . p ro - 와 pra e-사 이의 의미 차는 상세한 분 석의 대상이 된 바 있다 ? 이제 여기에서 문제는 어떻게 p or - 가 정의될 수 있는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3) r 라틴어 전치사들의 논리 체계 Le sys t e m e sublog iqu e des pre p os iti on s en latin』 , Travaux de Cerc/e ling u i s tiq u e de C ap enha 양 1e, Vol. V, 1949, p. 177-1 8 5. T 일반 언어학의 제 문제 1 Problemes de ling 1 1i sti q 11 e ge1 1erale h Pa ris, 1966, p. 132 - 139 에 다시 게재됨 .

이 접두사를 이미 p orr ig o 에서 봉 수 있고, 이 단어의 고유한 의미는 〈길이대로 끝까지 펼치다, 발전시키다, 연장하다 , 늘이다〉이다. 그래서 동사 접두사 Por- 는 〈전체 크기로 펼치다, 늘어 놓다〉의 개념을 함축하 고 있다. p or rici o( <* p or- i a ci o) 가 헌납의 동사 뜻을 가진 것은 〈던지 다〉(i a ci o) 가 동사 접두사 Por - 〈(제단의) 넓이 전체로〉에 의해서 상세화 되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사실상 희생 제물 (ex t a) 의 내장―― 이것을 제단 위 에 펼쳐 놓는다(p orr i cere) _— 울 가지고 제사를 진행한다 . si sacruf ice m surnrno Ioui atq u e in ma nibu s exta ten eam ut po ric iam 〈유피테르에게 희생 제사를 지내는 중이었더라도, 그리고 손에 내장들 울 잡고 이것을 제단 위에 놓았을지라도 ••• 〉 . (풀라우두스 『 소카르타고인 』 265) inter caesa et p orrec t a 는 고정 성구로서 원래 〈(희생 제물을) 절단 하는 것과 , 제단 위의 전열 사이에〉를 의미하나 〈최후의 순간에〉를 뜻 한다(키케로, 『 아티쿠스에게 보내는 편지 A tt.』 5, 18, I). 이와 동일한 의 미 표상이 p olluceo 에서 밝혀지는데, 이는 옛 종교 언어 에 속하는 동사

로서 〈희생 제물로 풍성한 잔치를 베풀다〉(

자. omnia laeta pro sp er aq ue p ro t endere 〈만사형통하게 앞으로 펼치다〉. 사실상 p or t en t a 의 예들은 전체적인 전망을 예고한다 . 그래서 p or t en tu m 은 os t en tum과는 다르게 단 하나의 사건만이 아니라 전체 파노라마에 대한 전조를 보여 주며, 지속적인 전망으로서 미래를 거의 그대로 드러내 보여 준다 . p rod igi um 이란 용어는 라틴어 자체 내에서 분석될 수 있는 의미에서 는 검토가 용이한 것 같으나 , 형태 구성 요소 자체를 해석해야 된다는 점에서는 검토가 매우 어렵다 . 이 용어는 *p rod - (모음 앞에서 사용되는 형태로서 , p ro - 와 짝을 이룬 다 . p rod - eo 〈전진하다〉 참조)와 a g - 에서 파생된 명사형 -a gi um 으로 분 석이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어근 a g - 는 어떤 어근인가? 학자들은 a go 〈밀다, 부추기다〉의 어기 a g - 를 배제하는 데는 동의하지만, 명사 ada gi o 와 그 쌍립어 ada gi urn 〈속담 , 격언〉의 a g-는 오히려 그 어근으 로 생각한다. p rod- igi urn 의 i와 대조적으로 내부에 a 가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그 어형은 후기에 만들어진 것이 틀림없다. 그래서 pro dig iur n 과 ada gi o 는 둘 다 라틴어 a i o 〈말하다〉의 어근과 결부된다. 이제부터 p rod igi um 을 문자적으로 어떤 의미로 해석해야 할까? 이 어근 *a g-〈말하다〉는 라틴어 이의의 언어에서는 분명히 확인되지 않는 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 학자들은 그리스어 8 〈~라고 그는 말한다〉 를 고대의 *e g-t로 설명하나 단일 모음으로 구성된 이 어기의 재구는 다소 불확실한 점이 있다. 아르메니아어 af -ac 〈격언두의 말〉과 비교 가 능성이 있으나 이를 제의한 메이예 자신은 동사 asem 〈나는 말한다〉과 는 대조적으로 -ac 의 음성적 불규칙성을 주장한다. 라틴 주석가들에 따르면, ada gi o(ada gi urn) 는 의미상으로 그리스어 p roo irni on 〈서곡, 서론〉과 대응한다고 한다. 문헌상의 예가 없기 때문에 이룰 확증하기는 어 렵다. 단지 와로의 uetu s adag io es t〈그것은 오래

된 격언이다〉에서만 확인된다. ada gi o 가 ada gi urn 으로 전이된 것은 ada gi urn 과 동의 관계에 있는 p rouerb i urn 〈속담〉에 대한 유추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의 미 는 그리스어 p roo i rn i on 에, 즉 음악의 〈서곡〉이나 수사학의 〈서론〉과 일치하지 않는다. 『 4 대 비극』 작품에서 비유적인 의미로, 어떤 사건에 대한 〈서곡을 알리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phr oir n ia p 6non 〈불행의 서 곡들〉(아이스퀼로스), 죽 불행을 예고하는 것이란 의미이다. 따라서 ada gi o 는 연설에 활력을 불어 넣기 위해서 서론에서 인용하는 격언으 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그렇지만 이는 불확실하다. 이제 p rod igi urn 과 a i o 의 관계를 고찰해 보자. 사전은 a i o 에 대해 오 직 〈말하다〉의 의미만을 부여하고 있다. 다른 발화 동사들과 관련해서 a i o 의 의미를 특정화해야 한다. 도나투스의 특이한 관찰을 주목해 보자 . 그는 a i o 가 inu is a , uana, conte r nnenda, fals a, 즉 불쾌하고, 쓸모없고, 비열하고, 잘못된 일에 적용된다고 말한다. 이 동사의 주요 용법을 훑어 보기로 하자. a i o 의 기능 가운데 한 가 지는 ne go 와 의미가 대립하는 것인데, 죽 〈예라고 말하는〉 것으로서, 〈아니오라고 말하는〉 것과 대립된다. 또한 빈번히 출현하는 표현으로 ut ai un t〈사람들이 말하듯이〉가 있는데, 이것은 소문, 풍문을 이야기하 기 위해 사용되거나 통속적이거나 격언두의 고정 성구를 도입하기 위 해 사용된다. 그리고 문자 그대로 말을 인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컨 대 키케로의 말 자체를 그대로 반복하고자 할 때 ut ait C ic ero 〈키케로 가 말하는 것처럼〉처럼 사용된다. 또한 a it는 말을 원문대로 보고하기 위해 삽입구로 사용된다. 그러나 다론 동사는 안 된다. 법률 언어에서, 관례적인 고정 성구에서 흔히 a i o 가 1 인칭으로 나타 난다. 가이우스에 따르면, 소유권 회복을 표현하는 정식화된 관용적 표 현은 다음과 같은 것이었다. hunc ego hornin e m ex iur e Qu ir itium meum esso ai o 〈본인은, 로마 시민의 법에 의거해서 이 사람을 본인의

소유라는 것을 선언한다〉. 이 고정 표현은 풀라우두스뿐만 아니라 키케 로에게서도 두 사람이 동일한 물건의 소유권을 주장하는 경우에, 여러 번 반복적으로 출현한다 (horn in ern 대신에 fu ndurn 〈토지〉이 나타나는 변 이형도 있다). 예컨대 ego ide m esse aio rneurn 〈본인은 이것을 본인의 것으로 주장한다〉. a i o 의 주어가 법 자체일 수도 있다. 예컨대 uti lex a it〈법이 말하듯이(규정하듯이)〉, 또는 울피아누스 4) 의 글에서 나오는 lex Jul i a a it〈율리우스법은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나 uti mos a it〈관습(법) 은 규정한다〉 같은 예이다.

4) Dom itius Ul pi anus( 기원 3 세기) : 로마의 대법률가 중 한 사람 법률가 파피아 누스의 재자 . 약 280 여 권에 달하는 책을 지었으나 일부만이 전해 내려온다 . 그의 저작 중 상당 부분이 유스티니아누스의 『 법률요강 D ig es t a Ius ti n i an i』에 포함되어 있다.

이런 것이 주요한 용법의 범주로서 , 이들은 그 자체로도 충분한 일반 적인 한 가지 의미 작용 내에서 조급하게 분류된 것이다 . 더욱이 a i o 로 부터 신의 명칭 A i us 키울 가리키는 명사가 파생되었다 . 때로는 A i us 로 단독으로 명명되기도 하고, 때로는 Ai us Locu ti us 로 명명되기도 하는 이 신은 널리 알려져 있고, 밤의 침묵 속에서 골족의 침입을 로마인들 에게 예고해 주는 신이다 . 와로는 이 신을 이러한 명칭으로 부르게 된 연유를 다음과 갇이 밝히고 있다. Ai us deus ap pe llatu s araq ue ei sta t u ta quo d eo in loco diu initus uox edit a est< A i us 신 은 이 처 럼 명 명되었고, 그를 위해 제단이 건립되었는데, 그 이유는 이 곳에서 신에게 서 내려온 목소리가 들렸기 때문이다〉(리투스 리위우스 『로마사』 5, 50 과 52 참조).

5) Ai us 는 Aius Lo q uens 라고도 불린다. 로마인들에게 골족의 도래를 알려 준 신 o] 다.

이 동사 a i o 의 특칭적인 기능에 의거해서, Locu ti us 로 그 명칭이 중 복되면서 의미가 명백해진 파생명사 A i us 를 고려해 볼 때, a i o 는 우선 말(p arole) 을 구성 하는, 문자 그대로의 발화문 (euonce) 를 가리 킨다는

것과, 따라서 이 발화문은 그 자체 내에 어떤 권위를 지니고 있다고 말 할수있다 . a i o 가 권위의 발화 행위를 의미한다는 사실은 그 가장 진부한 뜻 자 체로부터 생겨난 것이다. 이는 d ic o 가 아니라 왜 a i o 가 법률 표현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인가에 대한 이유다 . 이 동사는 견해나 신조 룰 표명하는 것이 아니라 구속의 의미 가치를 지니고 있는 권위의 진술 이다 바로 여기에서 lex a it란 표현이 생겨났고, 반면 lex

비가 내렸다고 알려 왔다. 이 전조를 확인하기 위해 (ad id uis e ndum pro dig ium ) 사람들이 파견되었다 . 이들은 실제로 우박과 흡사한 큰 돌 비가 떨어지는 것을 보았다 . 뿐만 아니라 이들은 또한 산봉우리를 둘러 싸고 있는 숲에서 큰 목소리가 울라 와서, 알바누스족에게 거족적인 의 례에 따라 희생 제사를 하도록 명하는 소리 (u i s i eti am audir e uocem i n gen t ern) 를 들은 것으로 생각했다 . 이 전조 (ad eodern p rod ig o) 에 이 어서 로마인들은 알바누스 산의 하늘의 목소리 (uoce caeles ti)가 명한 바에 따라서 그랬건 장점( 腸 占)을 치는 승려들의 권고에 따라서 그랬건 간에, 9 일 동안 기도제를 올렸다 . 이 문헌은 p rod igi um 에 대한 어원적 해설을 포함하고 있는 듯이 보 인다. 우리는 A i us 와 신의 목소리의 연관성을 보았다 . 이와 마찬가지로 p rod igi um 은 신의 목소리 (-a gi um) 의 발성(p rod - )으로 특칭지어지는 데, 이는 위 에 인용된 p rod igi um 에 수반되는 제반 정황에 의거한 것이 댜 그 기원상 p rod igi um 은 다른 여러 징조 가운데 그 소리를 들리게 만드는 신의 음성의 〈전조〉였을 것이다 . 이러한 것이 a i o 의 고유 의미 에 기초한 이와 갇은 해석을 뒷받침할 수 있는 사실적인 정당성이다.

제 7 장 종교와미신 요약 인도 • 유럽인들은 별도의 제도로서, 종교라는 보편적으로 편재하는 이러한 실체를 상상할 수 없었다. 때문에 그들은 이 종교를 지칭하는 용어가 없었다. 이러한 지칭이 출현하는 언어에서 이 명칭이 형성되는 과정을 추적해 보는 것은 매우 홍미 있다. 그리스 이오니아 방언에서, 헤쿠 F 뚜人에 나오는 t hr 존 ske i존란 용어는 원래 제사 의 식의 규례들을 준수하는 것을 가리켰다 . 아티카 그리스어에는 없는 thr eske i는 오직 · 후 기에만 출현하며(기원전 1 세기), 신앙과 관례적 실천의 총체로서의 〈종교〉를 가리켰다. 라틴어 re ligi o 의 기원보다 더욱 논란이 분분하고 오래 된 것은 없다. 의미적이고도 형태론적인 이유로 이 단어는 rele g ere 〈다시 수집하다, 새로운 선택을 위해 다시 취하 다〉와 관련이 된다는 점을 여기에서 증명하고자 한다. 그래서 re ligi o 〈종교적 거리낌, 가책〉는 이처럼 원래는 주관적인 성향, 종교적 성격의 어떤 두려움과 관련된 반성적 행위를 가리켰다 . re lig are 〈다시 결합시키다, 다시 연관지우다〉로 해석하는 것은 역사 적으로 분 때 찰못된 해석으로 기독교인들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 해석 은 이 개념을 혁신하는 데는 매우 의미심장한 역할을 했다. 그 결과 re ligi o 는 〈의무〉, 죽 신자와 하느님 사이의 객관적 결속의 의미가 되었다. 미신의 지칭 또한 아주 혼란스럽다. su p ers t es 〈생존한 자〉, 〈증인〉과 sup er sti tios us 〈정쟁이〉 사이에서 su p ers titi o 를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기원상 이 용어는, 상실되 고 없는 것을 사후에 입증하는 능력, 보이지 않는 것을 밝혀 드러내는 능력을 가리켰 다. 오직 경멸적 의미로 이 용어가 발달한 것은 로마에서 점쟁이, 마술사, 모든 종류의 〈견자(見者)〉들에 대해 가전 불신에 의해서 설명된다. 어떤 예견할 수 없는 경로를 통해서, 그 후로 기본적으로 되어 버린 종교-미신의 쌍이 형성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이 마지막 몇 장에서 조사된 모든 어휘 자료는 한 가지 핵심적 개념, 즉 〈종교〉 개념으로부터 파생된다. 인도 • 유럽어 어휘에 의거해서 우리 가 〈종교〉라 부르는 현상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종교 〉 를 지칭하는 공통된 인도 • 유럽 용어는 없다 . 이는 즉각적으 로 확인되는 사실이다 . 또한 역사 시기의 많은 인도 • 유럽 제어에서도 그 용어가 없었다. 이는 놀랄 일이 전혀 아니다. 일정한 하나의 명칭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은 이 개념의 본질 자체에서 유래한다. 총교가 제도라는 것이 사실이라면 , 이 제도는 다른 제도들과 분명하 게 분리되지도 않고, 이들의 의부에서도 존립할 수 없다 . 종교의 경계가 분명히 확정되어 , 일정한 영역을 갖게 되고, 종교에 속한 것과 종교에 의적인 것을 알 수 있는 때에 가서야 비로소 종교라는 것을 생각할 수 있고, 따라서 그것을 명명할 수 있다 . 그런데 우리가 연구하는 문명권에 서는 모든 것이 종교로 물들어 있고, 모든 것이 신의 세력에 대한 칭조 이거나 작용이거나 그 반영이다. 특수한 신앙 결사체를 제의하고는 제 사 의식과 신앙 전체에 적용되는 특정 용어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종교〉를 가리키는 각 용어가 독자적으로 형성되 었고, 그러한 용어만을 볼 수 있다 . 우리는 이들 용어의 고유한 참된 의 미를 이해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확신하지 못한다. 산스크리트어 dharma 〈규율〉나 고대 슬라브어 v 존 ra 〈신앙〉를 〈종교〉로 번역한다면, 우리는 의삽 (ex tr a p ola ti on) 의 오류를 범하는 것이 아닐까? 〈종교〉와 동 일한 의마를 지니는 용어로 간주되는 두 용어를 그리스어와 라틴어에 서 각각 하나씩 검토해 보자 . 그리스어 단어 t hr 즌 ske i a 는 원래 제사 의식과 신앙심을 동시에 가리 켰다. 이 단어는 그리스어 자체 내에서도 특이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 반 헤르텐 Van Her t en 에 따르면 I) t hr 죤 ske i a 는 이방의 제사 의식에만 적 용된다는 것이다. 사실상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이 단어는 토착적인 제 *1) J. V an Herte n , 『 Threske i a, eulabeia , hi k l!t ~s 』 , 박사학위 논문, Ut rec ht, 1934. 풍부한 문헌 자료와 이 단어의 자세한 역사에 대해서는 Louis Robert, 『 비명과 문헌학적 연구 Etud es (pig ra p h iq u es et phi lo lo g iq11 esJ , 1938, p. 2 26 이하 참조 .

사돈 이방의 제사든 간에, 모든 제사 의식을 가리켰다 . 이 단어는 오래 된 단어이다. 그것은 혜쿠두 EA 에게서 최초로 출현하며, 그 후 전동에 서 완전히 소멸되었다가 스트라본 시대에 가서야 비로소 재출현한다. 이 때 가서 문헌상으로나 비문에서 예가 점차 많이 나오고 있다. 이것 은 원래 이오니아어의 어휘로서 아티카어에서는 없었지만 그 후에 새 로운 모습으로 일반화되었다 그것은 신앙과 제사 관행 전체를 지칭하 는 데 가장 적합한 용어였기 때문이다 .

최초의 용법은 2 회의 t hr 존ske i존와 2 회의 현재형 t hr 존 skeue in으로 모 두 헤쿠두두人의 『역사』 제 II 권에 나온다 이들은 계율과 관련되어 있 다 . 예컨대 〈리비아와 이웃하고 있는 이집트인들은 희생 제사의 〈규례〉 와 특히 암소 고기에 대한 금지를 잘 참아 내지 못하였다〉(제 II 권, 18 장 . 르그랑의 번역 ).2)

2) His to i re s , P. E. Leg ran d, Par is, Les Belles-Lett res , II. Vol. 1932-1954( 서문과 분석적 색인 각각 1 권씩 추가됨).

다른 곳에서 헤쿠두두人는 에집트 사제들이 준수해야 하는 신체의 정화 규칙을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그는 덧붙여 말하기를 〈그들은 다 론 천 가지의 t hr 즌 ske i as 를 준수하고 있다〉 (II, 37). 이것은 사제들에게 강제적으로 부과된 관행이다. 바로 이와 같은 것이 또한 동사 thr eskeuo 의 의미이다 (II, 64, 65). 죽 〈종교 규범을 꼼꼼하게 따르다〉의 의미이다. 이것은 언제나 에집트인들에게 해당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동사의 기 본 관념은 〈준수〉의 관념이며, 실천적 개념이지 신앙의 개념은 아니다. 산발적 증거 덕택에 이 단어의 과거 역사를 더욱 거슬러 울라갈 수 있 다. 명사 thr존 ske ia는 아주 이상하게도 -sko 로 된 현재형에서 파생되 는데, 이 형 태는 헤쉬키오스의 주석 에서 볼 수 있다. 즉 8pT ]O kW • Vo !ii와 8pc t.O Ke tV • tt vaµ tµ따 ke t v 〈다시 회상시키다〉. 이 t hresko 는 다시 분석이 가능하다. 이것은 thr eo 에 기초하고 있고 이 형태는 tv8 p ttv • cpu Maatt v

〈지키다, 준수하다〉에서 확인된다 . 이 일련의 형태에 또한 연관된 형태 하나를 추가할 수 있다. 죽 *t hre 하는 어근 *t her- 를 가정하는데, 이로 써 이것은 부정(否定) 형용사 a t heres 와 연관된다. 이 형용사는 an6 죤t on 〈무분별한, 어리석은〉으로 주석되고 있으며, 더욱 홍미로운 것은 an6sio n 〈신앙심이 없는〉으로 주석되고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ath e res 자 체는 호메로스 그리스어의 현재형 a t her i zo 〈중요시하지 않다, 무시하 다〉의 기원이다 . 이 모든 자료는 서로 연관되어 있고, t hr 즌 ske i a 란 단어 자체가 환기시 키는 개념을 완전하게 만들고 있다. 죽 그것은 〈준수, 종교적 관행의 규 례〉의 개념이다. 이것은 의례에 대한 관심, 죽 규례에 충실하게 몰두하 는 것을 나타내는 동사 어간과 관련이 있다. 이것은 전체로서의 〈종교〉 개념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제사 의식의 의무에 복종하는 것을 가리 킨다. * 이제 모든 점에서 아주 중요한 두번째 용어를 살펴보자. 이 용어는 라틴어 re ligi o 로서, 모든 서구어에서 유일하고도 일관되게 사용되는 단 어로 지금까지 남아 있으며, 어떤 등가어도 없고 그 대치어도 결코 있 울수 없는용어이다. re ligi o 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에 대해서는 고대로부터 논란이 되 었다. 이에 고대 주석가들 사이에도 일치된 견해가 없었다. 그래서 현대 의 학자들도 의견이 나누어져 있다. 두 가지 해석이 서로 돌아가며 입 증이 되고, 새로운 옹호자들이 나타나고 있으나 결정적인 선택을 허용 하지 않기 때문에 학자들은 이 두 가지 해석 사이에서 망설이고 있다. 이 두 해석 가운데 하나는 키케로가 제시했다. 뒤에 가서 나오는 덱스 트에서, 그는 re ligi o 를 le g ere 〈모으다, 수집하다〉와 결부짓고 있다. 또

다른 해석은 락탄티우스3 ) 와 데르툴리아누스%)에 의해 제시되었는데, 이 둘은 re ligi o 를 l ig are 〈결속하다〉로 설명한다. 오늘날에 와서도 연구자들 은 이 le g ere 와 liga re 가운데 어느 한 가지 해석을 지지하는 것으로 견 해가나뉜다.

3) Lac t an ti us( 기원 250 년 경) : 초기 기독교의 변증론자 가운데 한 사람 저작으로 『 신의 작품 De Op ifido De i 』 , 『 신론 D i v i nae Ins tituti ones 』, 『 산의 분노 De Ira DeiJ 등이 있다 . 기독교적 인간주의의 토대를 닦은 『 신론 』 이 가장 유명하다. 4) Sep timius Florens Ter tulli anus(165 - 220 년) : 기독교 라틴어 를 만들어 냈다고 할 정도로 많은 기독교 저작을 라틴어로 썼다 . 역시 기독교 변증론자이다 . 『 변증 론 A p olog e ti cum 』, 『 세례에 대하여 De Ba pti smo 』, 『 반국가론 Ad Na ti ones 』 등이 있다.

주요한 연구만을 둘 수밖에 없다. 키케로의 설명은 오토 W . O tt o 5 ) 에 이어 호프만 6) 이 지지한다 . 이와 반대로 에르누크세이예의 어원 사전은 rel ig are 를 분명히 지지하는데 , 파울리 - 비소바 (Paul y - W i ssowa) 사전 7 ) 의 항목 rel igi o 도 이와 같다. 다른 학자들은 불확실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예컨대 파울러 W. Fowler8) 는 re ligi o 의 의미에 대한 훌륭한 기술 적 연구를 하고 있으나 어원에 있어서는 〈이 두 해석 가운데 어느 것도 일리가 있다〉는 콘웨이 Conwa y의 견해를 인용하고 있다.

*5) 『 종교학 고문서지 Archiv f ar Re ligi onsw i ssenschaf t 』 , XII, 533 ; XIV, 406 에 나오 는 re ligi o 와 su p ers titi o 에 관한 연구. *6) 『 라틴어 어원 사전 Lat. ttym . Wb.J , I, 3 52. *7) 저자인 M. Kobber t는 이 주제에 대해 자신이 쓴 학위논문 (1910) 의 가장 핵심적 인 부분을 여기에서 재론하고 있다 . *8) 제 3 차 종교사 국제학회 『 발표논집 』 , 2 권.

다음은 모든 논의를 좌우하는 키케로의 덱스트( 『 신성론 De natu r a deorum 』 II, 28, 72) 이다. Qu i aute r n om nia qua e ad cultu rn deorurn per tin e rent dil ige nte r retr ac ta r ent et tan tq u arn releg e rent, sunt dic ti relig ios i ex releg en do ut eleg an te s ex elig e ndo, ex dil ig e ndo dil ige nte s . His enim in uerbis om nibu s ines t uis leg e ndi eadern qua e

in re ligi oso 〈신들의 제사와 관련되는 만사를 열심히 전념해서 반복하는 (retr ac i ar ent) 자들, 말하자면 이 들 rele g eren t한 자들은, rele gi os i로 불 렸다. 이것은 rele g ere 에서 파생된 것이다. 이는 ele gan t es 가 e lig ere 로부 터, d il ig en t es 가 d ilig ere 로부터 파생된 것과 갇다. 이들 단어는 사실상 모두 rel igi osus 와 똑같이 le g ere 의 의미를 갖는다〉. 이와 반대로 락탄티우스에게 있어서 종교는 우리를 신과 〈결속시키 는〉 신앙의 〈사슬〉이다. unic u lo pieta ti s obstr icti et reli ga ti sumus 〈우 리는 신앙의 족쇄(사슬)에 매이고 묶여 있다〉. 락탄티우스의 견해는 코 베르트 Kobber t에 의해서 채택되었다. 코베르트는 re ligi o 를 〈인간에게 의재적인 힘이며, 어떤 시기, 어떤 장소, 어떤 사물과 관련된 금기이며, 자신의 의지를 박탈당한 인간이 이 금지에 의해서 얽매이고, 구속된다〉 로 정의한다. 우리는 우선 re ligi o 가 실제로 가리키는 것이 무엇이며, 그것의 고유 하고 일관된 용법이 무엇인가를 자문해야 한다. 가장 두드러진 예 가운 데 몇 가지만 언급해도 충분할 것이다. 원래 re ligi o 는 〈종교〉 전체를 포괄적으로 가리키는 것이 아니며, 이 사실은 확실하다. 아키우스“가 쓴 비극 문헌-이것은 상실되었다――의 옛 단편에 다음 두 행이 보존되어 있다. Nunc, Calcas, fine m relig ion um fac : desis te exerci tum morari meq ue ab domuit ion e, tuo obsceno omi ne (Non. 357, 6= 『아스뒤아낙스 As ty anax 』 단편집, V, Ribb eck 판 ).10) 9) Luc ius Ac ci us( 기원전 170-86 년) : 로마의 초기 비극 작가. 그의 작품은 단지 단 편들로만 남아 있다(약 700 행) . 비극 작품으로 『안드로메다 Andromeda 』, r 아트레 우스 A t reus 』 등이 있고, 역사를 다룬 희곡 7 브루두스 B nt hlS J, 『데키우스 De ci us 』 등이 있다.

10) 0. Ribb eck, 『 로마 비극 단편집 Trag ico rum Ramanorum Fra gm en t a 』 , 1962( 재 판) .

〈칼카스여 , 그대의 re ligi ones 를 끝마쳐라 . 군대를 지체시키는 것을 멈추고 , 그대의 사악한 전조로써 내가 집에 돌아가는 것을 더 이상 방 해하지 마라〉 흉조에서 생겨난 점쟁이 칼카스의 re ligi ones 는 군대를 그 자리에 머 물도록 강제하고, 이 영웅이 자기 집에 돌아가는 것을 방해한다. 점복 언어에 속하는 용어로서 re ligi o 는 〈 orn i na 와 관련되는 마음의 거리낌〉 울 가리키며, 따라서 어떤 주관적인 심성을 가리킨다 . 이러한 의미가 또 한 〈세속화된〉 rel igi o 의 용법에서도 나타나는 주요 특칭이다. 플라우두스의 『 쿠르쿨리오 Curcu li o 』 350 에 uocat me ad cenarn ; relig io fuit, deneg ar e uolu i〈그는 나를 저녁 식사에 초대한다 ; 〈나는 마음이 꺼림칙해서 거절하려고 했다〉가 나온다. 테렌티우스( 『 안드로스의 처녀 』 941) 에서 크레메스는 한 처녀를 만나게 되는데, 그녀는 그가 잃어 버린 것으로 생각한 자기의 딸이었다. 그는 그 처녀의 정체를 인지하기 를 망설인다 . At rnihi unus scrup u lus resta t , qui me male habet 〈나 를 고통스럽게 하는 마음의 거리낌이 아직 내게 남아 있구나〉라고 그는 말한다. 그러자 그 처녀가 말한다. dig nu s es cum tua relig ion e, odio : nodum in scrip o q uaer i s 〈그대는 그대 마음의 reli gio 때문에 미움을 받고도 남을 것입니다. 그대는 어려움이 없는 곳에서 이 어려움을 찾고 있으니 말입니다〉(문자적으로 번역하면 〈그대는 골풀에서 리본을 찾다〉이 다). 여기에서 re ligi o 는 scru p ulus 를 대신하고 있다. 바로 여기에서 reli gio es t〈거리낌을 갖다〉란 표현과 reli gion i es t〈종교적 가책을 갖다〉 또는 reli gio t ene t〈종교적 가책, 경의심을 가지다〉가 생겨났고, 부정법 절도 생겨났다 . 예컨대 relig ion i est qui b u sdam po rta Carmenta l i

e gr ed i(페스두스 285 M . ) 〈(그러한 상황에서) 어떤 사람들은 카르멘탈리 스의 문을 통해서 빠져 나가는 데 꺼림칙함을 느꼈다〉. 그 용법은 고전 시기를 통해 일정하다. 예컨대 선거 중에 최초의 두 표 감독위원이 갑자기 죽자 모든 선거 절차가 연기된다 . 그렇지만 그라 쿠스는 rem illam in relig i-o nem pop ul o uen i sse 〈이 일이 사람들의 마음속에 〈 불안감〉, 즉 거리낌을 일으키긴 하지만〉(키케로, 『 신성론 Nat. Deorum 』 II, 4, 10) 이라고 언급을 하면서도 선거를 계속 추전하기로 결 정한다. 이 단어는 흔히 종교적 제 현상과 관련해서 리두스 리위우스에 서 빈번히 나온다. 예컨대 quo d demouendis sta t u suo sacris reli gion em fac ere p osse t〈어떤 제사 의식의 위치를 바꾸는 데 마음의 거리낌을 가져올 수도 있는 사실〉( 『 로마사 』 IX, 29, 10) 갇은 것이다. 이 는 헤라클레스의 제사를 폐지한 포티티족 (Po titii) 11) 의 처벌에 대한 언급 이다 . adeo minim us eti am rebus pra ua reli gio inse ri t deos 〈타락한 양 심의 거리낌은 신들까지 사소한 일들과 연루시킨다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에〉 (X X.V II, 23, 2).

11) 헤라클레스를 숭배하는 라티움의 고대 로마족의 일파.

키케로는 케레스 )2 ) 의 제사는 선조들의 서원에 따라 그 제례 의식에 대한 가장 세심한 배려 속에서 수행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sacra Cereris surnma maio r es nostr i reli gion e con fici caerim o n iaq ue uoluerun t(『발부스 변호론 Balb . 』 l3) 24, 55).

12) Ceres : 로마 신화에서 풍요를 상칭하는 신. 그리스의 데메데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라틴신이다. 13) 원제는 Pro L. Balbo ora ti o 이다 .

다른 많은 예에서 찾아볼 수 있는 re ligi o 의 의미는 파생어 reli - gi osus 〈제사에 대해 세심히 마음을 쓰는, 배려하는, 제사 의례에 대한 의식( 意識 )을 중요하게 여기는〉에 의해 확인된다 . re ligi osus 가 제사 자 체에 대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로마의 여러 현학자들은 가르

치고 있다. reli gios urn qu od pro p ter sanc titat e r n aliq u arn rernotu r n ac sep o sit urn a nobis s it〈어떤 sanc tit as 에 의해서 우리에게서 벗어나 멀 어진 것이 바로 re ligi osurn 이다〉(마수리우스 사비누스’ ◄) 아울루스 겔리 우스 『아티카의 밤 N.A. 』 4, 9). reli gios urn esse Gallus Aeli us ait qu od hornin i fac ere non lice at, ut si id faciat contr a deorurn uolunta t e r n uid e atu r fa cere 〈사람들이 행하도록 허락되지 않은 것, 그 래서 이것을 행하는 경우 신의 의지에 반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 re ligi osurn 이다〉(페스두~ 278 쪽, Muller 판).

14) Masu rius Sabin u s : 똥뮤디누스 네로 황제(기원 14-37 년) 시기의 로마 법률 가. 대저작을 남기고 있다. 사비누스 학파의 이름이 이 법률가에게서 기원한다. 겔 리우스의 『아티카의 밤』은 앞의 각주에서 지적했듯이 문법, 철학, 법률, 역사, 문 학, 전기 등의 다양한 작풍에서 글을 뽑아 수록한 문집으로서 여기에 사비누스의 글이 수록되어 있다.

요컨대 re ligi o 는 하지 못하게 가로막는 망설임, 방해하는 거리낌이며, 행위를 하도록 유도하거나 제사를 드리도록 부추기는 감정이 아니다. 전혀 모호성이 없는 이러한 고대의 용법으로 증명되는 이 의미는 re ligi o 에 대해 한 가지 단일한 해석만을 부여한다. 즉 키케로가 reli gio 를 le g ere 와 결부지으면서 내린 해석이 그것이다. re ligi o 의 형태를 더 자세히 고찰해 보자. re ligi o 를 lig are 로 해석하는 것이 과연 가능한가? 우리의 대답은 몇 가지 이유 때문에 부정적이다. 1) lig are 에서 파생된 추상명사 *ligi o 는 결코 없다는 것이다. relig a re 의 추상명사는 re lig a t o 이다. 이와 반대로 le g ere 에 대응하는 단어 le gi o 에 대한 결정적인 증거는 있다. 2) -i o 로 된 추상명사들은 일반적으로 제 3 활용동사에 근거하여 형성 되며, 제 1 활용동사가 아니라는 점은 거의 지적받은 적이 없는 사 실이다. 예컨대 ex-ci di o , reg io, did o , usu-cap io, leg i-r up io (rump e re), de-liq uio( l inqu ere), obli ui o ( *Obli ue re, ob liui s ci)와

leg io 같은 것들이다. 3) 고대 작가에서 발췌한 인용문만이 이 문제에 대한 해결을 단번에 내 려 줄 수 있다. 즉 relig e nte r n esse op po rte t, reli gios us nefa s (ne fuas?) 〈 re ligi osus 가 아니라 rel ig ens 가 되어야 한다〉(니기디우스 피 굴루 !::.,15) 아울루스 겔루스 『아티카의 밤 N . A. 』 4, 9, 11). 마지막 단 어 (ne fa s) 의 문헌 전통이 상실된 것은 문제가 되 지 않는다. leg o, le g ere 에서 파생된 형태 re lig en t ern 은 분명히 re ligi osus 의 기원을 가르쳐 준다.

15) Nig idi u s F igu lus( 기원전 98-45 년) : 키케로 시기의 대학자 . 문법, 자연과학, 신 학 등에 대한 글을 썼다. 와로와 갇은 반열에 드는 대학자로 유명했다.

re ligi o 와 le g ere 의 관계를 설정하기 위해, 동사 *re lig ere 가 존재했다 는 데 대해 분사 relig e ns 이의에 또 다른 증거를 남겼더라면, 위의 모 든 이유는 이미 오랜 과거에 출현했을 것이다. 그러나 int e llig o 〈분별하 다, 이해하다〉와 d ilig o 〈선택하다, 구별하다〉처럼 동일한 어형을 가전 동사들에 대해서도 추론이 가능·하다 . 키케로는 이미 위에 인용한 구절 에서 이들 동사를 비교한 바 있다 . his enim uerbis om nibu s ines t uis leg en di eadem qua e in re ligi oso 〈이 모든 단어들 (d iligi o, int el lig o) 에는 re ligi osus 의 의미와 동일한 le g ere 의 의미가 있다〉. 사실상 le g ere 〈수집하다, 자신에게 돌아오게 하다, 인식하다〉는 구체 적인 많은 적용 대상을 가질 수 있는 동사로서 여러 동사 접두사와 함 께 사고의 과정, 감정의 태도를 가리키는 데 적합한 용어이다. le g o 의 반의어는 ne g-lig o 〈배려를 하지 않다, 관심을 가지지 않다〉로 표현된 다. 그리고 d ilig o 는 〈골라가면서 선택적으로 수집하다, 평가하다, 좋아 하다〉를 의미한다. int e llig o 는 〈선별적으로 수집하다, 성찰에 의해서 파 악하다, 이해하다〉를 의미한다. 〈지성, 이해〉는 선택과 종합의 능력이

0} 닌가? 이 비교로부터 rel ig ere 〈다시 모으다〉라는 의미를 추론할 수 있다. 그 것은 〈새로이 선택하기 위해 다시 취하다, 과거의 방식을 재검토하다〉 이다. 바로 이것이 종교적인 〈거리낌, 가책〉의 정확한 정의이다. 니기디 우스 피굴루스는 종교적인 사실에 대해서 〈배려하는 것〉은 re lig ens 가 되는 데 필요한 것인 만큼, re ligi osus 가 되는 것, 언제나 마음의 거리낌 (가책)에 이르게 되는 것은 좋지 않다고 말하고 있다. 이미 선택한 것을 다시 시작하는 것(키케로에 따르면 retr ac ta re ), 이러한 선택에서 결과한 결정을 재검토하여 수정하는 것, 바로 이것이 re ligi o 의 고유한 의미이 다. 이것은 마음의 내적 선행( 善 行)을 가리키는 것이며, 어떤 사물의 객 관적 속성이나 신앙과 실천적 관행의 집합체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그 기원에서 볼 때 로마의 re ligi o 는 본질적으로 주관적 인 것이다. re ligi o 를 re lig are 로 해설하고 있는 것은 오직 기독교 저작자들뿐이라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락탄티우스는 이 점을 강조한다 nomen relig ion is a uin c ulo pieta t i s esse deductu m, quo d homi ne m sib i Deus relig a ueri t et pieta t e cons triru< e rit〈 rel igi o 란 용어는 신앙심의 결속으로 부터 유래한다. 왜냐하면 하나님이 인간을 자신과 결속시키고, 인간을 신앙심으로 매어 놓기 때문이다〉. 그것은 re ligi o 의 내용 자체가 변화되 었기 때문이다. 기독교인에게, 이교도의 종교 의식과 관련해서, 이 새로 운 믿음을 특칭짓는 것은 신앙심의 결속, 신에 대한 신자의 이러한 종 속성, 이 단어의 고유한 의미에서 신에 대한 이러한 〈의무〉이다. relig io 의 개념은, 인간이 하나님에 대해 가지는 자신의 관계라는 관념에 근거 해서 재구성되었다. 그래서 이는 고대의 로마 re ligi o 와는 전혀 다르며, 근대의 뜻을 예비하고 있는 관념이다. 바로 이것이 re ligi o 란 단어의 역 사와 그 기원에 대한 본질적인 내용이며, 이 단어의 용법과 형태가 가 르쳐주는바다. re ligi o 의 의미 분석은 로마인들에게 그 반의어로 간주되었던 한 용어

su p ers titi o 의 의미를 밝히는 데 도움을 준다. 사실상 〈종교〉의 개념은 〈미신〉의 개념과 말하자면 대조된다. 이 〈미신〉은 아주 이상한 개념으로서, 오직 어떤 문명권에서, 그리고 어떤 시기에만 출현할 수 있었다. 죽 정신이 종교적인 현상으로부터 분 리되어 신앙이나 제사 의식의 정상적인 형식과 과장된 형식을 분별할 수 있게 된 이후에 출현한 것이다. 이와 같은 태도를 관찰할 수 있는 사회는 단지 두 곳밖에 되지 않으며, 서로 독자적으로 이러한 태도를 표현하는 용어가 생겨났다. 그리스에서 이 개념은 합성어 de i s i da i mon i a 로 표현되고 원래

도 이 합성어의 구성 요소의 의미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su p er 와 sta r e 로부터 〈미신〉의 의미가 어떻게 파생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 그 형태에 따른다면, su p ers titi o 는 su p ers t es 〈살아 남은〉에 대응하는 추상명사여야 한다 . 그러나 이들을 어떻게 관련지어야 하는가? 왜냐하 면 sup er ste s 자체는 단지 〈살아 남은〉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명확히 확인된 몇몇 용법에서는 〈증인〉을 의미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와 동 일한 난점이 su p ers titi o 와 이와 관련 있는 su p ers titi osus 에 대해 제기 된다 . su p ers titi o 가 어떤 방도로 〈미신〉을 뜻하게 되었다고 인정하더라 도 su p ers titi osus 가 〈미신을 믿는〉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점쟁이〉, 〈예언자〉를 의미했다는 사실을 어떻게 가정할 수 있는가? 이제 이 문제의 복잡성을 이해할 수 있다. 이는 비록 단어 형성에 국 한된 문제이나 신앙의 역사에서도 중요한 결과를 갖는 문제이다 . 바로 이러한 이유로 이 단어는 연구되었고, 논의의 대상이 되었으며, 아주 다 양한 의미로 해석되었다. 이 논의의 주요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그 해 석들을 간략히 요약해 보자. a) su p ers t es 〈살아 남은〉에 대한 문자적인 해석은 su p ers titi o 를 〈생 존, 존속〉으로 해석케 한다. 이 경우 su p ers titi o 는 고찰하는 시기에 잉 여적인 것으로- 남아 있는 옛 신앙의 〈잔존물〉을 가리킬 것이다. 우리의 견해로는 이러한 해석은 역사적인 오해에 기초를 두고 있다 . 이는 종교 내에서 옛 시대의 〈잔존 흔적들〉과, 이들과 조화되지 않는 그 나머지 부분을 분별해 내도록 한, 19 세기나 현대 민족지학자들의 사고 방식과 비판 의식을 고대인들의 몫으로 만드는 것이며, 더욱이 역사적 전통 이 전의 시기로 미루는 것이다. 더욱이 이렇게 해서는 su p ers titi osus 의 특 수한 의미를 설명할 수 없다. b) 앞에서 인용한 re ligi o 에 대한 오토 O tt o 의 연구에서 su p ers titi o 란 단어 역시 고찰되어 있다. 저자는 가장 오랜 옛 작가들에 나타난 이 단

어의 의미를 정의하고 있으나 라틴어 어휘 자료로써 이를 설명하지 않 고 있다 . 그는 su p ers titi o 가 단순히 그리스어 eks t as i s 〈황홀경〉의 라틴 어 직역이라는 것이다 . 이것은 아주 놀랄 만한 결론이다. 왜냐하면 eks t as i s 는 su p ers titi o 와 형태상으로나 개념상으로나 아무런 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접두사 ek- 는 su p er 와 대응하지 않는다 . 주술이나 마법은 존 ks t as i s 의 의 미 와는 상관이 없다. 마지 막으로 라틴어 에서 su p ers titi o 란 단어가 출현한 시기 자체는 이 단어의 형성에 미친 철학적인 모든 영향 울 배제한다 . 사실상 이러한 해석은 지지될 수 없다 .

c) 뮐러-그라우파 Muller-Grau p a 에 따르면 ,16> su p ers t es 는 〈죽은 자 의 정령〉을 가리키는 완곡 표현이라는 것이다. 죽은 자들이 여전히 살 아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이들은 언제나 출현할 수도 있다. 바 로 여기에서 sup er stit io< D amonenwesen,귀 신의 본체〉와 또한 〈귀신 에 대한 믿음〉이 생겨났고, 그리하여 su p ers titi -sus 는 〈귀신적 인 요소 둘로 가득 찬, 사악한 정령들에게 사로잡힌〉을 의마하게 되었다. 그 후 이성주의 시대에 와서 이 단어는 유령에 대한 신앙을 가리켰다고 한다 . 이 저자는 자신의 설명이 이 미 쇼펜하우어 Scho p enhauer 에 의해 제시 된 적이 있다는 점을 깨닫고 있다 . 쇼펜하우어에게 죽은 자들은 자신의 운명을 다하고도 〈살아 남아 있다, su p ers tit es 〉는 것이다. 그래서 su p ers titi o 는 su p ers tit es 의 특성 이 라는 것 이 다.

*16) 『 말 C i o tt a 』, XIX, 1930, p. 6 3.

이러한 견해는 전적으로 근거가 없다. su p ers t es 는 죽음과 결코 이러 한 관계를 갖지 않는다. 죽은 자가 이러한 방식으로 〈살아 남는〉다거나 su p ers t es 로 수식되었다는 사실은 있을 수 없다. 로마 종교에 있어 죽은 자들이 생명을 가지고 있다면, 그것은 잔존하는 생명이 아니라 본질이 다른 생명이다. 끝으로 su p ers titi o 는 귀신에 대한 믿음을 가리키는 것 이 아니다. su p ers titi o 란 개념 에 악마적 인 요소와 귀신적 인 요소가 이

처럼 끼여들었다는 것은 탁상공론에 지나지 않는다. d) 다른 방도로 또 다른 설명이 제시되었다. 마르가당 Mar g adan t17)은 su p ers t es 를 고유한 〈증인〉의 의미로부터 출발하고 있으며, sup er - s titi osus 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점쟁이, 예언자〉의 의미에 근거하고 있다. 〈증인〉의 의미를 지닌 su p ers t es 가 , 즉 〈신의 증인인 자〉라는 중간 의미를 거쳐 sup er sti tios us

자. su p ers titi o 는 , 여기에서 해명하고자 하는 그 의미로 이미 그 의미가 고정된 명사만을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 사실상 기저 용어 su p ers t es 와 이차적 파생어 sup er sti tios us 사이에는 차이점이 있고, 이들 차이점이 그 고유의 의미 작용에 대한 정보를 우리에게 줄 것이다. su p ers t are 의 형용사인 su p ers t es 가 어떻게 해서 〈살아 남은〉을 의미 할까? 그것은 su p er 의 의미에서 기인한다 su p er 는 고유한 의미로 〈위 에〉를 가리킬 뿐만 아니라 〈넘어서 , 초월해서〉를 의미한다. 그리하여 경우에 따라 전면으로 튀어나온 것을 덮거나 이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 을 가리킨다. 예컨대 sati s su p er que 는 〈충분히 그리고 더 이상으로, 충 분하게 그리고 이보다 더욱 많이〉를 뜻하고, su p er ci li um 은 〈천장 위 에〉를 뜻할 뿐만 아니라 그것은 위에 돌출된 부분으로 천장을 보호한 다 . 〈우월성〉의 개념 자체는 〈위에〉있는 것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것 , 그 밀에 있는 것과 관련해서 그 이상으로 진전된 것을 나타 낸다 . 마찬가지로 su p ers t are 는 〈저 너머 , 저쪽에 위치하다, 저 너머에 존속하다〉를 의미하며, 실제로는 〈남은 것을 파멸시키는 사건( 事 件) 저 너머〉를 가리킨다 . 집안에 죽음이 닥쳤다. su p ers tit es 는 이 죽음의 사건 저 너머에서 생존한다. 위험, 고난, 어려운 난국을 극복한 자 , 그것을 모 면하고 계속 생존한 자는 su p ers t es 이다 풀라우두스의 한 작중 인물이 여자에게 말한다. 〈청컨대, 그대는 그대 남편이 죽은 후에도 영원히 살 아 남아 있기를〉 u t uir o tuo semp er sis su p ers t es( 『카시나 Cas . 』 817-818). 이것만이 su p ers t es 의 유일한 용법은 아니다. <~ 을 넘어서 생존하 는〉은 〈불행, 죽음을 모면하고 살아 남은〉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어떤 사건을 겪은 뒤에 이 사건을 넘어서 생존하는〉을 의미하며, 그리하여 이 사건에 대한 〈증인〉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물, 사실 위 (su p er) 에 있는 (s t a t) , 그것을 목격한, 거기에 임석한〉을 뜻한다 바로 이 것이 사건과 관련해서 처해 있는 〈증인〉의 상황이다 . 우리는 벌써 여기

에서 〈증인〉으로서의 su p ers t es 에 대한 해석을 볼 수 있으며, 이는 여러 번 확인되고 있다. 예컨대 풀라우투스의 상실된 희곡 단편에서, Nunc rnih i lice t qui d u is loq ui : nerno hie adest su p ers t es( 플라터스 『 아르 테모네 Ar t emone ./l , 페스투스 394, 37) 〈그 인물이 말하길, 이제 나는 내가 말하고자 하는 모든 것울 말할 권리가 생겼다 ; 〈증인〉이 없고, 그래서 나는 자유로이 말할 수 있다〉 . 이 용법은 고립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니 다 . 다른 증거도 이 용법이 아주 오래 되었음을 확인해 주고 있다. 페스 두스의 위의 인용 책에서 su p ers t es 는 〈증인들 임석한 자들〉을 가리킨 다. sup er ste s, tes te s , pra esente s sig nifica t ; cuiu s rei tes ti m oniu r n est quo d sup er stit ibu s pra esenti bu s ii inter quo s contr ou ersia est unidic ias surnere iub entu r 〈 su p ers tit es 는 tes te s , p raesen t es 를 의 미 한 댜 이것에 대한 증거는 분쟁이 일어난 자들이 증인들이 임석하는 가운­ 데서 (su p ers titi bus pra esenti bu s) 소송 사항을 작성하라는 명령을 받는 다는 것이다〉. 키케로( 『 무레나를 위한 변론 Pro Murena 』, 12) 는 도로의 축성(祝聖) 때 관례적으로 사용되던 고대의 관용 표 현을 되풀이하고 있 다. utr isqu e sup er sti tibu s ista m uia m d ic o 〈양쪽의 증인들 앞에서 이 길을 축성한다〉. 세르위우스도 이를 확증하고 있다( 『 아이네이아스 주해 ad. Aen. 』 III, 339). 죽 sup er ste s pra esente m s ignific a t〈 su p ers t es 는 p raesen tum을 의미한다〉 . 이제 su p ers t es 와 t es ti s 의 차이를 알 수 있다. 어원적으로 t es ti s 는 〈삼자(*t ers ti s) 〉로서 두 이해 당사자가 관련된 사건에 임석한 자를 가 리킨다. 그리고 이 관념은 공통 인도 • 유럽어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 다. 산스크리트어의 한 덱스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두 사람이 임석 해 있을 때마다 미트라는 거기에 삼자로 있다.〉 그래서 미트라 신은 본 질적으로 〈증인〉인 것이다. 그러나 su p ers t es 는 때로 <~ 울 넘어서 생 존한〉 자로서―_살아 남은 자인 동시에 증인이다――때로 〈그 일에 달라붙어 있는 자〉 , 거기에 현존하는 자로서의 〈증인〉을 묘사한다.

이제 sup er sti tio, 즉 su p ers t es 의 특성이 이론적으로 무엇을 의미할 수 있는지 , 무엇을 의미해야만 되는지를 알 수 있다. 그것은 〈증인 〉 으 로서 〈 임석하는 속성 〉 이 될 것이다. 이 추정된 의마와 우리가 역사적으 로 확인한 의미 사이의 관계를 해명하는 일이 남았다. su p ers titi o 는 사 실상 har i ola ti o 〈 예견, 예언〉 , 〈 점쟁이〉라는 사실과 흔히 연관된다. 또 더욱 빈번히 su p ers titi osus 는 har i olus 〈 점쟁이〉에 수반되어 사용된다. 풀리우두스는 이 를 잘 보여 준다 . 애꾸눈의 식객이 자신의 신체 결함을 설명한다 . 〈 나는 전투에서 눈 하나를 잃었소 솔 〉 디론· 자가 대답한다. 〈전 두에서 잃었건 너의 얼굴에 던전 항아리에 맞아서 그랬건 눈이 하나라 는 사실에 개의치 않겠다.〉 - 그 식객이 소리친다. 〈이 사람은 예언자 구나, 바로 알아 맞추다니 !> su p er sti tios ushie qu id e m est ; uera p raed ic a t( 『 쿠르쿨리오 Cure . 』 397). 〈전리〉는 사람들이 목격하지 못한 것을 〈알아 맞추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illic homo su p ers titi osus t〈이 사람은 예언을 한다〉( 『 암피트루오 Am ph . 』 322) 도 그렇다. 『맞줄 Rudens 』 1139 이하에는 한 여자가 문제시되고 있다. 그 인물 중 한 사람이 말 한다. —Qu id si ista aut sup er sti tios a aut ha riol ast atq u e om nia qu id q u id ine rit uera d i ce t?〈이 여자가 su p ers titi osa 나 har i ola 라면, (이 상자— 속N에o n있 는fe)r e t모, n든is i 것 u을er a전 d실ic 되e t 게 : ne말q할 uiq 수u a rn있 지h a ri않 o을la까b i?t〉u r〈그녀는 전 실을 말하지 않으면 그렇게 할 수 없을 것이다. 마법은 거기에 아무런 소용이 없다〉 . 해결책이 여기에서 발견된다 su p ers titi osus 는 〈 su p ers titi o 의 능력을 부여받은〉 자, qu i uera p raed ic a t(전실을 예언하는) 자, 죽 점쟁이, 예언 자, 과거사를 실제로 있었던 것처럼 말하는 자이다 . 이들 예에서 〈예언〉

은 미래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과거에 적용된다. su p ers titi o 는 과거 를 목격했던 것 (su p ers t es) 처럼 알도록 해 주는 천리안의 재능이다 . 바 로 이러한 이유로 su p ers titi osus 는 〈견자( 見者 )들〉에게 부여된 〈두시 력〉의 속성 , 죽 임석(목격)하지 않은 사건들의 〈증인 〉 이 되는 속성을 나 타내는것이다. 이 단어는 일반적인 용법에서는 언제나 har i olus 와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이 (마법적인) 〈임석 , 현존〉의 의미를 얻게 된 것은 예언자 들의 언어 내에서였던 것이다. 게다가 이들 단어가 전문적인 의미 작용 울 얻게 된 것도 언제나 이와 같은 특수 어휘 내에서였다 . 우리는 프랑 스어에서 이에 대한 한 가지 예를 단어 vo y an t〈두시력이 있는〉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정상적인 시력을 넘어서 〈두시력이 있는 〉 을 의 미한다 . 이리하여 용어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 죽 su p ers t es 〈일어난 일에 임석했기에(목격했기에) ‘증인’으로 간주될 수 있는 자〉 , sup er sti tio 〈현존의 재능〉, 죽 〈현장에 있었던 것처럼 증거할 수 있는 능력〉, su p ers titi osus 〈과거에 현존했던 것으로 만드는 ‘ 현존의 재능 ’ 이 구비된 자〉이며, 바로 이것이 우리가 풀라우두스에게서 확인할 수 있는 의미이 다. 그러나 그 현대적인 의미를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사실상 이 의미 는 이 단어의 의미사(意味史)의 최후에 출현한다. 방금 기술한 의미 —예언자의 언어에서 분명 생겨났다――로부터 우리에게 친숙한 의 . 미에 이르기까지 그 진화 과정을 추적해 보자 . 로마인들은 예언 행위에 대해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이 예언 행위를 사기 놀음으로 간주했다. 마법사들, 예언자들은- 경멸을 받았고, 게다가 이들이 이방의 나라에서 왔기 때문에 더욱 멸시를 받았다 . su p ers titi o 는 이러한 이유 로 비난받는 행위와 연루되어 불쾌한 색채를 띠게 되었다. 그것은 일찍 부터 쓸데없고, 비천하고, 합리적 정신이 없는 것으로 간주된 사이비 종

교의 관행으로 설명되었다 . 공적인 복점관을 믿는 로마인들은 마법, 예 언, 유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행위에 의지하는 것을 비난했다. 바로 이 시기에 〈경멸받는 종교적 신앙〉이라는 이러한 의미에 근거해서 새로운 형용사가 기저 단어로부터 새로이 파생되었다. 그 형용사가 바로 su p ers titi osus 〈 su p ers titi o 에 빠진〉, 〈 su p ers titi o 에 영향을 받게 된〉이 다 . 바로 여기에서 rel igi o 와 대조해서 su p ers titi o 의 새로운 개념이 생겨 났다 . 그리고 이 새로운 형용사 su p ers titi osus 〈미신을 믿는〉가 생겨났 는데, 이것은 이와 동일한 형 태 구성을 하는 re ligi osus 의 대조어로서 최초의 의미와는 아주 다른 의미를 갖게 된 것이다. 그러나 relig io, 즉 종교적 거리낌, 진정한 의미의 제사를 sup er stit io, 죽 종교의 타락한, 부 패한 형태와 구별한 것은 이성주의적인 로마인들의 철학적이고도 명석 한 시각이었던 것이다. 이리하여 일차적으로 세속적인 신앙 상태를 반영했고, 그 후 이 신앙 에 대한 전통적인 로마인들의 태도를 반영하는 su p ers titi o 의 두 가지 단계적인 의미 가치의 관계가 명확해졌다.

옮긴이 해제 벤베니스트의 이 저서는 몇 가지 점에서 언어학뿐만 아니라 인접과 학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 준다 언어학의 관점에 국한해서 그의 이 연구가 갖는 의의믈 모색해 보자.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이 연구는 어휘 연구 방법론의 새로운 혁 신을 보여 준다. 이는 서너 가지 점에서 그렇다 . 첫째, 의미 재구의 방 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언어학에서 전통적인 재구는 음운 대응을 통한 형태 재구였다. 형태 재구는 일정한 규칙에 의거해 정형화된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의미 재구는 한번도 시도된 적이 없는 문제였다. 그것은 의미의 변화가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아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 의미 재구는 어원을 밝히는 문제 와는 별개의 문제이다 벤베니스트는 이 『 인도 • 유럽 사회의 어휘』를 통해 바로 이 의미 재구의 방법을 실증적으로 증명해 보이고 있다. 그 방법적 기본 원리는 그의 『일반언어학의 제문제 Problemes de ling u isti q u e gen erale I 』 (1966) 에 실린 논문, r 재구의 의미론적 문제』 (24 장)를 참조하라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 “우리가 사용하려는 유일한 원칙은一―이를 인정된 것으로 간주하 자- 언어 형태의 〈의미〉는 그 형태의 용례 (ern p lo i s) 전체에 의해서, 그 분포에 의해서, 그리고 여기에서 유래하는 연결 관계의 제 유형에 의해서 정의된다는 것이다. 서로 다른 의미를 지닌 동일한 형태소의 존 재에 대해서는 이 두 가지 의미로써 그 둘의 단일성(unit e) 이 회복되는 어떤 용례가 있는지 우리는 자문해야 한다. 해답은 미리 주어전 것이

결코 아니다 오칙 이 형태가 잘 나타날 수 있는 문맥 전체에 대한 세 밀한 연구에 의해서만 대답할 수 있다.( 『 일반언어학의 제문제 1 』 , p. 408. 김현권 역) 그런데 이 원리 자체는 전혀 통시적 방법이 아니다 . 용례, 분포, 관계 의 유형 등의 조작 개념은 극히 공시적이며, 구조적인 것이다 . 역사적 자료와 광범위한 이들 자료의 비교를 통해서 관련 의미를 추적하고, 그 들의 상호 관계를 규명하여, 발달의 유형을 확립하면서 의미의 단일성 울 확증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필수적인 조작 개념이 바로 공시적인 것이다. 이는 마치 소쉬르 Saussure 의 『 인도 • 유럽어 원시 모음 체계에 관한 논고 Memoir e sur le sys te m e des voy ell es prim i tifs des lang ue s i ndo-euro p eennes 』 (1886) 의 방법과 흡사하다 . 소쉬르는 이 연구에서 광 범위한 역사적 자료를 동해서 인도 • 유럽어 어근의 형태론적 구성 원 리를 밝히면서 공시적 〈체계 (s y s t erne) 〉의 개념을 이용하였던 것이다 . 벤베니스트는 이 저서에서 인도 • 유럽 사회의 다양한 제도 어휘의 자료 가운데서 선택한 문제의 성질에 따라 동일한 언어의 공시태 내에 서 의미의 제 관계를 확립하는 한편, 고대의 선역사(先歷史)로 거슬러 올라가기 위해서 통시태의 관점에 위치하면서 복잡하고 객관화와 형식 화가 어려운 의미화 과정의 세부적 절차를 확인하고, 그 원리를 추출해 내려고노력하고있다. 둘째로 벤베니스트가 이 저서에서 사용한 제도 어휘의 의미 작용 (sig nifica ti on ) 연구는 기존의 재구 방법과는 정반대가 된다. 비교 연구 는 두 가지 관점에서 행해질 수가 있는데, 회고적 관점과 전망적 관점 이다. 전통적인 비교언어학에서는 현대 또는 후대의 표현형에 기초해서 과거로 소급해 울라가 그 공통 원형을 재구하는 회고적 방안이 전부였 다. 그러나 벤베니스트는 이와 반대 방향으로 전망적 관점을 도입하여 의미의 재구 문제를 추적하였다 . 다시 말해서 기존에 확정된 인도 • 유 럽어 형태와 의미로부터 출발해서 여기에서 파생된 여러 형태와 의미

를, 방언적 분화에 따른 형태와 의미의 분화 경로와 절차, 그리고 이러 한 분화의 결과 생겨난 새로운 형태군과 의미군들 자체를 추적하는- 것 이다 . 이러한 통시언어학의 전망적 관점에 대해서는 소쉬르가 그의 『 일 반언어학 강의 Cours de ling u i s ti q u e g enerale 』 (1916) 의 제 5 부 r 회고 언 어학의 문제 : 결론」에서 언급한 바 있으나 실제로 이러한 방식의 연구 를 실증적으로 제시한 학자는 없었다. 회고적 관점에서는 언어 사항들 의 비교와 역사의 재구가 원자론적으로 될 가능성이 있고, 언어 사항들 의 관계 유형의 구조와 기능을 탐색하지 못한다 . 그것은 비교가 언제나 개별적 사실들의 비교로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 그러나 전망적 관점에 서의 비교와 역사 구성은 자칫 잘못하면 소쉬르가 지적한 대로 ‘단순한 서술 ’ 이 되거나 ‘문헌들의 비판적 고증에 그치기 쉽다. 그러나 벤베니 스트는 이러한 약점을 극복한다 . 이것은 철저히 공시적이면서 구조적일 때에야 비로소 가능하다. 그에 따르면 공통 인도 • 유럽어에서 유래하는 다양한 요소가 개별 언어의 독자적인 구조 내에서 결합되면서 이들 요 소가 각기 다른 방식으로 변형되고, 이들이 한정하는 새로운 ‘대립 체 계 내에서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가치’를 획득한다는 것이다 . 다시 말 해서 어떤 의미가 기존의 가치를 상실하고 새로운 가치롤 획득하면서 그 의마 작용이 변하는 것은 바로 각 언어에 고유한 의미의 구조 내에 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의미 작용의 연구 방식은 다분히 구조 • 기능적이다 . 구조 • 기능적인 통시론은 음운론의 분야에서 —— 그 러나 회고적으로―― 시도된 바 있다 (A Martin e t, 『 음성 변화의 경제성 Economi e des chang em ents p hone tiq ues 』 (1955), A. G. Haud rico urt & A.G . Juil lan d, 『불어 음성 체계의 구조 역사 시론 Essai pou r une his t o i re stru c tu r ale du pho netiq u e fr an~a i s 』 (1949). 또 의미 분야에서는 E. Coseriu , r 구조 의미론을 위하여 Pour une sernanti qu e s tru c tu rale 』 (1962) Tralil i, II, 1 에 의해서 극히 간략한 프로그램으로 제시된 바 있 다. 그러나 벤베니스트처럼 광범위한 체계적 연구는 새로운 것이다.

벤베니스트는 이 책의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밝히고 있다 연구의 출발점은 일반적으로 인도 • 유럽 제어 중 어떤 한 언어에서 풍부한 의미 가치 (valeur) 를 지닌 용어들을 선택하는 것이 다. 그리고 이 언어 자료를 중심으로 형태와 의미의 특성과 실제적인 관계와의 대립을 직접 조사한 후, 유사 형태의 비교를 통해서 이 자료 가 흔히는 심한 변형을 겪지만 정확히 언급되는 문맥을 재구성한다 . 이 와 같은 방식으로 전화로 인해 해체된 전체 사실을 원상으로 복원시켜 숨겨진 구조를 드러내고, 전문적인 용법으로 인해 생긴 상위점을 단일 원리로 귀착시킴과 동시에 이들 언어에서 그 구분 체계가 어떻게 혁신 되는지를 밝혀 보고자 한다.” 바로 이러한 방법적 원리를 그는 인도 • 유럽 사회의 제도, 즉 법, 정치, 종교, 경제, 혼인 제도, 일반 사회 구조 의 기반 등 제 영역에서 나타니는· 핵심적 제도 용어에 적용하여 분석하 고 있다. 이러한 제도 어휘 연구 역시 새로운 것이다 . 전통적인 인도 • 유럽어학에서 어휘 연구는 인도 • 유럽 제어에 공통 으로 나타나는 소수의 기본 공통 어휘(수사, 기본 생활 어휘, 친족 어휘 등)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그는 언어, 사회, 문화의 관계에 관심을 가지 고 언어를 통해 선사의 사회 제도를 복원해 보려고 시도한 것이다. 그 런데 그의 이러한 제도 용어 연구는 인도 • 유럽어 언어 선사고생물학 (linguistic pal eonto l og y) 에서 연구하는 어 휘 와는 그 방법 과 의 미 영 역 이 다르다. 인도 • 유럽어학의 한 영역으로 이른바 언어 선사고생물학은 선사 시기와 역사 시기의 언어와 문화 관계를 연구하는 분야다. 과거에 는 언어 재구 방법을 원용하여 여러 인도 • 유럽 민족들의 특성이나 관 습을 비교하여 공통된 자질을 추출하여 문화를- 재구하려고 하였다. 그 러나 인종지학적인 잔재에만 근거하여 과거 문화를 재구하기는 어려울 뿐더러 신뢰성 또한 떨어진다. 그러므로 이 방법은 인류학적, 인종지학 적, 고고학적 발견에 상당히 의지하였고, 그 근거를 일차적으로 여기에 서찾았다.

또 다른 방법은 방대하게 모은 어휘, 의미 자료를 이용하여 언어 재 구를 통해 재구된 어휘와 의미를 이용하여 인도 • 유럽 사회의 문화를­ 재구하는 것이다 . 벤베니스트의 시도는 과거의 어휘 연구와는 달리 이 러한 방법적 원리를 제시한 새로운 연구로 볼 수 있다. 원시 인도 • 유 럽 사회를 지배한 사회적 기반과 제도의 어휘를 통해서 구전(口傳) 사 회의 특이한 구조를 발굴하고 해석함으로써 고고학, 인류학, 신화학, 사 회 • 경제학, 법학 등에 중요한 시사를 던져 주고 있다. 〈인도 • 유럽어〉, 그리고 〈인도 • 유럽 사회〉의 개념은 언어학적 개념이며, 언어학에 기반 을 두고 있다. 그것은 역사 • 사회 • 문화적 개념이 아니다. 그리하여 벤 베니스트는 언어 자료를 동해서 언어학적 접근 방법으로써 실제적인 문화의 여러 측면에 대한 연구를 확장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볼 때 문화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는 고고학, 인류학과는 구별되는 것이 다 . 이러한 연구의 싹은 A. Meil let, 『역사 언어학과 일반 언어학 Ling uisti q u e his t o r iq u e et Ling ui s ti q u e gen erale 1 』 (1921) 의 이곳 저곳에 서 엿볼 수 있다. 그런데 그의 이러한 제도 어휘 연구는 여러 언어에 나타나는 이 제도 용어들과 그 공통어의 목록을 작성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앞에서 지 적했다시피 이들 용어의 상호 관계를 규명하여, 의미 전화 또는 재구의 방식을 일반화하고, 이를 지배하는 원리를 찾아보려는 데 있다. 그 원리 는 다음과 같이 그가 행한 연구의 세번째 새로운 면모이다. 셋째로 벤베니스트는 전통적으로 의미론에서 논의 대상이 되었던 〈지칭 (des ign a ti on) 〉과 〈의미 작용 (s ignifi ca ti on) 〉과의 관계를 명시적으 로 설정하여, 이 둘을 명백히 분리시켰다 . 다시 말해서 어휘와 그것이 지칭하는 사물의 명칭 사이에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고, 이 둘은 오칙 의미 작용이라는 매개를 통해 중개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원리 를 어휘의 진화 과정을 지배하는 일반적인 법칙으로 제시하고 있다. 언어 선사고생물학에서는 과거처럼 언어 의적인 포착할 수 없는 실

체를 재구하려고 해서는 안 되며, 외적인 사물과 이를 지칭하는 용어 자체를 구별하고, 또 이들 용어를 그 의미 작용 가운데서 연구해야만 이 실체에 대한 정확한 이해에 도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문 제는 이들 용어를 재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의미 작용을- 재구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과거의 어휘 연구는 사물 내지 이 사물을 직접 가리키는 지칭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그 의미에 대한 연구는 도의시하 였다. 그것은 공통된 형태와 여기에서 파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표현형 둘의 의미가 서로 전혀 다른 것으로 판단되고, 또 표현형들 자체의 의 미들도 너무 상이하고 복잡해서 그들의 관계를 연결짓는 것이 거의 불 가능하거나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상상적인 추론에 입각한 것이었다. 이 러한 언어 의적 사물에 의존하거나 그렇지 못한 경우 언어학자 자신의 언어에 기초한 주관적인 해석이나 상황에만 의지하여 의미 관계를 분 석한다는 것은 언어학적인 방법이 아니다. 그리하여 그가 추천하는 방 법은 바로 용례에 대한 엄밀한 분석과 분포에 기초한 의미 관계의 기술 이며,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의적 판단에 기울거나 내적 주관에서 벗어 날 수 있게 해 준다. 그만큼 의미 작용은 포착하기 어렵고 방법적 객관 성을 확보키 어렵다. 바로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벤베니스트는 전통적 인 공시태와 통시태의 이원성을 극복하고 있다. 바로 이것이, 그가 이 연구에서 보여 주는 마지막 기여이다. 그는 광범위한 언어 자료의 비교를 통해서, 통시태를 넘어서 언어의 공시적 구조그자체를탐구한다 __ ‘‘비교와통시적 분석에 의해서 애 초에 지칭 (des ign a ti on) 만 존재하던 곳에서 의미 작용 (s ignifi ca ti on) 을 밝혀 내는 것이 문제이다. 그래서 시간적 차원은 바로 해설적인 차원이 되는 것이다.” 그의 통시태는 공시적 구조 해명을 위한 방법적인 것이 다. 시간과 공간의 무한한 과거와 넓은 영역에 분산되어 나타나는 역사 적인 언어 ‘화석(化石)’에 기초하여, 그 화석이 살아 존재했던 ‘생물학적 환경'을 구성하고 해석하는 작업이 바로 언어 선사고생물학이 아닌가?

그---1i 00-1g후 -히-튀타-디이-아三-트어- 어뤼- 키-L 아--어- - -산베~ 一 g다i: -리:-트- :1- -+인1-二\〔도- -· -이-란- f어 - ------- ----- -+----1-~冒 무핵°-:?- 케-- 도--? ---나 1---|---- --오- -二--1---어-- --~--레---二--그- -二리--[스令 --어-二--- --i- - 0--M-- --

禪 위_어 이-란--어 一

아르카디아어 퀴프로스어 0 閩|스타어 이오니아 · 아티카 어 아이올리 스 어 팔리어프( 증라기크인리도트어어) ` 코이네' 』 .J.C . 중기이란어 서부 동부 북서서부 부 펠남레서바부어 파중기르 타어 중기페르시아어 모----------------- __ 」 _________ __[ __ 「 ::A: (;쿠\치어L)근 」B~1' .'.: __________ , ___________________________ _코탄어 근대 페르I 시아어 1000 --15-0-0 ----------------------1-----------~--------------.. - --------------.. - --------------------------·근대어 (인 근도대 ·인 아도리의안 어언 어 구 페근르대 시01 아란어어, 쿠르 O f르근메대니 0 버 그리근스대어 자라티어, 마라타어 드어 파슈토어 , 오 두펀스자탄비어어,, 벵힌갈디어어, 힌비 세트어 하등)리 어, 싱같라어

인도·유럽어

- 일뤼리아어 이탈리크어 켈트어 게르만어 밭트어 ----------1-----------1------+---------1----------1--------!- - --------------------.. - -------------------.. - ---·, 서부 그. 리스어 、 , 서 그리.스 어 、도 리스어 키 스어 엘리스어 , ' 、 -------------(-일-뤼-리-아-어--)- t 쎄-네- E-IO-IOI- l------::r;;;;:어 - -- .. -------•----------------------.. - -------------------.. _ ___ •明어 _ I I I 오스카어 골움‘어 브 리아어 `I 、 고대노르I웨이어 서부 북부 동부 고트어 고대 아 일랜 드어 ---------------------------+--.. - ---------------t-------•------------1------------------------------.. _ ___ ,, 브리.튼 어 、 게 ~Ol I 고독 [H일 고어 X | 저지 독일어 고대영어 ---------------------------+--.. - ---------... - ---... - ---란만인 l _____ l_---- i --I--l-;二 i----------- .. ___ _증기 스웨덴어 영어 덴마크어 r * ---------------------------.. - -.. - ---------... _ ---- ------ ------ ---- -津-浦-- - ------ ----- -고-대-프-러-시-아-어- 나-- 브르타뉴어 린트어 리和 圓 IOI l | 알아바어니 로제망어 게일어 브뉴르어타 아일랜드어 독일어 프리트슬어 란 영어 아노이르슬웨란 01드 어어 리니 투0 崩아 스웨덴어 라!저지 독일어 ` •덴 □ f크어 퓰네랑덜드란르드어어 스칸디나tl lO 崩 ‘

슬라브어

A1 부』 -남슬­부라­ i紅 고-[ H ­브-어­ · --- - - - 令 -- -- -- 러시아어 『 • 、 ’ 貞 、 | 체나 대러시아어 백러시아어 소러시아어 ---... 플란드어 ---i----+------+----+--+-----+一---- 재 ~i lOI 어 } ] 플;드어 1 러시아어 | 우크 2l01 나어 체코슬로 백러시아어 라트비아어 바키아어 (멜로러서아어) , • 、 새근구구쿠아티아어 불가리아어 슬로베니아어

인간이 살면서 만들어 낸 문화에 대한 이러한 인종지학적 의미론은 인간의 발화 행위와 개념적 공간이 구성하는 우주된을- 밝혀 줄 수도 있 다. 벤베니스트는 고대 구술 사회가 만들어 낸 독특한· 언어 표현 양식 의 분석을 통해 고대 사회에서 인간의 발화 행위가 갖는 사회 • 문화 제 도적 의미를 발견해 내고 있다. 아울러 그의 발화 행위 (enon ci a ti on) 이 론의 기초이자 준거가 된 이 저작의 개별적 연구 곳곳에서 우리는, 그 가 행한 이론의 흔적과 적용, 해석을 수없이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점 에서 그는 다시 랑그와 파롤이라는 전통적 이원성을 극복하고, 총제적 인간 현상으로서 언어가 갖는 다양한 모습을 밝혀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인도 • 유럽 제어들이 최초로 확인된 개략적 연대가 언급되어 있는 앞의 표(죄우 양쪽의 연대적 순서 참조)는 A. Me ill e t와 M. Cohen, 『세 계의 언어 Les Lang ue s du Monde 』 (신판, 1952)(J. Vendry es 작성, 초판 1924, E. Benven i s t e 에 의해 개정) 제 1 장 r 인도 • 유럽 제어」에 의거해서 작성된 것이다 . 언어 지도를 참조하고, 앞의 표와 더 많은 참고문헌을 좀더 자세하게 보완하려면 저서를 참조할 것(표에서 〈트라케어〉와 〈프뤼 기아어〉를 별도로 표시하지 않았다. 이 두 언어는 예전처럼 〈트라코 • 프뤼 기아어〉의 어군으로 더 이상 분류하지 않는다 . 그리고 〈베네티아어〉는 오 랫동안 일뤼리아어로 간주되었으나 사실은 이탈리크어군에 속하며 , 역시 표에 표시하지 않았다 . 또한 〈에트루리아어〉는 히타이트어와 친근 관계일 가능성은 있다. 이 언어도 표시하지 않았다) . 인도 • 유럽어와 비교 방법 A. MEILLET, Les dia le cte s ind o-europ ee ns, Pari s, 1908, ze ed., 1922, 신 판 1950. A. MEILLET, Intr od ucti on a l'etu d e comp ar ati ve des lang ue s ind o- eu rop e ennes, Be ed. Pari s, 1937. A. MEILLET, La meth o de comp ar ati ve en ling u isti q u e his to r iq u e, Oslo et Paris, 1925.

J. POKORNY, Indog e rmanis c hes ety m olog isc hes Wo·rte r buch, Berne, 1949-1959. 0. SCHRADER, A. NEHRING, Reallexik o n der ind og er manis c hen Alt erh 1111sk11nde, 2e ed. pub l. par A. NEHRING, Berlin , 1917- 1929. G. DEVOTO, Or igini ind oeurop ee , Florence, 1963. 인도 • 아리안어 M. MAYRHOFER, Kurzge fa s s te s e ty molo양 ’sches Wo·r te r buch des Alt ind is c hen, Heid e lberg, 1953 et suiv . 01 란어 CHR. BARTHOLOMAE, Altir a nis c hes Wo·r te r buch, Str as bourg, 1904. 그리스어 H. FRISK, Gri ech is c hes ety m olog isch es W6·rte r buch, Heid e lberg, 1 954 et SUlV. 라틴어 A. ERNOUT et A. MEILLET, Dic t io n nair e ety m olog iqu e de la Ian 양 ,e lati ne , 4° ed. 개정 판 Pari s, 1959. J. B. HOFMANN, Late ini s c hes ety m olog isch es W6'r te r buch, Heid e lberg, 1938. 게르만어(고트어) S. FEIST, Vergl ei c h endes Wo·rte r buch der got is c hen Spr a che, 3e ed. Ley de , 1939.

발트어(리투아니아어) E. FRAENKEL, Litau is c hes ehJm olog ich es W6 r te r buch, Heid e lberg, 1955 et suiv . 슬라브어 M. VASMER, Russis c hes ety m olog isch es Wo rter buch, Heid e lberg, 1950 et SUIV. 이 책의 인쇄 중에 출간된 다음 몇몇 저서는 이용할 수 없었다. P. CHANTRAINE, Dic t io n nair e ety mo log iqu e de la lang ue grec q u e, tom e I(A -11), Paris, 1968. L. GERNET, Anth r op olo g ie de la Grece anti qu e, Paris, 1968. G. DUMEZIL, Idees romain e s, Paris, 1969.

기 가 족, 가정 대- 241 ; 244 ; 256 -의 기능작용 364 재한된(소)- 241 사회 단위 301 ; 347 이하 또한〈집〉참조 가축 크고 작은- 47 〈 동산〉으로서 42 이하 ; 53 이하 - 과 사람 54 이하; 343 7 回 원래는 인간 존재에 대해서만 사용 152 이하 7'-J- -:j 1- 로마에서 간구하는 자의 신체적 태도와 관련한 지칭 II, 301 이하 그리스에서의- II, 302 이하 간구하는 자의 신체가 간구의 헌납물이 되면서 〈형벌〉로 확장 II, 303 이하 감사 -와 무보상 234 이하 개인의 정체(신분) 102 이하 또한 〈자아(자기)〉 참조 거래(상거래) 〈직업〉에 대한 지칭 164 이하 -와 돈 200 이하 거짓 서약 gr. epfor kos (거짓말에) 서약을 하는 자 II, 204 이하 II 라는 표시가 없는 아라비아 숫자는 제 1 권의 쪽수임 .

〈전축하다, 집을 짓다〉 동음 어근 아베스타어 〈집〉의 명칭 349 ; 361-2 계산 182 이하 또한 〈산정(평가)〉 참조 계약 교환과 〈우정〉으로서 117 ; 402 이하 고정 형식(관례) 〈법〉의 형식으로서 II, 129 이하 ; II, 134 이하 로마의 서 약을 특칭 짓는- II, 132 이 하 ; II, 209 공동체 시민 상호적 개념, 시민 개념에 선행하는- 392 이하 괴물 〈전조〉 참조 교환 -과증여 75 이하 -과 환대 107 이하 ; 115 이하 ; 117 -과 공적 책무 113 -과 계약 115 이하 -과 거짓말 116 이하 대여-차용 117 ; 219 이하 구매 부의 탈취 99;159 이하 거래와 지불 147 이하 -와 되사기 152 이하 군대 사자(死者)들의 군대, 게르만족의 군대 128 이하 ; 356 이하 권위 왕의-(gr. krafn (f 〈다스리다〉) II, 42 이하 〈존재하게 하는〉 힘으로서, 행정관, aucto r i tas II, 180 이하

귀족 〈양육〉 관습과 관련된 지칭 II, 102 이하 그리스방언 la6s et dlmos 의 다른 기원 II, 110 이하 급료 이 지칭의 종교적 기원 191 노동에 대한 금전적 지 붕 200 이하 기도 II, 293 이하 언어적 특성으로 특정화 II, 184 이하 ; II, 293 이하 보상의 요구 II, 295 이 하 기적 〈전조〉 참조 길드 82 이하 〈길들이다〉 〈집〉의 아베스타어 동음어 어근 350 ; 361 L 나라 이란어에서 〈사람〉의 파생어를 지칭 375 이하 나무 또는 〈단단한〉의 의미로 〈목재〉 124 이하 남성(수컷) 23 이하 남편 288 이하 〈주인〉으로서 102 노예 부정적 개념 415 전쟁 포로로서 416 이하 차용에 의한 지칭 417 이하 와 자유인 377 이하 ; 380 ; 384

농부 이란의 - 338 이하 E: 대여 -와 차용: 대칭 지칭 223 이하 교환으로서 117 ; 220 이하 남겨 놓은 것으로서 221 이하 ; 230 이하 은총으로서 231 이하 이자가 있는- 226 이하 도 'l 새로운 단위 365 그리스와 로마의 반대 지칭의 출발점 429 돈 53 이하 〈상거래〉의 수단으로 199 이하 고트어 명칭의 복잡성 224 이하 동료 측근들로 구성된 집단의 일원 386 이하 ; 389 이하 돼지 어린/자란一 29 이하 기르는 (사육) 지역 39 이하 〈들판〉 〈밖〉의 지칭을 제공 370 이하 떡갈나무 122 이하 E! 라틴어 제도 선사의 귀중한 증거 315

-와 게르만어 69 이하 캘 트 와 인도 • 이란어 203 II, 11 이하 ; II, 34 그리 스 어와의 차이 367 D 마 술 적 힘 II, 70 이하 마 을,부 락 〈 종족〉 명칭의 새로운 의미 363 마음(심장) 203 ; 210 이하 말하다 법규 를 〈 보이다〉 i.-e . deik - I I, 127 이하 권위 를 가지고 말하다 lat. censeo II, 173 이하 lat. aio II, 316 이하 -와 행하다 II, 134 이하 ; II, 184 이하 ; II, 292 ; II, 293 이하 또한 〈발화〉(말) 참조 머리 II, 43 ; 52 명예 일시적 명예의 몫 gr. ger as II, 53 이하 ; II, 85 영원한 왕의 위엄 gr. tim i II, 62 이하 ; II, 85 목재(나무) 〈나무〉 참조 무리(때) 47 무상 234 이하 〈문〉 〈밖〉의 명칭을 제공 366 이하 미신 II, 329 이하 〈귀신〉에 대한 두려움 II, 329 이하 거짓말로 간주되는 , 보이지 않는 것을 본다고 말하는 것, lat. sup er sti tio II, 330 이하

후기 형태로서 rel igi o 와 대귀적 쌍 II, 336 이하 믿음,신용 lat. fi des 의 의미 136 이하 닌 발화 비인칭 발화, 신의 법의 형식 i.e. *b iz꾼 II, 162 이하 〈허락 받은〉 발화 lat. censeo II, 173 이하 기도의 특성, 물질적 요구와 반대되는- *pre x II, 184 이하 로마에서, 서약의 맹세를 들어 중 209 로마의 서원에서 본질적인 II, 283 그리스에서의 서원 IT, 283 이하 전조를 구성하는 하늘의 목소리 II, 314 이하 백성 〈성장〉으로서 지칭 378 이하 사회 집단의 완전한 발달로서 425 이하 일정한 영토의 거주민으로서 108 이하 우두머리- 왕에게 속한 남자의 공동체 II, 109 이하 법

인도 • 유럽어에서 지칭되지 않은- II, 119 관례의 집체로서 II, 132 ; II, 157 이하 〈정의〉로서 II, 158 이하 가족법/가족들간의 법 II, 122 이하 〈발화〉로서 신의 법 II, 163 이하 또한 〈고정 형식(관례)〉, 〈법률〉, 〈척도〉, 〈질서〉, 〈발화〉 참조 법률 신에게서 기원하는 II, 123 가족법을 구성하는 〈제정〉으로서 II, 122 이하 보다

심판하기 위해 보이지 않은 채 II, 145 이하 그리스에서 서약의 목격자 II, 208 이하 또한 〈중재자〉, 〈증인〉 참조 보여주다 발화로써〈말하다〉참조 부 동산/부동산 42 이하 개인적 동산 53 이하; 69 이하 부인(아내) 282 ; 284 이하 ; 290 이하 〈집〉을 다스리논 여자 360 〈귀한〉존재로서 384 부족 300 이하, 375 이하 부채 보상으로서 214 괄목할 만한 고트어 지칭 224 비교 인도·유럽 제어의- 6 이하 의미 작용의 〈재구〉 방법 II, 152 이하 뿌리 〈성장〉 참조 人 사고 〈산정〉, 〈지적 판단〉, 〈척도〉 참조 〈사람〉(남자) 파생에 의해 〈나라〉의 이란 명칭을 생성 376 수많은 종족들을 낳은- 435 〈지상의〉 의미로 인도 • 유럽어에서 지칭 -과가축 54 이하

또한〈신〉참조 사람들에게 대한 대우 152 이하 사인(시민) 〈자신의 사람〉에 귀속된 자로서 지칭 385 이하 사제 브라흐만과 아트호라반 328 이하 사촌 275 또는 조카? 303 이하 교차 사촌 ; 〈혼인〉 참조 A} 회 서부 인도 • 유럽어의 명칭 II, 1 1 그 이의의 지역에서 〈왕국〉으로 지칭 II, 11 또한〈백성〉참조 사회의 구분 345 이란에 보존된- 346 인도에서 변형 346 그리스에서 변형 347 ; 359 이하 ; 373 이하 로마에서 변형 347 ; 359 이 하 한 용어에서 다른 용어로 전이, 물질적 의미로 변화 360 이하 전쟁에서 그대로 유지된- 373 이하 산정(평가) 계산에 의한 177 이하 중재자의- II, 146 이하 삼분 사회 기능의- 327 이하 사회적 영역을 넘는- 341 이하 인도와 이란에 업밀히 보존된- 327 이하; II, 35 그리스 영역에서의 흔적 340 이하 움브리아 영역에서의 흔적 342 이하 AJ 호A J

*mei- 1 13 이하 lat. fides 140 이하 *kr ed-2 05 이 하 혼인에 의한 친족 관계 어휘의 부재 224 이하 서약 공통된 인도 • 유럽어 지칭이 없다 II, 195 공여의 의무 양식으로 흔히 지칭 II, 196 이하 로마에서 〈표명해야 할 고정 형식〉 II, 132 이하 〈 잡아야 하는〉 신성화된 대상 II, 197 이하 신명 재판으로서 헌신 II, 137-8 예기된- II, 196 〈헌신〉으로서 II, 137 ; II, 202 이하 ; II, 206 이하 또한 〈위증〉 , 〈서원〉 참조 서약, 맹세하다 〈서약〉 참조 서원(맹세) II, 279 이하 〈희생 제사〉의 형태 II, 269 이하 〈바람〉과 〈약속〉의 모호한 개념 II, 280 이하 로마에서 〈헌신〉 II, 283 기도, 약속 , 허풍 gr. eukhesth a i II, 285 신주 헌납과 서약과 관련 II, 292 또한 〈발화〉, 〈서약〉 참조 성장 〈백성〉의 지칭 379 이하 〈자유로운〉에 대한 용어 380 이하; 384 〈어린아이〉의 지칭 381 이하 세속적 〈신에 의해 인간에게 허용된〉 gr. h osio s II, 238 이하 소액의 모은 돈 58 ; 61 이하 손六}

〈조카〉와 구별되지 않는 272 이하 지칭의 혁신 274 이하 ; 312 이하 수돼지 26 이하 숙모 270 시( 詩 ) 존재하게 하다 II, 50 시누이 , 동서 남편의 자매 294 형제들의 아내들 관계 294 시민 〈공동체 시민〉, 〈사인(私人)〉 참조 시숙 남편의 형제 294 시아버지 남편의 아버지 292 이하 ; 296 이하 ; 388 의붓 아버지 303 ; 308 시어머니 남편의 어머니 292 이하 ; 388 이하 의붓 어머니(계모) 303 ; 308 이하 신 인도 • 유럽어에서 〈빛나는, 천상의〉로 지칭 II, 214 또한〈사람〉참조 신뢰 〈믿음〉, 〈신용〉, 〈충성〉 참조 신명재판 〈서약〉 참조 신성 II, 213 이하 이중적 표현에 반영된 이 개념의 이중성 II, 219 이하 ; II, 248 이란어에서 생생한 활력과 의례적 순결 II, 214 이하 ; 248 게르만어에서 신체적 완전함과 신에게 바침 II, 219

라틴어에서 신의 현존과 인간에게 금지된 것 II, 223 이하 그리스어에서도 동일한 의미 II, 229 이하; 237 이하 〈세속적〉, 〈회생제사〉 참조 신용 -과 믿음 202 이하 신주헌납 안전 보장의 헌납 gr. spo n di II, 250 이하 로마의 제사 의식에 남아 있는 기능 lat. (re-)spo n deo II, 257 이하 액체의 방울들을 헌납 gr. loih e II, 259 이하 액체의 헌납에 의한 제사 i.e. ghe u-I I, 267 이하 심문관 활동의 비언어적 측면을 강조하는 명칭 II, 184 이하 〈발화〉, 〈기도〉 참조 씨족 고대 용어의 물질적 의미로서의 변화 363 。 아들 지칭의 다양성 244 ; 277 이하 〈새싹〉으로 지칭 278 집의- 359 아버지 246 이하 이중적 지칭 246 사회적, 비신체적 지칭 247 이하 파생에서 확인된 개념들의 진화 315 · 하 양육하는- 249 ; II, 106 이하 안-밖 〈천구〉, 〈들판〉, 〈자기집〉, 〈적〉, 〈노예〉, 〈이방인〉, 〈문〉 참조 암컷 25 ; 254

애정(감정) 사회가치를 지닌 용어가 표현하는- 383-4 ; 404 이하 양( 羊 ) 42 이하 69 어머니 이중적 지칭 251 〈아버지〉와 동일한 유형의 파생어를 보이지 않는 315 이하 여왕 25 여자, 부인 25 ; 254 고대의 선호 흔적 257 이하 영광 gr. k leos ; kados 는 아니다 . II, 70 이하 예언 존재하게 하다 II, 51 왕 인도·유럽어 지역의 양극에 보존된 지칭 * r 존g- II, 11 이하 ; II, 29 이 어근의 의미 작용 II, 13 이하 게르만어 에서 〈귀족〉을 지칭 II, 103 이란에서 〈왕권〉의 지칭 x$'ay -I I, 20 이하 왕중왕 II, 22 마술적 힘에 의해 도움을 받는- II, 26 이하 그리스어에서 고대의 이중적 지칭 II, 28 이하 권력의 소지자로서 wt fna ks II, 29 이하 번영의 보증인으로서 basile u s II, 32 이하 왕홀, 헬라적인 표지 II, 36 이하 왕과 그 백성 II, 108 이하 왕의 〈권위〉 〈권위〉 참조 왕의표지 〈명예〉 참조

외삼촌 242 이하 -과 할아버지 262 이하 지칭의 혁신 270 이하 ; 303 ; 307 파생이 보여 주는 중요성 321 의혼제 262 이하 ; 388 이하 또한〈혼인〉참조 우久j 전우로서 느끼는_ 127 이하 또한〈천우〉참조 위세에 의한 소비 87 아하 ; 110 희생 제사의 의미 가치 II, 272 이하 〈손실〉의 개념으로서 II, 275 이하 또한 〈희생 제사〉 참조 88 이하 유산 96 이하 은총 무상 개념의 기원 234 이하 음식물에 의한 공동체 (회식) 86 의미 작용 8 ; 127 또한〈지칭〉참조 의미 혼효 동음 어근의 파생어 사이에 일어난― *dem-〈 짓다〉 349 ; 362 gr. krate r6 s 〈우세한〉, 〈단단한〉 II, 94 이하 이방인, 이국인 반드시 적인- 422 나의 손님이 될 수 있는- 107 이하 나의 노예가 될 수 있는- 415 이하 차용에 의한 지칭 426 또한 〈들판〉, 〈문〉 참조 이슬

풍요한 액 24 이하 이자(돈의 산물) 221 이하 인도·유럽어 5 일 171 임대차 이중적인 라틴어 지칭 182 이하 게르만어에서 〈땅에 묻기〉와 관련 188 이하 입맞춤 397 이하 상호 감사의 표시로서 402 大 자기집에 351 이하 ; 366 〈자드루가〉 256 자매 집단의 여성적 존재 253 이하 외혼제의 다른 절반 성원 388 〈형제〉 명칭에 따른 새로운 지칭 252 이하 자아 〈간 자아〉와 분리 불가 390 이하 자유(인) 〈성장〉에 속한 자로서 379 이하 〈천우〉의 소집단에 귀속 384 이하 장인(匠人) 이란의- 339 그리스의- 341 이하 재판관 법규를 〈발화하는〉 자로서 II, 128 이하; II, 1 58 법규의 수호자 II, 131 중재자 II, 143 이하

- 은 이방인이고, 이방인은 적 107 이하 ; 422 전사 인도와 이란의 335 이하 전 조 라틴어 어휘의 풍부성과 혼란 II, 306 이하 진실의 신호 II, 307 초자연적 경고 II, 307 미래의 계시에 대한 광경 II, 309 이하 하늘의 목소리 II, 315 이하 접미사 *-n o-5 8 ; 107 ; 128 이하 ; 355 이하 친족 명칭 *-(t)e r 250 ; 298 이하 친족 명칭에 근거한 파생 307 이하 정의 〈법〉에 비해 이차적 II, 131 ; II, 158 이하 제도 7 조카 242 이하 ; 272 이하 또는 사촌 303 이하 -와 질녀 , 그리스어의 새로운 지칭 314 종교 II, 318 이하 드문 후기의 지칭둘 II, 318 이하 이오니아어에서 〈준수〉로 지칭 II, 319 이하 재귀적 종합 lat. relig io II, 320 이 하 기독교 시대에 〈의무〉로 재해석 II, 328 그 후에 su p ers titi o 와 대 립 II, 336 이 하 종축 23 이하 주다 파 취하다 93 이하 몫을 할당하다 94 ; 115

혼인할 딸 281 이하 주인 사회 집단의 최고 대표자 102 이하 집의- 353 이하 중재자 재판관으로서 보이지 않는 증인 II, 145 이하 증여 -와 교환 75 이하 증인 중재자 역할을 하는 보이지 않는 제 3 자 II, 145 이하 서약의 증인 신들 ; 그리스 : 시각적, 로마 : 청각적 II, 208 이하 사건 저 너머의 증인 lat. sup er ste s II, 334 이하 지적 판단 이 지칭의 전문 기술적 의미 기원 177 이하 II, 146 이하 지칭 8 ;127 또한 〈의미 작용〉 참조 질서 인도 • 유럽어에서 핵심 개념이나 법적 개념울 특정화하지 않음 II, 120 이 굴} 집 소사회 집단 347 이하 ; 393 〈밖〉과 대립된 〈안〉의 의미 351 이하 ; 354 ; 366 이하 또한 〈가족〉(가정) 참조 칭조 〈전조〉 참조 云 云냄 -과 대여, 대칭적 지칭 223 이하

교환으로서 117 ; 219 이 하 척도 강제적 규율로서 II, 148 이하 오스카어, 아일랜드어에서 법의 지칭을 제공 II, 148 이하 라틴어와 아일랜드어에서 의학의- II, 149 이하 아일랜드어와 그리스어에서 동치의- II, 149 이하 그리스어, 라틴어, 아르메니아어, 고트어에서 II, 149 이하 충성 120 이하 단호함으로서 122 이하 우두머리에 대한- 131 이하 신뢰로서 135 이하 취하다 제스처로 94 ; 97 이하 자기 몫을받다 95 이하 사다 99 천삼촌 271 이하 ; 303 ; 307 천우(친구) 〈자유인〉의 소집단에 속한 자 382 이하 〈공동체 시민〉의 집단에 속한- 392 이하 사회적 개념으로서 : horn, ph1 1os 394 이하 의혼제 구성원의 절반(?) : skr, arf 3 12 이하 친족의-(명칭 목록) 놀랄 만한 안정성 322 인도 • 유럽어에서 복잡한 문제 241 불균형 246 이하 ; 255 이하 ; 270 ; 315 분류학적 317 ; 251 이하 기술적 251 이하 동질적/이질적 층위 306 특정 친족 체계의 축소 불가능성 309 이하 ; 313 이하 혼인에 의한- 〈혼인〉 참조

형태론, 어원 251 ; 254 ; 291 이하 ; 298 이하 파생 255 이하; 303 이하; 312 이하 구 쿠리아 301 이하 立 판매 〈희생제사〉로서 154 이하 양도로서 156 이하 -와 구매 157 이하 포족 300 ; 373 이하 또한〈형제〉참조 〈포틀라치〉 〈위세에 의한 소비〉 참조 E 하인,하녀 〈집〉에 종속된 자들로서 359 ; 362 한자동맹 91 이하 할아버지 245 -와 외삼촌 262 이하 그리스어 기술적 용어 314 합법적 어린이(적자) 〈자유〉 존재로서 지칭 381 이하 행위 계급 〈농부〉, 〈장인〉, 〈전사〉, 〈사제〉, 〈삼분(三分)〉 참조

〈 헌신〉 209 이하 ; II, 142 ; II, 200 이하 ; II, 206 이하 또한 〈 서약 〉 , 〈 맹세〉 참조 혈 통관계 부 계의- 241 모계의- 242 ; 255 이하 혼합 243 ;32 2 형벌 〈 간구〉참조 형제 씨족의 일원 253 이하 그리스어 명칭의 혁신 253 ; 259 이하 피를 나눈- 253 ; 256 이하 혼인 인도 • 유럽어에서 지칭되지 않는- 280 남자와 여자의 혼인에 대한 비대칭적 표현 280 이하 교차 사촌의- 243 ; 266 이하 ; 296 이하 제우스와 헤라의- 257 이하 혼인(혼족) 287 이하 여자의- 243 이하 남자의- 392 이하 ; 243 이하 홀 사자(使者)의 지팡이에서 파생된, 헬라의 왕의 표지 II, 36 이하 환대 81 ;101 이하 -와 교환 110 이하 ; 116 이하 -와 〈우정〉 : horn. ph1 1os 394 이하 희생제사 II, 267 이하 인간과 신의 의사소통 행위 II, 220 ; II, 267 신주헌납 i.e. *gh eu-I I, 267 이하 신의 찬양으로서 〈영광을 돌림〉 II, 268 이하 소비하는 식사, 〈희생되는〉 부 II, 270 이하

정결 의식으로서 훈증 II, 275 이하 〈정화의식〉, 빛의 의식 II, 277 이하 판매의 형태 153 이하 또한 〈위세에 의한 소비〉, 〈신주헌납〉 , 〈신성〉, 〈서원〉 참조 힘

영혼의- gr. alki II, 87 이하 지 배의 -g r. k rato s -과 폭력 gr. krate ro s II, 91 이 하 마술적- (〈마술적 힘〉 참조) 존재하게 하는- *aug -I I, 170 이하 흘러넘치는, 풍부한- 이란에서 〈신성〉의 지칭을 제공 11, 214 이하

그리스어 고르튀네의 법률 r 그리스 비문집 』 뤼시아스 소포클레스 r 오이디푸스 왕』 r 트라키스의 여자들』 스트라본 여리서』 0} 르킬로코스 아리스토텔레스 『 정치학』 아이스퀼로스 『아가멤논』 『에우메니데스』 『프로메데우스』

VI Vlll II2, 1072 I1 라 1629 169, 38 28 86 766 383 I, 265, Deih l I, 3, 2 I, 1259 302, 55 369 54 211 592

II, 256 s. 282 342 II, 39 s. 48 II, 39 II, 167 125 339 II, 203 280 II, 35 II, 39 II, 47 II, 261 II, 48 II, 48

II 라는 표시가 없는 아라비아 숫자는 제 1 권의 쪽수입.

r7 장수』 r 탄원하는 여인들』 아이스키네스 r 크세티폰에 대한 반론』 아폴로니오스데 로데스 유리피데스 r 이온 』 『오레스테 010} 』 이소크라테스 크세노폰 『 아나바시스 』 『퀴루파이데이아』 r 라케다이몬인들의 공화국 』 뒤퀴디데스 파우사니아스 풀라톤 『 공화국』

911 753 943 63 IV, 1454 1579 s. 1688 VII, 66 VII, 3 X, 10 I, 4, 27 II, 3 I, 13 II, 15 97 IV, 118 IX, 40, 11 411 b

II, 48 II, 244 II, 48 II, 256 II, 261 340 II, 255 II, 238 111 111 403 98 II, 58 429 111 320 II, 37 II, 262

r 크 리 티아 스 』 플루 타르코 스 『 솔론 』 핀 다로 스 머 스트 미아 축가 』 헤己 FE 人

339 23 I, 2 VI, 9 I, 6 1 92 134 153 17 2 173 II, 1 18 37 64 65 79 136 180 III, 31 39 97 153 IV, 80 127 147

340 169 II, 254 81 320 403 II, 205 320 242 320 II, 320 II, 320 II, 320 II, 3 20 320 320 81 320 111 78 II, 1 67 271 320 274

헤시오도스 『 신통기』 『노동과 날들』

154 187 V, 66 VI, 56 ss. 62 86 89 VII, 54 148 192 197 200 185 231 s. 297 322 400 480 784 ss. 830 864 876 1013 147 194 201 219

II, 205 II, 255 340 II, 58 II, 205 II, 205 81 II, 253 II, 256 II, 255 II, 111 361 II, 97 II, 202 II, 97 II, 97 II, 201 II, 105 II, 201 II, 171 II, 97 II, 90 II, 97 II, 97 II, 203 II, 90 II, 168

r 방 패』 호 메로 스 r 일리아스 』

282 356 662 763 s. 804 98 101 390 1, 15 20 s. 21 41 79 91 99 118 ss. 159 174 ss. 239 279 280 288 317 355 s. 450 ss. 502 ss.

II, 204 77 II, 1 71 II, 167 II, 202 II, 97 II, 97 II, 2 62 II, 298 II, 247 II, 2 43 II, 44 II, 9 4 II, 2 87 151 II, 54 이하 195 ; II, 64 ; II, 81 II, 64 II, 2 01 II, 74 II, 94 II, 94 II, 303 II, 56 II, 286 II, 298

504 509 2, 46 72 s. 79 138 171 197 204 ss. 261 340 341 362 s. 384 410 ss. 419 515 661 ss. 721 3, 4 94 163 207 22B 275 ss. 276 279 373 4, 21 95

II, 44 II, 93 319 II, 124 II, 155 II, 48 II, 303 II, 65 133, 134 409 II, 156 II, 2 52 374 II, 155 II, 286 II, 44 II, 95 271 II, 96 II, 171 401 II, 186 400 259 II, 68 II, 155 II, 203 II, 80 II, 156 II, 78

101 159 245 264 282 303 ss. 323 415 418 5, 3 33 64 125 175 225 260 285 386 448 499 508 553 666 718 827 ss. 872 6, 15 120-2 3 6 125 192 ss.

II, 285 II, 252 II, 88 II, 288 II, 98 II, 303 II, 59 II, 81 II, 155 II, 81 II, 75 II, 170 320 II, 94 II, 7 4 II, 76 II, 291 II, 96 II, 82 II, 232 II, 44 195 124 II, 155 II, 243 II, 96 400 115 49 242

193 231 302 ss. 387 446 458 463 7, 130 202 271 278 417 478 481 8, 17 41 66 140 140 ss. 192 216 237 9, 27 39 63 s. 97 100 55. 146- 7 155 s. 254

II, 65 319 II, 287 II, 93 195 II, 96 418 410 II, 155 411 II, 156 401 II, 156 II, 265 II, 95 II, 97 II, 233 II, 90 II, 74 II, 303 II, 74 II, 75 II, 88 II, 87 374 II, 126 II, 45 404 79 II, 93

303 334 397 422 485 ss. 500 500 ss. 525 553 610 10, 69 207 213 252 304 307 11, 114 175 192 207 215 249 257 319 753 12, 214 221 255 310 310 ss.

II, 78 II, 56 404 II, 59 II, 106 II, 263 II, 297 II, 303 II, 298 411 II, 82 II, 166 78 49 193 II, 79 II, 96 II, 96 II, 76 ; II, 92 II, 76 II, 98 II, 96 259 II, 93 II, 93 II, 93 408 II, 82 II, 65 II, 5 8

311 371 407 437 13, 18 48 145 348 358 481 ss. 486 676 711 743 14, 73 118 261 271 365 15, 36 ss. 39 189 216 327 488 ss. 490 545 ss. 593 ss. 595 s. 644

II, 58 259 II, 79 II, 75 48 II, 89 II, 98 II, 82 II, 96 II, 91 92 II, 81 II, 303 II, 93 II, 82 314 II, 4 3 II, 199 II, 79 II, 200 II, 232 II, 64 II, 93 II, 83 II, 75 II, 90 159 II, 76 II, 82 II, 77

16, 54 54 55, 82 84 ss. 100 227 233 241 387 394 407 408 517 523 524 658 717 796 ss. 17, 42 177 205 286 s. 321 453 464 543 561 ss. 623 18, 27 114

49 II, 94 408 II, 79 II, 232 II, 252 II, 31 II, 74 II, 124 II, 98 II, 234 368 II, 96 II, 96 II, 92 II, 232 271 II, 124 II, 89 II, 90 II, 92 II, 79 II, 80 II, 76 II, 232 II, 96 II, 92 II, 93 411 409

157 s. 165 234 293 457 497-501 504 593 19, 209 258 s. 305-307 20, 121 178 ss. 180 s. 256 391 502 21, 65 79 315 446 543 573 s. 596 22, 18 57 58 160 207

II, 89 II, 80 II, 155 II, 78 ; II, 79 II, 303 II, 129 II, 209 ; TI, 288 II, 232 154 409 II, 207 410 II, 92 II, 56 II, 65 II, 89 319 II, 79 II, 304 153 II, 94 193 II, 79 II, 90 II, 79 II, 79 II, 77 409 195 II, 79

『일리아스에 대한 주석』 던표 1 세이아』

217 281-266 393 23, 47 400 ss. 550 608 s. 720 890 24, 2 60 68 109 55. 212 287 752 11, 86 에 대한 1, 2 5 60 70 82 114 310 341 394 2, 38

II, 80 402 II, 80 II, 303 II, 74 46 II, 298 II, 99 49 II, 155 II, 104 407 II, 77 II, 95 II, 252 II, 279 ss. 158 125 II, 232 194 412 II, 94 412 412 412 412 II, 32 II, 156

75 202 254 3, 43 ss. 57 278 333 334 4, 29 65 s. 270 275 293 335 475 481 538 5, 135 169 410 445 ss. 462 6, 121 167 208 273 s. 7, 10 s. 107 273 8, 208

50 II, 48 319 II, 254 II, 84 II, 234 II, 254 II, 253 400 II, 57 413 II, 84 413 II, 96 413 413 413 400 II, 47 368 II, 304 410 400 124 78 II, 166 II, 57 II, 262 II, 171 400

277 390 421 545 581 ss. 9, 20 106- 11 5 200 222 266 ss. 267 ss. 310 349 626 10, 275 526 11, 110 174 s. 218 288 350 SS, 353 373 485 12, 136 137 331 363 13, 41 244

408 II, 47 II, 234 407 II, 186 II, 303 II, 125 II, 243 27 80 II, 304 II, 46 II, 266 II, 4 6 II, 233 IT, 280 II, 156 II, 57 II, 1 31 45 80 II, 94 II, 171 II, 94 319 II, 156 410 II, 253 407 II, 1 71

372 14, 53 ss. 300 438 15, 453 16, 265 423 17, 250 18, 106 151 323 358 ss. 421 425 19, 110 ss. 161 401 410 547 564 20, 100 ss. 115 194 211 383 21, 55 258 s. 280 353 22, 184

II, 233 II, 125 II, 156 II, 82 153 II, 94 II, 238 153 134 II, 253 II, 104 193 408 II, 254 II, 32 II, 84 411 319 II, 48 II, 48 II, 167 II, 44 II, 30 II, 171 153 411 II, 244 II, 91 II, 94 II, 61

r 호메로스의 찬가』 『아프로디테에게 바치는』 『아폴론에게 바치는」 『데메데르에게 바치는J 『헤르메스에게 바치는』

226 231 S. 253 412 24, 81 334 222 237 211 259 122 128 s. 130 167 172 173 274 383 427 469 470 529 559 561

II, 89 II, 89 II, 84 II, 238 TI, 233 314 II, 52 II, 241 II, 241 II, 200 II, 59 II, 59 II, 239 II, 241 II, 66 II, 240 II, 204 II, 204 II, 49 II, 241 II, 66 II, 51 II, 50 II, 51

고트어(그리고 그리스어) 『마태복음』 『 마가복음 』 r 누가복음』 『요한복음』 『 로마서』

V, 42 VI, 1 XII, 14 XIV, 11 14 XV, 16 43 II, 25 38 VI, 17 32-34 34-35 VII, 41 X, 21 XIV, 12 14 XIX, 8 12-26 XX, 9 22 XVIII, 3 12 VI, 23 VII, 6

230 196 84 65 393 91 142 141 142 91 197 230 225 188 84 84 84 226 이하 188 84 91 91 196 84

『고린도전서』 『고린도후서』 F 갈라디아서』 『디모데후서.!I 라틴어 가 01 우스 『법률요강』 니기디우스 피굴루스 아울루스겔리우스의 책 『디게스타』 루크레티우스 마수리우스사비누스 아울무스겔리우스의 책 마크로비우스

IX, 24 XIII, 7 XII, 11 II, 3 14 IV, 6 III, 2 4, 28 IV, 9, 11 I, 8, 8-9 V, 80 322 923 1229 IV, 9

197 142 142 142 142 247 197 II, 272 II, 327 II, 225 II, 181 II, 181 140 II, 189 n, 326

r 사두르날리아』 세르위우스 r 아이네이아스 주해』 r12 동판법 』 아울루스겔리우스 r 아티카의 밤』 악키우스 『아스티야낙스』 오위디우스 F 제사력』 와로 『라틴어론』

I, 16 III, 339 366 II, 24 IV, 4, 2 4, 9 5 Rib III, 761 V, 169 175 177 180 181 VI, 52

II, 163 II, 334 II, 307 108 168 II, 136 II, 146 II, 139 II, 257 II, 326 II, 324 II, 263 62 62 62 62 62 II, 165

r 시골 일 』 웨르길리우스 「 지리서』 유스티아누스 카 °l 사르 r 갈리아 전기 』 7} 토 『 농경론』 키케로 『 아티쿠스에게 보내는 편지』 『 발부스 변론 』 r 신에 대하여』 r 무레나를 위한 변론J 『 신성론 』

60 65 70 VIII,77 I, 2 4, 3 II, 1 III, 17 I, 6 0 43, 3 I, 4, 2 132 141 V, 18, 1 24, 55 I, 4 6 12

62 62 62 II, 229 109 34 ; 36 II, 228 141 II, 37 184 II, 312 33 ; II, 188 II, 311 II, 325 II, 308 II, 334

타키두스 『 게르마니 0~ 』 『 역사 』 테렌티우스 『 두 형제 』 『 안드로스의 처녀 』 『 내시 』 『 자학자 』 『 포르미오 』 티무스리위우스

II, 4, 10 28, 72 7, 1 13-14 16 20 20, 5 21 22 24 26 43 I, 3 7 III, 56 482 941 197 138 856 I, 2 4, 7

II, 325 II, 322 II, 103 92 ; 129 , 133 189 97 270 86 85 156 230 132 II, 1 41 II, 310 II, 192 II, 324 139 II, 301 II, 264 II, 2 08

페스두스 풀라우두스 『암피두리우』

31 32, 11-12 44 II, 1, 9 58, 5 V, 34 V, 50 52 VII, 5 VIII,10,11 IX, 29, 10 XXI, 1, 4 XXIII, 35, 13 XXVI, 41, 18 XXVII, 23 23, 2 XXIX, 27 XXX, 32, 9 XXXI, 7 59, 21 103, 13 247, 19 p. 285, M. p. 278 M. p. 309 M. 322 555

II, 316 II, 175 II, 277 II, 141 317 232 II, 315 II, 315 II, 141 II, 284 II, 325 IT, 141 425 II, 312 II, 299 II, 325 II, 181 II, 312 II, 312 II, 271 II, 296 II, 185 II, 325 II, 326 II, 299 II, 335 137

r 아르테모네 』 ( 페스투 스의 책) r 아시나리아 』 r 아울루라리아 』 r 바키스 자매 』 r 포로 들』 『 카시나 』 r 쿠르 쿨 리오 』 『 에피디쿠스 』 『 메나에크미 형 제』 『 거래상 』

394, 37 377 479 s. 607 133 20 219 897 898 S, 982 988 1013 817 s. 350 397 522 s. 788 105 286 439

II, 334 108 283 II, 14 5 II, 309 64 II, 144 88 II, 257 64 64 64 II, 333 II, 324 II, 335 II, 1 36 II, 309 113 167 II, 310

r 군인들 』 『 포에눌루 스』 r 소 카르타고인 』 r 낯줄』 『 3 누무스의 남자 』 풀 리니우스 r 트라야누스의 찬가 』 호라티우스 『 풍자시 』

991 1005 158 699 1137 489 858 265 289 467 1139 1331 ss. 829 844 1157 1162 64 II, 6, 1

II, 301 II, 144 II, 144 II, 273 II, 145 II, 298 167 II, 311 II, 3 09 137 II, 335 II, 139 II, 274 187 II, 257 II, 257 II, 140 II, 2 82

움브리아어 r 이구위나이 청동판 』 산스크리트어 r 리그 베다 』 r 사타파타하 브라흐마나』

83, 4 I, 4 3, 6 104, 6 108, 6 114, 2 119, 5 II, 12, 5 Ill, 6 2, 14 V, 61, 5 VI, 2 6, 6 VII, 32, 14 VIII, 2, 42 5, 3 48, 7 77, 8 X, 18, 8 28, 1 39, 5 40, 9 147, 1

36 55 342 425 54 284 206 208 II, 134 284 207 54 54 209 208 284 II, 282 II, 230 284 284 435 208 284 207

01 란어 a. 아베스타어 『 아베스타경 』 『 Ul 데브다트 』 『 o t스나 』 r 。t슈트』 b. 고대 페르시아어 다리우스 왕의 비문

VI, 2, 1, 2 8, 107 14, 15 44, 18 46, 2 54, 1 13, 90

54 214 284 192 55 284 II, 282 II, 176 이하

인도·유럽어 *ai- 114 *anna 250 •ar- II 121 *att a 247 •awos 265, 314 *b 固- II 169 •bhedh- II 296 •bheid h - 136 •bher- 9 •bheug h- 160 •bhrate r - 251, 299 •bhu- 302 •da iw er- 294, 300 •deik - II 18, II 127 •deiw os II 214 *de/o1ll- 349 •dem(a)-/dma 349, 352, 362 •dem(s)-po t ( i)- 106, 112 •de / orw-/drew- 122 *dh 한 93, 203, II 122, II 127, II 224 *dh 존 s- II 162 •dhu- II 275 •dhug h( a)te r - 299 •dhwer- 367 *d6- 76, 93, 114 •doma- 362

*domo- 359 *dye u pat e r 247 *ers- 26 *euk- 290 *ge n- 372, II 103 *gh eu- II 260, II 268 *gh osti - 112, 433 *gh wedh- II 295 *HeuHos 263 *keiw o- 394 *k/ord- 211 *keu- II 217 *kred-(dh 한) 203 *kwe 387 *kwei- II 63 *kw 하_ II 63 *kwete - sor 253 *kwi -/ kwo- 387 *kwr i- 149 *leik w - 222, II 16 *leudh- 379 *m 료t er 250, 299 *m 촌 II 154 *med- II 149 *mei- 113, 220 *mens- II 153, II 154 *nep ot 272, 273, 279, 299, 314 *nep ter - 299

11 라는 표시가 없는 아라비아 숫자는 제 1 권의 쪽수임.

*nep tios 272 *pa tr ios 317 *pe ku- 53 *pe l- 418 *pen kwe 387 *pe r- 157 *pe rk-/ pr ek- II 190 *pa te r 246, 299, 318 *p l 존- 428 *po rko- 38 *po t( i)- 103 *priyo s 383 *reg - II 13 *SU- 277 *SU- 31, 38 *S 血 u- 277 *SWe 103, 253, 386 *Swekru- 292, 388 *SWekuro- 292, 293, 388 *Swesor- 253, 290, 388 *Swesri yo s 272 *SWOS 387, 390 *teu - 428 *teu ta 428 *Wedh- 281 *Weg hw - II 281 *W0/oi k - 363 *Wer- 367 *Wers- 26 *Wes- 148

*Wesno- 147 *-Wo-(-w yo -) 306 *Ye/oUS II 135 *yd n(d)te r - 299 히타 01 트어 anna- 250 anni-(luw i) 250 ap a !lp it 104 att a- 246, 250, II 106 da- 93 dam 착- 361 ha II 308 hanna!l 263 haw i (luw i) 42 huhha!l 262 i!lpa nt( !lipa nt) II 251, II 268 iyan t- 51 kurewana 파(kuri-, kuir-) 134 ling하 II 206 malde~ar- II 294 mal t하- II 294 Mur!li li!l II 29 pai- 94, 94, 115 -pe t( -pit) 104 tati (luw i) 250 titaimi (Iuw i) 277 tuzzi 427 u~ny azi 148

uwa- 277 wa~i 148 뒤키아어 cbatr u 300 cbi 300 tide il ni 277 뒤디아어 bil ls 397 인도어 (sau f indica ti on : sanskr it) abhya n ta - II 199 a-d 효 94 ag ni 330 am- II 137, II 198, II 199 apn a s- 222 argh a- 152 arh- 152, 155 arhat 155 arigurta- 235 arya - 119, 431 arya man- 118, 436 ath arva n- 329 줍tharva1_1a 329 ati thi-(pa ti -) 112

att t II 106 avi s- 236 bandh in 417 bandhu- 296 barhi ~- 332 bhartr 10 bhrata r - 251 bhratr iya - 310 bhratr v y a - 291, 303, 310 bhuj- 160 bh 빠t e 161 brahrnan(et brahman) 328 br 햐 m ai:ia- 328 cata sra 253 caya t e II 63 caya t i 80, II 63, II 69 C 료yu- II 69 dam- 346, 348 dama- 348 damaya t i 362 damp at il ;l.(-pa tn i) 102, 103, 107, 348 damU-n 뱌 348, 359 danam 76 dasa- 419 dasyu - 346, 375 devar- 294 dha- II 122 dhaman II 122, II 126 dhar- II 121 dharma-(-man) II 121, II 319

dhay - 25 dhenu- 25 dhruva- 126 di§ - II 127, II 129 dravin a s- 223 dy au ~p ita 247, 317 dy av a prt h ivi 337 gir 235 g rn 료ti 235 gurta- 235 har(ya ) 236 hav- II 260, II 268 hota r - II 268 hotr a- II 260, II 268 i~ (i)- II 230 isa ya t i II 231 i~ira }: l II 229, II 230 jam ata r 299 jani- 283 janitva (-vana) 283 jan tu - 346, 372 jar ant- II 61 jar ati II 61 jas -pa t i - 103 jat i 301 ji'lu- badh- II 296 juh oti II 268 kar-(kr-) 205 kratu - II 100 krin a ti - 148

k~at( t)r a- 335, II 21 k~at( t)riya - 328, II 21 lagh u - 58 Iota - 198 lotr a- 198 mahamaha 264 ma hi$I 254 mana- 350 mata -pitar a(u) 337 mata r - 250, II 270 matu la- 308 (ni-) maya t e 113 mic ;lha - 191 mic ;lhv as- 192 mithu - 118 mithu na- 220 mitra- 115 nap at (- tr) 272 nap ti- 272 nar- 343 na ri- 284 nay - 281 oh- II 280, II 282 oja l:t II 180 pai:ia- 418 paflca 387 pari-k ~it - 45 pa§ u- 54, 343 p a 뱌 102, 288 pat i r dan 348, 359

pat i tva (na)- 284 pat ya te 106 pitam aha- 264 pitar -. 246 pitrv y a - 303, 307 pitrya - 315 pra da- 282 pra t- ( viva ka) II 190 p:rcc hati II 190 priya- (-a) 383 pu r- 429 pu ru~a- II 186 pur va- 306 ragh u - 58 raj( a n)- 335, II 12, II 13, II 18, II 20, II 25 raja n ya 328, 335 r 죠j a- p u tr a II 20 rajru II 13 rath e~ t ha - 336 reknas- 221 reku- 222 rik- 222 rudh- 379 r..s abha- 23 r~va 306 rta II 120 rta- van(-van) II 120 rtu II 120 S 라頭 394

sam-raj- II 18 san- 192 sarva- 306 Sin d hu 431 str r- 254 suka(ra)- 31 sunu- 277 sva- 387, 391 sva-raj- II 18 svasar 253 sva-ta v a II 24 §am II 134 §ams- 11174 samy oh II 134 fap- II 202 §apa t h a II 202 §asti - II 174 §eva- 393 Sir $ an II 43 §i§u r dan 359 §iva - 393, 394 §rad-(dh 료) 203 §rad-(kar)- 205 §ravas- II 71 §u-(§va)- II 218 §udra 338 §ura- 294 §va§Ii l- 292 §va§ura- 292 tata 249

tav as- 428 tav i~ I - 428 uc- 290 ug ra- II 180 uti - 236 vadhu- 281, 293 vagh a t II 270, II 283 vai§ ya 328, 435 vaja - II 26 vama 327 varsati 24 vasna- 147, 148 vasnaya t i 147, 150 vett ar II 208 vid u ~-(-vas) II 208 v1ra 55, 343 vi§- 346 vis- pa t i - 103, 348 v i§ va 一 306, 427 vri:i6 t i 367 vr.s.a b ha- 23 vyag h r a 31 yaj - II 245, II 246 yaj a t a - II 246 yat r 295 yoJ ::i. II 134, II 143

01 란어(군) 1. 아베스타어 ady -a v- 236 ady -a var 236 aeta 95 amarata II 216 an효p ara0a 215 ana rya 432 aog - II 280, II 282 aog ar - II 180 aog ad a II 270 aoJa h - II 180 aoJa h vant- II 180 apa r adata 282 료p ara ti 214 araJ 152, 155 araja h - 152 ar~an 23 Arta - II 120 artav an II 120 artav an : II 120 aspa - ar~an- 25 aspa - daenu- 25 a~a II 120 료t ar 330 a0auruna- 329 a0ravan-/a0aurun- 328 탸t a 384 banda(ka) 417 .

baog - 161 baoxta r - 161 barasman- 332 barazi ~- 332 brata r 251 bratu rya (-tr uya) 304 ~ata l'lro 253 바ik a y- II 63 da- II 135 daenu 25 dahy u- 346, 375 dam- 348 d 갑ni- II 123 damana- 346, 350 dam 뚜-p a ti- 348 dang paiti~ 349 dara 짝 o- p ara8a 215 dis- II 128 draxta - 126 druva- 126 drva 己 a 124 ara~va- 307 fr죠 da t-g a 존諒 II 217 fras - II 190, II 193 fras a- II 190 fr~ta II 190, II 193 fra- zanti - 371 frya 383 fm- 57, 337 ~uya n t 337

gar - 235 gau -ara~an- 25 g au-da 존 nu- 25 ha iri~i 254 han- 192 harva 420 ha8y a- II 21 hu- 31 h 떠ti 328, 338 hunu- 277 -i~-i 254 Jad y a II 295 kaen 죠 II 63, II 68 ka존 0a II 63 kamna-~u 55 kamna-n 正 55 kay II 63, II 68 ma 죤 ~a-vara~ ni- 26 mae8man 118 masti II 217 m 죠tar- 250 mi8w ara- 118, 220 ~da-1 91 nairi 284 na iri8w ana- 284 nairi8w a nai vaday a- 284 na p료t- 272 nap ti- 272 nar- 25, 55 nm 무- 346

nya k a 264 pai r y e t e 214 pai 8 ya 103 par a- 215 par adata 282 P 캄 amna- 214 par va- 306 pas u 54 pas u Vir a 55, 343 par ato -tan u 215 par a8a- 215 pa! lo - ta n u 215 pi!ltra · 327 pitar - 300 ra 죤 ~a y a- 222 ra 존 xnah - 221 raodah- 379 ratu - II 120 ra8a 존!:t a 328, 335 ra8 즌!:t ar- 335 saq h II 174 saokanta II 138 sav- II 217 sava-(a-, -ah) II 217 savo-ga e 8a II 217 spa n -ah II 215 spa n ahvant II 215 spa n -ma- II 215 spa n ta - II 214, II 215, II 219, II 247 spa n y ah II 215

sravah- II 71 sta - 335 sta r - 333 str r 26 str rn aman 26 sura- II 217, II 218 tan u-pa r a8a 215 tav - 428 tiii자 a 303 tuirya -pu 8 ra 304 ug ra II 180 u~tr a- ara~an- 25 u~ tr a-da 존 nu- 25 vad- 281 vad(aya ) - 284 vadaye i t i 281 varada t-g a존 ea rr 217 *V ara~an 23 vara~na- 23, 24 vara~n i- 24 vasta r - 337 vastr a- 337 vastr yo 338 vastry o ~uya n t 328 vi- m ad- II 150, II 157 vir a - 48 VIS- 346, 363 VISO pu0 ra 359 visp a - 427 vis- pa t i - 348

xratu - II 100 x'!la 8 ra II 21 x'!la 8ri- 25 xva e 103 x v a 존-pai 8 y a 103 xvanhar- 253 xva s ura 292 yao '!l II 134 y aot d 료- II 134, II 143, II 221 yao td a ta II 213, II 247 yao t da ta r - II 134, II 214 y ao t d 료ti- II 134 yaz - II 246 yaz ata - II 246 zamata r - 299 zantu - 301, 346 zaota r- II 260, II 268 zao8ra- II 260, II 268 zarvan II 61 zav- II 260, II 268 zaldd- 211 zrazda- 203 2. 고대 페르시아어 Aryar amna 436 brazman- 333 dahy u 375 drau g즙 338, II 33 d~ iy캄 a 338, II 33

duxta r 300 gau b- II 178 grab - 417 ha ina 338, II 33 harna pit료 252 harnata 252 ha~iy a II 22 Hind u 431 Jad iya - II 295 k 캄 a 131 *m ana- 350 nap a 272 ny ak a 264 rasta II 17 tunu vant- 428 8ah- II 174 oanh- n 174 Sati y II 176 vassa-bara II 36 vazraka- II 25 x~~a II 23 xx~~a~`8s.r aap a Iv I a2n3 II 23 x~ay a8 iy a II 21 x~ay a8 iy a x~ay a8 iy an am II 22 y ad 一 n 246 3. 중기 이란어 줍-gad-ak (sog d. ) II 295

bol 존 var (m. per se) 161 boMvar (m. par th e ) 161 brahm (m. par th e , m. per se) 333 daha (khot. ) 376 dasta 417 dast- grab 417 dehbed 348 draxt 126 k 캄 ~ar (m. per se) 131 manbed 348 m 존 rak (pe hl.) 289 pas a, -ti (khot. ) 40 rri (khot. ) II 20 rris- pu r (khot. ) II 20 sokand xvar (m. per se) II 137 Sp an darmat II 216 ~ahr 존 var II 23 l>A ONANO l>A O (khot. ) II 24 vis b ed 348 wa~arn 148 x~avan IT 24 xil k (m. per se) 31 xwt 'w (sog d. ) II 24 zandbed 348 ziy an ak (pe hl.) 290 4. 근대 이란어 (근대 페르시아어) afda r 303

arzan 153 arzid an 153 azad 385 b 꼬 r 148 bradar -30 0 buzurg II 25 dir ax t 126 duxta r 300 존 rman 118 뿐 an 26 i r 캅 l 431 k 갑탸 131 Iim a n (os~ete ) 119 madar 300 mehman 118 nave 273 niy료 264 pida r 300 pus ar 300 (~ahan) 亞작 II 21, II 22 sog an d xurdan II 137 tar bur (p~to) 305 tra( pa ~ to ) 303 us-( ossete ) 292 vosae (ossete ) 292 wrara (pa~ to ) 304 xan :da n 148 xud 료 II 24 yar 236 yor (pa ~to ) 295

zi1 m (pa ~to ) 299 토카라어 ai- 94, 95 ai-tsi 一 115 atal II 106 ka rya r (kur 一) 149 P 료 car 246 pra cer 251 sa (B) 277 soy a (A) 277 ~ar 253 아르메니아어 amusin 290 aner 296 af-a c II 313 ard II 121 amel II 121 art 370 arta kcs 370 asem II 313 asr 71 ban II 165 bay (pa role) II 165 bay (dit -il) II 165 boy 1 161 bucanem 161

bia em 161 dik e II 162 durkc 368 du .rs 368 dustr 277 etba y r 251 gin 147 gne m 147 gog IT 280 han 263 haw 263 hayr 246 jaw nem II 260, 268 jer b-a-kal 417 kceti 272 kcoy r 253, 272 kcun 9 lkcanem 221 madem II 295 mawru 303 mayr 250 mit(m t i) II 251 orb 96 par ta k an 216 part-a -pa n 216 partat죤 r 216 par ta v or 216 par t- b a~x i 216 par tk c (-ucc) 216 sandarameta y i n II 217

sandarmer-akan II 217 sandara-metk c II 216 skesr-ayr 292 skesur 292 Sp an daramet II 216, II 217 tal 295 t anu-( t존 r) 348, 359 taw n 87, II 272 tay g r 294 tun 349 tur 76 usan im 290 ustr 277 va~at 148 yaw ray 303 zokcan~c 296 트라케어 Rh 존 sos (thr .) II 13 Tauto m edes (thr .) 427 프뤼기아어 Akenano-lawos (ph r.) II 114 gel awos (ph r.) 295 ian ate r -( ph r.) 295 Iawalt ae i (ph r.) II 114

그리스어 (my c. : my ce n ien ; by z. : grec by za nti n ; G.M. : gre c modeme) abato s 45 a-darnato s 361 adelph ~ 251, 261 adel phi d 윤 315 adelph ido fr s 276, 315 adelph 6 s 251, 260, 261, 314, 322 age l e 47 ag er asto s II 54 agr ios 370 agr 6s 370 aid o s 398 Aigiko re6s 340 aigis 341 aaiikkhhmm십e o t4 o1s6 416 aikhm존t ~s 417 aikipa ta (my c.) 48 aip6 li on 47 aip 6 los 47 ais a 115 akoit is 404 akraanto s II 48 alke II 87, II 88 alkimo s II 90 십 okhos 404 십 o ga (-on) 44

alph a no 152 alpM 152 alph e sib o io s 154 (w)anaks II 28, 11 29, II 30, II 42 (w)anassa II 32 (w)anassein 11 42 anep si 6 s 272, 275 aner 288, 292 annis 250, 263 ap at o r 260 Ap at o t '. irios (-a) 259 ap ol at'.i o 198 apo t e i n t'.ito Il 67 ap ot in o 11 68 a pri a t즌 150 ar 떠 sko II 121 ar 하phil os 401 Ar g ad 존 s 342 Argo s 341 argu rion 51 ari- 432, 437 aristos 437 arkho II 115 arnuma i 194 &rEn(ars 존 n) 23 arth m6 s II 121 arth ron II 121 artu s (-uno) II 121 askholos(-ia ) 168, 170 astu ( -eio s ) 429

ata l 6s II 104 ati tal lo II 104 ath e res(-Izo) II 321 ath e sp ha to s II 169 atirn o s II 55, II 62 atito s II 62 att a 246, II 105 au t os(e p h 료) 106 auxano II 179 basile u ein II 42 basile u s II 13, II 22, II 28 basile u te r os(-ta t o s ) II 31 bouk6los 47, II 130 daer 294, 322 da i-d ussesth a i 183 dakrua(-on) 44 damao 350, 361

demas 349 demi ou rgo i 339 demo 352, 361 d 윤 mos II 108 dendron(-eon) 126 desp oi n a 102, 349 des p 6 t존s 102, 348, II 35 diip hilos 401 dik a i os II 131, II 159, II 237 dik a sp6 l os II 130, II 136, II 158 d i k 존 II 125, II 127, II 159 d i k 존 n (adv.) II 131 dmos(dmo~) 349, 360, 418 do- e -ro (my c.) 419 do(m) 362 dolodomeis 419 dome 348 (busso)domeuein 361 d6mos 347, 351, 365 dorea(-n ) 77, 114 doreis t h a i 78 d6r 존 ma 78 do^ ron 76, 77, 114 d6ru II 37 d6s 77 d6sis 77 do tin즌(길 zo) 77, 80 do1llos( -존, -ios) 377, 418 dr6sos 26 dro(w)6n 127

druas 125 drfis 122 e ('dit -il') II 313 e(w)erse 24 ein a te r es 295 eio t h a 389 eleuth e ros 377, 379 emp or os(-euomai) 165 eor 253 ep ior kos(-etn ) II 199 Er g ad 습 s 340 eruth r 6s II 14 e t죤s 389 eth no s II 109 eth o s 389 etum a II 49 eukha rist e t n 236 eukh~(-ol~) II 270, II 280, II 283, II 286, II 298 eukhesth ai II 286, II 291 efik h os II 280, II 285, II 291, II 298 ga1 6os 295, 322 gar nbr6s 299, II 187 gar netn 282 gar net~ 150 Gedeonte s 340 Geleon 340 gen os 301, 347, 372, II 103 geo rgo i 339 ger ai 6s II 61

ger air o II 54 ger ar6s II 54 ger as II 53, II 54, II 59, II 60 ger on II 53, II 59 gne sio s 381 hag ios II 221, II 229, II 242 hagn 6 s II 243 halisk omai 416 heedna 281 h 존g e i s t h ai 179 h 존g em6n(-mo ni a) 8 hekura 292 hekur6s 292 heloka 416 herkos II 137, II 200 hersai 24 heta i t os 389, II 187 hiar 6s II 221 hier a (ta) II 237, II 245 hier eus(-e i s ) 340, II 245 hiero p oi o i 339 hier 6s II 66, II 229, II 245 hier 6sulos II 245 hike te r i os II 302 hi ke t죤 s II 302 hiko II 302 homo g싹tri os 257 homometr ios 252 homop at r ios 252 H6 p l 존 s 340

h6p lo n(-a) 341 h6rkos II 198, II 199, II 292 h6s 397 hos i존 II 66, II 237, II 238 h6sio s II 66, II 237 huid o fi s 314 hu ion 6s 276, 312 hu i6s (-us) 312, 276, 277 hup ar II 48 hfi s 31 idi o s 385, 389 idiot es 385, 386 lndia ( -ik ~) 431 ist o r II 208 ithu s II 130 kdP 존 los 166 kara II 43, II 52 ka rp6 s 9 kasig ne to s 258 kasio i 260 kasis 259 ke p hal 社 o i 6o) II 43 k 윤 r 211 kera (my c.) II 54 khair o 236 khara 236 kharis 235, 236 khelon~ 313 kheo II 260, II 262, II 268 kho~ II 260

khoir o s 35 khr~mata 65, 231 khreop he il ete s 231 kleos II 71 kl 존 ron6mos(-e i n) 98 Kluta im t !st r a II 151 koir a nos(-etn ) 133, 134 k6m 존 365, 373 koron 존 313 kr(ai) ai n e in II 42, II 46-51 krata i- II 97, II 99 krata i6s II 87, II 97 krate t n II 98 krate r o^ nux II 96 krate r 6s (kart- ) II 87, II 94, II 98 krati st o s (kart- ) II 87, II 95, II 99 krato s II 86, II 91 kratu ne in (kart- ) II 87, II 98, II 100 kratu s II 87, II 98, II 99 kreis s on II 87, II 99 kuda ine in II 70, II 81 kuda lim os II 70, II 81 kud ian eir a II 70 kOdos II 70-85 kudr6s(-is t o s ) II 70, II 81, II 84 kuetn II 218 ku rios 294, II 218 lage t a s II 116 lai (w )6s 306 Lao-(-medon) II 114

la6s II 108, II 109 la(w)ito n II 112 le i bd 존 n II 261 leib o II 259, II 262 leip o 221, 230, II 16 l 존i s 198 l 존i s to r 198 le it존 (1碑) II 112 leit oa rkhai II 112 leitO n II 112 leit or euo II 112 leit ou rg6 s (-ia ) II 113 l 존i zom ai 198 leloip a (-6s) 222 l 존t^죤 res II 112 liba (-6s) II 261 liba s(-adio n ) II 261 liba zesth a i II 261 lisso mai II 296 lite II 296 loib e II 259, II 263 ma khimo i 340 medea II 150, II 151, II 154, II 156 medim no s II 150, II 254 medon(-eon) II 150, II 154, II 157 me i'r ax( -函 on) 289 Menelaos 113 mes6dm 존 (-mne) 349 mesto r II 150 me t합 250, 307, 318

m 존tr O i' os 318 metr op at o r 314 m~tr os 271, 303, 307, 318 m 존trui a 303, 309 misth a mein 194 misth 6 s 191 nemo 95 ne6p trai 275 neuo II 52 n6mos 97 nom6s 97 oga s to r 257 o i ke t존 s 418 oik o desp 6t e s 359, 393 oik o d6mos 348, 352, 363 oik o i( -a de, -oth e n) 351 (w)oik o s 347, 365 oio n 6s 313 oio p 6l os 47 6(w)is 42, 43 6mnu mi II 137, II 198, II 201, II 206 6nar 48 on~ 150 on 존t~ 150 op he ilo 231 orego ( -nu mi) II 14, II 16 6rgu ia II 16 6rkhamos II 108, II 115 orp h an6s 96

pal aip h ato s II 169 pap p o s 264, 315 pat ~ r 264, 307 pat r ik6 s 317, 320 pa.trios 315, 320 pat r oi o s 318 pat r o6 s 291 pat r op a tor 314 pat r os 271, 303, 307 pat r oO . c hos 318 pat r ui6s 303, 308 pei th o (-oma i) 135, 141, 142, II 295 pek o 71 p@ kos 71 pek te o 71 pel oma i 158 p enes t존s 386 pen th e r6s 296, II 187 P 즌 6s II 186 per an 157 per ao (ep er asa) 218 per ikt i tai 45 p em 죤mi 99, 157 pet a nnumi II 16 pha si II 168 P 넒tis II 71, II 165, II 172 pha to II 165, II 168 -ph ato s II 169, II 172 ph ~me II 165, II 172 p h 존mi II 165, II 316

ph~ m is II 165, II 172 phe ug o 160 phile tn 397 Ph il 존 ma 397, 402 philia 395 philo (G .M .) 402 phi l o s 395 phi l6 t존 s 395, 401 phil6 xenos 400 p hr 繼 r 251, 258, 314, 322, 373 phr atr a 259, 261, 301, 364 Phratr ios (Zeus) 259 phu le 301, 347, 373 pipra sko (ep e rasa) 157, 159, 218 piro p a ta r a (my c.) 414 piro weko (my c.) 414 piste u o 135 pist is 135 pist 6 s 135 pisto O n 135 poi m e n Ia8n II 108 poi n e 80, II 62, II 63, II 68 pok iz o 71 p6k os 71 pol etn 157, 418 po leoma i 158 p6l i s 364, 373, 429 p ol it존 s 429 p6s is 288 pot h e o II 295

P8u 47 pra gm a 170 pra g m ate u esth a i 171 pra gm a te u te s 171 pri as th a i 149 pro bain o 43 pr6 basi 45 pr6 basis 50 pr6 bata ( -on) 42, 43 pr6 domos 351 pr6 th u ron 370 psa kas(-alon) 27 qou koro (my c.) 48 rawaketa (my c.) II 115 rhezein II 294 selen 즌 358 skapt on II 37 sk윤 ptr on II 36-40 skhole 170 Sklavenoi (by z.) 421 Sklavoi (by z.) 421 spe n do(-oma.) II 251, II 252, II 255, II 259, II 268, II 279 spo n de II 251, II 259, II 268, II 281 sth e nar6s II 94 sth e nos II 87, II 88 s tr a t죤g 6s 179 sub6sio n 47 sub6 t존 s 47 surnbolon 399

sun6mnum i II 198 suq ot a (my c.) 48 sfts 35 떠 an t a(-on) 44 tat a 249 ter as II 306 the eio n (thei o n ) II 275 thei o s II 236 th~ lus 26 the meil ia II 122 the meth la II 122 the m is 79, 374, II 122, II 126, II 127, II 132 the 6s Il 162, II 169 the oudes 400 the skelos II 162 the sm6s IT 122 the spe s io s II 162 the sph a ta (ta) n 170 the sph a to s Il 162, II 169 the ssasth ai II 295 thr존 ske ie (-a) II 319 thr존 skeu ein II 320 thres ko II 320 th u g a t합 277, 300 thu o II 275 thu ra 367 thu rai os 369 thu raze 368 tima lph e s 153

tima o II 62 tim ~ 80, 264, II 62, II 71, II 240, II 241 timito (my c. ) II 122 tim or6s (-ein ) II 69 tino II 62, II 68 tinu mai( - uo) II 62, II 67 tio 80, II 62, II 67 tisis II 62, II 67 tith존mi II 122 t6k os 221, 223 trikh aiw i ke s 366 wanaka (my c. ) II 30 wanasaw ija (my c.) II 30 wanasoi (my c.) II 30 whed ies ta s 385 xenia 110, 405 xe(i )nize in 399 xenos 110, 399, 407 xulon 124 Z 존t ein II 185 ZeO. pat er 247 Zeus (Heraio s ) 258 z6a(-on) 44 일뤼리 0 回 Aeto r 115 Teuta na 356, 427 Teuti cu s 427

알바니아어 b 존 136 0l 탈리크어(군) 1. 라틴어 adag io II 313 adag ium II 313 aduena 422 aedes 352 aedif ica re 352, 360 aes alie n um 218 aesti m are II 147 ag er 370 agn e llus 35 ag nu s 33 aio II 313 Ai us (Locuti us ) II 315 Alan i 432 am ita 270 Amp sa nctu s II 226 anim al 44, 52 anus 263 arbit er II 143, II 146, II 209 arbit rari II 143 armenta 47 ars II 121 artu s II 121 att a 246, II 105

aucto r II 179 aucto r i tas II 179 aug eo II 179, II 180 aug rne n(-tu rn) II 182 aug ur II 180 aug ur iu m II 182 aug uro II 182 aug us ta lis II 182 aug us te u rn II 182 aug us tu s II 180, II 182 auxil iar i II 182 aux iliar i s II 182 aux iliu r n II 182 auunculus 245, 265, 299, 308, 322 auus 245, 262, 265, 299, 322 berbic arius 47 besti a 52 bubulcus 35 Caesar II 235 cap io 416 ccaapp ritaa l e3 07 0 cap tiuu s 416 cap tus 416 cap u t II 43 car po 9 caup o 160, 166 censeo II 173 censor II 173 censura II 174

census II 173 ciui s 392, 429 ciuitas 392, 429 collocare 186 comrnu nis 113 cornp anio 130 comp ar e 217 comp le x II 300 cornp os 103 comp ut e 180 concordi a 212 concors 212 conducere 182, 184 conducto r 185 consobri nu s 278, 311 cor 203 credere 143, 200 cu ria 301 damnare 90 damnum 88, II 272 dap at i ce 88, II 271 dap at i cu s 88, II 273 dap ino 88 dap s 87, II 271 dap si li s 89 dare 186 debere 218, 219 deli ba re II 260 deli bu o(-utu s) II 263 demo 159

deuoti o II 280 deuoueo II 280 dic e re II 129, II 316 dic is causa II 127, II 129 Dies pi ter 247 dir ec tu m (de- ) II 159 diu i n u s II 236 domare 350 domestic u s 358 dom i 351, 369 dom icilium 353 dom ina tu s 60 dom inium 59 dom inu s 129, 348 domus 348 donum 76, 114 dos 77 ducere 177 (uxorem) 282 dux 183 edu lis 59, 64 edu lium 59, 64 emo 95, 99, 159, 162 endo-shuos 361 fab ula II 164 fac ere IT 122 fac undus II 164 fam a IT 164 familia 354, 418 fam ulus •4 18

fan urn II 161 fari II 163 fas II 132 fas tu s II 161, II 162 fatal is II 164 fatur n II 164 feb ruare II 275 feb ruari us II 275 feb ruurn II 275 fec undus 223, 278 fel are 278 fel i x 223 fer n ina 37, 223 fen us 113, 220, 223, 230 fer i ae II 162 fer re 355 fes tu s II 162 feu durn 8, 65 feu s 68 £ide s 135 fido II 295 filius 277 firmu s II 121 flam en 333 foe dus 136, 140 for anus 369 for as(-is) 351, 369 for da 10 fore s 367 fore stic u s 369

for estis 369 fors 10, 355 for tu it u s 59, 237 frat e r 251, 261 for tu na 10, 59, 237, 355 fugio 161 fund o II 260, II 268 fun us 113 gen er 299 gen s 301, 347, II 103 gen us 301 ger rnanus 252, 261 ges to 10 glo s 295 grat i a 234 grat i os us 237 grat i s( -iis ) 237 grat u itus 234 grat u s 113, 234 haedus 34 ha riol ati o II 335 ha riol us II 335 hasta II 37 heres 96 homo II 214 honos II 68 hori or 236 horto r 236 _ho spe s 102, 422 hosti a 109

Hostil ina 109 hostim e ntu m 108 hosti re 108 hosti s 102, 107, 422 hosto r i um 109 hostu s 109 ianitrice s 295 ian ua 367 -icius 318 idu lis 59 idu s 59 ignis 330 illus tr ar e II 276 illus tr is II 276 immunis 113 impe ri um 8 impo s 103 ind ustr ius 361 infamis II 164 infan s II 165 inge nuus 421 ingrat u s 234 intell i ge re II 327 inter p re s 165 ipse 105 ipsi s si m u s 105 iter II 120 iud ex II 128, II 136, II 143, II 148, II 158, II 159 iud ica re 180, II 136, II 158

iud ic a ti o II 158 iud ic ium II 136, II 159 Iup iter 247 iur are II 133, II 137 iuris- dic tio II 136 iur i s consultu s II 158 iuris per i tus II 158 iur i s pru dens(-enti a) II 158 ius II 128, II 132, II 148 ius iur andum II 133, II 142, II 202 ius ti tia II 159 ius tu s II 132, II 135, II 158, II 159 laeuus 306 leg er e II 321 legi o II 326 leg i-r up io II 326 leu ir 294, 300 liba re II 260 liba ti o II 259 libe r 378, 380 Libe r 378 libe ri 377, 380 libe rti 378 libu m II 263 licer e II 310 liga re II 322 lin gua II 151 lin qu ere 221, 230 lita r e II 296 locare 186

locus 186 lucror 198 lucrum 198 lucus 370 luna II 276 lustr ar e II 276 lustr at i o II 276 lustr um II 276 lux II 276 macta r e II 268 mactu s (-e) II 268 mag nu s II 269 marita re 283 maritu s 288, 289 mate r 255 mate m us 256, 320 mate r te r a 270 matr im on ium 256, 285 meddix II 129 mederi II 129 medic a mentu rn II 150 medic a re II 150 medic a ti o II 150 medic ina II 150 med icu s II 150, II 158 mensis II 154 mercari 165 mercato r 165 mercena rius 199 merces 185

merx 165 militiae 351, 369 mira culum II 307 moderar i II 152, II 155 modestu s II 152, II •1 54, II 159 modus II 152, II 154 moenus 113 monere II 308 monstr ar e II 308 monstr um II 307, II 308 mos II 164 mu nis 113 munus 113, 219 mutu a pec u nia 117, 219 mutu a re 117 mutu u s 117, 219 nee (neg -) 168 ne fas II 164 nega r e II 316 negl e g er e II 327 nego t i ari 170 nego t i um 167, II 164 nep os 245, 272, 273, 274, 311 nubere 282 nup ta 282 nup tum dare 282 -nus(-ori s) 113 obli vio II 326 obte n do II 310 omen II 307

op po rtu nu s 59 op s 222 orbus 96 oste n do II 308 oste n tu m II 307, II 309 ostiu m 367 oti um (-osus) 170 ouis 30 pac are 200 par 217 par are 217 par (r)ic ida (-iu m ) II 185 pat e r 246, 255 pat e m us 316, 320 Patr es conscr ipti 337 pat r ia 255 pat r icius 318 pat r imo n ium 256 pat r ius 256, 315 pat r ue li s 278 pat r uu s 270, 291, 307 pecten 71 pec to 71 pecti 58, 64 pec ulatu s 59, 64 peculium 59, 63, 64 peculiaris 63 pec ulo(r) 59 pecunia 60 pec us(-ori s) 61

pec us(-udis ) 61 per eg re( -i) 351, 370 per eg rinu s 370, 422 per i m o 99 pex us 71 pignu s 113 pla care II 300 pla cere II 300 ple bs 428 ple cto II 300 ple nus II 269 -ple tu s II 269 -plica re II 299 poe na II 62, II 68, II 207 pol l ice o(r) II 310 pol luceo 88 pol luctu m 88 pol luctu ra II 312 pol luo II 310, II 312 pon ere 186 por II 310 por cellus 35, 41 por culato r 35 por culus 35 por cus 29 por r icio II 310, II 311 por r igo II 310, II 311 por ta 367 por te n do II 309 por te n tu m II 307, II 309

Portu n us(- al is ) 59, 354 por tu s 58, 355 pos co II 190 pos sid e re 106 pos sum (po te s t) 103 pos tu lo II 190 pot i ri 106 pot i s( -e) 102 pra e- II 311 pra esta r e 232 pprraa eestot or i c(i.au ds v .)3 182 32 pre cor II 185, II 189, II 190, II 294 pre ti um 165 * pre x II 185, II 190, II 294 pro - II 311 pro auus 265 pro cus II 190, II 194 pro d igium II 307, II 313 pro fa n us II 236 pro mo 99, 159 -pse 105 -pte 105 punire II 62, II 68 pu to 180 qua ero II 184, II 294 qua estio II 189 qua estio n o II 189 qua esto r II 184 qua estu s II 189, II 191

rati o 178 recorder 212 rectu s II 13, II 17 redhosti re 108 reg er e II 13 reg ina II 13 reg io II 13, II 17, II 326 reg ula II 17 relig a re(-ati o) II 326 relig e re(-ens) II 327 relig io II 321 reli gios us II 323, II 337 rep ut e 180 resp on dere II 198, II 257 rex II 10 rusti cu s 358 sacer II 202, II 221, II 223, II 236 sacerdos 45, II 224, II 245 sacerr imu s II 228 sacrarnentu m II 138, II 141, II 202, II 206 sacrare II 207, II 224, II 270 sacr ifica re(-iu m ) II 223, II 224, II 294, II 296 sacri leg u s II 245 sac rim a II 220 Sacr ipo rtu s II 245 sacrosanctu s II 228, II 245 salari um 200 saluus 306

sanci re II 224, II 226 sancti o II 226 sancti or II 228 sanctu s II 221, II 223, II 227 scept rum II 37, II 41 sci pio II 37 se-(sed- ) 391 secors 212 sequ o r 184 sermo II 197 seruare 420 Seruen ius (-ena, -o len i) 421 seruus 420 sig nu m II 307 sim ple x II 300 sobri nu s 311 socer 292 soc ius 394 socrus 292 soda lis 386 soli du m 200 somnus 9 soror 253, 261 spo ndere II 198, II 256, II 268 spo n sio II 250, II 257 spo n sus(-a) II 257 subulcus 35 su ffio II 275 summa 178 sumo 99, 159

suoueta u ri lia 31, II 188 sup er II 333 sup e rci lium II 332 sup er sta r e II 332, II 333 sup er ste s II 330 sup er sti tio II 329 sup er sti tios us II 329 sup ple x II 299 sup plica re II 299 sup plica ti o II 301 sup plicium II 299 SUS 29 suus 387, 390 tan g er e II 138 tau rus 31 ten do II 310 tes tis II 145, II 334 tex o 9 the od isc us 426 tom entu m 428 tot u s 428 trah ere 183 tribu lis 59 tribu nal 303 tribu nicius 318 tribu nus 107, 129, 303 tribu no 303 tribu s 59, 301, 347 tuticu s 425 uecors 212

uendere 147, 159 uenum (ire , dare) 147, 159, 162 uerres 24 uic i n u s 363 uic t i m a 109, II 220 uic u s 347, 359 uir 288 uit ell us 35 uit ulu s 33 uotu m II 270, II 280 uouere II 270, II 280 urbanus 429 urbs 429 usucap io II 326 utp o te 105 uxor 288 vassus(-al is) 421 2. 움브리아어 arp u tr at i II 143 arsmo 343 castr uo 343 esono II 235 eveie t u II 220 fel i uf 278 fen sa II 162 filiu 36 frit 343 lup at e r 248

rners(to - ) II 149 ner(f) 343 par s 217 peq uo 343 pur ka 36 si 36 tot a 425 trifu 302 uerofe 367 u(e)ir o 56, 57, 343 vufru II 280, II 283 3. 볼스키어 esar istrom II 235 4. 오스카어 aete is 95, 115 aisu sis Il 235 brate i s 235 censaum II 174 co-veh riu 302 deiu a tu ns II 138 fiisn a II 162 her- 236 kenzs(t) u r Il 174 Luvfr ei s 378 meddik i a i II 149 meddis s II 129, Il 136, II 148

meddix u d II 149 medic a ti no m II 149, II 158 medic im II 149 sverrunei II 197 tou to 425 triba rakavum 352 ueru 367 5. 베네치아어 Louzera 378 louzer 여 }OS 378 6. 로망제어 achever II 43 affaire 171 beau-(pe r e, etc .) 287 becha (ital. dial .) 52 belle-fi lle 288, 322 bic h e 52 bru 322 caudal (esp ag n o l) 70 che f II 43 chep tel 70 denree 200 fief 68 for ai n 369 fore sti er e (ital .) 369 gag e( s) 201

hermano (esp. ) 252, 261 hors 369 irm ao(po r tu ga is ) 252, 261 louer 182 ma rier (-a g e) 280, 286 matr im on io (ital .) 285 nemal (ital. dia l . ) 52 nima l (ital . dia l .) 52 oncle 322 pec ora (ital .) 52 pet i t-fils 276, 313 - pou rceau 41 prN er 232 salai re 200 sch iav on i (ital . ) 421 serment II 141 sobri no (esp .) 305 sol, sou 200 soldat 200 soldato (ital .) 200 solde 200 somme 178 traire 183 trev e 122 voy an t II 336 켈트어(군) 1. 골어 -cori i 130

Corio n o-to t a e 356 -rix II 12, II 18 Touto n os 356 2. 아일랜드어 ait e II 105, II 106 -arbe(com-) 96 ath ir 246 aue 263 brath ir 251 ceth e oir 253 cren im 149 creti rn 203 cuir e (moy. irl. ) 130 dag -m oin i 114 dli ge d 226 dli gim 226 -emat( a r-f o -) 159 fiad u II 208 foss 421 fras s 24 guide II 295 guidim II 295 hu isse II 133 im mach 370 mac brath a r 273 mace 277 math ir 250 mess II 150

-mida th a r(con-) II 150 midi u r II 150 moin 114 nia 272 nia b II 231 noib II 231 oa(moy. irl.) 263 oeth II 138, II 196 orbe 96 ore 37 ri II 12 ton g II 138 tua th 425 3. 게일어와 브르 E 片한서 chweg rwn (ga ll.) 292 coel (gall ., v . bret.) II 222 dy -w edd io (ga ll.) 281 eontr (bret.) 263, 299 ew ythr (ga ll.) 263, 299 gua s (ga ll.) 421 nei (ga ll.) 272 rhy dd (gall.) 384 tud (gall., b ret.) 425 게르만어(군) 1. 고트어 awi 236

aihtron II 302 aips II 138, II 196 arbin u mj a 96 att a 246, II 106 awep i 66 aw iliud on 235 aw 血I> 235 awo 264 ba idj a n 136, 142 ba irga n 223 beid a n 136, 141 bid a II 295 bid j a n II 295 bif aih( -on) 66 biu g an 160 b i-미 1 ts 291 brop ar 251 bmp 112 bru1> -fa1>s 112 bug jan (fr a- , us-) 156, 157, 160 da ila 228, 229 -da iljan (af -d is-, ga- ) 229 diut i sc 426 drauhti - 127, 128 drauhti no n 127 drauhti -witop 127, 129 driug an 127 dulga - ha itja 225 dulgis skulan 225, 226 fad ar 246, 247

fad rein 247 faiho n 66 faihu 51, 65, 66, 228 faihu friks (-ei) 65 faihu g aims 65, 228 faihu g aw aurki 228 faihu g ei r o 66 fau ra-dauri 368 filha n(af -, ana-, ga- , us-) 188, 189 frag iba n 282 frah uni, an s 416 frau ja 393 freis 384 friai, w a 384 frijei 384 frijon 384 frijon ds 384 gab ei 66 gab eig s 66 gab ig jan (-nan) 66 ga- drauhts 127, 129 gafai h o n 66 gahailjan (-nan) II 221 gah a ils II 221 gah ardja n 100 gah lai ba 130 gaime i 237 gaimjan 237 -gairns 237 ga- m ains 113

gar dawaldans 393 gar ds 393 gas ts 107, 422, 433 gat a m j an 362 ga- tim an 361 gaz ds II 38 gild 82 gilstr 82 giut a n II 260, II 268 ha iligs II 223 hai ls II 221, II 222, II 248 ha ird a(-eis ) 66 hair t o 211 hansa 91 harduba II 100 hardus II 100 Hari o- (Chari o- ) 132 ha rjis 130, 133 heiw a- 393 heiw a frau ja 393 hium a 91 huni, s 379, 418 ka isa ra-gi ld 82, 84 kaup jan 231 kaup on 160, 227 kindins 107, 129, 356 ku ni ll 103 lamb 66 laudi 379 laun 196

launa-wargs 197 leih v an 221, 230 leta n 223 liud an 379 liup 236 maid j a n 117 ma ii,m s 117 mitan II 151, II 154 miton II 151 mizd o 191 nima n 95 rai hts II 14, II 17 saljan 156 silu br 66, 227 skatt ja 227 skatt s 66, 227 skula 225 skulan 224 skulds 225 sunus 277 swa ihra( -o) 292 swaran II 197, II 258 swein 37 swes 387 sw ista r 253 taihs wa 306 timtjan _ 350, 361 (g a-) ti m 더 o 350 tiuh an 183 trau a ins 121

(ga -)tr au an 121 trau sti 121 triggws 122, 127 triu 124, 126 triw ein s 124 piud a 426 piud ans 129, 356, 426 un-ha ils(-i) II 221 waldan 393 wargi pa 197 (ga -)wargj an 197 weih a II 219 weih an II 219 weih ipa II 219 weih na n II 219 weih s II 219, II 221, II 223 weit wo ps II 208 wer 86 w 먀 us 66 2. 노르드어(북구어) a) 고대 노르웨이어 auja (run.) 236 edal II 104 fe 67 fel ag 67 fel ag i 67 fen a 67 fen adr 67

gan g an di fe 167 ha ilag (run.) II 221 selja 156 uodal II 104 b) 스칸디나비아어 afe (isl. ) 264 bic ta 136 drot 128 drott 356 drott inn 128, 356 drott ning 128 eia r II 196 gjal d 82 han sj¢1 v (danois ) 106 heil II 221 heil ag r II 221, II 222 heil sa II 221 Herj an 131, 356 herr 130, 356 hjo n (hju ) 394 hy sk e 394 lan 221 svara II 198 ta£n 87, II 272 trau st 122 trau str 121 hii 121 hiia 121

trur 121 ve II 220 3. a. 고지 독일어 a) 고대, 중기 고지 독일어 adal II 107 ana 263 andsvara II 198 ano 276 bevehlen (m. h. a. ) 188 Bil (i)-frid (-ga rd, -trud ) 396 chun in-ge rta II 38 deot 426 diu t e n 426 eid • II 196 enencheli 276 eosago II 136, II 159 f히i 158 far h 37 far hi li 37 fature o 303 ft!he lih 65 feh u (fran c iqu e) 68 fet i ro 309 fihu (feh o, feh u) 65 fihu -stt! rb o 65 fihu -wart 65 fihu -wi ari 65 fors con 190

frag a II 190 friun t 384 gel t 82 ger ta II 38 ghilda 83 got e k elt 82 ha fta 417 hansa 92 hans(e) (rn. h. a.) 92 ha ri 130 heil ag II 221, II 222 herbis t 9 heri an 133 heri -z og o 179 hir at 394 hiu n 394 hrwa(-o) 394 lehan (liha n) 221 liut 379 l6n 196 ml iz II 151 meldja n II 295 meldon II 295 mezzan II 151 mezzon II 151 muota r 250 ne fo 272 oheim 264, 309 (ge -)sw io 388 trau e 122

다t 128 huhti n 107, 128 warg 197 Wodan(Wota n ) 131, 356 zeih hu r 294 B) 근대 독일어 Adel II 104 be feh len 188 berge n 190 besitz e n 106 bete n II 295 beug en 160 bit ten II 295 Borg 223 borge n 190, 223 Brauti ga m 112 deute n 426 . deuts c h 426 edel II 103, II 107 Ehe 280 Eic h e 126 Eich e 126 Eid e ga n g II 138 emp feh len 188 Enkel 276 Erbe 96 ermessen II 151 fel l 158

frei 382 Geld 82 gem 237 Geschfi lt 172 gez i em en 361 gies sen II 260, II 268 Gif t (Mi t-) 79 hart II 100 Heer 132, 357 heeren (ver-) 133 Heim 264 Heir at 394 Herbst 9 kau fen (ver-) 149, 159, 160, 165 K6n ig II 103 Kronp rinz II 38 lassen 223 lei he n 221, 230 Leute 379 Lied 236 Lohn 196 Mass II 151 melden II 295 messen II 151, II 154 nehmen 95 Recht II 14, ·11 159 scha ffen 172 Schatz 229 Schuld 216 schuldi g 225

Schwein 37 schworen II 197 Tei! 229 trau en 121, 122 treu 122 Treue 121, 122, 143 Trost 122 tros te n 121 Vett er 303, 309 wachsen II 179 Wehr 367 Wut 356 wi lten des Heer 132 zie h en 183 Zim me r 350 zim me m 361 3. b. 프리지아어 존 m (v ..f riso n) 264 jeld e, jol d 82 3. C. 영어 a) 고대, 중기 영어 adelu II 107 andswaru II 258 bedia n 136 borgj an (v. sax.) 223 cyn e -ge r d II 38

druht (v. sax.) 128 dry h t 128 dry h te n 128, 356 죤 am 264 fe (rn. ang l.) 68 feo h 67, 68 feo laga 67 gield 82 hael II 221 hlaef- d rge II 34 hl 칵 ord II 34 hos 92 hunta ( -ia n ) 418 knio- beda (v. sax.) II 296 leod 379 nefa 272 sellan 156 truo n 121 wealh 421 w1h-dag II 220 B) 근대 영어 answer II 258 borrow 223 busin es s 172 busy 172 buy 160 catt le 67, 70 fee 68

fell ow 67 floc k 48 free 382 gran d-(son, fathe r) 276, 313 hard II 100 harvest 9 herd 48, 67 holy II 222 home 264 hunt 418 king II 103 lady II 34 let 223 loan 221, 230 lord II 34 oath II 196 que en 25 sell 156 shall 216 swear II 197 take (to - to) 94 timb er 350, 361 tree 126 truc e 122 true 122 trust 121, 122

발트어(군) 1. 고대 프러시아어 alga s 152 arvi s 263 brati 251 draug i-w aldil ne n 128 druwi s 126 druw it 126 ka ils II 222 ka ilus ti sk un II 222 ka rjis 131 sir ap lis 228 sw ints II 215 2. 라트비아어 sid r abs 228 SV 존ts II 215 u6svi s 291 versis 24 3. 리투아니아어 alga 1s2 anukas 276 avy nas 263 di eve 더 s 294 draug as 128 drau g존 128

draug e 128 druta s 126 dvesiu II 275 im u, im t i 99, 159 i~d uoti 282 karia s 131 lail ka s 370 lauke 370 malda II 294 meldti u, melsti II 294 nep te (v. lit.) 272 nep uo ti s (v. lit.) 272 par ~as 38 pat 105 pat s 103 pek us 53 pel nas 158, 418 pills 429 pinn- delu 37 pii'~ti II 190, II 194 pra ~y ti II 190 sesura s 292 sid a bras 228 sunus 277 svain e 388 svain is 388 ~venta s II 215 tau ta 426 tio~ ve 291 uo~v is 291

vedu 281 vei'! lis 24 vi'.5 !:-pa ts 103, 348, 363 슬라브어(군) 1. 남부 슬라브어 baju , -ati II 165 ba liji II 165, II 168 b~da 141, 142 b~dit i 136 bog ii 58 bog ynji 58 bratn 1, bratu 251 c~lj9 II 222 C 존lu II 222 ~udo II 83 foti II 83 danl 76 dobn1 58 dobry nji 58 domi i 348 drevo 124 drug ii 128 druva 124 dvoru 370 gos p od r 111 gos t'i 107 imi 99 j~try 295

kl~ti (s~) II 202 kup iti 160 l~vu 306 Irgu k u 58 Irgy nji 58 lixv a 221 lju d ij e 379 lju d u 379 lo 떄 198 lov iti 198 mati 250 nmda 191 moli ti (s~) II 294 moljc;> IT 294 nadvor (serbe) 368 n 沿 mIcI 427 neti ji 272 og nji 330 oner 246 oti lda ti 282 ple m~ 428 p l 존먀빠 u 416, 418 pl~ n iti 418 pl~ nu 418 pra s~ 38 prise ga ti(- noti ) II 138 prijaj9 383 pr osit i II 190 sestr a 253 Slov&li n-0. (serbe) 421

srebo 228 sriid ic e 211 srtld i t i 211 str yji 303, 309 sii dr avii 126 svekr y(-tl) 292 sv~tt 1 II 215, II 219 svin 38 syn t1 277 ~tt1M t1 426 ti1tdi 426 uji 263 uku 290 vedc;, 281 v 존 ra II 319 vis i 363 voje v oda 179 vt1nu kt1 276 vyk nc; ,ti 291 z 띠 uva 295 2. 서부 슬라브어 modla(tc h equ e ) II 295 modla(po l on ais) II 295 mod li~ s i뱌(p olo nais) II 295 3. 러시아어 brak 280

brat' sja 280 fofoj 416 d 존 lo 172 drug drug a 128 iti na rotu (v. russe) ll 138 klja s t ll 202 klja s t's ja ll 202 kup it' 160 na dvor 존 368 ple mj a 428 ple nnyj 416 pol 6n 418 por os~nok 38 pri ja ju 383 pri ja te l ' 383 sam 105 serdce 211 svat 388 svest' 388 svj at 6 j ll 215 svoj 387

svoja k 388 vnuk 276 비인도·유럽어 1. 중국어 ma i-m ai 149 2. 에트루리아어 aesar II 235 ais( u)na, eis n a II 235 servi- , s erve- 420 3. 핀 • 우글어 por sas (finno is ) 39 por § (zyr ien e) 39 pur ls (mordve) 39

김현권 방송통신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 인도 • 유럽사회의 제도 • 문화 어휘연구 2 대우학술총서 459 번역 1 판 1 쇄 펴냄 1999 년 12 월 5 일 지은이 E. 벤베니스트 옮긴이 김현권 펴낸이 이형진 펴낸곳 도서출판 아르케 출판등록 1999. 2. 25. 제 2-2759 호 서울특별시 마포구 연남동 567-29 학산 B/D 2 층 전화 336-4784~5, 팩시밀리 336-4786 E-Ma il arche_cs@haruna il.ne t Homep ag e www. ar che.co.k r 값 22,000 원 한국어판 ® 아르케, 1999 인도유럽계어 KDC/ 79 2 Pr inted in Seoul, Korea ISBN 89-88791-39-8(94790) 89-88791-00-2 (세트)

대우학술총서 大宇財園은 1978 년에 설립된 이후 1980 년 재단 설립자인 金宇中 회장이 200 억 상당의 사재를추가로출연하면서 “韓國學 FR1 의 基礎分野 진홍에 사용해 줄 것”을 희망함에 따라 국내 연구가 부진한 ‘기초학문 분야의 진홍’ 을 목표로 각종 연구를 지원해 왔습니다. ·大宇學術華書 는 재단 학술사업의 결정체로서 1983 년 『문화사회학』을 시작으로 논저, 연구번역, 공동연구의 형태로 출간되어 왔습니다. 論著는 ‘대학원급 수준의 고급 학술개요서’ 라고 정의되고 있는바; 해당 분야에 대한 개설적 입문서 수준을 넘어서 그 분야에 대한 세계적 연구동향을 집약한硏究提要 09 인 성격을 띠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학술용어 내지 이론적 표현을 정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해 왔습니다. 硏究觀譯은 논저를 보완하는 성격을 갖는 것으로서 이 역시 전문연구서가 아닌 고급개요서에 대한 연구번역입니다. 특히 지난 98 년부터는 古典과 古典級 저작의 연구번역에 중점을 두고 있는뱌 학술용어 및 경합되는 학설 등을 역주로 그리고 해당 저자 및 원저에 대한 학술적 평가는 해제의 형식으로 포함함으로써 원문에 대한 단순한 번역을 지양하고 있습니다. 또한 共 同 硏究는 연관학문간 (In t erd i s cip l inary) 공동연구를 통해 점점 세분화·전문화되어가는 학계의 경향을 극복하고자 하는 재단의 기획의도를 반영한 것입니다. 아울러 연구지원에서 연구결과의 출판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를 일관성 있게 지원한다는 학술사업 지원 방침에 따라 ‘대우학술총서’ 는 과제의 지정에서부터 연구계획서 . 그리고 연구결과에 이르기까지 업격한 심사와 평가를 거쳐 출판되고있습니다.

1 의 대우학술총서 : 422 한중관계사 I 김한규 423 한중관계사 II 김한규 424 두보와 이백 이병주 425 한국의 전통민가 주남철 426 의학철학 울프페데르센·로젠베르그 / 이호영·이종찬 427 지구환경정치학 바이 츠제커 / 이필렬 428 기후학 I : 가후와 대기순환 오재호 429 기후학 II : 변화하는 기후 오재호 430 앙시앙 레짐 I 구베르/김주식 431 앙시앙 레집 I1 구베르 / 김주식 432 다양체의 미분위상수학 조용승 433 스페인 피카레스크 소설 김춘진 434 독일의 통일과 위기 코카/김학이 435 언어학파의 형성과 발달 암스테르담스카/ 임혜순 436 성간화학 덜리 • 월리엄스 / 민영기 437 생태학의 배경 매킨토시/김지홍 438 웨이브렛의 기본이론과 통계에의 응용 김충락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