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선 성균관대학교 화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졸업 일본 동경대학 보건학 박사 미국 텍사스 주립대학 환경학 박사 현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한양대학교 환경 및 산업의학연구소 소장 저서 『 안간이란 무엇인가 』( 공저) 등
실내환경과학
실내환경과학
책 머리에 최근에 이르러 환경 분야도 학문적으로 다양하고 급속히 발전하여 왔다. 특히 실내환경 문제는 새로운 환경 분야로 대두되어 선전국에 서는 학문적인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다. 국내에서는 1960 년대 이후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된 각종 환경 오염으로 인해 피해가 발생하였 고, 장래의 환경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신 환경과학 기술도 계속적으로 발전될 것이다. 그러나 어느 형태의 환경 문제도 인간이 주위의 생활환경 속에서 조화 있게 해결해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안된다. 실내환경과학은 환경 과학의 새로운 분야로서 다양한 형태의 실내 공간에서 발생되는 환경 오염의 발생원, 인체 영향, 오염 예방 대책 울 다루는 것으로서 의국에서는 1970 년대 이후 환경 과학, 보건학, 환경 공학, 건축 공학 등의 관련 분야에서 급속히 발전되어 왔으나 아직도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들을 갖고 있는 새로운 미개척 분야라 하겠다. 새로운 환경 분야인 실내환경 문제 연구에 관심을 갖게 된 것도 10 여 년이 넘었으나 한 권의 책자로 내놓는다는 일이 쉽지 않음을 실 감하였다. 대우재단의 학술 논저로 채택된 지 만 5 년이 지난 오늘에
와서야 선을 보이게 되어 대우재단에게 죄송한 마음을 금치 못하며, 이렇게 늦어진 책임은 필자에게 있음을 밝히면서 지원해 주신 대우재 단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 이 책은 실내오염물질의 종류 및 발생원, 건강 영향, 측정 기술, 방 지 대책 및 관리 방법 등을 다루었다. 따라서 이 책이 국내에서의 실 내환경 분야를 소개하는 전달체가 되고 신 환경과학 기술 발전에 조 그마한 도움이 된다면 더없는 다행으로 생각한다. 저자의 실내환경 연구에 도움을 주신 하버드 대학교의 스펭글러 교 수와 각종 환경 문제 모임에 이끌어 주시고 이 책을 내도록 용기를 주신 김용준 고려대학교 명예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원고 정리에 애쓰신 한양대학교 환경 및 산업의학연구소 연구원들에게 감 사를 드린다. 끝으로 이 연구를 마련하도록 도와 주신 대우재단에 다 시 한번 감사드린다. 1994 년 5 월 김윤신
실내환경과학
차례책 머리에 5제 1장 실내오염개론----------------111-1 실내환경의 정의····111-2 인간과 실내환경····121-3 실내공기질····121-4 실내공기오염····131-5 실내공기오염 연구의 전망·····18참고문헌 19제2장 실내공기 오염물질과 발생원----------------212-1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주 발생원····212-2 주요 실내오염물질의 특성 및 발생원 ····22참고문헌 43제3장 실내공기오염의 건강 영향---------45
3-1 빌딩증후군····453-2 분전····503-3 환경담배연기····523-4 가스상물질····563-5 포름알데히드····583-6 라돈····613-7 석면····643-8 미생물성 물질····673-9 휘발성 유기화합물····693-10 기타····73참고문헌 85제4장 실내공기오염의 측정---------914-1 실내공기 측정시의 유의 사항····914-2 실내공기오염의 측정····974-3 실내공기 오염물질별 측정 방법····1084-4 개인 노출량····118
4-5 모델링····125참고문헌 128제5장 실내공기질의 진단 및 국내의 실내오염 현황····1335-1 실내공기질의 평가-------1335-2 국내의 실내오염 현황····145참고문헌 160제6장 실내공기오염 방지 및 관리---------1756-1 실내오염 발생원별 방지 ....1756-2 실내공기오염 제어 대책····1896-3 실내환경 기준치 설정····2046-4 실내공기오영 관리 대책과 전망····210참고문헌 213찾아보기 217제 1 장 실내오염개론 1-1 실내환경의 정의 오늘날 우리 사회는 인구의 증가, 산업기술의 발달 및 경제 생활 수준의 향상이 계속됨에 따라 다양한 환경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환경에 대한 정의는 매우 포괄적이고 다양하다. 환경이란 공기, 물, 토양 등으로 구성된 자연 상태인 자연환경과 인간의 생활 속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재산의 보호 및 동 •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생활 환경을 통칭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의 인간 중심적 환경론에 서 보면 환경은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의 모든 것이라고 표현할 수있다. 오늘날 산업사회는 일상 생활의 대부분이 여러 형태의 실내공간에 서 유지되며 , 변천하고 있다. 따라서 실내환경 Indoor Env i rorunen t은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실내의 총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21 세기에 는 생활환경 측면에서 다루어져야 할 분야이다.
1-2 인간과 실내환경 인간의 육체는 동물계의 일원으로 자연계의 다른 구성원과 마찬가 지로 생태학 및 생물학의 기본 법칙에 따른다. 이에 반해 인간의 정 신은 인간 이의의 생물 및 그 환경의 자연적 특성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인간과 실내환경을 하나의 생태계로 보았을 경우 이 생태계의 균형 이 깨지면 환경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새로운 환경 분야인 실내환 경 문제는 인간이 주체가 된 생활 속에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 며, 인간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오염물질들이 실내에 방출되어 실내환경을 오염시키는 현상을 실내오염 Indoor Polluti on 이라 할 수 있다. 실내오염의 주요 원인은 인구의 밀집화, 현대사회의 실내생활 화, 실내공간의 밀집화 등으로 인구의 도시 집중화가 증가될수록 심 화되고있다. 실내오염은 각종 실내공간에서 공기오염, 생활쓰레기, 소음, 악취 등의 각종 환경오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생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실내공기오염은 대표적으로 인간의 건강까지 위협하고 있다. 1-3 실내공기질 실내공기질 Indoor Air Q ua lity -lA Q에 대한 문제의 발생 배경은 각 종 산업 분야에서 에너지 절약 및 효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으로 건물 의 단열을 위한 밀폐화와 에너지 절감 장치를 설치하는 건물의 증가 로 인하여 공기의 질이 악화되는 것이다. 또한 그 건물에서 생활하는 사람이 그 건물의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여 적합한 절약을 하
지 못하거나, 건축 자재, 공조 시스템 등의 건물 내 특성이 복잡하고 민감한 실내환경 조건을 변형시킴으로 인하여 실내공기질에 부작용이 발생된 것이다. 실제로 에너지 절약형 건물은 의부로부터의 침기i n fi l t ra ti on 를 막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건축되었고, 에너지 절약형의 산업용 건물에서는 건물의 유지 관리비롤 줄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환기량을 감소시키기 도 하여 공기의 유입과 환기가 감소되어 자연히 실내공기가 오염되고 있다. 실내공기질의 성분 중 l pp腦t lp pm 사이의 농도를 가전 물질이 250 여 가지 이상이라고 한다. 이 물질들은 의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 입될 때 들어오거나 또는 건축자재, 건물의 관리 또는 실내에서의 인 간 활동 등에 의하여 발생된 것이다. 실내공기질에 관한 연구가 구미 각국 및 일본 등에서는 활발히 진행 되는 데 반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IA Q라는 용어도 생소할 뿐만 아니라 실내오영에 관한 환경 인식의 결여로 일부 연구만이 진행되고 있을뿐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선진 각국에 비하여 좁은 실내생활 공간을 갖고 있으며, 온돌이라는 특이한 주택 양식을 갖고 있다. 최근에는 고충 건물과 지하 생활 공간이 증가되어 다양한 실내공간에서의 실내공기 질의 중요성을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 1-4 실내공기오염 실내공기오염이란 주택, 학교, 사무실, 공공건물, 병원, 지하 시설 물, 교통 수단 등의 다양한 실내공간의 공기가 오염된 상태를 말하 며, 매우 복합적인 원인들에 의해서 야기될 수 있는데, 그 영향은 실
내 거주자들의 생명을 위협할 정도는 아닐지라도 장기적으로 볼 때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 틀림없다. 최근에는 실내오영의 건강 영향을 보다 정확히 분석하기 위하여 개 인의 하루 24 시간별 활동에 따른 특정 오염물질에 노출되는 양을 측 정하고 있다. 따라서 주요 오염물질별 개인노출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구가 개발되어 실내공기오염에 대한 건강위해 평가 방법이 시도되 고있다. 1-4-1 실내공기오염의 배경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항상 신선한 공기를 충분하게 공 급받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세계의 주요 도시는 대기오염이 심각한 실 정이며, 우리나라도 1970 년대 이후 산업 구조의 대형화로 에너지 소 비가 급증함으로써 대기 오염물질의 발생량이 증가하여 최근에는 주 요 대도시의 대기오염이 심각한 상태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실내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실의 대기오염보다 더욱 중요하다 는 사실을 거의 인식하지 못하며, 실내 오염물질의 성질과 농도에 대 해서도 확실히 파악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실내오염의 중요성이 인식 되기 시작된 배경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 인간은 하루 24A] 간 중 80% 이싱을 실내 (가정 , 일반 사무실, 실내 작업장, 공공건물, 지하 시설물, 상가, 음식점, 자동·차, 지하철 등) 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조사 보고되었다. 둘째, 대기오염은 자연적인 희석률이 크고, 사회적 인식 확대, 각 종 규제 등으로 인하여 대기오염이 억제되고 있으나, 실내공기는 한 정된 공간에서 인공적인 설비를 통하여 오염된 공기가 계속적으로 순 환되면서 그 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셋째, 1970 년대 이후 에너지 보존을 위한 다양한 산업기술이 만들
어 낸 새로운 건축자재가 공공전물뿐만 아니라 일반 주택에도 사용되 고 있는데, 이같은 새로운 건축자재에서 의의의 오염물질이 방출되고 있으며, 또한 경제 수준의 향상으로 다양한 생활용품의 사용이 증가 하는데 이같은 생활용품에서도 의의의 오염물질이 방출된다. 넷째, 에너지 절감률을 높이기 위해 건물의 밀폐화가 진행되면서 건물내 거주자들이 일시적 또는 만성적인 건강과 관련된 증싱을- 호소 하는 사례가 증가되고 있다. 특히 1970 년대 초에 들어 선진 각국에서는 건물의 사무실에서 일하 는 직장인들 가운데 각종 건강 장해와 관련된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 들이 늘어났는데, 이들의 증상 중에 두통, 안질, 후두염, 알레르기성 질환, 어지러움 등의 각종 증세는 실내공기오염에 의한 것으로 밝혀 지고 있으며 , 이것을 일명 빌딩증후군 sic k buil d in g syn d rome-SES 또는 빌딩 관련 질병이라 한다. 이같은 현상은 에너지 문제와 관련하 여 1970 년대 영국, 미국을 비롯한 선진 각국에서 새로운 사회적 공해 문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빌딩증후군은 근본적으로. 건물 내 에너지의 비효율적인 절약 방법과 불충분한 환기량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실내 로의 공기 유입이 감소되어 신선한 공기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한다는 것이라할수있다. 일반적으로 실내공기오염의 영향은 농촌보다는 도시에서, 여름보다 겨울에, 건강한 성인보다 노약자가, 실의에서 활동을 하는 사람보다 는 실내에서 활동하는 사람(주부, 영유아, 근로자, 일반 사무직 등)이 많이 받는다고 할 수 있다. 1-4-2 실내공기오염의 중요성과 영향 인자 인간이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실내공기의 온도, 습 도, 기류 등의 청정 의에도 알맞은 소음, 조도가 유지되어야 하고 실
내환경 구성 요소(벽, 천장, 가구 등)의 색깔의 조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인간의 쾌적감은,개인차, 연령, 성별, 건강 상태, 근무 상황, 겉옷 상태, 민족성, 계절 등의 차이 의에 심리적 요인의 영향 에 따라 다르므로 획일적으로 나타내기는 매우 어렵다. 다만 실내의 공기 및 온열 환경을 나타낼 경우에는 건물의 공중위생법에 의한 허 용치가규정되어 있다. 1) 실내공기오염의 중요성 실내공기오염이 보건학적으로 중요한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그들 생활 중 대부분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고 같은 방안에서 많은 시간 울 보내므로, 실내를 밀폐된 상태라고 본다면 오염물질이 그 속에서 배출되면서 오염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일상의 실내 활동 (요리, 청소, 흡연 등)은 실내공기 중으로 오염물질이 될 수 있는 것을 홀려보내고 있으며, 건물 자재에서도 가스, 방사선을 방출하거나 혹 은 실내 연소의 결과로서 실내공기 오염물질을 방출한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배출된 유해한 물질들을 건물의 거주자들은 그들 의 오감과 신체의 자극에 의해서 실내공기오염으로 감지하게 되는데 불행히도 인간의 신체 감각은 독성의 감지보다는 쾌적성을 감지하기 가 더 쉽다. 죽 오존 Ozone, 일산화질소 Nit ro g en Monoxid e , 포름알 데히드 Formaldehy de 등과 같은 몇 가지의 미립자는 감지를 하지만 더욱 위험스러운 일산화탄소 Carbon Monoxid e , 부유미립자 Part icu - late , 석면 Asbes t os 등은 위험한 수준을 넘어도 감지하지 못한다. 2) 실내공기오염의 영향 인자 실내공기질은 그 대상 범위가 넓으며 실의 대기오염, 오염물질의 실내 발생, 건물의 침두성, 환기와 공기 조화체계, 기상학적 인자와 지형학적 인자, 실의 오염원의 위치, 에너지의 보존 상태 등의 인자
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실외 대기오염 건물을 감싸고 있는 실의의 대기에 존재하는 오염 물질들은 자연적 혹은 인공적인 환기, 유출, 확산 등에 의하여 실내 의 공간으로 침두할 수 있다. 오영물질의 형태는 침투의 특성과 정도 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일산화탄소와 같은 비활성 기체는 곧바로 침투되는 데 비하여 입자류들은 침투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감소된다. 오염물질의 실내 발생 실내오염물질은 많은 활동에 의하여 발생되 는데 예를 들면 요리, 청소, 흡연, 페인트 칠, 화장할 때 입자물질이 떠오르는 것 등이다. 건물 실내에서 생성된 오염물질들은 밀폐된 공 간 속에서 확산되고, 의부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과 실의 오염물질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 및 내부의 표면에서의 오염물질의 흡착과 흡수 등에 따라발생된다. 건물의 침투성 건물의 침두성으로 인한 실의오염물질의 유입 및 실 내오영물질의 유출 · 정도는 실내 대기질에 큰 영향을 준다. 침두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적인 인자들로는 창문과 문의 개수, 건물 구조물 의 일반적인 밀착도 등이다. 환기와 공기 조화 체계 건물 내의 적극적인 환기 체계는 실내공기질 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실내공기를 재순환시켜서 실내에서 발 생된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실내공기질을 깨끗하게 하거나, 실의 환기로 실내오염물질의 농도를 실의의 것과 비슷하게 한다. 또한 여 과, 공기 정화, 활성탄 흡착 등을 포함한 공기 조화 체계는 입자들과 반응성인 가스상 오염물질들의 실내 농도를 감소시킨다. 기상학적 인자와 지형학적 인자 건물 주위의 지형적 조건과 기상학 적 조건은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미친다. 예로서 기온 역전은 실의 농 도가 상승되도록 하는 원인이 되며 이러한 조건 하에서는 실의대기의 침투가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한랭한 기후 조건에서는 실의 공기가 난방 장치로 뜨거워져서
건물의 낮은 곳으로 들어오고 건물의 윗부분에서는 실내공기를 배출 함으로써 실내와 실의 사이의 압력 차이가 발생하여 상당한 굴뚝효과 를 보인다. 또한 바람은 실내와 실의 사이의 압력차를 발생시키므로, 실의오염물질의 침두나 오영물질의 신속한 희석을 돕는 경향이 크다. 실외 오염원의 위치 건물 주위에 위치한 오염원들이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로써 건물의 난방 시스템에서 나오는 연소 생 성물을 배출시키는 굴뚝이나, 건물의 공기 흡입구 가까이에 있는 자 동차 주차장 등을 둘 수 있다. 에너지 보존 상태 가정의 완벽한 단열과 빈틈없는 구조가 실의오염 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막는 것처럼 에너지의 보존 상태에 따라 실내 공기질도 영향을 받는다. 건물에서 겨울과 여름에 데워지거나 혼합된 공기를 재순환시키면 실의대기질에 의한 영향은 감소되지만, 실내오 염물질에 의한 영향은 최대화된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실내공기 질은 많은 인자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실내공기의 오염 상태를 파악하거나 오염된 상태를 개선시키는 대책을 수립하고자 할 때는 다 각적인 연구 조사가 전제되어야 한다. 1-5 실내공기오염 연구의 전망 실내공기오염에 관한 연구는 작업 환경을 제의한 다양한 실내환경 에서의 오염물질 및 발생원의 규명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 로써 보다 나은 생활 환경을 유지하여 인간의 건강 복지 향상에 노력 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이같은 연구는 긍국적으로 실내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 는 것으로 각 오영물질의 개인노출 농도를 측정하고 개인의 신체 검 사, 생화학적 검사, 건강 조사 결과와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알
수 있다. 따라서 1970 년 후반부터 공기오염물질의 개인노출량을 분석 하기 위해 소형의 개인 측정 기구가 개발되고 있어 유용하게 사용되 고 있다. 최근 외국에서는 실내공기오염의 위해성 평가에 관한 연구 가 활발히 진행되고 계속적으로 실내환경 연구가 발전될 것으로 기대 된다. 이같은 실정에 국내에서는 실내공기오염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으로 장래에는 국내의 실내환경 조건에 알맞는 공기오염 조사가 본격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체계적이고 장기간의 실내 공기질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면 실내공기오영과 대기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좀 더 확실히 파악할 수 있다. 다가오는 21 세기에서의 실내환경오염의 예방 대책은 생활 속의 환경 문제 해결인 동시에 국 만 건강 증진을 도모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윤신 (1983), 「실내공기오염에 관한 보건학적 고찰」 《 대한보건협회지 》 , —9 ( 1: 938 9: )2, 7-「3실9.내 공기오염」 《대 한의학협회지 》 , 32 : 12 : 1279-1285. Americ a n Socie t y of Heati ng Refr ige rati ng and Air -C ondit ion in g Eng ine ers, (1989) ASHRAE Sta n dards 62-1981, Venti la ti on fo r Accept ab le Indoor Air Q u alit y, ASHRAE. Banaszak, E . F. and Thie d e, W. H. and Fin k , J. N. (1970) , Hy pe rsen- siti vi t y pre urnon itis d ue to conta m i nt i on of a n air c ondit ion er, N. Eng l. ]. Med. 287 : 271-276. Fin n ega n , M. and Burge , P. S. (1984) , The sic k buil din g syn d rome, pre valence stu d ie s , Bri t. Med. ]. 289 : 1573-1575. Kreis s, K. and Hodg so n, M. J. (1 984) , Buil d in g - a ssoci at e d epi de mi cs , In Indoor air qua lity , Ed. P. J. W alsh 의 , 87-106, Boca Reto n ,
Fla. : CRC Press. —Nati on (a1 l9 R81ebs)e ,a rEchn vCior ou nnmc iel (n 1t9a 8l 1Ta)o ,b Iancdcooo Sr mPoolkleu,ta nN tsa , tNi oan tai lo An acla Adecmady - emy Press, Washin g ton D.C. Press, Washin g ton D.C. ( 1987) , Polic ies and Procedures for contr o l of ind oor air qu ality , Press, Washin g ton D.C. : Nati on al Academy Press. Ott , W. R. (1985) , Tota l human exp os ure, Envir o n. Sci. Tech. 19 : 880 -886. Wadden, R. A. and Scheff , P. A. (1983) , Indoor Ai r Polluti on , Joh n Wi le y & Sons, New York. Wallace, L. A. 의 (1986) , Tota l Exp o sure Assessment Meth o log y (TEAM) Stu d y : Personal Exp o sure, Indoor-Outd o or Relati on - shi ps, and Breath Levels of Volati le Orga ric C omp ou nds in New Jer sey, Envri on . Int. 12 : 368-387.
제 2 장 실내공기 오염물질과 발생원 2-1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주 발생원 실내공기 오염의 주요 발생원과 오염물질을 열거하면 표 2 - 1 과 같 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발생원은 건축자재, 주방 및 난방 연료의 연소, 인간 활동, 각종 생활용품, 기타 등으로 나눌수있다.
표 2-1 실내공기오영의 주요 발생원과 오염물질 발생원 오영물질 건축자재 포름알데히드,라돈,석면 주방 및 난방 연료의 연소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 인간 활동 분전 환경담배연기 등 각종 생활용품 미생물성 물질, 휘발성 유기화학 물질 등 기타 악취, 소음, 비전리 방사선, 전리 방사선 등
2-2 주요 실내오염물질의 특성 및 발생원 2-2-1 건축자재 1) 포름알데히드 특성 포름알데히드 Formaldeh y de 는 자극적인 냄새가 있는 무색의 기체로 인화점이 낮아 폭발의 위험이 있으며, 물에 잘 녹고 40% 수 용액을 포르말린이라고 한다. 포름알데히드는 백금 또는 구리의 용액 울 적열하여 메틸알코올과 공기와의 혼합 기체를 통과하면 촉매 작용 에 의해서 CH30H+ 1/202-H CHO+ H20 로 되는 산화 반응이 일 어나고, 촉매를 가하면 계속해서 가열할 필요가 없으며, 포름산울 건 류하면 순수한 포름알데히드를 얻을 수 있다. 포름알데히드는 화학적 으로 반응성이 큰 환원제로 많은 물질과 결합하여 쉽게 중합체를 형 성하기 때문에 젤라틴, 아교 등과 같은 단백질과 결합하여서 응고시 킨다. 또한 살균제나 방부제로 쓰이고, 피혁 제조나 사전 전판, 폭약 등을 만들 때 이용되며 베클라이트와 같은 석탄계, 요소계, 멜라민계 합성수지를 만드는 등 공업상의 용도가 넓다. 발생원 포름알데히드의 발생원울 보면 자연 발생과 인공 발생으로 나눌 수 있다. 포름알데히드의 자연 발생은 대기 중의 탄화수소가 산 화되어 생성되는 것으로, 죽은 수목이 분해되거나 관영식물에서 방출 되는 화학 물질의 변환으로 생성된다. 인공 발생은 포르말린, 합판, 합성수지, 화학 제품 등의 제조 공장, 소각로, 유류, 천연가스 등의 연소 시설 등에서 발생되는데 대부분이 공기비를 산출할 수 없는 개 방된 공정에서 발생되며, 촉매 변환기가 없는 자동차의 배기 가스에 의해서도 방출된다. 특히 실내 발생원으로는 주로 일반 주택 및 공공 건물에 많이 사용되는 우레아수지폼 단열재 urea form aldehy de foa m i nsula ti on-UFFI 나 섬유 옷감, 실내 가구의 칠, 난방 연료의 연소 과
정, 흡연, 생활용품, 의약품, 접착제 등을 둘 수 있다. 따라서 실내 포름알데히드 농도는 신축 건물에서 항상 높게 나타나며 조리, 벽난 로, 기타 난로 등에서도 방출된다. 건축자재에서 발생된 포름알데히 드는 건축자재의 수명, 실내 온도 및 습도에 따라 그 방출량이 영향 을 받으며 일반적으로 방출되는 기간은 4 .4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2) 라돈 특성 라돈 (Radon: Rn - 222) 은 지구상에서 발견된 약 70 여 가지의 자연 방사능 물질 중의 하나이다. 먼저 방사능의 발견 과정을 보면 1895 년에 뢴트겐 Ron tg en 이 X 선을 발견하였고, 다음 해인 1896 년에 프랑스의 물리학자 베크렐 Bec q uerels 은 검은 종이에 싼 사진 건판이 감광되는 것을 보고는 우라늄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이라고 생각하였 다. 이것을 보통 방사능의 발견이라고 일컫는다. 그 후 1898 년에 퀴 리 Curie 부인에 의하여 방사능을 가진 새로운 두 가지 원소인 폴로늄 (Poloniu m -Po, 원자번호 84) 과 라듐 (Radiu m -Ra, 원자번호 88) 이 발견 되었고, 러더퍼드 Ru th e rf ord 는 우라늄 방사선의 투과력에 대하여 조 사한 결과 선과 선의 방사선 형태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로이드 Ro i de 와의 실험 결과 라돈 (Rn, 원자번호 86) 으로부터 방출된 a 입자가 헬륨 Hel i um 의 원자핵이며 곧 원자를 얻어 헬륨 원자로 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라돈은 사람이 가장 흡입하기 쉬운 기체성 물질이며 그 반감기는 3.8 일간으로 라듐의 핵분열 때 생성되는 물질이다. 라돈은 무색, 무 취의 기체이며 액화되어도 색을 띠지 않는 물질로서 핵분열 때 방출 되는 라돈의 생성 과정을 보면 그림 2-1 과 같다. 또한 라돈 가스는 공기보다 9l1H 나 무겁기 때문에 지표에 가깝게 존 재하므로 그 방출량은 증가될 수 있다. 실내에서의 라돈 농도는 극히 미량의 실의 라돈 농도를 최저치로 하여 여기에 각종 라돈 발생원에
토리움 프로토악티늄 우라늄 토리옹 라 듐 라돈
서 실내로 침두하는 라돈 농도량과 환기량의 비에 의하여 산출된다. 예로써 6o.5m2 크기의 방을 가정할 때 안쪽 벽에 라돈 함유량이 높은 석고 보드를 사용했을 경우 라돈 방사율(건축자재에서 생성되는 라돈 0~] 대한 실내공기 중으로 방출되는 라돈의 비율)을 매개변수로 한 환기 량과 라돈 농도와의 관계를 보면 0.1 로 추정되며 실내 환기 수를 0.2 회/시간으로 가정했을 경우 약 lp C i/ 1정 도의 라돈 농도가 산출된다. 실내 라돈 농도는 지역, 지상 조건, 의기 중의 라돈 농도, 건물의 건축자재, 토양, 음료수 등의 라돈 함유량, 건축 구조, 실내 기상 조 건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토양에서 방출되는 라돈 가스는 콘크리트 판이나 블록의 기공을 통하거나 툼, 물구덩이, 하수관이 불 량할때 침두할수있다. 발생원 라돈은 일반적으로 흙, 시멘트, 콘크리트, 대리석, 모래, 진흙, 벽돌 등의 건축자재 및 우물, 동굴, 천연가스 등에 존재하며 공기 중으로 방출되고 있다. 이와 갇이 라돈은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 며 주로 건축자재를 통하여 인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주택에 서 라돈 오영은 우라늄을 함유하고 있는 암석질 토양의 사용과 토양 에 노출되기 쉬운 지하실을 갖춘 주택 또는 암석을 축열재로 사용하
는 태양열 주택 등에서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주택에서 실 내 라돈 농도는 환기 시설이 불량할수록 높게 나타날 수 있다. 라돈 갸스가 주택으로 침두하는 경로의 예를 보면 그림 2-2 와 같다.
E
라돈의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주로 피코퀴리 (pico Curie - pC i) / I 또는 베크렐 (Becq ue rels-Bq ) /m3 을 사용한다. 방사능 단위는 퀴리 (Cur i e, 보통 C i.£표시)로서 이 단위는 l g의 라듐과 평형을 이루고 있 는 라돈의 양을 의미하며, 1 퀴리는 어떤 방시능 핵종이 1 초에 3.7X 1010 만큼 붕괴할 때의 방사능의 단위이다. 죽 1 초에 370 억 개의 원자 핵이 붕괴되고 있는 상태를 1C i라고 한다. 1C i =3 . 7X1010B q이고,
1 pC i =o .037 B 辱 표시한다. 1 pC i = C i x 10- 1 2 , 1 Bq /m 3= 37C i/툐 나타낼수있다. 3) 석면 석면 Asbes t os 은 여러 석면 형태의 섬유에 대한 집합적 용어이다. 굴절성이나 강도, 지속성과 같은 특성이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석면 에 잠정적으로 노출되는 것은 생활 주변의 다양한 용품들 속에 내포 되어 있기 때문이다. 특성 석면은 규산 화합물로 규소, 수소, 마그네슘, 철, 산소, 칼 슘, 나트륨 등의 원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기본 구조는 산화규소 (S i 04) 이다. 산화규소이온 (S i 04)-4 이라는 음이온이 산소를 매개로 서로 결합하고 그 주변에 다른 원소를 연결하고 있다.
석면 빈
석면은 화학적으로 사문석 계열과 각섬석 계열로 크게 분류되며 자 연적으로 발생하고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며 응용 범위가 매우 넓다. 사문4 계열에는 크리소타일 ch ryso til e 만이 생성되지만, 각섬석 계열
에는 크로시돌라이트 croc i dol it e, 액티노라이트 ac ti nol it e, 안소필라이 트 anth o ph y l lite, 트레몰라이트 tre moli te, 아모사이트 amosit e 등이 있으며, 이것들의 공업적 생산 및 소비량을 살펴보면 사문석 계열이 95%, 각섬석 계열이 5% 정도의 비율로 서용되고 있다. 그림 2 궁은 석면의 종류이며, 그림 2-4 는 석면의 형태이다.
백석 면 황 석 면 청석면
또한 사용되고 있는 석면들의 독성을 보면 크로시돌라이트, 아모사 이트, 크리소타일 등의 순으로 각섬석 계열이 강한 독성을 나타내는 데, 그 이유를 보면 사문석 계열과 각섬석 계열의 화학적 구조의 차 이에서 생기는 것으로 보인다. 사문석 계열은 서로 꼭지접을 공유하 며 괭팽하게 결합되어 전체적으로는 꼬인 형태이지만, 각섬석 계통은 엇갈리면서 2 중 쇠사슬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곧은 형태 룰 지니므로 강한 섬유성 독을 지닌다. 그림 2- 注근 크리소타일과 각 섬석 계 석면의 화학 구조이다. 석면은 굴절성이 있고 불연성인 섬유 물질로 분리되고 있다. 이들 석면이나 광섬유둘은 장력 강도와 열 및 전기적인 절연성이 크고 화 학적으로 분해가 잘 되지 않는다. 석면섬유는 섬유유리, 광물면, 셀
크리소타일 각섬석계 석면
룰로오스 등으로 구성되며 거의 모든 자재나 기구 그리고 인체 조직 내에서 자연적인 본래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석면의 특성 중에 지속성과 공기 중에 머무는 시간 및 섬유의 크기 는 석면에 노출되었을 경우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석면의 지속성으로 석면 형태의 광섬유는 거의 모든 용도, 기구 그 리고 인체 조칙 내에서 자연적인 본래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석면의 공기 중 머무는 시간은 매우 길어 침전 속도는 섬유 직경에 따라 달라지고, 섬유 길이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높이 3m 인 빙에 서 길이가 5µm 이고 직경이 lµm 인 섬유가 공기 중에서의 침전하는 데 거의 心]간이 걸리는데 반해 길이는 같고 직경이 O.lµm 인 섬유의 경우에는 20 시간 정도까지 공기 중에 남아 있다. 이러한 공기 중에 머무는 시간은 난류에서는 더 길어질 수 있고, 다른 부유 입자들처럼 섬유들도 기류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공기의 지속성이 증가되고 좀 더 작은 직경을 가진 입자들이 모여 있는 곳에서는 섬유 묶음이나 섬
유들의 현저한 길이 분열이 원인이 되어 자연적으로 분열이 발생한 다. 섬유의 크기는 호흡기에서 섬유 침착에 따른 호흡 상태와 공기 중 의 섬유 농도에 영향을 준다. 사람의 폐에 남아 있는 대부분의 섬유 들은 5µm 보다 짧으며, 직경이 대략 2.5µm 이하이지만, 200µm 에 상당하는 일부 얇은 섬유들이 폐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발생원 석면의 광범위한 사용에 따른 건강 영향 조사가 많아지는 것은, 석면이 환경오염물질로 인식되고 그에 따라 관심이 고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석면 형태의 섬유는 건축자재, 소비물품, 자동차 브 레이크, 가정용품 등에 다양하게 서용되는데 주방기기, 난로, 스토 브, 석면 파이프를 수리하거나 사용함으로 인해 대기 중에 석면 형태 의 섬유들이 빙출되는 것이다. 사문석 계열이나 각섬석 계열은 자연에서 서로 생성 방식이 다르고, 같은 계열이라 할지라도 내부에서의 생성 방식이 한결같지는 않다. 석면은 지각 변동의 몇몇 단계를 거쳐서 형성되는데 모암의 일부가 열수나 고열로 용융된 습곡 현싱에 따른 압력 등의 영향을 받아 용해 되고, 마침내 냉각된 후 재결정되어 만들어지는 것이 석면이다. 이런 과정에서, 가해진 열이 어느 정도인지, 용해된 열용액은 얼마 동안 콜로이드 상태로 있었는지, 그리고 냉각시의 여러 조건들이 석면 형 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크리소타일(백석면)은 사문 석의 열용액, 또는 모암에서 사문석을 용해하고 들어온 열수가 모암 의 균열을 채우고, 재결정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석면은 우리 생활 주변에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중요한 용도만으로 도 수천 종에 달하며 석면을 첨가함으로써 제품의 강도와 안전성이 증가하고, 열저항성, 풍하 등에 대한 내성이 강화된다. 또한 강도 및 내마모성을 필요로 하는 건축 재료인 슬레이트, 비닐타일, 각종 시멘 트 등에 사용되며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 클러치 페이싱, 디스크
패드, 윤활재 , 접착재, 페인트 등의 첨가재, 피복 전선, 기계기구의 단열재, 방화, 절연 등에 쓰인다. 가정 내에서는 온수 파이프, 전선 코드, 토스터, 헤어드라이어, 석유 난로의 심지, 페인트 등 쉽게 접 하는 많은 부분계 석면이 이용된다. 2- 2 -2 주방 및 난방 연료 1) 이산화질소 특성 기체 상태의 질소산화물로 아산화질소 (N20), 일산화질소 (NO), 무수아질소 (N2 아), 이산화질소 (N02), 사산화이질소 (N204) 그리고 무수질산 (N20s)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것들 중에 대기 중에 서 상당한 양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산화질소, 일산화질소 그리고 이 산화질소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질소 화합물이라고 할 때에는 일산 화질소와 이산화질소를 뜻하며, 질소산화물 (NOx) 로 표기한다. 질소 화합물의 측정시 일산화질소는 이산화질소로 산화한 다음에 측정하게 됨으로 일산화질소와 이산화질소를 합하여 질소산화물이라고 표기하 는 것도 편리한 점이 있다. 일산화질소는 무색, 무취의 기체로 다음 식들에 주어진 겔도비치 zeldov i ch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다. N2+ 궁1 ) 2 -NO+N N+02 -NO+ 권1 2 (식 2-1 ) N2+02-2 NO 이산화질소의 형성은 다음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2N0+02 --+ 2N02 (식 2-2)
자동차 실린더 안의 1093•c (2000 ° F) 가 넘 는 온도에서 질소와 산소 두 기체는 결합하여 직접적인 대기오염물로서는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지만, 일산화질소를 형성한다. 이것이 공기 중으로 배 출 되어 급격 히 냉각되면, 일부가 이산화질소로 변화된다. 또한 탄화수소와 태양 빛의 존재히에서 차후의 복잡한 반응으로 오존을 생성한다. 연소 반응에서 질소산화물의 형성에 원인이 되는 질소원에는 두 가 지가 있는데, 첫째가 공기이며, 둘째는 연료질소이다. 연료 중에 존 재하는 화학적으로 결합된 질소는 연소 과정에서 일산화질소의 중요 한 생성원으로 연료질소fu el-n it ro g en 라고 불린다. 일산화질소는 이산화질소의 형성에 있어서 선구물질p recursor 이 되 고, 광화학 스모그 발생에 크게 작용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대기오염 물을 만드는 반응들의 개시제 (반응을 시작하도록 하는 물질) 역할을 한 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일산화질소에 대한 조절은 대기오염을 저감 시키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 이산화질소가 광화학 스모그의 발생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원인은 광분해에 있다. 이산화질소 분자의 광흡수 및 형광 현상, 화 학 반응성 등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데, 태양광의 흡수는 파장에 따라 다르지만 4000nm부 터 4500nm 에서 가장 흡수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형광 현상은 3660 Ill1l5!.다 장파장에서 볼 수 있으며 , 광분 해는 4050nm 부근에서 서서히 나타나 3660nm 부근에서 흡수율이 1 에 가깝다고 알려져 있다. 발생원 실내 이산화질소는 일반 가정에서 취사용 프로판 가스기구 의 사용시 발생하고 흡연, 실내 건축자재, 난방 연료(나무, 석탄, 기 름, 가스 등)의 연소에서 나오거나 의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오염물 질 등으로 발생하며, 공기 중의 질소 혹은 연료 자체의 질소 성분이 연료와 공기 혼합비에서 많이 발생한다. 또한 지하상가의 경우 각 점 포내에서 사용하는 가스 및 석유 곤로 등이 이산화질소의 발생원이
되며, 지하철 역이나 지하도의 경우는 상주 인구보다는 보행자가 많 아 보행자의 흡연이나 지하철 역내의 점포에서 방출시킬 수 있는 주 방 연료인 프로판 가스의 연소가 이산화질소의 발생원이 된다. 또한 지하주차장과 터널의 경우는 자동차 배기 가스가 이산화질소의 발생 원이 될 수 있다. 2) 일산화탄소 특성 일산화탄소 Carbonmonox i de 는 무색, 무미, 무취의 기체로 무연탄과 각종 유류 등 연료가 불완전연소할 때 발생된다. 일산화탄 소는 탄소를 포함한 모든 물질이 연소할 때 발생하며 특히 산소의 공 급이 부족할 때 그 발생량은 급증한다. 일산화탄소는 인체 혈액 중의 헤모글로빈과 매우 결합하기 쉽고, 산소보다 약 210 배의 결합력을 가 지고 있다. 일산화탄소를 포함한 공기를 호흡하면 폐를 통해서 흡입 되어 혈액 중의 헤모글로빈과 쉽게 결합하여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 (CO-Hb) 이 되고, 이로 인해서 혈액에 의한 산소 운반 기능이 저지 되어 신체 각 조직은 일종의 질식 상태를 일으킨다. 담배를 피워도 체내에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이 생성된다고 하는데, 조사에 의하면 하루에 10~20 개비를 피우는 사람은 몸안의 전 헤모글로빈의 4.9%, 30~40개 비를 피우는 사람은 9.3% 정도의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이 생성된다고한다. 발생원 온돌이라는 주택 양식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는 1950 년을 전환기로 일산화탄소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연탄을 취사, 난방의 주 연료로 사용하므로 지난 30 년간 연탄의 불완전연소에 의한 일산화탄 소 중독 사건이 많이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일산화탄소의 급성 또는 만성 중독의 위험성은 우리의 생활 환경 속에 항상 존재하고 있다. 특히 불량한 취약 가옥의 수가 많아 이로 인한 일산화탄소 중독의 피해는 심각한 국민 보건 문제로 남아 있을 뿐 아니라, 각종 산업의
발달, 차량의 증가로 인해 자동차 배기가스와 더불어 대도시 대기오 영을 한충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3) 이산화탄소 특성 이산화탄소 Carbon d i ox i de 는 무색, 무미, 무취의 기체로 밀 도는 1.97 6 g/1 (o °C , 1 기압), 임계온도는 31•c 이다. 이산화탄소는 황 화수소 (H2S), 인산이수소이온 (H2PO 김, 지방산 등과 같이 수용액상 에서 산성을 띠고, 수중에 탄산수소이온 (HCO 디, 탄산이온 (C Q 3-2), 수산화이온 (OH-) 등이 녹아 있으면 약염기성을 나타낸다. 이산화탄 소의 분자량은 44.01 로 보통 공기의 분자량이 28.8 이므로 탄산 가스 는 같은 양의 공기에 비해 약 1. 5 배 무겁다고 할 수 있다. 발생원 탄산 가스로 일컬어지는 이산화탄소는 대기 중의 정상 성 분으로서 인간이나 동물의 호흡기로 배출되고 연료가 연소되면서 생 성되는 물질이다. 한편 식물은 광합성에서 탄산가스를 이용하기 때문 에 대기 중의 탄산가스의 농도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해 왔다. 일반적 으로 실내오염의 주요 지표로 사용되는 이산화탄소는 실내공간에서의 많은 사람이 모였을 경우 호흡할 때 발생된다. 2-2-3 인간 활동 1) 분진 특성 분전 Par ti cula t e 이라 함은 대기 중에 부유하거나 비산 강하하 는 미세한 입자상 물질을 말하는데, 입자상 물질이란 물질의 파쇄, 선별, 퇴적, 이적 기타 기계적 처리 또는 연소, 합성, 분해시 발생하 는 고체상이나 액체상의 미세한 물질로서 분전, 매연, 검댕 및 액적 등울말한다. 대체적으로 분전의 입경은 0.001~500µm 로 대부분의 크기는 0.1~
IOµm 정도이다. 분전은 크게 강하 분전과 부유 분전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강하 분전은 입자가 크고 무거워서 침강하기 쉬운 분전으로 단 위는 ton :/km2/mon th이다. 부유 분전은 입자가 미세하고 가벼워서 좀처럼 침강하기 어려운 분전으로 단위는 m g /µ3 이다. 대기 중 분전의 이화학적 특성은 입자의 고유 성상과 매질인 대기 상태에 의존하며 입자의 입경 농도 및 화학적 조성은 가장 중요한 인 자이다. 크기가 0.Iµm 이하인 입자는 분자와 비슷한 특칭을 나타내 며 기체분자와 충돌하여 브라운 운동을 한다. 입경이 Iµm 보다 크거 나 2oµm 이하인 입자는 그들이 위치하는 가스의 운동에 따라 운동하 며, 2oµm 이상의 크기를 가진 입자는 침전 속도가 빨라 대기 중의 체류시간이 짧다.
-담 배 |연기 `..... . -一 안개 .
피 엠 텐 (pa rt icu late m att ers less tha n 10µm as an aerodyn a mi c diam - e t er-PM - 10) 이라고 불리는 분전은 임경이 공기 역학적 직경으로 · 10µm 이하의 분전 입자를 뜻한다. 이러한 크기의 입자는 침강 속도
가 느리고, 대기 중에 비교적 장시간 체류하며 사람이 호흡할 때 폐 의 기관지 또는 폐포 부위에 침착되기 쉬운 경향이 있어 호흡기에 영 향을미친다. 발생원 실의 분전의 배출원은 점 배출원, 면 배출원 및 이동 배출 원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점 배출원은 화력발전소, 공장 등 대규모 시설로서 연소 시설에 의한 분전 배출이 많은 배출원이며, 면 배출원 은 소규모 배출원 및 불확실한 점 배출원으로서 주거, 상업지역, 소 규모 공장 등 오염물질의 배출량은 적은 데 비하여 그 수가 많아서 일정 면적 내에서 균일한 오염물질의 배출원이며, 이동 배출원은 트 럭, 버스, 승용차 및 모터 사이클에 의한 도로상의 배출원과 비도로 상의 배 출원 이 다. 표 2-2 는 국내 의 1984 년 총부유분전 tot a l
표 2-2 층 부 유 분전의 배출원별 배출량 배출원 점비산산업분분전야 고정면 이동 계
화 가정/상업/공공용연료 1.0 105.2 106.2 석 산업용연료 22.4 10.7 33.1 연 발전용연료 34.4 34.4 료 고형폐기물소각 4.1 4.1 연 1 투이동배출원 16.3 16.3 소 비도로이동배출원 3.0 3.0 소겨] 57.8 120.0 19.3 197.1 비 1 소법공정 217.7 217.7 산 비산먼지 59.3 59.3 분 1 투각재비산먼지 1660.0 1660.0 진 산업분야비산먼지 218.2 218.2 소계 217.7 218.2 59.3 1660.0 2155.2 총계 275.5 218.2 179.3 1679.3 2352.3suspe n ded p ar ti cula t e-TSP) 의 배출원별 배출 목록이다 . 실내에서의 분전은 크게 실의대기 중의 분전이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 자체내에서 발생된 분전으로 나눌 수 있다. 실내 자체에서 발생 된 분전은 실내 바닥에서 발생된 먼지, 담뱃재, 긱종 난로의 연소 과 정에서 나오는 먼지, 검댕 등이다. 또한 실의에서 유입되는 분전은 실내 분진 농도가 높은 지역에서의 유입, 자동·차 차고로부터의 유입 을생각할수있다. 2) 환경담배연기 특성 일반적으로 실내흡연으로 불리는 환경흡연 (envir o nmenta l tob acco smoke- 일명 ET 莘i 칭한다)은 간접흡연 pas siv e smokin g 으로 표현되고 있다. 간접흡연이란 비흡연자가 실내에서 담배의 연소 화합 물에 노출되는 것을 말하며, 환경담배연기는 주류담배연기 main str e am smok 러 비주류담배 연기 sid e str e am smok 려 두 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주류담배연기란 흡연자가 담배를 흡입하여 폐속에서 여 과한 후 호흡기로 배출한 것이며, 비주류담배연기는 담배 자체의 연 소로 환경에 직접 배출되는 것을 말한다. 오늘날 흡연은 각종 호홉기 질환 발생의 주범이라고 생각하고 있으 며 모든 폐암 발생 요인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미국 공중위생국은 〈흡연은 예방이 가능한 질병이며 죽음의 가장 큰 원인 〉 이라고 경고하 였다. 특히 담배가 질병과 사망을 야기시키는 원인이 된다는 사실은 많은 역학적 조사 연구와 동물실험 등을 통해서 입증되었으며, 홉연 유해론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가장 큰 이유는 폐암 발생률의 극적인 증가에 있다. 담배는 그 연소에 의하여 부유- 입자 물질과 일산화탄소, 이산화탄 소를 비롯한 40001 롭- 이상의 오염물질을 발생하므로 담배 연기는 일 반 실내환경에서 주요 오염원으로 볼 수 있다. 이같은 담배 연기는
직접 담배를 피우는- 사람에게 폐암, 후두암, 간암 등을 유발하고, 순 환기와 소화기에도 병변을 일으킨다. 동시에 이것은 같은 생활 공간 의 비흡연자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내의 담배 연기 중 85% 는 비주류담배연기에 의한 것이며, 비주 류 담배연기는 공기 중에 희석되므로 농도는 적지만 주류담배연기보 다 더 해로운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흡연으로 인해 실내에서 증가하 는 기체 성분은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메탄, 아세틸렌, 시안화수 소 등이며, 미립자 성분으로는 타르, 수분, 톨루엔, 페놀, 메틸나프 탈렌, 벤조 (a) 피렌 1 아닐린, 니코틸, 2- 나프틸아민 등이 있으며, 특 히 비주류담배연기가 주류담배연기보다 많은 기체 성분과 미립자 성 분을증가시킨다. 발생원 최근에는 흡연자뿐만 아니라 담배를 피우지 않고 주위에 있는 자에게도 흡연의 영향이 있는가에 대한 연구, 죽 환경담배연기 의 유해성에 관한 논란이 거론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흡연은 담배의 연소 과정에 의하여 부유 입자 물질과 일산화 탄소, 이산화탄소, 알데히드, 다환방향족탄회수소 등 수많은 오염물 질을 발생하며 이 중 50 여 종이 발암성 물질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던 담배 연기에서 냄새, 재 등의 발생은 실내환경 중 가장 쉽게 알려진 오염원으로볼수있다. 2-2-4 각중 생활용품 1) 미생물성 물질 釋 실내환경에 존재하고 있는 미생물성 물질 M ic roor g a ni sm 둘은 인간의 활동과 애완동물과 관련이 있으며 이들 물질의 종류로는 세 균, 전균, 바이러스, 포자, 곰팡이 등이 있다. 포자, 곰팡이, 균류와 같은 미생물들은 다습하고 환기가 불충분하며 공기질이 나쁠 경우 잘
증식하게 되며 전염성 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을 유발시키기도 한 다. 실내에 존재하는 생물학적 오염물질들은 자동으로 화학정량하는 것 울 방해하는 복잡하고 다양한 유기 구조와 관련이 있다. 생물 기원의 행위자들 B i o g en ic a g en t s 은 전염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도록 더 욱 자주 자국시키는 것과 같은 직접적이지만 제한된 독성을 내포하고 있다. 박태리아성 물질이나 바이러스성 물질들은 사람들에게 전염을 유발시킬 수도 있지만 실내에서 이들 물질들이 전달되는 과정이 완전 히 알려진 것은 아니다. 실내의 먼지 속에 존재하는 진드기 등은 계 절, 온도, 습도 등에 따라 증가 속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발생원 일반 가정에서 유용되는 각종 살포제, 풀라스틱 제품, 페 인트, 악취 제거제, 접착제, 공기정화기, 냉장고, 가습기, 애완동 물, 바퀴벌레 등은 실내공기 중에 미생물성 물질을 방출한다. 또한 건물내 천장 덕트 duc t에 쌓인 먼지는 실내 먼지 및 미생물성 물질의 발생원이 될 수있다. 2) 휘발성 유기화합물 특성 일명 유기용제로 통칭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Vola til e Orga n ic Comp ou nds-VOCs 이란 피용해물질의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 고, 문자 그대로 어떤 물질을 녹일 수 있는 액체성 유기화합 물질을 말한다. 유기용제는 그 용도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종류는 퍽 많으나 용제로서의 공통된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첫째는 물질을 녹이는 성질이며, 둘째는 실온에서는 액체로 휘발하 기 쉬운 성질을 갖는다. 특히 유기용제는 유지류를 녹이고 또 그것에 스며드는 성질이 있으므로 피부로부터 흡수되기 쉽고, 체내에 흡수된 후에도 중추신경 등 주요 기관을 침범하기 쉽다. 이와 같은 용제는 휘발성이 크므로 공기 중에 가스로서 포함되는 일이 많으므로 이런
물질들은 피부에 직접 닿지 않더라도 호흡기로 흡입되면 중독을 일으 키게된다. 또한 유기용제는 크게 탄화수소계, 할로겐 탄화수소, 알코올류, 에 스텔류, 알데히드류, 케톤류, 글리콘류, 에텔류 등으로 분류한다. 유 기용제의 수는 수백 가지로 농도는 거의 낮은 수준이나 가장 독성이 강한 것은 톨루엔t oluene 이다. 다음으로 자일렌 x y lene 그리고 에틸벤 젠 e thy lbenzene 순으로 독성이 강하다. 발생원 유기용제의 일반적인 발생원은 건축 재료, 세탁용제, 가구 설비, 살충제, 카펫 접착제, 페인트, 전화선은 유기용제에 있어서 가 장 높은 방출원이다. 특히 톨루엔은 페인트, 라카, 코팅, 염료, 페인 트 제거제, 살충제, 약품 등의 제조 공장에서 용제로 쓰이며 화학 물 질의 합성, 인조 고무, 직물, 그라비아 사진 잉크, 셀룰로오~-에스 테르 라카 등의 원료로 쓰이며 이것들은 실내 생활 속에서 다양하게 사용된다. 2-2-5 기타 1) 악취 특성 악취 Odor 란 불쾌한 냄새의 뜻으로 인간에게 불쾌감을 주어 정신, 신경 계통을 자극시켜 정서 생활 및 건강상의 해를 주는 물질 울 말한다. 또한 악취는 생활 환경과 사람의 심리적 판단에 의하여 악취 오염의 양상이 다르므로 악취 물질의 농도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악취 오염 상태를 나타내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악취는 실 내공기오영 문제 중에서 가장 복잡하고 모호한 성질로 무기준의 오염 물질로분류되고있다. 발생원 실내에서 불쾌한 냄새는 의부의 발생원으로.부터 유입에 의 하거나 실내 자체에서 발생된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의부의 악취
발생원은 양돈 양계장, 피혁 공장, 비료 공장, 사료 제조 공장, 분뇨 처리장, 유지 공장, 수산 가공 공장, 식품 공장, 펄프 공장, 석유화 학 공장, 고무 공장, 유기합성 공장, 도장 작업장, 인쇄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둘 수 있다. 또한 소규모의 식품 가공 공장, 음식 업, 병원, 양로원, 부엌 등, 특히 폐수 처리 때 발생되는 슬러지 slud g e 의 살수실 등의 악취도 무시할 수 없다. 실내에서의 주 발생원 은 담배의 흡연 및 각종 약품 처리된 가구의 칠 냄새 등을 들 수 있 다. 2) 소음 특성 소음 No i s 탁븐 일반적으로 원하지 않는 소리라고 정의할 수 있 다 . 그러므로 소음공해 nois e p ollu ti on 라고 하는 것은 원하지 않는 소 리에 의하여 발생되는 원하지 않는 효과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소음의 정의에 대한 판단은 상당히 주관적인 경우가 많다. 그 예로 소음은 그것을 받아들이는 사람의 연령 및 정신적, 신체적, 사 회문화적 상태에 따라 크게 달라전다. 예를 들면 건강한 사람에 비해 환자인 경우 소음에 매우 예민하여 쉽게 짜증을 느낀다. 또한 클래식 이나 팝송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아무리 좋은 음악이라 하더 라도 소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소음의 단위로는 데시벨 (dB) 이 사용되는데, 같은 기계가 한 곳에 여러 대 있을 경우 1 대의 소음이 6odB 이라면 10 대의 소음은 70dB 이 되며, 사람의 귀로는 약 2 배로 크게 느끼게 된다. 또한 같은 기계가 100 대 있을 경우 소음은 80dB 이 되고 귀로는 1 대에 비해 약 4 배로 크게 둘리며, 10 대에 비해서는 약 2 배 크게 느낀다. 발생원 소음울 발생원 별로 구분하면 자동차, 철도, 항공기 등의 교통 기관에 의한 교통 소음과 공장에서 사용하는 기계, 기구 등의 가동에 의해서 발생되는 공장 소음, 건설 공사할 때 그 장비들에 의
한 건설 소음, 상업 행위 등이며 실내에서는 확성기, 가전제품 등에 의한 생활 소음 등이 있다. 표 2- 3-은 가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사례 별 소음 수준을 나타낸다.
표 2-3 가정에서 발생하는 사례별 소음수준 소음수준 (dB) 분류 발생원 측정조건 40 so 60 70 80 90 100 음굴J I 피아노 정면 1m( 바이엘 104 번) 기기 전축 정면 lm( 야간 청취) 텔레비전 정면 lm( 야간 청취) 가정 에어콘 실의(쿨러 가동시) 용 세탁기 정면 lm( 세탁시) 기기 전공청소기 측면 lm 주택 욕人J 욕실의 출입구(급수음) 설비 화장실 정면 1m( 변기 세정음) 자동차시동음 측면 2m( 환기시) 기타 |개짖는소리 정면 5m 아이들이노는 아래층에서 측정 u갈 소리
3) 비전리방사선 특성 비전리방사선 Non- i on i z i n g ra di a ti on 은 혼히 유해 광선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에너지 범위는 자의선 영역을 포함하여 이보다 에 너지가 낮은 전자파를 총칭한다. 비전리 방사선에 해당되는 것은 자 의선, 가시광선, 적의선, 마이크로파, 라디오파 등을 나타내며 이는 전리 능력이 없거나 약한 방사선을 나타낸다. 발생원 자의선의 발생원으로 자의선 살균등, 아크 용접 가스 방전 관이 있고, 가시광선은 전등, 아크 용접 등의 고온 물체, 적의선은 적의선등, 아크 용접 등의 고온 물체이며 마이크로파는 크리스트론
chr i s t ron 과 마그네트론 ma gn e t ron 이다. 또한 라디오파의 발생원은 플라스틱 봉인 및 가구 집착 등에서 발생된다.
표 2_4 비전리 방사선의 특성과 발생원 구분 전동수 파장 (Hz) 광자당 에너지 (eV) 발생원 자의선 7.5X 1 014~ 1.o x 1 0-1 ~ 3.1 ~1 .2X 1 01 자의선 살균, 아크 3.0 X 1015 4.0 X 10 크 용접 갸스 방전관 가시광선 4.o x 101 ◄ ~ 4.o x 10- 1 ~ 1.6 ~ 3.1 전등, 아크용집 등 3.0 X 1014 4.ox 10-1 의고온물체 적의선 3.0 X 1011~ 7.6 x 10-1~ 1.2 X 10-3~ 적외선등, 아크 용 3.0 X 1015 l.O X 10-3 1.6 접등의고온물체 마.o l 크로파 3.0X 108~ LO X 10- 3 ~ 1.2 X 10-B~ 크리스트론, 3.0 X 1011 1.0 1.2 X 10-3 마그네트론 라디오파 3.0 X 108 >LO
4) 전리방사선 특성 전리방사선 Ioniz i n g radia t io n 이란 X 선, a 선, 8선, r 선, 중성자, 우주선 등의 방사선과 같이 물질을 통과할 때에 전리된 전자 가 계속하여 반응을 일으키는 방사선을 말한다. 발생원 우리가 생활하는 환경에는 어디서나 반드시 방사선이 존재 하고 있다. 따라서 방사선에 피폭 않고 생활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인류는 창조 이래 방사선과 함께 생활해 왔다는 것이다. 지금으로 부터 약 100 년 전이라면 환경에 있는 방사선은 자연 방사능밖에 존재 하는 것이 없었지만, 최근에는 인공 방시농 물질이 자연계에 부가되 어 있다. 자연 방사선으로는 지구 밖으로부터 오는 우주선과, 우주선에 의해 생성되는 방사선 물질, 지각이나 대기 중에 존재하는 천연 방사선 물
질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선 등이 있다. 인공 방사선으로는 핵실험에 의한 방사선 강하물, 원자력과 방사선 물질 등의 이용에 따른 인공 방사선 물질에 의한 방사선이 있다. 전리방사선은 전자관, 방사선 촬 영, 핵발전소, 방사선 보존, 의학적 응용, 우라늄 채광, 멸균 처치 등의 발생원에서 방출된다. 참고문헌 김민영 (1086), 「이산화질소의 개인피폭량에 관한 연구」 〈〈 한국대기보전학회 지 》 , 2 : 1 : 55-72. 김윤신 (1983) , 「실내공기오염에 관한 보건학적 고찰」 《대 기보전학회지》, 9 : 3 : 27-39. 박상회 (1989) , 「이산화질소의 실내농도 및 개인피폭량에 관한 연구」 한양 대 석사논문. 윤덕로 (1983), 「일산화탄소 중독의 현황과 대책」 《대한의학협회지》, 26: 123-128. APCA (1 986) , Indoor Radon, Air P olluti on Contr o l Assoc iat io n , Pit ts- burgh , PA. Edlin g , C. (1984) , Radon in h ome-A pos sib le cause of l ung cancer, Scand. ]. Work Envir o n. Healt h, 10, 25-34. Ganie r, M. 의 (1980) , Humi difier lung : An outb r eak in offi ce wor- kers, chest 77: 183-187. Gir m an, J. R. 의 (1986) , Valati le orga n ic emi ss io n s from adhesiv e s wit h i nd oor app lica ti on s, Envir n . Int. 12 : 317-321. Hop ke , P.K. (1987) , Radon and its d ecay pro ducts , ACS Sym po si· u m Seri es 331: 572-586. Kunz, C.O . (1988) , Indoor radon, Source characte r iza ti on , Envir o n. Progr e ss, 7 : 4 : 236-240, Nov.
Meye r , B. (1979) , Urea for maldehyd e resin s , Addis o n-Wesley, Read- ing , MA. Molbare, L. (1982) , Indoor air po lluti on due to orga n ic gas es and vape r s of solvents in buil d in g mate r ia l s, Envir o n. Int. s : 129 -137. Nati on al Research Council (1981a) , Indoor Polluta n ts , Nati on al —A (1ca98d1ebm) y, PErnevssir, oW nmasehnitna gl t Toon bDa.cC c.o Smoke, Nati on al Academy Press, Washin g t on D.C. Repa c e, J.L. 의 (1980) , Indoor air p o lluti on , tob acco smoke, and pub lic health , Scie n ce 208: 464-472. U.S. Dep a rtm ent of H ealth and Human Sewi ce r (DHHS) ( 1986) , The health consequ e nces of inv olunta r y smokin g , A repu t of the surge o n gen eral, Washin g t on , D.C . DHHS Publi ca ti on No. (CDC) 87-8398. U.S. EPA. (1987) , Regu la ti on for Asbesto s Abate m ent Proje c ts , 4oCFR 763, Fed, Reg, 52 (15876) .
제 3 장 실내공기오염의 건강 영향 3-1 빌딩증후군 1960 년대 이후로 산업 생산 현장이 아닌 병원, 학교, 사무실 등과 같은 밀폐된 건물내에서 근무하는 사람 가운데 직업과 관계된 건강 장해를 호소하는 사례가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따라 빌딩내에 서 근무하는 사람들에 관한 주의 깊은 평가를 하게 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그 원인을 병원학적 (病原學的)인 공통점을 찾아서 밝히 기가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빌딩내에서의 건강 장해는 비록 병원학적 으로 이해되지는 못했지만 1970 년대에 들어 과학적인 연구가 되어 왔다. 미국국립연구원 Na ti onal Reaserch Cou ci l-NRCo] ]서는 빌딩과 관련 된 건강 증상들의 특칭을 두 가지로 분류하여, 건물 관련 질환 buil d in g - r elate d ill n 緊콰 빌딩증후군 s ic k-bu il d i n g s yn drome-SES 을 제시하였다. 건물 관련 질환은 실내오염물질의 노출로 인하여 특수한 임상적인 증상을 포함한다. 이것과 관련된 증상으로는 의인성 (뿔因性) 전염병 nosocomi al infec ti on s, 가습기 병 humi di f ier fev er, 과민성 폐 질환
hy pe rsensit ivi t y pn eumonit is 그리고 미생물성 물질의 노출로 인한 레지오낼라병 Leg ion nair e 's dis e ase,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염 소, 내독소 endoto x in s , 곰팡이균 독소 my co to x in s 등과 같은 생화학 적 물질로부터의 노출에 의한 증상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증싱들은 빌딩 사무실 밖에서 생활하는 동안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종종 빌딩 내의 소수 근로자들게게만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표 3-1 빌딩증후군과 관련된 증상 순위 증상및호소 1 점막자극 Mucous Membrane irr ita t i on 2 눈 자극 Ey e irr ita t io n 3 두통 Headache 4 악취 Odor 5 피부자극 Sk i n i rr it a ti on/ 발전 rash 6 누관 충혈 S i nus cong es ti on 7 기침 Cou g h 8 인후통 Sore thro at 9 숨이 참 Shor t ness of breath 10 미각의 이상 Abnormal tas te 11 현기증Di zz i ness 12 피로 Fa tigu e 13 메스꺼웅 Nausea 14 호흡 곤란과 과민중 Wheez i n g and hyp e rsensiti vi ty
빌딩증후군의 중상으로는 눈의 자극, 코와 기관지 점막 자극, 혼수 상태, 무감각 증상 등이 있는데 다행히 이러한 증상들은 빌딩을 떠나 는 즉시 없어진다. 표 3-1 은 구미 선진국에서 발생한 빌딩증후군과 관련된 증상을 호소가 많은 순서로 나타낸 것이다.
표 3-2 직장과 주태에서의 빌딩증후군 관련 중상의 평균호소율 (%) 주택 직장 츠0 0 ). 호꾹 네덜란드 한묵 네덜란드 남 녀 남 녀 남 녀 남 녀 눈, 코, 목이 따갑다 8 10 6 8 42 48 35 49 두통, 피로감, 5 8 4 6 39 48 28 45 어지럽다
이와 같은 증상들은 건물 내에서 단시간 또는 단기간 거주한 사람 에게서도 나타났으며 장기 거주자에게는 증상이 계속되는 현상을 보 이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같은 증상들은 근무 시간 의에 밤이 나 주말에는 나타나지 않고 또한 에너지 절약을 위한 밀폐형 신축 건 물일수록 증상이 심각하게 나타난다고 보고되었다. 표 3 - 2 는 한국과 네덜란드에서 빌딩증후군과 관련된 증상의 호소율 (%)을 남녀별로 나타낸 것이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가에 상관 없이 주택보다는 직장에서 근무하는 사람의 호소가 많음을 나타내 빌 딩 내 장시간 근무할 경우 가끔 의부 공기의 흡입이 필요함을 시사하 고있다. 건물 관련 질환과 빌딩증후군으로 분류하는 데 있어서 잠재적인 한 계가 있다. 즉 건물 관련 질환과 빌딩증후군은 빌딩내에서 동시에 발 생하며 경우에 따라서 증상을 뚜렷하게 구분할 수가 없다. 실례로 크 라이스 Kre i햏가 호지슨 Hod g son(1984) 에 의해 조사된 보고서에 의하 면, 학교의 보일러 굴뚝 가까운 곳에서 배출을 하는 환풍기가 우연히 역회전을 하는 사고로 인하여 건물내에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매우 높 아졌다. 이 사고로 인하여 건물내에 있던 학생들과 교사들이 빌딩증 후군 증상인 구토와 두통을 경험했으나 이러한 증상들은 학생과 교사 들이 건물을 떠나는 즉시 사라졌으며 또한 환기 장치를 개선함으로써
바로 없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들은 발생원과 임상적 증상을 평 가한 결과 건물 관련 질환으로 분류되었다. 일반적으로 건물 관련 질 환은 빌딩증후군보다 더 판단과 대책이 용이하다. 건물 관련 질환과 관련된 명백한 임상적 증싱들은- 빌딩의 주의 깊은 관리와 발생원을 신속히 알아내어 제거함으로써 예방이 가능하다. 아직까지는 빌딩증후군에 관한 보건역학적 규명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사무실 근로자의 약 20% 이상이 건강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추정되고있다. 영국에서는 빌딩증후군에 관한 연구를 핀네간 F i nne g a 따공 (1984) 이 폭넓은 역학적 조사를 통해 처음으로 시도하였다. 이 연구에 의하면 자연 환기를 하지 않는 빌딩의 사무원들이 코 점막 자극, 두통, 혼수 상태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습도가 높은 건물 에서는 눈의 자극, 가슴의 압박, 피부가려움증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사무원이 발생하였다. 이후 계속된 연구에서, 자연 환기 장치와 인공 환기 장치를 갖춘 빌딩내의 다양한 환경 요인을 조사하고 이와 관련된 증상들을 확인하 였는데, 기계적 환기 장치를 갖춘 빌딩내 사무원들에게서 나타난 증 상으로는코막힘, 기관지 건조, 혼수상태, 두통등이었다. 그러나 빌딩증후군의 발생 원인으로는 단순히 환기 장치의 종류뿐 만 아니라 각종 환경 인자, 성, 직업 등을 포함한 각종 복잡한 요소 들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종류의 환기 장치를 가전 공 공 건물과 민영 건물에서 발생한 빌딩증후군 증상의 차이는 사무실내 에 구비된 사무용품의 종류와 밀집 정도, 기계 장치의 설계 및 보수 와도 관계가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빌딩증후군의 원인 물질로 휘발성 유기화합물 (VOCs), 광화학 스모그, 음이온의 부적당한 농도, 낮은 습도, 심리 학적 원인 (st ress) 을 제시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아직 명확하게 밝
혀지지는 않았지만 빌딩증후군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작용원이라 는추정이 가능하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빌딩중후군의 잠재적인 원인 물질로 나타났는 데 주된 증상으로는 눈과 점막의 자국이며 빌딩증후군의 일반적인 증 상인 호흡계를 자극한다. 알스트롬 Ahls t rom(1984) 은 건강한 사람들 울 o.82 pp m 의 포름알데히드에 노출시키는 실험을 하였는데, 실내의 공기 비율을 10~100% 로 변화시키면서 연구한 결과 빌딩증후군 증 상인 점막 자극 증상이 보통때보다 4 배 이상 증가했다. 몰하브 Molhave(198 4 ) 는 62 명의 건강한 사람을 22 종류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이 혼합된 농도에 노출시켰는데 시험 대상자 모두가 빌딩증후군 증상 을 호소하였다. 특히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가 5mg /m 3~25mg / m3 에서 코와 목의 자극 증상을 빈번하게 나타냈다. 형광등에서 방출되는 자의선이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작용하여 광화 학 스모그를 형성하고 이 스모그는 빌딩증후군 원인 물질이 된다는 것이 보고되었으며, 임상적인 연구에 의하면 음이온의 부족(또는 양이 온의 초과)은 호흡계와 눈의 자극, 현기증, 두통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음이온 농도의 증가는 두통, 구토, 현기증을 감소시킨다 는 것울 발견하였다. 또한 낮은 습도는 호흡기 질환, 눈과 점막의 자 극과 건조 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빌딩증후군의 원인 으로가정되었다. 빌딩증후군의 공통적인 증상들은 대부분 환경적 자극으로 나타나며 입자상 복합물들에 의한 비특수한 반응 또한 빌딩증후군로 분류된다. 예를 들면 사무실에서의 코와 목의 자극은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같은 화학 물질에 의해 나타나는 반면에 다른 증싱들은 낮은 상대 습도에 기인하며, 동시에 환기 장치 자체만으로는 빌딩증후군을 유발할 수 없으나 환기가 부적절할 때 오염물질의 농도는 인체에 유해한 농도가 되어 증상을 일으킨다. 따라서 빌딩증후군 증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원인이 될 수 있는 오염물질의 특성과 환경적 조건들을 더욱 연구해 야할것이다. 3-2 분진 실내 분진중 주택내 나무 사용 난로나 벽난로에서 발생되는 연기도 중요한 분전의 발생원이 되고 있다. 국제적으로 1970 년 기름 파동 이 후 주택내 난방 연료로 나무 사용이 증가되어 1981 년에 미국 전 주택 의 약 7% 가 주 난방 연료 또는 예비 난방 연료로 니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니무의, 난방 사용시 발생되는 분전, 일산화탄소, 이산 화질소, 유기화합물은 나무의 사용량, 사용 시간에 따라 오염물질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거주자의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표 3- 梵 7 주택내 연기로 인한 호흡기성 질환 발생과의 관련성에 대 한 역학적 연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대체적으로 주택내에서 발생 된 연기에 노출될수록 호흡기성 질환의 발생율은 유의하게 높은 것으 로시사되었다.
표 3-3 주택내 연기 노출과 호흡기성 질환 발생과의 관련성 연구 고찰 대상(저자, 연도) 결과 비고 어른: 만성 호흡기질환 이환율 호흡기 관련 증상 증가 연기에의 노출은 발생 가 조사 (Anderson, 1979) 폐 기능 약화 능한 병인학적 인지이며 다른 인자에 대해서는조 사되지 않았다. 만성 호흡기질환 이환율 만성 기관지영이 발생 연기 노출은 하루 동안 조사 (Pandey 1984a, 남성 17.6 % , 화기 가까이 있는 평균 1984b) 여성 18.9 % 시간에 의해 정해졌다.
대상(저자, 연도) 결과 비고 만성 호흡기질환 이환율 만성 기관지영이 발생 흡연에의 노출은 환기가 조사 (Mal i k, 1985) 남성 21 .7%, 좋지 않은 집에서 시간에 여성 19.0% 의해 발생 가능한 것에 대해서는 조사하지 않았 다. 만성 호흡기질환 이환율 연료 사용에 따라 만성 연기 노출은 주방 연료 조사 (Mal i k , 1985) 기관지영 이환율이 다양 형태로평가하였다. 어린이 : 두 집단의 호흡기 두 집단간 호흡기 관련 흡연에의 노출 정도는 조 관련 증상 이환율 조사 증상의 이환율은 비슷 사되지 않았다. (Anderson, 1978) 하기도질환 환자대조군 환자들이 대조군 집단보 연기에의 노출은 평균 G 연구 (Cossove, 19s2) 다 흡연에 더 노출되었음 7 시/일로 열린 주방 화기 에 의해서이다• 노출 집단과 비노출 집단 노출 집단이 경증 • 중증 니무 사용 난로의 존재 의 호흡기 관련 증상 이 모두 비노출 집단보다 이 여부를 반영하여 폭로를 환율 연구 (Hon i ck y, 환율이 높게 나타남 두가지로측정 Osborne and Akp om , 1985) 노출 • 비노출 집단 호흡 두 집단간 노출 유 • 무는 호흡기질환과 담배 연기 기 관련 증상, 급성호흡 관련이 없었다. 는 관련 없으나, 포름알 기질환 이환율 비교 연구 데히드 노출과는 관계가 (Tuth ill, 1984) 있다. 난로 연기에 노출된 유어· 급성 호흡기질환과 화기 질환과 노출 경험은 훈련 의 이환율 조사 (Pande y 위치와 관련울 보였다. 된 리포터에 의해 격주로 등, 1987) 모아졌다. 영향의 측정은예비 보고 서의 자료로부터 계산할 수없었다. 6 개 도시 호흡기 관련 증 나무 사용 난로와 폐질환 나무 사용 난로의 존재 상과 병력 이환율 연구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 여부를 반영하여 노출 변 (Dockery 등, 1987) 수를두가지로했다.
분진은 그 대부분이 호흡 기관을 통하여 인체에 흡입되며 이들 호 홉 기관에 영향을 미친다. 호흡 기관내 침두하는 결정적 요건은 입자 의 크기인데, 인체에 가장 유해한 입경은 0.5~5µm 범위이며 특히 2~4µm 의 범위에서 침착률이 가장 크다. 따라서 천천히 흡입할 때 그 침착률은 증가한다. l~lOµm 정도의 입자는 침전, 빛의 분산 현 상 및 시야를 방해하는 역할이 커지는데 0.1~lµm 의 범위는 특히 시 정에 영향을 미친다. 매연 등의 입자상 물질은 타 오영 물질(가스상) 을 운반하는 작용을 하므로 피해의 양상은 더욱 가중된다. 연무질 상 태의 자국성 먼지가 폐포에 도달하여 직업적으로 유독성을 나타낼 경 우 이것을 전폐증이라 하며, 직업성 분전의 인체 영향은 석면폐증, 면폐증, 규폐증 등이 있다. 산업장이 아닌 일반 실내 건물에서의 분 전의 인체 영향은 실내 흡연, 환기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거주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나타나는 반응도 다르다. 3-3 환경담배연기 3-3-1 환경담배연기의 유해 제 2 장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주류담배연기보다 비주류담배연기에 유해 물질의 농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 흡연자와 같은 방을 쓰는 비흡연자에게 하루 5 개비의 담배를 피는 것 같은 일산화탄소의 혈중 농도가 검출된다고 발표된 바 있다. 또 다른 연구는 흡연 환경 에서 일하는 비흡연자의 소변과 타액에서 니코민 함량을 측정해 본 결과 하루 5~10 개비에 달하는 니코민 양이 검출되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미국 환경청은 1993 년 1 월 간접흡연과 폐암과의 관련성에 관한 최
종 보고서에서 ET 없 춘 발암성 물질로 명시하였다. 또한 간접흡연의 영향으로 매년 약 3000 명의 비흡연자가 폐암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추 계하였다. 담배 연기의 간접흡연은 정신 집중력이 떨어지고 두통, 피로감 등 의 비특이 증상이 나타나 작업 능률 저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미 국에서 흡연 가정의 어린이가 기관지영, 폐렴, 기관지천식 등의 발생 률이 높고, 일본의 한 조사는 하루게 한 갑 이상 흡연하는 남편을 가 전 비흡연 부인에게서 폐암 발생 확률이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2.1 배 가 높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같은 간접흡연의 유해에 관한 연구 결 과가 있는 반면 또 다른 연구 결과에서는 간접흡연이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에게 유의하게 해를 끼치지 않는다는 연구 보고도 나오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도 시급히 진행되어야 하며, 더욱이 현재 우리나라는 젊은 남자의 70% 이상이 흡연하고 있어 주택내의 비흡연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비흡연자가 담배 연기에 노출된 양은 연소된 담배의 종류와 개수, 실내 면적, 환기 속 도, 거주 시간과 같은 많은 요소에 따라 결정된다. 3-3-2 흡연 환경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최근 간접흡연이 비흡연자인 어린이와 성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으나 간접홉연에 대한 연구는 용이한 일 은 아니다. 간접흡연의 보건학적인 영향에 따라 유아나 소아에 미치 • 는 영향, 성인에 미치는 영향, 폐 기능에 미치는 영향, 폐암과의 관 계로대별할수있다. 1) 소아에 미치는 영향 가정에서 부모의 흡연이 어린이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최
근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다수의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 다. 가족 흡연이 어린이의 급성 호흡기 질환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고 볼 수 없으나 직접, 간접적인 원인 관계를 제시한 보고도 있다. 일반적으로 부모가 흡연자인 경우 어린이들은 대부분 담배 연기가 많 은 환경에서 지내게 되며, 따라서 이들 소아에서 폐렴, 기관지염, 기 침, 천식 및 폐 기능 장애를 동반하는 호흡기 질환의 발생 빈도가 높 을 것으로 예상되고, 성장한 후에도 호흡기 질환으로 고생할 가능성 이 많을 것으로 사료된다. 학동기 아동 및 청소년기에서 부모가 흡연 울 하는 경우에 만성기침, 객담, 천식성 기관지염, 급성호흡기 질환 의 빈도가 증가되며, 자녀의 신체적 및 지적 성장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자녀들이 성장하여 흡연자가 될 가능성이 높음은 지적되어야 할 사실이다. 마이어 Me y er 등은 산모가 흡연울 하면 비흡연자인 산모 에게보다 저체중아의 분만 빈도가 높음을 보고한 것으로 보아 임신 중의 산모의 흡연은 태아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고 있다. 흡연 산모에서 태어난 아기는 같은 임신 주기의 비흡연 산모에 서 태어난 아기보다 체중이 평균 200 g정도 (150~250 g) 적으며, 임신 기간이 정상인 임부가 피우는 담배 한 개비마다 체중이 8~9 g씩 감소 한다는 것아다. 이들 체중 저하의 정도는 임신 중에 피운 흡연량에 비례하여 감소하고, 특히 임신 후반기의 흡연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렇듯 태아의 간접 흡연은 체중 저하뿐 아니라 기형아의 출산에도 영향을 미쳐 그 심각성은 아주 높다. 2) 성인에 미치는 영향 직접흡연이 성인의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나 성인의 간접흡연 영향에 관하여 앞으로 더 욱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다. 단기간의 간접흡연으로 인한 증상으로는 안구 자극중상이 빈번하게 출현하며, 이의에 두통, 비강 자극 증상,
기침 등이 발생하며, 이는 알레르기보다는 직접적인 점막 자극으로 유발된다. 간접흡연의 자극 증상은 흡연량, 흡연 장소의 면적, 주위 공기의 습도 및 온도, 환기 정도에 따라 영향이 다를 것이다. 단기간 담배 연기에 노출되면 건강한 사람의 폐 기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는 않지만 심폐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 기관지 천식 환자에서는 자 극 수용체를 자극하는 아황산가스에 의한 기도 수축을 여러 요인으로 악화시킬 수 있는데, 간접흡연시에도 공기 중에 증가되는 기체, 혹은 미립자 성분에 의하여 천식 환자에서 기도 수축을 야기시킨다. 담배 연기가 많은 환경에서 장기간 근무한 비흡연자를 대상으로 추 적 검사를 실시한 결과 현저한 폐 기능 저하가 있음이 나타났고 남편 이 흡연자인 가정주부를 대상으로 폐 기능 검사를 추적 검사한 결과 40 세 이상에서 남편이 비흡연자인 경우보다 기능이 저하되고, 이는 남편의 흡연 정도와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페암과의 관계 직접흡연이 폐종양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나 간접흡연이 폐종양의 발생 빈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현재까지는 불확실하다. 그러나 담배를 많이 피우는 남편을 둔 비흡 연자인 중년 부인을 대상으로 장기간 추적 조사를 실시한 결과, 남편 이 흡연을 하지 않는 비흡연자 부인보다 의미 있게 폐종양의 발생 빈 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간접흡연으로 인한 폐암 발생의 가능성을 시 사하였다. 이와 같이 담배 연기는 흡연자의 건강만을 해치는 것이 아니라, 그 주위의 불특정 다수인에게도 이른바 〈간접흡연冷t 강요함으로써 극심 한 해를 입히고 있어, 실내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사람들의 건강을 해 친다는 점에서 간과해서는 안 될 중요한 문제인 것이다.
3-4 가스상물질 3-4-1 이산화질소 실내 이산화질소는 보통 주택에서 사용하는 프로판 가~훑] 연소 과 정에서 방출되며, 방출 시간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산화질 소는 일산화질소보다 대략 4 배가 더 독성이 강하다고 간주된다. 이산 화질소는 물에 거의 녹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건조한 기관지를 통하 여 폐의 접액성 내면에 자극성과 부식성이 있는 아질산 (HN02) 과 질 산 (HN03) 을 형성하여 폐의 축축한 폐포에까지 이르게 된다. 이산화 질소의 농도가 높을 때에는 단시간 흡입해도 호흡이 빨라지는데 이는 폐에 이상이 생겨서 다량의 공기를 흡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낮은 농도에서도 장기간 흡입하면 만성의 폐질환을 일으키며, 쥐의 경우 만성 폐질환이 940µ g /m3 의 농도에서 시작되었다고 보고된 바 있다 .. 미국의 차타누가 Cha tt anou g a 시에서 실시된 연구에 의하면, 대규모 의 티엔티 TNT 공장에서 배출되는 이산화질소의 24A] 간 평균 농도가 113µg /m 3(o.o6p pm ) 이상기면 호흡 장애를 일으켰다는 보고도 있 다. 또한 최근 결과들에 의하면 매우 저농도 수준의 이산화질소도 몇 몇 천식 환자들에게 해로운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산화질소의 인체 영향은 표 3-4 와 같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산화질소 농도 1~3p pm 정도에서 냄새를 감지할 수 있 는데 그 농도는 오염된 대기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이산화질소 S pp m(9 .4µg /m3) 을 인간에게 1 액 7 동안 실험적으로 노출시켰을 때 기도 저항이 일시적으로 증가된다고 한다. 13 pp m 에 서는 호흡기 점막에 대한 자극이 일어나며, lOO pp m 에서 lSO pp m 의 농도에 30 ¾ 내지 6 야손 동안 노출되면 기도를 차단시켜 질식을 일으 키는 수종 edem 죠녁i 사망에 이르게 될 정도로 치명적이다.
표 3-4 이산화질소의 노출 시간별 영향 농도(pp m) 노출시간 영향 0.2 우주여행 허용기준 1~3 취각탐지 5 찌간 산업 안전 허용기준 13 눈·코의 자극, 폐 기관불쾌감, 중추신경 영향 10~40 계속노출 만성 폐섭유와폐기종 50~100 6~ 坪 섬유폐쇄성 기관지 폐령 100 3~ 역 인후의 뚜렷한 자극과 심한 기침 500 3~ 옘 기관지 폐렴이 겹친 급성 폐부종
3-4-2 일산화탄소 주방 또는 난방용 연료의 연소 가스로 배출되는 일산화탄소는 노출 정도에 따라 급성, 만성 중독 현상을 나타낸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온] 의한 난방 구조에 기인하여 발생한 연탄 가스 중독 사고는 일 산화탄소에 의한 건강 영향의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1) 급성 중독 급성 중독시에는 맥박 상승, 심전도 이상 등의 순환기 장해, 국소 부종 등의 피부 병변, 호흡 장해, 혈구중디증 및 단백뇨 등이 나타나 며 아울러 신경계의 증상이 나타난다.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가 높거나 혹은 그 의의 조건으로 중독 이 된 후 수 시간 이내에 사망한 경우 이들을 부검하면 특이한 소견 을 찾기 어렵다고 보고하고 있다. 다만 일산화탄소 혈색소 Carbox y hemo g lob i n 의 특징인 분홍색이 피부를 위시한 신체 전신 장기에 나 타나 있음을 볼 수 있고 뇌 및 뇌막은 대개 울혈되어 있다고 보고 되 어 있다.
중독게서 사망까지의 시간이 길면 길수록 병적인 소견이 많이 나타 나게 되는데, 무산소중의 경우도 일산화탄소의 중독과 유사한 소견이 나타난다. 2) 만성 중독 만성 중독은 주로 저농도의 일산화탄소가 존재하는 생활 공간 및 작업 환경 아래에서 오랫동안 반복적으로 노출됨으로 인해 발생된다. 일산화탄소 만성 중독 후에 나타나는 후유증을 살펴보면, 시각 및 청 각 정애, 운동 장애, 언어 장애, 지각력 장애, 경련, 발작, 무감통, 시행중, 공간 인지력 장애, 실어증 등이다. 3-5 포름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포름알데히드의 독성 정도에 따라 흡입, 흡수, 피부를 통한 경로로 침두되고 이중 홉입에 의한 독 성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름알데히드는 그 농도가 lp pm 또는 그 이하에서 눈, 코, 목의 자극 증상을 보이고 동물 실험에서는 발암성 (비암)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또한 유전적 변이원성을 나타내고 호흡기성 질환, 알레르기 성 질환, 중추신경성 질환, 여성의 월경 불순을 일으키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특히 주택의 단열재로 우레아수지폼 단열재를 사용한 주택 에 살고 있는 주민 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장기간 포름알데히드 에 노출되었을 경우 정서적 불안정, 기억력 상실, 정신 집중의 곤란 등을 나타냈다. 그러나 포름알데히드의 폐암 발생과 돌연변이성 영향 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호흡기성 질환의 발생에 대하여는 약 3pp m 정도의 포름알데히드 농
도까지는 영구적 호흡기 손상을 가져오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5 는 미국내 우레아수지폼 단열재 사용 주택을 대상으로 포름 알데히드 관련 증상을 나타낸 것으로 0.03~ 1.8 p pm 정도의 포름알데 히드 농도에 노출된 사람은 비노출자에 비해 각 증상의 호소율이 높 음을알수있다.
표 3~5 미국내 우레아수지폼 단열재 사용 주택을 대상으로 포름알데히드 관련 증상조사연구 결과 대상 인구(저자, 연도) 즈o o l- % 비고 워싱턴 주의 3347ij 이동 눈자국 58A*, 4SC** 포름알데히드 농도 주택에 사는 어른 424 명, 기관자국 66A, 62C 0.03~ l.77 p pm 어린이 99 명의 불평조사 만성두통 4oA, 16C 대조군없음 (Breys s e, 1989) 만성기침 9A, 33C 노출 반응은 조사하지 기억착오/졸음 24A, 7C 않음 위스콘신 주의 65 개 이동 눈자극 68 포름알데히드 농도 o. 00 주택과 그 외 35 개 건물 기관자극 57 ~3,68p pm 에 사는 어른, 어린이 256 두통 53 대조군없음 명의 불평조사 (Dall y 등, 기침 51 노출 반응은 조사하지 1981) 불면 38 않음 호흡곤란 20 코네티컷 주에서 우레아 눈자극 39 포름알데히드 수지폼 단열재를 사용한 코/기관/폐자극 48 0.0 ~ lOµg /1 6 해 주택 162 명의 거주 두통 17 자 불 평 조 사 (Sard i nas 증상과 포름알 데히드 수준 등, 1979) 사이의 연관성은 없었다. 텍사스 주의 이동주택에 검출 수준 안과 밖의 주택 포름알데히드 o.o~ 사는 443 세대 거주자의 에 사는 세대에서의 이환율 spp m 검출 수준과 불 불평 조사 (Nors t ed 등 은 차이가 없었다. 검출 수준의 집 비교 1985)
결과 대상 인구(저자, 연도) 증상 % 비고 뉴저지 주 지역에서 우레 호흡곤란중상기 노출자에게 인구기초연구 포름알데 아수지폼 단열재를 서용 더 있다고 보고되었다. 히드 농도는 측정하지 한 13 집의 거주자 96 명, 호흡곤란 노출 0.6 않음 우레아수지폼 단열재를 비노출 0.1 사용하지 않은 집 거주자 피부 노출 0. 7 1395 명울 대상으로 코호 비노출 0.1 트 조사 (Thun 등, 1982) 폼 설치 후 7 일 이상 냄새 가 지속된 집의 이환율이 높음 일리노아 주 지역 이동사 노출된 것이 의미 있게 증 사무실의 포름알데히드 무실에서 노출된 근로자 상이 나타난다. 농도 0.1 2 ~l .6p pm 21 명과 그 의 사무실에서 눈자국 노출 81 비노출된 근로자 18 명 비노출 17 (Main and Hog an , 1983) 기관자국 노출 57 비노출 22 피로 노출 81 비노출 22 두통 노출 76 비노출 11 폐 기능에는 차이가 없다. * A : 어른 (adul t) * *C : 어린이 (chil dr en)
이와 같이 실내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유해성에 관한 의국의 연구 논문이 발표되고 있으나, 국내에서 실내 포름알데히드의 영향에 관한 연구는 극소수에 지나지 않고 있다. 일부 조사 결과 포목 상가가 밀 집해 있는 상가 등에서 포름알데히드 실내 농도가 높게 나타났고, 0.lpp m 이심네 노출된 사람일수록 눈, 코, 목이 따갑다는 증상에서 유의하게 높은 호소율을 나타내어 고농도의 포름알데히드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만성질환의 위험성을 시사한다.
표 3-6 라돈의 호흡기계 세포에 영향을 주는 물리 • 생물학적 요인들 물리적 요인 생물학적 요인 입자로부터 떨어져나간 낭핵의 파편 호흡량과 호흡 횟수 에어로졸 크기의 분포 구강과 코에 의한 호흡의 분배 라돈과 라돈 부산물질의 평형 상태 기관지의 형태 점액성 섬모의 제거울 접액의농도 목표세포의 위치
3-6 라돈 라돈 및 리돈의 부산 물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호흡기계 질환 발생으로, 이것은 개인이 들이마시는 공기의 물리적 특성, 양, 폐의 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표 3- 삭픈 라돈 노출로 인한 호홉기계의 기도 세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물리적, 생물학적 요인을 나타내고있다. 특히 라돈은 호흡기계 질환 중 폐암울 유발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그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라돈의 알파 (a) 윤 F 괴에 의하여 라듐의 낭핵종 Radon daug ht e r 이 생성되는데 이 낭핵종은 기체가 아 닌 미세한 입자로 흡입시 폐에 흡입되어 폐포나 기관지에 부착되어 알파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폐암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 국의 국립 방사능방어 및 측정위원회에서 미국내 연간 13 만 명의 폐 암 사망 중 약 5 천 ~2 만 명이 주테내에서 발생한 라돈 농도에 노출된 영향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구미 각국에서는 역학
조사 및 동물실험을 통하여 리돈 농도가 5 p C i /l 인 상태에서 1 년간 생 활할 경우 1 백만 명 중 4 백 여 명이 폐암 발생을 나타낸다고 추산하 고있다. 라돈 노출에 따른 폐암과의 관련성은 폐암 사망률 또는 폐암 발생 률과의 상관성에 대한 역학적 연구가 조사되어 왔다. 표 3-7 에서 보 는 바와 같이 미국, 스웨덴, 중국 등 대부분의 연구 결과에서 라돈 농도가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폐암 사밍률이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고농도의 라돈에 노출될 경우 폐암에 걸릴 확률이 높음을 시사하였다.
표 3-7 라돈 노출과 폐암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결과 요약 지역 (저자, 연도) 사망률 노출 대상 결과 미국 (Fle i scher, 1950~ 1969 인산염 침전물, 안산염 공장에서 의 1981) 폐암사망률 광산 제조 공정 미 있게 과잉으로. 높은폐암율이 보임 미국아이오와주 1969~1979 공급수안의 라듐 노출된 남성에게서 (Pean 등, 1982) 1 , 000~10 , 000 명 22~ 평균 수준 의미 있게 암이 증 거주자의 폐암 가 이환율 스웨덴 1969~1978 라돈과관련된것 노출된 남성, 여성 (Ed li n g등, 1982) 폐암사망률 으로보이는자연 과 폐암률 간에 의 방사된감마선 미 있게 상관 관계 평가 가있다. 캐나다 1966~ 1979 14000 가정의 조사 라돈 낭핵 수준과 (Leto u rneau 등, 1 해 도시 에 의한 기하 평균 폐암 사이에는 관계 1983) 폐암사망률 가없다. 미국 메인 주 1950~ 1969 물의 라돈 농도 노출된 남성, 여성 (Hess, Weif fen -폐 암사망률 평균평가 과 폐암률 간에 의 bach and Norto n 미 있게 상관 관계 1983} 가있다.
지역(저자, 연도) 사망률 노출대상 결과 이탈리아 1969~1978 오영된 지질에 의 높은노출 지역에서 (Forasti er e 등, 31 개 도시 한건강상태 의 여성과 남성의 1985) 폐암사망률 의미 없는증가 중국광동지방 1970~1983 대조군과높은준위 두 지역간 비슷한 (Hof m ann 등, 두 지역의 폐암 폐암사망률 1985) 사망률 프랑스리모진, 1968~ 1975 3~ 빼 정도높은 두 지역간 비슷한 뽀뚜지역 두 지역의 폐암 리모진 지역의 폐암사망률 (Dousset and 사망률 실내 라돈평가 Jam met, 1985) 마국리딩 1950~ 1969 리딩 지역에서의 리딩 지역 3 개 지방 (Fleis c her, 1986) 폐암사망률 비율 중 3 지방 남성과 2 지방 여성의 폐암사 망률의 의미 있는 A。 냥 미국리딩 1950~1979 지질학에 기초를 둔 폐암사망률은 노출 (Archer, 1987) 폐암사망률 노출의 3 가지 기준 변화에 따른다. 미국 1950~ 1969 10 개 이상 주택에서 남성과 여성의 폐암 (Cohen, 1988) 폐암사망률 측정된 농도의 기하 사망률은 평균 러돈 평균 수준과반비례 관계 다.
1976 년 미국 환경청에서는 라돈의 권고 기준치 농도로서 4p C i/ l 또는 그 이하로 정하고 있다. 이 농도에 일생 동안 노출될 경우 폐암 으로 사망할 위험률이 약 1~2% 정도로 추산하고 있으며 2oop C i/ l 에서는 약 44% 의 폐암 발생의 위험률에 달할 수 있는 농도로 추정되 고 있다. 특히 인간의 수명을 70 세로 가정했을 경우 일생의 70% 이 상을 실내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나 실내의 라돈 농도가 높을 경 우 폐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높아질 수 있겠다.
따라서 최근에는 실내 라돈 농도의 건강위해평가를 위한 예측 모델 이 개발되고 있다(표 3-8 참조). 이와 같은 모델은 개인의 연령, 흡연 여부, 라돈 노출 농도 등을 고려하여 위험도를 추계하는 것으로, 주 로 위험 요인 (라돈)에 노출된 집단에서의 질병 (폐암) 발생률이 노출되 지 않은 집단에서의 발생률보다 얼마나 더 높은지롤 나타내는 비교위 험도와 위험 요인이 질병 발생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나타내는 기여 위 험도 a tt r i bu t able r i s 記료서 나타내고 있다.
표 3-8 라돈의 폐암 발생 위험도 예측 모델 기관 모델 형태 위해 평가자료 미 국립 방사선 방어 및 기여위험도 광부동계 대한 연구로부터의 평 측정 위원회 (NCRP, 19s4b) 시간의존 균 위해율 국제 방사선방어위원회 비교위험도상수 광부동개 대한 3 개 연구로부터 (ICRP, 1987} 의위해율 미국환경보호국 비교위험도상수 광부들에 대한 연구에 의한 계 (U. S. E PA, 1987) 수범위 미 국립 직업안전 건강연구소 비교위험도 콜로라도 주 우라늄 광부에 대 (NIOSH, 1987) 시간의존 한 위해 미 국립연구원, 전리방사선의 비교위험도 광부등계 대한 47n 의 연구 생물학적 영향 (BEIR) 시간의존 (NRC, 1988) 미국환경보호국 비교위험도 ICRP 와 BEIR IV 모델 조합 (Puskin and Nelson, 1989) 시간의존
3-7 석면 석면과 그 의의 섬유성 물질들은 체내에 들어온 후에 변형되는 것
은 아니고, 섬유 형태와 크기가 다양한 화학 성분들은 많은 기관에서 생물학적 상재균을 흡수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섬유들은 표면이 덮 여있지 않는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일부 섬유들은 철-단백질 iro n - p ro t e i n 모형으로 표면이 덮여 있고, 석면이 중심부 물질일 때에는 〈 석면체녔t 형성하고 있다. 이때 중심이 확인되지 않을 때에는 〈 칠석 면 fer rug ino us quar t z 〉 으로 알려지고 있다. 구조가 변하고 성분이 변 하는 것은 섬유들이 조직 특히 폐로 흡입된 후에 일어난다. 섬유성 물질들은 피부에 접촉되므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 며, 흡입되기 때문에 폐 및 기관지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또 부주의한 섭취로 인해 위장 기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부분 흡입되는 섬유 물질은 기관지의 섬모 운동과 점액성 물질에 의한 자동제거기전 에 의해 제거되고, 이것이 식도로 넘어가 위장 기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기타 흡입입자들은 폐속에 그대로 존재하여 축적되는 것이다. 일부 섬유들은 불확실한 경로를 거쳐 늑막으로 옮겨져 머무르고 있 다. 폐로부터 섬유가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 역시 혈액이나 림프액 조 직을 통해 발생히는 것으로, 실질적으로 인체의 모든 기관 안에 섬유 들이 결과적으로 축적되는 것이다. 석면 분전은 흡입, 흡수에 의해 우리 몸에 침두되어 피부 질환, 호 흡기 질환을 유발시키고 특히 직업적으로 노출되었을 경우는 석면폐 증, 폐암, 악성중피종을 발생시키는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 석면페증 석면폐증은 만성이며 진행성이 있는 전폐증의 일종이다. 많은 경우 직업적 석면 노출을 10 년 정도 받은 후에 나타나는 질병이지만 종종 매우 짧은 기간으로도 발병한다. 그리고 석면 노출을 멈춘 후에도 병 은 진전된다. 이 질병의 가장 큰 특칭은 섭유증偏雜症)이 확대되어 간다는 점에 있다. 따라서 폐의 내부 면적이 축소되고, 폐포의 모세
혈관이 손상받기 때문에 동맥 혈액 공급이 방해받아 가~二 교환아 완 전치 못하게 된다. 또한 숨막히는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마른기 침, 감염증 등이 일어나며, 종종 폐심증, 흉막삼출액 등으로 발전된 다. 석면폐증에는 유효한 치료법이 없고 단지 증상을 가볍게 할 수 있을 뿐이다. 환자는 감염증이나 폐심증에 걸리거나 폐암이 발병되어 사망하는경우가많다. 2) 페암 석면에 의한 암 발생의 메커니즘에 관해서는 현재 거의 아무것도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역학적으로, 나아가 동물실험 등에 의해 이미 양자의 밀접한 관계는 확인되고 있다. 많은 연구자는 석면 노출량과 폐암 사망 원인 간에는 매우 직접적인 관계 가있음을지적한다. 석면에 의한 폐암은 현재의 의료 기술 수준으로는 조기에 발견해도 치료상 거의 효과가 없으며, 완치는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조기 발견, 조기 치료를 강조하는 것은 석면 노동자에게 잘못된 안도감을 심어줄 위험이 있으며 석면 노출로부터 자신을 지키는 데 소홀하게 할위험아 있다. 일반적으로 6 개월마다의 정기 검진도 거의 이렇다 할 성과를 거두 고 있지 못하다. 필라델피아 폐암 연구 결과 보고에 의하면 엑스레이 검사결과 정상으로 판정된 후 6 개월 이내에 폐암이 발견된 경우 5 년 이내 생존율은 12%, 6 개월 이후에 발견된 경우 5 년 이상 생존율은 4% 라고 한다. 또한 6 개월마다 양 가슴 사진 촬영과 객담 검사를 실 시한 경우에도 3 년 이상 생존율이 12% 라고 한다. 3) 악성중피종 악성중피종은 흉막, 복막, 심막 등의 장막공을 덮는 중피, 표면 및
그 하층의 조직에서 발생하는 종양이다. 일반 사람들이 이러한 암에 컬리는 것은 극히 드문 일이다. 그러나 이 희귀한 암이 석면 노동자 및 그 가족, 석면 오염원 부근에 거주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매우 반번하게 발견되며, 특히 흉막 중피종이 현저하다. 현재로서는 악성중피종은 치명적인 병으로 수술, 방사선 치료, 화 학 요법으로도 연명 효과를 갖지 못하고 현 상태에서는 조기 발견 자 체도 아무런 * 가치가 없다. 석면에 의한 악성중피종 발병은 최초 석면 노출로부터 시간 경과에 따라 급속히 증가한다. 이때 처음 석면에 노출된 때의 연령은 중요한 의미를 갖지 않는다. 최초 노출 때의 연령은 거의 아무런 의미를 갖 지 못한다는 점에서는 폐암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러나 석면에 의한 폐암의 위험이 최초의 노출로부터 30~40 년 정도까지는 증대하다가 그후 하강하는 것에 비해 악성중피종의 경우는 계속 상승한다. 죽 최 초 노출로부터 20 년 후부터 발병자가 나오기 시작하고 시간이 경과함 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해 최초 노출로부터 시간이 지날수록 중피종 에 의한 사망자는 증가한다. 따라서 악성중피종은 폐암과 달리 극히 짧은 기간에서도 고농도의 석면 노출에 의해 발병한다. 3-8 미생물성 물질 실내 공기중의 미생물은 각종 생활용품, 포장재, 에어콘, 공기 정 화기, 복사기 등의 사용으로 인해 빙출되어 호흡기질환, 알레르기성 질환, 기타 감염증을 유발시킨다. 3-8-1 레지오넬라병 일명 생방병〉이라 일컬어지는 레지오넬라병은 공기 매개 감염증이
지만 사람에게서 사람으로 전파되는 경우는 드물며 냉방 시설과 관계 가있다고한다. 레지오낼라병은 레지오낼라 뉴모필라 Le gi onna i re p neumo p h i la 가 대표적인 원인균으로 흙 속이나 고여 있는 지하수 등의 자연계에 폭 넓게 존재하는데 생물체 기생이 필수조건이 아니고 기회감염세균으로 인체에 침입하면 질병을 일으키게 한다. 레지오낼라 뉴모필라~ 증상 에 따라 폐렴형과 비폐령형의 두 질병으로 크게 분류한다. 두 질병 모두 6~11 월 사이에 많이 발생되고 그 원인은 건물의 냉각탑에 고여 있는 냉각수가 오염됐을 경우 균이 발생하여 냉각 시스템을 거쳐 실 내로 유입되어 냉방병을 발생시킨다. 3-8-2 알레르기 중상 가정에서 발생하는 먼지와 꽃가루는 알레르기성 비염 증상과 천식 울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들 중의 두 가지로 알려졌다. 임상학적인 측 면에서 동물 매개로 인해 명백하게 나타나는 알레르기 증상은 애완동 물을 기르거나 아니면 아주 민감하게 그 반응을 나타내는 민감성 죽 이 두 가지에 기인되고 있다. 그러나 실내에서 발생하는 다른 오염물 질에 노출됨으로 인해서 알레르기성 질환은 발생된다. 박테리아 ba ct er i a, 꽃가루p ollen, 진균fu n gi, 조류 al g ae, 방선균류 act ino my ce tu s , 절지동물 분절 arth r op od frag m e nts , 먼지 dusts , 경 석 (輕石, pum i ce s) 등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항원으로 밝 혀졌으며 실내공기 중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중에 분산되어 있는 미생물성 물질들은 실내환경 조건에 따라 더욱 증가되 어 전염병을 매개로 하는 역할울 하거나 직접적으로 피부 질환, 알레 르기성 질환, 기관지 천식 등을- 유발시킨다. 특히 박태리아는 그 표면 분비물이나 상처로 찢어전 곳에서 자라나
며 그 이의의 독소 역시 마찬가지이다. 각종 박테리아는 조직이나 기 관에 대수롭지 않은 염증에서 종양에 이르는 범위까지 간접적 영향을 끼친다. 또한 습진성 피부염에 급성적인 접촉을 하게 되면 일차적 자 국물 pri m ary irr ita n ts 혹은 알레르기성 감광제 allergi c sensiti ze rs 의 원인이 될 수가 있는데 이들은 염증에 변화가 생기거나 부스럼에 딱 지가 생기고 허물이 벗겨지는 피부 질환 등으로 나타난다. 3-8-3 기타 잔디, 나무, 꽃 들로부터 나오는 꽃가루와 곰망이는 알레르기성 비 염과 천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 중 꽃가루는 여름철에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곰팡이의 포자수는 대개가 늦여름과 가을에 가장 많은 편이다. 조류는 실의 에어로졸의 일정한 구성 요소로 십 여 년 동안 잠재적 으로 사람에게 알레르기를 일으키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고, 실내 공기 중에 있는 조류는 물을 저장해 놓은 곳이나 먼지 중에서 종종 발견할 수 있으며,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3-9 휘발성 유기화합물 실내 에 서 의 휘 발성 유기 화합물 (Volati le Orga n ic Comp ou nds : voes —_이하 유기용제로 약칭한다)의 발생원은 건축 재료, 세탁용 제, 페인트, 살충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여기서 방출된 유기용제는 유지류를 녹이고 또 그것에 스며드는 성질이 있으므로. 피부로 흡수되 기 쉽고, 체내에 흡수된 후에도 중추신경과 부신 등 주요기관을 침범 하기 쉽다. 이와 감은 용제는 휘발성이 크므로 공기 중에 가스로서
포함되는 일이 많으므로 이런 물질들은 피부에 직접 닿지 않더라도 호흡기로 흡입되면 중독을 일으키게 된다. 중요한 유기용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시클로핵산 등으로 방향 족 탄화수소로 순수한 톨루엔의 공기 중 농도가 6oo pp m 인 곳에서 8 시간 노출되면 피로감, 정신착란, 두통 , 구역 , 현기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벤젠은 저농도에 장기간 노출되어 만성 중독을 일으킬 경우 가장 위험하다. 또한 이것은 주로 조혈 장기를 침범하여, 빈혈, 혈액 응고 장해, 그리고 백혈구를 파괴하여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진다. 톨루엔의 체내 흡수 경로는 주로 호흡기를 통해 체내로 흡수되며 소화기를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대사 과정은 주로 간정에서 홉 수된 톨루엔의 80% 가 산화에 의해 메틸 Meth y l 기 가 수산화기화 Hy dr oxy la ti on 되 어 벤젠 알코올 Benzen Alcohol 이 되고 다시 환원 되어 벤젠알데히드 Benz y l Aldeh y de 가 되며 벤젠산 Benzo i c A ci~료 산화되어 글리신 Gl y c i ne 과 결합하여 마뇨산 H ipp ur i c ac i~포료 형성되 어 오줌으로 배설된다. 톨루엔 노출시 나타나는 자타각 증상으로 눈, 코, 안후, 피부 등에 발생하는 자극 증상과 중추신경계 억제 작용으 로 피로, 졸림, 두통, 어지러움, 우울증· 등의 신경 증상이 나타난다 고 알려져 있다. 유기용제는 지방 , 콜레스테롤 등 각종 유기 물질을 녹이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체조직과 결합하여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체내에서의 대사 과정에서 다른 화합물질로 변화되어 독성을 발휘하 기도한다. 대부분의 용제는 마취 작용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신경계의 지 방 조직에 대한 천화성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한꺼번에 대량을 흡입하면 마취 작용을 나타내지만 마취되지 않을 정도의 적은 양이 오랜 시간 반복하여 흡입되면 만성 중독을 일으킨다. 유기용제
에 대한 감수성은 다른 유독 물질에서와 마찬가지로 개인차가 있다. 유기용제가 신체의 각 장기 기관에 미치는 장해를 종합해 보면 다 음과같다. 1) 신경 장해 유기용제의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으로 잘 알려진 것은 마취 작용 이다. 최초에는 술에 취한 듯하고, 동작이 둔해지고 졸음이 오고, 의 식을 잃게 된다. 이와 같은 증상은 농도가 높을 때 일어나는 급성 작 용으로, 흡입을 계속하면 사망할 수도 있다. 이황화탄소에 의하여 뇌신경 세포가 파괴되고 환각이 일어나거나 우울증, 치보 등 정신 장애를 일으키는 일도 있고, 이황화탄소, 염화 에탄으로는 다발성 신장염이 생긴다. 메틸알코올에 의하여 실명을 초 래하게 됨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2) 소화기 장해 점막에 대하여 자극성이 있는 유기용제는 타액에 녹고, 또는 위장 점막에서 배설되어 소화기 장해롤 일으킨다. 중추신경에 대한 작용은 2 차적으로 위장 장해에 영향을 미친다. 위통, 구역 등 증상을 나타내 고 소화불량, 식욕부전 등을 호소한다. 벤젠이나 사영화탄소 등 조혈 장기나 간에 대한 작용이 있는 독물에 의하여 소화기 증상이 일찍이 나타나는 일이 있다. 3) 호흡기 장해 여러 가지 유기용제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코의 접막에 염증을 일으킨다. 초산 또는 개미산은 자극성이 강하고 크실렌 등도 코 점막 울 강하게 자극한다. 호흡기의 자극 작용이 매우 강한 때에는 폐수종 울 일으키지만 흔히 쓰이는 유기용제에 의하여 폐수종을 일으키는 일
은 드물다. 그러나 사영화탄소 또는 염화에틸렌에 불길이 닿으면 이 들 물질이 분해하여 포스겐이 발생하여 폐수종을 일으키게 되므로 주 의해야한다. 4) 간장해 간장은 해독에 필요한 중요한 장기이지만, 각종 유해 물질에 의하 여 장해를 받기 쉽다. 탄화수소의 염화물은 간장에 대한 작용이 강한 용제이지만, 그 중에서도 사염화에탄,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등은 7,_낡] 대한 작용이 강하고, 염화에틸렌, 사염화에틸렌 등은 약하다. 이와 같은 독물에 의한 간 장해가 심할 때는 황달이 생기지만 황달이 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중독의 의심이 있을 때에는 아미노기 전이효소 등 간 기능 검사를 할 필요가 있다• 5) 신 장해 간 장해가 일어날 때는 신장도 함께 침해하는 수도 많다. 글리콜의 유도체에 의하여 신장이 단독으로 장해되는 수가 있다. 대개 신염의 형태를 취하고, 노출을 중지하면 치유되지만 심하게 침해된 경우에는 요독증으로사망한다. 6) 조혈 장해 벤젠은 조혈 장기인 골수에 직접 작용하여 조혈 기능 장해롤 일으 킨다. 처음에는 빈혈증, 혈소판 감소, 백혈구 특히 중성 다핵 백혈구 의 감소를 초래하며, 마침내 백혈병으로 이행한다. 또 니트로 화합물 은 혈색소 대사에 영향을 주어 메트헤모글로빈을 형성하여 빈혈을 일 으킨다. 7) 피부 및 점막에 대한 작용 유기용제가 오랫동안 반복하여 피부에 접촉되면 피부염을 일으킨
다. 대개는 피부의 지방과 콜레스테롤을 녹이는 성질 때문이라고 생 각된다. 그러나 유기용제에 따라서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을 일으키는 것도 있다. 또 호흡기 장해에서도 말한 바와 같이 점막에 대한 자극 작용이 있고, 눈의 자극 증상을 호소하기도 한다. 3-10 기타 3-10- 1 악취 실내에서 악취는 의부의 발생원으로부터 유입에 의하거나 실내 자 체에서 발생된 경우가 있는데, 실내에서의 주발생원은 담배의 흡연 및 각종 약품 처리된 가구의 칠 냄새 등을 둘 수 있다. 냄새에 의한 피해는 식욕 감되, 구토, 불면, 알레르기증 등을 둘 수 있으며 고농도의 경우에는 더 심한 피해를 일으킨다. 그러나 악취 에 의한 피해는 심리적인 경우가 많다. 냄새가 심한 지역은 쾌적한 생활 환경이라 할 수 없으며 심리적으로 짜증이 자주 일어날 정도면 노이로제에 빠질 위험성이 있다. 3-10-2 소음 소음은 주로 의부로부터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 많으며, 실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가전제품 등 전자제품의 작동에 의한 것이 많다. 소 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청력 장해, 행동 방해, 불쾌감, 작업 능 률저하등을들수있다. 1) 청력 장해 소음의 정도에 따라 일시성, 영구성, 일시성과 영구성을 겸한 청력
장체가 일어난다. 일시성 청력 장해는 청각 피로라고도 하며 강력한 소음에 수분간만 노출되어도 발생한다. 일정 소음에 의한 일시성 청 력 장해의 정도는 개인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영구성 청력 장해는 장시간의 소음 노출로 발생되고 이 의에 각종 질병이나 기계적 손상, 약물 복용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노령화에 따른 변화로 나타나는 노인성 난청은 연령별 청력 변화 곡선으로 나 타내며 고령자에서 순수한 소음성 청력 손실의 정도를 평가하는 데에 이용된다 . 소음 작업자의 영구성 청력 손실은 3000~6oooH~ 범위 에서 나타나고 4oooHz 에서 가장 심하다. 2) 행동 방해 소음에 의한 영향으로 안락함, 휴식을 방해받거나 대화소통이나 원 하는 소리를 듣지 못하는 수가 있다. 이같은 방해는 작업 수행에 영 향을 미치고 스트레스를 증가시킨다. 또한 위험 지시 등을 듣지 못하 여 심한 재해를 일으킬 가능성도 크다. 이와 같은 회화 방해 현상은 소음의 음폐 효과 때문이다. 소음은 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음폐하므 로 음이 뚜렷하게 들리지 않는다. 이 음폐 효과는 소음의 강도가 클 수록 심하고 음폐음의 주파수보다 높은 음에서 현저하다. 회화 방해 수준은 음압 수준과 소리가 전달되는 거리와 관계가 있다. 3) 불쾌감 소음으로 인하여 심리적, 정서적으로 불쾌감을 호소하는 것은 개인 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 똑같은 소리라도 때로는 시끄럽게 느 끼고 때로는 즐겁게 느낄 수도 있다. 그러므로 물리적인 소음 측정기 만으로 말하기는 어렵다. 실내 소음의 경우, 회의실에서 3odB (A) , 큰 사무실이나 주택에서 는 50dB(A) 가 넘으면 불쾌해진다. 또한 옥의에서의 떠드는 소리가
불연속적인 고음역 주파수를 나타낼 때에는 더욱 주의력을 산만하게 하여 불쾌감을 일으키기도 한다. 4) 작업 능률의 저하 시끄러운 환경에서는 심리적 활동과 작업 능률이 떨어진다는 실험 적 근거가 있다. 소음이 심할 경우 반응 시간이 늦거나 전혀 반응을 나타내지 않으며 정확한 답이 나오지 못하는 수가 많다. 보통 소음의 강도가 90dB(A) 를 넘으면 그 소음의 시간적 특성이 연속적이건 일 시적이건 간에 작업 능률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5) 수면 방해 소음에 의하여 수면이 방해된디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수면의 깊이가 깊울수록 깊은 잠에 든 것을 의미한다. 뇌파에 의한 수면의 깊이를 보통 0 에서 3 까지 구분할 경우, 소음의 강도가 3SdB(A) 인 때의 수면의 깊이는 평균 2 .4이고 55dB(A) 인 때에는 평균 2 . 0 이라고 한다. 또한 소음의 강도가 3SdB(A) 인 때에는 30dB(A) 에 비하여 수면에 들기까지의 시간이 약 20% 늦어지며 참이 깨는 시간도 10% 늦어전다고한다. 6) 생리적 기능 장해 소음은 신체의 자율신경, 특히 교감신경이 자극되어 신체 부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약 50~6odB (A) 의 소음에 노출되면 타액과 위 액의 분비가 감퇴되고 위의 운동이 억제되며, 또한 소화 기능의 장해 의에 혈당량이 증가하는 등 물질대사의 변화와 혈압 싱승, 맥빅수의 증가, 말초혈관의 수축으로 인한 순환 저항의 증대, 백혈구 및 임파 구 수의 증가 등 순환기계의 기능에 장해를 초래할 수 있다. 이 의에 도 근육 긴장도의 증가, 발한 증가 등이 나타나고 소음에 노출되면
뇌하수체계의 감수성을 저하시켜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의 분비가 감 소되고 갑상선 자극 호르몬의 분비는 증가시킨다. 중추신경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기억력, 의지 등 정신 작용을 방해 한다. 소음이 생리적 기능 장해를 일으키는 결과로서 나타나는 자각 증상은 마음이 불안하고 안정이 되지 않는 등의 심리적 변화와 심한 경우 신경증, 신경쇠약의 증세가 나타난다. 가슴이 두근거리고 어지 러우며, 머리가 아프고 귀에서 소리가 나며, 식욕이 감퇴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발육기 아동에 대하여는 성장 발육을 억제시 킨다. 위와 같은 생리적 변화는 소음 자극이 없어지면 소음에 의한 원상으로 회복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3-10-3 비전리 방사선 1) 자외선 400~10onrn(mµ) 사이의 파장을 갖는 자의선은 실내에서는 인공 광원이나 용접 작업시 발생하게 된다. 자의선은 일명 화학선이라고 부르듯이 여러 물질에 화학 변회를 일으키는데, 생체의 경우에도 예 의없이 일어난다. 그러나 자의선이 조직을 통과하는 거리는 고작 수 mm 에 불과하고 대부분이 신체 표면에 흡수되는 관계로 그 직접적인 영향은 피부와 눈에만 나타나며 그 의의 다른 장해는 2 차적인 것에 불과하다. 또한 290~310nm 의 자의선은 인체에 대해 여러 유익한 작용이 있으며 도노 Dorn 야 1 이라 부른다. 피부에 미치는 영향 원자의선은 피부 표면에서 0.03mm 즉 체표충 인 각질층까지, 또 근자의선은 0.05mm, 죽 말피기 Mal pig h i층까지만 침투하며, 더욱 파장이 긴 것은 2mm 의 깊이까지 도달하나 피세관총 까지는 투과하지 못한다. 자의선에 오래 노출되면 표피세포가 장해를 받으며 각질충 세포내에
형성된 히스타민 His t a m i ne 물질이 피하 모세혈관에 이행되어 혈관을 확장시키므로 홍반을 일으킨다. 자의선의 작용 정도는 파장, 조사 시간, 강도 이의에 개인에 따라 다르므로 표피에 멜라닌이 풍부하고 각질충이 두꺼운 사람은 저항력 이 크며 인종적으로 흑인이 가장 강하다. 290~320nm 의 자의선은 피하 조직내의 에고스데린 Er g os t er i n 을 형성화시켜 비타민 D 를 만든다. 자의선은 자극성이 강하여 피부에 염증을 일으키는 이의에 반복 조사되는 어민, 농민, 선원, 옥의 작업 자에서는 특이한 피부 반응이 일어난다. 즉 피부는 건조하고 탄력성 을 잃으며 갈색을 띠고 주름살이 많은 피부가 된다. 이러한 피부 반 응은 그 자체가 해로운 것은 아니나 노인성 각화증, 세포상피종 등으 로 이행되는 감수성이 높은 사람은 주의를 요한다. 피부암이 몸의 노 출부에 호발되는 점을 미루어 자의선의 반복 조사로 암이 형성될 수 있는 가능성이 논의되기도 한다. 자의선에 의한 광감각으로 광성 (光 性)피부염이 일어나는 수도 있다. 눈에 미치는 영향 295nm 이하의 자의선은 모두 각막과 결막에서 흡수된다• 수정체에서는 295~380nm 부분이 완전히 홉수되는 의에 315~380nm 의 것도 일부 흡수되며 망막에 도달하는 것은 390 ~400nm 의 자의선이다. 전기성 안영은 대표적인 자의선 장해로 꼽힌다. 이것은 자의선에 피폭된 수시간 후에 눈의 통증과 심한 수명이 나타나는 급성각막염이 며 아세틸렌 용집보다 전기용접에서 나타나기 쉽다. 초자공, 대장공 백내장이나 일시맹은 주로 강한 적의선과 가시선의 작용이지만 수정 체 단백질이 자의선 조사로 변성하는 점을 보면 자의선의 관여도 무 시할수없다. 전신 영향 자의선에는 자극 작용이 있으며 대사가 항전되고 적혈 구, 백혈구, 혈소판이 증가된다. 다만 과량을 조사하면 두통, 흥분,
피로, 불면, 체온 상승 등을 보이나 이것은 모두 2 차적인 현상이다. 2) 가시광선 700~400nm 의 파장을 갖는 가시광선의 이상 반응은 총체적으로 유전 장해, 광(光)독성 장해, 광(光)알레르기성 장해, 영양 장해, 전 염성 질환, 퇴행성 질환 및 신생물 발생의 여러 분야에 걸쳐서 관찰 되고 있으며 이들은 광선의 단독 작용 이의에 의인성 요인, 대사물, 피부 이상 및 피부와의 공동 작용 때문에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주요한 가시광선 장해는 조명 부족과 조명 과잉으로 일어난다. 가시광선에 대한 신체 반응은 두 가지로 구분된다. 직접 작용은 조 직내에 광선 에너지가 흡수됨으로써 일어나는 조직 성분의 화학 변화 인데 이에 관해서는 아직 별로 알려진 바가 없다. 간접 작용은 생체 의 세포가 발산하는 화학 신호이며 생물학적 리듬 과정에서 보는 신 체 활동, 수면, 식량 소모 등이 그 예이다. 송과선의 멜라토닌합성이 억제되고 성선의 성숙과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도 간접작용의 하나 이다. 3) 적외선 760~ 10000nm 의 파장을 갖는 적의선은 물체가 작열되면 적의선이 방출되는 만큼 광물, 금속 등을 용해하는 노 작업이나 노 감시 작업, 제강, 단조, 초자 제조 등에서 발생하게 된다. 적의선이 체의에서 조 사되면 일부는 피부에서 반사되고 나머지만 흡수된다. 조직에서의 흡수는 함수량에 따라 다르며 1400nm 이상의 장파장 적의선은 1cm 의 수충을 통과하지 못하고, 생체에서도 1400nm 이 상은 체표 조직에서 흡수되어 피부온을 상승시키며 750~ 1400nm 의 것만이 심부 조직까지 도달한다. 조사 부위의 온도가 오르면 홍반이 생기고 혈관이 확장되어 혈액량
이 증가되나 혈액 증가는 방열 작용을 동반하므로 조직의 온도 상승 을 어느 정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국소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진통 작용이 있으므로 치료에도 응용된다. 적의선으로 오는 신체 장해는 다음과 같다. 피부 장해 충혈, 혈관 확장에 이어 괴사를 일으키며 장기간에 걸친 조사는 습전, 암변성을 일으킬 수 있다. 강력한 조직 조사는 피부와 심부 조직에 화상을 일으킨다. 안 장해 피부의 경우는곤 적의선을 조사하면 화상을 입기 전에 통각 울 자극하므로 일종의 경보 기구가 갖추어져 있는 셈이지만 눈의 경 우에는 수정체 손상을 방어해 줄 만한 방어기전이 갖추어져 있지 않 다. 1400nm 이상의 장파장 적의선은 각막 손상을 일으킨다. 1400nm 보다 짧은 적의선은 화성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에너지 수준의 것 이라도 만성 노출 (10~15 년)로 적의선 백내장을 일으킨다. 적의선 백내장은 초자공 백내장, 대장공 백내장이라고 하며 특칭적으로 수정 체의 후극에서부터 백내장이 시작되는데 그 원인은 홍체에서 흡수되 고 수정체로 두과되는 에너지량과 직접 관계가 있다. 두부 장해 장시간의 조사는 두통, 현운, 자극 작용이 있으며 적의 선은 뇌막 자극 증상을 유발하고 의식 상실, 경련 등을 동반한 열사 병을 일으켜서 사망에 이르게 하는 수가 있다. 4) 레이저 광선 레이저 장해는 에너지 흡수량에 달려 있는 만큼 광선의 파장과 특 정조칙의 광선 흡수 능력에 따라 장해 출연 부위가 달라지며 주로 장 해를 받는 기관은 눈과 피부이다. 안 장해 400nm 이하의 짧은 자의선과 1400nm~ 1mm 의 적의선 은 각막에서 흡수되어 각막염을 일으킨다. 각막 장해는 파장 이의에
출력 밀도, 피폭 시간에 대응해서 경도의 상피 장해, 궤양, 천공 등 여러 형태로나타난다. 700~ 1400nm 의 적의선 영역이나 300~400nm 의 자의선 영역의 레이저는 홍체와 수정체에서 흡수되고 백내칭~一 일으킨다. 레이저 사 고 때는 망막 장해가 흔히 일어난다. 근자의선, 가시선, 근적의선 영 역 (400~1400nm) 의 광선이 초자체에 작용하여 망막상에 초점을 형 성해서 망막에 장해를 일으키는 것이다. 특히 레이저는 지향성이므로 에너지가 모두 눈에 집중되고 망막상에 한 초점을 형성하므로 방어기 전이 작용하기 이전에 망막 장해롤 일으키는 것이다. 망막 손상은 열에 의한 망막소작과 응고이며 일과상의 발작에서 부 터 부종, 괴사, 기포 발생, 망막 박리, 실명 등 여러 정도의 장해가 일어난다. 피부 장해 고출력의 레이저는 피부 화상을 일으키나 피부에 미치는 작용은 피부색에 따라 다르며 흑인보다 백인이 유리하다. 만성 또는 반복 조사의 효과는 통상 무시된다. 5) 마이크로파와 라디오파 10~ 3,ooo,oooMH 떠 전자파를 총칭하는 것으로 T.V. , 라 디오, 레 이더, 전자레인지 등에 이용되고 여기서 발생하게 된다. 열작용 마이크로파와 라디오파 (rad i o fr e q uenc y -RF) 의 조직 가열 작용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인체 표면에는 지 각신경이 분포되어 있어서 체표면에 흡수된 마이크로파와 라디오파가 조기에 온감을 불러일으키는 반면에 심부에 흡수된 것은 그 효과가 늦게 나타나므로 불쾌감을 느낄 때는 벌써 장해가 일어나 있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150MHz 이하의 마이크로파와 라디오파는 신체에 홉 수되도 감지되지 않는다. 150~ 1000MHz 에서는 심부까지 흡수되어
열을 발생시키나 사람의 감각 기구에는 감지되지 않는다. 1000 ~3000MHz 는 에너지가 심부까지 홉수되나 피부나 피하 지방이 두 꺼워 전체의 양이 크며 또 주파수가 많으면 피부에 흡수되는 부분도 늘게 된다. 10,000MHz 이상의 것은 피부에서 흡수되어 부분적인 오 감을일으킨다. 눈에 대한 작용 1000~10,oooMH 떠 마이크로파는 백내장을 일으 킨다. 이것은 조직 온도의 상승과 관계가 있으며 동물에서는 수정체 후국의 온도가 41°C 일 때에 발생한다. 수정체의 아스코르빈산 함량이 마이크로파 자국으로 감소되므로 백내장을 예고하는 지표가 된다. 중추신경에 대한 작용 사람에서는 300~ 1200MH~ 주파수 범위에 서 가장 민감하게 나타나며 1ooµmWcm~ 巧j도의 출력 밀도의 마이 크로파도 파장과 진동수에 따라 각각 울림, 간지럼, 진동을 느끼게 한다. 대뇌 측두엽 표면부가 가장 예민하다. 청신경에 대한 직접 자 극, 와우각 모세포의 자극, 전기 기계 자극 등이 그 원인으로 꼽힌 다. 중추신경계의 증상으로 두통, 피로감, 지적 능력의 저하, 둔감, 기 억의 감퇴, 성적 흥분의 감퇴, 불면, 정서 불안정 등이 기록되었으며 타각적으로는 발한, 저혈압, 호흡 곤란, 흉통, 동성 부정맥, 서맥 등 의 심장 혈관 장해와 뇌파 변화, 지각 둔화, 조건반사의 둔화, 신경 계 조절 보상 기구의 붕괴 등이 있다. 혈액의 번화 혈액의 단백분획, 이논, 히스타민, 코린에스데라제, 호르몬과 효소, 면역 요소에 변동이 나타나며 백혈구 증가, 망상적 혈구의 출현, 혈소판 감소를 본다. 유전 및 생식 기능에 미치는 영향 최기성 및 생식 기능상의 장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기록되고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가 이에 포함된다. 그 외의 피해 작용 이전에는 300MHz 이하의 무선주파 영향은 없 는 것으로 치고 있었다. 그러나 동물실험에서 6~12MH~ 라디오
파가 장관 운동 항전과 콜린에스데라제 활성치의 저하를 가져온디는· 사실이 인지됨으로써 3~30MH 떠 라디오파에도 전장 및 자장 강도 에는 어느 정도의 제한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저주파 라디오파가 뇌파, 세포분열에 영향을 미치고 면역 억제적 작용과 항임파구적 작용을 한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다. 흡수되는 에너지의 분포와 크기, 또 기재되는 생체 작용은 피부 조 건과 동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나 산업용 라디오파에 피폭되는 사람 은 겨드랑이, 고환, 회음부, 측흉부 등에 온감을 느끼며 25 ~26MH 떠 것이 가장 잘 인체에 흡수된다고 한다. 3-10-4 전리방사선 전리방사선은 생체에 대하여 전적으로 파괴적 작용을 하며 염색체, 세포 그리고 조직의 파괴와 사멸을 초래한다. 이것은 전리방사선의 물리적 에너지가 생체내에서 전리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방사선 촬영, 핵발전소, 우라늄 채광 등에서 발생하는 전리방사선 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전리방사선의 투과력, 전리 작용, 피폭 방 법, 피폭선량, 조직 감수성 등에 따라 다르다. 방사선 칭해는 개체의 체세포에 나타나는 개체 효과와 생식세포에 나타니는 유전 효과로 나 누어 생각할수있다. 1) 개체 효괴는 장해의 정도에 따라서는 회복 가능한 경우가 있다. 2) 유전 효과는 생식세포에 돌연변이가 생기는 것이니만큼 회복 불 가능하고 또 이를 예방할 수 있는 허용 기준이라는 것도 있을 수 없 다. 또 방사선 장해는 수일 내지 수년의 잠재기를 거쳐 나타나며 장해 가 발현되는 시기에 따라 조기 장해와 만기 장해로 나누고 조기 장해 는 다시 급성 장해와 만성 장해로 구분된다.
방사능 장해를 받는 부위는 전리방사선의 종류와 체의와 체내 조사 의 차이에 따라 달라지며 이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급성 감늄 l 」국전소신 장장해해 .…..급 급 성성 방방샤사성선 증피 부영 만성 킹늄n 」二전국신소 장장해해 .….. 만난치성성빈 혈궤증양등성 피부영 피폭자의 방사능 중독(내부 피폭자) …라 듐 중독 등 장방사 선해 1 신체장해 만기 징벼i백악내성장 ,신 생섬물(요백식혈증병 등포함 ) 노화촉진, 수명 단축등 차세킹대넥 적 I 태유아전장상해 .:,;,: o네 기(형염색 발체생 이 상과 유전자 변이 ) 1) 급성방사선중 비교적 단기간내에 상당히 많은 방사선을 신체의 광범위한 부위에 받았을 때 나타나는 증후군이다. 산업장에서 일어나는 일은 드물며 원폭 장해 같은 것이 그 대표적인 예가 된다. 뇌간 신경계 증후군 2ooorad 이상의 다량 피폭을 단시간내에 받으 면 실신, 의식 혼탁, 운동 마비 등의 심한 중추신경계 증상이 나타나 고 단시간내에 사망한다. 동물 실험에서 보면 의관상으로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으며 체온도 별로 상승하지 않는다. 장관계 증후군 피폭 선량이 500~1500rad 이하일 경우에 일어난 다. 장의 윤모상피를 중심으로 한 상피 세포 조직의 급속한 괴사로 인하여 심한 설사, 혈변, 탈수, 식욕 부전 등을 보이며 곧이어 구강 과 장관으로부터의 내부 감염 때문에 패혈증, 염증, 발열이 생기고 사망한다. 조할 혈관계 증후군 피폭 선량이 300~4oorad 이하일 경우에는 장 관계 증상은 한층 가벼운 대신에 조혈 조직의 광범위한 파괴로 인한
혈액병 증후군 이주로 나타난다. 오심, 구토는 50~ lOOrad 정도의 피폭으로도 나타나나 선량에 비례해서 가볍다. 이에 이어서 말초 혈 액 중에는 림프구, 백혈구, 적혈구의 순으로 혈구 감소 경향이 나타 나며 그 감소의 정도와 유형 및 회복 과정은 선량과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있다. 2) 방사선 피부 장해 직업성 방사선 장해 중에서 가장 혼한 장해이며 피부의 국소적 만 성 염증에 이어 피부궤양, 암이 발생하는 것이다. 피부 조직 중에서 방사선에 가장 감수성이 높은 부분은 표피 기저부에 있는 세포충과 전피의 유두하 모세관 계제 (4주 』商) 부근이다. 따라서 이 부분이 받는 흡수선량에 따라 피부 장해의 정도는 다르다. 일반적으로 열 화상, 화학 화상과 유사한 염증과 궤양이 나타나지만 동통이 보다 심하고 자연 치유 경향이 현저히 적다. 이것은 주변 피부 조직의 변질 내지 기능 퇴화와 영양에 관계되는 혈, 신경이 침습되기 때문이다. 3) 내부피폭장해 원자력 개발과 방사성 동위원소의 이용이 발전되어가는 가운데 점 차 중요성을 더하고 있는 것은 방사성 동위원소의 체내 섭취에 따른 장해이다. 내부 피폭 장해 가운데서 역사적으로 유명한 것은 라듐 장해이다. 제 1 차 세계대전 중에 야광 도료에 의해 발병되었는데 이것은 소량의 라듐울 첨가한 황화아연 혼합물이 체내에 구강을 통해 섭취되어 근무 자의 인체에 육종으로 나타났다. 4) 만기 장해 원자력 산업의 발전에 따라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방사선
장해는 장기간의 전선량 피폭에 의한 만기 장해이다. 이것은 일시적 인 대량 피폭 후에 급성 증상이 일단 쇠퇴하였다가 오랜 기간을 두고 그 중 몇 사람에게서만 돌연히 나타니는 경우가 있다. 만기 장해는 백혈병, 각종 장기암, 백내장, 수명 단축, 조직의 노 화 현상 등으로 나타나며, 특히 순환기계 조직의 경화와 탄력성 상 실, 폐장 등의 섬유증식, 내분바기계 감되 등을 들 수 있다. 5) 차세대에 주는 장해 태아의 기형 발생과 방사선 피폭과의 관계는 동물실험이나 인간에 게 명백히 증명된 바 있다. 특히 태아는 시기에 따라 상당히 낮은 방 사선량에 피폭되더라도 큰 위험을 겪는다. 그러나 기형의 원인은 방 사선 이의에도 여러 가지가 있으므로 방사선에 의한 유전 장해를 개 인의 피폭 장해로만 보기는 어렵다. 방사선의 유전적 영향은 돌연변 이가 일어나기 쉽고 염색체 이상의 형태로 나타나지만 그 출현 반도 는 선량률偏頃率)과는 관계가 없고 총 선량과 관계가 있다. 참고문헌 김남이 (1986) , 「문헌고찰을 동한 우리나라 병원감염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역학회지》, 8 : 127-146, 김윤신 (1989) , 「실내공기오염」 《대한의학협회지》, 32 (12) : 1279-1285, 김윤신, 김미경 (1989) , 「실내의 포름알데히드 농도에 관한 연구조사」 《대 한환경위생학회지》, 15 (2) : 1-9. 조규상, 이승한, 정규철, 이광묵 (1990), 『산업보건학』, 수문사, 113-127, Ahlstr o m, R. 의 (1984) , Odor int e r acti on betw een form aldehy de and ind oor air of a sic k buil din g , In Proceedin g s of the thi r d int e r natio n al confe re nce on ind oor air qua.lil y and clim ate , 3, 349
-353. Anderson, H.R. ( 1978) , Respi ra to r y abnormaliti es in Papu a, New —GHu .iRn e. a( 19c7h8i)l d, reRn e:s Tphi rea teo frf y ec atsb n oofr m loaclaitlii teys , asnmdo kdion mg ehsatib ci t sw o anodd smoke po lluti on , Int. ]. Ep ide mi ol . 7, 6 3-72. venti la to r y cap ac it y in a hig h land communit y in Papu a, New Guin e a : Prevalence and eff ec ts o n morta l ity , Int. ] . Ep ide mi ol . 8, 127-135. Archer, V.E . (1987) , Associa t i on of lung cancer morta l ity wit h pre cambria n gran it e, Arch. Envir o n. Healt h 42, 87-91. Aronow, W.S. and Isbell, M.W. (1974) , Eff ec t of carbon monoxid e exp o sure on int e r mi ttan t claudic a ti on , C ir c ulati on . 49, 415-417. Arundel, A. V. 의 (1986) , Indir e ct health eff ec ts o f r elati ve humi di t y in ind oor envir o nments , Envir o n. Health Pers jJe ct. 65, 351-361. Bland, M. 의 (1978) , Ef fec t of chil d ren's and pa rents ' smokin g on respi ra to r y sym p tom s, Arch. 底 Chil d . 53, 100-105_ Breys s e, P.A. ( 19so) , Formaldehyd e exp o sure in m obil e h omes : Occu- pa ti on al safe t y and health sym po sia , Washin g ton , D.C . : Government Prin t i ng Off ice . D HHS pu blic a ti on no. ( NIOSH) so -139. Cain , W. S. 의 (1987) , Envir o nmenta l tob acco smoke : Sensory reac- tion s of occup an ts , At mo s. Envir o n. 21, 347-353. Cohen, B.L. (1988) , An exp e rim enta l tes t of the line ar-no thr eshold the ory of r adia t i on carcin o g en esis , Presente d at t he U.S. Envi- ronmenta l Prote c ti on Ag en cy 1988 sym po siu m on radon and reducti on tec hnolog y, Octo b er, Denver, Colo. Dally, K. 의 (1981) , Formaldehy d e exp o sure in nonoccup a ti on al envir o nments , Arch. Envir o n. Healt h. 36, 277-284. Dement, J.M ., Harris, R.1. Jr., Sym o ns, M.J. and Shy, C.M . (1980) , Estim ate s of dose-respo nse for respi ra to r y cancer among chr yso ti le asbesto s e tex ti le workers, Docto r al dis s ert at i on ,
Univ e rsit y of North Carolin a , Chap el Hil l. Dockery, D.W. 의 ( 1987) , Associ at i on s of h ealth s ta t u s wit h i nd ic a to r s of i nd oor air p o lluti on from an epi de mi ol og ic stu d y in six U.S. citi es , In Indoor air . 2 , 203-207. Dousset, M. an d Jam met, H. ( 1985) , Comp ar ais o n de la morta l it e p a r cancer dans la Lim ousin et le Poit ou -Charente s , Radio - pro te c t ion GEDIM. 20, 61-67. EPA (1 979) , Ai r q ua lity crite r ia for carbon monoxid e , U.S. Envir o n- menta l Prote c ti on Ag en cy, EPA-600/8-79-022, Washin t o n , D.C . Edlin g , C. 의 ( 1982) , Eff ec ts of low-dose radia t i on : A correlati on stu d y , Scand. ]. Work Envir o n. Healt h. 8(1), 59-64. Fin n eg an , M.J. , Pic k erin g , C.A. and Burge , P.S. ( 1984) The sic k - buil d in g syn d rome : Prevalence stu d ie s , Br.Med.]. 289, 1573 -1575. Fleis c her, R. L. (1981) , A po ssib l e assoc iat i on betw een lung cancer and pho sph ate m in i n g and pro cessin g , Healt h P hys . 41, 171-175. - (1986) , A pos sib l e associa t i on betw een lung cancer and a geo log ica l outc r op , Health P hys . 50, 823-827. Forastie r e, F. 의 (1985) , Lung cancer and natu r al radia t i on in an Itali an pro v inc e, Sci. Tota l Envir o n. 45, 519-526. Fraser D.W . 의 (1977) , Legi on nair e s Dis e ase : Descrip tion of an epi - demi c of p nu mon ia, N Engl . ].Med. 297, 1189-1197. Garfin k el, L. (1981) , Tim e tre nds in lung cancer mort al ity among non-smokers and note on pas siv e smokin g , J Natl . c ancer Inst. 66, 1061-1066. Hawkin s , L.H . and Barker, T. ( 1978) , Ai r ion and human per f or - mance, Ergo n omi cs 21, 273-278. Henderson, V.L. Jr. & Frazer, D.A. (1976) , A model for depo s it ion of fibe rs in the human respi ra to r y sys t e m , Ameri ca n lndustn ·a t Hy gien e Associa t io n jou rnal, 37, 2, 73-89. Hess, C.T ., Weif fen bach, C.V. and Nort on , S.A . ( 1983) , Envi ro n-
manta l radon and cancer correlati on s in M ain e , He al th P hys . 4 5, 339-34 8. Hin d s, W . C. and Fir s t, M . W . (1975) , Concentr a ti on s of nic o ti ne and tob acco smoke in pub li c pla ce, N. Eng l. ]. Med. 292, 844-845. Hofm ann, W. , K atz , R. and Zhang , C.X .(1985), Lung cancer in a Chin e se hig h backg rou nd area : Ep ide mi ol og ica l result s a nd the - oreti ca l int e r pr e ta t i on , Sci. T ota l Envir o n. 45, 527- 53 4. Honik y , R.E ., Osborne, J . S., III and Ap k om C.A . (1985) , Sy mptom s of respi ra to r y illn ess in you ng chil dr en and use of wood-b u rnin g sto v es for ind oor heati ng , Pedia t r ics. 75, 587-593. Jam es, A.C . { 1988) , Lung dosim etr y , In Radon and its decay pro ducts in ind oor air . Ed. W. W . Nazaroff and A.V . Nero, Jr., 259-309. Kauff ma nn, F. 의 {1989) , Respi ra to r y sym p tom s and lung fun cti on in relati on to pas siv e smokin g : A comp a rati ve stu d y of Americ a n and French women, Int. ]. Ep ide mi ol . 18, 334- 34 4. Kreis s, K. and Hodg so n, M.J. {1984) , Buil d in g - a s socia t e d epi de mi cs, In Indoor air qua lity . Ed. P.J . Walsh 의 , 87-106. Boca Rato n , Fla. : CRC Press. Levin e , R.J. {1978) , Asbesto s : An Info rm ati on Resources. Nati on al Cancer Insti tut e . Malik , S .K. {1985) , Exp o sure to domesti c cookin g fue ls and chronic bronchit is, India n ]. Chest Dis . Allied Sci . 2 1, 171- 17 4. Molhave, L., Bach, B. and Pedersen, O.F. ( 1984) , Human reacti on s durin g contr o lled po lluta n ts , In Proceedin g s of the thi r d int e r natio n al confe re nce on ind oor air qua lity and clim ate . 3 , 431 -436. NAS{l977), Ni trog en Oxid e s. Nati on al Academy of Sci en ces, Wa- shin t o n , D.C . NIOSH (1972) , Occupa t io n al expo sure to a sbesto s . Nati on al Insti tut e f or Occup at i on al Safe ty and Health . HSM 72-10267. Nati on al Counc il o n Radia t i on Prote c ti on and Measurements ( l984),
Evaluati on of occupa t io n al and envir o nmenta l exp os ure to radon and daugh te rs in the Unit ed sta te s. Beth e sda, Md. : NCRP Rep or t no. 78. Nati on al Research Council (l 981), I ndoor Polluta n ts . Nati on al Acad- emy Press. W ashin g t on D.C. Nati on al Research Counci l ( commi ttee on ind oor air q ua li ty) (1987) , Polici e s and Procedures for contr o l of ind oor air qua lity . Wa- shin g t on D.C. : Nati on al Academy Press. Norste d , S.W. 의 (1985) , Formaldehyd e comp la in t i nv estig a tio n s in mobil e homes by the Texas Dep ar tm ent of Health , Envir o n. Res. 37, 93-100. Olsen, J.H . and Dossin g , M. (1982) , Formaldehyd e -in d uced sym p tom s in day care cente r s, Am. Ind. H yg . Assoc. ]. 43, 366-370. Pandey, M.R. ( 1984a) , Prevalence of chronic bronchit is in a rural communit y of t he hill regi on of Nepa l , Thorax. 39, 331-336. - (1984b) , Domesti c s moke pol luti on and chronic b ronchit is i n a rural communit y of t he hill regi on of N ep al , Thorax. 3 9, 337-339. Pandey, M.R. , Neup an e, R.P . and Gauta m , A. ( 1987) , Dometi c s moke pol luti on and acute r espi ra to r y i nfe c tio n in N epa l , In Indoor air 1987, 3, 25-29. Samet, J.M . and Spe n g le r, J.D . (1991) , Indoor Air P olluti on . The Joh n Hop ki n s Univ . Press. Sardin a s, A.V . 의 ( 1979) , Health e ff ec ts a ssocia t e d wit h U rea-fo rm al- dehy de foa m ins ulati on in C onnecti cu t, J Envir o n. Healt h. 41, 270-27 2. Seli ko ff , I.J. (1982) , Dis ab il ity Comp en sati on for Asbesto s -Assoc iate d Dis e ase in the Unit ed Sta te s . U.S. Dep ar t m ent of L abor. Ste r lin g , E. and Ste r lin g , T. (1983) , The im p ac t of dif fere nt venti la- tion levels and Fluorescent ligh tin g type s on buil d in g illne ss : An expe r im enta l stu d y , Can. ]. Public H ealt h. 74, 385-392. Thun, M.J., Lakat, M.F. and Altm an, R. (1982) , Sy mptom survey of
resid e nts of h omes ins ulate d wit h u rea-fo rm maldehyd e foa m, Envir o n. Res . 29, 320- 33 4. Tom, G. 의 (1981) , The inf l ue nce of nega tiv e air ion s on human per fo rm ance and mood, Hum. Facto rs . 23, 633-636. Tuth i ll , R.W . ( 1984) , Woodsto v es, form aldehyd e and respi ra to r y dis e ase, A m.].Ep ide mi ol. 120, 952- 9 55. Woods, J.E ., Drewry, G.M. and Morey, P.R. , (1987) , Of fice worker per cept ion s of ind oor air qua lity eff ec ts on disc omf or t and per fo rm ance, In Proceedin g of the fou rt h int e r nati on al confe r- ence on ind oor air qua lity and clim ate . Ed. B. Seif er t 의 , 2, 464-468.
제 4 장 실내공기오염의 측정 실내환경의 문제점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1970 년대와 1980 년대 초 에 걸쳐서 급격히 고조되었고, 실내공기질의 평가를 위해서 기존의 전통적인 산업위생학적 측정 기술들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이 러한 측정 기술들은 실내공기를 정확하고도 실질적으로 평가하는 데 는 미흡한 점이 있다. 따라서 실내환경에 대한 효과적인 평가를 위해 서는 예전과는 다른 관점에서 측정할 필요가 있다. 실내오염물질에 대한 측정 기술이 개인의 한계허용 폭로도p erm i ss i ble exp os ure lim i ts- PEL 의 측정 등의 산업위생학적인 측정 기술에서 발전되어 왔고, 이 것은 오염물질로부터 근로자들을 보호하자는 측면에서 실시되었다. 그러나 일반 실내 건축물에 대한 실내공기질의 측정 및 분석 방법은 기존의 산업 환경 측정 기술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평가 방법들이 개 발되고있다. 4-1 실내공기 측정시의 유의 사항 건물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특성을 갖춘 구조물이므로 조사자들
은 광범위한 조사를 실시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다양한 건물의 구조 체계와 거주자들의 생활 양식, 각종 구조물의 사용 실태, 거주자들의 호소 등을 검토하여 건물의 물리적 상태를 파악하고 거주자들에게 영 향을 미치는 환경 요소들을 파악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 공기질의 측정시에는 다음의 여러 가지 요소들을 고려해야 한다. 즉 감도를 고려한 측정 장비 및 분석 장비의 선정, 측정 시간의 선정, 측정 장비를 전체적으로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개인용 장비로 할 것 인가의 여부, 시료의 분석과 계산, 인간 활동과 오염물질 농도와의 관계 등을 고려해야 한다. 4-1-1 시료 포집과 분석 방법의 선정 실내공기질의 측정시는 시료 포집과 분석 방법의 선정이 중요하다. 즉 시료 포집과 분석시 표준 방법의 이용, 적절한 포집 기구의 이용, 분석 비용, 측정에 요구되는 시간과 감도, 시료 포집시와 분석시의 방해 물질 영향 등을 고려해야 한다. 실험시에는 항상 표준적인 방법 울 사용해야 하며 측정 가능한 최소 농도를 통해 사용하는 분석 방법 에 대한 비교 평가를 해야 한다. 여기서 최소 농도는 시료를 포집하 는 속도와 주어전 시간 동안 수집할 수 있는 질량에 비례하며 최소 질량은 분석 방법에서 요구되는 감도로 결정된다.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최저 농도를 측정하는 데 적합한 분석 방법은 환경 기준치와 최소한의 건강에 미치는 기준치의 10% 를 측정할 수 있어야한다. 예로서 전기집전기 (공기 중으로부터 분전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장 치)의 부정적인 영향은 오존을 생성한다는 것이다. 오존에 관한 미국 환경청의 1 차 건강 기준치의 시간 최대 평균치는 o . 12 pp rn 이다. 전기 집전기의 정전기 침전기의 사용에서 오는 오존 문제를 평가하기 위해
방법을 선택할 때는 0 . 12 나 o.0 1 2p pm 오존의 10% 최소 감지 한계선 울 갖고 있어야 한다. 이같이 허용 가능한 감도가 확인된 적절한 분 석 방법으로 측정한 경우에도 한계치 이하의 농도가 니올 가능성은 있다. 따라서 오염물질의 측정시는 감지 한계 농도 이하의 측정치도 고려되어야한다. 4-1-2 보정 대기오염의 분석과 시료 포집을 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측정 기구의 사용 전에 보정을 해야 한다. 또한 화학적 분석 과정 및 시료 수집 과정에도 보정아 필요하다. 시료의 양은 여과, 흡수, 흡착법 혹은 즉 각적으로 측정값을 보여 주는 장치에 의한 것일지라도 시료를 포집한 공기의 부피에 따라 좌우된다. 시료 포집 체계의 공기 흐름 특성을 교정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많은 기기 중 비누 거품 계량기는 11/ m in 이하 유량 측정에 유용하 다. 이 계량기는 변환 실험용 부피 눈금이 새겨진 뷰렛으로 만들 수 있다. 용기 내면을 비누 용액으로 적셔 놓았을 때 비누 거품은 튜브 의 바닥에서 형성되어 꼭대기까지 이론다. 거품이 움직인 거리는 뷰 렛이 통과한 공기의 전체 부피에 비례한다. 물론 시간과 이동거리를 알 때 유량을 계산할 수 있고 lOOml /mi n 미만의 매우 낮은 유속을 정확히 측정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습식시험 계량기는 0.5~201/mi n 범위에 있는 유량을 측정하는 데 유용하다. 이것의 작동 원리는 물의 부피를 알고 있을 때 그 부피를 지시계의 다이얼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 이 계 량기는 어떤 수준을 유지해야 하며 정확한 물의 양을 채워놓아야 한 다. 대기와 측정하려는 유체 시스템 사이의 압력차가 15cm-H2 0-를 넘어서는안된다.
습식시험 계량기에 의한 공기 부피의 측정은 늘 젖은 상태에서 한 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표준 상태에서 정확히 나타낼 수 있다. Vstp = Ts/Tm
Vm (식 4-1 ) Vstp = 25'C , l 기압하에서 부피 Ts= 철대온도 (29s°K) Tm= 측정된 온도, OK Pm= 대기압, atm PH,O= 상대습도 100%, atm , H20 의 부분압 P=l 기압 VM= 습식시험 계량기에 의해 측정된 부피 습식시험 계량기의 정확도는 1% 이내이며 건조드럼 가스 측정기는 많은 유량에도 사용할 수 있다. 건조드럼 측정기는 횡격막에 의해서 분리된 두 개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고, 회전 계수 장치와 기계식 밸브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다. 이같은 장치는 8.5 m 3/hr (5f t3/ mi n) 이상의 유량에서 유용하다. 측정기의 기계 장치는 압력 강하의 원인 이 되므로 반드시 보정을 해야 한다. 식 4-1 은 표준 상태에서 측정한 부피를 보정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서 PH20 는 상대습 도 존재하에서 물의 실제적 부분압이고 4P 는 건조드럼 측정기에서의 압력 강하이다. 오리피스 or ifi ce 형의 보정기는 34~ lOOm3/hr로 작 동하는 고부피 장치를 보정히는 데 사용된다. 이 장치는 오리피스를 흐르는 유체가 그것을 가로지르는 압력 강하에 비례한다는 원리를 이 용한다. 많은 시판용 시료 포집기는 시스템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직독식 계 기판의 눈금으로 나타내는 로터메타 ro t ame t er를 사용한다. 로터메타 는 수직의 가는 튜브에서 위 아래로 움직이는 판으로 다양한 영역의
측정이 가능하다. 이 튜브의 단면적은 상충 부위가 바닥 부위보다 크 다. 유량이 로터메타를 통과하면서 증가함에 따라 판은 듀브의 보다 높은 위치로 움직인다• 로터메터는 10 의 단위를 범위로 가지며 몇 cm3/m i n 에서부터 30m3/mi n 이상의 범위에서 유량을 측정할 수 있 다. 모든 로터메타는 사용 범위에 따라 유량이 눈금으로 새겨져 있고 압력 변화에 매우 민감하다. 따라서 각 로터메타는 유량 측정 전에 보정되어야 한다. 또한 시료 포집 작업을 하는 장소에서의 보정이 필 요하다. 예로 만약 로터메타가 집전 장치의 하층류게 사용된다면, 집 진 장치는 시스템의 보정 동안 홉수 용액을 가득 채워야만 한다. 한 편 임계 유체관을 통과하는 유체는 장치내의 임계 압력 강하가 유지 되는 한 상충류 조건의 상태이다. 한 번의 보정으로 이 장치는 압력 변화에 상대적으로 둔감해지고 장기간 일정 유량을 유지한다. 4-1-3 측정 시간 측정 시간은 노출 조건뿐만 아니라 관련된 오염물질의 참재적인 건 강 영향에도 관계되므로 측정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연속적인 시 료포집 방법은 시료 포집 기간 동안 오염물질의 평균 농도를 측정한 다. 이런 방법은 장기간 노출에서 오는 독성 효과에 대한 오염물 노 출 특성을 이루는 데 유용하게 적용된다• 직접 판독 방법은 오염물질 의 순간적인 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짧은 시간 동안 독 성 효과를 나타내는 오염물질의 특성을 반영한다. 직접 판독 기구의 생산은 계속 연결하여 통합된 시료 포집에 사용 될 수 있다. 직업적 기준치 또는 환경기준치의 평가는 시료 포집 중 어느 형태가 가장 적합한 것인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만약 문제의 오염물질이 직업적으로 비교적 짧은 노출 한계선이나 시 간당 환경기준치를 가진다면 짧은 시간에 독성 효과를 나타내므로 최
대치 혹은 시간당 최대 평균치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가능한· 연속 적인 직접 판독 측정이 바람직하다. 직접 판독 기구는 통합해서 처리 하는 방법보다 비싸므로 일부 물질만 활용할 수 있다. 직접 판독법이 최고치 농도를 측정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때는 단기간 시료 포집법을 이용하여 낮은 감지 한계점에서 시료를 취한다. 예로 사무실에서 오염물질의 노출을 측정시에 일하는 忠]간 동안 시료를 포집하는 것이 짧은 시간 동안의 시료 포집이나 일반적인 시 료 포집보다는 잠재하고 있는 오염의 효과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4-1-4 방해 물질 오염물질 측정시 방해 물질이 존재하면 오차의 중요한 원인이 된 다. 따라서 대부분의 표준 방법은 주변의 방해 물질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방해 물질로 알려진 화학 물질의 농도는 분석 방법 사용의 선 정시 미리 측정되고 평가되어야 한다. 예로서 실질적인 오존 측정치는 20% 이상의 방해롤 받는다. 일산화 질소, 이산화황, 퍼록시아세틸나이트레이트p errox y ace ty l nit ra te - PAN 가 오존 농도보다 매우 적은 농도로 존재할 때는 고려할 필요가 없다. 대부분의 정상적인 조건하에서 이산화황, 오존, 퍼록시아세틸 나이트레이트, 다른 질소산화물은 무시할 정도의 오차를 가져온다. 또한 담배 연기의 화학적 연구에서 그리스-살츠만법 Gr i ess-Sal t z man me t ho 哉 담배 연기하에서 전체 NOK 측정시 생성되는 화학 형광물보다 40% 낮게 발견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화학적 방해 물질 에 기인하며 담배 연기로 오염된 대기에서 그리스-살츠만법은 사용하 지 않아야 한다. 또한 시료의 측정시 표준 방법과 시험 방법이 병행 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많은 오차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측정시 각종 화학 반응, 기술적 차이, 이온 변화 등으로 채집된 물질이 방해 물질
에 의해 변환되기 쉽다. 또한 방해 물질은 시료 실험 분석 때나 시료 저장 동안에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주의가 요망된다. 4-1-5 인간 행동의 영향 실내 공기질의 측정시 일정한 조사 지점에서 대표적인 시료를 포집 하여야 하므로 사람의 행동 양식은 매우 중요하다. 예로 실내오염에 대한 6 개월 동안의 조사에서 도시의 전체 부유입자의 실내 농도를 측 정한 결과 실내/실의의 농도비가 0 .4 5 였다면 많은 연구 결과와는 다 르게 실내 농도는 동시에 측정된 실의 농도의 영향에 관련이 없는 것 울 시사한다. 또한 사람의 행동 양식인 실내에서의 담배 연기의 양, 내뿜는 형, 환기의 기능, 생활용품 등은 오염물질을 방출하는 실내오 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4-2 실내공기오염의 측정 시료 포집 방법은 공기 흡입기를 필요로 하는 능동적인 방법과, 확 산과 두과에 기초하여 여재에 포집하는 수동적 방법의 두 가지로 나 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들은 연속 또는 직접 판독 방법과 상호 결합된 방법으로 분류한다. 연속 또는 직접 판독 장치는 시료 포집과 분석을 하나의 과정으로 실시한다. 그러나 상호 결합된 시료 포집 방 법은 분석과 분리가 필요하다. 능동적인 시료 포집용 유량기는 관(통), 출입구, 유체 측정 기구, 가스입자 수집기, 펌퍼 통풍기로 구성되어 있다. 표준 측정 방법은 능동적인 시료 포집에 기초를 두고 있는데 다양한 시료 포집용 펌프 가 사용되고 있다. 개인 시료 포집용 펌프는 忠]간 동안 4 1/mi n까 지
의 유속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내부 배터리에 의해서 동력을 공급받게 된다. 이것 역시 시료 포집시 조건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 는 조절기가 부착되어 있다. 만약 보다 긴 시료 포집 시간과 높은 유 속이 필요하면 유량 조절기가 부착된 실험공기 펌프 {28~ 1401 /m i n) 를사용해야한다. 일반적인 유량 조절기는 하류 유압과 상류 유압의 비가 위험 수치 (임계값) 0.5 보다 작거나 상류 압력이 1 기압에 가까울 때 관을 통하는 유체 속도는 일정하다. 따라서 유량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또 다른 시 스템은 로터메타, 바늘 밸브 needle valve, 보조관 갤브 by-p ass valve, 압력 조절기를 구성하고 있는데 이런 시스템은 측정 때 특별 한주의를필요로한다. 4-2-1 입자상 물질 입자 포집용 기구는 필터, 유량 조절기, 펌프로 구성된다. 필터 선 택시 고려될 사항으로는 포집의 효율성, 압력 강하, 측정하려는 물질 의 오염 정도, 분석 방법에 따른 필터 재질의 적합성이다. 다양한 종 류의 필터 재질이 입자를 포집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예로서 셀룰로 오스 필터는 금속 포집에 자주 사용된다. 이 필터는 값이 싸고, 효율 이 높고, 대부분의 금속들 중에서 매우 낮은 배경농도 back gr ound level 를 갖는다. 데플론t e fl on 이나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막 필터 po lyv iny l chlorid e membrane filt er 는 낮은 준위와 불투명한 성질 때문에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값이 비싸며, 강력한 펌프롤 필요로 하는 높은 압력 강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모든 것에 적합한 필터 는 없으나 대체로 셀룰로오스, 파이프막 필터가 실내 입자 포집에 사 용된다. 미세한 입자의 존재는 잠재적인 위험이 따르므로 효율이 높 은 필터를 사용해야 한다. 입자 포집시 필터의 표면은 포집하려는 환
경에 노출되므로, 필터 앞에 위치한 입구 튜브는 입자 손실에서부터 듀브 내부의 확산과 충돌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만약 입력 튜브가 필요하다면 가능한 짧고 똑바르게 튜브롤 유 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의 크기는 입자상 물질 자체의 배출원, 내포하고 있는 특성, 대기 중에 머무르고 있는 시간 등을 추측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 다. 시료 포집기는 입자를 크기별로 분류하여 포집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사이크론 전처리분리기 cyc l one p rese p ara t or 는 표준여과기나 개인 시료 포집용 펌프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입경분 류 장치이다. 또한 사이크론 시료 포집기 cyc l one sam p ler 는 공기가 여과기로 들어가기 전에 전체 입자들 중에서 폐에 도달하지 못하는 큰 입자를 제거한다. 일반적으로 호흡성 입자 res pi rable par t icle -R SP 는 폐의 폐포 부위까지 들어갈 수 있는 공기역학적 지름이 2.5 µ m 이 하인 입자를 말하며 다이코터머스 포집기 dic h oto m ous samp le r 에 의 해 2.5 µ m 이하와 이상을 포집한다. 또 다른 형태의 입경분류 장치로 캐스캐이드 임팩터 cascade i m p ac t or 가 이용되는데 이것은 일명 앤더슨 샘플러 Anderson samp le r 로 불리며 임팩터에 의해 공기 역학적 직경에 따른 분리식 포집법으 로, 저유량 공기시료포집기라고도 불리며 특히 실내공기 측정에 유리 하다. 또한 네 가지 이상의 크기로 입자를 분류 포집하고, 중금속 측 정에 유리하다. 유량은 28 1/ m i n( 1. 0c fm)에서부터 1.1 m3/m in( 4o cf m) 까지로 유지하고 시료를 포집하는 기간 동안은 계속 일정한 유 속을 유지하여 준다. 파동은 임팩터의 입경 분류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데 전지식 유량조절기는 이런 변수를 조절하기 위해 활용될 수있다. 고용량 시료 포집기 (high -volume samp le r, lm3/mi n c ascade 임팩터 와 같은)는 고용량 시료포집기용 모터를 사용하여 총 부유 분전을 포
집한다. 그러나 실내오염 측정에는 포집유량 (1~ l.5 m 3/ m i n) 이 너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직독식 입자 시료 포집기 dir e ct- r e adin g par tic l e sam p ler 도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반면 전기식 에어로졸 분석기 Electr ic a l Aerosol Anal y zer 는 지름이 0 . 0032~ l. Oµm 인 입자 농도 측정에 사용된다. 네펠로미터 ne p helome t er 는 공기 중 입자로 인해 발생하는 광비산을 측정할 수 있다. 네펠로미터의 측정도는 호흡성 입자 농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고, 오랜 시간 작동시킬 수 있 다. 응축핵 계수기 condensati on nuclei coun t er 는 응축된 핵농도를 측 정할 수 있다. 이 기구는 0.01~O. lµ m 범위의 입자에서 매우 민감하 다. 압전기 ( 壓電氣 , piez oelectr ic ) 장치는 0.01~3.0µm 범위의 부유 물질을 직독할 수 있으며 이 장치는 온도, 습도의 영향으로 장시간에 걸쳐서 작동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러나 적절하게 보정했을 때 이런 장치는 10µg /m 3mi n 이하에서 민감하게 작동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1) 분석 방법 ®부유분전 저유량 중량 농도 측정법 고효율 여지 (유리 섬유제)를 사용-하여 규정 량의 공기를 여과하고 그 중량 증가량을 계측하여 중량 농도를 계산 하는 것으로서, 구성 요소主는 분리기, 여지 홀더, 여지, 유량계, 펌 프, 천칭, 건조기로 되어 있다(그림 4-1). 측정 방법은 매회 측정 때마다 같은 종류의 여지를 2 매씩 중량을 측정해 두고, 평량은 온 • 습도가 제어된 실내에 2,µ] 간 방치한 후 실 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분전의 중량 농도는 다음 식으로 계산한다 (식 4-2).
C={,{(W12-W11)— (W0 2— 幽 1)} (식 4-2 ) v : 흡입 공기량 (m3) Wi2 : 분전 채집 전의 상류측 여지 중량 (m g) Wu : 분전 채집 후의 상류측 여지 중량 (m g) Wo2 : 분전 채집 후의 하류측 여지 중량 (m g) Wo1 : 분전 채집 전의 하류측 여지 중량 (m g) 세퍼더〔'〕广A 계량
·’ 유 디지털 분진계 디지여지털 그분립전 계4-1는 측산정란기광기의형 구적성산 상대 농도계로써 분 진에 의하여 산란되는 광량을 포착하여 그 적산치를 표시함으로써 상 대 농도를 계측하는 것홀이다(그립 4-2). 같다디.지 털 분전계의 계수더치 CPM 부터 질량 농도로의 환산은 식 4-3 와 C=(R-D ) • K (식 4-3 ) c : 중량농도 mg /m 3 R : l 분간의 계수치 D : 계기의 dark count K : 질량환산계수(계기 회사 별로 차이가 있으며 공기 중 분진의 크기, 성 분에 따라 보정 할 필요가 있다)이 밖에도 여지식 분전계, 자동 미립자 계측기, 압전천칭 방식 분 진계 등이 있다.
광원 시료공기
4-2-2 가스상 물질 유동가스 포집 장치는 집전 장치에서 액체 매체들을 통해 시료를 흡수하거나, 체표면을 통해 시료를 흡착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표준 방법은 액체로 채워진 집전 장치이나 최근에는 고체 흡착 매체 가 대중화되고 있다. 가스 시료 포집에서 중요 관심 요소는 포집 효 율과 흡착이다. 만일 특정한 방법의 포집 효율에 대한 획기적인 방법 이 없으면 일차 흡수제 또는 흡착제 아래에 이차 흡수제나 흡착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흡착을 이용하는 방법을 따르고 둘째, 흡수를 이용하는 방법에 의존한다. 여기서 흡수 효율은 유속 감소, 집전 장치에서 유리기포 발생기의 사용, 흡착충의 길이 증가, 2~3 개 수집기 연결 사용 등에 의하여 증가될 수 있다.
시료 포집용 유량의 증가는 최종 분석용으로 보다 많은 시료를 공 급하게 되고 측정의 감도를 높인다. 많은 분석 방법이 다양한 유량 및 범위에서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제한된 범위는 장기간의 시료 포 집시 시료의 부패나 손실을 피하고 효율적인 수집을 위해 설계되었 다. 시료 손실이나 효율 감소에 대한 연구 없이 시료 포집 요인들의 변경만으로 분석 감도를 증가시킬 수는 없다. 이것은 가스 포집 장치 에 있어 특히 중요하다. 갸스 포집시 많은 직독식 가스 모니터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 서 많은 것들이 비산화된 실내에서 적용할 수 있을 정도로 감도가 좋 다. 오존 측정용 자의선 측정기 ultr a vio l et dete c to r s for ozone 는 검 출 한계치인 2 pplw 回 측정할 수 있다. 오존과 일산화질소의 화학 발광 반응의 원리를 기본으로 작동되는 일산화질소와 질소산화물 포 집을 위한 모니터는 5 pp助}지의 낮은 농도에서도 작동한다. 일산화 탄소 분석용 비분산 적의선 분석기 nondis p e r siv e infra red analyz e rs fo rCO 는 0.1 pp m 까지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일산화탄소의 휴대용 전자화학식 검출기 por t ab le elect ro chemi ca l de t ec t ors 는 l.Op p m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대부분의 직독식 가스 측정 기구는 장시간 그대로 둔 채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수동형 채집기 pas siv e sam p ler 를 사용한 가스상 오염물질의 포집은 현재 연구중에 있다. 이런 시료 포집기는 펌프가 없기 때문에 간결하 고 가볍다. 이것은 동시에 많은 오염물질을 측정할 때 중요하게 사용 되며 대부분의 시료 포집기는 흡착 또는 흡수 물질에서 확산-조절 수 집이나 두과막을 통한 수집 매체의 전달에 기인한 다음의 이론적 배 경을두고있다. J=-훌 (식 4-4)
J : 오염물질의 흐름(질량 1 면적 • 시간) D : 가스 확산계수(면적 / 시간) 탕 : 가스 농도(질량 / 부피 • 거리) : 포집 표면에서 오영물질의 홉수,흡착 에 의해서 기인한다. 확산계수상수는 직선적인 농도경사이며 포집 표면에서의 농도는 0 이고 수집하는 시간 t에서의 평균 오염물질의 농도는 Cg =醫 (식 4-5) m : 수집된 오영물의 질량 4x : 확산 진로의 길이 A: 수집 매체의 접촉 면적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일산화질소, 질소산화물, 이산화황, 일산화탄 소, 탄화수소 등 다양한 유기성 가스의 측정을 유도해 낼 수 있으나 반면에 설계상의 어려움으로 흡착과 흡수 매체에서 불완전한 수집, 온도의 영향, 농도에 따른 가스 확산계수 (D) 의 의존성, 농도경사에 서의 대류 흐름의 효과 등을 들 수 있다. 통과조절 포집기에서는 중 합막에 녹아 있는 오염물이 용액 표면과 가스 접촉면 사이의 농도 차 이로 막을 통과하고, 적절한 화학 물질이나 표면에 흡수되거나 흡착 된다. 이때의 시간 가중 평균 농도는 다음 식 4-6 와 같다. Cg =m—tk (식 4-6) k : 특정 오염물질에 대한 통과 상수
이런 장치들은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비닐클로라이드, 황화수소, 염소, 이산화황, 암모니아, 유기 물질을 측정할 수 있게 개발되었으 며 필름의 두께, 다론 공기 중 물질, 온도, 상대습도는 막 반응에 영 향을 줄 것이고 전체적인 효율은 수집 매체의 온도, 효율, 용량에 의 해서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수동형 시료 포집 시스템은 최종 분석의 한 형태로 이용된다. 가장 간단한 예는 지시 물질의 색깔 변화를 판독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일 반적 무기 물질용의 수동형 시스템은 습화학식 분광계 wet- c h emi ca l s p ec t ro p ho t ome t r i c 의 최종 분석을 필요로 한다. 유기 물질용 수동식 시료 포집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화학적 탈착울 포함한다. 일 반적으로 수동형 시료 포집 시스템은 환경 측정과 산업 보건 분야에 서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많은 수동형 조절 시스템은 실험실에서 생 성한 혼합기체를 통해 보정해 왔고 복잡한 가스 혼합체와 극한 환경 에서의 방해 물질에 대한 반응, 정확도, 신뢰도 등은 확실히 규명되 지 않았다. 그러므로 환경 자료를 수집할 때 사용 전에 수동식 시료 포집용 시스템의 필드 실험fi eld t es t과 보정이 필요하다. 필드 실험은 참고 방법에 의한 측정치와 수동형 시료 포집기를 이용한 측정치의 비교를 대개 포함한다. 이 방법은 방해 물질과 실험 과정이 알려진 표준적인 방법이어야 한다. 시료는 통계적으로 실험된 분포도에 따라 서 수집되어야한다 . 1) 분석 방법 ®일산화탄소 검지관법 원리 : 실리카겔 입구에 아황산파라디움칼륨을· 부착하여 건조시킨 것 으로 일산화탄소와반응하여혹갈색을나타낸다. 이 착색의길이로표준 농도와일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며 측정 범위는 20~1,ooo pp m 이다.
기구: 일산화탄소 검지관 : 내경 약 3mm, 총 길이 130mm 의 유리관에 일정 량의 검지제를 충전하여 충전충의 길이를 60~80mm 가 되도록 하 여 그 양쪽에 실리카겔 충을 떼어 솜마개로 고정시키고 유리관 양 쪽을밀봉한것임. 시료 가스 포집기 : 진공식 가스 포집기를 사용한다(그림 4-3), 이 밖에도 비분산 적의선 분석법, 검지관법, 정전위 전해법 등이 있다.
팁 브레이커 실린더 Y- 링 체크 밸브 스토퍼 가이드마크
®이산화탄소 이산화탄소는 인체에 꼭 유해하다고는 할 수 없으나, 일반적으로 실내 거주자와 환기 상태를 알기 위한 지표로서 측정한다. 측정법으로는 검지관법, 적의선 흡수식법, 광간섭계식이 있다• ®질소산화물 화학발광법 원리 : 일산화질소와 오존이 반응하여 이산화질소가 될 때 발생하는 발광 강도를 590~875nm 부근의 근적의선 영역에서 측정하여 시료 중 의 일산화질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산화질소는 일산화질소 로 환원시킨 후 측정한다. 측정 범위는 0~ lOOOp pm 일산화질소이고,
방해 물질은 이산화탄소이다. 적외선 흡수법 원리 : 일산화질소의 5300nm 의 적의선 영역에서 광흡수를 이용하여 시료 중의 일산화질소의 농도를 비분산형 적의선 분석계로 측정하는 방 법이다. 이산화질소는 일산화질소로 환원시킨 후 측정한다. 측정 범위 는 0~ lOOOp pm 일산화질소이고, 방해 물질은 이산화탄소와 수분이 다. 자외선흡수법 원리 : 일산화질소는 195~230nm 이산화질소는 350~450nm 부근에 서 자의선의 흡수량 변화를 측정하여 시료 중의 일산화질소 또는 이산 화질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측정 범위는 0~ 1ooop pm NO 이 고, 방해 물질은 아황산가스이다. @포름알데히드 구 쿠 꾸 E 쿠핀산 chromo t ro pi c a ci d 법 원리 : 분석용 시료용액 10ml 및 표준용액 0.5ml 에 흡수발색액을 가 하여 lOml .£. 한 표준비색 용액을 각각 별도의 시험관에 취하고 끓는 물 중팅에서 1 야快간 가열한다. 물로 식힌 후 파장 570run부 근에서 10mm 셀을 사용하여 각각의 홉광도를 측정한다. 대조액으로는 흡수발 색액 10ml 를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여 사용한다. 아세틸 아세톤 ace ty l ace t one 법 원리 : 분석용 시료용액 10ml 와 흡수발색액에 표준용액 1. 0ml 를 가 하여 10m 툐 한 표준비색 용액을 각각 별도의 시험관에 취하고 끓는 물 중당 속에서 1~ 간 가열한다. 물에서 식힌 후 파장 420ru 군任낫]서 10mm 셀을 사용하여 각각의 홉 광도를 측정한다. 대조액으로는 흡수발색액 10ml 를 같은 방법으로 처 리하여 사용한다.
4-3 실내공기 오염물질별 측정 방법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공기오염 측정은 횟수, 장소, 기간, 방법, 예상 농도와 환기율 같은 보조 측정, 실내공기질 평가 등이 매우 중 요하다. 측정 방법은 크게는 직접 측정법과 간접 측정법으로 나눌 수 있으 며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장단점을 지니고 있으므로 실제 측정 목적 에 부합되는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4-3-1 직접 측정법 직접 측정법은 연속적 또는 단시간에 측정 지점에서 연속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측정 방법들은 수치를 직접 판독하는 것이므 로 샘플둘을 실험실로 옮길 필요가 없다. 직접 측정법 가능한 오염물 질로는 호흡성 부유분전, 섬유질,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이산화질 소, 유기용제, 아황산가스, 라돈이 있다. 1) 호흡성 부유분진 인체에 호흡되는 분전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장치에는 여러 종류 가 있다. 이러한 장치의 상당수가 필터에 분전을 포집하는 방식이며 공기 1 입방미터의 분전 양을 mg , µm/m3 단위로 표시한다. 다른 분전 측정 장치들은 분전의 양을 측정하는 데 광학적 기술을 이용한 다. 공기 중 호흡성 분전의 직접 측정을 위한 광학적 기술은 미세 분 진에 대한 광산란 방식을 사용한다. 호흡성 분전의 측정을 위한 또 다른 기술에는 복합충돌식 측정법 combin a ti on of i m p a ct ion , 전자충 돌식 측정 법 electr o sta t ic pre ci pitat io n 등이 있다. 또한 호흡성 분전 의 양을 직접 측정이 가능한 또 다른 기술이 개발되어 튜브에 달린
펌프에 의해 입자성 물질들은 필터에 포집되고 전동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분전의 양은 마이크로컴퓨터가 계산한다. 이 장치는 유량 1 에서 51/mi n 사이에서 연속적인 질량의 측정이 가능하고 총질량, 질량률,
표 4-1 실내분진오염 측 정기기 측정 기기 출처 비고 집적중량측정포집필터 여러 회사 필터 중량측정전 유량, 지 속성, 평형과 사전조절에 의한검출한계 임팩터와 필터 개인폭로 모니터 유량 41/m, 유동성 크기는 집적중량측정 ; 직경 MSP 사 버리고 2 . 5~10µm 크기만 < lOµm 혹은 < 2 . 5µm 분전 IS & T 임팩트 포집, 4~101/m, 14 일 타 이머 질량 절기, 정교한 전단의 이중효과 ; 야의고 XJ 즉석식 ; 총 부유 분전 혹은 개인에어로졸 모니터 미니램, 0.0 1 ~1omg /m 3 호흡성 분전 ;0.1~lOµm 미니램 (M i n i ram) 혹은 0.1~lOOmg /m 3, 광산란식 TWA 평균시간 10 초~忠] 간, RAM1 범 위 0.001 ~2oomg /m 3, Freon~12 로보정 혹은중량측정 방 법참고 반즉석식 피에조발란스 PM-10~錢 (Pie z obalance) 이동식 측정기로 측정방법 (model 3500) 아 간단. 포집유량이 작다 연속식 ; 호흡성 분전 수동식 에어로졸 검출한계 약 lO µm /m3 광산란식 다중감지 모니터 모니터 (HAM) 광산란식 섬유질 검출기 섬유성 에어로졸 검출, 1 분 o.1f /cm 3 모니터 (FAM-1) 10 뗀 o.001f/ c m3 100 덴 o.0 0 01f/ c m3
질량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2) 섬유 공기 중 석면과 섬유의 측정은 호흡성 분전의 측정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한다. 측정의 2 단계는 비섬유 입자들의 존재로부터 섬유 입자의 숫자를 계산하는 것이며, 섬유는 전기장내 회전의 영향으로 빠른 회전을 하기 때문에 섬유의 전동으로부터 얻어진 빛의 산란 강 도는 헬륨-네온 레이저 광선을 투사하여 측정한다. 3) 일산화탄소 일산화탄소는 안정된 이산화탄소가 되기 위하여 산화되는 비교적 비활동적인 화학물질로서 많은 학자들이 전기화학적 산화 방법을 사 용하여 측정하였다(표 4-2).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일산화탄소 의 측정 때 많은 다른 오염물질들이 방해 요소가 되지만 이러한 오염 물질들은 여과지를 사용하여 공기의 흡입 부분에서 제거된다. 4) 이산화탄소 이산화탄소의 측정은 적의선 범위내에서 화합물의 특수성을 이용한 다(파장 길이 4.2 5 µm, 표 4-2). 이산화탄소의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기술들은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일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모든 탄 화수소 물질 같은 다른 화학 물질들의 측정에도 적용된다. 분석에 이 용되는 적의선 에너지의 양은 분석하고자 하는 화합물의 농도에 맞춰 적절히 조절한다. 5) 이산화질소 이산화질소의 측정 장치는 표 4-2 에 나타난 일산화탄소의 측정 장 치와 비슷한 원리를 갖고 있다. 그러나 메탄이나 일산화탄소같이 산
화성이 있는 물질들로부터의 방해를 제거하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 여 필터를 사용한다. 염소, 에틸메르캅탄, 메틸메르캅탄, 아황산가 스, 오존, 황화수소 같이 이산화질소와 같은 농도에서 방해롤 끼칠
표 4-2 실내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이산화질소의 오염물질 측정기기 오영물질 측정기기 출久 1 비고 일산화탄소 연속전기화학식 ECO!yz e r 2000, 6000 연속전기화학식 인터스캔사 검출한계 lpp m 수동식확산기 L.S.S. 사 검출한계 忠]간 50p pm 색깔변색 수동식확산검지기 Qu antu m Eye 간단한 색깔 색검지 영 구적이지 않고, 정량분 석이불가능 검지관 , 수동샘플 Nati on al Dra- 5~700 pp m 범위에서 변 g er 사 색, 반정량분석 검지관, 수동샘플 독가스 검지장치 5~ 50p pm 범위에서 색 깔변색, 반정량분석 이산화탄소 연속적의선식 휴대용자의선 300 > 500p pm 범위 co~니 터 477 포위수준 350~450 pp m 0l 산화질소 연속전기화학식 인터스캔사 여러 범위 :20p pm 연속전기화학식 T . R 사 1988 년 제정 : 2p pb 개인경보기 MDA사 2~3p pm 수동식 확산튜브 하버드대 1 시간 폭로 검출한계 보건대학원 5oop pb 수동식 튜브와 배지 미세여과장치 공장주에게 연락 확산배지 하버드대 1 시간폭로 검출한계 보건대학원 50p pb
가능성이 있는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가스 세정집전기 scrubber 가 필요하다. 6) 휘발성 유기 화합물 유기용제의 측정은 이산화탄소 측정시 이용되는 적의선 흡수· 기술 울 사용하여 측정 가능하다. 적의선 분석기는 개개의 화합물의 분석 파장 길이와 두과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다. 많은 유기 물질들이 10 . 6eV 의 전압보다 작은 잠재 이온을 갖고 있다. 그러나 질소나 산소 같은 일반 가스들은 12eV 이상의 잠재 이온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온 화는 에너지의 홉수로 인하여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이온화 장치 중 에는 미니어처램프가 특정 화학 물질의 분자수에 영향을 미치는 광이 온화의 원인이 되는 특정 에너지를 함유한 매우 짧은 파장의 자의선 방사능 물질을 발산하고 있다.
표 4-3 실내 휘발성 유기화학 물질의 측정기기 오염물질 측정기기 출六] 비고 유기증7 l I. S . 사 OVM Log ge r 일반적으로유기증기 모 (모델 5BOA) 니터는 광이온화 검출, 공기중 벤젠 O.lp p m 이 하검출 휴대용가스크로 4 가지 검지기:전자포집 마토그래프 기, 불꽃 이온화기, 열 (TEI;..~) 전도기,광이온 휴대용가스 Centu r y OVA 총유기증기 검지기 크로마토그래프 (휴대용유기증 (o.2p pm ) :선택된 유기 기 분석기) 증기검지기 휴대용가스 Photo v ac 10S 총유기공기 검지기
오염물질 측정기기 출久 1 비고 크로마토그래프 (휴대용공기분 석기) 탄화수소 N . D 사 착색듀브검출기, 반정량 화학듀브빈냉- 분入4 활성탄배지 3M 사 증기에 의한 샘플링시 간 : 최고수준 10/mg , 실 험분석필요 열이온화기 TIP공 기분석기 몇몇의 합성물은반중량 분석 필요, 상대반응합 성물은보정 필요 각각 다른 가스 적의선 검지기 MIRAN 휴대용 적의선 파장조절, 각가 공기분석기 스마다다른보정필요 포름알데히드 수동식 샘플러 GMDsys t e m 15¾ 검출한계 o.2p pm 있]간 o.005p pm 확산뮤브 ARQ ;.} 7 일노출검출한계 O.O lpp m 1 시간 1.6 spp m Pro- t ek 흡수 배지 E.I. Du p on 싸 7 일 1.6 ~ 54p pm /h 또 는 있]간 0.2 ~ 6.7 5 p pm 확산모니터 3m사 1 시간 검출한계 O.B p pm 이하-記]간 O.lp pm , 1 주 o.005p pm 습화학작용/ CEA 사 습화학색 측정 samp le r. 색측정법 검 출한 0.0 2 -5 또는 lOp pm
7) 라돈 라돈 오염물질은 광전배증관 Photo m ult iplier 이라는 기구로서 포집
이 가능하다. 라돈 오염물질은 입자상 물질 필터를 통하여 걸러진 의 부공기를 팜프를 이용하여 방사능 측정 셀 cell 에 포집하는 기구이다. 오염된 공기 중의 이온화된 라돈 입자들은 방사능 측정 셀의 안쪽면 에 포집된다. 연속 라돈모니터는 셀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포집하거 나 아니면 주기적으로 포집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 장치는 라 돈 농도를 전자적으로 변환시키는 변환 요소를 이용하여 라돈의 농도 를 정량화해 주어야 한다. 4-3-2 간접 측정법 간접 측정법은 직접적으로 오염물질을 측정하여 판독이 가능·하지 않고 포집된 시료를 실험실로 옮겨 분석 후 측정치를 판독하는 방법 으로 주로 장기간 측정시 이용되며 이것은 평균 농도 측정치로 나타 낸다. 이 방법은 주로 개인용 포집기가 사용되며 개발된 오염물질(이 산화질소, 포름알데히드, 라돈)의 측정이 가능·하다. 1) 이산화질소 여러 종류의 수동적 이산화질소 측정 장치가 발명되었다. 고정식 뚜껑과 부착식 뚜껑이 장치된 아크릴 듀브로 구성된 팜스 듀브 Palms t ube 는 이산화질소를 포집하는 트리에탄올아민 t r i e t hanolam i ne 으로 이루어전 스데인레스 스크린으로 만들어졌고 적의선분석기 spe c tr o - p ho t ome t r i c 가 이산화질소의 농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일주 일간의 노출도는 5pp b 이하이지만 보다 광범위한 지역의 이산화질소 를 측정하는 회분식 타입에서는 50 pp b-h 까지 측정된다. 또한 24 시간 노출시키는 배지 형태의 모니터가 개발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2) 포름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를 측정하기 위한 수동형 모니터는 이산화질소 배지의
원리와 유사하고 포집된 포름알데히드는 크로마토산 처리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3) 라돈 라돈 측정을 위한 수동 측정 기구에는 세 종류가 있다. 첫째는 2 - 5 일 동안의 비교적 짧은 기간의 라돈의 평균 농도를 측정하는 활성탄용기 charcoal canis t e r 이고 둘째는 수주에서 수개월 동안 측정이 가능한 a-t r a ck dete c to r (ATD) 이다. 마지막 수동 측정 기구는 수동식 전자 라돈모니터 Elec t re t Passiv e Envir o nmenta l Radon Mon it or 이다. 활성탄 용기는 짧은 샘플링 기간 동안에 포집된 라돈의 평균 농도 를 구할 수 있는 수동 측정 기구로 0 . 25 에서 o.6 1 MeV 에너지 사이의 r 선을 측정하는 r 분석기에 직접 활성탄 용기를 놓고 라돈 붕괴 생성 물을 분석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의 캘리브레이션 방법은 표준 농도 에 용기를 노출시키는 방식을 서용한다. AT~ 三 필터 커버가 없는 박스 속에 놓여진 작은 플라스틱 조각으 로 이루어져 있다. 한 단위당 궤도로 공기 중의 라돈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변환 요소는 계산울 위하여 이용된 캘리브레이션 기술로부 터 알수있다. 수동식 전자 라돈모니터 검출기는 챔버 속에 필터가 있는데 이 필 터에 공기 중의 라돈이 포집되고 그 의의 이온둘이 침두되는 것은 제 한된다. 챔버가 열려 있는 동안 공기 중의 라돈이 포집되고 포집된 러돈은 일정 주기 동안 이온들을 생성한다. 이온들이 전기적 성질과 접하게 되면 이온의 전압은 감소하게 된다. 4-3-3 악취의 측정 방법 악취란 불쾌한 냄새의 뜻으로 인간에게 불쾌감을 주어 정신, 신경
계 등을 자극시켜 정서 생활 및 건강상의 피해롤 주는 물질을 말한 다. 더군다나 악취는 실내공기 오염물질 중에서 가장 복잡하고 모호 한 성질 때문에 미국의 미국 환경보호청은 무기준의 오염물질로 분류 하고있다. 악취를 측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인간의 후각에 의존하~근 것 이다. 악취 측정은 측정단(p anel;2~15 명의 훈련된 사람으로. 구성)에 의해서 실시한다. 악취는 두 가지 범주를 측정하게 되는데 첫째는, 물질의 한계 농도를 구하는 것이고 둘째는, 대기 중의 냄새 형태 및 강도를 구하는 것이다. 측정에 적용되는 후각의 특성은 강도 int e n sity , 희석강도 per vasiv e ness, 질 qua lity , 허용도(許容度) 등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강도는 냄새의 세기를 의미하며 수치나 말로 나타내고 희석강도는 냄새 포텐셜 비율 odor pot e n ti al rati o 또는 한계 희석바 thr eshold dil u ti on ra ti o 라고도 불리며, 냄새가 다량의 희석 공 기로 퍼져도 감지 가능한 강도를 가질 수 있는 능력이며, 질은 냄새 의 특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커피 혹은 양파와 같은 친숙한 냄새와 연 관이 있고, 허용도는 냄새를 싫어하는 정도와 좋아하는 정도이며 냄 새를 평가하는 사람의 경험에 크게 의존한다. 효과 판정의 예로서는 관능 시험법과 화학 성분 측정법이있다. 1) 관능 시험법 2 단계 불쾌 표시법 대상이 되는 냄새의 불쾌도에 대해서 예를들면 방향계 소취제에 의한 불쾌도의 경감 내지는 쾌 (快)측으로의 이행을 판정하는척도이다. 3 점비교식 냄새자루법 냄새의 강도를 수식화하는 방법으로서 미국 이나 일본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공기희석법 a i rd i lu ti onme th od 의 원리는 아무리 강력한 냄새라도 기분좋은 방향인 무취 공기로 희석해 나가면 어느 곳이든 사람의 후각으로 느낄수 없게 되는 희석 배수가
있다. 이 원리를 이용해서 31 용량의 무취의 폴리에스텔제의 자루 3 개에 무취 공기를 넣어 둔다. 이 중 하나에만 냄새가 약간 느껴지도 록 주사기를 사용해서 원냄새를 정량적으로 넣고 여섯 사람의 후각이 정상적인 사람에게 냄새가 들어 있는 자루의 번호를 대게 해서 전원 이 정답이면 3 배 희석 간격으로 자루 속의 냄새 농도를 낮추어 나가 서 여섯 사람 중 세 사람이 냄새를 알고 나머지 세 사람이 불명 (不明) 으로 된 희석 배수를 수학적으로 구해서 이 방법의 냄새 농도로 한 다. 2) 화학 성분 측정법 가스 크로마토그래프법 (G . C 법) G.O 긱 검출 감도보다 낮은 냄새 물 질 농도인 경우에만 액체산소를 제 (휴Ij)로 사용하는 저온농축법과 측 정 대상 냄새군만을 농축하는 유리비즈법, 폴라스폴리마즈법 등을 사 용해서 G.O 섭으로 분석한다. 검지관법 측정 하한계에서 황화수소 O.lp pm , 암모니아 0.3p pm , 메틸메캅탄 O.l pp m 의 세 물질에 대해서는 냄새의 홉인량을 11 정도로 증가시키면 측정할 수 있다. 이 세 가지 냄새 물질은 다행하게도 분 뇨, 하수, 오니, 가축 분뇨 등의 썩는 냄새나 크라프트 펄프 냄새의
표 4-4 악취 판정표 악취도 악취 감지구분 。 냄새를감지못함 1/2 약간의 냄새를감지 1 확실한냄새를감지 2 보통정도의 냄새를감지 3 강한냄새를감지 4 아주강한냄새를감지 5 견딜수없는냄새
중요한 원인 물질이므로 이들 냄새를 대상으로 한 효과 판정 시험에 는 이 방법으로 어느 정도의 탈취 상황을 판정할 수 있다. 4-4 개인 노출량 개인 노출량p ersonal exp os ure level 은 개인의 다양한 생활 양식의 변화에 따라 각각 오영물질이 피부 접촉, 호흡기를 통한 흡입, 음식 물 섭취를 통한 흡수 등을 통해 체내에 농축되어 나타난다. 개인노출 의 정확한 규명은 보건 영향에 대해 확실한 평가를 가져올 수 있으므 로 보다 철저한 연구 계획의 시도가 필요하다. 잘못 분류된 노출은 오염물질로부터의 직접적인 노출 또는 (오염물질간의) 허상 결합 등에 의해 역학 연구의 민감성을 감소시킨다. 만약에 오염물질의 개인 노 출량의 분석 결과 총 노출 중에서 지동차가 주요한 원인이라고 지적 된다면 오염 방지 대책은 차의 매연 배출을 제한함으로써 도로 주변 에서 생활하는 사람과 통행하는 사람들이 차의 매연에 노출량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개인 노출량의 조사시는 특별히 위해한 요인과 노출 정도가 증가될 수 있는 요인은 제거되어야 한다. 4-4-1 개념과 정의 그림 4- 仕근 오염원으로부터의 오염물질 배출과 그 오염원에 접촉된 사람의 건강 영향의 계속적인 결과와 개인 노출을 이해하기 위한 개 념적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방출된 오염물질은 환경 속에서 희석 되어지고 물리적 화학적 작용에 의해 변화된다. 몇 가지 오염물질 (혹은 전이 산물)은 결국 사람과 접촉하게 되고 따라서 〈반응 respo n se 또는 노출 ex p osure 〉이란 결과로 나타난다. 대기 환경 중에 존재하는
소멸과운송 인간행동의
화학적인 오염물질과 이것에 접촉된 사람들간의 연결 고리는 복잡하 고 인간의 행동 양식에 의해 결정된다. 인체에 흡착, 섭취, 흡입되어 진 오염물질의 노출된 일부분을 노출량 dos~ 명명한다• 이 화학적 오염물질이 변화하여 생긴 마지막 생성물이 건강 영향을 일으킨다. 4-4-2 농도 특정한 매개체 안에 들어 있는 화학적 오염물질의 양을 농도라고 표현한다. 공기오염의 농도라는 제한된 공기 안에 들어 있는 오염물 질의 양을 말한다. 대부분의 공기오염 농도는 질량/부피 (죽 µg/m 3) 의 단위로 나타낸다. 그러나 가스상 오염물질인 경우 부피의 100 만분 의 1 로 표현하는 pp m을 사용한다. 석면과 같은 특정 오영물질인 경 우 입자수/단위부피 (number of c oun t /m3) 를 사용한다.
4- 4 - 3 노출도 노출도란 인체의 감수성이 있는 표면에 대한 오염물질의 접촉으로 정의된다. 대부분의 공기오염물질에 대한 접촉 부위로는 피부, 눈, 코 조직, 입, 후두와 호흡기 계통이 있다. 노출을 간단히 설명하면 사람과 오염물질이 하나의 환경 안에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노출을 정의할 때는 시간적 요소도 포함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노출의 단위 는 µg / m3-h로 표현하며 이것은 일정 기간고정된 농도에 한 사람이 경험한 노출 정도의 의미를 갖는다. 노출은 디음의 세 가지 요소로 표현된다. 죽 첫째, 노출 환경에 대한 오염물질 농도의 양, 둘째, 노 출 시간, 셋째, 노출의 시간 양상 등이다. 처음 두 요소는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다. 노출의 양상은 고정된 값에 대한 상대적인 농도의
1O51O4O13O1O2O1O09O8O7O65O4O3O21O O 15104103102101100 0908070605040302010
변화를 구별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노출 특성은 그림 4-5 그래프 A 에서 보는 바 와 같이 24 시간 개인이 연속적으로 착용한 모니터에 의해 측정된 것 으로 5 분마다의 이산화질소 농도를 보여 준다. 어떤 기간의 노출 형 태의 특성은 200 ppboJ]서 가장 높은 노출 수치를 보였으며 다른 기간 은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 노출 수치들은 아마도 (그 모니터를 착용한 사람이) 특별히 활동한 기간 등의 농도 평균에 의해 그려진 것으로 사 료된다. 그래프 困근 하루 중 다른 몇몇의 노출 형태를 개인의 움직임 울 통해 설명한 것이다. 그래프 G 즌 하루 동안에 개인의 활동으로 누 적된 노출의 총합을 나타낸 것이다. 24 시간 동안 개인 노출량을 합한 값은 96op pb -h 이다. 그래프 D 는 긴 평균 시간 동안의 여러 가지 평 균 노출 측정을 나타낸 것이다. 긴 평균 시간은 개인 노출에 효과적 인 변화를 나타내지는 못한다. 2 41-]간 노출 농도는 4op pb , 잠 자는 시간을 포함한 @]간 노출 농도는 25p pb , 저녁 통근과 식사 준비 시 간을 포함한 세 시간의 노출 농도는 65p pb 이다. 4-4-4 개인 노출 모델링 개인 노출량은 공기 중 오염물질이 존재하는 다양한 장소에 따라 모델로 나타낼 수 있다. 일반적인 모델은 대개 2 4J-]간을 주기로 미세 환경에서 특정 시간 동안에 오염물질 농도에 노출된 총 노출량의 합 울산출한다. E=2fi c i (식 4-7) 2= 시간과 농도의 합 E= 총 노출량 c, =미세 환경 i에서의 오염물질 농도 I,= 미세 환경 i에서의 보낸 시간
이 식은 개인의 하루 24 시간의 총노출량이 각 장소별, 시간별의 노 출량을 합한 것을 의미한다. 또는 그립 4-5 그래프 C 는 누적된 노출 량을잘설명하고 있다. 4-4-5 노출량 측정 노출량은 화학오염 물질의 인체내 통과 한계와 독성 작용을 일으키 는 것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노출량은 노출윤곽(즉 농도와 시간 경 과)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생리적 상태까지도 변화시킨다. 모든 화학 오염물질은 먼지 입자와 수용성 가스로 호흡 경로를 통해 폐에 도달 하여 영향을 끼친다. 호흡시 지름이 2~5µm 인 미세입자는 코의 점 막에 흡착되어 밖으로 컬러보내지고 그보다 작은 입자 크기는 코를 통해 기도나 폐포에 침착된다. 오트 O tt (I985) 는 총노출량을 평가할 때 두 가지 노출 방법으로 구 분하였다. I) 직접 방법 사람의 호흡 부위에 오염 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개인 모니 터를 착용하고 모니터를 착용하는 동안 사람이 교체되서는 안 되며 평상시처럼 행동하고 일을 수행한다. 개인 노출의 직접 측정 방법은 수동적인 측정 장치로 포집하는 것으로 이같은 개인 모니터를 이용한 직접 측정시는 오염 농도의 강도나 모든 오염물질을 즉시 측정하여 이용할수없다. 2) 간접 방법 간접 방법은 직접 측정을 하지 않고 개인 노출 평가 시간에 따른 자료와 미세 환경 또는 어느 지역의 측정 자료를 이용한다.
표 4-S 몇몇 주택의 이산화질소 총 (24A] 간)노출 시간 가중 기여치 시간 이산화질소평균 노출기여 위치 평균시간 (h) 표준편차 평균농도 표준편차 시간당농도 시간분포(%) 침실 14.1 6.2 42.9 15.3 604.9 61 .4 거실 6.3 4.5 50.2 22.4 316.3 32.1 기닌- 0더 ~ 0.7 8 0.73 65.5 31. 5 51. 1 5.2 실의 0.2 2 0.32 12.2 8.6 2.7 0.3 이동시 0.8 0 0.98 12.2 86 9.8 1.3 합겨l 24.0 948.8 영아의 예상 평균 노출량 =4l pp b 인용: Harlos% - (1987)
표 4-5 는 아이들이 생활하는 특별한 장소들을 시간 가중에 따른 이 산화질소의 총개인 노출량으로서 그곳에서 거주하는 시간에 따른 행 태를 알 수 있다. 아이들이 착용한 측정기에 의한 측정치를 개인 노 출량에 동일하게 접근하여 (R=.81) 시간가중치를 적용한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영아는 침실에서 하루 24 시간 중 61% 를 보내고 이산 화질소에 노출되는양은 605 pp벼운 나타낸다. 3) 생물학적 측정 노출의 생물학적 영향은 호흡, 흡수에 의해 가래, 소변, 혈액의 대 사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생물학적 측정은 매우 민감하고 다양 한 특칭이 나타나므로 위험 농도에 둘러싸인 집단을 대상으로 조사시 에는 적합한 측정이다. 생물학적 측정에 의한 개인 노출 수준은 신진 대사 경로를 포함한 복잡성 때문에 오염물질의 흡수와 제거시에 매개 변수에 영향을끼친다
무(無) 경미 중( 麗 ) 최고치
4) 활동 시간별 측정 사람의 활동에 의한 환경 영향, 죽 다양한 생활 양식에 따른 측정 을 말한다. 이같은 측정은 사회학에서 접목되어 사람의 2 V-]간 활동 울 기록하고 시간별로 활동한 장소와 오염 가능 발생원을 기록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사람의 움직임에 대한 노출량을 측정하고자 하였 다. 만약에 이 측정 방법이 성실히 수행된다면 이 방법은 활동 시간별 오염물질의 개인 노출량을 파악하는 가장 좋은 정보 자료가 될 것이 다.
4-5 모델링 최근 대기중 분전을 제거하는 정책개발의 일환으로 오염원의 규명 에 대한 평가가 중요시되고 있다. 예전에는 특정 기간에 발생한 분전 농도의 평균값 및 편차를 단순한 통계적 계산을 이용하여 산출된 결 과를 정책자료로서 이용하여 비합리적인 부분이 많았다. 그러나 대기 질의 모델링 방법 중 수용모델 recept or model 을 이용하여 오염원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면 대기오염 배출원이 주변 지역에 미치는 영향 또 는 기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같은 수용모델은 실내공기오염의 발 생원 규명에도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4-5-1 수용모델 수용모델은 오염물질의 분석 방법에 따라 크게는 현미경 분석법과
자동전자주사현미경
화학 분석법으로 구분되며 (그림 4- 7) 대기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 분 석과 각종 응용동계 분석까지를 포함한 광의의 개념으로 이용된다. 1) 현미경 분석법 광학현미경법 최근에 널리 쓰이고 있는 방법으로 가장 경제적으로 오염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입경이 약 lµm 보다 큰 입자만을 대상으 로 분전의 성상, 모양 및 색깔 등을 구별할 수 있으나 분석을 위해서 는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 전자주사현미경법 scann i n g elect ro n mi cr oscopy - SE M 광학현미경으 로 측정 가능한 입자의 크기보다 작은 입자를 측정할 수 있으나, 정 성적 분석으로만 분전의 오염원을 확인할 수 있다. 자동화 전자주사현미경 분석법 com pu t er contr o lled SEM 자동성과 컴퓨터의 도움으로 입자들에 대한 여러 정보를 1 초 미만의 짧은 시간 내에 분석할 수 있으며, 각 분전의 크기, 모양, 성상, 크기분포 등의 물리적 정보를 제공한다. 이 방법은 자체에 엑스선 분석기를 가지고 있어서 분전 입자의 화학적 조성까지도 쉽게 분석 가능하다. 따라서 이 방법은 계속 발전되고 있다. 2) 화학 분석법 이 분석법은 정량분석 bulk anal y s i s 이라고도 하며, 분전 시료를 포 집하고 각종 실험실 장비를 이용하여 물리화학적 정보를 얻음으로써 시작하며 각종 응용통계학을 이용하여 오염원의 정량적 기여도를 추 정한 후 끝을 맺는다. 화학 분석법은 응용되는 통계 기법에 따라 다 변량분석법 multiv a ria t e analys i s, 인자분석법 fac to r analys i s 입자군 수지법 par t icle class balance, 시계열 분석법 tim e serise , 공간 계열법 spa t i al serie s 등으로 나눌 수 있다.
4-5-2 실내오염의 발생원 규명 표 4-6 은 국내에서의 주택과 사무실내 분전의 발생원을 규명하고 자 인자 분석법을 이용하여 얻은 결과이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내에서의 분진 발생원은 실내 흡연이나 실의 배기 가스의 유입 등 으로시사된다.
표 4-6 주택과 사무실의 분전의 인자 분석 결과 인자 1 인자 2 인자 3 안자 4 주택 사무실 주택 사무실 주택 사무실 주택 사무실 성분 Na, Mn Na, Mn Cu, Ca Zn, K NH4,C l Cr, Cl Pb Ni Mg , Fe Fe, Cu Zn, K Mg , Ca S04,Cd So4 Cr No3 NH ◄, Ni No3 Cd, Pb 가능한 살내먼지 실내홉연 샬사유기 실내유기 주 택 내 실의해양 상서먼지 실의먼지 발생원 흡연 자 동 차 물질 물질 가구, 오영등 의기연소 등 의기 배기가스 실의토양 실의먼지 의기해양 등 crusta l 등 먼지등 등 오영등 등
또한 오염 발생원을 규명하는 데는 연소성 오염원, 건축자재 오염 원, 인간 활동 오염원, 대기오염원, 생물학적 오염원의 다양한 오염 원들을 규명하기 위한 모델링이 적용되기도 한다. 4-5-3 위해평가모델 최근 환경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위해평가는 위해성 확인 hazard ide nti fica t ion , 양-반응평가 dose-resp on se assessment, 노출평가 ex p osure assessment, 위해성 특성화 r i sk charac t er i za ti on 의
단계적 순서로 수행되며 오염물질의 보건학적 영향을 파악하는 최적 의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위해평가를 사용하는 모델은 Probit , weib u ll, One -hit , Mult i-h it , Multi- s ta g e 모델 등이 있으며 현재 미국 환경청에 서 건강영향 평가 모델로는 One-hit 모델이 사용되며 이것은 오염물 질의 영향을 양-반응 형태로 표시한다. 따라서 건강위해평가 연구는 실내공기오염뿐만 아니라 대기오염의 건강영향을 추정하는 데 활용될 수있다. 참고문헌 김동술 (1993), 『대기오영 모델링 』 , 대기오염개론, 7: 163-194. 동화기술 (1992), 포름알데히드, 『공정시험방법.!, 10:267-270. 지하철공사 (1992), 『 지하철 공기오염물질의 일반적 고찰. !I , 서울시 지하철 내 환경기준 설정 및 환경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3: 11-21 . 한국냉동공조기술협회 (1987) , 「주거 및 사무실 공간의 향기와 메커니즘」, 《냉동공조기술》, [11 :]93-106. ACGIH, (1978) , Americ a n Confe r ence of Governmenta l Industr i a l Hy gien is ts . Ai r Samp lin g Instru ments for Evaluati on of At ma - sph eri c C onta m i na nts , Cin c i nn ati, Ohio . Allen, R. J. and Wadden, R. A. (1977) , Modif ica ti on and ope r ati on of a siz e selecti ve atm osph eric p a rtic le samp le r, Atm o s. Envir o n, [1 :] 101~1106. APHA(l977), Meth o ds of Ai r Samp lin g and Analysi s , APHA Inte r - socie ty Commi ttee , Americ a n Public Health Assoc iat i on , Wa- shin g t on , D.C. Bay, W. H., Blureto n , K. F., Lieb , H. C. and Oswi n, H. G. (1972) , Electr o chemi cal measurement of carbon monoxid e . Americ a n
Laborato r y, Jul y. EI-Shobokshy, M. S. and Ismail, I. A., (1980) , Dep os it ion of aerosol pa rtic le from tur bulent flow onto roug h pipe wall, Atm o s. Envir o n, 14 : 297-304. EPA(l971) , Envir o runenta l Prote c ti on Ag en cy. Fed. Reg. 36 : 22388 -22392. EPA (l978) , Air qua lity crit en ·a for ozone and oth e r pho to c hemi ca l oxid e nts , U.S. Envir o runenta l Prote c ti on Ag en cy, EPA-600/8-78 -004, Ap ri l. Hop ke , P. K., Alpe r t, D. J. and Roscoe, B. A., FANTASIA-A Pro- gram for Targe t T ransfo r mati on Facto r Analys i s f or Resorv ing Sources of E nvir o runenta l Samp le s, Comp ut e rs & Chemi stry, 7 : 149-155, 1983. Jen kin s , R. A. and Gil l, B. E. (1980), Dete r mi ni t at i on of oxid e s of nitro g en (NOx) in c ig a rrett e s moke by chemi lu mi ne scent analy- sis, Anal Chem, 52 : 925-928. Joh n, W. and Reis c hl, G. (1978) , Measurements of the filtra ti on ef- ficie n cie s of select ed filter type s, At mo s. Envir o n, 12 : 2015 -2019. Kim , Y. S. ( 1985) , Ap plica ti on of multiv a ria t e t ec hniq u es in recept or modelin g , A qua nti tat i ve inv estig a ti on of s ource and elementa l comp os it ion of i nd oor and outd o or fine pa rt icu late a ir p o lluti on in housti on . Kim , Y. S. and Kim , Y. 0. (1 993) , Chemi ca l comp o sit ion of i nd oor and outd o or air p ar t icu late s in h omes and off ice , Envir o n. Technol. (in pre ss) Liu , B. Y. H. and Lee, K. W. (1976) , Eff icien cy of membrane and nucleop o re filter s for submic ro mete r aerosols, Envir o n. Sci. Technol. 10 : 345-350. Liu, B. Y. H., P 맥 D. Y. H., Rubow, K. L, and Kuhlmey, G. A. (1978) ,
Research on air samp li ng filter media , Univ e rsit y of Mi ne sota Partic l e Technolog y Laborato r y Prog res s Rep or t EPA Grant Rso46oo, Mi nn eap ol is , May . Lundg ren , D. A., Carte r , L . D., a nd Daley, P. S. ( 1976) , Ae ro sol mass me as urem ent usin g piezo electr z· c cry st a l sensors. In : Fin e Part i- cles : Aerosol Generati on , measurement, Samp li ng and Analysi s , B. Y. H. Liu , E d., A cademi c Press, New York. Marp le , V . and Wi llek e, K. ( 1976) , Imp ac to r desig n, At m os. Envir o n, 10 : 891-896. Mi ch elson, W. (1985) , Measurin g macroenvir o nment and behavio r : The tim e budg e t and tim e ge og rap h y, In Meth o ds in Envir o nmenta l and Behavio r al Research. Ed., R . B. Bechte l , R . W. Marans, and W. Mi ch elson, 216-243. New York : Van Nos- tra nd Rein h old. NIOSH (1973) , The Industr ial Envir o nment- I ts Evalua ,tion and Contr o l, N ati on al Insti tut e for Occup at i on al Safe ty and Health , U. S. Depa r tm ent of Health Educati on and Welfa r e-Public Health Servic e, Cin c i nn ati . Occup at i on al Safe t y and Health Admi ni s t r a ti on (1989) , Ai r conta m i na nt : Permi ss ib l e 따 osure lim it , Ti le 29, Code of Fedral Reg ula ti on s, Part 1 910. 1000. Washin g ton , D.C. : U.S.Goverment Prin t i ng Off ice . USDL Public a ti on no. (OSHA) 3112. Palmes, E.D . (1981) , N02 and NOx dif fus io n tec hniq u es, Ann. Am. Conj lnd.Hyg ., I : 263- 26 6. Wallace, L. 의 (1988) , Comp ar iso n of breath CO, CO expo s ure, and Coburn model pre dic t i on s in the U.S . EPA Washin g t on , D.C . -Denver CO stu d y , At mo s. Envir o n. 22 : 2183 크 193. Wi llek e, K.(1975), Perf or mance of the slott ed im p ac to r , Am. Ind. Hy g. Assoc. ]., 36 : 683-691 . Woebkenberg, M. L. (1981) , Personal pas siv e mon itor s for chem ica l
age n ts , Ann. Am. Con/ Ind. H y g., 1 : 107-115. Woods, J. E. ; Morey, P. R. and Sto l wi jk, J. a. J . {1988) . Indoor air qua lity and the sic k buil d in g syn drome : A vie w from the Unit ed Sta t e s , Presente d at the Charte r ed Insti tut e of Buil d in g Ser- vic e s Eng ine ers advances in air condit ion in g confe r ence, 7 Octo b er, London.
제 5 장 실내공기질의 진단 및 국내의 실내오염 현황 5-1 실내공기질의 평가 이 장에서는 조사 대상 건물의 실내공기질에 관한 오염 정도를 평 가하고, 오영물질에 노출된 사무원들의 오염 노출량 추정 등에 관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서술하였다. 실내공기질의 악화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점들의 심각성에 대한 국민적 인식의 확산으로 실내공기질의 측정 기술이 빠른 속도로 발전 하고 있다. 즉 실내공기의 오영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들 울 규명하기 위해 실내공기질에 대한 공학적 검사, 물리 • 화학적 측 정, 보건학적 영향, 건물내 거주자에 대한 건강 설문지 조사, 각종 보건학적 검사 등이 사용된다. 따라서 다음의 네 가지 사항이 검토되 어야 한다. 첫째, 규제 대상의 오영물질, 둘째, 건물내 거주자들의 악화된 실내공기질에 대한 반응, 셋째, 건물 선택에 앞서서 실내공간 사용의 파악과 공간 사용 계획도의 작성에 필요한 정보의 제공, 넷째 시스템 조작 수행 능력의 평가 등으로 현 시점에서는 실내생활로 인 하여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질환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건물내 거주자들은 실내환경의 오염 정도에 따라 영향을 받으므로
물리적, 화학적, 정신적 판단을 통하여 자신이 거주하는 실내공간에 대한 만족감을 표시한다. 따라서 건물내의 실내환경에 대한 평가를 실시할 경우에는 건물의 구조나 시설물의 사용 방법뿐만 아니라 건물 내 거주자들 개인의 반응까지도 세밀히 조사해야 하며, 실내 거주자 와 빌딩 환경 인자 간의 복잡한 관계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거주 지역의 환경이 오염되기 때문에 이러한 오염물 질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보건학 관련자, 실내공기질의 평가를 위한 전문가, 건축공학가들과 긴밀한 협의로 문제점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접근이 필요하고 이들과 팀을 이루어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실내환경을 조사하는 평가 방법을 단계적으로 서술하면 다음과같다. 5-1-1 1 단계 : 문제점의 서술 효과적인 건물의 평기를 위한 실내환경 조사의 1 단계는 건물내 문 제점을 파악하고 그 범위를 규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건물 소유주, 관리자, 기술자, 거주자들의 비협조로 인하여 조사자들이 문제점을 규명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건물의 문제점 및 그 발생 원인 울 추정하고 입증하기 위해서는 조사자들에 의하여 수집된 정보들이 필요하다. 죽 건물내 관리자와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 조사, 의학계 종사자 및 산업위생학자들과의 의견 교환 등을 통해 건물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건강과 거주자의 복지 시설과의 관련 사항도 논의되어야 한다. 실내오염물질에 대한 개인별 건강위해 정도는 거주자의 성별, 나 이, 근로장, 성격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발생하는 질병들의 특 성에 관해서는 표 5-1 과 같이 구체적인 질병의 증상, 건물내 거주 시
표 5-1 호소/증상의 기본적 특성 호소또는증상의 특성 신체적부위 정도 거간 관련자 치료 증상이 나타난시간 장기 단기 전염된 사람과 전염되지 않는 사람이 나타난 장소 전염된 사람의 수 증상 유무자의 인구학적 특성 연령 AJ 직업
간과 피해 정도와의 관계, 통증 및 근로 장소 등에 대해서 기본적인 배경을알아야한다. 위에서 언급한 정보들로 인해 냉난방 환기장치 (Heati ng , Venti la- tion and Air C ondit ion in g - R VAC) 의 사용 방법 , 재 배 치 , 각종 기 계 의 사용 방법, 근로 여건의 개선 등의 여러 가지 근무 환경의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된다. 아울러 실내공기질의 평가로 인하여 실내공간 에서의 오염물질 발생이 일시적인 것인지 지속적 발생인지의 여부와 실내에서 오염물이 발생하는지 아니면 의부로부터 오염물질이 유입되 는 것인지의 판단과 오영물질의 발생원이 특정한 한 지점에서 발생하
는지 광범위하게 여러 곳에서 발생하는지의 여부가 규명될 수 있다. 건물의 기계적 구조와 기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는 건물내 오염물 질을 규명하는 데 많은 발전을 가져왔다. 따라서 냉난방 환기장치의 효율적인 사용 방법 및 장치와 관련된 조사들이 실시되었고 많은 연 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표 5-2 에서와 같이 조사 대상자의 인구
표 5-2 냉난방 환기장치에 관한 조사 건물의 물리적인 설계 근무장소 공기 공급 칭소와 흡입 장소 냉난방 환기장치 HVAC 의 작동 코일 필터 환풍기 냉각장치 배관 냉난방 환기장치의 조작 부하분석 제어분석
표 5-3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오영원 실외오염원 벽장식제 六}도 냉각탑 흡입구와배기구의 위치 기타 실내오염원 보온및 단열제(석면)
실내 설비 장치 바닥청소제 사무실가구 물, 높은 습도, 기타의 물질로 손상된 지역
학적 특성과 호소의 원인 및 배경을 파악한다. 또한 건물내의 냉난방 환기장치의 기본적인 조사 및 세부적인 조사를 동시에 실시해야 하고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실내의적 요소(표 5-3 참조)를 파악해야 한다. 또한 건물내 거주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후 조건, 음향, 진 동, 조도 등의 실내환경 인지들을 조사한다(표 5-4 참조). 따라서 건 물내 실내환경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이상에서 언급한 조사 를 실시한 후에 문제 발생의 원인들을 찾아내야 한다. 그러나 기존에 실시하던 조사 방법들은 건물내 실내환경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를 규명히는 데 미흡한 점이 있으므로 조사자는 보다 세밀하고 전보된 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건물내의 환경 문제는 조사 과정에서부터 해 결 방법까지 아직도 많은 부분들이 연구 과제로 남아 있다.
표 5-4 실내환경의 미세기후 및 환경인자 환경인자 분류험臣十 온도 건구온도 습구온도 」,,__ T 。T 소수음직도온도 주파수,강도,형태 진동 주파수와전폭 조명 스펙트럼 분석 빛의강도 빛의 질(깜박임, 색, 반사, 기타문제접)
5-1-2 제 2 단계 : 측정 조사 제 2 단계는 건물 시스템 평가, 미세환경의 정의, 환경 조사의 세 부분으로 분류하여 시행한다. 건물 시스템 평가는 사용 설명서의 검 토, 시스템에 대한 직접적인 조사, 관련인과의 상담 등으로 나누어지 며, 센서의 위치, 시스템의 설치 장소 등도 고려하여 시행된다. 또한 작업과 관련된 근로자들의 요구 사항과 이에 대한 관리자들의 행동, 쾌적한 환경 조성의 책임 소재도 매우 중요하게 평가되어야 하며, 공 기의 홉기 및 배기 장치와 확산에 의한 공기의 흐름도 평가 조사해야 된다. 냉난방 코일, 액체받이 drip pan , 필터 등의 상태와 관리 사항 등도 검토가 필요하며, 건물의 시공 때에 계산된 건물의 열 부하량과 계속하여 이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인자들에 대해서도 평가해야 한다. 건물의 미세환경이란 일반적인 냉난방 환기장치, 배관을 통한 공기 유입, 건물의 바닥 상태 등을 말한다. 건물의 환경 상태를 평가할 때 는 조사 대상 건물의 미세환경을 반드시 검토해야 한다. 왜냐하면 미 세환경은 근로자들이 오염물질에 노출되는 장소이기 때문이다. 일반 적으로 미세환경은 한 장소만의 측정으로는 대표값으로 인정될 수 없 기 때문에 다른 환경 조사도 고려되어야 한다. 미세환경 인자들은 실 내뿐만 아니라 실의에도 존재하므로 실내환경의 조사시에는 주변 실 의환경의 다양한 공기 변화에 관한 조사도 함께 시행되어야 한다. 조 사 장소의 적정한 선택을 위해서는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지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갖고 있는 지점, 환기가 잘 되는 지점, 문제 의 발생이 가장 적은 지점, 실의공기 등의 5 가지 지점을 고려해야 한 다. 실내환경 조사는 실내공간에서의 물리적 상태 및 오영물질의 농도 를 조사하는 것이다. 측정시 직접적으로 측정 판독 가능한 오염물질
은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온도, 습도, 조도 등이며 호홉성 분전 respi ra ble par tic u late ma tt ers 과 유기용제는 측정 후에 분석을 해야 한다. 또한 석면과 미생물 같은 오염물질은 전량포집 bulk samp le 과 표면포집 sur fa ce sam p le 이 가장 효과적이다. 의부 환경의 측정시에는 측정 기구들을 측정 물질의 포집 전에 예상되는 농도 범위에서 보정 cal i bra ti on 을 해야 하며, 이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실내환경 조사시 에는 표 5-5 와 같이 측정될 오영물질의 선정, 측정 시간, 측정 기구 의 선정, 장소 선정, 질적 평가Q ual ity Assurance-Q A , 자료 분석 등이 고려되어야한다. 1) 측정 인자의 선택 기본 단계에서 조사대상 건물의 사용 연수, 건축 재료, 오염물질 발생원의 위치, 작업의 특성으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특성 등에 관 한 정보들을 파악해야 하고 측정 대상 오염물질의 종류, 온도, 습도, 환기율 등의 물리 • 화학적 측정 인자의 선정이 중요하다.
표 5-5 조사 계획 물리적/화학적인 측정 대상오염물질의 선택 측정 방법, 횟수, 기간의 결정 요구되는 검출 농도의 설정 측정 기구의 선택 포집 장소의 선택 공기질 평가및 자료분석 결과제시
2) 측정 시간 실내환경의 측정 시간을 결정할 때는 오영물질이 건강에 미치는 영 홍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면 특정 오염물질에 대하
여 인체에 단시간 노출될 경우 오영물질은 짧은 기간 동안 인체에 피 해를 주고 오염물질에 노출된 개인은 오염물질로 인한 피해를 쉽게 감지한다. 그러나 독성 물질에 장시간 노출된 인체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을 장기간 포집해야 한다. 한편 이 경우는 오염물 질에 대한 개인의 노출 농도, 오영 평가에 중요한 요소가 되는 최고 농도, 단기간 노출에 관한 사항 및 포집 기간의 노출도의 변화나 변 화 주기는 파악할 수가 없다. 단시간 포집 방법은 장시간 포집 방법보다 개인의 노출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포집 시간은 포집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노출로 인한 피해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오 영 물질에 대한 연속적인 측정이 필요하다. 실내환경의 평가시에는 건물내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몇 주 동안 실 행한 건물내 오염물에 대한 환경 평가와 측정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건물내 거주자들에게 니쁜 영향을 미치는 환경오영의 영향은 실내환 경의 상태와 개인의 노출 정도에 따라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3) 기대 농도 인간의 건강과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특수한 오염물질과 그 오염물 질의 농도는 반드시 규명되어야 한다. 그러나 많은 실내오염 물질들 이 과학으로 명확하게 규명하기 불가능한 실정이다. 따라서 측정시의 기구의 유무, 간편성, 분석 비용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효과적 인 오염물질의 포집을 위해서는 실제 측정을 하기 전에 예상 한계 농 도를 반드시 조사해야 하며 이 예상 한계농도는 환경 기준 또는 건강 반응 농도와 비교해 볼 때 약 10% 의 차이룰 나타낸다. 그러나 근로 자의 작업 환경 기준에서 이용되는 허용기준치 Threshold Lim i t Value-TLV 와 한계허용 농도에서는 1% 이내로 줄일 것을 권장하고 있다.
4) 측정 기구의 선택 실내공기질 조사를 위하여 적절한 공기오염물질의 측정 기구의 선 랙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개인용 측정 기구 또는 간이용 측정 기구 의 사용 유무에 따라 측정 농도에 영향을 준다. 5) 포집 장소의 선택 실내환경 측정시에 포집 장소의 선정은 중요하다. 빌딩내 거주자들 은 특정한 한 장소에서만 머무르지 않고 이동을 하므로 한 장소에서 만의 오염물질 포집은 개인의 노출 농도를 대표한다고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석면을 건축자재로 사용한 빌딩내에 근무하는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석면의 농도가 예상의로 낮게 나타날 수도 있 고 반면에 건축자재로 석면을 사용하지 않은 음향 스튜디오의 컴퓨터 작업이나 전기 배선 작업을 하는 사람들에게 석면의 농도가 높게 나 타나기도 한다. 또한 동일한 재질로 건축한 빌딩내에서의 라돈 농도 는 지하실에서의 측정값이 지상에서의 측정값보다 2 배에서 4 배 정도 높다. 따라서 적절한 포집 장소의 선택을 위해서는 거주자들의 생활 방식, 환기 방식과 이해, 잠재적인 오영원 등을 파악해야 한다. 또한 포집 지역과 이에 대한 대조군으로 다른 빌딩의 측정도 필요하며, 이 미 조사된 자료의 검토 작업과 실외환경에 대한 측정 작업도 동시에 필요하다. 6) 공기질의 평가와 개선안 공기질의 평가 및 개선을 위해서는 포집된 샘플의 개수를 정확히 기록해야 하며, 포집한 샘플 수는 통계적으로 예비조사pil o t s t ud y시 에 결정한다. 또한 샘플 수의 결정은 실내공기질의 다양성을 판단하 는 데 중요한 작업이며, 측정 시간과 측정 장소별 오염물질의 농도 변화를 조사해야 하고 적절한 야의조사용 공시험, 예비시험, 반복시
험, 비교시험 등도 조사해야 한다. 오염물질의 포집 전에 예비 샘플 을 실시하고 분석한 자료를 참고로 하여 정확한 포집 방법 및 분석 방법을 선정한다. 일반적으로 예비 샘플의 개수는 10 개의 측정 샘플 당 2 개로 선정한다. 야의조사시의 공시험은 환경오염이나 이로 인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실에서 시행되는 미디어 공시험 media blank 과는 다르다. 실험실로 운반된 샘플들은 먼저 무작위로 번호를 부착하고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안전하게 보관되어야 한다. 또한 비 교시험둘은 서로 디른 2 개 이상의 실험실에서 분석을 실시하여 분석 결과의 통계적 오차를 줄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1-3 제 3 단계 : 건강 영향 평가 및 공기질의 전단 환경 측정만으로는 지금까지 알려진 오염물질의 종류 및 오염물질 의 노출로 인한 증상을 명확하게 규명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또 한 일반적으로 실내환경의 측정은 건물내 거주자들이 증상을 호소한 후에 실시하기 때문에 실제로 측정한 오염물질의 농도와 거주자의 인 체에 영향을 준 오염물질의 농도와는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 라서 각종 오염물질의 측정과 거주자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오염물질과 건물내 거주자 개인별 반응과의 상관 관계가 조사되어야 한다. 또한 피조사자의 의학적 지식, 거주 지역의 환경과 비거주 지 역의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조사도 필요하다. 예를 들면 혈액 검사, 폐기능 검사 등과 같은 다양한 의학적 진단이 시행되어야 하며 어떤 경우에는 역학적 조사도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건물내 실내환경 조사를 위하여 설문지 조사 방법이 많 이 이용된다. 설문지 조사 방법은 장소, 시간, 근무 조건 등의 차이 에 따라 발생하는 증상들을 파악하기에 용이한 조사 방법이며, 조사 대상자들의 답변이 주관적이고 효과적이지 못할 수도 있지만 직접적
으로 각종 증상에 대한 조사 결과 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응용 된다. 또한 바폭로군에 대한 조사도 폭로된 근로자들의 반응 조사를 위한 참고 자료가 되기도 하며, 설문 조사의 대상으로는 주로 건물내 거주자 중에서 오염물질의 노출 정도를 알고 싶어하는 개인을 선정한 다. 심리적인 영향은 근로자의 집단행동을 유발시킬 수 있으나 심한 스 트레스를 받지 않는 상황에서도 심리적 영향은 나타난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들보다는 여성이, 공무원보다는 개인회사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이 불만이 높은 경향이 있다. 작업의 특성, 작업장 에 대한 불만족, 작업의 중압감들은 근로자들의 불만을 유발하며, 이 러한 사실은 그들이 작성한 설문지에 잘 반영되어 있으므로 정신신경 분석가와의 협조도 요구된다. 그러나 설문지 조사만으로 오염물질의 농도, 폭로도와 각종 증상, 환경 조건과의 상관성을 추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오염물질의 농도와 증상, 환경 조건과의 연관성을 명확 하게 파악하는 것 역시 불가능하다. 건물내에는 서로 다른 복잡하고 다양한 용도를 위한 장소로 구분되 어 있다. 예를 들면 학교 건물은 실험실, 교실, 교무실, 사무실, 실 습실 같은 다양한 구조물로 이루어진 복합 건물이다. 따라서 조사자 들은 특정한 한 지점만의 환경 조건을 조사하는 것 의에도 각각의 장 소에 따른 환경적 원인들도 조사해야 한다. 개인에게 나타나는 증싱들이 특수하지 않고 일반적인 경우에는 이 러한 증상의 원인을 뚜렷하게 밝히기가 어렵다. 이러한 한계성에 비 추어 볼 때 거주 공간내 평가를 위한 새로운 측정이 요구된다. 그러 나 평가의 초기 단계에서 실내공간내 환경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는 측정 작업은 빌딩내의 다양한 냉난방 환기장치의 평가나 각 종 기계 장치의 조작 등울 고려해야 하며, 실내공간내에 존재하는 잠 재적 오염물질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공간내의 온열환경 (온도, 습도 기
류), 음향, 진동, 조명 상태 등도 조사해야 한다(표 5-4 참조). 또한 측정 기구를 완벽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추적가스를 통 한 대리 측정, 빌딩내에 설비된 각종 장치의 조작 및 거주자의 다양 한 행동 방식의 전반에 걸친 측정의 연관성도 조사해야 되고, 조사 당시의 건물내의 환경 상태가 오염물질의 배출량이 가장 많은 시기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조사의 초기 단계에 입수한 건물내의 냉난 방환기장치를 작동법을 이용하여 실제 측정시에는 건물내의 환경을 최악의 상태로 조정하는 것도 필요하다. 5- 1 -4 종합 평가 실내공기질의 문제점이 발견된 건물에 대해서는 문제의 원인을 규 명하고 효과적인 환경 개선을 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정확한 조사가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조사의 처음 단계는 건물이나 건물내에 설비된 기계 장치의 결함 부분을 찾아내는 것이며, 다음 단계로는 건 물내에 심각한 위험을 줄 수 있는 환경 조건을 세밀하게 조사하는 것 이다. 그러나 건물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특성을 갖춘 구조물이므 로 조사자들은 광범위한 조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고, 다양한 빌딩의 구조 및 구조물의 사용 방식, 거주자들의 생활 방식, 거주자들의 불 만 등을 검토하여 건물의 상태를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실내환경 조사를 위한 각종 질문지 조사표가 응용되고 있다. 부록 5.1-5. 礎 저자가 실내공기질의 평가시에 사용하는 질문지 조사표로 서 실내공기질의 조건, 건물 설비 및 관리 상태, 거주자의 증상에 관 한항목을나타낸다. 이와 같이 건물의 관리 상태와 거주자의 건강 상태 결과를 이용한 다면 조사하고자 하는 실내환경의 문제점들을 규명하고 건물의 구성 요소를 파악하기가 용이해진다. 아울러 평가보고서에는 조사 계획,
방법, 결과, 조사의 한계성 등에 관한 설명이 첨부되어야 한다. 건물 에 대한 실내환경 평가 결과 정확한 원인의 규명이 불가능할 수도 있 으므로 실내환경 조사가 정기적으로 반복 시행되도록 하면 실내오염 의 원인 규명 및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5-2 국내의 실내오염 현황 국내에서는 실내공기오염에 관한 조사가 1986 년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나 일부 주택, 사무실, 학교, 병원 등을 제의하고는 지하 환경내의 오염 조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5-2-1 부유분전 최근 인구의 도시 집중화에 따라 지하상가, 지하도, 지하 주차장 및 도로, 터널 등 지하 시설물의 이용이 날로 확대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지하 공간에 노출되고 있다. 최근에는 지하상가의 부유분전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의 농도를 조사한 결과 상가의 분전 농도는 연평균 대기기준치 (150µ g /m3) 를 초과하였고 일부 발암성 물 질도검출되었다. 표 5- 여폰 서울 지역 지하 공간에서의 부유분전을 총 부 유 분전과 호 홉성 분전으로 나눠 조사한 측정 대상별 평균 농도를 나타낸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하상가의 경우 총무 유 분전의 평균 농도는 434µ g /m 북 우리나라의 환경 기준인 150µ g /m3보 다 약 2.9 배 초과 하였다. 지하상가는 일반적으로 공간이 폐쇄되어 있고 사람이 밀집되 어 있으며 상품과 통행인의 출입이 점차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부유 분전의 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지하철역과 연계되어 있는
표 5-6 지하 환경의 총 무 유 분전과 호흡성 분전농도 평균 농도 (k g /m3) 측정장소 시료수 총꾸유선진 호흡성분전 지하상가 6 433 . 96 士 182.9 6 205.13 士 55 . 07 지하주차장 2 373.4 0 土 302.21 124 . 10 士 99 . 56 지하철역 8 386.61 土 137.0 7 17 1.2 5 士 98 . 57 지하도 2 529.8 5 士 359.70 154 .4 0 士 88.10 소계 18 416.84 土 181 .17 175 .4 3 士 8 1. 32 도로터널 6 4,196 .4 7 土 1,369.9 1 1 , 079.32 土 1,1 6 3.31
경우 전동차에 의해 발생된 분전이 환기구나 연결 통로 등을 통해 영 향을 미친다. 그리고 지상 출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의기의 영향이 오 염의 배경으로 작용될 수도 있다. 지하주차장의 총무 1 분전의 평균 농도가 최저치인 373µ g /m3으 로 나타났으며 이는 환경 기준치보다 약 2.6 배를 초과하고 있다. 지하철 역은 총 부 유 분 전의 평균 농도가 387µ g /m3 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 기환경 기준치보다 약 2.6 배 초과하고 있다. 지하철의 부유분전에 의한 오염 발생 원인은 불특정 다수인의 통행 등 사람의 이동이 빈번한 지점과 전철 진입시 구내 축적물의 비산 • 천정에 살포된 물질의 비산, 환기구나 비상 출입구 등으로 의기가 유 입되는 등의 여러 변수가 작용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지하도의 총부유 분전 평균 농도는 530µ g /m3 이고 호흡성 분전의 경우 154µ g /m3 으로 측정 대상이 서울역과 강남역 지하보도로서 서 울역 지하보도가 784µg /m 3 , 강남역 지하보도가 276µ g /m3 으로 서울 역이 강남역 지하보도보다 약 2.8 배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서울역 지하도가 통행인이 많고 시설이 노후되었으며 주변의 대기오염이 더 많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터널의 경우 지상 시설물로 총 부 유 분전은 4196µg /m 3 , 호흡성 분 진은 1079µ g /m 3 으로 나타나 지하 공간보다 약 10 배가 높았다. 이는 교통량의 급격한 증가와 자동차에서 다량 배출되는 매연 및 입자상 물질과 유해 물질이 터널의 내부 공기를 오염시키고 또한 환기 시설 의 미비로 인하여 오염물질의 일부가 터널내에서 정체하고 특히 대면 터널은 터널의 중간 지점에 난류가 형성되어 분전의 비산이 더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하 환경에서의 부유분전 농도를 최근 측정한 결과에서도 뚜렷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아 근본적인 대책이 요구된다. 5-2-2 포름알데히드 지하 환경 중 포름알데히드 농도 조사 결과, 지하철역의 경우 포름 알데히드의 실내 평균 농도는 60.l pp b 이고, 실의 평균 농도는 60. 4 pp b 로서 실내/실의 농도의 비 (I /0) 가 1. 0 으로 거의 비슷했다. 또한 지하상가의 경우는 포름알데히드의 실내, 실의 평균 농도는 각각 122.2 p pb , 96.2 pp b 로서 실내/실의 농도의 비가 1. 3 으로서 실내 평균 농도가 실의 평균 농도보다 높았다. 특히 강남역 지하상가의 농도는 16s . 2 pp b 로서 이 수치는 미국에서 정한 대기 중 기준치 lOO pp낡룹 훨 씬 상회하는 것이며, 지하상가의 각종 상점에서 사용하는 주방 및 난 방용 가스에서 방출하는 것인지 또는 포목 상점 혹은 옷가지에서 방 출되는 포르말린 가스에 의한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실의에서의 유입에 의한 것보다는 지하상가내에서 발생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 다. 지하도의 경우 포름알데히드의 실내 평균 농도는 72.l pp b 이고 실의 평균 농도는 73.o pp b 로서 실내/실의 농도의 비가 1. 0 으로서 차이가 거의 없었다.
터널은 남산 3 호 터널 내부 측정 결과 39.7 pp~끌 나타냈다. 터널은 의기에서 유입되는 기류의 영향으로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확산이 일 어나기 때문에 디른 지하 시설에서 보다 농도가 낮은 것으로- 보이며 터널에서의 포름알데히드 가스는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배출되는 것으 로사료된다.
표 5-7 측정 칭소별 실내의 포름알데히드 농도 지하시설물 장소 시료수 평균농도(pp b} 지하철역 실내 10 60.l 실의 4 60.4 실내/실의 1.0 지하상가 실내 6 122 .2 실의 4 96.2 실내/실의 1.3 지하도 실내 4 72.1 실의 2 73.0 실내/실의 1.0 터널 실내 1 39.7 지하주차장 실내 4 75.9 실의 1 28.6 실내/실의 2.7
지하주차장의 경우 실내 포름알데히드 농도가 75.9p pb , 실의 포름 알데히드 농도가 2s . 6 pp b로 서 실내/실의 농도의 비가 2.7 로서 자동차 배기가스가 실내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발생 원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그림 5-1 은 1989 년 지하철역에서 승강장, 매표소 실의 3 개 지접에 서 측정한 포름알데히드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강장보 다는 매표소의 농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이유는
120
사람들이 매표소에서 줄을 서거나 집중적으로 모여들게 됨으로써 홉 연으로 인하여 포름알데히드 농도가 높게 나타나지 않았나 추측된다. 대체적으로 지하 시설물 전체에서 측정된 실내의 포름알데히드 농도 는 39.7 ~ 168.2p pbo l] 널리 분포되어 있음에 반하여 실의에서 측정치 는 28.6~ 118.7 pp腦 l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위에서 얻은 평균 실내 농도와 실의 농도와의 상관성을 보면 상관 계수 값은 0.38 로 약상관을 나타내고 있다(그립 5-2 참조) . 이것은 실내 농도가 실의 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시사 하고 있다. 이 조사 결과 실내 포름알데히드 농도는 실내 자체내에서
130
발생된 것을 시사하고 있어 실내에서의 포름알데히드 발생원을 규명 할 필요가 있겠다. 지하 시설물의 조사 과정에서 나타난 바로는 지하 상가의 각종 주방 연료, 포목상의 옷감 등이 포름알데히드 가스의 방 출원으로시사되었다. 5-2-3 라돈 국내에서 처음으로 1987 년 1~9 월 사이에 서울에 위치한 30 가구를 대상으로 주택내의 라돈 농도를 측정한 결과, 지하실의 라돈 평균 농 도는 2.4 9 p C i/ l, 1 층 거실은 o.s6 p C i/匡- 나타나 지하실이 1 층의 라 돈 농도에 비하여 약 3 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지하실의 라돈 농도는 일본(혼슈)의 가정에 비하여 1. 7 배에 해당하며, 지질학 적 원인으로 세계에서 라돈 농도가 가장 높은 스웨덴의 2.7 p C i/ 1 에 육박하는 수준이었다. 따라서 지하에 거주하는 사람들과 지하상가의 주민들의 건강을 위해서는 라돈 농도의 감소를 위한 환기 장치의 강
화가 시급한 것을 시사하였다. 또한 1988 년 2 월부터 1989 년 1 월에 걸쳐 서울시에 소재한 지하실 이 있는 주택 34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하실의 라돈 농도는 최저 1.5 p C i /1 에서 최고 9.9 p C i /1 까지 검출되었으며, 1 층 거실은 1.0 ~ 3.2 p C i/ 1 의 수준으로 평균 농도는 l.7 p C i/匡그 나타났다. 이같 은 수치는 국제방사선 방어위원회 ICRP 의 기준치인 2.7 p C i/ 1 를 초과 하는 수치이며 , 미국 환경청의 라돈 권고 기준치인 4 p C i /1 를 초과하 는주택도나타났다. 또한 1989 년에 걸쳐 서울, 군산, 송탄, 도고 등 4 개 지역의 주택 75 가구를 대상으로 실내 라돈 농도의 평균 농도를 측정 분석한 결과, 서울과 군산이 2.1p C i/ 1, 도고와 송탄 지역이 3.2 p C i/~로- 각각 나 타났다. 이 결과에서 거실의 라돈 농도 중 서울 5%, 송탄은 16%, 도고 18%, 군산 14% 에 해당하는 주택이 미국 환경청에서 정한 라 돈 농도의 기준치인 4 p C i /1 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 대상 주택의 거실의 평균 농도는 2.1 pC i/ 1, 지하실은 3.6 pC i/1 ..£. 지 하실의 라돈 농도가 높은 것은 전년에 조사된 결과치와 유사성을 보 이고 있어 지하실을 갖는 주택은 라돈의 노출 위험성이 높은 것을 시 사하고 있으며, 최근 (1991~1992) 에 지하철역의 라돈 농도 측정 결 과, 일부 지역 부근의 농도는 기준치보다 4 배 이상 높아 지하수가 라 돈 가스의 발생원으로 추측되었다. 따라서 지하수 중 라돈 농도를 조 사한 결과 기준치보다 수십, 수백 배까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5-~ 1987 년 이후 저자가 측정 조사한 대상 가정의 라돈 농 도를 지하실과 거실로 나눠 나타낸 것으로 오히려 매년 높아전 경향 울보였다. 이상에서 국내에서 일부 가정내 라돈 평균 농도를 보면 구미 각국 의 가정내 평균 라돈 농도보다 오히려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일본의 경우 조사 대상 주택의 평균 라돈 농도는 31 .4 B q /m3 으로 비
4
교적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주택내에서 발생한 라돈에 의한 피해 사례가 국내에서 보고되지 않 아서 확실한 건강 영향은 알 수 없으나, 미국(폐암 발생 및 사망수)의 피해를 근거로 우리나라의 전가구수인 약 610 만 가구 (1985 년 기준) 중 폐암에 폭로될 절대 위험률 2% 를 곱하여 추정해 보면 1987 년 우 리나라 폐암 사망 수 총 3578 명 중 3.8~15 .4%에 해당하는 128~551 명이 주택내에서 방출된 라돈에 의해 사망된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이같은 추계는 미국의 추계치를 우리나라에 적용한 것에 불과하나 실 내 라돈의 폐암 사망의 위험률을 나타내는 데 큰 의의가 있다고 사료 된다. 이와 같이 라돈이 의국의 허용 기준치를 초과하여 방출되는 것 으로 보아 라돈의 규제와 이에 대한 예방 대책이 시급하다. 5-2-4 석면 서울 시내 5 개 지역의 석면을 포함한 총 섬유 농도를 위상차 현미
표 5-B 서울시 일부 지점의 공기 중 석면 농도 (단위 : f/1) 측정장소 측정날짜 총섬유농도 석면농도 총: X 100(%) 충무로 7/18 1.67 1.70 64.1 7/21 2.32 1.18 50.9 7/26 1.81 0.9 8 54.1 평균 1.93 1.08 56.4 청계천 7/25 3.82 3.3 9 88.7 7/28 4.03 3.26 80.6 8/16 3.03 2.1 4 70.6 평균 3.6 3 2.93 80.1 남가좌동 8/8 4.30 3.28 76.3 8/12 3.16 2.54 80.9 8/16 3.6 2 2.8 0 77.3 평균 3.6 9 2.8 7 78.0 반포동 8/3 1.28 0.96 75.0 8/4 1.43 0.72 50.3 8/5 2.19 1.43 65.3 평균 1.63 1.04 63.5 성수동 7/29 2.7 6 1.94 70.3 8/1 6.10 4.51 73.9 8/2 4.32 2.87 66.4 평균 4.39 3.11 70.2
경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최고 6.10 f /1 이고 최저 1. 28 f /1 이었으며, 평균은 3.35 f /1 이었다. 또한 지역별로 보면 준공업 지역인 성수동이 평균 4.39 f/~로 가장 높았으며, 청계천 및 남가좌동이 각각 평균 농도가 3.63 및 3.69 f/1 이었다. 위상차 현미경으로 관찰한 총섬유 수에서 생물 현미경으로 관찰한 섬유 수를 제의한 나머지를 석면 수로 간주하였으며, 그 농도 분포는 표 5-8 과 같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고치는 4.51 f/l, 평균치는
60
2 . 20 f /1 이었고 지역별로는 총섬유 수의 농도순과 마찬가지로 성수동 이 평균치 3.ll f/匡- 가장 높았으며, 청계천 및 남가죄동의 순서로 각각 2.93 및 2,87 f /1 이었다. 또한 충무로 및 반포동은 각각 최고치를 나타내는 1.08 및 1.07 f /1 이 었다. 5-2-5 이산화질소 실내 이산화질소의 조사를 1987 년 1~9 월에 걸쳐 서울시에 소재한 일반 가정을 택하여 야나기사와 Yana gi sawa 등이 개발한 일명 필터 배지형 Fil ter Badg e T yp e 의 개인용 포집기를 이용하여 서울 시내 50 개 주택을 대상으로 개인용, 실내용(거실), 실의용의 3 개를 동시에 폭로시킨 결과 그림 5-4 와 같이 조사되었다. 측정된 가정내 이산화질소 농도는 평균 개인 폭로 농도가 30.7p pb
40
로 가장 낮았고 실의 농도가 36.S pp b로 서 실내 농도(거실)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최근에 증가된 자동차의 배기가스에서 배출된 실의 이산화질소의 농도가 높은 것이 아닌가 사료된다. 또한 조사 기간 중 석유 난로를 사용하는 가구 (22 가구)를 대상으로 난로의 형태별(배기형과 비배기형)로 나누어 이산화질소 농도를 비교 한 결과 비배기형 난로 사용 가구에서의 이산화질소 농도는 개인 노 출량 39.9 p pb , 거실 농도 53.2 p pb , 실의 농도 38.7 ppb 로 배기형 난 로 사용 가구에서 측정된 각각의 이산화질소 농도보다 약 1.2 ~ 2.2 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그림 5-5 참조). 또한 지하 시설의 장소별 이산화질소의 평균 농도를 보면 지하상가 강남터미널에서 89.l pp벼t 나타내 대기 중 이산화질소의 농도의 연평 균 기준치 {5o pp b) 를 약 1. 8 배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로 5 가 지하상가도 기준치의 1. 6 배 정도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
표 5-9 지하 환경의 이산회질소 평균 농도(최소, 최대치) 측정지접 평균 농도(최소, 최대치) 23. l ( 20.5, 24.7 ) 지하상7 ~ 울지강로남 터2미~널3 가 8829..41 (( 8708..14 ,, 8976..87 )) 1 호선(시청역) 45.9 ( 40.3 , 51 .5) 2 호선(시청역) 44.2 ( 38.7 , 49 .6) 지하철역 2 호선(울지 3) 22.2(21 .2, 24.1 ) 3호 선(양재) 20.1 ( 17.4 , 22.8 ) 4호 선(혜화) 43.6 ( 38.4 , 49.3 ) 지하도 서7강 울남역역 3335..81 (( 3258..4S ,, 3376..48 )) 지하주차장 현롯대데백호화텔점 4391. .98 (( 3356..46 ,, 4470..92 )) 남산 3 호터널 38.5 (32.6 , 45.4 ) 터널 북악터널 45.6 ( 36.4 , 52.4 )
로 지하상가에서의 이산화질소 평균 농도는 연평균 기준치 50 pp벼十 초과하고 그의 지역에서 그 이하를 나타냈다. 그러나 일부 지하철역, 지하주차장, 터널에서의 농도가 기준치 수준에 도달하였다. 이산화질소의 실내 오염원은 대체적으로 주방 및 난방 연료가 원인 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산화질소의 평균 농도가 가장 높은 지하상가 의 경우 각 점포내에서 사용하는 가스 및 석유 곤로 등이 이산화질소 의 발생원이 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특히 지하상가내 음식점에서 사 용하는 주방 연료가 해당 점포내의 실내 이산화질소 농도를 증가시키 는 한편 지하도의 평균 농도에도 그 영향을 줄 것으로 시사되고 있 다. 또한 지하철역이나 지하도의 경우는 상주인구보다는 보행자가 많 아 보행자의 흡연이나 지하철 역내의 점포에서 방출시킬 수 있는 주 방 연료가 이산화질소의 발생원으로 생각할 수 있다. 지하주차장과
터널의 경우는 자동차 배기가스가 이산화질소의 발생원이 된다고 가 정할수 있다. 지하상가의 경우 많은 점포에서 주방 및 난방 기구로 가스 곤로(가 스 난로), 석유 난로(석유 곤로), 연탄 난로가 사용되어 각종 가스를 방출시키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경우에 처해 있다. 그 의 지역 중 지하철역과 지하도에서 상점내의 실내 오영 발생원 의에는 보행인의 흡연이 이산화질소의 오염이 될 수 있어 지하 환경 시설에 서도 금연운동이 요청되어 현재에는 활벌~ l 전행중이다. 지하주차장 과 터널의 경우 자동차의 정체 현상이 각종 공기오염을 가중시킬 수 있어 교통의 원활함과 지하주차장의 환기 설비 운영의 점검이 필요하 다. 또한 국내의 조사 대상 지역 중 이산화질소의 대기 기준치 50 pp b( 연평균)를 상회하는 지역에 대하여는 좀더 구체적이며 계속적 인 조사가요청된다. 5- 2 - 6 일산화탄소 표 5 - 1 야근 1990 년 사람들이 많이 드나드는 백화점, 지하상가, 전 철역, 서점, 지하주차장, 일반 식당가 등 12 곳을 대상으로 일산화탄 소의 농도를 조사한 결과이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산화탄소 농 도가 가장 높은 지역은 지하주차장으로 忠]간 평균기준치 2o pp m 보 다 2 배나 높은 40 pp m 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은 식당가로 그 농도가 15, 23p pm , 5 개 백화점은 3.5 0 ~9.13p pm , 2 개의 전철역은 7.0~8. 63p pm , 2 개의 서점은 7.0~7 . 50 pp m 으로 대부분 기준치 이하였다. 그러나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기준치 이하일지라도 장시간 노출될 경 우에는 충분히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 또한 상오 10 시에 개점하여 7 시 3 야낫 l 폐점하는 백화점에서 하루 10 시간을 근무하는 근무자 중 일산화탄소 농도가 가장 낮은 A 백화접
표 5-10 실내환경내 일산화탄소의 농도 측정 지접 일산화탄소 농도(pp m) 백화점 A 3.5 0 B 8.8 8 C 8.63 D 7.13 E 9,1 3 서점 종로 2 가 7.0 0 종로 1 가 7.50 전철역 회현역 7.0 0 고속버스터미널 8.6 3 지하주차장 지하 2 층 18.8 3 지하챙노 40.88 식당 종로 3 가 15.2 3
과 A 보다 일산화탄소 농도가 2.54 배 높게 나타난 B 백화점을 대상으 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두 백화접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근무중 두 통이나 현기증을 느끼는 사람이 두 백화점 모두 80% 에 이르렀으며 〈자주〉 느끼는 사람은 B 백화점의 경우 1% 이고 A 백화점은 20.2% 였 다. 1989 년 1 월 중 일반 가정의 35 세대 (서울 25, 지방 10) 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옥보다는 양옥이나 연립주택이, 재래식 연탄 부엌 사 용 주택보다는 연탄 보일러 사용 주택에서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이유는 가정에서의 일산화탄소 농도 그 자 체의 절대량보다는 환기를 잘하지 않고 주택 구조가 밀폐화되거나 좁 은 방 안으로 가스가 스며들기 때문인 것으로 시사되었다. 5-2-7 미생물성 물질 서울시 일부 종합병원에서 미생물성 물질을 측정 조사한 결과는 표
5-11 과 같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병원 1 층 로비는 집락형성 단위 수가 1384 CFU/m3 로 나타나 측정 장소 중 가장 많은 집락형성 수를 보였고 산모실 912 CFU/m3, 신생아실 752 CFU/m3, 중환자실 688 CFU/m\ 병실 646CFU/m3 , 격리실 588CFU/m3, 치료실 567 CFU/m3 , 진료실 542 CFU/m3 , 주사실 531 CFU/m3 순으로 나타 났으며 분만실, 회복실 등은 4ooCFU/m3 이하의 집락형성을 보였 다. 이 결과 그람 염색상에서는 그람양성구균이 7 1. 8% 울 차지하였고 부서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그람양성간균 16.8 % , 그람음성간균
표 5-11 병원내 측정 장소별 총집락수와 각 그람간균의 농도 (CFU/m3) 측정장소 형총성집락수 구그。。以균람j 그。조¥람땀j 그음7L入람.j닫 진균류 임상세균실 494 338 19 100 37 1 충로비 1384 984 255 102 43 진료실 542 371 78 48 45 주사실 531 350 133 17 31 병실 646 500 70 39 37 수술실 345 269 54 6 16 분만실 363 319 25 。 19 회복실 194 176 12 6 。 중환자실 688 506 138 6 38 격리실 588 471 67 12 38 산모실 912 606 174 113 19 치료실 567 401 19 120 27 신생아실 752 654 64 17 17 미숙아실 462 355 70 。 37 교수연구실 348 221 101 14 12 식당 450 269 150 12 19 실의 375 130 189 38 18 총계(%) 100% 71. 8% 16.8% 6.7% 4.7%
6.7%, 진균류 4 . 7% 의 순이었다. 전체적으로 실의 (375 CFU / m3) 에 비하여 수술실, 분만실, 회복실, 교수 연구실을 제의한 각 실내 측정 장소의 집락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병원내 감염에 영향을 줄 수 있 어 병원 환경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참고문헌 김윤신 (1989) , 「서울시 일부 지역에서의 실내 라돈 농도에 관한 조사」 《 한 국환경 위생학회지 》 , 15 : 11-18 , -(1990), 「우리나라 일부 주태내 라돈 농도에 관한 조사 연구」 《 한국 ——환(( 11경9989 93위)),,생 「「학실실회내내지공공 》기 기, 오오1염6영 」:에 1 -《 7 대관 . 한한의 소학고협」회 《지한 》국 , 대3기2:보 12전: 학 12회7지9-1 》2 , 859 .: 3 3- 43 김민영 의 3 인 (1986) , 「이산화질소의 개인피폭량에 관한 연구」 《 한국대기 보전학회지》, 2 : 55-72, 김윤신 의 1 인 (1989) , 「실내의 · 포름알데히드 농도에 관한 연구 조사」 《 대 한환경위생학회지》, 15 : 1-9, 김윤신 의 2 인 (1990), 「일산화탄소의 가정내 농도 및 주부의 개인폭로 농 도에 관한 조사 연구」 《공기보전학회지 》 , 6 : 97- 1 02. 박상회 (1989), 「이산화질소의 실내 농도 및 개인피폭량에 관한 연구」, 한 양대 석사학위 논문. 유영식 (1989) , 「서울지역의 Asbesto s 환경 농도 분포」 《 한국대기보전학회 지》, 5 : 36-41, 전후민 (1993), 「서울시 지하상가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의 농도 조사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학위 논문. 최종태 (1992) , 「병원내 공기 중 미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 학위논문. 최홍복 (1991}, 「일산화탄소의 실내농도 측정 및 영향에 관한 조사 연구」,
한양대 석사학위 논문. 환경연구연합회 {1989} , 「지하환경보고서」. Americ a n Confe r ance of Govermenta l and Industr ia l Hy ge nis t s {1989} , Ai r samp lin g manual, 7 th ed. Ed. S. W. Herin g , C in c i n- nati , O hio , ACGIH. Americ a n Socia t y of Heati ng , Refr ige rati ng , and Air Condit ion in g Engi ne ers(l989} , ASHRAE Sta n dard 62- 19 89, Venti la ti on for acc ep t ab le ind oor air qua lity , Atl a nta , Ga., A SHRAE. Baker, D. B. (1989} , Soc ial and orga n iz a ti on al fac to r s in off ice buil d in g - a s socia t e d illne ss, In Occupa ti on al Medic in e , Sta t e - of- the -art-r eviw s Ed. J.E . Cone and M.J. Hodson,V o l. 4, 607-624, Phil a ldelpi a, Hanley & Belf us. Corn, M. (1985} , Str a te g i es of a ir s amp ling , Scand. J Work Envir on . He al th 11 : 173-180. Fin n eg an , M . J., and Pic k erin g , A. C. ( 1987} , Prevalance of s ym ptom s of the sic k buil d in g syn d rome in buil d in g s wit ho ut exp re ssed dis s ati sfa c tio n , Proeed i n g s of the fou rt h int e r nati on al confe r- ence on on ind oor air qua lity and clim ate , Vol. 2, 17-21 Aug us t, Berlin . Lioy , P. J. and Loiy , M. J. Y. (1983) , Ai r samp li ng ins tr u ments for evaluati on of atm o sp h eri c c onta m i na nts , 6th ed. C in c in n ati , Ohio , ACGIH. Lodg e, J . P. (1989) , Meth o ds of air s amp lin g and analysi s , 3ed. Chelsea, Mi ch ., Lewi s P ublish in g . Nagd a , N. L., Recto r , H. E. and Koontz , M. D. (1987), Guid l i nes for monote r i ng ind oor air qua lity , New York,Hemi sp h ere Publish - ing Corpo rati on . Nati on al Insit itut e for Occup at i on al Safe ty and Healt h (1984) , Man- ual of analyti ca l meth o ds, 3 d ed., Vol1, 15-28, Cin c i nn ari, Ohio , U. S. Gervernment Prin t i ng Off ice , NIOSH Publi ca ti on no. 84 -10 0.
Nati on al Insit itut e for Occup at i on al Safe t y and Health ( l987), Guid - ancef or ind oor air qua lity inv estig a tio n s, h azard evaluati on s and tec hnic a l assis tan ce, branch div is i o n of surveil la nce, h azard eval- uati on s and field stu d ie s, Cin c in n ati , Ohi, U . S. Goverrunent Prin t i ng Off ice . Qu in l an, P. 의 (1989) , Proto c ol comp re hensiv e evaluati on of b uil d in g - associa t e d illn ess, In occupa t io n al Medic i n e : Sta t e - of- the -art revie w s, Ed. J.E . Cone and M. ]. Hodson, Vol. 4, 771-798, Phil a delph ia , Henley & Belf us. Thorsen, M, A. and Molhave, L. (1978) , Elements o f sta n dard pro to - col for measurments in the ind oor atm osph e ric envir o runent, Atm o s. Envir o n. 21, 1411-1416. Wallin g for d, K. and Carpe n te r , ]. (1986) , Fie ld exp er i en ce overvie w , Inves-tig a ti ng sources of ind oor air qua lity in offi ce buil d in g s , In Proceedin g s , IAQ , '86, Manag ing ind oor air f or health and energy conservati on , At la nta , Ga Americ ian Soc iet y of Heati ng , and Air -C ondit ion in g Eng ine ers. Woods, ]. E., M orey, P. R. and Rask, D. R. ( 1987) , Indoor air qua lity dia g n ostic s, Qu ali tan ti ve and qua nti tan ti ve pro cedures to im p ro ve envir o runenta l condit ion s, P resente d at sym po siu m on desig n and pro to c ol for monit or in g ind oor air q u ili ty, spo n sored by ASTM, 26-29 Ap ri l, Cin c in n ati, Ohio .
기티-로기 5. I 건물 설비와건물 관리 상태에 대한질문 조사서 이 조사는 건물의 위생 관리에 관한사항입니다. 따라서 현재의 건물 관리를 평가하 여 적절한위생 관리 체계를유지하고자하오니 건물 관리를위해 일하시는분이 빈 간계 기입하거나맞는번호에 0 표를해주시기 바랍니다 . 1) 조사 대상 건물의 개요 (1) 조사 일시 : 년 월 일 (2) 조사자: (3) 건물명 : (4) 신청 : (5) 지상충: 충, 지하층: 충 (6) 준공 일시 : 년 월 (7) 구조 : (8) 대지 : m2, 전평 : m2 (9) 총 면적 : m2 (10) 거주자: 인 (11) 건물내에서 금연을 실시하고 있습니까? 1 예 2 아니오 {12) 주요 공기조절장치
2) 서류의 정리 (1) 환기 및 공기조절시설에 대한 최종 서류가 정리되어 있습니까? 1 예 2 아니오 (2) 환기 및 공조설비의 설계에 대한 상세한 서류가 정리되어 있습니까? 1 예 2 아니오 (3) 아래 표에 건물내 장치 중 설치 유무를 (예/아니오) 0 표로 표시하고, 서류가 정리되었다면 그 왼쪽란에 표시하시오. 여] 아니오 검사기록 동력크붉 1 기록 관리기록 주의사항 급기장치 배기장치 공조장L 六 l 가열기 냉각기 펌프 3) 실내공기질과 기상에 대한 측정기록의 현황 (1) 주측정장비의 측정 및 관리 기록이 정리되어 있습니까? 1 예 2 아니오 (2) 실내공기질의 측정 기록이 정리되어 있습니까? ®온도 1 예 2 아니오 ®습도 1 예 2 아니오 ® 이산화탄소 1 예 2 아니오 ® 일산화탄소 1 예 2 아니오 ®부유분전 1예예11 2 아니오 ®기류 예 2 아니오 ®기타( 2 아니오
(3) 건물의 관리와 보수 상태 : 건물의 관리와 보수는 어떻게 하십니까? ®자체관리 1 담당관리인 2 비담당관리인 ®위탁 1 전임기술자 2 건물관리전문회사 ®건約 적절하게 관리된다고생각하십니까? 1 예 2 아니오 4) 냉난방 및 환기 (1) 의기의 흡입구와 실내공기의 배출구 간의 거리가 적당한 간격을 유지합니까? l 예 2 아니오 (2) 의기의 흡입구와 냉각탑과의 거리가 적당한 간격을 유지합니까? 1 예 2 아니오 (3) 의기의 흡입구와 굴뚝과의 거리가 적당한 간격을 유지합니까? 1 예 2 아니오 (4) 의부로부터 유입되는공기의 양을측정할수 있습니까? 1 예 2 아니오 (5) 중심 배관내를통하여 흐르는공기의 양을측정할수있습니까? 1 예 2 아니오 (6) 화장실로 인하여 복도에서 악취가 발생합니까 ? 1 예 2 아니오 (7) 사람이 거주하는 방의 벽 또는 창문에 수증기가 응축하여 물이 생깁니까? 1 예 2 아니오 (8) 흡연을 금지하거나 제한하십니까 ? 1 예 2 아니오 (9) 춥거나 덥게 느껴진 장소가 있습니까 ? 1 예 2 아니오 (10) 방 안에서 악취가 느껴집니까? 1 예 2 아니오
(11) 깨끗한 의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곳이나 실내가스 배출구 근처에 장애물이 있 습니까? 1 예 2 아니오 {12) 사무실의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열, 유독가스, 먼지에 관한 대책이 있습니 까? 1 예 2 아니오 (13) 냉방기와 다른 기계들로부터 소음이 발생합니까? 1 예 2 아니오 5) 건물관리 (1) 냉방기가 있는 방은 정기적으로 청소하거나 관리가 됩니까 ? 1 예 2 아니오 3 해당 없음 (2) 공기 필터를 정기적으로 청소 또는 교체를 합니까 ? 1 예 2 아니오 3 해당 없음 (3) 가습기/건조기는 제대로 관리를 합니까? 1 예 2 아니오 3 해당 없음 (4) 방과 주방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국부적인 공기배출 장치가 있습니까? 1 예 2 아니오 ’ (5) 윤활유 필터gr ease filt er를 정기적으로 청소하거나 교체를 합니까? 1 예 2 아니오 6) 거주자 호소 건물의 관리에 대해 다음 항목 중 불만아 있으면 해당되는 곳에 0 표 하십시요. 여름철에 덥다 정전기 겨울철에 춥다 환기 여름철에 춥다 건조 겨울철에 덥다 l .}...1T.. 0
붕유쾌한통풍 해충(쥐, 벌레 등) 공 7l 오영 수증기응축 악취 물이샌다 흡연 기타 다음 빈칸에 건물의 공중위생에 관한 귀하의 의견을 적어 주십시요. *협조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5.2 거주자들의 환경위생을 위한 질문조사서 *조사 일시 : 년 월 일 조사시간: am/pm *건물명 : 조사칭소: 충 1} 먼저 자신에 관해 대답을 해주십시오. (1) 냐] : 세 성별 : 1 남자 2 여자
{2) 이 건물의 서우실에서 근무한 기간을 적어 주십시오. 년 개월 (3) 다음의 근무 조건 중 해당되는 한 가지에 표시하십시요. ® 대부분의 시간을 책상에서 근무 ® 하루종일 거의 VDT 작업 ® 건물내에서 근무를 하지만 거의 책상에 앉지 않는다. ®건물밖에서 근무 (4) 흡연 ®전혀 피운적이 없다. ® 전에 피운 적이 있으나 현재 안 피운다. ®가끔피운다. ® 매일 흡연 (하루에 흡연하는 담배의 개수 : 개비) (5) 현재의 건강 상태는? ®매우건강하다. ® 대체로 건강하나 가끔 감기와 같은 병에 걸린다. ®空 l 르기성 질환이 있다(꽃가 ~l 의한질환등). ®자주아프다. (6) 현재의 건강 상태는 ? ®좋다. ®보통이다. ®좋지 않다. @매우나쁘다. (7) 근무하고 있는 책상의 위치 또는 일반적으로 근무하는 장소는? ®위치 1 동쪽 2 서쪽 3 님쪽 4 북쪽 ®창문 1 장쪽 (창문으로부터 3m 이내 ) 2 안쪽
2) 지난 몇 개월간의 건강 상태에 관하여 대답해 주세요(오른쪽의 한 가지 숫자에 만 표시하세요). 자주 때때로 가끔 전혀 (1) 쉽게 피로 를 느끼거나 2 3 4 또는 피로의 회복이 늦다. (2) 머리가 무겁게 느껴지거나 2 3 4 지주머리가아프다. (3) 눈이 충혈된다. 2 3 4 (4) 목이 아프다. 1 2 3 4 (5) 코가 막히거나 콧물이 흐른다. 2 3 4 (6) 자주 기침을 한다. 1 2 3 4 (7) 숨이 막히거나 호흡 곤란울 느낀다. 2 3 4 (8) 쉽게 추위를 탄다. 1 2 3 4 (9) 설사를한다. 1 2 3 4 (10) 쉽게 위통이 온다. 1 2 3 4 (11) 변비가 있다. 1 2 3 4 (12) 메스꺼움을 느낀다. 1 2 3 4 (13) 현기증을 느낀다. 1 2 3 4 (14) 피부에 부스럼이 생긴다. 1 2 3 4 (15) 피부가 쉽게 건조된다. 1 2 3 4 (16) 손과 발에 냉기를 느낀다. 1 2 3 4 (17) 어깨와 목에 통증이 있다. 1 2 3 4 (18) 요통으로 힘들다. 1 2 3 4 (19) 관절통이 있다. 1 2 3 4 (20) 신경통이 있다. 1 2 3 4 (21) 월경이 불규칙하거나근심이 된다. 1 2 3 4 (여성의 경우)
3) 자신이 일하고 있는 건물의 환경에 대한 느낌에 대하여 대답하시오. 매우 종종 때때로 조금 가끔 전혀 (1) 발에 차가움을 느낀다. 1 2 3 4 5 6 (2) 방 안의 공기 흐름을 느낀다. 2 3 4 5 6 (3) 햇빛으로 방해된다. 2 3 4 5 6 (4) 냄새가 난다. 1 2 3 4 5 6 (5) 담배 연기가 방해된다. 1 2 3 4 5 6 (6) 공기가 오염되었다. 1 2 3 4 5 6 (7) 먼지가 있다. 1 2 3 4 5 6 (8) 바퀴벌레가 있다. 2 3 4 5 6 (9) 파리와 모기가 있다. 1 2 3 4 5 6 (10) 수돗 ~I 서 나쁜 맛이 난다. 2 3 4 5 6 (11) 수돗뭉게서 나쁜 냄새가 난다. 1 2 3 4 5 6 (12) 수돗풍기 색깔을 띤다. 1 2 3 4 5 6 (13) 하수에서 나쁜 냄새가 난다. 1 2 3 4 5 6 (14} 조명으로부터 현란함을 느낀다. 1 2 3 4 5 6 매우 종종 조금 조금 종종 매우 (15) 방안의 사람들의 수 적다 1 2 3 4 5 6 많다 (16) 빙안의 온도 덥다 1 2 3 4 5 6 춥다 (17} 온도의 안락함 불쾌하다 1 2 3 4 5 6 유쾌하다 (18) 습도 습하다 1 2 3 4 5 6 건조하다 (19) 조명의 밝기 어둡다 1 2 3 4 5 6 밝다 (20) 방전체의 조명 분위기 나쁘다 1 2 3 4 5 6 좋다 (21) 밖의 소음(교통 등) 시끄럽다 1 2 3 4 5 6 조용하다 (22) 방안의 소음 시끄럽다 1 2 3 4 5 6 조용하다 (사무실, 기계장치 등) (23) 위의 모든 것을 종합한 나쁘다 1 2 3 4 5 6 좋다 방안의상태 *협조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5.4 조사 대상 건물 일람표
국가명: 책임자:
5.5 직업성 증상의 조사표 증상 작업자이름: 목눈기전침이염의 성자쓰눈국리병 고 따가움 (())))))( ((((()(()()((()((()))')))))、))).l))))`I)((() (((()(()((((`)`)(( l((`)((((~)(((()((’`))`l`'),) ))( ( (() (((()(((() (()(((( 가래 콧물 호코폐령흡충 곤혈란 )l)),)))/'`)) `_ ))`~`)).,') )))) 숨이차다 두기기통관관지지 염천 식 ``)`').,)/,l`)) 주위산만 현기증 피로 졸불면음 증 ))、_)')))) « 코발진의/자종극기 `,,.)'`' 코피 . 비메영스 꺼움 .,,',\' ` 구토 ., `' 가설사슴 의통증 、`,l.l)`' 몸人갈 발열 ’
5.6 빌딩과 관련된 증상들의 조사표 예 아니오 잘모름 무응답 L 한 사람 이상의 작업자에게 증상이 발생하였 다. 2. 건물내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거주자에 게 특히 심한 자극성 증상이 발생하였다. 3. 유아 또는 어린이가 자극에 더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4 증상들은 건물을 떠나면 약해지거나 오랜 기 간 건물을 떠나면 증상이 사라졌다. 5. 적절한 환기장치의 설치로 인하여 증상들이 감소되었다. 6. 계철별로 증상들이 차이를 나타내었다. 7. 거주 장소에서 증상둘이 발생한 시기는, a. 신축한 단독주택 또는 아파트로 이사하였 다. b. 최근에 집을 개축하였다. c. 새로운 가구들을 구입하였다. d. 포름알데히드 합성수지로 단열설비를 하였 다 8. 건물내 비거주 칭소에서 증상들의 발생시기 는, a. 새로 신축한 건물 또는 최근에 수리한 건 물로이사를하였다. b. 새로운 가구들을 구입하였다. C. 환기 장치를 교체하였다. 9. 건물내에 거주하지 않는 방문객에게 증상이 발생하였다.
제 6 장 실내공기오염 방지 및 관리 6-1 실내오염 발생원별 방지 현대인들이 밀폐된 실내공간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실내의 공기는 인간 활동, 건축 자재, 생활용품 등의 발생원에서 나 오는 오염물질에 의해 더욱 악화되고 있다. 따라서 각종 실내공기오 염물질이 방출되는 발생원은 다양하나 이에 대한 예방과 방지 대책이 이행되지 않아 실내환경 교육 및 연구가 시급히 요구된다. 실내오영 물질의 발생원별 방지 대책은 디음과 같다. 6-1-1 건축 자재 1) 포름알데히드 일반적으로 주택 구조별 포름알데히드 농도를 살펴보면 주로 목재 를 이용한 재래식 주택에서 그 농도가 낮게 측정된 반면, 에너지 효 율을 고려하여 새로운 단열재 등을 많이 사용한 콘도미니엄에서 농도 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주태울 지은 연수가 오래될수록 포름알데히 드 농도는 낮고 신축 건물일수록 높게 나타나고 있어, 주택에 사용된
건축 자재의 문제점이 더욱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특히 에너지 효 율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많이 사용되는 우레아수지폼 단열재 urea-fo r maldehy de foa m i nsula ti on-UFFI 는 건축시 완벽한 내장을 했어도 포름알데히드를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캐나다 에서는 1980 년 12 월에 사용을 금지하도록 하였고 미국의 소비자연맹 CPSC 에서도 우레아수지폼 단열재의 학교 및 일반 주택에서의 사용을 금지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적절한 규제 방안 이 마련되어야 하며 소비자와 생산자는 제품의 질적 향상과 품질관리 문제를 고려한 후에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실내 포름알데히드 농도는 실내 온도, 실내 습도, 건축물의 수명, 실내 환기율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실내 포름알데히드가 방 출된 건물 또는 주택에서는 좋은 환기 시설을 하고 오염물질의 발생 원을 찾아내 제거 또는 대체하여 실내 중의 포름알데히드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하도록 해야 한다. 특히 지하생활 환경에서 발생되는 실내 포름알데히드는 건축 자재, 상가, 포목점 등에서 방출되고 있으므로 방지 대책으로는 단기적으로 지하상가내 각 점포의 환기 시설 유무를- 철저히 점검하고, 전체적으 로 지하상가의 환기가 잘 유통되도록 시설 장비롤 점검하여 점포내에 서 난방 연료인 가스, 연탄, 석유 난로 등을 사용할 경우 환기 시설 의 운용을 철저히 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지하상가 건물의 환기 설 바 용량의 적정 사용 여부 및 운용 상태를 수시로 점검해야 한다. 2) 라돈 일반적으로 실내 라돈 농도는 지역, 기상 조건, 의기 중의 라돈 농 도, 건물의 건축 자재 , 토양, 음료수 등의 라돈 함유량, 건축 구조, 실내 기상 조건 등에 따라 형성된다. 라돈 농도를 감소시키려면 건축 시에 방사능 물질아 적게 함유된 모래와 시멘트를 이용하여야 하고,
지하실은 바닥에 갈라전 틈이 없도록 처리하고 환기 장치를 설치하여 실내 속에 방사능 가스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주태에서 라돈 오염의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토양에서 발생하는 라 돈을 의부로부터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실내에서 적당한 환기를 통하여 실내 라돈의 증가를 억제하여야 한다. 또한 건축 설계시 유의 사항으로는 배수구나 하수구에 연결된 기초 주위에 틈을 밀봉하고, 건물 하부에 물 웅덩이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벽의 상단 및 하단은 콘크리트로 빈틈없이 막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건물 하부 및 지면에 노출된 실내 하부에 콘크리트 또는 투습 방지막을 설치하고 실내 환기량을 늘려 냉난방 부하를 줄이기 위한 열 교환기를 이용해 야한다. 주택에서의 라돈 방사능은 주로 건축 자재에서 발생되므로 라돈이 함유된 건축 자재의 사용 제한이 시급할 뿐 아니라, 의국과 같이 국 내에서도 라돈의 발생원, 농도 측정 조사, 기준치 설정, 피폭자의 보 건학적 영향 평가 조사를 장기적으로 계속적으로 조사하여 라돈 오염 방지에 대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3) 석면 1970 년대 초반까지 석면은 세계 각국의 건설 현장에서 화재 방지용 또는 단열재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이 물질이 암을 유발하는 발암 성 물질로 밝혀진 후로는 석면에 대해 강력한 행정적 규제를 가하고 있는 실정인 반면, 우리나라는 아직 강력한 규제는 시행하고 있지 않 다. 건축물의 각종 구조물에 석면이 사용되는데, 이의 제거 작업이 필 요하다. 석면 제거 작업이 곤란할 경우 약품 처리 등을 실시하여 석 면의 비산울 최소화하여야 한다. 따라서 석면에 대한 예방 대책으로 는 석면의 제거, 분전의 발생 억제를 위한 약품 처리 및 피복 차단
등이 있으며, 석면의 상태에 따라 위의 방법 중 적절한 것을 선택한 다. 특히 건물이 노후되어 석면의 상태가 나빠져서 공기 중에 비산되 기 쉬운 경우에는 제거하는 것이 적절하다. 파이프나 보일러에 단열 재로 석면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것을 수리할 때 석면이 공 기 중으로 바산되어 오염원이 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장기적 인 대책으로는 석면 업체, 건설 업체, 기타 석면 관련 생산 업체의 협조하에 석면의 수입 및 사용을 억제하기 위한 행정적 규제 및 석면 대체 물질의 개발 및 사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6-1-2 주방 및 난방 연료 1) 이산화질소 실내에서 주방 및 난방 기구로 가스 곤로(가스 난로), 석유 난로(석 유 곤로), 연탄 난로가 시용되어 각종 가스를 방출시키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실내공기 중 이산화질소의 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프로판가스의 연소시에 환기 시설을 강화하고 환기 설비의 운영을 점검해야 한다. 특히 일반 가정에서 가능한 한 불필요한 연소 를 억제하고 부엌에 설치되어 있는 환풍기는 취사 시간 동안만이라도 가동시켜 발생 가스를 제거한다. 또한 지하철역과 지하도에서 상점내 의 실내오염 발생원 의에도 보행인의 흡연이 이산화질소의 오염이 될 수 있어 지하 환경 시설에서도 금연운동이 요청된다. 지하주차장과 터널의 경우 자동차의 정체 현상이 각종 공기오염을 가중시킬 수 있 어 교통의 원활함과 지하주차장의 환기 설비 운영의 점검이 필요하 다. 2) 일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인해 생기는 인체의 유해 원인으로는 급성 중독과 만성
중독을 들 수 있는데, 그에 따른 대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금성 중독에 대한 대책 대체로 연탄을 난방 연료나 취사 연료로 사용하고 있는 가정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이 대부분으로-, 일단 급성 중독 발생 후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으므로 다른 어떤 질환보다 사전예방이 중요하다 고할수있다. 예방 대책에 있어서 첫째는 가스 발생 자체를 방지하는 것으로, 이 것은 가장 이상적인 방법으로 이것은 연탄 자체의 질을 개선하거나 안전한 화덕을 사용해야 한다. 안전 화덕을 보급하게 되면 일반 화덕 보다 비교적 경비가 비싸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어려움이 뒤따르 는 문제가 생기게 되는데 최근에 와서는 대부분이 안전 화덕으로는 개선되어 실질적으로 연탄 가스로 인한 사망자가 줄어든 것은 사실이 다. 그러나 안전 화덕의 보급만으로 해서 연탄 가스 중독이 전적으로 예방될 수 있는 보장은 없다. 둘째는 가옥 구조의 개선이다. 재래식 연탄 아궁이의 경우는 방바 닥 틈 사이로 연탄 가스가 방출되어 문제가 되고, 양옥의 경우를- 보 면 에너지 절약의 일환으로 실내공간의 밀폐화로 저농도의 일산화탄 소에 노출될 수 있어 가옥 구조의 변형이 고려된다. 세번째 예방 대책으로는 이미 급성 중독된 사람에 대한 적철한 치 료 행위로서 가정에서의 응급 처치, 응급 환자의 이송 체계, 고압산 소 치료법의 확장 등을 들 수 있다. 만성 중독에 대한 대책 대부분이 실내에서의 급성 중독이 만성 중독으로 변화하는데 실질 적으로 노출되는 절대치의 농도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실 내에서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은 특정 지역에서 많은
일산화탄소를 발생하고 있음을 의미하거나 또 다른 의미로는 실내가 그만큼 밀폐되어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일산화탄소는 다른 오영물질에 비해 대체로 실내외에서의 농도차가 심하고 비중도 공기와 비슷하므로 대부분 실내에서 발생하는 양을 최 소화하는 방법으로는 충분한 환기가 고려된다. 또한 일산화탄소에 대한 사람들의 일반적인 인식 전환을 예방 대책 에 포함시킬 수가 있다. 일산화탄소가 재래식 연탄에서 많이 발생한 다는 고정관념 때문에 기름 보일러나 가스 보일러, 가스 렌지, 석유 곤로, 냉매 스케이트장, 담배 연기에서 방출되는 일산화탄소는 무시 하기 쉬운 반면 만성적으로 노출되기 쉬워 이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요구된다. 3) 이산화탄소 연소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탄산가스 농도를 증가시키는 원인은 인 간의 호흡에 의해 배출된다고 볼 수 있다. 실내공간에서의 사람수에 영향을 받는 탄산 가스는 공기정화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 탄산가스의 적정 농도를 허용치로 유지하거나 의기를 유입시켜 실내 공기를 희석 시키는 방법이 최선의 방법이다. 이 경우 필요한 의기의 유입량은 실 내에 머무르는 사람의 수에 따라 매우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탄산가스 농도를 허용치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의기의 유입량 은 다음의 식으로 계산한다. Q (m3/h • 명 ) = 실내 허 용 C0 2 농도 Ci (Mm3(m/m33 /)h - •의 명 )기 C0 2 농도 CO (m 3 /m 이 (식 6-1) 여기서
M = 20 (1/ h • 명) =20X 10-3(m3 /h • 명) Ci= lOOOp pm = 10-3 ( m3 /m 3) , Co=300p pm =0.3 X 10-3(m3/m3) 울대입하면 Q= (lo-3)2 -0X (O 1. 03- x 3 10-3) = 02.07 XX 1100--33 =28.6(m3/h , 명) 이 된다. 1 명당 탄산 가스의 발생량인 20(1 /h • 명)은 실내공기가 안정 상태의 양으로, 보통 사무실에서는 이 수치보다 많은 경우가 있 다. 의기의 탄산가스 농도가 300 pp m 이고 보통 실내 탄산가스의 농 도를 lOOO pp m 으로 유지할 때, 필요한 의기의 1 인당 유입량은 식 6 -1 에 의해 29m3/h 정도라고 할 수 있다. 또 한 예로서 어느 사무실에서 20 명이 회의중일 경우 탄산가스 농 도를 700 pp m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의기량은 다음과 같이 계 산된다. 즉 흡연을 고려하여 회의시 1 명당 탄산가스 발생량을 35(1/ h • 명)로 하고, 유입되는 탄산 가스 농도는 350 pp m 으로 가정하면 실 내 공조용 송풍 공기 중에 유입되는 의기량은, Q=百M= 죠 에서
M=35 (1/ h • 명) X 20 명 x 10- 3( m 3/I) =0.7 ( m3 /I ) Ci = 700p pm = 0.0007 (ml /m l ) Ca= 350p pm =0.00035 (m3 /m 3 ) Q= 。 . 0007 ―0. 7~ =2ooom 3 /h 죽 의기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량은 1 시간당 2ooom3 가 필요하다고 할수있다. 6-1-3 인간의 활동 1) 분진 분진에 의한 피해를 감소 또는 예방하기 위해서는 실내환경의 분진 오염도를 수시로 측정하여 환경 관리의 기초 자료로 삼고 실내 거주 자에 대한 역학 조사 및 정기적인 건강 조사 등이 뒤따라야 한다. 특히 지하상가의 분전 발생 감소를 위해서는 지하상가의 건설시 건 축 시공 전에 실내환경의 영향 평가와 같은 종합적인 환경 계획을 세 워 충분한 검토를 한 후 시공하도록 법제화해야 할 것이며, 전문인력 울 배치하여 정기적인 측정 조사와 시설의 보완 등을 실시한다. 또한 분전의 비산울 억제하도록 적절한 환기 시설의 설치와 정비를 들 수 있으며, 청소시에는 분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 청소를 하거 나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지하주차장의 경우는 차량의 배기 가스로 인한 인체 피해를 막기 위해 기사 대기실을 주차장과 분리시 킨다. 이와 같이 부유 분전의 저감 대책을 위해서는 석탄, 벙커시유 등 부유 분전 발생량이 많은 연료를 도시가스로 대체하고, 연료 시설과 연소 방법을 개선하는 한편, 분전의 실내 유입 발생원을 철저히 관리 해야한다.
2) 환경담배연기 환경담배연기로 인한 실내공기질의 개선은 우선 각 개인의 금연 의 식이 최적의 대체 방안이나 이룰 뒷받침하기 위해서 보다 실질적인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흡연자 자신의 노력과 주위 사람의 경각심 이 함께 공존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방 과 대책만으로는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시킬 수 없다. 따라서 개인 의 노력뿐 아니라 행정기관등 모두가 간접흡연의 피해에 관한 중요성 을 인식하고 , 흡연 요인들을 파악, 분석하여 금연 대책을 시급히 강 구해야한다. 6-1-4 생활용폼 1) 미생물성 물질 화분 pol len, 세균, 곰팡이 , 각종 알레르기성 물질 allerge n , 식물의 홀씨 등은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항원으로 밝혀졌으며, 공기 중 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포자, 곰팡이, 균류와 같은 미생물성 물질들 은 다습하거나, 환기가 불충분하면 그 농도는 증가하게 되므로 환기 량을 증가시켜 미생물성 물질을 제거하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레지 오넬라균을 발생시키는 냉각탑의 청소, 덕트 du ct내의 청소, 각종 생 활용품인 에어콘, 진공청소기, 복사기등의 사용시는 주의 사항을 정확 히 이해하고 알맞게 사용함으로써 미생물성 물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2) 유기용제 대부분의 유기용제는 우리 생활속에서 방향제, 스프레이, 머리 염 색약, 살충제, 나프탈린 등의 용품에서 발생될 수 있다. 유기용제는 건강 장해뿐 아니라 화재 및 폭발 사고의 위험성도 있으므로 이에 대
비해야 한다. 특히 벤젠과 이황화탄소 등을 방출하는 실내오염원은 독성이 강하므로 비교적 약한 것으로 바꾸어 사용히는 것이 바람직하 다. 전체적으로 생활용품 속에서 적절한 사용과 대비책이 요구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건축 자재와 인간의 활동에 의해 발생되 는 오염물질의 관리 대책으로는 환기 설비 운영을 점검하고, 실내 및 지하 환경내 위생 관리 및 환기 설비 기준을 통일된 관계 법규를 현 실정에 맞게 설정하여 근본적으로 환기 설비의 정상적인 운영이 유지 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정기적으로 실내 거주자를 대상으로 실내 환경오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각종 홍보 활동을 통하여 주민 스스로 깨끗한 지하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6-1-5 기타 1) 악취 악취 공해는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그 성질상 측정이나 평가 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악취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감소시키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악취를 방지 또는 제거하기 위해서는 악취 물질의 종 류와 처리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을 선택해야한다. 악취를 방지하기 위하여 채택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두 종류로 분 류할 수 있다. 첫째는 농도를 감소시켜 취기를 약하게 만들어 불쾌감 울 줄이는 방법이며, 둘째는 악취를 내는 물질의 질을 변화시키거나 위장시켜서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느낄 수 없는 냄새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첫번째 방법은 악취를 배출원에서부터 줄이는 방법으로 연소, 홉 착, 흡수 등에 악취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과 통풍 등을 이용하여 악
취를 희석하는 방법 등이 있다. 통풍 및 희석을 통한 방법은 악취가 나는 공기를 통풍 시설을 통하여 한 곳에 모아 높은 굴뚝을 통하여 방출시킴으로써 대기 중에 악취 물질이 분산, 희석되도록 하는 방법 이다. 두번째 방법은 연소나 산화 등의 방법에 의해 악취를 내는 물질을 악취가 나지 않는 물질로 화학 변화시키는 방법과 방향성 물질의 강 도를 증가시켜서 원래의 나쁜 냄새를 위장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위장에 의한 방법은 소극적인 방법으로서 악취를 직접 수거하는 대신 방향성이 강한 물질로 악취를 위장 Mask i n g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된 다. 보통 나프탈렌, 디클로로벤젠 Dic h lorobenzene 등이 많이 이용되 고 그 밖에 레몬류, 각종 수지류, 알코올, 향수 등도 사용된다. 악취 방지를 위한 대표적인 악취 방지법을 제시하면 ® 연소탈취방법 Flame Combusti on Meth o d ® 오존산화법 Ozone Meth o d ® 이온교환관능법 Ion Exchang e Resin Meth o d @ 전극법 Electr o d Meth o d ® 흡수법 Absorpt ion meth o d ® 흡착법 Adsorpt ion meth o d 등이 있다. 그러나 이같은 방법은 악취 물질의 종류에 따라 효과가 다르므로 가장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2) 소음 실내환경의 소음 관리 대책으로는 소음 전파 경로를 차단하는 방법 을 둘 수 있다. 차음 구조물로서 소음의 특성에 맞는 홉음 및 차음제 롤 사용해야 하며, 건물의 담장이나 나무를 이용하여 적은 비용으로 소음울 감소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또한 병원, 학교, 도서관 등 의 건물은 차음 효과가 크도록 하는 구조로 만들어야 하며 각 건물의
적절한 배치 계획도 중요하다. 3) 전리방사선 ®시설과관리방법 차폐 시설의 설치 선원에서 방사선이 나오지 않도록 선원과 작업자 와의 사이에 차폐물을 설치한다. 차폐물은 전리방사선의 종류와 에너 지 등을 고려해서 재료와 두께 등을 정한다. 알파선, 베타선에는 엷 은 알루미늄판이나 철판 또는 두께 4mm 정도의 초자판이면 족하다. 엑스선, 감마선에는 연판을 사용한다. 감마선은 엑스선보다 투과력이 크므로 철, 콘크리트 벽을 두껍게 한다. 방사선이 흡수되는 정도는 원자보호의 玲쩨 비례하고 또 두께와 밀도에도 비례하므로 연 (원자 번호 83) 이 흔히 쓰이는 것이다. 또 위험한 장소에서는 일할 때는 연 함유 고무로된 방호의를 칙용한다. 원격 조정 엑스선, 감마선은 거리의 2 승에 비례해서 약해지므로 방사선에서 가급적 떨어져 작업해야 한다. 알파선, 베티선 방사선 물 질에 의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서도 원격 조작이 유리하다. 조사 기간의 단축과 피폭선량의 측정 피폭 시간을 단축시키는 의미에 서 조사 기간을 짧게 해야 하며 막 배지 F il m badg e, 포켓선량선 등으 로 피폭선량을 측정해서 개인이 허용 선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관리한 다. 취급 방법 피부 노출을 피한다. 국소 배기 장치가 가동되는 글로브 박스 Glove box 등을 이용한다. 상면이나 벽의 오염을 방지해야 하 고 흡연, 식사 전에는 반드시 세수를 해야 하며 작업 종료 후에는 표 면 오영의 유무를 확인하는 등 방사선물질이 체내에 들어가지 못하도 록만전을기해야한다. ®건강관리 실내에서 직업적으로 방사선 장해를 입을 위험이 있는 작업자에 대
해서는 정기 건강 전단을 실시하고 특히 백혈구 수 4ooo/mm3 이하 를 요양이 필요한 사람으로 또 4100~ 5ooomm3 를 요주의자로 간주하 는 등 지표를 설정해서 건강 관리를 실시한다. 4) 비전리방사선 자외선 자의선의 허용 기준에 대해서는 미국립산업위생사협회가 발표한 것이 있다. 자의선에 대한 빙어에서 주의할 일은 용접 작업 부근 부서에서 다른 작업에 종사하는 작업자를 보호하는 일이며 차폐 물 등으로 구획을 친다. 자의선용 차광 보호구는 성능, 구조, 차광 능력이 규정되어 있으며 적의선 차광 성능까지 갖춘 것은 일반 노작 업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근자의선 (320~400mm) 이 보호되지 않는 피부 또는 눈에 조사될 때 폭로 시간이 103 초(약 1~- )이면 조사량은 lmW/cm2 울 초과해서 는 안 되며 , 1 여온 이하의 폭로 시간이면 1J/ cm 2 울 넘어서는 안 된 다. 화학자의선 (200~315mm) 에 보호되지 않는 피부 또는 눈에 조 사될 때는 인간 동안 허용치를 넘어서는 안 된다. 적외선 적의선의 허용 기준은 정해져 있지 않다. 발열체에서 방사 되는 적의선은 열전대를 사용한 보사계나 광전관식 적의선계로 측정 한다. 적의선으로 인한 안 장해에는 차광 보호구로 방호한다. 레이저 광선 레이저의 허용 기준에 관해서는 미국립산업위생사협회 에 의해 기준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작업 기준이나 안전 대책을 준 수해야 한다. 건강 관리는 직력, 작업력의 기록에서 시작하고, 취업 할 때와 매 6 개월, 이직시 건강 전단을 실시해야 한다. 안질환, 1 안 실명, 양안 시력 0.5 이하는 레이저 작업 부적격자로 친다. 안과 검사 로는 안건 의안부의 시진, 산동시의 중간 두광체 및 안저 검사, 시력 검사, 입체시 검사를 한다. 피부 과학적으로는 각화 이상, 이상건조, 색조 침색, 종양, 광과민성 피부 질환의 유무에 유의한다. 또한 혈압
측정 , 혈구 검사, 출혈성 소인의 검사도 실시하여 레이저 광선의 예 방에 대처한다. 마이크로파와 라디오파 미국립산업위생사협회의 허용 기준 (1977 년) 에 따르면 1omV/cm2 에서는 전피폭 8 시간 근무 중 어느 6 0¾간이라 도 1 時브보다 길지 않도록 조절하여 25mV/cm2 를 초과할 때는 허용 하지 않는다. 초단파의 허용치는 100MHz 에서 100GHz 범위의 주파 수를 가전 초단파에 적용되며 계속 노출되더라도 건강 장해를 일으키 지 않는다고 생각되는 한계를 표시한다. 이 허용치는 초단파에 노출 되는 것을 규제하는 지침으로 사용하되 안전과 위험의 경계선으로 생 각해서는안된다. 이상에서 주요 오염 발생원을 기준으로 각각의 오염 물질에 대한 방지 대책을 설명하였다. 근본적인 쾌적한 실내환경은 건물 구조, 건 물 구조의 설계, 건물의 지리적 위치, 건물 관리의 기술, 거주지들의 활동 상황 및 건물내에서의 환경 조건 등에 의해 좌우된다. 특히 빌 딩증후군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는 환기 시설의 강화, 실내공기 오염원의 제거, 빌딩의 공기 공조 설바에 대한 검사 강화, 실내공기 오염을 담당한 행정기관의 부설, 실내공기질의 중요성에 대한 환경 교육의 필요성 등이 요청된다. 한편 최근 구미 선진국에서는 빌딩증후군의 증가에 따라 빌딩의 공 기질을 관리하고 예방 및 전단, 처방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실내공기 질의 관리 업무를 맡는 빌딩 진단업이 등장하고 있다. 대체로 실내공 기질을 파악하기 위하여는 첫째, 빌딩 관리 업무를 파악하고 둘째, 빌딩내 근무자를 대상으로 각종 질문지 조사(일반 사항, 근무와 관련된 배경 조사, 근무 조건, 빌딩증후군에 관련된 증상, 현재의 신체 조건 등) 를 시행하고, 셋째, 공기질의 측정, 넷째, 환기량의 측정, 다섯째, 빌딩내 근무자를 대상으로 특수검진 및 특수물질에 대한 측정을 실시
하여야한다. 또한 최근에는 실내공기오염을 감소하기 위한 신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공기 중의 오염원 제거, 오염물질에 의한 노출 등울 최소화 시키는 것이다. 쾌적한 실내공기질을 유지하기 위하여는 건물내의 기 후 조건,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최적의 공기청정체계 air cleanin g s y s t em 를 적용해야 한다. 따라서 실내공기오영의 적절한 관리를 위하 여는 실내오염 물질의 양을 감소시킴은 물론 냉방, 난방과 관련된 에 너지 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는 최적의 청정 기술을 실내공기질의 측 정과병행해야한다. 6-2 실내공기오염 제어 대책 건물의 실내환경은 건축물의 구조, 건물내의 생활 환경, 건물의 지 리적 위치, 건물 자체내의 환경 조절을 위한 장치 및 환기 시설 등에 의하여 좌우된다. 가장 이상적인 실내환경은 실내에 거주하는 · 사람이 최대한 쾌적한 기분을 가질 수 있는 조건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실내 환경 특성에 맞는 허용 기준을 정하여 시행하는 것이 우선이다. 또한 실내공기오염의 예방 대책에는 흡연 장소의 축소, 금연운동 전개, 건 축 방식의 개선도 포함된다. 실내공기오염에 대한 제어 방안으로 크게는 실내공기오염의 발생원 을 제거 또는 대체, 개선, 환기, 공기청정기 등에 의한 공기청정, 행 동 양식의 적응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 중 환기는 실내공기오염 제어 방법 중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 미 국에서는 건물내 환기 시설이 총 에너지 소비의 50~60% 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미국 국립표준연구소, 미국 재료검사학회, 미국 냉난 방공조학회, 미국 기계공학학회 등에서 설정한 표준에 의거하여 각
건물의 특성별 환기 시설의 기준을 정해 놓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학교, 병원, 실험실, 일반 주택은 건물 특성에 알맞는 환기 장치가 요구되는 건물이다. 6-2-1 오염원 제거 및 개선 환기되는 공기와 실내 공기가 순간적으로 혼합된다고 가정하면 실 내공기 오염물질의 농도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v 탑= G + Q요- Qe C-Q r ErC (식 6-2 ) c: 오영물질 농도 v물 :시 간에 따른 공간내에서의 오염물질 양의 변화(g /s) G : 오염물질의 일반적인 발생량(g /s) Q.c . : 유입되는 공기가 공간에서 발생시키는 오영물질의 양(g /s) Qs : 유입량(시간당 부피), c. : 유입 농도(단위부피당 질량) Q,C : 배출 공기로 인해 공간내에서 제거되는 오영물질의 양(g /s) Qe : 배출량 (시간당 부피), C : 농도(단위 부피당 질량) QrE rC : 여과로 인해 공간에서 제거되는 오염물질량(g /s) Qr : 필터의 제거 효율, Er : 오영물질이 제거되는 필터, 장비, 수송관을 지 나는 공기 부피 평형상태조건 (V.dc/d t =O) 에서 G, Qs, Qe, Er, Cs 가 싱수라 가 정하면 오염 물질 농도 (C) 는 식 6-2 에서 다음과 같이 치환된다. C= QGe ++QQ srC E sr =B4 (식 6-3 )
A : 내부 발생 및 의부 유입으로 생성되는 공기오영물질의 총량 , G+Q S G B : 배출 및 여과를 통해 제거되는 공기오염물질의 총량, Qe +Q r Er 식 6-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농도를 조절하는 네 가지의 중요 척도는 오염원 강도, 공기 유입, 공기 배출, 공간상 의 제거이다. 그러므로 다음의 네 가지 접근법은 실내공기 오염물질 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데 필요하다. 그러나 이 방법이 항상 실행 가 능한것은아니다. ® 오염원 제어 및 대체 (오염물질 발생량 G 를 감소) ® 희석 환기 (깨끗한 공기로 오염된 공기를 희석시킴, QsC s 를 감소) ® 국소 배기 (오염된 공기 배출, QeC 를 증가) @ 공기 청정 (Q rErC를 증가, 즉 청정 기술을 이용한 공간내 공기 중 오염물질 제거) 건물내 공기오염은 건축 자재, 가구, 장식품, 건물내에서 사용되는 소비재, 복사, 다양한 인간 활동 등에서 발생하므로 오염원이 없는 환경을 만든디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건물 사용자들은 건물 설계자나 건축가에 의해 채택된 건축 자재에 대해서는 제어할 수 없 다. 그러나 최근 들어 오염물질 방출률이 낮은 자재들이 생산되기 시 작했고 건축가들은 건축시 위해성 건축 자재의 사용량을 줄이고 있다 (Small, 1983). 이러한 건축가들의 관심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방출 하지 않는 페인트나 내장재, 자극성 섬유를 포함하지 않은 절연재 등 잠재적 자극성 물질의 함유가 낮은 건축 자재의 사용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추가적 건설비를 초래하고 건축 자재의 오염원 강도에 관한 정보 또한 제한적이다. 특히 석면과 포름알데히드롤 방출하는 건축 자재의 사용은 대체 건축 자재의 개발과 사용이 기대된다. 또한
일부 건축 자재와 소비재에 대한 지침이 최근에 공표되어 몇몇 대형 회사들은 상업용 건물의 개조시 솔벤트 페인트, 에폭시 등의 마감재 사용을 억제하고 있고 산업용 건물내에서의 독성 화학 물질 방출 자 재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오영원을 제어하려는 이러한 접근은 건축 자재의 오염원 강도에 대 한 정보가 제한되어 있고, 상업용 건물에서는 일반적으로 주거용에 비해 높은 환기를 하므로 이러한 건축 자재가 폭넓게 이용되지 못하 고있다. 6-2-2 오영원 변형 오염물질에 의한 노출은 오염원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때 오염원 변형을 통해 감소시킬 수 있다. 오염원 강도는 검인기 sealer 의 이용, 사용 빈도수 감소, 공간 특성의 개조로 수분 mo i s t ure 의 예에서처럼 화학적, 물리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오염 노출은 오염원의 재 배치와 재분산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로 특정 장소에서의 흡연 제 한은 환경담배연기에 의해 직접적인 침입을 받는 공간의 수를 줄인 다. 소수의 장소에 흡연자들을 모으는 것은 개인적인 환경담배연기 폭로량을 명백히 줄일 수는 있으나 완전한 비흡연 환경은 아니다. 흡 연 지역은 건물내 다른 지역으로부터 순환 공기가 재순환되는 공기공 조 HVAC-Heati ng , Venti la ti ng , and Air -C ondit ion in g 시스템을 사용 한다면 환경담배연기 폭로가 발생하는 것에 비해 무흡연 경향의 지역 이 될 것이다. 많은 현대 건물들은 50~85% 의 공기를 재순환시키며 상업용 항공기도 기내 공기의 50% 를 재순환시키고 있다. 바흡연자가 간접흡연에 노출되는 공간에서의 흡연자와 비흡연자를 단순히 분리시 키는 방법은 감소하고 있으나 완전히 없어지지는 않았다.
6-2-3 환기 1) 희석환기 희석환기는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위해한 정도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실내공기를 신선한 의부 공기로 교체시켜 오염물질의 농 도를 줄이는 것이다. 이 방법은 건물, 학교 , 공공장소, 다세대 주태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잠재적인 악취나 자극성 화합물을 낮 은 농도로 만들어 쾌적한 환경울 만드는 것이다. 일반적인 환기는 국 소배기로 보완되고 있다. 미국 냉난방공조학회 환기 지침은 신선한 의부 공기를 이용하여 오 염된 실내공기를 희석시키는 방법을 그 기초로 한다. 최근들어 의부 공기 공급을 위한 최소 환기 규정이 설명된 미국 냉난방공조학회 기 준치 (ASHRAE sta n dards 62-1989) 는 악취를 포함, 예상되는 오영물 질 강도, 사용자 쾌적성을 추가한 법령의 기초가 되었다. 연구자들은 발생량을 알고 있는 오영원에서의 오염물질 농도를 허용 농도 이내로 감소시키기 위해 환기시키는 공기량을 물질수지 massbalance 접근법 에 의해 계산하여 오염을 희석시키고자 한다. 그림 6-1 은 환기되는 공간에서 희석공기의 〈 바람직한 혼합 goo d m i x i n g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채용하거나 피해야 할 설계 기술들이 다. 측정치와 모델 결과치 사이의 양적인 차이는 〈혼 합 〉 과 〈 환기효 율 〉 인자를 반영한다. 적어도 2 개의 다론 혼합 인자와 9 개의 다른 환 기 효율 인자가 제안되고 시도되었다. 이러한 모든 매개변수들은 혼합과 환기 효율이 실내공기 오염물질 울 제어하는 데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매개변수들은 복 잡한 과정과 측정 기간에서의 기하학적, 온열 조건, 기상 조건의 다 양함을 보여 준다. 희석환기를 위한 의부공기량을 구하는 데 사용되 어온 접근법은 방문자의 80% 가 들어가는 장소에서의 악취를 느끼지
..I \.. \I< ,I r ■■ —
않을 정도로 환기량을 결정하는 허용 악취 수준에 기초한다. 필요 환기량의 산출은 일반적으로 실내에서는 일정량의 오염물질을 배출하고 있으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도 오염물질이 있고, 의 부로 배기되는 공기 중에도 오염물질이 포함된다고 할 때 실내공간에 서 오영물질이 유출입하는 물질수지는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v&dt + M dt - V iC jd t = R dcj (식 6-4 ) v,• : 실의로 유출되는 공기량 (m3/hr) v。 :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량 (m3/hr) Cj : 실내오영농도(µg /ml) c 。 : 실의오영농도(µg /ml) M : 오염물질 배출량 (m3/hr) R : 실용적 (m3) 실내에서 유입하는 공기량은 유출되는 공기량과 같으므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M— V( C;-C 。 )}d t =R dC ; (식 6-5) 이를 시간과 농도의 변화에 따라 적분하면 식 6-6 을 얻을 수 있다. f광=f M_ 겁 8,-C 。) _ v{=In{M— V( C,_c 。 )}1:: M-V (C;-C 。) ={M— V( Ci _ c 。)} exp (-V t/ R ) (식 6-6 ) 여기에서 초기 농도 Co 를 의기 농도와 같다고 가정하면 식 6-7 이 된다 M-V (C;-Co) =M exp ( -Vt/ R ) v= M(1-eCx jp― ( c -。 V t/ R) (식 6-7) 또한 실내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고 가정을 하면 식 6-8 을 얻을수있다.
M-V(C, - Co) = O V= C, ―M c 。 (식 6-8) 또한 실내에서의 오염물 배출이 없다면 석 6- 연卜 얻을 수 있다. V(C,-C 。) = V(C 。 -Co) exp (— Vi/R ) v= -2.30t3 R log cC, 。 ·--CC 。。 (식 6- 9 ) 식 6- 吐근 실질적으로 환기되는 양을 측정하는 데 이용하는 식이며, 일정 농도를 유지해야 할 경우에는 식 6-8 을 사용하게 된다.
표 6-1 미국 냉난방공조학회에서 정한 필요 의기량 기준 I) (m3/h/ 인 )2) 시설명 최소치 1973 추계치 추계치 1981흡 연실 1989 식당 18 27~36 12.6 63 36 바,칵테일러운지 54 63~72 18 93 54 호텔회의소 36 45~54 12.6 63 36 사묘 27 27~45 9 36 36 사문회의소 45 54~63 36 63 36 소매상 12.6 18~27 9 45 0.0 3 6~ 0. 5 43) 이용원 45 54~63 36 63 45 디스코데크 27 36~45 12.6 63 45 국장,카바레 9 9~18 12.6 63 27 역대합실 27 36~45 12.6 63 27 교실 18 18~27 9 45 27 병실 18 27~36 12.6 63 45 주택 9 12.6~18 18 18 o.354) 흡연실 144 주 1) Jan ssen JE. Venti lat i on for accep tab le air q u ali ty. A SHTE J. 10. 1989 2) 10 cfm =1Bm3/h 3) cfm =LBm3/h 4) 주택환기 회수 (b-) 표
최근 미국의 냉난 U갑 공조학회에서는 (1989 년) 1 인당 필요한 최소 의 기량을 9m3/hr/ 인에서 27m3/hr/ 인까지 증가시키고, 흡연실과 금연 실을 분리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필요한 의기량을 설정하였다. 각 실 내환경에서 필요한 의기량을 보면 표 6-1 과 같다. 최근 덴마크 공대의 Fange r 교수에 의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실내 공기 오염원으로서 취급되지 않았던 공조환기 설비가 공기질 오염의 주요한 원인으로 밝혀졌고, 그는 실내 공기질과 환기에 관한 쾌적방 정식을 새로운 단위 〈 오염부하 ol f)와 〈 지각성 공기질 de cip ol 〉 에 기초 하여 개발하였다. 이 쾌적방정식은 오염부하가 있는 어떤 공간에서 필요한 지각성 공기질을 얻기 위해 필요한 환기량을 제시하는 데 오 염부하와 지각성 공기질이라는 새로운 단위에 의해 사람이 지각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공기 중의 오염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려는 시도이 다.
「 de cip ol 」 0.0 1 0.1 1 10 100 옥의공기 (산간) 옥의공기 (도시 ) 건전한 빌딩 빌딩증후군 그립 6-2 지각성 공기오영에 대한 지각성 공기질 스케일의 특칭적인 레벨의 예 불쾌도, 죽 일정한 불쾌자의 비율을 나타낸다. o lf와 decip o l 단위를 사용해서 필요한 의기량을 구하면 아래와 같 다. c,.=C 。+웁 (식 6-10) ci : 실내의 지각성 공기오영 decip o l(=O.lpo l ) c 。 : 의기의 지각성 공기오염 deci po l(=O. lp o l ) G : 공간과 환기설비의 종합등가 오영강도 (ol f) Q : 의기공급량(l /s) 필요한 환기량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Q =l °c흔已 (식 6-11) C 놈 불쾌자율 (PD) 을 이용해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C;= 112 (In (PD)-5.9 8 ) 기 (식 6-12) 표 6-2 는 오영 발생원에 대한 오영부하 값의 예이다.
표 6-2 오영 발생원에 대한 o lf값 오영발생원 olf 앉은 상태의 인간 1 met• 활동 상태의 인간 4 met 5 활동 상태의 인간 6 met 11 흡연자(흡연시) 25 흡연자(평균) 6 사무실내 바닥 0~o.5 olf /m 2 * 단위 me t는 열적으로 쾌적한 상태에서 안정시의 대사량을 기준으로 한 것. 1 met= 50 kcal/m2h
2) 국소 배기 국소 배기는 발생된 공기오염이 실내에서 확산되기 전에 포착하여 국소적으로 실내환경을 개선하도록 하는 것으로 경제적이고 합리적이 어서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국소 배기법의 장점은 배기 조 절 장치의 적합한 배치와 공급격자가 공간을 통해 마개흐름p lug-fl ow 울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공기 유동은 주어진 공기 흐름으로 공기오염물질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고, 에너지 보존에 효 과적이며, 여러 장소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 배기 장비는 흡연실, 프린트실, 전산실, 산업 공정과 같은 오염물 질이 연직의 충을 이루는 경향의 장소에서 좋은 결과를 가져왔고 연 소 배출물과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부력기류로 올라가는 주 방계서도 적합하다. 국소 배기 장비는 주거지, 상업용 건물, 산업 현 장게서 유용하게 이용된다. 국소 배기 설계의 목적은 수집 효율을 최 대화하고 필요한 공기량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국소배기를 이용하는 기본적인 원리는 다음과 같다. 공간은오염물질울고립시켜 배출시키기에 적당하게 설계되어야한다.
공간은 또한 재순환 공조시스템 recir c ulati ng air h andli ng sys t e m 의 가동 중지시, 공기오염 물질이 건물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지 않아 야한다. 배기 조절 장치 , 구성 공급 공기 makeup supp ly a ir , 인접 실내 압 력등 모두가 배기 시스템의 올바른 작동을 위해 중요하다. 유입 공기 가 곧바로 배출 공기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급기와 배 기에 있어 중요하다. 시스템을 위한 배기팬은 건물내의 부(-)압하에서 오염물질을 수송 관으로 수송하기 위해 의부 또는 의부와 가까운 위치에 설치해야 하 고 수송관과 연결 되지 않으면 정 (+)압하에서 공기오염물질의 누출 이 발생한다. 배기 시스템은 배출된 오염물질이 재유입되는 것을 피하게 설계되 어야한다. 6-2-4 공기청정 공기청정은 공기 중의 오영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의 대기는 각종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있어 공기청정 장치를 사용하여 도입되는 의부 공기를 정화시켜야 한 다. 공조 설비를 갖추고 있는 일반적인 건물에서도 실내에서 발생되 는 오염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재순환 공기에 대해 공기청정 장치가
표 6-3 실내공기 오영물질의 종류와 제거 방법 오염물질 제거 방법 입자상 물질 여과법 침착(열적, 정전기적)법 갸스상 물질 흡착법, 흡수법, 소각법 (직접소각법, 촉매산화법) 부유미생물 여과법,가열살균법,소각법,오존살균법,자의선살균법
요구된댜 따라서 최근에는 가정을 비롯한 일반 사무 4길 에까지 실내 공기 조화용의 공기청정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첨단 산업 시 설, 의약품, 병원 등에서 오영된 공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클린룸 Clean room 이 사용되고 있다. 실내의 공기오영물질을 입자상 물질, 가스상 물질, 부유 미생물의 세 종류로 분류할 때 각각의 제거 방법은 표 6-3 과 같다.
표 6-4 공기청정 장치의 성능별 분류 및 개요 공기청정 공기청정 장치 적용 분진 장치의 혀o A-, 1 분진 보又 l 닙]고 성능별분류 입경 중량 자동경신형 롤필터 (건조여재) 5µ m 500~ 고성능에어필터 조집용 밀티판넬형 필터(자동세정) 이상 2000 정전기 공기청정장치 에어필터 정기세정형 판넬필터 (건식여재 ) g/m 3 등의 전기필터로서 사 여재교환형 판넬필터 (건식여재 ) 용한다. 여재점목형 필터 lµ m 300~ 여재절곡형의 중성능 중성능 디프베드형 필터 이상 800 필터의 여재면적은 필 에어필터 취출형 필터 g/m 3 터 전면적의 10~201 :I~ 의 것이 많다. 여재점목형 필터 lµm 70~ 여재절곡형의 고성능 고성능 디프베드형 필터 이상 250 필터의 여재면적은 필 에어필터 취출형 필터 g/m 3 터 전면적의 20~40 배 의 것이 많다. 여재철곡형 필터 lµm 50~ 여재절곡형의 초고성 초고성능 이하 70 능 필터의 여재면적은 에어필터 g/m 3 필터 전면적의 50~60 배임. 정전기식 2 단하전식 정기세정형 lµ. m 600~ 공기청정 2 단하전식 여재집진형 이하 1400 장~ 1 1 단하전식 여재유전형 g/m 3
일반적인 공기청정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입자싱- 물질 제 거용으로서 에어필터, 전기집진기가 있고, 가스상 물질 제거용으로 활성탄필터, 부유 미생물 제거용으로서 고성능 이상의 에어필터, 살 균등, 오존방식 등이 있으며, 이것들은 오염물질 발생 지역에 독립적 으로 설치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 장치내에 장착되어 사용 되는 경우가 많다. 공기청정 장치의 종류를 분전포집별로 분류하면 표 6-4 와 같으며. 최근에는 음이온을 생성시켜 양이온을 형성하는 각
표 6-5 오염원과 발생 오염물질에 따른 제어 방법 제어방법 대표적오염원 오염물질 설비 및 재질선택 환7 ] 설계 거주자주의사항 주택 밀의 라돈, 낭 방습기 (100% 의 마루밀, 구 발생원 근처에서 환 흙 돌(기초 핵 낭핵 방습성 요구 및 덩이, 석판 기를하고방취제 및 의 결함으로 원소, 유 동풍구설치) 믿등의 환 괜fa퍼끌설치한다 생긴 톰, 구 기수분 기 멍으로유입) 급or 라돈 세정차콜 통풍시 욕실환기 세정기 및 통풍기 관 스템 리 건물단열재 석면 봉함제로 표면코 전문가의 지침에 따 및파이프 팅 른다(호흡기 계동의 피해) 건축자재, 아 포름알데 성분양호한 재질 주택환기 최근에 지은집의 각 교, 칩보드, 히드 사용방취판사용 별한주의및환기 유리섬유, 마 철저, 환기 시설 관 스킹, 베니어 리 판, 가구 먼지, 곰팡 미생물성 방습성 셸자재 및 욕실과 부 냉장고나 정화기의 이,진균,박 물질 방습기 설치, 습 엌 환기(상 수분제거 및 필터를 데리아, 바이 기를 빨아들이는 대습도가 교환한다 러스,바듬 덕트설치(응축하 35~50% 지 않는상태로) 인 장소)
제어방법 대표적 오영원 오영물질 설비 및 재질선택 환7 l 설계 거주자주의사항 헤어스프레 유기수분 대체물질사용 특별한 공 제품의 라벨에 있는 이, 페인트, 간내의 환 유의사항에 따른다 아교, 살충 기 제, 향수, 방 취제 밀폐형가열 Ol 산화질 거주공간에서 사 대체한다 기, 석유 및 소, 이산 용치않는다 갸쓰감로, 벽 화황, 일 적절한굴뚝사용 적절한 연 상승기류를 좋게한 난로 .산,.,.l.._. ,화 탄건u 및기 주충입분 한연소공 소여 상태 부 다 진, 방향 족, 알데 히드 담배 분전, 니 배기장치설 흡연구역을 따로 구 코틴, 가 치 분하여둔다 스성물질 가스스토브, 일산화탄 자동조절장치 사 후드및괜 주방및 실내에 괜을 버너 소, 이산 용 설치 설치하고 가급적 장 화질소 기적 사용을피한다 의부공기 유 분전, 가 적절한구역에 홉 발생되는 장비의 최적 운전조 oul 스성물질 입 및 배기구를 부근의 환 건을유지토록한다 설치한다 기장치 설 六 l
종 오염물질들울 중화 neu t ra lli za ti on 침전시켜 제거하도록 하는 음이 온산소방출기의 형태도 있다. 일반 공조용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분전용 공기청정 장치의 원리는 여과식과 정전식의 두 종류로 크게 분류할 수 있으며, 그 의에도 여
과석의 한 종류인 충돌집착식을 둘 수 있다. 보수 방식으로서는 여제 교환식, 유닛교환식, 자동갱신식, 자동세정식, 정기세정식 등이 있으 며, 정전식과 여과식을 조합시킨 정전여과식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염 제어 기술은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종류와 오염 발생원에 따라 표 6-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우 다양함을 나타 낸다. 6-3 실내환경 기준치 설정 6-3-1 의국의 실내환경 기준 실내공기질에 대한 문제의 발생 배경은 각종 산업 분야에서 에너지 절약 및 효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으로 건물의 단열을 통한 밀폐화와 에너지 철감 장치를 설치하는 건물이 증가되는 데 비하여 그 건물에 서 생활하는 사람이 그들의 행동 양식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적 합한 절약을 하지 못하는 것이 그 원인으로 시사되고 있다. 근년에는 건물의 인텔리전트화에 따른 사무실 환경의 개선에 따라 실내환경 (온열, 소리, 청정도, 조도를 포함)의 중요성이 실제적으로 대 두되어 국내의적으로 실내환경의 기준치 설정이 제안되기도 하였으 며, 국내에서도 실내환경의 오염 문제가 지하 시설 공간, 사무실, 병 원 등에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특정 환경에서의 실내환경 기준의 설정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대기 환경에서의 환경 기준을 설정할 경우, 먼저 각 오 염물질에 대한 판정 조건 cr it er i a 울 여러 가지 과학적 방법을 토대로 정리하고 그 의에 그것을 오염물질의 폭로량과 영향의 관련성을 평가
하여 지침으로 내놓고 이것을 기초로 지역사회의 공중보건을 보호하 기 위한 장려치 또는 권고치가 나오게 된다. 다음에 이것을 기본으로 사회경제학자, 오염 방지 기술자, 행정관 등아 참여하여 정책적인 고 려를 가미하여 지침치가 결정된 후, 이것을 정식으로 정부기관이 채 용하게 되면 환경 기준이 된다. 이 과정 중 지침에서 환경 기준이 나 오기까지는 안전계수가 고려되어야 한다.
순수한과학적 판단 과학적+기술적, 행정적 판단
행정기관에 의해 채용된 지침치 이상의 단계에서 판정 조건에서 권 고치까지는 과학적, 기술적 전문가에 의한 작업에 기초하고 지침치와 기준치 단계는 행정적인 작업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지침으로부터 추 천치를 도출할 때에는 안전계수를 고려해 넣으나, 이 경우에 건강에 의 악영향의 정도를 몇 단계로 분류해서 등급을 붙이고 있다. 또한 환경 기준은 특정 작업장에 있어서의 작업자에 대한 것과 어린이나 환자 등을 포함한 일반 시민에 대한 것과는 그 규제치는 다르며, 많 은 경우에는 후자의 허용 농도가 전자의 1/10 이하로 되어 있다. 또한 환경 수준에는 건강 보호의 정도로 평가하는 받아들일 수 있 는 조건과 바람직한 조건이 있으며 달성 시간으로 기준을 정하는 단 기 목표와 장기 목표가 있다. 표 6-6 은 주요 오영물질별로 각국의 일반 생활 환경 및 노동 환경 기준치를 나타내고 있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 생활 환경 기 준치는 일반인의 건강과 복지를 고려하여 제정된 기준치로서 대기 환
표 6-6 일반생활환경 및 작업환경 기준치의 비교 오염 일반생활환경]) 작업환경 2) 물질 7] 준치 비고 기준치 비고 lOp pm 일반건축기준법 및 lOp pm 일본사무소위생기준 빌딩위생관리법 칙(노동안전위생법) 20p pm 일본학교위생기준 lOp pm 미국건축법(노동 일산화 부), 공중위생법(보 탄소 사부) 9p pm WH 떠 실내공기질 50p pm 일본 산업위생학회 기준이간평균 허용농도 35p pm WHO 의 실내공기질 기준 1 시간평균 o.o4p pm 일본대기환경기준치 5.0p pm 일본사업위생학회 아황산 1 시간평균 허용농도 가스 o.12p pm WH 떠유럽기준 2.o p pm 한국노동부(이간) {1 시간평균) lOOOp pm 일본건축기준법 및 lOOOp pm 일본사무소위생기준 ASHRAE 빌딩 위 규칙(노동안전위생 이산화 생관리법 법) 탄소 92op pm WHO 의 실내공기주 5000p pm 일본산업위생학회 기준찌간평균 허용농도 o.o6p pm 일본대기기준치 O.l O p pm 일본산업위생학회 오존 0.07~0.09 WHO(l 시간) 허용농도 0.05~0.0 6 WHO( 이간) o.15mg /m 3 일본빌딩위생관리번 o.1 5 mg /m 3 일본사무소위생기준 급1'! 0 건축기준법 분진 o.075mg /m 3 미국 EPA( 연평균) 2~10mg /m 3 일본산업위생학회 ACGIH 0.2lpp m WH 璃유럽기준치 5p pm 산업위생허용농도 이산화 (1 시간 평균) (일본산업위생학회) 질소 O.OSp pm WHO 의 24 시간평균 3p pm 한국노동부(이간) o.o5p pm 미국기준치(연평균)
오염 일반생활환경 작업환경 2) 물질 7] 준치 비고 7l 준치 비고 포름알데 O.l p p m 미국대기기준치 2pp m 산업위생허용농도 히드 4pp m 일본식품위생법 (일본산업위생학회) (HCHO 75p pm 일본가정용폼법 lpp m 호꾹노동부 lOOBq /m 3 WHO 신축주거 lOOOBq /m 3 일본과기청고시 라돈 10Bq /m 3 스웨던 기준(장기) 3700Bq /m 3 미국광산위생국 (Rn) 신축주거 lOp C i/ 1 한국과기처 148 (4p C i/ l) 미국 EPA (원전관련시설) 석면 0.01 (f/c c) ASHAE , 일본대기 2 일본산업위생학회 (AsbeS· 0.2 미국 OSHA tos ) o.~ 영국7 l 준치 0.5 한국노동부(터간) 1) WHO : World Health Orga n iz a ti on (세계보건기구) EPA : Envir o menta l Prote c ti on Ag en cy (미국환경 청 ) 2) ACGIH :Am eric a n Confe re nce of G ovennenta l Industr i al Hy gien is t (노동안전위생법) ASHRAE :A mercan Soci ety of Heati ng Refr ige rati on and Air -c ondi- tion in g En gi neers( 미국냉난방공조학회 ) OSHA : Occup at io n al Safe t y and Health Admi ni s tr a ti on (미국소법 안전보 건청) 일본 : 후생성 공중위생법, 건축법 한국 : 노동부 산업안전보건법, 보사부 공중위생법
경 기준을 비롯한 일반 생활속에서의 환경 기준을 나타내며 노동 환 경 기준치는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기준치라고 할 수 있다. 예로서 일본의 경우 일반 생활 환경 기준치에는 건축기준법 (1950) , 통행장법 (1950) , 여관업법 (1948) , 학교보건법 (1958) , 식품 위생법 (1957) , 공해대책기본법 (1967) ' 건축위생법 (1970) 등에 의한 생활 환경 기준치가 제정되었고 노동 환경 기준치는 노동안전위생법
(1972) , 사무소위생규칙 (1972) , 특정화학물질 장해예방규칙 (1972) , 일본산업위생학회의 허용 농도 등을 제시하고 있다. 실내환경 기준의 설정은 다양하고 복잡 미묘한 실내환경과 실내의의 기상 조건 등으로 단기간 내에 설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최근 1988 년에 미국에서 설정된 실내 라돈방지법은 1991 년 3 월 10 일 상원에서 가결되어 그 후에 주택을 파는 사람에게 라돈에 관한 정 보를 제공하도록 규정하였으며, 1993 년 3 월 미국의 상원의원은 실내 공기질에 관한 법을 제한하여 기존의 실내공기 법령을 강화한 것으로 1992 년에서 1996 년 사이에 실내오염 방지 교육, 기술 개발, 빌딩관 리법 등에 총 4850 만 달러의 예산을 배정하는 것으로 새롭게 강화된 법령화를 시도하고 있다. 6-3-2 국내의 실내환경 기준 각국의 실내오염물질에 대한 기준치는 실내 시설물의 특성과 담당 행정기관에 따라 다르게 정해져 있으며 우리나라는 분전 (TSP), 중 금속,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석면, 라돈, 유기용제에 대하여 환경처 지하 공간 권고치가 있으며, 보사부 의 공중위생법에 의하면(보사부, 1990)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의 기 준치가 설정되어 있고, 노동부의 산업안전보건법에는 각 오염물질의 허용 농도가 정해져 있다. 국내에서도 지하 시설 공간, 사무실, 작업장, 병원 등에서 실내환 경의 오염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나 이에 관한 자료 및 연구 조사가 미비한 실정이다. 국내의 대기 환경 기준은 환경정책기 본법에 규정되어 있으며 실내공기에 대한 환경 기준은 일부 오염물질 이 건축법 (건설부) 및 공중위생보건법 (보사부)에 규정되어 있을 뿐이 다. 보사부에서 정한 공중위생보건법에는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분전에 대한 기준치가 설정되어 있고, 최근에는 환경처에서 지하 환 경에서의 몇 가지 오염물질에 대한 권고치를 제시하였다. 표 6-7 은 보사부의 공중위생법과 노동부 사업장에서의 실내환경 기 준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양하고 복잡한 실내공간을 위한 전반적인 실내환경 규제치를 제시하기에는 미흡한 실정으로 좀더 합리적인 기 준치 또는 권고치의 설정이 요청된다.
표 6-7 오염물질별 국내의 실내기준치 및 권고치 현황 보사부 노동부 오염물질 단위 환권경고처치 지(1하99공2)간 (공{중19위9생0)법 ) (산업(안19전8보1)전 법) 분전 µg/m 3 300/ 일 150 종류별로기준설정 Pb µg/m 3 3/ 일 50/ 앙]간 중그口 HCug µµgg//mm 33 120// 일 일 1000/ 터간 속 Cd µg/m 3 2/ 일 Cr µg/m 3 1 . 5/ 일 As µg/m J 0.5/ 일 Ol 산화질소 ppm 0.15/ 시간 3/ 記]간 일산화탄소 ppm 20/ 이간 10 50/ 있]간 이산화탄소 ppm 1000 라돈 pC i/ 1 4 포름알데히드 ppm 0.1/ 일 1/ 點 l 간 i 석아면세 톤 개 /cc 0.01 0 . 5/ 忠)간 톨루엔 ppm 100/ 忠 l 간 크실렌 ppm 100/ 이간 ppm 750/ 이간 벤젠 ppm 10/ 忠 l 간
환경처 지하공간 환경 기준 권고치는 1989 년에 서울시 지하상가, 지하주차장, 지하터널에서 조사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시된 수치이 고, 보사부 공중위생법에 나타난 기준치는 일본의 공중위생법 기준치 와 동일하며, 노동부 산업안전법에 의거한 가스상 물질 (S02,N0 2 , co) 과 라돈, 포름알데히드, 석면 및 중금속 (Pb, Cu) 의 기준치는 근 로자의 8 시간 근로 시간의 가중 평균 농도로서 그 농도하에서 노출되 어도 건강상에 영향이 없는 농도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따라서 적절 한 기준치 또는 권고치의 설정을 위하여는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실 내공간에서의 실내공기 오영물질의 오염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인체 노출도를 추정하여 각 실내환경별로 오영물질의 발생원을 규명하는 연구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6-4 실내공기오염 관리 대책과 전망 건물의 쾌적한 실내환경은 건축물의 구조, 건물내의 생활환경, 건 물의 지리적 위치, 건물 자체내의 환경 조건을 위한 환기 시설 등에 의하여 좌우된다. 실내공기오염에 대한 관리책으로는 환기를 철저히 하고, 실내공기 오영물질을 발생시키는 발생원을 제거, 대체 또는 개선하며 공기청정 장치의 사용, 또는 행동 양식의 변화 등이 방지 대책으로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제거만으로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 지시킬 수는 없다. 가장 이상적인 실내환경은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 이 최대한 안락한 기분을 가질 수 있는 조건이다. 건강하고 청결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림 6-4 과 같이 개인의 노력뿐 아니라 건물주 또는 건물 관리인, 건축가, 건축 자재 제품업자, 건설업자, 정부기관 등이 실내환경을 깨끗하게 하고자 각
자 관련된 맡은 책임을 다하고 다각적인 협동 체제를 구축하여야만 쾌적한 실내환경이 유지된다고 할 수 있다.
三
장넥 실내공기오염의 전망을 고려하여 우리나라에서의 실내공기오 염의 관리 대책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6-4-1 실내 공기오염 연구의 국제화 필요성 최근의 실내환경 문제는 생활환경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지난 수 년간에 새로운 국제학회의 조직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실내공기질에 관한 국제 세미나가 세계 도처에서 개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구 라파와 미국에서는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한 실내오염 방지 신기술 개 발 등이 모색되고 있어 우리나라도 많은 대기 환경 전공학자들이 실 내공기질의 국제공동연구, 국제세미나 또는 신기술 개발 및 연구 분 야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6-4-2 실내환경 교육의 필요성 최근 각종 환경오염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실내환경오염에 대한 인식은 지극히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생활속의 환경 문제와 직결되어 있는 새로운 환경 분야의 중요성을 건강 영향이라는 문제와 관련시켜 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교육 또는 계몽 활동을 펴서 실 내오염 방지 대책을 구축하여야 한다. 6-4-3 실내공기오염 문제를 다룰 행정부서의 필요성 국내에서는 실내공기 오염방지에 관한 연구 및 공공정책을 관장할 행정적 기관이 없어 실내공기오염에 관한 조사, 오염 발생원에 대한 행정적 처리 등을 시행할 수 있는 업무기관이 필요하다. 현재 실내공 기에 대한 환경기준은 건축법 (건설부) 및 공중위생보전법 (보사부)에 규정되어 있어 부분적으로 보건사회부 공중위생괴에서 다루고 있으나 일본의 건축물 공중위생법을 답습한 것에 지나지 않아 현재 시행되고 있는 건물내 7 가지 실내환경 기준치의 재고가 필요하다. 또한 환경처 에서는 1989 년에 지하 환경에서의 권고 기준치를 설정했으나 지하 환 경을 비롯한 다양한 실내공간에서의 오염도에 관한 측정 자료가 미비 한 상태이므로 장래 미국환경청과 같이 국내의 환경처 대기국 안에 실내오염물질의 측정 및 종합적 관리를 다룰 부서가 필요하다. 6-4-4 실내환경 영향평가의 필요성과 관리 대책 최근 대도시에서는 지하 환경 시설의 증가가 예상되고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국내 지하 환경의 실내공기질은 매우 열악한 상태이다. 따 라서 차후에 건설되는 도시의 지하상가 등의 지하시설 공간에 대하여
는 일반 환경영향 평가제도의 실시와 같이 지하 공간의 실내공기질에 대한 영향 평가 사업을 실시해야만 한다. 특히 실내공기질의 건강위 해평가 r i sk assessmen t를 위해서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정확한 분 석, 오염물질의 양·반응, 실내 유해 물질의 특성 등을 정확히 파악 해야 한다. 이같은 분석 평가와 아울러 바용-이익을 고려한 실내환경 평가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권고 기 준치를 설정하여 실내환경오염 방지를 위한 장기적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참고문헌 김신도 (1992), 「일반빌딩내 환경문제」, 《공기청정기술》 5(1), 65-66, 김윤신 (1983), 「실내공기오염에 관한 보건학적 고찰」, 《대한보건협회지》 9 (3) , 27-39, 一 (1991), 《환경詞인 연합회보》, 10(6), 12-16, 보건사회부 {1990), 〈공중위생법 공중이용시설 위생관리기준〉. 일본공업표준조사회 {1976), 공기청정기, JIS C9615. 한국환경과학협의회 (1989) , 「지하공간의 공기오염 및 공기 중 미량 위해물 질에 관한조사연구」. 환경처 {1991), 『환경백서』. Americ an Cofe re nce of Governmenta l Industr i a l Hy gien i sts ( 1984) , Industri al venti lat i on , A manual of recommended pra ctic e 18th ed Lansin g , Mic h. ACGIH. Americ a n Soc iet y of Heati ng , Refr ige rati ng and Air -C ond ition i ng Eng ine ers and Americ an Nati on al Sta n dards lnsti tut e ( 19s1) , ANSI/ASHRAE sta n dard 62-19s1, Venti lat i on for Accep tab le Indoor Ai r Quali ty , New York, Ameri ca n Soc iet y of Heati ng , Refr ige rati ng and Air -C ond ition i ng Eng ine ers, Inc. Americ an Soc iet y of Heati ng , Refr ige rati ng and Air-C ond ition i ng
Eng ine ers ( 1973) , ASHREA sta n dard 62-73, Sta n dards for Natu - ral and Mechanic a l Venti lat i on , New York, ASHRAE, Inc. Bearg, D. W. and Turner, W. A. (1978) , Achie v in g tob acco smoke-fr ee envir o nments , The pro blem and some soluti on s, Pape r pre sente d at ASHRAE IAQ '87 May, W ashin g t on , D.C. Briti sh Health and Safe ty Commi ss io n (1985) , Health and Safe t y Executi ve , Eff ec ts on health of exp o sure to asbesto s , G uid a nce note EH35. London, H. M. Sta t i on ery Off ice . Consta n ce, J. D. (1970) , Mi xi n g factor is g uide to venti la ti on , P ower 114 (2) , 56-57. Consumer Federati on of A meric a (l993) , Indoor Ai r News, 9 (1) : 1 -4, Spr i n g . Driv a s, P. J., Sim monds,P.G. and Shair , F. H. ( 1972) , Exp er im enta l characte r i za ti on of venti lat i on sys t e m s in bui ld in g s , E nvir o n. Sci. Technol6, 609- 61 4. Esman, N.A. (1978) , Characte r i za ti on of c onta m i na nt concentr a ti on s in e nclosed spa c es, Envir o n. Sci . Technol 12, 337-339. Fange r , P.O . {1988) , Intr o ducti on of the olf and the decip o l unit s t o qua nti fy air po lluti on per ceiv e d by humans ind oor and out- doors, Energy and Buil d in gs 12. Gup ta, K. C., Ulsamer, A.G . a nd Preuss, P.W . (1982) , Formaldehyd e in ind oor air , Sources and t o 챠. c i ty. Envir o n. Int. 8, 349-358. Ishiz u , Y. (1980) , General equ a ti on for the esti m ati on of i nd oor po llu- tion , Am. Chem. Soc. E nvir o n. Sci. Technol, 14(10), 1254-1257. Ludwig , J. F. and Turner, W. A. (1991) , Contr o l stra te g i es, Indoor air poll uti on , A health per spe c ti ve , The Joh ns Hop k in s Univ e rsity Press, 371-37 2. Maldonado, E. A. B and Woods, J. E. (1983) , Venti lat i on effi cien cy as a means of characte r iz i ng air dis tribu ti on in a buil d in g for i nd oor air qua lity evaluati on , ASHRAE Trans. 89, Part 2b, 496-506. Nati on al Research Counci l { l981) , Commi ttee on Indoor Polluta n ts .
—N (1a9 t8i 4o)n ,a l AAcsabdeesmtif yo rPm re sfsi,b We rsa,sh inN go t noon c, cDup. a Ct .i o n al healt h risks , — W(1a9s8h6i) n, g Tt ohn e, Dai. rlC i .n, e N caatbi oinn ae ln vAirc oa ndmemeny t ,P r Ae sisr . q ua lity and safe ty , Washin g t on , D.C., Nati on al Academy Press. Omenn, G. S. 의 (1986) , Contr ib u ti on of e nvir o nmenta l fibe rs to respi r- ato r y cancer, Envir o n. Healt h P ers pe ct 70, 51-56. Onta r io Roy al Commi ss io n (l984), 이 Re p or t of the Roy al Commi tion on matt er of health and safe ty ati sin g from the use of asbesto s in Onta r io 1 (3) , Toronto , Canada, Onta r i o Mi nistr y of the At tor ney General. Skaret, E. and Math ise n, H. M. (1983) , Venti lat i on effi cien cy , A guide to eff icien t venti la ti on , ASHRAE Trans. 89, Part 2, 480-495. Small, B. ( 1983) , Indoor air po lluti on and hou sing Technology , Bookwood, Onta r io , Canada : Loe IAQ , Technolog y and Health Foundati on . Sp en g le r, J . D . and Sexto n , K. (1983) , Indoor air po lluti on , A pub li c h ealth pe rspe c ti ve , Sci en ce 221, 9-1 7 . The Americ a n Soc iet y of Heati ng , Refr ige rati ng and Air -Condit ion i ng Eng ine ers (l989) , 1989b Sta n dard 62-1989, Venti lat i on for accep tab le ind oor air qu ality , At la nta , Ga., ASHRAE. Turner, W. A and Bearg, D.W.(1987), Delive r ing 'desi.g n ed' cfm of outs ide air to the occupa n ts pro blems and soluti on s, Pape r pre sente d at A SHRAE IAQ '87 May, Washi ng ton , D. C. U.S. Consumer Product S afe ty Commi ss io n (1983), Re po rt of the
chronic hazard advis o ry pan el on asbesto s , Washin g ton , D. C., U.S. Consumer Product Safe t y Commi ss io n Dire cto r ate for Health Scie n ces. U.S. Envir o nmenta l Prote c ti on Ag en cy ( 1984), Asbesto s in buil d - ing s , A nati on al survey of asbesto s -conta i n i n g friab le mate r ia l s Washin g t on , D.C ., U. S. Envir o nmenta l Prote c - tion Ag en cy, Of fice of Toxic Substa n ces. Public a ti on no EPA/560/5-84/006. Woods, J. E. and Craw for d, R. R. ( 1989) , Cost avoid a nce and pro ducti vity in ownin g and ope r ati ng buil din g s , Oc- cupa t io n al Medic i n e , Sta t e oft he Art R ev iew s 4 (4) , 753-770.
찾 0~ 보 71
기 갸스 세정집진기 scrubber 112 갸스크로마토그래크 112 가습기병 h umidifi er fev er 45 가시광선 42 가시광선칭해 78 가열살균법 199 가족흡연 54 각막염 77 각섭석 계열 26 간접 측정법 114 간접흡연p ass i ve or volunta ry smokin g 53 감마 (r) 선 42, 62 갑상선자국호르몬 76 강하분전 34 개 인 노 출 량 per sonal exp os ure level 118 개인노출모델링 121 개인 시료 포집용 펌프 97 개인 측정 기구p ersonal samp le r 19 개체효과 82 건강 영향 heal th effe c t 95 건강위해평가 heal th risk assessment 14,64, 128 건물관련 질환 45 건축자재 오염원 127
고압산소치료법 178 곰팡이 37 곰팡가균 독소 m y co t ox i ns 46 공기공조 시스템 HVAC 191 공기 매개 감염증 67 공기 조화체계 17 공기청정 188, 190, 199 공기희석법 116 과민성폐질환 45 관능시험법 116 광독성 칭해 78 광산란식 다중감지 모니터 109 광산란식 섬유질 검출기 109 광전배증관 Pho t omul tip l i er 113 광화학스모그 31 국소배기 198 국제방사선방어위원회 ICRP 64 권고치 204 궤양성 피부염 83 규폐증 52 그리스국臣츠만법 G ri ess-Sal tz man meth - od 96 글로브 박스 Glove box 185 글리신 Gl yci ne 70 급성방사선증 83 급성중독 57, 178 급성폐부종 57 급성호흡기질환 51
기관지영 50, 53 기관지천식 53 기도수축 55 기상학적 인자 17 기여도 125 기여위험도 a ttri bu t able risk .64 기회감영세균 68 L 낭핵종 Radon daug ht e r 61 내독소 endo t ox i ns 46 냉방병 68 노동부 산업안전보건법 207 노인성 난청 74 노출 95 노출평가 ex p osure assessment 127 뇌간신경계 증후군 83 누관 충혈 S i nus conge s ti on 46 니코틴 37 C 다발성 신장영 71 다변량분석법 126 다환방향족탄화수소 37 단기 목표 204 단백뇨 57
대기오염원 125 데시벨 (dB) 4o 도노 Domo 선 76 디스크패드 29 디지털 분전계 101 근 라돈 Radon 115, 175 라듐 Ra di um 23 라디오파 42, 80, 187 러더퍼드 Ru th e rf ord 23 레이저 광선 80, 186 레지오넬라병 Legi on nair e 's dis e ase 46 로아드 Ro i de 23 로터메타 ro ta me t er 95 뢴트겐 R5n tg en 23 □ 마개흐름p lu g-fl ow 198 마그네트론 ma gn e tr on 42 마뇨산Hipp u ri c aci d 70 마이크로파 42, 80 만성 장해 83 만성 폐질환 56 만성 호흡기질환 51, 말피기 Mal pighi충 76
망막박리 80 망막소작 80 망상적혈구 81 매연 33 메탄 37 메틸 Me thy l7] 10 메틸알콜 22, 71 멜라닌 Mela ni n 77 멜라토닌 Mela ti o ni n 합성 78 면 배출원 35 면폐증 52 무수아질소 (N20a) 30 무수질산 (N20s) 30 물질수지 mass balance 193 미국 국립표준연구소 ANSI 188 미국 기계공학학회 ASME 188 미국 냉난방공조학회 ASHRAE 188 미국립 방사선 방어 및 측정위원희 NCRP 64 미국립 산업위생사협회 ACGIH 186, 187 미국립 연구원 NRC 45 미국립 직업안전 건강연구소 NIOSH 64 미국 소비자연맹 CPSC 175 미국 재료검사학회 188 미국 환경보호국 U. S. E PA 64 미생물성물질 M ic roor g a ni sm 37, 46
닌 바이러스 37 박태리아 68 반응 118 발생원 제거 188 발암성물질 176 방부제 22 방사능 23 방선균류 ac ti nom y ce tu s 68 방해 물질 92 베크렐 Bec q uerels 25 베타 (P) 선 42 벤젠알데히드 Benz y l Aldehy de 10 벤젠 알콜 Benzen Alcohol 70 벤조(이피렌 37 보사부 공중위생법 206 보정 calib r ati on 93 보조관 밸브 b y-pass valve 98 부력기류 bou yan t air 198 부신피질 자극 호로몬 76 부유분전 34 불쾌도 197 브라운운동 34 브레이크라이닝 29 비교위험도 64 비닐 클로라이드막 필터 98 비분산 적의선 분석기 103
비분산 적의선 분석법 107 비용-이익 212 비 전 리 방사선 non-io n iz i n g radia t i on 41, 186 비주류담배연기 s i de str ea m smoke 37 비흡연 환경 191 빌딩 관련 질병 15 빌딩 증후군 SBS 15, 46 人 사문석 계열 26 사산회이질소 (N20 ◄) 30 사영화에탄 72 사영화에틸렌 72 사영화탄소 72 사이크론 시료 포집기 cyc l one smapl e r 99 산업 안전 허용기준 57 산화규소 (S i O ◄) 26 살균제 22 생물학적 측정 123 생태계 12 생화학적 검사 18 생활용폼 182 석면 Asbes t os 16, 26, 176 석면분전 65 석면폐증 52
선구물질p recusor 31 선량률 85 섬유증仕朗賜몬) 65 섬유 폐쇄성 기관지 폐렴 57 세균 bac t e ri a 37 세포상피종 77 소각법 199 소음 40, 184 소음성 청력 손실 74 수동식 전자라돈모니터 115 수동형 채집기p ass i ve samp le r 103 수산화기화 H y drox y la ti on 70 수산화이온 (OH-) 33 수용모델 rece pt or model 125 수청체 후국 81 슬레이트 29 습식시험 계량기 94 습전성 피부염 69 시안화수소 37 신장해 72 실내공기질 IA Q 12, 210 실내 라돈방지법 207 실내오영 Indoor Polluti on 12 실내환경 Indoor Envi ro runent 12, 203 실내환경 기준 203, 207 실내환경 영향평가 212
。 아닐린 37 아모사이트 amos it e 27 아미노기 전이효소 SGOT 72 아산화질소 (N20) 30 아세틸아세톤 ace ty l aceto n e 107 아소구근회신산 81 악성 신생물 83 악성중피종 67 악취 Odor 39, 115 악취 판정표 117 안소필라이트 an th o p h yllit e 27 안전계수 sa f e ty fac to r 204 알데히드류 39 알레르기성 비영 69 알레르기성 질환 15, 38, 58 알코올류 39 알파 (a) 선 42, 61 압력 조절기 98 압전천칭 방식 분전계 102 액티노라이트 ac ti no lite 26 양반~ 7 }d ose-resp onse assessment 127 에고스테린 Er g os te ri n 77 에스텔류 39 에어필터 201 에텔류 39
에틸벤젠 e thy lbenzene 39 엑스 (x) 선 42 여과식 202 여제교환식 203 여지식 분전계 102 역학적 연구 48 연소탈취방법 184 열교환기 176 영화에틸렌 72 영구성 청력 장해 74 영구적 호흡기 손상 59 예측모델 64 오리피스 o rifi ce형 보정기 94 오영부하 o lf 196 오염원의 재배치 191 오염원 제거 및 개선 190 오존 Ozone 16 오존살균법 199 오존 측정용 자의선 측정기 103 온열환경 16 의기량 180 우리늄 23 우레아수지폼 단열재 UFFI 22, 58, 175 원격조정 185 원자의선 76 위장 184 위 해 성 특 성 화 risk characte r iz a ti on 127
위해성 확인 hazard ide nti fica ti on 127 위해평가 r i sk assessment 212 유기용제 VOC 182 유전적 변이원성 58 윤활재 30 음이온산소방출기 202 의인성 전염병 45 이동배출원 35 이산화질소 (N02) 30, 110, 177 이산화탄소 (CO2) 33, 110, 179 이온교환관능법 ion j exchang e resin meth o d 184 이환율 50 인간활동오염원 127 인산이수소이온 (H2PO.) 33 인자분석법fa c t or analys i s 126 인텔리전트화 203 인화점 22 인후통 46 일반생활환경 기준치 205 일산화질소 (NO) 16, 31 일산화탄소 (CO) 104, 105 일산화탄소혈색소 Carbox y hemo g lob i n ” x 자동기립자 계측기 102
자동세정식 203 자동화 전자주사현미경 분석법 CCSEM 126 자의선살균법 199 자의선흡수법 107 자일렌 39 장기 목표 204 재순환 공조시스템 199 적의선분석기 spe c tr op h o to m etr ic 114 적의선흡수법 107 전극법 184 전기성 안영 77 전기식 에어로졸 분석기 100 전기집전기 92, 199 전리방사선 Io ni z i n g radia t io n 42, 82, 185 전신 장해 83 전자주사현미경법 SEM 126 전 자 충 돌 식 측 정 법 electr o sta t i c pre ctip itation 10s 점막자국 Mucous Membrance irrita- tion 46 정량 분석 bulk analys i s 113 정전여과식 203 정전위 전해법 106 젤도비치 zeldo vi ch 반웅 30 조류 a lg ae 68 조칙 감수성 82
조혈 성해 72 주류담배연기 ma in stre a m smoke 36, 52 중금속 209 중성자 42 중추신경성 질환 58 지각력 장애 58 지방산 33 지속성 28 지침치 204 지하공간권고치 207 지하환경 208 지형학적 인자 17 직독식 입자 시료 포집기di rec t -rea di n g par t icle smapl e r 100 직업성 분전 52 직접 측정법 108 직접흡연 ac ti ve or volunta ry smokin g 54 진균fungi 37, 68 전폐증 52 질소산화물 (NO i.) 30 집적중량 측정 포집 필터 109 •K 차폐 시설 설치 185 천식성 기관지영 54
청각피로 74 초자공백내장 77 촉매 22 충무 유 분전 TSP 35 총선량 85 최소농도 92 최소질량 92 추적 조사 55 측정 시간 95 침기infiltr a ti on 13 침착률 52 구 캐 스캐 이 드 임 팩 터 cascade imp ac to r 99 코린에스데라제 81 크로시둘러이트 cro ci do lit e 26 크리소타일 c hry so til e 26 클린 룸 200 E 타르 37 탄화수소계 39 테풀론t e fl on 98 토양가스 24 톨루엔t oluene 39
퇴행성 질환 78 트레몰라이트tr emol it e 26 트리에탄올아민tri e th anolam i ne 114 고 판정 조건 cr it e ri a 203 팜스 뮤브 Palms tub e 114 패혈증 83 페놀 37 폐기종 57 폐암발생률 62 폐암사망률 62 폐조양 55 포르말린 22 포름알데히드 HCHO 16, 22, 46, 101, 113 포스겐 72 포자 s p ore 37 포켓선량선 185 폴로늄 Polon i um 23 피부궤양 84 피에조바란스 P i ezobalance 109 피엠텐 PM-10 34 피코큐리p C i 25 피폭선량 82 필요환기량 197
己 하기도질환 51 한계허용폭로도 91 한계희석비 116 할로겐 탄화수소 39 행동양식의 적응 188 헤모글로빈 32 헬륨 He li um 23 헬륨-네온 레이저 110 현미경 분석법 126 혈관계 중후군 83 혈구증다중 57 형광현상 31 호흡기질환 50 호흡성 부유분전 RSP 108 호흡성 입자r es pi rable pa rt icle 99 화학발광법 106 환 경 기 준 envir o nmenta l sta n dards 203 환경담배연기 ETS 36, 52, 182, 191 환기 188, 192 환기 시설 188 환기효율 192 환원제 22 환자대조군연구 51 활 동 시 간 별 측 정 tim e-acti vi t y mon itor in g 124
활성탄배지 l13 활성탄 용기 charcoal canis t e r 115 활성탄필터 201 황화수소 (H2S) 33 후두염 15 휘발성 유기화학물 voes 38, 112
흉막삼출액 66 흉막중피종 67 흡수법 184, 199 흡착법 184, 199 희석환기 192 히스타민 77
김윤신 성균관대학교 화학과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을 졸업했고 동경대학에서 보건 학, 텍사스 주립대학에서 환경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이며 한양대학교 환경 및 산업의학연구소 소장으로 있다. 저서로 r 인간이란 무엇인가 』 (공저 , 민음사 , 1991) 등 다수가 있다 . 실내환경과학 대우학술총서 • 자연과학 95 1 판 1 쇄 찍음 1994 년 떼 1 일 1 판 1 쇄 펴냄 1994 년 떼 10 일 지은이 김윤신 펴낸이 朴孟浩 펴낸곳 (주)民音社 출판등록 1991 . 12 . 20 . 제 16-490 t. 135- 12 0 서울 강남구 신사동 506 강남출판문화센터 또문 515-2000 (대표전화) 값 8,50 뗀 Pri nt e d in S eoul, Korea. © 김윤신, 1994 기술과학 • 의학 • 위생학, 예방의학 • 환경위생 /KDC517. 4 ISBN 89-374-3595-0 94510 ISBN 89-374-3008-2 {세트)
대우학술총서 (자연과학)
1 소립자와 게이지 상 호 작용 김진의 2 동력학특론 이병호 3 질소고정 송승달 4 상전이와 임 계현상 김두칠 5 촉매작용 진종식 6 뫼스바우어 분 광학 옥항남 7 극 미 량원소의 영양 승정자 8 수소화봉소 와 유 기봉소 화합물 윤능민 9 항생물질의 전합성 강석구 10 국소적 형태의 Ati ya h- sin g e r 지표이론 지동표 11 Mucop ol y sacchar i des 의 생화학 및 생 물 리학 박준우 12 천체물리학 홍승수 13 프로스타글라 딘 합성 김성각 14 천연물화학연 구법 우원식 15 지방영양 김숙희 16 결정화유 리 김병호 17 고분자에 의한 화학반응 조의환 18 과학혁명 김영식 19 한국지질론 장기홍 20 정 보 이론 한영열 21 원자핵반응론 정운혁 22 파괴역학 김상철 23 분자궤도 이론 이익춘 24 반응속도론 정경훈 25 미분위상수학 이현구 26 자기공명방법 조성호 27 플라스마 물리학과 핵융합 최덕인28 천문관촉과 분석 이 시 우 29 석탄에너지변환기술 김상돈 30 해양미고생물학 백광호 31 편미분방정식론 김종식 32 대통일 이론 소 광섭 33 금속전자계의 다체이론 김덕주 34 액정중합체 진정일 35 복합재료 권숙인 36 단백질 생합성 박인원 37 한국의 광물종 김수진 38 일반상대론 이철훈 39 레이저 광산란 분광학 김종진 40 복소다양체론 김 상문 41 역학적 연구방법 김일순 42 핵구조물리학 민동필 43 후리에 해석과 의미분 작용소 김도한 44 한국의 고생물 이하영 45 질량분석학 김명수 46 급변론 박 대 현
47 생체에너지 주충노 48 리이만 기하학 박을룡 49 군표현론 박승안 50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론 하기식 51 생체막 김형만 52 수리분류학 고철환 53 찰스 다 윈 정용재 54 금속부식 박용수 55 양자광학 이상수 56 효소반응 속 도 론 서정현 57 화성암 성인론 이민성 58 확률론 구자홍 59 분자 분광학 소현수 60 벡터속 이론 양재현 61 곤충신경 생리학 부경생 62 에너지띠 이론 모혜정 63 수학 기초론 김상문 64 신경 과 학 김승업 · 박찬옹 65 BCH 부호와 Ree d- Solomon 부 호 이만영 66 양자 전기역학 김영덕 67 군환론 박재걸 68 대수기하학 조영현 69 양자장이론 이재형 70 해양오염과 생태계 심재형 71 비기체 연소합성 ( SHS ) 여철현 72 크로마토그래피 이대운 73 곤충의 사회행동 추종길 74 동위원소 지질학 김규한 75 X- 선 결정학 김양 77 통계역학 조순탁 78 고분자의 구조와 형태학 이석현 79 LC 에 의한 광학 이성질체의 분리 현명호 80 신경전달물질 서유헌 81 발생과 유전자 발현 이양림 82 스테로이드 화학 김완주김득준 83 다체계론 엄정안 84 중핵반응론 김 병 택 85 비가역 열역학 이철 수 86 등각장론 임채호 87 방사선생물학 남 상열 88 석유지질학 아용일 89 베르누이 시행의 통계적 분석 배도선·김성인 90 신경세포생리학 강만식 91 생리활성을 가진 C-P 화합물의 화학 김용준 · 강익중 92 생물유기화학 서정헌 93 조직배양 김승 업 94 유기전이금속화합물 조 남 숙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