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영
저자는 서울대학교 문리대 지질학과와 同대학원을 졸업했으며, 서독 Bonn 대학교 지질 • 고생물학과를 졸업했다(이학박사) . 서독 Bonn 대학교 객원 연구원과미국오하이오주립대학교 지질광물학과 교환과학자를 역임했다. 저서로는 『 현대지구과학 』 (공저) , 『 한국의 지질과 광물자원 』 의 다수와 논문들이있다.
한국의 古生物
한국의 古生物
책머리에 우리나라에는 시대를 탈리하는 각종 되적암류가 발달되어 있으며 이 들 되적지충에서 여러 종류의 화석이 산출된다. 화석은 과거 先史時代에 생촌했던 古生物의 유해나 혼적으로, 지질시 대동안에 생존했던 고생물의 실상을 보여주는 직접적인 증거가 될 분 아니라 지구 역사의 발달과정을 밝혀 주는 중요한 과학적 자료가 된다. 이미 선진제국에서는 각기 자기 나라에서 산출되는 각종 화석을 체 계적으로 정리하여 과학적 자료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는 각 전문가들에 의한 연구논문들이 산재해 있을 분, 이를 종합·정리 한 문헌이 없었으며 하루속히 우리나라에도한국산화석이 체계적으로 정 리된 종합문헌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생각이 필자의 간철한 소망이었다. 이 책은 그 첫단계로 우선 현재까지 국내에서 산출 보고된 화석을 지 질시대와산출지충, 지역별로구벌하여 생물분류에따라屬과種울기 재하였으며 각 지충벌 화석군의 지질학적 또는 고생물학적 특칭을 간략히 소개하여 학생둘의 참고교재로는 물론, 한반도의 생물의 변천 과정이나 한반도의 지사에 관십을 갖는 일반 독자에게도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집필을 시작한 이래 예상밖으로 자료수집에 어려움이 많았으며, 쓰고 난 후에도 보충할 접이 발견되며, 특히 탈고 후에 발표된 여러 최신 논 문들의 자료를 인용치 못한 것아 아쉬우나 우선 이 조그마한 자료가 앞 으로의 보다 좋은 문헌을 위한 밑거름이 되리라 생각한다. 이 책이 출판되기까지 수고하여 준 최성자 박사, 이병수, 서광수·, 신 재훈, 이경우, 조원주, 홍민화 석사 및 대학원 재학생 김상회, 박명호, 이경진군과 학부재학생 조규호군에게 사의를 표하며 이 책 출판을 있게 하여 주신 대우재단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 끝으로 복잡한 출판과정을 불평없이 갑수하여 주신 민음사에게도 그 노고를 치하하고 싶다.
한국의 古生物·차례
책 머리에 5제1장 한국고생물의 개관 11제1절 한국고생물 연구사 12제2절 한국고생물 산출현황 15제2장 先캄브리아이언 고생물 19제1절 스트로마톨라이트 19제2절 옥천층군의 화석 22제3장 초기고생대 고생물 27제1절 무척추 고동물 281-1 태백-영월 상동지역 291-2 영월지역 411-3 문경지역 461-4 북한의 하부고생대층 화석군 48제2절 고식물 55제3절 미고생물류 563-1 코노돈트 미고생물 573-2 개형충화석 70제4장 중기고생대 고생물 77제1절 실루리아기 고생물 711-1 무척추 고동물 771-2 미고생물(코노돈트) 79
제2절 데본계화석 80제5장 후기고생대 고생물 83제1절 일반무척추 고동물 83제2절 고식물 852-1 홍점층 862-2 사동층 862-3 고방산층 912-4 녹암층 94제3절 미고생물류 953-1 유공충류 95 3-2 코노돈트 미화석 1O5제6장 중생대 고생물 111제1절 후기트라이아스-초기쥬라기 고생물 1111-1 고동물군 1121-2 고식물군 113제2절 후기쥬라기 고생물 1212-1 묘곡층의 화석 1212-2 기타지역 122제3절 백악기 고생물 1233-1 무척추 고동물 1243-2 척추 고동물 1253-3 고식물 1263-4 미고생물류 130제7장 신생대 고생물 135제1절 무척추 고동물 1361-1 포항지역 136
1—2 감포-어일지역 1401-3 영덕-영해지역 1421-4 울산지역 1421-5 제주도지역 1431-6 복한지역 144제2절 척추 고동물 146제3절 고식물 1493-1 포항-연일지역 1493-2 감포-어일지역 1523-3 북평지역 1533-4 북한지역 154제4절 미고생물 1634-1 포항-감포지역 1634-2 북평지역 1824-3 경북 영해지역 1854-4 울산지역 1864-5 제주도지역 1864-6 북한지역 189부록 Ⅰ 지층별 화석분포 199부록 Ⅱ 충서분류 221부록 Ⅲ 한국의 화석 227부록 Ⅳ 한국 고생물종 일람표 345생물명 색인 427지층명 색인 430
제 1 장 한국고생물의 개관 인류가 문화를 형성하여 역사를 기록하기 시작한 이래 생존하고 있는 생물 을 現生生物이라 하며 이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생물학을 現生生物 學 ( N e on t olo gy ) 이라고 하는 데 반하여, 역사시대 이전에 지구상에 생촌했 던 생물을 古生 物 ( Anc i en t l ife)이라고 하며 이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학 문을 古生 物學 (P alaeonto l og y) 이 라고 한다. 고생물은 이미 오래 전에 사멀해 버렸기 때문에 이들의 대부분은 · 그의 자취도 남김없이 사라져 버렸으나, 적지않은 종류가그들 유해의 일부나 혹 은 활 동혼저이 지충 속에 기록되어 그들의 존재를 알려주고 있다. 이 들 지 충 속에 기 록된 고생 물의 유해나 혼적을 화석 (fos sil ) 이 라고 한다. 화석은 단순히 고생물의 생촌 기록을 지시할 분만 아니라, 화석을 통 하여 되적지충의 시대결정과 대비, 되적환경의 복원, 생물의 계동발생 과 전화의 경로, 더 나아가 지구의 변천과정, 즉 지구 역사를 해명해 주 는 중요한 과학적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한반도는 地質時代를 달리하는 여러 시대의 지충 들이 분포되어 있고 이들로부터 여러 종류의 화석이 산출되고 있다. 이 들울 통해서 한반도에 살았던 고생물의 종류를 알 분 아니라 한반도의 발달과정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우선 본장에서는 한반도의 고생물 연구가 어떻게 진전되어 왔으며, 어떤 종류의 고생물들이 기록 되어 있는가를 살펴보기로 한다.
계 1 절 한국고생물 연구사 한국에서 화석이 최초로 보고된 것은 1884 년 독일인 겨 질 학자 o.c. Go tt sche 에 의하여 비롯되었나 한국의 地質울 과학적으로 조사하여 이 률 학계에 보고한 최초의 지질학자이기도한그는 1883 년 독일 의교사 철 단과 함께 입국하여 약 8 개월간 한반도의 여러 지역 을 여 행 하면 서 지질 조사를 행하였으며, 이 조사여행 중에 평안북도 압 록 강 연변의 消 原 과 古 場 지역에서 캄브리아기와 오오도비스기의 三葉 虫, 腕 足 類 동 다수의 화석 을 발견하여 이 를 1884 년 「한국에 서 의 캄브리 아 府 발 견 (Auff ind ung Cambris c her Schic h te n in Korea ) J라는 논문을 발표함으로써 한 국 고생 물 연구의 효시가 되었다 . 그후 20 세기 초에서 19 4 5 년 일제로부터 해방 되기 까지는 주로 일본인 지질학자들에 의하여 한국 고생 물 이 연구되 었다. 矢部長克 (1903, 1905) 에 의한 慶尙層群 의 洛 東植物群 연구, 평양부근에 발달된 平安 層 群에 서 의 結經蟲 化石 연구, 경 상복도 문경 지 역 의 평 안 충 군에서의 Gi ga nto p ter is nic o ti na efo l i a 연 구를 시작으로 여러 학 자 들 에 의 하여 행하여졌으며, 이 중 중요한 것을 들면 경 상북도 延 日 ―九 i U i O I, 朝陽, 大邱, 倭館, 永川, 慶 1 서 등의 9 개도폭( 축척 1 : 50,000) 에 대 한 지 질 조사를 수행한 바 있는 立岩 巖 (192 4 . a, b, 1925. a, b, 1929) 가 이 지역 에 분포하는 제 3 기 되적충과 중생대 慶 尙 層 群에서 다수의 동물과 식물 화석을 보고하였고 川 崎繁 太郞 (1925, 1926, 1927, 1931, 1934, 1938 및 1939) 온 중생대 쥬라기의 大同 層 群과 上部古生代—中生代初의 平安 層群 에서 산출된 식물화석을 연구하여 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였다. 한편 小林貞一 (1927, 1928, 1930 a, b, c, 1933, 1934 a, b, 1935 a, b, c, 1936, 1941, 1942, 1943, 1953, 1958 a, b, c, 1960 a, b, 1961, 1962, 1966 a, b) 은 하부 고생 대 의 朝 鮮累層 群에 서 산 출 된 삼엽 충 , 완족류, 두족류 동 울 비롯한 일부 대형화석에 대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행하여 조선누충군 의 고생물연구문 아니라 충서대비 연구에 기여하였으며, 尾崎 金石 衛 門 (1934 a,b) 는 평안충군에서 산출된 완족류, 부족류, 복족류에 관한 연구
를 행하였고, 波多江信廣 (1935, 1937, 1938, 1939) 은 평안충군의 有孔蟲, 득히 結鐘蟲 에 대한 연구를, 金原均二 (1935, 1936 a,b) 은 제 3 기충에서 산출된 연체동물화석 의 연구를, 遠藤誠道 (1938 a,b, 1939, 1941, 1950 a,b, 1951, 1953) 는 신생대의 식물화석에 대한 연구를 행하였다. 특히 후자는 1972 년 한반도의 제 3 기충산 식물화석을종합적으로정리하였다. 광복후 1960 년대 초기까지는 국내의 전문 고생물학자들의 수가 적었 울 뿐 아니라 6. 25 동란과 같은 혼란기를 맞아 한반도의 고생물학연구는 거의 정체상태에 있었으나 1960 년대 중엽부터 고생물연구의 기운이 싹 트기 시작하였다. 1964 년 독일인 고생물학자 K.]. Muller 는 하부고생대의 조선누층군 에서 微化石 코노돈트를 기재하여 이를 보고하였으며 이듬해에는 金鳳 均 (1965) 이 浦項지역에 분포하는 제 3 기충에서 다수의 신종과 함께 100 여 종에 이르는 유공충화석을 체계적으로 분류 기재하였다. 같은 해 에 독일인 지질학자 Garbert, Sto p pe l 및 V i nken(1965) 은 삼척지역의 평 oJ :충군 하부에서 석탄기의 코노돈트화석산출을보고하였고, 鄭昌熙 • 李 河 榮 (1966) 은 경상복도 奉 化지역에 분포하는 묘곡충에서 다종의 연체동 물화석과 식물화석을 보고함과 동시에 이 卯谷層이 한반도에서 결충으 로 알려졌던 大同府群과慶尙層群사이에 놓이는상부쥬라기 지충임을주 장하였으며 鄭昌熙 (1969) 는 삼척탄전의 충서와 고생물연구를 통하여 照 川 K' i(平安府群의 寺洞府하부)에서의 방추충 화석산출을 보고하였다. 1970 년대에 이르러 국내의 고생물학 전문인의 수가 증가되어 이들에 의하여 한국의 고생물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하부고생대충인 조선누충군에서는 주로 코노돈트 미화석이 李河榮 (1970, 1975 a, b, c, 1976, 1977, 1978, 1979, 1980 a, b) 과 李河榮 • 李鍾德 (1971) 에 의하여 연구되어오고 있으며 특히 鄭昌熙 • 李河榮의 (1979), 李河榮 (1980 b, 1982, 1983) 은 이 코노돈트 미화석연구에 의하여 종래 결충으로 알려졌던 실루리아기의 지충을 강원도칭성군 서부지역에서 발견하였다. 상부고생 대 충인 평 안충군에 서 는 주로 방추충 화석 이 鄭昌熙 (1971, 1973, 1974 a, b), 鄭昌熙·朴龍安 (1977), 鄭昌熙·朴洙仁 (1979), 鄭昌熙· 金鳳均· 李昌鎭 (1983) 및 李昌鎭 (1984, 서웅대 박사학위논문) 등에 의하여 체계적인 연구가 행하여지고 있고, 李鍾德 (1984, 연세대 박사학위논문)에 의하여 영 월지역의 紅店層에서 석탄기의 코노돈트가 최초로 보고되었으며, 全希 永 (1985) 에 의한 평안충군의 식물화석 연구가 川崎의 연구 이래 체계적
으로 이루어졌다. 대동충군에 대한 고생물학적인 연구는 비교 적 부전한 상 대에 있으며, 金 屈 均 (1976) 에 의한 충남단전에서 산출된 고식물연구가 행하여졌 을 분 이다. 상부 중생대충인 경상충군에서는 주로 淡水 軟體 動物화석에 대한 연구가 梁承榮 (1974, 1975, 1976 a,b, 1978, 1982 b. )에 의하여 행하여지 고 있으며 그는 묘곡충의 연체동물화석도체계적으로연구하여 卯谷 層 의 시대가 先慶尙層群의 상부쥬라기 지충임을 확인케 하였다( 梁承榮 , 1976a, 1984). 최근에 金恒默 (1981, 1983) 및 양승영 (1982a) 은 慶尙府群 에 서 공 롱의 骨片化石과 足跡化石올 보고하여 주목을 꿀고 있으며 , 유의 구 (1970, b), 李大聲 • 李河榮 (1976) 및 崔 成子 (1981) 는 이 충 군에 서 미 화석 7 사 형 충류와 Charop h y ta 화석 의 산출을 각각 보고하였다. 신생대충은 그의 분포가 극히 빈약하며 주로 동해연안 을 따라 접접이 산재되어 분포하나 海捷 軟 體動物, 식물화석 둥의 대형화석과 有 孔 蟲類 , 珪 森 氣 花粉 • 胞子, 쌍편모충류 (Di no fl ag el lata ) , Sil ico f lag e llata 둥 여 러 종류의 미화석이 비교적 풍부하게 산출되어 근래 고생물 학 적으로 활 발 히 연구되고 있다. 연체동물은 주로 尹銃 (1975, 1976 a, b, c, 1979 a, b, 1982), Yoon Sun & Noda, H(1986), Yoon Sun & Kota k a, T. & Kwon, M. M. (1978). Yoon Sun & Rhee, S. H. (1982), Ki m , B. K & Noda H. & Yoon Sun (1974), 金鳳均 • 尹銃 (1978) 등에 의하여 활발히 연구되어 왔으나 일반 대형식물화석연구는 全希永 (1982) 에 의한 종합 연구 외에는 아직 부전한 상태에 있다. 신생대 미화석으로는 유공충류 연구가 가장 활발하며 이는 주로 金 臥 均 (1970 a,b, 1972, 1974) 에 의하여 행하여져 왔고 이밖에 金 鳳 均, 金承 佑, 金貞子 (1970), 金 鳳 均, 韓 宗煥 (1971), 유의구 (1969, 1970 a) 장순근· 김봉균 (1976) 및 김봉군 • 최덕근 (1977) 등에 의한 연구도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신생대의 조류 화석연구는 주로 李永吉 (1975 a,b, 1976, 1977, 1978 a,b, 1983, 1984) 에 의하여 행하여져 왔으며 그의 최근 연구(이영길, 1984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에서는 남한에서 산출된 규조화석을 종합적으 로 정리하여 이를 일본등지와 충서적으로 대비하였다. 이밖에 포항지역 의 제 3 기 충에 서 화분 • 포자화석 이 주로 Takahashi, K. & Ki m , B. K (1979) 과 奉弼짧 (1979, 1980, 1981, 1982) 에 의하여 연구되었고 동일지역 의 제 3 기충에서 쌍편모충류· 화석이 尹惠洙 (1981) 에 의하여 최초로 알
려졌다. 최 근 浦 項지 여 의 제 3 기 충에 서 는 초미 화석 인 S ili co fl ag ella t a 와 Ebri di a 동이 金屈 均外 (1982) 와 유환 수 (1983 서-운 대 박사학위논문)에 의하여 연구 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국내의에서 박사학위를 마찬 신전학자들이 각 고생물 전문분야 별로 연구에 착수하고 있고, 국내의 대학에서 그의 연구가 중가 일로에 있기 때문에 한국의 고생물연구는 앞으로 더욱 활 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더우기 1984 년 6 월에 한국고생물학회가 새로 창립되어 고생물연구를 위한 조직체 가 발 족됨에 따라 한반도에서의 고생물연구가 이제 본궤도 에 전 입한 것으로 생각된다. 제 2 절 한국고생물 산출현황 한반도에는 지질시대적으로 오렌 선캄브리아의 지충과 貫 入岩 體 인 화 성암류가 전국토의 70% 이상을 접유하고 있다 . 선캄브리아 지충은 오렌 지 질 시대를 거쳐오는 동안 여러 變 成作用을 받아 대부분 변성암류로 되 었고 이들 변성암류에는 화석 본래의 구조와 형태가 파괴되어 화석 산 출 이 극히 드물고 화성암류는 지각내부의 溶 融 體 가 관입 고결되어 이루 어졌기 때문에 화석이 산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한반도에서 화석이 산 출될 수 있는 되적암류의 분포는 전국토의 30% 에 불과하며 이들 되 져충중에도 화석이 비교적 풍부하게 산출될 수 있는 海 成 層 은 계한되어 있어 유럽과 북미대륙 둥에 비교해 보면 그의 종류와 산 출 량에 있어서 비교적 빈약한 편이라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의 고생대 이후 되져충에서는 동물, 식물및 미화석 등 여러 종류의 화석이 산출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한반도의 선캄브리아 지충에서는 화석이 거의 산출되지 않는다. 다만복한의 함경남·북도의 경계부를따라분포하는 摩 天 嶺 系와 황해도에 발달된 祥原系 지충에서 Colle11 i a 라고 불리는 Str o- mato l i te 화석 이 보고되 었을 분이 다. 그의 시대에 관해 많은 논란이 있어 왔던 沃川層群의 일부에서 캄브리 아기 의 Archaeocy atha 화석 이 산출되 었 고 이 화석 에 의 하여 沃川 層群
의 일부가 고생대 캄브리아계에 속할 것이 확실해졌다. 최근 세계적으 로 후기 선캄브리아 지충 속에서 여러 종류의 深類 ( al gae ) 化石이 풍부하 게 산출되고 있어 앞으로 국내의 선캄브리아 지 충 에서의 조류화석 산 출 이 기대되고 있다. 하부 고생대의 조선누충군은 전적으로 해성 충 으로 구성되어 있어 여 러 종류의 해서 동물화석이 산출된다. 일반 무척추 동물화석으로는 三葉虫, 腕足動物, 연체동물의 頭足類, 腹足類 및 芹足類 , 統皮動物, 睦腸動物의 Hy d ra 충, 海綿 類 , 環形動物, 苦碑動物 및 필석동물등이고 석회조류에 속하는 남조류화석도 보고되었 다. 미화석으로는 최근 밝혀지기 시작한 코노돈트가 주종을 이루고 있 고 아밖에 개형충과 Ch iti nozoa( 미발표) 등이 산 출 된다. 득 히 코노돈트 미 화석은 현재까지 어떤 종류의 화석도 산출된 바 없는 정선지역의 조선 누충군에서도 얻어지고 있어 앞으로의 고생대 충 서 연구에 크게 활용될 것이 예상된다. 하부 고생대충에서는 척추동물화석이 아직 보고되지 않 고있다. 중부 고생대충인 실루리아계 및 데본계 지충은 한반도에서 최근까지 확인된 바 없었으나 이 시대의 화석은 과거에 보고된 바 있다. 실루리아 기 화석으로는 복한의 兼二浦지역에서 산호화석과 두족류화석이 산 출 되 어 이 화석을 근거로 실루리아 지충의 촌재가 주장되었었으나 이들 화석 들이 중생대 大同層群의 기저역암내의 석회암역에서 산출된 것이 입증되 어 지충의 촌재는 부인되었다• 그러나 최근 강원도 정선군 서부지역에서 실루리아기의 코노돈트 미화석이 비교적 많은 양으로 산 출 될 분 아니라 충서적으로도 동일 충준면을 따라 연속으로 산출되어 실루리아 지충이 확인되기에 이르렀다. 과거 복한과 남한에서 데본기의 산호화석이 보고 되어 데본기 지충의 촌재가 주장된 바 있었으나 이는 후에 석탄기 화석 이 찰못 감정되었음이 밝혀졌다. 상부고생대-중생대초기의 平安層群은 하부에 數枚의 해성 석회암충 이 협재되어 있고 이를 제의한 대부분의 지충은 육성충으로 되어 있다. 하부의 석회암충에서는 완족동물, 연체동물의 복족류와 부족류, 산호 류, 해백합의 파편 및 철족동물 등 일반 대형화석이 산출되나 이들은 그 의 종류와 양이 극히 제한되어 있다. 미화석으로는 유공충에 속하는 방 추충화석이 이들 해성 석회암충에서 비교적 풍부히 산출되어 平安層群 하부의 충서구분과 시대결정에 기여하고 있으며 최근 이 석회암충에서
코노돈트 화석도 산출됨이 확인되었다. 평안충군에서는 무엇보다 식물 화석이 풍부하게 산출된다. 이 평안충군 식물화석종은 현재까지 약 180 여종이 보고되었는데 이중 양치식물이 종류와 개체수에 있어서 가장 우세하고 이밖에 契葉類, 石松類, 코다이데스, 松葉閔類, 구과류, 은 행류 둥의 순으로 산출되고 소속불명 종도 약 10 여종이 기록되어 있다. 중생대 하부의 대동충군은 육지의 湖成 내지 河成推積層으로 되어 있 어 淡水性 절족동물인 Esth e ria 속과 연체 동물의 부족류가 數種 보고되 었을 분 동물화석 산출은 극히 빈약하다. 그러나 식물화석은 여러 종류 가 산 출 되어 현재까지 약 120 여종이 보고되었다. 이중 양치식물이 그의 수 • 종에 있어서 가장 우세하고은행류, 설영류, 버J.네티데일즈 (Benneti · ta les), 소철류 , 구과류 및 수종의 소속불명 종들이 산출된다. 최근 대동충군과 백악계의 경상충군 사이에 놓이는 것으로. 확인된 상 부 쥬라계의 묘곡충에서는 연체동물의 부족류와 복족류가 수종 산출되 었고 식물화석도 10 여종 보고되었다. 백악계의 경상충군은 전적으로 호성 내지 하성 퇴적층으로. 되어 있어 담수성 연체동물과 식물화석이 산출된다. 연체동물화석은 주로 부족류 와 복족류 이 며 이 밖에 절족동물의 Esth eria 가 산출된다. 그러 나 이 들 동물화석은 그의 종류와 양에 있어서 식물화석에 비하여 빈약하다. 식 물화석온 양치식물과 그 유사종이 가장 우세하며 이밖에 벤네티테일 즈, 닌쏘니알레스, 은행류, 속새류 및 소속불명종 둥의 순으로 산출 된다. 최근 慶尙居 群에서는 공룡의 골편과 足跡化石이 발견되어 주목을 꿀 고있고 介形虫과 Charo p h yt a 등의 미화석이 산출되어 앞으로의 연구가 기대되고 있다. 한반도의 신생대 특히 제 3 기 되적충은 동해안 연안을따라 복한의 吉 쎄 明川, 興南, 通川, 남한의 北坪, 寧德, 浦項, 魚日, 蔚山 둥 접접이 소규모로 산재하고 서해안에는 복한의 介川, 鳳山둥지만 알려졌을 분 남한에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이같은 소규모 분포에 비하여 이 들 지충 속에서 동물, 식물 및 미화석 둥 여러 종류의 화석이 비교적 풍부하게 산출된다. 동물화석으로서 연체동물의 부족류와 복족류가 가장 우세하고 이밖에 연체동물의 굴족류, 강장동물의 산호류, 철족동물의 갑각류, 극피동물 등과 어류화석 둥이 산출되며 육상 척추동물로는 복한의 鳳山단전에서
食肉類, 奇踊類, 長鼻類, 愚踊 類 동이 산출되고 풀라이스도세 되적층에 서도 수종의 척추동물화석이 보고되었다. 식물화석은 주로 피자식물의 자작나무과, 너도밤나무과, 호도과 및 단 풍과 식물이 주종을 이루고 있고 이밖에 구과류, 나자식물 및 양치식 물화석이 산출된다. 신생대충에서는 여러 종류의 미화석이 풍부하게 산출된다. 이중 가장 우세한 것은 유공충이며 이 밖에 규조화석, 방산층, 7 사형충, 쌍편모충, Sil ico fl ag e llata 와 Ebri dia , 포자와 화분 둥이 산출되 고 있 다. 한반도의 선캄브리아대 이후되적층에서 산출된화석의 종류변속·종 산출분포를 각 지충별로 부록 I 에 표시하였다.
제 2 장 先캄브리아이언 고생물 계 1 절 스트로마돌라이 트 (S t roma t ol it e) 세계적으로 先캄브리아이언 지충에선 화석 산출이 빈약하다. 고생대 기저부충에서부터 는 여러 종류의 多細胞動物 化石이 산출되는데 반하 여 先캄브리아이언 지충에선 이런 종류의 화석이 거의 산출되지 않으며 다만 박테리아, 石灰森類 와 같은 微化石들이 산출되고 있고 대형화석으 로 는 조류의 沈積에 의하여 형성된 스트로마를라이트 (S tr oma t o lit e) 가 30 억년 이전의 지충에서부터 기록되고 있다. 최초의 동물화석으로는 先 캄브리아 후기인 原生代 후영부터(약 12 여년) 비로소 單細胞動物인 키티 노조아 (Ch iti nozoa) 화석을 비롯한 원시적인 동물화석이 산출되었으며 先 캄브리아의 최후기 Eocambria n 지층에 서 비 교적 보촌이 좋은 벌레류의 혼적화석과 해파리 화석 둥이 보고 되었다. 현재까지 한국의 先캄브리아이언의 지층에서 보고된 화석은 콜레니아 (Collen i a) 라고 하는 스트로마를라이 트의 1 종분이 다. 이 화석 은 표 2-1 과 표 2-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함경복도와 함경남도 경계부를 따라 분포하 는 摩天嶺系 의 중부와 평안남도와 황해도 지역에 발달된 상원계 상부인 句峴統 지충에서 산출되었다. 콜레니아 (Collen i a) 화석은 제계 여러 지역 의 캄브리아 지층에서 혼히 산출되고 있는 것으로 그립 2-1 에서 보듯이
표 2-1 腐天領系層序(木野崎 1932)
표 2-2 祥原系 대 비표(松下進 19n)
얇은 葉理構造가 수 mm 의 간격 으로 겹 겹 이 쌓여 돔 (dome) 상구조를 나타 낸다. 스트로마톨라이트에는 Co /l en i a 의에 그림 2-1 에서 보듯이 그의 엽 리구조가 충리면에 평행하게 나타나는 것과 양배추 모양의 구조를 갖는 것, 여러 개의 기둥모양을 이루는 것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그 형대
에 따라 屬 으로 분류되어 각각 그의 이름이 붙여지고 있다. 이들 화석은 물속에 살던 조류의 영상체 표면에 침전된 침전물이 겁 겁이 포개어 쌓여침에 따라 영상구조를 나타내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 들 스트로마몰라이트는 좋은 示相化石의 일종으로 아주 얕은 물의 퇴적환경을 지시해 주며 또 지충의 역전 현상을 밝혀 주어 충서 해명 에 이 용 되 는 중요한 구조이다. 영리구조는 지충의 상부로 향해 볼룩한 모양옵 아루고 지충의 하부로 오목한 형태를 이룬다.
\\二 二3
현재까지 한반도의 先캄브리아 지충에서 Co!l en ia 화석만이 알려져 있 으나 최근 세계 각지의 先캄브리아 지충에서 조류 (Al g ae) 의 직접적인 유 해가 미화석으로 다량 산출되고 있으므로 한반도의 선캄브리아 지충에 서도 이와 같은 미화석의 산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한반도와 인접해 있는 중국대륙의 중기 내지 후기 先캄브리아 지충 ( L안 旦亞 代層)에서 福漢類, 赤葉類 둥의 미화석과 스트로마돌라이트 가 풍부하게 산출되고 있으며 이 화석들에 의하여 先캄브리아의 충서 가 분류되고 있는 접울 고려할 때 한반도에서의 先캄브리아 지충에 대
해서도 이와 같은 화석들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제 2 절 沃川層群(時代未定)의 化石 남한의 中部地方, 죽 강원도 삼척, 영월, 정선지역에서 충주, 문경 운 거쳐 전라북도 군산, 목포에 이르는 복동-남서방향의 간 帶狀의 되적분 지를 옥천대 또는 沃 )11 地向斜帶라고 한다. 이 옥천대는 경상북도 문경, 충청북도 충주 부근을경계로그복동부에는非 맞 成고생대의 되 적 암류가 주로 발달되고 그의 남서부에는 변성암류가 넓게 발달되어 있는데 이 남서부에 발달된 결정질 편암류의 변성암류 를 沃川 層 群(中村新太郞 1923) 이라고한다. 옥천충군은 한국의 餘他 先캄브리아 지충과 같이 변성암으로 되어 있 으나 변성도가 비교적 낮은 암석으로 되어 있을 분 아니라 흑연질 또는 탄질 셰일이 협재되어 있어, 일면 남한의 상부 고생대충과도 흡사한 접 이 있어 그의 시대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되고 있는 지충이다. 이 지충 에선 1960 년까지 거의 화석이 산출되지 않았다. 다만 鄭昌熙 (1956) 는 옥천충군의 슬레이트에서 인상이 불명한 식물화석을 보고 한 바 있으나 이 화석 표본이 분실되어 그의 보촌 상태를 확인할 수가 없다. 1970 년초에 李河榮, 李大 聲 (1972) 은 충청북도 보은군 내북면 창리에 분포된 옥천충군의 倉里 層 에서 소속불명의 구형체와 함께 코노돈트 미 화석 파편을 보고하였다. 이들 코노돈트 개체들은 그의 밑부분과 꼭지 부분이 상실된, 보존 상태가 불완전한 파편들이었다. 그러나 이들 개 체의 齒茅 부분의 단면, 저공 (basal cav ity) 등의 득칭으로 그 둘 은 Dre- p anodus 와 Aconti od us 의 2 屬 으로 분류되었다(그립 2-2 참조). 이들 2 속의 단순형 코노돈트는 주로 오오도비스계의 충서범위에서 산 출되지만 그의 種 識別이 어려웠기 때문에 정확한 시대절정은 불가능하 였으며 특히 이러한 보촌 불량한 코노돈트는 2 차적으로 기존 지충의 롬이나 풍화대를 따라 유입되어 들어온 경우들이 세계적으로 보고되었 기 때문에 발견자들은 이 코노돈트 화석 파편들로 화석 산출 지층의 시 대를 단정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결론을 맺었다. 이 어서 李大聲,章基弘, 李河榮 (1972) 은 충청복도 충주시 남방 ' 약 '> km
尸쵸〉 » : 巴 trEb - f .~
;:> cm
지 접 의 옥천충군 향산리 돌로마이 트에 서 Archaeocy a th a 화석 을 발견하였 다. 이 화석은 그립 2-3 에서 보는바와 같이 그의 상부 횡단면온 長裕圓 의 윤곽을 나타내며 장축은 22.5cm, 단축은 6.ocm, 의벽과내벼 사이 를 연결해 주는 격 벽 (p ar i e ty)의 구조가 뚜렷하며 중앙공 (Cen tr al cav ity)도 쉽 게 인지할 수 있을 정도로 보촌상태가 좋았다. 이 화석의 종단면도 약 30cm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화석은 옥천충군에서 발견된 확 실한 화 석으로 최초의 것이 되었으며, 충서학적으로 큰 의의를 갖게 되었다. Archaeocy a th a 는 제 계적으로 캄브리 아 초기 이 거 나 또는 지 역 에 따라 서는 캄브리아 중기까지 산출되는 좋은 표준화석이다. 그러므로 이 화 석이 산출된 옥천충군 향산리 돌로마이트충의 시대는 고생대 최하부인 캄브리아 초기 내지 중기에 해당할 것이 확실하게 되었다. 앞으로 옥천 충군에 대한 고생물학적 연구가 더 집중된다면 여러 종류의 화석이 산 출될 것이 기대되며 옥천충군의 시대를 규명하는 일에 이바지할 것으로 생각된다.
* 참고문현 鄭昌熙, 1956 : 「 韓國 地質 槪要 」, 《地質鑛床調査報告》 , 제 1 호, pp. 2-31. 木野崎 吉郞 , 1932 : 縮尺 5 萬分 1 朝鮮地買回 No. 14 , 載德 • 新福場 • 古堡 • 韋 足里圖幅. 李大磐 • 草基弘 • 李河榮 , 1972 : 「沃川系內 香山里 돌로 마이트屈에서의 Archa- eoc y a t a 의 發見과 그 意義」, 지질학회지, 재 8 권, pp.1 91- 1 97. 李河榮 • 李大효, 19 7 3 : 「沃川系에 俠在된 石灰質}따룹에 관한 硏究 」 《延 世 論策》 第 I O i !U [, pp. 46I ~118 5 . 松下進, 1952 : 「先力 .`. / 7. V 十」, 『地史浮』 上卷, 朝倉껍店. 中村 新 太郞 , 1926 b : 『朝鮮祥原付近 0 原生界 乃 o• 寒武利 亞系 0 層序&군 0 借造』 地球, Vol. 6, p. 40 0. 立岩跋 , 1976 : 『朝鮮 日 本列島地帶地質構造論考._§Jl詳地質調査硏 究史 』 , 東京大 댜 出 版白 , p.6 54
제 3 장 초기고생대 고생물 한국의 초기 고생대충은 朝鮮累層群으로 불려지고 있다. 이는 본래 井上禧之助 (1907) 에 의하여 평안남도, 황해도 및 강원도 지역에 넓게 발 달된 규암, 접판암 및 석회암으로 된 두꺼운 충을 朝鮮層이라고 명명한 데서 유레되었다. 당시 井上의 朝鮮層 속에는 先캄브리아 후기 상원계 가 포함되 었 다. 그후 지질조사소 (1915) 는 규암과 셰 일로 된 하부를 陽德 統, 석회암을 주로하는 상부를 大石灰岩統으로 구분하였다. 中村新太郞 (1926b) 은 상기한 井上의 조선충 범위내에서 선캄브리아에 해당되는 지 충을 상원계로 명명하여 이를 분리하였으며 이로써 현재 사용되고 있는 조선루충군의 범위가 설정되었다. 조선루충군은 주로 복한의 평 안남도의 평 양부근, 成 )II 부근, 高原 부 근, 황해도 黃사 1 부근과 남한의 강원도 삼척, 영월, 정선, 평창 둥 태 백산지역에 바교적 넓게 발달되며 충청북도 단양과 경상복도 문경지역, 복한의 압록강 연안인 평안북도江界, 楚山, 謂原 등지에 소규모로산재 분포한다. 조선루충군의 구성암석은 그의 하부는 주로 쇄실성 되적물인 규암과 셰일로 되어 있고상부는 두꺼운 석회암으로되어 있으나 지역에 따라 그의 구성암석의 암상이 많은 차이를 나타내기 때문에 각 되적분지 에 따라 고유한 충서구분이 이루어졌다. 특히 남한의 조선루충군은 종 래부터 태백시 銅店지역과 영월군 上東지역율 표준충서로 하는 斗園峰
型 조선루충군, 영월군 磨條里 지역을 표준 충 서로 하 는 썩 '越 型 조선루 충군, 이밖에 칭선지역에 발달되는 施 善 型 조선루충군, 평창지역의 平 昌型 조선루충군, 문경지역의 聞慶型조선루충군이 인정되어 왔다. 이들 남한의 斗園峰型 조선루충군과 寧 越型 조선루충군에 대한 충서 고생 물학적 연구가 다른 지역보다 미교적 찰 되었다. 최근 정선, 평창지역에 대한 코노돈트 미화석 연구에 의하여 종래까지 한국에서 缺 府 으로 알 려졌던 실루리아 지충을 발견하는 성과를 울렀다. 표 1 은 삼척 되적분 지(소위 斗園烽型)의 조선루충군과 영월퇴적분지(소위 :휴越型 )의 조선루충 군 岩層序 구분과 대형화석에 의한 化石꺾 1( fo ss il zones) 룹- 구분한 것이다. 제 1 절 무척추 고동물 朝鮮累層群에서논 현재까지 無育椎 動物化石으로 삼엽충 화석을 비롯 하여 두족류, 복족류, 부족류, 완족동물, 갑각류, 극피동물, 필석류, 소 속불명 의 Conular ids , Hy o lith ids 등 여 러 종류의 화석 이 산출, 보고되 었다. Kobay a sh i T. (1966a) 에 의하면 현재까지 남한의 조선루충군에서 알려 진 이들 化石種은 230 속 468 종에 달하고 있으며 이 중 캄브리 아 화석 군에서는 三葉虫 화석이 전체의 77~82% 를 차지하고 있어 철대적인 우 세를 나타내고 있고 완족류 화석이 13~17% 로 그다음의 위치를 차지 한다. 새계적으로 캄브리아계의 화석들 중 사실상 이 두 종류가 전제산 출의 90% 를 넘고 있어 이 시대의 주종을 이루고 있다. 오오도비스계에 서는 삼엽충 화석이 35%, 두족류의 Nauti lo id 화석이 30%, 복족류가 13%, 부족류가 12%, 완족류가 5% 의 비 율로 산출되 어 이 시 기 에 도 삼 엽충 화석의 산출이 가장 우세하나 캄브리아계와는 달리 전체 화석군 중에서의 비율은훨씬 저하되고 대신 연체동물, 특히 두족류의 Nauti loid 가 중요한 화석군으로 동장하였다. 캄브리아계에서 삼엽충 다음의 위치 를 차지했던 완족류는 그의 산출비율이 더 떨어졌으며 이밖에 필석류, 철족동물의 갑각류와 Cir r i pe dia , 소속불명 의 Conula ri ds 와 H y ol it h i ds 가 보고되었다. 이들 각 화석산출을 지역별 및 각 충서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1-1 태백―영월 상동지역(斗園峰型 朝鮮累層群) 1 莊山珪岩 어떤 종류의 화석도 발견되지 않음
2 猫峯 슬레이트 CD Redlic h ia 帶 완족동물: Oho/el/ a off aSt ·a ti ca Walcott 삼연충: Red/i ch ia sait oi Lu 기C-:-조,g,_r .• Salt er e//a Orie n ta / i s K obay a shi ® Elrath i a 帶 완족동물: 3 大基 텀 (豊村石灰岩) CD Meg a g a ulos 帶 완족동물: lin g 1 1lella manchurie n sis Walcott Acrotr e ta veni a Walcott 삼영충: Meg a g ra ulos coreanic u s Kobay a shi Koote n ia damesi Kobay a shi ® Solenop ar ia 帶 삼엽충: Koote n ia sp. Doryp yge ric h th o fe n i laevi 's Walcott Coosia • coreanic a Kobay as hi Ey m ekop s exp an sus (Kobay a shi) E. lter uaia s (Walcott ) E. carnatu s Kobay a shi Solenop ar ia argo (Walcott )
Ni su sia coop er i Kobay a shi 삼영충: Elrath i a t a i hakuen 퍄 Kobay a shi ® Map an ia 帶 삼영충: 1\ fap a n ia beih o ensis Kobay a shi © Bail ie / l a 帶 상영충: Bail ie/l a ang u sta ' Kobay a shi S. beroe (W alcott ) S. laevis Kobay a shi S. (?) depr a ti Kobay a shi S. sp. ind et. KoPtu ra bil o ba Kobay a shi Asap hi c u s(?) sp. ind et. Grandio c ulus sp. Anomocarella ressesi Kobay a shi A. cf. tat i an (Walcott ) Manchurie l la m i na fo r 먀 Kobay a s hi 소속불명: Hy o li the s 2 spp , ind et. @ Olenoid e s 帶 삼영충: Olen otd es sp.
4 세송 슬레이트 CD St ep lz anocare 帶 삼엽충: Eodis c us (?) sp. Pseudagn o stu s douvil lei (Berge r on) Ste p h a nocare rtc hth o fe n i Monke ® Drep an ura 帶 완족동물: Oba/us ( Westo n ia ) cf. blackwelderi Walcott Di ce l/ om us par vus Walcott 복족류: Proscaevog yr a reversa (Kobay a shi) 삼엽충: Pseudagn o stu douvil lei (Berge ron) Ste p h a nocare berge roni Kobay a shi S. (?) q u i:찌 u i sp i ra Kobay a shi 5 花折曆 (D Prochuang ia 帶 상영충: Asaph i s c us monkei Kobay a shi Prochuang ia m ansuy i Kobay a shi P. po ste r osp ira Kobaya shi ® Chuang ia 帶 완족동물: Obolus subcir c us Kobay as hi Acrotr e ta semi co nic a Kobay a shi Bil l in g s ella pu mp e llyi Walcott Shir ag ia b ilo ba Kobay a shi 복족류: Hy pse lconus coreanic u s Ko baya s hi Pellag iell a sp. ind t. P. (Parap el lag i'el la) hona Kobay a -
Damesel/ a par onai (Ai ra g h i) D. cf. brevic a udata Walcott Blackwe/deria monkei (Walcott ) B. sin e nsis (Berge ron) B. cf. sin e nsis (Berge ron) B. par onai (Ai ra g h i) B. cf. par onai (Ai ra g h i) Parablackwelderia spe c ta b ilis (End & Resser) DrePanura kett ee ri Manke D. pre mes11il i Be rg e ron Lorenzella qu adrata Kobay a shi Lio s tr a c i11a krausei Monke 소속불명: My o na fla bell tform i s Kobay a shi shi 삼엽충: Homag n ostu s hoif orm i s (Kobay a shi) Pseudag n ostu s clzin e nsis Kobay a shi Kabuto c rania fos s11/a Kobay a shi Prochuang ia ang u sta Kobay a shi Chuang ia nit ida Walcott C. tai h a kuensis Kobay a shi C. aff . bati a (Walcott ) Lio p a ria conic u lus Kobay a shi L. vulga ris (Kobay a shi) Maladio i d e s coreanic u s Kobay a shi 소속불명: Hy ol i the s subcarin a tu s Kobay a shi @ Kaolis h ania 帶
완족동물: Bi lling s el la go tt sc hei Kobay a shi Obolus ( Westo n ia ) a sp. Lin g u lella kays e ri Grabau in Sun Lin g 1 1/ep is s hamoj1 J or mi s Kobay a shi Lin g le p i5 (?) sp. 삼연 충 : Pseu dag n ostu s cyc / op ygef o r mi s (Su n) Kaolis h a nia gr anulata Kobay a shi K. obso/et a Koba y a sh i K. lati 11r a Koba y a sh i K. orie n t a l is Kobay as hi K. sp . Kaoli sha nie l l a tra nsit a Sun Tin g o cep h a lt ls mag n u s Kobay as hi Lio p a r ia obsolet a (Kobay a shi) Carvi n e l l a (?) sp. Kop tur a typa Koba y a shi Shir a kie l l a e/o n g a ta Kobay a sh i S. lati co nvexa Kobay a shi Meg a ma11suy ia gl abra (Endo) © Di ct y ites 帶 완 족 동물: Obolus tai a n ensis Sun 0. ( Westo n ia ) b. sp. Lin g 1 1lella kay se ri Grabau Acroth e /e el/ iptica Kobay a shi Bil ling s el/ a go tt sc hei Kobay a shi Eoorth i s shakuotu n ensis Sun Palaeostr o p hi a orth i s (Walcott ) 상영충: Ge ra gn ostu s obso/etu s Kobaya shi G. cambric a Kobay a shi
Pag o dia shumardoid e s Kobay a shi P. coreanic a Ko b a y a shi Prolloy d ia orie n ta l is Kobay a shi Kao/ isha nia (?) sp. Mi m ana euryc e p ha /a Kobay a shi M. (?) sp. Haniw a qu adrata Kobay as hi H. oblong a ta Kobay a shi H. conve:c a Kobay a sh i H. conic a Kobay a shi H. sp. in dt. lddin g s ia orie n ta l i s K obay a sh i Pleth o meto p u s /ong isp inu s Kobay a s• hi Meg a mansuy ia gl abra (Endo) Mansuy ia tri g o nali s K obay a shi Ki ng s to n ia pa ra//el a Kobay a shi Tsin a nia canens (Walcott ) T. ceres (Walcott ) Di ctytes dic t y s (Walcott ) D. dep re ssa (Kobay as hi) D. long ica uda (Kobay a shi) Coreanoceph a /us kog e nensis Kobay as hi C. cy lind ric a Kobay a shi Saukia sp. Saukie l la sp. Prosaukia (?) sp. Calvin e lla walcott i (Mansuy ) C. sp . C. sp. ind t. Tellen·na coreanic a Kobaya shi Plati sau kia euryr a dus Kobay a s hi As i·op tyc hasp is s ubg lo bosa (Grabau) Chang ia c hosens i·s Kobay as hi
Qu adrati cep h a/us ter es Resser et Endo Q. coreanic u s Kobay as hi Q. qu adratu s Kobay a shi Q. e/ong a tu s Kobay a shi Mareda mukazeg a ta Kobay a shi Lic h eng ia e uryc ep h a/a Kobay a shi 소속불명: Hy o lith e s im bric a tu s Kobay a shi @ Eoorth i s 帶 완족동물: Eoorth i s shakuotu n ensis Sun
삼영충: Pseudag n ostu s cyc /op y gef o rmi s (Sun) Chuang ie/l a e/ong a ta Kobay a shi Haniw a (?) sp. Ma•ts rt yia (?) ma/adif orm i s Kobay ·ashi Coreanocep ha /us (?) ten uis u /cata Kobay as hi Te//erin a corea 11 i ca Kobay a shi T. (?) obso/et a Kobay a shi
6 銅店珪岩 삼영 충 : Pseudokain e l/ a iw ay a i Kobay a shi
7 斗務洞셔 1 일 (D Asap he llus 帶 환형동물: SerPlite s ruedemanni Kobaya shi 완족동물: Lin g u lella tom kolensis Kobay a shi L. dote n sis Kobaya shi 삼엽충: Gerag n ostu s (Corrug a ta g n ostu s ) rad,·atu s (Kobay a shi) •Ag n ostu s • sp. Kain e lla euryr a ch is K obay a shi Asaph e llus tom kolensi ·s Kobay a shi A. aff . gyra canth u s Ray m ond A. (?) coreanic u s Kobay a shi Mega lasp is(? ) bia n g u lata Kobay a shi M. (?) akyr o rach is K obay a shi M. (?) euryr ac his Kobay a shi M. (?) subste n orachis Kobaya shi
Asaph o p si s nakamurai Kobay a shi A. cf. nakamurai Kobaya shi Cryp tom eto p u s (?) pa ct1 ic u s Koba· yas hi Bir m anit es sp. Seis o nia (?) sp. ® Proto p li o m erop s 帶 갑각류: Plumr1lite s Prim us Kobay a shi 완족동물: Eoorth i s (?) sais h oensis Kobay a shi Clarke/l a flo ra Kobay a shi C. flo ri 1o rmi s Kobay a shi 복족류: Op hilet a alt a Kobay a shi 두족류: Ellesmoceroid , gen . et sp. ind t Endoceroid a sp.
Endoceroid b sp. 삼영충: Ag n ostu s • b sp. Slmmardia pe llii iari i Kobay a shi Onc/z o notu s wa/cott i Kobay a shi Onc/z o notu s sp. ind t. Ap a to k cp l w /us octa p o id e s Koba y a shi •Ap at o k ep l z alusu sp. Lin g u kain e lla mart e/ l ii (Kobay as hi) Di ke l o kC'p lw lin a asia t i ca Kobay as hi 8 莫洞石灰岩 ® Clarkella 帶 완 족 동물: Pomato t r e ma shin s oensis Kobay a shi Clarke/la vulga ris Kobay as hi C. vulga ris Kobay a shi var. TU 조거 . 기근 ·• Cy rt o d onta (?) Prim a Kobay a shi 복족류: Op hilet a alt a Kobashi 0. Plana Kobay a shi 삼엽충: Leio s te g ioid e s raym ondi Kobay a shi Hy st r i c u rr,s euryc e p ha ltts Kobay as hi H. meg a /op s Kobay a shi H. sp. ind t. Pleth o p e lt is u lric h i Kobay a shi P. (?) mi cr o/o ps Kobay a shi Meg a laps is orie n ta l is Kobay as hi uM. • a sp. uM. • b sp . Xenoste g ium all,e r te n sis Kobay as hi X. aff . all,e r te n sis Kobay as hi X. (?) lati ca udum Kobay a shi
D. kan a eg a ta Kobay as hi Meto p o /ic h as (?) marte / /ii Kobay a - shi Proto p /ion U! ro p s seis o nensis Kobay - ashi P. cf. seis o nensis Kobay a shi P. p,m c tat u s Kobay a shi P. gra n11/at1 1 s Kobay a shi Seis o nia sph aeric a uda Kobay a shi X. (?) subeuclid e s Kobay a shi X. (?) par adoug la sensis Kobay a shi Illaenus hin o moto e nsis Kobay as hi I. semi ov if onn is Kobay a shi Di ke lokep h alin a asia t i ca Kobay as hi lrvin g e llin a orie n ta l i s ( Kobay a shi) I. sp. ind t. Chosenia lati cep h ala Kobay a shi Korazp s is sp inu s Kobay as hi Ri be ir e lla coreanic a (Kobay a shi) ® Manchurocras JiJ準 (hor i zon) 두족류: Manchuroceras cf. pla ty v entr u m (Grabau) M. cf. kobaya s lt ii Obata M. sp. ® Polyd e smi a JH 準 (hor i zon) 두족류: Polyd esmi a (?) sp. nov. © Si gm orth oceras 層準 (hor i zon) 두족류: Sig m ortlz oceras coreanic u m (Kobay a shi) Koto c eras fre cM (Kobay a sh i)
9 織雲山셔 1 일 완족동물: Lin g u la sp. Ortlz is nip po nic a Kobay a shi Rafi nes qu i n a chosenic a Kobay a shi 부족류: Cte n odonta nij) po nic a Kobay a shi C. nauta f o r mi s Kobay a shi C. coreanic a Kobay a shi C. samenoha Kobay a shi C. corburif orm i s Kobay a shi C. oblong a ta Kobay a shi Cy rt o d onta (?) sp. ind t. Nuculi tes (?) suboblong a ta Kobay a ·sh i Modio l op s is reedi Kobay a shi M. kog e nensis Kobay a shi M. hin o moto e nsis Kobay as hi M. elong a ta Kobay a shi M. rug o sa Kobay a shi 복족류: S in u it op 퍄 koch irie n sis Kobay a shi Oxy n odis c us sig m oid alis Kobay a shi Lop h osp ira pa g o da (Salte r ) L. aff . pag o da (Salte r ) L. sp. ind t. Helic o to m a sp. 두족류: Robsonoceras (?) men °di o n ali s Kobay a shi Endoceras alti ca meratu m Kobay a shi Cy cl endoceras orie n ta l is Kobay a shi Vag ino ceras ne ich ia e nse Yii V. cf. reedi Yii
Cy r to v ag ino ceras pa cif icum Koba~ ashi Koto c eras typicu m Kobay a shi K. cy /ind ric u m Kobay a shi K. mult isep tum Kobay a shi K. fre clzi (Kobay a shi) K. gr abaui (Kobay as hi) Koto ceras sp. Kawasakic e ras densis t r i a t u m Koba- ya shi Ortlz oceras yiii Kobay a shi 0. seil z ekie n se Kobay a shi 0. reti cu latu m Kobay a shi 0. nakamurai Kobay a shi Sacto rth o ceras shim amurai Kobay a • shi S. makko/ense Kobay a shi S. ten uic u rvatu m Kobay a shi S, wong iform i s Kobay a shi S. go nio s ep tum Kobay a shi Sig m orth o ceras coreanic u m Kobay · ashi S. sig m oid a/e Kobay a shi Geis o noceras hy a tt i Kobay a shi G. abrup tum Kobay a shi Centr o noceras tok unag a i (Kobay a shi) Cy cl oceras dens,·annu/atu m Kobay a • shi C. tai h a kuense Kobay a shi C. chik u nense (Kobay a shi) C. aff . chik u nense (Kobay a shi) C. subchik u nense Kobay a shi C. dep ra ti (Reed)
C. sp. Sig m ocy c loceras kog e nense Kobaya ·shi Sp yro ceras orie n ta l i s K obay a shi Centr o cyr t o c eras kochy o nense Kobay a shi Troclzolite s ammonoid e s Kobay a shi Ste r eop ! asmoceras tof a n g ioid e s Ko b ay a sh i S. yab ei Kobay a sh i Sacloccras eccentr i c u m Kobay a shi S. slzir a kii Koba y a sh i S. yo koy am a i (Kobay a sh i ) S. tri 1 : cep s Koba y a shi Onnocer a s woodwardsi Kobay a shi Cy r ta c ti no cer a s (?) kato i (Kobay as hi) 개형 충 : Prim i tia s p. 삼엽 충 : Bacil i c u s yo kusensis Kobay a shi B. delt ac audtt s Kobay a shi B. dclta c audus tyra noid e s Kobay a shi B. jigun sanensis Lee & Cheong B. kawasakii Kobay a shi B. aff . kawasakii Kobay a shi B. (?) endoi Kobay a shi 10 斗園峰石灰岩 완족류: Orth i s nip po nic a Kobay a shi Rafi nes qu in a cl1osensis Kobay a shi R. aff . alt ern ata (Emmons) 부족류: Clenodonta do t en 퍄 Kobay a shi
B. weoni Lee & Cheong Basil iell a jan g s eong e nsis Lee et Cheong Basil iella pyr if orm i s Kobay a shi B. mi ni m a Kobay a shi Parabasil i c u s ga ng w eonensis Lee & Che or .g Parabasil i c u s typica li s K obay a shi P. shir a kii Kobay a shi P. yam anarii Kobay a shi P. (?) sp. aff . Asap h1 1s laevis We ll er Og ygitoi d e s raym ondi Kobay a shi Pt yc hop yge dong jeo mensis Lee & Che on g Pty c hop yge (?) the bawi Reed Onchometo p u s (?) makkolensis Koba y a shi Asaph 1 1s aff . mi no r (Weller) 필석류: Di plo g r ap tus (Amp l exog r apt us ) per excavatu s Lap w erth Di ce llog r apt us or Di cr anog r apt us sp. ind et. 갑각류: Plumuli tes chik u nensis Kobay a shi C. coreanic a Kobay a shi C. subsym metr i c a Kobay a shi C. corburif orm i s Kobay a shi C. (?) str i a t a Kobay a shi Conocardiu m (?) sp. Nucula (?) sp.
Conio p h ora orie n ta l is Koba y a shi Clio n y ch ia ov1J or mi s Koba y a shi 복족류: Conchop e lt is (?) u11i ca ri1 1 ata Koba· yas hi Palaeacmaea hamp ak uensis Kobay a . shi P. sohsanensis Kobay a shi Be /l ero p ho n sp. ind t. Buccanops is tsu ib o ne1 1 sis Kobay a shi Lop h osp ira kin o sakii Koba y a shi L. tat e i w ai Kobay a sh i Lio s p ira tai h a kuensis Kobay a shi L. slio h akuensis Kobay as hi Eccyl i o p ter is slt irak ii Kobay a shi E. mi ni m us Kobay a sh i Rap hi s t o m a corea n ic l lm Kobay as hi R. keiz a nensis Kobay a shi R. kato i Kobay a shi Fusis p ira sp. 두족류: Paravag ino ceras par vodep re ssum
Kobay a shi Cy c locer a s ecc cn t r o sip /zo natm n Kobay a sh i Tof an g o cer a s huronif o r me Ko b ay a• shi Ormoceras l,oraz·en sc Koba y a sh i 0. (?) nanumf or mc Koba y a shi 0. foo rdi Koba y a sh i 0. cric k i Koba y a sh i 0. woodwardsi Koba y a sh i Arme no cer a s corea n ic u m Kob a y a sh i Arme no cer a s tat c i w ai Ko l:: a y as h i Se /k c iko cer a s yo kuscn c ns c (K obay a · shi ) 삼영 충 : Basil i c 1 1s lorcnzi Koba y a sh i Encrin u re/ l e aff . ma rte l / ii ( R eed) 갑각류: Eop ter i a (?) tri l o bit a Koba y a shi 소속불명: Hy o lith e s sp.
태백_영월 상등지역 조선루층군 ( 두위봉형 조선루층군) 화석군의 특 징 : 앞의 化石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태백-영월 상동지 역 하부 고생 대충의 기처부를 이루는 莊山珪岩에서는 현재까지 어떤 종류의 화석도 보고된 바가 없다. 猫 峯層 최하부의 Redli clii a 帶 에 서 산출되는 Obolella aff . as£ati ca Walcott 는 중국 하부 캄브리아의 侵 頭統 (Man t oan Serie s ) 화석군의 일종이며 Sa lt erella 도 대 서 양, 북극권 및 오스트레 일리 아 지 역 에 널리 분포된 하 부 캄브리 아의 1 속이 다. Elrath i a 帶에 서 산출되 는 Elra t h i a 와 Ni s1 1sia 2 속 은 중국의 하부 캄브리아( 設 頭 統 )의 상부와 중부 캄브리아( 腹州統 )하부 에서 산출되는 대표속들이며 Map an i a 帶의 Map a nia beih o ensis Kobay a shi 는 Map an i a4 의 標式 種 (typ e s p ec i es) 으로 이 Map an i a 속은 중국의 중부 캄
브리아(lli l) 서統)의 하부, 죽 Ma p an i a 組에서 풍부히 산출된다. 묘봉충 최상 부 화석 대 인 Bail iell a 帶의 Bail iella ang u sta Koba y ash i는 중국의 Tonkin - Yunnan 경 계 지 역 의 B. lauto n ois i 帶에 대 비 된다. 이 와 같은 화석 군 대 비로 Koba y ash i (1966 ) 는 묘봉충을 상부 만두동 내지 하부 복주몽에 대 비하였다. 大 基層 하부의 Meg a g ra ulos 帶에 서 산출되 는 M. coreanic u s Kobay a shi, Koote n i a damesi Koba y ash i는 복한의 압록강 연변의 楚山지역 의 중부 캄 브리아( 腹 州 統 )의 하부에서도 산출된다. 중 부 화석 대 인 Solenop ar ia 帶 의 화석 군은 중국 遼東 (L i ao t un g) 지 역 의 Tschan g hs i n t o 島에서 Walco tt -Idd i n g에 의하여 기재된 중부 캄브리아의 화석 군과 밀 접 한 유사성 을 나타내 며 Oleno i des 帶에 서 산출된 Olenoid e s 속은 아시 아, 북 미 및 남 미의 Arge nti ne 둥지의 중부 캄브리아 지층에 서 산출되 었다. 細松슬 레 이 트충의 Ste p h a nocare 帶에 서 보고된 화석 중 Pseudag n ostu s do tw ill ci (B e r g eron ) 과 Ste p l z anocare ric h tho fe n i Monke 의 2 종은 중국 중부 캄브리아 상부의 I' 1 盟 山 組 (Kushan i an S t ag e) 의 대표종들이며 상부 화석대인 Drep am era 帶의 화석군도 怨 山 組 룹 대표하는 화석군으로 되어 있다. 花析 f8 의 5 개 화석 대 는 동부 As i a 의 상부 캄브리 아계 또는 중국의 妙 米店 統 (Chaum iti an Ser i es) 에 대 비 된다. 특히 Koba y ash i (1966) 는 이 화석 대 를 중국의 遼 東 지역의 Wuhuts u i 분지와 표 3-1 과 같이 대비시키고 있다.
표 3-1 화철충화석 군과 중국 요동지 역 화석 군과의 대 비
銅店層의 Pseudoka i ne /1급전는 남미 아르헨티나의 오오도비스기 기처층인 Tremado ci an 에서도 산출되고 있어 본충 하부가 캄브리아계와 오오도비 스계의 경계가 됨을 지시해 주고 있다.
斗 務i 剛 편 의 하부 化石 帶 인 Asap/ tel / us 帶를 Koba y a s h i ( 1 95 0 ) 는 중 국 남 부의 Bir ma nit es 화석 군, 인도차이 나와 Tasmania 및 남부프랑 스의 Asap h · ops t 's 화석 군과 대 바 된다고 하였 다. 특 히 A s a ph e //u s 가 Tr e madoc i a n 의 대 표속 중의 하나이 며 , Cy rt o m e to p u s (?) pa c ifictts Ko ba y a sh i 가 스웨 덴 의 Ap a to k eph a llls 帶 에 서 산 출 되 는 Cy rt o m e to p u s spe c io s 1 1 s Dalman 과 유사한 접 으로 보아 이 화석 군은 남부 아시 아의 화석 군 을 통 해 유 럽 의 Tr e m a - docia n 화석군과 밀접한 관계 를 맺 는다고 하 였다. 두 무 동충 상부의 Pro - top /iom e ro p s 帶 의 화 석 군 중 완 족 류의 Clarke /l a 속 과 복족류 Op /z i!c t a 속 은 복마 대 륙의 하부 오오도비 스계 인 Canad i an 의 대 표 속 이 며 三華虫 화 석 중 Onchono t us 도 북 미대륙의 Canadia n 화 석군과 밀 접한 근찬 성군 보 이 는 반면 , Slzumardia , Ap a to k ep l z alus , Di ke l o kep l z a lin a 및 Pr o t o p l i om cr o p s 는 유 럽 스웨덴의 Cerato p y ge 석 회 암(하 부 오오도 비 스기의 Trem a d o ci an ) 화 석군 의 중요 멤버로 본 화 석군이 유럽 발틱 화석군 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을 지 시 해 준다. 한편 Proto p liom e ro p s 속 은 북 미 대 묵의 서 부 인 Brit i s h Colu- mbia , Ut ah , Nevada 및 남미 의 Ar g en ti na 의 하부 오오도비 스 계 에 서 도 산출된다. 이런 접을 종 합하여 Koba y ash i ( l966 ) 는 본 化 石帶를 유 럽의 Tremado ci an 과 북미 대 륙의 Canadia n 화석 군의 혼합 상 을 보여 준 다 고 하였다. 莫 洞石灰岩의 기저부 化石 帶 인 Clark e /l a 帶 의 가장 대 표적인 화석은 Clarke/l a vulga ris Koba y ash i와 Pomato t r e m a slzi ns oen s is Kob a y as h i 로서 Clarke/l a 屬 은 앞에 서 이 미 언급한 바와 같이 북 미 대 륙 하부 오 오도 비 스 기인 Canad i an 의 지 시자이며, 이 속 은 북 미 대륙과 북 국권의 Ca na- dia n 상부에 서 산 출 된다. Pomato t r e m a sh i nso e ns is 는 평 안남도 복부 단 전의 新 倉 石灰岩(하부 오오도비스계 내지 중 부 오오도미 스 계 의 하부) 에서 도. 산출되 며 , Hy st r i c u s meg a /o ps Kobay a shi, Xenoste g ium (?) pa radou g la s e n s is (Kobay a shi) 및 11/ ae nus hin o moto e nsis Koba y ash i는 중국 북동부 만 주지 역 의 Wutu n g 統에 서 보고된 Hy st r i c u rus gra nulosus Endo, Xe no ste g iu m (?) orie n ta l i s E ndo 및 11/ ae nus (?) sp icu lum Endo 와 각각 밀 접 한 유사성 을 보 이 고 있다. Clarkella 帶 화석 군의 많은 종이 북미 대 륙과 북극권의 하부 오 오도비스계 화석군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여주는 반면 D i kelokep haUna 와 같은 유럽 및 대 서 양 지 역 의 화석 종도 산출된다. 그러 나 Kobay a shi( 1 9 66) 는 Clarkella 화석 군이 유럽 화석 군보다는 복미 -북극권 화석 군에 더 밀접한 관계를 보인다고 하였고 그의 시대를 Canad i an 의 중기 내지 후
기로 보았다. 직운산 셰일에서는 조선루충군 중 가장 많은 종류의 무척추동물 화석 이 산출되어 Koba y a s h i ( t 966 ) 는 총 88 종을 기재하였으며 이중 두족류가 46 종, 삼엽충이 16 종으로 이 들 2 종류가 가장 우세하고 이밖에 부족류 13 종 , 복족류 6 종, 완족동물 3 종, 필석류 2 종, Machar i d 益十 개형충류 가 각각 1 종식 보고되었다. 직 운 산 셰 일 화석 종의 과반수 이 상을 접 하는 頭足 類 는 주로 Endoceras 속과 Ortlz o ceras 속 에 속 하는 종들이 고 Ac ti noceras 속과 Ellosmoceras 속은 종수에 있어서 빈약하다 . 이 직운산셰 일의 두족류 화석군은 일반적으로 중국 중부 의 Pag o da 석회암, 유럽 발턱 지역의 Or t hocerenkalk 의 화석 군과 유사하며 중국 북 부의 Wolun gi an( 중국 복부 하부 으으도비스계 상부 내 지 중부 오오도 미 스계 하부)과 그 상부의 Tou fa n gi an 의 화석 군과는 현처 한 차이 를 나타낸다. 삼엽 충 중 에 는 Basi li r n s-Og ygitoi d e s 속아 가장 많은 종을 이 루고 있 다. Basi li c u s 속 은 영국의 중부 오오도비스계의 Llande i li an 과 북마 동부지 역 의 중부 오오도비 스계 의 Chazy a n 상부에 서 널리 산출되 며 Og ygitoi d e s 속은 동부 아시아의 固有 屬 ( e ndem i c fo rm) 으로 형태적으로는 발틱지역의 Ps e 11doba s i l i c11s4 에 비하여 더 원시적인 득칭을 갖고 있다. 특히 Basil ic u s yok usen s is Koba y ash i와 B. del t ac auda Koba y ash i는 영 국의 Llande li an 에 서 보고된 B. ty ranm1s 에 , Parabasil ic u s sh i rak ii는 영 국의 하부 Caradocia n 의 Parabasil ic u s p ow is ii와 각각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최근 李河榮 外 (19 80) 는 三 涉郡 長省지 역 에 서 Basil ic u s jig1m saneusis Lee et Cheong 동 5 종의 신종 삼엽충 화석을 기재하고 이 화석군으로 보아 칙운산 셰일은 중부 오오도비 스기 의 Llandelia n 내 지 하부 Caradoc i an 에 해 당되 며 그의 生物區는 중국의 중부 및 남동부 생물구와 남미―지중해―남동아시아一 호주 생 물구의 동남아시 아 亞區 (subp ro vin c e) 에 속하는 것 으로 보았다. 부족류 중 Cte n odonta 속과 Modio l op s is 속은 북미 대 륙의 중부 오오도비 스계 의 Black R i ver 組와 Tran t on 組의 지충에 서 산출되 는 중요한 속이 며 Modio l op si s seedz 는 버 마의 Naunkang yi 하부에 서 보고된 M. the bawi Reed 와의 근찬성을 보인다. 복족류 중 Sin u it op s i s 속은 유럽 에 서 만 산출되 며 Lop h osp ira 속은 유럽 의 발틱 지 역 , 북미 대 륙의 Black R i ver 組 와 Sto n e Ri ve r 組의 지 충 동 세 계 여 러 지 역 에 서 산출된다. Koba y ash i ( I966) 는 上記와 같은 직 운산 화
석군을 유럽의 Llandeil ia n , 복미 대륙의 Chazan 에 대비시켰고 전체적 으로 북미 화석군보다는 유럽 화석군에 더 가까운 근찬성을 갖는다고 하였다. 두위봉 석회암화석군은 44 종으로 구성되었고 이중 복족류가 17 종으로 가장 우제하고 두족류가 11 종, 부족류가 9 종, 완족동물 3 종 삼영충 2 종 의 순으로 되었으며 소속불명종 h y ol it h i d 와 r i be iri o i d 가 각각 1 종식 보 고되었다. 이밖에 감정 불능인 海綿動物, 苦 1kE 動 物 및 海白合 줄 기둘 이 수반된다. 上記한 化石種 中 가장 우세 한 복족류는 모두 세 계 분포종 (co s mo po lit an) 들로서 또한 어떤 한정된 시대를 지시하여 주지도 못하여 충 서내비와 古 地理 解析에 는 벌로 도움을 주지 못한다. 그러 나 Lop h osp ira, Li os p ira 및 Eccy liop ter us 등이 南部滿洲의 중부 오오도비스계인 豆 房統 (Tou fa n gi an) 석회암과 복한의 평양 만달산지역의 중부 오오도비스계 雲麻J } 8 , 복부 중 국의 Machia k ou 석 회 암 둥에 서 혼히 산출된다. 그러 나 이 들 지층에 서 풍부히 산출되고 있는 Maclur it es 가 두위봉석회암에서는 알려지지 않고 있음이 주목할 만하다. 두위봉석회암의 두족류는 하부층인 직운산 셰일의 것과는 달리 주로 Ormocera 습, Armenoceras 및 Acti no ceras 류로 구성 되 어 있 음이 득칭 이 다 (이 화석종들은 복부 중국의 豆房統화석군과 밀접한 근찬성을 나타낸 다). Koba y ash i (I966) 에 의하여 시도된 斗園峰石灰岩産 두족류화석과 북부 중국의 豆房統 두족류 화석군의 대비는 표 3-2 와 같다.
표 3-2 두위 봉층화석 군과 복부중국 豆房統화석 군과의 대 비
이 화석 군을 종합하여 Koba y ash i (1966) 는 두위봉석 회 암 화석 군이 유럽 화석군보 다는 북극-아메리카 화석군과 더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며 두 위 봉석 회 암의 시 대 는 복부 중국의 豆 房統 (Toufa n g ian ) , 유럽 의 Cara- docia n , 북미 대 륙의 Black Ri ve r 혹은 Black Ri v er 내 지 Tranto n 組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1- 2 영월지역(寧越型 朝鮮累層群)
l 三方山 屈 완족동물 : Acrotr e ta sp. Oboli d, ge n. ct sp. ind et. 삼엽 충 : Meta g r au/os samp o sanensis Kobay- ashi 2 底礎里府 CD Olen o id e s 帶 완족동물: Obolas damesi( W alcott ) Lin g u le l l a marcia Walcott 삼영충: Pe ro nop si s coreanic u s (Kobay a shi) Pty cl zag n ostu s (?) orie n ta l i s Kobay a shi Phoid a g n ostu s obsoletu s (Kobay a shi) Pseudag no stu s Prim us Kobay a shi Komasp is t ypu s Kobay a shi Komasp is (P arair v in g e lta ) convexus Kobay as hi Tonkin e lla orie n ta l is Kobay a shi Tonkin e lla brevic e p s Kobay a shi Olenoid e s asia t i cu s Kobay a shi Koote n ia pu ncta t a Kobay a sh i
M. semi circ ularis Kobay a shi So/enop a ria ( ?) his u lcata Kobay a shi Anomocarel/ a ste n orachis Kobay a shi Yahez a sp. Haniw o id e s (?) sp. Pty ch op ar ia sp. Eoclzuang ia hana Kobay a shi Eochuang ia hana conic a Kobay a shi Haniw oid e s long u s Kobay a shi Ha11i w oid e s convexus Kobay a shi Procerato p y ge (Kog e niu m ) rotu n dum Kobay as hi Procerato p y ge (Kog e niu m ) trian g ula re Kobay a shi Mesocrep icep h alus air ag h ii (Kobay sh i) MesocrePic e ph a lus subq ua drat us (Kobay as hi) Anomocarella coreanic a (Kobay a shi) Anomocarella cf. tem enus(Walcott ) Anomocarella (Ento r achis ) brevif ron s(Kobay a shi) Anomocarella (Ento r achis )
long ,jron s(Kobay a shi) ® Tonkin e lla 帶 완족동물 : Mi cr om itra coamz·sculpt us Kobay a sh 삼엽 충 : Pcroncp s is rakuroensis ( Kobay a shi) Olenoid e s asia t i cus Kobay a shi Tonkin e lla kobaya s lzii Resser Pt yc hop a ria bip u ncta Kobay a shi Elrath i a sp imf e ra Kobay a shi Parag r aulos par oic a uli s K obay a shi Yong w olia ovata Kobay a shi Y. kag a si Kobay a shi Mesocrep icep h alus air ag h ii (Kobay a shi) Anomocarella coreanic a long a Kobay a shi A. (Ento r achis ) brevzfr o ns (Kobay a shi) A. (Ento r ach is) sp. Lio p a rella long ifoli a K obay a shi Ey m ekop s Perlong a tu s Kobay a shi @ Eochuang ia 帶 완족동물: Li ng u lella manchurie n sis Walcott Pa tem .,,a coreanic a Kobay a shi Acrotr e ta y on g wolen 퍄 Kobay a shi Obolus damesei Walcott Obolus sp. 복족류: Prop ilin a anti qu a Kobay a shi Kobaya s hie l la masar ie n 퍄 Kobay as hi Proto s cae vog yra masarie n sis
Kobay a shi 삼엽 충 : Plzoid ag n ostu s obsoletu s (Kobay a shi) Coosia (?) sp. Meta g r aulos sp. Mesocrep icep h alt ts air a g hii (Kobay a shi) Pseudag n ostu s pri n : us Kobay a shi P. marg inis 1 1lcat1 1 s Kobay a sh i Eochuang ia Ilana Kobay a sh i Lisan ia conic a Kobay a sh i Komasp is ( Parair v in g e lla) conve.r a Kobay a shi Elrath i a tai r a Kobay a shi Mcg a g r a11los brevis c ap s Kobay a shi Solcnop ar ia subto x ea Kobay a shi Anomocarella (Ento r aclzis ) brevif ron s Kobay a shi A. (Ento r aclzis ) long z 1rons (Kobay a shi) Haniw oid e s long issi m us Kobay a shi H. tem ,is Kobay a shi H. (?) put e o latu s Kobay a shi Procerato p yge (Kog e niu m ) rotu n dum Kobay as hi P. (Procerato p yge ) sp. Bris c oia (?) sp. 소속불명: Hy o /i the s cy b ele Walcott ® Komasp is-K op tur a- Iwaya s p is 帶 삼엽충: Homag n ostu s his a koshii Kobay a shi Pseudag n ost1 'S Prim us Kobay a shi
Eochua11g ia l tan a conic a Kobay a shi Komasp is ( Parair v in g e lla) meg a /o ps Kobay a shi Ct en o p yge (?) sp. Anomocarella (Ento r achis ) gr ac ilis Kobay a shi Kop tt1r a bis p ina ta Kobay a shi K. cf. bis p i11a ta Kobay a shi Ey m ckop s mesop s Kobay as hi Procer a to p y ge (Lop n orit es) rec tisp i ca tu s Troe ds s on P. (Lop n orit es ) robustu s Kobay a shi lway a sp is a sap h oid e s '(obay a shi 3 瓦谷 편 ( 興月里 層) 완족동물: Eoortlz i s (?) sp. Ap lza eo orth i s orie n ta l i s K obay a shi 4 文谷 層 ( 三台山 層 ) (D Yoshim urap si s 帶 삼엽충: Yoslzim uraps is vulga ris Kobay a shi Y. vulga ris long u lum Kobay as hi Asap he llil s t om kolensis Kobay a sh i (2) Yoshim urap si s 帶를 제 의 한 TUT kE) 완족동물: Ling u lella tom ko/ensis Kobay a shi 삼엽충: Mi cr ag n ostu s coreanic u s Kobay a shi Shumardia pe lliz z arii Kobay a shi Hy st r i c u rus meg a lop s Kobay a shi Hukazawair cy lind ric a Kobay a shi Ap at o k ep ha lus hy o ta n Kobay a shi
Merasp id, gen . et sp. ind et. @ Olenus-Glyp tag n ostu s 帶 삼영충: Glyp tag n ostu s ret i cu latu s (Ang e li n) Olenus asia t i cu s Kobay a shi Acrocep ha lin a tri s u lcata Kobay a shi Phalacromi na mi no r Kobay a shi Hancrania brevil i m bata Kobay a shi Rhodonasp is (?) sim i li s Kobay a shi Hedin a sp is g r anulatu m Kobay a shi Weste r ga ardit es coreanic a Kobay a - shi A. (?) sp. 삼영충: Pseudokain e lla (?) sp. Di ke lokep ha iina par va Kobaya shi D. conic a Kobay a shi Asap he ll11s tom kolensis Kobay a shi Proto p liom erop s pu ncta t u s Kobay as hi Koraip si s sp inu s Kobay a shi Hi nt z e ia gla bella Kobay a sh i Anatzf o p si·s coc 먀 an Kobay a shi A. tru ncatu m Kobay a shi 갑각류: Plumulite s cf. Pri mu s Kobay a shi 필석류: Dicty o nema cf. fla beUi form e Eic h wald
5 永興 層 Basili e /la sp, Or thid ge n. et sp. ind et.
Acti no ceroid ge n. et. sp. ind e t.
영월지역 조선루총군 화석군의 특징 : 본 지역 조선루충군 기처부 지충인 三方山府 화석군 중 삼엽충의 Meta g r aulos- 4;-, Anomocare l/ a 속 , Sole11 o p ar ia 속 및 Yabe ia 속은 모두 동부 아시 아의 중부 캄브리 아계 에 서 산 출 된다. 최근 金仁錫 의 (1985) 는 三方 山 府의 표식 지 인 三方山 정 상에 서 Mcg · agr a ulos semi dr cularis Koba y ash i와 Sole,:op a ria (?)bis u lcata Kobay a shi 의 산출을 확인하였다. Meg a g r atll o s 속은 특히 북한의 楚山지역 의 중부 캄브리아계와 본충 상위의 磨庭里屈 에서 보고되었 고 Sol cno p ar i a 속은 동 부아시아 지역 의에 오스트레일리아 서부 지역의 중부 내지 상부 캄브 리아계에서 보고된 바 있어 본충의 시대가 중기 캄브리아기에 속할 것 이 확실하다. 磨礎 里 層 최하부의 Olenoid e s 帶 는 Koba y ash i (1966) 에 의하여 북 미 대 륙의 중부 캄브리 아 지 충인 S t e p han 충에 대 비 되 었 는데 이 는 To11/ti1 1e lla 속, Olenoid e s 속 및 Koo t en i a 속 등이 이 들 두 지 충에 서 공동적 으로 산출 되기 때문이다. Koba y ash i에 의하떤 Oleno i des 帶상위 化石 帶 인 To nk i nc lla 帶도 上記의 Ste p h an 화 석군에 대비되며 더 정 확히는 북미대륙 서부지 역 의 중부 캄브리 아계 의 Bath y u ris c us-Elratl zin a 화석 군의 Bath y u ris c us adaeus, Tonkin e lla ste p h ensi ·s 및 Parkasp is e ndecamera f a u,iu /e 에 대 미 된다. Eoc lt uan gi a 帶논 하위 化石 帶 인 Tonkin e lla 帶와 상위 化石帶인 Ko ma spi s - Kop t ura- Jw ay asp is 帶에 서 산출되는 및 종의 화석 을 공유한다. 득 히 Pseuda gn os t us 속은 일반적으로 상부 캄브리 아의 하부에 서 산출되 며 Prop ilin a 속은 상부 캄브리 아 내 지 하부 오오도비 스계 에 서 만 보고되 었으 나 Phmdag n ostu s , Li sa nia , Komasp is, Elrath i a , Meg a g ra ulos, Meta g r au/os, Anomocarella 및 Haniw o id t1 s 둥 중부 캄브리 아계 의 표준화석 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어 본 化石帶가 상부 캄브리아계보다는 중부 캄브리아계에 해 당할 것으로보인다. Komasp is-K opt ur a-lwaya s p is 帶는 이 미 언급한 바와 같이 하위 化石帶 에 서 산출된 수종의 삼엽 충울 공유하고 있으며 Ey m ekop s, Anomocarella,
Komasp is 및 Ko pt ura 속 동 중부 캄브리 아계 의 표준화석 들이 산출된다. Koba y ash i는 득히 Pseudag n ostu s 속의 원시 형 인 P. Pr i mus 와 함께 Kop t11 ra 속의 산출로 보아 본 화석군의 시대는 중기 캄브리아기의 網山組 (Kusha· nia n Sta g e ) 에 해 당할 것 이 타고 하였 으며 Lop nor it es 속, Ko g en i um 속, 및 P,o cera t o pyg e 의 산출 동 화석 군 목성으로 보아 본 화석 군이 오스트레 일리아와 발탁지역에 각각 연결되어 있었음을 지시한다고 하였다. 마차리 층 최 상부의 Olenus·Glyp tag no stu s 帶는 그의 대 표속인 0/enus 와 G/yp tag11 ostu s 속이 모두 후기 캄브리 아기 의 표준화석 이 며 이 밖에 Acroce• J1h alin a 속 은 중앙아시 아의 상부 캄브리 아계 에 서 , Hedin a sp is 속 및 West· ug a rdit es 속 둥도 아시 아의 상부 캄브리 아계 에 서 산출되 어 Kobay a shi (1966 ) 는 본 化石帶를 대 서 양구의 상부 캄브리 아계 의 Olenus 帶에 대 비 하였다. 瓦谷 府 은 화석 산 춘 이 국히 빈약하나 Koba y ash i에 의하여 보고된 4 종 의 화석 중 Eoor t lz i s 속은 북미대륙 및 소련의 상부 캄브리아계에서, Ap lz ae o rth i s 속 은 북반구와 남미 의 상부 캄브리 아 내 지 하부 오오도비 스 계 에 서 , Pse11dokain e lla 속은 한국 의 에 남미 의 하부 오오도비 스계 에 서 보 고된 종들로서 Koba y ash i (1966) 는 이 화석군을 근거로 瓦谷層의 시대 를 최후기 캄브리아기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하위층인 마차리충 (Lee, H.Y. 1966) 과 상위충인 문곡충의 코노돈트 화석군(元文珠 • 李河榮 1977) 으로 분 때 본충은 최초기 오오도비스기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 각된다. 文谷 屈 화석군은 기처부의 Yoshim urasp is 帶 를 포함한 전 화석군이 초 기 오오도비 스기 를 지 시 한다. Yoshim urasp is 帶 를 계 의 한 화석 군을 구성 하는 25 種 중 약 10 종이 삼척 斗園峰地域의 斗務洞 셰일 화석군과 밀접 한 관련을 갖는 종들로 되 어 있 다. 따라서 Kobay a shi (1966) 는 문곡충의 하부 (Yoslz i murasp i s 帶)는 삼척지역의 銅店珪岩에, 그의 중부 내지 상부 논 斗務洞 셰일에 각각 대비된다고 하였다. 永興層에서 보고된 무척추 동물화석 은 극히 빈약하며 삼엽 충 Basil ie / /a 속만이 분류된 유일한 속으 로 보고되었다. 이는 삼척지역의 직운산 셰일에서도 보고된 속으로 Koba y ash i (1966) 는 이 충과 이밖에 분류되지 않은 완족동물과두족류화 석에 근거하여 영흥충의 시대를 삼척지역의 직운산 셰일 및 두위봉석회 암과 같은 시대일 것으로 보았다.
1-3 문경지역 (聞 慶 型 朝鮮累層群) 경상복도 문경지역에는 하부 고생대의 조선루 충 군이 상부고생대의 평 안 충 군과 중생대의 대동 충 군의 양축 연변 을 따 라 발 달되어 있다. 특 히 大同 層 群의 서축 九郞里一 麻 城里 一帶에 분포하 는 조선루충군의 충 서는 Ao ti (1942) 에 의하여 하부로부터 九郞里 府 , 麻城屈 下乃 里屈 石 柄里 層 , 鼎 里層 및 都毛里 層 으로 구분되었으며 九郞 里府 에서 石 橘里府 까지 논 캄브리아기에, 鼎 里層 에서 都毛里 層 까지는 오오도비스기에 해당되는 지층으로 해석되었다. 本 累府 群에 대한 고생물학적 연구 는 Kobay a shi (1958, 1961) 에 의 하여 행 하여 졌 다• 그후 金南 長 外 (1967) , 孫致武 (i97 2) 및 朴正 緖 (1974), 資源 開 發 硏究所 (1977) 둥에 의하여 본루 충 군의 충 서 가 연구되었으나 후 기의 조사자들에 의해서는 고생물 학 적인 연구가 거 의 행하여지지 못하였으며 前記한 하부고생대 충 의 세분된 岩 石 層 序單 位들이 인정되지 않고 최하부의 구랑리충을 제의한 모든 충 이 大石灰 岩 統으로 통합되었다. 본 지역 하부 고생대의 조선루 충 군에서 보고된 화 석종은 다음과 갇다.
1 九郞里 層 상 영 충 : RedUchi a nobiU s Walcott
2 麻 城 歷 완족동물: Ni su sia pau sico ste l la Kobay a shi 복족류: Hamp ilina go nio s p ira Kobay a shi 삼엽충: Koote n ia amanoi Kobay a shi Amp h oto n sp i血 Ia Kobay a shi 3 下乃里 層 완족동물: Obolus sp. Acrotr e ta sp. 삼엽충:
Mung yo ng ia tul ip ifom i s Kobay a shi Dawsonia bunkeie n sis (Kobay a shi) Pt yc hop ar ia aff . im p ar Walcott . Palaeolenus aoti i Kobay a shi Redli chi a chin ensis Walcatt Redli chi a cf. cyl i n dric a Chang Pseudagn ostu s Prim us Kobay a shi Amp h oto n mi cr o/o ps Kobay as hi Pt ych op ar ia sp. Anomocare//a sp.
Manchurie / /a sp. Procerato p yge (Lop n orit es? ) sp. 4 石橋里 層 : 化石産出이 없음 5 鼎里 層 : 化石 産 出이 없음 6 都 뜹磨 완족동물 : Str n p ho m e ni d , ge n . et sp. ind e t. -닌r -조=, 7근1· •· Ct en o donta (?) sp . 보I 조I근T .· Be /l er op h o n aot ii Kobay a sh i Scalit e s kato i (Koba y as h i) S. irr eg u lare Ko b a y a sh i Helic o to m a amanoi Ko b a y a sh i Palae o mp lz a/us ke iz a ne1 1sis (K oh. )
Hedin a sp is c f. reg a lis (Troedsson) Lop ho sp ira cf banta t s u ensis Kobay a sh i Liosp ira sholzakuensis Kobay a shi 두족류: Ormoceras aff . nanumf or me Kobay a shi Cy cl ocer a ti d, gen . et sp. ind et. 태선동물: Bryo z oa , gen . et sp. ind et.
문경 지역 조선루층군 화석군의 특징 : Koba y ash i (1966) 는 본 지역 하부 고생대충의 하부충인 九郞里 層 과 麻城 屈 에서 산 출 된 화석종에 의하여 九郞里 層 의 상부 를 Redli chi a nobil is 帶 , 麻城)선을 하부로부터 Pala e olenus 帶, P ty chop ar i a 帶, Koote n ia amano i帶로 三分 하였 다. 그는 上 記 化石 帶 中 Redli chi a nob ili s 帶 와 Palaeolenus 帶는 중 국 의 하부 캄브리 아계 인 緩 頭統에 대 비 되 며 Koo t en i a-Ni su i a 帶는 중부 캄브리 아계의 復 쌔 統 (Fuchoan Ser i es) 에 대비된다고 하였으며 Pt ych op a n·a 帶는 f投頭統 의 상부 또는 復.} t I 統 의 하부에 대비되는 것으로 보았다. 한 편 下乃 里 府 의 화석군은 영월지역의 마차리층 화석군과 밀접한 연관성 올 보이 며 Acrotr e ta sp . , Pseu dag n ostu s Prim us Kobay a shi, Pt ych op a ria sp . , Anomocarella sp. , Hedin a sp is 속 둥이 공동으로 산출된다 . 특히 Hedin a sp is 속 은 중국의 Kueic h ou 에 있 는 Santu 화석 군과, Ti en shan 동부의 Qu ruq tag h 서부의 Torsuq ta g h 화석군과의 유사성을 지시해준 다. 도담리충 화석군은 삼척지역의 두위봉석회암 화석군과의 유연관계 를 지시한다. 이밖에 강원도 평창 복서부에 넓게 분포하는 平昌型 조선루충군에서
는 아직 어떤 종류의 일반 동물화석도 보고된 바가 없으며 정선지역 에 넓 게 분포하는 정 선석 회 암에 서 는 종의 식 별 이 불가능한 Acti no ceroid 에 속하는 두족류화석 이 Kobay a shi 에 의 해 보고되 었 을 분 이 다. 1-4 북한의 하부고생대충 화석군 복한의 하부고생대 朝鮮累府群 은 평안남도 평양단전, 成 川과 高原, 黃海道 中和 지역에 넓게 분포되어 있고 평안북도 압록강 유역의 江界 , 謂原, 楚山 지역에는 소규모로 산재되어 있다. 이 복한의 하부고생대충 은 여러 지역에서 십한 변성작용을받았으며 그의 지질구조가 복잡하 다. 복한의 朝鮮累層群에서도 비교적 여러 종류의 동물화석이 산 출 되었으 며 이 들은 주로 小林貞一 (1929, 1930 a, b, 1931 a, b, 1935 a, b, 1939, 1934 a, b, 1941, 1943, 1951 a, b, 1952 a, b) , 小林貞一, 金鍾原 (1931) , Nakamura, S. (1926 a, 1930) 및 Sait o, K (1933 a, b, 1934 , 1936) 둥에 의 하여 연구 되었으나 광복후의 연구활동에 대하여는 아무 자료를 얻지 못하였다. 복한 하부 고생대충의 화석 산 출 을 각 지역별로 보면 다음과 같 다. 1) 평양탄전지역 본 탄전 지역은 Nakamura, S. (1926) 에 의하여 하부로부터 文山里 層, 樂民層, 馬山里層, 林村層, 楚山石灰岩 및 晩達屈群으로 구분된다. 하부의 문산리충, 낙민충, 마산리충은 조선루충군 하부의 양덕충군에 속하며 임촌충에서 만달충군까지는 타지역의 大石灰岩屈群에 대비된다. 본 지역 하부의 樂民層은 竹原平一 (1934) 의 中和層에 해당된다. 이들 각충에서 산출된 일반무척추동물화석은 다음과 같다.
1 文山里層 완족동물: Obolop si s marga rit ae Sait o 삼엽충: Proto l enus coreanic u s Sait o Lusati op s (Coreolenus) corean icu s
(Sait o) Aluta obsoleta Sait o 소속불명: Hy ol i the s ter eta p ex Sait o
2 樂民 思 〈 中和層 ; 완족동물: Acrotr e t a corea n ic a Sait o Obolus cf. detr i t us Mansuy Obolel l a lunaris Sait o Bots f o r dia gr anulata (Redli ch ) B. cf. gr anulata (Redli ch ) 사u 여u ·T 국 •• Re d lic lz ia chi n en s is Walcott 3 烏 山里 日 완 족류 : Obolt ts sp. Ling u lel l a sp. Botz ! ordia cf. gr anulata (Redli ch ) Mi cr omi tva (Iph id e lla) sp. Acrotr e ta sp . Eoorth i s sp. 보기 조기g ,_r .• Hamp il i na alt a Kobay a shi He lc i on e ll a coreanic a Kobay as hi H. pa cif ica Sa it o Globorilu s glo big e r (Sait o) . 삼엽 충 : Eodis r n s f11 si fro11 s Sait o Proli ost r a cus? brevic a udatu s Sait o & Sa la kura 4 林村層 해면류: Proto s po n g ia sp. 완족동물: Acrotr e ta aff . shantu 1 1g e1 1sis Walcott Acrotl z ele sp. Lin g u lella sp.
R. nobil is W alcott R. coreanic a Sait o Bonnia tok unag a i Sati o Bonnia cf. tok unag a i Sait o Neoredlic h ia nakamurai (Sait o) Cheir u roid e s pr im i ge nia (Sait o) Bradoria subacumi na ta Sait o Chan ce l / ar ia exil is S ait o Pi an asp is kodair ai Sait o & Sa k akura Oryc to c ep h alus orie n ta l i s S ait o 0. sait oi Resser 0. kobay as hii Sait o Ag n ostu s rakuroensis (Kobay a shi) Dolic h ometo p us sp. Bradoria sp. Peronop si s rakuroensis (Kobay a shi) Meta d is c us fu sif ron s (Sait o) Pag e ti a (Eop a g e ti a) spr im g e r (Sait o) Koote n ia asia t i ca Kobay as hi 소속불명: Hy ol i the s koto i Sait o 복족류: Lio s p ira cf. lenti cu laris Kobay as hi 삼엽충: Ag n ostu s chin e nsis Dames Doryp y~ e nchth o f en i Dames. Elrath i a chuwaensis Kobay a shi
Peronop si s rakuroensis Kobay as hi Pty cl zag no stu s aff . ata v us (Tullberg) Amp !zo to n deois ( Walcott )
Pt yc hop a ria corea n ic a Kobay a shi Amecep l z alus sait oi Ko b ay a shi Anomocarella sp.
평양탄전 朝薛累還群化石群의 특징 : 文山里恩의 삼엽 충 Proto l enus 속과 L11sat iop s 속은 하부 캄브리 아계 의 樣準化石으로 전자는 영국을 위시한 유럽, 북아프리카의 모로코 둥 지에 서 보고되었고 후자는 유럽 지역에서 산 출 되었다. 이 듄 화석 에 의하여 文山里層은 본 지역의 하부 고생대의 기저충임이 밝혀졌고 본 충 이 하부 캄브리아기에 속할 것이 확실하게 되었다. 樂民層 또는 中和層은 본래 화석 군에 의 하여 하부로부터 Q) Re d lic l zia chin e nsis 帶, ® Redli chi a coreanic a 帶, @ Ncored lic h ia nakamurai 帶, @ Redlic h ia sait oi 帶 및 Bonnia 帶의 5 개 化石 帶 로 구분된다. 하부의 41뽑 는 모두 Red li ch i a 속에 의하여 대표되고 있으나 최상부 化 石帶는 Red li clz i a 를 포함하지 않고 있음이 득 징이다. Redl i ch i a 속은 한국 과 중국, 中東의 이란, 파키스탄, 오스트레일리아의 하부 캄브리아계의 표준화석이며 최상부의 Bonnia 帶의 대표종인 Bonnia 속도 북미대륙, Greenland 및 동부 아시 아의 하부 캄브리 아 지 층에 서 보고되 었 다. 그러 므로 樂民層도 그의 시대가 하부 캄브리아기에 속한다. 馬山里層에 서는 Peronop s is 속, Oryc to c ep h alus 속, Pi an asp is 속 , Dolyc h· ometo p us 속 둥 중부 캄브리 아의 표준화석 을 포함하고 있 어 본충이 중부 캄브리 아기 에 속함을 지 시 해 주나 기 처 부에 는 Helcio n ella 속, Prolio s tr a cus (?)속 동 초기 캄브리아기를 지시하는 화석도 포함되어 있어 본충 기처 부의 시대는 초기 캄브리아일 것으로 추정된다. 林村層에 는 Doryp ge 속, Elrath i a 속, Peronop s is 속, Amp h to n 속, Pt yc h· op ar ia 속, Anomocarella 속 둥 모두 중기 캄브리 아기 의 표준화석 들이 산출 되며 이 화석을 통해 林村層의 시대가 중기 캄브리아기에 해당됨을 지 시해 준다. 그러 나 前記한 화석 산출목록표에 서 보는 바와 같이 임 촌충 위에 놓이는 지충들은 화석이 거의 산출되지 않으므로 화석에 의한 충 서세분이 어려우며 특히 평안남도지역에서는 후기 캄브리아기와 초기 오오도비스기의 화석이 발견되지 않고 있어 캄브리아계와 오오도비스계 의 경계 설정이 불가능하다. 다만 평양단전 동부지역의 麻田浦層에서 두 족류 Coreanoceras sp. , Cy r te n doceras sp. 와 복족류 Holop ea sp. 가 보고되 었
고 상부의 江津山府에서 두족류 Acti no ceras s p.와 海綿動物(?)의 일종인 Recep tac ulite s 가 산출되 었 다. Coreanocoras 속은 초기 오오도비 스기 의 죠 준화석 이 며 Cy r te n doceras 는 초기 내 지 중기 오오도버 스기 에 걷쳐 생 존하 였던 두족류이므로 이들 화석에 의하여 麻 田浦層의 시대는 초기 오오도 비 스기 일 것 으로 보인다. 강전산층에 서 산출된 Acti no ceras 속은 중기 오오 도비 스기 에 서 실루리 아기 까지 , Recep tac ulit es sp . 는 중기 오오도비 스기 에서 데본기까지 생존하였으므로 이 화석에 의하여 정확한 시대결정은 어려우나 Koba y a s h i (1966) 는 강전산충의 시대를 대체로 중기 오오도비 스기로 보았다. 2) 황주지역 본 지역의 하부고생대 朝鮮累府群은 다만 오오도비스기 충만이 알려 졌으며 Koba y ash i (1930,31) 는 이 淮積累層울 하부로부터 松林層 丸山 層 및 晩 達層 으로 분류하였다. 이 3 개 오오도바스기충에서 보고된 화석 은 다음과 같다.
1 松林젼 히드로충: Labechia varia b il is Y abe & Sug iya ma 완족동물: Sy n tr o p lzi a cf. calc1J er a (Bi lling s ) Eoorth i s (?) coreanic a Kobay as hi E. (?) sp. Pt er in e a (?) subaspe r ula Kobay as hi 복족류: Maclarit ell a shir a kii (Kobay a shi) Heli cot o m a (?) kanekoi (K obay a shi) Op h il e ta ich im urai (Kobay a shi) Liosp ira kawasakii Kobay a shi L. lenti cu laris Kobay as hi Holop ea tat e i w ai Kobay a shi Cy cl onema (?) sonrin e nse
Koabay a shi C/£sosp£ ra (?) chundong e nsis Kobay a shi 두족류: Ellesmereoceras (?) amp lu mum Kobay a shi Wolung o ceras (?) mi no r Kobay as hi Cameroceras curvato f o r me Kobay a shi Prote r ocameroceras math i e u i Grabau Coreanoceras kemi po ense Kobay as hi Coreanoceras shorin e nse Kobay a shi Coreanoceras ten uic u rvatu m Kobay as hi C. kokaie n se Kobay as hi C. kin i Kobay a shi
2 丸山 層 두족류 : Polyd es m i a shim amurai( K obay a shi) P. wata n abei (Koba y a shi) P. (?) sp .
Came ro cer a s sp. Ma ruy a m ace ra s sh ima 11 111rtJ : Ko b ay a sh i
3 晩 達層 두족류 : Ormocersas hario i (Koba y a sh i) 3) 평양 동부 만달산 지역 平 壤 東部江東郡 晩 達 面 勝湖里 附近 에 오오도바 스기 의 石灰 治, · 1 답 이 찰 발달되어 있으며 이 석회암충을 Kobay a shi ( 1 9 3 1 a,b) 는 하 부로부 더 腦 井 恩 晩 達 山 層 , 雲鶴層 및 南 iit Ii 으 로 구 분하였 다. Kobay a shi 는 상기 지층 중 운학충에서 다음과 같은 화석종을 보 고하였다.
1 雲鶴層 히드로.충: Labechia reg u laris Yabe & Sug iya ma Labechia reg u laris ten uis Yabe &Sug iya ma Labechia coreanic a Yabe & Sug iya ma 복족류: Loxobucania kato i (Kobay a shi) Maclurit es tof a n g o ense (Kobay a shi) Heli cot o m a tam urai Kobay a shi Heli cot o m a (?) yab ei Kobay a shi Op h il e ti na (?) shokorie n sis Kobay a sui Lesueuril la k tt sh anensis (Grabau) Lio s p ira barbouri Grabau Eoto m nria concava Kobay a sh i Lop h osp ira acuta Grabau
Lop h osp ira konnoi Kobay a shi Lop h osp ira ko dair ai Koba y a sh i Lop !ios p ira subp u lche ll a Ko b a y a sh i Lop h osp ira ge rardi Grab a u Lop h osp ira tro cli iform i s Gr abau Dona/die / l a tet r a carin a (Koba y as hi) Trochonem a ozawai Koba y as hi Trochonem a oza w ai dep r e s s a Kobay a shi 두족류: Vag ino ceras cf. mult it11b 11 l at1 1 m (Hall) Cy c loceras ma11t al ense Kobay a shi Cy c loceras kawasakii Kobay a shi Ste r eop l asmoceras ps eudosep tum (Grabau) Ormoceras nanum (Grabau) Ormoceras tan i (Grabau)
Ormoceras suamp a noid e s (Grabau) Ormoceras hario i (Kobay a shi) Arme no ceras submarg ina le(Grabau) Armenoceras manchurense (Kobay a shi)
Annenoceras cf. ric h th o fe n i (Frech) Cy rt a c ti no ceras exog a str a /e (Kobay a shi)
4) j ; ':j/ 京 지 역 본 지 역은 복한의 원산항의 복서방 약 50km 에 위치한 지역으로 하부 고생대 의 조선루충군이 분포되어 있으며 本 府 群의 상부인 중부 오오도 비 스 기 증에 서 Koda i ra( t 930) 는 다음과 같은 화석을 보고하였다.
복족류 -: Lop h osp ira kodair a i Kobay a shi Maclurit e s 1te ri t oi d e s (Eic h wald)Eccy li o p ter i s kuslzanensis Grabau두 족 류:
Ste r eop la smoceras ps mdosept um Grabau Ormoceras nanum (Grabau) Armenoceras ric h th o f en i (Frech) A. submarg ina /e (Grabau)
5) 압 록 강 연안지역 평 안북도 압록강 연변을 따라 楚山, 厚 昌, 江界에 조선루충군이 소규 모로 산재한다. 그러나 이 지역의 조선루충군은 다른 지역에 비하여 비교적 연구가 활발하게 행하여지지 못했으며 그의 충서 구분도 찰 이 루어 지지 않았으나, Kobay a shi( 1 92B, 1931b), 金 鍾 遠 (1931) , 小林貞一, 金 鍾速 (1931), Nonaka(1943) 에 의하여 오오도비스기 및 캄브리 아기 의 화 석산 출 이 보고되었다. 이들에 의하여 보고된 화석은 다음과 같다.
® 楚山地域 (i) 하부 캄브리아系 삼엽충: Red/i ch ia long isp ina Kobay a shi (ii) 중부 캄브리 아系 상영충: Fuchouia manchurie n sis (Walcott ) Amp ho to n deois (Walcott )
Doryp yge manchurie n sis Resser & Endo Bail ie/l a lante 1 1ois i (Mansuy ) Meta g ra 11los coreanic u s Kobay a shi Crep icep h ali na sim wsa Kobay a shi Bil li11g s ella sp. Parag r aulos titian a (Walcott )
(iii) 최하부 요요도비 스系 완족동물: Obo/ustaianensisS un Obo/lIs sankiensisK obayashi Lingll/e/l a kayseriS un Bi/ lin gse/l a gottscheiK obayashi 상엽충: Pseudagnostuscyclopygeformis (Sun) B/ountia? kiniK obayashi Asioptychaspiss p. Tsinaniacanens (Walcott) Kaolishania?obso/eta Kobayashi Changshaniaconica Sun Changshania?truncata Sun Homagnostushoiformis (Kobayshi) Chuangiabaiia (Walcott) (iv)하 부 요요도버스系 C;«'~ I ..I I • Armenocerasmanchurense (!{obayashi) Discoactinocerasm “ It ψ /exum Kobayashi Arch aeoscYPhia sp. ‘O phi/eta’ plana Grabau Camerocerassty/iforme Grabau E/ les merocerasamp/um Kobayashi Manchurocerass p. CoreanoceraskemipoenseK obayashi (v)중 부 오오도버스系 복족류: Macluritesniuhsintaiensis (Kobayashi) C’;.«. 'I~I • Ormacerasharioi( Kabayashi)
Ormocerasnanum (Grabau) O. tani( Grabau) @J파 를 j 앤域 (i)캅 브리아系 완족동물: Acrotretapacifica Walcott OAbcoro/“tsr estp a. sp . 상엽충: Peronopsisrakuroc1IS i s (Kobayashi) DorypygerichtlzofeniD ames MenocepJz a litesacantlzus (Walcott) Mesocrepiceplza/usd .d amia (Walcott) Koptura cf. lisani( Walcott) Anomocarel/ a (Szeaspis)f/ava (Walcott) So/enoparia sp. Anomocarel/ a (Manchuriel/ a) c f. minus (Dames) Eymekopsd .m acar( Walcott) (ii) 중 부 요오도바 스系 완족동물: Lingu/el/ a /iuiS un L.dimorpha Sun .-,!L .료.느츠I I같 • Maclttritesniuhsintaiensis (Kobayashi) 두족류: Stereop/asmocerasteicheriti Kobayashi Stereo삐 asmoceras sp. Tofangoceras (?)sp. OrmocerasharioiK obayashi
0. cf. nanum (Grabau) 0. cf. suamp an oid e s (Grabau) Armoceras cf. tan i (Grabau. ) @ 江界 지역 (i) 캄브리아系 中部 삼엽충: Amp ho to n sp. Solenop a ria pa up e rata Mesocrep icep h alus dami a (W alcott ) Li ng u lella sp. Peronop si s sp. Doryp yge ric h th o f en i (D ames) Solenop ar ia sp. Anomocarella tem enus (W alcott ) (ii) 소속불명 :
Hy ol i the s sp. (iii) 캄브리 아계 上部 완족동물: Obo/us cf. tai a n ensis Sun Lin g u /e//a kay se ri Sun 삼엽충: Homag n ostu s hoif orm i s ( Kob. ) Chang s! z a nia cf. conic a Sun (iv) 오오도비스계 복족류: Mac/ ur it es sp. 기C_ 기조,,.근.. •• Tofa n g o ceras sp. Cy rt a c ti no ceras sp. Ste r eop la smoceras sp. Armenoceras sp.
제 2 철 고석불 朝 鮮 累府群에서 陸上植物온 보고된 바 없다. 이는 캄브리아기와 오오 도비스기에는 세계적으로 아직 陸上植物이 출현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만 海樓 石灰森類 化石 1 종과 Str o mato l i te 의 1 종이 보고되 었을 분 이다. 전자는 藍溪類 (Cy an op h y ta) 에 속하는 Gi rva nella manclzurt'c a Yabe & Ozak i이며 이는 황해도 중화지역의 하부 캄브리아계의 中和層과 압록 강 연변의 평안북도 楚山地域의 하부 캄브리아계에서 각각 보고되었다 (Kobay a shi 1930b). 이 石灰溪類는 그의 직경이 일정한 수많은 석회질 듀브(t ube) 들이 서로 엉키거나 혹은 평행하게 배열된 모습으로 나타난 다(그림 1 참조). G i rvanella 속은 세계적으로 캄브리아기에서 중생대 백악 기까지 이르는 지충에서 보고된다. Str om ato l i te 는 Cryp toz oon 으로 명 명 된 것 으로 평 안남도 복부단전의 德川地域과, 압록강 연변의 초산, 강계 및 후창지역의 최하부 오오도비
엉 킨
스계에서 確成 石灰岩을 이루며 박달되어 있고 이것이 캄브리아계와 오 오도비 스계를 나누는 鍵層 (k er bed ) 의 역 할을 하고 있 다. Cryp toz o o n 은 G ir vanella 와는 달리 동십원상의 평행한 영리구조로되어 있으며 이 런구 조가 수직적으로 겹겁이 쌓여 半球狀울 이루는 것이 목 칭이다(그 립 2-1, 참조). 이런 조류가 아직 남한의 하부 고생대충에서는 보고된 바 없으 나 앞으로 더 철처한 조사가 행하여침에 따라 발견될 것이 예상된다. 제 3 절 미고생물류 한반도의 朝鮮累層群에서 산출 보고된 고생물류는 그의 종류가 극히 제한되어 있다. 현재까지 보고된 종류로는 근래 연구가 활발히 되고 있
는 코노돈트 화석이 주종을 이루고 있고 이밖에 介形虫類, 海綿動物의 針'i?, 海白合類 의 줄기 파편들과 최근 그의 산출이 확인된 키티노조아 (Chit ino zoa ) 둥이 며 이 들 화석 들 중에 코노돈트 화석 과 1 종의 개 형 충 이 의에 는 그의 보존 상태가 불량하여 屈 의 同定이 행하여지지 못하였다. 묵히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코노돈트를 비롯한 모든 미화석류가 후기 캄브리아기 이 후 의 지충에서만 보고되었으며 하부 및 중부 캄브리아系 의 지층에 서 는 전혀 산출된바없다. 그러나 앞으로연구가 진척됨에 따 라 코노돈트, 개형충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미화석이 산출될 것으로 기 대되 고 있다 . 산출된 미 화석류 중 그의 扇種 이 학계에 보고된 코노돈트 와 개형중 윤 지역벨로 보면 다 음과 같다 . 3- 1 코노돈트 미고생물 1) 대백―영 월 상동지역 (두위 봉형 조선루충군) 1 장산규암 : 코上국론트 산출 없음 2 묘봉슬레이트 : 코上나곤트 산출 없음 3 대기 충 : 코노돈트 산 출 없음 4 세송슬레이트 : 코노돈트 산 출 없음 5 화절충 011co t od 記 nakamurai Nog am i Prooneoto d us• ga //ati ni (Muller) • Proconodont1 1s • tri c a rin a tu s •Prooneoto d us• ten uis (Muller) (Nog am i ) 6 동점규암 : 코노돈트 산출 없음
7 두무골셔 1 일 •Acodus delt at u s Lind str om nA• . oneote n sis Furnis h •A~ . tet r a hedron Lin d str om Aconti od us arcuatu s Lin d str om •A•. latu s Pander •A •. iow aensis Furnis h i •A•. rectu s Lin d str om
•A•. nov. sp. Eth i n g ton & Clark •cornuodus• erectu s Fahraeus •Di st a c odus• rhombic u s Lin d str om •v•. sto / us Lin d str om •Di st o m odus• kentu c ky en s i·s Branson & Branson •Drep a nodus• a/t ipe s Hennin g sm oen
•D . arcuatu s Pander •D•. bis y m metr i c u s Vii ra D. co1mlatu s Lin d str om •D. gr ac i/is Branson & Me hl •D. lzomocurvatu s Lin d str om •D . par a/l e/u s Brauson & Mehl •D. suberectu s Branson & Mehl •Falodus erte n sus (Graves& Ellis o n) •ois t o d us• contr a ctu s Lin d str om •o•. elong a tu s Lin d str om •o•. ina equ a lis Pander •o• . par a/l e/u s Pander 8 막골 석회암 ® 하부 화석군 •Acodus delt atu s Lin d str om •Aconti od us sp. A. •A•. sp. B. •Drepa nodus alt ipes Hennin g s m oen •D. arcuatu s Pander •D•. suberectu s (Branson & Mehl) •D. too mey i Eth ing ton & Clark •Drepa n odus• sp. A. •D•. sp. B. •O i s t odus 書 contr a ctu s Lin d str om •o• . ina equ alis Pander •Pa lt odus 廳 inc onsta n s Lin d str om •scandod 꿉 fur nis h i Lin d str om •scolop odus 讐 filosu s Eth ing ton & Clark •s•. ru pal t od if orm z·s Lin d str om . ®상부화석군 •Aconti od us• rectu s Lin d str om •coelocerodon t us 廳 dig o niu s Sweet & Bergs trom
•o•. tri a n g u laris Lind s to m •Pait od us• i11 cons ta 1 1s Lind s tu o m ••P. varia b i l is F urnis h •Sca11dod11s • fu rnis h i Lin d str om •scolop od us• 11og a mi i LEE •s•. pse u d oq u adratu s Bran so n & Mehl •s•. rex. Lin d str om •s-. sp. •Serrato g n ath u s• bilo bams LEE •spa t lz og 11 at ho d11s• cf. n. sp. Lin d str om , 1960. •cordyl o d1,s• concim us Branson & Me hl •c•. sp. nov. Lee •c•. sp. A. •c•. sp. B. •Drep a n odus• homocurvatu s Lin d s - trom •coth o dus• sp. nov. •Gy ro g n ath u s• sp. •Lo nc/zo dus• sp. •oep iko dus• mag go lensis Lee. ·o·. sp. nov. •ois t o d us• inc lin a tu s Branson & Mehl •Polyc aulodus• resup ina tu s Branson & Mehl •Prion io d in a • macroden tat a (Graves & Ell iso n) •Pti wc onus• sp. •Scandodus• sp. •Scolopo dus• cornuti form i s Branson
& Mehl .s•. Jilos us Eth i n g ton & Clark •s•. giga nte u s Sweet & Bergs t r om 9 직운산셔 1 일 •Aconti od us• sp. Eop la cog na th us cf. fol ia c eus (Fab raeus) amba lo dif orm element po lyp la cog n ath i f or m ele ment •Polyp /a cog n ath u s• sp. •Ambalodus• sp. Cordy/ o dus• deli cat u s Branson & Me hl •Di ch og n ath u s• sp. •Di st a c odus• sp. •Di st o m odus• sp. •Drep a n odus• homocurvatu s Lin d st- rom •n•. st,b erectu s (Branson & Mehl) •v•. spp . •Eop /a cog n ath u s• sp. 10 두위봉석회암 •Acodus• sim i la ris Rhodes •A•. sp. •Aconti od us• nevadensis Eth ington & Schumacher •A•. semi sy m metr i c u s Hamar •A•. sp. •Belodella• erecta ( Rhodes & Din le y ) •B•. nov. sp. •Brya nto din a • sp. •cardio d ella• tum i du s (Branson &Mehl) •chi ro g n ath u s• eucharis (Sta uffer )
• Trap zo g n ath 1 1s• sp. • Tric l adio d us? auril o bus Lee •Hadin g o dus sp. Oi st o dus• long iram z·s Lin d str om •o•. spp . Ozarkodin a sp. •Panderodus• gr ac ilis (Branson & Mehl) •Phrag m odus• inf l e xus Sta u ffer •Ph . sp. •Polyp la cog n ath u s• sweeti Bergs t- rom •p•. sp. •Prio n io d us• sp. •Scandodus• cf. rectu s Lin d str om •Scolop od us• sp. •Ste r eoconus• cir cu lus Moskalenko •Subcordyl o dus• sin u atu s Sta u ff er •ch•. sp. •cordyl o dus• delic a t us Branson & Mehl •c• . gr ac ilis Br. & Me. •cyr t o n io d us• fle xuosus(Branson & Mehl) •c. • sp. Et hi n g ton & Schumacher ·c. • sp. •Di ch og nathu s• typica Br. & Me. •Di st o m odus• kentu c kye nsis( Branson & Mehl) •Di st o m cdus• sp.
•Drcpa n odus. lzomocurvat1 1 s Lin d st· rom •D. • suberect us (Brauson & Mehl) •D. • spp . •Eobelodin a • sp. •Eo/ig o nodin a • sp. •Eop lac og n ath u s• cf. lin d str o ·mi Berg. •F11rnis h in ar sp. Gy ro g n ath u s elong a tu s Rhodes •Mu/t iois t o d us• tri d e ns Younq u is t & Cull ison •Oep iko dus? sp. •ois t o d us• abundans Branson & Mehl •o. • breuic o nus Branson & Mehl •o. • for ceps Lin d str om •o. • inc li nat u s Branson & Mehl •o. • cf. nevadensis Eth . & Sch. •o. • uenustu s Sta u ff er ·o. • spp . •ozarkodin a • cte lt#l ata Young . & Cu. •o. • jo achim ensis Andrew ·o. ·? sp. •Panderodus• comp re ssus (Branson & Mehl)
•P. • gr ac ilis (Branso n & Mehl) •P. • i11t er m c di 1 1 s Br. & Me. & Br. •Paracordyl o dus li1 1 dstr o emi Lin d - stb m Perio don• nov. sp. Lee •Plzrag m odus inf le xus Sta u ff er ph arag m odiu m element dic h og n ath i f or m element Polyc a ulodus• bid e nt u s Br. & Me. •P. • gr ac i/is Young . & Cu. •P. • inc /ina tu s . Branso n & Mehl •P. • resup i11a t1 1 s Branson & Mehl. •P. • sp. 가 'ri o11 i od i 11a cf. macrodeta t a (Gr. & EL ) •Prio n io d us sp. •scandodus• inf le xus Hamar ·s. •. sp . •scolop od us• ins culpt us (B r . & Me) •s. • nog a mi i Lee •s. • warendensis Druce & Jon es •ste r eoconus• circ ulus Moskalenkc •subcordyl o dus• sin u atu s Sta u ff er • Trapz o g n ath s sp. Tric ladio d us? auril o bus Lee •Zy gog n ath u s• sp.
태백―영월상동지역 조선루층군 코노돈트 화석군의 특징 : 위에 기재된 코노돈트 화석종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두위봉형 조선루 충군에서는 하부 내지 중부 캄브리아계인 장산규암, 묘봉슬레이트, 대 기충 및 세송슬레이트에서는 코노돈트 미화석이 산출되지 않았다. 다만 화철충에서 4 속 6 종의 코노돈트가 보고되었고 이들 화석종들은 세계적 으로 상부 캄브리 아계 에서 보고된 화석들로 본화철충이 후기 캄브리 아 기임을 지시해준다. 이에 추가하여 최근 이병수(연세대 석사논문, 1983)
는 정선군 남면 무 용 리( 증 산) 지역에 분포하는 화절충 상부 및 최상부 에서 9 속 15 종의 코노돈트 화석을 기재, 보고하였으며 이 화석군의 시 대도 후 기 캄브리아기임이 밝혀졌다. 오오도비스계 기저층인 동접규암에서는 코노돈트 화 석이 산출되지 않 았다. 그러 나 오오도비 스계 최 하부 화석 군이 M illle r(t9 64) 에 의 하여 보 고된 바 있다. 그는 태백시 장성읍 장거리 복부에서 다음과 같은 7 속 8 종의 코노돈트 미화석종을 보고하였다.
•Acodus• oneote n sis Furnis h •Acodus sp. •Aconti od us cf. pr op inq uu s Furnis h •Drep a n odus sub arcuatu s Furnis h
•Drepa n odus• to rtu s Furnis h MOi st o d us• gr ac ilis B ranson & Mehl •Palt od us• qui n q 11 ecosta tus Muller •Scandodus• rect us Lind str o m MChosonodin a • herfu r th i Mi ille r
본래 이 화 석 군 산 출 樣品 은 1940 년 Shir ak i 의 삼척 탄전 조사중 그의 助 手에 의하여 채집된 것으로- 그의 충서상 위치가 확실하게 밝혀쳐 있 지 않았으 며 다만 표품 과 같이 수반된 삼엽 충 화석 이 Kobay a shi, T. 에 의 하여 ‘Calvin e lla' sp . 로 감정 되 어 , Kobay a shi 는 이 표품의 충준이 최상부 캄브 리아계이거나 혹은 최하부 오오도비스계인 동접 규암에 근 접 한 충일 가능성이 있으나 상부 캄브리아계인 좌절충 최상부일 것이 보 다 더 타당한 것으로 생각한다고 하였다. 이 코노돈트 화석군을 기재한 M ii ll e r(1964) 는 이 화석군을 북미 대륙 Mi ss i ss ippi강 상류지역의 최하 부 오오 도비 스계 지 충인 Prair ie du Chie n 충의 화석 군에 대 비 하였 다. 본 화석 군은 지금까지 보고된 한국 오오도비스 화석군 중 가장 초기의 화석군이다. 두무골 셰일의 코노돈트 화석군은 16 속 43 종이 보고되었다. 李河榮 (1970, 1975b) 은 이 두무골 셰일의 코노돈트 화석군이 지시하는 시대는 종래 삼엽충에 근거한 본충의 시대 결정과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나타 낸다고 하였다. 삼엽충 동 일반 대형화석에 의하여는 두무골 셰일의 시 대가 오오도바스기 초기인 Tremadoc i an 에 해당된다고 하였으나 李河 榮 ( 1970, 1975b) 은 Tremadocia n 다음시 대 인 Arenig ian 에 해 당된다고 하 였다. 이 결과에 대하여 Koba y ash i ,T(1976) 는 이와같은 시대 결정의 차 이는 두 화석군의 산출 層準 이 들리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막골석 회 암 코노돈트 화석 군은 李河榮 (1976) 에 의 하여 18 속 39 종으로
분류되 었으며 하부와 상부 의 2 개 化石 帶 로 구 분 된다 고 하였 다 . 하부 화 석대 는 모두 단순형 코노돈 트 (Si m p le cone t yp e ) 로 구 성되었고 그의 시 대 는 초기 오오도비 스기 의 Aren igi an 을 지 시 하며 상부 화석 대 는 복합 형 코노돈트가 우세하고 그의 시대는 중기 오오도비스기 로 북 미 대륙의 Chazy a n 하부에 대비된다고 하였다. 특 히 이 들 상부 화석 대 륜 구성하 는 종류들은 북미 중부대 륙 과 이에 밀접한 生物區 에 속 하 는 지역의 지 충 중에서 산출된 종류 들로 되 어있다. 이 미 앞철에 서 언급한 바와 같 이 Kobay a shi, T. ( 1 966) 는 일 반 대 형 화 석 에 의 하여 구분된 막 골석 회 암의 하부인 Clarke /l a 화석 대 와 중 부의 Ma · nchuroceras 層 準 은 북미 대 륙 의 중부 내 지 상부 Ca n a d ia n , 죽 유럽 의 Aien igian 에 대 비 되 며 , 본 석 회 암의 상부인 Polyd e sm i a 대 와 Sig m orth o c-eras 대 는 북미 대 륙의 Chazy a n 하부 내 지 중부에 대 비 된다고 하 였 다. 또 화석군의 생물구 유연관계로 보아 유럽지역보다 는 북 미 대 륙 화 석 군과 밀접한 근찬성을 갖 는 다고 하였다. 이와 같 은 견 해 는 코노돈트 화 석군에 의하여 얻어전 결 과와 거의 일치한다. 그러나 아 직 일반 대형 화석과 미고생물 코노돈 트 에 의하여 설정된 하부와 상 부 의 屈準 의 경계 대비가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 있다. 직운산 셰일의 코노돈트 화 석군은 20 속 25 종이 李河榮 (1977), 鄭 昌 熙
外 (1979) 에 의하여 보고되었다. 이 칙운산 셰일 화석군은 대부분 種 식 변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Eop la cog n ath u s cf. fol i ace us (Fahraeus), Hadin - go dus sp. Phrag m odus inf l e xsus Sta uff er , Polyp la cog na th u s swe eti Bergs t- rom 동 중기 오오도비 스기 의 표준화석 들을 포함하고 있 다. 따라서 李 河榮 (1977), 鄭 昌熙外 (1979) 는 이 화석군의 시대가 중기 오오도비스기로 유럽 의 Llandeil ian 또는 북 미 대 륙의 상부 Chazy a n 에 대 비 된다고 하 였다. 이는 일반 대형화 석 에 의하여 얻어전 시대 대비와 일치한다. ::i 러나 그의 생물구 유연관계 해석에 있어서는 차이접이 있다. Koba y ash i (1966) 는 본충의 일반 대형화석군이 북미대륙보다는 유럽지 역 의 화석군과 더 근찬관계 를 갖고 있다고 한 데 대하여 鄭昌熙 外 (1979) 는 Eop la cog n ath u s 족과 같은 유럽 형 화석 의 에 Phrag m odus i nf /exus 와 갇 온 복미 중부대륙형이 산출되고 있는 접으로 보아 두 생물구의 혼합형 의 가능성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 斗園 峰 石灰岩 코노돈트 화석군은 李河榮 • 李 鍾德 (1971) , 李河 榮 (1977), 鄭昌熙 外 (1979) 에 의하여 연구되었다. 이 斗 園峰 石灰岩의 코노돈트화석 군중 복합형 에 속하는 Cordyl o dus delic a tu s Branson & Mehl, Polyc au lodus bid e nta t u s Branson & Mehl, Polyc aulodus inc lin a tu s Branso n & Mehl, Polyc au/o d us resup ina tu s Branson & Mehl, Ozarkodin a jo achim ensis , D~·chog n atl zu s typica 둥은 북미 중부대륙의 중부 오오도비스系에서 보고 된 것으로 李河榮 ( 1977) 및 鄭昌熙 外 (1979) 는 이 화석군을 북미 중부대 륙의 중부 및 상부 오오도바스系 코노돈트 化石帶 第 5 帶- 第 7 帶와 유럽 의 Caradoc ian 하부에 대 비 되 며 그의 생 물구 유연관계 도 유럽 형 보다는 북미 중부대륙형과 더 근찬 관계를 보인다고 하였다. 이 는 일반 대형화석에 의하여 얻어전 결과와 거의 일치하나 일반 대형 화석 에 의 하면 본충의 시 대 가 Caradocia n 상부에 까지 이 른다고 하였 다. 2) 영월되적분지(영월형 조선루충군) 영월형 조선루 충군 으로 알려진 강원도 영월지여에 넓게 분포하는 하 부 고생대충에서는 기저부 를 이루는 三方山層과 瓦谷層 (興月里層)을 제 외한 磨庭里府 文谷府 ( 三台山層 ) 및 永興層에서 다음과 같은 미고생물 코노돈트가 보고되 었다. 1 三方山 同 : 코노돈트 화석 산출되지 않음
2 腐磁 里 曆 aFurnis lz in a • asym metr i c a Muller •F. • cf. fur nis h i Muller 가 [er t z in ar bis u lcata Mt ill er •Proconodontu s D tri c a rin a tu s (Nog -
ami ) aProoneoto d us• rotu n datu s (Druce & Jon es) aP. • ten uis (Muller)
3 瓦谷曆 (興 月里層) : 標準地域에서 코노돈트 화석 산출되지 않음
4 文谷層(三台山層) •Acodus• tet r a hedron Lin d str om •Acanth o dus• (?) costa t u s Druce &Jon es •Aconti od us• nog a mi i Mi ller •Aconti od us• iow ensis Furnis h •Aconti od us• sta u f feri Furnis h
•Aconti od us• cf. arcuatu s Pander •Di st a c odus• rhomoic u s Lin d str om •Drepa n odus• arcuatu s Pander Drepa nodus concavus Branson & Mehl Drep a nodus conulatu s Lin d str om
•Drepa n odus• Jle xuosus Pander •Drepa n odus• gr ac i/is Br. & Me. •Drepa n odus• lzomocurvatu s Lin d . Drepa n odus• par a/l e/u s Br. & Me. •Drepa n odus• cf. par a/l e/u s Branson& Mehl •Drepa n odus• plan us Lin d str om •Drepa n odus• su!J e rectu s (Branson &Mehl) •Drepa n odus• ten uis Moskalenko •Drepa n odus• spp . •Oi st o d us• ina equ ali s P ander •Ois t o d us• contr a ct 11 s Lind str om •ois t o d us lanceolatu s Pander •Oi st o d us• mi nu tu s Mi ller •Oi st o d us• sp. •oneoto d us• cf. dats o nesis Druce 5 永興層 •Acodus• sp. •Belodella• erecta ( Rhodes & Di nl ey ) •B. • ncv. sp. Barnes & Pop la wski •Brya n to din a• sta u fJ er i Bergs t r om & Sweet •Drepa n odus• homocurvatu s Lin d st- rom D. • suberectu s (Branson & Mehl) •D. • spp . •Mi cr ocoelodus• cf. asym metr i c u s Branson & Mehl •Neopr i o n io d us• nov. sp. •ois t o d us• aff . brevic o nus Branson & Mehl •o. • for ceps Lin d str om
& Jo nes •oneoto dus• gr ac ilis Lin d str o m uoneoto d us 11akamurai Nog a mi Prooneoto d us• cf. rotu ndatu s (Druce & Jon es) Oneoto d 1ts • spp . Palt od us• cf. inc onsta 1 1s Lind str o m •Palt od us• uta h ensis Mi lle r Scolop od us• basslcri Furnis h •sco/op o dus• qu adrap /ica t11 s Bran s- son & Mehl •scolop o dus• tri p /ica tu s Et h in g ton & Clark •Scolop od us• warendensis Druce & Jon es •scolop od us• gr ac ilis Eth i n g ton & Clark •o. inc lin a tu s Branson & Mehl Oi st o dus• sp. Oep iko dus• cf. cop e nlt ag e nsis Eth i- ng ton & Schumacher Panderodus (?) alabamensis Eth in - gton & Schumacher •P. comp re ssus Branson & Mehl .P. • str i a t u s Sta u ff er Polyc aulodus• aborti vu s Branson & Mehl •P. resup ina tu s Branson & Mehl P. • cf. reversus Sweet •Plecto d in a• actt le ata (Sta u ff er ) •P. • sp. Rop e ts k i & Eth i n g ton cordy lo dif orm element
trich onodellifo r m element zyg o g n ath i f or m element Prio n io d in a • sp. A •Prio n io d in a • sp. B •Proto p an derodus• cf. /eonardi Ser· pa g li MP. • nov. sp. Barnes & Pop la wski
•Roundya • nov. sp. Lee •scandodus• cf. serratu s Moskalen- ko •Scandodus sp. •Scolop od us• gigan te u s Sweet & Bergs t r om • Tric l adio dusr aurilo bus Lee
寧越地坡 코노돈트 화석군의 특징 : 磨藍里屈에 서는 4 屈 6 種의 코노돈트화석이 보고되었다. 이들 코노돈 트 화석 종 중 Hertz i n a ? bis u lcata 는 스웨 덴, 덴마크, 북미 대 륙의 중부 캄브리아계에서 보고된 原始形 코노돈트중의 하나이다. 이 화석종은 그 러나 상부 캄브리아계에서도 보고되었으며, 다른 5 종의 코노돈트는 세 계 여러 지역의 상부 캄브리아계에서 보고된 후기 캄브리아기의 표준 화석이다. 그러므로 마차리층의 코노돈트화석종은 種의 數는 적으나 마 차리충의 시대를 후기 캄브리아기에 속함을 확실히 해준다. 이 결과는 일반 대형화석에 근거한 시대 결정과도 일치한다. 瓦谷 層 또는 興月里層의 표준지역인 영월군 북면 일대에 분포하는 와 곡충에서는 아직 코노돈트 화석이 산출되지 않았다. 이는 本府울 구성하고 있는 암석이 대부분 둘로마이트질 석회암으로 되어 있으며 이 돌로마이트진 석회암에서는 코노돈트화석이 일반적으로 드물개 산출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 나 李河榮 (1970) 은 丹陽郡 梅浦面에 분포하는 홍월리 충(와곡충의 同 物異名 )의 돌로마이트질 석회암에서 Sco t op odusrex 의 1 개체를 보고 한 바 있 다. 이 코노돈트 화석 은 유럽 및 복미 대 륙의 Tremadocia n 과 Arenig ian 의 지충에 서 보고된 초기 오오도비 스기 의 표준화석 이 다. 그 러나 이 화석종이 지시하는바와같이 瓦谷層 또는 興月里 層 이 오오도비 스紀의 Tremadocia n 또는 Aren igi an 에 해당될 것인가에 대한 확실한 해답은 와곡충의 표준지역에서 더많은 코노돈트화석종을찾은후, 이를 바탕으로 연구된 결과에 의해 밝혀져야 할것아다. 文谷層(三台山層)에서는 元文洙 • 李河榮 (1977) 에 의하여 同層의 표준 지역인 영월군 영월읍 삼거리와 北面 磨礎里 사아에서 11 속 34 종이 보 고되 었 다. 문곡충 코노돈트 화석 군은 모두 단순원추형 (Sim p le cone type )
코노돈트로 구성되어 있음이 득 칭이며 이와같은 단순 원추형은초기 오 오도비스기 화석군에서 흔히 볼 수 있 는 특 징이다. 元 文 珠 • 李 河 榮 (1977) 은 이 文谷歷의 코노돈트 화석 군 시 대 를 오오도비 스기 초기 의 Tremad- oc i an 으로 보았고 文谷層 상부는 Aren igi an 까지 연장될 가능성이 있다 고 하였 다. 이 문곡충 코노돈트 화석 군을 국내 화석 군과 대 바 하면 Muller (1964) 에 의 하여 화절충상부( ? ) 에 서 보고된 바 있 는 오오도비 스기 초 기 Tremadocia n 화석군과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다. 코노돈트 화석군에 의한 본충의 시대결정은 일반 대형 화 석에 의하여 얻어전 결과와 거 의 일치한다. Kobay a shi, T. (1966) 는 본 충 의 시 대 를 초기 오오도바 스기 의 Tremadocia n 에 서 Arenig ian 에 이 르 는 것 으로 보 았다. 한편 元文珠 • 李 河 榮 (1 9 77) 은 생 물 구의 類 綠 閩係로 볼 때 오스트 레일리아 화석군과 밀접한 관계 를 나타내고 있다고 하였다. 永 興層 에저는 현재까지 일반 대 형 화석 이 극히 드 물 계 산출 되었다. 그러나 코노돈트 화석은 비교 적 다량으로 산 출 되었으며 이 들 미 화 석은 대부분 본충의 중부 내지 상부에서 산 출 되 었다. 李河 榮 (1978 , 1979) 은 영월군 북면 마차리와 남면 연당리지역 일대에 분포하는 영 흥충에 서 1 속 1 종의 複 合 要素種 (multi ele ment spe c i es ) 과 17 속 29 종의 개체요소 분류종 (D i s ju nc t -elemen t s p e ci e s) 의 코노돈트 화석종 을 보 고하였 다. 이 코노돈트 화석 중 Polyc aulodus aborti vs Branson & M eh l, P. resttp in atu s Branson & Mehl, P. reve rsu s Sweet, Socolop od u s giga n te u s Sweet & Bergs t r o m 둥은 북미 중부대 륙의 오오도비 스 계 중 부에 해 당되 는 지층에서 보고된 중기 오오도비스계의 표준 화 석이다. 따라서 李河 榮 (1978, 1979) 은 본 화석 충을 복미 중부 오오도비 스계 의 Por ter fi eld ia n 하 부에 , 또 유럽 의 Llandeil ian 내 지 Caradocia n 하부에 대 비 되 는 것 으로 해석하였으며 국내에서는 삼척지역의 직운산 셰일과 두위봉석회암과 대 비된다고 하였다. 근래 鄭昌熙 外 (1979) 는 평창군 평창읍 동 쪽 약 6km 지접의 平昌―美 灘 間 道路 邊 의 永興層 최상부에서 Car11io d 11s car n ic u s Wall ise r, Di st o m odus kentt tck y en sis Branson & Branson, Tric h onodella inc onsta n s Wall iser , Ozarkodin a edit ha e Wall ise r, Neop ri o nio d us mult zf o r -mi s Wall ise r, 및 Sy np ri o n io d in a sil u ric a Wall ise r 둥 8 속 12 종의 코노 돈트화석을 보고하였다. 이 코노돈트들은 실루리아기의 초기 내지 중 기에 생촌한종류들로 이 화석이 산출된 永 興層 최상부의 시대는 종래 와는 달리 재고해야 할 문제를 제시하고 있다.
3) 정선퇴적분지(정 선형 조선루충군) 강원도 정선 군 정선음 일대를 중십으로 하부 고생대의 석회암충이 넓 게 분포하고 있고, 이 석회암충에 대한 조사는 Hi sakosh i (19 43) 에 의해 처음으로 시도된 이래 Kobay a shi, T . (1953), 태백산처구 지하자원 조사단 (1962), 金玉準 外 (1973), 孫致武 • 鄭址麗 ( 19 76 ), 李·iiiJ榮 ( 1976), 鄒昌熙 外 (1979) 및 李河榮 (1980 a,b, 82,83) 에 의하여 행하여쳐 왔다. 그러나 근 래까지 본지여의 석회앙에서는 일반 대형화석이 전혀 산출되지 않아 충 서 를 구분하고 시대를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따라서 연구자들 에 따라 충서 구분과 시대 해석에 많은 異論 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鄭呂熙 外 (1979), 李河榮 ( 1980 a,b , 82,83) 은 종래 桂善 石灰 岩으로 불려져왔던 석회암내에서 다수의 코노돈트 미화석을 발견하여 그의 시대를 밝히게 되었을뿐아니라岩質에 의하여도종래 雄善石灰岩 , 으 로 묶었던 지충을 구분할 수 있게 되어 이를 하부로부터 族善石灰岩 , 行 返 It } 및 槍洞里層 으로 구분하였 으며, 득히 상위충인 檜洞里層 은 코노 돈트 화석 군에 의하여 실루리아紀에 속한다는 새로운 사실이 밝혀지게 되었다 . 따라서 하부의 雄 善 石灰岩과 行 述層 만이 오오도비스紀의 지충 으 로 朝鮮累屈群內에 포함된다. 다음은 族善石灰岩 과 行返 層 에서 산출된 코노돈트 화석군이다.
@ 莊 善 石灰岩 •Acodus• sp. Acon ti odus 를 sp. •Belodella erecta (Rhode & Dinl ey )Cy rt o n io d us?,. nov. sp. •Di st a c odus• sp. •Drepa n odus• suberectu s (Branson& Mehl) •D. • n. sp. Barnes & Pop la wski •Drepa n odus• spp . •Eop la cog n ath u s cf. suecic u s Bergs t r o m •Lep toc hir og n ath u s? nov. sp.
•Mi cr ocoelodus• cf. asym m etr i c a Branson & Mehl Oi st o d us• abundans Branson & Mehl •o. • inc lin a tu s Branson & Mehl •o. • sp. •Palt od us• sp. •Panderodus grac i1 is (Branson & Mehl) •Panderodus• sp. •Perio d on• cf gr andis (Eth ing ton ) •Polyc a ulodus n. sp. A.
•Polyc aulodus• n. sp. B. •Proto p a n derodus coop er i (Sweet & Bergs trom ) •Scandodus• sp. •sco/opo d us• alatu s Bradshaw •&olopo d us• giga n tae us Sweet & Bergs trom •S. • nog a mi i Lee ®行過層 •Acodus• sp. •Aconti od us• sp. Ap pa /achig n a thu s cf. deli cat us Be- rgs triim & Oth e rs •Drepa n odus• gr ac ilis (Branson &
Mehl) •D. • sp. •Oi st o d us• cf. contr a ct us (Branson & Mehl) •ois t o d us• sp. •ozarkodin a sp. •Polyc a 11/odus aborti ous Branson & Mehl •Scandodus• sp. 龜 Scolo p odus cf Ji/om s Et hi n g ton & Clark • Tric h onodella cf. long a Lin d str - om
정선地域 코노돈트 化石群의 특징 : 李河榮 (1976) 은 정선군 정선읍 회동리 지역에 분포하는 정선석회암에 서 Sco/op od us alatu s Bradshaw 오l- S. giga nta e us Sweet & Bergs tr o m 의 1 속 2 종의 코노돈트 화석을 보고하였으며 이것이 본 지역 하부고생대 충에서 발견된 최초의 화석이다. 그후 鄭 昌熙 外 (1979) 및 李河榮 (1985) 는 정선읍 복동부의 餘糖에서 정선 서부의 檜洞里 지역에 이르는 광범 한 지역에서 채취된 석회암표품에서 코노돈트를 선별하여 이 몰 15 속 23종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코노돈트는 모두 정선 석회암의 중부 내지 상부 충준에서 얻어진 것이며 동 석회암의 하부에서는 코노돈트 화석이 산출되지 않았다. 李河榮 (1985) 은 정선석회암 코노돈트 화석군을 북미 대륙 중상부 오오도비스系 코노돈트 化石帶의 第 5-7 帶 와 유럽의 중부오오도비 스系의 Llanv i rn i an 에 서 Caradoc ian 하부에 이 르는 충서 범 위 에 대비된다고 하였으며 특히 북미 대륙 서부의 Co p enha g en 충, 중부의 J oach i m 충과 시대적으로 밀접한 대비를 이루며, 국내에서는 삼척지역 의 두위봉 석회암, 영월지역의 영흥충과 대비된다고 하였다. 그는 또본 화석군이 생물구 유연관계로는 북미 중부대륙 생물구와 밀접한 근찬성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行遇層에서는 崔成子(연세대 석사학위논문 1980) 에 의하여 10 속 12 종의 코노돈트 화석이 분류 기재되었다. 그는 본 행매충 코노돈트 화석군의
시 대 가 오오도비 스 紀에 해 당되 며 득 히 Ap pa lachia g n ath u s deli cat u s Bergs - tram & Ot h ers 및 Polyc a ulodus aborti v11 s 동 북미 대 륙의 중부 오오도 비스系에서 보고된 화석종을 갖는 접으로 보아 행매충의 시대몰 중기 오 오도비스紀에 속할 것으로 보았다. 행매충은 상위에 놓이는 桂善石灰岩 과 상위에 놓이는 실루리아系의 檜洞里府 사이에 놓이는 지층으로 본충 이 오오도비스系 혹은 실루리아系에 속할 것인지 의문시되는 지충이었 으나 본충에서의 코노돈트 화석 산출이 이 의문점을 해결해 주었다. 4) 북한의 코노돈트 化石群 李河榮 (197~c) 은 日 本 京都大學의 Nog a mi 博士로부터 京都大學의 Nakamura 교수둥이 北 韓 의 黃海道 兼 二浦 지역과 平安北道 江界지역 에시 채취한 朝鮮累府群의 試料를 溶解處理 하여 얻어전 코노돈트를 제 공받아 이를 체계적으로 분류해 다음과 같은 코노돈트화석을 보고했다.
1 黃海道 金 二 浦 地域 ® 晩達山屈 •Acodus• sp. (Sweet & Bergs t r o m) •A. tet r a hedron Lind str om Aconti od us• mandalensis LEE •A. • muelleri LEE •A. » cf. m i n 따 us Serpa g li •A. • cf. p ro pin q叫 s Furnis h •A. • sp. •cordy/ od usr gr ac ilis Branson &Mehl •Di st a c odus» per acutu s Lin d str om •Di st a c odus• nov. sp. Hamar •Drepa n odus arcua tus Pander D. • conc(lf )U S (Branson & Mehl) •D. • fle xuous Pander •D. • grac ilis (Branson & Mehl) .D. • homoam 따 us Lind s trom •D. • sp .
Oi st o d 11s• contr a ctu s Lin d str om O. • elong a tu s Lin d str om •o. • inc li nat u s Branson & Mehl Ozarkodin a cte n ulata Young qu is t & Cull iso n •Palt od us• inc onsta n s Lin d str om •P. • varia b il is F urnis h •P. • sp. Panderodus• comp re ssus (Branson & Mehl) •P. • str i a t u s (Sta u ff er ) •Scandodus• rectu s Lin d str o m Scolop od us nog a mi i LEE ·s. • qu i따 uep /i ca t us Mound •s. • warendensis Druce & Jon es •s. • aff . qu adrapl i c a tu s Branson & Mehl
·s. r nov. sp. •Ste r eoconus• pien us Branson &Mehl
a Tric h onodel l a cf. bar b a r a (St a u ff er ) Tric /a dio d us ? aurilo bus LEE.
® 중부 오오도비스系(압록강 연변 강계지역)
•A conti od us• arcuatu s Pander •Belodusr sp. Coleodus? sp. Cordy/ od us? gr ac ilis Branson & Mehl •c. • aff . delic a tu s Branson & Mehl
C. • nov. sp. Goth o dus• no v . sp. Oi st o d us• in cli nat u s Branson & Me hl •Panderodus str i a t 1 1 s (St au f fer )
북한 코노돈트 화석군의 특징 李河榮 (1976c) 은 上記한 2 개 지역에서 산 출 된 코노돈트 화 석군 중 황 해도 겸이포지역의 화석군이 초기 오오도비스紀 내지 중기 오오도비스 紀를 지시한다고 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일반 대형화석에 의하여 결정된 시대 (Kobay a shi, 1966, 1969) 보다 晩 達 山 府 하한의 시 대 를 더 오랜 시대로 보았다. 강계지역의 코노돈트 화석군은 그의 種數가 빈약하여 확 실한 시대 결 정이 어려우나 중기 내지 후기 오오도비스기의 생촌기간을 갖는 Cordy - lodus delz c atu s 의 유사형 Cordyl o d11S? gr acz U s Branson & Mehl 둥 의 산 출로 보아 중기 오오도비스紀의 시대를 암시하며 이는 대형화석 군 에 의 한 시대결정과도 일치된다. 3-2 개형충화석 이미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Kobay a shi T. (1934b) 에 의하여 1 종 의 개형충 화석이 조선루충군에서 보고되었다. 이 화석은 江原道 三涉 郡 古 士里地域과 寧越郡 上東面 莫洞地域에 분포하는 직 운산 셰 일에 서 산출되 었으며 Prim i tia s p.로 同定되었다. 이밖에도 최근 코노돈트 화석과 함 께 삼척지역과 영월지역에 분포하는 오오도비스紀 석회암 용해찬류물중 에 珪化된 개형충화석이 다수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내부 구조가 찰 보존되어 있지 않아 속 종으로 분류하기는 불가능하였다.
* 참고문헌 Cheo n g, C. H. , 1969 : Str a ti gr ap h y and Paleonto l og y of the Samcheog Coalfi eld , Korea ( I ) • , fou r. Geo!. Soc. Korea, Vol. 5, pp. 13~56. 鄭昌熙, 1974 b : 「江 原道 三涉炭田의 府序 및 古生物」, 大 韓 民國學術院 論 文菓, 自 然科阜篇 , 第 1 0 卷, 第 2 號 , pp. 59~88. 鄭呂熙 • 李 河榮 • i삶仁 s~ . 李鍾ftt , 1979 : 「한국 하부 고생 충의 충서 와 되 적 환겅 J ( 특-히 정 선지 역 윤 중 십 으로), 大幹民 國學術院 論 文渠, 自 然科學篇 第 1 8 tj f , 第 5 ~v'L pp. 123~69. 쇠 성자, 198 0 : 「미탄면 일대어 1 분포된 행매충 및 최동리층의 생충서 와 미고생 뭉학서 인구」, 연세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p.6 5. Gott sc h e, C. , 1881: Auff ind ung Cambris c her Schic h te n in Korea•, Zeit . d. deu t, Geo!. Ge sell , Vol. 36, Gott sc h e , C. , 188 6 : Geolog isc h i Skiz z e von Korea•, Sit zu mg s ber. K. Preuss Akad. d. Wi ss enclzaft zri Berlin , Vol. 36. 波多江信腐 1937 : 「尺 洪分의 1 朝 ,. i 辻. 地質r:.:11」, No. 18. 寧 海盆德. Hama d a, T. , 1960 : Gotl a n dio - D evonia n Sy s te m s in Korea and North e aste r n Chin a , fou r. Geo!. Soc. Jap . , Vol. 66. His a k osh i, S. , 194 3 : Geolog y of S~ iz e n Di st r i c t , Kog e ndo, Ty o sen•, fou r. Ge o!. Soc. Jap an , Vol. 50~602, pp. 269~77. 井上秘之 助, 190 7 : 「韓 國 0) 地質 及간, 筑産 」, 裂商務 省 地質調査所, 地 質要報 , Vol. 20. 加 謀速 1972 : 「朝 辭 半島 0) 子 示 `/ 系」, 地質學 雜誌 , Vol. 78, pp. 541~4. Ki m , B. K. , Park, Y. A. , Paik , K. H. & Yun, H. , 1983 : Bi os tr a ti gr ap h y and Paleoe nv ir o nme n ta l Stu d ie s on Neog e ne (Terti ar y to recent dep o sit s o f the Korean Penin s ula•, Manuscrip t rep o rt of KOSEF Research in 1981~ 1983) 김 봉균의 공저 , 1982 : 『韓國의 地質과 鑛 物賢淵』, 金玉準敎授 停年退任記念誌 編輯委員 會, p. 521 . 金仁 錫 , 1983 : 「江原 道 平昌郡 三方山 一 帶 에 分布된 三方山層과 永興層의 生 屈序 」, 延世大惡校 碩士學位論文. 金鍾遠 1931 : 「平安北 道 江界 • 厚昌地 方0) 寒武利亞奧陶紀層0) 硏究追記」, 地 質穆雜誌, Vol. 58, No. 458 , pp. 584 ~ 88. Ki m , 0. J. & Lee H. Y. , 1973 : 'The Str a ti gr ap h y and geo log ic stu c tu r e of the Great Lim esto n e Ser i e s in Kang w eon-do, South Korea•, fou r. Nat. Acad. Sci. R. O. K. Natu ral Sc ien ce Ser. , Vol. 12, pp, 139~70. 小品 信夫 1930 : 「l1fl 鹿 炭田地方 地質槪報」, 地珠, Vol. 13, pp. 261~89. 小林 貞一 , 1927 : 「 朝鮮 江原道0) 地史」, 地質學雜誌, VoL 34, pp. 239~40.
Kobaya s ci , T. , 1928 Ordovic ian foss il s from Corea and South Manchuria , ]apa n ]our. Geo/. Geog r . , Vol. 5, No. 4, pp. 173~212. Kobay a shi, T. , 1930a : Ordovic ian fos sil s f or m Korea and South Manchuria , pa rt 2, On the Banta t s u Bed of the Ordovic ian ag e , Jap a n ]011r. Geog r . Vol. 7. pp. 75~100. Kobay as hi, T. , 1930b; On the occurrence of Gi rva nella manclmric a Yabe et Ozaki in North Korea, ]our. Geo/. Soc. Jap an , Vol. 37, p. 464. Kobay a shi, T. , 193oc: Cambria n and Ordovic ian fau nas of Sout h Korea and the Bearin g of the Tsil ing -K eij o line on Ordovic ian Paleog r ap h y , Proc. Imp . Acod. Toky o, Vol. 6, pp. 423~6. Kobay a shi, T. , 1931a: Furth e r note s on the Ordovic ian for mati on s in North e rn Korea, ]our. Geol. Soc. ]ap. , Vol. 38. Kobay a shi, T. , 1931b: St ud ie s on the Ordovic ian Str at i gr ap h y and Paleon- tol og y of North Korea wi th note s on the Ordovic ian fos sil s of Shant un g and Lia o tu n g North , Bull. Geo!. S11rv. Chosc11, Vol. 11, pp. 1~60. Kobay a shi, T. , 1933 : On the occurrence of Xip h osuran Remain s in Chosen (Ko rea), ]pa. ]our. Geo/. Geog r . , Vol. 10, pp. 175~82, Kobay a shi, T. 1934a: •A few Ordovic ian Brachio p o ds from Manchuria and Chosen and a new spe ci es of Conchostr a ca from the Basal Ordovic ial of Manchuria , Jap an , ]our. Gesl. Geog r . , Vol. 11, pp. 1 61~71 . Kobay a shi, T. 1934b : The Cambria n -Ordovc ian for mati on s and fau nas of South Chosen, Palaonto l og y pt. 1, Mi dd le Ordovic ian fau nas•, ]our. F ae. Sc i. Imp . Univ . Sec. 2, Vol. 2, pts. 8~9, pp. 335~494. Kobay a shi, T. , 1934c: The Cambria n -Ordovic i a n for mati ou s and fau nas of South Chosen, Palaonto l og y, pt. 2. Lower Ordovic i a n , ]our. Fae. Sc i. Imp . Univ . Toky o , Sec. , Vol. 2, pt. 9, pp. 524~85. Kobay sh i, T. , 1935a: The Cambro-Ordovic ian for mati on s and fau nas of South Chosen. Palaeonto l og y, pt. 3, Cambria n fau na of South Chosen wit h Sp e cia l Stu d y on the Cambria n Trilo bit e ge nera and fam i lies •, ]our. Fae. Sc i. Imp . Univ . Toky o , Sec. 2, Vol. 4, pt. 3, pp. 50~344. Kobay a shi, T. , 1935b : Is the Kenji ho Lim esto n e Cong lo merate a Gotl a -ndia n Depo s it? , Jou r. Geog r. Toky o s Vol. 47. Kobay a shi, T. , 1935c: On the ph y lo g e ny ·of the pr im i tive Nauti loi d wi th descrip tion s of Plectr o noceras liact u n g e nse, Jap a n ]our. Geo/. Geog r . , Vol. 12. Kobay a shi, T. , 1936: Three contr b uti on s to the Cambro-Ordovic ian fau nas•, Jap an ]our. Geol. Geog r . , Vol. 13, pp. 163~84. Kobay as hi, T. 1936 : Coreanoceras, One of the most spe c i al i ze d Pil oc eroid s and its benth o nic adap tion , ]ap. ]our. Geo/, Geog r . , Vol. 13, pp. 185
~95. Kobay a shi, T. , 194 1 : Stu d ie s on Cambria n Trilo b it e ge nera and fam i lies, 1~4, Jap an . Jcp r. Geo/. Geog r . , Vol. 18. Kobay a shi, T. , 194 2 : •An occurrence of the doli ch ometo p ids in South Chosen wi th a summary note on the Class if ica ti on of the Doli ch ometo p ina e, fou r. Geo/. Soc. Jap an , Vol. 49, pp. 468~75. Kobay a shi, T. , 194 3 : On the Chosen Sy s te m of Kokai dis t r i c t , North Hei- ando and the ge olog ic str u ctu r es of the dis t r i c t. Stu d ie s on th e Cambro-Ordo vic ian form ati on in Korea-Manchuria , No. 6, Hatt or i- H okokai- Hokok11, Vol. 10. Kobay a sh i , T. , 1950 : On Bir m anit es a Lower Ordovic ian Genus of Tri!- obit e , fo ur. Geo/. Soc. (Toky o) Jap an , Vol. 56, pp. 523~28. Kobay a sh i, T. , 1951 a : Note s on the Gotl an dia n fos sil -b earin g Lim esto n e Cong lo me rate in North Korea, Str u t, 4-C. Kobay a shi, T. , 1952a: The Chosen Sy s te m in the Hein a n Geosy n clin e . Geo/. & M£ n. Re s. East Asia , Sec tion of Korea, p. 17. Ko ba y a shi , T. , 1952b: The Chose n Sy s te m on the South e rn bank of the Ri ve r Yalu. Geo/. & Mi n. Res. East Asia . Secti n of Korea, p. 91. Kobay a shi, T. , 1953 : Geolog y of South Korea wi th spe cia l Refe re nce to the lime st o n e Plate a u of Kog e ndo. The Cambro-Ordovic i a n for mati on s and the fau nas of South Chosen, Pa r t 4•, ]our. Fae. Sc i. Univ . Toky o , Sec. 2, Vol. 8, pt. 4, 145~293. Kobay sh i, T. , 1958a : Some Cambro-Ordovic ian fos sil s from the Tany a ng or Tany o dis t i ct , South Korea, Trans. Proc. Pal. Soc. Jap an , N. S. No. 30. Kobay as hi, T. , 1958b: On Some Cambria n gas tr o p od a from Korea, • Jap an fou r. Geo/. Geog r . Vol. 29. Kobay a shi, T. , 1958c: Some Ordovic ian ga str o p o ds for m the Mun gyo ng or Bunkei dis t r ict, South Korea, pa rt 15, Paleonto l og y 4, Jou r. Fae. Sc i. Univ . Toky o, Sec. 2, Vol. 11, pt. 2. Kobay a shi, T. , 1960a: The Cambro-Ordovic i a n for mati on s and fau nas of South Korea, Part 16, Palaeonto l og y 5, fou r. Fae. Sc i. Unt v. Toky o , Sec. 2, Vol. 12, pt. 2, pp. 217~7 7. Kobay a shi, T. , 1960b: The Cambro-Ordovic i a n for mati on s and fau nas of South Korea, Part 7, Palaeonto l og y 6, Sup ple ment to the Cambria n fau nas of Tsuib o n Zone wi th note s on some trilob it e g e nera and fam i lies , fou r. Fae. Sc i. Unt v. Tokyo , Sec. 2, Vol 12, pt. 2, pp. 329~421. Kobay a shi, T. , 1961 : •The Cambro-Ordovia n for mati on s and fau nas of South Chosen, pa rt 8, Palaeonto l og y 7, Cambria n • fau nas of the Mung yo ng
(Bunkei) dis t r i c t and the Samp o san Formati on of th e Ye on g w e ol( Ne ie t s u ) dis t r ict • , fo ur. Fae. Sc i, Univ . Toky o , Sec. 2, Vol. 13, pt. 2, pp. 181 ~241 . Kobay a shi, T. , 1962 : •The Cambran-Ordovic ian for mati on s an d fau nas of South Chosen, Part 9, Palaeo n t ol og y 8, The Machari, Fauna•, ]our. Fae. Sc i. Univ . Toky o , Sec. 2, Vol. 14, pt. 1, pd . 1~152. Kobay a shi, T. , 1966a : The Cambro-O r dovic ian for mati on of Sout h Korea , Part X. Str a ti gr ap h y of the Chosen Group in Korea and So ut h Manchuria and its relati on to the Cambro-Ordovic i a n for mati on s of oth e r are as , Secti on A, The Chosen Group of South Korea•, fo ur. Fae. Sci. Uni v. Toky o, Sec. II' Vol. 16, pt. 1, pp. 1~84. Kobay a shi, T. , 1966b: The Cambro-Ordovic ian for ma ti on s an d fau na s of South Korea, Part X. St ra ti gr ap h y of the Chosen Group in Korea and South Manchuria and its rel a ti on to the Cambro-Ordovic i a n for mati on s of oth e r areas, Secti on B, The Chosen Group of North Korea and Nort- heast Chin a•, fou r. Fae. Sci. Univ . Tt ky o , Sec. 2, Vol. 16, pt. 2, pp. 209~311 . Kobay a shi, T. , 1969: The Cambro-Ordovic ian for mati on s and fau nas of South Korea, Part 10, Str a ti gr ap h y of the Chosen Group in Korea and South Manchuria and its relati on to the Cambro-Ordovic ian for mati on s of oth e r areas, Secti on D, The Ordovic i a n of Easte r n Asia and oth er Parts of the Conti ne nt• , Jou r. Fac. Sc i. Uni v. Tokoy , Sec. 2, Vol. 17, pt. 2. 163~316. Kobay a shi, T. , 1976 : On the relati on betw een the Lower Ordovic ian tri l ob it es and and Conodont horiz o ns in South Korea, • Proc. Jap an Acad. , Vol. 52, 300~4. 小林 貞一 , 金 鍾遠 , 1931 : 「 鴨綠 江 南岸 地域t乙 點在산조 古期岩府/J) 府序學的 硏究」, 地質 學惟誌 , Vol. 43, p. 349, p. 402. 小平 亮 二, 1930 : 「 高京無煙炭 田 」, 朝鮮炭 田 調査報告 : i!} , Vol. 5. 今野圓 藏, 1928 : 「 平壤炭田 西綠部 /J) 地質 & 構造 」, 地質 穆雜誌 , Vol. 35, pp. 65 ~104. 李秉洙, 1983 : 「江 原道 桂善郡 武陵里 一 帶 에 分布된 花折屈과 斗 務洞 ]B 의 生層 序와 微 古生物」, 延世大學校 碩 士 學 位 論 文, p. 57. Lee. H. Y. , 1970: Conodonte n aus der Chosen Group pe von Korea•, N. Jq. Geo!. Paliio n t. Abh. , Vol. 136, pp. 303~44. Lee, H. Y. 1675a: Conodonts from the Up pe r Cambria n Formati on s, kang w eon-do, South Korea and its str a ti gr ap h ic Sig n if ican ce, Yonsei Nanchang , Vol. 12, pp. 71~89. Lee, H. Y. , 1975b : Conodonts from th e Dumug o l Formati on (Lower Ordo -
vic ian ) , Sout h korea, fou r. Geo!. Soc. Korea, Vol. 11, pp. 75~98. Lee. H. Y. , 1975c: Conodonte n aus dem unt er en und mi ttlere n Ordoviz i u m von Nord Korea, Paliio n tog r ap hi c a , Abt. A. Vol 150, pp. 161~86. Lee, H. Y. , 1976 : Conodonts from the Mag go l and the Jeo og se on Formati on (Ordovic ian ) , Kang w eon-do, South Korea, fou r. Geo!. Soc. Korea, Vol. 12, pp.1 51~82 Lee, H. Y. , 1977: Conodonte n aus den Jigun san und den Duwi bo ng - Schic h t en (M itlel ordoviz i u m ) von Kang w eon-do, Sii dk orea•, fou r. Ceo!. Soc. Korea, Vol. 13, pp. 121~50. 李河 榮 , 1978 : 「江 原 道 寧 越地域에 分布된 永興層(中部오오도비 스系)의 코노돈 트 化 石群 과 그의 府序 學 的 意義」, 延世 論遊 , 第 15 輯, pp. 45~57. Lee, H. Y. , 1979: •A St ud y on bio s tr atigr ap h y and bio pro v inc e of the Mi dd le Ordovic ian Conodont from South Korea, fou r. Geo/. Soc. Korea, Vol. 15, pp. 40 ~60. Lee, H. Y. , 1980a : Lowe r Paleozoic conodonts in South Korea•, Geo/. Palaeo n t. South e ast Asia , Vol. 21, pp. 1~9. Lee, H. Y. , 1980b: Di sc overy of Sil ur ia n Conodont fau na from South Korea, • ]our. Ge o! . Soc. Korea, Vol. 16, pp1 14~23. Lee, H. Y. 1982: Condonts from the Hoedong r i Formati on (Sil ur ia n ), Wes te r n Jeo n g s eon Area, Kang w eon-do, South Korea•, fou r. Nat. Acad. Sc i. Rok . Natu ral Scie n ce Ser. , Vol. 21, pp. 43~131 . Lee, H. Y. , 1983: Conodont bio s tr a ti gr ap h y of the Hoedong r i Formati on (Sil ur ia n ) in Weste r n Jeo ng se on area, Kang w eon-do, South Korea, • Jou r. Nat1 1 ral Scie n e Research Insti ute . Yonsei Univ . Vol. 12, pp. 77~90, 李河 榮 , 1985 : 「江 原 道 정 선지 역 에 분포하는 桂 善 石灰岩의 코노돈트 化石群과 그의 生府 序」, 延世 論菜 , 第 21 報 , pp. 181~200. 李河榮 • 鄭昌 熙 • 李鍾 德 • 李鍾承 , 1980 : 「 韓國 朝 0 푸 累屈群産 三葉虫 化石群에 對 한 生府 序 穆 的 및 生物 區 特性에 관한 硏究」(特히 織雲 山 세일의 三葉虫 웅 中心으로), 大 翰 民國 學 術 院 論 文菓, 自然科 學編 , 第 19 輯, pp.1 11~31. 李河 榮 • 李 鍾德 , 1971 : 「江原道 三涉郡 銅 店附近에 分布된 大石灰岩統의 코노돈 트 化石群과 그의 府序 學 的意 義 」, 지질학회지, 재 7 권, pp. 89~101. 李河榮 • 李大聲, 1973 : 「沃川系에 俠在된 石灰質地府에 관한 硏究」, 延世論菜, 第 10 輯, pp. 461~85. 松下進, 1938 : 「平安南道 南部炭田」, 朝鮮炭田報告 書 , 第 13 報, p.1 64. Mi llier , K. J. , 1964: •conodont en aus dem unt er en Ordoviz i u m von Sii dk o - rea, N. ]b. Ceo!. Paliio n t. Abh. , Vol. 119, pp. 93~102, 中村新太郞, 1923 : 「忠淸北道 鑛 床 調 査報告文」, 朝 鮮 鑛 床調査報告, VoL 8. 中村新太郞, 193? : 「朝鮮 寒武利亞系 槪觀」, 小川博士還歷祝賀地學論 菜 , pp. 704~6.
中村新太郞 • 松下進 • 小品(급夫 • 池깊展生, 1957 : •stu d ie s on the ge olog ic str u - ctu r e of the ph y o ng ya ng Coal Fi el d, Korea, The Late Profe s sor Slzi n ta r o Nakamura's Postl zou s Work. Nakano. J. , 1943: •Geolog y of Kokai Dis t r i c t , North Heia n do, Korea, Hatt or i- H okokai Kenky u -Hokoku, Vol. 10. Ozaki, K. , 1934a : On-some brachio p o ds from the reddis h pu rpl e shale of Kote n serie s , exp o sed in the Heij o C oal fiel d, Bull. Slza11g lz ai Sci Inst. , Vol. 1, no. 7, p. 89. 齋藤 和夫, 1933a : 「西 鮮 中和地方 力 、./ 7 9 7 紀府」, 地質[}1 faJt.. Vol. 40, p. 242. Sait o, K. , 1933b: •The Occurrence of Proto l enus in the Cambria n rocks in North Korea, ,, Jap . fou r. Geog . Geog r . Vol. 10. no. 5. 3~4, p. 145. Sait o, K. , 1934 : •rnder Cambria n tri l ob it e and Conchostr a cha from north - weste r n Korea, Jap . fou r. Geo/. Geog r. , Vol. 11, pp. ~11~38. Sait o, K. , 1936: •01der Cambria n brachio p o da, ga str o p o da, etc . from noth w este r n Ko 函,,’ fou r. Fae. Sci. Univ . Toky o, Vol. 4. pp. 345~80. 島村新兵衛, 1929 : 「縮尺 5 冀分 1 朝 鮮 地質固」, 30. 8, 兼二浦 , 砂里院, ,!~$回 幅 素木卓二, 1931 : 「平安北道 北部 無煙炭炭田 德 川 匡域」 , 『朝 tt 炭田 調査 報告 書』, Vol. 10. 素木卓二, 1940 : 「三涉無煙炭 炭田」, 朝펴浪田 調査報告, Vol. 14. Shim izu, S. & Ozaki, K. & Obata , T. , 1934 : •Gotl a ndia n dep o sit s of north w est Korea,, ' 책 an g ha i Sci. Inst. Sac. 2, Vol. 2, No. 2, p. 14. 孫致武 • 白光浩, 1972 : 「聞慶炭田 一帶의 地質構造」, 지질학회지, Vol. s, pp. 181~9. 孫致武 • 鄭址良, 1976 : 「平昌一 檜洞 사이 의 地質構造」, 大韓民國 먀術院 論 文染, 自然科學 編 , 第 15 輯, pp. 221~45. 太白山地區地下賢源調査固 1962 : 「太白山地區 地質圖(i : 50, 000) 」, 17 四幅 , 大韓地質學會. 竹原平一, 1934 : 「朝 鮮 黃海道 地向斜 0 地質」, 地球, Vol. 22, p. 245. 立岩巖, 1976 : 「朝 鮮 日 本列島地帶地質精造論考」, 東京大學出版fl, p. 654. 嚴相鎬 • 徐海吉 • 金東淑 • 崔現日 • 朴 奭煥 • 裵斗鍾 • 李浩永 • 全希永 • 權陸相, 1977 : 「聞慶炭田 地質固」, 렸源開發硏究所 . 元文珠 • 李河榮, 1977 : 「코노돈트 化石群에 依한 文谷同의 時代와 層序對比」, 지질학회지, 계 13 권, pp.9 7~107. 山口貴雄, 1951 : 「所謂連川系&-t(T) reg ion al meta m orph is m t ;: -?I,、-c」, 지질학 최 지 , voL 57, pp. 419~37.
제 4 장 중기고생대 고생물 한반도에는 하부 고생대충인 조선루충군과 상부 고생대의 평안충군사 이에 놓이는 중부고생대 되적충이 발견되지 않아오랫동안 두 충군사이 룬 대전충이라고 불러 왔다. 그러나 과거에 중부 고생대의 실루리아기와 데본기의 화석이 보고되어 이 화 석을 근거로 이들 중부 고생대 지충의 촌재가 주장된 바도 있으며 최근 강원도 정선지역에서 실루리아기의 코노돈트 화석이 발견되어 이 화석군에 의하여 실루리아系 지충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이들 실루리아기와 데본기 화석군에 관한 내용을 아래에 기술한다. 제 1 철 실루리아기 고생물 1-1 무척추 고동물 1934 년 上海自然科學硏究所의 淸水三郞, 尾崎金右衛門 및 小幡忠廣은 황해도 검이포 부근에 발달된 석회암 역암에서 다음과 같은 27 종의 산 호화석과 4 종의 두족류 화석 둥 실루리아紀 화석을 보고하였다.
겸이포지역 실루리아기 화석군(淸水三郞外, 1934 )
® 산호류 Cy st ip h y l/um cf. si/ u rie n s Lons. P!asmop o ra jo l/ is P acta P. yab ei Ozaki Koreanop o ra pr op o roid e a Ozaki Favosit es cf. go t/ a1 1dic u s Lam. F. cf. for besi Mi lne -Edwards &Haim e. F. coreanic u s Ozaki F. kennih o enensis Ozaki F. kennih o en s is reg u laris Ozaki F. shim i zu i Ozaki F. mi n or Ozaki
Palaeofa v osit es aspe r a D'Orb. Sapp o ip o ra Jav ocit toi d e s Ozaki Sy r in g o p or a bzf u rcata D'Orb. Ha/ys i t es eschario i d e s Fis c her-Ben-zon. H sin d oe ns is Oza k i H. sapp o ri e n sis Ozaki ® 두족류 Sp yro ceras cf. mi cr ote x ti le Foer-ste Sact oc er a s ozaki Shim i zu & Obata 2 種 의 不楠宜種
淸水三郞 外 (1934) 는 이 실루리 아기 화석 산 출 지 충 을 兼 二 浦 石灰岩으 로 명명하고 한국에서의 실루리아기 지충의 발견을 주장한 바 있다. 그러 나 같은 지역의 지질을 조사한 Kobay a shi, T. (1935,b) 는 上 記 한 실루리아 화석군이 2 차적으로 하부 쥬라系 기저역암속에 유입된 石灰 岩 礎 에서 산 출된 것이며 실루리아지충이 실제로 발달된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그후 겸이포지역을 조사한 矢部長克, 杉山 敏郞 (1937) 도 Kobay a shi, T 와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 다. 특히 이 들은 Haty si t es , Heli olit es , Prop o ra 및 Favosit es 둥의 실루리 아기 의 산호화석 의 에 St ro mato p o roid 에 속 하는 Clat hr odic t y o n vesic u losum Ni ch olson & Murie 와 C. salaric u m Yavorsky 동 2 종을 추가로 기재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일본 지질조사소의 山口 貴 雄 (1951) 은 황해도 남동부 金 川 南亭里 부근에 발달된 蓮 川系 최상부충에서 실루리아紀를 지시하는 筆石類 Monog ra pt us 속 1 종과 介形虫 Cy pr id e a 속 1 종을 각각 보고하였 다. 그는 이 화석이 산출된 지충을 황주부근에 발달된 祥原系의 駒峴統에 대비하였으며 이 구현통이 실루리아紀 지충일 것으로 보고 겸이포지역 의 실루리아기 화석군이 이 상원계 상부 지충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을 암시하였 다. 그러 나 이 화석 둘을 감정 한 바 있는 Kobay a shi, T. (1966 b) 는 이 들이 명 백 한 화석 이 아니 라 僞化石 (Pseudofo s sil) 이 거 나 혹은 疑化石 (Problemati ca ) 이 라고 하였 다. 그러 므로 山 口 貴雄에 의 하여 보고된 이
실루리아기 화석은 신뢰할 만한 것이 못된다. 따라서 1970 년대 말까지 한국에서는 실루리아기의 지충이 확인된 바 가 없었고 다만 검이포지역에서 발견된 실루리아기 화석을 동하여 한 반도에 이 시대의 지충이 한때 되적되었으나 이들이 모두 침식되어버 렀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게 되었다. 1-2 미고생물(코노돈트) 최근 鄭昌 熙 外 (1979) 는 강원도 정성 군 정선읍 회동리지역에 발달된 석 회암충에서 다수의 실루리아紀의 코노돈트롤 발견하여 한국에서 최초로 실루리아 지 충 의 존재물 확인하게 되었으며 이 지충을 槍洞里府으로 명 명하였다. 회동리층에서 산 출 된 코노돈트는 그후 李河榮 (1980, 1982) 에 의하여 22 속 4 2 종에 달하는 개체요소종 (d i s j unc t element s p e ci es) 과 2 속 2 종의 복 합요소종 (mul ti e l e m e n t s p z ci es ) 으로 분류되었고 유럽의 하부 실루리아系의 상부와 중부 실루리아의 하부에 대비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다음은 회 동리 층에 서 보고된 코노돈트 화석 종이 다. 회동리층의 코노돈트 화석군(李河榮, 1982)
•Acod11s• sp. •Drepa n odus sp. •Panderodus• sp. •Sco/op od us sp. •Acodus zmi co sta t u s Branson & Brnnson •Ambalodus ltoe dong e nsis LEE •A. ga /erus Wallis e r •Be/o d e/l a sp. Carnio d us cf. carin t h i a c us Wal- lise r •Di ad e/og n ath u s Prim us Nic o ll & Rexroad •Di st a c odus ob/iq u ic o s tat u s Bran-son & Mehl
Di st o modus• eg r eg ia (Wall ise r) •D. ?» extr o rsus (Rexroad) •D. • kentu c ky en sis Br. & Br. D. • tri a n g u laris tri a n g u laris (Wall ise r) •Drepa n odus• aduncus Ni co ll & Rexroad •Eroc /zo g n ath u s,. cf. cauda tus (Wal-User) •Falcodus? n. sp. Schonlaub •Lig o nodin a • sp. •Lonchodin a • wallis e ri Zie g l e r L. n. sp. LEE LN. ?e ospp r. i o n io d us• ercavatu s (Bran-
son & Mehl) 안If. • lati den ta t u s Wall ise r •N. mult iform i s Wall ise r 가If. • cf. Planus Wall ise r N. • subcarnus Wall ise r 蟲 011/odus• sp. uozarkodin a cf. de11ckmanni Zie - gle r •o. cf. edit ha e Wall ise r ·o. • cf. ortu s Wall ise r •o. n. sp. A. Pollock & Rexroad & Ni co ll, 1970 •o. • n. sp. B. Pollock & Rexroad & Ni co ll, 1970 ·o .• sp. •Palt od us• cf. dy sc rit us Rexroad uPanderodus recurvatu s (Rhodes) P. unic o sta t 1 1s (Branson & Mehl) M-element Sa-element • 書 표시는 개체요소종
Sb-element Sc-elem ent Pt er ospa t1 1o d11s celloni (Wallis e r) Pa-el em e n t Pb-element M-element S- ele ment •Roundya • sp. Sag ittod ontu s • edenta t 1 1 s (Branson & Branson) Sp atho g n atl iod us• inc lin a tu s inc li · natu s (Rhodes) S. • oldhamcnsis Rexroad S. • aff . ranulzfo r mi s Wa lli函 Sy np r io n io din a • sil u ric a Wall ise r Tric h onode/l a• inc ons tan s Wall i- ser T. •cf. tri c h onodelloid e s(Wallis e r) T. • n. sp, T. ? sp.
제 2 철 데본계화석 立岩巖 (1931) 은 평안남도성천지역의 도폭지질조사중에 인접지역인 順 天郡 新倉面 天聖里地域에서 평안충군으로 구성된 한 산지 南麗部에노출된 석 회 암의 노두에 서 板狀瑠湖에 속하는 Favosit es 의 1 종을 발견하여 이를 데본紀 화석으로 생각하고 東北大學 矢部長克 교수에게 갑정을의괴하였으나 矢部長克교수는 이 화석이 Favos it es 가 아니라고 부인하였다. 그후 尾崎金衛門이 천성리부근에서 산호화석을 채집하여 이를 矢部 長克교수와 杉山 敏郞에게 연구케하였다. 이들은 1939 년 상기 산호화석을 Phil lipsa str e a 와 D i sp h y llum(Phacellop h y llum) 으로 감정 하고 이 들 2 속온 데본紀에만 산출되는 것으로서 이 화석이 산출되는 석회암충을 데본
紀의 天聖里統 으로 명명하였다. 한편 矢部長克 • 鈴木陽雄 (1955) 은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고수리에 분포하는 紅店府내의 석회암에서 천성리통의 산호화석과 같은 Di sp h y ll um s p.과 Phil lipsa str e a s p.을 발견하여 남한에서도 데본紀 지충이 빌달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加蔣波 ( 1972 ) 은 도호꾸대학에 보관되어 있는 천성리통 화석의 薄片울 자세히 연구하여 종래의 감정이 잘못되었음을 지적하였다. 그에 의하면 矢部와 杉 山에 의하여 Ph i ll ip sas t reae 로 감정된 것은 Arachnastr e a kaip ing e ns is Grabau 이 며 Di sp h y ll um 은 Di p!typh y ll um 屈에 속하는 것 으로 이 둘의 시대도 데본 紀 가 아니라 中期 石炭紀에 해당될 것입을 지시하였 다 . 鄭昌 熙 (1973) 는 남한의 데본 紀 지충 발견지로 보고된 丹陽郡 古薇里 에 서 矢部 와 杉山에 의 해서 보고된 Di sp h y ll um 과 Phil lzp s astr e ae 와 동일 한 산호화석을 채집하여 이 를 감정한 결과 加藤 誠 과 같이 Dzp h y ph y ll um 과 Araclmastr a ea 로 감정 하고 이 산호화석 과 함께 防鏡蟲 화석 인 Beedenia 와 F11 s ul i 11ella 를 발견하여 이 含化石 지충이 데본紀가 아니고 석탄기 지충임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한국에서의 데본 紀 화석은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으며 데본紀 지충도 확인 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최근 立岩 ~(1976) 은 복한 학자에 의하여 황해도 검이포 지방 에 발 달된 대동충군의 기처역암에서 실루리아기 화석의에 중기 데본紀 를 지시하는 다음과 같은 腕足動物 化石이 발견되었음을 보고하였다.
Camaroto e cltia e/l iptica sin e nsis Grab au 'lndospi rif er kwang s ie n sis How At ry p a cf. reti cu /aris (Lin n aeus) A. pes hie n sis Grabau At hy r is hudlest ou i sin e ,,s,· s Ti en
Eoreti cu laria /ens,Jo r mi s (Grabau) At hy r is i n a cf mi no r Hay a saka A. cf. unip lica ta Grabau Cryp ton e/l a c f. wh idb ornei mi m 'na (Loczy ) .
만일 이 화석 산출이 사실이라고 하면 한반도 내에 데본紀의 지충이 퇴적되었음이 인정되고 이밖에 다론 지역에서의 데본기 지충 발견은 앞 으로의 중요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
* 참고문현 鄭昌熙, 李河榮, 高仁 錫 , 李鍾德, 1979 : 「 韓國 下部 古生代府의 I U I -j f와 推積 環J _:; t 」, 大 韓 民國 惡術院 論文菓(自然科學篇), 第 13 渠 , pp. 1 23-167. Hamada, T. 1960 : Got la ndio · Devonia n Sy s te m s in Korea and Nor th e a ste r n Chin a , ]our. Geo/. Soc. Jap a n , Vol. 66. 加藤 誠 , 1972 : 「朝 鮮 半 島 O 子示、./系」, 地質穆 雜誌 , Vol. 78, pp. 54 1 -544 . Kobay a shi, T. , 1935 : Is the Kenji ho Lim esto n e Cong lo me ra te a Got la ndia n depo s it s? , fou r. Geog r . Toky o , Vol. 47, p. 363 Kobay a shi, T. , 1966 : Str a ti gr ap h y of the Chosen Group in Ko re : i and South Manchuria and its relati on to the Cambro-Ordovic ian for mati on s of oth e r areas, Sect. A. The Chosen Group of South Korea•, fou r. Fae. Sci. Univ . Toky o, Sec. 2, Vol. 16, pp. 1-73. Lee, H. Y. , 1980 : •Disc overy of Sil ur ia n conodont fau na from South Korea•, ]our. Geo/. Soc. Korea, Vol. 16, pp. 114 -1 23. Lee, H. Y. , 1982 : •conodonts from the Hoe do ng r i F ormati on ( Si l ur ia n ), Wes te r n Jeo ng se on area, Kang w eondo, South Korea , Jou r. Nat. Acad. Sc i. ROK. natu r al sci en ce serie s , Vol. 21, pp. 43-131 . Lee, H. Y. , 1983 : Conodont bio s tr at i grap h y of the Hoedong r i Forma ti on (Sil u ria n ) in weste r n Jeo ng s eonarea, Kang w eondo, South Kor(!a •, ]011r. Natu ral Sdence Research Insti tut e , Yonsei Univ . , Vol. 12, pp. 77-90. Shim izu , S. , Ozaki, K. , Obata , T. , 1934 : Gotl a ndia n dep o sit s of North west Korea•, Jou r. Sl따 n g ha i Sci. Inst. , Sect. 2, Vol. 2, llp. 立岩嚴, 1976 : 『朝鮮-日本烈 島 地 帶地質構造論考 -朝 鮮 地 質調査 硏究 史 』 , 東京大 學 出版 會 , 654p . Yabe, H. , Sug iya ma, T. , 1937 : •Gotl an dia n C/ath , .odt'c tyo n from Ty o sen• , Jou r. Geo/. Soc. Jap a n , Vol. 44. Yabe, H. , Sug iya ma, T. , 1939 : •Disc overy of corals of Devonia n type s from Ty o sen,., Proc. Imp . Acad. Toky o, Vol. 5, pp. 305-10. Yabe, H. , Suzuki, J. , 1955 : •second occurrence of colonia l corals of De· vonia n type in Ty o sen(Korea),., P,.oc. Jap . Acad. Toky o , Vol. 31, pp. 355-9. 山口貴雄, 1951 : 「所謂 連川系& ~QJ Reg ion al Meta m orph is m t드 '?I,、 T 」, 地質 學雜誌, Vol. 57, pp. 419-37.
제 5 장 후기고생대 고생물 후기고생대충(평안충군)은 비교적 넓게 발달되어 있다. 남한에는 강 원도 태백산지역 삼척군, 영월군, 정선군, 평창군 일대와 충청북도 단 양군 , 경상 복도 문경군 일대에 분포되어 있으며, 평안충군과 대비되는 일군의 되적충이 전라남도 화순군 일대에 노출되어 있다. 복한에는 평 안남도 복부와 평 양부근에 주로 발달되고, 함경 남도 남단부 高原 一 帶 와 압록강 연변부인 초산 강계 후창지여과 함경복도 회령 경성 둥지에 도 소규모로 산재 되 어 분포한다. 평안충군은 그의 하부에 海成層 이 수매 협재되어 있으나 대부분 육지 의 湖成 推積 層 으로 구성 되 어 있 다. 따라서 海族 동물화석 은 그의 종류와 수에 있어서 빈약한 편이며, 육상식물화석이 비교적 풍부하게 산출된다. 일반 무척추동물화석으로는 완족동물, 산호류, 복족류, 철족동물, 태 선동물 및 해백합의 줄기 파편 등이 산출되고, 미화석으로는 結鏡虫과 코노돈트화석이, 식물화석으로는 양치식물, 석송류, 속새류, 코다이테 일즈, 탭果類 및 소속불명종들이 산출된다. 이들의 산출상태를 동물화 석, 미화석 및 식물화석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재 1 철 일반무척추 고동물 일반동물화석으로는 주로 本層群의 下位層인 紅店層과 그 상 위에 놓
이는 寺i剛 판 의 하부에 협 재된 수매의 海 成 石灰岩府內 에서 산 출 된다. 이들을 남북한 지역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남한의 평안층군 무척추동물화석군 홍점충 ; 강원도 삼척, 영월, 정선동과 충 청북도 단양 및 경상 복 도 문 경지역에 발달된 홍접충 내에 완족동물, 산호 류 대선동 물 및 해 백 합 의 줄기 둥 일반 무척추동물화석이 산 출 됨이 알려져왔으나 이에 대 한 조직 적인 연구는 근래까지 행하여전 바가 없다. 그러 나 최근 鄭 昌熙 外 (1983) 는 대 백 시 長省 부근에 받탈된 晩項 )t; t 에 서 연체동물의 부족류, 복족류, 두족류와 완 족 동 물 둥 의 다 음과 같 은 화석을 보고하였다.
®부족류 Avic u lop ec t en cf. chou n iu k ouensis Yin A. cf. alt er nato p lica tu s Chao A. cf. beip ei e n sis Liu Acanth o p ec te n carbomf er ns (Ste v ens) Annulic o ncha kit ak ami en sis (Murata ) PalaeoUma cf. fur cop lica ta (Grabau) Str e blop ter ia sp. 8_tu tc h buria sp. Asta r t el la sp.
Eodon sp. ?Scli izod 11s sp. ® 복 족류 Ps e11 dozy go p le 1 1 ra sp. ® 완족동물 He m i ple th orhy n chus sp. Sp irifere llin a cf. lzoclm an en sis Liao ?Desqu amati ca cf. qu adrat a Wa n g et al. ? Tornq u is t i a sp. ?Pseudosp irif eri n a cf. varia b il is Yang et Xu ?Di sc otr e ta sp.
그들은 이 밖에 Ph illips id 과에 속하는 삼엽 충의 파편 및 院 皮動物의 海白合 줄기의 파편들이 산출됨을 보고하였다. 사등충;사동충내에서의 무척추동물화석은 극히 드물게 알려졌다. 小林貞一 (1933) 은 평창군 미탄면 울치리의 寧 越炭田 지역에 발달된 사 동충에 서 節足動物 Xip h osura 에 속하는 Eup ro op s orie n ta l i s Kobay a shi 및 E. danae Meek 등 1 속 2 종과 芹足類의 Anth r acomy a ( ? ) jidoe nsis Kobay a shi 를 보고한 바 있다.
고방산층 ; 본충에 서 는 아직 동물화석 이 보고된 바가 없 다. 녹암충……본충에서는 아직 동물화석 산출이 보고된 바 없다. 북한의 평안층군 무척추동물화석군 복한 평양지역에 발달된 홍접충 內에서 矢部와 早 坂 (1915) 尾崎 (1934 a,b) 및 今野 (1920) 에 의하여 4 속 · 6 종의 산호류, 7 속 8 종의 완족동물 및 3 속 4 종 의 복족류화석이 보고되었으며 이들 화석종은 다음과 같다.
(1) 산 호 류 · 화 석 ( 矢部 와 早坂 , 1915) Cha et e f r s asia t i cz, s Yabe & Hay a · sak a Canin i a mu ra ta i Yabe & Hay a sa k a c. sp. Cy st o p { io ra dubia Yabe & Hay a · sak a C. kik k a w ai Yabe & Hay a saka Arac l znastr a ea corea n ic a Yabe &1-Ia y a sa k a @ 완족동물(尾琦, 1934) Lil lgu la sp.
Rhip i do me/a cf. cora d'Orb. Str e p tor lzy n chus? sp. Chonete s cf. carbomf e ra Key se r! Schiz o p h oria swa//ovi (Hall) Productu s spp . Sp irifer (Chris t i tes ) pa o/{J1 )i Stu c k Sp £rifer i spp . @ 복족류 Pleuroto m aria sp. Worth e nio p s is sys r ani'c a Stu c ken- berg W. sp . Zy go p le ura sp.
이밖에 압록강 연변에 위치한 평안북도 강계지역에서 小林貞一外 \l !:.I 42) 는 홍 접충 내에서 Anth e racomy a s p.라는 부족류 화석과 寺洞層의 석회 암에 서 Sq u amularia sp. , Camarop ho ria sp. 동의 완족동물화석 을 보고하였 으며, 후창 지역에 발달된 평안충군의 기저부 紅店 層 에서도 완족동물 Marti nia 속이 산호 및 해백합 화석과 함께 小林貞一 (1952) 에 의하여 보 고되었다. 제 2 철 고식물 평안충군은 그의 하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충이 육성 되적충으로 구 성되어 있어, 무엇보다 육상 식물화석이 풍부히 산출된다.
이 평안충군의 육상 식물화석은 Go tt sche(1886) 에 의하여 경상북도 문 겅 南方 8 km 지접 (平安府群의 高坊山府 ?)에서 Neurop ter is 가 최초로 보 고됨으로써 알려지기 시작하였으며 이어서 矢部 (1908) 에 의하여 상기 Go tt sche 의 발견지점과 거의 같은 지접인 경상복도 문경 남방 8km 의 犬海지 역 에 분포된 고방산층에 서 Gi ga nto p ter is nic o ti na efo l i a 가 보고되 었 다. 그러나 한반도의 평안충군 식물화석이 체계적으로 연구된 것은, 주 로 川崎 繁 太郞 (1927, 1931, 1934, 1938, 1939) 및 今野圓藏 (1932) 에 의하 여 행하여졌으며, 최근 全希永 (1985) 에 의하여 삼척지역의 상부 古生代 層의 식물화석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행하여졌다. 현재까지 산출된 평 안충군의 식물화석을 각 충벌로 보면 다음과 같다. 2-1 홍점층 평안충군의 하부충인 홍점충에서는 식물화석이 극히 드물게 산출된다. 강원도 三涉炭田의 홍접충 기처부에서 Le p ido dendron oculus fe l i s 와 Neurop ter t s ps eudovata Got h an & Sze 가 보고되 었고, 평 양지 방의 홍접 충] 서 Neurop ten ·s 屬의 작은파편이 보고되 었다. 이 밖에 평 안북도 강 계 지 역 에 소규모로 분포된 홍접 충 최 하부의 흑색 셰 일에 서 Li no p ter i s chosem·ca Kawasak i 와 lveurop ter is sp. 가 산출되 었 고, 상기 지 역 과 인 접 한 厚昌地域의 상부 적자색 셰 일 (紅店府 上部 ? )에 서 Odonto p ter is sp. 가 산출되었다. 이로써 홍접충에서는 현재까지 4 속 4 종의 식물화석이 기 록되었을 분이다. 2-2 사동총 홍접충 상위에 놓이는 寺洞層에서는 다량의 식물화석이 산출되었다. 다음 표 5-1 은 한반도의 평 안충군 사동총에 서 보고된 화석 종이 다.
표 5-1 사동총(금천층, 장성층)식물 화석
화석종 남한 1 복한
가석종 남한 복한
화석종 」그혼」 복한
화석종 남한 북 한
한편 정창희, 이하영 (1970) 은 강원도 태백시 사동총상부( 長省府 )에서 Taenio p ter is ? koreanensis Cheong & Lee 로 명 명 된 新種 1 종을 추가하였다. 이로써 寺洞 層 식물화석종을 종합하면 種識 別이 가능한 種 이 총 111 종 에 달하며 이중 88 종이 남한에서, 55 종이 복한에서 각각보고되었고이 중 35 종이 남북한에서 다같이 산출되어 실제 복한에서만 보고된 종은 23 종뿐이다. 寺洞 層 植物群울 分類目에 따라 남한과 북한에서의 산출분 포를보면 다음과같다.
표 5-2 사등층 식물화석 분류
상기 표 5-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寺 洞 植物 化石群의 主 類 는 양치류 및 종 자양 치 류이며, 그 다음이 유철류와 석송류에 속하는 식물들이고 이밖에 원 시 육상식물인 송영란류와 나자식물의 소철류와 은 행 류 등이 산 출 된다. 川 崎 (193 4 ) 는 이 사동식물군이 유럽의 상부 고생대 식물화석군과 유 사하며 특 히 유럽 페름기 의 표준화석들을 포함하고 있는 접으로 보아 이 식물군의 시대를 페름기라고 하였다. 2-3 고방산층 고방산층에서는 식물화석이 비교적 다량 산출된다. 川 崎繁 太郞 (1934) 에 의 하면 고방산충에 서 산출된 식 물화석 종은 모두 63 종에 탈하며 이를 남북한 지역별로 보면 남한에서 33 종, 복한에서 46 종이 각각 보고되었다. 복한의 4 6 종 중에는 남한에서 산출된 종이 16 종 포함되어 있어 복한에서만 보고된 것은 29 종에 달한다. 이둘 남 북한의 고방산층에서 산출된 식물 화석종은 표 5-3 과 같다.
표 5-3 고방산층(함백산층) 식물화석군
식물종 1 남한 1 북한
이들 석불 화석종을 식물 分類目으로 묶으면 5-4 와 같다.
표 5-4 고방산층 식물화석 분류
분류목 남 한 북 한
川 崎 (1934) 에 의하면 高 坊山 석물화석군은 주로 곤드와나 (Gon d w a n a ) 대륙과 동부 아시아의 原産種 들이 移 住한 것으로 구성되었으며 유 럽 형 식물화석은 빈약한 것이 목칭이다. 그는 본충에 서 Lobata n nr,laria , Gi ga nto p ter i s , Cte n op t er i s 및 Chir o P ter i s 등과 같이 중생대 특유의 식물군 내지 중생대에 풍부히 산 출 되는 종류 들 이 많이 산출되는 접으로 보아 그의 시대 를 중생대 트리아스기로 간주 하였다. 그러 나 中村 新 太郞 外 (1957) 는 고방산충은 복부중국의 石盆子統 (Shih o tz e Serie s ) 상부, 남만주의 彩家統 에 대 비 되 는 충으로 페 름 기 후 기에 해당될 것으로 생각하였고 鄭昌熙 (1969) 는 강원도 삼 척지역 高 坊 山 層 의(하부로부터 咸白山 府 , 道 士 谷府 , 古汗 層 으로 三分 함 ) 시대 를 페 름기 후기로 봄으로써 상기 中村外와 거의 같은 견해를 나타냈다 . 2-4 녹암총 평안 충 군의 최상부총인 녹암충에서는 化石 産 出이 국히 빈약하다. 小 晶 (1935) 에 의하여 평양지역의 평안충군 최상부의 녹암충에 해당되는 충 준에 서 Dadoxy lo n 에 속하는 珪化木화석 산 출 이 알려 졌 다. 이 는 직 경 10-15 cm, 길이 l m 에 달하는 것 으로 倉 己三 郞 ( 日 本奈良 大 學 )은 이 를 Cordaix y lo n 屬 으로 감정하였다. 倉 己에 의 하면 이 屬 은 예 의 없 이 고생 대충에서만 산출되고 있어 그는 이 화석이 산 출 되는 녹암충하부는 고생 대 페름기 최상부에 속할 것으로 해석하였다. 남한의 녹암충에서는 야 칙 어떤 종류의 화석도 산출되지 않았다.
제 3 철 미고생물류 평안충에서 산출되는 미화석류는, 크게 유공충류와 코노돈트로 분 류된다 . 유공충류는 방추충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유공충류는 矢部長 克 (1906), 小 平 (1930), 素 木卓二 (1931), 波多江 信 度 (1935, 1938, 1939), 島 山 陸三 (1941, 1942), 鄭昌 熙 (1969, 1971, 1973), 鄭昌 熙 • 朴 龍 安 (1977), 李 昌鎭 (19 84 ) 에 의하여 연구되어 왔으며 코노돈트 미화석은 1965 년 독일 인 Gabert , Vi nk e n 및 S t o pp el(1965) 에 의하여 최초로 보고되었고 최근 李 鍾德 (1984), 朴守仁 (1986) 에 의하여 연구되고 있다. 3 기 유공충류 1) 영월지역 (1) 홍 점총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북 쪽 , 마차리지역을 중십으로 남북 방향의 건대상으로 평안충군이 발달되어 있다. 이 평안충군은 홍접충과 사동 충 으로 이루어졌고 고방산층과 녹암충은 발달되지 않는다. 근래 鄭 昌 熙 (1969) 는 本 寧 越地 域 의 평 안충군을 하부로부터 요봉충, 판교충, 중간 충 (?), 밤치충 및 美惡府 으로 새로이 구분하였다. 새로 섣정된 요 봉충은 대체로 종래의 홍접충과 일치하며 판교충, 중간충(?), 밥치충 및 미탄 충 은 종래의 사동충을 세분한 것으로 해석된다. 유공충류는 홍접충(요봉충)과 사동총 하부(板稀 層 및 밥치層)에 협재된 석 회 암에 서 산출된다. 波多江 (1939) 은 본 영 월지 역 에 서 다음과 같은 유 공충화석을 보고하였다.
Textu l aria exim i a Eic h Crib a osto m um tex tu lartJ or me Moll C. exim i um (Eic h ) Clim acammi a anti qu a Brady C. maxim a L. et C. Brady ina rotu la Eic h
B. nau ti lz f or 而 s Moll Endoth y ra bowmani Ph illips Ozawain e lla loczy i (Lo r) 0. ang u lata (Colon i) Sta f J el la confu s a (L. et C. ) S. sph aeroid e s (Ehr. )
Fusulin e /l a r!t om boid e s (L. et C. ) F11suli1 1 a cyl ir:d ric a Fis c h F. qu asic y l i n dric a L. & C. F. pan kouensis Lee
F. konnoi Ozawa Tetr a ta x is co11i ca gibb a Moll T. decurren s (Brady )
상기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는 영월지역의 홍접충에서 10 속 1 9 종 의 유공충화석 을 보고하였 으며 이 화석 군에 의 하여 홍점 충윤 F11s11l ina 帶와 Fusuli nel la 帶의 2 개 化石帶로 구분하고 이 화석 군의 시 대 룹 석 탄 기 모스코비 아世 (Moscovia n Ep o ch) 로 보았다. 한편 鄭昌熙 (1969), 鄭昌熙 • 朴 龍安 (1977) 은 寧越지역의 요봉 충 ( 홍정충 과 대비됨)에서 12 속 14 종의 다음과 같은 방추충 화석을 보고하었다. 이 화석군에 의하여 그들은 요봉충의 시대를 석탄기 모스코비아 초기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요봉층의 방추충 화석 (鄭昌熙 • 朴龍安, Mi l/ere /l a comp re ssa (Brazhnic o va & Poti ev skay a ) M. cf. samaric a Reit ling e r M. acuta (Grazdil ov a & Lebedeva) Eosta f e l / a subso/ana Sheng Ozawain e //a vozhg a /ic a Safo n ova Eoschuberte l / a spp . Fusie l la sp.
1977) Verella pro li xa (Sheng ) Akiy o sh iell a sp. Pseudosta f e l la go rsky i(D utk evit ch ) Profu m l ina spp . Taiz e hoella sp. Alju to v ella sp. Fusuli nel la sp.
최근 李昌鎭 (1984, 서울大, 博士學位論文)은 寧越炭 田의 要峯府에서 총 13 속 39 종의 방추충 화석을 분류, 기재하고 이를 하부의 Eosta f fella - Pseudosta f f ella 帶와 상부의 Profu s ulin e l/ a 帶 의 2 개 生層序 單位로 구분하였다. 그는 요봉충 하부의 Eosta f f el/ a ·P seudosta f J el la 帶의 시 대 가 소련의 석 탄 기 Bashk irt an 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이는 波多江 (1939) 의 시대결정보다홍접충 下限의 시대를 더 古期인 것으로 보았으며 이들 화석군이 중국과 소련의 상응하는 시대의 화석군과 밀접한 유사성을 나타낸다고 하였 다. 李昌鎭에 의하여 분류 기재된 요봉충의 방추충 화석은 다음과 같다.
요봉 총의 방추충 화석군( 李昌鎭 , 1984)Q) Eosta f e l la-Pseudosta f e l / a 帶 Eost a f f ell a ps eudostr u vei choma ti- /era Ki re e v a E. po stm osqu ensis acut iform i s Kir e e v a E. kaslzil i c a Rauser - C h e rn oussova E. lj11dm i la e Rauser - Chernoussova E. ike n s is Vi ss ari o n ova E. muta b il is R a u se r- C h ernoussnova Ozawain e // a crassif orm i s Putr ya Pse1 1 dowe de k in del l in a sp. A. Pse1 1 dosta f f ella varsanofi eva e Ra- user - Che rn ouss ov a P. pro ozawai Ki re eva P. par acomp re ssa Safo n ova P. anti q11 a (Dutk e vic h ) P. subq ua drata (Grozdil ov a & Lebedeva) ® Profu r nli ne/ l a 帶 Mi llere /l a comp re ssa (Brazbnic o va & Poti ev skay a ) M. exil i a ( Grozdil ov a & Lebedeva) M. samarzc a Reit ling er M. acuta (Grozdil ov a & Lebedeva) M. acuti ssi m a (Ki re eva) M. carbonic a (Grozdil ov a &
Lebedeva) Ozawain e //a crass1J or mi s Putr ya 0. mag n a She n g Schuberte l la obscula Lee & Chen S. lata ellip tica Sheng Fusie / /a pra ecursor Rauser· Chernoussova F. pra ecursor par avents i c o sa Ra· user Pseudowedek in d e//in a Prolix a Sheng Verella sp. A V. sp. B Pseudosta f e l la subq ua drata Grozdi· lova & Lebedeva P. lati sp iral i s K i ree va Taiz e hoella tai z e hoensis Sheng Profu s uli ne/ /a Juk usie n sis Igo P. wang yu i Sheng P. sp. A P. a/ju to v ic a Rauses-Chernoussova P. arta Leonto v ic h Beedenia tru ncatu l i na Thomp so n B. sp . A B. lancealata (Lee & Chen)
(2) 사동충 하부 ; (판교충, 중간충, 밤치 충) : 波多江 (1939) 은 영 월군 마차리-미란지역에 발달된 사동충 하부의 석회암충에서 다음과 같이 19 종의 유공충 화석을 보고하였다. 그는 이 화서군을 Schwa g er i'n a 帶와 Pseudoschwag e rin a 帶의 2 개 化石帶로 분류하고 이 화석 군의 시 대 를 복한 평 양단전의 사동충과 같이 페름기 의 Sakma rian 世로 보았다. 따라서 한 _, L 에서는 석탄기 최후기 Ural i an 世의 되적충이 缺層인 것으로 해석하 紅店層과 寺i剛 탑 의 관계는 不整合 관계임을 시준하였다.
사등층의 유공층 화석(波多江 1939) Brady i11a rotu la Eic h B. na11t iliform i s Moll Endoth y ra bowmani Phil lips Ozawain e lla loczi (Lor) 0. ang u !ata (Coloni) F11suli nel la Pseudobocki (L. & C. ) Schwag e rin a sim p le x (Schellw. ) S. sim p le x mi nu ta (Lee) S. valga ris (Schellw. ) S. valid a (Lee)
S. comPli cat a (Sche llw . ) Qu asif usu li na ten uis s im a Schellw. Q. long issi m a (Moll. ) Pse11doschwag e ri1 1 a glo merosa (Dep ra t) Tetr a ta x is conic a Ehr. T. conic a gibb a Moll. T. dernrrens (Brady ) T. maxim a (Sche ll w. ) T. schellwi en i Ozawa
한편 鄭昌熙 (1969) 는 판교충에서 6 속 7 종, 밤치충에서 4 속 8 종의 다 음과 같은 방추충 화석을 보고하였다.
판교총의 방추충 화석(鄭昌熙, 1969) Fusulin a sp. Beedein a sp. Neosta f e l la hanensis Cheong N. pa p ilzf or mi s Cheong 밤치層의 방추층 화석(鄭昌熙, 1969) Qu asif usu lin a macharensis Cheong Q. inu sit at a Sheng et Sun Q. inu sit at a mag n a Cheong Schwag e rin a spp . Pseudoschwag e rin a gl omerosa?
Fusulin e lla soni? Cheong Q1 1as1J us ulin a sp. Trit icit es sp. (Schwag e rn) P. sp ha eric a solwi s is (Schervovic h ) P. spp . Ozawain e lla ang u lata (Colani)
최근 鄭昌熙 外 (1983) 및 李昌鎭 (1984) 은 판교충과 밥치 충에 서 각각 9 속 28 종, 5 속 18 종의 방추충 화석 을 기 재 하고 이 화석 군에 의 하여 판교충을 下部의 Beedein a 帶와 上部의 Neosta f e l la-Fusu/in a 帶로, 밥치 충을 Pseud· oschwag e sin a-Pseudof us ulin a 帶의 생 충서 대 로 구분하였 다. 이 화석 군에 근거하여 그들은 판교충을 후기 석 탄기 Moscovia n 에 , 밥 치層울 페름기 초기의 Sakma ri an 에 대비하였으며 석탄계 최상부의
Uralia n 화석 군이 산출되 지 않는 접 으로 보아 판교충과 밥치 충의 겅 계 는 平行不盤合 관계를 이 룬 다고 하였다. 鄭昌熙 外 ( 1983 ) , 李昌鎭 (1984) 에 의하여 보고된 판교충과 밤치충 화석군은 다음과 같다.
판교 총(鄭熙熙外, 1983, 李昌鎖 1984)Q) Be ed e in a 帶 Mi l/er e/l a samaric a Re it lin g e r M. acuta (Grozclil ov a & Le b e d eva) Oza wain e /1 11 t11 rg ida She ng 0. mag n a Sheng Sclzube rt e / /a obsc11/a Le e & Chen S. lata e//ip tica She n g Becde1 1i a trz mcatu l in a Th om p so n B. /an ceola ta (Lee & Ch~ n) B. pan ko11ensis oke nsis (R auser & Che rn oussova) Pse11dosta f J e/ /a kim i Che on g ® Neosta f fella -Fusulin a 帶 Mi l/er e/ la sam aric a Reit ling e r Oz.1 w ain e l l a tu rg ida Shen g 0. sp . A. 0. mag n a Sheng Schuberte / / a obsc11la Lee & Chen S. lata ellip tica Sheng 밤치 層 ( 鄭昌熙 外 1983, 李昌鎭 1984)(D Pseudoschwag e rin a-Pseudof us u-
lina 帶 Qu aszf as uli na eleg a nta Shlyk ova Q. long issi m a pr aect, rs or Rauser-Chernoussova Q. inu sit ata Sheng & Sun Q. ins uit at a mag n a Cheong Q. macharensis CheongS. gr ac ilis znensis Rauser-
Chernoussova S. sp. A. F11sie l / a P raelancetz J o rmi s Safo n o. F. sp. A. Neosta f fella pa p iliof o r mi s Cheong N. hanensis Cheong N. sp lz aeroid e a (Ehrenberg) F1m1l inel l a !;ocki int e n nedia Rauser - Chernoussova F. sp. A. F. laxa Sheng F. pro vecta Sheng Beedenia par adis t e n ta (Safo n ova) B. ac11ta (Lee) B. sp. B. B. siv i n i e n sis (Rauser) F11s11l ina sim i /is G ry z lova F. dany an g e nsis Cheong Schwag e rin a ruts c hi Thomp so n S. camPa Thomp so n S. yeo ng w eolensis Cheong • Pseudofu s uli na pa raconf us a Raus-er & Chernoussova P. exim a Skin n er & Wi lde P. sp. A. P. exil isP. sp. B. P. com. iJ/ica ta /acet1 J o rmi s Mi cl ucho-Maclay P. hexag o naria Igo
P. sp. C. Pseudoschwag e rin a par aborealis Han
2) 삼척지역 홍 점층 ; 근래 鄭 昌熙 (1969) 는 삼척지역에 분포하는 紅店府울 晩 項府 으. 로 개 칭 하고 이 충에 서 산 출 된 방추충 화석 군을 하부 로 부터 Eosta f el l a subsolana 帶, Beedein a may ien s is 亞 帶 , Pseu dost a f J e/ / a kim :· 亞사’;' 의 生](i序 單 位로 구분하였다. 이들 각 化石 帶 에서 산 출 된 방 추충 화석 은 다 음 과 같다.
만항층(홍접층)의 방추충화석(鄭 昌 熙 1969)
CD Eosta f fella subsolana 帶 M il/ere /l a cf. acuta (Grozdil ov a et Lebe d eva) M. varia b il is R auser M. comp re ssa (Brazhn et Poti ev ) M. acuta for ma nana (Ki re eva) Eosta f J el la suhsolana Sheng Schuberte l ! a obscura Lee et Chen. Akiy os lzio l la sp. Profu suli nel la par arlzomhoid e s
Raiu s er e Belja e v. Vere/l a pro l ixa (She n g . ) ® Beedein a may ien sis 亞 帶 Beedein a may ies is (She n g . ) @ Pseudosta f fell a ki m i 亞 帶 Pseudosta f J el la kim i Cheong Verella pro li xa (Sheng . ) Mi ll erella varia b il i s Rauser Psett do sta f fella go rsky i (Dutk evic h )
鄭昌熙는 이 화석군에 의하여 만항충(홍접충)의 시대를 후기 석탄기 초기 내지 중기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사동충 하부 ; 波多江 (1939) 은· 본 지역의 寺洞層에서 다음과 같이 9 속 21 종의 유공충 화석을 보고하였으며 이 화석에 근거하여 본충의 시대 를 페름기 초인 Sakmari an 世로 보았다.
사동충의 유공충화석 (波多江 1939) Crib rog e nerin a cf. nit ida L. & C. C. pyri f orm e (Moll)
C. maxim a L. & C. Monog e nerin a cf. gr adata Lang e
Brady ina rotu l a Ei ch B. 11a11t il1f or me Moll Endotl zy ra howmani Phil lips E. glo lulus Eic h Ozawain e lla loczi (Lor. ) 0. ang u lata (Coloni) Sta f J el la qu adrata (Dep. ) Fusuli nel la rlzomhoid e s (L. & C. )Fusuli na cy /ind ric a Fis c h
F. pan kouensis Lee F. konnoi Ozawa Tetr a ta x is conic a Ehr. T. conic a gibb a Moll T. decurrens (Brady ) T. maxim a Schellw. T. schellwi en i Ozawa T. pal aeotr o chus (Ehr. )
한편 鄭 昌 熙 (1973) 는 금천충(寺洞層下部)에 서 아래와 같이 12 속 40 종 의 방추충 화석 을 보고하였으며 , 그는 이 化石群울 하부로부터 Neosto f f ella sph aeroid e a cuboid e s 亞帶, Fusulin ella soni 亞帶 및 Fusuli nel la cy lind ric a var. domadedori 亞 帶의 3 亞帶로 구분하고 이 化石群의 시 대 를 波多江 (1939) 와는 달리 석탄기 Moscov i a 世 후기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금천층의 방추충화석 ( 鄭昌熙, 1973) Mi ll erella varia b il is R auser M. cf. samaric a Reit ling er M. comp re ssa (Brazhn. & Poti ev . ) M. acuta for ma nana (Ki re eva) M. cfr. acuta (Grazd. & Leb. ) M. acuti ssi m a (Ki re eva) Ozawain c lla vozhg a lic a Safo n ova 0. pa rati ng i Manukalova 0. adducta Manukalova 0. mag n a Sheng 0. mag n a mag n a Cheong Schuberte l la sp. A S. sp. S. cf. elong a ta Sheng S. cf. lata Lee & Chen S. sp. B S. obscura Lee et Chen
Fuste l la typica e:,;te n sa Rauser F. cf. spa t i osa Sheng Wedekendellin a dutk e vit ch t Rauser et Be)j ae v Wedekendellin a sp. A P. kim i Cheong P. dog e nsis Cheong Neosta f f ella lzanensis Cheong N. sph a eroid e a (Ehr. ) cuboid e s Rauser N. pa p iliofo r mi s Cheong Xenosta f f ella koreaensis Cheong Fresulin e lla pse udobocki Lee & Chen F. sp. A F. sp. B F. soni Cheong Beedet n a konnoi (Ozawa)
Beedei1 1 a pse udokonnoi (Sheng ) B. siv i n i e n sis (Rauser) B. ny tvi c a (Safo n ova) Fusulin a for tis si m a Rauser F. c}•li nd ric a domodedovi Rauser
F. pa1 1kouensis okensis Rauser Qu asif 11su l i11a par acomp ac ta Chang Q. cf. long issi m a (Moller)
3) 단양지역 鄭昌熙 {1971) 는 충청북도 단양지역에 분포된 만항 충 ( 홍접충 )과 금천 충(사동충하부)에서 각각 다음과 같은 방추충 화석 을 보고하 였 다.
만항층의 방추충화석(鄭昌熙 1971) Mi ll erella sp. Mi llere lla acuta (Grozdil ov a & Lebedeva) Neosta f f ella sph a eroid e a (Ehrenberg) N. sp! iae roid e a cuboid e s Rauser N. sp. A. N. sp. Eosta f f ella lata (Lee & Chen) Fusuli nel la sp. F. bocki (Lee) Ozawain e lla adducta Manukalova. 0. pa rti ng i Manukalova? 0. vozhg a lic a S 랴fa nova. 0. sp. Eoschuberte l la lata (Lee & Chen) E. obscula (Lee & Chen) . 금천층의 방추충화석 ( 鄭 昌熙. 1971) Schuberte l la sp. Fusuli nel la pse udokonnoi long a Sheng Ozawain ella Sp.
E. sp. Prof1 1 s11li1 1e l/ a sp. Tait ze l z ol/ a sp. Fu s11 lin a konnoi (Ozawa) F. cy lind ric a (Fis c her & Wa ld he im ) F. lanceo l ata Lee & Chen F. qu asic y l i n dric a (Lee) F. sp. Qu asi! u suli na? sp. Pseudosta f J el la go rsky i (Doutk e v ic h ) P. sp. A · P. sp. B. Fusie l la mui Shen& F. typica ext e n sa Rauser Pseudowe de nken d ellin a sp. Eoschuberte l la sp. E. mag n a (Lee & Chen) Neosta f fella sp ha eroid e a cuboid es Rauser
Pro/t!s u l in e ll a sp. F11s :d in e ll a bock i Moller F. sp. F11s u lin a sp. A
F. sp. Pseudosta f f ell a sp. Pseudowe d e k endel l in a sp. Qu asif usu li na? sp
鄭昌熙 (1 9 77 ) 는 상기의 만항 충 화석군 중에는 석탄기 moscovia n 초기 룰 지 시 하는 표준화 석이, 금천충 화석군에서는 moscovia n 후기를 지시 하 는 표준화석 이 각각 발견되어 만항충 상부와 금전충은 범세계적인 Fz1s u li11 e ll a· F usu li 11 a 꺾 W 에 대 비 된다고 하였고, 古生物 區 相으로는 중국과 소련 의 화석군과 밀 접 한 근찬성을 지니고 있다고 하였으며, 국내적으 로는 삼척단전 의 만 항충 및 금천충의 화석군과 거의 같은 化石 種 둘로 구성 되었다 고 하었 다. 4) 복한 지역 평양탄전지역; 복 한의 평양단전에서 矢部 (1906) 는 F11s u li1 1 a af f. ric h th - ofe n i, Le g o na sp . , Big e ner i n a brady i 및 Sta c h e ia sp . 등의 방추충 화석 울 최 초 로 보고 하 였 다. 이어서 井上 (1907) 은 평양부근에 발달된 含有 孔虫化 石 石 灰岩f단(現 平安府 접 부의 일부)을 방추충 석 회 암이 라고 명 명 하 였으며 그 후 藤本 (19 3 8) 과 波多 江 (1939) 에 의하여 평안충군의 홍접충과 사 동충 의 유공 충 화석이 체계적으로 연구되었다. 그둘에 의하여 기재된 유공 충 化 石,fa 은 표 5-5 와 같 다. 이 표에 기재된 화석군에 의하여 상 기 兩 者 는 홍접충 의 시대가 Moscov i an 에 해당되며 아 지충은, 南 滿 洲 및 복 부 중국의 本溪統 (P e nhs i Ser i es) 에 대비된다고 하였고, 하부 사 동 총 의 시대는 Sakma ri an 世로, 이 兩 層 사이에는 Ural i an 의 지충이 발달되지 않아 不植 合 관계를 이룬다고 하였다. 평안남도 북부탄전 및 고원탄전 ; 평 안남도. 복 -¥-1 간전은· 평 안남도 ` 복부여] 위치한 德 )11 地 域 울 중십으로 발달된 탄전지역으로 평양울 중십으로 발 달된 평안남도 남부탄전과 지역적으로 구별된다. 素 木卓二 (1931) 은 본 탄전에 발달된 사동총 하부(下部扶炭層 石灰岩帶) 에 서 Furnli na long issi n a Moller, Scluoag e rin a pri n c eps ( Ehrenberg) 의 방추 충 화석을 보고하였다. 한편 小 平 (1930) 은 고원단전의 홍접충에서 다음 과 같은 방추충 화석을 보고하였다.
표 5-5 평양탄전지역의 유공층화석(波多江, 1939)
Schwag e rin a alpi na (Schellw. ) xx
평안북도 楚山, 厚昌 江界地域 ; 이 미 앞에 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압록강 연 변을 따라 소규모로 산재하여 있는 평안충군에서도 방추충 화석이 보 고되었다. 초산지역의 홍접충에서 鳥 山 (1944) 는 Moscov i an 의 시대를 지시하는 Ozawain e lla ang u lata Colani, Fusuli nel la par va Lee & Chen, Eoschuberte l la obscura Lee & Chen 을 보고하였고, 강계 지 역 의 홍접 충에 서는 高橋 (1953) 에 의 하여 다음과 같이 6 속 10 종이 보고되 었 다.
Stn f fera loczy i (Lor) Brndy ina rotu l a (Eic h . ) Crih r ostm um exim um (Eic h . ) Fusuli nel la sp. F. cf. pse udobocki Lee & Chen
Fusuli na cy lind ric a Fis c h. F. cf. qu asic y l i n dric a Lee. F. sp. Monog e nerin a cf. gr adata ·La ng e M. sp.
3-2 코노돈트 미화석 1) 홍접충의 코노돈트 최근 李鍾德 (1984) 은 강원도 영 월군 복떤 마차리 지 역 에 분포된 평 안 충군의 홍접 충에 서 다음과 같은 15 속 31 종의 個體要素 分類種과 1 속 1 종의 複合要素 分類種올 보고하였다.
홍 접층의 코노돈트 화석군( 李鍾德 , 1984 )
•Adeto g n atl zus • /a11t 1is (Gunnell) • Dec /i no g na tlz odus 브 /ate r aUs (Higgins & Bouckaert) •Gnatl zod us• bil ina t u s (Roundy ) G. • sp. Gondo/e l/ a 靈 be/l a Sta u ff er & Plumm 인 . ·c. • sp. nov. •H濁 arde//a• (Roundya ) cf. benet t an a Hass •H. D de/i cat u / a St au ff er & Plum - mer H. • cf. ib erge sis Bis c hoff H. • sp. •Idio g n ath o dus• anti qu us Sta u ff er & Plummer •I. • cf. clai, ifor mi s Gunnel I. delt 'ca tu s Gunnel •1• t'nc urvus Dunn 가? mag m f icus Sta u ff er & Plum- mer •I. • par vus (Dunn) •I. • sin u ost's Ell iso n & Graves I. sp. A 마.• sp. •Idio g n ath o id e s• nodulzf rz is (Ell iso n & Graves)
•I. • sin u a tu s Harris & Ho ll ing sw -orth •I. • srtl c a t r ,s Hig gins & Boucka er t I. sp . •Lig o 11odi1 1 a rou11dy i Ha ss L. • sp. •Lonch o dtt s sim p le x (P a n de r) L. • sp. •N eog n alh odus• bass . bass le r i (H a rr is & Hollin g sw o rt h ) N. 鬱 bass. sym me lr ic tt s (L a n e) N. • rozmdy i (Gunne l) Neop ri o n io dus sp. Oz ark odin a delic a tu l a (S t au ff er & Plummer) ·o .• sp. nov. O. sp. Sp at h o g n ath o dus camp be l l i Rexroad •s. coroladoensis Murray & Chr-
omc S. mi nu tu s (Ellis o n) ·s. ,. sp. Str e p tog n ath o d11s• exp a n sus Igo & Koik e S. • suberectu s Dunn S. sp.李 鍾德 (1984) 은 上記 코노돈트 화석군에 의하여 홍접충을 하부의 .1d io g n ath o id e s 帶 와, 상부의 Idio g n ath o dus 帶 의 두 化石帶로 구분하고 前 者를 다시 ldio g n ath o id e s sin uatu s 亞 帶 와 ldio g n ath o id es sulcatu s 亞帶로, 後者를 /dio g n ath o dus sin u osis 亞 帶 와 /dio g n ath odtt s deli cat u s 亞帶로 각각 세분하였으며, 홍접충의 시대를 석탄기의 Morrowan(Bash i k i r i an) 에서 Desmoin e sia n 에 이 르는 법 위 에 대 비 된다고 하였 다.
이 는 종 래 홍접 충 의 시 대 를 후 기 석 탄기 중 기 인 l\tio s c ov ia n 인 것 으로 간 주 한 데 대하여 紅 店 層 下限 의 시대 를 이보다 더 오랜 후기 석탄기 초 로 보 았다는 접에서 새로 운 주목 을 끌게 하였다. 2) 사동 충 의 코노돈트 Gabe rt 外 (1 9 65) 는 강원도 대백시의 장성탄광과 강원탄광을 비롯하여 정선 군 의 함백탄광, 영 월 군의 옥동탄광 둥지에 분 포 하는 사동 충 최 하부 에서 다 음 과 같 은 개 체 요소중 8 속 9 종( 種未定除 外)의 코노돈트 화석을 보 고하였 다.
®함 백탄광 ldio g n atl zo d11s • sp. •Str e p t og n ath o du s• sp. ® 옥 동탄 광 Gn a tl zod 11s• sp. Hi nd eo del l a sp. ldio g r1 a th o d11s • clavif orm i s Gunnel I. • deli cat u s Gunnel I. • cf. deli cat u s Gunnel I. • aff . lobatu s Gunnel a I. • ter s iis Ell iso n
I. • sp. Lonchodin a ? sp . •Meta l onchodin a • sp. Ozarkodin a delic a tu l a (Sta uffer & pla mme r) ·o .• sp. •S tr e p tog n ath o dus• elong atus Gunnel •S. mi nu tu s Gunnel •S. • opp le tu s Ell iso n 강원탄 광 •Str e p tog n at! zo dus• sp.
그 들 은 이 화석군에 의하여 사동충 下限이 종래 주장되어왔던 페름기 가 아니고 상부 석탄기에 해당되며 사동충의 되적시기가 종래 생각 했 던 것보다 일찍 시작되었음을 밝혔다. * 참고문현 장기홍, 1972 : 「고한 충 의 고방산 석물군산 출 과 그 충서적 의의」, 지질학회지, Vol. s, pp. 175-6. Cheong , C. H. , 1969 : St rat i gr aph y and Paleonto l og y of the Samcheog Coalfi eld , Korea ( I )•, fou r. Geo/. Soc. Korea, Vol. 5. pp. 13-56. Cheong , C. H. , 1971 : St rat i grap h y and Paleonto l og y of the Dany a ng Coa·
field •, fo ur. Ge o/ . Soc. Korea, Vol. 7, pp. 62- 9 2 . 鄭 昌 熙, 1973 : 「 三涉炭 田 産 勅 鐘 蟲의 古生物序的 硏究 」, 지 질학 회지 , Vol. 9 , pp. 47 -88. Cheong , C. H. , 1974a : So m e ne w for ms of Fusuli na e inc ludin g a ne w gen us Xenosta f f clla from Korea • , fou r, Ge o! . Soc. Korea , Vol. 10, pp. 59-88. 鄭 昌 熙, 1974b : 「江 原道 三涉炭 田의 府 序 및 古生 物 」, 大韓民 國 t》術 院論 文 菓 (自 然科學篇 ), 第 10 卷, 第 2 號 , pp. 59-88. 鄭昌熙, 朴 龍 安, 1977 : 「 寒 越炭田 海成推積岩 (石 炭紀 )의 淮 8 t 環境 및 結列 蟲 에 關 한 硏 究 」, 지 질학회 지, Vol. 1 3, pp.1 51-7 8 . 鄭昌熙, 朴 洙仁 , 1979 : 「 忠 北丹 賜附近의 쥬 라기 府 의 石 灰岩 에 서 産 出되 는 訪 煙蟲 에 관한 硏究」, 지질 학회 지, Vol. 15, 제 2 호 , pp. 16 8-80. Cheong , C. H. et al. , 1983 : Inv e rte b r a t e fos si l fau na from the Late Paleo · zoic for mati on of South Korea •, (M. S. rep o rt of KDSEF). Cheong , C. H. , Lee, H. Y. , 1970 : So m e fos sil pla n ts from the Ja n g se o ng Formati on of the Gang w e on Coal Mi ne , Korea • , fo ur. Ge o/ . Soc. Korea, Vol. 6, pp. 13-27. Cheong , C. H. , Ki m , B. K and Lee, C. Z. , 1983 : Pe rm i an fus uli ni d s from the lime sto n es of the Bamchi Formati on , Ye on g w e ol Coalfi eld , Ko re a • , fo ur. Geo/. Soc. Korea, Vol. 19, pp. 203 -26 . Huzim oto , H. Y. , 1938 : Some for ami ni f ero us Fossils f rom the Kote n Se ri e s of Zid o Coalfi eld , Ty o sen•, fou r. Geo/. Soc. ]ap, Vol. 45, pp. 271- 6. Gadbeesr tT, aGe.b ,a eSkto— p G pee lb, ieD t .e s an(Sd iVi di nKk oenre, aR)•. , , 1G9e6o5! .: ]Cho. noVdooln. t8e 3n , impp .P 3a9l7a-o 4z 1o 0i.k u m Gott sc he, C, , 1886 : •Ge ol og isc he Skiz z e von Korea, , Sit w ng s he r. K. Preu s s Akad. d. Wi ss enschaft zu Berlin , Vol. 36. pp. 857- 87 3. 波多江 信 廣 , 1935 : 「江 原道 寧越附 近 0 平安 系 石 灰 岩中 0 有 孔虫化石 」 , 地質 學 雜誌, Vol. 42, p. 362-363. 波多江 信 廣 1938 : 「紅店 統 & 寺 洞統 & 0 分界 t :: -?I, 、 T 」’ 地 質序雜誌, V 아 45, pp. 486-7. 波多江 信 廣, 1939 : 「有孔虫化石':: J: 7., 平安 系 地 層 0 區 分, 矢部 敎授遠歷 記 念 論 文 集 」, Vol. 1, pp. 551-62. Hisa koshi, S. , 1943 : •Geolog y of Seiz e n Di st r ict, Kog e ndo, Ty o sen• , fo ur. Geo/. Soc. Jap an , Vol. 50-602, pp. 269-77. 井上 禧 之助, 1907 : 「韓國 0 地 質 及간 鑛 産」, 裂 商務 省 地質 調査 所, 地 質要 報, Vol. 20. Kawazaki, S. , 1927 : •The flor a of the Heia n Sy s te m , pt. 1•, Bull. Geol. Surv. Chosen, Vol. 6, p. 30. Kawazaki, S. , 1931 : •The flor a of the Heia n Sy st e m , pt. 3•, Bull. Geo/.
Surv. Chose n , Vol. 6, no. 2. Ka wazak i, S. , 1934 : The flor a of the Heia n Sy st e m , pt. 2 贊, Bull. Geo/. S1 1rv. Chose n , Vo l. 6, No . 4, pp. 47 -3 1 1. Ka w a zak i, S. , 193 8 : •Addit ion to the flor a of the Heia n Sy stem •, Bull / Ge o! . Surv. Chosen , Vol. 7, No. I, 39p . Ka w a zak i, S. , Konno, G. 1932 : •The flor a of the Heia n Sy s te m , pt. 3•, B111 /, Ge o/ . Surv. Korea . Vol. 6, No. 3, pp. 32- 44 . 김 봉균의 공 저 , 1982 : 『韓國의 地買 과 鎖物質源』 , 金玉準敎授 停年 退任 記念誌 編!J t委員會 , 52lp. 小 t W ,· 誌 ~ . 193 0 : 「 1 패慶炭田地 方 地 質槪報 」, 地珠, Vol. 13, pp. 261- 89 . Ko b a y a sh i, T. , 193 3 : On the occurrence of Xip h os u ran Remain s in Chosen (Kor ea ) ., ]op. fo ur. Ge o! . Ge og r , Vol. 10. pp. 175-82. 小 平 } .5 二 , 1930 : 「高原無煙炭田 」, 朝鮮炭田調査報告書 , Vol. 5. 今閔flill磁 1928 : 「平 8! 炭田 西綠部 0 地 質 & 構造 」, 地質學雜誌 , Vol. 3 5, pp. 65 ~ 10 4 . 李秉洙 , 1983 : 「江原道 施善 郡 武陵里 一 帶 에 分布된 花折 層 과 斗務洞 層 의 生 }삽序와 微古生物 」, 延 世大 學校 碩 士 學 位 論 文, 57p . Le e, C. Z. , 1984 : Bi os t r at i gr ap h ic Stu d y of Permo·Carbon ifer ou str at a in the Ye o ng w e o l Coa lf i el d•, Korea. Ph. D. the sis of Seoul Nat. Uni v. 224 p. 李鍾德 , 1984 : 「 南韓 江 原道 寧越地域 에 分布된 紅 店 層 (上部 石炭 紀 )의 코노 돈트 化石 群 과 그의 生 層序」 , 博 士 學 位 論 文, 延世大, 90p . 松下進 , 1938 : 「 平安南道 南部炭 田」, 朝鮮 炭田 報 告 書 , 第 13 輯 , 164p . 中村新太郞 , 松下 進 , 小 品信 夫, 池邊展生, 1957 : Stu d ie s on the ge olog ic str u- ctu r e of the Phy o ng ya ng Coal Fie l d, Korea•, The Late Profe s sor Shin t a r o Nakamura's Posth o us Work. Nakano. J. , 194 3 : Geolog y of Kokai Dis t r ict, Nor th Heia n do, Korea•, Hatt or i- H okokai Kenky u -Hokoku, Vol. 10. Ozaki, K. , 1934 a : On some brachio p o ds from the reddis h purple shale of Kot en ser i e s , exp o sed in the Heij o Coal fiel d•, Bull. Shang h ai Sci bzst Vol. 1, no. 7, p. 8?. 島 村 新兵衛 , 1929 : 「 縮 尺 5 萬 分 1 朝鮮 地 質 回」, no. 8, 兼 二浦, 砂里院 , 載寧 圖幅 . 素 木 卓 二, 1931 : 「平安北 道 北部 無煙炭炭 田 德 川 區 域」 , 朝 鮮 炭田 調 査報告 합, Vol. 1 0. 素木卓 二, 1940 : 「三 涉無煙 炭 炭 田」, 朝鮮炭 田 調査報 告, Vol. 14. 孫致武, 白光 浩 , 1972 : 「 聞度 炭田一 帶 의 地 質構造 」, 지질학회지, Vol. a, pp. 181-9. 孫致武, 鄭 址 lt , 1976 : 「平昌一檜洞 사이의 地質 構 造」, 大 韓 民國 學 術院 論 文
菜(自然科學 編 ), 第 15 1 탸 , pp, 221-45. 太白山地下貸 源 調査園, 1962 : 「太白山地藍 地質回 (1 : 50, 000) 」, 1 가겁 i R i , 大 韓 地質學會. 竹 原平 一, 1934 : 「朝鮮 黃海道 地向 斜 f/J) 地質」, 地球, Vol. 22, p. 245, 立岩磁 1976 : 「朝鮮―日本列 島 地帶地質構 造論考 」, 束京大穆出版i:r , 654p . 烏 山隆三, 1941 : The Carbonif ero us for ami fer a from the Sosan dis t r i c t North Heia n -do, 地 質學雜誌, Vol. 48, pp, 109-12. 鳥山陸三, 1942 : Some fus uli ni d fos sils f rom Keig e n dis t r ict • , North Kanky o - do, Tyo sen, 地質學雜誌, Vol. 49, pp. 115-17. 嚴相鎬, 徐海吉, 金東淑, 崔 現 日 , 朴奭煥, 裵斗鍾 , 李浩永 , 全希 7k • t f 壯陸 서) , 1977 : 「 llll 慶炭 田 地質回」, 貸源間發硏究所 . Yabe, H. 1906 : A Contr ibu ti on to the ge nus F,s suli n a , wi th note on a Fusuli na Lim esto n e from Korea, • Jou . Coll. Sc i. Imp . Univ . Toky o, Vol. 21. Yabe, H. , Hay a saka, I . , 1915 : Paleozoic Corals from Ja p an , Korea and Chin a ,., fou r. Geol. Soc. Jap . , Vol. 22, pp. 55- 6 9. Yabe, H. & Sug iya ma, T. , 1937 : Gotl an dia n Clath r odic t y o n from Ty o sen , 地質 學雜誌 , Vol. 44, pp. 154-8. Yabe, H. , Suzuki, Y. , 1955 : •second Occurrence of colonia l corals of Devonia n type in Ty o sen(Korea),., Proc. Jap , Acad. Vol. 31, pp. 355-9. Yang , S. Y. , Lee, H. Y. , Cheong , C. H. , 1984 : Inverte b rate fos sil fau na from the Late pa leozoic for mati on s of South Korea, J. Nati . Acad. sci ·. Korea, Natu ral Scie u ce Serie s , vol. 23, p. 137~160.
제 6 장 중생대 고생물 한국의 중생대충은 평안충군의 상부를 제의하면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서 쥬라기 중기에 이르는 대동충군과 백악기에 해당하는 경상충군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그러나 근래 李河榮 (1965), 鄭昌熙 • 李河榮 (1966) 에 의 하여 발견되고 梁承榮 (1976a) 에 의하여 고생물학적으로 확인된 묘곡충과 복한 의 압록강연변의 敗個 地域의 지충 ,이 비록 그의 분포가 좁고 層厚가 두텁지는 않지만 대동충군과 경상충군 사이에 놓이는 상부 쥬라紀 지 . 충으로 새롭게 알려졌다. 上記한한국의 중생대충은모두 非海成層으로노 되어 있어 海樓動物화석 은산출되지 않으며 淡水性魚類와연체동물동적은수의 동물화석과 비 교적 풍부한 식물화석 이 산출된다 . 이 를 각 地層群別로 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철 후기트라이아스―초기쥬라기(大同層群) 고생물 대동충군은 그의 標式地인 복한의 평양부근에서 하부의 禪硏層과 상 부의 柳京層으로 구분된다. 禪硏層온 그의 시대가 쥬라紀초기임이 확실 하나 그의 下限이 상부 트라이아스 紀 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柳 京 層 온 중부 쥬라紀 지충으로 한반도에서는 평양부근에서만 발달되어
있다. 선연충에 대비되는 지충은 충청남도 대천과 남포지역, 경기도 김포, 포천지역, 경상북도 문경지역, 충청북도 단양지역, 강원도 영월 및 정선지역 등에 산재하여 분포한다. 1-1 고동물군 선연충에 대비되는 한반도의 대동충군 하부지충에서는 동물화석 산출 이 극히 빈약하다. 현재까지 보고된 종류로는 연체동물의 담수성 부족류 , 철족동물의 갑각류, 어 류 동이 며 이 들의 종류와 산 출 지 역 은 다음과 같다. ®부족류 Corhic u la sp. 평양단전 Cy re na sp. 평양탄진 ®갑각류 Estl ze rit es coreanic a (Ozawa & Wata n abe) 김 포탄전 동진중 E. kawasaki (Ozawa & Wata n abe) 김 포탄전 동전충 E. ramp oe nsis Kobay a shi 김 포탄전통전충, 충남단전 아미산 충 E. sht m amurai Kobay a shi 검이포지역, 중동충 E. tan l i Kobay a shi 평양지역, 구로리충(?) E. cyc loid e s Kobay a shi 평양지역, 구로리 층( ?) E. cf. tra nshaik a li ca (Cherny c hew) 평양지역, 구로리 층 (?) E. aff . retl cu lata (Cherny c hew) 평양지역, 구로리충(?) E. sp. 충남 남포탄전, 아미 산층 Kobay a shi ( 1951b) 는 이 들 화석 중 갑각류의 Esth e rit es 는 후기 중생 대 의 것에 비하여 그의 外形도 다르지만 무엇보다 그의 크기가 작다는 것이 현저한 특칭이라고 하였다• 그는 E. kawasaki 와 E. koreanic a 가 산출된 김 포탄전의 동전충의 시 대는 후기 트라이 아스紀의 Nori c 초기 에 해 당하며 충청 남도 남포지 역 의 아미산충도 동전충과 거의 동일한 시기일 것으로 보았다. 그에 의하떤 E. ramp oe ns i·s 는 중국 만주지 역 의 熱河부근에 발달한 상부 트라이 아스 계 의 Mati en lin g 에 서 E. s hi manura i와 함께 산출되 었으며 따라서 후자 의 화석종이 산출된 겸이포지역의 중동충도 앞서의 통전충, 아미산충과 거의 같은 시기의 지충이라고 하였다.
Kobay a shi( I 951 b) 는 또 E. cf. tra nsbaik a li ca 와 E. aff . reti cu lata 가 산 출 된 평 양 강서 지 역 의 九 老 里 府 은 Transbaik a lia 지 역 의 Karabon 層準 에 대 비 된다고 하였 다. 그는 E. korea n ic a , E. ramp o en s i s , E. cyc l oid e s 및 E. kawasa k ii 둥의 의형은 목 이한 형체를 이루고 있으며 만주 지역의 열 하 충 군에 서 산출되는 大形 Esth eria n 에 비 해 시 대 적 으로 先祖型인 것 으로 생각된다고 하였다• 한편 척 추동물의 魚 類 化石이 평양단전의 揮 硏 層 에서 前島俊郞 (1935) 에 의하여 보고되었다. 1-2 고식물군 대동 충 군에서 산 출 되는 식물 화 석은 그의 종류와 양에 있어서 비교적 풍 부하게 산 출 된다. 그러 나 이 들 식 물화석 은 대 부분 대 동총군의 하부충 인 선연 충 과 이에 대비되 는 層準 에서 산 출 되며 상부충인 柳 京層 에서는 및 종의 樹幹 化石만이 알려 지고 있다 . 대동 총 군의 식물화석은 川 崎繁 太郞 (1925, 1926, 1939) 를 비롯하여 矢 部 長克 大 石三 郞 (1929), 今野圓威 (1928), 小 晶信 夫 (1930, 1953, 1954), 前 島 俊郞 (1935), 松 下 進 (1938), 高株 英 太 郞 (1949), Oi sh i, S(194 0 ), 및 金 鳳 均 (1976), Ki m ura, T. & Ki m , B.K . (1982) 에 의하여 연구되었다. 1) 대동충군 하부(선연충 및 이에 대비되는 層準 ) 식물화석군 남포, 김포, 문경, 영월, 평양 및 평남지역 ; 金鳳 均 (1976) 은- 대동층군든 굼卜부 의 선연충과 이에 대비되는 지충에서 산출된 식물화석 종을 충청남도 남포지역, 경기도 김포탄전, 경상북도 문경단전, 강원도 영월 및 복한 의 평양단전과 평남지역 동 산출지역별로 구분하여 표 6-1 과 같이 보고 하였다.
표 6-1 大 同 群 의산츨층과헉찌평
SLcohbaiz tao mn emurlaa?r iak onraamie pn os it?sn sKis o bKaatwa k aes aki 。1 11lg
CC.. scpf.. cario s a Harris 。 iIi IOI 110
BB.. cgfr. a cciol insc iBn un na bHureye r 000 。。 。 oi。oi ollo i IO
® 소 속불 명 t !
위에 기재한 식물화석군을 식물 분류군집에 따라 묶으면 다음과 같다. 속 새류 (E q u i se t al e s) 6 속 15 종 양 치 류 • 종자 및 유 -사 양치류 (F ili cales & Pter id o spe r m s) 10 속 32 종 베 네 티 네 일즈 (B e nn e ttita les) 4 속 13 종 소철 목 (C y cadal e s)3 속 10 종 은행 목 및 유사은행류 (G i nk go it es & Gi nk g o ales) 6 속 23 종 구과 목 (Conif era les) 7 속 15 종 소 속 불명 종 Once rt e Sedis ) 1 속 13 종 이 돋 화 석 종을 종합하면 37 속 121 종에 이른다• 이들 식물군의 구성분 포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동충군 하부(선연충 및 이에 대비되는 충)의 석 물군은 양치류와 은행류가 가장 우세하고 속새류, 베네티태일츠, 구과 목 및 소철목의 순으로 되어 있다. 川 崎繁 太郞 (1939) 는 이들 대동충군 하부식 물군을 그의 생 존시 대 별로 보아 Rhaeti c-L ias sic 에 속하는 종이 11 종, 쥬라紀 초기 내지 쥬라紀에 한정된 종이 5 종이 포함되어 있어 이 화석 군의 시 대 를 쥬라기 초기 로 보았다. 이 에 대 하여 小林貞 -(1950) 및 高橋英 太郞 (1973) 은 각 되적분지마다 시대적인 차이가 인정되며 대 체로 트라이아스기 후기에서 쥬라기 중기에 이르는 것으로 보았다. 金 鳳 均 (1976) 은 충남탄전에서 양치류에 속하는 Di ct y op h y ll um exil is (Brauns), Hausmami a (Proto r lup si s ) sp . 와 소철목에 속하는 Drepa n oza-
mz te s sp . 둥 3 종운 새로이 추가하였고, 이 들 화석종을 위시하여 峨閉 山府에서 산 출 된 화석종이 세계 각지의 Rhae ti c- Li ass i c 식물군과 그 양 상이 흡사하므로 아미산층의 지질시대는 트라이아스기 후기에서 쥬라 기 초기 에 해당할 것으로 보았다. 그는 또 } |I I '.! % 距 k l!I}(1925, 1926, 19 39) 에 의하여 기재된 식물화석종 중에 다음의 종들이 同種異名 (S y non y m) 임을 주장하였다. CD Pt er op ly l !um aeg u ale Brong n ia r t 동종이 명 : Anomozami tes cf. nath o rsti . (Schenk) ; Kawasaki: 1925 p. 41, pl. 40, fig 111. ( 반 송충산 ) Pt er o p hy ll um natl z orsti (Schenk) Kawa sak i, 193 9, p. 25, pl. 9, fig. ·10. (반송 충 산) @ Pt er 9p hy ll it m ang u cstu m (Braun) 동종이 명 : Pt er op hy ll it m natl zo rsti (S che nk ) : Kawasaki, 1939, p. 25, pl. 9, fig. 39. (반송충산) @ Pt er op h y l/um conti gu um Schenk 동종이 명 : Pt er op hy ll um nath o rsti (Schenk) Kawasaki, 1939, p. 25, pl, 9, fig. 38. (반송충산) Ki mu ra T. & Ki m , B. K. (19s2) 는 남한의 대등충군에서 새로이 Coreanop hy ll um varii seg m entu m 을 거 재 하였 으며 이 ·新 屈 , 新種에 는 다음 과 같은 종래의 종들이 포함된다고 하였다. Anomozami tes cf. 11ath o rsti (Schenk) : Kawasaki, 1925, p. 41, pl. 40, fig. 111 (반송충산) Anomozami tes mi no r Kawasaki (non Nath o rst) : Kawasaki, 1926 (pa rs), p. 30, pl. 7, fig. 226 (백 운사충) Pt er op hy ll im t nath o rsti (Schenk) : Kawasaki, 1939, p. 25, 52, pl. 9, figs. 38~40. (문경 ) ; tex t- fig. 4. (함경 남도 단천) 2) 기타 지역 대동충군은 충남 남포, 김포, 영월, 문경, 북한의 평남, 평양지역에 주로 분포되지만 이 의에 황해도 겸이포지역, 평북 의주지역을 비롯한 압록강 연변지역, 함경복도 청진지역, 함경남도 재덕 ·고성리지역, 함
홍 인흥리부근 둥지에 소규모로 산재하며 이 들 지충에서도 대동충 군의 화석들이 보고되었다. 이 들을 지역벌로 보면 다음과 같 다. 평안 북 도 의주지역 ( 의 주총 군) 및 압 록 강 연변지역 ; 평 안 북도 . 의주군 광평면 청성진의 압록강연번에 주로 흑 색 슬 레이트로 구성된 되적충이 발달되 며 이 충을 島村 ( 19 36) 은 義 'R I 統으로 명명하였 으며 그의 시대 를 고생대 (?)일 것으로 암 시하 었다 . 그러 나 高和당 ( 195 4) 는 본충에서 다음과 같 은 식물화석을 보고하였다 . Clad op h leb i s lwi b: 1mcns is (L . et H. ) Plz oenic o p s is a11g 11 s ti foli a He er Plz. sp ec io s a He er Pi ty o p h y ll um long ifoli u m (Nath . ) 高稿는 上i e· 한 화석군을통하여 본충이 대동충군에 속할것 임을밝 혔 고. 이 충운 活城鎖帖板岩 으로. 개칭한 바 있다 , · 이밖에 압록강 연안의 수개처 에는 주로 역암 , 사암, 셔 1 일로 되어 있는 대동충 군이 산재하며 특히 車 距嶺 의 암회 색 셰 일 에 서 Podozami tes sp. , Pt er o p! zyll um sp, 및 Cladop h leb is sp. 둥의 식물화석이 보고되었다. 함경북도 청진지역 ; 함경 복 도 청진지역에는 제 3 기충에 의하여 不 整 合으 로 덮여 있는 퇴적암류와 변성퇴적암류로 구성된 지충이 발달되며 초기 에는 이 룰 先캄브리아의 지충으로 간주했었다. 그러나 島 村 (1933) 은 이 地 府 에 협재 된 셰일 중에서 하부 쥬라기를 지시하는 식물화석을 발 견함으로써 이 層群 이 大同 思群에 속할 것임을 밝혔다. 島 村에 의하여 채집되어 川 崎 에 의하여 同定된 화석종은 다음과 같다. Pit yop l tyll um cutc h e11s? Morr. Taenio p ter is sp. Eq u is e ti tes sp. Podozami tes /anceolatu s (L. et H. ) 함경남도 함흥 ; 함경남도. 함흥부근에 위치한 신홍군 인흥리지역에 발 달된 薄層 의 흑색 셰일에서 立岩巖 (1976) 은 다수의 식물화석이 산출됨을 보고하였으며 이 지충을 인흥리충으로 명명하였다. 立岩에 의하여 채집 된 화석중 종명이 확실한 것은 다음과 같다.
Neoca/a m i tes carrerei (Zeil ) Eq 11 i se ti tcs sp. (Zeii ) Podozami tes /anceolatu s (L. et H. ) Gi nk g o it es sih i r i k a (Heer) Pit yop h y l/111 n long ifoli rt m Nath . 이 화석종의 수는 많지 않으나 하부쥬라기 대동충군의 화석군임이 확 실하다. 합경남도 재덕 고성리 ; 함경남도` 재덕 고성리 지역에 課岩울 주로 하며 砂岩과 흑색셰일을 수반하는 一群의 되적충이 발달되며 이 되적충을 木 野崎 (1936) 는 長坡里府으로 명명하였다. 이 충에서도 다수의 식물화석 이 산출되며 木野崎에 의하여 채집되어 川崎 繁太 郞에 의하여 同定된 식 물화석 종은 다음과 같다. C/adop h/eb is namp o ensis Kawasaki C. nebbensis Brong n . C. haib urnensis (L. & H. ) Clath rop ter is menis c oid e s Brong n . Podozami tes /anceo/atu s (L. & H. ) Cte n is ya manarii Kawasaki Anomozami tes mi no r Kawasaki 上記 화석 중 Ct en is ya manarii Kawasaki 를 제 의 하면 충청 남도 남포지 역에서 보고된 대동충군의 화석군과 일치한다. 황해도 겸이포 지역 ; 본 지역의 대동충군은 하부고생대의 大石灰岩 層群 위에 부정합으로 놓이며 度尙層群에 대비되는 퇴적층에 의하여 부정합 관계로 덮여 있다. 島村 (1929) 은 이 대동충군을 하부로부터 中洞 層 , 松 林山履 吳村層으로. 분류하였으며 송림산층과 오촌충에서는 각각 다음 과 같은 식물화석이 산출되었다. 오촌충 : Cladop h lebis racib orski Zeil ler Phoenic o p s is ang u sti foli a H eer 송립 산층 : Podozami tes schenkii ? Heer P. lanceolatu s (L. & H. ) Neocalami tes sp.
Phoenic o p s is ang u st1J ol ia Heer Eq u is e ti tes sp. (2) 대 동충군 상부(유경 충)식 물화석 군 대동충군 상부의 유경충은 이미 앞에서 언급한바와 같이 복한의 평양 시내에 그의 분포가 한정되어 있으며 이 層에서는 다음과 같은 3 속 4 종 의 탭果目(?)의 樹幹化石이 산출된다. Xeno:x :ylo n lat ipo rsum (Goth a n) X. ph y ll ocladio i d e s Goth a n Phy ll oclado:x :ylo n lzeiz y o e nsis Shim akura Cedro:x :ylo n cf. reg u lare Feli x 특히 이들 수간화석은 평양시내의 구 평양중학교 교정과 杜丹퓰에 군 집을 이루며 노출되어 化石林울 이루고 있다. 제 2 절 후기쥬라기 고생물 2-1 51 곡층의 화석 묘곡충은 경상복도 봉화군 재산면 묘곡리 일대에 소규모로 분포하며 주로 회색 내지 암회색 셰일과 사암의 互層으로 구성되고 薄層의 탄총 이 협재된다. 鄭昌熙 • 李河榮 (1966) 은 본충에 서 Trig on io i d e s sp. , Pl icat o u nio sp. Unio sp. Corbzcu/a aff . tet o r ie n sis Kobay a shi and Suzuki, Corbic u la sp. 둥 4 속 5 종의 부족류 및 Viv i p a rus sp. 의 복족류 1 종 둥의 연체등물화석과 C/ado· Phlebis dent icu lata , C. brownia n a, C. ge y/ e ria n a, Adia n ti tes yu asaensis , On. yc hy op s is e/ong a ta , 0. mante l li, Eq ui s e ti tes sp. , Gi nk g o ales gr ac i/es ?, Ni . lssonia sp. , Podozami tes sp. 등 7 속 10 종의 식 물화석 을 기 재 하였 는데 , 이 화석군 가운데 동물화석군은 경상충군 화석군과 유사하나 일치하지 논 않으며 식물화석군은 경상충군 화석군과 일치한다고 하였다. 특히 경상충군에서 산출된 연체동물 화석군과의 차이로 보아 경상충군 되적
이전, 대동충군 되적 이후의 후기 쥬라기 말기의 화석군으로 보았다. 梁承榮 (1976a) 은 묘곡충의 연체동물 화석 중 Trig on io i d e s s p.를 Trig o - nio i d e s (Koreanaia ) clieo ng i 로, Corbic u la aff . tet o rie 1 1sis 와 Corbi rn /a sp. 를 Nag d ong ia l eei 로 각각 명 명 하고 득히 Koreanaia cheong i 는 t1ig o nio d id 의 선조형으로서 이 화석종을 몽하여 묘곡충이 先 慶尙府群 의 쥬라기 후 기에 해당함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후 梁承榮 (1984) 은 본충에 서 추가로 부족류의 신종 화석 C1111eop si s kih o ng i Yang 과 복족류의 일종인 Vi vz p ar us? cf. 011 o g o e1 1 sis Kobay as h i & Suzuki 를 기 재하고 특히 C1meop si s 속 은 중국, 소련 둥지 의 쥬라계 중부 내지 상부 지충과 백악계 상부 및 신생대 지충에서 보고되어 왔으나 C. k i hon gi는 쥬라계에서 산출되는 종들과 보다 밀접한 유연관계 를 가지 고 있으며 V. onog o e, isi s 역 시 일본의 쥬라계 Te t or i충에 서 보고되 어 있 어 묘곡충이 경상충군보다는 쥬라계 상부에 대비됨이 보다 확선 해셨다 고하였다. 2-2 기타지역 남한에서는 묘곡충 의에 아직 이 쥬라기 후기에 대비되는 지충이 확인 된 바가 없다. 다만 복한의 평안북도 신의주지역, 초산 및 강계지역에 묘곡충의 시 대와 거의 같을 것으로 생각되는 지층이 알려지고 있다. 신의주부근에는 주로 赤色岩으로 구성된 중생대 지충이 발달되어 있 냐 이 지층을 그의 구성암석의 특칭으로 보아 종래 경상충군의 산타아 충군에 대비될 것으로 보았었으나 이 지층에서 橫山次郞 (1929) 우 거류화 석 Ly co p ter a chosenensis Makiy a ma 를 보고하였으며 高橋 (1949b, 1954) 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동물 및 식물화석이 보고되었다.
동물화석 부족류 : Palt tdz n a sp. Cy re na sp. 복족류 : Vzv zp a rus sp. 갑각류 : Esth erza cf. mt d den· dorfz z Jon es
어 류 : Ly co p ter a clwsenensis Makiy a ma 식물화석 Cladop hl ebis denti cu lata ( Brong n . J
Sp lr en op tcr sis go cp pe rti (D kr. ) Pl;oe 1 1 i co p si s sp.
Carpo l it es sp. Eq 11 i se ti tes sp.
高 稀는 이 화석군 의 특 징으로 보 아 이 충은 만주지역에 넓게 발달되 는 熱河統 (J e-h o l S ~ r i es) 에 속 할 것으로 해석하였 다. 이 熱河統온 한반 도의 대동총군과 대비되는 하부 쥬라기 지충울 부정합으로 덮고 있는 후기 쥬라기 치층으로 알려져 있 다. 陶 1 1 지여에 는 高橋 ( 19 42) 에 의하여 운해천 충군으로 명명된 중생대 지 충이 맡달되어 있다. 이 충은 주로 赤色岩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충의 최 하 부에는 응회암 , 응희철사암 , 셰일 이 호충을 이루고, 중부는 흑색사암 흑색셰일 및 탄질세일이 협재되 며 탄질 셰일에서는 Car1~ o lit es s p.의 식 물화석이 산 층 되 었 다. 이 충 은 그의 구 성암석 으로 보아 남한의 경상충 군상부 의 신라아 층 군과 유사하냐 高屯접 ( 195 4 ) 는 본충을 앞에 기술한 新 義사 1 屈詳 과 같이 만주의 熟 河統에 대비하였다 . 강계지역에도 중생대응으로 간주되어 왔던 의문의 지충이 발달되어 있다. 高t때 ( 1953) 에 의하면 이 충은 적색, 황 회색 및 녹색의 옹회질사 암, 셰일 및 역암으로 구성되었으며 감정이 가능한 화석은 산출되지 않 으나 그의 구성암질과 層序 로 보아 高稀 는 이 를 신의주충군, 운해천충군 과 같 이 滿입 ' I1 지역의 熱河統 에 대비하였다. 제 3 절 백악기 고생물 경상충군은 하부의 낙동아충군과 상부의 신라아충군으로 구분되고 이 양충군을 佛 國寺 花岡岩 類 가 관입하고 있다. 경상충군의 되적암류는· 사암, 역암, 셔]일, 이암, 이회암, 웅회암 등의 호충으로 이루어졌고 이 중에 부족류, 복족류동 연체등물과 여러 종류 의 식 물화석 이 산출된다. 동물화석은 과거 小林貞一, 鈴木好一 (1936), 鈴木好一 (1939, i94 3), Ko- baya s hi, T. & Ki do , Y(I947) 에 의하여 행하여졌으며 식물화석군은 矢部 長 sl (19os), 立岩 Dl(192s, 1929), 川崎繁太郞 (1925) 에 의하여 행하여 처 왔다. 한편 최 근에 이 르러 梁承榮 (1974, 1975, 1976, 1978) 은 경 상충군 의 연체동물, 특히 부족류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를 행하고 있다•
3-1 무척추 고동물 (1) 낙등아층군 연체동물 복족류 : Viv i p a rus (Sin o ta i a ? ) key sy o ensis Suzuki 낙동 총 Brot iop s is wakin o e ns is (Kobay a shi & Suzuki) 낙동충 B. wakin o ensis ry o h o rie n sis Suzuki 낙동 충 B. kobay as lz i Suzuki 낙동 충 B. kobaya slz i sh ins y1 1 e ns is Suzuki 전주 충 Hy d robia (Parhy d robia ) gyo kusoensis Suzuki 낙 동충 Buli mu s rakuto e n s is Suz uk i 낙동 충 하산 동충 부족류 : P/ ica to u ni o nakto n g e ns is multip li c a tu s Suzuki 전주충 Pl icat o 1 mi o nakto n g e nsis Kobay a shi & Suzuki 전주충 Homelani'a basic ordata Suzuki Mi cr ome /a nia kato e nsis Suzaki 낙동충 Nakamuranaia chi n g s /z a nensis (Grabau) 낙동충, 하산동총, 전주충 Schis t o d esmus anti qu s Suzuki 나기 도0 추0 Nag d ong ia s oni Yang 낙동충(연화동충) Trig on io i d e s kodair ai Kobay a shi & Suzuki // Trig on io i d e s (Koreanaia ) bong k y u ni Yang 낙동충(연화동충) Pseudoky ri a mats m oto i Yang 낙동충 (연화동충) Wakin oa wakin o esis ( Ot a) 철족동물 갑각류 : Esth e rit es nakto n g e nsis Kobay a shi & Ki do Euesth e ria ky on g s ang e nsis (Kobay a shi & Ki do ) 진주충 Euesth e ria ky o ng s ang e nsis huzit ai Kobay a shi & Ki do 진주충 (2) 신라아층균 연체동물 복족류 : Thia r a (Sir ag ime lania ) tat e i w ai Suzuki 대 구충, 전천리 충 Thia r a (Sir ag ime lania ) tat e i w ai acuti cos ta t a Suzuki, 부족류 : Trig o nio t d e s kodair a i p a uc isu lcatu 's Suzuki, 대 구충, 건천리 층 철족동물 갑각류 : Euesth e ria ky o ng s ang e nsis media / i s K obay a shi & Ki do
Eues tlz e ri a ky on g s ang e nsis pa uc iline ata Kobay a shi & Ki do 상기한 바와 같이 경상충군에서 산출된 무척추 동물화석은 그 종류와 수가 많지 않으며 특 히 낙동아충군에서 보다 신라아충군에서의 산출이 더 빈약하다. 그러나 이들 화석들이 경상충군의 시대와 퇴적환경을 규 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小林 貞 一 • 鈴木好 一 (1936), 小 林貞 一 (1939) 는 경상충군의 연체동물 화석군 이 일본 규슈 복부의 와끼노충( 脇野 I I'/ ) 의 화 석군과 대비되며, 따라서 낙동아충군의 시대는 백악기 초기에 속 하며 , 유럽 의 Wealden 보다는 다소 후기 에 이 몰 것 으로 보았다. 이 에 대하여 梁承榮 (1976) 은 최 근 행하여지고 있는 그의 연체동물화석 연 구에 근거하여 낙동아충 군은 일본의 와끼노충보다는 데도리층군(手取 層 群) 또 는 赤岩亞層郡 北谷互府에 대비될 것으로 보았고 따라서 그의 시 대 를 Neocomi an 보다는 더 후 기 인 Albia n 내 지 Abti an 에 해 당될 것 으 로 해석하였다 . 한편 鈴木好 一 (1939) 은 신라아충군에서 산 출 된 연체동물 화석종을 근거로 이 충 군의 시대 를 백악기 중기로 간주하였다. 3-2 척추 고동물 한반도의 중생대 퇴적층은거의 육지의 湖成 내지 河成層으로구성되어 있어 육상 척추동물화 석 산출이 기대되는지충이다• 득히 세계적으로 중 생대 기간동안 번성하였던 공룡을 비롯한 파충류화석 산출이 가능한 입 지적 조전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오랫동안 어떤 종류의 척추동물 화석 도 알려지지 못하였었으나 최근 공룡의 골편과 족적화석이 발견되었다. 金恒默 (1981,1983) 은 1973 년 초 경상복도 의성군 금성면 탐리 봉암재지 여에 발달된 경상충군의 구계동총의 담회록색 역암에서 공룡골편 화석을 국내에선 최초로 발견하였다. 이 공룡화석은 金恒默 (1983) 에 의하여 척골 (Ulna), 산경둘기골 (Neural spi ne ) 및 대되골 (Femur) 의 부분으로 동정되 었다. 그는 특히 이 파편화석 중 대되골골간이 細長하고 骨化가 찰 되어 있 으며 내 측과상돌기 (Inn er cond y le) 가 찰 되 어 있 는 접 으로 보아 徒步型의 成體였을 것으쵸브 보았고 이를 鳥盤 目에 속하는 공룡의 일종으로 보았다. 金恒默은 1980 년 10 월 上記한 지역과 거의 같은 지역에 분포하는 경 상충군의 一直 層 에서 또다시 공룡화석을 발견하였다. 그는 이 화석을 공룡의 원쪽 흉부늑골 (Thora ci c rib ) 부분으로 보았고 이는 용반목 용각
아목에 속하는 하나의 속으로 보았다. 1981 년 11 월 梁承榮은 경상남도 합천군 율곡면 호리 지릿래 부근에 발달된 경상충군 낙동충에서 공룡의 늑골 부분을 발견하였고 그후 거의 동일지역에서 金恒默은 경추골과 늑골을 추가 보고하였다. 金恒默 ( 198 3) 은 이 第 3 産地에서 발견된 골격 파편을 단일개체공룡의 골편화석으로 보고 이를 용반목 용각아목에 속하는 하나의 속으로 동정하였다. 上記한 골편화석과는 별도로 梁承榮 (1982a) 은 경상남도 고성군 정 이 면 덕명리 해안에서 공룡의 족적 화석을 발견하였다. 이 족적화석 은 경상충군 대구충의 13 개 지접에서 약 360 개체가 발견되었으며 이 들은 二足步行울 나타내는 규칙적인 간격의 連紹交互의 足振들이 대부분이고. 사지보행의 족혼은 확안되지 않았다. 그는 이 족적화석을 크기와 형대 에 따라 7 개형으로 분류하였다(도판 참조). 3-3 고식물 1) 낙동아충군의 식물화석 洛東亞層群의 식물화석 은 약 70 여 종이 보고되었으며 이중 종명이 혹L 실한 종류를 들면 다음과 같다.
표 6-2 낙동아층군식물화석군(立岩磁 1976)
I 낙 동 아층군
낙 동 o}- 충군
이 화석 의 에 大石三郞 (1939) 은 본 아충군에 서 Ni lss o11i a wa kwa 11e11sis Ois h i & Tate i w a, N. serrulata Oi sh i 및 Di ct y o zami tes tat e i w ai Oi sh i 를, 立岩 巖 (1929) 은 CladojJ h /edis shin s yu ensis Tate i w a 를 각각 추가 보고했다. 2) 신라아충군의 식 물화석 신라아충군에 서 산출된 식 물화석 으로는 대 구충에 서 Frene lo p si s par - ceramosa Fonta i n 에 유사한 종류를 포함한 탠果類로 생 각되 는 수종의 화 석이 산출되나 파편이거나 혹은 보촌이 불량하여 대부분 種 識 別이 불가 능하다. 上記한 식물화석을 연구한 立岩 巖 (1925) 및 川 崎繁太郞 (1925) 은 낙동 아충군의 시대를 쥬라기 후기로 보았다. 이는 동물화석에 근거한 시대 결정과는 다르다(동물화석 참조). 3) 경상분지 외에서의 식물화석 한반도의 백악기 되적충은 주로 경상분지에 발달되어 있으나 이 지역 외에 충청북도, 전라남북도, 강원도, 황해도, 평안남도 지역에 산재하 여 있으며 이들 되적충중에서도 화석산출이 보고되었다. 화석산출이 알
려진 지역과 화 석 종 은 다음과 같다. 충청북도 영동지역 ; 본· 지역에 발달된 경상층군은 島村 (1927) 에 의하여 하부로부터 시금리층, 회동리층 및 선유동충으로 분류되었으며 이중 시 금리충에서 다음과 같은 2 속 3 종의 식물화석이 보고되었다. 구과류 : Frenelop si s lzoheneg ge ri (Eff . ) Braclzyp lz y ll um sp. B. cf. macrocarPtt m Newb. 전라북도 진안지역 ; 본· 지역에 발달된 백악기 되적충은 島村 (1926) 에 의하여 하부로부터 만덕산층, 달길충 및 산수동충으로 분류되었으며 이 중 중부의 달길충과 상부의 산수동충에서 보존이 불량한 쌍자영식물과 소철류에 속 하는 식물화석이 島 村新兵衛 (1926) 에 의하여 보고되었다. 이 둘 식물화석은 다음과 같다.
®닫길충 쌍자영 식 물 : Plata n us? sp. 구과목 : Pi nu s sp. 소철류 : Zami tes sp. ®산수동충 쌍자영식물: Vi b urnum cf. monta n umKnowlto n Pop ul op hy l u m sp. Nelumho sp.
Cf. Tabein i d iu m undula- tum (Hall) Phy /lites sp. 구과목 : Pin u s sp. Brachyp h y ll um sp. Frenelop si s sp. 소철류 : Zami tes sp. 속새 류 : Eg u is e ti tes sp. Cunnin g h ami tes sp. Pt ilop hy ll um sp.
이 밖에 立岩巖 (1976) 도 산수동충에 서 Frenelop si s cf. par cermosa Font. , Pi tyo str o bus ahie U tes sp. 및 Brachy ph y ll um crassia m osum Tate i w a 등 3 종의 식물화석을 추가 보고하였다. 한편 전라남도 화순지 역 의 신라아충군에 서도 Zami op hy ll um buch ian um (Ett .), Phy /lites (Plata n us?) sp. 둥이 立岩巖 (1926) 에 의하여 보고되었다.
항해도 사리원 재령지역 ; 북한의 황해도 서부의 사리원 재령지역에도 신라아충군에 대바되는 백악기의 되적충이 발달되어 있다. 이 퇴적충은 島 村 (1926) 에 의하여 하부로부터 오룡산층, 한봉산충 및 포남리 충 으르 분류되었으며 이중 한봉산층과 포남리층에서 각각 다음과 같은 식물화 석이 산출되었다.
® 한봉산충 구과목 : Frene/op s is cf. pe rcera- mosa Font. F. occid e nta l i s H eer Brachy ph y ll ttm sp. 소철류 : Ot oz ami tes sp.
® 포남리충 구과목 : Fren e lop s is cf. pe rce ram · osa Font. F. occid e nta l is Heer Brachy ph y l/111 11 cf. sp in- os11m Seward Pi nu s sp.
위에 기재된 경상분지 이의의 여러 지역에서 산출된 식물화석은 주로 신라아충군에 대비되는 지충에서 산 출 된 것으로서 이들은 촨果類 식물 과 피자식물의 화석이 우세하다. 따라서 신라아충군의 식물화석은 나 수의 쌍자영식물과 往果目류가 산출됨이 특징이다. 3-4 미고생물류 경상충군에서의 미화석 연구는 현재까지 부전한 상대에 있다. 이는 1960 년대 말까지 어떤 종류의 미화석도 본충군에서 보고된 바 없었던 것 으로 보아도 이해할 수가 있다. 본 충군에서 알려진 최초의 미화석 산 출은 유의규 (1970 b) 에 의하여 경상충군, 신라아충군의 대구충 송내동 멤버와 전천리층에서 2 속 4 종의 介形虫과 深類 의 일종인 輪深類화 석 (charop h y ta) 3 속 5 종이 보고됨으로써 비롯되었다(표 6-3). 유의 규 (1970 b) 는 이 들 Charop h y ta 는 수심 10 cm 로부터 1. 5~2. om 의 깊이에 번성한 담수조류이므로 대구충의 송내동 멤버와 건천리충하 부의 씰트스본은 얕고 넓은 못이 연속되어 있는 환경하에서 퇴적된 것 으로 해석하였다. 李大聲 • 李河榮 (1976) 은 전라남도 해 남반도에 분포하는 해 남충군의 牛 黃里層의 시추 코아에서 얻어전 암회색 셰일에서 다수의 개형충 화석을 발견하였다.
표 6 집 경상층군에서 보고된 개형충과 윤조류화석(유의규 1970b)
그 들 은 이들 미화석이 대부분 左右 貝 穀 이 서로 굳게 접해 있어 貝般 의 내 부구조, 근육혼적 의 형 태 , Inner lamellar, Vesti bl um 둥 세 부구조 를관 찰 할 수 없기 때문에 屈 , 種 을 同定하지 못하였고 의형과 표면구 조 둥에 따라 A 에 서 N 까지 14 개 형으로 분류하였 다. 그 들 은 이 개형충들이 그의 표면이 平 滑 (smoo t h) 하고 치아구조가 단 순 한 점 으로 보아 담수성 내지 반함수성 환경을 지시해주는 것으로 해 석 하 였 고 이 들 중 A 형 과 C 형 으로 분류된 두 형 체 가 각각 Ly co p ter ocyp r is 와 .'v. fon g o lia n ella 에 또 F 형 은 Cy pr id e a 에 각각 유사하다고 하였 다 . 전자의 2 속은 Baik a l 湖. 부근과 동남아시 아 대 륙의 백 악기 되적층에 서 보고되었고 후자의 F 형은 상부 쥬라기 내지 하부 백악기의 좋은 표 준화석이므로 만일 上記한 형체들이 이들 속으로의 同定이 정확하다면 백악기충으로 경상남북도 동지에 분포하는 경상충군과 대비될 것으로 보았다. 한편 崔 成子 (1981, 학술발표)는 경상북도 영천시 부근에 분포하는 경상 충군의 대 구충과 전천리 층에 서 총 I, 000 개 체 이 상의 윤조화석 charop hy ta 산출과, 다수의 개형충 화 석이 산출되었음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그는 이 다수의 Charo p h yt a 와 개형충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지는 않았다.
* 참고문현 朴正 緖 , 1974 : 「開 度炭田의 府序와 地質衍造」 , 지질학회지, vol. 1 0, pp.1 29- 49. Cheong , C. H. , Lee, H. Y. , 1966 : The My o g o g Formati on and its tee · ton ic sig n if ica nce•, fou r. Geo/. Soc. Korea, vol. 2, pp. 21-38. 崔成子 , 1981 : 「상부 경 상 충 군에 서 산 출 된 Charop h y ta 화석 에 대 하여 」, 지 질 학 회지, 제 17 권, 294p . (학 술발표 요약문). Kawasaki, S. 1925 : Some older Me soz oic pla n ts in Korea, Bull. Geo/. Surv. Chosen, vol. 4, pt. 1. Kowasaki, S. , 1926: •Addit ion to the old Me sozosic pla nts in Korea •, Bull , Geo/. Surv. Chosen, vol. 4, pt. 2, 35p . Kawasaki, S. , 1939 : Second addit ion to the older Me so zoic pla nts in Korea•, Bull. Goel. Surv. Korea, vol. 4, pt. 3 , 69p . 金 默均 , 1976: 「忠 南炭田의 地質 및 古生物學的 硏究」, 지질학회지, 재 12 권, pp. 124 -4 3. 金恒默, 1981: 「 h짜 맵의 恐胞産地 두 곳 으로부터 發堀된 白 惡紀 恐t U 化石」, 지 질학회지, 제 17 권, 297 p(학숟발표요약문). 金恒默, 1983: 「 韓國에서 發見된 白惡紀 恐 8U 化石과 其 府序」, 지질학 회지, 제 19 권 , pp. 115-26. 金南長, 崔承 五, 姜必鍾 1967: 한국지 질도 聞慶回幅 (1 : 50,000), 국 립지질조 사소. Ki m ura, T. , Ki m , B. K. , 1982 : Coreanop hy ll um varii seg m entu m ge n. et sp. nov. from the Daedong Sup e rgr o up •, Korea, Proc. Jap an Acad. Ser. B. , vol. 58, pp. 152-55. 木野崎吉郞, 1938: 縮尺 5 萬分 1 朝 .뜹 地質回, 70. 19, 魚坪里 , 古 城里 , 直洞 , 上段里 圓幅. Kobay a shi. T. , 1951b: •Older Mesozoic Esth erit es from Easte r n Asia , fou r. Fae. Univ . Toky o , Sec. 2, vol. 7. Kobay a shi, T. , Ki do , K. , 1947: •creta c eous Estl z erit es from the Ky o nsang Group in the Tsushim a Basin • , ]ap. fou r. Geo/. Geog r . , vol. 20, pp. 83 -90. 小林貞一, 鈴木好一, 1936 : •Non-marin e shells of the Nakto n g ·W akin o Se· rie s •, ]ap. fou r. Geo/. Geog r , vol. 13, pp. 243-257. 李大聲 李河榮, 1976 : 「韓國 西南海岸 地域에 分布하는 含有物府에 대 한 地質 學的 및 地球化學的 硏究」, 광산지질, 제 9 권, pp.4 5-74. 李河榮, 1965 : 「卯谷層과 所謂 大費運動의 時j법에 關하여 」, 서 울大學校 碩士
따位 論 文 . 前島俊郞, 1935 : 「平撰附近 0 地質」, 地球, vol. 24, pp. 81-89. Oi sh i, S. , 1939 : aNote s on some fos sil pla nts from the Nakto n g Serie s of Korea•, fou r. Fae. Sd. Hokkaid o . Imp . Uni v. Ser. 4, vol. 4, pp. 307 -8. Oi sh i, S. , 1940 : The Mesozoic flor as of Jap a n•, fou r. Fae. Sc. Hokkaid o , Imp . Univ . Serze s 4, pp. 257-380. 島村新兵衛, 1926 : 縮尺 5 菓分 1 朝 詳 地質回 , 70. 5, 全州, 鎖安回幅 . 島村 新 兵衛 , 1927 : 縮尺 5 菓分 1 朝 鮮 地質固, 70. 7, 靑山, 永同固幅 . 島村新兵衛, 1933 : 縮尺 5 冀分 1 朝鮮地質回 , 70. 16, 淸津 連津固幅, 朝鮮總떤 府 地質調査所 . 島村新兵衛 , 1936 : 縮尺 5 冀分 1, 朝鮮地質圖, 70. 17, 淸城鎭 , 天摩洞, 永山市 回幅 . 鈴木好一 , 1939 : Non-marin e molluscan fau nule of the Shir a g i Serie s in sou th Korea•, Jap . fou r. Geo/. Geog r . , vol. 17, pp. 215-32. 鈴木好 一, 1943 : Restu d y on the non-marin e molluscan fau na of the Rakuto Serie s in Keis h odo, Ty o sen , fou r. Sh zge nkag u ku Kenky a sho, vol. 1, pp. 189-219. 高粧英太郞, 1942 : 縮尺 20 萬分 1 朝鮮地質回 楚山回幅 . 高橋英太郞 , 1949b : 「北西 朝祥熱河統(J)植物化石 」, 地質穆雜誌, vol. 55, pp. 650-51. 高杓英太郞, 1953 : 「平北山地 古期岩層(J) 硏究―第 4 報江界地域(J) 中生層及간 古生府 」 , 山 口 大穆 理學會誌, vol. 4, pp. 45~55. 高稿英太郞 , 1954 : 「平北山地(J) 地質 上 構造」, 山 口 大學 理學會誌, vol. 5, pp. 101-10. 立岩哉, 1924a : 縮尺 5 萬分 1 朝鮮地質圖, 70.2, 延日, 九龍浦, 朝陽圖幅. 立岩!;'Ii, 1925b : 「洛東 植物 化石 群 (J) 地質時代」, 地質學雜誌, vol. 32, pp. 493- 512. 立岩巖, 1929 : 縮 尺 5 萬分 1 朝鮮地質固, 70. 10, 慶 )·I i. 永 ) II, 大邱, 倭館固幅. 立岩巖, 1931 : 縮 尺 5 萬分 1 朝鮮地質圖, 70. 12, 東倉, 段山, 別倉里, 成 )II 固 幅 . 立岩 巖 , 1976 : 「朝 鮮一 日 本列島地帶 地質楠造論考―朝解地質調査硏究史―」, 東京大學出版會, 654p . 矢部長克, 1903 : 「朝 鮮 洛束(J) 植物t드 ?L 、t」, 地質 學雜誌, vol. 1 0; 586p . Yabe, H. , 1905 : aMesozoic pla nts from Korea•, fou r. Coll. Sd. .Jm p . Univ . Toky o , vol. 20, pp. 1-76. • Yabe, H. , 1908 : aon the occurrence of the ge nus Gi gan to p ter is in Korea•, fou r. Coll. Sd. Imp . Univ . Toky o , vol. 23, pp. 1-12. Yabe, H. , Ois h i, S. , 1929 : Note s on some fos sil pla nts from Korea and
Chin a belong ing to the ge nera Ni lsso nia and Pt er op h y ll zmi •, Jap . fou r. Geo!. Geog r . , vol. 6, pp. 85-101. Yang , S. Y. 1974 : Note on the ge nus Trig o ni oi d es (Bi va lvia ) , Trans. Proc-pa laeont. Soc. Jap a n, No. 95, pp. 395~408. Yang , S. Y. 1975 : On a new non-marin e pe ie c yp o d ge nus from the Up pe1 Mesozoic Gy e ong sa ng Group of Korea•, Trans. Proc. Palaeont. Soc. Jap an , No. 100, pp. 177-184. Yang , S. Y. 1976b : On the non-marin e molluscan fau na from the Up pe 1 Mesozoic My o g o g Formati on , Korea•, Trans. Proc. Palaeont. Soc. fa· pan , No. 102, pp. 317-33. 梁承榮, 1976b : 「慶尙層群産 化石에 關하여 」, 지 질학회지 , 제 12 권, pp. 23-30. Yang , S. Y. , 1978 : On the dis c overy of Ni ppo nonaia ryo sekia 1 1a from the Gy e ong sa ng Group , Korea•, Jau r. Geo!. Soc. Korea, vol. 14, pp. 33-43. 梁承榮, 1982a : 「上部 慶尙層群에 서 發見된 白 뽀紀 恐iit의 足襄化石에 ! ; 심하여 」 지질학회지, 제 18 권, pp. 3 7-48. Yang , S. Y. , 1982b : Geolog y around the Ty pe -l o cali ty of Trig o ni oi d es (s. s. ) kodair ai and ag e of the Nag d ong Group , Jou e. Geo!. Soc. Korea, vol. 18, pp. 67-72. Yang , S. Y. , 1984 : Palaeonto l og ica l stu d y on the molluscan fau na from My o g o g Formati on , Korea (pt, 2), fou r. Geo!. Soc. Korea, vol. 20, pp. 15-27. 유의규, 1970b : 「 Charo p h yt a 의 신 발견과 Non-marin e ,tJ.라충군」, 지질광상 조사연구보고(국립지질 조사소), 제 12 호, pp. 5-13.
제 7 장 선생대 고생물 한반도의 산생대충은 주로 동해안 연안을 따라 소규모로 산재 분포하 며 서해안 지역에는 황해도 사리원 부근의 봉산탄전과 평안남도 청천강 하구의 安세지역 둥 2 개 지역에만 발달되고 제주도의 東岸과 南岸을 따 라 접접이 분산되어 협소하게 노출되어 있다. 동해 연안을 따라 발달된 신생대충은 복한의 함경복도 회령, 경원지 역, 길주―명천지역, 함경남도 함흥, 영흥지역, 강원도 통천지역 둥 이며, 남한에는 강원도 복평지역, 경상복도 영해, 영덕지역, 포항지역, 어일지역, 경상남도 울산지역 및 제주도의 서귀포, 신양리 등지이다. 이들 신생대충은 대부분 제 3 기 마이오세에 해당되는 지충이며, 삼척 지역의 北坪磯岩온 풀라이오世로, 제주도에 소규모로 분포된 신양리층 은 제 4 기 海成 되적층으로 각각 알려쳐 있다. 한반도의 이들 신생대충에서는 해서 무척추동물화석과 육상 식물화석 이 비교적 풍부하게 산출되며 산출된 화석들을 종류와 지여에 따라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철 무척추 고동물 신생대충에서 산출되는 무척추동물화석은 연체동물의 부족류와 복족 류 화석이 가장 풍부하며 이밖에 연체동물의 굴족류와 강장동물의 산호 류, 완족동물, 국피동물의 성게류, 전족동물 의 갑각류 둥이 산 출 된다. ]를 각 지역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1-1 포항지역 남한의 제 3 기 퇴적총중 그의 분포 면적이 가장 넓은 포항지역의 제 3 기충은 立岩巖 (1924) 에 의하여 하부로부터 長 署 層群, 凡谷里府群 및 延日 層群 으로 분류되고 각 충군은 부정합관계로 접해 있다. 立岩은 장기충 군을 하부로부터 장기역암, 율대 리조연암질응회암, 금광동셰인, 하부함 탄충, 하부현무암질응회암, 상부함단충, 중부현무암질응회암, 금오리충, 금오리조면암질옹회암 및 상부현무암질응회암으로 세분하고 범곡리층군 은 하부로부터 와윤리안산암질응회암, 안동리역암, 용동리역암, 갈평동 각력암 및 방산리 및 창암전주암 등을 포함하는 5 개층으로, 연일충군 은 하부의 천복역 암과 상부의 연일셔]일로 각각 분류하였다. 연일충군은 그후 金原均 (1936a), 嚴相鎬 , 李東雨 (1964), 金鳳均 (1965) 및 尹銃 ( 1976) 에 의하여 충서학적으로 세분되었다. 이들 각 연구자들에 의한 충서 구 분은부록과 같다. 1) 연일충군 무척추 동물화석 본지역의 延日層群에서 산출되는 무척추동물화석은 立岩 跋 ( 1924a), 金原均二 (1936a), 金鳳均 (1970a,b), 金鳳均, 尹銃 (1978), Ki m , B. K. et al. (1974), 尹銃 (1975, 1976 a, b, c), Yoon & Rhee(1982) 에 의하여 古 生物學的으로 연구되었다. 金原均二 (1936) 은 연일충군에서 다음과 같은 무척추동물화석을 보고하 였다.
® 부족류 Solemy a tok unag a i Yakoy a ma Nue ttla (Acil a ) dic aric a ta Hi nd s N. div aric a ta Hind s. N. (N11cula) lzokoensis Kanehara Nucu/ana cin f us a (Han!. ) N. Juj iform i s Kane hara N. aff . ine rmi s (Yok. ) Yoldia cf. thr ac iae f or mi s Sto r er? Y. toy am aensis Kuroda Y. cf. gr ati oz a Yokoy a ma Y. sag ittar ia Yokoy a ma Y. scap ha Yokoy a ma? Ostr e a gr avit es ta Yok oy a m a Pect e11 (Prop ea mussiu m ) tat e i w a1 Kanehara P. (Pati no p e cte n ) to, ~ y o ensis Tokunag a C!i la my s noto e nsis Yokoy a ma Pect en (Pseudomussiu m ) pec k/z a mi Gabb. Li m a cf. go lt 'at l i Sowe rb y Lucin a ac11t ilin e ta Conrad. L. klzata i i Ot uk a L. yo koy am a Ot uk a L. cf. annulata Taras cf. Jer n tgina ta ( Makiy a ma) Thy a st'r a bis e cta Conrad Th. go uldii (Phil lipi)
Th. nip po .11 ic a Yabe & Nomura Cardiu m shin j iens e Yokoy a ma Cy li c l ma lzmulata Makiy a ma Clementi a subdia p h ana ya zawensis Otu k a Macoma in cong r ua (v. Marti n) M. tok y o ensis Makiy a ma ? Tap es cf. varie g a ta Han!. Thrac ia tra p ez oid e s Conrad Th. cf. trn p ez oid es Conrad. ®굴족류: Denta l iu m sp. ®복족류: Pate l l oid ea cf. oblong a ta Yoko- ya ma Bati lla ria ta tei w ai Makiy a ma B. ya manarii Makiy a ma Calyp tre a sp. Nati ca ja nth o sto m a Deshay e s Dolio c assis yo koy a mai (Nomura & Hata i ) Charonia aff . oreg o nensis ( Redfi el d) Trop ho n sp. Szp ho naria cf. spa d ic e a (Reeve) Nassariu s (Him a) sp. Oliv e / l a consoblin a Lis c hke @산호류 Ballanop hi l l ttm sp.
이밖에 극피동물의 석회질 외피의 파편 침골, 갑각류 외피의 파편, 곤충류의 파편 둥이 산출되나 屬, 種으로 同定되지 않았다. 한편 尹銃 (1976 a,b) 은 同一地域의 연일충군(尹銃의 의창충군)에서 다음 과 같은 연체동물화석을 새로이 추가 보고하였다.
화석명 산출지충
®굴족류:
尹銃 (1975) 및 Ki m B. K . 外 (1983 연구보고서)는 상기한 연일충군의 연 체동물 화석군을 하부로부터 다음과 같이 6 개 群集 (assembla g es) 으로 나누었다. (D Vic a rye lla-Anadara Assemblag e (Vi -A n) ® Dosin i a - Felanie l la Asse - mblage (Do-Fe) ® Acesta - Condrocele Assemblag e (Ac-Co) © Pro- pe amussiu m Assemblag e (Pr) @ Conchocele-Calyp tog e na Assemblag e (Co-Ca) @ Pati nop ec te n -Modio l lls Assemblag e (Pa-Mo) 이 화석군 중 Vic a rye l la-Anadara 군집은 연일충군 최하부(尹銃의 義昌層 群 泉谷寺層의 普 P1 池互 府 멤 버 ) 의 화석 군으로., 半誠水 (brackis h wate r ) 의 온 난한 되적환경을 지시하며 일본의 Ar ci d-Po t am i d 화석군과 밀접한 유 사성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이 화석군의 주요종들은, Anadara (Hata i r a ca) dait ok udoensis , A. (H) kakehata e nsis , Crassostr e a gra vit es ta gra vit es ta , Meg a xin u s (s. s) hata i i , Trap e ziu m (Neotr a pe ziu m ) cheonbug e nsis , Cy c lin a (s. s. ) jap o nic a , Vic a rye l/ a ish ii ana , Bati lla ria ( Tate i w aia ) tat e i w ai, 및 B. ( T) . ya manarii 둥이 냐 또 그들은 Dosin i a - Felanie l la 군집 을 연일충군의 최 하부충인 천복역 암(金鳳均의 시 암역 암) 상 부의 화석군으로 정하고 이를 浚海性 溫帶 내지 온난한 환경을 지시하 는 화석군으로 해석하였다. 이 화석 군집 의 주요종들은 Anadara (s. s) makiy am ai, Lit ho p a g a (Leio s -(}/nus) Ki m i , Chlamy s (s. s. ) ali tan a, Dosin a (Phacosoma) nomurai, Sir a to r ia
sfr at o r ie s i s , Vi ca rye lla tyo scnic a 및 Crep id11 la isi n o to i 둥이 다. Acesta - Conchocele 군집 은 학림 충의 하부, 송학동충의 하부(尹銃의 泉谷 寺層의 達 田交互멤버) 화석군으로 이는 전기한 두 화석군보다 약간 깊은 환경과 온대 내지 온난한 기후상태를 지시한다. 아 화석군의 주요종은 Acil a (s. s) cf. submi ra bil is, Solemy a (Acharax) tok 1mag a i, Chlamy s (s. s. ) akit a11 a, Acesta (s. s) cf. ya g e nensis , Lucin o ma ac11t iline at1 1 m, Conchocele bis e cta , De11ta / i um cf. yo koy a mai 및 Eusp ira meis c 11sis 둥이 다. Pro p eamuss i um 군집은 학림충의 상부에서 홍해충 , 이동 충 및 두호충의 하반부의 세립사암과 실트암상에서 발견되는 화석군으로 이 는 海 f l 의 양상이 더 전전된 상태를 지시하며 특히 학림충의 상부( 尹fE l 악전충 ) 되적시에는 본 분지에서 분리된 半峨水推積盆地가 형성되어 Crassostr e a gr avit es ta 둥이 생 촌하였 다고 한다. 이 화석 군의 주요종은 Prop c a; 1mssi1 1 m (s. s) tat e i w ai 에 의 해 서 대 표된다. Conchocele · Cal ypt o g e11a 군집은 두호충( 金鳳均의 浦項府 )의 실트岩의 화석 군으로 이 화석 군의 주종은 Conchocele bis e c ta 와 Calyp tog e na cf. elo11g a ta 이며 이들은 다소 깊은 물과 실트질 처면의 되적환경을 지시한다. Pati nop e cte n ·Modio / 11s 군집 은 두호충의 최 상부화석 군으로 이 는 포항분 지의 최대 海侵時期를 보이는 깊은 퇴적환경을 보이며 특히 Yo!dia (Orth o y o ldia ) sag ittar ia 와 Panomy a sim oto m e nsi s 는 생 충서 대 비 에 우수한 종들로서 이 화석에 의하여 斗湖層이 일본의 Yuna g a y a 충군의 상부에 대 비 된다. 이 화석 군의 주요종은 상기 한 2 종 이 의 에 Modio l Hs (s. s) di· fficil is, Pati nop e cte n (Mi z1 1hop e cte n ) kim urai 11g o e11sis , Luc ino ma arnti lin e -atu m , Macoma (s. s) op tiva 둥이 다. 1-2 감포-어일지역 立岩巖 (1924a) 은 경 상복도 감포읍 부근에 발달된 제 3 기 충을 하부로 부터 감포역암, 효동리 화산암류 및 어일충과 어일현무암으로 분류하고 감포역암울 포항지역의 장기역암, 효동리화산암류를 포항지역의 울대리 화산암류에, 어일충 및 어일현무암울 浦項지역의 금광동셰일의 최상부 충인 상부현무암질웅회암에 이르는 충서법위에 각각 대비시켰다. 尹銃 (1976c) 은 같은 지 역 의 제 3 기 충을 하부로부터 전촌충, 전동충 및 송전 충으로 분류하고 어일현무암 복합체는 전동충과 직교한다고 하였다. 그
러나 그는 이 충서분류에서 立 岩 巖 에 의한 충서분류와의 관계를 밝히지 않아 양자의 정확한 관계를 알 수 없다. 立 岩 의 감포역암에서는 주로 식물화석이 산출되며 尹銃의 전촌충과 전동총에서도 보존이 불량한 식물화석이 산출되고 어일충과 송전충에서 는 해서연체동물화석이 산출된다. 본지역의 연체동물화석은 立岩 (1924a), 金 原 均二 (1936), 金鳳均 (1970a) Ki m , Node & Yoon(1974), 및 Yoon(1976c) 에 의하여 주로 연구되었다. 어일충 및 송전충에서 보고된 연체동물화석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I 어일충 ® 부족류 Anada ra cf. kakehata e nsis Hata i & Ni sh iy am a Arca sp. Clementi a cf. pa p yra cea (Gray ) Dosin i a . sp. G!yc i m e,.is sp. Gryp h aea sp. Ostr e a sp. Rectu n culi ls sp. 2 송전충 ®부족류 Anadara (s. s. ) kii ens is Mi zu no A. (Hata i a r ca) dait ok udoensis (Makiy a ma) A. (H). kakehata e nsis Hata i & Ni si y a ma Crassostr e a gr avit es ta eoil e nsis Ki m , & Noda & Yoon
Pi tar sp. Solen sp. ®복족류 Ap o/ I on sp. Cerit hiu m sp. Nati ca sp. Vi ca rya ca/l os a ja p on ic a Yabe & Hata i Vi c arye l / a sp. ·ostr e a· sp, Thy as ir a sp. Cy c lin a (s. s) jap o n ic a Kamada Clement ia ( s. s. ) nakamurai Ot uk a Solete l lin a mi no ensis Yokoy a ma Cerit hi d e a sp. (cf. kanp ok uonsis Makiy am a)
尹銃 (1976c) 은 상기 송전충의 화석군을 Vi car y a-Anadara 군집으로 명명 하고 이는 온난한 반함수의 천해환경을 지시하며 그의 지질시대는 마이 오世 중기 초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1-3 영덕一영해지역 경상복도 영덕 • 영해지역에는 소규모의 제 3 기충이 분포한다 . 본지역 의 제 3 기충은 波多江 信廣 (1937) 에 의하여 하부로부터 陶谷洞府 , 寧海 礎岩, 榮洞層으로 구분되었다. 동물화석은 상기 지충 중 최상부의 영동 충 중에서 산출되며 다음과 같은 연체동물의 부족류와 복족류화석이 보 고되었다.
®부족류 Pecte n cf. meis e nsis Makiy a ma Choin e tat e i w aii ? Makiy a ma Dosin i a ang u losa? Phil ip. Paph i a varie g a ta (Hanley ) Panop e cf. ge nelosa Gld. Ostr e a sp.
Pe ct e n sp. Pati nop ec te n sp. Cardiu m sp. ®복족류 Sip lz onaria sp. Terebra sp.
1-4 울산지역 울산지역에 분포하는 제 3 기충은 최초로 朴 陽 大外 (1968) 에 의하여 조사되 었으며 이 때 Cardit tm sp. Nacula sp. 및 Dzp lo donta sp. 둥의 부 족류가 보고되었고 金鳳均 (1970) 은 부족류의 Ostr e a sp. Anadara sp. Pit ar sp. , Dosin i a sp. , Chlamy s sp. 및 Luc ino ma sp. 와 복족류인 Ttt r rite l la sp. 를 보고하였으며 尹銃 (1979a) 은 화봉리층과 신현리층에서 다음과 같은 연체동물화석을 보고하였다.
1 화봉리층(尹銃, 1979a) ®부족류 Acil a (s. s. ) submi ra bil is M ak. Nuclana (Saccella) conf us a cf. kong iens is Ot uk a Anadara (s. s. ) kii ens is Mi zu no A. (s. s. ) makiy am ai Hata i & Nis i y a ma A. (Hata i a r ca) dait ok udoensis
(Makiy a ma) Str i a r ca cf. uets u kie n sis (Ha. & Ni . ) Crassostr e a gr at' iter ta (Yokoy a ma) Meg a xin u s(s. s) khata i i (O t uk a) Pil /uc ina (Sy d /orin a) yo koy a ma: (Ot uk a) Cy c/ad ic a ma meis e nsis (Mak. )
Felanie l la (s. s. ) fer rtt gina ta ( Ma. ) Mactr a sp. Solen sp. a Solen sp. b Macoma (s. s) op tiva (Yokoy a ma) Pi tar cf. itoi (Makiy a ma) Dosim a (Phacosoma) nomurai Ot uk a D. (P. ) 11/sanensis Yoon 2 신현충 ® 부족류 Anadara (Hata ia r ca) dait ok udoensis (Makiy a ma) A. (s. s. ) kakehata e nsis (H a. & Ni. ) Str i a r ca cf. 11ets u kie n sis Ha. & Ni. ) Crassostr e a gr avit es ta ( Yokoy a ma) Mc g a xin u s (s. s. ) klt at a i i (Ot uk a) Pi l/11c ina (Sy d lorin a ) yo koy a mai (Ot uk a) Solen sp.
Cy c lin a (s. s. ?) hwabong r ie n sis Yoon & Noda Sir ato r ia sir a to r ie n sis (Ot uk a) Mercenaria chit an ia n a (Yok. ) My a (Arenomy a) czmeif orm i s Panop ea jap on ic a Adams ®복족류 T11rrit el la (Hata i e l la) sag a i Kota k a Cult ell us zzu moenszs Yokoy a ma Solete l lz n a mz n oenszs Yokoy a ma Doszn za (Plzacosoma) kawag e nszs Araki D. (P. ) nom11ra£ Otu k a D. (P. ) 11/sanenszs Yoon Cy cl z n a (s. s. ) jap on z ca Kamada Clcmentz a (s. s. ) nakam11ra£ Ot uk a @복족류 Vz ca rya (Shoshz r oza ) callosa jap on z ca Yabe and Hata i Vzc aye l la zs hiz a na (Yakoy a ma)
尹銃은 상기 한 연 체 동물화석 군을 3 개 생 충서 대 , 즉 Vi ca rya -Anadara Assemblag e , Dosin ia - Felani el la Assemblag e , 및 Pati no p ec te n -Mercenaria Assemblag e 로 구분하였다. 1-5 제주도지역 제주도의 南岸에 위치한 서귀포읍 소재지 서쪽 약 1km 부근에 新生 代 플라이오世의 서귀포충이 약 60m 의 두께로 발달되며 이 충에서는 3· 충의 화석대가 협재되어 있다. 이 화석대에서 산출된 화석은 橫山二次郞 (1921), 原口九萬 (1931) 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동물화석이 기재되었다.
서귀포충 ®부족류 Nucular (Acil a ) ins ig n is Gould Leda ramsay i (Smi th) Glyc i m eris rotu n dus Dunker Li m op si s crenata A. Adams Ostr e a giga s Thunberg Pect en tok y oe 1ts is Tokunag a P. cosib e nsis Yokoy a ma P. /aq u eatu s Sowerby P. ha/i me nsis Makiy a ma P. nag a numana Yokoy a ma Anomi a cyt ae um (?) Gray Pododesmus (Mania ) radia t u s semata 1 1a Yokoy a ma Modio l zls modio l t ts Linn aeu s Tlzracia pub escens Pult. Crassate / /ite s nana Ad. & Re. Veneric a rdia nakamurai Yo. V. fer rug inea Yokoy a ma Mi ltha (Ludnoma) annulata (Reeve) Dosin ia jap o nic a Reeve Venus sti mp s oni Li nn aeus Paph za schne//ia n a. Dunker P. gr eep he i Dunker Macroca/Usta brevis t p h onata (Carp e nte r ) Sp isu/ a (Hemi m actr a ) po /yn y m a a/askana Dall.
Corbula ve1111sta Gould Saxic a va arcti ca Linn aeus Barnea fra g ilis (Sowerby ) ®굴족류 De nta l i um cf. sexcosta t u m (?) Sowe rb y D. cf. cerin u m Pil s bry D. cf. bis e x ang u latu m Sowerby ®복족류 Lep t ot h y ra cf. sag a re11sis Schenk T11rrit el l as sais h ue ns is Yokoy a ma S1p ho 11al ia f uc oid e s Reeve Chrys o dom1 1s (Barbit on ia ) cumi n g ii Crosse Volz ttom i tra cf. alaskana Dall. Antz p l anes conto r ta Yokoy a ma Ri ng icu la musaslzin o ensis Yo. ®완족류 Tereb rata l ia koy a mai Makiy a ma T. coreanic a Adamus & Reeve Dallin a (Cop tot h y ri s ) excela (Yokoy a ma) D. cf. gr ay i David s on Laq u eus rabellus (?) Sowerby ®성계류 Eclt ina rachuris mi ra bil i s Barn. @상어이빨 Carclzarodon meg a loadon Charles- worth
1-9 북한지역 l) 함경복도 길주 • 명천지여 이 지역의 제 3 기충은 명천충군으로 불려지며, 이 충군은 하부로부터
용동총, 평육동충, 합전동충, 만호동충으로 분류되고 용동충을 제의한 각충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체동물 화석이 보고되었다 (損山 , 1926).
1 평육동총 ® 복족류 Pota m i de s (Cerit lzid e a) kanp o ku- ensis Makiy am a Bati llaii a t at e i w ai Makiy a ma B. ya manarii Makiy a ma ® 부족류 Polin i c e s (Eusp ira ) meis e nsis Makiy a ma 2 깝진동총 ®부족류 Pit ar ia itoi Makiy a ma Chio n e tat e i w ai Makiy am a 3 만호동총 ® 부족류 Arca (Anadara) og a wai Makiy am a Plt ac oid z s cf. acut ili11e at1 1s Conrad Pi tar ia itoi Makiy a ma Macoma inq 1 1i na ta Deshay e s Genola cryp toc onoid e s Makiy a ma
Ac ila submi ra bi/ is M akiy a ma Arca (Anadara) dait ok uensis Makiy a ma A. (Anadara) abdit a Makiy a ma Plzacoid e s cf. saxorum Lamarck. Cy cl i na (Cy cl i nor bis ) lunulata Makiy a ma My a crassa Grewi ng k. ? Yoldia laudabil i s Yokoy a ma Thy as ir a aff . bis e cta Conrad Polin i c e s (Neverit a) coti ca zae Makiy am a G/yc im eris cis s lmensis Makiy am a Pecto 11 (Clzlamy s) meis e nsis Ma. Di plo donta fer ntg ina ta Makiy am a C/z ion e tat e i w ai Makiy am a
Mak iy ama( 根山, 1926) 는 이 연체동물 화석 연구를 통하여 명 천충군의 시대를 마이오世 초기보다 더 새롭지는 않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밖 에 金瓜均 (1970) 은 평 육동충에 서 Vic a rya ca//osa jap o nic a . 와 Vic a rye //a tyo senic a 가 산출됨을 보고하였다. 2) 황해도 봉산탄전 황해도 봉산지역에는 갈탄충을 함유한 제 3 기 되적충이 소규모로 발 달된다. 이 되적층은 선캄브리아代의 상원계를 부정합으로 덮고 있으며 주로 청회색셰일, 회색석회질셰일, 신트암, 탄질셰일 및 역암으로 구
성되고 약 350m 의 두께를 갖고 있다. 이 충에서는 포유류화석(後述), 식물화석과 함께 다음과 같은 5 속 9 종 의 담수연체동물화석이 보고되었다.
®부족류 Cris t a ria sp. ®복족류 Planorbis pse udammoniu s Schlo- the im Pl. sin e nsis Odhner
Pl. sp. nov. ? Pl. sp. Gy ra ullls sp. nov. ? Ly ;n naea sp. •Eup er a sin e nsis Odhner •Eup er a sp .
立岩巖 (1976) 은 상기 화석 중 P/ an orbis pse udammoni1 1 s, Pl. sin e ns is Odhner 및 Eup er a~ sin e nsis Odhner 가 중국의 山西 省 垣曲縣의 제 3 기충에서도 산출되 며 Pl. sp. nov. ? 오} Ly m naea sp. 도 동충에 서 산출된 화석 종과 밀 접한 근천성을 보여주어 본충의 시대가 에오世에 속함이 확실하다고 하 였다. 따라서 봉산지역의 제 3 기충은 한반도의 제 3 기충 중 가장 오렌 지충이라 할 수 있다. 제 2 철 척추 고동물 한반도의 신생대충에서의 척추동물 화석에 대한 최초의 보고는 1915 년 神保小虎 (1915) 에 의하여 비롯되었다. 그는 황해도 금천군 고동면 부 근의 석회동굴에서 척추동물의 齒片과 골편 화석을 발견하였다. 이들 화석은 그후 德永重康 (1929) 에 의하여 말 (E q uus cahallusf os sil e s Lin naeus) 과 코뿔소 (Rh i noceras koreanic u s Tokunag a ) 화석 으로 감정 되 었 으며 이 후 여러 곳에서 어류화석, 고래 뼈화석, 코끼리 이빨 및 기타의 포유류화석 등이 보고되었고, 高井冬二 (1952, 1967) 는 1952 년과 1967 년 당시까지 한 반도의 신생대충에서 보고된척추동물화석을총괄하여 이를발표하였다. 이에 의하면 소속불명종과 현생종으로 생각되는 것을 합하여 총 31 종 거1 달하며 이 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에오세 (황해도 봉산동 제 3 기중)
포유류 식 육목 : Harpa g o leste s koreanic -
us Shik a ma 기 제 목 : Cris t i de nt inu s sp. Desmato t h e ritt m gr ang e ri To. Lop hi a l ete s tok unag a i Takai Colodon hodosim ai Takai Caenolop hu s makii Takai Proti tan oth eriu m koreanic u m Ta- kai (2) 마이 오세 (명 천충군) 어류 진골목 : Clup ea sp. 판새 목 : Carcharodon meg a loaon Ag as siz 포유류 고래목: Ceta c ea gen . and sp. ind et. 장비 목 : (Proboscid e a) Brmolop ho don annecte n s (Ma. ) 기 제 목 : (Peris s odacty la ) •Rhin o ceros• sp. (3) 풀라이스토세 ® 함경복도 경성군 동관전산 포유류 설치 목 : Cit ell us tom anensis Tok- unag a and Mori My os pa l ax cf. ep si l a nus Thomas M icr otu s maekawai Tokunag a and Mori Ochoto n a sp.
식 육목 : Hay e na ult ima dokant i- nensis Tokunag a and Mori 장비 목 : Mammonte u s prtm i ge niu s Blumenbach 기 제 목 : Eq u us prz ewalskii Pol. Rhin oceros anti qu it at i s Blum. 우제 목 : Cap r edtt s cf. pyga rg1 ,s oclzracea Barclay Cervus e/ap lz us e/ap lz as Lin n . Cervus elap hu s canadensis Erxle- ben Meg a ceros sp. Ovis cf. ammon Li nn . Bos pri m i gen iu s Boja n us Bi so n exq uz ts Mats u moto ® 황해도 겸이포 환산 채석장 포유류 식 육목 : Meg a nte r eon uih o wanen-sis (Te. & Pi. ) ® 함경북도 길주읍 부근 포유류 장비 목 : Palaeo/oxodon natm t a nni Makiy am a ® 경기도 개성군 제석산 석회 동굴 포유류 기 제 목 : Eq u us cabal/ us fos si/ is Linn . Rhin o ceros shin doi Tokunaga .
상기한 척추동물화석 중 봉산동화석을 연구한 高井 (1939a, 1950) 는 이 봉산화석 군이 몽고의 lrdin manha 충, 중국복부의 Yuanch'il 및 Kuan- Chu-an g통과 대비되며 지질시대는 에오세 말기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특히 그는 봉산화석군을 포함한 아시아 복동부 화석군은 아시아 남동부 産의 것과 성격이 다르다고 하였으며, 전자는 베-링 육교롤 지나 북미 대륙에서, 後者는 유라시아대륙의 남방경로를 따라 유럽 • 아프리카에서 각각 이동해온 것으로 생각된다고 하였다. 함경 복도 명 천충군에 서 산출된 어 류화석 Clllpe a sp. 를 비 못한 수종의 척추동물화석에 대하여는 상세한 연구가 행하여지지 않았다. 함경북도 경성군 溫 關 鎭産 풀라이스토世 척추동물화석군은 주로 森爲 三 (1935) 과 德永 • 森 (1939) 에 의하여 연구되었다. 그들에 의하면 이 화석군 중에는 古人類에 의하여 가공된 것으로 보이 는 골편 및 흑요석 가공의 구석기가 같이 산출되며 주변의 台地上에는 신석기시대의 석기, 토기, 동물의 곧편듈이 산재해 있다고 한다. 德永 • 森 (1939) 는 상기한 溫 關 銀 化石群중 식육류의 종류는· 극히 적은 데 비하여 초식류가 많으며 이중에도 馬類 가 가장 많은 것이 북 칭적인 데 이러한 化石相으로 볼 때 이의 서식환 경 은 현금의 몽고에 있는 초원 상태일 것으로 보았으며 그의 지질시대는 풀 라이스토世 중기말 또는 후 기에 해당된다고 하였다. 최근 孫寶基 (1980) 는 충청 북도 제원군 송학면 접 말 용굴에 서 다수의 선사시 대 유물과 함께 플라이 스토世 제 3 빙 기 (Ri ss Ice Ag e) 제 3 7J-빙 기 제 4 빙 기 (W ilrm Ice Ag e) 의 척 추동물화석 산출을 보고하였 다. 그에 의 하여 보고된 化石들을 시대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第 3 氷期 (Ri ss Ice Ag e) : 사슴, 노루, 오소리 , 족제 비 , 산달, 여 우, 표범, 동굴곰, 박쥐, 두더쥐 둥 第 3 間氷期 : 원숭이 , 하이 에 나, 코뿔소, 들소, 사자, 호랑이 , 표범 , 곰, 여우, 오소리, 족제비, 산달, 수달, 너구리, 사슴, 노 루, 박쥐, 갇밭쥐 등 第 4 氷期 (W ii rm Ice Ag e) : 하이에나, 호랑이, 표범, 곰, 오소리, 족 제비, 여우, 박쥐, 갈밭쥐, 옛비단헐취, 큰뒤쥐 등. 이밖에 第 3 闇氷期와 第 4 氷期層에서는 人骨의 파편도 출토되었다고 하였으며 상기 화석종들은 초원(들판)에 사는 종류보다는 산림 속에 사 논 종류가 많으며 이러한 구성으로 보아 접말 용굴은 갈대밭의 자연환 경에 놓여 있었을 것으로노 보았다. 한편 포항지역의 제 3 기충에서는 일찍부터 어류의 파편과 고래뼈 화
석의 산출이 알려졌으나 )굶j • 種이 同定된 바는 없었으며 근래 尹銃 外 (1978) 는 울산지역의 화 봉 리층에서 연골어류 홍어류에 속하는 가오리 의 1 종인 Dasyb atu s mp po nenszs Hata i and Kota ka 의 꼬리 침 부분의 화석 을 보고하였다. 제 3 절 고석물 제 3 기충에서는 前記한 동물화석과 함께 식물화석이 다량 산출된다. 이들 식물화석은 대부분 陸成推積層인 셰일, 이암, 이회암 및 응회암 에서 산출되며, 피자식물의 쌍자엽식물이 주종을 이루고 이밖에 단자영 식물, 나자식물 및 양치석물이 수반된다. 이들 식물화석의 산출을 지역 벌로 보면 다음과 같다. 3-1 포항―연일지역 경상북도 포항一연일지역에 분포하는 제 3 기충에서 산출되는 식물화 석 군은 주로 立岩巖 (192 4a) , 金原均二 (1935), 藤岡 (1943~1955, 1972), 桐 井 (1952, 53) 및 全希永 (1982) 에 의 하여 연구되 었 다. 全希永 (1982) 에 의하면 본 지역 의 제 3 기충에서 산출된 식물화석종은 총 41 속, 60 여종에 달한다. 이 화석종은 양치식물 3 종, 나자식물 7 종, 단자영식물 수종( 鑑 定不能)과 :::z.. 밖에 50 여종의 쌍자엽식물로 조성되었 으며 특히 쌍자영 식 물 중 너 도밤나무科 (Fam il y Fag a ceae) 가 4 속 11 종으 로 가장 우세 하고 그 다음이 자작나무科 (Fam ily Be tu laceae) 로 4 속 8 종 이 산출된다. 본 지역의 식물화석은 장기충군의 長홍植物化石群과 연일 충군의 연일 식물화석군으로 2 대분된다. 1) 長홍植物化石群 본 지역의 지질을 최초로 조사한 立岩巖 (1924a) 는 장기충군에서 약 40 종의 식물화석을 보고하였으며 藤岡 (1972) 는 포항시 금광동지역의 금광 동셰일에서 채집한 식물화석을 21 과 33 속 44 종으로 분류 기재하였다.
장기층군에서 현재까지 보고된 석물화석종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장기층군의 식물화석(藤岡, 1972) 양치식물門 고사리綱 참고사리科 Pte r id i 1 1 m shir a g ium Huzio k a 고사리科 Polyp o dit es uota n ii Huzio k a 생이가래科 Salvin a nia pse udofo n nosa 0. &Hu. 나자식물門 소나무科 P£cea kanehara£ Tanai & Onoe Pseudots u g a tan ai Huzio k a 낙우송科 Glyp tos tr o htt s europ a etts Heer Meta s equ o ia occid e nta l i s C haney Scia d op titys shir ag ica Huzio k a 피자식 물門 쌍자영식물網 버 드나무科 Sali x p ar asachali nen sis Tanai & Suzuki 가래나무科 Platy c arya mi oc enic a Hu & Ch. Pt er ocarya asym metr o sa Konno 자작나무科 Betu l a hommashin i c h ii Hu. & Ni. Betu l a sekie n sis Huzio k a & Ni. Betu l a shir a g ica Huzio k a
Carp inu s sim p l ic i b racte a ta Hu. Carp inu s ste n op h y ll a Nath o rst Carpi m, s subcordata Nath o rst C. s11by ed oe11sis Konno Ostr y a shir a g ian a Huzio k a 너도밤나무科 Fag u s a11t ipof i Heer Qu erctt s mi oc ris p u l a Huzio k a 느욥나무科 Ulmus slzir a g ica Huzio k a Zelkova ung c ri Kovats 범의귀科 Hy d rang e a mi ob rets c lmeid eri Hu & Chaney 목련科 Mag n olia mi oc enic a Hu & Chaney M. 11i ppo nic a Tanai 장미科 Sorbus pro to a /azfo / i a Tanai & Suzuki S. uzenensis Huzio k a 콩科 C/adrasti s a nie n sis Huzio k a 옻나무科 Rhus i11 ouei Huzio k a 단풍나무科 Acer ezoanum Ois h i & Huzio k a A. fa ts i a e fo li um Huzio k a A. nordenski o /di Nath o rst A. rotu n datu m Huzio k a A. 11/ Jpict u m Sapo rta 칠 엽 수科
Aesc11lus maju s Tanai 피나무科 Til i a remoti se rrata Ois h i & Huz- iok a 박쥐나무科 Alang ium aequ ali foli um (Goep p- ert) Trap e llacea e 科 Hemi tra p a boreali s M i ki 충충나무科
Cornus mi no ensis Huzio k a 전달래科 Rhododendron tat e w akii Ta, & Su. 감나무科 Di os py ros mi ok aki Hu & Chaney 물푸레나무科 Fraxim ,s tat e i w ai Huzio k a 인동科 Vi b urnum 11zenensis Huzio k a
藤岡 (1972) 는 장기 충 군 식물화석군이 현재의 일본 혼슈복부지역과 중 국 북부에 번성하는 아시아 온대성식물군과 일치하며, 특히 냉온기후인 내륙산악지대에서 번성하였던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는 또 이 식물군이 일본의 Ania i a n 식물화석군과 아주 밀접한 유사성을 보인다고 하였으며 이 식물군의 시대를 초기마이오世로 보았다 . 그러나 全希永 (1982) 은 장 기식물화석군은 후기울리고世 내지 최초기 마이오世의 시대로 보는 것 이 더 타당하다고 하였다. 2) 연일식물화석군 藤岡 (1972) 는 연일식물화석군을 17 과 27 속 35 종으로 분류 기재하였는 데, 이중 가장 우세한 종류로는 너도밤나무과와 녹나무과에 속하는 것 둘이라고 하였다. 그에 의하면 이 연일석물군은 온난한 해안성식물로 현재 일본의 중부와 남부, 대만 및 남부 중국 둥 동부아시아의 온대지 역에 서식하는 식물군과 뚜렷한 근찬관계를 나타내며 시대적으로는 일 본의 중부 마이 오世 Daij im an 식물군에 일치한다고 하였다• 다음은 藤岡 (1972) 에 의하여 기재된 연일충군산 식물화석종이다.
採子植物門 소나무科 Pi nu s mi oc enic a Tanai Kete l eeria ezoana Tanai
낙우송科 Sdadopz tys s!t ira g ica Huzio k a 피자석물門 쌍자영식물綱
가래나무科 Pt er ocarya asym metr a sa Konno 자작나무科 Carpi m1 s hokoensis Endo Carp inu s ste n op h y ll a Nath o rst Carpi mi s s11bcordata Nath orst 너도밤나무科 Casta n ea tan aii Huzio k a Fog u s cf. haya ta e Palib i n Casta n op si s poh ang e nsis Huzio k a Cy c lobolanop s is huzio kai (Tanai) Cy cl ob ala nop si s mandra/i sco e Tanai Cy c lobalanop si s yab ei Huzio k a Pasania mi ol :y po p h aea (Tanai) Pasania pr oto h onis lz i i (Tanai) 느룹나무科 Z!:lkoba ung e ri Kovats 녹나무科 Cim 1amomum lanceo/at1 1 m Heer Cryp toc arya ennic ! t ien sis Tanai Lt d era gr andin i Tanai Phoebe mi of o r mosana Tanai 버즘나무科 Plata n us gu t llel mae Goep pert 조록나무科
Lig u id ambar mi os in i c a Hu & Ch. Parroti a f a g ifoli a H eer 콩 科 Enta d a mi of o r mosana Tanai 단풍나무科 Acer norde11skio ' ld i Nath o rst Acer pr oto t r ifidiu m Ta. & On. Acer s11bp ictu m Sap o rta 무화과나무科 Sap ind us kanelzarai Tanai 갈매나무科 Paliu r ztS koreanus Huzio k a 박쥐나무科 A/ a11 g i1m1 acq u alt foli u m (Goep pe - rt) Trap e llaceae 科 Hcmi tra p a yok oy am ae Mi k i 진달래科 Rlzododendron tat c w akii Ta. & Su. 물푸레나무科 Fraxin t t s emzic h ie n sis Tanai Cf. Fraxin u s ins ularis He m sel 소속불명 Carpi tes jap o nic a Ishid a .
3-2 갑포-어일지역 立岩巖 (1924) 은 포항지역에 인접해 있는 감포―어일지역에 발달된 재 3 기충의 감포역암에서 다음과 같은 식물화석을 보고하였다.
감포역암 나자식물門 낙우송科
Sequ o ia lang s dor/£ Brong n. 피자식물문
자작 나무 科 Bctu l a brong n ia r ti i Ett . Carpi mi s gr andis Ung . 너도밤나무科 Fa g u s anti po fi i Heer Fag o p h yl l1 1m go tt sc lt ei Nath o rst ? Qu erw s sp. Q. sp. 참 냐무科 Casta nea kubin y i Kovats 충층 나무 科 Cornus cf. sub macrop hy ll a Nat. 운향 科 Za11t ho xy lo n cf. ail a nth o id e s Set.
느룹나무 科 Planera tiliaef o li a A. Br. 무화과나무科 Fi cu s tiliaef o li a A . Br. 갈매나무科 Ra mnzes ga udin i Hr. 단풍나무 科 Acer tri i oba tu m Stb . A. cf. pictie m Thunbg. A. sp. 가래나무科 Jug /a ns acumi na ta A. Br. J. nig e lla Hr.
감포역암 상부의 어일 충에 서도 보존불량한 식물화석 파편이 산 출 되며 立 岩 (192 4) 에 의하여 피자식 -문 에 속 하는 포도科의 Vi tis s p ., 너도방냐 무 Js r 의 Fag u s anti po fi i Heer 및 Q1 1erc11s sp. 등이 보고되 었 다. 이 밖에 겅 상북도 정翻 궁― 盆t정 지 역 어 1 분포하는 제 3 기 충의 최상부총인 영 동 충 에 서 波多江 (1937) 은 너 도밤나무科 Q1 1e rc us sp. , 조록나무科 Liq 1 1- ida m bc r for mosmwm, 옻나무과 Rhus sp. , 단풍나무 r: 3 r Acer sp. 및 감탕나 무科 I/ex sp. 등 을 기 재 하였 다. 3-3 북평지역 小 林國夫 (19 4 8) 는 강원도 北坪地 域 의 제 3 기 충에 서 자작나무과 Carp- im e s jap o nic a Blume, 너 도밥나무과 Qu ercus cf. drym eia Ung e r 및 마름 과 Trap a cf. yo koy am ai Nath o rst 등 3 종의 식 물화석 울 보고하였 으며 , 같은 지역에서 최근 林淳福 (1984) 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식물화석이 보 고되었다.
나자석물門 낙우송科 Meta s equ o ia sp.
소나무科 Pin u s sp. 피자식물門
자작냐무科 Betu l a cf. yo1 1g b uk11esis Huzio k aBetu l a sp. Carpi nu s sp. 너도밥나무科 Fag u s koraik a Huzio k a Fagt ts sp. Pasania sr Qu erci, s cf. kodair a i Huzio k a 박취나무科 Alang ium sp.
때죽나무科 Sty r ax sp. 옻나무科 Ri m s sp. 전달래科 Rhododendron sp. 버드나무科 Salix sp. 감탕나무科 I/ex lzeeri Nath orst
林淳福 (1985) 은 상기한 복평지역의 제 3 기 식물군이 Arct o- Tert iar y 식 문화석군에 속하며 지질시대는 마이오世 중기 내지 후기에 해당할 것으로보았다. 3-4 북한지역 1) 황해도 봉산탄전 본역에 발달된 제 3 기 지충에서 다음과 같은 식물화석이 산출되었다.
피자식물문 버드나무科 Pop ul us g/ andulif era Heer P. zaddacli i Heer P. arcti ca Heer 소귀나무科 My rz c a cf. calUcomaefo U a Les- qx. 가태나무科 Jug / ans? sp. 뽕나무科 Fi cu s occid e nta l is Lesqx . F. sp.
버즘나무科 ? Cred neria comp ar ahil i s Hollik Plata m ,s aceroid es Goepp e rt P. qu il /e/m ae Goepp e ·• P. sp. 노박덩굴科 Celastr u s sp. 단풍나무科 Acer arcti cu m Heer 무환자나무科 Sap ind us cf. lanc tfoli 11s Lesq x . 갈매나무科 Zy z yp h 11s cf. ps eudomeeki Holl ik
드릅나무科 He d era sp. 인동科
Vibu rnum nordenskio l di Heer V. cf. sp inu losum Heer
이 식물화석군에는 한반도의 다른 지역 제 3 기충에서 많이 산출되고. 있 는 Seq u oia 와 Glyp tos tr o hus 등 나자식 물의 구과류가 나타나지 않으며 대 부분 황 영수로 되어 있는 접이 특색이다. 이 식물화석군은 극지방 마이 오世 식물군에 해당되며 지질시대적으로는 에오世 후기에 속할 것으로 생각된다. 2) 함경복도 회령탄전지역 본 지역에 넓게 분포하는 제 3 기 퇴적층은 市村毅 (1927) 에 의하여 최 초로 조사되 어 회령통으로 명명되었다. 이 제 3 기 퇴적충은 하부로부터 遊仙屈 行 營府 및 filt山府으르 세분되었고 식물화석은 유선충과 행영충 에서 주로 산출되고 상부의 증산층에서는 보고된 바 없다. 다음은 본 지역에서 산출된 식물화석들이다.
유선충 나자식물門 은행나무科 Gi nk g o adia n to i d e s (Ung e r) 소나무科 Pi ce a kaneli ar ai Tanai & Onoe 낙우송科 Sequ o ia /ang s dorfi i Br. G/yp tos tr o bus europ a eus Br.
피자식물門 자작나무科 Carp inu s suocordata Nath o rst 충충나무科 Corr.u s stu d eri Heer 단풍나무科 Acer pse udog inn ale Tanai & Onoe
이 밖에 種名이 불확실한 Pi nu s, Pop u lus, Plata r .z lS , Fag u s, My ri c a 및 Os- mzmda 등이 산출된다.
행영충 나자식물門 낙우송科
Sequ o ia lang s dorfi i Br. S. cutU sae Heer
1axoditt m europ a eu s Br. T. dis t i c h um mi oc cni c u m Heer G!yp tos tr o bus e11 rop a eus Br. Me ta s eq uo ia occid e nta l is Chaney Sc iad op t'tys shir a g e a Huzio k a 소나무科 Pi nu s hep ios (Un g . ) 피자식물門 너도밤나무科 Casta n ea tan aii Huzio k a Fag u s anti pof i He er F. koraic a Huzio k a F. uota n ii Huzio k a Qu ercus kodair ae Huzio k a Q. mi oc rt sp 1 tl a Huzio k a Qu ercus lonch ites Ung . Q. cf. denti cu lata Heer Q. arto c arpo i d es Q. cf. my r ti lloid e s Ung . 가래나무科 Eng e lhardit ia k oreanic a Ois h i Pt er ocarya asym metr o sa Konno 자작나무科 Betu l a koraic a Huzio k a Carpi nu s endoi Huzio k a C. ky us h ine nst's Endo C. ste n op liyll a Nath o rst Alnus kef e rste i n i i Goep. 느릅나무科 Planera ung e rt' Ett .
Ulnms bronni Ung . Ze lk ova 1mg e ri Kovats 계수나무 科 Cercid i p lz y ll um ccrnatr m s Browm 버즘나무科 Plata n us aceroid e s Goe p. P. gu il lelm ae Goep. 조록나무 科 Hama m eli s p ro to j a p on ic a Ta n ai & Onoe 소태나무과 Ai fo n tl ms yez o e n s is Ois h i & Huz- iok a 멀구슬나무 科 Cedre la pter a fo r mi s Brown 버드나무 .科 Pop 11 l1/. s cf. art i ca Heer 단풍나무 科 Acer pal aeo p l a ta n oid es Endo A . pr o to t r i f idiu m Ta n ai A. sp. 박쥐나무科 Alang iilm aeq ua lif oliu m (Goepp e - rt) 전달래과 Enkia n tl ms koreanHs Huzio k a 소속불명 Carpi tes lzoerym onsis Huzio k a C. koreana Huzio k a C. kung s him cnsis Huzio k a
藤岡 (1972) 에 의하면 상기한 회령동의 식물화석군은 인접지역 인 함경 복도 경원군, 고건원지역에서 산출된 마이오세 식물화석군과 밀접한 근천관계불 보이며 중국본토와 일본의 혼슈(本 )11) 에 서식하는現生 식물군 과도 큰 類似性울 나타낸다. 이 회령식물화석군의 시대는 복부 일본으l
중부 마이 오 세 Da iji man 식 문군 및 소련의 Ussur i지 역의 Possie t t4의 마이오세 석물군에 대바된다. 3) 함경복도 경원지역 본 지역의 제 3 기 되적충은 Endo(1933) 에 의하여 조사되었으며 충서 는 세분되지 않았으나 인접지역인 회령 부근의 會寧統 과 그의 충서 관계 와 앙상이 유사하다. 특히 2 충의 단충이 협재되며 식물화석은 상부 함 탄충에서 주로 산 출 된다. 이 식물 화석은 경원군, 古乾源에서 주로 산 출 되 기 때 문에 고건 원 식 물화석 군으로 알려 지 고 있 다 . Huzio k a(1972) 에 의하여 본 지역에서 보고된 화석종은 다음과 같다.
고건원 식물화석군 양치 류 식 물 F1 생 이 가래 .f-'t Sa!vin a pse udof or mosa Oi. & Hu. 나자식 물門 소나무科 Kcte / e e ria ezona Tanai Pscu dotS tiga tan a ii Huzio k a 낙우송科 Glyp tos tr o bus europ a eus Heer G. orie n ta ! is Endo Meta s cq uo ia occid e nta / i s Chaney Scia d op itys slzir a g ica Huzio k a 편백 科 Ca/ocedrus noto e nsis (Mats u o) cf. Th1ej op si s mi od o/abrata Ta. & Su. 피자식물門 버 드나무科 Sali x l avate r i AI . Braun 레 나무科 Eng e llia r dti a koreanic a Ois h i
자작나무 科 A/nus tsu dae Huzio k a & Nis h id a Betu la koraic a Huzio k a B. yon g pu kensis Huzio k a Carp i,w s ko dair a e- b raete a ta Hu. 너 도방나무 科 Castn a ea tan aii Huzio k a Fag u s koraic a Huzio k a F. pro to j a p o ni ca Suz uki F. pro to l ong ipe ti o/a ta Huz iok a F. uota n i i Huzio k a Qu ercus kodair a e Huzio k a Q. endoarm Huzio k a Q. pro to d enta t a Tanai & Onoe Cy cl obalanop si s mandralis c ae Ta. C. yab ei Huzio k a 느릅나무科 Zelkova 1mg e ri (Ett ingsha usen) 수련科 Nelumbo sp. Bi ph y iiac eae 科
Cercid ip h y //1 1m crenatu m (Ung e r) 목련科 Lir i o d endron meis e nense Endo 버 즘나무科 Plata n us gu il lelm ae Goepp e rt 콩科 Gledit sia mi os in e nsis Hu & Chaney 감탕나무과科 I/ex Jz.ee ri Nath o rst 노박덩 굴科 Euony m usp ro to b ung e ana Hu & Ch· 단풍나무科
Acer cu11eat1 11 11 Huzio k a A, kokang e1 1e 11 se Endo A. koreanic u m Endo A. tri l o batu m pro d11ct1 1 m Al . Br. 포도科 Vi tis k og e onweonsis Huzio k a 두릅나무科 Kalop a1 1ax cenf ol i um (Naih o rst) 메 꽃科 Porana kokang e nensis Endo 박쥐 나무 科 A/ang ium aeq ua lzfo l iu m (Goep . )
상기 한 42 종의 고건원 식물화석 군 중에 서 너 도밤나무과가 4 속 11 종으 로 본 화석군의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동부 아시아의 마이오세 석물군 중 가장 대표적인 식물로 알려진 자작나무과가 본 화석군에서는 빈약하 게 산출된다. 이 고건원 석물군의 대부분은 현재 중국 본토에 서식하고 있고 거의 반수 이상이 한국에서도 생촌하고 있다. 이 식물화석군은 溫帶性 森林의 특칭을 나타내며 함경북도 길주, 명 천지역의 함전동충 식물화석군보다는 다소 더 따뜻한 기후상태 를 지시 한다. 시대적으로 이 식물화석군은 이미 앞에서 억급한 회령통의 식물 화석군과 같이 일본 복부의 중부 마이 오세 Daij im an 식 물화석 군과 소련 의 Ussuri 지 역 의 Possie t 潟 의 마이 오세 식 물화석 군과 대 비 된다 CHuzio k a 1972). 4) 함경복도 길주 • 명천 본 지역의 제 3 기충 식물화석은 용동총과 함전동충에서 산출되며 立 岩巖 (1925), 遠藤 (1937) 및 藤岡 (1972) 에 의하여 연구되었다. 立岩 (1925) 은 상기한 두 충에서 31 종을 보고하였고 遠藤 ( 1937) 는 함전 동충에서 24 종을 새로 추가 보고하였다. 근래 藤岡 ( 1972) 는 본 지역의 식물화석군을 종합하여 용동충에서 12 과 15 속 21 종, 함전동충에서 23 과 31 속 51 종을 보고하였다. 藤岡 (1972) 에 의하여 보고된 두 충의 식물화 석종은다음과같다.
1 용동총 나자식물門 소나무科 Pi ce a 11g o ana Huzio k a 낙우송科 Glyp tos tr o bus e11rop a eus Heer Meta s eq uo ia occ ide nta l is Chaney 피자식물門 가레나무科 Pt er ocarya asym metr o sa Konno 자작나무科 Betu l a my on chong e nsis Huzio k a Carp ime s subcordata Nath o rst Ostr y a shir ag ian a Huzio k a 너도방나무科 Fag u s anti po fi Heer 느릅나무科 Zelkova ung e ri Kovats 계수나무科 2 함진동층 양치식물門 속새綱 속새科 Eq u is e tu m sp. 양치식물綱 꼬리고사리科 Dryo p ter is sp. 나자식물門 소나무科 Pi ce a kaneharai Tanai & Onoe Pi ce a ug o ana Huzio k a 낙우송科 Glyp tos tr o bus europ a eus Heer
Cercid ip h y lf o m crenatu m Brown 장미科 Rosa shanwang e nsis Hu & Chaney 단풍나무科 Acer mi oh enryi Hu & Chaney Acer nordenskii i/d i Nath o rst Acer rotz m datu m Huzio k a Acer subp ictu m Sap o rta 칠엽수科 Aescu/us mi oc hin e nsis Hu & Ch. 피나무科 Til ia d is t a n s Nath o rst T. meis e nensis Huzio k a T. sekie n sis Huzio k a & Ni sh id a T. subnobil is H uzio k a 박쥐나무科 Alang ium aeq1 , a/1J ol iu m (Goep. ) Meta s eq uo ia occid e nta l i s C haney 피자식물門 버드나무科 Pop ul us balsamoid e s Goepp e rt 가래나무科 Jug / ans shanwan g en 퍄 Hu & Ch. Pt er ocarya asym metr o sa Konno Pt er ocarya pr oto s te n op ter a Tanai 자작나무科 A/nus tsu dae Huzio k a & Ni sh ida Carpi nu s ste n op h y ll a Nath o rst Carpi nu s subcordata Nath o rst 너도밥나무科
Fag tts anti po fi Heer Fag u s koraic a Huzio k a Fag u s pr oto d e1 1t at a Tanai & Onoe 느릅나무和卜 Ulm. es carpi no id e s Goep pe rt Ulm11s shir a g ica Huzio k a Zell,ova 1-m g e ri Kovats Cerci di p h y l laceae 科 Cercid i p h y ll 11m erenatu m Brown 목련科 Lir i o d endron meis e 11ensis Endo 녹나무科 Liu dera ga 11din £ Tanai Sassafr a s yab e£ Endo & Okuts u 버즘나무科 Plata n us gu t llam ae Goepp e rt 조록나무科 Hamamelis pr oto j a p o nic a Tanai & Onoe Liq u £damber mz os in i c a Hu & Ch. ParroUa fa g ifoli a H eer 장미科 Prunusee11doana Huzio k a 콩科 Cercis ois h i £ Huzio k a 단풍나무科 Acer endoanum Huzio k a
A. ezommt Ois h i & Huzio k a A. me is e nesis Endo A. nordenskib /di Nath o rst A. pa/ aeo dia b oie u m Ta. & On. A. pa/ aeo p /a ta 1 1oi d es Endo A. pal aeo r uf ai n e rue Ta . & On. A. Proto j a p on ic u m Tanai & Onoe A. pse 11dog i11n a/a Tanai & Onoe A. subp ictu m Sap o rta A. tri / o batt lm var. pro d11ct1 1 m Al . Braun 칠영수科 Aescu/u s mi oc h ine mi s Hu & Ch . 피나무科 Til ia d is tm .s Nath o rst Til i a meis e nensis Huzio k a 진달래科 Rhododendron ois h ii Huzio k a Rhododendron tat e w akii Ta . & Su. 감나무科 Di os py ro s mi ok aki Hu et Chaney 때죽나무科 Sty r ax pr oto o bassia Tana i & Onoe 물푸레나무科 Fraxin u s ois l t ii Huzio k a
상기 식물화석 종에 서 보는 바와 같이 용동충의 식 물화석 군에는 Acer 속과 Ti li a 속이 가장 우세하고 3 종의 구과류와 18 종의 쌍자영식물종이 포함된다. 藤岡 (1972) 은 용동총의 식물화석군은 냉온대성 식물군으로 대부분 (70 %)이 현재 복부 중국에서 발견되며 일본에서도 이의 약 50% 가 생촌 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 용동충의 식물화석군은 남한의 장기충군의 식 물화석 군과도 공통종이 비 교적 많고 구과류 특히 Glyp tos tr o bus 와 Pi nu s
에 속 하는 종류가 많음기 특 칭아다(立岩 /, ~ 1976). 따라서 그의 시대는 장기식물군과 동일 시대로 간주된다( 藤 岡 1972). 함전동 식물화석군에서는 Acer 속이 가장 우세하여 11 종이 보고되었 으며 이 植物種은 현재 한국을 비못하여 중국본토, 일본 및 대만 둥 동 부 아 시 아에서 현생하는 종류와 밀접한 유사성을 나타내며 이중 한국의 현 생 식물군보다는 오히려 중국 복부와 일본의 혼슈 중부 내지 남부에 서식하는 종류들과 더 가까운 근천성을 나타낸다. 藤 岡 (1972) 에 의하면 합전동 식물화석군은 용동 충 의 식물화석군보다 더 온난한 기후상대의 식물이었으며 포항지역의 연일충군 식물화석군과 같이 해안 연변의 저 지대에 살았던 식물군이었고 지질시대적으로는 중부 마이오世로 일본의 Nis h ik u rosawan 에 대 비 된다. 5) 함경남도 신홍지역 함경남도 신홍군 오로리지역에 소규모로 분포하는 제 3 기총 장풍리충 에서도 식물화석이 비교적 풍부하게 산출되나 대부분 보촌이 불량하며 다음과 같은 종류가 立岩 嚴 (1926) 에 의하여 보고되었다.
나자식물門 낙우송科 Glyp tos tr o bus europ a eus (Brown) 피 자식 물 r~ 자작나무科 Carp inu s gr andis Ung .
너도밤나무科 Fag u s anti po f i Heer 소귀 나무科 Comp ton ia nart m anii (Nath o rst) 버드나무科 Sali x m acrop h y ll a Heer
6) 강원도 통천지역 동해 연안의 원산만 남동쪽에 위치한 강원도 통천군에 소규모로 발달 된 제 3 기 되적충을 通川層이라고 한다. 이 충은 선제 3 기의 화강암과 편마암위에 부정합으로놓이는 지충으로 기처부에 현무암질집괴암이 있 고 그 위에 여암, 사암, 이암이 교호하는데 여기에 薄層의 단충이 수매 협재된다. 두께는 약 200m 이다. 식물화석은 주로 본충 상부의 이암에 서 산출되며 Ich i mura(1928) 와 遠藤 (1938,39) 에 의하여 연구되었고, 근 래 藤岡 (1972) 에 의해 아래와 같이 12 과 15 속 20 종이 기재되었다.
통천충의 식물화석 (藤岡, 1972) 나자식물門 소나무科 Pin u s sp. 낙우송科 G/yp tos tr o bus europ a eus Heer Mata s eg u o ia occid e ntal i s Chaney 피자식물門 버드나무科 Pop ul us lati or AL Braun Sali x p ar asachali nen sis Ta. & Su. Salix ton g c heonensis Huzio k a 소귀나무科 Comp ton ia naumanni Huzio k a 가래나무科 Pt er ocarya asym metr o sa Konno 자작나무科 A/nus cf. tsu dae Huzio k a & Ni s. Betu la sublute a Tanai & Suzuk i
너도밤나무 科 Fag u s a11t ipo fi Heer 느릅나무科 Zelkova ung e ri Kovats 계수나무科 Ccrcid z p hy l l um cren atu m Brow11 단풍나무 科 Acer ezoanum Ois h i & Huzio k a A. norden s kio ' ld i Nath o rst A. pal aeo p la ta n oid es Endo A. Proto t r i f idiu m Tanai A. subp ict 1 1m Sap o rta Trap e llaceae 科 Hemi tra pa yo koy a mae Mi ki 박쥐나무 科 Alang ium aequ ali foli u m (Goep p- ert)
이 통천식물화석군은 그의 종류가 빈약하나 藤 岡 (1972) 는 이를 포항 지역의 장기충군 식물화석군과 연일충군 식물화석군의 중간형을 나타내 며 득히 이 식물군의 시 대는 일본의 중부 마이 오世 Daij ima n 식 물군과 밀접한 근찬성을 갖는다고 하였다. 요약 : 藤岡 (1972) 에 의하면 한반도의 제 3 기 식물화석군 중 봉산탄전식 물군을 계의한 동해안지역의 장기, 연일, 용동, 함전동, 고전원 및 통천 식물군을 종합하면 45 과 79 속에 속하는약 140 종의 식물종이 기록되었고 이중 가장 풍부한 것은 자작나무과 (4 속 17 종) 너도밥나무과 (6 속 17 종) 및 단풍나무과 (18 종)이다. 한편 이들의 시대는 마이오世로, 長븀 와 龍 동식물군은 일본의 초기 마이오世인 Ani a i an 에, 동천, 회령 및 고건원 식물군은 중기 마이오世의 초기 Da iji man 에, 함전동과 연일식물화석 군은 중기 마이 오世의 후기 Daij ima n 혹은 Ni sh ik u rosawan 에 각각 대비된다. 古氣候로 볼 때 장기 -용동식 물화석 군은 냉 온대 (cool-te m p e rate ) 기 후를
겨시하며, 동천, 고건원, 공십동식물화석군은 온난기후대로 전자보다는 기후가 더 따뜻한 상태였음을 나타내고 연일, 함전동식을화석군은 서로 다른 두 기후상을 나타내는데 남부의 연일식물군은 온난한 기후를, 복 부의 함전동식물군은 냉온기후를 지시한다 . 제 4 절 미고생물 한반도의 신생대 제 3 기충에서는 유공충을 비롯하여 규조화석, 개형 충류, 화 분과 포자화석 , 雙 額毛 蟲 , 실 리 코플라제라타, 에 브라디 아 및 방 산 층 등 여 러 종류의 미 화석 이 산출된다. 이 들에 관한 연구는 1960 년대 이 후 주로 국내 학자들에 의하여 행하여졌으며 앞으로 더 활발히 연구 될 전망이다. 이들 미화석의 산출을 각 분포지역 별로 보면 다음과 같 다. 4-l 포항―감포지역 1) 유공 충 본역 에 분포하는 제 3 기 의 연 일충군에 서 金 鳳 均 (1965) 은 다음과 같이 59 속 162 종에 달하는 저서성 유공충화석과 7 속 21 종의 부유성 유공충 화석을 보고 하였다. 포항지역 제 3 기총의 유공충 화석(김봉균, 1965) ® 처 서 성 유공충 * CD = 大 谷 層 , E= 利洞層 , P = ii l i項層) Ammobaculi tes sp. …… ……… …… ……………… ···D, E Ammonia beccarii (Lin n aeus) ………………… D, E, P A. beccarii po lzang e nsis Ki m ······… …………… D, E, P A. sil l aensis Ki m ···… … …………………… .•... .D , E, P Amp hi c o ryn a scalar is ( Bats c h)… .. ................. E, P A. scalaris sag a mi en sis (Asano)··… ………… .••. D , E A. sp p. ……………………………… ............... …•. .... D Aste r ononio n umbil icul ulum Uchio ••• …… ... .. .. .. D , P Bag ina ph il ippien sis pilul ,Je r a Cushman… … ...D , E
Both y sr p ho n sp. …………………………… •••• .• ••• D, E, P Boli vin a alata (Seg u enza) ……………………·… ··E, p B. sp ines ens Cushman ……………………………… ... D B. str i a t u l a Cushman •• ………………………… ·D, E, P B. korea11i ca Ki m …………………………… •• ……… ·E B. /za y a sakai Ki m ……………………………… ......... £ B. sp . …………………………… ……… ………… ...... D, E Buli mi n a aculea ta d'Orbig n y ……… ..................... £ B. elong a ta ten era Reuss .... . ……………… .......... D , E B. cf. exil is t en u ata (Cushman)… …………… D, E, P B. cf. i11f la ta Seg u enza .. ……………………… .... £, p B. str i a t a d'Orbig n y… ………………… ..•.. •. .•... D, E, P B. subcalva Cushman & Ste w art …… ....••..••.•••• D, E B. sp. ……………………………………… .............. …· E B. spp . ………………………… ............... ………… ... p Cancris in dic u s (Cushman) •••• • .. ……………… •• D, E, P C. sp. ……………………………………… •••••••••••• D. E Cassid u l ina asanoi Uchio ·………… ...••.•••.••••• D, E Chi losto m ella ovoi d ea Reuss …… ..•..•.• • ..•..•.••.•• D, P Ci bi c i d e s mallory i Mat. … … .. ………… •••••••••• D, E, P C. ps eudoung e ria n us (Cu. ) ................ ……… ........ £ C. sp. . ……… ........................ …………… ........... E, P Crib r oetp h id i um sp. ·……………………… ••••••••••• D, E Cy cl ammi na inc is a (Sta c he} ……… ............. …. . E, p C. jap o nic a Asano •…………………………………… .. p C. cf. pac tJ ica Beck, .......................... …...…... .....… ........ ............................ p 0 C. sp. a ......... . .........
C. sp. ............. ……………………………… .............. p Denta l i na cf. yab ei Asano ....... ……………… ••••• D, E D. sp. a .•..••. ………………………………… ••••• D, E, P D. sp. . …………………… .......................... -....... E, p Di sc orb ine lla brady i (Cushman) .... … ••••••••••••••••• D D. sp. ....... …… ................ …… ............. ............. D Eg ge rella sp. a ......•.......•...•.. •••••••••••••• ……… E E. sp. . ………………………………… ........ ….. ........... p Elph id i u m eti go ense Husezim a & Maruhasi . .. •. . D, PE. je nseni (Cushman) ……… ............ . ........ …… ... E E. subin certu m Asano …… ........ .. … …………… ·····E EE.. sspp. . ba …… ………………………… .…...…... ….. .… ……………… ...…...….. .…. ..….. .…. .. ..... E..,. pP E. sp. ………… ............ ……… ......................… .. D, P Ep isto m i n e/l a ja p o nic a(Asano) ……………… ......... E Ep on i de s umbonatu s (Reuss) …… … ... ... .. ... .. .. D, E, P E. yeo ng i//m anensis Kim … ……… …… ……… ......... E Fi ss urin a orbig n y a na Seg u enza•… …………… ........ p FF.. shpa. t•a• •i •i … K…i m… -…-·…… .…. ..… …………… .…...…. ..…. … ...…...…...…...…...…... ·.· D·· ,· EE Flori/ u s kid oharaensis (Fukuta ) …… ............ …… D F. kid o haraensis iw ahorii (Fukuta ) ……………… D F. sp. a .... …………………………………………… ··D, p Fursenkoin a brady i Cushman•… ………………… .. E, p F. comp !a n ata (Eg ge r) •••• ………………… ..... D, E, P F. ish ik ie n sis (Asano) •••• .•..••...••••••• …… .... D, E, P F. sp. . …………………… ........................ .. ... ” .... E, p Frondic u /aris sp. •…………………… .................... E Gaudrin a karih aensis Asano ........ … .. ... ... . . ......... D G. yab ei Asano ........ …… …… ………………… •••• D , E Globocassid u/ ina glo bosa (Hantk e n) ... ~ .......... E, P G. cf. orie n ta t e (Cushman) …… ........................ 0 G. subg /o bosa dep re sse Asano & Nakamura .. ·D, E, P G. sp ........... ………………… ….. ............ ......... . D , E Gu ttul i na irreg u /aris nip po nensis Cushman & Ozawa ·…………………………………… •••••••• D, P G. cf. yab ei Cuhsman & Ozawa ..................... E, P G. sp . .. ...•. … ………………… .......... .. ...... -... .... ….. E Gy ro id in a orbic ularis d, Orbig ny ..................... D, E G. hang u kensis Ki m … .. .... …... ...................... D, E, P Hap/ oph rag m oid es comp r essum LeRoy ...... …D , E, P H. renz1· Asano .... …… ..... ..... .. ........... .. ....... D, E, P H. cf. tru / lissa tu m (Brady ) .............................. E H. sp . a ......................................................E ,P H. sp. b ................................................... D, E, P
H. sp. c, ...... ……………………… .... …… ............. E, P HH.o ps kp ip n .s •i …n a … s…hi…m …bo…i M…a…ts… u n…ag… a … ...…...…...…...… ……… •.•. D..,. .E..,. Pp H. sp. a .......... ….. ............. ………………………… .. E Karrerie lla sp. .. ...... … ………………………… ·D, E, P Lag e na sp. a ~ .............. ………………………… .. E, p L. sp. b •• …… .............. ………………………… ..... p L. sp . . .... ...... …………………… ................... D, E, P LL.e nctia c/ucl ai rn ah yc uan/ gc ha ra en(Lsii ns n Kaei ums ) ..••.•.•.•.•.•.•.•.•.•. ……………… …...…... .... EE L. lucid a (Cushman) ...... ·… .......................... …... E L. orbic u laria (d'Orbig n y )…… .................. ” ....... E L. sp. a .••••••••••• …………………………… ...... D, E, P L. sp. ' •••••••• ………………………………………… •• D Marg im, li na gl abra d'Orbig n y ………… ....... …… .. D Marti no tt iell a brady a na tar ukie n sis (Asano) …·· ·D MM.. ncoomdumlousnai s ( C(du'sOhrmbiag nn) y . ).•.….•.… …….. .…...…...…...…...…... .• D ..,. .E..,. DP M. sp. ……………………… ...................... ….. . D, E, P Melonis aim onoi (Mats u nag a) ….. ...... .. ................. D M. nic o barensis (Cushman) …………… ......... D, E, P M. po mp iliot'd es (Fic h te l & Moll) …………… D, E, P Nodosaria laevig a ta (d'Orbig n y ) .. …… ............ …·E N. sp. a ....... ……………………………… .........•. D, E Nonio n ella mi oc enic a ste l la Cuhsman & Moy e r .. •E, P N. cf. gr ate l oup i (d'Orbig n y ) …………………… ... E N. scap ha (Fic h te l & Moll) .......... ……… ..... D, E, P NPOlo. eicl sntp oa .f r mo. .ne…ldo…i c du… 'lOa…rrbi…ai g …nj ay…p . o…. n..i… …c a …… (……A……sa……no……) .……...……...……. … ….D·· ·., .·E.·.·,.· EpP P. sp. .....••...••• …… ............ …………………… ........ E Praeg lo bobuli mi n a ovata (d'Orbig n y ) .. ··……… .. D, E P. pup oi d e s (d'Orbig ny) •……………………… ••••• D, E Qu in q ue loculi na semi n urin a (Linn aeus)···…. . ........ £ Q. sp. ………… ........... ……………………… ............. £ Reussella sp. a ................................................ D
R. sp. b… ………………… ...................... ………… ··D Saracenaria sp. a …·………………………………… ··E S. sp. b .………………………………………………… ··E Sig m oid ella pac if ica (Cushman & Ozawa) .. , ... D, E Sig m omorph ina koto i Cushman & Ozawz …·…… ··E Sp ha eroid in a cf. comp ac ta Cushman & Todd… D , E, P S. sp. ………·……………………………………… •• D, E Trzf a rin a hug h esi (Galloway & W iss ler) …… ···E, P T. kokowraensis (Asano) ··…………………… ·D, E, P T. sp. r ina ·a … c …an…ar…ie… n s…is … d…'O…rb…ig …n y… ………………………………… ·· ·.·.·.D p Uvig e U. cf. hoots i Rankin …………………… ......... D, E, P U. nit idu lla Schwag e r… … ........... ………………….p U. Probosc ide a Schwag e r ……………… ......... D, E, P U. seg u ndoensis Cushman & Gall ihe r ......... n, E, P U. yab ei Asano .……………………………………… …...…... .•.• D, E, P ~U:. :y:e~o .n ~i l..l ·e.·.·n.·.s·.·i.·s. · . ·.K·.·.·i. m·.·.· .···.· ..·..· ….·.·.·….·.·.…·.·.·.…·.·.·.·.·.·.·.·.·.·.·.·.·.·.·.·.·.·.·.·.·.· .D·.·.,~ ·E.~,: :P U. sp. a .... ………………………………… ........ D, E, P Uvig e rin ella sp. …………………… ............... ……… E Va!vulin eria asanoi Ki m · ... ………………… ..... D, E, P ® 부유성 유공충 G/obig e rin a ang u sti um bil l ic a ta Boll i ….. ....... D, E, P G. bulloid e s d'Orbig n y ……… ....... ………… ··D, E, P G. Ja/ conensis Blow ••••••• ………………………… .. E, p G. gl ut ina ta Eg ge r .............. ….. ............... …… ··E, P G. pac hy d erma (Ehrenberg) ………•……………… ··E GG.. ppraar eabbuullllooiid de e ss BBllooww ·.….. .….. ……………………………………………… .... .D..,. ED G. tri l o cular is D eshay e s ……………………………… E G. woodi Jen kin s ……………… ........ ……… .... D, E, P GG.. sspp.. ba ·.·. .... …...…...… ……………………………………… .…...…...…...…...…. ………… ··…·E ·,· EP G. sp. . ...... …………………………………… ..••. D, E, P
G/obt ge rin o t des trtlo bm (Reuss) ………………… ••• D G. sp. …………………………………………………… ···E Hasti ge rin a sp. ……………………………………… ···E Turhorota / i a acosta e nsis (Blow) .… ……………… ···E T. him ag e a (Blow) ……………………………… ...... E T. hyk o vae Ai se nsta t • ··· ·· ···………………… ·········D , E T. lata Lip ps …………………………………… ···D . E, P T. scit ul a scit u/ a (Brady ) …… ••••• • ..••.••• … …… .... p T. scit ul a pr aescit ul a (Blow) •··· ·····…………… D, E 그는 이 유공충 화석 연구를 통하여 9 속 10 종의 新 種 化石울 보고하였 으며 연 일충군을 3 帶의 生 層序單 位, 죽 하부로부터 Rad1'0/aria Zonule, Turborota l i a b yk o vae Zonule 및 Turborota l i a s cit ul a sci t11 /a Zonule 로 구분 하였고 Turborota l i a b yk ovae Zonule 은 다시 下部의 Turborota / i a byk ovaei Turb. scit ul a pr aescit ul a Subzonule 과 上部의 Turborota l i a byk ovae·Globig erin a tri l o cular is S ubzonule 의 두. Subzonule 로 세 분하였 다. 최하부의 Radio /aria Zonule 에서는 유공층화석이 산출되지 않았으며 이 Zonule 上位에 놓이 는 Turborota / i a byk o vae Zonule 의 2 個 Subzonule 과 Turborota / i a s cit ul a scit ul a Zonule 에 서 상기 와 같은 유공 충 화석 이 보 고되었다. 金 鳳 均 (1965,1970b) 은 상기한 유공충 화석연구를 통하여 연일충군의 시 대 를 마이 오世의 초기 인 Venezuela 의 Burdig a lia n 에 서 마이 오世 후 기 인 Sarma ti an 에 이른다고 하였고 日本 秋田地域의 제 3 계, 복한의 길 주 • 명천지역의 제 3 기층과도 대비된다고 하였다. 최근 金鳳均 外 (1983) 는 이들 연일충군의 유공충이 하부에서는 부유성 유공충이 우제한데 비 하여 상부에 이 를수록 저서 성 유공충이 많아지는 원인은 공해 (Op en sea) 에서 접차 천해성 환경을 거쳐 潟湖環境으로 변한 때문인 것으로 해석 하였다. 한편 유의규 (1970a) 는 이 포항지역의 연일충군에 대하여 행하여전 시 추공 P y -1 호공에서 深度 30m 로부터 590m 까지의 범위를 20m 간격으 로 채취한 시료에서 산출된 유공층화석을 65 속 115 종으로 분류하였다. 이 연구에 의하면 유공충이 산출된 全層序範園에서 3 회의 현처한 化石 불연속면이 인정되는바 제 1 불연속면온 490m 의 깊이에서, 제 2 불연속 면은 330m 의 십도에서, 제 3 불연속면온 190m 의 십도에서 각각 나타났
다고 하였다. 上記한 제 1 불연속면에서는 23 종의 유공충이, 제 2 불연속 면에서는 53 종이 각각 사라졌고 190m 십도에서는 39 종이 철멸되었으 며, 그 상위에서는 유공충이 발견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는 이와 같 은 현상을 접차적으로 海退가 계속 일어나는 되적환경의 변화 때문인 것으로 보았고 190m 십도를 기준하여 해성충에서 육성충으로 변화한 때문으로 해석하였다. 그는 또 연일충군의 py-1 호공의 하부는 중부 마 이오世의 상부에, 그 상부는 풀라이오世에 해당될 것으로 보았다. 포항지역 시추공 py-1 호공에셔 산출된 유공충 화석(유의규 1970a) (김 봉균 (1965) 에 의 하여 보고된 유공충은 제 의 됨 )
Bath y s i p h on cf. arenacea Cushman Batl zys i p h on sp. (A) Gutt ul in a sadoensis (Cu. & Oz. ) Ammonia aff . nip po nic a (Asano) Alveovalvu/in a sp, (?) Ep o nid e s nip po nic u s (Hu. & Ma. ) Pararota / ia ozawai (Asano) Buli mi n a exil i s ten uata (Cushman) Globocassid u lin a ca/1J or nic a Cu. &Hu. Oo/ ina ltex ag o na (W illiam son) Globig e rin a ju vin e /is Boll i Globig e rin o id e s tri l o bus (Reuss) Globoq u adrin a venezuelana (Hed. ) St i/os to m ella lep idu la (Schwag e r) Plecto f r o ndic u laria advena (Cus. ) Ammodis c us inc ertu s (d'Orbig ny) Boli vin o p si s sp. Reussella aculeata Cushman Valvulin eria sadonic a Asano Lag e na ap iop l eura Loeb. & Ta . Lag e na plioc enic a Cushman & Gray Buli mi n e lla eleg a nti ssi m a t en 퍄Cushman & McCulloch Buli mina marg ina ta d'Orbig ny
Sph a eroid i n a comp ac ta Cush. & To. Fursenkoin a cornuta Cushman Qu in q ue loculi na e/ong a ta Natl an d Denta l i na communis d'Orbig ny St i/os to m ella advena (Cus. & LaL ) Pandag l andulin a din a p o lli Lo. & Tap. Bag gina noto e nsis Asano Cassid u li na yal ;e i Asano & Nakam- ura Glo!J o cassid u lain a su!J glo l;o s a (Bra- dy ) Buli mi n a inf l a ta Segu enza On'dosali s u m!J o natu s (Reuss) Ep on id e s sp. Gy ro id i n o id e s tai w anensis (Na k. ) Sig m oil o p s is schlum!J e rge ri (A. S. ) Nodosaria long isca ta d'Orbig ny Fis s urin a et'rc ulo·costa Asano Ep on id e s keenani Cus. & Kle. Anomali noi d e s sp. Martt'n o tt iell a communis (d'Orb. ) Pullenia qui n q u e/ol; a (Re uss) Glo!J o !Ju li mi n a sp. Nodosa ria aff . sip ho g e nerin a
Sp iros ig m oil in e /l a comp re ssa Mats . Sig m omorph in a sp. Denta l in a subsoluta (Cushman) Karrerie / /a stp h one//a (Reuss) Gutt lina yab ei Cushman & Ozawa Hanzawaia tag a ensis Asano Mi liam mi na obliq u e He. A. & Ear. Qu in q ue loculin a hic o sta t a d'Orbig n y Trilo culi na tri g o nula (Lamarck)
Gaudrin a sp. P/ecto f r o ndic u /aria tot o m i en s is M a. P/ect of r o ndic u laria nang o ensis ( As. ) Sp iro/ octt li n a comm,mi s Cus. & To. Loxosto 1 1111m /obatu m (Brady ) Sp iro /ocu/in a corrng a ta Cus. & To. Ammonia tak anabe ns is (Ishiz a ki) Qu in q ue /oculi na lamarckia n a d'Or.
또 金鳳均 • 崔德根 (1977) 및 白光浩 外 (1979) 는 이 지 역 의 제 3 기 충에 서 실시한 시추꽁중 F 孔의 십도 90m 에서 600m 에 이르는 단면(이는 암충서적으로 학림충(김봉균의 송학동충)에서 두호충(김봉군의 포항충 )의 중부에 이르는 법위)에서 20m 간격으로 27 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이로 부터 다수의 유공충을 추출하였으며, 이 화석군에 대하여 종의 다양 성 (spe c i es d i vers ity)과 종군일도 (s p e ci es e q u i ab i l ity)에 관한 연구 를 행하 였다. 그들의 연구에 의하면 연일충군의 유공충 화석군의 종다양성도 와 종군일도는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며 A,B,C 3 帶의 특 칭이 인정된다고 하였다. A 대 (鶴林層의 中上部)는 종다양도와 종균일도가 낮음이 득 칭 이 며 부 분적으로 페쇄된 천해환경을 지시하며 B 대 (興海府의 下部에서 梨洞 I션 의 中部)는 비교적 큰 값의 종다양도와 종군일도와 함께 공해성 환경운 나 타내 며 C 대 (梨洞層의 上部에 서 浦項府의 中部)는 종다양도가 약간 감소되 는 반면에 종군일도는 증가하고 미약한 해되 현상과 전반적인 환경의 변화가 빈번했음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2) 규조화석 경상복도 포항지역에 분포하는 제 3 기충내에 규조토가 협재되어 있음 온 일찍부터 알려져 왔고 이는 부분적으로 공업용으로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 신생대충의 규조화석을 고생물학적으로 연구한 것은 李永吉 (1975a) 에 의하여 비롯되었다. 그는 1975 년 포항―감포지역에 분포하는 제 3 기충의 울대리 조면암질옹회암과 어일충에서 또 연일충군의 홍해충 과 이동충 등 4 개 충에서 규조화석을 보고하였으며 최근 이들을종합 정
리하여 장기충군의 윤대리조면암질응회암과 연일충군의 천복역암, 학림 충, 홍해충 및 이동충에서 62 속 146 종의 규조화석을 보고하였다(이영길, 1984). 그의 연구에 의하면 연일충군의 규조화석군은 주로 近海 내지 外洋性種으로 조성된다고 하였고, 그는 이 화석군을 다음과 같이 2 개 亞帶룰 포함하는 2 개 규조화석대로 분류하였다. 하부 : Denti w lata lauta 帶 상부 Sy n edra jo useana-Rouxia sp. A 亞帶 하부 Cosci no dis c us lewi si a n us 亞帶 상부 : Denti cu lop s is lmste d ti i-D . lauta 帶 상부 D. lmste d ti i-D . lauta B• 亞帶 하부 D. huste d ti i-D . lauta A• 亞帶 李永吉은 이 규조화석군을 일본의 Denti cu lop s is lauta Zone 에서부터 그 上位帶인 Denti cul op s is huste d ti i·D enti cul op s is la11t a Zone 의 b Subzone 최상부까지의 충서범위와 또 이를 일본 부유성 유공충대의 N8 帶에서 NI5 帶까지에 이르는 충서범위에 각각 대비시켰다. 따라서 연일 충군은 일본 Akit a 지 역 에 분포하는 Nis h ik u rosawa 충 상부에 서 Onnag a wa 충 중상부까지, 북미대륙 켈리포니아 지역의 Luis i a n S t ag e 와 Mo~nia n S t ag e 의 하부 지충과 각각 대비되고 연일충군은 되적당시 그의 분지가 寒 7k 와 暖水의 영 향을 동시 에 받았으나 침 강함에 따라 차츰 寒流의 영 향을 더 크게 받았다고 하였다. 포항지역 제 3 기층에서 산출된 규조화석(이영 길, 1984)
Acti no cyc lus ehrenberg ii A. ing e ns s. amp ! A. ing e ns s. str A. ehremberg ii var. ten ella Acti nop tyc hus spl endens A. undulatu s A. v11/g a ris va r. austr a li s Amp ho ra pro te u s A. ova/is
Ana11lus bir ost r o ctu s A. medit er raneus var. int e r med1°a Araclmoid is c us elzrenberg ii Aste r omp lz a/us brookei ° var. robustu s A. hung a ric a A. moronensis Auli scu s gr unowi va r. cali forn ic a A. tn certu s Bid dulph i a areolata
B. aun·ta B. aun·ta var. ohtu s a B. rhombus B. tuo mey i B. sp. Chaeto c eros cinc tu s C. lorenzia n um C. mi tra C. sp. Cocconeis curvir o tu n da C. for mosa C. scute l lum Coscin o dis c us argu s C. aste r omp ha lus C. curoatu l us C. endoi C. eccentn ' cus C. lewi si a n us C. linea tt1 s C. margi na tu s C. nit ulu s C. ohscurus C. oculus in 'dis C. per fo r atu s C. radia t u s C. robustu s var. inc eratu s C. roth i i C. tao ulan·s C. tu berculatu s C. ste l laris C. oetu s li ss,.m us Cladog r amma cali forn ic u m Craspe d odis c us rhombt'c us Denti cul op si s huste d ti i D. h y al i따
D. lauta Di plo neis boml ,u s D. crabro D. smi thi i Dosseti a tem p er ei Endic t y a oceanic a Ento p y a a11str a /is var. giga1 1t ea Eunoti a s p. Frag ilar ia bit um i no sa vars. Gonio t h e c ium odonte l l a G. rog e rs ii G. tem ,s Grammato p l z ora marin a var. subs- tilissi m a G. robusta G. str i c t var. fo ssil i s Hernia / us pol ym orph u s H. pol ym orph u s var. fr ig ida Hemi d is c us cim eif orm i s Hy al odis c us radia t u s H. subti lis Ki ss elevie l le carnic a Lir a dis c us aspe r ulus L. bipo laris L. ovalis Masto g lo ia spl e ndid a Media l i a s pl e ndid a Melosir a sol M. su/cata M. sulcata var. coronata Navic u la hennedy i N. lyr a N. lin e a ta N. op tima N. pra ete x ta var. abundans
Ni tzs chia spp Plag o ig ra mma fo ssil e Perzp ter a tet r a cladia Py x il l a danic a P. in te r media Py rg u p yx is gr ac i/is v ar. sarato v ia n aPy x id i c u la cr11c iat a Rhabdonema arcuatu m R. jop o n ie ttm var. spa r sic o sta t u m Rhap on eis amp hi c e ros R. nit ida R. rhombic a Rhiz o solenia curvir o str i s R. mi oc enic a R. pra eberg o i, R. sty l, Jo r mi s R. sp. A R. sp. B Rouxia per og a /l i R. sp. A Ruti lar ia eps il o n Scep tro neis caducea
Ste p h a nog o nia hanzawae Ste p h anop yx is ap pe ndic u la S. cf. fer ox S. corona S. lin e ata S. schenkii S. tu rris St icto d is c us kit ton ia n us Sy n edra jo useana S. sp. Thalassio n ama nit zsc hio i d e s Thalassio t h r ix /on g issi m a Trachy n eis aspe r a aspe r a Tric e ratu m arcti cu m T. condecorum T. tes el/ atu m Xanth i o p y x is acro/o ph a X. oblong a X. ova/i s X. sp. A X. sp. B
3) 씰리코플라겔라타와 에브리디아 김봉균 의 (1983) 는 포항지역의 연일충군에서 다음과 같은 5 속 20 종의 씰리코플라겔라타와 6 속 14 종의 에브리디아 化石을 보고하였다. 1) 씰 리 코플라겔 라타 (Sil ico fl ag el lata ) (김 봉군의 , 1983)
Cannop ilus jo uscae C. schulzii C. schulzii for . long isp inu s C. hemi ap ha eric u s Corbis e ma tri c a nth a C. tri c a nth a tri c a nth a C. tri c a nth a var. mi no r
Di ct y o cha fibul a fibul a D. aspe r a aspe r a D. pul chella D. fibul a for . spe c ulum Di st e p h a nus crux crux D. crux D. log isp inu s
D. schavin slandii D. spe c ulum D. spe c ulum for . mi nu ta 2) 에브리디아 (Ebr i d i a) Ammodochiu m recta n g u lare Ebrio p s is a 따iq ua E. anti qu a var. recta n g u la E. anti qu a var. sim p l ex E. crenulata E. exiq u a Hermesin o p si s caullery
D. spe c ulum spe c ulum D. spe c ulum reg u loris Mesocena pen ta g o ras Hermesin u m sclzulzii H. tra nsversa Parath r aniu m ten uip e s P. clath ratu m P. bic l atl zra tu m P. int e r mediu m Pseudammodochiu m rob11stu m
한편 柳煥秀 (1983) 도 연일충군에서 17 속 30 종에 달하는 씰리코플라겔 라타와 16 속 27 종에 달하는 난노화석 (nanno fo ss il)을 기재하였으며 이화 석 군을 Di sc oaste r drug gi Zonule 과 Reti cu lof en estr a ps eudombil i c a Zonule 의 2 개 化石帶로 구분하고 後者를 다시 Braaudosph aera big e lowi Subzonule 과 Heli coa spa e ra selli Subzonule 등 2 개 亞化石帶로 분류하였 다• 그는 이 화석군에 의하여 연일충군의 시대를 중부 마이오세 초기에서 초기 마이 오世 말기에 해당할 것으로 보았다. 4) 쌍편모충류 (Di no fl ag e llata ) 한반도에 있어서 쌍편모충의 산출은 Takahashi & K i m(1979) 에 의하 여 포항지여의 영일만에 발달된 제 3 기 마이오世에서 최초로 보고되었 다. 이들은 포분화석, 부유성 식물화석과 함께 5 속을 보고하였으나 種의 同定울 하지 않았다. 그후 尹惠洙 (1981) 는 연일층군의 두호충에서 다음 과 감이 10 속 16 종의 쌍편모충류를 보고하였다. 쌍편모충류(윤해 수, 1981) Achomosph a era tri a n g u lata (Gerlach) A. sp. A. Areolig e ra tw is t r i n g e nsis (Maie r ) Cannin g ia sp. A Cleis t o s ph aerid iu m cf. div ersis p ino sum Davey & Downie & Sarje a nt & W illiam s
C. echin o id e s Davey & Downie & Sarj ea nt & Wi lliam s, Areosph ( I e ri d iu m sp. nov Leje u nia hya li11 a Gerlach Leje 1 mi a sp. A. Maduradiu m sp. A. M. sp. B. Ovoid i n i u m sp, A. Trib l astu l a borussi c a (Eis e n a ck) Sp inif eri t es ramosus (Ehrenberg) S. ramosus gra cif is (Davey & Wi lliam s) Lenti n & Wi lliam s 尹惠洙 ( 1981) 는 이 두호충에서 산출된 쌍편모충의 화석군이 이미 알 려진 세계의 어떤 지역의 화석군과도 닮지 않은 특유한 화석군을 나타 낸다고 하였다. 5) 포자, 화분화석 한반도의 제 3 기충에서 산출된 포자와 화분화석에 대한 연구는 奉弼 盆~ (1979)I 白光浩 外 (1979) 및 Takahashi & K i m(1979) 에 의하여 포항지 역 금광동 일대에 분포하는 장기충군과 연일충군에서 산출된 포자·화 분화석에 대하여 최초로 시작되었으며 그후 주로 奉弼福 에 의하여 동일 지역의 연일충군과 감포지역의 감포역암 및 어일충의 포자·화분화석이 계속 보고되고 있다. 각 지역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기층군 ; 奉弼 Afr (1979) 및 白光浩 外 (1979) 는 포항지역 금광동 일대에 분포하는 장기충군에서 55 속에 달하는 포분화석을 보고하였다. 이중 피 자식 물 화분이 30 속으로 主를 이 루고, 나자식 물 화분이 16 속, 포자가 9 속의 순이며 이들을 생활 습성별로는 喬木 30 속, 溫木 7 속, 초본성식물 17 속, 덩굴 식물 1 속으로 이루어졌으며 산출량은 교목 49. 59%, 초본 38. 25%, 관목 10. 59%, 덩굴식물 I. 57% 로 단연 교목이 우세하다. 교목중에는 자작나무科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이 가래나무科와 느릅나 무科의 순서로 나타났다. 奉弼福 (1979) 및 白光浩 外 (1979) 는 이외 같은 구성비를 갖는 장기식물군은 낙영성 활엽교목들이 主를 이루었고. 이들 사이에 양치석불과 관목들이 공생하였으며 여기에 침엽수와 水生植物들 이 혼합된 혼합수림을 형성하였을 것으로 해석하였는데 그들은 이 식
물군을 일본 동복 지방의 阿仁合型 식물군과 일치한다고 하였다. 그들 은 이 일본 阿仁合型 식물군이, 초기 마이오世를 지시하는 Alaska 의 Seldovia n 식 물군과도 유사한 정 동을 고려 할 때 장기 충군의 지 질시 대 는 마이오世 초기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였다. 古 氣候 的으로 봅 때 장기역암 식물화석군은침엽수 화 분이 극히 적은데 비해 낙엽활영교목과 초본식물, 양치식물이 다량 산 출 되며 윤대리응회 암 화석군은 소나무 科 가 번성한 반면 낙연 왕 영과 양치식물이 감소한 양 상을 나타내고 금광동 셰일의 되적기에는 한냉성 식물과 온대성 식물이 공촌하나 후자가 다소 우세한 분포를 보인다. 따라서 장기충군의 되져 기는 전반적으로온난하였으나 울대리 응회암상부와 上下兩含 炭f(:} 의 중 부되저기에는 일시적인 한냉기후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奉弼福 (1979) 및 白光浩 의 (1979) 는 이 화석군에 의하여 장기충군을 호 소 내지 소택지의 퇴적물로 보았다. Takahashi & K i m(l979) 은 동일지역 의 장기충군에서 91 종의 포자 화 분화석 을 보고하였으며 이 화석 군은 주로 냉 온대 성 (cool tem p e rate ) 식 물 군으로, 일본의 초기 마이오세의 Ania i a n 화석군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 는다고 하였다. 한편 奉 弼lfiJ (1981) 은 영 일군 지계면에 분포하는 장기충군에서 28 과 51 속에 달하는 포자, 화분화석 을 보고하였 다. 이 화석 군은 담수식 물이 全 層群울 통하여 산출됨이 특칭이며 금광동 지역과 감포 지역의 장기충군 식물과는 달리 침엽수가 주를 이루고 이에 활영교목과 초목식물 및 양 치식물이 수반된다고 하였다. 그는 이 지역의 식물화석이 앞의 두 지 역의 식물화석군과 차이를 나타내는 원인은 시대적인 차이 때문인 것으 로 보았으며, 따라서 이 지역의 장기충군을 최상부 을리고세 내지 최하 부 마이오제로 추정하여, 일본 九,J H 의 遠賀型 乃至 佐世保型 식물군과 대비될 것으로 보았다. 이 화석군은 금광동지역과 감포 • 어일지역의 화 석 군과 거 의 동일하나 다만 Eric a , Barclaya 및 Planta g o 동 3 속이 이 지역에서만 산출되었다. 포항지역 영일군 금광동일대의 장기충군에서 산출된 포자 및 화분화석 (奉弼福 1979) 은 다음과 같다.
장기 층군의 포분화석 (봉필윤, 1979) 소나무과 Keto t e e ria david i a n a Beis s n.
Pin u s echin a ta Mi ll. P. sil v erstr is L .
P. sp. Pic e a omoric a Pulk P. rubra Li nk 전나무과 Ab te s firm a Sie b . & Zucc. Larix dahuric a Turcz. L. lep t ol ep is Gord Pse11dolarix kaemp feri Gord Cedr11s deodara Loud. Tsug a canadensis Can. T. div e rszfo l i a ( Maxim ) T. Patt on ia n a (Eng e lm) Araucaria c eae 과 Ara11caria sp. 낙우송과 Cryp tom eria ja p o nic a D. Don. Sc iad op itys verti cil lata Sie b . & Zucc.Sequ oia semp er vir e ns Eng l. Taxodiu m dis t i ch um (L. ) 편백과 C11p re ssus sp. Li b ocedrus decurrens Torr. ]unip e rus vir g inia n a L. 자작나무과 Al1111s rlzombif olia Nutt . A. rubra Bong . Betu l a nig r a L. Carpi nu s caroli nia n a Walt. C. orie n ta l is Mi ll. 개암나무과 Cory/ u s americ a na Walt. 너도밥나무과 Casta n ea denta t a Wod. Fag u s gr and,fo l ia Ehrh. F. sil v ati ca L.
Noth o fa g u s anta c ti ca Cran. N. cli ffort i oid e s Cran. Qu ercus cf ile x Q. mi n or Sarg. 버드나무과 Pop ul lls sp. Sali x c f. Polaris 가래나무과 Carya alba (L. ) C. gl abra (Mi ll. ) Jug /a ns sp. 목련과 Lir iode ndron tul i pifer a L. 뽕나무과 Morus rubra L. 느릅나무과 Ulm11s laevis Poll. Zelkova creti ca Sp ac h. 피나무과 Til i a amert 'ca na L. T. cf. codata 감탕나무과 fle x monta n a (Gris e b. ) I. vertic illata Gray 단풍나무과 Acer pla ta n oid e s L. 물푸레나무과 Fraxin u s excelsio r Erd. 천남성과 Sy m p lo carpu s foe ti du s Nut t 은행나무과 Gi nk g o bil o ba L. 종려과 Sabal pal matt o Lodd. 덱사과
Sag ittar ia sag ittifoli a L . 수련과 Brasenia pu rpu rea Casp. Ny m p ha ea cf. alba N. ste / l at a W illd. 가래과 Pota m og e to n sp. 포아풀과 Phrag m i tes cf. communis 방동산이과 Carer sp. Resto n ia c eae 과 Hy po dis c us sp. 고비과 Osmunda sp.
실고사리과 Sclziz a ea cf. dig ita 참고사리과 Pt er is in c isa Thunb. 꼬리고사리과 At lzy ri u m cf. Jilix-f e mi n a 고사리과 Polyp o diu m sp. A. P. sp. B. 일영아재비과 Vit tor ia linia ta sw. 석송과 Ly co p od iu m cf. clavat1 1 m. 속새과 Eq ui s e tu m sp.
연일층군 ; 奉弼器 (1982) 은 포항지역의 연일_동산리 일대에 분포하는 연일충군에 서 37 과, 60 속의 胞粉울 보고하였 다. 이 화석 군은 침 엽 수가 절대적 우위에 있고 여기에 교목이 혼합된 양상을 나타내며 이밖에 초본 식물이 약간 포함되어 있다. 奉弼짧은 이 화석군에 의하여 연일충군 되적기의 기후대를 8 時階 로 분류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보아 연일충군의 기후는 한냉기후와 온난 기후가 반복되는 양상을 보이지만 대체로 한냉기후가 우세한 상태였음 윤 시준한다고 하였다. 그는 연일 포분화석식물군이 일본의 台島植物群 (Daij ima flor a) 에 대 비 되 며 Alaska 의 초기 마이 오제 후에 서 중기 마이 오세 에 속하는 上部 Seldovia n St ag e 의 식 물군과도 유사성 을 갖는다고 하였다. 따라서 연일충군의 시대를 중기 마이오세로서 후기 마이오세의 요소도 약간 내포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하였다. Takahashi & K i m(l979) 은 연일충군에서 112 종의 포분화석을 기재하 였다. 이들은 이 화석군이 장기 식물화석군과 거의 유사하며 일본의 중 부 마이오세 Daig im a 식물화석군과 대비되나 일본의 상부 마이오세의 Mi tou ka 식물군과도 대비될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다. 포굴J-영 일지 역 에 분포하는 연일충군의 포자 • 화분화석 은 다음과 같 다.
연일층군의 포분화석( 봉 팔윤, 1982)
소나무과 Pi m ,s sp. Pi ce a sp. 전냐무과 Abie s sp. Larix sp. Pseudolarix sp. Ce d rus sp. Tsug a sp. Ps eu dots u g a sp. Arauca ri a c eae 과 Araucaria sp. 낙우송과 Podocarpu s sp. Dacr y d iu m sp. Scia d op itys sp. Seq uo ia sp. Taxodiu m sp. 편백과 Cup re ssus sp. Li b ocedrus sp. Jun ij )er r,s sp. 자작나무과 A/nus sp. Betu la sp. Carpi nu s sp. 너도밥나무과 Casta n ea sp. Fag u s sp. Noth o f ag u s sp. Qu ercus sp. 버드나무과 Pop ul us sp. 가래나무과
Carya sp. Jug /a ns sp . 목련과 Mag n oli a s p. 느릅나무과 Ulmus sp. 피나무과 Til i a sp. Eric a sp. My r ic a sp. 조록나무과 Lig u id amber sp. 감탕나무과 flex sp. 단풍나무과 Acer Sp . 물푸레나무과 Fraxin u s sp. Cornus sp. Comarum sp. 은행나무과 Gi nk g o sp. Sabal sp. Cy at l zea sp. 댁사과 Sag ittar ia sp. Brasenia sp. Nup he r sp. Nelumbo sp. 수련과 Ny m p ha ea sp. 가래과 Pota m og e to n sp. 방동산이과
Care,: sp. ?Po/yg o num sp. ?Clzenop o diu m sp. ?Iris sp. My ri o p h y ll um sp. Sp h ag n um sp. ?Acrosti ch um sp. 꼬리고사리과 At hy ri u m sp. 고비과
Osmunda sp. 고사리과 Poty po diu m sp. 참고사리과 Pt er id i u m sp. 석송과 Ly co p o diu m sp. 부처손科 Selag ine lla sp.
감포 역암 • 어일층 ; 奉弼福 (1980) 은· 포항 남부의 감포와 어일지역에 분 포하는 감포역암과 어일충에서 61 속의 포분화석을 보고하였다. 그는 이 식물군이 주로 낙엽성 활엽수로 구성되었고 여기에 침엽수가 혼합 되며 초본식물과 양치식물이 약간 포함된다고 하였다. 그는 이 화석군에 의 하여 감포지역의 퇴적기를 A,B,C,D 의 4 時階 로 구분하였다. A 時階는 감포역암의 최상부를 제의한 상부의 부분으로 차고산 송백 류삼림 대 (snbalpi ne conif ero us for est zone) 의 時階로서 상록수가 주를 이 루고 약간의 낙엽성 활엽수가 수반되는 목성을 나타낸다고 하였고 따라 서 이 시계의 기후는 약간 한냉한 상태를 지시한다고 하였다. B 時階는 감포역암의 최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침연수와 활엽수가 혼합된 時階로 이를 潮移時階로 보았다. 그러나 활엽수가 침영수에 미 해 다소 우제한 접으로 보아 前時階보다는 약간 온난하게 되었으나 분 안정한 시계였음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C 時階는 어일충의 하부 내지 중부에 해당되는 범위로 낙엽수가 우세 하며 따라서 온난한 기후를 나타내는 시기였으며, D 시계는 어일충 상 부에 속하는 범위로 식물군의 組成과 기후상태가 A 시계와유사한 상대 를 보인다. 奉弼짧은 이 화석군을 일본의 An i a i식물군, 알라스카의 Seldov i an 식물군 및 인접해 있는 포항지역의 장기충군 식물군에 각각 대비시키고 이 화석군에 의하여 감포역암과 어일충의 시대를 마이오세 초기로 보았다. 감포역 암과 어 일충에 서 산출된 포자 및 화분화석 (奉弼$ 1980) 은 다 음과같다.
감포역암 • 어일층의 포분화석(봉필윤, 1980)
소나무과 Pi nu s sp. Pic e a sp. 전나무과 Abie s sp. Larix sp. Cedrus sp. Ts ug a sp. Araucaria c eae 과 Araucaria sp. ?Cep ha lota x us sp. 주목니 · 무과 Taxus sp. ?Podocarpu s sp. 낙우송과 Cryp tom eria sp. Scia d op itys sp. Se qu o ia sp. Taxodiu m sp. 편백과 Cup re ssus sp. li h ocedrus sp. Jrm i pe rus sp. 자작나무과 A/nus sp. Betu l a sp. Carpi nu s sp. Ostr y a sp. 개암나무과 Cory/ u s sp. 너도밥나무과 Casta n ea sp. Fag u s sp. Noth o f ag tlS sp.
Qu ercus sp. 버드나무과 Pop u/ us sp. 가래나무과 Carya sp. ]up / ans ps. Pt er ocarya sp. 목련과 Lir i o dendron sp. 뽕나무과 Marus sp. 느룹나무과 U/mus sp . 조록나무과 Liqu id a mher sp. 피나무과 Ti/ ia s p. 감당나무과 fle x sp. 단풍나무과 Acer sp. 물푸레나무과 Fra.x inu s sp. 은행나무과 Gi nk g o sp. 종려과 Sabal sp. Ci ho t ium sp. Cy at h e a sp. Chenop od iu m sp. Barc/aya sp. 댁사과 Brasenia sp.
?Ne/umbo sp. 수련과 Ny m p h aea sp. 가래과 Pott am og e to n sp. ?Comarum sp. 포아풀과 Phrag m i tes sp. Tt iticu m sp. Zea sp. 방동산이과 Carex sp. ?Acrosti ch um sp.
고비과 Osm1mda sp. 꼬리고사리과 At hy r iu m sp. Dryo p t er is sp. 고사리과 Po/yp o dit tm sp. 참고사리과 Pt er i d iu m sp. 실고사리과 Schiz a ea sp. 석송과 Ly c op o diu m sp.
4-2 북평지역 강원도 동해시 북평지역에 소규모로 분포하는 제 3 기충에서 유의규 (1969) 에 의 하여 유공충화석 이 , 유정 자 (1971) 에 의 하여 규조 및 화분 포 자화석이, 이영길 (1977,1978 b) 에 의하여 규조화석이 각각 보고되었다. 1) 유공충 유의규 (1969) 는 上記한 제 3 기 淮 積層 에 서 다음과 같이 14 속 20 종의 유공충화석을 보고하였다.
Sorosph a era consoc iat a Globig e rin a fal conensis G. qui n q ue loba G. sp. Trochammi na sp. AmmobacuU tes cate n ulatu s Ammodis c us inc erta Lenti cul i na kot iens is Boli vin a substr i a t u l a Uvig e rin a pr oboscid a
Cib c id e s cf. refu l ge ns C. lobatu l us C. subp ra ecin c tu s Tr,fa r in a kokozuraensis Ammonia keti en zie n sis Ep isto m i ne lla naraensis Di sc orbin ella sp. Ruesella sp inu los~ Melonis sp.
이들 유공층 화석군에 의하여 유의규 (1970 b) 는 북평충(泥 岩 府)의 시대 롤 플라이오 世로 보았고 金 鳳均 (1970 b ) 은 이 화석군을 포항지역의 두호 충(포 항충 ) 화석군과유사한 것으로 보았으며 따라서 그의 지질시대를마 이오世 후기로 추정하였다. 2) 규조와 포자, 화분화석 유정 자 (1971) 는 본 지 역 의 제 3 기 충에 서 16 종의 규조와 6 종의 포자 및 21 속의 화분화석 둥 다음과 같은 미 화석 을 보고하였 다.
규조 화석(유정자, 1971) Cy c lote l la str i a t a Grunow Ste p h a nodis c us artr a ea Grunow S. sp. S. carconesis Grunow Cosc ino dis c 11s tub erculatu s Grevil le C. mog a lomma A. Schmi dt C. nodulif er A. Schmi dt Tetr a cyc l us rup es tr i s Grunow 포자와 화분 (유정 자, 1971) 산차과 Trochodendron sp. 녹나무과 Gen. et sp. ind et. 피나무과 Ti li a sp. 감당나무과 Gen. et sp. ind et. 바늘꽃과 Trap a sp. 자작나무과 Betu l a sp. 호도과 Platy c arya sp. 소나무과
Thalassio t h rix sp. Di plo nei s sp. Pi nn ularia sp. Sta 1 1roneis phe onic e ntr o n Ehrenberg Sta 1 1roneis ja vanic a Grunow Sta u roneis sp. Cy m bella cusp ida ta Kutz i n g Abie s sp. Larix sp. Tsug a sp. Pi ce a sp. Pi nu s sp. Cedrtts sp. Pseudolari sp. Kete l eeria sp. 낙우송과 Gty ptos tr o bus 라한송과 Podocarpu s sp. 주목나무과 Taxus sp. 풀고사리과
Glcic l mi a sp. 실고사리과 Schiz a ea sp.
고사리과 Po/yp o diu m sp.
유정자 (1971) 에 의하면 포자와 화분화석 중에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것 이 가장 많은 것이 특칭이며 규조화석으로는 2 종이 海水性이있고 나머 지는 모두 淡水性 종류들로 구성되었다 . 이들 미화석군의 득칭을 종합하여 유정자는 본 제 3 기충의 하부를 마 이오世로, 그의 상부를 플라이오世로 추정하였으며 되적당시의 환경은 대체로 큰 변동이 없는 온냉한 기후로 최소 2 회에 걸쳐 국부적으로 해 안선의 침입이 있었을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에 이어 李永吉 (1977) 은 북평충내에서 다음과 같이 13 속 21 종 10 변종의 규조화석을 기재하였는데 이 화석군 중 담수종이 철대적으로 우세하며 소수의 기수종이 혼재되어 있다고 하였다. 그는 이런 접을 고 려할 때 북평충내의 合珪 森 되적충은 해안선에 가까운 호소나 소덱지같 온 담수환경 중에 되적되었고 간혹 국부적으로 해수의 영향을 받은 것 으로 추정하였다. 그러나 李永吉 (1984) 은 Ste p ha nodis c us nia g a rae 및 s. astr e ae 와 같은 冷水種과 Melosir a gr anulata 와 같은 溫水種의 交互産 出되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 合珪溪層이 되적되는 동안에 물의 온도 변화가 엇갈려 일어났을 것으로 보았으며 그의 시대는 대체로 마이오世 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북평층의 규조 화석 (李永吉 1977, 1978b)
Amp or a ova/i s K i itz, Cy m bella dstu l a Grunow C. lanceolata Van Heurch Di at o m a vulga ,.e Bory Eunoti a g r ac ilis R abenhorst Eunoti a l unaris Grunow var sub-
arcuata Grunow E. monodon Ehr. var. asia t i ca Skvortz o v E. monodon Ehr. var. majo r (W. Smi th) . fo. bid en (W. Smi th)E. pra erup ta Ehrenberg E. valid a Huste d t Frag ilar ia constu e ns Grunow F. bit tlm i no sa var. elong a ta Pant. F. bit um i no sa var mi n or Pant. F. brevis t r i a t a Grunow Gomp ho nema oli vac eum Ki ltz. var. calcarea Cleve Glyp h odesmi s sig m oid e us Hanna &Grant Melosir a ambig u a 0. MU iler
Melosir a gr anulata Ra)fs M. gr anulata fo. curvata Hus ted t Navic u l a p/a centu l a fo. lati us cula Meis t e r N. pla centu l a fo. rostr a t e Pi n nularia dis t i ng u enda fo. ang u s- tior Skvortz o v P. koreana Skvortz o v
P. vir idis Ehrenberg Sta u roneis ja vanic a Grunow S. ph oenic u tr o n Ehrenberg Ste p h anodis c us astr a ea Grunow S. kanit zi i Grun & Panto c sek S. nia g a rae Ehrenberg S. sp. Sy n edra ulna Ehrenberg
4- 3 경북 영해지역 1) 유공 충 류 본 지역에 소규모로 발달된 제 3 기충의 최상부충인 영동충에서 金鳳 均 (1969) 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8 속 17 종의 유공충화석이 보고되었다.
Cy c lami 11 a jap on ic a Asano C. inc is a (Sta e hc) C. sp. Marti no ti el/ la communis (d'Orbig - ny ) Bath isrp h o 11 sp. Sp iro loculi 11a fra g e li s U chio Te xt u /a ria sp. Goe se l l a rotu n da Cushman Plec t i 11a sp. a.
P. sp. b. Hap /o p hr ag m oid e s adve nu m Cush-man H. cf. emacia t a (Brady ) H. cf. tru //is s atu m (Brady ) H. comp re s r nm Leroy H. sp. a. H. sp. b. H. sp. c.
金 鳳 均 (1969) 에 의하면 이들 산출된 유공충 화석은 거의 모두가 천 해 저서성 사질유공충으로 潟湖 환경을 지시한다고 하였으며 득히 Cy cl ami na jap o nic a , C. inc is a , Haf) lo p h rag m oid e s tru llis s atu m , H. comp r e- ssum, H. emacia t a , H. advenum, H. sp. a. , H. sp. b. , H. sp. c. 및 Bath i s i p /ion sp. 등은 모두 마이 오세 의 생 촌형 으로서 이 와 유사한 화석 들이 포항지역의 이동충과 두호충에서 많이 산츈되므로 영동충을 이들 지충에 대비하였다.
4-4 울산지역 본 지역에 소규모로 분포하는 제 3 기 퇴적충 중 하부의 회색 내지 암 회색 이암 중에서 金鳳均 (1969) 은 다음과 같은 4 속 5 종의 저서성 유공 충을 보고하였다.
Ammonia si/ /a ensis A. sp. Melonis nic o barensis
Buccel/ a Jri g ida Flor/us sp
4-5 제주도 지역 한반도의 남단에 위치하는 계주도는 주로 제 3 기 말 내지 제 4 기의 화 산암류로 구성되었으나 제주도의 남단 서귀포지역과 동단 성산포지역에 각각 소규모로 신생대퇴적충이 분포한다. 서귀포지역에 분포하는 서귀포충에서는 부족류 둥 연체동물과 완족동 물, 성게류, 산호류 등과 함께 유공충화석이 산출되었고 성산포지역에 발달하는 신양리충에서도 유공충화석이 보고되었다. 1) 서귀포충 본충에 서 의 유공충 산출은 金鳳均 (1972) 에 의 하여 보고되 었다. 그는 본충에서 저서성 유공충 41 속 73 종, 부유성 유공충 8 속 18 종을 보고하였으며 이 화석에 의하여 서귀포충의 지질시대를 플라이오세로 보았고 본충은 비교적 강한 해류의 영향을 받는 해양성 난해 환경에 되 적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
유공충화석 (김 봉균, 1972) ®처서성 유공충 Ammonia beccarii (Lin n aeus) A. inf l a ta (Seq ue nza) A, keti enz ie n sis (Ishiz a ki) A. nippo nic a (Asano)
Anomali na gla !Jr ata Cushman Astr o nonio n um! Jilicu lulum Uchio Bag gina ph il ippine nsi ·s (Cushman) Boli vin a ro!J u sta Brady B. semi n uda Cushman
Bt tcc ella Jri g ida (Cushman) Bulim i na marg ina ta d'Orbig n y Cancris auric u /a r is (Fic h te ! & Moll) C. in dic t ts (Cushman) Ci hc id e s akneria n us (d'Orbig n y ) C. /ohatu l us (Warker & Jac ob) C. pse u doung e ria n us (Cushman) C. ref u l ge n s (Mont for t) Denta l in a communis d'Orbig n y Di sc orhin e // a hertlz eloti (d'Orb. ) Di sc orhis op e rcularis (d'Orbig n y ) D. ozawai Asano Elp/z id i u m advenum Cushman E. fax harharae nse Ni co l E. clav atu m Cush m a n E. crisp um (Linn aeus) E. je nseni Cus hm a n Ep o nid e s lzaid i n g e ri (d'Orbig n y ) E. suh ornatu s (Cushman) E. 1,mhonallls (Reuss) Fi ss urin a lttc i d a (W illiam son) F. orhig n y a na (Seq u enza) F. marg ina ta (Monta g u ) Flori/u s jap on ic u s (Asano) F. manp ttku j iensi s (Ot su ka) Frondic u /aria sp. Gaudryi na karih a ensis Asano Gutt ul i na orie n ta l i s C us. & Oz. G. Pac ifica (Cushman & Ozawa) G. ya hei obala Cushman & OzawaGy ro id i n a orhic u /aris d'Orbig n y Hanzawaia nip po nic a Asano Lag e na elong a ta (Ehrenberg) L. str i a t a (d'Orbig n y )
L. sulcata sp ica ta Cus. & McC. Lag e nodosaria scaralis (Bats c h) Lenti cu lin a luc ida Cushman L. pse udorotu l atu s Asano Melonis nic o barensis (Cushman) Mi li o l in e lla cir cu laris (Bornemann) Pullenia bulloid e s (d'Orbig n y ) Poroep on id e s crib rorep an d us As. & Uch. Pseudononio n jap on ic u m Asano Pseudop ol ym orph i n a doani (Gallo- way & W iss ler) Pseudorota l ia ga im ardii (d'Orb. ) Qu in q u e lo c ttli n a akneria n a d'Orb. Q. lamarckia n a d'Orbig n y Q. pol yg o na d'Orbig n y Q. sawanensis Asano Q. semi n ula (Li nn aeus) Q. vulg a ris d' Orbig n y Rosali na att st r a lis (Parr) R. brady i (Cushman) R. orbic u laris (Terqu em) Sig m oid e lla kag a ensis Cus. & Oza. Sig m omorph in a sawanensis (Cu. & Oz. ) Sip h og e nerin a rap! ian a (Par. & Jo. ) Sp iro loculi na communis Cus. & To. Textu l aria artic u lata (d' Orbig n y ) T. conic a d'Orbig n y T. semi al ata Cushman Trilo culin a tri g o nula (Lamarck) Uvig e rin a akit ae nsis Asano U. nit idu la Schwag e r Valvulin e n·a nip po nic a Ishiz a ki ® 부유성유공충
Globig er zna ang u sti um bil licat a Boll i G. bulloid e s d'Orbig ny G. fal conensis Blow G. pac hy d erma (Ehrenberg) G. tn / oc ulari s D eshay e s Globig e rin i t a gl uti na ta (Eg ge r) Globig e rin o id e s cong l obatu s (Br. ) G. ruber ruber (d'Orbig n y ) G. sacculi fer (Brady ) G. tn / ob us (Reuss)
Globoq u adrin a deute r tr e i (d'Orb. ) Globorota l i a t um i d a Brady Orbulin a univ e rsa d'Orbig n y Pullenia t i na obli qu il o culata (Parker & Jon es) Turborata l i a a costa e nsis (Blow) T. crassafo r mi s (Gall. & W is. ) T. humerosa Takay a nag i & Sait o T. subcreta c ea (Lomnic k i)
2) 신양리층 제주도의 동단 성산포 신양리에 소규모로 분포하는 신양리충에서 金 璃 (1970a) 은 유공충 화석을 보고하였 다. 이 유공충 화석 은 저 서 성 유공 돈으로만 구성되었으며 26 속 48 종으로 분류되었다. 金鳳均은 이 화석군 l 의하여 본충의 지질시대를 풀라이스토세로 추정하였고 본충을 천해 } 꿩內에 되적된 것으로 보았다.
신양리층의 유공충화석(金 鳳均 1969) ® 처서성 유공충 Ammonia beccarii (Linn aeus) Anomali na gla brata Cushman Boli oin a arge nte a Cushman Bolio i n a hantk e nia na Brady Ci bi c i d e s lobatu lus (Wa. & Ja. ) Cib i c i d es sp. Di sc op u loin ulin a brady i (Cu. ) Di sc op u loi nu li na orbic u laris (Tar- qu em) Di sc opu lo in uli na sp. Di sc orbis op e rcularis (d'Orbig ny) Di sc orbis sp. Elph i d iu m adoenum (Cushmum)
Elph id iu m cris p u m (Li nn aeus) Elph id iu m ien eni (Cushman) Elph id iu m sp. Ep on i de s pra ec inc tu s (Karrer) Ep o ni d es haid in g e rii (d'Orbig n y ) Gaudry ina (Pseudog a udryi na ) nii ga ta e nsis Asano Gaudry ina sp. Gutt ul i na sp. Hanzawaia nip po nic a Asano Hanzawaia sp. a Hanzawaia sp. b Karrerie l la baccata jap on ic a Asano Lag e na sulcata sp ica ta Cushman
Marti no tt iell a commt m i s (d'Orb. ) M iU oli nel la circ ularis (Born. ) Mi /io/i ne lla sp. Oolin a melo d'Orbig n y Planobulin a sp. Proep o ni d es crib rorep a ndus Asano & Uchis Proep o nid es late ralis (Tarqu em) Py rg o cheong i Ki m Py r g o ezo Asano Qu in q u eloc ttli n a akneria na d'O rbi. Qu in q u eloculin a lamarchia na d'O . Qu in q u e lo culin a po/ yg o na d'Orb. Qu i1 1 q ue loc11lin a vulga ris d'Orb.
Qu in q u elocul ina sp. a Qu in q u elocul ina sp. b Qu in q u elocu/ ina sp. c Reussel/ a hai jum ensis Asano Si ph og e rin a raph ana (Par. & Jo. ) Sp irol oculin a ang u lata Cushman Textu laria andenensis Asano Tri/ o cu/ ina gu tt ue rsis Asano Tri/ o cul ina sp. Vu/vu/ ine ria sp. @ 부유성 유공충 Globig e rin a sp. Turhorota l i a s p.
4~6 북한지역 한반도내에서의 미고생물학적 연구는 상부고생대충에서 산출된 방추 충화석을 제의하면 대부분 광복 후에 행하여졌다. 따라서 해방후 북한지역에서 행하 여진 미고생물학적 연구자료는 얻을 수가 없어 이 를 다루는 일은 불가능하다. 다만 金鳳均 (1965) 은 함경복도 명천군 상은면에 분포하는 제 3 기충 함전동충에서 채취되어 일본東北대학지질고생물학교실에 보관중인 試料 률 처리하 여 다음과 같이 19 속 32 종의 유공충 화 석을 보고하였고, 소련 인 B. V. Skvor t zov(1936) 은 함경 남도 안변군 문산면에 서 다음과 같이 107 종의 규조화석을 보고하였다.
함진동층 유공충화석 (김 봉균, 1965) ® 처 서 성 유공충 Ammoni a beccarii (Li n naeus) A. beccarii po hang e nsis Ki m A. sil l aensis Ki m Aste r ononio n umbi li c ululum Uchio Bol ivin a sp ine sens Cushman
B. koreani c a Ki m B. sp. Bucella Jri g ida (Cushman) B. sp. Bulim i n a sp. Cancris sp.
Di sc orhin el/ a hrady i (Cushman) D. sp. Elpi di m n suhin cerutu m Asano Flori/ u s kid oharaesis iw ahorii (Fukuta ) Gutt ul i na sp. Hanzawaia nip po nic a Asano Melonis nic o harensis (Cushman) M. po mp ilioid es (Fit ch ell & Moll) Nom·onellin a scap ha (Fit ch . & Mo.) Qu in q u e/oculin a semi n urin a (Lin.
Q. vu/ga r is d 'Orbig n y Q. sp. Reusse//a sp. a Reusse//a sp. b Uvig e rin e // a sp. Va/vu/in eria asanoi Ki m ® 부유성유공충 G/o b ig e rin a bu//oi d e s d'Orbig n y G. pac hy d erma (Ehren berg) G. woodi Jen kin s Turborota l ia b yk ovae Ai se n st a t T. scit u/ a pr aescit u/ a (Blow).
안변군 문산면 규조화석 (Skvortz o v, 1936)
Eunot ia k ochelin sis 0. Mull. Eunoti a g r acil is(E br. ) Eunot ia holotu ria Skvortz o v Eunoti a m onodon Ehr. var. maj- or (W. Smi th) Eunoti a monodon Ehr. var. majo r (W. Smi th) fo. bid ens (W. Sm- ith) Eunoti a monodon Ehr. var. asia - tica var. Skvortz o v Eunoti a monodon Ehr. var. kore- ana var. Skvortz o v Eunoti a m onodon Ehr. var. kore- ana var. fo. undulata fo. Achnanth e s linea ris W. Smi th var. pus il l a Grun Achnanth e s koreana Skvortz o v Achnanth e s inf la ta Kutz . Neid iu m bis u lcatu m (Lage rst. ) var. nip po nic a Skv. Di plo neis Smi thi i (Breb. )
Sta u roneis ancep s Ehr. St au roneis ja vanic a Grun. Sta u roneis sig n ata (Meis t e r ) St au roneis acuta W. Smi th var. Terrya n a Temp . for ma. Navic u la cusp ida ta Kutz . Navic u la koreana Skvortz o v Navic u la soodensis Krasske. Navic ula muti ca Kut z. Navic u la muti ca Kutz . var. Clzoni i (Hi ls e) Navic u la mut ica Kutz . var. fos si- lis Skvortz o v Navic u la americ ana Ehr. Pi n nularia ap pe ndic u lata (Ag . ) var. pae nis s ulaekoreana Skv. Pi n nularia ep isco p a li s Cleve fo. neog e na fo. Skvortz o v Pi n nularia div erg e ns W. Smi th. Pi n nularia boreali s E hr. Pi n nularia gibb a Ehr.
Pi n nu/aria gibba Ehr. var. linea - ris Hust. Pi n nularia sto m ath o p ho ra Grun. Pi n nu/aria brevis t r i a ta Cleve. Pi n nularia acrosph aeria Breb. Pi n nu/aria acrosph aeria Breb. var. laevis Cleve fo. mi no r Skv. Pi n nu/aria vir idis (Ni tz. ) Ehr. Pi nn 11/aria iso sta u ron (Ehr. ? ) Pi n nu/aria cardin ali s ( Ehr. ) Pi n nu/aria dis t i ng u enda Cleve fo. ang u sti or Skv. Pi nn ularia ge nt ilis (Donk. ) Cleve var. neog e nic a Skv. Pi n nularia nobil i s Ehr. Pi n nularia nobil is E hr. var. pa r- al/ e/a Skv. Pin m 1/aria koreana Skv. Amp ho ra ovalis Kut z. var. libyc a (Ehr. ) Cy m bella tu rg ida (Greg. ) Cy m bella ventr i c os a Kutz . Cy m bella gr ac ilis (Rabh. ) Cy m bella cym bi form i s( Ag . ? Kutz . ) Cy m bella cis t u la (Hemp . ) Grun . Cy m bella lanceolata Ehr. var. cornuta Ehr. Cy m bel/ a lanceolata Ehr. var. fos sil is P ant. Cy m bella asp er a Ehr. var. in te r me-dia Skv. Cy m bel/ a tum i d a (Breb. ) Cy m bella austr a li ca A. S. Gomp ho nema acumi n atu m Ehr. Gomp ho nema acumi n atu m Ehr. var.tri g o noceph a la (Ehr. ) Grun.
Gomp ho nema acumi n atu m Ehr. var. brebis s onii (Kutz ) Cleve. Gomp ho nema acumi n atu r n Ehr. var. coronata (Ehr. ) Gomp ho nema aug u r Ehr. Gomp ho nema aug u r Ehr. var. ga uti er i V. Heurck. Gomp ho nema aug u r Ehr. var. okamurae Skv. Gomp ho nema par vulum (Kutz . ) Gomp ho nema par vulurn (Kutz . ) var. exil issi m a Grun. Gornp ho nema par vulum (Kutz . ) var. mi c rop iis (Kutz . ) Cleve. Gomp h onema in tr i c a t1 1 m Kut z. var. dic h oto ma (Kutz . ) Gomp ho nema lanceolatu m Ehr. var. ins ig n is (Greg. ) Gomp ho nema gr aci/ e Ehr. Gomp ho nema constr i c t u m Ehr. Gomp h onema constr i c t u m Ehr. var. cap itat a (Ehr. ) Gomp ho nema vastu m Hust. var. e/ong a ta Skv. Ep ithe mi a zebra (Ehr. ) Kutz . var. par cel/ us (Kutz . ) Ep ithe mi a sorex Kutz . Rhop a /o d ia gibb a (Ehr. ) Rhop a /o d ia gibb a (Ehr. ) 0. Mull. var. ventr i c o sa (Ehr. ) Rhop al odia par a/l e/a (Grun . ) Hantz s chia amp h io x y s (Eh r. ) Hantz s chia amp hi o xys (Ehr. ) var. xerop hi l a Grun. Hantz s chia amp hi o x y s (Ehr. ) var. majo r Grun.
Ni tzs chia kutz i n g ian a Hi ls e. Ni tzsc lzi a romana Grun. for ma Ni tzsc hia Plana Smi th. Melosir a varia n s C. A. Ag . Melosir a gr anulata (Ehr. ) Melosir a gr anulata (Ehr. ) var. ang u sti ssi m a 0. Mull. Melosir a dis t a n s (Ehr. ) Kut z. Me/o s ir a amhig u a (Grun. ) Melosir a roesea11a Rab. va r. ep- ide ndron Grun. St ep h a nodis c us carconensis Grun. ? Tetr a cy c /us emarg ina tu s (Ehr. ) Tahel/ ar ia fen estr a ta (Ly n g b ) Ta!Je llaria flo cculosa (Roth . ) Di a to m a anceps (Ehr. ) Frag ilar ia harris s onii W. Smi th var. du!J ia Grun. - Frag ilar i a c onstr u ens (Ehr. ) Frag ilar ia c onstr u ens (Ehr. ) var.
vente r (Ehr. ) Frag ilar ia p inn ata Ehr. Frag ila ria vir esc ens Ra lfs. Frag ilar ia vir esc ens Ralfs var. e/l iptica Hust. Frag ila ria brevis t r i a ta Grun. Sy n edra ulna (Ni tz. ) Sy n edra ulna (Ni tz. ) var. bic e p s (Kutz . ) Sy n edra ulna (Ni tz. ) var. amp h- irhy n chus (Ehr. ) Sy n edra cap itat a Ehr. Sy n edra vaucli er i a e Kut z. var. tru ncata (Grev. ) Eunoti a p r aerup ta Ehr. Eunoti a p r aemp ta Ehr. var. !Jide ns Grun. Eunot ia tro p ica Hust. Eunot ia p e cti na / is (Kutz . )
김봉균 (1965) 에 의하면 상기한 합전동충의 유공충화석군은 풍부한 저 서 성 유 경 총 요 함유하고 있 음이 특칭 이 며 특히 Flori/ u s kid oharaensis iw ahorii 는 일본의 Gif u 현에 발달된 중기 마이 오세 의 Tsukiy o shi 충에 서 기재된 화석으로 이 함전동충의 시대물 결정하는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하였다 . 따라서 그는 이 화석이 산출된 합전동충의 충준은 포항지역의 Turhorota l ia hy k ovae Zonule 과 대 비 된다고 하였 다. 한편 Skvo rtz ov(1936) 는 함경 남도 안변군에 서 산출된 규조화석 군이 대부분 담수종으로 구성되어 있을분아니라 주로현생종들로 되어 있어 그의 시대를 정하기는 어려우나 대체로 제 3 기에 해당할것으로 보았다. 이 에 대 하여 立岩巖 ( 1976 ) 은 제 4 기 풀라이 오세 로 봄이 타당하다고 하였 다.
* 참고문헌 白光浩, 奉弼 M, 崔德根, 1979 : 「浦項 地城의 마이 오世 地府의 微古生物學的 硏 究」, 조사 연구 보고( 자원 개발 연구소), 제 6 호, pp. 9- 45. 朴 協大, 尹亨大, 196 5 : 한국 지질도 蔚山 鬪幅 ( 1 : 50,000), 국립 지질 조사소. 奉弼腐 1979 : 「浦項地城에 分布된 第 3 紀 淮禎府의 微古植物穆的 硏究」, 延世大 碩士 論 文, 7lp. Bong , P. Y, 198 0 : Terti ar y str at i gr ap h y and pa lyn olog y of the Gamp o Area, Gy c ong s ang b ug ·d o, Korea• , Re p or t on Ge os cie n ce and 1l1in era/ Resources, K. I. G. A. M. , no. 9, pp. s-13_ 奉弼器 1981 : 「長엄地域의 花粉硏究」, 조사 연구 보고(한국 동력 자원 연구소), 재 10 호, pp. 7-16, — , 1982 : 「延日-g£山里地域의 花粉化石」. 조사 연구 보고(한국 동력 자원 연 구소) , 제 13 호 , pp. 7- 1 8. Chan g , S. K. . Ki m , 8. K. , 1976 : Forami ni f er a in the Maro Sea off Jind o Isl a nd, Korea, • fou r. Geo/. Soc. Korea, vol. 12, pp. 31-54. 全希永, 1982 : 「浦項地域에 分布하는 第 3 紀層群의 古植物群 硏究」, 조사 연구 보고(한국 동력 자원 연구소) , 제 14 호, pp. 7-23. 遠藤誠道 1938a : 「朝鮮半島産 新生代 植物(I::石t :::. ?L 、-CJ, 地質學雜誌, vol. 4 5, pp. 326-8. Endo, S. , 1938b : Cenozoic pla nts from Ty o sen•, Jap an ese ]our. Geo/. Ge-og r . , vol. 45, pp. 326- 3. Endo, S. , 1939 : Some :1cw and int e r esti ng Mi oc ene pla nts from Korea•, 矢部敎授遠歷記念論文!.ii, pp. 333-49. 遠腦誠道, 1941 : 「束亞(I) 古第 3 紀 化石植物」, 地質學雜誌, vol. 48, pp. 129- 30. Endo, S. , 1950a : On th e fos sil Acer from Jap a n, Korea and South Manchu-ria . •, IGPS, Tohoku Uni v. , no. 1, pp. 11-7. Endo, S. 1950b : On th e fos sil Carp inu s from Jap a n, Korea•, IGPS, Toho- ku Univ . , no. 2, pp. 51-7. Endo, S. , 1951 : On the fos sil Acer from Jap a n, Korea and South Manchu-ria Il •, IGPS, Tohoku Univ . , no. 3, pp. 52-8. Endo, S. , 1953 : Note s on the Cain o zoic Plants of East Asia 1, 2•, Kuma- moto fou r. Sci. Ser. B. , no. 2, pp. 13-6. 藤岡一男, 1943 b : Note s on Some Tertia r y pla nts from Chosen•, I. .]our. Fae. Sci. Hokkaid o Uni v. Ser. 4, vol. 7, pp. 118-41. 藤岡一男, 1972 : The Terti ar y flor as of Korea•, fou r. Mi n. Coll. Akit a Univ . Ser. A, vol. 5, 83p . 原口九萬, 1931 : 「濟州島(I) 地質」, 朝鮮地質調査要報, vol. 1 0, pp.1 -34. 市村毅, 1927 : 「會寧 有煙炭田」, 朝鮮炭田調査報告, vol. 1 .
市村毅 1928 : 「通川 有煙炭田」, 朝祥炭田調査報告, vol. 3, pp, 1-76. 神保小虎, 1915 : 「朝 祥 (JJ 石灰洞 窟 中 0 llj n 乳動物迫骨」, 地깝tgt1 t 誌, vol. 22, 452 p. 金原均二, 1935 : 「延 日 쉽r:(JJ 地’貞時代t드 OL 、 T 」 , 地썼學雜 ~ c, vol. 42, p. 530 金原均二 , 1936a : 「朝 祥 慶 尙北 週 迎 日 郡 北部(JJ 地質球的 硏究」, 地買球雜誌, vol. 43, pp. 73-103. 金原均二, 1936h : Ne og e n e shells from Ty o sen •, Jap an . ]our. Geo!. Ge og r . vol. 13, p. 31. Ki m , B. K. , 1965 : •The str a t i gr ap h ic and pa leonto l og ic stu d ie s on the Te rt - iar y (M ioc ene) of the Pohang Area , Korea•, Se o ul Nat. Uni v. Jo1 1r. Scie n ce and Technolog y Serie s , vol. 15. pp. 32-121. Ki m , B. K. , 1970a : •A str at i gr aph ic and pa leonto l og ica l stu d y of the Sin y a - ng r i Formati on in the vic ini t y of Sin y a ng r i and Gosanri, the Jcju Isl a n d», fou r. Geo!. Soc. Korea, vol. 5, pp. 103-21. 金 鳳均 , 1970b: 「韓國의 新第 3 紀 淮 8 ' i府에 關한 硏究」, 지진학회지, 재 6 권 , pp. 77-96. 金瓜均 1972 : 「西 歸浦府의 屈序 및 古生物限的 硏究」, 孫 5文 武 敎 授 碩潟꿉念論 文 渠 , pp. 169-87. 金鳳均 1974 : 「濟州 島에 發達하 는 砂丘層의 古生物學的 硏究」 , 지질학회지, 재 10 권, pp. 95-108. 金 瓜均 , 鄭昌熙, 高仁錫, 白光浩, 高永 龜 , 1982 : 「우리 나라의 新第 3 ~ '. E f탑 의 微 古生 物學的 및 淮전 1 岩石學的 硏究」, 지질학 회지 , 제 18 권, pp. 19-36. 金屈均, 崔德根, 1977 : 「 浦項地域 第 3 紀府 底樓性 有 孔虫 의 Sp e cie s d i v ers i ty」. 지질학회지, 계 13 권, pp.1 11-20. Kim , B. K. , Han, J. H. , 1971 : •Forami ni f er a in the bott om sed im e n ts off the South e aste r n Coast of Korea•, Jou r. Geol. Soc. Korea , vol. 7, pp. 11-36. 金瓜均, 金承友, 金貞子, 1970 : 「 韓國 의 南西海 底質淮租物에 서 의 有孔虫 」 , EC AFE 技 術誌 第 3 卷, pp. 147-63. Ki m, B. K. and Yoon, S. , 1978 : •some molluscan fos si l s from the Up pe r- most pa rt of the Neog e ne dep o sit s of the Pohang Basi n . Korea•. Jo1 1r. Geo/. Soc. Korea, vol. 14, pp. -112. Ki m , B. K. , Park, Y. A. , Baek, K. H. , Yun, H. S. , 1983 : Bi os tr at i gr ap h y and pa leoenvir o runenta l stu d ie s on Neog e ne (Terti ar y) to Recent dep o sit s of the Korean Penin s ula•, Research Rep o rt of KOSEF. 小林國夫, 1947 : 「朝 鮮 江原道 三涉近傍(JJ 地質」, 地質浮雜誌 , vol. 53, pp. 616 -21. 小林國夫, 1948 : 「朝鮮 江原道 三涉近傍(JJ 地質 (2) 」, 地負 E요 雜誌 , vol. 54, pp. 628-30.
Lee, Y. G. , 1975a : Neog e ne dia t o m s of Pohang an d Gamp o area , Ky o ng s an- gb uk·do, Korea •, fou r. Geo/. Se c. Korea , vol. 11, pp. 99-114. 李永吉 1975b : 「慶北 月城郡 川北 面 一帶 延 日 層詳 JII 北 珠岩의 化石 珪菜群」 , 座大論文渠 ( 自然科學), 第 19 菜 , pp. 53 -62 . Lee . Y. G. 1976. Foss il dia t o m s in the up pe r pa rt of the Eoi l Formati on , Eoil area, Gy o ng s ang b uk·do, Korea•, fou r. Kor. Inst. Mi n in g Ge o/ . , vol. 9, pp. 77-84 . 李永吉 1977 : 「北平地 域 北 平屈의 珪深化石」 , 지질학회지, 제 13 권 , pp .2 3 一 4 0. 李永吉 197 8 a : 「淸河附近 延 日 屈詳 中部의 化石 珪茂群 」, 慶大 論 文 菜 , 第 2 5 卷 , pp. 215-22. 李永吉 , 1978 b : 「北 平地域 新第 3 紀層에 관하여 」, 度大 論 文 M!, 第 26 卷, pp. 531-8. Le e, Y. G. , 1983 : Di at o m zonati on s and bio s tr at i gr ap h y of Neog e ne St rat a of Pohang area , Korea•, Res. Rev. Ky u ng po ok NaUonal Univ . vol. 35, pp. 4 01 一 6. Lee, Y. G. , 1984 : Mi cr op al eonto l og ica l (Di at o m s) stu d y of the Neog e ne dep o sit s in Korea•, Ph. D. the sis in Seoul Nati on al Univ . Makiy am a, J. , 1926 : Terti ar y fos sil s from N. Kanky o edo, Korea 廳, Mem. 森爲C三ol,l. S1c9i3.5 :I m「 豆p . 滿U江n iv沿 . 岸K y發 o t堀o , (1)S e洪 r. 租 B期, v動o物l. 2化, 石pp .* 14 .4t -U6 0 .人 類遺品 & 認t~ 총 t 0L 、 ?L 、-c」, 地質學雜誌, vol. 42, 364p . 中村 新太郞 , 1926a : 「朝鮮 黃海道 屈 山郡 屈 山炭抗(1) 地質」, 地球, vol. 5, 97p . Skvortz o v, B. V. , 1936 : The Neog e ne dia t o m s from the Amp e n dis t r ict • , S. Kanky o ·do, Easte r n Coast of Ty o sen, Bull. Geo!. Surv. Ty o sen, vol. 12, pp. 1-7. 孫貸基 , 1980 : 「겁 말 용굴 발굴」, 연세 대 학교 박물관 , 14p .. Takahashi, K. , Ki m , B. K. 1979 : Palyn olog y of the Mi oc e ne for ma ti on s in the Yong ill Bay dis t ic t. Korea•, Palaeo n t og r ap h ic a Abt. B, 170, p. 10-80. Takai, H. , 1939 : Eocene mammals fou nd from the Hozan coal field , T y osen 讐 fou r. Fae. Sci. Imp . Univ . Toky o, Sec. 2, vol. 5, pp.1 99-217. Takai H. 1950 : •Amy n odon wata n abei from the Late s t Eocene of Jap a n wi th brie f summary of the late s t Eocene Mammali an fau nule in Easte r n Asia , Re p or t廳, Geo/. Surv. Jap an , no. 131, pp. 1-1 4 . 澤井冬二, 1952 : 「新生代 音椎動物! .:: 就 -c」, 東亞地質鑛山誌, vol. 1. 高井冬二 1967 : On th e Cenozoic verte b rate s in Korea•, Geo!. Mi n. Res. Fa r East, vol. 1. pp. 203-8. 桐 井敏雅 , 1952 : Note s a pro p os de qu elqu es pla nts Fosile s dans le Group e d'Ennic h i (Yong il) du Coree Merid i o n aJe • , I. Trans. Proc. Palaeont, Soc.
Jap . 桐井敏雅, 1953 : Note s on som e pla nt fos si l s from Ennic h (Yong il) Group in South e rn Korea•, Trans. Proc. Palaeo n t. Soc. ]ap. NS, no. 9, pp. 1-7. 立岩 談 , 192 4b : 「 慶尙北道 延 日 及 長꿉地方IJ) 第三紀 植物化石」, 朝鮮博物學會 講演菓 , no. 1. 立岩t)\1, 1925a : 縮 尺 5 冀分 1 朝 鮮 地質回, no. 4, 極洞 , 明川, 七寶山, 古站洞 回幅. 立 岩嚴, 1926 : 縮尺 5~맛 )- 1 朝鮮地質回, no. 6, 新興 , 古土水 , 元平場, rJ;.興, 五老里, 西湖津回幅. 立岩蹴 1976 : 『朝鮮―日本列島地帶地質構造論考』, 束京大탸出版會, 654p . 德永重應 1933 : 「朝鮮鳳山炭田IJ) 地質時代」, 地質學雜誌, vol. 40, pp. 17 9-82. 德永重康 • 森爲三 , 1939 : 「豆 滿 江 沿岸 溫關鎭發堀物 調査報告 」, 第 1 次 ii 11 蒙 學術 調査硏究固報告 , 第 2 節 第 4 編 . 嚴相鎬, 李東雨, 1964 : 한국 지질도 浦項圖幅 (1 : 50,000), 因立地四調査所 . 橫山又次郞, 1921 : 「 濟州島 /J) 貝化石」, 地i 1 學쩡 E t/:: , vol. 28-339, pp. 465-7. Yoo, E. K. 1969 : Tertia r y for ami ni f er a from the PY-1 Well, Pohang Basin , Korea•, fo ur. Geo/. Soc. Korea , vol. 5, pp. 269-83. Yoo, E. K. , 1970 : Recent dis t r ibu ti on of Globig er i n a pa chy d erma(Ehrenberg) and int e r pr e ta t i on of Up pe r Cenozoic cli m ato l og ica l chang e s•, ]our. Geo/. Soc. Korea, vol. 6, pp. 119-27 . 유의규, 1970b: 「북평지역 되적분지의 fo r a m i n f era 」, 제 24 차 대한지질 학회 정기 학술총회 발표 논문 요약, 지질학회지, vol. 6 , pp. 72-3. Yoon, S. , 1975 : •Geolog y and pa leonto l og y of the Terti ar y Pohang Basin , Pohang dis t r ict , Korea•, pt. l, Geolog y. fou r. Geo/. Soc. Korea, vol. 11, pp. 184-214. Yoon, S. 1976a : •Geolog y and pa leonto l og y of the Terti ar y Pohang Basin , Korea•, pt. 2, Paleonto l og y (Mollusca), No. 1, Sy s te m ati c descrip tion of Biv a lvia , fou r. Geo!. Soc. Korea, vol. 12, pp. 1-22. YoPoonh, anSg. , D1i9s t7 r 6ibc t, : GKeoorloeog• y, apntd. P2,a lePoanletoo l notgo yl o go yf (thMe o lTluesrctia a)r, y NPoo. h2a,n g • sByass tien - , mati c descrip tion of Scaph op o da and ga str op o da wi th descrip tion of fos sil locali ties •, fou r. Geo/. Soc. Korea, vol. 12, pp. 63-78. Yoon, S. , 1976 : •The ge olog ico l and pa leonto l og ica l stu d y of the Terti ar y dep o sit s of the Jan g gi-E oil dis t r ict of Korea• , No. 1, Str at i gr aph y and Geolog ic Ag e of the Song jeo n Formati on , ]our. Busan Univ . vol. 21, pp. 11-9. Yoon, S. , 1979a : •The Tertia r y dep o sit s o f the Ulsan Basin • , No. 2. Moll-uscan fos sil s , fou r. Geo/. Soc. Korea, vol. 15, pp. 1-36. Yoon, S. , 1979b : •Neog en e molluscan fau na of Korea•, Mem. Geo/. Soc.
Chin a, no. 3, pp. 125-30. Yoon, S. , 1982 : Terti ar y str at i gr ap h y of the Eoil Basin , Korea•, ]our. Ge-ol. Soc. Korea, vol. 18, pp. 173-80. Yoon, S. , Kota k a, T. , Kwon, M. M. 1978 : Dasyh a tu s nip po nensis Hata i & Kot ak a from the Mi oc ene Hwabong r i Formati on , U)san dis t r ict , Korea•, fo ur. Geo!. Soc. Korea, vol. 14, pp. 186-94. Yoon, S. , Noda, H. , 1976 : A new spe c i es of Cy cU na from the Mi oc ene Hwabong ri Formati on Ulsan, dis t r ict, Korea• Tohoku Uni v. , Sc i. Rep. , 2nd Ser. (Geo!. ), vol. 46, pp. 27-32. Yoon, S. , and Rhee, S. H. , 1982 : Di sc overy of Vi c arya from the Terti ar y Pohang Basin , Korea•, fou r. Geo!. Soc. Korea, vol. 18, pp. 49-52. 柳貞子, 1971 : 「 북평지역의 화분화석과 규조화석에 대한 연구」, 지질 광상 조사 연구 보고 (국립지질조사소), 제 13 호, pp.4 49-84. You, H. S. , 1983 : uThe bio s t r o ti gr aph y of the Neog e ne Terti ar y. Korea•, Ph. D. The sis , Seoul Nati on al Univ e rsi t y. Yun, H. S. , 1981 : uDi no fl ag e llate s from Pohang Tertia r y basin , Rep o rt on Geo sc ien c e and Mi n eral Resources (KIER)», no. 11, pp. 5-17.
부록 I
선캄브리아누대충
문곡충(삼태산충) 15 I1 6
입촌충 I 나 3
문경지역 마성충 1 1
S남(Ct조r ro ym류p ta otz o ol io tne) I 초평평평산북양남지초탄북산역전부· 지탄강역전계 |III 낙민층(중화충) IIII 訂 나니니了 11l
영월지역 홍접충 112
소속불명종 남한 사동총 2 1
대동총군
함북 청 전 니 I
충남 남포 I 11 543111
소 속불 명종
벤네티데일츠 l 낙동지역 L-l , - 도0 츠0 1
구과류 | 황경해복 도대 구사리-원영 천• 재령 한대봉구 산충 충 1I 11
울영산덕지-역영 해지역 I화 영봉동리충 충 189 203
어류―진골목 함북 길주-명천지역 명천 충 군 1 1
@ 영해-영덕지역
®회령누충
3252 22886
북평리 복평충 11111l11111 1
Aris m ata c eae 포항―연일지여 연일층군 4242212211231
속쇄과 | 포항지역 |장기충군 I 1 I 1
부록 Il
표 1 韓國의 地質系統
)음 域
표 4 三階炭田, 寧越炭田에서의 平安層群(上部古生代-下部中生代層)의
海亭山序坪H北蔚魚-IJ~濟 fon aNsonlsi珪蟲毛槪 里陽新 ’岩礎描円浦西坪北 ge.Hle si l.坪層北峰岩 뱌里nobSe uz PCn亨 ’ 』 g oln·- ···?·· raBab. 꿍海 섭 nozeSbu \ bnz e uSo 섬:用.d.gr uDsi l e znbuoS 陰]훑 t.공nm Cb.·群 znuoSbe \!및岩I ·Hu武.玄 겁 :里李잃火類 ..... . ? ... 岩甘浦礎 * psfuiticclesu:end.eitsdeo alboi. Rapt ueemR ur* : u ti c hu. na ldetetDsusiih tDtl .* e>jepg i :.a r .xa axialRouarlR *icsu un isai isodnew os cl sC :.ew sCdJ *epa i cii: rl-seHsollelese aHil *. p on C :s lg uslolunCnnonaniippsgi * :su1n1. Dpt1lpeist D *:tri. rma Cbmhe n .isabcor ia Cttg *p i Bwludseobzrua larroaze :ig. ba.raB * : g ru d drr s.DsteoagiiscugDi *ppo j ta in ucanrcilan : Op.aOomlaa cej>
부록 III
그림 1 하부고생대충(조선루충군)의 화석 1 Obolus subc irc us Kobay a shi Dorsal and ventr a l vie w , x 2.3 , 화절 충, Chuan gia帶, 영 월군 상동읍 세송리 2-4 Bi lli n g s e lla pum p el lyi Walcott Ventr a l valves, X3.5 화절충, Chuan gia帶 영월군 상동읍 세송리 3 Shir a g ia bil o ba Kobay a shi Ventr al and dorsal vie w s, x2, 화절충, Chuan gia帶 영월군 상동읍 화절치 5 Eoor this shakuotu e nsis Sun Xl .7 화절충, Eoo rth is帶 영월군 상동읍 두우골 6 Hy ps eloconus coreanic u s Kobay a shi conex and late r al sid e x 1. 5, 화절 충, Chuan gi a 帶, 삼척 군 상 장면 소도리 1 Hy o lith e s im br ica tu s Kobay a shi late r al and convex sid e x 1.6 화절 충, D i c tyit es 帶, 삼척 군 상장면 소도리 8 Pelag iell a( ? ) reversa Kobay a shi Xl .5, 화절충, Drep anura 帶, 영월군 상동읍 화절치
/
그림 2 하부고생대충(조선루충군)의 삼엽충화석 1 Redlich ia chin e nsis Walcott xo.8, 마성충, 경상복도 문경군 봉생동 2 Elrath i a kik k awai Kobay a shi x o.8, 평 안남도, 소룡산 3 Elrath i a chuwaensis Kobay a shi xo.8, 임촌충, 황해도 중화군 4 Lt< Sa ti op s coreanic u s (Sait o) xo.8, 문산리층, 황해도 중화군 5 Mapa n ia str iata Resser & Endo x o.8, 東아시 아 중부 캄브리 아계 (묘봉충 산출종과 유사종) 6 Bail ie / la emargi na ta (Linn arson) X l.3, 스웨 덴 중부 캄브리 아계 (묘봉충 산출종과 유사종) 1 Ste p h a nocare rich to f e n i Walcott X l.3, 세송슬레이트, S t ep hanocare 帶, 강원도 8 Cheir u roid e s prim i ge niu s (Sait o) X l.O, 중화층, 황해도 황주지역 9 Redlich ia pau dsegm enta Kobay as hi X l.O, 마산리층 황해도 황주지역 10 Drepa n ura pre mesnil i Berge ron Xl .O, 세송슬레이트, Dr ep anura 帶, 영월군 상동읍
.-:; ..f.- · · `>
그림 3 하부고생대충(조선루층군)의 상업중화석 1 Solenopa n a tox ea (W alcott ) X3.0 , 중국 중부 캄브리아계(대기층 산층종과 유사종) 2 Olenoid e s curtic e i Walcott xo.5, 알라스카 중부 캄브리아계 (대기층 산출종과 유사종) 3 Olenoid e s asia H cztS Kobay as hi 3a: X 3.0 , 3b: Xl .5, 마차리층, Oleno i des 帶, 영월군 마차리 4 Li op a r i a vulga ri s (Kobay as hi) xo.s , 화철충, Chuang ia帶 영월군 상동읍 화절치 5 Shir a kie l la elong a ta Kobay as hi xo.s, 화절충, Chuang ia帶 상동 6 Prochuang ia mansuyi , Kobay a shi xo.s , 화절충, Chuan gia帶 상동 1 Coreanocepl uz lus kog e nensis Kobay a shi xo.8, 화절충, D i c tyit es 帶 상동 8 Chuang iell a elong a ta Kobay a shi x o.s, 화철 충, Eoo rt h is帶 상동 9 Eochuangi a hana Kobay a shi x o.7 , 마차리 층, Eochuan gia帶 상동 10 Kop tur a typa Kobay as hi x o.s , 화철 충, Chuan gia帶, .A0 L 도0. 11 Chuang ia batia (W alcott ) xo.8 , 화철충, Chuan gia帶 상동 12 Chuang ia kawadai Kobay a shi xo.8, 東아시아 상부 캄브리아계(화절충 산출종과 유사종) 13 Yoshim uraps is vulga ri s Kobay a shi xo.6, 문공충 영월군 북면
머 h
그림 4 하부고생대충(조선루층군)의 삼엽충화석 1 Kaolish ania pus tu l osa Sun x3 .4 , 東 아시아 상부 캄브리아계 ( 화질중산출종과 유사종 ) 2 Pago d ia coreanic a Kobay a shi x o.7, 화절 충, D i c tyit es 帶 태 백 시 황지 읍 소도 리 3 Olen tts gz'b boszts (W ahlenberg) X2.8, 스웨덴 상부 캄브리아(마차리층산출종과 유사종) 4 Tonkin e lla ste p h e nsis Kobay a shi X3.0, 북미대륙부 중부 캄브리아계 (마차리층 산출종과 유사종) 5 Tonkin e lla ste p h e nsis Kobay a shi X 1.5 , 북미 대 륙부 중부 캄브리 아계 (마차리 층 산출종과 유사종) 6 Damsel/a octa spina Kobay as hi x1.5 , 화철충, Drep anura 帶 영월군 상동읍 화철치 1 Mega g ra ulos coreanic u s Kobay as hi xo.s , 평안북도 초산지역의 중부 캄브리아계 8 Lorenzella abari s(W alcott ) xo.s , 東아시아(세송숭례이트 산출종과 유사종) 9 Blackwelderi a par onai( A i ra g h i) X1.5 , 세송슬레이트, Drep anura 帶, 영월군 상동읍 화절치 10 Dicty ites dic ty s (W alcott ) x o.8, 화철 충, Di c tyit es 帶 상동 11Koge n iu m trian g ula ri s Kobay a shi X l.5, 마차리 층, Oleno id es 帶, 영 월군 북면 마차리 12 Acrocep h alin a trisulc ata Kobay a shi X l, 마차리 층, Gly ptagn os tus帶 상동
O
1 림 5 하부고생대충(조선루충군)의 삼엽충화석 1 Anomocarella chin e 1is is Walcott X l.0, 東아시아(대기충, 마차리층 산출종과 유사종) 2 Ameceph alus sait oi Kobay a shi xo.7, 임촌충, 황해도 중화지역 3 Weste r ga ar delta olenora (W al cott ) xo.s, 東아시아(마차리층 산출종과 유사종) 4 Mesocrep ice p h alus dami a (W alcott ) x o.6, 東아시 아 (마차리 층 산층종과 유사종) 5 Manchuri ell a typa Resser&Endo xo.s, 東아시아(대기충 산출종과 유사종) 6 Haniw o id e s wngu s Kobay as hi ,xo .s, 東아시아(마차리층 산출종과 유사종) 1 Ptych op ar i a coreanic a Kobay a shi xo.8, 임촌충, 황해도 중화지역 8 Iwaya s pi s asap/ w i de s Kobay a shi x o.8, 마차리 충, Ko maspis-Jw a; ,a sp is帶 영 월군 마차리 9 Kop tur a lisa ni Walcott X l.O, 東아시아(대기충, 마차리층 산출종과 유사종) 10 Ey me kops hermi as Walcott x o.6, 東아시 아 (대 기 충, Soleno p a risa帶 산출종과 유사종) 11 Lio p a r ella walcott i Kobay a shi X 0.9, 東아시 아 (마차리 층 산출종과 유사종) 12 Changs an ia conic a Sun xo.6 , 평안북도 초산지역의 상부 캄브리아충
二
그림 6 하부고생대충(조선루충군)의 삼엽충화석 1 Proto p l io m e ro p s seis o nensis Kobay a shi X 1.5 , 두무공세일, Pro t o p l i omero p s 帶 영월군 상동옵 세송리 2 Koraip s is spi nu s Kobay a shi X 1.0 , 막골석회암, Clarke /la 帶 상동(上同) 3 Pseudokain e lla iw aya i Kobay a shi xo.8, 동접규합 영월군 의림길 원평리 4 Aotia spsis oblong a Kobay a shi xo.s , 두우골셰일, 정선군 남면 자미원 5 Asaph e llus homf ra yi (Salte r ) X 1.5, 유럽, 북미, 아시아의 하부 오오도비스계(두무 골 셰일 산 출 종과 유사종) 6 Hukazawaia cyli n dri ca Kobay a shi X0.8 , 문곡층(삼태산층), 영월군 북면 1 Kain e /la eury ra chis Kobay a shi X0.8 , 두무골셰일, Asap hellus 帶 영월군 상동읍 소사곡 8 Ap a to k epJ uilu s leyo t a n Kobay as hi x o.8 , 문곡충 (상태 산층) , 영 월군 북면 중산 9 Kom aspis typa Kobay a shi X l.5, 東北아시 아 (마차리 층 산출종과 유사종) 10 Basili e l la baranchli ( Kobay a shi) X l.5, 북미 대 륙 (칙 운산층 산출종과 유사종) 11 Glyp tagn ostu s tor euma Whit eh ouse X l.5, 유럽-알라스카-호주(마차리층 산출종과 유사종 )
_,-{ / ,-I
그림 7 하부고생대충(조선루충군)의 화석 1 Di ce !l og r a pt us seis o nensis Kobay a shi X3.3, 두무골세일, Pro t op li omero p s 帶 영월군 상동읍 막동 2-7 Dip !o g ra pt ztS pe rexcavaltt S Lap w or th X3.5, 직운산셰일, 삼척군 소달면 고사리 8-15 Or this nip po nic a Kobay as hi Xl .5, 직운산셰일, 영월군 영월군 상동읍 막동 16 Li ng u la sp. xo.8, 칙운산셰일, 영월군 상동읍 세송리 17 Rafi nes gu in a aff alt en zata (Emmous) X 1.2 , 두위봉석회암 세송리 18, 20 Modio l op si s kog e neiz sis Kobay as hi X2.4 , 직운산셰일 영월군 상동읍 막동 19 Cte n odonta oblong a Kobay a shi xo.8, 칙운산셰일, 영월군 상동읍, 막동 21-22 Rafi nes qu in a choseiz s is Kobay a shi X 1.2 , 직 운산셰 일 영 원군, 상동읍, 막동리 1-7 필석류, 8-1 7 ,21-22 완족동물, 18-2 0 부족류
,6
그림 8 하부고생대충(조선루충군)의 복족류화석 1 Liosp ira shoJz a kuensis Kobay a shi X l.5, 두위봉석회암, 영월군 상동읍 세송리 2 Eccy gli op t er ns shir ak ii Kobay a shi X 1.2, 두위봉석회암, 삼척군 고사리 3 Lop h os pira endoi Kobay a shi X l.O, 두위봉석회암, 삼척군 고사리 4 Lop lz os pira tatei w ai Kobay a shi X 1.01 두위봉석회암, 삼척군 고사리 5 Lop lz os pira kin o sakii Kobay as hi X l.0, 두위봉석회암, 영원군 상동읍 세송리 6 Loph os pira pa go da(Sait er) X l.O, 칙운산세일, 영월군 상동읍 막동리 1 Raph is tom a coreanic u m Kobay a shi xo.s, 두위봉석회암, 영월군 상동읍 세송리 8 Raph is tom a keiz a nense Kobay a shi X0.9, 두위봉석회암, 태백시 장성읍 계산촌 9 Raph is tom a kato i Kobay as hi Xl .0, 두위봉석회암, 태백시 장성읍 계산촌
~ ~ • I'
그림 9 하부고생대충(조선루충군)의 두족류화석 1 Koto c eras typicu m Kobay as hi X1.0 , 칙운산셰일, 영월군 상동읍 막동리 2 Sacto r t ho ceras ten uir u cvatu m Kobay a shi X l.3, 칙운산셰일, 영월군 상동읍 막동리 3 Or tlw ceras seih e ik i e 1 is e Kobay as hi X l.3, 칙운산셰일, 영월군 상동읍 막동리 4 Sacto r t ho ceras go nio s ept um Kobay a shi X l.3, 칙 운산셰 일, 영 월군 상동읍 막동리
/i I ,, ,,,·.· :-•g. _ .. ,. s 、 、
그립 10 하부고생대충(조선루충군)의 두족류화석 1 Geis o noceras abrapt tm t Kobay a shi X l.3, 칙 운산세 일, 삼척 군 고사리 2 Sig mo rt ho ceras sig m oid a te Kobay a shi xo.6, 칙운산셰일, 영월군 상동읍 막동리 3 Ormoceras foo rdi Kobay a shi X l.O, 두위봉석회암, 영월군 상동읍( ? ) 4 Tofa n g o ceras huronif orm e Kobay a shi X l.8, 두위봉석회암, 영월군 상동읍( ? ) 5 Cy cl oceras den sian nulatu m Kobay a shi X l.O, 칙운산셰일, 영월군 상동읍 막동리 6 Tofa n g o ceras huronif orm e Kobay a shi X3.3 , 두위봉석회암, 영월군 상동읍( ? )
.' .`,\',z .``;.L `, . ..,` .言..》• · \ 건:길 ‘ I 뇨品껍
그림 11 하부고생대충(조선루충군)의 두족류 1 Annen o ceras coreanic u m Kobay a shi X1 .2, 두위봉석회암, 영월군 상동읍 막동리 2 Onnoceras koraie n se Kobay as hi X1.0, 두위봉석회암, 영월군 상동옵 막동리 3 Coreanoceras kemi po ense Kobay a shi xo.5, 송림충, 황해도 황주 4 Manchuroceras ste a nei Teic h ert X l.l, 東아시 아, 하부 오오도비 스계 (막골석 회 암 산출종과 유사종 )
/ ,,. / /---~`` ` \
그림 12 하부고생대(조선루충군의)코노돈트화석 (이하영, 1980) 1 Hertzi n a ? bis u lcata Mi llier Late r al sid e , x90, 마차리층, 영월군 북면 오만동 2 ''Pro conodontu s tnc ari na tu s (Nog a mi ), Late ralsid e , x63, 화절충, 태백시 장성읍 동칭리 3 Oneoto d us nakamurai Nog a mi , Late r al sid e , x 63, 상동 4 ''Pro oneoto d us ga llati ni (Mi llier ) Late r al sid e , x 63, 상동 5 ''Pr ooneoto d us ten uis (Mi llier ) Late r al sid e , x63, 마차리층, 영월군 복면 영평동 6 Aconti od us iow ae1zsis Furfn ish Poste r io r sid e , x 49, 두무골셰 일 , 태 백 시 장성 읍 면 산 7 Acodus oneote n sis Furnis h Late r al sid e , x 49, 상동 8 ''Sc olop od us rex Lin d str o m Late r al sid e , x 49, 상동 9 ''Distac odus sto l us Lin d str o m Late r al sid e , x 49, 상동 10 ''Pa lt od us inc onsta n s Lind str o m Late r al sid e , x 49, 태 백 시 면 산 11 Chosonodin a herf urthi Mi llier Poste rio r sid e , x 49, 태 백 시 장성 읍 혈 리 12 ''Drepa nodus bis ymm etr icu s Vi ira , Late r al sid e , X 49, 태 백 시 장성 읍 면산 13 -14 ''Se rrato g n athu s bil o batu s Lee, 13 Ante rio r sid e , 두무골셰일, 영월군 상동읍 상동 14 Scolop ud us giga nte u s Sweet & Bergs tro m, Late r al sid e , x28 정선석회암, 정선군 회동리
그림 13 조선루충군의 코노돈트 화석 (이하영 , 1980) 1 Coelocerodonfzl -S dig o niu s Sweet & Bergs tr o m Late r al sid e , x 42, 막골석 회 암, 태 백 시 장성 읍 동점 리 2 Cordyl o dtl-S concin n us Branson & Mehl Late r al sid e , x42, 막골석회암, 태백시 장성읍 동접리 3 Drep a n odus altzp e s Hennin g sm oen Late r al sid e , x42, 막골석회암, 태백시 장성읍 동접리 4 Ozarkodin a cte n ulata Young qu is t & Cull iso n Late r al sid e , X49, 두위봉석회암, 영월군 상동읍 상동 5 Polyc a ulodus resup ina ltl- S Branson & Mehl Late r al sid e , x49 영홍충, 영월군 북면 마차리 6 Oe piko dus 1na,g go le1is is Lee Late r al sid e , x 42, 막골석 회 암, 태 백 시 장성 읍 동접 러 7 Cy rt on i od 露 sp Eth i n g ton & Schumacher Late r alsid e , x56, 두위봉석회암, 영월군 상동읍 상동 8 ''Prion io d in a 1nacroden ta ta (Graves & Ell iso n) Late r al sid e , x 42, 막골석 회 암, 태 백 시 장성 읍 동접 리 9-10 Phragm odus inf l exu s Sta u ff er 9 : Phragm o dif orr n element, late ral sid e , x 49 10 : Dic h og na th i f orr n element ante r olatr a l sid e , X 49, 영 흥층 , 영 월군 북면 마차리 11 Aur ilob odus auri lob 11- S Lee Roundy a element, po ste r io r sid e , X45, 막골석 회 암, 태 백 시 장성 읍 동접리 12 Belodella erecta (Rhodes & Dine ley) Late r al sid e , X 49, 막골석 회 암, 태 백 시 장성 읍 동접 리 13 Oep iko dus cop e nhage n sis Eth ing tion & Schumacher Late r al sid e , x 49, 상동 14 Eop la cog n ath u s cf.foli a c eus (Fahraeus) Polyp la cog na th ifor rn, Up pe r sid e , x49, 적운산셰일, 영월군 상동읍 상동
그림 14 하부고생대충 (조선루충군)의 코노돈트화석 (이 하영, 1975) 1 Belodus ? sp. Late r al sid e , x50, 중부 오오도비스계, 평안북도 강계군 2 ‘'Co rdyl o dus ? n. sp. Late r al sid e , x 50, 상동 (上同) 3-5 ''co rdyl o dus ? gra ci lis Branson & Mehl, Late r al sid e , x 50, 만달산층, 황해 도 황주군 경 이 포. 4 ‘,Gotbo dus n. sp. Late r al sid e , x60, 만달산층, 황해도 황주군 경이포 6 ‘,Co leodus ? sp. Late r al sid e, x50, 중부 오오도비스계, 평안북도 강계군 7-8 Tri ch onodella cf. barbara (Sta u ff er ) Late r al sid e , x50, 만달산층, 황해도 황주군 경이포 9 Drep a nodus sp. Late r al sid e , x30, 만달산층, 황해도 황주군 경 이포 10 Ozarkodin a cte n ulata Young qu is t & Cull iso n Late r al sid e , x50, 만달산층, 황해도 황주군 경이포 11 Cordyl o dus aff . delica tu s Branson & Mehl Late r al sid e , xso 중부 오오도비스계, 평안북도 강계도 12 Scolop od us warendens is Druce & Jon es Late r al sid e , x30, 만달산층, 황해도 황주군 경 이포 13 Scolop od us nog a mi i Lee Late r al sid e , x 36, 만달산층, 황해 도 황주군 경 이 포 14 -15 Auri lol obodus auri lob us Lee Poste r io r sid e , x50, 만달산층, 황해도 황주군 경이포 16 Auri lob odus auri lob us Lee Late r al sid e , x50, 만달산층, 황해도 황주군 경이포
그림 15 회동리충(실루리아계)의 코노돈트화석 ( 이 하영, 19 82} 1-12 Pter osp a tl zo dus celloni (Wall ise r) X63, 회동리층, 칭선군 정선읍 회동리 1-4,8 ; pb elements , late r al vie w s 5~7, 12 ; Pa elements , late r al vie w s 9-10 S elements , late r al vie w s 11 M element, l ate r al vie w 13, 16-17 Ambalodus gal erus Wallis e r late r al vie w s, x 63, 상동 14-15,18-19,22 Ambalodus ? hoedong en sis Lee late r al vie w s, x 63, 상동 20-23 Diad elogn a th u s Pr imu s Ni co ll & Rexroad ante r io r vie w s, x so, 상동 21 Belodella sp. late r al vie w , x 63, 상동 24-25 Carnio d us cf. cari nth i a c us Wallis e r late r ai. vie w s, x 63 상동 26-27 D 函o modus egr eg i a (Wallis t e r ) 26 : Late r al vie w , x so, 상동 27 : Ante r olate r al vie w , x so, 상동
그림 16 회동리층(실루리아계)의 코노돈트화석 (이하영, 1982) 1-2 Dis tom odus ? extr o rsus (Rexroad) Late r al vie w s, x63, 회동리층, 정선군 정선읍 회동리. 3-4 Dis tom odus kentu c ky en s is Branson & Branson 3 ; Ante r olate r al vie w , x so, 상동 (上同) 4 ; Late r al vie w . x so, 상동 5 Falcodus ? n. sp. of Schonlaub po ste r io r vie w , x 50, 상동 6 Neop rion io d us excavatu s (Branson & Mehl) late r al vie w , x 50, 상동 7-8 Neop rion io d us lati de nfa tus Wall ise r late r al vie w s, x 60, 상동 9-10 Neop rion io d us cf. pla nus Wallis e r late r al vie w s, x 50, 상동 11 Neop rion io d us multif orm i s Wall ise r late r al vie w , x 50, 상동 12, 17 Neop rion io d us subcarnus Wall ise r late r al vie w , x 63, 상동 13 D 函 omodus trian gu la ri s trian gu la ri s (W all ise r), late r al vie w , x 50, 상동 14 Lig o nodin a ? sp. , late r al vie w s, X 63, 상동 15- 16 LorJ, c hodin a sp. , late r al vie w s, x 50, 상동 18-20 Lonchodin a wallise r i Zie g le r late r al vie w , x 50, 상동 21 Lonchodin a n. sp. Lee late r al vie w , x 50, 상동 22 Ozarkodin a cf. denckmanni Zie g le r late r al vie w , x 25, 상동 23-24 Ozarkodin a sp. late r al vie w , x 50, 상동
그림 17 평안충군의 식물화석 1 Sp he nop teri s ten uis Schenk X0.7 , 사동충, 태백시 장성읍 2 Sp he nop teri s go th a ni Halle Xl .O, 사동충, 태백시 장성읍 금천리 3 Pecop teri s pol ym orp h a Brong n. xo.s, 사동층, 정선군 신동면 조동리 4 Pecop teri s ori en ta li s (Schenk) X0.7 , 고방산층, 평안남도 대동군 임원연 S Pecop teri s tub erculata Halle xo.8 , 사동충, 태백시 장성읍 금천리
三 Illh"止門止WM 硏廳
그림 18 평 안충군의 식 물화석 1 Pecop ter is lzemi teli o i d e s Brong n x o.8 , 사동충 삼척 군 소달면 홍전 리 2 Pecop ter is anth n sc ifoli a (Goepp ) xo.7, 고방산층, 정선군 남면 무용리 3 Pecop ter i diu m manchuri cim i Kawasaki xo.6 사동충, 평안남도 대동군 대보면 4 Pecop teri s oreop ter i dia (Schloth ) X0.8 사동충, 삼척군 소달면 도계리 5 Pecop ter is lati ve nosa Halle xo.7, 고방산층, 태백시 장성읍 계산촌 6 Pecop ter is ya bei Kawasaki X l.0, 사동충, 영 월군 북면 마차리
Ii | 틀
그림 19 평 안충군의 식 물화석 1 Callip ten ·diu m ? luzllei Kawasaki X0.9, 사동충 삼척군 소달면 홍전리 2 Callip tem s confe r ta (Ste r nberg) xo.7, 사동충 평안남도 대동군 추을미면 3 Odonto p ter i s subcrenata (Rost) xo.8, 사동충, 태백시 장성읍 금천리 4 Taenio p ter i s mult ine rvis Weis s X0.7, 사동충, 평안남도 개천군 외동면
<
그림 20 평안충군의 식물화석 1 Callip ter i diu m k01-a ie1z se (Tokunag a ) xo.5, 사동충, 평안남도 개천군 외동면 2 Neurop ten d iu m ? yo ng wo lensis Kawasaki x o.5 , 사동충, 영 월군 상동읍 3 Cte n op ter is im amurai Kawasaki xo.6 , 고방산충, 평안남도 덕천군 일하면 4 Emp le cto pter is trian g ula ri s Halle xo.8, 사동충, 태백시 장성읍 계산촌 5 Emp lec to t e n ·diu m alatu m Kawasaki xo.8, 사동충, 칭선군 칭선읍 회동리 6 Desmop teri s IUi lle i Kawasaki xo.s, 고방산층, 정선군 남면 무릉리
·•·· · F , T. 선、 諾잖 i 〔tt乙la . 4 .L FI `션. o乃 %./~.h상 f 빼 Vr뻬 T ' . y /一 二/l:_cb1 〈 〈:冒 2a `亂,62
그림 21 평 안충군의 식 물화석 1 Tae1 1 i op t en ·s ti11g ii Halle xo .8, 사동중 태백시 장성읍 계산촌 2 Taenio p ten s sermlata Halle x o.6, 사동층, 상동 3 Taenio p teri s acuta n g u la Kawasaki X 1.0 , 사동충, 상동 4 Lep ido dendron oculus fel is Abb. xo.6, 사동충, 정선군 신동면 조동리
尸三
그림 22 평안충군의 식물화석 1 Cordait es sclzenkii Halle xo.8, 사동층 태백시 장성읍 금천리 2 Ptero p hy ll um daih o e12Se Kawaski xo.8, 사동충, 태백시 황지움 3 Pte1 '0 ph y ll um nil s sonio i d e s Kawasaki X0.9, 사동충, 태백시 장성읍 금천리 4 Ptero p hy ll um samchoke1zse Kawasaki xo.8, 사동충?, 삼척군 문곡리 신성 5 Ti ng ia carbonic a (Schenk) xo.7, 사동충, 삼척군 소달면 홍전리
j ! l i ll l l l l l l l 『 I l l
그림 23 평안충군의 방추충화석 ( 정창회 외 , 19 8 3 ) 1 Sch 1 c ag e n· 11 a mt scl 1 i Thomp so n Obliq u e axia l secti on . x 9, 밤 치 충 , 영 월군 북면 2-3 Pseudofz 1 suli12 a par aco11fz 1s a Rauser-Chernoussova 2 ; slig h tl y obli qu e axia l secti on , 3 ; inc omp le te axia l secti on , X 9, 밤치충, 영월군 북면 4-5 PseudofZ< Su lin a sp . A 4 ; axia l secti on , 5 ; obliq u e secti on , x 9, 상 동 ( 上同 ) 6-7 Pseudoju su lin a exil is S kin n er & W ide 6 ; axia l secti on , somewhat dis t o r t ed , 7 ; obliq u e sccti on , X9, 밤치충, 상동 8-9 Pseu d ofz (S u lin a sp. B a ; slig h tl y obliq u e axia l secti on , 9 : axia l secti on , x 9, 상동 10-11 Pseu d o/z lS ldin a comp li ca ia lancet z fon nis Mi kl ucho-M aclay Axia l secti on , x 9, 상동 12 Pseudof1
‘ 2 샤―― ;요요~:5 드나 一 r乙 , ' 스' i r ~;• /·
그림 24 평안충군의 방추충화석 ( 정창희, 1973) 1-2 Mi llere lla sp. cf. s aman 'ca Reil ing e r Tang e nti al secti on s, x 100, 태 백 시 장성 읍 3-5 Mi lle rella comp re ssa (Brazhnic o va & Poti ev skay a ) 3-4 ; axia l secti on s : 5 : tan g e nti al secti on , all x 100, 3 ; 금천 층, 태 백시 황지읍, 4 : 만항층, 태백시 황지읍, 5 : 금천충, 태백시 장성 읍 6-8 Mi lle rella acuta (Grazdil o va & Lebedeva) for ma nana (Ki re eva). 6 ; axia l secti on , 7-8 ; tan g e nti al secti on s, all X1 00 6, 8: 만 항 층, 태백시 황지읍, 7: 금천층, 태백시 황지읍 9-11 Mi lle rella variab il is Rauser Axia l secti on s, x1 00,9: 금 천 층, 태백시 황지 읍 , 10: 만 항층 , 태백시 황지읍, 11 : 만 항층 , 정선군 사복운 12-13 Mi lle r e l l a cf. acuta (Grozdil o va & Lebedeva) Axia l secti on s, x 100, 안 항층 , 12 ; 태 백시 장성읍, 13 : 태 백시 황지읍 14-15 Mi lle rell a acuti ssi m a (Ki re eva) 14 ; Axia l secti on , 15 ; tan g e nti al secti on , all x 100, 14 : 금천 층 , 삼척군 도계읍, 15 : 태백시 장성읍 16-18 Eosta f f ella subsolana Sheng 16, 18 ; Tang en ti al secti on s, 17 ; axia l secti on , all x 50, 만항충, 태백시 장성읍 19-20 Ozawain e lla voz lzga lio a Safo n ova Axia l secti on s, x4 0, 19 : 금천중 태백시 장성읍, 20 : 금천충, 태 백시 황지읍 21-22 Ozwain e lla par ati ng i Manukalova 21, Axia l secti on 22 ; tan g e nti al secti on , x 4o, 금천 충, 태 백 시 황 지읍 23-24 Ozawain e lla adducta Manukalova Tang e nti al secti on s, x40, 금천충, 태백시 황지움 25-27 Ozawain e lla magn a Sheng 25-26 ; tan g e nti al secti on s, 27 ; sag ittal secti on , all x40 25 ; 금천충, 삼척군 도계읍, 26 ; 금천충, 태백시 황지움, 27 ; 금천충, 태백시 장성읍 28 Ozawain e lla magn a magn a Cheong A. slig h tl y obli qu e secti on , x40, 금천충, 태백시 장성읍
, ^ R q, ,
그림 25 평안충군의 방추충화석 ( 정창희, 1973) 1 Pseudosta ffella go r.s k yi (Dutk e vit ch ) Tang e nti al secti on , x 50, t산항층, 태 백 시 장성 옵 2-4 Pseudosta ffell a kim i Cheong 2, 4 ; axia l secti on s, 3 ; tan g e nti al secti on , all x 35 , 금 천 충, 태백시 장성읍 5-6 Pseudosta ffell a dog e nsis Cheong Axia l secti on s, 5-6; x3 5, 금천중 삼척군 도계읍 1-9 Neostaf f ella sph aeroid e a cuboid e s Rauser, 7,8 ; axia l secti on s, 9 ; sag ittal secti on , all x 20, 금 천 충, 7,8 ; 태백시 황지움 9 : 태백시 장성읍. 10-13 Neosta ffell a hanensis Cheong 10, 11, 13 ; axia l secti on s. 12 ; tan g e nti al secti on , all x 20, 금천충 10, 12, 13 ; 태백시 장성읍, 11 ; 태백시 황지움 14 -17 Neosta ffell a pa p ilio f o r m i s Cheong 14, 17 ; Tang e nti al secti on s ; 15-16 ; axia l secti on s, all x20, 금천충, 태백시 장성읍 18-19 Xenosta/ f ella koreae1zsis Cheong , All axia l secti on s, x20, 18 ; 금천충, 태백시 장성읍, 19 : 금천중 단양군 영춘떤 20 Neosta ffella sp. A, axia l secti on , x20, 금천충, 단양탄전
2 3 4 5
그림 26 평안충군의 방추충화석 ( 정 창 회, 1971) 1 Fzts u lin a sp. A. Axia l secti on , x7, 금천충, 단양군 노동리 2 Fusulin a samari ca Rauser & Belja e v ? Axia l secti on , defo rm ed, x 15, 만항충, 단양군 고수리 3,5 Fusulin a lanceolata Lee & Chen Tang e nti al secti on , defo r med, x 15, 만항충, 상동 4 Fusulin a pse udokonnoi longa Sheng Axia l secti on , defo r med, x 15, 금천충, 단양군 태 화산 6,9, 11,12 Fusulin a au asicyli n d ri ca (Lee) Axia l secti on s, defo r med, x 15, 만항충, 6,12 ; 단양군 고수리, 9; 단양군 새터, 11 ; 단양군 덕산리 1,8, 10 Fusulin a cyli n d ri ca (Fis c her & Waldheim ) 7,a : Obli qu e secti on , x 15, 만항충, 7 ; 단양군 새 터, 8 ; 단양군 고수리, 10 ; Axia l secti on , defo r med ; x 15, 만항충, 단양군 고수리 13 -14 Quasifusulina ? sp . Tang e nti al secti on s, x 15, 만항충, 13 ; 단양군 고수리 , 14 ; 단양군 덕산리
f'R ‘.&tr宇 옵i 品 詞출
그림 27 평안충군의 코노돈트화석 (이종덕, 1983) 1,2 Idio g n atl zo dus anti qu ztS St au ff er & plu mmer up pe r vie w , X23, 홍점충, 영월군 마차리 4 ldio g , z atl zo dus anti qu rtS Sta u ff er & plu mmer up pe r vie w x 17, 상동 3,5 Idio g n ath o dus mag nifi따 s Sta u ff er & plu mmer up pe r vie w , x 20, 상동 6,7, 8 Jdi o g , z atl zo dus cf. clavif orn zis Gunnel up pe r vie w , x 20, 상동 9-11 ldio g n ath o dus de lic a htS Gunnel up pe r vie w , x 20, 상동 12 ldio g n atlz o dus d e li ca 僞 Gunnel lower vie w , x 20, 상동 13 Jdi o g n a th o dus delica ttt S Gunnel late r al vie w , x 20, 14 Gnath o dus bil in e atu s (Roundy ) up pe r vie w , X 34 15 Jdi o g n a th o dus sin u atu s Harris & Hollin g s wort h up pe r vie w , x 2 3
그림 28 평안층군의 연체동물화석 ( 양승영 외 198 4) 1 A l'icu lop ec te n cf. a lt er n ato o lica t u s Chap . Exte r nalmouldof r ig h t v alve, x2.4 , 홍점충(만항층 ) , 태백시 장성읍 2 Stz
,.. .i . .S :나모 `·』 - ..i 스글 」、.` 『` . `` `L ` `• .、• \ •``•. \ 4
그림 29 대동충군의 식물화석 1 Cladop h! ebis denti cu lata Brong n. xo.6 백운사충 충남 대천군 남포면 2 Cladoph l edbis ha i burne? 函 ( L. &;H.) xo.6 백운사충, 충남 대천군 남포면 3 Cladop hl ebis namp oe ns is Kawasaki X0.7 백운사충, 충남 대천군 남포면 4 Cladoph l ebis .arg u tula Heer X0.7 대동충, 평 안남도 대동군 임원면
:3틀 < . 广/?g胃 le lb/k尸
그림 30 대동충군의 식물화석 l Cladoph l ebis raci bo rski Zeil ler xo.7 동전충, 경기도 김포군 2 Cladoph l ebis wi lli a m soni Brong n. X0.7 반송충, 영월군 영춘면 3 Anomozami tes mi no r Kawasaki X0.7 통전충, 경기도 김포군 4 Conio p t eri s hym e nop hy ll oid e s Brong n. X0.7 선연충, 평안남도 평양시 5 Cte n is ya manari i Kawasaki xo.7 단산층, 경상복도 문경군 마성면
r\
그림 31 대동충군의 식물화석 1 Maratt iop s is asia t i ca Kawasaki xo.8 반송충, 영월군 영춘면 2 Drep an ozami tes sp xo.8 백운사충, 충청남도 대천군 남포면 3 Pter op hy U um aequ a le Brong n. xo.8 백운사충 충청남도 대천군 남포면 4 Ptero p hy l l um conti qu um Schenk xo.8, 상동 5 Ptero p hy l l um subaequ ale Hartz xo.6, 상동 6 Baie r a gra c ilio Bunb X1, 남포충군, 충청남도 보령군
! I髮 言\ 曰
그림 32 대동충군의 동물 및 식물 화석군 14Corea n op hy l l um var iiseg m e n tu m Ki m ure & Ki m xo.8 , 남포충군, 충남 보령군 2 Neocalami tes carrerei (Zeil le r) xo.8 , 남포충군, 충남 보령군 3 Podozami tes lanceolatu s (Lin d ley & Hutt on ) xo.8, 남포충군, 충남 보령군 5 Esth e ri tes ramp oe 1is is K obay as hi X 1.0, 남포충군, 충남 보령군 6 Esth e ri tes tan ii Kobay a shi X 1.0, 구로리층, 평양부근 1 Esth e ri tes coreanic a Ozawa & Wata n abe X 1.0, 동전충, 경기도 김포군 8 Esth e ri tes shim amurai Kobay a shi X 1.0, 중동충, 황주군 경 이 포 9 Esth e ri tes cyc l oid e s Kobay a shi X 1.0, 구로리층, 평양 부근 lOEste r i tes kawasakii Ozawa & Wata nabe X 1.0, 동진충, 경기도 김포군
夕一홀후警三露心 鵬
그림 33 묘곡충(상부쥬라계)의 연체동물화석 (양승영, 1976) Koreanaia clzo 函 YANG 1 Conjo i n e d valve, la ; rig h t valve,lb ; left valve 2 Conjo i n e d valve, 2a ; righ t valve, 2b ; left valve, 2c : dorsal vie w 3 Conjo i n e d valve pos te r io r par t broken out, 3a ; rig h t valve, 3b ; left valve 4 Rig h t valve po ste r i or dorsal pa rt broken 5 Left valve im matu r e spe c im en 6 Rig h t valve im matu r e spe cim en 7 Left valve im matu r e spe cim en 8 Conjo i n e d valve left sid e vie w 9 Rig h t valve im matu r e spe ci m en 10 Conjo i n e d valve 10a : left sid e vie w , 10b : rig h t sid e vie w 11 Conjo i n e d valve left sid e vie w 12 Exte r nal mould of righ t valve made of clay 따 14 Inte r nal mould of im matu r e rig h t valve 15- -1 8 Inte r nal mould of left valve . 1-18 ; xo.s, 경상북도 봉화군 재산면 묘곡
2a
그림 34 경상충군의 연체동물화석 ( 양 승영, 19 74) Tri go nio i d e s (s.s.) kodair a i Kobay as hi & Suzuki 1 rig h t valve X 1.2, la ; sid e vie w , lb ; up pe r vie w , le ; ante r io r vie w , Id ; pos te r io r vie w 2,3, 5,7,9 Biv a lved x 1.2, left valve sid e vie w 4 Left valve x 1.2 , la ; sid e vie w , lb ; up pe r vie w 6 Biv a lved x 1.2, rig h t valve sid e vie w 8 Biv a lved x 1.2, sa ; left valve sid e vie w , sb ; upp e r vie w 10 Left valve x 1.2 11 Rig h t valve x 1.2. 11a ; sid e vie w , 11b ; upp e r vie w 1-11 ; 하산동충 경 상 남도 하동군 금남면 수문동
그림 35 경상충군의 연체동물화석 (양승영, 1975) Nag do 껑ia soni ; Yang 1-3,5,10 ; Rig h t valve ~7Left valve 6 Conjo i n e d valve showi ng the dorsal pa rt str o ng ly defo r med ver- tica lly 8 Rig h t valve, 1-8 ; x0.8 5 , 연화동충 경상복도 칠곡군 왜관옵 9 Left valve, xo.85, 연화동충 경상복도 칠곡군 치천면 11 Inte r nal mould of left valve, 10-11 ; x o.85, 하산동충, 경 남 하 동군 금남면 수문
.며.. ,祭,, :m. ., r. - ·c:.g h 모궁` ·.', 접 ;' ' 합¥!,~ .-.' `、 '
그림 36 경상충군의 연체동물화석 1-44 Nagd ong ia soni Yang , 1-38 Immatu r e spe cim ens showi ng the varia t i on of outl ine , x 1.6, 하산동충, 하동군 금남면수문 2, 5-6, 8, 10-1 4 , 16, 19-2 2 , 24-33 ; Rig h t valves, and the oth e rs left valves 39Inte m al mould and rubber cast 40 Inte r nal mould of rig h t valve 41 Inte r nal mould of conjo i n e d valve 42 Inte r nal mould and rubber cast 43 Rubber cast of the left int e r nal mould 44 Rubber cast of the left int e r nal mould 39- 44 ; X0.8, 연화동충, 칠곡군 왜관읍
·..20 .‘21 .- .22. ••.•23 .•24 ‘-2홑5 -,• 2•6 ·••·27
그림 37 경 상충군의 식 물화석 1 Cladop hl ebis gey l e ri an a (Nath o rst) X15, 낙동충, 대구 부근 2 Cladoph l ebis koto i Tate i w a X 0.9, 낙동충, 대구 부근 3 Cladop hl ebis shin d oensis Tate i w a 3a ; X0.8 , 3b ; 2.3, 하산동충, 대구 부근 4 Cladop hl ebis shin syuensis Tate i w a X2.8 , 진주충, 경상남도 마산 5 Cladop hl ebis sp. X3.0 , 낙동충, 대구 부근 6 Frenelop sis cf par ceramosa Fonta in e X6ab ; 0.8, 6c ; 1.6, 대구충, 대구 부근 1 Equ is e ti tes nakto n g en sis Tate i w a X 6.3 , 낙동충, 경 상북도 낙동 8 A dia n ti tes sewardi Yabe xo.a, 낙동충, 대구 부근
油 甘
그림 38 경상충군의 식물화석 1 Di cty o zami tes fal cat1 1S (Morr.) x o.8, 낙동충, 경 상복도 낙 동 2 Di cty o zami tes kawasakii Tate i w a x o.8, 낙동충, 대 구 3 Onyc h io p s is elong a ta (Gey le r) x o.8, 낙동충, 대 구 4 Gi nk g o diu m gra c ile Tate i w a x o.8, 낙동충, 대구 5 Ruff ord ia goe pp e rti (Dkr) xo.8 , 낙동층, 대구 6 Ony ch io p s is ,nante l l ii (Brong niar t) x o.8 , 낙동충, 대 구 1 Gi nk g o it es sib i r ica Heer xo.8, 낙동충, 경상남도 진주 부근 8 Cyp a ri ssidi u m jap on ic tm Yokohama x o.8, 진주충, 경 상낭도 진주 9 Conio p teri s hym e nop hy ll oid e s (Brong n) xo.8 , 낙동충, 경상남도 진주 10 Gi nk g o dig itata (Brong niar t ) x o.8, 낙동충, 대구 11 Gi nk go diu m nath o rsti Yokohama x o.8, 낙동충, 대구
\ :\).la
그림 39 경상충군(백악기) 공룡골편화석 및 족적화석 1,2 외부 대되골 xo.2 , 구계동충, 경상복도 의성군 탑리 3 “하벨스씨 충판과 하벨스씨 管을 보이는 조직, 경상북도 의성 군 탑리 4 공룡의 족적화석 (양승영, 1982) 5 上記 족적화석의 여러 형태 4-5 : 경상남도 고상군 덕명리
3
그림 40 경상충군 우항리충에서 산출된 介形蟲類(오스트라코다)화석 (이 대성 • 이하영, 1976) 1-6 ; Form A, Gen. et sp ind et. Late r al sid e , X31 우항리층, 전라남도 해남군 황산면 우항리 1-10Form B. Gen. et sp. ind et. Late r al sid e , X 31, 우항리 층, 전 라남도 해 남군 황산면 우항리
그림 41 제 3 기충의 연체동물화석 (윤선, 1976) 1 Nucula (Leio n cula) pr aenip po nic a (Kamada) X 1.2 , 청옥사층, 달전 교대멤버, 경상북도 포항지역 2,6,7 Yoldia (Ortlz o y o ldia ) sagi ttaria Yokoy a ma x o.8 , 두호충, 상동 3 Anadara (s.s .) makiy am ai Hata i & Ni si y a ma X 1.6, 청옥사충, 도음산 교대멤버, 상동 4 Acil a (s.s.) 떠 m i a (Yokoy a ma)
X 0.8 , 청옥사충, 달전교대멤버, 상동 5 Ac ila (s.s .) c f. submi ra bil is Makiy a ma xo.8 , 청옥사층, 달전교대멤버, 상동 8 Tape s (Sir a to r i a) sir a to r i en s is (Ot uk a) X 1.6 , 청옥사중 도음산 교호멤버, 상동 9,12 Tape s (Rudit ap e s) tak ag ii (Masuda) 9 ; X 1.6 ; 1.2, X l. 5, 청 옥사충, 보문지 교호멤 버 , 상동 10 Clin o cardiu m sp. , xo.8 , 청옥사충, 도음산 교호멤버, 상동 11 Nuculana sp. , X 2.0 , 상동 13 Anadara (Hata iar ca) dait ok udoensis (Makiy a ma) x o.8 , 청 옥사충, 보문지 교호멤 버 , 상동 14, 18 Nemocardiu m sp. xo.s , 청 옥사충, 도음산 교호멤 버 , 상동 15, 16 Cy c lin a (s.s .) j ap o n ic a Kamada 17,x21o-.2s 3, A청n옥a사da충r,a (H보a 문tai지a r ca교) 호ka멤k e버h a, ta 상e n동s is Hata i & Ni si y a ma, x o.8 , 청옥사층, 보문지 교호멤 버 , 상동 19,20 Dos ini a (P'hac osoma) nomurai Ot uk a. xo.s , 청 옥사충, 도음산 교호멤 버, 상동 24-25 Crassostr e a grav itesta (Yo koy a ma) x o.s, 2.8, 확전 충, 상동
3
그림 42 제 3 기충의 연체동물화석 (윤선, 1976) 1,2 Pil l1 1c i11a (Syd l01in a) yo koya mai (Ot uk a) xo .8, 청옥사층, 도음산 교호멤버, 경상북도 포항지역 3-6 Mc -ga xin u s (s.s.) klzata ii (Ot ru ka) X 0.8, 청 옥사층, 보문지 교호멤 버 , 상동 7,8, 11 ,13,14 Prop ea mussiu m (s.s.) tatei w ai Kanehara. 7-8, 13-14 ; X 1.6, 11 ; X2.4 , 7-8, 11, 두호총 : 13-14 : 학전충, 상동 9,10 Clzlamy s (s.s.) akit an a (Yokoy a ma) 9 ; X 1.2 ; 10, ; X 1.6 , 청 옥사층, 도음산 교호멤 버 , 상동 12 Acesta (s.s.) of yag e nensis (Ot uk a), X 0.4 , 청 옥사층, 달전 교호멤 버 , 상동 15,16 Felanie l la (s.s.) fer rug ina ta (Makiy a ma) X0.8 , 청옥사층, 도음산 교호멤버, 상동 17, 18 Lucin o ma acuti lin e atu m (Conrad) X0.8, 두호충, 상동 19 Pati no p ec te n (Koto r ape c te n ) sp. X 0.8, 청 옥사층, 달전 교호멤 버 , 상동 20 Saxid o mus cf. nutt alli Conrad X0.8, 청옥사층, 도음산 교호멤버, 상동 21 Acesta sp. xo.8, 학전충, 상동
2 E ` 3 4 5 6
그림 43 제 3 기충의 연체동물화석 (윤선, 1979) 1,2 Panop ea jap o n ic a Adams xo.s , 화봉리층, 경상북도 윤산지역 3,7 M;'a (A renomy a) cuneifo rm i s(B ohm) xo.8, 화봉리층, 상동 4,5 Sir a to r i a sira to n ·e1is is(O t uk a) xo.s, 상동 6,9 Vica ry a (Slwshir o ia ) callosa jap o n ic a Yabe & Hata i xo.8 , 신현충, 상동 8 Solid i c o rbula nis atai e n sis (Ot uk a) xo.s, 화봉리층, 상동 10 Vica ry el la ish ii an a(Y o koy a ma) xo.8, 신현충, 상동 11 Turr itell a (Hata iell a) saga i Kota k a xo.8, 화봉리층, 상동 12 Mercenari a chit an ia n a (Yo koy a ma) x o.8, 화봉리 층, 상동
,4’ ’
그림 44 신생대충의 유공충 화석 (김봉균, 1965) 1 Hap/ o p lz ragm o id e s comp r essum LeRoy . X55, 포항충, 포항-연일지역 2 Hapl op lzr agm oide s renzi Asano. x4o, 이동충, 상동(上同) 3 Cy cl ammi na jap o n ic a Asano. X18, 포항충, 상동 4 Cy cl ammi na inc i sa (St ac he). X28, 이동충, 상동 5 Cy c lammi na cf. p ac ifica Beck X21, 포항충, 상동 6,7, 8 Gacdry ina yab ei Asano X39, 대곡충, 상동 9,10 Gaudry ina kari ha ensis Asano X39, 대곡충, 상동 11 Ammolia c ulite s sp. X25, 이동충, 상동 12 Mart ino tt iell a nodulosa (Cushman) X25, 대곡충, 상동 13 Mart ino tt iell a bradya n a ta演i e nsis (Asano) X40, 대곡충, 상동 14 M邱 no ttie lla communis (d'Orbig ny) X55, 포항충, 상동 15,16 Qu in q u eloculin a semi nu lin a (Linn aeus) X56, 이동충, 상동 17.18 Quinq u e/,o c ulin a sp. X74, 대곡충, 상동 19 Bath y s iph on sp. X37, 대곡층, 상동
1 2 3
그림 45 신생대충의 유공충화석 ( 김 봉균, 1965) 1,2 Bulim i na elonga ta ten era Reuss X82, 대곡충, 포항-연일지역 3,4 Praegl o bobulim i na pup o i d e s (d'Orbig ny) X63, 이동충, 상동 5 RetlS Sella sp. X99, 대곡충, 상동 6,7, 8 Uvig er i na nit idu la Schwag e r X72, 포항충, 상동 9,10 Uvig er i na cf. hoots i Rankin . X59, 포항충, 상동 11,12 ,13 , 14 , 15 ,16 Uvig er i na ye onil le nsis Ki m . 11-14 ; X68, 16 ; X 63, 15 ; X63, 포항충, 상동 17,18 Uvig er i na segu n doensis Cushman & Call ihe r X72, 대곡충, 상동 19-20 Uvig er i na pro bosid e a Schwag e r X66, 포항충, 상동 21-26 Unig er i na sp a X90, 포항층, 상동 27 Uvig er i ne lla sp. X56, 이동충, 상동
1 2 3 4 5
그림 46 신생대충의 유공충화석 (김봉균, 1965) 1,2, 3 Ammonia beccan·i (Lin n aeus) X 54, 포항충, 포항-연 일지 역 4,5, 6 Ammonia sil /a e mis Ki m X22, 함진동충, 함경북도 길주-명천지역 1,8 Elph i d i u m jem eni (Cushman) X41, 이동충, 포항―연일지역 9 Elph i d i u m etig o eme Husezim a & Maruhasi X 122, 포항충, 상동 10,11 Cr ibro elph i d i u m sp. X 50, 이동층, 상동 12-14 Ep on id e s ye ong ilbn ane1is is Ki m X 86, 이동충, 상동 15-17 Ep on id e s umbonatu s (Reuss). X 66, 이동충, 상동 18-20 Cib i c ide s mallory i Mats u nag a . X 63, 이동충, 상동 21-23 Cib i c id e s pse udoung e ri an us (Cushman). X 57, 이동충, 상동
1 2 3 4 5
그림 47 신생대충의 유공충화석 (김봉균, 1965) 1-2 Turborota li a byk ovae Ai se nsta t X76, 이동충, 포항_연일지역 3 Globig e ri na bulloid e s d'Orbig ny X61, 이동충, 상동(上同) 4 Turborota li a subcreta c ea (Lomnic h i) X76, 이동충, 상동 5 Globig er i na woodi Jen kin s X 76, 이 동충, 포항一연 일지 역 6--1 Turborota li a scit ula sci tul a (Brady ) X 129, 포항충, 상동 8-9 Melonis pom p iloid e s (Fic h te l & Moll ) X61, 이동충, 상동 10- 11 Valvulin e ri a asanoi Ki m X76, 포항충, 상동
그림 418 C신os생ci n대o 충dis의 cz {S 규 ,n조a화rg 석i n a (tz이 tS 영E길h,r. 1984) X456, 대곡충, 포항一연일지 역 2 Coscin o dis cu s nzarg i na 臨 Ehr. X456, 대곡충, 상동 3 Cosci no dis c us oculz{S -iridi s Ehr. X456, 송학동중, 상동 4 Coscin o dis c us tab ulai is Grunow 5 CXo4s5c6i n, o 서dis암 cz역 {S 암 ,,.zit id상 u s동 G reg o ry X456, 서암역암, 상동 6 Coscin o dis cz {S oculus-in d is Ehr. X456, 대곡층, 상동 7 Cosci no dis cz tS radia t u s Ehr. X456, 대곡층, 상동 8 Cos ci nod is c 郞 ste l lari s Rop e r X456, 대곡층, 상동 9 Coscin o dis c us curvatu lttS Grunow X456, 대곡충, 상동 10 Cladog ra mma califo rn ic a Ehr. X456, 대곡충, 상동 11 Cosin o dis cu s tub erculatu s Grevil le X456, 대곡충, 상동 12 Cosci no dis c us ste l lari s Rop e r X456, 대곡충, 상동 13 Coscin o dis cu s lewis ian us Grevil le X456, 서암역암, 상동 14 Cosci no dis cu s margi na tu s Ehr. X456, 대곡충, 상동
I ’’ ./ / - ,..,. _ _ ! 广 -` 、— . ~-. - v”·v- 빽.` •. • ·' \\ ..\ \ ·惑 \?논\· :
그림 49 신생대충의 규조화석 (이영길, 1984) 1 Cosci no dis c us vetu sti.ssim us Panto c sek X462, 서암역암, 포항_연일지역 2 Coscin o dis cu s roth i i (Ehr.) Grunow X462, 서암역암, 상동(上同) 3 Di.plo neis smi thi i (Breb.) C leve X462, 서암역암, 상동 4 Cosci no dis c us vetu sti.ssim us Panto c sek X462, 서암역암, 상동 5 Cras pe dodis cu s rhombic u s Grunow X 462, 이 동충, 상동 6 Cosci no dis cu s tab ulari s Crunow X-4 6 2, 서 암역 암, 상동 1 Di.plo neis orabro Ehr. X462, 서암역암, 상동 8 Di.plo neis bombus Cleve X308, 서암역암, 상동 9 Ento p y a austr a lis var. gi,ga nte a Grevil le X539, 서암역암, 상동 10 Amp ho ra Prote u s Greg o ry X616, 서암역암, 상동 11 Endic ty a oceanic a Ehr. X462, 송학동충, 상동 12 Denti cu lops is huste d ti i Sim onsen X462, 대곡충, 상동 13 Denti cu lops is lauta (Bail ley ) X462, 송학동충, 상동 14 Denti cu lops is lauta (Bail ey ) X462, 대곡충, 상동 15 Denti cu lops is huste d ti i Sim onsen, X462, 이동충, 상동 16 Denti cu lops is hya li n e (Schrader) X462, 이 동충, 상동 17 Denti cu lops is hya li ne (Schrader) X 770, 이 동충, 상동 18 Denti cu lops is lauta (Bail ey ) X462, 이 동충, 상동
,•gb ••H던日10i1포3, ,1 4 I目目-m1님lS
그림 50 신생대충의 규조화석 (이 영길, 1984) l Melosir a sol (Eh r.) , X456, 서암역암, 포항一연일지역 2 Melosir a sulcata (Ehr. ) , x 304, 서 암역 암, 상동 ( 上同 ) 3 Sti ctod is cz lS kit ton ia n us Grevil le, X456, 이동충, 상동(上同) 4 Sti cto d is c us kil lon ia ntlS Grevil le , x 456, 이 동충, 상동 5 Navic zt ! a lyr a Ehrenberg, X456, 아동충, 상동 6 Navic zt ! a lyr a Ehrenberg , • X 456, 송학동충, 상동 1 Navic u la pra ete x ta var. abundans Schmi dt , X 304, 대 곡충, 상동 8 Trachyn eis 짝 era 짝 era Cleve , x 456, 서 암역 암, 상동 9 Navic u la hennedy i smi th , x 456, 송학동충 10 Rhiz o solenia mi oc enic a Schrader, x456, 대곡충, 상동 11 Rhiz o solenig mi oc enic a Schrader. X456, 대곡충 12 Rhiz o solenia curvir o str is Jo use , x456, 대곡층, 상동 13 Rhiz o solenia sp . A. , X456, 서암역암, 상동 14 Rhiz o solenia mi oc enic a Schrader. x456, 대곡충, 상동 15 Rhiz o solenia sp. B , X456, 대곡충, 상동 16 Rhiz o solenia sp. A , x 456. 서 암역 양 상동 17 Rhiz o solenia mi oc enic a Schrader , X 456, 대 곡충, 상동 18 Plag iog ra mma fos s i.le Haj6 s , X456, 서 암역 암, 상동 19 R/zapo n eis amp hi c e ros (Eh r.) , X456, 서 암역 암, 상동 20 Rhapo n eis rlzombic a (Grunow) , x 380, 서 암역 암, 상동 21 Rhapo n eis amp hi c e ros (Eh r.) , X 456, 서 암역 암, 상동 22 Rhabdonema arcuath m (Ly na b.) , X456, 대곡충, 상동 23 Rhabdoner> z a jop o n ic u m var. sp a 函 cos tatu m Temp e re & Brun , X456, 서암역암, 상동 24 Rhabdonema arcuatu m (Ly na b.) , X456, 대곡충 25 Pyxilla int e r media Temp e re and Fort i . X 456, 대 곡충, 상동
11
그림 51 신생대충의 포자 화분 화석 (봉필운, 1984) 1 Qu erct
介2 3 4 I尸` .묘 .i) A ,5u'
그림 52 신생대충의 포자화분화석 ( 봉펄윤, 1984) 1-3 Ca1J 'a sim p le. r (Poto n ie ) 1 ; xs oo, 서암역암, 2 ; X800, 하부함탄층, 3 ; X800, 상부함탄 충, 포항_연일지역 4 ]ugl a ns maculosus (Thomson & Pf lug ) x800, 포항충, 상동(上同) 5 ]ugl a ns hornia n a Traverse, x 800, 이 동충, 상동 6-7 Pter ocary a ste l latu s (Poto nie ) 6 ; x soo, 하부함탄충, 7 ; X 800, 하부함탄층, 상동 8 En c ap ites sp. x 800 상부함탄총, 상동 9-10 Cy rilla ceaepo llenit es ovalzfo n nis (Takahashi) 9 ; x800, 송학동충, 10 ; xs oo, 하부함탄층` 상동 11 Sym p !o cos jac ksonia n a Traverse, X800, 서암역암, 상동 12 Sym p lo cos cecil ie n si s (Thie r ga rt) X800, 서암역암, 상동
,. `, ' · ltl
그림 53 신생대충의 포자 화분화석 (봉필윤, 1984) 1-3 Liq u id a mbar sty rac if lua Lin n aeus 1 ; xsoo, 석암역암, 2 ; x800, 장기역암, 3 ; X873, 서암역암, 포 항-연일지역 4-5 Po[y ,go num po[ y ,go noid e s (Takahashi) 4 ; xsoo, 하부함탄충, ~ ; X873, 하부함탄충, 상동(上同) 6-7 Rumex sp. 6 ; x aoo, 서 암역 암, 7 ; X 873, 하부함탄충, 상동 8-9 Til ia gran dip o llenin i a Traverse 8 ; X800, 서암역앞 9 ; X873, 서암역암, 상동 10- 11 Til ia amen 'ca na Lin n aeus 10 : x aoo, 서 암역 암, 11 ; X 873, 상부함탄충, 상동
1 2 ;5~홍 令’ ` . `1앞 ‘ §`, •: 핼.I. “`` ;! Os
그림 54 신생대충의 포자화분화석 (봉필윤, 1984) 1 Til ia pun ctu lo sus(Takahashi) X800, 서암역암, 포항―연일지역 2 Til ia sp. , X800, 상부함탄총, 상동 3 Araliac eop ol / en it es pro fu n dus Frederik s en, X800, 서암역암, 상동 4 My riop h y l l um sp. 1, X800, 서암역암, 상동 5-6 My riop h y l l um sp. 2 5 ; XBOO, 서암역암, 6 ; X800, 서암역암, 상동 1 Rhus sp. 1, x 800, 하부함탄충, 상동 8 Rhus sp. X800, 서암역암, 상동 9-10 Ny ss a Kruschii (Poto n ie ) 9-10 : xaoo, 서암역암, 상동 11-12Nys s a ing en ti po l/ inia Traverse 11 ; xaoo, 대곡충, 상동, 12 : xaoo, 포항층, 상동
*’ I ’.. `
그림 55 신생대충의 쌍모충류화석 ( 윤혜수 , 1981) 1 Maduradin i u m sp. A. X 560, 두호충, 경 상북도 포항시 2 Maduradniu m sp . B. X800, 상동 3 , 5-6 Leje u nia hya l in a 3 ; X640, 5 :X640, 6 ;X600, 상동 4 Leje u nia sp. A X640 상동 1 Ovoid i n i u m sp. X640, 상동 8-9 Areosj Jlz aer i di u m sp. A 8X640, 9 ; X 520, 상동
2 3
그림 56 신생대충의 식물화석 1 Ly go diu m cf. kaulj ussi Heer. X l.l, 신생대충, 포항지역 2 Sequ o ia chin e nsis Endo Xl .l, 상동 3 St er n of Pi.ce a sp . X l.l, 상동 4 Meta seq u o ia dis ti,ch a(Heer) X l.l, 상동 5 Pteri s sp. X1 .1 , 상동
~', .;;
그림 57 신생대충의 식물화석 l Mag, 10 / ia mi oc enic a Hu & Chaney X2.5 , 장기충문, 포항지역 2 Li nd era par aobtu silov a Hu & Chaney x2.o, 신생대충, 상동 3 Li/ sea gra baui Hu & Chaney Xl .O, 상동 4 Cin a monum lanceolatu m (Ung e r) X l.0, 연일층군, 상동 5 Carp inu s sp Xl .O, 상동 6 Carp inu s sp X l.O, 상동 1 Salix masamunei Mats u o x2.o , 상동 8 Querc us mi ov ari ab il is Hu & Chaney x2.o, 상동
2
그림 58 신생대충의 식물화석 1 Querc rtS mi ov ari ab il is Hu & Chaney x2.o , 신생대충, 포항지 역 2 Zelkova ung er i Kovats X l.0, 장기 충군, 상동 3 Ulmus mi op u m i la Hu & Chaney X 1.0, 신생대충, 상동 4 Zelkova un g函 Kovats X l.0, 장기 충군, 상동 5 Quer cus mi ov ari ab il is Hu & Chaney x2.o, 신생대충, 상동 6 Zelkova ung er i Kovats X l.O, 장기 충군, 상동 1 Fa gus chin e n sis Li x2.o , 신생대충, 상동 8 Betu la mi ol umi ni f era Hu & Chaney x2.o, 신생대충, 상동
.,
부록 IV
(※ abc 순으로 생물분류군과 산출지충을 배열하였으며 끝의 숫자는 본문케이지수 를 지시함)
Acer trilo batu m pro duct um Al . Braun( 단풍나무과), 고전원 158 Acer trilo batu m S t b . (단풍나무과), 감포 어 일충 153 Acer trilob atu m var. pro ductu m Al . Braun( 단풍나무과), 항전동충 160 Acesta s p.(부족류), 학전충 138 Acesta ( s.s .) cf. y ag enens is (O t uka) (부족류), 천곡사층, 연일충 138, 140 Acharax tok una ga i( Y okoy a ma), (부족류), 천곡사충, 홍해충, 두호충 138 Aclmanth e s inf / al a Ku t z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0 Aclmanth e s koreana Skvor t zov(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0 Achnanth e s lin e ari s W . Smi th var. p us il la Grun.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0 Achomosp h aera sp . A . (쌍편모충류), 두호충 174 Achomosp h aera trian g ula ta ( Gerlach ) ( 쌍편모충류 ) , 두호충 174 Acil a (s.s .) exim i a( Yokoy a ma), (부족류), 천곡사충 138 Acil a (s.s .) su 加i rab i l is Mak. (부족류), 회봉리층, 평육동충 142 Ac ila (s.s .) cf. su 加i rab i l is Mak iy ama( 부족류), 천곡사충, 연일충 138, 140 Ac /istoc hara sp . A . (윤조류), 대구 충 송내동 멤 버 131 Ac /istoc hara sp . B. (윤조류), 대 구충 송내동 멤 버 131 Acodus de/t al us L i nds t rom( 코노돈트), 두무골셔1 일, 막골석회 암 57 Acodus oneote n sis Furn i sh( 코노돈트), 두무골셰일, 태백시 오오도비스계 57, 61 AcodtlS sim i /a ri s Rhodes ( 코노돈트 ) , 두위 봉석 회 암 59 Acodus sp.(코노돈트), 두위봉석회암, 태백시 오오도비스계, 영흥충, 정선석회 암, 행매충, 만달산층, 회동리층 59, 61, 64, 67, 6B -g, 79 Acodus tet r ah edron Li nd str o m (코노돈트), 두무골셰 일, 문곡충, 만달산층 57, 63, 69 Acodus unic o sta tus Branson & Branson( 코노돈트), 회동리 층 79 Aconti od us arcuatu s L i nds t rom( 코노돈트), 두무골셰 일 57 Aconti od us arcuatu s Pander( 코노돈트), 강계지역 중부 오오도비스계 70 Aconti od us cf. arcuatu s Pander( 코노돈트), 문곡충 63 Aconti od us iow aensis Furn i sh( 코노돈트), 두무골셰 일, 문곡충 57, 63 Acontio d us latu s Pander( 코노돈트), 두무골셰 일 57 AAccoonnttii oodd uuss cmfa. nm dainleu ntus is s SLeere p( a 코 g l노 i돈(트코)노돈,트 )만,달 만산달층산 층69 69 Aconti od us muelleri Lee( 코노돈트), 만달산층 69 Aconti od us nevadensis Et hi n g ton & schumacher( 코노돈트), 두위봉석회 암 59 Aconti od us noga mi i M ill er( 코노돈트), 문곡충 63 Aconti od us cf. p ropinquv s Furn i sh( 코노돈트), 태백시 오오도비스계, 만달산층 61, 69 Acontio d us nov. sp . Et hi n g ton & Clark( 코노돈트), 두무골셰 일 57 Acontio d us rectu s L i nds t rom( 코노돈트), 두무골셔1 일, 막골석회 암 57 Acontio d us semi symm etr icus Hamar( 코노돈트), 두위봉석회 암 59
Acon h oduss p.(코노돈트), 두위봉석회암, 직운산셰일, 정선석회암, 행매충, 만달 산층 59, 67, 68궁 Acontio d us sp. A . ( 코노돈트), 막골석회 암 58 Aconti od us sp. B . (코노돈트), 막골석회암 챈 Aconti od tl S sta u ffe ri Furn i sh( 코노돈트), 문곡충 63 Acrocep h alin a trisulc ata Koba y ash i(상영층), 마차리층 43 Acrostic li um (?) s p . (방동사니과), 연일층군, 감포역암, 어일중 180, 182 Acroth ele e//iph c a Koba y ash i(완족동물), 화철충 31 Acroth ele s p.(완족동물), 임 촌충 49 Acrotr eta aff. shanhmg en sis Walcott ( 완족동물 ) , 입 촌충 49 Acrotr eta coreanic a Sa it o( 완족동물) , 낙인충 49 Acrotr eta Pac ifica Walco tt(완족동물), 후창지 역 캄브리 아계 54 Acrotr eta setn ico nic a Koba y ash i(완족동물), 화철충 30 Acrotr eta s p.(완족동물), 삼방산층, 하내리 층 , 후창지여 캄브리아계 41, 46, 54 Acrotr e ta sp. i nde t . (완족동물), 마산리 층 49 Acrotr eta · venia Walco tt(완족동물), 대 기 층 29 Acrotr eta yon g wo let isis Koba y ash i(완족동물), 마차리 층 42 Acti no ceras s p . (두족류), 강전산층 51 Acti no c yc lus ehrenbergi i( 규조 ) , 포항지 역 계 3 기 충 171 Actin ocyc/us ehrenbe rgii var. t enella( 규조) , 포항지 역 계 3 기 충 171 Actin ocycl us ingen s s. amp /(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1 Actin ocycl us ing e n s s. s tr(규조), 포항지 역 계 3 기 충 171 Actin optych us sp lendens( 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충 171 Ac ti. 뼈 tyc hus undula tus(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충 171 Actin optych us vu[g a ris var. a us t ral is(규조), 포항지 역 제 3 기 충 m Adeto gnathu s lau tus (Gunnell)( 코노돈트), 홍접충 J06 Ad ian tit es sewardi Yabe( 양치류 양치유사식물), 낙동아층군 126 Adia n tit es yuasa ensis ( 식 물화석 ) , 묘곡충 121 Aescu/us maju s Tana i(칠연수과), 장기층 151 Aescu/us mio ch in e nsis Hu. & Chane y(칠엽수과), 용동충, 함전동충 15!} -60 Agnost u s b. s p . (상입충), 두무동충 32 Agno stu s chin e nsis Dames( 삼엽충), 임촌충 49 Agnost u s s p.(삼엽충), 두무동충 32 Agnost u s rakuroensis ( Kobaya shi) , (상영 충) 49 Ail a nth u s yez oe nsis Oi sh i & Huz i oka( 소태 나무과), 행 영 충 156 Akiy o shie // a s p . (방추충), 요봉충, 홍정충 96, 100 Alan gium 뻑 ual ifo / iu m(Goe pp er t)(박쥐나무과), 장기충, 연일충, 행영충, 고건원, 용동춘 통천충 151-- 2, 156, 15S -g, 162 Alang ium s p.(박취나무과), 북평지역 제 3 기충 154
Aleth o pter is nor ini i Halle ( 양치 류 ) , 사동충 88 A/ju t o v el/ a s p.(방추충), 요봉충 96 A/nus cf. tsu dae Huzio k a & N i sh i da( 자작나무과), 통천충 162 A/nus kefe rs te i n i i Goe p(자작나무과), 행 영 충 156 Alnus rhombif o/ia Nu tt(자작나무과), 장기충군 177 Alnus rubra Bon g(자작나무과), 장기충군 177 A/nus s p.(자작나무과), 연일층군, 감포역암, 어일충 179, 181 Alnus tsu dae Huzio k a & N i sh i da( 자작나무과), 고전원, 함전동충 157, 159 Alu/a obsoleta Sa it o( 삼엽충), 문산리층 48 Alveovalvulin a s p . (유공충), 연일층군 169 Ambalodus gal en tS Wall i ser( 코노돈트), 회동리 층 79 Amba/odus hoedong en sis Lee ( 코노돈트 ) , 회 동리 층 79 Ambalodus sp . ( 코노돈 트 ) , 직 운산셰 일 59 Amecep h alus sait oi Koba y ash i(상영충), 임촌충 50 Ammobaculite s ca te nula t us( 유공충), 북평지역 제 3 기충 182 Ammobaculite s s p .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163 Ammodis c1 tS i ncerla( 유공충), 북평지역 제 3 기충 182 Ammodis c us i11 cerlus (d'Orb ig h y)(유공충), 연일층군 169 Ammodochiu m re ct angu lare( 에 브리 디 아), 연일충군 174 Ammonia aff . 11 ipp on ic a(Asano) (유공층), 연일층군 <6 9
Ammonia beccan i (L i nnaeus)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서귀포충, 신양 충 , 함전동충 163, 186, 181 ½) Ammonia beccari i po hang e nsis Ki m ( 저 서 성 유공충) , 대 곡충, 이 동충, 포항충, 함전 동충 163, 189 Ammonia inf / ata ( Seq u enza),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6 Ammonia ke ti enz ie ns is(유공충), 북평지역 제 3 기충 182 Ammonia Keti en zie n sis ( Ishiz a ki) , (처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6 Ammonia nip po nic a (Asano),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6 Ammonia sil /ae nsis Ki m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울산지역 계 3 기 충, 함전동충 163, 186, 189 Amononia s p.(저서성 유공충), 울산지역 계 3 기충 186 Ammonia ta kanabens is(I sh i zak i)(유공충), 연일층군 170 Amp h ic 0 r y1ia scalari s( Bats c h), (저서성 유공충), 이동춘 포항충 163 Amp h ic o ry n a sca/ari s saga mi en sis ( Asano),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163 Amp h ic o rma s p.(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163 Amp h ic o ra ovalis Ku t z( 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충, 북평충 171, 184 Amp h io ra ovalis Kutz . var. l iby ca(Ehr .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Amp hora p ro t eus( 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m Amp h to n deo is (Walco tt)(상영충), 임촌충, 초산지역 중부캄브리아계 5°, 53Amp /io/0 11 mic r o/op s Kob a y as h i (상영충), 하니 1 리층 46 Amp h o/011 s p . (상영충) , 강계지역 캄브리아계 중부 55 Amp h o/011 spi 111 1la Kobay a shi ( 상영 충 ) , 마성 충 46 Anadara cf. kakehata e n s is Hata i & N i sh iy ama( 부족류), 어 일충 141 Anadara (Hata i r a ca) da it ok11doe11s is ( 부족 류) , 천곡사충, 연일충, 송권층, 회봉리층, 신현충 138 -9, 141-3 Anadara (Hata i a r ca) kakehata e nsi s Hata i & N i s iy ama( 부 족류), 천곡사층 , 연일충, 송권층, 신현충 138 -9, 141, 143 Anadara (s.s .) k ie 1 is is M i zuno ( 부족류) , 천곡사충, 송권 층 , 회봉리층 138, 141-2 Anadara (s.s .) m akiy a mai Hata i & N i s iy ama( 부족류), 천곡사충, 연일충, 회봉리층 138 -9, 142 Anat ifi야 s is cocaban Kobay a shi ( 삼엽 충 ) , 문곡충 43 Anati fops is /nmca/11111 Koba y ash i( 삼엽충) , 문곡충 43 Anaulus b i ros/roc /z(규조), 포항지역 재 3 기충 I71 AnaulrtS medit er raneus var. int e n ned i a ( 규조 ) , 포항지 역 재 3 기 충 m Annulari ops is ino p inn ata Ze i ller( 속새류 ), 대동 충군 하부 113 Amzulico ncha k ita kam i ens is (Mura t a) (부 족류) , 만항 충 84 Anomalin a gla brata Cushman( 저서 성 유공충), 서귀포 충 , 신양리층 186, 188 Anomalino id e s s p.(유공충), 연일충군 169 An01nia cytae um (?) Gra y(부족 류) , 서귀포충 144 Ano1nocarella cf. tatian ( Walcott ) ( 상 영 충 ) , 대 기 충 29 Anomocarella cf. temem tS (Walco tt)(상영충), 마차리층 41 Anomocarella coreanic a (Koba y ash i)(상영충), 마차리층 41 Anonwcarella coreanic a longa Kobay a shi ( 삼엽 충 ) , 마차리 층 42 Anomocarella (Ento r achis ) brevif r011 s Kobay a shi ( 삼엽 충 ) , 마차리 충 41-2 Anomocarella (Ento ra chis ) gra c ilis Koba y ash i(삼영 충), 마차리 층 43 Anomocarella (Ento ra chis ) long ifron s (Kobay a shi) (상영 충), 마차리 층 41-2 Anomocarella (Ento r achis ) sp. ( 상영 충 ) , 마차리 층 42 Anomocarella (Manchuri ell a) cf. mi nu s ( Dames) (상영충), 후창지역 캄브리아계 54 Anomocarella ressesi Kobay as hi ( 상영 충 ) , 대 기 충 29 Anonwcarella s p . (삼엽충), 임촌충 50 Anomocarella sp. ind et. ( 상영 충 ) , 하내 리 층 46 Anomocarella ste norac his Koba y ash i(상영 충), 삼방산층 샨 Anomocarella (Szeas pis) /lav a (Walcott ) (삼엽 충), 후창지 역 캄브리 아계 54 Anomocarella tem enus (Walco tt)(삼엽충), 강계지 역 캄브리 아계 중부 55 Anomozami tes cf. n ath o rsti ( Schenk) ( 베 네 티 테 일즈 ) , 반송충 118 Anomozami tes mi no r Kawasak i(베테티테일즈 목), 대동충군 하브, 백운사충, 장파 리층 115, 118, 120 Anomozami tes (Ph illip s) (베네티데일즈 목), 대동충군 하부 115
A11tl zr acomy a jidoe nsis Kobay a shi ( 부족류 ) , 사동충 84 Antl zr acomy a s p .( 부족류), 홍접충 85 Anllpl a nes conlorla Yoko y ama( 부족류 ) , 서귀포충 144 Annu/ari a aff. mucronata Halle( 속새 류), 사동충 87 Annulan·a mucronala Halle ( 속새 류 ) , 사동충 87 Annulari a ori en ta l is Kawasaki ( 속새 류 ) , 사동충 87 Am111/ar ia p ap i /iofo n nis Kawasaki ( 속새 류 ) , 사동충 87 A11nulari a slzir a kii Kawasak i(속새류), 사동충 87 Annulari a ste ll ata ( Schloth ) ( 속새 류 ) , 사동충 87 Ap a tk e p lz alt tS hyo ta n Kobay as hi ( 삼엽 충 ) , 문곡충 43 Ap a to k eph alus octa p o i d e s Koba y ash i(상영충), 두무동충 33, 38 AAApp plh z a aa eteooo koo errp lthhh iiass / u (os r?i e)ns ptsa p. l ( .i s삼 ( 완영K족o 충b동a )y 물, a s두 )h .i무 (와 완동곡족충충동 물334 ),3 . 3 8와 곡충 43 Ap pa laclzig 11 atl z1 tS cf. d elica lltS Bergs tr o m & o t hers( 코노돈트), 행매충 68 Ap o l/0 11 s p.(부족류), 어 일충 나' Araclmaslraea coreanic a Yabe et Hay a saka( 산 호류 ) , 홍접 충 85 Araclmaslrea karpi 11g e1 ts i s Grabau ( 산호) , 천성 리동 81 Araclmoid is w s elzre11bergi i( 규조 ) , 포항지 역 계 3 기 충 I 71 Araucan·a ( ? ) s p . (Araucar i aceae 과)장기 충군, 연일층군, 감포역 암 어 일충 177, 179, 181 Araucan·te s sp. ( 구과목 ) , 대 동충군 하부 116 Arca (Anadara) abdit a Mak iy ama( 부족류), 평 육동충 145 Arca (Anadara) dail o kuensis Mak iy ama( 부족류), 평 육동충 145 Arca (A11adara) og1 ,w ai Mak iy ama( 부족류), 만호동충 145 Arca s p . (부족류), 어 일충 141 Arclzaeoscy plz ia s p . (해연동물), 초산지역 하부 오오도비스계 54 Arclzaeozoon Math e w (스트로마를라이트) 21 Areolige r a twistring e n sis (Ma i er) (쌍편모충류), 두호충 174 Areosp h aeri diu m sp . nov( 쌍편모충류), 두호층 174 Armenoceras coreanie ttm Koba y ash i(두족류), 두위봉석회 암 ~6, 40 Armenoceras manchurense (Koba y ash i)(두족류), 두방통, 운학충, 초산지 역 하부 오오도 비 스계 40, 50, 54 Armenoceras n'clzth o fe n i (Frech) (두족류), 고원지역 중부 오오도비스기충 53 Armenoceras cf. rich th o fe n i( Frech ) ( 두족류 ) , 운학충 53 Armenoceras s p . (두족류), 강계지역 오오도비스계 55 Armenoceras submargin a le ( Grabau ) (두족류) , 두방통, 운학충, 고원지 역 중부 오오 도비스기충 40, 50, 53 Armenoceras tateiw ai Koba y ash i(두족류), 두위봉석회암 36, 40
Annoceras cf. tan i (Grabau) (두족류), 후창지역 중부 오오도비스계 55 Asap ll ellm gyra cantl zm Ra y mond( 상영충), 두무동충 32 Asap ll ellm (?) coreanic u s Koba y ash i(상영충), 두무동충 32 Asap h eUm tom kolensis Koba y ash i(상영 충), 두무동충 문곡충 32, 49 Asap lz is cr ts monkei Kobaya shi ( 상영 층 ) , 화철 충 30 Asap lz i cu s (?) sp. i nde t . (상영 충), 대 기 충 29 As aph 야 s is cf. nakanmrai Koba y ash i(상영충), 두무동충 32 As ap l' 야 s is nakamurai Koba y ash i(상영 충), 두무동충 32 Asap h m aff. min o r (Weller) (삼엽충), 적운산셰일 35 As i야ty ch asp s is s p . (상영충), 초산지역 최하부 오오도비스계 54 Asio ptych a spis subgl o bosa ( Grabau ) ( 상영 충 ) , 화철 충 양 Asta rtell a s p . (부족류), 만항충 84 Aserononio n umbil ic u lum Uchio ( 저 서 성 유공층 ) , 대 곡충, 포항충 163 Aste ro mp h alm brookei var. robmt us( 규조 ) , 포항지 역 계 3 기 충 ' Aste ro mp h a{m hun ga ric a( 규조), 포항지 역 제 3 기 충 m As te r血 1p halm morone' isis(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1 Astr on onio n um bilic u lu lum Uch i o(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함전동충 186, 189 Ath y r is hud{esto u i sin e nsis Ti en ( 완족동물 ) , 검 이 포 대 동충군 81 Ath yrisina cf. min o r Hay a saka( 완족동물 ) , 검 이 포 대 동충군 81 Ath yrisina cf. unip li ca ta Grabau( 완족동물), 검이포 대동층군 81 Ath yrium cf. f i l ixfe m i na( 꼬리고사리과), 장기충군 178 Ath y r ium s p.(꼬리고사리과), 연일층군, 감포역암, 어일충 180, 182 Atr ypa cf. retic ula ris ( Li nn aeus ) ( 완족동물 ) , 경 이 포 대 동층군 81 Atr ypa pe shie nsis Grabau ( 완족동물 ) , 검 이 포 대 동충군 81 Aulisc u s grun o wi var. cal ifo rn ic a( 규조), 포항지 역 재 3 기 층 ' Aulisc u s i nc ertus(규조), 포항지 역 계 3 기 충 m Av iculcpec te n cf. a lter nato pl ica t1t s Chao( 부족류), 만항충 84 Avic ulo p ecten cf. beipeien sis L i u( 부족류), 만항충 84 A vicu l야 ec ten cf. c houniu k ouensis Y i n( 부족류), 만항충 84 Ba ggina noto ensis Asano ( 유공충 ) , 연 일 충군 169 Ba ggina p h ili p p inensis (Cushman)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6 Bag gina ph ili p p iensis pilul ife ra Cushman(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163 Baie ra 뻑 da i Yade & O i sh i(은행목 및 유사은행목), 대동층군 하부 115 Baie ra cf. con cinn a Heer( 은행목 및 유사은행목), 대동충군 하부 116 Baie ra cf. ph ill ipsi Na t hors t(은행목 및 유사은행목), 대동충군 하부, 낙동아층군 II6, 123 Baie ra con 아 1na Heer( 은행목 및 유사은행목), 대동충군 하부 115
Baie r a grac i lis Bunbur y(은행목 및 유사은행목), 대동충군 하부 116 Baie r a guilh aumati Ze ill er( 은행목 및 유사은행목), 대동층군 하부 116 Baie r a lin d ley a na Sch i m p er( 은행목 및 유사은행목), 대동충군 하부 116 Baie r a ph il lt 'ps i Na t hors t(은행목 및 유사은행목), 대동충군 하부 116 Baie r a sp. A( 은행류), 사동충 90 Baie r a sp . B( 은행류), 사동충 90 Baili e l la angu sta Koba y ash i(상영충류), 묘봉슬레이트 쌤 37 Bail ie l / a lante n ois i (Mansu y)(삼엽충), 초산지역 중부 캄브리아계 53 Ballanop h il lu m s p . (산호류), 연일충 137 Barclaya sp. (종려과), 감포역암, 어일충 181 Barnea frag ilis (Sowerb y)(부족류), 서귀포충 나 4 Basili c u s aff . k awasakii Koba y ash i(삼엽충류), 직운산셰 일 35, 39 Basili c u s deltac audus Kobay a shi ( 삼엽 충류 ) , 직 운산셰 일 35, 39 Basili c u s delta ca udus tyran o ide s Koba y ash i(삼엽 충류), 직운산셰 일 35, 39 Basili c i tS (?) endoi Koba y ash i(상영충류), 직운산셰 일 35 Basili c u s jigun sanensis Lee & Cheon g(상영충류), 직운산셰 일 35, 39 Basili c l t S lorenzi Koba y ash i(삼엽충), 두위봉석회 암 36 Bas il icttSty rannus( 삼엽충), 직운산셰일 39 Basili c u s yo kusensis Koba y ash i(삼엽 충류), 직운산셰 일 35, 39 Basili c i tS weoni Lee & Cheon g(삼엽충류), 직운산셰 일 35 Basili e l la jan gs e ong eu sis Lee & Cheon g(상영충류), 직운산서 1 일 35 Basili e l la mi ni m a Koba y ash i(삼엽 충류), 직운산셰 일 35 Basili e l la pyrifon nis Koba y ash i(삼영충류), 적운산셰 일 35 Basili e l la s p . (..
Beedcin a nyt vi c a (Sa fo nova) (방추충), 금천충 102 Beedei n a pa1 1ko1mi sis oke,isi s ( Rauser & Chernoussova ) ( 방추충 ) , 판교충 99 Beedein a par adis ten ta ( Safo n ova ) ( 방추충 ) , 판교충 99 Beedein a pse udokonnoi( Sheng ) ( 방추충 ) , 금천 충 102 Beedein a sp. ( 방추충 ) , 판교충 99 Beedein a sp. A( 방추충), 요봉충 97 Beedein a sp. B. (방추충), 판교충 99 Beedein a siv i n i e nsis (Rauser) (방추충), 판교충, 금천충 99, 104 Beedein a tnm catu li n a Thom pson( 방추충), 요봉충, 판교충 97, 99 Bellerop h on aoti i Koba y ash i(복족류), 도단충 47 Bellerop lw n sp . ind t. ( 복족류 ) , 두위 봉 석 회 암 36 Be/ode/la erecta ( Rhodes & D i nle y)(코노돈트), 두위봉석회암, 영흥충, 정선석회 암 67, 72, 75 Be/o d e/l a s p . (코노돈트), 두위봉석회암, 영흥충, 회동리층 59, 64 Belodus? s p . (코노돈트), 강계지역 중부 오오도비스계 70 Betu /a brong niarlii E tt.(자각나무과) , 강포 어 일충 153 Betu la lwmmashin i c h ii Hu. & N i.(자작나무과), 장기 충 150 Betu l a Koraic a Huz i oka( 자작나무과), 행 영 승, 고건원 156 -7 Betu la my o nchong en sis Huz i oka( 자작나무과), 용동총 159 Betu la nig ra L . (자작나무과), 장기층군 177 Betu la sekie n sis Huzio k a & N i .(자작 나무과), 장기 충 150 Betu l a s p . (자작나무과), 북평지역 계 3 기층, 연일층군, 강포역암, 어일충 154, 179, 181 Betu l a sublute a Tanai & Suzuk i(자작나무과), 동천충 162 Betu la yo ngp u kensis Huz i oka( 자작나무과), 고건원 157 Betu l a cf. yo ng bu knesis Huz i oka( 자작나무과), 북평지역 제 3 기충 154 Bi ddu lph ia areola ta(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충 171 Bi ddu lph ia au rita(규조), 포항지 역 제 3 기충 172 Bi dd ulph ia auri ta var. ob tus a( 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2 B idd ulp h ia rhombus( 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2 Bid du [p h ia s p.(규조), 포항지 역 제 3 기 충 172 B iddu [p h iatuomeyi(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2 Big en e rina bradyi ( 방추충 ) , 평 양 단전 J O3 Big enerina geye ri Schellw( 유공층), 평 양탄전 104 Bi lli ng s e lla got ts c he i Kobay a shi ( 완족동물 ) , 화절 충, 초산지 역 최 하부 오오도 비 스계 31, 53 Bi lli n g e s lla pum p ell y i Waklco tt(완족동물), 화절충 30 Bi rm anite s s p . (삼엽충), 두무동충 32,38 Bis on exguu s Ma t sumo t o( 포유류, 우제목), 동관진산 147
Blackwelderi a cf. sin e nsis ( Ber g eron ) ( 삼영충류 ) , 세송슬레이 트 30 Blackwelderi a monkei ( Walco tt) ( 삼영충류), 세송슬레이트 30 Blackwelderi a p a ronai (A i ra g h i)(삼영 충 류 ) , 세송슬레이트 30 Blackwe ld eri a sin e 11Sis ( Berge ron ) ( 상영 충류 ) , 서] 송술레 이 트 30 B/01111/ia (?) kin i Koba y ash i(상영충), 초산지역 최하부 오오도비스계 54 Boliv i n a a/ala (Se g uenza)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포항충 164 Boliv i n a arge nte a Cushman( 저서성 유공충), 신양리중 188 Boliv i n a hantk e nia n a Brad y(저서성 유공충), 신양리층 188 Boliv i n a haya sakai K i m( 저 서 성 유공충), 이동충 164 Boliv i n a Koreanic a K i m(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함전동충 164, 189 Boliv i n a rob1is ta Brad y(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6 Boliv i n a semi nu c /a Cushman( 저 서 성 유공충), 서귀 포충 186 Boliv i n a s p .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항전동충 164, 189 Boliv i n a spine seus Cushman(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합전동충 1 야, 189 Boliv i n a str iat u l a Cushman(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164 Boliv i n a subs tri a t ula( 유공 충 ), 북평지역 제 3 기충 182 Boliv i n o ps is s p.(유공충), 연일 중 군 169 Bonnia tok unaga i Sa it o( 상영충), 낙민층 49, 5° B01111ia cf. tok unaga i Sa it o( 삼엽 충 ), 낙민층 49, 50 Bos prim i gen iu s Bo j anus( 포유류, 우제목), 동관전산 147 Botz fo r dia gran ulata (Redl i ch) (완족동물), 낙민층 49 Botz f o r dia cf. g ran ulata ( Redlic h ) ( 완족동물 ) , 마산리 층 49 Boult on ia wil s si Lee ( 유공충 ) , 평 양 탄전 104 Brachyp h yl l um cf. macrocarp u m Newb. ( 구과류 ) , 시 금리 층 129 Brachyp h yl /um cf. s pino sum Seward( 구과목), 포남리 층 130 Brac/ 1yp h yl /um crassia m osum Ta t e i wa( 구과목), 산수동중 129 Brachyp h yl /um s p . (송백류), 낙동아층군, 산수동충, 시금리층, 한봉산층 127, 129, 130 Bradori ra s p . (삼엽충), 마산리층 49 Bradori na subacumi na te Sa it o( 삼엽충), 낙인충 49 Bradyi na nauti lif o nn is M 1> ll( 유공충), 홍접충 95 Bradyi na rotu l a E ic h( 유공충), 홍접충, 사동충, 평양탄진 95, 98, 103, 107 Brasenia pu rp u rea Cas p . (수련과) , 장기 충군 178 Brasenia s p.(백사과), 연일충군, 감포역암, 어일충 179, 181 Bri sco ia ( ? ) s p . (삼엽충), 마차리충 42 Brotio ps is kobaya shii shin syzll nsis Suzuk i(복족류), 진주충 124 Brotio ps is kobaya shii Suzuk i(복족류), 낙동충 124 Brotio ps is wakin o ensis (Kobay a shi & Suzuk i)(복족류), 낙동총 124 Brotio ps is wakin o ensis ryoh ori en sis Suzuk i(복족류), 낙동충 124
Br yan to d in a s p . (코노돈트), 두위봉석회 암 59 Br yan to d in a sta u ff eri Bergs tr o m & Swee t(코노돈트), 영 흥충 64 Buccanop s is tsu ib o nensis Koba y ash i(복족류), 두위 봉석회 암 36 Buccellafr igida (Cushman) (저서성 유공충), 울산지역 제 3 기충, 서귀포충, 함전동 충 186, 187, 189 Bucel/a s p.(저서성 유공충), 합전동충 189 Bucci nu m cf. kurodai Kanehara( 복족류), 천곡사층 139 Bu/im i na aculeata d'Orb ig h y(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164 Bulim i n a cf. e xilis tenu ata (Cushman)( 저 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164 Bulim ana cf. i nfl a ta Se g uenza( 저서성 유공층), 이동충, 포항충 164 Bueim i na elonga ta ten era Reuss(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 충 164 Bulim i na 따 l is tenu ata (Cushman) (유공충), 연일층군 169 Bulim i na infl a ta Se g uenza( 유공층), 연일층군 169 Bulim i na marg ina ta d'Orb ig h y(유공충), 연일층군, 서귀포충 169, 187 Bulim i na s p .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164 Bulim i na s pp.(저서성 유공충), 포항충 164 Bulim i na str iata d'Orb ig n y(저서성 유공층),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164 Bulim i na subcalva Cushman & S t ewar t(저서성 유공층), 대곡충, 이동충 164 Bulim i ne lla elega ntis si m a tenu is Cushman & McCulloch( 유공충), 연일층군 169 Bulim us rakuto e ns is Suzuk i(복족류), 낙동충 하산동충 124 Bunolop h odcn annecte ns (Ma . ) (어류, 장계목), 명천충 147
Cancri s auri cu lari s (F i ch te I & Moll), (저서성 유 공충) , 서귀포충 187 Cancri s ind iC lts (C u s hman )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서 귀포충 164, 187 Cancri s sp . ( 저 서 성 유공 충 ) , 항전동충 189 Canin i a murata i Yabe et Ha y asaka( 산 호류 ), 평 안충 85 Canin i a sp . ( 산 호류 ) , 평 안 충 85 Can11i1 1g ia sp . A. (쌍편모 충류), 두호충 174 Ca11nop il1ts h e m i ap hae ri cus( 씰리코플라겔 라타), 연일충군 173 CaIInop ih j oIca e( 씰리코풀라겔라타) , 연일층군 173 CaIIIIOp ih schulz ii(씰리코플라겔라타), 연일층군 173 Ca1111op il1t s schulzii for . lon gispi m 짜 씰리코풀 라겔라타) , 연일 층군 173 Carcharodon me ga loaon A g ass i z( 어류 , 칸새목), 영천중 147 Carclwrodon me ga loadon Charleswor t h( 교치), 서귀포충 144 Cardio d el l a tum i du s (Branson & Mehl) (코노돈트), 두위봉석회 암 59 Cardiu m skin j i ens e Yoko y ama( 부 족유 ), 연일충 137 Cardi1 11 11 s p . (부족유), 영동충 142 Carex s p . (방동산 이과), 장기충군 , 연일층군, 강포역앙, 어일충 178, 180, 182 Cami od zts cami cu s Wall i se r( 코노돈트) 74 Cami od rts cf. cari 11t h i a c1 ts Wall i ser( 코노돈트), 회동리충 79 Carp im t s caroli11 i a1 1a Wal t . (자작 나무과), 장기충군 177 Carp i111 1s end oi Huz i oka( 자 작나무과) , 행 영 충 156 Carp im t s gr andis Un g .( 자작나무과), 강포 어 일충, 장풍리 층 153, 161 Carp inu s Jw koensis Endo( 자작나무과), 연일충 152 Carp im t s jap o nic a Blume( 자작나무과), 북평지역 제 3 기충 153 Carp im t s kodair a e braete a ta Huz i oka( 자작나무과), 고건원 157 Carp im t s ky u shin e nsis Endo( 자작나무과), 급성 영 충 156 Carp inu s o rie n t al is . M i ll . (자작나무과), 장기충군 177 Carp inu s sim p li c ibr acte a ta Hu . (자작나무과), 장기 충 · 150 Carp inu s s p .(자 작나무과), 북평지역 제 3 기충, 연일충군, 감포역앙, 어일충 154, 179, 181 Carp inu s ste n o p h yl l a Na t hors t(자작나무과), 장기충, 연일충, 행영충, 함전동충 150, 152, 156, 159 Carp inu s subcordata Na t hors t(자작나무과), 장기 충, 연일충, 유선충, 용동충, 함전 동충 150, 152, 155, 159 Carp inu s suby e doensis Konno( 자작나무과), 장기충 150 Carp ites hoery en onsis Huz i oka( 소속불명 ), 행 영 충 156 Carp ites jap o Ish i da( 미분류), 연일충 떤 Carp ites koreana Huz i oka( 소속불명 ), 행 영 충 156 Carp ites kung sh im en sis Huz i oka( 소속불명 ), 행 영 충 156
Carp o lite s cf. bair a mue1 is t ria1 1a ( Pres! . )( 소 속 불명 ), 낙 동아 층 군 128 Carp o lite s 11akto n g e1 is is Koda i ra( 소속불명 ), 낙동아층군 I:?8 Carp o lite s sp. ( 식 물 화석 ) , 열 하 동 123 Ca pre d1tS cf. p yga rg ztS ochracea Barcla y (포유류, 우제목), 동관전산 147 Caroin e lla (?) s p . (삼영충), 화철충 31 Cary a alba (L . ) (가래나무과), 장기충군 177 Cary a gla bra ( Mi ll. ) ( 가래 나무과 ) , 장기 층군 17 7 Cary a s p . (가래나무과), 연일 충 군 감포역암, 어일충 179, 181 Cassid u lin a asanoi Uch i o( 저 서성 유공 충) , 대곡충, 이동충 164 Cassid u lin a yab ei Asano & Nakamura ( 유공 충) , 연일 층 군 169 Casta n ea denta ta Wod . (너도밥나무 과) , 장기충군 177 Casta n ea kubi1 1y i Kova t s( 참나무과 ) , 강포 어 일충 153 Casta n ea s p . (너도밤나무과), 연일층군, 감포역 암, 어 일 충 179, 181 Cas t anea ta 11a ii Huz i oka( 너도밤나무과), 연일충, 행영충, 고 건 원 152, 156 -7 Casta n op s is po hange tisis Huz i oka( 너도밤나무과), 연일 충 152 Cedrela ptera fo rm i s Brown( 얼구술나무과) , 행 영 충 156 Cedroxy lo n cf. regi tlar e Fel i x( 구과목( ? ) ), 유경충 121 Cedrus deodara Loud . (전나무과), 장기충군 177 Cedrus s p . (전나무과), 연일 충 군 감포역암, 어일충, 북평지역 제 3 기충 179, 181 Celastru s s p . (노박덩굴과), 봉산 탄전 계 3 기 충 154 Centr o c yrtoc eras kochy o nense Kobaya shi ( 두족류 ) , 적 운산셰 일 35 Centr o noceras tok unaga i (Koba y ash i ) (두족류), 직운산셰 일 34 (?) Ce ph alota xus s p . (Araucar i aceae 과), 감포역 암, 어 일충 177 Cercu iiph yl l um crenatu m Brown( 계수나무과), 함전동춘 행영충, 고건원, 동천충 156, 159, 162 Cercis ois h ii Huz i oka( 콩과). 합전동충 160 Ceri thi d e a cf. kanp o kuonsis Mak iy ama( 부족류), 송전충 나' Ceri thium s p . (복족류), 어 일 충 나' Cervus elap h us canadensis Erxleben( 포유류, 우제목), 동관전산 147 Cervus elaph us ela ph as L i nn . (포유류, 우제목), 동관전산 147 Ceta cea ge n. and sp. i nde t.(어류, 고래목), 명천충 147 Chaeto c eros ci nc t us( 규조), 포항 지 역 제 3 기충 172 Chaeto c eros lorenz ia num( 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충 172 Chaeto c eros m it ra( 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2 Chaeto c eros s p . (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충 172 Chancellori a exil is Sa it o( 삼엽충), 낙민층 49 Chang ia chosensis Koba y ash i(상영충), 화철충 양 Chang sh ania conic a Sun( 삼엽충), 초산지 역 최하부 오오도비스계 54 Chang sh ania cf. con ic a( 상영충), 강계지역 캄브리아계 상부 55
Clzang s hania ? tru ncata Sun( 삼영충). 초산지역 최하부 오오도비스계 54 Clzansit lze ca pa laeosil v ana Reg e ( 양치 류 ) , 사동충 87 Charania aff . orego nensis ( Redfi el d ) ( 복족류 ) , 연 일 충 137 Cheir u roid e s prim i gen ia (Sa it o) (삼엽충), 낙인충 49 Chen 야 od i um s p . (종려과), 감포역 암, 어 일충 181 Chen
Cladoph le bis argz ,tul a ( Heer ) ( 양치 유 및 종자양치 류 ) , 대 동충군 하부 1 14 Cid d op h lebis cf. a rg i,h tl a (Heer)( 양치류 및 종자양치류), 대동충군 하부 114 C/adoph le bis browma,ia Dun( 식물화석 ), 묘곡충, 낙동아층군 121, 126 Cladop h /ebis cf. cari osa Harris ( 양치 류 및 종자양치 류 ) , 대 동충군 하부 115 C/adop h lebis den ti cula ta (Bron g n i ar t)(양치류 및 종자양치류), 내동충군 하부, 묘곡 충, 열하동, 낙동아층군 114, 121-2, 126 Cladop h lebis cf. denti cula ta (Bron g n i ar t)(양치류 및 종자양치류), 대동층군 하부 114 Clad oph lebis cf. shansie n sis Sze( 양치류 및 종자양치류), 대동층군 하부 114 Clado ph lebis geyle ri an a (Na t hors t)(양치류 및 종자양치류), 묘곡충, 낙동아층군 121_, 1 26 C/ad oph /e b is lia ibu rnensis (Li nd ley & Hu tt on) (양치류 및 종자양치류), 대동층군 하 부 장과리층 114, I19, 120 C/ado ph lebis kog en do Kawasaki ( 양치 류 및 종자양치 류 ) , 대 동충군 하부 114 C/a~hlebis koraie n sis Yabe( 양치류 양치유사식물), 낙동아층군 126 Cladoph [e bis koto i Ta t e i wa( 양치류 양치유사식물), 낙동 아충군 126 Clado ph /ebis lobi folia ( Phil l . ) ( 양치 류 양치 유사식 물 ) , 낙동아층군 126 Clad 야 '1/eb is 1ia m p oe nsis Kawasak i(양치류 및 종자양치류), 대동충군 하부, 장파리 충 114, 120 Cladop hle bis cf. n amp oe usis Kawasak i(양치류 및 종자양치류), 대동충군 하부 110 Cla doj)hl ebis nebbensis (Bron g n i ar t)(양치류 및 종자양치류), 대동충군 하부, 장과리 층 114, 120 C/adop h lebis nys t r o emi i Halle ( 양치 류 ) , 사동충 88 Clado ph lebis raci bo rskii Ze i ller( 양치류 및 종자양치류), 대동충군 하부, 오촌충 114, 120 Clad oph /e b is cf. raci bo rskii Zeil le r( 양치 류 및 종자양치 유 ) , 대 동충군 하부 114 Cla doj)hl ebis shin syuensis Tate i w a( 양치 류 양치 유사식 물 ) , 낙동아층군 128 Cla doj)hl ebis s p.(양치류 및 종자양치류), 대동충군 하부 115, 119 Cladrastis anie nsis Huz i oka( 콩과), 장기 충 150 Clarkel/ a /lor a Koba y ash i(완족동물), 두무동충 32 Clarke/la jloriform i s Koba y ash i(완족동물), 두무동충 32 Clarke/la vulga r i s Koba y ash i(완족동물), 막동석회 암 33 Clath r odic tyo n salaric um Yavorsky ( str o mato p o roid ) , 겹 이 포 대 동층군 기 저 역 암 (실루리 아기화석 ) 78 Clath r odic tyon vesic ulo sum Ni ch olson et Murie ( str o mato p o roid ) , 검 이 포대 동충군 기저역암 (실루리아기화석) 78 Glathropteris menis co i des Bron g n i ar t(양치류 및 종자양치류), 대동충군 하부, 장파 리층 I14, 120 Clalhrop teris obova ta O i sh i(양치류 및 종자양치류), 대동충군 하부 114
Cleis tosp h aeri diu m cf. d iv e rsis pino sum Davey , Downie , Sarje a nt & W i ll i ams( 쌍편모 충류), 두호중 174 Cleis tos p h aeri diu m echin o id e s Davey , Downie , Sarie a nt & Wi ll ia m s( 쌍편모충류 ) , 두호충 174 Clementi a cf. p ap y rca cea (Gra y)(부족류), 어 일충 141 Clementi a (s.s .) n akamt tra i O t uka( 부족류), 송전충, 신현충 141, 143 Clementi a subdio ph ana yaz awensis o t uka( 부족류), 연일충 137 Clim acammi a antiq u a Brad y (유공충) , 홍정 충, 평 양탄전 95, 104 Clim acammi a maxim a L. et C . (유공층) , 홍정충, 평 양단전 95, 104 Clim acammi a pa tu r a ( Brady ) ( 유공충 ) , 평 양 단전 104 Clim acammi a pyrifon ne ( M !l ll ) (유공충) , 평양단전 104 Clino cardiu m s p . (부족류), 천곡사충 138 Clion yc h i a ovif onn is Koba y ash i(부족류), 두위봉석회 암 36 Cliso spi ra (?) chundonge n s is Koba y ash i(복족류), 송림 충 안 Clupe a s p.(어류, 진 골목) , 명천 충 147 Cocconeis curoir o tu n da( 규조 ) , 포항지 역 제 3 기 충 172 Coccone isfo rn1osa ( 규조 ) , 포항지역 제 3 기충 172 Cocconeis scu t ell tt m ( 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충 172 Coelocer o donlt ts dig on iu s Sweet & Ber g s t rom( 코노돈트 ) , 막골석회 암 58 Coleodus? s p . ( 코노돈트), 강계지역 중부 오오도비스계 70 Colodon hodosim ai Taka i(포유류, 기제목 ), 봉산동 제 3 기충 147 Collenia sp. Walco tt(스트로마 를 라이트) 19 Comanun sp. ( 물푸레 나무과 ) , 연 일 층 군 179 Comarnm s p . (물푸레나무과), 강포역앙, 어일충 182 Comp ton ia naumanii (Na t hors t)(소귀 나무과), 장풍리층, 동천충 161, 162 Conchocele b is ec t a( 부족류), 연일충 140 ConcJ ,ope lti s (?) unic a ri na ta Kobay a shi ( 복족류 ) , 두위 봉석 회 암 36 Concl1o ph yl l um rich th o fe n i Schenk ( 나자식 물의 종자류 ) , 사동충 90 Conio plw ra orie n ta li s Koba y ash i(부족류), 두위봉 석회 암 36 Conio p t eris heer ian us (Yok . )( 양치류 양치유사식물), 낙동아층군 126 Con i야t e ris hym e nop h yl l oid es (Bron g n i ar t)(양치류 및 종자양치류), 대동층군 하부, 낙동아층군 114, 126 Conocardiu m s p.(부족류), 두위봉석회 암 35 Coosia coreanic a Kobay as hi ( 상 영 충 ) , 대 기 충 29 Coosia (?) s p . (삼엽충), 마차리층 42 Corbic u la aff . t eto rien sis Kobaya shi and Suzuk i(부족류), 묘곡충 121-- !Z Corbic ula s p . (부족류), 선연층, 묘곡충 112, 121-2 Corbis e ma trica nth a tric an t ha( 씰리코플라겔라타), 연일층군 173 Corbis em a tric an t ha( 씰리코플라겔라타), 연일층군 173
Corbis c ma trica nth a var. m i nor ( 씰리코플라겔라타), 연일층군 173 Corbula vcmt Sta Gould( 부족류 ), 서귀포충 144 Cordaia1 1 t l11 tS sp. A( 코다이 데 일즈), 사동충 89 Cordaia1 1 t h1 1s sp. B( 코다이테일즈), 사동충 89 Cordaic a rp 1t S cf. gutbie s i( 나자식 물의 종자류 ) , 사동충 90 Cordaite s cf. b orass ifo l i us( 코다이 데 일즈), 사동충 89 Cordaite s cf. c ler ci(코다이테일즈), 사동충 89 Cordaite s cf. pn ·n d pa [is (Germ . )( 코다이 테 일즈), 사동충 89 Cordaite s cf. s t ol i czkanr (코다이 테 일즈), 사동충, 고방산층 89, 93 Cordait es min o r Kawasaki ( 코다이 테 일 즈 ) , 사동충 89 Cordaite s pa rvif oliu s Kawasaki ( 코다이 테 일 즈 ) , 사동충 89 Cordaite s sclzenkii Halle( 코다이테 일즈), 사동충, 고방산층 89, 93 Corda ixy lon( 규화목), 녹앙충 94 Cordyl od 1tS conc inn us Branson & Mehl( 코노돈트), 막 골석회 암 챈 Cordy lod 函' delica tu s Branson & Mehl( 코노돈트), 직운산서] 일, 두위봉석회 암 59, 68 Cordyl o d1tS delica htS Branson & Mehl ( 코노돈트 ) , 강계 지 역 , 중부 오오도 비 스계 70 Cordyl o dus grac i lis Br. & Me . ( 코노돈트), 두위봉석회 암 59 Cordyl o dus? gra ci lis Branson & Mehl( 코노돈트), 만달산 층 , 강계지 역 중부 오오 도비스계 69, 70 Cordyl o dus nov. s p . (코노돈트), 강계지역, 중부 오오도비스계 70 Cordyl o dus sp. A.( 코노돈트), 막골석회 암 58 Cordyl o dus sp. B . ( 코노돈트 )1 막골석회 암 58 Cordyl o dus sp. nov. Lee( 코노돈트), 막골석회 암 58 Coreanocep h alus cy/ind ri ca Koba y ash i(삼엽 충), 화철충 양 Coreanocep h a/us koge n ensis Kobaya shi ( 상영 충 ) , 화철 충 양 Coreanoceph a/us ten uis u lcata Koba y ash i(상영 충), 화절충 32 Coreanoceras kemi po ense Koba y ash i(두족류), 송림충, 초산지역 하부 오오도비스계 51, 54 Coreanoceras kin i Koba y ash i(두족류), 송립 층 51 Coreanoceras kokaie n se Koba y ash i(두족류), 송림 충 51 Coreanocears s p.(두족류), 마전포충 50 Coreanoceras ten uiw rvatu m Kobay as hi ( 두족류 ) , 송림 충 51 Cornucarp u s nzeg a la t us( 나자식물의 종자류), 사동충 90 Cornuodus erechtS Fahraeus( 코노돈트), 두무골셰 일 57 Camus atu d eri Heer( 충층나무과), 유선충 155 Camus min o ensis Huz i oka( 충층나무과), 장기충 151 Camus cf. s ubmacrop h yl la Na t h . (충층나무과), 감포 어 일충 153
Con11is sp . ( 물 푸레 나무과 ) , 연 일 층 군 179 Cory l11 S ame ri ca na Wal t . ( 개 암나무과 ) , 장기 층군 177 Cory liis s p . (개 암나무과 ) , 감포역 암, 어 일충 181 Coscin o dis c us arg us(규조 ) , 포항지역 제 3 기충 172 Coscin o dis c us as t erom p halus ( 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2 Cosci no dis c us curva t ulus( 규조), 포항지 역 제 3 기 충 172 Coscin o dis cz is eccen tric, ( 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2 Coscin o dis c us endoi( 규 조 ) , 포항지 역 제 3 기 충 172 Coscin o dis c us l i nea/1 ( 규조), 포항지 역 제 3 기충 172 Coscin o dis w s margi na tu s ( 규 조 ) , 포항지 역 계 3 기 충 172 Coscin o dis c us moga lomma A. Schm i d t(규조화석 ), 북평 지 역 제 3 기 충 183 Coscin o dis cu s n it ulus( 규 조) , 포항지역 제 3 기충 172 Coscin o dis c us noduli fer A. Schm i d t(규조화석), 북평지역 제 3 기충 183 Cosci no dis c us obscun ( 규조 ) , 포항지 역 제 3 기 충 172 Coscin o dis c tis oculus iri d is ( 규조), 포항지 역 재 3 기 충 172 Coscin o dis ciis lewi sian us( 규 조 ) , 포항지 역 제 3 기 충 171, 172 Cosc i nod is따 s p e rfo ra t us ( 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충 172 Coscin o dis C IIS rad i a tzis ( 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2 Coscin o dis ciis robustz is var. i ncera t us ( 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2 Coscin o dis ciis ro t/iii(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2 Cosci no dis c us s t ella ris(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충 172 Coscin o dis ciis t abula ris(규조), 포항지 역 제 3 기 충 172 Coscin o dis cz is t ube rci ,la t us( 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북평지역 제 3 기충 172, 183 Coscin o dis c us ve tiis l is s i m11S( 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2 Craspe d odis cu s rhomb i c iis(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충 172 Crassate ll ite s nana Ad. & Re . ( 부족류), 서귀포충 나 4 Crassastr e a gra vit es ta eoil e nsis Ki m , Noda & N i s iy ama( 부족류), 천곡사충, 송권층 138, 141 Crassostr e a gra vit est a grav it es ta (Yokoy a ma) (부족류), 연일충 139 Crassostr e a gra ri tes ta (Yoko y ama) (부족류), 학권층, 회봉리층, 신현충 138,142 -3 Credneri a· comp ar abil is Hall i k( 버즘나무과), 봉산탄전 제 3 기충 154 Crep ice p h alin a sin u osa Koba y ash i(상영 충), 초산지 역 중부 캄브리 아계 53 Crep idu la isimo to i O t uka( 복족류), 천곡사층, 연일충 13g --40 Cr ibro e[p h id i u m s p.(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164 Cr ibro g e neri na cf. nit ida L. et C.( 유공충), 사동충, 평 양탄전 JO O, 104 Cr ibro g e neri na m 따. ma L. et C. (유공충), 사동충 100 Cr ibro g e neri na pyriform e ( Melli ) ( 유공충 ) , 사동충 J OO Cnbrosto m um bradyi Mel li . (유공충), 평 양단전 104 Cr ibro sto m um c01nmune Mel li . (유공충), 평 양단전 104-5
Cn'br o sto m umexim iu m ( E i ch ) ( 유 공충) , 홍접충, 평양 단전 , 홍 정 충 95, 104 Cr ibro sto m um 11elumbofo n 11e L. et C . (유공충 ) , 평 양단전 104 Cr ibro sto m um tex h,lari fon ne M ti ll . ( 유공충), 홍접 충, 평 양탄전 95, 104 cCrrii ss hta .dn e·an hs. p' l S. ( 부s p족 . 류()포,유 류봉, 산기탄제전목 ),1 46봉 산동 제 3 기충 147 Cry ,Ptoc ary a eim ic h ie n sis Tana i(녹나무과), 연일충 152 Cry ptom eri a j apo nic a D, Don ( 낙우송과 ) , 장기 충군 177 Cry ptom eri a s p . (낙우송과), 감포역 암, 어 일충 181 Cry pton e/l a cf. whid b omei min i n a ( Loczy ) ( 완족동물 ) , 검 이 포 대 동 층 군 81 cC,ryy pp ttoozzo omonz Hbaolrela(l e스 D트aw로s마on 돌( 스라 이트트 로)마 를2 라1, 이5트5 ) 21, 55 Cte nis yam anari i Kawasak i(소철목), 대동충군 하부, 장파리 층 115, 120 Cte n is sp . A( 소철목), 대동충군 하부 115 Cte n is s p . B( 소철목), 대동층군 하부 115 Cte n odbnta corbulifo nn is Kobay a shi ( 부족류 ) , 두위 봉석 회 암 34-5, 44 Cte n odonta coreanic a Koba y ash i(부족류), 두위봉석회암 34-5, 44 Cte n odonta dbte nsis Koba y ash i(부족류), 두위 봉석회 암 35, 44 Cte no do ,zta nast afon nis Koba y ash i(부족류), · 직운산셰 일 34 Cte nod onta nip po nic a Koba y ash i(부족류), 직운산셰 일 34 Cte nod onta oblong a ta Koba y ash i(부족류), 적운산셰 일 34 Cte no dbnta sam etlO ha Koba y ash i(부족류), 적운산셰 일 34 Cte no donta stri a/a Kobay a shi ( 부족류 ) , 두위 봉석 회 암 35, 44 Cte nopteris lim amurai Kawasak i(양치류), 사동충 89 Cu/te l/us izu moensis Yoko y ama( 부족류), 신현충 143 Cune 야 s is kih o ng i Yan g(부족류), 묘곡충 122 Cu pre ssus s p.(편백과), 장기층군, 연일충군, 감포역 암, 어 일충 I77, I79, 181 Cy a th e a s p . (은행나무과), 연일충급 감포역암, 어일충 179, 181 Cya thoca ulis nakto n ge n s is O g ura( 양치류 양치유사식물), 낙동아층군 126 Cy cl adic am a meis e nsis (Mak.) (부족류), 회봉리층 142 Cyc l ammi na Pac ifica Beck(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164 Cyc l ammi na incisa (S t aehc)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포항충, 영해지역 제 3 기충 1 야, 185 Cy cl ammi na ja .po nic a Asano( 저서성 유공충), 포항충, 영해지역 제 3 기충 164, 185 Cy cl ammi na s p.(저서성 유공충), 포항충, 영해지역 제 3 기충 164, 185 Cyc l ammi na sp. a( 저서성 유공충), 포항충 164 Cy cl in a (Cy cl in o rbis ) lunulata Mak iy ama( 부족류), 연일층군, 평 육동충 137, 145 Cy cl in a (s.s. ?) hwabo ngriensis Yoon & Noda( 부족류), 회봉리층 143 Cyc l in a (s.s.) jap on ic a( 부족류), 천곡사층, 연일충, 송권층, 신현충 138 -g, 141, 143
CCyy ccl/ oobb aal/aannoopp ss iiss lm111aznio dk raa/i i s(c To e a nTaa i n)(a 너 i ( 너도 도밤만나나 무무과과 ) ), ,연 연일충일 충 ,1 5고2 건 원 152, 157 Cy cl obalanop s is ya be i Huz i oka ( 너 도망 나 무 과 ) , 연일 충 , 고전원 152, 157 Cy cl oceras aff . clzik , mense ( Koba y ash i )(두족류 ) , 직 운산셰 일 34 Cy c/oc eras clzik u nense ( Kobay a shi ) ( 두족 류 ) , 직 운산셰 일 34 Cy c loceras de1 1 sir m 1111/a/11m K o bay ash i ( 두 족류 ), 직운산셰 일 34 Cy cl ocer a s dep r ati ( Reed ) ( 두족류) , 4 운산셰 일 34 Cy cl oceras ecc en tr o sip h onalum Kobay as hi ( 두 족 류 ) , 두위 봉 석 회 암 36 Cy cl ocer a s kawasakii Koba y ash i(두 족 류), 운학충 52 Cy c/oc eras manta l ense Koba y ash i(두족류), 운학충 52 Cy c loceras s p. (두족류) , 직 운 산셰 일 35 Cy c/oc eras subchik u nense Koba y ash i(두족류), 직운산서] 일 34 Cy c/oc erati d, ge n. et sp . i nde t . (두족류), 도단충 47 Cy cl onema U) sonr ine nse Koba y ash i(부족류), 송림 충 양 Cyc l ote l la stn ' a ta Grunow( 규조), 북평 지 역 제 3 기 충 183 Cy le n d ocer a s ori en ta li s Koba y ash i(두족류), 직운산셰 일 34 Cy ,nb el / a aspe ra Ehr. var. int e n nedia Skv . (규조), 안변군 문산연 191 Cy n1b e ll a austr a lica A.S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Cy ,nb e/l a cis tul a Grunow( 규조), 북평 중, 안변군 191 Cy n1b e/l a spida ta Ku t z i n g(규조), 북평 지 역 제 3 기 충 183 Cy m bel /a cy,nb t/ o rmi s (Ag .? Ku t z .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Cy m be/l a gr aci lis (Rabh .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Cy ,nb e /la lanceolata Ehr. var. cornuta Ehr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Cy n1b el/ a lanceo/ata Ehr. var. fos sil is Pan t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Cy n1k e/l a lanceolata var Heurch ( 규조 ) , 북평 충 184 Cy ,nb el/ a tum i da (Breb .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Cy m bella ventr ico sa Ku t z . (규조), 안변군 문샨면 191 cCyypp an ·rdi se sai d si pu m. (7 사ja형p충o n)ic, u m 연 Y천o계k . ( 송최닙상석류부)충, 낙7동8 아층군 127 Cy ren a s p . (부족류), 선연충, 열하동 112, 122 Cy rton io d us? nov. s p . (코노돈트), 정 선 석 회 암 67 Cy rtac ti no ceras 따 og a s tra le (Koba yash i)(두족류), 운학충 53 Cy rtac ti no ceras kato i (Koba y ash i)(두족류), 직운산셰 일 35 Cr ytac ti no ceras s p.(두족류), 강계지 역 오오도비스계 55 Cy rtod onta (?) prim a Koba y ash i(부족류), 막동석회 암 33 Cy rtod onta (?) sp . i nd t . (부족류), 적운산셰 일 34 Cy rtom eto pu s (?) pacijicu s Koba y ash i(삼엽 충), 두무동충 32,38 Cy rtome tc pus spe ci os us Dalman( 상영충), 두무동충 38 Cy rten doceras s p . (두족류), 마전포충 51
C;'1'fo 1 1io d us fleriws 1tS ( Branson & Mehl ) ( 코노돈트 ) , 두위 봉석 회 암 59 Cy rton io d 1tS sp. Et hi n g ton & Schumacher( 코노돈트), 두위봉석회 암 59 C;'rio v ag ino ceras pa ci fici,m Kobay a shi ( 두족류 ) , 직 운산셰 일 34 Cys t ip hy l l um cf. silu r ien s Lons. ( 산호류 ) , 검 이 포 대 동충군 기 저 역 암 ( 실 루리 아기 화석 78 Cy st ap h ora dubia Yabe et Ha y asaka( 산호류), 홍접 충 85 Cys t op h ore kik k awai Yabe et Ha y asaka( 산호류), 홍정충 85 Czekanowskia murraya na (L. et H . )( 송닌석류), 낙동아층군 127 Czekanowskia rigida Heer( 은행목 및 유사은행목), 대동충군 하부 116 Czekanowskia seta ce a Heer( 은행목 및 유사은행목), 대동층군 하부 116 Czekanowskia s p.?(은행목 및 유사은행목), 대동충군 하부 116
Desmo pter is tok choneucis Kawasaki ( 양치 류 ) 92 Desmo pter is robusta Kawasak i(양치류 ) , 사동충 88 Desmo pter is tok chonensis Kawasaki ( 양치 류 ) , 사동충 88 Desqu amatic a cf. qu adrata Wang et. al . (완족동물), 만항충 84 Di ad elog ,iathu s prim ues Ni co ll & Rexroad( 코노돈트), 회동리층 79 Di at o m a ancep s (Ehr .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2 Di atom a vulga r e Bory ( 규조 ) , 북평 충 184 Dic e llog rap t us or Di cr anog rap t us sp. i nde t . (팔석류), 적운산셰일 35 Dic e l/ om us pa rvus Walo tt(완족동물), 세송슬레이트 30 Di ch ogn a th u s s p . (코노돈트), 직운산셰 일 59 Di ch ogn a th u s typica Br. & Me. (코노돈트), 두위봉석회 암 59 Di cty o cha asp era . asp era( 씰 리코플라겔라타), 연일층군 173 Di cty o cha fibu la fi bula( 씰리코플라겔라타), 연일충군 173 Di cty o cha fibu la for. sp eculum( 씰리코플라겔라타), 연일층군 173 Di cty o cha p ulche l/ a( 씰리코풀라겔라타), 연일층군 173 Di cty o nema cf. f lab el/ ifon ne Ei ch wald ( 팔 석 류 ) , 문곡충 43 Dic tyoph yl l um ex i l is (Brauns)( 양치류 및 종자양치류), 대동충군 하부 114, 117 Di cty o zami tes falc at1 lS (Morr i s) (베 네 티 베 일즈류), 낙동아충군 127 Di cty o zami tes kawasaki gro ssin e rvis Ta t e i wa( 베 네 티 테 일즈류), 낙동아층군 127 Di cty o zami tes kawasaki Ta t e i wa( 베 네 티 테 일즈류), 낙동아층군 127 Di cty o zami tes tat e iw a i O i sh i(베네티데일즈류), 낙동아층군 128 Dic tytes depre ssa (Koba y ash i)(삼엽충), 화절충 양 Di cty tes dic ty s (Walcott ), (삼영충), 화절충 양 Dic tytes long i·ca uda (Koba y ash i)(상영충), 화절충 양 Di ke loke ph alin a asia t i ca Koba y ash i(삼엽충), 두무동충, 막동석회암 33, 38 Di ke loke ph alin a conic a Kobay a shi ( 상영 충 ) , 문곡충 43 Di ke /o k ep h alin a kanaega f a Kobay a shi ( 삼엽 충 ) , 두무동충 33 Di ke loke j)h alin a pa rva Koba y ash i(삼영 충), 문곡충 43 Di od ra (s.s .) cf. humi lis (Yoko y ama) (복족류), 천곡사층 139 Di os p yros mio k aki Hu. & Chaney ( 감나무과), 장기 충, 항전동충 147, 160 Di plo donta ferr ug ina ta Mak iy ama( 부족류), 안호동충 145 Dip lo g rap t us (Amp le xog ra pt us ) pe rexcavatu s La p wer th(팔석류), 직운산서 1 일 35 Di plo neis bombus (Ehrenb.) (규조), 포항지 역 제 3 기충 172 Di plo neis crabro Ehrenberg( 규조) , 포항지 역 계 3 기 충 172 Di plo neis sp. (규조), 북평지역 제 3 기충 183 Dip lo neis smi thi i (Breb i s . ) (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충, 안변군 문산면 171- 2 Dis co acti no ceras multip le xum Kobay a shi ( 두족류 ) , 초산지 역 하부 오오도비 스계 54 D is c 야 ulv i nul i na bradyi (Cushman), (저서성 유공충), 신양리층 )88 Di sco p ulv in u lin a orbic u laris Tar g uem, (저서성 유공충), 신양리층 188
Dis co p u lvin u lin a s p . (저서성 유공충), 신양리층 188 Dis co rbin e lla berlheloti (d'Orb.) , (저서성 유공층), 서귀포 충 187 Dis co rbin e lla bradyi (Cushman) , 대 곡충, 항전동충 161, 190 Dis c orbin e lla s p . (저서성 유공층), 대곡충, 북평지역 계 3 기충, 함전동충 164, 182, 190 Dis co rbis ope rcularis (d'Orbig n y ),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신양리층 187- 8 Dis co rbis ozawai Asano,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7 Dis co rbis s p.(저 서 성 유공충) , 신양리 층 188 Dis co tr eta sp . ( 완족동물 ) , 만항충 84 Dis ph yl l um s p . (산호), 홍정 충 80 -1 Dis taco dus nov. sp. Hamar( 코노돈트), 만달산층 69 Di staco dus obliqu ic o sta t u s Branson & Mehl ( 코노돈트 ) , 회 동리 층 79 Dis tac odus pera ctu s L i nds t r l:l m( 코노돈트), 만달산층 69 Dis taco dus rhombic u s L i nds t r l:l m( 코노돈트), 두무골셰 일, 문곡충 57, 63 Dis taco dus s p . (코노돈트), 직운산서 1 일, 정선석회 암 59, 67 Dis taco dus stc lu s L i nds t r l:l m( 코노돈트), 두무골셰 일 57 Dis teph anus crux crux( 씰리코플라겔라타), 연일층군 173 Dis teph anus log ispi nus( 씰리코풀라겔라타), 연일층군 173 Dis teph anus scha vi nsland ii(씰리코플라겔라타), 연일층군 174 Dis teph anus sp eculum( 씰리코플라겔라타), 연일층군 174 Dis teph anus spe culum for. m i nu ta ( 씰리코플라겔라타), 연일층군 174 Dis teph anus spe culum re gu lo ris(씰리코풀라겔라타), 연일층군 174 Dis teph anus spe cul~m sp eculum( 씰리코플라겔라타), 연일층군 174 Dis tom cdus egr eg i a (Wall i ser)( 코노돈트), 회동리 층 79 Dis tcmo dus extror sus ( Rexroad ) ( 코노돈트 ) , 회 동리 층 79 Dis w nwdus kentu ckye nsis Branson & Branson( 코노돈트), 두무골셰 일, 두위봉석 회암, 영흥충, 회동리층 57, 59, 66, 79 D 函 omcdus s p . (코노돈트), 칙운산셰 일, 두위봉 석회 암 59 Dis w nwdus trian gu la ri s trian gu la ris (Wall i ser)( 코노돈트), 회동리층 79 Dolich o meto pu s s p . (삼영충), 마산리층 49 Dolioc assi s yok o ya mai (Nomura & Ha tai)(복족류), 연일충 137 Donaldie ll a tetrac ari na ( Kobay a shi ) ( 복족류 ) , 운학충 52 Dq rypyge manchuri ensis Resser et Endo( 상영 충), 초산지 역 중부 캄브리 아계 53 Dq rypyge richt h ofen i Dames( 상영충), 임촌충, 후창지역 캄브리아계, 강계지역 캄브 리아 중부 49, 54, 55 Dq rypyge rich th a fe n i Ca evis Walco tt(상영 충), 대 기 충 29 Dosi nia an gulo sa Ph i l ip.(부족류), 영동충 142 Dosi nia joponica Reeve( 부족류), 서귀포충 144 Dosi nia (Phacosama) kawa gen sis Arak i(부족류), 신현충 143
Dosin i a (Phacosoma) non1urai O t uka ( 부족류 ) , 천곡사충, 연일 충 , 신 현 충, 회 봉리층 131 ½ Dosin i a (Phacosoma) ulsanensis Yoon ( 부족류), 신현충, 회봉리층 143 Dosin i a . s p . (부족류 ) , 어 일충 141 Dosseti a t emp ere i(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2 Drepa nodus aduncus Nic o ll & Rexroad ( 코노돈트 ) , 회 동리 층 83 Drepa nod1ts alt ipe s Henn i n g smoen( 코노돈트), 두무골셰 일, 막골석회 암 58 Drepa nodus arcuatu s Pander( 코노돈트), 막골석회 암, 문곡충, 만달산층 58, 63, 69 Drep a nodus bis ym metr icus V ii ra ( 코노돈트), 두무골셰 일 58 Drep a nodus concavus Branson & Mehl( 코노돈트), 문곡충, 만달산층 63, 69 Drep a nodus conulatu s L i nds t r tl m( 코노돈트), 두무골세 일 58, 63 Drep a nodus f/ex uosus Pander ( 코노돈트 ) , 문곡충 만달산층 69 Drep a nodus gra ci lis Branson & Mehl( 코노돈트), 두무골서 1 일, 문곡충, 행매충, 만달산층 58, 64, 61 ½ Drep a 1to d us homocurvatu s L i nds t r tl m( 코노돈트), 두무골셔 1 일, 막골석회 암, 직운 산셰 일 , 두위 봉 석 회 암, 문곡 충 , 영 흥충, 만달산층 58, 64, 69 Drep a nodus n. sp . Barns & Po p lawsk i(코노돈트), 정선석회암 67 Drep a nodit S pa rallelus Bra~son & Mehl ( 코노돈트 ) , 두무골서 1 일, 문곡충 58, 64 Drep a 11od1tS p/an us L i nds t r tl m ( 코노돈 트) , 문곡충 64 Dre p anod 回 sp. ( 코노돈트 ) , 행 매 춘 만달산층, 회동리층 68 정, 83 Drep a nodus sp . A . ( 코노돈트 ) , 막골석회 암 챈 Drep a nodus sp . B. (코노돈트), 막골석회 암 58 Drep a nod1tS s pp . (코노돈트), 직운산셰일, 두위봉 석회암, 영흥충, 정선석회암 60, 64, 67 Drepa nodus subarcuatu s Furn i sh, (코노돈트), 태 백 시 오오도바스계 61 Drep a nodus suberectu s Branson & Mehl( 코노돈트), 두무골셰 일, 막골석회 암, 직 운산서 1 일, 두위봉 석회암, 문곡충, 영흥충, 정선석회암 58, 6er1, 64, 67 Drep a nodus ten uis Moskalenko( 코노돈트 ) , 문곡충 64 Drep a nodus too me yi Et hi n g ton & Clark( 코노돈트), 막골석회 암 58 Drep a nodus tor lus Furn i sh , (코노돈트), 태 백 시 오오도비 스계 61 Drepa nozami tes s p . (소철목), 대동충군 하부 115 Drepa nura kett ee r i Monke( 삼엽충), 서]송술레이트 30 Drep a nura pre mesnil i Ber g eron( 삼엽충), 세송슬레이트 30 Dr yopter is s p . (꼬리고사리과), 함전동충, 강포역암, 어일충 155, 182
Ebrio ps is a11ti qu a var. recta n gu la ( 에 브 리 디 아 ) , 연 일 충군 17 4 Eb riops is a11 tiq血 var. s im p l( 에 브리 디 아), 연 일충군 174 Ebn'op s is cre,mla ta ( 에브리디아), 연일층군 174 Ebrio ps is exigu a( 에브리디아), 연일층군 174 Eccy li op ter is kushan 어 zs is Grabau( 복족류), 고원지 역 중부 오오드비 스기 충 53 Eccy li op ten t.s min i m us Kobaya shi ( 복족류 ) , 두위 봉 석 회 암 36 Eccy li op ten tS shir a kii Kobay a shi ( 복족류 ) , 두위 봉 석 회 암 36 Echin a achuris mir a bil is Barn . (해 단), 서귀 포충 144 Eg ge rella( 저서성 유공충), 포항충 164 Eg ger ella sp. a(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164 Elatc c ladus s p . (송백류), 사동춘 고방산층, 대동층군 하부 9o, 93 Ellesmeroceras amp /um Koba y ash i(두족류), 조산지 역 하부 오오도비 스계 54 Ellesmereoceras (?) amp lu mum Koba y ash i(두족류), 송림 충 51 Ellosmoceras s p . (두족류), 직운산셰 일 39 Ellesmoceroid , ge n. et sp. i nd t(두족류), 두무동충 32 Elph id i u m advenum Cushman(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신양리층 187-8 Elph id i u m clavatu m Cushman(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7 Elph id i u m cris pu m (L i nnaeus) (저서성 유공층), 서귀포충, 신양리층 187-8 EIPhid ium etig oe nse Husezim a & Maruhas i(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포항충 164 Elph i d ium fax barbaraense N i col(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7 Elph i d i u m jen seni (Cushman)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서귀포충, 신양리층 165, 187-8 Elph id ium s p.(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포항충, 신양리층 165, 188 Elph id ium sp. a( 저서성 유공충), 포항충 165 Elph id i u m sp. b(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포항충 165 Elph i d ium subin c ert um Asano(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항전동충 165, 190 Elrath ia chuwaensis Koba y ash i(삼엽충), 임촌충 49 Elrath ia spini fe ra Kobaya shi ( 상영 충 ) , 마차리 층 42 Elrath ia taihaku ensis Kobaya s hi ( 상영 충류 ) , 묘봉슬레 이 트 29, 41 Elrath ia taira Koba y ash i(상영충), 마차리층 42 Em ple ctq pteridi u m alatu m Kawasaki ( 양치 류 ) , 사동충 88 Emp lec tq pteris triangula ri s Halle ( 양치 류 ) , 사동충 88 En crinu relle aff. mart ell ii (Reed), (삼엽충), 두위봉석회 암 36 Endic tya ocean ic a( 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2 Endoceras altic am eratu m Koba y ash i(두족류), 직운산셔 1 일 34 Endoth y r a bowmani Ph i ll ip s( 유공층), 홍정충, 사동춘 평양단전 95, 981 IOI Endoth yra glo lulus E i ch( 유공충), 사동충, 평 양단전 IOI En ge lharditi a koreanic a O i sh i(가래나무과), 행영충, 고건원 156 -7 Enkia n th u s koreanus Huz i oka( 진 달래 과 ) , 행 영 충 156
Enta d a mi ofo n nosana Tana i(콩과), 연일충 152 Ento pya artS tra lis var giga n t ea( 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충 172 Eobelodin a sp , ( 코노돈트 ) , 두위 봉석 회 암 60 Eochuang ia hana Koba y ash i(삼엽충), 마차리충 41, 43 Eoc/ 1u ang ia hana conic a Koba y ash i(삼영충), 마차리층 41, 43 Eodis cu s fus if ron s Sa it o( 상영 충), 마산리 층 49 Eodis cu s (?) sp . ( 삼엽 충 ) , 세 송슬레 이 트 30 Eodon s p . (부족류), 만항충 84 Eolig n odin a s p . (코노돈트), 두위봉석회 암 60 Eoort his (?) coreanic a Koba y ash i(완족동물), 송림 충 힛 Eoort his (?) sais h oensis Koba y ash i(완족동물), 두무동충 32 Eoort his shakuotu e nsis Sun( 완족동물), 화철충 31-2 Eoort his sp . ( 완족동물 ) , -마 차리 층 49 Eoort his (?) sp . ( 완족동물 ) , 와곡충 43 Eoort his (?) sp. i nde t . (완족동물), 송립 충 51 Eo pla cogn a th u s cf. f oli ac eus (Fahraeus)( 코노돈트), 직운산서 1 일 59, 62-3 Eopl a cog ,za th u s cf. lin d str o mi Ber g . (코노돈트), 두위봉 석회암 60 Eo pla cog ,1a th u s cf. sueci us Ber g s t r tl m( 코노돈트), 정선석회 암 62, 67 Eo pla cog, 1a th u s s p . (코노돈트), 적운산셰 일 59, 62 Eo pten ·a (?) trilob it a Koba y ash i(갑각류), 두위봉 석회암 36 Eoreti cu lari a lens1fo m 1is ( Grabau ) ( 완족동물 ) , 겸 이 포 대 동충군 81 Eosclmbert el la lata (Lee & Chen) (방추충), 만항충 102 Eosc/ 1u bert ell a magn a (Lee & Chen) (방추충), 금천충 102 Eoschubert ell a obscula (Lee & chen) (방추충), 만항충, 홍정충 105 Eoschubert ell a s p . (방추충), 만항충, 금천충 102 Eoschubert ell a s pp . (방추충), 요봉충 96 Eosta ffell a ike nsis Vis s ario n ova ( 방추충 ) , 요봉충 97 Eosta f f ella kashil ic a Rauser-Chemoussova( 방추충), 요봉충 97 Eosta f f ella lata (Lee & Chen) (방추충), 만항충 102 Eosta ffell a lju d mi lae Rauser-Chernoussnova( 방추충), 요봉충 97 Eosta ffel/ a muta b il is Rauser-Chemoussnova( 방추충), 요봉충 97 Eosta ffell a pos tm osqu e nsis acuti fom ,is K i reeva( 방추충), 요봉충 97 Eosta ffell a pse udostr uv ei chomati fera K i reeva( 방추충), 요봉충 97 Eosta f f ella subsolana Shen g(방추충), 요봉충, 홍접충 96, 100 Eo to,血ria concava Koba y ash i(복족류), 운학충 52 Ep istom i ne lla naraens is(유공충), 복평지역 제 3 기충 182 Ep istom i ne lla jap o nic a (Asano)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165 Ep ithe mi a sorex Ku t z.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Ep ithe mi a-z e bra (Ehr.) Kutz . var. par cel/ us (Ku tz.)(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E p on 函 haid in gen · (d'Orb ig n y)(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신양리층 187 Ep on id e s keenani Cu. & K i e . (유공충), 연일층군 169 E p on 函 nip po nic itS (Hu. & Ma . ) (유공충), 연일층군 <6 9 Ep on id es prae cin c tu s (Karrer), (저서성 유공충), 신양리층 188 Ep on id e s s p . (유공충), 연일층군 169 Ep onide s subomatu s (Cushman)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7 Ep on 函 umbonatu s (Reuss)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165 Ep on函 umbona tus (Reuss) (처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7 Ep on id e s y eo 깽ii/ ma 成 ?IS is Kim ( 저 서 성 유공충 ) , 이 동충 165 Eq ui s et it es cf. ferg a 1 ie nsis Seward( 속새류), 대동충군 하부 114 Eq ui s e tit es cf. s arrani Zeil le r( 속새 류 ) , 대 동충군 하부 114 ~quiset it es ferg a n ensis Seward( 속새 류), 대 동충군 하부 114 Eq ui s et ite s koraie n sis Kon'no( 속새 류), 대 동충군 하부 114 Eq ui s e tite s nakto n ge n sis Ta t e i wa( 속새류), 낙동아충군 127 Eq uiset it es nakto ngen is ten uic a ulis Ta t e i wa( 속새류), 낙동아 층군 129 Eq ui s e tit es s p .' (속새류), 대동층군 하부, 송림산층, 묘곡 충, 열하동, 산수동충 114, 121- -2, 129 Eq ui s e tite s sp. (Ze i l . ) (식물화석 ), 인흥리층 120 Eq ui s e tite s ushim arensis (Yok.) (속새류), 낙동아층군 127 Eq uiset u m s p.(속새과), 함전동충, 장기충군 159, 178 Eq uu s cabal/ us foss il is L i nn . (포 유류, 기제목), 동관진산 147 Eq uu s prz ewalskii Pol . (포유류, 기제목), 동관전산 147 Eretm oph yl /um saig han ensis (Seward) (은행목 및 유사은행목), 대동층군 하부 116 Eri ca s p.(피나무과), 연일층군 179 Esth eria cf. mid dend orj ii Jon es( 갑각류), 열하통 122 Esth e n'tes aff. reti cu lata (Chern y chew) (감각류), 구로리 층( ? ) 112-3 Esth erites cf. tran sbaik al ica ( Cherny c hew ) ( 갑각류 ) , 구로리 층 ( ? ) 112-3 Esth erites coreanic a (Ozawa & Wa t anade) (감각류), 동전충 112-3 Esth erites cycwides Koba y ash i(감각류), 구로리층( ? ) 112-3 Esth erites kawasaki (Ozawa & Wa t anade) (갑각류), 동전충 112-3 Esth erites nakto ngensis Kobaya shi & K i do( 갑각류), 낙동아층군 124 Esth erites ramp oe n sis Koba y ash i(감각류), 동전충, 아미산층 112-3 Esth erites shim amurai Kobaya shi ( 감각류 ) , 중동충 112 Esth erites s p.(갑각류), 아미산층 112 Esth erites tan ii Kobaya shi ( 갑 각류 ) , 구로리 층 ( ? ) 112 Euesth eria kyongsa nge n sis (Kobay a shi& K i do) (감각류), 진주충 124 Euesth eria kyo ngs a ng en sis hu zitai Kobaya shi & Kid o ( 갑각류 ) , 전주충 124 Euesth eria kyongsa ng en sis media /is Kobay a shi & K i do( 갑각류), 신라아층군 124 Euesth eria kyongsan ge nsis pau c ilin e ata Kobay a shi & K i do( 감각류), 신라아충군
125 Eunoti a grac i lis Rabenhor s t (규조 ) , 북 평 충 안변군 184 Eunoti a J wlo t u ri a( 규조), 안변 군 문 산면 190 Eunoti a kochelin s is O . Mull . (규 조) , 안변군 문산면 190 Eunoti a ltm aris Grunow var subarcuata Grunow( 규조), 북평 충 184 Eunoti a mono 玩 Ehr. var. asia tica Skvor t zov( 규조), 북평충 184 Eunotia monoMn Ehr. var asia t i ca var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0 Eunoti a monoMn Ehr. var koreana var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0 Eunoti a monoMn Ehr. var korea n a var. fo. undulata fo.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0 Eunoti a nwnodon Ehr. var majo r (W . Smi th)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0 Eunoti a monooon Ehr. var majo r (W . Smi th) fo. bidens (W . Smi th) (규조), 북평 충, 안변군 문산 면 184, 190 Eunoti a pec ti na lis (Ku t z . ) (규 조) , 안변군 문산면 192 Eunoti a pra erupt a Ehrenber g(규 조 ), 북평 충, 안변군 문산면 184, 1()2 Eunoti a pra erupt a Ehr. var. bid e ns Grun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2 Eunoti a s p . (규조 ) , 포항지역 계 3 기 충 172 Et m oti a trapica Hus t(규조), 안변군 문산면 192 Eunoti a val id a Hus t ed t(규조 ) , 북평 충 184 Euonyn 11 LS pro to b ung e ana Hu. & Chane y(노박덩굴과), 고건원 158 Eupe r a sin e n s is Odhner( 복 족 류 ) , 봉산탄진 146 Eupe r a s p . (복족류), 봉산탄전 146 Eup ro ops danae Meek ( 철 족동물 ) , 사동충 84 Eupr o ap s ori e11 ta l is Koba yash i(절족동물), 사동충 84 E 뼈i ra meis e nsis (Mak iy ama) (복족류), 연일충, 천곡사충 139 Exochogn a th u s cf. caudatu s (Wall i ser) (코노돈트), 회동리층 79 Ey m ekap s carnatu s Koba y ash i(삼엽 충), 대 기 충 29 Ey me ka p s exp a nsus ( Kobay a shi ) ( 生엽 충 ) , 대 기 충 29 Ey n1e k a p s heruaia s (Walco tt)(상영충), 대기충 29 Ey me kap s cf. macar (Walco tt)(상영충), 후창지역 캄브리아계 .'i4 Ey me ka ps mesap s Koba y ash i(삼엽충), 마차리층 43 Ey me ka ps perl onga tu s Koba yash i(삼엽충), 마차리층 42
Fagi ,s cf. haya ta e Pal i b i n( 너도밤나무과), 연일충 152 FFaaggzi t tSS kgorar1a 1idk1 af o Hli au z Eioh rk ha (. (너너 도도밤밤나나무무과과) ), . 북장평기 지충 역군 계 31 기77 충, 행 영 충, 고전원 , 함전동 층 154, 156 -7, 160 Fagit S pro to d enta t a Tanai & Onoe( 너도밤나무과), 함전동충 ,60 Fa guspro to ja po nic a Suzuk i(너도밤나무과), 고전원 157 Fagu s pro to l ong ipeh 'o l ata Huz i oka( 너 도밤나무과), 고전원 157 Fagit S silv atic a L . (너도밤나무과), 장기충군 177 Fagu s s p.(너도밤나무과), 북평지역 제 3 기충, 연일층군, 감포역암, 어일충 ,54, 179, 181 Fagu s uota 11 i i Huz i oka( 너도밥나무과), 행영충, 고건원 156 -7 Falcod1tS ? n. sp . Schonlaub( 코노돈트), 회동리 층 79 Falodus exte n sus (Graves & Ell i son) (코노돈트), 두무골셰 일 58 Favosite s cf. forb esi M iln e-Edwards & Haim e ( 산호류 ) , 겸 이 포 대 동충군 기 저 역 암 (실루리아기화석) 78 Favosite s cf. got l an dic u s Lam . (산호류), 겸이포 대동층군 기저역암(실루리아기화 석 ) 78 Favosite s coreanic us Ozak i(산호류), 검이포 대동충군 기저역앙(실루리아기화석) 78 Favosite s kennih o enensis Ozak i(산호류) , 검이포 대동충군 기저역암(실루리아기화 석 ) 78 Favosite s kennih o enensis regu la ri s Ozak i(산호류), 검 아포 대동층군 기저 역 암(실루리 아기화석) 78 Favosite s mi no r Ozak i(산호류), 경이포 대동충군 기처역암(실루리아기화석 ) 78 Favosite s shim iz u i Ozaki ( 산호류 ) , 검 이 포 대 동충군 기 처 역 암( 실 루리 아기 화석 ) 78 Felanie ll a (s.s .) f err ugina ta (Mak iy ama) (부족류), 천곡사충, 회봉리 층 138, 143 Fic us oc 야ie n ta l is Les q x . ( 뽕나무과), 봉산탄전 제 3 기충 154 Fic us s p.(뽕나무과), 봉산탄전 제 3 기층 154 Fic us tilia efoli a A. Br . (무화과나무과), 감포 어 일충 153 Fis su ri na circu lo-costa Asano( 유공충), 연일층군 169 Fis su ri na hata ii K i m(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165 Fis su ri na luc ida (W illiam son),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7 Fis su ri na margin a ta (Monta g u ),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7 Fis su ri na 아bigny ana Se g uenza( 처서성 유공충), 포항충, 서귀포충 165, 187 Fis su ri na s p.(처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165 Flo rilus j ap o nic us (Asano),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7 Fl ori/us kid oh araensis (Fuku t a)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165 Flo ri/u s kid oh araesis iw ahori i (Fuku t a) (저서성 유공충), 합전동충 165, 190 Flo ri/u s manpu kuj ie nsis (Ot su ka),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7
Flori /us s p.(저 서성 유공충), 울산지 역 , 제 3 기충 186 Flori /us sp . a(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포항충 165 Fragi lar i a bit um i no sa var. elong a ta Pan t(규조), 북평 충 184 Frag ilar i a bit um i no sa vars . ( 규조), 포항지역 계 3 가충 172 Fragi lar i a brevis triata Grun .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2 Fragi lar i a constr n ens (Ehr.)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2 Fragi la n·a constr n ens (Ehr.) var. vente r (Ehr.)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2 Fragi la ri a constu e ns Grunow( 규 조) , 북평충 184 Frag ilar i a harris so nii W.Smi th var. dubia Grun . ( 규조 ), 안변군 문산연 192 Fraxim t s ennic h ie n sis Tana i(물푸레 나무과), 연일충 152 Fraxim tS excelsio r Erd . (물푸레나무과), 장기충군 177 Fraxin u s cf. i11 s11lari s Hemsel( 물푸레 나우과), 연일충 148 Frag ilar i a pinn a/a Ehr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2 Frag ilar i a rires cens Ra lf s .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2 Fragi lar i a vir e scens Ralf s. var. ellip tica Hus t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2 Fraxim t S ois h ii Huz i oka( 물푸레 나무과), 합전동충 160 Fraxim t S s p . (물푸레나우과), 연일층군, 강포역암, 어일충 179, 181 Fraxin u s tat e i w ai Huz i oka( 물푸레 나무과), 장기 충 151 Fren e lops is cf. p e rceramosa Fon t . (구과목), 산수동춘 포남리층, 한봉산층 129 -30 Frenelop s is holzenegg er i (Ef f. ) ( 구과류 ) , 시 금리 층 129 Frenelops is occid e nta l is Heer ( 구과목 ) , 포 남리 충, 한봉산층 130 Frenelops is pe rceramosa Fon t a i n( 구과목), 신라아층군 128 Frenelop s is s p.(구과목), 산수동충 129 Frondiw laris s p.(저서성 유공층), 이동충, 서귀포충 161, 187 F11clw11ia manchuri en sis (Walco tt)(상영충), 초산지역 중부 캄브리아계 53 Fumi sh in a asyn zm etr ica Muller( 코노돈트), 마차리 층 63 Fumi sh in a cf. f ur nis lz i Muller( 코노돈트 ) , 마차리 층 63 Furnis h in a ? s p.(코노돈트), 두위봉석회 암 60 Fursenkoin a bradyi Cushman(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포항충 165 Fursenkoin a comp la nata (E gg er)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165 Fursenkoin a cornuta Cushman( 유공충), 연일층군 169 Fursenkoin a ish ik i e n sis (Asano)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165 Fursenkoin a s p.(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포항충 165 Fusie l la cf. s pa tio s a Shen g(방추충), 금천충 IOI Fusie ll a mui Sheng ( 방추충 ) , 만항충 102 Fusie ll a pr aecursor pa ravents ico sa Rauser( 방추충), 요봉충 97 Fusie l la pr aecursor Rauser-Chemoussova( 방추충), 요봉충 97 Fusie ll a pr aelanceti fon nis S af onova( 방추충), 판교충 99 Fusie ll a s p . (방추충), 요봉충 96
F1tS ie/l a sp . A . (방추충), 판교 충 9& Fusie // a (),Pica cxte ,i s a Rauser( 방 추 충), 금천충 만항 충 IOl-2 Fusis pira s p . (소속불명 ), 두위봉석회 암 36 F1tS 1 1/in a aff . n'c h t hof e 11 i ( 방추충 ) , 평 양 단전 103 Ftt Su lin a cyli n d ri ca domodedcvi Rauser( 방추충) , 금천충 102 Fusuli11 a cy/ind ri ca F i sch( 방추충), 사동충, 홍접충, 평 양단전 104-5 Ftl SU lin a cy/ind ri ca ( Fi sc her & Waldheim ) ( 방추충 ) , 만항충 102 Fusulin a danya n g e1 is is Cheon g(방추충), 판교충 99 Fusulin a fort i ssi m a Rauser( 방추충), 금천충 102 Fasulin a konnoi Ozawa( 방추층), 홍정충, 사동충 만항충, 평양단전 96, 104 Fusulin a lanceo l ata Lee & Chen( 방추충), 만항충 102 Fu sin/i n a long issi n u z Ml :lll er( 방추충 ) , 홍접 충 IOS Fusu/in a pan kouensis Lee( 방추층), 홍접충, 사동충, 평 양단전 961 IOI, 104 Fusulin a pan kouensis okensis Rauser( 방추충), 금천충 102 Fusulin a qu asic yli n d ri ca (Lee) (방추충), 만항충 102 Fusulin a cf. qu asic yli n d ri ca Lee ( 방추충) , 홍정 충 96, 104-5 Fusulin a schuchert i Ozawa( 방추충), 홍접 충 105 Fusulin a sim i lis Gry z lova( 방추충 ) , 판교충 99 Fusulin a s p . (방추충), 판교충, 만항충, 금천 충 , 홍접충 98, 102, 105 Fusulin a sp. A( 방추충), 금천충 IOI Fusulin a subcy li n d ri ca De p ra t(방추충), 홍정 충 105 Fusuline l/ a bocki (Lee) , 방추충 만항층, 금천 충 , 평 양단전 105-7 Fusulin e l/ a bocki int e nned ia Rauser - Chernoussova( 방추충), 판교충 99 Fusuline lla cyli n d n'c a Fi sc her ( 방추충 ) , 홍접 충 105 Fusuline lla cy/ind ri ca var. domadedori ’( 방 추충 ) 101 Fusuli nel la konnoi Ozawa( 방추충), 홍정충 104 Fusulin e lla laxa Shen g(방추충), 판교충 99 Fusulin e lla obscura ( L. & C. ) ( 유공충 ) , 평 양단전 104 Fusulin e lla par va L. & C. (유공충) , 평 양단전, 홍접 충 104, !08 Fusulin e lla prov ecta Shen g(방추충) , 판교충 99 Fusulin e lla pseu dcbocki (L. & C . ) (유공충), 사동춘 금천충, 평양단전 100, 104, 107 Fusulin e lla cf. p seu dobocki Le·e & Chen( 방추충), 홍정충 105 Fusuli ne lla pseu dokonn oi long a Shen g(방추충), 금천충 102 Fusulin e llarlwmboid es (L. & C . ) (유공층), 홍접충, 사동충, 평양단전 96, IOI, 104 Fusuline lla soni? Cheong ( 방추충 ) , 판교충 98, 102 Fusuli ne lla s p.(방추충), 요봉충, 금천충, 만항충 102 경, 105 Fusulin e lla sp. A( 방추충), 금천충 IOI Fusuli ne lla sp. B( 방추충), 금천충 101
Globig en ·11a bulloid e s d 'O rb ig n y(부 유성 유공 충) , 대곡 충 , 이동 중, 포항충, 서귀포 충, 안변군 문산면 167,188,1 9 0 Globig er in a falc one1ts is Blow( 부유성 유공충), 이동충, 포항충, 북평지 역 제 3 기충, 서귀포충 167,182,188 G/obig en ·na glu ti na ta E gg er( 부유성 유공충), 이동충, 포항층 167 Globig en ·11ap ac hyd enna (Ehrenber g)(부유성 유공충), 이동충, 서귀포충, 안변군 문 산면 167,188,190 Globig er in a par abulloid e s Blow( 부유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167 Globig erina pra ebulloid e s Blow( 부유성 유공충), 대곡충 167 Globig er i na qui n q u e /o b a (유공충), 북평지역 계 3 기충 182 Globig e rin a s p . (부유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북평지역 제 3 기충 167,182 Globig er i na sp. a( 부유성 유공충), 이동충 167 Globig er in a sp. b( 부유성 유공충), 이동충, 포항충 167 G/obig en ·n a trilo cularis Desha y es( 부유성 유공 충) , 이동충 167 G/o b ig er in a woodi J enk i ns( 부유성 유공층), 대곡충, 이동충, 포항 충 , 안변군 문산면 167,1 9 0 Globig er in o id e s cong lo batu s( Br.) , (부유성 유공충 ), 서귀포충 188 G/o b ige r in o id e s ruber ruber (d'Orbig n y ), (부유성 유공충), 서귀포 충 188 Globig er in o id e s s p . (부유성 유공충), 이동충 168 Globig er in it a gla ti na ta (E gg er) , ( 부유성 유공충), 서귀포충 188 Globig er in o id e s sacculife r (Brad y),(부유성 유공충), 서귀포충 188 Globig er in o id es trilob us (Reuss) (유공충), 대곡충, 연일충군, 서귀포충 16!½ J,1 8 8 Globobulim in a s p.(유공충), 연일층군 169 Globocassi du lin a califo rn ic a Cu. & Hu . (유공충), 연일충군 169 Globocassid u lin a glo bosa (Han t ken)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포항충 165 Globocassid u lin a cf. 函 en ta le (Cushman) (처서성 유공충), 대곡충 165 Globocassid u lin a s p.(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165 G/o b ocassid u lain a subgl o bosa (Brad y)(유공층), 연일충군 169 Globocassid u lin a subgl o bosa dep r esse Asano & Nakamura(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춘 포항충 165 Globor ilus glu big e r (Sait o) (복족류) , 마산리 층 49 Globoq u adri na deute r t re i (d'Orb . ) (부유성 유공충), 서귀포충 188 Globoq ua dri na venezuelana (Red . ) (유공충), 연일충군 169 Glyc ime ri s cissh uensis Mak iy ama( 부족류), 만호동충 145 Glyc ime ri s rotu n dus Dunker( 부족류), 서귀포충 144 Glyc i m eri s s p.(부족류), 어 일충 141 G,y ph aea s p . (부족류), 어 일충 141 Glyp h odesmi s sig mo id e us Hanna & Gran t(규조 ), 북평 충 184
G[y ptag n o stu s ret ic 1 1 latu s ( An g e li n ) ( 상 영충), 마차리 층 43 G[y ptos tr o ln ( 낙우송과 ) , 북 평 지 역 계 3 기 충 183 G[y ptos tr o bus europu e ztS Heer( 낙 우송과 ) , 장기 충, 고건원 , 함전동충, 용동충, 행 영 충, 유선충, 장풍리 층, 동천충 146, 151, 153, 155, 157-8 Glyp tos tr o bus ori en ta l is Endo ( 낙우송과 ) , 고전원 157 Gnatlw dus b il i na t us(Round y)(코노돈트), 홍접충 106 Gnath o dus s p . (코노돈트), 홍정 충, 사동충 106 -7 Goesella rotu n da Cushman( 유공충), 영해지역 계 3 기충 185 Gomp ho ne m a acumi na tu m Ehr . (규조 ) , 안변 군 문산연 191 Gomp ho nema acumi na t1 1 m Ehr. var. brebis so nii (Kutz ) Cleve. ( 규조 ) , 안변 군 문 산면 191 Gomp ho nema acumi na tu m Ehr. var. coronata (Ehr. ) (규조), 안변군 문산연 191 Gomp lw nema acumi na tu m Ehr. var. trigo nocep h ala (Ehr.) Grun . (규조), 안변군 문 산면 191 Gomp lw nema augu r Ehr . (규 조 ), 안변군 문산면 191 Gomp lw nem a ang u r Ehr. var. ga uti er i V. Heurck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Gomp ho nem a angz ir Ehr. var. okamurae Skv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Gomp lw nem a c01is trictu m Ehr . (규조 ) , 안변군 문산면 191 Gomp ho1 1e m a constr ictum Ehr. var. c ap itata (Ehr.) ( 규조 ), 안변군 문산연 191 Gomp lw nema gra ci le Ehr . (규 조 ), 안변군 문산면 191 Gomp lw nema int r ica tu m Kutz . var. dic ho umi a (Ku t z . ) (규조), 안변군 운산면 191 Gomp lw nema lanceolat1 1 m Ehr. var. i ns ig nis (Gre g.)(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Gomp ho ne,na oliv a ceum Kutz . var. calcarea Cleve ( 규조) , 북평 충 184 Gomp ho nema parv 11lum (Ku t z .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Gomp ho nemap arv ulum (Kutz . ) v ar. exi li s s i m a Grun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Gomp ho nema parv ulum (Kutz . ) v ar. m ic rojJ1t S (Kutz .) Cleve . (규조 ), 안변군 문산연 191 G 血,p honema vash,m Hust var. e longa ta Skv. (규조 ), 안변군 문산면 191 Gonio t h e ciu m odon t e lla( 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충 172 Gonio t h e dum rog e rs ii(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층 172 Gonio t h e ciu m t enus( 규조), 포항지 역 제 3 기충 172 Condole/la be/l a Sta u ff er & Plummer( 코노돈트), 홍정충 J06 Condole/la sp. nov . (코노돈트), 홍정충 J06 Goth o dus nov. s p.(코노돈트), 강계지 역 중부오오도비스계 70 Goth o dus sp. nov . (코노돈트), 막골석회 암 58 Grammato ph ora mari na var. s ubs til issi ma( 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층 172 Gramma toph orarobz tSta ( 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2
Gramonato p h ora str i ct var. fo ss i l is ( 규조 ) , 포항지 역 재 3 기 충 172 Gra11dio c 1t l11S s p . (삼엽 충 ) , 대 기 충 29 Gutt uli 11 a irr eg ,1 / ari e 1 11p po 11e11sis Cushman & Ozawa( 저 서 성 유공 충 ) , 대 곡충 , 포항 충 165 Guth 1 /i1 1 a ori en ta l is Cus. & Oz. ( 저 서 성 유공충 ) , 서 귀 포 충 187 G11t tilin a yab ei Cushman & Ozawa( 유공충 ) , 연 일 층군 17 0 Gutt uli na cf. y a bei Cushman & Ozawa(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포항 충 165 Gutt uli na pa c, fica (Cushman & Ozawa ) ( 저서성 유공충 ) , 서귀포 충 187 Gutt uli n a sadoe1zsis (Cu. & Oz.) (유공충), 연일충군 169 - Guttu li n a s p .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신양리층, 항전동충 163, 18 8,190 Gutt ul in a y a bei obala (Cushman & Ozawa) ( 저서성 유공 층) ; 서귀포 충 187 Gy ,11 nosole11 ( Str o mato l ite ) 2 1 Gy ro g ,za th u s elong a tu s Rhodes ( 코노돈트 ) , 두위 봉 석 회 암 60 Gy ro gn a th u s s p . (코노돈트), 막골석회암 챈 Gy ro id i n a hangr ,k ensis K i m( 처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 동 충, 포항 충 165 Gy ro id i n a orbic u laris d'Orb ig n y(저서성 유공충), 대곡 충 , 이동충, 서귀포충 165,187 Gy ro id i n o id e s taiw anensis ( Nak. ) ( 유공충 ) , 연 일층군 169 Gy ra ulus sp. nov.? (복족류), 봉산탄전 146
Haniw o id e s longi ssi m us Kobay a shi ( 상영 충 ) , 아차리 층 42 Haniw oid e s I 血gus Koba y ash i(상영충), 마차리층 41 Haniw oid e s (?) pu te o lalus Koba y ash i(상영 충), 마차리 층 42 Haniw oid e s (?) s p . (상영충), 삼방산층 41 H~niw o id e s ten uis Kobay a shi ( 상영 충 ) , 마차리 층 42 Hantz sc l,ia amp h io x y s (Ehr.) (규조류), 안변군 문산면 191 Hantz sc hia am p h i o 자 s (Ehr.) var. majo r Grun( 규조류), 안변군 문산면 191 Hanlzschia amp h io x y s (Ehr.) var. xerop h il a Grun . (규조류), 안변군 문산면 191 Hanzawaia nip po nic a Asano( 저서성 유공층), 서귀포충, 신양리층, 함전동충 187- 8,1 90 Hanzawaia sp . a( 저서성 유공충), 신양리층 188 Hanzawaia sp . b( 저서성 유공충), 신양리층 188 Hanzwaia tag a ensis Asano( 유공충), 연일층군 168 Hapl o p h ragm oid e s advenum Cushman( 유공충), 영해지역 제 3 기충 185 Hapl o p ll rag, 11o i de s co, np r essum Lero y(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영 해지역 제 3 기충 165, 185 Ha plo p h rag, no id e s emacia tum ( 유공충 ) 영 해 지 역 제 3 기 충 185 Hapl o p h ragm o id e s cf. emaci ata (Brad y)(유공충), 영해지 역 제 3 기 충 185 Hap[o ph ragn w id e s renzi Asano( 저서정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165 Hapl o ph rag, no id e s tru lliss atu m (유공충), 영해지역 재 3 기충 162, 185 Hap[ o p h rag, 11o id e s cf. t ru ll is sa tu m(Brad y)(처서성 유공충), 이동충, 영해지역 제 3 기 충 162, 185 Ha plo p h ragn w id e s sp . a(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포항충, 영해지 역 계 3 기충 165, 185 Hapl o p h rag, no id e s sp . b(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영해지역 제 3 기 충 165, 185 Hap[ o p h ragm o id e s sp. c( 저서성 유공층), 이동충, 포항충, 영해지역 제 3 기충 166,185 Ha p l야 hra gm o 函 s pp . (처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166 Harp a go l este s koreanic u s Sh i kama( 포유류, 식육목), 봉산동제 3 기충 146 Hastig er i na s p.(부유성 유공충), 이동충 168 Hausmannia (Proto r hip s is ) s p.(양치류 및 종자양치류), 대동충군 하부 114,117 Haye na ultim a dokan ti nens is(포유류, 식 육목), 동관전산 147 Hedera s p . (드롭나무과), 봉산탄전 제 3 기충 155 Hedin aspis gran ulatu m Koba y ash i(삼영 충), 마차리 층 43 Hedin a spis cf. re ga l is (Troedsson) (상영충), 하내리층 47 Helc ione lla coreanic a Kobay a shi ( 복족류 ) , 마산리 층 49 Helcio nell a Pac ifica S ait o( 복족류), 마산리 층 49 Helico t o m a amanoi Koba y ash i(복족류), 도담충 47
Helico t om a (?) kanekoi ( Kobay a shi ) ( 복족류 ) , 송 림 충 51 Helico to m a tam urai Koba y ash i(복족류), 운학충 52 Helico to m a (?) yab ei koba y ash i(복족류), 운학충 52 Hel i ol it es( 산호류), 검이포 대동충군 기저역암(실루리아기화석) 78 Hemi alu s po lytn o rp h us Grunow( 규조류), 포항지 역 제 3 기 충 172 He111ia l1 tS po lym o rp h us var. frigida Grunow( 규조류), 포항지 역 제 3 기 충 172 He111id is cu s ci me ifo nn is Wall i ch( 규조), 포항지 역 제 3 기 충 172 Hemi ple th o rhyn c hus sp. ( 완족동물 ) , 만항충 84 Hemi tra p a borealis M i k i (Tra pellaceae 과), 장기충 151 Hemi trapa yok oy a mae Mi ki ( T rap e llaceae 과), 연일충, 동천충 152, 16 2 Henne si·n o ps is caulle ry(에브리디아), 연일충군 174 Hennesin u m schulz ii(에 브리 디 아), 연일층군 174 Hennesin u m t ransversa( 에브리디아), 연일충군 174 Hertz ina ? bisu lc ata Muller( 코노돈트), 마차리 층 63,65 Hi bb ardella (Roundya ) cf. barnetta n a Hass( 코노돈트), 홍정 충 106 Hi bb ardella delica tu la Sta u ff er & Plummer( 코노돈트), 홍정 충 106 Hib b ardella s p.(코노돈트), 홍정 충 106 Hi nd eodella cf. ibergen sis B i scho ff(코노돈트), 홍정충 106 Hi nd eodella s p . (코노돈트), 사동충 107 Hi nt z e ia gla bella Koba y ash i(상영충), 문곡충 43 Holop e a s p . (복족류), 마전포충 50 Holop e a tateiwa i Koba y ash i(복족류), 송림충 51 Ho magnos tu s his ak oshii Kobay a shi ( 삼영 충 ) , 마차리 층 42 Homagn os tu s hoif onn is ( Kobaya shi ) ( 상영 충 ) , 초산지 역 최 하부 오오도 비 스계 , 강계 지 역 캄브리 아계 상부 54-5 Ho pk in s in a shim boi Ma t suna g a( 저 서 성 유공충), 포항충 166 Ho pk in s in a sp. a( 저서성 유공충), 이동중 166 Huk 叫 wa ia cyli n d ric a Koba y ash i(삼엽 충), 문곡충 43 Hy aw dis cu s radia tas Grunow( 규조류), 포항지역 제 3 기충 172 Hy al odis cu s subti lis B ai l( 규조류), 포항지역 제 3 기충 172 Hy d range a mwbrets c hneid eri Hu & Chane y(법의귀과), 장기충 150 Hy d rob ia (Parhy d robia ) gyo kusoensis Suzuk i(복족류), 낙동충 124 Hy o lith e s cyb ele Walco tt(소속불명 ), 마차리층 42 Hy ol ith es imbrica tu s Koba y ash i(소속불명 ), 화철충 32 Hy ol ith e s koto i S ait o( 소속불명 ), 마산리층 49 Hy ol ith e s subcari na tu s Koba y ash i(소속불명 ), 화철충 30 Hy ol ith es tere ta pe x S ait o( 소속불명 ), 문산리 층 心 Hy ol ith e s s p.(소속불명), 두위봉 석회암 강계지역 캄브리아계 중부 36,55 Hy ol ith es 2 spp , ind et. ( 소속불명 ) , 대 기 충 29
Hy po dis c us sp . ( Resto n ia c eae 과 ) , 장기 층군 178 Hy pse lconus coreanic us Koba y ash i(복족류), 화절충 양 Hy s tr irnnts eury ce p h alus Kobay a shi( 삼영 충 ) , 막동석 회 암 33 Hy s tri' 야nts gran ulosus Endo( 삼엽 충 ) • 막동석 회 암 38 Hy st r icu n ts mega lop s Koba y ash i(삼엽 충), 막동석 회 암, 문곡충 33,38,43 Hy s tr irn n ts s p . (삼영충)· 막동석회암 33 Jd din g s ia ori en ta l is Koba y ash i(상영충), 화절충 양 Idio g n a th o dus anti qu aus St au ff er & Plummer( 코노돈트), 홍접충 106 Jdiog n a th o dus clavif orm is Gunnel( 코노돈트), 사동충 107 Idio g n a th o dus cf. clavif orm i s Gunnel( 코노돈트), 홍정충 106 Jd io gn atl ro dus delica tu s Gunnel( 코노돈트), 홍정충, 사동충 106 -7 Jd io g n a th o dus cf. delica tu s Gunnel( 코노돈트), 사동충 107 Idio g n a th o dus inr nrvus Dunn( 코노돈트), 홍정 충 106 Idio g n a th o dus aff . l obatu s Gunnel( 코노돈트), 사동충 107 Idio g n a th o dus magn ificu s St au ff er & Plummer( 코노돈트), 홍정충 106 Idio g , ra th o dus par vus (Dunn)( 코노돈트), 홍접충 106 Jd io g n a th o dus sin u osis Ellis o n & Graves( 코노돈트), 홍정 충 106 Jd io g n a th o dus ter sus Ell i son( 코노돈트), 사동충 107 Idio g n a th o d,ts s p . (코노돈트), 홍접충, 사동충 106,107 Idio g , 1a th o dus sp . A( 코노돈트), 홍정충 106 Idio g , ra th o id e s nodulifn ts( Ellis o n & Graves)( 코노돈트), 홍정충 106 Jd io g n a tl ro id e s sin u altt s Harris & Holl i ng swor t h( 코노돈트), 홍정 충 106 Idio g , ra t/1 0 id e s s p.(코노돈트), 홍정충 106 Jd io g n a th o id e s sulcatu s Hi ggins & Bouckaer t(코노돈트), 홍정 충 106 /lex heer i Na t hors t(강당나무과), 북평지역 계 3 기충, 고전원 154,158 /lex monta n a (Gr i seb.) (감당나무과), 장기충군 177 /lex vert icilla ta Gre y(감당나무과), 장기층군 177 /lex s p . (감당나무과), 영동충, 감포역앙, 어일충 179,181 /llae nus hin o moto e nsis Kobay a shi ( 상영 충 ) , 막동석 회 암 33,38 Illaenus semi ov if orm i s Koba y ash i(상영 충), 막동석회 암 33 Illaenus (?) spiculu m Endo( 삼영충), 막동석회암 38 Indosp irifer' ' kwangs ien sis How ( 완족동물 ) , 경 이 포 대 동충군 81 ? Iris s p.(방등산이 과), 연일층군 180 Irvin g e llin a orientali s (Koba y ash i)(삼영충), 막동석회 암 33 Jrv in g e llin a sp. i nd t(삼엽 충), 막동석회 암 33 Jtom elania basic o rdata Suzuk i(부족류), 진주충 124 Jw aya spis asap h oid es Koba y ash i(삼엽충), 마차리층 43
Ko ptur a cf. bispina ta Koba y ash i(삼엽충), 마차리층 43 Ko ptur a typa Koba y ash i(삼엽충), 화철충 양 Koraip s is spinu s Koba y ash i(삼영 충), 막동석회 암, 문곡충 33,43 Koreanop o ra pro p o roid e a Ozaki ( 산호류 ) , 검 이 포 대 동충군 기 저 역 암( 실루리 아기 화 석 ) 78 Koto ce ras cyli n d ric um Koba y ash i(두족류), 직운산셰 일 34 Koto c eras fr ech i (Koba yash i)(두족류), 막동석회 암, 직운산셰 일 33,34 Koto c eras grab aui ( Kobay a shi ) ( 두족류 ) , 적 운산셰 일 34 Koto c eras multi septum Koba yash i(두족류), 직운산셰 일 34 Koto c eras typicum Koba y ash i(두족류), 칙운산셰 일 34 Koto c eras s p.(두족류), 직운산셰 일 34
Lmt icu li1i a calcar( L i nn aeus) ( 저 서 성 유공 충 ) , 이 동충 166 Lenti m lin a hyu n g l1ae 1zsis K i m (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166 Le11ti culi n a koti en sis ( 유공 충 ) , 북평 지 역 제 3 기 충 182 Lenti culi ,i a /uci da(C ushman) ( 저 서 성 유공충 ) , 이 동충 166 Lenti culi n a orb im la ri a(d ' Orb ig h y)(저 서 성 유공충) , 이 동충 166 Lenhcu /in a s p .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166 Lentic uli n a sp . a(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166 Lepido dendron chosenensis Kawasak i(석송류), 고방산층 93 Lepidod endron oculus feli s( Abb. ) ( 석 송류 ) , 홍정 충, 사동충 86,89 Lepidos tr ob op h yl /um koreanum Kawasaki ( 석 송류 ) , 사동충 89 Lepidos tr ob o ph yl l um latis qu amum Kawasaki ( 석 송류 ) , 사동 충 89 Lepido stro b op l, yI /um long itrian gu la re Kawasak i ( 석송류), 사동 충 89 Leptoch ir o g nathu s (?) nov. sp . Lee( 코노돈 트) , 정선석회 암 67 Leptothy r a cf. s ag a rensis Schenk( 복족류), 서귀포충 1 丑 Lesueuri lla kushanensis (Grabau) (복족류), 운학충 52 Lib oced rus decurrens Torr. (편백과), 장기충군 177 Lib o cedrus s p.(편백과), 연일충군, 강포역앙, 어일충 179, 181 Lic h eng ia eury ce p li a la Koba y ash i(상영 충), 화철충 32 Lio st r acina krausei Monke( 상영충), 세송슬레이트 30 Lig o nodin a roundyi Hass( 코노돈트), 홍정충 !06 Lig on odin a s p.(코노돈트), 회동리 층, 홍정 충 79, 10 6 Lim a cf. go lict h Sowerb y(부족류), 연일충 137 Li, nopsis crenata Adams( 부족류), 서귀포충 144 Lin glepis( ? )s p.(완족동물), 화철충 양 Lin guk ain e lla ma rte ll ii (Koba y ash i)(삼영충), 두무동충 33 Lin gula s p . (완족동물), 직운산셔 1 일, 홍정충 34, 85 Lin gule lla dim orph a Sun( 완족동물) , 후 창지 역 중부오오도비 스계 54 Lin gule lla dote nsis Koba y ash i(완족동물), 두무동충 32 Lin gule lla kay s er i Grabau & Sun( 완족동물), 화철충, 강계지역 캄브리아계상부, 초산지역 최하부 오오도비스계 32,61,6 3 Lin gule lla liu i Sun( 완족동물), 후창지역 중부 오오도비스계 54 Lin gule lla manchuri ensis Walcott ( 완족동물 ) , 대 기 충, 마차리 층 29,42 Lin gule lla marcia Walco tt(완족동물), 마차리 층 41 Lin g u le lla tomk ole nsis Koba y ash i(완족동물), 두무동충, 문곡충 32,43 Lin gule lla s p . (완족동물),임촌충, 마산리층, 강계지역 캄브리아계 중부 49,63 Lin gulepis sham ojijorm i s Kobay a shi ( 완족동물 ) , 화철 충 31 Lin opteris chosenic a Kawasaki ( 식 물 ) , 홍정 충 86 Lio pa rella long ifoli a Koba y ash i(삼엽충), 마차리층 42 Lio pa ri a conic ulu s Koba y ash i(상영충), 화절충 30
Lio pa ri a obsoleta ( Kobay as h i) ( 삼 엽 충 ) , 호년 층 양 Lio pa ri a uulg a ris (Koba y ash i)(삼영충), 화절충 30 lio s pi ra barbour i Grabau ( 복족류 ) , 운학충 52 lio s p ira lenti cu lari s Kobay a shi ( 복족류 ) , 송 립 충 51 lio s pi ra cf. lenti cu /ari s Kobay as hi ( 복족류 ) , 임 촌충 49 lio s p ira kawasak ii (Koba y ash i)(복족류), 송립 충 51 lio s pi ra shohakuensis Koba y ash i(복족류), 두위봉석회암, 도단충 36, 53 lio s pi ra tai h a kuensis Kobay as hi ( 복족류 ) , 두위 봉 석 회 암 36 lir a dis c us asj) ernlus( 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충 172 lir a dis c us b ip ola ris(규조), 포항지 역 제 3 기 충 172 lir a dis c us ova/ is(규조), 포항지 역 제 3 기 충 172 lir iod endron meis e nense Endo( 목련과), 항전동충 160 liq u id a mberf or mosanum Hance( 조록나무과), 영동충 153 liq u id a mber mi os in i c a Hu. & ch . (조록나무과), 연일충, 함진동충 152,160 liq u id a mber s p . (조록나무과), 연일충군, 감포역 암, 어 일충 179,181 lir iod endron meis en ense Endo( 목련과), 고건원 158 lir iod endron s p.(목련과), 감포역 앙, 어 일충 181 lin o dendron tul ,pi fera L . (목련과), 장기 충군 177 lis a nia conic a Koba y ash i(삼영충), 마차리충 42 li tho p h aga (leio s olenus) kim i Yun( 부족류), 천곡사충 138,139 liu d era gan din i Tana i(녹나무과), 함진동충 160 lobata n nulari a ens ifo l i a(Halle) (속새류), 사동충 87 lobata n nulari a he ia nens is (Koda i ra) (속새류), 사동충, 고방산층 87,92 lobata m t u lari a i neq u1f o l is (Tokuna g a) (속새류), 사동충 87 lobata n nulan·a lin g u la ta ( Halle) ( 속새 류 ) , 사동충 87 lobata n nulari a namp o ensis Kawasak i(속새류), 대동층 군하부 114 lobata n nulari a sin e nsis Halle ( 속새 류 ) , 사동충 87 lonchodin a wallise r i Z i e g ler( 코노돈트), 회동리층 79 lonchodin a n. sp. Lee( 코노돈트), 회동리층 79 lonchodin a (?) s p.(코노돈트), 회동리층, 사동충 79,,07 lonchodus s i m p lex(Pander)( 코노돈트), 홍접충 Io6 lonchodus sp . (코노돈트), 막골석회암, 홍접충 58,106 Lo ph ia le te s tok unaga i Taka i(포유류, 기제목), 봉신동 제 3 기층 147 Lo ph os pira acuta Grabau( 복족류), 운학충 52 Lo ph os pira cf. b anta tsu ensis Koba y ash i(복족류), 도탄충 47 Lo ph os pira ger ardi Grabau( 복족류), 운학충 52 Lo ph os pira kin o sakii Kobay as hi ( 복족류 ) , 두위 봉석 회 암 36 Lo ph osp ira kodair a i Koba y ash i(복족류), 운학충, 고원지역 중부 오오도비스기충 52, 60
Loph osp ira konnoi Koba y ash i(복족류), 운학충 52 Loph osp ira pago da(Sal t er) (복족류), 직운산셰 일 34 Loph os pira aff . pago da(Sal t er) (복족류), 직운산셰 일 34 Loph osp ira sub pu lchella Koba yash i(복족류), 운학충 훈 Loph osp ira tatein u ai Koba y ash i(복족류), 두위봉석회 암 36 Lophospira troch if orm i s Grabau( 복족류), 운학충 52 Loph osp ira s p . (복족류), 직운산셰 일 34 Lorenzella quad rat a Koba y ash i(삼엽충), 세송슬레이트 30 Loxobucania ka to i (Koba y ash i)(복족류), 운학충 52 Lo:t1 Js to mu m loba tu m(Brad y)(유공충), 연일층군 170 Lu cina acuti lin e ta Conrad. (부족류), 연일충 137 Lu cina cf. annuluta Reeve( 부족류), 연일충 137 Lu cina khata ii O t uka( 부족류), 연일충 137 Lu cina yok q ya mai O t uka( 부족류), 연일충 137 Lu cino ma acu ti li nea tu m(Conard) (부족류), 천곡사충, 학권층, 홍해충, 두호충, 연 일충 138, 140 Lusa 隔 s (Coreolenus) corean icus (Sa it o) (삼엽 충), 운산리 층 48 Ly co p o diu m cf. clava tu m( 석송과), 장기충군 178 Ly co p o diu m s p . (석송과), 연일층군, 강포역 암, 어 일충 180, 182 Ly co p tera chosenensis Mak iy ama( 어류화석 ), 열하동 122 Lym n aea s p . (복족류), 봉산탄전 146
Maladio i d es coreanic us Koba y ash i(상영충), 화절충 30 Mammonte u s primi gen iu s Blumenbach( 포유류, 식 육목), 동관전산 147 Manchuri lla mi na fo rm i s Koba y ash i(삼엽 충), 대 기 충 29 Manchuri eel la s p.(삼엽 충), 하내 리 층 47 Manchuroceras cf. kobaya shii Oba t a( 두족류), 악동석회 암 33 Manchuroceras cf. p la ty ve ntu rm ( Grabar ) ( 두족류 ) 广각동석 회 암 33 Manchuroceras s p . (두족류), 막동석회암, 초산지역 하부 오오도비스계 33, 54 Mansuyi a (?) maladif orm i s Kobay a shi ( 상영 충 ) , 화절 충 32 Mansuyi a trigo nalis Koba y ash i(삼엽 충), 화절충 양 Mapa n ia beih o ensis Kobay a shi ( 삼 엽 충 ) , 묘봉슬레 이 트 쌩 36 Maratt iops is asia t ic a Kawasak i(양치류 및 종자 양치류), 대동충군 하부 114 Maratt iops is s p . (양치류 및 종자양치류), 대동충군 하부 114 Mareda mukazega ta Koba y ash i(삼엽충), 화철충 32 Margin u lin a gla bra d'Orbig n y ( 저 서 성 유공충 ) , 대 곡충 166 Mart ino tt iell a commun is (d'Orb ig n y)(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연일층군, 영해지역 계 3 기충, 신양리층 166, 169, 185, 189 Mart ino tt iell a braduana ta ruk i ens is (Asano)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166 Mart ino tt iell a nodulosa(Asano) (저서성 유공층), 대곡충 166 Mart ino tt iell a sp .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166 Maruya maceras shim amurai Koba y ash i(두족류), 환산충 52 Masto g l o ia sple ndid a Cleve( 규조), 포항지 역 계 3 기충 며 Media l ia sple ndid a Sheshukova-Pore t ska y a( 규조), 포항지 역 제 3 기충 172 Mega g rau los brevis ca ps Koba y ash i(삼영충), 마차리층 42 Mega g rat t lo s coreanic u s Koba y ash i(삼엽 충), 대 기 충 29, 37 Mega g rau los semi circ ularis Kobay a shi ( 삼엽 충 ) , 삼방산층 샨 Mega las pis akyr o rachis Koba y ash i(상영충), 두무동충 32 Mega las pis (?) bia n g ula ta Koba y ash i(삼엽충), 두무동충 32 Mega [as pis eury ra chis Koba y ash i(삼엽 충), 두무동충 32 Mega laspi s (?) subste n orachis Koba y ash i(삼엽충), 두무동충 32 Mega /ap s is a s p.(삼엽충), 막동석회암 33 Mega /ap s is b s p . (삼엽충), 막동석회암 33 Mega lop s is ori en ta l is Kobay a shi ( 상 영 충 ) , 막동석 회 암 33 Mega mansuyi a gl abra(Endo) (삼영충), 화철충 양 Mega nte r eon uih o wanensis (Te. & P i.)(포유, 식육목), 동관전산 147 Mega xin u s (s.s ) kha taii (O t uka) (부족류), 천곡사층, 회봉리층, 신현리층, 연일충 138-1 39, 142 -143 Meg a ceros · SP . (포유류, 우제목), 동관진산 147 Melonis aim onoi( Mats u nag a ) (저 서 성 유공충) , 대 곡충 166 Melonis n ic obarens is(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울산지역, 계 3 기층,
서귀포충, 함전동충 166, 186 -7, 190 Melonis po mp ilio id e s(Fic h te I & Moll)(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춘 포항충, 함 진동충 166, 190 Melonis s p . (유공충), 북평지역 제 3 기충 182 Melosir a amb igita (Grun . ) (규조), 북평충, 안변군 문산연 184, 192 Melosir a d ista ns(Ehr . )Ku t z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2 Melosir a gran ulata fo. curvata Hus t ed t(규조), 북평 충 185 Melosir a gran ulata Ral fo(규조), 북평 충 184-5 Melosir a gran ulata ( Ehr. ) var. angi tStiss ir n a 0. Mull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2 Melosir a sol(Ehrenber g)(규조) , 포항지 역 계 3 기 충 172 Melosir a sulca ta (Ehrenber g)(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2 Melosir a sulcata var. corona ta (Ehrenber g)(규조), 포항지 역 계 3 기 충 172 Melosir a varia n s C.A . Ag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2 Menocep h alite s acanth 1t S ( Walcott ) (상영 충), 후창지 역 캄브리 아계 54 Meras pid, ge n. et sp. i nd t . (삼엽충), 마차리층 43 Mercenari a ch ita n ia na(Yok . ) (부족류), 회봉리층 143 Mesocena p en tago ras( 씰리코플라겔라타), 연일 층 군 174 Mesochara sp. A. (윤조류), 대구충 송내동 멤버 및 건천리층 131 Mesochara sp . B. (윤조류), 대구충 송내동 멤 버 131 Mesocrep iceph alus a i r ag h ii (Koba y ash i)(상영충), 마차리층 41, 42 Mesocrep ice p h alus cf. dam ia (Walco tt)(삼엽충), 후창지 역 캄브리 아계 54 Mesocrep ice p h alus dam ia (Walco tt)(삼영 충), 강계 지 역 캄브리 아계 중부 63 Mesocrep iceph alus subq ua dratu s (Kobay a shi) (상영 충), 마차리 층 41 Meta disc us fusi brons(S ait o) (삼엽충), 마산리층 49 Meta grau los coreanic us Koba y ash i(삼엽 충), 초산지 역 중부 캄브리 아계 53 Meta grau los samp o sanensis Kobay a shi ( 삼영 충 ) , 상방산층 41 Meta lo nchodin a sp . ( 코노돈트 ) , 사동충 107 Meta s equ o ia occulenta li s Chane y(낙우송과), 행영충, 고건원, 용동충, 함전동충, 통 천충 156 -7, 159, 162 Meta seq u o ia s p . (낙우송과), 북평지 역 제 3 기충 153 Meto po lich a s (?) mart ell ii Koba y ash i(상영충), 두무동충 33 Mi cragnost u s coreanic us Koba y ash i(삼엽충), 문곡충 43 Mi croc oelodus cf. a symm etr icus Branson & Mehl( 코노돈트), 영 흥충, 정선석회 암 ’ 64, 67 Mi crom elania koto e nsis Suzuk i(부족류), 낙동충 124 Mi crom i tra coami sc ulptu s Kobay a shi ( 완족동물 ) , 마차리 층 42 Mi crom i tra (Iph id ell a) s p . (완족동물), 마산리층 49 Mi crotu s maekawai Tokunag a & Mor i(포유류, 설치목), 동관진산 147 Mi lia m mi na obliq u e Heron-A llen & Earland( 유공충), 연일충군 170
M i li ol i ne l/ ac i rcula ris (Bornemann y)(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신양리층 187, 189 Mi lio l in e lla s p . (저서성 유공충), 신양리층 189 Mi l/ere /l a acuta Jon na nana(Ki re eva)( 방 추추), 홍접 충, 금천충 100 -1 Mi l/ere /l a acuta ( Grazdil o va & Lebedeva) (방추충), 요봉충, 판교충, 만항충 96, 97, 99, 102 Mi l/ere /l a cf. a rnta ( Grozdil o va et Lebedeva) (방추충), 홍정충 l00 -1 Mi l/er e/l a acu tis s i ma(K i reeva) (방주충), 요봉충, 금천충 97, IOI Mi l/er e/ la carbonic a (Grozdil o va & Lebedeva) (방추충), 요봉충, 금천충 97 Mi l/er e/l a comp re ssa( Brazhnic o va & Poti ev skay a ) ( 방추충 ) , 요봉충, 홍정 충, 금천 충 96 -7, l00 -I Mi l/ere /l a exil ia ( Grozdil o va & Lebedeva) (방추충), 요봉충 97 Mi l/er e/l a samari ca Re itli n g er( 방추충), 요봉충, 판교충 96, 99 Mi l/ere /l a cf. samari ca Re itli n g er( 방추충), 요봉충, 금천충 96, 101 Mi l/ere /l a s p.(방추충), 만鬪 102 Mi l/ere /l a var iab il is Rauser( 방추충), 홍접충, 금천충 100 -1 Mi ltha (lucin o tna ) annulata ( Reeve ) ( 부족류 ) , 서 귀 포충 144 Mi m ana eury ce p h a/a Koba y ash i(삼엽충), 화절충 양 Mi m ana (?) s p.(삼영충), 화절충 양 Modio lo p s is elong a ta Koba y ash i(부족류), 적운산셰 일 34 Modio /o p s is hin o mo/oensis Koba yash i(부족류), 직운산셰 일 34 Modio l op s is kog en ensis Koba y ash i(부족류), 직운산서 1 일 34, 39 Modio /o ps is reedi Koba y ash i(부족류), 적운산셰 일 34, 39
Modio /o ps i s n1g o sa Koba y ash i(부족류), 적운산셰 일 34 Modio /o ps i s tlzeb awi Reed( 부족류), 적운산셔 1 일 39 Modio lu s modio lu s L i nnaeus( 부족류), 서귀포충 144 Modio l1 tS (s.s ) dif ficilis 연일충 140 Monoge n eri na cf. gra data Lan g e( 유공충), 사동충, 평양단전, 홍접충 100, !04 Mono graptus(팔석류), 연천계 최상부충 78 MontS rubra L . ( 뽕나무과), 장기층군 177 Morus s p . (뽕나무과), 감포역 암, 어 일충 181 Mu//ioi s tod us tride ns Young gist & cull i son( 코노돈트), 두위봉석회 암 60 Mungy o ng ia tu/ipifom i s Kobay a shi ( 삼엽 충 ) , 마성 충 46 My a (Arenomy a) cune ifo nn is (B~hm) (부족류), 회봉리층 143 My a crassa? Grew i n g k( 부족류), 만호동충 My o na flab ellifo nn is Kobay a shi ( 소속불명 ) , 세 송슬레 이 트 30 My os p a lax cf. eps il a nus Thomas( 포유류, 설치목), 동관전산 147 My rica cf. callico maefo li a Les q x( 소귀 나무과), 봉산탄전 제 3 기 충 154 My rica s p . (피 나무과), 연일층군 179 My riophy l l um s p.(방등산이과), 연일충군 180Neop rion io d us nov. s p.(코노돈트), 영 흥충 64 Neo prion io d us sp . Lee( 코노돈트), 홍접충 !06 Neop rion io d us subcarnus Wall i ser( 코노돈트), 회동리 층 8o Neoredlich ia nakamura i (Sa it o) (상영충), 낙민층 49, 50 Neosta fe l la hanensis Cheon g(방추충), 판교충, 금천충 9½ 1, IOI Neosta fell a pap ilif o rm i s Cheon g(방추충), 판교충, 금천충 헨 IOI Neosta lf ll a s p . (방추충)〉산항충 102 Neosta ttell a sp . A. (방추충), 만항충 102 Neosta ll ella sph aeroid e a cuboid e s Rauser( 방추충), 금천충 만항충 98, 101- 2, I06 Neosta f e l la sp haero id ea(Ehrenber g)(방추충), 판교충 만항충 99, 102 Neurop teridi u m coreanic u m Koiw ai ( 양치 류 ) , 사동충 88 Neurop ter i diu m pol ym orph um Halle ( 양치 류 ) , 사동충 88 Neurop ter diu m ? yon g wo lense Kawasaki ( 양치 류 ) , 사동충 88 Neurop ter is auri cu lata Brong n . ( 양치 류 ) , 사동충 88 Neurop ter is pse udovata Goth a n & Sze( 식물화석 ), 홍접충 86 Neurop ter is sp . ( 양치 류 ) , 홍접 충 86 Neveri ta sp. (복족류), 천곡사층 139 Ni lss oni c01np ta (Ph i ll) (닐소니아류), 낙동아층군 127 Ni lss onia muens teri (Pres!) (소철목), 대동충군 하부 115 Ni lss onia nip po nensis Yoko y ama( 소철목), 대동충군 하부 115 Ni lss onia pter op h yl lo id e s Na t hors t(소철목), 대동충군 하부 115 Ni lss onia serrulata O i sh i(소철목), 낙동아층군 128 Ni lss onia s p.(소철목), 대동충군 하부, 묘곡충 115, 121 Ni lss onia s p?(소철목), 대동충군 하부 115 Ni lss onia t enu ic aul is (Ph i ll ips) (소철목), 대동충군 하부 115 Ni lss onia wakwanensis Oi sh i & Tate i w a( 닐소니 아류) , 낙동아층군 128 Ni lss onia orientali s Heer( 소철목), 낙동하층군 127 Ni lss onia schaumburg e ns is (Dunk . ) (소철목), 낙동아층군 127 Ni lss onia yab e i Ta t e i wa( 소철목), 낙동아층군 127 Nis u sia coo peri Koba y ash i(완족류), 묘봉슬레이트 29, 41 Ni su sia pa usic o ste l la Kobay a shi ( 완족동물) , 마성 충 46 Ni tzsch ia kutz ing ian a H i lse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2 Ni tzsch ia Plana Sm it h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2 Ni tzsch ia romana Grun. fo rma(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2 Ni tzsch ia s pp . (규조), 포항지 역 계 3 기충 173 Nodosari a aff . s ip hog eneri na( 유공충), 연일충군 169 Nodosari a laeviga ta (d'Orb ig h y)(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166 Nodosari a lon gis ca ta (d'Orb ig n y)(유공충), 연일층군 169 Nodosari a sp . a(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166
Nonio n ella cf. g rat e lo upi (d 'O r big n y ) (저 서 성 유공충), 이 동충 166 No11i0 1 1ella 111i oce 11ic a ste l la Cushman & Mo y er( 저서성 유공충), 이동춘 포항충 166 Nonio n el ld scap lz a(fi ch te l & Moll) (저서성 유공충) , 대곡충, 이동춘 포항충, 함 진동충 166, 190 !vor i na cucullata Halle( 미분류 종류), 고방산층 93 Noth of a gus anta ctica Cran( 너도밤나무과), 장기충군 177 Nollwfa gtlS cli/f orlioide s Cran( 너도밥나무과), 장기층군 177 Nollwfa gus s p.(너도밥나무과), 연일층군, 감포역암, 어일충 179, 181 Nuclana (Saccella) confu sa cf. kon gien sis O t uka( 부족류), 회봉리층 142 Nucluna s p . (부족류), 천곡사층 138 Nuculana (Ac ila) dic a ri ca ta H i nds( 부족류), 연일충 137 Nuculana (Ac ila) ins ig nis Gould ( 부족류 ) , 서 귀 포충 144 Nuculana div a ri ca ta H i nds( 부족류), 연일 충 137 Nuculana (Leumucula) p ra e,iipp on ic a(Hamada) (부족류), 천곡사충 138 Nuculana (Nucula) hokoensis Kanehara( 부족류), 연일충 137 Nuculana aff . i nenn is (Yok.)( 부족류), 연일충 137 Nuculana ci nf u sa(Hanl.) (부족류), 연일충 137 Nuculana fujifonn is Kanehara( 부족류), 연일충 137 Nusula (?) s p . (부족류), 두위봉석회암 35 Nuculite s (?) suboblong a ta Koba y ash i(부족류), 직운산셰 일 34 Nuph er s p.(택사과), 연일층군 179 Ny mph aea cf. alba (?)(수련과), 장기층군 178 Ny mph aea s p . (수련과), 연일층군 감포역 암, 어 일충 179, 182 Ny mph aea ste ll ata W i lld . (수련과), 장기충군 178
Obolus s p . ( 완족동물 ) , 아 차리층 , 마 산 리 층, 후창지 역 캄브리아 계 42, 46, 49, 54 Ochoto n a s p . ( 포유류, 설 치목) , 동관 전 산 147 Odonto pter is long ifoli a Kawasak i ( 양 치 류 ) , 사도충, 고방산층 88, 92 Odonto p t er is subcrenula ta ( Ros t )( 양 치류) , 사동충 88 Odonto pter is s p.(양치류), 후 창지역 상부 고생대충, 적자색셰일 86 Oepi ko dus cf. cop e nhage nsis Et hi n g ton & Schumaher( 코노돈트), 영 흥충 64 O epik od 函' magg o lensis Lee ( 코노돈트 ) • 막곧석 회 암 58 Oe piko dus? s p . ( 코노돈트 ) , 두위봉석회 암 60 Oe piko dus sp nov. Lee ( 코노돈 트) , 막곧석회 암 챈 Og ygi·to i d e s raym o ndi Kobay as hi ( 상 영 충 류 ) , 직 운산셰 일 35, 39 Ois tod us abundans Branson & Mehl ( 코노돈트), 두위봉석 회 암 정선석회 암 60, 67 Ois tod us brevic o nus Branson & Mehl ( 코노돈트), 두위봉석회 암 60 Ois tod us aff . brevic o nus Branson & Mehl( 코노돈트), 영 흥충 64 Ois tod us contr a ct us L i nds t rom( 코노돈트), 막골석회 암, 두무골셰 일, 반달산층, 문곡 충 58, 69 Ois tod 11S elong a tu s L i nds t rom ( 코노돈트), 두무골셔 1 일 만달산층 58, 69 Ois tod us forc ep s Li nd str o m 코노돈 트) , 두위봉석회 암 60, 64 Oi stod us grac ilis Branson & Mehl ( 코노돈트), 태백시 오오도비스계 61 Ois tod us ina eq u a lis Pander ( 코노돈트 ) , 막골석회 암, 두무골셰 일, 문곡충 58 Ois tod us inc lin a tu s Branson & Mehl ( 코노돈트), 막골석회 암, 영흥충, 두위봉석 회암, 정선석회암, 만달산 층 , 강계지역 중부 오오도바스계 58, 60 , 6 4,67,69 -70 Ois tod us lanceolatit S Pander (코노돈트), 문곡충 64 Ois tod us long ira mi s L i nds t rom( 코노돈트), 칙운산셰 일 59 Ois tod us mi nu tu s M i ller( 코노돈 트 ), 문곡충 64 Oi stod us cf. n evadeusis Et hi n g ton & Schumacher( 코노돈트), 두위봉석회암 60 Ois tod us pa rallelus Pander( 코노돈트), 두무골셰 일 58 Oi stod us tn·a n g ula ri s L i nds t rom( 코노돈트), 두무골서 1 일 58 Oi stod us venustu s S t au ff er( 코노돈트) , 두위봉석회 암 60 Oi stod us s p.(코노돈트) , 영흥충, 정선석회암, 문곡충, 행매충 64, 67-8 Oi stod us s pp . (코노돈트), 직운산서 1 일, 두위봉석회암 59, 60 Olenoid e s asia t i cu s Koba y ash i(상영충), 마차리층 신구 Olenoid e s s p . (상영충), 대기충 29, 37 Olenus asia t i cu s Koba y ash i(삼엽충), 마차리층 43 Oliv e lla consoblin a L i schke( 복족류), 연일충 137 Onchometo pu s (?) makkolensis Koba y ash i(삼엽충), 적운산셰 일 35 Onchonotu s s p . (삼엽충), 두무동충 33, 38 Onchonotu s walcott i Koba y ash i(삼엽충), 두 무동총 33, 38 Oneoto d us cf. d ats o nesis Druce & J ones( 코노돈트), 문곡충 64
Oneoto d us grad /is L i nds t r1lm( 코노돈트), 문곡충 64 Oneoto d us nakamurai No g am i(코노돈트), 화절충, 문곡충 57, 64 Oneoto d 1ts cf. rotu nda tus(코노돈트), 문곡충 64 Oneoto d us s pp . (코노돈트), 문곡충 64 Onyc h io ps is elon ga ta ( Gey l er) ( 양치 류 유사양치 식 물 ) , 묘곡충, 낙동아층군 121, 127 o,Iy ch i야 S is 血 m te ll i Bron gn . ( 양치류, 유사양치류), 묘곡충 121 Oolin a hexago na(W illi amson)( 유공층), 연일층군 169 Oolin a melo d'Orb igry(저서성 유공충), 포항충 162, 18~ Op hi le ta a/t a Koba y ash i(복족류), 두무동충 32 Op hi le ta ich im urai( Kobay a shi ) ( 복족류 ) , 송 림 충 51 Op hi l e ta pla na Grabau( 두족류), 초산지 역 하부 오오도비스계 54 Op hilet a Plana Koba y ash i(복족류), 막동석회 암 33 Oph il e ti na (?) shokori en sis Kobay a shi ( 부족류 ) , 운학충 52 Orlrnlin a univ er sa d'Orb igy(부유성 유공충), 서귀 포충 188 Or ido salis umbonatu s ( Reuss ) ( 유공충 ) , 연 일층군 169 Ormoceras crick i Koba y ash i(두족류), 두위 봉석 회 암 36, 40 Onnoceras aff . nanumf on ne Koba y ash i(두족류), 도단충 47 Onnoceras cf. nanum(Grabau) (두족류), 후창지 역 중부 오오도바스계 55 Ormoceras foo rdi Kobay a shi ( 두족류 ) , 두위 봉 석 회 암 36, 40 Ormoceras ha rioi (Koba y ash i)(두족류), 두방동, 만달충, 운학충, 초산지역 중부 오 오도비스계, 후창지역 중부 오오도비스계 40, 52-4 Ormoceras koraie nse Koba y ash i(두족류), 두위봉석회암 36, 40 Ormoceras nanum(Grabau) (두족류), 운학충, 고원지여 중부 오오도비스기충, 초산 지역 중부 오오도바스계 45, 53-4 Onnoceras cf. sua mp ano ides (Grabau) (두족류), 후창지역 중부 오오도비스계 55 Ormoceras (?) nanumf on ne Koba y ~sh i(두족류), 두위봉석회 암 36, 40 Onnoceras prox imu m Endo( 두족류), 두방동 40 Ormoceras sua mp ano 油 s(Grabau) (두족류), 운학충 53 Ormoceras ta n i (Grabau) (두족류), 두방동, 초산지역 중부 오오도비스계, 운학충 40, 52, 54 Ormoceras woodwards i Koba y ash i(두족류), 직운산셰 일, 두위봉석회 암 35-6 Orlhis nip po nic a Koba y ash i(완족류), 직운산셰 일, 두위봉석회 암 34-5 Or tho ceras nakamurai Koba y ash i(두족류), 직운산셰 일 34, 39 Orlhoceras reti iula tu m Koba y ash i(두족류), 직운산셰 일 34, 39 Orlhoceras seih ek ie nse Koba y ash i(두족류), 직운산셰 일 34, 39 Orlhoceras yui Koba y ash i(두족류), 칙운산셰 일 34, 39 Or yct o ceph alus kobaya shii S ait o( 상영 충), 마산리 층 49 Or yctoceph alus orientali s S aito(삼엽 충), 마산리 층 49, 5o Ory ctoceph alus sait ci Resser( 삼엽 충), 마산리 층
Osmunda s p . (고비과), 장기충군, 연일층군, 감포역암, 어일충 180, 182 Ostr e a gigas Thunber g(부족류), 서귀포충 144 Ostr ea grav ite sta Yoko y ama( 부족류), 연일충 137 Ostr ea sp . (부족류), 어일충, 송권층, 영동충 138, 141 Ostr ya shir a g ian a Huz i oka( 자작나무과), 용동충 159 Ostry •a ~P . (자작나무과), 감포역 암, 어 일충 181 Oto z ami tes cf. beani( L. & H . ) (베네티데일즈류), 낙동아층군 127 Ot oz ami tes klips te m i ni i Dunk . (베 네 티 테 일즈류), 낙동아층군 127 Oto z ami tes n. sp . Kawasak i(베네티데일즈목), 대동충군 하부 115 Ot oz ami tes s p . (소철류), 한봉산층 130 Oulod 函' s p.(코노돈트), 회동리층 80 Ovi.s cf. ammon L i nn . (포유류, 우제목), 동관전산 147 Ovaid i n i u m sp . A . (쌍편모충류), 두호충 175 Ox yno di.s c us sig mo id a li.s Koba y ash i(복족류), 직운산셰 일 34 Ozarkodin a cf. ortus Wall i ser( 코노돈트), 회동리층 80 Ozarkodin a cten ulata Young & cu. ( 코노돈트 ) , 두위 봉석 회 암, 만달산층 6o, 69 Ozarkodin a delica tu l a(St au ff er & Plummer)( 코노돈트), 홍정충, 사동충 106 -7 Ozarkodin a cf. denckmanni Z i e g ler( 코노돈트), 회동리층 8o Oxarkodin a edit ha e Wall i ser( 코노돈트), 영흥충 66 Ozarkodin a edith a e Wall i ser( 코노돈트), 최동리층 80 Ozarkodin e joa chim ensi.s Andrew( 코노돈트), 두위봉석회 암 60 Ozarkodin e n. sp. A. Pollock & Rexroad & Ni co ll, 1970( 코노돈트), 회동리층 80 Ozarkodn'n e n. sp . B. Pollock & Rexroad & Ni co ll, 1970, (코노돈트), 회동리층 80 Ozarkodin a s p . (코노돈트), 칙운산셰일, 두위봉석회암, 행매충, 회동리층, 홍정 충, 사동충 59, 60, 68, 80, 106 -7 Ozarkodin a sp . nov. Lee( 코노돈트), 홍접충 106 Ozawain e lla adducta Manukalova( 방추충), 금천충, 만항충 101, 104 Ozawain e lla ang u lata (Colan i)(방추충), 사동춘 밥치충, 홍접충 98, IOI, 104 Ozawain e lla crassifo nn i.s Pu try a( 방추충), 요봉충 97 Ozawain e lla lo czyi (L~r) (유공충), 홍정충, 사동충, 평양단전 95, 98, IOI, 104 Ozawain e lla magna Cheon g(방추충), 금천충 101 Ozawain e lla magna Shen g(방추충), 요봉충, 판교충, 금천충 97, 99, IOI Ozawain e lla p ara 血gi Manukalova( 방추충), 금천충 만항충 101-- 2 Ozawain e lla turg id a Shen g(방추충), 판교충 99 Ozawain e lla vozh ga lica S af onova( 방추충), 요봉충, 금천충, 만항충 96, 101-- 2 Ozawain e lla s p . (방추충), 만항충, 금천충 101-2 Ozawain e lla sp. A. (방추충), 판교충 99
Pa get ia (Eo paget ia ) spri,nge r(Sa it o) (상영충), 마산리층 49 Pa go dia coreanic a Koba y ash i(상영층), 화철충 31 Pa god ia shu 血油i des Koba y ash i(삼영충), 화철충 31 Palaeaanaea hamp ak uemsis Koba y ash i(복족류), 두위봉석회 암 36 Palaeacmaea sohsanensis Koba y ash i(복조류), 두위봉석회 암 36 Palaeofa v osite s aspe ra d ' Orb . (산호류), 겸이포 대동충군 기처역암(실루리아기화석) 78 Palaeolenus aoti i Koba y ash i(삼엽충), 마성충 46 Palaeolini a cf. f urc op li ca ta ( Grabau ) ( 부족류 ) , 만항충 84 Palaeomp ha lus keiz a nensis ( Kobay a shi ) ( 복족류 ) , 도담충 47 Palaeostro ph ia o rthis (Walco tt)(완족동물), 화철충 양 Palaeoloxo 如 naunia n ni Mak iy ama( 포유류, 장비목), 동관진산 147 Paliss ya brauni Endl i cher( 수과목), 대동충군 하부 112 Paliu r us koreanus Huz i oka( 갈매나무과), 연일충 152 Paltcd us cf. d ys c r itus Rexroad ( 코노돈트 ) , 회 동리 충 8o Paltcd us cf. i nc onsta n s L i nd t r tl m( 코노돈트), 문곡충 64 Paltcd us inc onsta n s L i nds t r tl m( 코노돈트), 두무골셰 일, 막골석회 암, 만달산층 58, 69 Paltcd us q u i찌 uecos tatus Muller( 코노돈트), 태백시 오오도비스계 61 Paltcd us s p.(코노돈트), 정선석회암, 만달산층 67, 69 Paltcd us uta hensis M i ller( 코노돈트), 문곡충 64 Paltcd us vari abilis Furn i sh( 코노돈트), 두무골셰 일, 만달산층 58, 69 Paludin a s p . (부족류), 열하동 122 • Pand agla nduli na din apo lli L o. & Ta p . (유공충), 연일층군 169 Panderodus (?) alabamensis Et hi n g ton & Schumacher( 코노돈트), 영 흥충 64 Panderodus comp re ssus(Branson & Mehl)( 코노돈트), 두위봉석회암, 영흥충, 만 달산층 60, 64, 69 Panderodus gracilis ( Branson & Mehl) (코노돈트), 직운산셰 일, 두위봉석회 암, 정 선석회암 5~0. 67 Panderodus int e nnedius Br.& Me.& Br. (코노돈트), 두위봉석회 암 60 Panderodus recuroa tus (Rhodes)( 코노돈트), 회동리층 80 Panderodus s p.(코노돈트), 정선석회 암 67 Panderodus stri atus S t au ff er( 코노돈트), 영흥충, 만달산층, 강계지역 중부 오오 도비 스계 64, 169, 70 Panderodus unic os ta tus( Branson & Mehl) (코노돈트), 회동리층 8o Pa nomya smo tomensis (O t uka)( 부족류), 두호충 138 Panq />ea japonica Adams( 부족류), 회봉리층 143
Panop e a cf. g en elosa Gld . ( 부족류 ) , 영동충 나 2 Paph ia greep h ei Dunker( 부족류 ) , 서귀포충 144 Paph i a sclmellia n a Dunker( 부족류), 서귀포충 따 Paph i a var i eg a ta (Hanle y)(부족류), 영동충 142 Parabasil ic u s p owisii(삼영충), 직운산셰 일 39 Parabasil is u s gan gw e onensis Lee & Cheon g(삼엽충류), 직운산서 1 일 35 Parabasil ic u s shir a kii Kobay as hi ( 삼엽 충류 ) , 직 운산서 1 일 35, 39 Parabasil ic u s (?) sp. aff . A saph u s laevis Weller( 삼엽충류), 직운산셰 일 35 Parabasili s u s typica lis Koba y ash i(삼엽충류), 직운산셰일 35 Pardbasil ic u s yam anari i Koba y ash i(상연충류), 적운산셰 일 35 Paroblackwelderi a spe cta b il is ( Endo & Resser) (삼엽충), 세송슬레이트 30 Paracordyl o dus lin d str oe mi Li nd str t} m ( 코노돈트 ) , 두위 봉석 회 암 60 Paracy pris sp . A.(7 사형충류), 대구충 및 건천리층 131 Paracy pris sp. B . (7 사형충류), 대구충 및 건천리충 131 Paragr a ulos par vic a ulis Koba y ash i(삼엽충), 마차리층 42 Paragr a ulos tt'ti a n a (Walco tt)(삼엽충), 초산지역 중부 캄브리아계 53 Pararota li a ozawa i (Asano) (유공충), 연일층군 169 Parath r anit tm b i cla t hra t um( 에브라디아), 연일층군 174 Parath r aniu m cla t hra t um( 에 브리 디 아) , 연 일충군 174 Parath r aniu m i n t enned i um( 에 브리 디 아), 연일충군 174 Parath r aniu m t enu ip es( 에 브리 디 아), 연일충군 174 Paravagi no ceras parv ode j>r essum Kobay a shi ( 복족류 ) , 두위 봉석 회 암 36 Parrotia fag ifoli a Heer( 조록나무과), 연일충, 항전동충 152, 160 Pasania m io hypop haea(Tana i)(너도밤나무과), 연일충 152 Pasania p ro to hon is h ii (Tan ai)(너도밤나무과), 연일충 152 Pate ll oid e a cf. o blong at a Yoko y ama( 복족류), 연일충 137 Pate r i na coreanic a Kobay a shi ( 완족동물 ) , 마차리 층 42 Patt·n o p e cte n (Mi zu ho pe cte n ) kim urai uge ens is(부족류), 연일충 140 Pati no p e cte n s p . (부족류), 영동충 142 Patin o p e cte n (Ko t아a p ec ten) s p.(부족류), 칠곡사충 138 Pecop ter i diu m manchuri cum Kawasak i(양치류), 사동충 88 Pecop ter is an t h riscifo l ia (Goe pp)(양치류), 사동충, 고방산층 88, 92 Pecop ter is candolleana Bron g n . (양치류), 사동충 87 Pecop teris fe m i naef o nn is (Schlo t h) (양치류), 사동충 88 Pecop ter is Hallei Kawasak i(양치류), 사동충 88 Pecop teris hemi telw i de s Bron g n. (양치류), 사동충 87 Pecop teris hir ta Halle ( 양치 류 ) , 사동충 88 Pecop teri s la ti venosa(Halle) (양치류), 사동충 88 Pecop teri s o ri en ta l is (Schenk) (양치류), 사동충, 고방산층 88, 92
Pecop teris poly m o,Ph a Bron gn . (양치류), 사동충 88 Pecop teris tenu ic os ta ta Kawasak i(양치류), 고방산층 언 Pecop teris tub erculata Halle ( 양치 류 ) , 사동충 88 Pecop teris yab e i Kawasak i(양치류), 사동충 88 Pecte n cf. m eisensis Mak iy ama( 부족류), 영동충 나 2 pecten (Chlamy s) meis e nsis Mak iy ama( 부족류), 만호동충 145 Pecte n cosi bensis Yoko y ama( 부족류), 서귀포충 144 Pecte n halim ensis Mak iy ama( 부족류), 서귀포충 144 Pecte n laquea tu s Sowerb y(부족류), 서귀 포충 144 Pecte n naga numana Yoko y ama( 부족류), 서귀포충 144 Pecte n (Patin o p ec te n) wkyo e nsis Tokuna g a( 부족류), 연일충 137 Pecte n (Prop e amu ssium ) tateiwa i Kanehara( 부족류), 연일충 137 Pecte n (Ps eudmnuis sium ) peck hami Gabb( 부족류), 연일충 137 Pecte n t,okyoensis Tokuna g a( 부족류), 서귀포충 144 Pecte n s p . (부족류), 영동충 142 Pellag iell a (Parap ell a giell a) hana Kobay a shi ( 복족류 ) , 화철 충 30 Pellag iell a sp. i nd t(복족류), 화철충 30 Pe riodon cf. g ra nd is (E t h i n gt on)( 코노돈트), 정선석회암 67 Pe riod on nov. sp. Lee( 코노돈트), 두위봉석회 암 60 Pe riptera tetrac ladia Ehrenberg ( 규조 ) , 포항지 역 계 3 기 충 173 Peron opsis coreanic us(· K o bay a shi ) ( 상영 충 ) , 마차리 층 사 Pe ronopsis rakuroens is (Koba y ash i)(상영층), 마차리층, 마산리층, 임촌충, 후창지 역 캄브리 아계 42, 49 -50 , 54 Pe ronops is s p.(상영충), 강계지역 캄브리아계 중부 55 Phacel lop hy llum( 산호), 천성리 데본계화석 81 Phacoid es cf. a cuti lin e atu s Conrad( 부족류), 만호동충 145 Phacoi des cf. s 요아 um Lamarck . ( 부족류), 평육동충 145 Phalacromi na mi no r Koba y ash i(삼영충), 마차리층 43 Ph ill ip sas tre a( 산호), 천성리 데본계화석 81 Phil li ps a str ea s p.(산호), 홍접충 81 Phlebo pteris p oly p od ioides (Bron gh i ar t)(양치류 및 종자양치류), 대동충군 하부 114 Phoebe mi ofcm nosana Tan ai(녹나무과), 연일충 152 Phoenic opsis an gustifoli a Heer( 은행나무 및 유사은행목), 대동충군 하부, 오촌충, 송 립산층 116, 120, 121 Phoenic opsis specios a Heer( 은행목 및 유사은행목), 대동충군 하부 116, 120 Phoen 뼈sis s p . (은행목 및 유사은행목), 대동충군 하부 열하통 I16, 123 P lwida,鄧 os tus obsoletu s (Koba y ash i)(상영충), 마차리층 41, 42 Phrag mites cf. commu nis(포아풀과), 장기충군 178 Phrag mites s p.(포아풀과), 갑포역 암, 어 일충 182
Phragm o dus inf l ex us S t au ff er( 코노돈트), 직운산셰 일, 두위봉석회 암 5g --60 , 62, Phragm o dus s p . (코노돈트), 직운산셰 일 59 Phy/ lites (Plata n us?) s p.(쌍자영식물), 신라충군 129 Phy/ lites s p.(쌍자영식물), 산수동충 129 Phyl l ocladoxy lo n heiz yo ensis Sh i makura( 구과목( ? )), 유경충 121 Pi an a spis kodair a i Sait o & Sakakura( 삼엽충), 마산리층 49 -5° Pic ea kaneharai Tanai & Onoe( 소나무과), 장기 층, 유선충, 함전동충 150, 155, 159 Picea omori ca Pulk( 소나무과), 장기층군 177 Picea rnbra L i nk( 소나무과), 장기충군 177 Picea ugo ana Huz i oka( 소나무과), 용동충, 함전동충 159 Pice a s p . (소나무과), 연일층군, 감포역암, 어일충, 북평지역 제 3 기충 179, 181, 183 Pi ero cary a asymm etr a sa Konno( 가래나무과), 연일충 152 Pillu cin a (Syd l or ina ) y ok oy ama i (O t uka) (부족류), 천곡사충, 회봉리층, 신현충 138, -3 Pimi u lari a acrosp h aeri a Breb.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Pi11n 11lari a acrosp h aeri a Breb.v a r.la e vis Cleve fo. mi no r skv . ( 규 · 조), 안변군 문산면 191 Pi nn ulari a a ppe ndic ula ta (Ag .)va r.p aen is sulaek 아e ana(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Pi nn ulari a borealis Ehr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Pi nn ulari a brevis triata Cleve.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Pi nn 11laia card i nal is (Ehr .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Pi nn ulari a dis ting u en da Cleve fo . an gustior(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Pi nn ulari a dis ting u end a fo.a n gustior Skvor tz ov( 규조), 복평충 185 Pi nn ulari a div e rge ns W . Sm it h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Pi nn ulari a episc op a lis Cleve fo.n e og e na fo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Pi nn ulari a gen ti lis (Donk.) Cleve var . neog en ic a(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Pi nn ulari a gibb a Ehr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Pi nn ulari a g ibb a Ehr.var.li n e ari s Hus t.(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Pi nn ulari a is os t auron(Ehr.?)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Pi nn ulari a koreana Skvor tz ov( 규·조), 복평충, 안변군 문산면 185, 191 Pi nn ulari a nobil is Ehr.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Pi nn ulari a nobil is Ehr.var.p ara /l e /a(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Pi nn ulari a s p.(규조), 북평지역 제 3 기충 183 Pi nn ulari a sto m ath o p lw ra Grun(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Pi nn ulari a v iridis (N itz . )(규조), 북평충, 안변군 문산면 191 Pi nu s echin a ta M ill(소나무과), 장기층군 176 Pinu s h epio s(Un g . )(소나무과), 행 영충 I56
Pinu s mio cen ic a Tana i(소나무과), 연일중 151 Pinr' 5 silve rstr is L. (소나무과), 장기충군 176 Pinu s s p.(소나무과), 산수동충, 달 7김 충, 포남리층, 북평지역 제 3 기 충 , 통천 충 , 장 기중군, 연일층군, 감포역앙, 어일충, 북평지역 제 3 기충 129 -30 , 153, 162, 177 Pit aria itoi Mak iy ama( 부족류), 합전동충 145 Pit aria cf. itoi (Mak iy ama)( 부족류), 회봉리충 143 Pitaria s p . (부족류), 어 일충 나' Pit yoph yl l um cf. pro drome Heer( 송백류), 낙동아층군 128 Pit yoph yl l um cutc h ens? Morr . (송백류), 대동충군 119 Pit yoph yl l um longifo l i um(Na t hors t)(구과목), 대동 충 군 하부, 임흥리 층 116, 119 -20 Pit yophy l l um nordensk io ld i (Heer) (구과목), 대동충군 하부, 낙동아 충 군 I 16, 128 Pit yoph yl l um sp . ( 구과목 ) , 대 동충군 하부 116 Pit yos tr ob us (Abie tites) s p.(구과목), 산수동충 129 Pla gioza mi tes longifoli u s Kawasak i(식 물화석 , 소속불명 ) , 사동 충 93 Pla giogram maf oss ile Ha j 6s( 규조), 포항지역 제 3 기 충 173 Planera un gerii E tt.(느릅나무과), 행 영 충 156 Planera tilia efoli a Bron g n . (느릅나무과), 감포 어 일충 153 Planobulin a s p.(저서성 유공충), 신양리층 187 Planorbis pse udammoniu s Schlo t he i m( 복족류), 봉산탄전 146 Planorbis sin e nsis Odhner( 복족류), 봉산탄전 146 Planorbis s p . (복족류), 봉산탄전 146 Planorbis sp. nov . ? (복족류), 봉산탄산 146 Pla smopo rajo l lis Pac t a( 산호류), 경이포 대동충군 기저역암(사일무리아화석) 78 Plata n us aceroldes Goep pe rt( 버 즘나무과) , 봉산탄전 제 3 기 충, 행 영 충 154, 156 Plata n usg uille lmae Goe pp er t(버즘나무과), 연일충, 봉산탄전 제 3 기충, 행영충, 고 건원 함전동충 152, 154, 156, 158, 160 Plata n us s p . (버즘나무과), 봉산탄전 제 3 기충 154 Plata n us? s p . (버즘나무과), 달길충 129 Platis a ukia eury rac his Koba y ash i(삼엽충), 화철충 양 Platyc ary a mio c enic a Hu & Ch. (가래나무과), 장기충 150 Platy c ary a s p . (가래 나무과), 북평충 183 Plecti na sp. a. (유공충), 제 3 기충 185 Plectin a sp. b. (유공충), 영해지 역 제 3 기충 185 Plec to d i뼈' aculeata ( Sta u ff er ) (코노돈트) , 영 흥충 64 Plecto d in a sp. Rep e ts k i & E t h i n gt on( 코노돈트), 영 흥충 64 Plecto fron dic ula ri a advena( Cushman ) ( 저 서 성 유공충 ) , 연 일충군 169 Plecto fron dic ula ri a jap on ica (Asano)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166 Plecto fron dic nla ri a nango ens is (Asano) (저서성 유공충), 연일층군 170 Plec tofro nd icu la ria(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166
Plecto f r o ndic u lari a tot m nie n sis Ma. ( 유공충 ) , 연 일 층군 170 Pleth a meta pu s long ispinu s Koba y ash i(삼엽 충), 화절충 양 P/etb a p e lti s(?) mi cr o/o ps Kobay a shi ( 삼영 충 ) , 막동석 회 암 33 Ple th 야 e ltis ulric h i Koba y ash i(삼엽 충), 막동석회 암 33 Pleurot0 11 1ari a s p . (복족류), 홍접충 85 Plica to u nio n. sp . Kobay a shi & Suzuk i(부족류), 낙동아층군 124 Plica to u nio nakto n g e nsis mult ipli ca tu s Suzuk i(부족류), 전주충 124 Plica to u nio sp . ( 부족류 ) , 묘곡충 121 Plumulite s cf. prim1 ~ Koba y ash i(감각류? ), 문곡충 43 Plumulite s chik u nensis Kobay a shi ( 갑각류 ? ) , 직 운산셰 일 35 Plumulite s Prim u s Koba y ash i(감각류 ? ), 두무동충 32 Podocarp u s s p . (라한송과? ), 연일충군, 북평지역 제 3 기충 179, 183 ? Podocarp u s s p . (주목나무과), 감포역 암, 어 일충 181 Pododesmus (Mania ) radia l us semata n a Yoko y ama( 부족류 ) , 서 귀 포충 144 Podozami tes cf. a ng u sti foli a Ei ch wald ( 식 물, 소속불명 ) , 대 동충군 하부 117 Podozami tes cf gr aci lis Arber( 식물, 소속불명 ), 대동충군 하부 117 Podozami tes d ist ans(Pres!) (식물, 소속불명 ), 대동충군 하부 117 Podozami tes lanceolatu s (Li nd ly & Ha tt on) (석물, 소속불명 ), 송림산층, 대동충군 하부, 낙동아층군, 인흥리층 I17, I19, 120, 128 Podozami tes lanceolatu s ang ustifoli u s Ei ch wald ( 석 물, 소속불명 ) , 대 동충군 하부 II 7 Podozami tes lanceolatu s ge nuin e a Heer( 식물, 소속불명 ), 대동충군 하부 117 Podozamnte s lanceolatu s int e r media Heer( 식 물, 소속불명 ) , 대 동층군 하부 117 Po
Polyca u lodus n. sp. B . (코노돈트), 정선석회 암 68 Polyca u lodus res upina tu s Branson & Mehl( 코노돈트), 막골석회 암, 두위봉석회 암, 영 흥층 58, 60, 64, 66 Polyca u lodus sp . (코노돈트 ) , 두위 봉석 회 암 60 Poly de smi a sh i mamura i (Koba y ash i)(두족류), 환산층 52, 62 Polyd esmui (?) s p.(두족류), 환산층 52 Polyd esmi a (?) sp. nov. Koba y ash i(두족류), 막동석회 암 33 Polyd esmi a wa ta血bei( Kobay a shi ) ( 두족류 ) , 환산층 52 ? Polygo nu m s p.(방동사니 과), 연일층군 180 Polyp la cogn athu s s p . (코노돈트), 직운산셰 일 59 P[q ypla cogn athu s sweet Ber g s t r tl m( 코노돈트), 직운산셰 일 59, 62 Polypo dites uota n ii Huz i oka( 고사리 과), 장기 충 150 Plo ypod iu m s p.(고사리과), 감포역암, 어일충, 북평지역 제 3 기충 180, 182, 184 Polyp od iu m sp. A . (고사리과), 장기층군 178 Polyp odium sp. B.( 고사리과), 장기층군 178 Pomato t r em a shin s oe nsis Koba y ash i(완족동물), 막동석회 암 33, 38 Po puwph yl l um s p.(쌍자영식물), 산수동충 129 Po pulu s arctic a Heer( 버드나무과), 봉산탄전 제 3 기충 154 Po pulu s balsam oides Goe pp er t(버드나무과), 항전동충 159 Po pu lus cf. a rl ica Heer( 버 드나무과 ) , 행 영 충 156 Po pulu s gla ndulife ra Heer( 버드나무과), 봉산탄전 계 3 기충 154 Po pulu s latw r Braun( 버드나무과), 동천충 162 Po pulu s s p . (버드나무과), 장기층군, 연일충군, 감포역암, 어일충 177, 179, 181 Po pulu s zoddachi Heer( 버드나무과), 봉산탄전 계 3 기충 154 Porana kokang en ensis Endo( 메꽃과), 고건원 158 Poroep onides cribror ep a ndus As. & Uch.(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8 7 Pota m id es (Ce rithidea ) karp o kuensis Makiy am a( 복족류 ) , 평 육동충 145 Pota mogew n s p . (Po t ano g e t onaceae 과), 장기층군, 연일충군 I78 -9 Potta m oge wn s p . (Po t amo g e t onaceae 과), 감포역 암, 어 일충 182 Praegl o bobulim i m a ovala(d'Orb ig n y)(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166 Pr imi t ia s p . (개형충), 직운산서 1 일 35, 7° P rion wd i뼈' macrodenta ta( Graves & Ell i son) (코노돈트), 막골석회암 58 Pr ion w di뼈' cf. macr따 e tata ( Gr. & El ) , 코노돈트, 두위 봉석 회 암 60 P rion wd i뼈' sp. A.( 코노돈트), 영홍충 65 Pri oniodind ' sp. B.( 코노돈트), 영 흥충 65 Pri oniodu s s p.(코노돈트), 직운산셰일, 두위봉석회암 59, 60 Procera 物,ge (Koge niu m ) rotu n dum Koba y ash i(상영충), 마차리층 41, 45 Procera 物,go e (Koge niu m ) triangula re Koba y ash i(삼영충), 마차리층 41 Procerato pyge ('Lopnqrites) rectis pica tu s Troedsson( 상영충), 마차리층 43
Procerato pyge (lopn o ri tes ) Robusftt s Koba y ash i(삼엽 충), 마차리 층 43 Procerato pyge (Lopnorites ?) s p.(삼엽충), 하내리층 47 Procerato pyge (Procerato pyge) s p . (삼엽 충), 마차리 층 42 Prochtr o ng ia ang ttsta Koba y ash i(삼엽충), 화절충 30 Prochuangi a mansuy i Koba y ash i(삼엽 충), 화절충 30 Prochuang ia po ste r osp ira Koba y ash i(상영충) 화절충 Proconodontu s tric an·na t us(No g am i)(코노돈트), 화철충, 마차리층 57, 63 Productu s s pp . (완족동물), 홍정 충 85 Proepo nid e s cri brore p an 如 Asano & Uch i s( 저서성 유공충), 신양리층 189 Proep o nid e s la t eral is (Tar q uem) (저서성 유공충), 신양리층 189 Pseu d ofu s ulin a exil is Skim er & W i lde( 방추충), 밤치충 99 Pseudofit su lin a hexago nari a Igo ( 방추충), 방치 충 100 Profu s ulin a s pp . (방추충), 요봉충 96 Profu s ulin e lla alju t o v ic a Rauses-Chernoussova( 방추충), 요봉충 97 Prefu su lin e /l a art a Leon t ov i ch( 방주충), 요봉충 97 Profu su lin e lla fuk usie n sis I g o( 방추충), 요봉충 97 Profu su lin e /l a pa rarhomboid es Ra ius er & Bel j aev( 방추충), 홍정충 100 Profu s ulin e /la s p . (방추충), 만항충, 금천충 102-3 Profu s ulin e /l a sp . A . ( 방추충), 요봉충 97 Profu s ulin e /la wangy ui Shen g(방 추충) , 요봉충 97 Prolios tr a1 « :its (?) brevic a udatu s Sa ito & Sakakura( 상영 충 ) , 마산리 층 49 Pro/la yd ia ori en ta li s Koba y ash i(상영충), 화철충 양 Prop o ra a/ fi n is (B i ll i n g s) (산호류), 경이포 대동충군 기저역암(실루리아기충화석) 78 Prooneoto d us g a /l a ti n i (Muller)( 코노돈트), 화절충 57 Prooneolodus rotu n datu s (Druce & J ones) (코노돈트), 마차리 층 63 Prooneolodus t enu is (Muller)( 코노돈트), 화철충, 마차리층 57, 63 Pi op i/i na anti qu a Koba y ash i(복족류), 마차리층 42 Prosaukia s p.(삼엽 충), 화철충 양 Prosaukia (?) s p . (삼엽충), 화철충 양 Proscaevog yra reversa(Koba y ash i)(복족류), 세송슬레이트 30 Prote ro cameroceras math ie u i Grabau( 두족류) , 송림 충 안 Proti tan oth e ri um koreanic um Tak ai(포유류, 기제목), 봉산동 제 3 기충 147 Proto b rechnum wong ii Halle( 양치류), 사동충, 고방산층 88, 92 Proto le nus coreanic us Sa it o( 삼영충), 문산리층 48 Protq pa nderodus cf. leonardi Serpa g li ( 코노돈트 ) , 영 흥충 65 Pro 싹 'anderodus coo pe ri (S weet & Ber g s t r l) m) (코노돈트), 정선석회암 68 Protq pa nderodus nov. sp. Barnes & Po p lawsk i(코노돈트), 영흥충 65 Protq pli om erops gran ulatu s Koba y ash i(삼영충), 두무동충 33, 38 Proto pli om erops pu ncta tus Koba y ash i(,,.J-영 충), 두 누 뭉 충 , 문곡충 33, 38, 43
Proto pl io n erop s seis o nensis Koba y ash i(상영 충), 두무동충 33, 38 Protc pli o m erop s cf. s eis on e11Sis Koba y ash i(삼엽충), 두무동충 33, 38 Proto sc aevogy ra masan'e1 1Sis Kobay a shi ( 복족류 ) , 마차리 층 42 Proto s p o ngi a s p . (해 면류), 임 촌충 49 Pnmus endoana Huz i oka( 장미 과), 항전동충 160 Pseudag1 1 oshlS cy c lopyg ef o nn is (Sun) (삼엽충), 화절충, 초산지역 최하부 오오도비스 계 양 -2, 54 Pset ldagno shlS douv i lle i (Ber g eron) (상영충), 세송슬레이 트 3o, 37 Pse1ldogn o stu s margi nis u lcahlS Koba y ash i(상영 충), 마차리 층 42 Pseud agno shlS prim us Koba y ash i(상영충), 마차리층, 하내리층 42, 46 Pseudommodochiu m robushun( 에 브리 디 아 ) , 연 일 층군 174 Pseudocy c as ins in gnis Nath . ( 베 네 티 태 일 즈류 ) , 낙동아층군 12 7 Pseudofu su lin a comp li ca ta laceti fon nis M i clucho-Macla y(방주층)广상치충 99 Pseudofu sn lin a exim a Skin n er & W i lde( 방추충)广감치충 99 Pseudofu s ulin a pa raconfu sa Rauser & Chernoussova( 방추층 ) 广감치 충 99 Pseudofu su lin a sp. A . (방추충), 방치충 99 Pseudoj usu l i血 sp . B . (방추충), 밤치충 99 Pseudokain e lla iw aya i Koba y ash i(상연충), 동접규암 32, 37 Pseudokain e lla (?) s p.(삼영 충), 와곡충 43 Pseudok yria 11,a tsm oto i Yan g(부족류), 낙동충(연화동충) 124 Pseudolari x s p . (전나무과), 북평지역 계 3 기충 183 Pseudolari x kaen1p feri Gord( 전나무과), 장기 충군 177 Pseudolari x s p . (전나무과), 연일충군 179 Pseudolobata n nulari a (?) bunkeie n sis Kobata k e( 속새 류 ) , 대 동층군 하부 114 Pseudononio n japo nic um Asano ( 저 서 성 유공충 ) , 서 귀 포충 187 Pseud opo ly morph in a doani( G albway & W i ssler)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7 Pseudorota li a ga i mard ii (d'Orb ig n y)(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7 Pseudoschwage n ·na g lomerosa(De p ar t)(유공충), 사동충 98 Pseudoschwa ger i na glo merosa?( Schwag e rn ) ( 방추충 ) , 밤치 충 98 Pseudoschwa ger i na pa raborealis Han( 방추충 ) , 밤치 충 100 Pseudoschwa ger i na sph aeric a sakensis ( Schervovic h ) ( 방추충 ) , 밥치 충 98 Pseudoschwage r i na spp . ( 방추충 ) , 방치 충 98 (?) Pseudosp iriferina cf. vari ab ili s Yang & Xu ( 완족동물 ) , 만항충 84 Pseudosta ffell a antiq u a( Dutk e vic h ) ( 방주충 ) , 요봉충 97 Psendosta ffell a dog en sis Cheon g(방추충), 금천충 101 Pseudosta fell a go rskyi (Du t kev it ch) (방추충), 요봉충 홍정충 만항충 96, 100, 102 Pseudosta ffell a kim i Cheon g(방추충), 판교충, 금천충 99 -10 1 Pseudosta fell a latis pira lis Ki re eva( 방추충 ) , 요봉충 97 Pseudosta ffell a pa racomp ress a S af onova( 방추충), 요봉충 97
Pseudcsta f f ella pro ozawai Ki re eva( 방 주충 ) , 요봉충 97 Pseudosta f f ella sp . ( 방추충 ) , 금천 충 103 Pseudoslaff ella sp . A. (방 추충) , 만항충 102 Pseudoslaff ella sp . B . (방주충), 만항충 102 Pse 叫 os t af fe lla sp. C . (방추충), 방치충 100 Pesudcsta f f el/ a subuq u adrata ( Grozdil o va & Lebedeva) (방추충), 요봉 충 97 Pseudosta f f ella varsanofi eva e Rauser-Chernoussova( 방추충 ) , 요봉충 97 Pseudots u ga s p .(전나무 과), 연일충군 179 Pseudolsug a /anaii Huz i oka( 전나무과), 장기충, 고전원 150, 157 Pseudowe de k i n d ellin a pro /ix a Shen g(방추충), 요봉충 97 Pseudowedek i n d ellin a s p . (방 수중) , 금천충 만항 충 103 Pseudowe de k i n d ellin a sp . A . (방추충), 요봉충 97 Pseu d ozyg op / e ura sp . ( 복족류 ) , 만항충 84 Psyg mo ph y l l um mult ipa rt itum Halle( 식 물 , 소속불명 ), 사동충 93 Pt er i di u m shir a g ium Huzio k a( 참고사리 과 ) , 장기 충 150 Pte r i diu m s p .(참고 사리과), 연일충군, 감포역암, 어일충 180 182 Pt en ·n e a e) subas pe ru/a Kobay a shi ( 완족동물 ) , 송 립 충 51 Pt er is inc isa Thunb. ( 참고사리 과 ) , 장기 충군 178 Pte r ocary a asym m etr o saKonno( 가래 나무과), 장기 충, 행 영 충, 요동충, 함전동충, 통 천충 150, 156, 159, 162 pter ocary a pro los/enop ter a Tana i(가래나무과), 합전동충 159 Pt er ocary a s p . (가래나무과), 강포역앙, 어일충 181 Pt er op h yl l um ae q uale(Brong n i ar t)(베네티테일즈목), 대동충군 하부 115, 118 Pt er op h y/ / um cf. an guest um(Braun) (베네티데일즈목), 대동충군 하부 I18 Pt er op h y/ / um bip a rt itum Kawasak i(베 네 티 데 일즈목), 사동충 99 Pt er op h y/ / um conti gu um Schenk( 베네타테일즈목), 대동충군 하부 118 Pt er op h yl /um daih o euse Kawasak i(베 네 티 테 일즈목), 사동충 89 Pt er op h yl l um cf. /anc i/ob um Heer( 베네티데일즈목), 대동충군 하부 115 Pt er op h yl l um ma/hors ti (Schenk)( 베네티테일즈목), 대동충군 하부, 반송충산, 문경 115, 118 Pte r op tyll um aff . p r opi n q uum(Goe pp e it)(베 네 티 데 일즈목), 대동충군 하부 115 Pte r op h y/ / um nil ss onio id e s Kawasaki ( 베 네 티 데 일 즈목 ) , 사동충 90 P 阮op hy //um p ropi n q uum(Goe pp er t)(베네티테일즈목), 대동충군 하부 115 Pte r op h yl l um aff . pro p inq uu m( Goep pe rt ) ( 베 네 티 테 일즈목 ) , 대 동충군 하부 115 Pte roph y/ / um cf. p ropi nq uum(Goe pp er t)(베네티데일즈목), 대동충군 하부 115 Pt er op h yl l um samchokense Kawasaki ( 베 네 티 테 일츠목 ) , 사동충 89 Pte r op h yl l um sin e nsis ( Newberry ) ( 베 네 티 테 일즈목 ) , 대 동충군 하부 115 Pte r op h yl u m s p.(베네티테일즈목), 대동충군 하부. 115, 119 Pte roph y/ u m subaequ ale Hartz ( 베 네 티 데 일즈목 ) , 대 동충군 하부 II5
Pte ro sp a tlz o d1tS cellon i (Wall i ser)( 코노돈트), 회동리층 80 Pti loc omt S s p.(코노돈트), 막골석회 암 58 Pt ilop h y l lu m cf. d unkeri an um ( Goep . ) ( 베 네 티 테 일 즈류 ) , 낙동아층군 12 7 P ti l op hy llum p ec t en(Ph i ll . ) (베네티테일즈류), 낙동아층군 127 Pt ilop h yl lu m s p . (베네티테일즈목), 산수동충 129 Pt iloz ami tes shir a kii Kawasak i(식물, 소속불명 ), 고방산층 93 Pty c hagn o stu s aff . ata v us( Tullberg ) ( 삼영 충 ) , 임 촌충 50 Pty ch agn o stu s (?) orie n ta l is Koba y ash i(상영 층), 마차리 층 41 Pty ch op a ri a biJm nta Koba y ash i(상영 충), 마차리 층 42 Pty cl ,op a ria coreanic a Koba y ash i(삼엽충), 임촌충 50 Pty ch op a ri a aff. i mp ar Walcott ( 상 영 충 ) , 마성 충 46 Pty ch o pa ri a s p . (상영충), 하내리층 46 Pt ych o pyge dong jeo mensis Lee & Cheon g(삼영 충류), 적운산셰 일 35 Pty ch o pyge (?) the bawi Reed( 상영충류), 직운산셰일 35 Pullenia bullo ide s(d'Orb ig n y)(저서성 유공충), 서귀포 충 187 Pullenia q u i n q ueloba(Reuss) (유공충), 연일 층군 169 Pullenia tina oblig ui/oc ulata ( Parker & J ones) (부유성 유공충), 서귀포충 188 Py rgo cheong i K i m( 저서성 유공충), 신양리층 Py rgo ezo Asano( 처서성 유공층), 신양리층 189 Py rgupyris grac i lis var. sara t ov ia na( 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충 173 Py xidic u la cruciata(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3 Py xilla dan ica ( 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충 173 Py xilla in tennedia(규조), 포항지 역 계 3 기충 173 Qu adratic eph alus coreanic us Koba y ash i(삼영 충), 화절충 32 Qu adratic eph alus elo nga tu s Koba y ash i(삼영 충), 화철충 32 Qu adratic eph alus qua dratu s Koba y ash i(삼영충), 화철충 32 Qu adratic eph alus ter es Resser & Endo( 상영 충), 화철충 32 Qu asifu suli n a eleg a nta Shl y kova( 방추충) 99 Qu asifu suli n a inu sitata Sheng & Sun( 방추충), 밥치충 98 -g Quasitush lin a inu sitata magna Cheong ( 방추충) , 방치 충 98 -g Quasifusu lin a longissim a ( Mt ille r ) ( 방추충 ) , 사동충 98 Quasifus uli na longissi m a prae cursor Rauser-Chernoussova( 방추충) 99 Qn asitu sh lin a cf. l ong is s i ma(M ti ller) (방추충), 금천충 102 Qu asifu suli n a macharen sis Cheong ( 방추충 ) , 방치 충 98 -g Quasifusulina par acom pa cta Chan g(방추충), 금천충 102 Quasifusuli n a s p.(방추충), 판교충, 만항충, 금천충 98, 102 Quas도lin a tenu is sim a Schellw.( 유공충), 사동충 98
Qu erc ttS arlocco rp o i des( 너도밤나무과), 행영충 156 Qu erc ttS cf. d enti cu lata Heer( 너도밤나무과), 행 영충 156 Qu ercus cf. dry me ia Un g er( 너도밤나무과), 북평지역 제 3 기충 153 Q u e r야 s endoann Huz i oka( 너도밤나무과), 고전원 157 Qu erctt S cf. ii(너도밤나무과), 장기충군 177 Qu erctt S cf. kodair a e Huz i oka( 너도밤나무과), 복평지역 제 3 기충 154 Q uer 마 s kodair a i Huz i oka( 너도밤나무과), 행영충, 고전원 156 -7 Q uer 야 s lonchite s Un g.(너도밤나무과), 행 영충 156 Q uer 따 s min o r Sar g . (너도밥나무과), 장기층군 177 Qu ercus mio c ris pu /a Huz i oka( 너도밤나무과), 장기충, 행영충 150 Qu er c us cf. my rtillo id e s Ung . ( 너 도밤나무과 ) , 행 영 충 156 Qu er c usp ro to d enta ta Tanai & Onoe( 너도밤나무과), 고전원 157 Qu er c us s p . (너도밤나무과), 영동충, 강포어일충, 연일층군, 감포역암, 어일충 153, 179, 189 (?) Q ue r,마 s s p . (너도밤나무과), 감포 어일충 153 Qu in q u e loculin a akneri an a d'Orb ig n y.(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신양리층 187, 189 Qu in q 1 1 eloculin a bic o sta t a d'Orbig n y ( 유공충 ) , 연 일층군 170 Qu in q u e loculin a e/onga ta Na ti and( 유공충), 연일충군 169 Qu in q u e loculin a lamarckia n a d'Orb ig n y(유공충), 연일층군, 서귀포충, 신양리층 170, 187, 189 Qu i11 q ue loculin a p ely g o na d ' Orb ig n y(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신양리층 187, 189 Qu in q u e /oculin a sawanensis Asano(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7 Qu in q u e l o culin a set n in u la (L i nnaeus)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7 Qu in q u e loculin a semi nu ri na (L i nnaeus)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함전동충 166, 190 Qu in qu eloculin a s p .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항전동충 166,190 Qu in q u eloculin a vulga ris d ' Orb ig n y(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신양리층, 함전동충 187, 189 -90 Qu in q u e /oculi na sp. a . (저서성 유공충), 신양리층 189 Qu in qu eloculin a sp. b . (저서성 유공충), 신양리층 189 Qu in qu eloculin a sp. c . (저서성 유공충), 신양리층 189
Ram1111s ga1 1di1 1i Hr.( 갈 매 나무과), 감포어 일충 153 Raph is fo m a corca11ic z1 m Koba y ash i(복족류), 두위 봉석 회 암 36 Rap/ ristom a koto i Koba y ash i(복족류), 두위봉석회 암 36 Ra plr is tom a keiz a1 1e1zsis Kobay a shi ( 복족류 ) , 두위 봉석 회 암 36 Recep taw litc s s p.(해면동물), 강진산층 51 Rechmc11/z is s p.(부족류), 어 일충 141 Redlic/ r i a clrin e nsis Walco tt(삼엽 충), 낙인충 46, 49 Redlicl i ia c oreanic a Sa it o( 삼엽 충), 낙민층 49 Redlicl i ia cyli 11 d r ica Chan g(삼엽충), 마성충 46 Redlicl r ia /011g ispi11a Koba y ash i(삼엽충), 초산지 역 하부 캄브리 아계 53 Redlicl r ia nobil is W~lcott ( 삼엽 충) , 낙민층, 구랑리 층 46, 49 Redlicl r ia sait oi Lu( 삼엽충), 묘봉슬레이트 29, 50 Rezis se lla aculeafa Cushman( 유공충), 연일층군 169 Reussel/a lraij um e11sis Asano, (저 서 성 유공충), 신양리 층 189 Reussella spi nu /o sa( 저서성 유공충), 북평지역 계 3 기충 182 Rezis se l/ a sp. a( 저 서 성 유공층), 대 곡충, 함전동충 166, 190 Reussella sp. b(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함전동충 167, 190 Rhabdonema (Ly n ah.) armat1 11 11( 규조 ) , 포항지 역 계 3 기 충 173 Rhabdo11emaj ap o 1 1i cu m var. spa rsic o sta t u m Temp e re & Brun( 규조), 포항지역 제 3 기 층 173 Rhap o 11eis amp h ic e ros (Ehr . ) (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충 173 Rhap 0 11eis n iti da(Gre g . )(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충 173 Rhapo n eis rhomb ica ( Grunow ) ( 규조 ) , 포항지 역 제 3 기 충 173 Rhin o ceros anti qu it at is Blum. (포유류, 기제목), 동관전산 147 Rhin o ceros shin d oi Tokuna g a. (포유류, 기제목), 동관전산 147 Rhin o ceros s p . (포유류, 기제목), 명천충 147 Rhip ido mela cf. cora d'Orb ig n y . (완족동물), 홍접충 85 Rhip idqps is baie ro id e s Kawasaki & Konno( 식물, 소속불명 ), 사동충 93 Rh ip池)/Jsis brevic a ulis Kawasaki & Konno( 식물, 소속불명 ), 사동충 93 Rhip idcpsi s densin e rois Fe i s t man t el( 식물, 소속불명 ), 사동충 93 Rhip idcpsi s go ndwanensis Seward( 식물, 소속불명 ), 사동충 93 Rh ip뼈 s is labota Halle( 식물, 소속불명 ), 고방산층 93 Rhiz o solenia curoic o str is J ouse( 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충 173 Rhiz o solenia mio c enic a Schrader( 규조 ) , 포항지 역 제 3 기 충 17 3 Rhiz os olenia praeb ergo i i Muh i na( 규조), 포항지 역 제 3 기 충 173 Rhiz o solenia sty li fo nn is Br ig h t well( 규조), 포항지 역 계 3 기 충 173 Rhiz o solenia sp. A. (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3 Rhiz o solenia sp. B. (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충 173 Rhododendron ois h ii Huz i oka( 진달래 과), 항전동충 160
Rhododendron s p . (진달래과 ) . 북평지역 제 3 기충 154 Rhododendron tat e w akii Ta. & Su . ( 진달래 과 ) , 장기 충, 연일충, 함진동충 년 ’-2, 160 Rhodonaspi s (?) sim il is Kobay a shi ( 삼엽 충 ) , 마차리 층 43 Rhopa lodia gi bba(Ehr .) ( 규조), 안변군 문산연 191 Rhop a /odia gibb a (Ehr. ) var. vent rico sa( Ehr. ) ( 규조 ) , 안변군 문산연 191 Rhop a lodia p ara /l e/a(Grun .)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1 Rhus ino uei Huz i oka( 옷나무과 ) , 장기 충 150 Rhus s p . (웃나무과), 영동충, 북평지역 계 3 기충 153, 154 Ri be ir e lla coreanic a ( Kobay a shi ) ( 상영 충 ) , 막동석 회 암 33 Rin g i cu la musashin o ensis Yo. ( 복족류 ) , 서 귀 포충 144 Robsonocer a s (?) meri dio n a/is Koba y ash i(두족류), 직운산셰 일 34 Rosalin a austr a lis ( Parr), (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7 Rosalin a bradyi (C ushman),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7 Rosalin a orbio n lari s( Terqu em) ,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7 Rosa slta n wange n sis Hu. & Chane y(장미과), 용동충 159 Rou11dya nov. sp. Lee ( 코노돈트) , 영 흥충 65 Roundya s p . (코노돈트), 회동리 층 80 Ro10 :ia pe /la g a l li Brun & Herib a nd( 규조 ) , 포항지 역 제 3 기 충 173 Ro10 :ia sp. A . (규조), 연일층군 173 Ruff ord ia g o epp e rti (Dunk . ) (양치류 양치유사식물), 낙동아층군 127 Ruti /ar i a ep s i lon(K itt on) (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3 Sabalp a lmatto Lodd. (종려과), 장기층군 177 Sabals p . (종려과), 연일층군, 강포역앙, 어일충 177, 180 Sacto t h o ceras eccentr icu m Koba y ash i(두족류), 직운산셰 일 35 Sact ot h o ceras ozakii Shim i zu & Oba t a( 두족류), 검이포 대동층군 기저역암(실루리 아기화석 ) 78 Sacto t h o ceras princ ep s Koba y ash i(두족류), 직운산셰 일 35 Sacto t h o ceras shir a kii Koba y ash i(두족류), 직운산셰 일 35 Sacto t h o ceras y ok oy ama i (Koba y ash i)(두족류), 직운산셰 일 35 Sacto r t ho ceras gon io s ep tum Koba y ash i(두족류), 직운산셰 일 34 Sacto r t ho ceras makkolense Koba y ash i(두족류), 적운산셰 일 34 Sacto rtho ceras shim amurai Koba y ash i(두족류), 적운산서 1 일 34 Sacto r th o ceras ten uic u rvatu m Koba y ash i(두족류), 직운산셰 일 34 Sacto r t ho ceras wong ifon nis Koba y ash i(두족류), 직운산셰 일 34 Sag en o pter is bilo bata Yabe( 양치류 혹은 양치유사식물), 낙동아층군 127 Sage n o pteris cf. 1 1i lss onia n a Bron g n. (양치류 유사양치식물), 낙동아층군 127
Sag, ·tta r i a sag, ·tt i foli a L. ( E석 사과 ) , 장기 충군 17 8 Sagi ttar i a s p.(덱 사과), 연일층군 179 Sa gittod onhlS ede nta l ltS ( Branson & Branson) ( 코노돈트), 회동리충 8o Salix cf. p o/a ris(버드나무과), 장기층군 177 Salix /avate n · Al. Braun( 버드나무과), 고건원 157 Salix macrop h yl l a Heer( 버드나무과), 장풍리층 161 Salix pa rasachalin l !l tsis Tanai & Suz i oka( 버드나우과), 장기충, 동천충 150, 162 Salix s p . (버드나무과), 북평지역 제 3 기충 154 Salix to11 g cl1 eo11l! lisis Huzio k a( 버 드나무과 ) , 동천 충 162 Salte re lla orie n ta l is Koba y ash i(두족류), 요봉슬레 이 트 29, 41 Salvin ia p se udofo m 1osa 0. & Hu . (생이가래과), 장기 충 , 고전원 150, 157 Samarop s is cf. mi lle r i i( 나자식 물의 종자유 ) , 사동충 90 Samarops is s p .( 나자식물의 종자류), 사동충 90 Sa pind us cf. lanc ifoli 1tS Les q x( 무화과나무과), 봉산탄진 제 3 기충 154 Sa pind us kaneharai Tana i(무화과나무과), 연일충 152 Sapp o ip o raf ov oc itoi d e s Ozak i(산호류), 검이포 대동충군 기저역암(실루리아기화석) 78 Sa pro ta e a nervosa Halle( 식물, 소속불명 ), 고방산층 93 Saracenari a sp . a( 저서성 유공층), 이동충 167 Saracerari a sp. b(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167 Sassafr a s yab ei Endo & Oku t su( 녹나무과), 항전동충 160 Saukia s p . (삼엽충), 화철충 양 Saukie ll a s p . (상영 충), 화철충 안 Saxic av a arctic a L i nnaeus( 부족류), 서귀포충 144 Sa xidomu s cf. n uta l li Conrad . ( 부족류), 천곡사충, 학전충 138 Scalite s irr egu la re Koba y ash i(복족류), 도담충 47 Scalite s kato i (Koba y ash i)(복족류), 도담충 47 Scandodus cf. rectu s L i nds t r15m( 코노돈트), 직운산셰 일 59 Scandcdus cf. s erratu s Moskalenko( 코노돈트 ) , 영 흥충 65 Scandodus fur nis h i L i nds t r15m( 코노돈트), 두무골서 1 일, 막골석회 암 58 Scandcdus inf [ ex us Hamar( 코노돈트), 두위봉석회암 60 Scandodus rectu s L i nds t r15m( 코노돈트), 태백시 오오도비스계, 만달산층 61, 69 Sea 叫 oduss p . (코노돈트), 막골석회암, 두위봉석회암, 영흥충, 정선석회암, 행매 충 58, 60, 65, 68 Scep troneis caduceus Ehrenber g(규조) , 포항지 역 제 3 기 충 173 Schis todesmu s antiq us Suzuk i(부족류), 낙동충 124 Schiz aea cf. d igita(실고사리과), 장기충군 178 Schiz aea s p.(실고사리 과), 감포역 암, 어 일충 182 Schiz od us s p.(부족류), 만항충 84
Schiz ol ep is moel/ er i Seward( 구과목), 대동충군 하부 116 Schiz o neura? koraie n sis Kobata k e ( 속새 류 ) , 대 동충군 하부 114 Schiz o neura str iata Kawasaki & Konno( 속새 류), 사동충 87 Schiz o neura namp o ensis Kawasaki ( 속새 류 ) , 대 동충군 하부 114 Scl1iz oph ori a swal/ ov i( Hall ) ( 완족동물 ) , 홍정 충 85 Schubert ell a cf. elong a ta Shen g(방추층), 금천충 JO I Schubert el/ a cf. lata Lee & Chen( 방추충), 금천충 JO I Schubert el la grac i /is znensis Rauser-Chernoussova( 방추층), 판교충 99 Schubert el la /ata el/i ptica Shen g(방추충), 요봉충, 판교충 97, 99 Schubert e// a obscula Lee & Chen( 방추충), 요봉충, 홍정충, 판교충, 금천충 97, 99 -10 1 Scl11t b ert ell a s p . (방추충), 금천충 100, 102 Schubert ell a sp . A .( 방추충), 판교충, 금천충 99, 101 Schubert el/ a sp. B . (방추충 ), 금천충 IOI Scl1wage r i na alp i na(Schellw) (유공충), 평 양단전 105 Schwage r i na camp a Thomp so n ( 방추충 ) , 밤치 충 99 Schwage rina cf. g a l/ oway i (Chen) (유공충), 평 양단전 105 Schwage n·n a comp lic a t a(Schellw) (유공충), 사동충 98 Schwage r i na pri nc ep s(Ehrenber g)(방추충), 홍정충 105 Schwage n'na ruts c hi Thomp s on ( 방추충 ) , 방치 충 99 Schwage n·nna sim p le x m i nu ta (Lee) (유공충), 사동충, 평양단전 98, 105 Scl1wage r i na s i m p lex(Schellw) (유공층), 사동충, 평 양단전 98, 105 Schwage n ·na spp . ( 방추충 ) , 밤치 충 98 Schwage n·n a val i da(Lee) (유공충), 사동충, 평양탄진 98, 105 Schwage n·n a valg a ris (Schellw) (유공충), 사동충, 평양탄전 98, 105 Schwage n·n a yeo ngw e olensis Cheong ( 방추충 ) , 밤치 충 99 Sc iad op itys shir a gi ca Huz i oka( 낙우송과), 연일충, 고건원 151, 157 Sc iadopitys shir a gc a Hua i oka( 낙우송과), 장기층군, 행영충 150, 156 Scia d ap ytys s p.(낙우송과) 연일층군, 감포역암, 어일충 179, 181 Sc iadopitys vert ici//a ta Si eb . & Zucc . (낙우송과), 장기충군 177 Scolopo dus aff . qua drap /ica tu s Branson & Mehl( 코노돈트), 만달산층 69 Scolop o dus alatu s Bradshaw( 코노돈트), 정선석회암 68 Sco/op o dus bassleri Furn i sh( 코노돈트), 문곡충 64 Scolop o dus cf. f ilos us Et hi n g ton & Clark( 코노돈트), 행 매 충 68 Scolop o dus comuti form i s Branson & Mehl( 코노돈트), 막골석회 암 58 Scolop o dus filos us Et hi n g ton & Clark( 코노돈트), 막골석회암, 정선석회암 5&9 Scol 야 odus gigan te us Sweet & Ber g s t rom( 코노돈트), 막골석회 암, 정선석회 암, 영흥충 65-6 Scolop o dus grac i lis Et hi n g ton & Clark( 코노돈트), 문곡충 64
Scolop o dtt s itisettlP hts ( Br. & Me)( 코노돈트), 두위봉석회암 60 Scolop o dus nog a mi i Lee (코노돈트), 두무골셰 일, 두위봉석회 암, 정선석회 암, 만 달산층 58, 60, 68 궁 Scolop o dus (?) nov. sp . Lee( 코노돈트), 만달산층 70 Scolop o dus pes eudoq u adratu s Branson & Mehl( 코노돈트), 두무골셰 일 챈 Scolop o dus qua drap li ca tu s Branson & Mehl( 코노돈트), 문곡충 64 Scolop o dus qui n quepli ca tu s Mound( 코노돈트), 만달산층 69 Scolo po dus rex L i nds t r tl m( 코노돈트), 두무골서 1 일 챈 Scolop o dus rex pal t od if orm i s Li nd str t lm ( 코노돈트 ) , 막골석 회 암 58, 65 Scolop o dus tripli ca tu s Et hi n g ton & Clark( 코노돈트), 문곡충 64 Scolo po dus warendensis Druce & J ones( 코노돈트), 두위봉석회암, 문곡충, 만달 산층 60, 64 Scolo po dus s p.(코노돈트), 두무골서 1 일, 적운산셰 일 5&9 Se iso nia sphaerica uda Koba y ash i(삼연 충), 두무동충 33 Seis o nnia (?) s p.(상영충), 두무동충 32 Sela gine lla s p.(부처손과), 연일층군 180 Selke iko ceras y okusenense(Koba y ash i)(두족류), 두위봉석회 암 36 Se quoia cf. a mb igua Heer( 송백류), 낙동아층군 128 Se quoia cutt isue Heer( 낙우송과), 행 영 충 155 S 짜wia la ngs터 Bron gn . (낙우송과), 감포 어일충, 유선충, 행영충 152, 155 Se qucia sem peroire ns En g l . (낙우송과), 장기충군 177 Seq ucia s p.(낙우송과), 연일층군, 감포역 암, 어 일충 179, 181 Se rpli te s ruedemanni Koba y ash i(환형동물), 두무동충 32 Serrato gnathu s bilob atu s Lee( 코노돈트), 두무곧셰 일 58 Shir a g ia bilob a Koba y ash i(완족동물), 화철충 30 Shir a kia bilob ifoli a Kawasak i(양치류), 사동충, 고방산층 87, 92 Shir a kie ll a elo nga ta Koba y ash i(삼엽충), 화절충 양 Shir a kie ll a latic on vexa Koba y ash i(상영충), 화철충 31 Shumardia pell izz arii Koba y ash i(상영 충) , 두무동충, 문곡충 33, 43 Sig illa ri a acuta ngula Halle( 석송류), 사동·충 89 Sig illa ri a yajidoensis Kobaya shi ( 석 송류 ) , 사동충 89 Sig mocycl oceras koge nense Koba y ash i(두족류), 직운산셰 일 35 Sig moukll a koga ensis Chs. & Oz. (처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3 Sig moukll a Pa cifica( Cushman & Ozawa)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167 Sig nwilopsis schlum bergeri(A . S i lves tri)(유공충), 연일층군 169 Sig momqrph in a kota i Cushman & Ozawa( 저서성 유공층), 이동충 167 S igmo血wp h in a sawane nsis( Cu. & J o . )(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3 S igmo血np h ina s p.(유공충), 연일층군 170 S igmo먀 eras c아 M n icu m(Koba y ash i)(두 족류), 막동석회암, 직운산셰일 33 가
Sig ,no rt lz oceras sig ,no id al e Koba y ash i ( 두족류 ) , 직운산셰 일 34 Sin u ito ps is kochir ien sis Koba y ash i(복족류), 적운산셰 일 34 S1p ho g en eri na raph ana(Parker & J o . )(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7 S1ph o nalia f uc oid e s Reeve( 복족류), 서귀포충 144 Sip h onari a sp ad ic ea(Reeve) (복족류), 연일충 137 Sip h onari a s p . (복족류), 영동충 142 Sir a to r i a s i ra to ne ,zsis (O t uka)( 부족류), 연일충, 회봉리층 138, 143 Solemy a (Acharax) tok unaga i Yoko y oma( 부족류), 연일충 137 Soleno pa ri a argo ( Walcott ) ( 삼엽 충 ) , 대 기 충 29 Solenop a ri a (?) bis u lcata Koba y ash i(삼엽충), 삼방산층 41, 44 Solenopa ri a (?) dep r ati Koba yash i(삼연 충), 대 기 충 29 Solenopa ri a /aevis Koba yash i(삼엽 충), 대 기 충 29 Solen op a riap aup era ta(상영충), 강계지역 캄브리아계 중부 55 Solenop a ri a s p . (삼엽충), 후 창지역 캄브리아계, 강계지역 캄브리아계 중부 54-5 Solenopa ri a sp . i nde t . (삼엽 충 ), 대 기 충 29 Solenopa r i a s ubto x ea Kobay a shi ( 삼엽 충 ) , 마차리 층 42 Solen s p . (부족류). 어 일 충 , 신 현 충 141, 143 Solen sp . a . (부족류), 회봉리 층 143 Solen sp . b . (부족류), 회봉리층 143 So/ete l lin a mi no ensis Yoko y ama( 부족류), 송전충, 산현충 141, 143 Sorbus pro to a lzfo li a Tanai & Suzuk i(장미 과), 장기 충 150 Sorbus 1tze nensis Huz i oka( 장이 과), 장기 충 150 Sorosp h aera co, zs ocia t a ( 유공충 ) , 북평 지 역 계 3 기 충 178 Sorosp h aera s p . (유공중), 북평지 역 제 3 기충 181 Sp a th o gn a th o dus aff . ranulifo rn zis Wall i ser( 코노돈트), 회 동리 층 80 Sp a th o g n atlz o dus camp b elli Rexroad ( 코노돈트 ) , 홍접 충 106 Sp a th o g na th o dus cf. n. sp . Li nd str 1 >m , 60. (코노돈트), 두무골셰 일 58 Sp a th o g na th o dus coroladoensis Murray & Chron i c( 코노돈트), 홍정 충 106 Sp a th o g na th o dus inc lin a tu s i ncl i na tus (Rhodes)( 코노돈트), 회동리층 80 Sp a th o g na th o dus m i nu t us(Ell i son) (코노돈트), 홍접충 106 Sp a th o g na th o dus oldhamensis Rexroad ( 코노돈트 ) , 회 동리 층 80 Sp a th o g na th o dus s p.(코노돈트), 홍정 충 106 Sp h aeroid i n a comp a cta Cu. & To . (유공충), 연일층군 169 Sp h aeroid ina cf. c omp a cta Cushman & Todd( 처 서 성 유공충), 대 곡충, 이 동충, 포항 충 167 Sp h aeroid ina s p.(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167 Sph agnu m s p . (방동사니과), 연일층군 180 Sp h enobaie r a sp ec ta b i l is (Na t hors t)(은행목 및 유사 은행목), 대동충군 하부 116 Sp h enobaie r a /ongifo lia (Pomel) (은행목 및 유사 은행목), 대동충군 하부 116
Sp h mobaie r a cf. lo11g ifo l ia (Pomel) (은행목 및 유사 은행목), 대동 충 군 하부 116 Sp he no pter is cf. p se udoge m ra11ic a Halle( 양치류), 고방산층 언 Sp he no ptersis go epp e rli (Dkr . ) (양치류), 열하통 123 Sp h mo pteri s Gotl wn ii Halle ( 양치 류 ) , 사동충 87 Sp h eno pteris Hallei Kawasak i(양치류), 사동충, 고방산층 87, 92 Sph enopter is koge n dcensis Kawasak i(양치류 ) , 사동충, 고방산층 87, 92 Sp he no pteris omnokjo n g en sis Kawasak i(양치류), 사동충 87 Sp h eno pteri s par oip hy l l a Kawasaki ( 양치 류 ) , 사동충 87 Sp he no pteri s ten uis Schenk( 양치류), 사동충 87 Sp he no ph yl l um Ha/lei Kawasak i(설영류), 고방산층 언 Sp h en oph yl l um macrop h yl l um Tokunag a ( 설 영 류 ) 사동충 87 Sp h enop h yl l um macrotn m catu m Kawasaki & Konno( 설영류), 사동 충 87 Sp lie n oph yl l um oblong ifoli u m (Germ & Kaul f.)(설영류), 사동 충 87 Sp h en oph yl l um ori entate Kawasaki ( ..,김 영 류 ) , 사동충 87 Sp he n oph yl l um pse udocosta e Kawasaki ( 설 영 류 ) , 사동 충 87 Sph enoph yl l um rotu n datu m Halle( 설영류), 사동 충 87 Sph enoph yl l um sin o -coreanum Yabe( 설영류), 사동충, 고방산층 87, 92 Sph enoph yl l um sp ecio sum(Ro y le) (설영류), 사동충, 고방산 층 87, 92 Sp he no ph yl l um Thon ii (Mahr) (설영류), 사동충 87 Sp he nop h yl lu m Thonii mi no r S t erzel( 설영류), 사동충 87 Sp ini f erit e s ramosus gr따/is (Dave y & W i ll i ams)( 쌍전모충류), 두호충 175 Sp inif e rites ramosus( Ehrenberg ) ( 쌍편모충류 ) , 두호충 175 Sp irifer (Chri sti/es) pav lovi St uc k ( 완족동물 ) , 홍접 충 85 Sp irifere llin a cf. hochuanensis L i ao( 완족동물), 만항충 84 Spi riferi s pp . (완족동물), 홍정 충 85 Sp irol oculin a an gula ta Cushman( 저서성 유공충), 신양리층 189 Sp irol oculi na communis Cus. & To . (유공충), 연일층군, 서귀포충 170, 187 Sp irol oculin a cor rugat a Cus7 & To. ( 유공충 ) , 연 일 층군 170 Sp irol oculin a fragel is Uchio ( 유공충) , 영 해 지 역 제 3 기 충 185 Sp iros i gmoilin e lla comp ress a Ma t s . (유공충), 연일충군 170 SSppy isruoclae ra(Hs ecmf.i mm aic ctrro at)e xptoil[ey nFyomear sa tl ea(s 두ka족n류a )D,al l 검. (이부족포류 )대,동 서충귀군포 기충저 역1암44( 실루리아기 화석) 78 Sp yroc eras orientali s Koba y ash i(두족류), 직운산셰 일 35 Sq uamu lari a s p . (부족류), 사동충 85 Sta cheia s p.(방추충), 평 양단전 103 Sta f/ell a confu sa (L . & C.) (방추층), 홍정충, 평 양단전 95, 104 Sta ffell a loczyi(L !:1 r ) (방추충), 홍정 충 105 Sta jlell a ozawai L. & C. (방추충), 평 양탄전 104
Sia /fell a q uadra ta (De p . )(방추충), 사동충, 평 양단전 IOI, 104 Sia /fell a sp haero i des(Ehr . ) (방추충), 홍정충, 평양단전 95, 104 Sta u roneis acula W. Smi th var. lerr ya na Temp . fo rma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0 Sta u roneis ancep s Ehr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0 Sta u roneis fav anic a Grun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0 Sta u roneis java nic a Grunow( 규조), 북평지역 제 3 기충, 북평충 185, 190 Slauroneis phe onic en lron Ehrenberg ( 규조 ) , 북평 지 역 계 3 기 충 183 Sta u roneis s ign a ta (Me i s t er)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0 Sta u roneis s p . (규조), 북평지역 계 3 기충 183 Slellalochara sp . ( 윤조류 ) , 대 구충 송내 동 멤 버 131 Ste n orachis n. sp. Kawasak i(구과목), 대동층군 하부 116 Ste ph anocare berge roni Koba y ash i(상영충), 세송슬레이트 116 Ste ph anocare (?) q u i찌 u ispi ra Koba y ash i(삼엽충), 세송슬레이트 30 Ste ph anocare rich lhofe n i Monke( 상영층), 세송슬레이트 3o, 37 Ste ph anodis cu s art ra ea Grunow( 규조), 북평지역 계 3 기충, 북평충 183-5 Ste ph anodis cu s carconensis Grunow( 규조), 북평지역 계 3 기충 183 Ste ph anodis cu s carconensis Grun? (규조), 안변군 문산연 192 Ste ph anodis cu s kanit zii Grun. & Pan t ocsek( 규조), 복평충 喝 Ste plw nodis cu s nia gar ae Ehrenber g(규조), 북평충 184-5 Ste plw nodis cu s s p . (규조), 북평지역 제 3 기충, 북평충 183, 185 Ste ph anogo nia hanzawae Kana y a( 규조), 포항지 역 계 3 기 충 173 Ste ph ano pyx is appe ndic u lata Ehrenber g(규조), 포항지 역 제 3 기 충 173 Ste ph ano pyx is cf. fero x Grev i lle( 규조), 포함지 역 제 3 기충 173 Ste ph ano pyxis corona(Ehrenber g)(규조), 포항지 역 계 3 기충 173 Ste ph ano pyx is l i neala(Ehrenber g)(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3 Ste ph ano pyx is schenkii Kana y a( 규조), 포항지 역 제 3 기 충 173 Ste ph ano pyxis turris Grev i lle( 규조), 포항지 역 제 3 기 충 173 Str eb lop ter ia s p . (부족류), 만항충 84 Ste reo conus circ ulus Moskalenco( 코노돈트) , 직 운산셰 일 , 두위 봉석 회 암 59, 6o Slereoconus plen us Branson & Mehl( 코노돈트), 만달산층 70 Ste re op la smocerasp se udosep tum Grabau( 두족류), 운학충, 고원지역 중부 오오도비스 기충 53 Ste r eop la smoceras s p . (두족류), 후창지역 중부 오오도비스계, 강계지역 오오도비스 계 54, 55 Ste reo p l asmoceras subcentr ale Koba y ash i(두족류), 두방통 46 Ste r eop la smoceras teich eri ti Koba y ash i(두족류), 후창지 역 중부 오오도비스계 54 Ste r eop la smoceras t of a ngio函 Koba y ash i(두족류), 적운산셰 일 35 S ter뼈 lasmoceras yab ei Koba y ash i(두족류), 직운산셰 일 35 Stic tod is cu s k ittonia nus( 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3
Sti gn,aria ficoi d e s( St er nberg ) ( 석 송류 ) , 사동충 89 Sti gmaria rugu/o sa Go t han( 석송류), 사동충 89 Sti /os to m ella advet ,a( Cu. & La i . )(유공충), 연일충군 169 Sti los to m ella l epi dula(Schwa g er) (유공충), 연일층군 169 Str eptog n a th o dus elong a tu s Gunnel( 코노돈트), 사동충 107 Str eptog n atho dus expa nsus Igo & Ko i ke( 코노돈트), 홍접 충 I06 Str eptog n atlwd us mi nu ht.s Gunnel( 코노돈트), 사동충 107 Str eptog n atho dus opple tu s Ell i son( 코노돈트), 사동충 107 Str eptognatho dus s p.(코노돈트), 홍정충, 사동충 I06 -7 Str eptognatho dus suberectu s Dunn( 코노돈트), 홍정 충 !06 Str eptognathod us (?) sp . ( 코노돈트 ) , 홍접 충 88 Str iarc a cf. uets u kie nsis( Ha. & N i .)( 부족유), 회봉리층, 신현충 142 -3 Str ob i lite s samchokens is(나자식물의 종자유), 사동충 go Stu tchb uri a s p.(부족류), 만항충 84 Sty rax pro to o bassia Tanai & Onoe( 때죽나무과). 항전동충 160 s tyr心 s p . (때죽나무과), 북평지역 계 3 기충 154 Subcordyl o dus sin u atu s S t au ff er( 코노돈 트), 직운산셰 일, 두위봉 5~0 Swedenborg ia atte nu ata Kon ' no( 구과목), 대동충군 하부 116 Swedenborg ra c 아e an ic a Kon'no( 구과목), 대동충군 하부 I 16 Swedenb 아-gia cryptom erwi de s Na t hors t(구과목), 대동충군 하부 116 Swedenborg ia lata Kon'no( 구과목), 대동충군 하부 116 Swede nborgia onoya mai Kon'no( 구과목), 대동충군 하부 116 Swedenb 아-gia rigida Kon'no( 구과목), 대동충군 하부 116 Swedenborgia rigida acumi na ta Kon'no( 구과목), 대동충군 하부 116 Sym plo carp u s foe ti du s Nu tt . (천남성 과), 장기 층군 117 Syn ed ra auche riae Kutz . var. t runca t a(Grev.)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2 Syn edra 따tata Ehr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2 Syn edra jou seana Sheshukova-Pore tz kay a( 규조), 연일충군 171, 173 Syn ed ra s p.(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3 Syn ed ra ulna Ehrenberg( 규조 ) , 북평 충 185 Syn ed ra ulna(N itz.)(규조), 안변군 문산면 192 Syn edra ulna (Ni tz.) var. am p h i rhy nchus(Ehr .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2 Syn edra ulna (Ni tz.) var. b icep s(Ku t z . )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2 Syn pri(mw din a silu ri ca Wall i ser( 코노돈트), 영흥충, 회동리층 66, 80 Syn troph ia cf. ca lcife ra(B i ll i n g s) (완족동물), 송림충 引 Syr ingopo ra bifur cala d'Orb ig n y.(산호류), 겸이포 대동충군기저역암(실루리아기화 석) 78
Terebra s p . (복족류), 영동충 142 Terebrata li a coreanic a Adamus & Reeve ( 완족류 ) , 서 귀 포충 144 Terebrata li a koy a1 nai Makiy am a( 완족류 ) , 서 귀 포충 따 Tetra cyc/1'5 e, na rgi na tus (Ehr.) (규조), 안변군 문산면 192 Tctr ac y c/1'5 rupe s tr is Grunow( 규조), 북평 지 역 제 3 기 충 183 Tetra taxis conic a Ehr.( 유공충), 사동충, 평 양단전 헨 IOI, 105 Tetr ata xis conic a gibb a Moll( 유공층), 홍정충, 사동충 96, 98, IOI Tetr ata xis decuens(Brad y)(유공충), 사동충 98 Tetr ata xis maxi ma(Schellw . )( 유공충), 홍접 충, 사동충 98, IOI Tetr ata xis p alaeo tro chus(Ehr.)( 유공충), 사동충 IOI Tetr ata xis schellwie ni Ozawa( 유공충), 사동충 98, IOI T따 ula ria andenensis Asano( 처서성 유공충), 신양리층 189 Textu la ri a a rticu lata (d'Orb ig n y)(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7 Textu la ri a conic a d'Orb ig n y(저 서성 유공충), 서귀 포충 187 T떠 ula ria exidu ra Lee( 유공충), 평 양단전 104 Textu la ri a 따 m ia Ei ch ( 유공충 ) , 평 양 단전 104 Textu la ri a semi ala ta Cushman(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7 T따 ula ria s p.(유공충), 영해지 역 제 3 기충 185 TThhaallaa ssssiioo nthermixa wnn igtz iss cshi m i o aid(e Cs (leGvreu )n (o 규w)조 ( )규 , 조)포,항 지포 항역 지제역 3 기제 충 3 기 충17 3 173 Thalassio thrix s p . (규조), 북평지역 제 3 기충 183 Thia r a (S i땡im elan ia) tateiwa i acuti cos ta ta Suzuk i(복족류), 신라아 층 군 124 Thia ra (S i땡i melan ia) tateiwa i Suzuk i(복족류), 신라아층군 124 Thin n fe ld ia s p.(양치류, 양치유사식물), 낙동아층군 127 Thrac ia cf. t rapezo 函 Conrad . (부족류), 연일충 137 Thrac ia pubesce ns Pu lt . (부족류), 서귀포충 144 Thrac ia trapezoid.es Conrad( 부족류), 연일충 137 Thujo psis mw dlJla brata Ta. & J u . (편백 과), 고건원 157 Th yasira aff. bisec ta Conrad( 부족류), 함진동충 145 Th yasira bisec ta Conrad( 부족류), 연일충 137 Th yasira go uld ii (Ph illipi)(부족류), 연일충 137 Thyasira nip ponica Yabe & Nomura( 부족류), 연일충 137 Th yasira s p . (부족류), 송권층 138, 141 Til ia am erican a L.( 피나무과), 장기충군 177 Til ia cf. coda ta(피나무과), 장기충군 177 Til ia distans Na t hors t(피 나무과), 용동충, 합전동충 159 -60 Til ia meisenensis Huz i oka( 피 나무과), 용동충, 합전동충 159 -60 Til ia remotis errata Oi sh i & Huz i oka( 피나무과), 장기충 151 Til ia sekie nsis Huzio k a &N i sh i da( 피 나무과), 용동충 159
Til ia s p . (키나무과), 연일층군, 감포역암, 어일충, 북평지역 제 3 기층 179, 181, 183 Til ia subnobil is Huz i oka( 키 나무과), 용동충 159 Tin g ia carbonic a (Schenk) (송영 란류), 사동충 89 Tin g ia e/eg a ns Konno( 송영 란류), 사동춘 고방산층 89, 93 Tin g ia hamagr teh ii Konno( 송영 란류), 사동충 89 Tin g ia k i kkawa i (Tokuna g a) (송영 란류), 사동충 89 Tin g i a par t ita Halle( 송영 란류), 사동충 89 Tin g ios ta c hya tet r a lowlari s Konno( 송영 란류), 사동충, 고방산충 89, 93 Tin g o cep h alus magn u s Koba y ash i(상영 충), 화절충 양 Tofa n g o cer a s huronif orm e Kobay as hi ( 두족류 ) , 두위 봉석 회 암 36, 40 Tofa ng o ver a s 1nanchu rie nse(Endo) (두족류), 두방통 40 Tofa ngo ceras s p .(두족류) , 강계지역 오오도비스계 55 Tofa n go ceras (?) s p.(두족류), 후창지역 중부 오오도비스계 54 To11ki1 1 el/ a brevic eps Koba y ash i(상영충), 마차리층 41 Tonkin e lla kobaya s hii Resser( 상영충), 마차리층 42 Tonkin e lla ori en ta l is Kobay as hi ( 상영 충 ) , 마차리 층 41 Tonkin e l/a ste ph ensis ( 상영 충 ) , 마차리 충 44 ? Tomq ui s tia s p . (완족동물), 만항충 84 Trachyn e is aspe ra aspe ra Cleve( 규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3 Trap a cf. y ok o ya mai Na t hors t(바 늘꽃과), 북평지역 제 3 기충 153 Trapa s p . (바늘꽃과), 북평지역 재 3 기충 183 Trape zi u m (Neotr a pe z iu m ) cheonbuge nsis Yoon( 부족류), 천곡사충 맹 Trapz ol J lra lhus s p . (코노돈트), 막골석회 암, 두위봉석회 암 59, 60 Tr ibla stu l a boruss i ca(E i senack) (쌍편모충류), 두호충군 175 Tr icer atu m arcti m m Br ig h t(규 조), 포항지역 제 3 기충 173 Tri ce ratu m condecomm Ehrenber g(규조), 포항지 역 계 3 기 충 173 Tri ce ratu m tes sel/ at u m Grev i lle( 규조), 포항지역 계 3 기충 173 Tri ch onodel/ a cf. barbara(St au ff er ) (코노돈트), 만달산층 Tri ch onodel/a cf. eong a L i nds t rllm( 코노돈트), 행매충 68 Tri ch onode/la cf. trich onode/l oid es ( Wallis e r ) ( 코노돈트 ) , 회 동리 층 80 Tri ch onode/la inc onsta n s Wall i ser( 코노돈트), 영흥충, 회동리층 66, 80 Tri ch onodella sp. n. Lee( 코노돈트), 회동리층 80 Tri ch onodella s p . (코노돈트), 회동리층 80 Tri cla dio d us aur ilob us Lee( 코노돈트), 막골석회암, 두위봉석회암, 영흥충, 만달산 충 59, 6o, 65, 7° Tr ifari na hug he si( G alloway & W i ssler)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포항충 167 Tr ifari na kokozura ensis (Asano)(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북평지 역 제 3 기충 167, 182
Tr ifan ·n a sp. a( 저 서 성 유공충 ) , 대 곡충 167 Tri go nio id e s kodair a i Kobay a shi & Suzuk i(부족류), 낙동아층군 124 Tr igo1 1i oid es kodair a i pau cis u lcatu s Suzuk i(부족류), 신라아층군 124 Tr igo nio i d es (Koreanaia ) bong k yu 1 1i Yang ( 부족류 ) , 낙동충 ( 연화동충 ) 124 Tri go nio id e s (Koreanaia ) clreong i( 연체 동물 ) , 묘곡충 122 Tri go nio i d e s s p . (부족류), 묘곡충 122 Tr iloc i,l in a guttuers is Asano ( 저 서 성 유공충 ) , 신 양리 층 189 Tr iloc ill in a trigo nula(Lamarck) (유공충), 연일충군, 서귀포충 170, 187 Tri loc ulin a s p . (저서성 유공충), 신양리층 189 Tri ticites sp . ( 방추충 ) , 판교충 98 Trochammi na sp . ( 유공충 ) , 북평 지 역 제 3 기 충 182 Trochodendron s p.(산차과), 복평지역 제 3 기충 183 Trocholite s ammonoid e s Koba y ash i(두족류), 직운산서 1 일 35 Trochonema ozawai 帥 ressa Koba y ash i(복족류), 운학충 52 Trochonema ozawai Koba y ash i(복족류), 운학충 52 Tr야 hon s p . (복족류), 연일충 137 Tsin a nia canens(Walco tt)(삼엽충), 호R i충, 초산지역 최하부 오오도비스계 31, 54 Tsin a nia ceres(Walco tt)(상영충), 화절충 양 Tsug a canadensis Can . ( 전나무과), 장기충군 177 Ts uga d i vers ifo lia (Max i m) (전나무과), 장기충군 177 Tsuga p a ttania na(En g eIm)( 전나무과), 장기충군 177 Ts uga s p . (전나무과), 연일충군, 감포역암, 어일충, 북평지역 제 3 충 179, 181, 183 Tti ticum s p.(포아풀과), 감포역 암, 어 일충 182 Turborota li a acos taensis (Blow) (부유성 유공충), 이동충, 서귀포충 168, 188 Turborolalia birnage a(Blow)( 부유성 유공층), 이동충 168 Turborota li a byk ovae A i sehs t a t(부유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함전동충 168, 190 Turborota li a crassafo n nis ( Gall. & W i s.)( 부족류), 서귀포충 188 Turborota li a /ala L ipp s( 부유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168 Turborota li a s cit ula pra es citu la(Blow) (부유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항전동충 168, 190 Turborota li a sci tula s cit ula(Brad y)(부유성 유공충), 포항충 168 Turborolalia s p.(부유성 유공충), 신양리층 189 Turr itell a(Hata iel la) sag a i Ko t aka( 복족류), 회봉리층 143 Turr itell a sais h uensis Yoko y ama( 복족류), 서귀포충 144
Ulmannia frum enta r ia ( Schloth . ) ( 송백 류 ) , 사동충 90 Ulmus bronni Un g . (느릅나무과), 행 영 충 156 Ulmus carp ino id e s Goe pp er t(느릅나무과), 함전동충 160 Ulmus laevis Poll . (느릅나무과), 장기충군 177 Ulmus shir a gi ca Huz i oka( 느릅나무과), 장기 충, 항전동충 150, 160 Ulmus s p.(느읍나무과), 연일충군, 감포역 앙, 어 일충 179, 181 Unio s p.(부 족 류), 묘곡충 121 Uvig en · n a akita en sis Asano , (저서성 유공충), 서귀포충 187 Uvig er i na canari en s is d'Orb ig n y(저서성 유공충), 포항충 167 Uvig er i na c f. lwots i Rank i n(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총, 포항충 167 Uvig er i na nit idu lla Schwag e r( 저 서 성 유공충 ) , 포항충, 서 귀 포충 167, 187 Uvig er i na pro bosci de a Schwa g er(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북평충 167, 182 Uvig er i na segu ndoensis Cushman & Gallih e r( 저 서 성 유공충 ) , 대 곡충, 이 동충, 포항 충 167 Uvig en ·n a s pp .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포항 충 167 Uvig en ·n a yab ei Asano(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167 Uv ig er in a yeo nil le nsis K i m(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167 Uvig er i na sp. a(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167 Uvig er i na sp. b( 저서성 유공충), 대곡충, 이동충, 포항충 167 Uvig er i ne lla s p . (저서성 유공충), 이동충, 항전동충 167, 190
Vibu n ium nordenckwldi Heer( 인동과), 봉산탄전 제 3 기 충 155 Vibu rnum cf. spinu losum Heer( 인동과), 봉산탄전 제 3 기충 155 Vib urn um uzenen sis Huz i oka( 인동과), 장기 충 151 Vic arya (Shoshir o ia ) callosa jap o nic a Yabe & Ha t a i(복족류), 천곡사충, 어 일충, 산 현충 139, 141, 143 Vic aryell a is h iia na(Yoko y ama) (복족류), 천곡사충, 연일충, 신현충 139, 143 Vic aryel la tyosen ic a Yabe and Ha t a i(복족류), 천곡사층, 연일충 139 Vic aryel la s p.(복족류), 어 일충 141 Vili s kog eo nweonensis Huz i oka( 포도과), 고건원 158 Vitt aria line a ta Sw. ( 일 영 아재 비 과 ) , 장기 충군 178 Vivipa rus (?) cf. onogo e nsis Kobay a shi & Suzuk i(복족류), 묘곡충 122 Viviparu s (Sin o ta ia) key syo ensis Suzuk i(복족류), 낙동충 124 Vivip a rus s p . (복족류), 묘곡충, 열하동 122 Voluto mitra cf. alaskana Dall . (복족류), 서귀포충 144 Vulvuline ria s p . (저서성 유공충), 신양리층 189
Xenos t캥i um (?) latic a udum Koba y ash i(상영 충), 막동석 회 암 33 Xenoste gium (?) ori.en ta li s Endo( 삼영충). 막동석회 암 38 Xenoste gium (?) pa rado ugla sensis Kobay as hi ( 상영 충 ) , 악동석 회 암 33, 38 Xenoste gium (?) subeuclide s Koba y ash i(상영 층), 막동석회 암 33 xeno 자/on /'atip orosum(Cramer) (송백류), 낙동아층군 1:2 8 Xeno 자 /on la tip orsum(Cramer) (구과목( ? )), 유겅충 1:2 1 Xenoxy lo n ph yl /oc ladio ides Go t han( 송백류), 유경충 1:2 1
생물명 색인
〈더 〉 가레 나무 150, 152-4, 156-7, 159, I 요, l75, I77-9, I8I 가 오 리 I49 갈 매 나무 152-3, 155 간조유 ;g ;몫類 21 감나무 151, 160 강 당나 무 I53-4, I77, I79, 18I, I83 갑 각유 甲 穀 'J 미 17, 28, 32, 35-6, 43, II2, 123-4, I36 강장 동물 脫 腸動物 16-7, 136 개 암 나우 I77, I8I 개 형 충 介形虫 14, 16-8, 35, 39, 57, 70 고래 ’ 터 화 석 I46, I48 고바 I78, I82 고사리 I50, 178, I80, I82, I84 곤충 류 I37 준 편 화 석 骨片化石 I4, I7 공용 I4, I7, I25-6 관목 감 f 木 l75 교 목 喬 木 175, 178 ' 구과류 述果類 • 구과목 I7-8, 83, l16-7, 121, 128-30, 155, 160-1 굳 축 유 堀足類 17, 136- 7 , 144 규 조 珪 蓋 189 규조류 珪 深 類 14, 18, 163, 170-1, 182-6, 192-3, 195 규화목珪化木 94 극피동물 統皮動物 16-7, 28, 34, 49, 84, 136-7 기제류 奇節類 18, 147 꼬리 고사리 178, 180, 182 〈노〉 나자식 물 採子植物 18, 90-1, 94, 149- 52, 154-5, 157, 159, 161-2, 175 낙연성침엽수 I80
낙영 성 환 영 교목 175-6, 180 낙우송 150-1, 153-5, 158-9, 161-2, 177, 178-9, 181 남조류 監深 類 I6, 55 너 도밤나무과 18, 149-54, 156-62, 177-9, I8I 노박덩 굴 I54, I58 녹나무 152, 160, 183 느릅-나무 150, 152-3, 156-7, 159-60, 162, 175, 177, 179, 181 닌쏘니알레스 I7, I27
물푸레 나무 I5I-2, I60, I77, I79, I8I <1::1> 바 눈꽃 과 183 박쥐 나무 151-2, 154, 156, 158-9, 163 박대리아 I9 밤나무 178 방동산이 과 178, 180, 182 방산층放 散 蟲 163 방추충 訪 廷蟲 12-3, 16, 81, 83, 95-103, 105, 108, 112, 189 버 드나무 150, 154, 156-7, 159, 161-2, 177, 179, 185 버즘나무 152, 154, 156, 158, 160 벌레류 I9 법위귀 150 베 네 티 데 일즈 Benneti tal es 17, u5, I I7, I27 복족류 腹 足 類 12, 16-7, 28, 30, 32-4, 36, 38-40, 42, 46-7, 49-55, 83-5, 122- 4, 136- 7 , 139, 141-6 부족류 芹足類 12, 16-7, 28, 33-5, 39- 40,47,84-5, II2, 122-4, 136-8, 141-3, 145-6, 186 뽕나무 I54, I77, x8I 〈人〉 산차과 I83 산호류 瑠 湖類 16-7, 78, 80-1, 83-5, 136-7 상영 충 三葉虫 12, 16, 28-33, 35-6, 38- 46,48-50,53-55,61,87 생 이 가태 150, 157 석 송류 石松類 17, 86, 92, 94-5, 178, 180,182 석 회 조류 石灰 溪 類 16, 55 선 영 류 揆葉類 17, 90, 94-6 성 계 류 海旭 136, 144, 186
소귀 나무 15 4, 161-2 소나무 150-1, 153-6, 157, 159, 176, 179, 181, 183-4 소철류 惡鐵類 • 소철목 17, 92, 94, II5, II7, 129-30 속새류 17, 86, 89, 94, 96, II3, II7, 127, 159, 178 송백 류 松 柏類 93 , 96, 127 송영 란 松葉面 17, 92 , 94- 6 수 간 화 석 樹幹 化 石 II3, I2I 수 련과 I57, I8I-2 수생식 문 水生植物 17 5 식육류 食 肉類 18, 146-8 실 고사리 IS4 쌍 자 영 식 문 129- 3 0. 149-50, 152, 160 쌍편 모 충류 Dino f lag e ll a t a 14, 18, 163, 17 4 - 5
188-9, 192, 194, 196 유사양치류 115 유사은행 목 115, 177 유전류有節類 91-3 육상식 물 陸上植物 55, 83, 85-6, 91, 135 윤 조 류 論深 類 • Charop h y ta 14, 17 은 행 유 銀 杏 類 • 은행 목 17, 91, 115-7, 127, 155, 177, 179, 181 인동 151, 155 〈大〉 자작나무과 18, 149-50, 152-62, 179, 181, 183 장미 150, 159-60 장비 유 長鼻類 18, 147 척 조류 赤 深類 21 전나무 177, 179, 181 철족동물 節足 動 物 16-7, 28, 39, 83-4, 112, 124, 136 조 곡- 나무 152-3, 156, 160, 179, 1S1 조류화석 深類 化石 16, 19, 21 족적 화석 足跡化石 14, 17, 125-6 종자양치 류 種子羊齒類 87, 91-3, u4, II7 주목나무 181, 183 진군목 虹骨目 147 진달래 151-2, 154, 156, 160 <*> 참고사리 150, 178, 180, 182 참나무 153 척 추동물 音椎動物 l6-8, Il3, I25, I46, 148 천남성과天南星科 177 초본성 식 물 草本性植物 I75-6. I78, I80 초식 류 草食類 148 충층나무 I51, I53, I55 치편화석 齒片化石 I46
찬엽 수 I5I, I59-60 칭 영 수 175-6, 178, 180 〈더〉 코끼리이빨화석 I46 코노돈트 13, 16-7, 22-3, 28, 57, 60 -3, 65-70,77,79,83,95, 105-7,u3 코다이 데 일즈 17, 83, 89, 91, 93 거 코뿔소 I46 콩 I50, I52, I58, I60
지층명 색인
〈 기 〉 갈평동각력암冀坪洞角 深岩 136 감포역 암 甘浦深岩 140-1, 152-3, 175, 180, 181 網 山組 (Kushan i an Sta g e ) 37, 45 강진산층江 津 山層 5I 건천리 층乾川里層 I30-I 경 상충군慶尙層群 I2-4, I7, III, I2I- 3, I25-6, I29 권 I 고방산층 高坊 山層 85-6, 91-3 고한충古汗屈 94 광정충廣井 層 52 구계동충 龜溪 洞層 I25 구노리 층九老里 層 II3 구량리층九郞里層 46-7 Redil icli i a n obil is 帶 47 구현몽句峴統 19-20, 78 금광동셰 일金光洞셰 일 I36, I40, I49, I76 금오리조면암질웅회압金吾里租面岩 質 誤灰岩 I36 금오리 층金吾里層 I36 금천층뽐川層 I3, IOI-3 Neosta f fella sp ha eroid ea cuboid es 亞帶 IOI Fusulnie l la cy li n dria domadedori 亞帶 IOI Fsuli nel la soni 亞帶 IOI
Bomzia 1.\'1 50 남장충南壯府 52 녹암충綠 岩府 85, 94 Ni sh ik u rosawa 중 171 〈드〉 닫길 충述吉府 129 탈전교호멤 버 達田交 互멤 버 140 대곡 중大谷府 163 대 구 충大邱府 126, 130-1 대 기 충大基/서 37, 57, 68 대 동 충군大 同 府群 12-4, 16-7, 46, 81, III-3, I17, II9 군 3 대 석 회 암 동 大石灰岩 統 26, 46, 121 데본계 16 도곡동 충困谷洞府 142 도사곡충 道士谷 TH 94 도담리 충都毛里JG- 46-7 동접 규암 鋼 店珪岩 32, 37, 45, 57, 61 두무곧셰 일斗務洞세 일 32, 38, 45, 57, 61 Asap lze l/ 11s 帶 32, 38 Proto p /iom erop s 帶 32, 38 豆房統 Toufa n g ian 39-41 두호충斗 湖層 138, 140, 170. 174-5, 고 3, I85 두위봉석회암斗園 峰 石灰岩 35,40, 45, 47, 59, 62, 66, 68, 74, 76 <2 > Luis i a n Sta g e 171
Koote n ia - Ni su cia 1.',, 1 47 마전포 충麻田iili Wr 50-r 마차리 충 J 7:班 里府 4r, 44-5, 47, 63, 65 0/enoid es 帶 30, 41, 44 Tonkin ella 帶 42, 44 Eochuang ia 帶 42, 44 Komasp is-K op tur a-lway a sp is 帶 42,44 Olemes-G /yp tag n ostu s 帶 45 마천링 거 ] /%天嶺系 I5, I9, 20 Ma p an 組 막군 석 회 암莫 洞 石灰岩 33, 38, 58, 61-2 Clarke/l a t .’썹 33, 38, 62 Manchuroceras I 겹갑(l 33, 62 Polyi de smi a f{J準 33, 62 Sig m orth oceras 府準 33, 62 만달산 층晩達 山/cr 52, 69-70 만달 충군晩達層群 48 만덕 산층萬德山屈 I29 俊頭統 (Man t oan Serie s ) 36, 47 만항충晩項 IN 84, 100, 102-3 만호동충冀戶洞層 144-5 명 천충군明川層群 I44, I47 묘곡충卯谷府 I4, I7, II.I, .I2 I-3 묘봉순례 이 트描峯슬레 이 트 29, 36, 57, 68 Elrath i a 帶 29, 36 RedUchia 帶 29, 36 Mapa n ia 帶 29, 36 Bai/ ilia 帶 29, 37 Meg a g r auto s 帶 29, 37 Solenop ar ia 帶 29, 37 0/enoid es 帶 29, 37, 44 Mohaukia n Sta g e 17.I 문곡충(삼태산층)文谷層(三台山層) 43,45,63,65-6 Yoshim urap si s 帶 43, 45
문산리 충文山里 IN 4s, 50 미 탄충 美海府 95, JO O <1: :l> 방치 충栗特Jcr 95, 97-9 Pse11doschwag e rin a-Pseudof us ulin a 꿈 99 방산리전주앙 I36 백 악계 白惡系 I7, I22-3 백 운사충白雲寺府 II9 법 곡리 충군凡谷里層詳 136 보문지호충멤버普門池互居멤버 I39 腹 1 서統 (Fuchoan Serie s ) 36-7, 47 本溪統 (Penhsi Serie s ) 103 봉산동回山統 I47 북곡호충北谷互府 I25 북평충北坪層 I83-4 Black Riv e r 組 39, 41 B. lauto n oia i 帶 4I 〈人〉 사당우롱祠堂隅統 20 사등충寺洞層 13, 84, 86, 90-x, 97-8, 100, 102, II I-2, l14 Schwag e rin a 帶 97 Pseudoschwag e rin a 97-8 산수동충山水洞層 I36 삼방산층三方山Wf 41, 44, 63 상부합단충上部含炭層 136 상부현무압질웅최압上部玄武岩質疑灰 岩 136, 140 상원계 祥原系 15, 19-20, 26, 78, 145 서 귀 포충西歸浦層 143, 186 서 암역 암西庵深岩 I39 석 교리 층石橋里層 46-7 석탄계石炭系 98 선연충揮硏層 III-3, II7
선유동 충 仙 遊洞府 I29 세 송 술 레 이 트 { 챕松 슬레 이 트 30, 37, 57, 60 St ep l z a11ocare 帶 30, 37 Drepa nura 帶 30, 37 Seldovia n St ag e 178 송내동멤 버 I30-I 송림 산층松林山府 I2I 송림층松林層 5I 송전충松田府 I40-I 송학동충松 節 洞府 I40, I43 Ste p h an 層 44 St on e Ri ve l tfl 39 시 금리 층詩今里層 I29 신라아층군新 羅 亞層群 I22-5, m8, I3° 신라충군新羅層群 I29 신양리 층新陽里層 I35 신의 주충군新 義 州尼群 I23 신현리 층新峴里層 I42-3 실루리 아계 系 I6, 5I, 77, 8I
I68 T11rhorota / ia scit 11/ a sc it11 /a Zonule 168 Denti cu lata lauta Zone 171 Sy n edra jo usea n a-R ouxia sp. A Subzone 171 Coscin odis c us /ew i si a m 1s Subzone 171 Dent icu lop s huste d t ii-D , lauta Zone 17I D. Jzu ste d ti ii-D , la11t a B• Subzone I D. lzuste d ti ii-D , lauta A• Subzone I7l 연천계 羅 川 系 78 연천 충 군 速 川 府群 148 연하층군 熱河層群( J e hole ) 113, 123 영 동충榮洞府 I42 , I85 영 해 역 암 寧海礎岩 142 영 흥층永興/ff 44, 45, 63-4, 66, 68, 74-6 Onnag a wa 충 171 오룡산층 I30 오오도비 스계 22, 28, 37-40, 44- 6, 50- 6,61,65-70,71,74,76- 8 오촌충吳村思 12I 옥천층군沃川府群 15, 22-4 와곡충(홍월리 충)瓦谷府(興月 里府) 43,45,63,65 와끼 노총 (Wak i no Formati on ) 125 와읍리안산암질웅회암臥邑里安山岩質 擬灰岩 I36 요봉충要峯層 95-7 Eosta f fella -Pseudosta f fella 帶 97 Profu s ul inel la 帶 97 용동충 龍 洞 1H 144, 158-61 우왕리층牛黃里層 l3l 운학층 袁鶴層 40, 52
운해천 충 군 四海 )ll fN群 I23 月 吉府 (T s uk iy osh i Fm) 188 Yt ian chti 통- 143 유 겅 충柳京/Fi III, II3, II9 유선충 遊 仙 f1 I55 Yunag a y a 충군 I40 윤 대리 조면양질웅회암訥 台 里祖面岩質 衍f灰岩 I36, I70, 7I6 윤대 리 화 산암 유訥台里 火山 岩類 140 윤동 리 여 암 I36 의 주몽役)사統 II9 의 창충군 義 昌府t F I37, 139 이 동충梨洞府 140, 165, 170, 185 Irdin manha 충 147 인 흥리 층 仁典里府 120 일칙충一 直~ 125 임 촌충林村 TN 49-50, 56-1 〈大 〉 장기 역 암 長磐礎岩 136, 139, 176 장기 충군 ·長 썸府群 I36, I49-5I, I6I, 170, 175-6 장산규암莊山珪 岩 29, 36, 57, 60 장성 충長省府 93 장과리 층長坡里府 I20 장풍리 층 I61 적 암아충군赤岩亞 府群 I25 전동중典 洞府 I40-I 전촌충田村府 I40-I 정 리 충lt l t里府 46-7 정선석회암 施善石灰岩 48,67-8 제 3 기 충第 3 期層 I3, I5, mo, 140, I42, I44, I46, I49, I52-3, I55, I59, 161, 163, 168, 170-1, 175. 182-5, 189 제 3 기되져충 17 제 3 간빙 기 충第 3 「u 1 氷期層 148 제 4 빙 기 충第 4 氷期層 148
조선누충군朝鮮累層群 I2-3, 16, 27-8, 46-8, 51, 55-6, 67, 69 국 I, 75, 77 Joa chim 충 76 중간충中間層 95, 97 중등 충 中 洞層 II2 중부현무암질응-회 암中部玄武岩質擬灰 岩 136 중화충中和層 49-50, 55 쥬라계 17, 112, 122 증산층甄山層 I55 직 운산셰 일 織雲 山셰 일 34, 39, 45, 59, 62, 66, 70, 74, 78 직 현동 直峴統 20 〈大 ) 창리층쇼 里層 22-3 창암전주앙 I36 채가동彩 家統 94 천곡사층泉谷寺層 138-9 천복역 암川北線岩 136, 139, I7I 천성리통天聖里統 8I 청 성 진술레 이 트淸城鎭슬레 이 트 Il9 妙米店統 (Chaum it an Serie s ) 37 초산석 회 암충군楚山石灰岩層群 54 〈디 〉 Caradoci an 41 Karabon 충 II 3 캄브리 아계 16, 28, 37, 44-7. 50, 53 국, 60-1,65-7,73 Cope n hag e n 충 76 Kuan-chuang 동 I47
동천충通川府 I62 트라이 아스계 I I I-2 Tranto n 組 39, 4I 〈고〉 판교충板樣府 95, 97-9 Beedein a 帶 99 Neosta f fella -Fusulin a 帶 99 평 안충군平安 層群 12- 3 , 16-7, 77, So, 83-6,94-5, 103, 105, 110-3 평육동충坪六洞 府 144-5 포남리층浦南里 府 130 포항충浦項層 I40, I66, I70, 고 3, 185 Prair ie du Chie n 충層 69 〈굴〉 하내 리 층下乃里層 46-7 하부합단충下部含炭 層 I36 하부현무암질웅희암下部玄武 岩質疑灰 岩 I36 학림 충鶴林層 I40, I70 학전충鶴田層 137, 140 한봉산층 “° 합백산층咸白山層 94
합전동충咸鎭洞層 144-5, 158-9, 189, I 헛 해남충군海南層群 I행대충行返 J U 67-9 행영충行 접屈 I55 향산리 문로 마이 트충 쟌 UI ill. 문로 마이 트 )N 24 홍정 충紅店府 I3, 81, 85-6, 95-6, IOO, 102-3, 105-7, 109-14 Eost a f el l a s:,bso /,zn a 帶 100 Be ed ei1 1 a may i, s,' ; 亞帶 100 Pse11dosta f fell a ki n ti 亞 ' ;\ ' ;' 100 Jd i og 1 Ja th o id c s ;겁 I o6 Idio g n atl ,oi d c s sin u atu s 亞帶 106 Jd i og ;za tl z oi d c s sulcatu s 亞帶 Io6 Jd i og n a t ho dus fil 100 Jd i og 1 1at lzo d11s sim 1osis 亞帶 106 Jd i og 1 Ja !h o d:,s de li c a tu s 亞 帶 Io6 화봉리 층華烽里屈 I42, I49 화철충花析 1 합 30, 37, 57, 60, 74 Proclmang ia 帶 30 Clzua11g ia 帶 30 Kaolis l zania 帶 30 Di ct y ites 帶 3 1 Eoortlz i s 帶 32 환산층丸山)N 51-2 회 동리 충槍洞里)a 67, 69, 79, 12 9 회 령 동會쌓統 155, 157- 8 효동리 파산 암 류孝洞里火山岩 類 140 홍해충興海層 138
이하영 서 운 대 학교 문리대 지 질 학과 및 同대학 원 졸 업 서 독 Bonn 대 학교 지 질 · 고 생 물학 과 졸 업 (이 학 박사) 서 독 Bonn 대학교 객원 연구 원 미국 오하이오 주 립대 학 교 지질광 물 학과 교 환 과학자 현재 연 세 대학교 교 수, 한국 고생물학회 부 회 장 저서 『현대지구과 학 』 Ii' 한국의 지질과 광물자원 』 의 다수 논문 .Conodonte n aus der Choson-gr u p pe (Unte r es ordoviz i u m ) von Korea• 의 다수 I. I' ., I•• , 합국의 古生物 대 우·학술총서 자연과학 44 찍은날 1987 년 7 월 1 일 펴 낸 날 I987 년 7 월 15 일 지은이 이하영 펴낸이 朴孟浩 펴낸곳 民音社 출 판등록 1966. 5. 19 계 I-X42 호 우편대체계좌번호 OIOO4l-3I-523282 IIO 서 울 종로구 관철동 44-x 734-2000, 735-8524 (영 업부) 734-4234, 734-6uo (편집부) * 파본은 바꾸어 드립니다. 값 9,000 원
대우학술총서 • 자연과학 l 소립자와 게이지상호작용 錢麟 著 / 값 3, 600 원 2 動力學特論 휴전 U 값 5,400 원 3 질소고정 宋承遠 著 / 값 2, 8 00 원 4 相轉移와 臨界現象 김두철 著 /Y. 2, 800 원 5 觸媒作用 陳宗植 著 / 값 2, 800 원 6 뫼스바우어分光學 王恒南 著 / 값 2, 8 00 원 7 극미량원소의 영양 昇正子著 / 값 6,500 원 8 水素化親素와 有機洞素化合物 尹能民 좋m. s , ooo 원 9 抗生物質의 全合成 姜錫久 著 / 값 9, 0 00 원 10 국소적 형태의 A t i y ah - S i ng er 지표이론 지동표著m. 2 , 800 원 11 Muco p ol y sacchar i des 의 生化學및生物理學 박쫑著 /V. 3,800 원 12 ASTROPHYSICS( 天體物理學) 洪森釋 / 값 4 , 700 원 13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金田旺著 / 값 3 , 600 원 14 천연물화학연구법 禹源植著 / 값 ),000 원 15 脂訪營 養 金淑喜 著 / 값 6, 300 원 16 結晶化유리 金炳름 著 / 값 4, 5 00 원 17 高分子의 化學反 應 趙義煥 쭙 RJ. 4,000 원 18 과학혁명 金永植著/Y. 4,200 원 19 韓國地質論 章基弘 著RJ. 4, 000 원 20 정보이론 혼병열 著 / 값 4, 500 원 21 原子核反應論 鄭雲赫著 / 값 8,500 원 22 破 壤 力學 金相哲 著/Y. 4, 700 원 23 분자궤도이론 이익춘 著 / 값 3, 300 원 24- 반응속도론- 정경훈졸 /값 4 ~ 000 원 25 미분위상수학 李鉉求 훌/7,}, 2, 500 원 26 자기공명방법 좌j호꼴/7,}, 4,800 원 27 플라스마물리학과 핵 융합 최덕인警/'1 4 , 800 원 28 천문관측과 분석 李時雨 꼴/'1 4 ,8 00 원 29 석탄에너지 변환기술 金相敦著 / 값 6 , 500 원 30 海洋微古生物 學 白光浩著/7,}, 6 ,400 원 31 편미분방정식론 김~t/'1 4,000 원 32 大統-理 論쇠땅십警/ 값 5,000 원 33 金 屬電 子系의 多 體 理 論 金德洲 홀 / 값 6 ,600 원 34 액정중합체 陳政- 졸/'1 6 , 2 00 원 35 복합재료 權肅仁 著 / 값 5 , 200 원 % 단백질 생합성 朴仁源 홀 / 값 9, 000 원 37 한국의 鑛物種 金洙鎭 훌/'1 7 , 000 원 38 일반상대론 李哲殿꼴 ~5.000 원 39 레이저광산란분광학 金町員著/'1 5,000 원 40 복소다양체론 金相文 蒼m. 1, 000 원 41 역학적 연구방법 金駐舜골 / 값 4,200 원 42 핵구조물리학 민탉 십 훌 / 값 5, 3 00 원 43 후 리에해석과 의미분 작용소 김도한 훌 / 값 5, 8 00 원 44 한국의 古生物 李河榮 훌 / @간〉 45 질량분석학 김명수홀 / 값 6 , 8 00 원 46 급변론 백,현 졸 I 값 5, 0 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