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l 봉회 서울대학교 문리과 대학 정치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미국 테네시 대학교 정치학과 (Ph.D.) 공주교육대학교 교수 현재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저서 『 혁신정치세력의 국제적 비교와 한국 』 (공저) 외 다수의 논문이 있음

보수주의

보수주의

미국의 신보수주의를 중심으로 이봉희 지음 미L으a^ t

머리말 필자가 본 연구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했던 자료들이 미국에 서 공부할 때 틈틈이 모아 놓은 것으로는 부족하였기 때문에, 그동 안 두 차례에 걸쳐 학교의 일로 미국으로 출장갔을 때 남은 시간을 이용하여 그곳 대학 도서관에서 문헌자료를 수집하기도 하였다 . 그 러나 시간 관계상 어려움이 많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애당초 필자 는 보수주의 사상을 포괄적 으로 다루려는 욕심을 가지 고 보수주의 일반론에 접근해 보려고 본 연구를 오래 전에 시작하였으나, 문헌 자료의 빈곤과 능력의 한계 때문에 우선 미국의 현대 보수주의 사 상에 국한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필자가 이렇게 본 연구의 범위를 미국 보수주의 사상으로 국한하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를 시 도한 것은 본 연구가 보수주의 일반론에 접근해 가는 데에 도화선 이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서였다. 따라서, 비록 홉족하진 못하나 본 연구를 토대로 필자는 언젠가 동서양의 보수주의 사상을 폭넓게 정리할 수 있는 기회가 오게 되리라고 자위해 본다 . 1950 년대부터 형성되어 온 미국의 신보수주의, 1960 년대의 급진 적 보수주의 및 1970 년대의 〈네오〉보수주의를 검토하기에 앞서 필 자는 그동안 정치사상을 공부하면서 보수주의 정치이론을 무조건 경계해 왔던 한국 정치학계의 학문적인 풍토에 대해 솔직히 평소 껄끄럽게 생각해 왔던 점을 밝혀 두고 싶다. 어떻게 생각하면 일 부의 정치학자들-특히 과학적 방법론을 사용하는 정치학자들 ―이 결과적으로 알게 모르게 보수주의적인 정치질서를 합리화

시키고 있으면서도 일반적으로 진보주의적인 분위기에 밀려 어쩔 수 없이 보수주의 정치이론의 정립을 의도적으로 외면해 왔던 점 은 대단히 불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면에서 필자는 보수 주의와 진보주의의 대결 구도에 있어서 어느 한쪽만의 절대적 가 치를 수용할 수 없다고 생각하면서, 한국 학계에서 진보주의 이론 에 비해 보수주의 이론이 거의 미홉했거나 또는 전무했던 점을 아 울러 지적해 두고 싶다. 필자는 과거 미국에서 1960 년대 좌파 급진주의 운동에 대해 사 상적 고찰을 위한 학위 논문을 준비하기 위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동안 우리 나라에 비해 로크 Locke 주의적 자유주의의 정치적 문화 권 내에서도 미국인들의 지식계층에 자기선언적인 보수주의 이론 가들이 건국 초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의외로 많이 활동하고 있었음울 확인하였다 . 특히, 해방 이후 지식인들이라면 모두가 진 보주의자로 자처하고 있는 등 진보주의 일색으로 점철되어 왔던 우 리 나라의 학문적인 풍토에 비하면, 필자의 눈에 비친 미국의 사상 계는 그야말로 다원적인 지식인들로 변증법적인 구도를 형성해 왔 던 것이다. 더구나 철학 분야에서뿐만 아니라 사회과학의 분야에 있어 서 까지 도 소위 〈네 오〉보수주의 Neo-Conserva ti sm 의 조류가 1970 년대에 형성되어 미국의 뉴딜식 자유주의의 취약성과 한계에 대응해서 보수주의적 정책 대안을 제시했던 점은 우리 나라의 학계 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보수주의적인 사회과학자들이 보여 준 학자적 용기-미국에서는 용기라고까지 표현할 수 없지만­ 의 결과였다고 본다. 우리 나라의 학문적인 풍토에서 만약 〈네오〉 보수주의자들이 출현했다고 가정한다면, 앞뒤도 가리지 않고 이들 은 어쩔 수 없이 어용학자들로 혹독한 비판을 받았을 것이다. 서구의 학문적인 풍토에서는 보수주의 사상이 진보주의 사상과 병행하여 이론적으로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우

리 나라의 학계에서는 보수주의 사상에 대한 시각이 편집병적으로 왜곡되어 있기 때문에 보수적인 사람들이나 정치인들은 많아도 보 수주의 이론가는 전무한 실태였다고 본다. 부언해서 우리 나라에 는 자기선언적인 보수주의 이론가도 없었거니와 보수주의 이론이 단편적인 수준에서나마도 정립되어 있지 않았던 점은 따져 보면 대단히 불행한 일이었다. 더구나 해방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우 리 나라의 지식인들은 보수주의에 대한 긍정적인 성향을 의도적으 로 폄하해 왔고, 무조건적으로 또는 체질적으로 적대시하는 경향 이 무성했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날 우리 나라에서 보수정치는 무정형적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이론적 체계를 결여한 채로 방향 감각을 상실하고 갈팡질팡하고 있는 실정이다 . 한편, 우리 나라에 서 개혁정책이 출현할 때마다 이에 대한 비판은 수구세력의 이익 울 대변하기 위한 단순한 반동으로만 치부되었는가 하면, 개혁정 책이 건전한 보수주의 이론에 · 의한 충분한 여과장치를 거치지 않 고 일방적으로 또는 집권자들의 물리적 힘에 의해서 수행되어 왔 기 때문에 개혁정책의 결과도 사실온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고 본 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앞으로 우리 나라에서 진보주의가 건전하 게 발전하기 위해서라도 건전한 보수주의 이론이 정립되어야 한다 고 확신한다 . 따라서, 학계에서는 보수주의 사상에 대한 편견을 과감하게 버리고 신사고적인 보수주의 이론을 객관적으로 정립해 서 현실 정치에 제시해야만 한국의 정치이론은 물론 한국 정치의 발전을 유도해 나갈 수 있다고 필자는 단언하면서 이에 대한 우리 나라 학계의 사심 없는 관심을 제언하는 바이다. 정치와 사회의 발전은 보수주의자들에게만 맡겨도 안 되고 진보 주의자들에게만 의존해서도 안 된다. 그것은 고속도로를 질주하고 있는 자동차의 행방에 비유할 수 있다. 자동차의 브레이크는 보수 주의 기능을, 액셀러레이터는 진보주의 기능을 각각 수행하고 있

는바, 브레이크가 고장난 자동차는 얼마 안 가서 낭떠러지로 떨어 질 것이고, 액셀러레이터가 고장난 자동차는 아예 고속도로에 진 입도 하지 못한 채 차고에 들어가고 말 것이다. 그리고 핸들을 쥐 고 있는 운전자가 속도를 조절하고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 는 것과 마찬가지로 정치·사회의 정책결정자들은 사회 발전의 방 향 감각을 상실하지 않고 속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 이, 역사와 사회의 발전은 앞에서 끌고 가는 진보세력과 뒤에서 끌어당기는 보수세력과의 긴장관계에서 점진적으로 진행되어 가는 것이다. 따라서, 한쪽만의 세력이 존재하는 사회는 현실적으로 발 전을 기대할 수 없다. 설사 한쪽만의 세력에 의존하고 있는 사회 가 있더라도 그 체제는 결국 침체되거나 아니면 파멸하게 될 것이 댜 실제로 나치 정권과 공산국가들의 파멸은 이러한 이론적 근거 를 입증해 주고 있다. 다시 말해서 진보주의만이 사회 발전을 유 도해 가는 것은 아니며, 보수주의와 진보주의가 변증법적 구조의 긴장관계를 이룰 때 사회 발전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새삼 강조하 는바이다. 보수주의를 한마디로 정의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더구나 보수주의의 성격이 시간과 장소에 따라 수없이 변천하여 왔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특히 1950 년대 이후 미국에 나타난 신보수주 의 New Conserva ti sm 와 버 크 당대 의 보수주의 롤 하나의 범 주 속에 몰아넣고 보수주의롤 운위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 하겠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우리는 버크 당대에서부터 미국의 신보수주의에 이 르기까지 시공간에 관계없이 보수주의의 바탕에 깔려 있는 공통적 인 속성에 대하여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필자 는 제 1 장과 제 2 장에서 보수주의의 개념적 범주와, 역사적으로 서 구 사회에서 정체화되어 온 보수주의의 개념적 속성을 정리하기로 하겠다. 여기에서 의미하는 보수주의의 개념적 속성은 제 1 장에서

정의된 보수주의의 보편적 개념의 형이상학적 실체라고 볼 수 있으 나, 시공간에 따라 그들의 중요성온 서로 다르게 부각될 수 있다. 서구의 보수주의 사상이 대서양을 건너 미국에 들어오지 않았다 하더라도 미국의 보수주의 사상은 독자적으로 발전해 왔을 것이 다. 그러나 서구의 보수주의 사상이 건국 초기부터 미국의 보수주 의 사상에 많은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다. 특히, 몽테스키의와 버 크의 사상은 미국의 보수주의 이론을 정착시키는 데 중요한 영향 울 미쳤다고 본다 . 더구나 버크의 사상은 1950 년대를 전후해서 미 국에서 싹트기 시작한 신보수주의에 이르기까지 미국의 현대 보수 주의의 골격을 유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1960 년대의 급진적 보 수주의와 1970 년대의 〈네오〉보수주의에서 보듯이 미국의 보수주의 가 현대적 변형으로 방향 전환을 시도함에 있어서도 그 중핵을 견 지하면서 신보수주의의 방향에서 완전히 일탈하지 않고 있다. 이 러한 입장에서 필자는 제 3 장에서 몽테스키의와 버크의 사상을 요 약해서 정리하고, 제 4 장에서는 미국의 버크 사상의 계승자들과 신 보수주의의 선구자들을 검토하기로 하겠다 . 미국의 신보수주의는 1980 년대의 레이건 Rea g an 현상에서 그 절 정을 이루고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레이건 Rea gan 현상은 신보 수주의 사상이 1960 대의 급진적 보수주의와 1970 년대의 〈네오〉보 수주의를 거쳐 현실 정치에 가시화된 이념적 실체로서, 뉴딜식 자 유주의에 맞서고 있는 현대 보수주의의 효시적 결정체라고 볼 수 있다. 레이건 Rea g an 현상의 배후에 신보수주의 이론가들이 많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러셀 커크 Russell Kir k 와 피터 비레크 Pe t er V i ereck 는 신보수주의의 대변가들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에 제 5 장에 서는 주로 이들 두 이론가들의 사상을 중심으로 신보수주의의 면 모를 검토하기로 하겠다. 그리고 제 6 장에서는 신보수주의의 이론 적인 논쟁점과 방법론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정리해 보기

로하겠다. 1970 년대에 들어서면 우리는 사회과학의 문헌들 가운데 신보수 주의 의 용어 와 유사한 〈네 오〉보수주의 Neo-Conserva ti sm 라는 용어 를 발견하게 된다. 제 7 장에서 자세히 언급하겠지만, 신보수주의가 철학적, 문화적 보수주의의 내용을 담고 있는 개념인 것에 비해 서, 〈네오〉보수주의는 사회과학적인 접근 방법에 의해서 뉴딜식 자유주의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보수주의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하 는 데 공헌하였다. 이로 미루어 본다면 〈네오〉보수주의는 신보수 주의의 사회과학적인 변형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네오〉보 수주의는 신보수주의와의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레이건 Rea g an 현상을 창출시키는 데 일익을 담당하였다고 평가된다. 한편, 신보수주의가 정치권력 창출의 현실적인 가시화를 위해서 무엇보다 이를 지지하는 사회계층의 기반을 필요로 했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미국의 현대 정치사에서 신보수주의의 철학 적 이념을 정치무대에 등장시키는 데 공헌한 사회집단들은 주로 1960 년대에 활성화된 급진적 보수주의와 연계되어 있는 것이 특징 이다. 급진적 보수주의가 내면적으로 오랫동안 미국민의 심층구조 에 잠재되어 있던 전통적 가치관과 인종주의를 부분적으로 표출하 고 있던 것은 사실이나, 이들 사회집단들이 사실상 신보수주의를 정치 무대에 등장시킨 레이건 Rea g an 현상의 기층세력이었다. 따라 서, 필자는 마지막 제 8 장에서 1980 년대에 레이건 Rea g an 정권을 창 출한 급진적 보수주의의 사회계층적 세력 기반을 분석하고 이들 보수주의자들의 역사주의를 해명함으로써 미국의 현대 보수주의 사상에 대한 연구를 일단락 짓고자 한다. 본 연구는 어디까지나 1960 년대의 급진적 보수주의와 1970 년대의 〈네오〉보수주의를 1950 년대의 신보수주의의 변형으로 간주하고, 주로 신보수주의의 역사 적 계보 분석과 이론적 고찰 및 방법론상의 문제점에 역점을 두고

있다. 필자의 본 연구서가 나오게 되기까지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 지만, 우선 연구 결과를 독촉하지 않고 오랫동안 기다려 준 대우 재단에 감사를 표하고 싶다. 또한, 연구의 지지부진한 진행 과정 에서도 항상 독려를 아끼지 않았던 동료 교수들, 특히 우리말의 표현과 철자법이 어색한 원고를 교정하느라고 수고한 이영화 양과 출판을 위해 애써 주신 민음사 편집부의 임인기 씨에게도 심심한 사의를 표한다. 그리고 필요한 문헌자료의 수집에 애로가 있을 때 마다 멀리 미국에서 애써 자료를 수집해 보내 준 딸 소연과 아들 영도, 늘 연구에 쫓기다 보니 집안 일에 소홀할 때가 많았는데도 불평 없이 격려해 주었던 집사람, 그리고 이 자리에서 일일이 열 거하지 않더라도 뒤에서 정신적으로 위로를 해주었던 몇몇 분들에 게 고마운 마음 금할 길 없다. 마지막으로, 금년의 무더운 여름 기간 동안 본 연구의 끝마무리 작업을 어떻게 하나 걱정하고 있었 는데, 마침 시원한 연구실을 마련해 준 학교 당국의 배려에 감사 한 마음을 표하고 싶다. 1995 년 8 월 18 일 대덕벌 한국과학기술원 연구실에서 코스모스를 기다리며

차례

머리말 1

제 1장 보수주의의 개념과 범주 ----15

제 2장 서양의 보수주의 ----33

서론 ----33

유럽의 보수주의 ----34

미국의 보수주의 ----48

보수주의의 개념적 속성 ----61

결론 ----68

제 3장 미국 보수주의의 유럽적 기원 ----73

서론 ----73

몽테스키외 ----74

에드먼드 버크 ----81

종교와 도덕 ----83

사회와 국가 ----84

자유와 재산 ----88

인간 성격과 합리성 ----94

국민대표와 정당 ----99

결론 ----112

제 4장 미국 신보수주의의 선구자들 ----121

서론 ----121

제임스 매디슨 ----123

우드로우 윌슨 ----130

월터 리프만 ----138

신인본주의와 남부 농본주의 ----151

결론 ----173

제 5장 신보수주의의 이론적 고찰 ----181

서론 ----181

러셀 커크 ----184

피터 비레크 ----218

신보수주의의 방향 ----233

제 6장 신보수주의의 문제점 ----249

서론 ----249

신보수주의의 역사적 성격과 논쟁점 및 방법론 ----250

평가 및 결론 ----289

제 7장 신보수주의 변형 ----301

제 8장 미국 보수정치의 사회계층적 기반 ----325

서론 ----325

1960년대의 정치 현상 ----328

반동적 부호 집단 ----332

지역사회의 엘리트 집단 ----335

서부의 신홍 부호 집단 ----336

남부의 농민세력 ----338

잠재적인 우익집단 ----339

복음주의적 개신교 집단 ----340

가톨릭 우익집단 ----342

가톨릭 고립주의 집단 ----344

개신교 고립주의 집단 ----345

군부 집단 ----346

급진적 보수주의와 공화당의 전통적인 보수주의 ----349

급진적 보수주의와 역사주의 ----357

결론 ----368

맺음말 ----379

참고문헌 ----391

찾아보기 ----407

제 1 장 보수주의의 개념과범주 보수주의의 실용적인 개념을 정립함에 있어서 우리는 다음과 같 은 두 가지 사실에 대해서 당혹감을 갖게 된다. 즉, 보수주의 분 석자들 간의 개념이 일치하지 않고, 보수주의 이론가들 간의 합의 점이 없다는 것이다. 보수주의 분석가이며 이론가로 알려진 몰나 ThomasMolnar 가 지적하였듯이 철학, 정치, 역사, 예술 등의 분야 에 있어서 보수주의 사상가들은 아마도 그들 스스로를 하나의 울 타리에 속해 있다고 생각하지도 않을 뿐 아니라, 그들이 보수주의 개념의 통일성을 제시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것이다.1) 그리고 일반 적으로 미국의 보수주의에 주의를 기울이게 되면 이론가들의 입장 에서 볼 때 그 상황은 더욱 혼란에 빠지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먼저 사상의 일반적 총체로서의 보수주의를 살펴보고, 미국적인 상황 속에서의 그 의미를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 헌팅턴 SamuelHun tingt on 은 한 논문에서 보수주의를 정의하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은 그것이 학문적인 전통과 실체적인 이상을 결여

한 데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 만일, 그가 원칙과 이상을 표현하 고 있는 사회주의나 파시즘의 체계적인 전통에 비해서 보수주의가 그러한 전통을 갖고 있지 않다는 점만을 지적했다면, 그의 지적은 옳을 수도 있다 . 그러나 뒤에서 언급하겠지만 보수주의자들에 있어 서 이 같은 이론적 혼란 상태는 하나의 결점이 아니라, 단지 인간 조건을 다양하게 해석하기 위한 주관적인 해석상의 필요에서 기인 되는 것이라고 본다 . 왜냐하면, 보수주의자들은 여러 학파로 세분 되어 있지도 않고, 자유주의자들이나 마르크스주의자들과 같이 그 들의 신념에 대해서 과열된 논쟁을 벌이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 보수주의에 대한 개념의 혼란은 사실 심각할 정도로 어려운 점 이 많다 . 보수주의를 정의함에 있어서 어떠한 시도도 보수주의가 지향하는 서로 상충되는 목적들, 이를테면 복지국가와 경제 영역 으로부터의 한정된 정부, 시민의 자유와 노예제도의 옹호, 중앙집 권과 다수에 의한 통치 등의 문제를 조절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 보수주의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으로서의 현상 유지는 아무런 도움 이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변화 없는 상태는 보수의 수단이 되지 않는다고 버크가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 3) 보수주의에 대 한 버 크의 정 의 는 헌쇼 F.J .C . Hearnshaw 와 같은 보수주의 자들에 의 해서 반복되어 왔다. 즉, 헌쇼는, 보수주의는 발전의 방해물이 아 니라 무차별한 변화에 대한 저항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4) 오늘날과 같이 정치사상에 쉽게 대용할 수 있는 시대에 있어서 는 보수주의 용어 자체가 매우 경멸적인 의미를 지니기도 했다. 이러한 개념을 지양하고 보수주의와 유사한 개념들과의 혼돈을 피 하기 위해서 클린턴 로시터 Cli nton Ross it er 는 반보수주의적인 세 가지 용어를 지적하고 있는데, 반개혁주의 또는 현상유지주의 Sta nd pa t ti sm , 반동주의 Reacti on 및 혁 명 적 반동주의 Revoluti on a ry reacti on 둥이 그것이다 .5 )

반 개 혁 주 의 는 립 세 트 Lip se t가 지 적 하 는 현 상 유 지 주 의 Preserva ti sm 의 개념으로서, 급진적이고 혁명적인 변화에 대한 공 포심 때문에 질서 있고 점진적인 발전을 포기하는 입장이다. 이것 은 역사적으로 근시안적인 것이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비보수주의 적 입장으로서 혁명을 저지하기보다는 오히려 혁명을 유인하고 있 댜 그리고 이것은 근본적으로 비관념적인 이상론에 불과하기 때 문에 어떠한 의미에서든 이상론은 바보수주의적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반동주의는 시대에 뒤떨어진 사회 정치적 질서에 복고하기 위해 서 과거에 밀착되어 있다. 어떤 구체적인 이유에서거나 철학적인 이유 때문에 이러한 주장이 일반 대중들을 불안 속으로 유인하고 있는 점은 비보수주의적이라고 간주될 수 있다. 보수주의는 어떠 한 정치적 창조도 그것이 새롭게 창출된 것이거나 정형적 과거의 재건이든 간에 단호하게 거부하고 있다. 한편, 반동주의는 또 다 른 하나의 유토피아적 이상, 즉 향수적인 이상론임에 틀림없다 . 헌팅턴이 지적했듯이 과거지향적 변화와 미래지향적 변화 사이에 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전 이들 변화의 내용이 과격한 것이라면 그 러한 변화는 보수주의자들의 주장과는 거리가 있다. 파시즘은 혁명적 반동주의의 대표적인 예로서, 그것은 세 가지 점에서 비보수주의적이다. 첫째, 파시즘은 사회적 격변을 부추기 고, 둘째, 가치 체계와 전통의 파괴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셋 째, 일종의 최악의 유토피아적 이상론을 주장하고 있다. 불행하게 도 현대 보수주의자들이 이들 세 가지의 속성을 기피하려고 노력하 는 것과는 상관없이, 보수주의에 대한 치욕적인 오명은 적어도 그 것을 이해하려는 일반 대중들의 마음 속에 아직 남아 있는 것이다 . 디스렐리 D i srae li는 보수주의자들이 지식인 집단을 형성하고 있 는 자유주의자들의 반대편에 있는 〈바보들의 집단〉이라고 지적한

바 있는데, 이것은 단순하면서도 위험한 표현이다. 변증법적인 의 미에서 보수주의자들은 사회질서의 반정립을 수반하는 철학적 반 대파가 아니라, 차라리 지적 결함 때문에 역사의 흐름을 추종할 수 없는 간사한 진보주의자들로 인식되고 있다고 헌팅턴은 지적하 고 있다 . 또한, 지금까지의 자유주의자들은 보수주의자들이 지성 을 결여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해 왔다 . 그렇다고 해서 오늘날 거 의 모든 지식인들이 자유주의적인 경향이 있다는 주장은 논리적으 로 맞지 않기 때문에 신중하게 평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보수주 의자들에 대한 그릇된 인식은 재정립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보수주의자들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은 립세트 Se y mour Martin Lip se t의 담론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 그는 지식인들의 사회로부터 의 자기소외감이 그들 업적의 기본적인 성격에서 불가피하게 귀결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 물론 학자들과 지식인들 간의 상관관계가 확실한 것은 아니지만, 립세트의 평가는 지식인들을 모순된 역할 영역으로 몰고 가는 것같이 보인다. 다시 말해서 지식인들은 그들 의 우선적인 기능이 변화를 촉진시키는 데 있기 때문에 보수주의적 인 성향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이다 . 그러나 역사적으로 다른 사회와 다른 시대에 살고 있는 지식인들의 역할이 공통적 이데올로기의 강 화와 현상 유지를 옹호하는 데 있었던 것을 생각한다면, 립세트의 지적은 이들 지식인들의 또 다른 역할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보수주의자들은 위에서 지적한 지식 총체의 가능 성, 즉 사회과학의 체계적 가능성을 원칙적으로 거부하고 있다. 그들은 현대 사회의 지식의 복합성에 대해서 경외스러움을 느끼면 서도 전문적인 지식인으로서 그들의 비전을 압축하는 것을 거부하 고 있다. 일반 지식인으로서의 보수주의자들은 또한 종합분석가 S y n th es i s t이기 때문에 신발견의 시도를 회피하고 있다 . 인간사의 영역에 있어서 그들은 만들어지는 신발견이란 있을 수 없다고 확

신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적인 감각은 이들의 주장을 수락하지 않 고 있다. 자연과학이 새로운 발견을 해낼 수 있다면 사회과학도 신발견의 가능성을 시인한다. 따라서, 자유주의적인 인식의 틀 속 에는 지적인 열정과 성취만이 있게 마련이기 때문에 보수주의적인 지식인들의 결핍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 결과적으로 이 같은 현상에 대해서는 하나의 도덕적 국면이 존 재하고 있다 . 자연과학으로부터 사회과학으로의 전이 과정은 새로 운 체계를 확립하는 등 새로운 무엇을 발견하려는 목적이 있을 뿐 만 아니라, 이 같은 신발견의 수단과 장치를 마련하게 되는 것이 다. 여기에서 우리는 인간 행태의 과학적 탐구에 대한 현대적 강 조점을 보게 되는데, 행태주의적 방법론은 그 성격상 비규범적 성 격을 갖고 있다. 이 같은 비도덕적 과학의 상대주의는 윤리적 중 립성을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윤리적 타락을 유인하게 된 다고 비레크 Pe t erV i ereck 는 지적하고 있다. 왜냐하면, 행태주의적 명제는 공산주의나 파시즘의 준과학적 이데올로기에 저항하려는 도덕적 의지를 유린함으로써 오히려 공산주의와 파시즘을 조장하 고 있기 때문이다 .8 ) 위에서 지적한 내용은, 보수주의자들이 사회정치적 예측에 관심 이 없다는 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들은 거기에 많 은 관심을 표명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종합적인 접근법이 행태주 의적 사회과학자들보다도 이에 유리한 점을 제공하고 있다는 사실 울 확신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나폴레옹의 폭정을 예견했던 버크 와 미국의 장래에 대한 통찰력으로 여러 면에서 미국인들을 놀라 게 했던 토크빌 Toc quev ill e 은 모두 이 점에 있어서 보수주의자들의 자신감을 확증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누구보다도 헌팅턴의 이론에서, 보수주의가 지적인 전통 을 결여하였다는 일반적 혼란의 근원이 바로 인식론적 접근법과

방법론적인 차이에서 기인한 것임을 알게 된다. 왜냐하면, 헌팅턴 은 사상의 선형적, 본체론적 체계와 연계되는 자유주의적 의미에 서 위의 내용을 함축적으로 정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 그는 보 수주의 이념이 정밀한 이론 및 수정의 단계를 거쳐 발전하고 전이 되어 오지 않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산 다시 말해서 헌팅턴의 주장 은 정치사상을 산뜻하게 도형화한 범주라든가 정치사회가 어떻게 조직되어야 하는가 등의 확실한 비전 V i s i on 의 한계를 긋는 근대의 자유주의적 세계관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보수주의자들이 이 같은 헌팅턴의 주장을 거부하고 있는 것이다 .10) 그러나 근대적 인 시각에서 볼 때 헌팅턴의 주장이 틀린 것은 아니다. 보수주의 자들은 다른 각도에서 진술할 뿐만 아니라 여론의 현대적 감각과 는 다른 관점에서 사물을 정의하고 있다. 만하임 Mannhe im이 지적 하였듯이 보수주의자들은 자유주의자들과는 다른 시각에서 사물을 인식할 뿐만 아니라 사물을 전혀 다른 것으로 파악하여 왔다 .11) 이 같은 개념적 혼란을 벗어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윌슨 Franc is G . W il son 의 보수주의 이 분법 을 검 토해 보기 로 하자. 즉, 그 의 이 분법 은 1 차적 Pri mary 속성 과 2 차적 Seconda ry 속성 으로서 이 들 각각의 시대적 성격을 반영하고 있다 .1 2) 이러한 문제를 가시적 으로 유도하기 위해서 그는 버크의 이론에 동의하면서 다음과 같 이 설명하고 있다. 〈보수주의자들은 사회 변화에 있어서의 유사성 과 비유사성을 관조하고 있는데, 근본적인 것은 실제로 항상 두 시대 사이의 유사성을 찾는 데 있다. 이와 같이, 그들의 근본적인 안목은 변화를 통한 연속성에 있다. 마치 노래 가사의 내용은 반 복하지 않더라도 노래의 후렴온 반복하고 있는 것과 같다. 예컨대 불평등의 현실은 역사의 근본적인 연속성인 것이다. 이것은 존재 형식의 일부분인 것이다. 죽, 불평등은 인류사회의 규범적 사실로 인식되고 있다.〉 1 3 ) 여기에서 윌슨은 보수주의의 1 차적 속성의 일례

로서 불평등을 지적하고 있는데, 이것은 시대의 변화에 관계없이 노래 가사의 후렴과 같은 보수주의의 원형적인 속성으로 간주되고 있다 . 물론 우리는 보수주의자들이 지적하고 있는 보수주의의 1 차 적 속성을 일률적으로 정형화하거나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시대와 장소의 변화에 관계없이 보수주의자들이 반복해서 강조하 고 있는 원칙과 개념이 있다면, 윌슨은 이러한 원칙들을 보수주의 의 1 차적 속성으로 간주하고 있다. 한편, 윌슨은 특수한 역사적 상황 속에서 창출된 가치체계의 범주를 보수주의의 속성으로 간주 하게 될 때 이 범주 내에 들어가는 모든 개념들을 보수주의의 2 차 적 속성으로 인식하고 있다. 예컨대 진보주의로 출발했던 공산주 의가 구소련 정권의 말기에 와서 보수주의로 변질된 경우, 우리는 공산주의를 보수주의의 보편적 유형으로 볼 수 없다 . 따라서, 적 어도 오늘날 러시아 사회에서 공산주의는 특수한 시대와 장소에 한정된 보수주의의 2 차적 속성으로 간주된다. 헌팅턴의 보수주의 분석은 윌슨의 분석 내용에서 유도되고 있지 만 그 보다는 좀더 세련된 감이 있다. 그는 보수주의를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하고 있다 . 그에 의하면 첫째, 근대적 보수주의는 근 본적으로 귀족주의적인 성격, 즉 특수한 역사적 운동에서 제기된 하나의 이데올로기에 근거하고 있다. 여기에서 의미하는 역사적 운동이란 18 세기 말의 프랑스 혁명, 자유주의 및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봉건영주, 귀족, 농민계급의 반동주의적 행동에서 추적되고 있다 E 앞에서 반동적인 보수주의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특수한 역사적 사건에 대한 반동과 특수한 사회경제적 질서에 대한 사명 감을 표출하고 있는 보수주의는 대체적으로 윌슨식 분류의 두 번 째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헌팅턴도 지적하고 있지만, 이 같은 보 수주의는 현대적인 시각에서 볼 때 분석의 가치가 없는 것으로 본 댜 왜냐하면, 현대의 질서는 봉건주의와는 거리가 멀고, 특히 미

국과 같은 사회에는 애당초 봉건적 질서가 없었기 때문이다. 헌팅턴의 두번째 범주는 보수주의의 보편적 개념으로서 이것은 보수주의가 사회세력의 특수한 역사적 성격에 귀속되지 않고 일반 적으로 확실한 독자적 이념체계를 반영하면서 보편적 가치의 시각 에서 볼 때 정의 , 질서, 균형, 중용 Modera ti on 등의 개념으로 인 식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 15) 여기에서 헌팅턴은 윌슨의 첫번째 범주를 따르고 있으며, 그는 보수주의의 불변적 성격을 강 조하고 있다. 세번째의 범주로서 헌팅턴은 상황적 개념을 지적하고 있는데, 보 수주의란 하나의 독특하면서도 반복되는 유형의 역사적 상황으로 부터 발생되는 이데올로기로서, 이러한 역사적 상황 속에서 기존 의 제도가 위협을 받을 때 이들 제도의 지지자들이 그들의 방어를 위해서 보수주의적 이념을 동원하게 된다는 것이다 . 1 6 ) 이 같은 접 근법은 윌슨이 지적하는 두 개의 보수주의 성격을 종합한 것으로 보인다. 즉, 1 차적 유형은 반복되는 도전에 반항하는 확고한 보수 주의적 방어 태세이고, 2 차적 유형은 특수한 역사적 상황으로부터 발생되는 이데올로기인 것이다 . 사실상 우리는 이렇게 얘기할 때 일시적인 귀족주의적 보수주의를 기존 권력의 방어세력으로 확대 해석하게 되지만, 헌팅턴의 상황적 개념 접근은 어떻게 보면 그의 첫번째와 두번째 범주를 종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헌팅턴의 분석을 이해함에 있어서 또 하나의 가능성을 상정할 수 있는데, 그것은 그의 두번째와 세번째의 개념 범주를 이들 두 개의 범주의 총체보다 거대한 영역으로 종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아마도 보편적 개념과 상황적 개념을 하나의 범주로 가정하는 보 수주의 개념으로 귀착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몰나 Thomas Molnar 가 지 적 하듯이 보수주의 는 〈일종의 지 식 형 태〉, 죽 현실과 거리를 두지 않으면서 이들 각각의 변수들간의 산

파의 역할을 거부하는 순수한 철학적 담론일 수도 있다 . 11 ) 이러한 유형의 보수주의 적 기능은 철학 적 탐구가 절 실 한 이데올로기적 요 구와 부합되기를 바라는 사이비 철학적 지식체계의 환상을 탈피하 는 데 있댜 1 8) 이것은 앞에서 이미 언급한 내용과 유사한 것이지 만, 보수주의가 1 차적 속성과 보편적 개념을 유보하면서 추론적이 면서도 체계적으로 구성된 지식으로서의 이데올로기를 거부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원칙적으로 보수주의는 기계론적, 변 증법적 법칙을 향유하고 있는 사회적, 정치적 지식체계를 거부하 고 있으며, 미래의 결과에 대한 선험적 지식을 주장하고 있다 . 1 9 ) 보수주의는 사회적 통제를 옹호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도덕적 선 택의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서 전통적 사상과 경험의 보존을 강조 하고 있다 . 궁극적으로 보수주의자는 현재와 미래의 현실을 창조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확신하고 있기 때문에 지적으로 현재와 미래의 현실을 창조하려고 노력하지 않는다. 그와는 반대로 보수 주의 적 지식은 과거와 현재의 잡다한 현실적 국면의 발견과 가능 성 을 중요시하고 있다 . 역사적인 시각에서 만하임은 시간 경험의 방법에서 보수주의와 진보주의의 근본적인 차이점을 명확하게 지 적하고 있다. 진보주의자는 현재를 미래의 시작으로 경험하는 반 면에, 보수주의자는 현재 를 단순히 과거로부터 이어지는 최근의 상황으로 인식 한다 . 20) 따라서, 보수주의는 지식과 사상의 접근 방법을 계속적으로 무 한한 것으로 유지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이것을 우리는 보수주의 의 보편적 원칙의 하나인 〈1 차적〉 역할이라고 부를 수 있다. 보수 주의의 〈상황적〉 개념은 실제 환경의 구체성에 관심을 갖게 되는 데, 여기에서 보수주의적 반응들이 중요한 이념의 결핍이라든가 철학적 불일치점에서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결과가 아니라, 역사적 또는 환경적 다양성으로 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결론적으로 종합하여 보면 보수주의는 〈보편적 〉 으로 또는 영구 적으로 미래에 대한 도전에 대응하고 모든 선택을 무한하게 유지 하면서 인간의 폭넓은 지식을 〈 1 차적〉으로 축적하는 것이라고 우 리는 말할 수 있다. 인식론적인 문제이든 사회정치적 문제이든 간 에 특정한 〈상황적〉 환경에서 보수주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역사적 상황으로부터 취사선택을 함으로써 적절한 지식 정보의 창 고를 마련하게 된다. 보수주의적 지식은 생활의 독선적 성격을 인 식하게 되지만, 보수주의는 보편성과 특수성을 혼합시키는 하나의 사상체계인 것이다. 윌슨과 헌팅턴은 정치이론과 사회환경에서 보수주의를 분석하고 있지 만, 매 클로스키 Herbert McCloske y와 아몬드 Gabriel Almond 는 개인적 심리현상과 사회환경에서 보수주의에 접근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매클로스키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 〈정치적 상황에 의해서 생성된 변화에도 불구하고 보수주의 사상온 자유주의와 마 찬가지로 최근 수 세기를 통해 견고한 입장을 견지해 왔다. 이것 은 보수주의와 자유주의가 특정한 습관, 기질 및 감성을 갖는 개 인들이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것과 같으면서도 한편으로 는 자연적으로 갈등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 다. >21) 매클로스키는 그의 연구가 심리적 성향과 보수주의와의 상관관 계에 대해서 긍정적인 결론을 가질 수 없다는 점울 밝히고 있다. 매클로스키 에 앞서 라스웰 Harold Lasswell 도 긍정 적 인 상관관계 를 검증하려고 노력하였지만 실패하였다. 여기에서 근본적으로 어려 운 점은 매클로스키가 보수주의적 성격의 불변적인 요인들을 내포 한 것같이 보이는 인간의 태도와 가치에 치중하였던 점을 지적할 수 있다 .22) 불행하게도 그가 결과적으로 완성한 내용은 그가 중요 하지 않다고 검증하려 했던 상황적인 변수들을 완전히 무시한 것

밖에 없다. 따라서, 그는 보수주의적 태도의 정향화는 사회정치적 상황적인 변수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사실을 검증한 폭이 되었다. 예컨대 리프만 Wal t er L ipp mann 이 그의 정치철학을 자유주의에서 보수주의로 전향했던 사실은 자신의 성격 변화보다 사회적 상황의 변화에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리프만은 성격 적으로 변화하지 않았으며 오로지 정치적 환경 변화에 대응해서 그의 철학이 자유주의에서 보수주의로 변질되었을 뿐이다. 아몬드는, 정치적 태도가 경제적 이익과 같은 어떤 특정한 가치 를 방어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전체적인 가치체계의 일부분을 반영하고 있다고 진술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시각은 보다 포괄적 인 성향을 갖고 있다 . 23) 근본적으로 아몬드의 이론은 윌슨의 〈 1 차 적〉 성격과 헌팅턴의 〈보편적〉인 성격의 가능성을 거부하고 있는 것이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윌슨과 헌팅턴의 이론은 심리적 요 인에 대한 보수주의 이론에 있어서 〈1 차적〉 또는 〈보편적〉인 요인 의 우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아몬드는 〈 2 차적〉 또는 〈상황적〉인 요인의 우월성을 지적하고 있다. 사실상 헌팅턴도 〈상황적〉인 범 주를 가장 적절한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아몬드와 헌팅턴 사이에는 차이점이 없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그들 사이에는 차이점이 엄연히 존재한다. 간단 히 말해서 양자는 〈환경적〉인 요인을 주장하고 있지만, 아몬드는 초기의 성격 형성 과정의 영향력의 전체적인 역학관계를 강조하고 있는 데 반해, 헌팅턴은 성격 형성 과정뿐만 아니라 철학을 수용 하고 창조하는 개인의 생활 전영역에서 일어나는 상황적 영향력에 역점을 두고 있다 .24) 헌팅턴의 이론은 정치철학에 있어서 개인의 의식 변화를 더욱 용이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아몬드와 다 르다. 다시 말해서 사회질서의 변화와 그 주변 환경은 인간의 생 애에 있어서 철학적인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사실상 성격 형성의

초기 발전 과정에 대한 아몬드의 주장은 리프만의 경우에서처럼 개인의 정치철학이나 정치적 태도를 거슬러올라갈 때 어려운 문제 에 봉착하게 된다 . 매클로스키와 아몬드는 상대적으로 단순한 차원에서 보수주의의 심리적 상관관계를 취급하고 있다 . 그러나 이 같은 심리적 상관관 계가 더 깊게 자리잡게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모든 심리적 변 수들의 종합적인 역학 관계가 모든 유기체의 자연적 기질인 반항 성을 억제하는 인간의 필요성으로부터 에너지를 유도하는 뿌리 깊 은 보수주의를 탄생케 한다고도 볼 수 있다 . 25) 이것은 보수주의의 보편적인 차원에서 유기체로 하여금 주위 환경에 대하여 안도감을 갖게 하는 정신적 태도라고 인식될 수 있다. 만하임은 보수주의를 모든 인간에게 보편화된 현상으로 보고 있지만, 그 명칭에 대해서 는 다른 용어, 즉 웨버의 〈전통주의 〉 로 지칭하고 있다. 그러나 만 하임에게 있어서 이 같은 〈자연적 보수주의〉는 주로 부정적인 의 미를 갖고 있는데, 인간 성격의 정적인 유형에 따라붙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 같은 견해에서 볼 때 있는 그대로의 사물에 대 한 뿌리 깊은 귀속감은 모든 생물체에 공통적인 것이다 . 26) 또한, 오 크쇼트 Mich ael Oakesho tt가 지 적 하듯이 보수적 성 향이 란 알려 져 있 지 않은 사물보다 친밀감 있는 사물을 선호하거나 비경험적 사물 보다 경험적 사물을 선호하는 성향을 의미하고 있다 . 2 7 ) 그러나 이 러한 보수주의적 기질에 부언해서 아도르노 T. W . Adorno 는 다음과 같이 경고하고 있다 . 〈변화에 대한 저항심은 종종 인간 성격의 신 화에 의해서 합리화되고 있는데, 보수주의적 성격의 뿌리는 의문 시되고 있다.〉 28) 과학의 세계에서 진화 과정이 개체발생적 적응에 따라 무의식적 인 계통발생적 적응 양식을 따르듯이, 개인이 습성과 경험을 통해 환경에 대하여 적자생존을 취하고 있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알려

져 온 사실이다 回 이 같은 사실은 자유주의적 입장이 될 수 있으 면서도 사회와 개인에 대한 보수주의적 견해와도 부합되고 있다. 즉, 사회가 우선적이고 개인은 사회의 유기체 속에서 자신의 위치 를 정하게 된다는 사실이다. 결과적으로 보수주의는 기존의 정치 경제 질서의 개혁과 변화를 반대하는 가치 위주의 개인적 성향일 뿐만 아니라 개인 및 사회적 심리의 기본적 요인일 수 있다 . 30) 어떻게 보면 여기에는 윌슨의 〈1 차적〉 요인과 헌팅턴의 〈보편적〉 요인 사이의 심리적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 같다. 따라서, 전술 한 내용이 인정된다면 보수주의는 과학적인 의미에서 자연법칙의 결과로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학적 자연법칙이 정치적 자연법칙으로 전화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아직 의문으 로 남는다 . 헌팅턴이 주장하고 있듯이 만하임이 저항적 성향을 보 수주의의 분명한 성격으로서의 자연법칙으로 해석하는 데에는 충 분한 근거가 있다 .31 ) 헌팅턴은 여기에서 보수주의는 인간 행동의 규범으로서의 〈이상적〉 원칙을 수락하지 않는다는 점을 의미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보수주의를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자연법 칙으로서의 사회생물학적인 성향으로 취급한다면, 위의 내용은 인 간 행태의 자연법칙으로서의 보수주의를 반드시 배제시킬 수는 없 다. 따라서, 과학적 자연법칙(예컨대 생물학적인 적응)이 자유주의 적인 자연법칙으로의 궁극적인 전이 과정을 수락하지 않는다면 보 수주의자들은 과학적 자연법칙이 정치적 자연법칙(예컨대 사회적 적응)에로의 전이 과정을 수락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논지에서 볼 때 헌팅턴은 보수주의적이면서도, 그가 분 명히 모순이라고 주장하는 자연법칙을 옹호하는 현대 정치 이론가 들의 노력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32) 이와 같은 보수주 의적 자연법칙은 보편적 도덕성을 취급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오 히려 사회정치적 현실의 보편적 원칙을 다루고 있다. 명확하게 말

해서 이것은 규범적 내용을 제거한 저수준 형태의 자연법칙이라고 할 수 있지만 어떻든 보수주의자들은 형이상학적인 것보다 구체적 사항에 더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 따라서, 만하임이 지적 했 듯이 보수주의 철학은 의식화된 심리적 보수주의에 접근하고 있는 것이 다 . 33) 울프 A. B. Wol fe가 지 적 하듯이 이 같은 보수주의 적 심 리 현상의 근본은 안전욕구 또는 안전제일주의적 태도로서의 공포감 Fear 에서 출발하고 있다 언 이것은 정확히 말해서 홉스의 보수주의, 즉 물리 적 공포심에 기저를 두고 있는 것으로서 그의 정치이론의 철학적 정당성을 이루고 있다. 홉스는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자연 법에 있어서 어떤 힘의 폭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정의감, 공 평성, 겸손, 자비심이란 인간의 자연적인 감정과는 상치되는 심리 현상인 것이다 . 그리고 강력한 힘이 없이는 인습적인 예의는 공허 한 단어에 불과하다 . 인간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강력한 힘이 없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 〉 35) 그렇기 때문에 인간의 근본적인 생물학적, 사회적 필요성, 이를 테면 모든 인간들에게서 볼 수 있는 변화에 대한 적응 태도 또는 〈 1 차적〉 요인과 〈보편적〉 요인이 근본적으로 내면화되어 있다는 식으로 철학적 보수주의에 대한 그럴 듯한 주장이 성립될 수도 있 다 .36) 이것은 〈 2 차적〉 또는 〈상황적〉인 보수주의의 현실성을 배제 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환경적 요인을 벗어나 인습 존중 에 대한 보수주의의 근본적인 지식 축적이 존재하고 있음을 시사 하고 있다 . 따라서, 보수주의의 상황적 성격에 대한 어떠한 형태 의 논의도 이러한 차원에서 조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보수주의에 대한 단순하고 명백한 개 념은 불가능하다 . 부정적인 시각에서 볼 때 보수주의는 반개혁주 의, 반동주의, 혁명적 반동주의 및 인간 성격의 합리적인 신화 등

의 퇴폐적인 이념으로 불리어 온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편견에서 벗어나려는 시각에서는 보수주의가 지식의 여러 형태를 갖추고 있 는 것으로서 인간 태도의 총체적 일면 및 자연적이면서도 대칭적 인 반대의 입장으로 정의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보수주의란 진 보주의에 대한 반정립의 총체적 지식 및 이데올로기라고 정의될 수 있다. 어느 누구보다도 헌팅턴과 윌슨은 보수주의의 개념보다도 보수 주의의 범주를 밝힘으로써 보다 높은 차원에서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부언해서 로시터 Ross it er 는 성격상의 보수주의 (심리적인 요 인), 소유상의 보수주의(신분과 재산에 관한), 실제적인 보수주의 (사회정치적 정향의), 철학적 보수주의(지식적 차원에서 근본 원리 룰 다루는) 등 네 개의 범주를 제시하고 있다 .37) 그리고 잉글리시 Raym ond En gli sh 는 로시 터 의 마지 막 두 개 의 범 주를 혼합해서 보 수주의의 본능적, 경제적, 철학적 범주를 설정하고 있다 .38) 위에 서 검토한 바와 같이 헌팅턴과 윌슨의 범주는 매우 유용한 점이 있으며, 이들의 범주들은 보수주의 개념들을 보다 포괄적인 유형 으로 조율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앞에서도 지적하였듯이 이들 범주들의 종합이 가능하다는 사실온 보다 포괄적으로 이론을 전개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보수주의를 언급하게 될 때 우리는 보다 수준 높은 보수주의, 죽 학문적인 접근 방법으로서의 보수주의가 존재하고 있 음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우리는 적어도 보수주의를 관조하는 세 가지 측면이 있음을 알고 있다. 첫째, 인 식론적인 관점에서 보수주의는 문제 해결을 위한 인간 지식의 모든 국면을 동원하고 보존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둘째, 심리학적인 측 면에서 보수주의는 개인의 물리적 환경에 스스로를 적응케 하려는 생리적 욕구와 경향을 구체화하고 있다. 셋째, 이 같은 적응성은

보다 높은 차원으로 진행하여 사회정치적 보수주의의 단계로 발전 하게 되는바, 사회정치적 보수주의는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사회 적 환경에 적응하려는 유기체의 충동과 필요성으로 나타나게 된다 . 우리는 앞으로 버크로부터 1950 년대의 〈신보수주의〉에 이르기까 지 미국 보수주의의 지적인 전통과 발전 과정을 검토하게 될 것이 다 . 그리하여 보수주의 사상가들이 보수주의의 〈 1 차적〉 〈보편적 〉 원칙들로부터 특정 시대의 〈 2 차적〉 〈상황적〉 문제점에 이르기까지 여러 난제에 부딪히고 있는 것과 같이 미국 역사에 계속 재현되고 있는 이들 접근 방법들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 미국의 현대 보수주의를 대변하고 있는 신보수주의를 구체적으 로 검토하기에 앞서 우리는 우선 신보수주의를 간단하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 신보수주의는 윌슨의 〈 2 차적〉 개념 범주와 헌팅턴의 〈상황적〉 개념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서 미국의 뉴딜식 자유주의에 대응하는 반정립적 이데올로기의 총체적 지식체계라고 정의할 수 있다. 다음 2 장에서는 미국과 유럽 사회의 보수주의를 비교하면 서, 가능한 한 버크 이후 보수주의 이론가들에 의해서 강도 높게 표출된 보수주의의 〈1 차적〉 및 〈보편적〉 개념에 속할 수 있는 보 수주의의 개념적 속성을 정리해 보기로 하겠다. (주) 1) Thomas Molnar, Conservati sm and Inte l lig e nce, The Inte r -C olleg iat e Revie w , vol. 9 (Sp ring , 1CJ74 ), p. 7 1. 2) Samuel P. Hunti ng t on , Conservati sm as an Ideolog y, Americ a n Politi ca l Sci en ce Revie w , vol. 51(J u ne, 1957) , p. 4 70 . 3) Edmund Burke, Refl ect i on s on the Revoluti on in France(N e w York: The Lib e ral Arts Press, 1%5 ), p. 2 4. 4) F. J. C. Hearnshaw, Conservati sm in Eng l and(London: Macmi llan and Co., Ltd . , 1933), p. Z l.

5) Cli nt o n Rossi te r , Conser vati sm in Ame ri c a (N ew York: Vin t a g e Books, 196 2) , pp. 13- 14 . 6) Hunti ng t on , 앞의 책, p. 460. 7) Sey m our Marti n Lips et, Politi ca l Man(Garden Cit y, New York: Anchor Books, 1963), p. 332. 8) Pete r Vie r eck, Shame and Glory of the lnte l lectu a ls(Bosto n : The Beacon Press, 1953), p. 1 95. 9) Hunti ng t on , 앞의 책, p. 468. 10) 같은 책, p. 457. 11) Karl Mannheim , Essay s on Socio l og y and Socia l Psyc holog y, Paul Keczkemeti, ed. (New York: Oxfo rd Univ e rsity Press, 1953), p. 116. 12) Francis G. Wi lso n, A Theory of Conservatis m , America n Poli tica l Sci en ce Revie w , vol. 35 (Februa ry, 1941), pp. 2943. 13) 같은 책, pp. 30-31 . 14) Hunti ng t on , 앞의 책, p. 454. 15) 같은 책, p. 455. 16) 같은 책 같은 곳 17) Molnar, 앞의 책, p. 68. 18) 같은책같은곳 19) 같은 책, p. 71. 20) Mannheim , 앞의 책, p. 111 및 Hunti ng t on , 앞의 책, p. 456. 21) Herbert M cCloskey, Conservati sm and Personality , Americ a n Politi ca l Scie n ce Revie w , vol. 5'2f.. M arch, 1958), p. 28. 22) 같은 책, p. 30. 23) Gabriel Almond, The Politi ca l At titud es of Wealth , Jo urnal of Politi cs , vol. 7 (Aug us t, 1945), p. 2 14. 24) 같은 책, p. 248. 25) T. W. Adorno 등, The Auth o rita r ian Personality (Ne w York: Ha rpe r and Broth e rs, 1950), p. 5 1. %) 같은 책, p. 153. 2J) Mi ch ael Oakeshott, Rati on alism in Poli tics and Oth e r Essays (Ne w York: Basic Books Publish i ng Co., 1962), p. 169. 28) Adorno, 앞의 책, p. 153. 29) A. B. Wolfe , Conservatis m , Radic a lism , and the Sc ien ti fic Meth o d (New York: Macm illan and Co., 1923), p. 4 3. 30) Adorno, 앞의 책, p. 154. 31) Hunti ng t on , 앞의 책, p. 459. 32) 같은 책 같은 곳

33) Mannheim , 앞의 책, p. 102. 34) Wolfe , 앞의 책, p. 21. 35) Thomas Hobbes, Levia t h a n (New York: Coll ier Books, 1%7 ), p. l'l!) . 36) Oakeshott, 앞의 책, p. 179. 37) Clin t o n Rossit er , Conservatis m i11 Americ a (New York: Vin t a g e Books, 1%2), pp. 5- 8. 38) Ray m ond Eng li sh , Conservati sm : The Forbid d en Fait h, Americ a n Scholar, vol. 21 (Autu m n, 1952), pp. 399 -40 1 참조.

제 2 장 서양의 보수주의 ―유럽과미국 서론 본 장에서 필자는 유럽의 보수주의와 미국의 보수주의의 역사적 배경과 이론적 차이점을 개괄적으로 검토하겠다. 따라서, 필자는 미국의 보수주의를 보다 폭 넓게 이해하기 위해서, 각론적인 면보 다도 총론적인 면에서 유럽의 보수주의와 미국의 보수주의 간에 존재하는 차이점을 검토한 다음, 서양 사회에서 역사적으로 누적 되어 온 보수주의의 공통적인 이념적 특성들, 말하자면 제 1 장에서 제시한 보수주의의 〈 1 차적〉 또는 〈보편적〉 특성을 정리해 보기로 하겠다.

유럽의 보수주의 19 세기의 근대 보수주의는 영국의 정치가이면서 정치 이론가였 던 버크 Edmund Burke 의 사상에서 출발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 댜 버크 이전에도 왕조 중심의 수구세력(이를테면 영국의 토리당) 과 그들의 대변자들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지만 버크만큼 , 당시 세 차게 몰아붙이는 서구 자유주의의 대세에 도전한 인물은 없을 것 이다. 어떻게 보면 버크는 프랑스혁명의 급박한 정치적 분위기가 배출한 영 국의 사상가라고나 할까, 비 록 그가 보수주의 의 용어 를 사용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바다 건너 남의 나라의 위험한 불장난 이 전 유럽 사회에 파급될 것을 우려, 프랑스혁명이 일어난 다음 해 에 펴 낸 책 『프 랑스혁 명 의 소고 Refl ect i on s on the Revoluti on in France 』 (1790) 는 적어도 서구 보수주의자들의 귀감이 되고 있다 . 이 책에서, 버크는 최초의 보수주의 이론가로, 근대 보수주의의 제 원칙, 이를테면 전통, 공동사회, 귀족주의의 존중 및 평동사상 과 민주주의에 대한 혐오 등을 체계화하려고 노력하였다 . 그는 프 랑스혁명 이론가들의 자연권사상이나 인권사상을, 형이상학적인 개념에서는 포용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이러한 사상체 계가 현실적으로 정부 조직의 철학이 될 수도 없거니와 정치적으 로나 도덕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다고 천명, 원천적으로 프랑스혁 명의 타당성을 거부하고 있다. 그가 미국의 독립혁명을 지지하면 서도 프랑스의 급진적인 변혁과 합리주의적 개인주의를 반대하 고, 영국이 전통적으로 형성해 온 의회정치(제한된 의미의)와 전체 적인 영국 사회의 점진적 발전을 옹호하고 있는 사실은 유럽 대륙 의 반동적인 보수주의 사상가들에 비해 점진적 개혁이론의 발전 가능성을 부여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가 자유주의의 위험 성을 신랄하게 지적하면서도 오늘날 영국적 보수주의의 전통성을

탄력성 있게 발전시키는 데 큰 공헌을 하였고 미국의 보수주의에 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는 점은 간과할 수 없다. 한편, 프랑스혁명의 충격은 서구 전통사회의 파괴에 직접적인 동인이 되기도 하였지만, 사실상 정신사적인 면에서 서구 사회의 변혁기에 문예부흥운동은 무엇보다도 보수주의 사상을 충동시키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인간의 이성, 즉 과학적 탐구와 귀납적 논리를 중시했던 문예부홍기의 자연법 사상은 서구 전통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변증법적 반정립으로 서의 보수주의의 출현을 촉진시킨 것이나 다름이 없다 . 이러한 면 에서 보면 서구의 근대 보수주의는 혁명 사태에 대한 것뿐만 아니 라 18 세기의 이성 만능의 풍조, 낙천주의, 개인주의, 세속주의, 평 등, 민주주의, 방종한 자유 등의 추상적 개념의 원형이라고 볼 수 있는 합리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시작된 것이다 . 다시 말해서 코반 Alfr ed Cobban 이 지적했듯이 서구의 보수주의는 18 세기적 근대화 에 대 한 반항으로부터 시 작된 것 이 라고 본다면, 버크의 보수주의 사상이 표면화되기 이전인 문예부홍과 종교개혁의 시대로부터 잉 태되고 있었던 것이다. 1) 버크의 사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친 사상가로는 영국의 흄 Dav i dHume 울 꼽을 수 있다. 이들은 여러 면에서 상이한 점이 많 지만, 특히 버크는 흄이 주장하고 있는 자연법 사상에 대한 회의 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다시 말해서 버크의 보수주의는 흄의 회의론적인 자연법 사상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본다. 따라서, 버크 는 사상적으로 18 세기의 선도적 역할을 했던 자연법 사상과 인간 이성이 전통, 사회적 관행 및 관습으로 대치되어야 하고 이것이 서구 문명사회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고 천명하였다. 즉, 버크에 있어서 전통과 사회 안정은 보수주의의 가장 중요한 개념이었다. 그러나 버크의 보수주의는 단순히 기성 질서의 현상 유지만을 옹

호한 것은 아니었으며, 다만 표면적으로는 프랑스혁명에서 보았듯 이 급진적인 사회 변화에 대한 증오심의 폭발에 불과하였다. 콜러 릿지 Samuel T. Cole ri dg e 와 칼라일 Thomas Carlyl e 등이 새로운 경제 질서의 출현에 거부 반응을 보였던 것에 비하면, 버크가 자유방임 주의적 자본주의를 수용했던 점은 그의 보수주의가 당대 유럽의 단순한 반동주의와는 거리가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기 때문 에, 적어도 이러한 점에서 버크의 보수주의 사상은 재조명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버크 당대의 유럽 대륙에서는 버크보다 복고주의적인 보수주의 Reacti on a ry Conserva ti sm 에 집 념 했던 사상가들이 활동하고 있었는 데, 대표적인 사람으로 프랑스의 메스트르Jo se p hdeM ais tr e 와 보날 드 Lo ui sdeBonald 를 들 수 있다. 이들은 특히 종교적인 가치관을 고수했던 사상가들로서, 비정통성과 자유민주주의를 근본적으로 거부하고 있다. 이들은 혁명 이론의 대표적 개념인 사회계약, 국 민주권, 자연권 등을 타락한 인간의 이성적 결과로 규탄, 로크, 볼 테르 및 루소의 사상을 신랄하게 공격하였다. 이들에게 있어서 구 질서의 사회를 거역하는 것은 마치 신의 절대적인 질서를 거부하 는 것과 같았다. 따라서, 이들은 프랑스혁명의 무정부적 질서를 전통적 질서로 회복하고 사회의 도덕적 회복을 위해서 중세 사회 의 종교적 질서와 절대왕조의 질서로 복고할 것을 강력히 주장하 였다 .2 ) 19 세기 말에 오면 영국, 프랑스, 독일에서는 정예주의 E liti sm 와 인종주의가 보수주의에 직 • 간접적으로 가담하게 된다 . 이러한 사 상들은 19 세기 초엽의 역사주의와 밀접한 관련을 갖게 되는데, 이 들의 대부분이 자유주의의 형이상학적 개념을 거부하고 있다. 특 히, 나치즘과 파시즘은 정예주의와 인종주의의 이론적 배경을 함 께 유지하면서도 자유주의를 위협하는 19 세기 유럽의 극우세력을

대변하고 있다. 따라서, 나치즘과 인종주의는 비록 20 세기의 정치 현상으로 표출되고 있지만 사실은 19 세기 말엽의 정예주의, 인종 주의 및 역사주의의 복합적인 유산으로 형성된 것이다. 유럽대륙에서 발전된 낭만주의 Roman tici sm 는 광범한 분야에 확 산되고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정치사상이나 철학에 보수주의의 정신울 승화시키는 데 일익을 담당하게 된다. 당시의 낭만주의자 들은 대부분 산업혁명과 프랑스혁명에 나타난 개인주의적 자유주 의를 위험스럽게 보는 시각에서 자유주의적 사회 발전을 도덕적으 로 타락한 상태로 규정하게 된다 . 결과적으로 19 세기의 낭만주의 는 현실적으로 보수주의적인 입장에서 개인주의적 자유주의 사상 에 도전, 집산주의적 차원에서 사회적인 선을 추구하는 등 마침내 국가주의, 권위주의 및 제국주의와 결합하게 된다 . 한편, 낭만주 의는 당대의 유럽 대륙을 풍미했던 역사주의와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보수주의 사상을 한층 고조시키기도 하였다 . 독일을 중심으로 왕성했던 역사주의의 사조는 유럽 보수주의의 가장 중요한 뿌리라고 생각할 수 있다 . 특히, 역사주의는 독일의 낭만주의 에서 사비 니 F. K. Sav igny의 역 사법 학에 이 르면 프랑스혁 명의 자연법적 자유주의에 대한 반발로 비합리주의와 결부하게 된 다. 역사주의(주로 독일의)는 낭만주의와 함께 19 세기까지 헤겔우 파에 의해서 강력한 보수주의에 머물게 되지만, 헤겔의 변증법에 서 연원된 마르크스K. Marx 의 사적 유물론은 다른 의미의 역사주 의(진보주의적 역사관)로 변질되고 말았다. 사실상 마르크스의 유 물사관이 목적론적 입장에서 역사를 창조하는 것이라면, 이것은 이미 정통적인 역사주의와는 거리가 먼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 러나 같은 의미의 목적론적 성격을 갖고 있는 헤겔우파의 역사주의 는 프랑스혁명의 분위기를 차단하는 반자유주의적인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19 세기 유럽 대륙의 보수주의를 대변하였다고 본다.

19 세기 근대 보수주의는 구체제의 종교적 가치와 국가적 질서를 절대시하는 기본 입장에서 출발하고 있으며, 그 계기는 프랑스혁 명과, 19 세기 초엽과 중반에 거듭되었던 제반 혁명들에 의해서 반 동적으로 마련된 것이다 . 다시 말해서 19 세기의 보수주의는 대부 분 종교(기독교)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19 세기의 종 교는 대개 보수주의적인 편향성을 갖고 있으며 오히려 보수주의의 온상이기도 하였다 . 이러한 종교의 보수주의적인 성향은 20 세기에 와서 그 양상을 달리하고 있는데, 특히 현대 기독교가 진보주의와 보수주의의 양면성을 띠고 있는 점은 그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19 세기의 보수주의는 자유주의 에서 발원되는 합리주의적 개념들, 예를 들면 추상적 개념으로서 의 사회계약론, 자연권, 일반 의사, 국민주권 등으로 조립된 혁명 이론을 근원적으로 부인, 비합리주의적 편향성을 띠고 있는 것이 그 특칭이다. 만하임 K. Mannhe i m 은 19 세기의 이러한 보수주의를 합리주의적인 자본주의 세계관에 대한 도전으로 인식하고 있다. 만하임에 의하면 19 세기의 보수주의는 산업혁명에 의한 자본주의 적 사회 변화를 거부, 구질서의 정치세력의 이념을 대변하고 있 다. 적어도 19 세기 중반까지는(엄밀히 말해서 1848 년의 혁명까지) 자본가 계급은 보수주의 진영에 편입되지 않고 자유주의 세력의 중심 역할을 담당했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19 세기 보수주의의 사회계층은 소위 왕당파 중심의 귀족, 승려, 지주계급 또는 군부 세력과 농민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들 대부분 의 사회계층은 20 세기에 와서도 계속 보수주의적인 성향을 보이고 있으나, 19 세기 자유주의 세력의 가장 중요했던 자본가계급이 보 수주의의 가장 핵심적인 세력으로 둔갑한 것은 20 세기 보수주의의 특징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 특히, 역사적인 측면에서 보면 농민 계층이 간헐적으로 진보주의 세력에 가담해 온 흔적을 찾아볼 수

는 있다. 그러나 오늘날 사회심리학자들의 분석에 의하면 농민계 층은 독자적으로 진보주의적 성향을 나타내지 못하기 때문에 아직 까지는 영구적인 보수세력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편, 19 세기 유럽의 보수주의자들은 개인주의보다 사회공동체 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 점은 영국의 버크의 사상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즉, 버크는, 개인은 사회공동체의 일원이 될 때에 비 로소 존재할 수 있다고 확신하였다. 따라서, 이들은 사회 전체 를, 역사를 지탱해 온 유기체적인 연대성에서 파악하였다. 이들의 유기체적인 시각이 근대의 개인주의와 자유주의에 대해서 부정적 이었음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이러한 지성사적 발전 과정에서 보 면 유럽의 유기체적 보수주의는 프랑스의 메스트르Jo se p h de M ai s tr e 의 사상에서 출발해서 헤겔식의 민족주의와 바레스 Barres 와 모라 Maurras 의 민족주의에로 승화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유 럽 보수주의의 전통은 보수주의를 사회 변화에 적응시키려는 시도 보다도 구질서를 회복하려는 복고적인 성향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 는바, 이를테면 대륙의 보수주의는 프랑스혁명과 산업혁명 이전의 서구 전통사회를 지향하는 반동주의적이고 낭만주의적인 성격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 .3) 이러한 권위주의적이고 반동주의적인 요 소는 현대에 와서도 대륙의 보수주의 사상에 재현되고 있다. 예컨 대 독일의 나치즘이나 프랑스의 신우익 운동이 권위주의적이고 낭 만주의적인 보수주의의 속성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는 것을 볼 때 대륙의 보수주의가 미국의 보수주의에 비해서 엄격한 권위주의에 매달려 있는 것만은 확실하다. 유럽에 있어서 특히 영국의 보수주의는 대륙 계통의 보수주의에 비해서 유연성을 지니고 있다. 즉, 영국의 보수주의는 새로운 사 회질서 및 산업혁명과 프랑스혁명에 의해서 나타난 사회 변화에 스스로를 적응시키려고 시도해 왔다. 앞에서도 지적했듯이 버크와

같은 영국의 보수주의자들은 자유방임주의적인 자본주의의 새로운 질서를 수용하였다. 또한, 영국의 보수주의자들은 대륙의 보수주 의자들보다도 사회개혁을 수용하려고 노력하여 왔다 . 이를테면 서 구 국가들 가운데서 영국은 1848 년 서구 사회를 휩쓸었던 사회혁 명에서 벗어나려고 시도했던 유일한 국가였다. 이 같은 이유는 영 국의 상층계급이 대륙 계통의 귀족계급에 비해서 사회적 특권을 향유하지 못했던 사실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영 국은 개혁을 시도하려는 지배계급의 노력 때문에 1848 년 당대의 대륙 국가들이 경험했던 사회혁명을 기피할 수 있었다고 본다. 영 국의 지배계급이었던 보수당 정부가 1846 년 곡물조례 Com Law 를 폐지하고, 1832 년과 1867 년에 선거법 개정을 통해서 도시 노동자 들이 보통선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역사상 획기적인 개혁을 시도 했던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사상적인 면에서 버크는 여러 가지 면에서 온건적이긴 하지만 사회개혁을 정당화시키는 등, 노예무역 의 폐지와 의회 및 왕실의 종합적인 경제개혁을 지원하였다 . 버크 이후에 콜러릿지와 수디 Robert Sou th e y와 같은 영국의 보수주의자 들은 하층민들의 사회복지를 위한 강력한 세제개혁을 주장하는 사 회개혁안들을 제안하는 둥, 영국의 초기의 보수주의자들에 있어서 사회개혁은 온건론적인 성향을 나타낼 수밖에 없었다 . 죽, 이들은 사유재산의 신성함과 사유재산이 사회질서의 기초가 된다는 점을 확신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이 제안한 사회개혁안은 전통적인 제 도를 위협하거나 현상 유지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는 없었다. 보수주의자들에게 있어서 사유재산은 재화의 개념이 아니라 개인 이 재산울 소유한 만큼의 공동체에 대한 책임감으로 인식되었다. 죽, 이것은 신분이 고귀한 자는 당연히 용기, 인자, 고결 따위를 갖추어야 한다는 의무감 Noblesse ob lig e 을 뜻하였다. 이러한 영국 귀족계급의 사회적 인식에서 보듯이 영국의 보수주의자들은 대륙

계통의 보수주의자들에 비해서 사회개혁에 보다 순응적인 성향을 보여 주고 있다. 여기에서 영국의 보수주의자들이 왜 대륙 계통의 보수주의자들 에 비해서 사회 변화에 대해 보다 유연성 있는 성향을 보이고 있 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되는데, 그 이유로는 영국 사회가 대륙 국 가들에 비해서 오랫동안 자유민주주의의 제도적 전통을 갖고 있다 는 점을 들 수 있겠다. 결국, 버크는 영국의 명예혁명 (1688) 이 의 회와 군주를 동격화시킨 평화적인 혁명이었다고 보고 있다. 따라 서, 19 세기에 있어서 영국은 대륙 국가들의 전제적인 지배자들과 제도를 포기하고 보다 개혁주의적인 전통을 지니고 있었다고 본다. 그러나 영국의 보수주의가 대륙 계통의 보수주의에 비해서 사회 개혁의 성향을 갖고 있다고 해서 대륙의 보수주의자들이 항상 사 회개혁에 비타협적인 성향을 보였던 것은 아니다. 예컨대 비스마 르크 정권하의 독일 정부는 노동자들의 질병과 사고에 대비한 사 회보장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법률안들을 제정하였다. 이러한 법률 안들이 물론 독일 노동자들의 사회주의적 혁명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정되었던 것은 사실이다. 더 나아가서 우리는 반동주의적인 보 수주의자로 널리 알려져 있던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의 메테르니 히 Mett er n ich 재상이 일부 사회개혁을 제창했던 점도 상기할 수 있 다 .4) 따라서, 우리는 유럽의 보수주의자들이 사회개혁을 무조건 배격 했던 것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들은 온건적이면서도 전통적 인 제도와 관습 및 사회 안정을 파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회 개혁을 수용하였다. 근본적으로 보수주의자들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이유로 사회개혁을 지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첫째, 유럽의 보수주의자들은 혁명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회개혁

을 지지하였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보수주의자들은 사회 안정의 증진을 공통적인 목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 따라서, 어떤 특정한 사회개혁이 사회 안정을 꾀하고 혁명과 급진적 변화를 미연에 방 지할 수 있다고 인식되었을 때 서구의 보수주의자들은 이 같은 사 회개혁을 지지하였다. 둘째, 유럽의 보수주의자들은 실용적이고 정치적인 이유에서 사회개혁을 수용해 왔다. 앞에서도 지적하였듯 이 비 스마르크 개 혁 의 의 도는 산업 노동자들을 사회 주의 자들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한 정치적 목적이 다분히 있었다 . 영국의 경우 버크 가 시도했던 개혁안들은 분열된 휘그당의 활기를 촉진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었고, 디스렐리 정권 역시 휘그당의 정치적 무대를 확대시키기 위해서 영국인들의 선거권을 확대시켰던 것이다. 셋 째, 보수주의자들이 인도주의적인 차원에서, 죽 하층민들의 구호 를 위한 기독교적인 사명감에서 사회개혁을 시도해 왔던 점도 무 시할 수 없다. 코반 Al fr ed Cobban 이 지적하고 있듯이 콜러릿지와 수디 Sou th e y가 시 도했던 사회 개 혁 은, 특히 19 세 기 초에 영 국의 기 독교적 종교 부홍에 부응해서 나타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선 따라 서, 유럽의 보수주의자들은 이상의 세 가지 이유에서 사회개혁을 시도하였지만 그 중에서도 사회개혁과 혁명 예방의 연계를 가장 중요시했던 것이다 . 사회개혁에 대한 유연성에 있어서 영국과 대륙 국가들의 보수주 의를 비교하는 것은 현대의 보수주의에 있어서 가장 큰 난제가 되 고 있다. 역설적이긴 하지만 사실상 버크와 기타의 영국 보수주의 자들이 지금까지 유지하고자 노력해 왔던 전통의 일부분은 명예혁 명의 전통, 즉 로크 자유주의의 전통이었던 것이다. 보수정치의 활성화를 위해서 영국의 보수주의는 자유주의와 산업주의에 일관 성 있게 적응해 왔어야만 했고, 따라서 경제질서에 있어서 버크는 자유방임주의적 자본주의, 어떻게 보면 그의 보수주의적 사회철학

과는 상반되는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수용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 와 같이, 영국의 보수주의는 보수정치의 활력을 얻기 위해서 1867 년 디스렐리 정권이 제정한 보통선거권의 확대 법안에서와 같은 자유주의 원칙에 순응적인 성향을 보여 주었다. 즉, 대륙의 보수 주의가 낭만적이고 반동주의적인 성향을 띠고 있었던 것에 비해 영국의 근대 보수주의의 선택은 자유주의의 방향에서 이루어진 것 이다 . 대륙 국가들에 있어서, 특히 19 세기 독일의 보수주의 운동 은 과거에 대한 낭만적인 집착력 때문에 보수정치에 있어서의 활 력과 대중의 지지를 상실했던 것이다전 따라서, 특히 대륙 계통의 보수주의의 선택은 원래의 보수주의 원칙의 일부를 포기하거나 역 사적인 유물로 남게 될 가능성이 많고, 이러한 보수주의의 문제점 이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미국의 보수주의에도 남아 있는 것이다 . 근본적으로 유럽의 보수주의자들은 국가를 신성시해 왔다 . 버크 역시 국가를 모든 과학, 예술, 정치 또는 모든 사회 완성의 협력 체라고 생각하였다?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대륙 계통의 보수주 의자들은 대부분이 권위주의적인 국가를 설정하고 있다. 또한, 19 세기의 유럽의 보수주의자들은 경제와 기타 사회에 대한 국가의 간섭을 아무런 거부감 없이 생각하였다. 예컨대 19 세기 프랑스와 독일에서, 국가는 특히 경제 분야에서 매우 활동적인 역할을 수행 하였으며, 영국에 있어서 콜러릿지와 수디와 같은 보수주의자들은 산업노동자들의 복지정책을 주도하고 농업의 보조정책을 시도하기 위해서 국가의 간섭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였다산 주지하는 바와 같이 19 세기의 자유주의자들은 국가를 부정적인 면에서, 다시 말 해서 국가를 긍정적인 선으로 생각지 않고 필요악으로 간주한 데 반해 19 세기의 보수주의자들은 국가를 보다 긍정적인 시각에서 바 라보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버크가 이론적인 면에서 자유방임주의적인

경제질서, 즉 경제질서에 대한 국가의 비간섭주의의 신봉자였음은 간과할 수 없다. 버크는 사유재산제도가 사회 형성의 기초가 되고 있음을 명시하고 있다. 사유재산제도에 대한 공격은 마치 정부의 통치력에 도전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며 사유재산의 파괴는 시민 사회의 파괴나 다름이 없다고 그는 선언하였다. 다시 말해서 버크 의 경제 원칙은 자유무역, 자유방임주의 및 사유재산의 양도 불가 능한 권리에 기초를 두고 있었다선 코반 Al fr edCobban 과 아우어바 흐 Mo rt on Auerbach 는 버크의 개인주의적 경제사상이 공동체 사회 에 대한 버크 자신의 정치사상과 모순관계를 갖고 있다는 점도 지 적하고 있다 .10) 그러나 버크는 이론적인 면에서 자유방임주의의 주창자였지만, 노 예제도의 페지와 영국 동인도회사에 대한 국가의 간섭을 지지함으 로써 그는 종종 국가 간섭의 이론을 피력하기도 했다. 이러한 모 순은 그가 이론가이면서 한편으로 정치가였다는 사실에서 기인한 다고 볼 수 있다. 영국 내에서 사회개혁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외 부적으로는 해의에서 혁명 사태가 일어나고 있었던 시기에 있어서 그는 확실히 사회개혁을 지지하였다. 부언해서 그는 사회개혁이 당시 분열되었던 휘그당의 정치적 활력을 되살릴 수 있다고 생각 했던 것이다. 또한, 페트렐라 Pe tr ella 가 지적하고 있듯이, 경우에 따라서 국가 간섭에 대한 버크의 의지는 사회의 제반 이해관계의 동정적인 제휴, 이를테면 일반 대중으로부터 나타나는 자연적 동 정 성향에 대한 그의 신념 때문에 정치적 현실 차원에서 형성된 것이라고 본다 .11) 20 세기 초엽에 와서 국가에 대한 유럽 보수주의의 시각에 중대 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사회주의의 성장과 기 술관료 사회의 발전에서 찾아볼 수 있다. 19 세기 말엽부터 대부분 의 유럽 보수주의자들은 자유주의보다도 사회주의를 그들의 가장

강력한 적으로 간주하기 시작하였다 . 보수주의자들의 시각에서 볼 때 자유주의는 방종한 자유 때문에 서구 사회를 위협하였다고 보 았으며, 사회주의는 인간 자유의 제한과 사회에 대한 국가의 통제 때문에 서구 사회를 위협하였다고 그들은 생각하였다. 결과적으로 보수주의의 실상이 자유주의에 동화되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이들 보수주의와 자유주의는 뚜렷하게 구별되기가 어려웠고 사회주의를 공동의 적으로 생각하게 되는 경지에 이르게 되었다. 그리하여 19 세기 말엽 이후부터 대부분의 보수주의자들은 현재에 이르기까지 국가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를 포기하고 국가를 필요악으로 간주하 기 시작하였다. 한편, 19 세기 말 또는 20 세기 초엽에 이르러 유럽의 보수주의 사상온 분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오설리번 NoelO'Su lli van 이 지 적했듯이 이러한 사상적 분열은 기술관료 사회의 출현에 그 원인 이 있었다고 본다 . 한마디로 말해서 기술관료의 출현은 많은 사람 들에게 악몽과도 같은 존재였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비인간적 관 료주의 사회에서 무능한 존재로 취급당하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 이다 . 이와 같은 현상은 카프카 FranzK afk a 의 여러 소설 작품에도 잘 반영되어 있다. 이처럼 기술관료 사회의 발전에 대한 보수주의 의 반응은 여러 가지로 나타나고 있었지만, 그 중에서도 두 개의 극 단적인 반응을 엿볼 수 있다. 이들 극단적인 시각의 하나는, 1918 년 슈펭 글러 Oswald S p en g ler 에 의 해 서 출판된 『서 구 사회 의 쇠 퇴 The Decline oft he Wes t』 가 대 표적 인 예 로서 , 서 구의 문명 이 기 술관 료 사회의 비인격화에 항복하게 되었다는 점을 서구 사회의 비관 적인 운명으로 지적하고 있다. 다른 하나는, 오웰 Orwell 의 『동물 농장 An i mal Farm 』과 헉슬리 Huxle y의 『용감한 신세계 Brave New World 』 등에서 볼 수 있었던 풍자적인 문학의 출현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이들 두 개의 극단적인 반응들은 보수주의 이데올로기에

대해서 건설적인 기초를 제공하지 못했다 . 여기에서 두 가지의 다 른 보수주의적 반응에 대해서 오설리번은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몇몇 보수주의자들은 다른 각도에서 오랜 전통의 종교적, 문 화적, 철학적 가치를 통한 선택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대조적으 로 또 다른 보수주의자들은 시대적 불행을 보다 제한된 시각에서 관조하였다. 이들은 서구 문명을 간직하려는 노력 대신에 절제, 법 률엄수주의, 자유 등의 새로운 수호책을 마련하려는, 제한된 임무 에 관심을 기울였다. 다시 말해서 이들의 관심은 자유주의와 보수 주의 간의 동맹을 달성하여 극단주의를 퇴치시키는 데 있었다 .〉 12) 전자의 집단은 보수주의 사상의 전통주의적인 학파를 형성하였던 바, 권위, 질서 등과 같은 전통적이거나 비경제적인 가치, 또는 개인과 계급을 초월하는 도덕적, 종교적 절대가치에 보다 많은 관 심을 표명하였다. 또한, 이 학파는 물질적인 가치보다도 정신적인 가치, 개인 지향적인 가치보다도 공동체의 가치에 대해서 항상 관 심을 기울였다. 나아가서 이 학파에 속해 있는 이론가들은 경제 영역, 개인의 경제적 자유 문제에 관심이 없었던 반면에 권위와 사회질서를 중요시하였기 때문에 경제와 기타의 생활 영역에서 국 가의 간섭을 관용적으로 받아들이는 성향이 있었다. 이들 대부분 의 사상적 위상온 우익의 극단주의와 좌익 간의 중도적인 시각을 대표하는 보수주의를 대변하였다. 오설리번이 지적한 후자의 집단은 자유론주의자들(본래 자유주의 자가 아닌)의 학파군으로 형성되고 있는데, 오설리번은 이 집단을 자유방임 주의 적 보수주의 자들 Li beral-Conserva ti ves 로 부르고 있다. 이들은 거의 고전적 자유주의에 가까운 입장을 견지하면서 20 세기 에 들어와서 제기되고 있는 개인의 자유, 특히 경제적 자유에 대 한 위협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국가의 간섭 이 과격한 경쟁을 조장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경제 영역에 대한

최소한의 국가 간섭을 허용하려는 성향을 보이고 있다 . 이들 자유 방임주의적 보수주의자들에 있어서 오늘날 보수주의의 가장 중요 한 임무는 한마디로 말해 자유시장 경제체제를 유지하면서 정치적 자유와 입헌정부를 수호하는 데 있다 .13 ) 이상에서 지적한 두 가지 방향의 집단은 현재에 이르기까지 유 럽의 보수주의를 대변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전통주의적 학파 가 사상적인 면에서 우세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아직까지도 유럽 사회의 전근대적 성격, 이를테면 종교적 절대가 치, 공동체 사상, 그리고 산업주의, 합리주의, 실증주의에 대한 혐오증 또는 18 세기 말까지 존재했던 낭만주의의 선호 사상 등 여 러 가지 이유 때문에 나타난 당연한 결과로 보고 있으나, 이러한 현상 때문에 유럽의 현대 보수주의는 어려운 문제에 봉착하게 된 다. 현대의 보수주의가 비현실적이고 반동주의적인 속성을 유지한 다는 것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한편으로는 자본주의에 굴복하여 고전적 자유주의와 유사하게 변질되거나, 아니면 국가의 간섭을 수용함으로써 개혁적안 자유주의와 홉사해지고 있다 . 더 나아가서 현대 유럽의 보수주의자들은 고전적 자유주의의 이념을 수용하면 서도 국가 간섭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20 세기의 성향과 상반 되고 있는 시점에서 자기모순에 빠지고 있음을 보게 된다. 또한, 이 들 보수주의자들이 혐오하고 있는 국가관료주의의 성향은 오늘날 사업주들을 밀어내고 경영자들이 경제적 실권을 차지하고 있는 경 제 영역에까지 미치고 있고, 경우에 따라 보수주의자들이 자본주 의를 수호함으로써 결국 관료주의 사회를 옹호하는 결과도 초래하 고 있다 14) 아우어바흐 Mo rt on Auerbach 가 지적하고 있듯이, 보수 주의자들이 점진적인 변화와 조화를 주장하는 반면에 오늘날 20 세 기의 상황은 급진적인 변화와 부조화의 방향으로 치닫고 있다. 그 렇기 때문에 20 세기의 전체적인 상황은 보수주의자들의 주장과는

반대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어 오늘날 유럽의 보수주의자들은 20 세 기의 상황에 적응하기가 매우 어렵다 . 1 5) 그러나 이러한 상황 속에 서도 20 세기의 유럽 보수주의자들은 자신들의 정체성과 활력을 찾 기 위해 노력해 왔으며, 이러한 현대 유럽의 보수주의의 위상은 미국의 보수주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재현되고 있다. 미국의 보수주의 미국의 보수주의는 유럽의 보수주의와 매우 다르게 보인다. 특 히, 하츠 Lou is H artz와 같은 학자들에 의 해 서 미 국이 보수주의 적 전통을 지니고 있지 않다는 점이 오랫동안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 다 .16) 하츠가 보수주의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느냐 하는 문제와는 관계 없이 이 같은 주장은 지나친 표현임이 분명하다. 이와는 반 대로 국내의 어떤 학자는 미국의 역사는 보수주의적인 전통에 뿌 리를 두고 있다는 시각에서, 국제적인 차원에서 미국을 보수주의 국가로 규정하고 있다 .17) 이러한 두 가지의 시각은 미국의 역사를 흑백논리 또는 전부 아니면 전무로 파악하는 위험한 논리임에 틀 림없다. 미국의 사상적 전통 속에 진보주의와 보수주의의 패러다임이 각 각 존재해 왔다는 점은 엄연한 사실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본다면 미국은 분명 보수주의적인 전통을 갖고 있으면서도 미국적인 보수 주의의 독특한 색깔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 인정된다. 그렇기 때문 에 우리는 미국의 보수주의자들에게서는 유럽적 보수주의의 틀에 맞는 보수주의자들을 찾아보기가 힘들다. 그리고 미국에서는 연방 당 Federal ist P arty의 붕괴 이 후에 유럽 적 인 보수주의 운동을 찾아볼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혹자들은 미국 독립혁명 기간에 있었던

영국의 국왕 지지자들의 추방 이후에는 미국에 유럽적 보수주의 운동이 존재하지 않았던 점도 지적하고 있다 .18 ) 미국의 보수주의는 보다 확대된 평등과 민주주의를 받아들이고 유럽에 비해서 덜 귀족주의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 대륙 의 보수주의, 나아가서는 영국의 보수주의와도 현격한 차이를 나 타내고 있다回 독립혁명 때까지 존재했던 연방당이 민주주의를 수 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붕괴되었던 점을 우리는 상기할 수 있다. 미국 독립혁명 동안에 뿌려진 민주주의의 씨앗은 잭슨 시대에 와 서 선거권 확대를 통한 민주주의의 형태에서 보듯이 유럽 국가들 에 비해서 빠른 속도로 결실을 맺게 되었다 . 미국의 보수주의는 그것이 비록 소득 재분배 정책의 시도에 전적으로 반대 의사를 표 명한 것은 사실이지만 일반적으로 법적 평등과 기회의 평등을 고 수하였댜 20) 더 나아가서 유럽의 보수주의에 비해서 미국의 보수주 의가 보다 물질주의적이었고 산업화에 부정적인 성향을 나타내지 않았던 점은, 어떻게 보면 미국 보수주의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 다 . 21) 이러한 사실은 미국의 보수주의와 유럽의 보수주의 간에 큰 차 이점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데, 개인의 권리와 공동체의 권리가 서로 갈등구조를 형성하는 유럽의 사상사적 발전 과정에서 보자면 미국의 보수주의는 개인의 권리를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유럽의 보수주의는 개인의 권리보다도 공동체의 권리를 선택하는 방향으 로 각각 발전하였다. 다시 말해서 미국의 보수주의는 공동체보다 도 개인의 권리를 우선으로 하였거나 아니면 적어도 미국에서는 개인의 권리와 공동체의 권리 사이에 심각한 갈등이 없었다고 본 댜 같은 맥락에서 마이어 FrankMe y er 는 미국의 모든 사회적 가치 가 개인의 권리에 집중되어 있으며, 미국의 사회제도도 개인 권리 에 부합되도록 정향화되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 2 2) 또한, 그는

미국의 보수주의가 개인의 권리와 자유, 그리고 이에 따르는 개인 의 책임과 의무를 강조해 왔다는 점도 피력하고, 특히 현대의 자 유주의가 집산주의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의 보 수주의는 이와 대조적으로 개인의 권리를 방어할 수밖에 없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 23)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원래 공동체의 우선 권은 유럽의 보수주의 사상에 면면히 흐르고 있는 보수주의의 원 칙 으로서 , 특히 버 크와 메 스트르 De Ma i s t re 의 사상에 서 콜러 릿 지, 프랑스의 바레스 Ma uri ceBarres, 또는 독일의 민족주의적인 보 수주의자들에 이르기까지 공통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미국의 보수주의자들이 개인의 권리에 가장 큰 관심을 가졌던 내용은 개인의 자유였고, 자유와 평등의 선택적 상황 속에서는 자 유를 우선적으로 선택하였다. 평등보다도 개인의 자유를 강조한 이들의 주장은 사유재산의 신성불가침에 대한 신념과 밀접한 관계 가 있다. 따라서, 이들 미국의 보수주의자들은 경제활동에 있어서 도 개인 자유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즉, 이들이 말하 는 자유는 개인이 재산울 획득할 수 있는 자유와 외부의 간섭 없 이 배타적으로 그 재산을 관리할 수 있는 자유를 갖는 개인적 권 리를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원칙하에서 미국의 보수주의자들이 자유시장경제, 또는 정치적 자유와 불가분의 관계를 갖고 있는 경 제적 자유를 주장하게 된 것은 당연한 귀결이었다. 미국의 보수주의자들이 개인의 자유를 강조하여 왔기 때문에 미 국의 보수주의가 유럽의 보수주의와는 대조적으로 국가 권력과 국 가의 간섭을 배제하게 된 데에는 논리적으로 모순이 있을 수 없 다. 즉, 마이어가 지적했듯이 개인의 자유를 보장하는 가장 중요 한 제도적인 장치는 국가 활동의 제한에 있었다.%) 정부는 법과 질 서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정부의 기능을 제한함으로 써 개인 생활을 침범해서는 안 된다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챔벌린 Joh n Chamberla i n 은 인간의 선과 악에 대한 선택에 대해서 정부의 강압적인 권력이 축소되면 될수록 국민에 대한 정부 활동의 오류가 감소된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다 . 25) 오 설리번도 미국의 보수주의자들이 소련의 위협을 제압하는 동시에 국가 간섭의 확대 경향을 제어해야 할 임무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 고 있다 . 2 6 ) 미국 보수주의자들로부터의 국가 권력의 축소 및 국가 활동의 제한 요청은 미국의 보수 정당인 공화당에 의해서 시도되 고 있는 〈작은 정부〉의 정책에도 반영되어 오고 있다 . 그러면 미국의 보수주의가 왜 유럽의 보수주의와는 대조적으로 다른 방향으로 발전해 왔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여기 에는 여러 가지의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변수를 생각할 수 있지 만, 하츠 H art z 의 분석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하게 설명될 수 있다. 즉, 미국은 역사적으로 전근대적 전통과 봉건주의적 유산 및 중세 적 전통을 결여하고 있기 때문에 적어도 반동주의적인 보수주의 세력에 의한 유럽적 보수주의가 미국에 존재할 수 없었다고 본다. 역사적으로 미국은 시작부터 근본적으로 중산계급에 의해 형성된 사회였다. 따라서, 미국의 사회는 보다 유동적인 성격을 갖고 있 었다. 또한, 미국은 광활한 영토와 저렴한 토지 가격으로 많은 불 우한 국민들이 미개척지에서 보다 나은 생활을 창조할 수 있는 가 능성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미국의 환경은 산업화 과정에서 도시 노동자들의 과격한 사회주의 운동을 분산, 약화시켰던 조건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미국적 환경이 미국인들에게 순종 보다는 투박한 개인주의를 조장해 주었다고 볼 수 있다 .27) 특히, 아 우어바흐는 미국의 농장들이 고립되고 농촌 인구가 희박하였기 때 문에 이들 농촌 지역에서마저도 보수주의적인 공동체 의식이 약화 될 수밖에 없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토지와 자원의 풍 부함과 만성적인 노동력 부족은 자연적으로 기계화에 자극을 주는

동시에 자유주의적 경제체제의 발전을 도모하게 되었다. 한편, 미 국으로 건너오는 이민자들의 증가는 시장경제의 확장과 발전을 도 모하였다. 유럽의 지리적인 조건과는 달리 미국의 광활한 영토와 사회적 다양성, 인구밀도의 분산 등은 강력한 중앙집권적인 정치 체제를 유지하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 특히, 유럽의 대륙 국가들의 경우에 국가가 적극적인 경제활동을 시도했던 것에 비해, 미국에 서는 19 세기 중반까지도 중앙정부가 경제활동을 간섭하지 않는 반 면 주정부의 역할이 비교적 컸던 것이다 . 28) 간단히 말해서 미국은 서구사회의 경제적 근대화의 주역을 맡고 있었다. 유럽의 초기 보 수주의자들이 18 세기에 근대화를 증오했던 것에 비해 미국의 보수 주의자들은 시장경제체제를 토대로 한 근대화를 시기적으로 보다 조숙하게 받아들였던 것이다. 따라서, 미국은 유럽의 국가들과는 달리 중세 사회의 유산이 전무했던 관계로 자유주의적인 국가로 출발해서 발전할 수 있었다고 본다. 나아가서 아우어바흐가 지적 하고 있듯이 미국의 보수주의는 자유주의적인 보수주의에로 전향 할 수 있는 사회적 조건을 갖고 있었으며, 버크주의적 보수주의 사상의 맥을 이어받으면서도 그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었다 .29 ) 이 러한 역사적 배경을 통해 볼 때 우리는 미국의 보수주의가 유럽 보 수주의의 낭만주의적, 권위주의적 성향에서 벗어나 자유주의의 이 념과 조화를 보다 잘 이루어 왔던 이유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분명히 밝히고 넘어가야 할 점이 있다 . 앞에서 도 지적했지만 미국의 보수주의가 자유주의의 이념과 조화를 이루 어 왔다고 해서 미국에 보수주의의 전통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 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미국은 유럽 국가들의 역사 적 경험과는 다른 하나의 보수주의의 패러다임을 분명히 갖고 있 는 것이다 미국의 보수주의자들도 유럽의 보수주의자들과 같이 이들이 정립해 온 보수주의의 일반 원칙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평

등과 민주주의에 대한 희의, 일종의 귀족주의에 대한 신념, 그리 고 인간 성격에 대한 바관론적인 입장을 아직까지 고수하고 있다 는 점을 우리는 잊어서는 안 된다 . 물론 이러한 보수주의 원칙들 에 대한 미국 보수주의자들의 이론이 유럽의 보수주의자들의 이론 과 같이 경직되고 완고한 성격을 지닌 것은 아니었다. 앞에서도 지적했듯이 미국의 보수주의자들이 미국 정치에서 보수주의의 활 성화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범위 내에서 자유주의의 원칙을 받아들 이는 데 사회적인 어려움이 없었다는 점을 우리는 고려해야 할 것 이다 따라서, 미국의 보수주의자들은 용이하게 평등과 민주주의 의 개념을 긍정적인 면에서 받아들이면서도 이들 개념에 대한 원 천적인 회의를 포기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 오늘날 미국의 현대 정치학자들 가운데 엘리트 이론을 강조하면서도 민주주의와 평등 의 개념을 전적으로 거부하지 않고 있는 것은 바로 미국적인 보수 주의의 풍토 속에서 찾아볼 수 있는 현상이다. 미국에서 독립 초 기의 연방주의자들이 사라진 이후에 미국의 보수주의자들이 적어 도 표면적으로나 공개적으로 귀족주의의 중요성을 발설하는 경우 는 거의 없지만, 경우에 따라서 귀족주의의 개념을 현대적인 상황 에 맞게 변형해서 오늘날 현대 국가의 전문관료와 기업의 기술 경 영자의 위상에서 과거 귀족주의를 간접적으로 정당화시키려는 보 수주의자들의 예가 있기는 하다. 그리고 또 하나, 미국의 보수주의가 유럽의 보수주의와 성격적 인 면에서 차이가 있다고 해서 미국에서 유럽적인 보수주의의 유 형이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는 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 이다 죽, 민주주의에 대한 회의, 강력한 중앙정부와 귀족주의에 대한 신념, 인간 성격에 대한 비관론적인 사상을 피력하는 등 초 기의 연방주의자들은 유럽적인 보수주의의 성향을 다분히 지니고 있었다. 특히, 이들 중에 애덤스Jo hnAdams 는 유럽적 성향을 지

니고 있던 보수주의자로서 인간 성격의 비관론, 귀족주의의 유사 이론 등, 사회공동체의 이익을 도모하기 위해서 개인의 직 접적인 이익을 제한하기 위한 국가 권력의 필요성, 나아가서 재산에 따른 사회공동체에 대한 의무와 책임을 강조하였다. 또한, 칼훈Jo hn C. Calhoun 역시 질서와 권위의 필요성과 인간 성격의 비관론을 그의 사상의 바탕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유럽적 보수주의에 접근했던 사상가로 알려지고 있다 .3 0) 그리고 미국의 남부지역은 미국에서도 유럽적 보수주의의 보루로 자주 인식되어 왔었다. 이것은 특히 남 부지역이 농업사회로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던 점, 다시 말해서 신 봉건적 체제, 위계적 사회 구조, 농업 귀족주의 등의 전통적인 속 성을 갖고 있었던 농장제도에서 창출된 봉건적 유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 31 ) 그러면서도 구트만 Gu ttm ann 과 아우어바흐와 같은 학자들은, 남부의 대농장 경영주들로 구성된 중산계층의 존재, 노 예제도의 자본주의적 성격, 남부지역의 잭슨 민주주의의 수용 등 을 지적하면서 반드시 남부지역이 유럽적 보수주의에만 머물러 있 지 않았었다는 사실을 역설하고 있다 . 3 2 ) 여하튼 시민전쟁에서 북부 의 승리는 남부의 신봉건적 농장제도를 파괴하고 남부의 유럽적 보수주의의 유산을 배제시킨 결과를 초래하였다 . 따라서, 시민전 쟁 이후에 미국의 〈자유방임주의적 보수주의자들〉은 결과적으로 미국의 전지역을 군림해 온 것이다 .3 3) 1820 년대 연방주의자들이 미국의 정치 무대에서 사라진 후 유럽 적인 보수주의는 적어도 미국의 현실 정치에서 거의 재현될 수 없 었으나, 미국의 문학계에는 아직도 유럽적 보수주의의 성향이 잔 존해 있었다. 시민전쟁 이전까지만 보더라도 유럽적 보수주의의 성격이 그 유형은 조금씩 달리 표현되고 있었지만, 어빙 Washi ngton Irvin g, 호손 Nath aniel Haw tho rne, 멜빌 Herman Melvil le 둥의 문학 세계에 나타나고 있었다 . 이들이 미국의 북부지역 출신

의 작가들이었지만 인간의 타락성과 권위에 대한 복종을 그들의 작품에서 강조했던 것으로 보아 유럽적 보수주의의 성향을 다분히 지니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 물론 이것은 표현에 따라 논쟁점이 될 수 있지만, 구트만이 지적하듯이 유럽적 보수주의가 현실 정치 에서 배출구를 찾지 못해 문학과 지성인들의 집단으로 숨어들었다 는 것은 홍미 있는 지적이라고 볼 수 있다 . 34) 19 세기 말과 20 세기 초엽에 걸쳐 미국의 보수주의는 유럽의 보 수주의에서처럼 국가 개념에 대한 중요한 변화를 시도하게 되었 다 해 밀 턴 Alexander H amilt on 과 같은 미 국의 초기 보수주의 자들은 강력한 중앙정부의 창설을 위한 국가 권력의 적극적인 활동을 주 장하였었다. 한편, 제 퍼 슨 Thomas J e ffe rson 과 같은 자유주의 자들은 자유방임주의적인 국가의 제한된 역할, 이에 따른 지방분권화의 이념을 신봉했던 것이다. 즉, 이들 자유주의자들은 정부를 개인 자유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였고, 19 세기 중반 이후 대기업의 성 장과 더불어 자유주의자들은 오히려 대기업의 세력을 개인 자유에 대한 위협으로 생각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그들은 대기업의 세 력을 저지하고, 기회의 평등과 사회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정부 (국가)를 하나의 동맹자로 생각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상황 속에서 미국의 자유주의자들은 스스로를 피억압자들, 소기업인 들, 영세 농민들의 보호자로 자처하는 등 정부를 대기업의 막강한 세력으로부터 이들 사회계층을 보호하는 대리인으로 부상하게 된 것이다 이와 반대로 미국의 보수주의자들은 사회적 평등보다는 경제적인 자유와 재산권의 보호에 관심을 갖고 국가 간섭의 최소 화를 강조하는 등 국가를 부정적인 시각에서 관조하기 시작하였 댜 다시 말해서 사회 특권층의 구성원으로서의 보수주의자들은 정부를 그들의 특권을 위협하는 존재로 보았던 것이다. 이들 사회 특권층은 부의 복음과 사회적 다위니즘의 선각자들로, 당시 창출

된 대표적인 대기업으로는 카네기 Andrew Carne gi e 가( 家 ), 록펠러 Joh n D. Rocke fe ller 가( 家 ) 등이 있다 . 이들에게 있어서 부의 축적은 사회적인 덕목으로 생각되었던 것 이다. 이들은 사회적 다위니즘의 적자생존론에 신념을 갖고 있었 기 때문에 부의 축적은 노력의 상징으로, 가난은 무지와 나태의 소산이라고 자부하였고, 나아가서 이들은 정부가 재산과 특권을 위협하지 않고 오히려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35) 이러한 면에 서 돌베 어 Kenneth Dolbeare 는 이 들이 과거 의 보수주의 자들이 아니 고 스미스 AdamS mith의 이론을 옹호하는 자유방임주의적 자유주 의자들에 불과하며 자연권사상의 재산권을 강조한 자유주의자들이 나 마찬가지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3 6) 같은 맥락에서 로시터도 지적 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이들은 자유주의적 성향을 지니고 있었지만 분명히 미국의 자유주의에 의해서 정향화된 미국적 정치문화에서 창출된 보수주의자들임에 틀림없었다 . 다시 말해서 이들은 산업 발전에 따른 사회적 변화는 예외로 치더라도 근본적으로 사회개혁 울 기존 질서에 대한 위협으로 받아들이고 계층화된 사회의 불가 피성과 귀족주의의 필연성을 주장하면서 근대화 과정에서 나타난 미국의 보수주의자들이었다. 심지어 이들은 종교의 중요성과 사유 재산의 신성불가침을 주장하는 등 다수결 원칙의 어리석음과 사회 균등화 정책의 오류를 지적하였다. 초기 보수주의와의 차이점을 지적한다면 이들의 개인주의, 사회 발전의 불가피성과 국가에 대 한 공포심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이러한 의미에서 로시터는 이 들의 부류를 자유방임주의적 보수주의자들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 는 이들 집단을 서술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개념이라고 생각된 다 .37) 시민전쟁 이후 미국의 산업화 과정에서 생성된 이 같은 성향 의 미국 보수주의는 현재 미국의 현실 정치에서 보수주의의 가장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로시터가 개념적으로 정의했던 자유방임주의적 보수주의가 20 세 기 초엽에 와서 미국의 현실 정치에서 보수주의의 지배적인 위치 를 유지해 왔는데, 같은 시기에 미국에서 유럽적 보수주의를 주창 했던 이론가들은 대표적으로 헨리 애덤스 He nry Adams, 브룩스 애 덤 스 Brooks Adams, 배 빗 Irvin g Babbit t, 모어 Paul Elmer More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불가피한 발전의 신념을 거부하였고, 시민전 쟁 이후 호경기 시대에 창출된 신홍 부유층의 천박한 세속화와 도 덕적 퇴보를 지적하고 산업화와 도시화의 문제점을 비판하였다 . 심지어 이들은 민주주의를 희의적인 시각에서 바라보기까지 했다. 이들이 지향했던 것은 교양 있는 신분층의 통치, 엘리트의 통치 및 도덕, 지식, 재산, 교양을 겸비한 귀족(전통적인 귀족계급이 아 닌)들에 의해서 구성되는 정부 형태 등이었다. 또한, 이들은 투박 한 개인주의를 거부하고 정부와 공동체의 존엄성을 중요하게 생각 하였다 四 당시 지배적이었던 미국의 보수세력과는 달리, 이들은 자본 축적과 사회복지의 동질성이나 발명과 진보의 동질성을 거부 하였으며, 국가의 개념울 백만장자와 산업 공장의 차원에서보다도 교회 건축과 예술가의 차원에서 평가하고자 노력하였다 .39 ) 헨리 애 덤스는 체계적인 정치사회철학을 제시하지는 못했지만, 그의 저서 인 『헨리 애덤스의 교육 이념 』 에서 산업주의와 산업사회의 비관론 적인 성향을 지적하고, 과거의 봉건주의와 지주계급적 귀족주의 시대에 대한 향수를 보여 주고 있다. 불행하게도 그의 낭만주의적 인 동경은 중세 시대의 가치관으로 환원된 결과를 초래하여 비현 실적인 방향을 제시하게 되었던 것이다 . 4 0 ) 당시 유럽적 보수주의의 성향을 대변하고 있던 대표적인 이론가 들로는 소위 〈신 인본주의 New Hum ani sm 〉로 알려 진 보수주의 운동 의 주도 역 할을 담당했던 배 빗과 모어 Paul Elmer More 를 들 수 있 다. 이 운동은 1 차 세계대전이 진보에 대한 인간의 꿈을 분쇄하였

다는 사회적 인식이 확대되면서 지성 세계에 전파되기 시작하였 다 배빗과 기타의 신인본주의자들에게 1 차 세계대전은 자유민주 주의의 무력함을 입증해 준 것으로 인식되었다. 한편, 그들은 인 간의 자연적 불평등을 신봉하고, 교육이란 단지 누가 인간의 재 능, 덕성, 자기수양에 근거한 자연적 귀족이 될 수 있는지를 발견 하는 수단에 불과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들은 인간의 내면적 양심과 인간의 절제 생활을 강조하는 등 자유주의 사회에 잠재해 있는 무절제한 개인주의를 공격하였다. 이들이 무절제한 개인주의 를 비판하는 이면에는 권위에 대한 복종이 강조되기도 하였다. 그 들이 의미한 자유는 개인이 원하는 대로 행동하는 자유가 아니 고, 법질서에의 적응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그들이 말하는 평 등은 진정한 자유와의 모순을 의미하였다. 이러한 이론 전개 과정 에서 이들이 영국의 버크주의적 보수주의의 계승자들로 자처하고 있는 점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 이들 신인본주의자둘이 기타의 보수주의자들과 다른 점은 기독교를 부정하고 있는 데 있다 . 물론 모든 신인본주의자들이 반기독교적인 성향을 나타내고 있던 것은 아니었다. 이들 신인본주의자들 가운데서도 특히 엘리엇 T.S . E li o t 과 테이트 Allen Ta t e 는 배빗의 반기독교적인 사상을 비판하고 있 댜 그러나 배빗이 반기독교적인 성향을 갖고 있다고 해서 종교 자체의 중요성을 부정한 것은 아니었고, 다만 동양 사회의 불교를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그는 범종교적 중요성 을 강조하고 있는 셈이다. 이런 점에서 미국을 포함한 서구 사회 의 보수주의자들이 거의 기독교와 관련된 보수이론을 전개하고 있 는 것에 비한다면, 배빗온 서구 보수주의자들 가운데서도 특이한 이론가라고 평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우리는 20 세기의 초엽에 미국에서 신인본주의란 미명 하에 유럽적 보수주의가 생성된 시대적 배경과 이들의 주장들을

검토하였다 . 그러나 이들의 신인본주의 학파는 계속되고 있는 미 국의 산업주의와 자유주의의 위력 앞에서 모기 소리만한 소수의 집단에 불과하였다. 더구나 미국의 보수주의가 20 세기에 와서 자 유방임주의적 보수주의, 다시 말해서 자유주의적 보수주의의 방향 으로 대세를 몰아가고 있었기 때문에 유럽적 보수주의의 색깔로 변질된 신인본주의는 더욱 약세에 몰릴 수밖에 없었다. 여하튼 미 국에 있어서 20 세기는 전반적인 보수주의에 적대되는 시대였음이 분명하다. 미국의 보수주의도 예의 없이 20 세기의 초엽에 와서 특 히 일반 대중에게 인기 절하된 오명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맥도 널드 Malcolm MacDonald 는 1957 년 그의 저서 에서 다음과 같이 지 적하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25 년 전 미국의 중요한 대학들의 강 단에서 보수주의의 이념을 적극적으로 강의한 교수가 있었다면, 이 러한 교수는 비현실적인 낭만주의자나 절망적인 반동주의자로 몰 렀을 것이다.〉 4 1) 맥도널드가 지적한 연도는 1930 년대 초반으로, 미 국의 자유주의가 정치 무대의 전면에 나타난 뉴딜 시대의 초창기 라고 볼 수 있다. 2 차 세계대전 이후에 와서도 비레크 Pe t er Vi ereck 는 보수주의의 용어가 미국 사회에서 가장 인기 없는 개념이었다 고 개탄하고 있다 .42 ) 주지하는 바와 같이 1929 년 주식시장의 붕괴 는 자유방임주의적 보수주의의 정당성과 위력에 손상을 주었고, 결 과적 으로 루스벨트 Frank Roosevel t의 뉴딜 정 책 이 미 국 보수주의의 종말적 충격을 치유하게 되었다. 이러한 국면에 처한 미국의 보수 주의는 1930 년대 후반에 이르기까지 지성인들의 집단은 물론 일반 대중들의 호응을 얻기가 어려웠고, 미국 사회의 전반에서 재활력 울 찾기가 거의 불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그러나 2 차 세계대전 이후 뉴딜 정신에 밀려 침체되었던 미국 보수주의는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다. 1 차 세계대전 이후에도 마찬가지였지만 특히 2 차 세계대전의 결과는 자유주의, 사회주의

및 기타의 좌익사상에 대한 환멸을 유발하였다. 많은 사람들에게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의 유토피아적인 꿈은 결국 전체주의적인 악 몽으로 판명되었고, 특히 공산주의 국가들은 인간 생활의 전영역 을 통제하는 억압적인 국가들로 군림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 에서 2 차 세계대전 이후의 세계인들은 자유주의적인 변화와 실 험, 자유주의적인 개선책에 회의감과 싫증을 느끼고 인간 활동의 영역에 점점 촉각을 둘이대고 있는 국가의 존재에 공포감을 떨쳐 버릴 수 없었다. 한편, 세계인들은 어느 시대에서보다도 악의 실 체를 체험하고 인간의 〈완전사회〉의 창조 능력에 대한 자유주의적 신념을 상실하게 되어 종교에의 귀의 현상이 보편화되기도 하였 다. 이러한 시대적 비관론과 절망감은 미국의 보수주의가 재활성 화될 수 있었던 사회적 배경이 되었다. 러셀 커크와 피터 비레크 는 이 같은 보수주의의 부홍기에 미국의 보수주의를 대변하고 있 던 중요한 이론가들인 것이다. 이들뿐만 아니라 2 차 세계대전 이 후에 와서 많은 학자들이 보수주의에 대한 논문과 책자들을 출판 하면서 스스로 보수주의자임을 천명하는 등 미국의 일반 대중들도 보수주의적인 태도를 표출하기 시작하였다 .43) 따라서, 2 차 세계대 전 이후 미국의 보수주의는 뉴딜 시대의 위축기에서 벗어나 회복 기를 맞게 되었지만 그것이 갖고 있는 딜레마는 상존해 있는 것이 댜 즉, 자유주의에 대한 매력이 말끔히 씻어지지 않는 한 미국의 보수주의는 (뒤에 가서 언급하겠지만) 오늘날 보수 정권(공화당)을 저변에서 지지하고 있는 보수세력이 확대된다 하더라도 항상 사상 누각일 가능성을 갖고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여기에서 의미하는 보수주의의 딜레마에는 보수주의의 적대적인 환경과 난폭한 20 세 기의 상황 속에서 보수주의의 정체성과 일관된 이론을 어떻게 정 립하느냐 하는 어려운 문제가 도사리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2 차 세계대전 이후에 나타난 미국의 보수주의 운동에서 보듯이 그 영

향력은 대단한 것이었다. 이를테면 뉴딜식 자유주의에 강렬하게 저항하고 있는 〈신보수주의〉는 러셀 커크와 피터 비레크 등이 20 세기의 중 • 후반을 장식한 미국의 보수주의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 가서 상론하기로 하겠다. 보수주의의 개념적 속성 지금까지 우리는 유럽과 미국에 국한해서 보수주의의 역사적, 사 회 경제적 배경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다. 보수주의가 지금에 와 서는 여러 학파로 분열되어 있긴 하지만, 보수주의 이념의 공통분 모를 찾아 보수주의의 개념적 특성을 확인해 보기로 하겠다. 사상 사적인 면에서 보수주의가 정치적인 가치와 인간의 태도를 결정한 다는 점에서 엄연히 정치적 이데올로기로서 예의일 수는 없다. 우 리는 적어도 서양 사회의 역사적 상황 속에서 구축되어 온 보수주 의적 이념의 일반적인 속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이 내용은, 1 장에서 언급한 윌슨의 〈 1 차적〉 속성과 헌팅턴의 〈보편적〉 속성으로서의 보수주의 이념울 형성할 수 있다고 본다. 첫째로, 보수주의는 인간의 자연적 불평등에 대한 신념에 의해 서 일반적으로 정향화된 정치이념이라고 본다. 이러한 전제하에 대부분의 보수주의 이론가들은 사회 형성에서의 신분, 질서, 계급 의 요소는 불가피한 것으로 믿고 있다. 여기에서 이들이 지적하는 신분의 개념은 반드시 중세 사회의 엄격한 신분제도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신분, 질서, 계급의 존재가 어느 시대 어느 장소에만 국한되지 않고 역사적으로 상존해 왔던 점을 더욱 중요 시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사회의 균등화 현상, 죽 경 제적, 사회적 평등을 인위적으로 유도하는 어떠한 시도에도 반대

하고 있다. 여기에서 우리가 혼동해서는 안 될 점은, 오늘날 이들 의 일부가 노동자들의 사회복지를 정책화한다고 해서 여기에서 지 적한 보수주의의 이념(불평등)이 허상이라고 단언할 수 없다는 점 이다. 이들은 평등화를 위한 어떠한 인위적 시도도 사회의 파멸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특히 영국과 미국의 많은 보수주의자들은 기회의 평등, 즉 자기발전을 성취할 수 있는 균등한 기회에 대한 개인적 권리는 인정하고 있다 . 역사 적으로 확인되어 온 것 중에 사회적으로 자유와 평등에의 선택은 종종 심각한 갈등을 초래하였으나, 대부분의 보수주의자들은 자유 를 선택하였다. 로시터는 평등보다도 자유에 대한 선호가 보수주 의 사상의 근간이 된다고 지적하였다 . 44) 두 마리의 토끼를 잡는 것 이 더 좋은 일이긴 하지만 한 마리의 토끼를 잡기도 어려운 상황 속에서 평등을 성취시키기 위해 개인의 자유가 희생되어서는 안 된다는 보수주의자들의 생각에는 변함이 없었다 . 그러나 앞에서도 지적했듯이 자유는 개인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의미의 방종이 아니라 법에의 복종 또는 권위에의 복종에서 가능한 것이라고 이 들은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보수주의는 평등사상에 부정적인 성 향을 표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적어도 자유주의자들에 비해 정 치적 평등으로 간주되는 민주주의에 대해서도 원천적인 회의를 나 타내고 있다. 둘째로, 앞에서 지적한 자연적 불평등과 민주주의에 대한 회의 에 밀접하게 연관된 보수주의의 이념에는 일종의 귀족주의에 대한 신념이 채색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귀족주의의 개념이 버크의 지 주계급, 애덤스Jo hn Adams 의 자연적 귀족주의, 칼라일 Carly le 의 영옹, 비레크의 귀족주의적인 정신, 또는 미국 시민전쟁 이후에 나타난 사회적 다원주의에 부응했던 기업 엘리트 등 어느 것을 의 미하든 간에 대부분의 보수주의자들은 일종의 귀족주의에 대한 신

념을 갖고 있다. 근본적으로 대중사회의 출현을 못마땅하게 생각 하거나 적어도 사회 구성원들이 모두 평등하지 않다는 사실을 확 신하고 있기 때문에 보수주의자들은 특정한 사람들이 사회를 통치 하고 운영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이들이 의미하는 귀족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부류의 사람을 지칭하느냐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제시되고 있지만, 거의 보편적으로 이들 보수주의자 들이 귀족주의를 보수주의의 속성으로 생각하는 데는 의문의 여지 가 없다. 사실상 현실적으로 완전한 민주주의가 존재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면 이들이 사용하는 귀족주의라는 용어에 거부감이 생길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타당성 있는 속성의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다 . 셋째로 , 보수주의자들은 일반적으로 어느 누구보다도 사유재산 의 신성불가침을 강조하고 있다 . 이러한 신념은 버크가 강조하였 듯이 인간은 자신의 노력의 결과물에 대한 권리를 갖는다고 선언 하고 있다 .4 5) 그는, 재산은 사회 존속의 영구화를 위해 불가피한 요소라고 강조하였으며, 이후에 와서 거의 모든 보수주의자들이 그의 견해를 따르거나 거의 유사한 주장을 내세우고 있다. 오늘날 자본주의의 체제화 그 자체가 일반적으로 보수주의로 정향화되고 있는 것으로 당연시된 것은 사실상 보수주의자들이 재산을 신성시 해 왔기 때문이라고도 볼 수 있다. 넷째로, 보수주의는 사회의 변화가 사회의 발전을 수반한다거나 사회는 외형적인 제도의 변화에 따라 좀더 좋은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진보주의자들의 주장에 대해서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해 온 것이다 . 미국의 보수주의 이론 분석가인 로시터도 보수주의자 들이 사회질서의 분별력 있는 옹호론자들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들은 모든 변화에 대해서 무조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던 것이 아니고, 사회 변화는 과거에 근거해야 되고 과거를 존중하는 범위

내에서 수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이들 은 공통적으로 사회 변화보다 사회 안정, 단절보다 연속성, 미래 보다는 과거의 사회 실체에 대하여 선호하는 감정을 표출하였다고 본다. 같은 맥락에서 오설리번 Noel O'Su lli van 이 지적하고 있듯이 정치이념으로서의 보수주의는 사회 변화의 반대만을 위한 추상적 인 개념에서가 아니고 급진적인 사회 변화를 부정적으로 받아들임 으로써 기성 제도의 유지를 옹호해 온 편이었다 . 46) 따라서, 보수주 의자들은 사회 안정에 보다 중요한 가치를 부여하고 있지만 모든 사회 변화에 대하여 무조건적으로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던 것 은 아니라고 보며, 사회 변화가 전통에 근거하고 점진적이어야 한 다는 점에 집착해 왔다고 볼 수 있다 . 사회 안정에 대한 신념에서 권위에 대한 복종이 사회질서와 사회 안정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 에 이들은 권위에 대한 복종에 중요한 가치를 두고 있다. 다섯째로, 보수주의자들은 종종 전통, 오래 지속된 제도, 과거 시대의 지혜 등을 존중하는 사회유기체설, 즉 사회가 과거에 깊이 뿌리를 둔 살아 있는 유기체임을 확신하고 있다 . 4 7 ) 예컨대 버크는 영국의 명예혁명이 영국의 오랜 전통의 법률과 개인의 자유를 수 호했던 것에 비해서 프랑스혁명은 과거와 단절된 것으로 사회유기 체적 역사성을 부정한 사건이었음을 지적하였다 .48 ) 더 나아가서 그 는 영국의 사회개혁이 개혁 이전까지의 전통적 풍속울 유지하려는 사회유기체적 원칙을 고수해 왔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흄의 이성회의론에 영향을 받았던 버크는 사회가 이성에 의존할 수 없 기 때문에 역사적 관행, 전통, 관습 등에 의해 유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49) 한마디로 전통의 존중은 보수주의 이념의 중요한 요 소라고 볼 수 있다 . 여섯째로, 버크 이후로 보수주의자들은 일반적으로 자유주의자 들에 비해 사회문제의 해결자로서의 이성의 능력에 회의를 갖고

있었다. 앞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초기의 보수주의는 자연법사 상과 합리주의에 부정적인 견해를 견지, 인간의 합리성이 새로운 사회질서를 창조할 수 있다는 자유주의자들의 주장을 강력하게 반 대하였다. 이러한 면에서, 현대 철학에서 제기되고 있는 해체론 Decons t ruc ti on 이 보수주의 철학이라고는 말할 수 없지만, 근대 보 수주의 사상가들의 이론은 해체론의 효시라고 볼 수 있다 . 사상가 들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특히 버크와 메스트르 등 유럽 의 초기 보수주의 사상가들은 철저한 반합리론주의자들이었으며 마이어와 하이에크 Ha y ek 같은 현대의 보수주의 이론가들에서는 강경론적인 반합리론이 둔화되고 있는 것울 볼 수 있다 . 보수주의자들이 비합리론의 성향을 나타내고 있는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는 이들의 대부분이 종교와 보수주의를 연결시켜 생각하 고 있는 점이다. 대체적으로 보수주의자들은 초월성 또는 일종의 신성성에 대한 신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종교는 항상 보수주의 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로시터는 인간의 종교적 심성을 보수주의의 여러 요소들을 통합시키는, 기계의 모터와 같은 것으 로 비교하고 있다 .50) 또한, 보수주의자들에 있어서 사회, 정부, 가 족, 교회 등과 같은 사회조직은 신성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마 이어가 지적하고 있듯이 서구 문명의 기초가 되는 인간의 운명과 인간의 성격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는 보수주의의 핵심이 된다고 할 정도로, 특히 서구 사회에서는 종교와 보수주의는 단절될 수 없는 연계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 51) 버크도 종교가 문명사회의 기 초, 모든 선과 모든 행복의 근원이 된다는 점을 피력하였다 .52) 더 나아가서 그는, 인간은 근원적으로 종교적 동물이며 무신론은 인 간의 이성과 본능을 거역하는 것이라고 천명하였던 것이다. 따라 서, 대부분의 보수주의자들은 보수주의의 위협은 종교의 위협으 로, 그 역도 진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서구 사회에서 보수주의의 활성화가 항상 종교적 부흥을 수반해 왔다는 점은 매우 홍미로운 사실이다. 그 중요한 이유의 하나로 종교가 사회 안정이나 권위와 질서의 유인력으로 종종 간주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상 개인적으로 종교인이 아니었던 많 은 보수주의자들도 권위의 조정 역할로서 종교를 지지해 왔던 것 이 사실이다. 예컨대 초기 프랑스 보수주의의 견인 역할을 했던 메스트르 DeM ai s tr e 는 종교인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교회가 사 회 안정의 기초로서 권위적인 제도였음을 시인하였다. 물론 이스 턴 Max Eas t on 과 랜드 Ay n Rand 와 같은 반종교적 보수주의 자들도 있었다 . 이스턴은 한때 급진적인 좌익 사상가였으나 미국의 보수 주의 운동에 가담한 이후로는 종교에 대한 고전주의적 자유주의자 들의 열성이 없었던 신고전주의적 자유주의자로 전향한 이론가였 다. 그의 강력한 무신론적 입장 때문에 결과적으로 보수주의에서 신고전주의적 자유주의에로 전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랜드도 그의 무신론적 입장 때문에 결국 미국의 보수주 의 운동에서 탈락하게 되었다. 미국의 경우 결국 이들 무신론적인 보수주의자들이 보수주의 운동의 변방으로 밀려나고 있는 점은 적 어도 서구 사회에서는 보수주의와 종교의 연계 현상이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5 3 ) 마지 막으로, 보수주의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보수주의 자들은 일반적으로 인간 성격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롤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다 . 즉, 보수주의자들은 인간을 악성의 소유자로 규정하고, 기 독교적인 개념으로 인간의 성격을 설명하기 위해서 원죄의 개념을 적용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이들은 인간의 사악하고 비합리적인 행동의 동기가 원죄에서 출발한다고 보고 있다. 마이어 Frank Me y er 가 지적하듯이 보수주의는 사회와 인간이 완전해질 수 있다 는 자유주의적 이념을 부정하고 있다 .54) 오설리번도 보수주의를 불

완전성에 근거한 정치의 제한성으로 단순하게 정의하고 있다 . 55) 따 라서, 우리는 보수주의의 이념에서 인간의 불완전성에 대한 신념 울 찾아볼 수 있다 . 앞에서 정리한 보수주의의 이념적 요소들이 대부분 이 같은 신념에서 출발하고 있기 때문에 인간의 원죄에서 부터 연계되는 인간의 불완전성에 대한 신념은 보수주의의 이념 가운데서도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 같은 인간 성격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가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보수주의자들이 외형적 인 제도의 변화를 통한 진보 가능성, 평등화의 발상, 민주주의와 일반 대중의 지혜, 인간의 이성에 대해서 근본적으로 회의를 갖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보수주의는 인간과 사회에 대하여 심원한 비관주의 또는 염세주의로 흐르는 경향이 있다. 악성적인 인간 성격의 불변성으로 인해서 모든 사물과 상황은 좋은 방향으 로 개선될 수 없고 오히려 악화될 수밖에 없다고 보수주의자들은 보고 있다. 오설리번이 지적했듯이 자유주의적인 보수주의자들과 전통주의적인 보수주의자들은 보수주의에 대하여 상호간에 견해 차이를 보이면서도 인간과 사회의 불완전성에 대한 신념에 있어서 는 적어도 견해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즉, 전통주의적 보수주 의자들은 인간의 불완전성을, 자유주의적 보수주의자들은 국가의 불완전성을 각각 강조하고 있다 . 5 6 ) 보수주의자들이 귀족주의에 대 해서 긍정적인 신념을 갖고 있는 것도 결국은 인간의 불완전성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 따라서, 서구의 보수주의자들은 귀족이 자연적으로 또는 교육에 의해서 형성된 인간 성격의 악성적인 표 출에 있어서 자제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외에도 서구의 보수주의자들이 강조하고 있는 이념들 가운데 공동체의 중요성을 생각할 수 있다 . 미국 보수주의자들의 대부분 은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공동체의 중요성을 내세우 지 않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이에 반해서 유럽의 보수주의자들은

개인주의보다도 공동체 의식을 보수주의의 이념으로 삼고 있다. 앞에서 지적했듯이 유럽의 보수주의가 미국의 보수주의에 비해서 권위주의적인 성향을 나타내고 있는 점은 바로 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데서 연유된다고 볼 수 있다. 결론 앞에서 우리는 유럽의 보수주의와 미국의 보수주의의 역사적 배 경과 이론적 차이점을 개괄적으로 분석하고, 서구의 보수주의자들 이 공유하고 있는 보수주의의 개념적 속성을 정리해 보았다 . 결국 보수주의라는 것이 시공간에 따라 여러 모로 변질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버크 시대에서 출발, 오늘에 이르기까지 사회 진보에 대 한 부정적인 시각의 공통분모를 유지하고 있으며, 그러면서도 유 럽의 보수주의와 미국의 보수주의는 권위주의(또는 국가주의)와 개 인주의(자유주의)라는 각각 다른 방향으로 정향화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유럽의 경직된 보수주의가 대서양으로 홀러들어가 아메리카의 풍토에 토착화되면서 보수주의에 유연성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유럽의 마르크스주의가 아메리카의 풍토에 일단 접착되었을 때에도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우리가 미국이라는 나라를 이해하는 데 매 우 홍미로운 현상들이라고 판단된다. 이상에서 정리한 보수주의의 개념적 속성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미국의 신보수주의 사상에 서도 〈보편적〉 속성으로 재현되고 있음을 보게 된다.

〔주) 1) Alfr ed Cobban . Edmund Burke and the Revolt A g a in s t the Eig h te e nth Centu r y (L ondon: George A llen and Unwi n Ltd. . 19'}!)) , p. 2 51 . 2) Rog er H. Solt au , French Poli tica l Thoug h t in the Nin e te e nth Centu r y (N ew York: Russell and Russell, 1959), pp. 16- 24 ; Klemens von Klemp e rer, Germany ' s New Conservatis m (Prin c eto n : Prin c eto n Univ e rsity Press, 1957) , pp. 33-3 4, 그리 고 Thomas Neil l, Modern Europ e : A Pop u lar His t o r y (G arden Cit y, New York: Doubleday and Comp an y , Inc., 1970), p. 1 51 . 3) Solt au , 같은 책, p. 17. 4) Pete r Vie r eck, Conservati sm Revis it e d : The Revolt A g a in s t Revolt, 1815-1949 (New York: Charles Scri bn er's S ons, 1949), p. 88. 5) Cobban, 앞의 책, p. 1 98. 6) von Klemp er er, 앞의 책, pp. 34-35 . 7) Edmund Burke, Refl ec ti on s on the Revoluti on in France, Thomas H. D. Mahoney, ed.( N ew York: Lib e ral Art s Press, 1965), p. 110. 8) J. D. Chambers and P.J .M adg w ic k , Confl ict and Communit y: Europ e Sin c e 1750 (Lo ndon: George Phil ip , and Sons Lim ited , 1968), p. 133. 9) Edmund Burke, Thoug h ts and Deta i ls on Scarcity , The Works of Edm11nd Burke, vol. 5, 개정판 (Bos t on : Lit tle, Brown, and Co., 1866), pp. 131-169. 10) Cobban, 앞의 책, p. 1% 그리고 Mort on Auerbach, The Conservati ve Illusio n (N e w York: Columbia Univ e rsity Press, 1959), pp. 40- 41 . 11) Frank Petr el la, Edmund Burke: A Lib e ral Practi tion er of P oliti ca l Economy , Modem Ag e, vol. 8 (Wint e r , 1963- 64), pp. 55- 00. 12) Noel O' Sulliv a n, Conservati sm (New York: St. Ma rtin' s Press, 1'!7 6), p. 120. 13) 같은 책, p. 140. 14) 같은 책, pp. 119 -1'}!). 15) Mort on Auerbach, The Conservati ve Jll11s io n (New York: Columbia Un ive rsity Press, 1959), p. 84. 16) Louis Hartz , The Libe ral Tradit ion in Americ a (New York: Ha rtco urt , Brace and World, Inc., 1955) 17) 권용립, 『미국-보수적 정치문명의 사상과 역사』(서울: 역사비평사, 1991). 18) Allen Gutt m ann, The Conservati ve Tradit ion in America (N e w York:O x ford Un ive rsity Press, 1967) , pp. 14- 21 . 19) Ludwig Freund, The New Conservati sm and Europ ea n Conservati sm , Eth i c s . vol. 66 (Octo b er, 1955), pp. 10- 17 , O' Sull iva n, 앞의 책, p. 32 그리고 Cli nt o n Rossite r, Conservati sm in A meric a (New York:A lfred A. Knop f, 1955), p. 216. 20) Rossite r, 같은 책, p. 219.

21) 같은 책, pp. 221-222. 22) Frank Mey er , Collecti vi s m s Rebap tize d, The Free111a11, vol. S( Ju ly, 1955), p. 560. 23) Frank Mey er , Consensus and Dive rge n ce, What ls Co11se1-v a ti s11 1 ?, Frank Mey er , ed.( N ew York: Holt, Rin e har t., and Wi ns to n , 1964), p. 2 .30. 24) Frank Mey e r, Why Freedom, The Nati on al Revie w , vol. 13 (Sep t. 25, 1962), p. 224. 25) Joh n Chamberlain , The Morality of Free Ente r pr i se s, What ls Conservati sm ?, Meye r, ed. p. 182. 26) O' Sulliva n, 앞의 책, p. 29. Tl) Auerbach, 앞의 책, p. 6 9. 28) Jer ome Blum, Rondo Cameron, and Thomas G. Barnes, The Europ e an World: A His to r y , 2nd ed.(Bosto n : Lit tle, Brown and Co., 1970), p. 601. 29) Auerbach, 앞의 책, p. 51. 30) Rossite r , 앞의 책, p. 110 및 Kenneth Dolbeare, Dir e cti on s in Americ a n Politi ca l Though t ( Ne w York: Joh n Wi ley and Sons, Inc., 1969), p. 317. 31) Auerbach, 앞의 책, p. 7 2. 32) 같은 책, p. 72-8 4 그리고 Gutt ma nn, 앞의 책, pp. 32-4 6 . 33) Rossite r , 앞의 책, p. 151. 34) Gutt ma nn, 앞의 책, pp. 47-77. 35) Rossite r , 앞의 책, pp. 132-170, 그리고 Robert Weib e , The Search/or Order, 1877- 1920(New York: Hill and Wang , 1967) , pp.1 2 -163. 36) Dolbeare, 앞의 책, pp. 2D-22 . 37) Rossit er , 앞의 책, p. 155. 38) 같은 책, pp. 163- 05 . 39) 같은 책, p. 164. 40) 같은 책, pp. 165- 06, Gutt ma nn, 앞의 책, pp. 131-35 그리고 Auerbach, 앞의 책, p. 98. 41) Malcolm MacDonald, The Reviv a l of Conservati ve Thoug ht , The Jo urnal of Poli tics , vol. 19 (Fe b. 1957) , p. 66. 42) Pete r Vie r eck, Conservati sm Revis it e d , p. x. 43) MacDonald, 앞의 책, p. O . 44) Rossit er , 앞의 책, p. 2 4. 45) Burke, Refl ect i on s, p. 67. 46) Noel o' Sull iva n, 앞의 책, p. 9 . 47) Rossite r, 앞의 책, p. 'l:l. 48) Burke, 앞의 책, p. 35. 49) 같은 책, pp. 95-10 2. 50) Rossit er , 앞의 책, p. 43.

51) Frank S. Mey er , The Sepa r ati on of Powers, The Nati on al Revie w , vol. 12 (Jan . 196 2), p. 5 9. 52) Burke, 앞의 책, pp. 102-103. 53) Wi ll ia m F. Buckley, Jr. , Note s Towards an Emp iri c a l Defi n it ion of Conservati sm , What Is Conservati sm ?, Frank S. Mey er , ed. (New York: Holt, Rin e hart, and Wi ns to n , 1964 ), pp. 222-2 2 3; George Nash, The Conservati ve Inte ll ec tu a l Movement in A meric a Sin c e 1945(New York: Basic Books, Inc., 1CJ7 6 ), pp. 156 -15 8, Whit tak er Chambers, Big Sis t e r Is Watc h in g You, The Nati on al Revie w , vol. 4 (Dec.2 8 , 1957), pp. 594-596; 그리 고 Garry Wi ll s, But Is Ay n Rand Conservati ve ?, The Nati on al Revie w , vol. 8 (Feb. 'D, l\Xx l), p. 139. 54) Frank S. Meye r, Conservati sm , Left , Rig h t, and Cente r , Robert A. Goldwi n, ed. (Chic a go : Rand McNally and Comp an y , 1%5), p. 6 . 55) O' Sull iva n, 앞의 책, p. 4 3. 56) 같은 책, pp. 30-31 .

제 3 장 미국 보수주의의 유럽적 기원 ―몽테스키의와버크 서론 본 장에서 우리는 미국 건국 초기에 볼 수 있는 보수주의자들의 사상과 미국의 보수주의적 제도 확립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던 몽 테스키의 Charles Mon t es q u i eu 와 에드먼드 버크 Edmund Burke 의 사 상을 요약하기로 하겠다. 보수주의 이론가들이 에드먼드 버크의 보수주의 사상을 보수주 의의 원형으로 본다든가 버크의 사상을 보수주의 사상의 핵심으로 생각하는 데 있어서는 공통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1) 어떤 의미에서 이 같은 인식은 옳을 수 있다 . 그러나 모든 이론가들이 버크를 이 렇게 보는 것은 아니다. 저명한 이론가들이 헤겔 He g el 을, 일종의 버 크의 보좌역 으로 주장해 왔다는 점 을 러 셀 커 크 Russell Kir k 는 지적하고 있다? 한편, 오크셔트 Oakesho tt는 버크 보수주의 사상 의 특수성과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보수주의 사상의 발전에 있어

서 데이비드 흄 Dav i d Hume 이 버크보다 앞서고 있다는 점을 지적 하고 있다 . 3 ) 그러나 많은 보수주의 사상가들이 지적하고 있듯이 버크는 보수주의 이론의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면서도 많 은 사상가들로부터 지적인 부채를 갖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버크는 그의 생존시 그의 동료들 중 한 사람에게 보낸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진술하고 있다 . 〈나는 내가 홀로 서 있는 것이 아니 라는 점을 당신에게 확신시키고자 한다. 역사 이래 지금까지 계속 해서 우리 사람들 사이에 일반적으로 시인되어 왔거나 내 마음 속 에 역사해 온 여론의 중의가 있음을 나는 당신에게 말하고자 한 다. 그러면서도 나는 내가 다른 사람들로부터 배워 온 내용과 내 스스로의 명상의 결과들을 명확히 구별할 수 없다.〉 4 ) 버크의 문헌 에는 많은 사상가들이 인용되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버크가 몽테스키외에 대해서 많은 지적 부채를 느끼고 있는 점을 알 수 있다. 몽데스키의 우리는 적어도 문화적, 사회 정치적 다원주의의 입장에서 몽테 스키외를 근대 보수주의의 선구자들 . 중의 한 사람으로 생각할 수 있다. 버크는 몽테스키의를 일컬어 〈이 시대를 계몽시켜 온 가장 위대한 천재〉 5) 로 경의를 표하였고, 커트니 C. P. Co urtn e; 1는 이들 두 사람 사이의 관계가 보수주의에 대한 중요하고도 광범위한 문제를 불러일으켰다고 지적하고 있다 . 죽, 커트니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 고 있다. 〈두 사람은 모두 미각의 기준이 존재하고 이것이 감각과 평가를 좌우한다고 확신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신고전주의로부터 일탈해서 비현실적 roman ti c 인 것은 아니지만 일종의 이성과 감정

의 조화 및 타협의 세계로 전환하고 있다. 〉 6 ) 역사 문헌으로서 버 크의 『 영국 역사의 요약 Abr i d g emen t of E ng lish H i s t o ry 』 7) 은 몽테스 키외가 의미하는 인간의 물리적 환경과 도덕의 상호관계설, 이를 테면 기후, 지리적 조건 및 국민 정신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점을 확인하고 있다 산 영국의 정치 발전을 분석함에 있어서 버크는 헌법의 근본 이론을 몽테스키외의 이론에 기초를 두고 설명하는 최초의 영국 사학자였다 산 실제로 그는 몽테스키외 의 이름을 거명하고 그의 이론에 매료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특 히, 국민대표이론에 있어서 버크가 몽테스키외에 동의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1 0 ) 버크는 말하기를 〈국회의원은 선거구민들의 이해 관계, 복지 및 여론을 항상 생각해야 되지만 최종적으로 그의 결 정은 그 자신의 자율적인 판단에 의존해야 된다〉고 한다 . 11) 사실상 민주주의적 대표제뿐만 아니라 정복자의 통치 원리는 몽테스키의 와 유사한 이론을 발췌하고 있는데, 이들 두 사상가들은 정복자가 피정복 국민들의 여론에 따라 통치할 의무가 있으면서도 그 자신 이 바라는 대로 행동할 수 있다는 생각을 버리지 않고 있다 . 1 2) 다 시 말해서 우리는 이들 두 사상가들이 이 같은 지도자의 이중성격 울 이해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그들은 정복자보다도 합법 적으로 선발된 국민대표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 마 지막으로 정치도덕의 문제에 있어서 몽테스키외와 버크의 이론 전 개 의 유사성 , 즉 버 크의 저 서 The Persia n Le tt ers 에 나오는 혈 거 인 의 이야기는 대단히 인상적이다 .13) 이것은 버크가 몽테스키외의 이론을 그대로 모방하고 있다는 점 을 지적하는 것은 아니다 . 오히려 이들 두 사상가들 사이에는 많 온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몽테스키의의 지나친 자연주의가 역 사에 대한 어떠한 형태의 신비주의적 해설을 거부하기 때문에 버 크는 반대로 인류 역사에 강력하게 관계되어 온 하나님의 섭리가

절대로 원칙이 결핍된 인간 정신의 상태를 허용하지 않는다고 주 장한다 .14 ) 한편, 버크는 영국 헌법을 옹호하기 위해 모든 국가들이 궁극적으로 멸망하게 된다는 몽테스키외의 이론을 거부하고, 그와 는 반대로 공화국들이 물리적 실체가 아니라 도덕적 실체임을 규 정하고 있다回 따라서, 버크는 근본적인 도덕성이 시민들에 의해 서 유지되는 한 국가들은 멸망하지 않는다고 선언하였다 . 이러한 논거에 따라 버크는 그의 저서 『영국 헌법의 요약』에서 인정했던 몽테스키의의 역사주의적 결정론 사상을 거부하고 있다. 프랑스혁 명이 정치 이론가들과 그들의 사이비 과학적 이데올로기에 의해서 야기되었다고 주장하면서 버크는 어쩔 수 없이 몽테스키의의 과학 적 역사주의를 부정하고 다음과 같이 선언하였다. 〈역사라는 것이 완성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면 나는 결코 국가의 운명을 좌우하는 내적인 요인에 대한 확실한 이론의 근거를 마련할 만큼 인류의 역 사가 완성된 것이라고는 믿지 않는다.〉 16) 즉, 내적인 요인들이 없 다고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요인들이 불확정적인 것이기 때문에 역사가 완성된다고는 말할 수 없다고 그는 주장하고 있 다 . 17) 여기에서 몽테스키외를 언급하고 있는 이유는 보수주의가 하나 의 〈지 적 전통 Inte l lectu a l tr a diti on 〉을 지 니 고 있다는 점 을 보여 주 고자 하는 데 있다. 헌팅턴 Hun tingt on 이 유럽과 미국의 보수주의 가 이러한 지적 전통을 결여하고 있다고 지적하는 것은 사실이지 만 적어도 미국의 경우에 있어서는 그렇지 않다고 본다. 정확히 말해서 버크에 못지 않게 몽테스키의는 미국 보수주의 이론가들에 게 영향력과 감화력을 제공해 온 것이 사실이다. 몽테스키의와 버 크, 몽테스키의와 미국, 버크와 미국 등의 관계를 밝히게 되면 우 리는 미국 보수주의의 뿌리로서의 지적 전통을 해명할 수 있을 것 이다. 제한된 범위 내에서나마 첫번째의 주제인 몽테스키의와 버

크의 관계를 앞에서 언급하 였 으므로, 다음의 주제인 몽테스키의와 미국, 버크와 미국에 대해서 검토해 보기로 하겠다. 노이 만 Franz Neumann 이 지 적 하듯이 〈 몽테 스키 의 의 문헌들이 미 국에서 널리 읽혀졌던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 〉 1 8) 스펄린 Paul Sp url i n 은 그의 저 서 에 서 애 덤 스 Samuel Adams, 마샬 Joh n Marshall, 제 퍼 슨 Jef fe rs on, 매 디 슨 Mad i son 과 같은 미 국의 건국 기 초자들이 몽테스키외의 『법의 정신』을 읽고 인용했던 점을 지적하 고 있다 . 1 9) 이들에게 미친 가장 중요한 영향력은 물론 몽테스키외 의 권력분립론에 있었다. 권력분립론 외에도 그가 미국안들에게 미친 영향은 많이 있다. 그 중 하나를 예로 들자면, 연맹 con fe dera ti on 의 장점에 대한 그의 분석은 미국인들의 헌법 제정에 안내자의 역할을 하였다 . 특히, 몽테스키외의 다음과 같은 설명은 미국의 헌법 제정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공화국의 규모가 작으 면 외국 세력에 의해 패망될 것이고 그 규모가 클 경우에는 자체 내의 결함 때문에 파멸될 것이다 . 하나의 연맹공화국은 하나의 규 약으로서 이 규약에 의해서 몇몇의 작은 국가들이 연맹공화국의 구성원이 될 것에 동의함으로써 이들 소규모의 국가들은 전체 연 맹국의 안보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국력을 갖게 될 것이다.〉 2 0 ) 한편, 그가 반분리론자들을 위한 논리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는 점 온 매우 홍미롭다 . 즉, 그는 동맹공화국 정부는 같은 성격의 국가 들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2 1) 몽테스키외의 이론이 보다 정교한 설명을 요하지는 않지만 한 가지 중요한 점을 지적할 필요가 있다. 사실 그는 그의 이론체계 를 권력분립론만으로 생각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혼합국가mix ed s t a t e 의 요소, 즉 군주주의, 귀족주의 및 민주주의의 요소를 포괄 하는 이론체계를 구상하였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는 권력분립 론의 절대성을 의미하지는 않았다. 그는 군주가 입법 기능을 갖고

있는 의회에 의해서 통과된 법안들을 거부할 수 있는 반면에 의회 는 집행부에 대한 견제뿐 아니라 사법 기능을 가짐으로써 적어도 궁정 관료에 대한 탄핵권을 가져야 된다고 지적하였다. 뒤에 가서 언급하겠지만 이 같은 이론적 혼합 형태는 미국 정치에 중요한 영 향을 주었다. 커트니는 그의 이론에 대한 몇 가지의 가능한 근거를 언급하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그 이론의 실제적인 근거는 몽테스키외가 영국 정부 형태를 관찰한 내용에서 축출된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그 는 데 이 비 드 흄과 찰스 요크 Charles Yorke, 체 스터 필드 경 Lord Cheste r f ield 등과 같은 유능한 재판관들이 일률적으로 몽테스키외 이론의 정밀성을 치하하였다고 지적하였다 . 2 2 ) 반면에 노이만은 영 국에는 적어도 권력의 중심이 의회 쪽으로 기울기 시작한 이후 권 력의 균형과 권력분립이 존재하지 않았음을 논증하고 있다 . 23) 이와 같이, 권력의 균형이 영국에서 존재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노이만 은 〈우리는 그가 인용한 사료가 잘못 해석되었다는 단순한 이유 때문에 몽테스키의의 이론울 외면할 수 없다.〉고 시인하고 있다 .24) 결과적으로 권력분립론이 분명히 지적인 전통을 지녔던 것은 사실 이다. 그리고 뚜아르 Ra pin deTho ir es 의 특권적 견제이론, 볼링브 로크 Bo ling broke 의 상호독립이론, 로크 등의 이론가들은 모두 권 력분립론에 공헌하였다고 본다. 하지만 노이만은 결론에서 〈권력 분립의 체계적 이론을 제공한 사람은 몽테스키의였다.〉고 확신하 고 있다 . 25 ) 사실 커트니와 노이만 사이에 견해 차이가 있다고 주장하는 것 온 아무런 의미가 없다. 어떻게 보면 이들의 주장의 근거가 모두 옳지 않다고 주장하는 것도 가능한 일이다. 몽테스키의 이전에 권 력분립론에 대한 이론가들이 있었던 것은 사실이고 단지 그의 분 석적 기초가 18 세기보다도 16 세기와 17 세기의 사료에 근거했던 것

이다. 루이스 하츠 Lou i s H art z 가 설명하고 있듯이, 이 점은 미국 건국의 이론가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것이었다. 왜냐하면, 미국의 정치제도가 16 세기와 17 세기의 영국으로부터 이어져 내려오기 때 문에 몽테스키외의 이론이 영국의 정치적 조건보다도 미국의 정치 적 조건에 더욱 적절하였기 때문이다 . 26 ) 헌 팅 턴 은 그의 저 서 Poli tica l Order in Chang ing Soc i e ti es 에 서 이 같은 현상을 자세하게 언급하고 있다. 정치적 근대화의 중요한 국 면의 하나는 정치체 내에서의 〈구조의 분화〉라고 그는 지적하고 있다 . 2 7 ) 법과 정치의 영역이 혼합되어 있었던 영국의 튜더 Tudor 왕 조 시대에 있어서 영국의 국왕과 의회 간의 권력 균형과 같은 분 화는 아직 일어나지 않고 있었다 . 28) 17 세기말과 18 세기 영국에서 권력 균형이 형성되었을 때 영국의 식민주의자들은 이미 이들 중 세기 말과 튜더왕조의 정치이념, 정책 및 제도들을 대서양을 건너 끌어들이고 있었고 , 2 9 ) 그 이후에도 그들은 이러한 제도들을 변형시 키지 않았다. 이와 같이, 미국의 제도적 기본틀은 엄격한 권력분 립에 의존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면 몽테스키외 이론의 영향력은 어디에서부터 있었던 것인가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앞에서 지적했듯이 몽테스키외의 권력분립론이 절대적인 성격을 갖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서 권력 균형을 보장하는 제 기능의 혼합 형태에서 본다면 권력분립론은 논의의 여지를 남겨 놓았다. 이 점에 대해서 헌팅턴은 다음과 같이 정확하게 지적하고 있다. 〈순수한 형태에서 보자면 제도적인 면에서 입법, 행정, 사 법 기능의 할당은 어떤 특정한 부면에 지배적인 법률 제정 기능의 독점을 부여해서 권력을 중앙집권화할 수도 있다. 이 점은 부분적 으로 로크나 제퍼슨이 원했던 것이기도 했다. 물론 이 점은 몽테 스키외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그는 기능의 엄격한 분리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권력의 불균형을 인식하였던 것이다. 그가 지적했

듯이 사법 기능은 어느 정도 있으나마나한 것이다 . 결과적으로 실 질적인 권력의 분리를 위해서 몽테스키외는 전통적인 사회신분을 대변하는 세 개의 다른 제도 중에서 입법 기능만을 분리하였다 . 영국의 튜더왕조에서와 같이 미국에서는 실제적으로 입법 기능만 울 분리하여 권력 분리가 실천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타의 기능들 도 역시 몇몇의 제도 간에 분할되어 권력을 균형화하는 견재와 균 형의 체계를 창출하게 되었다 . 〉 3 0 ) 이와 같은 견해는 다음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몽테스키의의 이론이 직접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 댜 〈권력이 정부의 기본법을 통해서 완성될 수 있도록 상호견제 력을 가져야 한다는 것은 사물의 원리와 같이 필연적인 것이다. 죽, 입법부는 두 개의 부분, 말하자면 의희 sena t e 와 행정장관 ma gi s tr a t es 들로 구성 되 어 상호부정 적 인 특권을 견제 해 야 한다. 이 들은 마치 집행부가 입법부에 의해서 규제받는 것과 같이 집행 권 력에 의해서 견제되어야 한다. 〉 31) 헌팅턴이 지적하였듯이 〈미국은 몽테스키의의 논지에 따라 제기 능의 결합과 권력의 분립을 영구화하여 지금까지 175 년 동안 눈에 뜨일 정도로 변화하지 않았다 . 〉 32) 이와 같이, 몽테스키외는 18 세기 에 16,17 세기의 정치제도에 대해서 연구하고 16 , 17 세기의 이론가 들로부터 그의 사상을 유도하였으나, 영국인들과 프랑스인들에게 보다도 미국인들에게 영향을 줌으로써 하나의 홍미롭고도 역사적 인 패러독스를 연출한 것이다. 몽테스키외는 제도에 대한 관념적인 근거를 개발하여 미국 정치 의 보수주의적 제도의 형태를 마련하는 데 많은 영향을 주었고, 헌 팅턴의 지적에 의하면 버크도 이러한 제도를 긍정적으로 수용하였 다 .33) 그러나 권력균형이론에 대한 버크의 선호는 영국의 특수한 도덕적 성향에서보다도 영국의 현실적인 실정에서 기인된 것이라 고 한다. 공평한 입장에서 버크는 영국의 휘그당 제도, 미국의 민

주주의 제도, 프랑스의 독재적인 제도 및 인도의 힌두 제도를 옹 호하였다 안 물론 이와 같은 그의 공평성이 과연 영국의 현실적인 실정에 근거하고 있느냐 하는 점은 의문으로 남는다. 오히려 사실 과는 달리 버크는 현상 유지의 원칙에서가 아니고 이러한 제도들 이 특수한 국가의 이념과 정신에서 진전되어 왔기 때문에 제도적 인 보존에 대한 논리적 근거를 전개하였던 것 같다 . 인도의 경우 헌팅턴은 버크가 인도의 제도들이 영국보다도 그들 자신들의 제반 원칙에 기초를 둘 것을 강조하였다고 지적하고 있다 . 35) 따라서, 버 크는 개별 국가의 도덕적 성향을 무시하지 않고 오히려 그것 때문 에 여러 제도들의 보존을 옹호하였던 것이다 . 그러나 만일 인도의 제반 제도가 그들 자신들의 원칙에 기반을 둔 것이라면 미국의 제도들은 영미의 정신적 유산에 기초를 두었 어야 했을 것이다 . 그리고 어떤 의미에서 버크의 입장에서 본다면 몽테스키의는 본말을 전도한 것 같다 . 왜냐하면, 몽테스키외는 전 체적인 사회 구조에 깔려 있는 보수주의적인 원칙을 명확하게 밝 히지 않고 영미의 제도에 보수주의적 성격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 이다 . 즉, 버크가 주의를 기울였던 것은 전체적인 사회 구조에 깔 려 있는 보수주의적인 원칙에 있었다. 에드먼드 버크 버크의 정치적 문헌은 대체적으로 체계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그의 사상과 보수주의적 원론을 체계화한다는 것은 대 단히 어려운 일이다. 그것은 작업 자체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그의 이론이 보수주의적인 방법론과는 대조적인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 이기도 하다. 〈정치에 대한 정교한 이론이 매사에 있어서와 같이

지침이 있거나 어떤 종류의 이론적 또는 실제적 결론을 유도하는 수단을 결여하고 있는 한 특수한 사건들과 그 자세한 내용들을 묶 어 놓은 혼합 형태에 불과할 것이다.〉 3 6 ) 라고 언급하고 있는 것을 보면 그는 스스로 일종의 철학적 이론 전개의 필요성을 인식했던 것 같다. 물론 이러한 이론적 체계화의 노력은 특히 보수주의 이론의 복 잡성과 다양성 때문에 버크의 보수주의와 일반적인 보수주의 사상 울 정확하게 정리하기란 어렵다. 그것보다는 오히려 우리는 베버 MaxWeber 가 말하고 있는 〈이상형〉의 보수주의 이론을 유도하는 것이 더 유익할 것이다. 베버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어 떤 견해에 대한 일방적인 강조라든가 분산적이고 불연속적인 수많 은 개별 현상들의 종합이 일방적으로 강조된 견해에 의해서 통합 된 분석이론으로 정리될 수 있으며, 역사 연구는 개별적인 현상에 있어서 이 같은 ‘이상형’ 이 현실과 접근하기도 하고 괴리감을 가 지게 되는 정도를 결정하는 임무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 〉 37 ) 이러 한 관점에서 우리는 분산되어 있는 버크의 주장들을 종합하는 입 장에서 버크의 보수주의 이론의 핵심에 접근해 가야 될 것이다. 버크의 이 같은 〈이상형〉 모델을 시도하는 데 있어서 근본적인 문제는 그의 반론적인 논쟁점에서 발견되는 수많은 상황적 관행들 로부터 그의 탁월한 이상형을 분리시키는 데 있다. 무엇보다도 버 크는 정치인이었으며 설사 그렇지 않더라도 구체적인 사안에 대한 그의 강한 추구 성향은 충분히 문제를 제기시킬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여러 주제들과 동기에 관련되는 사상을 추적해 가면서 간접적이지만 그의 이론을 추출하는 작업이 아마도 더 효과적일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여기에서 그의 주장의 범주를 종교와 도 덕, 사회와 국가, 자유와 재산, 인간 성격과 합리성, 국민대표와 정당으로 상정하고 그 내용을 각각 정리해 보기로 하겠다.

종교와도덕 헌팅턴은 보수주의 이론의 하나로서 〈 인간은 근본적으로 종교적 인 동물이며, 종교는 시민사회의 기초가 된다 . 〉 38) 는 보수주의적 견 해를 기술하고 있다 . 이 내용은 버크의 다음과 같은 주장을 원용 한 것이다. 〈 인간은 근본적으로 종교적인 동물이다 . 즉, 무신론은 우리의 이성뿐 아니라 본능까지도 거역하는 것이다. 종교는 시민 사회의 기초이며, 모든 선과 모든 행복의 근원인 것이다 . 〉 39) 물론 이 내용의 배경에는 종교적 신앙이 깔려 있다. 〈도덕률을 제정하 고 강조하는 절대적 지배자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어떠한 계약에 도 제재력이 존재할 수 없고 시민의 권력 또는 보편적 권력을 거 역하는 결과가 나타날 것이다.〉라고 그는 강조하고 있다 . 4 0 ) 이 같은 종교 도덕적 보수주의의 원칙이 보편적인 성격을 갖고 있는 반면에, 이 원칙은 정치가 인간의 목적과 수단이라고 역설하 는 서구인들의 오만성에 대한 반동으로 의식적으로 제기된 것이 댜 이것은 절대적인 질서에 대한 정치적인 혐오를 나타낸 것인 데, 헤일샴 경 LordH ail sham 은 다음과 같이 예리하게 지적하고 있 다 . 〈 신의 부정은 우리 시대를 풍미하고 있는 마르크스주의, 인종 주의, 제국주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단들의 원천이 되었다.〉 4 1) 이 와 같은 자유주의적 세계관은 궁극적으로 종교를 자유주의 체제로 부터 추방하지 못하였다. 칼 베커 CarlBecker 가 지적했듯이 근대인 들은 어거스틴 Au g us ti ne 과 버크가 제시한 비과학적 이론에 입각한 〈천국 도시〉를 다른 무엇으로도 대치시키지 못하였다고 한다 .4 2) 버크에게 있어서 종교는 인간을 스스로 교화시키고 자제력을 키 워 주는 문명적이고도 건설적인 기초가 되고 있다. 종교는 인간으 로 하여금 물질적 욕구를 최소화하고 선한 생활을 영위케 함으로 써 인간의 태도, 문명 및 선행에 대해서 적극적인 영향력을 갖고

있다 . 4 3 ) 세실 경 LordCec i l 이 지적했듯이 보수주의 성향은 많은 사 람들이 도덕적, 정신적 행복이 좋은 환경에 의존한다고 생각하면 서 빠지기 쉬운 사치로부터 기독교인들을 보호하고 있다는 것이 다 .) 이와 같이, 보수주의는 인간의 정신적, 지적, 미적 감각을 감퇴시키는 무지한 사탄의 독을 뽑아 내고 사탄의 야수 같은 발톱 을 둔화시켜 준다고 한다 . 45) 부언해서 종교는 인간 존재의 이유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신의 의지에 따라 개인을 그의 사회적 신분에 조화시킴으로써 사회 내 의 다양한 계급들 간의 사회적 융합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같은 신의 의지에 대한 생각은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와 역사에도 관련 되어 있다. 버크에 따르면 사회는 신에 의해서 제정되었고 국가는 신의 계획에 따라 개인과 인류의 발전을 가능케 하는 매개체인 것 이다. 그러나 근대 철학자들과는 달리, 버크는 인간 합리성의 한 계 때문에 인간은 신의 계획의 궁극적인 목적과 본질을 완전히 이 해할 수 없다고 확신하였던 것이다 . 사회와국가 버크에 있어서 사회와 정치체는 합리적인 구조일 뿐만 아니라 점진적 발전의 소산인 것이다. 이들은 인간이 창조한 기계와 같은 것이 아니고 단지 유기체 형태를 갖추고 성장해 온 것이다 . 그에 의하면 홉스 Hobbes 의 사회계약론은 하나의 역사적 신화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 신화에 불과한 것이다. 설사 그것이 역사적 신화가 아니더라도 버크는 국가의 기원을 추적하는 것에 대해서 반대하고 있으며, 국가의 정당성이 의문시되지 않도록 신비성의 감각이 활 성화된다고 믿고 있다. 동시에 그것이 사회적 신화가 아니더라도 사회질서 저변에 깔려 있는 신념이 정밀하게 분석되어서는 안 된

다고 한다. 사실 버크는 스스로 계약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 만, 다음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합리주의자들과는 다른 의미를 갖고 있었다. 〈 사회는 하나의 계약이라고 할 수 있다. 단순한 이익의 달성을 위한 종속적 계약은 제멋대로 해제될 수 있다 . 그러나 국 가는 식료품 유통에 있어서 단순한 계약의 당사자와 같이 규정되 어서는 안 된다 . 국가는 모든 과학의 당사자, 모든 예술의 당사자 및 도덕성과 완전성의 당사자인 것이다. 매개 특정 국가의 매개계 약은 불가침의 약속에 의해서 제재를 받는 확정적 계약에 따라 하 위의 성격과 상위의 성격을 연결하거나 ,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 는 세계를 접합시킴으로써 영원한 사회의 원초적인 계약에서 볼 수 있는 하나의 약정인 것이다.〉 4 6 ) 위에서 인용한 하단 구절의 내용은 사회적 성층에 대한 버크의 주장을 구체화하는 중요한 내용이다. 보수주의자들이 분별 없이 사회조직이론을 창출하지도 않거니와, 러셀 커크가 지적하듯이 그 들은 〈문명사회가 질서와 계급을 필요로 한다고 확신하고 있다.〉 4 7 ) 무엇보다도 사회 영역에 있어서 버크는 〈국가의 이익과 분리할 수 없는 진정한 의미의 자연적 귀족주의〉에 대한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 4 8 ) 근대 사회 특히 미국 사회를 위한 버크의 귀족주의 이념에 대한 비현실적인 면이 많이 지적되고 있지만, 이러한 해석들은 그의 이 론의 제한된 범위를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사실상 그의 이상론적 인 귀족주의는 다음의 내용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순히 세습적 유 전형질에 기초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시만적, 군사적, 종교적 덕행을 불경건하게 거부하는 국가에게 저주가 있을지어다. 모든 것은 개방적이어야 한다. 그러나 모든 사람에게 무관심해서는 안 된다.〉 49 ) 그리고 버크는 프랑스혁명의 치명적인 결점에 대하여 다 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재산 면에 있어서 귀족 신분에 접근했거

나 그것을 능가한 평민이라도 사회 상층부에 완전히 귀속될 수는 없었다〉 50) 귀족주의의 신분적 기준으로서의 재산에 대한 문제가 중요하게 거론되고 있는데, 자수성가한 재력가는 노력 , 질서, 절 조 및 규칙성 등의 덕행을 소유하게 된다는 점, 나아가서 재산은 귀족 개개인들의 다른 필수적 조건을 완성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 에 불과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51) 그는 귀족 개개인들의 다른 필수적 조건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인간과 사물에 대한 고견을 갖출 수 있도록 항상 높은 위치에 서야 한다는 점 , 독서할 여유와 독서를 통한 사색 , 어 디에 있거나 현인들과 지식인들의 주의를 집중시켜야 한다는 점, 법 률과 정의의 행정관으로서 등용되는 일, 고도의 과학 및 인문과학 과 순수예술을 가르칠 수 있는 능력 등이 있다. 〉 52) 간단히 말해서 귀족은 봉사하고 지도하는 일에 종사하기 때문에 게으르지도 않고 강압적으로 사람을 다루어서도 안 된다는 점을 의미하고 있다 . 사 실상 버크는 전통적이고 봉건적인 의미의 귀족주의가 아닌 엘리트 의 개념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제한된 정치권력의 사용 을 통해서 사회의 안전을 함양하는 감수성, 지혜, 지식뿐만 아니 라 권력과 재산울 가진 귀족을 의미하고 있다. 버크 자신도 지적 하고 있지만 이러한 의미의 귀족주의는 정당하게 조직된 거대한 사회단체에 있어서도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부분인 것이 다 .53 ) 사회정치의 총체적인 유기체 조직으로서의 귀족 신분의 철폐는 큰 재앙을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버크는 믿고 있다 . 그리고 이것 은 유기체적인 시각에서 보면 사실이다. 왜냐하면, 자유주의자들 은 정치조직을 문명의 건축물에 들어가는 하나의 벽돌로 생각, 하 나의 벽돌이 빠져 나오더라도 전체적인 건물 구조에는 심각한 변 화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반면에, 보수주의자들은 정치가

짜깁기 스웨터에 들어간 실오라기와 같아서 정치에 해당하는 실오 라기 하나가 빠져 나온다면 그것은 전체의 붕괴를 초래한다고 생 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유기체론적인 시각에도 불구하고 버크는 국가를 여러 면에서 가공적인 것으로 다음과 같이 관조하고 있다 . 〈 당신이 인간의 권리들을 탈취하는 순간으로부터 정부의 전체 조 직은 편의상의 문제로 변질된다. 그래서 국가의 헌법이 제정되는 것이다.〉 54) 이것은 그의 자연주의적 시각과는 상이한 것으로 보인 댜 왜냐하면, 국가는 인간의 필요에 부응하는 것이지만 자유주의 자들이 합리적으로 생각하는 것과는 다르다 하더라도 국가는 인공 적인 의미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우리는 앞에서 언 급한 바와 같은 〈 보편주의〉 내에서의 보수주의의 특수성을 보게 되는 것이다. 인간의 보편적 필요성과 주장은 정치문화로부터 생 성되는 특수한 정치구조로 전이되는 것이다. 버크의 주장에 따르 면, 국가는 〈인간의 필요성에 부응하는 인간 지혜의 창조물〉인 것 이다 色 인간의 필요성은 근본적으로 보편적이지만 인간의 지혜는 어느 정도 상대적이고 여러 가지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것 온 버크가 영국, 미국, 프랑스, 인도 등과 같은 서로 다른 정치제 도를 인정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그가 이들 서로 다른 정치제도를 관용적으로 포용하거나 그들 제도의 보존을 요구하는 주장들은 근본적으로 그의 유기체론적인 시각에서 기인되고 있는 것이다 . 설사 정치체가 부분적으로 인간 합리성의 결과라 하더라 도 일단 정치체가 존재하게 되면 사회조직이 와해되지 않고서는 파괴될 수 없다. 결국 버크는, 국가는 인간의 의지, 성격 및 신의 목적의 결과로 보고 있다. 우리는 버크가 정치제도적 다원주의를 받아들이고 있는 점을 다 른 곳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민중의 물질적 복지는 국가가 존재

하는 가장 원초적인 이유이기도 하지만 , 버크는 국가가 발전하면 서 보호해야 할 여러 가지 목적이 있다고 다음과 같이 역설하고 있댜 〈기독교 세계의 국가들은 여러 사건들과 오랜 시간을 거치 면서 현단계에로 발전해 온 것이다. 이들 중 어떠한 나라도 규칙 적인 계획이나 통일적인 설계에 의해서 형성되었던 것은 아니었 다. 그들의 헌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닌 것처럼 이러한 헌법들이 어떤 특수한 목적으로 유도되었던 것도 아니었다. 이들 헌법이 수용하고 있는 목적들은 다양한 것이었고 무한한 형태로 존재하게 된 것이었다.〉 56) 죽, 인간의 복합성이 행동과학적 단순성 으로 축소될 수 없듯이, 인간과 인간의 필요성에 봉사하는 국가는 권력을 하나의 목적, 죽 완전한 단일성의 방향으로 사용할 수 없 는 것이다 . 5 7 ) 버크에 의하면 국가는 소극적인 권력을 갖고 있다. 즉, 정부의 권력은 제한적이어야 한다고 그는 시사하고 있다 . 58) 국가는 적극적 이고 창조적인 권력이 아닌 제한적인 권력을 갖고 있으며, 어떤 종류의 행정도 지나치게 처리해서는 안 된다고 한다 .59) 결론적으로 국가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기능을 갖고 있다. 첫째, 국가는 국민들이 여러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질서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점, 둘째, 국가는 될 수 있는 한 인간 활동의 광 범한 영역을 마련해 주고 인간 활동의 다양성과 가능성을 위축시 키는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도 제한해야 한다는 것이다 . 자유와재산 도덕이 인간의 목적이고 국가는 인간이 그 목적을 추구해 가는 영역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인간의 자유는 근본적인 〈게임의 규칙〉 이 되고 재산은 그 목적을 실현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 되

는 것이다 . 버크는 자유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 인 간을 정치적 선행의 도구로 만드는 것보다는 설사 어떠한 손실이 따르더라도 인간에게 자유의지를 부여합으로써 인간성과 도덕성울 함양시키는 것이 더 낫다. 세계는 인간의 자유활동을 통해서 많은 것을 얻게 될 것이고 자유 없이는 도덕성도 존재할 수 없는 것이 다. >60) 그러나 버크는 정부를 필요하고 유용할 뿐만 아니라 신성한 것 으로 간주하고 있기 때문에 자유주의자는 아니었다. 한편, 그에 의하면 무한한 자유는 무정부 상태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조화 의 문제가 따라야 된다고 다음과 같이 갈파하고 있다. 〈지혜와 도 덕성을 결여한 자유는 무슨 의미가 있는가? 도덕성을 결여한 자유 는 절제와 감독이 없는 광기와 우매함을 초래하기 때문에 모든 악 중에서 최대의 악이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프랑스의 자유주의가 정부, 평화, 도덕과 종교, 재산, 질서 및 시민적 행동 등과 어떻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가를 알기 전에는 프랑스의 자유 주의에 대한 찬사를 유보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사안들을 보장하 지 않는 자유는 유익한 것이 아니며 오래 지속되어서도 안 될 것 이다. >61) 재산과 자유의 관계에 대한 버크의 이론을 검토하기에 앞서 우 리는 〈재산은 그 성격상 모든 정부의 기반이 되기 때문에〉 그가 재산과 국가와의 관계를 긍정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할 필요가 있 다 .6 2) 버크에 의하면 가정의 재산귀속권은 가장 중요한 일의 하나 이며 사회의 존속을 위해서도 중요한 것이었다 .63) 근본적으로 그는 국가가 재산을 보호하고 재산이 국가를 보호하는, 일종의 공생적 관계를 강조하고 있다. 러셀 커크가 지적하듯이 재산과 자유 및 국가 등이 불가분의 관 계를 버크가 강조하고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하겠다 .64) 앞에서도 지

적했듯이 재산은 인간의 생활 향상을 위해 자유를 사용하여 도덕 성을 고취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 으로 자유는 인간에게 재산을 증식시킬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 고 재산은 국가를 강력하게 만들며 계속해서 국가는 인간에게 자 유를 보장해 주는 것인데, 이러한 상황적 순환은 계속된다. 자 유, 국가, 재산은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고 서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이러한 논조에서 본다면 버크는 사회 현실 과 조화를 이룬 자유의 개념을 서술하고 자유에 대한 철학적 정당 성을 마련해 주고 있는 유기체론적인 철학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버크 사상에 대한 이론가들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문 제, 특히 미국 보수주의와 관련된 문제의 하나는 자유와 재산에 대한 그의 개념이 어떤 특정한 경제적 이념, 이를테면 자유방임적 자유주의를 의미하고 있는 것인가 하는 의문이다. 만일, 버크가 철학적으로 다원주의적인 시각에 일관되었다면, 그 해답은 부정적 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보수주의의 비판에서 아우어바흐 M. Mo rt onAuerbach 는 다음과 같이 확언하고 있다. 〈버크는 자유주의 적 자본주의의 열광적인 지지자였다. 애덤 스미스의 자본주의 이 념은 에드먼드 버크의 자연질서의 개념에서 유래된 것 같다.〉 6 5 ) 확실히 우리는 버크 문헌의 많은 부분에서 이 같은 견해에 대한 신빙성을 얻게 된다. 우선 그의 저서 Thoug h ts and Deta i l s o n Scar city에서 버 크는 〈정 부가 시 장에 나타나게 되 면 시 장의 모든 원칙이 파괴될 것이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66) 또, 다음과 같은 내 용도 발견하게 된다. 〈노동은 상품의 하나이고 노동 공급에 따라 임금이 오르기도 하고 내리기도 한다.〉 67) 그리고 소비와 생산의 균 형이 상품 가격을 결정한다고도 지적하고 있다 .68) 더 나아가 버크는 재정정책과 공공부채와 같은 경제 문제에 대 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그는 〈국가의 예산이 바로 국가〉라고 선언

하고 있는 바와 같이 재정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 다 . 69) 또한, 〈 오로지 예산을 통해서 정치체가 움직일 수 있기 때문 에 투기적이면서도 실제적 국가의 재정정책은 많은 보조적인 지식 울 요청하기도 하며 지식과 지혜를 풍부하게 소유하고 있는 사람 들을 필요로 한다. 〉 고 지적하고 있다 . 70 ) 그러나 경제학의 복잡성과 는 관계없이 버크는 공공정책에 대한 안내자로서의 하나의 원칙을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재정 적자는 정부에 있어서 별 문제 가 없는 것 같지만 결과적으로 정부의 파멸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 다.〉 71) 이것은 정부가 공공사업에서 완전히 손을 떼거나 세금제도 를 철폐시킨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버크는 다음과 같 은 의문을 제기하기도 하였다. 〈국민이 세금을 내고 거기에 비례 해서 혜택을 받든가 아니면 반대로 모든 세금에서 면제되어 아무 런 혜택을 받지 않는 것 중 어느 편이 국민에게 더 유익한 것인 가? 〉 72) 이것에 대한 버크의 해답은 전자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그렇다고 한다면 확실히 버크의 자유방임주의적 성향은 그렇게 엄격한 것은 아니었다고 본다 . 부언해서 비레크 Pe t er Vi ereck7r 지 적하듯이 〈대륙 쪽에서는 반보수적인 프랑스혁명군이 가는 곳마다 그들의 첫 사업이 진부한 동업조합 Gu il d 들을 해체하고 자유방임주 의적 시장질서를 확립하는 데 있었다.〉 73 ) 따라서, 혁명 초기에 있 어서 순수한 경제적 개인주의의 급진적인 경향은 뚜렷하였던 것 같고, 이러한 정황을 고려해서 헤일샴 경 LordHa ilsh am 같은 보수 주의자는 보수주의자들이 자유방임주의적 시장질서를 거부해 왔다 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다 . 74) 그러나 버크는 그가 프랑스혁명을 반 대하였던 것만큼 애덤 스미스의 열정적인 지지자였던 것 같다. 그러 나 과연 이러한 논지들이 양립될 수 있는지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아우어바흐는 이러한 서로 다른 논지들이 양립될 수 없다고 다 음과 같이 주장하고 있다 . 〈사실상 자유주의적 자본주의는 보수주

의의 반정립이었다. 첫 째로, 보수주의적 조화의 본질이 인간의 욕 구를 최소화하는 데 있는가 하면 자본주의적 시장경제는 만족을 극대화하려는 정반대의 윤리이론에 근거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로, 보수주의는 인간에게 할당된 장소를 유지시키려는 이념에 의 존하고 있지만, 시장체계는 정확하게 말해서 인간의 현재 조건을 뛰어넘으려는 생활 이념을 반영하고 있다 . 셋째로 , 자유방임주의 적 윤리는 자연법의 개념울 사용하면서도 소바자의 의식적, 개인 주의적 선택을 소비자의 생활 원리의 핵심으로 삼고 있는데, 이에 반해서 보수주의의 이념은 사회 통제를 위한 조화적 관계를 이룩 하는 데 있다 . 〉 7 5) 그럼에도 불구하고 버크가 항상 자유주의적 경제 가 작업의 의무, 덕성 및 계약 의무 등의 보수주의적 사회윤리에 7 6 ) 예속될 수 있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아우어바흐는 버크의 경제이론 과 보수주의가 조화를 이룰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 우리는 여기에서 근대적인 시각에서 제기되는 고전적 보수주의 의 세계관에 대한 자유주의적 비판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우선 무엇보다도 먼저 아우어바호의 논점들은 버크 사상의 논리적 양극 성을 제시하고 있는 범위 내에서는 설득력이 있는 것이다 . 그러나 버크는 그의 사상이 이같이 확대된 양면적인 결과를 용인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만일, 자유방임주의적 정신 상태가 프랑스에서와 같이 탐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면, 탐욕적인 행위로 생성된 새로 운 재산은 적어도 버크에게 있어서는 그렇게 중요하게 생각될 수 가 없는 것이다 回 왜냐하면, 버크의 문헌에서 항상 확인되듯이 화 폐(재산)는 그 자체로서 목적이 아니라 수단으로 규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에 의하면 경제적 개인주의는 질서, 덕성, 도덕 및 종교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자유에 관한 사항임이 틀림없다 . 따 라서, 경제적 개인주의는 위선적인 것이나 광적인 것을 수반하지 않는다 .78)

아우어바흐의 두번째 논지에서도 과장된 논쟁점을 발견하게 된 다 앞에서 지적하였듯이 버크의 보수주의는 반개혁적이지도 않았 고, 그는 점진적인 사회경제적 변동을 꺼려하지도 않았다. 다시 말해서 버크는 앞서 나아가는 입장과 그와 같은 행동 실천을 모두 용인할 수 있었던 사상가였다. 아우어바흐의 두번째 논지에서 볼 때 우리는 소비자가 경제질서의 토대가 되지만 객관적 조화 관계 의 이념과 위배되지 않는다는 점을 받아들일 수 있다. 버크에게 있어서도 그렇지만 애덤 스미스의 이론에서 보면 모든 개개인이 하나의 소비자이기 때문에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명확한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사실 버크의 당대에서는 생산자들은 가장 중요한 소비자들이었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당시에는 이들 소 비자들과 생산자들 간에 사회적 조화를 파괴할 수 있는 심각한 갈 등도 없었던 것이다. 아우어바흐가 버크의 경제학에 대해서 과장되게 논리 전개를 펼 치는 것과는 달리 그가 보다 근본적인 모순에 빠지고 있는 것이 있다. 즉, 아우어바흐의 논지에는 경제학이 사회 존재의 토대를 마련한다는 근대적 가설이 깔려 있다. 아우어바흐는 버크가 항상 정치적 안정의 토대로서의 경제력에 대한 사회적 힘의 우월성을 주장하였다고 지적하고 있다 .79) 버크가 지적하는 사회적 힘이란 가 치를 의미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비레크는 자유주의적 비판에 대 한 비판을 다음과 같이 정교하게 처리하고 있다. 〈역사란 가치로 알려진 이념의 형태에 의해서 진전되고 있다. 경제와 같은 다른 요인들도 역사 발전에 공헌하고 있지만 역사를 결정하는 것은 아 니다 경제적 결정론 사상에서 마르크스는 경제가 대단히 중요하 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경제가 역사를 결정한 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경제가 역사를 만든다고 생 각하는 이념은 역사를 만드는 여러 가지 이념들의 하나에 불과한

것이다. 가치가 가장 중요한 것이다. 조직은 우선적인 가치의 현 존인 것이다. 사회를 조직한다는 것은 가치체계 또는 어떤 신조에 따라 사회를 조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8 0 ) 아우어바흐와 그의 후 계자들에 의한 분석 결과에서 버크의 자유방임주의적 자본주의의 논리적 가능성이 주어졌을 때 이론적으로 가능성 있는 어떠한 경 제적 불안정이나 도덕적 부패는 개인의 내면적 속성으로서의 보수 주의적 가치체계에 토대를 둔 사회세력에 의해서 완화될 수 있다 는 것이다. 이와 같이, 버크는 프랑스혁명 이후에 볼 수 있었던 극단적인 사례들을 비난하는 한편, 자유방임주의적 자본주의의 온건한 형태 롤 옹호하였다 . 이러한 관점에서 헤일샴 경의 지적이 옳을는지도 모른다 . 즉, 그는 진정한 보수주의자는 보수주의적 신조의 중요한 원칙들을 훼손시키는 순수한 자유방임주의적 자본주의를 지지할 수 없다고 확언하고 있다. 문제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보수주의와 자본주의가 균형을 유지하는 정도에 있는 것이다. 자유와 재산이 조화를 이룰 수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보수주의자라고 한다면 재산이 원초적으로 자유를 보장해 주는 하나의 도구에 불과하며 자유는 근본적으로 재산 획득의 수단이 아니라는 점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재산 획득과 자유와의 사이에 갈등이 일어나는 경우에 중요하게 견지되어야 하는 것은 자유인 것이다. 인간 성격과 합리성 역사적인 의미에서 버크는 사물의 불변적인 원칙 때문에 인간의 자유를 영원히 조율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죽, 어떠한 사람도 인간의 내면적 약점 때문에 위대한 행동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81) 이 같은 확신이 원죄에 대한 기독교 신앙에서 유래되는

지 아니면 태초로부터 인간이 동물적 성향과 계속 싸우고 있다는 인류학적인 견해에서 유래되는 것인지는 핵심을 벗어나는 문제인 것이다 .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인간의 약점과 오류는 보수주의 에 있어서 생활의 지배적인 요체이며, 보수주의자들이 방종으로 보고 있는 완전한 자유는 견제를 받을 수 없다 . 그러나 버크가 무정부적 상태에 대한 견제를 기대하는 것은 원 래 국가가 아닌 것이다. 오히려 그는 성격 형성을 통한 내면적 절 제를 강조함으로써 표면적으로 제도적 견제를 요구하는 자유주의 이론을 거부하고 있다. 현대 보수주의를 언급하면서 아도르노 Adorno 는 이 같은 상이점을 다음과 같이 적절히 집약하고 있다. 〈자유주의자들은 사회문제를 근본적인 사회 구조의 상징으로 보는 반면에 보수주의자들은 사회문제를 개인적인 무능력과 부도덕성의 결과로 보는 경향이 있다 . 〉 8 2) 이것은 우리들이 몽테스키의적인 제 도적 구성을 보수주의적인 것으로 보는 입장과 위배되지 않는다. 이 문제는 정도의 차이와 상대적인 중요성의 문제의 하나라고 본 다 . 자유주의자들은 제도적인 견해를 전선의 방어와 같이 중시하 고 있으며, 보수주의자들은 그것을 임시변통의 최후 수단으로 보 고 있다. 버크는 내면적인 절제가 우선적이지만 양자가 모두 필수 적이라는 점을 다음과 같이 분명히 하고 있다. 〈권력의 무절제한 사용과 과도한 욕구를 견제하기 위해서 국민들에게 도덕 교육을 실시하거나 공민적 원칙(헌법)에 의해서 견제를 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방편이 될 수 있다.〉 83 ) 어떻든 보수주의자들에게 있어서 무 엇보다도 확실한 것은 인간사회의 장치는 그 특성을 표현할 뿐이며 그것을 재생할 수는 없다는 점이다 .84) 자기수양을 수반하는 종교 교육과 도덕 교육만이 인간의 절제를 가능케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 성격에 대한 비관적인 시각이 현실적으로 절망적이 었던 홉스와는 달리 버크의 온건적인 견해는 절망 속에서도 희망

울 약속해 주는 입장이었다 . 인격의 완전성을 배격하였던 버크는 인간의 성격에 있어서 온화한 속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고 본다 . 〈인간에게서 완전한 인격을 기대할 수도 없고 창조물에서 신의 속 성을 발견할 수 없지만, 나의 동료들과의 교제에서 나는 인간의 도덕성을 발견하였다 . 도덕적 평등화는 노예의 원칙에 불과하 다.〉 85) 그리고 인간의 약점에도 불구하고 인간 성격에 내재적인 존 엄성이 존재하고 있다고 그는 지적하고 있다 .8 6 ) 이와 같이, 버크가 홉스의 극단적인 비관론이라든가 프랑스 사 상가들의 극단적인 낙관론에서 보는 바와 같은 인간 성격의 단순 한 평가를 회피하려고 했던 것은 인간의 성격이 복잡하다는 사실 울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87 ) 도덕적 인간에게서 선을 발견할 수 있 듯이 악과 선을 구분하려고 노력하였지만 ,8 8 ) 버크는 인간 성격에 대한 흑백논리에 입각한 어떠한 평가도 오류가 있다는 점을 인식 하였던 것이다 . 〈나는 분명한 도덕성에서 어느 순간 악과 부정으 로 명확하게 넘어간 사람은 혼치 않다고 생각한다 . 악과 선의 두 극단적인 입장 사이에 일종의 중간적인 색조가 존재하고 있다.〉고 그는 부언하고 있다 .89 ) 인간은 인간의 성격이 허약한 것만큼 인간의 이성이 오류에 빠 지기 쉽기 때문에 인간의 능력이 무한하다고 착각해서는 안 된다 고 버크는 지적하고 있다. 그는 〈인간이 너무 고상하게 생각하고 따라서 인간 지혜의 발명도 망상적으로 생각할 뿐만 아니라 완전 성을 이룩할 수 있다고 확신하고 있다.〉는 사실을 경고하고 있 다 .90) 인간이 근본적으로 비합리적이라고 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 려 인간은 부분적으로 합리적이라고 지적되고 있다. 이 점에 대해 서 헌팅턴은 버크의 이론에 있어서 인간은 본능과 감정 또는 이성 의 복합적인 창조물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9 1) 그런데 버크가 인간 성격의 요소 가운데 어느 것을 더 강조하고 있는지를 알아내

는 것은 쉽지 않다. 그의 문헌의 여러 곳에서 관행적인 선입관 Prej ud i ce 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어떠한 이론적인 배경에서보다 도 프랑스의 자유분방한 합리주의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때문인 것같이 보인다. 이러한 증거는 그의 저서 『프랑스혁명의 재고』에 서 인간의 감정이 프랑스혁명과 같은 사건에서 인간의 이성을 지 배하고 있다고 강조한 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 .92 ) 아마도 이러한 불가사의한 문제점을 푸는 가장 좋은 방법은 버 크가 이성의 개념을 수용하면서도 그것을 비개인주의적인 차원에 서 개념을 정립하고 있는 데에서 그 의미를 추정할 수밖에 없다. 버크의 문헌에서 보면 이성은 민족의 초월적 이성의 지혜, 죽 개 인적 이성의 능력에 의존하지 않는 정확한 태도에 대한 직관적인 이념을 의미하고 있다. 버크는 개인적 이성에 의해서 개인이 활동 하고 생활하는 것을 거부하고 있다. 왜냐하면, 마치 개인의 이성 적 능력은 한계가 있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93) 개인적 이성을 개 인이 갖고 있는 주식에 비유한다면 개인은 개인적인 주식을 이용 하는 것보다 오히려 국가의 중앙은행을 이용하는 것이 나울 것이 라고 지적하고 있다 .94) 왜냐하면, 개인적인 지식은 오류를 범할 경 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관행적 선입관(관행)은 위기상황에 처해 있을 때 즉시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죽, 관행은 지혜와 덕성 에 관계되어 있고 인간들이 행동을 결정하는 데 주저하지 않도록 방향을 설정해 주고 있다는 것이다 .95) 결론적으로 인간의 행동은 무지하지도 않고 비합리적이지도 않은 관행에 의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차라리 관행이란 이성과 자연적 본능의 뿌리를 갖고 있는 과거와 현재의 많은 사람들의 총체적 지혜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인간의 성격과 합리성에 대한 버크의 견해는 앞에서 이미 지적 한 그의 다른 논지와도 밀집한 관련을 갖고 있다 . 만일, 인간이 완전하지 않고 인간의 합리성이 제한적이라면, 프랑스인들의 평동

주의 개념은 현실 또는 인류의 평등사상에 기초를 두지 않고 있는 하나의 교의에 불과하며, 오히려 이것은 엄격하게 말해서 인간 존 엄성의 도덕적 성격에 국한되는 것이었다 . 96) 헌팅턴은 버크가 근본 적으로 불평등사상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 같 은 평등 개념의 결과는 모든 사람이 법 앞에서 평등하다는 것이었 지 국가와 사회 내에서 인간이 평등하다는 사실을 보여 준 것은 아니었다. 결과적으로 귀족계급이 항상 다른 사람들에 비해서 인 간적 능력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귀족주의는 도덕적으로 수용될 수 있었던 것이었다. 버크가 생각하고 있었듯이 균등주의는 완전 한 평등, 죽 평등적인 결핍, 평등적인 불행, 평등적인 빈곤을 창 출할 수밖에 없었다. 또, 이와 같은 사건은 모든 강제적 평등화를 의미한 것이었고 평등화는 하층부를 위로 끌어올리지 못하고 상층 부를 끌어내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인간의 사회적 지위와는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 간의 대인관계가 공통적으로 안간의 성격을 좌우하기 때문에 인간 성격에 대한 버 크의 견해는 인간의 사회적 성격을 한층 강화시키고 있다. 버크에 게 있어서 모든 인간은 같은 욕구와 때로는 절망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사람을 통합하는 자연적인 공감대가 형성된다는 것이 다. 더 나아가서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공동체를 형성하고 결과적 으로 사회를 창출케 하는 자연적인 욕구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버크는 사회를 인간의 사회적 본능의 자연적인 발달 과 정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버크에게는 별개의 독립군으로 서의 개인, 죽 독립적인 개인이란 있을 수 없다. 그에 의하면 순 수한 자연 상태는 사회적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그는 시 민사회의 상태가 자연 상태이고, 이 자연 상태는 기타의 자연 상 태 이론가들이 의미하는 야만적인 상태 이상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四 궁극적으로 인간의 성격은 하나의 사회적, 시민적 상태를

요청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시민적 상태는 인간 성격의 열등한 면을 견제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인간으로 하여금 인간 성격의 고상한 점을 성취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는 것이다. 국민대표와 정당 이상에서 분석한 버크의 인간 성격에 대한 견해는 정치적 국민 대표이론에 대한 그의 태도 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울 미치고 있 다. 버크는 귀족주의적인 지도자를 옹호하고 있지만 일반 대중을 정책 결정 과정에 투입시키려는, 그러면서도 온건론적인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 추상적인 가치로서의 인민의 발언권(투표권)에 대 해서는 별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지만 그는 다음과 같이 언급 하고 있다 .98 ) 〈모든 개인이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는 명성과 국가를 지지하는 여론이 전적으로 인민의 목소리에 의존되는 한, 개인이 나 정부에게 득이 될 수는 없다. 국가는 국민의 기질에 대한 지식 과 그것에 대한 현명한 관리에 의해서 통치되어야 한다 . 따라서, 국 민의 기질은 정치인들이 제일 먼저 연구해야 할 대상인 것이다.〉 99) 그러나 정치인이 여론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그의 전문 적인 지식은 무엇에 필요하다는 것인가? 버크는 〈국민의 여론에 대하여 거의 미신에 가까울 정도로 경의심을 갖는다든가, 또 정치 인들의 의무가 국민들에게 정보를 공여하는 데 있다고 어떻게 말 할 수 있는가?〉라고 유도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데, 사실상 그 는 상호모순된 논리를 전개하고 있는 것 같다 .100) 그러나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문제의 핵심은 버크가 정의하고 있는 여론의 개념에 있다. 결국, 그가 의미하는 여론은 정부와 지 도자들의 여론을 의미하고 있는 것이다. 버크는 지도자들이 주관 없이 동요하는 경우 일반 대중이 그들을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에

대해서 많은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1 0 1) 그는 일반 대중의 찬사와 비난에 따라 정치인들이 자신들의 입장을 바꾸게 된다면 대중들에 게 존경을 받을 수 없게 된다는 사실을 주장하고 있다 .1 02) 무엇보 다도 국민의 대표들은 원칙론에 입각해야 된다고 한다. 이와 같 이, 일반 대중은 대의원들이 사법부의 도구인지 또는 그들의 공복 인지를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버크는 여론을 경외하는 것이라고 지 적하고 있다 . 103 ) 그러나 구체적으로 국가정책에 대해서 일반 대중 은 그것을 결정할 만큼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갖고 있지 못하다 고 지적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버크는 여론이 정치 지도자들의 지침을 마련 해 주는 매개변수를 형성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이럴 경우 입법부의 목적은 정치공동체에 하나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104) 다른 문제에서와 마찬가지로 버크는 정치 지도자 들과 일반 대중들 사이의 상징적인 관계, 이를테면 일반 여론의 유해한 점과 부패하게 마련인 절대권력의 경향을 상호견제할 수 있는 타협점을 상정하면서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일반 대 중은 권위에 대한 자연적인 통제 역할을 하고 있다. 즉, 동시에 권한을 행사하는 것과 통제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다.〉 105) 우리는 여기에서 버크가 정치체계에 일반 대중의 요구를 유입시 키려 노력하고 있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버크는 그의 여론 개념의 한계점을 보여 주고 있다. 근본적 으로 버크는 일반 국민과 공중을 구별하고 있는데, 후자는 의회가 의존하고 있는 국민의 대표들을 의미하고 있다 .106) 버크는 이들의 범위를 성인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그가 의미하는 성인이란 허약 자도 아니고 정치적 토의를 위해 충분한 시간 여유를 갖고 서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하층민 이상의 집단을 의미하고 있으며, 여 론은 이들 성인들로부터 발현된다는 것이다. 사실상 버크는 한때

선거인 수가 축소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는데, 그 이유는 선거인 수가 증가될수록 선거 부정과 하층민들의 방탕이 늘어날 것을 우 려하였기 때문이다 .1 07) 공화국 통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버크는 국회의원이 그의 지역구의 특수 이익보다도 국가적인 이익을 대변해야 된다는 〈실 제 적 인 대 표이 론 Vir tua l re p resen t a ti on 〉을 다음과 같이 제 의 하고 있 다 〈의회는 서로 다른 지역의 이익을 대변하는 대사들의 모임이 아니댜 국회는 하나의 이익을 대변하는 하나의 국민, 즉 전체의 토의기관이다. 여기에서는 지역적인 이익이나 편견이 아니고 전체 의 일 반 이 성 The gen eral reason of the whole 으로부터 창출되 는 일 반 선 The g eneral g ood 이 추출되어야 한다.〉 108 ) 이 같은 대표이론은 선 거인 수가 감소되어야 한다는 그의 주장에 대한 논리적 근거를 제 공하고 있다. 왜냐하면, 이 이론은 어떤 특정 지역의 시민들이 선 거에 참여하든 안 하든 간에 이들의 전체적인 이익이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여기에서 버크가 사용하고 있는 일반 이성과 일반 선의 개념은 루소가 의미하는 일반 의사의 개념과 유사함을 우리 는 알 수 있다. 이러한 이론의 이면에는 대표자들과 국민들 간에 형성되는 감정 과 욕구의 공감대와 여러 이익의 공유 현상이 존재한다는 견해가 깔려 있다 .10 9) 버크의 이러한 견해는 어떻게 보면 도덕적으로는 문 제가 없고 정치적인 면에서는 날카로운 면이 있지만 그가 예측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정치체에 있어서는 문제가 된다. 무산자인 일 반 대중, 재산 있는 공중, 귀족의 대표자가 아닌 부유층 사이에 어떠한 공동이익이 존재할 수 있는가? 버크가 지적하는 공동이익 의 문제는 아일랜드 가톨릭 사회와 미국 사회에서 제기되는 것이 다 .110) 그가 부유층 대표자들과 그렇지 못한 지역의 대표자들 사이 에 공동이익이 없음을 문제로 삼고 있는데, 이 경우는 전자의 입

장을 더 우려하고 있다. 버크는 부유층이 질투심에 사로잡혀 있고 또 질투를 통해서 억압을 하게 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 111 ) 결국, 그 는 민주주의의 원칙을 운영하고 있는 공화정부에서 이들 부유층들 은 부가적인 안정을 요구하게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11 2) 따라서, 버크의 실제적 대표의 개념은 결함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결함에 대해서 공동이익에 대한 대립이 있을 경우, 하층민 을 희생해 가면서 부유층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는 없는 것이라고 그는 답변하고 있다 . 113 ) 그리고 일반 대중들 사이에서도 이익의 차 이가 있음을 그는 무시하고 있다 . 그렇다고 이것은 그의 입장에서 볼 때 표리가 있는 견해는 아닌 것 같다. 왜냐하면, 사회와 국가 에 대한 유기체론적인 시각이 계급과 사회계층을 무시하는 하나의 궁극적인 국가 이익을 설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 또 하나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버크는 정치적 대표이론과는 부합되지 않지만 정당이론을 최초로 제기한 사상가였다. 그는 정 당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 〈정당은 사람들이 모두 동의하는 어떤 특정한 원칙에서 연합하여 국가 이익을 달성하기 위해 통합된 집단인 것이다.〉 114 ) 버크는, 정당이란 것은 국가 이익 을 위한 공정한 집단, 죽 정당의 이면에 어떠한 부정적인 요인이 있을 수 없다는 대표이론과 상반된 논지가 엿보인다 . 왜냐하면, 특 정한 원칙이란 정치체 내에서는 수용될 수가 없기 때문이다 . 그러나 버크의 여러 가지 견해를 종합해 볼 때 정당이론이 그렇 게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 사실 버크는 제도로서의 정당이 아니고 정치적 음모나 사악한 집단을 반대하기 위해서 정당의 창설을 역 설하고 있다 . 115) 버크에 의하면 이상적인 정부는 단일 정당에 의존 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영국 역사 중 가장 훌륭했던 시기를 하나 꼽는다면 이 나라가 하나의 인척관계로 통치되었던 때를 지 적할 수 있다. 이것은 앤 Anne 여왕 당시에 휘그당과의 관계를 의

미한다 .〉 116) 버크는 정당과 당파 사이에 엄연한 차이가 있음을 지 적하고 있다 .117) 당파는 선한 사람들이 창출한 모든 원칙을 거역하 는 집단을 의미하고 있으며, 반면에 정당은 정치에 있어서 치료제 적인 연합을 조성함으로써 공중에 의해서 신용을 얻은 그리고 서 로 신용할 수 있는 집단의 기초에서 형성되는 것이다 .11 8) 근본적으 로 버크의 정당 개념은 실제적 대표이론과 모순되지 않고 오히려 그 이론을 강화시키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왜냐하면, 그의 정당 개념은 모든 시민의 공동이익을 조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 서, 버크가 오늘날과 같은 정당제도를 절대로 옹호한 것이 아니라 고 지적한 아우어바흐의 평가에 우리는 동의할 수 있다 .119 ) 결론적 으로 버크는 여론을 통해 주권을 위임한 사람들로 구성된 행정이 군주의 진정한 이익이 되고 있음을 확신하고 있다 .1 20) 버크의 견해 에 따르면 정당은 공중 여론과 실제적 대표를 겸비함으로써 악정 을 견제할 수 있는 최종적인 방어선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 들은 대체적으로 그의 보수주의 철학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고 볼 수 있다 . 왜냐하면, 사유재산과 개인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 해서 사회적 조화를 달성하고 정부의 역할을 제어하는 한편, 이러 한 버크의 이론은 인간 성격의 수정적인 면을 견제하고 있기 때문 이다. 위에서 우리는 자유방임적 경제이론과 실제적 대표이론에 대한 버크의 이론을 여러 가지 면에서 검토하였다. 그러나 버크의 보수 주의 철학온 위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조리가 정연하고 일목요연 한 것은 아니었다 . 버크 이론들의 상호의존적인 성격을 고려해 볼 때 그 이론들의 문제점을 전체적으로 분석하지 않고서는 올바른 비판이 나올 수 없다. 이러한 종합적 분석을 통하여 우리는 버크 의 보수주의적 세계관에 내재되어 있는 몇 가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

첫째로 지적될 수 있는 것은 앞에서도 의문을 제기하였듯이 아 직 해결되지 않은 대표이론에 관한 것이다 . 버크는 지역대표(국회 의원)가 정책 결정에 있어서 그의 지역구의 명령에 따라야 한다는 일반 개념을 부인하고 있다. 그러나 정치적 접근에 있어서 독단론 과 엄격성을 삼가했던 사람으로서 그의 이와 같은 확신에 있어서는 약간 솔직하지 않은 점이 남아 있다. 버크는 그 자신을 실용주의적 인 정치가로 인정하는가 하면 프랑스인들이 사회 정치적 현실과는 관계없이 광신적인 행동 원칙에 있어서 비현실적이었음을 힐난하 고 있다. 아일랜드에 관련된 통상법안에 있어서 버크의 지역구민들 이 제기한 이 법안이 영국의 공동이익에 위배되기 때문에 버크가 지역구민들의 요구를 거부하였다고 말할 수는 있다. 사실 버크는 이 점을 명확하게 주장하였던 것인데, 이것은 〈 실제적 대표이론 〉 에 대한 그의 견해와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버크 는 결과적으로 원칙론의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실용주의적인 정치 인으로서의 그의 명성을 실추시켰고, 정책 결정의 기초에 있어서 전체적인 문제를 심각할 정도로 혼란시켜 놓고 말았다 . 또 하나의 문제는 그의 보수주의 사상과 사회변동이론과의 관계 에서 제기되고 있다. 앞에서도 여러 번 지적하였듯이 버크는 정치 적 변화를 수용하면서도 점진주의적인 변화를 주장하고 있다. 미 국의 독립혁명과 영국혁명에 대해서는 관용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 지만, 이와는 반대로 프랑스혁명에 대한 그의 경멸적인 태도는 이 론적으로 일관성을 잃고 있다. 왜냐하면, 그는 미국혁명과 영국혁 명을 근원적인 원칙의 회복으로 보고 있지만 프랑스혁명은 통치 원칙의 급진적인 변화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어떠 한 역사 발전의 단계에서 혁명의 정신이 사회 정치체제에 통합되 는 것을 고려하게 될 때 제기되는 것이다 . 이러한 시기에 있어서 버크와 같은 보수주의자들은 가장 근본적인 문제, 이를테면 그들

이 보수주의의 근본적인 원칙이 무엇인가 하는, 즉 관행적 권리 Prescrip tion 아니면 안정을 선택해야 하는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헌팅턴은 버크의 보수주의 사상에서 가장 중 요한 원칙으로서 안정을 선택하는 소위 〈상황적〉 범주를 지적하고 있다. 헌팅턴은 이러한 선택이 개인의 선택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고본다. 버크는 그의 논문에서 혁명에 반대하는 장광설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다. 〈인류사회에 대변동이 일어나게 된다면 인간의 정 신은 그와 같은 변동에 적응하게 될 것이고 일반 여론과 감정은 같은 방향으로 흐르게 될 것이다. 모든 인류의 공포와 희망까지도 대변동을 진척시킬 것이다 . 〉 121 ) 버크는 이 글에서, 시민들이 새로 운 질서와 원칙을 수락하게 될 때 이에 대한 반대 입장을 비보수 주의적인 것처럼 표현하고 있다 . 이 글의 의미를 스트라우스 Leo S tr auss 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버크가 역사에 있어서 사 악한 대세의 흐름에 반대하는 것은 그 대세가 강력하여 정도에서 벗어나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는 것 같다. 그는 마지막 최후까지 불의에 대한 인간 저항의 숭고함을 망각하고 있다.〉 122) 그러나 스 트라우스의 평가가 옳은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다시 검토해 보자면, 우리는 버크의 설명의 이면에 깔려 있는 근본 원인이 극도의 피로와 절망에 기인하고 있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버크는 다음과 같이 계속하고 있다. 〈나는 이러한 문제를 견디어 왔고 또 앞으로도 영원히 그럴 것이라고 믿고 있다. 이 문 제는 과거 2 년 동안 나에게 불안스러운 순간들을 제공하였다.〉 123) 그럼에도 불구하고 버크는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왜냐 하면, 그는 계 속해 서 1796 년 에 Lett er s on a Reg icide Peace 를 완성 하 면서 프랑스의 사태에 대해서 관심을 표명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나는 당황하고 좌절되어 있지

만 잿더미 속에서 불씨를 다시 굵어 모을 것이다. 〉 1 24) 극단적인 상 황에서 버크는 안정성을 궁극적인 보수주의의 원칙으로 수용하지 않고 있다. 결론적으로 버크는, 초기 문헌에서는 보수주의 사상의 성격면에서 〈상황적〉인 시각을 중요시하고 있지만, 후기 문헌에서 는 불변적인 보수주의의 원칙에서 벗어나고 있다. 그에 의하면, 이 러한 원칙들이 근본적이긴 하나 비보수주의적인 수단들이 정치체 내에 이들 원칙들의 보존을 위해서 수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 다고 해서 이것이 버크가 반동주의자였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다. 그는 사회 변동이 사회의 존속을 위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 식하였고, 사회 변동의 방향을 정지시키려고 하지는 않았지만 사 회 변동의 속도는 제한하려고 노력하였다. 이것은 그가 사회의 존 속을 위한 근본적인 원칙에 있어서 현상유지론자였음을 시사하고 있댜 이 점에서 그가 기타의 자연법 사상가들과 다른 입장을 취 한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우리가 버크에 대한 해석에서 후자의 입장을 취하게 된 다면, 버크 사상을 올바르게 인식하는 데 있어 큰 문제에 봉착하 게 된댜 왜냐하면, 그는 사회 정치적 현실을 인식하는 기초로서 형이상학을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버크의 사상에서 다 원주의적인 성격, 또는 정치에 대한 실용주의적인 접근 방법을 발 견할 수 있었다 . 그는 형이상학적인 시각에서 정치를 설명하는 프 랑스 사상가들에 대해서 수없이 비판을 거듭하고 있는데, 프랑스 사상가들을 궤변론자, 유령회사의 설립자라든가 정치적 연금술사 라고 조롱하고 있다 .125) 그럼에도 불구하고 버크의 사상에도 형이상학적인 성격이 내재 해 있다. 프랑스 계몽주의자들이 목적론적인 역사를 확신하고 있 는 바와 같이 버크 자신도 〈신의 계획〉이란 개념을 사용, 목적론 적 역사관을 피력하고 있으며, 회의론적인 합리론자로서의 버크는

프랑스인들이 이성이라고 하는 새로운 신을 창조하였다고 비난하 고 있다. 그는 정치적인 담론이 구체적인 용어로 구성되어야 한다 고 주장하고 있지만 일면에 있어서는 생활의 신비스런 요소를 항 상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스테픈 Les li e S t e p hen 은 버크가 준형이 상학의 방향으로 일시적 탈선을 시도한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 다 .126) 또, 코반 Al fr ed Cobban 은 그의 실제적인 사상이 내재성을 일시적으로 배반하고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1 2 7 ) 그리고 칼 콘 Carl Cone 은 코반의 평가에 동의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버 크는 하나님 섭리의 통치력을 믿고 있다. 그는 그가 사용하는 개 념들을 하나의 역사철학으로 환원시키지는 않았지만 역사에 나타 나는 현실과 하나님의 존재를 표현하는 역사에 대한 그의 신념은 결국 역사철학의 국면을 예시하고 있다. >12 8) 나아가서 몰리 Joh n Morle y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현실적인 지혜, 습관, 공 공사업 정신의 우월성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에, 공동사회와 정부 에 대한 그의 사상의 바탕에는 분명히 신비주의가 깔려 있다. 그 의 철학 세계에 있어서는 마치 활력과 비밀조직이 역사와 합리주 의를 초월하는 영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같이 보인다.〉 129) 근본적으로 버크는 자연법이론을 설명하면서 스스로를 형이상학 적 위치로 회귀시키고 있는 것 같다. 모든 정치 이론가들이 버크 룰 자연법 사상가로 보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몰리는 버크 에 대한 저서를 두 편이나 발표하고 있으나 자연법을 언급한 것은 하나도 없다. 사실 그가 사용하고 있는 자연법의 개념은 다른 사 상가들이 사용하는 개념과는 다른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형이상 학적인 것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는 다른 문헌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우리는 모두 위대하고 불변적이며 선험적인 법에 귀속되어 태어났다. 그런데 이 선험적인 법은 우리들의 의지와 계

획에 앞서며 우리들의 생각과 감정을 좌우할 뿐만 아니라 모든 존 재에 선행하고 있다. 이 법에 의해서 우리 인간은 우주의 영원성 과 연계되는 것이고 이 법으로부터 우리는 벗어날 수 없다.〉 1 30) 더 나아가서 버크는 〈정의와 이성의 영원한 규칙으로서의, 폐기할 수 도 없는 불변적인 법〉 1 3” 을 발상, 이 같은 철학적 환상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버크가 어떻게 이러한 견해를 형이상학에 대한 그의 혐오와 조화를 이룰 수 있겠는가? 버크 사상의 이 같은 복잡성과 역설은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명 확한 해답을 주지 못하고 있다. 그렇지만 우리는 이 해답에 대한 많은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가장 간단한 해답으로서 버크 는 이 세계를 근본적으로 역설적인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그의 모든 해답이 역설적이고 일관성 없는 철학으로 흐르 고 있다고 지적할 수 있다. 여기에는 진실의 요소가 있을 수도 있 지만, 그의 일관성 없는 원칙들이 때와 장소에 따라 일관성 있게 적용될 수는 없는 것이다. 일관성 없는 원칙과 철학은, 인간으로 하여금 정확한 정치적 행동을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정치철학의 기 초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같은 문제에 대한 두번째의 해답은 버크의 형이상학이 정확 히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지롤 파악하는 데 있는데, 여기에서 우리 는 버크 형이상학의 두 가지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로, 버 크는 인간의 감성을 초월하는 현실에 대한 지식에 대해서 적대감 을 갖고 있다. 이것은 구체적으로 프랑스의 초이성적 형이상학에 대한 그의 적대감을 의미하고 있는데, 그렇다면 신에 관한 그 자 신의 형이상학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 것인가? 그는 그의 섭리 적 질서에 있어서 같은 의미의 합리적 확실성을 의미하고 있는 것 이 아니겠는가? 이에 대한 해답은 부정적이다. 그가 의미하고 있 는 것은 신에 대한 최고의 진리는 세속적인 사회 정치적 원칙처럼

정확하게 논의될 수 없다는 것이다. 신에 관해서 버크는 궁극적으 로 자연적인 감정으로서의 신앙에 의존하고 있다 . 그의 관점에서 보면 이 점은 형이상학적 원칙이 합리론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형이상학 이론가들과 버크를 구별하는 것이다. 버크는 이성에게만 의존하는 것을 거부하고 있다 . 〈형이상학적인 사고나 자연적인 사고는 인간 의무의 기초가 아니며 또한 그렇게 되어서 는 안 된다 . 왜냐하면, 그와 같은 사고에 있어서 우리는 확실성에 도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같은 사고는 인간의 자연적인 감정 과 일치할 때 의미가 있는 것이지 자연적인 감정을 거역할 때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 132) 이와 같이, 버크가 신에 의해서 계시된 형이상학적 현실을 확신했다 하더라도 그는 그 현실이 합리적으로 실증될 수 없다고 확신하고 있기 때문에 그는 단지 그 같은 기반 위에서만 행동할 수 없는 것이다. 그에게 있어서 형이상학은 이성 과 자연적인 감정으로서의 신앙에 관한 문제였다. 그에 의하면 단 순히 이성에게만 의존하였던 프랑스의 모든 형이상학 이론은 그 자체가 허약한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실패할 수밖에 없다고 지 적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상위개념의 형이상학이 이원적인 기초 때문에 더 견고했다 하더라도 그는 정치적 관행의 기초에만 의존하지 않고 있다 . 왜냐하면, 무엇보다도 근본적 요소로서의 신앙이 있고, 인 간의 자연적 감정이 객관적으로 진실일 수 없기 때문이다. 결과적 으로 우리는 버크의 형이상학에 대한 두번째의 해답, 죽 인간 성 격과 사회의 근본적인 속성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 는 이론가들에 대한 혐오감에서 그 해답을 찾아볼 수 있다. 버크 는 여기에서 궁극적이고 총체적인 지식을 얻을 수 없다고 생각하 기 때문에 이 문제는 하위개념의 형이상학에 귀속되는 것이다. 그 렇다면 그는 어떻게 정치적 원칙을 유도할 수 있었던 것인가? 그

는 그러한 지각을 획득하려고 노력하였으나, 인간과 사회의 성격 에 대한 지식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이다 . 간단히 요약해서 진리와 지식의 구별에 관한 문제였다. 프랑스 이론가들은 이 문제 를 동의어로 생각하고 버크는 인간의 지식이 인간 성격과 사회 정 치적 질서에 대한 완전한 진리를 파악할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 고 있다. 따라서, 버크는 하나의 형이상학을 분명히 제시하고 있 지만 그의 형이상학은 근본적으로 프랑스 이론가들의 그것과 상이 한 것이었고, 그는 프랑스의 형이상학이 절대적인 확실성을 갖는 정치적 현실을 파악할 수 없다고 생각한 것이다. 사실상 프랑스인 들은 그들의 형이상학을 초월해서 정치의 물리학, 즉 진정한 정치 학을 조명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버크나 그를 추종하는 보수주 의자들에 있어서는 형이상학은 어디까지나 형이상학으로 머물러 있게 마련이고 인간의 정치적 행동은 궁극적으로 경험, 관찰 및 전통, 간단히 말해서 관행 Presc ripti on 에 의존되어 있는 것이 분명 하다. 이 문제에 대한 세번째의 해답은 필연적으로 두번째의 해답에서 귀결되는 것인데, 앞에서 언급한 두 가지의 질서를 서로 대비해서 결합시키는 것이다. 버크는 상위의 법을 지적하고 있는데, 이것은 어떤 특정한 공동체 속에 존재하는 것도 아니고 전인류를 위한 것 도 아니며 인간 성격을 좌우하는 신의 의지인 것이다 .133) 버크는 여기에서 인간 위에, 또는 인간성에 내재해 있는 신의 자연법을 상정하고 있다. 이 같은 상위개념의 자연법은 근본적으로 불가사 의하고 인간의 제한된 지식으로 인해서 정치 사회적으로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버크는 이러한 자연법을 발견하기 위한 오직 하나 의 방법은 하위개념의 자연법과 인간 속에서 작용하고 있는 상위 개념의 자연법을 관찰하는 데 있다고 주장한다 .134) 그러나 여기에 서도 이미 지적했듯이 궁극적인 진리는 밝혀질 수 없는 것이다.

버크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짙은 매개체(공기)를 관통하 는 광선과 같이 인간 생활의 영역에 나타나는 형이상학적인 권리 들은 자연법의 범위 내에서 일탈, 굴절된다 . 참으로 복잡하고 다 양한 인간의 감정과 관심에서 볼 때 인간의 근원적 권리는 여러 모양의 굴절과 반영을 보여 주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권리가 원래 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는 것같이 권리를 언급한다는 것은 모호한 것이다.〉 1 35) 결과적으로 버크는 궤변철학자가 아니며 사회 정치적 현상에 관해서 독단론적인 시각을 벗어나 하나의 자연법이론을 시 인하였다. 따라서, 그는 어떠한 권력의 방향과 단순한 성격도 인 간 성격에 적합할 수 없다고 주장하게 된 것이다 . 1 3 6 ) 마지막으로, 버크는 철학적인 극단론을 결여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논리의 일관성을 잃고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앞에서 제시한 스테픈 S t e phen 의 인용문에서 보듯이 버크가 준형이상학적인 개념으로 편향되고 있는 점을 쉽게 발견할 수 있 는데, 스테픈은 다음과 같이 버크를 평가하고 있다 . 〈버크의 문헌 에서 보면 그는 표면적으로 그의 비판론자들이 사용하는 유사한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 그가 순간적으로 사용하는 준형이상학적인 개념에로의 편향성은 자세히 검토해 보면 아주 명확한 것이다. 어 떤 추상적인 이론가가 한 발 앞서서 버크의 이론을 분석해 본다면 그는 버크와는 다른 길로 달리고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137) 사실 상 실용주의와 경험주의에 대한 버크의 과장된 표현은 당시 철학 적인 반대파의 과격한 합리주의에 대한 반발에서 나타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그는 반이성적인 입장을 표명한 것도 아니었고 반형 이상학적인 입장은 더욱이 아니었다. 버크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 고 있다. 〈나는 형이상학적 이론을 험담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이성을 평하하기 위해서도 아니고 이론 자체를 부인하기 위해서도 아니다. 다만 그 이론이 근거가 없고 불완전하기 때문이다.〉 138) 버

크는 형이상학을 신랄하게 비난하는 데 있어서 표리 있는 입장을 취하지 않고 있다 . 그의 사상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가 자연과 전통, 관행과 이성, 또는 전통 유지와 개혁을 일률적으 로 부정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의 마 음 속에서 이들 모두의 요소들은 광범하고 통일된 유형으로 구조 화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 속에서 창조주의 계획, 자연의 요구 및 인간의 정신과 의지에 의해서 창출된 인위적인 사회질서가 하 나의 위대한 전체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결론 결론적으로 버크 보수주의의 이념적 모델은 하나의 쉬운 범주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 사실 버크의 보수주의는 철학, 죽 자유주의 나 보수주의 철학이 명확한 의미에서 이상형이 될 수 있다는 어떠 한 확신과는 거리가 있는 것 같다. 버크는 단정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이론가는 아니었다. 왜냐하면, 그는 상위개념의 원칙에 있어 서는 의도적일 정도로 모호하였고 상이한 문제와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그의 정치이론에 있어서는 매우 구체적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성격 때문에 19 세기 말에 이르기까지도 그의 사상은 철학 적인 논쟁을 불러일으켰던 것이다. 버크의 보수주의 사상이 복잡성을 띠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그 의 사상의 근본적인 성격을 규명하는 것은 오늘날 보수주의 이론 을 정립하는 데 꼭 필요하다고 본다 . 버크 보수주의의 본질을 범 주화하는 학문적 과업 은 로시 터 Cli nton Ross it er 에 의 해 서 이 미 완 성되었다고 본다. 아래에서 소개하듯이, 몇 개의 특수한 항목을 제의하고 로시터의 결론은 버크의 사상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는 데

가장 적절한 내용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그가 정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39 ) 1) 복합적이면서도 불변적인 인간의 성격을 지적할 수 있는데, 이러 한 인간의 성격에는 나약성, 불합리 및 폭력에의 충동이 문명적인 태 도의 장막 뒤에 잠복하고 있다. 2) 안간이 근엄한 정신과 신성한 성격을 평등하게 소지하고 있지만 인간에겐 자연적인 불평등이 존재하고 있다. 3) 인간의 가치와 사회의 위계질서에는 평등보다도 자유의 우월성이 내재해 있다. 4) 사회계급의 존재는 불가피한 것이고 사회계급의 평준화를 위한 모든 시도는 어리석고 무용한 것이다. 5) 통치하고 봉사하는 귀족정치(계급)의 필요성 . 6) 다수 지배의 오류와 독재 가능성 . 7)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특히 정치적 권력을 확산하고 균형화하 는 것은 바람직하다 . 8) 인간의 권리는 주어진 것이 아니고 쟁취되는 것이다 . 9) 인간에게 권리가 있다면 인간에게 봉사, 스스로의 노력, 복종, 도 덕의 함양, 절제 등의 의무가 있다. 10) 자유, 질서 및 진보를 위한 사유재산의 중요성. 11) 계승되어 온 제도, 가치, 상징, 의례의 존엄성과 불가피성 . 12) 인간에게 종교적 감정의 근본적인 역할이 있고 사회에는 조직화 된 종교가 존재한다. 13) 인간 이성의 오류와 한계성. 14) 교육의 문명적, 훈육적 , 보존적 사명. 15) 역사의 비극, 위대성 및 신비성은 인간의 지혜와 도덕을 형성하 는 데 가장 확실한 안내 역할을 한다.

16) 우주적인 정의의 불변적인 원칙이 존재한다. 17) 공동체의 탁월성, 죽 영토, 법률, 관습, 제도, 전통, 이상을 갖 고 있는 불가사의하고 신성한 통일체, 또는 과거, 현재, 미래의 인간 이 공유하는 통일체가 존재한다. 이 공동체는 개인의 권리에 앞선다. 그리고 자유와 권위를 조화시키는 해결책으로서 개인주의와 집산주의 를 거부한다. 18) 애국주의, .자기훈련, 의무 이행 등은 선한 사람의 표중이다. 19) 안전, 통일성, 공평성, 연속성, 보안, 평화, 변화의 제한성 등 은 훌륭한 사회의 칭표이다. 20) 존엄성, 권위, 정당성, 정의, 입헌주의, 권력의 한계성 등은 훌 륭한 통치(정부)의 징표이다. 21) 철학과 전통으로서 보수주의의 절대적인 필요성은 문명의 유지 에 있다. 버크의 사상에서 압축된 이상의 보수주의의 원칙들이 몇 개의 특수한 항목을 제의하고 미국의 건국 초기에서부터 오늘에 이르기 까지 미국 보수주의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부정 할 수 없다. 특히, 버크의 사상이 1950 년대 이후 미국의 신보수주 의 운동에서 재조명되었던 점은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 가서 자세히 언급하기로 하겠다. (주) 1) • Samuel P. Hunti ng ton , Conservati sm as an Ideolog y, Americ a n Poli tica l Sc ien ce Revie w , vol. Sl(Ju n e, 1957) , p. 4 56. 2) Russell Kirk, The Conservati ve Mi nd , 3 팬 C hi ca g o: Hen ry Regn ery Co., 1 ~). p. 5. 3) Mi ch ael Oakeshott , Conservati ve Poli tica l Thoug h t, The Sp e cta to r, vol. CXCID(Octo b er, 1954), pp. 472 -47 4.

4) Edmund Burke, The Works of Edmund Burke(London: H. G. Bohn, 1855- 18 65), vol. II, pp. 370- 37 1. 5) Burke, Works, vol. VI. p. ' 2!J7. 6) C. P. Court ne y, Monte s qu i e u and Burke(Oxfo rd : Basil B lackwell, 1963), p. 4 6. 7) Burke, Works, vol. I 참조 . 8) Court ne y, 앞의 책, p. 48. 9) 같은 책, p. 52. 10) Monte s q ui e u , The Sp iri t of the Laws, tra ns. by Thomas Nug e nt, ed. Franz Neuman(New York: Hafn e r Publi sh in g Co., 1949), Book XI, Seer. 6 참조. 11) Court ne y , 앞의 책, p. 102. 12) 같은 책, p. 139. 13) 같은 책, p. 160. 14) Burke, Works, vol. XI, p. 2 48. 15) 같은 책, vol. V, p. 153. 16) 같은 책, 같은 곳 . 17) 같은 책, 같은 곳 18) Monte s qu i e u , 앞의 책, p. li x. 19) Paul Spu rlin , Monte s qu i e u in Americ a( Bato n Roug e, La.: L ouis ia n a Sta te Un ive rsity Press, 1940) 참조 . 20) Monte s qu i e u , 앞의 책, p. 12f J. 21) 같은 책, pp. m-12. B. 22) Court ne y, 앞의 책, p. 59. 23) Monte s qu i e u , 앞의 책, p. !iii . 24) 같은 책, p. Iv. 25) 같은 책, p.l vi. 26) Louis Hartz , The Foundin g of New Soc iet ie s (New York: Harcourt, Brace, & World, Inc., 寧), p. 5 . 27) Samuel P. Hunti ng t on , Poli tica l Order in Chang ing Soc iet ie s (New Haven: Yale Univ e rsit y Press, 1% 8), p. 93. 2.8) 같은 책, p. %. 刃) 같은 책, 같은 곳. 30) 같은 책, p.1 10, 31) Monte s qu i e u , 앞의 책, p. 150. 32) Hunti ng t on , 앞의 책, p. 110. 33) Hunti ng t on , Conservatis m as an Ideolog y,“ 앞의 책, p. 463. 34) 같은 책, 같은 곳. 35) 같은 책, 같은 곳 36) Burke, Works, vol. VI, p. 114.

37) Max Weber, On the Me th o dology of the Soc ial Sci e n c es , tra ns . and ed. by Edward Shil s & Henry A. Fin c h(Glencoe, Illin o is : T he Free Press , 194 9), p. 9 0. 38) Hunti ng t on , Conservati sm as an Ideolog y,“ 앞의 책, p. 4 56 . 39) Burke, Works, vol. II, p. 363. 40) 같은 책, vol. III, p. 7 9. 41) Qu in t o n Hog g, The Co11se111ati ve Case( L ondon: Peng u in Books, 1959), p. 27 에서 인용. 42) Carl Becker, The Heave n ly Cit y of the Eig h te e n th Ce nt u r y Phil os op h er s ( N ew Haven: Yale Univ e rsity Press, 1%1), p. 3 1. 43) Hunti ng t on , Conservati sm as an Ideolog y, 앞의 책 , p. 3 51. 44) Lord Hug h Cecil , Conservati sm (London: Thornto n Butt er fie l d, Ltd . , 193 3 ), p. 없 45) Pete r Vi er eck, Conservati sm Re v is i t ed , 2 판 ed.( N ew York: Collie r Books, 1%2), p. 48. 46) Burke, Works, vol. II, p. 383. 47) Kirk , 앞의 책, p. 7 . 48) Burke, Works, vol. III, p. 8 5. 49) 같은 책, vol. II, p. 3 23. SO) 같은 책, 같은 곳 51) 같은 책, vol. IIl, p. 8 6. 52) 같은 책 , pp. 85- 86. 53) 같은 책, p. 8 5. S4) 같은 책, vol. II, p. 3 32. 55) 같은 책, p. 3 33. S6) 같은 책, vol. V, p. 2 54. 57) 같은 책, vol. II, p. 255. 58) 같은 책, vol. V, p. 8 3. 59) 같은 책, p. 1 야 ©) 같은 책, vol. II, p.3 75. 61) 같은 책, p. 5 21. 62) 같은 책, vol. V, p. 342. 63) 같은 책, vol. II, p. 3 24. 64) Kirk, 앞의 책, pp. 7-8 . 65) M. Mort on Auerbach, The Conservati ve Jllus io n (New York: Columbia Univ e rsit y Press, 1959), p. 37.

70) 같은 책, pp. 511-512, 71) 같은 책, p. 443. 72) 같은 책, p. 5 35. 73) Pete r Vie r eck, Lib e rals and Conservati ve s, The Anti oc h Revie w , vol. XI(W int e r , 1951), p. 3 93. 74) Qu in t o n Hog g, 앞의 책, p. 2 2. 75) Auerbach, 앞의 책, p. 3 9. 76) 같은 책, p. 3 8. 77) Burke, Works, vol. III, p. 3 56. 78) 같은 책, vol. V, p. 117. 79) Auerbach, 앞의 책, pp. 47-4 8. 80) Vie re ck, Conservatis m Revis it e d , 앞의 책, pp. 4344. 81) Burke, Works, vol. V, p. 165. 82) T. W. Adorno 등, The Auth o rita r ian Personali ty (New York: Ha rpe r & Broth e rs, 1950), p. 155. 83) Burke, Works, vol. III, p. 7 7. 84) Lord Cecil, Conservati sm , 앞의 책, p. 91. 85) Burke, Works, vol. II, pp. 38-39 . 86) 같은 책, vol. I, p. 500. 初) 같은 책, vol. II, p. 3 34. 88) 같은 책, p. 3 97. 89) 같은 책, vol. I, p. 296. 卯) 같은 책, vol. VI, p. 132. 91) Hunti ng t on , Conservati sm as an Ideolog y,“ 앞의 책, p. 456. 92) Burke, Works, vol. II, p. 353. 93) 같은 책, p. 359. 94) 같은 책, 같은 곳. 95) 같은 책, 같은 곳. 96) Hunti ng t on , 앞의 책, p. 456. 97) Burke, Works, vol. III, p. 86. 98) 같은 책, vol. I, p. 3 07. 99) 같은 책, 같은 곳 . 100) 같은 책, vol. VI, p. 134. 101) 같은 책, 같은 곳 . 102) 같은 책, 같은 곳 103) 같은 책, p. 135. 104) 같은 책, vol. II, p. V. 105) 같은 책, vol. III, p. 7 8.

lCX >) 같은 책, vol. V, p. l

138) Burke, Works, vol. VI, p. 1 48 . 139) Rossite r, 앞의 책, pp, (/J요 .

제 4 장 미국 신보수주의의 선구자들 서론 미국의 역사를 통해 볼 때 버크의 온건론적인 보수주의 철학은 많은 사상가들에게 깊은 영향을 주고 있다. 아메리카 공화국 초기 에 버 크의 문헌들은 해 밀턴 Ha milton , 존 애 덤 스 Joh n Adams 그리 고 랜돌프 Joh n Randolph , 칼훈 Joh n C. Calhoun 과 같은 초기 국회 의 원들에 의해서 많이 읽혀졌는데, 이들이 미국 헌법의 이념을 형성 하는 과정에 버크 사상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은 명확한 사실이 다.1) 그의 영향력은 정치인들과 정부의 관료들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에게까지도 널리 파급되었던 것이다. 19 세기의 미국 정치인 들은 종종 버크에 대한 홍미를 갖고 그들의 연설에서 그를 인용하 기도 하였다. 19 세기 말에 와서 버크의 저서 Spe e ch on Concil iati on wit h the Colon i es 는 미국 고등학교에서 교과서의 일부분이 되기도 하였다 .2)

버크가 작고한 지 100 년이 지난 19 세기 말까지의 기록을 보면 미국에 있던 세 개의 학술잡지들이 미국 정치사상에 대한 그의 중 요성을 분석하고 있다 .3 ) 이들 분석에 나타난 것을 보면 대표적으 로 파워 J. O' Conner Power 는, 버크의 문헌들이 고전 가운데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문헌, 근대에 있어서는 몽테스키외의 문헌에 견 줄 수 있다고 장담하고 있다》 또, 클랙혼 Ka t e Cla g horn 은 버크가 점진주의적 발전개념과 유기체이론을 접목시키는 데 크게 공헌했 다는 점에서 미국인들에게 널리 알려져 왔다고 지적하고 있다 . 5) 그리 고 학술잡지 인 The Na ti on 은 과거 100 여 년 동안 영 미 의 모든 순수이론적인 정치인들은 그의 지식을 버크로부터 물려받아 왔다 고 주장하고 있다전 심지어 우드로우 윌슨 WoodrowW i lson 은 버크 의 정치이론들이 그 당시 신선함과 중요성 그리고 활력을 갖고 출 발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타운센드 Nao mi Townsend 는 버크의 연구에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리고 있다. 〈문학의 세계에서 그 는 화려한 산문과 시의 대가로 칭송을 받았다. 역사학에 있어서는 그는 사회적, 종교적 억압에 대항해서 용감하게 투쟁한 영웅적인 정치인으로 격찬을 받았다 . 그리고 정치면에 있어서는 그는 위대 한 사상가로 존경을 받아 왔고 그의 학문적 업적은 야심적인 정치 인들을 위한 지혜의 유산울 남겨 놓았다.〉 8) 이 같은 버크의 영향력은 20 세기에 와서도 끊이지 않고 있다. 버크의 명성은 많은 학자들의 비판으로 상처를 받고 있지만 계속 해서 그의 사상온 정치 사상가들에게는 직접적으로, 정치 철학적 인 운동에 있서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왔다. 전자의 경우 매 디 슨 Jam es Madi so n, 윌슨과 리 프만 Walte r Lipp mann 은 대 표적 인 사 상가들이며,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배빗 Irvin g Babb itt과 모어 Paul Elmer More 와 같은 신 인본주의 자들 New huma nists 그리 고 랜섬 Joh n Crowe Ransom , 테 이 트 Allen Tate , 아가 Herbert Ag ar , 워 런 Robert

Penn Warren 등과 같은 남부의 농본주의 자들 South e rn a g r ari ans 은 버크의 사상을 현대 사회에서 활성화시킨 가장 대표적인 인물들이 다. 한마디로 말해서 일반적으로 철학적 자유주의 때문에 미국은 버크의 보수주의 이론을 수정한 지적인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이 런 점에서 볼 때, 버크 보수주의의 수정주의적인 차원에서 미국의 정치적 전통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매디슨, 윌슨 및 리프만의 사 상과 앞에서 지적한 정치 철학적 운동 등은 미국 보수주의의 뿌리 깊은 지적 전통의 단면을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미국에 서 1950 년대의 〈신보수주의〉가 철학적인 공백에서 출발하지 않고 근본적으로 버크의 사상과 그의 이론적 계승자들의 사상에서 연원 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제임스 매디슨 어떻게 보면 미국에서 버크의 보수주의 전통을 해명하는 데 있 어서 매디슨은 예외적인 인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첫번째 이유로 서 매디슨의 위대한 정치적 문헌의 몇 작품은 가장 성숙기의 버크 의 저서들보다 시기적으로 앞서고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두번째 이유로서는 해밀턴과 존 애덤스가 매디슨보다 더 보수주의적이었 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9) 그렇다 하더라도 매디슨 이 보수주의자였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매디슨이 직접적으로 버크 의 사상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하더라도 매디슨의 사상온 버크의 사상적 배경을 공유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비레 크는 보수주의의 전통을 분석함에 있어서 이들 두 사상가를 같은 사상적 원류에서 보고 있다 .10) 그리고 커크가 언명하고 있다시피 존 애덤스는 더 정열적이고 이지적으로 독자들에게 호소하고 있지

만 일반 대중들은 그의 글을 잘 읽지 않았던 편이며, 그렇다고 해 서 해밀턴의 글을 좋아했던 것도 아니다 . II ) 부언해서 커크는 존 애 덤스를 미국의 순수보수주의의 선각자로, 해밀턴을 사유재산을 존 중하고 반민주주의의 가장 표본적인 대부의 하나로 각각 지목하고 있다 .1 2) 한편, 이들에 비해서 매디슨의 문헌들은 미국인들에게 널 리 알려지고 많이 읽혀지고 있었다. 따라서, 그의 온건적인 보수 주의 사상온 미국 정치사상의 형성에 누구보다도 많은 영향력을 갖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13 ) 매디슨의 보수주의 사상의 핵심적인 문제는 그의 로크주의적 확 신, 즉 선한 통치는 국민의 행복을 달성하는 데 있다는 그의 신념 속에 잘 나타나고 있다 .14 ) 물론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서의 행복은 일반적으로 재산과 인간 생활의 물질적, 공리적인 부분을 의미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그의 견해는 그의 다른 이 론과 부합하지 않는 점이 있다. 즉, 선한 정치생활에 대한 매디슨 의 견해는 인간의 물질적 충족에 있는 것이 아니고 국민의 도덕 적, 지적 복지에까지 연장되고 있는 것이다 .15 ) 예컨대 Federali st Pape r #5 에서 그는 정의의 실현이 통치의 목적이라고 확신하고 있 댜 16) 그리고 Federa li s t Pap er 의 여러 곳에서 그는 통치 (정부)를 국 민들이 그들의 의무를 수행케 하는 임의적 제도로 정의하고 있 다回 부언해서 그는 미국의 정치제도들이 개인의 사회적 권리를 보장해 주는 것과 같이 인간의 지적, 도덕적 성장을 보장해 주는 것이라는 점을 미국인들에게 환기시키고 있다 .18 ) 물론 매디슨이 수 차에 걸쳐서 사유재산이 정치체의 바닥에 깔려 있는 확고부동한 기초와 선한 생활을 영위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강조 한 것은 틀림이 없다 . 그러나 버크의 이론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 디슨은 사유재산 그 자체를 목적으로 보지 않고 보다 높은 차원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는 점을 다음과 같이 지적

하고 있다 . 〈 보다 넓은 의미에서 재산이란 인간이 가치를 부여하 고 권리를 가지는 모든 것을 포함하고 있다 . 인간은 그의 의견을 피력하고 의견의 자유토론을 위해서 재산을 갖고 있다. 인간은 그 의 종교적 견해와 직업활동에 있어서 특정한 가치의 재산을 갖고 있다. 인간은 개인의 안전과 자유의 성취를 위해서 또한 재산을 갖고 있다 . 인간은 그의 능력을 자유스럽게 사용하고 그 능력을 적용하려는 문제를 자유스럽게 선택하기 위해서 동등한 재산울 갖 고 있다. 한마디로 말해서 인간이 그의 재산에 대한 권리를 갖고 있는 것과 같이 인간은 그의 권리에 있어서 재산을 소유할 수 있 는 것이다. 〉 19 ) 매디슨이 말하는 〈양심〉의 재산은 물질적 재산에 우 선하고 있음이 확실하다. 따라서, 매디슨은 미국의 정치체제하에 서 위계질서가 존재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것은 물질적 재산에 우선하는 지적, 도덕적 재산을 의미하고 있는 것이다 .20) 매디슨이 버크에 의해서 직접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 는 버크의 사상적 지류의 하나인 몽테스키외에 의해서 영향을 받 고, 몽테스키외의 제도적인 문제와 버크의 도덕적 관행의 이론적 종합을 시도하고 있다. Federali st #10 에서 매디슨은 이익집단의 다 양성을 감독하기 위해서 권력분립과 견제와 균형의 제도화를 통해 서 독재적 다수를 규제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그런데 매디슨의 이론 중 〈확장된 공화국〉의 개념은 잘 알려져 있지 않 다. 가능한 한 정부의 규모를 축소하려는 플라톤의 견해에 비해서 매디슨은 미국 정치의 규모와 이질적인 요소를 다수의 독재로부터 의 해방울 보장해 주고 상위가치의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보고 있 는 것이다. 플라톤은 그의 저서 『법률 』 에서 국가 구성원으로는 5040 명이 적정함을 지적하고 있다. 이 점에 있어서 매디슨은 대규 모의 공화국에서 공공선이 지역적인 이익에 의해서 희생된다고 역 설한 몽테스키외의 이론에 반대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공화정부

를 소규모로 제한하는 오류는 민주주의와 공화주의를 혼란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그는 Federali st #14 에서 지적하고 있다. 그는 순수한 민주주의 국가는 절대로 대규모적으로 운영되어서는 안 된 다고 언명하고 있다. 그러나 공화국은 대표의 개념이 있기 때문에 대규모로 운영될 수 있다고 본다. Federalist #9에서 해밀턴도 뉴 욕, 펜실베이니아, 버지니아 등과 같은 주들이 이미 몽테스키외가 제안한 최대한의 규모를 초과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함으로써 몽테 스키외의 이론을 반박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매디슨은 다음과 같 이 언급하고 있다. 〈확실히 사회의 규모가 확대될수록 자치 능력 이 더 확대된다고 하는 것은 중요하다. 미국과 같은 확대된 공화 국에서 특히 다양한 이해관계, 정당 또는 분파들 가운데서 전체 사회의 다수 연합은 정의와 일반 선 이외의 다른 원칙 위에 형성 되기 어려운 것이다.〉 21) 버크에게서 보는 바와 같이 매디슨은 대표의 개념 , 즉 버크의 〈실제적 대표 Vr rtu al re p resen t a ti on 〉와 유사한 개념을 사용, 정치적 안정을 꾀하려고 한층 더 노력하고 있는데 그 구체적 내용은 다음 과 같다 . 〈정부의 대표단, 즉 지역의 구성원들에 의해서 선출된 소 수 대표의 효과는 공적인 견해를 수렴하고 확대하는 데 있는데, 이 들의 지혜가 국가의 진정한 이익을 가장 잘 표출할 수 있다. 이러 한 규제하에서 국민대표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공 여론은 직접 일 반 국민들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보다는 공공선에 더 접근할 수 있다.〉 22 ) 그러면 매디슨이 지적하는 이 같은 국민대표의 특성은 무엇인 가? 그는 절제와 존경 23) 그리고 지혜로운 애국심과 정의의 애호 24 ) 룰 국민대표의 특성으로 지적하고 있다. 그런데 그에 의하면 국민 대표는 인간의 능력이 불평등하기 때문에 적어도 지적 엘리트 집 단에서 선택되어야 한다고 한다 .25 ) 따라서, 여기에서 매디슨은 자

신을 비민주주의자로 표현하고 있다. 그는 일반 대중이 비정상적 인 감정이나 불법적인 이해관계에 자극되어 대중의 의사와 일반 복지를 혼동하게 되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2 6 ) 물론 그의 이론에 나 타난 상원은 영국의 귀족주의적인 의회를 그대로 모방한 것은 아 니며, 미국이 귀족주의적인 전통을 결여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적 인 역사 환경에 따라 생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매디 슨이 버크의 사상에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고 있지만 그의 이론은 버크의 사상과 공통점을 보여 주고 있다. 설사 버크의 관 행적인 계급질서를 수락하지 않더라도 매디슨은 공적 임무를 수행 할 수 있는 지적, 도덕적 성격을 지닌 자연적인 귀족주의의 중요 성을 인정하고 있다 .27) 인간 성격에 대한 매디슨과 버크의 견해 차이는 인간 성격을 규 명하는 정도의 차이로 나타나고 있다. 매디슨은 인간 성격의 타락 성과 결함 및 인간의 허약성과 임의적인 변덕을 지적하고 있다 .28 ) 그러나 전체적인 면에서 볼 때 그의 인간성격론은 다음과 같이 균 형적인 시각에 근거를 두고 있다. 〈어느 정도의 신중성과 불신을 갖고 있는 인간의 타락성이 내재하는가 하면 인간 성격에는 어느 정도의 존경심과 확신을 정당화하는 기질도 존재한다.〉 29) 적어도 버크는 온건론적인 비관주의자였다면 매디슨은 확실한 현실주의자 였다고 본다. 그에 의하면, 인간이 천사라면 통치 (정부)가 필요치 않다고 한다 . 30) 그러나 인간은 천사가 아니며 통치는 불가피한 것 이댜 그러나 그것은 통치가 무엇이냐 하는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 하고 있다. 버크는 이 같은 문제를 갖고 있으면서도 그의 관심은 항상 무정부 상태에 대한 통치적 제한 문제에 있었다. 그와는 반 대로 매디슨은 통치의 무정부 상태, 죽 전제정치의 제한에 대한 문제에 더 큰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이 두 가지 문제는 서로 상 극되고 있지만 오히려 동전의 양면과 같은 이중적인 인간의 성격

과 관계되는 문제라고 볼 수 있다 . 매디슨은 종종 버크가 강조하 는 내용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있는데, 다음의 내용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인간이 인간을 통치하는 정부를 창출하는 데 있 어서 가장 어려운 문제는, 첫째로 정부가 피통치자들을 통제하는 일이고, 둘째로는 정부가 스스로를 통제하는 문제이다. 〉 31) 버크와 매디슨 사이의 또 다른 차이점은 전통, 관행 및 변화에 대한 문제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들 두 정치 이론가들을 이분법에 의해서 설명하고 있는 리머Ri emer 는 〈매디슨은 단순히 전통적이란 의미에서 전통적 생활양식에 대해서 별 관심이 없었다. 〉 고 피력하 고 있다 .3 2) 리머는 또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매디슨이 전통 적 생활양식을 적대적으로 비판하지 않았다면 그는 기능적인 공화 주의적 질서의 핵심을 수반하는 전통적 생활양식을 신봉했다고 본 다. 전통적 생활양식이란 책임 있는 정부, 국민대표제 정부, 제한 정부 및 서로 경쟁해서 자유를 쟁취할 수 있는 자유주의적 집단들 의 다양성을 의미하고 있다. 이것은 인간 성격으로부터 유출되는 건전한 다양성으로서, 확대된 공화국 내에서 공화주의적 정부가 유지될 수 있도록 조건을 부여한다 . 〉 3 3) 부언해서 리머는 매디슨이 버크의 관행에 대한 신념을 몇 가지 공유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 고 있다. 죽, 기질과 지성적인 면에서 매디슨은 이론적인 정치 인, 환상적인 철학자 및 자선가들을 회의적으로 보았다고 지적하 고, 더 나아가서 그는 정치, 사회, 경제생활에서 변혁의 불가피성 을 확신하였다고 지적하고 있다 포 죽, 그는 매디슨이 신중하고 현 실적인 변혁과 독단적, 추상적, 교의적, 이론적, 급진적, 환상적 인 변혁 사이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음을 시인한 것으로 평가하 고 있다 .35) 그러나 리머는 관행적 권리에 대한 매디슨의 이해는 버크의 견 해에 비해서 폭이 좁고 관행적 제도에 대한 시각도 버크에 비해서

미약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36) 리머의 지적에는 상당한 근거가 있지 만 우리가 버크와 매디슨이 상세하게 설명하는 전통적 관행의 개 념이 대조적임을 고려해 보면 리머의 설명은 두 이론가의 동질성 을 지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버크는 영국의 제도가 외부적으 로 방해를 받지 않고 8 백 년 동안 발전해 왔다는 점에서 영국의 정치제도를 신성시할 정도로 정당화시키고 있다. 반면에 미국의 정치제도는 그 역사가 짧고 영국의 간섭으로 자연스럽게 발전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매디슨은 이에 대한 보수주의적인 정당성을 충분히 주장할 수 없었으며, 버크처럼 국가의 법적 연속성에 직접 적으로 호소할 수 없었던 것이다 .37) 또한, 우리는 정치적 변혁에 대한 매디슨의 긍정적인 입장을 찾 아볼 수 있다. 매디슨은 공화국 체제의 유지와 정치적 현실에 기 초를 둔 새로운 변화에 대해서 대담하게 대처하였다 . 38) 정치적 현 실이란 매디슨이 좀더 유동적인 사회, 즉 다른 국가적, 개인적 기 질을 초래할 수 있는 유동적 사회에 대처하는 새로운 환경을 의미 했던 것이다. 죽, 매디슨은 정부(통치) 그 자체는 인간 성격을 반 영시키는 가장 위대한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39) 버크가 미국 독 립의 기초작업을 시도했던 사상가들의 문제점들을 묵시적으로 인 정하고 매디슨이 기초한 미국 헌법을 시인했던 점은 버크가 『미국 혁명의 소고』란 책자를 시도하지 않았다는 사실로부터 추측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버크는 매디슨의 정치적 원칙이 근본적으로 그 의 정치이론과 상이하지 않고 미국의 정치제도적 일탈이 상황적인 차이점에서 출발한 것이라는 사실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을 종합해 보면 매디슨과 미국 독립 전후 의 미국 사회에 미친 버크의 영향력에 대한 19 세기 말 당대의 이 론적 견해들은 근본적으로 오류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점 에 대해서 클랙혼 Ka t e Cla g horn 은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주입시키는 것이 무익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윌슨 이후 반세기 동안 미국 정치에 막강하게 영향을 주었 던 그의 자유주의적 관행이 미국인들의 보수주의적 시각에 의해서 상쇄된 것은 사실이다. 현대적인 시각에서 윌슨은 다음과 같이 경 고하고 있다 . 〈미국은 최근 미국의 자원을 허비하고 태평스럽게도 정치의 혼미 속에 허덕이고 있다. 그러나 머지않아 미국은 스스로 노쇠해져서 긴박하고 혼잡한 사회환경을 발견하고 놀라게 될 때가 올 것이다. 그 때 미국은 미국의 보수주의 성향으로 환원될 것이 고, 자원을 절약하거나 힘을 한 곳으로 집중시키는 동 기행적 방 랑을 자제하고 최선을 다하게 될 것이다.〉 41 ) 이러한 윌슨의 표현은 선견지명이 있었지만 윌슨 자신을 버크류 의 보수주의자로 만들었다. 이와 같은 표현 자체에서는 반드시 그 렇다고 볼 수는 없지만 윌슨의 다른 견해를 종합해 보면 이러한 판단을 가능케 하고 있다 . 그는 철학적인 선각자로 누구를 존경하 고 있었을까? 이에 대해서 그는 명확하게 버크를 지목한 적이 있 다 〈내가 어떠한 철학적 선각자를 생각한다면 그 사람은 국가정 치의 가장 심오한 원칙을 제시한 버크일 것이다.〉 42) 확실히 윌슨은 버크의 정치 지도자로서의 무능력을 비판하고 있지만 이러한 비판 속에서도 그는 버크의 정신을 함축하고 있다. 그의 문헌에서 우리 는 버크에 대한 다음과 같은 평가도 찾아볼 수 있다. 〈버크는 그 의 생애 중 의회 생활에 많은 시간을 헌신했고 의회에서 발언한 그의 웅변이 우리의 문학과 같이 영원히 죽지 않고 살아 남을 것 이라는 것을 우리는 모두 알고 있다 . 그의 웅변은 우리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그러나 그의 옹변은 사람들로 하여금 그의 생각을 받아들이는 데 있어서는 얼마나 무모한 것이었던가?〉 43) 그러나 윌슨은 버크 사상의 타당성을 사람들에게 확신시키는 등 버크의 정치적 언설을 보다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림으로써 버크의

결함을 보완하여 주고 있다. 윌슨의 방법론은 다음과 같이 버크의 관행을 따르고 있는 느낌이 있다. 〈버크의 말과 같이 일반 국민의 성향을 강요하기보다는 따르는 것, 즉 공동체의 일반적 공감대에 일정한 방향, 형식 및 특정한 제재를 불러일으키는 것은 법률 제 정의 진정한 목적인 것이다. 이러한 공동체의 일반적 공감대는 생 성되도록 기대할 수도 있고 정치인들이 그러한 공감대를 제기할 수도 있다. 공감대가 형성될 때에는 그것이 미완성일 수도 있고 모호할 수도 있지만 정치인은 그러한 공감대를 창출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명확히 해야 한다.〉 44) 이와 같이, 윌슨은 그가 버크 의 생각을 철학적인 차원에서 더 이상 개선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버크의 사상 속에서 자신을 발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윌슨의 지적은 미국적 상황의 특수한 정치적 요청에 따르기 위해 사용되 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윌슨의 논문 「현대 민주주의 국가」를 자세하게 검토해 보면 우 리는 그의 정치이론의 핵심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 논문 에서 윌슨은 사회의 유기체이론, 즉 사회는 정부 없이 존속할 수 없으며, 가정이나 국가는 선택적인 집단이 아니고, 이들 집단은 필수적이고 자연적이란 이론적 입장을 명확하게 하고 있다 .45) 버크 에 대한 강의록에서도 윌슨은 특히 정치 현상의 자연적 내재성으 로 인해서 정치 현상들 간의 상호관계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 내 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국가는 국가의 원칙에 의해서 영위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정부는 계약과 제도에 관한 사항으로서 정부는 사실상 관습제도, 즉 수많은 집단에 의해 서 상호 통합된 관습의 제도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46) 간단히 말해서 유기체로서의 육체와 마찬가지로 사회유기체는 스스로의 질서와 진화법칙을 갖고 있으며, 그로부터 인간은 국가의 구조와 유기체적인 성격을 실증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47)

윌슨은 적어도 정치학에 있어서 형이상학적 이론가는 아니었다 . 최상의 질서와 변증법으로부터 국가와 사회에 대한 윌슨의 이론을 유도해 본다면 윌슨의 이상은 사회주의적 질서를 역전시키는 데 있다. 그가 지적한 바와 같이 사회주의자는 우선적으로 사회를 위 한 새로운 헌법, 권위의 새로운 질서 및 조직의 조화, 즉 사회를 위한 하나의 새로운 자연이 창출되는 것을 필요로 하고 있다 . 이 러한 일들이 사회주의 사회에서는 정반대의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그는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일들은 조직 이후에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조직의 성격 그 자체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고 본 다. 즉, 조직은 조직 성격의 산물이 아니라 조직 성격에 선행해야 된다는 점을 윌슨은 강조하고 있다 .48) 윌슨의 정치학은 인간 성격 에서 출발하고 있는데, 버크와 같은 입장에서 그는 하나의 정치체 제가 국민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한 타당성을 갖게 되는 것이라 고 확신하고 있다. 이 점에 대해서 그는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 다 . 〈정부 형태는 국민성을 수용하지 않는 한 타당성을 상실한다. 정치제도와 국민성은 유전적인 성향을 통해서 발전되어야 한다.〉 49 ) 여기에서, 이 같은 정치제도는 어떻게 발전하고 정부(통치)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한 윌슨의 개념은 과연 어떤 것인가 하는 의문 이 제기될 수 있다 . 버크와 같은 입장에서 그는 정부(통치)의 제한 된 기능과 역할을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국가 기능의 한계 점은 여러 집단 간의 필요한 협동을 유도하는 데 있다. 국가가 임 의의 집단(단체)에 대해서 아무것도 강요하지 않는 것은 자연스러 울 뿐만 아니라 그 자체가 국가의 역할이라 할 수 있다.〉 50) 여기에 서 윌슨은 이러한 국가의 역할이 경제 문제에만 국한해야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사상과 양심은 개인적인 영역에 속 하고 있기 때문에 그는 언론의 자유와 종교적 관용에 있어서도 정 부(통치)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있다 .51) 정부(통치)에 대한 윌슨의

개념은 도덕적, 물질적 공리성의 혼합으로서 다음과 같이 설명되 고 있다 . 〈통치는 국민의 자율성과 행복의 최대치를 창출하는 예 술이다.〉 52) 그러나 그는, 인간은 사회집단이 존속하지 않는 한 인 간 능력의 최대 가능성을 실현할 수 없기 때문에 국가와 사회가 인간 능력의 보다 높은 가능성의 바탕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고 인 식하고 있다 포 다시 말해서 그는 정치 발전의 목적이 개인 발전의 목적과 동일시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5 4 ) 즉, 인간은 사 회에 예속되어 있지만 사회의 필연적 결과로서의 국가는 결과적으 로 개인을 보호하고 비인간적 상황에 빠지지 않도록 보살펴야 한 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 55) 이러한 과정에서 적어도 공화정부의 형태에 있어서 국민대표(국 회의원)는 중재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사회 정치적 기반의 차 이점을 고려해 보더라도 국민대표에 대한 윌슨의 개념은 버크의 개념과 유사점을 갖고 있다. 윌슨의 개념에 있어서도 국민대표는 선거구민의 직접적인 의사에 굴종되어서는 안 되고, 반대로 국민 대표는 선거구민의 이익을 초월하는 〈일반 선〉에 우선적인 관심을 표명해야 한다는 등, 적어도 국민대표는 사회 전체적이고 광범한 시각에서 훈련받은 지적 엘리트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 고 있다. 국민대표의 개념에 있어서 윌슨은, 만일 그들이 선거구민들의 절도 없는 판단 및 일시적인 충동심만을 대변하게 된다면 국민대 표는 단지 자동화된 기계에 국한될 뿐만 아니라 사회의 건전한 목 적에 부응할 수 없다고 단언하고 있다. 오히려 국민대표는 스스로 선택하고 판단하고 선거구민을 지도해야 된다고 그는 역설하고 있 다 .56) 그렇다고 해서 이러한 주장이 선거구민들의 요구사항을 완전 히 무시해도 된다는 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윌슨은 정부가 공공 여론에 즉각적으로 부응하지 않더라도 공공 여론은 국민대표

롤 포함하는 일반적 여론의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정책 결정에 영향력을 갖게 되는 것임을 인식하고 있다 . 5 7 ) 그럼에도 불 구하고 그에 의하면, 통치의 문제는 극히 복잡한 문제임에 틀림없 고 일반 대중은 스스로 명료하고 포괄적이고 일관성 있는 정책 결 정을 형성할 수 없다고 한다. 따라서, 국가와 국민대표제는 사회 가 존속되는 데 필요한 사회 연대성과 결합성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5 8 ) 이 같은 보수주의적 성향을 고려한다면 윌 슨이 버크의 사상과 영국을 보수주의 사상과 정치체의 모형으로 생각하게 된 것은 놀라운 사실이 아니다. 특히, 그는 영국에서 관 습을 통해 일반적인 정치제도가 발전되어 온 점울 높이 평가하고 있다 . 5 9)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정치적 보수주의는 전적으로 철학적 보수 주의와 결합되어 있다. 윌슨은 영국의 정치제도가 이 점을 잘 반 영하고 있음을 밝히고 미국의 경우에도 적용시키고 있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그는, 질서 유지와 발전을 가능케 했던 영국 보수주 의의 가장 중요한 특성 중의 하나가 통치의 원칙을 개방적인 문제 로 취급하는 것을 꺼려한 점을 지적하고 있다 .60) 어떻게 보면 윌슨 의 인식론적인 방법론은 그가 이론을 위한 이론을 경멸하고 있듯 이 고전적인 보수주의의 성향을 고수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이 점 은 영국 정치학의 특성이 과학적 무관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정치 현상의 실제적인 내재성의 탐구에 있다고 그가 지적한 내용에 잘 나타나 있다 .61) 특히, 그는 모든 정치사상의 목적이 실천적 행동에 있어야 한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62) 윌슨이 버크주의자였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윌슨이 버크 에게는 금기시되었던 민주주의의 용어를 자주 사용하였던 점은 특 이하게 생각된다. 왜냐하면, 민주주의의 개념이 버크의 사상과 영 합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되기 때문이다. 국민대표에 대한

윌슨의 개념을 이미 간단하게 살펴보았지만 우리는 이 문제를 좀 더 깊이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 개념은 그에게서만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미국 보수주의의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 한 내용이 되기 때문이다. 즉, 버크 보수주의의 반명제에 기반을 둔 사회에서 어떤 사람이 버크 보수주의자가 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뒤에서 검토하겠지만 이러한 문제는 신보 수주의자들에게도 어려운 과제의 하나로 남아 있다 . 이 문제에 대한 윌슨의 해답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지만 긍정적 으로 수용될 수는 있다고 본다. 왜냐하면, 보수주의와 민주주의는 서로 모순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현대 적인 시각에서 민주주의는 프랑스인들이 제창한 민주주의의 개념 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하면서 다음과 같이 언명하고 있다. 〈민주 주의의 절대적인 세력은 혁명적인 사상가들의 교의와 가난하고 억 압받는 민중의 불만 속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 1 4 0 년 동안 다양한 교육 발전에 의해서 부양된 일반 대중의 지적 향상에서 창 출될 수 있는데, 이들의 지적 향상은 거의 통치계급의 평균 수준 에 육박할 수 있울 정도로 지대한 것이었다.〉 63 ) 여기에 버크 자신 이 수락할 수 있었던 민주주의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는데, 아마도 이 같은 일반 대중의 교육 발전이 당시로서는 용이하게 성취될 수 없는 이상적인 것이었다고 그는 주장하였을 것이다. 하여튼 이러 한 개념은 버크가 수락할 수 있는 개념이다. 죽, 이러한 일반 국 민의 교육 수준이라면 이들도 합리적인 정치 선택이 가능할 수 있 을 뿐만 아니라 이들 중에서도 정치 지도자가 나올 수 있다는 판 단울 버크도 하였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다만 일반 대중의 교육 발전을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시대적인 상황 때문에 버크는 윌슨에 비해서 보다 폭넓은 민주주의를 제의할 수 없었던 것이 사 실이다. 이러한 사회적 변동은 윌슨 시대에 더욱 가능했던 것이

다. 일반 대중의 학력 수준이 급격하게 향상되었고 대다수의 미국 중산계급의 경제적인 전망도 과거에 비해서 훨씬 좋은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었다. 이러한 사회 경제적 현실과 잠재력을 감안한다 면 윌슨 자신이 스스럼없이 버크주의적 민주주의자로 자처했던 점 은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민주주의에 대한 그의 개념은 기타의 버 크의 정치이론과도 부합되고 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 다. 〈민주주의는 어떤 야망이나 신념에 의해서 창출되는 것이 아 니다. 민주정치의 과정은 경험에 있으며 민주정치의 기초는 오랜 관습에 있다. 죽, 민주주의의 의미는 국가의 유기체적 통일성과 효율적인 국민 생활에 기인한다.〉 64) 이상에서 우리는 윌슨 사상의 보수주의적인 성격에 대하여 검토 하였다. 이것은 철학적인 시각에서 윌슨 사상의 왜곡된 점을 밝힌 것이 아니고 오히려 그의 초기 사상의 진면목을 정리해 본 것이 다 . 이 시기에 버크주의자로서 그는 정치의 목적이 행동과 실천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또 이러한 신념에서 현실 정치에 입문하였 다고 본다 . 확실히 그가 보다 개혁 지향적이었던 것은 사실이나 그것은 정치적 상황 변화에 대한 대응 조치에 불과했다. 그의 현 실 정치의 경험에 비추어 보면 그는 〈변화가 없는 상태는 변화 자 체의 수단을 지속할 수 없다.〉는 버크의 명언을 누구보다도 잘 기 억하고 그대로 실천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모든 언어와 행동은 그의 천부적인 보수주의의 성향을 그대로 반영하였다. 이 러한 면에서 홉스테터 Rich ard Ho fs t ad t er 까지도 윌슨을 자유주의적 보수주의 자 The conservativ e as li beral 로 지 칭 하고 있다. 홉스테터는 윌슨이 뉴저지주의 지사로 처음 출마했을 때 그가 보수주의 철학을 포기하지 않았었다고 누차 천명한 점을 지적하고 있다 .65) 그의 언명은 다음과 같은 온건론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 〈미국은 현재 금권주의와 대중정치의 중간에 있음이 분명하다.〉 66)

그런데 이러한 문제에 대한 그의 해답은 도덕재건운동에서 찾아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67 ) 1912 년 대통령 선거 당시 윌슨은 우익세 력의 태프트 Ta ft와 좌익세력의 루스벨트 사이에서 중도적인 입장을 표방하고 있었다. 당시 선거의 슬로건이었던 〈 신자유주의〉는 당시 미국 정치의 성향을 뒷받침하고 있던 전통적인 개념의 자유 개념 과 근대적인 자유 개념의 혼합적인 성격을 표명하고 있었다. 당시 윌슨은 다음과 같이 선언하고 있다. 〈 만일, 진보적인 것이 미국의 정치제도를 유지한다는 사실을 내가 확신하지 않았다면 , 나는 진 보주의자가 될 수 없었다 . 〉 68) 윌슨 사상에 조예가 깊은 홉스테터는 지적하기를, 윌슨은 당시 미국이 새로운 방향으로 탈출구를 찾기 보다는 미국의 건국 초기의 근본적인 이념으로 회귀해야 된다는 점을 역설하였다고 확언하고 있다 . 69) 이러한 윌슨의 입장은 버크가 수용할 수 있는 정치적 입장이었으며, 이러한 입장은 버크 시대에 있어서 그 스스로가 1688 년의 영국 명예혁명과 1776 년의 미국 독 립혁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기초 이념과 유사했던 것이다. 결 과적으로 매디슨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윌슨은 그의 사상과 행동 에서 버크류의 보수주의 사상이 미국 토양에 이식되어 성공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 주고 있다. 월터 리프만 월터 리프만은 윌슨 사상에 대한 홍미 있고도 대조적인 관점을 피력하고 있는 한편, 윌슨 시대와 신보수주의 시대 사이에서 하나 의 교량 역할을 제공하고 있다. 윌슨의 정치이론이 그의 보수주의 적 세계관을 포기한 것은 아니었지만 점차적으로 보수주의적인 성 향을 벗어났던 것에 반해서, 리프만은 진보주의적인 사회주의자로

출발해서 결국 뉴딜 시대의 후반에 와서 온건적인 버크류의 보수 주의 성향을 수용하기까지 그의 초기의 정치이론에서 벗어나고 있 다 . 그의 사상적 역전은 정치가로서의 윌슨과 이론가로서의 리프 만, 즉 두 사람의 입지조건을 감안해 볼 때 오히려 아이러니컬한 점이 있다 . 어떤 의미에서 리프만은 윌슨보다 버크의 사상을 더 폭넓게 수용하고 있다 . 즉, 리프만과 버크는 공통적으로 각각 당 대에 확산되는 자유주의에 대한 비평가로 자처하면서 공공 여론 쪽에서는 존경을 받으면서도 과거의 이념적인 동학들로부터는 비 난을 받고 있었다 . 어떻든 리프만이 매디슨이나 윌슨과 같이 철학 이론가와 실제 정치인을 겸비한 사람은 아니었지만 당대 미국 정 치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던 것은 사실이다 .70 ) 사회주의적인 성향을 갖고 있었던 청년 시대에 있어서도 리프만 은 버크의 입장과 마찬가지로 체계적인 이념(합리주의)에 대한 철 학적인 회의론을 제기하고 있다 . 다음의 진술은 이런 성향의 일단 을 보여 주고 있다 . 〈 언어, 이론, 상징, 표어, 모든 종류의 추상 성은 구멍 뚫린 선체에 불과한 것이다.〉 71 ) 사실 그는 한때 철학의 진수, 절대적인 정치철학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였는데, 이러한 정 치철학이 수학의 대수표와 같이 모든 가능성을 예측하고 인간의 행동규칙을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체계이론의 환상에 빠졌던 때도 있었다 .72 ) 그러나 그는 이런 작업이 지식인들의 어리석음에 불과하고 73 ) 이러한 지식인들의 박식한 지식이 당시에는 당연한 것 이었지만 이런 종류의 철학이 절대적일 수 없다는 사실을 인식하 게 되었다 .7 4) 1930 년대 그의 사상적 전향의 시기에 이르기까지 그의 버크류의 반이념주의적(비합리주의적) 성향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버크 사상에서와 같이 리프만은 정치이론을 현실로 끌어내리는 작업, 즉 철학사상을 정치 현실과 접목시키는 작업에 열중하였다. 그는 다

음과 같이 선언하고 있다. 〈 선험적 이성은 무한하게 변모하고 있 는 인간의 이해관계를 조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공식을 창출할 수 없다 . 그와 같은 조화 작업은 개별적인 문제들을 특수한 사항 에 부합시켜 분석할 때 가능한 것이다 .〉 7 5) 이와 같이, 리프만은 어 떠한 이념화(합리화, 체계화)의 작업도 그것이 인간 이해관계의 전 영역을 분석하는 데 제한성을 갖고 있다고 전면 거부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정치이론이 인간 이해관계의 복잡성의 전영역을 취급 할 수 없다고 주장함으로써 인간의 선과 인간의 합리성의 한계점 을 지적하고 있다. 이 점을 그는 다음과 같이 자세히 진술하고 있 댜 〈인간은 인류의 운명을 결정할 만큼 현명하지도 않고 선하지 도 않다 . 관청이라든가 위원회 또는 지도자라든가 독재자도 미래 를 점칠 수 없으며 인간 정신의 무한성으로부터 인간의 미래를 따 로 떼어내어 생각할 수 없다 . 자연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정신은 신비하고 복잡하기 때문에 어떤 이념체계 내에 끌어들일 수 없 다.〉 76 ) 따라서, 인간성은 포괄적인 정치이론의 가능성을 배제한다 고 보고 있다. 인간의 지혜는 지적 상부구조의 창조에 있어서 한 계점을 갖고 있으며 설사 그렇지 않더라도 인간성의 다양성은 광 범위하기 때문에 그 다양성이 사상의 일반 체계 속에 포섭될 수가 없다는 것이다. 그에 의하면 어떠한 사상가도 온 인류의 행동 과정을 전개할 수 없으며, 설사 인간 행동의 계획이라는 것이 짜여져서 그것이 유용 하더라도 특정한 역사의 기간에만 유용한 것이다 .77 ) 이러한 견해는 버크의 실용적인 현실주의의 입장에 접하게 되는데, 사실 이러한 견해는 심각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리프만의 이론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이 같은 버크주의의 성향은 버크 보수주의가 단순히 상황 적인 성격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죽 버크 사상의 대부분이 비이념적인 인간의 행동을 의미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리프만은 이 점을 더 자세하게 다음 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버크에 이르기까지 정치학의 고전을 다시 읽어 보아도 여기에서 우리는 구체적인 문 제에 대한 해답을 얻을 수 없다. 예컨대 의교, 군사적 안보, 무 역, 세금 등과 같은 구체적이고도 즉각적인 문제에 대해서 우리는 아무런 해답을 얻을 수 없다. 이들이 사용한 언어는 고풍적이고, 그 들의 실제적인 가르침은 현대적인 상황에 맞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부적절성과 원근성은 철학자, 학자 및 교육자들이 일반 철학의 영역을 폐쇄된 공간으로 밀어붙인 결과 오랫동안 쌓여 온 티끌에 불과하다. 죽, 그것은 퇴폐적인 철학에 불과하다. 현대인 들은 다시 문명의 전통과의 관계를 활성화시킬 수 있겠는가?〉 78 ) 이 러한 물음에 대해서 리프만은 다음과 같이 긍정적인 해답을 찾고 있다. 〈우리는 정치적 도덕성에 대한 확신을 재확인해야 한다. 그 것은 철학의 일반 이념이 재생되고 지도자들의 마음 속에 재구성 될 때 가능하다는 것이 나의 해답이다 . 〉 79) 그에 의하면 버크의 현 실적인 정치 개념은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지만 그의 이상적인 정 치철학은 영원히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론은 과거 의 일로 지나갔지만 지혜는 계속 유지되고 있다고 리프만은 피력 하고 있다 .80) 앞에서 이미 지적한 바와 같이 리프만의 방법론은 그의 인간 성 격에 대한 견해, 즉 인간적 합리성의 한계와 타락한 인간 성격에 의존하고 있다 .81) 그러나 버크와 같이 리프만의 견해는 전적으로 비관적인 것은 아니었다. 그에 의하면 인간은 문명 기간보다 더 오랫동안 야만성을 지니고 있었지만 자기훈련에 의해 특성화된 제 2 기의 문명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82) 소크라테스는 불법적인 사 형을 거부하지 않을 정도로 그의 욕망을 자제할 수 있었기 때문에 리프만은 그를 가장 완전한 인간으로 간주하고 있다 .83) 그러나 전

체적으로 볼 때 이 세계에는 소크라테스와 같은 인물이 많지 않으 며, 설사 인간의 근본 성격이 소크라테스적인 초월성에 접근한다 하더라도 인간은 단지 남의 의사에 의해서 개화되는 것뿐이라고 그는 지적하고 있다. 그 이유로서 인간에게는 긴장감과 몰지각 또 는 유혹하에 원초적인 성격으로 회귀하려는 내구적인 성향이 있다 는 점을 그는 지적하고 있다 . 84) 리프만의 사상이 버크의 유기체론적인 철학이론을 견지하고 있 기 때문에 인간 성격에 대한 그의 이론이 직접적으로 국민대표이 론을 유도하고 있음은 놀라운 사실이 아니다. 그에 의하면 선한 생활에 필수적인 자제력은 선한 사회를 창출하려는 지도자에게도 요청되는 덕목이라 할 수 있다. 우리는 그의 지도자이론에서 어느 사회계층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귀족주의적인 성격을 발견하게 된 댜 리 프만은 이 러 한 유형 의 지 도자를 정 객 Po liti c i an 이 란 용어 보다 는 정치가 S t a t esman 로 지칭하고 있는데, 그는 버크를 이러한 이분 법의 선구자로 명확하게 지적하고 있다 .8 5) 이에 대한 설명은 다음 과 같다. 〈우리가 정객이란 용어를 떠올릴 때 우리는 부분적인(지 역적인) 이익을 대변하는 사람을 생각하게 된다 . 우리는 그가 전체 적인 이익을 대변할 수 있다고는 절대로 생각하지 않는다. 반면 정치가란 용어는 서로 경쟁적인 정당들 간의 분쟁을 초월하고 보 다 오랜 기간 동안 절대다수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사람을 의 미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에드먼드 버크가 마음에 두었던 개념이 다. >86) 이러한 개념은 아직도 유용한 개념임에는 틀림없다. 더 나아가 서 리프만은 〈공동이익〉에 대한 버크의 개념을 수용하고 있다. 그 에 의하면 정치인은 개별적 집단의 이익을 초월하며 전체 공동체 의 최선이 될 수 있는 현실적이고도 영구적인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해야 한다 .87) 확실히 리프만은 인간 성격의 비관

론적인 견해를 확신하고 있기 때문에 개별적 선거구민들을 불신하 고 있다. 결과적으로 그는 버크의 국민대표이론에서 볼 수 있는 〈 실제적 국민대표 V irt ualre p resen t a ti on 〉 의 개념을 수용하고 있다 . 88) 그러나 리프만은 버크가 예상하지 못했던 문제를 언급하고 있다. 18 세기 말 영국에서는 극소수의 유권자들만이 선거권을 갖고 있었 기 때문에 〈 실제적 국민대표 〉 의 개념은 정부의 시책을 정당화시키 는 데 사용되었음이 분명하다. 이 점은 미국에서도 마찬가지로, 미 국 헌법 제정 당시 총인구의 5% 만이 헌법을 인준하였다는 점을 그는 지적하고 있다 . 8 9 ) 그러나 그는 20 세기 미국에서는 보다 많은 유권자들이 선거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고 있다 . 따라 서, 리프만은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증가된 총유권자가 총 인구에 대응할 수 있는 실제적인 유권자로 인정될 수는 없겠는가? 그렇지는 않다 . 유권자의 수를 증가시킨다고 해서 그들이 전부 공 공이익을 진정으로 대변할 수 있다고는 볼 수 없다 . 그들의 여론 과 이익이 있는 그대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여론과 이익이 공동이익을 대변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90 ) 여기에서 사실상 그는 역비례의 상관관계를 지적하고 있다. 죽, 그 는 공공 여론은 20 세기에 들어와서 점점 비현실적인 결과를 초래 하고 정보가 일반 대중에게 파급될수록 논쟁이 더 확대되고 공동 이익에 이질적인 결과를 초래하였다고 보고 있다. 그러면 〈공공이 익〉을 어떻게 결정해야 하느냐는 문제가 제기된다. 이 문제에 대 해서 그는 공공이익은 국민들이 정확하게 관찰하고 합리적으로 사 고하고 박애정신으로 또는 사심 없이 행동하면서 어떤 일을 결정 할 때 가능할 수 있다고 단언하고 있다 .91) 이러한 선택과 결정은 국민대표의 영역인 것이다 . 그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언명하 고 있다 〈일반 국민은 정부를 선거에 의해서 선택할 수 있다. 그 들은 정부를 새로 선택할 수도 있다. 그들은 정부가 하는 일을 승

인할 수도 있고 거부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들은 정부를 직접 관 리할 수는 없다. 그들은 정부의 정책 결정을 스스로 집행할 수도 없다. 그들은 관습에 따라 필요한 법안을 직접 제안할 수 없다. 즉, 일반 대중은 통치할 수가 없다.〉 92 ) 그렇다면 일반 대중은 왜 통치할 수 없는가? 또한, 일반 유권자 들은 왜 공공이익을 대변할 수 없는가 하는 등의 문제가 제기된 다. 앞에서 지적하였듯이 이 문제에 대해서 리프만은 일반 대중의 도덕적 결함과 지식의 부족 때문에 일반 대중이 직접 통치할 수 없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더 나아가서 그는 유권자들의 정치적 무관심과 나태성과 같은 인간 성격의 단면이 있음을 다음과 같이 언명하고 있다. 〈일반 국민은 공공사업에 그들의 시간을 헌신하지 도 않고 실제로 그들이 당면한 문제에만 관심을 갖는 등 정치이론 에 대한 열망이 부족하다.〉 93) 더 나아가서 그는 이러한 문제점을 악화시키는 사회적인 상황으로서 공공 여론의 사회적 환경이 여러 가지의 방법, 즉 검열제도나 물리적, 사회적 방해물로 인해서 여 론 형성을 왜곡시켰다고 지적하고 있다 .94) 이러한 요인들은 유권자 들의 부족한 주의력, 용어상의 빈곤, 정신적 착란, 폭력, 생활의 단조로움 등에 의해서 제기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과 연계되어 더 복잡한 문제를 일으킨다고 보고 있다 .95) 이와 같이, 버크의 자 코뱅당원들에 대한 시각과 마찬가지로 리프만은 순수한 민주주의 가 야만적인 민주주의와 독재를 유도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주 장하고 있다 .96) 그러나 리프만은 반민주주의자가 아니었다. 그는 윌슨의 사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민주주의를 재정립함으로써 민주 주의의 이념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보여 주고 있다 . 그러나 그의 민주주의 개념은 윌슨의 개념과 차이가 있으면서도 어떤 의미에서 는 버크의 개념에 가까운 편이었다. 이 점에 대해서 그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진정한 의미에서 근대국가의 정치권력은 정

부에 있는 것이 아니고 일반 국민에게 있다. 발전된 공동체 사회 에서는 일반 국민 속에서의 통치 형태가 존재할 수 있다 . 통치란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그들이 선택하는 다양한 정책 결정이라고 보며 행정관료들이 하는 것은 이러한 통치 과정을 뒷받침하는 데 불과하다.〉 97 ) 버크의 이론에서와 마찬가지로 그는 국민대표의 임무 를 국가의 능동적인 행동을 견제하는 동시에 가능한 한 광범위하 게 일반 국민의 개별적 행동의 매개체 역할을 형성하는 데서 찾고 있다. 리프만의 국민대표 개념은 이처럼 순환론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민주주의의 존속을 위해 제한정부의 형태로 국 가를 유도한다고 보고 있다. 이 같은 제한정부에 대한 리프만의 개념은 확실히 버크의 이론 과 유사한 점이 있다. 그의 이론에 깔려 있는 논리적 근거는 국가 기능에 대한 버크의 견해뿐만 아니라 추상적인 이데올로기(자유주 의)에 대한 버크의 무용론과 유사하다. 권력이 신장된 대형의 정 부는 사회에서 제기되는 특수한 사안들을 경시할 우려가 있고 지 방분권을 해칠 가능성이 많다고 강조되고 있다 .98 ) 정부의 권력은 개개인의 다양성과 사회적인 다양성이 신장될 수 있도록 제한되어 야 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그는 주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리프만은 정부의 계획정책에 대해서 광범위하게 비 판하고 있다.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그는 통치자들이 모든 기 술자와 사업가들의 지혜와 보다 높은 차원에서 요구되는 계획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지혜를 소유하기에는 현실적 가능성이 없 다고 지적하고 있다 .99 ) 더 나아가서 계획정부는 모든 집산주의의 목적이 자급자족의 고립된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있기 때문에 폐 쇄적인 사회를 낳게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설사 포 괄적인 계획을 수행하는 데 의적인 변수나 인식론적인 어려움이 없다 하더라도 정치적 모순점의 문제가 남게 된다. 계획정부가 합

리적인 계획하에 경제 문제를 관리하려고 하는 한 다수의 정책 결 정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하나의 계획이 수행되기 위 해서는 차후에 일반 국민이 승인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만일, 일 반 국민이 계획의 수정을 요구한다면, 그 계획은 하나의 계획으로 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민주국가의 국민은 계획경제정책 을 수용할 수 없다고 리프만은 강조하고 있다 .100 ) 여기에서 그는 어쩔 수 없이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리고 있다. 〈주권국가에 의해 서 결정되는 인간의 총체적인 방향은 최종적으로는 물리적 힘을 통한 국민의 견제에서 이루어진다 .〉 1 01) 대형 정부의 이론적, 정치 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그가 제한정부론을 제창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도덕성에 있다. 그러나 리프만은 버크만큼 자유방임주의의 강력한 제창자는 아 니었다. 그는 자유방임주의가 사회 경제적 현실에서 볼 때 더 이 상 존속할 수가 없으며 이러한 경제체제의 부활을 제창하는 그 자 체가 비버크주의의 성향임에 틀림없다고 지적하면서 자유방임주의 가 이미 고전적인 유물이 되었음을 설파하고 있다 .102 ) 리프만이 제 창했던 것은 그가 의도했던 결과에서 보면 버크주의에 충실하였을 뿐만 아니라 방법론에 있어서도 버크주의적인 성향이 농후한 것으 로 해석될 수 있다. 즉, 그가 제창했던 것은 〈자유집산주의 Free Collectiv i s m > 또는 〈보상적 집산주의 Comp en sato r y Collec ti v i sms 〉였 는데, 이것은 전체주의적인 집산주의와 무정부주의적인 개인주의 의 중도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 만일, 개개인이 물건을 사고 팔 때, 소득의 일부를 소비하고 저축할 때, 또는 금전을 거래할 때 스스로 결정하게 된다면, 손해나 손실의 가능성을 구제할 수 있는 보상체계가 공적 권위에 의해서 창설되어야 한다고 리프만은 주장 하고 있다 .103) 이러한 정부의 역할이 개인적 행동 기준을 마련해 주고 사적인 기업 활동을 제한하는 데 있기 때문에 보상체계의 수

단 방법은 버크주의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그에 의하면 이 러한 선도적인 역할은 관료적 계획이나 행정명령에서 출발하지 않 고 생산자, 소비자, 투자가들의 선호와 판단을 대변하는 유통가격 의 계획에 의해서 수행되고 있으며 경제 발전은 과학기술의 발 전, 사기업 또는 시장구조 내에서의 영구적인 일반투표에 의해 좌 우된다고 한다 . 1 0 4 ) 리프만의 의도에서 본다면 시장체계의 안전성과 조화를 유지하면서 사적인 거래의 복잡성에 있어서 실제적인 균형 울 시도하는 것은 전적으로 버크 이론의 성향을 나타내고 있다. 실제적으로 국가는 일반 대중의 집단적인 과실을 견제하는 데 중 요한 역할이 있다 . 국가 행동의 목적은 일반 대중의 과도한 행동 을 제재하는 데 있으며, 국가의 일반원칙은 개개인의 창의력과 활 력에 의해서 수행되는 변화의 질서 , 즉 중용을 유지하는 데 있다 고 리프만은 강조하고 있다 .10 5) 따라서, 그는 정치질서, 죽 사회 안정과 개인의 자유를 유지하기 위한 통제된 자유방임주의 체제 Contr ol led lais s ez-fa ire s y s t em 를 제 창하고 있다. 그는 구체 적 으로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통제된 자유방임주의 체제는 자유 수호의 방법인 것이다 . 정부의 권위는 질서 생활의 안전을 유지하 도록 일반 국민을 돕는 데 있다. 국가는 권력기관이라 하더라도 국민을 통제하는 주인이 아니며 국민이 자유를 필요로 하는 곳에 서 그들의 공복으로 머 물러 있어 야 한다. >106 ) 리프만은 재산과 자유의 관계에 대해서 명확한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개인 자유의 정당성은 사유재산의 경제적 안 전에 있다 .107) 이러한 그의 기본 입장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중산계급을 보호하거나 빈곤충의 열악한 조건을 완화하고 금권력 울 견제하는 데 있어서 제한된 정부의 역할을 제안하고 있다. 다 시 말해서 이러한 시각은 보수주의 원칙을 수호하기 위한 의견상 의 비보수주의적인 방법론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는 무산계급의

빈곤 퇴치와 금권력의 축소는 목적을 위한 수단에 불과하며, 이러 한 목적은 사유재산제도의 기초 위에 자유주의 체제를 강화하는 데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108 ) 리프만의 방법론은 자코뱅주의자들이 나 공동체 형성을 위한 급진주의자들의 방법론과는 현격한 차이가 있다 죽, 자코뱅주의자들에게 있어서 정부의 직접적인 행동은 금 권주의를 타도하고 무산계급의 생활 수준을 강제적으로 향상시키 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109 ) 리프만의 방법론은 사회체제를 파괴 하지 않고 오히려 활성화시킴으로써 부유층을 포함한 모든 사람들 의 자유를 파괴하지 않는 데 있다 . 반대로, 그의 방법론은 무산계 급과 금권주의자들을 구제할 수 있으며 중산계급의 조건을 향상시 키는 데 있다 .110) 그에 의하면, 오히려 그 결과는 민주주의적 질서 예 따른 논리적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전체적인 면에서 리프만의 이론이 버크의 이론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그가 종교와 도덕의 문제를 버크의 세계관에 통합시키고 있는 것은 당연한 귀결이다. 그러면서도 주로 버크가 예견했던 하 나의 위험스러운 현상 때문에 그는 이 문제에 있어서 약간의 견해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대체적으로 프랑스 혁명에 대한 버크의 거 부감은 혁명 정신에 깔려 있는 무신론과 과학주의에서 출발하였 다. 17 세기 과학의 발전이 일반 대중의 기독교적 신앙심을 약화시 켰다면 현실로 다가왔던 산업혁명이 종교의 운명을 축소시켰던 것 은 사실이다. 리프만이 인식하고 있듯이 그는 보편적 종교 신앙이 사라지고 종교의 원칙이 규범적 일상생활과 더 이상 일치하지 않 았던 시대에 살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버크의 종교 도덕적 전 망은 기대하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이에 대한 리프만의 입장은 종교와 도덕이 분리되었다 하더라도 도덕은 계속 유지될 수 있고 또 그렇게 되어야 한다는 확신에 있 었다. 그는 적어도 정치 사회적인 측면에서 종교의 기본적인 특성

은 종교의 기본 정신에 있는 것이 아니라 종교의 윤리적 도덕적 측면에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 따라서, 그는 종교적 신앙심의 타 락이 도덕의 상실을 유도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이 러한 가능성을 예방하기 위해서 리프만은 현대인들이 그들의 의지 표명보다도 그들의 도덕적 선택을 위한 여러 가지의 다른 기반을 창출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현대인들은 불가불 그들의 경험 속에서 정의감을 찾아 내야 한다고 본다. 이러한 면 에서 그는 초월자가 아닌 인간 성격에 내재해 있는 인본주의를 내 세우고 있다 . lll ) 그는 이러한 인본주의가 기독교 없이도 기독교적 도덕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여기서 과연 이러한 이론이 가능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제기 된다 . 그러나 리프만은 버크주의적인 시각에서도 가능하다고 긍정 적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설사 버크가 이 같은 이분법(기독 교와 기독교적 도덕성을 분리해서 생각하는 견해)을 수락하지 않을 것이라고 인식하지만, 가장 악화된 상황을 가정한다면 리프만의 접근 방법을 최상의 가능한 것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 하고 있다 . 리프만이 제의한 바와 같이 우리는 덕행이 인간의 경 험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에 도덕적 근본 요소를 발견할 수 있다고 본다. 즉, 중요한 덕행은 문명사회에서 오랜 전통과 보편적인 인 간 경험에 부합되기 때문에 이러한 덕행들이 현실적으로 이해될 때 그것은 인류의 축적된 지혜를 반영해 온 것으로 인식될 수 있 다 . 11 2 ) 그러나 리프만은 이러한 덕행의 재발견은 그 가능성이 희박 하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미국인들은 서구 사회의 도덕적 유산울 유지해야 하는데, 바로 이 도덕적 유산의 기반 위에서 야만 상태 로의 또 다른 형태의 타락을 막아야 한다고 그는 역설하고 있다 113 ) 서구인들이 이러한 능력을 상실할 경우 사회질서의 모든 형태, 이 를테면 재산, 자유, 안정 및 민주주의는 서구 사회의 보수주의적

사회 통합력의 가장 중요한 도덕성을 상실하게 되어 파괴되고 말 것이라는 사실을 그는 강력하게 지적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리프만은 미국의 보수주의 진영에서 누구보다도 버 크주의에 충실한 이론가로 평가될 수 있다. 방법론적인 면에서 볼 때 그는 정치이념의 형성에 있어서 연역적이고 선험적 사유 방법 울 거부하고 있다. 오히려 그는 인간의 경험과 인간의 제한된 합 리성에 기초한 점진적이고 실용주의적인 변화를 선호하고 있다. 버크의 이론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극단적인 비관론은 아니지만 선 과 악에 대한 인간의 양면성을 강조함으로써 버크가 피력했던 인 간 성격의 유사성을 수용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리프만은 인간 성격의 기초적인 본능과 분파적인 심리를 초월하는 실제적인 국민 대표이론, 즉 버크의 국민대표이론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국가 의 개념에 있어서도 버크의 이론과는 약간 차이가 있지만 그는 국 가권력의 제한성을 주장하면서도 좀더 적극적인 국가의 활동을 제 안하고 있다. 위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개인의 자유는 무엇보다 중요하며 사유재산은 사회의 안전 질서를 위해 가장 기초적인 근 본이 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문명적인 도덕의 신조가 확고할 때만 이 사회가 완전에 가까울 정도로 건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점에 서 리프만은 버크와 일치하고 있다. 버크가 종교와 도덕을 일체성 으로 보고 있는 데 비해서 리프만이 종교와 도덕을 분리해서 생각 하고 있는 점은 이들 사이에 이론적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 기보다는 오히려 이들 사이에 시대적 상황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 점은 리프만이 분명하게 지적하고 있다. 위에서 우리는 3 인의 이론가들을 분석해 보았다. 이들 중에서 누구보다도 리프만은 버크의 상황적 인 보수주의 이 론을 포기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많이 보이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버크의 순수한 보 수주의 이론을 수용, 여러 가지의 정치질서에 적용할 수 있는 정

치적 제안을 수립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경제와 도덕에 관한 리프만의 견해는, 특히 현대 사회에서 버크의 이론을 적용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버크의 온건적인 방법론을 사용함으로써 그는 정치적 문제 해결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의하고 있으 며, 언제나 그가 살고 있었던 사회가 버크의 궁극적인 원칙에 근 거해야 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따라서, 리프만은 버크가 150 년 전에 제기했던 문제에 새로운 해답을 추구하는 데 있어서 신보 수주의자들의 모델이 되고 있는 것이다. 신인본주의와 남부 농본주의 앞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버크 보수주의의 요소들은 미국의 유 명한 정치 지도자들의 사상에 반영되어 왔지만, 결국 이들 요소들 은 어떤 특정한 보수주의 운동에 연결되지 않고 비연속적인 성격 울 띠고 미국 정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현상은 우리가 지금까지 검토해 온 내용 이외에도 수없이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신보수주의〉의 이면에 깔려 있는 미국의 철학적 보수주 의의 전통을 파헤쳐 보게 되면 우리는 신보수주의의 개별적 또는 집단적인 선각자들을 발견하게 된다. 20 세기에 들어와서 우리는 미국에서 두 조류의 선구적인 보수주의 운동, 즉 1920 년대 배빗 Irvin g Babb itt과 모어 Paul Elmer More 에 의해서 제창되었던 〈신인 본주의 New Hum ani sm 〉와, 소위 내시빌 학파 Nashv ill e Grou p로 불 리 던 〈남부 농본주의 South e rn A grariani sm 〉를 찾아볼 수 있다. 이들 두 학파의 사상 속에는 약간의 예외는 있지만 버크의 사상 적 배경이 뚜렷하게 깔려 있다. 그러나 이들 두 사상적 운동은 의 견상으로 볼 때 버크 사상의 직접적인 후예로 보기는 힘들다.

즉, 이들의 비판적 경향은 버크 사상의 관례적인 성격을 노골적으 로 밝히지는 않고 있다. 더 나아가서 이들의 문학에 대한 관심은 버크의 문학을 능가하며, 어떻게 보면 이들의 운동은 문학적인 조 류에 치중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과 버 크와의 차이점은 정도의 차이에 불과하며, 정치가 인간 존재의 전 부도 아니고 종말도 아니라는 버크의 사상에서 출발하고 있다 . 뒤 에 가서 검토하겠지만 이 같은 총체적인 학문의 경향이 〈신보수주 의〉의 성향임을 인식할 수 있다. 신인본주의의 개념은 그것이 르네상스 시대의 인본주의를 그대 로 계승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오해의 소지가 있다. 초기의 인본 주의는 중세 사회의 극단적인 유심론 사상에 반기를 들고 발전, 인 간을 인간 존재의 영역으로 재주입시키려는 하나의 새로운 시도였 댜 그러나 신인본주의는 이것과는 반대의 입장을 취하면서 현대 사회의 초인간중심주의적 사조와 극단적인 유물론 사상을 신랄하 게 비판하고 있다. 신인본주의는 인간을 중세 시대로 회귀시키려 는 반동적인 의미에서가 아니라 인간 실존의 균형을 재정립하려는 시도에 있어서 보수주의의 성향을 강하게 반영하고 있다. 중세인 들이 유심론의 입장에서 극단론적인 오류를 범했다면 현대인들은 반대로 인간의 유심론적인 세계를 완전히 거부하는 데서 오류를 범했다고 볼 수 있다. 배벗은 현대 보수주의 사상이 자유주의 사상과 마찬가지로 확실 한 전통울 지니고 있다고 확신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이들 양 진 영은 18 세기 이후 정치사상의 분야에서 치열한 전쟁, 죽 버크의 정신과 루소의 정신 사이의 논쟁이 끊일 줄 모르는 심각한 대립을 지속해 왔다는 것이다 .114) 루소는 로크의 영향을 받아, 급진적인 민주주의의 표본으로서의 서구 문명을 공격해 온 사상가들 가운데 가장 눈에 띄는 이론가였다고 평가된다 .115)

배빗이 루소를 비판하는 내용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그의 낭 만주의 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자제력이 없고 충동적인 인간, 즉 모든 전통적인 제도를 거부하는 인간을 상징하는 사상으 로 비판받고 있다. 그에 의하면, 기독교가 부유층을 겸손한 인간 으로 만드는 데 공헌했다면 루소의 복음은 빈민층에게 자만심을 갖게 하는 동시에 그들이 부유층의 모함에 의하여 희생물 11 6 ) 이 되 었다는 점을 인식시키는 등 부유층의 법률, 즉 노동과 사탄의 근 본을 거부, 사회를 전복시키도록 종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 11 7) 그 는, 근본적으로 낭만주의자들은 인간 성격의 왜곡된 면을 강조하 고 있으며, 인간은 야만적인 상태 속에서도 전적으로 선하다는 점 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배빗과 모어의 시각에서 볼 때 루소의 복 음은 비참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 것이다. 낭만주의와는 반대로 신인본주의는 인간 성격의 이원론적인 시 각을 제 시 하고 있다 . 루소의 〈고상한 야만인 Noble sava g e 〉은 자연 적이고 결정론적인 운명을 갖고 있다. 이에 반해서 모어는 자연인 울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적인 개념에서 본 인간은 자연적이면서도 자연을 초월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즉, 동물로서의 인간은 무의식적인 감정의 자연적 영역에 속하는 한편, 그의 동물적 본능을 포함하여 의식적으로 직접적인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 의식적 목적의 이행 과정에서 인간은 행동의 영역, 도덕, 정치 및 종교의 영역을 창출하며 어떤 제한적인 조건하에서도 자유선택을 수행하게 된다.〉 118 ) 이 같은 모 어의 시각은 확실히 버크주의적인 성향을 반영함으로써 인간을 완 전한 존재로도 또는 완전히 구제불능의 존재로도 보고 있지 않다. 그러나 배빗과 모어는 고상한 인간 성격의 질적인 면에서 약간 의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배빗온 인간 성격을 좀더 적극적인 차원에서 인간의 본능을 초월하는 자제력, 이를테면 영원한 지혜

를 소유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리프만의 이론에서 볼 수 있 듯이 인간은 자신의 욕구를 통할하는 불멸의 본질, 죽 자연인의 무한정한 욕망에 대한 자제력을 갖고 있다고 그는 확신하고 있 다 . 119 ) 따라서, 배빗은 버크와 모어의 이론에서 보듯이 인간 의지 의 무의식적 자제력 이상으로 적극적인 인간 성격을 언급하고 있 기 때문에 버크와 모어의 견해와는 약간의 차이점을 드러내고 있 다. 그러나 배빗은 자제력과 무절제의 성격 형성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하고 있지 않다 . 한 편, 모어는 의식적으로 인간의 욕구를 견제해야 한다는 버크의 입 장을 피력하고 있다. 그에게 있어서도 합리적인 설명이 없지만 다 만 인간의 통찰과 공통적 경험을 통해서 욕구의 자제력이 형성되 어 왔음을 알 수 있다고 한다. 더구나 모어는 기독교의 신앙적인 차원에서 인간의 자제력이 가능함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그는 기독교(종교)의 신앙과 인간의 선택과 자유의지를 조화시킬 수 있 다고 확신하고 있다 . 여기에서 모어는 이 세계의 모든 현상을 근 원적인 사물 형태의 모델로 환원시키고자 노력하였던 플라톤의 신 (神)의 제한성 개념에서 그 가능성을 찾고 있다. 플라톤에 의하면 인간은 이 같은 노력에 있어서 동반자이며, 신의 제한성 때문에 인간은 도덕적 선택에 있어서 자유의지가 허용되고 있으며 우주적 질서 속에서 인간 생활의 가치와 목적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모어는 플라톤 사상뿐만 아니라 배빗과 마찬가지로 많은 부분에 있어서 동양 철학에서 영향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공자사 상과 불교 사상은 서구 문명의 유산이 아니기 때문에 모어와 배빗 은 버크 사상의 주류에서 벗어난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온 서양적인 토양 위에 동양 사상을 이식시키려고 시도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 같은 평가는 적절하지 않다고 본다. 오히려 이들 온 인간과 신과의 보편적 원칙을 밝히기 위해서 동양 사상의 가르

침을 검토하고 그들의 설명을 정당화하기 위해 동양 사상을 이용 하고 있다 . 이러한 사실을 입증하기 위해 배빗은 모어를 다음과 같이 인용하고 있다. 〈 우리는 불교 사상의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인간 경험의 고결함과 선행을 인간 생활에 접목 시킬 수 있다. 〉 1 20) 앞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버크는 인도에서 아메 리카에 이르기까지 세계적인 안목을 가지고 정치적 관례에 깔려 있는 그의 철학 이론을 검증하기 위해서 노력했지만 그는 결코 배 빗과 모어와 같이 동양 사상에 대해서 깊은 관심을 갖지는 않았다. 사실상 배빗은 초기의 불교가 신에 대한 신앙심 없이도 도덕적 실천을 위한 교리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갈파하고 있기 때문에 불교 철학이 신앙심을 상실한 현대 서구 문명에 시사하고 있는 바 가 많다고 지적하고 있다 . 특히, 그는 불교가 〈욕구 단념〉의 교 의, 즉 버크가 지적한 욕구의 최소화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고 있 다고 강조하고 있다. 악은 맹렬한 욕구에서 일어나며, 인간은 이 러한 욕구를 견제하지 못하는 경우에 스스로를 탓하게 마련이다 . 결국, 악은 인간의 내면에 있는 동물적 욕구를 제어하는 정의의 행동을 통해서 감소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배빗은, 인간은 스스 로를 반성해야 된다는 불교적 교의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자제력에 의해서 어떠한 가치가 획득되지 않고 자연인에 게 고통스러운 것만을 강요하는 생활을 왜 인간은 스스로 하지 못 하는가 하고 모어는 논박하고 있다 . 121 ) 배빗의 도덕적 또는 종교적 신앙에 가까운 인본주의는 그것이 궁극적으로는 영구성에 연관되 어 있지 않기 때문에 현실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보인다. 이 점에 대해서 모어는, 인본주의자가 그의 신념과 종교적 신앙을 결부시 키지 않는 한 궁극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발견하지 못하고 자연주 의의 진영으로 영입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한 논박 으로 배빗온, 모어가 보수주의의 진영에 머물러 있으면서도 형이

상학적인 측면을 강조하였고 이론적인 면에서 버크 사상을 일탈하 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배빗은 극히 현실적인 문제, 즉 어떻게 하면 현대인을 도덕적 행동으로 유도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에 더 깊은 관심울 표명하고 있는데, 그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인 본주의자가 인간 이성 이상의 차원에서 지지를 얻고자 한다면 그 는 기독교 신학으로 귀의할 필요가 있다. 나는 이 같은 전통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는 사람들과 논쟁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그러나 나는 인본주의의 정당성을 부정하는 사람들에게는 동의할 수 없 다. 우리는 아마도 현실에 직면하게 될 때 선의지를 지닌 사람이 적지 않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지만 이들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독단적이면서도 계시적인 종교가 불가능했던 것이다. 그렇다고 해 서 우리는 그들을 비탄의 암흑 세계로 추방할 수 있겠는가? 〉 122) 결 론적으로 모어는, 신앙심이 없는 선의지의 인간들이 비록 다른 킬 을 가고 있지만 그들의 종착역은 같은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그는 배빗 역시 종교의 근본적인 선행, 즉 도덕적 행동을 수용하 고 있다는 점을 시인하고 있다 .1 23) 따라서, 배빗은 도덕적 인본주 의 그 자체의 목적을 강조하고 있으며, 모어는 도덕적 인본주의의 도덕적 종교에로의 전환적 과도기 상태를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 배빗온 버크의 순옹주의를 반영하고 있는데 그의 방법론은 현대인 의 가장 중요한 문제, 즉 도덕적 행동을 강조함으로써 현대인의 세속화의 문제를 솔직하게 다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덕 세계에 관한 신인본주의자들의 관심사를 종합 해 볼 때 그들이 경제 문제를 소홀히 하고 있는 점은 주지의 사실 이다. 그들이 개인주의에 충실하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우리는 그들이 엄격한 자유방임주의와 연계될 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자유방임주의적 자본주의가 결과적으로 유물론 사 상과, 미학과 인간 정신에 대한 무관심을 불러일으켰다는 점을 배

빗과 모어는 모두 한탄하고 있다 . 이 같은 두 가지의 극단적인 결 과로 인해서 이들의 경제에 대한 관심은 빈약하고 모호하기 때문 에 하나의 경제철학으로 정립되기는 어렵다고 본다. 모어는 맨체스터 학파의 이론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그 중 요한 이유로는 단순한 경제적 도구로 생각하는 인간 성격에 대한 이 학파의 신뢰도가 결국은 인간의 정신 세계를 부인하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1 24) 더 나아가서 그는 맨체스터 학 파의 경제이론이 사회의 근본적인 문제와 사회의 하층계급에 대한 근본 성격을 파헤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이 학파의 기본 철학을 인간 두뇌 활동의 가장 저열한 것으로 꼬집고 있다 .125) 사실 모어 는 사회의 하층계급에 대한 기본적인 견해를 밝히고 있다. 즉, 그 는 사회 경제적 균등주의는 인간의 재능이 근본적으로 불평등하기 때문에 비인간적이라는 기본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부자연스러운 불평등을 비난하고 있지만, 모어 는, 재산은 그가 의미하는 자연적 불평등을 확대시키고 또 그것이 필연적인 결과라는 사실을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126 ) 이 문제 에 대해서 배빗은 다음과 같이 진술하고 있다. 〈경쟁이 없이는 진 정한 정의가 실현된다는 것이 불가능하다. 말하자면 모든 사람은 그들이 일하는 만큼 소독을 얻게 되는 것이다 . 〉 127) 그러나 그는, 경 쟁으로 인해서 어떤 사람은 치열한 경제전쟁에 말려들고 어떤 사 람은 기업의 사주가 되는 것과 같은 경쟁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하 고 있다 128 ) 이 문제에 대해서 진보주의자들은 경제외적인 제재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배빗은 경제내적인 통제가 있어야 된다 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즉, 경쟁의 폐해에 대한 치유 방법은 강 한 자와 성공한 자들의 관대한 행동과 절제 행동에서 찾아야 한다 고 그는 확신하고 있다 .129) 그렇다면 사회정의에 대한 이들의 견해는 어떤 것인지 살펴보기

로 하자. 우선 모어는 사회정의에 대한 구체적인 규칙은 존재할 수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1 3 0 ) 다시 말해서 사회정의는 불변적인 경 제질서에 기초한 어떤 엄격한 행동양식으로 정의될 수 없다고 한 다. 오히려 그것은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및 심리적인 상황하에 서 고려되어야 한다고 그는 지적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사회정 의는 니체주의적인 개념도 평등주의적인 개념도 아니다. 이것은 권력과 특권의 분산, 또는 이들 권력과 특권의 도구와 상징으로서 의 재산의 재분배에서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과의 현상은 능 력 있는 자들과 열등의식을 갖고 있는 피지배층 모두를 만족시켜 야 한다.〉 131) 버크의 이론에서 보듯이 이들 신인본주의자들은 재산을 경제의 적인 사회질서와의 확고부동한 연결고리로 생각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예컨대 모어는 재정 적자가 버크주의적 국가관의 전통적 정 향을 파괴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마치 채무자들이 장래에 대해서 책임감을 갖지 않고 행동한다면 현재의 권력에 저당 잡힌 과거의 권력을 부정하려는 사람들이 많이 생길 것이고 이들은 연 속적 실체로서의 국가의 시책을 수락하지 않을 것이라고 그는 부 언하고 있다 .132) 그러나 버크의 이론에서와 마찬가지로 배빗온 재 산과 자유의 원천적인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보수 주의자들은 재산 그 자체에만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고 그는 꼬집 고 있다. 따라서, 그는 보수주의자들이 재산과 자유의 불가분의 관계, 즉 정신적 차원에서 개인적 자유를 보장해 주는 필요조건으 로서의 재산 개념을 결여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133) 물론 모어 도 재산의 사회적 관계를 보다 광범위하게 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그는 재산이 문명의 기초가 된다는 점, 죽 문명인에게 재산권은 생명권보다 더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134) 배빗과 모어는 정치 문제에 대해서 이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따

라서, 그들은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에 대한 견해에 있어서 부정적 인 공 감 대를 나타내고 있다. 어떻게 보면 오늘날 현대인들에게 지 탄의 대상이 될 만큼 이들은 민주주의에 대한 과감한 발언을 서슴 지 않고 있다. 예컨대 그들은 민주주의를 현대 사회의 재앙으로까 지 표현하고 있다. 즉, 민주주의는 도덕적 퇴폐, 교만한 행동, 제 국주의를 유발하는 등 문화 양식이 예술적 상대주의에 의해서 파 괴되고, 일반 평민(대중)에 대한 무한대의 신앙은 우스꽝스럽게도 모든 사람이 생각하기를 자신이 어느 누구보다도 월등하다는 신념 을 유도하게 된다고 한다 . 1 35) 더 나아가서 일반 대중의 의지는 전 통적인 평가 기준으로부터 완전 해방된 대다수 사람들의 의지로 표현되며 전쟁과 투쟁의 공포 분위기를 조성한다고 본다 . 1 3 6 ) 또 한, 민주주의 국가들은 물질적 제국주의뿐만 아니라 이데올로기적 제국주의의 성향을 갖고 있다고 배빗은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즉, 배빗은 현대 사회에 있어서 민주주의와 제국주의의 연계성에 대하여, 현대의 제국주의는 스스로 이상론적인 속성을 갈파하고 결과적으로 자유의 종언을 재촉하는 폭군적 성향을 나타내고 있다 고 지적하고 있다 . 1 37) 배빗은 그의 민주주의에 대한 회의가 버크의 사상에서 영향을 받고 있다는 점을 솔직히 고백하고 있다. 그의 저서 『민주주의와 지도력』에서 그는 이상주의적인 . 민주주의에 대한 자신의 회의가 형이상학적인 정치학에 대한 버크의 증오심과 유사하다는 점을 솔 직하게 시인하고 있다 . 1 38 ) 배빗은 악행과 선행이 마치 설탕과 독약 과 같다고 생각하였던 버크의 입장에서 인간의 이중성격을 피력하 고 있다 .139) 그는 국가에 대한 버크의 유기체적, 역사적 개념에 동 의하는 한편 ,140 ) 루소의 자연주의적인 개인주의에 대한 버크의 부 정적 입장을 수용하고 있다 .14 1) 프랑스혁명 이후에 버크는 순수한 플라톤주의와 기독교적 성격을 융통성 있게 적용할 수 있는 국가

개념을 피력하였다 . 142) 모어와 배빗의 종교적인 접근법은 버크로부 터 유래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모어는 기독교적인 성격 에, 배빗은 플라톤적인 성격에 각각 강점을 부여하고 있다. 또 한, 배빗은 기독교와 플라톤 사상의 이원적인 성격을 강조하는 것 같으면서도 종교가 문명사회의 기초가 된다고 주장하는 버크의 입 장을 수용하고 있다. 143) 배빗은 미국의 정치적 전통이 버크 시대의 영국보다 자유주의적 인 성향을 지니고 있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그는 미국 민 주주의의 폐지를 주장하는 입장이 비보수주의적인 결과를 초래하 게 된다고 피력하고 있다. 그러나 그는 미국 정치의 두 가지 조류 의 전통이 유지되어 왔음울 다음과 같이 갈파하고 있다 . 〈미국 독 립선언서에 나타난 기본 입장은 인간이 추상적 권리를 갖고 있음 울 가정하고 있다. 즉, 그것은 프랑스혁명의 이상주의와 중요한 관계를 갖고 있다. 한편으로 미국 헌법의 기본 이념은 많은 점에 서 버크 사상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 〉 144 ) 제퍼슨-잭슨 유형 에 기초한 미국 정치의 타락과 지도자의 두 가지 유형에 반대되는 유형이 있다고 가정한다면 배빗은 민주주의의 이익을 위해서는 인 권이론보다도 정의의 인간에 대한 교의를 발굴해야 된다는 점을 역설하고 있다 .145) 그는 정의의 인간 발굴을 위한 버크의 보수주의 적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 정치의 두 가지 유형의 전통, 즉 자유주의적이면서도 전통적인 목적(민주주의와 자유)을 유지하는 것이 특히 미국의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였는데, 이는 특히 유의해야 할 점이라고 생각한다. 모어는 한 단계 더 높은 차원에서 배빗의 문제를 언급하고 있 다. 그에 의하면 미국에 있어서 정치 지도자의 문제는 순수한 민 주주의보다도 방종한 금권주의를 해결하는 데 있다고 보고 있다. 다시 말해서 그는 금권주의가 만연된 사회가 구시대의 관행을 답

습하지 않으면서도 어떻게 하면 자연주의적 귀족주의의 신념을 받 아들일 수 있을까 하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 그는 자연적 귀족 주의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는데, 그가 의미하는 핵심은 상속 적인 귀족주의가 아님을 밝히고 있다. 〈자연적 귀족주의는 상속적 인 특권의 부활에 있는 것이 아니다 . 즉, 이것은 과두정치나 금권 정치와 유사하지 않다 . 이것은 공동체로부터 최선의 인간을 선택 하고 그들에게 권력을 부여할 수 있는 사회의식 또는 사회적 기구 의 창설을 의미하고 있다 . 이것은 진정한 민주주의의 완성을 보장 할 수 있다. 〉 146 ) 결론적으로 말해서 그가 의미하는 민주주의의 치 유 방법은 민주주의의 양적인 확충보다도 보다 나은 민주주의의 성취에 있는 것이다 .1 4 7 ) 그러나 여기에서 자연적 귀족, 죽 최선의 인간에 대한 기준이 무엇이냐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 배빗은 자연적 귀족에 대한 동질 성을 버크의 이론에서 유도하고 있다. 말하자면 그는 버크주의적 인 입장에서 진정한 정치인의 자질은 극단론적인 견해 차이에서 동요하지 않고 심사숙고하는 태도에 있다고 본다 . 1 4 8 ) 예컨대 이러 한 태도는 버크가 지적한 바와 같이 한 가지의 일에서 자율성과 자제력을 견지하기 위한 깊은 생각과 현명하고 영향력 있는 마음 가짐을 요구하고 있다 . 14 9 ) 이 점에 대해서 모어는 단순히 버크의 도덕론을 제시하고 있다. 즉, 그는 인간의 욕구를 제어할 수 있는 도덕성과 정의감이 있다면 인간은 지도자의 자질을 갖출 수 있다 고 지적하고 있다 .150 ) 결국, 근본 문제는 자제력을 키울 수 있는 자기훈련의 문제로 귀결되고 있다. 배빗이 지적하듯이 정의의 인 간Rig h t man 은 스스로 충동심을 자제하고 평정을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하고 있다 . 151) 더 나아가서 이러한 지도자의 인성 개발 은 궁극적으로 국가에 이익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자신의 욕구를 통 제함으로써 지도자는 집단적인 제국주의를 방지할 수 있다고 본다 .

어떤 이론가들에게 있어서 〈 정의의 인간Rig h t man 〉 의 개념은 독 재정치의 가능성으로 해석되고 있다 . 배빗은 이러한 문제점을 시 인하고 그 나름대로의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그는 난폭한 민주주의의 문제를 더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기 때 문에 무솔리니와 같은 미국인이 있다면 오히려 그러한 결과가 다 행스러울 수도 있다는 점을 시인하고 있다 , 다시 말해서 레닌과 같은 미국의 지도자로부터 미국을 해방시키기 위해서라도 무솔리 니와 같은 미국의 지도자가 요청될 수도 있다고 그는 설명하고 있 다 . 1 5 2 ) 그러나 그는 미국이 버크주의적인 헌법주의자들에 의한 민 주주의를 고수하는 한 미국에서는 무솔리니와 레닌과 같은 지도자 들이 창출될 필요가 없다는 점을 부언하고 있다 . 그에 의하면, 민 주주의란 기회의 균등이 자연적 귀족주의를 복합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는 이 점을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 〈민주주의가 모든 사람이 최고의 수준에 이르기까 지 자유선택의 행동을 보장해 주는 것이라면 모든 사람이 자유선 택권울 가져야 한다는 민주주의란 참으로 훌륭한 것이다 . 〉 153) 결론 적으로 윌슨과 리프만의 사상에서도 볼 수 있듯이 신인본주의자들 은 미국과 같은 비버크주의적인 사회와 국가체제에 버크주의적 원 칙을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사상체계를 발전시켰다고 본다. 만 일, 상향적이고 원활한 사회적 유동성이 보장된다고 한다면, 인간 생활의 도덕적 수준을 보다 고차원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바람직스 럽다고 본다. 민주주의가 정치문화의 돌이킬 수 없는 전통적 이정 표라고 한다면 그것은 적어도 현명한 지도자를 발굴하는 방향으로 정향화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서 보다 훌륭한 민주주의를 보장받을 수 있다고 본다 . 신인본주의자들은 민주주의를 향한 역사의 흐름 이 저지될 수도 없거니와 전환될 수도 없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인 식하고 있다. 죽, 이들은 민주주의의 기본 이념을 저주하면서도

돌이킬 수 없는 미국의 민주주의와 지도자의 도덕성과의 관계를 버크의 보수주의적 성향으로 유도하면서 미국의 민주주의를 구출 하려고 시도한 것이다. 남부 농본주의자들은 방법론에 있어 버크 사상에서 가장 많이 일탈한 사상가들이라고 볼 수 있다 . 정확히 말해서 이들은 역사 과정의 방향을 전환시키고자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사상가들 에 비해서 비버크주의적인 조류에 속한다고 해석된다 . 그들은 반 동주의적 성격에 가깝기 때문에 어떤 비평가들은 그들을 파쇼주의 자들로 평가할 정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두 가지의 이 유에서 적어도 간접적으로는 버크주의적 보수주의의 범주에 속한 다고 볼 수 있다. 첫째로, 그들의 사상의 대부분은 상대적으로 극 단론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으면서도 궁극적으로는 미국의 버크주 의적 전통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다 . 둘째로, 그들은 신인본주의자 들로부터 유물론적으로 정향화된 미국 사회의 분석 방법을 계승하 는 등 이 같은 심각한 문제를 다루고 있는 신보수주의자들과의 지 적 교류를 형성하고 있다. 한마디로 말해서 그들은 신인본주의자들 보다도 오히려 버크주의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그 들은 보수주의적인 원칙이 교육을 통해서만 전수될 수 없고 인간 의 행동과 생활양식에 기초를 두어야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 기 때문이다. 혹자는 인본주의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평가하고 있 댜 〈인본주의자들의 주장은 너무 추상적이다. 정확히 말해서 인 본주의는 추상적 이론체계가 아니라 인간이 행동하고 생각하고 느 끼는 총체적인 방법으로서의 문화 양식인 것이다 . 그것은 고전으 로부터 유출된 추상적, 도덕적 견제가 아니다.〉 154) 근본적으로 남부 농본주의자들은 미국 남부의 전통, 죽 전자본 주의적 가치를 설정하고 있다. 그들은 1920 년대의 유물론 사상과 사회 발전의 양적 측정 기준을 힐책하고 있다. 그러나 이 운동의

촉매 역할은 철학적인 영역, 즉 테네시주의 공립학교에서의 진화 론 교육에 대한 법정 투쟁과 남부에 대한 북부 언론의 계속적인 비난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다 . 확실히 이 과정에서, 남 부인들의 시각에서 종교 문제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지만 데이비슨 DonaldDav i dson 이 후에 지적했듯이 이 문제는 종교적 차 원을 초월했다. 오히려 이 문제가 다른 영역으로 번지게 된 것은 북부의 자유주의적 세계관이었는데, 이 세계관의 지적 평가는 주 로 지혜보다는 궤변, 전통보다는 실험, 생활양식보다는 기술, 도 덕보다는 도덕적 제약으로부터의 해방 등에 가치를 두었던 것이 다 .1 5 5 ) 다시 말해서 당시의 논쟁은 존재의 시각에 대한 버크와 자 코뱅주의자들 간의 논쟁을 방불케 하였다. 북부의 자유주의자들은 민족주의적 태도와 사회 관습을 동질화시키려는 것으로 인식하였 던 반면에, 남부의 보수주의자들은 현대적 감각에서는 거리감이 있었지만 그들의 전통적 가치를 유지하려고 하였다 . 데이비슨과 그의 일군의 학자들은 논쟁의 이면에 지역정치의 성 격을 띠고 있다. 즉, 북부인들의 견해가 국가적인 차원이었다면 남부인들의 견해는 좀더 지역적인 차원에 머물러 있었다. 정치적 인 견해에서 제기된 문제는 북부인들에게는 지역주의가 일종의 파 벌주의를 의미한다는 사실에서 기인된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남북 전쟁은 이러한 정치적 문제를 종결시켰다고 본다. 남부 농본주의 자들은 이 같은 역사적 판결 자체를 부인하려고 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들은 남북전쟁의 결과 북부의 승리가 자유주의적, 민족 주의적 시각의 타당성을 입증했다는 사실 그 자체를 부인한 것이 다. 이들이 주장하듯이 남북전쟁의 결과가 북부의 승리로 종결되 었다 하더라도 남부인들이 남부의 도덕 사회 경제적 자율성을 모 두 넘겨준 것은 아니었다 .156) 이 점에서 그들은 그들의 사정에 맞 는 정치학과 일반 대중의 정치의식을 발전시키려고 하였고, 이러

한 발전을 통해서 북부인들에 의한 남부의 새로운 건설을 비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1 5 7 ) 데이비슨은 북부인들의 이러한 시도를 오히려 신지역주의로 호칭하고 있는데, 이러한 신지역주의 가 사회과학에 과학적 방법론을 시도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남부 는 미국의 다른 지역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 다 . 1 58) 그는 남북전쟁의 발발이, 남부가 미국적 동질성을 거부하는 기본 입장의 천명에 있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고전적 보수주 의, 말하자면 몽테스키외의 사상적 입장에서 데이비슨은 이러한 북부에 대한 남부의 비동질성이 기후와 지리적 차이에서 불가피하 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리적 차이는 동시에 문화적 분 화를 유도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남부의 지역은 물리적 공통성뿐 만 아니라 문화적 공통성에 의해서 특정화된 문화권을 형성한다고 보았다 .1 5 9 ) 따라서, 역사는 지리, 문화, 경제 및 정치 등의 결과로 나타난다는 몽테스키외의 이론이 데이비슨의 사상에 재현되고 있 댜 몽테스키외 사상의 반영은 다음과 같은 표현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지역적 발전은 예술에 있어서 지역적 특정 의식과 지역적 정치의 특성을 강화하는 남부의 경제 현안에서도 나타나고 있댜 >160 ) 데이비슨은 이와 같은 자신의 주장이 정치적인 분리주의, 분파 주의 및 파벌주의를 창출하게 된다는 사실을 부인하고 있다. 오히 려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역주의는 사회적, 경제적 균형을 의미하 고 있기 때문에 그는 자신의 주장이 융통성 있는 정치체제를 유도 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161) 자신의 주장이 어떤 특정한 지역 에 있어서 지나칠 정도는 아니지만 국가적 권위에 의해서 보장되 고 유지되는 지역적 자율성을 의미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162) 간단 히 말해서 그는 매디슨의 연방주의, 죽 미국 전체의 이익과 지역 의 부분적인 이익 사이의 정치적 균형을 재확인하는 것이라고 확

신하고 있다 . 그는 이 점을 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 북부인들은 앞으로 미국 전체의 연합을 위한 일반성을 강 요할 수 없을 것이다. 그들은 지금까지 자신들의 것을 충분히 보 호하고 보전해 왔다고 본다. 그러나 그들이 자신의 것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미국인들의 생활에서 다양성의 원칙을 수용해야 할 것이 다 . 그러기 위해서는 미국은 하나의 지역(남부)이 창출하는 이념 적 보편성을 받아들이되 획일성은 거부해야 한다. 〉 163 ) 일찍이 오슬리 FrankL . Owsle y는 정치적인 면에서 데이비슨의 주 장이 어떤 결과를 수반할 것이라는 점, 죽 하버드 대학의 피에르 엘리오트 P i erro E lli o tt교수가 제의한 미국 헌법의 재구성이 필요하 다는 점을 다시 피력한 적이 있다. 오슬리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 고 있다. 〈우리는 몇 가지의 조항들을 균형적인 차원에서 조정하 고 사람이 사람을 착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헌법의 창출을 염원하고 있다. 하나의 국가가 합병시키려는 지역은 지역 국민투표에 의해서 그 지역의 운명을 결정해야 하고 , 지방정부들 온 독자적인 권력을 보장받아야 하며 연방정부는 행정적 기능들 의에는 지방정부에 권력을 이양해야 된다. 각 지역들은 지역 입법 부에서 선출하여 상원을 구성하는 연방의회에 동률의 대표자들을 파견해야 한다.〉 164) 오슬리는 이러한 헌법 개정의 계획이 매우 합 리적이고 보수주의적이란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165 ) 그러나 이러한 견해에는 급진적이고 자유주의적인 성향이 반영되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통치적인 효율성의 차원에서 본다면 매디슨 사상에서 나타난 견제와 균형 이론은 수정되어야 했었다 . 연방정부와 주정 부의 사법부들은 병합되어야 한다는 주장이기도 하였다 . 그리고 미국 연방의 입법부는 단원제가 되어야 한다고 평가되기도 하였 다. 또한, 확실히 그에 의해서 제안된 변화의 범위는 대단원적이 었으며 정치적으로는 타결될 수 없는 현안이었음을 알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신생 미국 연방의 기초자들이 4 백만의 미국인들을 6 년 동안 통치했던 아메리카 식민지 동맹의 헌법을 재구성하는 일 과도 같은 어려운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오슬리의 제안은 마치 당시 1 억 5 천만 인구의 미국 사회를 150 년 동안 지배해 왔던 연방 헌법을 대단원적으로 개조하려는 시도였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슬리의 헌법 개선안은 버크의 개념에서 볼 수 있는 〈보존〉과 〈변화〉의 시각에서 똑같은 동기가 부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그는 미국이 앞으로 영구적으로 보존되기 위해서는 자신의 개선안이 수용되어야 한다고 역설하고 있다 .166 ) 어찌되었건 균형이론에 있어서 남부 농본주의 운동을 포함하는 〈신지역주의 New Re gi onal i sm 〉는 그들의 주장이 지 적 이 질성 , 사회 균형 , 문화 적 복합성 및 제한된 정치적 자율성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버크 이론의 범주에 속하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의 호칭이 의미하고 있듯이 남부 농본주의의 이론적 초점은 정치적인 문제보다도 오히려 경제적인 문제에 집중되고 있 다. 산업주의는 그들의 증오의 대상이었으며 그들은 산업주의가 수 반하는 분업과 전문화 등의 사회 분화와 기타 신질서의 분화를 우 려하였다 . 남부 농본주의자들은 특히 새로운 정신 세계의 변화, 즉 남부에서 일어나고 있는 새로운 가치체계에 도전적인 태도를 취하 고 있댜 167) 그들은 자연을 지배하는 산업사회에서 종교가 발전할 수 없다고 인식하고 있다 .168) 더 나아가서 예술 세계는 산업주의하 에서 예술적 감각의 퇴보와 더불어 활동 영역을 상실하게 된다고 보고 있다 .169) 새로운 경제질서가 예술 활동을 추구하는 데 더 많 은 기회를 제공한다고 주장하는 산업주의자들에 대항해서 데이비 슨은 주어진 여가가 사실상 여가라고 할 수 없으며, 이러한 산업 주의 사회에서는 예술이 일종의 노동으로 변질된다는 점을 지적하 고 있다 .170) 따라서, 남부 농본주의자들은 산업주의가 사회 경제적

문제뿐만 아니라 심리적 정신적 문화적 문제 를 제기한다고 주장하 고 있다. 남부 농본주의자들의 기본 신조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 〈산업주의를 정확하게 정의하지 않고 있는 농본주의자라 하더라도 산업사회에 반감을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농업사회라 하더라 도 산업체, 전문적인 직업, 학자와 예술가 등 도시 생 활 을 전연 필요로 하지 않는 사회는 아니다 . 아마도 농업사회는 농업이 주된 직업, 즉 부와 즐거움이나 특권을 위한 직업으로 인정되는 사회이 다. 예컨대 농업사회에서도 지식과 여가를 위한 일종의 노동 형태가 조성되고 있다 . 〉 171 ) 결국, 그들이 추구하는 것은 경제적 균형, 죽 농업과 산업의 건전한 혼합체의 형성에 있다고 본다. 오슬리는 균 형적인 경제체제의 면에서 프랑스가 세계에서 가장 모범적인 국가 라고 평가하고 있다 . 1 72) 그는 경제질서의 지방분권화를 주장하고 있는데, 그 첫 시도로서 소수의 사람이 거의 모든 재력을 통제하 고 결과적으로 전국민을 획일적으로 조직하는 〈 거대한 조직〉의 해 체를 역설하고 있다 . 1 73 ) 농본주의자들이 추구하는 목적은 확실히 버크주의적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러면 그 목적을 수행하는 수단은 과연 어떠한 것인 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거대한 조직〉을 해결하는 목적, 즉 보 수주의적 해결을 위해 오슬리는 자유주의적 방법을 시도하고 있 다 . 한마디로 그는 경제의 분권화를 위해서 우선 정부가 권력 집 중을 시도해야 된다고 주장한다 .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그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연방정부와 주정부가, 보험회사들과 부재지주들이 소유하고 있는 토지를 매입하여 50 만 농민들에게 공 여하고 이후로는 그 토지에 대해 매매와 저당 행위를 금지해야 한 다.〉 174 ) 보수주의적 시각에서 본 문제점은 비록 토지 소유자에 대 해 보상을 하더라도 이 같은 재산의 국유화가 공산주의에 접근하

고 있다는 점과, 또 다른 하나는 지방분권주의적인 차원에서 농민 들이 토지에만 얽매이게 됨으로써 봉건주의의 성향을 유발케 할 수 있는 점 등을 지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오슬리는 과거의 소 작농과 지주와의 전통적이고 인간적인 관계를 비인격적, 국가적 장원 영주로 대치시키려는 의도를 나타내고 있다. 보수주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비보수주의적 수단은 남부 농 본주의 운동에 풍토병적인 유행으로 비유될 수 있다. 이 운동의 이론가로 잘 알려져 있는 아가 Herbe rt A g ar 는 다음과 같이 언명하 고 있다 . 〈 가장 훌륭한 정부가 최소의 정부라고 생각하는 나와 같 은 사람들은 현대 미국의 혼란을 해결하기 위해서 국가의 적극적 인 행동이 바람직하다고 확신해야 할 것이다.〉 17 5) 그리고 종교와 전통에 관해서 그들의 보수주의 사상이 관계되는 한 일부 남부 농 본주의자들은 확실히 인습타파주의적인 견해를 표출하고 있다. 「남부 종교에 대 한 소고」 란 논문에서 테 이 트 Allen Ta t e 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남부인들은 그들의 전통을 어떻게 유지해야 할 것인가? 그 대답은 폭력의 사용에 있다.〉 176) 테이트는 남부의 종교는 연계적으로 조직화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전통주의자들 은 노동조합을 내부적으로 와해시킬 수가 없고 항상 외부적으로 조합운동을 와해시킬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 한 방법론은 정치적이고 능동적이며 성격상 폭력적이고 혁명적일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 177) 그러나 그가 혁명적인 보수주의 자로 자처하는 데서 일어나는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테이트는 이 점을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남 부인들은 하나의 패러독스에 당면하고 있다. 남부인들은 정치적 인, 그러면서도 그들이 믿을 수 없울 정도로 비현실적이고도 야심 적인 조직을 이용해서 목적을 달성하여 개인적, 자율적 또는 정신 적 생활을 재구성해야 된다. >178 )

종교적 제도화를 향한 세속적인 접근 방법을 관대하게 생각한다 고 해서 남부 농본주의자들이 유신론을 거부하고 있는 것은 아니 었다 오슬리가 지적하였듯이 농본주의는 오히려 강력한 종교적 속성을 갖고 있었던 것이다 .17 9) 오히려 그들은 신이 없는 사회는 동물의 세계와 같다고 주장하였다 .1 8 0 ) 사실상 그들은 신과 종교에 대한 지대한 관심을 갖고 종교와 농본주의와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 『노여움 없는 하나님』의 저자인 랜섬 Joh n CroweRansom 은 궤변철학가들, 경제학 이론가들, 계량주의자들에 의해서 종교의 역사적 퇴보, 즉 천국이 파괴되었다고 조심스럽게 해명하고 있 다 .181) 랜섬에 의하면 버크는 기사도 시대, 도덕과 윤리의 시대가 지나갔다고 믿고 있지만 오늘날 종교 세계가 파괴되었기 때문에 프랑스 혁명 이후 사정은 더욱 악화되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 다시 말해서 랜섬은 옛 시대의 신비스런 하나님과 불가사의한 권력은 과학자들이 창조한 신종교의 새로운 절대자의 길을 열어 주었다고 지적하고 있다 .182) 랜섬은 종교와 과학 어느 한쪽의 승리도 패배도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종교와 과학은 현실과 인간 성격의 이중성을 반영 하고 있다고 그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 〈과학의 목적은 어 떤 종류의 편견도 없이 사실의 지식, 자연의 법칙을 발전시킬 수 있다. 한편으로 종교의 중요한 임무는 인류의 희망, 이상, 양심을 발전시키게 마련이다. 이들 두 가지의 활동은 각각 인간 정신의 중요한 기능을 대변하고 있으며 인류의 행복과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인 것 이 다. >18 3) 위의 내용을 검토해 보면 랜섬은 신인본주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인간 성격의 이중성을 강조하면서도 인간의 정신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던 버크 사상에 접근하고 있는 것을 엿볼 수 있다. 그는 현실 인식에 있어서 인간의 이성과 감각의 제휴를 지

적 하고 있다 . 워 런 Robert Penn Warren 은 이 같은 이 원적 시 각을 〈 균형적인 조절 〉 또는 사상과 감정의 통합된 기능으로 지칭하고 있다 .1 84) 따라서, 과학과 종교 간의 투쟁 , 죽 합리성과 인간 정신 간의 투쟁은 매우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왜냐하면, 과학 이 전적으로 승리하는 경우 그 결과는 인간의 정신을 거세하는 데 막중한 대가가 요구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남부 농본주의자 들에 의하면 과학과 종교 간에 평화가 유지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연합 세력이 형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종교와 과학의 갈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랜 섬은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점을 스스로 시 인하고 있다 . 1 85) 확실히 이러한 미해결점은 당시 농본주의자들의 접근 방법이 비실용주의적인 원인에서도 기인된 것이었지만 근본 적으로 현실적인 상황 판단의 미숙에서 결과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죽, 이들이 종교적 전통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급진적이 고도 혁명적인 방법을 시도했던 것은 결과적으로 현실적 상황 판 단이 부족했던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이 같은 경 향은 남부 농본주의 운동의 초창기 부터 찾아볼 수 있 다. 12 명의 남부 농본주의자들이 공동으로 집필한 『나의 자세 I'll TakeMy S t and 』란 책자의 서론에서 이들은 다음과 같은 견해를 피 력하고 있다. 〈이들 원칙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현실적 방안을 제안할 의향은 없다. 남부의 지도자들은 남부의 전통 생활을 어떻 게 보존할 수 있을까? 미국 상원에서 활동하고 있는 영향력 있는 농본주의자들은 어떠한 법안을 제정해야 할 것인가? 전통적인 교 육자들은 어떠한 정책을 밀고 나갈 것인가? 이런 의문점을 포함한 기타의 질문들은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여기에서 직접적으로 해답을 얻을 필요는 없다.〉 186) 불행하게도 이러한 의문점의 대부분 은 구체적으로 해답이 제시된 적이 없다. 특히, 오슬리가 지적했

듯이 이들 농본주의자들로부터 농본주의의 경제 문제에 대한 완전 한 해답이 결여되었던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1 87) 정치 문제와 종교 문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현상이었다. 프레슬리 Thomas Pressl y가 농본주의의 검증에서 지적했듯이 당시 심포지엄에 참석 했던 농본주의자들은 그들 스스로의 방안을 제시하였지만 상호간 의 의견 대립을 노출시켰다 .1 88) 따라서, 남부 농본주의자들의 보수 주의 운동은 남부지역의 특수성을 강조하였기 때문에 기타의 보수 주의자들과의 공감대를 형성하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농본주의 운동이 비실용주의적이었다고 한다면 궁극적으로 이 운동의 실패는 총체적인 윤곽에서부터 시작된 것이라고 볼 수 있 댜 앞에서 언급하였던 매디슨, 윌슨, 리프만, 신인본주의자들의 이론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남부 농본주의자들 의 언급 내용이 체계가 서 있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로 이들의 주 장들이 이론의 체계화를 결여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물론 버크 역시 이론의 체계화를 결여하고 있지만 적어도 그가 취급한 모든 문제에 있어서 하나의 유기체적인 개념을 시종 잃지 않고 확고부 동한 원칙론에 충실하였던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들 농본주 의자들은 총체적인 이론의 일관성을 나타내는 데 실패하였고 심지 어는 이론의 일관성을 주장하는 개별적인 이론가도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부 농본주의가 미국의 버크주의적 사상 조 류에 합류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중요한 핵심은 보수 주의의 〈상황적〉 개념을 수용한 데 있었다. 개념적인 차원에서 농 본주의 운동은 하나의 역사적, 지리적 기반을 갖고 있었다. 헌팅 턴이 지적한 바와 같이 이 운동은 하나의 구체적인 상황에 연계되 어 있었기 때문에 이것은 분명히 버크 사상과 일맥상통하는 데가 있었다. 그러나 버크 보수주의의 기본적인 개념은 시공간을 통해

서 지역적인 성격을 초월했던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 점에 있어서 남부 농본주의자들은 지역주의적인 성격을 초월하려고 시 도조차 하지 않았다. 결론 이상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리프만의 입장을 제의하고는 20 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 미국에서 버크주의적 보수주의는 본질적인 성 향에서 퇴보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경제적 우익편향에서 보자 면 후버 Herbert Hoover 에 의 해서 예 시 되 듯이 자유방임 주의 적 자본 주의 이론가들은 혁명 예방적 개혁을 시도하는 데 무력하다는 점 울 스스로 입증하였으며, 버크주의적 성향에서 벗어나 유물주의적 성향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었다. 한편, 사회적 우익편향에 있어 서 남부 농본주의자들은 그들의 반동주의적, 비유기체적 행동양식 을 수행하는 데 아무런 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2 차 세계대전 이 후 〈신보수주의〉는 자유주의에 의해 지배되어 온 미국 사회에서 버크주의적 전통, 즉 미국 독립 시기에서부터 1930 년대의 경제공 황에 이르기까지 미국 정치를 풍미했던 버크주의적 보수주의를 일 신하는 데 일익을 담당하게 된다. 그러나 뒤에 가서 지적하겠지만 〈신보수주의〉는 보수주의의 문제를 재조명하고 전통적인 시각에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지 않고서는 어려운 난관에 봉착하게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신보수주의〉의 이러한 임 무는 사실상 새로운 사상체계를 창출하는 것보다 더 어려운 일이 라고본다.

(주) 1) Pete r J. Sta n li s, Edmund Burke in the Twenti et h Centu ry, The Relev an ce of E dmund Burke(New York: P. J. Kennedy and Sons, 1964) p. 2 8. 2) 같은 책, 같은 곳 3) Kate H. Clag ho rn, Burke: A Cente n ary Persp e cti ve , At la nti c Mont hl y, vol. LXXX( Ju ly, 1897) , pp. 84- 95 와 J. O ' Conner Power, Edmund Burke and Hi s Abid i n g Infl ue nce, Nort h Americ a n Revie w , vol. CLXV(December, 1897 ), _pp .

15) Alexander Landi, Was the Americ a n Foundin g a Lockean Ente r p rise ?: The Case of Jam es Madis o n, The Inte r co l leg iat e R evie w , vol. 10 (Sp rin g , 1<;7 5 ), p. 95. 16) Benja m i n F. Wrig h t, 앞의 책, p. 358. 17) G. Hunt, ed., The Writ ing s of Jam es Madis o n(New York: G. P. Putn a m' s Sons, 1 짜 1910), vol. 2, p. 2 81. 18) 같은 책, pp. 107 」 OO . 19) 같은 책, p. 101. 20) Landi, 앞의 책, p. 99. 21) Federalis t, #52, p. 3 59. 22) Federalis t, #10, p. 134. 23) Federalist , #63 , p. 415. 24) Federalis t, #10, p. 134. 25) Hunt, 앞의 책, vol. 5, p. 81. 2fJ) Federalis t, #63 , p. 4 15. 27) Neal Rie m er, Jam es Madis o n and the Current Conservati ve Vog u e, The An tioc h Revie w , vol. 14( Wint e r , 1954}, p. 461. 28) Federalist , #37, p. '2:11 그리고 Federalis t, #)7, p. 385. 29) Federalis t, #55 , pp. 37~379. 30) Federalist , #51 , p. 356. 31) 같은 책, 같은 곳. 32) Riem er, 앞의 책, p. 400. 33) 같은 책, 같은 곳. 34) 같은 책, pp. 462-4 63 . 35) 같은 책, p. 4 63. 36) 갈은 책, 같은 곳. 37) Franci s G. Wi lso n, The Case for Conservati sm (Seatt le: Univ e rsit y of Washi ng ton Press, 1950), p. 57. 38) Riem er, 앞의 책, p. 464. 39) Federalis t, #51 , p. 356. 40) Clagh o rn, 앞의 책, p. 88. 41) Link , 앞의 책, vol. 6, p. 72. 42) 같은 책, vol. 8, p. 211. 43) 같은 책, vol. 6. p . 651. 44) 같은 책, p. 661. 45) 같은 책, vol. 5, p. 77. 46) 같은 책, vol. 8, p. 3 41. 47) 같은 책, vol. 5, pp. 62-6 4. 48) 같은 책, vol. 7, p. .¼6.

49) 같은 책, vol. 5, p. 6 3. 50) 같은 책, p. 77. 51) 같은 책, 같은 곳 . 52) 같은 책, vol. 7, p. 3 66. 53) 같은 책, p. 77. S4) 같은 책, vol. 5, p. W. 55) 같은 책, 같은 곳. 56) 같은 책, p. 86. 57) 같은 책, vol. 8, p. 3 2. 58) 같은 책, vol. 6, p. 3 52. 59) 같은 책, vol. 5, p. 64. Q) 같은 책, 같은 곳. 61) 같은 책, 같은 곳 . 62) 같은 책, p. 65. 63) 같은 책, vol. 5, p. 5 1. 64) 같은 책, p. 6 3. 65) Ri ch ard Hofs t a d te r , The Americ a n Politi ca l Tradit io1 1(New York: Vi nt a g e Books, 1948), p. 249 . 66) 같은 책, 같은 곳. 67) 같은 책, p. 2 50. ®) 같은 책, p. 256 에서 인용 . 69) 같은 책, p. 259. 70) Jam es Truslow Adams, Walt er Lip pm ann, Satu r day Revie w of Liter atu r e, vol. 9 (Jan . 7, 1933), p. 3 61. 71) Walte r Lip pm ann, A Prefa c e to Polit ics ( N ew York: Mi tch ell Kennerly, 1913), p.1 6 9. 72) 같은 책, p. 205. 73) 같은 책, 갇은 곳 . 74) Walte r Lippm ann, Drift and Maste r y (Ne w York: Mitch ell Kennerly, 1914), p. 3'29 . 75) Walt er Lip pm ann, The Meth od of Freedom(New York: The Macmi llan Co., 1934), p. 71. 76) 같은 책, p. 113. 77) Lippm ann, The Prefa c e to Politi cs , p. 210. 78) Walte r Lip pm ann, Publi c P hil oso p h y (B osto n : Little , Brown, and Co., 1955), p.1 03. 79) 같은 책, pp. 114 -11 5. ~) Lippm a nn, Prefa c e to Politi cs , p. 210. 81) Lippm a nn, Publi c P hil oso p h y, p. 84.

82) 같은 책, p. 1 39. 83) 같은 책, 같은 곳. 84) 같은 책, p. 8 6. 85) 같은 책, p. 140 . 86) Walt er Lip pm ann, A Prefa c e to Morals(New York: The Macmi lla n Co., 1929), p. 2 00. 田) 같은 책, p. 2 82. 88) Lip pm ann, Publi c P hil oso p h y, p. 37. 89) 같은 책, p. 33. 앗) 같은 책, p. 39. 91) 같은 책, p. 4 2. 92) 같은 책, p. 14. 93) Walt er Lip pm ann, Phanto m Publi c ( New York: The Macmi lla n Co., 19T I), p. 24. 94) Walte r Lippm ann, Publi c O p ini o n (New York: The Macmi llan Co., 1941), p. 76. 95) 같은 책, 같은 곳 96) Walte r Lip pm ann, The Good Socie t y (B osto n : Little , Brown, and Co., 1937 ), p. 2 55. 97) Lip pm ann, Prefa c e to M orals, pp. T/8-T/9. 98) Lip pm ann, Phanto m Public, p. 184. 99) Lip pm ann, Good Socie ty , p. 279. 100) 같은 책, pp. 1()8 .lf fJ . 101) 같은 책, p. 4 0. 102) Lip pm ann, Meth o d ofF r eedom, p. 33. 103) 같은 책, p. 50. 104) 같은 책, 같은 곳 . 105) 같은 책, p. 59. 1CX5) 같은 책, p. & l. 107) 같은 책, p. 102. 108) 같은 책, p. 103. lff) ) 같은 책, p. 104. 110) 같은 책, pp. 104 -10 5. 111) Lip pm ann, Prefa c e to M orals, p. 137. 112) 같은 책, p. 226. 113) Lippm ann, Good Socie ty , p. 330. 114) Irvin g Babbit t, Democracy and Leadership (B osto n : Houg h to n , Mi fflin, Co., 1924), p. (iJ_ 115) Paul Elmer More, Stu d ie s in Reli giou s Duali sm , New Shelburne Essay s, Six th Seri es (New York: G. P. Putn a m' s Sons, 1909), pp. 222-223 과 Babbit t, 같은

책, p.2 . 116) Babbit t, 같은 책, p. 77. 117) 같은 책, 같은 곳 118) Paul Elmer More, The Demon of th e Absolut e, New Shelburne Essay s, vol. 1 (Pri nc eto n : Pri nc eto n Univ e rsit y Press, 1928), p. X . 119) Irvi ng Babbit t, On Bein g Creati ve and Ot h er Essay s( Bosto n : Houg h to n , Mi fflin, Co., 1932), p. XIX. 120) 같은 책 , p. X XXV . 121) Paul Elmer More, On Bein g Human, New Shelburne Essay s, vol. 3 (Pr inc eto n : Princ eto n Univ e rsit y Press, 1936 ), p. 18. 122) Babbit t, Bein g Creati ve , pp. XVII-XVIII. 12. 3) More, 011 Bein g Human, p. 37. 124) More, Arist o c racy andJ u sti ce , p. 171. 125) 같은 책, p. 172. 126) 같은 책, p. 135. lV) Babbit t, Democracy and Leadership , p. 205. 128) 같은 책, 같은 곳. 1 刃) 같은 책, 같은 곳 . 130) More, Arist o c racy and Ju sti ce , p. 120. 131) 같은 책, 같은 곳. 132) 같은 책, p. 177. 133) Babbit t, Democracy and Leadersh[p , p. 272. 134) More, Arist o c racy and Ju sti ce , pp. 133, 136. 135) Babbitt , Democracy and Leadership , p. 262. 136) 같은 책, p. 267. 137) 같은 책, p. 117. 138) 같은 책, p. 9 8 . 139) 같은 책, p. 100. 140) 같은 책, 같은 곳. 141) 같은 책, p. 1 01. 142) 같은 책, 같은 곳. 143) 같은 책, 같은 곳 . 144) 같은 책, p. 246. 145) 같은 책, 같은 곳. 146) More, Aris t o c racy andJ u sti ce , p. 30. 147) 같은 책, p. '29. 148) Babbit t, Democracy and Leadership , p. 110. 149) 같은 책, 같은 곳.

150) More, Aris t o c racy and Leadership , p 墓 151) Babbitt , Democ ra cy and Leader s hip , p. 껏) . 152) 같은 책, p. 312. 153) 같은 책, 같은 곳. 154) Twelve South e rners, /' l/ Take My Sta n d(New York: Harpe r and Broth e rs, 1930), p. XVI . 155) Donald David s on, The Att ac k 011 Levia t h a n: Reg ion ali sm and Nati on ali sm in the Unit ed Sta t e s (Chape l Hil l: U niv e rsity of Nort h Carolin a Press, 1938), p. 72. 156) I' II Take My Sta n d, p. X . 157) 같은 책, pp. X-XI. 158) 같은 책, p. 41 . 159) 같은 책, p. 46. 160) 같은 책, pp. 46-47. 161) 갈은 책, p. 4 1 . 162) 같은 책, p. 5 1. 163) 같은 책, p. 1 33 . 164 ) Frank L. Owsley, The Pil la rs of Ag ra ria n is m , The Americ a n Revie w , vol. 4 (March, 1935), pp. %544. 165) 같은 책, p. 544. 166) 같은 책, 같은 곳 . 167) W. J. C ash, The Mi nd oft he South ( N e w York: Vin t a g e Books, 1941), pp. 22 5-책 168) /'II Take My Sta n d, p. X IV . 169) 같은 책, p. X V. 170) 같은 책, pp. 34-35 . 171) 같은 책, pp. XVIII-XIV. 172) Owsley, 앞의 책, p. 5 31. 173) 같은 책, p. 5 31. 174 ) 같은 책, pp. 532, 537. 175) Herbert Ag a r and Allen Tate , ed., Who Owns Americ a ?(Bosto n : Houg h to n , Mi fflin, Co., 1936 ), p. 1CX5. 176) I'll Take My Sta n d, p. 174. 177 ) 같은 책, p. 175. 178) 같은 책, 같은 곳 179) Owsley, 앞의 책, p. 刃 . lOO) 같은 책, 같은 곳. 181) Joh n Crowe Ransom , God Wit ho ut Thunder (Ne w York: Harcourt , Brace, and Co., 1930), pp. 35, 319. 182) 같은 책, p. 1 65.

183) 같은 책, p. 11. 184) Robert Penn Warren, Joh n Crowe Ransom: A Stu d y in Irony , Virg i 11i a Qu arte r ly Revie w , vol. 11 (Ja nua ry, 1935), p. 100. 185) Ransom, 앞의 책, p. 3 19. 1&5 ) /' II Take My Sta 1 1d, pp. XIX-XX . lfrl ) Owsley, 앞의 책, p. 22. 188) Jam es J. Pressly, Ag r aria n is m : An Auto p sy , Sewanee Revie w , vol. 49 (Sp ri n g, 1941), p. 153.

제 5 장 신보수주의의 이론적 고찰 ―러셀 커크와 피터 비레크의 사상을 중심으로 서론 미국의 현대 보수주의는 한마디로 신보수주의 사상으로 요약될 수 있다. 고전적 , 전통적인 보수주의는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 프랑스혁명 이후 사회 정치적 변혁과 변화에 대한 〈두려움의 정치 Fear po liti cs 〉의 양상으로 발전되어 온 것으로서 대체적으로 현상유지주의 S t and p a tti sm 와 반동주의 Reac ti on 의 성격을 지니고 있 는 것이 특색이다 .1) 그러나 미국의 신보수주의는 무엇보다도 미국 적인 자유주의에 대한 대응 조치로서 현대 정치의 문제 해결을 제 시함으로써 고전적인 보수주의보다도 현대 정치의 현안 문제에 대 하여 적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 한 예로서, 피터 비레크 Pe t er V i ereck 의 보수주의 사상온 미국적 자유주의에 필적할 만큼, 이 점 에 대해서는 그가 기타의 보수주의 사상가들로부터 비판을 받고 있지만, 자유주의적 정책을 포용, 미국 보수주의의 실체를 한 단

계 앞으로 발전시켜 보수주의의 방향을 미래지향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 미국의 현대 보수주의 사상가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 지하고 있는 이론가로서는 러셀 커크 Russell Kir k 와 피터 비레크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미국 현대 보수주의의 스펙트럼 가운데서도 독특한 위치를 각각 차지하고 있는바, 이 중에서도 커크는 2 차 세 계대전 이후 미국의 신보수주의의 선구자로서 서구의 고전적 보수 주의의 성향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구체화시킨 사상가로 평가되고 있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에드먼드 버크의 사상은 미국으로 건너와 존 애덤스, 해밀턴, 존 랜돌프 , 우드로우 윌슨, 월터 리프만, 어 빙 배빗 등의 사상가들에게 전승되어 미국적으로 토착화되는 과정 을 거치면서, 결과적으로 2 차 세계대전 이후 커크와 비레크의 신 보수주의로 승화되고 있다. 커크와 비레크는 미국의 기존 특권과 기존 계급의 이익을 수호하기 위한 고전주의적 의미의 보수주의 사상가들은 아니었다. 그들은 남북전쟁 이전 미국 남부의 전원 생 활에 대한 정신적, 문화적 공감대를 표현하면서, 현대 산업사회를 증오, 비판하는 향수적인 보수주의자였음에 틀림없다. 그러나 이 들은 단순한 복고주의에 매몰되어 전통적인 보수주의를 무턱대고 고집하지 않았고, 특히 비레크는 자유주의적 보수주의를 제창하여 이론적인 면에서 미국 보수주의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150 여 년 전 토크빌 Alexi s d e Toc quev ill e 이 미 국의 민주주의 를 분석 하면서 미국의 특수한 상황 속에서 전개될 수 있는 〈민주주의적 전제주의 Democratic des p o ti sm 〉의 가능성을 지적했듯이, 이들은 현대 미국 의 자유주의가 안고 있는 현대 산업사회의 집산주의 Collec ti v i sm 에 서 나타나고 있는 야만주의와 제국주의로부터 미국사회를 수호하 려고 노력했던 사상가들이다? 앞에서도 지적했듯이 이 점은 미국

신보수주의의 특성으로서 자유주의에 대한 변증법적 반정립의 대 응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토크빌은 의 국인의 시각에서 미국의 민주주의를 전망한 것이었지만, 현대 미 국 보수주의의 방향을 선견한 예언가로 여겨진다. 1950 년대에 〈 신보수주의 〉 가 출현하면서 미국 보수주의의 철학적 조류의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당시 버크주의의 재현을 분석한 칼 콘 Carl B. Cone 은, 버크 사상의 연구 활동은 부분적으로 현대 보수주의의 부홍이라는 차원 에서 매우 의의 있는 일이었다고 지적하고 있다.J ) 1930 년대의 대 공황 이후 강력한 자유주의의 분위기 속에서 버크 사상의 연구 활 동이 재현되었던 것은 변증법적인 의미에서 볼 때 그리 놀라운 사 실은 아니었다. 1931 년부터 1950 년 사이에 버크 사상을 주요 내용 으로 다루었던 연구 결과를 정리해 보면, 버크 사상만을 다루고 있는 11 권의 단행본, 1 개 이상의 장에서 버크 사상을 다루고 있는 기타의 단행본 33 권,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82 개의 논문 및 15 권 의 박사 논문이 있을 정도로 버크 사상의 연구 활동은 그 비중으 로 보아 활발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4 ) 그러나 버크의 문헌들이 거의 경전과 같이 이들 연구의 핵심을 이루고 있었음에도 불구하 고 버크 사상의 계승자들 사이에는 해석상의 심각한 문제들이 제 기되고 있었다. 정통적인 버크주의자들 중에서 커크는 신보수주의 의 대표적인 이론가로서, 버크 사상의 보수주의적 해설자로 연구 활동을 하였다 . 5 ) 한편, 우리는 자유주의적인 버크주의자들이 버크 사상의 핵심을 수용하면서도 미국의 자유주의와 보수주의 사상을 접목시키고 있는 점을 주시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피터 비레크는 1940 년대 말 신보수주의의 시발에서부터 1970 년대 중반에 이르기 까지 이 같은 사상적 조류의 이론적 대변자로 활동하고 있었다 .6 ) 이 양 진영은 버크의 보수주의가 보편적 타당성을 갖고 있는 보수

주의의 원칙을 지니고 있다고 선언하였다 . 이들 양 진영의 견해 차이는 주로 버크 사상의 해석과 버크의 보수주의 원칙들을 오늘 날 현실 세계에 어느 정도 적용해야 하느냐는 문제에 나타나고 있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 진영은 버크의 전체적인 사상을 수용하 면서 신보수주의를 유기체이론의 방향으로 유도하고 있다. 따라 서, 본 장에서는 양 진영의 대표적인 이론가들로서 1950 년대 이후 미국의 신보수주의를 대변하고 있는 커크와 비레크의 사상을 정리 해 보기로 하겠다. 러셀 커크 러셀 커크 RussellAmos Kir k 는 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나 청년기에 는 제퍼슨의 정치 사회이론에 탐닉되어 있었다. 그러나 미시간 주 립대학Mi c hig an Sta t e Un ive rsit y 재학 시절에 경제공황이 일어나자 그는 경제적 전제정치의 가능성을 감지하고 토크빌 사상으로 전향 하여, 이에 대한 연구는 이미 성숙한 보수주의 사상을 향한 이론 적 발전의 일보를 내디디게 되었다. 1940 년 미시간 주립대학을 졸업하고 커크는 듀크 대학에서 석사 학위 과정을 마치고 랜돌프Jo hnRandol p h 의 정치철학에 대한 중요 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것은 단행본으로 출간되기도 하였는데, 이 연구는 보수주의 이론가로서의 출발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그 가 지적했듯이 랜돌프는 그의 사상과 행동 방향을 설정하는 데 많 온 영향을 주었다고 고백하고 있다.” 그러나 그때만 하더라도 그 는 종교적, 정치적 정통성을 뚜렷하게 갖춘 방랑의 소설가에 불과 하였다. 한편, 커크는 랜돌프를 통해서 에드먼드 버크의 사상을 접하게 되었고 이러한 계기는 버크의 사상을 자유주의적 보수주의

로―—반동주의나 현상유지주의가 아니라는 점에서―― 5 해석하는 이론적 출발점의 동기가 되었다 . 듀크 대학에서의 석사 과정 이후 포드 자동차회사에서의 커크의 짧은 동안의 경험은 대량 생산의 산업화에 대한 불신과 전통 생활 양식에 대한 급진적인 변화를 체험하게 되었다 . 그리고 2 차 세계 대전 중 그는 3 년 동안 유타주에 있는 육군 화학전 부대에서 근무 하면서 종교적인 신앙과 권위에 접근함으로써 청년 시절의 스토아 주의, 실증주의, 합리주의로부터 점점 멀어져 갔다 .8 ) 군에서 제대한 후 커크는 미시간 주립대학에서 강단 생활을 하 면서, 스코틀랜드에 있는 앤드류 S t. Andrew 대학에서 문학박사 학 위를 취득했다. 이 기간에 수행된 보수주의 사상에 대한 연구는 The Conservati ve Mi nd : from Burke to Elio t ( l 960) 란 제 목으로 출판되 어 2 차 세계대전 이후에 나타난 미국의 신보수주의 사상의 효시가 되었다 . 커크의 두번째 저작인 A Prog ra mf or Conserva ti ves(l962) 는 보수주의적 정치 문제를 위한 그의 계속적인 정책이나 실정법의 제도를 의미한 것이 아니라, 보수주의에 대한 자신의 마음 상태나 심리적 현상의 변화를 천명한 것이었다 .9) 이들 대표적인 저술 의 에도 그는 그 이후에 많은 단행본을 출판하였고 학술지에 논문을 발표하였다. 특히, 신문의 칼럼에 게재한

위해 신보수주의의 초석을 마련한, 어떻게 보면 미국의 진보학계 (미국의 뉴딜식 자유주의)에 정면으로 맞서 용감하게 이론 활동을 전개해 온 투철한 사상가였다 . 그런가 하면 뉴딜 이후 30 여 년 동 안 자유주의가 석권하고 있던 분위기 속에서 명멸해 가던 미국 보 수주의의 암흑시기를 벗어나 그는 미국의 역사를 보수주의적인 시 각에서 해석하면서 미국의 보수주의 사상을 활성화시키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 우선 우리 는 커 크가 보수주의 의 해 설 자로서

지적할 수 있다 . 루소, 벤담, 콩트 및 마르크스 등의 사상으로부 터 싹튼 급진주의는 항상 전통을 부정하고 사회개량론이나 정치 경제적 평등을 강조하는 등 국가를 신으로부터 인수받은 도덕적 본질, 즉 죽은 자, 현존자, 차세대의 정신적 통합체로 해석하는 버크의 이론을 경멸해 온 것이 사실이다 .1 2) 이런 점에서 그의 보수 주의 이론은 모든 진보주의 이론 및 근대 자유주의의 추상적인 개 념, 이를테면 평등, 자유, 사회계약, 자연권에 대한 도전적인 사 상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 커크는 버크 사상이 보수주의 원칙의 정통을 지금까지 갖추어 왔다고 확신하고 있다 .13) 그러나 보수주의적인 입장에서 그는 인간 의 환경이 끝없이 변화하고 어떤 시대의 특정한 정치 경제적 정책 이 특정한 시간과 공간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 다 回 간단히 말해서 보수주의적 원칙들이 보편적이라 하더라도 이 들 원칙의 현실적 적용은 상황의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부언해서 그가 제시한 보수주의 강령은 구체적으로 세분화되지 않 고 있다 . 왜냐하면, 진정한 보수주의자라 한다면 경제 문제와 정 치 문제, 정치 문제와 윤리 문제, 윤리 문제와 종교 문제 등이 서 로 연계되어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15 ) 다시 말해서 보수주의적 시각은 인간 경험의 모든 것을 종합하는 입장에서 총 체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이들 인간의 경험들이 서로 엉켜 있다고 하는 유기체적인 견해를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 의 조건이 복잡하기 때문에 보수주의의 원칙은 단순하게 설명될 수 없고 구체적으로 나열하기란 어려운 것이다. 우선 커크는 버크의 인식론적인 입장에서 인간 이성의 한계를 지적하고 있다. 그는 올바른 이성이라 하더라도 정확하고 충분한 자료에 의존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인지작용이 인간의 상상 력과 경험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지혜와 진리는 인

간의 이성 활동으로만 형성될 수 없다고 설명하고 있다 . 그 중요 한 원인으로서 그는 일반인의 감각이 주어진 현상의 극히 일부분 만을 감지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 16) 커크의 사상에서 인식론의 문제는 인간의 추리 과정에 있어서의 어쩔 수 없는 환경적 결함으로 인식되고 있다 . 따라서, 그는 인간 사회와 역사가 순수한 논리에 기초를 두지 않고 있다는 점을 다음 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우리는 신화의 세계에 살고 있다 . 그리 고 신화는 허위가 아니다. 반대로 위대하고 고전적인 신화는 진실 인 것이다. 하나의 신화는 과거에 거의 잊혀진 실제 사건으로부터 창출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신화는 실제의 특수 환경을 초월하 면서도 보편적이고도 영속적인 중요성을 갖고 있다. 〉 1 7 ) 커크는 소 렐 Sorel 이나 니체와 같은 입장에서 사회적 신화를 이해하지는 않 는다. 소렐과 니체의 신화는 단순히 개인적 영웅의 환상에 불과하 였다고 본다 . 18) 그들의 신화는 과거의 역사와는 관계없이 선험적으 로 전개되고 사회 관습에 의해서 수용된 체계가 아니었다 . 따라 서, 그들의 신화는 기만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본다 . 다시 말 해서 커크는 외형적으로 표현된 신화는 환상이나 기만이 아니고 인간 이성을 초월한 지혜의 표현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 19 ) 즉, 버크 의 개념에서 보면 신화는 오래된 사회적 관행 또는 관습을 의미하 고 있다. 따라서, 인간의 지성적, 감각적 한계, 또는 현실이 부분 적으로는 초이성적 요소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이성은 독자적으 로 활동할 수 없다는 것이다 . 이성이 인간의 감각적 세계롤 완전히 정복할 수 없다면, 커크는 과연 어떻게 보수주의의 범주를 설계할 수 있다는 것인가? 여기에 서 그는 후커 Hooker 와 버크의 철학을 계승하고 있는 존 뉴먼Jo hn He nry Newman 의 이론을 적용하고 있다 . 커크가 설명하고 있듯이 존 뉴먼은 인간의 의식적 이성보다 더 깊은 내면의 세계에 내재해

있는, 태어날 때부터 간직하고 있는 인상적 감각 이론을 유도하고 있다 . 인상적 감각이란 복잡하고 오랜 경험, 본능, 직관, 상상력 의 종합적인 인식 방법인 것이다 . 20) 그러나 인상적 감각이란 본능 과 직관세계의 형이상학적 개념이 아닌 것이다 . 오히려 그것은 있 는 그대로의 사물의 형태로서의 현실을 이해하는 하나의 절충적, 총 체적 접근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 이 점에 대해서 커크는 다음과 같이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인간은 직접적이고도 단순한 관찰에 의해서 사물을 인식하지 않고 사물이 과거로부터 존재해 왔던 점 차적으로 쌓여 온 축적인식, 정신 활동 과정, 인식 대상의 관찰, 비 교연관인식, 많은 부분적 개념들의 상호교정인식, 집중인식, 정신 활동과 인간 능력의 종합적 활동 등에 의해서 사물을 파악하게 되 는 것이다.〉 2 1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상적 감각 활동에서 추출된 가정들이 사유 의 오류에 근거할 수도 있고, 따라서 오류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 에 인상적 감각이 이성을 초월한다 하더라도 절대적으로 무오류일 수는 없다고 커크는 지적하고 있다 .2 2) 그렇기 때문에 지식의 최종 적인 재결자는 전통과 역사의 권위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따라 서, 그는 인간이 스스로의 인상적 감각을 최종적인 권위에 의해서 (역사와 전통) 교정해야 된다고 역설하고 있다. 즉, 일종의 여과된 집단적 인상 감각의 최종적인 권위는 인간의 개별적 오류의 정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23) 그는 개별적 인상 감각을 보충하고 완성시키는 여러 가지의 권위를 역설하고 있는 존 뉴먼의 이론에 동의하고 있는데, 예컨대 양심, 성경, 교회, 윤리, 역사, 국가의 경륜, 격언 등을 들고 있다. 간단히 말해서 이러한 권위들은 버크 가 주장한 〈과거 가 남겨 준 지 혜 Wi sd om of the a g es 〉를 의 미 하고 있다. 커크가 지적했듯이 현대의 자유주의적 인식론의 문제는 프랑스

의 철학자들을 괴롭혔던 문제와 같은 것이었다. 선험적, 형이상학 적 추리력을 향한 프랑스 철학자들의 성향은 차치하고라도 가장 중요한 문제는 자연과학의 방법론이 사회과학의 방법론으로 점차 적으로 이전되어 가고 있는 점이라고 그는 다음과 같이 상론하고 있다. 〈자연과학에 있어서 확률이 자연적 감각에 전달되어 감각에 의해서 입증된 물리적 사실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역사와 윤리 는 인상적 감각과 권위에 의해서 수행, 검증되고 있다. 이러한 분 야에서 우리는 단순히 사실에만 의존할 수 없다. 이러한 조건에서 다른 사람들의 의견, 시대의 전통, 권위의 규범, 유추 행동 등이 축적되어 인상적 감각에 전달되기 때문이다.〉 24 ) 커크는 존 뉴먼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지만 그는 존 뉴먼의 기본적인 가설이 점차적으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음울 인식하고 있다. 그의 가설은 당대에는 생각도 할 수 없었던 사회 과학적 〈사실〉을 강조하는 행동과학주의의 새로운 조류에 의해서 축적되어 온 것이다. 그러나 그는 이 같은 과학적 방법론을 근본 적으로는 천박하고 기만적인 것으로 치부하고 있다. 행동과학주의 적 방법론에 대한 커크의 중요한 비판점은 방법론의 기술적인 문 제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가치판단의 문제에 있다. 그가 우려하는 것은 정치에 있어서의 가치판단을 비과학적으로 취급하는 행동과 학주의가 정치의 목적보다도 정치의 수단을 중요시하는 마키아벨 리적인 정치학을 초래하게 된다는 데 있었다. 물론 정치적 효율성 과 효용성이 중요하지만 사실상 정치 현상을 접근해 가는 다른 방 법론이 있다는 점을 그는 강조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그는 행동 과학주의 방법론이 마키아벨리적 정치학을 합리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과학적 방법론에 대해서 커크가 간과했던 점 이 있다면, 연구 대상의 인간 행태가 다른 시대와 비교해서 비정 상적이고 부패된 사회의 결과로부터 발생한다는 가능성을 고려하

지 않고 인간 행태의 과학적 분석이 인간 행태를 규범으로 규정하 고 있다는 점이었다. 인간의 정치적 행동을 있는 그대로 수용함으 로써 사회적으로 비도덕적인 행동을 정당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 게 된 것이다. 무엇이든 존재하는 것은 정당하다고 하는 주장은 근본적으로 보수주의적인 입장이 아니고 비개혁적인 현상유지주의 S t andp a tti sm 의 입장임을 그는 지적하고 있다. 커크는 행동과학주의뿐만 아니라 정치이론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 정치이론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현대의 정 치 이론가들이 버크 당대의 합리주의 이론가들의 후예들이라고 생 각하기 때문에 합리주의에 근거한 궤변이론가들과 경제학자들을 혐오했던 버크의 사상에서 영향을 받고 있다 . 그는 원칙과 추상의 관점에서 버크 대 자코뱅류의 이분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 다. 〈고매한 보수주의자들은 원칙, 과거 세대의 지혜의 평가를 통 해서 확인된 가치, 역사의 연구, 현대 생활과 권위와의 조화를 확 신하고 있다. 그들은 인간 이성에 대한 회의를 갖고 있지만 매우 합리적인 사람들이다 . 그러나 그들은 추상적 개념 또는 서로 다른 시공간의 특정한 환경으로부터 이탈된 편견적인 개념으로 인간과 사회를 강요하는 과학적 사고 방법을 거부하고 있다.〉 25) 따라서, 그 에 의하면 원칙은 역사의 지혜에서 창출되고 있지만 추상적 개념 은 인간 이성의 결과로 나타난다고 한다. 커크의 추상적 형이상학에 대한 반감은 철저한 것이었기 때문에 비록 추상적 형이상학이 전통적 생활양식을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 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는 과학주의를 공격하고 있다. 그는 랜돌프가 잭슨 대통령의 정책을 비난했다 하더라도 당시 연 방의회에서 통과된 입법을 남캐롤라이나주가 거부한 사건의 일말 이 랜돌프의 의도가 아니었음을 좋은 사례로 제시하고 있다. 당시 랜돌프가 남캐롤라이나주의 국법 실시 거부의 사례를 추상적 형이

상학 이론의 하나로 공격하였던 것을 우리는 기억할 수 있다 .26 ) 한 편 커크는 랜드 Ay n Rand 와 같은 반집산주의적 이론가의 주장이 그의 형이상학적 성향 때문에 보수주의자들에 의해서 용납될 수 없었던 사례를 환기시키고 있다 . 27) 더 나아가서 그는 하나의 이데 올로기, 죽 하나의 사상체계가 객관적인 진리를 구체화시킬 수 있 다고 주장하면 할수록 그 이데올로기는 기타의 진리를 부정하게 마련이고 그 사상체계 자체마저도 진실적 확신을 떨어뜨리게 된다 는 점을 역설하고 있다. 커크의 보수주의적 방법론과 인식론은 고도의 보수주의 원칙에 접근하고 있는 것같이 보인다 . 왜냐하면, 그는 보수주의적 목적을 지니고 있는 정치이론과 이데올로기까지도 부인하고 있기 때문이 다. 수단이 목적을 정당화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수단과 접근 방법의 성격이 목적을 결정한다는 사실을 확신하고 있기 때문에 그는 보수주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비보수주의적인 수단을 용 납하지 않고 있다 . 이 점은 특히 그가 피터 비레크의 자유주의적 보수주의를 비판하고 있는 내용이라고 볼 수 있다. 사실상 형이상 학, 행동과학주의 및 이데올로기는 공통적으로 초월적 이성을 거 부하고 진리의 절대적 성격을 고집하고 있다 . 반대로 커크는 지식 이란 여러 가지의 접근 방법으로 여러 가지의 근원으로부터 형성 된다고 확신하는 버크 철학의 전통에 의존하고 있다 . 그리고 규범 적 책임성울 저버리는 일과는 관계없이 우리 인간은 도덕적 질서 롤 확립하는 목적에 그러한 지식을 활용해야 된다고 그는 생각하 고 있다. 커크의 견해에서 보면 과학적 법칙이 스스로 도덕, 정 신, 감정을 회피하면서 보편적 법칙의 배타적 영역을 고집하지 않 는 한 과학적 법칙을 발견하려는 시도에는 아무런 잘못이 없는 것 이다. 커크가 복합적인 방법론을 주장하는 이유는 그가 인간 성격을

복합적으로 파악하고 있는 데 있다 . 심리학적인 견지에서 그의 방 법론은 복합적이기 때문에 심리학자들이 그의 방법론을 이해할 수 없는 것은 놀라운 사실이 아니다. 그에 의하면 행동과학적 및 신 경심리학적 접근 방법이 버크 시대와 1 4 세기의 스콜라 철학자들의 경우에서처럼 인간의 지성으로부터 동떨어진 정신 이상의 것을 인 간으로부터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들의 접근 방법은 오류에 빠 질 수밖에 없다고 본다 . 즉, 그에 의하면 마음, 의지, 충동의 복 합성은 인간의 내적 외적 신비스러운 힘에 의해서 형성된다고 본 다 . 28) 그러나 커크가 관심을 갖고 있었던 것은 인간 행태의 신경심리 학적인 문제가 아니었다. 오히려 그의 관심사는 인간 성격의 도덕 적 문제였다고 본다. 그는 인간의 이중적 성격, 죽 선행과 악행의 복합성을 주장하는 버크의 이론을 중심으로 인간 성격을 분석하고 있다.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모든 버크주의적 보수주의 이론가 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일단 버크의 인간 성격의 이원론을 수용하고 있다 . 이들 보수주의자들 중에서도 버크는 인간의 내재 적 악의 편향성을 갖고 있는 이원성으로 파악하고 있다. 다시 말 해서 인간은 죄를 범할 수 있는 원천적인 성향을 갖고 있다는 것 이댜 29) 이러한 가설은 무정부 상태가 바로 문명의 미명하에 존재 함으로써 여러 가지의 방법으로 인간의 최고 업적을 위협적으로 파괴한다는 사실을 암시하고 있다. 더 나아가서 커크는 인간의 감 정이 인간 생활을 지배하고 있다는 사실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사회 정치적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 무력한 인간 이성에 자유주 의적 성향을 강요하는 것이 바로 인간의 감정임을 그는 지적하고 있댜 그러기 때문에 그에 의하면 자유주의자들은 인간이 야수적 인 성벽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그 는 사회 변화가 진행될 때 바람직한 사회개혁이 항상 그릇된 방향

으로 유도되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 예컨대 그는 자유주의자 들의 빈민구제정책을 혹평하고 있다. 즉, 빈민가를 구제하게 될 때 빈민가에 대한 정확한 정의를 내려야 되는데, 자유주의자들에 의해서 빈민정책이 오도되고 있는 사실을 그는 비판하고 있다. 정 확히 말해서 우리가 세계를 개선해야 된다고 생각할 때에는 개선 에 필요한 근본적인 문제나 개념을 정확히 파악해야 된다고 원칙 론을 그는 제기하고 있다. 커크에 의하면 인간 성격의 이중성온 필수적으로 인간이 그의 조건과 환경을 변화시키게 된다고 한다 . 나아가서 토크빌과 마찬 가지로 커크는 인간뿐만 아니라 국가도 자유의지를 갖는다고 인식 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명제가 초래하는 결과의 하나로서 문명의 타락 현상이 근본적으로 국민의 정신과 마음에 달려 있다는 사실 울 꼬집고 있다 . 30) 따라서, 인간 성격의 복합성이 인간 욕구의 만 족이나 인간 행동의 완전성을 실정법의 매개체를 통해서 배제시키 고 있다는 점을 그는 인정하고 있다. 통치체의 어떤 형태도 인간 을 행복하고 선하게 만들 수 없거니와 진보주의에서 보는 바와 같 이 인간의 선을 가정하고 완전한 행복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전제 정치를 강요하게 될 것이라고 그는 강조하고 있다 . 31 ) 결과적으로 커크에 있어서 인간 성격에 대한 연구는 무엇보다도 관습과 기존 제도의 성격을 밝혀 주고 있다. 죽 전통, 공인된 권리 Prescrip - tion , 관행 pre ju d i ce 둥 커크 사상의 핵심적인 개념들은 신이 인간 에게 부여한 자연적 원형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32) 커크에 의하면 전통이란 종교, 도덕, 정치 등의 부분에 있어서 용인되어 온 국민의 신념과 여론을 수용하는 지식의 총체라고 본 다. 따라서, 넓은 의미로 전통은 과학적인 지식과는 다르지만 보 다 차원 높은 인식론적 타당성을 갖고 있다 . 33) 또한, 그에 의하면 관습과 상식은 먼 옛날로부터의 실증적인 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러한 관습과 상식은 인간으로 하여금 적어도 시간을 낭비하지 않 고 위기에 현명하게 대처하도록 지혜를 제공한다 . 34) 커크는 개개의 인간은 전통에 의존된 규칙보다도 인간 행동을 위한 더 좋은 규칙 울 창출해 낼 수 없고 전통의 지혜가 사회 안정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고 확신하고 있다. 즉 , 개개의 인간은 현명하지 않지만 유 적 존재 S p ec i es-be i n g로서 의 인 간은 현명 하다고 하며 , 여 기 에 서 지 적하는 유적 존재로서의 인간 경험은 전통의 총체적 실체를 형성 하게 된다는 것이다 . 35) 전통과 항상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는 개념은 공인된 권리로 서, 이것은 권리와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사회제도를 의미하고 있 다. 그리고 사회적 관행은 인간으로 하여금 논리적 사고 없이도 문제 를 해 결 할 수 있는 준직 관적 지 식 Ha lf-intuitive knowled g e 으로 서 인간의 도덕적 감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36 ) 커크에 있어서 사 회적 관행은 인간의 도덕률이 습관화될 수 있는 인간의 공통적이 고 초이성적인 지혜를 의미하고 있다. 또한, 이들 3 개의 개념은 단순히 인간 경험의 결과물은 아닌 것이다. 이들 개념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5 가지 경우의 정치철학에 중요한 요소를 이루고 있 다 . 첫째, 공인된 권리와 전통은 시민사회의 구성원들에 대한 행 동지침이 된다 둘째, 건전한 사회적 관행으로 말미암아 인간은 도덕적, 정치적 결정에 있어서 공리적인 계산을 피할 수 있다. 셋 째, 공인된 권리에 의해서 통치되는 상태에서만 인간의 권리와 욕 망이 실현될 수 있다. 넷째, 질서화된 자유는 전통과 공인된 권리 에 달려 있다 . 다섯째, 정치적 권위의 기반은 경험으로 순화된 전 통인 것이다따 커크는 이 같은 조건에서 미국인들이 역사적으로 관습과 전통적 지혜에 의해서 통치받아 왔다고 지적하고 있다. 커크는 관습과 민족적인 지혜가 고대의 현명한 입법가들, 예컨 대 모세와 솔론 Solon 등에 의해서 발전되어 왔다는 점을 시인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행과 공인된 권리는 파손되기 쉽고, 한 번 파손되면 복구되기가 어려운 것이다. 더 나아가 전통이 파괴되 고 나면 그것은 어떤 사상의 교화, 모방, 합리성에 의해서도 대치 될 수 없다. 따라서, 인간이 그들의 전통, 공인된 권리, 관행의 면에서 허용되는 변화는 신의 섭리에 따라야만 된다고 그는 주장 하고 있다 .3 8) 신의 섭리란 반드시 기독교 유일신의 섭리가 아니더 라도 그가 의미하는 유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현명함을 의미할 수 도 있다. 이 같은 커크의 시각에서 볼 때, 이를테면 전통적 건축 양식의 말살은 전통을 파괴하는 하나의 혁명적 운동의 요소가 된 다고 본다. 더 나아가 그는 현대의 전통 파괴의 원인을 근본적으 로 도시화와 산업화로 돌리고 있다 . 39 ) 그렇다고 해서 커크가 변화 에 대하여 완고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역사적 경험 의 차원에서 보더라도 어떠한 사회 정치적 변화도 유기체적으로 이미 존재하고 있는 관습이나 전통에서 벗어나서는 안 된다는 유 기체론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 커크가 전통에 관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은 전통의 유용성과 신뢰성의 문제이다. 뿐만 아니라 그는 사회의 전통이 다양화될 수 도 있고, 부분적으로는 서로 대립적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 40) 그 는 제반 관습이 서로 충돌할 수 있다는 사실, 어떤 공인된 권리와 관행도 경우에 따라서는 인간에게 유용할 수 없다는 사실, 그리고 이들 3 개의 개념이 모든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사실 등 을 지적하고 있는데, 이러한 점은 그의 전통이론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문제이면서도 그가 가장 많은 관심을 갖는 점이기도 하다. 따라서, 커크의 보수주의 사상이 종교적인 색채가 강하다는 이유 때문에 그의 사상을 무조건 폄하해서 비판하는 이론가들은 그의 사상을 일괄적으로 완고한 전통주의로만 규정할 가능성이 많은 것 이다 .41 ) 그러나 그는 전통의 변화에 대한 유연성을 보이고 있으면

서도 전통의 유용성과 신뢰성의 문제를 명쾌하게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그는 오로지 전통과 공인된 권리를 통해서 인간 은 사회의 규범적 지식을 획득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42 ) 따라서, 우리는 규범과 가치에 대한 커크의 시각과 권리, 평등, 정 의에 관계된 문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대체적으로 커크는 사회규범을 영구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 댜 즉, 규범이란 일반적으로 용인되고 거의 불변하는 도덕적, 정 치적, 미적 원칙을 수용하고 있는 것이지만 인간이 위기에 처할 때에는 준수되기가 어려운 것이다. 한편, 그는 일반적으로 규범과 가치의 개념을 같은 차원에서 생각하고 있다. 즉, 그는 규범이란 공인된 가치로 판단될 수밖에 없는 영구적인 행동 기준이라고 역 설하고 있다. 따라서, 그는 홉스나 벤담에 의해서 옹호되고 있는 가치는 환상적인 것으로 입증하고 있다 .43) 규범이 인간의 행동을 위한 영구적인 지침인 것과 마찬가지로, 권 리는 인간 성격의 논리적 결과로서 인간에게 주어진 제반 권력과 특권인 것이다 . 커크는 추상적 권리(자유주의자들이 의미하는 자연 권과 인권 등)가 아닌 진정한 권리에 있어서 두 가지 조건을 부여 하고 있다. 즉, 권리를 소유하고 있는 당사자는 그것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하고 그 권리 행사에 따른 의무를 필수적인 조건으로 생각 하고 있다 . 따라서, 그는 자유주의 사상에서 볼 수 있는 형이상학 적인 자연권 이론이 외부로부터의 구속에서 벗어나려는 인간의 행 동으로 정당화됨으로써 모든 규범과 가치룰 파괴하였다고 공격하 고 있다 .44) 즉, 그는 권리가 욕구 또는 만족이라는 공리적인 명제 뿐만 아니라, 권리가 단순히 주권의 명령이라고 주장한 홉스의 정 치이론을 모두 거부하고 있다 .45) 그러 면 조건의 평 등 Eq ua l ity of con diti on 은 인 간의 자연권 이 라고 볼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이 문제에 대해서 커크는 역

시 종교적인 개념으로 환원하고 있다 . 즉, 그에 의하면 보편적 평 등이 기독교에서 말하는 도덕적 평등이기 때문에 인간은 법 또는 신의 심판 앞에서만 평등한 것이다 . 인간은 제반 조건을 평등하게 부여받고 창조된 것이 아니다. 따라서, 그는 인간이 조건의 평등 을 강요하기 위해서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획일성을 추구하는 것은 가장 어리석고 불경건한 행동에 대한 죄의식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4 6 ) 오늘날 진보주의나 자유주의에 있어서 정의는 대부분 분배적 정 의를 의미하고 있지만, 커크에 의하면 서구의 고전 철학이나 기독 교적 전통에 서 유래 된 상호교환적 정 의 Commuta t iv e j us ti ce 가 강조 되고 있는 반면에, 분배적 정의의 허구성이 지적되고 있다 . 인간 행동의 분석을 통해 볼 때, 정의는 권리를 인간 행동에 적용하는 원칙의 이행으로 이해되고 있다 . 그에 의하면 칼 마르크스가 분배 적 정의만을 규범적 인식의 입문으로 생각하였기 때문에 순수한 정의의 개념을 파악하지 못한 실수는 가공할 만한 사상체계를 초 래하였다고 지적하고 있다 .47) 커크는 확실히 정의를 모든 정치이론 에 있어서 개입되는 중요한 개념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는 이 같 은 규범의 어떠한 변형도 타락된 인간 성격에는 적용될 수 없다고 인식하는 한편, 통치는 정의의 지배를 실현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따라서, 그는 정의의 정치적 개념을 질 서와 자유의 균형으로 인식하고 있다. 여기에서 질서란 사회적 조 화가 유지되는 과정을 의미하고 있으며, 자유란 인간이 스스로 주 인의식을 갖는 원칙을 의미하고 있다. 죽, 자유를 희생한 획일적 질서는 전제정치를 유도하는 반면, 질서를 희생한 자유는 무정부 상태를 유발하게 된다고 보고 있다 . 48) 순수한 자유는 인간과 통치에 의해서 자행되는 유해한 행동을 저지하는 안전장치라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역사적으로 존속해

왔던 국가들은 그들의 정의 개념에 따라 무상하게 변화해 왔기 때 문이다 . 따라서, 국가 권력이 횡포를 자행할 때 정의가 존속될 수 없으며 무제한적인 민주정치하에서도 정의가 존속될 수 없음은 필 연적인 결과이다. 최종적인 분석에서 나타난 커크의 통치이념은 법질서와 권위에 기초한 질서화된 자유 Ordered fr eedom 를 보장하는 공화주의적인 정부 형태에서 찾고 있다. 이러한 지배체제를 통해 서 루이 스 C. S. Lew i s 가 적 절하게 표현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인간의 권리가 보장될 수 있는 진정한 정의와 자유가 동질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지배체제 속에서 보수주의자들은 규범의 옹 호자로서 그들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보편적인 지지를 얻을 수 있 다 .49) 그러나 어떠한 사회도 영원히 정체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치 이론가들의 중요한 관심사는 변화와 혁명에 있으며 커크도 이 문제에 대해서 지대한 관심을 표명하고 있는 것이 사실 이다. 오늘날 미국의 현대 보수주의가 전통적 규범을 옹호하면서도 현 대의 사회적 변화에 대해서 현명하게 대응해 가고 있음은 커크의 사상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우선 커크는 오히려 사회적 변화를 사회 보전의 도구로 보고 있으며, 변화는 보수주의에 대해서 유익 한 힘이 될 수 있다고 선언하고 있다. 따라서, 정치가들의 의무는 신의 섭리를 부정하는 것도 아니고 사회 변화를 모두 거역하는 것 도 아니다 . 그에 의하면 사회 개선을 거역하는 것은 개인의 이성 을 신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어리석은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그는 버크의 전통에 젖어 있는 정치 지도자들까지도 변화의 조화를 추구하고 개혁의 물줄기 를 관습의 운하로 유도하는 데 앞 장서야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50) 그러나 세계는 산업혁명, 특히 1 차 세계대전 이후 사회의 연속성보다도 변화를 더 추구해 왔다는 사실을 그는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커크롤 포함한 보수

진영의 지식인들은 전통과 질서보다도 합리성과 효율성만을 강조 하는 개혁에 정면으로 대결하고 있는 것이다 . 따라서, 커크가 전 통을 유지하는 변화와 개혁을 관용적으로 수용하는 현대 보수주의 의 발전에 공헌한 점은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대체적으로 과거의 보수주의자들이 사회 변화와 개혁에 대한 긍 정적인 입장보다도 혁명 억제적인 입장에 편향되어 온 것은 사실 이다. 다시 말해서 이들의 입장은 반동주의적이라기보다는 반혁명 적인 것이 그 특징이었다 . 에드먼드 버크가 혁명에 의한 무정부적 사회 현상을 배격하기 위해서 프랑스 혁명 이후 서구 사회에서 최 초로 보수주의 이론을 전개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 그에 의하면 이러한 혁명은 전제정치에로의 반동일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권 위와 공인된 권리를 파괴하였다 . 그러면서도 버크는 1688 년의 명 예혁명을 인정하고 있다. 왜냐하면, 명예혁명은 혁명이 저지된 혁 명이었다고 해석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미국혁명에 대한 그의 태도는 모호한 데가 있다. 1782 년까지 그는 확실히 미국에 있어서 의 전쟁을 무서운 참화 현상으로 해석해 왔지만, 그 이후로는 식 민지인들의 행동을 진정한 혁명으로 생각하기보다는 순수한 독립 전쟁으로 해석하게 되었다. 이에 비해서 커크는 한층 더 나아가서 미국혁명과 명예혁명은 전제정치 또는 사회적 폭동을 견제한 방어 적이고 보수주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역설하고 있다 . 51) 미국혁명의 해석에 있어서 버크와 커크 사이에 약간의 의견 차 이가 보이긴 하지만 프랑스혁명에 대해서는 아무런 해석상의 차이 가 없다 . 커크의 분석은 버크의 저서 『프랑스혁명의 소고』와 대륙 에서 버크의 제자라고 볼 수 있는 겐츠 F ri e dri chGen t z 의 연구로부 터 출발하고 있다 . 그에 의하면 프랑스혁명은 신의 섭리에 대항한 반역에 의해서 발생된 역사 이래의 참화였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프랑스혁명은 전통적 자유를 회복한 미국의 정당한 투쟁과

는 전적으로 다른 것이었다. 이러한 견해는 한때 반자유주의적인 성격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클린턴 로시터와 하츠 Lou i s Ha rtz 와는 정치적으로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는 미국의 역사가들에 의 해서도 주장되고 있다 훈 프랑스와 미국의 혁명주의자들은 인간의 권리가 보편적인 것이냐 또는 공인된 권리냐 하는 점에 대해 의견 을 달리하였다 . 커크에 의하면 초기의 미국 공화정의 지도자들은 추상적인 이론가들도 아니었으며 제퍼슨과 같은 프랑스혁명의 옹 호자들까지도 선험적인 이성을 회피하고 인류 역사의 교훈으로부 터 그들의 행동지침을 희구하였다. 이에 비해서 프랑스의 급진주 의자들과 추상적인 이론가들은 순수한 정의와 질서를 무시하고 책 임 없는 자유의 이기주의적인 개념만을 제시했던 것이다. 더 나아 가서 그들은 기 독교적 자선 Ch risti a n ch arity의 규범 을 추상적 인 형 제 우애 Fra t ern ity의 개념으로 대치, 결과적으로 이 같은 개념은 〈 나의 형제가 되지 않으면 나는 너를 죽이겠다.〉는 식의 공포적인 교의를 서슴없이 유도하였다 .5 3 ) 이것이 바로 프랑스혁명이 천명한 민주주의의 이념이었다 . 민주주의의 이상을 확인해 준 프랑스혁명은 원칙적으로 반귀족 주의적인 성향을 띠고 있었다. 버크는 『프랑스혁명의 소고』에서 이러한 성향을 지적하고 민주주의를 향한 공포정치롤 이미 예언하 고 있었다 . 그러면 보수주의자로서의 커크의 귀족주의와 민주주의 에 대한 태도는 과연 어떠하였는가? 우선 커크는 정치적 평등이 부자연적이고 오히려 귀족주의가 어떤 의미에서 자연적인 현상이 라고 주장하는 버크의 논거를 수용하고 있는 것같이 보인다 . 커크 의 지적에 의하면 버크의 반동적인 견해는 현실적으로 제퍼슨의 견해와 홉사하다고 볼 수 있으며, 거의 모든 정치적 분파들은 〈우 리는 사회의 상층부에서 보다 많은 도덕과 지식을 필요로 한다.〉 는 사실을 시인하고 있다언 커크가 자신의 귀족주의 이론을 정립

하게 된 데에는 버크뿐만 아니라 귀족주의적 자유주의자인 랜돌프 의 사상에서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 커크 논리의 핵심은 이 세상 에는 항상 조건의 불평등이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 . 왜냐하면 , 사 회계급은 불평등에 의존하고, 생활양식과 미적 감각은 사회계급 에, 문명은 생활양식과 미적 감각에 각각 의존하여, 결과적으로 문명은 사회계급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귀족주 의적인 유산이 없는 민족은 단순한 물리적 부족보다도 불행한 상 황으로서 지식의 총체적 불모의 위기에 빠지게 된다고 한다 . 55) 따라서, 커크는 탁월성을 위한 인간의 지속적인 노력 없이는 미 국과 어느 곳에서도 공화정치가 지속될 수 없다고 역설하고 있다. 그리고 귀족주의적 국가들은 그들의 존재가 그들이 수행하는 일에 의해서 정당화되고 있기 때문에 만일 그들이 지도자 역할울 수행 하는 데 실패한다면 이들 국가들은 이 지구상에서 사라지고 말 것 이라고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미국의 건국자들이 계급제도보다 신분제도를 더 증오하였다고 커크는 판단하고 있다 . 대부분 그들 은 법적 제재에 의해서 강화된 세습제도의 이념을 철두철미하게 반대하였다. 예컨대 존 애덤스의 귀족주의 이념에서 보면 통치가 하나의 사회계급의 특권이 아니라 순수한 의미의 귀족주의(정확히 말해서 E liti sm 의 개념)에서는 질적으로 가장 우수한 사람들이 국가 를 통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의미로 표현하자면 커크는 토크 빌의 관점, 죽 귀족주의의 기능이 자유 수호에 있다든가 자유라는 것이 항상 특수 은총 P arti cul ari sm 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는 견 해롤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따라서, 그는 미국 사회에 적 합안 귀족주의가 순수한 지식계급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신 하고 있다오 이러한 점에서 커크는 버크의 반동적인 귀족주의에서 존 애덤스의 엘리트적인 귀족주의로 전향하고 있으며 고전적인 귀 족주의의 개념과는 거리가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귀족주의가 사회의 다양성을 강조하고 민주주의의 신기원이 완 전한 일체감을 강조해 왔다고 토크빌이 지적한 바 있다. 한편, 랜 돌프는 귀족주의와 민주주의가 서로 모순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 다 . 이러한 논조에서 커크는 현실적으로 다양성(사회계급의 다양성 도 포함)을 포용하는 질서화된 사회에서는 민주주의와 귀족주의의 조화가 가능하다고 본다 . 5 7 ) 그러나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은 프랑스 혁명 이후 항상 보통 사람 Commonman 에 대한 신념을 요구해 왔 댜 커크는 제퍼슨의 초기 사상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는 이 같은 사상을 지적하고 있는 반면, 정치적 결정을 현명하게 유도하는 보 통 사람의 능력을 가정하는 것은 이기주의적인 경제인간을 가정하 는 것보다 비현실적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여하튼 커크의 입장에 서 보면 민주주의는 항상 적극적인 가치가 아닌 것이 틀림없다. 그것은 목적이 아니고 목적을 위한 수단인 것이다. 민주주의의 가 치를 시험해 보는 중요한 척도는 그것이 정의와 자유를 유지하느 냐 아니면 전복하느냐에 달려 있다. 커크는 또한 민주정부 형태에 대한 두 가지 가설을 부정하고 있다. 첫째, 기독교는 정치의 어떤 특수한 형태를 요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민주주의는 기독교의 창조물이 아니다. 둘째, 전통은 단순한 정치이념 이상의 것이기 때문에 자유주의를 표방하는 추상적인 이론으로서의 민주주의는 미국의 전통이 아니다 .58 ) 결국 버크와 랜돌프는 항상 절대다수의 폭력적 방법(다수의 횡 포)을 반대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커크는 존 칼 훈 Joh n Calhoun 의 〈소수파의 동의 를 얻은 다수지 배 이 론 Concurrent> 을 단순한 수적 다수의 개념으로 분석한 토크빌의 견해를 적극적 으로 수용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커크는 민주주의적 전제정치가 폭군보다도 더 억압적이라고 시인하고 있으며, 전제주의적 만주주 의의 가장 심각한 결과는 인간이 고상한 인격을 완성할 수 없는 〈영

원한 소년〉 상태에 머물게 되는 비참한 현실을 초래한다고 지적하 고 있다 . 59) 커크가 종교적 도덕성을 인간 성격의 내면적 속성에 대한 견제 력으로 강조하고 있는 점은 그리 놀라운 사실이 아니다. 그는 현 대 사회에서 종교적 신앙생활의 퇴보에 대한 근원적인 해결책으로 기독교 자체 내의 개혁을 강조하고 있다 . 특히, 프로테스탄트 교 회가 시민정부에 대한 교회의 복종 및 신앙생활을 전적으로 개인 적 통제력하에 방임하는 개인주의 등의 악습을 근절하는 방향에서 현대 교회의 참모습으로 귀의해야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60) 일찍이 버크는 가톨릭 교회가 원천적으로 보수주의적임을 여러 번 강조한 것을 우리는 상기할 수 있다. 같은 입장에서 커크는 바티칸이 여 러 세기를 거쳐 오면서 세계의 중심이 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가 톨릭 교회를 그의 보수주의의 보루로 생각하고 있다 . 6 1) 즉, 가톨릭 교회의 권위, 교훈, 역사적 연속성, 가톨릭교의 위대성과 신비성 에서 그는 소위 〈중세적 정신〉의 보수주의적 세계를 발견하고 있 다 . 62 ) 그러나 우리는 커크의 보수주의적 성향이 어떤 특정한 종교 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 개인의 종교 적 개종과 이데올로기적 교의를 멸시하였던 그의 성향은 어떤 특 정한 종교의 선택을 보수주의의 유일한 방법으로는 보지 않고 있 다. 불가사의한 일이지만 한때 그는 스스로를 중세적인 유태인과 같은 의미의 〈고전적인 퓨리턴〉으로 자처한 적이 있지만, 그가 종 교와 보수주의의 일반적인 관계 현상을 지적하고 있는 것은 확실 하다 .63) 다시 말해서 특정 종교에 대한 커크의 불투명한 입장은 차 치하고라도 그는 종교인과 보수주의자의 자연적 동맹 관계를 인식 하고 있다 . 커크에 있어서 종교는 두 가지의 목적, 즉 개인적 구원과 사회 적 유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 같은 종교의 이원적 기능은 버

크의 사상에서도 볼 수 있지만 버크는 특히 종교의 사회적 유용성 을 강조하고 있다. 커크는 종교의 사회적 유용성을 수용하고 있지 만 그것의 독점적 우월성은 배격하고 있다. 커크의 사상에서 보면 종교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인간 정신의 질서, 즉 신의 의지에 대 한 복종, 인간 개개인을 창조하는 정신과 양심의 조화에 있는 것 이다 따라서 , 그에 의하면 종교적 신앙의 목적은 결과적으로 사 회적인 것이기보다 개인적 차원에 있는 것이다 . 64) 이런 점에서 보 면 우리는 커크 사상에 대한 신인본주의의 영향력을 발견하게 되 는데,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어빙 배빗은 종교의 사회적 기 능보다도 개인적 기능을 강조하고 있다. 물론 커크는 종교적 신앙 이 사회적 결과를 낳게 된다는 점을 부인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즉, 그는 개인적 신앙생활의 집합적인 기능이 좋은 사회를 창출케 한다는 일종의 부차적인 결과로 보고 있다 .65 ) 커크가 지적한 문제점은 현대 교회가 신앙의 결과와 종교의 목 적을 혼동하고 있다는 데 있다 . 신앙의 결과가 하나의 조직사회 안에서 개인 선행의 하나로 보는 반면 원천적인 종교의 목적이 개 인적 선행에 있다고 한다면, 오늘날 현대 교회는 개인적 선행을 원천적인 종교의 목적으로 대치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그는 이 점울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 〈오늘날 물질적 증대는 종교의 세속적 위계질서와 더불어 하나의 사이비적 종교의 목적이 되고 있다. 즉, 물질적 증대는 기성 종교제도에 침투하고 있다. 따라 서, 이러한 경향은 생산과 소비의 균형 이론을 생활의 목적으로, 사 회 복음이라는 미명하에 평등주의적 질투심, 인간의 모든 관능적 욕구를 제한함으로써 인간 욕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새로 운 도덕의 교의를 가르치기 위해서 현대 교회의 강단을 어지럽히 고 있다.〉 66 ) 현대 교인의 타락을 치유하기 위한 방안으로 커크는 교인들이 정치에 관여하지 않을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인간 존재의

가장 중요한 문제점들은 신의 섭리가 작용하지 않는 한 근본적으 로 해결될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6 7 ) 그는 종교의 정치 참여 가 사회적 통합을 이루는 데 별로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결국 에는 실패하고 말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사회 영역에 있어서 종교의 가장 큰 강점은 사회적 통일성, 즉 분산된 사회의 요소들 이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통합적 기능을 유지하는 데 있다고 본다 . 그러나 사회적 복음의 방법을 통해서 나타나는 종교의 정치 화에 있어서 종교는 결국 경쟁적인 관계 이익들 사이에서 발생하 는 사회 정치적 갈등 때문에 사회의 통합적 기능은 상실된다는 것 이다. 따라서, 커크는 수도원적인 현대 교회의 재정립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현대 교회는 정치 영역에서 벗어나 종교 본래의 목적, 죽 개인적 구원에 열중하는 조용한 천국으로 존재할 수 있다고 본다. 이렇게 될 때 모든 사회적 요소들은 제자리에 위 치하게 될 것이고 , 최선의 법이 최선의 인간을 창조하지 않고 최 선의 인간이 최선의 법을 제정할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된다고 한 다 .68) 인간 성격에 대한 커크의 비관적인 견해에 의하면 최선의 인간 이 최선의 법을 제정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데 문제점이 나타나게 된다. 이 점에 대해서 그가 강조하고 있는 것은 지도력 과 귀족주의에 대한 접근법보다도 국민대표이론에 있다고 본다. 그는 버크의 자연적, 비형식적 귀족주의에로 귀의할 수밖에 없다 고 판단하고 있다 .69) 이러한 주장이 결과적으로 계급 없는 사회롤 강조하는 것같이 보이기 때문에 비판가들은 이 같은 커크의 주장 을 비미국적이고 비보수주의적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그는 다음과 같이 반론을 제기하고 있다 . 〈미국에서 계급의 용어 에 대한 심각한 저항의식이 존속한다 하더라도 나는 그것이 무식 에 대한 적개심의 소산이라고 생각한다 . 우리는 계급 없는 사회를

열망한 사람이 제퍼슨이 아니라 마르크스였다는 사실울 환기해야 한다.〉 7 0 ) 더 나아가서 커크는 귀족주의와 민주주의는 서로 상반된 개념이 아니고 오히려 인간의 불평등한 재능의 입장에서 볼 때 민 주주의는 귀족주의의 발전을 도모한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철학적인 문제점은 차치하고 사회학적으로 미국 사회가 계 급 없는 사회를 지향한다고는 볼 수 없다. 커크는 이 점을 더 구 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계급 또는 질서는 미국에 서 아직 소멸되지 않고 있다 . 예컨대 우리는 일련의 고결한 법률 가들의 집단과 사회 관행에 대한 존경심을 보게 되는데, 토크빌은 이들 계급을 민주주의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는 귀족계급으로 서술 하고 있다. 우리는 전통적인 가정에 속하고 있는 사람들과 오늘날 공공 부분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상속 재산울 보게 된 다. 뿐만 아니라 우리는 실천적인 재능과 성취욕을 갖고 있는 기 업인들과 고도의 사명감을 갖고 있는 예술과 과학 분야의 교직자 들을 만나게 된다. 나는 노동조합운동에 있어서도 건실한 지도자 가 창출되리라고 기대한다.〉 7 1 ) 이 내용은 대표제와 지도력에 대한 커크의 견해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그의 지도 력 체계에 있어서 노동자까지도 포함함으로써 커크는 버크의 견해 를 미묘하게 변형시키고 있다 . 확실히 버크는 지도자 계열에 진입 하는 과정에서 재능 있는 일반인들의 기회를 언급하고 있지만, 그 는 새로 형성되는 사회세력의 소용돌이로부터 창출될 수 있는 새 로운 지도력의 개념을 확실하게 언급하지 않고 있다. 물론 이러한 결과는 버크 당대의 영국에서 사회세력으로 동장할 만한 사회 경 제적 집단이 존재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에 서 적어도 커크는 미국의 상황적 성격을 고려하고 노동운동까지도 포함하는 지도력 체계를 제의하고 있는 것이다 .72) 그러나 커크는 구체적으로 누가 정치 지도자가 될 수 있느냐 하

는 문제에 대해서는 모호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앞에서 지적했지 만 미국 사회 내의 여러 가지 유형의 귀족적인 집단을 거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집단들이 실제의 통치 영역에 있어서는 부적합하다는 점을 거론하고 있는데, 특히 기업인들은 이상적인 지도자의 적임자도 아닐 뿐만 아니라 국가의 공공업무를 수행할 수 없다고 평가하고 있다 .73) 직업적인 지식인으로서의 교육자들도 정치 지도자로서의 자질에 적합하지 않다고 커크는 여러 가지의 다른 이유에서 지적하고 있 다. 첫째, 이들에게는 어떠한 사회에서도 꼭 필요한 비판적 성향 이 있지만 이것이 건전한 지도력의 형성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설사 천재적인 지식인들이 있다 하더라도 현대 사회의 경 험에 비추어 보아 이들은 사회 발전을 위한 유토피아적, 전체주의 적인 성향을 갖고 있는 것이다. 커크에 의하면 이들 천재적인 지 식인들은 현실 세계가 단순한 지식 이상의 것이라는 사실을 인식 할 수 없다고 평가되고 있다 .74) 여하튼 그가 하나의 뚜렷한 지도자 상을 단언적으로 지적하지 않고 있는 점을 다음의 글에서 살펴볼 수 있다. 〈보수주의자는 그가 개인적으로 선행이나 지혜를 독점한 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는 모든 분야에서 오랫동안 경험하면서 많은 사람들의 협동을 통해서만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 댜〉 75) 정치 지도자는 정치질서 내에서 국민들에게 평형추의 역할 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기타의 사회의 엘리트들 가운데서도 중심 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존 칼훈의 〈소수파의 동의 를 얻은 다수 지 배 의 이 론 Thery of concurrent maj o riti es 〉은 커 크에 게 지대한 홍미를 불러일으켰고, 따라서 존 칼훈의 〈다원적 실행 위 원회 〉의 개 념 은 커 크의 다원주의 적 정 예 주의 Plural ist ic e liti sm 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76) 커크가 명확하게 지적하고 있지 않지 만, 그의 다원주의적 정예주의는 기회 있을 때마다 기업가들에 의

해서 견제를 받아 온 강력한 법조계 인사들로 구성되어 왔듯이 미 국 정부의 대배심원의 고발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 고 볼 수 있다. 국민대표이론에 있어서 커크는 버크의 이론을 능가하지 못하고 있다 . 그의 중요한 관심사는 미국의 독립 이후 미국에서 진행되어 왔던 의회의 관례에 대한 문제에 있었다. 그는 미국이 상원의 직 접선거, 직접적인 예비선거, 보통선거제 및 의회를 형성하기 위해 직접민주주의를 선택한 제반 규정을 수용함으로써 정치질서를 손 상시켰다고 지적하고 있다 .77 ) 그러나 미국의 정치질서가 국민들의 격정적인 감정 주입에 의해서가 아니고 그 반대의 현상에 의해서 손상되었다고 보는 그의 주장은 역설에 불과하다. 그는 다음과 같 이 설명하고 있다. 〈 엄청난 투표 행사에 참여해 가면서 모든 종류 의 후보자와 중요 문제를 선택해야 하는 일은 보통시민들을 짜증 스럽게 만들었기 때문에 이들은 투표에 불참하게 되는 결과를 초 래하고 있다. 우리 미국인들은 결과적으로 당파적인 감정에 의해 서가 아니고 오히려 무관심에 의해서 위협을 당하고 있다.〉 78 ) 커크 가 우려했던 점은 일반 국민들의 정치 참여의 증가가 아니라 유권 자들의 선거 참여의 감소 현상에 있었다 . 그래서 보수주의자들이 정치적 관행에 의해서 선거제도를 폐지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보 수주의자들은 유권자들의 여론에 따라 일반 여론을 형성하고자 노 력해야 한다는 점을 그는 제안하고 있다. 위에서 우리는 지도자상에 대한 커크의 개념이 버크의 개념과 일치할 뿐만 아니라, 정치질서에 대한 그의 개념이 국가 내에서의 위계질서를 의미하고 있는 것임을 알았다. 그러나 커크 당대의 정 치적 조건은 버크가 당면하고 있었던 것과는 판이하게 달랐다. 버 크 당대의 영국 정부는 경제적 또는 개인적 생활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버크는 재산과 자유의 문제와는 별개의 분야에서

국가와 사회의 주제를 논의할 수 있었다. 마르크스주의 이론은 커 크가 국가 권력의 관점에서 재산과 자유의 문제를 논의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을 적절하게 변화시켰다. 버크 시대에 있어서 사유재 산과 개인의 자유는 개인의 보호와 질서 유지를 통해서 개인의 행 동을 위한 국가의 규범에 의존되고 있었다 . 즉, 자유와 재산은 상 호의존적인 것이었지만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었던 것은 아 니었다. 커크의 주장에 따르면 현대의 상황은 국가에 의존되어 있 기 때문에 자유주의의 미명하에 국가는 과잉 보호와 과잉 규제를 통해서 자유와 재산을 위협하고 있다고 본다 . 그의 연구의 핵심은 뉴딜식 자유주의와 사회주의에 의한 바로 이러한 국가의 기능 확 대에 집중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한 커크의 견해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핵심은 지 도자상과 권위에 대한 그의 주장에서 엿볼 수 있다. 자연적 귀족 주의의 정치적인 원칙이 있다면 자연적인 자유에 대한 위압적인 원칙이 있게 마련이다 . 즉, 정의의 통치는 보다 많은 재능을 가진 자연인의 권리를 인정할 뿐만 아니라 이들 재능인들에 의해서 위 협당하거나 선동되지 않는 다수의 사람들의 권리를 인정해야 된다 고 보고 있다 .79) 커크는 국가의 기능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명확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 〈정부는 정당한 권위를 존중하고 정의, 질 서, 자유를 보장하기 위해서 조직되어야 한다 . 그러나 만일 우리 가, 정부가 할 수 있는 이상의 것을 요구한다면 우리는 정부의 기 초적인 기능을 위협하게 되는 것이다.〉 80 ) 커크는 차선의 방법으로 선한 정부의 중요 원칙을 지적하고 있다. 즉, 정부는 국민의 관행 적 생활양식과 전통에 부합되어야 한다고 그는 주장하고 있다 .81) 여기에서 그는 합리주의와 선험적 추상성에 기초를 두고 있는 정 부의 조직을 거부함으로써 그의 보수주의적인 인식론으로 귀의하 고 있는 것을 우리는 재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커크가 지적한 어떠한 원칙에서 보더라도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는 이러한 원칙에서 벗어나고 있다. 첫째, 특히 사회주의 는 그 체제가 만족시킬 수 없는 인간의 욕망을 주문으로 끌어내고 있댜 82 ) 사회주의적 규제를 적용한 후 수십 년이 지난 오늘에 이르 기까지 그 규제 자체가 인간의 창의성을 말살하고 있다. 일반 국 민들은 지배층으로부터 위협당하고 선동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들 지배층에 있는 사람들은 월등한 재능을 소유하지도 못하고 있 댜 둘째, 사회주의적 계획은 인간 이성의 무능력 앞에 굴복하고 있는 것이다 . 설사 계획자들이 예견할 수 있는 모든 요인들을 동 원한다 하더라도 인간의 심리, 일기 등과 같은 미지의 변수들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미지의 변수들이 자유경제체 제를 괴롭히고 있지만 자유경제체제는 적어도 분권화에 의해서 일 상의 생활에 더욱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커크의 비판은 사회주의와 공산주의를 같은 범주로 보고 그 속에 서 미국의 자유주의를 고발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자유주의는 사 회주의의 변형에 불과하며, 특히 뉴딜식 자유주의가 물질적 바탕을 기초로 하는 진보주의임을 지적하고 있다 . 83) 더 나아가서 자유주의 는 사회주의에 비해서 온건론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전체 주의의 초기 증상적인 요소를 갖고 있다고 다움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자유주의의 전제는 조만간 전체주의를 틀림없이 유도하게 될 것이다. 사회와 인간 성격을 변형시킬 그노시스 Gnos ti c i sm 적인 감정은 어떠한 반대도 견디어 낼 수 없으며, 결국은 자유주의의 통합적 진보를 방해하는 모든 전통적 경제 정치의 제도를 파괴하 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84) 그러나 그가 경제와 정치의 문제에 있어서 반대하고 있는 점은 쉽게 확인할 수는 있지만 그가 무엇 때문에 그러는지는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그가 국가의 간섭을 반대하고 있기 때문에 19

세기 후반의 미국의 자유방임주의적 질서를 동경하지 않는 한 단 순히 관용적으로 과거를 회고하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가정해 볼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그리 단순하지 않다. 첫째, 정부의 견 제적 중앙통제가 어떠한 희생을 치르더라도 제거되어야 한다면 일 반 경제의 발전은 기대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이론적으로 정부가 국민들에게 모든 해답울 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민주주의 의 문제는 더욱 악화되게 마련이다. 둘째, 남북전쟁 이후의 황금 시대는 미국인들의 심리상태에서 지적, 미적 관심을 충분히 제거 시킬 수 있을 정도로 물질지향적이었다고 본다. 이 시대에 대한 그의 혐오는 신인본주의 사상에서 영향을 받고 있다 . 문제는 여기 에서 끝나지 않고 있다. 커크는 1 차 세계대전 이후 도시 산업화와 오랜 전통을 갖고 있는 농경사회의 파괴 때문에 혼란을 겪고 있으 면서도 이 문제를 충분히 다루지 못하고 있다 . 커크에게 있어서 산업주의는 생각보다 위험한 발전임에 틀림없었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면서도 근본적으로 어디서부터 해결해 가야 될지 확신이 없는 것이다 . 여기에서 우리는 커크가 산업주의와 농경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총체적인 경제이론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점을 알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오히려 그는 문제 해결의 제안자로서보다 하나의 비판자로 자처하고 있다. 매디슨 사상을 검토할 때 보았듯 이 로크의 자유주의는 항상 경제적 자유와 도덕적 자유의 상호보 완적인 두 가지 국면을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커크는 미국 역사 를 비물질적 생활에 군림하는 재산의 승리로 보고 있으며, 인간의 재능을 충분히 발휘할 뿐만 아니라 국가를 배제하여 재산울 보호 할 수 있는 인본주의적 경제를 통해서 물질적인 것과 비물질적인 것의 균형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커크는 관료주의적인 엘리트에 의한 통치가 아니라 지방의 기초 집단들로부터의 상향적 통치에

확신을 두고 있다 . 8 5) 커크에 의하면 보수주의자들은 추상적인 개념보다도 원칙론을 선호하고 있다. 버크는 원칙론을 영원한 상태에서 표현된 정당한 이성, 즉 조상들의 지혜의 총체로 정의하였다 . 같은 맥락에서 커 크는 추상적인 개념은 원칙론의 타락으로 인식하고 있다 . 추상적 인 개념은 인간과 사회에 대해서 하나의 예정된 형태, 인간 이성 의 결과 , 인간의 나약함을 고려치 않는 허황된 일반화의 욕구 등 울 강요하는 조잡한 개념에 불과한 것이다 . 8 6 ) 만일, 정치인들이 비 현실적인 공론가가 된다면 인간은 타락된 인간 성격을 지닌 동물 이 될 것이고, 문명은 위협을 받을 것이다 .87 ) 커크의 사상에 있어 서 모든 원칙은 질서화된 문명의 유지에 절대로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모든 국가가 똑같은 통치 형태를 수락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하나의 정치질서가 항상 일치해야 한다는 다음 과 같은 두 가지가 일반적 원칙을 갖추어야 그는 지적하고 있다 . 첫째, 선한 통치(정부)는 사회의 시민들로 하여금 그들의 능력을 실현하도록 허용해야만 하지만, 이러한 유능한 시민들이 일반 대중 위에 폭군적으로 군림하지 않도록 보장해야 한다. 둘째, 가장 선한 통치의 형태는 전통, 공인된 권리, 관행에 준용되어야 한다 .88 ) 국가는 적어도 이 두 가지의 원칙을 만족시켜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 국가는 야만적인 상태로 타락할 것이다. 그리고 법 준 수의 신앙이 없는 실용주의자들은 원칙 없는 비도덕적 인간이 될 것이고, 그 결과는 추상적 개념의 범람을 초래할 것이다. 커크는 공산주의자들이 추상적인 개념의 인류를 사랑한다고 스스로 자부 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추상적 개념과 허위의 원칙 은 열광주의에 빠지게 된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과 원칙은 모두 이데올로기와 유토피아적 환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그는 지적하고 있다 .89 )

이데올로기의 용어는 원래 나폴레옹 시대에 대중화된 개념으로 서 존 애덤스가 말하는 〈백치의 과학 The Sci en ce of Id io c y> , 또는 버크가 지적한 〈군사이론 Armed Doc tri ne 〉을 의미하고 있다. 커크 에 의하면 공상가 Ideolo g ue 는 고대의 그리스 강도 Procrus t es, 말하 자면 고대 희랍 시대에서 볼 수 있었던 자기맹신적인 독선가들의 후예인 것이다. 공상가의 획일적인 철학은 신의 섭리, 신중성, 자 유의지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커크는 이데올로 기와 정치적 열광주의를 일치시키고 있다. 이데올로기는 특수 정 치집단의 이익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신념체계로서 독단적이 고 과학적인 방법을 응용하여 공상적(이상적) 사회의 방향을 제시 하고 있다. 단적으로 말해서 이데올로기는 현대의 급진주의와 진 보주의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독교의 천국, 죽 신이 부재하는 지 상의 천국울 약속하고 있다 .90 ) 따라서, 정치에서의 이데올로기적 접근은 순수한 과학과 정치철학과는 명확하게 대조적인 바, 이 점 온 포겔린 E ri cVoe g el in이 잘 지적하고 있다. 포겔린에 의하면 이데 올로기의 근원은 그노시스설 Gnos ti c i sm 에서 유래되는바, 이것은 신의 도시 대신에 완전하고 고통 없는 지상 사회의 환상적인 꿈을 주장하는 이교도인 것이다. 그노시스설은 좌익 쪽에 공산주의, 우 익 쪽에 자유주의를 각각 표방하고 있는데, 이들 좌우익은 모두 공상적인 것이다. 그리고 공산주의자들과 자유주의자들은 급진적 정치 경제 제도가 불행으로부터 인류를 해방시킬 수 있다고 역설 하고 있다 .91) 한마디로 말해서 커크는 현대 사회의 급진주의(진보 주의)와 자유주의, 특히 미국적 자유주의를 그노시스적 고대 사상 의 재현으로 선언하게 된 것이다. 그러면 유토피아와 이데올로기를 설정하고 있는 현대의 급진사 상에 대한 커크의 대안은 무엇일까? 이에 대한 커크의 해답은 간 단 명료하게 정리되고 있다. 급진사상(뉴딜식 자유주의 포함)에 관

련된 모든 이데올로기는 단순히 기성의 도덕 질서에 대항하는 공 통적인 반란의 표현으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에, 커크는 종교적 신앙과 역사와 전통에 의해서 마련된 제원칙들의 견고성만이 이데 올로기와 군사화된 교의의 열광주의를 저지할 수 있다고 확신하고 있다. 따라서, 그는 열광적인 이데올로기에 강력하게 대항하는 새 로운 의미의 보수주의적 이데올로기를 제안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전통적인 가치와 원칙의 생활양식화를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오 늘날 미국 현대 정치의 보수화 현상은 이데올로기 중심의 정당정 치의 차원에서는 아무런 의미가 없으며, 오히려 이러한 현상은 커 크가 지적하는 보수주의적 생활양식의 보편화가 정당정치에 반영 된 결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 여하튼 커크는 영미 사회의 중요 한 사상가들, 이 를테 면 버 크, 존 애 덤 스, 밀 Joh n Stu art Mill 등과 같은 이론가들과 마찬가지로 이데올로기의 포기를 제창하고 있다. 이데올로기적 대결로 과열되어 온 점이 근대 정치의 특징이라고 한다면, 근대 현대 정치의 패러다임(추상적 개념을 강조하는 이데올 로기 중심의 이상론과 자유주의의 범주)을 지양하려는 커크의 보수 주의 사상은, 그것이 비록 과거지향적 가치만을 강조하는 데에 약 간의 이론적 무리는 있지만 탈이데올로기 시대의 당위성을 정립하 는 데 많은 공헌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 프랑스혁명 이후 서구 사회에서는 자유주의와 집산주의(급진주 의를 포함한 진보사상)의 사상이 〈불가피한 진보〉의 오류 개념에 집착되어 추상적 개념을 남용하고 인류 사회에 허황된 약속을 남 발해 온 것은 사실이다. 앞에서 지적했듯이 특히 근대 현대의 정 치사상은 자유주의든 급진적인 진보주의든 간에 인간 성격의 개조 가능성을 중심으로 추상적 개념의 패러다임 속에서 맴돌고 있는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자유주의자들은 그들의 공리적인 계산으로부터 인간 생활의 비극

적 감각을 삭제해 왔다 . 이러한 면에서 커크는 뉴딜식 자유주의가 전통적으로 계승되어 온 미국인들의 자조정신 Sel f- hel p에 입각한 진정한 인간공동체의 의식을 파괴하였고 영구적 평등의 안전성이 없는 집산주의에 불과한 것이었다고 꼬집고 있다. 따라서, 그는 도덕적 평등의 기독교적 신화를 세속적안 정치이론으로 전화시키 고 미화하는 통치는 인간의 경험에 증오심을 유발케 한다고 지적 하고 있다 .9 2) 커크는 순수한 보수주의와 순수한 자유주의의 차이점이 뚜렷하 게 나타나고 있다고 믿고 있다. 왜냐하면, 보수주의자들은 인간 성격의 불가피한 불안전성과 인간의 이성과 경험에 함축되어 있는 비극을 관조하고 있는 반면에, 자유주의자들은 항상 황홀한 세계 에 대 한 내 재 적 인 희 망 Immanent hop es of Lo tu s-land 에 의 성 향을 갖 고 있기 때문이다.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그는 정치적, 사회적 변천만이 행복을 위한 인간의 깊은 욕망을 만족시킬 수 있다는 사 실을 이 같은 자유주의 사상의 환상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따라 서, 오늘날 현대 사회가 효율성과 합리성만을 강조하는 후기산업 사회의 지배원리를 지양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커크의 사상 은 현대 문명을 비판하는 서구의 신마르크스주의 Neo-Marx i sm 와도 상통하는 점이 있다. 적어도 프랑스혁명 이후 지금까지 우리는 자유주의의 추상적이 고도 기본적인 개념, 즉 자연권, 사회계약, 자유, 인권, 평등의 개념을 민주주의를 정당화시키는 가장 합리적이고 강력한 형이상 학적 설득력으로만 생각해 왔다. 우리는 이러한 사상적 패러다임 속에 빠져 있어도 너무 깊숙이 빠져 헤어나지를 못하고 그 속에서 계속 맴돌고 있는 셈이다. 또한, 우리는 적어도 이론적인 면에서 한번도 이러한 패러다임의 범주 속에서 빠져 나오려고 시도해 보 지도 않았고 자성해 볼 여유도 없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커크

의 신보수주의 사상은 자유주의적 또는 진보주의적 패러다임을 미 래지향적인 방향에서 재구성하는 데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고 생각 된다 . 많은 사람들이 지적하기를 역사는 민주주의의 방향으로 발전해 왔고, 또 그 방향으로 발전해 갈 것이라고 한다 . 옳은 말이다 . 그 러나 과거에 세계사의 전환기적인 혁명에서 순수한 민주주의가 실 현되었다고 한다면, 그 사회는 벌써 와해되었을 것이다 . 이러한 예상적인 결과는 오늘날 공산권의 와해와 같은 방향으로 예견될 수 있다 . 왜냐하면, 공산주의와 민주주의는 모두 목적론적인 시각 에서 볼 때 유토피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커크의 시각에서 본다 면, 적어도 시민혁명 이후에 세계사가 점진적으로 발전해 온 것은 이념적인 면에서 순수한 민주주의를 거부해 온 보수주의의 정치적 기능에 의존하였던 점을 우리는 새롭게 인식해야 할 것이다. 커크의 보수주의 철학을 접하게 될 때 독자들은 그의 사상이 종 교적 개념과 정치 철학적 개념의 혼용 때문에 우선 이해의 혼동을 초래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그의 이론 전개 과정을 반지성적인 것으로 폄하할 가능성이 있다. 그 중요한 이유로는 그의 논조가 항상 흔히 일반화되어 온 서구의 합리주의를 거부하고 그 나름대 로 합리성을 역설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면에서 그의 보수주 의 철학이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결과적으로 그는 종교적 개념과 정치 철학적 개념을 훌륭하게 접목시키고 있 다. 한마디로 말해서 커크는 미국의 사상계를 오랫동안 지배하고 있던 미국적 자유주의(구체적으로 뉴딜식 자유주의)에 용감하게 도 전, 전후 신보수주의의 효시적인 사상가로서 그의 입지조건을 확고 하게 마련한 셈이다. 결국, 커크는 〈보수주의 정신〉의 기념비적 업 적, 즉 지성사적인 면에서 볼 때 현대 사상의 영구적인 고전이라 고 평가받을 수 있는 이 문헌을 통해서 세계인의 기억에서 사라지

지 않을 것이다. 결국 커크가 하나의 새로운 질서를 위한 전망을 뚜렷하게 제시 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적어도 1950 년 당대 미국의 구질서(뉴딜식 자유주의)에 대해서 효과적인 비판을 불러일으킨 것만온 사실이다. 노이먼 W i ll i amNeuman 이 커크롤 가리켜 현대 보수주의의 칼 마르 크스로 호칭할 만큼 그는 버크주의를 현대적인 시각에서 재조명하 여 미국의 전통을 현대 정치에 접목시키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 93 ) 그러면서도 원칙론과 편의주의 사이에서 커크는 원칙론을 선택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의 신보수주의 운동에 강력한 설득력을 제공하긴 하였으나, 그의 보수주의 이론은 미국의 합의 적 문화 풍토에서 형성되어 온 정치적 담론의 주류로부터 소의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그의 원칙론은 문화적 보수주의 의 차원에서 볼 때 미국의 다양한 보수집단들의 유대를 강화하였 던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이것은 1980 년대 미국의 정치 현상 ―구체적으로 레이건 현상――으로 입증되고 있다. 피터 비레크 피터 비레크 Pe t erV i ereck 는 에드먼드 버크의 서구적인 보수주의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으면서도 메테르니히의 사상으로부터도 영 향을 많이 받고 있다. 특히, 그의 신보수주의 사상은 기타의 보수 주의 이론가들에 비해서 보다 개혁지향적인 보수주의자라고 평가 되고 있다. 그는 자신의 개혁지향적 보수주의를 도덕적 보수주의 Et hi c a l Conservati sm 또는 인 도주의 적 보수주의 Humanit ar ia n Conserva ti sm 로 일컫고 있다 .94) 그는 자본주의 사회를 옹호하면서 도 자유방임적 시장경제와 신고전적 자유주의 Neo-Classic a l

L i beral i sm 를 비판하고, 특이하게도 신보수주의 이론가들 가운데서 도 뉴딜 정책이 미국의 민주주의를 구원해 줄 수 있는 최후의 보 루라고 역설함으로써 많은 의문점을 제기하고 있다. 여하튼 그의 신보수주의가 뉴딜식 자유주의를 수용한 데에는 상상을 불허할 정 도이다. 단순히 그가 보수주의적 활성화를 위해 전략적인 차원에 서 뉴딜식 자유주의를 수용한 것인가? 이 점은 그의 보수주의 이 론의 발전 과정을 정리해 가면서 밝혀 보기로 하겠다. 역사학과 보수주의 이론의 학술 활동 이외에 비레크는 전후 미 국에서 가장 정열적인 시인 중 한 사람으로서, 1949 년 서정시와 사회적 관찰을 연결시킨 TerrorandDecorum 의 시집 출판으로 퓰리 처 상 Pu lit zer 울 받는 등 재능을 두루 갖춘 학자이다. 한편, 그는 미국 시인협회의 회장직을 맡았으며 이탈리아의 플로렌스 대학에 서 현대 러시아사와 유럽사를 강의하기도 하였다. 1960 년대에 그 는 미국 국무성 문화교류 시인으로 구소련과 유럽 공산국가들을 여행하면서 예프트센코 Yev tu shenko, 포토프스키 Pauto v sky , 솔제니 친 Solzheni tsin , 카자코프 Kazakov 등과 같은 작가들과의 토론을 통 해서 공산국가들이 인도주의, 자유애호정신 및 젊은 문예인들과 노동자들의 문학 활동을 폭넓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95) 비레크는 정당의 국외자로서 문학과 인도주의적인 전통에 뿌리 롤 두고 있는 미국의 신보수주의 운동이 정치적으로 어떤 특정한 계급이나 정당을 지지하는 것보다는 인간 정신에 문화적 영향력을 제공해야 한다고 확신하고 있다 .96) 이와 같은 그의 기본 입장은 보 수주의가 현실 정치에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것보다도 문화적인 확 산울 통해 현실 정치에로의 우회적인 승화를 기도하고 있다. 이 점은 그의 보수주의 이론이 우선적으로 정치 경제적 차원보다도 문화적 차원에 역점을 두고 있는데, 앞에서 언급한 커크의 주장과 일치하고 있다.

비레크의 보수주의 이론 전개 과정에서 우리는 이례적인 국면을 만나게 된다. 그것은 그의 대표작으로 알려 져 있는 또는 〈 사회 주의 적 보수주의 자 Socia l is t Conserva t eur 〉로 자칭 한 점 이 라든가, 〈 나는 정 치인으로서가 아니라 사회주의자로 살고 죽으리라 〉 고 단언했을 때 그가 과연 무엇을 뜻하고 있는가를 파악하는 데 있다 . 9 7) 사실상 메 테르니히의 사회주의는 개인에 대한 보편법의 지배 원칙을 적용하 거나 민주주의, 민족주의, 자본주의, 계급 분열과 같은 당대의 경 쟁적 정치 압력을 조화시킴으로써 사회복지를 극대화시키려 노력 한 것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비레크는 메테르니히의 이 같은 정책 을 인도주의적인 보수주의로 해석하고 있다. 물론 그는 2 0 세기에 해당할 수 있는 메테르니히의 정책을 제안하는 것은 아니었지만, 궁 극적으로는 뉴딜식 자유주의를 수용하려는 이론적 기초를 여기에 서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메테르니히가 20 세기에 생 존했었다면 그는 아마도 제한적 민주정부를 제안했을 것이라고 비 레크는 지적하고 있다 .9 8) 메테르니히와 비레크의 사상에 있어서 보 수주의 철학의 본질은 독일의 문호 괴테 Goe t he 의 유명한 경구 중 〈극기적인 성장 없이 인간의 정신을 해방시키는 모든 것은 사악한 것이다〉란 내용에서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99 ) 비레크는 괴테가 보 수주의와 자유주의의 목적을 종합하고 있다는 점과 메테르니히가 혁명에 대항해서 법의 지배 원리를 수호함으로써 인도주의적이고 자유주의적인 정책을 자유주의적 개혁정책에 접목시킨 이론가, 이 를테면 당대 서구의 정치적 상황 속에서는 어느 보수주의자들보다 도 개혁적인 보수주의자였다고 확인하고 있다 .100)

앞에서도 여러 번 지적했듯이 일반적으로 인간 성격의 원형에 대한 보수주의 이론가들의 견해는 자유주의자들에 비해서 비관적 이고 부정적이다 . 이 문제에 대한 비레크의 접근은 기타 보수주의 이론가들과 유사한 점이 많으면서도 매우 진지하게 전개하고 있 다 . 그가 인간 성격에 대한 전통적인 보수주의의 입장을 취하고 있는 점은 자유의지적인 인간이 대체적으로 야만성, 불법성, 파괴 성 등의 가능성을 갖고 있다는 주장과 보수주의는 근본적으로 원 죄의 신학설을 세속화시킨 것이라는 그의 견해에서 찾아볼 수 있 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성에 대한 오류적 판단의 위험성은 인 간의 역사적 경험을 잘못 이해하는 데서 온다고 한다. 즉, 그는 자유주의와 진보주의가 내세우는 인간성의 명제가 오류임을 지적 하고 있다. 만일, 악이 인간에게 의생적인 것이라고 한다면, 그 악은 자유주의 추종자들에 의해서 제안된 〈합리적인 청사진〉과 〈선 험적 이상사회〉의 방편을 통해서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을 변 화시켜 쉽게 경감될 수 있다고 본다 . 그러나 비레크는 사회개량주 의자들이 내세우는 인간 완전성의 보편화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 며, 오히려 이들은 악의 수단을 그들의 정치적 목적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더 많다고 지적하고 있다 . 101 ) 따라서, 그는 미국의 경우 토머스 제퍼슨 사상으로부터 출발한 인민주의적 전통에서도 볼 수 있는 인간성에 대한 사회개량주의적 오류를 통렬하게 지적하고 있 다 . 그는 사회개량주의자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머지 않은 장래에 당신이 이상사회를 기대한다면 당신은 이상사회가 도 래하지 않았다고 해서 인간 성격 또는 일반 대중을 원망할 수 없 다. 그 대신 당신은 귀족주의자들의 모함설을 만들어 낼 것이다. 다음 단계로는 당신은 이들 부조리한 귀족주의자들을 숙청하기 위 해서 비민주주의적이고 폭력적인 전제정치체제를 수립하게 될 것 이다.〉 102 ) 악은 인간 성격에 자연적으로 내재해 있다. 환경의 개선

이 악을 제재할 수 없다 . 종교, 도덕, 정치만이 악을 제재할 수 있다는 것이 비레크의 기본 이념이다. 따라서, 인간성에 대한 그 의 관점은 가치판단과 종교에 관한 문제를 유도하고 있다. 가치관 문제에 있어서 비레크는 근본적으로 윤리사상에 관한 서 구의 인도주의와 유대교, 기독교적 전통을 따르고 있다 . 그의 주 장에 의하면 인간의 정신적 야망과 내면적 경험으로서의 가치체계 는 그 최대의 권한이 한편으로는 인간주의적 또는 과학적 자연주 의의 명제에 의존하고 있느냐, 아니면 유신론적 초자연주의의 명 제에 의존하고 있느냐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보다도 더 중요하다고 한다 다시 말해서 그는 인간의 가치체계는 개인주의적이기도 하 고 보편주의적이기도 하며 양자의 경우일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 또, 그것온 도덕의 보편타당성에 대한 개인적 책임 그 자체일 수 도 있으며, 인간 성격의 타락에도 불구하고 양심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옳고 그름의 윤리적 판단에 의해서 입증될 수 있는 것이라고 지적한다 .103) 이러한 그의 진술은 어디까지나 기독교적 전통에서 유기체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개인의 양심을 재확인하고 있는 것 이다 . 따라서, 그는 상대론적 도덕철학을 거부하고 있다. 그는 윤리적 이고 문화적인 기준의 보존이 가변적이라기보다는 보편적이어야 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그는 보수주의자들이 합 리론적인 진보주의자들보다 가치체계의 구체성에 대한 보다 탁월 한 감각을 갖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그는 보편적 윤리 를 찬성하는 면에서 견유철학의 〈바보스런 지혜〉―—二그는 합리론 적 진보주의자들의 윤리관을 이렇게 표현함-를 거부하고 있 댜 104) 결과적으로 그의 윤리적 입장은 오히려 고전주의로 표현될 수 있으며, 그 궁극적인 기초는 종교와 인도주의에 연계되어 있으 면서도 개개인의 정신적 가치에 대한 무한한 존경심에 근거하고

있다. 많은 미국인들이 사랑하고 있는 그의 여러 시 작품에서도 보듯이 그가 높이 평가하고 있는 가치체계는 개개인의 정신 활동 울 통한 아름다움과 사랑에 중심을 두고 있으며, 그는 이들 가치 체계가 창조하는 질서 없이는 인간의 존재는 유한하고 혼동적이고 무의미하다고 주장한다 .1 05) 그가 의미하는 신보수주의의 가치체계 는 대륙 계통의 낭만주의적인 가치체계도 아니고, 그렇다고 사회 개량주의자들의 상대론적 도덕철학에 근거를 둔 것도 아니며, 전 통적이고 기독교적이지만 아름다움과 사랑을 창조하는 개인의 정 신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가치체계만이 극좌익과 극우익의 독재로부터 미국을 보호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106 ) 비레크의 사상에 있어서 종교(기독교)는 그것이 인간 정신의 무 한한 가치를 최대한으로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보수주의 이론에 가장 기초적인 것이라고 확인되고 있다. 그는 종교는 형제애와 도 덕적 제재력으로서 하나의 자유사회를 지탱해 나갈 수 있다고 지 적하고 있다. 따라서, 서구 사회에서 보수주의를 위한 기독교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비레크의 입장은 주로 기독교의 사회적 유용성 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확실하다 .107)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기독 교의 전통적인 신앙과 정치의 직접적인 제휴에 대한 엘리엇 T.S. E li o t의 주장을 비판하고 있으며, 현실 정치에 대한 기독교의 직접 적인 표출은 독선적인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 108 ) 이 같은 그의 주장은 오늘날 근본주의 적 Fundamenta list 기 독교 단체의 극우세력이 현실 정치에 직접적으로 부상하고 있는 점을 경고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그는 기독교에의 충성심이 서구 사 회의 반유대주의적 경향의 퇴치 운동을 수반할 것이라는 점을 강 조하고, 과거 기독교와 보수주의의 역사 속에서 볼 수 있었던 반 유대주의적 성향을 공격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그는 특히 히틀러의 이단적이고 인종주의적인 소위 〈적극적인 기독교사상

Pos iti veC hri s tianity 〉 을 혹평하고 있다 . 1 09) 그리고 그는 스페인의 프 랑코 Franco 에 의한 가톨릭적 독재정치를 비판하고 있는데, 이 점 은 자신의 신보수주의 사상을 단순한 반동주의적 보수주의와 구별 하고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다 . 1 1 0) 비레크는 구교와 신교에 관계없이 기독교는 보편적 형제애를 가 장 중요한 신조로 삼고 있기 때문에 민족주의와는 일치하지 않는 다고 주장한다. 특히, 그는 로만 가톨릭 교회의 국제주의적 성향 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그의 보수주의 사상 속에 서 미국 외교정책의 국제주의적 역할, 특히 미국 특유의 국제적 우월감을 찾아볼 수 있다 . 〈싫든 좋든 간에 역사는 미국에게 소련 의 세계 정복에 맞설 보루로서의 위대한 보호자의 임무를 부여하 였다 . 우리 공화국이 이 지구상에서 사라진다면 그것은 국제주의 적 간섭과 모험적인 제국주의 때문이 아니라 신고립주의 및 역사 적 임무의 위대성으로부터의 회피를 통해서 나타날 것이다. 〉 라고 피력하고 있다 .111 ) 따라서, 그는 기타의 보수주의 이론가들보다도 미국이 베트남에 대한 전체주의의 도전에 저항해야 된다고 더 적 극적으로 주장하고 있다. 더 나아가서 그는 유엔의 기본 이념을 수락하고 메테르니히 이후 서구 사회의 경제 정치적 통합을 위한 모든 노력을 지지하고 있다 . 이러한 관점에서 가장 중요하게 지적 되어야 할 점은 비레크가 그의 보수주의적 국제주의를 기독교 신 앙의 윤리적 지상명령으로부터 직접 유도해 내고 있다는 사실이 다 . 11 2 ) 위에서 지적했듯이 일반적으로 비레크의 보수주의 사상은 정치 와 경제의 차원에서보다도 문화 일반의 차원에서 역사, 종교, 도 덕 및 예술 등의 복합체로서의 보수주의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럴 경우 그의 보수주의 이론은 너무 추상적이기 때문에 교의적 인 것으로 입증될 수 있는 보편타당한 개념으로 정립되기가 어렵

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11 3) 이러한 이유 때문에 비레크도 자신을 포함한 보수주의 이론가들이 자유주의자들과의 이론 논쟁에 있어 서 항상 체계적인 대응을 하기가 어렵다는 점을 스스로 인정하고 있다 .11 4) 그러나 그의 보수주의 사상이 교의적인 성격을 결여하고 있다고 해서 우리는 그의 문화적 보수주의의 중요성을 현대의 보 수주의 사상에서 외면할 수는 없는 것이다. 사실상 그의 문화적 보수주의에 대한 일반적 인식의 보급은 미국의 정치 경제적 이념 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자유주의적 보수주의 이론이나 혼합적 보수 주의 이론보다도 기능적인 면에서 미국의 보수주의 운동과 그 방 향 설정의 활성화를 더욱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었다. 이 점이 바 로 신보수주의 이론을 전개했던 비레크의 의도였다고 본다. 다음으로 우리는 신보수주의 이론이 학문적으로 무엇을 다루어 야 하며, 또 어떻게 전개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비레크의 기본적인 입장을 요약해 볼 필요가 있다. (1) 역사적으로 보수주의 이론은 추상적 개념보다는 구체적 사 실들간의 유기적 관계를 분석하는 이론으로서, 〈역사가 발전하는 방법 을 경 청 하는 예 술 The art of liste n i ng to the way histo r y gr ows 〉이 라고 정의하고 있다 . 115) 이 문제와 관련해서 그는 노예제도와 같은 전통이 버크 보수주의 사상의 윤리적 원칙에 의해서도 정당화될 수 없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보수주의가 국교주의, 현상유지주의 Sta n dp at ti sm 또는 과거 에 대 한 무비 판적 전통주의 등과 혼동되 어 서는 안 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오히려 그의 신보수주의는 전통과 역사에 대한 〈신선하고 창조적인〉 접근 방법, 죽 유기체적인 통일 체 내에서 진정한 전통의 원형과 진정한 자유가 상호의존적으로 밝혀질 수 있는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116) (2) 종교, 문학, 도덕 및 철학 등의 복합체로서의 문화적 보수 주의는 과거 합리주의와 진보주의에 의해서 사회 발전에 지불된

비용을 계산하는 〈 정신적 산술 S pi r it u a l arit hme ti c 〉 이라고 그는 정의 하고 있다 . 117 ) 이것은 그가 사용한 새로운 개념으로서 합리주의, 산 업주의, 유물론적 진보 이론이 대변하는 경제주의가 서구 문명의 뒤편에서 서구 사회에 미친 부정적인 면을 면밀히 밝히고 서구 전 통에 맞는 가치 재발견의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 따라 서, 이러한 가치 재발견의 신보수주의가 앞으로 젊은 세대에 호응 할 것이라는 점과 서구의 총체적인 문명이 세대들간에 전수될 수 있도록 활성적이고도 능동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그는 확신하고 있다 .11 8) (3) 여기서 우리는 비레크의 신보수주의 이론 전개에 있어서 가 장 논란이 제기될 수 있는 국면에 이른다 . 이것은 바로 그의 신보 수주의 이론이 미국식 자유주의에 접근하고 있는 점이다. 즉, 〈 정 신적 산술〉은 미국식 자유주의에서도 가치를 재발견할 수 있다는 말과 다름이 없다 . 시와 산문과의 관계가 성립되듯이 보수주의는 미국식 자유주의와 관계를 맺을 수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그는 신 보수주의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왜냐하면, 그는 , 보수 주의는 진리를 구체화하는 경향이 있고, 자유주의는 진실을 파악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그는 보수 적 , 시적 직관주의자는 자신이 정의하는 대로 살아가려고 하는 반 면, 자유적이고 산문적인 합리주의자는 자신의 생활을 정의하려고 만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119) 이 문제에 있어서 우리는 인지와 행 동의 지배적인 양식으로서의 원형과 형식을 대조시키고 있는 비레 크의 이론적 입장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점을 더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그의 말을 직접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의미 있 는 도덕적 선택은 순응과 비순응 간의 선택이 아니고, 형식적인 가치에의 순응과 창조적인 문화에 의해서 공유되는 고전적이고 영 구적인 원형적 가치에의 순응 사이의 선택이다. 원형적인 가치는

역사를 통해서 점진적으로 그리고 유기체적으로 성장해 온 것이 댜 형식적인 가치는 대량생산의 기계적인 과정에 의해서 신속하 고 용이하게 그리고 인위적으로 형성되어 온 것이다.〉 120 ) 여기에서 비레크는, 보수주의 사상온 원형으로서의 합리주의와 자유주의의 모든 교의와 추상이론(예를 들면 자연법과 사회계약이론 등등)의 형 식적인 경향이 있다고 단언하고 있다. 한마디로 말해서 신보수주 의와 자유주의는 각각 서구 전통의 원형과 형식이며, 결과적으로 원형에 형식을 접목시키는 차원에서 그는 신보수주의의 새로운 방 향을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비레크가 이상에서 설정한 보수주의의 원형 개념은 보수 주의의 분류를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그는 보수주의 롤 좌익과 우익의 극단적인 입장에서 각각 자유주의 사상과 권위 주의 사상에 관련되는 계속성의 선상에서 보고 있다 . 그는 이러한 구체적인 사상가들을 예로 들면서 자유주의적 보수주의자 버크와 반혁 명 주의 자 메 스트르 Jose p h de Ma ist re , 그리 고 그 중간 위 치 의 보수주의자 메테르니히룰 들고 있다 .1 2 1 ) 즉, 그의 보수주의 사상은 좌익과 우익의 어느 한 중간에 위치하는, 말하자면 오늘날 미국의 현실 정치에서 뉴딜식 자유주의와 공화주의적 보수주의 사이에서 이념적 접목 현상이 일어나는 어느 중간 위치의 정치이념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러면서도 그는 미국 역사 속에서 존 애덤스에 의해 서 계승된 버크의 자유주의적(또는 개혁주의적) 보수주의의 입장을 선택하고 있다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 . 더 나아가서 그는 보수주의 의 원형에서 사회주의적 보수주의자로 자처했던 메테르니히의 사 상적 입지를 확인하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는 사회주의 와 자유주의의 혼합체가 개인의 자유와 서구 사회의 전통을 보존 하고 유기체적 진화를 수용한다면 사회주의와 자유주의의 통합으 로 나타나는 정치 경제 체제를 이론적으로는 반대하지 않고 있다.

우리는 좀더 구체적으로 현대 자유주의(특히 뉴딜식 자유주의)에 대한 비레크의 견해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자유주의의 광범한 보급은 보수주의의 보급과 마찬가지로 정부와 사회의 생존력에 필 요한 것이다 . 죽, 정부와 사회의 유기체적인 존재는 시공간의 차 원에서 보수주의와 자유주의가 서로 밀고 당기는 힘에 의해서 일 종의 부력에 의한 균형과 생존력을 유지하고 발전해가는 것이다 . 다시 말해서 정부와 사회의 유기체적인 존재는 보수와 진보의 양 자간에 밀고 당기는 힘이 없어지면 파산하고 정지해 버린다. 여기 에서 비레크는 이에 대해 간단한 은유 형식으로 설명하고 있다. 〈공 화국이든 군주국이든 모든 계명되고 합법적인 정부는 마치 자동차 가 브레이크와 가스를 모두 필요로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보수주 의자들과 자유주의자들을 필요로 하고 있다. 급진주의는 브레이크 없이 전속력으로 달리고 있는 자동차로, 반동주의자는 브레이크를 밟아 옴짝달싹할 수 없는 자동차로 각각 정의될 수 있다.〉 1 22) 이 같은 비유 설명은 〈브레이크=보수주의〉 또는 〈가스=자유주의〉와 같은 등식이 성립하는데, 자동차의 주행 방향이나 목표와는 아무 런 관계가 없다는 근거에서 비판을 받을 소지가 있다 .1 2 3 ) 그러나 그는 미국의 자유주의와 보수주의가 기본적인 명제, 기술적인 면 또는 급격하고 불연속적인 변화에 대한 기본 입장에 있어서는 견 해를 달리하고 있지만, 시민 자유의 유지, 사회복지의 발전, 전체 주의에 대한 저항 등과 같은 정책면에서는 별로 차이가 없다고 주 장함으로써 이상에서 지적한 비판의 가능성을 반박하고 있다. 그 는 이 점을 다음과 같이 적절히 표현하고 있다. 〈자유주의자는 인 간의 사회적 임무를 · 악이 없어지는 하나의 세계를 창조하는 것으 로 보고 있다. 이런 임무 수행을 위한 인간의 도구는 진보의 계명 인 것이다. 보수주의자는 인간의 사회적 임무를 악이 영원히 지배 하고 정의와 동정의 감정이 항상 필요한 현실적인 세계와 타협하

는 것으로 보고 있다 . 12 4 ) 비레크가 지적하듯이 보수주의와 자유주의가 근본적으로 같은 것은 아니지만, 오늘날 미국의 현실 정치에서 보듯이 그들간의 정 치 경제 사회적 상이점은 항상 근본적인 것은 아니라고 본다 .1 251 보수주의 철학과 자유주의 철학의 지속적인 경쟁은 악톤 경 Lord Ac t on 이 지적한 바와 같이 우익과 좌익의 경쟁이기 때문에 이들간 의 경쟁이 비극적이라고 비레크는 지적하고 있다. 또한, 그는 보 수주의와 자유주의는 미국의 지배적인 자유주의의 역사로 인해서 그 구분이 모호해진 반면에, 인간의 성격은 이들 각각의 세계관을 심리적으로 불가피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한쪽이 없으면 다른 한 쪽이 불완전할 정도로 서로 보완적이었다고 단언하고 있다. 미국 의 정치이념사에 대한 비레크의 이 같은 해석에는 결국 미국의 역 사에서 보수주의와 자유주의 간의 긴장은 있었지만 항상 절충식의 긴장 해소가 있었다는 주장을 유도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 따라 서, 그는 냉전시대에 와서 보수주의와 뉴딜식 자유주의의 긴장 관 계를 원형과 형식의 융합으로 해소하려고 이론적으로 시도한 것이 다. 이런 점에서 그가 정치이론의 발전에 대하여 가장 공헌한 것은 보수주의와 자유주의의 이론적 접목과 조화 그리고 급진주의, 비민 주적 사회주의, 비개혁주의, 반동주의와 같은 위협에 대항해서 이 들 양자간의 협력을 가능케 한 점이라고 확언할 수 있다. 여기에 서 우리는 그가 근본적으로는 전통주의적 보수주의 이론가이면서 도 자유주의적 보수주의 이론가로 비판받는 이유를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비레크의 보수주의 사상에서 경제와 정치 및 인간 존재와의 관계를 밝히고 있는 보편주의적 인도주의의 내용을 요약해 볼 필요가 있다. 첫째, 그는 현대의 과학기술 발전과 보수주의를 조화시키려는 어떠한 노력도 철저하게 배격하고 있다. 죽, 그는 과학기술의 지

배 원리(합리성과 효율성)에 의한 현대 산업사회의 구조적 병폐를 통렬히 비판하고 있다 . 126)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현대의 경제 사 회적 복합성이 기존의 가치체계를 파괴하지 않을 것이라는 희망을 시사하고 있는데, 이러한 선행조건으로는 과학기술이 인간 정신의 수단이 되어야 할 것을 전제로 명시하고 있다 . 127) 둘째, 비레크는 원자론적인 고전적 자유주의 경제이론과 오늘날 미국에서 난무하고 있는 급진적 극우집단의 고전적 공화주의를 철 저히 공격하고 있다. 그는 국가의 간섭을 제한하고 있는 자유주의 적 경제이론을 배격하고 있는데, 이러한 자신의 사상적 입장을 토 리 Tory 사회주의로 정의하고 있다 . 1 28) 이러한 개념은 국가 기능에 의한 사회 발전을 통해서 국가가 유기체적으로 사회 구성원들을 고리로 연결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하고 있다. 그러나 유기체적 단일체가 개인의 자유를 침해할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 고, 그는 체 감효용의 한계 Margi n of dim inish i ng u ti l ity의 경 제 개 념 을 이 용하여 국가주의 적 한계 Sta t is t m ar gi n 에 의 한 인도주의 의 극 대화를 꾀하고 있다. 따라서, 비레크의 경제 분석에 있어서 복지 와 개혁을 포함하는 국가의 활동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지만, 국가주의적 한계에까지 접근해야 된다는 그의 인도주의적인 입장 이 함축적으로 나타나 있다. 셋째, 비레크는 뉴딜 정책과 노동운동에 대한 그 나름대로의 인 도주의적인 입장을 갈파하고 있다 . 앞에서도 지적하였듯이 이 점 은 비레크와 기타 신보수주의 이론가들간의 상이한 입장을 가르는 분기점이 되고 있다. 그는 뉴딜 정책과 같은 인도주의적 사회개혁 이 자유주의적 경제질서를 거부하는 것과 같은 인상을 준다 하더 라도 그것은 근본적으로 도덕적 부정이 될 수 없다고 선언하고 있 다. 그리고 이 같은 뉴딜 정책을 통한 사회 안정의 증대는 자유의 상실보다는 작은 것이라고 그는 단언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루스벨트 이후 미국의 뉴딜식 자유주의를 인도주의적인 자본 주의 Humaniz a ti on of ca pit a li sm 로 규정 하는 등 중세 사회 의 동업 조 합의 대치물로 현대 사회에 등장한 노동조합의 중요성을 서슴없이 강조하고 있다 . 1 29) 여기에서도 우리는 그의 신보수주의 이론에서 줄기차게 흐르고 있는 원형(보수주의)과 형식(자유주의)의 접목 현 상을 인도주의로 채색하고 있는 점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그의 보수주의 사상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항상 그가 근 본적으로는 버크주의적 보수주의의 원형에 중심을 두고 그 원형에 형식을 끌어들이고 있는 이론적 골격을 놓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비레크의 보수주의는 2 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체제를 구축해 가 는 과정에서 버크의 보수주의 사상을 계승함으로써 1930 년대 이후 뉴딜식 자유주의에 밀려 활력과 방향 감각을 상실했던 미국의 보 수주의를 부활시키는 데 중요한 초석을 마련하였다고 본다. 한 편 , 그의 사상은 근본적으로 인간의 정치 경제적 자유를 목전에서 약속하는 전략과 정책을 의면한 일반 대중에게는 인기 없는 보수 주의 사상이었다. 그러나 서구의 합리주의와 실증주의에 의해서 창출된 상대론적 도덕론에 용감하게 도전했던 그의 보수주의 사상 은 양식 있는 지식계층에 의해서 많은 호응을 일으켰고, 결과적으 로 일반 대중에로의 파급 효과를 유도하였다고 본다. 즉, 그의 보 수주의 사상온 1960 년대 사회 기층의 잠정적인 보수세력에 활력소 를 제공하였고, 급기야는 1980 년대에 와서 보수적 기층세력을 미 국의 정치 무대에 등장시키는 데 이론적으로 많은 공헌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그의 보수주의가 근본적으로 버크의 보수주의에 뿌리를 두고 개혁주의적 보수주의의 선상에서 뉴딜식 자유주의를 수용하 는 이론 전개 과정에서 분명히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미국의 역사 발전과정을 단순화해서 설명할 때 보수주의를 주축으로 한

보수주의와 자유주의의 보수지향적 접목 과정으로 보는 그의 이론 적 입장은 과연 옳은 것인가? 앞에서도 지적하였듯이 미국의 역사 발전 과정이 로크적 자유주의로 일관되어 왔다고 해석하는 하츠 Louis H art z 의 시각도 있다 . 이렇게 볼 때 비레크의 이론 전개 과 정에서 핵심으로 간주되는 원형과 형식의 관계 이론 중 원형과 형 식의 원형지향적 접목 현상, 죽 보수주의와 자유주의의 보수지향 적 통합 현상은 논리적으로 보아 어쩔 수 없이 반쪽의 진실일 수 밖게 없다 . 다시 말해서 미국의 정치이념을 대변하고 있는 보수주 의와 자유주의 가운데 어느 것이 원형이고 어느 것이 형식이냐 하 는 문제는 끝없는 논쟁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어차피 우리는 미 국의 역사를 볼 때 항상 보수주의의 패러다임과 자유주의의 패러 다임의 지속적인 긴장 관계가 유지되어 왔고, 또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는 객관적인 입장에 설 수밖에 없다 . 여하튼 그의 보수주의 사상은 버크의 보수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뉴딜식 자유 주의를 수용함에 있어서 근본적인 한계점을 드러내 보일 수밖에 없다. 이상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그의 보수주의가 안고 있는 한계점 은 단점일 수도 있지만, 그의 보수주의 이론은 미국 현실 정치의 중도세력(보수주의자들과 자유주의자들의 편의적 규합)을 동원할 수 있는 이론적 장점을 지니고 있다고 본다. 사실상 그의 보수주의 이론은 냉전시대에 와서 전체주의의 도전에 대항했던 보수주의자 들과 자유주의자들의 정 치 적 인 단합 Coal iti on 뿐만 아니 라 미 국의 보수정치의 이론 발전에도 공헌한 바가 크다고 평가할 수 있다 . 어떻게 보면 비레크는 서구 문명의 전통을 강조한 고리타분한 보 수주의 이론가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는 서구 문명의 전통만을 강조한 반동주의자들과 비개혁주의자들이 범하기 쉬운 완고한 보 수주의의 한계롤 초월해서 자신의 문화적 보수주의의 차원을 보수

적 사회 기층세력의 현실 정치로 승화시킨 개혁적 보수주의자였 다. 그렇다고 그는 특수한 보수 정당의 당원도 대변인도 아니었 다. 오히려 그는 미국의 보수적 지식계층의 대변인으로 자유스러 운 학술 활동을 통해 미국의 미래지향적 보수주의의 비전을 제시 한 점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신보수주의의 방향 결론적으로 커크와 비레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검토하면서 이 들이 제시하고 있는 신보수주의의 방향을 정리해 보기로 하겠다. 과연 이들이 내세우는 신보수주의의 방향이 특히 미국의 보수주의 발전 과정에서 볼 때 어떠한 의미를 담고 있는가 하는 문제에 대 한 해답은 보는 사람의 시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래 서 우리는 이들이 의미하는 신보수주의의 올바른 방향을 정확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우선 현대 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인문과학적인 접근 방법을 시 도함에 있어서 이들은 문학적 창작, 죽 커크는 소설, 비레크는 시 창작에 몰두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업적은 서로 보완적인 성 격을 갖고 있으며, 특히 비레크의 경우 그들의 정치성향적인 작품 의 내용을 문학적으로 보충하고 있다 . 또한, 커크는 문학이 정치 이론가들의 작품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미국인들의 정치적 행태에 도 영향을 준다고 다음과 같이 확신하고 있다. 〈차원 높은 문학과 저질의 문학은 개인의 성격과 공화국의 정책에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건전한 정치이론과 실천은 개인의 덕성을 향상케 한다. 죽, 품위가 없는 정치는 인간 성격의 질적 저하를 초래한다. 만 일, 윤리적 이해력이 현대의 문학과 정치의 무대에서 무시된다

면, 우리는 개인적 욕구와 억압적인 정치권력 앞에서 무방비의 상 태에 직면하게 된다 . 〉 1 30) 더 나아가서 커크는 인간 성격에 대한 교 희, 가정 등과 같은 외적인 제재력에 문학을 첨부하고 있다 . 뿐만 아니라 커크는 문학이 인간 성격에 대한 모든 외적 제재력 가운데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고 다음과 같이 언명하고 있다. 〈 이 같은 공통적인 세습 재산들 가운데 문학은 정치적 전통보다 영속 적인 것이다 . 문학의 걸작들은 우리들을 지적인 공동체에 합류시 킨다 그리고 영속적인 문학의 윤리적 역할, 즉 상상력에 의한 작 품은 종교의 교리나 정치 원리만큼 규범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문학은 인간의 근본적인 문제를 우리들에게 가르치고 있다. 〉 1 3 1 ) 커 크에 의하면 문학은 동시대의 사회적 통합력으로 작용할 뿐만 아 니라, 인간을 전통에 연결시키는 역사적 통합력과 마찬가지로 과 거와의 가교 역할을 이행하고 있다고 본다. 이 점을 그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 〈 두 가지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면 한 세대는 다음 세대로 연결될 수 없다 . 이들 영향력이란 종교적 전통과 문 학의 연속성인 것이다. 문학은 사회의 호흡 기능을 하는 동시에 대대로 계승되는 세대로, 한 세기에서 다음 세기로, 일종의 인간 의 집단적인 지식, 죽 선조들의 지혜를 담고 있는 윤리적 원칙, 비 판적 기준 및 상상력 있는 창조 등의 집합체에로 전승되고 있는 것이다.〉 132 ) 결론적으로 그는 문학의 목적은 인간의 소중한 취미일 뿐만 아니라 영구적인 것의 보전과 무한한 발전으로 이어진다고 진술하고 있다. 133) 이러한 견해를 감안한다면 얼른 보기에 커크가 선택한 중세 소 설의 장르는 그가 문학에서 추구하는 목적과는 거리가 먼 것같이 보인다. 그러나 그의 사상을 고려해 보면 이 같은 장르가 그의 보 수주의적 세계관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그 같은 소 재의 선택은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커크는 전통적인

중세풍의 배경을 통해서 진정한 인간상을 표현하기 위해 극단적인 이데올로기가 궁극적으로는 실패하고 만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 그는 이 같은 전체주의적인 성향이 추상적인 이데올로기를 표현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이데올로기 선동가들의 성격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 결국, 그는 과거의 시 대로 회귀함으로써만 인간이 현대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는 사 실을 시사하고 있는 것 같다. 문학비평가들이 그롤 소설가로 인정 은 하고 있지만 미국 문학에 있어서 그의 영향력은 미미한 것이었 다 . 그러나 그의 근대주의에 대한 비평가로서의 명망은 높이 인정 받고 있다. 비레크는 시를 통해서 근대주의의 타락상을 고발하고, 결과적으 로 이러한 타락상이 전체주의적 형태를 취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 하고 있다. 비레크의 시를 비평하는 사람들도 그의 시 세계와 현 대 사회의 가치 비판 사이에는 밀접한 연계성을 갖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 1 34) 또한, 그는 시를 통해서 인간 성격에 대한 자유주 의적인 견해가 옳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고 인간 성격의 이원성, 즉 인간의 타락상과 고귀성의 공존을 주장함으로써 전통적인 보수주 의의 입장을 표현하고 있다 . 커크의 문학에 비해서 비레크의 시 문학온 미국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그 이유는 바로 그의 시가 이념적 깊이뿐만 아니라 풍부한 감정을 함께 표출하고 있기 때문 으로 볼 수 있다 . 그는 시 문학이 정치에도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는 확신을 저버리지 않고 시를 통하여 그의 기본적인 철학을 훌륭 하게 소화시킨, 20 세기의 보수주의를 대변한 시인이기도 하였다 . 앞에서 검토하였듯이 철학적인 면에서 커크가 순수한 버크주의 자였다고 한다면 비레크는 버크주의의 현대적 변형의 대변자였다 고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비레크가 자유주의의 형식을 수용하고 있으면서도 버크주의의 원형에서 일탈하지 않고 자유주의의 가치

관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현대 사회에 대한 이 들의 인식론은 하등의 차이가 없다고 본다. 그러면서도 이들의 견 해 차이는 1960 년대에 진행되었던 이들의 대화를 통해서 나타나고 있다 . 이들의 대화를 정리해 볼 때 분명한 것은 기본적인 철학의 차이점들이 암시되어 있는가 하면 그들의 명확한 차이점이 정치문 제에서 나타나고 있다. 첫 째, 이 들은 골드워 터 Ba rry Goldwa t er 의 보수주의 에 대 해 서 로 다른 견해를 표명하고 있다. 우선 비레크는 여러 가지의 근거에서 골드워터를 사이비 보수주의자로 취급하고 있다. 커크는 그를 영 국에서의 디스렐리와 같은 개혁주의적 보수주의자로 평가하고 있 는 데 비해서 비레크는 그를 사회개혁의 적으로 취급하고, 그를 디스렐리와 비교하는 것은 오류라고 지적하고 있다 .1 35) 특히, 경제 적인 차원에서 골드워터는 어떤 형태의 유심론 사상과는 거리가 멀고 오히려 유물론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는 영국 맨체스터 학파 의 자유방임주의적 자유주의자라고 그는 다움과 같이 평가하고 있 다 .136) 〈골드워터는 경제적인 유물론이 인간의 기본적인 동기유발 이 된다고 피력하고 있다. 이 점은 애덤 스미스 AdamS mit h 도 동 의할 것이다. 물론 칼 마르크스는 두말할 필요도 없다. 여기에는 보수주의적이고 전통적인 정신적 가치와 골드워터의 자유주의적 유물론 사상을 밀착시키고 있는 이론가들이 근본적으로 골드워터 를 잘못 해석하고 있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137) 골드워터는 미국 노동 지도자들의 음모설을 경고하는 등 노동자들이 물질적 배분의 정당한 권리를 주장하는 노동조합을 허용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골드워터의 주장이 현대 보수주의의 포괄성을 결여하고 있 다고 비레크는 지적하고 있다 .138) 앞에서도 지적했듯이 비레크는 노동조합운동을 현대 미국 민주정치의 중요한 제도의 하나로 받아 들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그는 노동조합운동이 보수

주의의 보루가 된다는 점을 역설하고 있다. 그는 타넨봄 Frank Tannenbaum 의 저 서 『노동의 철학』 에서 나오는 기 본 전제 를 다음과 같이 인용하고 있다. 〈노동조합주의는 오늘날 우리 시대의 보수주 의 운동인 것이다 . 이 운동은 반혁명적인 정신을 대표하고 있다. 현실적인 차원에서 이 운동은 프랑스혁명에서 유래되고 있는 혁명 적 전통을 거부하고 있다. 또한, 이 운동은 마르크스주의를 전적 으로 부인하고 있다 . >139 ) 골드워터에 대한 비레크의 이 같은 비판은 그의 정책에 대한 비 판에 비교한다면 사소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 골드워터는 매카시 McC arthy류의 억압정책을 끝까지 지지하면서 지금까지 보수주의 의 세계에서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던 수단과 목적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 무감각했던 것이 사실이다. 어느 누구도 시민적 자유를 위 반해 가면서 공산주의의 전제정치에 대항하기 위한 시민적 자유를 옹호할 수는 없다. 이러한 점에서 비레크는 매카시가 공산주의를 공격하는 바로 그 방법 때문에 오히려 공산주의를 돕고 있다는 점 을 지적하고 있다 .1 4 0 ) 커크는, 골드워터가 매카시의 병적인 홍분에 대항해서 단호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오히려 골드워터의 매카시 에 대한 관용성을 지적하고 있지만, 그 관용성이란 존 버치회 Joh n Bir ch Soc i e ty의 주장에 비 하면 차라리 온건론적 인 입 장이 었다고 볼 수 있다. 커크의 입장이 그렇다고 해서 비레크가 커크를 매카시주 의자로 비난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 그러나 이러한 커크의 입장은 어떻게 보면 중요한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데, 골드워터에 대한 온건론적인 태도는 버크 사상의 대변가로서의 사상적 위치에 의문 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 점에 대해서 비레크는 다음과 같이 언 명하고 있다. 〈반매카시주의자로서의 면모를 보여 주고 있지만 신 보수주의자로서의 러셀 커크는 미국과 유럽의 우익 권위주의자들 에 대항하는 기타의 신보수주의자들의 분명한 태도를 견지하는 대

실패하였다.〉 1 4 1 ) 따라서, 비레크는 사상가로서의 커크가 닉슨과 골 드워터를 적극적으로 지지했던 것과 같은 사건에 있어서는 별 문 제가 되지 않더라도 매카시주의에 대한 모호한 도덕적 판단에 있 어서는 결국 궁지에 빠지고 말았다고 확신하고 있다 . 1 42) 그러나 매카시주의에 대한 커크의 온건론적인 입장을 예리하게 평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레크는 커크에 대한 존경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 그는 커크에 대한 자신의 비판이 오류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 〈무슨 이유 때문에 우리는 여러 신보수주의자들 가운데서 커크를 지목하고 있는가? 그는 이 들 이론가들 가운데서도 가장 많은 존경을 받고 있다. 그는 콜러 릿지 Coleri dg e, 산타야나, 어 빙 배 빗뿐만 아니 라 버 크에 이 르기 까 지 이들의 사상을 가장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다 . 〉 14 3 ) 비레크에 의 하면 비정치적인 분야에 있어서 커크의 보수주의적 분석은 핵심을 벗어나지 않고 있지만 그의 정치 경제에 대한 분석은 원초적인 보 수주의의 원칙을 고려하지 않고 피상적인 보수주의 성격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심각한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 역설적으로 비레크는 보수주의에 대한 그의 상황적인 개념에 있어 서조차도 비원칙적인 입장을 표방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커크를 바판하고 있는 것 같다 . 한편, 커크는 비레크가 인간 성격의 모호성을 강조하고 있는 점 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고 있다 . 〈낭만주의를 증오하고 고전주의를 옹호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레크는 그가 인간의 자발성, 독창 력, 편협성을 언급할 때 오히려 감상적인 낭만주의에 깊이 빠져들 어 가고 있다. 자발성, 독창력 및 편협성은 인간의 생활과 문학에 있어서 옹당한 몫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 그러나 이들 인간 의 성격이 규범과 동떨어지게 되면, 다시 말해서 일반적 원칙과는 무관하게 될 때 인간의 자발성은 홍분 상태를 유도하게 되고, 독창

력은 공격적인 이기주의로 정향화되며 편협성은 나쁜 결과를 초래 하게 된댜 나는 비레크가 규범을 인식하지 않고 있다고는 생각지 않는다. 다만, 나는 그가 논리적 전개에 있어서 스스로의 모순에 빠지고 있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할 따름이 다 . 〉 1 44) 여기에서 커크의 비판은 비레크가 범하고 있는 오류의 정 곡을 지적하고 있다. 사실상 전통적인 보수주의 원칙에 비추어 볼 때 비레크는 유기체적인 사회의 통일성과 교의적인 준거를 강조하 지 않는 반면에, 하나의 이상으로서의 자기 표현을 과장하고 있는 것같이 보인다 . 그러나 여기에서 커크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놓 치고 있는 것이다. 우선 비레크는 아이젠하워 시대의 상황 속에서 그가 보았던 압도적인 지식의 남발과 독창력에 대응해서 고의적으 로 이 같은 인간 성격을 과도하게 강조한 것이라고 본다. 비레크 에 의하면 현대의 위기는 지적인 무정부 상태에 있는 것이 아니라 창의력의 뇌사 상태에 있다고 본다. 다시 말해서 비레크는 현재에 초점을 두고 사물을 파악하고 있는가 하면, 커크는 과거와 현재의 시각에서 사물을 비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개인의 독창력과 규범 사이에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점에 대한 커크의 비판 은 한마디로 불가해한 것이라고 본다. 더구나 커크는 비레크의 시 작품을 충분히 읽어 보지 않았기 때문에 비레크의 이론과 행동을 오해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그는 비레크의 이론을 자유주 의의 선상에서 평가하는 등 그의 버크주의적 보수주의 신조에 대 해서 많은 의문점을 제기했다. 커크는 보수주의의 상황적인 개념에서 볼 수 있는 비레크의 보 수주의 정치 형태를 비판하고 있다. 커크와 골드워터에 대한 비레 크의 비판에 맞서 커크는 비레크에게 다음과 같이 항변하고 있다. 〈피터 비레크는 젊은 보수주의자들이 그를 진정한 예언자로 생각 지 않고 골드워터 상원의원을 따르고 있는 것을 몹시 괴로워하고

있다. 그는 미국의 진정한 보수주의적 정치인들은 케네디 대통령 과 아들라이 스티븐슨 Adl ai S t evenson 이라고 선언하고 있다. 보수 주의자들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공화당의 지도력에 만족하게 생각 지 않지만 현재의 자유주의자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지도자들을 영 옹으로 생각하고 후일 보수주의적 변증을 통해서 자유주의적 조치 를 강구하는 일련의 보수주의를 받들게 된다는 것은 놀라운 사실 이 아니다.〉 1 45 ) 여기에서 우리는 신보수주의에 대한 문제의 핵심을 보게 되는 것이다. 사실상 이상에서 커크가 지적한 형태의 보수주 의 운동을 신보수주의로 명명한 사람은 비레크였다. 그가 사용한 용어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이었을까? 특히, 보수주의를 〈새로운〉 의미로 사용한 것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이런 등등의 문제가 제기 될 수 있다. 확실히 비레크에게 있어서 〈새로운〉 의미는 정확하게 말해서 보수주의의 목적을 수행하는 자유주의적 방법론을 의미하 는 그의 의 도를 강력 하게 반영 하고 있다. 그는

가 바로 치료자가 될 수 있다고 언명하고 있다 . 147 ) 그러나 미국에 서 이러한 자유주의와 보수주의의 유대 관계는 수백 년 동안 유지 되어 왔기 때문에 그 역시 보수주의에 대해서 〈새로운〉 용어를 사 용하는 것이 오칭일 수도 있다고 자인하고 있다. 그는 이 점을 다 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 1688 년 영국의 명예혁명 이후 자유주 의와 보수주의의 전통은 1787 년 미국의 헌법의회를 통해서 로크의 자유주의와 버크의 온건론적인 보수주의와의 혼합 형태로 미국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 연방주의자들과 제퍼슨주의자들로부터 오 늘에 이르기까지 미국의 경쟁적 정당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이 같은 혼합 형태의 성격을 유지해 오고 있다. 미국의 역사는 온 건론적인 자유주의와 온건론적인 보수주의 사이의 유사성에 근거 를 두고 있다 . >14 8) 커크에게 있어서 신보수주의의 〈새로운〉 개념은 그것이 처해 있 는 새로운 상황을 의미하고 있다. 비레크가 신보수주의에서 사회 적 통합을 유지하기 위한 이데올로기들 간의 휴전을 제의한 것이 라면 커크는 보수주의적 이데올로기의 순수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신보수주의가 지적으로 새롭게 무장을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더 나아가서 커크에게 있어서 〈새롭다〉는 의미는 보수주의 가 과거의 무력한 상태에서 벗어나 미국 정치에서 강력한 호소력 울 발휘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롤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채 프먼 P hilip C.Cha p man 은 커크 견해의 선상에서 일반 대중의 가치 관과 문화에 대한 신보수주의의 비판이 전통적인 기능에서 머무를 것이 아니라 현대 사회의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되며, 이러 한 보수주의적 세력이 전통적인 귀족주의에서가 아니고 미국 대중 사회 속에서 나타나야 된다고 설파하고 있다 .149) 채프먼의 이러한 주장은 커크가 지적하는 신보수주의의 새로운 환경을 지적할 뿐만 아니라, 비레크와 같은 입장에서 자유주의적인 환경 속에서 보수주

의의 적극적인 활성화를 의미하고 있다. 비레크는, 1950 년대의 미 국에서 보수주의란 용어가 고리타분한 개념으로 인식되었지만, 앞 으로는 신보수주의가 이러한 폄하적 개념을 불식시켜야 된다고 강 조하고 있다 .1 50) 그럼에도 불구하고 커크는 미국적인 상황 속에서 보수주의와 자유주의가 조화를 이루는 생활양식의 가능성을 끝까 지 거부하고 있다 . 그러나 커크의 문헌을 통틀어 보면 보수주의와 자유주의가 하나의 초점으로 모아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 는 글을 찾아볼 수 있다 . 여기에서 그는 진정한 보수주의와 자유 주의는 사실상 지적인 빚을 많이 지고 있기 때문에 언젠가는 이들 이 다시 통합될 수 있고 인간을 단순히 기능적인 기계로만 볼 것 이 아니라 정신적인 존재로 인정하는 사회 원칙에 동의해야 된다 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15 1) 그러나 커크의 이 같은 표현은 보수주 의와 자유주의의 사회적, 정치적 통합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자 유주의의 유물론적 성격을 비판하고, 자유주의가 보수주의의 최소 한의 사회적 원칙으로서의 정신 세계의 중요성을 수용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비레크 역시 양 진영의 통합이 궁극적으로 가능한가에 대해서는 확신이 없지만, 적어도 그는 양 진영의 조화 가능성보다도 필요성을 수용하면서 다음과 같이 피력 하고 있다 . 〈양 진영은 서로 필요한 반쪽의 진실을 갖고 인간의 조건 속에 선천적으로 반영된 것이다. 자유주의는 보다 합리론적 인 차원, 보수주의는 보다 깊은 정신적 차원을 각각 대변하고 있 다. >152 ) 결론적으로 커크는 신보수주의를 과거의 구체화된 보편적 진리 에서 찾고 있으며, 비레크는 신보수주의가 과거의 진리를 현재적 상황에 어떻게 적용해야 하느냐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서 지적인 노력을 한 것이다 . 이러한 면에서 이들의 이론이 완전 한 통일체를 이룬 것은 아니지만 서로 보완적인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1950 년대 신보수주의 운동에 두 개의 중요한 축을 이루었 다고 볼 수 있다 . 나아가서 이들이 공통적으로 뉴딜식 자유주의가 새로운 형태의 집산주의에로의 방향 전환의 가능성을 예리하게 지 적한 점에서 이들의 보수주의 사상은 버크의 고전적 보수주의를 현대적 시각으로 변형시키면서 상황적 개념의 보수주의 이론을 명 확하게 설정하고 있다 . 다시 말해서 이들의 보수주의 사상은 현대 자유주의에 대한 반정립의 사상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신보수주의 의 변형으로 볼 수 있는 1960 년대의 급진적 보수주의와 1970 년대 의 〈 네오〉보수주의의 철학적 이념을 제공하는 등 1980 년대 미국의 현실 정치에서 보수세력을 동원하는 데 구조적인 역할을 하게 되 었다. 이러한 점에서 신보수주의는 미국의 현대 보수주의의 핵심 을 이루고 있다. 〔주〕 1) Clin t o n Rossit er , Conse rv ati sm in Americ a (New York: Vi nt a g e Books, 1962), p. 54. 2) Rus se ll Ki rk , Ene m i es of the Pe rm anent Thin g s: Obser v a ti on s of Abnormi ty in Liter a tu r e a nd Politi cs (New York: Arlin g ton House, 1969), p. 71. 3) Carl B. Cone, The Burke Reviv a l, The Burke Newslett er , vol. ill (Wint e r -Sp ring , 1961-1962), p. 80. 4) Pete r J. Sta n lis , Edmund Burke in the Twenti et h Centu r y, Pete r J. St an lis , ed., The Releva n ce of E dmund Burke( N ew York: P. I.K ennedy & Sons, 1964), p. 41 . 5) H. Malcolm Macdonald, The Reviv a l of Conservati ve Thoug h t, Jo urnal of Poli tics , vol. XIV (February , 1957) , p. 6 9. 6) Thomas I. Cook, Vi er eck Revis i t ed : In Search of Conti nt '.t y and Values, Tri- Qu arte r l y( S p ring , 1965), p. 172. 7) Russell Kirk , Co,ife ss io n s of a Bohemi an Tory : Ep is o des and Refl ect io n s of a Vag ra n t Career( N ew York: Fleet Publish in g Corp o rati on , 1963), pp. 3, 19. 8) 같은 책, p. 23. 9) 같은 책, p. '29.

10) Russell Ki rk , Conser v a ti ve Mi 11 d: fro m Burke to Elio t ( C hic a g o : Henry Reg n ery Comp an y , 1~), pp. 7-8 . 11) 같은 책, p. 8. 12) 같은 책, p. 9. 13) 같은 책, p. 5. 14 ) Russell Ki rk , A Prog r am for Co11se rv ati ve s(Chic a g o : Henry Reg n ery Co. , 1954), p. 5 . 15) 같은 책, 같은 곳 16) 같은 책, p. 8 1. 17) Russell Kirk , Beyo n d th e Dreams of A varic e (Chic a g o: Henry Reg ne ry Co., 1 956), p. 3 2. 18) 같은 책, p. 3 3. 19) 같은 책, 같은 곳 20) Kirk , Co11servati ve Mi nd , 앞의 책, p. 2 49. 21) 같은 책, p. 2 51. 22) 같은 책, p. 249. 23) 같은 책, 같은 곳 . 24) 같은 책, pp. 249 - 25 0. 25) Kirk, A Prog ra m, 앞의 책, p. 6. 26) Russell Kirk , Randolph of Roa11oke(Chic a g o : Univ e rsit iy of Chic a g o Press, 1951), p. 7 8. 27) Russell Kirk , Enemi es of the Perma11ent Thin g s (New Rochelle: Arlin g ton House, 1969), p. 158. 28) Kirk , A Prog ra m, 앞의 책, p. 0 0. 刃) 같은 책, p. 2 52. 30) Kirk, The Conservati ve Mi nd , 앞의 책, p. 2 39. 31) 같은 책, p. 1 17. 32) Russell Kirk , Burke and the Phil o sop hy of Prescri ption , Jo urnal of th e Hi st o ry of Ideas, vol. XIV (Ju ne, 1953), p. 3 00. 33) Kirk , A Prog ra m, 앞의 책 , p. 3 02. 34) Kirk , Enemi es , 앞의 책 , p46 . 35) Kirk , Randolph of R oanoke, 앞의 책, p. 2. 36) Kirk, Conservati ve Mi nd , 앞의 책, p. 46. 37) 같은 책, p. 40. 38) Kirk , Enemi es , 앞의 책, pp. 37-38. 39) Kirk, A Prog ra m , 앞의 책, pp. 259, 303. 40) Kirk, Beyo n d the Dreams, 앞의 책, p. 62. 41) M. Mort on Auerbach, The Conservati ve lllusio n (New York: Columbia Univ e rsit y

Press , 1959), pp. 135 -1 36 또는 E. V. Walt er , Conservati sm Recrudescent: A Cri tiqu e, Partis a n Revie w , vol. XXl(Sept em ber-Octo b er, 1954), p. 519. 42) Kir k , Prescri ption , Auth o rity , and Ordered Freedom, Frank S. Meye r , ed., What is C onservati sm ?(New York: Holt , Rin e hart and Wi ns to n , 1% 4), pp. 211- 2 5. 43) Kir k, Enemi es, 앞의 책, p. 6 0. 44) Kirk , Conservati ve Mi nd , 앞의 책, pp. 53- 54 . 45) Kir k , Academi c Freedom: An Essay in Defi nit ion (Chic a g o : Henry Reg n ery Co., 1955), p. 6. 46) Kir k , Soc ial Jus ti ce and Mass Cultu r e, Revie w of Politi cs , vol. XVI(Octo b er, 1954), p. 450. 47) Kirk , Enemi es , 앞의 책, p. 3 9. 48) Kirk , The Americ a n Cause(Chic a go : H en ry Reg ne ry Co., 1S( J6), p. 51. 49) 같은 책, p. 145 및 Kirk , Enemi es , 앞의 책, p. 35. 50) Kirk , Conservati ve Mi nd , 앞의 책, pp. 149, 356. 51) 같은 책, p. 81. 52) Ki rk , Frie d ric h Gentz on Revoluti on , Conte m p o rary Revie w , vol. CXC (November, 1956), pp. 285 -28 6 및 Kirk , A Prog ra m, 앞의 책 , p. 32. 53) Kirk , Beyo n d the Dreams, 앞의 책, pp. 170- 17 1. 54) Kirk , Burke and the Pri nc i ple of Order, Sewanee Revie w , vol. LX (Ap ril , 1952), pp. 198- 20 0 및 Kir k , Burke and Natu r al Rig h ts , Revie w of Poli tics , vol. XIII (Octo b er, 1952), p. 4 54. 55) Kirk , Randolph of R oanoke, 앞의 책, p. 20 56) Kirk, The Americ a n Inte ll ectu a l: A Conservati ve Vie w , Pacif ic S pe cta t o r , vol. IX (Fall, 1955), p. 3 71 및 Kirk, The Americ a n Cause, 앞의 책, p. 58. 57) Kirk , Randolph ofR oanoke, 앞의 책, pp. '2/J , 39. 58) Kirk , Beyo n d the Dreams, 앞의 책, pp. 67-0 8. 59) 같은 책, p. '2fJ7 및 Kirk , The Conservati ve Mi nd , 앞의 책, pp. 2ffi.2J:f). 60) Kirk, The Conservati ve Mi nd , 같은 책, p. 꺽 61) Kirk, Co1if ess io n s, 앞의 책, p. 283. 62) 같은 책, p. 2 3. 63) Kirk , Academi c Freedom, 앞의 책, p. 30. 64) Kirk, Confe s sio n s, 앞의 책, pp. 204-20 5. 65) 같은 책, p. 205. 66) Kirk, Beyo n d the Dreams, 앞의 책, p. ix. 67) Kirk , Confe s sio n s, 앞의 책, p. 1 9. 68) 같은 책, p. 205. (i,)) Kirk. A Prog ra m, 앞의 책, p. 7 3. 70) 같은 책, p. 244.

71) 같은 책, pp. 245 -24 6. 72) 같은 책, p. 71. 73) Kir k , The Inte m p e rate Profe s sor (Bato n Roug e: Louis i a n a Sta t e Univ e rsit y Press, 1965), p. 126. 74) 같은 책, p. 71. 75) Kir k , A Prog ra m, 앞의 책, p. 78. 76) Kirk , The Co11se 1V a ti ve Mi nd , 앞의 책, p. 204. 77) Kirk , A Prog ra m, 앞의 책, p. 247 . 78) 같은 책, p. 248, 79) Kir k , Prescri ption , Auth o rity , and Ordered Freedom, What ls Conservati sm ? , Frank S. M eye r , ed.(New York: Holt, Rine hart & Wi ns to n , 1964), p. 34. 00) Kirk , The /11te1 11p e rate , 앞의 책, p. 2 .88, 81) Kir k , Prescri ption , 앞의 책, p. 36. 82) Kirk , Beyo n d the Dreams, 앞의 책, p. 151. 83) 같은 책, p. 24, 84) 같은 책, 같은 곳 및 Kirk , Academi c Freedom, 앞의 책, p. 159. 85) Kirk , A Prog ra m, 앞의 책, p. 1 51. 86) 같은 책, p. 6 및 Kirk , The Conservati ve Mi nd , 앞의 책, pp. 23, 44. fr/) Kirk , Randolph ofR oanoke, 앞의 책, p. 7 8, 88) Kirk , Enemi es , 앞의 책, pp. 288-289 및 Kirk , Cultu r al Debri s: Two Confe r ences and the Futu re of Our Civ i l iz a ti on , Modern Ag e, vol. II (Sp ring , 1958), p. 169. 89) Kirk , The Ameri ca n Cause, 앞의 책, p. 16 및 Kir k , Academi c Freedom, 앞의 책, p. 108. 90) Kir k , The Americ a n Cause, 앞의 책, p. 116 및 Fri ed ri ch Hay e k, The Coun ter - Revoluti on of Sc ien ce: Stu d ie s on the Abuse of Reason(London: The Free Press of Glencoe, Collier -Macm illa n, Limited , 1955), pp. 114 -11 6. 91) Kirk, Enemi es , 앞의 책, pp. 26, fr/. 92) Russell Kirk, Health y Reacti on s, Modern Ag e, vol. III (Summer, 1959), p. 2'lJ 및 Kirk, Prescri ption , Auth o rit y, and Ordered Freedom, 앞의 책, p. 36. 93) Wi lliam J. Newman, The Futi litar ia n Soc iet y (N ew York: George Brazil ler, 1961), p.1 22. 94) Pete r Vie r eck, Conservatis m Revis it e d (N e w York: The Free Press, 1949), p. 122. 95) Pete r Vie r eck, The Sp lit Personality of Sovie t Liter atu r e, The Rep o rte r ( M arch 15, 1~). pp. 23-'lJ. 96) Pete r Vie r eck, The Unadju s te d Man: A New Hero for Americ a ns (Bosto n : Beacon Press, 195 6), pp. 92, 258. CJJ) Vie r eck, Conservatis m , 앞의 책, p. CJJ. 여기에서 나오는 메테르니히의 인용구는 184전 프랑스 수상인 기조 F. P. G. Gu i zo t에게 보낸 편지 에 있다.

98) Vie r eck, Co n servati sm Re vis it ed ( Ncw York: The Free Press , 1% 5), p. 59. ) 같은 책, p. 8 5. 100) 같은 책, pp. 92, 111. 101) Vie re ck, The Unadju s t e d Man, 앞의 책, pp. 302-303. 102) 같은 책, p. 208. 103) Vi er eck, The Revoluti on in Values: Roots of the Europ e a n Cata s tr o p h e, 1'i3 70- 1952, Poli tica l Sci e n c e Qu art er ly , vol. LXVII (Sept em ber, 1952), p. 342 . 104) Vi er eck, Shame and Glory of the Inte l l ectu a ls: Babbit t Jr. vs the Redis c overy of Value s(B osto n : Beacon Press, 1953), p. 1 36 및 Vi er eck, The Unadju s te d Man, 앞의 책, p. 2 95. 105) V i ereck 의 Terror and Decorum 시 집 은 퓰리 처 상을 받은 작품으로, 전통적 인 가치 관을 시상으로 표현하고 있다. l

126) Vi er eck, Shame and Glo1y , 앞의 책, p. 13 및 Co11sen•a t i sm Revis i t ed , 앞의 책, p. 43. 127) Vi ere ck, Dream and Respo 1 1sib il i ty, 앞의 책, p. 56. 12.8 ) Vi er eck, Shame and G/01 )1, 앞의 책, p. 2f:JJ. 1'2 9) Vi er eck, The Unadju s te d Man, 앞의 책, p. 2 64. 130) Kirk , Enemi es , 앞의 책, p. 1 5. 131) 같은 책, p. 33. 132) 같은 책, p. & 3. 133) 같은 책, p. 1 48. 134) Joh n Lawlor, Pete r Vi er eck, Poet and Cr itic of Values, Et11 des Ang la is e s, vol. VII (Ju ly, 195 4), p. ' 292 . 135) Vie r eck, Conservati sm Revis i t ed , 앞의 책, p. 147 . 136) 같은 책, p. 1 48. 137) Vi er eck, Shame and Glory of the lnte l lectu l s, 2 판 (New York: Cap re ic o rn Books, 1%5), p. 325. 138) Vie r eck, The Unadju s te d Man, 앞의 책, p. 169. 139) Vi er eck, Conservati sm Revis i t ed , 앞의 책, p. 135. 140) Vie r eck, Shame and Glory , 1st ed., 앞의 책, p. 58. 141) Vi er eck, T/1e Unadju s te d Man, 앞의 책, p. 102. 142) Vi er eck, Conservati sm Revis i t ed , 앞의 책, p. 150. 143) 같은 책, 같은 곳. 144) Kirk, Enemi es , 앞의 책, p. 2 3. 145) Kirk, Confe s sio n s, 앞의 책, p. '297. 146) Vi er eck, Conservati sm Revis i t ed , 앞의 책, p. 218. 147) Vi ere ck, Dream and Respo nsib il i ty, 앞의 책, p. 64. 148) Vie r eck, Conservati sm Revis i t ed , 앞의 책, p. 125. 149) Phil ip C. Chap m an, The New Conservati sm : Cultu r al Cr itici s m vs. Poli tica l Ph ilos op h y , Poli tica l Scie n ce Qu art er ly, vol. LXXV (Ma rch, 1960), p. 22. 150) Vi er eck, Conservati sm Revis i t ed , 앞의 책, p. 124. 151) Kirk , The New Humanis m of Poli tica l Economy , South At la nti c Qu arte r ly, vol. LIi (Ap ril, 1953), p. 1%. 152) Vi er eck, Conservati sm Revis i t ed , 앞의 책, p. 143.

제 6 장 신보수주의의 문제점 ―논쟁잡 방법론및 평가 서론 미 국의 역 사를 자유주의 의 흐름으로 보는 하츠 Louis H artz의 이 론이든 철학적인 면에서 버크의 사상으로 회귀하려는 미국의 보수 주의적 전통 철학의 조류이든 1950 년대 초기에 이르기까지 미국의 지성 세계에서 자의적인 보수주의 운동이 고조되고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 여기에서 우리는 이 보수주의 운동에 대한 비판적인 평 가를 내리기에 앞서, 미국에서 보수주의가 1950 년대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선풍을 일으키게 된 근본 원인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 다고 생각한다. 이 책에서 필자는 보수주의 개념의 〈상황적〉 성격 울 강조해 왔지만, 〈보수주의는 특정한 역사적 필요성을 성취시키 는 방향으로 발전한다.〉고 지적한 헌팅턴의 이론이 적어도 부분적 으로 옳다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1) 여 기에서 우리는 우선 그 역사적 필요성을 검토해 보고, 이론적인

논쟁점과 방법론 및 신보수주의 운동에 대한 평가를 시도해 보기 로 하겠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역사적 필요성의 의미가 사라질 때 보수주의 철학은 다시 소멸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한 헌팅턴의 명 제를 분석해 보기로 하겠다? 여기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의문 을 던져 볼 수 있다 . 보수주의에 대한 역사적 필요성은 과연 사라 졌는가? 그래서 보수주의 철학도 소멸되었는가? 다시 말해서 신보 수주의는 성공했는가 아니면 실패했는가? 사실상 이에 대한 대답 은 질문보다 훨씬 복잡한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우선 지적해 두고 싶다. 신보수주의의 역사적 성격과 논쟁점 및 방법론 1950 년대 이후 미국에서 신보수주의가 일어나게 된 역사적 필요 성을 정확하게 규명하기는 어려운 일이지만, 역사적 성격이 명확 하게 파악된 연후에라야 이에 대한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 다. 따라서, 본 장에서 필자는 주어진 범위 내에서 신보수주의의 역사적 필요성과 이론적 논쟁점 및 방법론상의 문제점을 정리하 고, 결론적으로 신보수주의 운동을 평가해 보기로 하겠다. 하트 Jef f rey H art와 같은 보수주의 자들은 헌팅 턴 이 이 미 정 립 해 놓은 보수주의의 〈상황적〉 개념에 공감하여 1950 년대 신보수주의 운동에서 재현된 미국의 보수주의를 상황적인 개념의 차원에서 평 가하고 있다. 다음의 하트의 글은 이러한 점을 적절히 표현하고 있다. 〈자유주의 지식인들의 헤게모니에 대응해서 근래에 와서 보 수주의가 출발하였다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처음부터 보수주의가 일반적으로 확실한 이념의 체계를 갖추고 등장한 것은 아니었고, 미국적인 문화에 기초한 다양한 인식과 직관에 의존해

서 암묵적인 형태로 머물러 있었다. 어떻게 보면 보수주의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공격이 있었기 때문에 이론적인 활성화가 진전되었 다고도 볼 수 있다. 마치 영국의 버크가 프랑스 사상가들의 추상 이론에 당면해 당혹한 상황 속에서 보수주의 이론을 불러일으킨 것과 마찬가지로, 현대의 보수주의자들은 특정한 보수주의적 사고 방식에 대한 필요성을 감지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보수주의적 사 고방식은 실제 미국인들이 살고 있는 공동체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일종의 정치적 이데올로기(자유주의)에 대한 반응으로 그 모 습을 나타내게 된 것이다.〉 3 ) 우선 보수주의 사상이 응고되어 가는 과정을 요약하는 것은 별 문제로 치더라도, 이 글에서 홍미 있는 점은 미국 보수주의의 발흥에 대한 반대의 상황적 배경을 정확하 게 꼬집고 있는 데에 있다 . 하트는 미국의 역사를 자유주의의 일 원성으로 해석하는 하츠 Lou i s H art z 의 이론이 소멸되어 온 과정으 로부터 문제점을 전개하지 않고, 오히려 신보수주의가 미국의 정 신적 조류에 바탕을 두고 확대되고 있는 자유주의적 저해 요소를 저지해야 할 상황적 필요성에서 재현된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과격한 자유주의를 완화시킬 목적으로 온건론적인 보수주의를 제안함으로써 미국의 이데올로기적 경향들의 균형을 유지하고자 했던 비레크의 이론을 앞에서 분석한 내용과도 일치하 고 있다. 한편, 커크의 신보수주의 이론은 자유주의에 대한 보다 공격적인 성격을 다분히 갖고 있다. 아마도 그 이유는 자유주의적 이데올로기가 절정에 도달해서 비판을 받을 만큼 위험 수위를 넘 고 있다는 점을 판단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영국의 사상가인 잉글리시 Ra y mondEn gli sh 는 의국인의 시각에서 이 같은 상황적 개념에 동의하면서 이러한 현상이 국제적인 규모 로 확대되어야 한다는 점을 다음과 같이 역설하고 있다. 〈미국과 세계의 민주국가에서 1940 년대 후반과 1950 년대 초반은 보수주의

적인 방향에서 정치 경제적 정서를 고무시킨 시대였다 . 낙관론적 인 자유주의 분위기는 2 차 세계대전 이후 갑작스럽게 불안한 모습 으로 바뀌었는데, 사회에서 자유주의를 실험하려는 강력한 충동은 사회 안정울 위한 열망으로 변모하였다. 이 같은 시기에 살았던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보수주의자가 되고 말았다.〉 4) 클린턴 로시 터는, 개혁과 혁명의 과용은 궁극적으로 자유주의의 성향을 지닌 현대의 일반 대중을 보수주의의 방향으로 몰고 갔다고 지적하고 있다 .5 ) 여기서 그가 의미하는 개혁이란 뉴딜 정책을 가리키고 있 다. 수십 년의 정치적, 경제적 자유방임주의 시대를 거쳐 미 국정 부는 지금까지 제도적으로 보수주의적이었던 정치체제(구조)를 통 합하는 등 소규모의 정부 형태에서 벗어나 대규모의 정부 형태로 신장하기 시작하였다 . 앞에서 이미 지적했듯이 커크는 이러한 국 가 권력의 신장을 맹렬하게 비판하였고, 이러한 현상이 신보수주 의의 등장을 촉진시켰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신보수주의의 등장에 근본적인 원인을 제공했던 뉴딜 정 책은 그렇게 간단한 문제는 아니었다. 신보수주의자들에게 있어서 의외로 생각할 수 있는 문제의 하나는 보수주의의 원천으로서의 역사에 대한 그들의 존경심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역사 이해가 종 종 불완전했던 점이라고 지적할 수 있다. 19 세기 후반의 시대적 관 점에서 본다면 뉴딜 정책은 확실히 혁명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 던 것은 사실이다 . 그러나 미국의 역사에 있어서 독립 초기의 관 점에서 보면 뉴딜 정책은 버크가 평가했듯이 1688 년 영국의 명예혁 명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회복기의 혁명〉, 또는 비레크가 지적했 듯이 1776 년의 미국 독립혁명의 성격을 지닌 것으로도 평가될 수 있는 것이다. 근본적으로 경제 부분에 대한 국가의 규제가 외국의 사례를 본뜬 것은 아니지만 미국의 선례대로 과거의 위대한 시대 에로 회귀하고 있다는 점을 커크를 중심으로 한 보수주의자들은

간과하고 있다. 19 세기 초기에 있었던 국가의 규제에 대한 연구 활 동은 1950 년대에 들어와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 그런데 대 부분의 신보수주의자들이 자유방임주의의 자유분방한 유물주의를 경멸하면서도 그들이 스스로 자유방임주의의 역사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점은 참으로 아이러니컬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 러한 입장은 미국의 역사를 자유주의의 일방통행으로 보고 있는 하츠 Lou is H artz의 이 론을 이 데 올로기 적 인 타락으로 보지 않고 오히 려 평행선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여긴다. 하츠의 표현에 의하면 19 세기 중반까지 대자본가들은 관세의 부분에 있어서 예외적인 경 우는 있었지만 해밀턴 대통령 시대에서 볼 수 있었던 정부의 진홍 정책에 의존하지 않고도 성장할 수 있었다고 평가하면서 자유주의 의 발전을 호평하고 있다전 그러면서도 하츠는 당시의 유류희사나 철도업체와 같은 대기업들이 정부의 행정명령과 토지의 증여를 통 해 성장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잊고 있었던 것이다. 근본적으로 미국 정부는 뉴딜 정책을 통해서 미국의 건국 이후 줄곧 정부가 지니고 있었던 특권을 재천명하고 있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 그러나 뉴딜 정책이 정확하게 신보수주의의 기원에 자극적인 요 소로 작용될 수 없다고 한다면, 적어도 보수주의의 재현을 위하여 사회적으로 건설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변증법적인 해석은 가 능하다고 본다. 대체적으로 신보수주의는 순수한 개인주의적 원소 화와 미국의 사회질서와는 무관한 뿌리 없는 개인의 위치를 비판 하고, 궁극적으로는 공동체, 위계질서 및 통합적인 사회유기체에 로의 회귀를 역설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신보수주의자들은 오로 지 뉴딜 정책의 경제 정치적 성격만을 취급하고 있기 때문에 뉴딜 정책이 정확하게 그들이 주장하는 사회적 통합 기능에 기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다. 뉴딜 정 책 의 사회 적 통합 기 능에 대 해서 버 토프 Rowland Berth o ff

는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 〈 진보주의자들과 뉴딜 정책 제안 자들에 의한 사회의 재조직은 19 세기의 전반적인 사회 분열에 대 항했던 세력으로서 새로훑 사회질서의 재건에 공헌하였다 . 이 같 은 20 세기의 혁명은 근본적으로 긴 안목에서 본다면 미국 사회를 재통합하는 하나의 반혁명 Coun t er-revolu ti on 이었다 . 사실 대부분의 미국 인구의 분포는 예전의 자유농민으로 더 이상 구성되지 않게 되었고 복지국가의 출현은 가족 농장이 농장 구성원을 먹여 살렸 듯이 미국인들의 최저생계비를 보장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경 제공황 이후 예전의 무산계급은 예외는 있었지만 안정된 생활 수 준으로 향상되었던 반면에 수혜 계층의 평균수입은 대략 1/3 로 하 향 조정되었다 . 한마디로 말해서 18 세기에 볼 수 있었던 광범한 중산계급의 동질성이 회복되었다. 이와 병행하여 루스벨트 가 (家), 태프트 가(家) 및 록펠러 가(家)는 유권자들을 지도하는 이 들 계층의 책임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유권자들도 이들 지도자들 의 정치 노선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미국인들은 다시 18 세기 지주 계급과 같은 상층부에 해당하는 특권과 책임을 가진 질서화된 상 층계급을 가지게 된 것이다. 궁극적으로 투자된 자본이 18 세기에 정부 규제하에 있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현재의 자본도 정부 규제 하에 있게 된 것이다.〉 7) 버토프의 주장은 단순한 사회적 평준화를 의미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신인본주의자들과 남부 농본주의자들 도 그랬듯이 신보수주의자들은 대부분 문화적인 측면에서 산업주 의와 유물주의의 부정적인 영향력에 관심을 많이 표명하고 있다. 그러나 버토프는 사회적 타락의 근본 원인이 산업주의와 문화의 이분법에 근거하지 않고 19 세기 미국인들에게 확산된 비우애적인 정신력에 있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그는 오히려 뉴딜 정책에 의한 미국의 새로운 사회조직이 보다 가치 있는 문화 부홍의 창조 에 도움이 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산 이와 같이, 역설적이긴 하지

만 뉴딜 정책은 사회 경제적 제도들의 근대화를 통해서 미국의 사 회 정치적 구조를 재생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물 질적으로 정향화된 이들 제도들은 미국인들에게 문화적 부활의 기 초를 제공해 줄 수 있었다고 본다. 여기에서 우리는 버토프의 이론을 자세하게 설명할 필요는 없다 고 본다. 그의 이론에 다소 과장된 표현이 쓰이긴 했지만 그의 분 석이 몇 가지의 진실을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 이미 앞에서 보 았듯이 비레크는 예컨대 노동조합이 정치 경제적으로 중세 시대의 동업조합과의 유사성을 유지함으로써 미국에서는 하나의 보수주의 세력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신보수 주의의 정신분열적 성격(이를테면 커크 보수주의와 비레크 보수주 의)은 부분적이긴 하지만 보수주의 원칙들뿐만 아니라 신보수주의 의 발생에 대한 이유롤 설명하는 데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를테면 커크 학파는 뉴딜 정책을 보수주의의 공격 대상으로 보는 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 비레크 학파는 뉴딜 정책이 원칙적으로 신보수주의적 사회의 제도적 기초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뉴딜 정책을 옹호하고 있다. 따라서, 보수주의의 근본적인 원칙을 〈상 황적인〉 정책으로 전환하는 데서 내재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문제 들을 명확하게 찾아볼 수 없다. 거꾸로 지적하자면 보수주의의 〈보 편적인〉 원칙에 근거한 보수주의 운동의 발생 이면에 있는 〈상황 적〉 조건을 평가하는 데 어떠한 어려움도 찾아볼 수가 없다. 지금까지의 설명으로 신보수주의의 발생 원인을 충분히 만족시 킬 수는 없다고 본다. 아마도 문화의 물질주의보다 중요한 것은 도덕적, 종교적 타락이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도덕적 타락은 신인본주의자들과 남부 농본주의자들이 지적한 바와 같이 오래 전 부터 있어 왔던 것이지만 도덕적 타락의 놀라울 만한 새로운 징조 는 심각했던 것이다. 홉킨스 V.C. Ho pkin s 가 지적하듯이 뉴렘버그

Nuremberg 전범 재판은 인간의 자기파괴의 가능성에 대한 확 신을 입증해 준 것이었으며, 인간 살육의 충격적인 현실에 직면하여 신 보수주의자들은 발견에 대한 인간의 능력이 인간 자제력의 결핍에 의해서 파괴되었다는 사실을 밝히기 위해서 인간이 자연의 비밀을 깊이 파악했다는 사실을 충분히 시인하게 되었다 .9) 여기에서 우리 는 인간이 스스로 주장했던 방만한 자유와 권력으로는 신뢰를 얻 을 수 없다는 보수주의적인 주장을 지지하는 역사적 검증을 갖게 된 것이다. 시어스 Sears 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 초기에 이르러 자유주의에 대한 반동은 확실하다 . 부분적으로 그 원인은 과거 수십 년 동안에 일어났던 확실한 인간 성격의 타락에 있다고 본다. 다른 한편으로 그 원인은, 설득력이 그 동안 상대적으로 무 력하였고 권력은 권력에 의해 도전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사실의 인식에도 기인하였다.〉 1 0 ) 커크에게 있어서도 종교적 타락과 정치적 추악은 서로 연계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점에 대해서 커크는 신보수주의의 활성화를 위해 일종의 종교개혁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다음과 같이 피력하고 있다. 〈종교가 상실되고 좌절된 사회가 확실히 문제된 다. 인간은 본래 종교에의 회귀를 동경하고 있다. 엘리엇의 말대 로 사람이 신을 실종하게 되면 히틀러와 스탈린을 존경할 수밖에 없다 . 위기의 시대에 있어서는 종교의 타락에 뒤이어 악마의 이데 올로기가 인간을 지배하게 마련이다 . 〉 11) 종교적인 타락의 원인에 대해서 커크는 기독교가 물질적인 면에서 인간에게 이득울 주지 않고 있다는 막연한 생각, 또는 종교가 비과학적이라고 믿는 인간 의 생각 때문에 일어난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1 2 ) 커크가 지적한 바와 같이 유물주의와 과학의 발전이 종교적 타락을 유도했다는 점에 대해서 이의가 있을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러한 요 소들이 종교적 타락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었다고는 볼 수 없다 .

그가 역사적 균형 감각을 상실하고 있기는 하나 종교적 타락의 근 본 원인으로서 정치의 부패를 지적하지 않고 있는 것은 놀라운 사 실이다 . 사실 근대 초기에 국민국가의 형성기에 절대적인 주권자 (군주)들이 교회로부터의 그들의 독립을 주장했던 점을 감안해 볼 때 교회와 국가의 궁극적인 분리는 결과적으로 국가에 대한 교회 의 복종을 의미했던 것이다. 따라서, 정치권력자들은 사람들이 종 교를 갈구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종교에 반대해서 민족주의 라는 정치적 종교 또는 기타의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강요했던 것 이다 . 포이어 Lew i sFeuer 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구시대의 종교에 대한 단순한 대용물로 이데올로기를 생각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문제의 핵심을 벗어나고 있다. 이데올로기가 지식인들이나 지도자들에게 제공한 것은 전통적인 종교에서 예언자들과 성직자 들의 역할과 대등한 것이었다.〉 13) 포이어는, 이데올로기는 유대 사 회의 예언자들과 마찬가지로 정치적 현상 유지롤 파괴하기 위해서 종교에 대한 대용물로 사용되었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과거 2 세기 동안 지식인들이 예언자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면 프랑스혁명 이전이나 이후의 지배자들이 그들의 통치를 지지하도록 시민들을 유도하기 위해서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사용했던 것도 사실이다. 커크는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근본적으로 혁명적이었다는 점을 피 력하고 있지만, 군주들이 사용한 최초의 정치적 이데올로기들이 근본적으로는 보수적이었다는 사실은 사실상 아이러니컬한 점이라 고 본다. 따라서, 엄밀하게 본다면 커크와 포이어가 지적하였듯이 교회 중심의 사회 위계질서의 소멸 현상은 세속적인 정치적 이데 올로기에 의해서 대치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 같은 종교의 위축 현상은 대체적으로 처음부터 세속적인 정치에 의해서 일어난 것이 라고본다 . 이데올로기 출현의 종교적인 의미는 물론, 이데올로기는 하나의

새로운 보수주의를 형성하는 데 공헌하였다. 일반적으로 이데올로 기는 정치적 문제를 다루는 독단적이고 과격한 정책들을 발상하기 도 하였다. 포이어가 지적하듯이 이데올로기의 성취는 사회를 두 가지의 과격한 이데올로기적 극단론들로 양분시키기도 하였다 . 14 ) 또한, 버크 사상이 함축하고 있듯이 이데올로기가 정치사회의 당 파성을 고무시킨 것도 당연한 것이었다 . 이러한 현상이 프랑스 혁 명 기간 동안에 처음으로 확실해짐에 따라 인간 생활의 이데올로 기적인 비합리적 경향은 주로 20 세기에 와서 나치 수용소와 구소 련의 강제노동수용소와 같은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 것이 다 . 15 ) 이러한 현상은 이데올로기들이 만들어 놓은 발자취가 나치 화장터가 아니면 구소련의 강제노동수용소와 같은 북극의 황폐지 로 유도된 결과를 초래한 것이다 . 1 6 ) 결국, 이러한 현상은 인간 성 격에 대한 보수주의적 비관론이 옳았다고 하는 사회적 인식을 유 발케 한 것이라고 본다. 즉, 신보수주의의 출현에 대한 사회적 인 식으로부터 보다 중요하게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정치적인 면에서 제반 극단론들이 지금까지 실패하였다는 점이 확인된 사실이었다 . 따라서, 이러한 관점의 결과로 비극단론적인 정치적 입장들의 지 류를 형성하게 된 것이다. 이 점에 대해서 맥도널드 H. Malcolm Macdonald 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제 2 차 세계대전은 궁극 적으로 미국과 서구에서 우익과 좌익에 의해서 진전된 유토피아적 인 이론에 대한 환멸감을 가져왔다. 마침내 나치주의와 공산주의 는 이상론에 치우치고 있기 때문에 우발적인 사회 경제 정치적 문 제에 대해서 절대적인 해결 방법을 강요하였던 것이다. 그 명확한 결과 때문에 제기된 이들의 노력에 대한 사회적 불신감은 실제적 으로 사회적 실험의 기회를 가졌던 이들 두 개의 과격한 정치적 교의에 대해서 일반인들이 등을 돌리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자유 주의적인 좌익세력을 거부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특히, 자유주

의적인 좌익세력이 공산주의와 나치주의가 저지른 만행을 꺼려하 면서도 적극적이고 권위주의적인 국가 간섭으로 사회문제 해결의 가장 적합한 도구로 수용했던 점은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16 ) 이상의 맥도널드의 지적은 적어도 뉴딜 정책에 대한 신보수주의 자들의 혐오감의 일부분이 뉴딜의 혁명 억제적인 개혁정책보다도 이러한 정책이 계속될 경우 그 정책의 논리적 결과에 대한 우려에 서 기인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복지주의와 균등주의의 논리 는 점차적으로 증진되고 있는 정부의 집산주의적 행동을 요구하였 기 때문에 신보수주의자들은 이러한 논리적 결과를 구소련의 경우 에서 찾고 있다. 한마디로 말해서 대부분의 신보수주의자들은 뉴 딜 정책과 이 정책의 계승자들이 뉴딜 정책에 우호적인 비레크의 사상에 물들지 않도록 많은 노력을 경주하게 된 것이다. 한편, 역설적이긴 하지만 구소련의 경우는 그 반대의 방향에서 신보수주의의 출현에 빌미를 제공하였다. 모든 신보수주의자들이 공산주의에 대항하기 위해 연합전선을 형성한다면 대부분의 신보 수주의자들은 반공산주의자들의 극단적인 전략에 대한 근본적인 원칙들을 재움미해야 될 줄로 생각한다. 앞에서도 지적했듯이 매 카시에 대한 비레크의 공격은 공산주의자들에 대한 공격만큼이나 엄격한 것이었고, 그는 반매카시주의가 신보수주의를 판가름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고 단언한 바 있다. 그러나 매카시가 고도의 보 수주의적 사회의식을 불러일으킨 것은 아니었다. 폴J.R. Pole 이 다 음에서 정확하게 지적하듯이, 매카시는 자유주의 진영이 신보수주 의의 완전 수용은 아니지만 신보수주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방 향으로 유도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매카시는, 모든 미국의 자유 주의자들이 전통적으로 받아들이고 뉴딜 정책가들이 경험을 토대 로 이루어 놓은 신념, 즉 인민들의 궁극적인 정의에 대한 확신에 심각한 충격을 주었다. 자유주의자들은 이 같은 미국 공화주의의

근본 문제에 대해서 공개적으로 의문을 제기하고 다수 독재의 가 능성에 대한 토크빌의 입장을 혹평하기 시작하였다 .〉17) 이와 같 이, 미국의 자유주의자들은 보수와 진보의 양 진영으로부터 공격 울 받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되었다 . 자유주의의 좌익 진영은 스탈린주의의 극단으로부터 자신들을 분리시키는가 하면 자유주의 의 우익 진영은 매카시 진영의 맹공격에 대항해서 싸우지 않을 수 없었다. 아마도 옛날의 자유주의적 좌익세력의 연합세력이었던 일 반 대중이 자유주의의 반대 세력, 죽 보수진영으로 쏠리게 된 것 은 자유주의자들에게는 가장 비참한 결과였다고 본다. 결국, 자유 주의자들은 극단적인 좌익세력과 우익세력에 의해서 공격을 받게 되자 중도적인 입장을 취할 수밖에 없었고 신보수주의자들과는 불 편한 동료였음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 . 요약해서 말하자면, 20 세기 중반 미국에서 신보수주의가 나타나 게 된 원인은 그 운동 자체의 신념들만큼이나 복잡한 것이다 . 다 시 말해서 우리는 신보수주의가 제창했던 세 가지 유형의 도전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종교 또는 가치관에 대한 도전을 들 수 있 다. 우선 정신적, 도덕적 타락을 신보수주의자들은 서구 문명에 대한 심각한 위협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러한 경향의 부분적인 요인으로는 유물론적 가치체계의 우월성을 수반하는 과학과 산업 주의의 출현이 지적되고 있다. 둘째, 우리는 이데올로기적 도전을 발견할 수 있다. 이미 지적하였듯이 이러한 도전은 두 개의 이데 올로기(예컨대 공산주의, 사회주의 및 자유주의 대 보수주의)간의 투 쟁이라기보다는 어떠한 형태에서든 이데올로기화에 대한 신보수주 의적 부정에 반대되는 이데올로기에 대한 공격으로 해석될 수 있 다. 따라서, 신보수주의는 그 자체가 이데올로기로 형태화되는 것 울 거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보수주의자들은 하나의 정치적 도전에 대응하고 있는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뉴딜 정책의 제도

화와 매카시주의자들의 독소적이고 부식적인 정책을 근본적으로 거부하고 있다. 따라서, 신보수주의의 발생 원인과 도전을 이 운 동의 투입 요인으로 생각한다면 신보수주의의 결과로서의 반응과 반론이 단일하지 못하고 이론적으로 통합되지 못했던 점은 놀라운 사실이 아니었다. 신보수주의의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 우리는 두 가지의 범주를 생각할 수 있다 . 첫째, 외적인 범주이다. 이러한 접근 방 법은 보수주의의 시각을 다루는 데 있어서의 역사적 고찰의 어려 움을 안고 있다. 다시 말해서 이 접근 방법은 역사의 보수주의적 해석이 역사의 사실 Fac ts과 일치하지 않다는 점을 보여 주고 있다. 물론 이러한 역사적 사실이 명칭이나 장소 및 시간에 대한 실증적 인 자료가 될 필요는 없다고 본다 . 실증적인 면과는 약간 거리가 있더라도 어떤 특정한 사회의 제도와 가치가 보수주의적이지 않았 다는 주장이나 어떠한 보수주의적 비판이 역사적, 철학적 수정주 의를 내포하고 있다는 주장은 보다 광범하게 이용되고 있는 것이 다. 아마도 가장 극단적 인 예 로서 우리 는 하츠 Louis H artz의 『미 국 의 자유주의 전통』을 들 수 있는데, 하츠는 이 저서에서 미국의 역사를 미국의 전지역에 걸쳐 통일된 자유주의의 일원론으로 해석 하고 있기 때문에 보수주의의 이론적 전통의 어떠한 가능성도 부 정하고 있다. 그가 이 저서에서 보수주의에 대한 비판으로서가 아 니라 미국 역사의 보수주의적 해석을 허용하지 않고 있는 점은 홍 미롭다. 그러면서도 이것은 미국 보수주의 사상에 대한 외적인 비 판의 가장 순수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확실히 미국의 보수주의나 어떤 형태의 보수주의에 대한 비판의 두번째 범주는 내적인 비판으로 정리될 수 있다. 사회 정치적 자 료에 초점을 두는 대신에 이 접근 방법은 근본적으로 철학적인 영 역이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우리는 두 가지의 확실한 하위 범주를

들 수 있다 . 자유주의적 비판가들이 이 유형에 속하게 된다면 이 러한 접근 방법은 자유주의적 가치체계의 기초 위에서 보수주의를 비판하는 형태를 항상 취하고 있다. 이것이 자유주의와 보수주의 양 진영의 철학적 차이점을 밝히는 데 유용한 것이라면 사실상 보 수주의가 옳지 않다고 보는 자유주의의 시각은 타당성을 인정받기 가 어려운 것이다. 앞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궁극적으로 이러한 철학적인 문제는 보수주의와 자유주의의 서로 다른 방향에 대한 논쟁이라고 볼 수 있는데, 사실은 이들 양 진영의 대화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본다. 그러나 보수주의의 비판에 대한 보다 효과적 인 접근 방법은 보수주의의 기본 원칙과 가치체계를 수용하면서도 이들의 원칙과 가치체계가 어떻게 해서 일관성을 잃고 모순을 범 하게 되는가를 설명함으로써 보수주의의 원칙과 가설의 기반 위에 서 보수주의를 비판하는 것이다. 확실히 버크의 보수주의는 인간 의 생활이 궁극적으로는 역설적이라든가 보수주의의 원칙들이 무 엇을 유도하고 있는가를 밝히기 위해서 보수주의의 원칙을 삼단논 법으로 파악하고 있는데, 그 자체가 철학적으로 비보수주의적인 접근 방법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 이에 대해서 우리는 역설적이긴 하지만 하나의 답변을 제시할 수 있다 . 즉, 버크의 보수주의는 이 론보다도 실천을 강조하기 때문에 우리가 버크 보수주의의 원칙들 의 지류를 파악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될 수 있다. 만일, 이들 원 칙들이 모순에 빠지거나 모호한 결과를 초래해서 실천적인 국면을 전혀 제공할 수 없다면, 우리는 보수주의가 자체의 기준 설정에서 실패했다고 주장할 수 있다. 이상의 내적, 외적 접근 방법을 항상 분리해서 생각할 수는 없 는 것이다. 그러나 여러 가지의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외적 접근 방법으로서의 비판은 스스로 존립할 수 없다고 본다 . 미국 정치체 의 기원에 대한 보수주의자들의 문제는 가장 근본적이고도 확실한

입장을 제시하고 있다. 앞에서 지적했듯이 정치적 기원에 대한 버 크의 보수주의적 태도는 확실히 반사회계약에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에 정치제도가 점진적으로 또는 유기체적으로 발전했고 정치 제도의 기원에 관하여는 고대 역사로부터 출발하고 있다고 확신하 고 있다 . 정치적인 관점에서 볼 때 미국의 경우에 있어서 이 같은 해석은 확실히 이치에 맞지 않는다 . 미국인들은 미국혁명 기원의 특수성을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영국의 학자인 페얼리 Hen ry F ai rl i e 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미국의 생일은 명확하게 알 려져 있지만 구라파의 대부분의 대국들은 국가의 탄생일이 없다. 사실상 미국은 세계에서 출생확인증을 갖고 있는 유일한 나라이 다 . 〉 1 8) 미국의 출생확인증(미국독립선언서)과 재확인증(미국 헌법) 온 한 국가의 창출을 위한 하나의 사회계약에 가까운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영국의 비봉건적 시대였던 튜더왕조의 정치제도를 감안 하지 않더라도 이 같은 사실은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서, 미국은 합리적인 인간들에 의해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합리적 수단을 통해서 창출된 국가라고 볼 수 있다. 고전적 보수주의자들의 역사적 시각을 감안한다면 그들이 미국 의 자유주의적인 기원에서 하나의 보수주의적 전통을 주장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입장에 처하게 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참으로 커크주의자들은 이 같은 역사적 불편성을 자신들의 입장에 서 편의적으로 그럴싸하게 꾸며 대고 있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 적어도 비레크의 보수 진영은 이러한 문제를 정면으로 부닥쳐서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 예컨대 켄달W 비 mooreKendall 과 같은 보수주의 이 론가는 필 라델피 아 대 표자회 의 Ph ilad elph ia Conventi on 에 의해서 미국인들에게 전수된 생활양식과 제도들에 충실한 학자 로서 이 같은 생활양식의 정치적 국면이 합리적, 사회계약적 개혁 의 변화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19) 그렇다면 그가 보

수주의의 시각을 갖게 된 환경은 어떠한 것인가 ? 사실상 그는 있 는 그대로의 미국의 역사적 유산의 발전과 완결의 방향 으 구 진전 된 변화와 그렇지 않은 방향으로 미국의 유산을 전환시킨 드 E 르 구별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변화에 대한 켄달의 개념은 연속성늘 보증하는 적응성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 방법론의 장점 은 이 방법론이 신보수주의자들에게 역사의 어느 시점에 있어서도 역사적 연속성을 지적하도록 허용하는 데 있다. 그러나 결과적으 로 그들이 장기적인 안목에서 볼 때 불연속적으로 수용할 수 없는 점을 수용해야 되는 우를 범할 수 있다는 것이 하나의 문제로 남 게 된다. 간단히 말해서 어떠한 시점에서 양적 변화의 총체는 궁 극적으로 질적 변화를 창출할 수도 있지만, 그 변화 과정의 점진 성은 보수주의자들이 생각할 때 역사적 연속성이 유지되어 왔다고 확신하게 해준다. 이것은 보수주의자들이 자기망상에 빠지게 되는 결과이기도 한 것이다. 루이스 GordonLew i s 는 이 점을 다음과 같이 시사하고 있다. 〈 이 러한 자기망상은 모든 보수주의 사상이 갖고 있는 논리성의 약점 인 것이다. 즉, 보수주의는 근본적인 변화를 반대하는 하나의 철 학을 창출하게 되고, 사회 문화적 요인의 작용에 의해서 변화가 발생 했을 때 보수주의 는 스스로 강요된 적응을 자발적 양보의 지 혜라는 미명으로 새로운 환경에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 기껏해야 이들이 지적하는 지혜란 보수주의를 스스로 재정립하도록 강요한 사회 정치적 세력에 의해서 보수주의 위에 씌워진 추진력에 불과 한 것이었다.〉 20 ) 위에서 인용한 글은 보수주의가 전열의 후방에서 뒤로 끌어당기 는 행동에 불과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어느 정도 비레크 학 파는 자유주의와 보수주의는 하나의 심리적, 정치적 진실의 꼭 필 요한 반쪽을 공유하고 있다거나 변화가 불가피하지만 점진적이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내용에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율로 Hein z Eulau 는 다음과 같이 지 적 하고 있다. 〈 이 점 을 더증하기 위해서 비레크는 자유주의와 보수주의의 공감대 때문 에 민주정치가 이루어지고 있는 건전한 사회의 경우를 지적하고 있다 .〉 2 1)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수정주의의 외적 문제가 다시 제기될 수 있는 것이다 . 이 점에 대해서 율로는 다음과 같이 확신 하고 있다. 〈 19 세기의 정치적 투쟁을 통해서 자유주의가 보수주의 에 대항해서 승리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민주사회가 지금 그대로의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 그러나 결과적으로 이루어진 양 진영 의 연대 관계는 하나의 계약 관계의 성격을 지닌 것이라는 점 등 의 내용은 모두 가능한 주장이라고 생각한다.〉 2 2) 그러나 보수주의자들이 그들의 외적인 조건을 결여하고 있는 것 은 아니다 . 비레크가 계속 지적하고 있듯이 영국이 가장 적합한 사례이긴 하나 여러 가지의 사례에서 역사적으로 볼 때 자유주의 적인 목적을 입법화하기 위한 정치적 투쟁에서 승리한 것은 오히 려 보수당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 경우 영국의 사례에 있어서 이 같이 성취된 결과들이 과연 자유주의적이었느냐 하는 의문이 제기 될 수 있다 . 이에 대해서 비레크는 두 가지의 경우를 지적하고 있 는데, 어떤 것은 일시적이었고 또 어떤 것은 영속적인 것도 있었 다고 답변하고 있다. 사실상 자유주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정된 것들 가운데 어떤 것은 특정한 정책들 속에 계승되고 있지 만 오늘에 이르러서는 무용한 것도 있고 적합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있다. 한편, 보수주의의 목적은 항상 같은 내용을 담고 있는 데 안정과 질서가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설사 안정의 목적이 정 당하다는 점을 누가 거부한다면 자유주의와 보수주의에 대한 비레 크의 이분법은 탁월성을 갖지만 결국 목적과 수단의 문제로 낙착 되는 것이다. 따라서, 두 가지의 정치적 교의를 갖는 것이 왜 필

요한가라는 율로의 질의에 대해서 우리는 미국의 자유주의와 신보 수주의의 차이점이, 자유주의는 목적을 선호하고 보수주의는 수단 울 선호한다는 점에 있다고 답변할 수 있겠다. 미국의 자유주의자 들은 그들이 생각하기에 사회가 열망하는 일련의 목적을 갖고 있 다는 것이다. 그것은 하나의 계획으로 갖추어져 있지만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택하는 수단보다도 목적에 더 관심을 갖고 있다 . 이에 반해서 신보수주의의 신념은 자유주의적 목적에 접근해 가는 일련의 지침으로 갖추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보수주의자들은 그 러한 목적을 수행하는 전략에 관심을 표명하고 이러한 전략이 전 통적인 지침을 따를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지침울 따르지 않게 되면 보수주의자들은 비헌법적이고 혁명적인 수단이 비개혁 의 조직적 방해보다도 자유주의적 목적을 불가피하게 손상시킬 것 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정치적으로 정책 목적에 따른 수단이 보수 주의적으로 점진적인 성격을 띠게 될 때 사회적으로 유익하다고 그들은 믿고 있다. 따라서, 이들 양 진영의 입장이 모두 옳기 때 문에 자유주의와 보수주의의 신념은 모두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들의 신념은 다르면서도 미국 정치에 있어서 상호 보완적 요소들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이 둘은 불가불 필요한 것 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들 양 진영의 입장이 모두 정당한 것은 물론이려니와 어느 한쪽을 결여한 다른 한쪽은 정당 성을 결여하게 마련이다. 어떻게 보면 미국의 정치가 오랫동안 자 유주의와 보수주의의 순환적 궤도에 점철되어 온 주요 원인이 그 와 같은 양 진영의 상호보완적 성격에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신보수주의자들은 미국 정치에 미치고 있는 과학기술의 영향을 인식하고 있으며, 비레크는 고도로 발달한 대중매체의 증가에 대 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 그러나 그는 이것으로 인해서 야기되는 법률 제정의 기간 단축은 그렇다 치더라도 특히 대중매체를 통한

정치의 상업화 현상을 비판하고 있다. 따라서, 대중매체가 비록 유용한 목적에 이용된다 하더라도 신보수주의자들은 정치 과정의 신속화에 대해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사회 변화의 속도를 감안해 볼 때 현대 사회에 있어서 보수주의자들에게 예리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한편으로 보수주의자들이 정치적 안정과 신중한 행동을 요구하고 있는가 하 면, 다른 한편으로는 버크 보수주의의 시각은 한 나라의 정치구조 가 사회적 현실을 조정하거나 반영시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사실상 정치적 안정이 정치 형태의 행동, 정확히 말해서 버 크 시대에 요청되었던 안정과는 반대의 개념을 요구하고 있는 것 온 현대 사회에서는 역설인 것이다. 다시 말해서 2 세기 전의 정치 적 안정은 사회를 지나치게 활성화시키지 않는 방향에서 제재력을 사용하는 정부의 능력에 달려 있었던 것이다. 죽, 정치적 안정은 사회적 정체 현상을 강화시키는 정부의 능력에 의존한 것이다. 그 러나 오늘날의 정치적 안정은 그와는 반대로 전개되고 있다. 사회 와 과학기술의 발전이 빠른 속도로 진전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 처하는 정부의 활동이 나태하게 된다면 그 결과는 오히려 불안정 한 상태를 유발하기 쉬운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의 정치적 안정 은 사회적 유동성에 대한 정부의 대응책에 달려 있다고 본다. 위 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신보수주의자들의 두 가지 원칙, 죽 정치 적 안정과 정치적 적응력이 서로 조화를 이루지 못했기 때문에 신 보수주의자들은 결과적으로 난관에 봉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려 고 노력하였다. 정치적 변화의 문제와 더불어 두 가지 보수주의 원칙 사이의 부 조화는 다른 면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미국적인 상 황 속에서 종교에 대한 신보수주의자들의 대화 가운데 명확하게 제기되고 있다. 여기에서 문제되고 있는 원칙들은 특히 종교와 전

통에 관계되고 있다. 한편에서 커크는 종교적인 문제가 정치 문제 로부터 헤어날 수 없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에서는 교회 와 국가의 분리를 강조하고 있는 미국의 뿌리 깊은 전통이 엄연히 존속되고 있는 것이다 . 여기에서 커크는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있 어서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하고 있다. 간단히 말해서 그가 양자의 경계선에서 불명확한 입장을 노출하고 있는 점도 있 다. 그는 계속 정책 결정에 대한 종교 도덕적 접근을 제창하고 있 으면서도 한편으로는 개인적인 신앙인의 입장에서 성직자들이 정 치에서 손을 뗄 것을 권고함으로써 교회와 국가의 분리를 요청해 왔던 미국의 전통을 암묵적으로 시인하고 있다 .2 3 ) 그런가 하면 비 레크는 교회와 국가의 분리 원칙을 수용하고 있지만 이들 양자가 언제나 부조화의 관계를 지니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하고 있 다. 그에 의하면 미국의 정치체제는 정치와 제도적 종교의 분리를 요청하고 있지만 정치에 관계된 어느 누구도 종교 도덕적 태도에 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요하지도 않거니와 할 수도 없다고 한다. 비레크는 정치에 대한 견제세력으로서의 교회 세력에 의존하지 않 고 오히려 정치체의 구성원들에 대한 비정형적 종교 심성과 도덕 교육에 더욱 기대롤 걸고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그는 이 두 가지 의 보수주의적 원칙을 상호보완적 관계로 보고 있다. 다시 말해서 교회와 국가의 분리 원칙은 개인에게 국가의 정치 행동을 견제할 수 있도록 보장해 주는 반면에, 국가는 개인의 종교 활동과 종교 적 신앙생활을 저지하지 않도록 제한되어야 한다고 그는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주장은 보수주의적인 시각에서 다른 문제를 제 기하고 있다. 만일, 종교가 국가 행동에 영향을 주고 반대로 국가 가 종교 활동을 통제할 수 없게 된다면, 이것은 종교가 사회구조 적인 면에서 국가의 파괴적인 요인으로 등장하게 될 우려를 낳게

할 것이다. 신보수주의자들은 종교가 사회적인 통합 기능을 수행 한다고 가정하고 있다. 이 점에 대해서 커크는 다음과 같이 언급 하고 있다. 〈인간의 의지와 이성을 초월하는 절대자의 존재를 인 식하는 모든 신앙인들은 모든 결정의 순간에 전통적인 관습의 경 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커크의 가정은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다. 어떻게 보면 이러한 보수주의적 역할울 종교로 귀속시키는 것은 사회에 있어서 종교의 역사적 임무를 왜곡시킬 수도 있다. 허 버 그 Wi ll Herber g는 이 점 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언 급하고 있다. 〈보수주의적인 시각에서 종교는 거대한 보수주의 제 도, 안정과 질서를 유도하는 정신력, 또는 시민사회의 도덕적 기 초로 각각 평가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기능들은 종교로 하여금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가 되게 한다든가 공적 인 공리 수행의 도구로 만들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종교는 기존 질서에 대한 예언자적인 반항성을 상실하고 있는 것이다. 권위 있 는 종교, 적어도 유태 기독교적 종교는 보수적 가치가 모두 보존 되어야 한다는 방향에서 보수주의가 종교에 귀속되는 것을 거부하 고 있다. 종교는 사회를 제재할 수는 있어도 사회의 시녀는 될 수 없다. 죽, 종교는 사회질서 유지의 가치가 유용한 범위 내에서 사 회질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종교는 사회를 비판할 수 있다. 종교의 입장은 단순히 사회의 입장이 절대로 될 수 없 다.〉 24) 특히, 커크는 현대의 비도덕적 사회에 대한 그의 견해를 고 려해 볼 때 종교의 급진주의적 평가와 같은 문제에서 완전히 제외 될 수는 없다고 본다. 그러나 그가 성직자들의 정치 활동을 용인 하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급진적인 종교를 통해서 사회 정치의 구 조를 변화시켜야 된다고 제안함으로써 일관성을 잃고 있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25) 정치권력에 대한 종교의 직접적인 관여 대 종교의 비정형적 영향

력, 또는 종교의 급진적인 성향 대 보수주의적 경향 등에 관한 문 제 이외에도 신보수주의의 추종자들 사이에 이들 두 가지의 입장들 이 서로 조화를 이룰 것인가 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예컨대 켄달과 레 니 J. Austin Ranne y는 자유주의 자들이 도덕 적 문제 와 정 치 문제를 서로 혼용하고 있는 점까지도 경고하고 있다. 이들의 보수 주의적 관점은 이들이 내세우고 있는 교회와 국가의 분리 원칙은 제도적인 면에서나 이론적인 면에서도 바로 보수주의의 상황적 개 념을 의미하고 있는 것이다. 니버 Ni eb uhr, 헬로웰 Hallowell, 엘리 엇T. S.E li o t 등의 신보수주의자들은 자유주의자들의 반대 입장, 즉 교회와 국가의 분리 원칙을 부인하는 입장을 고발, 도덕적, 신학 적 문제를 정치 문제와는 별개로 취급하고 있다. 헬로웰은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우리가 하나님의 나라에 관심을 갖게 된다 면 이 지구상에서 지금 무엇이 성취되어야 하는지의 문제를 더 명 확하게 해결할 수 있다 . 간단히 말해서 세상사를 초월해서 신앙의 세계로 몰입하게 된다면 우리는 이 세계의 모든 일을 완성하는 데 성공하게 될 것이다.〉 26) 헬로웰의 주장에 의하면 분명히 보수주의 적 접근 방법은 종교와 도덕이 사회의 기초적인 규칙을 마련하고 모든 정치 문제가 제기되는 기본적 틀을 형성한다는 기점에서 출 발하고 있는 것이다 . 버크의 관점에서 볼 때 우리는 보편적 또는 상황적 보수주의의 개념에 대한 문제를 발견하게 된다. 확실히 버크는 종교의 구원 적, 내세적 요인을 강조하면서도 그에게 있어서는 세속적 세계의 문제가 더 중요하게 인식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헬로웰의 사상에 접하게 되면 문제는 더욱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다 . 우선 무엇보다 도 정치와 종교가 서로 혼합되고 신의 섭리에 의해서 종교가 정치 행동의 기초로 작용된다면 종교생활이 정치 행동으로 전이되어 나 타나는 과정을 과연 누가 해석해야 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

다. 만일, 버크주의적 보수주의가 정치를 형이상학으로부터 유리 된 것으로 본다면, 보수주의자들이 종교사상의 형이상학적 성격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가 바로 그것이다. 다시 말해서 신의 계획을 발견하는 공식에 대한 문제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에 대한 한 가지의 가능한 답변은 세속적인 사건은 무엇 이든 신의 섭리에 의한 것이라고 인정하는 방법뿐이다. 그러나 버 크가 프랑스혁명에 대한 그의 부정적인 입장에서 분명히 밝혔듯이 이러한 방법의 해답을 거부하고 있다. 같은 차원에서 월터 E.V. Wal t er 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커크가 주장하듯이, 신의 섭리가 관행과 전통을 통해서 스스로를 나타낸다고 한다면, 우리 는 어떠한 관행과 전통이 여기에 해당되는 것이냐고 묻지 않을 수 없다. 전통과 관행들이 서로 갈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전통과 관행을 그대로 따를 수는 없다. 만일, 인간의 이성을 믿지 못한다면, 우리는 이들 수많은 전통과 관행들 중에서 신의 섭리에 해당하는 것을 어떻게 선택할 수 있는가?〉 27) 이상에서 언급한 종교적 해석의 전통적인 두 가지 형태는 현대 미국의 상황에 적합하지 않다고 본다. 첫번째의 것(교회와 국가의 분리 원칙)은 어느 하나의 특정한 종교의 권위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 나 보수주의 를 비 판하는 리 빙 스턴 Joh n Li v ing s t on 은 다음과 같 이 지적하고 있다. 〈오로지 하나의 교회와 권위가 존재하지 않는 한 신의 권위는 교회를 통해서 나타나는 것이다. 만일, 하나 이상 의 교회가 있고 여러 형태의 진리가 존재한다면, 서로 다른 점들 이 어떻게 조정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절대주의론자들이나 상 대주의론자들 모두에게 제기되는 것이다.〉 28) 두번째의 방법론은 개 인적 양심에 의해서 종교적 관행과 신의 계획을 해석하도록 허용 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전자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 제가 똑같이 일어나게 된다. 다시 말해서 개인적 양심은 사람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조정의 형태는 강제적이거나 타협의 형태를 취하게 되는데, 첫번째의 방법론은 미국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으며, 두번째의 방법론은 종교적 원칙에 어긋난다 . 따라서, 종 교의 동기가 언급될 때 신보수주의자들은 종교가 정치 영역에 속 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에 있어서도 서로 다른 입장들을 보여 주 고 있다 . 신보수주의자들이 정치와 종교의 관계를 다루는 데 있어 어려움 이 제기되고 있는 바와 같이 인간 성격의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 서도 같은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 커크에게 제기될 수 있는 가장 명확한 문제는, 만일 인간이 근본적으로 악하다고 한다면, 커크가 생각하는 관행적이고 규제적인 정치제도가 과연 누구에 의해서 창 출되는가 하는 의문이다. 이 우주가 신에 의해서 창조되었다고 하 더라도 커크는 정치구조의 창출에까지 신의 창조의 영역을 확대해 서 주장할 수는 없을 것이다. 예컨대 인간이 악하다고 주장하는 한 인간의 제작물이 모두 악한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인간의 정치제도들이 선한 것이라면 이들 제도들은 이전 시대의 조상의 인간 성격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며, 지금의 후예들에게도 계승되어 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커 크는 이들 양편의 경계선에서 편의적인 입장을 표현하고 있는 것 같이 보인다. 니 버 Rein ho ld N i ebuhr 는 이 러 한 딜레 마에서 벗어 나려 고 시 도하고 있다. 비레크적 신보수주의가 인간의 원죄를 부정하고 있는 점에 동의하고 있지는 않지만, 니버는 모든 인간이 타락되었다고 하더 라도 동률적으로 타락되었다고는 보지 않는다. 이 점에 대해서 그 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유토피아적 환상과 현대 자유주 의 문화의 감성적 혼탁은 사실상 원죄를 부정하는 기본적인 결함 으로부터 생겨난 것이다 . 이러한 결함은 여러 가지 형태의 사회정

의와 인간의 선성을 동일시하도록 현혹시키고 있다. 그러나 인간 의 죄악에는 정도의 차이가 있게 마련이므로, 어느 한쪽이 더욱 악할 수도 있다 .〉 29) 커크 역시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려고 노력하지 만 표면적 제도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하고 있다. 즉, 그는 미국의 전통과 관행적인 제도들이 모두 선한 것만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부분적이긴 하지만 니버와 커크의 이 같은 사고방식은 적어 도 인간 성격에 대한 온건론적인 신보수주의의 견해를 유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인간 성격이 선과 악으로 혼합되었듯이 정치제도들도 이와 마찬가지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커크의 인간 성격의 개념은 다른 어려운 문제를 제기시킬 수 있 다. 인간 행동 결정의 근원으로서의 이성을 제외시키고 있기 때문 에 커크는 정확히 말해서 그가 종교 문제를 다룰 때 나타나는 것 과 똑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 . 예컨대 선한 제도와 나쁜 제도 및 전통과 관행들이 있다고 가정하자 . 그렇다면 정치적 동물로서의 인간은 어떠한 기준에서 어떤 것들을 선택해야 하는지의 문제가 바로 그것이다. 누구보다도 밀스C. Wr ig h tMi lls 는 신보수주의자들 이 종교와 이성을 다루는 데 있어서 일어나는 어려움의 유사성을 다움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 〈보수주의자들이 일관되게 인간 이성 에 대항하는 전통의 비합리성을 옹호하고 있는 한, 그들이 여러 가지의 전통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때 어떠한 변화가 섭리이고 어 떠한 것이 악의 세력이냐를 결정하는 수단으로서의 이성을 가질 수 없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그들은 어느 지도자가 신의 섭리에 따르고 있다든가 누가 개혁자이고 평등주의자인지를 인지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합리적인 행동지침도 제시할 수 없는 것이다.〉 30) 이 러한 문제에 대해서 커크는 두 가지의 주장으로 환원할 수밖에 없 댜 첫째, 이 해답이 행동지침의 모호성의 문제를 떨쳐버릴 수 없 기 때문에 만족한 해답은 될 수 없지만 인간이 추론적인 감각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커크가 이성을 완전히 포기하고 있 는 것은 아니지만 그는 이성을 그가 초월적 이성이라고 호칭하는 인간의 지각력과 연관시키려고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자유주의자 들은 커크의 초월적 이성을 허구적 이성으로 비판하고 있다. 논리 적 사고 과정의 인식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버크주의의 반형이상 학적 보수주의의 문제는 고사하고라도 커크는 어떤 것이 진정한 전통성을 나타내고 있느냐를 판단하는 지식 획득의 방법을 원만하 게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사실상 이성에 대한 신보수주의자들의 문제는 결국 미해결의 어려운 문제로 남게 된다 . 추론적인 감각 Illati ve Sense 에 대 한 커 크의 모호한 입 장과는 달리 , 거 의 모든 신 보수주의자들은 인간 이성을 확실한 기능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 다만 인간 이성이 정치구조의 형성 이전에 적용되는지 아니면 형 성 이후에 적용되는지가 문제로 남게 되는 것이다 . 그러나 대부분 의 신보수주의자들은 인간은 정치체제와 제도의 이면에 있는 가치 를 판단할 수 있는 이성적 능력을 갖고 있다고 인정하고 있다. 더 구나 버크 사상에서 보듯이 신보수주의자들은 원칙적으로 인간 이 성이 앞으로 귀납법적으로 무엇을 보전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확신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연역적으로 어떠한 정치구조를 창설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데 인간 이성을 적용할 수 없다고 그들은 믿고 있다 . 이러한 입장은 역사룰 관찰하는 보수주의적인 성향과 미래를 들 여다보는 보수주의의 공포증을 나타내고 있다 . 역사는 지혜를 제 공해 주고 있는바, 그 원인은 현대인의 선조들이 현대인들보다 영 리하기 때문이 아니라 역사가 스스로 입증하여 온 유용하고 올바 론 정치체들의 선례를 제공해 주기 때문이라고 보수주의자들은 지 적하고 있다 . 보수주의자들은 정확한 역사 자료의 수집에 있어서 일어나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기는커녕 어떠한 정치구조가 규범적으

로 수락될 수 있고 어떠한 요소들이 정치적으로 아직 합당한가의 문제를 결정하고 있다. 이들은 이러한 작업이 가능하다는 사실울 부정하지 않고 있다 . 그러나 정확한 역사 자료가 충분히 축적되고 훌륭한 분석적 도구가 마련될 때 그리고 역사를 연구하는 개개인 이 합당한 결정에 도달하기 위해 역사 자료와 분석 도구를 이용하 는 데 충분한 시간을 갖게 될 때 이러한 작업은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형태의 차이는 있겠지만 정치적 귀족주의의 이념을 신보수주의자들은 보존하게 되는 것이다. 신보수주의자들은 버크주의를 대변하고 있는 커크가 아직까지 해결하려고 시도하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로부터 귀족주의에 얽힌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리라고 믿고 있다. 그러면서도 여러 가지의 보수주의 원칙들, 이를테면 귀족주의 , 종교, 인간 성격 등 의 문제들 사이에 아직까지도 일관성이 결여된 의적 모순성이 존 재하고 있는 것 같다. 월터 E . V. Wal t er 는 조소적인 의문을 다음과 같이 제기하고 있다. 〈만일, 에드먼드 버크의 해석가인 커크가 우 리에게 지적하고 있듯이 현실적으로 인간의 마음이 악의 근원이 된다고 한다면, 이 같은 판단이 귀족주의에도 적용되는 것인가? . 아니면 귀족계급이 일반 대중보다 덜 타락했다고 볼 수 있는가? 왜 대부분의 보수주의자들이 성급하게 원죄의 범주를 일반 대중에 게 적용하면서도 귀족계급에는 적용하지 않는가? 마치 이들의 주 장에서는 귀족계급이 원죄와는 관계없이 세상에 출생한 것같이 보 여지고 있다.〉 31) 니버까지도 이 문제에 대해서 보수주의자들의 모 순점을 지적하고 그의 보수주의적 성향을 감안할 때 놀라운 결론 에 도달하고 있다. 죽, 그는 귀족주의보다는 민주주의가 정치질서 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갈파하고 있다. 시어스 Laurence Sears 는 니버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확실히 자유 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보수주의자들에게도 민주주의에 대한 공약

을 찾아볼 수 있다. 보수주의자들의 경우에서도 인간성 타락에 대 한 확신만큼이나 인간 성격의 성선설에 대한 신념도 발견된다. 니 버는 정의에 대한 인간의 성향은 민주주의를 가능케 할 수 있으 며, 부정의에 대한 인간의 성향은 민주주의의 필요성과 일치한다 고 말하였다. 이러한 지적은 정확히 말해서 일반 대중이 도덕적으 로 타락했다고 보는 귀족주의적 신념을 사람들이 신용할 수 없다 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3 2) 이상의 논지는 비레크를 추종하는 보수주의자들이 인간의 원죄 를 부인하고 있는 이유들의 하나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인간의 결함을 지적함에 있어서 비레크는 적어도 인간의 약점을 극복하는 사람들이 귀족층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원죄에 대해서 언급하게 될 때 니버는 귀족주의의 이념을 포기하고 있는 가 하면 커크는 니체의 개념에서 볼 수 있는 초월적 존재에 버금 가는 귀족주의의 이념흘 옹호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상 경제적 부, 교육, 안일한 생활(여가)이 어떻게 이 같은 형태의 종교적 초 월성을 완성시킬 수 있느냐 하는 점을 가시화하기란 어려운 일이 다. 오히려 비레크의 관점에서 이 같은 귀족주의적인 도구(부, 교 육 등)가 귀족층들로 하여금 어떻게 인간의 욕구와 지적인 편협심 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지를 밝혀 내는 것이 더 용이한 일일 것 이다. 불행하게도 비레크는 귀족주의 개념에 대한 외적 문제를 쉽게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과거의 역사는 높은 교육과 광범한 시야를 갖고 있는 귀족들이 버크나 비레크가 의도했던 만큼 일반 적으로 행동하지 못했던 점을 보여 주고 있다. 영국의 빅토리아 시대에 대중민주주의에 대한 회의론을 갖고 있던 고전적 보수주의 자인 악톤 경 LordAc t on 까지도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상층 계급은 정치권력을 향유하고 그들의 이익을 옹호하기 위해서 권력

을 사용하는 등 이기적이고 비인간적인 법에 의해서 하층계급을 억압하곤 하였다. 일반 대중을 위한 거의 모든 것들은 부유층이 권력의 독점을 상실했을 때 상대적으로 이루어졌던 것이다. 지난 반세기 동안에 제정된 사회복지법안은 선거제도의 개혁으로 나타 난 결과였다.〉 33 ) 물론 비레크는 정치적 위계질서의 개혁을 꺼려하 지는 않았지만 미국의 상황 속에서 이러한 개혁을 수용함에 있어 서는 귀족주의의 근본적 개념을 정의하는 과정에서 결국 함정에 빠지고 있다. 지배계급을 둘러싼 미국의 사회적 유동성을 인식하 고 있었기 때문에 그는 귀족주의적 정신의 보존에 매달리게 되었 지만, 결과적으로는 누가 미국을 통치해야 되느냐 하는 문제에 대 해서 명확한 해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괴물 형상의 정치적 환상만 울 남겨 놓게 되었다. 사실상 버크의 지도자 이론은 현대 보수주 의자들에게 당혹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포겔린 Voe g e lin 은 민주적인 국민대표제보다 공산주의의 국민대표제도가 고전적 보수주의 이론에 충실하고 있다는 역설적인 주장을 피력하고 있 댜 왜냐하면, 진정한 국민대표는 국민의 이익을 〈마음 속에서〉 대변하고 특정 이익을 대변하는 정당의 배제가 진정한 국민대표를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공산주의자들이 주장하고 있기 때문 이다. 공산주의자들의 이러한 주장은 버크의 사상에서 볼 수 있는 〈실제적 대표이론〉 및 분당배제이론과 공통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 에 포겔린은 이상과 같은 역설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34) 더 나아가서 신보수주의에서 제기되는 가장 큰 외적 문제는 궁 극적, 도덕적 실천 단위로서의 개인 문제와 전통적 관행과 가치의 구체화로서의 사회공동체 문제 사이에서 일어나는 갈등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개인적 자기표현을 강조하는 측면에서 우리는 비레 크, 랜드 Ay n Rand, 프리 드먼 Milton Fri ed man, 드러 커 Pete r Drucker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색깔로 혼성된 신보수주의자들과 신보수주의

의 유형에서 벗어나는 미국의 보수주의자들을 발견하게 된다. 그 들의 사회적 태도는 아니더라도 적어도 학문적 태도에 있어서 이 같은 개인주의적 생활철학을 신봉할 뿐만 아니라 열성적으로 추종 하고 있다. 반면에 커크, 버클리 Burckley, 윌슨 등과 같은 신보수 주의자들은 학문적인 차원에서 개인주의적 생활을 영위하고 있음에 도 불구하고 사회공동체와 개인생활의 연결고리를 강조하고 있다 . 이들 보수주의의 양 진영은 역사를 자신들의 시각에서 해석하고 있다 앞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비레크는 보수주의자들이 학문 적, 문화적, 사회적 일체성을 강조하고 있는 점에 대해서 반항하 고 있다 . 비레크의 입장에서 보면 보수주의자들은 명목상으로 개 인주의로 정향화된 비보수주의적 성향을 갖는 것으로 오인될 수 있다는 것이다. 커크는 전혀 다른 각도에서 현대 사회의 조건을 관조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개인적 표현과 개인적 창조 활동은 아마도 극소수의 개인들이 시간, 재력 및 창조적인 욕구를 갖고 있었던 버크 시대에 있어서는 정당화될 수 있는 규범이었다고 본 다 . 이 같은 환경 속에서 개인적 창조 활동은 점진적인 사회 변화 를 유도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현대 사회의 개인들 온 버크 시대와는 다른 상황에 놓이게 된다. 자기표현과 자기발전 의 가능성과 의지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더 많은 여유의 시간을 가능케 해주는 재력, 인구 폭발 및 교육의 발전을 통해서 기하학 적으로 증대되어 왔다. 따라서, 여기에 관련된 사회 현상은 양적 변화는 물론 질적 변화까지도 유발시켰으며, 결국 사회 변화는 성 격적으로 혁명적 경계선을 넘게 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미래의 충 격적인 사회에 있어서 개인주의는 보수주의적 시각에서 강조될 수 없다고 커크는 주장하고 있다 . 여기에서 제기되는 중요한 문제는 신보수주의자들이 세계사의 현시점에서 질서와 자유의 축이 어느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하는가

의 문제를, 영원히 해결할 수 없는 갈등구조로 보느냐 아니면 과 도기적인 부조화로 보느냐 하는 문제로 귀결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여기에서 보수주의적인 원칙을 보편적 개념의 부조화 로 볼 것인지, 아니면 상황적 개념의 부조화로 보아야 하는지의 문제가 제기된다. 아마도 신보수주의자들의 어느 누구도 그들이 상호모순적인 개념울 다루고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어 떤 신보수주의자들은 이 두 가지 개념의 정반대의 성격을 무시하 거나 하나의 개념에 충실하는가 하면, 기타의 다른 이론가들은 이 두 가지의 개념을 역설적으로 해설하거나 상호보완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앞에서 이미 지적했듯이 커크는 질서, 권위, 안정 등의 보수주 의 원칙에 대한 필요성을 무엇보다 중요시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 로 비레크는 유독 자유와 개인주의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 다. 그는 물론 보수주의 사상이 그가 지적하는 보수주의의 원칙에 극단적으로 치우치게 되면 원자론적, 자유주의적인 무정부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특정한 보수주의적 동기를 다루게 될 때 그는 균형을 이루는 보수주의의 입장을 제시 하려고 의식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 예컨대 경제 문제의 영역에 있 어서 그는 사회에서 빵 문제는 많은 사람들의 조직화된 협동에 의 해서 해결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지적하고 있다 .35) 그럼에도 불 구하고 조직화된 협동 정신의 결과로 나타난 공산주의의 출현에 대응해서 그는 개인적 자유에 입각한 시장경제의 원칙으로 환원하 고 있는 것이다 . 경제 문제에 있어서 확실히 그는 이론적 갈등을 보여 주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그는 〈있음직한 역설〉이 될 수 있 다고 답변하고 있다 .36) 그러나 기타의 보수주의자들은 경제 문제에 대한 비레크의 수수께끼 같은 입장에 만족하지 않고 있다. 신보수주의 운동의 절정기 이후에 마이어 FrankMe y er 는 신보수

주의 내부의 분열을 인식하면서도 신보수주의 자체 내에 근본적인 갈등은 찾아볼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론가들 상호간에 대립 된 시각들이 존재하거나 경우에 따라서 서로 양립할 수 없을 정도 로 의견 대립이 심각하더라도 그들은 공동의 적에 대항해서 전열 을 가다듬고, 같은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광범위한 보 수주의 정치이론에서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마이어는 평가 하고 있다 .37) 미국의 역사에 있어서 보수주의의 정체성이 항상 존 재해 왔기 때문에 이와 같은 보수주의의 정체성이 신보수주의자들 에게만 해당되는 학문적 창조 활동의 형이상학적 공로라고는 볼 수 없다 . 우리는 진보적인 자유주의의 이면에 건전한 보수주의가 있었고 또는 간혹 그 반대의 경우도 있었던 점을 간과하기 쉽다. 이러한 면에서 마이어는 서구 문명의 특색을 두 사상 간의 균형과 긴장을 조절하는 능력에서, 또는 양 진영의 사상이 서로의 목적을 보완해 온 방향에서 찾고 있다 . 38) 여기에서 마이어는 신보수주의의 내부에서 일어난 갈등과 긴장에 관한 문제를 자유주의와 보수주의 의 갈등과 긴장으로 비약해서 서구 문명의 특색을 설명하고 있지 만, 궁극적으로는 신보수주의의 이론적인 분열상을 긍정적으로 받 아들이고 있다. 따라서, 그는 긴장으로부터 조화를, 갈등으로부터 상호보완성을 신보수주의의 난맥상에서 찾고 있다 . 그는 이 점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다 . 〈절대적 가치를 용인하지 않는다면 정치 사회적 사상과 실천의 단위로서의 개인의 탁월성은 철학적 바탕을 가질 수 없다. 반대로 인간 존재의 목적으로서의 도덕성에 대한 신념은 자유의 필연성을 인식하게 된다.〉 39) 이 내용은 미국의 역사 속에서 전개된, 어떻게 보면 역설적이지만 자유주의에 대한 보수주의의 공헌을 갈파하고 있는 것이다. 근본적으로 마이어가 여기에서 시도한 것은 서로 반대되는 수단 과 목적을 보수주의적인 원칙으로 설정하는 데 있다 . 어떤 시각에

서 보면 규범적 가치와 정치질서는 개인주의와 자유의 목적을 달 성하기 위한 수단이라고 볼 수 있다. 즉, 가치와 질서는 개인주의 와 자유의 표현을 보장해 주는 사회적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다 . 정반대의 시각에서 보자면 인간은 개인적 도덕성과 사회적 안 정을 위해서 도덕적 생활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부여받았다고 볼 수 있다 . 따라서, 인간의 자유와 개인적 선택권은 그의 도덕성 과 사회 안정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 단과 목적의 연결고리와 같은 인식은 마이어나 신보수주의자들에 게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신보수주의자들은 삼단논법 으로 문제를 생각하지 않고 오히려 복잡한 현실을 전제로 해서 모 든 문제에 접근해 가고 있다. 근본적으로 그들은 인간의 합리적 사고 양식이 결함투성이라고 생각하지만 인간의 이성이 반드시 허 약하지는 않다고 인식하고 있다 . 모든 보수주의자들이 이성을 추론적 감각, 각 시대의 역사적 지 혜 및 신의 섭리와 같은 계획 등으로 인식하고 있는 점이 합리론 적인 자유주의자의 인식과 다른 점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지만 그들이 이성을 지지하고 있다 하더라도 자유주의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추론적인 능력으로서의 이성만으로는 만족하지 않고 있다. 앞에서 지적하였듯이 이성에 대한 커크의 증오감은 현대인들과의 의미 있는 대화를 거부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으로 이성에 대한 비레크의 긍정적인 입장은 커크와는 격세지감을 나타내면서도 신 중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신보수주의자들은 과학적 방법론의 인식론적인 어려움과 악용을 비난하고 있기 때문 에 이러한 방법론이 궁극적으로는 보수주의적인 입장을 지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전면적으로 부정하고 있는 것이다. 아마도 신보수 주의의 가장 큰 결함은 결과적으로 보수주의적인 성향을 갖고 있 는 과학적 방법론을 수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그것을 배격하고 있

는 점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신보수주의가 근본적으로 신보수주의의 입장을 지 지하고 있는 방법론(과학적 방법론)을 배제시키고 있는 점은 뜻밖 의 결과라고 본다 . 베이 Ch risti a n Ba y는 이러한 상황을 다음과 같 이 설명하고 있다. 〈의외로 오늘날 행태주의에 바탕을 둔 정치학 의 문헌들은 보수주의에 깊이 연계되어 있다.〉 4 0 ) 예컨대 오늘날 미 국의 정치질서가 통계 결과에 의해서 볼 때 〈선한 사회〉를 구체화 하고 있기 때문에 선한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지속적이고 혁명적 인 탐색 노력은 이제 끝났다고 하는 인식이 립세트의 대부분의 연 구 업적에 깔려 있다 .41 ) 사실상 립세트는 적어도 고도 산업사회에 서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소멸을 지향하는 1960 년대의 경향을 환영 할 수 있을 정도로 극히 버크주의적인 입장까지 밝히고 있다 .4 2) 이 러한 입장에서 그는 사회과학이 보수화의 학문을 대변하고 있음을 어느 누구보다도 확신하고 있다. 베이는 립세트가 행태주의의 예 의적인 인물이 아님을 밝히면서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현 상 유지를 천명하고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중요성과 정당성마저도 거부하는 학문적 경향은 기타의 행태주의적 업적들에서도 분명하 게 나타나고 있다.〉 43 ) 이 같은 경향이 도출된 이유는 이데올로기적인 면도 있지만 방 법론적인 면에서도 마찬가지의 결과였다고 본다. 신보수주의자들 이 이론적 실마리를 버크로부터 찾고 있기 때문에 반형이상학적인 입장을 분명히 함으로써 역사로부터 유래된 제도, 가치, 사실 등 에 중요성을 인정하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 사회과학에서 도 마찬가지인 것이다. 이 점에 대해서 부캐넌J ames Buchanan 과 툴라크 GordonTullock 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 〈과학적 분석 이 어딘가에서부터 출발하고 있는 것이 분명한데, 기존의 규칙과 제도는 과학적 분석이 출발하는 유일한 위치가 되는 것이다.〉 44) 앞

에서도 지적했듯이 이 같은 사회과학적 방법론에 대한 신보수주의 의 비판은 그 방법론이 탈규범적 중립성을 밝히고 있으면서도 현 실적으로는 과학적 방법론에 알맞은 선입관적인 가치관에 의존하 고 있다는 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은 사회과 학자들의 망상을 지적하는 적합한 비판이 될 수는 있다 하더라도 신보수주의자들이 사회 정치적 질서의 보수주의적 입장을 보호하 기 위해서 필요한 비판은 아니라고 본다. 왜냐하면, 행태주의자들 이 의도했던 것은 아니지만 바탕에 깔려 있는 가치의 중립성은 현 상 유지의 보존, 죽 기존의 규칙과 제도로부터 분석을 시도하는 데 함축된 가치 문제와 다룰 바가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비규 범적 분석에 대한 잘못된 가정 때문에 행태주의자들을 거부할 것 이 아니라 신보수주의자들은 행태주의의 오류를 지적하면서도 그 들의 분석 방법이 오히려 보수주의적 입장을 강화하고 있는 점을 수용할 수 있었다면 더 좋은 결과가 나타났을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확실히 어느 누구도 정치학자들이나 심지어는 행태주의자들을 하나의 단선형적인 집단으로 유형화할 수는 없는 것이다. 다시 말 해서 이러한 학문 영역 내에는 정치 영역의 여러 국면을 분석하는 다양한 접근 방법이 있게 마련이다 . 이들 다양한 접근 방법의 종 합적 조사 연구가 가능하다면 이러한 연구의 결과가 신보수주의의 재평가의 내용과는 거리가 있을 수도 있겠으나, 우리는 사회과학 의 접근 방법이 보수주의적 입장을 보강해 줄 수 있다고 본다. 어떤 관점에서 본다면 몽테스키의의 제도적 보수주의는 제임스 페트라스 Jam es Pe tr as 가 지 적 하듯이 가장 보편화된 사회과학의 지 엽적 연구 영역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방법론은 사회 안정 울 중요시하고 있으며 이 방법론의 가장 중요한 핵심은 〈평형〉과 〈균형〉의 개념에 있다 . 45) 예컨대 탈코트 파슨스 Talco tt Parsons, 로

버 트 달 Robert D ahl, 베 렐슨 Berelson, 아몬드 Almond 와 버 바 Verba 등은 이 같은 방법론을 시도하고 있는 평형적 자유주의자들 E q u ili berals 로서 이들이 사용하는 중요한 가치 개념은 사회 안정, 즉 지속적인 체계의 유지에 있는 것이다 . 46 ) 물론 여기에서 의미하는 안정이란 경직된 상태를 의미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 특히, 비레크 가 의미하는 신보수주의적 입장은 파슨스의 이론에 잘 반영되고 있 는데, 파슨스의 기능적 필수요소로서는 안전과 유연성의 균형, 즉 진보와 보수의 균형 상태가 지적되고 있다 . 4 7 ) 또한, 비레크의 경우 에서 보면 버크가 좁은 의미로 정의한 귀족주의로부터 탈피해서 신보수주의는 귀족주의의 현실적인 개념, 더 정확히 표현해서 귀 족주의 정신으로 무장된 엘리트주의를 거부하지 않고 있다. 이 점 에 대해서는 특히 행태주의적 정치학자들도 마찬가지의 입장을 취 하고 있다. 예컨대 페트라스는 이들 행태주의적 정치학자들의 차 선의 중요 관심이 정치체계의 안전뿐만 아니라 정치체계를 영속화 할 수 있는 일종의 정치 지도력의 유지에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48 ) 정치적 엘리트의 통치력에 대한 이들 행태주의적 정치학자들의 분석은 버크에 의해서 제안된 선거 유권자들의 구성에 대한 기본 개념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버크는 일반 대중의 이해력 부족 때문에 보통선거에서 일반 대중을 제외시켰 다. 그런데 미국의 민주정치는 모든 시민을 제도적으로 선거 과정 에 투입시켜 왔지만, 미국인들의 선거 행태를 다룬 정치학자들의 분석은 일반 대중에 대한 버크의 평가가 옳았고 그의 반대파의 평 가가 옳지 않았다는 점을 명확하게 밝혀 주고 있다. 그 좋은 예로 서 덩 컨 Graeme Duncan 과 룩스 Ste v en Lukes 는 다음과 겉 이 지 적 하 고 있다. 〈선거 행태 연구 결과는 일반적으로 선거인들이 민주정 치의 모든 전통적 필수 요건들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점을 보

여 주는 데 일치하고 있다. 베렐슨은 옛날 정치 이론가들에 의해 서 요구되었던 민주정치의 특성에 대한 복합적인 내용을 작성, 여 론조사에서 나타난, 현실적으로 유권자들이 생각하는 민주정치의 특성과 대조하고 있다. 여기에서 연좌적 행동, 참여 및 책임의 분 담은 도덕적인 것으로 밝혀졌고, 정치적 냉담과 무관심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실제로 베렐슨이 입증하고 있듯이 유권자 들의 1/3 미만은 정치에 대한 관심을 표명하고 있지만 많은 유권자 들이 정치적 무관심 속에서 투표를 하고, 공개토론과 참여에 대한 동기는 거의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정치에 대 한 유권자들의 지식과 정보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유권자들은 그들이 신중하게 생각해 온 어떠한 원칙에 의해서 투 표에 참여하지 않고, 그들이 사용한 판단 기준은 선거 당시의 중 요한 사회문제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유권자들이 합리적으로 결정하고 선거에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나 타났다.〉 49) 확실히 베렐슨의 선거 행태 연구는 신보수주의자들의 이론 이상 으로 민주정치에 대한 보수주의적인 입장, 특히 버크의 주장을 확 인해 주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치에 관심을 갖고 있다는 유권자의 1/3 미만은 버크가 지적하는 일반 국민이 아닌 공 공인 Pub li c 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유권자들 이 합리적으로 결정한 다음 선거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는 결과는 인성론에서 인간이 비합리적인 성향을 갖고 있다는 버크의 주장과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도 인식할 수 있다. 사실상 행태주의 이론가들은 립세트가 사용하는 개념과 같은 〈민 주주의의 엘리트 이론〉이라는 주제하에 새로운 관점을 통합함으로 써 그들이 설명하고 있는 정치 현실에 고전적 민주주의 이론을 적 응시켜 왔다고 볼 수 있다 .50) 엘리트 이론가들은 〈민주주의의 엘리

트 이론〉을 수정하여 현실에 부합시켜 민주주의의 개념을 급진적 인 차원으로부터 보수주의적인 정치이론으로 변화시킨 것이며, 이 점은 자유주의 비평가들도 마음에 내키지는 않지만 환영하고 있는 실정 이 다伊 또 다른 분석 가인 골드슈미 트 Maure Goldsch mi d t는 이 들 행태주의 이론가들과 버크 사이에는 실제적으로 평행선이 형성 되어 있다고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베렐슨, 밴필드 Ba nfield , 아몬드와 버 바 등과 같은 행 태 주의 이 론가들의 개 념 과 근대적 보수주의 개념의 창시자인 버크의 이론을 비교해 보면 이 들의 연구 업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버크는 사회정 의를 현실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는 입장을 거부하고 있는 고전적 민주주의와는 대조적으로 이상적인 것과 현실적인 것을 동일시하 고 있다. 따라서, 행태주의 이론가들은 확실히 버크의 입장을 수 락하고 있다.〉 52) 행태주의와 신보수주의의 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하지 않는 신보 수주의자들의 결함과는 달리, 골드슈미트는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 롤 확실하게 지적하고 있는 셈이다. 정치 분석 방법론에 대해서 아몬드와 버바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보다 안전하고 성 공적인 민주주의 국가들에서 현실적으로 나타나는 정치 행태의 유 형과 합리론적인 이념 사이에 존재하는 모순점을 우리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이 같은 모순점은 민주주의의 불완전한 기능에 서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만일, 정치생활의 제반 현실이 어느 누구의 정치이론에 적합하도록 수정되어야만 한다고 믿는다면, 이 러한 설명은 만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만일 제반 정치이론이 정 치생활의 현실로부터 유도되어야 한다고 본다면 정치 행태의 유형 과 합리론적인 이론과의 상위성(모순)에 대한 이 같은 설명은 수 락되기가 어렵다. 후자의 관점에서 우리는 그에 대한 판단 기준이 버크와 신보수주의자들에게서 비합리적으로 조정되기 때문에 양자

간에 상위성이 존재한다고 주장하게 될 것이다.〉 53) 정치질서의 전 체적인 측면에서 볼 때 여기에서도 공통적인 관점이 드러나고 있 다 . 경험론자들이 버크의 이론에서 볼 수 있는 〈보이지 않는 손〉 의 개념을 포괄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점은 더욱 놀라운 사실이다. 신보수주의와 행태주의의 세번째의 상응관계는 민주주의적이든 엘리트주의적이든 국민대표이론에서 일어나고 있다. 앞에서 지적 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행태주의 이론가들은 유권자들의 무식과 냉담성을 지적하고 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몬드와 버바는 이 와 같은 현실을 시인하면서 일반 대중이 상대적으로 수동적이고 복종적일 때 정치 지도자들이 권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고 주장하고 있다 .54) 따라서, 골드슈미트는 아몬드와 버바가 〈실제 적 국민대표이론〉에 관심을 표명하지 않더라도 이러한 견해가 그 들의 민주적 지도자론의 설명, 죽 실질적으로는 유권자들에 의해 서 견제를 받지 않지만 공공복지를 위해서 통치를 하는 지도자이 론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점은 이상한 일임에 틀림없다 .5 5) 마지막으로 버크의 국가와 사회에 대한 유기체론적인 개념과 변 화에 대한 보수주의적 접근 방법은 이들 현대의 정치 이론가들의 문헌에 반영되어 있다. 버크가 사회를 사회체계 내의 여러 부분 요소들이 밀접하게 상호연관되어 있는 유기체 또는 체계로 보고 있는 점, 그리고 이 같은 부분 요소들 간의 연관성과 복잡성 때문 에 사회의 점진적인 변화를 주의 깊게 고찰하고 있는 점 등에 대 해서 베렐슨, 아몬드 및 밴필드 등은 동의하고 있다 .56) 사실상 아 몬드와 버바가 그들의 공저 『시민문화』에서의 전체적인 이론적 시 도는 일반론적 사회 태도, 죽 정치적 상이점을 초월하는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는 데 있었다 .57) 버크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들에 의해 서 제기된 문제의 핵심은 국가와 사회에 대한 하나의 문제일 뿐만

아니라 현실 세계의 분석과 실제적 중요성의 관점에서 국가보다도 전체 사회를 하나로 보는 데 있었다. 따라서, 어떤 의미에서 본다면 신보수주의자들이 사회 인식에 있어서 공동전선을 형성한 것은 사실이나, 어디서부터 사회문제를 관찰해야 하느냐는 것은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그들은 행태주의적 방법론을 냉대하면서도 간접적으로 그것을 강력하게 후원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점에 대해서 골드슈미트는 다 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원죄이론의 재현, 이데올로기와 유토 피아 사상에 대한 비판, 좌익의 민주주의론과 인민주의에 대한 비 판, 전통과 버크 사상의 강조, 엘리트 이론의 선호와 일반 유권자 들의 무능력을 강조하고 있는 점 등은 현대 정치학에 지대한 영향 울 준 보수주의적 개념들이라고 본다 . 〉 58 ) 따라서, 페트라스가 지적 하듯이 현대 정치학이 버크의 보수주의적 제가치의 강력한 조류에 의해서 계승되고 있는 점은 놀라운 사실이 아니다. 다시 말해서 개인적 행동 결정의 기저로서의 비합리성, 전통성, 관습 등은 정 치학에서 하나의 장점으로 인정받게 된 것이다 . 또한, 정치적 엘 리트에 의해서 인정받은 기성 제도와 실천을 통한 점진적 변화는 정치체에 대한 기능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59 ) 따라서, 신보수 주의자들이 현대의 경험론과 고전 철학(형이상학)을 연계시키려 노 력하지 않았던 점은 놀라운 사실이며 하나의 비극인 것이다. 이들 이 이러한 업적을 이룩했다면 아마도 신보수주의 운동은 그 호칭 과 어울리는 결과가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이 운동이 내적, 의적 으로 갖고 있는 결함들이 나타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평가및 결론 만일, 신보수주의자들이 오늘날 보수주의적 경향을 갖고 있는 행태주의적 정치학자들의 방법론에 대해서 관용적인 입장을 표명 했더라면, 적어도 신보수주의자들은 행태주의적 정치학자들에게 많은 영향력을 발휘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신보수주의 운 동이 의도했던 대로 영향력을 발휘하는 데 얼마나 성공적이었느냐 하는 문제는 아직도 의문으로 남아 있다. 이러한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서 우리는 다음의 몇 가지 문제점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우선 신보수주의자들은 심리적인 격정의 문제에 당면하고 있다 .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보수주의는 근본적으로 반이데올로기적 인 성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혐오감은 이데올로기적 인 교조주의에 대한 반감에서뿐만 아니라 이데올로기적 격정, 즉 이데올로기의 종교적 열광에 대한 증오에서 나타나게 되는 것이 다. 이러한 지적, 감정적인 절제력은 보수주의자들에게 상당 수준 의 분별력을 제공하는 반면에 열광적이고 이데올로기적인 반대자 들에 대한 그들의 대응력에 있어서는 스스로의 불이익을 초래하였 다고 본다 . 이 점에 대해서 로시터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보수주의의 사명감은 십자군과 같은 성전의 성격을 갖고 있지 않 다 . 종종 선거 유세에 임하고 있는 보수주의자들은 용맹스럽게 처 신하고 있지만 결국 청중들도 알고 있듯이 품위를 잃고 행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순수한 보수주의자는 십자군의 용사가 아니며 열광적으로 감정에 치우치기보다는 의무감에 사로잡혀 그 의 사명을 감당하게 되는 것이다.〉 60) 따라서, 매카시와 같은 보수 주의적 용사는 두 가지의 다른 시각에서 비보수주의자로 평가되는 것이다. 죽, 비레크는 매카시가 사용하는 수단 방법 때문에, 로시 터는 그가 취하고 있는 행동양식 때문에 매카시를 비보수주의자로

각각 평가하고 있다. 보수주의자들이 그들의 사명감에 충실하기 위해서 감정에 치우 치지 않고 성실한 책임감에 집착하게 된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면 어떠한 방법으로 그들은 미국에 있어서 엄청난 물결의 자유주의 분위기를 잠재울 수 있을 것인가? 커크는 이러한 질문에 대해서 어느 누구도 이러한 자유주의 분위기에 침착하게 대응하기가 어렵 고 보수주의자들의 심기 불편한 논쟁 형태는 열광자의 모습으로 변질될 수밖에 없다고 시사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그는 버크가 프랑스혁명을 반대하는 입장에서 점점 거친 논쟁을 시도했던 사실 에서 위안을 찾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버크와 커크의 경우에 서 보면 확실히 『프랑스혁명의 소고』와 『보수주의 정신』과 같은 이들의 초기 저술은 보수주의를 수호하는 가장 효과적인 논쟁을 불러일으켰던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거친 논쟁력과 보수주의적 설득력이 항상 일치한다고는 볼 수 없다. 혹자는 표면적으로 미국의 자유주의 분위기를 인정하면서도 미 국 사회의 바탕에 근본적으로 자유주의가 기초하고 있다는 사실을 부인하면서 위에서 제기한 문제에 대한 해답을 시도하고 있다 . 예 컨대 밀스 C.Wr ig h t M ill s 는 미국 사회를 보수주의 사회로 정의하고 있다 .6 1) 따라서, 보수주의자들이 할 일은 미국의 자유주의가 미국 인들의 골수에 박혀 있는 보수주의적인 심성을 둘러싸고 있기 때 문에 자유주의의 표피층에 침투해야 한다고 본다. 죽, 밀스가 지 적하듯이 미국인돌이 근본적으로 보수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다면 보수주의자들이 할 일은 보수주의의 진정한 모습을 밝혀 주면 되 는것이다. 불행하게도 과거를 되돌아 보면 신보수주의자들은 보수주의의 사명을 갖고 어떠한 사람들에게 접근해야 할지에 대해서 확신이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본다면 커크는 유난히 정신분열증

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예컨대 그의 저서 『보수주의 정신』은 확실히 학자층을 겨냥한 보수주의의 메시지였던 반면에 『미국의 근본 The America n Cause 』 은 고등학교 학생 들에 게 오히 려 당혹감을 불러일으켰던 것이다. 비레크의 문헌들은 버크의 개념에서 볼 수 있는 〈공공인 Public > , 죽 중간 이 상의 상부계 층에 보수주의 의 복 음을 호소한 업적이었다고 본다. 그런가 하면 로시터는 보수주의 자들의 호소가 엘리트 계층에 집중되어 결과적으로는 일반 대중이 올바른 방향으로 정향화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함으로써 오히려 혼란을 제기하고 있다 .62) 그는 확실히 신보수주의의 청중에 관한 문제에 대해서 여러 가지의 이견이 있음을 누구보다도 찰 인식하 고 있다. 특히, 그는 통합된 보수주의 운동을 꺼려하고 있다. 즉, 그는 보수주의 운동은 권력 현상과 마찬가지로 한 곳으로 쏠 리는 것보다는 분산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63 ) 따라서, 신보수주의가 당면하고 있는 어려운 점은 명확하게 표출 되고 있는 것이다. 즉, 원칙적으로 신보수주의는 보수 성향의 양 적인 면에서도 반대파에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통합된 단일 세 력으로도 반대파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미 국의 신보수주의는 세력이 분산되어 전투에 임하고 있는 느낌마저 부인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신보수주의 운동은 표면적으로 성공 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커크는 신보수주의라는 용어가 미국에서 대부분의 정치인들과 일반 대중들에 의해서도 환영을 받게 되었다 는 사실을 지적한 바 있다 .64) 휼 Chadw i ckHall 도 그의 논문에서 심 지어는 공화당 출신의 대통령도 경제적인 면에서 보수주의자임을 자인하고 미국인들이 보수주의를 꺼려할 이유가 없다는 점을 강조 했던 사실을 지적하고 있다 . 사실 그는 보수주의적 혁명이라고 할 만큼 1950 년대 미국 사회의 보수주의적 성향의 고조 현상을 지적

하고 있다 .65 ) 그러나 미국인들이 보수주의적 성향에 쏠려 있으면서도 적어도 버크나 신보수주의자들이 의미했던 대로의 보수주의의 실제 내용 을 수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보수주의의 의면적 성공은 실속 없는 승리예 불과했던 것이다. 예컨대 아이젠하워 시대는 조리 정연한 보수주의가 아닌 비합리적인 현상 유지의 비개혁주의를 대변한 시 대였다고 본다. 스티븐슨 Adl ai S t evenson 이 정치면에 신보수주의적 접근을 시도했던 가장 훌륭한 인물이었다고 지적한 비레크의 평가 는, 스티븐슨이 대통령 선거에서 실패한 사실을 고려한다면 당시 의 보수주의적인 성향을 설명하기에는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다 지 말해서 어떠한 시각에서 보든지 간에 우리는 신보수주의가 미 국에서 정치적으로 성공했다고는 단정하기는 어렵다 .66) 그러나 신보수주의 운동을 분석하고 있는 모든 이론가들은 운동 의 성공 여부에 대한 문제를 이 정도의 수준에서 머물고 더 이상 파헤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자유주의적 세계관은 정치를 현대 생활의 핵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정치 영역에 있어서 자유주의의 실패는 총체적인 정치의 실패로 당연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 러나 이러한 결과는 똑같은 오류를 범하게 되는데, 이를테면 보수 주의를 보수주의의 속성과 원칙에서가 아니고 자유주의의 반대 입 장에서 정치적으로 평가하고 있기 때문에 보수주의와 자유주의에 대한 평가는 같은 결론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신보수주 의자들이 무엇을 목적으로 하고 있느냐는 시각에서 본다면 신보수 주의 운동은 많은 이론가들이 지적한 바와는 반대로 그렇게 실패 를 거듭한 것은 아니었다고 본다. 대체적으로 1970 년대까지의 신 보수주의 운동은 이상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부정적인 평가를 받 고 있지만, 1980 년대에 와서 미국의 보수세력을 정치적으로 집결 시킬 수 있었던 레이건 현상은 1950 년대에 출현해서 한 세대 동안

미국의 문화 속에 씨를 뿌린 신보수주의 운동의 결실이었다고 평 가된다 . 신보수주의자들이 소홀히 했던 점이 있다면 자유주의 이론에 대 응할 만한 총체적인 보수주의 정치이론을 정립하지 못했던 점이 다. 신보수주의 중홍 기간에 보수주의 정치 이론가들이 많이 있었 지만, 이들의 대부분은 신보수주의 운동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었 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신보수주의자들이 일련의 보 수주의 정치철학울 제공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 채프먼 Cha p man 은 다음과 같이 답변하고 있다. 〈사실 보수주의자로 인식되고 이 영 역에서 정치이론을 피력했었던 이론가들로는 켄달 W ill more Kendall, 리 프만 Walte r Lip pm ann, 주브넬 Bert ran d de Jou venel, 스트 라우스 Leo Str au ss, 포겔 린 Eri c Voeg el in 등이 있었지 만 이 들은 거 의 신보수주의와는 직접적으로 상관이 없었다. 엄밀히 말해서 보 수주의 이론가이면서 일반적으로 신보수주의 운동의 구성원으로 참여했던 사람은 한 사람도 없다. 확신하건대 신보수주의자들이 근본적으로 정치이론에 관심을 갖지 않았던 것은 당연하였다고 본 다.〉 67) 스트라우트 Cus hi ngS tr ou t는 비레크와 같은 입장에서 메테르 니히의 사상적 입장을 재조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수주의가 비정치적이라고 지적한 비레크의 평가를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68) 보수주의가 정치 영역과 관계가 없고 신보수주의자들이 정치이론 에 관심을 표명하지 않고 있다면 과연 그들은 어디에다 관심을 표 명하고 그리고 어떠한 기초 위에서 그들의 공과를 평가해야 되느 냐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아렌트 HannahArend t는 신보수주의자가 아닌 입장에서 이 문제 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신보수주의는 시야를 넓혀 서 보면 문화적, 교육적 속성을 갖고 있는 것이지 정치적, 사회적 속성을 갖고 있는 것이 아니다.〉 69) 아렌트의 이 같은 지적이 틀린

것은 아니다. 예컨대 비레크의 시 작품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 이라고 한다면 누구든지 현대 사회의 제문제에 대한 그의 기초적 인 접근 방법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비레크는 신보수주의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 〈 현재와 미래에 있어서 보수 주의자들이 해야 할 중요한 사안은 문화적, 윤리적, 종교적 영역 에 국한된다 . 이들 세 영역은 현대 미국에 있어서 보수주의의 보 루인 것이다 . 〉 7 0 ) 사실 이 같은 문화적인 경향은 신보수주의 운동의 온건론적인 입장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 앞에서 본 바와 같이 Nati on al Rev i ew 지 에 서 형 성 되 었 던 커 크-버 클리 Kirk- Buckley 학파도 역시 일차원적인 정치 접근 방법을 회피하고 있다 . 다시 말해서 마이어 Me y er 가 지적하고 있듯이 커크-버클리 학파는 서구와 미국 의 정신적 전통에 있어서 미국 생활양식의 부활, 죽 사회적, 지 적, 철학적, 정신적 또는 정치적 영역에 있어서의 미국적 양식의 부활을 꾀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신보수주의의 목적은 정치에 있어서 단순한 투표 모으 기에 승부를 걸고 있는 것이 아니고 보수주의적 유산을 보호하는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 채프먼은 다음과 같이 서 술하고 있다. 〈아리스토파네스 A ri s t o p hanes 시대로부터 볼테르 Volta ire, 괴 테 Goeth e, 만 Mann, 엘 리 엇 Eli ot 등의 시 대 에 이 르기 까지 법조인들의 행위, 또는 가정과 시장에서 일어났던 모든 일들 온 합리적이고 분석적인 차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어 왔지만 미 적, 감정적, 종교적 가치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 런데 신보수주의자들은 무엇보다도 미적, 감정적, 종교적 전통에 매달려 있다.〉71) 비레크는 미국 보수주의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대 륙 계통의 고전적 전통과 유산보다도 미국적인 전통과 유산에 더 욱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따라서, 그는 멜빌 Melvil le, 호손 Hawt ho rne, 소로 Thoreau, 헨리 애 덤 스 Hen ry Adams, 배 빗 Irvin g

Babbitt , 포크너 Wi lliam Faullmer 등의 전통에서 볼 수 있는 비정치 적인 문화적 보수주의를 현대 미국인들의 생활에 적용하려고 시도 하고 있다 .72) 그러나 신보수주의자들의 위치가 어디에 있느냐 하는 문제와는 관계없이 그들은 보수주의가 항상 현상 유지를 의미하지 않고 있다는 점뿐만 아니라 역사의 중요한 시점에서는 사회 정치 질서에 대한 문화적 비판을 요청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하게 인식 하고 있다. 만일, 신보수주의가 보수주의의 제원칙을 현대 사회에 적응시키는 연속적인 전통 속에서 그 기능의 의미를 갖는다고 한 다면, 신보수주의는 그 운동이 단순히 과거와 연계되었다는 이유 로 전체적인 사회질서를 수용해야 된다는 점을 의미하지 않을 수 도 있다. 말하자면 순응성의 연속은 모든 형태의 연속에의 순응성 을 반드시 수반하지 는 않는다고 볼 수 있다 . 그러나 보수주의의 현대화를 위한 문화적 접근 방법이 적절할 수 있겠느냐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 한편으로 전체주의에 당면하 고 있는 현대 사회에 있어서 보수주의의 비정치적, 비군사적 접근 방법이 과연 설득력이 있느냐 하는 문제도 제기될 수 있다. 우선 신보수주의자들이 고립주의자나 평화주의자가 아니었던 점을 상기 할 수 있다. 매카시주의를 거부했던 비레크의 입장은 공산주의에 대한 이론적인 반대 입장보다도 공산주의와 투쟁하는 데 사용된 편협된 수단에 의존했던 것으로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보수 주의 운동은 적어도 전체주의(뉴딜식 자유주의도 포함)의 위협으로 부터 미국 사회를 보호할 만한 강력한 세력을 갖지 못했던 것이 다. 다만 신보수주의가 시도한 문화적, 정신적 접근 방법은 미국 인들의 내면적 의지력을 강조하고 미국 사회를 개인의 존엄성과 가치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유도하고자 노력한 것에 불과했다 . 간 단히 말해서 이러한 신보수주의의 접근 방법은 미국인들의 물질적 탐욕을 과거 미국인들의 전통적인 신념으로 전환시키려고 노력하

였다. 그러나 미국의 정치가 전통적으로 육하원칙에 중점을 두어 왔기 때문에 신보수주의자들은 그들의 시도가 문화적인 차원에서 도 설득력이 있을 것이라고 인식하게 되었다. 전체주의에 대응하 는 차원에서 아도르노 T . W. Adorno 도 전체주의에 대한 투쟁이 심 리적인 측면에서 단순히 교육에 의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동시 에 총체적 유형으로서의 문화적 정서의 결정적인 변화를 필요로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73 ) 문화적 정서의 변화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라 고 본다 . 그러나 몇 가지의 성공적인 사례가 있다고 해서 수수방 관의 태도는 신보수주의에 유익할 것이 없다고 생각된다 . 그리고 미국 사회와 문화면에 끼친 신보수주의의 직접적인 영향력을 구체 적으로 확인할 킬은 없으나 우리는 하나의 유보적인 결론에 도달 할 수는 있다 . 즉, 신보수주의의 반물질주의적 비판이 1970 년대의 〈신좌익〉의 이념과 일치하고 있다는 점은 그 좋은 예라고 볼 수 있다. 역사의 흐름 속에서 반공주의와 · 반물질주의의 제휴를 시도 한 신보수주의는 정치적인 면에서 반공주의를 경시했던 사람들 가 운데서 문화적 측면의 반물질주의에 대한 대단한 지지를 획득한 것이다. 이러한 문화적 측면의 변화는 베트남 전쟁 이전에도 이미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하나의 예로 채프먼도 우익과 좌익 간에 확실한 공감대가 지속되고 있었다고 지적하고 있다 .7 4) 따라서, 〈신좌익〉과 신보수주의는 모두 배타적인 물질주의적 세계 관을 거부함으로써 미국에 있어서는 세로운 문화적 분위기를 마련 하게 된 것이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약간 벗어나긴 했지만 신보수주의자들의 문 화적 접근 방법은 문화 영역과 정치 영역이 앞으로 어느 단계에 이르러 국가와 사회, 정치와 문화를 연계시키려는 신보수주의적 입장으로 통합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갖게 한다. 이것은 앞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레이건 현상이 그 좋은 예라고 볼 수 있다. 사 실상 비레크는 신보수주의가 다루고 있는 시대를 누구보다 잘 인 식하고, 미국의 철학적 보수주의자들이 주로 비정치 세계인 문학 과 교육의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있다 .7 51 1960 년대 비레크가 미국 유권자들의 정치적 태도와 정부의 행동에 변화가 일어날 정도로 문화적 가치가 여과되어 전체 미국 사회에 침투되기까지는 적어도 한 세대가 걸릴 것이라고 예측한 후 이미 한 세대가 홀러갔다 . 그렇다고 한다면 우리는 오늘날 과연 미국인 들이 정치적 영역에서의 변화를 인식하고 있는가 하는 의문을 제 기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볼 때 우리는 80 년대의 레이건 현상에 이어 90 년대 공화당에 의한 상하원 의석의 다수 획득을 통 한 뉴딜 정책의 점진적인 희석화 현상 등은 그 동안 신보수주의자 들의 문화적 접근 방법이 미국의 정치 현실에 반영되어 나타난 결 과라고 확언할 수 있다 . 더구나 오늘날 〈작은 정부〉를 희구하는 미국인들의 정치적인 정서는 고전적 자유주의의 현대적 변형으로 도 해석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결과는 분명히 신보수주의의 영향에 서 기인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주) 1) Samuel P. Hunti ng ton , Conservati sm as an Ideolog y, Americ a n Poli tica l Sc ien ce Revie w , vol. Sl(Ju n e, 195 7), p. 4ffi. 2) 같은 책, 같은 곳. 3) Jef f rey Hart, The Americ a n Di ss ent( G arden Cit y, New York: Doubleday & Co., Inc., 1~, pp. 瓦刃 . 4) Ray m ond Eng lish , Conservati sm : The Forbid d en Fait h, Americ a n Scholar, vol. 21(Autu m n, 1952), p. 4

6) Louis Hartz , The Libe ral Tradit ion in Americ a (New York: Harcourt, Brace, & World, Inc., 1955), p. 2 15. 7) Rowland Berth o ff , The Americ a n Socia l Order: A Conservati ve Hy po th e sis , The Americ a n His t o r ic a l Revie w , vol. 65 (Ap ril, 1~). p. 511. 8) 같은 책, p. 512. 9) V. C. Hop kins , ''The Conservati ve Concern, Thoug h t, vol. 31(Sp r in g , 1956), pp. 27- 54. 10) Laurence Sears, Li be rals and Conservati ve s, The Ami oc h Revie w , vol. 13 (Fall, 1953), p. 3 69. 11) Kirk , The Conservati ve Mi nd , 앞의 책, p. 205. 12) 같은 책, p. 204. 13) Lewi s S. Feuer, Ideolog y and the ldeo/og ists ( New York: Harpe r & Row, Inc., 1975), p. 169. 14) 같은 책, p. 197. 15) 같은 책, p. 191. 16) H. Malcolm Macdonald, The Reviv a l of Conservati ve Thoug h t, The Jo umal of Politi cs , vol. 19 (Fe brua ry, 19: ,7), pp. 67-6 8. 17) J. R. Pole, Fo rward From McCa rthyism , Poli tica l Qu art er ly, vol. 33 (Ap r il- Ju ne, 1962), p. 196. 18) Henry Fair l ie , Anti -A meric a nis m at Home and Abroad, Commenta ry, vol. 60 (De cember, 1'!7 5 ), p. '29. 19) W ill moore Kendall, The Conservati ve Aff irm ati on (Chic a g o : Henry Reg n ery Co., 1963), p. X. 20) Gordon K. Lewi s, The Meta p h y s ic s of Conservati sm , Weste m Poli tica l Qu arte r ly, vol. 6 (December, 1953), pp. 730 -73 1. 21) Hein z Eulau, Li b eralis m versus Conservati sm , Ant ioc h Revie w , vol. XI (De cember, 1951), p. 399. 22) 같은 책, 같은 곳 23) Kirk, Conservati ve Mi nd , 앞의 책, p. 8. 24) W ill Herberg, The Great Ameri ca n Debate , Commonweal, vol. 62 (Sep tem ber 9, 1955) , p. 5 62. 25) Kirk , Beyo nd the Dreams, 앞의 책, p. i x. 26) Joh n H. Hallowell, Main Currents in Modern Poli tica l Thoug h t( N ew York: Holt, 1950), p. 673. V) E.V . Walte r , Conservati ve Recrudescent: A Cr itiqu e, Partis a n Revie w , vol. 20 (Sept em ber-Octo b er, 1954), p. 514. 28) Joh n Liv i n g s to n , Libe ralis m , Conservati sm , and the Role of Reason, Weste r n Poli tica l Qu art er ly, vol. 9 (Sep tem ber, 195 6), p. 655.

29) Rein h old Nie b uhr, The Nawre and Desti ny of Man(New York: C. Scrib n er' s Sons, 1941-1943), vol. 1, p. m . 30) C. Wr igh t M i lls , The Conservati ve Mood, Dis s ent, vol. l(W int e r, 1954), p. 23. 31) E.V. Walte r , 앞의 책, p. 5 18. 32) Sears, 앞의 책, p. 3 69. 33) Herbert P aul, ed., Lellers of Lord Acto n to Mary G/asto n e(London: Macmi llan & Co., 1905), pp. 1%-197. 34) Eri c Voege l in , The New Sci en ce of Poli tics : A n lntr o ducti on (Chic a go : Univ e rsity of Chic a go Press, 1952), p. 52. 35) Vie r eck, Conservati sm Revis it e d , 앞의 책, p. 43. %) 같은 책, p. 44. 37) Frank S. Mey er , Freedom, Tradit ion , and Conservati sm , Modem Ag e, vol. 4 (Fall, 1960), p. 3 56. 38) 같은 책, 같은 곳 39) 같은 책, 같은 곳. 40) Chri sti a n Bay, Poli tics and Pseudop o liti cs : A Cri tica l Evaluati on of Some Behavio r al Liter atu r e, Americ a n Poli tica l Sci en ce Revie w , vol. LIX (Ma rch, 1%5 ), p. 44. 41) Seym our Martin Lips et, Poli tica l Man: The Soc ial Bases of Politi cs (Garden Cit y, New York: Doubleday & Co., Inc., 1%3), p. 4 39. 42) 같은 책, p. 4 53 . 43) Chri sti a n Bay, 앞의 책, p. 44. 44) Jam es M. Buchanan and Gordon Tullock, The Calculus of Consent( A nn Arbor: Univ e rsity of Mi ch ig a n Press, 1%2), p. 7. 45) Jam es Petr as , Ideolog y and Unit ed Sta t e s Poli tica l Scie n ti sts , Scie n ce and Soc iety , vol. XXIX (Sp ring , 1%5), p. 192. 46) 같은 책, 같은 곳. 47) Talcott Parsons, 'Voti ng ' and the Eq u il ibr i um of the Ameri ca n Politi ca l Sy st e m , Eug en e Burdic k and Arth u r J. Brodbeck, ed., Americ a n Voti ng Behavio r ( G lencoe, Ill. : Free Press, 1959), p. 114. 48) Petr a s, 앞의 책, p. 193. 49) Graeme Duncan and Ste v en Lukes, The New Democracy, Poli tica l Stu d ie s , vol. XI (Ju ne, 1%3), p. 161. 50) Lip se t가 쓴 서론에서 Robert o Mi ch els, Poli tica l Part ies (N e w York: Cil lier Books, 1%2), p. 33. 51) Jac k L. Walker, A Cri tiqu e of the Eli tist T heory of Democracy, Ameri ca n Poli tica l Sci en ce Revie w , vol. LX (Ju ne, 1%$), p. 288. 52) Maure L. Goldschmi dt , Democrati c Theory and Conte m p o rar y Poli tica l Scie n ce, Weste r n Poli tica l Qu art er ly, vol. XIX (1% .S), p. 10.

53) 같은 책, 같은 곳 . 54) 같은 책, 같은 곳 . 55) 같은 책, p. 11. 56) 같은 책, 같은 곳 . 57) Gabri el Almond and Sid n ey Verba, The Civ i c C 사 /ure(Bos t on: Lit tle , Brown , and Co., 1963), p. 3 57. 58) 같은 책, p. 6 . 59) 같은 책, p. 193. &l) Rossit er , Conservati sm in Americ a , 앞의 책, p. 53. 61) C. Wr igh t M i lls , 앞의 책, p. 3 1. 62) Rossit er , Conservati sm in Ame ri ca , 앞의 책, p. 259. 63) 같은 책, p. ' l:74. 64) Kirk , The Two Conservati sm s, 앞의 책, p. 64. 65) •C hadwi ck Hall, Americ a ' s Conservati ve Revoluti on , Ant ioc h Revie w , vol. XV( Ju ne, 1955), p. 2 04. 66) Vie r eck, Conservati sm Revis i te d , 앞의 책, p. 155. 67) Phil ip C. Chap m an, The New Conservati sm : Cultu r al Cr itici s m vs. Poli tica l Phi lo sop hy , Poli tica l Sci en ce Qu arte rly, vol. 75 (Ma rch, 19W), p. 2 0. 68) Cushin g Str ou t, Lib e ralism , Conservati sm and the Babel of Tong ue s, Partis a n Revie w , vol. XXV( Wint e r , 1958), p. 102. 69) Hannah Arendt, Auth o ri ty in the Twenti et h Centu ry, Revie w of Politi cs , vol. 18 (Octo b er, 1956), p. 4 04. 70) Vie r eck, Unadju s te d Man, 앞의 책, p. 92. 71) Chapm an, 앞의 책, p. 'lJJ. 72) Vie r eck, Conservati sm Revis i te d , 앞의 책, p. 127. 73) T.W . Adorno and ed.al., The Auth orita r ia n Personali ty(N ew York: Harpe r & Broth e rs, 1950), p. 655. 74) Chap m an, 앞의 책, p. 21. 75) Vie r eck, Conservatis m Revis i te d , 앞의 책, p. 142.

제 7 장 신보수주의의 변형 ―〈네오〉보수주의 우리는 1970 년대 미국의 사회과학 부문의 문헌을 대하게 되면 〈네오〉보수주의 Neo-Conserva ti sm 라는 말을 종종 접하게 된다 . 이 것 은 얼핏 보기 에 용어 상 1950 년대 의 신보수주의 New Conservatis m 와 흡사하여 개념적 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우선 이 개념을 우리말로 번역하게 되면 〈신보수주의〉가 되는데, 1950 년대의 신보 수주의와 구별하기 위해서 필자는 〈네오〉보수주의로 표기하기로 하겠다. 〈네오〉보수주의는 버크주의적 보수주의의 기본 원칙을 직접 계 승하고 있지 않으나 1950 년대 신보수주의의 정신을 사회과학 분야 에 적용시키고 있다 . 어떻게 보면 신보수주의와 같은 맥락에서 미 국의 자유주의 정책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신전제주의의 가능성을 비판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네오〉보수주의는 한마디로 사회과 학의 분야에 나타난 신보수주의의 변형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 편, 지금까지 보수주의 이론가들은 과학적 방법론을 원천적으로

배격하고 과학적 방법론이 미국 사회에 팽배되어 있는 유물주의를 정당화시키고 있다는 점을 가혹할 정도로 비판하여 왔다. 그러나 오늘날 사회생물학 Soc i o - b i olo gy은 보수주의자들이 오랫동안 가설 로 내세우고 있는 인간 성격과 사회계층 구조에 대한 이론들을 순 수과학적 방법론에 의해서 입증하고 있다 . 과연 보수주의 이론가 들이 영원히 과학적 방법론을 배격해야 할 것이냐 하는 문제는 보 수주의자들이 안고 있는 문제들 중의 가장 어려운 문제라고 생각 된다 . 앞에서도 지적하였듯이 과학기술이 근본적으로 진보주의적 인 방향에서 근현대 사회를 형성하는 데 큰 공헌을 했던 점은 사실 이나, 과학적 방법론이 사회과학에서 가치론을 배제시키고 실증주 의적 사실 분석에 역점을 두었던 그 자체가 결과적으로 보수주의 의 성향을 갖게 된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러한 면에서 사회생물학이 오늘날 보수주의와 과학적 방법론과의 전통적인 적 대 관계를 해소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는 시점에 직면해서 보수주의 는 앞으로 이 문제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의 중요한 과제를 안 고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 우리는 신보수주의의 변형으로서의 〈 네 오〉보수주의와 앞으로 보수주의 이론을 새로운 방향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사회생물학의 업적과 미래를 간략하게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잉 글리 시 Raym ond En gli sh 는 1952 년 에 이 미 미 국은 일 반 대 중의 차원에서 보수주의 국가가 되었음을 지적한 바 있다 . 1) 결과적으로 신보수주의자들은 이러한 미국인들의 보수주의적 성향을 불러일으 키는 것을 자신들의 의무감으로 생각하고 사회적인 관점에서 미국 에서 시기적으로 보수주의가 성숙되었다고 판단했던 것이다. 1955 년 로시터는 백년 이후에 처음으로 미국의 문화와 정치에서 중요 한 세력으로서의 보수 진영의 조건이 성숙되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로시터와 신보수주의자들은 비록 그들이 20 여 년을 내다보

고 지적한 말이지만 이들의 이와 같은 평가가 틀리지는 않았다고 생각된다. 신보수주의자들의 예측에 걸맞게 1970 년대 중반에 이르러서야 미국의 사회 정치면에서 보수주의적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 다. 당시 《 뉴스위크 》 는 미국의 전통적인 자유주의가 보수주의의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J) 1950 년대의 신보수 주의 New Conserva ti sm 와는 구별 되 는, 그러 나 유사한 명 칭 의 〈네 오〉 보수주의 Neo-Conserva ti sm 에로의 대전환은 미국의 지성계와 학계 의 정치적 태도 변화에 있어서 대단한 영향력을 발휘하였으며, 어 빙 크리 스톨 Irvin g Kri s t ol 이 지 적 한 바와 같이 이 러 한 보수주의의 경향은 정부와 언론매체에 침투, 미국의 사회 경제체제의 변화 때 문에 일반 대중들도 전통적인 자유주의를 재조명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던 것이다 . 4) 당시 크리스톨은 이러한 보수주의적 경향을 〈네오〉보수주의로 호칭하고 있는데, 이러한 보수주의 운동이 1970 년대 중반부터 일 어나고 있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의 상황 변화를 생각해 볼 수 있 다. 시대적으로 볼 때 동시에 일어난 일들은 아니지만 미국에서 여러 가지의 철학적 보수주의 운동들이 양차 세계대전중에 또는 2 차 세계대전 이후에 일어났던 점은 무엇보다 중요한 사건이라고 볼 수 있다. 1 차 세계대전의 발발과 동시에 현대전에 대한 공포와 더불어 신인본주의 사상가들은 전쟁의 천인공노할 파괴력을 좌시 하지 않았던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2 차 세계대전은 인간 최 악의 상태와 비인간성을 노출시켰고 버크가 지적했던 인간 성격의 양면성울 강조하는 신보수주의자들의 주장을 확인시켜 준 것이다 . 이 같은 전쟁이 미국인들에게 충격을 주었다면 베트남 전쟁 역시 인간의 야만성을 폭로했다는 점에서 미국인들에게 커다란 충격을 주었다고 본다. 인간의 내면적 도덕성에 긍지를 갖고 인간의 완전

성에 대한 자유주의적 신념을 갖고 있던 사람들은 이러한 자유주 의적 신화가 점점 깨지고 있음을 현실에서 확인한 셈이다. 사실상 〈네오〉보수주의 출현의 직접적인 원인이 신보수주의 그 것과 흡사한 것은 아니었다. 외형적으로 보아 2 차 세계대전과 베 트남 전쟁은 각각 신보수주의 운동과 〈네오〉보수주의 운동의 분기 점을 이루고 있다. 죽, 신보수주의 운동은 의부로부터 일어난 위 기의식의 결과였고 〈네오〉보수주의 운동은 미국 사회의 내부로부 터 전개된 위기의식의 결과였다고 본다 . 더 정확히 말해서 신보수 주의는 국제공산주의를 가장 중요한 위협으로 평가하는 등 내부적 으로는 뉴딜식 유물주의의 만연을 위기의식으로 받아들였는가 하 면, 〈네오〉보수주의는 미국의 사회 정치적 질서와 가치관의 파괴 를 가장 충격적인 위협으로, 그리고 외부의 공격을 그 다음의 위 협으로 생각했던 것이다. 확실히 몇몇 신보수주의자들은 뉴딜 정 책에 대한 원한 감정을 표출하고 있다. 그러나 비레크가 지적했듯 이 뉴딜 정책은 그 자체가 개인의 자유를 위협하지 않고 있기 때 문에 미국인들의 가치관에 근본적인 위협으로까지는 볼 수 없다 . 따라서, 신보수주의자들은 외국의 전체주의에 대항하는 면에서는 모두 동의하고 있지만 국내의 개혁정책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견 해들을 갖고 있었다. 반면에 크리스톨이 지적했듯이 미국 외교정 책의 문제에 있어서 〈네오〉보수주의자들은 거의 합일점을 형성하 지 못했던 것이다. 따라서, 베트남 전쟁에 대한 〈네오〉보수주의자 들의 견해는 서로 상이했던 것이 사실이다선 그러나 〈네오〉보수주 의는 사회보장제도를 마련하는 등 개혁정책을 포함한 뉴딜 정책과 개인생활에 대한 관료주의적 억압의 최소화의 문제에 있어서 비레 크의 견해에 동의하고 있으며, 나아가서 시민적 조건의 평동주의 롤 배제하고 있다전 사실상 뉴딜 정책 이후 관료주의는 비레크가 지적하는 〈국가주의적 경향〉을 이미 초월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상황은 버크가 가장 증오했던 결과의 평등에 대해서 그 의미를 재 조명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 결과적으로 〈 네오 〉 보수주의 운동은 니스베트 Robe rt N i sbe t의 개념에서 볼 수 있는 〈새로운 평등의 의 미를 갖고 있는 신전제정치 New Despo t i sm of N ew Eq ua lity〉에 맞서 싸우게 된 것이다 . 7 ) 그러나 〈 네오 〉 보수주의의 출발은 철학적으로 반드시 이념적 반 동으로만 돌릴 수는 없다. 버크 사상의 입장에서 볼 때 〈네오〉보 수주의는 현실적인 차원에서 평등주의적 이데올로기의 부활을 공 격하고 있는 것이다 . 신보수주의가 자유주의적 뉴딜 경제법안에 대한 부정적인 대응으로 출발했다면, 〈네오〉보수주의는 뉴딜 정신 울 계승한 〈위대한 사회 The Great Soc i e ty〉의 사회법안이 실패했다 는 현실적 인식에서 출발하였다고 본다. 어떻게 생각하면 신전제 주의는 이 같은 실패로 인해서 생성된 좌절감의 결과로 나타난 것 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 이와 같은 결과는 관료주의와 일반 대중 들과의 동맹이 새로운 형태로 재현된 것은 아니었다. 이 점에 대 해서 니스베트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 〈중앙집권과 평등은 토크빌이 지적했듯이 서로간의 기능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바, 현대 서구 역사의 가장 지배적인 성향인 것이다.〉 8) 그러나 이러한 사회법안들의 실패는 또 다른 결과를 초래하였던 바, 사회 균등화의 노력이 재정적 부담을 증대시켰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재정적 부담을 감당할 미국인들을 소외시키는 결과를 초래 하였던 것이다 .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어느 정도 미숙한 생각에서 였지만 로시터는 미국의 정치와 문화의 차원에서 하나의 중요한 세력으로서의 의식화된 보수주의가 1955 년에 성숙되었던 점을 지 적하고 있다산 더 나아가서 1975 년에 이르기까지 사회공학적인 측 면에서 형성된 〈네오〉보수주의자들과 잠재적인 보수주의자들의 연 합은 보수주의 운동의 절정을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미국의 역

사상 유례가 없을 정도로 버크의 철학적 보수주의자들은 하나의 강력한 정치적 운동의 기반을 마련하게 된 것이다. 보수주의적 사 회 조건과 정치세력을 재건하고자 시도하는 것보다 그들은 이미 가시화된 정치세력과 사회 조건을 강화하는 데 노력하였다 . 캘리 포니아 주지사였던 브라운J e rry Brown 이, 미국이 사회적 반개혁을 시도하고 있다고 지적하는가 하면, 사람들은 〈네오〉보수주의가 결 과적으로 미국 사회에 뿌리를 내린 것이라고 장담하기도 하였다 .10 ) 1970 년대 당시 민주당 대통령 후보였던 카터 Jim my Car t er 는 서슴 없이 미국의 역사적 문헌 속에서 경제 또는 효율성이란 단어들을 찾아볼 수 없다고 지적하고 있는가 하면, 미국인들은 초기 신보수 주의자들에 의해서 확인된 보수주의의 문화적인 요소들을 쉽게 체 험하기 시작하였다. 당시 유명했던 정치분석가인 립스 R i chard Reeves 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카터는 몇 가지의 중요한 문제점을 확인하고 있다. 즉, 미국의 지도자들과 대통령 후보들이 하나의 정치적 위기로 인식하고 있는 점이 정신적 위기임을 공통 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종교의 몰락, 도덕 또는 규칙의 실종 등이 미국을 황폐화시키는 위기의 심각성을 의미하고 있다.〉11) 이 러한 내용은 니버 Ni eb uhr, 비레크, 커크 둥에 의해서도 강력하게 주장되었던 것들이다. 그렇다면 미국에서 신보수주의의 중요성과 영향력은 어떠한 것 이었을까 하는 의문이 아직 남아 있다. 완곡한 표현으로 말하자면 매디슨, 윌슨, 리프만 등과 같은 보수주의자들, 신인본주의자들, 남 부 농본주의자들은 그들의 일반적인 보수주의 견해보다도 그들의 사회적 역할 때문에 미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던바, 이 들은 미국의 자유주의 사회에서 버크주의적 보수주의가 적어도 철 학적인 차원에서 활성화될 수 있도록 교량 역할을 함으로써 미국의 문화적, 정치적 보수주의의 토양을 마련해 주었던 것이다 . 1950 년

대 초반에 신보수주의가 절정에 도달했을 떄 1970 년대의 〈네오〉보 수주의의 수많은 학자들이 대개 그들의 20 대 또는 30 대의 나이에 해당되었던 점을 상기할 수 있다. 이것은 모이니한 Mo yn i han, 벨 Danie l Bell, 헌팅턴, 제임스 윌슨Ja mes Q. Wi lso n, 크리스톨 등과 같은 〈네오〉보수주의자들이 신보수주의를 재구성했다는 것을 의미 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보수주의 운동의 가장 분명한 차이점은 신보수주의자들이 대부분 철학가들 또는 인본주의자들이었던 반면 에, 〈네오〉보수주의자들은 사회과학자들이나 공공정책 분석가들이 었던 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 버크 사상의 시각에서 철학적 가치 와 실천적인 면의 양면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후 자의 경우는 주로 정책과 실천적인 면의 보수주의를 강조했던 것 이다. 신보수주의자들이 정치의 현실적인 면보다도 가치 문제에 관심을 표명했다면 후자의 학자들은 버크의 견해에서 볼 때 현실 정치에 더 많은 관심을 표명하였다고 본다. 여러 가지의 관점에서 헌팅턴은 기존의 신보수주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대응했던 학자들 중의 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기존의 신보수주의 사상에 대해서 모 호한 입장을 취하였다 하더라도 이 같은 잠재적인 〈네오〉보수주의 자들이 1950 년대의 신보수주의의 정치적, 철학적 분위기에서 출 발, 여기에서 제기된 근본적인 문제들에 대해서 반응을 보였던 것 온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어떻게 보면 이러한 사실은 새로 출 발하는 〈네오〉보수주의자들로 하여금 평범한 자유주의적 관점에서 다른 국면으로 미국의 사회적 상황을 재조명하는 계기를 제공하였 다고 볼 수 있다. 미국 역사의 장기적인 안목에서 철학 문화적인 신보수주의와 사 회과학적인 차원의 〈네오〉보수주의와의 상호보완 관계에 대한 긍 정적인 평가는 가능하다. 한마디로 말해서 신보수주의 운동은 〈네 오〉보수주의를 포함한 기타의 유사한 버크주의 사상 운동에 교량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보수주의 원칙을 강조함으로써 버크 철학을 재건하는 데 많은 공헌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 나 제 6 장에서도 검토한 바와 같이 신보수주의의 원칙을 고수하고 보수세력을 한 곳으로 집결시키려는 버크주의자들의 노력이 미국 적인 상황 속에서 그렇게 쉬운 것은 아니었다고 본다. 1950 년대의 시대적 상황에서 신보수주의 운동은 몇 세대 이후에나 그 성공 여 부가 가려질 문제이긴 하였으나 여러 가지 미국의 사회적, 정치 적, 경제적, 문화적 상황이 보수주의를 수용할 수 있는 조건을 형 성하고 있던 점은 사실이다 . 따라서, 1980 년대 미국의 레이건 현 상 이후 90 년대에 와서 미국의 보수세력이 미국의 상하원에서 다 수 의석을 차지하게 된 결과는 신보수주의와 〈네오〉보수주의의 영 향력에 의해서 집결된 뉴딜식 자유주의에 대한 미국인들의 보수주 의적 정서의 강력한 표출이었다고 평가될 수 있다. 보수주의 철학에 있어서 방법론에 대한 가장 중요한 의문점이 하나 남아 있다. 앞에서도 지적하였듯이 신보수주의의 가장 큰 애 로점은 보수주의 이론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감각적인 방법론(과학 적 방법론)을 배격하는 데 있다 . 보수주의 이론가들이 미국 현실에 버크 사상의 원칙을 적용하는 데 있어서는 설득력 있는 상황 분석 을 제공하고 있지만, 그들이 현대의 과학적 방법론을 배제하고 있 는 점은 그들이 대화할 수 있는 미국인들의 관객을 제한할 수밖에 없다고 본다. 따라서, 이들이 앞으로 보수주의를 미국의 정치 풍 토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보수주의의 내용(원칙)보다도 보수주의 롤 일반 대중의 미국적 정서에 알맞는 접근 방법에 정통해야 된다 고 본다. 지금까지 보수주의의 여러 가지 문제를 분석해 보았지만 앞으로 미국에서 보수주의가 확고한 입지조건을 갖추기 위해서는 보수주의자들 스스로가 자유주의 적 인 방법 론, 즉 과학적 인 접 근 방법을 시도해야 할 것이라고 본다.

사실상 보수주의가 과학적 접근 방법을 시도하는 것이 급진적인 성격을 갖게 될 것이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이러 한 작업이 보수주의에 있어서 전례 없었던 것은 아니라고 본다. 이 점에 대해서 마이어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문 제는 인류의 문명사에서 여러 번 발견되고 있다 . 시대의 변천에 따라 전통적 가치의 파괴로부터 근본적 원칙을 재현할 수 있었던 사람들이 있었다.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과 같이 정치체의 혼란을 겪으면서 우리들은 자연적 보수주의의 행복한 시 대에 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12 ) 수많은 보수주의자들은 급진적 변화가 장래에도 되풀이될 것이라는 사실을 인식해 왔던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보수주의자들에 의해서 주의를 받지 못했던 포겔린 Eri c Voe g el i n 은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보수주의적 원칙은 오늘날 우리 시대의 경험적 지식을 고려함으로써 이 시대의 구체 적, 역사적 상황으로부터 출발하는 이론 작업을 토대로 해서 재구 성되어야 한다.〉 1 3) 이러한 접근 방법이 시도되었던 사례는 납부 농본주의와 같은 반동적인 사상 운동에서 찾아볼 수도 있다. 남부 농본주의자들의 한 사람이었던 엘리오트 W. Y. El li o tt은 정치적 집단들이 집단 행태 의 유기체적 규칙을 따르는 경우에 있어서 통계적인 방법론의 사 용이 효율적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14 ) 그리고 데이비슨 Donald Dav i dson 이 그의 〈신지 역 주의 론 New Re gi on ali sm 〉이 사회 과학에 현 실 조건을 분석하는 과학적 방법론을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한 점 은 의외의 사실이다 . 15) 더 나아가서 랜섬Jo hnCroweRansom 이 신 학에 있어서조차도 새로운 방법론의 시도를 암시하고 있듯이 보수 주의 자체 내에서 새로운 방법론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다음과 같 이 시사하고 있다. 〈나는 신화를 비서구적인 차원에서 정의하였 다. 나는 이것이 절대로 성직자들의 방법이 아니었음울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론은 가장 적절한 하나의 수단일 수 있 다. 오늘날 종교인들이 처하고 있는 상황은 이러한 방법론을 사용 한다고 해서 더 이상 잃을 것도 없다는 점을 의미하고 있다. 어떻 든 새로운 방법론에 의해서도 종래의 신학이 복원될 수 있는 가능 성이 있는 것이다 .〉 16) 랜섬의 이 같은 주장이 있은 지 20 년이 경과 된 이후에 마이어는 다음과 같이 언급을 하고 있다. 〈 혁명시대나 혁명 이후의 보수주의는 혁명 이전 시대에 자연적 보수주의가 상 상도 할 수 없는 문제들에 당면하고 있다. 오늘의 보수주의는 단 순히 스스로의 입장을 단언할 수 없게 되었다. 오늘의 보수주의는 실질적인 내용이나 방법론을 선택하고 판단해야 한다.〉 17) 루이스 Gordon Lewi s 역시 버크가 그의 보수주의적 일반 원칙을 제시했을 때 보수주의 철학에 과학적 방법론을 적용했어야 된다는 점을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버크가 요청했듯이 인간의 합 리성보다도 자연에 순응하는 것이 절박했다면 현대의 사회과학자 들의 연구 과정에서 과학적 방법론을 외면하는 버크주의자들은 정 당성을 결여할 수밖에 없다.〉 18 ) 인간의 조건과 인간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이 같은 종합과학적 방법론을 사용하는 것은 버크 사상의 전복이 아니라 오히려 버크 사상의 완성으로 유도하였을 것이라고 그는 역설하고 있다. 특히, 브램손 LeonBramson 은 사회과학의 선 구자들이 자유주의자들이 아니고 보수주의자들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즉, 그는 19 세기 초의 프랑스의 보수주의자들이, 개인주의 와 절대왕정에 반기를 들고 있었던 계몽주의자들의 사상을 비난했 던 점을 지적하고 있다. 여기에서 브램손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은 당시 사회과학자들의 대부분이 보수주의자들이었다는 점이다 .19) 물론 아직까지도 방법론적인 문제와 규범적인 문제가 제기되고 있 지만 보수주의의 재건을 위해서 과학적 방법론이 하나의 연구의 수단이 될 수 있는 것은 사실이며, 더 나아가서 이러한 방법론이

미국인들의 정서에 맞기 때문에 과학적 방법론이 적어도 미국적 상황 속에서 보수주의 이론 전개에 공헌할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 고자 하는 것이다 . 이 점에 대해서 포겔린은 다음과 같이 지적하 고 있다. 〈 과학적 방법론의 어려움이 있더라도 지난 반세기 동안 에 이룩된 연구 성과 때문에 그 임무는 오늘에 와서 더 용이하게 진행되고 있다. 두 세대가 지나는 동안 안간과 사회에 대한 과학 은 이론의 재구성에 헌신하고 있다. 따라서, 상당한 범위 내에서 과학적 방법론의 과업은 적절한 자료에 의한 집합적인 이론이 가 능하기 때문에 더욱 용의주도하게 나타나고 있다.〉 20) 결과적으로 보수주의자들이 정치, 경제, 윤리, 신학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생 물학과 물리학에 이르기까지 관심을 표명해야 될 것이다. 과학적 방법론에 대한 자세한 분석은 본 연구와는 관계가 없다 고 본다. 다만 여기에서 우리는 보수주의에 관계되는 학제적 종합 이 론 Inte r dis c i plina r y s yn t hes i s 의 가능한 분야를 몇 가지 정 리 해 볼 수 있다. 예컨대 사회심리학은 학제적 종합이론의 대표적인 분야 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오늘날 보수주의자들을 괴롭혀 왔던 가장 큰 난점 은 프롬 Eric h Fromm 에 의 해 서 다음과 같이 요약되 고 있다.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중요한 난점은 인간의 지능 발달이 인간의 감정 발달을 앞지르고 있다는 사실에 있다. 인간의 두뇌는 20 세기 의 첨단과학을 다루고 있지만 인간의 마음(정신)은 아직 석기시대 에 머물고 있다. 대부분의 인간들은 아직 독립적, 합리적, 객관적 인 성숙도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 인간 지능의 첨단적 성숙도와 감정적 후진성이 존재하는 한 현대인은 어떻게 스스로의 파괴 현 상에서 자신을 구제할 수 있을 것인가? 이에 대한 하나의 해답이 있다면 사회 현실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의 증대뿐인 것이다.〉 21 ) 프롬이 지적한 내용에서 두 가지의 명확한 사실을 정리해 본다 면, 하나는 보수주의 입장이고 다른 하나는 자유주의의 입장인 것

이다. 어떻게 보면 프롬은 지금까지 거의 모든 인간들이 합리적으 로 행동하지 못했던 점을 인식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그는 이 문제에 대한 해결이 현실 인식에 있음을 확신하고 있다. 그러 나 이 두 가지의 상황은 상이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다 . 왜냐하 면, 전자는 인간 행태의 경험적 관찰을 의미하고 있으며 후자의 경우는 인간의 잠재력에 대한 신념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근 본적으로 프롬은 비합리성의 치유 방법여 더 합리적이라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프롬의 반대 입장도 가능할 수 있다. 이 러 한 입 장에 대 해 칼러 Eri ch Kahler 는 다음과 같이 피 력 하 고 있다. 〈우리는 합리적인 방법으로 인간의 생활과 세계를 인식 할 수 없다. 바야흐로 우리는 인간 이성이 인간 생활의 의미를 부 여할 수 없고 반대로 인간 이성의 발달이 인간을 현재의 혼란 속 으로 유도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될 것이다.〉 2 2) 따라서, 자 유주의자들은 본래적인 오류에 빠져서 헤어날 수 없다고 그는 지 적하고 있다.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방법론은 모든 인간이 합리적 이지 못하기 때문에 방법론의 부정적인 면을 드러내 보이고 있으 며 방법론의 기능마저도 잃고 있다고 본다. 이 점에 대해서 아드 리 Robe rt Ardre y는 인간의 합리론적 지식이 성장할수록 인간의 인 식 영역이 감소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23) 어떤 이론가들은 사회심리학은 비과학적이기 때문에 비합리성의 모호한 점을 입증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는가 하면, 과학적 방 법론에 의한 사실 파악은 자유주의적 합리성을 거역하는 사례를 증대시키는 데 불과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은 인간이 근본적으로 비합리적이라는 사실을 암시하고 있다. 이 점에 대해 서 아드리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인간은 합리적인 존재 가 아니기 때문에, 만일 인간이 합리적이었다고 한다면 인류는 끝 없이 역사의 재구성을 요청했을 것이다. 또한, 우리 인간이 이성

능력을 갖고 있다고 생각했다면 인간은 인간 자신의 비합리성을 분석할 수 있었을 것이다. 〉% ) 이러한 면에서 오늘날 학제적 종합과 학으로서의 사회생물학은 인간 이성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인간의 불합리 성 과 불평 등을 주장하는 보수주의 사상가들의 이 론을 입증 해 주고 있다 .25) 버크의 사상이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사회생물학적 시각이 원칙적으로 버크의 시각과 상호관련을 갖고 있다는 것은 명확한 사실이다. 타이거 Lio n el T ig er 와 폭스 Rob i n Fox 에 의하면 재생산적인 투쟁은 위계적이고 경쟁적인 사회환경을 조성하고 있기 때문에 불평등과 위계질서는 생물학적으로도 입증 되고 있다 모 이렇게 본다면 정치적 투쟁과 사회적 신분을 취득하 기 위한 경쟁은 사회화 과정에서 당연히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인간이 정치 발전을 통제할 수 없다거나 정치사상이 유전 적으로 예정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 그리고 타 이거와 폭스는 그들이 사용하는 사회생물학적 방법론이 인간의 정 치적 이상주의의 중요성과 복잡성 또는 이것이 잡다한 형태의 정 치 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부인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하 고 있다 .27 ) 이들이 주장하고 있는 내용은 다만 탁월성에 대한 영장 류로서의 인간의 감정이 인간의 정치적 이상주의를 지배하고 있다 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은 지배욕에 대한 성향이 어느 정도 문화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지만 결과적으로는 생물학적으로 결정된다고 보고 있다 . 28) 이에 대해서 레비스트로스 Claude Lev i -S tr auss 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리고 있다. 〈인간의 어느 집단에 있어서도 다른 모든 동료들과는 달리 특권을 누리고 사회 전체에 대해서 책임감을 느끼고 있는 부류가 존재한다. 이 같은 개인차는 확실히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서로 다른 문화의 차 이에 의해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거의 경쟁력이 결핍된 이들

부류의 존재는 근본적으로 문화적인 속성에서가 아니라 문화가 창 조되고 있는 심리적 근원에서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 〉 29) 여기에서 레비스트로스가 지적한 심리적인 근원은 근본적으로 문화적인 환 경보다도 생물학적인 환경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하는 것이다 . 사회생물학이 인간의 지배 성향을 조장하고 있는 수많은 요인을 발견하려고 노력하였지만 아드리는 지금까지 이러한 지배 성향의 근원을 아무도 발견하지 못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 그러나 그는 유 전자적인 정예주의 E liti sm 가 지배 성향의 근원이 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 그에 의하면 인간에게는 경쟁을 추구하고 우월성을 자극하는 추진력이 존재하고, 이러한 추진력은 기회 평등이 보장 되는 인간 사회에 있어서 모든 개인들에게 우월성의 추구를 보장 하게 된다 .30) 그러나 이러한 엘리트 체계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피 지배자들의 존재가 필요하게 된다는 데 문제가 있다. 아드리에 의 하면 인간 사회에서 우월성의 추진력만이 존재한다면 조직사회의 형성이 불가능하며 무정부 상태가 도래한다고 보고 있다 . 3 1) 그러나 사회생물학의 연구는 대부분의 경우 복종을 수락하는 의지, 즉 우 월성의 추진력과는 반대의 의지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있 다. 타이거와 폭스는 이러한 상태에서 나타나는 존경심은 피지배 자들에게 대가를 지불하게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우월감 과 열등감의 면에서 볼 때 우리 인간은 대등한 입장에서 출발하지 않고 오히려 사회적 지위의 불균등에서 출발하고 있는 것이다. 따 라서, 이들이 어쩔 수 없이 도달한 결론은 버크주의자들의 결론과 홉사한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다시 말해서 이들의 결론은 인간의 희망과는 달리, 인간의 의지에 따라 인간이 주위 환경에 얼마만큼 의 영향력을 발휘하느냐 하는 문제에는 여러 가지의 한계점이 있 다는 점을 밝혀주고 있다 .32 ) 어떻게 생각하면 과학은 커크가 의미 하고 있는 〈신의 계획〉의 변형 형태를 제공하고 있는 것 같다 .

사회생물학 연구의 결과가 엘리트주의 혹은 적어도 위계질서의 개념을 정립한 것이라고 한다면, 한편으로 그것은 인간과 모든 생 활 형태에 있어서 사물의 자연 상태, 즉 사회의 근본적 자연성을 단정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불평등과 엘리트 체계가 존재 하는 사회생활은 일반적인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33) 로렌츠 Konrad Lorenz 가 지 적 했듯이 사회 가 그렇지 않았다면 인간 사회 는 발전할 수 없었다고 본다. 다시 말해서 로렌츠는 이러한 사회적 현상이 아니었다면 인간은 동물의 세계를 지배할 수 없었고, 모든 인간의 능력, 언어, 문화적 전통, 도덕적 책임은 개념적 사고의 출발 이전에 조직된 공동체의 인간 사회에서만 발전할 수 있었다 고 지적하고 있다 .34 ) 그러나 정치철학에 있어서 이러한 이론의 결 과가 아직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점은 매우 불행스러운 일이라고 볼수 있다. 버크가 근대 보수주의의 선각자라고 한다면 철학이론의 면에서 그의 적수인 루소는 근대 자유주의의 예언자라고 할 수 있다. 아 드리는 버크가 죽은 지 2 세기 후에 나타난 사회생물학적인 방법론 을 이미 예견하였다고 지적하고 있다. 우선 아드리는 루소에 대해 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여러 가지 면에서 그는 근대적인 성격의 소유자였다. 그는 인간을 자연의 일부분으로 보았다. 그는 인간이 스스로 만들어 놓은 결과를 잘 인식할 것이라고 보았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루소의 목적은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 자연과 자연법을 추구하는 데 있었다. 한마디로 말해서 그는 올바른 질문에 접근해 갔지만 같온 질문을 여러 번 시도하였다. 그의 이론을 유도하게 되는 진화론에 의존하지 않고도 루소는 인 간 성격에 관한 직관력을 사용하였다. 그의 저서에서 그는 원시인 이 산업, 언어, 주거지, 전쟁, 동료와의 교제 등이 부재하는 원시 림 속에서 살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아마도 이러한 자연환경 속

에서 인간은 서로를 해치지 않고 서로를 이해하려고 노력하지 않 았다.〉고 설명하고 있다 . 35 ) 그리고 루소 사상에서 버크가 지적하는 이론의 위험성은 루소의 이론이 〈현장부재의 시대〉에서 출발했다 는 점을 아드리는 지적하고 있다 . 36 ) 다시 말해서 인간이 자연 상태 에서 행복했다고 느꼈다면 인간의 불행과 악행은 그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환경의 결과라고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설은 혁 명의 합리화를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 그러나 아드리가 지적하듯 이 루소는 자연인이 어떻게 불평등하게 창조되었느냐 하는 문제에 당면해서 부분적으로 오류를 범하고 있는 것이다 . 어떻게 사유재 산제도와 같은 사회제도가 가족 형성에 앞서 점진적으로 형성되었 다고 설명할 수 있겠는가? 이 점에 대해서 아드리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루소의 판단에는 잘못이 없고 루소 이후 2 세기가 지난 뒤 우리들의 판단이 잘못이었다 . 다윈 Darw i n 시대 이후의 식 물학의 발전은 우리들의 사고를 전혀 바꾸어 놓지 않았다. 마치 자연과학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 같이 오늘날 우리들의 사고는 루 소의 오류에 빠져 헤어나지를 못하고 있다.〉 3 7 ) 사회생물학적인 인식은 차치하고라도 사회질서의 필요성이 버크 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모든 보수주의자들이 강조한 기본 원칙임에는 틀림이 없다. 버크주의적인 보수주의 사상에서 보듯이 사회와 개인 간의 긴장 관계는 항상 존재해 왔다. 이러한 긴장 관 계는 신보수주의자인 커크와 비레크 사이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나 고 있다. 나아가서 이러한 긴장 관계는 자연을 분석하고 있는 사 회생물학의 이론 가운데서도 존재하고 있다. 죽, 사회생물학의 연 구 결과에서 보듯이 가장 건전한 생활 환경은 사회 구성원의 서로 다른 재능들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질서가 그들 구성원들을 보호하 는 생활 환경을 의미하기도 하고, 때로는 사회적 무질서가 모든 개인들로 하여금 그들의 유전자적인 재능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

회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도 해석되고 있다 . 아드리는 이러한 생 활 환경, 즉 질서와 무질서의 균형 상태를 하나의 사회계약으로 설명하고 있다 .38) 정확하게 말해서 그는 이러한 사회 형태, 즉 개 인의 제반 표현을 보장해 주는 사회 정치적 매개 변수에 의해서 가능한 개인의 자유가 유지되는 사회 형태가 버크의 의중에 있었 던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 다시 말해서 어떻게 하면 무질서에서 질서를 창출하느냐 하는 중요한 문제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자유주의자들은 사회계약을 받아들이는 합리적인 수단 에 매달리게 되었고, 보수주의자들은 유기체적인 사회계약의 자연 적인 진화에 의존하게 된 것이다. 여기에서 자유주의자들에 대해 서 보수주의자들이 제기하는 가장 큰 문제가 하나 있다. 죽, 자유 주의자들은 어떻게 질서가 무질서로부터 자연적으로 창출되느냐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판단이 보수주의자들 의 공통된 결론인 것이다. 사회생물학자인 아드리는 점진적인 접 근 방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질서의 근원으로서의 무질서의 역설을 받아들이고 있다 . 이 점에 대해서 그는 다음과 같이 정리 하고 있다 . 〈질서와 무질서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사 회가 나타내고 있는 이러한 질서의 상태를 거부한다면 개인은 존 재할 수 없다. 한편으로· 사회 구성원들의 발전을 도모하는 무질서 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사회는 집단도태의 경쟁 속에서 파멸될 것 이 뻔하다. 오늘날 진화사상이 사회철학에 뿌리를 내릴 수 있는 것은 질서의 거대한 사회조직 내에서 구조적 무질서가 꼭 필요하 기 때문이다 . 〉 39 ) 따라서, 유전자적인 조합이 자유로운 개인들의 남 녀 구성에 따라 발전하고 있듯이 인간 사회도 자유로운 개인들의 자유 표현에 의해서 발전할 수 있는 것이라고 본다. 오늘에 이르기까지 정치학에서는 사회생물학적 방법론을 수용하 고 있지만 보수주의 이론가들은 초지일관 그들의 보수주의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즉, 그들은 가능한 한 경험주의적인 방법으로 전통 적 보수주의 원칙이 버크 시대에서와 같이 진실로 보존되어야 한다 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보수주의가 과학적 방법론을 수용 한다 하더라도 보수주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종교, 윤리 의 분야와 과학적 방법론을 어떻게 조화시키느냐 하는 것이다. 한 마디로 말해서 과학이 비규범적이라면 사회생물학적 방법론이 규 범적 서술의 방향에서 어떤 것을 제시할 수 있는가 하는 하나의 난제가 남게 된다. 그러나 외관상으로 볼 때 사회생물학자들은 이 문제의 해결에 어려움이 없다고 장담하고 있다. 예컨대 에드워드 윌슨 EdwardWi lson 은 과학자들과 인본주의자들이, 윤리 문제가 철 학가들의 연구 영역에서 벗어나 생물학의 영역으로 전환되는 시대 가 도래하였다고 지적하고 있다 . 40) 사회생물학자들은 이러한 사실 이 보수주의자들이나 자유주의자들의 관심과는 관계없이 학계의 독자들에게 깊은 감명을 주고 있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 그러나 이에 대한 부정적인 반작용은 19 세기에 형성된 온건적인 사회 다 윈주의와 20 세기의 과격한 나치의 인종주의에서 볼 수 있는 생물 학의 악용 때문에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회생물학에 대 한 혐오감은 사실상 이것보다 깊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 즉, 로렌 츠가 지적하였듯이 이러한 혐오감은 자연과학에서 입증될 수 있는 영역이 가치의 영역을 벗어나고 있다고 인식되어 온 서구 문화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는 것이다 .4 1) 로렌츠는 이러한 신념의 원인을 과장된 칸트의 가치철학, 죽 사물의 의부 세계와 인간 이성의 내 연성이란 이상주의적인 이분법에 돌리고 있다 . 42) 그러면서도 로렌 츠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만일, 자연과학에 대한 감탄과 경의심 때문에 칸트가 우주의 법칙을 추구하기 위해 자연과학적 설명을 저지하지 않았다면, 유기체적 세계의 진화에 대해서 지식 이 없었던 그는 오늘날 사회생물학자들이 생각할 때 도덕이 선험

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고 우주의 법칙과 같이 자연적 진화에 의 해서 나타난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서 얼마나 경악했을 까? 〉 43 ) 칸트는 이에 대해서 완전한 해답을 줄 수는 없었겠지만 적 어도 사회생물학적인 결론에 반대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로렌츠 는 암시하고 있다. 사회생물학에서는 자연과학자들이 규범적 중요성을 언급하는 데 있어서 아무런 문제가 제기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법률 제 정자들에 의해서 얻어진 인과적 통찰력이 사회규범을 결정하는 예 외적인 경우들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사회생물학은 도덕률이 철학자들에 의해서 제시될 수 있다는 사실을 부정하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이들의 통찰력이 자연도태의 오랜 과정이 아닌 , 전통적 규범울 유도한 그런 의미의 통찰력이 아닌 것은 확실하다. 역사가들은 자연도태의 현상이 생명의 종에서와 같은 형태로 문화의 진화를 결정하게 된다는 사실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자연도태의 결과가 어떤 형태로 전통적 보수주의 의 견해를 보강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확실히 보수 주의자들이 전통적으로 도덕적 규범의 근원을 신적인 존재에서 찾 고 있는 한, 사회생물학적인 입장으로부터 도덕률에 대한 어떠한 지지도 얻어낼 수 없다고 본다. 그러나 보수주의자들이 도덕적 규 범의 근원을 사회에서 찾고 있는 한에 있어서는 사회생물학은 도 덕적 가치가 생물학적으로 또는 사회적으로 유용성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보수주의자들의 기본 입장을 수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사회생물학온 어떠한 가치가 보존되고 어떠한 가치가 도태되어야 하느냐는 문제를 결정하는 합리적인 방 법론을 단호히 거절하게 될 것이다. 이에 대해서 로렌츠는 다음과 같이 경고하고 있다 . 〈설사 사회규범이 잘 적응되지 않는다 하더 라도 이것은 그 사회규범이 폐지되어야 한다는 점을 의미하는 것

은 아니다. 어떤 특정한 문화의 사회조직은 서로 다른 전통적 규 범들 간의 상호작용의 복합적인 체계인 것이다. 따라서, 어떤 하 나의 규범을 폐지해서 전체 사회에 어떠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냐 하는 것은 충분한 분석 없이는 예측할 수 없다 .〉 44) 아마도 로렌츠 의 이 같은 경고에 대해서 버크가 찬사를 보내리라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마지막으로 아드리의 담론을 살펴보자. 로렌츠는 오늘날 사회생 물학이 규범체계에 대해서 조심스럽게 접근해 나가야 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는데 , 아드리는 규범체계 내에 포함되는 종교에 대해 서 사회생물학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있다. 오늘날 과학의 발전(특 히 양자역학)이 궁극적으로는 불가지한 사물을 파악하기 위해 도전 할 것이라는 사실은 분명하다. 따라서, 아드리는 다음과 같이 지 적하고 있다. 〈과학에 토대를 둔 철학(과학철학)은 현대인들을 모 든 종교의 우둔성으로 유도하고 있다 . 현대인들이 가시적 세계를 보는 것은 당연하지만 영적인 세계까지도 관조할 수 있을 것이다. 영적 세계는 인간의 정신 세계와 다른 것이 아니다 .〉 4 5) 아드리는 첨단과학이 영적 세계를 관조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하고 있다는 점을 시인하고 있으면서도 과학이 궁극적으로 종교의 진위를 입증 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회의를 갖고 있다 . 다시 말해 서 그는 과학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하고 있 지만 궁극적으로는 인간 지식의 한계에 도달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 4 6 ) 그는 오늘날 첨단과학의 발전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면서 인간의 정신 세계와 과학 세계의 접근을 희망적으로 바라보고 있 다. 따라서, 그의 희망이 가시화될 때 종교를 파괴했던 과학이 궁 극적으로는 종교 재건의 기초를 마련해 줄 것이라고 장담하고 있 댜 더 나아가서 보다 성숙한 과학과 보조를 맞추면서 보수주의자 들은 현대인들의 그노시스적 교만을 제거하고 소로킨 Soro ki n 의 이

상주의적 세계관과 버크의 세계관을 재건할 수 있다고 그는 주장 하고 있다 . 위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사회과학의 방법론을 수용했던 〈네오〉 보수주의는 앞으로 보수주의 이론가들이 과학적 방법론을 받아들 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등 보수주의 이론가들의 전통적인 방법론과 과학적 방법론과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본다. 더 구나 문화적, 철학적 보수주의 이론가들이 전통적 방법론을 일탈 해서 전적으로 과학적 방법론을 수용한다는 것은 상상 밖의 일이 지만, 1960 년대 중반부터 제기된 탈행태주의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더 라도 보수주의 이 론가들이 학제 적 인 방법 론 Inte r dis c ip li n a ry me th od 의 차원에서 사회생물학의 방법론을 수용하게 된다면 보수 주의 이론은 과거의 반지성적이란 오명을 벗고 획기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 1) Ray m ond Eng lish , Conservati sm : The Forbid den Fait h, Americ a n Scholar, vol. 21(Autu m n, 1952), p. 394. 2) Clin t o n Rossit er , Conservati sm in Americ a (New York: Alfr ed A. Knop f, 1955), p. 2 45. 3) Conservati ve Brai n Trust, Newsweek, vol. 'o7(Ja nua ry 12, 1976) , p. 48. 4) Irvin g Kris t o ! , What is a 'Ne o-Conservati ve ' ? Newsweek, vol. 'ol (Ja nua ry 19, 1976), p. 1 7. 5) 같은 책, 같은 곳 . 6) 같은 책, 같은 곳. 7) Robert Ni sb et, The New Despo t i sm , Commenta r y , vol. 59 (Ju ne, 1975), p. 32. 8) 같은 책, p. 35. 9) Rossit er , Conservati sm in Americ a , 앞의 책, p. 2 45. 10) Jer ry Brown, Learnin g to Li ve W ith Our Li m i ts, Tim e Mag az in e , vol. 106 (December 8, 1975), p. 18. 11) Ric h ard Reeves, Ca rter ' s Secret, New York Mag az in e , vol. 9 (March 22, 1976 ),

p. 2 8, 12 ) Frank S. Mey e r, Freedom, Tradit ion , and Conservati sm , Mode m Ag e (F a ll , lSXxl), pp. 358 -35 9. 13) Eri c Voeg el in , The New Sc ien c e of Politi cs : An lntr o d11cti o1 1(Chic a go : Univ e rsit y of Chic a g o Press, 1952), pp. 2-3 . 14) W .Y . Ellio t t , The Prag m ati c Revolt in Politi cs ( N ew York: The Macmi lla n Co., 1928), p. 7. 15) Twelve South e rners, I'll Take My Sta 1 1d(New York: Ha rpe r & Broth e rs, 193 0 ), p . 4 1. 16) Joh n Crowe Ransom, God Wi tho ut Th1111der(New York: Harcourt , Brace, & Co., 1930), p. X , 17) Meye r , 앞의 책, p. 358. 18) Gordon Lewi s, The Meta p h y si c s of Conservati sm , Weste r n Politi ca l Qu arte r ly, vol. 16 (December, 1953), p. 736. 19) Leon Bramson, Tlze Politi ca l Conte x t of Socio l og y (Pri nc eto n : Pri nc eto n Univ e rsit y Press, 1961), pp. 13- 14 . 20) Voege l in , 앞의 책, p. 3 . 21) Er ich Fromm, Escap e From Freedom( Ne w York: Avon Books, 1%5), pp. xiv - xv. 22) Eric h Kahler, The Tower and the Aby s s(New York: The Vi ki n g Press, 1967), pp. 254 -25 5. 23) Robert Ardrey, The Soc ial Contr a ct( N ew York: Ath e neum, 1970), p. 4 06. 24) 같은 책, p. 34. 25) 이 점에 대해서는 위의 Ardrey 책을 참조 . 26) Lion el Tig e r & Robin Fox, The Imp e ria l Anim al(New York: Holt, Ri ne hart, & Wi ns to n , 1971), p. 25. Z'1) 같은 책 , p. 3 3. 28) 같은 책, 같은 곳. '29) Claude Levi- S tr au ss, Soc ial and Psyc h olog ica l Aspe c ts o f Ch ief t ains hip in a Pri m i tive Tr ibe , in Comp a rati ve Poli tica l Sy s te m s, Ronald Cohen & Joh n M idd leto n , eds. (Garden Cit y, New York: Natu ra l Hi st o r y Press, 1%7 ), p. 61. 30) Ardrey, 앞의 책, p.1 41. 31) 같은 책, 같은 곳 . 32) Tig e r & Fox, 앞의 책, p. 4 0. 33) Ardrey, 앞의 책, p. ITT. 34) Konrad Lorenz, On Ag gre ssio n , tran s. Marjo r i e Kerr W ils on(New York: Harcourt , Brace, & World, Inc., 1~, p. 2 46. 35) Ardrey, 앞의 책, pp. 113 -11 4. %) 같은 책, p. 1 15. '57) 같은 책, 같은 곳.

38) 같은 책, p. 11. 39) 같은 책, p. 1 18. 40) Edward 0. Wi lso n, Socio b io l og y: The New Sym hesis (C ambri dg e , Mass.: The Belknap Press, 1975), p. 562. 41) Lorenz, 앞의 책, p. 232. 42) 같은 책, 같은 곳. 43) 같은 책, p. 2 35. 44) 같은 책, p. ' liJl . 45) Ardrey, 앞의 책, p. 4 07. 46) 같은 책, p. 4 00.

제 8 장 미국 보수정치의 사회계층적 기반 ― 1980 년대를 중심으로 서론 1%0 년대부터 미국 정치 무대에 가시화된 급진적 보수주의는, 철 학 문화적인 보수주의로서의 신보수주의와 사회과학적 보수주의로 서의 〈네오〉보수주의가 미국의 현실 정치 무대에 등장하는 첨병으 로서, 레이건 현상의 배후에 깔려 있었던 보수적 기층민중의 핵을 이루고 있다. 물론 보수적 기층민중 속에 분산되어 있던 사회집단 들이 1980 년대에 와서 새롭게 등장한 것은 아니었으나, 역사적으 로 잠재되어 왔던 이들 집단들이 신보수주의와 〈네오〉보수주의에 의해서 정치 무대에서 활성화되었던 상황은 미국 현대 정치에 있 어서 획기적인 변화를 창출하게 된다. 따져 보면 1980 년대의 레이 건 현상은 신보수주의, 〈네오〉보수주의 및 급진적 보수주의 등의 삼자 간에 이루어진 정치적 예술작품이었다고 본다 . 이는 1930 년 이후에 출현한 루스벨트 대통령의 뉴딜 정책만큼이나 미국 현대

정치에 큰 충격을 주었다. 앞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미국의 신 보수주의는 정권 탈욕의 정당정치의 차원을 떠나서 사회적 문화적 인 보수세력을 등에 업고 전통적인 미국식 생활양식의 보전이라는 차원에서 미국 사회의 기층민중의 정치적 돌풍을 일으키게 된 것 이다 . 따라서, 전통적인 미국식 생활양식은 소위 미국의 뉴딜식 사유주의 정치에 정면으로 도전하고자 하는 정치적 이념(하나의 예 를 들자면 자조정신)을 그 뿌리로 삼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미국 의 신보수주의 정치는 전통적 미국식 생활양식을 희구하는 기층민 중 세력을 근저로 뉴딜식 자유주의 정치, 쉽게 말해서 복지정치의 사회 정치적 구조와 정치이념을 그 뿌리째 뒤흔든 것이 사실이다 . 미국의 급진적 보수주의는 1980 년대 초 레이건 Reaga n 대통령의 등장과 더불어 갑작스럽게 급조된 현상온 아니었다. 멀리는 뉴딜 정치를 창조한 루스벨트 대통령 당시까지, 가까이는 2 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급진적 보수주의 세력이 그 기반을 점진적 으 로 구축해 왔다. 더 나아가 미국 건국 당시부터 줄기차게 미국 정치사에 깊 이 뿌리 를 두고 있는 고전적 인 의 미 의 자유주의 사상 Classic a l L ib eral i sm 은 오늘날 급진적 보수주의의 모체라고도 볼 수 있다 .1 ) 이런 점에서 보면 하츠 Lou i s H artz가 지적했듯이 미국의 정치사는 보수주의가 아닌 자유주의 사상으로 일관되어 왔다고도 볼 수 있 다? 이러한 하츠의 역사적 시각에서 보면 미국의 현대 정치사에 나타난 보수주의도 오늘의 뉴딜식 자유주의의 현상 유지를 거부하 는 급진적 자유주의로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레이건의 보수주의 정치는 전통적인 미국식 생활양식을 추구하려는 복고 양식의 측면 에서 볼 때, 비록 그것이 과거의 급진적인 자유주의를 표방한다 하 더라도 보편적 개념으로서의 보수주의의 일맥으로 간주할 수 있다. 앞에서도 지적하였듯이 미국의 신보수주의와 〈네오〉보수주의는 현실 정치 면에서 맥을 같이하고 있으며, 특히 뉴딜식 자유주의의

생성과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산물이다. 다시 말해서 신보수주의 와 〈 네오 〉 보수주의는 폭이 넓은 하나의 개념으로, 관점의 차이는 있으나 미국의 현대 정치 무대에 등장한 보수주의 사상을 이론적 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 3 ) 특히, 신보수주의는 1960 년대에 미국 사 회에서 응집된 보수주의 운동 , 더 정확하게는 급진적 보수주의 운 동을 철학적, 이념적인 차원에서 뒷받침했던 사실을 우리는 잊어 서는 안 된다 . 따라서, 우리는 신보수주의와 1960 년대 이후에 결 집된 다양한 급진적 보수주의(운동)를 엄밀하게 구별해야 한다. 죽, 신보수주의는 철학적 보수주의의 원천이었으며 급진적 보수주 의는 현실 정치에 나타난 실천적, 정치적 보수주의의 실체였던 것 이다. 미국의 급진적 보수주의의 선풍적인 운동과 이 역사적인 좌표를 정확하게 파악한 학자들은 적어도 1960 년대 초에는 별로 없었다. 이러한 보수주의 운동을 보는 시각은 그 명칭의 사용만큼이나 다양 했다 그 당시 사용되었던 이 운동의 명칭들을 보면, 급진적 우익 Radic a l Righ t, 극단적 우익 Extr em e Righ t, 극우파 Far Righ t, 반동 적 우익 Reacti on ar y Righ t, 난폭한 우익 Ramp ag e o us Righ t, 광적 인 의 곽 집 단 Lunatic Frin ge, 극단적 인 보수주의 Ultra Conservatis m , 사 이 비 보수주의 Pseudo Conservatis m , 존 버 치 주의 Joh n Bir ch i sm , 신 파시즘 Neo-Fas ci sm 등 수많은 용어들이 나타나고 있다 .4) 이러한 용어들은 당시 보수주의 운동의 표면적인 국면만을 진단한 자유주 의자들의 급조된 표현이었다. 따라서, 여기에서 필자는 이러한 보 수주의 운동을 급진적 보수주의 또는 신우익 등의 다양한 표현들 울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뉴딜식 자유주의는 복지국가의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정치이념 을 표방해 왔다. 복지국가의 건설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것이 만인 의 적으로 생각될 만큼 우리 사회에서도 복지정치는 보편타당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 그러면 어째서 미국의 급진적 보수주의 와 신보수주의가 복지국가의 정치이념에 도전하고 있는가 하는 의 문점이 생긴다. 또한, 이러한 보수주의가 어떻게 정치적인 돌풍을 일으켜 미국 현대 정치의 무대에 나타나게 되었는가 하는 등의 문 제도 제기된다 . 나아가서 과연 급진적 보수주의의 정치세력을 둘 러싸고 있는 정치집단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하는 문제도 미 국의 현대 정치와 보수 현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관건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오늘의 급진적 보수주의 정치세력은 획일적이고 거대한 하나의 집단이라기보다는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다른 다양 한 집단으로 구성 Coal iti on 되어 있기 때문이다 . 따라서, 필자는 본 장에서 1980 년대 레이건 정권의 등장 이전까지의 보수세력의 사회 적 계층 및 집단을 분석해 보기로 하겠다 . 1960 년대의 정치 현상 미국 학자들은 보수주의의 부홍이라는 역사적 중요성을 어느 시 대보다 1960 년대에 부여하고 있다 . 5) 사실상 1960 년대 초 미국 정 치의 한 현상으로 나타난 급진적 보수주의의 강세는 정치학자들뿐 만 아니라 많은 미국 사람들에게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혹자는 이러한 현상을 일컬어 미국 현대 정치사에 나타난 자발적이면서도 강력한 대중운동으로 간주하고 있다전 또, 어떤 사람은 이러한 현 상을 1950 년대의 매카시즘 McCa thyi sm 의 좌초 이후에 나타난 급진 적 보수주의자들의 집약적인 응집 현상으로 보고 있다? 특히, 당 시 미국의 진보 진영에서는 급진적 보수주의(신보수주의 포함)의 동장을 특별한 경계심을 가지고 보기도 하였다. 당시 오하이오주 출신의 민주당 상원의원이었던 영 Ste p h e n A.

Youn g은 이러한 급진적 보수주의 정치집단들을 자생적인 파시스트 Home-gr ow n Fasc i s t s 로 단정 하는 등 이 들 급진적 보수주의 집 단들 의 세력이 급기야는 미국의 민주주의적 전통과 제도에 파격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공언한 바 있다 . S) 1961 년 12 월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개최되었던 민주당 청년대회 The Young Democrats Conven ti on 에서 민주당 대통령 케네디 Joh n F. Kenned y가 당시 미국 을 휩쓸고 있던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의 영향으로 대회가 무산될 것을 염려하였던 것을 보면 당시 미국의 보수주의의 열풍이 어느 정도 강세였나를 짐작할 수 있다 .9 ) 한편, 1960 년대 보수주의 열풍을 보는 다른 시각의 일면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미국의 정치사에서 주기적으로 폭발되었다가 사라져 간 급진적인 보수세력의 일환으로 분석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를테 면, 1850 년대의 부지주의당 The Know-Noth ing P arty의 출현으로부터 1880 년 대 의 미 국 보호협 회 The Ameri ca n Prote c ti ve Associa t io n , 1920 년대의 쿠 클럭스 클란 Ku Klux Klan, 1930 년대의 미국 파시스트 운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급진적 보수집단과 마찬가지로 1950 년 대의 매카시즘과 1960 년대의 보수주의 운동을 미국 역사의 단편 정도로 취급했던 학자들도 있다 .10) 그러나 1980 년대 레이건 정권의 출현을 놓고 볼 때 1960 년대의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을 흘러간 역 사의 단편으로 보기는 어렵다. 따져 보면 오히려 1850 년대의 부지 주의당의 출현 이후 지금까지 단편적으로 나타났던 급진적 보수주 의 집단돌이 1960 년대를 기점으로 뉴딜식 자유주의에 항거하기 위 해 총집결되었음울 알 수 있다. 주로 편협한 인종주의에 치우쳤던 급진적 보수집단들이 원초적인 감정 표현으로 설득력을 상실해 오 던 터에 뉴딜식 자유주의를 비판하는 세련된 정치이념을 도출함으 로써, 지리멸렬했던 이들 집단들이 보수주의의 기치 아래 응집되 어 표출된 것이 1960 년대 이후에 나타난 미국 보수주의 운동의 한

특징이다. 지금까지 1960 년대의 보수주의를 분석해 온 학자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사람들로는 벨 Danie l Bell, 홉스테 터 Rich ard Hafs t a d te r , 립 세트 Se y mour Ma rtin Lips et, 리스먼 David Ries man, 슐레진저 Arthu r Schlesin ge r, Jr. 등이 있다꼬 이들은 19 4 0 년대와 1960 년대 사이에 소위 미국 학계에서 〈합의이론 Consensus Theo ry 〉 을 제창했던 학자 들이다. 이 이론은 미국의 역사와 정치의 발전 과정을 투쟁개념의 변증법으로 해석하지 않고, 〈합의〉의 시각에서 대립물의 통합 일 치를 강조하는, 다른 각도의 변증법적 인식론을 내세우고 있다 . 이들 〈합의이론〉 학파에 속했던 학자들은 미국인들의 역사 저변에 깔려 있는 자유주의적 일관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들은 미국의 자 유주의자들(엄밀하게는 고전적 자유주의자들)과 보수주의자들 간의 갈등과 경쟁을 명예스러운 적대관계로 보고 있다. 비록 이들 양자 가 자유라고 하는 궁극적인 목적 달성에 있어서 서로 다른 방법론 울 제시하면서도 그 목적에 있어서는 중요한 공통성을 갖고 있다 고 강조한다. 대 부분의 이 들 학자들은 하츠 Louis H art z 와 같이 미 국의 역사 속에서 보수주의적 전통을 찾아볼 수 없다는 인식에는 동조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들 〈합의〉이론가들은 미국의 자유 주의와 보수주의와의 공생적인 관계를 강조하고 있으면서도 독립 된 두 개의 패러다임이 미국 역사 속에 뚜렷하게 존재해 왔음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이들 〈합의〉이론가들은 1960 년대의 보수주의 운동을 미국의 전통적인 보수주의로 평가하기를 거부하고 있다. 이를테 면, 홉스테터는 이 운동을 미국적 전통에서 벗어난 변태적인 탈선 운동으로 보는가 하면, 이 운동이 합의와 연합 Co aliti on 의 전통적 인 미국 정치 형태를 뿌리째 혼들어 놓을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고 지적하고 있다 •12) 심지어 홉스테터는 60 년대의 보수주의 현상을

사이비 보수주의 또는 편집병적 현상으로 취급하고 있다 . 같은 맥 락에서 립세트는 신우익 운동을 비이성적 정치 ThePo liti cso f Unreason 로 규정 하고 있다. 13 ) 결과적으로 〈 합의〉이론가들은 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1960 년 대의 보수주의 현상을 정확히 판단할 수도 없었거니와 , 이 운동이 거대한 집단으로 응집되어 미국 정치사의 방향을 전환시키게 될 것을 예측조차 못했던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필자는 급진적 보수 주의 운동을 경시했던 〈합의이론〉에 반론을 제기하면서 미국의 보 수주의가 전통성을 강력히 계승해 왔다는 점을 피력하고 싶다 . 일반적으로 급진적 보수주의의 개념에 있어서 〈급진적〉이란 용 어는 뉴딜식 자유주의를 거부하는 전략적 측면, 즉 전격적으로 문 제 해결을 위한 대담한 행동주의를 의미하고 있다. 한편 〈보수주 의 〉 의 용어는 미국 보수주의의 목적들을 서술하고 있는 것으로, 그 내용에는 앵글로색슨주의, 기독교 문화, 공적 도덕성, 정부의 재 정적 균형, 자유기업, 개인주의, 자조정신, 남성 우위, 성적 순 결 , 백인의 우월성 등 일련의 미국의 전통적인 생활양식에 합당한 가치관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보수주의적인 가치관은 1960 년대 당시 미국 사회를 지배했던 정치적 문화적 다원주의를 배격하면서 1950 여 년 간의 뉴딜식 자유주의에 대응할 수 있는 정 치이념을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 급전적 보수주의 집단 1960 년대 이후 급진적 보수주의가 거대한 정치집단으로 응집된 데에는 그 집단 내의 여러 하부조직이 복합적으로 연합되어 있었 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서로 경쟁하고 있는 직업 또는 경제적 집

단, 무수한 종교 분파와 인종 집단, 지역적 이해집단들이 소위 압 력단체의 명분으로 급진적 보수세력에 서로 얽혀 있었다 . 이러한 이해집단들은 공화당에서뿐만 아니라 민주당의 하부구조나 기타 소수 정당들에까지도 복잡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상 황 속에서 당시 민주당은 지금껏 진보주의의 이념적 색채를 표방 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점차적으로 보수주의의 열풍에 말려 정치적 으로 큰 타격을 받게 된다 . 다음에 소개하는 보수주의의 이해집단들은 경우에 따라 그 구성 원이 서로 중복되어 있는 경우가 많이 있다 . 그러나 여기에서는 이러한 이해집단들의 성격과 이들 집단들의 전체적인 구도에 중점 을 두어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반동적 부호 집단 반동적인 부호 집단으로 불리는 이 집단은 사실상 미국 자유연 맹 The Ameri ca n Lib e rt y Lea gu e 이 란 조직을 통해서 최초로 1930 년대 의 뉴딜식 사회 경제적 개혁을 완강하게 반대해 온 세력이다 . 이 집단은 1960 년대 당시 보수주의 지도자들을 배출하였을 뿐만 아니 라 기타의 보수집단에 대해서도 배후에서 재정적 지원을 많이 해 왔다. 예를 들면, 당시 보수주의 운동의 전면에서 적극적으로 활 동했던 조직들 중에서 미국 보수주의 연합 The Americ a n Conservati ve Un ion , 미 국 헌법 수호회 Americ a ns for Consti tut i on al Acti on , 기 독교 자유재 단 Ch risti a n Conservati ve Foundati on , 대 학연 합회 The Inte r colleg iat e Socie t y of Indiv i d u als, 존 버 치 회 The Jo hn Bi rc h Socie t y , 자유로비 회 Lib e rty Lobby , 미 국자유청 년 회 Young Ameri ca ns for Freedom 등의 정 치 집 단들은 반동적 인 부호 집 단으로 부터 막강한 재정적 후원을 받고 있었다 .14) 그리고 반동적 부호 집

단들 속에서도 이들 보수세력에 실제적으로 재정 지원을 했던 대 표적 인 대 기 업 들 중에 는 General Electr i c, Rep ub lic Ste e l, Schic k Safe tyR azorComp an y 등과 같은 굵직한 재력이 버티고 있었다 .15) 한편, 이들 부호 집단과 깊은 관련을 갖고 있던 지도자들 중에 중요한 인물로는 오하이오 주 출신의 공화당 하원의원 애시브루크 Joh n M. Ashbrook, 해 군성 장관울 역 임 했던 에 디 슨 Charles Edis o n . 신문출판업 에 종사하던 놀렌드 Wi lliam F. Knowland 와 러 브 Wi llim Loeb, 라디오 방송인 루이스 Ful t on Lewi s 2 세, 캘리포니아주 출신 의 공화당 하원의원 슈미츠 Joh n Schmi tz, 제과제조업자 웰치 Robert Welch, 콜로라도주의 양조업 자 쿠어 스 Jos eph Coors 등이 유 명하다 .1 6) 원래 미국 남부에서 나타난 반동적 부호 집단의 전통은 미국 시 민전쟁 이전의 흑인노예주들의 후예들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집단이 의형적으로 응집되어 오는 과정에서 보면 1930 년대 버지니아주 출신의 상원의원 버드 H arry F. B y rd 의 역할이 컸었다. 당시 미국 상원에서 버드 B y rd 가 루스벨트 대통령과 그의 뉴딜 정 책을 정면에서 공격하기 시작하자 남부의 부호들이 이에 호응, 자 연적으로 하나의 정치세력으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그리고 버드 B yr d 의 정치적 인맥을 형성하고 있던 1960 년대 당시 남부 부호들 의 대변인들이라고 볼 수 있는 정치 지도자들로는 리치먼드(버지 니아주)의 뉴스리더 News-Leader 신문사의 편집인 킬패트릭 Jam esJ . Kilp a t r ick , 복캐롤라이나주의 텔레비전 해설자 헴스(J esseHelms, 현 재는 북캐롤라이나주의 공화당 상원의원으로 남부 보수주의의 기수로 활약), 남캐롤라이나주의 공화당 상원의원 서먼드J .S t rom Thurmond 등의 활약이 대 단했다 . 17) 이상의 정치 지도자들과 남부의 부호들은 자신들의 경제적 사회 적 지위를 보호하기 위해서 노동조합운동과 정부에 의한 생산 규

제 정책 또는 이에 따른 세제 정책에 정면으로 도전하였다. 따라 서, 이들은 국가나 정부의 기능을 최대한의 법질서 유지에 국한시 킬 것을 요구하는 등 연방정부에 의한 진보주의적인 소득 정책의 철폐를 강력하게 주장하였다 . 이들은 항상 자신들을 헌법주의적인 보수주의자들로 자칭, 진보주의에 의해서 침해되는 개인재산을 보 호해야 한다고 주장할 뿐만 아니라 시민전쟁 이후 연방정부의 권 력 확대의 영향력 하에서 남부 주정부들의 권리를 되찾아야 한다 고 주장하였다. 한편, 미국 중서부의 부호들이 남부 부호 집단의 이해관계에 동 조해 온 사실은 당연한 귀결이라 하겠다. 그러나 홍미로운 사실의 하나로는 동북부의 전통적인 부호들, 이를테면 산업자본가들과 금 융자본가들(오늘날 Wall S tr ee t의 부호들) 이 이 들 반동적 인 부호 세 력에 체질적으로 거부감을 표현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 따라서, 맨 해튼 중심의 이들 동북부의 부호들과 남 • 서 • 중부의 부호들 간의 갈등과 적대감은 오래 전부터 이어져 오고 있다. 특히, 동북부의 전통적인 부호들이 시대적 변천에 찰 적응할 뿐만 아니라 미국의 진보주의 정책에도 부정적인 견해를 표명하지 않고, 어떤 면에서 는 오랫동안 노동조합 둥 생산활동에 대한 정부 규제 및 복지사회 를 지향하는 경제정책을 지지해 왔다 . 따라서, 재력가들이 일반적 으로 보수주의적 성향을 갖게 된다는 사회적 인식은 적어도 미국 사회에서는 통례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동북부의 부호들과 남 • 서 • 중부의 부호들 간의 불 화관계가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특히 남 • 서 • 중 부의 부호 집단은 1960 년대에 들어와서 공화당 정치인들뿐만 아니 라 남부의 민주당 정치인들을 동원, 강력한 로비 활동을 추진하였 다. 이러한 로비 활동을 통해서 이들 남 • 서 • 중부의 부호들은 보

수 진영에서 존경받는 우익집단으로서의 정치적 위상을 확보하였 을 뿐만 아니라 1960 년대의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의 중요한 역할 을 맡게 된다. 지역사회의 엘리트 집단 대체적으로 지역사회의 엘리트 집단은 재력가는 아니었지만 성 공적인 전문직업인들과 중소기업인들로 구성된다. 주로 이들은 전 국적으로 많은 소도시들과 대도시의 외곽에 집중되어 사실상 급진 적 보수주의 운동의 주력을 담당했던 세력이다. 이들 집단에 속하 는 구성원들은 1960 년대 보수주의 운동의 대표적인 단체 조직에 직접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당시 이 집단의 구성원들을 포괄하고 있던 대표적인 조직에는 존 버치회, 미국혁명 여성수호협회 The Daug ht e r s of the Ameri ca n Revoluti on , 백 인 시 민 위 원 회 The Wh ite Cit ize ns Counci l 등이 유명하다. 그리고 이들 구성원의 자제들은 주로 대학연합회와 미국 자유청년회에 참가하여 보수주의 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지하였다. 사실, 1964 년 미국의 대통령 선거 때 기 층민중의 핵심으로 골드워터 Goldwate r 후보를 적극적으로 후원했 던 세력은 바로 이들 지역사회의 엘리트 세력이었다 .18) 이들 엘리트 집단의 세력은 미국의 지역사회를 보호하는 기수로 자처하면서 당시 미국의 전통적인 중산계급의 문화를 강력하게 고 수하였다. 특히, 이들은 공중도덕을 강조하는 일환으로 창녀와 마 약의 근절을 위한 전국적인 캠페인을 주도하였다. 1964 년 골드워 터 대통령 후보의 각광을 등에 업고 이들 지역사회의 엘리트 세력 이 도덕적 미국의 건설을 대통령 선거운동의 구호로 삼았던 것을 보면 당시 이들 엘리트 세력이 현대 미국의 도덕적 타락을 얼마나 통감하고 있었던가를 알 수 있다 .19)

뿌리 깊은 백인주의의 전통에 물들어 온 이들 지역사회의 엘리 트 세력은 일반적으로 반동적인 부호 집단들과 마찬가지로 오로지 북부 유럽인들에게만 허용하는 이민법 제정을 주장하기도 했다. 더구나 남부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이들 세력이 흑인과의 통합을 계속 거부해 온 것은 당연하였다. 특히, 남부지역 이외에 분포되 어 있는 부호 집단들도 앵글로색슨족 An g lo-Saxon 의 순수성이나 인 권운동의 와중에서 법과 질서의 확립을 요구, 정치적 도덕성의 확 립을 주장하는 남부 부호들과 지역적인 엘리트 세력에 대해서 동 정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이렇듯 1960 년대 당시 보수세력과 복합적인 연관성을 갖고 있던 지역사회의 엘리트 세력은 기층민중 Grass-roo t s 의 조직 활동을 통해 서 급진적 보수주의 를 정 치 적 으로 표 면화시키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 . 서부의 신홍 부호 집단 서부의 신홍 부호 세력은 2 차 세계대전 이후 광활한 이 지역의 경제적 특수성 때문에 형성된 것으로, 주로 석유산업, 목축업, 토 지개발, 관광사업 및 전자, 우주산업으로 새로이 미국 재계에 등 장한 부호들로 구성된다. 특히, 댈러스, 휴스턴, 라스베이거스, 로 스엔젤레스, 마이애미, 피닉스, 샌디에고一―-물론 이 중에는 남 부 도시도 포함되었지만-등의 도시들은 이 지역에서 경제적 붐의 상징적인 핵심 도시로 성장해 왔음은 자타가 공인하는 사실 이다. 물론 미국의 재력이 이 지역-미국인들은 이 지역을 선 벨트 Sunbel t로 지칭-에 새로이 집결된 사실 뒤에는 근본적으로 서부의 프런티어 Fronti er 정신이 이 지역 발전에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프런티어 정신에 의한 미국 개척의 역사를 통해 볼 때 동북부의 부호들은 전통적인 대궐

집의 양반이고 서부의 신홍 부호들은 예의범절이 없는 상놈의 부 호라는 의식구조가 깔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 따라서, 동북부의 부호들은 서부의 신홍 부호들을 경멸하고, 반대로 서부의 신홍 부 호들은 모든 면에서 동북부의 부호들을 거부하는 오랜 전통이 미 국의 현대 정치사에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새로이 등장한 서부의 신홍 부호 세력은 동북부의 부호 들이 미국의 전통적인 가치관과 사회도덕성을 타락시켜 왔다고 비 난하면서 보수주의 운동에서 이들을 소외시키고 있다 . 1960 년대 이 선벨트 지역에서 보수주의의 기수로 맹활약했던 인물 중에는 애리조나 주 출신의 공화당 상원의원 골드워터, 헌트 H. L. Hun t와 그의 아들 넬슨 헌트 Nelson Bunker Hunt, 캘 리 포니 아주 출신의 공 화당 하원의 원 타워 (Joh n Tower, 부시 정 부 출발시 상원에서 국방장 관으로 비준받는 데 실패) 등의 당시 급진적 보수주의의 대변인들 이 있다 .2 0) 동북부의 부호들에 반발하여 하나의 보수세력으로 등장한 서부 의 신홍 부호 세력은 정치적 이념으로서 순수한 개인주의와 자유 방임주의적 경제체제를 강력하게 제창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적으 로 진보주의적인 뉴딜식 자유주의에 대해서 부정적인 태도를 표출 하게 마련이었다. 따라서, 이들은 선벨트 지역의 귀족으로 자처하 면서도 사회적 책임감과 연대적 사회정의감을 결여하였고, 궁극적 으로는 경제 분야에 대한 정부의 간섭을 배제, 심지어는 사회적 빈곤층을 돕기 위한 진보주의적 세제개혁에 정면으로 도전하게 되 었다. 결과적으로 이들 세력은 사회 변화에 대한 적응을 거부하고 전통적인 미국의 생활양식에만 적응하려고 하였다.

남부의 농민세력 역사적으로 농민 집단이 대개 보수 경향을 보여 왔듯이, 미국 남 부의 농민들도 1960 년대 당시 보수세력에 합세하게 된다. 특히, 이 지역의 농민들은 전통적인 백인 우월성울 표출해 온 집단이기도 하다. 그러면서도 이 집단은 미국 근대사에서 보면 이율배반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일면에서는 자유주의적인 전통적 농업정책을 요구하는가 하면, 또 한 면에서는 1890 년대의 민중주의 Po p ul i sm 에 적극적으로 참여, 우드로우 윌슨의 신자유 정책 NewFreedom 과 루 스벨트의 뉴딜 정책에 환호를 보내는 등 심지어는 1930 년대의 대 공황 당시 롱 Hue y Lon g의 〈부의 균분〉 운동에 가담했던 사실을 감안해 본다면 이들 집단의 양면성을 알 수 있다 .21) 특히, 이들 남부의 농민세력은 경제 부문의 정책에서는 진보주 의적인 방향에 편승하는 경향을 보이면서도 인종문제에 있어서는 보수주의적인 입장을 표시해 왔다 . 남부지역에서 쿠 클럭스 클란 KuKluxKlan 의 활동이 주로 농민들을 중심으로 형성된 점은 바로 이들의 편집병적인 인종주의 성향을 대변하고 있다. 이러한 남부 농민들의 전통은 1960 년대 당시 민권운동의 와중에서 자연히 인종 분리주의를 분출시켰고, 앨라배마주의 월러스 Geor g e Wallace 와 버 지 니 아주의 매독스 Leste r Maddox 와 같은 선동주의 적 인 정 치 지 도자 들을 배출하게 되었다. 한때 이들 남부 농민들이 케네디 대통령에게 표를 모아 케네디 의 뉴 프런티어 정책 NewFron ti er 에 자신들의 이익을 반영하려 했 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 이후로 계속해서 이 집단은 골드워 터와 월러스의 보수주의에 편승, 1980 년대 레이건 정권에 전폭적 인 지지를 보내고 있다. 물론 앞으로 가난한 농민들은 경제 여건 에 따라 진보주의적인 정책에 호의를 보일 가능성이 있지만, 근본

적으로 전통적인 백인 우월의 인종주의에서 탈피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고 본다 . 잠재적인 우익집단 이 우익집단은 미국에서도 수백만에 이르는 중산층에 가까운 노 령의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주로 중서부의 소도시와 농 촌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이들은 교회에도 열심히 출석하 고 미국의 현대 문명과 전통적인 생활문화와의 완충 지역에서 살 면서 아직까지도 자수성가의 생활철학을 주장하고 있다. 이들 잠 재적인 노령 집단은 사실상 정치세력으로서는 미미한 존재이긴 하 지만 역대 선거에서 항상 보수적 성향을 표출해 온 우익세력으로 서 1960 년대 보수주의 운동의 일익을 담당해 온 충성스러운 미국 의 시민들이다. 남부의 농민들은 때때로 정치적으로 소란스러운 행동을 취해 왔 지만, 이들 잠재적인 우익집단은 정치적으로 침묵을 지키면서 미 국의 전통적인 생활양식을 존중해 왔다. 또한, 이들 집단의 형태 속에서 우리는 강력한 인종주의적 색채와 반유대주의적 성향을 찾 아볼 수 있다 .22) 그런가 하면, 이들 집단은 자연보호운동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 특히, 이들은 시민의 건강 보호에 지대한 관심 울 나타내고 있는데, 이를테면 충치 예방을 위해 수돗물에 불소화 합물을 투입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반대할 뿐만 아니라 사안에 따 라서는 특허 약품과 식품의 품질을 관리하는 미국 식품약정국 FDA 의 정책에 빈번히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들 집단이 정치적인 세력으로 등장함에 있어서는 이들 집단 내에서 자생된 지도자를 배출시키기보다는 이들의 대변자라고 할 수 있 는 Americ a ' s Futu re, Americ a n Mercury , Beacoon-Lig h t

Herald, Common Sense, Cross and Flag 등의 대 중매 체 를 통해 자신 들의 이익을 반영시키고 있다 . 23) 이러한 잡지나 신문은 주로 우익 부호들의 재정적 후원을 받아 운영되어 왔다. 이들은 미국에서도 전통적인 생활양식을 고수하는 마지막 보루로서 1960 년대의 보수 주의 운동에 공헌한 바가 크다. 복음주의적 개신교 집단 오늘날 미국의 기독교는 보수와 진보의 양면성을 모두 지니고 있다. 개신교는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보수주의의 성향을 지탱하는 하나의 큰 초석이 되어 왔으며, 한편으로는 오늘날 진보 혁신주의 의 정신적인 지주로도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미국의 사회주의 운동 과정에서도 볼 수 있듯이 개신교의 지도자나 그 세력이 사회 주의(또는 개혁주의)의 전면에 나타나기도 했다. 그러나 미국의 역 사에서 복음주의적 개신교 집단 Evan g e li cal Pro t es t an t은 항상 보수 주의의 편에 서서 그것도 극우적인 입장에서 미국 현대 정치에 많 은 영향을 주고 있다. 복음주의적 개신교 집단은 특히 20 세기에 들어와서 더욱 보수주 의적인 역량을 나타내고 있다 . 이를테면, 20 세기의 진보주의에 대 한 반동으로 나타난 금주운동의 전개, 나아가서는 도박, 마약, 홍 둥가 등의 도시의 퇴폐성을 근절키 위해서 적극적인 활약을 시도 한 집단이 바로 이 개신교집단이었다. 이들은 1920 년대 당시 미국 사회 를 지 배 했던 사회 적 다윈주의 Soc ial Darw ini sm 와 관련된 학문 활동에 정면으로 도전했던 세력이며, 2 차 세계대전 이후에 인종통 합주의를 저지하기 위해서 남부의 여러 주에서 전개되고 있던 백 인우월주의에 긍정적으로 신학적 해석을 주도하기도 했다 .24) 한 편, 이들 집단은 공산주의가 미국의 의교정책에 있어서 극단적인

냉전체제를 영구화시 켰 다고 맹렬히 공격하고 있다. 복음주의적 개신교는 주로 미국의 남부와 서부에서 그 활약상이 대단하다 . 기독교의 복음과 급진주의적 보수주의의 정치이념을 이 론적으로 혼합 정립시킨 당대의 대표적인 성직자들 중에는 하기스 Bil ly Jam es Hargi s, 매 킨타이 어 Carl McInty re , 슈워 즈 Frederic k Schwarz, 스미 스 Gerald L. Sm ith 등이 있다. 25) 그리 고 공직 에 있었 던 사람으로서 벤슨 (Ezra Ta ft Benson, 농림장관)과 미네소타주 출 신의 공화당 하원의원 주드 Wa lt er Ju dd 같은 인물들은 그들의 복음 주의적 가치관을 정부 시책에 반영하려고 노력하였다. 특히, 선벨 트 지역에 있는 이들 개신교 집단이 재정적으로 후원하고 있던 캘 리 포니 아주의 앰 배 서 더 대 학 Ambassador Colle g e 과 페 퍼 다인 대 학 Pepp e rdin e Univ e rsity , 남캐 롤라이 나주의 밥 존스 대 학 Bob Jo nes Un ive rsity , 아칸소주의 하딩 대학 Har di n g College 등은 개신교 중 심 의 보수주의 의 본산으로서 당시 보수주의 운동에 정치 적 활력 을 제공하고 있었다 . 26) 오늘날에 와서도 이들 대학 중심의 교육과정은 보수주의적 미국의 장래를 이끌어 갈 지도자 육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들 복음주의적 개신교 집단의 세력이 과거에 침체되고 약화되 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갑작스럽게 강화된 이들 집단의 교세 와 관계 고등교육기관의 발전 이면에는 선벨트 지역의 신홍 부호 들에 의한 막강한 재정적 후원이 있었다. 따라서, 보수주의자들은 미국 전체의 복음주의적 개신교의 부흥을 선벨트 지역에서 일반 대중의 정치화의 효과적인 수단으로 인식하였고 지금도 그러한 성 향을 띠고 있다. 특히, 이들 중에서도 1960 년대 당시 막강한 복음 주의적 개신교의 교세를 등에 업고 이 세력을 보수주의 정치로 연 결시키는 데 성공한 지도자들로는 하기스 (C hri s ti anCrusade 를 창설) 와 슈워 즈 (Frederi ck Schwarz, Ch rist ia n Anti -C ommunis t Crusade 를

창설)를 꼽을 수 있다 . 어째서 이들 복음주의적 개신교의 부홍이 보수주의의 운동 시기 와 때를 맞추게 되었나 하는 의문에는 여러 가지의 해석이 있을 수 있다. 당시 보수주의 운동의 기수로 등장했던 신홍 부호 세력 의 개신교 부흥을 위한 재정적 후원이 양자를 연결시키는 데 즉홍 적인 효과를 가져왔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뉴딜식 자유주의에 의한 사회악이 1960 년대부터 급증하였기 때문에 복음주의적 개신 교 자체 내에서도 이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표출하기 시작하였 던바, 이러한 개신교적 반응이 개신교의 부흥을 가져오게 했던 것 이다 . 결과적으로 이 두 가지의 요소가 시효적절하게 상호연관성 을 가지고 당시 보수주의의 열풍을 미국의 정치 무대로 끌어들이 는 데 일익을 담당하였던 것이다. 가톨릭 우익집단 서구 사회에서 가톨릭 종교재판 이후 수세기 동안 지속되어 온 유럽의 반동주의적 전통 유지에 로마 가톨릭 교회가 그 주도적 역 할을 담당해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대공황 이전에는 미국의 가톨릭 교회는 절대로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에 가담하지 않았다. 물론 이들 가톨릭 집단이 보수주의의 부 분적 목적에 대해서까지도 단편적으로나마 후원하지 않았다고 하 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1930 년대의 대공황 이후부터 극우파의 카 플린 Charles Coug hlin 신부 같은 사람은 과거 미국 가톨릭 교회 에 대한 의부로부터의 불신울 말소하고 사회정의 국민연합 Na ti onal Un ion for Socia l Jus ti ce , 유니 온 당 The Un ion Pa rty, 기 독교 전선 The Ch risti a n Front 등의 보수세 력 의 단체 들과 연계 를 갖는 가톨릭 보수연합체를 조직하게 된다 .27) 특히, 카플린 신부의 강력한 반공

정신은 미국 전지역의 대도시에 살고 있는 중산계층의 가톨릭 신 자들의 지지를 얻게 된다. 한편, 동부의 부호들과 국제적 금융자 본가들에 대한 카플린 신부의 신랄한 비판과 공격은 서 • 남 • 중부 의 보수세력으로부터 절대적인 지지를 받게 된다. 사실상 1950 년대 초 위스콘신주 출신의 공화당 상원의원 매카시 Jos eph R. McC art h y의 반공산주의 운동(소위 McC art h yi sm) 은 釋 린 신부의 가톨릭적인 보수주의 정신을 계승한 것에 불과했다 .28) 그러나 매카시즘은 카플린 신부의 반유태주의 사상과 민중주의적 인 성격울 배격하고 있다 . 매카시 상원의원 이외에도 1960 년대 가 톨릭 보수주의 지도자들 중에는 대표적으로 당시 신문 특약 기고 가인 버 클리 Wi lliam F. Buckley J r. 와 그의 형 제 인 제 임 스 버 클리 Jam es Buckely, 라디 오 방송인 매 니 온 Clarence Manio n , 국제 정 치 분석가인 알렌(Ri chardV. Allen, 레이건 대통령의 국가안보수석), 캘 리포니아주 출신의 공화당 하원의원 슈미츠Jo hnSc hmitz 등이 맹활 약했다. 이상에서 소개한 가톨릭 지도자들은 선벨트 지역과 남부 의 신홍 부호들, 존 버치회 등 많은 보수 단체들과도 밀접한 관련 을 맺고 있었다 . 전통적으로 미국의 가톨릭 교회는 극빈자 퇴치 운동의 사회참여 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 왔다. 그러나 그들의 사회참여의 의식 속에는 자조 Se lf -hel p의 기본 정신을 지탱하였던 미국식 생활문화 롤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에 뉴딜식 자유주의에 의한 국가 권력의 비대 성향을 비판해 왔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가톨 릭 교회의 세력 중에서도 이상에서 소개한 보수주의적인 성향에 치우친 가톨릭 집단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가톨릭 고립주의 집단 가톨릭 세력 중에서도 미국의 외교정책에 대해서 고립주의를 주 장해 온 집단이 있는데, 이 집단은 주로 1930 년대 이후 미국의 보 수세력을 집결시키는 데 공헌해 왔다. 특히, 미국의 1 차 세계대전 참전을 반대했던 독일과 아이리시 계통의 교회들이 이 집단의 핵 심을 차지하고 있다. 이 고립주의 집단은 국제 문제에 대해서 거 부적인 침묵보다는 오히려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해 왔다. 이를테 면, 이들 집단의 불간섭주의는 1930 년대 당시 유럽 사회를 휩쓸고 있던 파시즘을 사실상 묵인해 주었는가 하면 프랑코 Franco 장군이 스페인 시민전쟁 기간 (1936 - 39) 에 국내 공산주의자들의 활동을 진 압, 군부독재를 하게 될 때에도 오히려 묵시적인 환영의 태도를 보여 주었다. 한편, 2 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의 참전 결정이 소련 에 의한 중국과 동구라파의 좌경화를 용이하게 하였다는 이유에서 미국의 가톨릭 고립 집단은 미국의 이러한 외교정책에 대하여 비 판적인 입장을 표명했었다 . 29) 소련에 의한 동구라파의 공산권이 확립되면서 독일과 아이리시 계통의 가톨릭 집단에 가담한 교회가 점차적으로 확대되어 간 것 은 사실이다. 죽, 체코, 헝가리, 폴란드 계통의 동방교회 세력이 독일과 아이리시 계통의 가톨릭 고립주의 집단에 합세, 1950 년대 의 매카시즘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게 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미국 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소수민족 가톨릭 교회들은 1950 년대의 매카 시즘을 기반으로 하여 1960 년대의 보수주의 운동에 가담하게 된 것이다.

개신교 고립주의 집단 이 집단은 기독교 중심의 백인주의의 주류와 특히 독일 계통의 개신교 세력으로 구성되는데, 가톨릭 고립주의 집단과 마찬가지로 30 년대 대공황 이후에 보수주의 운동에 공헌하게 된다. 주로 이 집단은 미국의 중서부에서 그 세력을 떨치고 있는데, 그 구성원에 있어서는 앞에서 소개한 반동적인 부호 집단, 지역사회의 엘리트 집단, 중산층 이하의 잠재적인 우익집단 등의 구성원들과 복합관 계를 가지고 있다 . 1 차 세계대전 당시 개신교 고립주의 집단을 중심으로 미국의 참 전을 반대하기 위해 소위 미국 제일위원회 The Ameri ca n Fir s t Co mmitt ee 란 명칭의 거국적인 단체가 탄생되었다. 이들 개신교 고 립주의자들은 이 조직을 통해서 국제적 금융가 월 스트리트 Wall Str ee t, 유태인 또는 영국 정부 등의 일련의 전쟁 유발 공동체가 미국의 참전을 획책하고 있다고 비난하면서 전국적으로 반전운동 울 전개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 집단은 2 차 세계대전 당시에 와서도 공산주의와 영국 정부는 물론, 국내적으로는 루스벨트 대 통령과 뉴딜 세력을 2 차 세계대전의 전범자로 몰아붙이고 있다. 개신교 고립주의자들의 홍미로운 논쟁점으로서는 이들이 유럽의 사태에 대해서는 항상 불간섭주의를 내세우면서도 극동 아시아의 사태에 대해서는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었던 점이다. 특히, 이 집 단은 극동 아시아의 발전, 죽 중국과 필리핀의 국가 발전에 지대 한 관심을 표명해 왔다. 사실상 1960 년대의 상황에서 보면 당시의 보수세력들 가운데는 개인적으로 극동 국가들과의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었던 사람이 많이 있었다. 이것은 실제로 복음주의적 개신 교들이 중국에서 교회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었던 이유 때문이기도 했다 .30)

미국이 2 차 세계대전에 참전함에 따라 이들 개신교 고립주의자 들은 일본의 패망을 지원, 궁극적으로는 중국과 필리핀의 독립을 지지하고 나섰다. 그리고 이 전쟁의 결과에 따라 이들 개신교 고 립주의 집단은 당시 태평양 사령관이었던 맥아더 MacA rthu r 장군을 미국 보수 진영의 영웅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3 1 ) 2 차 세계대전 후에 와서도 이들 개신교 고립주의자들이 유럽보 다도 아시아 지역에 대해서 관심을 많이 표명한 것은 당연한 귀결 이었다. 따라서, 이들은 유럽에서 진행되고 있던 대전 이후의 사 태 변화, 이를테면 마샬 플랜 Marshall Plan 과 나토 NATO 의 창설이 미국으로 하여금 군사적으로 유럽을 간섭하게 될 것이라고 미국의 대유럽 외교정책을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그러면서도 이들 개신교 고립주의자들은 중국 본토의 공산화에 대해서 분노를 느끼는 한 편, 한국전쟁 발발시 미국의 적극적인 개입을 지지, 한국전쟁의 완전 승리를 주장하였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유럽에 대한 증오심을 고립주의로 표방 하면서도 이들 집단이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미국의 적극적인 개 입을 주장하는 데에는 이율배반적인 태도가 엿보인다. 이렇듯 이 들 집단이 불간섭주의라는 미명하에 항상 미국 외교정책에 비판적 인 입장을 표명해 온 점에 있어서만은 사실상 보수주의 운동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집단은 전통적으 로 백인우월주의를 표방해 왔기 때문에 1960 년대에 와서 미국 사 회가 민권운동의 도가니 속으로 말려들자 어쩔 수 없이 보수주의 운동에 가담하게 되 었다 . 군부집단 미국의 현역군인들은 정치적으로 중립을 유지하고 있지만, 특히

퇴역군인들――적어도 직업군인들_은 1960 년대에 응집되었던 보수주의 운동의 지도자적 역》할을 감당하게 된다. 특히, 루스벨트 대통령 이후 뉴딜식 자유주의의 외교정책에 대해서 항상 비판적인 입장을 취해 온 집단에서 퇴역군인들의 세력은 빼놓을 수가 없다. 이들은 자유주의자들의 외교정책이 항상 미국의 국방력을 약화시 키고 비겁한 행동으로 몰고 간다고 비난한다 . 더구나 이들은 케네 디와 존슨 대통령에 의해 시도되었던 군부에 대한 문관 지배의 확 대 조치에 대해서 분노를 표시하기도 했다 .3 2) 따라서, 이들 집단은 항상 국방비 증대에 대해서 지대한 관심을 보여 왔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서 미국의 국방력을 과시하고자 하였다. 나아가서 퇴역군인들의 집단은 반동적인 부호 세력과 밀 접한 관계를 맺고 기독교인들의 반공산주의 활동을 재정적으로 직 접 후원해 왔다. 이들 퇴역군인 집단 내에서 1960 년대에 뚜렷하게 지 도자 역 할을 했던 사람들 가운데 메 이 Curt is L e May 장군, 리 켄 바허 Eddie Ri ch kenbacher 대 위 , 스트레 이 트마이 어 George E. Str at e m eye r 장군, 튀 닝 Nath a n Twi ning 장군, 워 커 Edwi n A. Walker 및 워드 Ches t er A. Ward 장군 등은 대표적인 인물들이댜 비대한 상비군 제도와 직업군인 제도를 오랫동안 혐오해 온 앵 글로색슨족의 혈통을 이어받은 미국과 같은 나라의 전통 속에서도 이상하리만큼 국방력을 증대시키려는 군부세력의 노력은 사실상 2 차 세계대전 이후에 나타난 냉전시대의 상황 속에서 긍정적인 입 지조건을 창출하게 된다 . 결과적으로 냉전체제 속에서 군부세력은 국방력 강화의 타당성을 획득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데올로기의 대결이라는 차원에서 어쩔 수 없이 반공산주의의 기수로서 1960 년 대의 보수주의 운동에 가담하게 된다 . 1960 년대 당시 퇴역군인 조 직들 중에서 보수주의 운동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조직에는 미 국퇴역군인회 The Americ a n Le gi on 와 해의참전 재향군인회 The

Vete r ans of Foreig n Wars 등이 있다 . 33) 이상에서 소개한 보수주의 집단들은 서로 상이한 사회계층을 망 라하고 있으면서도 1960 년대의 새로운 보수주의 운동에 있어서는 주로 미국의 남 • 서 • 중부에 분포되어 있는 반동적 부호와 신홍 부호의 세력에 의해서 움직이고 있었던 점을 알 수 있다 . 이들 보 수주의 집단들은 중세 사회의 전통에서부터 내려오는 유럽의 뿌리 깊은 보수세력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사회적 배경을 갖고 있다. 그 러면서도 이들 보수집단들은 미국의 전통에서 볼 수 있는 개인주 의 와 자조정신 Se lf- hel p을 바탕으로 하는 생 활양식 이 뉴딜식 자유 주의에 의해서 부식되어가고 있음을 개탄해 온 세력임에는 틀림이 없다. 즉, 이들은 강력한 정부의 힘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사회정 의가 미국의 전통적인 가치관을 손상시켜 왔다고 공통적으로 역설 한다. 이 세상에 결과적으로 주어진 행복을 거부할 사람은 한 사람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 보수집단은 국가나 정부에 의해서 주어 지는, 죽 뉴딜식 자유주의에 의해 부여되는 개인의 행복을 단호히 거부하며, 어디까지나 자조정신에 의한, 개인이 노력해서 쟁취하 는 행복을 사회의 선으로 인식한다 . 따라서, 루스벨트 대통령 이 후 30 여 년 간이나 미국 사회에 뿌리를 내려 온 뉴딜식 자유주의 에 대한 반성과 강력한 비판이 1960 년대에 와서 이들 보수집단들 의 세력을 강화시켰고 보수주의 운동을 가속화시키게 된 것이다 . 이러한 과정에서 결과적으로 신보수주의가 이들 보수집단들의 배후 에서 이념적 후원을 하게 되고, 1970 년대에 와서 〈네오〉보수주의가 이에 가세하게 된 것은 레이건 현상의 당연한 귀결이었다고 본다 .

급진적 보수주의와 공화당의 전통적인 보수주의 우리는 1960 년대의 보수주의 운동과 공화당의 전통적인 보수주 의와의 관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미국 정치에서 이들 두 집단 은 때때로 그들의 이념과 주장에서 공통성을 많이 갖고 있기 때문 에 구분되기가 매우 어렵다 . 3 4 ) 우리는 이들이 종종 밀접한 관계를 갖고, 이를테면 1960 년, 1968 년, 1972 년의 대통령 선거 (닉슨 대통 령 후보), 1964 년의 대통령 선거 (골드워터 대통령 후보), 1980 년과 1984 년의 대통령 선거(레이건 대통령 후보) 동에서 공통된 목표를 향해 서로 협조했음을 알 수 있다 . 이들 양자 간의 협조체제를 두 고 혹자는 1930 년대와 1940 년대에 걸쳐 마치 뉴딜식 자유주의자들 과 공산주의자들 간의 협조체제와 비유하기도 한다 .3 5) 어떤 이는 공화당의 보수주의자들을 급진적 보수주의의 여행 동반자로 보기 도 한다 . 36) 특히, 196 4 년 대통령 선거 때 대부분의 공화당 보수주 의자들은 급진적 보수주의의 정책 제안에 긍정적으로 대응하였다 고 홉스테터는 분석하고 있다 .3 7 ) 대체적으로 오늘날에도 마찬가지이지만 당시 미국의 지역적인 분포면에서 보면 공화당의 전통적인 보수세력은 중서부의 지역에 서 , 급진적인 보수세력은 주로 남부에서 강세를 보여 주었듯이 이 양자의 세력은 지역적 분할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편이었다 .38 ) 물 론 이들 양 세력에 의한 지역적 분할은 어디까지나 편의상의 통계 이론에 불과한 것이고, 반드시 무 자르듯 명확한 것은 아니었다. 앞에서도 지적하였듯이 남서부의 급진적 보수주의자들은 특히 1960 년대에 와서 자유주의에 의한 사회적 가치관의 변화에 대해서 누구보다도 많은 충격을 받았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남서부의 보수세력은 대부분 기독교의 보수적 개혁을 주장하는 근본주의적 인 기독교의 가치관을 강조하는가 하면, 이러한 문제를 정치화하

려는 과격한 방향으로 돌풍을 일으키게 된다. 한편, 광활한 선벨 트 지역은 경제적 붐울 타고 있었기 때문에 이 지역의 보수세력은 전통주의적인 개인주의와 자조정신을 앞세우고 자유주의에 의한 경제적 활동에 대한 정부 간섭을 완강하게 반대하면서 이 문제를 정치 차원에서 해결하려고 하였다. 특히, 남부의 보수주의자들은 1960 년대에 와서 인종통합정책에 의해서 심각한 위기의식을 경 험함으로써 당시 보수주의 운동에 더욱 박차를 가하게 된다. 또 한, 서부지역의 보수주의자들은 급격하게 번지고 있던 좌경적 히 피 Hippie 운동에 의한 정치적, 사회적, 도덕적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 1960 년대의 보수주의 운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하게 된다. 한편, 공화당의 전통적인 보수주의자들의 주류는 급진적 보수주 의자들의 정책 제안에 대해서 냉담한 태도를 유지해 왔었다. 더 나아가서 중서부의 공화당 보수주의자들은 선벨트 지역의 근본주 의적 기독교의 보수주의 운동을 좌시하는 경향을 나타내기도 하였 댜 남부의 급진적 보수주의자들에 대한, 중서부의 전통적인 보수 주의자들의 이러한 심리적인 성향은 역사적으로 남부의 노예제도 에 대한 반감으로 나타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중서부의 전통적인 공화당 보수주의자들(주로 부호 농가)은 복지정책의 변두 리에 속해 있다는 소외감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1964 년 대통령 선거 유세 당시 골드워터는 중서부의 전통적인 공화당 보수주의자들이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에 매혹되어 있었다 고 회고한 바 있다 .39) 남서부의 급진적 보수주의자들과 중서부의 전통적인 공화당 보 수주의자들이 서로 그들의 지역적 기반과 생성 과정에 복잡미묘한 관계를 갖고 정치적 감정 표현에 있어서는 서로 상이한 태도를 보 여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양자의 세력들은 가장 큰 두 가지의 공통분모, 즉 뉴딜식 자유주의에 의한 정치 사

회 문화적인 변화에 대한 분노와 민권운동으로 인한 위기의식을 극복하기 위해서 1960 년대의 미국 정치 무대에 하나의 강력한 정 치세력으로 등장, 결과적으로 1980 년의 레이건 정권을 탄생케 하 는 데 가담하게 된다. 여기에서 우리가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은 1960 년대의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과 금세기를 거쳐 오면서 단편적으로 나타났던 기타 의 보수주의 운동을 비교함으로써 1960 년대의 급진적 보수주의 운 동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우선 우리는 1950 년대의 소위 매카시즘을 생각할 수 있다. 이것 은 전후 미국에서 급격하게 조성된 냉전시대의 산물로서, 어떤 의 미에서는 1960 년대의 급진적 보수주의의 전조로 생각할 수 있다. 먼저 양자를 비교해 보면 1950 년대의 매카시즘은 후자의 경우에 비해서 그 운동의 조직과 구조 면에서 큰 차이가 난다. 립세트는 1950 년대의 매카시즘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매카 시즘은 하나의 정치적인 운동이 아니었다. 그것은 정식으로 등록 된 회원이나 분회도 없었고, 또 정당 정책이나 대통령 후보를 내 세우지도 않았다.〉 40) 또한, 벨 D ani elBell 은 1950 년대의 매카시즘을 회고하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있다. 〈매카시즘은 절대로 조직된 운동이 아니었다. 그것은 한 사람의 폭한에 의해서 제조된 공포의 분위기에 불과했다.〉 41) 수알 Irw in Suall 도 다음과 같은 마찬 가지의 결론을 내리고 있다. 〈매카시즘은 많은 추종자들을 갖고 있었지만 조직은 없었다. 공산주의에 대한 공포와 증오에 공감했 던 많은 사람들은 정치적으로 동원되어 길거리로 뛰어 나가지는 않았다.〉 42) 그러나 1960 년대의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은 치밀한 계획과 조직 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기울였다. 1960 년대의 급진적 보수주의에 대 한 다음과 같은 학자들의 말을 들어 보자. 웨 스틴 Alan F. Westin

은 〈 1950 년대의 매카시즘과는 달리, 1960 년대의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이 성공했던 것은 광범위한 조직에 기인했다〉고 지적하고 있 다 .43) 이러한 1960 년대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의 조직 능력은 벨 Bell 에게도 다음과 같은 강력한 인상을 주고 있다 . 〈 1960 년대 급진 적 보수주의 운동은 수많은 조직에 의해서 특징지어지는데 이 조 직들은 열성적인 추종자들로부터 감정적인 환호를 끌어낼 수 있었 댜〉 44) 그리고 홉스테터도 1960 년대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이 전국 적인 조직망을 통해서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고 평가하고 있 다 .45) 1960 년대 보수주의 운동의 조직활동은 한마디로 말해서 다양성 을 띠고 있다. 이들은 지적인 활동을 위해서 수많은 유인물과 책 자를 출판하는 등 기층민중의 계몽을 위해서 반공산주의에 관한 세미나와 연구집단을 전국적으로 조직하였다 .46 ) 실제로 이들 기층 민중을 토대로 하는 조직활동이 미국의 현대 정치사에서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을 성공으로 연결시키는 데 미친 공헌은 대단하다. 이러한 조직활동을 통해서 급진적 보수주의자들은 1964 년 최초로 공화당을 지배할 수 있었고, 마침내는 1980 년 레이건을 백악관으 로 보내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사태 진전은 미국의 현대사에서 일어난 급진적 보수주의의 혁명이라고 단정할 만큼 미국사의 방향 을 바꾸어 놓았고, 나아가서 뉴딜식 자유주의의 역사에 하나의 큰 획을 긋게 된 것이다 .47) 한편, 매카시즘이 1960 년대의 급진적 보수주의에 비해 종교적인 색채나 사회 경제적 문제점을 두드러지게 제기하지 않았던 점은 매카시즘의 하나의 특성으로 지적될 수 있다 .48) 당시 매카시는 루 스벨트와 트루먼 대통령의 외교정책이 결국 동유럽과 아시아 지역 에 있어서 공산권의 탄생을 유도했다고 신랄하게 공격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매카시는 가톨릭 세력과 개신교 고립주의 집단, 나아

가서 동유럽 소수민족의 세력으로부터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 한 편, 반동적인 부호 집단들도 매카시의 반공 활동을 뉴딜식 자유주 의에 대한 그들의 비판적인 수단으로 이용하였으나, 매카시 자신 은 복지정책에 대해서 전면적인 공격을 시도하지 않았다 .49 ) 그런가 하면 매카시즘은 1960 년대 복음주의적 개신교 세력에 의 한 보수주의적 입장에도 미치지 못했다. 따라서, 매카시즘은 백인 우월주의에 휩싸여 있던 남부 세력에 대하여 설득력을 갖지 못 했을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다양한 경제, 인종, 종교 집단들로 부터도 조직적인 지지롤 받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보 면, 1960 년대의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에 비해서 매카시즘은 그 호 소력에 있어서 다양성을 결여, 오로지 정치적인 차원에서 공산주 의에 대한 공포감과 증오감을 불러일으킨 냉전시대의 유물로만 남 게 되었다. 그러나 매카시즘이 1960 년대에 와서 미국 전역에 깔려 있는 반공세력을 급진적 보수주의의 영역으로 집결시키는 데 공헌 한 점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미국의 역사를 다시 거슬러올라가면, 우리는 1930 년대 공황 당 시의 또 다른 급진적 보수주의를 만나게 된다. 당시 급진적 보수 주의 세력은 중 • 서 • 남부의 반동적 부호들울 중심으로 한 미국자 유연 맹 Ameri ca n Libe rt y Leagu e , 전문직 업 의 지 역 사회 엘 리 트, 가 톨릭 또는 개신교 고립주의 중심의 미국제일위원회 Ameri ca n Fir st Com mittee 등의 활동에서 그 단편적인 면모를 찾아볼 수 있다 .50) 그러나 이들 집단들이 다양하고도 강력한 대중 기반을 결여, 그 세력의 상징적인 정치 지도자들을 배출시키지 못하였다. 사실상 1936 년에 이들 세력을 중심으로 하는 소위 유니온 당 The Un ion P arty이 창설되었지만, 결과적으로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 5 1) 1930 년대와 1960 년대의 시대적 배경의 차이로 인하여, 당시 그 들의 견해에도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1930 년대와 비교

해서 1960 년대의 상황은 문화적, 사회적, 도덕적 갈등을 많이 겪 고 있었는데, 1960 년대의 보수주의자들은 이러한 사회악이 근본적 으로 뉴딜식 자유주의에서 기인된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1930 년대의 보수주의자들은 어떻게 보면 고루한 인종주의 문제에 만 집착, 결과적으로 기층민중의 지지기반을 얻기가 매우 어려웠 던 것으로 보인다 . 우리는 인종 문제에 있어서 1930 년대의 급진적 보수주의자들이 1960 년대의 보수주의자들에 비해 반유태주의적 편집병을 지니고 있던 점을 볼 수 있다. 특히, 미국자유연맹과 지역사회의 엘리트 집단들은 유태인들의 정치 관계에의 입문뿐만 아니라 미국인 생활 에 대한 영향력을 노골적으로 배격, 그들의 반유태주의적 속성을 그대로 표출하고 있다. 한편, 가톨릭 또는 개신교 고립주의자들 중심의 미국제일위원회의 단체도 유태인들이 독일에 대항하는 다 른 하나의 전쟁 (2 차 세계대전)을 획책, 어쩔 수 없이 미국이 참전 하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비난할 만큼 이들의 반유태주의적 감정은 심각했던 것이다. 이렇듯 1930 년대의 급진적 보수주의자들은 신선 하고 세련된 정치이념을 내세우기보다는 원색적인 인종주의적 감 정에 집착, 국민적인 호소력을 얻지 못하였다. 그러나 1960 년대의 보수주의자들은, 내면적으로는 반유태주의적 속성을 지니고 있었 다 하더라도 적어도 외면적으로는 반유태주의적 태도를 일탈하고 있는데, 이것은 보수주의 운동의 발전적인 면모을 보여 주는 것이 다. 이러한 현상의 중요한 원인으로는 1960 년대의 신보수주의자들 과 1970 년대의 〈네오〉보수주의자들의 사상적, 이론적 뒷받침으로 급진적 보수주의가 정치 현실에서 세련된 국면으로 변모할 수 있 었던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신보수주의와 〈네오〉보수주 의는 1%0 년대의 급진적 보수주의를 근대화시키는 데 많은 공헌을 하였다고 본다.

또 한 가지 지적할 것은, 1960 년대에 비해서 1930 년대의 남부 농민들의 세력이 당시의 급진적 보수세력에 거의 합세하지 않았다 는 점이다. 오히려 이들 농민세력은 가난했기 때문에 1930 년대의 뉴딜식 자유주의 사회개혁에 안도감을 갖게 되었고 , 현실적으로 아직까지 흑인차별제도가 건전하게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에 구태 여 납부 농민들이 백인 우월감을 내세울 필요성이 없었다 . 따라 서, 남부 농민들은 1930 년대의 급진적 보수주의에 휘말리지 않고 뉴딜식 자유주의에 호감을 갖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1960 년대 민권운동의 발상지라고 할 수 있는 남부지역에서 일어난 흑인폭동 의 열풍은 남부 농민들의 백인 우월감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였 다. 즉, 1960 년대 미국의 흑인폭동에서 시작된 민권운동은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을 보강하는 데 또 다른 하나의 변수 역할을 수행하 게 되었고, 색깔의 혼합이 주는 미국식 전통적 생활양식에 위기의 식을 불러일으켰던 것이다 . 20 세기 초 (191 4 -1925) 의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은 미국의 전통적 문화와 가치관을 수호하고자 노력한 면에서 1960 년대의 그것과 홉 사한 점이 있다. 이 시기에 있었던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의 주역 은 개신교 집단 가운데서도 주로 미국의 건국 이후 전통적으로 청 교도 정신을 이어받고 있던 백인 앵글로색슨 개신교 (WASP: 와스 프)의 세력이었다 .52) 앞에서 소개한 개신교 고립주의자들은 사실상 이 와스프 집단과 맥을 같이하고 있는 특수한 집단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와스프 집단은 역사적으로 종종 진보주 의적인 세력으로 오인받은 경우가 있었지만 근본적으로 이 집단이 전통적인 생활양식을 고수해 온 뿌리 깊은 보수세력임에는 틀림이 없다 . 이들 와스프 집단이 주도했던 20 세기 초엽의 급진적 보수주의는 1 차 세계대전 당시에 유행했던 예술, 연극, 문학, 영화, 무용, 음

악, 심지어는 산아제한, 교육 , 부녀자들의 의상, 정치, 심리학, 종 교, 과학, 여권 문제 등의 다양한 사회 정치 문화적인 변화에 대한 위기의식을 문제 삼고 있다 . 5 3 )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서 언급하자 면, 이들 와스프 집단은 국회와 각 주정부에 압력을 가해 양조, 마 약, 춘화도, 백인노예(백인 여성의 매춘 행위) 등의 사회악을 근절 하도록 촉구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이들 집단은 앵글로색슨족 이 외의 이민 허가가 결과적으로 인종자살(앵글로색슨족의 자살 행위) 울 초래하기 때문에 타락인종의 이민 허가를 제한하라고 연방정부 에 적극적으로 로비 활동을 전개한다 . 54) 역사적으로 쿠 클럭스 클 란 KuKluxKlan 의 살인 집단이 사실상 이들 와스프의 인종주의에 서 출발된 것이지만 1 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이들의 활동이 더욱 활발했던 것이다. 이러한 쿠 클럭스 클란의 활동이 인종주의에 입 각한 야만적인 행동으로 규탄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타인종에 대한 앵글로 색슨족의 인종우월주의에서 출발, 오늘날에도 미국인 의 내면적인 심층구조에는 이러한 야만적인 심성이 깔려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미국 사회에서 와스프의 뿌리 깊은 전통이 1960 년대의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에서 재현되고 있었던 점을 간과 해서는 안 된다. 1960 년대의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이 20 세기 초엽 와스프의 양상과 다른 것은 세련되고 차원 높은 정치이념을 기층 민중 속에 정착시킨 것 이외에는 아무 것도 없다. 이런 점에서 볼 때 1960 년대의 급진적 보수주의는 그 사회적 기반과 정책, 또는 상징적이고도 강력한 정치 지도자의 배출 면에서 근대화되었다고 나 할까 , 하여튼 과거의 급진적 보수세력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강력한 정치세력으로 등장하였다. 한마디로 말해서 1960 년대 에 이르기까지 그동안 금과옥조같이 생각되어 왔던 1930 년대 이후 의 뉴딜식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이 충분히 무르익었고, 한편으로

는 전국적인 민권운동이 다른 쪽의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을 충동 시킨 점(다양한 보수집단의 응집과 조직), 또 한편으로는 근대화되 고 세련된 정치지도자들의 배출(예를 들면 공화당을 장악하여 대통 령 후보로 등장, 뚜렷한 정책을 제시) 등 이 세 가지 요소는 미국의 현대 보수정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관건이 된다고 본다. 급전적 보수주의와 역사주의 19 세기에 이르기까지 유럽의 역사주의는 대체적으로 보수주의에 머물러 있었다 . 헤겔의 역사주의는 합리주의의 정신에서 출발하여 변증법적 유심론으로 일관되었던 한편, 마르크스의 역사주의는 사 적 유물론으로 변질, 결과적으로 다른 의미의 역사주의로 빠지게 된다. 물론 이들 양자의 역사주의도 폐쇄적인 변증법의 결과로 인 해서 결국 보수주의의 속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한편, 20 세 기의 역사주의는 사회과학의 분야(예컨대 만하임의 지식사회학)로 발전하여 1 차 세계대전 이후 서구 문명에 대한 환멸감과 사회혁명 에 대한 공포감을 토대로 역사의 내적 이론을 추구함으로써 당시 의 시대적 위기의식을 극복하려고 한다. 따라서, 과거의 역사 속 에서 인간의 가치를 찾으려는 일련의 역사주의는 대체적으로 보수 주의에 귀속되게 마련이었다 . 역으로, 현실과 실천 면에 있어서 보수주의는 다양성을 갖고 있으면서도 이론을 추구함에 있어서는 비록 그것이 역사주의의 개념을 사용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결국 역사주의의 차원에서 맴돌고 있음을 우리는 종종 보게 된다. 19 세기 독일의 낭만주의적 역사주의 Romanti c H i s t o rici sm 가 프랑 스혁명의 이성적 자연법적 성격에 대한 반발로 비합리주의와 결부 되어 나타났듯이, 20 세기의 역사주의도 그 출발의 동기는 후자의

경우와 같은 맥락을 갖고 있다. 미국의 역사주의에 있어서도 그 출발 동기는 비슷하다. 적어도 1960 년대 미국의 역사주의는 현대 문명에 대한 일반적인 위기의식이라기보다는 구체적으로 미국의 개체적인 역사 속에서 발생한 뉴딜식 자유주의에 대한 위기의식에 서 출발하고 있다. 오랜 전통의 개인주의와 자조정신의 생활 이념 게 의해서 미국의 전통적 생활양식을 발전시켜 온 미국인들이 뉴 딜식 자유주의에 입각한 국가 권력의 비대 현상과 집산주의 체제 에 대해서 위기의식을 느끼게 된 것은 당연하다. 1960 년대의 이러 한 위기의식 속에서 미국의 급진적 보수주의자들도 그 해결점을 역사주의에서 찾으려고 하였다. 미국의 역사주의가 사회과학의 분야에서 이룩해 놓은 업적은 대 단하다 . 이들의 업적은 대체적으로 개인주의적 보수주의와 유기체 적인 보수주의의 영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 55) 혹자는 유기체적 보수 주의를 이론적으로 전자의 부류와 구분시키고 있지만, 이 양자의 부류가 1960 년대를 전후로 해서 뉴딜식 자유주의를 비판하는 데 있어서는 공통점을 보이고 있으며, 역사주의적 관점에서 미국의 전통적 생활양식을 추구하고 있다 .56) 급진적 보수주의는 이들의 양 면성을 다 지니고 있으면서 무엇보다도 역사주의적 인식을 강하게 표현하고 있다. 대부분의 급진적 보수주의자들은 역사는 되풀이된다고 믿고 있 다. 이들은 현대 미국 사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역사의 교 훈을 거울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존 버치회의 창설자인 웰치 Robert Welch 는 20 세 기 미 국의 철학자 산타야나 George San t a yana 의 다음과 같은 경구를 자주 인용하고 있다. 〈역사는 스스로 반복한 다. 역사의 교훈을 감지하지 못하는 사람은 역사를 되풀이함으로 써 비난을 면치 못한다.〉 57) 또한, 이들은 성경 B i ble 과 같은 역사책 이 중요한 도덕적 교훈을 갖고 있다고 믿는다. 이들은, 위대한 역

사적 진실을 거부하는 것은 마치 신성모독죄와 같다고 역설하고 있다 . 58) 따라서, 이들 보수주의자들은 현대의 미국 사회가 고대국가들의 멸망과 같이 비극적인 파국으로 치닫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도덕적 부패로 인한 고대국가들의 멸망의 예를 이집트, 바빌로니 아 Baby lo nia , 아시 리 아 Assyr ia , 그리 스, 또는 이 들의 멸 망 후에 세계를 제패했던 고대의 로마 제국에서 찾고 있다. 이들 보수주의 자들은 이들 고대국가들 중에서도 고대문명의 홍망성쇠의 좋은 표 본으로 로마 제국을 지적하고 있다. 1960 년대의 미국이 마치 로마 제국의 말기에 해당한다고 당시 미국의 소설가인 칼드웰 Ta y lor Caldwell 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로마 제국이 멸망한 지 어언 이천 년의 세월이 홀렀다. 로마 제국과 미국, 이들 두 다라 는 문명의 화려함이나 기타의 세계 국가들과의 통신망 조직, 그리 고 경제적인 부와 국력의 위대함에 있어서 서로 공통점이 많다. 여러 모로 보아 미국은 현대의 로마 제국이다. 로마 제국의 역사 는 미국의 역사에서 반복되고 있다. >59 ) 1960 년대 급진적 보수주의자들은 고대 로마의 비극적인 역사에 서 많은 교훈을 끄집어내고 있다. 즉, 이들은 로마 공화국에서 로 마 제국으로 변화되는 역사적 과정과 1960 년대 미국 사회의 유사 성을 지적하고 있다. 이를테면 로마 공화국의 말기에 와서 무책임 한 거리의 민중들이, 빵은 물론 시저 Caesar 로 하여금 그들의 지도 자가 되어 줄 것을 요구하게 되자, 마침내 로마 공화국이 제국주 의적인 전제정치로 넘어간 과정을 예시하고, 이 과정이 마치 전국 적으로 번지고 있는 민권운동으로 인한 1960 년대의 미국 사회의 혼미 상태와 다를 바가 없다고 혹자는 지적하고 있다 .60) 존스 Jen k ins Lloy d Jo nes 는 〈로마의 민중들은 무상으로 받는 빵에 혼취 되어 네로와 칼리굴라 C aligu la 와 같은 미치광이 폭군에 성원을 보

냈다〉라고 지적하고 있다 .61) 거리의 무책임한 민중들의 열광이 마 침내 폭군의 출현을 유도하게 된 것이라는 이들의 공통적인 주장 이다. 마침내 로마 제국은 내적으로 집권층의 정치적, 도덕적 부 패로 인해 약화되어 의부의 야만 민족의 습격에 멸망하고 만다 . 이들 보수주의자들이 지적하는 로마 제국의 약체화 현상으로는, 집 권층 지도력의 약화, 비대한 관료주의, 결과적으로 개인적인 독창 력을 말살케 한다는 과도한 세금 동을 들고 있다 . 62) 두말할 필요도 없이, 이들이 로마 제국의 종말 현상을 지적한 데에는 1960 년대의 미국이 바로 로마 제국의 종말 시기에 놓여 있다는 점을 상기시키 기 위한 것이다 .6 3) 이들 급진적 보수주의자들의 견해에 의하면, 현대 미국의 정부 관료들은 열심히 일하는 선량한 미국인들로부터 막중한 세금을 거 두어들여 소독 재분배의 미명하에 자신들의 탐닉을 일삼고 있다. 고압적인 관료주의는 경제활동에 대한 정부 규제의 명분으로 개인 의 인권을 침해하는 등, 궁극적으로는 자유기업의 활동을 억압하 기도 했다. 또한, 뉴딜식 자유주의의 발전 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나타난 미국 정부의 비대한 권력은 타락하게 마련이었고, 모든 부 패는 관료주의적 정치권력에서 근원되었다고 본다 . 64) 심지어는 뉴딜식 자유주의의 발전과정에서 지금까지 통념화되어 온 단체 교섭 정 치 Group Po liti cs 가 다원주의 의 미 명 하에 오히 려 미 국 현대 정치의 발전을 저해하기도 하였다 .6 5) 이들이 미국 현대 정치 의 부정적인 면을 끄집어내는 데는 단체교섭정치의 도덕적인 타락 상이 뉴딜식 자유주의에서 근원된다는 점을 지적하기 위한 것이 댜 이러한 단체교섭정치의 타락상이 궁극적으로는 뉴딜식 자유주 의 의 종말을 의 미 하게 된다고 로위 Theodore Low i는 강조하고, 그 대안으로 의회활동을 통한 단체교섭정치의 우위를 배격하고 사법 적(법률적) 민주주의 Juridica l Democrac y에 귀의할 것을 제안하였

다 . 66) 1960 년대 보수주의자들이 로마 공화국의 위대성을 강조하는 데 에는 상원제도 The Sena t e 의 우월성을 현대 정치의 표본으로 삼고 자 하는 데 있다. 이들의 견해에 의하면 로마 공화국의 상원의원 들은 자신들 상층계급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서라기보다는 공화 국 전체의 이익을 위해서 항상 봉사하는 계몽적인 애국자들이었 다 . 67) 로마 공화국의 상원의원들 가운데서도 위대한 웅변가였던 키 케로 C i cero 는 1960 년대의 보수주의자들이 항상 인용하는 대표적인 영웅이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키케로는 암살당하기까지 피에 굶주린 도시의 민중과 시저 Caesar 나 안토니 Mark An t on y와 같은 폭군들에 대항하여 고대 로마 공화국의 전통을 끝까지 유지하려고 노력하였다. 따라서, 이들은 키케로와 같은 영웅적인 정신만이 1960 년대의 미국을 구원할 수 있다고 확신하였다 .68 ) 이들의 관계문 헌 에 서 보면 키 케 로는 민중민주주의 Pop ul ar Democrac y의 위 험 성 을 강조한 정치 지도자였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로마가 기독교화되 기 전까지 방종한 군중에 의한 민주주의가 가장 악한 정부 형태였 다고 주장한다 . 혹자는 〈민주주의는 전쟁 상태와 폭군정치보다도 폭악하다.〉고 지적한 세네카 Seneca 의 말을 인용하기도 하였다 .69 ) 이들 보수주의자들은 거리의 무책임한 민중과 이들 민중에게 공 약을 남발하는 정치 선동가들의 관계에서 타락한 정치가 출현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스무트 Dan Smoo t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 다 〈로마 제국의 황제들은 국가의 재정을 이용하여 로마 군중을 빵으로 매수해야 그들로부터 정치적 지지롤 얻을 수 있다고 믿었 기 때문에, 로마 황제에 출마한 모든 후보자들은 군중들에게 그들 이 할 수 있는 최대의 공약을 보여 주기 위해 서로 경쟁하였다.〉 70 ) 결국 로마 제국의 교활하고 선동적인 황제들은 이러한 무책임한 공약을 이행하기 위해서 상층계급과 열심히 일하는 로마 시민들에

게 엄청난 세금을 부과하였다. 이러한 로마 시대의 정치적 상황은 로마 공화국 체제로는 더 이상 존재할 수 없게 하였고, 결과적으 로는 로마 제국의 탄생을 자초하였다. 이것은 로마공화국의 민중 세 력 이 소위 복지 정 치 Welfa r e Pol iti cs 의 세 계 에 항복, 로마 제 국의 폭군 황제들에게 자신들의 정치적 자유를 모두 헌납한 것으로 해 석된다. 이와 같이, 급진적 보수주의자들이 1960 년대의 미국 사회 를 보는 시각은 바로 로마 제국의 종말 현상이었다. 1960 년 대 의 당시 진 보세 력 의 참여 적 민 주주의 Parti ci p a nt Democrac y에 대항하여 급진적 보수주의자들이 주창하였던 〈미국은 민주주의 국가가 아니고 공화국이다! Ameri ca is a Repu b lic , not a Democrac y!〉란 정치 구호는 어떤 면에서 미국인들에게 참신하고도 설득력 있는 구호로 부각되었다 .71) 이로 인하여 60-70 년대에 와서 미국 헌법과 그 제정자들의 기본 정신이 재조명되어 열띤 논쟁이 전개되었던 것은 대단히 인상적이다. 일반적으로 미국이 민주국가의 표본으로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 켜 왔음은 자타가 공인하는 사실이다. 물론 최고의 통치권력자를 선거에 의해서 선출하는 공화주의 제도를 구태여 민주주의라고 한 다면, 위에서 지적한 공인된 사실을 잘못된 표현이라고는 생각할 수 없다. 그러나 급진적 보수주의자들의 주장의 핵심이 여기에 있 는 것은 아니다. 그들에 의하면, 공화국 헌법 Repu b lic a n Constit u- ti on 을 제정한 미국 정치 지도자들의 근본 정신은 군주정치와 민주 주의의 과도한 정치 형태를 부인하는 데 있었다 .72) 사실상 미국의 역사를 분석하는 이들의 시각에서 보면, 1787 년 공화국 헌법이 출 현될 때까지 미국의 정치는 귀족정치와 우민정치 Mobocrac y의 정 권 추이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헌법 제정자들이 소위 공화국 헌 법에서 의도했던 것은 귀족정치에 치우치는 군주주의도, 우민정치 에 가까운 민주주의 도 아닌 공화주의 Re pub li c ani sm 의 정 부 형 태 였

다. 한마디로 말해서 1960 년대의 보수주의자들은, 민주정치는 우 민정치요, 우민정치는 민주정치라는 역사적 경험을 대담하게 공식 화한 것이다. 이들에 의하면 미국의 헌법 제정자들은 새로 탄생하 는 미국 정치에 민주주의의 정치 형태를 부여할 의도가 조금도 없 었다. 또한, 이들은 미국의 독립선언서나 연방공화국 헌법 어디에 서도 민주주의란 단어를 단 하나도 찾아볼 수 없다고 역설하고 있 다 .73 ) 하물며 헌법 제 4 조에서 미국 연방공화국은 모든 주에 공화주의의 정부 형태를 보장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따져 보면 이것도 하위 의 정부 형태에 있어서까지도 민주주의를 보장한다는 것은 아니었 다. 이들의 이와 같은 주장의 이면에는 헌법 제정자들이 민주주의 의 위험성을 인정하고 있었다는 점을 밝히려는 집요한 의도가 깔려 있다 즉, 헌법 제정자들은 모두 로마 제국의 역사에서 얻은 많은 교훈을 통해 적어도 민주주의의 정부 형태만은 피하려 했다고 주장 함으로써, 1960 년대의 참여적 민주주의(민주주의적 전제정치의 폭 군)의 태동을 저지하기 위한 정치적 타당성을 얻고자 하였다. 급진적 보수주의자들은 1960 년대의 정치문화가 민주주의에 대한 맹종으로 부식되어 가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들에 의하면 진보적 안 정치인들은 마치 일반 민중의 참여적 민주주의가 가장 훌륭한 정부 형태를 보장한다고 확신했다. 한편으로 진보적인 정치인들은 엘리트의 지도력이 선량한 민중의 여론을 조작, 온갖 정치적 부정 울 유인하였다고 주장한다. 결과적으로 진보적인 정치인들에 의해 서 주창된 민주주의는 비편파적이고 계몽된 정부를 창조할 수 있 다는 환상에 사로잡힌 것이다. 당시의 급진적 보수주의자들은 오 히려 이러한 민주주의의 찬가와 환상이 결과적으로 위기의 1%0 년 대를 초래한 것이라는 비판적 시각에서 현실적으로 보수주의 세력 의 전열을 가다듬게 된 것이다.

이렇듯 1960 년대의 보수주의자들은 민주주의를 외국(유럽의)의 위험한 정치이념으로 상정, 미국의 전통적인 문화 속에서 찾아볼 수 없는 급진적 좌익사상으로 몰아세운다. 다만 이들의 주장이 현 실적으로 설득력이 있었던 점은, 이들이 엘리트주의 때문에 비난 을 받으면서도 뉴딜식 자유주의의 비대한 관료주의를 공격하는 한 편, 공화국 헌법의 공화주의 정신과 연방정부의 헌법주의적인 제 한정부론, 더 나아가서 정치적 도덕성의 회복을 강력히 주장함으 로써 현대 보수정치의 확립을 위해 세련된 정치이념을 종합, 정리 한 데 있다. 미국의 역사를 보는 하츠 Lou i s H art z 의 시각에 비교해 서 볼 때 골드워터의 시각은 대조적이다 . 〈미국은 독립 이후 지금 까지 보수주의적인 국가였다. 유럽의 급진적인 민주주의 이념은 자유와 무한정의 기회가 보장되어 온 미국에서 지지를 받지 못했 다. >74) 역사주의적 인식에 입각해서 급진적 보수주의자들이 1960 년대 미 국의 경제정책을 원천적으로 비판하고 있는 점은 높이 평가된다. 앞에서도 부분적으로 지적하였듯이 이들이 가장 집요하게 분석 비 판해 온 내용은 1930 년대 이후 케인스 경제이론에 바탕을 둔 정부 위주의 복지정책 We lfari sm 이었다 .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이것은 30 여 년 간의 전통을 가진 뉴딜식 자유주의의 경제정책을 의미하 고 있다. 이들의 주장에 의하면 정부 위주의 복지정책이 비대한 정치권력과 관료주의를 창출하게 된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거니와 복지정책에 의한 사회정의 Soc ial Ju s ti ce 에 밀려 개인적인 정의의 연대의식을 바탕으로 하는 미국의 전통적 생활양식(특히 자유기업 과 자조정신)이 파괴되어 가고 있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전통적인 생활양식의 파괴는 일면에 있어서는 과대한 소비 현상을 초래해서 잠정적으로 위기의 자본주의를 구출했을는지는 몰라도 근본적으로 는 노동생산성을 저하시키고 각종의 사회악과 정치적 부도덕성을

유도하였다 . 역사주의적 인식에서 출발한 급진적 보수주의자들의 경제이론은 바로 이러한 논리성을 바탕으로 전개한 것이었고 이미 1970 년대 이후 미국 경제의 위기를 예측하고 있었던 것이다. 급진적 보수주의자들은 다음 네 가지의 측면에서 복지주의 정책 을 비판하고 있다. 첫 째로, 정부에 의한 복지 혜택의 범위와 절대 량이 각각 확대 증대될수록 국민의 질적 생활이 저하된다는 사실 이다 . 75) 이것은 물론 개인주의와 자조정신의 생활철학이 바탕을 이 루어 온 미국적 문화 풍토에서 가능한 이론이다. 물질적으로 가난 한 사람을 직접 물질적으로 돕는 일(특히 정부에 의해서)은 궁극적 으로 수혜자의 발전 가능성과 성취동기를 저해한다는 기본적인 생 활철학이 이들의 공통적인 주장이다. 벤슨 EzraTa ft Benson 은 다움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개인이 스 스로의 경제적 욕구를 포기하고 그 욕구 충족의 책임을 정부에 전 가하게 되면 그 개인과 정부가 모두 자폭하게 되는 역사적 교훈이 있다. 〉 76) 같은 맥락에서 골드워터는 〈인간을 무의식적으로 퇴폐적 인 동물로 만드는 것이 바로 복지주의의 가장 큰 죄악이다〉라고 지적하고 있다回 또한, 골드워터는 계속해서 복지주의의 영향에 대해서 심층적인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 〈의존적인 국민을 제작하 는 정부의 경제정책은 불가피하게 국가와 국민으로부터 도덕적, 육 체적 강인성을 빼앗아 가게 마련이다. 복지 수혜자들이 스스로 복 지주의의 희생물이 되고, 정부에 대한 그들의 의존성이 복지주의 의 인질이 된 연후에야 우리는 자유에 대한 복지주의의 악영향을 느끼게 될 것이다 . 〉 78 ) 즉, 골드워터는 인간이 그의 경제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국가에 의존하게 될 때, 인간의 정치적 자유는 현 실적으로 환상에 불과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79 ) 따라서, 그는 자유 주의자들이 당장의 복지주의의 필요성을 주장하더라도 결코 복지 국가가 불가피한 것은 아니라고 더욱 강조하고 있다 . 이와 같이, 이

들이 현대 복지국가의 이념을 원천적으로 비판하는 것은, 복지국 가가 지상의 목표로 인식되어 있는 사회에서는 반사회적이고 경악 스러운 사실로 받아들여질 수 있으나, 미국과 같 은 문화 풍토에서 는 그렇게 놀라운 일이 아니다 . 둘째로, 이들은 복지주의의 결과적인 부조리 현상을 지적하고 있다 . 물론 이러한 부조리 현상은 위에서 지적한 내용과 직간접적 으로 연관되어 있는 사항들이다. 즉, 이들에 의하면 복지주의 정 책은 여러 가지 사회적 부도덕성과 비생산적인 활동을 조장한다. 정부의 복지정책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부작용 가운데 이들이 가장 많이 지적하고 있는 것은 복지 1 수혜자들의 나태성과 자유주의의 정치적 타락상이다. 열심히 일하는 선량한 국민이 어째서 이 같은 사회적 부조리를 조장하기 위해 막중한 세금을 지불해야 되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결과적으로 복지주의에 의한 사회 부조리 현상은 사회 전체의 성취동기를 저하시키게 마련이다. 1930 년대 이후에 나타난 복지국가의 타당성을 설명해 온 훌륭한 사회이론들 이 결국 미국 전체의 범죄율을 증가시키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고 골드워터는 단언하고 있다 .80 ) 셋째로, 복지정책을 위한 누진적 세금제도는 급진적 보수주의자 들에게 분노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들온 누진적 세금제도를 일컬 어 무능자와 나태한 사람들에게 물질적 혜택을 주기 위해, 검약하 고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들에게 가혹한 형벌을 가하는 비상식적인 발상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 81 ) 심지어 골드워터는 누진적 세금제도 를 일종의 재산 몰수에 비유해서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 〈누 진적 세금제도의 목적은 모든 인간을 균등한 수준으로 끌어내리는 데 있다 . 이 제도의 많은 지지자들은 그것의 목적이 국가의 부를 재분배하는 데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들의 목적은 평등사회 의 건설에 있으면서도 실온 자연법과 공화국의 성격을 말살하는

데 있다 . >82 ) 이들의 견해에 의하면 역사의 교훈은 누진적 세금제도의 어리석 음을 지적해 주고 있다. 이것은 인류의 문명사회가 시작될 때부터 시작되었으니 새로운 제도가 아니라고 혹자는 주장하고 있다 . 8 3 ) 미 국이 이 제도의 원칙을 인정하게 된 것은 1913 년 16 번째의 연방헌 법 개정에서였다. 그러나 미국이 이러한 원칙을 본격적으로 운영 하게 된 것은 1930 년대 이후 뉴딜식 자유주의의 제도적 운영에서 부터였다 . 따라서, 이들은 근본적으로 이 제도를 뒷받침하고 있는 제 16 차 연방헌법 개정의 내용을 삭제할 것을 강력히 요구하며, 그 래야만 미국의 전통적인 공화주의의 장래를 보장할 수 있다고 강 조하고 있다 . 이 같은 정신에서 매니온 ClarenceM ani on 은 16 차 연 방헌법 개정의 정신이 살아 있는 한 미국의 헌정은 부활될 수 없 다고 주장하고 있다 .84) 마지막으로, 이들 보수주의자들의 견해에서 보면 복지 혜택을 받고 살아가는 나태한 흑인 인구의 증가와 이들의 성적 문란 행위 는 복지사회에서 비롯되는 최대의 증오와 공포의 대상이다. 신앙 적인 차원에서 죄악으로 타락된 사람들이 정부로부터 천혜의 물질 적 혜택을 받고 있다는 사실은 도덕적으로도 용납될 수 없는 일이 었다. 복지주의의 장기적인 안목에서 보면 복지정책은 무위도식하 는 최하층민의 경악스런 인구 폭발로 인해서 미국 전체 국민의 질 적 하락을 초래한다고 본다 . 85) 결국 제도적으로 이러한 복지사회를 지탱하는 재정적 원천은 열심히 일하고 절제하는 백인들의 소비절 약에 의존하고 있다. 이들의 가장 큰 공포심은 백인의 인구 증가 율에 비해 혹인의 인구 증가율이 38% 정도의 빠른 속도로 증가하 기 때문에 언젠가는 혹인의 인구가 백인의 인구를 압도하게 될 것 이라는 점이다 .86) 이러한 보수주의자들의 주장은 어디까지나 원색 적인 인종주의에서 기인되고 있기는 하나, 결과적으로는 생존적인

차원에서 당시 백인들의 잠재적인 호응도와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데 충분하였다고 본다 . 다시 말해서 1930 년대 이후 계속해서 진행 되었던 복지주의의 확대 정책은 결국 미국인들의 가슴속에 잠재되 어 온 인종주의의 의식구조를 강렬하게 자극시켰고 1960 년대의 급 진적 보수주의 운동을 가속화시킨 결과를 초래하게 된 것이다 . 1960 년대 급진적 보수주의자들의 역사주의는 로마 공화국과 로 마 제국을 포함한 7 세기 간의 역사를 모델로 삼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모델에서 이들이 주장하는 것은 미국의 역사가 로마의 역 사를 절대로 되풀이해서는 안 된다는 역사적 교훈을 지적하는 데 있다 . 로마 제국의 지도자들이 일반 민중들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서 무리하게 복지제도와 민주주의를 도입하게 된 것은 결과적으로 권력의 부패를 초래, 로마 제국의 멸망울 유도했다고 이들은 역설 한다. 한마디로 말해서 이들은 뉴딜식 자유주의를 포기하고 과거 의 공화주의 이념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미국의 자유주의에 대한 원대한 도전이며 이들이 바라는 미국의 전통적 생활양식의 부활을 의미하고 있다. 결론 매클리랜드 Dav i d C. McClelland 의 성취동기론에 의하면 한 국가 의 경제 발전(또는 사회 발전)의 가시화는 약 30 년 전에 있었던 국 민들의 성취동기의 상승에 의존한다. 반대로, 국민들의 성취동기 가 없거나 그것의 하락은 한 국가의 경제 발전의 부진이나 하락을 유발한다. 그의 실증적 고찰과 분석에서 얻은 결론은, 고대 희랍 문명, 로마 문명, 또는 잉카 이전의 고대 페루 문명의 성쇠도 국 민들의 성취동기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방법론상의 통계적 수

치가 어느 정도의 정확성을 보이고 있느냐의 문제는 그 나라의 사 회 정치 문화의 조건에 따라 다르겠으나 , 그의 사회심리적 방법론 에 입각한 성취동기론이 미국의 역사주의적 보수주의 이론을 사회 과학의 영역으로 끌어들이는 데 기여한 사실은 높이 평가될 수 있 다. 결국, 역사주의적 보수주의 이론은 막연히 1960 년대 미국 사 회의 위기의식만을 강조한 것이 아니라, 1930 년대 미국 국민들의 성취동기가 소위 뉴딜식 자유주의에 의해서 하락되어 왔다는 사실 울 지적, 그 해결 방법으로 단순한 전통주의에의 복고만이 아닌 근본적인 정책적 전환을 제시하고 있다. 유럽의 폭정에서 일탈 , 아메리카에 정착한 이민 집단은 유럽적 인 봉건제도의 결핍 속에서 무한한 기회와 자유의 가능성을 보장 받으며 비유럽적인 독특한 생활문화를 창조, 오늘의 미국적인 가 치관을 형성하여 왔다. 이러한 자유스러운 생활문화 속에서 미국 인들이 만들어 놓은 가치관은 주로 개인주의, 자조정신, 사유재산 의 중요성, 자유기업의 정신(자유시장경제), 제한정부의 정치이념 등의 복합적인 의식구조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같은 전통적인 가치관에 젖어 온 미국인들이 시대의 변화에 따라 진보 혁신적인 상황에 접하게 될 때마다 공포감과 위기의식을 느끼게 된 것은 당 연한 일이다 . 그런데 미국의 역사상 미국인들이 전통적인 가치관 에 가장 큰 충격을 받은 사실은 미국의 남북전쟁보다도 1930 년대 의 뉴딜식 자유주의 정책에 의한 것이었다 . 그 이후 30 여 년 동안 미국인들은, 마치 마지막 꺼져 가고 있는 촛불과도 같은 자본주의 의 운명을 그나마도 지속시켜 온 것이 뉴딜식 자유주의의 덕택임 을 인정하고 있다. 한편, 경제적 피해의식의 이해관계에서도 그렇 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미국인들의 전통적인 가치관이 뉴딜 정책 에 의해서 말살되어 왔다는 위기의식이 더욱 지배적이었던 것을 우리는 간과할 수 없다.

위에서 우리는 이러한 위기의식에 동조해 온 많은 정치세력의 집단들을 급진적 보수주의 집단으로 규정하고, 이들 집단들이 1960 년대를 기점으로 현대 미국의 정치 무대에 막강하게 등장하게 된 배경과 이들의 정치이념을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필자는, 미국 의 급진적 보수정치의 전개 과정에서 나타난 몇 가지의 중요한 사 항을 요약하기로 하겠다. 이러한 특성들은 어느 면에서 급진적 보 수주의의 취약점을 나타내고 있으면서도, 또 다른 면에서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의 정치적 활로가 성공적으로 진행되어 왔음을 의미 하고 있다. 첫째로, 1960 년대 급진적 보수정치는 자체 내의 역사주의적 보 수주의 이론과 사회과학(이를테면 〈네오〉보수주의) 및 철학(이를테 면 신보수주의)에 의한 뉴딜 체제의 비판이 성숙된 상황 속에서 가 능하였다. 루스벨트 대통령 이후 30 여 년 동안 뉴딜 체제에 대한 비판이 보수집단으로부터 간헐적으로 일어나긴 하였으나, 뉴딜 체 제 확립의 대세에 밀리거나, 아니면 그 비판 이론이 산만한 상태 에서 벗어나지 못했었다. 그러나 1960 년대에 와서부터는 역사주의 적 보수주의 이론이 철학과 사회과학의 분야에서 많은 지원을 받 고 뉴딜 체제의 다각적인 분석 비판을 시도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 게 되었다. 당시 철학과 사회과학의 분야에서 공헌한 학자들 가운 데 는 다니 엘 벨 Da niel Bell, 리 처 드 홉스테 터 Rich ard Hofs t a d te r, 세 이 머 마틴 립 세 트 Seym our Ma rtin Lipse t, 테 오도르 로위 Theodore Lowi , 탈코트 파슨스 Talcott Parsons, 데 이 비 드 리 스먼 David Ries man, 피 터 비 레 크 Pete r Vier eck, 러 셀 커 크 Russell Kirk, 밀 턴 프리드먼 Milton Fri ed man, 어빙 크리스톨 Irv ing Kristo ! , 노만 포드 호레 츠 Norman Podhoretz , 로버 트 니 스베 트 Robert N i sbe t와 같은 세 계적인 석학들이 있다. 이상의 학자들은 사실 여러 가지의 모양을 갖춘 보수주의 이론가들(주로 신보수주의와 〈네오〉보수주의 이론가

들)로 지칭되고 있으나, 1960 년대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의 정치적 활성화에 직 • 간접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 이들 가운데 러셀 커크와 피터 비레크가 1960 년대 신보수주의(철학적 보수주의)를, 그 이외의 학자들은 〈네오〉보수주의를 각각 대변한 이론가들로서 급 진적 보수주의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수행하였던 점은 앞에서 검 토한 바와 같다. 둘째로, 급진적 보수주의는 오랫동안 단편적으로 나타났던 다양 한 보수집단의 결집과 조직의 효과를 통해서 뉴딜 체제의 비판에 총집결, 미국 현대 정치사의 대단원을 이루었다. 특히, 급진적 보 수주의 운동은 지금까지 뉴딜 체제에 적응해 온 동부의 전통적인 부호들(특히 산업자본가와 금융자본가)을 소외시킨 선벨트 지역의 신홍 부호 세력의 적극적인 재정 후원으로 기층민중의 조직을 강 화하는 데 과거 어느 때의 보수주의 운동보다 성공적이었다. 또 한, 이러한 결과가 초래된 데에는 1960 년대 당시의 신좌익 New Le ft과 민권운동에 대한 사회적인 반작용이 대단했던 점을 간과해 서는 안 되겠다. 특히, 신좌익과 민권운동의 복합적인 역학관계에 서 발상된 참여적 민주주의의 이념은 급진적 보수주의자들로 하여 금 반사적으로 미국의 헌법적 이념으로서의 공화주의를 부각시키 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근본적으로 이들의 공화주의는 뉴딜 체제 에서 체질화되어 온 이익집단이 로비 정치에 의해서 부식된 의회 의 다수결 원칙의 정치적 부패상을 고발하고 있다. 따라서, 공화 주의자들은 이익집단의 로비 정치를 근본적으로 일반 대중으로부 터의 특수한 이해관계의 표출로 판단, 이로 인해서 나타나는 뉴딜 체제의 정치 부패를 근절하고자 했다. 결과적으로 이들의 공화주 의는 정예주의 E liti sm 의 발상에서 적어도 참여적 민주주의에 대담 하게 도전하게 된 것이다. 한편, 1960 년대의 민권운동이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을 자극시켰

던 점으로 보아 당시의 급진적 보수주의가 당연히 인종주의적 보 수집 단들 (WASP 집 단 세 력 )의 1960 년대 보수주의 운동에 가담하고 있는데, 이 집단들은 당시 어느 보수집단에도 유형 무형으로 영향 력을 발휘했던 중요한 세력이다 . 이들 인종주의 집단은 특히 남부 의 민권운동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나, 사실상 그 세력은 전국적 으로 잠재적인 조직력을 구사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여하튼 1960 년대에 와서 급진적 보수주의가 인종주의에 의해서 그 세력이 강 화된 것은 사실이지만, 현대 정치의 감각에서 볼 때 급진적 보수 주의가 인종주의로 인해서 정치적 상처를 입을 큰 위험 부담을 갖 고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미국의 현대 정치에 있어서 인종주의는 앞으로 미국인들이 풀어 가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의 하나이다. 셋째로, 과거의 어느 때보다도 1960 년대 급진적 보수주의 운동 과정에서 가장 뚜렷하게 부각된 점은 공화당 조직을 통해서 배출 된 급진적 보수주의자들의 등장이었다 . 1950 년대의 태프트 Robe rt A. Ta ft, 1960 년대의 골드워터, 1970-1980 년대의 레이건 등은 20 세 기의 미국이 낳은 급진적 보수주의의 대표적인 정치 지도자들이라 고 할 수 있다. 과거의 보수주의자들은 지역적인 차원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에 공화당의 조직 내에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었다. 그러나 1960 년대의 급진적 보수주의자들은 정책적인 차 원에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세련된 정치이념을 구사할 수 있 었고, 또 보수집단 내의 기층조직과 공화당 조직을 이용, 전국민 적인 지도자들로 부각되었던 것이 그 특징이다. 이들은 특히 뉴딜 체제의 정치적 부패상과 그 체제의 집단주의적 성격을 비판하고, 그 대안으로서 제한정부적 반뉴딜 정책을 제안하는 데 누구보다도 탁 월한 지도자들이었다 . 어느 시대에도 마찬가지이겠지만 현대 정치 에 있어서는 전국적인 조직의 활용과 정치이념에 투철한 지도자의 등장, 이 두 가지의 요소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본다 . 1960 년

대에 와서 급진적 보수주의는 이 두 가지의 요소 이상의 조건을 구바하여 미국적인 상황 속에서 -어떤 의미에서는 역설적인 표 현이겠지만-복고적인 개혁정치(뉴딜 체제에 대한 도전이라는 의 미에서)의 발판을 형성하는 데 성공하였다고 본다. 적어도 생활이념이나 정치이념에 있어서 미국인들은 미국인식으 로 살아가기를 원한다. 현대 사회의 소위 민주주의의 테두리 안에 서 그것의 대세와, 밀리는 파도에 용감하게 거역하고 있는 세력이 있다면 1960 년대 미국의 급진적 보수주의 세력이었다고 지적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이들의 정치세력은 과거의 정치적 약세화로 지 리멸렬했던 상황을 탈피하고 급기야는 1980 년대 레이건 정권을 탄 생시켜 세상을 놀라게 했다. 이것은 오랫동안 뉴딜 체제에 대항한 미국 보수주의가 이룩한 중요한 혁명이기도 했다 . 다시 말해서, 레 이건 정권에 대한 실적 평가는 고사하고라도, 일단 레이건 정권의 탄생은 미국의 보수주의자들이 오랜 전통의 자조정신을 현실 정치 에 구현시킨, 현대 정치에서 찾아보기 드문 정치예술의 창작이라 고 평가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1930 년대부터 1960 년대 존슨 대통령의 위대한 사회 The Great Soc i e ty에 이르기까지 서서히 구체 화되어 온 뉴딜 체제가, 1980 년대 레이건 정권의 출현으로 갑작스 럽게 무너진 것은 아니었다 . 그러나 급진적 보수주의의 정치이념 이 시간을 두고 서서히 정책적으로 가시화된 것은 명백한 사실이 고, 1980 년 이후 10 여 년 간 미증의 정책적 변화가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앞으로, 급진적 보수주의 세력과 기타의 보수주의 세력 을 지지기반으로 활성화된 공화당 정권의 운명에 대하여 현재로서 는 어느 누구도 장담할 수 없겠으나, 지금까지 보수세력의 응집 과정 (혹은 레이건 현상 Rea gan Phenomenon) 이 힘겹게 진행되어 온 만큼 그 응집의 강도가 쉽게 둔화되리라고는 믿어지지 않는다.

(주) 1) 국가의 권력(또는 기능)을 최소화하려는 기본적인 성향을 갖고 있는 고전적 자유주 의는, 마국의 현대 정치에서 복지국가를 지향하면서 국가의 기능을 확대하려는 뉴딜 식 자유주의와는 개념적으로 큰 차이가 있다 . 2) Louis Hart z, The Lib e ral Tradit ion in Americ a (New York: Harcourt , Brace, 1%5) 을 참조. 3) 실제 정치에서는 New Conserva ti sm 과 Neo-Conserva ti sm 이 급진적 보수주의와 함께 혼합적으로 나타나는데, 이 둘 사이의 상이점에 대해서는 다른 장에서 다루기로 한다 4) Jon ath a n M. Kolkey, The New Rig h t, 1 函 1~ Ep ilog u e 1%9 -19 00 (Washin g t on , D.C. : U niv e rsity ofA meri ca Press, 1983), p. VI. 5) Paul A. Sexon and Ste p h en B. Mi les, Jr. , The Challeng e of C o11servati sm (New York: Exp os it ion Press, 1%3), p. XV . 6) Ronald Evans and Robert Novalc, New Guard(J u ly, 1%3), p. 6. 7) Eug en e V. Schneid e r, The Nati on (Sept em ber 30, 1%1), p. 199. 8) Ste p h e n A. Young , Human Events (A p ril 2 .8, 1960), p. 258. 9) Bil l Adler, ed., The Kennedy Wit (Ne w York: The Cit ad el Press, 1% 4), p. 46. 10) Edwi n S. Newman, The Hate Reader( Do bbs Ferr y, New York: Oceana Public a ti on s, Inc., 1% 4), p. 6. 11) Danie l Bell, ed., The Radic a l Rig h t( G arden Cit y, New York: Doubleday and Co., 1963); Ric h ard Hofs t a d te r , The Paranoid Sty le in Americ a n Poli tics and Ot he r Essays ( N e w York: Alfr ed A. Knop f, 1%5); Seym our Ma rtin Lips et and Earl Raab, The Polit ics of Unreason(New York: Harpe r and Row, 1970) 그리 고 Arth u r M. Schlesin g e r , Jr., The Threat of the Radic a l Righ t, New York Tim es Maga zin e (J u ne 17, 1%2) 등을 참조 . 12) Hofs ta d te r , 같은 책, p. 103. 13) Lipse t and Raab, 같은 책 참조. 14) Donald Jan son and Bernard Eis m ann, The Far Rig h t(N e w York: McGraw-Hi ll Book Co., 1% 3), p. 47. 15) 같은 책, p. 49 그리고 1950 년대와 1%0 년대에 걸쳐 Ronald Rea g an 은 General Elec t r i c 의 대변인으로 활약했다 . 16) 같은 책, p. 50. 〈 Coors 〉란 상표의 맥주는 아직도 미국에서 인기가 있는데, Jos eph Coors 는 바로 〈 Coors 〉의 창설자이 다. 17) 같은 책, p. 51. 18) 같은 책, p. 57. 19) Jon ath a n M. Kolkey, 앞의 책, p. 3. 20) 같은 책, p. 4.

21) Donald Jan s on and Bernard Eis m a nn , 앞의 책 , p. 7 1. 22) 같은 책, p. 7 3. 23) Jon ath a n Kolkey, 앞의 책 , p. 5 . 24) Joh n Harold Redekop , The Ame ri c a n Far Rig h t( G rand Rap id, Mi ch ig a n: W. B. Erdman' s Publish in g Co., 196 8), p. 2 2. 25) Jon ath a n Kolkey, 앞의 책 , p. 6 , 'lf,) Joh n Harold Redekop , 앞의 책 , p. 25. 刀) Jon ath a n Kolkey, 앞의 책, p. 7. 28) 같은 책 , 같은 곳 '29) Joh n Harold Redekop , 앞의 책 , p. 3 1. 30) Samuel Lubell, Revolt o f the Moder a te s (New York: Harp e r and Broth e rs, 1956), p. 5 2. 31) 같은 책, p. 7 7. 32) Jon ath a n Kolkey, 앞의 책 , p. 1 0, 33) 같은 책, 같은 곳 . 34) Arnold Foste r and Benja m i n Ep s te i n , Dang e r on the Rig h t( N ew York: Random House, 1964), p. 1 75. 35) 같은 책 , pp. 63-- 04. 36) 같은 책 , p. 176 . 37) Rich ard Hofs tad te r , 앞의 책, p. 1 39. 38) Jon at h a n Kolkey, 앞의 책, pp. 11-1 2 . 39) Samuel Lubell, The Hid d en Crisi s in Americ a n Politi cs (N e w York: W. W. Nort on and Comp an y, Inc., 1970), p. 1 20. 40) Sey m our M. Lipse t and Earl Raab, 앞의 책, p. 220. 41) Da ni e l Bell, ed., 앞의 책 , p. 4 . 42) Irwin Sua ll, The America n Ultr a s(N e w York: New Ameri ca , 1962), p. 1 8. 43) Alan F. Westi n, The Joh n Bir c h Socie t y , Danie l Bell, 앞의 책 , p. 222. 44) 같은 책 , p. 5 . 45) Rich ard Hofs ta d te r , 앞의 책, p. 7 1, 46) Jam es T. Hunte r , Our Second Revoluti on (Caldwell, Idaho: The Caxto n Pri nter s, Ltd ., 1968), p. 'l f>. 47) 같은 책 , p. 11, 48) David Danzig , The Radic a l Righ t and the Rise of the Fundamenta l is t M ino ri ty, Commenta r y (A p ril, 1962), p. Z C.x5. 49) 같은 책, p. 2 94. SO) Jon ath a n Kolkey, 앞의 책 , pp. 16- 17 . 51) 같은 책, p. 1 7. 52) Henry F. May, The End ofA meric a n Innocence(N e w York: Alfred A. Knop f, 1959),

pp. 37-38. 53) 같은 책, p. 42. 쳐) 같은 책, 같은 곳 55) Kenneth M. Dolbeare and Patr ici a Dolbeare, A111eric a1 1 Ideolog ies : The Co111p e ti1 1g Politi ca l Belief s oft he 1970' s(Chic a g o: Markham Publish in g Co., 1971), pp. 207-22. 6. 56) 같은 책, pp. 224 -22 5. 57) Robert Welch, The Blue Book of the Joh 11 Bi rc h Socie t y , 7th ed.( B elmont, Massachusett s: The Joh n Bir ch Socie t y , 1959), p. 1 0. 58) Jon ath a n Kolkey, 앞의 책, p. 43. 59) Tayl o r Caldwell, Da11 Smoot Rep o rt(O cto b er 19, 1964), p. 334. 60) Norman P. Barr y, The New Rig h t( N ew York: Croom Helm, 1967) , p. 104. 61) Jen k ins Lloy d Jon es, Dan Smoot Rep o rt(O cto b er 12, 1964), p. 322. 62) Jon ath a n Kolkey, 앞의 책, pp. 44-45 . 63) E. Merr ill Root, America 1 1 Op i11i o1 1(March, 1964), p. 62. 64) Ay n Rand, Cap ital ism : The U11k11ow11 ldeal(New York: Sig n et Books, 1966), pp. 12-15. 65) Manchur Olson, The Log ic of Collecti ve Acti on (New York: Yale Univ e rsit y Press, 1965) , pp. 7-15. 66) Theodore Lowi , The End ofL ibe ralism (Chic a go : W. W. Nort on , 1969), pp. 15- 20 . 67) Joh n Welch, The New Americ a nis m (Belmont, Massachusett s: Weste r n lrlands Publi sh ers, 1966), p. 94 . 68) Tay lo r Caldwell, A Pi ll ar of /ron (Garden Cit y, New York: Doubleday and Comp an y , Inc., 1965), p. 24. (:fJ) Joh n Welch, 앞의 책, p. 119. 70) Dan Smoot, Dan Smoot Rep o rt(M arch 1, 1965), p. 67. 71) Joh n Welch, 앞의 책, p. 114 그리고 Barry Goldwate r , The Conscie n ce of a Conservati ve (Sheph erdsvil le, Ky .: Vic t o r Publi sh in g Co., 1SX5Cl), p. 13. 72) Jon ath a n Kolkey, 앞의 책, p. 47. 73) Thurman Sensin g , Rep o rt t o Americ a (M a rch, 1965), pp. 2-3, Ba rry Goldwate r , 앞 의 책, p. 18, J. J . Mclaug h lin , Common Sense(Ap ri l 15, 1961). p. 3 그리고 George Lin c oln Rockwell, Rosckwell Rep o rt(J u ne 15, 1962), p. 3 . 74) Ba rry Goldwate r , 앞의 책, p. 22. 75) Jon ath a n Kollcey, 앞의 책, p. 5 2. 76) Ezra Taft Benson, The Red Carpe t: Soc ial ism -The Roy a l Road to Communis m (Salt Lake Cit y, Uta h: Bookcraft, Inc., 1962), p. 168. 77) Ba rry Goldwate r , 앞의 책, p. 7 5. 78) 같은 책, p. 7 2. 79) 같은 책, 같은 곳.

80) 같은 책 , p. 7 3. 81) Jon ath a n Kolkey, 앞의 책, p. 5 3. 82) Barr y Goldwate r , 앞의 책, p. 64. 83) Fred G. Clark and Ric h a rd Sta n t o n , Human Ev en ts (Ja n uary 20, 1% 1 ), p. 4 6. 84) Clarence Manio n , The Conse rv ati ve Ame ri c a n: Hi s Fig h t f or Nati on al Indep e n dence and Co ns t it lll io n al Go vem me nt ( N ew York: The Devin - A dair C o., 1% 4), p. 1 79 . 85) Jon at h a n Kolke y, 앞의 책, p. 5 4. 86) 같은 책 , 같은 곳.

맺음말 필자는 신보수주의의 역사적 특수성을 분석하면서 미국의 역사 가 진행되어 오는 과정에서 급진적 보수주의와 〈네오〉보수주의에 이르기까지 일관되어 온 보수주의 철학의 전통을 확인하려고 노력 하였댜 그렇다고 해서 미국의 역사가 건국 초기부터 현대에 이르 기까지 보수주의로 일관되어 왔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하츠 H artz는 미국인들의 사회심리적인 성격에 초점 을 두어 미국의 역사를 분석하고 있는데, 어떻게 보면 사회 경제 관계에 있어서 사회계약론에 기초를 두고 있는 미국의 사회질서를 감안한다면, 그가 미국인들의 사회심리적 요소가 자유주의적이었 다고 평가하고 있는 것은 옳은 지적이라고도 볼 수 있다 . 불행하 게도 하츠는 이 같은 미국의 보편적 사회 경제 현실을 철학의 분 야로 확대해서 분석함으로써 미국의 정치철학이 획일적으로 자유 주의에 근거를 두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물론 미국이 강력한 자유주의 철학의 전통을 유지해 온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미국 사회가 서구 사회에서 볼 수 있는 봉건적 보수세력을 결여하고 있 는 미국적 특수성을 내세워 미국의 역사를 자유주의의 패러다임으 로만 규정하는 것은 미국의 역사를 보는 반쪽의 진리일 수밖에 없 다. 따라서, 필자가 본 연구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1950 년대의 신 보수주의 철학이 버크주의적 보수주의 철학의 전통을 이어받아 자 유주의적 뉴딜 정책에 의한 〈신전제주의〉의 가능성을 억제해 온 점을 우리는 부정할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신보수주의 철학은

뉴딜식 자유주의에 대한 반전제 An ti-t hes i s 로 출발, 뉴딜식 자유주 의의 근원적인 한계점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신보수주 의가 정치사상의 입장에서 고전적 자유주의의 원칙을 부활시키고 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 또한, 신보수주의는 학자에 따라서 는 버크 이후 보수주의 철학의 자체 내에서 산발적으로 지적되어 온 원형적인 보수주의 속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 같으면서도 어쩔 수 없이 시대적 상황에 대처하는 상황적 개념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 그러나 미국의 철학적 보수주의자들이 버크의 원형적인 보수주 의 원칙들을 계속해서 미국 사회에 적응시키려고 노력해 왔던 점 은 하나의 딜레마였다고 본다. 근본적으로 이들에 의해서 진행된 적응성의 연속은 정확히 말해서 항상 사회적 자유주의에 철학적 보수주의를 적응시키려는 과정을 밟아 왔다. 그렇기 때문에 현대 미국의 보수주의는 고전적인 자유주의와의 공통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보수주의자들이 보수주의 철학의 전통을 유지 하려고 노력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그들은 미국의 사회 현실과는 동떨어진 형이상학적인 신념체계에만 매달릴 수밖에 없었다 . 그러 나 신보수주의 사상체계에서 보았듯이 현대의 보수주의자들은 행 정국가적 정치체제를 지향해 온 뉴딜식 자유주의에 대한 사회과학 적인 비판 이론의 등장에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미국의 전통적 가치관에 뿌리를 두고 있는 급진적 보수주의에 정신적 활력을 제 공함으써 1980 년대 미국인들의 보수주의적 정서를 도출하는 데 많 은 공헌을 하였다고 본다. 이와 더불어 신보수주의의 변형으로 1970 년대에 미국 학계에 등장한 〈네오〉보수주의는 미국 사회과학 의 분야에서 신보수주의를 이론적으로 보완하면서, 특히 미국 지 식인들의 보수주의적 정서를 증폭시킨 것이다. 더구나 1960 년대의 급진적 보수주의는 보수주의적 기층세력을 정치적으로 동원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미국의 정치사적인 면에서 불 때, 결국 이 세 가지의 연대적인 현대 보수주의 운동은 1980 년대의 레이건 현상 Reaga n p henomenon 을 창출, 급기야는 보수 정권을 탄생시키고 1930 년대 이후 계속된 뉴딜식 자유주의의 주기를 바꾸어 놓았다. 다시 말해서 이것은 공화당 정책에 연계되는 〈작은 정부론〉의 결 과를 도출하였는데, 현실 정치면에서 이것은 고전적 자유주의의 〈제한정부론〉과 유사한 점이 많다. 남북전쟁 이전 시대의 남부 보수주의자들의 경우는 예외로 치더 라도 대부분의 미국의 철학적 보수주의자들은 버크 사상체계의 핵 심을 유지하면서도 어느 정도의 상이점들을 노출시키고 있다. 예 컨대, 밀고 당기는 보수주의 이론가들 간의 힘겨루기는 신보수주 의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비레크는 뉴딜식 자유주의에의 순응 적 보수주의를 강조하고 있는가 하면, 커크는 버크의 사상에 가까 운 보수주의의 전통적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커크 는 철학적 보수주의를 고수하고 있는 반면에, 비레크는 철학적 보 수주의의 차원에서 이론을 전개하면서도 현대 미국의 보수주의를 뉴딜식 자유주의로 접목시키는, 말하자면 뉴딜식 자유주의를 보수 주의로 끌어안으려는 의도에서 한 단계 차원 높은 이론 전개를 시 도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비레크의 보수주의가 자유주의에로의 환원이란 비판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오랫동안의 뉴딜식 자유주의 전통을 백지화할 수 없다는 현실적인 안목에서 본다면 그의 보수주의 사상온 〈자유주의적 보수주의〉를 대변하는 것으로 서 미국 보수주의의 새로운 국면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의 신보수주의는 2 차 세계대전 이후 자유주의와 전체주의에 대한 환멸에서 출발하여 1930 년대의 인기 없었던 보수주의에 점차 적으로 활력소를 제공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미국 건국 초기부터 로크주의적 자유주의의 패러다임에 오랫동안 쌓여 있던 정치문화

속에서 미국의 보수주의가 공동체 의식이 강했던 유럽의 유기체적 또는 권위주의적 보수주의와는 차원을 달리하는 방향으로 궤도 수 정을 하게 된 것은 미국적인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결과였다고 본다. 어떻게 보면 이것은 미국의 보수주의가 항상 갖고 있었던 딜레마였다고 생각되지만,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미국의 보수주의 는 이러한 딜레마를 극복하는 방향으로 계속 발전해 온 것이 사실 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미국의 보수주의자들은 유럽의 보수주의자 들과는 달리 공통적으로 개인주의, 자조정신, 사유재산의 중요 성, 자유기업의 정신, 제한정부의 정치이념 등의 복합적인 의식구 조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따라서, 비레크의 신보수주의 사상에서 보았듯이, 미국의 보수주의는 공동체 의식보다는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자유주의적 보수주의〉의 방향으로 전개될 수밖에 없었 다. 이러한 면에서 〈네오〉보수주의도 〈자유주의적 보수주의〉의 범 주에 넣고 생각할 수 있다. 물론 신보수주의 울타리 속에서도 커 크와 같은 버크 사상에 가까운 고전주의적인 보수주의가 존재하고 있지만, 〈자유주의적 보수주의〉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 다. 필자가 본 연구에서 검토하였듯이 미국의 보수주의 사상이 간 헐적으로, 그렇지만 계속적으로 200 여 년 전 버크의 보수주의 이 념을 계승, 20 세기의 신보수주의에 이르고 있는 것을 감안한다 면, 앞으로 미국의 보수주의는 역시 버크주의적 보수주의와 오랜 전통의 로크주의적 자유주의 및 뉴딜식 자유주의와의 실용적 절충 방향에서 그 모습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미국의 보수주의가 현실 정치에 접근해 가 기 위해서, 또는 미국의 보수주의 이론가들이 보수주의 이념을 지 성 세계에 보다 설득력 있게 제시하기 위해서라도 새로운 방법론 울 수용해야 된다는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철학적 보수주 의 이론가들이 지금까지 새로운 방법론에 대한 배타적인 입장을

철회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이 같은 주장은 논쟁점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그러나 오늘날 양자역학과 분자생물학의 발전은 지금 까지 성역화되었던 생명의 근원과 인간 성격의 형이상학적 개념에 대한 설명을 가능케 하는 단계에까지 와 있기 때문에, 보수주의 이론가들은 방법론적인 차원에서 인간의 보수 현상을 근원적으로 설 명 하기 위 해 서 이 분야와의 학제 적 인 분석 방법 Inte r dis c ip linary Anal y s i s 을 외면할 수 없게 되었다. 건국 초기부터 미국의 현실 정치와 정치사상에 있어서 자유주의 와 보수주의가 항상 주기적인 대결 구도를 유지해 왔음을 우리는 잊어서는 안 된다 . 이러한 구도 속에서 앞으로 차원 높은 보수주 의 이론의 발전을 위해서 미국의 보수주의는 일반적으로 과거의 반합리주의와 반과학주의의 속성으로 인해 얻어진 반지성주의적 오명을 탈피해야 된다고 본다 . 다시 말해서 보수주의 이론가들은 보수적인 가치를 이론적으로 보존하고 보완하기 위해서라도 과학 주의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는 현대 사회의 상황 속으로 밀려들어 가고 있음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 이러한 면에서 보수주의 이론가 들은 최근의 분자생물학, 구체적으로 생명과학과 유전공학의 연구 업적에 의해서 밝혀지고 있는 인간 성격 Human Natu re, 집단생 활, 언어, 문화, 심지어는 정치 현상까지도 생물학적인 현상으로 설명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분자생물학적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할 것이다. 오늘날 분자생물학의 방법론은 과거 단순한 과학적 방법론만을 적용시켜 사회 현상을 설명하였던 사회과학자들의 행태주의적 방 법론을 초월하여, 양자역학이 자연과 물질의 본질을 근원적으로 파악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회 현상의 추상성까 지도 분석하고 있기 때문에, 과거의 과학적 방법론과는 현저한 차 이를 나타내고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양자역학의 방법론은 과

거의 과학적 방법론과 관찰 방법을 배제하고 새로운 시각에서 자 연의 본질 분석에 도전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양자역학은 철학 의 영역으로 입성하고 있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분자생물학도 과거 과학적 방법론이 도외시하던 형이상학적 세계 에 접근해서 생명의 근본을 파헤치고 있는 실정이다. 실로 먼 미 래의 희망사항으로만 생각해 왔던 자연과학과 철학 및 자연과학과 형이상학의 만남이 우리의 목전에 가시화되는, 말하자면 인문과학 (사회과학 포함)과 자연과학 간의 학제적인 방법론이 필요한 새로 운 학문적 풍토가 형성되어 가고 있다 . 따라서, 과거 1960 년대 말 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탈행태주의에 안주해 왔던 학문의 세계는 끝이 나고 새로운 방법론의 패러다임을 맞이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징후가 미국 학계에서는 벌써 나타나고 있다 . 도덕적 자 연주의를 거부했던 칸트의 이원론에서 본다면 도덕적 당위성 Moral Ou gh t과 인간 성격은 항상 추상적인 형이상학의 성역화된 세계에 머물러 있었지만, 도덕이나 인간 성격 등의 개념이 자연을 초월하 는 독자적인 세계로 인식되었던 보수주의 이론뿐만 아니라 지금까 지의 정치이론이 20 세기 중반에 들어서면서 발전한 분자생물학에 의해서 새롭게 정립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이미 10 여 년 전부터 미 국 정치학계에 제기되고 있다 . 다윈주의적 사회이론의 부홍기를 맞이하여 최근 미국의 정치이 론은 마스터 스 Rog er D. Maste r s, 맥 시 Robert McShea, 윌슨 Jam es Q. Wilso n 동의 연구 업적에서 보듯이 다윈 Darw in의 생물학적 자연주 의에 의해서 정치 현상을 생물학적 현상으로 해석하고 있다 .I ) 이 들 정치이론가들은 가깝게는 다윈과 멀리는 아리스토텔레스와 흄 Dav i dHume 의 이론적인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 이 지금까지 기타의 대부분의 정치이론가들은 다윈의 사회이론에 서 거부하고 있는 현실과 가치, 자연과 자유, 선천성과 후천성 등

과 같은 이원론적인 이분법의 이론적 가설을 중시해 왔다. 그러나 자연주의적 정치이론가들은 서구 학계를 지배해 왔던 이 같은 이 원론적 이분법을 배격하고, 다윈의 생물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을 연계시키는 정치이론의 재정립을 시도하고 있다 . 앞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 이러한 이론적 경향은 유전공 학과 생명과학 및 신경과학 등의 20 세기 첨단과학의 발전을 통해 서 인간 성격을 재조명하면서 새로운 정치이론을 정립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정치이론의 획기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라이프니츠 Le i b nit z 이후 인간의 성격을 백지 상태 Tabula Rasa 로 규정 한다든가 인간의 도덕 적 감성 Moral Sense 을 초월적 개 념으로 받아들였던 지금까지의 정치이론은 자연주의를 도입하여 인간 성격의 근원을 밝히려는 혁명적이고도 새로운 사회생물학 Soc i ob i olo gy의 장을 열고 있다 . 결론적으로, 미국의 보수주의뿐만 아니라 일반론적인 보수주의 는 오늘날 획기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사회생물학을 이론체계 정립 의 동반자로 인식하고, 과거에 사용하던 당위적 개념과 초월적 개 념을 사회생물학적으로 점검하는 입장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보수주의는 과거 전통적인 방법론의 타성에 의해서 사회생물학이 인간을 유전자라고 하는 무생물에 의해서 좌우되는 존재로 전락시 켜 버림으로써 인간 고유의 존엄성을 말살한다는 반론을 제기할 수 있다. 그러나 앞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사회생물학이 인간의 존엄성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인간의 존엄성을 과거의 단순한 행태과학적 방법론보다 높은 차원에서 입증해 줄 수 있다 는 점을 보수주의 이론가들은 간과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6 장에 서 밝힌 바와 같이, 보수주의 이론가들은 과거의 행태주의적 방법 론이 결과적으로 현실을 고착시키는 보수주의적 수단으로 전락했 다는 사실도 잊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점에서 이율배반적이긴 하

지만, 현대 보수주의는 행태주의를 방법론상의 동반자로 수용할 수도 있다. 이러할 경우 현대 보수주의는 가치판단의 배제에서 일 어나는 행태주의의 오류를 사회생물학의 방법론으로 극복할 수 있 는 것이다 . 그러나 사회생물학적인 방법론을 수용함에 있어서 보 수주의 이론가들은 과거 나치주의가 민족우생학적 이데올로기를 정당화시키는 데 다윈의 생물학을 오용하였던 역사의 우를 다시는 범하지 않도록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 필자는 특히 현대 사회에서 순수한 민주주의가 유토피아적인 이 상에 불과하다는 생각을 늘 떨쳐버리지 못하고 있다. 현대 사회에 있어서 순수한 민주주의를 거론하는 데도 문제가 있지만, 도처에 서 볼 수 있는 대중적인 인기만을 우상화하는 현대의 민주주의가 민주주의의 개념을 오도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많은 사람들이 지적하기를 역사는 민주주의의 방향으로 발전해 왔고, 또 그 방향 으로 발전해 갈 것이라고 한다 . 전적으로 옳은 말이다. 그러나 과 거에 세계사의 전환기적인 혁명 이후에 순수한 민주주의가 실현되 었다고 한다면, 그 사회는 벌써 와해되었을 것이다 . 이러한 예상 적인 결과는 오늘날 공산권의 결과와 같은 것으로 예견될 수 있 댜 왜냐하면, 공산주의와 민주주의는 모두 목적론적인 시각에서 볼 때 유토피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느 시대와 어느 사회에서든 사회 구성원들에게 그들이 바라는 민주주의를 약속한 다면, 그 사회는 항상 기대의 어긋남에서 일어나는 잠재적이면서 도 지층적인 불만이 쌓이게 되는 사회적 숙명을 회피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 프랑스혁명 이후 지금까지 우리는 자유주의의 추상적이고도 기 본적인 개념, 죽 자연권, 사회계약, 자유, 인권, 평등의 개념을 민주주의를 정당화시키는 가장 합리적이고 강력한 설득력으로 생

각해 왔다 . 우리는 이러한 사상적 패러다임 속에 빠져 있어도 너 무 깊숙이 빠져 헤어나지를 못하고 그 속에서 계속 맴돌고 있는 셈이다 . 또한, 우리는 적어도 이론적인 면에서 한 번도 이러한 패 러다임의 범주 속에서 빠져 나오려고 시도해 보지도 않았고 자성 해 볼 여유도 없었다. 때문에 민주주의와 자유주의는 항상 지상명 령으로만 추켜져 왔다 . 더구나 이에 대한 비판적 시각은 아직까지 우리 사회에서는 금기시되어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 우리 사회가 경험하게 될 상황과 세계의 학문적인 추이를 감안할 때, 과연 이 러한 고정적인 관념에만 머물러 있어도 되는 것인가 하는 의문이 생긴다. 이러한 점에서 미국의 현대 보수주의(특히 신보수주의)의 사상이 미래지향적인 방향에서 자유주의적 또는 진보주의적 패러 다임을 재구성하는 데 신선한 충격을 주었던 점을 고려한다면, 우 리는 우리가 처해 있는 상황이 특히 복지주의를 등에 업고 있는 민주주의를 되씹어 보는 시대적인 상황 속으로 밀려 가고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설사 그렇더라도 필자의 생각으로는, 우 리 사회가 복지정책의 초기 단계에 있기 때문에 앞으로 적어도 30 년 이후에 가서야 미국의 신보수주의적인 인식이 우리 사회에서 가시화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츄〕 1) 과거 10 여 년 간 사회생물학적 방법론으로 인간 성격을 포함한 정치이론을 시 도하고 있는 미국 정치학자들의 업적과 인류고고학을 위시한 미국 사회과학자들의 업적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정치이론 분야 Fred W ilh oit e, Prim ate s and Polit ica l Aut ho rit y: A Bi ob ehavio r al Persp e cti ve , —MAomrae/rii ic)• a an n Pdo Hliutim caa ln S Nc iaetnu cr ee :R Aev N iee ww , Rvooult.e 7 t0o ( E19t h 7i6 c) a. l Theory • (Phil a delph ia : Temp le Robert J. McShea, Human Natu r e Theory and Politi ca l Phil o sop h y , Americ a n Jo urnal of P oliti ca l Sc ien ce, vol. 22 (1978). Univ e rsit y Press, 19', X)). Pete r Comi ng , The Sy n ergi sm Hy p o th e sis (New York: McGraw-Hi ll, 198 3) . Rog er D. Maste r s, The Natu r e of P oli tics (New Haven: Yale Univ e rsit y Press, 1989). 一 ‘'Oblig a ti on and the New Natu r alis m , Bio l og y and Phil o sop h y, vol. 4 (1989) . —一 ‘‘TEovwolau rtid o na a M ry oBrei o Cl oogh ye raenndt PTohleioti rcy a lo Tf h Jeuos rtyi c,e ,A mine rTihc ae n S Penosleit i ocfa Jl Sucs tiei cne c :e BRioe vl oieg w i c, a l vol. 84 (19',X)) . —BFeyoo u nndd Ratei loan tis v ios f m L: aSwc i,e n ceed .a nRdo Hg eu rm Dan. MVaalsutees r s(H aanndo vMera ,r gNa rHe:t U Gnriuv tee rrs it( yN Pewrebssu royf Park, CA: Sag e, 1~2) . New Eng la nd , 1~3) . 一 Why Stu d y Seroto n in , Socia l Behavio r , and Law? in The Neurotr a nsmi tter Revoluti on : Seroto n in , Soc ial Behavio r , and the Law, ed., Rog e r D. Maste r s and Mi ch ael T. McGuir e (Carbondale: South e rn Illin o is U niv e rsity Press, 1S94) . 一 Conclusio n s for Public Polic y : Early Inte r venti on , Sp ec ia l Educati on , and the Law, in The Neurotr a nsmi tter Revoluti on : Seroto n in , Soc ial Behavio r , and the Law, ed.Rog er D. Maste r s and Mi ch ael T. McGuir e (Carbondale: South e rn Illin o is U n ive rsit y Press, 1S9 4) . 一 Pri m ate Poli tics and Politi ca l Theory , in Pr ima te Poli tics , ed., Glendon Schubert and Rog er D. Maste r s (Lanham: Univ e rsit y Press of Ameri ca , 1S94) . La ry Arnhart, The Darwi ni a n Natu r alis m in Polit ica l Theory, Americ a n Politi ca l

Sci en ce Revie w , vol. 89 (19 95). Glendon Schubert a nd Rog er D. Mast e r s, Prim ate Poli tics (Carbondale: South e rn Illin o is Univ e rsit y Press, 1991) . Jam es Q. Wi lso n, On Characte r (Washin g t on : AEI Press, 1991). 一 The Moral Sense (New York: Free Press , 1993) . 一 The Moral Sense, Americ a n Poli tica l Sci en ce Revie w , vol. fr7 (1993). 一 “The Fami ly -V alues Debate , Commenta r y , vol. 95 (19 '>3) . 一 On Abort ion , Commenta r y , vol. 97(1 5 194). 一 ‘'Ab ort ion Facts a nd Feelin g s II-An Exchang e, Fir s t T hig n s, vol. 43 (15194). 기타 사회과학 분야 Ric h ard Alexander, The Bio l og y ofM oral Sys t e m s (Hawth o rne: de Gruy ter , 198 7) . Robert H. Frank, Passio n s Wit hi n Reason: The Str a te g i c R ole oft he Emoti on s (Ne w York: Nort on , 1988) . Robin Fox, The Search fo r Socie t y : Qu est f o r a Bio s ocia l Scie n ce and Morality (Ne w Brunswic k : Rutg e rs Un ive rsity Press, 1989). Mary Maxwell, ed., The Soc iob io l og ica l Imag ina ti on (Albany: Sta te Un ive rsity of New York Press, 1991) . Carl Degl e r, In Search of Human Natu r e: The Declin e and Reviv a l of Danvin i s m in America n Socia l Thoug h t ( New York: Ox for d Univ e rsit y Press, 1991) . Alexandra Ma rya nski and Jon ath a n H. Turner, The Soc ial Cag e : Human Natu r e and the Evoluti on ofS oc iet y (Sta n fo rd : Sta n fo rd Univ e rsity Press, 1992). Eric Alden Smi th and Bruce Wi nt e r halder, eds., Evoluti on ary Bio l og y and Human Behavio r (Ne w York: de Gruy ter , 1992) . Je rome H. Barkow, Leda Cosmi de s, and Joh n Tooby . eds., The Adap ted Mi nd : Evoluti on ary Psyc holog y and the Generati on of Cultu r e (New York: Ox for d Univ e rsity Press, 1992) .

참고문헌 Adams, Jam es Truslow. Walt er Lippm ann. Satu rday Revie w of Liter atu r e, vol. 9, Jan ua ry 7, 1933. Adler, Bil l. e d. The Kennedy Wit . New York: The Cit ad el Press, 1964. Adorno, T.W. et.a l . The Auth o rita r ian Personalit y. New York: Ha rpe r and Broth e rs, 1950. Ag ar , Herbert, and Tate , Allen. ed. Who Owns Americ a ?. Bosto n : Houg ht o n , Mi fflin, Co., 1936. Alexander, Ric h ard. The Bio l og y of Moral Sys t e m s. Hawt ho rne: de Gruy ter, 1987. Almond, Gabrie l . The Poli tica l At titud es of Wealth . Jo urnal of Poli tics , vol. 7, Aug us t, 1945 . Almond, Gabrie l , and Verba, Sid n ey. The Civ i c Cultu r e. Bosto n : Little, Brown, & Co., 1963. Ardrey, Robert. The Socia l Contr a ct. New York: Ath e neum , 1970. Arendt, Hannah. Auth o rity in the Twenti et h Centu r y. Revie w of Poli tics , vol. 18, Octo b er, 1956. Arnhart, Lary. The Darwi ni a n Natu r ali sm in Poli tica l Theory. Ameri ca n Poli tica l Sci en ce Revie w , vol. 89, 1995. Auerbach, M. Mort on . The Conservati ve Illusio n . New York: Columbia Un ive rsity Press, 1959. Babbit t, Irvin g . Democracy and Leadership . Bosto n : Houg h to n , Mifflin, Co., 1924 . . On Bein g Creati ve and Oth e r Essays . Bosto n : Houg h to n , Mifflin, Co., 1932. Barkow, Jer ome H., Cosm ide s, Leda, and Tooby , Joh n. eds. The Adap ted Mi nd : Evoluti on ary Psyc h ology and the Generati on of

Cultu r e. New York: Oxfo rd Un ive rsit y Press , 19) 2. Ba rry, Norman P. The New Rig h t. New York: Croom Helm, 1967. Bay, Chris t ia n . Poli tics and Pseudop o liti cs : A Criti ca l Evaluati on of Some Behavio r al Liter atu r e. Americ a n Polit ica l Scie n ce Revie w , vol. 59, March, 1965. Becker, Carl. The Heavenly Cit y oft he Eig h te e nth Centu r y Phil oso p h ers. New Haven: Yale Un ive rsit y Press, 1961. Bell, Danie l . ed. The Radic a l Ri gh t. Garden Ci ty, New York: Doubleday and Co., 1963. Benson, Ezra Taft . The Red Carpe t: Socia l i sm -The Roy al Road to Communis m . Salt L alce Cit y, Utah : Bookcraft, Inc., 1962. Berth o ff , Rowland. The Americ a n Socia l Order: A Conservati ve Hy po th es is . The Americ a n Hi st o r ic a l Revie w , vol. 65, Ap ril, 1960. Blum, Jer ome. ed. al. The Europ e an World: A Hi st o r y , 2nd ed. Bosto n : Lit tle, Brown and Co., 1970. Bramson, Leon. The Poli tica l Conte x t of Socio l og y. Prin c eto n : Princ eto n Un ive rsity Press, 1961 . Buchanan, Jam es M. , and Tullock, Gordon. The Calculus of Consent. Ann Arbor: Un ive rsit y of Mich i ga n Press, 1962. Burdic k , Eug e ne, and Brodbeck, Arth u r J. ed. Americ a n Vot ing Behavio r . Glencoe, Ill.: F ree Press, 1959. Burke, Edmund. Refl ect i on s on the Revoluti on in France. New York: The Lib e ral Arts P ress, 1965 . Caldwell, Tayl o r. A Pil lar of Iron. Garden Cit y, New York: Doubleday and Comp an y , Inc., 1965. Cash, W. J. The Mi nd oft he South . New York: Vmt age Books, 1941. Cecil , Lord Hug h . Conservati sm , revis e d ed. New York: Collie r Books, 1962. Chambers, J.D ., and Madg w ic k , P.J . Confl ict and Communit y: Europ e

Sin c e 175 Q London: George Phil ip and Sons Lim ited , 1968. Chap m an, Phil ip C. The New Conservati sm : Cultu r al Criti ci s m vs. Poli tica l Phil os op h y . Politi ca l Scie n ce Qu arte r ly, vol. 75, March, 1% 0. Clag h orn, Kate H. Burke: A Cente n ary Persp e cti ve . At la nti c Month l y, vol. LXXX, July , 1897. Cobban, Alfre d . Edmund Burke and the Revolt A g a in s t the Eig h te e nth Centu r y . London: George Allen and Unwi n , Ltd . , 1CJ 29. Cone, Carl. Burke and the Natu re of Politi cs . Lexin g ton , Ky .: Un ive rsity of Kentu c key Press, 1957. ——. The Burke Reviv a l. The Burke Newslett er , vol. 3, Wi nter -Sp ring , 1%1-1%2. Connin g , Pete r . The Sy n ergi sm Hy po th e sis . New York: McGraw-H ill, 1983. Cook, Thomas I. Vi er eck Revis i t ed : In Search of Conti nu it y and Values. Tri-Q u arte r ly, Sp ring, 1%5. Cou rtne y, C.P. M onte s qu i e u and Burke. Ox for d: Basil Blackwell, 1% 3. David son, Donald. The At tac k on Levia th an: Relig ion is m and Nati on alis m in the Unit ed Sta t e s . C hap e l Hill: Un ive rsity of Nort h Carolin a Press, 1938. Danzig , David . The Rad ica l Righ t and the Rise of the Fundamenta list Mi no ri ty. Commenta r y , Ap ril, 1%2. Delge r , Carl. In Search of Human Natu re: The Declin e and Reviv a l of Darwi n is m in Americ a n Socia l Thoug h t. New York: Oxfo r d Un ive rsit y Press, 1991. Dolbeare, Kenneth . Di re cti on s in Americ a n Poli tica l Thoug h t. New York: Jo hn Wi ley and Sons, Inc., lC/ dJ. Dolbeare, Kenneth , and Dolbeare, Patr icia. Ameri ca n Ideolog ies : The Comp e ti ng Poli tica l Beli efs of the 197C6. Chic a go : Markham Publi sh i ng Co., 1971.

Duncan, Graeme, amd Lukes, Ste v en. The New Democracy . Poli tica l Stu d ie s , vol. 11, Ju ne, 1%3. El liot t , W.Y . The Prag m ati c Revolt in Poli tics . New York: The Macm illa n Co., 1928. Eng li sh , Ray m ond. Conservati sm : The Forbid d en Fait h. Americ a n Scholar, vol. 21, Autu m n, 1952. Eulau, Hein z . Libe ralism versus Conservati sm . A nti oc h Revie w , vol. XI, December, 1951 . Fair l ie , Henry. Anti - A meric a nis m at Home and Abroad. Commenta r y , vol. 60, December, 1975 . Feuer, Lewi s S. Ideolog y and the Ideolog ists . New York: Harpe r & Row, Inc., 1975. Foste r , Arnold, and Ep st e i n , Benja m in. Dang e r on the Rig h t. New York: Random House, 1% 4. Fox, Robin . The Search for Socie t y : Qu est f or a Bio s oc ial Sc ien ce and Morali ty. New Brunswi ck : Rutg e rs Un ive rsit y Press , 1989. Frank, Robert H. Passio n s Wi thi n Reason: The Str a te g ic Role of the Emoti on s. New York: Nort on , 1988. Freund, Ludwi g. The New Conservati sm and Europ ea n Conservat- ism . Eth i c s , vol. ~ Octo b er, 1955. From m, Er ich . Escape fr om Freedom. New York: Avon Books, 1%5. Goldschm idt , Ma\l fe L. Democratic T heory and Conte m p or ar y Poli tica l Scie n ce. Weste r n Poli tica l Qu arte r ly, Sup ple ment 5,. 1966. Goldwate r , Ba rry. The Consci en ce of a Conservati ve . Sheph e rdscil le, Ky .: V icto r Publi sh i ng Co., 19t Al. Gutt ma nn, Allen. The Conservati ve Tradit ion in Americ a . New York: Ox ford Un ive rsity Press, 1%7. Hall, Chadwi ck . Americ a 's Conservati ve Revoluti on . Anti oc h Revie w , vol. 15, Ju ne, 1955. Hallowell, Joh n H. Main Currents in Modem Poli tica l Thoug h t. New

York: Holt, 1950. Hart, Jeffrey . The Americ a n Di ss ent. Garden Ci ty, New York: Doubleday & Co., Inc., 1966. Hartz, Louis . The Lib e ral Tradit ion in Americ a . New York: Ha rtco urt , Brace, & World, Inc., 1955 . . The Foundin g of New New Soc iet i es . New York: Hart co urt , Brace, & World, Inc., 1964. Haye k, Frie d ri ch . The Counte r -Revoluti on of Sc ien ce: Stu d ie s on the Abuse of Reason. London: The Free Press of Glencoe, Coll ier- Macm illa n, Ltd., 1955. Hearnshaw, F.J .C . Conservati sm in Eng la nd. London: Macm illa n & Co., 1933. Herberg, Wi ll. The Great Ameri ca n Debate . Commonweal, vol. 62, Sept em ber 9, 1955. Hobbes, Thomas. L evia t h a n. New York: Coll ier Books, 1%7. Hofs t a d te r , Ri ch ard. The Americ a n Poli tica l Tradit ion . New York: Vin t a g e Books, 1948 . . The Paranoid Sty le in Americ a n Poli tics and Oth e r Essay s. N ew York: Alf red A. Knop f, 1%5 . Hogg , Qu in ton . The Conservati ve Case. London: Peng uin Books, 1959. Hop k in s , V.C . The Conservati ve Concern. Thoug h t, vol. 31, Sp ring , 1956. Hunt, G. ed. The Writ ing s of Ja mes Madis o n. New York: G.P. Putn a m' s Sons, lSX X}--19 10. Hunte r , Jam es T. Our Second Revoluti on . Caldwell, Idaho: The Caxto n Pri nter s, Ltd., 1968. Hunti ng ton , Samuel P. Poli tica l Order in Chang ing Soc iet i es . New Haven: Yale Un ive rsity Press, 1968 . . Conservati sm as an Ideolog y. Americ a n Poli tica l Sc ien ce Revie w , vol. 51, Jun e, 1957.

Jan son, Donald, and Eis m ann, Bernard. The Far Rig h t. New York: McGraw-Hil l Book Comp an y , Inc., 1%3. Kahler, Eri ch . The Tower and the Aby ss . New York: The Vik ing Press, 1%7. Kendall, Wi lm oore. The Conservati ve Aff irm ati on . Chic a go : Henry Reg ne ry Co., 1%3. Kirk , Russell. Randolph of Roanoke. Chic a go : Univ e rsit y of Chic a go Press, 1951 . . A Prog ra m for Conservati ve s. Chic a go : Henry Regn er y Co., 1954 . . Academi c F reedom. Ch ica go : Henr y Reg ne ry Co., 1955 . . Beyo n d the Dreams of A varice . Chic a go : Henr y Regn e ry Co., 1956 . —.. OT hlde HCoounssee rovfaF tie vaer .M Ni newd , Ytohrikr:d F elde.e tC P hu ibcal ig so h: i n Hg eCnor y., R1e%ge 1r .y Co., lSXxl. —. The Surly S ullen Bell. New York: Fleet P ublish i ng Co. , 1%2. . Confe ss io n s of a Bohemi an Tory . New York: Fleet Publish in g Co., 1%3 . . The Inte m p e rate Profe s sor. Bato n Roog e: Louis i a n a Sta t e Un ive rsity Press, 1%5 . . A Creatu r e of the Twi ligh t. New York: Fleet Publish in g Co., 屬. —. TheAmerica n Cause. Ch ica go : Henr y Regn e ry Co., 寧 . Enemi es of the Permanent Thin g s . New Rochelle: Arlin g to n House, 1% 9. _ . Burke and Natu r al Rig h ts . Revie w of Poli tics , vol. XIII, Octo b er, 1951. _ . Burke and the Phil oso p h y of Prescrip tion . Jo urnal of the His to r y ofI d ea, vol. XIV, Jun e, 1953.

. The New Humanis m of Politi ca l Economy . South At la nti c Qu arte r ly, vol. 52, Ap ril , 1953. . Socia l Jus ti ce and Mass Cultu r e. Revie w of Poli tics , vol. XVI, Octo b er, 1954 . . The Americ a n Inte l lectu a l: A Conservati ve Vie w . Pacif ic Sp ec ta t o r , vol. IX, Fall, 1955 . —. . PCruelstc urri pa lt ioDn e, brAi su: tTh ow roit y C, onafne dr eOnrcdeesr eadn dF rtehee d Fomut.u r e F roafn kO uS.r Civ i l iza ti on . M odem Ag e , vol. II, Sp ring, 1958. Meye r , ed. What Is Conservatis m ?, New York: Holt, Rine ha rt and Wi ns to n , 1964. Kolkey, Jon ath a n M. The New Rig h t, 1960- 68. Washin g ton , D.C. : Un ive rsit y of Ameri ca P_re s s, 1983. Kris t o l , Irvin g , What Is a 'Neo-Conservati ve ' ? Newsweek, vol. ITT, Jan ua ry, 19, 1976. Levi -S t ra uss, Claude. Socia l and Psy c holog ica l Asp e cts of Chie f t ai n s hip in a Pr im i tive Trib e . Comp a rati ve Poli tica l Sys te m s. Ronald Cohen & Joh n Mi dd leto n . eds. Garden Cit y, New York: Natu r al Hi st o r y Press, 1967. Lewi s, Gordon K. The Meta p h y s ic s of Conservati sm . Weste r n Poli tica l Qu arte r ly, vol. 6, December, 1953. Lin k, Arthu r S. ed. The Pape r s of W oodrow Wi lson . Princ eto n : Princ eto n Un ive rsit y Press, 1969. Li ppm ann, Walt er. A Prefa c e to Poli tics . New York: Mi tch ell Kennerly, 1913. —. Drift and Maste r y . New York: Mitch ell Kennerly, 1914 . . Phanto m Publi c. New York: The Macm illan Co., 19V. _ . A Prefa c e to Morals. New York: The Macm illan Co., 1CJ 29 . . The Meth o d of Fr eedom. New York: The Macm illan Co. , 1934.

. The Good Soc iet y . Bosto n : Lit tle, Brown, & Co., 1937 . . Public Op ini o n . New York: The Macm illa n Co., 1941. . Publi c P hil o soph y . Bosto n : Lit tle , Brown, & Co., 1955. Lipse t, Seym our Martin . Politi ca l Man: The Soc ial Bases of Poli tics . New York: Anchor Books, 1%3. Lipse t, Seym our Martin , and Raab, Earl. The Poli tics of Unreason. New York: Ha rpe r and Row, 1970. Liv i n g s to n , Joh n. The Meta p h ys ic s of Conservatis m and the Role of Reason. W este r n Poli tica l Qu arter ly, vol. 9, Sep tem ber, 1956. Lorenz, Konrad. On Ag gr essio n , tra ns. Marjo r ie Kerr Wi lso n. New York: Ha rtco ur t, Brace, & World, Inc., 1966. Lowi, Theodore. The End of Lib e ralis m . Chic a go : W.W. Norto n and Comp an y, Inc,. 1%9. Lubell, Samuel. Revolt o f the Moderate s . New York: Harpe r and Broth e rs, 1956 . . The Hid d en Crisi s in America n Poli tics. New York: W .W. Nort on and Comp an y, Inc., 1970. MacDonald, Malcolm. The Reviv a l of Conservativ e Thoug h t. The Jou rnal ofP o li tics , vol. 19, Februar y, 1957. Ma nion , Clarence. The Conservativ e Americ a n: His Fig h t f or Nati on al Indepe ndence and Consti tut io n al Government. New York: The Devin -A da ir Co., 1964. Mannheim , Karl. Essays on Soc iol ogy and Soc ial Psyc h ology . P aul Keczkemeti, ed. New York: Ox for d Un ive rsity pre ss, 1953 . Ma rya nski , Alexandre, and Turner, Jon ath a n H. The Socia l Cage : Human Natu r e and the Evoluti on of Soc iet y . Sta nfor d: Sta n fo rd Un ive rsity Press, 1~2. Maste r s, Rog e r D. The Natu re of Poli tics . N ew Haven: Yale Un ive rsity Press, 198 <).

. Beyo nd Relati vi s m : Sc ien ce and Human Values. Hanover , NH: Univ e rsit y Press of New Eng la nd, 1993. _ . Oblig a ti on and the New Natu r alis m . Bio l og y and Phil oso p hy , vol. 4, 1989. —. Evoluti on a ry Bio l og y and Poli tica l Theory . Americ a n Poli tica l Sc ien ce Revie w , vol. 84, 1990. . Toward a More Coherent Theory of Jus ti ce . The Sense of Jus tic e : Bio l og ica l Foundati on s of Law. ed. Rog e r D. Maste r s and Marga r et Grute r . Newbury Park:, CA: Sage , 1992 . . Why Stu d y Seroto n in , Socia l Behavio r , and Law? The Neurotr a nsmi tter Revoluti on : Seroto n in , Socia l Behavio r , and the Law. ed. Rog er D. Maste r s and Mi ch ael T. McGuir e . Carbondale: South e rn Illin o is Un ive rsit y Press, 1994. . Conclusio n s for Public Poli cy : Early Inte r venti on , Sp ec ia l Educati on , and the Law. The Neurotr a nsmi tter Revoluti on : Seroto n in , Soc ial Behavio r , and the Law. ed. Rog e r D. Maste r s and Mi ch ael T. McGuir e. Carbondale: South e rn Illino is Un ive rsit y Press, 1994. . Prim ate Politi cs and Politi ca l Theory . Prim ate Poli tics. ed. Glendon Schubert and Rog e r D. Maste r s. Lanham: Un ive rsit y Press of Ameri ca , 1994. Maxwell, Mary. ed. The Soc iob io l og ica l Imag ina ti on . Albany : Sta t e Un ive rsit y of New York Press, 1991. May, Henr y F. The End of Americ a n Innocence. New York: Alfred A. Knop f, 1959. McCloskey , Herbert. Conservati sm and Personality . Americ a n Poli tica l Scie n ce Revie w , vol. 52, March, 1958. McShea, Robert J. Human Natu re Theory and P.o li tica l Ph ilos op hy . Americ a n Jo urnal ofP o li tica l Scie n ce, vol. 22, 1978.

. Moralit y and Human Natu r e: A New Route to Eth i c a l Theory . Phil ad elph ia : Temp le Univ e rsity Press, 1990. Mey e r, Frank S. ed. What Is Conservati sm ? New York: Hold, Rine ha rt, and Wi ns to n , 1964 . . Collecti vi s m s Rebap tize d. The Freeman, vol. 5, Jul y, 1955. . Freedom, Tradit ion , and Conservati sm . Modem Ag e , vol. 4, Fall, lSX x:l . . Prin c ip le s and Heresie s . Nati on al Revie w , vol. 9, November, 1963. Mills , C. Wr igh t. The Conservativ e Mood. Dis s ent, vol. 1, Wi nter, 1954. Molnar, Thomas. Conservatis m and Inte l li ge nce. The Inte r colleg iat e Revie w , Sp ring , 1974. More, Paul Elmer. Stu d ie s in Reli giou s Duali sm . New York: G.P. Putn a m' s Sons, 1905 . . Aris t o c racy and Ju sti ce . Bosto n : Houg h to n , Mi fflin, Co., 1915 . . Plato n is m . Pri nc eto n : Pri nc eto n Un ive rsit y Press, 1917. . The Demon and the Absolute . Pri nc eto n : Pri nc eto n Univ e rsit y Press, 1928 . . The Scep tica l Ap pr oach to Reli gion . Prin c eto n : Prin c eto n Un ive rsity Press, 1934. —. On Bein g Human. Pri nc eto n : Pri nc eto n Un ive rsity Press, 1936. Morley, Joh n. Burke. London: The Macm illa n Co., 1 隨 Nash, George . The Conservati ve Inte ll ectu a l Movement in A meric a Sin c e 1范 . New York: Basic Books, Inc., 1976. Neil, Thomas. Modem Europ e : A Pop u lar His to r y . Garden Cit y , New York: Doubleday and Comp an y, Inc., 1970. Newma n, Edwin S. The Hate Reader. Dobbs Ferr y, New York: Oceana Publi cat io n s, Inc., 1964.

Public a ti on s, Inc., 1964. Newman, Wi lliam J. The Futi litar ia n Soc iet y . New York: George Brazil ler, 1%1. Nie b uhr, Rein h old. The Natu r e and Destin y ofM an. 2 vol. New York: C. Scri bn er' s Sons, 1941-4 3. Nis b et, Robert. The New Despo t i sm . Commenta r y , vol. 59, Ju ne, 1975. Oakeshott , Mi ch ael. Rati on alism in Poli tics and Oth e r Essays . New York: Basic Books Publi sh i ng Co., 1%2. . Conservativ e Poli tica l Thoug h t. The Spe c ta t o r , vol. CXCIII. Octo b er, 1954. Olson, Manchur. The Log ic of Collecti ve Acti on . New York: Yale Un ive rsity Press, 1%5 . O'Sull iva n, Noel. Conservatis m . New York: St. Ma rtin' s Press , 1976. Owsley, Frank L. The Pil lars of Ag rarianism . The Americ a n Revie w , vol. 4, March, 1935 . Paul, Herbert . e d. Lett er s of Lord Acto n to Mary Glasto n e. London: The Macm illa n Co., 1905. Petr as , Jam es. Ideolog y and Un ited Sta t e s Poli tica l Scie n ti st s. Sc ien ce and Socie t y , vol. XXIX, Spr ing, 1%5 . Petr e lla, Frnk. Edmund Burke: A Libe ral Practi tion er of Poli tica l Economy . Modem Ag e, vol. 8, Wi nter, 1%3 -64. Pole, J.R . Forward From McCarth y ism . Poli tica l Qu arte r ly, vol. 33, Ap ril-J u n e, 1%2. Power, J. O'Conner, Edmund Burke and His Abid i n g Inf lue nce. North Americ a n Revie w , vol. 165, December, 1@ 7. Pressly, Jam es J. Ag rarianism : A Auto p s y . Sewanee Revie w , vol. 49, Spr ing, 1941. Ransom, Joh n Crowe. God Wi tho ut Thunder. New York: Hartc o urt, Brace, and Co., 1930.

Redekop , Joh n Harold. The Americ a n Far Ri gh t. Grand Rap id, Mi ch i ga n: W.B. Erdman' s Publish in g Co., 1968. Rie m er, Neal. Jam es Madis o n and the Current Conservati ve Vog u e. The Anti oc h Revie w , vol. 14, Wi nt e r , 1954. Rossit er , Cl into n . Conservati sm in Americ a . New York: Vi nt a g e Books, 1962 . . Alexander Hami lton and the Consti tut i on . New York: Ha rtco urt , Brace, and World, Inc., 1 露 . The Two Conservati sm s. The South Atl a nti c Qu arte r ly , vol. LI, Jan ua ry, 1952. Schubert, Glendon, and Maste r s, Rog e r D. Prim ate Poli tics . Car-bondale: South e rn Illin o is Un ive rsit y Press, 1991. Sears, Laurence. Lib e rals and Conservati ve s. The Anti oc h Revie w , vol. 13, Fall, 1953 . Sexon, Paul A., and Mi le s, Ste p he n B. Jr. The Challeng e of Con-servatis m . New York: Exp o sit ion Press, 1963. Smi th, Eric Alden, and Wi nt e r halder, Bruce. eds. Evoluti on ary Bio l og y and Human Behavio r . New York: de Gruy ter , 1992. Somerset, H.V.F. A Note b ook of Edmund Burke. Cambri dg e: Cambri dg e Un ive rsit y Press, 1957. Solta u , Rog e r H. French Politi ca l Thoug h t in the Nin e te e nth Centu r y . New York: Russell and Russell, 1959. Sp u rlin , Paul. Monte s q ui e u in Americ a . Bato n Roug e , Louis i a n a: Lou isia n a Sta t e Un ive rsit y Press, 1940. Ste p h en, Lesli e. Hi st o r y of Eng lish Thoug h t in the Eig h te e nth Centu r y . New York: Ha rtco u rt, Brace, and World, Inc. , 1949. Sta n li s, Pete r J. Edmund Burke in the Twenti et h Centu ry. Pete r J. Sta n lis . ed. The Relevance of Edmund Burke, New York: P. J. Kennedy 血 d Sons, 1% 4. Str au ss, Leo. Natu ra l Rig h t and His t o r y . Ch ica go : Un ive rsit y of Ch ica go

Press, 1953 . Str o ut, Cushin g . Lib eralis m , Conservati sm and th e Babel of Tong u es. Partis a n Revie w , vol. XXV, Wi nt e r , 1958. Suall, Irwi n. The Americ a n Ultr a s. New York: New Ameri ca , 1962. Tig e r, Lio n el, and Fox, Robin . The Imp e ria l Anim al. New York: Holt , Rine ha rt, and Wi ns to n , 1971. Twelve South e rners. I' ll Take My Sta n d. New York: Ha rpe r & Broth e rs, 1930. Vie r eck, Pete r . Meta p o l it ics : From the Romanti cs to Hit ler . New York: Alfr ed A. Knop f, 1941 . . Terror and Decorum. New York: Charles Scrobner's Sons , 1948. _ . Conservatis m Revis i te d : The Revolt A g a in s t R evolt, 1815 -19 49. New York: Charles Scri bn er' s Sons, 1949. —. Sti ke Throug h the Mask! New York: Charles Scri bn er' s Sons, 1950 . . The Fir st M ornin g . New York: Charles Scri bn er' s Sons , 1952 . . Shame and Glory oft he Inte l lectu a ls._B o sto n : The Beacon Press, 1953 . . Dream and Respo n sib i li ty. Wash ing t on , D.C.: T he Un ive rsity Press of Washi ngton , D.C. , 1953 . . Conservatis m f rom Joh n Adams to Churchil l. New York: D. Van Nostr an d Co., 1956 . . The Persim mon Tree. New York: Charles Scri bn er' s Sons . —1.9 T5 6h e. Tree Wi tch . New York: Charles Scri bn er' s Sons, 1~. . The Unadju s te d Man. Bosto n : The Beacon Press, 1956. —— . New and Selecte d Poems, 1932-1967. India n apo l i s: Bobbs Merr ill Co., Inc., 1%7.

. Libe rals and Conservati ve s. The Anti oc h Revie w , vol. XI. Wi nt e r , 1951, pp. 387--%. 一 . The Declin e and Immorality of Europ e. The Satu r day Revie w ofL i t er atu r e, March 3, 1951. ——_. The Revoluti on in Values: Roots of the Europ ea n Cata s tr op h e , 1870-1952. Poli tica l Scie n ce Qu arte r ly, vol. LXVII, Sept em ber, 1952. . The Rootl es s 'Roots ' : Defe c ts in the New Conservatis m . The Anti oc h Revie w , vol. XV, Jun e, 1955. Voege lin , Eri c. Tlie New Sci en ce of Politi cs : An Intr o ducti on . Ch ica go : Univ e rsit y of Ch ica go Press, 1952. von Klemp er er, Klemens. Germany ' s New Conservati sm . Prin c eto n : Prin c eto n Un ive rsity Press, 1957. Walker, Jac k L. A Criti qu e of the Ell itist Theory of Democracy . Americ a n Poli tica l Scie n ce Revie w , vol. W, Jun e, 1966. Walt er, E.V. Conservati ve Recrudescent: A Criti qu e. Partis a n Revie w , vol. 20, Sept em ber-Octo b er, 1954. Warren, Robert Penn. Joh n Crowe Ransom: A Stu d y in Irony. Virg i ni a Qu art er ly R evie w , vol. 11, Jan ua ry, 1935 . Weber, Max. On the Meth o dolog y of the Socia l Scie n ces. tran s. and ed. by Edward Sh ils a nd Henr y A. Fin c h. Glencoe, Illin o is : T he Free Press, 1949. Welch, Robert. The Blue Book of the Jo hn Bir c h Soc iet y . 7th ed. Belmont, Mass.: The Joh n Bir ch Socie ty , 1959 . . The New Americ a nis m . Belmont, Mass.: Weste r n Irlands Publi she rs, 1966. Wi lho it e, Fred. Pri m ate s and Poli tica l Auth o rity : A Bio b ehavio r al Perspe c ti ve . America n Poli tica l Sci en ce Revie w , vol. 70, 1976. Wi lson , Edward 0. Soc iob io l og y: The New Sy n th e sis . Cambrid g e : Harvard Un ive rsit y Press, 1975.

. On Human Natu r e. Cambri dg e : Harvard Univ e rsity Press, 1978. —Wi lso n, . J aTmh ees MQ.o rOaln SCehnasrea.c teA r .m Weraisch a inn gP t oonl i: t iAcaE lI SPcrie esns c, e 1R9e9v1 i.e w , vol. . The Moral Sense. New York: Free Press, 1993. ITT, March, 1993 . _. The Fam ily -V alues Debate . Commenta r y , vol. 95, 1993. _. On Abort ion . Commenta r y , vol. 97, 1994. . Abort ion Facts and Feelin g s II-An Exchang e. Fir s t Thin g s , vol. 43, 1994 . Wi lso n, Francis G. The Case for Conservati sm . Seatt le: Univ e rsit y of Washin g t on Press, 1951. . A Theory of Conservati sm . Americ a n Poli tica l Sci en ce Revie w , vol. 35, Februa ry, 1941. Wolfe , A. B. Conservati sm , Radic a lism , and the Sci en ti fic Meth o d. New York: Macm illa n and Co., 1923. Wr igh t, Benja min F . ed. The Federalis t P ape r s. Cambri dg e , Mass.: The Bellmap Press, 1969.

찾아보 71

-l 곡물조례 (Corn Law) 40 골드슈미 트 (Maure Goldschm idt ) 286 구트만 (Gu ttm ann) 54 그노시 스 (Gnos tici sm) 211, 214 L 나의 자세 (I'll T ake My Sta nd ) 171 남부 농본주의 (South e rn Ag rarianism ) 151 남부의 농본주의 자들 (South e rn agr arian s) 123 낭만주의 (Romanti cis m ) 37 네 오 보수주의 (Neo-Conservatis m ) 301 노이 만 (Franz Neumann) 77 니 버 (Rein ho ld Nie b uhr) 272 E: 데 이 비 슨 (Donald Davi ds on) 164 디 스렐리 (Disra eli) 17 뚜아르 (Rapi n de Thoire s) 78

2 라스웰 (Harold Lasswell) 24 랜 드 (Ay n Rand) 66 랜 섬 (Joh n Crowe Ransom) 170 러 셀 커 크 (Russell Amos Kirk) 184 레 비 스트로스 (Oaude Levi- S tr au ss) 313 로렌츠 (KonradLorenz) 315 루이스 (GordonLew i s) 264, 310 리 머 (Riem er) 128 리 빙 스턴 (Joh n Livings to n ) 271 리 프만 (Walte r Lippm ann) 25, 138 립 세 트 (Seym o ur Ma rtin Lipse t) 18 □ 마르크스 (K.M arx) 37 마이 어 (Frank Meye r) 49, 65 만하임 (Mannheim ) 20, 38 매 니 온 (Clarence M 血i on) 367 매 클로스키 (Herbert McCloskey) 24 매 클리 랜드 (Davi d C . McClelland) 368 메 스트르 (Jose ph d e Ma istre) 36, 66 메 테 르니 히 (Mette rnich ) 41

멜빌 (Hennan Melvi lle) 54 명예혁명 41 모라 (Maurras) 39 모어 (Paul Elmer More) 57 몰나 (Thomas Molnar) 15 몰리 (Joh n Morley) 107 몽테 스키 외 (Charles Monte s qu ieu ) 74 밀스(C. W right M 비 s) 273 l::l 바레 스 (Barres) 39, 50 반개혁주의 16 반동주의 (Reacti on ) 16 배 빗 (Irving Babbit t) 57 버 드 (Ha rry F. By rd) 333 버 토프 (Rowland Berth o ff) 254 베 렐슨 (Berelson) 284 베 버 (Max Weber) 82 베 이 (Christian Bay) 282 벤 슨 (Ezra Ta ft Benson) 365 벨 (Da niel Bell) 351 보날드 (Loui s de Bonald) 36 복고주의 적 보수주의 (Reacti on a ry

Conse rv atis m ) 36 볼링브로크 (Bo li ng broke) 78 브램손 (Leon Bramson) 310 브룩스 애덤스 (BrooksAdams) 57 비 레 크 (Pete r Vie r ecle) 19, 59 人 사비 니 (F.K . Sa vig ny) 37 선벨트 (Sunbel t) 336 수디 (South e y) 40 수알 (Irw in Suall) 351 슈펭글러 (OswaldSpe n gl e r) 45 스티 븐슨 (Adlai Ste v enson) 292 시 어 스 (Laurence Sears) 256, 275 신인본주의 (NewHu manism ) 57, 151 신지 역 주의 (New Reg ion a lism ) 167 。 아가 (Herbe rt A g ar) 169 아도르노 (T .W .Adomo) 26 아드리 (Robert Ardrey) 312 아몬드 (Gabri el Almond) 24

아우어 바흐 (Mort on Auerbach) 44, 47 애 덤 스 (Joh n Adams) 53, 62 어 빙 (Washi ngton Irvin g) 54 어 빙 크리 스톨 (Irvin g Kristo ! ) 303 에드먼드 버크 (EdmundBurke) 34, 81 연 방당 (Federali st P ar ty) 48 오설 리 번 (Noel O'Su lliva n) 45, 64 오웰 (Orwell) 45 오크쇼트 (Mich ael Oakeshott ) 26 와스프 (WASP: 백인 앵글로색슨 개신 교) 355, 372 우드로우 윌슨 (Woodrow Wi lson ) 122, 130 울프 (AB.W o lfe ) 28 워 런 (Penn Warren) 171 웨 스틴 (Alan F. Westin ) 351 웰치 (Robert W elch) 358 윌슨 (Franc i s G.W ilso n) 20 윌 터 (E.V. Wa lte r ) 271 율로 (Hein z Eulau) 265 이 스턴 (Max Easto n ) 66 잉 글리 시 (Raym o nd Eng lish ) 29, 302

x: 자유방임 주의 체 제 (Contr ol led lais s ez- faire S ys te m ) 147 자유주의 적 보수주의 자 (The conserva- live as libe ral) 137 자유주의적 보수주의자들 (Lib e ral-Conservativ e s) 46 정 예 주의 (Eli tism ) 36 정의의 인간(Right man) 161, 162 제임스 매디슨(J amesM adis on) 123 제임스 페트라스(J amesPe tras) 283 제 퍼 슨 (Thomas Jef fe rs on) 55 -K 채 프먼 (Ph ilip C.C h apm an) 241 챔 벌 린 (Joh n Chamberlai n) 51 구 카프카 (Franz Kafka) 45 칼라일 (Thomas Carlyl e) 36, 62 칼러 (Erich Kahler) 312

칼 베 커 (Carl Becker) 83 칼콘 (Carl Cone) 107 칼훈 (Joh n C.C alhoun) 54 켄달 (W illm oore Kendall) 263 코반(Alfred Cobban) 35, 107 콜러 릿지 (Samuel T.Coleri dg e ) 36 쿠 클럭스 클란 (KuKluxKlan) 338 클랙혼 (Karl Clag ho rn) 122 클린턴 로시 터 (Cli nton Rossite r) 16 E 타운센 드 (Naom i Townsend) 122 타이 거 (Lio n el Tig e r) 313 테 이 트 (Allen Tate ) 169 토크빌 (Alexi s d e To cqu evil le) 19, 182 고: 파시즘 17 파워 (J.O 'Conner Power) 122 페트렐라 (Pe tre lla) 44 포겔 린 (Eric V oege l in ) 214 , 277 포이 어 (Lew is Feuer) 257

폭스 (Rob in Fox) 313 피 터 비 레 크 (Pete r Vie re clke) 19, 59, 218 -lo 하아 에 크 (Haye k ) 65 하츠 (Lou is H a rtz) 48, 79 해 밀턴 (Alexander Ha milton ) 55 해 체 론 (Deconstru c tio n ) 65 허 버 그 (Wi ll Herberg) 269 헉슬리 (Huxley) 45 헌쇼 (F .J . C.Hearnshaw) 16 헌팅 턴 (Samuel Hunti ngton ) 15 헨리 애덤스 (He rny Adams) 57 혁 명 적 반동주의 (Revoluti on a ry reactio n ) 16 현 상유지 주의 (Sta nd pa t ti sm ) 16 호손 (Nath aniel Haw tho rne) 54 홀 (Chadw ick Hall) 291 후버 (Herbert Hoover) 173 흉 (Davi d H ume) 35

이봉희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미국 테네시대학교 정치학과 (Ph.D.) 공주교육대학교 교수 현재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혁신정치세력의 국제적 비교와 한국』(공저)과 다수의 논문 보수주의 대우학술총서 • 인문사회과학 89 1 판 1 쇄 찍음 1996 년 5 월 20 일 1 판 1 쇄 펴냄 1996 년 5 월 30 일 지은이 이봉희 펴낸이 才卜孟浩 펴낸곳 (주) 민음사 출판등록 1991 년 12 월 20 일 제 16 -4 90 호 135-120 서울시 강남구 신사동 506 대표전화 515-2 0 00, 팩시밀리 515-2007 값 15,000 원 © 이봉희 , 1996 정 치 사상 / KDC 340.2 Printed in Seoul, Korea ISBN 89-374 -35 93-3 94340 89-3 7 4 -30 0 0-2 (세트)

1 대우학술총서 안:, 1151 기니,

1 한국어의 계통 김방한 2 문학사회학 김현 3 商周史 윤내현 4 인간의 지능 황정규 5 中國古代文學史 김학주 6 日本의 萬葉集 김사엽 7 現代意味論 이익환 8 베트남史 유인선 9 印度哲學史 길희성 10 韓國의 風水思想 최창조 11 사회과학과 수학 이승훈 外 12 重商主義 김광수 13 方言學 이익섭 14 構造主義 소두영 15 외교제도사 김홍철 16 아동심리학 최경숙 17 언어심리학 조명한 18 法社會學 양건 19 海洋法 박준호 유병화 20 韓國의 庭園 정동오 21 현대도시론 강대기

43 시베리아 개발사 이철 44 스페인 문학사 김현창 45 영어사 김석산 46 어원론 김방한 47 조선의 서학사 강재언 48 한국음악학 이강숙 49 中國言語學 문선규 50 스포츠 심리학 류정무 이강헌 51 原始儒敎 김승혜 52 전쟁론 김홍철 53 삼국시대의 漢字音 유창균 54 베르그송의 철학 김형효 55 아날학파 김응종 56 자유주의의 원리와 역사 노명식 57 국민투표 구병삭 外 58 한국서지학 천혜봉 59 조선통신사 이원식 60 明末淸初思想 배영동

80 한국의 하천 안수한 81 의상 김두진 82 생물심리학 장현갑 83 경제윤리 이재율 84 아우구스티누스 이석우 85 고구려고고학 1 최무장 86 고구려고고학 Il 최무장 87 토지소유권 법사상 김상용 88 현상학 한전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