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서울대학교 사희대학 지리학과. 동 대학원졸업 미국 조지아 주립대학 대학원 수학 미국 루이지애나 주립대학 박사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건국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강사 역임 현재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조교수 저서 : The Hi st o ric al Geog ra p hy of Ric e Cultu re in the Americ a n South (서울대학교 미국학 연구소, 1991) 노L- 口간· 「 라틴 아메리카 원주민과 원주민 문화 , 그리고 그 문화유산 」 외 다수

라틴아메리카지리

문화와 역사 그리고 정치 시사를 중심으로-

라틴아메리카 지리

문화와 역사 그리고 정치 시사를 중심으로 이전 지음 민음사

책 머리에 라틴아메리카에 대한 한국 사회과학계의 관심은 1970 년대 후반 에 종속이론 dep endenc y t heor y의 도입과 더불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70 년대 후반에 한국의 사회과학이 우리 현실을 적 절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이 젊은 지식충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었다. 다시 말해 미국과 서구 중심의 사 회과학을 주축으로 시작된 한국 사회과학이 당시의 우리 현실을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드러내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발도상국 특히 라틴아메리카의 정치적 구조나 경제적 종속을 소개하는 번역서들이 당시의 젊은 지식충에게 매우 자극적인 매 력을 주게 되었는데, 결과적으로 한국의 사회과학계에 소개된 라 틴아메리카에 대한 연구는 주로 경제 종속 • 군부쿠데타 • 권위주 의 • 매판자본 • 부정부패 • 외채 문제 등의 주제를 다루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우리나러에 소개된 라틴아메리카에 관련된 연구들은 다소 편향된 경향을 갖게 되었는데, 이를 세 가지 측면에서 지적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의 학계에서는 라틴아메리카의 문화 적 • 역사적 배경에 대한 이해 없이 단지 라틴아메리카의 정치체 제나 경제활동에 관한 지식만으로 라틴아메리카를 이해하려는 경 향이 있었다는 지적을 할 수 있다. l97 0t;:!대 후반 이후에 출판된 라틴아메리카에 관련된 다수의 번역서들이 거의 예외 없이 라틴

아메리카의 정치경제에 관련된 주제들만을 다루고 있디는· 사실이 이러한 지적을 뒷받침하고 있다. 둘째, 라틴아메리키에 관한 연구 둘은 주로 구미의 선진국 학자들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우 리는 이를 소개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그러다 보니 국내에서 오늘날의 라틴아메리카 경험과 현실을 미세한 부분까지 관심을 갖고 구체적 • 경험적 자료를 수집 또는 정리하는 학자들을 찾아 보기가 극히 힘들다. 셋째, 우리의 학계에 소개된 라틴아메리키에 관한 연구들이 선진국 학자들의 일반적 사회과학 이론에 치중하 여 있기 때문에 라틴아메리카가 많은 이질적인 국가 또는 지역으 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학계에 소개된 기존의 연구들은 라틴아메리카 사회의 동질성을 과대평가하는 경향, 죽 라틴아메리카 사회에 대하여 너무나 성급하게 일반화하는 경향이 있다. 세계의 각 지역에 관한 연구는 지리학의 전통적이고 궁극적인 연구 주제였으며, 오늘날과 같은 국제화의 시대에 한국의 지리학 자들에게도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되어야 할 것으로 믿는다. 세계 지리를 연구하는 목적은 세계 여러 지역의 다양한 삶을 이 해하는 데 있는 것인데, 이러한 주장은 서양서를 연구하는 목적 이 서양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있다는 주장과 유사한 것이다. 그 러므로 당연한 말이지만, 라틴아메리카 지리의 연구 목적은 라틴 아메리카의 다양한 인간생활을 지역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흔히 한국의 지리학계에서 지리학을 國學이라고 규정하거 나 지리학의 교육 목표를 국토 공간에 대한 이해라고 규정하는 데, 이러한 규정의 배경에는 지리학이 곧바로 한국만을 연구하는 학문이러는 전제가 깔려 있는 듯하다. 그리고 세계 지리를 국토 공간에 대한 이해의 방편으로 연구해야 한다는 주장도 세계 지리 의 연구 의의를 인정하지 않겠다는 말을 완곡히 표현한 것에 불 과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서양사를 한국사의 이해에 대한 방편으

로 연구해야 한다는 주장은 서양사 연구의 중요성을 인정하지 않 는 국수적 국사학자의 주장인 것처럼 국수적 국토 지리학자가 세 계 지리의 연구 의의를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라틴아메리카 경관의 구석구석에서 원주민 문화의 유 산을 찾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의 라틴아메리카가 다양 한 문화지역으로 구분될 수 있기 때문에 라틴아메리카의 문화를· 총체적으로 이해하지 않고는 오늘날의 라틴아메리카 지리를 올바 르게 이해하기 어렵다. 또한 유럽인들이 라틴아메리카를· 정복하여 수백 년간 식민지화한 역사적 과정도 오늘날의 라틴아메리카에 지울 수 없는 지리적 흔적을 남기고 있기 때문에 라틴아메리카 지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라틴아메리카의 역사적 배경에 관한 지 식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라틴 아메리카 지리를 이해하는 데 라틴아메리카의 문화와 역사를 이 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라틴아메리카 지 리를 문화와 역사에 관련된 주재들을 중십으로 다루었다. 그리고 라틴아메리카에 관련된 최근의 정치 시사적 내용을- 수집 • 정리하 여 기술함으로써 동태적이고 현실감 있는 지역 연구가 되도록 노 력하였다. 정치 시사적 내용에 대해서는 사회과학 이론의 틀로써 무리하게 얽어매려고 시도하지 않고, 주로 개별 국가별로 그리고 지역별로 기술하였다. 제 2 장부터 제 6 장까지는 라틴아메리카 지리롤 총괄적으로 이해 하기 위해서 몇 가지 주제들을 설정하여 고찰하였다. 제 2 장에서 는 유럽인들이 전출하기 이전의 원주민 토착문화를 다루었고, 제 3 장에서는 유럽인들의 전출 과정을 중심으로 라틴아메리카의 역 사적 배경을 다루었다. 제 4 장에서는 라틴아메리카의 토지제도를 디루었고, 제 5 장에서는 인구 • 인종 • 언어 • 종교 등의 라틴아메리 카 문화를 다루었으며, 제 6 장에서는 라틴아메리카의 도시와 농촌 경관에 관해서 언급하였다. 이러한 주제 연구에 바탕을두고 제 7 장

부터 제 10 장에서는 라틴아메리카를 네 개의 일차적 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지역의 특성울 기술하였다. 각 장에서는 일차적 지 역을 몇 개의 하부지역 subre gi on 으로 구분하여 지역성을 파악 하고자 시도하였고, 하부지역을 구성하는 각국의 특성도 기술하 였다.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의 출처는 라틴아메리카에 관련된 문헌, 저자 자신이 라틴아메리카 답사에서 얻은 지식과 라틴아메리카 전문가들의 강의를 통해 얻은 지식, 시사지의 라틴아메리카에 관 련된 기사 등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폴 잉글리시 Paul Eng - lish , 제 임스 피셔 Ja mes Fis h er, 제시 윌러 Je sse H. Wheeler, Jr. , 드볼리예 H. J. DeBlij, 찰스 스탠즈필드 Charles A. St a ns- fiel d Jr. 등의 지리학자들이 각각 저술한 『세계지리 World Re- gion a/ , Geo g rap hy 』 교재들은 매우 유용하였으며 , 토마스 스키드 모어 Thomas E. Sk idm ore, 브라이언 블루에트 Br i an W. Blo-uet, 로즈마리 브롬리 Rosemary D. F. Bromley 동의 라틴아메 리카 전문가들이 각각 저술 또는 편집한 저서들도 매우 중요한 참고문헌이 되었다. 정치 시사적인 내용은 다양한 참고문헌과 시 사 저널을 인용하였지만, 특히 최근의 상황에 대한 내용은 주간 지 《 뉴스위크 Newsweek 》 에 많이 의존하였다. 이 책에는 여러 참고문헌이나 시사지에서 일부 문장이나 내용을- 의역하여 인용한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이 책이 라틴아메리카 전역을 다루고 있고 또한 다루는 주제도 매우 포괄적이기 때문에 많은 문헌을 참고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 책의 전체적인 조직이나 내용 구성의 전개는 저자의 독창적인 것이며, 따라서 이 책의 체계와 전체적 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매우 유사한 체계를 갖는 참고문헌은 있을 수 없음을 명백히 밝혀 둔다. 끝으로 이 연구가 완성될 수 있도록 주위에서 격려해 주시고 도외주신 여러분들에게 충심으로 감시를 드린다. 특히 어려울 때

대화에 항상 임해 주고 조언을 아끼지 않았던 한국지리연구회 회 원 여러분께 더할 수 없는 고마움을 느낀다. 졸저가 출판되어 라 틴아메리카에 관심을 갖는 지리학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 나아가 사회과학의 제분야에서도 쓸모가 있는 참고서가 되기를 빌어 마지않는다. 선배와 동료교수들, 그리고 많은 후학들의 따뜻 한 비판과 격려가 있기를 기대한다. 1994년 2 월 이전

차례

책 머리에 3

제 1 장 라틴아메리카 지리의 서설 13

1 주의할 용어들 14

2 라틴아메리카 지리의 핵심적 연구 주제 15

3 라틴아메리카의 지역 구분과 각 지역의 정치단위체 18

제 2 장 유럽인들이 진출하기 이전의 원주민 토착 문화 25

1 개관 25

2 비농업경제 26

3 농업경제 28

4 메조아메리카 문명과 잉카 문명 31

제 3 장 아메리카의 발견 • 정복 • 식민지화 그리고 독립과 발전 41

1 지리적 지식의 확대와 아메리카의 발견 41

2 스페인 세력의 아메리카 정복 46

3 스페인령 아메리카의 식민지화 49

4 식민지의 경제 55

5 포르투갈령 브라질 57

6 북부유럽인의 진출과 정착 58

7 라틴아메리카의 독립 과정과 독립 직후의 정치체계 60

8 현대 라틴아메리카의 변화 단계 64

제 4 장 라틴아메리카의 토지제도 75

1 개관 76

2 플랜테이션과 하시엔다의 공통적인 특성 78

3 플랜테이션과 하시엔다의 상이한 특성 79

4 라틴아메리카의 노동력 동원제도 81

5 라틴아메리카 플랜테이션의 근원과 발달 86

6 농기업 agribusiness의 성장 90

7 라틴아메리카의 토지개혁 92

제 5 장 인구와 인종 구성 그리고 언어와 종교 99

1 식민지시대의 인구와 인종 구성 99

2 라틴아메리카 각국의 인종 구성 103

3 라틴아메리카의 언어 생활 113

4 종교 118

제 6 장 도시와 농촌 경관 121

1 라틴아메리카의 도시화 121

2 각국의 주요도시와 도시 인구 124

3 고도에 따른 경관 변화 135

4 삼림의 제거 137

제 7 장 중앙아메리카 141

1 메인랜드와 림랜드 142

2 멕시코 145

3 센트럴아메리카 154

4 서인도 제도 171

제 8 장 안데스 산지 185

1 베네수엘라 185

2 콜롬비아 189

3 에콰도르 193

4 페루 195

5 볼리비아 201

제 9 장 브라질과 기아나 지역 205

1 브라질의 개관 205

2 브라질의 여러 지역 213

3 기아나 지역 224

제 10 장 남아메리카의 남부 중위도 지역 227

1 아르헨티나 228

2 칠레 234

3 우루과이 237

4 파라과이 238

참고문헌 241

부록 247

연습 249

라틴아메리카의 발전론과 변혁 이론 그리고 한국 사회 254

찾아보기 267

인명 · 사항 267

지명 271

제 l 장 라틴아메리카 지리의 서설 라틴아메리카 La ti n Amer i ca 는 북아메리카 Nor t h Americ a (미국 • 캐나다 • 그린랜드)를 제의한 아메리카의 전역으로서 북쪽으으 로는 멕시코_미국의 국경선으로부터 남쪽으로는 티에라 델 푸에 고 T i erra del Fueg o 섬까지 걸쳐져 있다. 라틴아메리카의 〈라 틴冷는 이베리아(스페인과 포르투갈) 전통과 카톨릭 종교의 영향을 다분히 받았디는 의미이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는 라틴아메리카 의 전지역이 이베리아 전통과 카톨릭 종교의 영향을 지배적으로 받았다고 볼 수는 없다. 특히 서인도 제도와 카리브 해 연안은 아프리카인과 북부유럽인의 영향을 주목할 만하게 받았고 아시아 인의 영향도 부분적으로 받았다는 점에서 문화적으로 매우 복잡 하다 .I) 라틴아메리카에는 브라질 • 아르헨티나 등과 같이 자원이 매우 I )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1991, Geog ra p h y : Reg ion s and Concept s, New York : Jo hn Wi le y & Sons, p. 247 : St an sfi el d, Jr. , Charles A. and Cheste r E. Zim olzak, 1990, Global Perspe cti ve s : A World Reg ion al Geog ra p h y, Columbus : Merill Publi sh in g Com- pa ny , p. 560 : Wheeler, Jes se H. and J. Trento n Kostb ade, 1990, World Reg ion al Geog ra p h y, Chic a go : Saunders College Publi sh ing, p. 550.

풍부하고 영토가 매우 광대한 국가들도 있고, 그레나다 Grenada • 아이티 Hait i 등과 같이 자원이 빈약하고 영토가 매우 작은 국가 들도 있다. 라틴아메리카의 자연 환경도 매우 복집하다. 아타카마 At a cama 사막과 같이 극심한 건조지역이 있는가 하면 아마존 열대우림 지대와 같이 연강수량이 2 천 ' 밀리미터 이상이 되는 다 우지역도 있다. 그리고 해안의 저지대와 더불어 안데스 고지와 같이 고원과 화산지형도 있다. 라틴아메리카에 대한 연구는 우선 적으로 라틴아메리카가 결코 하나의 동질지역이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고 출발해야 한다. 1 주의할 용어들 아메리카는 지형적으로 북아메리카 대륙과 남아메리카 대륙으 로 구성되고, 그 양대륙의 경계는 파나마 지협 th e Isth mus of Panama 이다. 그러나 문화적 의미의 북아메리카는 미국 • 캐나 다 • 그린랜드를 일컫는 용어로서 멕시코나 센트럴아메리카롤 포 함하지 않는다. 즉 멕시코나 센트럴아메리카는 지형적으로 볼 때 북아메리카 대륙에 속하지만 문화적으로- 볼 때 북아메리키에 포 함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문화적 의미의 북아메리카와 지형적 의미의 북아메리카 대륙은 구별되어야 한다. 아메리카는 종종 좁은 의미로 쓰여 미국 USA 울 뜻한다. 영어 로 미국인을

로 번역하여 모두 〈 중앙의 아메리카〉라는 뜻을 - 갖고 있지만 서 로 구별해야 할 용어이다(그림 I -I ). 이 책에서는 Mi dd le Amer i ca 만을 중앙아메리카라고 칭하고, Centr a l Amer i ca 는 센 트럴아메리카, 그리고 Mesoamer i ca 는 메조아메리카라고 칭함으 로써 혼동을 피하도록 하겠다. 일반적으로 센트럴아메리카는 과테 말라·온두라스·엘살바도르·니카라과·코스타리카•파나마·벨 리즈 등의 7 개국만을 포함히는 지역을 칭하며, 중잉아메리카는 센트럴아메리카 • 멕시코 • 서인도 제도를 전부 포함하는 개념이 다. 메조아메리키는 마야 문명과 아즈텍 문명 등을 비롯한 인디 언 문명이 꽃 피었던 중앙아메리카의 지역을 말한다(제 2 장 참 조 ).2) 그런데 마야 문명과 아즈텍 문명 등의 인디언 문명은 주로 멕시코의 중부와 남부, 멕시코의 유카탄 Yuca t an 반도, 과테말라 의 전지역, 그리고 온두라스 북서부의 일부에서 번창하였으므로 메조아메리카가 구체적으로 가리키는 지역은 바로 이 지역이다 (그림 I- I). 서 인도 제도t he West Ind i es 는 앤틸리즈 제도t he Anti lles 또는 카리브 해 제도t he Carib b ean Islands 와 동일한 지역을 말한다. 그러나 카리브 해 지역은 서인도 제도 뿐만 아니라 멕시 코의 카리브 해 연안지역, 센트럴아메리카의 카리브 해 연안지역, 그리고 남아메리카의 카리브 해 연안지역을 전부 포함하는 개념 01 다. 2 라틴아메리카 지리의 핵심적 연구 주제 라틴아메리카 지리의 핵심적 연구 주제가 무엇인가는 학지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이 책에서 2) DeBli j, H. J. and Pete r 0. Muller, 위의 책, p. 249.

그림 1 -1 중앙아메리카의 영역

설정한 핵심적 연구 주제와 그것의 연구 의의롤 간단히 언급하면 다음과같다. 첫째, 원주민의 토착 문화를 라틴아메리카 지리의 핵심적 연구 주제로 들 수 있다. 유럽인이 진출하기 이전의 원주민의 문화 중 에서 두드러진 특성을 다루고, 그것을 라틴아메리카 이해의 출발 점으로 삼는 것이 좋다. 오늘날의 라틴아메리카 경관의 구석구석 에 원주민 문화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기 때문에 , 유럽 인들이 라 틴아메리카에 전출하기 이전의 원주민 문화를 이해하는 것은 오

늘날의 라틴아메리카롤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것이다. 유럽인 둘이 전출하기 직전에 아메리카에는 문화가 매우 상이한 원주민 둘이 살고 있었는데, 특히 중앙아메리카의 마야 • 아즈텍 문명과 안데스 산지의 잉카 문명은 고도로 발달한 문명으로서 오늘날의 중앙아메리카와 안데스 산지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기본지식이 되어야한다고 믿는다. 둘째,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아메리카로 진출하게 된 배경과 과 정, 라틴아메리카의 식민지화와 독립 과정, 현대 라틴아메리카의 변화 과정 등 라틴아메리카의 역사적 전개 과정은 라틴아메리카 지리의 핵심적 연구 주제에 속한다• 유럽인들이 라틴아메리카를 정복하여 수백 년간 식민지화한 역사적 과정과 독립 이후에 라틴 아메리카 각국이 발전해 온 역사적 과정은 라틴아메리카를 이해 하는데 매우 중요한 것임은 두말 할 나위가 없는 것이다. 셋째, 라틴아메리카의 토지제도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라틴아 메리카의 토지제도는 라틴아메리카의 독특한 역사에 따라서 장기 간에 걸쳐 변천되어 온 것으로서 라틴아메리카의 정치적 • 경제적 사회 구조와 밀접하게 결부되어 있다. 따라서 라틴아메리카에서 토지를 어떻게 소유하고 관할하며, 또는 상속하느냐의 문제는 라 틴아메리카롤 이해하는 핵심적인 주제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라틴아메리카 지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라틴아메리카의 안구 • 인종 • 언어 • 종교 등 문화적 요소를 반드시 고찰하여야 할 것이다. 식민지시대의 라틴아메리카는 철저하게 계층화된 신분사 회였고, 그 계층은 주로 인종에 근거하였다. 오늘날의 라틴아메리 카에서는 백인·흑인·인디언·아시아인뿐만 아니라 메스티조 mesti zo s • 물라토 mula tt os • 잠보 zambos 라고 불리는 혼혈인이 존재하는데, 인종의 분포는 라틴아메리카 내부의 문화적 상이성과 밀접한 상관성을 갖는다. 라틴아메리카는 인종이 복잡할 뿐 아니 라 사용되는 언어도 다양하다. 라틴아메리카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 그리고 영어 • 불어 • 네덜란드어 • 원주민 어 동인데, 이러한 다양한 언어의 지역적 분포도 고찰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라틴아메리카의 종교 생활의 현황과 변화 과정도 중요한 문화적 요소에 포함될 수 있다. 다섯째, 라틴아메리카의 주요 도시의 특성과 도시화, 그리고 촌 락 경관도 라틴아메리카 지리의 핵심적 연구 주제에 속한다. 다 른 개발도상국들과 마찬가지로 라틴아메리카 각국에서도 농촌 인 구가 도시로 집중하여 도시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라틴아 메리카의 도시화율은 매우 높아서 19901d 현재 71% 인데, 이러한 도시화율은 개발도성국의 도시화율보다는 선전국의 도시화율과 유사한 것이다. 라틴아메리카의 도시는 급증하는 인구를 수용할 만한 일거리나 주택 동의 도시 시설을 공급하지 못함으로써 각종 도시 문제가 발생하였다. 라틴아메리카 산지에서는 해발고도 자체 가 기후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해발고도에 따라서 자연 경 관 및 인문 경관이 달라진다. 여섯째, 라틴아메리카롤 몇 개의 일차적 지역으로 구분하고 각 지역의 지역성을 구명하는 것은 라틴아메리카 지리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작업에 속한다. 개별 지역은 다시 몇 개의 하부 지역 subre gi ons 으로 구분할 수 있고, 하부지역의 특성을 고찰하 는작업 또한중요하다. 3 라틴아메리카의 지역 구분과 각 지역의 정치단위체 우리나라에서 라틴아메리카를 중남미라고 흔히 부르는데, 중남 미는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롤 합쳐서 부르는 말이다. 라틴아 메리카를 일차적으로 몇 개의 지역으로 구분하느냐는 학자에 따 라 다를 수 있고 연구 목적에 따라 다룰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지역 구분도 다소 자의적이고 편의적인 지역 구분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혹지는 라틴아메리카를 ® 중앙아메리카 M i ddle Ameri- ca 와 @ 남아메리카 Sou t h Amer i ca 의 두 개 지역으로 구분하고, 혹자는 ® 카리브 해 - 브라질 영역 Car i bbean-Braz il World 과 ® 스페인 영향권 Ma i nland Sp a nis h Amer i ca 의 두 개 지역으로 구분한다• 이 책에서는 라틴아메리카를 일차적으로 ®중앙아메리 카, ® 안데스 산지, ®브라질과 기아나 지역, ®남아메리카의 남 부 중위도지역 등 네 개의 지역으로 구분하였다(그림 1-2, 그림 I -3 ) .•\)

3) 이와 같이 라틴아메리카를 네 개의 일차적 지역으로 구분하는 지리학자 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Wheeler, Jes se H. and J. 'I'ren to n Kostb a de, 앞의 책, pp. 574 -61 8.

중앙아메리카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멕시코, 센트럴아메리 카, 서인도 제도로 구성되어 있다. 센트럴아메리카는 7 개국으로 되어 있고, 서인도 제도는 13 개의 독립 국가와 다수의 보호령으 로 구성된다. 안데스 산지는 콜롬비아 Colomb i a, 베네수엘라 Venezuela, 에콰도르 Ecuador, 페루 Peru, 그리고 볼리비아 Boliv i a 등 5 개의 독립국으로 구성된다. 안데스 산지는 유럽인들 이 아메리카에 진출하기 이전에 잉카 문명을 비롯한 원주민 문명 이 발달하였던 지역으로서 오늘날 남아메리카에서 원주민 문화가 가장 많이 남아 있는 지역이다. 칠레는 지형적으로 볼 때 안데스 산지에 포함될 수도 있은나 이 책에서는 남아메리카의 남부 중위 도지역에서 다루었다. 브라질과 기아나 지역은 공히 스페인 영향 울 별로 받지 않은 지역이다. 브라질은 150 01-i評-터 182 0¼빈대까지 포르투갈의 식민지로서 포르투갈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기아나 지역은 네덜란드인 • 영국인 • 프랑스인 등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기아나 지역은 기아나 Gu y ana, 수리남 Sur i nam, 프랑스령 기아나 French Gu i ana 의 세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네덜란드인 •

대서양

o· 적도 앞

태평양 그림 1 - 2 라틴아메리카의 지역 구분

영국인 • 프랑스인 등의 영향을 다분히 받았다는 점과 사탕수수 플랜테이션이 발달하였다는 점에서 볼 때 서인도 제도와 문화적 으로 유사한 점이 많다. 그래서 일부 지리학자들은 기아나 지역

바하마 대서양

j-o l 티 니카공화국 복회귀선, 23.5 °N 에르토리코 베이도즈 l 나드 나 납 o· 적도 브라질 태평양 0(? 포클랜드 그림 1 -3 라틴아메리카의 여러 국가

울 서인도 제도에 포함시키기도 하지만, 이 책에서는 기아나 지 역을 남아메리카에 속하는 지역으로서 다루었다. 남아메리카의 남 부에는 아르헨티나 Ar g en ti na, 칠레 Chil e, 우루과이 Urug u ay , 그 리고 파라과이 Para g ua y 등 如芹국이 위치하는데, 이들 국가는 중 위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라틴아메리카 국가들과 다른

지역적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 중앙아메리카, 안데스 산지, 브라질과 기아나 지역, 남아메리카 의 남부 등은 각각 다시 몇 개의 하부지역으로 세분될 수 있다. 개별 일차적 지역을 몇 개의 하부지역으로 구분하느냐 하는 문제 도 학자나 연구 목적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를 수 있다. 이 책에서 는 ®중앙아메리카, ®안데스 산지, ®브라질과 기아나 지역, ®남아메리카남부 등의일차적 지역을 각각 제 7 장, 제 8 장, 제 9 장, 제 IW 에서 다루었고, 각 장에서는 일차적 지역을 몇 개의 하부 지역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라틴아메리카의 면적, 인구 및 일인 당 국민소득을 각 지역별로 그리고 각 지역 내부의 국가별로 정 리하여 제시하면 표 1 -I 과 같다.

표 I-I 라틴아메리카여러국가(또는 보호령)의 면적,인구 및 일인당국민 소득 면적 (km') 인구(백만명) 일인당국민소득 지역 및 국가(또는 보호령 ) (1, 00 0) (1988 ',1 I99I 년) (1986년 : $U S) 중앙0 }메 리카 2730.1 143.7 154.2 1724 멕시코 197 2.5 83. 5 91. 0 1850 〈센트럴아메리카〉 523.0 27.8 29.8 1030 -과- 테---말--라- -- ------뻬 · --- - - - - - ----1 -0-8-.9- - -- --- -8 -. 7- - - -- - - -9-. 5- --- -- 9- 3- 0- - - - - --- - - 벨리 즈 23. 0 0.2 0.2 1170 엘살바도르 21. 2 5.4 5.4 820 온두라스 112.1 4.8 5.3 740 니카라과 130.1 3.6 3.8 790 코스타리카 50.7 2.9 3.1 1420 파나 0} 77.1 2.3 2.5 2330 -〈-서 - -인- -도- -제- -도- -의-- -독-립--국--가-〉-- -----2-2-0 -.6 - - -- ---2-8- .1 - ------ - - --- - --1-5 0 -0- --------- 쿠 U} 110.8 10.3 10.7 2690 (1 98 편) 도미니카공화국 48.7 6.8 7.4 710 아이티 27.7 6.3 6.7 330 자메이카 11. 0 2.5 2.6 880 트리니다드토베이고 5.1 1.2 1.3 5120 바하마 13.9 0.2 0.3 7190 바베이도즈 0.4 0.3 0.3 5140 앤티과바부다 0.4 0.1 2380 도미니카 0.8 0.1 1210 그레나다 0.3 0.1 1240 세인트크리스토퍼 네비스 0.4 0.04 1700 세인트루시아 0.6 0.1 0.2 1320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즈 0.4 0.1 960 -〈푸-에서-- 르인- -토도-리 - 제-코 -도-(-의미-- )-보 - -호- 령--〉 - - ------ -1 -94-..21- - ------34-..-33 - ------3-.4-- -- -55-12- 92-00- --- -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0.3 5 0.1 9300(1 9 851 ;:i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0.1 5 0.0l 7130 (1 98 천)

지역 및 국가(또는 보호령 ) 면(적1, 0(k0m0')) (19인8구81 (;:!백 만I9명9)1 년 ) 일(1인98당6년 국 민: $소U득S) 케이만 제도(영) 0.3 0.02 12,100 (1 985 년) 몬트세라트(영) 0.1 0.0 1 2530(198 潟) 안귈라(영) 0.1 0.0 1 카이코스 제도(영) 0.5 0.01 3510 (1 983 년) 과텔루프(프) 1.8 0.3 3640(1984 년) 마르티니크(프) I.I 0.3 4260( 1983 년) 네덜란드령 앤틸리즈 0.8 0.2 6110( 1985 년) 안데스산지 4718.4 87.8 93. 5 1510 콜롬비아 1138.9 30.6 32.5 1230 베네수엘라 912.1 18.8 20.1 2930 에콰도르 283 .6 10.2 11. 0 1160 페루 1285.2 21. 3 22.4 1130 볼리비아 1098.6 6.9 7.5 540 브라질과기아나지역 8980.1 145.7 154.8 1805 브라질 8512.0 144.4 153 .5 1810 기아나 215.0 0.8 0.8 500 수리남 163. 2 0.4 0.4 2510 프랑스령 기아나 89.9 0.1 2340 (1 98 처) 누아메리카남부(중위도지역) 4106.8 52.0 53. 6 1950 아르헨티나 2766.9 32.0 32.8 2350 칠레 757.0 12.6 13.4 1320 우루과이 176.2 3.0 3.0 1860 파라과이 406.7 4.4 4.4 880 라던아메리카 20,535.3 429.2 456.0 1720 자료 : Wheeler, Je sse H. and J. Trento n Kostb a de, 1990, World Re- gion al Geog ra p h y, Chic a go : Saunders College Publi sh in g , pp. 554- 555 ;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1991, Geog r ap h y : Reg ion s 야 d Concep ts, New York : Jo hn Wi ley & Sons, pp. 590-591 .

제 2 장 유럽인들이 진출하기 이전의 원주민 토착 문화 1 개관 유럽인들이 전출하기 직전에 아메리카에는 문화가 매우 상이한 원주민들이 살고 있었다. 채집 • 수렵 • 어로 등에 의존하는 극히 미개한 인디언 집단들이 있었는가 하면, 제국을 형성하여 고도로 발달한 문명 생활을 영위하는 인디언들도 있었다. 원주민 경제를 크게 농업경제와 비농업경제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 데, 농업경제의 인디언 인구밀도가 비농업경제의 인구밀도보다 훨 씬 높았다. 아메리카 열대지방에 살고 있던 원주민들은 주로 농 업경제 활동을 영위하고 있었고, 열대지방에 속하지 않는 지역의 원주민들은 비농업경제 인구에 속하였는데, 중앙아메리카의 마야 • 아즈텍 문명과 안데스 산지의 잉카 문명은 물론 농업경제에 속하 였다. 스페인인둘이 식민지화 과정에서 중시하였던 지역은 당연히 농업경제의 지역이었다 .I) · 1) West, Robert C., 1982, Aborig ina l Colon ial Geog ra ph y , in Lati n Americ a : An Intr od ucto r y Suruey ( ed ited by Blouet, Bria n W. and Olw yn M. Blouet) , New York : Jo hn Wi ley & Sons, pp. 34-44.

유럽인들이 전출하기 칙전에 아메리카 원주민의 총인구는 약 7,500 만 정도였다고 추정된다 .2) 그 중에서 메조아메리카 문명권에 약 3 천만 명, 잉카문명권에 약 2 천만 명,J) 양문명권의 주변부에 1,500 만 명 이상, 서인도 제도 영역에 약 300 만 명 ,4) 브라질 영역 에 약 100 만 명,” 미국과 캐나다 영역에 약 100 만 명이 분포하고 있었다고 추정된다. 이러한 추정치는 상당한 오차를 갖고 있으나, 대략적이나마 원주민 분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2) Fis h er, Jam es S., 1989, Geog ra p h y and Deuelop m ent : A World Re- gion al Ap pro ach(3 r d ed.), London : Meril l Publi sh in g Comp a ny , pp. 390 : Eng lish , Paul Ward, 1989, World Reg ion al Geog rap h y : A Qu esti on of Place(3 r d ed.) , New York : Jo hn Wi ley & Sons, p. 277, 279 ; Ja mes, Presto n E. and C. W. M ink el, 1986, Lati n Ameri ca , 5th ed., N ew York : Jo hn Wi ley and Sons, p. 336. 3)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1991, Geog ra p h y : Reg ion s and Concept s, New York : Jo hn Wi ley & Sons, p. 290. 4) 위의 책, p. 259. 5) 위의 책, p. 293.

유럽인이 아메리카에 전출하고 10~ 년이 지난 뒤에, 죽 160~ 킨 경에 아메리카 원주민의 총인구는 1/IO 로 줄어들었다. 그와 같 이 원주민의 인구가 급속히 감소하게 된 이유는 ®구대륙 질병 (천연두, 흥역, 발진티푸스, 말라리아 등)의 도입과 원주민들의 면역 성 결여, ®기아, ®원주민 노동력의 혹독한 착취, ®전사, ®사 회조직의 파괴와 집단자살 등에 있었다. 2 비농업경제 채집 • 수렵 • 어로 등의 바농업 활동에 의존하여 생활하는 인디 언들은 대체로 영구적인 정착지에서 생활하지 않고 이동 생활을 하였으며, 그들의 기술 수준은 매우 조잡한 수준에 머물러 있었

다. 이러한 비농업경제의 인디언들은 인간이 살기에 적합하지 못 한 지역으로 종종 쫓 겨가서 고립된 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남아메리카 남단의 티에라 델 푸에고 T i erra del Fueg o 섬에 살 던 야간족t he Yah g an 과 서인도 제도에 살던 시보니족t he Ci - honey 등을 그 사례로 들어보자. 티에라 델 푸에고에 살던 야간족은 옷을 입지 않고 벌거숭이로 생활하였고, 같은 무리를 이루고 있는 근친끼리 성생활을 하였으 며, 원시공동사회에 가까운 사회 조직을 구성하고 있었다. 야간족 은 아마도 2 만 년 전쯤에 구대륙으로부터 신대륙으로 건너온 인디 언의 후예로 여겨지는데, 이들은 나중에 신대륙으로 진출한 인디 언들에 의하여 점점 남쪽으로 밀려나서 기원전 6000- 5 00 01;1경에 한랭하고 습윤하여 인간이 살기에는 매우 거친 환경을 이루고 있 는 티에라 델 푸에고 섬까지 오지 않았나 추정된다. 야간족은 농 업활동을 전혀 하지 않고 전적으로 수렵과 채집 활동에만 식량을 의존하고 있었다. 총인구가 대략 3 천 여 명 되던 야간족은 19 세 기 이후부터 유럽인들과 자주 접촉하면서 질병에 감염되어 인구 가 줄어들었고, 현재는 멸종하여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유럽인들이 서인도 제도에 전출할 무렵에 서인도 제도에는 시 보니족, 아라왁족t he Arawak, 카립족t he Carib s 등이 살고 있 었는데,° 이 중에서 시보니족만이 농경 활동을 모르고 있었다. 수 렵과 채집 활동에만 전적으로 의존하던 시보니족은 서인도 제도 의 세 부족 중에서 가장 미개한 인디언들이었다. 원래 시보니족 은 서인도 제도의 대앤틸리즈t he Greate r Anti lles 전역에 흩어 져 살고 있었지만, 유럽인들이 전출할 무렵에 시보니족은 농경 활동을 하는 아라왁족에게 점차적으로 축출되어 시보니족의 영역 은 서인도 제도의 극히 일부 지역으로 축소되고 있었다(그림 2 기). 야간족이나 시보니족 이의에도 아르헨티아의 팜파지대에 살던 6) 위의 책, p. 259.

팜파인디언t he Pamp e an India n s, 브라질 고원에 살던 보로로 족t he Bororo 과 보토쿠도족t he Bot oc udo, 멕시코 북부의 건조 지대에 살던 치치멕족t he Chic h im ecs, 북아메리카의 서부에 살 던 아파치t he Ap a che 등은 비농업경제에 속하는 인디언들이었 다(그림 2-I).“ 아러한 비농업경제에 속하는 인디언들은 농업경제 에 속하는 인디언들에 비하여 매우 미개한 생활을 영위하고 있었 다. 유럽인들이 진출할 무렵에 비농업경제에 속하는 인디언들이 지역적으로는 상당히 넓은 영역에 분포하고 있었지만 그들의 인 구수는 극히 작은 수에 지나지 않았고, 오늘날 그들의 대부분은 이미 멸종되어 버렸다. 오늘날 라틴아메리카의 구석구석에서 원주 민 문화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면, 그것은 비농업경제에 속하던 인디언들의 문화적 유산이 아니라 농업경제에 속하던 인디언들의 문화적 유산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3 농업경제 유럽인들이 아메리카에 전출할 무렵에 아메리카의 대부분 지역 에는 농경 활동을 하는 원주민들이 거주하고 있었고, 농경 활동 을 하는 인디언들의 대부분은 수십 명 내지 수천 명이 집단으로 거주하면서 정착 생활을 하고 있었다. 앞 절에서 다룬 비농업경 제에 비하면 농업경제에서는 식량 공급이 풍부하고 안정적이었다. 따라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비농업경제의 인구밀도보다 농업 경제의 인구밀도가 대체로 훨씬 높았다. 농업경제는 다시 미개한 농업경제와 발전된 농업경제로 나 누어전다. 미개한 농업경제는 조잡한 농기구만을 보유하여 화 경 slash-and-burn far mi n g 8> 등에 의존하는 농경 활동을 하면 7) West, Robert C., 앞의 논문, pp. 35-37.

50 40

100 90 80 70 60 50 40 20 그림 2 - 1 아메리카 원주민의 경제 활동 (15001d 경)

8) 화경은 아메리카 • 아프리카 • 동남아시아 등의 열대지방에서 행해지는 농법으로서 일종의 토지윤작 제도이다. 이동경작은 지방에 따라 그 개간 방법, 재배 작물, 재배 방법, 휴한 방법 등의 특색이 매우 다양하다. 화전 경작이라고 할 수도 있으나 우리나리에서 과거에 널리 행해지던 화전과 개념적으로 구별하기 위해서 화경이라고 부르는 것이 좋다.

서 식량의 절반 이싱을 수렵 • 채집 활동을- 통하여 확보하는 경 제 체제를 말한다 . 그리고 발전된 농업경제는 관개나 배수 • 시 비 • 계단식 농업 등의 보다 전보된 농경 기술을 갖고 있으면서 식량의 철반 이상을 농경이나 목축에 의존하는 경제 체제를 말 한다. 고지대 경사면의 삼림지대나 저지대의 삼림지대에서 널리 행하 여전 화경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절차를 밟아서 이루어졌다• 건조기가 시작되면 일정한 구역 내의 나무나 덤불의 밀둥을 자르 거나 껍질을 벗겨서 말리고, 건조기가 끝날 무렵에 불을 지른다. 그래서 화경을 영어로 이라고도 한다. 열대지방에서는 니무가 잘 자라서 l

9) 마니옥은 카사버 cassava • 유카yu ca • 만디오 3}man di oca • 마니호트 maniho t 등으로도 불린댜 원래 마니옥의 원산지인 아메리카에서만 재 배되었지만, 오늘날에는 마니옥이 열대지방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울 할 수 있게 된다. 화경은 유럽인들이 전출하기 이전에 아메리 카에서 널리 행하여지고 있었으며, 오늘날까지도 라틴아메리카의 여러 지역에서 행하여지고 있다. 유럽인들이 전출할 무렵에 아메리키에서 가장 발전된 농업은 메조아메리카 문명권과 잉카 문명권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양 문명권의 인구 부양력은 발전된 농업 덕분에 매우 높았다. 그래 서 양 문명권이 차지하는 면적의 합은 아메리카 총면적의 I / I()o ll 도 못 미치지만, 당시에 양 문명권에서 살고 있던 원주민 인구수 는 아메리카 원주민 총인구수의 3/4을 넘었다. 4 메조아메리카 문명과 잉카 문명 메조아메리카 문명권과 잉카 문명권에서는 소수의 귀족이나 사 제가 많은 하층민들을 통제하는 엄격히 계층화된 사회 구조가 발 달하였고, 군대 조직까지도 갖추어 군사적 작전까지 수행할 수 있는 제국이 발달하였으며, 제조업 ·공공서비스·종교 활동 등에 전문적으로 종사하고 있는 인구가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도시가 발달하였다. 그리고 양 문명권에서는 금과 은을 의례적 장식품을 만드는 데 사용하였고, 구리나 청동을 극히 소량이나마 실용적 도구를 만드는 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아메리카 어디에서 도 철기는 사용되고 있지 않았다. 1) 메조아메리카 문명 : □ IO~ 문명과 아즈텍 제국 고고학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이미 2만 년 전에 아메리카에 인간이 거주하고 있었다고 사료된다. 학자들은 인간이 수만 년 전에 아시아로부터 베링 해협 (빙하기의 베링 육교)을 건너 아메리

카로 건너갔다고 추정한다 .1 0) 아메리카에서 발견된 인 골 중에서 가장 오래된 인골은 멕시코 중앙고원분지 th e Cent ra l Valley of Mex i co( 그림 2 - 2) ) 에서 발견된 테페시판인 Te p ex p an Man 이라 고 불리는 인골인데, 이것의 연대를 측정해 본 결과 기원전 70001 ;1 경의 인간 유골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아메리카에 적어도 지금부 터 90001 ;1 이전에 인간이 거주하였음은 확실하게 입증된 사실이 라고할수있다.

IO) Di ck enson, J. P., I982, Brazil, London : Long m an, pp. 17-18. 11 ) 영어의 The Centr a l Valley of Me xi c 磯 멕시코 중앙계곡이라고 칭 하는 것보다는 멕시코 중앙고원분지라고 부르는 것이 좋 다(사실 멕시코 중앙고원분지를 영어로 the Basin of Mex i co 라고 칭하기도 한다). 멕 시코 중앙고원분지는 오늘날의 멕시코시티가 위치하고 있는 직경 50 킬 로미터 내지 65 킬로미터의 분지를 말한다. 스페인인들이 전출할 무렵에 멕시코 중앙고원분지에는 그립 2-2 에서와 길이 테시코코 Texcoco 호, 소치밀코 Xoch i m i lco 호 , 찰코 Chalco 호 등의 호수가 위치하고 있었는 데, 이러한 호수들은 오늘날 거의 전부 배수되어 버렸기 때문에 일부 자취만 남아 있을 뿐이고 없어져 버렸다 .

마야 문명은 왜 그리고 어떻게 메조아메리카에서 꽃피었는가? 전파된 문화인가 아니면 창조된 문화인가? 일부 문화지리학자들 은 고대 이집트로부터 메조아메리카로 문화가 전파되었다고 주장 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마야 문명이 독자적으로 발달하 였다고 믿고 있다 .1 2 ) 마야 문명은 열대우림의 과테말라 북동부와 벨리즈, 그리고 카르스트 지형의 유카탄 반도를 중심으로 발달하 였는데, 그 지역의 자연 환경은 결코 인간에게 유리한 환경이 아 니다 . 따라서 마야 문명을 자연 환경과 결부지어 설명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에 속한다 . 마야 문명이 환경적 장애롤 극복하 였을지도 모르고, 아니면 과거의 메조아메리카 자연 환경이 오늘 날의 그것과 서뭇 달랐을지도 모른댜 하여튼 메조아메리카에서 이미 기원전 500 0¼반경에 작물 재배가 시작되었고, 기원전 150 0¼킨

12)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앞의 책, p. 259.

• • • • A|_북

~ •• . 테오티-i 칸

• •• 데 시코코시 'IHIIIIII 제방길(독길) 소치밀I 코 \ _ \ • 찰코시 ••.. . 소폐도허규시화와모한 중대 신심규지전모 중심지 그림 2 - 2 유럽인들이 진출할 무렵의 멕시코 중앙고원분지

경에 인간들이 촌락을 이루고 살기 시작하였다. 학자들은 기원전 1500-; 기원후 30 ()t,빈 기간을 마야 문명의 형성기, 300-90 01:;빈 기간 을 마야 문명의 전성기, 그리고 900 一 15001 ;1 기간을 마야 문명의 쇠퇴기라고 부른다 .13 ) 마야에서는 아마도 종교적인 지도자들에 의하여 다스려지는 신 정정치가 행해졌을 것이다. 그래서 마야 문명의 전성기에는 무수 히 많은 신전이 건립되었는데, 대부분의 현존하는 마야 유적지 (예컨대 (DU axactu n 기원후 328 td ®Tika l 7501 -d @Cop a n 7501 -d ® Qu ir i g u a 69 척 ®Palenq ue 700 년 ® Pie d ras Ne gr as761 년(JJ Ya- xc hi lan692-726년 등)는 바로 마야의 전성기에 형성된 것들이 13) Eng lish , Paul Ward, 앞의 책, p. 279.

다. 마야 문명의 쇠퇴기에도 유카탄 반도에 우스말 Uxmal, 치첸 ­ 이차 C hi chen -I t za, 툴룸 Tulum 등의 신전이 건립되기는 하였으 나, 이들 유적지들도 1200- l 40 0id에 걸쳐서 더 이상 신전으로 사용되지 않고 버리게 되었다(그림 2 -3 ). 아즈텍족t he Az t ecs 은 원래 멕시코의 북서부 지방의 건조한 지역에서 유목 생활을 하던 족속이었으며 , 그들의 고유한 . 언어는 나후아틀 Nahua t l 이었다. 아즈텍족이 멕시코 중앙고원분지에 진 입한 것은 1325-135 ()id경이었다. 그런데 멕시코 중앙고원분지에 서는 900 - 120~ 빈경에 톨덱족t he Tol t ecs 의 문명이 전성기를 이 룬 바 있었으나, 아즈텍족이 전출할 무렵에는 이미 몰락해 있었 다. 아즈텍족은 멕시코 중앙고원분지에 전출하여 데시코코 Tex­ coco 호의 작은 섬에 정착하여 아즈텍 중심지 데노치티틀란 Tenoch titl an 을 건설하였다(그림 2 - 2).14 ) 아즈텍족은 그 후 200 여 년 동안 점차로 주변 지역을 접령하여 거대한 제국을 형성하 였고, 주변의 여러 국가나 부족으로부터 조공을 받고 있었다. 아즈텍 제국의 북쪽 경계는 파누코 강 Panuco Ri v er 부근이었 고, 그 경계선 북쪽으로는 농업에 부적당한 건조지대가 위치하고 있어서 단지 유 목축둘이 드문드문 살고 있을 뿐이었다. 아즈텍 제국의 서쪽으로는 강력한 타리스칸 제국t he Tarascans 이 입지 하고 있어서 아즈텍 제국을 견제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아즈텍 제국은 주로 동쪽과 남쪽으로 팽창하였다. 아즈텍 제국은 남쪽으 로는 현 과테말라의 국경선 부근까지 전출하였다. 스페인인들에게 정복당하기 직전에는 아즈텍의 수도 테노치티틀란의 인구는 25 만 명 정도였고, 데시코코 호를 건너서 테노치티틀란으로 왕래할 수 있는 세 개의 제방길이 있었다(그림 2 - 3). 아즈텍의 수도 데노치 티틀란에는 승려 • 관료 • 상인 • 장인 • 군인 등의 아즈텍 제국의 지배 계급이 거주하고 있었다. 14) 위의 책, pp. 277-279, 282-283.

)시도 는또 전9W'(1 코시멕 만( 중신과권지심명iW59 !W5 9 리카문메 아양조평메태 3 ·010 wl0 .0그-림2 051? 치족치멕역리 메 카영아 A-00D0039 D-513212A15 텍D0052141A- 1 칸스시도는 또 '5N1JC 메조야마 쩔 텁즈아匡 라효 타전신 ~

아즈텍 제국의 목적은 영토 확장에 있지 않고, 딴지 피정복민 들과 피정복지로부터 세금과 공물을 받아들이는 데 있었다. 피정 복지로부터 아즈텍의 본거지 데노치티틀란으로- 옥수수, 강낭콩, 호박, 금, 키카오, 목화와 면포, 새의 깃털, 동물 가죽 등 각종 조 공이 들어왔다. 그리고 피정복지로부터 수천 여 명의 인간들이 멕시코 중앙고원분지 아즈텍 본거지로 꿀려와 종교의식의 제물로 바쳐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아즈텍 제국은 피정복민들에게 아즈텍 의 종교나 언어를 소개하지도 강요하지도 않았다. 유럽인들이 아메리카에 전출할 무렵에 아즈텍 제국의 서쪽에 안집하여 형성된 타라스칸 제국도 강력한 제국으로서 주변 국가 들로부터 조공을 받고 있었다. 타라스칸 제국은 오늘날의 멕시코 미초아칸 M i choacan 주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타라스칸 제국의 정치적 조직력은 아즈텍 제국과 견줄 만한 것이었다. 티러~칸 제국은 종종 아즈텍 제국과 국경선을 놓고 충돌하였다. 아즈텍족 이 주로 남쪽과 동쪽 방향으로만 전출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아 즈텍 제국의 서쪽에 강력한 타러스칸 제국이 버티고 있었기 때문 이었다. 스페인인들은 150 21,빈, 1511 년, 1517 td, 151 81;:回 메조아메리카 에 발을 디뎌놓았고, 마침내 1521 년에 아즈텍 제국을 멸하였다. 151 8td에 코르데스 Hernan Cor t es 는 61 평을 이끌고 멕시코에 상륙하여 베라크루스 Veracruz 를 건설하였고, 아즈텍에 저항하는 부족들의 도움을 받아서 아즈텍으로 진격하였다 .15) 마침내 코르테 스는 1521 년 8 월에 508 명의 군사를 이끌고 아즈텍의 수도 데노 치티틀란에 입성하여 아즈텍 제국을 완전히 정복하였다. 옥수수 • 강낭콩 • 호박은 메조아메리카 원주민들에게 가장 중요 한 3 대 작물 Mesoamer i can t r ipp le 이었다. 메조아메리카 원주민 들은 관개나 배수, 시비, 계단식 농업 동의 발전된 농경 기술을 15) 위의 책, p. 285.

갖고 있었다. 특히 멕시코 중앙고원분지에서 행하여졌던 치남파 농경제도 ch i nam p a s y st em 는 그 생산력이 대단히 높았던 농법 이었다(그림 2-4).16) 치남파는 호수의 주변지대에 5 미터 내지 IO 미 터의 폭으로 길게 쌓아 만든 발인데, 각각의 치남파를 경계짓 는 수로는 수확물을 나르는 운반로로 사용되었고, 수로 저변에 깔리는 유기질은 치남파 위로 퍼올려서 시비를 함으로써 치남파 토질의 비옥도를 유지하였다. 치남파의 가장자리에는 버드나무 등 의 나무를 심기도 하고 말뚝을 박아서 치남파 구조물을 지탱할 수 있게 하였다. 옥수수·강낭콩•고추·토마토·꽃 등이 치남파 에서 재배된 작물들이었다. 한편 수로에서 집히는 물고기는 단백 질 공급원으로서 중요하였다. 치남파 농경 제도는 오늘날에도 멕 시코시티의 근교농업의 유형으로서 남아 있다. 메조아메리카에는 치남파와 같이 발전된 농경뿐만 아니라 화경(이동경작) 등의 원 시농경도 널리 분포하였다. 메조아메리카에서는 옥수수·강낭 콩 • 호박뿐만 아니라 칠레 고추 ch ili pep pe r • 애머랜스 ama­ ranth • 면화 • 마기 ma g ue y • 카카오 등도 재배되었다. 그러나 메 조아메리카에서는 소 • 말 • 돼지 • 염소 • 양 등의 가축이 없었다는 사실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원주민들은 단지 칠면조와 개만을 사육하였고, 꿀벌 등을 기르는 것이 고작이었다 .17) 2) 잉카 문명 잉카 문명은 안데스 산지의 디수의 알티플라노 al tip lanos, 죽 산간 분지에서 발달하였다는 점에서 큰 하천을 끼고 발달한 다른 문명, 죽 메소포타미아 문명 • 이집트 문명 • 황하 문명 • 인도 문 명 등의 고대 문명과 분명히 다르다. 일반적으로 잉카인들은 아 16) 위의 책, pp. 282-283. 17)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앞의 책, p. 256 : West, Robert C., 앞의 논문, p. 42.

시아에서 베링 해협을 넘어온 사람들이 북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 카를 통과하여 남아메리카에 정착한 사람들이라고 믿어진다. 안데 스 산지의 대부분의 알티플라노는 험준한 산악이나 깊은 협곡 등 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는데, 이러한 알티플라노에서 지역문화가 제각기 발달하였었다. 쿠스코 Cuzco 산간 분지에서 일찍이 지역 문화를 발달시킨 민족이 바로 잉카인들이었다. 잉카인들은 l 午 1] 기 말엽부터 쿠스코로부터 안데스 산지를 따라서 남북으로 뻗어 나가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스페인인들이 침입할 무렵에 잉카인 들은 남쪽으로는 칠레 중부까지 그리고 북쪽으로는 콜롬비아 남 부 일부까지 이미 정복하여 지배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럽인들이 전출할 무렵에 잉카 제국은 남부와 북부로 서서히 분열되고 있었 는데, 북부에는 제 2 의 수도로 키토Q u it o( 현재 에콰도르의 수도) 가 건설되었다 .18) 잉카 제국은 강력한 중앙집권적인 관료 체제를 갖추고 있었다. 인구 10 만 정도였던 수도 쿠스코를 중심으로 도로망이 잘 발달되 어 있었고, 그 도로망을 따라서 중앙의 훈령이 走者들에 의하여 잉카 제국 전역으로 전달되었다 .19) 잉카 제국의 통제 단위는 가족 이었고, 결혼은 공적으로 주선하여 이루어졌다. 잉카 제국은 새로 운 식민지롤 개척하여 체계적으로 가족을 집단 이주시켰고, 농토 를 가족 단위로 할당하였다. 잉카 제국은 피정복민들에게 잉카의 언어인 케추아Q uechua 를 사용하게 하였고 잉카의 종교인 태양 신 숭배를 강요하였다. 잉카 제국에서는 사유재산이 인정되지 않 았기 때문에 전정한 의미의 시장경제가 존재하지 않았다. 페루의 마추피추 Machu P i cchu 는 쿠스코로부터 북서쪽으로 직선거리 l0 昞i로미터 정도 떨어져 있는 요새도시로서, 보존이 잘되어 있 18)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위의 책, p. 285. West, Robert C., 위의 논문, pp. 42-4 4. 19) Eng lish , Paul Ward, 앞의 책, p. 283 ; DeBlij, H. J. and Pete r O. Muller, 위의 책, pp. 286-291 .

尸| 5-l0m I 二

그림 2-4 치남파 농경 제도

기에 관광지의 명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 잉카 영역에서는 농업 기술이 발전하여 관개도 하고 시비도 하 며 계단식 농지도 만들어졌다. 잉카 영역에 속하던 페루 해안지 대 오아시스에서 관개 기법은 극치에 달하였는데, 여기서는 장거 리에 걸치는 수로를 통하여 하천으로부터 물을 끌어들여 농사를 지었다. 안데스 산지 고지대의 가피론· 산사면에서는 종종 돌로 쌓아 만든 계단식 농지롤 만들어 관개도 하고 시비도 하면서 농 사를 지었다. 오늘날에도 페루 고지대의 여러 지역에서 잉카 문 명 시대에 만들어놓은 계단식 농지가 아직도 유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잉카 문명 농업의 특칭은 根裁式경작 tu ber fa rm i n g 20) 에 있으나, 잉카 문명권에서는 메조아메리카 원 산지인 다양한 적물들도 재배되었다. 주요한 작물로서 감자·옥 수수 • 마니옥 • 고추 • 토마토 • 강낭콩 • 호박 등이 재배되었고, 개 • 돼지 • 야마 • 알파카 등의 가축도 사육되었다. 개와 돼지는 애 완용과 식용으로, 야마는 주로 짐을 운반하거나 털을 이용하는 데, 그리고 알파카는 털을 이용하기 위하여 사육되었다. 20) 뿌리를 재배하는 데 사용하는 작물, 죽 감자나 카사버 cassava 등과 같 은 작물을 경작하는 것을 말한다.

152 저에 피자로 Franc i sco P i zarro 는 툼베스 Tumbes 2 ” 에 상 륙하였다. 그는 스페인에 돌아가서 잉카 제국을 정복할 준비를 한 후에, 1531 년에 183 명을 이끌고 수십 마리의 말과 함께 다시 툼베스에 상륙하였다. 피자로는 카하마르카 Ca j amarca 에서 잉카 제국의 황제 아타후알파 A t ahual p a 와 조우하였는데, 여기서 그를 인질로 삼고, 인질 석방의 조건으로 잉카의 군대로부터 2 0i론의 금·은을 요구하였다. 스페인인들은 그들의 요구사항인 금·은 2 따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1533 년 8 월 아타후알파를 교살하고, 남쪽 방향의 쿠스코로 전격하여 쿠스코의 신전을 파괴하고 쿠스 코를 정복하였다 .22) 그리하여 툼베스에 상륙한 지 3 년도 채 못되 어 피자로는 잉카 제국을 정복하였던 것이다. 정복자 스페인인들 은 153 潟 해안도시 리마 L i ma 를 건설하였다. 그 후 40 여 년 동 안 인디언들의 저항은 때때로 일어났지만, 스페인 지배 자체가 위협받을 정도는 아니었다. 21 ) 현재 페루 북부의 해안에 위치하는 조그만 도시이다. 22) Eng lish , Paul Ward, 앞의 책, pp. 283-286 ; DeBii j, H. J. and Pete r 0. Muller, 앞의 책 , p. 291 .

제 3 장 아메리카의 발견정복•식민지화 그리고 독립과 발전 l 지리적 지식의 확대와 아메리카의 발견 1)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독립과 팽창 라틴아메리카는 이베리아 국가의 문화, 죽 스페인과 포르투갈 문화의 지배적인 영향을 받았다. 그러므로 이베리아의 역사를 거 슬러올라가서 이해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먼저 이베리아 반도는 로마 제국의 변방에 편입됨으로써 로마 제국 전 통의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런데 서기 711 년에 북아프리카 무어족 the Moors 이 이베리아 반도에 침입하여 그 후 700 여 년 동안에 이베리아 반도의 대부분을 점령하였다. 무어족에 의하여 발전된 수리공학과 治金術이 이베리아 반도에 소개되었고, 쌀 • 감귤·류 • 커피 • 면화 • 사팅수수 • 바나나 등 다수의 작물도 도입되었다. 카톨릭 교도인 스페인인들이 이슬람 교도인 무어족에 저항하는 과정에서 스페인인들은 매우 전투적인 기질을 갖게 되었다. 스페 인인들은 이교도들에 대해서는 매우 강한 적대감을 나타내게 되 었고 그들의 종교인 카톨릭을 전도하는 데도 매우 적극적이었다. 11 세기부터 스페인인들은 이베리아 반도로부터 무어족을 축출하

기 위해 투쟁하기 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종 교(키 돌 릭)와 정치 는 서로 분리되지 않았고, 교황은 스페인 군주 에게 정복지에서 성직자를 임명하는 권한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관행으로 인하여 성직지들(특히 고위 성직자들)은 정치에 관여하게 되었고, 또한 교 리보다 오히려 군주에 대한 충성을 더 중요시하게 되었다. 스페 인 영역하에서는 교회 대신에 왕실이 십일조를 거두어들일 권리 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라틴아메리카 식민지시대에 십일조는 바 로 정부의 세금과 같은 것이었다. 포르투갈은 124 91;:l에 이슬람 교도인 무어족으로부터 독립함으 로써, 최초의 근대적 민족국가가 되었다. 스페인은 149 2\:i에야 비 로소 마지막 남은 무어족을 이베리아 반도에서 몰아냄으로써 독 립을 쟁취하였는데, 바로 그 149 2\:i에 콜럼버스 Chr i s t o p her Columbus 는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였다. 유럽의 근대국가로 먼 저 출발한 포르투갈과 스페인은 아메리카를 비롯한 세계 각지로 뻗어나가게 되었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은 158 0¾빈부터 1640 \:l 동 안에 하나로 통합되어 동일한 군주의 통치하에 놓여 있기도 했 다 .I)

1) Dick enson , J. P., 1982, Brazil, London : Long m an, pp. 33-34.

2) 포르투갈인의 지리적 지식의 확대 포르투갈의 항해왕 헨리 Henry th e Nav ig a t or (l 394 - 1460) 는 항해와 탐험을 체계적으로 지원하였다 . 포르투갈인들은 141 51,:1에 세우타 Ceu t a2) 를 정복하였는데, 이는 유럽의 근대적 민족국가가 유럽 의부에 건설한 최초의 유럽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어서 포르투갈인들은 아프리카로부터 북서부 방향에 있는 대서양의 카 나리아 Cana ri a 섬 • 마데이라 Made i ra 섬 (1 42 興) • 아조레스 Azo-

2) 세우터는 북아프리카 북서부에 지브롤터 G i bral t er 해협에 접해 있는 이 슬람교도의 요새도시였다 . 오늘날 세우타는 스페인령에 속한다.

res 섬 (1432 1;:!) 등을 탐험했고, 이어서 1455-1456 년에는 아프리카 의 기니 Guin e a 만 연안을 탐험하였다. 그리고 1486-l48 7i.:i에 포 르투갈인 바르돌로뮤 디아스 Barth olomew D i as 는 아프리카 남 단의 희망봉까지 항해하고 돌아왔으며, 1497-149 9t;:!에 바스코 다 가마 Vasco da Gama 는 아프리카를 돌아서 인도양을 가로질러 인도에 갔다가 돌아왔다 .3)

3) Ja mes, Presto n E. and Geoff re y J. Marti n, 1981, All Possib l e World : A Hi sto r y of Geog rap h ic a l Ideas, 2nd ed., New York : Jo hn Wi le y and Sons, pp. 63-70.

150 01;:1에 카브랄 Pedro Alvares Cabral 은 현재 브라질의 북 동부지역에 해당되는 지점을 우연히 발견하고, 이 지점이 토르데 질러즈 조약t he tre aty of Tordes i llas 에 따라 포르투갈에 귀속 됨을 알게 되었다(그림 3-1) . 4> 이어서 포르투갈은 아메리카 신대 륙에서 브라질의 영유권을 주장할 수 있었다. 그 후에도 포르두 갈의 항해와 탐험은 줄곧 지속되었다. 포르투갈인들은 1511 년에 는 동남아시아 교역의 중심지 말러카 Malacca 를 공격하여 점령 하였고, 곧이어 향료 제도t he Molaccas Islands 를 획득하였다. 마침내 그들은 154 21:;반에 일본에 도달하였으며, 일본인들은 그들 에게서 조총 기술을 배워 일본을 통일한 후 한반도를 침략하였으 니 그것이 바로 임진왜란이다.

4) Dike nson, J. P., 앞의 책, pp. 26-27 ; Norris , Robert E., 1990, World Reg ion al Geog ra p h y, New York : West Publi sh i ng , p. 303.

3) 스페인인의 지리적 지식의 확대 스페인인돌이 무어족들을 이베리아 반도에서 완전히 몰아내고 독립을 쟁취한 14921 ;:l 바로 그 해에 콜럼버스는 신대륙을 발견 S)

5) 신대륙에 이미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살고 있었기 때문에 신대륙의 〈발 견〉이라는 용어가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 하여튼 우리는 산대륙

의 발견이라는 용어가 유럽인 중심의 용어러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하였댜 원래 콜럼버스의 부모는 스페인인이었으나, 콜럼버스 자 신은 이탈리아의 제노바 Genova 에서 태어났다. 콜럼버스는 톨레 미 P t olem y의 『지리학 Geo g rap h y』, 마르코 폴로 Marco Polo 의 『동방견문록』 등을 읽어서 그 내용을 익히 잘 알고 있었다. 그는 서쪽으로 항해해서 동방에 도달할 수 있다고 굳게 믿고 있었고, 마침내 스페인 왕실의 지원을 얻어 1492 년 l~ 에 신대륙을- 발 견하였다 .6) 1494 년에 콜럼버스의 주선하에 교황의 인준울 받아 포르투갈과 스페인 사이에 토르데질라즈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에 따르 면, 서경 46° 37'(370leag ue s west of th e Cap e Verde Islands) 의 경선, 소위 교황선 th e po p e 's li ne 을 기준으로 하여 서쪽은 스페 인, 동쪽은 포르투갈이 배타적 권리를 갖게 되었다(그림 3 기). 즉 토르데질라즈 조약은 포르투갈이 인도양을, 그리고 스페인이 신대 륙을 독점할 수 있게 해주는 조약이었다 .7)

6) Ja mes, Presto n E. and Geoff re y J. Marti n, 앞의 책 , pp. 70-74. 7) 위의 책, p. 74 : Fis h er, Ja mes S.(edit ed ), 1989, Geog ra ph y and Develop m ent : A World Reg ion al Geog ra ph y, London : Merril l Publi sh ing Comp a ny , p. 390 ; Dick enson, J. P., 앞의 책 , p. 27 : Eng lish , Paul Ward, 1989, World Reg ion al Geog ra ph y : A Qu esti on of Place(3rd (;ld .), New York : Jo hn Wi le y & Sons, p. 286.

그리하여 스페인은 브라질을 제의한 아메리카 전지역에서 배타 적인 권리를 행사하면서 아메리카를 탐험하고 정복할 수 있었다. 1513 년에 스페인인 발보아 Balboa 는 파나마 지협을 가로질러서 태평양을 처음으로 발견하였고, 같은 해에 드레온 Ponce de Leon 은 플로리다 Flor i da 반도를 발견하였고, 151 9',빈에 드피네다 Alonso Alvarez de P i neda 는 플로리다에서 멕시코만 연안을 항 해하여 멕시코까지 이르렀다 .S) 15181d 에 코르테스 Hernan Cor-

8) Newt on , Jr. , Mi lton B., 1987, Louis i a n a : A Geog ra p h ic a l Portra it , Bato n Roug e : Geofo r ensic s, p. 109.

t es 는 61 평을 이끌고 멕시코 연안에 상륙하여 베라크루스 Veracruz 를 건설하였고, 이어서 코르데스 일행은 아즈텍에 저항 하는 인디언 부족들의 도움을 받아서 멕시코 고원의 동사면을 올 라 아즈텍 제국으로 전격하였다. 코르테스는 151 91;:!에 최초로 아 즈텍의 황제 목테수마 Moc t ezuma 와 조우하였으며, 1521 년에 아 즈텍의 수도 데노치티틀란 Tenoch tit lan 을 완전히 정복하였다. 1519 - 152 2\:!에 마젤란 Ma g ellan 일행은 세계 일주에 성공하였 다. 151 91;:!에 스페인을 떠난 마젤란 탐험대는 브라질 해안을 따 라서 남쪽으로 항해하다가 남아메리카 남단의 마젤란 해협을 지 나서 태평양으로 들어섰다. 마젤란은 태평양에서 괌 Guam 섬 등 의 탐험을 마치고 1521 년 4 월에 필리핀에 싱륙하였는데, 여기서 마젤란 자신은 원주민에게 살해되었다. 그러나 마젤란의 사망 후 에도 그의 대원들은 인도양을 지나 아프리카 남단을 돌아서 마침 내 1522 \:! 스페 인에 돌아왔다 . 9 ) 스페인인들의 아메리카 탐험과 정복은 지속되었다. 1528-1536년 에 드나르바에스 Pan filo de Narvaez 는 40~ 명의 부하와 함 께 미국남부를 탐험하였다. 드나르바에스 일행은 풀로리디에서 출 발하여 미국 남부의 대부분을 탐험하였으나, 코르데스가 중잉이대 리카에서 찾았던 영광, 죽 인디언 문명을 발견하기는커녕 거친 환경을 이겨내지 못하여 거의 몰살하고 말았으며, 드나르바에스 탐험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생존자는 드바카 Cabeza de Vaca 라 는 사람뿐이 었다.J O) 1531 년에 피자로 Franc i sco P i zarro 는 183 명 의 부하와 수십 마리의 말을 이끌고 툼베스 Tumbes 에 상륙하여 잉카 제국을 정복하기 시작하였고, 그의 일행은 툼베스에 상륙한 지 3 년도 채 못 되어 잉카 제국의 수도 쿠스코를 정복하였다. 1539-1 543 년에 드소토 Hernando de Sot o 일행은 미국 남부와 190)) NJaem wet so,n P, rJers. ,t o Mn i lEt.o na nBd. , G앞eo의f f r책e, y pJ.p .M I0a9r-t1in 1,0 . 앞의 책, p. 75.

미국 내륙 깊숙이 탐험하였다. 그러나 드소토 일행도 드나르바에 스 일행과 마찬가지로 탐험에서 얻은 것이라고는 미국이 별로 쓸 모 없는 땅이라는 사실을 확인하는 것뿐이었다. 그리하여 스페인 인들은 중앙아메리카와 안데스 산지롤 중심으로 정착하게 되었고, 현 미국이나 캐나다에는 별로 관심을 갖지 않게 되었다 .II) 스페인인들은 미국의 멕시코 만 연안에 요새를 설치하여 전략 상의 요충지만을 차지하였을 뿐이고, 미국이나 캐나다의 영역에는 별로 관심을 갖지 않고 있었다. 17 세기에 들어서, 죽 스페인인들 이 신대륙에 전출한 지 IO~ 년이 지난 후에, 미국이나 캐나다 영역의 동부 연안지대에 프랑스인들과 영국인들이 서서히 진출하 기 시작하였다. 프랑스인들은 1604년 에 노바스코시아 Nova Seo- tia 반도의 아나폴리스 Anna p ol i s 에 그리고 160 81;:詞] 퀘벡 Qu e- bee 에 정착하였는데, 이들이 신대륙에 정착한 최초의 프랑스인들 이었다 .12) l60 天 Rl 일단의 영국인들이 계약노동자로서 버지니아 주의 제임스타운J ames t own 에 정착하였고 162 0\1에는 종교의 자유를 찾아서 메이풀라워 May flow er 호를 타고 온 영국인들이 매사추세츠 주의 플리머스 Pl y mou t h 에 정착하였는데, 이들이 신 대륙에 정착한 최초의 영국인들이었다. 2 스페인 세력의 아메리카 정복 1 ) 메조아메리카의 정복과 스페인 승리의 요인 스페인인들의 아메리카 정복에서 초점이 되었던 지역은 인디언 들이 많이 살고 있는 지역, 금을 비롯한 귀금속을 얻을 수 있는 11 ) 위의 책, p. 110. 12) 위의 책, p. 111 .

지역, 그리고 비옥한 농지를 확보할 수 있는 지역 등이었다. 메조 아메리카는 아메리카에서 인디언 인구수가 가장 많은 지역이었고, 값전 귀금속을 얻을 수 있는 지역이었으며, 비옥한 농지와 발달 된 농경 기술이 존재하는 지역이었다. 따라서 메조아메리카가 스 페인인들의 정복의 초점이 되는 지역이었음은 두말 할 나위가 없 다. 그러나 당시 메조아메리카의 핵심부에 강력한 아즈텍 제국이 자리잡고 있었는데, 어찌하여 아즈텍 제국은 스페인에게 쉽게 정 복되었을까? 스페인 세력이 메조아메리카를 정복하여 승리하게 된 몇 가지 요인을 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랜 전투 경험을 쌓은 스페인 세력의 군사력에 인디언 둘이 대적하기가 힘들었다. 특히 인디언들은 총과 포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말을 탄 스페인 군인이나 사니운 군견(군용개) 앞에 서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 둘째, 아즈텍의 예언자들은 동쪽으로부 터 하얀 신들 Wh it e Gods 이 울 것이라고 예언하여 왔었는데, 바 로 스페인인들이 그러한 신들로 간주되었고, 스페인인들 또한 그 러한 신과 같이 군림하였다 .13) 셋째, 아즈텍의 인신 공양에 대하 여 대단한 적개심을 갖고 있는 인디언 부족들이 스페인 군대가 아즈텍 제국을 함락하는 것을 적극 도와주었다. 이들은 스페인 군대에 합류해 아즈텍 군대에 대항하여 전투를 하였을 뿐만 아니 라, 스페인 군대의 보급품을 날라주기도 하고, 앞장 서서 길을 안 내해 주기도 하였다 .14) 넷째, 아즈텍 제국의 세력권에 있던 인디 언들은 기왕에 의부의 지배에 익숙해 있었기 때문에 스페인 세력 이라는 의부의 지배에 대하여 완강히 저항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스페인 승리에 일조가 되었다. 아즈텍 제국의 노예제와 조공제는 봉건유럽의 제도와 상응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스페인인들은 이전 의 아즈텍 세력을 대체함으로써 인디언의 토착 제도를 유지할 13 )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1991, Geog ra p h y : Reg ion s and Concept s, New York : Jo hn Wi ley & Sons, p. 255. 14) 위의 책, p. 255.

수 있었다. 다섯째, 유럽의 질병이 신대륙에 유입되어 많은 인디 언들이 사망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인디언 세력은 크게 약화되 었다. 2) 정복과 인구 변화 아메리카 원주민의 총인구는 급격히 감소하였다가 160 01;:!경부 터 매우 서서히 증가하였다. 다시 말해, 유럽인이 아메리카에 진 출하고 10~ 년이 지날 때까지 아메리카 인디언 총인구는- 1~ 손 의 1 로 급격히 감소하였다가 그 후에야 아주 조금씩 증가하였다. 예를 돌면 유럽인들이 진출할 무렵에 메조아메리카 원주민 인구 는 대략 3 천만 명이었는데, 100 여 년이 지난 뒤에 메조아메리카 인디언 인구는 겨우 300 만 명 정도에 불과하였다. 특히 스페인인 들이 처음에 정착한 서인도 제도의 히스패니올라에서 인디언 인 구는 급속히 철멸되었다. 히스패니올라에는 1494년 백인들이 처 음으로 진출할 시기에 100 만 명 이상의 인디언들이 살고 있었는 데, 150 8\:回에는 인디언 인구가 6 만 명으로, 151 8\1.경에는 1 만 2 천 명으로, 그리고 157 珉 RRI 는 50 명으로 급속히 감소하였 다 .IS) 인디언들이 히스패니올라의 금광에서 혹사당하면서 인구가 급속히 감소하였기에 스페인인들은 인근의 섬에서 인디언들을 노 예로 들여와 부족한 노동력을 충족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을 거치 면서 서인도 제도 인디언 인구는 더욱 줄어들게 되었고, 마침내 160 떠경에 서인도 제도의 인디언은 거의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인디언들은 노예로 혹사당할 뿐만 아니라 구대륙에서 전파된 천연두, 장티푸스, 홍역, 인플루엔자 등의 질병에 (인디언들은 구 15) West, Robert C., 1982, Aborig ina l Colon ial Geog r aph y , in Lati n Americ a : An Intr od ucto r y Suruey ( ed ited by Blouet, Bria n W. and Olw yn M. Blouet) , New York : Jo hn W ile y & Sons, p. 57.

대륙의 질병에 대한 면역성이 없었기 때문에) 급속도로 감염되어 사 망률이 치솟아 인구가 감소하였다. 아프리카인 노예들에 의해서 전파된 말라리아 • 황열병 등도 아메리카 열대습윤 저지대에서 급 속히 확산되어 인디언 인구의 감소에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였 다. 스페인 정복 이후에 새로운 혼혈인들이 나타났다. 죽 원주민들 과 백인 사이의 혼혈인 메스티조 mes ti zo 를 비롯하여 물라토 mu­ la tt o( 백인과 흑인 사이의 혼혈인), 잠보 zambo( 인디언과 흑인 사이 의 혼혈인) 등 인종의 혼혈이 일어났다. 라틴아메리카에서 다양한 인종들의 혼혈화는 식민지시대에 점차로 증대되었고, 오늘날까지 도지속되고있다. 3 스페인령 아메리카의 식민지화 신대륙 아메리카가 워낙 광활하기 때문에 스페인의 신대륙 식 민지화는 몇 개의 중심지로부터 점차 주위로 팽창하면서 이루어 질 수밖에 없었다. 최초의 식민지 중심지는 서인도 제도의 히스 패니올라였다. 히스패니올라에서 금광이 발견되고 히스패니올러의 원주민 아리왁족이 유순할 뿐만 아니라 인구가 많아서 노동력 착 취가 용이하였기 때문에, 스페인인들은 히스패니올라에 관심을 갖 게 되었다. 이미 1496 년에 스페인인들은 히스패니올라의 남쪽 연 안에 산토도밍고 San t o Dom ing o 시를 건설하여 행정 중심지로 삼았다. 처음 40al 년 동안에 히스패니올라 스페인인들의 주된 경제 활동은 금채굉이었다. 원주민들의 인구수가 급격히 줄어들자 부족한 노동력을 보충하기 위해서 스페인인들은 다른 지역으로부 터 인디언들을 강제로 들여와 노역에 동원시켰다. 한편 히스패니 올라는 스페인인들이 신대륙의 다른 지역으로 전출하여 정착하는

데 훌륭한 시험장이자 발판이 되었다. 스페인인들이 히스패니올라로부터 먼저 진출한 지점은 남아메 리카의 북부 연안과 중앙아메리카의 파나마 지협이었다. 애초에 스페인인들이 남아메리카 북부 연안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인디 언 노예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남아메리카의 북부 연안에 서 금광산이 발견되자 이 지역에 정착하기 시작하였으며, 마침내 151 쿄에 스페인인 발보아 Balboa 는 파나마 지협을 가로질러 태 평양을 발견하였다. 스페인인들은 곧 파나마 지협이 태평양과 대 서양을 연결해 줄 수 있는 요지임을 알게 되었고, 151 7\1에 파나 마 Panama 시를 건설하였다. 이리하여 파나마는 신대륙에서 스 페인의 제 2 의 중심지가 되었고, 스페인인들은 파나마 시를 거점 으로 정복과 팽창을 지속하였다. 스페인 정복과 정착의 세번째 중십지는 메조아메리카 문명의 중십지인 멕시코 중앙고원이었다. 멕시코 중앙고원에는 깅력한 아 즈텍 제국과 그에 버금가는 타라스칸 제국이 주변의 여러 종속국 을 지배하고 있었다. 15181d 에 스페인의 코르테스 일행은 베라크 루스에 상륙한 후에 아즈텍 제국으로 전격하여 마침내 1521 년에 아즈텍의 수도 테노치티틀란을 완전히 정복하였다. 스페인인들은 폐허가 되어버린 테노치티틀란에 멕시코시티를 건설하였고, 멕시 코시티는 뉴스페인 New S p a i n( 그림 3 -1) 의 행정 중심지로 발전 하였다. 멕시코시티롤 중심으로 진행된 스페인인들의 정복과 정착은 두 개의 단계로 구분되는데, 첫번째 단계는 메조아메리카 영역을 정 복하고 정칙히는 단계이다. 메조아메리카는 인디언 인구밀도가 매 우 높았으나 스페인의 정복은 비교적 빠르고 쉽게 이루어졌다. 아즈텍 제국이 함락된 지 1 01;:回 채 못 되었을 때, 정복자 스페 인인들은 엔코미엔다 제도 enco mi enda sy st e m ( 일종의 공물 제도) 라는 원주민 통치 제도를 확립하였고, 금광과 은광 그리고 비옥

영국·‘ \ ...

시아•스 · 인 사이· , \ 영토 분쟁 \ ____ _ _, . __ _, __ __ _ 인__ ,인. /. -,\. 들 ,,...의:'、.\ - ~ —정, 대서양 인- · ---- ~_( 프랑스에 양도함, 1697) 이카(영국에 접령됨, 1655) |토르데질라즈선 카라카스 /z· ..- .. . . . . .._ 뉴그라나다총독 I _.:,: a :: .. ,~_ 1 :7 • 태평양 키 페루 홋:령 \三 i E i E\ :: g : ! llll 口 스페인령 아메리카 리 巳포르투갈령 아메리카 뉴그라나다 총독령과 라플라타 총독령은 원래 자네이루 페루총독령에 속했음 그림 3 -1 식민지시대 라틴아메리카의 정치조직

한 농토를 확보하였으며, 전략적 요충지에 스페인 터운을 다수 건설하였다. 멕시코시티를 발판으로 진행된 스페인 팽창의 두번째 단계는 멕시코 북부지역을 점령하는 단계이다. 1546 년에 자카테카스 Zacate c as 주에서 은광산이 발견되자 스페인인들은 북부지역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스페인인들은 새로 발견되는 은광산과 목초지를 따라서 점차로 북쪽·으로 전출하였는데, 마침내 1600 \1 경에는 일부 스페인인들이 리오그란데t he Ri o Grande 강 유역 의 상류 지방까지 전출하였다. 멕시코 북부지역에는 치치멕t he C hi c hi mecs( 그림 2-I) 이라는 유 목족들(가축을 사육한다는 의미의 Il-목 쭉플이 아니고 수렵과 채집에 의존하며 정착하여 살지 않는다는 의미의 유목족)이 살고 있었는데, 이들은 메조아메리카 인디언들 에 비하여 매우 낮은 문화 수준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스페인인 들이 치치멕울 완전히 제압하여 북부지역 전영역에 정착하는 데 는 거의 200 여 년이나 걸렸다 .16) 남아메리카에서 스페인 정복의 초접은 점차로 잉카 제국으로 모 아졌다. 스페인 정복자들은 파나마를 남아메리카 정복의 기점으로 삼아 마침내 1533 년에 이르러 잉카의 수도 쿠스코 Cuzco 와 북부 중심 도시 키토Quit o 를 제압하였다. 스페인인들은 잉카의 수도 쿠스코롤 중심 도시로 삼지 않고 쿠스코에서 가장 가까운 해안의 오아시스에 리마 L i ma 를 건설하여 행정수도로 삼았다. 행정수도 가 내륙 깊숙히 위치한 쿠스코가 아니라 해안에 인접한 리마에 건설된 것은 안보상의 이유와 접근성의 이유 때문이었다. 사실 잉카의 지배 계층이 언제 스페인인들의 지배에 반기를 들지 모르 는 상황하에서 인디언들이 밀집해서 살고 있는 지역보다 그렇지 않은 지역이 안보상 유리하였고, 해안에 인접하는 것이 모국 스 페인과의 연결에 훨씬 유리하였다. 그러나 안데스 산지의 알티플 16) 위의 논문, p. 48 ..

라노와 그 부근에서 광산이 개발되자 스페인인들은 잉카의 수도 쿠스코나 제 2 의 수도 키토 등을 안데스 산지 정복과 정착의 거 점으로삼았다. 한편 안데스 산지 북부지방에 대한 정복과 탐험은 대체로 카리 브 해 방면에서 진행되었다. 1536 년에 카리브 해 연안의 항구 도 시 산타마르타 San t a Mar t a 에서 원정을 출발한 드케사다 Jim enez de Qu esada 일행은 宏이 지나서 안데스 산지의 치브 차 C hi bcha 인디언 영역(그림 2-1) 을 정복하여 그 중심지에 행정 수도 보고타 Bo g o t퍼를 건설하였고, 다수의 치브차 인디언들을 엔 코미엔다 제도(제

메리카 각국의 영역 또는 국가간의 국경선은 식민지시대의 총독 령 체제를 많이 반영하고 있다. 19 세기 초엽, 죽 스페인 식민지의 대부분이 독립을 하기 직전에는 뉴 스페인 New Sp a in • 페루 Peru • 뉴 그라나다 New Granada • 라플라타 La Plata 등과 같 은 네 개의 총독령이 수립되어 있었다(그림 3 -1).18 )

18) Sk idm ore, Thomas E. and Pete r H. Smi th, 1989, Modern Lati n Americ a (2nd), New York : Oxfo r d Un ive rsit y Press, pp. 18-19, 27.

스페인은 봉건주의의 쇠퇴 이후 중상주의 정책을 강력히 추진 하였다. 그래서 식민지들간의 무역은 엄격하게 금지되었고, 무역 은 식민지들과 모국 스페인 시이에서만 가능한 것이었다. 또한 모국 스페인과 식민지 간에 교역되는 모든 물품은 스페인 선박으 로만 운반되어야 하였다. 그런데 금 • 은 동의 값전 물건을 가득 실은 스페인 선박은 종종 해적 19) 의 표적이 되었다. 이에 스페인 은 전략적으로 중요한 요충지에 요새를 다수 건설하였다• 예컨대 쿠바의 아바나 Havan a, 멕시코의 베라크루스 Veracruz, 콜롬비아 의 카르타헤나 Car t ag ena, 푸에르토리코의 산후안 San Ju an, 풀 로리다의 세인트 오거스틴 S t. Aug u sti ne 등은 과거에 중요한 스 페인 요새가 있었던 도시들이다.

19) 이들 해적은 출몰하던 장소와 시기에 띠라 pira te s , buccaneers, corsair s , pr iv ate e rs 등으로 다양하게 불렸다. 실제에 있어서 해적과 무장 상선을 구별하기는 쉽지 않은 것이었다. 식민지시대의 초기에 스페 인인들은 아메리카 대륙에서 (포르두갈 영역인 브라질을 제의하고) 배 타적 권리를 갖는다고 주장하였기 때문에 스페인 식민지에서 상업 활동 울 하던 영국인 • 프랑스인 • 네덜란드인들은 스페인의 입장에서는 해적 둘 또는 해적선들이었고,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의 입장에서는 상인들 또는 무장 상선들이었다.

스페인의 중상주의 정책은 장기간에 걸쳐서 볼 때 매우 부정적 인 결과를 낳았다. 경제 활동에 있어서 창의성 • 다양화 • 자립화 등이 억제되고 식민지간에 경제적 경쟁 관계가 심화되는 결과

룰 초래하였고, 결국에는 밀무역의 성행을 가져왔다. 또한 정부 관료들의 부정부패가 확산되었고, 식민지와 모국 사이의 불화도 깊어만 갔다. 스페인의 무적함대가 1588 \'! 영국에 패하고 스페인 세력이 상 대적으로 약화되면서 스페인령 아메리카의 여러 지역에서, 특히 카리브 해 지역에서 영국인 • 프랑스인 • 네덜란드인 등은 스페인 영역을 서서히 침범하였다. 스페인 영역 중에서 ®북이메리카의 동부 연안, ®대앤틸리즈 제도의 자메이카 (I65 5¾'!에 영국이 정복) 와 아이티 (169 7'-i빈에 프랑스에 양도), ®소앤틸리즈 제도의 전역, ®남아메리카 북동부 연안의 저지대(기아나 지역), ®센트럴아메 리카 카리브 해 연안의 일부(벨리즈 등) 등이 이미 17 세기 동안 에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손아귀에 들어갔다. 4 식민지의 경제 1) 농목축업 스페인인들은 금 • 은을 비롯한 귀금속을 수탈하는 데 광분하고 있었지만, 신대륙 경제의 근간은 광업보다도 오히려 농업이었다. 신대륙에서 스페인으로 들어가는 농산품의 연간 가치는 통상적으 로 광산물의 연간 가치보다 높았다. 밀 • 보리 • 올리브 • 포도 등이 광대한 토지에 재배되었다. 그리 고 서인도 제도를 비롯한 식민지의 많은 열대 기후 지역 내에서 인디언 노예들과 아프리카인 노예들이 사탕수수 • 연초 • 코코아 • 인디고 플랜데이션에 동원되었다. 페루의 연안 오아시스에서는 관 개시설이 확충되어 올리브가 재배되었고, 여기서 생산된 올리브유 는 리마를 통하여 신대륙 전역에 공급되었다. 멕시코의 중부 고

원, 칠레의 중앙고원분지, 아르헨티나 서부의 산록지대 등에서는 포도 재배가 확산되었다. 한편 멕시코의 북부와 미국 서남부의 초원지대, 아르헨티나의 팜파지대 , 오리노코 강변의 야노 llanos 지대 등을 비롯한 초원지대에서는 이베리아 반도에서 도입한 말 이나 소, 또는 양을 사육하는 목축업도 발달하게 되었다. 스페인 왕실의 귀족들은 신대륙의 대토지롤 하사받고 인디언 • 아프리카인 • 메스티조의 노동을 이용하여 상당한 부를 축적하게 되었다. 결국 스페인인들은 상업농이 가능한 지대를 찾아서 상업 농을 확대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상업농이 도입된 이후에도 다수 의 인디언들은 자급형 농업에 여전히 종사하고 있었다. 2) 광업 신대륙의 모든 광산 개발권은 스페인 왕실에 귀속되었다. 채굴 된 귀금속의 l/ 뜻는 왕실에 헌납되었다. 멕시코·콜롬비아·페 루 • 볼리비아 등에서 금 • 은 등이 채굴되었는데, 굉물 채굴에는 많은 노동력이 동원되었다. 식민지 초창기에 인디언들이 강제 노 역에 동원되었는데, 인디언 부역 제도를 멕시코에서는 리파티민토 rep a rti rnien to 제도라고 불렀고 페루에서는 미타 m it a 제도라고 불렀다(제花} 참조). 리파티민토 제도나 미타 제도에 따르면, 인디 언 촌락에서는 주기적으로 일정한 수의 청장년 남성을 광산 개발 에 필요한 노동력으로 제공하여야 하였다. 17세 기 중엽에 이르러 멕시코에서는 강제로 광산에 동원된 인 디언들이 거의 자발적인 임금노동자들로 대체되었다. 특히 멕시코 북부의 은광산에서는 숙련 기술자들이 철대 필요하였고 강제로 동원된 노동력이 효율적이지 못하였기 때문에 은광산에 투입된 인디언 노동력은 강제적으로 동원된 노동력이 아니고 임금노동자 로서 공급된 노동력이었다.

그러나 페루에서는 강제로 인디언을 동원하는 제도인 미타 제 도가 181 21:i텨 폐지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한때 포토시 광산에서 만 동원된 인디언 수도 수만 명에 달하였다. 미타 제도에 의하여 광산의 강제 노동에 동원된 인디언들은 과로·학대 등에 시달려 서 치사율이 상당히 높았고, 인디언 인구의 감소에 따른 노동력 감소는 페루의 광산 개발에 심각한 문제로 남아 있었다. 뉴그라 나다에서는 저지대에서 개발되는 서금광에 인디언 노동력을 엔코 미엔다 제도(제炫상 참조)로써 동원하였는데, 이들이 곧 절멸하다 시피하자 아프리카로부터 흑인 노예를 들여와 부족한 노동력을 공급하였다. 5 포르투갈령 브라질 포르투갈은 이미 132 5',:텨 황무지 개간법 lei de sesmaria (l aw of w i lderness) 을 제정하였고, 황무지 개간법에 의하여 카피타니 아 제도 ca pitani a(ca pt a i nc y) s y st em( 수령제도)가 정착되었다. 카피타니아 제도는 포르투갈의 왕실이 귀족 계급에 속하는 개인 에게 황무지 (카피타니아)를 하사하고 그가 그것을 책임지고 개발 하도록 하는 제도였다. 포르투갈은 국토의 변방지대를 카피타니아 제도에 의하여 개발하였고, 후에 포르투갈인들이 발견한 동 대서 양의 여러 섬들도 카피타니아 제도에 따라서 개척하였다. 150 떠에 포르두갈인 항해사 카브랄 Pedro Alvares Cabral 은 항해 도중에 우연히 브라질을 발견하였는데, 토르데질라즈 조약에 따라서 브라질은 당연히 포르투갈에 귀속되었다. 포르투갈 왕실은 브라질도 카피타니아 제도로써 개척하고자 의도하여 브라질을 15 개 의 카피타니아로 니누어 각각 I~ 의 도나타리오 dona t ar i o20> 20) 토지(황무지)를 하사받은 귀족을 도나타리오라고 불렀다. West,

Robert C., 앞의 논문, p. 53.

에게 하사하였다. 그러나 그 당시 포르투갈인들은 아시아에 대하 여 보다 많은 관심을 쏟고 있었기 때문에 신대륙의 브라질에 대 한 개발은 지체될 수밖에 없었다. 더구나 어떤 카피타니아에서는 브라질에 살고 있던 원주민들이 포르투갈인들의 상륙과 정착을 방해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처음에 계획된 15 개의 카피타니아 중에서 오직 두 개의 카피타니아, 죽 복동부지역의 페르남부쿠 Pernambuco( 중심지 레시페 Rec ife)와 남부의 산비센데 San V i cen t e( 중심지 산투스 San t os) 만 포르투갈인들이 정착하게 되었고 나머지 13 개의 카피타니아는 정착에 실패하거나, 아예 정 착을 시도하지도 않았다 .21) 브라질에 정착한 포르투갈인들은 귀금속을 발견하지 못하자 브 라질 braz i lwood 이리는 나무를 수출하여 수익을 올리고, 비옥한 해안저지대를 따라서 사탕수수와 담배롤 경작하기 시작하였다 . 22) 154 혓 브라질 왕실은 모든 카피타니아를 왕실에 의하여 임명된 총독 a g overnor- g eneral 이 관할하는 직속 관할령으로 만들었다. 브라질 경제의 특칭은 소위 〈 붐경제 boom-bust econom y 〉 라고 알려진 다섯 차례에 걸친 경제 순환에 있다. 브라질 붐경제는 많 온 지리적 유산울 남겨 놓고 있기 때문에 오늘날의 브라질 지역 구조를 이해하는 데 대단히 중요하다. 이에 대하여는 제 9 장에서 다시 논하고자한다. 6 북부유럽인의 전출과 정착 북부유럽인은 le1] 기 중엽에 들어서야 아메리카 대륙으로 전출 하였다. 네덜란드인 • 프랑스인 • 영국인 등의 북부유럽인들은 포

21) Dick enson , J. P., 앞의 책, pp. 29-30 ; Engl i sh , Paul Ward, 앞의 책, p. 286.

22) Di ck enson , J. P., 위의 책, pp. 30-31 .

르투갈과 스페인 사이에 맺은 토르데질라즈 조약을 인정하지 않 거나 또는 인식하지도 못하였다. 맨 처음에 북부유럽인에게 가장 큰 매력을 주던 활동은 멕시코나 페루에서 금은보화를 가득 싣고 모국 스페인으로 향하는 스페인 갈레온船g alleons23) 을 약탈하는 해적 활동이었다. 북부유럽인 해적들은 서인도 제도의 여러 섬에 아예 해적 기지를 만들어놓고 이를 기반으로 해적 활동을 벌이기 도 하였다. 특히 바하마 제도는 플로리다 해협을 지나가는 스페 인 선박의 항로에서 가깝기 때문에 북부유럽인들의 해적 기지가 디수 있었다.

23) 당시 스페인인들이 사용한 대형 돛배를 이론다.

북부유럽인들은 스페인인들이나 포르투갈인들이 별로 관심을 갖지 않는 지역으로 먼저 침투하였다. 소앤틸리즈 제도에는 금 • 은 등의 귀금속도 발견되지 않았고 매우 전투적인 카립족t he Car i bs 둘이 살고 있었기 때문에 스페인인들은 소앤틸리즈 제도 에 별로 관심을 갖고 있지 않았다. 그래서 북부유럽인들은 일찍 이 소앤틸리즈 제도에 진출하였던 것이다. 1624년 에 최초로 세인 트 크리스토퍼에 정착하여 담배와 면화를 재배하던 영국인들과 프랑스인들은 점차로 인근의 소앤틸리즈 제도에 확산되어 정착하 였는데, 이미 170 01;:빈 경에는 소앤틸리즈 제도 전영역이 영국령과 프랑스령으로 귀속되었다 .24) 영국은 165 5\1에 스페인으로부터 자메이카 섬을 탈취하였고, 프랑스는 169 '71,:텨 히스패니올라 섬의 일부(오늘날의 아이티 영 역)롤 파리 조약에 따라서 스페인으로부터 양여받았다. 베네수엘 라에서 아마존 강 입구까지 걸치는 남아메리카 북부 연안지대는 기후가 극심하게 고온습윤하고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완충지대이 기 때문에 스페인 세력과 포르투갈 세력이 서로 정착하기를 회피 한 지역이었는데, 여기에 17 세기와 l 回 l 기에 영국인 • 프랑스인 •

24) West, Robert C., 앞의 논문, pp, 55-57.

네덜란드인이 정착하였다. 아메리카에 진출한 북부유럽인들 중에서 영국인들의 활동이 가 장 적극적이었는데, 특히 서인도 제도의 소앤틸리즈 제도, 자메이 카, 바하마 제도 둥에서 그리고 센트럴아메리카의 동부 연안지대 와 북아메리카의 대서양 연안 등에서 영국인들이 미친 영향은 두 드러졌다. 일찍부터 센트럴아메리카의 카리브 해 연안에서 영국인 들은 염색나무를 채취하여 수익을 올렸는데, 이 지역에 대한 영 국인들의 영향은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오늘날에도 센트럴아메리 카의 카리브 해 연안에는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으며, 벨리즈는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로서 근래에 독립하였다. 종합적으로 말하면, 아메리카에 진출한 북부유럽인들은 처음에 해적 활동에 주력하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농업 활동에도 관 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북부유럽인들이 점차로 ®소앤틸리즈 제 도 전영역, ®대앤틸리즈 제도의 자메이카와 아이티, ®남아메리 카의 기아나 지역, ®센트럴아메리카의 동부 연안지대, ®북아메 리카의 대서양 연안 등과 감은 지역에 . 정칙하였고, 이러한 지역 에서 북부유럽인들은 아프리카에서 수입한 노예노동에 의존하여 플랜데이션 농업(제꾹l 참조)을 크게 번창시키기도 하였다. 7 라틴아메리카의 독립 과정과 독립 직후의 정치체계 1808 \:l 나폴레옹 1 세 Nap o leon Bona p ar t e 는 스페 인을 침공하 여 마드리드 Madr i d 를 점령하고 그의 동생 요셉 J ose p h 을 국왕 에 봉했는데, 이것은 스페인령 식민지들 내에서 소요 발생의 직 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18151d 에 페르디난드 Ferd i nand 가 스페인 왕위에 복귀하였지만, 스페인령 식민지에서 소요는 전정되지 않았 다.

1 ) 남아메리카의 스페인령 식민지들의 독립 25) 시몬 볼리바르 S i mon Bo lf var 는 1811 년부터 독립을 위해 투쟁 하였다. 볼리바르의 독립운동은 181% 빈에 炫J여 명 이상의 병력 이 영국으로부터 보충되자 더욱 가열되어, 그 해 베네수엘라를 완전히 장악하였다. 산마르틴J ose de San Mar ti n 은 1812 \1 부 에노스아이레스 Buenos A i res 의 혁명위원회에 근무하면서 식민 지 독립운동에 헌신할 것을 결심하였다. 아르헨티나가 1816년 에 그리고 칠레가 181 8';1에 독립하였다. 그 무렵 스페인의 군사력은 페루의 리마에 집중되어 있었다. 산마르틴은 182 0\1에 페루 연안 에서 스페인 군대를 물리치고, 이듬해 페루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선포하였다. 남아메리카의 스페인 식민지들은 독립을 위해서 공동으로 투쟁 하였지만, 통일된 단일국가로 발전하지는 못하였다. 볼리바르의 혁명 전쟁을 통하여 181~ 텨 독립한 그란콜롬비아 공화국t he Rep u bli c of Gran Colomb i a 은 1829-183 떠에 베네수엘라 • 에 콰도르 • 뉴그라나다(1 861 년에 콜롬비아로 국명을 바꿈)로 분열되었 다. 볼리바르의 이름을 따서 국명을 만든 볼리비아는 182 5\:텨 독립을 선포하였다. 그리고 우루과이는 일시적으로 브라질에 귀속 되었다가 182 8';:텨 분리되어 독립하였고, 파라과이는 아르헨티나 에 귀속되어 있다가 183 0\1에 하나의 주권국으로 독립하였다. 2) 브라질의 독립 180 저 포르투갈의 왕가 Bra g anza 는 브라질로 피신하였고, 나 폴레옹은 포르투갈을 점령하였다. 프랑스 군대는 1808 \1 말에 포 르투갈로부터 철수하였고, 동 조앙 @] Dom Jo ao VI 는 1821 년 25) Sk idm ore, Thomas E. and Pete r H. Smi th, 앞의 책, pp. 31-34.

에 그의 아들 동 페드로 Dom Pedro 왕지를 브라질에 남겨두고 리스본으로 돌아왔다. 1822 \1 동 페드로는 브라질의 독립을 선포 하고 브라질 황제로 직위하였다. 그리하여 브라질은 다른 스페인 령 식민지의 독립 과정에서 있었던 혁명 전쟁을 경험하지 않고 독립을 얻게 되었다 .26) 3) 멕시코의 독립 멕시코에서 독립 전쟁은 181 0\'i부터 1821 년까지 지속되었다. 독립 이후에도 주기적인 내란, 텍사스 전쟁 (1836), 미국과의 전쟁 (I84 6-1847), 프랑스의 내정간섭 ( 1862-1867) 등으로 인하여 정치 적으로 불안하였다. 디아스 Por fi r i o D i az 의 독재 (1 877-1910) 와 토지 분배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멕시코 혁명 (1910-192 01;:回 말)이 발발하였다. 4) 센트럴아메리카의 독립 뉴 스페인 총독령에 속하던 과테말라 부총독령t he Cap tai n c y General of Gua t emala 은 1821 년에 스페 인으로부터 독립하여 몇 년 동안 멕시코의 일부가 되었으나, 182 5\1에 센트럴아메리카 연방으로 분열되었고, 치아파스 Ch i a p as 는 멕시코의 일부로 남게 되었다. 그러나 1838-183 9\1에 센트럴아메리카 연방이 5 개국(과 테말라 • 엘살바도르 • 온두러스 • 니키라과 • 코스타리카)으로 분열되었 으며, 190 31;:터는 파나마가 콜롬비아로부터 분리되어 독립하였다. 186 처부터 영국의 식민지였던 벨리즈 Bel i ze( 과거명 영국령 온두 라스 Br iti sh Honduras) 는 1981 년에 독립국이 되었다. 26) 위의 책 , pp. 35-36.

5) 서인도 제도의 독립 (가) 히스패니올라 H i sp an i ola( 아이티와 도미니카 공화국) 스페인은 169 A3_에 히스패니올라 섬의 서부(즉 현재의 아이티 영역)를 프랑스에게 양도하였고, 1795 년에 히스패니올라 섬의 나 머지도 프랑스에게 넘겨주었다. 1804 년에 아이티 공화국t he Re- pu blic of Ha iti은 라틴아메리키에서 최초로 식민지에서 해방된 독립국이 되었다. 그 후 아이티는 1822-1844년 동안 히스패니올 라 섬 전역을 지배하였다. 1861- 1 86~ 동안에는 스페인이 도미 니카를 지배하였다. 미국은 1915 - 1934 년 동안 아이티를, 그리고 1916 - 1924 년 동안에 도미니카 공화국을 점령하였다. (나)푸에르토리코 스페인의 식민지이던 푸에르토리코는 미서전쟁t he Sp anish - Americ a n War 에서 스페 인이 패배하자 파리 조약 Trea ty of Paris ( l89 81 ;1 12 월)에 따라서 미국에게 점령되었다. 191 A:!에 푸 에르토리코인들에게 미국 시민권을 부여함으로써, 푸에르토리코는 미국의 준주로 승격하였다. 194 &1,1에 푸에르토리코인들은 그들의 통치자를 직접 선출할 수 있게 되었으며, 196 A:接 l 국민두표에서 푸에르토리코인들은 미국의 자치령으로 남아 있기로 결정하였다. 현재 푸에르토리코의 국방 • 외교 • 우편 • 화폐 등은 미국의 통제 하에 있다. (다) 쿠바 스페인의 식민지이던 쿠바는 미서전쟁 (18 981d) 이후에 미국의 보호령이 되었고, 190 21;:텨 독립하였다. 쿠바는 명목상으로 독립 국이 되었지만 실제적으로 미국의 정치적 • 경제적 종속국에 머물 렀다. 195 9¾:텨 카스트로 주도하에 혁명이 일어났다.

8 현대 라틴아메리카의 변화 단계 라턴아메리키에서는 민주주의가 잘 발달하지 못하고 독재정권 이 자주 출현하였다. 왜 그럴까? 라틴아메리키에서 무엇이 잘못 되어 있는가? 이러한 질문에 대하여 여러 가지 대답이 나올 수 있지만, 우선적으로 옳지 않은 두 가지 대답을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27) 첫째, 라틴아메리카에 살고 있는 인디언들과 흑인들이 민주주 의에 대한 적응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라는 주장은 옳지 않 다. 왜냐하면 독재정권은 과테말라와 같은 인디언 국가, 아이티와 같은 흑인 국가, 멕시코와 같은 혼혈인 국가에서 출현하였을 뿐 만 아니라 아르헨티나와 같은 백인 국가에서도 출현하였기 때문 이다. 또한 우리는 독일의 히틀러, 이탈리아의 무솔리니, 러시아 의 스탈린과 같은 유럽인 국가에서도 근래에 독재정권이 출현한 적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둘째, 라틴아메리카가 열대 기후 또는 아열대 기후에 속하여 덥고 습하기 때문에 민주주의가 발전 하기 힘들다는 주장도 옳지 않다. 왜냐하면 독재정권은 쿠바와 같은 열대 기후 하에서 출현하였을 뿐만 아니라 칠레와 같은 온 대 기후 하에서도 출현하였기 때문이다. 사회과학자들은 라틴아메리카의 정치, 경제를 설명하기 위해서 근대화이론, 종속이론, 생산양식접합론, 주변부자본주의론 등 다양 한 이론들을 제시하여 왔으나, 어떠한 이론도 반박을 받지 않을 만한 완벽한 이론이라고 볼 수 없다. 현대 라틴아메리카의 정치, 경제를 분석하고 설명하는 작업은 결론을 쉽게 도출할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본 저서에서 추구하는 핵심 부분도 아니다. 이 절에 서는 지난 100 0:l 년 동안 변화한 현대 라틴아메리카 정치, 경제 의 상황을 대략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각국별로 다소 상이한 27) 위의 책, pp. 7-8.

과정을 밟아왔지만, 여기서는 각국의 특수한 상황보다도 각국에 일관성 있게 적용되는 상황에 대해서만 관심을 갖기로 한다. 1) 1 단계(1 9 세기 후반) : 수출입 성장의 초기 단계 28 )

28 ) 위의 책 , pp. 44-48.

라틴아메리카가 독립을 획득한 직후에 라틴아메리카의 경제 구 조는 자급자족적 경제 구조로 전환되었다. 지주들은 그들의 농장 에서 생산되는 산물들을 주로 자급용으로 소비하였고, 광산업은 일반적으로 정체되었으며, 소규모의 수공업을 제의하면 공업 발전 도 미전하였다. 그러나 19 세기 후반에 이르러 유럽의 산업화는 식료품과 원료에 대한 수요를 엄청나게 증대시켰고, 유럽인들은 해의(라틴아메리카·아시아·아프리카 등)에서 대량으로 식료품과 원료를 수입하게 되었다. 예컨대 유럽인들은 아르헨티나에서 양 모 • 밀 • 쇠고기를, 칠레에서 구리를, 브라질에서 커피를, 쿠바에 서 커피 • 설탕 • 연초를, 멕시코에서 헤네켄 hene q uen291 • 설탕 • 구리 • 아연을, 페루에서 설탕과 은을, 그리고 센트럴아메리카에서 커피 • 바나나를 수입하였다.

29) 용설란과 비슷한 식물인데, 그것에서 채취된 섭유는 로프를 만드는 데 에 사용된다.

라틴아메리카에서는 식료품과 원료를 유럽으로 수출하는 양이 증대됨과 더불어 유럽으로부터의 섬유 제품, 기계류, 사치품, 그 리고 다른 제조품 수입이 증대되었다. 라틴아메리카와 유럽이 수 출입으로 서로 교환 관계를 맺게 되었으나, 라틴아메리카 수출품 의 가격이 유럽 수출품의 가격에 비하여 훨씬 불안정하였다. 그리고 교환 관계의 발전과 더불어 유럽의 자본이 라틴아메리 카에 투자되었는데, 특히 영국인들이 라틴아메리카에 많은 자본을 투자하였다. 1913 년경 라틴아메리카에 루자된 의국자본의 2/3 가 영국 자본이었다. 영국 자본의 투자 대상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철도 건설(특히 아르헨티나, 멕시코, 페루, 브라 질 등 의 국가에서)이었다. 영국인, 프랑스인, 미국인들은 라틴아메리카 의 광산 개발(특히 멕시코, 칠레, 페루 등의 국가에서)에도 많은 자 본을 두자하였다. 결국 의국 자본의 라틴아메리키에 대한 투자는 라틴아메리카 경제의 핵심 부문을 의국인의 손에 넘겨주는 결과 를 초래하였다. 종합적으로 평가하면, 19 세기 후반에 수출입 주도 의 경제성장은 라틴아메리카에서 원료 부문의 개발을 촉진하였고, 라틴아메리카는 종속적-세계 다른 지역의 결정과 번영에 의존 하는-경제 성장으로 가는 길을 걷게 되었다. 라틴아메리카에서는 싱업 부문의 성장과 더불어 상인들이 나타 났다. 그 상인들은 거의가 의국인들이었고, 그들은 해의 시장(특 히 유럽 시장)에 라틴아메리카 경제를 연결하려 했다. 라틴아메리 카의 엘리트는 주로 지주나 부호였는데, 이들은 봉건주의하의 영 주와는 달리 정치 권력에 관심울 갖기 시작하였다. 엘리트 계층 이 국내 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은 두 가지 유형의 정치체계 로나타났다. 첫번째 유형은 아르헨티나와 칠레 등의 국가에서 나타난 것으 로서 지주나 부호 등의 엘리트가 직접 정부를 통제하는 정치체계 로 나타났다. 이들 엘리트는 구미의 헌법을 모방한 헌법에 입각 하여 강력하고 배타적인 정치체계를 수립하였다. 이러한 정치체계 하에서 서로 다른 엘리트 정파가 존재하였지만, 각 정파는 기본 정책 노선에서 대립하는 경우보다도 공동 이익을 챙기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정치체계는 괴두적 민주주의에 가끼운 것이었다. 두번째 유형의 정치체계로서 지주 계층의 이익을 강력히 지지 해 주는 독재정권이 출현하였다. 멕시코에서 1876 년에 정권을 잡 은 디아스를 비롯하여 베네수엘라, 페루 등의 라틴아메리카 국가 에서는 독재자 특히 군부에서 출현한 독재자가 출현해서 지주 계 충의 이익을 위해서 법과 질서를 독단적으로 적용하였다. 첫번째

유형의 괴두적 민주주의하에서는 지주 계층이 직접적으로 정치 권력을 행사하였지만, 두번째 유형의 독재정치 체계하에서는 지주 계층이 간접적으로 정치 권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2) 2 단계 (190 ()1,j_경부터 1930d 경까지) :수출깁 성장의 확대단계 3 0 ) 19 세기 말엽과 2 伊 1] 기 초엽에 라틴아메리카 각국에서 수출입이 증대되면서 경제적으로 주목할 만한 성장을 이룩하였다. 아르헨티 나는 쇠고기와 밀을, 멕시코는 설탕과 헤네켄, 그리고 광물과 석 유 자원을, 칠레는 구리 그리고 과일이나 밀 등의 농산물을, 브라 질은 커피와 천연고무를, 쿠바 등을 비롯한 서인도 제도의 여러 국가 또는 식민지는 설팅을, 센트럴아메리카의 각국은 바나나를 수출하였다. 라틴아메리카 여러 국가들이 각각 한두 가지의 농산 물이나 원료를 수출하는 대신에 많은 생필품을 수업하게 되면서 라틴아메리카는 화폐경제에 편입되었고, 라틴아메리카의 경제 활 동은 세계 경제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심각하게 받게 되어 있었 다. 다행히도 제 1 차 세계대전 기간과 그 후 몇 년 동안 유럽에서 농산물과 원료에 대한 수요가 지속되었기에 라틴아메리카는 번영 울누릴 수 있었다. 수출입에 의존한 경제 성장으로 인하여 라틴아메리카 사회 구 조에 두 가지 변화가 초래되었다. 첫째는 전문인 • 상인 • 상점주 ·소규모 기업가 등의 중간 계층이 출현하고 성장하였다. 중간 계층은 도시에 주로 거주하였으며, 아들의 교육수준은 비교적 높 은 편이었다. 둘째, 라틴아메리카 사회에서 노동자 계층이 성장하 였다. 수출 경제를 신장시키기 위해서 라틴아메리카 엘리트들은 의국으로부터 노동력을 수입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래서 아르헨티 나 • 브라질 • 페루 • 칠레 등의 국가에는 많은 이민들이 유럽으로 30) Sk idm ore, Thomas E. and Pete r H. Smi th, 앞의 책, pp. 44-4 8 .

부터 들어왔다. 그러나 멕시코에는 인디언 소농들이, 그리고 쿠바 등의 서인도 제도에는 흑인 노예 출신의 노동자들이 원래 많았기 때문에 새로운 이민들이 많이 들어오지는 않았다. 라틴아메리카에 서 노동자 계층이 성장하자, 노동자 계충은 상호부조 단체나 노 동조합 등의 새로운 조직체_장차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는 새 로운 조칙체 __ 룰 결성하기 시직하였다. 3) 3 단계(1 93~ 빈경부터 196~ 빈대까지) : 수입대체 산업화 31) 유럽과 미국에서의 대공황은 라틴아메리카 수출 시칭을· 축소시 켰다. 커피 • 설탕 • 금속 • 육류 등에 대한 국제 수요가 현저히 줄 어들게 되면서, 라틴아메리카 각국은 그들의 생산물에 대한 출구 를 찾기가 힘들어졌다. 수출 물량이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 출품의 단위당 가격도 하락하였다. 세계 공황은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정치체제에 커다란 압력을 가했으며, 그들 중 많은 나라가 군부 쿠데타 또는 쿠데타 기도에 시달렸다. 192% 빈 l Q-%l에 미국 뉴욕의 주식 시장에서 주가가 폭 락하였는데, 그 후 일 년 남짓한 기간 동안에 아르헨티나 • 브라 질 • 칠레 • 페루 • 과테말라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등에서 군부가 정권을 장악하였거나 장악하려고 시도하였다. 쿠바에서는 1933 년 군부정권이 들어섰고, 멕시코에서는 헌법의 위기를 맞고 있었다. 경제적 공황이 그 당시 군부정권 출현의 유일한 요인이라고는 말 할 수 없으나, 정치 엘리트에 대한 불신이 널리 확산되고 수출입 에 의존하는 경제 구조의 문제성을 인식하게 된 상황은 사실이라 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민중들이 군부정권을 덜 거부 하게 되었는지도 모론다. 세계적 공황에 대응하기 위해서 라틴아메리카 각국은 수입대체 31) 위의 책, pp. 53-56.

산업화에 칙수하였댜 라틴아메리카 지도자들, 특히 군부 지도자 들이 수입대체 산업화 정책을 채택한 목적은 두 가지라고 할 수 있다. 첫번째 목적은 자체적인 산업화를 통하여 유럽이나 미국에 대한 의존을 줄여서 경제적 독립성을 획득하는- 데에 있었다. 다 시 말해 수입대체 산업화를 통하여 식료품이나 원료를 생산할 뿐 만 아니라 공산품도 생산함으로써 경제의 자립을 추구하려고 하 였다. 그리고 두번째 목적은 산업화에 의하여 도시의 노동자 계 충에게 고용기회를 확대하자는 데에 있었다.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노동자 계급의 힘이 성장하였다. 조 직된 노동자들은 라틴아메리카에서 주요 세력의 하나로 등장하였 다. 각국게서는 노동운동기 급속히 증대되었고, 노동자 계급의 지 지를 받거나 노동자 계급을 적절히 통제하는 것은 산업화를 지속 시키는 데 매우 중요한 것이 되었다. 그런데 노동자들은 그들의 고용주들이 이윤을 남길 수 있는 조건하에서만 꾸준히 노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사회, 경제적 변화에 따라서 두 가지 유형의 정치체계가 나타났다. 그 하나는 호선민주주의 co -opt a ti ve democrac y의 정치체계인 데, 이 체계하에서는 산업가 정당과 노동자 정당이 선거나 다른 경쟁을 통해 정권에 대한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예컨대 칠레에 서는 노동자 계급과 산업가 집단의 이익을 대변해 주는 친노동자 정당과 천산업가 정당이 출현하여 선거 과정에 참여하게 되었다. 결국 양정당은 197 01;:터에 비극적으로 충돌하였다. 다른 하나의 정치체계는 다계급 인민주의 동맹 mul ti-c lass po pu li st all ian ce 인데, 이러한 유형이 라틴아메리카에서 호선민주주의 정치체계보 다 일반적으로 나타났다. 산업가 엘리트가 출현하고 노동운동이 활성화되면서 기업가들과 노동자들의 공동 이익을 결합해 주는 인민주의 동맹은 오랫동안 우월한 위치롤 향유해 온 농업 부문과 지주의 이익에 직접적으로 도전하였다. 브라질에서는 193 0\1대

말에 바르가스 Ge t u li o Var gas 가 도시 기반의 다계급적 인민주 의 연합을 결성하기 시작하였고, 아르헨티나에서는 194 0\'!대에 페론J uan Peron 이 인민주의 연합을 결성하였다. 멕시코에서는 그 무렵에 좀더 복잡한 상황하에서 카르데나스 Lazaro Cardenas 가 인민주의 정책 노선으로 선회하고 있었다 . 그러나 인민주의 정권은 여러 계급(죽 노동자와 산업가)의 이익을 대표하였기에, 정 권 내에는 그들 내부의 갈등이 여전히 내재해 있었다. 4) 4 단계(1 96 선대부터 198 ().;:l경까지) :수깁대체 공업화의 침체 32 ) 라틴아메리카 각국이 수입대체 공업화 전략을 채택하여 발전하 는 데에 몇 가지 심각한 문제점들이 드러나기 시작하였다. 첫째, 수입대체 공업화가 불공정한 교역 때문에 불완전한 경제 구조를 만들어내는 문제점이 있었다. 제조품에 대한 국내 수요는 매우 제한되어 있었고, 기계류와 같은 자본재를 선전국에서 구입함으로 써 종속을 벗어날 수 없었다. 그리고 라틴아메리카의 주요한 수 출품(커피 • 밀 • 구리 등)의 세계 시장 가격이 점진적으로 하락하 게 되었는데, 수출품 가격의 하락은 공업 성장에 심각한 장애가 되었다. 결국 라틴아메리카의 수입대체 공업화는- 종속을 중단시키 는 것이 아니고 단지 종속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것이었다. 둘째, 제조품에 대한 국내 수요가 매우 제한되어 있다는 데에 문제점이 있었다. 다국적 무역 연합이나 라틴아메리카 공동 시장 을 결성하여 시장 부족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시도되었지 만,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공업은 서로 보조적이라기보다 상호 경쟁적이었기 때문에 무역 연합이나 공동 시장을 결성하기가 쉽 지 않았고 시장이 협소하다는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았다. 라틴아 메리카의 제조품에 대한 수요 부족의 문제점은 시간이 갈수록 32) 위의 책 , pp. 56-6 0 .

심각해져 갔다. 셋째, 라틴아메리카 각국이 노동집약적인 공업보다도 자본집약 적이고 기술집약적인 공업에 주력한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라틴아메리카 기업들이 기계류에 집중 두자할 뿐이고 임금노동자를 많이 고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결국 앞에서 지적하 였던 국내 구매력의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196 oi,1대에 이르러 실업자는 계속 늘어나고 사회 질서는 심각 하게 위협받게 되었다. 이에 라틴아메리카 각국-브라질 (1964 아르헨티나 (1966년 ), 칠레 (1973 년) 등-에서는 군부 쿠데타 등을 통해 등장한 억압적인 정권이 집권하였고, 군부 지도자들이 최고의 의사 결정자로서 부각되었다. 칠레의 군부는 모든 정당을 해체하여 공개적이고 다원주의적인 정치적 경쟁 활동을 거부하였 고, 아르헨티나의 군사정부는 1976 년에 의회 기능과 정당 활동을­ 정지시켰으며, 브라질 정부도 196 5'tl에 기존의 정당을 해체하고 정부가 재가히는 두 개의 정당만 존속시켰다 . 라턴아메리카 거의 모든 나라에서 군부와 엘리트는 경제 침체 롤 해결하기 위해서는 두자를 촉진해야 한다고 믿었으며, 또한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노동자 계급의 집단적인 힘을 약화 또 는 분쇄해야만 한다고 믿었다. 그리하여 군부정권 치하의 관료들 이 채택한 노동 정책에 노동자들이 순응하여야만 하였다. 일반적 으로 군부정권들은 노동자 계급을 가혹하게 탄압함으로써 민중 부문을 통제하고, 군부 • 민간 관료 • 거대기업인들에게만 공직을 허용할 뿐 경쟁적 정치 활동은 거부하였는데, 이러한 특성을 관 료적 권위주의라한다.

5) 5 단계 (198 0t,민경부터 199 0¾빈대까지) : 민간정부에 의한 시장 경제 제도의 채택 197 혓에 라틴아메리카 국가의 2/3 정도가 군사 정권하에 있 었지만, 198 0\:l대에 들어서 대부분의 라틴아메리카 국가에서 군 사정부가 몰락하고 민간정부가 출현하였다. 예컨대 페루에서는 198 興에, 아르헨티나에서는 1983 년에, 브라질에서는 198 5l;:!에, 칠레에서는 199 ()i;빈에 민선 대통령이 선출되었다. 대부분의 국가 에서 군부가 여전히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고 있지만, 대중의 정 치참여 폭이 확대되면서 민주주의적 제도가 점진적으로 정착되어 가고있다고할수있다 .. 새로 등장한 민간정부는 시장경제 체제를 확대하고, 치솟는 인 플레이션(표 3-1 참조)을 억제하기 위해서 정부보조금 등 재정 지 출을 줄이는 정책을 채택하였다. 브라질 • 멕시코 • 아르헨티나 등 라틴아메리카의 많은 국가들은 디수의 국영산업을 민영화하였고, 임금 상승이나 월급 상승을 억제하였으며, 기업 활동을 규제히는 각종 법을 철폐하였다. 199 0\:l대에 들어서 의국 자본이 라틴아메 리카에 대규모로 투자되고 있으며, 1991 년에 라틴아메리카 경제 는 2.4% 정도로 성장하였고 19921d 에는 3.5% 정도 성정히였다. 199 詞 8 월에 멕시코가 미국 • 캐나다와 더불어 북미지유무역연합 NAFTA(th e North Americ a n Free Trade A g reemen t)을 합의 하자, 곧 베네수엘라 • 아르헨티나 등의 다른 라틴아메리카 국가 들도 멕시코와 갈이 무관세 조약에 가입하기를 희망한다고 표방 하였다. 물론 라틴아메리카의 여러 국가들이 몇 년 이내에 북미 자유무역이나 이와 같은 성격의 경제연합에 가입할 가망성은 희 박하지만, 라틴아메리카의 여러 국가들이 당분간 시장경제 체제를 적극 활성화하는 정책과 외국 자본을 적극 유치하는 정책을 추전 하여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33)

그러나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이 근래에 경제 성장을 경험하고 있지만, 저소득충의 소득 수준은 별로 향상되지 못하고 있다. 거 의 모든 라틴아메리카 국가에서 일인당 소득은 1980 - 199 ()1,빈 사 이에 오히려 하락하였다. 1991 년 콜레라가 남아메리카롤 휩쓸고 지나간 사실에서 보듯이 라틴아메리카 정부는 위생 시설이나 보 건 시설 같은 기본적인 서비스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34) 표 3-1 라틴아메리카 &匠국의 연간 소비자 물가지수 연간 소비자 물가지수의 싱승률 1961-1970 1971-1980 1984 1986 볼리비아 5.6 % 20.3% 1,281 .0% 2,359.0 % 브라 X길 46.2 % 36.6 % 196.7% 216.6% 아르헨티나 21. 4% 141 .5 % 626.7 % 134.8% 페루 9.7 % 32.0% 110.2% 91. 5% 멕시코 2.8 % 16.9% 65.5% 77.9% 우루과기 47.8 % 64.0% 55.3% 77.3% 파라과O l 3.4 % 13.4% 20.3% 36.4 % 칠레 27.1 % 174.3% 19.9 % 20.3 % 자료 : Inte r -Americ a n Develop m ent Bank, 1987, Annual Rep o rt, 1986, Wash ing ton D. C. 33) Newsweek, March 25, 1991, p. 45. 34) Newsweek, February 25, 1991, p. 45 ; May 6, 1991, pp. 24-27.

제 4 장 라틴아메리카의 토지제도 토지제도는 지역에 따라서 상이하다 . 그 상이한 토지제도는 개 개 지역의 독특한 역사에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 변천되어 온 것 으로서 각 지역의 정치적 • 경제적 사회 구조와 밀접하게 결부되 어 있다. 따라서 토지를 어떻게 소유하고, 관할하며 또는 상속하 느냐의 문제는 그 지역사회를 이해하는 핵심적인 주제에 속한다 고할수있다. 이 장에서는 라틴아메리카의 대토지제도 실태를 조사하고, 국 가별로 그리고 지역별로 싱이하게 나타나는 대토지제도의 유형을 밝히며, 각 유형이 등장하게 되는 역사-지리적 배경과 정치 - 사회 적 상황을 설명하려고 한다. 그런데 여기서 다루려고 하는 토지 는 주로 농지에 국한될 것이며,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플랜테이 션p lan t a ti on • 하시엔다 ha ci enda • 파젠다fa zenda • 에스탄샤 es~ ta ncia 등의 대농장 la tifu nd i a 제도를 중접적으로 다루게 될 것이 다. 더불어 라틴아메리카의 각지에서 두루 나타나는 영세농mini­ fu n di a 과 멕시코 • 볼리비아 • 페루 등에서 실행되었던 토지 개혁 도고찰하게 될 것이다. 토지제도는 우리나라와 같이 국토가 좁고 인구가 많은 나라에 서는 대단히 중요한 관심이 될 수밖에 없다. 라틴아메리카의 토

지제도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연구는 우리나라 토지제도의 문제 접을 전단하고 보다 바람직한 토지제도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도 크게 기여할 수 있으리라고 믿는다. l 개관 라틴아메리카의 라티푼디스모 la tifu nd i smo 란 라틴아메리카에 서 소수의 부유한 계층이 상당히 넓은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 대 토지제도를 말한다. 그러한 대농장은 라티푼디오 la tifu nd i o(a large es t a t e) 라고 하고, 그러한 대농장을 소유하고 있는 대농장 주를 라티푼디스타 la tifu nd i s t a 라고 한다.!) 반면에 미니푼디스모 minifund is m o, 미니푼디오 mi ni f un dio ( a tiny plo t) , 그리고 미 니푼디스타minifu nd i st a(smallholders) 는 각각 라티푼디스모, 라 티푼디오, 그리고 라티푼디스타와 대조되는 개념들이다. 라틴푼디 스모와 미니푼디스모는 서로 대조되는 개념이지만, 두 제도는 서 로 별개의 것이라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일부 소수의 대지주들 이 비옥한 농토를 넓게 점유하고 있음으로써 다수의 가난한 농민 들은 비교적 척박한 소규모 농토에 벌붙어 먹고 살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이다. 다음의 표 4-1 은 라틴아메리카에서 195 01,:!대에 소 수의 대농장주들이 얼마나 많은 농토를 독점하고 있었는가를 나 타내고 있다. I) Fis h er, Jam es S.(edit ed ), 1989, Geog rap h y and Develop m ent : A World Reg ion al Geog ra p h y, London : Merril l Publi sh ing Comp a ny , pp. 388-389 : Eng lish , Paul Ward, 1989, World Reg ion al Geog ra - ph y : A Qu esti on of Place(3rd ed.), New York : Jo hn Wi ley & Sons, p. 315 : Wheeler, Je sse H. and J. Trento n Kostb ade, 1990, World Reg ion al Geog ra p h y, Chic a go : Saunders College Publis h in g , pp. 563-566.

표 4-1 라틴아메리카 7 개국의 미니푼디오와 라티푼디오, I950-I961N i 미니푼디오 라티푼디오 전농가가구수 전농토에 대 전농가가구수 전농토에 대 중의 비율(%) 한 비율(%) 중의 비율(%) 한 비율(%) 아르헨티나 43.2 3.4 0.8 36.9 브라久길 22.5 0.5 4.7 59.5 콜롬비아 64.0 4.9 1.3 49.5 칠레 36.9 0.2 6.9 81 .3 에콰도르 89.9 16.6 0.4 45.l 과테말라 88.4 14.3 0.1 40.8 페루 88.0 7.4 1.1 82.4 조사 : CIDA(Inte r- Americ a n Com mittee for Ag ricu ltu r al Develop m ent) 단, 이 통계에서 미니푼디오는 〈 1 가구(연간 2 인)에게 완전고용의 일터를 제 공하기에는 불충분한 크기의 농토를 가진 농가(땅)〉이고, 라티푼디오는 〈 12 명 이상에게 항구적인 고용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대농장〉이다. 라틴아메리카 대토지제도는 플랜테이션 제도와 하시엔다 제도 로 나누어진다. 비록 플랜테이션과 하시엔다가 다같이 대농장으로 서 몇 가지 공통점을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양자는 디~의 상이한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엄격히 구별하여야 한다. 플랜테이 션은 서인도 제도, 카리브 해 연안의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그리고 브라질 북동부지역의 해안저지대 등에 널리 분포한다. 반 면에 하시엔다는 멕시코와 센트럴아메리카, 안데스 산지, 브라질 고원, 아르헨티나의 북동부지방 등에 널리 분포한다. 하시엔다는 지방에 따라서 특별하게 불려지기도 하는데, 예컨대 파젠다fa z­ enda 와 에스탄샤 es t anc i a 등이 그것이다. 그러면 먼저 파젠다와 에스탄샤에 대하여 간단히 고찰하고, 다음에 플랜데이션과 하시엔 다의 일반적 특성을 고찰하도록 한다. 상파울루 Sao Paulo 주를 중심으로 하는 브리질 고원에서는 커

피를 재배하는 하시엔다를 파젠다fa zenda 라고 부른다 . 2) 파젠다는· 지주가 콜로노 colonos 에게 주택이나 농구 • 토지를 대여하여 4년 또는 6 년 계약으로 토지를 개간시켜서 커피나무를 재배하게 하는· 일종의 청부개간제에 의하여 운영된다. 4년 계약에서는 1 회, 6 년 계약에서는 3 회의 커피 수확이 콜로노의 수입이 되고, 계약이 끝 나면 개간지는 지주에게 반환된다. 커피나무는 심은 뒤 4년 후에 나 결실하기 때문에 그 동안은 면화·사탕수수·수수·쌀 등의 간작을 통해 생계를 꾸려나가거나 가축을 사육해서 생활한다• 이 러한 파젠다의 콜로노는 농업노동자 겸 소작농과 같은 것이다. 대규모의 파젠다는 사무소·주택 ·가공공장·학교·교회 ·병원 • 시장 등을 병설해서 하나의 생활 단위를 이루고 있다. 한편 아르 헨티나 팜파지역t he p am p as 에서는 육우 • 젖소 • 양 • 말 등을 사 육하는 대목장을 에스탄샤라고 부르는데, 에스탄샤는 팜파지역에 서 가축을 사육하는 하시엔다를 일컫는 것이다. 2 플랜테이션과 하시엔다의 공통적인 특성 라틴아메리카에서 발견되는 플랜테이션과 하시엔다의 공통적인 특성을 들어보자.” 첫째, 양자는 라틴아메리카 대토지제도의 두 유형으로서 대단히 넓은 토지롤 차지하고 있으나, 비교적 저렴한 노동력을 이용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양자는 라틴아메리카의 토지와 노동력을 착취하는 제도로서 유럽인들에 의하여 이식 • 고 안된 것이다. 그러므로 양자는 원주민의 전통과는 직접적인 관계 가 없다• 셋째, 양자는 라틴아메리카에서 비교적 비옥한 토지롤 2) Di ck enson , J. P., 1982, Brazil, London : Long m an, pp. 4344, 57-59, 64-6 7 , 129, 144, 160, 169. 3) West, Robert C., and Jo hn P. Aug el li , 1989, Mi dd le Americ a : Its Lands and Peop le s, 3rd. ed., N. J. : Prenti ce- Hall.

넓게 차지하고 있으므로, 독립적 자영농민층의 성장을 억제하여 왔다. 따라서 양자는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이 균형 있는 경제 발 전을 이룩하는 데 부정적 영향을 주어왔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원주민 촌락의 패턴은 전통적으로 散村인 데 반하여 플랜테이션 과 하시엔다의 촌락은 일반적으로 集村 (a gg lomera t ed, vil lag e - type sett lem ent s of workers gro up e d near th e big house of th e owner) 의 패턴을 나타낸다. 3 플랜데이션과 하시엔다의 상이한 특성 이미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플랜데이션과 하시엔다가 공히 라 틴아메리카의 대토지제도로서 여러 가지 공통점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자는 엄격하게 구별하여야 할 개념이다. 당연한 말이 지만, 플랜데이션을 하시엔다라고 통칭할 수 없고 하시엔다를 풀 랜데이션이라고 부를 수 없다. 그러면 플랜데이션과 하시엔다의 상이한 특성을 몇 가지 지적해 보기로 한다 .4) 첫째, 대부분의 플랜테이션이 열대습윤 해안저지대에 입지하는 데 반하여 하시엔다는 주로 고지대의 원주민 인구 밀집 지대에 입지한다. 아메리키에서 플랜테이션이 집중적으로 발달한 지역은 서인도 제도, 브라질 북동부지역의 해안저지대, 님이페리카의 카 리브 해 연안지대, 중앙아메리카의 카리브 해 연안지대, 그리고 미국 남부지역 등이다. 그러나 하시엔다는 멕시코와 센트럴아메리 카의 고지대, 안데스 산지의 고지대에서 주로 발견되는 대토지제 도°]다. 둘째, 라틴아메리키에서 플랜데이션은 주로 영국인 • 프랑스인 • 4)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1991, Geog ra p h y : Regi on s and Concept s, New York : Jo hn Wi ley & Sons, p. 260 : West, Robert C. and Jo hn P. Aug el li , 위의 책

네덜란드인들에 의하여 발전되었고, 금세기에 들어서 주로 미국인 에 의하여 운영되었다. 그러나 하시엔다는 전적으로 스페인령 아 메리카 식민지에서 스페인인에 의히여 발전된 것이라고 할 수 있 다. 셋째, 플랜테이션은 원래 가구” 단위로 시작되었지만, 근래는 기 업에 의하여 운영된다. 그러나 하시엔다의 소유주는 아직도 대개 가구단위로되어 있다. 넷째, 플랜테이션이 사탕수수 • 바나나 등의 단일작물 재배로 특화되어 있지만 하시엔다는 그렇지 않다. 교통수단이 덜 발달한 시대에는 플랜테이션에서도 지급적 작물을 재배하였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자체 소비를 위한 농산물의 대부분을 시장에서 구입한 다. 그러나 하시엔다에서는 원래부터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였고, 종종 가축도 사육하였다. 일반적으로 하시엔다에서 생산되는 산물 은 우선적으로 자체 소비를 하고, 자체 소비를 하고 남은 잉여 농산물은 시장에 출하한다. 다섯째, 플랜테이션의 경우가 하시엔다의 경우보다 단위 토지 당 생산성과 단위 노동당 생산성이 훨씬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면에서 플랜데이션의 토지 이용이 효율적으로 운영된다고 할 수 있다. 플랜데이션에서는 의부로부터 막대한 자본이나 현대적 기 술 • 경영 등이 도입되고, 부재소유자인 경우가 많으며, 이윤의 대 부분이 의부로 유출된다 . 그러나 하시엔다의 경우는 플랜테이션에 비하여 자본 투자가 극히 적은 편이고, 현대적 기술과 경영이 의 부로부터 도입되는 경우도 드물다. 스페인 식민지시대 동안에 하 시엔디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을 육상으로 수송하는 데에는 비용이 많이 들었고 또한 농업노동자를 충분히 확보하기가 종종 어려웠 기 때문에 하시엔다 농토의 상당한 구획을 그냥 놀리는 경우가 많았다. 오늘날 인구가 증가하고 식량 부족이 나타남에도 불구하 고 하시엔다의 비효율적 토지 이용은 지속되고 있다.

여섯째, 플랜테이션에서는 주로 단일작물이 경작됨으로써 노동 력이 계절적으로 이용된다. 그래서 플랜테이션 지대에서는 노동력 이 집중적으로 필요한 수확기에 농업노동지들이 이동하는 현상을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나 하시엔다에서는 다양한 작물이 경작됨 으로써 비교적 연중 고루 노동력이 이용되는 편이고, 의부로부터 노동력이 투입되는 경우는 드물다. 일반적으로 하시엔다에서는 현 지 주민의 노동력만이 이용된다 . 일곱째, 노동력 착취를 역사적으로 보면, 플랜데이션과 하시엔 다의 경우가 매우 다르다. 플랜테이션은 처음부터 노예제도에 의 존하여 발전하였다. 특히 l 앙1 ] 기에 노예제도에 의한 플랜테이션 이 전성기를 이루어 수백만 명의 아프리카인들이 라틴아메리카로 강제 이주하게 되었다(그립 4-1)• 노예제도가 19 세기에 폐지된 이 후에는 계약노동자들에 의하여 노동력이 충원되었는데, 특히 아시 아에서 많은 계약노동자들이 라틴아메리카의 플랜데이션 지대로 건너가게 되었다. 반면에 하시엔다는 역사적으로 엔코미엔다 제도 encomi en da sy st e m , 페이트런 제도p a t ron sys t e m (debt pe on- ag e) 등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이러한 노동력 동원 제도에 대해서 는 디음 절에서 다루기로 한다. 4 라틴아메리카의 노동력 동원제도 아메리카를 발견한 스페인인들이 직물 재배 • 가축 사육 • 광물 채광 등에 원주민들의 노동력을 이용하기 위하여 제일 먼저 고안 한 노동력 착취제도가 리파티민토 제도 re p ar ti m i en t o s y s t em 이 다. 이 제도에 따라서 원주민 인디언들의 노동력이 스페인 개척자 들에게 배당되었고, 동원된 원주민들은 교회를 짓고, 경지를 개간 하며, 과수원을 만드는 데 혹사당하게 되었다. 1514년 경에 히스패

40.N 대서양

태평양 350 만 명 1,0 40'S 틀 아프리카 흑인 노예 출 발지 亡〕아프리카 흑인 노예 도착지 仁-흑인 노예 이동 그림 4- 1 아프리카 혹인 노예 무역

니올라 H i s p a ni ola 섬에서 리파티민토 제도에 의하여 동원된 인 디언의 수는 2만 명이었다. 그러나 질병 • 혹사 등으로 인디언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자 인디언의 멸종을 막기 위해서 제 2 의 노동 력 착취제도인 엔코미엔다 제도가 등장하였다. 서인도 제도에 엔 코미엔다 제도가 등장함에도 불구하고 153 0l:i빈경에는 이미 인디언 둘이 거의 멸종해 버렸다 .S) 5) Eng lish , Paul Ward, 앞의 책, p. 285.

엔코미엔다 제도는 본질에 있어서 중세유럽의 장원제도가 신대 륙에 이식된 것이다 . 6) 이 제도에 따르면, 원주민들은 스페인인 영 주 encomenderos 로부터 신체적 보호를 받고 영적인 구원을 얻게 되어 있다. 다시 말해 몇 개의 촌락으로 구성된 일정한 영역에 살고 있는 인디언들이 한 명의 영주에게 위탁되었고, 그 영주는 그의 영역 내에 살고 있는 원주민들에게 스페인어를 가르쳐 주고 천주교 신앙을 심어 줄 의무를- 지게 되어 있었으며, 원주민들은 영주에게 부역의 의무를 갖게 되거나 또는 그에게 공물을 바쳐야 하였다. 엔코미엔다 제도는 스페인 식민지에서 식민시대 초창기에 널리 실시되었으나, 인디언들이 많이 살고 있던 메조아메리카 문 명권과 안데스 산지 잉카 문명권에서만 주로 성공적으로 실행되 었다. 그런데 154 9\:더 이르러 엔코미엔다 제도는 영주가 원주민 에게 부역은 동원할 수 없고 원주민들로부터 공물을 수거할 수 있는 권리만을 갖는 제도로 변형되었다.

6) Fis h er, Ja mes S.(edit ed ), 앞의 책, pp. 391-392 ; West, Robert C., 1982, Aborig ina l Colon ial Geog ra ph y , in Lati n Ameri ca : An In- trod ucto r y Survey (e dit ed by Blouet, Bria n W. and Olw yn M. Blouet) , New York : Jo hn Wi le y & Sons, p. 63.

영주는 원칙적으로 노동력을 착취할 수 없고, 스페인인 관료만 이 부역을 동원할 수 있는 부역제도가 155()¼ 빈대 이후에 라틴아메 리카의 각지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이 부역제도에 의하여 원주 민 노동자들은 공공성을 갖는 작업 (농업 • 도로건설 • 교량건설 • 광 산업)에 동원되었다. 공적 사업에 노동력을 동원하는 부역제도는 원래 원주민의 토착 제도에서 유래한 것으로 멕시코에서는 리파 티민토 제도, 페루에서는 미타 m it a 제도라고 불렸다. l@ ]기 후 반에 스페인인들의 노동력에 대한 수요는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지 만, 원주민 인구는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부역제도에 의존한 원주 민 동원에는 한계가 있음이 드러났다 .7)

7) West, Robert C., 위의 논문, pp. 64.{ iS.

부역제도가 충분한 노동력을 공급하지 못함으로써 등장하기 시 작한 것이 임금노동 제도였다 ? 이미 1600 년경에 멕시코의 광산 노동자들의 2/3 가 임금을 받기 위하여 몰려든 원주민 노동자들 이었다. 160 01;:回 이후에 스페안령 아메리카에서 임금노동 제도 가 널리 확산되었다. 대체적으로 볼 때, 임금노동 제도는 그 이전 의 다른 노동력 착취 제도에 비하여 노동자들에게 보다 나은 자 유와 노동 조건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하시엔다에서 노동력이 부족해지자 대토지 소유 지주들은 임금 노동 제도에 점차적으로 의존하였고, 임금노동 제도의 정착에 따 라서 자발적으로 원주민 촌락을 떠나 하시엔다로 들어가 임금노 동자로 전락하는 원주민들이 많아졌다. 대농장의 농업노동자를 피 온p eons 이라고 부르는데, 피온들은 지주나 농장 관리자에게 생필 품을 의상으로 받게 되면서 점차로 많은 빚을 지는 경우가 많았 다. 피온의 부채가 누적되면, 피온은 채무자인 지주에게 평생 노 동력을 공급할 수밖에 없게 되고 결국 거주이전의 자유조차도 가 질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제도를 부채 피온 제도 deb t pe onage 또는 페이트런 제도라고 하는데, 이 제도는 하시엔다의 노동력 공급 제도로서 매우 중요한 것이었다. 멕시코에서 부채 피온 제 도는 19101d 멕시코혁명이 발발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노동력 부족은 식민지시대에 중대한 문제였다. 스페인인들은 줄곧 막노동을 거부하였기에, 스페인령 아메리카의 경제 구조는 인디언이나 아프리카인 노동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스페인인 들은 인디언의 영혼은 구원하고 인디언의 신체는 혹사시키는 모 순을 범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종종 · 신대륙의 성직자들이 광산 • 하시엔다 • 플랜테이션 등에서 인디언들이 혹사당하고 있다는 사 실을 지적하여 비판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아프리카인 노예들이 신대륙으로 끌려오 8) Eng lish , Paul Ward, 앞의 책, p. 287.

게 되었다• 사실 이미 신대륙 발견 이전부터 아프리카인 노예들 은 지중해 지방 • 중동 M i ddle East • 인도 등으로 교역되고 있었 댜 신대륙의 정복과 정착이 시작될 무렵인 150 0\:!경에는 포르투 갈 • 스페인으로 들어오는 아프리카인 노예들이 연간 3,50~ 명 에 이르렀다. 그리고 이 무렵 카나리아 제도t he Canary Isl-ands • 케이프베로데 제도t he Cap e Verde Islands 등에서 아프 리카인 노예들이 스페인인이나 포르투갈인의 플랜테이션에서 노 역에 동원되고 있었다 .9) 대서양의 노예무역은 1@ ]기 초에 시작되어, 19 세기 중엽 또는 말엽까지 지속되었다(그림 4 - I). 아프리카인들은 구대륙에 혼한 여러 질병에 대한 면역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치사율이 인디 언에 비하여 1 /3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160 01;:詞]서 1650 \:! 사 이에 매년 7,300 여 명의 아프리카인들이 노예로서 스페인령과 포 르투갈령 아메리카로 들어왔다. 후에 프랑스령과 영국령 아메리카 로 들어온 연간 노예수는 이보다 훨씬 더 많았다. 1~] 기 중엽에 노예무역은 최전성기를 이루고, 그 후에 점차로 쇠퇴하여 갔다. 대서양의 노예무역을 통하여 신대륙으로 들어온 아프리카 노예수 룰 합하면 총 1 천만 명에 달한다. 그 중에서 과반수에 해당하는 500 만 명은 카리브해 지역(서인도 제도, 님아메리카 북부 해안저지 대, 센트럴아메리카 동부 열대 저지대 등)으로 들어갔다. 그리고 그 나머지 인원 중에서 350 만 명은 브라질의 북동부로, 40 만 명은 미국 남부로 들어갔다(그립 4 - 1).10) 19 세기에 들어서 대서양 연안의 여러 국가에서 노예무역이 금 지되고一크덴마아크(1 80 4\1), 영국 (180 71;'!), 미국(1 8081d), 스웨덴 (1 81 쿄), 네덜란드(1 814년 ), 프랑스(1 8181d), 스페인(1 82 01

영국령 식민지 (1834 - 183 8\1), 프랑스 (184 8\1), 미국 (1861 년), 쿠 바(1 88 전), 브라질 (188 8\1)). 이에 따라 기존의 플랜테이션 지 역에서는 노동력 부족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고, 부족한 노동 력을 메우기 위하여 계약노동 제도 con t rac t labor sy st e m 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리하여 19 세기 후반과 2U1] 기 초엽에 라 틴아메리카의 플랜테이션 지역에 상당수의 인도인 • 중국인 • 서남 아시아인들이 계약노동자로 들어왔다. 이러한 계약노동자들은 계 약 기간의 만료 후에도 되돌아가지 않고 정착하는 경우가 많았 다. 5 라틴아메리카 플랜테이션의 근원과 발달 라틴아메리카의 플랜테이션은 서인도 제도, 센트럴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의 카리브 해 연안, 브라질의 북동부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라틴아메리카 플랜테이션의 근원과 변화 과정은 여섯 단계로 나누어 고찰할 수 있다. 1) 제 1 단계 (l 엇 1] 기 : 동대서양 제도) 1 대기에 포르투갈인들은 동대서양에서 다수의 무인도(즉 Ca- naria s , Madeir a s, Azores, Cape Verdes, 8£0 Thome 등)를 발견 하고 정착하였다. 포르투갈인들은 카피타니아 제도t he cap tai n c y s y s t em( 수령 제도 ;제 3 장 포르투갈령 식민지 참조)에 의하여 대서 양의 무인도에 정착하였는데, 카피타니아 제도는 봉건주의 요소와 자본주의 요소를 결합한 것이다. 포르투갈인들은 무인도에서 포도 • 사탕수수 • 과수 등의 경작에 필요한 노동력을 아프리카에서 수 입한 노예를 이용하여 공급하였고, 접차로 포르투갈인들은 동대서

양 무인도의 열대습윤 저지대의 환경에 사탕수수가 잘 자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후에 신대륙에서 시작된 플랜데이션의 근원은 동대서양의 무인도에서 포르투갈인들에 의하여 시작된 농장제도 에 있다고할수있다. 2) 제 2 단계 (le1] 기 :서인도 제도의 스페인인, 브라질 북동부의 포르투갈인) 151 연에 카이로 C ai ro 가 두르크족 Turks 에 점령당하고 이집트 가 오토만 제국 O tt oman Em pi re( 오스만 제국)의 영역이 되면서 유럽에 설탕을 공급하여 오던 이집트의 제당 산업이 붕괴되었고, 결과적으로 유럽에서는 설탕이 심하게 부족하게 되었다 .1 1) 그래서 서인도 제도에 정착한 스페인인들은 사탕수수를 재배하기 시작하 였다 . 당시에 서인도 제도에서 볼 수 있는 사탕수수 플랜데이션 은 개별 가구에 의하여 운영되는 원시적인 것이었다. 서인도 제 도의 작은 규모의 제당소들은 트라피체t ra pi ches 라고 불렸는데, 트라피체는 주로 축력, 죽 소·말·당나귀 등의 힘에 의하여 가 동되었고, 간혹 풍력과 수력을 이용하는 제당소도 있었다. 그런데 서인도 제도에 정착한 스페인인들이 나중에 아즈텍 • 마야 • 잉카 문명권의 부를 찾아 서인도 제도를 떠나버림으로써 이들에 의하 여 운영되던 사탕수수 플랜테이션은 크게 발전할 수 없었다. 포르투갈인들은 브라질에 정착하여 사탕수수 플랜테이션을 크 게 발전시켰다• 포르투갈은 브라질 북동부지역의 해안저지대(이 지대를 zone of Mata 또는 zona da Ma t a 라고 부름) 에서 사탕수수 농업을 크게 발전시켜서, 브라질에서는 153 ()1;1부터 165()1 ;1 서이 에 사탕수수 농업(또는 제당 산업)의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I I) West, Robert C., 앞의 논문, p. 71.

3) 제 3 단계(l 7 세기 : 북부유럽인들의 침투) 네덜란드인 • 프랑스인 • 영국인 등의 북부유럽 인들은 포르투갈 과 스페인 사이에 맺은 토르데질라즈 조약(그림 3-1) 을 아예 인정 하지 않거나 또는 그것을 인식하지도 못하였다. 그러므로 북부유 럽인들은 아메리카의 여러 지역에, 특히 스페인인들이 별로 관심 울 갖지 않는 지역으로 먼저 침투하였다. 북부유럽인들이 정착하 게 되는 지역은 ®소앤틸리즈 제도t he Lesser Anti lle s 전역, ®대앤틸리즈 제도t he Greate r An ti lles 의 자메이카와 아이티, ®센트럴아메리카의 동부 연안지대, ®남아메리카의 기아나 지 역, ®북아메리카의 대서양 연안 등과 같은 지역이었다. 아메리 카에 정착하여 농경을 하기 시작한 북부유럽인들은 처음부터 원 주민 노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아프리카에서 수입한 노예노동에 의존하였다. 그리하여 북부유럽인들이 정착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는 플랜테이션이 크게 발달하였다. 4) 제 4 단계 (l 앙1 ] 기 :노예 플랜테이션 전성기) 1~1] 기는 서인도 제도를 중심으로 플랜테이션 발달의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l 앙1 ] 기 동안에 아메리카로 끌려온 아프리카 노예의 총수는 대략 6 백만 명에 이르렀다. 대략 1 천만 명의 아프리카 노 예가 아메리카로 끌려왔다고 볼 때, 60% 정도가 l 앙 1] 기에 끌려 온 것이다(그립 4-1). 노예노동에 의존한 사탕수수 플랜테이션 이 철정에 달했을 당시에 흑인 노예와 백인의 비율이 자메이카와 아이티에서는 10:1, 브라질과 쿠바 그리고 푸에르토리코에서는 1:1, 도미니카 공화국에서는 1:2 였다고 추정된다. 1 앙1 ] 기 말엽에 일어난 미국독립혁명 • 프랑스대혁명 • 산업혁명 등은 라틴아메리 카의 풀렌데이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5) 제 5 단계 (19 세기 : 혁명과 독립의 시기 ) 라틴아메리카의 대부분의 국가들은 182 01-;린을 전후하여 독립을 쟁취하는데, 독립 혁명의 과정에서 플랜테이션이 황폐화되는 경우 가 많았다• 그리고 유럽 각국이 노예무역을 금지하고, 곧이어 노 예제도 자체를 폐지하게 되면서 노예노동력에 의존해 오던 플랜 데이션은 심각한 타격을 받게 되었다. 플랜테이션에서 부족한 노 동력울 메우기 위하여 인도인 • 중국인 • 서남아시아인 등의 아시 아인들이 계약노동자로 들어오기 시작하였다. 제당소i n g e ni o(en­ g enho) 들이 통합되면서 점점 거대한 규모의 제당소 cen t ra l( us­ i na) 로 변화하였는데, 18981 ;'1 미서전쟁 the Sp a n ish -Americ a n War 이후에는 라틴아메리카에 대한 미국의 지배권이 강화되면서 많은 라틴아메리카 플랜데이션이 미국인의 소유로 되기 시작하 였다. 6) 제 6 단계 (2 伊1 ] 기 : 미국의 지배권 강화) 금세기에 들어서 미국은 라틴아메리카 각국의 정치에 본격적으 로 깊숙이 개입하였다. 미국 군대는 19121d 니카라과에 진군하였 고, 1914 년 멕시코의 베라크루스 Veracruz 에, 19151d 아이티에, 1916년 멕시코 국경 지방과 도미니카 공화국에 전입하였다. 제 끄} 세계대전 이후에도 미국의 간섭은 지속되었다. 미국은 1954 년 에 과테말라의 좌익정부를 뒤흔들어 놓았고, 1961 년에 쿠바 난 민의 쿠바 침공을 지원하였으며, 1983 \'! 그레나다에 침공하였다. 그리고 미국의 레이건 Rea g an 정부는 198 0\1대에 온두라스에 군 대를 파견하여 니카라과의 콘트라 con t ra 반군을 지원함으로써 니카라과의 좌익정부를 지속적으로 괴롭혔다. 근래 (198 9',:'l 12 월) 에 미군은 파나마 운하를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파나마에 침공

하여 파나마의 실력자 노리에가를 체포, 본국으로 이송하기도 하 였다 .12) 2 때기에 들어서 미국인 기업들은 라틴아메리카 각국에서 다수의 플랜테이션을 직접적으로 소유하고 운영하였다. 특히 중앙 아메리카의 플랜데이션에 대한 미국 지본의 침투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서인도 제도 각국은 사탕수수 생산이나 제당 산업에 대한 의존 도가 현재도 매우 높다. 최근 수십 년 동안에 다수의 라틴아메리 카 국가에서 플랜테이션이 국유화되는 경우가 많았다.

12) St an sfi eld , Jr. , Charles A. and Cheste r E. Zim olzak, 1990, Glob- al Perspe cti ue s : A World Reg ion al Geog rap h y, Columbus : Meril l Publi sh ing Comp a ny , pp. 561-562.

6 농기 업 ag r i bus i ness 의 성장 13)

13) Bromley, Rosemary D. F. and Ray Bromley, 1988, Sou. th CAmamerbi crai dn g eD Ueune liovpe mr seint ty : APr eGsse,o gp rpa .p h5 i4c -a5 l7 . Intr od ucti on , Cambrid g e :

근래에 라틴아메리카의 각국에서 농기업 ag r i bus i ness14) 이 성장 하였다. 전반적으로 볼 때, 라틴아메리카 농업은 최대이윤을 남기 는 수출 작물의 재배로 더욱 특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예컨대 1986년 브라질에서 커피와 콩의 수출액은 각각 브라질 총수출액 의 9.2% 와 7% 를 점유하였고, 파라과이에서 콩과 면화의 수출액 은 각각 파라과이 총수출액의 1 위 (1 9%) 와 2 위를 차지하였다. 그 런데 이러한 수출 지향적 농업의 성장은 내수용 식량 생산의 감 소를 수반하는 것이었다. 라틴아메리카에서 농기업의 성장은 소규 모 농업종사자(소농 ; smallholders) 들이 줄어들고 토지와 자본이

14) 농기업은 플랜테이션 운영 죽 농작물 재배뿐만 아니라 비료 생산, 농산 물 가공, 농산품 판매 등의 전과정을 소유 또는 통제하는 기업 th e large ag ricu ltu ral en t er p r i s 때 말한다.

표 4-2 브라질의 농경지 보유 상황, 197Q ltl 농경지 규모 (ha) 농가구수 농경지 면적 10 이하 2,524,982(51.4 %) 9,111( 3.1%) 10-99 1,935, 130(39.0% ) 60,163(20.1%) 100-999 415,224( 8.5 % ) 108,910(37.2%) 1000 이상 37,163( 0.8%) 114,829(39.2%) 출처 : St at i sti ca l Abstr a ct of Lati n Americ a , 20(1 9 80 1;!) 일부 소수인에게 보다 집중되는 경향을 낳게 되었다. 브라질의 경우 이미 197 0¼반에 l,00~ 타르 규모 이상의 농경지를 관할하는 농기업들이 전체 농경지의 39.2% 를 차지하고 있었다(표 4-2). 의국 자본의 라틴아메리카 농업 특히 플랜테이션에 대한 두자 율이 높아지면서,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를 낳게 되었다. 긍 정적 효과로는 고용 증대, 도로망이나 항구의 건설 등 하부구조 에 대한 투자, 열대습윤 해안저지대 개발, 세금 징수로 인한 재정 확충 등을 들 수 있고, 부정적 효과로는 이윤과 부의 해의 유출, 불안정한 정치, 종속된 경제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1960 i,1 대 후반부터 의국 자본의 농업 투자는 점차로 금지되었으며, 많 은 의국인 소유의 플랜테이션들이 국유화되었다. 예컨대 페루는- 196 9l;=i에 미국인 소유 농기업과 네덜란드인 소유 농기업을 국유 화하였고, 기아나는 197 5\'!에 의국인 소유 제당 회사들을 몰수하 였다. 아마존 분지롤 개발하기 위해서 남아메리카에서 유일하게도 브라질은 의국 자본을 유치하려고 하고 있다. 대부분의 다른 국 가들에서는 의국인들이 플랜테이션의 농업 활동을 칙집 통제하고 있지는 않지만, 의국인 소유 농기업들은 아직도 농산물의 가공 • 판매 • 무역 등을 지배하고 있다.

7 라틴아메리카의 토지개혁 I) 토지개혁의 필요성 라틴아메리카 각국에서 종종 영세농민들의 농토둘은 널리 홑어 져 있기 때문에 노동생산성이 낮고, 농지가 협소하여 새로운 농 업 기술을 도입하는 데 어려움이 따랐다. 또한 영세농둘의 소득 이 너무 낮아서 구매력이 별로 없기 때문에 라틴아메리카 각국에 서 새로운 산업을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국내 시장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도 인식되었다. 더구나 이들은 토지롤 너무 집약적으 로 이용하기 때문에 토양의 비옥도를 떨어뜨리거나 토양 침식을 유발하고, 삼립을 황폐화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더욱이 라틴아메 리카 각국에서 대토지제도에 의한 부정적 영향이 널리 인식되면 서 토지개혁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토지개혁의 목적은 농업의 근대화를 추진하고 전통적 농업의 불균형을 해소하며 농업 생산의 증대에 있다. 그래서 이론적으로 볼 때, 토지개혁은 라틴아메리카 대부분의 토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같이 보인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는 토지개혁을 추 진하기가 매우 어렵다. 대토지 소유자들은 일반적으로 라틴아메리 카의 각국에서 정치적 • 경제적 권력을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그 들은 그들의 기득권이 포기되는 정책이 수립되는 것을 원치 않 고, 정부는근 그들의 의사에 반하는 정책을 수립하려 하지 않는다. 그리고 농촌의 가난한 눙무 들은 대체로 정치 권력을 갖고 있지도 않고, 정치에 영향력을 거의 행사하지도 못하고 있다 .IS) 15) Bromley, Rosemary D. F. and Ray Bromley, 앞의 책, pp. 51-54.

2) 멕시코의 토지개혁 191 따의 혁명 직전에 멕시코 농가의 약 95% 가 토지를 소유 하고 있지 않았고, 농경지 전체의 85% 가량이 인구 1% 미만의 손아귀에 들어 있었다. 191~ 텨 혁명이 발발하고 191 7\1에 새로 운 헌법이 제정되었는데, 이 헌법에 따라서 토지개혁이 추전되었 다. 멕시코의 토지개혁은 에히도 제도t he eji do s y st em( 멕시코의 협동조합식 농장제도)를 중심으로 수행되어져 왔다 .16) 토지개혁은 수십 년간 지속되었다 . 1916 년에서 1934년 사이에 770 만 헥타르 의 토지가 재분배되었고, 193 5',1에서 1940 \1 사이에 1,700 만 헥 타르의 토지가 에히도로 전환되었다. 에히도 제도는 오늘날에도 멕시코 농촌에서 토지제도의 근간을 이루고 있으나, 멕시코에서는 토지사유 제도도 보장되고 있다. 1950 \1 이후 멕시코 북부지역, 걸프만 열대습윤 저지대, 태평양 연안 열대습윤 저지대 등에 대 규모의 자본이 두자되어 개간되었는데, 이러한 지역에서는 대토지 제도가 지배적인 토지소유 제도로 존재하고 있다(그림 4 - 2).

16) Wheeler, Jes se H. and J. Trento n Kostb a de, 앞의 책 , pp. 580~5 8 1 ; Jam es, Presto n E. and Clarence W. Mi nk el, 1~86, Lati n Americ a , 5th ed., New York : Jo hn Wi ley and Sons, pp. 25-2 6 .

토지개혁의 덕분으로 멕시코 농경지의 절반이 에히도 e ji dos11> 에게 분배되었다. 에히도 제도에 따르면 에히도 공동체는 국가의 직접적인 통제를 받게 되어 있고, 토지는 집단이 공동으로 소유 하게 되어 있으며, 공동체의 각 가구는 일정한 구획의 토지를 할 당받고 그 토지롤 경작하고 관리하며 혹은 상속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에히도 제도는 원주민 농촌의 전통적 토지소유 관계 18) 를

17) 대체로 200 =1 개 이상의 가구로 구성된 촌락공동체 pe asant communi- ti es 를 의미한다. 18) 유럽인들이 진출하기 이전의 메조아메리카 토지제도에 따르면, 에히도 (촌락공동체)가 토지를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었다.

<1 0%

4% 25-49% 50-69% >6 9% 그림 4 -2 12,50 ()ol l 이커 이상을 소유한 대농장의(총농토에 대한) 백분율(%), l96() ld

약간 변용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1 991 년) 멕시코 전역에 28,000 개의 에히도 농장이 있는데, 대부분의 에히도 농장은 멕시 코의 중부와 남부에 위치한다(그림 4-3) . 관개용수 공급 등의 이 유로 인하여 집단노동이 필요한 에히도에서는 공동체 구성원들이 집단으로 노동하고 수확 이윤을 공동으로 분배하고 있는데, 이러 한 에히도 농장은 일종의 집단농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에히도에서는 한 가구당 경지 구획은 대단히 작고 재정적 뒷받 침 또한 빈약해서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대단히 낮은 실정이다. 대략 80% 정도의 에히도는 경지 구획이 너무 작거나 단위 경지 가 흩어져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농사짓기가 어렵다. 그래서 196 0\:i경 중규모 또는 대규모 개인 농장의 노동생산성은 에히도 농토보다 7 배, 그리고 개인 미니푼디오보디는 12.6 배나 높았다. 현재 멕시코에서는 에히도 제도를 개혁하기 위해서 헌법을 개정

\ ••. . _. . _ .. ..J 一 - ·- \ .\ ... .. )'\

<1 0% 10-24.% 25- 4 9% 50-74% >7 4% 그림 4 - 3 에히도 소유 농토의 (총농토에 대한) 백분율(%), 196 ()i;반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에히도 농장을 사 영화할 때 離村向都가 가속화되기도 하고 소작제도의 문제도 발 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에히도 제도롤 발전적으로 해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는 쉽지 않다 . 19) 3) 볼리비아의 토지개혁 19501d 의 통계에 의하면 볼리비아의 토착공동체는 3,779 개 (주 민수 약 1 백만)에 이르렀고, 하시엔다는 약 8,000cxl 개를 헤아렸 다. 볼리비아의 하시엔다는 공동체의 생산량 일부를 차지하려는 반봉건 조직이었다. 하시엔다는 하나 또는 몇 개의 토착공동체에 대한 권위적 통제의 기반 위에서, 다시 말하면 그 공동체에 기생 19) Newsweek, November 5, 1990, p. 31.

하여서 존립하였다• 볼리비아의 토지개혁은 195 2¼킨 혁명 이후에 시작되었다• 혁명이 발발하자 농업노동자들은 하시엔다를 접수하 였고, 이것이 1953 년 토지개혁법에 의하여 합법화되었다. 1953 년 의 토지개혁법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운영되던 플랜데이션을 제외 한) 모든 대농장을 경작자들에게 나누어주었다. 그리하여 1955 년 부터 196 7¼반 사이에 20 만 가구가 790 만 헥타르의 토지를 분배받 았다. 그러나 대농장 ―一 죽 하시엔다 또는 플랜테이션-에서 떨 어져 살던 영세농이나 농업노동자들은 토지개혁의 혜택을 받지 못하였다. 토지를 분배받은 농민들은 대체적으로 기술과 자본을 갖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토지생산성은 향상되지 못하였고 토지 개혁의 결과는 그리 만족할 만한 것이 못 되었다. 4) 페루의 토지개혁 196 학에 권력을 잡은 급전적 군사정부는 196 91,빈부터 1976 년 까지 토지개혁을 추진하였는데, 전농토의 47%, 그리고 전농민의 38% 가 토지개혁의 영향을 받았다. 하시엔디를 - 불법 점유함으로 써 토지개혁이 시작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볼리비아의 경우와 는 다르다. 그리고 해안저지대의 플랜테이션과 아마존 유역의 풀 랜테이션도 토지개혁의 대성이 되었다는 점에서 볼리비아의 경우 와 다르다. 토지개혁의 대상이 되었던 대토지들은 국가의 지원을 받는 협동조합농장 또는 집단농장으로 재조직되었다. 그러나 이러 한 형태의 농장은 단지 해안저지대의 플랜데이션에서만 성공적이 었고규 고지대의 하시엔다 지역에서는 별로 효율적이지도 못하고 인기도 없었다. 그러므로 고지대에서는 토지개혁에 따라 대농장이 단지 소농지 smallhold i n g s 로 나누어지게 되었을 뿐이라고 하겠 다. 오늘날까지도 안데스 산지 농민 대중의 생활 조건을 개선하 는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

5) 칠레의 토지개혁 196 적에 토지개혁법이 최초로 공포되었고, 1965 년에 보다 적 국적인 토지개혁법이 공포되었으며, 197 ()1,1에 토지개혁이 구체 적으로 시작되었다. 197 2¾빈경에 이미 약 75,000 명 (농업노동력의 11% )이 토지개혁의 혜택을 받았다. 토지개혁을 통해서 대토지제 도 la tifu nd i smo 를 사실상 폐지시켰으며 중규모의 농장 규모를 넓히게 되었다. 6) 토지개혁의 현황 대부분의 라틴아메리카 국가에서 근래 토지개혁이 있었다. 그 리고 토지개혁이 임차농의 지위 향상에 어느 정도 기여하였다는 것은 사실이다. 몇몇 국가에서는 소작제도 자체를 아예 불법화하 였다. 그러나 토지개혁은 멕시코, 볼리비아, 쿠바, 페루, 칠레, 니 카라과 등의 국가에서만 상당한 영향을 주었을 뿐이고, 나머지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주목할 만한 토지개혁의 성과를 거두지 못 하였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라틴아메리카 국가에서는 오늘날에도 토지 분배가 심히 불평등하게 남아 있으며, 불평등한 토지 분배 는 라틴아메리카 농촌 사회의 건전한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남 아있다. 라틴아메리카 토지개혁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토지개혁은 농 기구나 관개 시설 등을 위한 기술 지원과 재정 지원이 뒷받침되 지 않으면 성공할 수 없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토지개 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당하고 합리적인 토지 분배와 더불어 농산물 유통 구조도 개선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농민들의 이윤이 일부 상인(대개 과거의 지주)에게 착취당하게 되기 때문이 다. 오늘날 라틴아메리카 전역에서 급속한 도시화로 인하여 농업

부문이 차지히는 비중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토지개혁에 대한 사 회적 압력은 약화되어 있다. 오늘날 라틴아메리카 긱국에서 토지 소유 구조가 곧 변화될 것 같지는 않다. 토지개혁은 정치 발전과 더불어 그 사회의 합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며, 지역과 시기에 무관하게 적용되는 어떤 획일적인 토지개혁 의 방법론은 제시될 수 없다고 본다.

제 5 장 인구와 인종 구성 그리고 언어와 종교 l 식민지시대의 인구와 인종 구성 식민지시대의 라틴아메리카는 철저하게 계층화된 신분사회였고, 계층은 주로 인종에 근거하여 구분되었다. 라틴아메리카 인종 구 성은 인디언 • 유럽인 • 흑인을 비롯하여 다양한 혼혈인이 존재하 여 매우 복잡한 편이다. 유럽인과 인디언 사이의 혼혈인종을 메 스티조 mes ti zos 라고 하고, 유럽인과 흑인 간의 혼혈안을 물라토 mulatt os , 인디 언과 흑인 간의 혼혈인을 참보 zambos (sambos ) 라고 한다. 180 01;:因 라틴아메리카의 총인구는 대략 2 천만 명으 로 추정된다. 이 중에 백인이 4 백만, 메스티조가 5 백만, 인디언이 8 백만, 흑인이 2 백만, 그리고 물라토와 참보가 1 백만 정도였다 .I) 1) 스페인령 식민지의 인종 구성과 사회조직 스페인 식민지에서는 식민지 초창기 동안에 백인이 인디언과 결혼하는 것이 법으로 금지되었을 뿐만 아니라 원주민 인구에 비 1) Eng lish , Paul Ward, 1989, World Reg ion al Geog r ap h y : A Qu esti on of Place(3rd ed.), New York : Jo hn Wi ley & Sons, p. 308.

하면 백인의 인구는 극소수에 불과했기 때문에 스페인 식민지에 서 처음부터 혼혈인들이 급속하게 증대된 것은 아니었다 . 멕시코 와 센트럴아메리카의 경우를 보면, l 양1 ] 기초 이후에야 비로소 메 스티조의 인구가 급속히 성장하기 시작하였고 1825 년경에 이르러 혼혈인은 총인구의 35% 를 차지하게 되었다. 좀더 정확하게 말하 면, 멕시코와 센트럴아메리키에서 157 0\1경에 인디언 97% (3 00 만 명), 백인 2%(6 만 명), 혼혈인 1% (3만 係J 명)이었고, 165 0\核j 에 인디언 80%(150 만 명), 백인 6% (1 2 만 명), 혼혈인 14%(26 만 명)이었으나, 182 5\빈에 이르러 인디언 51%(360 만 명), 백인 14% (1 00 만 명 ), 혼혈인 35%(250 만 명 )으로 변화하였다 . 스페인령 식민지의 사회 조직은 혈연에 따라 네 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었다. 제 1 계급은 반도인g achu pi ns( p en i nsulares : a Sp a n- ish -born Europ e an e lit e) 이 차지하였다. 반도인은 모국 스페인에 서 태어난 소수의 백인 엘리트로서 정부 • 군대 • 성직에서 주요한 요직을 독차지하였다. 이 계급은 자긍심이 강하고 배타적이었으 며, 종교에 있어서 엄격하고 매우 보수적이었다. 스페인에서 태어 나는 것 자체가 계층의 구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였기에 상류층 의 임산부둘은 종종 자식을 분만하기 위해 스페인으로 가기도 하 였다 .2) 그러나 나중에 라틴아메리카의 혁명과 독립으로 인하여 이들은 모국으로 축출당하게 된다.

2) Fis h er, Jam es S. (edit ed ), 1989, Geog ra ph y and Develop m ent : A World Reg ion al Geog ra p h y, London : Merril l Publi sh ing Comp a ny , p. 394 : Eng lish , Paul Ward, 위의 책, p. 290.

제筑 1 급에는 대토지를 소유하고 있는 신대륙 태생의 백인 계급 크리올 creoles(Euro p eans born in th e New World) 이 있었다. 크리울은 대토지를 소유하여 경제적인 부를 갖고 있었지만, 정부 • 군대 • 성칙에서는 중요한 요직을 차지할 수는 없었다. 예컨대 군대에서는 장군의 지위에 오를 수 없고 단지 중간급이나 하위급 장교의 지위만을 차지할 수 있었고, 종교에서는 주교 하위의 성

직만 맡을 수 있었다. 식민지시대가 수세기 지나 크리울들이 반 도인들보다 그 수에 있어서 점차 많아지게 되자, 그들은 자신들 이 제27-l]급이라는 사실에 대하여 서서히 분개하게 되었다. 그리 하여 크리울들이 라틴아메리카 혁명의 주도적 세력이 된다. 제 3 계급은 메스티조의 몫이었다. 메스티조는 목장에서 소몰이 va g ueros(cowbo y s) 나 농장에서 관리자의 역할을 하였다. 군대에 서는 하사관의 지위를 차지하였고, 드물게 촌락의 성직자 역할도 말았다. 최허위 계급에는 인디언이나 흑인 등이 있었다. 인디언들은 농 장과 광산에서 각종 노역에 동원되었고, 종종 작은 규모의 농토 룰 소유하기도 하였다. 메조아메리카나 안데스 고지에서 많은 인 디언들은 그들의 공동 소유의 농토를 가질 수 있었으나, 그들은 지방영주 local p a t rons 의 부역에 응해야만 하였다. 영주 밑에서 피온p eons” 으로 일하는 인디언들도 많았다.

3) 토지가 없는 노동자 landless workers 로서 과거에 우리나라에 있던 머 슴과 같은 위치에 있었다.

2) 영국인 ·프랑스인 •네덜란드인들의 식민지에 있어서의 사회 조직 영국인 • 프랑스인 • 네덜란드인들은 서인도 제도와 카리브 해 연안의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정착하였다. 이러한 유럽인들은 플랜 데이션을 발달시켰는데, 여기에 필요한 노동력은 원주민들의 노동 력에 의존하지 않고 아프리카에서 들여온 노예들의 노동력에 의 존하였다. 사실 서인도 제도의 많은 섬들에서는 영국인 • 프랑스 인 • 네덜란드인들이 전출할 무렵에 원주민들은 거의 멸종되어 있 었다. 서인도 제도의 인종 구성을 총괄적으로 말하면, 157 0\1경에 흑인 85%( 筑J @ 명), 백인 12%(7천 첵 명), 인디언 3%(2 천 명)이었고, 165 0\1경에 흑인 66%(40 만 명), 백인 13%( 陝J 명),

혼혈인 21% (1 2 만 炫J 명)이었으며, 182 5'.:!경에 이르러 흑인 69%(196 만 명), 백인 17%(48 만 2 천 명), 혼혈인 14%(40 만 명)로 구성되었다. 북부유럽인들이 정착한 서인도 제도에서도 혈연예 의하여 사회 적 신분이 결정되었다. 최상위 계급에 속하는 부유한 백인충은 정부 관료, 중요한 상인, 플랜테이션 소유자나 관리자 등의 지위 를 차지하였다. 서인도 제도의 최대 디수를 차지하는 아프리카인 노예들에게는 인권이 보장되지 않았고, 노예들은 다만 피지배 계 급으로서 플랜테이션 등에서 필요한 노동력을 공급하여야만 하였 다. 백인과 흑인의 중간계급으로서 혼혈인 물라토는 대체로 자유 인으로서 匠人, 노예감시자 등의 역할을 말았다. 한편 총인구수는 얼마되지 않았지만 가난한 백인충이 있었는데, 이들은 소규모 농 업에 종사하였고 물라토보다는 한충 높은 신분을 차지하였지만 플랜테이션에서는 물라토와 거의 같은 일을 말았다. 이 계층의 백인들은 점차 사라져갔다. 3) 식민지시대 브라질의 인종 구성 브라질의 해안저지대에서 발달한 플랜테이션에서도 서인도 제 도의 플랜테이션과 마찬가지로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였기 때문에 아프리카에서 많은 흑인 노예들이 수입되었다. 154 0¼:評터 1860 년 까지 브라질로 들어온 흑인 총인구는 대략 350 만 명 될 것이라 고 추산된다· 브라질에서는 흑인 • 백인 • 인디언 동 간의 혼혈화 가 비교적 급속도로 전전되었다. 식민지시대 브라질의 인종 구성 울 보면, 15701 ;:! 경에 인디언 94%(8~같 명), 흑인 4%(3 만 명), 백인 2%( 灰} 명)이었고, 165 01;:!경에 인디언 73%(7~} 명), 흑인 11% (1 0 만 명), 백인 7%( 穴i 명), 혼혈인 8%(8 만 명)이었다. 그 리고 182 5';:넘 브라질의 인종은 흑인 50% (1 96만 명 ), 백 인

23%(92 만 명), 혼혈인 18%(70 만 명), 인디언 9%(36 만 명) 등으 로구성되어 있었다. 2 라틴아메리카 각국의 인종 구성 4)

4) St an sfi el d, Jr. , Charles A. and Cheste r E. Zim olzak, 1990, Glob- al Perspe cti ve s : A World Regi on al Geog rap h y, Columbus : Meril l Publi sh in g Comp a ny , pp. 563-568 ; Fis h er, Ja mes S. (edit ed ), 앞 의 책 , pp. 392-394, 430-4 5 6 ; Wheeler, Jes se H. and J. Trento n Kostb a de, 1990, World Regi on al Geog rap h y, Ch ica go : Saunders College Publi sh ing , pp. 557-559.

인종의 혈연적 • 생물학적 구분은 매우 자의적인 것이다. 왜냐 하면 혼혈의 과정이 매우 복잡해지면서 다양한 집단들을 혈연적 으로만 구별하기가 불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예컨대 메스티조 와 물라토 간의 혼혈을 무엇이라고 칭할 수 있을까? 또 물리토와 잠보 간의 혼혈은? 오늘날 라틴아메리카에서는 신체적 특칭만으 로 인종 집단을 구별하는 것은 거의 무의미하게 되었고, 일반적 으로 신체적 특정보다 오히려 문화적 특칭에 따라서 인종 집단을 구별하고 있다. 다시 말해, 라틴아메리카에서는 언어나 생활양식, 또는 직업에 의하여 문화적 인종을 구별하고 있다. 메스티조는 백인과 인디언의 혼혈을 가르킨다고 할 수 있지만, 어떤 사람이 메스티조인지 아닌지를 구분할 때 생물학적 기준이 아니라 문화 적인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죽 어떤 사람이 생물학 적으로 순수한 인디언이지만 스페인어를 사용하고 백인의 생활양 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으면 메스티조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 다. 라틴아메리카에서 탁월하게 나타니는 인종을 중심으로. 지도화 하여 나타낸 것이 그림 5-1 과 그림 5_2 이다. 인종을 정확히 구분

0 ·9 5'1

호카해리

포분 종인 의카리메아앙중 카리 -l5메립 아그북

조조

텁언인디區 스티그메仁메티책스E 인·흑

적도」 o ·

lb' 20 30 40: 國 인디언 -~0·1 gD固· 흑 백메메인스인스티 티조조 와니안E /0 圖 아시아인 2 l00: _9_0 ' 80' 그림 5-2 남아메리카의 인종 분포

하기는 원래부터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라틴아메리카 각국에서 인종을 구분하는 지표가 통일되어 있지 않고 혼혈에 따라 인종 구성비 자체가 변하기 때문에, 각국의 인종 구성을 정확히 제시 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라틴아메리카 각국에서 인종 구성 과 생활 양식은 매우 밀접한 관련성이 있기 때문에 각국의 대략 적인 인종 구성비롤 고찰할 필요가 있음은 두말 할 나위가 없다. 그러면 이와 같은 라틴아메리카 인종에 대한 사전지식을 기초로 하고, 라틴아메리카 각국의 대략적인 인종 구성을 고찰해 보자. 1) 멕시코와 센트럴아메리카 (가) 멕시코(인구 9,IOQ PJ- 명 ) : 메스티조가 60% 이고, 인디언이 29% 이며, 백인이 9% 를 차지한다.” 멕시코의 인구 구성에서 볼 수 있듯이 멕시코는 인디언의 영향울 많이 받은 국가이다. 오늘 날 멕시코는 국민의 국가의식을 통합하기 위하여 인디언의 후예 임을강조하고있다.

5) 월러의 세계지리 교재 (Wheeler, Je sse H. and J. Trento n Kost- bade, 1990, World Reg ion al Geog ra p h y, Ch ica g o : Saunders Colleg e Publi sh in g , p. 580) 에서는 메스티조가 55% 이고 백인이 15% 를 차지하 고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이와 걷이 라틴아메리카 각국의 인종 구성에 대한 통계는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음을 알아야 한다.

(나) 과테말라(인구 950 만 명) : 순수 인디언이 50%6) 를 차지하 고, 메스티조가 46% 를 이루며, 백인이 3% 이내를 구성하고 있 다. 중앙아메리카의 여러 국가 중에서 인디언의 구성비가 가장 높다. 과테말라의 인디언들은 주로 마야 Ma y a 인이나 퀘체 Qu ic h e 인 계통의 인디언에 속한다. (다) 엘살바도르(인구 540 만 명) : 메스티조가 94% 를 차지하고,

6) 통계가 다양하게 제시된다. 순수 인디언을 대략 50% 내지 60% 로 보면 무난할 것으로 생각된다. Eng li s h , Paul Ward, 앞의 책 , p. 294.

나머지는 인디언들이다• 인접한 과테말라보다 인종적으로 동질성 이 훨씬 강하다. 물론 인종적인 동질성이 사회적인 동질성이나 경제적인 동질성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라) 니카라과(인구 380 만 명 ) : 메스티조가 69%, 백인이 14% 를 이룬다. 그 이의에 인디언 • 중국인 • 흑인 등의 인종도 분포한 댜 (마) 온두라스(인구 530 만 명) : 메스티조가 90% 를 차지한다. 나머지는 주로 인디언과 백인들이다. 카리브 해 연안을 따라서 잠보들이 촌락을 이루어 살고 있는데(그림 5 기), 이들 참보는 약 간 변형된 영어를 사용한다. (바) 코스타리카(인구 310 만 명 ) : 백인이 절대다수를 차지하여 중앙아메리카에서 백인의 인구 구성비가 가장 높다. 약 80% 에 해당하는 주민이 스페인계 백인의 후손이라고 자처하고 있다. 메 스티조도 일부 찾아볼 수 있다. 메조아메리카 인디언 문명권의 외곽에 입지하였기 때문에 인디언의 영향을 원래부터 적게 받은 국가이다. 흑인은 전인구의 3% 이내로 구성되고, 인디언은 전인 구의 1% 미만을 차지한다 .7) (사) 파나마(인구 250 만 명) : 인구의 70% 가 메스티조이며, 그 이의에 백인 (11%) 인디언 (6%) • 자메이카인 • 흑인 등으로 구성 된다. (아) 벨리즈(인구 20UJ 명) : 흑인 • 물라토 • 백인 • 인디언 • 중 국인 • 참보 등 인종 구성이 매우 복잡한 편이나, 흑인과 물라토 가 인구의 절반 정도 된다는 점에서 서인도 제도의 인종 구성과 유사하다. 7) DeBlij, H. J. and Pete r 0. Muller, 1991, Geog ra p h y : Reg ion s and Concept s, New York : Jo hn Wi le y & Sons, p. 273.

2) 서인도 제도의 각국별 인구와 인종 구성 오랫동안 유럽 열강의 각축장이었던 서인도 제도는 복잡한 역 사를 가질 뿐만 아니라 인종적인 측면에서도 라틴아메리키에서 가장 복잡한 지역에 속한다 .8)

8)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위의 책, pp. 265-266. Whe-eler, Je sse H. and J. Trento n Kostb a de, 앞의 책, p. 591 ; Ja mes, Presto n E. and Clarence W. Mi nk el, 1986, Lati n Americ a , 5th ed., New York : Jo hn Wi ley and Sons, p. 192.

(가) 쿠바(인구 1,070 만 명 ) : 백인 37%, 혼혈인 51% (이중에 물라토로 분류되는 혼혈인이 36% 이고, 메스티조로 분류되는 혼혈인이 15% 를 차지함), 흑인 11%, 중국인 l% 로 구성된다 .9)

9) 185 짜에서 187J\ d 사이에 약 13 만 명에 달하는 중국인들이 계약노동 자로서 쿠바에 들어왔고, 그 후에도 소수의 중국인들이 들어왔다.

(나) 아이티(인구 670 만 명) : 흑인 95%, 물라토 5% 로 구성된 다. 비록 물라토는 총인구의 5% 에 지나지 않지만, 그들이 차지하 는 권력은 막강하다. 국가의 부를 독점하고 있는 물라토의 인구 는 아이티 총인구의 1% 정도에 불과하다. (다) 도미니카 공화국( 인구 740 만 명 ) : 혼혈인 73%, 백 인 16%, 흑인 11%로 구성된다. 사회 구조면에서 백인이 최상층에 있고 흑인이 최하층에 남아 있다고 할 수 있다. (라) 푸에르토리코(인구 340 만 명 ) : 백인 80%, 혼혈인과 흑인 20%로 구성된다. (마) 자메이카(인구 260 만 명) : 흑인이 70% 이상, 혼혈인이 17% 를 차지하고, 그 외 백인 • 인도인 • 시리아인 • 레바논인 • 중 국인 등도 있다. 혼혈인들이 정치적으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바) 바베이도즈(인구 3~감 명) :흑인 92%, 그 의 혼혈인과 백인으로구성된다.

(사) 트리니다드 토베이고(인구 130 만 명 ) : 흑인 43%, 인도인 40%, 혼혈인 12%, 그 의 중국인 • 시리아인 • 마데이라인 • 유태 인 • 베네수엘라인 등도 있다. 인구의 40% 를 차지하는 인도인들 은 19 세기 후반에 유입되었던 계약노동자들의 후예이다. 이들 인 도인의 과반수 이상이 힌두교를 믿는다. (아) 바하마(인구 2.S OJ 명) : 흑인 72%, 백인 13%, 혼혈인 14% 으로 구성된다. (자) 도미니카(인구 l(}P J 명 ) : 카립인디언 Car i b Ind i an 들이 그들의 보호구역에서 2 천여 명 살고 있는데, 이들은 서인도 제도 에서 유일한 카립인디언들이다 .10)

IO) 서인도 제도에서 아프리카인 노예들이 도망가서 카립인디언들과 합류 하여 결국에는 인디언과 혼혈을 이루었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에, 현존하 는 카립인디언들도 순수한 혈통의 카립족이라고는 할 수 없을지도 모론 다. DeBli j, H. J. and Pete r 0. Muller, 앞의 책, p. 259 ; Wheeler, Jes se H. and J. Trento n Kostb a de, 앞의 책 p. 593.

3) 안데스 산지 (가) 베네수엘라(인구 2,01() PJ 명 ) : 인구의 69% 가 메스티조이 고, 인디언은 겨우 1% 내지 2% 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주로 백 인 0] 다. (나) 콜롬비아(인구 3,25() PJ 명) : 인구의 58% 가 메스티조이다. 물라토는 인구의 14% 를 차지하고 인디언은 베네수엘라와 마찬가 지로 겨우 1% 내지 2% 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백인과 흑인이다. (다) 에콰도르(인구 l,IOQ PJ 명): 총인구의 42% 는인디언, 40% 는 메스티조, IO% 는 흑인과 물라토이다. 백인은 총인구의 8% 에 불과하다 .II) 대부분의 인디언은 안데스 고산지의 촌락에 거주하 고, 메스티조와 백인은 주로 도시와 태평양 연안의 해안 지대에

ll )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1991, 위의 책, pp. 309-310.

거주한다. 인디언들은 촌락공동체 생활을 영위하고 있으며, 국가 에 대한 의식은 매우 낮다. 반면에 서구화된 도시인둘은 국가의 식이 투철한 편이다. 촌락공동체의 인디언 집단과 도시의 메스티 조와 백인 집단을 통합하는 것은 에콰도르의 사회 문제 중에 가 장 절박한 문제에 속한다. (라) 볼리비아(인구 750 만 명 ) : 총인구의 50% 정도가 인디언 이다 .12) 도시의 주민은 서구화된 생활을 영위하나 촌락은 대체로 인디언의 고유 문화가 그대로 간직되어 있다. 인디언들의 대다수 는 케추아Q uechua 어나 아이마라 A y mara 어롤 사용한다. (마) 페루(인구 2,240 만 명) : 인디언의 구성비가 50% 를 다소 넘는다.'” 안데스 고산지 또는 촌락에는 주로 인디언들이 살고 있 고, 해안저지대나 도시에는 백인과 메스티조가 거주하고 있다. 4) 브러질(인구 1 억 5,350 만 명) 브라질은 미국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인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주민 인디언은 주로 아마존 분지의 벽지에 살고 있으며, 인디 언의 총수는 아마도 20 만 명이 넘지 않을 것이다. 흑인은 대략 인구의 7% 내지 15% 를 차지하고 있다. 흑인 인구수가 1,000 만 내지 2,300 만 정도로 다양하게 발표되고 있는 것은 아프리아계 순수한 흑인과 흑인계 혼혈인을 엄격히 구별하기가 쉽지 않기 때 문이다. 브라질 인구의 약 40% 정도는 혼혈인이라고 추정된다、 백인 인구는 브라질 인구의 과반수를 넘지 않는다. 백인은 1991 년 현재 7,500 만 명으로 브라질 총인구의 49% 에 가깝다. 182 처 브라질이 독립을 할 무렵까지 포르루갈계 백인이 백인 인 구의 거의 전부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브라질 독립 이후 독일 12) 위의 책, p. 307. 13) 위의 책, 같은 곳.

계 • 이탈리아계 • 동부유럽계 등에 속하는 백인둘이 이주 정착하 였다. 이주정착이 가장 활발하던 189 01;:뫼 l~ 년 동안에 들어 온 이민수는 150 만 명에 달하였다. 브라질의 납부지역은 19 세기 말엽과 2 伊1 ] 기 초영에 유럽계 이민에 의하여 개척된 지역으로 서 독일계 백인 (100 만 명)과 이탈리아계 백인 (35 만 명)을 비롯한 유럽계 백인의 구성비가 높게 나타나는 지역이다. 상파울루 Sao Paulo 주와 그 인근에는 일본인들도 100 만 명 정도 거주하는데 이들은 주로 상파울루 시 교의지역에서 근교농업에 종사하고 있 으며, 일부 일본인들은 도시에서 전문직에 종사하거나 사업가로 활동하고 있다. 일본인들의 브라질 이민은 190 8td에 781 명의 일 본인이 이민 온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일본인들은 처음에는 커 피농장에서 일하는 단순작업 노동자로 시작하였으나, 현재는 크게 성공한 민족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리고 브라질에는 대략 5 만 명 정도의 한국인들이 살고 있는데, 그들의 대부분은 상파울루 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많은 수가 의류 업계나 섬유 업계에 종사하고 있다. 브라질은 다양한 인종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미국과 같은 나라 에 비하면 인종 문제가 그리 심각한 편은 아니다. 인디언이나 혹 인이 사회 구조적으로 불이익을 받는 것은 사실이라고 하겠으나, 다양의 인종간의 혼혈이 급속히 전개되고 있으며 다수의 인종들 이 브라질 국가의식으로 통합되고 있다. 카톨릭 교회를 중십으로 한 종교적 통합, 포르투갈어롤 중심으로 한 언어적 통합, 브라질 의 고유한 생활 양식을 중심으로 한 통합 등을 고려해 보면, 브 라질의 다수 인종간의 통합은 성공적인 편이다. 5) 기아나 지역 (가) 기아나(인구 8 低J 명) : 인구의 과반수 이싱이 중국계 • 인

도계 • 중동계 등의 아시아인에 속한다. 흑인은 인구의 33% 를 차 지하고, 흑인계 혼혈인도 인구의 10% 를 차지한다. 백인들도 그 수는 적지만 일부를 구성한다. (나) 수리남(인구 40 만 명) : 아시아계 인도인이 40%, 흑인이 33%, 인도네시아인이 16%, 그리고 머룬 maroons 이 10% 를 차 지한다. 머룬은 도망간 노예나 그 후손들을 말하며, 그들은 내륙 의 밀림이나 습지에 격리되어 생활하고 있다. (다) 프랑스령 기아나(안구 IO 만 명) : 인구의 대디수는 흑인 • 아시아인 • 백인 사이의 혼혈인들이다. 6) 중위도의 남아메리카 파라과이는 전적으로 메스티조 사회이며, 칠레도 메스티조의 영향을 상당히 받은 국가이다. 우루과이와 아르헨티나는 인디언이 나 메스티조의 구성비가 상당히 낮으며, 전반적으로 볼 때 원주 민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았다. (가) 파라과이 ( 인구 440 만 명 ) : 인구의 95% 이상이 메스티조, 죽스페인인과과라니 Guara ni 인디언사이의 혼혈인이다. 1870 년 이후에 이주해 온 유럽인들은 파라과이인둘과 혼혈을 이루었 는데, 오늘날 이 집단이 파라과이의 정치 • 경제 • 사회 생활에 미 치는 영향은 이들의 인구 구성비에 비하면 상당히 큰 편이다. 1936 년부터 소수의 일본인들이 들어와 정착하였는데, 이들은 파 라과이인들이나 다론 유럽인들과 혼혈을 이루지 않는다. 1960 \:l 부터 197 0¼킨 사이에 들어온 2 만 명 이상의 이주민 중에서 아르 헨티나인이 22%, 브라질인이 17%, 일본인이 15%, 한국인이 3% 를 차지하였다 .14) (나) 칠레(인구 1,340 만 명) : 메스티조가 인구의 2/3 에 해당된 14) Jam es, Presto n E. and Clarence W. Mi nk el, 앞의 책, p. 407.

다. 특히 칠레 중부 지역에서는 메스티조가 인구의 92% 를 구성 한다. 칠레 중부 지역에는 원래 50 만 명의 원주민이 살고 있었는 데, 스페인인들이 이들을 정복하던 시기에 칠레에는 백인 여성들 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스페인 군인들이 원주민 여성들과 결혼하 였다 .15) (다) 우루과이(인구 300 만 명) : 유럽인 혈통이 인구의 90% 를 구성한다. 메스티조는 인구의 5% 정도이고, 흑인은 인구의 5% 이내를 차지한다. 라틴아메리카에서 백인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대 표적인 국가에 속하지만, 인구의 상당한 비율이 비스페인계 유럽 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16) ( 라) 아르헨티나(인구 3,28~감 명 ) : 흑인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고 순수한 인디언은 총인구의 3%가 되지 않는다. 대다수는 유 럽인 계통의 백인이다. 메스티조는 아르헨티나의 변방지대에 극히 일부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17)

15) 위의 책, p. 381 . 16) 위의 책, p. 453. 17) 위의 책, p. 419.

3 라틴아메리카의 언어 생활 18)

18) St an sfi el d, Jr. , Charles A. and Cheste r E. Zim olzak, 앞의 책, p. 563 : Norris , Robert E, 1990, World Regi on al Geog rap h y, New York : West Publis h ing , p. 317.

마야 문명의 전성기에는 마야어가, 그리고 아즈텍 제국이 번창 할 때에는 나후아틀 Nahua t l 어가 메조아메리카에서 링구이프랑카 ling u a fr anca( 공훈 1)l” 로 사용되었고, 안데스 산지에서는 잉카

19) 디수의 언어 사용권을 포섭하는 지역에서 어떤 특정한 언어가 의사소 통이나 상업 활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보조적인 언어로 (자발적으로 든지 혹은 강제적으로든지) 채택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언어를 링구아프랑카라고 한다. 어떤 지역에서 링구아프랑카로 사용되던 언어가 오랜 기간이 지나면 토착 언어를 대체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의 공용어 케추아Q uechua 어가 링구아프랑카로 사용되었다. 라턴 아메리카 식민지시대에는 스페인어가 링구이·프랑카로 널리 사용 되었다. 식민지시대에 라틴아메리카에서 영어가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에, 라틴아메리카에서 사용되는 피진어pi d gi n lan g ua g e( 교역 어 )20) 중에서 영어를 단순화하여 만든 언어가 특히 많다.

20) 다수의 언어롤 사용하는 집단들이 교역상의 필요에서 어떤 언어를 채 택하고 그 언어를 단순화하고 변조하여 사용할 때, 그 언어를 피진어라 고 한다. 피진이라는 말은 영어의 비즈니스 bus i ness 라는 단어를 중국식 으로 발음한 데서 유래한 말이다.

1) 영어 사용 지역 21)

21 ) 우리가 이미 잘 알고 있는 바와 갇이 미국과 캐나다 등에서 영어가 공 용어로 사용된댜 캐나다에서는 영어와 불어가 둘 다 공용어로 사용되는 데, 캐나다 국민의 60% 는 영어를 사용하고 27% 는 불어를 사용하며 나 머지 13% 는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

센트럴아메리카의 벨리즈에서는 영어가 공용어로 사용된다. 벨 리즈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센트럴아메리카 국가의 카리브 해 연 안은 일찍부터 영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영어를 사용하 는 사람들이 많다. 서인도 제도의 자메이카, 바하마, 트리니다드 토베이고, 바베이도즈, 세인트크리스토퍼 네비스, 몬트세라트 등에 서도 영어가 사용된다. 푸에리토리코의 공용어는 영어와 스페인어 이지만, 주민의 대다수는 일상 생활에서 스페인어를 사용한다. 2) 스페인어 사용 지역 22) 센트럴아메리카 7 개국 중에서 벨리즈를 제외한 6 개국, 서인도

22) 미국에 살고 있는 라틴아메리카 계통의 사람들(이들을 라티노 la ti nos 또는 히스패닉hi s pani cs 이라고 부름)은 2,500 만 명에 달한다. l99Q ld

현재 미국 내에 거주하는 라티노는 멕시코인 l,26Q PJ 명, 푸에르토리코 인 230 만 명, 쿠바인 110 만 명, 센트럴아메리카인과 남아메리카인 250 만 명, 그 의 기타 16Q PJ- 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히스패닉은 특히 미국 과 멕시코의 국경지대에 근접한 지역이나 풀로리다 주에 집중하여 거주 하고 있다. 미국에 거주하는 히스패닉은 학교나 직장에서 영어를 사용하 지만, 그들의 대부분은 스페인어를 사용할 수 있다.

제도의 쿠바 • 도미니카 공화국 • 푸에르토리코 등, 그리고 멕시코 에서 스페인어는 공용어일 뿐만 아니라, 그 주민의 대부분이 스 페인어를 사용한다. 또한 브라질 • 수리남 • 기아나 • 프랑스령 기 아나를 제의한 남아메리카의 9 개국에서도 스페인어가 공용어로 사용되고, 안데스 고지와 아마존 강 상류에서 사용되는 원주민어 의 경우를 제의하면, 이들 남아메리카 9 개국에서 대부분의 주민 들이 스페인어를 사용한다. 페루에서는 주민의 과반수 이상이 스 페인어롤 일상 생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주민의 27% 는 케추아Q uechua 라는 원주민어를, 그리고 3% 의 주민은 이이마라 A ym ara 라는 원주민어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3) 불어 사용 지역 23)

23) 캐나다 퀘벡 Qu ebec 주 주민의 대부분과 미국 루이지애나 Lo ui s i ana 주의 남부 지방 주민의 일부는 불어를 사용한다. 퀘벡 주의 주민들은 불어와 그들의 문화에 대한 자긍심이 높으나, 좋은 직장을 구해서 출세 를 하기 위해서는 영어를 찰 해야하는 모순을 안고 있다. 루이지애나 주에서도 점차로 불어를 서용하는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서인도 제도의 아이티, 마르티니크, 과델루프, 세인트 마르틴 St. Marti n, 마리 갈란테 Marrie Galante 등에서 불어가 공용 어로 사용된다. 아이티에서 불어가 사용되지만, 정통 불어를 사용 할 수 있는 사람은 아이티 주민의 10% 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아 이티 크리올어 th e Hait ian creole( 불어가 스페인어, 영어, 아프리 카 언어, 그리고 원주민어 등의 요소를 받아서 형성된 언어)를 사용한

다. 남아메리카의 프랑스령 기아나에서는 불어가 공용어로 사용된 다. 4) 네덜란드어 사용 지역 네덜란드령 서인도 제도 (Aruba, Bonair e , Cura,;:ao, St. Eusta - tius , Saba, S t .Mar ti n) 와 남가메리카의 수리남에서 네덜란드어가 공용어로사용된다. 5) 포르투갈어 사용 지역 포르투갈어는 라틴아메리카 국가에서 유일하게 브라질의 공용 어로 사용된다. 브라질에서 포르두갈어를 제 1 의 언어로 사용하 지 않는 주민들은 브라질의 남부 지역과 상파울루 주에만 주로 분포한다(그림 5~ 3).24)

24) Di ck enson, J. P., 1982, Brazil, London : Long m an, pp. 67-76.

6) 인디언 토착 언어의 사용 지역 유럽인들이 아메리카에 전출할 무렵에 아메리카에서 사용되던 원주민 언어는 무수히 많았으나, 많은 토착 언어들 중에서 대부 분의 언어들은 인디언 부족의 소멸 또는 동화와 더불어 소멸되어 더 이상 지구상에서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유럽인들이 아메리카에 진출한 지 50 0\'!이 지난 오늘날에도 상당한 수의 원 주민들은 그들의 고유한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중앙아메리카에서는 스페인인들이 전출할 당시에 15 가지 언어 족 lan g ua g e fa m i l y에 속하는 8 쩌 개 2” 의 토착 언어들이 사용되

25) 서로 구별되는 방언을 포함하면, 수백 개 이상의 서로 다론 언어가 사 용되고 있었다 (Wheeler, Jes se H. and J. Trento n Kostb ade, 앞의

책, p. 579).

두산두

폴그의란 드다어른 유럽어 c::\_ .\m ; ;;V 三원주민 어 그림 5-3 브라질 주민 중에서 포르투갈어 이의의 언어를 제 1 의 언어로 사용하는 주민의 분포, 19501 ;1

고 있었다 .26) 스페인인들이 중앙아메리카에 전출할 무렵에 사용되 던 토착 언어 중에는 이미 소멸되어 버렸기 때문에 지구상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언어들도 많다. 오늘날에도 국민적 통합 으로 인하여 인디언 언어롤 사용하는 인구는 점차로 줄어들고 있 는 것으로 사료된다. 현재 멕시코에서는 대략 5 백만 명이 인디언 언어를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1 백만 명 이상은 단지 하나의 인디언 언어만 구사할 수 있다꼬 멕시코에서는 나후아틀· (야즈덱의 언어)를 비롯한 다수의 인디언 언어가 사용되고 있다. 멕시코에서 사용하는 스페인어 자체도 인디언 언어의 영향을 상 당히 받았다. 과테말러에서는 2백 만 명 이상이 2Q al 개 이상의

26) Eng lish , Paul Ward, 앞의 책, p. 279. 27)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앞의 책, p. 268.

인디언 언어들(주로 마야 어족과 키체Q u i che 어족에 속하는 언어들) 울 사용한다 .28)

28) 현재 인디언 언어를 사용하는 인구에 대한 통계치도 다소 다양하게 제 시되고 있다. 과테말라에서 인디언 언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1 백만이라고 제시하는 학자도 있다 (DeB lij, H. J. and Pete r 0. Muller, 위의 책, p. 259).

오늘날 페루 주민의 과반수는 원주민어를 사용할 줄 알고 있으 며, 스페인어를 전혀 사용하지 못하는 주민들도 페루 총인구의 30% 에 가깝다. 페루에서 많이 사용되는 원주민어는 잉카 제국의 언어였던 케추아Q uechuan 어 29) 이며, 그 다음에 아이마라 A y mara 어 등이다. 페루의 공식 언어는 스페인어와 케추아어이고, 아이마 라어는 공식 언어로 인정되고 있지 않다. 볼리바아의 공식 언어 는 스페인어 그리고 케추아어와 아이마라어이다. 파라과이의 공석 언어는 스페인어와 과라니 Guara ni 원주민어이며, 파라과이 주민 의 90% 는 양언어를 말할 수 있다. 아마존 강 상류나 기아나 고 지 등에서 미개한 생활을 영위하고 있는 다수의 원주민 부족들이 그들 부족의 고유한 언어를 사용하고 있을 것이라는 사실은 어렵 지 않게 짐작할수 있다.

29) 남아메리카의 페루 • 에콰도르 • 볼리비아 등에서 대략 1 천만 이상의 원 주민들이 케추아어를 사용하고 있다.

4 종교 라틴아메리카에 가장 지배적인 영향을 주었던 종교는 키톨­ 릭이다. 카톨릭 교회가 소유하고 있던 토지와 재산은 오래전 에 국유화되었지만, 아직도 키톨릭 교회의 영향력, 특히 도덕 적 영향력은 상당히 크다. 근래에 근본주의 신교fu ndamen t al Pro t es t an ti sm 도 라틴아메리카에 널리 전도되고 있다. 이슬

람교와 힌두교는 아시아인이 비교적 많이 살고 있는 기아나 지역 과 트리니다드 토베이고에서 발견된다 .30 ) 1) 카톨릭의 유형 라틴아메리카의 식민지시대부터 네 가지 유형의 카톨릭 교도가 존재하였는데, 이 네 가지 유형은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첫 번째 유형은 형식을 엄격히 준수하는 카톨릭 교도들이다. 식민지 시대에는 도심에 거주하는 유럽계의 상류층이 이러한 유형의 카 톨릭 교도에 속하였으며, 이들이 다니는 성당은 경건 • 믿음 • 성 사 참여 등을 강조한다. 이러한 유형의 성당에 다니는 것 자체가 상류층에 속한다는 것을 견고히 해준다. 두번째 유형은 명목상의 카톨릭 교도들인데, 촌락 소농의 다수와 도시빈민의 거의 전부가 이러한 부류의 카톨릭 교도들에 속한다. 이들은 성직자 중심주의 에 반감을 갖는 반교권주의적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성당에는 영세를 받기 위한 경우와 또는 결혼식을 하기 위한 경우 등 특수 한 경우에만 간다. 세번째 유형의 카톨릭 교도는 벽지의 부족들 에서 볼 수 있는데, 이들의 믿음은 중세 카톨릭 관행과 그들의 토착적 (정령숭배적 ) 관행을 결합한 것이다. 마지막 유형은 영적 존재와의 가까운 영적 교류를 강조하는 카톨릭 교도인데, 주로 서인도 제도와 브라질에 거주하는 흑인이나 물라토 중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러한 유형에 속하는 카톨릭 교도들의 교리 • 관 행 • 의식 등은 아프리카인 문화 요소에서 유래한 것이 많으며, 정통 키톨릭 교도들의 그것과는 매우 다르다. 30) St an sfi eld , Jr. , Charles A. and Cheste r E. Zim olzak, 앞의 책, p. 568 : Norris , Robert E., 앞의 책, p. 318.

2) 종교 생활의 변화 J I ) 전통적으로 카톨릭 사회였던 라틴아메리카에서 그 종교 생활이 오늘날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라틴아메리카 종교 생활의 변화요 인으로는 세 가지를 둘 수 있다. 첫째, 라틴아메리카에서 급속히 성장하는 근본주의 신교를 변화의 요인으로 들 수 있다. 근본주의 신교 중에서 펜티코스탈교 Pen t ecos t al( 순복음교 계파)의 침투가 가장 두드러진데, 펜티코스탈교의 전도 사업은 의료 사업 • 빈민구 제 사업 등과 병행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펜티코스탈교 이의에 몰 몬 Mormons(Ba tt er -

제 6 장 도시와 농촌 경관 l 라틴아메리카의 도시화 다른 개발도성국들과 마찬가지로 라틴아메리카 각국에서도 도 시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도시화는 이촌향도의 인구 유 입과 도시 인구의 자연 증가에 기인한다. 라틴아메리카의 도시화 는 특히 19501d 이후부터 매우 급속하게 진행되었다. 도시화는 농촌에서의 유출 요인과 도시에서의 유입 요인이 함께 작용하여 가속화된다. 농촌에서는 토지개혁이 불완전하게 진행된 결과로 인 하여 많은 농민들이 경제적 향상을 기대할 수 없게 됨으로써 농 촌을 떠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전개된다. 도시는 농촌에 비하여 보다 나은 고용기회를 제공하고 보다 나은 교육 시설이나 의료 시설을 갖추고 있으므로, 도시는 농촌 인구에 대하여 매력 있는 공간이 된다. 또한 도로망이나 철도망이 확충됨으로써 농촌 인구 의 도시에 대한 접근성이 한층 높아전 것도 도시화를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세계 주요 지역별 도시화율을 비교해 보면, 1) 어떤 국가의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도시 인구의 몫이 접점 성장하는 것 울한다 .의 미한다. 도시 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도시화율이라고

표 6-1 세계 주요지역별 도시화율(총인구에서 도시인구가 차지하는 퍼센트)

주요지역 1990 1980 1970 1960 1950 (추정치) 라틴아메리카 71% 65% 57% 49% 41% 북아메리카 77% 74% 70% 67% 64% 유럽 73% 69% 64% 58% 54% 소비에트연방 71% 65% 57% 49% 39% 아시아 34% 29% 25% 22% 17% 아프리카 36% 28% 23% 18% 15% 세계 총평균 46% 41% 38% 34% 29% 자료 : Patt er ns of Urban and Rural Pop u lati on Growt h, New York : Un ited Nati on s, Dep a rtm ent of Inte r nati on al Economi c and So- cia l Af fair s , Pop u lati on St u die s , No. 68, 1990.

라틴아메리카의 도시화율은 개발도상국의 도시화율보디는 선진국 의 도시화율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표 6-1 ).2) 중앙아메리카보다도 남아메리카에서 도시화율은 10% 정도 높 게 나타나며, 특히 남아메리카 남부에서 도시화율이 매우 높게 나타난다. 1991 년 현재 아르헨티나 • 칠레 • 우루과이에서 도시화 율은 약 85% 정도로 나타나는데, 이는 통계상으로 볼 때 서부유 럽의 도시화율과 거의 같은 수준이라고 하겠다. 브라질의 도시화 율은 1991 년에 75% 정도로 나타나며, 연간 1% 이상으로 급속하 게 성칭하고 있다. 브라질에서 도시화율이 연간 1% 비율로 성장 한다고 함은, 연간 도시 인구가 150 만 명 정도로 불어나고 있음 을 뜻한다. 베네수엘라 • 콜롬비아 • 수리남 등의 남아메리카 북부 의 도시화율도 비교적 높은 편이다. 이들 삼국의 도시화율은 각 2)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1991, Geog ra p h y : Reg ion s and Concept s, New York : Jo hn Wi le y & Sons, pp. 34, 298.

각 82%, 68%, 66% 로 나타난다. 안데스 산지의 페루의 도시화 율은 70% 로 높게 나타나지만, 에콰도르 • 볼리비아 • 파라과이 삼 국은 도시화율이 겨우 43% 내지 55% 로 남아메리카에서 도시화 율이 가장 낮은 편이다 .3)

3) 위의 책, pp. 298-300.

라턴아메리카의 도시 중에서 다수의 도시는 지난 수십 년 동안 에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세계에서도 가장 인구가 많은 도 시들에 속하게 되었고, 이러한 도시들의 인구는 금세기 말까지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표 6-2).4' 라틴아메리카의 도 시들이 급증하는 인구를 수용할 수 있는 주거 • 교육 • 의료 등의 도시 시설을 원만하게 공급하지 못함으로써 각종 도시 문제가 발 생하고 있다.” 또한 도시가 고용기회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함으 로써 실업률도 매우 높게 나타난다. 실업률이 20% 를 넘는 경우 가 드물지 않고, 비록 고용이 되어 있는 경우도 매우 낮은 임금 을 받는 불완전 고용인 경우가 많다. 라틴아메리카 국가의 대도 시에는 자생적 정착지 sp o nta neous se tt lemen t나 무단점유 정착 지 s q ua tt er se tt lemen t 6) 가 거의 예의 없이 나타난다 .7)

4) Fis h er, Ja mes S. (edit ed ), 1989, Geog rap h y and Develop m ent : A World Regi on al Geog r ap h y, London : Merril l Publis h ing Comp a ny , pp. 397-398. S) Bromley, Rosemary D. F. and Ray Bromley, 1988, South Americ a n Develop m ent : A Geog r ap h ic a l Intr o du .ct io n , Cambrid g e : Cambrid g e Un ive rsit y Press, pp. 77-100. 6) 자생적 정착지는 기회비용이 적은 노동력과 시장 가치가 낮은 자재를 활용하여 만든 주택 , 죽 자조주택 self- h elp hous i n g으로 주로 이루어진 제 꺼 1 계 도시 내의 정착지 (주거지역 )를 말한다. 무단점유 정착지는 주 로 국공유지(공원부지 • 하천부지 • 도로 • 산림지 등) 혹은 사유지를 무단 으로(불법으로) 점유하여 형성된 정착지를 말한다. 죽 무허가로 형성된 정착지라는 개념이다. 자생적 정착지는 많은 경우에 무단접유 정착지에 속하지만, 반드시 무단점유 정착지에 속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정부 에 의하여 지정된 지구에 자생적 정착지가 합법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자생적 정착지나 무단접유 정착지는 슬럼 • 노후지구 • 불량주택 지구 • 재개발지구와 동일한 개념이 아니므로, 서로 혼동해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 슬럼은 사회학적으로. 병폐적 또는 되폐적인 지구로서 구미 선전 국의 대도시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슬럼의 시설물이나 건 축물은 합법적인 데 반하여 일반적으로 무단점유 정착지 (또는 자생적 정 착지 )의 시설물이나 건축물은 불법적이다. 대개의 경우에 자생적 정착지 건축물의 물리적 수준은 별로 좋은 편은 아니지만 자생적 정착지를 병폐 적(또는 되폐적)인 지구라고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자생적 정 착지롤 슬럼과 동일시해서는 안 된다. 도시 내의 특정지구가 시간이 지남 에 따라서 그 기능이 쇠되하여 도시 전체의 기능에 장애가 될 때, 그 특 정지구를 노후지구 b lig h t ed area 라고 한다. 예를 들면, 어떤 특정한 상 업지구가 인근에 현대적인 대형 쇼핑센터가 들어서게 되면 상업 기능이 쇠퇴하면서 노후지구로 되는 경우가 있다. 불량주택 지구 subs t andard housin g area 는 건축가나 도시계획가가 인위적으로 설정한 물리적 수준 에 미달한 주택 죽 불량주택으로 이루어진 지구를 말하고, 재개발 예정지 구는 도시행정상 재개발하기로 고시한 지구를 말한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자생적 정착지 (또는 무단점유 정착지 )는 노후지구, 불량주택 지구, 재개발 예정지구 등의 개념과 결코 동일한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이전, 1983, 「自生的 定着地의 立地 및 住居環境에 관한 硏究_j, 서울대학 교 대학원 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pp. 1-7.

7) Eng li s h , Paul Ward, 1989, World Reg ion al Geog ra p h y : A Qu esti on of Place(3rd ed.), New York : Jo hn W ile y & Sons, pp. 318-320 ; Wheeler, Je sse H. and J. Trento n Kostb a de, 1990, World Re- gion al Geogr aph y , Chic a g o : Saunders College Publi sh in g , p. 560.

2 각국의 주요도시와 도시 인구 8)

8) 도시 인구의 기준연도는 1991 년이다.

I) 멕시코의 주요도시 (가) 멕시코시티 Mex i co C ity(인구 2,100 만 명) : 현재 세계에 서 가장 많은 사림이 사는 도시이다 .9) 멕시코시티의 인구는 일년

9) 199 탸 현재 세계의 도시 순위 1 위는 멕시코시티이고, 2 위는 일본의 도 쿄 (1,800 만 명), 坪 1 는 상파울루(l ,74 QPJ 명), 特]는 뉴욕(1 ,624만 명), 첵는 상하이(1 ,34 灰J 명) 순이다. 우리나라 서울 (l,098PJ 명)은 세계

도시순위 l 떼를 차지하고 있다.

표 6-2 라틴아메리카 대도시의 인구 성장 : 대표적인 대도시의 1950 ';:!,

197 혓, 200 탸 인구 성장 인 구(추정치) 도시 195 탸 1975 년 200() l,i 멕시코의 멕시코시티 Mexic o Cit y 200 만 1,20() t'J 3, 160 만 브라질의 상파울루 Sao Paulo 250 만 900만 2,6 0 00J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 R i o de Jan eir o 290 만 750 만 1 , 940 만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아이레스 Buenos Ai re s 450 만 950 만 l,40 但J 콜롬비아의 보고타 Bo g o t a 70 만 300 만 95OOJ 자료 : Un ited Nati on s, Pop u lati on Divi s i o n , Trends and Prospe c ts in the Pop u lati on s of Urban Ag glo merati on , 1950-2000, New York : Unit - ed Nati on s, 1975.

에 평균 75 만 명 정도로 성장하고 있는데, 이것은 하루에 평균 1 천 명이 멕시코시티로 이주해 들어오는 동시에 히루 평균 1 천 명의 아기가 멕시코시티에서 태어나는 셈이다. 인구학자들은 201 0¼빈에 멕시코시티 수도권의 인구가 대략 4,000 만 명 내지 5,000 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10) 멕시코시티는 멕시코 중앙고원분지에 입지한다. 멕시코 중앙고 원분지는 넓고 평평하다는 접에서 대도시 발달에 유리한 장접도 갖고 있으나, 지질학적으로 볼 때 지반이 약하고 불안정하디는· 점에서 대도시 발달에 좋지 않은 입지라고 하겠다. 멕시코 중앙 고원분지는 화산 활동과 지진 활동이 빈번하여 지질이 불안정한 지대이고, 멕시코 중앙고원분지의 동남쪽.으로는 포포카테페틀 Pop o cate p e t le 산(높이 5,452 미터, l70 2L;:!에 화산폭발)이나 이히타 시우아틀 Ix t ac i hua tl 산(높이 5,286 미터, 186~ 반에 화산폭발) 등의 화산이 솟아 있다. 또한 멕시코 중앙고원분지에는 두터운 湖成推

10)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앞의 책, pp. 268-269.

積物이 덮여 있어서 지반이 매우 약하다(그림 2 - 2 참조)· 호성퇴적 물로 덮여 있는 부분은 지반이 약할 뿐만 아니라 되적물이 압축 되면서 지반이 가라앉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에 지하수· 룰 과도하게 퍼올려냄으로써 지반침하의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멕시코시티에 고충 빌딩을 건립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 문에 매우 곤란한 작업이 되지만, 멕시코시티에는 지반침하와 불 안정한 지질 구조를 잘 견뎌낼 수 있는 건축 공법을 사용한 현대 식 고충 건물들이 많이 들어서 있다 .II) 멕시코시티의 상히수도 문제도 심각한 도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멕시코시티의 거대한 인구가 필요한 생활용수를 매우 먼 거리로부터 끌어들여야 하기 때문에, 싱수도 공급에 비용이 상당 히 많이 든다. 또한 멕시코시티가 입지하고 있는 멕시코 중앙고 원분지는 원래 호수가 있던 곳으로 배수가 잘되지 않기 때문에, 하수를 처리하기 위해서도 비용이 엄청나게 많이 든다. 멕시코시티의 환경 문제 중에서 가장 심각한 것은 대기오염의 문제라고 하겠다 .12) 멕시코 정부는 다각도로 대기오염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고 있지만, 지형적으로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 데다가 멕시코시티(해발고도 2,24oPl 터)의 공기는 해수면의 공기 보다 원래부터 산소가 30% 정도 덜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대기 오염의 문제는 쉽게 해결될 것 같지 않다 .13) (나) 과달라하라 Guadala j ara(340 만 명 ) : 멕시코 제 2 의 도시 로서, 수도 멕시코시티에서 서쪽으로 대략 470 킬로미터 정도 떨 어져 있다. 과달라하라는 넓은 농업지대를 배후지로 갖고 있는데, 11) Wheeler, Jes se H. and J. Trento n Kostb a de, 앞의 책, p. 585 ;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위의 책 , pp. 268~269 ; Jam es, Presto n E. and Clarence W. Mi n kel, 1986, Lati n Americ a , 5th ed., New York : Jo hn Wi ley and Sons, pp. 52-54. 12) Eng lish , Paul Ward, 앞의 책 p. 294. 13) Newsweek, March 30, 1992, p. 43.

그 배후지는 비교적 평평할 뿐만 아니라 화산토로 덮여 있어 비 옥하다. (다) 몬테레이 Mon t erre y (290 만 명) : 제철 및 철강 공업이 일 찍부터 이미 1903 년에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철광석은 치와와 Ch ihu ahua 주와 두랑고 Duran g o 주의 광산에서 들여오고, 석탄 은 주로 코아우일라 Coahu i la 주의 사비나스 Sab i nas 탄전에서 들여온다. (라) 티후아나 T ij uana(130 만 명 ) : 미국의 샌디에이고 San Di - e g o 와 마주보는 국경도시이다. 티후아나는 저질의 향락 도시에 불과하였으나, 최근에 급속도로 성장하는 도시이다. 티후아나는 연간 수백만의 미국인 관광객으로부터 얻는 관광 수익뿐만 아니 라, 의국인 소유의 각종 공업으로부터 얻는 수익으로 인하여 급 성장하고 있다. 199Q \;:! 현재 이미 500 여 개 이상의 의국인 소유 공장에 穴} 명 이상의 노동자들이 고용되어 있다. 특히 일본인 자본의 투자가 급속도로 많아지고 있다. (마) 아카풀코 Aca p ulco : 멕시코시티롤 최단으로 연결하는 태 평양 연안의 도시이다. (바) 베라크루스 Veracruz : 멕시코시티를 최단으로 연결하는 멕시코 만 연안의 도시이다. 2) 센트럴아메리카의 주요도시 (가) 과테말라의 수도 과테말라시티 Guate m ala C ity(l30 만 명 ) : 과테말라시티는 고지대에 입지하고 있으며, 과테말라의 유일한 현 대도시라고 할 수 있다. 과테말라시티는 사회 • 경제 • 산업 • 교육 • 정치의 중심지로서, 과테말라시티와 그 부군에서 살고 있는 메 스티조들과 백인들은 유럽식 생활 양식을 따르고 있다. 따라서

근래 수십 년 동안에 과테말라시티를 중심으로 하는 메스티조 세 력과 서부의 고지대를 중심으로 하는 인디언둘의 갈등이 표출되 어 왔다. (나) 엘살바도르의 수도 산살바도르 San Salvador(110 만 명) (다) 온두러스의 수도 데구시갈파 Te g uc ig al p a(75PJ 명 ) (라) 니카라과의 수도 마나과 Mana g ua(90 만 명) (마) 코스타리카의 수도 산호세 San J ose (I IO 만 명) (바) 파나마의 수도 파나마시티 Panama C ity (72 만 윅 명 ) : 멕시코와 센트럴아메리카에서 유일하게 해안에 인접해 있는 수도 01 다. 사) 벨리즈의 수도 벨모판 Belmo p an(4,500 명) : 198 01,빈대에 벨 리즈의 내륙에 새로 설계한 행정도시이다. 도시 인구에서 알 수 있듯이 도시 규모가 매우 작다. 벨모판으로 행정수도가 옮겨가기 전에는 벨리즈시티 Beli ze C ity (6 만 명 )가 행정수도였다. 3) 서인도 제도의 주요도시 (가) 쿠바의 수도 아바나 Havana(2IOOJ - 명 ) (나) 도미니카 공화국의 수도 산토도밍고 San t o Dom ing o (200 만 명) (다) 푸에르토리코의 수도 산후안 San J uan(180 만 명 ) (라) 아이티의 수도 푸己뚜立랭스 Por t -au-Pr i nce(80 만 명) (마) 자메이카의 수도 킹스턴 K i n g s t on(80 만 명) 4)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의 도시화율은 82% 로서 라틴아메리카 국가 중에서 도시화율이비교적 높은 편이다. 총인구 2,010 만 명 중에서 320 만

명이 카라카스 Caracas 에 살고 있다. 그 의 마러카이보 Mara­ caib o ( 12Q PJ 명 ), 발렌시아 Valenc i a(85 만 명 ), 바르키시메토 Bar­ q u i s i me t o(70 만 명) 등의 대도시에 많은 인구가 집중하여 있다. 199 ()tj_의 카라카스 인구는 195~ 回 인구보다 1()l l~ 이상 성장하 였다. 카라카스의 관문 항구 도시 라과이라 La Gua i ra 의 인구와 카라카스 인구의 합은 베네수엘라 총인구의 25% 에 불과하지만, 202 천경에 이르면 카라카스 도시권에 살고 있는 주민수가 1 천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5) 콜롬비아 안데스의 고지에 보고타 Bo go t a( 수도 42()1 ={} 명 ), 메데인 Medell­ i n(200 만 명), 칼리 Cal i (130 만 명) 등이 위치한다. 바랑키야 Bar­ ranq uilla ( 120 만 명 )나 카르타헤나 Car t ag ena(70 만 명 ) 등은 카리 브 해 연안에 입지하는 항구 도시들이다. 6) 에콰도르 수도 키토Quit o(11OOJ 명)는 대토지 소유 귀족들의 본거지로 서 지역적 서비스 중심지의 역할을 한다. 에콰도르에서 가장 큰 도시인 과야킬 Gua y a q u il (1300J 명)은 에콰도르의 태평양 연안저 지대의 중심 도시로서 에콰도르의 관문이며 공업의 중심지이다. 7) 페루 수도 리마 L i ma(34 QPJ 명 )의 관문 도시는 칼라오 Callao 인데, 리마와 칼라오의 인구를 합치면 약 530 만 명이다. 아레키파 Are­ qu ip a( 48PJ 명 )는 남부 지역의 중심지이고, 침보테 C hi mbo t~근

제철 • 제강 공업이 발달한 항구 도시이다. 쿠스코 Cuzco 는 잉카 제국의 수도가 입지하였던 도시이고, 이키토스 I qu it os 는 아마존 저지대의 중심 도시이며 아마존 강의 주요한 항구이다. 8) 볼리비아 라파스 La Paz (l OO 만 명 )는 볼리비아의 가장 큰 도시이며 수도 이다. 볼리비아 촌락의 주민들이 대체로 인디언 문화를 간직하고 있는 데에 비하여, 라파스의 대다수 주민은 서구화된 생활을 영 위하고 있다· 포토시 Po t os f와 오루로 Oruro 는 볼리비아의 중요한 광산 도시들이다. 산타크루스 San t a Cruz(40 만 명 )는 볼리비아 동남부 저지대의 중심 도시이다. 근래 산타크루스 주변의 저지대 가 개발되어 사탕수수 • 벼 • 면화 등이 재배되고 있다. 9) 브러질의 주요도시 (가) 상파울루 Sao Paulo( l,87 00J- 명, 고원도시) : 브라질 제 1 위 의 도시이며, 세계 제 3 위(멕시코시티와 도쿄 다음)의 대도시이 다. 196 처에 상파울루 인구는 약 500 만 명에 불과하였지만, 198 판에 상파울루 도시권의 인구는 1,500 만 명으로 성장하였고 14 ) 200 呼 경에는 상파울루 도시권의 인구가 2,600 만 명을 상회할 것으로 추정된다. 상파울루 시에만 2 만 5 천여 개의 공장이 집중 되어 있어서 브라질 전체 제조업의 55% 가 집중되어 있다. 또한 상파울루에는 다수의 은행과 주식 시장이 입지하고 있어서, 상파 울루 시는 브라질의 금융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상파 울루 시의 급속한 도시화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수반하였다. 농 촌으로부터 그리고 다른 지역으로부터 많은 인구가 유입하였는 14) Bromley, Rosemary D. F. and Ray Bromley, 앞의 책, p. 78.

데, 그들의 대부분은 문맹자들이고 미숙련공들이며 빈민들이었다. 그리고 도시는 이들에게 충분한 상하수도, 교통편의, 주택, 공공 보건 시설, 교육시설 동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파울루 시의 대기오염은 매우 심긱한 수준에 이르렀다. (나) 리우데자네이루 R i o de J ane i ro(l,170 만 명, 美港) : 브라 질 동남부 지역의 중심 도시이다. 리우데자네이루는 식민지시대의 초기에 방어 기지로서 건설되었는데, 천혜의 항구로서의 이점과 내륙에서 발견된 금광과 근접한 입지성으로 말미암아 급성장하였 다. 특히 수도가 북동부 지역으로부터 리우로 옮겨오~1- 리우는 브라질의 중심지 역할을 하게 되었다. 브라질의 수도는 19601d 에 리우에서 브라질리아로 옮겨갔다. 리우는 브라질의 제 芸] 제조 업 도시이다. (다) 벨로리존데 Belo Hor i zon t e (3 80 만 명) : 브라질 동남부 지역의 광산지대 중심 도시이다. 브라질의 제철 • 철강 공업의 중 심지로서 급성장하고 있는 도시이다. (라) 포르투알레그레 Por tq Ale g re(310 만 명) : 남부 지역의 중 심 도시이다. 포르투알레그레에서는 농산품이나 축산품을 가공하 는 공업도 상당한 규모의 노동력을 고용하고 있다. (마) 살바도르 Salvador(230 만 명) : 레시페 Rec ife (180 만 명), 포르탈레자 For t aleza 와 더불어 북동부 지역의 중요한 항구 도시 이다. 브라질의 문화근원지로 식민지시대의 화려한 문화유산을 갖 고 있다. 살바도르는 1763 년 수도가 리우데자네이루로 이전될 때 까지 브라질의 수도이었다. (바) 브라질리아 Bras fli a(160 만 명, 수도 )15) 브리질은 이미 192~ 빈대부터 연방 수도를 내륙에 건설하기 위 해서 부지를 예정하여 두었다. 기존의 수도가 해안선에 인접하여 I 5) Sta n sfi el d, Jr. , Charles A. and Cheste r E. Zim olzak, 1990, Glob- al Perspe cti ve s : A World Reg ion al Geog rap h y, Columbus : Merill Publis h in g Comp a ny, pp. 628-6 2 9.

유럽과 밀집한 관계를 맺고 발전한 것과는 달리, 해안선에서 멀 리 떨어져서 건설될 새로운 수도는 브라질 개발의 새로운 핵심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신수도 반대론자들은 신수도가 인 구밀도가 낮고 낙후되어 있는 내륙 지역에 전설됨으로써 어마어 마한 건설 경비가 둘 것이라고 지적하였으나, 신수도 찬성론자들 은 내륙지역의 자원을 충분히 개발하기 위해서도 내륙 지역에 신 수도를 건설하는 것은 불가피한 일이라고 반박하였다. 1956 년에 쿠비체크J uscel i no Kubit sc hek 대통령은 장기간에 걸쳐 계획되어 온 신수도를 전설할 것이라고 발표를 하였다. 신 수도 브라질리아의 설계안은 195 8',민에 완성되었는데, 브라질리아 를 성장축으로 작용하여 새로운 투자와 많은 이주민을 유인하도 록 계획되었다. 그리고 브라질 전통적 건축 양식을 충분히 반영 하고 도시 전체가 비행기 형태를 갖도록 설계되었다• 마침내 브 라질리아는 196 01;빈에 신도시의 역할을 하기 시직하였다. 신수도로 이전하는 작업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어떤 관공서는 몇 명의 관료만 브라질리아로 보내고 대부분의 인원을 리우데자 네이루에 그냥 남겨두었다• 정부가 브라질리아로 가족을 전부 이 주하지 않는 관료를 해고하려는 강령을 만들자, 관료들은 아직 브라질리아의 도시 기반 시설이 미완성인 점을 지적하면서 정부 시책에 저항하였다. 의국의 대사관들도 처음에는 리우데자네이루 에 남아 있기를 원하여 신수도로 이주하지 않으려고 하였으나, 결국에는 브라질 정부의 강력한 이주책을 마지못해 따러야만 하 였다. 브라질리아는 점차 성장하였으나, 도시 문제도 더불어 심각하 게 나타났다. 원래의 설계에 따르면, 브라질리아는 대중교통에만 의존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칙장과 가정에 주차할 공간이 마련되 어 있지 않았다. 브라질리아의 라데라이트성 토양에는 관목과 잔 디가 잘 자라지 않아서 쾌적한 조경을 조성하기가 힘들었고, 가

구를 구입할 만한 가구점이 없어서 아파트 내부에 가구를 들여놓 을 수 없었다. 또한 전력이 충분하게 공급되지 않아서 여러 가지 불편한 문제가 나타났고, 연료가- 부족하여 버스가 운행되지 못하 는 경우도 있었다. 심지어 아파트 엘리베이트를 작동할 수 없어 서 10 여 충의 고충아파트롤 계단으로 올리카야 하는 경우도 혼하 였다. 그리고 원래의 도시설계상에서 계획되지 않았던 다양한 현상들 이 나타났다. 건설 현장에 동원되었던 노동자들과 고용기회를 찾 아서 온 이농민들이 브라질리아 도시 외곽에 무단점유 정착지롤 건설하여 정칙하였다. 버스 터미널 등에 인접하여 원래 계획되지 않은 유홍가나 환락가가 들어섰다. 일부 중산층들은 그들을 위해 서 건설된 아파트에 입주하는 것을 거부하고 공지를 찾아서 단독 주택을 건설하였다. 심지어 도시 내부의 공지에 농사짓기 위해서 들어오는 농부들도 있었다. 그러나 브라질리아의 인구는 이미 197 0\1경에 원래 계획된 인 구(죽 50 만 명)를 초과하였다. 오히려 브라질리아는 도시계획가들 이나 정책 결정자들이 예상하지 못한 속도로 성장하였다. 아직도 해결해야 할 도시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가로망 이 포장되었고 전력 공급이 원활해졌으며 상수도 문제도 해결되 었다. 식료품이나 생활필수품을 공급하는 유통- 체계도 정상화되었 다. 그리고 근래 경공업지대에서는 생산 활동도 매우 활발한 편 이다. 특히 브라질리아가 원래부터 계획된 성장축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브라질리아는 브라 질 전지역과 연결되면서 브라질의 수도로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사) 쿠리티바 Cur iti ba(13 QPJ 명) : 남부 지역의 주요도시이다. (아) 벨렘 Belem(11 QPJ 명) : 아마존 강의 입구에 입지하는 도 시이다.

(자) 마니우스 Manaus(l30 만 명) : 아마존 강 유역 분지의 중 앙에 입지하는 도시이다. 수출입 자유지대로 지정되어 있다. 10) 아르헨티나 팜파 지대의 도로망과 철도망이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 Buenos A i res 를 중심으로 발달하여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항구를 통하 여 팜파 지대의 농선물이 세계 시장에 수출되고 있다• 11) 칠레 칠레의 수도 산티아고 San ti a g o(540 만 명 )를 비롯하여 대부분 의 도시들이 칠레의 중부 지역에 위치한다. 산티아고는 안데스 산지의 고원 도시로서 스모그 현상으로 악명이 높다. 산티아고 이의에 항구 도시 발파라이소 Val p ara i so(3SCJ 명 )를 비롯하여 비나델마르 Vi na del Mar(32 만 명 )나 콘셉시온 Conce p c i on(22 만 명) 등의 도시가 중부 지역에 위치한다. 아르시아 Arc i a 는 칠레 태평양 연안의 최북단에 위치하는 항구 도시이다. 볼리비아에서 산출되는 석유와 천연가스가 아르시아 항구를 통하여 수출된다. 12) 우루고fO I 와 파라과이 수도 몬테비데오 Mon t ev i deo(l50 만 명)에 우루과이 인구의 절 반이 집중되어 있고 우루과이의 주요 공업의 대부분이 집중되어 있다. 몬테비데오를 중심으로 철도망과 도로망이 방사형으로 발달 하여 내륙의 농경지로 뻗어 있다. 아순시온 Asunc i 6n(73 만 명 )은 파라과이의 수도이다.

3 고도에 따른 경관 변화 라틴아메리카의 열대지방에서는 해발고도에 따라 기후가 달라 전다. 그래서 열대지방에 속하는 남아메리카의 안데스산지와 중앙 아메리카의 산지에서는 고도에 따라 자연 환경과 인문 경관이 매 우 다르게 나타난다 .1 6 ) 다시 말해, 멕시코 • 센트럴아메리카 • 안데 스 산지 등의 산지에서는 해발고도에 따라서 기후 • 토양 • 농작물 • 가축 • 생활 양식 등이 달라진다(그립 6 - l). (가) 티에라 칼리엔테 tier ra cali en t e( hot land) : 해발고도 약 1 천 미터 이하로서 무덥고 습윤한 해안의 저지대를 티에라 칼리 엔테라고 부르는데, 여기서는 바나나 • 사팅수수 • 코코넛 • 카카오 • 벼 • 천연고무 등의 열대작물이 재배된다. 사탕수수 • 바나나 • 카카오 등을 상업용으로 재배하는 플랜테이션도 바로 이 지대에 발달하여 있다. (나) 티에라 템플라다ti erra tem p la da(te m p e rate land) : 두 번째 지대는 고도 약 1 천 미터에서 약 2 천 미터까지의 지대로서 티에라 템플라다라 일컫는다. 이 지대는 일 년 내내 온화한 기후 로서 커피 ·감귤류·면화·옥수수 · 콩·토마토·고추 등이 재배 된다. 티에라 템플라다는 라틴아메리키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지대로서 온난한 고지나 산사면을 가리킨다. 커피 농업과 자급적 농업 특히 옥수수 농사나 밀 농사가 발달하여 있다 . (다) 티에라 프리아ti erra fria( cold land) : 티에라 템플라다 위에는 서늘한 지대인 티에라 프리아가 나타난다. 이 지대에서는 밀 ·보리 동의 곡류와 감자 등의 서류, 그리고 사과·복숭아·풀 16) 위의 책, pp. 578-579 : Fis h er, Jam es S., 앞의 책, p. 437 : Eng lish , Paul Ward, 앞의 책 , pp. 298-299 ; Wheeler, Je sse H. and J. Trento n Kostb a de, 앞의 책, pp. 561-562 : Blouet, Bria n W. and Olwy n M. Blouet, eds, 1982, Lati n Ameri ca : An Intr od ucto r y Sur-uey , New York : Jo hn Wi ley, pp. 9-10.

!nld ‘0)

dldn , an,‘ `'`a[ t

m)(도해고발 -O---O---O -.-5-------------------------------------------------- ..떠f em hldeKra-l dra 또na 三h멋a라]--.-----3243l---- ------- iiii 磁 :\-[〉-二i一一iiiii - l i티 에織어\----i -국라댜}-(i다 升파 i멀i --류티 i,• •0착gi나a-一`` ’/f 0『 e-r( i물\0ra.這롱炳상5티 沿 二_ni0-\ ( 0/〉如끓 :- 라에繼 at ..p一 j 펠er - 밑 ra : 따 라에i ‘t ao ere씁-tra a e 「 I-6림그따 에도고발해 및생 식른작화변 의물 m 칼 ee ‘rezn .`卍

럼 등의 과일을 재배한다 . 곡물이나 감자 등은 주로 자급용으로 재배된다. 중앙아메리카에서 티에라 프리아에 해당하는 면적은 그 리 넓지 않으나 , 안데스 산지에서는 티에라 프리아에 해당하는 면적이 상당히 넓다. (라) 티에라 헬라다ti erra helada(fr oz en land) : 티에라 프리 아보다 높은 지대로서 해발고도가 약 炫J 미터 이싱이 되는 지대 를 티에라 헬라디라고 한다. 티에라 프리아와 티에라 헬라다의 경계를 이루는 해발고도 3 , 60 QP 1 터 내지 4 , SO QP l 터의 지대는 산 악초지를 이루는데, 여기서는 양 등을 사육하는 농업 활동이 가 능하다. 티에라 헬라다의 낮은 지대는 산악초지를 이루고 있으나, 해발 5 천 미터 이상의 지대는 빙설(만년설)로 덮여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라틴아메리카의 열대지방에서는 해 발고도에 따라서 열대우림 기후에서 툰드라 기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후가 나타난다. 4 삼림의 제거 1 7) 라틴아메리카의 열대지방에서 삼림이 제거되면서 심각한 환경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라틴아메리카의 삼림이 제거되기 시작한 것은 스페인인들이 전출하기 시작한 1@] 기부터라고 볼 수 있으 나, 삼림제거가 가속화되기 시작한 것은 195 01;:預円부터라고 할 수 있다. 센트럴아메리카만 보더라도, 195 ()1;1대 초와 199 ()1;1대 초 사이의 4 01;:빈 기간 동안에 75% 의 삼림이 제거되었다. 이러한 삼 림제거율은 연간 대략 2.5% 의 속도로 삼림이 제거되는 것이었으 며,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였다. 엘살바도르에서는 이미 기존의 열대우림이 완전히 제거되었으며,다른센트럴아메리카에서도 2000 17)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앞의 책, pp. 274-275.

년경에 이르러 열대우림이 완전히 제거될 것으로 예측된다. 1940 년 경에 국토의 80% 가 열대우림으로 덮여 있던 코스타리카는 198 8',1경에 이르러 단지 국토의 17% 만이 삼림으로 남게 되었다. 라틴아메리카에서 삼림이 제거되는 근본적 원인은 아마도 라틴 아메리카 각국의 경재력이 과잉 인구를 적절히 부양하지 못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데에 귀착될 것이다. 그러나 삼림이 제거 되는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원인은 디~ 같이 몇 가지로 제시될 수있다. 첫째, 목초지의 확장에 따른 삼림의 제거이다. 많은 라틴아메리 카 국가들은 육우를 방목하기 위한 목초지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삼림을 제거하여 왔다. 특히 센트럴아메리카에서 삼림이 제거되는 원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목초지의 확장에 있다. 열대지방 에서는 일단 조성된 목초지라도 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없고, 疾! 내지 또!이 지나면 쓸모가 없게 된다. 즉 열대지방에서는 고온습 윤한 기후로 인하여 토양의 유기질이 쉽게 분해되어 유실되고 토 양의 용탈현상 leach i n g이 급속도로 일어나기 때문에, 영구적인 목초지를 조성할 수 없다. 그래서 육우를 사육하기 위해서는 부 근의 삼림을 연속적으로 제거해 나가면서 새로운 초지를 조성해 야 하며, 이에 따론 삼림의 제거는 지속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둘째, 열대립의 벌목이 삼림제거의 중요한 원인이다. 중위도 지 방에서 쓸만한 삼림이 점차로 고갈되어 가면서, 벌채업지들은- 점 차로 적도지방의 풍부한 열대림에 의존하여 왔다. 주택용 • 제지 용 • 가구용 등에 필요한 목재의 수요가 가속적으로 증대됨에 따 라서 열대립 제거에 대한 압박은 증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하겠다. 셋째, 라틴아메리키에서 폭발적으로 증대되는 인구를 부양하기 위해서는 농경지의 확보가 불가피한데, 농경지의 확대는 결국 열 대립의 제거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을 수밖에 없다. 라틴아메리카

에서 과잉 인구들은 땔감을 얻기 위해서 또한 농지를 개간하기 위해서 열대림을 잠식해 나가고 있다. 특히 열대지방의 많은 소 농들은 화경 slash-and-burn ·or sh ifting f'll'mi n g(제 2 장 제 3 철 참조)에 의존하고 있는데, 화경은 인구밀도가 높아지면서 생태학 적으로 환경의 파괴를 수반하게,된다. 적절한 대책이 급박하게 강구되지 않는 한, 라틴아메리카의 열 대우림은 200 0\1경에 이르러 아마존 강 유역 분지를 제의하고 거 의 전부 제거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지구상에서 열대우림이 가 장 넓은 지역은 아마존 강 유역 분지인데, 아마존 분지에서도 2035 년경에는 열대우림이 완전히 사라질 것으로 추정된다. 삼림 의 제거에 따른 토양 유실의 문제, 홍수의 피해 등은 당연하게 뒤따르는 환경 재해임을 어렵지 않게 상상할 수 있다. 예컨대 복 초지를 조성하면, 단기적으로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기도 하지만 장기적인 측면에서 볼 때 삼림제거에 따른 불이익은 엄청나게 크 다. 열대우림의 제거에 따른 제반 문제는 전문적이고 상세한 연 구를 필요로 하는 것이나, 환경학자들이 제기하고 있는 두 가지 문제접만을들어보자. 우선 열대림의 제거는 인간에게 주어전 가장 값진 생물학적 보 고를 제거하는 것이다. 열대우림은 지구상에서 가장 다양한 동식 물이 서식하는 지대이다. 다시 말해 열대우림이 차지하는 면적은 지구 육지 면적의 6% 에 미치지 않지만, 지구상에 존재하는 동식 물의 과반수 이상이 열대우림에 서식하고 있다. 따라서 열대우림 의 제거는 지구상의 동식물 중에서 많은 종의 소멸을 가져올 수 있다. 현재 우리 인간들이 열대림으로부터 각종 의약품과 신품종 의 작물을 개발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해 볼 때, 열대림의 제거 가 우리 인간에게 어떠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지를 짐작해 볼수있다. 다음으로 열대우림의 제거가 지구의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을 둘 수 있다. 열대림의 제거와 지구의 기후 변화에 대한 관련 성은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환경학자들은 열대림의 연소 에 따른 지구의 온난화를 지적하고 있다. 열대립이 불에 타면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이산화탄소는 지구의 온실효과에 따른 기 온 상승을 초래하며,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면 빙하가 녹아서 해 수면이 싱승할 것이다. 지구상에 많은 인간들이 연안의 저지대에 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해수면 상승이 인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엄청난것이다.

제 7 장 중앙아메리카 아마 지구상에서 중앙아메리카만큼이나 다양성을 지니고 있는 지역을 찾아보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중앙아메리카에는 열대우 림 기후 • 사바나 기후 • 사막 기후 • 고산 기후 등의 다양한 기후 환경이 나타나고, 화산토 • 산호초토 • 석회암지대토 • 사막토 등의 다양한 토양이 나타난다. 중앙아메리카에는 멕시코와 같이 영토가 큰 나라가 존재하는가 하면, 그레나다와 같은 작은 국가도 있으 며, 또한 미국령 • 영국령 • 프랑스령 • 네덜란드령의 영역도 존재 한다. 그리고 중앙아메리카에는 백인 • 흑인 • 인디언 • 아시아인 • 메스티조 • 물라토 • 잠보 등의 각종 인종들이 대단히 복잡하게 분 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스페인어(쿠바 등), 불어(아이티 등), 영어(자메이카 등), 네덜란드어(쿠라사오 등) 등을 비롯하여 마야 어 • 아즈텍어 동의 다양한 토착 원주민어가 사용되고 있다. 라틴아메리카에서 〈라틴〉의 의미는 이베리아(스페인과 포르두 갈)의 문화 유산과 로마 카톨릭의 전통이 탁월하게 나타난다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중앙아메리카에는 〈라틴〉의 의미가 잘 어울 리지 않을지도 모론다. 중앙아메리카(특히 서인도 제도)에는 스페 인과 포르투갈보다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등의 영향을 지배적 으로 받은 영역들이 다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중

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키를 합쳐서 라틴아메리카라고 부르는 것 은 다분히 관행적인 것임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문화지리학자들은 중앙아메리카롤· 두 개의 문화지 역으로 구분하여 메인랜드 ma i nland 와 립랜드 r i mland 로 구분하 기도 하는데, 이 장에서는 먼저 메인랜드와 림랜드의 지역성을 고찰할 것이다. 그 다음에 중앙아메리카를 멕시코, 센트럴아메리 카, 서인도 제도로 구분하여 전체적으로 고찰하고, 각 지역의 하 부지역들의 지역성에 대해서도 분석하기로 한다. l 메인랜드와 림랜드 일찍이 문화지리학자 오겔리J. P. Au g e lli는 중앙아메리카의 문화지역을 메인랜드와 림랜드로 구분하였는데,” 그의 주장은 중 앙아메리카에 관심을 갖고 있는 다수의 학자들에 의하여 수용되 고 있다(그림 7 - 1). 2) 메인랜드는 유럽인(특히 스페인인)과 인디언 의 영향을 받은 지역이고, 립랜드는 유럽인(특히 북부유럽인)과 아프리카인의 영향을 받은 지역이다. 메인랜드는 인디언 요소가 얼마나 강하게 나타나는가에 따라서 몇 개의 지역으로 세분할 수 있다. 죽 멕시코 남부의 고지나 과테말라와 같이 인디언 영향이 지배적으로 나타나는 지역이 있는가 하면, 반대로 멕시코 북부나 코스타리카와 같이 인디언 영향이 매우 제한적으로 나타나는 지 I ) Aug el l i, J. P., 1962, The ~iml and-Main l and Concep t of Cul- tur e Areas in Mi dd le Americ a , Annals of the Associa t i on of Americ a n Geog ra p h ers 52, n~. 2, pp. 119-1 2 9. 2)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1991, Geog ra ph y : Reg ion s and Concept s, New York : Jo hn Wi ley & Sons, pp. 245-335 ; Sta n s- field , Jr. , Charles A. and Cheste r E. Zim olzak, 1990, Global Perspe cti ue s : A World Reg ion al Geog ra p h y, Columbus : Meril l Pub- lish ing Comp a ny , pp. 584-585.

그림 7 - I 중앙아메리카 : 메인랜드와 립랜드

역이 있다 . 림랜드도 몇 개의 지역으로 세분할 수 있는데, 일차적 으로 림랜드는 서인도 제도와 센트럴아메리카의 카리브 해 연안 지대로 크게 둘로 구분할 수 있다. 림랜드는 해양을 통한 접근성이 높아서 해의로부터의 자본 투 자가 용이한 지역이며, 사탕수수와 바나나의 플랜테이션이 발달한 지역이다. 플랜테이션 경제는 세계 시장의 경기변동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림랜드는 세계의 자본주의 경 제에 심하게 노출되어 있는 지역이라고 하겠다. 반면에 메인랜드 는 고립적이고 자급적인 경제 활동이 립랜드에 비교하여 보다 강 하게 나타난다. 메인랜드의 대토지제도는 하시엔다가 주를 이룬 다. 의부경제에 대하여 메인랜드는 립랜드에 비하여 훨씬 덜 종 속적이다. 메인랜드와 림랜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 메인랜드 一一 유럽인과 인디언의 지역 ® 메조아메리카 지역 ―― 인디언 영향이 지배적인 지역 — 멕시코남부의 고지 _ 멕시코의 치아파스 Ch i a p as 주 — 멕시코의 유카탄반도 _ 과테말라의 전역 _ 온두러스 서부의 일부 지역 - 니카라과 서부의 일부 지역 ® 메스티조 지역―一인디언 영향이 있지만 지배적이라고는 할 수 없는지역 ―온두라스 —엘 살바도르 ―니카라과 _파나마 - 멕시코의 중부 ® 유럽인 지역__인디언 영향이 매우 제한적인 지역 一 코스王타리카 _ 멕시코의 북부 II 림랜드――유럽인과 아프리카인의 지역 ®서인도제도 _ 스페인계 서인도 제도 : 쿠바, 도미니카 공화국, 푸에르토리코 _ 북부유럽인계 서인도 제도 : 편의상 영국계, 프랑스계, 네덜란드계 로 세분할 수도 있으나, 실제에 있어서는 다수의 섬이 복합적인 영 향을받았음 ®센트럴아메리카 _ 플랜테이션지대 - 벨리츠와그외 카리브해 연안의 지역

2 멕시코 1) 개관 3)

3 ) Wheeler, Je sse H. and J. Trento n Kostb a de, 1990, World Re- gion al Geog ra p h y, Chic a go : Saunders College Publi sh in g , pp. 574- 585.

멕시코의 공식 명칭은 멕시코 주연합 The Unit ed Mexic a n St a te s (Esta d os Unid o s Mex i canos) 인데, 흔히 간략하게 멕시코 Mex i co 라고 부른다. 멕시코는 31 개의 주와 1 개의 멕시코시티 연 방 구역 th e Federal Di st r i c t of Mexic o C ity으로 구성되어 있다. 멕시코의 면적은 중앙아메리카 면적의 72% 이며, 멕시코의 인구는 중앙아메리카 인구의 58% 를 차지한다 .4)

4) Fis h er, Ja mes S. (edit ed ), 1989, Geog rap h y and Develop m en t : A World Reg ion al Geog ra p h y, London : Merril l Publi sh ing Comp a ny, p. 408.

멕시코는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식민지시대에는 은의 생산으로 유명하였고, 금세기에 들어서는 석유 생산이 많다. 멕시코 중부고 원은 인디언 인구밀도가 높아서 인디언의 노동 착취가 용이하였 다. 그리고 은을 비롯한 광풍기 먼저 산루이스포토시 San Lu is Poto si 주, 동 시에라 마드레 산맥 th e Easte rn Sie r ra Madre 에서 채굴되었고, 후에 사카데카스 Zaca t ecas 주를 비롯한 서 시 에라 마드레 산맥 th e Weste rn Sie r ra Madre 에서 대량으로 발 견되었다• 그리하여 식민지시대에 멕시코는 스페인령 아메리카 중 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끌었던 곳이다. 식민지시대 동안에 스페인의 엄격한 중상주의 정책에 의하여 중산층이 발달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식민지시대의 멕시코는 엄격 한 계급사회에 머물러 있었다. 멕시코는 1810 1;:i 독립을 선포하고 곧 독립을 쟁취하나 정치적인 안정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183 01,빈대에 텍사스 Texas 주를 잃었고, 184 01,민대에 미국 남서부 th e Americ a n Sou t hwes t를 잃게 되었다. 185 51;:!부터 전보주의 자 후아레스 Ben it o Ju arez 통치하에 일시적인 전성기를 맞이하 였으나, 1872 \1 그가 사망하자 디아 ~Por fi r i o D fa z 의 독재정치 가 지속되었다. 디아스의 독재정권하에서는 의국인 투자가 장려되 어, 미국 • 영국 • 프랑스 • 스페인의 자본이 멕시코에 대규모로 투 자되었다. 191 0\1경에 미국인들이 멕시코에 두자한 자본은 멕시코인들 자 신이 소유하고 있는 자본을 초과하였다. 그리고 영국인들은 멕시 코의 석유 • 금속 • 공익사업 • 설탕 • 커피 생산 등을 독점하였고, 프랑스인들은 멕시코의 방직공장을 장악하였으며, 스페인인들은 소매업과 연초 산업을 지배하였다. 디아스의 독재정권하에서는 멕 시코의 광산도 거의 전적으로 의국인의 통제하에 있었는데, 이러 한 양상은 멕시코의 혁명과 더불어 변화되었다. 191 興 혁명이 일어나기 직전에 대토지 소유자들 hac i enda own- ers 의 발언권이 점차 강화되어 3 천 가구가 멕시코 토지의 절반을 소유하고 있었고, 반면에 농민의 95% 가량은 전혀 농토를 소유 하고 있지 못하였다. 191 01;'1에 멕시코혁명이 일어났다. 혁명이 일 어나자 처음 亢반 동안은 중앙정부가 존재하지 않는 정치적 불안 정이 계속되었다. 급격한 사회 변혁을 주장하는 파벌과 전보주의 적 개혁을 주장하는 파벌 등 다양한 파벌간에 무력충돌이 일어났 다가, 마침내 191 7¼:}에 카란사 Venu ti ano Carranza7} 대통령에 취임하고 신헌법이 제정되었다. 신헌법은 ®6년 단임의 대통령 제, ®민간정부의 군통제권, ®교회와 외국 기업의 부동산 소유 에 대한 제한, ®보통선거권과 교육의 권리, ®최저임금제, ® 농 지 개혁 등을 규정하였다. 신헌법이 제정된 이후에도 수십 년 동안 멕시코의 정치는 안정 되지 못하였으나, 제끄} 세계대전을 전후하여 점차적으로 정치가

안정되고 현대 멕시코의 경제적 • 사회적 발전이 시작되었다. 경 제적 • 사회적 발 전 은 다음의 세 가지 프로그램 (계획안)에 힘입은 바 크다. ” 첫째, 공공교육을 우선적으로 강조하였다. 학교는 도시 내부뿐만 아니라 농촌벽지나 낙후 지역에도 세워졌다. 결과적으로 I95o i;:l 56% 이던 識者 率 이 198()\, 빈 말 현재 83% 로 향상되었다. 둘째, 인디언 문화 유산울 내세워 국민적 합의를 불러일으켰다. 학교 교육은 물론 스페인어로 행해졌지만 인디언의 문화유산에 대한 긍지를 심어주었다. 셋째, 유일 독점 정당인 제도혁명당 IRP( Ins ti tut i on al Revoluti on ary Par ty)에 의한 민주주의를 추 구하였다. IRP 는 노동자 • 기업가 • 농민 등을 - 모두 대변하는 정 당을 자처하고, 빈곤한 자와 압제받는 자를 위한 혁명이 지속됨 울 주장하였다. 비록 극좌나 극우의 소수 정당도 있었으나 IRP 정당은 191'7 1;'1 대통령 선거 이후로 현재까지 여당의 자리를 차지 하여 왔다. 그러나 근래에는 야당들의 세력이 점차 강화되고 있 으며, 멕시코 정치는 다당제를 향하여 나아가고 있다고 하겠다. 멕시코의 농업 발전은 ®토지 개혁, ®녹색혁명, ®해안저지 대 개발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6) 토지 개혁은 인디언 전통에 따라 개인이 아닌 촌락이 토지를 소유하는 에히도 제도t he eji do s y st em 를 중심으로 토지를 재분배함으로써 이루어졌다(제꾹} 참 조). 에히도 제도에 따르면 농부는 자손에게 토지롤 물려줄 수 있으나 토지롤 판매하거나 양도할 수 없다. 에히도 제도하에서는 토지의 궁극적 소유자는 국가라고 할 수 있다. 정부가 대토지 소 유자로부터 토지를 수용할 때 대토지 소유자에게 적어도 l0 碑]타 르의 토지를 소유하는 것을 인정하였기 때문에, 멕시코에서는 에 히도 제도와 더불어 대토지 소유 제도도 병존되고 있다. 멕시코 의 농업은 관개기술 • 농기계화 • 화학살충제 • 품종개량 • 화학비료 5) 위의 책, p. 410. 6) 위의 책, 같은 곳.

등의 측면에서 녹색혁명에 따른 농업 정책을 채택하여 발전하였 다 . 그런데 대토지를 소유한 개인농장에서는 녹색혁명의 채택률이 높으나 멕시코의 중부와 남부의 소농둘은 녹색혁명을 만족할 만 하게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멕시코는 해안저지대의 개발을 추전 하였는데, 특히 베라크루스 Veracruz 로부터 유카탄 Yuca t an 반도 에 이르는 해안저지대의 개발이 주목할 만하다• 멕시코의 자연 환경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오늘날 멕시코에 서 생산되는 작물도 매우 다양하다》 메조아메리카 삼대작물t he Mesoameric a n t r ipp le 로 얗거진 옥수수 • 강낭콩 • 호박은 오늘 날에도 멕시코의 소농둘에게는 매우 중요한 작물이다. 상업농은 지역적으로 특화가 되어 북서부 지역에서는 면화 • 식물성 기름 • 겨울 채소류가, 중부고원에서는 밀과 채소류가, 남동부 저지대를 따라서는 사탕수수 • 바나나 • 망고 man g oes 가, 동 시에라 마드레 산맥의 산록에서는 커피가 특화되어 있다. 그리고 북동부 저지대 의 일부 지역과 유카탄 반도의 일부 지역에서는 헤네켄울 생산한 다. 한편 육우가 곳곳에서 사육되고 있으며, 보다 건조하고 한랭 한 지역에서는 염소와 양이 사육되고 있다. 멕시코에서는 다양한 지하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멕시코 만 해 안지대와 그 연안 해저는 석유 매장량이 (구 소련과 사우디아라비 아를 뒤따르는)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지대에 속한다. 원래 멕시코 의 석유는 미국인 석유 회사들에 의하여 개발되었으나, 멕시코 정부는 193~ 에 미국인들이 소유하는 석유 산업을 국유화하였다 (표 7-1). 멕시코 국유화 조치에 대한 미국인 회사들의 보복 조치 로 인하여 멕시코 석유 산업은 얼마 동안 침체된 적이 있으나, 근래에 부흥하고 있다 .B) 1986년 멕시코의 원유 산출량은 세계 6 위 롤 기록하였다 .9) 7) 위의 책, pp. 410-4 1 1. 8) Sta nsfi eld , Jr. , Charles A. and Cheste r E. Zim olzak, 앞의 책, pp. 594-595.

9) Wheeler, Je sse H. and J. Trento n Kostb ade, 앞의 책, p. 566.

표 7- I 멕시코의 석유 생산

연도 생산량(1 00 만 배럴)| 비고 1910 3.6 1917 55 1921 193 멕시코가 세계 석유생산량의 거의 4 분의 l 을 산출함 1932 33 1938 1938 년에 멕시코 정부는 석유산업을 국유화함 1950 67 1963 125 1969 1969 년에 외국 석유희사와 맺은 계약이 종료됨 1970 177 1975 294 1979 483 1983 931 1984 1,176 1987 1,170 자료 : Unit ed Nati on s Sta t i st ic a l Yearbook, 1988.

멕시코는 납 • 아연 • 은 • 유황 • 구리 등의 생산으로도 유명하 다. 그리고 코아우일라 Coahu i la 주의 사비나스 Sab i nas 탄전에서 생산되는 석탄과 치와와 C hi huahua 주와 두랑고 Duran g o 주에 서 생산되는 철광석은 몬데레이 Monte r rey • 몬클로바 Monclova • 멕시코시티 등에 중심을 둔 제철 산업과 철강 산업에 기여하고 있다. 근래에 미국과의 국경지대를 따라서 제조업이 급속도로 발달하 고 있다. 국경지대의 도시 티후아나 등에 미국인 소유의 공장(특 히 조립공장)이 디수· 들어서고 있다. 이러한 공장에서는 면세부품 이나 각종 원료를 완제품으로 만들고 있는데, 완제품의 80% 이

상을 마국에 역수출하고 있다. 국경도시의 제조업 발달은 멕시코 인에게는 고용기회가 확대되고 미국인에게는 저렴한 노동력을 이 용할 수 있어서 양쪽에 이익을 가져다준다. 국경지대 공업 발전 계획은 이미 196 {)1,l대부터 시작된 것이나, 의국인 소유의 제조 공장들이 다수 들어서게 된 것은 최근의 현싱이다. 19821d 에 588 개 의국인 소유의 공장에 12 만 2 천 여 명이 고용되어 있었다. 그 러나 198 91;:빈에는 1600 개의 의국인 소유 공장에 40 만 명 이상이 고용되어 있었는데, 이것은 멕시코의 공업 노동자의 17% 에 해당 하는것이었다. 현 멕시코의 대통령 살리나스 Carlos Salin a s de Gor t ar i(하 버드 대 졸업생, I99 )1,빈 4 엇1 ]) 는 198 8¼빈 7 월 6 일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어 그해 12 월 1 일 정권을 이양받았다. 대통령이 된 살리나 스는 지난 198 21;:評-터 국영이었던 은행을 민영화한 것을 비롯하 여 비효율적인 국영기업을 민영화하였으며, 국가 소유 부동산의 상당량을 매각하였다. 그리고 살리나스는 관세를 낮추는 둥 수출 입 장애를 제거하고, 의국 자본을 유치하는 정책을 수립하였다. 살리나스는 미국과 무관세 조약을 추진하기 위하여 국내의적으로 총력을 다하였고, 마침내 19921d 8 월에 북미자유무역연합 NAFTA (the North Americ a n Free Trade A g reemen t)을 탄생시켰다. 멕 시코의 공업 발전이 한국의 공업 발전 과정을 바짝 뒤쫓고 있다 는 점에서 멕시코는 한국의 깅력한 경쟁 상대국이라고 하겠다. 미국 • 캐나다 • 멕시코의 삼국이 무관세 조약에 의한 경제블록을 정착시킨다면, 한국 • 대만 등 신흥공업국은 미국 시장에서 매우 불리한 조건을 맞이하게 될 것은 자명한 일이다 .10) 10) Newsweek, December 3, 1990, pp. 36-38 ; December 10, 1990, pp. 42-4 3 : May 27, 1991, pp. 32-37 : Sep tem ber 9, 1991, p. 33 ; March 22, 1993, p. 33.

2) 멕시코의 여러 지역 멕시코는 ® 북부 국경도시 지역, ® 북동부 지역, ® 걸프 만 연안 지역, ® 유카탄 반도, ® 남부 지역, ®멕시코의 중앙고원 분지와 그 인근의 고원 그리고 ® 서부 지역 등 일곱 개의 지역 으로 나눌 수 있다 .11 )

I I) 지리학자에 따라서 멕시코의 지역 구분이 다소 다양하게 제기된다• 월 러의 세계지리 (Wheeler, Je sse H. and J. Trento n Kostb ade, 앞의 책, pp. 581-585) 에서는 멕시코를 CD Centr a l Mex ico , @North ern Mexic o , ® the Gu lf Trop ics , © the Pacif ic Trop ics 등의 네 개의 지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북부 국경도시 지역은 미국에 인접한 연고로 미국의 경제와 문 화의 영향을 많이 받은 지역이다. 이 지역의 경제는 하청업체 • 수출입 기업 • 관광산업 등에 의하여 움직여진다. 미국과 무관세 조약 NAFTA 이 1992 \:l 8 월 협정됨으로써 북부 국경도시들에 대 한 미국 • 일본 등 선전국의 자본이 더욱 적극적으로 투자될 것으 로 전망된다. 특히 멕시코의 저렴한 노동력을 이용하려는 노동집 약적인 산업이 대규모로 유치될 것이다. 그러나 북부 국경도시에 는 미국의 영향에 의한 부정적인 활동도 심각하게 나타난다. 밀 입국이나 마약과 관련된 불법 활동, 관광 산업과 관련된 매춘 • 도박 • 협잡 등과 같은 부정적 활동, 스페인어와 영어의 혼합으로 인한 언어의 타락 등은 모두 미국과 인접하여 있음으로써 나타나 는 부정적인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북동부 지역은 반건조한 기후 지대로서 대규모의 목장에서 양 이나 소를 방목하는 경관을 쉽게 볼 수 있다. 중심 도시는 산업 도시 몬테레이 Mon t erre y와 항구 도시 담피코 Tam pi co 등이다. 북동부 지역은 이 지역에서 풍부하게 생산되는 천연가스를 기반 으로 화학 • 철강 • 제지 • 유리 • 맥주 등의 산업이 발달하였다. 베라크루스 Veracruz 주와 타바스코 Tabasco 주를 중심으로

한 걸프 만 연안 지역은 매우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석유화학 공업과 섬유 공업 등과 같은 공업이 발달하였을 뿐만 아니라, 사 당수수·커피 • 파인애플 • 바나나 • 파파야 • 카카오 • 망고·감귤 류 • 코코넛 등의 열대농업도 매우 발달하였다. 여기서 생산되는 열대농산품은 멕시코시티 또는 다른 고원 도시로 운반되어 판매 된다. 원래 베라크루스 주의 남부, 타바스코 주의 대부분, 그리고 치아파스 C hi a p as 주의 저지대 등은 열대우림이 발달하였던 지역 이나, 근래에 급속도로 삼림이 제거되어 초지가 조성되고 있다. 이렇게 조성된 초지에는 소가 방목되고 있다. 베라크루스 시는 이 지역의 중심 도시일 뿐만 아니라 멕시코에서도 가장 중요한 항구도시이다. 지질학적으로 유카탄 반도는 저평한 석회암 대지로 되어 있다• 벗물이 붉은 표토에 스며들어 기반암인 석회암과 반응하여 탄산 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탄산은 다시 석회암을 융해시킨다. 그래서 유카탄 반도에는 석회암 동굴이나 싱크호울 s i nkholes 등 이 많이 나타나며, 지표수가 쉽게 스며들기 때문에 하천의 발달 이 미미하다. 역사적으로 보면, 원래 유카탄 반도는 멕시코에서 가장 낙후한 지역에 속하였다. 그러나 근래에는 관개 시설의 확 충에 따른 감귤류 재배 지역의 확대와 더불어 지역경제가 활기를 찾고 있다. 관광 산업 또한 이 지역에서 매우 중요하다. 치첸이차 Ch ich en-It za, 우스말 Uxma l, 툴룸 Tulurn 등에 위치한 마야 문 명의 유적지와 칸쿤 Cancun 의 해변은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유카탄 주 수도 메리다 Mer i da 는 유카탄 반도의 중심 도시 이다. 관광 산업 등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유-7}탄 반도는 마야문 화 또는 인디언 전통문화를 다분히 유지하고 있다. 유카탄 반도 에서는 마야의 언어들이 아직도 널리 서용되고 있으며, 인디언의 전통의상도 드물지 않게 볼 수 있다. 오늘날 멕시코에서 가장 낙후된 지역은 남부 지역이라고 볼 수

있다 . 게레로 Guerrero 주, 오악사카 Oaxaca 주, 치아파스 Ch i a­ pa s 주 등을 포함하는 남부 지역은 대체로 험준한 산악지대로 구 성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남부 지역은 산재하는- 인디언 촌락사회 라고 하겠으며, 인디언 촌락사회에서는 유럽인들이 들어오기 이전 의 농경과 종교 양식 등이 별로 변하지 않은 채로 간직되어 있 다. 태평양 연안의 저지대는 매우 좁고, 이 저지대에는 곳곳에 작 은 어항이 발견된다. 비교적 개발이 된 지점으로는 오악사카 Oa­ xaca 시나 아카풀코 Aca p ulco 시 등의 행정 및 관광 중심지와 볼사스 강t he Ri o Balsas 하구에 입지하는 제철 • 철강의 공업 단지를 들 수 있다 .1 2 ) 남부 지역은 촌락 인구의 급증, 삼림의 제 거 등에 의한 환경의 파괴가 매우 심각한 편이다. 멕시코의 핵심 지대는 멕시코 중앙고원분지 the Centr a l Val- ley of Me xi co 를 중심으로 북위 19 도에 걸쳐서 동서로 길게 늘 어전 지역이다. 이 지역은 만년설로 덮인 화산들과 그러한 화산 사이에 입지하는 다수의 고원분지 valle y s(bas i ns) 로 되어 있다. 수도 멕시코시티 Mex i co C ity는 멕시코 중앙고원분지에 입지하 고 있다. 멕시코시티는 인구상에서 세계 제일의 도시일 뿐만 아 니라 오염의 심각성에서도 세계 제일에 속하는 도시이다. 멕시코 시티는 세계적 규모의 인류학 박물관 • 역사 박물관 등과 역사적 으로 의미 있는 대형 건축물 등을 구비한 문화도시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용수 부족 • 교통 혼잡 • 무단점유 정착지 등과 관련된 도시 문제가 심각한 도시이다. 멕시코 핵심 지대의 디론 도시 둘, 즉 푸에블라 Puebla, . 톨루카 Toluc a, 쿠에르나바카 Cuernava­ ca, 레온 Leon 등은 멕시코시티와 마찬가지로 중공업과 인구 급 증으로 특칭지어진다. 멕시코에서 가장 발달된 지역이 바로 이 핵심 지대이지만, 핵심 지대의 내부에는 수천 개의 촌락이 존재 하며 그러한 촌락에는 많은 소농들이 수백 년 동안 정체된 삶을 12) 위의 책, p. 585.

살고있다. 서부 지역의 중심 도시들은 과달라하라 Guadala j ara, 쿨리아칸 Culia c an, 시우다드 오브레곤 C i udad Obreg o n, 에르모시요 Her­ mosil lo 등기다. 서부 지역은 반건조 지역인데, 근래에 관개 시설 의 확충으로 상업농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서부 지역은 멕시코의 카우보이 전통의 본고장이다. 3 센트럴아메리카 센트럴아메리카는 일반적으로 과테말라 • 온두라스 • 엘살바도르 • 니카라과 • 코스터리카 • 파나마 • 벨리즈 등의 일곱 개의 국가를 지 칭한다. 이 일곱 개의 국가 중에서 1981 년에 독립한 벨리즈는 인 종 구성상 흑인이 많고 언어상 영어권에 속한다는 점에서 다론 센트럴아메리카와 매우 다른 특성을 갖고 있고, 파나마는 1903 년 에 콜롬비아로부터 분리 독립하였다는 점에서 다른 센트럴아메리 카 국가의 독립 역사와는 다른 역사를 갖고 있다. 그래서 벨리즈 와 파나마를 제의한 5 개국만을 센트럴아메리카라고 칭하는 지리 학자들도 있다. 이들 5 개국의 영역은 식민지시대에 뉴스페인 총 독령(그림 3-1) 의 일부에 해당하는 과테말라 부총독령t he Cap - tai n c y -Ge neral of Gua t emala 에 속하였고, 1821 년에 스페인 식 민 통치에서 벗어난 후 182 51;1부터는 센트럴아메리카 연방공화국 Centr a l Americ a n Federati on ( Federal Rep u bli c of Centr a l Amer i ca) 이라는 정치적 단일체를 이루고 있었다가 1838-183~ 빈 에 5 개국으로 분리되어 독립하였다 .13) 센트럴아메리카는 지하자원이 부족하고, 인간 생활에 불리한 자연 환경을 갖고 있다. 그리고 센트럴아메리카의 교통망은 매우 13) 위의 책, p. 586.

후진 상태를 면하지 못하고 있으며, 센트럴아메리카의 산업 발달 은 크게 뒤져 있다. 멕시코는 광대한 국토를 가지고 있으며 그 광대한 국토의 여러 지역들이 서로 보완적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으나, 센트럴아메리카의 여러 국가들은 서로 보 완적 관계에 있지 못하고 오히려 서로 경쟁적이고 대립적인 관계 에 있다고하겠다. 1 ) 센트럴아메리카의 탐험과 정착 고땅 유럽인들이 센트럴아메리카롤 탐험하고 정착하게 되는 주요 전 행경로는 두 가지를 들 수 있는데, 그것은 ®파나마에서 북쪽으로 진행하는 경로와 ®멕시코에서 남쪽으로 진행하는 경로였다 .14) 스페인인 발보아 Vasco Nuez de Balboa 는 파나마를 정복하고 151~ 에 파나마 지협의 태평양 연안에 파나마시티를 건설하였 다. 그 후로 파나마 지협은 태평양과 대서양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가 되었다. 스페인인 정복자들은 파나마로부터 북쪽으로 전출 하여 니카라과 중앙 저지에 정착하고 레온 Leon 시와 그라나다 Granada 시를 건설하였다. 후에 레온 시와 그라나다 시의 대립 으로 두 도시의 중앙에 지금의 니카라과의 수도 마나과 Mana g ua 를 선정하게 되었다. 니키라과에 정착한 스페인인들 중에 일부는 남쪽으로 이동하여 지금의 코스타리카의 중앙고원 화산분지에 정 착하였다. 비록 코스타리카에서는 찾으려 하던 금과 인디언은 없 었지만 코스타리카의 중앙고원은 비옥한 토양과 쾌적한 기후를 구비하고 있었기 때문에 코스타리카는 유럽인 혈통의 중류 계급 농민총의 사회를 이룩하였다. 코스타리카는 비교적 안정되고 번영 된 사회로 발전하였다. 한편 스페인인들은 멕시코로부터 남쪽으로 전출하여 과테말라 • 엘살바도르 • 온두리스에 정착하였다. 14) Fis h er, Ja mes S. (edit ed ), 앞의 책, pp. 416-4 1 7.

2) 토지 이용 패턴과 인구 분포 패턴 스페인인들이 정착한 센트럴아메리키는 일부 지역을 제의하고 대규모의 목장과 산재된 광산의 사회로 변모하였다. 센트럴아메리 카의 식민지시대 토지 이용 패턴은 오늘날까지도 부분적으로 남 아있으며, 오늘날의 센트럴아메리카 지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지식이 된다. 센트럴아메리카의 인구 분포를 보면, 해안의 저지대보다도 중 앙의 고지대를 따라서 인구밀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열대 기후는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점차로 온난해지기 때문에 센트 럴아메리카에 유럽인들이 진출하기 이전부터 인간들은 온난한 고 지대 죽 티에라 템플라다ti erra t em p lada 를 선호하여 정착하였 다. 더구나 센트럴아메리카의 고지대에는 디수의 화산 활동이 있 었기 때문에 화산재로부터 형성된 화산토가 산재하여 있으며, 이 러한 화산토는 매우 비옥하여 농경에 유리한 환경을 이룬다. 그 런데 센트럴아메리카의 7 개국 중에서 엘살바도르 • 벨리즈 • 파나 마 등은 고지대가 아닌 저지대에 인구밀도가 높은 예의적인 국가 라고할수있다. 또한 센트럴아메리카의 인구 분포를 보면, 카리브 해 연안 방 향보다는 태평양 연안 방향으로 인구밀도가 높게 나타난디는· 것 을 알 수 있다. 니카라과에서 인구밀도가 높은 지대는 마나과 Lake Managu a 호와 니카라과 Lake Ni ca ragu a 호의 양 호수 연안과 양 호수 인근의 고지대인데, 이 태평양지대는 화산 활동 이 빈번하였기에 토질이 비옥하다. 한편, 니카라과의 카리브 해 연안 저지대는 기후가 고온습윤하고 토양이 척박하며 인구밀도가 매우 낮다. 엘살바도르는 태평양 연안 방향으로만 접해 있는 국 가인데, 인구밀도가 대단히 높다• 엘살바도르의 대다수 인구는 고 온습윤한 저지대 죽 티에라 칼리엔테에 집중되어 있다. 파나마에

서도 인구는 태평양 연안에 보다 밀집해 있는데, 파나마 인구의 절반은 파나마의 (태평양 연안) 남서부 저지대와 그 부근의 산사 면에 거주하고 있다. 파나마 인구의 25% 는 파나마 운하지대에 그리고 나머지 25% 는 카리브 해 연안 방향으로 입지한다. 3) 커피 농업 1796 년에 쿠바로부터 도입된 커피는 센트럴아메리카 최초의 상 업 농작물이 었다. 185 (N!.경 에 핀카fi ncas 또는 카페탈 c afe t ales 이라고 불리는 소규모이며 가족 중십적인 커피 농장이 코스타리 카의 중앙고원에 지배적으로 발달하였다. 커피 농업은 코스타리카 로부터 북쪽으로 확산되어 엘살바도르와 과테말라의 화산성 고원 에서도 널리 재배되게 되었다. 커피는 오늘날 센트럴아메리카에서 바나나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작물이 되어 있다 . 15) 4) 바나나 플랜테이션 16) 스페인인들은 15l6 년에 구대륙에서 들여온 바나나를 히스패니 올라 H i s p an i ola 에 처음으로 파종하였고, 곧이어 센트럴아메리카 의 동부 연안에 도입하였다. 그리하여 신대륙에서 바나나는 열대 우림 기후의 비옥하고 배수가 잘되는 토양에서 무성하게 자랐다. (가) 1 단계 : 바나나는 찰 변질되기 때문에 운반하기가 쉽지 않아 19 세기 말에 냉동선과 유개화차가 발달한 이후에야 비로소 바나나의 싱업적 생산이 시작되었다. 188 01,:1부터 193 01;:1까지 바 나나 풀렌데이션이 인구밀도가 낮은 센트럴아메리카 동부 저지대 를 따라서 급속히 팽칭하였다. 특히 온두라스는 192 01;:1대에 전세 15) 위의 책, pp. 418-4 1 9. 16) 위의 책, pp. 417-4 2 0.

계 바나나 생산량의 1 /3 울 산출하기도 하였다. 센트럴아메리카 동부 저지대의 바나나 플랜데이션에서 필요한 노동은 주로 서인 도 제도의 임금노동지들에 의하여 공급되었다. 센트럴아메리카의 바나나 생산량은 미국 시장에서 바나나의 수요 및 판매의 증대와 더불어 급속히 증대되었다. 그러자 미국인 회사들, 죽 스탠더드 프루트 컴퍼니t he St a ndard Fruit Com p an y와 유나이티드 프 루트 컴퍼니t he Unit ed Fruit Comp a ny 등은 센트럴아메리카에 서 과도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하였다 .17) 192 ()1;1대에 토양의 고갈과 병충해로 인하여 바나나 붐이 주춤하였다. (나) 2 단계 : 그리하여 바나나 플랜테이션은 카리브 해 연안의 저지대에서 쇠퇴하고 오히려 센트럴아메리카의 태평양 연안의 저 지대에서 활발히 성장하게 되어, 바나나에 대한 각국의 의존도가 매우 높게 되었다. 196 ()1;1대 초에 태평양 연안의 플랜데이션에도 병충해가 심하게 되었다. (다) 3 단계 : 병충해에 강한 품종 자이언트 커벤디시 the Gi an t Caven di sh 울 재배함으로써 카리브 해 연안과 태평양 연안의 양 연안을 따라서 바나나 플랜테이션이 발달하였다. 회사 소유지에서 바나나를 직접 생산하던 다국적 기업들은 점차로 바나나 생산 자 체보다는 오히려 소농들로부터 바나나를 구입하여 출하하는 시장 활동에 주력하게 되었다. 외국인 소유의 바나나 플랜테이션 또는 그 기업들이 센트럴아 메리카에 미천 영향에는 부정적인 측면과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먼저 바나나 플랜데이션의 소유주나 기업주들은 센트럴아메리카 국가의 국내 문제에 종종 부당하게 관여함으로써 정치적 불안정 울 초래하는 데 기여하였다. 또한 경제적인 면에서 볼 때, 플랜테 이션의 이윤이 그 지역에 재두자되지 못하고 의부로 유출되게 하 17) Norris , Robert E., 1990, World Reg ion al Geog rap h y, New York : West Publis h ing , p. 287.

였으며, 센트럴아메리카의 경제를 의국에 심히 종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바나나 플랜테이션이 센트럴아메리카의 경제 발전에 기 여한 면도 무시할 수 없다. 센트럴아메리카의 해안저지대는 원래 별로 쓸모 없는 지대인데, 바나나 플랜테이션은 주로 이러한 해 안저지대를 개발하여 발달하였다. 플랜테이션의 개발과 더불어 도 로 • 항만 • 학교 • 병원 등의 시설들이 들어섬으로써 지역주민들에 게 이익이 돌아가게 되었다. 지역주민의 고용기회가 증대되고, 풀 랜테이션들이 센트럴아메리카 국가에 지불하는 각종 세금은 빈곤 한 센트럴아메리카 국가들에게 국가 재원을 확충하여 주었다 . 이 러한 국가 재원은 센트럴아메리카의 국가들이 농업과 산업 부문 에서 근대화를 추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5) 그 외의 경제 활동 이미 우리는 센트럴아메리카에서 커피와 바나나가 매우 중요하 다는 사실을 고찰하였다. 근래는 커피와 바나나의 생산 이의에 면화 재배와 육우 사육도 매우 활발하다. 면화 생산이 제芸} 세 계대전 이후에 급속히 팽창하였는데, 면화는 과테말라와 엘살바도 르의 태평양 연안 저지대를 따라서 많이 생산된다. 지난 300 :j 년 동안에 축산업과 초지 조성이 발달함에 따라서 육우 사육이 많아 져 상당량의 냉동육을 수출하게 되었다. 상업적 어업도 발달하고 있다. 특히 새우집이로 인한 수익이 주목할 만하다. 관광 자원은 없는 편이 아니나, 정치적 불안정으 로 인하여 관광 산업이 발달하지 못하고 있다. 오직 코스타리카 만이 관광 수입이 괜찮은 편이다.

6) 과테말라 I B) 태평양에 접한 해안선은 길지만 카리브 해에 접해 있는 해안선 은 대단히 좁다. 과테말라의 고지대는 태평양과 평행으로. 뻗어 있는데, 바로 여기에 과테말라 인구의 대디수카 집중되어 있다• 과테말라 인디언들의 대디수는 고지의 서부 지역에 살고 있는데, 이들은 마야인의 후손으로서 전통적 생활 양식을 따르면서 마이: 인들의 습관을 많이 간직하고 있다. 그러나 고지대에 입지하고 있는 수도 과테말라시티 Guate mala C ity와 그 부근에서 살고 있는 메스티조들과 백인들은 유럽식 생활 양식을 따르고 있다. 과테말라시티는 사회적 • 경제적 • 산업적 • 교육적 • 정치적 중심지 로서 과테말라의 유일한 현대 도시이다 .1 9 ) 상업농지대가 남부의 해안저지대와 그와 인접한 경사지대를 따라서 발달하여 있으며, 주요 산물은 면화 • 사탕수수 • 커피 • 육우 등이다. 커피는 고지대 에서 많이 생산되고, 면화는 좀더 건조한 지대에서 많이 생산되 고 있다. 북부 지방은 페텐 Pe t en 이라고 하는 열대우림 저지대로 서 인구밀도가 낮고 개척의 여지가 많은 지역이다. 근래에 도로 롤 연결하여 페텐 지방에 농경지롤 개척하는 프로젝트가 진행중 에 있다. 과테말라는 정치적으로 불안정할 수밖에 없는 요인을 다분히 갖고 있는 국가이며, 사실 지난 50° '1 년 동안 불안정한 정치가 지속되었다. 잔인한 독재가 끝나고 나서 1944년 에 일시적으로 사 회 개혁이 있었으나, 19551d 에 군부독재 정권이 들어섰으며 그 후 군부정권과 반정부세력 사이에 충돌이 지속되었다. 19851d 에 는 천군부 민간정권이 들어서서 반정부세력을 제압하려고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고 있으나, 반정부세력은 서부의 고지대를 중심으로 18)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앞의 책, p. 277 . 19) Fis h er, Ja mes S. (edit ed ), 앞의 책, p. 421 .

그 세력이 좀체로 약화되고 있지는 않다. 정치적인 불안정으로 인하여 관광 산업으로 벌어들이는 수입도 거의 없으며, 의국 자 본의 두자도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정부군·과 반정부세력 간 의 충돌이 지속되고 있는 한, 과테말라의 경제 발전을 긍정적으 로 기대하기란 어렵다고 하겠다 • 2 0) 7) 엘살바도르 엘살바도르는 센트럴아메리카 7 개국 중에서 면적은 가장 작은 나라이고, 인구밀도는 가장 높은 국가이다. 인구암이 매우 높다는 사실은 ® 지나친 삼림 파괴에 따라 토양 침식이 심화되는 현상, ® 농촌 인구가 수도 산살바도르 San Salvador 나 산터아나 San t a Ana 등 주요 도시의 판자촌 shan tyt owns 으로 이주하는 현상, ® 인구밀도가 보다 낮은 과테말라나 온두라스 등으로 엘살바도르 인들이 이주하는 현상, ®정부군과 개혁추전 세력 간의 군사적 갈등이 오랫동안 지속된 현상 등과 인과관계에 있다고 하겠다. 엘살바도르에서 전통적인 토지제도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고 효 율적인 농법이 별로 도입되어 있지 않는 현상황에서 단위 면적당 농업 생산량을 높이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다른 센트럴아 메리카 국가들과는 대조적으로 엘살바도르 내부에는 농경지 확장 울 위한 신개척지가 없으므로 농경지 확정을 통한 농업 생산의 증대도 꾀할 수 없다. 그래서 농업 생산에 불리한 여건을 가전 엘살바도르는 공업화에 주력하고 있다. 엘살바도르는 값싸고 풍부 한 노동력과 자체 생산하는 농산물 원료를 구비하고 있지만, 엘 살바도르는 지하자원이나 동력자원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숙 련공이 부족하다는 약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공업화에 크게 성공 할 것 같지는 않다 .21) 20) Newsweek, November 12, 1990, p. 31.

21 ) Fis h er, Ja mes S. (edit ed ), 앞의 책, p. 421 .

엘살바도르는 태평양에 접한 해안선을 갖고 있을 뿐이고 카리 브해에 접한 해안선은 갖고 있지 않다. 태평양의 연안을 따라서 다수의 화선들이 산맥을 이루고 있으며, 이 화산들의 내륙 방향 에 수도 산살바도르를 비롯한 엘살바도르의 중심 지대가 위치하 고 있다 . 내륙 중심 지대의 북쪽 방향에는 다른 산맥이 뻗어 있 는데, 이 산맥을 따라서 온두러스와의 국경선이 그어진다. 그리고 온두러스와의 국경선이 그어지는 북쪽노 산맥을 따라서 정부의 행 정력이 잘 미치지 않는 지대들이 놓여 있다. 엘살바도르의 주요한 농산물은 커피였는데, 커피는 대규모의 농장에서 재배되었다. 20A서 기의 전반 동안에 〈 열네 개의 가문 fou rte e n famili e s 〉 이 마치 봉건제도하에서와 같이 엘살바도르 전역을 관리하였고, 이 체제는 군부에 의하여 유지되었다. 그리하 여 군부는 체제 유지를 위히여 농민들을 강압적으로 억압해 나갔 다. 군부 체제와 농민 세력 간의 갈등은 지속되었고, 오히려 의세 의 개입으로 인하여 사태가 악화되기도 하였다 . 엘살바도르의 내란은 19791d 에 시작되었다. 그 후 미국의 지원 울 받는 보수적 우익 정부와 개혁을 추진하려는 좌익 반군이 근 래까지 충돌하여 왔다. 1992 t;:! 현재 우익여당 ARENA( t he Rep u b~ lica n Nati on ali st Al li ance) 의 대통령 크리스타니 Alfr ed o Cris - tiani가 집권하고 있다. 1991 년 3 월에 실시된 국회의원 선거에서 예상과는 달리 좌익 연합당인 민주연합t he Democrati c Conver- g ence 이 15% 가량 우세하였다. 소련과 동구권의 붕괴, 그리고 쿠바와 니카라과의 지원 중단으로- 말미암아 민족해방전선 FMLF (Farabundo Mart Li be rati on Fron t)이 고립되게 되었다. 좌익과 우익의 양 전영이 모두 미소 양 대국의 원조가 줄어들 자 협상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1991 년 筑 l 말에 우익 정 부와 좌익 반군이 미국 뉴욕에서 대면하여 협상하였고, 마침내

199 詞 1 월 16 일에 크리 스 타니가 이끄는 우익 정부와 민족해방전 선의 좌익 반군 사이에 평화협정이 체결되었다 . 이 협정에서 좌 익반군 7 천 명은 199~ 빈 1~ 31 일까지 무장해제를 완료하기로 합의하였고, 우익 정부는 민주화를 추진하며 1994 년까지 6 만 명 의 군대를 그 절반으로 감축하기로 합의하였다. 그리고 양 전영 에서 평화협정을 준수하는 작업은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이러한 협상과 평화협정, 그리고 협정의 준수는 냉전 종식을 반 영하는 것이었다. 197 9\1에 내란이 시작되어 평화협정을 맺은 199M 까지 1 2',빈 동안에 총 7 만 5 천 명이 희생되었다. 그리고 내 란으로- 인한 경제적 • 사회적 손실은 엄청난 것이다. 평화협정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더라도 그간 입은 상처를 치유하는 것은 단기 간에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다 .22) 8) 온두라스 과테말라의 경우와는 반대로, 태평양에 접한 해안선은 매우 좁 고 카리브 해에 접해 있는 해안선은 길다. 온두러스의 면적은 엘 살바도르의 면적보다 6 배나 크나, 인구(1 991 년경 530 만 명 )는 엘 살바도르의 인구(1 991 년경 540 만 명 )보다 적다. 수도 데구시갈파 Te g uc ig al p a 나 산 페드로 술라 San Pedro Sula 등의 주요 도시 에서 3 차산업이나 끄快 R} 에 고용된 인구가 다소 있을 뿐이고, 대디수 국민은 농업 • 목축업 • 임업 • 광산업(납과 아연)에 종사하 고 있다. 고지대의 주요 경제 활동은 자급적 농업, 전통적 축산 업, 상업적 커피 농업 등이다. 산페드로술라 주위의 해안저지대에 는 (의국 자본게 의한) 바나나 플랜테이션이 발달하였는데, 여기서 생산되는 바나나는 국의로 수출된다 .23) 22) Newsweek, March 25, 1991, p. 40 ; Octo b er 7, 1991, p. 37. 23) Fis h er, Jam es S. (edit ed ), 앞의 책, p. 421 .

인종적 갈등이나 사회적 갈등이 인접한 국가들만큼 심각하지 않지만, 인접 국가들의 정치적 불안정이 온두라스의 정치 안정과 경제 발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인접 국가들로부터 난 민들이 불법적으로 유입해 들어왔으며, 니카라과 반군인 콘트라가 온두러스 영역의 국경지대를 번군 활동의 본거지로 사용하였던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온두라스의 주권은 늘 위협을 받아왔다. 따 라서 의국인 자본 투자를 유치하기도 어려웠고, 관광 산업도 침 체를 벗어날 수 없었다. 온두라스는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부를 갖고 있지만, 군부의 세력이 강한 편이다. 9) 니카라과 니카라과는 센트럴아메리카의 7 개국 중에서 가장 면적이 큰 국 가이나, 인구는 과테말라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등의 국가보다 도 작다. 역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는 니카라과는 서부 지역과 동 부 지역으로 구분되는데, 서부 지역은 저지대와 인근의 산지로서 인구밀도가 높은 데 반하여 동부 지역은 서고동저의 지세를 이루 고 해안평야 24) 가 넓으며 인구밀도도 낮다. 니카라과의 핵심 지대 는 서부 지역의 저지대인데, 여기에는 화산이 대단히 많고 그 중 에는 활화산도 일부 있다. 서부 지역의 토양은 화산 활동과 관련 되어 형성된 토양으로 비옥하다. 수도 마나과 Mana g ua 가 서부 지역의 중심에 입지하고 있고, 마나과 부근의 저지대는 니카라과 의 중요한 농업지대이다.

24) 동부의 카리브 해 연안의 저지대를 모기 해안t he Mi sk it o Coas t이 라고 부르는데, 이 지역은 사질의 척박한 토양이 넓게 분포하고 습지가 많으며 인구밀도가 매우 낮다.

니카라과의 북서단에 위치한 폰세카 만t he Gulf of Fonseca 에서 서부 지역의 저지대를 지나서 남동쪽의 산후안 강 유역을 빠져나와 카리브 해를 연결하는 지대는 니카라과 대단충지대 th e

gre at Ni ca rag u a R ift라고 불리는데, 이 지대는 태평양과 카리 브 해를 연결하는 지협이라고 할 수 있다. 니카라과 지협은 센트 럴아메리키를 가로질러 가는 교통로로서는 파나마 지협에 버금가 는 중요한 지대인데, 미국인들은 일찍부터 니카라과 지협의 지배 권을 갖고자 니카라과에 진출하여 왔다. 니카라과는 불안정한 정치가 오랫동안 지속된 나러이다. 19 세 기에 영국이 카리브 해 연안의 일부 2” 를 점령한 바도 있었고, 미 국인 탐험가가 니카라과 수도를 참시 점령한 일도 있었다. 2 伊1 ] 기초에 보수파와 전보파의 충돌로 말미암아 불안정한 사태가 발 생하였고, 이룰 빌미로 미국이 191 21;:評-터 1933 년까지 니카라과 를 군사적으로 지배하였다. 193 '71,빈부터 197 9l;=i까지 소모사 Somo­ za 家가 정권을 장악하여 독재를 하였고, 산디니스타혁명에 의하 여 독재자 소모사 Anas t as i o Somoza 가 축출되기 칙전에 소모사 가는 니카라과 부의 절반 가량울 장악하고 있었다 .26) 1979l ;=i 오 르데가 Dan i el Or t e g a 의 지도하에 새로 집권한 산디니스타 정권 은 미국과의 거리롤 멀리하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군사력을 증강 하였다.

25) 니카라과의 카리브 해 연안을 미스키토 연안t he Mi sk it o Coas t이라 고 하는데, 미스키토 연안은 오랫동안 영국의 영향력하에 있었다. 니카라 과가 이 일대를 실질적으로 지배하게 된 것은 1893¼ 1 이후부터이다. Ja mes, Presto n E. and Clarence W. Mi nk el, 1986, Lati n Am- erica , 5th ed., New York : Joh n Wi le y and Sons, pp. 118-119. 26) Fis h er, Ja mes S. (edit ed ), 앞의 책, p. 421 .

199 詞 2 월 총선에서 차모로 V i ole t a Chamoro 여사는 오르데 가를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어 그 해 4 월 25 일 취임하였다. 차 모로가 집권하자 오르데가 정부를 오랫동안 괴롭히던 1 만 2 천 내 지 1 만 終J 명의 콘트라 Con t ra 반군이 무장을 해제하였다. 차모 르는 다니엘 오르테가 Dan i el Or t e g a 의 아우 훔베르토 오르데가 Humberto Or t e g a 를 군총사령관으로 임명함으로써 산디니스타

군과 제휴를 꾀하고、 국영산업을 매각하고 국영농장을 민간인에게 대여하는 정책을 추전하였다. 그러나 차모로의 집권과 개혁 추전 에도 불구하고 니카라과의 내정은 불안정한 상태에 있다 . 27) 니카 라과는 센트럴아메리키에서도 공업 발달이 가장 뒤진 국가에 속 하며, 그나마 미약한 공업은 수도 마나과에만 편중되어 있다. 산 디니스타 Sand i n i st a 정권하에서 소련의 지원을 받았으나, 소련이 투자한 것은 항구와 하부구조에 국한되었고 소련의 원조도 군수 물자에만 한정된 것이었다 . 현재 차모로 정부는 미국의 지원을 받아 경제적 부흥을 꾀하려고 하고 있으나, 다양한 국민적 욕구 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니카라과의 미래는 밝다고 할 수는 없다 . 28 )

27) 콘트라 군과 산디니스타 군이 철저한 무장해제를 하였다고 볼 수 없으 며, 놀랍게도 과거의 콘트라 군와 산디니스타 군 양 전영이 결합하여 조직된 리부엘토 revuel t os 가 새로운 저항군으로 출현하였다(1 99 2\1 5 월 경). 리부엘토는 그들에게 보다 많은 토지를 분배해 줄 것과 그들의 농업 활동에 대하여 재정적 지원을 충분히 해줄 것을 요구하면서 정부 에 위협을가하고있다 . 28) Newsweek, November 26, 1990, p. 38.

10) 코스타리카 코스타리키에는 원주민들이 일찍부터 절멸하거나 홉수되었기 때문에 식민지시대 초기부터 소규모 또는 중규모의 자작농 제도 가 발달하였고, 스페인계 대지주와 인디언 농업노동자로 구성되는 라틴아메리카의 전형적 대토지제도가 처음부터 별로 발달하지 않 았다. 오늘날 대토지제도와 소규모 또는 중규모 자작농 제도가 공존하고 있고 농업 생산성도 비교적 높은 편이다. 코스타리카는 ® 중앙고원 th e centr a l high land zone, (?) 카리 브 해 연안의 저지대t he Carib b ean lowland, ®태평양 연안의

저지대 th e Pacif ic coas t lands 로 지역 구분을 할 수 있다. 중앙 고원은 커피 재배로 특화되어 있는데,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커 피는 품질이 좋기로 유명하다. 코스타리카의 중앙고원은 다소 서 늘한 티에라 템플라다ti erra t em p lada 에 속하는 지역으로서 기 온이 온난하고, 다수의 화산 활동들이 있었던 지역으로서 토양이 비옥하다. 중앙고원의 핵심부에 직경 65 킬로미터 내지 80 킬로미 터의 중앙고원분지t he Cent ra l Valle y가 위치하는데, 수도 산 호세 San J ose 는 바로 중앙고원분지에 입지하고 있다. 코스타리 카의 중앙고원분지는 코스타리카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 이다. 카리브 해 연안의 저지대는 덥고 비가 많은 지역으로서 인 구밀도가 매우 낮다. 한때 바나나 플랜테이션이 크게 발달하였었 으나, 병충해 때문에 지금은 바나나 플랜테아션이 성하지 않다. 태평양 연안의 저지대는 해안평야와 완만한 구릉지로 구성되는데, 이 지역의 유역분지 valle y s and basin s 등에 대한 개척이 활발 히 진행되고 있다. 오늘날 이 지역에서 싱업농업이 팽창하고 있 울 뿐만 아니라 다양화되고 있다 .29) 코스타리카는 국민들의 識字率도 거의 90% 에 달하고 국민들의 국가의식도 강하며 국가의 하부구조도 잘 발달되어 있다 .30) 그리 고 코스타리키는 정치면에서도 안정된 역사를 갖고 있으며, 아마 도 라틴아메리카 국가 중에서 민주주의가 가장 찰 발달한 국가라 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19481d 에 군대를 해체한 이후부터 상비군도 유지하지 않는 국가이다. 이러한 면에서 볼 때, 코스타 리카는 인접한 국가들과는 다른 점을 많이 갖고 있는 나라라고 하겠다. 장기적인 안정에 힘입어 생활수준 • 식자율 • 평균수명 등이 센 트럴아메리카에서 가장 높으나, 아직 농업에 대한 의존도는 매우 29)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앞의 책, p. 279. 30) Fis h er, Jru nes S. (edit ed ), 앞의 책, pp. 421- 42 2.

높다. 커피 • 바나나 • 쇠고기 • 설탕 등이 주요한 수출품인데, 이러 한 생산품은 국제 시장의 가격 변동에 대하여 매우 취약한 특성 을 갖고 있다. 국내에서 복지 정책을 추전하고 의국으로부터 연 료를 구입하는 과정에서 외채가 늘어나 심각한 부담으로 대두되 고 있다. 코스타리카인들은 경제적인 문제가 혹시나 정치적인 불 안정을 초래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으나, 아직 정치적인 불안정 이 시작되고 있다는 증후는 나타나고 있지 않다. 코스타리카인들 은 그들의 조국이 중립국으로서 마치 〈 센트럴아메리카의 스위스 the Swi tze rland of Centr a l Amer i ca 〉 처럼 남아 있기를 바라 고있다. 11) 파나마 파나마 운하는 파나마로부터 임차한 임차지에 미국에 의하여 건설된 것이다. 원래 188 0¾빈대에 드 레세프스 Ferd i nand de Les- se p s3” 의 감독하에 프랑스인 회사가 파나마 지협에 운하를 건설 하려고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고, 그 회사는 파산하고 말았다. 1903 년에 미국은 콜롬비아의 파나마 지협에 운하를 건설할 계획 울 세우고 콜롬비아와 조약을 체결하려고 하였으나, 콜롬비아 의 회가 조약 인준을 거부하였다. 이에 미국은 파나마인들을 부추켜 콜롬비아로부터 1903 년 분리 독립을 선언하게 하고, 이듬해 독립 국 파나마로부터 운하지대 32) 를 할양받았다. 파나마 운하는 1914 년 에 개통하였고, 운하 개통과 더불어 미국의 중앙아메리카와 카 리브 해 지배력은 강화되었다. 197 0\1-cl]에 연평균 2 만 대의 선박 이 파나마 운하를 통과하였고, 통과수익만해도 수억 달러를 상회 하였다. 이즈음 파나마 정부는 파나마 운하의 반환을 요구하게 31 ) 드레세프스(1 805-1894) 는 수에츠 운하를 186 ()1,민대에 건설한 사람이다. 32) 파나마 운하지대t he Canal Zone 의 평균 폭은 16 킬로미터이고 길이는 8~ 로미터이다.

되었고, 이에 미국은 파나마와 협상하여 조약을 체결하게 되었다. 197~ 맺은 조약t he Panama Canal Trea ty에 따르면 미국은 단계적으로 파나마 운하지대에서 철수하고 종국에는 200 01,빈까지 파나마 운하 자체를 파나마에 이양하여야 한다 . l l)

33) DeBli j, H. J. and Pete r 0. Muller, 앞의 책, pp. 279-281 ; aFnisd h eJr. , TJrae mnteos n SK. o(setdb ia td eed, ),앞 의앞의 책 ,책 ,p . p5.,8 74. 21 : Wheeler, Jes se H.

파나마의 경제는 심히 파나마 운하에 의존하여 있다. 파나마 운하지대를 따라서 발달한 3 차산업 부문은 파나마 국민총생산 GNP 의 55% 에 기여하고 있으며 파나마 경제에서 가장 급속히 발달하는 부문이다. 파나마 운하의 태평양 연안에 수도 파나마 시티 Panama C ity가 위치하고 카리브 해 연안에 콜론 Colon 이 위치하는데, 양 도시는 무관세 재화를 공급함으로써 관광객들이나 통행인들을 끌고 있다. 파나마 운하지대는 세계적인 교통 요충지 이다. 운하지대의 주민들은 대다수가 영어와 스페인어를 구사할 줄 안다. 미국 화폐 dollar 가 이 지역에서 사용된다. 파나마는 파나마 운하지대를 중심으로 동부 지역과 서부 지역 으로 나누어진다. 동부 지역에 속하는 다리엔 지방 Dar i en Prov- i nce 은 개발이 별로 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콜롬비아 접경 지대 에는 열대우림이 울창하다. 북아메리카 대륙과 남아메리카 대륙을· 관통하는 범아메리카 고속도로 Pan Americ a n H ig hwa y가 오직 다리엔 지방에서만 단절되어 있다. 한편 서부 지역의 해안저지대 에는 바나나 플랜테이션이 발달하여 있고, 서부 지역의 내륙에는 육우의 사육이나 벼를 비롯한 식량 작물의 재배가 성하다. 파나마는 196~ol] 쿠데타에 의하여 토리호스 Omar Torrij os 장군이 실권을 집았고, 후에 노리에가 Manuel Anto nio Nori- eg a 장군이 그를 계승하였다. 미국 정부는 노리에가를 마약 밀매 형의로 체포하기 위해서 198 9¼빈 12월 20 일에 미군 2 만 2,500 명 을 투입하였다. 당시 파나마 군대는 1 만 9,600 명이었고, 이중에서

전투병력은 오직 係J 명에 불과하였다. 미국은 엔다라 Gu i llermo Endara 를 대통령으로 입각시키고, 노리에가를 본국으로 데리고 가서 구속 기소하였다. 현재 (1990 년 65/d?s) 의채는 60 억 달러에 이르고, 파나마 정부의 부패는 여전히 심각한 상태이다. 12) 벨리즈 34 )

34) DeBli j, H. J. and Pete r 0. Muller, 위의 책, pp. 273, 277 : Ja mes, Presto n E. and Clarence W. Mi nk el, 앞의 책 , pp. 80-8 4 .

1981 년 영국으로부터 분리 독립한 벨리즈 3 ” 는 인구 20 만 명 (1 991 년)에 불과한 작은 나라이다. 1859 1;1 영국과 과테말라 사이 에 맺어진 조약에 따라서 양국의 국경선이 확정되었는데, 과데말 학의 군부정권은 그 조약이 무효임을 종종 주장하여 왔다. 따라 서 과테말라가 벨리즈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는 한, 벨리즈 독 립의 지속성은 문제시되고 있다. 더구나 과테말라에서 반정부세력 이 주도권을 집아도 혁명의 물결은 벨리즈까지 확산될 것이기 때 문에 벨리즈 정부는 불안해 하고 있다.

35) 벨리즈는 1981 년 독립 이전에 영국령 온두라스 Br iti sh Honduras 라 고불렸다.

영국인들은 마호가니 maho g an y와 열대삼나무t ro pical cedar 등의 목재를 벌목하기 위해서 서인도 제도의 영어권으로부터 혹 인들을 들여와 그 노동력을 이용하였었다. 벨리즈에는 주민 구성 상 흑인 비율이 높고, 영어가 공용어일 뿐만 아니라 링구아프랑 카로 사용되며, 신교도가 많다. 이런 점에서 벨리즈는 다른 여섯 개의 센트럴아메리카 국가들과 매우 싱이한 특성을 갖고 있으며 오히려 벨리즈는 서인도 제도의 국가들과 유사한 특성을 많이 갖 고 있다. 오랫동안 목재가 주요 수출품이었으나, 지난 3~ 년 동 안에는 설탕과 감귤류가 주요 수출품의 자리를 차지하여 왔다.

벨리즈 시티 Beliz e C ity가 중심 도시이며, 수도는 내륙에 개발된 벨모판 Belmo p an 이다. 4 서인도 제도 1) 개관 서인도 제도는 대앤틸리즈 제도t he Greate r An till es 와 소앤 틸리즈 제도t he Lesser An till es 로 구성된다. 대앤틸리즈 제도는 쿠바, 히스패니올라(아이티와 도미니카 공화국), 자메이카, 푸에르 토리코 등 네 개의 비교적 큰 섬으로 되어 있고, 소앤틸리즈 제 도는 대앤틸리즈 제도에 속하는 네 개의 섬을 제의한 서인도 제 도의 작은 섬들을 말한다. 소앤틸리즈 제도는 카리브 해의 동쪽 을 감싸고 있는 작은 섬들을 비롯하여 다수의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할 무렵에 서인도 제도에는 대략 3 백 만 명의 인디언들이 살고 있었다. 그 무렵에 대앤틸리즈 제도에 서 살고 있던 인디언들은 주로 아러왁족t he Arawaks 이었는데, 이들은 마니옥(카사바) • 고구마 • 담배 • 목화 등을 재배하는 농경 활동을 하고 있었다(그림 2- 1). 아러왁족은 그 이전에 대앤틸리즈 제도에서 수렵 • 채집 생활을 하던 시보니족t he C i bone y을 이미 축출하고 대부분의 대앤틸리즈 제도를 지배하고 있었다. 한편 소 앤딜리즈 제도에서 살고 있던 인디언들은 카립족t he Car i bs 이었 는데, 이들도 농경 생활을 하고 있었다. 카립족은 아라왁족보다 호전적이어서 그 세력권을 점차로 넓히고 있었다. 유럽인들은 서인도 제도에 도착한 직후부터 토착 인디언들의 노동력을 착취하기 시작하였다. 백인들은 사금광이나 플랜테이션

등에서 인디언들을 혹사시켰고, 아리왁족과 카립족은 노동력 착취 에 적응하지 못해서 급속히 그 수가 감소하여 마침내는 소멸되고 말았다. 일부 인디 언들은 백인들이 아직 진출하지 않은 작은 섭 둘의 깊은 산 속으로 도망쳤으나, 이들 인디언들은 후에 흑인둘 (백인들에게서 도망쳐 온, 죽 노예 신분에서 도망쳐 온 아프리카인)과 혼혈이 이루어짐으로써 오늘날에는 서인도 제도에서 순수한 토착 원주민 혈통이나 문화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다시 말해 오늘날 멕시코나 센트럴아메리카에서는 토착 인디언 공동체가 존재하고 있고 아직도 수백만 명의 주민들이 인디언 언어들을 사용하고 있 으나, 서인도 제도에서는 토착 인디언 혈통을 거의 찾아볼 수 없 고 인디언 문화의 흔적을 찾기가 힘들게 되었다. 서인도 제도의 경제 발전과 관련된 세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 환경이 협소하고 거칠어서 그 인구를 부 양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다수의 푸에르토리 코인들이 미국으로 이주하였고, 다수의 자메이카 노동자들이 파나 마를 비롯한 센트럴아메리카로 이주하였으며, 그리고 많은 인구가 영국령 서인도 제도에서 영국으로 이주하였다. 그러나 서인도 제 도의 인구 성장률이 워낙 높아서 인구밀도는 매우 높은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서인도 제도는 아메리카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 온 지역이지만, 각국의 면적은 매우 작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농 경지도 부족하다. 더구나 많은 경우에 농지 토양의 침식이나 유 기질 유실이 심하여 단위 면적당 농업생산량이 매우 낮은 상태에 있다. 건조한 날씨가 12 월경부터 4 월경까지 지속됨으로써 종종 식수를 비롯한 딤수가 부족한 상태가 초래되고, 한편 4 월 이후의 습윤한 기간에는 허리케인이 드물지 않게 극심한 피해를 준다(그 립 7 - 2).36) 또한 인구밀도는 높지만 각국의 절대인구는 매우 작기 때문에 서인도 제도에서 공업화를 추전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36) Norris , Robert E., 앞 의 책 , pp. 273, 277.

그림 7 - 2 카리브 해 허리케인의 진로

둘째, 식민지 유산을 청산하는 문제점을 둘 수 있다. 비록 많은 섬들이 정치적으로 독립을 달성하였지만, 아직도 경제적 식민지 역할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의 국가들은 바나나나 보오 크사이트 등의 값싼 원료를 수출하고 값비싼 공업 제품을 수입함 으로써 대의적으로 심히 종속되어 있다. 다른 식민지 유산으로 사회적 또는 혈연적 계층 분화를 지적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수 백 년 동안 흑인 노예들이 노동력 공급을 위하여 아프리카에서 서인도 제도로 끌려왔었는데, 이 흑인들의 후예들이 소앤틸리즈 제도 • 아이티 • 자메이카 등의 인구의 대다수를 구성하고 쿠바 • 푸에르토리코 • 도미니카 공화국 등의 인구에서도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런데 개인의 피부색이 얼마만큼 하얀가 또는 검은가 의 정도는 오늘날에도 사회적 • 경제적 지위와 밀접한 상관 관계 가 있다. 피부색에 따른 계층 분화는 식민지시대의 유산인 것이 다. 셋째, 관광과 관련된 문제를 지적할 수 있다. 서인도 제도는 웅

장한 해변과 아름디운 섬 등으로 많은 관광객이 몰려들고 있다. 산후안, 푸 근 두 立랭스, 나사우 Nassau( 바하마), 오초리오스 :Ocho R i os( 자메이카), 푸에르토 풀라타 Puer t o Pla t a( 도미니카 공화국), 포르트 드 프랑스 For t-

이후에도 쿠바의 정치와 경제는 미국에 심히 종속되어 있었고 국 민의 생활수준은 별로 향상되지 않았으며 정부의 부정부패는 지 속되었다. 마르크스주의자 카스트로 F i del Castr o ( 199 :21,킨 8 월 현재 만 65 세)는 1959t긴 혁명에 성공하여 실권을 장악한 후 35 여 년 동안 독재를 하였다. 카스트로가 추전하려던 개혁의 4 대 목표는 ®의 국에 대한 종속에서 벗어나서 주체성을 확립하고, ®사탕수수에 심히 의존하고 있는 쿠바의 농업을 다양화하며, ®사유토지를 국 유화하고, ®농경을 별로 존중하지 않는 스페인식의 사고 방식을 제거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카스트로의 개혁안은 별로 성공하지 못하였다. 의국의 종속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으로 미국의 영향력에 서 벗어나는 데 성공하였지만 그만큼 구 소련에 종속되게 되었 다. 198 ()t;:i대 말경에 쿠바는 연간 40 억 달러의 구 소련 원조에 의존하고 있었다. 그리고 카스트로는 사탕수수에 심히 의존되어 있는 농업 경제를 다양화하는 데도 실패하였다. 쿠바의 설탕 수 출액은 198 0t,:回 중반까지도 쿠바 총수출액의 약 75% 울 차지하 고 있었다. 그러나 쿠바는 사유재산제를 철폐하고 농장을 국영의 집단농장으로 만드는 데는 크게 성공하였다. 오늘날 국영농지가 쿠바 농지의 90% 에 달하고 있고, 특히 쿠바 사탕수수의 거의 전 부가 대규모 국영농장에서 생산되고 있다 .38) 또한 카스트로는 농 촌에 집중적으로 투자를 함으로써 농촌의 교육슈준든 • 전기보급 률 • 의료보건 시설을 향상시켰다. 키스트로는 195 9¼:回 혁명 이래로 세계 각지에서 공산혁명을 지지하여 왔으며, 오늘날 알바니아와 북한 등의 공산국가와 친밀 한 우방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냉전체제의 종말과 더불어 구 소 련은 쿠바에 대한 원조를 삭감하고 바터 barte r 무역으로부터 경 화 hard currency 무역으로 전환할 것을 요구하게 됨으로써, 카 38) Wheeler, Jes se H. and J. Trento n Kostb a de, 앞의 책, p. 591 .

스트로는 혁명 이후 최악의 경제적 • 정치적 위기에 직면하게 되 었다 .39) 1980 \'! 5 개월 동안 (마리엘 선박 수송 Mar i el boa tlift을 통해 ) 쿠바인 12 만 5 천 명이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그후 미국 이주가 별로 없다가 199 0\;빈 일 년 동안 2 만 명(아 중 l 만 炫J 명은 미국 에 불법체류함)이 미국으로 건너갔다. 199 0\;:킨 7 월 수백 명의 쿠바 인들이 유럽 대사관으로 피신하여 정치적 망명을 요청하였으나, 쿠바 정부의 강경책으로 이들의 망명은 실패로 끝났다. 1991 년 일 년 동안 4 만 명이 미국으로 들어올 것으로 추정되었다 (1991 년 8 월 추정 ). 1991 년 1 월부터 그 해 8 월 초까지 보트나 멧목을­ 타고 바다를 건너 (매우 위험하기에 이들 중에 반수만이 살아 남음) 불법으로 풀로리다에 들어온 쿠바인이 무려 1,400 명이나 된다 .40) 1991 년 7 월 중순 이베로 아메리카 정상회담t he Fi rs t Annual Ibero-Americ a n Summ it이 멕시코의 과달라하라 Guadala j ara 에서 개최되어 스페인 • 포르투갈을 포함한 19 개국의 정상들이 콜 럼버스 아메리카 대륙 발견 50 呼랏년 기념차 모였다. 이 모임의 정상들은 카스트로를 제의하고는 모두 (민주적으로) 피선된 지도 자이었다. 키스트로의 발언은 쿠바의 고립을 초래하는 것이었다. 카스트로는 회담에 참석한 다른 정상들이 권유하는 민주주의, 자 유시장, 선전국 자본유치 등의 긍정적인 측면을 받아둘이지 않았 다 .41) 3) 푸에르토리코 푸에르토리코는 1898 \'! 이후부터 미국령으로 귀속되어 있다. 미국은 1898 \'! 미서전쟁에서 승리하여 스페인으로부터 필리핀 • 39) Newsweek, Octo b er 14, 1991, p. 34. 40) Newsweek, Aug us t 12, 1991, pp. 34-35. 41 ) Newsweek, Ju ly 29, 1991, pp. 23-24.

괌 Guam 과 더불어 푸에르토리코를 탈취하여 식민지로 삼았다. 푸에르토리코인들은 194 8',:'l.에 비로소 그들 자신의 지도자를 선출 할 수 있게 되었다• 1952 \'! 푸에르토리코의 지도자 무노즈 Lu i s Munoz Mar fo는 터르토리코의 완전한 독립보다는 미연방의 자치령 th e Commonwealth of Puerto R i co 화를 태하였고, 이 러한 선택은 푸에르토리코인 선거권자의 80% 이상의 지지를 받 아서 결정되었다 . 42 ) 푸에르토리코인들은 미국시민권을 갖고 있으 나, 미연방대통령 선거권을 갖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현지소득에 대하여 미연방 세금을 물지 않는다. 푸에르토리코에서 징수되는 세금은 푸에르토리코 세수입으로 간주된다 .43) 196'71 ;1 시행된 국 민투표의 결괴에 따르면, 대디수 푸에르토리코인들은 현재와 같이 미연방의 자치령 commonweal t h 으로 남기를 원하고 있고, 상당 한 수의 푸에르토리코인들은 미국의 주 s t a t ehood 로 승격되기를 바라며, 일부 푸에르토리코인들은 완전한 독립을 원하고 있다(제 3 장 제 7 절 참조). 푸에르토리코는 평지가 많지 않고 사탕수수 재배에 적합한 토 양을 갖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쿠바와 다르다. 푸에르토리코의 내륙은 구릉성 산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오직 해안가의 평지를 따라서 미국 자본이 두자되었다. 푸에르토리코는 제끄} 세계대전 이후에 ®공업 부문, ®농업 부문, ®관광 부문에 집중적으로 주력함으로써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달성하였다. 푸에르토리코는 공업화에 유리한 여건을 결코 갖고 있지는 않 다. 농산품 이의에 주목할 만한 천연원료를 갖고 있지 않으며 에 너지원이 부족하고, 또한 국내시장이 협소하다. 다만 푸에르토리 코는 저렴한 미숙련공 노동력을 풍부하게 갖고 있을 뿐이다. 그 러나 푸에르토리코는 미국 산업에 대한 세금 면제, 정부의 노동 42) Jam es, Presto n E. and C. W. M ink el, 앞의 책, p. 196. 43) 위의 책, pp. 203-204.

훈련 프로그램, 정부의 산업 유치 노력 등 을 통 하여 미국 산업을 유치하였다. 그래서 이미 1956 년에 푸에르토리코의 제 조 업 생산 은 농업 생산을 앞지르게 되었다. 푸에르토리코의 제조업은 수도 산후안 San J uan 에 집중적으로 입지하고 있다. 농업 부문의 근대화를 위하여 농작물실험소 A g r i cul t ural Ex- pe rim ent a l S t a ti ons 를 다수 설치하여 토양보존법을 연구하고 이를 실행하였다. 낙농업, 채소 재배, 가금 사육 동의 새로운 토 지이용이 전통적인 토지이용(고지대의 커피 재배와 저지대의 사당수 수 재배)과 경쟁하였다. 최근에는 주택 개량, 수도와 전기 보급, 교육 시설의 확대 등을 통한 농촌 주거 환경의 개선에 힘을 쏟고 있다. 관광 산업의 전홍도 정부의 정책에 힘입은 바 크다. 정부는 호 텔 건설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관광 산업을 지 원하였다. 쿠바의 공산화로 인하여 푸에르토리코롤 찾는 관광객이 훨씬 많아졌다. 연간 푸에르토리코를 찾는 관광객은 1963 년경에 50 만 명에 달하였고, 근래는 1 백만 명을 넘는데, 관광객은 주로 미국인들이다. 4) 히스패니올라 아이티는 히스패니올라 섬의 서부에 입지하고 있고, 도미니카 공화국은 섬의 동부에 입지한다. 양국의 면적 비율은 대략 I : 2 정 도로 아이티가 작다. 양국의 자연 환경은 유사하지만 양국은 심하게 대조를 이루고 있다. 아이티 주민의 거의 전부가 흑인으로서 극히 빈곤하다. 주민의 80% 가 괭이나 벌채용 칼 등의 조잡한 농구를 사용하는 자급농업 에 의존하고 있다. 아이티는 프랑스 문화와 아프리카 문화의 영 향을 받았다. 미국은 191 5';:i에 아이티를 침공하여 1934 년까지 아

이티를 지배하였는데, 미국의 강경한 지배는 아이티에 잔혹한 군 경문화의 유산을 남겨놓았다 . 아이티에는 195 7¼1-¥터 1986 년까지 두발리에 家 Duval i er re gi me 의 독재정치가 지속되었는데 ,44 ) 미국 은 두발리에가 철저한 반공 정책을 표방한다는 이유만으로 두발 리에를 지지하였었다. 이러한 역사는 오늘날 아이티의 군사독재 체제를 낳게 되는 배경이 되고 있다.

44) 195 저부터 1971 년까지는 두발리에 Francois Duv ali er 가 독재정치를 하였고, 1971 년에는 그의 l 앙 1l 된 아들 전 클로드J ean -C laude7} 종신대 통령에 취임하였다• 1986년 에 전 클로드는 해의로 망명하였다.

아이티와 도미니카 공화국 사이에 국경 문제가 빈번하게 일어 났다. 보다 가난한 아이티인들이 불법으로 국경을 넘어서 도미니 카 공화국에 들어가서 무단점유의 농경을 하거나 또는 불법취업 을 하는 경우가 많다. 1991 년 7 월 현재 50 만 명 이상의 아이티인 들이 도미니카의 사탕수수 농장이나 건설 현장에서 값싼 노동을 제공하고 있다. 이들은 도미니카 공화국 당국에 의해 집단으로 추방당하기도 한다. 예컨대 1991 년 筑! 말에서 7 월 초에 걸치는 3 주 동안에 800 여 명의 아이티인들이 강제추방당하였고, 3 천여 명의 아이티인들이 단속을 피하여 자전하여 귀국하였다. 아이티의 정치는 두발리에 축출 이후에 군부, 두발리에 추종자 들 Duva li er i sts , 키톨릭 교도, 사교집단, 폭도 등에 의한 대립과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1991 년 ~ 29 일 군부는 쿠데타를 일으켜 민선대통령 아리스타이드J ean-Ber t rand Ar i sti de 를 축출하고 집권하였다. 국제사회는 집권하고 있는 군부에 대하여 민정 이양 을 권하는 압력을 가하고 있다(1 99N 2 월 말 현재). 아이티는 헐 벗은 삼림과 침식이 많이 된 사면, 빈약한 도시 기반 시설, 와해 된 사회 조직, 불안정한 정치 등과 같이 해결해야 할 난제들이

45) Newsweek, December 17, 1990, p. 32 ; Octo b er 14, 1991, pp. 32 -34 ; November 25, 1991, p. 14 ; Ap r il 12, 1993, p. 37.

많다 .45) 극소수에 속하는 물라토만이 중산층에 속하며 국가의 부 를 독점하고 있고, 인구의 거의 90% 는 교육을 받지 못하였고 또 한 영양실조 상태에 있다•

도미니카 공화국은 스페인 문화를 갖고 있다. 자급농업뿐만 아 니라 기계화된 농업도 발달하였다. 도로망이 발달하였고, 하부구 조도 개선되고 있다. 아직은 빈곤한 국가이지만 점차로 발전하고 있는국가라고하겠다. 5) 자메이카 자메이카 중앙에는 험준한 산지가 있고, 석회암 대지p la t eau 가 중앙 산지를 둘러싸고 있다. 자메이카에는 매우 아름다운 해변둘 이 있어서 많은 관광객들이 모여든다. 저지대의 분지에서 보오크 사이트(알루미늄 광물)가 많이 생산되는데, 이것은 자메이카에서 가장 주요한 수출품이다. 사탕수수 중심의 단일농업이 근래 과일 • 채소 • 벼 • 화훼 • 육우 등을 산출하는 농업으로 다각화되고 있 다. 자메이카 정부는 사탕수수와 보오크사이트에 의존하는 경제의 취약성을 인식하여 다양한 경제 활동을 촉진하려고 노력하였으나, 섬유 공업 • 냉동식품 공업 • 전자 공업 등을 비롯한 약간의 노동 집약적 경공업을 제의하고는 공업이 별로 발달하지 못하였다 .46 ) 특히 국내 에너지원이 거의 없는 것이 공업 발달에 지장이 되고 있다. 165 5';:더 스페인령이던 자메이카를 영국이 탈취한 이후에 196 척 독립할 때까지 자메이키는 오랫동안 영국의 지배를 받아 왔으므로, 자메이카의 문화는 전적으로 영국풍이라고 할 수 있다 .47) 46) Wheeler, Jes se H. and J. Trento n Kostb ade, 앞의 책, p. 592. 47) Fi sh er, Ja mes S.(edit ed ), 앞의 책, p. 426.

6) 소앤틸리즈 제도 소앤틸리즈 제도에는 아홉 개의 독립국가와 미국령 • 영국령 • 프랑스령 • 네덜란드령에 속하는 다수의 작은 섬들로 구성되어 있 다. 소앤틸리즈 제도의 아홉 개 독립국가는 전부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국가들인데, 그것은 트리니다드 토베이고 Tr ini dad and Toba g o(196 詞 독립), 바베이도즈 Barbados(1966 년 독립), 바하마 the Bahamas(1973 년 독립), 도미니카 Dom i n i ca(197 8\1 독립), 그 레나다 Grenada(197~ 독립), 세인트 루시아 S t. Luc ia( 197~ 독 립 ),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S t. Vi nc ent and Grenad i nes (1 979 년 독립 ), 앤티과 바부다 An tigu a and Barbuda (1 981 년 독립 ), 세 인트 크리스토퍼 네비스 S t. Chris t o p h er(Ki tts) and Nev i s (1 983 년 독립) 등을 말한다. 비록 이들 독립국가는 정치적으로 독립하 였지만, 원래 약소국이라서 미국의 1983 년 그레나다 침공에서 볼 수 있듯이 취약하기 그지없다. 소앤틸리즈 제도의 작은 섬들의 경제 문제는 매우 심각한 편이 다. 소앤틸리즈에서는 수출용 농산품의 가격이 불안정하고, 천연 자원이 철대로 부족하며, 공업이 발달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현재의 공업도 규모경제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소앤틸리즈 제도 의 여러 섬들은 대체적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공유하고 있지만, 개별 섬들의 고유한 특성이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다음에 몇 개 의 섬들의 특성을 고찰해 보자. 트리니다드 토베이고는 트리니다드 Tr ini dad 섬과 토베이고 Tobago 섬으로 구성된다. 트리니다드 섬은 다른 소앤틸리즈 제 도의 섬과 비교해 볼 때, 그 규모가 상당히 큰 편이고 다양한 경 제 활동을 지닌다는 점에서 독특한 특성을 갖는다. 사실 지질학 적으로 볼 때 트리니다드는 남아메리카에서 떨어져 나간 일부분 이기 때문에 다른 소앤틸리즈 제도의 섬들과 다르다. 트리니다드

는 사팅수수 • 커피 • 카카오 • 감귤류 • 바나나 등의 플랜테이션이 성하고, 석유 • 천연가~二 • 아스팔트 생산이 활발하다. 바베이도즈는 I62 5t;:i에 영국인에 의하여 점령된 이래로 줄곧 1966년 독립할 때까지 영국의 지배를 받아왔다. 17 세기에 영국인 에 의하여 사당수수 플랜데이션이 크게 발달하였고, 현재도 바베 이도즈는 사탕수수 플랜테이션에 대한 의존이 매우 높은 경제 구 조를 갖고 있다. 현재 농경지의 90% 에 사탕수수가 재배되고 있 다 . 4 8) 근래 연안에서 석유가 산출되어 국가경제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일본인과 한국인의 자본 투자로 인하여 공업도 성장하고 있다. 근래 관광산업도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도미니카는 험준한 산악으로 구성된 섬이며, 섬의 내부에는 해 발고도가 1,500 미터에 이르는 화산 지대가 위치한다. 따라서 취락 은 해안 지역에만 위치한다. 섬 내부의 교통이 불편하여 경제개 발에 지칭을 주고 있다. 다른 인접한 섬들에 비하여 이 섬에서는 플랜데이션이나 노예제도의 유산(흔적)이 많이 남아 있지 않다. 독립국에 속하지 않는 소앤틸리즈 제도는 영국령 : Brit ish Vi rg in Islands(Torto l a, Vi rg i n Gorda 등), Ang u il la, Mont se - rrat, Cay m an Islands, Turks and Caic o s Islands 등, 미국령 : US Vi rg in Islands(St. Thomas, St. Croix , St. Jo hn 등), 네덜란 드령 : Aruba, Bonair e , Cura~ao, Saba, St. Eusta ti us , St. Marti n 남부 등, 프랑스령 : Guadeloup e, Marti niq u e, St. 1:fa- rti n 북부 등에 속하는 작은 섬들을 말한다. 네덜란드령 아루바는 자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1996년 에 완전한 독립을 하기로 되어 있다. 프랑스령 과델루프와 마르티니크의 주민은 트리니다드나 바하 마의 주민보다 다소 뒤떨어질지 모르지만, 인접한 섬들의 주민들 보다는 윤택한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과델루프나 마르티니크는 48) Wheeler, Jes se H. and J. Trento n Kostb ade, 앞의 책, p. 593.

프랑스의 보호령 p ro t ec t ora t es 이라기보다는 프랑스의 행정구역 de p ar t men t s 으로 취급받는다. 그래서 그 주민은 프랑스 정부의 사회복지 혜택을 그대로 받을 수 있다. 또한 양 섬은 유럽공동체 EC 의 일부분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각종 사업이나 산업에 대한 다국적기업의 투자가 바교적 높은 편이다• 그래서 일거리를 찾 0} 서 부근의 섬으로부터 불법이주하는· 자들이 많다.

제 8 장 안데스산지 안데스 산지에는 베네수엘라 • 콜롬비아 • 에콰도르 • 페루 • 볼리 비아 등의 국가들이 위치하고 있다. 이 국가들은 높은 산악지대 가 국토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산악지대의 동쪽으로는 매우 습윤한 아마존 강과 오리노코 강의 저지대가 펼쳐진다. 볼 리비아를 제의하고는 모든 국가들이 길고 좁은 해안저지대를 갖 고 있는데, 바로 그 저지대를 통하여 의부와의 교역이 이루어 진다. 열대지방에서는 해발고도에 따라 기후가 달라져 라틴아메리카 의 안데스 산지에서는 열대우림 기후와 툰드라 기후까지 다양한 기후가 나타난다. 다시 말해, 남아메리카의 안데스 산지에서는 해 발고도에 따라 자연 환경과 인문 경관이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 (그립 6-1). l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러는 안데스 고지 the Andean Hi gh lands , 마라카이 보 저지 the Maracaib o Lowlands, 오리노코 강 유역 대평원

the gre at pla in of th e Orin o co Ri v er(th e Orin o co Basin : llanos), 기아나 고지 th e Guia n a Hi gh lands 둥의 네 개의 지역 으로 나누어진다 .I) 베네수엘라의 안데스 고지는 콜롬비아로부터 뻗어나와 카리브 해 연안과 평행하게 달리는 산지를 말한다. 안 데스 고지에는 온난한 기후와 비옥한 토질을 가전 다수의 분지들 이 입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분지에 일찍부터 스페인인들이 정착 하였고 오늘날 주요한 도시들 (Caracas, Maracay, Valencia , Barqu isi m eto , San Cris t o bal 등)의 다수가 이러한 분지에 입지 하고있다.

l )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1991, Geog ra ph y : Regi on s and Concept s, New York : Jo hn Wi le y & Sons, pp. 303-304.

마러카이보 저지는 마러카이보 호와 그 둘레의 저지대를 말한 다. 마라카이보 호는 가로 121 킬로미터, 세로 209 킬로미터 크기 의 半鹽水湖인데, 카리브 해 방향으로 트여 있기 때문에 실제로 는 호수라기보다 일종의 만g ul f이라고 할 수 있다. 스페인인들이 전출할 무렵에 마리카이보 호의 얕은 물에는 원주민들이 . 받침기 둥이 있는 집을 짓고 살고 있었기에, 스페인인들은 이 지역을 〈 작 은 베니스 L ittl e Venic e > 죽 베네수엘라 Venezuela 라고 불렀다. 마러키이보 저지는 기온과 습도가 매우 높아서 식민지시대 동안 에는 별로 주목을 받지 못하였으나, 2 伊1 ] 기에 들어 석유가 개발 되기 시작하면서 번창하였다. 현재 마라카이보 저지에 입지한 마 라카이보 시는 베네수엘라 제 2 의 도시이다 . 2 )

2) Fis h er, Jam es S. (edit ed ), 1989, Geog ra ph y and Develop m ent : A World Regi on al , Geog ra p h y, London : Merril l Publi sh ing Com- pa ny , p. 430.

오리노코 강 유역 대평원은 안데스 고지와 기아나 고지 사이에 놓여 있다. 우기에는 넓은 습지가 형성되어 키가 큰 잡초가 무성 하게 자라고, 건기에는 잡초가 말라 죽고 토양이 노출되어 단단 해전다. 이 대평원은 모기나 독충이 많아서 인간이 거주하기에

결코 유리한 지역이 아니다• 근래에는 이 대평원에서도 석유가 산출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 대평원의 잠재력은 농업 개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베네수엘라인들은 이 대평원의 거친 환경에 도 불구하고 소를 사육하여 왔다. ) )

3) Jam es, Presto n E. and Clarence W. Mi nk el, 1986, Lati n Americ a , 5th ed., New York : Jo hn Wi ley and Sons, pp. 286-288.

베네수엘라의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기아나 고지는 근래에 철광석과 보오크사이트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세로볼리바르 Cerro Boli va r 부근에 상당히 많은 철광석이 매장되어 있디는 사실이 밝혀져 주목을 받고 있다. 오늘날 베네수엘라는 라틴아메 리카에서 가장 안정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국가 중의 하나인데, 이러한 발전은 석유 개발에 힘입은 바 크다. 석유 또는 석유 제 품은 베네수엘라 수출액의 90% 이상, 국민총생산액 GNP 의 25%, 그리고 정부 수익의 60% 이상에 기여하고 있다. 베네수엘라에서 수출되는 석유는 주로 마리키이보 저지에서 생 산되었으나 근래는 야노에서도 석유가 개발되어 수출되고 있다. 오랫동안 베네수엘라의 원유가 인근의 네덜란드령 아루바 Aruba 섬이나 쿠라사오 Cura<;ao 섬으로 수출되었고, 이 섬에서 정제된 석유가 미국이나 서부유럽으로 수출되었다. 그러나 제芸l- 세계대 전 이후에는 베네수엘라 자체에 원유정제 시설을 갖추어 원유를 정제해 오고 있다. 그리고 원유정제 과정에서 나오는 부선물은 타이어 • 합성섬유 • 의약품 등을 비롯한 다양한 공업 제품의 원료 로 사용되고 있다. 이 나라의 석유 산업은 처음에 베네수엘라 정 부가 의국의 석유회사와 합작두자로 시작하였다. 그러나 베네수엘 라 정부는 점차로 석유 산업의 많은 주식을 차지하게 되었고, 마 침내 1976 년에는 석유 산업을 국유화하였다 .4)

4) Sta n sfi eld , Jr. , Charles A. and Cheste r E. Zim olzak, 1990, Glob- al Perspe cti ve s : A World Reg ion al Geog rap h y, Columbus : Meril l Publi sh in g Comp a ny , pp. 607-6 0 9 : Fis h er, Ja mes S. (edit ed ), 앞

의 책 , pp. 430-4 3 2.

철광석은 기아나 고지의 북쪽 지방에서 생산된다. 이 지방은 개발이 덜 되었기 때문에 철광석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시설과 하 부구조에 많은 자본을 두자하여야 했다. 이 지방의 철광 산업은 처음에 미국 회사들에 의하여 개발되었고, 베네수엘라 정부는 이 지방울 중공업 중심지로 개발하기 위하여 추가로 자본을 투자하 였다. 이 지방의 철광 산업도 197~ 빈에 국유화하였다. 시우다드가 이아나 C i udad Gua y ana 와 시우다드볼리바르 C i udad Bol i var 는 이 지방의 중심지이다 .5) 베네수엘라 정부는 석유 산업과 철광 산업으로부터 얻은 이익 으로 경제의 다른 부문을 육성하기 위하여, 그리고 국민의 복지 수준 향상을 위하여 재두자하여 왔다 . 예컨대 베네수엘라 정부는 고속도로나 지방도로를 건설하는 데, 국민의 주거 비용이나 교육 비용을 감소시키는 데, 농촌을 개척하고 발전시키는 데 자금을 두자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베네수엘라 정부는 광산업으로 얻은 부를 국민에게 분배시켜 왔다. 그런데 광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노동 인구는 베네수엘라 노동 인구의 3% 에 불과하다. 안드레스 Carlos Andres Perez 는 198~ 빈 12 월 대통령에 당선 되고, 페레스트로이카 Perez t ro i ka 를 도입하여 시장경제에 입각한 경제계획을 추전하였으며 일부 국영산업을 민영화하였다. 안드레 스 (6 께, 199 詞 4 월 현재)는 미국과 선린의교를 유지하고 있다. 베네수엘라의 영역 내에서는 코카 coca 가 재배되지도 않고 코카 인 coca i ne 이 생산되지도 않지만, 근래에 이웃나라 콜롬비아의 마 약이 베네수엘라의 도로와 항구를 통해 밀수출됨으로 인해 마약 문제가발생하고있다. 199 척 2 월 10 일에 일부 군부에 의한 쿠데타 기도가 있었으나, 그 다음날 실패로 끝났다. 베네수엘라에서 쿠데타의 실패는 라틴

5) Fis h er, Jam es S.(edit ed ), 위의 책, p. 433.

아메리카에서 군부 쿠데타가 성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희박하게 되었다는 것을 말하여 준다. 2 콜롬비아 스페 인인들은 152 51;:텨 카리브 해 연안의 산타마르타 San t a Marta 향따를 건설함으로써 처음으로 콜롬비아에 발을 들여놓았 다. 스페인 정복지들은 산타마르타로부터 금을 찾기 위해 마그달 레나 계곡t he Magd alena Valle y울 따라서 상류의 고원지대까 지 탐험하였다. 스페인인들은 치브차 인디언들t he Chib c ha Ind i ans 이 많이 살고 있던 동부 산맥의 고원분지에 수도 보고타 Bog o ta 시를 건설하였다. 1533 년에 스페 인인들이 산타마르타의 서쪽에 카르타헤나 Car t a g ena 항구를 건설하자 카우카 강t he Cauca Ri ve r 유역 히류 지방에 안티오키아 An ti o q u i a 라고 불리 는 제 2 의 정착 지역이 형성되었다. 보고타의 스페인인들은 원래 부터 그 지역에 많이 살고 있던 인디언들의 노동력을 착취하여 보고타 부근의 고원지대에 하시엔다룰 발전시켰는데 반하여, 안티 오키아의 스페인인들은 전적으로 자신들의 노동력에만 의존하여 안티오키아 지역에 독립적이고 소규모적인 농업이나 상업을 발전 시켰다. 안티오키아의 보수적이고 독립적인 중류 계급의 사회는 점차 카우카 강 유역을 따라서 남쪽 방향으로 확장되었다 .6) 식민지시대 동안에 콜롬비아는 교직자 • 군인 • 관리의 과두정치 에 의하여 지배되었다. 이러한 과두정치는 독립 이후에도 지속되 다가 신토지법이 제정된 1936년 에 가서야 중단되었다. 신토지법 이 제정될 당시에 많은 소농들이 대토지 소유자의 토지에 속하는 6) 위의 책, p. 433 : Ja mes, Presto n E. and Clarence W. Mi nk el, 앞 의 책, pp. 304-315.

거친 땅을 불법으로 점유하여 농사 짓고 있었는데, 이 법은 이러 한 가난에 찌든 소농돌을 지원하기 위하여 제정되었다• 이 신토 지법은 소농들이 실제적으로 이용해 온 땅의 소유권을 소농들 자 신의 것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였다. 그러나 신토지법은 예상하지 못한 다른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 법이 제정되자 대토지 소유의 귀족들 land barons 은 자신들의 토 지를 점유하고 있던 소농둘을 축출하게 되었고 많은 소농둘은 갈 곳 없는 계급으로 전락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콜롬비아는 걷집을 수 없는 폭력아 난무하는 시대로 돌입하였고, 이러한 폭력은 19601d 대까지 지속되었다. 그 폭력은 의견상으로는 보고타에 기 반을 둔 진보주의자들과 안티오키아(중심도시 메데안 Mede lli n) 에 기반을 둔 보수주의자들의 투쟁이었지만, 근본적으로-는 유산자와 무산자 사이에 나타난 계급갈등이었다. 이러한 혼란기에 많은 수 의 농촌 인구가 보다 안전한 도시로 피신하여 정착하였다. 1991 년 현재 콜롬비아의 도시화율은 68% 에 이른다. 콜롬비아 인구의 대부분은 서부 콜롬비아 Wes t ern Colombia 에 거주하고 있다. 서부 콜롬비아는 안데스 고지 산록면을 따라 서 티에라 템플라다에 속하는 지역이 넓은 편인데, 여기에서 커 피가 재배되고 있다. 19801d 대 말 현재 콜롬비아는 세계 제일의 커피 생산국이다. 서부 콜롬비아는 안데스 고지의 세 줄기 (고원지 역)가 남북 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어 있는데, 이 세 개의 안데스 고지 줄기 (고원지역 )를 각각 동부 산맥 Easte rn Cordil ler a • 중 부 산맥 Centr a l Cordil l era • 서부 산맥 Weste rn Cord ill era 이 라고 부른다. 이 세 개의 고원 지역을 동서로 연결하는 교통은 몹시 불편하다. 항공 교통이 도입되기 이전에는 카우카 강 유역 이나 마그달레나 강t he Magd alena Ri ve r 유역 동을 가로질러 가야만 세 개의 고원 지역이 서로 연결되었다. 이러한 자연 환경 때문에 지역경제가 서로 고립되고 지역간의 문화격차가 국심하게

되었다. 안데스 고지와 더불어 북부에 위치하는 카리브 해 연안의 저지 대 the Carib b ean Lowlands of the north .£ 일찍부터 스페인 인들이 정착한 지역이다. 이 지역에 바랑키야 Barran q u i lla 나 카 르타헤나 Car t a g ena 등의 주요 항구 도시들이 입지하고 있다. 카 리브 해 저지대에 흑인 인구비가 높은 것은 여기에 원래 플랜테 이션이 발달하였었기 때문이다 .7) 안데스 고지의 동쪽에 있는 동부 콜롬비아 Eas t ern Colombia 는 콜롬비아 국토의 60% 를 점유하고 있으나 인구밀도는 매우 낮 다. 동부 콜롬비아는 오리노코 강 유역 평원의 야노 llanos 와 아 마존 강 유역 분지의 열대우림 지대로 구분된다. 동부 콜롬비아 는 국가 행정력이 잘 미치지 않고 있으며, 오늘날 이 지역에는 자급적인 농업 활동을 하는 사람들과 불법으로 마약을 생산하~근 사람들이 주로 거주하고 있다. 콜롬비아에서 가장 중요한 수출품은 커피이고 그 다음으로 중 요한 것은 석탄과 석유이다. 콜롬비아의 석탄은 카리브 해 연안 의 과히라 반도t he Guaji ra Pe ni nsula 에서 산출되기 때문에 수 송에 편리하다. 콜롬비아는 석유도 수출해 왔는데, 석유는 베네수 엘리에 인접한 국경 부근과 북부의 안데스 고지 등에서 산출된 다. 북부의 안데스 고지 유전은 1984년 에 발견되어 곧바로 개발 되었고, 여기서 산출되는 석유를- 운반하기 위하여 안데스 산지를 넘어 카리브 해로 연결되는 송유관이 건설되었다. 그런데 콜롬비 아의 좌익 게릴라들은 이러한 송유관을 파괴하는 등 석유 산출에 막대한 지장을 주고 있다. 또한 콜롬비아의 산업화와 더불어 석 유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기 때문에 석유 수출이 지속될 수 있을 지는 미지수이다. 콜롬비아는 세계 에메랄드 emerald( 녹옥석) 총 생산량의 95% 를 생산한다. 콜롬비아 정부는 대규모 에메랄드 광 7)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앞의 책, p. 305.

산울 관리하고 있지만, 많은 양의 에메랄드가 일반 시장에서도 거래되고 있다. 195 견 두 개의 다수당이 대통령직을 교대로 맡고 관료직을 동 등하게 차지하기로 합의함으로써 콜롬비아 사회는 안정을 이룩할 틀을 마련하였고, 실제로 콜롬비아 사회는 어느 정도 안정을 되 찾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콜롬비아의 사회적인 안정도 범죄조직이 등장하면서 다시 위협받기 시작하였다? 마약 조직은 사병을 거 느리고 동부의 배후지를 실질적으로- 지배하기도 하며 마약 거래 에 깊숙이 개입하였다. 콜롬비아에서 생산 • 운반 • 거래되는 마약 은 대부분 미국으로 흘러들어간다. 근래 마약일매단의 데러로 인 하여 국가의 근본이 흔둘리게 되었다. 199 01;1울 전후하여 약 3 년 동안에 마약밀매단의 이익 획득에 지장을 주었다는 이유 때문에 살해된 경찰관 • 법관 • 기자 • 대통령후보 등의 총수가 1 천 명이 넘었다.” 19901 ;1 가장 우세한 세 명의 대통령후보가 모두 저격 살해되었고, 선거운동원 간사였던 가비리아가 대통령에 당선되었 다. 대통령 가비리아는 적당한 무마책을 동원하여 꾸준히 마약밀 매단의 활동을 악화시키려고 노력하였다.J O) 199 詞 초까지 현재의 콜롬비아 대통령 가비리아 Cesar Gavi- ria Tru jill o 는 마약밀매단과 게릴라들과의 협성 ~7 통하여 문제 8) Fis h er, Ja mes S.(edit ed ), 앞의 책, p. 436. 9) 특히 !99Q ld 한 해 동안에 회생된 경찰관 수가 수백 명에 이르렀고, 그 의에 민간인들의 희생도 엄청나게 많았다. 예컨대 199Q ld 5 월에 메데인 Mede lli n 에서는 하루 평균 5()0 :j 명이 희생되었다. Newsweek, Decem-ber 17, 1990, p. 31. 10) 1991 년 7 월 마약밀매단의 요구에 따라서 국회는 범인 국의 인도를 금 하는 신헌법을 택하였으며, 이에 메데인 카르텔 Medell in cocain e car- t el 은 그들의 군사조칙을 해체한다고 발표하고 공공연하게 국가에 대한 견전쟁의 종식을 선언하였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대통령 가비리아는 국가비상 사태를 해제하였다. Newsweek, February 11, 1991, p. 42 ; Ju ly 1, 1991, pp. 38-4 3 .

해결에 상당한 진전을 보았고, 민영화를 추전하여 콜롬비아 경제 를 현대화하는 등 그의 과감한 개혁 정책은 크게 성공한 듯이 보 였다. 그러나 199~ 3 월경부터 여러 가지 구조적 문제들이 한꺼 번에 표출되기 시작하였다. 가뭄에 따른 전력 부족, 노동자들의 파업, 반정부군과 맺고 있는 평화협상의 와해, 금세기 들어서 최 저가로 폭락한 커피 시세, 의국 자본의 급속한 유입에 따라서 파 생된 인플레이션 등, 제반 문제들이 봇물 터지듯이 드러났다. 무 엇보다도 마약밀매단의 활동을 제어하는 데에 실패한 것이 가비 리아 대통령의 최악의 실정으로 나타났다. 마약에 오랫동언· 중독 된 콜롬비아를 개혁하는 것이 쉽지 않음이 드러남으로써 콜롬비 아의 미래는 밝다고 하기 어렵다 .II) 오늘날 콜롬비아에는 마르크스 一 레닌주의에 입각한 급전주의자 둘이 콜롬비아 해방군 ELN(Colomb i a's Nati on al Li be rati on Arm y)을 조직하여 게릴라 활동을 벌이고 있다. 콜롬비아 해방군 의 숫자는 1 만 명에 이른다. 현재 마르크스주의자들의 게릴라가 활동하고 있는 라틴아메리카 국가는 오직 콜롬비아와 페루뿐이라 고 하겠는데, 콜롬비아에서 좌익 게릴라 활동이 가능한 이유는 마약밀매에 따른 자금이 좌익 게릴라로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12) 3 에콰도르 식민지시대에 에콰도르는 페루에 비하여 스페인인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였다. 에콰도르에 정착한 소수의 스페인인들은 잉카의 중심 도시 키토Quit o 나 혹은 작은 지역중심지에서 생활하면서 안데스 고지 고원분지의 하시엔디를 통하여 인디언들을 착취하였 l1l2 )) NNeewwsswweeeekk,, MFeabrrcuha r3y0 , ll1,9 9129, 9p1,. p4.2 . 42.

다. 스페인인들에 의하여 새로운 작물이나 가축이 도입되었으나, 실제적으로 많은 인디언들은 유럽인들의 영향을 별로 받지 않고 그들 고유의 생활 양식을 유지하면서 살아갔다. 안데스 고지의 동부 지역 죽 오리엔테 or i en t e 에는 사나운 인디언들이 살고 있었 울 뿐만 아니라 스페인인들이 원하는 자원이 빈약하였기 때문에 식민지시대부터 별로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였다. 태평양 연안의 해안저지대는 열대우림의 북부저지대와 건조한 남부저지대로 나 누어지는데, 북부저지대는 밀라리아나 황열병 동의 풍토병 때문 에, 그리고 남부저지대는 건조한 기후 환경 때문에, 인간이 쾌적 하게 거주할 수 있는 지역이 아니었다 .13) 그러나 오늘날 태평양 연안의 해안저지대는 에콰도르에서 가장 급속하게 개발되는 지역에 속한다. 이 지역의 중심 도시 과야킬 Gua y a q u i l 은 에콰도르의 최대 도시이며 공업 중심지이다. 1940 년 이래로 급속하게 개발되는 해안저지대에서는 벼나 카카오- 등 의 상업작물이 재배되고 있다. 또한 에콰도르는 중요한 바나나 수출국에 속한다. 태평양 연안해에서는 어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과아킬 부근에서는 천연가스도 산출되고 있다. 안데스 고지는 식민지시대 이래로 별로 변화되지 않았다는 점 에서 급속하게 개발되고 있는 태평양 연안의 해안지대와 대조적 이다. 안데스 고지 대부분의 주민은 산간분지나 주변의 구릉사면 에 거주하면서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데, 이들의 농산품은 대부분 이 지역에서 소비된다. 산간분지의 비옥한 저지에는 낙농업이나 옥수수 재배 농업을 하는 대농장이 입지하고, 그 의의 토지에는 미니푼디아minifu d i a 가 탁월하다. 에콰도르의 안데스 고지는 전 형적으로 라티푼디아와 미니푼디아가 대조롤 이루고 있는 지역이 다. 페루의 안데스 고지에는 지하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지 13) Fis h er, Jam es S.(edit ed ), 앞의 책, pp. 436-4 40 ; DeBlij, H. J. and Pete r 0. Muller, 앞의 책 , p. 309 ; Ja mes, Presto n E. and Clarence W. Mi nk el, 앞의 책 , pp. 324-333.

만, 에콰도르 안데스 고지에는 별로 주 목할 만한 지하자원이 발 견되고 있지 않다. 동부지역에는 히바로Ji varo14 l 등의 아마존 인디언들이 매우 드 문드문 거주하고 있다. 이 지역에 거주하는 인디언들은 오랫동안 의부 세계와 비교적 고립되어 생활하여 온 편이다. 1967 \'! 동부 지역에서 매우 중요한 유전이 발견되었고, 이로 · 인하여 에콰도르 는 중요한 원유숙켜준국이 되었다. 동부지역에서 산출되는 원유는 송유관을 통하여 안데스 산지롤 가로질러 태평양의 에스메랄다스 Esmeraldas 항구로 운반되 어 수출된다.

14) Harner, Mi ch ael J., 1972, The Jivar o : Peop le of the Sacred Wate r fa /,ls , Berkeley : Univ e rsit y of Cali for nia Press.

4 페루 페루도 인디언 문화 전통과 스페인인 문화가 서로 대립되어 있 는 국가이다 . 스페인인들은 토지사유제를 도입하였지만 인디언들 은 원래 토지공유제에 익숙하여 있었고, 스페인인들은 대규모의 상업적 농업을 개발하였지만 인디언들은 전통적으로 자급적인 농 업 활동을 하였다. 그리고 스페인인들은 국가사회 지향적인 데 반하여 인디언들은 촌락사회 지향적이었고, 전자가 광산업을 중요 시하는 데 반하여 후자는 농업 활동을 보다 중요하게 여겼다. 또 한 스페인인들은 도시에 거주하면서 서양식 문화 활동을 하지만, 인디언들은 그둘의 고유한 언어 • 의상 • 식생활을 간칙한 채로 고 지에서 촌락 생활을 해왔다 .15) 에콰도르와 마찬가지로 페루도 해안의 저지대, 안데스 산지의 고지대, 동부지역 몬타나 mon t ana 와 저지대 등의 세 지역으로 구분된다. 페루는 에콰도르와는 달리 아마존 저지대를 개발하기

15) Fis h er, Ja mes S. (edit ed ), 앞의 책, pp. 440-4 42 .

위하여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또한 페루는 인디언 사회를 공통된 국가사회로 통합하려는 취지에서 국가의 통일성을 강력히 추구하여 왔다. 아마존의 습윤한 기류가 안데스 고지를 넘어서는 건조한 기류 로 바뀌고, 서쪽에서 불어오는 기류는 연안의 한랭한 페루 해류 th e Peru Curren t(일명 훔볼트 해류)로 인하여 한랭해전 다음에 해안평야 지대에서 데워지면서 대단히 전조한 기류로 변화한다. 따 라서 페루의 해안저지대는 좁고 길다란 사막지대로 되어 있다 .16 )

16) Eng lish , Paul Ward, 1989, World Reg ion al Geog ra p h y : A Qu es- tion of Place(3rd ed.), New York : Jo hn Wi le y & Sons, p. 293 ; Wheeler, Jes se H. and J. Trento n Kostb ade, 1990, Wo~ld Re- gion al Geog ra ph y, Chic a go : Saunders College Publi sh in g , p. 561 .

서쪽에서 부는 건조한 기류가 안데스 고지를 오르면서 두꺼운 안 개총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안개 때문에 안데스 고지에는 사면을 따라서 목초 또는 地衣類의 식물피복이 이루어진다. 사면을 따라 서 올라오는 기류가 보다 높은 안데스 고지에서는 비롤 뿌리게 된다. 페루의 해안에는 바다에서 먹이룰 찾는 수많은 새떼가 몰려드 는데, 이 새들의 배설물인 구아노g uano 는 오랫동안 비료로 사용 되어 왔다. 해안이나 연안의 섬들로부터 채취되는 구아노는 유럽 인들이 진출하기 이전부터 원주민들에 의하여 비료로 사용되어 왔고 ,17) 19 세기 초부터는 유럽의 각국 특히 영국에 수출하는 수 출품이 되었다. 185 0¼빈대부터 187 0¼빈대 사이에 페루의 구아노 수 출은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나, 금세기에 들어서 수출품으로서의 구 아노 가치는 급격히 떨어졌다 .18)

17) Eng lish , Paul Ward, 위의 책, p. 283. 18) Morris , Arth ur. S., 1979, South Americ a , London : Hodder and Sto u gh t on , pp. 71, 76-77, 81, 83, 149 ; Bromley, Rosemary D. F. and Ray Bromley, 1988, South Americ a n Deuelop m ent : A Geo- grap h ic a l Intr o ducti on , Cambrid g e : Cambrid g e Un ive rsit y Press,

p. 31 .

페루의 연안해는 세계적인 어장에 속하는데, 특히 앤초비 an ­ chov y나 참치 등의 산출이 대단히 많다. 페루의 연안어업은 지나 친 남획과 온난한 적도해류 엘니뇨 Eln i no 의 잦은 침입으로 인하 여 근래에 심한 피해를 입고 있다. 적도해류 엘니뇨는 해양의 생 태계를 붕괴시킬 뿐만 아니라 해안의 사막저지대에 고온습윤한 이상기후를 형성하여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오늘날 해안저지대는 비교적 번창하고 있다. 안데스 고지에서 시작하여 사막을 가로질러 태평양으로 홀러들어가는 하천은 4~ 개 되는데, 취락은 이러한 하천을 따라서만 입지하고 있다. 그리 고 이러한 하천가의 오아시스 oas i s 에 발달한 대농장에서는 사탕 수수 • 면화 • 벼 등의 수출용 싱업작물이 재배되고 있다. 이러한 대농장의 대부분이 의국인 소유의 것이었지만, 196 0\;:担 1 말에 대 부분의 대농장이 국유화되어 노동자협동조합 worker coop e ra- tive s 방식으로 바뀌어 운영되고 있다. 수도 리마 L i ma 와 리마의 관문 도시 칼라오 Callao 부근의 오아시스에는 근교농업 tru ck ga r- denin g and dair y ing for th e urban marke t이 발달하겨 있다. 해안저지대 남부의 오아시스에서는 자급농업이 지배적이지만, 국 내 수요를 위한 포도 • 올리브 등이나 지역 수요를 위한 다양한 작물도 산출되고 있다. 195 0\;:킨 이래로 정부는· 관개지역을 확장하 기 위하여 디수의 프로젝트를 시행하여 왔다. 해안저지대에서는 원유 • 구리 • 철광석 등의 지하자원도 산출되 고 있다. 원유는 해안저지대 북부에서 이미 19 세기 말부터 개발되 어 산출되었다. 구리와 철광석은 남부에서 채굴되고 있으며, 납부 에서 산출되는 철광석은 북부의 침보테 C hi mbo t e 의 제철소로 운 반되어 철강 • 강철판 • 주괴 동을 생산하는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리마-칼라오는 페루의 정치 • 경제 • 사회적 중심지이다. 근래에

는 공업의 발달도 주목할 만하다. 수도 리마에는 식민지시대에 건설된 가로망과 역사적 건축물 등이 현대식 가로망과 건축물 등 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리마시의 변두리에 자리잡고 있는 자생 적 정착지 또는 무단점유 정착지에는 도시빈민들이 거주하고 있 다 .19)

19) 남영우, 1991, 「리마 都市貧民 住居地 바리아다의 形成과 그 敎訓」, 都 市行政學報 제꿔, pp. 115-130.

안데스 고지에서는 식민지시대 사회 구조가 별로 변화하지 않 고 유지되어 있다. 안데스 고지에는 주로 케추아Q uechua 또는 아이마라 A ym ara 혈통의 인디언들이 자급적 농업 활동에 종사하 고 있다. 백인들이나 메스티조들은 주로 지주 • 정부관료 • 군장교 • 상점주 • 성직자 등의 직위에 있는데, 이들은 인디언에 비하여 소수에 불과하다. 일부 도시나 광산촌 등에는 백인이나 메스티조 가 다수에 해당되는 경우도 있으나, 전체적으로 보면 안데스 고 지에 인디언 인구가 대략 70% 에 이른다안 하시엔다들이 비옥한 토지를 광대하게 점유하고 있고, 소농의 빈곤한 인디언들은 척박 한 토지를 일구어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안데스 고지는 낙후되 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인구밀도도 높아서, 이곳으로부터 해안의 저지대로 인구이동이 나타난다. 안데스 고지의 일부 주민은 일거 리를 찾아서 아마존 저지로 이동하고 있다. 페루 정부는 안데스 고지의 인디언을 국가사회에 통합하기 위한 일환으로 토지개혁을 실행하여 일부 대농장을 그곳에서 일하는 다수의 농부들에게 배 분하기도하였다.

20) Ja mes, Presto n E. and C. W. Mi nk el, 앞의 책, p. 309.

페루의 안데스 고지는 페루 국토 면적의 1/3 을 점유한다. 페 루 인디언 인구의 대다수가 안데스 고지에 거주하고 있으며, 페 루 총인구의 과반수가 안데스 고지에 거주하고 있다. 그러나 이 지역은 정치적 • 경제적 측면에서 매우 낙후된 상태에 머물러 있 다. 인디언들은 산간 분지에 흩어져 있는 고립된 촌락에서 자

급적 생계농업으로 근근이 살아가거나 또는 부근의 하시엔다에서 소작인 또는 임금 농업노동자로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안데스 고지는 낙후되어 있지만, 석탄 등의 지하지원은 풍부하게 매장되 어 있다 . 세로드파스코 Cerro de Pasco 는 식민지시대에 은 생산 으로 유명하던 곳인데, 근래에는 구리 ·은·금·납·아연 등의 지하자원 생산의 중심지로 개발되고 있다. 페루의 동부지역은 아마존 상류의 안데스 고지 동사면과 아마 존 강 저지대를 말한다. 페루는 아마존 강 유역 분지에 해당하는 광대한 동부지역을 개발하려고 부단히 노력하였다. 특히 아마존 저지대와 안데스 고지의 점이지대에 해딩히는· 안데스 고지의 동 사면 즉 몬타나 mon t ana 를 개발하려는 프로젝트는 디수에 걸쳐 서 시도되었다. 그래서 안데스 고지를 가로질러 동부지역으로 연 결되는 도로들이 건설되었고, 그러한 도로들을 따라서 안데스 고 지의 가난한 농민들 상당수가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추구하여 이 동해 정착하였다. 그러나 아직도 동부지역의 대부분은 인구밀도가 매우 낮은 고립된 지역으로 머물러 있다. 아마존 강 입구에서 아마존 강을 3,700 킬로미터 정도 거슬러올 라가야 도달할 수 있는 이키토스 I q u it os( 인구 30 만 명)는 페루의 동부지역 중심 도시이다. 이키토스는 2~~1 기 초에 천연고무 붐 the Amazon wi ld rubber boom 으로 급속히 성장하였고, 근래는 페루 정부의 동부지역 개발 계획에 힘입어 성장하고 있다. 1970 년 대에 이키토스 서쪽에서 원유가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수송의 불편 때문에 원유 생산이 미미한 상태로 머물러 있었으나, 1977 년 아마존 유역 분지의 원유를- 태평양의 바요바르 Bayo var 항구 까지 연결하는 845 킬로미터의 송유관이 완성되면서 원유 생산이 급증하였다 .21) 그리하여 198 51;:텨 페루는 석유 수출국이 되었다. 페루 정부는 사회 구조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으나, 아직도 해 21 ) DeBli j, H. J. and Pete r 0. M 미 ler, 앞의 책, p. 309.

결해야 할 문제 들 이 많이 남아 있다. 라틴아메리카에서 가장 집 요하고 잔인한 게 릴라인 센데로 루미노 소 Sendero Lumi no so (Peru's Maois t Shin i n g Path Gueril la s) 5 천 여 명이 안데 스 고 지와 아마존 상류에서 활동하고 있는데, 그들은 무차별적이고 무 자비한 테러를 감행하고 있다 . 22) 지난 10 여 년 동안 2 만 3 천여 명의 게릴라가 살해되었으나, 군대와 게릴라가 충돌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민간인들도 희생되었다. 1990 \'l 7 월부터 1991 년 7 월까지 23 팽의 민간인이 실종되었는데, 국제사면위원회 Amnesty Inte r- na ti onal 는 페루 군대가 이들을 처형하였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한편 안데스 고지의 빈농들은 마약 코카인의 원료로 쓰이는 코카 coca 를 재배하여 생계를 유지하기도 하는데, 종종 좌익 게릴라들 이 안데스 고지 농민과 콜롬비아 마약 카르텔 사이의 중간매개자 역할을 한다 . 2 3) I99z i;:! 9 월 12 일 좌익 게릴라의 카리스마적 지도 자 군즈만 Gunzman 이 체포되어 좌익 게릴라의 활동이 크게 둔 화될 것으로예측된다. 1990 \'l 6 월 후지모리 Alberto Fu ji mor i(당시 51 세 )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었고, 곧 그는 전 대통령 가르시아 Alan Garcia 롤 승계하였다. 후지모리는 그의 부모가- 1933 년 일본에서 이주해 온 일본인 이민 2세 로서, 수학과 농경학을 미국에서 공부하였다 . 대통령에 취임한 후지모리는 정부보조금을 줄이고 몇 개의 작은 국영회시를 민영화할 계획을 세우고, 세제개혁을 통한 조세 수입 확대를 꾀하였다. 그리고 그는 실질임금을 40% 이상 감축하는 등 강력한 인풀레이션 억제책을 수립하였다. 199z i;:! 4 월 5 일 후 지모리 대통령은 반군의 게릴라 활동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질 서를 회복하기 위하여 의회를 해산하기도 하였다. 페루는 인플레이션 문제 (19 89 \1 연 2,775% 증가), 의채 문제 22) 위의 책, p. 309. 23) Newsweek, March 30, 1992, pp. 40-4 2 ; Aug u st 19, 1991, p. 31 ; Aug u st 26, 1991, pp. 20-25.

(1990 6 월 현재 175 억 달러), 광범한 빈곤 문제, 관료와 군대의 부 정부패, 좌익 게릴라 데러 문제 동 해결할 난제들이 많다. 후지모 리의 다양한 정책이 사회적 변혁에 성공하고 있다는 증후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 14) 5 볼리비아 볼리비아는 칠레 • 브라질 • 파라과이 등과 충돌하여 영토가 줄 어들었댜 볼리비아는 187 9¼:}에서 1884년 사이에 일어났던 태평 양전쟁 th e War of th e Pacif ic 동안에 현재 칠레의 북부지방에 해당하는 영역을 잃게 되면서 해안선이 없는 내륙국으로 되었다. 그리고 볼리비아는 190 01-;빈대 초에는 현재 브라질의 아크레 Acre 주에 해당하는 영역을 잃게 되었고, 193 0\1대에는 차코 Chaco 라 고 불리는 영역을 파라과이에게 빼앗기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볼리비아 영토는 비교적 넓은 편으로서 프랑스 영토의 두 배에 해당된다. 볼리비아 영토는 안데스 고지의 고산지대와 아마존 강 유역의 저지대로 구분된다. 페루와의 국경에 위치하는 티티카카 호 Lake T iti caca( 해발 3,71201 터에 위치함 ; 세계에서 해발고도가 가장 높은 담수호)를 중심으로 하는 고원 평야를 알티풀라노 Al tip lano 라고 하는데, 알티플라노는 한랭건조한 지대로서 • 거친 초원을 이루고 있다. 볼리비아의 수도 라파스 La Paz( 해발고도 3,57 ()o l 터)는 티 티카카 호와 근접한 알티풀라노에 위치한다. 역사적으로 볼 때, 볼리비아는 정치가 매우 불안정한 국가였다. 근래 20 여 년간, 정확히 말해서 196 01-;빈대 중반부터 198 0\1대 중 반까지, 정부가 열여섯 번이나 바뀌었다. 볼리비아는 서반구에 24) Newsweek, Jul y 22, 1991, pp. 22-23 : November 4, 1991, p. 19.

서 일인당 국민소득이 가장 낮은 국가에 속하며, 연간 인플레아 션도 1,000% 내지 2,000% 에 이르고 있다(표 3-1 참조). 볼리비아 는 정치적으로 불안정하고 경제적으로 매우 낙후되어 있지만, 풍 부한 천연자원을 갖고 있는 편이다. 포토시 Po t os f와 오루로 Oruro 는 중요한 광업 중심지이다. 한 때는 여기서 생산되는 은의 생산량이 세계 생산량의 절반 이상이 되었다. 식민지시대에서 벗어나 볼리비아가 독립을 하자, 볼리비 아의 광산업은 세 가문에 의하여 독점되었다. 그 세 가문은 볼리 비아를 마치 경제적 식민지와 갇이 통치하였고, 그로 인해 다수 의 민중을 구성하는 인디언(주로 케추아 인디언과 아이마라 인디언) 둘의 실제 생활은 비참한 지경에 놓이게 되었다. 그로 인하여 인 디언들의 지도자들은 점차적으로 급전적 정치 성향을 갖게 되었 다. 193 혓 볼리비이에서 개혁을 추전하려던 대통령이 살해되어 개혁이 실패로 끝났지만, 마침내 195 0id대 초에 정부는 광산 채 굴권을 국유화하고 농지 개혁을 입법화하였다. 사회 구조와 정치 구조가 변화하여 발전하면, 볼리비아의 경제 발전은 기대해 볼 만하다. 왜냐하면 볼리비아의 안데스 고지는 오늘날에도 세계에서 매우 중요한 광산지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 다. 특히 해발 3,600 킬로미터 내지 5,500 킬로미터의 고지에서 산 출되는 주석은 볼리비아 지하자원 산출의 절반에 해당하고, 볼리 비아 수출액의 대략 70% 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깊은 광산에 서 채광하는 것이 어려울 뿐 아니라 비용이 많이 둘기 때문에 점 차 폐광하는 광산이 많아지고 있다. 볼리비아 차코 Chaco 에서는 석유와 천연가스가 산출되고 있다. 여기서 산출되는 석유와 천연가스는 송유관을 통하여 일부는 고 지대의 도시로 수송되고, 일부는 태평양 연안의 칠레 항구 아르 시아 Arc i a 를 통하여 수출되고 있다. 볼리비아는 페루 • 칠레와 의 교적 노력을 통하여 태평양과 연결되는 영토롤 귀속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만약 태평양과 연결되는 영토롤 돌려받게 된다면, 볼리비아 경제는 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볼리비아는 농업 생산력의 잠재력도 상당히 큰 나라이다. 근래에 동남부의 저지대가 개발되어 설탕, 쌀, 면화 등을 자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아마존의 유역 분지에 속하는 북부의 저 지대도 근래 급속히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 지대에서는 마약 코카인의 원료로 사용되는 코카가 재배되고 있어서 볼리비아 정 부의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제 9 장 브라질과 기아나 지역 브라질과 기아나 지역은 공히 식민지시대에 스페인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은 지역이고 또한 공히 플랜테이션이 크게 발달하였 던 지역이다. 그러므로 브라질과 기아나 지역은 스페인어가 공용 어가 아니라는 점에서 또한 흑인과 물라토의 인구 구성비가 높다 는 점에서 남아메리카의 디론 지역과는 다소 싱이한 지역성을 공 유한다. l 브라질의 개관 브라질은 라틴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나라이다. 브라질은 전세 계에서도 면적 순위로 보면 유]에, 그리고 인구 순위로 보면 科 1 에 해당하는 대국이다. 브라질 인구의 연간 자연중가율은 19701d 대말에 2.8% 정도로 대단히 높았으나, 19801d 대 중반에 2.3% 로, 그리고 199 Q\d대 들어서 2.0% 이하로 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연간 자연중가율은 인구 대국 7 개국 중에서는 가장 높은 수치이 다. 현재의 자연증가율이 지속된다면 브라질 인구는 200 Q\d에 1 억 8 천 만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I) Fis h er, Jam es S.(edit ed ), 1989, Geog rap h y and Deuelop m ent : A World Reg ion al Geog ra p h y, London : Merril l Publi sh ing Comp a ny, p. 449.

브라질에서는 다양한 지하자원이 산출된다. 식민지시대에는 금 과 다이아몬드가 많이 채굴되었고, 근래에는 철광석 • 보오~사이 트 • 철 합금물 등이 개발되고 있다. 브라질의 영역에는 아마존과 해안저지대의 열대우림 기후, 브라질 고원의 사바나 기후와 건조 기후, 중위도 지방의 온대 기후 등 다양한 기후 환경이 발견된다. 기후 환경은 복잡하지만 지세는 복잡한 편이 아니다. 브라질은 주로 고원지대 p la t eaus 와 저산성 구릉 low hi ll s, 그리고 아마존 분지t he Amazon Bas in]료 구성되어 있다. 브라질 고원의 고도 는 가장 높은 지점의 해발고도가 3 천 미터에 미치지 못한다. 브 라질 고원지대는 북쪽과 서쪽이 가장 낮고 동남쪽으로 갈수록 서 서히 높아져서 대서양과 인접하여 고도가 가장 높고 험준해진다. 그래서 브라질은 대서양 방향으로 7,200 킬로미터의 해안선을 가 진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해안평야의 면적은 극히 작다. 아마존 분지는 브라질 국토 면적의 60% 를 차지하고 있다. 아마존 분지 의 중앙을 아마존 깅이 꿰뚫고 흐르고 있으며, 아마존 강은 솔리 모에스 강 R i o So li moes( 黃江)과 네그로 강 R i o Ne g ro( 黑江) 등 을 비롯한 많은 지류를 갖고 있다. 아마존 분지는 대체로 광활하 고 평평한 평원을 이루고 있으나, 아마존 강의 지류와 지류 사이 에는 넓고 평탄한 (비록 고도는 낮지만) 臺地t ablelands 도 발달하 여 있다. 브라질은 인구와 면적이 큰 대국일 뿐만 아니라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결코 강대국의 지위를 차지하지 못 했기에 참자는 거인이라고 불리고 있다. 수십 년 동안 군부의 정 치 개입으로 정치가 불안정하였으나, 198 5¼:칸부터 민간정부가 출 현하여 정치적으로도 안정되어 가고 있다. 이제 참자는 거인은 서서히 잠에서 깨어나고 있다. 19801a 대 중반에 브라질의 GNP

는 연간 7 .4%로 성장하였고, 일인당 GNP 는 연간 5.1% 로 성장 하였다 .2) 브라질의 의채 문제와 인플레이션 문제가 해결되기만 한다면, 브라질이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역할은 점차로 막중하게 될 것이다. 브라질의 공업화가 브라질의 경제 성장에 기여하는 바는 심히 크다. 브라질의 제조업은 연간 8.6% 로 성장하여서 현재는 브라질 GNP의 36% 에 기여하고 있다. 브라질의 공업은 디앙하게 발전 하고 있으며, 많은 분야에 첨단 기술과 자동화를 이용하고 있다. 예컨대 모터나 발전기와 같은 전기 제품과 자동차 • 트럭 • 선박 • 비행기 같은 운송 장비, 그리고 철과 철강 등이 브라질의 현대식 공장에서 생산되고 있다. 제조업은 브라질 노동력의 25% 를 고용 하고있다. 브라질의 도시화율은 급속하게 높아져 왔는데, 현재 도시화율 은 75% 에 달한다. 브라질에는 인구가 100 만 명이 넘는 도시도 10 여 개에 달하는데, 큰 도시순으로 나열하면 ® 상파울루 Sao Paulo, ® 리우데자네이루 R i o de Jan eir o , @ 벨로리존테 Belo Horiz o nte , ® 레시페 Recife , ® 포르투알레그레 Porto Alegr e , ® 상가도르 Salvador, (J) 브라질리아 Bras Hi a, @ 포르탈레자 Forta l eza, ® 쿠리티바 Cur iti ba, @ 벨렘 Belem 등이다. 다른 한편으로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교통 혼잡 문제 • 공공시설 부족 문제 • 공해 문제 등의 심각한 사회 문제가 대두되었다. 한편 브 라질의 농업 부문의 성장은 매우 미전하다. 근래 브라질의 농업 부문은 겨우 연간 1. 6% 로 성장하였다. 농업 인구는 30% 에 달하 는데, 이들은 값싼 식품이나 공업용 원료를 생산한다. 농업 부문 에 의존하는 커피 ·사료·오렌지 주스·설탕·육류 등은 해의로 수출되고 있다. 브라질 정부는 국토의 균형 발전과 자원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 2) 위의 책, p. 450.

여 내륙 개발에 힘을 쏟아왔다. 브라질 정부는 1960 년에 수도를 리우데자네이루로부터 브라질 고원 th e Brazil i a n H ig hlands 의 신개척 도시 브라 질 리아로 옮겨서 내륙 개발에 박처를 가하였다. 수도 이전과 더불어 아마존 유역 분지까지 도로망을 확충하였는 데, 이러한 정책의 결과로 브라질 고원과 아마존 유역에 많은 이 주자들이 들어오고 있다. 포르두갈 식민지시대 이후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브라질 경제 의 특칭은 소위 붐경제 boom-bust econom y라고 알려진 5-6 차례 에 걸친 경제 순환에 있다. 브라질의 붐경제는 주로 자원 개발에 바탕을 둔 경제로서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경제 발전이 아니라는 점에서 바람직한 경제 발전이라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브라질 의 붐경제는 지리적 유산을 많이 남겨놓고 있기 때문에 오늘날의 브라질 지역 구조를 이해하는 데 대단히 중요하다 . 3) 첫번째의 붐경제는 브라질 발견 이후 153 0\1경까지 일시적으로 일어났던 붐경제로서 파우브라질p au - bras i l 이라는 염색나무를 중 심으로 한 경제 활동을 말한다. 이 시기에는 유럽 대륙에서 염색 원료로 품질을 인정받은 브라질산 니무의 수출이 가장 중요한 경 제활동이었다. 브라질 국명은 파우브라질이리는 염색니무에서 유 래한다. 그러나 파우브라질의 붐경제가 오늘날의 브라질 지역 구 조에 남기고 있는 영향은 별로 찾이볼 수 없다. 두번째의 붐경제는 153 0\1경부터 165 0\:核初}지 브라질 북동부 지역에서 일어난 사탕수수 붐경제를 들 수 있다. 브라질 남부에 서는 153 2'-:;빈 상비센테 Sao V i cen t e 에 최초의 사탕수수 플랜테이 션이 세워졌었으나, 사탕수수 플랜테이션에 유리한 브라질 북동부 지역이 브라질의 사탕수수 중심지로 발달하게 되었다. 북동부 지 3 ) Di ck enson, J. P., 1982, Brazil , London : Long m an, pp. 30-31 ; Fis h er, Ja mes S.(edit ed ), 1989, 위의 책, pp. 450-4 5 1 ; Eng lish , Paul Ward, 1989, World Reg ion al Geog rap h y : A Qu esti on of Place (3rd ed.), New York : Jo hn Wi le y & Sons, p. 305.

역의 해안지대를 마타 지대 zone of Mata (zona da Ma t a) 41 라고 부르는데, 이 지대가 아프리카 노예의 노동력을 이용하여 그 당 시 세계 최대의 사탕수수 산지로 되었다. 그래서 브라질의 북동 부 지역은 전체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에 속하였 다. 160 ()1,1경에 2 만 5 천 명의 포르투갈인 개척자들이 브라질의 해안지대에 정착하여 있었고, 1 만 炫J 명의 아프리카인 노예들과 1 만 8 천 명의 기독교(구교)로 개종한 인디언들이 신대륙의 포르 투갈 식민지에서 노역에 동원되고 있었다. ” 163 (N빈부터 1654 년까 지 네덜란드인둘은 브라질의 북동부에 정착하여 제당업에 종사하 였으나 , 6) 1654 년 이후에 이 지역으로부터 축출당하였다. 네덜란드 인들은 이 지역으로부터 카리브 해 지방으로 이주하여 정착하였 댜 브라질 북동부의 사탕수수 붐경제는 라틴아메리카의 다른 지 역에 사탕수수 플랜테이션이 발달하면서 쇠퇴하게 되었다. 특히 서인도 제도를 비롯한 카리브 해 지방에서 영국인 • 프랑스인 • 네 덜란드인 등에 의하여 사탕수수 플랜테이션이 발달하게 되자 브 라질 북동부의 사탕수수 붐경제는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오늘 날에도 브라질의 북동부 해안저지대에서는 사당수수가 생산되고 있다. 그리고 사탕수수 붐경제가 일어났던 브라질 북동부 지역의 인구 구성을 살펴보면, 오늘날에도 흑인 또는 물라토의 비율이 브라질의 다른 지역보다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다.

4) Dick enson, J. P., 위의 책, pp. 32, 108, 155, 157. 5) Eng li sh , Paul Ward, 앞의 책, p. 286. 6) Dick enson , J. P., 앞의 책, p. 43.

세번째의 붐경제는 170 ()1,1경부터 178 (N빈까지 지속된 광산 개 발의 붐경제인데, 이는 내륙 고원에서 금이나 다이아몬드 등의 광산물을 채광하는 경제 활동을 중심으로 일어났다. 브라질 내륙 고원의 탐험은 반데이란데스 bande i ran t es7> 집단의 공헌이 컸

7) l@] 기 중영부터 l~] 기 중엽까지 브라질 고원에서 인디언을 잡아서 노 예로 공급(매매)하는 집단들이었다. 이러한 집단에는 인디언과 메스티조

에 속하는 사람들도 포함되었는데, 이둘은 브라질 고원을 탐험하면서 우 연히도 광산을 발견 또는 개발하게 된다 (The word relate s to the Portu g ue se word for a flag (b andeir a ) and it refe r s to an exp e d ition foll ow ing th e flag of a leader ) .

다 . S) 169 ()1;:!에 미나스제라이스 M i nas Gerais 주에서 황금기 발 견되고 172~ 에는 다이아몬드 광산이 발견되었다. 벨로리존데가 그 중심적 도시였다. 이 지역의 광산물 생산은 175 (N빈경에 최고 를 기록하고 점차로 쇠퇴하였다? 불행하게도 노천광물이 고갈되 자, 많은 사람들이 그 지역에서 빠져나오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 나 지하자원 생산이러는 점에서 브라질 내륙 고원이 브라질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중요성은 오늘날까지도 남아 있다. 오늘날에도 미나스제라이스 주는 브라질의 중요한 지하자원의 생산지가 되고 있다• 네번째의 붐경제는 I84 ()1;:!.?J-¥-터 193 ()1;:!까지 내륙 고원, 특히 상파울루 주를 중심으로 일어난 커피 붐경제를 둘 수 있다. 커피 재배는 처음에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상파울루를 잇는 파라이바 강 중류 유역 M i ddle Paraib a Valle y에서 시작되었으나, 커피 재배 지역은 상파울루 주 내륙 고원지대로 널리 확장되었다回 커피 재 배 지역의 확장과 더불어 많은 유럽이민들이 브라질로 들어왔고, 이 무렵 들어온 유럽이민들은 주로 상파울루 주나 브라질 남부에 정착하였다. 데라록사t erra - roxa 토양은 특히 커피 재배에 매우 유리한 토양으로서 그 토양의 분포는 커피 재배 지역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191() 1;:! 경에 커피가 과잉 생산되자 국제 시장에서 커 피값은 폭락하였다. 브라질 정부는- 커피의 생산과 공급을 조절하

8) Di ck enson, J. P., 앞의 책, pp. 33-3 4 , 38, 40 : West, Robert C., 1982. Abori gina l Colon ial Geog ra p h y , in Lati n Americ a : An In- trod ucto r y Suruey ( ed ited by Blouet, Bria n W. and Olw yn M. Blouet) , New York : Jo hn Wi ley & Sons, p. 55. 9) Dick enson , J. P., 위 의 책, p. 40. 10) 위의 책, p. 56.

여 가격을 유지하려 하였으나 콜롬비아를 비롯한 다른 라틴아메 리카 국가들이 커피 생산에 참여하게 됨으로써 이러한 브라질 정 부의 노력은 크게 성공을 거두지 못하게 되었다. 최근에야 비로 소 커피 생산 국가들은 커피 가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공동 노력 울 하게 되었다. 19 세기 후반에 일시적이나마 아마존 강 유역에서 천연고무 생 산 붐 rubber boom 이 있었다 .II) 천연고무 생산의 중심 도시는 아마존 강 중류의 마나우스 :Manaus 였다. 고무나무에서 유액 lat ex 울 뽑아서 천연고무를 만들어 미국이나 유럽으로 수출하였 다. 고무경화법 vulcaniz a ti on p rocess 이 개발되고 고무가 자전거 와 자동차의 타이어에 이용됨으로써 고무 수요는 엄청나게 커졌 고 고무값은 치솟게 되었다. 그러나 영국인들에 의하여 말레이시 아와 인도네시아 등의 동남아시아에서 고무 플랜테이션이 발달하 게 되자 아마존 강 유역의 고무 생산은 급속히 쇠퇴하였다. 오늘 날 아마존 강 유역에서는 관광객을 위한 고무와 국지적으로 이용 되는 고무만을 생산할 뿐이다. 마지막으로 브라질 제조업의 급속한 성장을 하나의 경제붐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피울루- 주와 동남부 지역에 공업이 발달하였 으며(그림 9-1) , 상파울루 시, 리우데자네이루 시, 벨로리존테 시 등의 중심 도시를 비롯한 인근의 도시에 공업이 집중되어 있다. 특히 상파울루 시와 파라이바 강 중류 유역에 공업이 크게 집중 되어 발달하였다. 198 01;:it:l]에 브라질 수출액의 절반 이상을 제조 품 수출액이 기여하게 되었다. 브러질에서 수출하는 제조품은 산 업화 초기부터 생산하던 섬유제품 • 신발류를 비롯하여 철강 • 기 계류·자동차·트럭 ·선박·화학 제품·플라스틱 제품 등이다. 브라질은 196 01;:!대와 197~ 預肉 도시 게릴라를 무력으로 진압 11 ) 위의 책 , pp. 62-6 4 ; Ja mes, Presto n E. and Clarence W. Mi nk el, 1986, La tin Ameri ca , 5th ed., New York : Jo hn Wi le y and Sons, p. 522.

하는 과정에서 개발된 무기류도 수출하고 있으며, 국내 수요를 위한 항공기도 생산하고 있다 .1 2 ) 브라질의 공업 발달에 기여한 요인으로는 ® 공업화를 추전하 려 는 정부의 의지, ® 규모가 큰 국내 시장, @ 저렴한 노동력, ® 교육의 확대에 따른 기술 인력과 관리 인력의 증대, @ 시장 성재 지향의 자본주의 경제 구조, ® 풍부한 찬연자원, ® 의자 도입의 확대 등을 들 수 있다. 브라질은 공업 발전에 매우 중요 한 전력을 수력발전에 의존하고 있는데, 브라질 수력 발전의 잠 재력은 대단히 크다. 이미 브라질의 곳곳에 수력 발전소가 산재 되어 가동되고 있고, 특히 파라나 강과 그 지류에 건설된 수력 발전소들은 브라질의 총수력 발전량의 절반을- 공급하고 있다• 그 리고 브라질 고원에서는 철 • 망간 • 주석 • 텅스텐을 비롯한 다양 한 금속 광물이 산출되는데, 이러한 지하자원도 브라질 공업 발 당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13)

12) Wheeler, Jes se H. and J. Trento n Kostb ade, World Reg ion al Geog ra p h y, Ch ica g o : Saunders College Publis h in g , p. 560. 13) 위의 책, p. 610.

U 라진은 인플레이션 문제 ,14) 외채 문제 ,15) 문맹률 (20%) 문제, 꾸-정부패 문제 등 해결되어야 할 난제둘이 많다. 291 ;'1 만에 처음 으로 직접선거에 의해 당선된 콜로르 .Fernando Collor de Mel- lo16’ 는 취임 후에 곧 은행계정 bank accoun ts 과 두자자금i n­ vestm ent fu nds 을 동결하여 17) 총통화량의 80% 를 묶어버렸다.

14) 연간 인풀레이션이 대체적으로 1,000% 를 넘으며, 198% 린의 안폴레이 션은 연 2 , 700% 였다. 199 2¼반 중반 월 25% 정도의 인플레이션을 나타 내고있다. 15) 1991 년 현재 브라질의 의채는 l,22~ 달러인데, 이 액수는 개발도상 국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다. World At la s & Almanac 1992 Edit ion , Rand McNalley, p. 32. 16) 199 興 3 월 15 일 취임 당시 4 어 l 로서 브러질 역사상 최연소 대통령으 로 당선되었다. 브라질은 1964 년 이후 장기간 군부체제가 유지되었다.

17) 예컨대 예금주들은 1,250 달러 이상을 인출할 수 없게 하였다.

그리고 콜로르는 국영기업을 민영화하였고, 각종 정부보조금을 제 거하여 정부 지출을 철저히 억제하였으며, 관세 장벽을 제거하여 자유무역을 꾀하였다. 인플레이션 문제와 부정부패 문제 등을 해 결 하려는 콜로르의 개혁 정책은 처음에 브라질 국 민의 상당한 지 지몰 받은 것은 사실이나, 그러한 개혁 정책의 결과는 성공적아 지 못 하였다 . 18) 콜로르는 1992 '-j 5 월말 경부터 부정부패 사건에 연루된 것으로 언론에 보도되기 시작하면서 국민의 지지를 잃게 되었고, 결국 브라질 국회는 콜로르를 탄핵하기에 이르렀다 .1 9) 콜 로르가 탄핵을 받아 물러나자 부통령아었던 프랑코 I t amar Franco 가 대통령을 계승하였는데, 대통령직을 이어받은 프랑코는 국가주의자 또는 민족주의자로 알려져 있다. 프랑코는 콜로르가 추전하던 시장경제 정책과 그가 주장해 오던 경제적 국가주의 econom ic nati on alis m 샤기에서 균형을 취하는 정책을 택할 것 으로예측된다. 2 브라질의 여러 지역 브라질은 지역적으로 매우 대조적인 국가이다. 해안에 인접한

18) Newsweek, March 20, 19 이, pp. 38-39. 19) 199M 8 월경부터 브라질 국민들은 대규모 가두시위를 통하여 콜로~ 의 탄핵을 요구하게 되었다 . 마침내 199M ~ 말에 브라질의 국회는 국회의원 480 명 중에서 441 명이 출석하고 33 硏 1 이 찬성하여 콜로르 탄 핵안을 통과시켰다. 콜로르의 탄핵은 브라질 국민의 민주 의식과 정치 역량을 내의적으로 과시하는 긍정적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라틴아 메리카에서 대통령이 탄핵에 의하여 물러난 일은 처음 있는 일이었다. 콜로르의 탄핵을 끌어내는 과정에서 브라질의 상인 • 법률가 • 지식인 등 이 기여한 바가 크고` 무엇보다도 학생들의 대중 동원력이 큰 힘이 되 었다.

지역은 인구밀도가 높으나, 내륙에 위치한 지역은 대체적으로 인 구밀도가 극히 낮다. 인구 특성과 경제 활동의 상이성에 근거하 여 브라질은 일반적으로 상파울루 지역 • 남부 지역 • 동남부(동 부) 지역 • 북동부- 지역, 서부내륙 지역 • 북부 지역 둥 여섯 개의 지역으로 구분한다(그림 9 - 1).20)

20) Fis h er, Ja mes S.( e dit ed ), 앞의 책, pp. 451- 45 6 ; DeBlij, H. J. and Pete r 0. Muller, 1991, Geog raph y : Regi on s and Concep ts, New York : Jo hn Wi ley & Sons, pp. 320-328

브라질은 24 개의 주 s t a t es 와 두 개의 준주t err it or i es 그리고 연방수도t he fed eral dis t ri c t of cap ital Bras fli a 로 구성되어 있다(그림 9-1) . 미국과 마찬가지로 북동부 지역의 주들은 면적이 작고 서부로 갈수록 주의 면적이 커진다. 가장 큰 주는 아마소나 스 Amazonas 주인데, 한반도 면적의 6 . 7 배가 넘는다. 그러나 아 마소나스 주의 인구는 겨우 220 만 명에 불과하다. 인구가 가장 조밀한 주는 리우데자네이루 주인데, 면적은 4 .4만 평방킬로미터 이지만 인구는 1,500 만 명이나 된다. 인구가 가장 많은 주는 상 파울루 주로서 주의 총인구가 3,500 만 명이 넘으며, 근래에도 인 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브러질에는 브라질 고원의 대서양 연안을 따라서만 지세가 험 준할 뿐이고 교통의 장애가 되는 산악이나 산맥이 존재하지 않고 또한 자연적 경계가 되는 사막지대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지형 이나 지세 등의 자연 환경을 기준으로 브라질의 지역 구분을 하 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브라질의 지역 구분은 디소 임의적일 수 밖에 없다. 본서에서는 상파울루 지역 ·남부 지역 ·동남부 지역 ·북동부 지역 ·중서부 지역 ·북부 지역 등 6 개의 지역 구분울 설정하여 각 지역의 특성을 고찰하기로 한다. 각 지역의 경계는 편의상 주의 경계와 일치시켰다.

三:아나 대서양

-]저,역、 1 \\\,iI ! ,’\, ,‘ '/ '` '-복',`' I,I'`''〉`.동 ,r:부 '지 .r',',\',I,``' (;',역 `-I、`’``'-,`g'``.、 I./,、`, `二)〉i드 . \J나 , I 亂W%~念

l) 브라질의 상파울루 지역(상파울루 주) 브라질 국민총생산의 1 /3 이 상파울루 주에서 생산되며, 브라 질 공산품의 거의 2/3 가 상피울루- 주에서 생산된다. 상파울루 주에서는 자동차공업·섬유공업·시멘트공업·신발류공업·제지 공업 • 커피가공업 • 의약공업 • 전자공업 등이 발달하였고, 그 의 석유정제공업 • 석유화학공업 • 철강공업 등도 주목할 만하다. 농 업도 상파울루 주가 가장 발달하였다. 커피 • 콩 so y beans • 쇠고 기 • 사탕수수 • 면화 • 땅콩 • 쌀 • 야채류 등이 중요한 농산물이다. 상파울루 주는 도시화도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1991 년 상파 울루 시의 인구는 1,870 만인데, 200 低민경에는 상파울루 도시권의 인구가 2,600 만을 상회할 것으로 추정된다. 상파울루 시에만 2 만 5 천여 개의 공장이 집중되어 있어서 브라질 전체 제조업의 55% 가 집중되어 있다. 또한 상파울루 시에는 다수의 은행과 주식시 장이 입지하고 있어서, 상파울루- 시는 브라질의 금융 중심지 역 할을하고있다. 그러나 상파울루 시의 급속한 도시화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수 반하였다. 농촌으로부터 그리고 다른 지역으로부터 많은 인구가 유입하였는데, 대부분의 유입민들은 문맹자들이고 미숙련공들이며 빈민들이었다. 그리고 도시는 이들에게 충분한 상하수도, 교통편 의, 주택, 공공보건 시설, 교육시설 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파울루 시의 대기오염은 매우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2) 브라질의 동남부(동부) 지역 브라질의 동남부 지역은 리우데자네이루 주, 미나스제라이스 주, 에스피리두산투 Es pi r it o Santo 주 등을 포함하는 지역이다. 동남부 지역은 상파울루 지역과 더불어 브라질의 핵심 지대를 이

룬다. 리우 R i o( 리우데자네이루)는 동남부 지역의 중심지이다. 리 우는 식민지시대의 초기에 방어기지로서 전설되었는데, 천혜의 항 구로서의 이점과 내륙에서 발견된 금광과 근접한 입지성으로 말 미암아 급성장하였다. 특히 수도가 북동부 지역으로부터 리우로 옮겨오자 리우는- 브라질의 중심지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좁고 길다란 해안 평야와 접하여 내륙 방향에는 가파른 전벽돌이 솟아올라 있으므로 리우로부터 내륙 지방으로 접근하기 는 쉽지 않았다• 자동차가 보급되고 포장도로가 건설되면서 내륙 지방으로 접근하기가 보다 용이하게 되었으나, 내륙 지방에 도시 둘이 성장함으로써 리우의 도시 기능을 대신 담당하기도 하였다. 리우에는 평탄한 토지가 심히 부족하여 도시 발달에 심각한 장애 가되고있다. 동남부 지역은 리우와 그것의 배후지라고 할 수 있는데, 리우 의 배후지는 농업적 기반과 광업적 기반을 갖고 있다. 가축의 방 목이 가장 혼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일부 농경지에서 사팅수수· 커피 • 벼 • 감귤류 등의 작물이 재배되고 있으며, 지급용 농업이 보다 혼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토지의 윤작이 일반적으로 행해지 고있다. 동남부 지역에는 세계적인 광산지대가 입지하고 있다. 이 광산 지대에서는 이미 금과 다이아몬드, 그리고 다수의 값진 귀금속들 이 수세기에 걸쳐서 생산되었고, 금세기에 들어서도 대규모의 광 산이 개발되었다. 이 광산지대의 가장 중요한 광석은 철광석인데, 철광석의 매장량은 무전칭하다고 볼 수 있다. 근래에는 망간 • 크 몸 • 몰리브덴 • 니켈 • 텅스텐 동의 산업용 광석도 매우 중요한 광 석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이제부터 동남부 지역의 광산지대 에서 더 이상의 개발을 크게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리우와 상파울루를 연결하는 지대 (파라이바 강 중류 유역 )는 각 종 공업이 발달해 있다. 득히 여기에 입지하고 있는 볼타레돈다

Volta Redonda 는 브라질의 제철 • 철강 공업의 중심지이다. 볼 타레돈다는 상파울루와 리우 시장으로부터 가까울 뿐만 아니라 철광석 • 석회석 • 산업용수 동으로부터 근접하여 있기 때문에 제 철 • 철강 공업의 이상적인 입지 요건을 대체로 구비하고 있다 . 단지 부족한 것은 석탄인데, 석탄은 미국으로부터 수입하거나 브 라질 남부 지역으로부터 들여온다. 3) 브라질의 남부 지역 브라질의 남부 지역은 파라나 Paran 죠 주, 산타카타리나 San t a Cata rin a 주, 리우그란데도술 R i o Grande do Sul 주 등으로 구 성되어 있다. 남부 지역에는 19 세기에 많은 유럽인 특히 독일인 이나 이탈리아인이 정착하였다 . 아직도 민가 등에 독일식이나 이 탈리아식 양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포르투알레그레 Porto Ale g re 나 쿠리티바 Cur iti ba 등을 비롯한 몇 개의 도시들 은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지만, 그래도 전반적으로 남부 지역은 농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토질의 비옥도를 떨어뜨릴 정도로 착취적 농업이 행하여지고 있지는 않다 .21) 소를 방목하는 목축업이나 밀 • 콩을 재배하는 상 업농이 일부 지역에서 행해진다. 커피 재배가 가능한 지역에서는 커피 농사도 이루어지며, 일부 지역에서는 벼 • 옥수수 등의 재배 나 돼지 사육이 매우 전통적인 방식으로 행하여지고 있기도 하 다. 돼지 사육은 특히 독일인계 정착지와 관련되고, 포도 재배와 포도주 생산은 특히 이탈리아인계 정착지와 관련된다. 전체적으로 볼 때 남부 지역은 안정적이고, 발전적이며, 현대적인 농업경제를 갖고있다. 남부 지역에서 산출되는 석탄은 미나스제라이스 주의 철강 공 21 ) Dick enson, J. P., 앞의 책 , pp. 38-39.

장 등으로 운반되어 브라질 공업의 중요한 원료로 사용된다. 남 부 지역에서는 석탄 이의에 별로 주목할 만한 지하자원이 산출되 지 않는다. 납부의 도시들은 기본적으로 지역의 서비스 중심지들 이다. 그러나 포르투알레그레와 같은 대도시에서는 농산품이나 축 산품을 가공하는 공업도 상당한 규모의 노동력을 고용하고 있다. 그리고 산타카타리나 주의 투바랑 Tubarao 에는 198N 남아메리 카에서 단일 규모로는 최대 규모인 철강 공장이 개소되었다 .22 ) 파라과이와 브라질의 국경선을 따라서 흐르는 파라나 강에 파 라나주 남서쪽 가장자리에 건설된 이타이푸 It aip u 댐은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댐이다. 이타이푸 댐은 높이 18 ()P]터, 길이 8 킬 로미터에 달하며, 이집트의 아스완 댐의 6 배에 달한다. 이타이푸 댐은 197 81;:!에 칙공되어, 1984 년에 발전하기 시작하였으며, 1990 년에 완공되었다. 여기서 발전된 전력은 주로 상파울루로 보내 전다. 4) 브라질의 북동부 지역 식민지시대의 초창기 수세기 동안에 북동부 지역은 브라질 문 화의 중심지였고, 브라질에서 가장 발달한 핵심 지대였다. 북동부 지역의 살바도르 Salvador 는 1763 년 리우데자네이루로 수도가 옮 겨갈 때까지 거의 200 여 년 동안 식민지 브라질의 수도였다. 북 동부 지역은 모국 포르투갈로부터 거리상 보다 가깝다는 이점을 갖고 있었고, 북동부 지역의 해안저지대는 당시의 주요 경제 활 동이던 사탕수수 플랜테이션이 발달하기에 좋은 자연 환경을 구 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증기기관선의 도래와 더불어 근접성의 이 점이 감소하게 되었고, 더구나 사탕수수 플랜테이션이 브라질 경 제 활동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심히 감소함에 따라서 북동부 지 22)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앞의 책, p. 326.

역이 갖는 지리적 이점의 중요성은 별로 주목할 만한 것이 되지 못하였다. 오늘날 북동부 지역 주민의 일인당 소득은 브라질 국 민의 일인당 소득의 반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로 북동부- 지역은 브라질의 낙후지역으로 남아 있다. 수많은 북동부 지역의 주민들이 타지역으로 일거리를 찾아서 이주해 나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북동부 지역의 인구밀도는 매우 높은 편이다. 북동부 지역 내부에서도 정착지들이 확장되었 는데, 정착지들이 해안의 습윤지대로부터 내륙의 보다 건조한 지 대로 이동하면서 확장된 셈이다. 내륙 지방에 정착지가 늘어나면 서 정착지에 인접한 구릉지가 무자비하게 개간되었고, 따라서 토 양 유실 • 식생 파괴 동의 환경 문제를 초래하였다. 원래부터 건 조한 북동부지역의 내륙지대는 한발지대t he droug h t p ol yg on 로 알려져 있는데, 이 한발지대에 종종 극심한 한발이 닥쳐서 많은 피해를 입혀왔다 .23) 이러한 극심한 한발 중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타지역으로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히 몰려가게 되었다.

23) 예컨대 198 ()1.i대 초에 生반 동안 거의 비 한방울 내리지 않아서 국십한 피해를 입혔었다. 그러나 마침내 198 51;:텨 내린 비는 오히려 엄청난 홍 수피해를초래하였다.

오늘날 북동부 지역 해안지대를 따라서 아직도 사팅수수가 주 요 작물로 재배되고 있으며, 북동부지역 내륙지대에서는 육우나 염소를 사육하고 있다. 북동부 지역에서 주목할 만한 상업농업은 리우 그란데두노르데 Ri o Grande do Norte 주의 면화, 파라이 바 Para ili a 주의 사이잘 麻 s i sal, 페르남부쿠 Pernambuco 주의 사탕수수 등 뿐이며 대디수의 농민들은 자급적 농업 활동을 하고 있다. 북동부 지역의 도시화율은 43% 에 불과하다. 196 0\1경 이 래로 북동부 지역을 개발하기 위하여 브라질 정부는 다수의 지역 계획안을 수립하였다. 현재 북동부 지역에서는 수력 발전 댐들이 건설중에 있으며, 디수의 도로들이 신설되거나 또는 개선되고 있 다. 더구나 북동부 지역에 입지하고 있는 산업들은 특별한

세금 감면 혜택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지역 개발의 노력들 이 아직까지는 주목할 만한 성과를 - 이루고 있지는 않다. 5) 브라질의 중서부 지역(내륙지역) 브라질의 중서부 지역은 고이아스 .Go i as 주, 마투그로수 Ma t o Grosso 주, 마투그로수두줄 Ma t o Grosso do Sul 주를 포함하는 지역이다. 199 眼 1 중서부 지역의 인구밀도는 6 인/평방킬로미터 로서 매우 낮은 편이고, 중서부 지역의 대부분은 정부의 행정력 이 거의 미치지 못하고 있다. 브라질 정부는 이러한 중서부 지역 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중서부 지역 동쪽 가장자리에 브라질 리아를 건설하여, l96 ()t;:i에 연방 수도를 리우데자네이루로부터 브라질리아로 이전하였다• 브라질리아로부터 각 지역이나 내륙지 방울 앗는 도로망을 확충하였다. 새로운 토지가 농경지로 개발되 면서 신개척지는 서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100 여 년 전에 미국이 서부 개척에 큰 기대를 하였던 바와 같이 오늘날 브라질 은 서부 개척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서부 개척 농민들은 식물의 피복과 농경지의 질과는 관련이 있 음을 알게 되었다. 서부 지역은 원래의 식물 피복에 따라서 ® 일 등급의 삼림지대, ® 이등급의 삼림지대, ® 삼림과 초원의 혼 합지대, ® 관목립지대, ® 나무가 듬성듬성 자라는 초원지대, ®전 형적인 초원지대 등 여섯 가지 지대로 분류된다. 그런데 삼림 지대는 농경 활동에 적당한 토양을 갖고 있다고 간주되고, 초원 과 관목림지대는 간혹 기계화된 경작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대체 로 농경 활동에는 부적당하다고 간주된다. 그러나 초원이나 관목 림지대가 방목에 이용되는 경우는- 흔히 발견된다. 서부 지역에서 가장 혼한 지대는 삼림과 초원의 혼합지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혼합지대는 서부 지역 총면적의 75% 를 차지

하고 있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이러한 혼합지대의 토양은 가뭄의 피해를 쉽게 입기도 하고 또한 토양의 비옥도가 너무 낮은 경우 도 있다. 일부 혼합지대에서는 밀이나 콩이 조방적이고 기계화된 영농 방식으로 산출되기도 하지만, 현재 가장 빈도가 높은 토지 이용은방목이다. 6) 북부 지역(아마존 분지) 아마존 분지는 다총상 열대우림 multi -la y e red tro p ica l rain - fo res t으로 뒤덮여 있고, 그 안에서는 수많은 식물군과 동물군이 살고 있다. 근래에 수차례에 걸쳐서 아마존 분지에 대규모의 상 업농업이나 삼림 개발이 시도되었지만, 아직은 어떠한 시도도 크 게 성공하지 못하였다. 아마존 분지는 브라질 영토의 40% 를 점 유하고 있고 그 개발의 참재력은 어마어마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 지만, 아마존 분지에 1991 년 현재 거주하는 인구는 브라질 인구 의 7.8% 에 불과하다. 브라질 정부의 개발 정책에 힘입어 198 01,킨 대 1~ 년 동안 아마존 분지의 인구는 2 배 이상 증가하였다. 근 래 아마존 분지로 유입되는 이주민의 수는 연평균 25 만 명이 넘 는다. 벨렘 Belem 과 마나우스 Manaus 가 아마존 분지의 중요한 중심지이다. 대형 선박들은 대서양으로부터 아마존 깅을 거슬러 마나우스까지 올라가고, 소형 선박둘은 페루 영역의 이키토스 I q u it os 까지 올라간다• 아마존 강변으로부터 좀 떨어져 있는 내륙 지방에는 그 수를 정확히 알 수 없는 인디언들이 그들의 전통적 생활 양식을 간직 한 채로 살고 있다. 이들은 마니옥·옥수수·콩 등의 작물을 이 동식생계농업 양식으로 경작하고 있으며, 사냥을 하거나 물고기를 잡거나 채집 생활을 하면서 칼로리를 보충하고 있다. 근래에 아마존 분지에서 경제 개발이 전행중에 있다. 일본인

이민들은 벼 • 황마 • 후추 등의 상업작물 재배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의 경제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은 상업농업이라 기 보다는 광업이라고 할 수 있다. 파라 Para 주 남동부의 세라 두스카라하스 . Serra dos Cara j as 는 세계 최대의 철광석 매장지 로 알려져 있는데, 현재 개발중에 있다. 이 광산지대에서는 180 억 톤의 헤마타이트 hema tit e( 고품질 철광석 )뿐만 아니라 망간 • 구리 • 보오크사이트 • 니켈 등의 지하자원이 다량으로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카라하스 Cara j as 의 광산지대는 아마도 세계에 서 가장 큰 광산지대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24 ) 그 의에 아마존 분지에는 세계 제일의 주석광 매장량을 가전 것으로 추정되는 피 탕가 광산t he Pi taii g a mi ne 등을 비롯하여 다수의 광산지대가 개발되어 있거나 현재 개발되고 있다. 이미 아마존 분지와 브라 질 고원에 매장되어 있는 엄청난 지하자원으로 인하여 브라질은 세계에서 매우 중요한 광업 국가 중의 하나가 되었다. 근래 브라질 정부는 마나우스를 중심으로 아마존 분지에 공업 개발 프로그램을 착수하였다. 브라질 정부는 마나우스를- 수출입자 유지역으로 설정하여 디수의 의국 기업을 유치하였다. 마나우스는 공업뿐만 아니라 관광 산업도 크게 발달하고 있다. 브라질은 197 01:i빈에 아마존 횡단 고속도로t he Trans-Amazon H ig hwa y를 착공하였다. 아마존 횡단 고속도로가 완공되면 아마 존 분지가 브라질의 다른 지역과 연결되게 될 것이다 . 교통망의 확충에 따라서 도시 건설 ·수력 발전 시설 건설 ·공장 건설 ·학 교 건설 등이 기대되고, 이러한 개발과 더불어 북동부 지역을 비롯한 다른 지역으로부터 다수의 인구가 유입될 것으로 전망된 다. 브라질의 행정 관료와 국민들은 아마존 분지의 개발이 브라 질의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것으로 간주하 고있다. 24) Fis h er, Ja mes S., 앞의 책, pp. 455456.

그러나 생태학자들은 아마존 분지의 개발을 적극적으로 반대하 고 있다. 생태학자들은 아마존 분지의 개발이 비록 단기적인 경 제 성장을 일으킬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볼 때 환경 파괴에 따른 예기치 못한 재난을 초래한다고 주장한다. 198 0\'!대 말 아마존 분지의 열대우림은 연간 5.2 만 내지 7.8 만 평방킬로미터 정도씩 제거되어 버렸다. 생태학자들은 열대우림이 파괴되면 국지적인 기 후가 예기치 못한 방향으로 변화한다고 지적하고 있으며, 또한 열대우림의 제거와 더불어 토양의 유기질이 급격히 유실될 것으 로 믿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태학자들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브라질은 아마존 분지의 개발을 늦추지 않고 있다. 3 기아나 지역 기아나 지역은 남아메리카의 북동부에 베네수엘라의 동쪽으로 그리고 브라질의 북쪽으로 위치하고 있는 수리남, 기아나, 프랑스 령 기아나를 가리킨다. 수리남, 기아나, 프랑스령 기아나는 이전 에는 각각 네덜란드령 기아나 Du t ch Guia n a, 영국령 기아나 Brit ish Guia n a, 프랑스령 기아나 French Gu i ana 라고 불렸고, 합하여 세 개의 기아나t hree Gu i anas 라고 불렸다. 수리남과 기 아나는 각각 네덜란드와 영국으로부터 각각 197 Sti'!과 1966년 에 독립하였으나, 프랑스령 기아나는 아직 프랑스의 통치권 아래에 있다. 기아나 지역은 문화적으로 볼 때 남아메리카의 다론 지역보다 서인도 제도에 가깝다. 그래서 기아나 지역을 서인도 제도 또는 카리브 해권에 포함시키는 지리학자들도 있다. 163 Sti'!부터 브라 질의 북동부 지역에 정착하여 사팅수수 플랜태이션을 발달시킨 네덜란드인들 Du t ch coloni s ts 이 1654 년에 브라질의 북동부 지

역에서 축출되어 기아나 지역에 정착하였다. 1654 년경에 기아나 지역에 정착한 네덜란드인들이 기아나 지역에 정착한 최초의 유 럽인들이었다. 네덜란드인들은 기아나의 주요 하안에서 사당수수 플랜테이션을 발달시켰다. 후에 영국인들과 프랑스인들이 유입되 었는데, 결국 오늘날의 기아나 Gu i ana 는 영국에 양도되고 오늘날 의 프랑스령 기아나 French Gu i nana 는 프랑스에 양도되었다. 이 지역에서 발달한 사당수수 플랜테이션에 필요한 노동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아프리카인 노예둘이 많이 들어왔다. 19 세기에 노예가 해방되자 인도대륙에서 많은 계약노동자들이 들어왔는데, 계약노동자들은 5 년 내지 灰빈 동안 농장에서 일하고 나면 자유인 으로 간주되었다. 자유인이 된 인도인들은 주로 농촌에서 자작농 이 되었다. 한편 대부분의 흑인들은 노예 신분에서 벗어나자 도 시에 정착하였다. 기아나 지역의 면적은 46 . 8 만 평방킬로미터로 한반도의 두 배 가 넘지만 총인구는 130 만 명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대 부분의 인구는 해안지대에 몰려 있다. 내륙 지방은 정글 상태로 남아 있으며 인구밀도도 매우 희박하다. 내륙의 고산지대에서는 보오크사이트가 산출된다. 프랑스의 영토로 간주되는 프랑스령 기 아나는 우주선 발사지점으로 유명하다. 수리남과 기아나는 인도인 과 흑인과의 대립, 또는 좌파와 우파의 대립 등으로 인하여 사회 적으로갈등이 심하다.

제 10 장 남아메리카의 남부 중위도 지역 남아메리카의 남부에는 칠레 • 아르헨티나 • 파라과이 • 우루과이 등의 국가들이 위치하고 있다. 이 국가들은 중위도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라틴아메리카 국가들과 다른 지역적 특성을 공유하고 있다. 아르헨티나 • 파라과이 • 우루과이의 핵심부는 습 윤아열대 기후에 속하고, 칠레의 핵심부는 지중해성 기후에 속한 다 . 기후가 다르기 때문에 농업의 유형도 다르다. 그래서 이 4 개 국에서 산출되는 농산물은 다른 라틴아메리카 국가에서 생산되는 농산물과 경쟁 관계에 놓여 있는 것이 아니고, 북반구의 중위도 에 위치하는 국가에서 생산되는 농산물과 경쟁하게 된다.”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칠레 삼국은 다른 라틴아메리카 국가들 에 비하여 소득 수준도 다소 높고, 도시화율도 높으며, 중류층도 두럽고, 문자해독률도 높은 편이다. 삼국 인구 구조의 특성을 보 면, 출생률과 사망률이 모두 낮은 선전국형에 이미 돌입하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 그리고 이 삼국은 문화적으로 잘 통합된 국민 둘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민의 국가의식도 높은 편이다. 파라과이 는 인디언의 영향을 많이 받은 국가이다. I ) Wheeler, Jes se H. and J. Trento n Kostb ade, 1990, World Re- gion al Geog rap h y, Chi c ag o : Saunders Colleg e Publi sh i n g , p. 611 .

l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는 라틴아메리키에서 브라질 다음으로 큰 영토를 갖 고 있다. 아르헨티나의 영토는 한반도의 12 배가 넘는다. 아르헨티 나의 자연 환경은 다양한 편이지만, 아르헨티나는· 매우 비옥하여 농업 개발에 유리한 광대한 팜파지대를 보유하고 있다. 아르헨티 니는 19 세기에는 전세계에서 미국 다음으로 많은 유럽이민들을 수용하는 유럽인 이민의 수용지였다. 1986 년 현재 일인당 국민소 득은 2,350 달러로서 다른 라틴아메리카 국가에 비하면 다소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지만, 유럽인 계통의 다른 선진국가들에 비하 면 매우 낮은 편이다• 다른 유럽인 계통의 국가들에 비하여 광대 한 영토와 풍부한 천연자원을 구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르 헨티나는 선진국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다고 하겠다• 선전국으로 발 전하지 못한 가장 중요한 이유는 정치와 경제 정책의 문제에 있 을 것이다. 아르헨티나 정치와 경제 정책은 아르헨티나 국민의 창의력이나 노동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이끌지 못하였다. 식민지시대에 스페인인들의 관심은 아르헨티나 북서부 안데스 고지의 금은 광산에 집중되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Buenos Ai re s 와 주변의 비옥한 팜파의 개발은 l 앙1 ] 기부터 시작되었는데, 아르 헨티나 카우보이들은 야생소(유럽원산 야생소임)를 사냥하여 가죽 hi des 과 쇠기름t allow 을 얻고 있었다. 19 세기 초에는 이미 야생 소들이 거의 고갈되었고 아르헨티나롤 중심으로 대목장 에스탄샤 es t anc i a 들이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2) 부에노스아이레스를 중심으로 하는 팜파지대 th e Pam p a3> 는 아르헨티나의 가장 중요한 핵심 지대에 속한다. 팜파지대의 철도 2) Fis h er, Ja mes S.(edit ed ), 1989, Geog ra ph y and Develop m ent : A World Regi on al Geog ra p h y, London : Merril l Publi sh ing Comp a ny , p. 446. 3) 팜파p am p a 라는 말은 인디언어로 평야p l ai n 라는 말에서 유래한다.

망은 부에노스아이레스를 중심으로 잘 발달되어 있다 . 팜파지 대는 아르헨티나 영토의 20 % 를 약간 상회하나, 아르헨티나의 총인구 의 3/4 이 집중하여 있다 ? 팜파지대에서 산출되는 쇠고기 • 밀 • 옥수수 등은 부에노스아이레스 항 -구 를 통하여 세계 시장으로 수 출된다. 아르헨티나는 서부 유럽이나 미국 등의 선전국으로부터 공산품을 수입하고 있다. 아르헨티나의 제조업 부문과 서비스 부 문은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집중적으로 입지하고 있다. 아르헨티나 산업 노동력의 45% 가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집중되어 있는데, 대 다수 산업 노동력들은 금속조립 • 석유화학 • 플라스틱 • 금속포장 • 제분업 • 섬유 등과 관련된 소규모 업체에 고용되어 있다. 아르 헨티나의 3 차산업 고용자의 약 50% 는 부에노~ 집중 되어 있다.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도시권에 거주하는 인구는 아르헨 티나 총인구의 1/3 에 달하고 있어서, 부에노스아이레스는 전형적 인 개발도상국의 수위도시 a pr im ate c ity에 속한다. 아르헨티나 서부 지역에서는 코르도바 Cordoba, 멘도사 Men­ doza, 두쿠만 Tucuman 등의 고도시들이 점차로 중요한 중심지로 되고 있다. 서부 지역은 안데스 고지의 비그늘 ra i n shadow 에 해 당하는 건조한 지역이지만, 농업 활동은 가능한 지역이다. 건조한 지대에서는 소가 사육되고 있으며, 관개 가능한 지대에서는 사탕 수수와 포도가 재배되고 있다. 아르헨티나 최북서단의 안데스 고 지에는 석면이나 금속류를 채굴하는 광산들도 입지하고 있다. 그 리고 안데스 고지에서는 석유도 산출되고 있다. 팜파지대의 북쪽으로 흐르는 파라나 Parana 강과 우루과이 Urug u ay 강은 강폭이 넓고 유량변동이 극심하여 수운(하천교통) 에 결코 편리한 강들이 아니었다. 파라나 강과 우루과이 강 사이 에 놓여 있는 습윤한 저지대는 아르헨티나의 메소포타미아 Ar- 4)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1991, Geog ra p h y : Regi on s and Concep ts, New York : Jo hn Wi ley & Sons, p. 315.

gen ti ne Meso p o t a mi a 라고 불린다. ” 아르헨티나의 메소포타마아 는 아르헨티나 • 브라질 • 우루과이 • 파라괴이가 참여하는 라플라 타 강t he Ri o de la Plata 유역 분지 개발 wa t ershed develop - rnent 프로그램의 개발예정지이며, 오늘날 이 지대에는 차 • 옥수 수 • 아마fl ax • 소 • 양 등의 농축 산업이 성하다. 아르헨티나의 남부에 위치하는 고원을 파타고니아라고 하는데, 파타고니아는 아르헨티나 국토 면적의 25% 를 차지하지만 파타고 니아의 인구는 아르헨티나 총인구의 3%보 다도 작다. 파타고니아 는 바람이 심하게 불고 안데스 고지의 비그늘에 위치하여 건조한 기후를 나타낸다 .6) 파타고니아에서는 주로 양을 사육하고 있으며, 관개가 잘되는 일부 지대에서는 앨팰퍼 al falf a 초지, 소 목장, 포 도발 과수원 등이 나타난다. 그리고 금세기에 들어서 파타고니아 에서는 석유 • 석탄 • 철광석도 비록 소량이나마 산출되고 있다. 아르헨티나는 1816 년에 독립하였으나 본격적인 경제 발전은 187 {)ld경에 냉동열차와 냉동선의 발명과 더불어 시작되었다. 냉 동열차와 냉동선이 발명되자 아르헨티나의 신선한 쇠고기를 유럽 에 수출할 수 있게 되었다. 영국은 밀 농사와 소 사육에 관심을 갖고 아르헨티나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였다. 팜파지대에 살고 있 던 인디언들은(팜파지대에는 원래부터 많은 수의 인디언들이 살고 있 지는 않았지만) 살해되거나 쫓겨났고, 여기서 님~ 쫓겨난 인 디언들은 건조하고 한랭한 파타고니아 Pa t a g on i a 로 이동하였다. 팜파지대에 에스탄샤가 발달하자, 이탈리아나 스페인 등의 유럽에 서 많은 계약노동자들이 들어왔다. 186 {)ld에서 193 {)ld에 들어온 계약노동자들의 수는 600 만 명이 넘었다. 유럽에서 들어오는 계약노동자들의 계약 조건에 따르면, 지주 5) Jam es, Presto n E. and Clarence W. Mi nk el, 1986, Lati n Americ a , 5th ed., New York : Jo hn Wi ley and Sons, pp. 425-4 2 6. 6) Wheeler, Jes se H. and J. Trento n Kostb a de, 앞의 책, p. 561 ; Jam es, Presto n E. and Clarence W. Mi nk el, 위의 책, pp. 429-4 3 0.

는 계약노동자들에게 이민 허용서를 주선하고 약간의 농지 a fam i ly g arden 를 제공하였다. 대신에 계약노동자는 5 년 내지 7 년 동안 대농장에서 일하게 되어 있었다. 계약노동자들은 대농장 주를 위하여 팜파의 초원을 개간하여 밀을 경작하였고 계약 기간 이 만료될 즈음에는 경지에 앨팰퍼와 같은 사료작물을 재배하였 다. 이렇게 조성된 초지에는 유럽에서 수입된 개량종의 소롤 방 목할 수 있게 되었다. 계약 기간이 만료되어 자유인이 된 농업노 동지들을 데스카미사도 descam i sados 라고 불렀는데, 이들은 부에 노스아이레스나 로사리오 Rosar i o 등의 도시로 몰려들어 도시 프 롤레타리아p role t ar i a t(무산계급)를 형성하였다. 도시 프롤레터리 아는 카리스마적인 정치지도자들에 쉽게 선동되는 경향이 있어서 아르헨티나의 정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193 0\'l대의 전세계적인 대공황으로 말미암아 영국은 아르헨티 나산 농산물의 수입을 대폭적으로 감축하였고, 이에 따라 아르헨 티나의 경제는 침체의 늪에 빠질 수밖에 없었다. 아르헨티나 사 태는 군부가 집권하면서 더욱 악화되었다. 1946 년에 페론J uan Domi ng o Peron(1895-197 41;'!)이라는 육군 대령이 쿠데타를 일으 켜 정권을 잡았다• 페론은 정치적 지지 기반을 확보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산업을 국유화하고 국영기업체에 많은 데스카미사도를 고용하였다. 그러나 국영기업체들은 매우 비효율적으로 운영되었 기 때문에 농업 부문에서 칭수한 세금의 보조를 받아야만 했으 며, 이에 따라 농업 부문에 대한 투자는 매우 등한시되었다• 결국 팜파의 농업 생산성은 급속히 낮아지고 아르헨티나의 경제는 곤 두박질하게 되었다 .7) 페론은 195 판에 축출되었으나, 그의 정책적 방향은 다분히 지 속되었다. 치솟는 인플레이션은 좀처럼 잡혀지지 않았다. 대부분 7) Fis h er, Jam es S.(edit ed ). 앞의 책, pp. 446- 447 : Ja mes, Presto n E. and Clarence W. Mi nk el, 위의 책, pp. 448-4 49 .

의 대기업에서는 공채에 의하여 신입사원을 고용하는 것이 아니 라 연고에 의하여 채용하였다. 결국 젊고 유능한 많은 노동지들­

이 해의로 빠져나가게 되었고, 아르헨티나의 경제는 더욱 쇠퇴하 였다. 경제적 쇠퇴에 따라서 정치적 분열도 극심하였다. 스트라이 크 • 데모 • 도시폭력 사태 등이 빈번히 일어났고, 어수선한 와중 에 군부의 쿠데타도 디수 일어났다. 1973 년에는 국의망명 중이었 던 페론이 귀국히여 집권하였으나, 이듬해 그는 죽고 그의 부인 이 집권하였다. 그러나 1976 년에 그의 부인도 축출되고, 다시 군 부가 집권하였다. 경제 문제에 실패한 군부는 국민의 관심을 다 른 데로 돌리기 위하여 198 2t;:1에 포클랜드 섬 th e Falkland Islands 탈환이라는 명분으로 영국에 대하여 전쟁을 선포하였 다 .8) 전쟁에서 패배한 군부는 와해되고, 1983 년 마침내 알폰신 Raul A lf ons fo을 수반으로 하는 민정이 들어섰다. 〈참고 : 포클랜드 섬의 전쟁 〉 9) 198 척 포클랜드 섬의 영유권을 놓고 영국과 아르헨티나 사이에 전쟁이 일어났다. 포클랜드 섬 또는 말비나스 섭 th e Malvin as Islands( 아르헨티나인들은 포클랜드 섬을 말비나스 섬이라고 호칭함) 이라고 불리는 군도는 아르헨티나 본토에서 남쪽으로 약 50 但i로미 터 떨어져 있는 섬들을 가리키는데, 두 개의 주요 섬 East Falkland and West Falkland 과 100° '1 개의 작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면적은 1. 2 만 평방킬로미터에 지나지 않는다. 포클랜드 섬은 남위 525 :. 선에 걸쳐 있어서 툰드라 기후 환경을 나타낸다• 포클랜드 주민 8) Fis h er, Jam es S.(edit ed ), 위의 책, p. 447. 9) Sta n sfi el d, Jr. , Charles A. and Cheste r E. Zim olzak, 1990, Glob- al, Perspe cti ve s : A World Re gio n 따 Geog rap h y, Columbus : Meril l Publi sh in g Comp a ny , p. 625 ; DeBli j, H. J. and Pete r 0. Muller, 앞의 책, pp. 315-316.

은 주로 영국계의 백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주 주민수는 약 1 , 800 명 (1 98 2\'i부터 199 01,빈 현재까지 ) 에 불과하다. 주민들은 주로 양을 사육하는 목축업에 종사하고 있다. 이미 169 01;:텨 영국인들이 포클랜드 섬에 상륙한 적이 있다는 기 록이 남아 있지만, 포클랜드 섬은 거친 환경을 가진 별 유용성이 없 는 땅이라는 인식 때문에 그 후 70 여 년 동안 유럽인들은 포클랜드 섬에 큰 매력을 갖지 않았다• 176 쿄에 프랑스인들이 조그만 정착지 를 형성하였지만, 1766 년에 그들은 그것을 스페인에게 필아넘겼다. 한편 영국인들도 1766 년에 요새를 구축하였으나, 그들은 177 41;:l에 스페인에게 축출당했다. 아르헨티나의 독립과 더불어 포클랜드 섬의 영유권은 스페인으로부터 아르헨티나로 이전되었다. l82{)L ;:i 아르헨티 나는 포클랜드 섬의 영유권을 주칭하고 동포클랜드 섬 East Island 에 기지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I83 :31,반 영국 해군들은 포클랜드로부 터 아르헨티나인둘을 몰아내고 포클랜드 섬을 점유해 버렸다. 이후에 아르헨티나는 줄곧 영국으로부터 포클랜드 섬의 반환을 주장해 왔다. 198 詞 4 월 2 일 아르헨티나의 군대는 포클랜드 섬으로 진격하여 영국 요새를 함락하고 포클랜드 섬을 점령해 버렸다. 이에 영국 정부 는 해군과 공군을 동원하여 반격에 나서 그 해 筑i 중순에 많은 사 상자( 영국인 200 명 : 아르헨티나인 700 명 )를 내면서 포클랜드 섬을 탈환하였다. 전쟁에서는 영국이 승리하였지만, 포클랜드 섬의 영유권 문제는 해 결되지 않았다. 아르헨티나는 영국의 183 3¾빈 포클랜드 섬 점령이 전 쟁을 통한 무단점령이기 때문에 포클랜드 섬이 법적으로 아르헨티나 에 귀속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영국은 포클랜드 섬 주민들이 영국 령으로 남아 있기를 바라고 있으며 또한 지난 16() 0:f 년 동안 영국이 점유권을 행사하였음을 강조한다. 따라서 포클랜드 섬 주위의 어업권 울 비롯한 이권 문제 등을 중심으로 아직도 양국이 첨예하게 대립하 고있다.

대통령 알폰신은 인플레이션 문제, 의채 문제, 군부잔재 청산 문제 등 해결하여야 할 많은 난제들을 떠맡게 되었다. 그러나 이 러한 난제들은 알폰신의 의욕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단기간에 해결되지 않았다. 알폰신에 이어 메넴 Carlos Menem 이 I989 l;:i 8 월 7 일 대통령(당시 59 세)으로 집권하였다. 집권 이후 메넴은 구속된 군부( 19821 ;:i 포클랜드 전쟁 Falklands War 을 일으켰다가 1983 년 민정이 들어서면서 구금되었던 갈티에리 Gal ti er i와 그 의 디수 의 장교들)를 사면하였다. 그리고 메넴은 적자에 허덕이던 국영회 사를 민영화할 수 있도록 법률을 개정하였고, 각종 정부보조금을 철폐하였으며, 두자 촉진을 위해 세제혜택을 주던 제도를 없애 버렸다. 메넴이 집권할 무렵 월 200% 까지 상~근하던 물가가 세 달 뒤 에 월 10% 이내로 둔화되었다. 메넴온 전통적인 반미국 • 반제국 주의 • 고립주의의 의교를 청산하고 친미 정책으로 선회하였다. 미국 주도의 걸프전에서 미국을 지원하였고 미국의 마약 대처반 에 협조 체제를 갖추었으며 미국의 대쿠바 정책을 지지하였다. 이러한 메넴 정권의 친미 정책은 아르헨티나의 의채 (1991 년 7 월 현재 60~ 달러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또한 아르헨티나의 경 제롤 회생시키기 위해서 미국의 도움이 필요하고 미국의 자본 투 자를 유치해야 하기 때문에 나온 것이다 .10) 2 칠레 칠레는 영토가 매우 좁고 긴 나라이다. 남북의 길이가 총연장 4,23 47'.J.로미터에 달하지만, 동서의 길이는 겨우 160 킬로미터 내지 21WJ 로미터에 불과하고 가장 두툼한 데가 403 킬로미터에 지나지 lO) Newsweek, Ju ly 15, 1991, pp. 40-4 3 .

않는다. 칠레의 북단으로부터 남단까지의 거리는 동아시아의 사할 린 Sakhal i n 섬으로부터 필리핀 루손 섬까지의 거리에 해당한다. 칠레의 핵심 지대는 남위 30 도에서 남위 4 25:.에 걸쳐 있는 중부 지역이다. 중부 지역에는 칠레 총인구의 90% 가 거주하고 있다. 중부 지역의 기후는 지중해성 기후로서 여름에는 고온건조하고 겨울에는 저온습윤하다. 북부 지방은 멕시코의 바하캘리포니아의 기후와 같은 건조한 기후를 나타내고, 남부 지방은 캐나다 태평 양 연안의 기후와 같은 한랭한 기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칠레 의 자연환경은 북아메리카 태평양 연안의 자연 환경과 대칭적으 로 나타나고 있다 .II) 칠레의 북부에는 아타카마 사막t he At a cama Deser t이 위치 하고 있다• 아터카마 사막에는 수십 년 동안에 단지 몇 방울의 비마저도 내리지 않아, 극심한 건조 기후가 나타난다. 아터카마 사막에는 사람이 거의 살고 있지 않지만, 질산염nit ra t e ·구리 • 철광석 등 지하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다. 칠레가 수출하는 광물의 대부분이 아타카마 사막에서 산출된다. 북부의 안데스 고 지는 인디언들의 영향을 다분히 받은 지역에 속한다. 대부분의 인구와 산업, 그리고 상업적 농업은 온난한 중부 지 역의 비옥한 토지에 집중적으로 입지하고 있다. 칠레의 주요도시 들도 물론 중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전통적인 곡물이나 근경 작물이 수확될 뿐만 아니라, 근래에는 신선한 고급과일의 중요한 공급지 역할을 하는 등 중부 지역은 농업적인 측면에서도 칠레에 서 가장 중요한 지역이다. 중부 지역에서 산출되는 포도 • 사과 • 배 • 복숭아 • 플럼 • 감귤류 등은 해의로 수출된다. 특히 중요한 과일 소비지들이 북반구에 위치하는데, 칠레의 사계절은 북반구의 사계철과 반대이기 때문에 신선한 과일 수출에 유리한 조건이 되 고있다. 11) Fis h er, Ja mes S.(ed ited ). 앞의 책, pp. 444-4 46 .

칠레의 남부는 서안해양성 기후를 나타내는 한랭한 지역으로 삼림이 울창하다. 남부 지역의 해안선은 다수의 피오르드fj ords 와 다수의 섬들로 인하여 대단히 복잡하고, 내륙은 수력 발전의 참재력이 높은 험준한 산악지대로 되어 있다• 태평양 연안지대의 기후는 한랭하고 습윤하나, 안데스 고지 내륙으로 가면서 보다 전조해지고 보다 한랭해진다. 남부 지역에는 19 세기에 건너온 독 일계 이민의 후손들이 소수 거주하고 있으나, 칠로에 Chil o e 섬 남쪽으로는 상주하는 주민을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더구나 칠레는 역사적으로 광산업이 발달하여 오늘날 촌락의 농업 인구가 과밀하지 않다. 태평양전쟁 th e War of th e Pa- c ifi c(1879-1884년 )을 통하여 아타카마 사막의 질산염 광산t he nitra te de p os it s 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국가의식이 성장하였다. 칠레는 다른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에 비하면, 문화적으로 동질성이 강한 편이고 국민의 국가의식도 강한 편이다. 현재 문맹률은 6% 에 불과하다 . 192 興 이전에 그리고 193 2\:!부터 197 '21,빈까지 칠레의 사회조 직은 안정되어 있었던 편이고 정치적 다원주의가 보장되어 있었 던 편이었으나, 19701d 대 초기부터 칠레의 국민들은 혁명 • 쿠데 타 • 독재를 경험하게 되었다. 197 01,빈 마르크스주의자 아옌데가 칠레의 대통령에 취임하여 급진적으로 경제 • 사회 구조를 개혁하 려고 시도하였다. 아옌데 정부는 광산업을 국유화하고, 토지 재분 배를 급전적으로 추전하며, 은행과 언론을 통제하는 사회주의 체 제를 급전적으로 수립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러나 아옌데 정권의 개혁은 극심한 저항에 부딪히고, 1973 년 그가 살해되고 군부정권 이 들어서게 됨으로써 실패로 끝났다 .12) 그리하여 칠레는 피노체 트 Au g us t o Pi no chet 장군기 이끄는 군부정권의 독재하에 171 ;1 12) 위의 책, p. 446 : Ja mes, Presto n E. and Clarence W. Mi nk el, 앞 의 책, p. 403.

동안이나 놓이게 되었다. 199 0¼킨 3 월에 민선대통령 아일윈 Pa t r i­ cio A y lw i n 은 피노체트 롤 축출 하였다. 오랜 군부독재 후에 등장 한 민간정부는 1991 년 9 월 말 피노체트 P i noche t의 전비밀경찰장 콘데라스 Manuel Con t eras 를 체포하는 등 과거의 군부독재의 잔재를 청산하고자 한다. 3 우루과이 우루과기는 한반도보다도 작은 17.6 만 평방킬로미터의 영토를 갖고 있지만, 영토의 90% 를 농업 활동에 이용하고 있을 정도로 농업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우루과이 는 농업에 유리한 자연 환경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문화적으 로도 동질적인 사회를 이루고 있었기 때문에 남아메리카에서 가 장 높은 생활 수준을 누려왔다. 지질학적으로 우루과이는 브라질 고원과 팜파지대의 점이지대에 해당한다. 우루과이 중부 지역은 저산성 구릉지대이고, 북부 지역은 브라질 고원 파라나 Parana 대지의 일부에 속하며, 남부 지역은 아르헨티나 팜파지대의 연장 이라고 볼수 있다. 중부 • 북부 • 남부는 모두 습윤한 아열대 기후 에 속하며, 세 지역의 토질은 공통적으로 매우 비옥하다. 우루과이의 농업 개발은 19 세기 말부터 시작되었다. 19 세기 말 부터 좋은 품종의 메리노 양이 도입되어 전통적인 에스탄샤에서 방목 • 사육되었다. 현재 우루과이 농경지의 90%가 목칭.으로 이 용되고 있고, 양털 • 양고기 • 쇠고기 • 가죽(피혁)이 중요한 생산 물로 자리잡고 있다. 나머지 IO% 의 농지에서는 벼 • 사탕수수 • 밀 • 옥수수 • 과일 등이 재배 또는 수확되고 있다. 수도 몬테비데 오 Mon t ev i deo 에는 우루과이 총인구 (1991 년 300 만 명)의 절반이 거주하고 있으며, 우루과이에서 생산되는 각종 농축산물을 가공

• 처리하는 공업이 발달하여 있다. 대부분의 공장은 소규모 공장 으로서 가족 중심으로 운영된다 .13 ) 식민지시대에는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우루과이 영역을 놓고 자 주 충돌하였고, 아르헨티나의 독립 이후에도 우루과이 영역에 대 한 충돌은 지속되었다. 결국 182 8\1에 우루과이는 브라질과 아르 헨티나와 사이에 있는 완충국으로 독립하였다. 2~ 서기초에 우루 과이는 복지국가로서 크게 성공하였고, 양당체제의 민주주의가 잘 발달한 국가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우루과이는 196 0¼:担]와 197 0\1대부터 경제적 침체와 그에 따른 갈등으로 생활 수준은 크 게 하락하게 되어서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이러한 와중 에 1973 년부터 198 .51,빈까지는 군사독재 정권이 유지되었다 .14) 근 래에 정치적 • 경제적 안정을 향한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4 파라과이 파라과이는 볼리비아와 더불어 육지로 둘러싸여 있는 국가이 다. 독립 이후에 파라과이는 브라질이나 아르헨티나를 통과하지 않으면 해양으로 전출할 수 없었다. 파라과이 남쪽으로 뻗어 있 는 파라과이 강과 파라나 강홀 따라가면 부에노스아이레스에 도 달할 수 있었으나, 이 하천을 이용하는 통행로는 험난하고 불편 한 것이었다. 이 하천로는 사행 meander i n g이 심하기 때문에 직 선거리보다는 매우 먼 거리였고, 하천 유량이 계절에 따라 변동 이 심할 뿐 아니라 모래돕 sandbar 이 발달하여 통행에 매우 불편 하였다. 그래서 파라과이에서는 수출 지향적 상업경제가 발달하지 못하였고, 결코 많은 이민들이 몰려들어온 적이 없다. 파라과이에 13) Fis h er, Jam es S.(edit ed ), 위의 책, p. 448. 14) Wheeler, Jes se H. and J. Trento n Kostb a de, p. 617.

백인이 많지 않고 메스티조가 많은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었 다 .IS) 대부분의 파라과이인은 스페인인과 과라니 Guaran i 인디언 사이의 혼혈인인 메스티조에 속한다. 파라과이의 공용어로서 스페 인어가 널리 사용되지만, 과라니 인디언어도 일상 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마도 파라과이는 엄사 언어가 철저하게 병존하 는 국가 중에서도 대표적인 국가일 것이다 .16) 파라괴이는 파라과이 강을 중심으로 동부 지역(영토의 1/3) 과 서부 지역(영토의 2/3) 으로 구분된다. 파라과이 동부 지역은 구 롱성 산지와 범람원으로 되어 있다. 동부 지역은 브라질 고원 파 라나 대지의 일부에 속하므로 비옥한 화산성 토양이 분포한다. 그리고 이 지역은 파라과이 강과 파라나 강 사이에 놓여 있는 습 윤한 지역으로서, 파라과이 인구의 대디수가 여기에 거주하고 있다. 파라과이 서부 지역은 그란차코t he Gran Chaco 라고 알려져 있는데 인구밀도가 낮다. 그란차코에는 드문드문 하천이 흐르고 있고, 그러한 하천변에는 케브라초q uebracho 라는 나무가 자라고 있다. 그란차코는 인간의 거주 활동에 매우 불리한 자연 환경을 갖고 있다. 11 월부터 4 월까지 지속되는 우기 (라틴아메리카에서는 우기를 겨울이라고 부름)에는 하천들이 범람하여 넓은 지구에 홍수 가 난다. 물이 질퍽한 토양은 5 월부터 말라붙기 시작하고, 말라붙 은 토양에는 물이 증발하면서 남긴 두꺼운 광물염 mine ral salts 충이 형성된다. 여름(라틴아메리카에서는 건기를 여름이라고 부름)에 는 종종 기온이 43°C (l I0°F) 까지 울라가는 찌는 듯한 더위가 나 타나기도 한다. 그란차코에서는 아직까지 주목할 만한 지하자원도 발견되고 있지 않다 .17) 15) 위의 책, p. 618. 16) DeBli j, H. J. and Pete r 0. Muller, 앞의 책, p. 312. 17) Fis h er, Ja mes S.(edit ed ), 앞의 책, p. 448.

파라나 강의 이타이푸It a ip u 댐은 세계에서 가장 큰 수력발전 댐으로 l99 低빈에 완공되었다. 이는 파라과이와 브라질이 합작하 여 전설한 것이다. 현재 파라과이는 아르헨티나와 합적하여 제 2 의 거대한 수력발전댐울 야크레타 Yacre t a 에 건설하려고 계획 중 이다. 그러나 이러한 거대한 댐의 수력 발전에 의한 전기는 주로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쪽으로 송전되며 또한 송전될 예정이다 . 18) 파라과이의 공업은 농산물 가공업이나 섬유 공업이 미미하게 존 재할 뿐이고 주목할 만한 것은 없다 . 그리고 파라과이 농민 중에 서 단지 2% 만이 토지를 소유하고 있을 정도로 토지가 일부 대지 주에게 집중되어 있다. 과라니 인디언들에게 정주농업 seden t ar y ag r i cul t ure 을 가르 쳐 준 것은 바로 예수회J esu it 선교사들이었다. 예수회 선교사들 은 1767 \1 이 지역에서 축출될 때까지 과라니 인디언 사회에 상 당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 파라과이는 독립 이후에 대체로 독재 정권에 의하여 이끌어졌다. 스트로에스너 Alfr ed o St ro essner 장 군은 1954년 부터 351d 동안에 정권을 잡았고 , 1 9 ) 198 9\:1에 현재의 대통령인 로드리게스 Andr . es Rodrfg u ez 장군은 쿠데타를 통하여 스트로에스너 정권을 무너뜨리고 집권하였다. 지난 4 0¾킨 동안에 파라과이 군부는 실질적인 정권을 완전히 장 악하여 국민에게 복종과 침묵을 요구해 왔다. 그러나 근래에 파 라과이 국민과 언론은 서서히 군부의 부패를 지적하기 시작하였 고, 마침내 로드리게스 정부는 1993 년에는 민선대통령을 선출할 계획을 수립하기에 이르렀다. 민주적 민선선거를 성공적으로 치르 게 될지 아니면 다시 쿠데타에 의한 군부정권이 들어서게 될지 파라과이의 미래는 예측하기 힘들다. 18) 위의 책, pp. 448-4 49 . 19) 위의 책, p. 449.

참고문헌 국내문헌 민준기 의 공역, 1989, 『 라틴아메리카의 민주화 : 정치경제학울 중심 으로 』 법문사• 서경원 역(菓山靖司 저), 1985, 『 라틴아메리카의 변혁사 』 , 백산서당. 염홍철 역, 1988, 『 라틴아메리카와 민주화』 한울총서. 이병석, 1988, 『 제꼬사계 토지개혁과 정치발전』, 영광출판사. 국외문헌 Aug el li, Jo hn P., 1962, The Ri m land-M ainl and Concep t of Cultu re Areas in Mi dd le Americ a , Annals of the As- socia t i on of Americ a n Geog ra p h ers, 52, no. 2, pp. 119-1 2 9. — —- , 1980, Nati on aliz a ti on of Dom inica n Borderlands, Geog ra p h ic a l Reuie w , 70, pp. 19-35 . ... . 一 , 1985, Food, Pop u lati on , and Di sl ocati on in Lati n Americ a , Jo urnal of Geog ra p h y, 84, pp. 274-2 8 1 . Baer, Werner, 1983,_' Ihe Brazil ia n Economy : Growt h and Deuel- opm ent, 2nd ed. New York : Praege r . Black, Ja n Kn ippe rs, ed., 1984, Lati n Americ a , Its Problems and Its Promi se : A Multid i s c ip li n a ry In trod ucti on , London : Westv ie w Press. Blakemore, H. and C. T. Sm ith, eds., 1983, La tin Ameri ca : Geog ra p h ic a l Perspe cti ue s, 2nd ed., London : Meth u en. Blouet, Bria n W. and Olwy n M. Blouet, eds., 1982 , Lati n

Americ a : An Intr od ucto r y Survey, New York : Jo hn Wi ley. Bromley, Rosemary D. F. and Ray Bromley, I 988. South Americ a n Develop m ent : A Geog rap h ic a l Intr od ucti on , Cam- brid g e : Cambrid g e Univ e rsit y Press. Cardic h , A., 1987, Nati ve Ag ricu ltu re in the High lands of the Peruvia n Andes, Nati on al Geog ra p h ic Research, 3, pp. 22-39. Cardoso, F. H. and E. Falett o, 1979, Dep e ndency and Develop - ment in Lati n Americ a , Berkeley : Un ive rsit y of Cali- for nia Press. Chardon, R., 1984, Sug a r Plant a ti on s in the Domi ni c a n Re- pu bli c, Geog ra ph ic a l Revie w , 74, pp. 441- 45 4. Clawson, D. L., 1982, Obsta c les to Successfu l Hi gh lander Colon iza ti on of the Amazon and Orin o co Basin s , Americ a n Jo urnal of Economi cs and Socio l og y, 41, pp. 351-362. DeBl ij, H. J. and Pete r 0. Muller, 1991, Geog ra p h y : Reg ion s and Concep ts, New York : Jo hn Wi le y & Sons, pp. 245-335. Denevan, W. M., 1985, Peru's Ag ri c u ltu ral Leg ac y : Anc ien t Meth ods May Be Usefu l in Reviv i n g Today 's Food Producti on , Focus, 35, no. 2. Di ck enson, J. P., 1982, Brazi l, London : Long m an. Dooli ttle, W. E., 1980, Aborig ina l Ag ricu ltu ral Develop m ent in the Valley of Sonora, Mexic o , Geog ra p h ic a l Revie w , 70, pp. 328-342. Dooli ttle, W. E., 1983, Ag ri c u ltu ral Exp a nsio n in a Mar- gina l Area of Mex ico , Geogr a p h ic a l Revie w , 73, pp. 301-313. Eng lish , Paul Ward, 1989, World Reg ion al Geogr a p h y : A Qu es- tion of Place(3rd ed.), New York : Jo hn Wi ley & Sons,

pp. 275-321 . Fearnsid e , P. M., 1986, Human Carr ying Cap a cit y of the Brazili a n Rain f o r est, Columbia . Fin c h, M. H. J., 1981, A Politi ca l Economy of Urugu ay, London : Macmi lla n. Fis h er, Jam es S. (edit ed )., 1989, Geog ra ph y and Develop m ent : A World Reg ion al Geog ra p h y, London : Merril l Pub- lish i ng Comp a ny . Frie d mann, J., 1966, Reg ion al Develop m ent Policy : A Case Stu d y of Venezuela, Cambrid g e : MIT Press. Floy d , B., 1978, Ag ri c u ltu ral Refo r m in Castr o 's Cuba, Geog ra p h ic a l Ma ga zi ne , 50, pp. 808-8 1 5. Hames, R. B. and W. T. Vi ck ers, eds., 1983, Adapt ive Respo nses of Nati ve Amazonia n s, Academ ic. Harner, Mi ch ael J., 1972, The Jivar o : Peop le of the Sacred Wate r f all s, Berkeley : Un ive rsit y of Calif orn ia Press. Helms, M. W., 1975, Mi dd le Am _e ric a : A Cultu r e Hi st o r y of Heart la nd and Fron tier , Prenti ce -Hall. Hem ming , J. ed., 1985, Change in the Amazon Basin ( uol. 1) : Man's Imp a ct on Forests Riv e rs, Mancheste r . 一 , 1985, Change in the Amazon Basin ( uol. 2) : 'Ihe Fronti er aft er a Decade of Coloniz a ti on , Mancheste r . Hennessy, A., 1978, The Fronti er in Lati n Americ a n Hi st o r y , Edward Arnold. Hira oka, M., 1980, Sett lem ent and Develop m ent of th e Up - pe r Amazon : the East Boli vi a n Examp le , Jo urnal of —D, e1 v9e8lo2p, ing T Ahere aDs,e v1e4l,o pp pm . en32t 7 -o3f4 7A. mazonia , Geog ra p h ic a l Revie w , 72, pp. 94-98. Hi ra oka, M. and S. Yamamoto , 1980, Ag ri c u ltu r al Develop - ment and the Up pe r Amazon of Ecuador, Geog ra ph ic a l Revie w , 70, pp. 423-4 45 .

Jam es, Presto n E. and Clarence W. Mi nk el, I 986, Lati n Americ a , 5th ed., New York : Jo hn Wi le y and Sons. Jam es, Presto n E. and Geoff re y J. Marti n, l98 I , All Possib l e World : A Hi sto r y of Geog ra p h ic a l Ideas, 2nd ed., New York :Jo hn Wi le y and Sons. Ki rb y , J., 1976, Ag ri c u ltu ral Land-U se and the Sett lem ent of Amazon ia, Pacif ic Vi ew p o in t , 17, pp. 105-132. Klein , H. S., 1986, Af ri c a n Slavery in Lati n Americ a and the Carib b ean, Oxfo r d. Lobo, Susan, 1982, A House of My Own : Socia l Orga n iz a ti on in the Sq u att er Sett lem ents of Lim a, Peru, Tucson : Univ e r-sit y of Ariz o na Press. Macph erson, Jo hn, 1980, Carib b ean Lands, 4th ed, Trin i d a d : Long m ~ Carib b ean. Maos, J. 0., 1984, The Sp a ti al Orga n iz a ti on of New Land Sett le - ment in Lati n Americ a , Westv ie w . McCl int oc k, Cy n th ia , 1981, Peasant Coop e rati ve s and Politi ca l Chang e in Peru, Austi n : Univ e rsit y of Texas Press. McInti re, L., 1987, The Hi gh Andes : South Americ a 's Islands in the Sky , Nati on al Geog ra p h ic , 171, pp. 422-4 5 9. Moerner, M., 1985, The Andean Past : Land, Socie t ie s and Con- flict, Columbia . Morris , Arth ur. S., 1979, South Americ a , London : Hodder .an d —S, t ou 19g8h 1t , o n L. a tin Americ a : Economi c Develop m ent and Re- gion al Di ffere nti at i on , Hutc h ing ton . Newt on , Jr. , Mi lton B., 1987, Louis i a n a : A Geog ra p h ic a l Portra it , Bato n Roug e : Geofo r ensic s . Norri s, Robert E., 1990, World Regi on al Geog ra p h y, New York : West Publi sh ing . Paig e , Jef f re y, 1975, Agra ria n Revoluti on , New York : Free

Press. Pett as, Ja mes, 1977, The Nati on aliz a ti on of Venezuelan Oil , New York : Praeg a r. Presto n , D. ed., 1987, Lati n Americ a n Develop m ent : Geog r ap h i- cal Perspe cti ve s, Wi le y. ReboraUi , . C. E., 1982, Hurnan Geog r aph y in Lati n Americ a , Progr e ss in Human Geog ra p h y, 6, pp. 397-407. Sauer, C. 0., 1966, The Early Sp a nis h Main , Berkeley : Un ive r-sit y of Cali for n ia. Sanderson, S., 1984, Land Refo r m in Mexic o : 1910-1980, Aca-demi c. Schim i ck , M., 1982, Land Con flict s in Amazon ia, Ameri ca n Et hn olog ist, 9, pp. 341-357. Skid m ore, Thomas E. and Pete r H. Sm ith, 1989, Modem Lati n Americ a (2nd), New York : Oxfo r d Univ e rsit y Press. Smi th, Ni ge l J. H., 1982, Rain f o r est Corrid o rs : The 'Iran . 5- Ama- zon Coloniz a ti on Scheme, Berkeley : Un ive rsit y of Cali - for nia Press. St a nsfi eld , Jr. , Charles A. and Cheste r E. Zim olzak, 1990, Global Perspe cti ve s : A World Reg ion al Geog ra p h y, Colwn-bus : Meril l Publi sh ing Comp a ny . St o r, W., 1975, Regi on al Develop m ent Exp e ri en ces and Peospe cts in Lati n Americ a , The Hagu e : Mout o n. Vesil ind , P. J., 1987, Brazil : Moment of Prom ise and Pa in, Nati on al Geogr ap h ic , 171, pp. 348-385. Webb, K., 1972, Geog r ap h y of Lati n Ameri ca : A Reg ion al Analys is , Eng le wood Cl iffs, N. J. : Prenti ce -Hall. West, Robert C., 1982, Abori gina l Colonia l Geog r aph y , in Lati n Americ a : An Intr o ducto r y Suruey ( edit ed by Blouet, Bria n W. and Olwy n M. Blouet ), New York : Jo hn Wi ley & Sons, pp. 34-8 6 .

West, Robert C., and Jo hn P. Aug el l i, 1989, Mi dd le Americ a : Its Lands and Peop le s, 3rd rev. ed., N. J. : Pren- tice -Hall. Wheeler, Jes se H. and J. Trento n Kostb a de, 1990, World Re- gion al Geog ra p h y, Chic a g o : Saunders Colleg e Publi sh - ing , pp. 550-6 1 8. Wi lke n, Gene C., 1987, Good Farmers : 'Irad it ion al Ag ri c u ltu r al Resource Mana ge ment in Mexic o and Centr a l Americ a , Berkeley : Univ e rsit y of Califo r n ia Press.

부록

연습 라틴아메리카의 발전론과 변혁 이론 그리고 한국사회

연습 제 l 장 l ) South Amer i ca 와 the Americ a n South , 그리고 south ern Arner i c 峰 구별하라. 2) 서인도 제도에서 스페인어가 공용어로 사용되는가? 3) 미국과 캐나다를 합쳐서 An g lo-Amer i ca 라고 부르는가? 아니면 영국과 미국 그리고 캐나다룰 합쳐서 An g lo-Ame ri ca 라고 부르는 가? 4) 멕시코는 North Amer i ca 에 속하는가? 제 2 장 I) 마야인이나 아즈텍인들이 소·말·돼지 ·염소·양 등의 가축을 사육하였는가? 2) 베링 Berin g 해협을 지나 아메리카 대륙으로 들어간 아시아인은 어느 민족인가? 구체적으로- 말할 수 있는가? 3) 미국의 중서부t he M i dwes t는 현재 세계적으로 유명한 곡창지대 에 속한다. 왜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대단히 비옥한 토양을 가진 그 미국의 중서부에서 농업을 크게 발전시키지 못했는가? 4) 서인도 제도에는 현재 얼마나 많은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살고 있 는가?

5) 유럽인들의 아메리카 정복 이후에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인구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중앙아메리카에서 저지대의 원주민들이 고지대 의 원주민들보다 더 쉽게 멸종하였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 제 3 장 I) 영국인들은 왜 미국 동북부에 먼저 정착하였는가? 왜 그들은 따 뜻한 덱사스나 서늘한 안데스 고원에 먼저 진출하지 않았나? 2) 브라질이 포르투갈의 식민지가 되는 과정을 논하라. 브러질의 국 명은 어디에서 유래하는가? 브라질 이의에 포르투갈 식민지가 아 메리카에 존재하였는가? 3) 라틴아메리카의 여러 국가에서는 왜 군사정부가 빈번하게 출현하 였고, 민주정치가 찰 실행되지 않았는지 논하라. 4) 미국은 라틴아메리카의 정치에 깊숙이 관여해 왔다. 사례를 들어 가면서 토론해 보자. 5)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변혁 이론들을 아는 대로 말해 보라. 그리 고 최근의 사회주의권의 붕괴가 우리의 변혁 이론에 미천 영향을 논하라. 제 4 장 1) 대토지소유제도는 역사적으로 그리고 지역적으로 매우 다양하였 다. 혁명 이전의 쿠바의 대토지소유제도와 니카라과의 대토지소유 제도는 어떻게 달랐는가? 그 상이점을 양국의 혁명과 연결시켜 논 할수 있는가? 2) 종속 이론 de p endenc y t heor y은 플랜테이션 지역과 하시엔다 지 역 중에서 어느 지역에 잘 적용되겠는가? 그러면 생산양식접합론 을 플랜테이션 지역이나 하시엔다 지역과 관련지어 생각하여 볼 수있을까?

3) 각국의 토지 개혁으로부터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교훈은 무엇인가? 제 5 장 I ) 라틴아메리카에 거주하는 한인 교포에 대하여 말해 보라. 2) 라틴아메리카의 벽지에 사는 원주민 &ner i nd i ans 을 조사해 보자. 3) 민족은 무엇인가? 민족과 언어 집단과의 관계를 논하라. 그리고 영어의 eth n icity(e th nic g rou p s) 와 race(racia l g rou p s) 를 구별 하여보자. 4) 지구상에서 발견되는 언어족 lan g ua g e- fami l y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라틴아메리카에서 사용되는 언어족들을 들어 보라. 5) 아이티와 자메이카 주민의 종교 생활을 조사하고, 그 특성 • 관행 • 의식 • 유래를 말하라. 제 6 장 1) 라틴아메리카 대도시에서 나타나는 무단점유 정착지의 입지에 대 하여 생각해 보자. 도시지리학에서 다루는 동심원 구조 모델, 선형 모델, 다핵심 모델로써 무단점유 정착지의 입지를 설명할 수 있는 가? 그리고 자생적 정착지 주민의 속성에 대하여 토론해 보자. 2) 아마존 강 유역의 개발사업을 조사하고 그 사업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를 토론해 보자. 3) 지형성 강우 oro g ra phi c p re cipit a ti on 를 그림으로 그려서 설명 하고, 다음 용어의 정의를 밀하라. 그리고 라틴아메리카의 강수량 분포를 나타내는 지도를 그려보고, 지도상에서 지형성 강우와 관련 지어 강수량을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을 지적하여라. CD dry ad iab eti c rate (-1°C/100m) : ® satu rati on ad iab eti c rate ( -0 .6 °C/IOOm) : @ ra in~ hadow eff ec t

제 7 장 I) 서인도 제도에서 발달한 사탕수수 플랜데이션의 역사 를 논하라. 2) 19891 .:1 말 미군의 파나마 침공을 조사하여 보자. 그리고 그것을 토론하여 보자. 3) 소앤딜리즈 제도는 지질 구조에 따라서 석회암 지대와 화人J성 지 대로 구분된다. 양 지대의 인문 환경을 비교하라. 4) 서인도 제도의 문화 요소에서 나타나는 아프리카인의 문화 요소 를예를들어 보자. 제 8 장 l) 페루의 해안저지대에서 이루어지는 오아시스 농업을 조사해 보자. 3) 안데스 고지의 동사면은 접근하기 어려운 열대우림에 속한다. 그 곳에 살고 있는 원주민에 대하여 조사하여 보자. 3) 동부 콜롬비아 저지대 죽 오리노코 강 유역 평원의 자연 환경을 조사하고, 개발의 잠재력에 대하여 토론해 보자. 4) 베네수엘라와 에콰도르의 인종 구성과 인종의 지역적 분포를 조 사해 보자. 제 9 장 l) 브라질 아마존 분지의 원주민에 대하여 조사하여 보자. 2) 기아나 고지의 자연 환경을 말하라. 3) 브러질의 기후 분포도와 식생 분포도를 그려라. 기후 분포도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을 지적하라. 또한 식생 분포도에서 사탕수수 플 랜데이션이 발달한 지역을 표시하라.

제 10 장 I ) 1983 년 포클랜드 제도 분쟁의 배경과 의의를 토론하여 보자. 2) 아르헨티나의 199 0¼빈대 초 정치 상황을 조사해 보고, 아르헨티나 의 미래롤예측해 보자. 3) 예수회 선교사들이 파라과이에서 인디언들을 상대로 벌인 전도사 업을 조사해 보자. 이들이 남긴 문화적 유산은 무엇인가? 4) 칠레의 민주화 과정을 조사해 보자.

라틴아메리카의 발전론과 변혁 이론 그리고 한국사회 l 발전론과 변혁 이론이 한국의 대학사회를 풍미하게 되는 고園 1) 유신 이후부터 197 0\:回 중반까지 : 근대화 이론 moder ni­ zati on t heor y이 지배적 이론 체계로 군림하고 있었다. 지하 서 클에서 활동하던 극히 일부 학부생들만이 변혁 이론에 관심을 갖 고있었다. 2) 197 呼대 중반 이후부터 1980 \:! 광주항쟁까지 : 근대화 이 론에 대한 반론으로 종속 이론 de p endenc y t heor y이 대두되어 활발하게 토론되었다. 종속 이론이 발전 • 수정 • 비판되면서 생산 양식 modes of pro ducti on 접합론이 등장하였다. 종속 이론이나 생산.o.}식 접합론에 관한 번역서들이 다수 출판되었다. 그러나 정 통 마르크시즘 Marx i sm 과 같은 서적들은 공개적으로 보급되지는 못하였다. 198 0\:回의 운동권에서는 이 당시의 민주화 운동을 소 시민적 민주화 운동 또는 소시민적 민중 운동 단계로 규정하였다. 3) 198 0\:!부터 1984년 까지 : 종속 이론을 원용하여 한국 사회 의 구조적 현실을 분석하려는 시도가 다수 나타났고, 한편으로 종속 이론을 비판의 대상으로. 하는 변혁 이론들도 등장하였다. 종속 이론이 비판을 받게 된 이유는 ®새로운 변혁 이론이 필요 하게 된 정치적 좌절 상황, ®운동권의 양적 팽창으로 다양한 변

혁 이론과 접할 수 있게 된 대학의 분위기 , ® 한국 경제의 양적 인 성장과 더불어 전형적인 제외 1 계의 경제와는 매우 상이하게 변화된 한국 경제 등이었다. 4) 198 ()ld대 중반 이후 : 변혁 운동의 주체 세력과 적대 세력 에 대한 평가가 중요한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이 기간에는 다양 한 변혁 이론이 제시되었고, 사회구성체(간략하여 사구체) 논쟁이 대단히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 당시의 논쟁은 지나치게 형이상학적인 방향으로 흘렀고, 또한 그러한 논쟁의 기반이 되는 변혁 이론이 우리의 현실에서 추출된 것이라기보다는 의세 (특히 러시아와 중국)에서 무비판적으로 도입된 것이라는 비판을 면치 못하였다. 2 근대화 이론이란 무엇인가? 1) 근대화 이론이 인간사회(인간문화)의 보편적 발전(진화)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화 이론의 학문적 근원은 18, 19 세 기의 유럽 사상에서 찾이볼 수 있다. 예컨대 다윈 Charles Darw i n 의 전회론, 스펜서 Herbert S p encer 의 초유기체설, 마르 크스의 원시공동사회에서 사회주의까지, 타일러 Edward T y lor 와 모건 Lew i s Mor g an 의 문화전화론 등은 인간사회의 보편적 발전 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2~1] 기 초반에는 법칙적인(연 역적인) 전화론적 사조가 되조하고, 경험주의적 패러다임들이 우 세하게 받아들여졌다. 근대화 이론은, 제끄} 대전 이후에 새롭게 개편된 세계질서 하에서, 제양1 ] 계에 대한 서방의 관심으로부터 출발하였는데, 그 이론은 전통성을 가전 후진국들이 오늘날의 선 전국들이 밟았던 경로를 따라 근대성을 획득한다고 가정하고 있 다. 근대화 이론은 경험주의적 연구를 충분히 따르면서도 사회변 동의 관점은 진화론적인 것이다.

2) 신문화진화론 new cultu ral evoluti on is m : 인류학자 화이 트 Les li e Wh it e 와 스튜어드J u li an S t eward 는 일인당 사용하는 에너지량이 증대함에 따라서 문화가 발전한다고 주창하였다. 화이 트와 스튜어드는 〈 기술은 가용 에너지의 총량과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을 높여줌으로, 기술이 문화 변동과 문화 성격의 원인이 된다 〉 고 믿었다. 문화가 보편적으로 거쳐야 할 일련의 단계가 있 다는 것은 화이트의 보편적 진화 un i versal evolu ti on 의 개념이 고, 상이한 문화들이 서로 동일하지는 않지만 유사한 단계를 거 쳐서 발전한다는 것은 스튜어드의 다선적 전화 mul tili near evol- u ti on 의 개념이다. 3) 사회심리학적 이론 : 하겐 E. Ha g en 과 맥클랜드 D. Mc-Clelland 등의 학자들은 경제 성장의 원인으로서 퍼스낼리티 pe r- son ality를 중시하였다. 하겐은 전통사회는 권위주의적 퍼스낼리 티에 의하여 지배되고, 근대사회는 이와는 상반된 개혁적 퍼스낼 리티에 의하여 지배된다고 주장하면서, 경제 발전의 궁극적 원인 은 〈창조적 퍼스낼리티〉에서 찾아야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맥클 랜드는 기업가 정신(〈화폐에 대한 욕망 〉 이 아닌 〈 성취 동기 〉 )이 한 사회의 경제 발전에 긴요하다고 보았다. 4) 변화- 통합의 이론 : 파슨스 Talco tt Parsons 와 스멜서 Neil Smelser 등의 구조기능주의적 근대화론자들은 근대화를 사회 (구 조 및 기능)의 분화-통합의 맥락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 분화 d if­ fe ren ti a ti on 의 예로 가족 제도의 변화를 둘 수 있다. 가족 제도 의 변화란 전근대사회에서 생산과 소비, 사회화와 교육, 종교와 정치 등의 종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던 가족이 근대화를 겪으면서 대부분의 기능을 다른 제도에 넘겨주고 사회 성원의 재생산 및 소비단위로서의 기능과 갈은 핵심적 기능만을 수행하게 되는 과 정을 말한다. 한편 점증하는 다양한 이해와 관심을 갖는 개인돌 간의 상호작용을 조정하고 묶어 주는 기능을 통합i n t e g ra ti on 이

라고 한다. 발전은 분화와 통합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5) 고전적 근대화론과 현대적 근대화론 : 근대 서구사회가 모든 후진사회의 목표라고 파악하는 자유주의자들의 일반적 사상을 고 전적 근대화론이라고 한다면, 현대적 근대화론은 사회주의 진영의 확산과 식민지 민족해방운동의 고조에 대항해서 미국 중심 제국 주의의 신식민지적 지배 질서를 옹호하기 위한 논리를 말한다. 죽 현대적 근대화론은 민주화보다는 공업화 • 합리화를 중십으로 근대화를 파악하는 논리를 말한다. 6) 비판과 검토 (가) 근대화 이론은 사회나 문화가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단 계를 밟아서 발전한다고 가정한다. (나) 저발전의 원인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이중구조론을 내세운 다. 따라서 전통과 근대성은 공존하고 조화를 이룰 수 있다는 사 실을 간과하고 있다고 하겠다. (다) 근대화 이론에 따르면 서구적인 것은 근대적인 것이며 비 서구적인 것은 전통적인 것으로 간주됨으로 근대화 이론은 서구 중심주의적 사고이다. (라) 근대화 이론은 근대화의 기본적인 역사적 무대로서 민족 국가를 잡고 있고, 각각의 국가 혹은 사회는 고립되어 있는 것으 로 가정하며, 변동의 요인도 내부 요인에만 국한한다. (마) 그러나 근대화 이론은 발전의 전략으로서 서구와의 문화 접변을 강조함으로써 의부적 요인을 강조한다. 죽 전파론diffu­ s i o ni sm 을 내세운다. 3 종속 이론이란 무엇인가? 1) 성립 배경 (가) 라틴아메리카 각국에서 공황으로 인한 수출 감소로 의화

획득이 급격하게 감소됨으로써 수출 지향적 발전 노선 및 전략을 수정할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나) 195 0t;:l대 초에 유엔통상개발회의 UNCTAD 의 초대 사무 총장 프레비시 Raul Preb i sch( 아르헨티나인)는 ECLA(UN 산하 인 라틴아메리카 경제위원희) 보고서에서 수입대체 공업화를 주장 하였다. (프레비시 논제 Prebis c h Thesis : 기술 진보에서 얻어지는 이익은 주로 공업 중심부에 집중됨으로써 일차산품의 단위당 가격은 상승하지 않거나 하락하는 데 반해 공업 제품의 단위당 가격은 상승하 고, 이에 따라 공산품에 대한 일차산품의 교역 조건은 악화된다는 것이 다.) (다) 196~ 터에 들어와 냉전 체계가 다원화 체계로 변화하였 다. 신생국 일반이 제꼬1 ] 계라는 세력권을 형성하고 비동맹을 주 장하였다. (라) 라틴아메리카의 수입대체 공업화는 주로 외국 투자가에 의하여 수행됨으로써 해의 의존의 심화를 가져왔고, 내부적으로는 소득 배분이 점점 더 불평등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빈부 격차를 심 화시켰다. (마) 라틴아메리카 학자들에 의하여 서구식 발전 모델이 비판 되었다. 종속 이론은 근대화 이론에 대한 철저한 부정에서 출발 하였다. 2) 종속 이론과 제국주의 이론과의 관계

I) 홉슨J. Hobson 과 레닌 V. Len in 등이 제기한 제국주의 이론(고전적 제국주의 )에 의하면,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전하게 되면 내부의 경제 위 기로 인하여 해의에서 상품 시장을 구하거나(홉슨) 혹은 낮은 임금과 지 대 및 값싼 원료의 이점 때문에 후진국에 자본을 수출하게 된다(레닌).

(가) 양자 모두가 중십부의 국가(선진 자본주의 국가)와 주변부 의 국가(제거계 또는 개발도상국) 사이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포 함한다. (나) 제국주의 이론의 관심은 주로 중심 국가들에 있어서 제국

주의가 발생하게 되는 원인에 있다. 그러나 종속 이론은 세계 자 본주의 체계가 기본적으로 제국주의적 성격을 갖는다는 점을 인 정함으로써 제국주의 이론의 일면을 수용하면서 관심의 초점을 후진국에 대한 제국주의적 팽창의 결과로 전환시킨다. 3) 종속 이론의 체계화 종속 이론은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주창되었으며, 그들의 학설 에서 강조하는 바는 다소 치이가 있다. 종속 이론의 핵심적 사상 울 처음으로 제시한 사람은 바란 Paul Baran(The Politi ca l Econ- omy of Growt h, 1957) 이었다. 그는 구미 선진국과 제回]계 간의 이해관계의 상충을 지적하면서, 오늘날 저발전된 국가에 대한 착 취가 이들 국가에 있어서의 경제 성장을 방해한 대신에 구미의 자본주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고 주장하였다. 스웨덴 스톡홀름 대학 경제학 교수였던 미르달 Gunnar M. M yrd al( Ri ch Lands and Poor : the Road to World Prospe rity, 1957) 은 순환적 • 누적적 인과론을 제시하였다. 그는 중심부 지역 으로의 경제 발전의 역류 효과가 주변부 지역으로의 파급 효과를 앞서 진행됨으로써 일어나는 일탈확대 현상을 지적하였다. 죽 그 는 지리공간적 부익부 빈익빈을 지적하면서 후진국 또는 낙후지 역의 경제 발전 여건에 대하여 매우 비관적 견해를 표명하였다. 독일 태생의 학자로서 라틴아메리키에 대한 지적 배경을 갖고 있는 프랭크 Andre Gunder Frank(Capi tal ism and Underdeuelop - ment in Lati n Americ a , 1969 : Lati n Ameri ca : Underdeuelop m en t or Revoluti on , 1969) 는 중십부-위성 구조를 이론의 뼈대로 삼아 저 개발 심화론을 제시하였다. 그는 세계 자본주의 체제는 중십부와 위성의 관계로 개념화될 수 있다고 보았고, 중심부의 선전국은 제꺼 1 계의 착취롤 통하여 발전되었으며, 제때 1 계는 선전국의 발 전을 도와중으로써 저발전되었다고 주창하였다. 그에 의하면, 라 틴아메리카는 제국주의와 접촉하면서 자본주의_-교환양식으로서

의 자본주의一 ― 에 편입되었다는 것이다. 이집트인 아민 S. Ami n( Accumulati on on a World Scale, 1974) 은 아프리카 국가에 종속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종속 이론을 보다 정교히 하였고, 주변부 사회구성체론을 제시하였다. 그의 주변부 사회구성체론에 의하면, 세계체제의 전반적인 불평등은 낮은 임금 의 국가와 높은 임금의 국가 간의 분화에 기초하며, 주변부의 경 제는 중심부의 요구에 맞도록 왜곡된디는 것이다. 죽 주변부는 환금작물 지향의 환금화와 수출 지향의 의향화로 인한 불평등한 전문화를 강요받는다는 것이다. 미국 뉴욕 주립대학교 교수를 역임한 왈러스타인 Immanuel Wallerste i n ( The Modern World Sy st e m : Cap ital is t Ag ri c u lt ur e and the Orig ins of the Europ e an World-E c onomy in the Six t e e nth Gen- tury, 1974 ; The Ri se and Futu r e Dem ise of the World Cap i- tal i st Sy s te m : Concep ts for Comp a rati ve Anal y s i s, )은 세계체 계 WorId S y s t ern 론을 제시하였다. 세계체계의 중요한 특징은 경 제적으로 통일체를 이루면서도 정치적으로는 서로 독립되어 있다 는 점이다. 그에 의하면 세계체계는 l@ ]기에 발생하였고, 그 이 전에는 세계제국 worId em pi re 이 존재하였으며, 세계체계는 세 종류의 국가군(죽 구미의 소수 중심국가, 주변부 국가, 반주변부 국 가)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칠레 대학 경제학 교수였던 도스산토스 T . Dos Santo s (The Crisi s of Develop m ent Theory and the Problem of Depe ndenc~ in Lati n Americ a , 1973) 는 중심부 국가가 주변부 국가를 종속시키는 유형을 세 가지 유형으로 . 구분하였다. 제 1 유형의 식민지적 종속 의 단계에서는 상업자본과 식민지 모국이 토지 • 광산 • 노동력을 직접 지배하는 형태로서 식민지의 경제 관계를 지배하고, 제 2 유 형의 금융-산업적 종속은 중심부 자본의 팽창과 1 차 부분에의 침투로 나타나는 유형인데, 이 단계에서는 수입대체 공업화에 의

하여 종속이 심화된다. 그리고 제 3 유형의 종속을 신종속 new de- pen dency 또는 기술 - 산업적 종속이라고 하는데, 이 단계에서는 다국적 기업이 직접 주변부 국가의 기업에 참여한다. 신종속의 상황에서는 잉여의 이전, 산업의 탈국가화, 소비 패턴의 왜곡, 매 판계급의 창출, 그리고 토착 지본이 축적되지 못하고 토착 기술 이 발전되지 못하는 경향 등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에 반스 Pe t er Evans, 카르도소 Fernando H. Cardoso, 그리고 팔레토 E. Falett o 등의 종속 이론을 종속적 발전론 또는 후기종 속 이론이라고 부르는데, 후기종속 이론가들은 초기종속 이론가들 에 비하여 종속 국가의 내부적 요인 혹은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의 결합에 보다 큰 강조점을 두고 있다. 후기종속 이론은 전 통적 이분법을 거부하고 종속 상황에서의 발전의 가능성을 예시 한다는 데에 그 이론적 의의가 있다. 에반스 (Dep enden t Develop - ment : Allia n ce of Multin a ti on al, Sta t e , Local Capi tal in Brazi l, 1979) 는 다국적 자본 • 국가 자본 • 토착 자본 사이의 삼자연합이 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4) 종속 이론의 공통점과 종속 이론에 대한 일반적 비판 현재의 발전과 저발전의 원인을 과거로부터 지속되어 온 역사 적 과정에서 찾는다. 근대화 이론이 발전과 저발전을 어떤 상태 로 파악하지만, 종속 이론은 이를 역사적 과정으로 파악한다. 국 내적 요인보다 국제적 요인을 보다 중시한다 . 근대화 이론이 한 사회의 발전과 저발전의 원인을 국내적 요인에 국한시키지만, 종 속이론은 그 원인을 세계체계 혹은 세계 자본주의 체계라는 보다 큰 체계의 동태 속에서 찾는다. 그러나 종속 이론은 중심과 주변 또는 착취와 피착취 등의 개 념에서 나타나듯이 양분론적 인식 위에서 있어서 단순논리에 빠 져 있다는 비난을 면치 못한다. 종속 이론은 세계 자본주의 역학 관계를 교환관계에 의해 설명함으로써 그 체계 내에서 제때]계

국가들의 정치적 • 군사적 위치가 이들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경시하고 있다고 하겠으며, 제꼬 1l 계 국가들의 서로 디른 문화적 • 역사적 배경을 획일화하고 있다고 하겠다. 또한 종속 이론이 주로 라틴아메리카의 특수한 상황을 설명하려는 이론이었다면, 그 이론은 라틴아메리카 이의의 제꼬사계 지역에도 적용이 가능한가 라는 의문이 제기될 수도 있다. 4 생산양식접합론이란 무엇인가? 생산양식접합론은 넓은 의미에서 종속 이론에 포함될 수도 있 으나, 분석의 초점을 제 F1] 계의 내부 구조까지 연장한다는 점에 서 종속 이론과 구별된다. 생산양식집합론의 공헌은 고전경제학의 생산양식 개념을 종속 이론을 위시한 제꼬 1l 계 이론과 접합시킴으 로써 이론적으로 보다 확고한 기반 위에서 발전 문제를 조명할 수 있게 해주었다는 데에 있다고 하겠다. 라클라우 E. Laclau(Feudalism and Cap ital ism in Lati n Ame- rica , 1977) 는 프랭크의 저발전 심화론에 대하여 비판하였다. 라클 라우에 의하면, 프랭크는 그의 분석을 생산양식이 아닌 교환양식 의 개념에 기초하였기 때문에 제앗1 ] 계의 계급 관계나 내재적인 변동을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라클리우는 라틴아메리카 사회 를 자본주의와 봉건주의가 접합된 반봉건사회로 규정하였다. 두프 레와 레이 G. Dup r e and P. Rey (R efl ect i on s on the Pertin e nce of a Theory of the Hi sto r y of Exchange , 1973) 는 제앗 1] 계 경제의 상 이한 단계에서 자본주의적 양식이 비자본주의적 양식에 어떤 방 식으로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명하고자 했다. 어떤 상황에서는 자 본주의적 생산양식이 비자본주의적 양식의 지속에 간접적으로 공 헌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메이야쑤 C. Meil las soux(From Repr o ducti on to Producti on , 1972) 는 자본주의적 생산양식과 비자

본주의적 생산양식 간의 기능적 공존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 명하였다. 5 한국 사회과학계의 사회구성체 논쟁과 변혁 이론 I ) 변혁적 사회운동의 복원적 태동과 본격적 이론 논쟁의 준비 기 (19 80 1tlell 전반) (가) 이 기간에는 이전의 사회운동에 대한 비판이 활발하게 토 론되었다. 197 0¼:預]까지의 사회운동이 정치권력의 획득이나 경제 체제 자체의 변혁에 대한 전망과 의지가 없었기 때문에 변혁 운 동으로서의 성격을 갖지 못했다고 비판되었다. (나) 주변부자본주의론(이대근 교수)에 대한 국가독점자본주의 론(박현채 교수)의 비판이 주요 논쟁이었다. 이 논쟁은 사실 상호 논쟁이라기보다는 국가독점자본주의론 입장에서 종속 이론이나 주변부자본주의론에 대해 정치경제학적 불철저성을 비판하는 일 방적인 논쟁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2) 다양한 변혁 이론의 등장(1 98 si;:i경부터 199 01-i빈경까지의 논쟁 ) (가) 민족해방혁명 (NL : Nati on al Li be rati on Revolu ti on) 의 노선 민족해방혁명의 노선은 현재의 한국사회를 식민지반봉건사회론, 식민지반자본주의론 등으로 설명한다. 민족해방혁명의 노선은 한 국사회의 본질적인 특성을 제국주의에 의한 식민지적 지배로 규 정하고 주체사상(마르크스 - 레닌주의의 기본 원칙을 제국주의 단계의 식민지 종속형 사회의 변혁 과정에 창조적으로 적용한 사상)을” 근간 으로 삼는다. 이러한 노선과 밀집하게 관련되는 투쟁은 미문화원 점거농성 투쟁 (1 98 척 5 월 ), 전방입소(양키용병 )교육 반대 투쟁 (1 986년 초), 5 • 3 인천사태, 건대사건 등이었는데, 이러한 투쟁은 좌익편향적인 것이라고 비판을 받았다. 그리하여 민족해방혁명의

노선은 직선제개헌 투쟁과 감은 대중노선에 기초한 투쟁 방식에 주력하였다. (나) 민중민주주의혁명 (PD ; Peop le 's Democrati c Revoluti on ) 의 노선 민중민주주의의 노선은 제헌의회 (CA ; Consti tue nt Assembly) 의 노선, 민족민주혁명 (NDR ; Nati on al Democrati c Revoluti on ) 과 엄밀한 의미에서 서로 구별되나, 일반적으로는 서로 구별하지 않는다. 이러한 노선은 현재의 한국사회를 신식민지 국가독점자본 주의론이나 (신식민지적 ) 예속국가독점자본주의론 등으로 설명하 고자한다. 이러한 노선들은 공통적으로 소비에트적인 이행의 길을 변혁의 일반적 과정으로 수용한다. 자본주의적 생산력에 대한 질곡을 제 거함으로써 근본 변혁의 물질적 전제를 확보하고, 정치적 자유의 획득을 통해 자본주의 자체를 극복하기 위한 계급투쟁이 전면화 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다.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민 주적 변혁은 자본주의적 생산관계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본주의적 생산력을 전면적으로 개화시킨다는 점에서 부 르주아 혁명에 속한다고 본다. 3) 새로운 방향의 모색기 (199 01;:回) 199 01;:1대에 들어서도 학생운동권이나 재야에서는 민족해방혁명 의 노선과 민중민주주의 노선이 여전히 대립하고 있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양 노선의 경직성을 극복하고자 하는 자기비판도 . 대 두되고, 양 노선의 의부에서 양 노선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 져 가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게 된 요인은 국 의적인 요인과 국내적인 요인으로 구별할 수 있을 것이다. 국의 적인 요인은 중국의 천안문사태, 동구권의 와해, 소련의 해체 등 을 비롯한 사회주의권의 붕괴를 들 수 있다. 그리고 국내적인 요 인은 비록 점진적이나마 민주주의의 발전을 들 수 있다. 1993 년

초에 문민정부의 등장으로 기존의 양노선의 대립은 점차적으로 약화될 것이라고 예상되고, 우리 현실에 보다 적합한 새로운 이 론이 개발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찾아보기/인명·사항 -, 드케사다 53 디아스 62, 66, 146 가르시아 200 가비리아 192 2 과두적 민주주의 66 과라니족, 과라니 인디 언 29, 112, 라티노 114 118, 239-24 0 라티푼디스모 76 관료적 권위주의 71 라티푼디스타 76 계약노동 제도 86 라티푼디오, 라티푼디아 76, 194 계약노동자 46, 81, 89, 108-109, 로드리게스 240 225, 230-231 리파티민토 제도 56, 81-83 구아노 196 림랜드 142-144 군즈만 200 링구아프랑카 113-114, 170 근대화이론 64 □ L 마르코폴로 44 나폴레옹 60-61 마야, 마야인, 마야 문명, 마야 제국 나후아틀 34, 113, 117 15, 17, 25, 31-35, 87, 106, 노리에가 90, 169-170 113, 152 농기업 90 마젤란 45 머룬 112 E: 메넴 234 메스티조 17, 49, 56, 99-101, 103 도나타리오 57 -109, 112-113, 127-128, 141, 동 조앙 대 61 144, 160, 198, 239 동 페드로 62 메인랜드 142-144 두발리에 179 목태수마 45 드나르바에스 45-46 무노즈 177 드바카 45 무어족 41-43 드레세프스 168 물라토 17, 49, 99, 102-103, 107- 드레온 44 109, 119, 141, 180, 205, 209 =수뚜 45 미니푼디스모 76 드피네다 44 미니푼디스타 76

미니푼디오, 미니푼디아 76, 94, 。 194 미서전쟁 63, 174, 176 아리스타이드 179 미타 제도 56, 57, 83 아마존 횡단 고속도로 223 아옌데 236 t:t 아이마라 110, 115, 118, 198, 202 아일윈 237 바르가스 70 아라왁족 27, 29, 35, 49, 171-172 바르돌로뮤디아스 43 아즈마 아즈텍족, 아즈텍 문명, 아 바스코다가마 43 즈텍 제국 15, 17, 25, 29, 31, 반데이란데스 209 34-36 , 45, 47, 50, 87, 113, 117 반도인 100 아타후알파 40 발보아 44, 50, 155 안드레스 188 범아메리카 고속도로 169 알티풀라노 37-38, 52 보고타 53 알파카 39 넌쿠쿠족 28-29 알폰신 234 보토쿠도족 28-29 야간족 27 북미자유무역 연합 72, 150 야마 39 부채피온제도 84 에스탄샤 75, 77-78, 228, 230, 237 人 에히도 93- 9 4, 147 엔다라 170 산디니스타 165-166 엔코미엔다 제도 50, 53, 57, 81- 산마르틴 61 83 살리나스 150 엘리뇨 197 생산양직접합론 64 예수회 선교사 240 센데로루미노소 200 오르데가 165 소모사 165 요셉 60 스트로에스너 240 이타이푸 댐 219, 240 시몬볼리바르 61 임금노동제도 84 시보니족 27, 29, 35, 171 잉카, 잉카 문명, 잉카 제국 17, 19, 25-26, 31, 37- 4 0, 45, 52- 53, 83, 87, 118, 130, 193

조 드. 잠보 17, 49, 99, 103, 107, 141 타라스칸 제국 29, 34-3 6, 50 종속이론 64 데라록사 210 주변부 지본주의론 64 테페시판인 32 토르데질라즈 조약, 토르데질라즈선 * 토리43호-4스4, 5116, 95 7, 59, 88 차모로 165-166 톨덱족 34 치남파 37, 39 트라피체 87 치브차 인디 언 29, 53, 189 티에라 칼리엔데 135-136, 156 치치멕족 28-29, 35, 52 티에라 템플라다 135-136, 156, 167, 190 구 티에라 프리아 135-137 티에라 헬라다 136-137 카란사 146 카르데니스 70 프 카립족, 카립 인디 언 27, 29, 59, 109, 171-172 파젠다 75, 77-78 카브랄 43, 57 페이트런 제도 81, 84 카스트로 63, 175-176 페르디난드 60 카피타니아 57- 5 8, 86 페론 70, 231- 2 32 케추아 38, 110, 114-115, 118, 페루 해류 196 198, 202 프랑코 213 코르테스 36, 44-45, 50 풀렌데이션 20, 55, 60, 75, 77- 콘트라 반군 89, 164-166 81, 84-91, 96, 101-102, 135, 콜럼버스 42-44, 171 143-144, 157-159, 163, 167, 콜로노 78 169, 171, 174, 182, 191, 205, 콜로르 212-213 208-209, 211, 219, 224 쿠비체크 132 피노체트 236-237 퀘체인 106 피온 84, 101 크리스타니 162-163 피자로 40, 45 크리울 100-101 피진어 114

궁 호선민주주의 69 후아레스 146 하시엔다 75, 77-81, 84, 95- 후지모리 200-201 96, 143, 189, 193, 198-199 훔볼트 해류 196 항해왕 헨리 42 히바로 195 화경 28, 30- 3 1, 37, 139

-, 니카라과 지협 165 니카라과 호 156 게레로 주 153 고이아스 주 221 C 과달라하라 126, 154, 176 과델루프 24, 115, I82 다리엔 지방 169 과야킬 129, 194 대앤틸리즈 27, 55, 60, 88, 171 과테말라 15, 21, 23, 32, 34, 62, 도미니카 23, 109, 181-182 64, 68, 77, 89, 106-107, 117- 도미니카 공화국 21, 23, 63, 88- 118, 127, 142, 144, 154-155, 89, 108, 114-115, 128, 144, 157, 160-161, 163-164, 170 171, 173-174, 178-180 과테말라 부총독령 62, 154 동 시에라 마드레 산맥 145, 148 과테말라시티 127-128, 160 두랑고 주 127, 149 과히라 반도 191 그라나다 시 155 2 그란차코 239 그란콜롬비아 61 라과이라 129 그레나다 14, 23, 89, 141, 181 라파스 130, 201 기아나 19, 21, 24, 91, 111, 114, 라플라타 강 53, 230 224-225 라플라타 총독령 51, 54 기아나 고지 I18, 186-188 레시페 58, 131, 207 기아나 지역 19-21, 24, 55, 60, 레온 153 88, Il l, 119, 205, 224-225 레온 시 155 로사리오 230 L 리마 40, 51-52, 55, 61, 129, 197 리오그란데 강 52 나사우 174 리우그란데도술 주 117, 218 네그로 강 206 리우 그란데두노르테 주 220 노바스코시아 46 리우, 리우데자네이루 51, 82, 125, 뉴 그라나다 51, 54, 57, 61 131, 207-208, 210-211, 217, 뉴 스페인 51, 54, 62, 154 219, 221 니카라과 15, 21, 23, 62, 89, 97, 리우데자네이루 주 117, 214, 216 107, 128, 144, 154-155, 156, 162, 164-166

口 몬테레이 127, 149, 151 몬테비데오 134, 237 마그달레나 189-190 몬트세라트 24, 114 마나과 128, 155, 164, 166 미나스제라이스 210, 216, 218 마나과 호 156 미초아칸 주 36 마나우스 134, 211, 222-22 3 마라카이보, 마라카이보 호 129, t:I 185-187 마르티니크 24, 115, 174, 182 바링키야 129, 191 마리 갈란데 115 바르키시메토 129 마젤란 해협 45 바베이도즈 21, 23, 108, 114, 181- 마추피추 38 182 마타지대 87, 209 바요바르 199 마두그로수 주 221 바하마 21, 23, 59-60, 109, 114, 마두그로수두줄 주 221 174, 181 말비나스 섬 230 바하캘리포니아 235 메데인 129, 190 발렌시아 129 메리다 152 발파라이소 134 메조아메리카 15-16, 25-26, 31- 베네수엘라 19, 21, 24, 59, 61, 32, 35-37, 39, 46-48, 50, 52, 66, 72, 109, 122, 128, 185- 1 88, 83, 101, 107, 113, 144, 148 215, 224 멕시코 14-16, 19, 21, 23, 44, 54- 베라크루스. 36, 45, 50, 54, 89, 56, 59, 62, 64-68, 70, 72-73 , 127, 148, 152 75, 77, 79, 84, 89, 93-94, 97, 베라크루스 주 151-152 100, 106, 114-115, 117, 124- 베링 해협 31, 38 126, 128, 135, 141-142, 144~ 벨렘 133, 207, 222 153, 155, 172, 176, 235 벨로리존테 131, 207, 210-211 멕시코시티 32, 50-52, 124-127, 벨모판 128, 171 130, 145, 149, l53 벨리즈 15, 21, 23, 32, 60, 62, 멕시코 중앙고원분지 32-34 , 36- 107, 114, 128, 144, 154, 156, 37, 50, 125-126, 151, 153 170 멘도사 229 벨리즈시티 128, 170 몬클로바 149 보고타 51, 53, 125, 129, 189 - 몬타나 195, 199 190

볼리비아 19, 21, 24, 56, 61, 73, 산호세 128, 167 75, 95- 97 , 110, 118, 123, 130, 산후안 54, 128, 174, 178 134, 185, 201- 20 3, 215, 238 산후안 강 164 볼타레돈다 217 살바도르 131, 207 부에노스아이레스 51, 53, 61, 상파울루 시 111, 124, 130, 207, 125, 134, 228- 22 9, 231, 238 211, 216-217, 219 브라질 13, 19, 20- 2 2, 24, 43- 상파울루 주 77, 111, 116, 210 - 45, 53-54 , 57-58 , 61- 6 2, 65- 211, 214- 21 6 69, 71-73, 77, 79, 81, 85- 8 8, 서 시에라 마드레 산맥 145 90-91, 102, 110, 111, 115~ 1 16, 서인도 제도 13, 15- 1 6, 19-20, 119, 120, 122, 130-132, 201, 23, 26-27, 48-49, 55, 59, 60, 205-22 4, 228, 230, 238, 240 63, 67-68, 77, 79, 82, 85-88, 브라질 고원 28, 77, 206, 208, 90, 101-102, 107-109, 114, 210, 214, 237, 239 116, 119- 1 20, 128, 141, 143- 브라질리아 131-133, 207- 2 08, 221 144, 170- 17 4, 209 빌렘스타 174 세라두스카라하스 223 비나델마르 134 세로드파스코 199 세로볼리바르 187 人 세우타 42 세인트 루시아 23, 181 사비나스 149 세인트 마르틴 115 서카데카스 145 세인트 빈센트 그레나딘 23, 181 산루이스포토시 145 세인트오거스틴 54 산비센테 58 세인트 크리스토퍼, 세인트크리스토 산살바도르 51, 128, 161-162 퍼 네비스 23, 59, 114, 181 산타마르타 53, 189 센트럴아메리카 14-16, 19, 23, 산터아나 161 55, 60, 62, 65, 67, 77, 79, 85- 산타카타리나 주 218-219 86, 88, 100, 114, 127-128, 135, 산타페 53 137-138, 142-144, 154-159, 산타크루스 130 161, 165-168, 170 산토도밍고 49, 128 소앤틸리즈 제도 55, 59, 60, 88, 산두스 58 171, 173, 181- 18 2 산티아고 134 소치밀코 호 32-33 산 페드로 술라 163 솔리모에스강 206

수리남 19, 21, 24, 112, 115-116, 25, 37-39 , 46, 52-53 , 77, 79, 122, 215, 224-225 83, 96, 113, 123, 134-135, 185, 시우다드가이아나 188 195 시우다드볼리바르 188 안티오키아 189-190 시우다드 오브레곤 154 알티플라노 201 앤티과 바부다 23, 181 。 야노 56, 187, 191 야크레타 240 아루바 182 에르모시오 154 아레키파 129 에스메랄디스 195 아르시아 134, 202 에스피리투산투 117, 216 아르헨티나 13, 21, 24, 27, 53, 에콰도르 19, 24, 61, 77, 109, 56, 61, 64-68, 71-73 , 77-78 , 118, 123, 129, 185, 193-194, 112-113, 122, 134, 215, 227- 195 234, 237-23 8, 240 엘살바도르 15, 21, 23, • 62, 68, 아르헨티나의 메소포타미아 229 106, 128, 137, 144, 154, 156- 아마소나스주 214 157, 159, 161-164 아마존 14, 59, 82, 91, 96, 110, 영국령 온두라스 62 115, 118, 130, 133-134, 139, 오루로 130, 202 185, 195-196, 199-201, 203, 오리노코 강 56, 185-186, 191 206, 208, 211, 222-224 오리엔데 194 아바나 54, 128, 174 오초리오스 174 아순시온 53, 134 오악사카 주 153 아이티 14, 21, 23, 51, 55, 59- 오악사카 시 153 60, 63-64, 88-89, 115, 128, 온두라스 15, 21, 23, 62, 68, 89, 141, 171, 173, 178-179 107, 128, 144, 154-155, 157, 아조레스섬 42 161-162, 164 아카풀코. 127, 153 우루과이 21, 24, 61, 73, 112- 아크레 주 201 113, 122, 134, 215, 227, 230, 0 터카마 사막 14, ~35 237-238 안데스 고지 14, 19, 101, 109, 우루과이 강 229 115, 129, 185~186, 190-191, 우스말 34-35 , 152 193-201, 228-229, 235-236 유카탄 반도 15, 32, 34, 144, 안데스 산지 17, 19-20, 22, 24- 148, 151-152

유카탄 주 152 카리브 해 13, 15, 19, 21, 35, 53, 이베리아 13, 41-43, 56, 141 55, 60, 77, 79, 82, 85-86, 101, 이키토스 130, 199, 222 104, 107, 114, 129, 143-144, 이히타시우아틀 산 125 156, 158, 160, 162, 164-167, 169, 171, 186, 189, 191, 209 츠 카우카 강 189-190 카하마르카 40 자메이카 21, 23, 51, 55, 59-60, 칸쿤 152 88, 108, 114, 128, 141, 171- 칼라오 129, 197 174, 180 칼리 129 자카데카스 주 52 케이프베르데 제도 85 제노바 44 쿠근干바 229 제임스타운 46 코스타리카 ·15, 21, 23, 62, 107, 128, 138, 142, 144, 154-155, * 코아15후7, 일1라59 , 주16 6-112678, 149 차코 201-202 콘셉시온 134 찰코 호 32-33 콜론 169 치아파스 62, 144, 152-153 콜롬비아 19, 21, 24, 38, 54, 56, 치와와 주 127, 149 61-62, 77, 109, 120, 122, 128- 침보테 129, 197 129, 154, 168-169, 185-186, 치첸-이차 34-35, 152 189, 190-193, 200, 211, 215 칠레 19, 21, 24, 38, 56, 61, 64- 쿠라사오 141, 174, 187 69, 71-73, 77, 97, 112-113, 쿠리티바 133, 207, 218 120, 122, 134, 201-202, 215, 쿠바 21, 23, 54, 63-65, 67-68 , 227, 234-236 82, 86, 88-89, 97, 108, 114- 칠로에 섭 236 115, 141, 144, 157, 171, 173- 176, 178 = 쿠스코 29, 38, 40, 45, 51-53, 130 카나리아 섬, 카나리아 제도 42, 쿠에르나바카 153 85 쿨리아칸 154 카리카스 129, 186 퀘벡 46 카르타헤나 54, 129, 189, 191 키토 29, 51-53, 129, 193

킹스턴 128 파라이바 강 210- 2 11, 217 파라이바 주 218, 220 드 파라 주 223 두티티티트두톨툴타둥테데담테바티후리에쿠노룸베구루바비시11아라랑카만니카스 시스코코치4, 나 다 카 티갈코코 3델14 틀드 파1 42211- 호호9주021553푸 란,11,993 5 토 2 ,4에 171 85베2,321 11 고028525 11이9,12- 4,3 -9고114 3615 3332 ,- 322167,, 4253,, 5100 9, 포포포포포푸페페페팜파클토르텐르근파르타루르2572107722시랜투 탈드지남고 2,,3토8 ,, -드 알대 레프부니12519드269193섬 레자쿠1랭1아50,,,0 5 2프7 그, 스 9 ,22 69,71 랑레21 61251,2,3, 318 3-3 17스0,,11902 8 6,512,7 4 5 22 3538,,,2 223 ,1-, 000,2136 12 7117-8 81 5 2794,2-06 403 33 ,, 7 , 479 , 2,1 71-12859571,1 ,53 8 ,,- -2•1125 07311405489-,,,, 工 포토카테페툴 산 125 폰세카 만 164 파나마 15, 21, 23, 62, 89-90, 푸에블라 153 107, 128, 144, 154-156, 168- 푸에르토리코 23, 54, 63, 88, 169, 172 108, 114-115, 128, 144, 171- 파나마 시 50, 128, 155, 169 174, 176-178 파나마 지협 14, 44, 50, 155, 푸에르토폴라타 174 165, 168 프랑스령 기아나 19, 21, 24, 112, 파누코 강 34, 219 116, 215, 224, 225 파라과이 21, 24, 53, 61, 73, 90, 112, 118, 123, 134, 201, 215, 궁 219, 227, 230, 238-240 파라과이 강 53, 238-239 향료제도 43 파라나 강 53, 229, 238, 240 히스패니올라 48-50, 59, 63, 81, 파라나 주 117, 218 157, 171, 178

이전 서울대학교 사회대학 지리학과, 동 대학원 졸업 미국 조지아 주립대학 대학원 수학 미국 루이지애나 주립대학 박사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강사 역임 현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조교수 저서로는 The Hi st o r ic a l Geog r ap h y of Ri ce Cultu r e in the Ameri ca n South (서울대학교 미국학 연구소, 1991) 가 있으며, 논문으로는 「라틴아메리카 원주민과 원주민 문화, 그리고 그 문화유산」 외 다수가 있다. 라틴아메리카 지리 문화와 역사 그리고 정치 시사룰 중심으로 대우학술총서 • 인문사회과학 72 1 판 1 쇄 찍음 1994 년 3 월 15 일 1 판 1 쇄 펴냄 1994 년 3 월 25 일 지은이 이전 펴낸이 朴孟浩 펴낸곳 (주)民音社 출판등록 1991 . 12. 20 제 16-490 호 135-120 서울시 강남구 신사동 506 강남출판문화연구소 5 층 515-2000( 대표전화) 값 8,000 원 Prin t e d in Seoul, Korea ©이전, 1994 지리, 남아메리카지리 KDC 921 ISBN 89-374-3072-x 94980 ISBN 89-3 74-3000-2 (세트)

대우학술총서 (인문사회과학 ) 1 한국어의 계통 김방한 46 어원론 김방한 2 문학사회학 김현 47 조선의 서학사 강재언 3 商周史 윤내현 48 한국음악학 이강숙 4 인간의 지능 황정규 49. 中國言語學 문선규 5 中國 古代文學史 검학주 50 스포츠 심리학 6 日本의 萬葉集 김사엽 류정무 · 이강헌 7 現代意味論 이익환 51 原始儒敎 김승혜 8 베트남史 유인선 52 전쟁론 김홍철 9 印度哲學史 길희성 53 삼국시대의 漠字音 10 韓國의 風水思想 최창조 유창균 11 사회과학과 수학 이승훈 外 54 베르그송의 철학 김형효 12 重商主義 김광수 55 아날학파 김응종 13 方言學 이익섭 56 자유주의의 원리와 역사 노명식 14 構造主義 소두영 57 국민투표 구병삭 外 15 외교제도사 김홍철 58 한국서지학 천혜봉 16 아동심리학 최경숙 59 조선통신사 이원식 17 언어심리학 조명한 60 明末淸初思想 배영동 18 法社會學 양건 61 한국의場市 이재하홍순완19 海洋法 박준호 유병화 62 고려시대의 后妃 정용숙 20 韓國의 庭園 정동오 63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 21 현대도시론 강대기 김욱동 22 이슬람 사상사 김정위 64 韓國의 服飾美 김영자 23 동북아시아의 岩刻畵 황용훈 65 정신신경증 이현수 24 자연법사상 박은정 66 한국住居史 洪 亭 沃

25 洪大登」円星 -김 태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