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정무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 한양대학교대학원박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 논문 「성취동기가 운동수행에 미치는 효과」 외 저서 「 운통수행의 심리학적 연구」 외 다수 이 강헌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 · 박사 수료 한국체육과학연구원 스포츠 심리학실 선임연구원 논문 「빠른 동작에 있어서 시각 피드백의 역할」 외 저서 「최적 운통수행을 위한 심리적 컨디셔닝 」
스포츠심리학
스포츠심리학
책 머리에 스포츠란 제도화된 규칙에 의하여 지배되는 인간의 경쟁적 신체 활동으로 오늘날 인간의 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부분이 다 . 스포츠는 생활의 한 방편으로 즐기기도 하고 국가간 대결의 상 황이 벌어지기도 하는데, 스포츠 장면에서 심리학적인 문제가 자주 등장함을 볼 수 있다. 스포츠 심리학은 일반 섬리학을 운동장면이 나 운동선수에게 적용시켜 운동행동을 기술하고 방법의 원리와 기 술을 제공하려는 학문이다. 비교적 짧은 역사 속에서 체계화된 이 학문은 많은 행동 과학자들의 관심을 모으며 급격히 발전되고 있 다. 체육 및 스포츠 과학 분야에서 심리학을 모학문 A 로 하는 하위 분야는 운동제어 및 학습, 운동발달 그리고 협의의 스포츠 심리학 분야로 대별될 수 있다. 스포츠 심리학은 이러한 영역을 총괄하는 분야로 해석되기도 하며 운동 빛 스포츠 수행에 초점을 맞추는 협 의의 개념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 책은 스포츠 심리학 분야의 저서가 부족한 우리의 실정에 보 탬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운동발달 분야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 역을 개괄적으로 서술한 것이다. 따라서 스포츠 섬리학을 전공하고 자 하는 사람들의 업문서로서 관련 분야에 대한 문제를 포괄적으로 파악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6 개의 창으로 구분되어 있다. 제 1 장은 스포츠 심리학에 대한 서론 부분으로 스포츠 심리학의 개념과 연구 영역, 연구 현 황, 그리고 연구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제 2 장은 운동행동에 대한 생리학적인 기초를 다룬 부분으로 스포츠 창면에서 기능화된 동작을 통제하는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지각의 과정과 성질, 그리
고 운동잔효에 대하여 다루었다. 제 3 장은 운동제어 부분으로 정보 처리와 기억체계, 운동제어체계 그리고 운동 프로그램에 대하여 다 루었으며, 제 4 창은 운동학습 부분으로 운동학습의 본질, 과정, 운 동기능의 구조와 분류, 운동학습과 피드백 그리고 운동학습의 지도 방법에 대하여 다루었다. 제 5 창은 운동수행의 심리적 요인으로 운 동수행과 성격, 동기, 경쟁불안, 공격성, 주의집중에 대하여 다루 었고 마지막 i로 제 6 장은 운동수행의 사회 심리적 요인으로서 운 동집단, 집단 응집력, 사회적 촉진에 대하여 다루었다. 끝으로 이 책을 집필하게 하여 준 대우재단 관계자 여러분과 출 판에 수고를 해주신 민음사 편집진 여러분께 강사를 드린다. 그리 고 집필 과정에 많은 도움을 주신 서울대학교 정청희 교수와 양명 환, 성창훈 선생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이 책의 집필중에 세상을 떠나신 류정무 교수의 명복을 빈다. 1990 년 10 월 저자
l 차례 l 스포츠심리학
책 머리에 -- 7 제 1 장 서론 -- 11 1-1 스포츠심리학의 개념 • 11 1-2 스포츠심리학의 영역 • 15 1-3 스포츠심리학의 발전 • 20 1-4 스포츠심리학의 연구방법 • 24 제 2 장 운동행동의 생리적 기초 -- 29 2-1 운동지배의 신경생리 • 29 2-2 운동과 활성화 • 48 2-3 신체운동과 지각 • 52 제 3 장 운동제어 -- 67 3-1 정보처리와 기억체계 • 67 3-2 운동제어체계 • 89 3-3 운동프로그램 • 117 제 4 장 운동학습 -- 139 4-1 운동학습의 본질 • 139 4-2 운동학습의 과정 • 1604-3 운동기능의 구조와 분류 • 189
4-4 운동학습과 피드백 • 197 4-5 운동학습의 지도 • 209 제 5 장 운동수행의 심리적 요인 -- 223 5-1 운동수행과 성격 • 223 5-2 운동수행과 동기 • 250 5-3 운동수행과 경쟁불안 • 278 5-4 운동수행과 공격성 • 302 5-5 운동수행과 주의집중 • 318 제 6 장 운동수행의 사회심리적 요인 -- 335 6-1 운동집단 • 335 6-2 집단응집력 • 355 6-3 리더십 • 373 6-4 사회적 촉진 '397 참고문헌 --415 찾아보기 --451제 1 장 서론 1-1 스포츠심리학의 개념 〈스포츠심리학〉이란 무엇인가? 이 물음의 해답을 구하기 위해서 는 스포츠의 의미가 무엇인지, 그리고 섬리학이 무엇인지를 알아보 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즉, 스포츠심리학은 문자 그대로 심리학 이란 커다란 범주 속에 포함될 수 있는 하나의 하위 구성 분야임에 틀림이 없으며, 스포츠를 다루는 심리학으로 간주할 때 심리학에서 다루어지는 내용 영역을 초월할 수 없다. 따라서 스포츠의 의미와 심리학의 본질을 간단히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를 논하면서 스포츠 심리학의 개념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오늘날 우리의 일상 생활에서 흔히 통용되고 있고 현대인의 생활 에서 중요한 부분인 스포츠는 광범위하고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 기 때문에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러나 일반적 A 로 쓰여지는 스포츠는 역할과 기능을 강조하는 사회학척 관점에서 전 문화된 형태로서의 제도화된 게임을 말한다. 즉, 스포츠는 특수한 형태의 게임, 제도화된 게임, 사회척 제도 및 사회적 체제의 의미 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Loy , I98 I). 이때 게임 이란 어떤 형태이건 유회척인 경쟁으로서 그 결과가 신체적 기능 (skill) , 책략 (strat egy), 혹은 우연 또는 요행에 의해 결정되는 경쟁을 말하며, 제도 화란 경쟁 과정에서 정해진 규칙이나 규정올 의미한다. 따라서 이
를 요약하면 스포츠란 제도화된 규칙에 의해 지배되는 인간의 경쟁 척 신체 활동이라 할 수 있다 (Snyder & Spreitzer, 1 98 3 ). 이상에서 우리는 스포츠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심리학 이란 무엇인가? 심리학의 어원, 즉 영어의 psychology 는 그리스어 의 마음 또는 정신을 뭇하는 psyche 라는 단어와 연구라는 뭇을 가 진 logos 라는 단어가 결합되어 이루어졌다. 이러한 어원의 관점에 서 볼 때 심리학은 인간의 마음이나 정신을 연구하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짧은 역사를 통해 심리학은 여러가지 다른 방법으 로 정의되어 왔는데, 초기 심리학자들은 심리학을 〈정신활동에 대한 연구〉로 정의했으며, 금세기초 행동주의가 발달하고 객관적으로 측 정할 수 있는 현상만을 연구하려는 경향 때문에 심리학은 〈행동의 연구〉라고 다시 정의되었다. 그러나 인지심리학과 현상주의심리학의 발달로 이 주기는 다시 한바퀴를 돌아 현재 심리학의 정의는 행동 과 정신 과정 양자를 모두 포함한다. 즉 관찰 가능한 행동의 객관 척인 연구이며, 동시에 직접 관찰이 불가능하되 행동이나 생리적 자료를 통해 추론이 가능한 정신과정의 연구이다. 이렇게 심리학이 인간의 행동과 정신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이라면 스포츠심리학은 일반심리학을 운동창면이나 선수들에게 적용시켜 운동행동 (movement behavior) 을 기술하고 분류하여 일정한 법칙을 구하고 인간 행동을 예측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의 원리와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라 간단히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 의는 너무 포괄적이고 추상적이어서 본질과 내용 및 영역을 흐리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스포츠심리학의 정의는 학자들마다 약간씩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아울러 체육심리학이나 운동심리학, 및 코칭심리학 등이 상호 교환척으로 차용되고 있는 실정이라 푸렷 한 정의를 내리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상호 교환적 흔동 을 규명함은 좀더 명확한 스포츠심리학의 정의를 내리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스포츠심리학자들의 견해를 종합하여, 넓은 의미의 스포츠심리학과 좁은 의미의 스포츠심리학으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하겠다.
1-1-1 광의의 스포츠심리학 넓은 의미에서 스포츠심리학은 위에서 잠깐 언급한 바와 같이 일 반적인 심리학의 정의를 그대로 응용한 포괄척인 개념 A 로서의 스 포츠섬리학, 즉 스포츠 또는 스포츠와 관련된 맥락에서의 인간 행 동, 한마디로 〈스포츠 행통의 연구〉로 정의된다 (Lawther , 1972 ; Singer, 1 978 ; Tuko, 1979 ; Whitin g, 1972 ) . 이러한 관점에서 광의의 스포츠심리학의 연구 대상은 〈스포츠 행동〉인데, 이때의 스포츠 행 동은 운동 수행 (motor performance) 이나 스포츠 수행 (sport per- formance) 을 포함하며 운동 행동의 생성 기제, 운동 기능의 학습 과정 및 기제, 그리고 운동 행동의 발달 등을 포함하는 상위 개념 으로서 체육학의 대상이 되는 움직 임 행동 (movement behavior) 의 모든 변을 함축한다. 따라서 만약 스포츠심리학이 이러한 넓은 의
랬웬
미로 사용된다면 체육섬리학이란 말이 보다 척절한 용어야며, 사실 체육섬리학이란.말이 오용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체육심리학은 초기에 교육심리학의 원리나 법칙을 체육에 적용하 거나 웅용하거나 하는 방향으로 체계화가 시도되었기 때문에 교육 심리학의 한 분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교육심리학에서 다루고 있는 운동이 지척 교과의 학습 장면, 즉 교실과 같은 한정된 장소 의 소근 운동임에 비하여 체육은 체육관이나 운동장과 같은 개방된 창소나 통척인 장소에서의 대근 운동임에 따라 교육심리학의 원리 나 법칙이 그대로 척용될 수 없기 때문에 체육심리학의 원리나 법 칙이 그대로 적용될 수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체육심리학은 교육 심리학의 단순한 응용이 아닌 독자성을 가진다고 주창되고 었다. 반면 체육을 신체의 교육 또는 신체를 통한 교육으로 본다면 기본 척으로 교육심리학의 한 분야로 인식됩도 타당하다. 아무튼 체육심 리학은 운동의 심리학적 연구를 기초로 현장 체육의 방향이나 지도 방법의 제공 및 행동의 원리나 법칙을 명확하게 하고 설명하는 것 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독자성을 갖고 있다. 요약하면 넓은 의미의 스포츠심리학은 일반심리학이 포괄하는 모 든 측면을 스포츠 상황 및 그와 관련된 맥락에서 관찰 가능한 인간 행동의 모든 측면에 그대로 적용한 경우라고 생각할 수 있다. 1-1-2 협의의 스포츠심리학 앞에서 살펴본 광의의 스포츠심리학의 정의와는 대조적으로 좁은 의미의 스포츠심리학 정의에서는 스포츠심리학의 대상을 〈스포츠 행 동〉 대신 스포츠 행동의 한 측면인 〈스포츠 수행 또는 운동 수행〉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다 (CraUy , 198 3 ). 즉, 연구 대상을 〈운동 수행〉 (motor performance) 과 스포츠 수행 (sport performance) 에 국한시 키고 운동기능 (motor sk i11)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 사회 적 요인 및 그 과정을 규명하는 것을 목척으로 한다. 이러한 관점 에서 운동이나 유회, 스포츠, 체조, 댄스와 같은 광범위한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운동심리학〉과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협의의 스포
츠심리학의 대상을 경기 스포츠에 한정시키지 않고 넓게 산책이나 낚시 같은 것을 포함시킨다면 스포츠심리학과 운동심리학은 더욱 접근된 개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좁은 의미의 스포츠심 리 학에서는 운동제 어 (motor controI) 나 운동학습 (motor learning) , 그리고 운통발달 (motor development) 의 문제들은 그 대 상에서 제외된다. 지금까지 우리는 스포츠심리학의 개념을 규명하기 위해 스포츠의 의미와 일반심리학을 정의하였다. 이러한 스포츠심리학의 광의나 협의의 정의는 다음 장에서 스포츠심리학의 연구 영역을 논의함에 따라 더욱 분명해절 것이다. 1-2 스포츠심리학의 영역 스포츠심리학에서 다루는 내용의 영역은 스포츠심리학을 어떻게 정의하느냐, 즉 광의로 하느냐 혹은 협의로 하느냐에 따라 그 영역 이 많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먼저 광의의 관점에 서 스포츠심리학의 연구 영역을 제시한 북미스포츠심리학회 (North Ame rican Society for the Psychology of Sport and Physical Activ- ity) 의 분류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부차적으로 이론척 타당성이 있 는 몇 학자들의 견해를 제시한 다음, 앞에서 논한 바 있는 협의의 스포츠심리학의 정의에 근거한 내용 영역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림 1-2 스포츠심리학의 연구 영역
먼저 광의의 관점에서 NASPSPA는 스포츠심리학의 연구 영역을 운동학습 및 제어 (motor learning & controI) , 운동발달 (motor development) , 임 상스포츠심 리 학 (c1in ical sport psychology) 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 있다(그럽 1-2).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운동학습 및 운동제어 영역에서는 운동행통에 영향을 주는 요언 을 밝히기 위하여 인간이 운동을 하기 직전에 감각계통을 통하여 정보를 어떻게 받아들이며, 이 정보를 신경계통으로 어떻게 전달하 며, 또한 이 정보와 이미 자신의 경험을 통하여 장기저장(l ong tenn storage) 된 정보를 이용해 뇌 에서 어 떻게 운동계 획 (motor plan) 을 셜정하며, 이렇게 제어하여 일단 시행된 운동의 결과로부 터 얻은 피드백 정보 (feedback infonnation) 를 어떻게 이용하는가 를 분석한다. 또한 운통 수행 능력을 높이기 위한 동기유발 방법을 마련하며, 운동 기능 학습의 전이 (transfer) 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를 밝히는 등 운동학습 및 운동제어 과청을 분석하여 효울적언 운 동학습 방법과 최대기능의 발휘를 위한 전략을 모색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운동학습 분야는 인간 능력과 환경의 요구 사이의 상호작 용뿐만 아니라 학습과 기억의 과정에 초점을 맞추는 심리학, 생체 역학, 언어학, 인공두뇌학 등을 포함하며, 운동제어 분야는 인간과 동물 행동을 제어하는 반사작용과 의지적 메차니즘을 이해하기 위 하여 신경생리학, 신경심리학, 행동생리학 등의 개념과 연구방법을 포함한다. 운동 발달 영역에서는 운동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근력, 순발 력, 지구력, 유연성, 반응시간, 속도, 판단력, 공간지각력, 상태지 각력, 집중력 등)들의 성숙단계를 분석하고, 운동선수에 대한 유전 척 환경척 요인의 영향을 밝혀 선수 발굴 기준을 설정한다. 아울러 운동학습을 위한 최적연령과 최대기능을 발현할 수 있는 연령 등을 밝힐 수 있다. 간단하게 말해 이 분야는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냐는 운동행동의 변화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이러한 관점 에서 심리사회적, 신경심리학적, 생리학적 요인이 운동발달에 어떻 게 영향을 미치며 운동기능의 발달이 개체의 신경심리적, 생리적,
심리사회척 발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심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임상스포츠심리 영역에서는 운동기술을 사용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개인척 • 사회적 요인 즉, 성격 (personality) , 불안 (anxiety), 척성 (aptitude) , 동기 유발 (motivation) 과 같은 개 인 변 인과 경 쟁 (competition) , 강화 (reinforce) 응집 력 (cohesion) , 관중 (audience) 등과 같은 사회적 변언을 분석하여 선수가 경기에 임하 여 최대의 운동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최적 심리상태 유지를 위 한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임상스포츠심리학은 일반심리학의 성 격심리, 임상심리, 사회심리, 동기심리 등의 연구방법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우리는 최근 NASPSPA 의 스포츠심리학 분류를 살펴보 았다. 물론 이러한 분류는 현재까지의 스포츠 심리학적 관섬 영 역을 대변해 주고는 었으나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이러한 맥락 에서 이론적으로 타당성이 있는 몇몇 학자들의 견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Singer (1978) 는 스포츠심리학을 광의적으로 정의하면서 스포츠심 리학이 포괄하고 있는 영역을 (1) 발달적 (developme 띠 측면 (2) 임상
스포츠심리학
척, 성격척(벼피 c and personality) 측면 (3) 학습 빛 훈련의(l earning and t 때피 ng) 측면 (4) 사회적 (soàety) 측면 (5 )섬 리 측정 (psychometriα) 측 면으로 구환하고 었다(그림 1-3 ), 그립 1-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팡의의 스포츠심리학이 포괄할 수 있는 영역은 심리학의 분과만큼이나 광범위하고 다양하다. 즉, 일 반심리학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영역이 그대로 척용될 수 있음을 보 여주고 있다. 그러나 일반심리학이 포괄동}는 영역을 스포츠심리학 영역에 전척으로 척용시킬 수는 없으며, 스포츠에만 특수하게 유용 하고 척합한 영역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Wilberg(1973) 는 특별히 스포츠와 관련되는 심리적 내용 영역을 (1) 사회문화적 심 리 학 (sociocultural psychology), (2) 스포츠심 리 학, (3) 심 리 적 성 장 및 발달 (psychological growth and development), (4) 인간수행 (human performance) 의 분야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네 렐란드의 Free University 에서는 체육학과에서 제공되는 스포츠심리학 강화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영역을 제시하면서 스포 츠와 관련된 섬리학적 내용 영역을 (1) 심리학적 지식의 재타당화와 관련된 분야, (2) 아동과 청년에 관련된 심리학, (3) 스포츠와 유희 에 관련된 심리학, (4) 미학과 관련된 심리학, (5) 작업 상황과 관련 된 심리학의 5 가지를 분류 제안하고 있다 (Tyldesley & Whiting, 198 2) , 이러한 분류들은 모두 스포츠심리학에서 포괄적으로 다루어지는 연구 분야 또는 일반적인 내용 영역을 일반심리학적 관점에서 제시 해 주고 있다. 한편, 앞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스포츠심리학을 협의로 규정한다 면 그 구체척인 내용은 NASPSPA 의 분류에서 운동학습과 제어 영 역 및 운통발달 분야가 제외된, 주로 임상스포츠심리학의 내용으로 대표될 수 있으며, 좀더 일반심리학척 관점에서 본다면 사회심리학 척 내용 영역과 비슷할 것이다. 예를 들면 스포츠 상황(환경)에서 작용하는 수행자의 개언척 특성 (예 : 성격, 청서)과 사회척 환경 (예 : 코치, 동료, 상대선수)과의 상호작용에서 발생되는 심리척인 과청 (예 : 공격 성 (aggression) , 각성 (arousal) , 활성 (activation) ,
웅집 (cohesion) , 동기 (motivation) , 경 쟁 (competition) , 사회 척 촉 진 (social facilitation)) 등이 그 주요 내 용이 된다. 또한 이러한 협의의 스포츠심리학의 연구 영역은 학자들의 활동 과 목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Cratty (19 8 9) 는 스포츠 심 리 학을 (1) 임 상스포츠심 리학, (2) 교육스포츠심 리학 (educational sport psychology), (3) 실험스포츠심리학 (experi mental sport psychology) 의 세 영역으로 나누고 있다(그림 1-4).
임 --째-샘- 상 심심 ----섬리 -리리 ---학 학---학 - 까심리 학과 심리학의 영역k 교 -----생- +---- 육- 리-동 삼- ----섬 섬 -껴--리-리 - -- 학-----학학 -
1-3 스포츠심리학의 발전 스포츠심리학이 학문척 형태를 이룬 것은 운동심리학이 운동학습 으로 부터 떨어져 나오면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오늘날의 스포츠심 리학을 충분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심리학의 발생으로부터 운동 행동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진 역사적 전개에 관한 제시가 선행되어 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장은 먼저 스포츠심리학이 학문 척 형태를 이루기 전의 운동행동에 관한 연구를 섬리학의 역사적 측면에서 고찰한 다음 스포츠심리학의 발전과정을 z 차세계대전 전· 후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각국의 발전사를 예시한 후 최근의 동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실주의가 철학에 적용되던 시기인 19 세기 중엽 최초로 〈심리학 자〉라는 명칭이 나타나고 18 9 0 년에 William J ames 가 심리학을 〈정 신 생활의 과학〉이라고 정의하기 이전에, 그리이스나 로마의 문헌에 마음 (mind) 과 육체 (body) 의 관계나 사고, 지각 빛 의지의 본질에 관한 의문이 나타나 있음을 볼 때 〈정신 철학 (mental philosophy)) 이라는 용어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유 형의 〈정신 철학)은 16 세기에서 19 세기까지 철학이나 신학, 논리학 의 분야에서 확대되었다. 그후 미국과 유럽에 처음으로 심리학과가 생기고 19 세기 후반에 상관계수나 요인분석과 같은 통계적 혹은 측 정의 심리검사가 발달하면서 섬리학은 급속한 발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심리학의 역사 속에서 체육심리학과 관련된 초기 문헌의 내 용은 주로 이론적으로 체육교사들의 심리학에 관한 필요성이나 심 리학적 이론이 체육 또는 신체 활동에 응용됨으로써 얻어지는 이득 등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이와 비슷한 시기에 움직임을 검사하거나 운통 감각 (kinethesis) 및 반응시간에 관한 실험적 검증이 진행되고 있었는 데, Wundt( 18 75) 의 다양한 과제에 대한 단순 및 복잡 반응시간 연 구와 Galton( 188 5) 의 운동감각의 민감성 측정 및 Cattell (189 。 - 18 93) 의 감각 수용기 역치의 개인차 연구 같은 〈운동섬리〉는 스포
츠심리학 출현의 기초가 된다. 이렇게 스포츠성리학(광의척)의 역 사척 기원은 일찍이 1800 년대말과 19 00 년대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Browne & M 하lO ney , 1984; Schmidt, 1 98 2 ; Wiggins, 1 98 4 ). 한편, 운동 제어 및 학습과 발달 영역을 제외한 협의의 스포츠섬 리학의 기원은 사회심리학 분야의 효시라 할 수 있는 18 9 8 년의 No rman Triplett 의 관중 효과에 관한 연구이다. 즉, 흔자서 자천 거를 타는 조건과 혼자서 자전거를 타되 옆에 그 광경을 지켜보는 사람이 있거나 경쟁을 하는 조건 속에서의 운동 수행 결과를 비교 함으로써 관중의 존재로 인한 운동 수행 효과를 밝혔다 (Wi g.힘 ns , 198 4) • 그러나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스포츠심리학의 시작은 미국의 Coleman Griffith 가 19 2 5 년의 일리노이 대학에 설립한 스포츠섬리 학 실험실, 이와 같은 해 독일의 Carl Diem 에 의한 스포츠심리학 실험실 빛 소련의 A. Z. Puni 가 레닌그라드에 설립한 신체문화연구 소(I nstitute of physical culture) 이후라 할 수 있다 (Wiggins , 1984). 미국 〈스포츠심리학의 아버지〉라 불리고 있는 Griffith 는 19 2 5 년 일 리노이 대학에 스포츠심리학 실험실을 개설한 이후 194 0 년대까지 운동학습, 운동기능 및 성격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을 뿐만 아니 라 정신적 기민성 검사, 근육감각 검사, 반응속도 검사, 안정성 및 협응력 검사 등 많은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 Griffith 의 연구는 이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우수 선수와의 상당과 서신 교환을 통한 실질적인 응용 연구의 측면도 포괄하고 있으며, 그 결과 19 1 9 년부 터 1931 년까지 그가 발표한 논문만도 우려 25 변에 이른다. 아울러 Griffith는 자신의 축적된 지식을 토대로 19 26 년과 19 28 년에 각각 『코칭 심 리 학 (Psychology 01 Coachi η! g }j 과 『심 리 학과 운동경 기 (Psy- chology a ηd Athletics) J 란 두 권의 책을 연찬했다. 이러한 Griffith 의 엽적은 실로 위대하였으나 불행하게도 그의 전통은 이어지지 못 하였다. 즉 193 0 년대 펜실바니아 주립대학의 John Lawther 와 위스 컨신 대 학의 Clarence Ragsdale 이 각각 운동 학습 실험실을 설립할 때까지 활동이 활발하지 못하였다. Ragsdale 은 193 0 년에 r 운동학습 의 심리학 (The Psychology 01 Motor Learning) J 이라는 책을 편찬
했으며, 또한 이 시기 스탠포드 대학의 일반심리학과 학생들은 스 포츠심리학을 체계척으로 연구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193 。 년에 Research Qua rterly 가 편찬되면서 McCloy 의 성격연구가 처음 게재되었으며 193 6 년에 이 연구의 추후 연구가 발표된 후 z 차세계 대전 전까지 거의 연구 활동이 없었다. 한편 유럽에서는 이 시기에 게스탈트 학파의 학습이론에 기초한 스포츠와 신체활동에 관한 여 러 저서들이 나타나는데 이 중 Otto Klemm(1930) 의 Moto 서 sks 는 현 대 최초의 운동학습 저서로 보인다. 그 이후 z 차대전이 시작되고 이 시기 동안 스포츠심리학 분야의 관심은 군인이나 공장 노통자, 비행기 조종사 및 스파이들에게 필 요한 지각운동 능력이나 신체적성 빛 기능에 모아졌다. z 차대전 이후 유럽과 미국 빛 아시아에서 운동학습과 스포츠심리 학 분야에 새로운 관심이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이 시기 다른 학문 영역의 학자들도 스포츠심리학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였고, 중국 에서는 소련의 영향을 받아 최초의 스포츠심리학 저서가 출판되었 다. 아울러 195 0 년대에는 운동학습과 스포츠심리학(협의의) 사이에 분리가 일어나며 (Lawther, 1 951), 스포츠 활통시에 일어나는 스트 레스에 관한 연구가 시작된 시기이기도 하다. 그 이후 스포츠심리학 발전의 전환점이자 획기적인 계기가 된 것 은 19 6 5 년 이태리의 Ferruccio An tonelli 의 주도로 개최된 제 I 차 국 제 스포츠심 리 학 총회 (International Congress of Sport Psychol- ogy) 였다. 이 총회는 국제 교류 및 정보 교환을 촉진시켰£며 4 년 마다 총회를 개최하여 각국에서 스포츠심리학회를 결성하게 한 주 요한 동언이 되었다 (Browne & M 하lO ny , 198 4). 이와 아울러 197 。 년 에 는 (국제 스포츠심 리 학회 지 (Inte rnational Journal 01 Sport Psychology) )가 창간되었고 연이어 많은 개인 저서와 전문 잡지가 출판되었다. 예를 들어, 19 6 4 년 Cratty 의 Moveme η t Behavior a ηd Motor Lear η ing, 19 6 7 년 Cratty의 Psychology a ηd Physical Activ- ψ19 68 년 Singer 의 Motor Lear η 쩌: g a η d H.μ man Pe 껴 η w, η ce 등의 저서와 19 6 9 년 Schmidt 가 창간한 Jo μ rnal 01 Motor Behavior 및 197 2 년 영국의 Whi ting 이 창간한 Jo μ rnal 01 Human Movement
Stμ; dies 와 같은 학술지는 스포츠심리학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 였다. 한편, 국제 스포츠심리학회의 결성을 계기로 미국 및 캐나다의 학자들은 19 68 년 〈북미 스포츠 및 신체활동 심리학회 (North Ame rican Society for the Psychology of Sport and Physical Activ-ity : NASPSPA)) 를 창설하였으며, Wilberg는 19 6 9 년에 〈캐냐다 심 리 운동학습 및 스포츠심 리 학회 (Canadian Society for Psychomotor Learning and Sport Psychology : CSPLSP)) 를 만들였다. 차후 이 두 단체는 각각 각종 체육관계 국제학회와 연계 아래 심포지엄과 모임을 갖고 스포츠심리학과 관련된 논문 발표와 논문집 출판을 통 하여 스포츠심리학이 독립 학문 분야로서 기틀을 마련하는 동시에 스포츠심리학 발전의 획기적인 계기를 마련하였다. 197 0 년대 이후 스포츠섬리학의 이론과 실제는 철적£로나 양적으 로 모두 급증하였으며 저서 또한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이 출간되 었다. 아울러 스포츠심리학의 교육과정은 체육 지도자들의 교육을 위한 운동학습 과정으로부터 떨어져나와 독창적인 교육과정으로 자 리를 잡게 되며, 스포츠 사회심리와 같은 독렵적 하위 영역들도 이 시기에 나타났다 (11artens , 1975). 이 시기에 출판된 유명저서와 전 문 잡지를 보면 1974 년 Alderman 의 Psychological Behavior in Sport, 197 2 년 Singer 의 Coaching Athletics and Psychology, 1975 년 11artens 의 Social Psychology a ηd Physical Activity, 1973 년 Cratty 의 Psychol o.밍 / 쩌 Co η te1η porary Sport, I978 년 Strab 가 편 집 한 Sport P;양 'c hology : A η Aη alysis 01 Athlete Behavior, 19 8 。년 Car- ron 의 Social Psychology 01 Sport 등의 저서와 19 82 년 Whi ting 이 창간한 Hμ ma η Moveme η tSα ~ e η ce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활성화 시기를 거쳐 19 8 。년대에 들어오면서 스포츠심리학 은 국제척 교류와 학문척 협력이 강화되었으며, 미국에서는 교육적 스포츠심리학 중심에서 탈피하여 응용척 문제에 초정을 두게 되고, 이러한 관점에서 응용척 문제에 초점을 둔 The Sport 퍼 'chologist 라는 새로운 잡지가 출판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 스포츠심리학계에 서는 스포츠 행동에 관한 이론척 연구뿐만 아니라 선수 선발, 훈련 및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실질적 응용 연구 등을 광범위하게 다루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197 。년 한국 체육학회 산하에 스포츠심리 분과 위원회가 구성되고 얘 89 년에 한국 스포츠심리학회가 창립되었으며 각 대학 체육과에 스포츠심리학 천공이 개설되어 활발한 활동을 해오고 있으나 아직은 선진 외국에 비하여 양적이나 질적으로 미홉한 실정이다. 1-4 스포츠심리학의 연구방법 지금까지 우리는 스포츠심리학이 무엇이며, 스포츠심리학이 다루 는 내용 영역에는 어떤 것이 포함되는지, 그리고 이러한 스포츠심 리학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우 리는 스포츠심리학이 운동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나 기제를 과학적 방법을 통하여 검증하고 구명하는 학문임을 밝혔다. 그렇다 면 이때 과학적인 방법이란 무엇인가? 즉, 스포츠심리학에서의 지 식을 어떻게 얻을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어떤 한 학문의 발전은 반드시 연구 방법의 발달을 통하여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 다. 망원경의 발달로 말미암아 천문학이 급속한 발전을 이루게 되 었고 현미경의 발달로 미생물학과 의학의 여러 분야는 눈부신 발전 을 보게 되었으며, 지능검사의 발달과 심리 실험법의 발달은 교육 학과 심리학의 새로운 발달을 촉진시켰다. 일반적 A 로 각 학문 분야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는 문제에 대한 해답은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예를 들어, 스포츠심리학 의 한 연구 문제인 불안 (anxiety) 이 운동수행에 영향을 미치는가, 만약 그렇다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질문에 해탑을 구한다고 하자.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은 쉽게 권위있는 학자의 말을 벌어 〈불 안은 운동수행에 영향을 주며, 그 이유는 사람이 불안하게 되면 신 체 각 부위의 협응이 잘 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라고 한다면 이는 권위에 의한 지식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같은 해답 을 〈내가 불안할 때 운동을 해보니까 잘되지 않더라〉는 식으로 제시 한다면 이는 직관적 방법에 의한 문제 해결이라 할 수 있다. 그러
나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얻어진 답들은 진정한 해답이 될 수도 있 지만, 일반적으로 객관성 있고 타당성이 있£며 신뢰성이 있는 답 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관점에서 과학적 방법은 연구 대상을 기술하고 셜명하며 예언하고 통제하는 데 가장 타당한 방법이다. 스포츠심리학에서의 문제에 대한 해답도 타당성 있고 신뢰받기 위해서는 이렇게 과학적 인 방법에 의해 얻어져야 한다. 과학적 방법은 객관성을 창조한다. 객관성은 똑같은 조건에서는 누구나 똑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같은 절차를 따랐음에도 불구하고 결과가 서로 다르다면 그 결과는 객관성이 없기 때문에 과학적인 방법이라 할 수 없다. 또한 과학적인 방법은 한번에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절대척이고 보 편 타당한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다. 즉, 과학은 연구된 것에 대해서만 해답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얻어진 사실의 적용 범위나 제한을 명료하게 제시해 주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연구 대상에 대한 부정확한 기술이냐 확대 해석에서 생기는 오류에서 벗 어나 정확한 사실에 대한 지식을 얻으려는 데서 과학적 방법이 도 업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류학, 사회학, 정치학, 심리학을 포함 하는 행동과학들은 모두 몇 가지 종류의 같은 연구 방법을 사용한다. 스포츠 장면에서 인간의 사고, 감정, 행동에 대한 여러가지 운제의 해 답을 찾기 위하여 일반적() : . 료 다띔-과 같은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1 실험 법 (Experimentation) 스포츠심리학의 실험연구는 과학적 방법의 원칙에 따라 연구 문 제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실험에 의해서 그 가설을 입증하는 절 차를 밟는다. 이때 가셜은 여러 원천에서 얻어질 수 있는데 , 인간 에 관한 이론적 견해로부터 나올 수도 있으며, 상식이나 일상적 관 찰을 통해 얻어질 수도 있다. 가셜은 연구하고자 하는 문제에 대한 진술로서 보통 독렵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로써 진술된다. 가령 경 쟁불안 (competition anxiety) 이 운동수행을 감소시킨다는 주장을 검증한다고 하자. 이때 경쟁불안이 운동수행 감소의 전제조건이 되 며, 운동수행의 감소는 경챙불안의 결과이다. 여기에서 전제조건을
독럽변인이라 하며 전제조건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결과를 종속변 인이라 한다. 스포츠심리학 연구에서 종속변인은 보통 피험자의 반 응이 된다. 이렇게 독립변인과 종속변언이 결정되면, 전자를 체계적으로 변 화시켜 그 변화에 따르는 후자의 변화를 관찰하여 두 변인 사이의 관계를 입증하는 것이 실험이다. 실험법은 모든 조건을 일정하게 하고 독립변인만을 체계척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그것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만일 여러 개의 독럽변인이 한꺼 번에 작용한다면 어떤 변인이 종속변인에 영향을 주었는지 확인하 기가 어렵다. 따라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에 대하여 결론을 내릴 수가 없게 된다. 이렇게 실험법은 모든 조건을 일정하게 해야 하므로 고도의 통제가 필요하다. 따라서 스포츠심리학 실험에서는 잘 갖추어진 실험실과 정밀한 도구들이 요구된다. 그러나 연구의 가치가 사용된 시설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구 목적에 따라 종이와 연필의 방법만 가지고도 좋은 실험을 할 수 있다. 2 관찰법 ( Observation) 스포츠심리학의 대-^J-틀 중에는 통제된 실험실에서 연구할 수 없 는 것들이 있다. 운동선수 집단의 조직이나 행동을 알기 위해서는 그들의 합숙 장소나 운동 현장에서 관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이같은 자연적 관찰연구는 엄격한 실험연구보다 그들의 사회조직이나 행동에 대하여 더 많은 것을 제공해 줄 수 있다. 관찰법은 심리현상의 인위적 조작을 하지 않고 자연상태에서 연 구하는 것£로 과학의 초기 단계에서 연구의 문제를 잡기 위해 연 구자들이 먼저 주어진 현상을 있는 그대로 관찰, 기록하는 방법이 다. 현상에 대한 세심한 관찰은 학문의 출발점이 되기 때문에 이 관찰로부터 과학적인 질문, 즉 가설이 형성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관찰법은 실험에 앞서 가설을 설청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즉, 현상의 기저에 있는 변인들을 추출하는 방법이 관찰법이라면 그렇 게 얻어진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실험법이다. 스포츠심리학에서 종속변인인 심리과정이나 운동행동이 조작적으
로 측정되기 어려울 경우에 훈련된 관찰자에 의해서 그 행동을 관 찰하는 것이 보다 사실을 정확하게 기술할 수 있기 때문에 관찰법 이 유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관찰자의 의도가 개업될 위험에 향상 노출되어 있다. 즉, 심리현상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기 보다는 편파적이고 선택척으로 될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관찰의 기록에서 사실의 기록보다는 해석이 될 위험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 다. 따라서 관찰자들은 관찰 기록을 작성할 때 자신의 의도나 편견을 투사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사실대로 기록하는 훈련을 받아야 한다. 3 조사 및 검 사법 (Survey & Test) 스포츠심리학에서 불안이나 공격성과 같은 인간 내면의 의식상태 나 섬리과정은 직접관찰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심리학에서는 일찍 부터 인간의 정신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여러가지 도구가 개발되었 는데, 이러한 도구는 질문지와 심리검사로 나누어질 수 있다. 질문지는 일반적드로 대중의 정치적 의견, 여러 인종이나 . 집단에 대한 편견, 사회현상이나 타언에 대한 태도 등 많은 주제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조사법은 세심하게 제작 된 질문지, 조사법에 대하여 훈련받은 피험자, 연구할 집단을 대표 할 수 있는 응답자의 표집, 자료의 적절한 분석기법 등이 갖추어질 때 그 결과를 신뢰할 수 있게 된다. 검사법은 조사법과는 달리 보 다 청밀한 측정이 요구되는 장변에서 사용된다. 심리검사는 스포츠 심리학의 중요한 연구 도구로서 선수 및 개인의 지능, 척성, 흥미, 태도, 및 성격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검사는 복잡한 실험실 장비가 없어도 간변하게 개인을 이해할 수 있다는 이점에 따라 연구 목척 이외에도 학생을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는 학교 에서도 널리 이용된다. 그러나 검사지의 제작과 사용은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검사지의 제작은 검사 문향을 만들고 척도화하며, 규준을 수집하는 많은 단 계를 거쳐야 한다. 또 그렇게 만들어진 검사라 하더라도 검사가 갖 추어야 할 신뢰도, 타당도, 객관도 등에 따라 검사 결과를 해석하 고 사용할 때 제약을 갖는다 이는 모든 검사가 다 개인에게 대하
여 정확한 정보를 줄 수 없음을 의미한다. 한 가지 좋은 예로 스포 츠심리학에서 판심사인 선수의 성취동기는 주제통각검사 (T. A. T) 라는 그렴을 보여주고 이야기를 쓰게 하는 투사척 방법을 가지고 측정한다. 그런데 이 방법을 통해 측정되는 성취동기는 남성에게만 척용되며, 여성에게는 타당하지 않다. 4 임 상 및 사례 법 (Clinical & Case study) 임상법은 척웅문제나 행동장애가 있는 개인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주로 쓰이는 관찰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개인의 개별성을 인 정하고 개인을 그 자체로서 전체적으로 이해하려 한다. 임상법은 모든 사람에게 척용되는 보면적이고 규범적인 법칙이나 원리를 추 구하는 과학적 방법의 논리를 지양하고 개인이 당연하고 있는 문제 의 개별성과 특유성을 그 자체로서 인정하고 이를 탐구한다. 현재 미국이나 기타 스포츠 선진국에서는 선수들의 문제 해결을 위하여 이 방법이 활발하게 척용되고 있다. 임상법에서는 개인을 이해하기 위하여 주로 면접을 이용, 상대방의 과거 경험을 알아내어 그가 현 재 당면하고 있는 문제의 근원을 찾아내려 한다. 이러한 연접은 우 발적으로 이루어져 아무렇게나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면접자가 분 명한 목표를 갖고 상대방의 문제를 체계적으로 관찰한다. 이때 앞 에서 제시한 과학적 방법들은 실험도구나 검사를 가지고 개인을 이 해하려 하지만 엄상법에서는 연구자가 스스로 도구가 되어 자신의 풍부한 경험을 통하여 상대방을 관찰한다. 임상법에서 자료수집을 위하여 사용하는 또 하나의 방법은 사례 사라고 부르는 일종의 과학적 전기이다. 즉, 개별적 사례를 역사적 으로 분석함으로써 개언을 이해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러한 회고 적인 방법은 개인의 기억을 토대로 하기 때문에 진실을 왜곡시키거 나 누락시킬 위험이 크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직접적인 관찰을 통해 개인이나 집단을 주기적인 간격으 로 측정하여 오랜 기간 그를 추적하는 종단적 연구가 사용된다. 대체로 엄상법은 관찰이 엄밀하게 통제되지 않기 때문에 과학적 인 접근이라고 보기에는 미홉한 섬(, I 있다.
제 2 장 운동행동의 생리적 기초 2-1 운동지배의 신경생리 과학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신체운동이나 심리과정의 - 기초가 뇌와 같은 신경계의 지배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되어 있다는 데 별 다른 의심을 갖지 않는다. 즉, 어떠한 신체운동도 신경계의 작용 없이는 원활히 수행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동작조차도 할 수 없 다. 모든 동작과 행동의 에너지는 근활동에 의해서 생성되며, 이 근활동이 개시되려면 신경계를 통하여 근에 충격 (irnp 띠 se) 이 전달 되어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비로소 신체운동이 개시 된다. 그러나 이 단계는 아직 움직임을 위한 기본적인 메카니즘이며 〈잘 움직인다〉 또는 〈합리적으로 움직인다〉라고 하기에는 더욱 복잡한 신경계의 통제가 필요하다. 즉, 스포츠에서 교묘하고 강력하며 재 빠른, 기능화된 통작이 훌륭히 발현되는 것은 신경계의 복잡하고 교묘한 통제작용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운동을 지배 하는 신경생리의 기초적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2-1-1 뉴런의 구조와 기능 인간 행동의 원언을 가장 미세한 수준에서 찾으려면, 신경계 특
핵
히 뉴련과 그들간 의 관계를 찰펴보 아야한다. 신경계는 수많 은 신경의 집합체 인데, 이를 구성 하는 가장 기본척 인 신경세포 단위 를 뉴런 (neuron) 이라고 하며, 뉴 련의 활동을 신경 충격 (nerve impul- se), 또는 신경흥 분 (nerve excite- ment) 이라 부른 다. 이것이 신경 활동의 가장 기본 단위이다.
뉴런은 그럽 2-1 과 같이 수상돌기 (dendrite) , 축색돌기 (axon), 그리고 세포체 (cell body) 로 구성되어 있다. 개개의 뉴런은 신경계에서 그 위치와 기능 에 따라 모양이 다르나 구성면에서는 모두 같다. 구체적으로, 수상돌기는 여러 가닥으로 뻗어나가는 잔가지들로 구성되며, 이 잔가지는 마치 작은 선인장 가시와 같은 돌기들이 돋 아나 있는데 이 가시틀을 수상가시 (dendrite spine) 2} 하며 , 이곳은 언접 세포와 정보소통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축색돌기는 수상톨기 에 비해 길이가 더 길며 돌기의 끝부분에는 삼지창처럼 뻗어난 몇 가닥의 가지가 있는데 이를 축색종말 (axon terminal) 이 라 한다. 이 콧에서 타세포나 근육 또는 내분비선과 같은 콧에 신경충격을 전달 한다. 이상의 두 돌기는 모두 세포막이 변형된 특수 형태로서 뉴런 만이 갖는 특색이다. 세포체는 중앙에 핵 (nucleus) 이 있는데 이콧
은 유전정보를 갖고 있고 세포의 대사기능을 조철하는 핵산이라는 물질을 갖고 있다. 그리고 핵을 제외한 세포체 부위를 세포질 (cytoplasm) 이라 하는데, 이콧에서는 에너지대사, 즉 효소냐 단백 질의 합성, 특히 뉴런의 경우 신경전달물질 (neurotransmitter) 을 생산한다. 한 뉴런의 축색종말과 다른 뉴런의 세포체 막 사이에는 좁은 틈 이 있는데 이 틈을 시냄스 (synapse) 라 부르며, 한 뉴런에서 일어난 신경충격이 다른 뉴런으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이 시냄스를 넘어가 야 한다. 2-1-2 정보의 전달 신경계가 지니는 가장 특정적인 역할은 정보를 전달하는 일이다. 신경에 어떠한 자극이 주어지면 자극부위에 흥분이 일어난다. 흥분 이란 사실상 신경의 활동전위 (action potentia I)로서 받아들여지며, 활동전위는 보통 순간적으로 일어난다는 점에서 신경충격이라 한 다. 이러한 신경에서 일어나는 흥분이 한 가닥의 신경섬유로 이동 하는 것을 전도 (conduction) 라고 하며 세포간의 이동을 전달 (t ransmission) 이 라고 한다. 1 단일 뉴런의 활동 신경계의 정보전달 활동이 어떻게 얼어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는 먼저 단일 뉴런의 전기적 활동을 이해하지 않으면 안된다. 세포 가 안청상태에 있을때 세포막 속에 지름이 I 마이크론 정도의 미세 한 전극 하나를 삽업하고 다른 하나의 미세전극을 세포막 표면에 얹어두면 이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전압차가 나타나는데, 이런 전 압차를 안정전압 (resting potentia I)이라 한다. 이것은 세포막을 사 이에 두고 막 내외에 전기적£로 서로 다른 이온들이 대립하고 있 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막의 분극화 (polarization) 라고 한다. 이러한 분극화가 일어나는 것은 세포막이 체액 속에 있는 여러 종류의 이온들 가운데 어떤 특수한 이온, 예컨대 K+ 이온은 통과시
키고, Na+ 이온은 통과시키지 않는 , 반투과성 (semipermeable) 때 문에 생긴다. 이로 언해 막 내부에는 막 외부에 비해 +이온이 부 족한 상태가 생기는데 실제로 막 내부엔 -이온인 단백질 이온이 많 고 막 외부엔 Na+ 이온이 많다. 안정상태의 막에 자극을 가하면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전압이 변 화된다. 만약 가해지는 자극이 너무 미약하면 일시척으로 전압 하 강만 보일뿐 더 이상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자극의 강 도를 서서히 증가시키면 안정전압이 계속 떨어지다가 어느 순간 갑 자기 막 내면이 +4 o mv 의 전압 변통을 보여주게 된다. 이런 현상 이 일어나는 것을 탈분극화 (dep 이 arization) 라 하고, 이런 탈분극이 얼어 냐도록 한 자극 강도를 역치자극 (threshold stimuli ) 이 라 한다. 이런 탈분극화를 보이는 순간은 Imsec 미만으로 극히 짧게 일어났 다가 곧 소멸되고 만다. 이러한 전기적 변화를 활동전위라 하며 다 른 말로 신경충격 또는 홍분발사라고 한다. 만약 자극의 강도가 역치 수준에 이르혔거나 이를 능가했을 때 단일 뉴련이 보이는 반응의 크기는 자극의 강도에 의해 영향을 받 지 않는데, 자극이 역치 이상에 이르는 경우 자극강도가 증가되어 도 단일 뉴련의 활동전압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더 커지지 않고, 일 정한 크기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런 현상을 뉴런 자극의 실무율 법 칙 (all~or-none principle) 이 라 한다. 2 시냄스 전달 시냄스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야 한 뉴런과 다른 뉴런이 연결 되는 매우 작은 부위를 가리킨다. 시냄스는 한 뉴런의 축색종말부에 있는 시냄스 꼭지 속의 시냄스 주머니 (synaptic vesicle), 다른 뉴런과의 공간, 즉 시낼스 틈 (synaptic cleft) , 그리고 시냄스 틈을 건너 있는 시냄스후 뉴런의 수용기 부위 (receptor site) 로 구성되어 있다(그럽 2- 2). 시냄스 전달방식은 척추동물의 경우 대부분은 신경전달물절이라 풀리는 특수한 화학척 물질의 분비에 의한 화학척 전달 (chemical transmission) 이 기본 방식 이 다.
또한 그렴 2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경과 근의 연정부도 일종의 시냄스인데, 특히 신경근 연접부 (neuromuscular junction) 라고 하 며 , 신경 말단부를 운동종판 (motor endplate) 이 라고 한다. 한 가닥의 신경섬유는 말단에 가까워질수록 수없이 갈라져 그것 이 각 운통종판을 통하여 근섬유에 접속되어 있다. 신경충격이 신 경섬유에 전해지면, 그 지배하에 있는 수많은 근섬유는 거의 동시 에 수축한다. 이와 같이 한 가닥의 신경섬유와 그 지배하에. 있는 근섬유는 기능적인 단위가 되어 있다는 점에서 운동단위 (motor unit) 라고 한다. 또한 한 가닥의 신경섬유와 그 지배하에 있는 근섬 유의 비를 신경지배비 (inn ervation rati 이라고 하며, 안구나 손가락 칼은 정교한 작용을 하는 부위일수록 지배비가 작다 (1 : 120-16 5>.
A B
화학적 전달의 경우, 시냉스 주머니 속에는 신경전달물질이란 것 이 함유되어 있으며, 뉴런이 흥분되어 축색을 따라 전기척 흥분이 이 주머니 부위에 와 닿으면 시냄스 틈에 있는 Ca++ 이온의 유업이 얼어나고 잇달아 이통되어 주머니 속의 물질을 시캡스 틈에 분비하 게 된다. 이 물질플은 시냄스 틈을 지나 건너편에 있는 뉴런의 수 용기 막에 작용하여 이 막의 막전위를 바뀌게 한다. 신경전달물질이 시법스후 뉴런의 수용기 분자와 결합하는 형태에 따라 시냉스후 뉴련은 흥분되거나 억제되는데, 이 수용기 분자는 특수한 단백질 분자로 되어 있어서 특정 전달물질과 친화성을 가지 므로 시냄스후 뉴련의 세포막 여닫이 작용을 하게 된다. 예컨대, 아세틸콜린 (acetylcoline) 이 Na++ 와 K+ 의 막 투과성을 높여주면 탈 분극이 일어나 홍분이 일어나지만, Cl-이 온의 막 투과성을 높여주 면 오히려 과분극이 일어나 흥분이 억제된다. 전자의 경우를 흥분 성 시법스후 전위 (excitatory postsynaptic potential : EPSP) 라 하 고, 후자의 경우를 억제성 시 냄스후 전위 (inhibitory postsynaptic potential: IPSP) 라고 한다. 따라서 시냄스후 뉴런의 막이 어떤 이 온에 대해 투과성이 높은가의 여부에 따라 같은 전달물질이라 하더 라도 EPSP 를 발생시키기도 하고 IPSP 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2-1-3 신경계의 구조 모든 뉴런들이 구조면에서 같은 특정을 가지고 있지만, 그들이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크기나 모양이 다르다. 환경 또는 신체 내부 에서 일어나는 일에 관한 정보를 뇌나 척수로 전달하는 뉴런을 구 성성 뉴런 (afferent neuron) 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바늘에 쩔렸을 때 뇌에 그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는 뉴런이다. 구심성 뉴련은 감각 기관, 피부, 근육 등에 있는 특수한 세포언 수용기 (receptor) 로부 터 정보를 받아들인다. 수용기는 환경이나 신체내의 변화를 탐지하 며, 그에 관한 내용을 구심성 신경을 통해 뇌나 척수로 전달될 수 있는 메시지로 만든다. 이와 대조적으로 원섬성 뉴련 (efferent neuron) 은 뇌나 척수로부
신피철
터의 메시지를 운동기관이나 내장기관을 통제하는 근육 A 로 전달한 다. 예를 들어 심장근육이나 손가락의 근육은 원심성 뉴련에 의해 그운동이 통제된다. 이러한 구섬성 뉴련과 원심성 뉴런의 축색돌기로 구성된 신경계 는 중추와 말초로 나누어지는데, 중추신경계 (central nervous system : CNS) 는 뇌와 척수로 이루어지며 말초신경계 (peripheral nervous system : PNS) 는 뇌와 척수로 정보를 전달하는 감각신경 과 뇌와 척수로 정보를 전달Õ}는 운동신경의 접합이다(그림 2-3) , 1 말초신경계 말초신 경 계 는 다시 체 성 계 (somatic division) 와 자율계 (auto-
nomic division) 로 나건다. 체성계는 피부, 골격근, 감각수용기들을 뇌와 척수로 연결시키는 신경이며, 자융신경계는 소화기나 성장의 벽을 이루는 형활근에 연결되는 신경 등을 포함한다. 자융신경계 (autonomic nervous system : ANS) 는 심장, 혈관, 소 화기, 성기 등과 같은 기본 생명과정과 관련이 있는 많은 장기의 조건을 지배한다. 자융이란 말은 이 신경계가 중추신경계의 기능인 의식 이나 의지척 작용과 같은 수의적 (voluntary) 기능과는 관련없 이 신경계 스스로 작용한다는 뭇에서 나온 것이다. 따라서 이 신경 계의 특정은 불수의적 (involuntary) 인 데 있다. 자율신경계는 기능 에 따라 다시 교감신경 계 (sympathetic nervous system) 와 부교감신 경 계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로 나누 어 진 다 (그 림 :Z- 4) • 교감신경계는 신경섬유의 말단이 척수의 중간 부분에서 시작한다. 일단 척수 밖으후 나오면 교감신경의 세포체가 여러 개 모여 하나 의 사슬을 이루고 있는 교감신경절 사슬 (sympathetic ganglion. chain) 에서 시냄스를 갖는다. 사람의 경우 :z:z개의 신경절이 모여 사슬을 이루는데 이 사슬을 통하여 복잡한 연결이 이루어진 후 각 종 내장기로 시냄스후 축색을 보낸다. 교감신경계는 유기체가 어떤 위기에 직면하고 있을 때 주로 작용하는데, 이 신경계의 지배를 받 는 신체 부위들은 전체적으로 통시에 작용하는 특색이 있다. 따라 서 정서적으로 흥분한 상태일 때, 성장의 박동이 증가하고 혈압이 상승하며, 호홉이 거철어지고, 간이나 근육 속에 저장된 영양분의 활성작용이 왕성해지고, 부신피질의 에피네프린( epinephrine) 이란 호르몬 분비를 증가시켜 신진대사를 항진시키고, 소화기 계통에 대 한 혈액 공급을 줄이는 대신, 근육으로 혈액을 많이 내보내는 작용 들은 모두 교감신경계의 작용에 따라 일어나는 생리척언 변화이다. 부교감신경계의 신경섬유는 대뇌와 척수의 천수부( craniosacraI) 에서 시작한다. 이 신경계는 교감신경계에 의해 과다하게 사용된 에너지를 재공급해 주고, 신체를 유지하기 위한 각종 신진대사 활 동을 촉진시킨다. 그리하여 소화활동, 노폐물의 걸렴작용 등과 같 은 신체 유지작용을 주로 조청한다. 동맥 이완에 따른 혈압하강, 심장박동수의 감소, 위의 수축활동 증가에 따른 소화활동의 중가,
-교강 .--- --부교감
동공수축 등은 부교감신경계의 지배에 따른다. 이처렴 두 신경계는 서로 대항하는 작용, 즉 걸항작용 (antagonism) 을 보여준다. 예컨 대, 교감신경계가 소화작용을 억제하면, 부교감신경은 이를 촉진한 다. 2 중추신경계 중추신경계는 앞에서 잠깐 언급한 바와 같이 뇌 (brain) 와 척수 (spinal cord) 로 구성되어 었다. 척수는 단순히 뇌와 말초신경계를 잇는 신경경로일 뿐만 아니라, 수많은 반사의 중추 (reflex center)
시상 대뇌피질로 향하는 대뇌 운통, 학습, 기억,
가 있다. 뇌는 각기 특유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수많은 영역을 포 함하여 생명 유지에서부터 고도의 정신활동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기능의 중추를 이루고 있다. 특히 대뇌피질 (cerebral cortex) 에는 말초수용기에서 보내오는 정보를 받아들여 여러가지의 감각영역이 나 수의적으로 운동을 명령하는 운동영역 이외에 지각된 정보를 인 지하고 판단하여 기억하는 통합작용을 영위하는 영역이 있다(그렴 z 뇌는 세 개의 하부구조, 즉 후뇌 (hindbrain) , 중뇌 (midbrain) , 전뇌 (íorebrain) 로 나누어져 있다. 후뇌는 연수 (medulla) , 뇌교 (pons) 및 소뇌 (cerebellum) 로 분리되는데, 뇌교는 뇌신경의 출업 구 역할과 상이한 뇌 구조들 사이의 연결과 같은 신경연락의 교량 역할을 하며, 소뇌는 신체균형과 운동조정을 지배한다. 중뇌의 뒷 부분에는 상구체 (superior colliculus) 와 하구체 (inf erior colliculus) 와 같은 신경중추가 있어 시각과 청각의 중개 역할을 하며, 안쪽에
체성감각 투사영역
는 망상체 (reticular formation) 란 조직이 있다. 이 조직은 연수에 서부터 시작하여 야콧을 지나 전뇌의 시상까지 뻗쳐 있는데, 특히 중뇌 부분에 발달되어 있으며, 대뇌반구의 t활 동성 유지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즉, 이콧이 활동하면, 각성 상태가 이루어지고 이콧이 무활성 상태가 되면 수면이 일어난다. 전뇌는 다시 간뇌 (diencephalon) 와 종뇌 ( telencephalon) 로 나누 어진다. 간뇌에는 시상 (thalamus) 과 시상하부 (hypothalamus) 가 중 요 구조인데, 시상은 정보 전달의 가장 중요한 정거장 역할을 한 다. 즉, 눈, 귀 및 피부 등에서의 구심성 신경들이 이콧에 정보를 건네주면 여기서 다시 뇌피질로 전달한다. 시상하부는 매우 작은 구조이지만 기본적언 생물학척 충동, 예컨대 섭식, 물마시기, 성충
동, 체온조절 둥과 관련된 여러 행동들을 지배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종할뇌을는 한 다대.뇌 반구 (cerebral hemisphere) '* 부르기도 하는데 이콧 은 유기체의 행동 기능상 최고위 중추가 된다. 즉, 사고, 기억, 감 각, 지각, 운동과 같은 고등정신 과정들이 이콧에서 조절된다. 어 류와 같은 가창 원시적언 척추동풀은 이곳이 전혀 발달되어 있지 않지만 유인원이나 인간에게 이르면 놀랄만큼 크게 발달되어 있다. 2-1-4 반사에 의한 운동의 조정 반사는 각각 특유의 의미를 가지며, 스포츠 장면에서 〈훌륭한.수 행〉의 기반에는 여러가지의 반사가 관계되어 있다. 즉, 감각기→반 사중추→효과기의 신경회로를 통하여 훌륭한 조절 작용에 관여하고 있다. 운동에 직접 관계한 조절 또는 제어란 골격근의 근활동을 조 절하는 것이며, 또 그 결과로서 넓은 의미의 자세를 합리적으로 변 화시키는 것이다. 1 굴곡반사와신장반사 굴곡반사 (flexor reflex) 는 척수반사 가운데 가창 단순한 것 중의 하나이며 이는 고통과 같은 자극으로 부터 손발을 빼는 반사다. 그 렴 2í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척수후근에서 들어온 신경충격은 척수에 서 개재뉴런(i nterneuron) 을 거쳐 운동신경에 전해지지만 이때 개 재뉴련은 굴근측에는 촉진 (facilitation) 의 효과를, 신근측에는 억제 (inhibition) 의 효과를 가져온다. 이와 같은 개재뉴런 중에서 특이 한 작용을 하는 것이 Renshaw 세포인데, 이 세포는 운동신경의 출 발점 가까이에서 측지를 받아 다시 같은 운동신경 세포(전각세포) 에 접속하고, 억제적으로 움직이는 피드백 회로를 형성한다. 한편, 골격근의 긴장을 미묘하게 조절하는 반사로서 그림 2-8 과 같은 신경회로가 있는데 이것은 신장반사 (stretch reflex) 에 의하여 알기 쉽게 설명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근이 신장되면 그 자극이 같은 근에 피드백되어 수축력이 강화된다. 즉 신장에 대하여 근의
.억제성 뉴런
그림 2-9 슬개 반사의 모식도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려고 하는 활동이 일어난다. 이와 같은 반 사회로는 특히 항중력근에서 발달하고, 자세 유지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슬개반사 (knee jerk) 도 이러한 분류에 속하는 가장 단 순한 회로의 신장반사이다. 일반적무로 수용기인 근방추 (muscle spindle) 는 보통의 근섬유 ---추외근 섬유---와 평행으로 달리는 추내근 속에 있£며, 나 선상 종말을 지난 굵은 Ia 섬유와 가는 II 섬유에 의해 신장되어 일 어나는 신경충격을 척수에 보낸다. 또 근에는 근방추가 있고 근방 추와 함께 신장에 따른 신경충격을 척수에 보내고 있다. 운동뉴런 (motor neuron) 에는 근섬유에 이르는 a 운동 뉴런과 추내섬유로 들 어가는 7 운동뉴련이 있다. 근수축을 직접 일으키게 하는 것은 a 운 동뉴런인데 여기에는 지각신경으로부터 피드백과 상위중추로분터의 영향이 향상 추가되는 a 운동계가 있고,.운동뉴런의 경우는 추내 섬유에 끊임없는 자극을 보내 근방추의 흥분을 고조시키고 근방추 를 민감하게 해주는 작용을 하고 있다. 이를 7 운동계라 한다.
3 상반신경지배 굴근이 수축하려고 할 때 길항근 (antagonist) 인 신근은 억제를 받아 이완된다. 이와 같은 신경지배 반사를 상반신경지배 (recipro-cal innervation) 라고 한다. tapping 이나 stepping은 그 전형 적 인 예이다. 그렴 2-10 의 A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른쪽 다리와 왼쪽 다 리가 서로 바뀌면 더욱 복잡해져 이중의 상반신경지배가 되며, 포 슬관절과 족관절 • 팔과 다리에서도 협조관계가 이루어진다(그림 z -10, B). 좌우의 경우 한쪽의 굴·신근군에 촉진이 일어나면 신근 군에는 억제가 된다. 이와 같은 반사조절은 근방추로부터 구심성 신경충격이 척수에 이르는 여러 개재뉴런을 거쳐 반대쪽 또는 다른 관절의 근군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 지배가 흐트러지변 동시 에 어색한 운동에 빠진다.
@
3 경반사와 미로반사 목의 위치 변화에 따라 몸과 팔다리의 근긴장이 변하며 자세가 변화하는 반사를 긴장성 경반사 (tonic neck reflex) 라고 한다. 이는 뇌를 제거한 통물이나 뇌성마비 같은 사람들에게서 명확히 찾아볼 수 있으며, 스포츠에 있어서 폼에 강하게 나타난다(그립 2- Il), 미로반사(l abyrinth reflex) 도 중요한 자세 반사 중의 하나로서 특 히 평형성에 관계한다. 이 수용기는 속귀의 세반고리관과 전정기관 에 있는데, 세반고리관 내의 렴프(l ymph) 액은 두부의 회전운동에 따라 움직임의 변화가 생긴다. 그러면 이 반고리관과 임파액의 상 대척 위치 변화가 각 반고리관의 달팽이관 내부에 솟아나 있는 융 모세포 (hair cell) 렬을 휘어지게 하여 세포에 흥분을 일으켜 신갱충 격을 일으킨다. 세반고리관은 세 개의 직교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어떤 방향의 회전운동도 감지되는 것이다. 직진운동의 경우 는 반고리관에 인접한 전정기관 속에서 수용하는데, 이것은 구형£ 로 되어 있고 내면의 융모세포 위에 i 영형사 (statolith) 를 올려놓고
그림 2-11 자세반사에 합치되는 스포츠 자세
반규관 (3 개)
있다. 그리고 이것이 직진운동에서 가속 또는 감속을 할 때 관성으 로 융모세포의 털을 움직여 신경충격을 유발한다. 2-1-5 운동지배의 통합 개개의 기본적인 반사가 몇 개로 조합되어 운동이 통합된다는 것 도 가능하지만 그들의 반사는 대부분의 경우, 각기 고유한 의미를 가진 서로 통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어떤 종류의 운동에 는 맞지 않는 경우도 생긴다. 예를 들어, 선 자세의 정적자세 유지 의 반사는 보행으로 바뀌게 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좋지 않다. 즉, 움직이기 시작하면서 균형을 잡으려고 다른 반사가 동원되지 않으 면 안된다. 이와 같이 원활한 동작에는 반사가 기본이 되어 있지만 동작의 개시나 교환에는 아무래도 상위중추의 명령이나 통합작용이 필요하다. 즉, 복잡한 통작은 반사를 어떻게 제어하는가 하는 것이 전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통작이 복잡하면 할수록 소뇌나 대뇌를 포함한 복잡한 신경회로에 의한 통합이 필요하다.
1 의지와 반사의 협동 수의운동의 명령은 대뇌피질의 운동영역에 있는 추체세포에서 시 작되어 연수에서 대부분 교차하여 척수를 하행하여 전각세포에 이 어진다. 이러한 수의운동의 신경근을 추체로 (pyramidal tract) 라고 하는데, 이는 운동뉴련에 칙결하여 직접적으로 골격근을 지배한다. 이에 대하여 불수의 운동의 자세조절 등에 관계하는 신경로를 추체 외로 (extrapyramidal tract) 라고 한다. 이는 대 뇌피철 제 6 영 역 이나 대뇌 기저핵 (basal ganglia) 둥에 중추를 두고 소뇌나 뇌교망상체와 도 밀접한 연락을 가지면서 척수를 하행하여 최종 공통로 (final common path) 언 척수전각세포와 운동신경세포를 통해 이어진다. 수의운동과 불수의운동을 구별하는 것은 실제로 어렵다. 예를 들 어 걸어가는 경우를 생각해 보면 수의운동과 불수의운동은 오히려 협동적으로 작용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대부분의 신체운동에 타당할 것이다. 다시 말해 수의운동에 있어서도 원활한 운동이나 목적에
/ 의지동작 뇌간반사 척수반사
혈←
알맞는 자세를 유지하려면 근, 건, 피부, 관절 갇은 감각기관으로 부터 청보가 끊임없이 반사회로를 통하여 반환작용이 될 필요가 있 다. 말하자면, 추체외로는 복잡한 피드백 체계의 중심이며, 대뇌피 질의 지각, 언지, 운동의 명령과 일체가 되어 원활한 동작, 통합된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그 가운데에서도 소뇌를 포함하는 피드백 회로(그림 2- 1 4) 는 매우 중요하며, 소뇌에 장애가 일어나면 운동실 조 (ataxia) 가 발생 한다. 2 운동의 기획과 숙련 우리들이 운동기술을 학습할 때, 학습 초기 단계에는 의식적£로 동작을 익히지만, 시행을 거듭효}는 동안 동작의 왜턴이 파악되어 어느 순간 그 동작은 원활하고 빨라진다. 즉, 통작은 수의적에서 반사적으로 바뀌게 된다. 동작중의 근전도 (electromyogram: EMG) 를 조사해 보면 축련됩에 따라 운동에 불필요한 근활동이 억 제되어, 필요한 근육에 적시척인 집중척 방전을 볼 수 있다. 이때 에 통작은 반사적이 되고,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향 A 로 변 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숙련에 이르는 학습의 과정에서는 과거의 경험, 기억을 기초로
소위 야마지라는 창조척 프로그랩이 작성되며, 아마도 이러한 기능 의 메카니즘은 대뇌피질에 있어서의 고차척 통합작용에 의한 것이 라 볼 수 있다. 2-2 운동과 활성화 2-2-1 활성화의 개념 우리 인간은 눈을 뜨고 보거나 눈을 감고 안청된 상태 및 긴장, 주의집중, 침착, 수면과 같은 연속적인 상황 속에서 살아가고 있 다. 활성화 (activation) 라든가 각성 (arousal) 이 라는 용어는 매 우 깊은 수변에서부터 매우 심한 신체운동이나 강렬한 정서상태까지 생활체 의 에너지나 흥분의 수준을 가리킬 때 사용된다. DuffY(I9 62 ) 는 〈유기체의 활성화 수준은 활동이나 반응 가운데에 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유기체의 조직에 저장된 잠재 에너지의 발산정도〉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활성화는 생리척 과정을 나타내는 말이지만 행동척 차원에서 기대수준이나 동기수준과 밀접 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CrattY(I9 6 7) 는 각성의 개념을 일반화된 버지향척언 동인 (motive) 이라 주장하고 통기유발 (motivation) 이란 각성의 일반상태에 관련하여, 각성의 반응 내지 정위( orientation) 가 가끔 활성화로 나타난다고 제시하고 있다. 활성화의 측정은 골격근의 긴장 정도 (EMG) , 피부저항반응 (GSR, S RR), 뇌파 (EEG) , 그외 호홉이나 혈압, 심박수, 체온, 에 너지대사 등을 사용한다. 과거에는 골격근의 긴장이 대표적인 척도 였지만 근래에는 중추신경계에서의 전기적인 변화를 측정하는 뇌파 가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과거에는 한 가지 척도만을 사용하던 경 향이 최근에는 복수의 척도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향이 지배적이다. 뇌파에 의해 측청된 활성화는 일반적으로, 수면상태에서 완만하 고 커다란 파가 나타나며, 각성하고 안정해 있을 때에는 초당 8
-22 진통의 a 파가 나타난다. 그리고 활성화 수준이 고조되면 a 파 가 억제되고 진폭이 작은 빠른 속도의 뇌파가 발생한다. 2-2-2 활성화와 운동수행의 신경기제 활성화의 생리적 기제는 아직 명확하지 않으며, 학 Ã} 들마다 약간 의 차이가 있다. 그러나 수행에 미치는 활성화의 효과는 특수 감각 계와 비특수 활성화계의 기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운동에 의한 자극이건 정서를 환기시키는 자극이건 감각기관에 발생하는 자극은 두 개의 서로 다른 감각과청을 일으키는데, 감각 기관에서 발생한 신경충격의 하나는 특수감각계를 거쳐서 특정한 피질영역에 보내지며, 이는 변별적인 반응의 단서가 된다. 그리고 또 다른 하나는 그렴 2- 1 5 에 나타난 것과 같이 중뇌 망상체에 들어 가 이곳을 흥분시키고, 이 흥분이 망상체 활성화계라고 하는 회로 에 의해서 전뇌, 특히 대뇌피절에 넓게 투사되어 전뇌의 활성화 수 준을 고조시킨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 망상체 활성화계의 중추적 역할은 중뇌 망상체를 중심으로 하 여 시상중심핵과 시상하부 등에도 퍼져 있는데, 이 계는 특수 감각 계에 대비하여 비특수 활성화계라고도 한다. 즉, 이 계의 흥분에
비특수 활성화계 특수 감각계
의해서 대뇌피질 전체의 흥분이 고조되어 특수 감각계를 거쳐서 특 정한 반응의 단서가 되는 신경충격의 통과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이 두 기제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버특 수 활성화계를 통하여 피질 활동이 영향을 받으며, 또한 특수 감각 계는 비특수 활성화계에 영향을 미친다. 피질에서 버특수 활성화계로 하강하는 신경충격은 뇌교의 활동을 증대시키고, 이것이 또 반대로 피질의 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긴장이나 대근활동이 정신작업 등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의 연구는, 긴창이나 운동에 의해서 생긴 자극이 망상체 활성화계에 이르고, 이것에 의하여 대뇌피질 전반의 확산적인 흥분을 일으켜 특수감각 계를 거쳐 생긴 정신작업의 특유의 피질영역 기능을 조장시킨다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 2-2-3 활성화와 수행과의 관계 운동수행시 각 개인이 직면하는 상황은 개인의 주관적 해석에 따 라 서로 다른 정서상태를 야기시킨다. 이러한 심리적 상태는 자율 신경계의 활성에 영향을 주어 자율신경계의 각성 정도를 결정한다. 따라서 자율신경계의 활성화 수준은 수행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즉, 활성화 수준이 너무 낮을 때, 예를 들어 졸음이 오거냐 극도의 이완 (relaxation) 이 일어날 때 주의가 부족하여 자극에 대한 반응에 실꽤하거나 반응을 하더라도 험이나 스피드가 부족한 경우 가 생길 수 있으며 반대로 활성화 수준이 너무 높으면 활동에 대한 과영적 충격으로 인해 자극의 이용 범위를 념고 만다. 이러한 활성화 수준은 종종 추동이론 (drive theory) 의 구조 내 에 서 해석되는데, 만약 자울신경계의 활성화 수준이 추동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면 활성화 수준이 높은 사람은 어떤 단순한 행위에서 활성화 수준이 낮은 사람보다 더욱 조건화된다. 이론적으로 추동이 론은 동기유발 수준이 증가함으로써 수행이 증가한다는, 즉 증대된 각성이 운동수행을 향상시킨다는 개념을 지지한다. 한편 추동이론과 대조적으로 활성화와 수행관계를 설명하는 또
다른 이론은 역u:가설 {inv erted-U hypothesis) 이다. 이 가셜은 활성 화 수준과 운동수행 사이의 단조롭지 않은 관계를 제시하고 있는 데, 어느 정도까지의 활성화 증가는 수행을 향상시키는 반면 그 이 상의 활성화는 오히려 수행을 저하시킨다는 것이다. 실제로 역 U 가 셜은 통제나 정확성 및 복잡한 기술적 처리를 요하는 과제에 적합 한 반면, 추동이론은 노력이 강조되는 단순한 과제에서의 수행을 설명하는 데 적합한 것 같다. 이러한 맥락에서, 활성화 수준은 수행하는 과제의 성질이나 개인 의 억제능력 및 그 과제의 연습단계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2-2-4 운동수행과 긴장 긴장은 활성화의 대표적인 척도이며 콜격근의 긴장 정도로 측정 된다. CrattY(19 6 7) 에 따르면, 개인의 동기수준 고조는 생리적 변 화를 야기시키는데, 과제에 필요한 근군의 긴장수준 증가와 같은 생리적 변회는 전반적으로 신체적 긴장을 고조시킨다. 근긴장이 운동기능 수행을 촉진시키는지 아니면 감소시키는지에 관한 연구들은 학자들마다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긴창 은 개인에게 있어서 각성상태와 활성화 수준을 촉발하며 정서와 동 기유발의 일면으로 연구되었다. 긴장과 운동수행간의 관계에 있어서도 앞에서 제시한 과제와 개 언에 따른 최적 긴장 수준이 있음을 가정할 수 있다. Wood 와 Hokanson (1965) 은 단순한 지적 과제의 수행과 긴장의 관계를 검증 한 연구에서 섬박수는 긴장과 더불어 선형적으로 증가하나 수행은 적정수준이 있음을 밝혔다. 즉, 운동수행은 긴장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촉진되다가 어느 수준의 긴장에 이르면 감소되었다(그렴 z -16). 따라서 이 결과는 긴장과 수행 관계가 역U 가설을 반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들을 종합해 볼 때 최적 운동수행을 위한 최적 긴장수준이 존재하며, 보다 훌륭한 수행을 위해서는 미 리 적절한 긴장수준이 이루어져야 하며, 운동을 개시하기 전 기간 이 길면 길수록 긴장은 저하되고 짧을수록 중가한다. 아울러 이러
121 -- r ---17
한 최적 긴장수준은 운동의 종류와 연습단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 다. 2-3 신체운동과 지각 우리가 사물을 어떻게 지각하는가 하는 문제는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내용이 너무나 많기 때문에 통합적으로 셜명하기가 매우 어려 움을 먼저 밝혀두고자 한다.
운동과 지각의 문제는 신체운동을 심리학척으로 볼 경우 가장 헥 심이 되는 문제로서 〈운동〉이나 〈지각 (perception) )이라는 단어로만 단순히 셜명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언간은 젖먹이 시절부터 현재 에 이르기까지 발육, 발달의 과정에서 운동과 지각 사이에 끊임없 는 상호작용의 반복을 거듭해 왔다. 이와 같이 오랜 세월에 의한 상호작용에 의해 인간은 복잡한 신체운동의 유형을 학습하고 환경 에 척응해 왔다. 스포츠의 장에 있어서도 이러한 현상은 예외가 될 수 없다. 스포 츠에서는 일상생활의 경우보다 한층 더 복잡하며 빼}른 자극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스포츠에 적응하기 위한 과정£로서 운동기술을 학습함에 있어 운동과 지각의 상호관계가 특히 문제가 된다. 한변, 정보처리이론에서는 지각에 의해서 신체운동이 이루어지고 수정 되는 메 카니증을 피드 포워드 (feedforward) 와 피드백 (feed- back) 의 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하면서, 지각에 의한 이 두 메카니즘 은 신체운동에 있어서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역설하고 있다. 즉, 외계의 정보를 지각하고 그것에 기초를 두어 신체운동을 하게 되며 그 결과 생긴 신체의 근·운동감각의 피드백에 의하여 시시각각으로 동작을 수정한다는 소위 정보처리의 과정을 되풀이하는 동안에 기 억과정에 변용이 생기고, 복잡한 자극변화에 대한 특정 반응 패턴 이 생져 운동기술의 연습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운동과 지각의 문제는 가상적 설명이긴 하나 불가분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이러한 가상적 설명의 틀을 가지고 구체적 현상들과 원리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2-3-1 지각과정과 일반적 성질 1 지각의 과정 지각이란 일반척으로 감각기관을 통하여 현재 외계의 사물이나 사건 또는 자기 신체의 상태를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실제 일상 생활 가운데 지각의 기능이 차지하는 위치는 매우 크다. 환경에 적 합한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그 상황을 잘 지각하지 않으면 안되며,
、 -융01 .1..EL. .'二l그- L
학습 또한 외계로부터의 정보를 감각기관을 통하여 끊임없이 받아 들이지 않으면 안된다. 지각은 시각, 청각, 후각, 신체감각 등 모든 감각 영역에 관련된 것이지만, 이 가운데에서 보다 넓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시각 영 역 (visual sensory area) 이 라 할 수 있다. 이는 어둠속에서 주위 의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를 상상해 보면 이해가 가능 할 것이다. 지각을 문제삼을 때 관련되는 것은 인지 (cognition) 와 감각 (sensation) 의 문제이다. 인지는 과거에 경험한 기억을 바탕으로 자 극에 의미를 부여하고 그것을 자기와 관계지어 파악하는 고차적인 과정이며, 지각은 인지의 기초가 되는 요인을 탐색하는 과정으로서 인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지각과 감각의 구별에 대해서는 많은 심리학자들에 의해 여러 견해들이 제시되었으나, 감각은 지각 속에 서 의식되는 더욱 기초척 작용이라는 것이 공통적 견해이다. 일반적으로 지각은 다양한 외계의 물리적 자극을 고유 감각기관 을 통해 받아들임£로써 비롯된다. 예를 들어, 벚 자극은 안구의 망막을 통해서, 소리 자극은 속귀의 달팽이관에 있는 코르티기 (cort i)를 통해서, 냉새는 비강의 후각상피세포 (olfactory epith- elium) 에 의해서, 또 압력이나 온도는 피하의 신경세포 수상돌기 종말에 의혜 수용된다. 이렇게 각각의 수용기에서 전기적 변화가 발생하게 되어 생긴 전위를 수용기 전위 (receptor potentia l)라고 하며, 이는 지각 신경섬유의 말단에서 생긴 천기적 변화가 충격파
가 되어 수용기를 지배하는 고유의 지각 신경섬유, 즉 특수 감각경 로 (specific sensory pathway) 를 따라 중추신경 계 의 감각 영 역 에 정 보를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은 Magoun(I95 2 ) 이 제안한 망상체 활성화계 (reticular activating system) 의 작용에 의해서 또한 셜명 이 가능한 데, 즉 앞에서 셜명한 바와 같이 말초수용기에 신경충격을 전달하 는 특수감각 경로가 있지만, 그것이 중뇌에 이르기까지는 수많은 측지를 거쳐 뇌교 망상체에 들어가고 여기에서 수많은 시냄스를 거 쳐 대뇌피질의 고유감각 영역과 그 이외의 연합 영역과 연결된다. 이러한 망상체의 자극에 의해서 뇌파가 광범위한 각성반응을 일으 켜 지각과정이 활성화된다고 가정된다. 2 지각의 일반적 성질 i) 공간성과 시간성 우리들이 접하는 물리적 자극들은 환경 속에서 어떤 공간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그 자극의 운동이나 변화를 고려할 때 자극 의 시간성이 문제가 된다. 즉, 지각의 특성으로서 자극이 지니는 공간성과 시간성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공간은 시각에 의해 지각되는 시공간 (visual space) 이나 청각에 의한 청공간 (auditory space) 과 같은 주관적 인 공간을 가리키는 것이며, 물리적언 존재로서 실제 공간과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지각의 공간성과 시간성은 자극수용기의 신경충격이 중추에 전달 되는 양식에서도 분명히 나타나는데 즉, 각 수용기에는 한 가닥 이 상의 섬유가 연결되어 있고 그 한 가닥 한 가닥이 서로 다른 유형 의 신호로 공간적 확산을 통해 대뇌피질의 지각중추에 보내지므로 청보 그 자체도 공간적임과 통시에 시간척이다. ii) 지각의 향상성 사물에 대한 우리의 지각은 감각기관에 미치는 물리적 자극의 속
성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러나 그 물리척 자극의 속성이 바뀌면 언 제나 사물이 변형되거나 변질되었다고 지각되는 것이 아니다. 즉 감각기관에 미치는 물리적 자극이 변화하더라도 대상 물체는 변하 지 않고 그대로 존속한다고 지각되는 현상을 지각항상성이라 한다. 이러한 지각항상성에는 색채지각의 문제를 다룰 때 빛의 스펙트 럼 특성이 달라져도 물체의 색상이 달리 지각되지 않는다는 색채향 상성과, 고정된 물체를 관찰자가 각도를 달리하여 보면 망막에 맺 어지는 상의 형태는 다르나 그 형태가 바뀌었다고 지각하지 않는 형태항상성 및 거리가 달라지면 망막에 맺어지는 상의 크기가 변하 지만 뭉체의 크기가 일정한 것으로 지각하는 크기항상성이 있다. iii) 지각의 상대성 · 자극의 대소, 강약, 명암과 같은 지각은 그 자극에 의해서만 아 니라, 주시하고 있는 자극을 다른 것과의 상대적인 관계에서 봄으 로써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전경 (figure) 과 배경 (ground) 을 생각해 보면 어느 순간에 우리의 시야에 들어오는 모든 상은 자극형태로 지각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만이 자극형태로 지각된다. 이때 주의
A. 러 빈 (Rubin) 의 컵 B . 포용하고 있는 연인
(attention) 에 의해 맺어지는 상은 전경이며 그렇지 않은 부분이 배 경이 된다. 시상에 여러가지 형태가 존재할 때에는 그 중에서 우리 의 지식 내용과 가장 찰 맞는 것, 즉 가장 친숙한 것이나 그 관찰 상황의 맥락 (context) , 혹은 관찰자의 원망에 가장 찰 부합되는 형 태가 전경이 된다(그렴 2-18) . iv) 지각의 양극성 우리들은 외계의 물리적 자극이 어떤 형태나 밝기 등으로 대부분 자기와 별개인 외부에 있는 것£로 느껴지지만, 기분 좋은 음악과 같은 대상은 자신과의 공간적 • 시간척언 구별이 없어지며 오히려 자기의 내부로 느껴지는 수가 있다. 예를 들어, 한쪽의 정지한 손 을 다른 한쪽으로 어루만지면 어루만진 손은 정지하고 있는 손을 밖에서 지각하지만, 어루만져진 손은 어루만져지고 있다는 느낌이 자기의 내부에 있다. 이와 같이 한쪽에서 외적인 자극으로 지각하고 다른 한쪽에서는 자기 내부에 있는 자극으로 지각하는 성질을 지각의 양극성 (bipolarity) 이 라 한다. 3 지각연구의 접근 지각을 연구하는 심리학자들이 채돼하는 접근방식은 크게 두 가 지로 분류된다. Helmholtz 를· 시초..5'~ 한 구성주의는 영국의 경험주 의 철학에 바탕을 둔다. 구성주의는 지각의 근본 요소로 감각을 가 정하나 감각자료가 애매모호하고 단편적이므로 비감각적 요소(예: 기억)와의 연합과 추리를 통해서 지각표상이 형성되고 대상의 의마 가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구성주의는 지각에서 판단, 추리, 해석과 같은 인지적 측면을 강조한다. 구성주의와 크게 대조되는 입장이 형태주의이다. 형태주의 심리 학자들은 지각의 단위가 감각이 아닌 형태이며, 지각은 과거경험과 는 비교적 독립적으로 그 법칙에 따라 이루어지며, 총체적 구조가 부분요소의 성질을 결정한다고 가정한다. 구성주의와 형태주의는 특정 지각현상을 설명하고 연구하는 방식 등에서 큰 차이를 보인 다.
2-3-2 운동지각 운동이란 공간 속에서 일어나는 사물의 위치 변화이다. 사물이 움칙이면 관찰자의 망막에 맺어지는 상의 위치가 순차척흐로 바뀌 는데, 이와 같은 망막상의 위치 변화가 운동지각을 일으킨다. 운동 지각에는 외계의 물체가 여러가지 조건 아래에서 공간척 위치를 변 화시킬 때에 생기는 경우와, 정지하고 있는 물체가 어떤 조건 아래 에서 운동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 등 두 가지가 있다. 이러한 운동지각은 물리척 운동의 법칙에 따르지 않고 우리들 자신의 조건 이나 환경조건의 변화에 의해서 바뀌는 것이며, 또 우리들 개인에 있어서도 향상 일정하다고는 할 수 없다. 우리틀이 생활하는 3 차원의 공간 속에서 공간척 특성에 관한 환 경 지 각을 공간지각 (space perception) 이 라고 하며 그 중에서도 시 각 에 의한 공간지각을 특히 시 지각 (visual perception) 이 라고 한다. 스포츠 장에서 신체운동의 고도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실제 공 간을 정확하게 지각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1 시각에 의한 실제운동의 지각 시각적 공간에서 운동지각이 얼어나는 경우는 물체가 공간적 위 치를 연속적£로 바꾸거나 관찰자가 정지하고 있는 환경 속에서 이 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의 운동지각을 실제운동 (real movement) 이라고 한다. i) 운동역 객관척으로 운동이 일어나고 있어도 실제운동으로 지각되기 위해 서는 어느 정도 이상의 물리적 속도가 필요한데, 운통으로서 지각 되기 위한 최소의 운통속도를 속도역 (threshold of speed) 이 라고 한 다. 하늘을 나는 비행기나 도로를 달리는 자동차는 가로수나 주택 지를 달릴 때는 빠르게 보이지만, 시야에 아무것도 없는 공간을 지 날 혜는 속도가 느리게 지각된다. 이와 같이 운동의 속도는 보이는 물체의 객관척 이동 각속도뿐만 아니라 운동하는 물체의 환경 조건 과 크기에 의해서도 달라진다. 즉, 운동하는 환경이 협소하고, 작
은 도형일수록 그 속도역도 척어진다. 한편, 물체의 운동속도가 일정한 속도를 념으면 그것은 이미 운 동으로서 지각되지 않고, 그 형태의 붕괴를 초래하여 하나의 원 포 는 띠 모양의 선으로 지각된다. Brown(I93 I ) 에 의하면, 이러한 속 도정 (speed heÍght) 을 결정하는 조건은 속도역과 똑같은 조건에 의 해서 좌우되는데 속도역과는 반대로 큰 도형일수록, 운동영역이 넓 을수록 속도정은 상숭한다. 또한 일정한 속도를 가진 물체가 속도를 변화시켰을 때에 변화가 생겼다고 지각되는 최소의 변화속도를 속도의 변별역 (difference threshold of speed) 이라고 한다. 이러한 변별역은 조명의 강도나 운동의 방향에 따라 변화된다. 예를 들어 비교적 낮은 조명 속에서 그 값의 변화는 급격하며, 또 한 수형방향일 때 최소가 된다. ii) 운동속도의 지각 우리는 앞에서 물체의 크기와 공간의 넓이, 운동방향, 조명 등에 따라 속도가 다르게 보임을 살펴보았다. 즉, 물체가 크고 이를 둘 러싼 공간이 넓으면 같은 속도라도 느리게 보이며, 수직언 가로 형 태를 갖는 것은 운동방향이 같은 세로 형태보다 더 느리게 보이며, 조명이 저하되면 외관상 속도는 실제보다 빠르게 보인다. Brown 에 의해 밝혀진 이러한 사실은 스포츠 장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를 내포하는데, 볼을 가지고 하는 운동에서는 체육관의 넓이나 조명, 공의 이동방향에 따라 같은 공이라도 속도가 다르게 보이기 때문에 이에 습관이 안되면 실수할 위험이 있으며, 또 실외에서도 운동장 주위에 수목이 많아 좁다든지 또는 방해되는 물건이 없는 넓은 콧언가에 따라서 공의 속도가 달리 보이고, 저녁 때면 주변이 어두워지기 시작하여 공이 빠르게 보이기 시작하기 때문에 충분한 주의력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물체의 외관상 속도 변화는 우리가 실제의 운동을 자각동}는 데 필요한 조건의 모든 것을 연고로 하여 활용하지 못하고, 환경 내에 있는 특청한 조건만을 근거로 하기 때 문에 생긴다. Brown(I93 I ) 에 의하면, 물체를 추종하여 볼 떼는 그렇지 않을
때 보다 외관상의 속도는 저하되어 속도가 1 . 43 배 느리게 보인다는 것이다. 이 수치는 특정한 실험장면에서 나온 결과라 모든 장면에 척용된다고는 할 수 없지만 물체의 동태를 충분히 추종할 수 있는 지의 여부에 따라서 속도가 달리 보이는 것은 틀렴언다 Brown 의 실험에서 물체를 둘러싼 공간이 넓을수록 겉보기 속도가 느리게 된 다는 것도 실은 이 안구의 추종 가능한 범위의 크기와 밀접한 관계 가 있다. 즉, 물체의 속도를 바르게 포착하기 위해서는 시야가 넓 은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스포츠 장에서는 주변 시야에 주의를 분배하여 시야를 넓게 유지하고, 물체를 빨리 중심지로 포착하여 가능한 한 빨리 추종하게끔 눈 근육 운동이 필요하다. iii) 타이멍 콘트롤 운동지각에 관하여 실제운동의 장과 직접적언 관계가 있는 홍미 있는 문제로서 타이밍 콘트롤 (timing control) 이 있다. 타이 밍 콘트 롤이란 이동하는 목표물체를 공간적 • 시간적으로 정확하게 지각하 여 거기에 맞는 동작을 적중시키는 것이다. 타이밍 콘트롤은 반응 의 전제 조건으로 이동하는 목표 물체가 만들어내는 공간적인 변화 를 빠르게 지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후지요시 ( 19 6 3) 는 타이멍 콘트 롤의 공간조건을 조사하기 위해 2.35cm 되는 실을 진자로 사용하여 그 시발 위치를 변화시켜 콩이 정면을 통과할 때에 반웅하는 방법 을 이용한 연구에서 목표물체의 이동 속도도 중요한 조건이지만 그 물체의 속도를 예측하기 위한 시야의 폭이 더욱 중요한 조건임을 발견했다. 한편, 야마다 (19 66 ) 는 타이밍 콘트롤과 동체시력간의 관계를 조 사한 결과 이들 사이에는 청적 상관이 있음을 발견했다. 즉, 타이 멍 콘트롤의 오차가 적음은 동체시력이 뛰어나다는 것이다. 아울러 주변 시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타이밍 콘트롤은 주변시의 능력에 도 관계가 있음을 밝혀냈다. 이상과 같은 사실에서 타이멍 콘트롤은 목표물체가 이동하는 공 간적 너비와 방향 빛 개언의 통체시력이나 주변시의 기능에 따라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2 가현운동의 지각 물리적으로는 정지하고 있는 물체를 시각을 통하여 지각하는 경 우 그 조건에 의해서 여러가지로 운동하고 있는 것처럼 느끼는데, 이렇게 나타나는 운동지각을 가현운동 (apparant movement) 이라 한다. 가현운동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는데, 파이현상 (phi phenom-enon) , 유인운동 (induced movement) 및 자동운동 (autokinetic movement) 이 그것이다. i) 가현운동 암실에서 두 개의 등불을 빠른 속도로 번갈아 켰다 껏다 하면 하 나의 등불이 좌우로 번갈아 움직이는 것으로 지각된다. 이런 현상 을 가현운동 혹은 섬 광운동 (stroboscopic movement) 이 라 한다. 이 런 현상은 시각상의 지속성 때문에 나타나는 것언데, 어떤 형태의 상이 망막에 맺어졌을 때 그 형태가 없어지더라도 잠시 동안 잔상 /
물리적 사건들
이 남는다. 그래서 불빛의 깜박이는 속도가 빨라지면 깜박인다는 사실을 느낄 수 없다. 영화와 TV 화면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것 이다(그림 2-19 ). ii) 유인운동 보름달이 떠 있는 하늘에 한 조각의 구름이 달빛을 가리고 지나 가면 우리는 구름이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보름달이 반대방향으 로 움직이는 것으로 지각한다. 이런 현상을 유인운동이라 한다. 물체의 다른 운동에 의해서 유인된 운동지각이기 때문이다. 이러 한 현상은 전경과 배경의 반전현상 때문에 나타나는 것 이다(그렴 2-20).
그림 2-20 유언운동
사각형의 테두리 안에 작은 원 을 배치하면 원이 전경이 된다. 일반적으로 큰 형태의 가운데에 작은 형태가 있£면 작은 형태가 전경이 되는 것이다. 이제 사각형 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관찰자 는 작은 원이 왼쪽으로 이통한 것 으로 지각한다. 보름달의 운동지
각도 이와 통일한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밤하늘에 구름은 배경이 되고 보름달은 전경이 된다. 그러나 구름조각이 달빛을 덮는 순간 에는 구름이 전경으로 반전되었다가 구름조각이 달빛을 벗어나면 다시 배경으로 바뀌는 것이다. 움직이는 배경과 고정된 전경과의 반전현상이 유인운동 현상을 일으키는 것이다. iii) 자동운동 철흙 같은 밤에 멸리 떨어져 있는 불빛을 보고 있으면 불빛이 옆 A 로 움직이거나 앞으로 다가오는 것 같은 착각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런 현상을 자동운동이라 한다. 이 현상은 물체의 위치에 관한 단 서가 없거나 모호할 때 나타난다. 우리의 눈동자는 우리가 의식하 지 않는 동안에도 계속하여 움직인다는 사실을 앞에서 언급한 바 있다. 물체의 위치에 관한 단서가 없을 패는 눈동자의 움직임 때문 에 자동운동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된다.
2-3-3 운동잔효 어떤 사람에게 곡선도형을 잠시 통안 보게 했다가 그 곡선도형을 제거하고 바로 그곳에 직선도형을 보이면 그 직선도형이 보이는 모 양은 직선 앞에 보였던 콕선과 반대방향으로 휘어 보언다. 특히 도 형의 끝부분은 더욱 현저히 나타나는데, Gibson 등 (193 8 ) 은 이것을 음성잔효 (negative aftereffects) 라 하고, 휘어진 션을 5- 1 。붕간 본 후는 그 정도가 감소되어 보이는데, 이것을 순웅 (adaptation) 이라 하였다. 이처럼 어떤 자극 또는 장면이 주어졌을 때 그 자극, 장면 이 소멸된 후에도 그에 수반되는 경험이 계속되는 지각현상을 도형 잔효 (figural aftereffects) 라 한다. 이렇게 특정한 자극 또는 자극의 결합으로 심리적 충족에 의해서 생기는 지각왜곡 현상은 우리 스포츠 장면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Iokg 의 덤벨을 들고자 할 때, 갑자기 Iokg 의 멈벨을 들 었을 때 손에 느끼는 중량감과 미리 몇 번쯤 아니면 몇 초 동안
/、、\、、、沙/
I5kg 짜리 덤벨을 들어올린 뒤 Iokg 의 덤벨을 들어올렸을 혜의 중 량감을 비교하면 후자의 경우가 더욱 가볍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 다. 이 러한 현상을 운동잔효 (kinesthetic aftereffects) 라고 한다. 이 또한 앞에서 언급한 지각왜곡 현상 중의 하나이다. CrattY(I9 6 7) 는 운동감각척 과제를 이용한 일련의 운동잔효에 관 한 실험척 연구에서, 운동잔효에서 일어나는 감각척 왜콕은 모든 피험자에게 직전에 실시한 신체운동의 반대되는 방향으로 얼어남을 밝혔다. 예를 들어 커다란 블록을 취게 한 후에 그것보다 작은 블 록을 쥐었을 때는 실제보다 더욱 작게 느껴지며, 우회전으로 각형 통로를 결은 후에는 직선통로엄에도 불구하고 왼쪽으로 도는 것처 럼 느껴진다. 이렇게 눈을 감은 상태에서 얼어나는 현^J--들을 포함 한 스포츠 창면에서 운동잔효의 지속 시간은 아주 짧은 몇 초 내지 수십 초이다. 실제 운동 장변에서의 또 다른 운동잔효 효과는 주로 자기의 신 체나 용구가 보통보다 가볍게 느껴지거나, 또 자기가 행한 운동의 속도가 빨라졌다는 인상을 받은 것처럼 느끼는 현상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육상경기의 필드선수가 시합용 스파이크보다도 무거운 구두를 신고 워밍업을 한 후에 시합용으로 바꾸어 신고 시 합에 임하거나, 야구의 타자가 무거운 배트를 휘두른 후에 그것보 다 가벼운 배트를 가지고 타석에 들어가거나, 정규의 야구콩을 던 지기 전에 무거운 볼을 던지는 것 등 잔효효과의 예는 매우 다양하 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자신의 신체가 보통보다도 가벼워지고, 운동속 도가 빨라졌다고 느끼는 효과는 실제 수행에 있어서 차이가 없다. 예를 들어, 팔꿈치를 중심으로 굴곡과제에서 한 팔의 각속도를 측 정하여 수행의 차이를 알아본 Nelson 등 (19 6 5) 의 연구에서, 부하의 운동잔효가 일어나고 팔이 가벼워졌다고 보고한 피험자와 과제에 부하를 주지 않은 피험자들간에 수행의 차이가 없음을 발견했다. 이 실험에서도 알 수 있듯이 운동잔효에 의해서 보통과는 다른 감 각판단의 왜곡이 발생하며 이는 경기스포츠에 있어서 선수에게 유 리한 이득을 준다 하더라도 실제 수행의 차이는 없다는 것이다.
이상에서 운동잔효 효과를 고려할 때, 실제 운동 장면의 웅용 차 원에서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받을 수 있는데, 먼저 수초 이내에 소멸되는 현상이라는 점에서 이 제한 속에서 응용할 수 있는 종목 에 한정되며, 워밍업을 한 후 실제의 실시까지 시간 간격이 너무 걸면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아울러 운동잔효는 직정척인 수행향 상보다는 오히려 경기자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듯한 감각의 변화, 즉 가벼워졌다든지 빨라졌다는 느낌이 초래된 심리적 효과에 · 착안 하여 응용한다면 더욱 효과척일 것이다.
저 113 장 운동제어 3-1 정보처리와 기억체계 3-1-1 정보처리의 연구 생물은 생존을 위하여 끊임없이 외부로부터 그를 둘러싼 청황에 관한 소식을 듣고 이를 식별하고 평가하여 외부환경에 대응 혹은 적응하는 행동을 취한다. 인간도 환경으로부터 수많은 자극을 받아 가면서 생활하고 있는데, 이러한 자극은 다양한 감각기관을 통하여 감지된다. 정보란 생활의 주체와 객체 사이의 사정이나 정황에 관 한 보고를 말하며 인간과 환경 사이를 왕래하면서 상호작용하고 있다. 1 정보량의 측정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정보량은 버트 (bit) 로 측정된 다. 비트는 binary digits 의 약자로, xbit는 처음의 불확실성을 절반 으로 줄이는 데 필요한 정보량이라고 정의된다. 즉, xbit 의 정보란 실현 가능성이 같은 z 개의 대안 중 하나가 명시되었을 때 우리가 얻는 정보량이다. 일반적£로 실현 가능성이 같은 N 개의 대안이 있을 때 총정보량 H 는 다음과 같이 둥식화할 수 있다. H=log2N
또한 이 공식은 각 대안의 실현확률 (N 의 역수)로 표현할 수 있 다. 즉. p 를 각 대안의 실현확률이라고 하면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H=log2 숨 가창 간단한 경우 여러 대안의 실현확률이 칼을 때 bit 단위의 정 보량은 대안의 수의 밑 (base) 을 z 로 하는 대수치가 된다. 만약 두 가지 대안밖에 없다면 정보량은 z 의 밑이 2 언 대수치, 즉 1bit 가 된 다. 또한 불이 켜질 확률이 같은 8 개의 전등에 각각의 반웅을 해야 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청보량은 위의 공식에 의하여 쉽 게 해결할 수 있다. 즉, 과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정보량은 아래 의 계산에 의하여 3bit 가 된다. H 꽤 되F ’ 얘씨 ‘’‘· ‘ /8 쩌‘‘,,/
표 3- 1 선택대안수 N 과 log2{N) 의 관계 Nwnber{n) Log2 { N) o z I 4 z 8 3 16 4 32 5 64 6 128 7 256 8
피처
좀더 실제적인 예로 야구경기에서 피처가 서로 다른 4 가지 종류의 공을 던질 확률이 각각 .25 로 같은 경우에 과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 한 명균 정보량은 log24 즉 2bit 가 된다. 그러나 그림 3- 1 과 같이 각각의 확률이 서로 다른 경우에 과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정보 량은 다음의 공식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H = ~Pi logz (1 /Pi) 이 공식에 의하여 과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명균 정보량은 1. 84bit 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될 수 있다. Hl =.10 logz (1/.10) =.33 (change-up) H2=.30 lOgz(I/.30) =.52 (slider) Ha= .20 logz(1/.20) =.46 (curve) lL = -40 logz ( 1/ .40 ) =.53 (fastball ) Surn(~) =H1 +ffi+H a+lL =.33+.5 2 十 .4 6 +.53 = 1.8 4 bits of infonnation 또한 확률 P 를 알고 있을 때 정보량 H 를 그렴 3-2 에 의하여 쉽
6 。
게구할수있다. 2 반응시간 반응시간이란 인간이 주어진 자극을 분석하고 자극이 요구하는 반응을 선택 및 결정하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반응을 계획 및 조직하는 데 필요로 하는 시간을 말한다 (Sternberger , 1969). 자극 제시 후 동작이 개시되기까지의 반응시간은 @ 감각수용기 지연 (receptor delays) 1-38msec (Q 피질로의 신경전달 (neural trans-mission to cortex) 2-100msec @ 중앙처 리 지 연 (central process delays) 7o -3o o m sec @Þ 근육으로의 신경전달 (neural transmission to muscle) 10- 20 mSeC @ 근육의 잠재 및 활성화 시 간 (muscle latency and activation time) 3~omsec 등이 누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Wargo , 196 7). 반응시간은 일반적으로 갑자기 예견할 수 없는 신호가 제시되면 서부터 그에 대한 반응을 시작할 혜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한 다. 그렴 3-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비신호 후 임의로 결정된 자극 전기 (foreperiod) 를 부여 (얼반적£로 X-5 초) 하고 본신호가 제시 된 다.
예비신호 자극제시 반응시작 반응종료 버
훤매 Premotor I Motor •- -RT ,.I -RT• -자극전기 -1 → -----RT '1 을 --MT- • 수행시간 • 그림 3-3 반응시간 패러다임 (Schmidt,I9 82)반응시간은 중추와 말초의 성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Weiss , 1965). EMG 의 신호에서 첫번째 변화까지의 간격은 운동전 반응시 간 (premotor RT) 이라 하고 첫번째 변화에서부터 반응시작 직전까 지의 간격을 운동 반응시간 (motor RT) 이라 한다. 반응시 간은 단순 반응시간 (simple RT) 과 선택 반응시 간 (choice RT) 으로 분류된다. 단순 반응시간은 사전에 지정된 한 가지 자극 에 대하여 미리 예정된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을 말한다. 또한 선택 반응시간은 별도의 반응을 필요로 하는 자극 수가 여러 개인 경우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두 가지의 자극을 제시하고 두 가지 과제룰 수행하게 하여 반응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도 있는데, 그 구체적인 조건은 이중과제 패 러다엄과 이중자극 패러다임 그리고 탐침반웅시간 패러다임이다. 이중과제 패 러다임 (dual-task paradigm) 은 두 개의 신호를 동시 에 준 다음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수행하게 하는 것으로, 자극정보가 주어지면 동시에 I 차 과제와 z 차 과제를 수행한다. 이 조건에서는 두 가지 신호가 동시에 주어지기 때문에 두 가지 정보처리에 소요 되는 시간과 과제수행의 효율성이 서로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중자극 패 러 다임 (douhle stimulatiom paradigm) 은 두 가지 과
I~ 자극간 간격 ~I 반웅간 간격
제수행을 위한 신호를 동시에 주는 것이 아니라 짧은 시차를 두고 연속적무로 주는 방법이다. 이 조건에서는 첫번째 신호에 의하여 I 차 과제를 수행하게 되며 두번째 신호에 의하여 z 차 과제를 수행하 게 된다. 이중자극 패러다임에서는 구조적 간섭 (structural interfer- ence) 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서로 다른 양식으로 두 가지의 신호 가 제시되며 서로 다른 손으로 반응을 실시하게 된다. 또한 자극간 간 격 (inter-s ti mulus interval : ISI) 은 최 소 한 50 m sec 에 서 최 대 5 00 msec 까지 분리 된다. 탐첨반응시 간 패 러 다임 (probe reaction time paradign) 은 2 차 과 제의 수행을 위한 신호가 I 차 과제의 동작이 진행되는 동안에 제시 되는 것을 말한다 (Mcleod , 1978 , 1980 ; Glencross, 1978 ) . (그렴 3
'1 S2
-5) 이 조건에서는 I 차 과제가 수행되는 동안 2 차 과제의 신호가 제시됨으로써 z 차 과제의 처리속도에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즉, 탑침반응시간 패러다임은 I 차 과제 수행에 요구되는 용량 (capac ity) 을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데 유용한 방법이다. 3 Donders 의 접근 (the subtractive method) Donders ( 1 868) 는 자극과 반응 사이의 처리단계는 중첩된 것이 아 니라 분리되어 있다는 가정 아래 서로 다른 3 가지 조건에서 반응시 간을 측정하였다. A-re action 은 반응을 요구하는 자극을 제시하는 순간을 예측할 수 없는 단일한 자극이 피험자에게 제시되었으며, 이 과제는 현재 단순 반응시간 (simple reaction time) 이라고 부른 다. B-r eaction 은 서로 다른 반응을 요구동}는 두 개의 자극이 제 시 되며 이 과제는 선택 반응시 간 (choice reaction time) 이 라고 부른 다. 그리고 C-reaction 에서는 두 개의 자극이 제시되지만 피험자는 정해진 자극이 제시될 때만 반응을 해야 했다. 이 과제는 변별 반 응시 간 (discrimination reaction time) 이 라고 부른다. Donders 는 A 반응과 C 반응간의 반응시간 차이는 변별과정에 관한 복잡성을 반영한다고 생각하였다. 왜냐하면 두 과제가 가능한 자극 사이에 변별을 필요로 하는 것만 차이가 있고 운통과 선태에 있어 서는 같은 요구성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Donders 는 B 반 응과 C 반응 사이의 반응시간 차이를 반응선택의 과정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왜냐하면, B 반응과 C 반응은 둘다 자극을 변별동}는 동 일한 요소를 갖고 있£나 B 반응은 두 가지의 반응 중에 하나가 선 택되어야 한다는 부차적인 필수성분이 있어서 반응선돼 단계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추가한 것이라는 이유이다. Donders 의 연구는 여러가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정보는 직렬적(연속적)으로 처리될 수도 있고 병 렬적(동시적)~로 처리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의 연구는 이 시대에 아주 두드러진 것이었고 그의 기본 가셜은 정보처리단계 의 분석을 위한 바탕이 되고 있다.
A
CB A괜 반웅시222간083147( msec) 탑 지 ‘망 -변처-별 탐- -리 -땐지 뺀뺀선 정
4 Hick 의 법칙 자극-반응 선돼의 수와 반응시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Merkel ( 188 5) 에 의하여 처음으로 실시되었다 (Woodworth , 1938 ). 그는 I 。 개의 자극을 제시하여 오른손가락으로는 I 에서 5 까지의 아라비아 숫자로, 1 에서 V 까지의 로마 숫자는 왼손으로 반응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는 그렴 3-8 과 같다. 즉, 선돼 반응시간과 자극-반응의 선 택수와는 곡선적으로 나타났다. Merkel 의 연구 이후 자극-반응 선돼수와 선돼 반응시간의 관계 에 대한 연구는 아주 많이 실시되었다. 이 관계에 대하여 가장 널 리 알려진 결과는 Hick(195 2 ) 와 Hyman(1953) 의 연구이다. Hick ( 195 2 ) 는 자극-반응 선택수와 선택 반응시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 하여 여러 개의 전등불빛과 반응 스위치를 짝지워 설치하고 전등에 불이 켜지면 해당되는 스위치를 누르는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자 . 극-반응 선택수가 중가할수록 선택 반웅시간은 증가하였고, 자극 -반응 선택수가 z 배로 증가될 때마다 거의 일정하게 15 0 msec 만큼 선택 반응시간이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선돼 반웅시 간과 자극-반응 선돼수의 대수(l ogarithm) 간의 관계가 직선적이라
7 0 。
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Hyman(1953) 은 정보처리량과 반응시간 사이의 관계를 피험자가 처리해야 하는 정보량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연구하였다. 그는 Merkel 과 Hick 의 실험방법과 같이 자극-반응 선택수를 변화시켜 Log 2 에 대하여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 4 명의 피험자로부터 얻은 결과는 그렴 3-9 와 같다. 각각의 경우에 정보량과 선택 반응시간 사이에는 분명한 직선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Hick 의 법칙으로 알 려져 있는 이러한 현상은 다음과 같이 공식화할 수 있다. 선돼 RT=a+b [I ogz (N) ] 이 법칙은 다양한 환경과 여러 종류의 피험자들로부터 일반적흐 로나타나고 었다.
。 Exp.1
3-1-2 정보처리의 개념과 단계 언간이 활동함에 있어 취하는 여러가지 신체척 반웅 (physical response) 은 환경으로부터의 정보가 감각기관을 통하여 업력 (input) 됩으로써 시작된다. 즉, 그렴 3-10 과 같이 운동반응은 업력 된 정보를 인간이 처리한 결과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인간에 의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처리되며 정보가 처리됨에 따라 점 차척£로 관찰할 수 있는 운동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정보이론 (information theory) 은 여러가지 상황에서 정보의 전달 을 다루려 는 이 론£로서 Shannon (1948 ) 에 의 하여 제 안되 어 Weaver(19 62 ) 에 의하여 발전되었다. 정보이론에서는 인간의 사고 과정을 전자계산기의 정보처리과정과 비유하여 인간이 수신한 정보 가 어떻게 정리되어 기억되며 언출되는가를 수리적인 표현으로 나 타내려 한다. 또한 정보이론에서는 정보의 업력과 전달 그리고 의 사결정 및 행동계획과 관련된 중추신경계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으 며 이러한 과정을.분석함으로써 인간의 능력을 이해하는 데 많은 공헌을 하고 있다. Stelrnach (19 82 ) 는 정보처리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기 본 가정을 설정하고 있다. 첫째, 자극과 반응 사이에는 몇 개의 처 리단계가 있다. 둘째. 01 러한 처리단계는 정보의 업력£로부터 시 작된다. 셋째, 정보처리의 각 단계는 정보가 유용할 때에만 작동된 다 (Massare. 1975). 넷째, 정보처리의 각 단계는 정보를 어떠한 방 법으로 변형시격 전달하며 이를 위하여 시간이 필요하다. 다섯째, 한 단계에서 처리된 정보는 다음 단계에 유용하게 만들어져 있다는
인간
입 -자 ‘ 려그 -「자 ---극 --식 - -별 - 냈반웅계획
것이다. 이러한 가정과 함께 Donders 의 실험에서 우리는 정보처리 에 있어서 몇 가지의 단계를 가청할 수 있다. 즉, 그렴 3-11 과 같 이 자극이 제시되어 반응이 일어나는 사이에는 적어도 3 가지의 단 계를 가정할 수 있다 (Schmidt , 1982). 정보처리의 첫번째 단계로, 자극이 제시되었다는 것을 알고 그것 을 확인하여야 하는데, 이 단계를 자극확인단계 (stimu 1u s-identifi -cation stage) 라고 한다. 둘째로 자극의 확인이 끝난 후에 어떤 반 응을 해야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히는데 , 이 단계는 반응선택단계 (response selection stage) 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적절한 반 응이 선택된 후에 적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해야 하 는데 , 이 단계 를 반응계 획 단계 (response programming stage) 라고 한다. 자극확인단계는 환경으로부터의 자극이 신체의 감각기관에 접촉 하기 시작하여 각각의 분석수준에서 처리되어 과거와 연관된 어떠 한 속성을 인지하게 되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에서는 사건의 내 용과 연관된 자극이나 사건의 연상과 연관된 자극의 측면을 활성화 시키는 기억과의 접촉이 일어나게 된다. 이 단계의 처리속도에 영 향을 미치는 변인은 일반적으로 자극의 명료도 (stimulus clarity) 와 자극의 강도 (stimulus intensity) 라고 볼 수 있다. 자극의 확인이 이루어지면 많은 가능한 반웅 중에서 적절한 반응 을 、 선택하는 일이다.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은 반응선 택단계에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메카니즘은 선돼 반 웅시간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연구될 수 았다.
표 3-2 반응복잡성 과 RT , MT 의 관계 (Henry and Rogers,1 9 60) 운동 RT MT 손가락으로 들어올림 159 공 하나를 협 195 95 공두개를첨 208 465
자극을 확언하고 척절한 반웅을 선택하면 외현척 반웅을 조직하 고 시작해야 한다. 즉, 반응이 선돼된 후 추상적인 생각인 반응을 일련의 근육활동A 로 옮겨야 한다. 이러한 과정이 반웅계획단계에 서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정보처리의 두 가지 단계가 비교적 일 찍 밝혀진 데 비해 반응계획단계는 Henry 와 Rogers (19 60 ) 에 의하 여 비교척 늦게 밝혀졌다. Henry 와 Rogers 는 반응의 복잡성과 반응시간의 관계 에 대 하여 연구하였다. 첫째 조건은 손가락을 스위치로부터 들어올리는 것으 로서 정확성이 요구되지 않았고 운동의 크기도 단지 몇 mm 에 불과 하였다. 두번째 조건은 스위치로부터 손가락을 들어올려 약 33cm 만큼 앞과 뒤로 움직여 줄에 매달려 있는 볼을 잡는 것이었다. 그 리고 세번째 조건은 첫번째의 볼과 그 볼의 30c m 위에 매달려 있는 두번째의 볼을 잡는 것이었다. 그 결과는 표 3-2 에 제시되어 있다. 즉, 제 Z 조건은 제 I 조건보다 반응시간이 3 6 msec 만큼 길였으며, 제 3 조건은 제 2 조건보다 반웅시간이 I3msec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 는 운통이 복장해짐에 따라 반응시간이 중가한다는 것으로 반응 계 획단계에서 운동을 계획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3-1-3 기억체계 학습과 기억의 현상은 인간의 뇌가 지닌 가장 경이로운 현상이 다. 인간이 어려서부터 성언에 이르기까지 기억하고 있는 항목은
자「그「 ----ll 단기(S감TS각S저) 장 ll• -1| 단(S기TM기억) 반응
아마 수백만개에 이를 것이다. 이러한 많은 양의 기억을 저장하고 인출하는 인간의 기억체계는 매우 복잡하고 효율적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기억이란 전에 경험하였던 것을 회상하는 것으 로, 인간을 만물의 영장으로 살。까게 하는 가장 중요한 특성이라 고할수있다. 기억의 과정은 일반적으로 3 가지의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지각 (perception) 으로 현재 주어진 정보가 조직화되는 단계, 즉 부 호화 (encoding) 되는 단계를 말한다. 둘째로 저장 (storage) 의 단계 로 청보를 단기간 혹은 반영구적으로 기억 속에 보관해 두는 단계 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언출 (retriva I)의 단계이다. 언출이란 저 장된 기억청보를 다시 끄집어내어 희생시키는 것올 말한다. 기 억 의 저 장형 태는 단기 감각저장 (short-terrn sensory storage : STSS) 과 단기기억 (short-terrn memory: STM) 그리고 장기기억 (Ion g-terrn memory : LST) 으로 구분될 수 있다.
1 감각저장 인간과 환경의 일차척인 접촉은 감각기관의 수준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감각기관에 수용된 정보도 일정 기간 그 혼척이 지속되기 때 문에 감각저장 혹은 감각기억 (sensory memory) 이라고 불린다. 감 각저장은 감각계통이 외계의 정보를 받아들여 정확하고 완전한 상 (image) 을 유지하는 것 A 로 그 지속시간이 0.1-0.5 초 가량이다. 인 간의 가장 중요한 감각계언 시각정보의 감각저장 시간은 。 .25 초 정 도이다. 따라서 I 초에 4 회 이상 왕복하는 물체는 심상의 연속성이 유지된다. 감각저창은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 , 촉각, 운동감각 등 다양한 감 각에 존재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연구도 다소 진전되고 있다. 시기 억 (visual memory) 은 시각척 자극이 제거된 후에도 시각척인 상。 l 당분간 지속되는 것으로 영상척 기 억 (iconic memory) 이라고도 한
I 。 완전한보고
다. Sperling(19 60 ) 은 피험자에게 12 개의 글자와 숫자를 4 개씩 3 열로 배치하여 50m sec 동안 제시한 후 다양한 방법으로 회상하도록 하 였다. 그 결과 전체보교법 (whole report) 으로는 12 개의 문항 중 평 균 4-5 개의 철자밖에 보고하지 못하였으나 부분보고법 (partial report) 에 의해서는 75% (9. 1 개) 정도의 철자를 보고하였다(그렴 3 -13) . 이러한 사실은 자극이 제시된 직후에는 피험자가 거의 모든 자극을 파지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더욱이 자극의 제시와 보고까지의 간격을 150, 300, 500, looomsec 로 늘렸을 때에는 시간간 격의 증가에 따라 부분보고법에 의하여 보고되는 형균철자수는 전 체보고법에서와 거의 비슷한 회복률을 보이고 있다(그럽 3-14) . 즉, looomsec 로 늦추었을 경우에는 7 6 % 에서 3 6 %(4.3 개)로 급격히 떨 어졌다. 이러한 사실은 영상적 기억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급
10
격한 상실이 일어남을 시사하는 것이다. 영상척 기억에서의 망각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소멸 (decay) 과 차단 (masking) 에 의하여 일어 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청각척 자극도 제거된 후에 잠시 동안의 파지가 가능한데 이러한 종류의 감각기 억 을 청 기 억 (auditory memory) 혹은 반향기 억 (echoic memory) 이라고 한다. 반향기억은 일반적무로 수용능력이 영상척 기억보다 크고 소멸율도 적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감각저장의 용량은 거의 제한이 없다 한계역치 내에 드는 모든 자극이 수용될 수 있다. 물론 시간이 경과되면 감각저장된 정보의 양은 급격히 줄어들게 된다. 감각저장된 정보가 단기기억으로 전이 되기 위해서는 주의집중이 필요하게 된다. 주의가 집중된 정보는 단기기억 i 로 전달되지만 그렇지 못한 정보는 곧 소멸된다. 2 단기기억 단기기억은 감각저장이나 장기기억으로부터 전달되어 온 정보를 저장하는 체계이다. 또한 단기기억은 제한된 용량과 짧은 파지시간 을 가지며 정보의 처리를 위한 작업장소로 생각될 수 있다. 단기기억의 수용능력은 크게 제한되어 있다. 단기기억의 용량은 7 ::1::z개의 항목만을 수용할 수 있음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증명 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 Mille r( 1 955) 의 연구를 들 수 있다. Miller 는 기억의 폭 (memory span) 에 대한 한계가 얼마인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bit 라는 정보의 단위를 사용하였고, 1955 년 이전의 즉 시 적 기 억 (im mediate memory), 절대 판단 (abs 이 ute judgement) , 주 의의 폭에 대한 실험을 종합하여 직접적인 증거를 찾으려고 노력하 였다. Miller 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사람이 한 번에 순서대로 기억 할 수 있는 항목은 7 ::1: 2 개로 제한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아무런 관련이 없는 문자나 숫자의 나열을 한번 보여주고 회상하라고 하면 5 개에서 9 개 청도밖에 기억하지 못한다. 또한 단기기억의 용량이 팍 차있을 때에는 새로운 정보가 들어오더라도 이미 들어 있는 정 보가 자리를 양보하여 대 치 (displacement) 됨으로써 역시 7 ::1: 2 개 밖 에 기억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용량 한계의 극복은 하위수준의
A B
정보단위를 상위수준의 정보단위로 조직하고 재부호화하는 군단위 (chunk) 과정 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 단기기억에 저장된 정보는 쉽게 망각된다. 단기기억에서 망각현 상을 설명하는 입장으로는 소멸이론 (decay theory) 과 간섭 이론 (int erference theory) 이 있다. 소멸이론은 정보가 망각되는 이유는 연습되지 않기 때문이며 시 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소멸된다는 업장이다. 이러한 망각현 상을 자연척 소멸이라고 하며 암송 (rehearsa I)이 억제되면 불가피하 게 일어난다는 것이다. Peterson 과 Peterson(1959) 은 피험자가 암 송할 수 있는 기회를 제거하거나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하여 교란과 제 (distractor task) 를 이용하였다. 이들이 이용한 교란과제는 세 자리 숫자(예: 487, 484, 48 1 등)에서 3 이나 4 를 빼면서 거꾸로 세는 것이었다. 각 시행에서 자음 3 자에 뒤이어 세 자리 숫자가 제시되 었으며 회상을 요구받을 때까지 I 초에 한 번씩 교란과제로 제시된 숫자를 세는 것이었다. 정확한 회상과 파지간격 사이의 관계는 그 렴 3-16 과 같다. 즉, 암송이 허용되지 않았을 때, 즉각적인 회 ÃJ -- 을 요구하였을 경우 회상률은 90 % 정도였으나 파지간격이 늘어남에 따라 회상률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18 초에 이르러서는 한 글자도 회상할 수 없을 청도로 망각되었다.
10 。
간섭이론은 파지시간에 일어나는 제반 사건의 결과로 망각이 얼 어난다고 본다. 정보의 기억은 선행정보와 후행정보에 의하여 각각 순행간섭과 역행간섭이 일어난다. Keppel 과 U nderwood (1962) 는 순행간섭 (proactive interference) 이 단기기 억 의 망각이 일어나는 주원인무로 보았으며, Wickelgren(I973) 은 역행간섭 (retroactive interference) 도 망각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단기기억의 존재는 기억상실증을 관찰해 봄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사람이 사고를 당했을 때 사고 직전의 일은 이억하지 못 하지만 그 이전의 일은 기억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증세 를 역행성 ‘ 기억상실증 (retrograde amnesia) 이라고 하는데, 사고 직 전의 단기기억 상태를 장기기억£로 전환시키지 못한 현상이라고 생각될 수 있다. 또한 선행성 기억상실증 (anterograde amnesia) 은 사고 후에 의식을 회복했을 때 기억하는 내용을 상설하는 증세로 역시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전환시키지 못동}는 현상이다. 즉시척 기억을 단기기억으로 유지하게 하는 신경생리학적 기능에 대하여 많은 연구의 진전이 있었다. 단기기억의 신경활동으로 가창 빈번하게 거론되는 것은 반향 (reverberation) 의 메카니즘이다(그림
A B
3-17). Burns(I95 8 ) 의 절연피질면(i s 이 ated cortical slab) 의 성질에 관한 연구에서 얻은 데이타는 반향활동의 존재를 강력하게 시사하 고 있다. 절연피질면의 신경은 일련의 전기적 파동에 의하여 자극 을 받으면 활동의 폭발이 기록될 수 있다. 만일 자극이 아주 강하 면 신경의 활동은 3 0 분 정도 지속될 것이다. 이러한 긴 시간 동안 의 신경활동은 신경조직의 회로에서 실제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반 향작용을 시사하는 것이다.
상면도
3 장기기억 단기기억에서 암송 (rehearsa l)되지 않은 청보는 다른 청보에 의하 여 치환 (displacement) 되어 망각되지만 암송과 부호화의 과정을 거 치게 되면 그 정보의 저장이 지속되거나 반영구적인 창기기억에 전 이된다. 이러한 과정은 우리들의 기존 지식이나 심리적인 태세 또 는 주의의 영향을 받는다. 암송은 단기기억에서 정보를 의식상태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말하며, 부호화는 정보를 분류하고 표상하는 것 을 말한다. 정보가 어떻게 표상되느냐에 따라 정보인출의 용이성과 망각의 가능성이 결정된다. 부호화의 성질은 정보의 파지에 질적, 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부호화의 과정은 기존지식을 바탕으 로 연상을 가능하게 하고 정보의 인출과정에서 탐색해야 할 기억영 역을 줄여 주며 정보의 저장량을 증가시켜 줄 뿐만 아니라 간섭에 대한 저항기능을 높여주는 기능을 갖는다 (Atkinson and Shiffrin, 196 8) . 장기기억에서 정보의 저장은 저장될 정보의 내용 그 자체가 저장 위치 지정에 필요한 정보까지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Atkinson and Shiffrin, 1968) 동일한 정보는 항상 동일한 위치에 저장된다. Bower(197 2 ) 는 정보의 저장에 두 가지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적합한 반응의 탐색이 용이하도록 가능한 대안의 수를 제한시키는 방법과 비슷한 정보를 향상 동일한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기억흔적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장기기억의 망각은 단기기억에서 적용되었던 소멸이론과 간섭이 론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장기기억에서의 망각은 인출 의 실패로 보는 단서의존적 망각도 일어나게 된다. 즉, 반응경합이 나 반응양식의 간섭은 언출의 실패에 기인한 망각현상오로 볼 수 있다. 정보의 언출과정에서 적절한 단서가 주어진다면 인출이 일어 날 수 있을 것이다. 장기기억을 가능하게 줄}는 신경생리학적 메카니즘은 많은 연구자 들에 의하여 연구되고 있다. 장기기억저장이 뉴런에 어떠한 물리적 변화를 준다는 사실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하는 신경과학자는 거의
없다 . 기억의 저장에 참여한 후에 뉴련은 어떠한 특정업력에 대하 여 다르게 반응할 것이고 서로 연결된 신경세포의 회로에 변화가 일어나변 인출의 단서는 뉴런의 특정한 형태의 활동을 불러일으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활동이 특 정한 반웅을 일으키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뉴런이 시냉스 를 통해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시냄스에서 가장 뚜렷하다고 볼 수 있다. 장기기억을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변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여러가지의 접근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즉, 통물을 훈련시켜 신경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 혹은 생화학적 변화를 살펴보는 방법과 물리 적 변화를 초래하는 데 필요한 생화학적 체계를 억제 혹은 촉진시 키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3-2 운동제어체계 3-2-1 개요 우리가 사용하는 각종 기계의 제 어체계 (control system) 는 몇 가 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어떠한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기계 스스 로 오류를 탐지하고 이를 수정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동}는 자동 제어체계와, 인간이 오류탐지와 수정을 해줌으로써 작동되는 반자 동 제어체계, 그리고 인간에 의하여 전적 A 로 제어되는 수동체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기계의 제어체계에 착안 하여 인간의 제어체계에 대한 연구를 100 여년 동안 계속해 오고 있 다. 인간의 운동체계를 구명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생명이 없는 체계를 생물학적인 체계의 운동으로 모형화하며, 오리가 수영을 하 고 날개를 움직이며 부리로 음식을 쪼아먹고 소화해서 배설하도록 설계하였다(E co & Zorzoli, 1 96 3 ; Gallistel, 1 98 0) . 운동이 피드백에 의하여 제어되느냐 아니면 뇌에 저장되어 있는 운동명 령 (movement commands), 즉 운동프로그램 (motor pro- gram) 에 의하여 제어되느냐 하는 문제는 운동제어 분야에서 가장
지속적이고 열띤 논쟁을 불러일으켜 왔다. 피드백에 의한 제어를 주장하는 학자들 (Peripheralists) 은 자기감 각수용기 (proprioceptors) 와 외 척 수용기 (exteroceptors) 로부터 전 달되어 오는 피드백의 조합을 통하여 운동이 제어된다고 주장하며 두 가지 형태의 기본입장을 취하고 있다 (Schmidt , 198 0) . 하나는 반응연쇄가설 (response- ch aining hypothesis) 로 하나의 동작으로부 터 산출된 피드백이 다음 동작을 유발시킨다(J ames, 1 8 9 0 ) 는 것이 고, 다른 하나는 폐쇄회로가셜 (closed-loop hypothesis) 로 피드백이 정확성 참조기준 (reference of correctness) 과 비교됨으로써 에 러를 수정한다 (Adamsj 1971) 는 것이다. 이들은 피드백을 차단시키면 운 동수행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며 운동프로그랩에 대한 직접적언 증거가 없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운동프로그램에 의한 제어를 주장하는 학자들 ( Centralists) 은 피드백이 없어도 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는 증거와 인간이 운동수행중에 피드백 정보를 처리하여 운동을 수정하는 데 에는 많은 어려움을 겪는데, 특히 zoomsec 이하의 빠른 운동을 수 행할 때에는 거의 피드백 정보를 사용할 수 없다는 여러가지 연구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논쟁은 197 。년대에 들어와 절정에 달하였으나 몇몇의 연 구자들 (Klapp , 1975 ; Klapp, 1976 ; Glencross, 1977) 에 의하여 절충 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Klapp(1975) 은 조준운동 (aimed move- ment) 에 관한 연구에서 짧은 거리의 운동 (zmm , Ilmm) 에서는 표 적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반응시간이 감소하였으나 긴 거리의 운동 (33 6 mm) 에서는 표적의 크기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보고 하고 있다. Klapp(1975) 은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하여 긴 운동은 피드백에 의하여 제어되고 짧은 운동은 프로그랩화되어 있다고 하 였다. 또한 운동은 분석 수준에 따라서 프로그램화될 수도 있고 피 드백에 의하여 제어될 수도 있다고 주장하였다 (Klapp , 1976). Glencross(1977) 는 통합척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는데, 학습의 초 기단계에 있는 학습자는 피드백 회로에 의존하고, 기능을 가진 학 습자는 피드백 없이 방출될 수 있는 운동프로그랩을 사용한다고 주
장하고 있다. 3-2-2 폐쇄회로체계 1 폐쇄회로체계의 개념 폐 쇄회로체계 (closed-loop system) 란 오류의 탐지 및 수청을 위 한 참조기제 (reference mechanism) 가 있기 때문에 출력이 피드백 되어 참조기제와 비교됨으로써 오류의 탐지와 수정이 저절로 이루 어지는 제어체계를 말한다. 폐쇄회로 체계의 제어는 대체적으로 다 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
·체계가 실행해야 할 목표가 셜정된다. ·연속척인 피드백이 주어진다. ·참조기제에 에러가 계산된다. ·계산된 에러를 명령기관에서 효과기로 수정을 지시한다. 폐쇄회로 제어체계에서 피드백은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운동체계 의 처음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운동중에는 동작의 정확성 을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운동이 끝난 후에는 동작이 정확한 지 아닌지를 얄리는 근거를 제공한다. 이 폐쇄회로 제어체계를 정 보처리단계에 따라 인간의 운동체계에 적용시켜 보면, 체계는 단기 기억이나 자극식별단계를 통하여 피드백 정보를 받고 단기기억이나 반응선돼단계에서 오류를 계산하여 무엇을 할 것인가를 결정한 다 음에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반응계획단계에서 근육에 내릴 지 시를 계획하게 된다. 그리고 근육 혹은 근육을 조절하는 기관이라 고 생각되는 효과기에 명령이 주어진다. 근육, 관절, 건 뿐만아니 라 눈, 귀 등에서 들어온 정보가 다시 분석되기 위해 참조기제에 보내지고 앞으로의 행동이 다시 결정된다. 2 감각정보와피드백 폐쇄회로 체계는 체계의 반응£로 생성된 감각정보에 의하여 그 다음 반응이 가능하다. 폐쇄회로체계의 맥락에서 이러한 감각정보 를 반응산출 피드백 (response producted feedback) 또는 간단히 피 드백이라 부르고 있다. Sheπington(I9 06 ) 에 의 하면 피드백의 근원은 내장수용기 (Ïnt er-oceptors) 와 자기감각수용기 (proprioceptors) 그리고 외 적 수용기 (e xteroceptors) 의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내장수용기는 배고 픔과 같은 내창기관의 상태를 알려주는 기관으로 운동과의 관련 여 부는 밝혀지지 않았으며, 자기감각수용기는 근육,건, 관절수용기, 세반고리관 등 신체 내의 운동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는 수용기를 말한다. 그리고 외적 수용기는 눈, 귀와 같이 신체 외부의 운동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는 기관이다. 근방추 (muscle spindle) : 신체의 주요 근섬유사이에는 작은 추 모
Ia 구심성 신경
양의 근방추가 있는데, 이는 추내 섬유 (Ïn trafusal fibers) 와 적도부 위 (eQuatorial region) 로 나눌 수 있다. 추내섬유가 신전되어 척도 부위를 흥분시키면 Ia 구심성 섬유를 자극시키는데, 이는 근육의 길이와 수축속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근방추는 사지의 위치와 속도의 지각에 관계되는 것으로 보이나 작은 위치 변화에 얼마나 민감한지는 의문이다. Kelso 와 Stelmach(1976) 에 의하면 근방추도 위치를 탐지하는 많은 원천 중의 하나일 것이라는 것이다. 골기 건 수용기 (g 이 gi tendon organs) 골기 건 수용기는 그 명칭 이 시사하듯이 근육을 뼈대에 결합하는 기관으로 근육이 과도한 수 축을 하면 흥분하고 척수에서 뉴런과 접합하여 근수축의 억제를 일 으킴으로써 근육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골기 건 수용기에 대한 초기의 관점은 그것의 신경적 연결에 근거를 두고 있었다. 그러나 Stuart (1972 ) 등에 의한 연구에서는 골기 건 기능에 대한 색다른 관점을 제공하고 있다 . 즉, 골기건 수용기는 전체 근육과 연결된 것이 아니고 3- 2 5 개의 근섬유 소집단과 연결되어 있고 더구나 단 일 건 수용기 에 부착된 운동 단위 (motor unit) 는 단지 몇 개 (15 개)
신경섬유
에 불과하다. 또한 건 수용기는 그것과 연결된 운동 단위에서 일어 냐는 험에 민감해서 근육의 특정 부위에 대한 긴장을 민감하게 탐 지한다는 것이다. 골기 건 수용기는 일반적으로 보호기제로서의 역 할을 하고 근수축의 긴장을 지각하는 등 운동지각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이라고 볼 수 있다. 관절 수용기 (joi nt receptors) : 사지 의 관절 들은 관절 피 막 (joi nt caps 비 e) 이라고 불리는 껍절로 둘러싸여 있다. 이 관절피막에는 관 철수용기로 알려진 여러 수용기 세포가 있어 관절의 위치지각에 관 여한다. Skoglund (195 6 ) 는 고양이의 뒷다리를 통하여 사지가 특청 한 위치에 있을 때 흥분하는 개개의 수용기를 발견하였다. 즉, 어 떤 수용기 세포는 관절이 특청한 범위 (150- 18 。도)에서만 흥분하고 또 다른 세포는 다른 각도에서 홍분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중추신 경이 관철수용기를 추적함으로써 사지의 위치를 알 수 있다는 것을 뭇한다. Burgess 등( 19 6 9) 을 비롯한 많은 연구자들은 관절수용기의 아주 작은 부분만이 특정한 각도에서 흥분하고 대부분의 관철수용 기는 관절의 운동이 거의 극에 달했을 때 흥분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Boyd 와 RobeπS(1953) 는 관철수용기가 흥분 하는 유형의 본질이 운동이 능동적인가 수동척인가에 달려 있고 관 절의 운동방향에 의해서도 좌우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러한 사실
은 관철수용기가 흥분하는 유형을 사지의 단순한 위치보다는 다른 어떠한 요인에 달려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Skoglund 의 가설에 대 한 열광을 사라지게 했다. 그러나 관절수용기는 관절의 위치에 대 한 정보를 어느 정도 준다는 사실은 분명한 것 같다. 피 부감각 수용기 (cutaneous receptors) 피부감각 수용기는 피부 의 여러 콧에 위치하여 고통이나 압박, 뜨거움, 차거움 또는 화학 적 자극과 같은 신체의 상태를 알려주는 것이다. 피부감각 수용기 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그 하나는 파치니 소체로서 피 부 깊숙이 위치하여 타격이나 심한 압박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자극 된다. 파치니 소체는 변형될 때 더 빠르게 홍분해서 중추신경계에 감각정보를 보내는 경향이 있다. 다른 하냐는 마이너스 소체로서 촉각 수용기이다. 이는 업술이나 손바닥과 같은 렬이 없는 부분에 집중되어 있어 이 부분에 있는 피부는 약간의 변형에도 민감하다. 전정기 관 (vestibular apparatus) 머 리의 운동에 관한 정보를 제 공해 주는 일련의 감각기관이 내이(i nner ear) 에 었다. 이러한 정보 는 소낭 (saccule) 과 난형 낭 (utricle) 이라는 작은 구조물에 의 하여 제공되며 머리가 회전할 때 회전하는 비율과 방향에 관한 정보를 준다. 이 옆에 세반고리관 (semi --c ircular canals) 이 있어 신체의 정 면, 사면, 수형면에 대한 운동의 방향과 회전을 느낀다. 시각 (vision) 눈은 외계의 물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가장 중요한 수용기이다. 눈은 외계의 물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외적 수용기로 분류되어 왔으나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자신의 운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자기감각 수용기로서 도 작용할 수 있다고 한다. 인간의 운동수행에 있어서 시각은 물체 의 운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정보는 연속척인 운동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시각은 우리의 행동을 환경의 요구에 맞도록 조정하는데 관여한다 .T 따 veY{I977) 와 Lee{I9 8o ) 는 시각을 단순히 외계의 운동을 수동적£로 관찰하는 의미보다는 훨씬 풍부 한 정보의 원천으로 간주하고 있다. 즉, 우리 자신의 운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자기수용기적 감각이라고 할 수 있다. 시각과 운동은 상호 보완적 A 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스포츠와 관련된
대부분의 운동 상황에 중요한 것이다. 청각 (audition) : 청 각 혹은 듣기 (hearing) 는 본질척으로 외 척 수 용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청각은 시각과 같이 우리 자신의 운동에 대하여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가 실시 하는 대부분의 운동은 소리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각도 제한된 범위이긴 하지만 자기감각 수용기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통합적인 특성 : 우리는 운동감각에 의하여 사지의 위치를 지각하 고 어떻게 행동하고 있는지 찰 알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수용기와 별도로 작용하는 하나의 감각 수용기가 있다면 그것은 운동청보를 제공하는데 효과척이지 못하다. 왜냐하면 여러 감각수용기가 동시 에 작용해야 신체운동의 다양한 국면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Wetzel 과 Stuart(I97 0 ) 를 비롯한 많은 학자들은, 중추신경계는 건 수용 기, 근방추, 관절수용기, 피부수용기 퉁에서 온 정보를 종합하고 통합시켜서 이런 수용기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생성된 애매모호한 신호를 해결한다고 주장하였다. 3 운동행동의 폐쇄회로적 제어 폐쇄회로체계는 수행단계에서 개방회로체계와 유사하지만 그 다 음 단계 에서 정 확성 참조준거 (reference of correctness) 가 있어서 근본적으로 구별이 가능하다(그립 3 -:z:z참조) . 이 정확성 참조준거 는 〈성취되어야 할 어떤 것〉으로 실행된 운동의 정확성과 관련된 피 드백 성격의 형태 혹은 다른 어떤 추상적인 정신적 표상으로 생각 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자동온도 조절장치에 맞추는 눈금의 값 이나 배를 자동척으로 조정하는 나침반 각도의 값과 유사한 것이 다. 그림 3- :Z:Z와 같은 폐쇄회로 모형은 본질적으로 두 가지 측면에서 생각할 수 있다. 첫째, 운동이 일어난 후에 운동이 정확한지 아닌 지 얄리는 근거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골프 스명을 하여 공이 멀 리 날아간 후에 스명의 감각을 분석함으로써 공이 날아간 방향과 거리, 통작의 정확성 여부에 대하여 많은 것을 느낄 수 있다. 이러
피드백
한 반응 후의 피드백의 역할에 대한 것은 많은 학습이론 (Adams , 1971; Schmidt, 1 975) 의 기본적인 개념이다. 둘째, 진행중언 운동의 제어에 관한 내용이다. 예를 들연 고속도로에서 차를 운전하는 것 과 같이 매우 긴 시간 동안 반응할 때 적용되는 것이다. 장시간 운동의 제어 : 그렴 3- 22 에 제시된 모렐은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는 과제에 척절한 것 같다. 왜냐하면 오류를 분석하는 데 포함된 과정이 상당한 양의 시간과 정신적 에너지를 소모하기 때문 이다. 또한 이 모렐은 일정한 값에서 무엇인가 조절되는 운동과 많 은 관련이 있다. 예를 들면, 속도계를 보연서 차를 일정한 속도로
유지하는 것이나 활주로에 비행기를 안착시키는 것 퉁이다. 이러한 운동을 추척 반응 (tracking response) 이 라고 하며 운동행동의 다양 한 창면에서 얼어날 수 있으므로 운동행동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 하고 있다. 자세와 균형의 제어 : 균형과 . 관계된 피드백의 첫번째 측면은 앞 에서 언급한 내이의 전정기관이다. 이 수용기는 운동중 수직에서의 이탈, 신체의 정위, 머리에 적용된 가속도 등에 민감하다. 균형과 판계된 피드백의 두번째 원천은 관절과 근육에 관련된 여러 수용기 들이며, 세번째 원천은 Gibson (I 966) 이 시각적 자기감각 수용 (visual proprioception) 이라고 부른 피드백인데, Lee(I9 Bo ) 는 보통 사람이 눈을 감았을 때에는 흔들리는 청도가 장님과 비슷하다고 지 적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시각이 균형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주장에 대한 좀더 신벙성 있는 증거는 Lee 와 Aron son (I974) 의 실험에서 볼 수 있다. 그는 바닥은 움직이지 않고 3 면이 전체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움직이는 방 (moving room) 이라는 장치 를 이용하여 벽운동이 자세에 미치는 효과와 동요를 연구하였다. 어린이를 피험자로 이용할 때 벽을 피험자 쪽으로 몇 cm 이동시켰 더니 균형을 잃고 주저앓았무며 매우 놀라는 반응을 보였다. 벽을 피험자로부터 먼콧으로 움직이연 앞으로 심하게 기울게 되고 넘어 지거나 버틀거리게 된다. 성인을 피험자로 할 때에도 효과는 럴 격 렬하지만 벽이 운동하는 방향과 일치하여 흔들렴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벽을 움직이는 것이 피험자의 시각적 배열을 변화시켰기 때문에 피험자들은 시각척 배열을 균형의 상실 로 해석하고 반대방향으로 보상을 일으켰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시각도 신체의 균형유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폐쇄회로 의 모형 A 로 작동된다고 볼 수 있다. 정확성 참조준거의 번화 : 체계에 주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관한 생각은 순간상태가 요구상태로 변화하는 추적과제에까지 확장 될 수 있다. 즉, 커브길의 운전, 널판지의 톱질, 맥주 마시기 등에 대한 정확성 참조준거는 단일한 상태가 아니라 오히려 순간마다 변
하는 일련의 상태이다. 정확성 창조준거는 각 순간마다의 사지위치 에 관한 각기 다른 명세 (specification) 를 가지고 있고 운동이 진행 됨에 따라 변하는 사지운동의 피드백과 연결휠 수 있다. 따라서 운 동의 궤도 (trajectory) 에 있는 오류가 탐지되고 수정될 수 있다. 이 러한 메카니즘은 학습자가 폐쇄회로 체계가 반응하는 동안에 추척 하는 일련의 정확성 참조준거를 학습한다는 Adams(I97 I ) 의 학습이 론에 대한 근본 개념이다. 빠른 운동의 제어 : 폐쇄회로체계는 자극을 수용하여 반응을 산출 하기까지 정보처리 시간이 많이 걸리고 주의집중을 필요로 하는 것 이었다. 그러나 문제는 빠른 동작을 수행할 때에는 오류탐지, 수정 결정, 수정개시를 할 동안에 동작이 이미 끝나 버린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무하마드 알리의 왼손 캡(j ab) 은 40m sec 청도 걸리는데, 오류를 탐지하고 이컷을 수정하는 데에는 15 0 - 200 msec 가 필요하 기 때문에 수정이 시작되기 전에 통작이 끝나 버리게 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폐쇄회로 이론은 빼른 운동을 설명하는 데 척합하지 못한 것 같다. 4 반사적인 폐쇄회로 제어 수정에 필요한 잠재시간 : Dewhurst(I9 6 7) 는 피험자에게 팔꿈치 를 직각으로 들어 손에 부착된 가벼운 중량을 지지시키고 팔꿈치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음극선에 나타나는 점을 통하여 제공하였다. 그리고 실험자는 활의 위치와 이두근의 근전도를 기록하였다. 손에 무게를 증가시킴에 따라 자연적£로 손은 아래로 움직이기 시작하 였고, 잠시후에 이두근에 대한 근전도 활동을 증가시켰으며 이두근 의 힘을 증가시켜 팔을 직각으로 복귀시켰다. 여기에서 피험자가 팔에서 온 시각적 또는 운동감각적 피드백을 정보처리단계를 통하 여 처리해야 한다면 150 -200msec 동안에는 이두근의 근전도 증가 가 없어야 한다. 그러나 그립 3- 2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활의 각도 에 대한 수청은 주의집중이 필요한 폐쇄회로 과정에 의하여 설명되 는 것보다 훨씬 빨리 수정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이와 같은 수정이 척수의 반사에 의한 제어를 받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위
반사적인 수정에 대한 주의집중의 필요성 : 반사적인 수정은 신속 하게 일어나지만 주의가 필요하지 않다는 특정이 있다. 이러한 사 실에 대한 증거는 He 따 Y(1953) 의 연구에서 찾아볼 수 있다. Henry 는 항상적 압력 (constant pressure )검 사와 항상척 위 치 (constant position) 검사 그리고 압력의 변화에 대한 의식적 지각 (conscious perception) 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반사적인 지각에 의 한 수정(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는 과제)은 의식적인 지각보다 20 배 <. 559/. 02 9) 정도 민감하게 나왔다(표 3-3 참조). 이러한 사실은 피험자들이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매우 빠르게 변화에 반응하
표 3-3 다양한 조건별로 피험자의 반웅에 요구되는 힘의 변화량 조건 반웅에 요구되는 힘의 변화량 (dynes) 의식적인 지각 .559 항상척인 압력 .296 항상척인 위치 •0 29 * 1 dyne 은 Icm/sec/sec 에서 Ig 을 가속시키는 데 요구되는 힘.
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반사에 의한 수정 : Dewhurst(I9 6 7) 와 Henry(I953) 의 연구결과 에서 본 바와 같이 위치 및 압력의 변화에 대한 수정은 사람이 강 지할 수 없을 정도로 미세하다. 이러한 사실은 이러한 종류의 수정 작업이 정보처리단계나 주의를 필요로 하지 않는 반사작용에 의하 여 얼어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3-2-3 개 방회로체계 1 개방회로체계의 개념 개방회로체계는 지시 (Ï nstruction) 가 미리 설정되어 있어 그것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계없이 실행되는 체계를 말한다. 즉, 개방 회로 체계는 피드백에 크게 관여되지 않는다. 그렴 3- 2 4 는 전형적 인 개방회로체계에 대한 도식이다. 실행기와 효과기는 폐쇄회로체 계와 같은 방법흐로 생각할 수 있£나 피드백 회로와 정확성 참조 준거가 없는 것이 특정이다. 즉, 실행은 계획되어 있어서 특정한 시간에 효과기에 명령을 보내고 오차가 있을 때에도 효과기는 수정 하지 않고 명령을 수행한다. 개방회로체계의 예로는 교통신호등, 자동세탁기, 전자렌지 풍의 제어체를 들 수 잇다. 교통신호풍은 순 간순간의 상황변화와 관계없이 정해진 순서와 시간에 따라 작동된 다. 교통상황에 대한 피드백이 없기 때문에 교통이 혼잡하거나 사 고가 있을 때에도 순서나 시간이 즉각척으로 수청될 수 없다.
실챙기
2 개방회로체계의 실험적 중거 개방회로이론, 즉 운동이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된다는 것을 증 명하는 데에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두 가지의 방법이 일반적 A 로 이용되고 있다. 첫째, 구성성 신경 (afferent nerve) 을 차단하 여 피드백이 없어도 운동수행에 별다른 지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는 방법이고 둘째, 인간은 피드백 청보를 처리하고 동작을 수정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실을 밝혀 환경에서 일어난 상황을 수청할 가능성이 없이 운동이 일어난다는 것을 증명하려는 방법。 1 다. 첫번째로 피드백 회로를 차단하는 접근방법은 감각청보(구섬성 신경)의 전달경로를 차단 (deafferentation) 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 방법에는 일시척 차단방법과 영구적 차단방법이 쓰이고 있다. 일시척 차단방법 에는 압대기 법 (cu ff technique) 과 국부마취법 (Ioc al anesthesia) 이 었다. 압대기법은 구섬성 신경이 척수로 되돌아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피험자의 팔이나 손목 부위에 혈압대를 두르고 심장혈압보다 높게 부풀리어 20-22 분 통안 지속시키면 신경이 앓
은 구섬성 신경은 산소부족 (anoxic) 으로 임훨스의 전달을 중단하게 되는데, 원심성 신경 (alpha motor neuron) 은 굵기 때문에 작용이 가능하게 된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국부마취법은 구성성 신경 의 집합소에 마취제를 투여하여 구심성 신경의 활동올 차단시키는 방법 이 다. 그리고 영구차단법 (permanant deafferentation) 은 실험 대상이 동물인 경우에 외과적인 수술을 통하여 구심성 신경을 영원 히 단절동}는 방법이다. 이러한 차단기법을 이용한 연구는 19 06 년 Sherrington 의 연구를 효시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동물과 사람을 대상으로 실시되었 다. Wilson(19 61 ) 은 메뚜기의 구심성 신경을 단절하고 머리 부위에 자극을 가한 결과 날개운동이 정상상태보다 횟수와 진폭이 줄어들 었£나 날개운동의 박자와 운동의 유형이 정확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 Taub 와 Berman (1968) 은 원숭이의 구심성 신경을 외과적인 수술을 통하여 제거시켜 피드백 정보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여도 걸 음걸 이 (Ioc omotory movement) 와 잡는 통작 (grasping movement) 에 큰 지장을 초래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Taub 등( 1973) 은 출생 후 2-3 시간이 경과한 원숭이의 구성성 신경을 단절하여 경험 과 학습의 조건을 없앤 상태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발달 에 있어서 약간의 지연이 있었을 뿐 운동수행에 큰 장애를 받지 않 았다. 이러한 결과는 복잡하고 협응된 일련의 동작들이 시각적, 운 동감각적 피드백이 없어도 제어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 리고 Fentress (1973) 는 쥐의 앞발에 있는 구심성 신경을 단절하여 세수동작 (face-washing) 을 관찰하였다. 앞발p l 얼굴이나 귀에 닿지 않았으나 세수 흉내를 내는 것으로 보아 이러한 동작이 선천적으로 부여받은 운동프로그랭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 구섬성 차단에 관한 연구는 인간을 대상으로도 실시되었다. Provins(I95 8 ) 는 손가락 관절에 마취제를 투입하여 구섬성 신경을 차단하였으나 운동의 정확성이 감소할 뿐 운동능력에는 이상이 없 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Smith(I9 6 9) 도 마취제로 오른손의 감마회로 (gamma-!oop) 를 차단하여 화살던지기 (daπ-throwing) 와 쥐는 힘 (grip strength) 을 측정한 결과 화살던지기의 정확성과 쥐는 험이
감소하였으나 운동발현에는 지장이 없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Kelso 등 (19 80 ) 도 손가락의 판절염 환자를 이용하여 구성성 신경을 차단 한 결과 다소간 위치운동이 부정확하였지만 운동을 제어하는 데 많 은 지장을 가져오지 않았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장과 같은 구섬성 신경 차단방법을 이용한 연구결과들이 시사 하는 바는 피드백 정보가 운동의 정확성을 증가시키는 데에는 중요 한 역할을 하지만 운동의 발현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기제는 아 니라는 점이다. 두번째의 접근방식은 얼반적으로 200msec 이하의 빠른 운동과제 를 사용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연구로는 Henry 와 Harrison (1961) , Slater-Hammel (1960), Keele 과 Posner(1968 ) 그리고 Hawkins 등 (1979) 의 연구를 들 수 있다. Henry 와 Harrison (1961) 은 피험자에게 대퇴 옆에 있는 스위치에 손을 대고 었다가 경고등이 켜지면 가능한 빨리 전상방으로 움직여 오른쪽 어깨 방향에 있는 줄에 손을 대도록 하였다. 그런데 또 다 른 불이 켜지면 줄에 손을 대지 말거나 반응을 느리게 해야 하는 과제를 주었다. 이 (go ) 신호와 (stop) 신호의 배치는 그렴 3- 2 5 와 같았다. 그 결과 IIOmsec 위치에 (stop) 신호가 주어졌을 때에만 운 동을 시작하여 손을 줄에 대기 전에 멈출 수 있었다. 여기에서 홍 미 있는 사실은 반응시작 24msec 전인 190 m sec 지점에서 (stop) 신 호가 주어졌을 때에는 반응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러한 유형의 운동은 미 리 프로그램화 (preprogramming) 되 었고 사전에 구조화되어졌기 때문에 환경에서 일어난 사태를 수정
Go RT1 동작시작 MT 동작종료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없이 하나의 단위로서 발현되었다고 볼 수 있 는것이다. Slater-IIarnnnel(X9 60 ) 은 피험자들이 I 초당 1 회전하는 시계를 보 면서 시계바늘이 청확하게 8 시 z 。분(시작으로부터 800msec 후)을 가리키는 순간 스위치에서 손을 떼어 정지시키도록 하였다. 그리고 시계바늘이 8 시 20 분에 도착하기 전 200 -75omsec 범위의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 멈추도록 조작하고 이 상황에서는 손가락을 들지 말도록 하였다. 그 결과 목표도달 23 0 msec 에서 멈추었을 때에는 운동을 억제하는 데 곤란이 없었으나 5 0 msec 에서 멈추었을 때에는 성공률이 5 0 % 였다(그렴 3-26 ) . 이러한 결과는 반응이 일단 계획되 고 시작되면 반응을 억제할 수 없다는 것으로 IIenry 와 IIarrison ( X9 6x ) 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것이다. Keele 과 Posner(X9 68 ) 는 사전 경험이 없는 남자 대학생과 대학원
1.0
표 3-4 평균 동작시간과 표척을 못맞춘 확률 목표동작시간 불빛 150 25 。 35 。 450 00 Off 00 Off 00 Off 00 Off 확에러률의 .68 .69 .47 .58 .28 .52 . 15 .47 실제 190 185 267 254 357 338 441 424 동작시간
생을 대상으로 150 , 250 , 350 , 45 0 msec 의 동작시간으로 철필 (stylus) 을 움직일 수 있도록 결과의 지식 (KR) 을 이용하여 훈련시킨 다음 동작시간을 정확하게 했을 때 불이 켜진 조건과 꺼진 조건에서 표 척을 못 맞출 확률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150 m sec 상황하에서는 불이 켜진 조건과 꺼진 조건에 차이가 없었지만 19o -2oom sec 이 상부터는 불이 꺼진 상황에서 표적을 못 맞출 확률이 커쳤다(표 3 -4>' 이러한 결과는 피험자가 시각적 정보를 처리하는 데에는 19 。 --2 6omsec 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한변 Hawkios 등 (1979) 은 Keele 과 Posoer(19 68 ) 의 실험에서는 불이 켜지는지 혹은 꺼지는지를 피험자가 예측할 수 없었기 때문에 불어 격지는 것을 예측할 수 없었다면 시각의 사용을 피하려고 하 였을 것이며, 시각을 사용하려고 할 때 불이 꺼지면 운동을 정확하 게 할 토대가 사라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불의 켜짐과 꺼짐 을 피험자가 예측할 수 있게 하고 Keele 과 Posner 의 실험을 재현해 보았다. 그 결과 불이 켜진 조건이 모든 동작시간에서 에러가 적었 A 며 시각 피드백 정보의 처리는 Keele 과 Posner 의 실험보다 훨씬 짧은 시간으로도 사용될 수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Schmidt , 1982 a). 운동이 한 단위로 유출된다는 증거는 Wadman 동 (1979) 의 연구 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피험자에게 레버를 잡고 팔꿈치를 신전하 여 가능한 한 빨리 목표물에 접촉시키는 과제를, 통작이 익숙해진 뒤에 피험자가 예측할 수 없는 지점에서 레버를 청지시켜 EMG 의
9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렴 3- 28 은 운동을 시작하여 목표에 접촉할 때까지의 주동근과 길항근의 EMG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 서 흥미있는 사실은 운동이 방혜를 받았을 때에도 EMG 가 정상적 인 운동의 EMG 와 아주 유사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이 마리 구조화되었고 한 단위로 유출되고 있음을 강력하게 시사동}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들이 시사하는 바는 사람들이 매우 빼F 른 운 동을 수행할 때 정보의 처리와 사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 이다. 특히 200msec 이하의 운동일 때 다른 운동수행을 위한 지시 가 있어도 피드백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심각한 의문이 생기게 된다. 왜냐하면 단순한 폐쇄회로 제어체계의 회로소요시간 (Ioo p time) 은 200msec 청도이기 때문이다. 많은 학자들은 피헝자 들이 그들의 운동을 사전에 구조화하여 이 구조화된 것이 훈동프로 그랩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정 차 。단 사옆최i
3-2-4 인간행동체계 Singer(1975, 19 80 } 는 언간이 복잡한 운동과제를 수행하는 데 있 어 인지과정이 큰 영향을 미치며 인간행동체계에 대한 보다 포괄적 인 연구를 위하여 여러가지 종류의 개념척 모형을 통합하여 인간행 동체계를 그럽 3- 2 9 와 같이 제시하였다. 즉, 숙련된 운동수행은 판
주의집중이 안된 정보 계통방전
련되는 기관을 통하여 그에 필요한 정보가 처리됨으로써 이루어진 다. 이러한 처리과정의 첫 단계는 감각수용기를 통하여 받아들언 외부의 정보를 순간적으로 감각저장 (sensory storage) 하는 것이다. 감각저장이 이루어진 정보는 주의를 집중함으로써 지각기제 (perceptual rnechanisrn) 로 흐르게 되는데, 정보를 확실하게 하기 위 하여 장기저 장 Oong-terrn storage) 의 내용과 비교하게 된다. 장 기저 장과 접촉이 이루어져 유관가 (pertinence value) 가 높은 정보는 완전한 지각과정을 이루게 되고, 이 내용은 단기저장 (short-terrn storage) 으로 흘러가게 된다. 단기저장에서 운동프로그램이 결정되 어 실제 운동수행에 필요한 근육군을 선정하기 위하여 운동발생기 (rnovernent generator) 로 보내 지고 근육군 (rnusde group) ~로 이 루어진 효과기 (effector) 에 의하여 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일단 운통이 수행되 면 자기감각 수용기 (proprioceptor) y.. 다른 감각수용
기 (sense recepto r)를 통하여 수행된 운동에 관한 반웅산출 피드백 (response produced feedback) 정보를 얻게 된다. 그리고 이 정보는 수행된 운동의 에러를 탐지하여 다음에 수행될 운동프로그랩을 보 완하게 하며 요구된 목척 이 이루어 지 연 유관정보 (pertinence infor- mation) 를 창기저창에 보내어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단계 별로 보다 구체척으로 셜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감각저장 (sensory storage) 인간행동체계는 감각수용기가 환경에 의하여 자극을 받거나 자극 영역을 첨병한 내척 표상으로 잠시 저장되는 내적 단서에 의하여 자극을 받을 때 활성화되고 기능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Sperling , 196 0) , 과제나 상황으로부터 받은 정보는 수행자 자신의 노력£로 얻은 정보와 함께 감각저장소에 잠시 동안 저장된다. 그렴 3-3 0 은 감각기제를 침범한 두 가지 근원의 정보가 어떻게 짧은 시간 동안 저장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 감각저장된 정보는 먼저 이전에 장기기억에 저장되었던 내적 표 상 (internal representation) 과 접촉하게 되는데 이를 탐지 (detec- tion) 라고 하며 방금 들어온 정보의 내용과 비슷한 경험이 있을 경 우 즉각척인 접촉이 일어나며 채인 (recognition) 현상이 일어나 지각 기제에 전달된다. 즉, 감각저장은 인간의 행동체계에서 들어온 자
탐지 I
극을 받아 그것을 잠시 동안 저장하고 탐지할 수 있도록 자극을 급 히 지각기제로 보내거나 기억과의 접촉을 위하여 장기기억으로 보 내는 역할을 한다. 2 장기저장 Oong-term store) 비록 여러가지 자극단서들이 감각저장에 업력되어도 상황에 대한 의미가 부여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처리전 정보 (preprocessed in formation) 는 과거 에 저장된 유사한 표상과 기 억접촉을 위하여 장 기기억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외부정보가 입력됨과 동시에 유기체 는 발달특성, 구조적 • 기능척 역량, 현재의 각성상태, 사고, 성격 요인 그리고 개인의 인지형태 등을 대표하는 내적 단서들을 제공한 다. 장기저장에 전달된 정보는 과거의 경험과 접촉하여 유관가가 제시된다. 어떤 특정한 자극과 경험을 많이 갖게 되면 될수록 그 자극에 할당되는 유관가는 정점 커지게 된다. 즉, 매우 친축한 항 목들은 장기저장 내에서 매우 높은 유관성을 갖게 되고 지각기제로 의 접근을 촉진하게 된다. 반면에 유관가가 낮으면 재인과정을 거 쳐 지각기제에 전달된다. 또한 장기저장은 단기저장으후부터 전달 되어 오는 정보를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감각저창 지각기제
3 지 각기 제 (perceptual mechanism) 지각이란 환경 속의 자극을 조직하고 셜명하는 과정으로 탐지과 정을 통하여 유판가가 높은 감각저장의 내용이 지각기제에 도달된 다. 이때 유관향목이 장기저장과 접촉하여 유관가가 제시되지만 아 칙은 그 의미를 획득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각기제는 정보가 의미를 갖도록 현재의 단서를 계속 재언한다. 자극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 은 비슷한 특정을 재인의 형태 속에 합병효}는 과정(E stes , 1970) 이 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지각과정의 주된 역할의 하나는 과중하게 부과된 정보를 여과하는 일이다. 즉, 무관하고 의미없는 정보는 질 러서 버리고 꼭 필요한 청보에만 관심을 갖게 하고 입력되는 정보 중에서 주의를 기울여야 할 우선순위를 결정해 줌으로써 하나의 완 충지 역 (buffer zone) 을 설정한다. 지각과정이 완료됨으로써 인간행동체계는 관련특갱을 분석하고 이러한 특정들이 인지할 수 있는 단위로 통합 정리되며 업력정보에 의미를 부여하게 된다. 행동과정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지는 단기저 장으로 정보전달을 자극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활동들의 결합된 결 과이다.
주의집중이 안된 정보
4 단기 저 장 (sho rt-te rm storage) 지각기제 에 있는 정보의 내용이 암송 (rehearsa I) 을 통하여 중추신 경계에 알려져 있는 상태를 단기저장이라고 한다. 단기저장 상태에 서 중추신경은 자기의 행동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단기저장은 인간행동체계에서 가장 중요한 기제이다. 일단 운동이 완료되면 반응의 결과는 감각저장과 장기저장을 통하여 단 기저장으로 전달되어 오류를 수정하게 된다. 단기저장의 기억구조는 인간행동체계 안에서 세 가지 푸렷한 기 능을 갖고 있다. 첫째로 현재 수행자에게 중요한 정보를 일시적으 로 저장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둘째로 인간 유기체의 의사결정, 문 제해결, 사고행동에 주된 역할을 한다. 셋째로 청보를 장기저장으 로 전달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앞의 두 가지 기능을 통합한 다. 이러한 기능은 기제의 저장용량에 입각하여 수행되며 Miller (195 6 ) 는 단기저장의 용량은 항목의 친숙성에 달려 있다고 주장하 였다. 또한 Miller 는 인간의 처리용량의 개인차에 업각하여 단기기 억에 수용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을 7I2 chunk 라고 수량화하였다.
지각 1 f 계통방전 운동발생기
단기저장은 정보의 대부분을 처리하는 기제로서뿐만 아니라 운동 의 선돼과 실행에 대한 결정을 하는 기제로서 역할을 한다. 결정과 정은 업력정보와 현재 수행자가 가지고 있는 주위환경에 대한 지식 을 비교하고 성취할 수 있는 척절한 운동프로그램을 선정하기 위하 여 장기저장으로부터 청보의 언출을 필요로 한다. 일단 운동프로그 랩이 결정되면 단기저장은 결청된 결과를 장기저장에 전달하고, 창 기저장에서는 다음에 사용하기 위하여 정보를 저장해 둔다. 동시에 단기저장은 운동프로그랩을 운동발생기에 전달하게 된다. 3 운동발생기 (movement generator) 운동계획은 운동에 대하여 의도했던 목표의 추상적 표현에 불과 하다 (Klapp , 1977). 따라서 운동발생기는 운동을 수행하는 데 알맞 은 적철한 근육조직을 선돼하여야 하며 선태된 근육군에 일련의 원 심성 운동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운동프로그램의 실행을 개시한다 (Keele & Summers, 1976 ). 동시에 운동발생기는 체계가 앞으로 수행하게 될 동작의 감각귀결을 준비하도록 단기저장으로 피드 포 워드 (feed forward) 신호, 즉 계통방전 (corollary discharge) 을 방 출한다(그렴 3-34) . 계통방전은 효과기에 보내진 원심성 명령과 같 은 내용으로 유관가가 지각기제에 작용하는 것과 같은 작용을 단기 저창에 제공한다.
계통방전
감각저장
6 효과기 (effector) Marteniuk (1976) 은 운동발생기와 효과기의 과정을 일원화된 기 제로 생각했으나 Singe r( 1 9 8o ) 는 효과기를 운동발생기와 구분하고 있다. 즉, 효과기는 바라는 반응을 산출하는 사지Oi mbs) 를 조절하 는 근육으로 구성되어 었다. 운동발생기에서 일단 근육선택 과정이 수행되면 효과기는 알맞은 순서로 그 운동을 실행한다. 운동의 실 행은 그렴 3-3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응산출 피드백을 유도한다.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랭은 신체 각 부분 근섬유의 활성화와 억제 를 조절한다. 일련의 빠른 운동에서는 반응의 활성화와 억제가 미 리 계획된 것처럼 나타난다. 반면에 느리고 장기적인 운동에서는 계속되는 수행피드백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다. 숙련된 수행상태 에서는 활성화된 근섬유와 억제된 섬유 사이의 감각적인 균형이 이 루어진다. 협응운동은 척절한 근육군의 선정과 자극, 알맞은 시간 에 자극을 촉진시키고 점진적으로 근육을 제어하는 일들을 총망라 한 것이다. 7 피드백 (feedback) 피드백은 수행자 자신의 노력에 의하여 여러 감각수용기를 통하 여 받을 수 있는 반응산출 청보를 말한다. 교사 혹은 코치 둥과 같 은 외적요인에 의하여 피드백을 받았을 때에는 고것을 보강척 피드 백이라고 부른다. 피드백의 예로서, 농구에서 공을 던지는 선수는 반응의 결과에 대한 시각적 피드백뿐만 아니라 반웅의 실행과 연관
된 운동감각척 피드백을 받는다. 그러므로 피드백은 운동상황에서 발생하는 변화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느낌〉에 대한 정보인 것이 다. 결과정보의 근원은 보통 둘다 외적언 근원의 공급 없이도 사용 할 수 있다. 결과정보를 수행자에게 제공하려 한다면 다른 환경적 정보완 같은 방법으로 인간의 체계를 통하여 전달되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그립 3-35 에 예시되고 있는데, 반응산출 피드백은 곧창 감각저장에 들어가고 환경에 대한 행동효과에 기인한 피드백 은 상황산출 피드백 A 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는 외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지만 환경척 관찰에 의하여 감각저장에 들어간다. 피드백이 기억과 접촉하게 되면 반응산출의 유관가가 높아지고 그 결과 정보가 창기저장에서 지각기제를 통하여 단기저장으로 빠르게 전달된다. 한가지 분명한 것은 피드백 정보는 단기저장에 전달되기 전에 창기저장과 접촉이 이루어져야 하고 지각기제에서 의미가 부 여되도록 인지되어야 한다. 수행자는 장래의 수행에 대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피드백 정 보를 해석하고 운동프로그램에 수정사항이 있으면 보완하게 된다. 프로그램의 반응명세 (response specification) 에 관한 변화는 현재 의 환경상태에 관한 정보와 함께 장기저장에 전달된다. 이렇게 하여 저장된 지식은 장래의 운동수행에 대한 참조기제의 역할을 하게 된 다. 학습도 두 가지 유형의 피드백을 사용함으로써 일어난다. 느린 반응의 수행은 연속적언 피드백을 사용함으로써 반응하는 동안 발 생할지 모르는 오류를 탐지하고 교정할 수 있게 한다. 학습자는 그 들이 움직이고 있는 통안에 행동을 수정하기 위하여 이 형태의 반 응산출청보를 이용한다. 반응은 운동행동이 종료되기 전에 주의를 집중하거나 피드백을 활용할 수 있을 만큼 느리게 일어난다. 반대 로 어떤 운동기능은 너무 빠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피드백이 처리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가 없다. 피드백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 탄 도적 운동때개 200msec 이내)에서 활용된다 하더라도 학습자는 처리 지연이 정보의 전달과 관계되기 때문에 운동이 끝날 때까지 반웅산출청보를 사용할 수 없다 (Keele , 1968; Schmidt,19 75,1 9 76 ).
그러므로 연속척 인 피 드백 정 보 (terminal feedback information) 의 역할과 유사한 방법£로 오류탐지와 수정을 위하여 종말피드백 정 보를 사용하게 된다. 3-3 운동프로그램 3-3-1 운동프로그램 1 운동프로그램의 개념 운동프로그랩 (motor program) 이 라는 용어는 James( 18 9 0 ) 와 Lashley (19 1 7) 에 의하여 최초로 사용되기 시작한 이래 많은 학자들 에 의하여 연구의 초점이 되어 왔다 Henry 와 Rogers(19 60 ) 는 잘 협응된 운동기능은 기 억고 (memory drum) 에 저장된 운동명 령 에 의 하여 제어된다고 하여 운통프로그램의 존재를 인정하였다. Keele ( 19 68 ) 도 운동프로그랩이란 말초적 피드백 없이 수행되는 운동의 발현을 위하여 사전에 준비된 근육명령의 체계라고 보았다. 그러나 Schmidt(1982 a, 1982 b) 는 운동이 실제로 말초적 피드백 이 전혀 없이 일어날 수 있느냐에 대하여 심각한 의문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의문의 배경은 반사에 의한 운동수정의 신경학적 메 카니즘에 근거한 것£로 앞에서 제시한 Dewhurst (1967) 의 연구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렴 3- 2 4 에서 보았던 바와 같이 3 0 msec 에서 EMG 의 약한 폭발이 있었고 5 0 - 80 msec 에서 불규칙적인 강한 폭발 이 있었다. 그리고 15 0 - 2 5 0 msec 에서 강한 폭발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정작업이 반사에 의하여 무의식적으로 빠르게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He 따 y(1953) 의 연구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30msec 에서 약한 폭발을 보인 것은 단일연접반사 (myotatic reflex) 에 의한 것으로 폭발이 너무 짧아 실제로 힘을 중가시키지 못하였고 50 -80msec 에서의 폭발은 정보가 좀더 조직화되기 위해 척수보다 고 등중추로 전달되어 많은 시간을 소요한 장기회로반사(l ong loop
reflex) 로서 폭발이 크고 지속척이어서 실제로 동작을 수정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그렴 3- 2 4 에서 장기회로 반사 후에 팔의 위치가 수청되기 시작함을 볼 수 있다. 그리고 150 -25 0 msec 에서의 폭발은 시각척 피드백 정보에 의하여 정보처리단 계를 거친 수정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것은 위치의 변화에 대한 수청은 200msec 보다 훨씬 짧은 3 0 - 80 msec 에 서 시작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수청의 신경학적 메카니즘은 팔에 무게가 증가되어 활의 각도가 증가하고 근의 장력이 증가함에 따라 근방추 (muscle spindle) 와 골기 건 수용기 (g 이 gi tendon organ) 에 의한 피드백 정보가 척수에 전달되어 알파 운동신경을 통하여 반사에 의한 수정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2 선정의 에러와 실행의 에러 Schmidt (I9 82 a) 는 인간이 환경적 목척을 달성함에 있어 선정의 에 러 (error in selection) 와 실행 의 에 러 (eπor in execution) 라고 불 리는 두 가지 종류의 에러를 벙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프로그램 선정의 에러는 피험자가 환경척 상황에 척절하지 못한 프로그랩을 선돼했을 경우 혹은 선정된 프로그랭이 공간적 • 시간적 상황과 부 정확한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면 농구경기에서 패스를 하 는 것이 유리한데 먼 거리에서 슈팅하여 상대방에게 볼을 빼앗기는
표 3-5 선정의 에러와 실행의 에러를 수정하는 데 요구되는 특정척 차이 특성 반웅선정의 에러 설행의 에러 수정시작에 필요한시간 I20 -200msec 30-8 om sec 새로운운동프로그랭 필요 볼필요 관여기제 대뇌 척수혹은 반사 주의 필요 불필요 연속수정가능 다수 자극선태수중가효과 수정시간의 중가 관련없음
경우와 야구에 있어서 커브볼에 대한 스명이 높거나 뼈}른 경우 등 이다. 프로그랭 실행의 에러는 프로그랭의 선정이 정확했지만 어떤 예기치 못한 상황이 일어나거나 근육수준에서 프로그랩을 완벽하게 이행하지 못했을 경우에 일어나게 된다. 예를 들면 바람에 의하여 볼의 방향이 바뀌어 에러를 범하는 경우와 근육이 피로하여 기대했 던 것보다 통작의 수행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 등이다. 이러한 선정의 에러와 실행의 에러가 수정되는 데에는 여러가지 특정척인 차이가 존재한다(표 3-5) . 선정의 에러는 대뇌의 의사결 정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주의집중이 필요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120 -2 00msec 의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한 번에 한 가지 사항에 대하여 수정이 가능하여 자극 선택의 수가 증가하 면 수정시간이 걸어지게 된다. 반면에 실행의 에러는 반사중추에 의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주의 집중이 필요없고 새로운 프로그랩을 선정할 필요도 없으며 3 。 -80msec 의 빠른 시간에 수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한 번에 여러가 지를 수정할 수 있으며 자극선택의 수가 증가하여도 수정시간에는 변함이 없다. 이러한 선정의 에러와 실행의 에러에 대한 수정은 HenrY(1953) 와 Dewhurst (19 6 7) 의 연구에서 잘 나타나고 있으며, 말이 서서 잠을 잘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하는 기초가 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Schmidt(1982 a, 198 2 b) 는 피드백에 의한 운동 수정 회로를 선정의 에러와 실행의 에러를 수정하는 두 가지 종류 로 제시하고 있다. 첫째, 자기감각 수용기와 외적 수용기 그리고 결과의 지식에 의한 피드백 정보가 의사결정기관으로 전달되는데 이러한 회로를 통하여 선청의 에러를 수정하며 회로소요 시간은 200msec 정도이다. 둘째, 사지의 운동이 아주 빼}를 경우 근방추가 정보를 입수하여 척수에 전달함으로써 직접 근육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방추회로 (spindle loop) 를 통하여 실행의 에 러를 수청하며 회로소요 시간은 3 0 - 80 msec 이다. 이러한 개념은 그림 3-3 6 과 같 이 간단하게 도식화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종합해 볼 때 운동프로그랭이 피드백의 영향을 전 혀 받지 않은 상태에서 수행된다는 Keele(I9 68 ) 의 개념은 수정되어
「의사결정
야 한다는 것이 Schmidt (I982a, 19 82 b) 의 견해이며, 다음과 같이 운동프로그램을 다시 정의하고 있다. 〈운동프로그랩이란 프로그랩 선정의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피드백 없이 얼어나는 운동의 제어를 위하여 사전에 준비된 추상적인 기억 구조이 다) (A motor program is an abstract structure in memory that is prepared in advance of the movement; when it is executed, the result is the contraction and relaxation of muscles causing move-ment to occur without the involvement of feedback leading to corrections for errors in selection) . 3 운동프로그램의 가변적 특성과 불변적 특성 운통프로그램에는 어떠한 요인들이 프로그랭되어 있으며 실제의 동작실행과 어떻게 연결되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길 수 있다. 지금 까지 이론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프로그래밍 변수는 가변적 특성과
불변적 특성이다. 수행되는 운동을 관찰할 때 어떤 변수가 고정되 어 있는지 그리고 어떤 변수가 변화하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생성 되는 운동을 자세히 검토하면· 자주 변화하는 요소와 거의 모든 반 응에 고정되어 있는 요소가 있다. 예를 들면 Raibert (1977) 는 글쓰는 통작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문 장을 쓰도록 하여 축소시키거나 확대시켜 서로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여러가지 방법에 의하여 씌어진 문장들은 례적에서 유사성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관찰은 수행자의 제어기제 속에는 글쓰는 것 에 대 한 공통적 인 특갱 이 표상화 (representation) 되 어 었다는 것 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그렴 3-37 참조). Raibert 의 연구에서와 같이 Merton(197 z ) 도 종이에 조그땅게 서명한 글자와 팔근육으로 칠판에 크게 서명한 글자 사이에는 서로 공통적인 특정이 있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근본적인 불변특성들이 운동프로그램에 구조화 된다는 것을 증명하였던 것이다.
A 따~ ~ &. )./1J, ~ !AW α&
운동프로그랭의 가변척 요소는 전체 지속시간 변수 (overall duration parameter), 근육선돼 변수 (muscle selection parameter), 전체힘 변수 (overall force parameter), 그리고 공간척 변수 (spatial parameter) 퉁이 다. 그리고 운동프로그랩 의 불변적 요소는 요소의 순서 (order of element), 순서 화 (sequencing) , 시상화 (phas-ing) 그리고 조력 (grading : relative force) 등이 다. 요소의 순서 란 동작 또는 반응요소의 순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반웅생성에 선돼 되었거나 인출된 반웅단위 (response units) 들의 순서배열 과정이라 고 볼 수 있다 (Glencross, 1979). 시장화는 근육수축의 시간적 구조가 불변임을 의미한다. 그렴 3 -3 8 과 같이 동작 z 가 통작 I 에 비하여 근수축 시간이 길어졌을 때
Ec 드> : ;-q,.-
~O。
거기에 동원된 근육의 지속시간도 같은 비윷로 늘어난다는 불변특 성을 말한다. 즉, 반응을 구성하는 반응요소들간의 시간적인 구조 로서 일단 반응단위들이 선돼되고 순서가 결정되고 나연 다른 동작 과 시간적 A 로 연관되면서 정확한 시간에 동작을 생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근육에 적절한 시간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Summer( 19 75) 는 특별한 시상화 반웅에서 피험자들은 반응속도를 증가시키더라도 그들 스스로의 자연적 인 리듬을 구성하는 시간구조 (time structure) 를 변경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함으후써 시상화가 프로그래밍 변수 라는 것을 입증하였다. 조력은 근육이 활동하는 데 필요한 전체 혐의 양을 선택된 각 근 육에 적절한 비울로 분배하는 과청이라고 할 수 있다 (Glencross , 1979) • 예를 들면 어떤 반웅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전체 험이 15k g i 로 언식되어 근육 1 , 2, 3 이 선택되었다면 각각 5kg, 3kg, 7kg 의 힘 으로 분배하는 과정이 조력언 것이다. Hollerhach(197 8 ) 는 피험자 에게 (He ll)이라는 단어를 두 번 쓰게 하되 한 단어는 다른 단어의 두 배의 크기로 쓰도록 하였다. 그 결과 큰 글써률 쓸 때의 가속도
위
는 작은 글씨를 쓸 때의 가속도보다 일정한 형태로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펜에 척용된 힘은 원래의 시간 유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증가되었다. 이것은 전체 힘 변수가 선돼된 모든 근육에 바례적으 로 적용되었으며 활에도 상대적인 힘이 유지되었다는 것을 증명하 는것이다. 3-3-2 프로그램화된 동작의 정확성 운통의 정확성을 결정하는 데 고려될 수 있는 여러가지 기본적인 법칙은 물리학의 기본원리와 매우 유사하다. 예를 들면, 힘이 물체 에 작용할 때 물체의 질량, 속도, 가속도와 관계되는 법칙 등이 운 동행동의 법칙에도 기본적 A 로 척용되고 있으며 사지가 움직이는 거리나 속도, 정확성간의 관계, 사지가 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거리의 관계 둥이 중요한 개념으혹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운동행
동의 법칙은 물리학에서처럼 다양하지도 않고 정확하게 진술되지도 못한다. 왜냐하면 운통행동의 법칙은 언간의 중추신경과 관련이 되 어 있어 변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개인차가 심한 생물척 체계에서 얻은 자료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운동제어 분야는 물리 학 분야보다 연구가 훨씬 늦게 시작되었고 제시된 원리나 법칙도 부분적이거나 제한점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1 Fitts 의 법칙 우리가 보다 빨리 운동을 하면 할수록 달성하려는 목적의 정확성 이 감소된다는 사실은 일반적으로 알고 있다. 즉, 속도와 정확성은 서로 상쇄 작용을 일으킨다 (speed-accuracy trade o ff)는 것이다. 운 동의 속도와 정확성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연구한 첫번째의 시도는 Wo.o d worth(18 9 9) 에 의해서 였다. 그는 일반적으로 운동의 속도가 증가할 때 정확성이 감소된다는 것과 왼손이 오른손보다 청확하지 못하다는 것, 그리고 속도가 증가함에 따른 정확성의 감소는 눈을 감고 했을 때보다 눈을 뜨고 했을 때 더 크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인간의 운동수행은 매우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행동 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척용휠 수 있는 정확한 수학적 묘사를 동F 는 것은 매우 어 렵다. Fitts (1954) 는 정확한 수학적 기술이 운동행동 분야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을 때 속도와 정확도의 관계를 체계적 으로 분석하였다. Fitts 의 법칙은 특정한 형태의 운동에서 형균통작 시간 (MT) 은 운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량, 즉 운동의 난이도 (ind ex of difficulty: ID) 와 직선적인 관계가 있다는 것으로, 여러 가지 다양한 운동상황과 여러 유형의 피험자들에게 일반적으로 적 용되고 있다. Fitts 의 법칙이 발표된 이후 3 0 여 년간에 걸쳐 이에 대하여 옳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가 없었고 수정되지도 않았 다. 다만 몇몇의 연구자들에 의하여 속도와 정확도의 관계를 다르 게 다루는 방법이 제시되었을 뿐이다. Fitts 는 팔의 특정한 근육군이 수축하여 일어나는 동작수행의 과 제를 통하여 동작의 크기와 오차의 허용한도에 관계없이 가질 수
있는 운동체 계 의 용량 (channel capacity of the motor system) 을 검 사하고자 하였다. 만일 과제의 오차허용한도 (tolerance limits) 와 동작의 크기 (amplitude) 가 실험자에 의하여 통제되고 피험자에게 최대 속도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한다면 이러한 특정한 조건에 의하 여 형성된 반응에 필요한 평균시간과 반웅에 필요한 평균 정보량 사이에는 칙선척인 버례관계가 있을 것 A 로 생각하였다. Fitts 는 이러한 가셜을 증명하기 위하여 세 가지의 유사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첫째 실험은 왕복태핑 과제 (reciprocal tapping task) 를 이용하여 4 개의 표척간 거리와 4 개의 표적크기로 16 개의 조합을 만들어 15 초 동안 가능한 빨리 표척을 왕복하도록 하되 속도보다는 정확도에 중점을 두고 수행하도록 한 것이였다(그렴 3- 4 1 ) • 둘째 실험은 원반옮기기 과제 (disk transfer task) 를 이용하였으며 에러 를 허용하지 않았다. 셋째 실험은 핀옮기기 과제 (pin transfer task) 로 둘째 실험과 비슷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오차의 범위가 확대되고 동작의 범위가 감소됨에 따라 모든 과제의 수행버융이 균등하게 중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에 서 예견한 내용이 일반적으로 지지되었다. 또한 실험에서 사용된 운동체계의 정보산출에 대한 양적인 분석 을 위하여 각 운동을 조직하거나 제어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정 보량인 난이도를 관례적인 정보표기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산출하 였다.
혔뇨
ID= -log2 꿇. bits/ response 첫번째 실험결과에 대한 난이도와 명균 동작시간 사이의 관계는 그렴 3 - 4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선척 비혜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운동의 폭 (A) 과 표척의 넓이 (W) 그리고 결과척으로 수행된 평균 동작 시간 (MT)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은 등식으로 표시될 수 있 다. MT =a + b(I og z (2A/W))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Fitts 의 법칙은 단순한 활동작이 아닌 다른 상황에서도 일반화되고 있다. 대표척언 것으로 Langolf 등 ( 197 6 ) 의 연구를 들 수 있다. 이들은 Fitts 의 법칙이 다른 상황에서 도 일반화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여러가지 운동의 크기를
0.7 ./
• 팔
포함하는 통작의 특정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그렴 3-43 과 같이 손 가락과 손목 그리고 팔 등에서 Fitts 의 법칙과 같이 logz(2A/W) 와 동작시간 사이에 직선적인 관계가 나타남을 발견하였다. 다만 다르 게 나타난 것은 사용된 부위가 손가락에서 손목으로 그리고 팔로 변화됨에 따라서 점차로 기울기가 증가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 은 작은 부위의 운동이 난이도의 변화에 덜 민감하고 운동을 빠르 고 정확하게 할 수 있었음을 뭇한다고 볼 수 있다. 이 밖에 도 Fitts 와 Peterson (196 4) 은 단순조준 과제 (single aiming task) 에서도 Fitts 의 법 칙 이 ‘ 척용될 수 있었음을 보여주었 고, K.ni ght 와 Dagnall ( 1967 )은 바늘을 과녁에 맞추는 운동에서 그 리고 Jagacinski 퉁 (197 8 ) 은 레바를 손으로 잡고 오실로스코프 화 면 위에 잇는 점의 운동을 조절하는 데에도 척용된다고 하였다. 2 Schmidt 의 법 칙 Schmidt 등 (19 82 a, 1982 b, 1979, 197 8 ) 은 Fitts 의 법칙에 대하여 몇 가지의 제한점을 지척하고 있다. 하나는 독립변인을 운동의 크
기와 표척의 크기로 하고 종속변인을 동작시간으로 하였기 때문에 피험자가 벙하는 에러의 범위를 구할 수 없었다는 점이다. 다른 하 나는 두 표척 사이를 가능한 한 빨리 왕복해야 하는 왕복태핑 과제 를 사용한 점이다. 이러한 운동의 반웅에는 좀더 많은 운동반응의 기제가 잠재해 있을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운동명령은 힘과 시간을 조절하며 힘과 시간의 조합을 엄펄스 (impulse) 라고 할 수 있다. 즉, 사지에서 일어난 운동의 양은 힘과 시간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 Schmidt 등은 운동이란 그렴 3-44 와 같이 시작에서부터 중간지점까지 지속되는 파동 (pulse) 과 나머 지 끝부분에 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동일크기의 반대방향 A 로 파 동으로 구성된다고 보고 그림 3-45 와 같이 도형화하였다. 그렴 3-45 에서 곡선 안에 있는 지역을 엄펄스라고 볼 수 있으며, 엄펄스는 팔에 의하여 수행된 가속척인 험과 감속척언 힘의 합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엄펄스의 가변성은 운동거리의 변화를 초래하게
버
T。
1.2 5
된다. 만일 근육이 힘을 너무 많거나 척게 산출한다면 엄펄스가 너 무 크거나 적게 되고 운동 역시 너무 걸거나 짧게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임펄스의 크기가 얼마의 폭을 가졌느냐에 따라서 운동의 거 리도 변화한다. 따라서 엄펄스는 운동의 정확성을 결정하는 요소라 고 생각할 수 있다. 힘과 힘의 가변성의 관계는 그렴 3-4 6 과 같이 직선적인 비례관계가 있는 것요로 보고되고 있다. 즉, 피험자가 많 은 힘을 사용하여 운동을 수행하면 힘의 가변성이 증가한다. 이러 한 관계는 최대조력의 65% 까지 직선적인 버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그럽 4-47) . 또한 임펄스의 가변성과 동작시간의 관계는 동작시간이 커짐에 따라 엄펄스의 가변성이 비례적으로 커지는 것 으로 나타났다(그렴 3-4 8 ) .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Sclunidt 등은 빠른 운동의 정확성을 결청 하는 요언을 분석하여 공식화하였다. 임펄스의 가변성이 2 배얼 때 에는 동작에러의 가변성도 Z 배가 될 것이므로 다음과 같이 공식화 할수 있다.
30
표적오차 (We) =a +b(A) .................................... (1) *a , b= 상수 *A= 운동의 폭 엄펄스 기간의 가변성에 미치는 통작시간의 효과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동작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은 임펄스 지속시간의 가변성을 더 작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시간적 차원의 임펄스 가변성은 동작시간과 버례적인 관계가 형성된다. 시간척 차원의 임펄스 가변성 =a+b(MT) ............ @ *a , b= 상수 *MT= 동작시간 포한 운동의 폭이 일정한 가운데 동작시간을 반감시키는 것은 운 동의 속도를 z 배로 하여야 한다. 운동의 속도를 z 배로 하기 위해서
T。
는 임펄스의 폭이 4 배가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빠른 운동에서의 임펄스는 작동할 수 있는 시간의 1/2 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렴 3-49 참조). 따라서 힘 차원에서 엄펄스의 가변성은 통작시간 의 제곱에 거의 역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 힘 차원의 임펄스 가변성 =a + b (1/ MT2) ............ @ @와 @의 두 공식은 동작시간이 변화될 때 임펄스의 가변성을 설명해 준다. 공식 @는 동작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시간적 차원의 엄펄스가 감소된다는 것을 뭇하고, 공식 @은 동작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힘 차원의 임훨스가 증가한다는 것을 뭇한다. 따라서 동작시 간이 단축될 경우에는 두 가지의 상반된 효과가 임펄스의 가변성에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즉, 시간의 가변성은 감소되고 힘의 가변 성은 증가한다. @와 @의 공식을 결합하면
임펄스 가변성 =a+b(l/MT) .... .... .. ... .... .......... ... @ 그리고 운동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에 임훨스의 가변성 은오차에 비례하므로 표척오차 (We) =a+b(l/MT) ...................... ........ @ 따라서 공식@과 @를 결합하면 표척오차 (We) =a+b(A/MT) ......... .. …… .......... @ Schmidt 등은 단일운동조준 과제 (single aiming movement task) 를 이용하여 @의 공식을 검증하였다. 독렵변인은 출발에서 목표까 지의 거리 (10, 20, 30cm) 와 동작시간 (14 0 , 170, 200msec) 이었으며, 종속변인은 에러의 범위 (표적오차 : we) 였다. (그렴 3-5 0 ) 은 실험결
10
과 나타난 횡척인 차훤에서의 에러의 벙위와 A/MT 의 관계를 나 타내고 있다. 따라서 때}른 운통의 정확성과 관계있는 운동의 크기 와 동작시간 그리고 에러의 범위 등 주요한 변인의 관계는 전술한 바와 같 ~l 에러의 범위는 A/MT 와 버례한다 (We cx: A/MT) 고 볼 수 있다. 2 법칙의 응용 앞에서 소개한 Fitts 의 법칙은 운동의 난이도와 속도의 역관계 즉, 속도를 위해서는 정확성을 희생해야 하고 운동의 정확성을 위 해서는 속도를 줄여야 한다는 속도-정확성 상쇄 (speed accuracy trad e-o ff) 의 개념을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 일련의 수정과정을 거치 는 15o - 9oo m sec 정도의 비교적 느린 운동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 다. Schmidt 등은 임 펄스-타이 밍 가셜 (impulse-timing hypothesis) 에 근거하여 빠르게 수행되는 운동의 정확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운 동 명령이 힘과 시간의 관계를 조절하고 이러한 힘과 시간의 조합 을 임펄스라고 하며 운동의 원인이 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엄펄스 의 가변성은 운동거리의 변화를 초래하므로 운동의 정확성을 결정 하는 요소라고 간주하였다. 따라서 임펄스가 z 배로 증가하면 소음 (noise) 도 z 배로 증가한다. 지금까지 논의된 운동의 법칙은 야구와 라켓운동 등 볼을 치기 위해 도구를 빨리 웅직여야 하는 운동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연 배트의 속도나 배트의 중량이 증자되어서 근수축이 거의 최대치 단계에서 이루어질 때 배팅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한 방안이 제시될 수 있다. 그렴 3-5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수가 시속 14 :z km 의 속도로 던 진 볼이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데에는 약 4 60 msec 가 소요되는데, 배팅시간이 약 160msec 이므로 배트는 공이 플레이트에 도착하기 천 160msec 전에 움직여야 한다. 그리고 Slate r-lI ammel(19 6o ) 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배팅을 할 것인가 아니면 하지 않을 것인가를 배팅 전 16 8msec 에 결정해야 하므로 배팅 여부에 대한 모든 결정
투수 결정완료 스명시작 160 타자볼--도착
이 3:z8 msec 전에 이루어져야 한다. 즉, 투수가 볼을 던진 뒤 13 :z msec 의 짧은 시간 안에 모든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다. 이러한 경우에 타자가 배팅을 :z omsec 만큼 빠르게 할 수 있다면 여러가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첫째, 타자는 :z omsec 만큼 볼을 오랫동안 볼 수 있기 때문에 배팅에 대한 효과적인 선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160msec 보다 14 0 msec 로 배팅할 때 좀더 나은 효과기 예측 (effector anticipation) 을 가져올 수 있고 배 팅 이 시 작 될 때의 가변성이 적어질 것이다. 셋째, 배팅시간이 짧아짐에 따라 배탱시간 자체가 더 일관적얼 수 있다. 많은 연구 (Newell 등, 1979, 198 0; Schmidt 등, 1979) 에서 동작시간이 감소될 때 동작시간 의 가변성이 감소되었다는 보고를 하고 있다. Newell 등 (1979) 은 짧은 동작시간으로 배팅하는 것이 일관성을 증가시킨다고 한다. 즉, 타자가 더 강하게 배탱할 때 운동의 시간적 일관성이 증가될 수있다.
또한 배팅시작의 일관성과 지속시간의 일관성은 배트가 플레이트 위를 지날 때의 일관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타이명의 정확도를 증 가시킨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는 볼과 접촉하는 시간척 정확도가 동작시간이 짧을 때 더욱 중가하였다는 Schmidt(I9 6 9) 의 연구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동작시간이 일정하고 배트중량의 증가도 역시 운동을 일관성 있게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 서 배팅에 있어서 근수축의 단계가 최대치의 65% 이상인 경우에는 배팅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배팅속도가 같을 경우 배트의 중량을 증 가시컴으로써 배팅의 공간적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배팅을 빨리 하면 볼을 분석할 시간을 늘일 수 있고 배팅 시작시간에 대한 타이밍의 일관성을 증 가시키며 배팅시간의 일관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팅의 타이멍에 대한 일관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배트의 중량을 증가시 키는 것도 볼을 분석할 시간을 증가시키지는 못하지만 동일한 효과 를 얻을수 있다.
제 4 장 운동학습 4-1 운동학습의 본질 4-1-1 운동학습의 의미 학습에 대한 정의는 오래 전부터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논의되어 왔다. Heitman 과 Kne er (1976 ) 는 학습을 〈다소 영구적 인 변화〉로 정의하였고, Lawther(I977) 는 〈학습은 연습과 경험에 의한 비교적 영속적인 변화〉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모든 학습은 전이 (transfer) 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Bucher(I97 2 ) 는 학습이란 개인에 있어서의 변화인데, 그것은 기술을 연습하거나 수 행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변화와 특정 사물에 대한 태도의 변화 그 리고 문제에 대한 통찰이 지각될 때와 같이 개인에 있어서 진보적 인 행동의 변화를 의미하며, 이는 환경이나 훈련에 의한 행동의 수 정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라 하였다. 그것은 새로운 환경에 척응하 고 문제를 해결하며 활동에 있어서 기술의 진보, 지식의 습득 등도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학습은 전 생활을 통하 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지금까지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청의된 학습의 개념 가운데 공통 점을 찾아보면, 학습은 선천척인 잠재능력이 후천척언 조건에 의하 여 연습과 경험을 통하여 일어나는 버교척 영속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다. 학습의 정의, 본질, 조건 퉁은 학자들에 의하여 많이 논의되어 왔는데, 학습에는 너무도 많은 변인들이 규명되어 있지 않기 때 문에 여전히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운동학습의 연구에서 학습은 여러 측면으로 설명되어 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동작 이 중심을 이루는 행동을 통하여 나타나는 학습으로 제시되곤 하 였다. Singe r( I 97 2 ) 는 운동과제에 있어서 기술을 습득한다는 것은 동작 이 향상되고 그것이 한층 일관성 있게 수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운동학습의 주된 목적은 과제를 손쉽게 숙달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 동작이 운동이거나 직업, 레크 레이션, 항공, 산업 등의 과제이거나를 막론하고 수없이 연습을 되 풀이해야만 그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CrattY(I973) 는 운동학습을 〈연습에 의하여 얻어지는, 운동 수행에 있어서의 어느 정도 영구적인 변화〉라고 정의하였다. 그래서 그는 학습의 개념을 주된 두 내용으로 분류하였는데, 그 하냐는 행 동의 영구적 변화와 퍼포먼스(p erformance) 의 비교에 의하여 증명 될 수 있다고 하였고, 다른 하나는 그 변화가 연습에 의하여 일어 나는 것이라고 하였다. 학습이 훈련이나 경험을 통하여 행동을 변경하거나 발달시키는 과정이라는 정의는 보다 객관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행동을 지척하 여 학습을 기술하려는 시도이다. 몇몇 학자들은 신경계통에서 일어 난다고 가정되는 생리적 변화를 근거로 하여 운동학습을 설명하려 고 한다. Kappers(I9 I 7) 는 신경계통 내의 수상돌기 (dendrits) 와 축 색돌기 (없 on) 의 성장으로서 학습을 설명 하는 신경자극운동 (neur obiotaxis) 의 성장셜을 제안하였다. 이 이론은 사람이 특정한 활동 에 참여하거나 훈련을 할 때 전기충격이 신경계통을 통해 흐르게 되고 그것이 시냄스 (synapses) 의 연결부를 발달하게 한다고 주장한 다. 어떤 행동을 처음 실시할 때 전기충격은 사용되지 않던 시냄스 가 일으키는 저항 때문에 새로운 동작의 수행은 어렵다고 가정할 수 있다.
학습자가 그 행통을 반복하거나 훈련을 지속함에 따라 수상돌기 와 축색돌기의 성장은 연결을 더 크게 하거나 충동의 전달을 도와 주는 촉각을 발달시켜 준다. 따라서 Kappers 는 학습을 시 냄스의 저항을 감소시켜 주는 신경연접부의 발달로 본 것이다. 가끔 학습과 퍼포먼스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퍼포먼스는 본질에 있어서 즉각척이며 단기적인 것이고 학습과정에서 발생하는 장기적인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어떤 요인에 종속되어 있 는 것이다. 그러나 학습은 퍼포먼스를 측정하여 관찰함으로써 간첩 적으로 연구될 수 있는 것이다. 4-1-2 일반학습이론 학습연구에서는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과학적 추론에 의하여 일 반화, 법칙화를 시도하고 있다. 추론에는 귀납법과 연역법이 사용 되고 있다. 귀 납법 (inductive method) 은 먼저 자료를 수집 하고 그 것을 정리, 분석하여 공통점을 추출하며 거기에 기초를 두어 자료 전체에 적용 가능한 가설을 설정하여 그 가설에 따라 일반적인 설 명 내지는 해석이 성공하는 법칙적인 관계를 찾아내는 것이다. 연 역법 (deductive method) 은 이미 알려져 있는 사실과 이론으로부터 있을 수 있는 일반적인 원리를 설정하여 그 가설로부터 새로운 관 계 내지 사실을 예측하고, 그 예측이 실제로 성립하는가를 확인하 면 가정된 일반적인 원리도 확인된다고 보는 것이다. 실제의 연구 에 있어서는 양자를 조화시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단순한 귀 납적 추론에 의하기보다는 연구가설을 세워서 연구하고 찾아낸 법 칙관계에 더 넓은 적용 가능성을 찾는 가설연역법 (hypothetic -deductive method) 을 쓰는 것 이 바람직 하다. 이론은 개개의 연구 에 의하여 축적된 과학적 지식이나 법칙을 체계화하여 더욱 일반성 이 높은 원리를 제공하고 나아가 새로운 사상의 예측과 설명을 가 능하게 하여 새로운 연구나 실제 활동을 자극한다. 학습심리학은 심리학 중에서도 이론 구성이 정교한 분야로서 수많은 이론이 있고 많은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1 연합셜 (association theory) 연합셜은 학습사태에 있는 자극 (stimulus) 과 반응 (response) 의 연합에 의하여 새로운 행동양식의 획득, 즉 학습상황을 설명하려는 이론들이다. 이 이론들은 자극과 반웅의 연합성럽 요건 A 로서 양자 의 시간척, 공간척언 접근이나 특정 반웅에의 강화 같은 객관척 조 건을 중시하며 그런 조건을 분석하여 객관척언 법칙관계를 확립하 려고 한다. 연합이론은 접합이론 (bond theory) 또는 연접이론 (connectionism) 이라고도 하며, 이 업장을 취하는 학습이론에는 Pavlov 의 조건반사설, Thorndike 의 결합셜, Hull 의 충동저감셜 그 리고 Skinner 의 반응형성설 등이 있다. 조건반사셜은 연합성렵의 조건으로서 자극과 반응의 시간척 - 공간 척 접근이나 동시성을 중시하는 입장으로 S - R 이론이라고도 한다. 이 이론에서는 S 와 R 과의 구성과 제시조건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반웅은 불수의적, 수동적£로 발현된다. 즉, 개에게 먹이를 줄 때 마다 벨을 울리면 개는 벨소리만 들어도 침을 분비하게 되는 것이 좋은 예이다. Thorndike (193 1 ) 는 자극과 반응의 결합은 연습의 반복에 의하여 강화되어 바람직한 반응발생의 획율이 증대된다는 연습의 법칙(l aw of exercise) 을 주장하였다. 이 이론은 후에 수정되 어 단순한 연습 으로는 효과가 적으며 바람직한 결과를 초래하는 결합에 대하여 상 이나 바른 결과의 지식을 주어 동기유발을 시격야 한다는 효과의 법 칙 (law of effect) 이 되 었다. 즉, 시 행 착오 중의 다양한 반응 가 능성 가운데 학습자에게 쾌락이나 만족감을 불러일으키는 자극-반 웅의 결합이 정착된다는 것이다. Skinner 는 비둘기나 쥐를 사용한 연구에 기초를 둔 이론을 인간 의 교육에도 유용한 실제적인 이론£로 완성하였다. 학습자의 이미 습득된 능력을 출발점으로 하여 세분화된 계열척 과제를 주어 바람 직한 반웅을 강화하여 바른 습판을 형성하면서 점차 고도의 단계로 진행시킴으로써 복잡한 일련의 행동수행 능력을 획득시키는 과정을 형성화 (shaping) 라고 한다. 그의 반응형성 이론은 프로그램 학습과 학습기제 (teaching machine) 의 개발을 결정적 A 로 촉진하였다. 학
습과제의 계열적 세분화, 학습자의 능동적 참가, 청반웅의 상, 오 반웅의 벌, 반응종료시 즉시척 강화, 개인 반응속도의 중시 등의 방법은 많이 활용될 수 있다. Skinner 는 학습을 촉진시키는 데 강 화 (reinforcement) 의 힘을 굳게 믿었으며 강화가 수반된 반응은 발 생확률이 중가한다는 원리를 제창하였다. 그가 제시한 강화의 조작 분류방법이나 강화의 명세는 강화를 더 갚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 였다. 2 인지 설 (cognitive theory) 연합설이 S-R 또는 S-Q-R 의 요소주의적인 성격을 가지는 것에 비하여 과제상황 전체의 구조 혹은 학습성립의 요건들을 중시하는 학습이론을 총칭하여 인지설이라고 부르고 있다. 인지설에는 Köhler 와 Koffka 의 Gestalt 이론, Tolman 의 Sign-Gestalt 이론 등 이 있다. Gestalt 이론은 학습자가 환경과의 의미있는 관계를 언식하여 문 제를 이해하고 통찰력을 얻게 된다고 본다. 학습은 우연하게 무작 위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조직화되거나 의미있는 지각된 경혐의 결과라고 보는 입창이다. 학습자는 환경을 전체로서 지각하며 개인 적인 경험은 끊임없이 재조직되고 궁극적으로는 통찰 (insight) 이 일 어나게 된다. 학습자는 통찰력 있게 전체를 발견하여 점진적인 변 화가 얼어날 때까지는 각 과제를 알려고 노력할 것이며 각 과제간 의 관련성을 찾고자 힘을 기울일 것£로 생각된다. 근본적으로 반 복의 결과(자극-반응의 연합)로서가 아니라 연습하는 동안 반복 내 에서 변화가 계속된다고 주장한다. Köhler(X933) 는 첨팬지를 대상으로 문제해결 행통에 있어서의 학 습을 연구하였다. 첨팬지는 주어진 과제에 대하여 시행착오에 의하 여 행동을 서서히 개선해 가는 것이 아니라 어떤 단계에서 버약적 으로 올바른 해결법을 찾아 행동을 변화시킨다는 컷을 관찰하였다. 이것은 침팬지가 문제장변에 대한 통찰이 생겼을 혜 성럽된다는 것 이다. Tolman(x93 2 ) 은 이와 같은 Gestalt 이돈의 주장에 S-Q-R 의 이론
을 도입하여 독자척무로 이론을 발전시켰다. 이 이론에 의하면 어 떤 목척을 달성하는 데에는 어떤 대상이나 기호 (si 맑)에 대하여 어 떻게 반웅하면 좋은가 하는 문제가 생기는데 이러한 관계, 즉 수단 -목척관계를 Sign-Gestalt 라고 한다. 이 러한 형태 에 대한 기대가 경험을 통하여 학습자 쪽에 성렵함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보 는 견해이다 Sign 과 목척의 관계는 처음에는 명료하지 않으나 반 응이 계속됨에 따라 행동공간(학습자에 의하여 인지된 공간)의 구 조가 개선되고 나아가 학습자에게 유용한 인지적 지도 (cognitive map)7} 확렵된다고 본다. 4-1-3 운동학습이론과 모델 최근에 운동기능 습득에 관한 많은 이론이나 모탤이 형성되고 있 다. 이러한 사실은 운동학습 영역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음을 뭇하 는 것이며 진지한 학문척 사고의 붐이 일고 있음을 뭇하는 것이다. 운동학습에 관한 이론들은 이주 실용적이고 유용한 것들이 많으며 운 동기능의 습득에 관한 최근의 관점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편의상 운동학습에 관한 모탤은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있다. ·일반 기술적 모렐 : 숙련된 운통수행의 일반적인 특성을 강조하 며 대개 실질척인 측면을 고려한다. ·정보처리모렐 : 지각, 의사결정, 정보처리용량, 정보인출용량을 강조한다. ·인공두뇌모텔 : 자동조절의 메카니즘을 통한 인간운동제어를 강 조한다. ·적웅 또는 위계적 제어모탤 : 고·저 서열을 강조하며 행동을 조 절하고 청보를 조직하는 데 사람과 컴퓨터가 유사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위에 기술한 모렐들은 유사한 역사를 갖고 발전해 왔으며 상호
관련성이 높다. 또한 운동기능학습에 척용된 개념들이 인간행동에 도 적용되었다. 예를 들면, 인공두뇌모렐은 인간의 행동을 제어하 고 변화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발전되었고, 정보처리모댈 은 인간의 지각, 기억, 인출용량과 한계점, 결정능력을 기술한다. 1 일반기술적 모렐 (gener 허 descriptive models) 운동학습에 관한 많은 모렐들이 일반적으로 학습에 관련된 과정 만을 서술하고 있다. HenrY(I9 6o ) 가 제안한 기억고이론 (memory -drum theory) 은 운동수행에 있어서 언간의 기능 (function) 을 컴퓨 터에 비유하고 있다. 즉, 컴퓨터는 적절한 신호에 따라 바람직한 방법으로 작동하도록 저장된 프로그랩을 갖고 있는데, 인간 역시 구체척이고 잘 학습된 운동행동에 관한 기억이 기억고 (memory drum) 라고 불리는 콧에 계획된 동작으로 기억된다는 것이다. 따라 서 특정한 자극이 운동신경계를 각성시킴으로써 행동이 실행된다. 협웅력이 뛰어난 기능은 기억고 속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효과적 인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그 기능은 노력 없이 무의식 수준에 서 발휘될 수 있다. 반면에 학습이 잘 안되었거나 전혀 학습이 안 된 복잡한 과제는 불협응 상태로 의식수준에서 계속 수행되어야 한 다. 이것은 체계화된 정보의 저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Cratty (19 66 ) 는 학습과 운동수행에 영향을 미철 것이라고 생각되 는 3 가지 단계의 요언을 채택하고 있다. 즉, 제 x 단계 요인은 일반 적인 요인들로서 요구수준, 과제에 대한 집착력, 과제의 메차니즘 을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계는 광범 위한 운동과제들과 관련있는 속성을 포함하고 있다. 제 2 단계에서는 지각운통계의 퍼포먼스에 성공하기 위한 특수한 능력의 특성이 제 시되고 있다. 이러한 능력의 예로서 동체근력, 활과 다리의 협응능 력 및 유연성이 었다. 제 3 단계는 가장 높은 수준으로서 연습조건, 과거경험, 과제가 요구하는 독특한 운동형태들로 구성되어 있다. Cratty는 운동기능을 가르치는 교사들은 이 3 단계를 찰 이해하여야 하고 각각의 요언들이 운동수행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를 숙지하 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Cratty는 이러한 개념, 즉 일반적인 요인
과거경험
이나 특정요인들이 모든 과제학습에 작용한다고 주장하였다. Fitts 와 Ponser(I9 6 7) 는 기능학습을 세 가지 단계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기술하였다. 이러한 단계들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기술되었 지만 효과적인 교수기법과 학습과정을 이해하는 데 많은 의미를 갖 고 있다. 그들이 제시한 세 가지 단계는 다음과 같다. 제 I 단계 : 초기 또는 언지단계 제 1 단계 : 중간 또는 연합단계 저1 13 단계 : 최종 또는 자동화단계 기능학습의 초기 단계인 인지단계에서 학습자는 방향의 이해와 운통반응에 언어적언 명칭을 붙이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사고과정 은 대단히 활동척이다. 학습자는 상황을 둘러싸고 있는 여러가지 단서에 주의를 집중함으로써 단서들이 유용한 것이 되도록 단서의 수를 줄여냐가야 한다. 중간단계 또는 연합단계에서 가장 큰 관심
사는 연습조건과 필요조건이다. 학습자는 수행하려고 하는 것을 이 해하여야 하고 다음에 가장 효율척이고 효과척무로 기능을 숙달시 켜 줄 연습조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최종단계 또는 자동화단계 는 고도의 기능이 의식의 개업없이 거의 무의식척으로 이루어지는 단계를 말한다. 이 단계에서 수행되는 행동들은 정신척 혼란과 스 트레스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여기에서 주의할 점은 기능이 자동화단계에 이르면 수행의 그롯된 동작을 교정하기가 매우 어렵 다는 사실이다. 기능습득에 관한 모렐을 직접적으로 교수상황에 적용하려는 시도 중의 하나로 Gentile 의 모델이 있다. 그는 신경 생리학적, 심리학척 실험자료 그리고 행동의 개념 등을 세심하게 조화시켰다. 기능습득 의 초기 단계에 수반되는 요인들을 나타내는 그의 모렐이 그림 4-2 에 제시되어 있다 . Gentile 은 폐쇄기능(c1 osed skills) 과 개방기능 (open skills) 을 구별하였으며 그것들을 다루기 위한 교수전략을 제 안하였다. 그는 기능발달 단계를 (1) 행동에 대한 일반적언 생각 (2) 고정화 (fixation) 와 다양화 (diversification) ~ 두 단계로 제안 하였다 1 단계는 성취목표를 일반적인 운동형태에 결부시킨 것이 며 2 단계는 특수 기능수준과 연관이 있다. 폐쇄기능에서 우수성을 드러낸다는 것은 고정화 과정을 의미하는데, 이는 운동형태가 세련 되고 안정된 상태에 돌입한 것이다. 개방기능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동작이 숙달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상황적 단서가 쉽게 변하고 예측을 불허하기 때문이다.
、。 L 투。 바응 | 띄드백 | 의사 | 다음
2 정보처리모댈 (information processing models) 정 보처 리 모텔은 기 능수행 에 서 주의 (attention) , 지 각 (percep tions) , 기억 (rnernory) 빛 의사결정 (decision rnaking) 의 한계점을 밝히기 위한 구조척인 틀을 제공하고 있다. 정보이론은 여러가지 상황에서 정보의 전달을 이루는 이론응로 Shannon (194 8 ) 에 의하여 제안되었고 Weave r( 1 9 62 ) 에 의하여 더욱 발전되었다. 정보이론은 언간의 사고과청을 전자계산기의 정보처리과정에 비유하여 인간이 수신한 정보가 어떻게 청리되어 기억되며 그것이 어떻게 인출되는 가를 수리척언 표현으로 나타내려고 한다. 전달된 정보의 측정은 단순히 업력과 출력의 측정으로 부분적으 로 겹치는 두 개의 원에 의하여 표시될 수 있다. 즉, 화측원은 업 력의 변량으로, 우측원은 출력의 변량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중복되는 부분은 공변량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좌측원을 입력청보의 양으로, 우측원은 출력정보의 양A 로 그리고 겹치는 부 분은 전달된 정보의 양이라고 할 수 있다 (Miller , 1955). 정상적인 전달체계를 가지고 있다면 업력정보가 증가함에 따라 처음에는 전 달되는 정보의 양도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결국 한계용량에 이르 게 됨에 따라 어떠한 정근선적인 값으로 안정될 것이다. 정보의 측정 단위는 앞장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bit (binary digit 의 합성어)가 쓰이는데, bit 란 실현가능성이 같은 z 의 대안 중 하나가 명시되었을 때 우리가 얻은 정보량이라고 정의된다.
A- 업력, 자극
정보-커 부호화 전달 해독 뉴→ 행동
그렴 4-4 는 단순한 형태의 정보처리체계를 나타내고 있다. 감각 과정은 부호화 과정에서 시작해서 유기체의 더 갚은 콧으로 정보가 전달되고 해독되어 의도하는 행동을 산출하도록 근육운동기관으로 전달된다. 사람이든 기계든 완전한 체계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처리과정 중에 방해자극이 출현하게 된다. 즉, 모든 사람은 그 이 상은 정보가 전달될 수 없는 통로용량 (channel capacity) 을 가지고 있다. 이 용량은 업력을 증가시켜서 업력자극에 반응하는 정도를 측정하면 알수 있다. Welford (19 68 ) 는 정보이론을 운동학습에 적용시켜 감각업력과 운 동출력 사이에서 작용하는 메카니즘을 연구하였다. 그는 인간의 감 각기관에 받아들여진 정보는 단기기억과 장기기억 조직을 통해 조 절되어 행동으로 전환된다고 하면서 인간지각 운동체계를 그럽 4-5 와 같이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는 데에 는 (1) 측정가능한 행동이론과 정신측정학적 접근 (2) 유사한 작용 을 연구하기 위하여 인간과 기계를 비교 (3) 신경생리학과 섬리학
그림 4-5 인간 지각운동 체계
감각기관 뉴 l 중앙기제 뉴 I 근육체계
사이의 밀접한 결합 (4) 복잡한 행동에 대한 요인연구 등이 이루어 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Welford 의 모형은 한정된 용량의 전달 회로로서 과다한 정보는 회로에 과중한 부담을 주게 되며 너무 척 은 정보 역시 부척당한 단서의 결과가 되므로 빈약한 퍼포먼스를 초래하게 되어 회로용량의 최대 이점을 사용할 수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최근에 개발된 가장 인기 있는 모렐 중의 하나는 Whit ing (196 9, 197 :2)의 모탤이다Whi ting 은 운동 퍼포먼스와 관련된 구조적 요 인, 기능척 요인 그리고 중심 메가니즘 및 혼합요소를 그렴 4- 6 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그는 이 모형에서 모든 사람이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과정은 물론 신체적 능력과 환경적 영향에 대한 개인차의 효과까지 반영하고 있다. 3 인공두뇌 모델 (cybernetic models) 인공두뇌모탤은 제어와 의사전달을 다룬다. 인공두뇌학적 관점에 서 볼 때 생물학척 증거는 수학적 정밀성에 의하여 고찰되며, 인공 두뇌학은 생물학, 심리학, 통신학, 공학, 수학, 생리학 등의 여러 가지 영역과 관계하고 있고 각 분야에서 이 이론을 적용하고 있다. 인간두뇌학은 기계와 인간 유기체의 제어과정이나 메차니즘을 연구 하는 학문으로 Weine r( l 9 61 ) 에 의하여 성럽되었다. 인공두뇌학에서 가장 중요한 개 념은 피드백 (feedback) 이다. 피드 백은 체계의 출력 중 다소가 분리되어 업력으로서 체계 내로 송환 될 때 일어난다. 피드백의 용도는 폐쇄회로 제어체계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유용한 것이다. 피드백 체계의 다른 명칭은 자동조절체 계 (servosystem) 이다. 자동조절체계는 피드백의 원리로 작동하는 폐쇄회로 제어체계로서 오류정보는 출력제어장치로 돌려 보내지고 그 다음 입력이 수정되면 출력이 정확해진다. 모든 언간 유기체는 행동의 결과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고 그 결과를 알아야 한다. 그렇치 않으면 행동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축련된 동 작에서 반응은 고유수용기, 눈, 다른 감각기관£로부터 업력되는 정보를 체계로 송환되도록 하는데, 이 피드백이 사람에게 정보를
준다. 운통에서 오차가 발생하였을 때 피드백은 우리에게 교정의 범위와 특성을 알려준다. 다시 말해서 수행출력이 업력정보와 불일 치할 때 피드백 정보를 사용하여 그 불일치를 수정한다. 많은 운동 기능은 수행과 각 수행의 감각효과 사이에 폐쇄회로 체계가 계속 상호작용함으로써 학습될 수 있다. 계속적인 활동은 이 감각입력에 의하여 제어되고 조정된다. 러시아의 생리학자 Bernstein ( 196 7) 은 통제와 자기조정에 의한 피드백의 역할을 강조한 전형적인 인공두뇌모렐을 그럽 4-7 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이 이론의 관점은 수행자의 변화와 적응운동은 원 심성 충격에 의해서만 기술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즉 , 운동을 수 행하는 데에는 구성성 피드백(반응으로부터 생성된 자극)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운동을 성공적£로 수행하기 위해서 는 무수히 많은 자유도 (degrees of freedom) 를 제 어해 야 하는데 , 거기에는 상당한 내적 가변성과 융통성이 있다. 동작 속에 자유도 가 많으면 많을수록 체계가 복잡해지고 체계를 제어하기가 어려워 진다. 그러므로 Bernstein 은 운동협응이란 〈움직이는 기관의 많은 자유도를 숙달하는 과청, 즉 자유도를 체계가 제어할 수 있도록 전 환하는 과정〉이라고 하였다. Adams(I97 I ) 는 운동학습에 관한 폐쇄회로이론 (closed-loop the- ory) 을 제안하고 있다. 이 이론은 S-R 이론과 반대의 입장을 취하 고 있으며, S-R 이론을 개방회로이론 (open-loop theory) 이라고 규 정하고 있다. 개방회로체계에는 오류조정을 위한 기제가 없으며, 업력은 체계에 영향을 미치고 체계는 입력에 따라 변형되고 출력을 가지게 되는데 체계에 대한 입력과 변형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보.A.}능력이 없다고 간주한다. 반면에 폐쇄회로체계에서는 핵심적 요소로서 오류탐지 및 오류교정이 있다. 체계에서 바라는 값을 구 체화해 주는 참조기제 (지각흔적 : perceptual trace) 가 있으며, 체계 의 출력은 다시 송환되어 참조기제와 비교됨으로써 오류를 탐지하 고 필요에 의하여 교정하게 된다. Adams 는 참조기제, 즉 지각흔적을 폐쇄회로이론의 혜심이라고 하였다. 과거에 실행된 동작은 혼적 또는 심상을 남기며, 학습자는
운동중의 기관, 수단, 목표
이 흔적이나 심상을 다음동작을 수정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동작에 대한 결과의 지식 (KR) 이 지각흔적과 버교된다. 운동감각은 결과의 지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억흔적에도 기여한다. 촉각, 시각과 같은 다른 형태의 감각수용기 또한 결과의 지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Adams 에 의하면 지각혼적은 반응-산출 피드백 자극에 기초
한다고 하였다. 운동학습에 관한 폐쇄회로이론에서 주장하는 가장 독특한 개념은 다음과 같다. ·운동학습에서 두 개의 혼척 : 기억혼척과 지각혼적 ·중추에 의한 피드백보다는 말초척 기제에 의한 피드백의 기여도 가 크다. 여기서 언간의 수행출력이 오차탐지를 위하여 참조모 델과 버교된다. ·오류교정과 지각흔적에 부합되는 반응을 산출하는 새로운 기억 혼척 선정과의 연합 4 적응모델 (adaptive models) 혹은 위계적 제어모델 (hierarchical ci:m t rol models) 적응이론에서도 정보이론이나 인공두뇌이론에서와 마찬가지로 인 간을 전자계산기에 비유한다. 즉, 인간이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 는 것은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프로그램이라고 본다. 또한 운동기능 의 학습이나 적응 혹은 행동의 조절은 계층적(위계적)인 조절로서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운동을 할 때 적용되는 상위수행계획 (hlgher order excutive program) 과 하위 종속계 획 (low er order sub-ordinate programs) 이 있는데, 이것이 운동수행에 필요한 인지과정 과 밀점한 관계가 있다 (Glencross , 1972 , 19 77). 운동프로그램이론은 폐쇄회로이론과는 대조적으로 말초 피드백 없이도 일련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고 보는 입장이다. 폐쇄회로 이론에서는 기억흔적 (memory trace) 을 중추 제어기제로 가정했으 나 이 기제를 운동과제에 척용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즉, 빠른 운동에 적용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Keele (1968 , 1971) 은, 운동프 로그랭은 사람이 예측할 수 있고 잘 학습된 과제에서 존재할 수 있 다고 믿었으며, 이러한 프로그랩은 운동의 방향, 크기 그리고 속도 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였다. 운동프로그랭 (motor program) 은 운동이 시작되기 전에 형성된 근육명령의 체계 (Keele , 1968) 혹은 운동패턴이 뇌 혹은 척수에 중
다른
심적으로 그려져 있는 내척 표상 (Keele , 1973) 이라고 청의할 수 있 다. 운동프로그램은 특정한 시간(말초 피드백이 운동변화에 영향을 미철 수 있는 시정)까지 제어를 한다. 그리고 잘 학습되고 예측 가 능한 운동에서의 제어는 대부분 시각적 피드백과 운동감각적 피드 백으로부터 사전 계획된 상태로 전환되기 쉽다. 5 도식 이 론 (schema theory) Schmidt (1975) 는 폐쇄회로이론과 운동프로그랭이론에 대하여 다 음과 같은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다. 첫째, 운동프로그랭이론에서는 운동의 기제가 동작의 시간적 • 공 간적 세부사항과 관련된 모든 것을 결정하는 중추프로그랩에 의하 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러한 주장에는 수행자가 만들어내는 모든 반웅을 통제하기 위한 별개의 프로그랭이 있어야
한다는 뭇이 포함되어 있으며 운동속도, 자세, 환경의 상태 그리고 반웅이 취해질 수 있는 공간척인 형태의 수효를 고려한다면 이 운 동반웅을 위한 프로그랭의 숫자는 사실상 방대한 양에 이르게 된다 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운동프로그랭이론은 중추신경계가 어떻게 방대한 양의 운동프로그랩을 저장하고 있는가를 설명하지 못한다. 또한 에러의 탐지와 수정을 강조한 폐쇄회로이론에서도 이러한 문 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즉, Adams(197 1 ) 가 말한 바 운동이 피드백을 통하여 조정되고 에러가 감소되려면 에러의 수정을 위한 참조기제가 있어야 되는데, 이콧 역시 운동의 수와 비교될 만한 참 조기제가 있어야 되므로 저장의 문제 (storage problem) 를 해 결하지 못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장의 문제는 MaCneilage 등 (1973) 의 연구에서도 업증되고 있다. 둘째, 수행자는 시합이나 연습중에 신체의 자세나 환경적 상황에 따라 새로운 통작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의 운동프로그램 과 참조기제는 어디에서 나오는 것인가 하는 새로운 동작 발현의 문제 (nove1t y problem) 이다. 이것은 사전에 연습한 동작에서 나오 는 것도 아니고 유전적으로 결청될 것도 아니기 때문에 현재의 이 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어려운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셋째, 수행자가 반응에 대한 오류를 어떻게 탐지하고 수정하는가 에 대한 초기 학자들의 주장 속에 함축된 버합리성, 즉 오류탐지의 문제 (error detection problem) 이다. 이 문제는 반응을 시 작하게 하 는 기제와 반응의 정확성을 평가하는 기제가 불분명하다는 점이다. Schmidt (1975) 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시키는 운동학습에 관한 도식이론 (schema theory) 을 제안하였다. 도식 (schema) 이란 개념은 영국의 신경외과 의사인 Head(19 20 ) 에 의하여 처음으로 사용되었 다. Head 는 도식을 반응인식에 관한 내부의 참조기제라고 하였고, Adams(197 1 ) 는 이를 지각흔적과 유사한 개념이라고 하였다. 각 학 자들이 주장하는 도식의 개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갇다. ·신체통작을 인지하는 내적 기준 (internal standard) ·신체동작의 조직화된 세트 (organized set)
·동작에 대 한 회 상 (recall ) 혹은 기 억 (remembering) ·조직 척 동작의 유형 (organized pattem of movement) ·동작의 형 상에 대 한 추상적 구조 (abstract structure) ·동작에 대한 기 억흔적 (memory trace) 과 지각혼척 (perceptual trace) 의 결과 ·유사동작의 추상척 형태 (abstract form) 혹은 통작의 일반화된 법 칙 (generalized rule) ·일련의 근수축 유형 (muscular contraction pattem) Schmidt (1975) 는 도식이란 몇 가지의 조직된 관념으로 구성된 언지적 체계 (cogintive map) 혹은 정보의 배열 및 조직이라고 말하 고, 운동학습은 인간에게 이러한 도식이 형성되는 과정이라고 규정 한다. Schmidt(I975) 는 두 가지 형태의 도식을 그렴 4-9 와 같이 제시하고 있다. 즉, 운동도식의 구성정보는 최초조건 (initial conditions) , 반응명 세 (response specifications), 감각귀 결 (sensory consequences) 및 반응결과 (response outcomes) 의 네 가지 요소로 구성 되 어 있고, 회 상도식 (recall schema) 과 재 인도식 (recognition
최초조건
schema} 의 두 가지로 분류된다. 최초조건이란 운동개시 전의 환경상태와 자세에 관한 정보를 말 한다. 환경척 조건£로는 인간이 동작을 수행할 때 목표까지의 거 리, 방향, 위치, 물체의 크기, 모양, 색체 등이 포함되고, 학습자 의 자세, 사지의 위치 등이 속한다. 반응명세란 특정한 통작에 대한 정보이다. 그 변수는 속도, 힘, 동작의 크기, 공간척 특성 등으로서 동작을 어떻게 취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특정한 동작의 명세가 설정되는 정보이다. 감각귀결은 반응통작의 감각적 체계에 의한 정보로서 실행한 동 작에 대한 시각, 청각, 촉각 등의 감각기관을 통한 피드백, 자기수 용성 감각, 근운동 감각 등에 의한 귀결작용을 말한다. 감각귀결정 보는 재언도식의 주된 기능£로서 반응통작에 대한 감각적 피드백 작용을 말한다. 반응결과는 기대했던 통작반응결과의 정보이다. 반응결과가 정반 응인가 아니면 오반응언가를 판단하여 다시 중추로 피드백시키게 된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 정·오반응에 관한 변별력이 커지고, 따 라서 주관적 강화 (subjective reinforcement) 작용이 일어나서 결과 의 지식 없이 동작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학습자가 스스로 동작을 평가하며 오차에 대한 판단을 바르게 하게 된다. 이상에서 언급한 네 가지 정보가 동작을 반복척으로 실행하는 동 안 중추에서 추상척 A 로 체계화된다. 한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 기 위해서는 연습의 양과 연습의 다양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운동도 식을 최척수준으로 습득시킬 수 있고 실제 연습 때 행하지 않았던 생소한 동작을 발현시컬 수 있게 된다. Schmidt(1975) 는 Adams (197 1 ) 의 기억흔적 (memory trace) 과 지각흔적 (perceptual trace) 에 상응되는 두 종류의 도식을 제시하였다. 회상도식은 반응생성에 관여하는 도식이다. 이것은 기대하는 동 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일반화된 운동프로그랭 (genera1i ze d motor program) 에 의거하여 세 가지의 중요한 정보를 선돼하게 된다. 이 정보는 최초조건, 반응명세, 그리고 반응결과이다. 이 세 가지 정 보에 따라 반웅선돼시 학습자는 최초조건에 관한 정보를 받A 며,
동작을 발생시키는 변수 혹은 반웅명세를 선돼하여 그 동작의 반응 결과를 기록한다. 이러한 반웅의 수가 축척됨에 따라 세 가지 근원 들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정보들을 추상화시킴으로써 회상도식이 형성된다. 즉, 회상도식은 폐쇄회로이론에서 주장하는 기억혼척과 유사한 것으로 주로 동작을 생성시키는 도식이며 최초 조건의 다양한 변화와 반응명세의 요인별 변화가 회상도식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재인도식은 ‘ 회상도식에 의하여 동작을 할 때 정·오를 재언식 혹 은 판단하는 도식으로서 동작을 평가하는 역할을 주로 한다. 이혜 재인도식은 동작결과에 대하여 예상감각귀결 (expected sensory consequences) 과 실제 감각귀 결 (actual sensory consequences) 을 비 교해서 차이가 있을 때 오반응으로 판정한다. 반응재인 (response recognition) 에 재인도식의 관여는 먼저 수행자가 반응명세를 발생 할 수 있도록 운동반응도식 (motot response schema) 을 이용하는 동시에 그 운동의 예상된 감각귀결을 발생시키게 된다. 재인도식은 회상도식과 유사한 방법으로 이용되는데, 반응 전에 수행자는 바라는 운동을 결정하고 최초조건의 특성을 파악한 다음 운동결과가 생성되면 재인도식에 의해 감각귀결을 추정하게 된다. 예기된 감각귀결은 생성될 운동이 정확한가의 여부를 결청하기 위한 토대로 작용하며, ‘ Adams(197 1 ) 의 폐쇄회로이론에서 사용된 지 각혼적 (perceptual trace) 과 유사한 개 념 이 다 (Schmidt, 1 982). 재인도식과 회상도식이 운통을 수행할 때 중요한 정보들이 관여 되는 과정이 그렴 4- 1 。에 나타나 있다. 그럼 4- 10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빠른 운동에 있어서는 최초조건과 바라는 결과가 체계에 입력 되면 반응명세가 결정되면서 예상된 감각귀결이 발생된다. 운동프 로그랩에 의해 운통이 수행된 후 사지와 환경£로부터 피드백 정보 가 전달되고 예상된 감각귀결과 버교하여 일치되지 않으면 오류가 주관적 강화 (subjective reinforcement) 로서 정보처 리체계 에 다시 환원된다. 느린 운동에 있어서는 주관적 강화가 동작수행에 실제로 이용되 는데 , 예 상된 피드백 정 보 (expected feedback information) 는 정 확 성의 기준을 나타내며 피드백 정보는 1 정확성의 참조준거에 비교되
기대된 운동
어 반응이 이루어지는 중에 오류에 관한 정보를 계속적으로 제시해 준다. 이에 따라 수행자가 가능한 한 오류가 적어지는 방법으로 운 동을 수행하게 된다 (Schmidt , 1982) . 4-2 운동학습의 과정 4-2-1 운동학습의 단계 운동학습은 복잡하고 연쇄적인 행동이 적절한 시간적, 공간적 짜
임속에서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된다. 여기에는 고전적언 자극-반응 의 조건형성에 따라 학습된다고 생각되는 반응도 포함되며 복잡한 상황에서 인지의 변화에 의하여 문제 해결의 단서가 얻어져야 하는 반웅도포함된다. 스포츠 장면에서 실제로 발휘되는 기능의 대부분은 대단히 복잡 하기 때문에 특정한 학습이론에 의하여 학습과정을 설명하기는 대 단히 어렵다. Washburne (1947) 은 학습의 과정을 다음과 같이 7 단계로 나누고 있다. @ 방향결정 (orientation) : 학습이 일어나는 제 I 단계로 학습자 창해-목표의 관계를 통찰하는 것으로 행동에 방향이 주어진 다. @ 탐색 (exploration) : 장혜의 방향에 대하여 관심을 갖는다. 동 기유발의 종류나 강도가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단계이다. @ 추정 (elaboration) : 머리속에서 열심히 추정한다. 과거의 경험 이나 반응에 의한 피드백 정보와 대조가 이루어진다. @ 명료화 (articulation) : 주어진 장면 전체의 구조에 대하여 언 지가 성립하기 시작한다. 추정한 것과 관찰 정보의 결합에 의 하여 인지의 질이 높아진다. @ 단순화 (simplification) : 불필요한 것에 대한 주의냐 반응을 제거한다. 문제 해결에 있어서 본질척인 근거를 주의의 대상으 로 삼게 된다. @ 자동화 (automatization) 자신과 환경 혹은 목표와의 관계에 대해서 업력, 대조, 인지, 판단, 의사 결청, 행동, 수청의 복 잡한 과정을 단순화하여 용이하게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 재방향 결정 (re-orientation) : 다음 과제로 념어간다. 따라서 새로운 학습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어떤 학습에서나 원칙적 A 로 @에서 통찰이 일어나고 @@@@@에서는 조건화 과정이, 그리고 @에서는 예측이라는
과정이 생기는데, 과제의 성질이나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일부의 과정이 생략되는 수도 있다. Fitts(I9 6 4) 는 기능 획득을 위하여 연습할 때 나타나는 과정을 인 지화 단계 (cognitive phase). 고정 화 단계 (associtive phase) 그리고 자동화 단계 (autonornous phase) 로 구분하였다. 인지화 단계는 학 습자가 새로운 과제에 직면했을 때 일차척인 관심은 무엇을 해야 하며 어떻게 하면 과제를 찰 수행할 수 있는가를 이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전략을 척절히 결정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인지적 활 동이 필요하다. 좋은 전략은 유지되며 부적절한 전략은 빨리 소거 된다. 이 단계에서는 운동 유형 자체보다 무엇을 할 것인가에 관련 된 언어로써 진보하게 되는데, 이련 이유 혜문에 Adarns(I97 I ) 는 언지척 단계를 언어척 운동 단계 (verbal rnotor stage) 라고 불혔다. 운동학습의 두번째 단계는 고정화 단계로 개인이 문제를 해결하 는 가장 효과척언 방법을 결정했을 때 시작되며 기능이 수행되는 방식에 있어서 매우 안정된 조정을 할 때 시작된다. 또한 수행이 점차 향상되고 일관성이 있어 운동 유형에 작은 변화만이 존재한 다. 이 단계는 운동학습에 관한 실험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는데, Adarns(I97 I ) 는 이를 운동단계 (rnotor stage) 라고 불렀다. 학습자는 많은 연습을 한 후에 자동화 단계로 들어서는데, 이 단 계에서는 기능이 자동척으로 이루어진다. 이 단계에서는 기능에 대 하여 요구되는 주의 (attention) 가 현저하게 감소되며 중추의 주의집 중 기제는 최대한 적게 관련된다. 따라서 주의가 요구되지 않는 잘 학습된 과제는 주의를 적게 사용하여 다른 과제에 쓸 수도 있고 좀 더 높은 단계의 요소에 쓰여질 수도 있으며 저장도 되어 피로를 감 소시킬 수도 있다. 4-2-2 기능의 습득 연습을 계속하면 운통 동작이 질척으로나 양적으로 진보할 뿐 아 니라 운동수행에 관여하는 정신 기능도 그 과제에 따라 정밀하게 되고 효과척£로 작용하게 된다. 더욱 연습을 쌓으면 처음에는 한
동작의 단위가 척고 자기 완료척이지 못한 운동이 차차 작게 통합 된 부분 단위로서 설행할 수 있게 되어 복합적인 일련의 전체척 활 동이 되고, 합목적척이고 자기 완료척인 운동을 실행함으로써 하나 의 목적을 달성한다는 커다란 운동 단위 내지는 운동 연쇄를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운동 통작의 단위가 커지고 연쇄가 유연하게 되는 것과 동시에 과제수행을 위한 기능을 유지하는 성동적 (psycho-motor) 인 인자구 조에 변화가 생겨 시각화나 언어화, 수량화 등의 차원 높은 인지판 단적 기능의 관여 정도가 줄어들어 운동이 고정화되고 자동화된다. 1 일반화와 분화 연습을 계속하면 일반적으로 올바른 자극에 대한 적절한 반응이 일어나는 빈도와 정확성이 증가한다. 다시 말하면 반응이 고정화 내지는 자동화로 진행된다. 이와 동시에 같은 자극조건이 아니라도 자극이 비슷하기만 하면 같은 반응을 일으키게 되는 현상을 일반화 (generalization) 라고 한다. 일반화에 의한 반응의 강도는 새로운 자극과 연습 때에 쓰인 조건 자극과의 유사도가 높을수록 크며 자 극 조건에 다소의 변동이 있어도 대개 안정된 반응을 계속하는 것 이다. 자극의 근소한 차이에도 민감하게 대응하여 다른 반응을 행할 필 요도 있다. 여기에는 조건 자극의 특수화가 생기는 것을 전제하고 그것을 분화 (differentiation) 라고 한다. 일반화는 자동적으로 성렵 되는 데 비 하여 분화는 변별학습 (discrimination learning), 즉 특정 조건 자극에 도구적인 반응만을 강화하고 그것과 유사한 다른 자극 에는 강화를 시키지 않고 소멸하는 수속을 필요로 한다. 기능의 향상에는 올바른 반응의 고정과 동시에 불필요한 반응의 제거가 따르지 않으면 안된다. 타이프라이팅의 연습 초기에 요반응 을 소멸하여 수정할 때에 일부러 오반웅을 반복하여 연습시키는 경 우도 있다. 이를 부척 (負的) 연습이라고 하며 정반응을 같은 횟수 로 연습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고 한다. 찰못을 잘못으로 지 각하는 운동척언 식별은 요반응의 회피와 제거를 초래케 하는 것이
다. 2 학습곡선 기능의 습득을 묘사하는 중요한 방법 중 한 가지는 학습곡선 (Iea rning curve) 을 이용하는 것이다. 학습곡선은 연습 시행과 수행 사이의 도해척 설명이고 한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이 시행에서 성취 한 수행 지표이다. 횡확표는 통상 연습의 시행이나 날짜를 나타내 고 종좌표는 측정 단위를 나타낸다. 측정은 시행 점수나 오류 또는 어떤 점수들에 비추어서 만들어지며 전형적으로 수직단위는 수명단 위 그래프 면적의 2/3 를 나타내고 있다. 학습곡선의 모양과 일반 척언 해석은 곡선이 나타내고 있는 방법에 따라 달리 묘사된다. 똑 같이 수행된 운동기능도 연습 방법, 연습 기간의 관리, 측정 방법, 기능의 성질과 수준, 대상의 나이 등과 같은 요소들에 의하여 서로 다른 학습곡선이 나타날 수도 있다. 어떤 학습곡선은 수행을 촉진 하거나 방해하는 요소들을 반영하지만 이러한 곡선이 대표적인 학 습곡선은 아니다. 그림 4- 11 은 일정한 연습 기간중에 얻은 네 개의 학습곡션을 나
수행
타낸 것이다. 독선 A 는 부적인 가속 곡선언데 연습 시행의 초기에 가장 크게 진보하며 그 이후의 시행에서는 증가가 정차 감소된다. 기능 수준이 안정점에 도달된 것처럼 보이지만 여전히 기술의 진보 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곡선은 초기의 시행에서 만족할 만한 수행을 나타내는 비교적 쉬운 기능의 학습이나, 기능 통찰력 이 빨리 일어나는 학습에서 일어난다. 상위기능 수준에 도달함에 따라 진보율이 감소되는데, 이것은 숙달할 기능이 줄어들고 있다는 증거이다. 곡선 D 는 초기 시행에서의 수행은 빈약하지만 시행을 반복함에 따라 증가해 가는 정적인 가속 콕선의 예이다. 따라서 이 곡선은 상한선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안청될 것이다. 곡선 B 는 기 능이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독선은 시행 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단계적인 증가의 몇 가지 경우에서 얻어진 다. 또한 이 곡선은 시행이 증가됨에 따라 접근선적인 값무로 안정 될 것이다. 독선 C 는 S 자 모양의 곡선인데, 최초에는 정적인 가속 을 하고 도중에 선형을 이루었다. 후에는 부적인 가속을 한다는 것 을 나타내며 다른 세 가지 곡선의 특성을 내포하고 있다. 단일 학습곡선은 존재하지 않으며 과제의 성질이나 학습자의 특 성이 기능획득 방법에 반영된다. 예를 들어, Thurstone (193 0 ) 과 Estes(195 0 ) 와 같은 학자들은 학습곡션을 예측하고 알아내기 위하 여 수학적인 공식을 만들려고 시도한 결과 어느 정도의 성공을 거 두었다. Culler (19 28 ) 와 Culler 그리고 Girden(195 1 ) 은 완전한 학습 곡선은 S 자 모양이라는 증거를 보였다. 이들은 이미 학습된 양과 학습 한계에 도달하기 전에 학습되어야 할 잔여량의 곱과 비례하는 수학적 공식을 만들어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모든 형태의 자료에 일반적£로 적용할 수 있는 만족할 만한 공식은 없다. 그러므로 학 습자의 성질뿐만 아니라 학습 과제의 성질, 난이도 등이 과제의 학 습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McÐonald(1959) 는 일반적인 학습곡선을 그렴 4- 12 와 같이 나타 내고 있다. 이 콕션은 각 단계별로 다음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 이 단계는 과제를 이해하는 단계이며 적절한 폼이나 동작의 계열에 대하여 모색하는 시기이다. 따라서 퍼포먼스의 증가는 거 의 볼수 없다. @ 과제에 대한 일단의 이해가 형성되면 개개의 운동에 의지적 노력이 이루어지며 폼이나 동작의 효율성이 증가되어 퍼포먼스는 급속히 증가한다. @ 이 시기는 일정한 통작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진보의 수준 이 느리고 중간 수준의 퍼포먼스를 보인다. @ 진보가 거의 없는 고원 (plateau) 을 보인다. @ 고원현상을 극복하면 다시 진보가 나타나며 더욱 고차원의 기 능이 습득된다. @ 한계에 접근하는 시기로 최종적으로 운동 과제 및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 생리적 한계에 접근한다. 학습곡선은 측정 방법에 의하여 완만함이나 불규칙성이 결정된 다. 그렴 4- 1 3 은 4 년 통안의 시합에서 얻어진 원반던지기 선수의 자료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성장과 발달 요소들 이 학습곡선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첫째, 자료의 곡선과
I56 .각 경기별 최고기록의 시즌 평균
전형적인 학습곡선간의 유사성, 툴째, 수행 측정의 세 가지 방법과 각각의 학습곡선에 미치는 효과의 비교 동 더 많은 접수를 평균하 면 곡선이 좀더 완만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가장 불규칙 한 곡선은 매 경기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보인 것이고 중간의 것은 매 경기당 5 번씩 던진 것을 평균한 곡선이며 가장 완만한 곡선은 각 시즌의 모든 기록을 형균한 것이다. 이 선수의 기록은 수행에 있어서 불규칙척인 변화가 분명히 나타났지만 매 시합이나 매년 계 속적으로 진보됩을 보였다. 학습곡선의 유형은 천정효과 (ceiling effect) t.f 바닥효과(fl oor effect) 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과제가 비교적 학습하기 쉽거나 향상 가능성이 다소 제한되어 있다면 빨리 점근선에 도달한다. 학
습곡선이 상향하는 것이냐 하향하는 것이 방해를 받았을 때 천정효 과나 바닥효과라고 한다. 학습은 아주 척게나마 지속되지만 고도의 기능이 습득되고 수행 측정이 민감하지 못할 때 학습은 수행에서 탐지되지 않는다. 일반척으로 학습곡선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고볼수있다. ·사람에게 주어진 처지(경험) ·수행의 가공과 개인척 명형 상태 (피로, 동기유발 등) ·이용된 과제의 형태(난이도 등) ·할당된 시행수와 연구 기간 ·선택된 측정 형태 ·각 시행 및 시행블럭에 기초로 샤용된 접수의 수 어떤 학습곡선이든지 위에 제시한 요인을 고려하여 고찰되어야 한다. 학습곡선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습 진보를 빨리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주지만 잘못 적용될 수도 있다. 3 고원현상 어떠한 과제를 계속해서 연습한다 할지라도 기능이나 수행의 진 보가 없는 상태가 있다. 특수한 기능의 습득이나 일반적인 운동수 행은 가속이 이루어지기 전에 영구적으로 혹은 짧은 기간 동안 청 체 상태로 머무르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현상을 학습곡선에서 고원 (plateau) 이라고 한다. 고원현상은 때때로 가속화된 학습 증가 에 따라 나타나고 후속 수행이 정지된 것을 나타낸다. 학습곡선에 서 고원현상의 가장 고전적인 예는 모르스 부호를 배우는 사람의 능력을 연구한 Bryan 과 Harte r( 18 97) 에 의하여 얻어졌다(그림 4 -14). 학습에 있어 고원현상을 셜명하기 위하여 설정된 가셜은 어떤 복 잡한 일을 배우려고 할 때 개개언이 습득하여야 할 습관의 위계질
10 。
서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처음 순서를 성공한 후에 학습자는 두번째 순서의 습관에 필요한 형태를 통합할 수 있기 전에 당분간 그 수준에 고정된다. 따라서 정보는 통합되고 재조직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황은 테니스에서 볼 수 있는데 1 단계 습관은 정지된 상 태에서 볼을 치는 학습과 같은 스포츠의 기초가 되는 기능 또는 기 본 스트로크의 습득일 것이다 2 단계 습관은 선수가 움직이면서 볼 을 치는 것이다. 3 단계는 게임 상황에서 효과적인 행동 형태의 통 합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론적으로 고원현상은 교수 방법이나 학습 자의 연습 방법에 따라 전이기간 중에 발생할,수도 있다. 학습곡선에 있어서 고원현상과 이의 이론적 설명에 대하여 두 가 지의 근본적인 의문이 생길 수 있다. 첫째, 기능을 학습한 방법이 학습독선과 고원현상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학습콕선에 고 원과 같은 것이 실제로 폰재하는가이다. 수행이 수명 상태가 되는 한 가지 원인은 동기의 상실이다. 그러므로 학습자가 계속적으로 동기유발이 된다면 수행에서의 고원 현상은 관찰되지 않을 수도 있 다. 수행의 진보가 없을 때 실의와 용기의 상실은 학습 중진을 한층
표 4-1 고원의 원인별 처치방법 원인 처치 ·흥미 저하 ·흥미있는 연습 ·동기 저하 • 새로운 연습방법을 모색 ·지루함 • 열성적인 연습 ·강화 방법식 이용 • 잘못된 단서의 이용 ·적절한 · 단서에 주의 를 기울임 • 결과의 지식을 제공 ·피로 • 상황의 인지 • 연습의 중단 흑은 다른 것의 연습 • 정서적 문제 ·진보의 속도를 낮춤 • 연습의 안전성을 제공 ·기대 수준의 저하 • 학습자가 달성할 수 있는 최 대의 목표를 설정할수 있도록 도와줌 ·신체적 준비 부족 • 학습자의 신체적 발달과 과제 요구 분석
어렵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과제의 복잡성, 습관의 체계, 흥미 그 리고 좌절 등의 요언은 고원에 영향을 줄 것이다. 또한 지루한 연 습 기간은 동기를 저해시킬지도 모르며, 불안의 증가는 수행의 중 단 원인이 될지도 모른다. 학습 상황에서 고원현상이 발생한다면 표 4- 1 과 같은 처방이 도 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4 기능인자 구조의 변화 학습의 초기에는 과제와 신체 운동의 관계에 대하여 사소한 점에 이르기까지 하나하나의 지각, 대옹, 수정, 확인을 필요로 하기 때 문에 인지척 능력과 의지척 노력이 불가결하다. 이것은 연습의 진
행에 따라 고도한 정신적 기능의 중요도가 감소되며 고정척이고 자 동적언 반응이 이루어진다. Fleishman 과 Hempel (1954) 은 손발의 협응작업 연습과 함께 수
10 。
의 처리나 표의 독해, 추척 작업, 선돼반웅 시간 동의 각종 기초능 력 검사를 실시하여 연습에 따라 요인 유형이 변화한다는 생각을 지지하였다. 복잡한 협웅성 검사는 연습의 초기 단계에서는 상당히 복잡한 것 A 로 보이지만 연습을 계속함에 따라 복잡성도 척어졌다. 요인분석 결과 많은 요인들의 척재치가 연습 초기에 획득되어 7 개 의 유의한 요언들이 나타났지만, 최종 단계에서는 3 개의 요인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그렴 4-15 ). 이러한 결과는 공간의 인지판단이나 시각화 능력 같은 중요한 요 인이 차차 감소하고 손발 및 동작 속도의 중요성 이 층가한다는 것 을 보여주고 있다. 협웅성은 연습이 시작되면 곧 증가하고 그후에 도 점차로 증가한다. 그러나 연습이 진행되어 기능이 정착되고 여 러 능력의 상대 기여율이 안청된 단계에서는 이 실험 과제에 특유 한 복잡 협응능력이 가장 크게 결과를 좌우하고 있다. 즉, 후반부 에서는 기능이 자동화의 과정에 이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실험실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일정불변의 자극배치에 서 연습을 반복하면 기능이 자동화 단계에 이르게 된다. 이 단계에 이르게 되면 인지 능력 등 고도의 정신적 기능은 불용화하여 동작 이 기계적이고 반사적 A 로 신속하고 정확해진다. 그러나 반응이 자 동화되면 반응이 거의 무의식적으로 진행되어 일련의 반응 연쇄를 예정대로 수행하는 능력도 생기게 된다. 또한 계획상에 없는 상황 의 변화가 있어도 이에 대응하는 능력도 커지게 된다. 반응의 자동 화에 의해 부담이 덜어진 고도의 정신적 기능을 활용하여 간과하고 있던 단서를 발견하거나 다양한 행동의 가능성을 개발하여 고도의 기능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 4-2-3 학습효과의 파지 운동기능은 나중에 그것을 잘 수행하리라는 의도를 가지고 학습 된다. 즉각적인 수행도 고려해야겠지만 필기 또는 실기 시험과 운 동 경기들은 이전에 학습한 것을 후에 재생하거나 재인이 요구되는 경우의 예이다. 파지는 반응으로 언하여 획득된 역량의 지속 상태
원학선습행조조건건, -채 에 재파-지 -변인- 원관래찰 연된습 행된동
를 말한다. 파지 (retention) 또는 장기 기 억 (Ion g-term memory) 은 과제의 본질, 과제가 학습자에게 갖는 의미, 최초의 학습과 회상 사이의 시간 경과, 과제의 학습 조건 등 수많은 요인들에 따라서 달라진다. 망각 (forgetting) 은 반웅을 위한 역량의 손실을 말하는 것으로 파 지와 똑같은 과정을 기술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파지가 기억 된 것을 언급하고 처음에 학습된 양과 망각된 양의 차이를 측정함 으로써 결정될 수 있는 반면 망각의 양은 학습된 양에서 기억된 양 을 빼는 것과 같다. 학습과 파지는 과거 경험의 부적, 정적 효과의 결과로 얻어지는 것이다. 어떠한 상황에서 파지는 그렴 4- 16 에 묘사된 바와 같이 과 거 연습으로부터 특정한 시간이 지난 후의 행동에서 추론될 수 있 다. 일반적으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파지가 감소된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이러한 경우손 언제나 얼어냐는 것이 아니라고 지적한다. 파지곡선은 휴식 후 학습 기간 다음에 급속하 게 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증가한다는 점이 많은 연구에서 증명되었다. 휴식시간 후에 과제의 회상이 감소하는 대신에 오히려 개선되는 현상을 과회상 (reminiscence) 이라 부른다. 어떤 연습 조 건은 다른 것보다 과회상에 있어서 유리하다. l 파지의 측정 일반척 A 로 파지 연구에는 재인, 재학습, 회상의 세 가지 척도가 사용되어 왔다. 재인 (recognition) 은 사지선다형 시험의 일종인 필 기시험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법이며, 회상 (reca II) 접수는 혈마나 많은 것을 얼마나 찰 기억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재학
습 (relearni 맹) 정수는 피험자가 과제를 재학습하는 데 필요한 시행 횟수이다. 예를 들어 12 를 특정한 기준에 달할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행횟수인 15 에서 뺀다. 획득된 점수 3 은 본래의 학습시행 15 의 분자로 두어져 이것이 절약 접수 (saving score) 가 된다. 이러한 경 우에 절약 점수는 파지 점수로 알려지지 않았더라면 20% 이다. 역 A 로 망각된 점수는 80% 이다. 파지의 효융성이란 관점에서 보았을 때 재언은 최고의 수행을 보이는 반면 회상은 최상의 수행 결과를 보인다. 운동학습에서 파지를 측정하는 방법은 많이 있으나 절대파지와 상대파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절대파지 (absolute retention) 는 파지 테스트의 초기 시행에서의 수행 수준을 말한다. 그림 4- 1 7 은 한 집단 피험자들의 가상적인 정수를 나타낸 결과로서 회전판 추적 과제를 연습을 통해 익힌 다음 일정한 파지 간격 후에 재학습하여 파지 테스트를 실시한 것이다. 절대파지는 대략 20 초의 목표 시간 (TOT) 이다.
30
상대파지 (relative retention) 를 측정하는 방법은 정수차 (differ ence. s core) 를 사용하는 방법과 백분융 점수 (percentage score) 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대파지 점수는 차정수(또는 drop -off 점수)에 의하여 파악될 수 있다. 차점수는 파지 간격이 지난 후에 손실된 기능을 나타내며 원학습에 있어서 진행 말기의 수행과 파지 테스트 초기의 수행간 차이를 측정하여 계산된다. 두번째 종류의 상대파지 접수는 백분율 접수를 들 수 있는데, 백분율 점수는 파지 간격 후의 파지 손실량을 원학습의 과제에 일어난 학습량과 비교한 것이다. 즉, 백분율 점수는 차접수를 원래 수행의 변화량으로 나누 어서 100 을 곱하여 백분율로 바푼 것이다. 2 장기 운동기억과 단기 운동기억 학습이 이루어진 후에 일정 기간 동안 정보를 정확하게 언출하거 나 수행을 반복하는 것은 특정한 과제에 대한 파지의 질이나 학습 자의 장기기억 능력을 나타내는 것이다. 정보가 오래 지속되려면 단기기억을 통하여 장기기억에 저장되어야 한다. 그리고 정보가 적 절하게 시연되고 등록되지 않는다면 단기기억체계에서 사라져 버릴 것이다. 정보처리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인간은 제한된 처리 용량을 갖는 다고 주장한다. 이것이 여러 감각입력들을 구별하는 것과 관계가 있는지 아니면 단서의 선택을 결정하는 것과 관계가 있는지의 여부 는 정보가 너무 많으면 한번에 처리할 수 없는 것과 똑같다. 과중 한 자료를 시연하려고 함으로써 처리 용량의 과부하를 초래하여 정 보를 사용할 수 없게 되어 결국 많은 정보를 소모하게 된다. 또는 통로에 너무 많은 잡음변수는 처리 기능을 왜곡시키거나 혼동시킬 수 있다. 단기기억체계의 용량 또는 기억의 수명은 적절한 전략을 활성화하여 용량 사용을 증가시킨다면 지금까지 생각했던 것보다 더 많이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다. 장기기억의 저장 용량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장기기억은 분리된 경험이나 단편적인 정보, 개개의 기능 표상 등을 모두 기억 할 수는 없다. 따라서 많은 양의 정보를 기억하려면 조직화된 저장
체계가 있어야 하며, 이 체계가 많은 경우에 척절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번에 척절한 양의 업력뿐만 아니라 노출 시간 (exposure tirne) 역시 단기기억과 창기기억 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단기기억에 서 장기기억으로 청보가 처리되기 위해서는 시연하고 부호화할 수 있는 척절한 노출 시간이 필요하다. 언어학습에서는 20-3 0초 가 적 당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운동학습에서는 일정하지 않다. 적절 한 시연 시간은 자료가 조직화되고 효과척으로 동록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간섭 활동 (int erpolated activity) 이 단기 기 억 의 과정 에 영향을 준다. 간섭 활동이나 시연방해 활동은 어떤 학습 상황에 노출된 후 즉각적으로 존재하는데 단기기억의 처리과정을 방해한 다. 운동학습은 망각에 대하여 아주 저항적이기 때문에 잘 망각되지 않는다. 연습을 하지 않고 몇 년이 지난 다음에라도 운동 국면의 초기 요소들을 재생하기만 하면 전체 연쇄가 자발적으로 회복되는 경향이 있다. 운동학습의 파지 현상에서 재미있는 현상의 하나는 상실율이 기능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다는 것이다. 회전판 추적, 자 동차 운전, 자전거 타기 등과 같은 연속적 과제 (continuous task) 는 몇 년을 사용하지 않아도 파지는 거의 무한하게 가능하다. 그러 나 신호에 따라 스위치를 당기는 것과 같은 비연속적 과제 (discrete task) 는 상실율이 상당히 급격하여 어문 기억의 상설과 거의 비슷 하다. 연속적 인 과제가 상실율이 낮다는 사실은 Fleishrnan 과 Parker (19 62 ) 의 연구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그렴 4-18 ) • 이들은 3 차원의 추적 과제를 사용하여 손을 전후화우로 움직이게 하고 발을 좌우로 움직이게 하였다. 17 일 동안 피험자를 연습시킨 다음 집단을 구분 하여 9 개월 14 개월 그리고 24 개월 후에 각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원학습과 파지 테스트의 점수가 그럽 4 - 18 에 나타나 었다. 파지 간 격 후에 여러 집단들이 거의 통일하였으며 숙달의 정도에 아무런 손실을 보이지 않았다 2 년의 휴식 후에도 마찬가지였£나 z 년의 휴식을 취한 접단이 좀더 짧은 파지 간격을 가진 집단보다 숙련도
아{{( ”” @ 훈련 파지검사
가 감소하는 경향이 약간 나타날 뿐이었다. 그러나 그 차이는 미세 하였고 세 번의 연습 기간 후에 거의 회복되었다. 이 연구에서 연 속적인 운동 과제는 매우 오랜 파지 기간을 통해서도 극도로 잘 보 존됨을 알 수 있다. 연속적 과제와는 달리 버연속적 과제의 손실은 상당히 빨리 진행 된다. 스위치 조작이나 손잡이를 드는 것과 같은 반응의 계열이 시 권스로 되어 있을 때는 망각이 상당하며 어문적 반응에서의 결과와 비슷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Neumann 과 Amrn ons(I957) 는 8 개 의 스위치에 안고리와 바깥고리가 있는 비연속적 운동의 파지를 연 구하였다. 피험자에게는 원형 A 로 8 개의 스위치가 설치된 자극 표 시판 앞에 앉아서 안쪽의 스위치를 켰을 때 바깥원의 어느 스위치 가 켜진 안쪽 스위치와 쌍을 이루는가를 찾아내는 과제가 부과되었 다 2 회의 실수 없는 연속적인 시행의 기준에 의하여 그 과제를 학 습하였다. 그리고 나서 I 분 2 。분 1 일 7 주 1 년의 파지 간격이
8
각 집단의 피험자에게 부여되었다. 그 주요 결과는 그림 4- 1 9 와 같 다. 그럽에서 보는 바와 같이 z 일이 지났을 때는 상당히 손실되었 으며, 일 년 후에는 거의 망각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연속적인 과 제가 거의 완전하게 파지되는 데 비하여 비연속적인 과제는 매우 약한 파지를 보인다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최근에 언어적 단기기억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됨에 따라 운동 단 기기억 과정에 관한 관심도 고조되고 있다. 어문학습에서는 단기기 억이 몇 초에 한정되며 시연을 통해서 기억이 계속된다고 본다. Adams 와 Dijkstra (1966) 는 운동학습에서도 유사한 현상을 예시해 보이고 있다. 피험자는 직선-41치과제 Oinear-positioning task) 를 이용하여 목표 위치까지 움직인 후 파지 간격 동안에 출발 위치로 돌아온 뒤에 다시 목표 위치까지 움직였다. 1, 6, 15 회를 시행함으로 써 강화가 주어쳤으며, 파지 기간은 5, 10, 15, 20, 50, 8 。 및 120 초로
3 。
하였다. 그 결과는 그림 4- 2 。과 같다. 강화수가 적을 때는 망각이 대단히 빠르지만 강화수가 증가하면 파지가 증가함을 볼 수 있다. 또한 파지 간격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회상 오차 (recall eπor) 가 증가하였다. 이 증가는 파지 간격의 길이가 8 。초일 때 최대로 되어 서 더 이상의 증가는 없었다. 언어적 학습과 비슷하게 운동 단기기 억은 약 I 분 이내에 거의 끝나는 망각 과정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 다. 3 과잉학습 대부분의 운동기능을 학습하는 데 있어서 그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 이상:로 반복 학습한다. 이것을 과영학습 (overlearn ing) 이라고 하며 기능의 고정화, 자동화를 초래한다. 일단 이 단계 에 도달하면 연습을 중단해도 습득된 기능이 쉽게 소멸되지 않는 다. 과거에 많이 즐긴 자전거 타기나 스키 같은 기능이 몇 년 동안 의 공백이 있어도 상당 수준 파지되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기능이 파영학습되면 파지는 더욱 향상된다. 과잉학습이란 전술
한 바와 같이 과제가 몇 가지 기준에 따라 학습된 후에도 그 과제 에 주어지는 연습을 의미하는 것이다. 파영학습에 관한 연구들은 학습 기준 이상의 과영학습이 파지를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일관적 £로 지지하고 있다. Melnick (197 1 ) 은 안정도 측정기 위에서 균형을 잡는 운동학습 과 제를 가지고 연구하였다. 피험자들은 0, 50, 100 그리고 200% 의 과영 학습을 받았다. 파지 테스트는 일 주일과 한 달 후에 실시하였다. 절대파지(즉각척인 회상)는 처음 파지 시행에 대한 피험자들의 점 수에 의거하여 측정하였고 상대척 파지는 최초에 숙련을 위하여 취 해진 시행들과 기준에 도달하기 위하여 파지 측정에서 취해진 시행 들의 비융에 근거한 잉여 점수의 백분율로 측정하였다. 절대파지 측정은 과영학습에 유리한 파지 칸격을 보여주었는데, 이것은 다른 과잉학습 백분윷과 거의 동등한 효과를 나타냈다. 즉, 200% 의 과 영학습은 한 달 후의 파지 시험에서 0% 의 과영학습보다 유의하게 뛰어났다. 4 순행제지와 역행제지 특별한 반응의 학습과 파지는 연습 전과 후에 학습한 것, 특히 관련 특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만일 특정한 반응이 일정한 자 극 (Sl-R 1 ) 을 요구하고 Sl-R 1 이 일어나기 전이나 후에 통일한 자극 에 대해 제 z 반응이 학습된다면 (Sl-R2) , Sl-R 1 의 파지에서 간섭이 관찰될 것이다. 순행제지 (proactive inhibition) 란 이전에 학습된 과제가 새로운 과제를 하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하며, 역행제지 (retroactive inhibition) 는 최근에 학습한 과제가 이전에 학습된 과 제의 파지 성취도에 방해효과를 미치는 것을 일걷는다. 일반적으로 순행작용 또는 역행작용을 측정하기 위한 설험 설계는 표 4-2 와 같 다. 망각은 반응의 경쟁 때문에 일어난다고도 볼 수 있는데, 순행작 용과 역행작용에 있어서 이와 같은 경우가 있다. 역행작용과 순행 작용은 계속척으로 조성되며 급속한 망각을 초래한다. 운동기능 1 은
표 4-2 순행제지와 역행제지의 실험설계 순행제지 집단 사전학습 요구된 학습 회상 실험 과제 B 과제 A 과제 A 통제 없음 과제 A 과제 A 역행제지 집단 원학습 간섭학습 회상 실험 과제 A 과제 B 과제 A 통제 과제 A 휴식 과제 A
급속하게 망각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주로 학습해야 할 것이 많지 않으며 대부분 새로운 기능이 아니고 장기간에 결쳐 연습되고 있기 때문이다. 자전거 타기 학습에 있어서 학습자는 균형과 중력 같은 요인들을 조절해야 한다. 이 상황에서는 경합 반응이 없기 때문에 망각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운동기능의 학습에서는 부적 전이가 일어날 수 있고 Sl 이 Rl 다음에 나타나 R 2 와 연합할 때는 갈등의 위험이 있다. 5 파지와 망각의 이론 일반척으로 망각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야기되는 수행의 퇴보라 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설험척인 증거에 다르면 최종 파지는 시간 그 자체에 의존한다기보다는 오히려 중재하는 사건에 더 의존한다 는 사실이 지적되고 있다. 활동이 크면 클수록 경합 반응의 경향을 고조시켜 상당히 높은 정도의 망각을 초래한다. 이러한 견해는 실험적으로 최후의 원학습 시행과 회상 테스트간 의 시간은 일정하게 유지하고 매개하는 활동의 양을 변화시킴으로 써 확증된다. 만약 시간만이 망각의 원인이 된다면 활동에 투여한
시간에 관계없이 회상점수가 통일할 것이나 이러한 경우는 존재하 지 않는다. 일반척으로 정보나 기능은 연습을 중지하면 점차 손실된다. 기억 에 있어서 손실이 일어나는 원언을 규명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실시되었 A 나 운동 기억의 망각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러한 연구의 대부분은 언어적 기능 (verbal sk i11)에 관련된 것으로, 전통 척으로 소멸이론, 간섭이론, 형태주의 이론 그리고 통합이론으로 분류될 수 있다. 소멸이론 (decay theory) 은 우리가 어떤 과제를 학습할 혜 기억 흔척이 형성된다고 전제한다. 기억 흔적은 학습자가 기억하려는 정 보를 시연함으로써 활성화되지 않으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소멸 된다 . 즉, 기능의 기억은 신경적인 흔적으로 표상되며 쇠가 녹슬거 나 우유가 상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혼척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정정 약해져 간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정보나 기능이 어떤 미래 시 점에서 요구될 때는 그 혼적이 약하거나 명료하지 않아서 효과척으 로 수행할 수 없다. 소멸이론의 난점의 하나는 소멸의 기점을 분명 하게 설명할 수 없다는 점이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소멸된다고 주 장하지만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z 시간 동안에 무엇이 일어났느냐 에 더 의존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쇠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녹이 스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경과하는 동안에 일어난 산화 라고 하는 화학적 과정 때문에 녹이 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는 것 이다. 간섭이론(Ï nterference theory) 은 망각이 단순히 시간의 경과뿐만 아니라 학습되는 많은 사상들이나 과제가 반응의 원학습과 원학습 의 파지 사이에 간섭에 의하여 일어난다고 본다. 즉, 어떤 것을 학 습하면 학습된 내용은 기억에 영원히 남아 손실되지 않으며 이전 혹은 이후 학습의 간섭 때문에 망각이 일어난다고 본다. 간섭이론에서는 망각이란 보다 척극적인 과정이며 기억 흔적간의 간섭을 주요한 원인으로 보며 역행간섭과 순행간섭의 두 가지 기본 적 인 종류가 있다. 역 행간섭 (proactive interference) 은 실제로 부 적인 역행전이와 같은 것으로 간섭하는 사상이 원학습과 기억자료
들의 파지 사이에 오는 것이다. 두 기능들이 서로 간섭하는 현상 중 다소 명료하지 않은 것은 순행간섭 (proactive interference) 에 의해서이다. 여기서는 춘거 기능을 학습하기 전에 학습된 기능이 파지 간격 동안에 새로 학습된 기능을 간섭하여 결과척으로 파지 테스트에서 기능의 감소가 있게 된다. 망각의 형태주의 이론에서는 기억의 양적인 측면보다는 철적인 측면에 주로 관심을 가진다. 이 이론에서는 망각이란 흔척의 소멸 이나 약화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기억과정은 시간이 지남 에 따라 질적언 왜곡이나 수정을 일으키게 되는데, 어떤 세부 항목 을 잊어 버리려 하거나 다른 세부 항목을 강조할 때 또는 기억을 적극적으로 재조직하여 척절한 사상을 기억하려 할 때 나타난다고 본다. 통합이론 (consolidation theory) 에서는 학습이 이루어지면 신경 흔적이 통합 현상을 보이는데 이 통합 현상이 얼어날 시간 동안에 다른 어떠한 사상이 생기느냐가 창기기억에서 본질적인 것이라고 본다. 즉, 학습 경험에 의하여 생성된 신경활동은 경험 자체가 끝 난 후 얼마 동안 지속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와 같이 신경 활동이 지속되는 동안 기 억 에 필수적 인 장기구조 변화(l ong-terrn struc-tural change) 가 통합된다. 신경 활동이 장기적 인 구조변화가 통합 되는 데 필요한 충분한 시간만큼 활동하지 않으면 파지는 잘 이루 어지지 못할 것이다. 그리하여 통합이 이루어지기 전에 신경 활동 이 새로운 어떤 자극의 방해를 받는다면 이전 학습 경험에 대한 기 억은 훼손된다. 6 파지에 기여하는 요인 지금까지 수행된 연구 결과들에 의하여 파지의 확률을 증가시키 기 위한 유리한 기법 또는 절차를 일반화할 수 있다. 어떤 학자들 (예 : Stelmach, 1974) 은 파지의 확률을 높이기 위한 여러 견해를 발전시키고 있다. • 재료 (materia I)는 학습자에게 유익하도록 찰 조직되어야 한다.
• 재료는 학숭자에게 의미있는 것으로 인지되어야 한다. • 재료는 찰 학습되어야 한다(과영학습). • 연습 시간부터 파지 테스트까지 경쟁 활동을 최소한으로 줄여 야 한다. • 연습에서 파지까지의 시간 지연은 너무 걸지 않아야 하고 다른 어떠한 관련된 과제의 경험이 간격 사이에서 발생해야 한다. • 재료는 단기기억에서 장기기억으로 변화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정보처리 능력과 양립될 수 있는 양식으로 제시되어 야한다. • 파지 테스트는 학습자가 재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조성해야 한 다. • 휴식시 다른 사람이 과제를 수행하는 것을 관찰하거나 내면적 시연을 이용하는 방법은 유익하다. 4-2-4 운동학습의 전이 1 전이의 개념 과거의 학습이나 경험이 새로운 지식이나 기능의 획득 또는 습관 의 형성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경우가 있다. 어떤 과제 수행의 경 험이 다른 과제의 수행에 미치는 전체적 효과를 전이 (transfer) 라고 한다. 전이의 효과는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한 가지 과 제의 수행이 다른 과제의 수행을 톱거나 촉진하는 경우를 정적 전 이 (positive transfer) 라고 하며 , 한 가지 과제의 수행 이 다른 과제 수행을 간섭하거나 제 지하는 것을 부적 전이 (negative transfer) 4 고 한다. 또한 한 가지 과제의 수행이 다른 과제 수행에 아무런 영 향도 미치지 않는 것을 o 의 전이 (zero transfer) 라고 한다. 。의 전 이는 이전의 수행이 제 2 의 과제 수행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거 나 정적 효과와 부척 효과가 복합되어 나타날 수도 있다. 2 전이 연구의 실험 설계 전이 연구의 가장 단순한 형태는 표 4-3 과 같다. 실험 집단은 과
표 4-3 전이연구의 기본척 실험설계 과제 A 과제 B 실험집단 학습 학습 통제집단 휴식 학습
제 A 를 학습하고 통제 집단은 학습하지 않고서 과제 B 에서 두 집 단을 비교하는 것이다. 만일 과제 B 에서 집단간의 수행차가 있다면 학습 과제 A 의 결과에 기인한다고 추론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실험 설계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실행 초기의 상태가 동일하지 않다는 점과 준비운동의 상태를 파악할 수 없다는 결함이 었다. Ellis(19 6 5) 를 비롯한 몇몇 연구자들은 이러한 결함을 제거시키기 위하여 다른 실험 설계를 발전시켰다(표 4-4). 첫번째 설계는 실험집단이나 통제집단을 두번째 과제 전에 문제 의 한 부분을 피험자에게 시험해 보는 것이다. 이 설계는 실험자틀 의 사전 연습 효과를 동등하게 하고 예버 성적의 기초 아래 두 집 단의 조화를 고려하기 위한 것이다. 두번째 설계는 피험자의 1/2 은
표 4-4 전이연구의 실험계획 설계 집단 최초조건 변경조건 실험 2a 과제에 과제 1 학습 과제 z 학습 관한 사전검사 통제 관한2a 과사제전에검 사 휴식 과제 z 학습 z 실험 과제 I 학습 과제 z 학습 통제 과제 z 학습 과제 I 학습 3 실험 과제 1 학습 과제 z 학습 통제 과제 1 학습 과제 2a 학습 4 실험과 통제 과제 I 학습 과제 z 학습 (변화시간 간격)
과제 z 를 학습하고 다음에 과제 I 을 학습하며 나머지 1/2 은 역순A 로 과제를 학습시킨다. 이 셜계는 하나의 감각기관으로부터 다른 것에 전이하는 효과를 연구하는 데 이용하려는 것이다. 세번째 설계는 실험집단이 과제 I 다음에 과제 z 를, 통제집단은 과제 I 다음에 과제 z -a 를 학습하는데, 과제 2-a 는 과제 z 와 동일하지는 않으냐 유사하게 한다. 이 셜계는 준비운동과 학습하는 활동에 따라 요인을 조정하 는 것이다. 마지막 셜계는 다른 집단의 두 과제 사이에서 휴식 시 간을 서로 달리하여 과제 x 을 학습하고 다음에 과제 z 를 학습하도록 한다. 이 실험 설계는 특히 전이 시간의 효과를 조사하는 데 유용 하다. 3 전이 이론 Thorndike 와 Woodworth (19 01 ) 는 학습 재료와 태도, 그리고 절 차에 통일요소가 있으며 전이가 얼어난다고 주장하여 통일요소설 (identical elernents theory) 을 제 창하였다. Woodworth 는 Thorn- dike 가 이용한 요소 (elernents) 대 신에 성분 (cornponents) 이 란 용어 로 바꾸어 쓰고 두 가지 학습이 공통의 성분을 가질 때에 한 가지 기능훈련은 다른 것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했다. 그 후 학습 재료 의 유사 청도와 전이의 관계를 분석적으로 연구하게 되었다. Osgood (1949) 은 S-R( 자극과 반응)관계를 설명하고 과제에서 과제 로 전이되는 결과를 예측하려고 하였다. 그렴 4 - 21 은 이론적인 전 이모렐로서 전이표면 (transfer surface) 을 묘사하고 있다. 특정한 반응이 Sl-R 1 이라는 일정한 자극에 의해 학습된 후에 완전히 새로 운 반응이 SCR2 자극에 의해 학습된 때에는 최대의 간섭, 즉 부척 전이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예증하고 있다. 최초의 자극과 완전히 다를 때까지 점차적으로 자극이 변함에 따라 반응 또한 o 의 전이 (S 2-R2) 가 일어난다. Judd(19 08 ) 는 5 , 6 학년 두 집단의 아동들에게 물 속 30crn 갚이에 있는 표척에 창을 던져 명중시키도록 연습시켰다. 한 집단에는 빛 의 굴절 원리를 가르치고 다른 집단에는 가르치지 않았다. 다음에 표적을 물속 10crn 로 옮겼더니 굴절의 원리를 배운 집단은 그 원리
정적 전이
를 새로운 장면에 적용함으로써 배우지 못한 집단보다 훨씬 성적이 좋았다. Judd는 이러한 사실에 입각하여 한 창면의 경험이 일반화 되어 다른 장면에 적용될 때 전이가 일어난다는 일반화셜 (theory of generalization) 을 제 창하였다. Gestalt 심리학자들은 한 장면에서 발견되거나 이해된 동적 관계 의 한 가지 형을 다른 장면에 적용함으후써 전이가 생긴다고 주장 한다. 공통형이나 관계가 두 가지 학습 사이에 있을 때 전이가 일 어난다고 한다. 말하자면 자극의 전체적 구조의 유사5:.가 전이를 매개한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주창을 형태설 (gestalic theory) 이라 고한다. 4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하나의 과제에서 다른 과제의 전이 효과에 잠재척으로 영향을 미 칠 수 있는 수많은 조건들이 있다. 이러한 것들 중 가장 중요한 것
이 각 과제간의 유사성이다. 과제의 요소와 그들의 개별척인 자극 과 반웅 사이에서 커다란 유사성은 가장 큰 전이량을 가져온다. 예 를 들면 Ammo ns 둥 (195 8 ) 은 회전판 추척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피 험자를 훈련시켰다. 전이 결과들은 두 일에 대한 속도 비율의 유사 성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전이의 양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는 과제들간의 유사성이다. 이 유사성의 개념은 Thorndike(19 01 ) 가 동일요소설을 발표한 이래 강조되었다. Nelson(1957) 은 통일요소를 지닌 근운동 기술 사이에서 일어나는 학습의 전이를 연구하였다. 그는 배드민턴의 발리 (volley) 에서 테니스 발리의 전이량, 배구공 탱 (tap) 에서 농구콩 됩 (tip) 의 전이량을 조사한 결과 테니스 발리의 초기 학습이 배드민턴 발리에 도움을 주며, 농구 기능의 초기 학습 이 배구 기능의 학습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Robinson(19 2 7) 은 과제의 유사성이 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그림 4- 22 와 같이 도해하고 있다. 선행과제에 대한 연습량도 전이의 양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 다. 두번째 과제의 수행에 궁극적£로 영향을 주는 선행과제에 대 한 많은 연습은 기대한 방향£로 수행을 유도할 것이다. 과제의 요
긍정적
소나 구성성분에 대한 경험조차도 학습을 용이하게 한다 (Vincent , 196 8) . 훈련의 방법 또한 전이의 효율성과 관계가 있다 Briggs 와 N aglor (19 62 ) 는 피험자에게 상이한 연습 방법을 통하여 학습된 3 차 원척 추적과제에 대한 전이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전습법과 점진적 분습법은 동일한 전이 효과를 나타냈으며 순수 분습법이나 단순 전 습법보다는 전이의 효율성이 유의하게 높음을 발견하였다. 4-3 운동기능의 구조와 분류 4-3-1 운동기능의 정의 학습과 마찬가지로 기능 (skill) 이란 용어도 매우 함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정의하기가 어렵다. Webster 사전을 보면 〈기능 (skill) 은 어떤 것을 실행하거나 수행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이고 쉽 게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 ) ~로 서술되어 있다. 이 정의에 의 하면 기능이란 수행된 독특한 행동이라고 언급할 수 있으며 실행되 는 방법이라고 볼 수도 었다. 많은 활동들은 기능들 혹은 기능의 혼합으로 볼 수 있으며 개인의 숙련 정도가 기능 수준을 반영하는 것이다. 운동기능이란 일반적으로 요구된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필요한 근육 및 신체의 작동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Fitts(19 6 4) 는 수용기 (receptor) 와 효과기 (effector) 그리고 피드백의 과정 이 공간 적 • 시간적으로 조직화 (organiza ti on) 된 정도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Knapp (19 6 4) 는 기능이란 학습된 것이며 최대의 확신을 가지 고 지정된 결과를 이루는 능력이라고 하여 기술적인 정의를 내리고 있다. 대부분의 운동행동에서 나타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척어 도 네 가지의 변인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수행자가 숙련자라고 불 릴 정도가 되려면 이러한 변인들이 충분히 발달되어야 한다.
Johnson(x9 6x ) 은 통나무 자르기 시합에 참가한 선수들을 인용하면 서 다음과 같은 변인들이 기능을 결정하는 데 어떠한 역할을 하는 지에 대하여 셜명하고 있다. 기 능 (skill) =속도 (speed) X 정 확성 (accuracy) X 자세 (form) X 적 응 력 (adaptability) 대부분의 기능은 제한된 시간 내에 수행되어야 하며 이런 까닭에 속도가 중요하다. 정확성도 또한 기능의 중요한 요소인데, 그 이유 는 정확한 동작은 행동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수행되고 있는가를 결 정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자세는 노력의 경제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이러한 관점에서 숙련된 행동은 최소의 에너지 소비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숙련된 사람은 척응을 잘하며 다양하고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능숙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네 가지 요인 들은 서로 독립된 개체들이 아니고 서로 유기적인 관련을 맺고 있다. 이상과 같은 제반 사향을 고려하여 운동기능의 특성은 다음과 같 이 요약할수 있다. @ 운동기능은 선천적, 유전적 영향을 받지만 인간행동 중에서 습득된 능력이다. @ 운동기능은 신체적인 움직임에 관련된 능력을 위주로 한 개념 이지만 운동수행을 위해서는 언지척 • 청서적 요인의 영향을 받 는다. @ 운동기능의 수준은 정확한 공간지각과 타이밍에 일치한다. @ 운동기능의 수준은 절대적인 성질이라기보다 상대적인 성질을 지닌다. @ 운동기능은 한계가 있다. @ 운동기능은 속도×정확성 ×자세 ×척응력으로 분석할 수 있다. 4-3-2 운동기능의 분류 운동기능과 운동과제는 여러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Singe r( 1 9 8o ) 는 대근운통기능 (gross motor sk i1l)과 소근운동기능 (fine motor sk i1l)으로, Poulton(1957) 은 비교척 안정되어 있고 예 측 가능한 상황하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폐쇄기능 (closed sk i1l s) 과 순 간적으로 변화하여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필요하게 되는 개방 기능 (open sk i1l s) 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Fitts(19 6 5) 와 Merril ( 197 2 ) 은 신체와 환경과의 역동적인 관계에 따라 네 가지 범주로 분류하였으며, CrattY(1967, 1972 , 1973), 마쓰다 (19 68 ) 등도 각각의 분류 기준에 따라 운동기능을 분류하고 었다. 1 대근운동기능과 소근운동기능 운동기능은 대근운동기능 (gross motor ski1 l) 과 소근운동기능 (fine motor sk i1l)으로 분류될 수 있다. 대근운동기능이란 신체의 대근 (운동을 주로 하는 근육)을 사용하는 운동기능을 말한다. 대부분의 스포츠 기능은 대근운동기능으로 볼 수 있다. 소근운동기능이란 예려하고 섬세한 것으로서 신체의 각 분절이 정확한 반응을 일으키기 위하여 제한된 영역 내에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근운동기능에 포함되는 신경근의 협응은 정확성을 강 조하며 종종 눈과 손의 협응력을 의미하기도 한다. 타자를 치거나 회전판 추적기를 추적하거나 피아노를 연주하는 것은 소근운동기능 으로 분류될 수 있다. 2 폐쇄기능과 개방기능 Poulton(1957) 은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환경을 예측할 수 있는 정도에 따라 폐 쇄기능(c1 osed skill) 과 개방기능 (open skill) 으로 분 류하고 있다. 폐쇄기능은 내적 피드백(기능 수행에 대한 운동감각척 피드백)에 의존하는 것으로 동작의 요구조건에 대하여 예측이 가능하며 고정 된 환경에서의 신체 조작과 관계가 있다. 개방기능은 예측이 불가 능한 일련의 환경적인 요구 또는 예측과는 관계없는 강제적인 요구 에 의하여 수행되는 기능이다. 체계를 전체성, 조직, 상호 영향을 주는 부분, 그리고 다른 체계와 상호작용하는 잠재력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때, 인간은 두 가지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체계는 예쇄척일 수도 개방적얼 수도 있는데, 폐 쇄척인 체계는 반복적인 활동으로 제한되어 았으며 개방적인 체계 는 다양성과 창조성을 요구하는 환경에 척웅하기 위해 재계획된 행 위언 것이다. 인간은 두가지 체계를 모두 나타낼 수 있으며 그 수 준은 과제 요구와 기능 수준에 달려 있다.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수행되는 기능이나 정확성을 요하는 기능 을 학습하는 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Poulton(1957) 에 의하 면 개방척인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려면 éJ) 지나치게 강제성을 띠지 않고 @ 개인이 준비된 상태에서 요구조건이 제시되고 @ 비활동성 에 의하여 요구조건이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고 주창하였다. Gentile ( 197 2 ) 은 개방기능과 폐쇄기능의 특성을 더욱 세밀히 연구하여 운 동학습에서 실제로 적용할 때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공하 였다. Gentile 등 (1975) 은 Poulton(1957) 의 초기의 분류 도식에서 독럽 적인 시간적 통제를 중요한 변수로 분류하였다. 이것은 특정 기능 의 시작, 깊이, 끝을 조절하는 단서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서 를 개방기능과 폐쇄기능에 대해 묘사한 단서외는 무관한 상황척 제 약들이다. 이와 같은 분류 도식은 운동학습에 관한 연구와 교수 기 법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된다. Kna pp (19 6 3) 은 기능이 지각적이거나 습관적인 경향의 정도에 따 라 분류될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 테니스, 농구, 펜싱과 같은 스포 츠는 지각 지향적인 기능이며 다이빙, 원반던지기, 트램폴린 같은 것은 습관 지향척인 기능이다. 다시 말해서, 일부 스포츠 활동에서 는 수행자의 중요한 관심사가 환경 변화에 대한 잠재성이다. 레크 레이션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환경에 의존하고 있 다. 어떤 기능은 그 활동이 습관척으로 되기까지 반복적인 연습을 필요로 한다. 즉, 지각척언 필요성은 거의 요구되지 않고 똑같은 활동을 재생할 수 있는 능력만이 강조된다. 활동은 활동 자체의 성철 그리고 수행자의 요구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학습자 스스로가 운동을 자기 페이스에 맞게
표 4-5 자기 페이스와 강제 페이스 활동의 차이 활동 변인 자기 페이 A 강제 페이 A 상황척 단서 예측가능, 고청척 예측불가능,변화 반응양식 예측, 계획 빠른 지각척 결정 운동 통제되고 정교한 폼 속도, 적응력 연습 반응반복 반복과선택적 기회 (상황적 강조) 진행과정 최소한의 간섭 최대한의 간섭
조정할 수도 있으며 환경적인 과제 요구에 의해서 페이스를 조정해 야 할 경우도 있다. Poulton(I957} 은 자기 페 이스 과제와 강제 페 이스 과제에 대한 개념을 주장하였는데, 자기 페이스 기능은 폐쇄 기능과 유사하며 강제 페이스 기능은 개방기능과 유사한 것이다. 표 4-5 는 자기 페이스와 강제 페이스 과제에 있어서 몇 가지 중요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3 환경대상 운동과 신체운동 운동기능은 과제 및 개및의 일관성과 역동성에 따라 4 가지로 분 류될 수 있다. Fitts \19 6 5} 가 제안하고 Meπill (1972) 이 발전시킨 환경 대상과 신 체운동 (object and person motion) 조건이 분류 도식 의 기초가 되고 있다. 표 4- 6 은 이컷을 요약한 것이며 , 이에 따른 학습전략은 과제의 종류에 따라 다를 것이다. I 종 과제는 자신의 운동속도로 운동을 할 수 있는 상황에서 고정 된 대상이나 정적인 환경에 반응하는 종류이다. 예를 들면, 피아노 연주, 타자치기, 쓰기, 볼링 등이 있다종 과제에서는 환경과 대상이 정점이기 때문에 학습자는 주로 반응의 일관성에 관심을 두 어야한다.
표 4-6 신체 및 환경척 대상의 조건과 관련된 과제의 분류체계 환경척 대상 정지 동작 골프 드라이브 배팅 연필들기 움직이는 오리 조준 바늘에 실꿰기 회전판추적 레이엎 슛 움직이는 배 위에서 I 루에 송구하기 비행기 조준 달리면서 움직이는 사람에게 패스하기 (풋볼)
z 종과 3 종 과제는 상황이 부분적으로 동척인 곳에서 일어난다. 즉,<5> 수행자는 움직이지만 대상이나 환경이 고정되어 있거나 @ 수행자는 정척인 상태이나 대상은 움직이고 있는 두 가지 경우가 있다. 미리 계획된 박자로 걸음에 맞춰서 춤을 추는 것은 고정된 무대 위에서 운동을 수행하고 있는 예이며, 야구의 타자는 준비된 상태에 있고 야구볼이 타자를 향해 움직이는 것은 그 반대의 예이다. 4 종 과제는 수행을 하는 동안 수행자와 대상이 모두 운동 상태에 있는 과제를 말한다. 이러한 고도의 복잡하고 역동적인 운동 형태 를 테니스의 연타나 핸드볼의 던지고 받기와 움직이는 배를 타고 새의 형태를 한 이동 표적을 조준하는 과제 등에서 찾아볼 수 있 다. 수행자들은 4 종 과제가 요구하는 과제를 수행하기 전에 훨씬 단순한 과제를 숙달하여야 한다. 또한 4 종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는 유기체의 성숙과 z 종 3 종의 상황을 포함하는 여러가지 활통을 할 수 있는 기능 습득이 선행되어야 한다. 4 연속적 과제와 비연속적 과제 운동과제는 연속척 기능과 비연속척 기능£로 분류될 수 있다.
비연속적 운동 계열적 운동 연속적 운동
비 연속적 운통 (discrete movement) 은 시 작과 끝이 명 확한 기능을 말한다. 차기, 던지기, 자동차의 기아변속 등이 그 예이다. 비연속 적인 기능은 운동이 끝냐는 것이, 수영이나 조깅 등의 경우처럼 관 찰자가 관찰을 중단함으로써 자의적£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 능 자체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비연속적 기능의 또 다른 특성은 빠 른 속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I 초 이상의 시간을 필요 로 하지 않는다. 연속적 운동 (continuous movement) 은 시작과 끝을 인지할 수 없 고 반응이 엄의적으로 중단될 때까지 계속되는 운동이다. 예를 들 면 수영, 달리기, 자동차 운전 등이다. 일상의 경험이나 실험실에 서도 연속적 운동기능은 추적과제 (tracking task) 에 속한다. 이것 은 개인이 추적해야 할 진로와 개인의 사지운동을 통하여 진로를 따라가도록 하는 장치가 있는 것이 특정이다. 비연속적인 기능도 아니고 연속적인 운동기능도 아닌 운동기능도 있을 수 있다. 이들은 전체를 이루기 위하여 시간에 맞춰 함께 연 결된 일련의 비연속척인 움직임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를 출발시키는 것, 파이프를 채우고 불을 붙이는 것 등이다. 이러한 기능을 계열척 운동 (serial movement) 이라고 하는데, 대부분의 계 열적 운동과제는 버연속적 운동과제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5 기타의 분류 이러한 분류 이외에도 운동기능의 많은 분류체계가 있을 수 있
뚫;\ 유계분류
다. 예를 들어 스포츠 종목을 분류하는 경우 개인종목, 대인종목, 단체종목으로 분류(그렴 4- 2 4) 할 수 있으며 퍼포먼스의 수준에 의 해서도 분류할 수도 있다. CrattY(X9 6 7) 는 연속체 (continuum) 의 차원을 도입하여 다음과 칼은 몇 가지 차원으로 분류하고 있다. ·소근육군-대근육군 연속체 (fine -gross continuum) • 힘-정 확성 연속체 (force -accuracy continuum) ·단순복잡 연속체 (simple -complex continuum) ·언어-운동 연속체 (verbal-motor continuum) ·시 각-운통 연속체 (visual-m otor continuum) ·지각-운동 연속체 (perceptual-motor continuum) 또한 Vanek 와 Cratty (197 0 ) 는 어떤 게 임 이나 스포츠가 필요하다 고 여기는 심리척 요구, 능력, 성격특성 둥을 기초로 하여 다섯 가 지 군으로 스포츠 종목을 분류하고 있다.
·손과 눈의 협웅을 필요로 하는 종목-양궁, 사격 ·신체의 에너지를 총동원하는 스포츠-단거리 달리기, 수영 ·상해나 죽음의 위협 이 있는 스포츠-자동차경주, 활강경기 ·신체의 협응을 필요로 하는 스포츠-다이빙, 체조, 피겨스케이팅 ·다른 사람의 참가를 필요로 하는 스포츠-단체경기 ---네트를 사용하는 경기 : 배구, 탁구, 테니스 등 ---대인 접촉을 하는 경기 : 축구, 럭비 ---교체하면서 하는 경기 : 골프, 볼링, 야구 4-4 운동학습과 피드백 4-4-1 피드백의 개념 피 드백 (feedback) 또는 피드백 제 어 (feedback controI) 라는 용어 는 소위 통신과 제어의 과학언 인공두뇌학 (cybernetics) 이나 제어공 학 등의 분야에서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이 용어가 생체의 제어 메 차니즘이나 교육, 심리, 사회, 경제 등의 시스댐을 기술하기 위하 여 쓰이게 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그림 4- 2 5 는 제어공학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피드백 회로의 모 댈을 나타내는 것£로 피드백의 내용을 잘 함축하고 있다. 어느 개
-목표-값- Ur 、-편-차 카 제어요소 I 조~작 -, 량-( 1카 제어대상 | 제어량
언이 바람직하다고 결정한 목표에 대하여 어떤 반웅을 했다고 한다 면 그 경우 반웅 결과를 입력 쪽에 피드백하여 얻어진 결과와 목표 -값 이 비교된다. 그리고 비교된 편차가 +인 경우를 정적 피드백이 라고 하며 -언 경우를 부적 피드백이라고 한다. 그러나 조금씩 감 소된 편차 때문에 새로운 기준업력으로서 다음 시행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피드백이란 용어는 결과(출력)가 원인(업력) 쪽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가르킨다. 그것은 또한 대개의 경우 에러 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Bilodeau (19 66 ) 는 피드백 정보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는데, 이것은 어디까지 나 목표값과 실현값 사이의 편차를 피드백이라고 하는 것이고 기본 척인 차이는 없다. 같은 실험 방법에도 불구하고 여기에서 쓰이고 있는 용어에는 다양성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연속적인 자극입력을 추적하는 작업인 추적과제 (tracking task) 에서는 피드백이리는 용어가 비교적 많이 쓰이고 동작의 위치 셜정 (positioning task) 이나 선돼학습 등에서는 결과의
수용기 전달기 효과기
지식 (knowledge of resu 1t)이나 강화 (reinforcement) 라는 용어가 쓰이고 있다. 더욱이 대근활통을 포함하는 운동학습에서는 피드백 이나 결과의 지식이 함께 쓰이고 있다. 이와 같이 피드백이라는 용 어는 가끔 결과의 지식, 강화, 보상, 동기유발 등의 용어와 유사한 개념으로 혹은 관련되어 사용되고 있다. 피드백에 관한 다양한 개념은 메시지를 주고 받는 상황에서 정보 를 받는 사람의 모든 반응을 포함하며, 그 과정을 교청하는 방법은 피드백 과정의 중요한 부분을 구성한다. 피드백에 관한 다양한 개 념 의 차이는 CD receiver 의 반응 @ receiver 의 반응에 대한 sender 의 지 각력 @ receiver 의 반응에 대한 sender 의 반응의 강조점에 따 라 나타냐는 것 같다 (Givens , I974) • 지각운동기능 학습에 관여하는 피드백의 메차니즘은 그렴 4 - 26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4-4-2 피드백의 형태 지각운동기능의 학습에 있어서 피드백의 중요성은 수많은 연구 결과가 증명하고 있다. 학습의 초기에서 결과의 지식을 주지 않았 거나 학습이 진보한 단계에서 지식을 제거하면 현저하게 퍼포먼스 가 저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인간은 운동수행중에 여러 감각기관으로부터 받아들이는 여러 종 류의 정보를 인지과정에서 이용한다. 외부로부터 받아들이는 여러 정보중에서 운동수행중이나 운동수행 후에 이용가능한 모든 정보를 피드백 이 라고 본다면 크게 내 재적 피드백 (int rinsic feedback) 과 외 재척 피드백 (extrinsic feedback) 으로 나눌 수 있다. 내재적 피드백은 과제 자체에 내재하는 청보로서 반응 후에 외적 보조청보 (external supplemental information) 에 의존하지 않고 감 각자극에서 피드백의 정보가 생기는 것이다. 예를 들면, 농구의 슛 에 있어서 볼은 골인이던가 노골이던가 어느 한쪽이다. 이때 학습 자는 목표로부터의 현차가 자기 톰과 어느 청도 벗어나 있는가를 자기 수용척 피드백으로 알고 그와 동시에 골과의 방향척인 편차의 정보를 시각적인 피드백으로 받아들인다. 볼링, 양궁, 말굽던지기,
총감각정보
피아노연주 등의 활동도 내재적 피드백에 의하여 기능이 습득되는 종목이라고 볼 수 있다. Fitts(I9 6 4) 는 학습단계와 내재적 피드백의 관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운동감각적인 단서 (kinesthetic cues) 는 학습 의 후기에 있어서 내재적 피드백의 근원으로서 중요해진다. 시각적 조절은 어느 개인이 새로운 운동 과제를 학습할 때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퍼포먼스가 습관화되면 자기 수용척 피드백이 더욱 중요해 질 것이다. 내재적 피드백과는 반대로 외재적 피드백은 내재적 피드백에 보 충된 청보이며 보강적 피드백 (augmented feedback) 이 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교사나 코치는 스포츠 활동의 지도에 있어서 언어척 정 보나 사진, TV 풍의 시각적 정보에 의하여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 다. 이러한 피드백은 체조나 다이맹 등의 운동종목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것이다. 외채적 피드백은 그 형태나 부여 방법, 제공 시기에 따라 표 4-7 와 같이 여러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표 4-7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재척 피드백 중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결과의 지식
표 4-7 외재척 피드백의 종류 ·운동중에 제공되는 수반성 피드백 ·운동 후에 제공되는 종말척 피드 백 ·관련된 운동 후 바로 제공되는 즉 ·관련된 운통 후 늦게 제시된 지연 각척 피드백 피드백 ·언어 또는 언어화가 가놓한 형태 ·언어화가 불가능한 형태로 제공되 로 제공되는 언어척 피드백 는 비언어척 피드백 ·과거의 운동수행으로부터 습득되 ·각각의 퍼포먼스에서 분리되어 표 어 나타나는누척 피드백 현되는분리 피드백 ·환경에서의 반응 산출에 대한 언 ·운통패턴의 특성에 관한 언어적 어척(언어화 가능한) 사후반응 (언어화 가능한) 사후반응 정보 정보로서의 결과의 지식 (knowl-인 운동수행에 관한 지식 edge of results) (knowledge of performance)
(knowledge of result) 이다. 결과의 지식이란 용어는 상당히 혼돈 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피드백이 반응에 대한 감각적 정보를 말하 는 반면에, 결과의 지식은 교사나 코치 , 실험자, 비디오 장치 등과 같은 외부로부터 얻을 수 있는 반응에 대한 정보라고 할 수 있다 (Magill, 1 980) • 4-4-3 피드백의 기능 피드백의 기능에 대하여 Bro 때( 1949) 과 ~monS(1956) 는 다음 세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1 정보기능<ï nformation function) 사람은 운동학습의 과정에 있어서 보통 〈무엇을 해야 할 것언가, 무엇을 하면 안되는가, 나아가 무엇을 하고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피드백을 통하여 알게 된다. 그리고 그 정보에 기초를 두고 그릇된 반응을 수정하여 올바른 반응을 하게 된다. 이 점에서 에러 정보에 관한 피드백은 올바른 반응을 확렵하는 속도를 빠르게 할 것이다.
결과의 지식이 학습상황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은 피드백의 정보 기능 때문이다. 운동학습의 초기 단계에서는 결과의 지식에 의하여 성공적인 운 동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E1 well 과 Grindly (193 8 ) 는 Thorndike 의 고전척 강화법칙을 이용하여 단순하게 강화시켜 주는 것보다는 결 과의 지식을 이용한 정확한 정보의 제공으로 효과척인 운동학습을 시킬 수 있다고 하였으며, Bilodeau 등 (1959) 은 운동학습에서 결과 의 지식에 관한 고전적인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결과의 지식이 주 어진 경우가 결과의 지식이 없는 경우보다 효과가 있으며, 결과의 지식이 자주 주어진 경우가 효과가 가장 컸음을 증명하였다(그렴 4 -28). 또한 Stelmach (197 0 ) 도 결과의 지식이 주어지지 않은 집단과 결 과의 지식이 주어진 집단을 대상으로 부합적언 팔의 반응을 측정하
*W11IR 4。2 、 、 、/ < \ 、 、 、 \ I / / 햄 / / / / 치 ]식/ ’ / ‘ 없 、음” // / / / / / 、 \ \ ~~ \ \ \ ‘、 、 、 \
8。
여 결과의 지식이 주어진 집단이 주어지지 않은 집단보다 효과가 있었음을 증명하였다(그렴 4- 2 9) . 이러한 사실은 결과의 지식이 에 러를 수정하기 위한 정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 하는 것이다. 이 밖에 Bilodeau & BilodeaU(I96I), FittS(I964), Holding(I96 5) 과 갇은 학자들도 운동학습과 퍼포먼스의 향상에 결과의 지식은 가 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주장하였다. 2 동기유발기능 (motivation 미 nction) 피드백은 정보적 가치를 지닐 뿐만 아니라 풍기유발의 기능도 있 다. 야구선수의 타격 성척을 표로 만들어 나타낸 것은 통작의 수행 을 격려하는 상의 효과가 있고 잘못을 지척하는 벌의 효과도 있다. 운동기능 학습의 피드백 체계에 있어서 목표값과 실현값 사이의 편
차가 동기 요인이 될 수 있다. 즉, 학습자는 어떻게 하면 이 편차 를 줄이느냐 하는 충동 (drive) 을 해소코자 하는 통기를 가질 수 있 다. Locke 둥 (19 68 ) 은 결과의 지식이 개개인이 수행해야 될 퍼포먼스 를 수행하도록 동기를 유발시킨다는 사실을 중명하였다. 이 경우 다음의 퍼포먼스를 수행할 때 오류를 사정해 주는 정보로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목표값에 도달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 주는 역할도 하게 되는 것이다. 3 강화기능 (reinforcement function) 피드백은, 동물이 정확한 반웅을 했을 때 주어지는 보상으로 음 식을 주는 것과 칼은 강화 (reinforcement) 또는 보상 (reward) 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실제로 Elwell 과 Grindly (193 8 ) 의 연구에서 다른 어떤 보상보다도 더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확한 반응에 따른 보상은 그 반응을 강화시켜 주며 같은 반응 을 발생시켜 줄 가능성을 높여 준다. 따라서 운동학습에 있어서 교 사나 코치 등은 정확한 반응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강 화의 기능을 위해서도 결과의 지식을 이용하는 것이다. 4-4-4 인간행동의 내적 기준과 피드백 Robb(197 2 ) 은 수행자가 피드백을 유용하게 사용하려면 그들의 반응과 비교할 수 있는 정 확한 기준 패 턴 (reference pattern) 을 가 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피드백 정보는 항상 바람직한 운동패턴과 실제의 운동패턴과 버교하여 생기는 것으로 기준 패턴의 형성과 그 것을 적절한 형으로 도와줄 수 있는 제 3 자(교사 및 코치)가 필요한 것이다. 기능학습에서는 올바른 반응의 패턴이나 심상 (mental image) 혹은 운동프로그랭 (motor program) 을 형 성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운동행동의 내 적 기준 (int ernal reference) 은 하나의 운 통이 아니라 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작용하는 것이다. 현재 인간의 행동을 기술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자들은 폐쇄회로
이론 (closed Ioop theory) 을 이용한다. 또 인간행동의 발전은 학습 이 기초가 되어 있는 것도 명백하다. 이러한 것은 학습 이론과 피 드백 이론의 관련을 강조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양자 사이에는 어 떤 공통척인 사실이 있기 때문에 운동학습 등의 모텔에도 피드액 이론이 등장하는 것이다. 학습 이론과 피드백 이론의 공통척인 성 질이 바로 행동의 체계를 스스로 조정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 내적 기준인 것이다. 그렴 4-3 0 은 Chase(I9 6 5) 의 운동제어체계의 모렐이다. 이 모렐은 기능학습의 초기 단계에서는 생체 내외로부터의 자극업력을 감각수 용기에서 지각하여 많은 정보를 중추로 전달하기 전에 척당량을 여 과(fiI tering) 하는 기제가 있다. 이 여과의 메카니즘은 언간의 채널 용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선택된 정보는 일시척으로 저장된다. 그리고 중추에서 처리가 끝난 정보는 효과기언 근육으로 전달되어 운동이 이루어진다. 이 반응의 결과는 초기의 목표값과 비교되어 면차를 0 으로 하도록 수정이 반복된다는 폐쇄회로 시스템으로 되어 었다. 계속적인 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중추에는 내적 기준이 형성 된다. 그렇게 하면 반응을 예측할 수 있게 되어 피드백 제어에서 피드포워드 제어체계 (feedforward controI system) 로 기능 변환。 1 일어나게 된다. 그렴 4-3 。에 있어서 에러 탐지의 기준값과 중추처
@여과
리 기능에서 운동프로그랭의 중가가 내척 기준이며 학습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이 내척 기준을 만드는 것에 피드백의 여러가지 양상이 밀접하게 판여한다고 볼 수 있다. 4-4-5 결과의 지식과 운동학습 결과의 지식이 운동학습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 은 널리 인정된 사실이다. 학습의 장변에서 효과적으로 결과의 지 식을 통제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할 때 학습의 효과는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결과의 지식의 통제는 어떻게 이 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는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중요하 다. 결과의 지식을 통제하는 방법은 크게 결과의 지식을 부여하는 시 간을 통제하는 문제와 결과의 지식을 부여하는 횟수를 통제하는 방 법, 그리고 결과의 지식을 어떠한 수준으로 제공할 것인가의 문제 가 있다. 1 결과의 지식 부여시간 결과의 지식을 부여하여 운동학습을 시키는 과정은 그렴 4-3 1 과
R1 KR1 Rz KRz Rn KRn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럽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응이 끝나고 결 과의 지식이 부여되기까지의 시간인 결과의 지식 제시 전 간격 (pre -KR interval 또는 KR delay intervaD 과 결과의 지식이 부여되고 다음 반웅이 얼어나기까지의 시간언 결과의 지식 제시 후 간격 (post-KR interval 포는 post KR delay interval) , 반응과 반응 사 이 의 간격 인 반응간 간격 (int er-response interval 또는 trials delay procedure) 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 A 며, 각각의 시간 변화에 의 한 학습의 효과는 다르게 나타날 것 이 다 (Magill , 1980). 결과의 지식에 대한 효과는 동작이 일어난 직후에 주어져야 효과 를 크게 할 수 있다는 즉시 확인의 원리가 있으며, 또 다른 주장으 로는 결과의 지식 제시 후 간격은 운동학습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는 것이다. 그러나 결과의 지식이 통기유발의 기능이 있음을 생 각할 때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는 볼 수 없다. Schmidt (19 82 ) 는 결과의 지식 제시 후 간격이 학습자가 오류에 대 한 정보 (error information) 를 이용하여 다음의 반응을 정 확하게 하는데 필수적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결과의 지식 제시 후 간격 이 짧아지면 새로운 반응을 위한 시간의 부족£로 인하여 학습의 퇴보를 보이게 된다. 많은 연구들에서 결과의 지식 제시 후 간격의 적정 수준에 대한 발견은 결과의 지식 부여 후 효과적인 학습을 위 하여 매우 의미있는 일이라 하겠다. Weinberg 퉁 (19 6 4) 은 실험을 통하여 5 초의 결과의 지식 제시 후 간격이면 충분한 학습효과를 얻 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응간 간격은 결과의 지식 제시 전 간격과 결과의 지식 제시 후 간격에 의하여 좌우되며, 결과의 지식 제시 후 간격이 실험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반웅간 간격도 실험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학자들의 연구는 상당히 상반되고 있 어서 정확한 결론을 내릴 수 없는 상태이다. 2 결과의 지식 부여수준 운동학습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결과의 지식의 정밀수준과 기능습 득융 사이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 많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결과의 지식의 정밀수준은 오류에 대한 정보의 차이를 〈좋다) (나쁘 다) (많다) (척다〉 등과 같이 막연하게 오류의 방향만을 제공하는 질 척 결과의 지식 (qualitativ e-K R) 과 몇 cm, 몇 도, 몇 g 만큼 많다 , 척다 풍과 같이 정확한 오류의 양까지를 제공하는 양척 결과의 지 식 (quantitative -K R) 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 Trowbridge 와 Cason ( 193 2 ) 은 양척 결과의 지식이 질적 결과의 지식보다 퍼포먼스의 개 선에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했고 McGuigan(1959) 과 Chansky (19 60 ) 도 그 사실을 지지하였다. 그러나 Bilodeau (195 2 ) 와 Green 동( 1955) 은 이러한 주장에 반대하였다. 즉, 결과의 지식의 정밀수 준에 따른 퍼포먼스의 개선은 어느 수준까지 개선되나 특정 수준 이상일 때는 개선되지 않거나 퇴보한다고 주장하였다. Adams(197 1 ) 는 결과의 지식이 기능습득 동안에 오류를 찾아내고 정확한 반응을 유도하게 한다고 주장하며, 강한 감각흔적 (perce- ptual trace) 이 정 확한 반응을 하게 하는 참조기 제 (reference mechanism) 로 작용하기 때문에 학습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이미 습 득되어진 감각흔적과 다른 결과의 지식이 주어질 때는 새로운 감각 혼척을 만들어내는 데 시간이 걸리게 된다고 했다. 고도로 정밀한 결과의 지식은 퍼포먼스를 개선시키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 에 결과의 지식 수준과 학습자의 감각 피드백 이용 수준과는 밀접 한 관계를 갖는다. 최근의 연구들은 기능습득 동안의 매우 정밀한 수준의 결과의 지 식은 결과의 지식과 감각 피드백 사이의 관계를 혼돈시키기 때문에 실제의 퍼포먼스와 측정 퍼포먼스의 차이를 크게 한다고 보는 견해 가 많다. 결과의 지식 수준이 변한다면 매우 정밀한 수준의 결과의 지식이 럴 정밀한 수준의 결과의 지식보다 퍼포먼스의 개선 효과가 척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결과의 지식에 관한 적정수준은 완벽한 결론이 내려진 상태가 아니며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 한 실제로 퍼포먼스에 있어서의 정확도를 결정짓는 요언도 감각혼 척이나 결과의 지식 처리능력, 적정수준의 결과의 지식 등 여러가 지가 거론되고 있다.
4-5 운동학습의 지도 4-5- 1 연습시간의 배분 1 집중법과 분산법의 의미 운동기술을 습득하려면 운동연습을 반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때 연습의 효과를 올리기 위한 방법으로서 연습의 양이나 시간을 어떻게 배분하는가 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집중연습 (rnassed practice) 이란, 연습하는 동안에 휴식을 거의 취하지 않고 연속척으 로 연습하는 방법 이다. 이 에 대 하여 분산연습 (distributed practice) 이란, 연습하는 동안에 휴식을 적당히 취하면서 연습하는 방법이 다. 분산의 조건으로는 매회 연습량의 다소, 휴식 시간의 장단, 분 산을 하는 시기 등의 요인이 관계된다. 2 집중연습과 분산연습의 효과 능률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훈련 기간을 적절히 배분하는 문제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어떤 지도자는 한 학기 동안에 한 기능을 가르치기를 좋아하고 어떤 지도자는 한 학기의 짧은 기간 동안에 다양한 기능을 가르치고 있다. 집중과 분산조건에서 기능학습에 전 념하는 실질적인 시간의 길이는 같을 수 있다. 그러나 집중조건에 서의 기능연습은 한 학기 동안 계속해서 이루어지는 데 비하여, 분 산조건에서의 기능연습은 여러 학기에 걸쳐 실시될 수 있다. Arn rnons(195 1 ) 는 실험실 상황에서 10 명의 피험자를 두 집단으로 구성하여 회전판 추적과제를 3 6 회 시행하도록 하였다. 집중연습 집 단은 시행간에 휴식을 허용하지 않았고 분산연습 집단은 각 시행간 5 분의 휴식을 부여하였다. 그 결과 분산연습 집단이 더 좋은 성적 을 거두었다 . Griffith(193 2 ) 는 운동상황에서 유사한 결과를 지적하 였다. 그는 한 집단의 농구선수들에게는 한 시간 동안 계속해서 슛 연습을 시켰고, 다른 집단에게는 한 시간 동안 3 분 슛하고 Z 분 동 안은 휴식을 취하도록 하였다. 다음날에는 그 절차가 반대로 이루
어져 양 집단은 같은 시간 동안 연습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자주 휴식을 취하며 연습한 집단이 계속해서 연습한 집단보다 성공률이 평균 15% 뛰어난 것 A 로 나타났다. Corge(193 0 ) 는 안정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집중연습 집단과 분산 연습 집단 그리고 혼합연습 집단으로 나누어 연구를 실시하였다. 집중연습집단은 2 。회의 연속 연습을 실시하였고 분산연습 집단은 실시 간에 I 분의 휴식을 실시하였으며 혼합연습 집단은 분산연습£ 로 5 회 그리고 15 회의 집중연습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분산연습은 분명히 다른 연습방법보다 효과척이었음을 발견하였다. 그렴 4-32 는 집중과 분산연습의 전형적인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 분야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18 편의 연구는 분산연습이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이고 5 편의 연구는 집중연습이 우수한 성척 을 보인다고 했으며, 6 편의 연구는 연습 방법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3 편의 연구는 초기 연습국면에서 집중연습
130 이
이 그리고 후기 연습국면에서는 분산연습이 유리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종합해 보면 기능습득이나 파지에는 집중연습 보다 분산연습이 우수한 것으로 보인다. 일반척으로 집중연습보다 분산연습이 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 과에도 불구하고 저명한 이론가들은 이러한 사실을 채택하는 것을 유보하고 있다. 그 이유는 최근에 파지의 측정을 이용한 많은 연구 들이 집중연습과 분산연습의 수행차가 필연척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기능의 파지는 한 가지 연습 조건하 에서는 그다지 분명하게 지지받지 못한다. 휴식 후 파지 실험은 일 반적으로 집중과 분산의 연습 조건하에서 훈련된 집단간의 성척이 거의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서 다양한 연습 조건은 조건들의 일시적인 영향 때문에 학습보다는 수행에 더 영향 을 준다는 것이다. 집중연습과 분산연습이 적합하게 수행될 때 학 습효과가 꼭 같아질지도 모른다. 만일 분산연습이 주로 학습에 영 향을 준다면 연습 상황에서 나타난 분산연습의 효과가 파지 테스트 에서도 계속 나타날 것이다.
18
Whi tleg(1970) 는 연습수행의 차와 파지를 비교하였다Whi tley (197 0 ) 는 대학생에게 새롭고 섬세한 운동과제인 발추적 과제를 두 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도록 하였다 . 집중연습 집단은 25 초 실시한 후에 5 초 쉬고 분산연습 집단은 25 초 실시한 후에 35 초를 쉬도록 하여 25 회 동안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후에 5 분 동안 휴식하고 두 집단을 분산연습 형태로 10 회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집중 연습 집단과 분산연습 집단 사이의 차이점과 유사성이 분명하게 나 타났다. 4-5- 2 과제의 분할 1 전습법과 분습법의 의미 대부분의 기놓은 전체 혹은 부분척으로 나누어 학습시킬 수 있 다. 전습법 (whole method) 이란 학습 또는 연습하는 과제를 처음부 터 전체를 일괄해서 연습하여 그것을 몇 회든지 되풀이하여 학습하 는 방법이다. 즉, 전체적언 활동 또는 전체의 어느 구성 단위를 제 시하여 지도하는 방법이며, 주의 또는 수정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 에는 대개 몇 회인가를 구분지어 그것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분습법 (part method) 은 전체를 개개의 분절로 구분지어 각 분절 을 연습하여 그것을 완성하고 마지막에 전체로서의 학습을 하는 방 법이다. 즉, 먼저 기술의 계열을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기본 적 활동에 대한 완전한 분석을 하는 것부터 시작된다. 이때의 계열 · 은 단순한 것부터 시작해서 점차 복잡한 것으로 진행되어 간다. 이 것들은 학습자에게 개개의 경험으로 주어져 그것들이 어느 정도 습 득되면 다시 결합되어 전체적인 활동으로 통합되어 가는 것이다. 분습법은 다시 순수 분습법과 점진적 분습법 그리고 반복적 분습 법 A 로 나누어진다. 순수 분습법 (pure part method) 은 분할된 학습 과제의 각 부분을 일정 수준에 달할 때까지 각각 학습한 후에 모든 부분을 함께 학습하는 방법이다. 정진척 분습법 (progressive part method) 은 분할한 부분을 몇 개로 통합해서 학습하는 방법 이 다. 즉, part 1 과 part 2 를 각각 학습하고 다음에 I 과 z 를 동시에 학습
닙L!-니 ~느 님a:;; 4;;)I 전습법
하여 하나로 통합되도록 한다. 다음에 paπ 3 을 학습하고 그것이 끝나면 1, 2, 3 을 한꺼번에 학습한다. 이 방법은 이와 같이 각 부분 을 점진적으로 더하여 학습하는 방법이다. 반복적 분습법 (repeti tive part method) 은 part 1 을 학습한 다음에 paπ I 과 z 를 학습한 다. 다음에 1, 2, 3 을 함께 학습핸 형식을 취한다. 이 방법은 이와
같이 새로운 부분을 학습한 컷에다 더하여 순차적으로 반복하면서 전부를 학습하는 방법이다. 2 전습법과 분습법의 효과 전습법과 분습법의 문제는 초기에는 어느 쪽이 더욱 효과척인가 하는 형식 A 로 거론되었으나 최근에는 학습자나 학습 재료와 관련 하여 그 조건 분석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운동기술 은 전체를 통하여 가르칠 수도 있지만 부분척으로 나누어 지도할 수도 있다. 예컨대, 크로올 스트록의 경우 저향을 척게 하는 터언 동작 때의 발동작, 호홉조정, 부력을 고려한 손동작, 협응을 갖춘 온몸의 조정 등이 필요한데, 하나하나를 따로 따로 학습한 후에 전 체적인 크로올 연습으로 들어가는 방법도 있고 처음부터 영법 전체 를 연습시키는 방법도 있다. Cross(X937) 는 가장 효과적인 농구 지도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중 학교 3 학년 학생에게 세 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비교 연구를 실시하 였다. 즉, 전습법으로는 게임을 시키고, 전숨분습법으로는 게임 이외에 기초적 기술을 포항해서 지도하였으며, 간이 게임법에서는 기초를 완성시키기 위한 read up game 과 기초 기술을 연습시켰다. 그 결과 간단한 기술의 경우에는 전습법이 좋고, 아주 복잡한 기술 은 전습분습법이 좋으며, 중간 정도의 기술은 간이 게임법이 좋다 는 결론을 얻었다.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기능이 비교적 단순하면 전습법이 효과적이 라는데 동의하고 있다. 대부분 복잡한 기능은 분할하여 연습하는 것이 좋다. Naylor 와 Briggs(X9 6 3) 는 학습을 분습조건으로 할 것 인가 전습조건으로 할 것인가를 결정하기 전에 고려할 수 있는 과 제의 두 가지 측면을 제시하였다. 과제의 복잡성 (task complexity) 은 인간의 기억에서 만들어지는 요구를 말하며 정보처리 기능이라고도 할 수 있다. 과제의 조직도 (task organization) 는 여 러 과제의 차원 및 성분들의 상관관계 특 성을 나타낼다. 과제가 몇 개의 독립성분으로만 구성되었을 때 그 과제는 조칙도가 낮다고 한다. 이 분야의 연구자들은, 분습법은 복
높음 낮음
잡성이 높고 조직도가 낮은 과제에 더 효과적이라고 시사하였다. 반면에 조직도가 높을 때, 즉 성분들의 상호작용이 증가할 때에는 전습법이 더 효과척이라고 하였다(그렴 4-35 참조), 고도로 조직화된 과제의 성분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 에 그 상관관계가 의미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한 가지 기준은 수반된 운동의 연계성일 것이다. 또 하나는 과제수행중에 어떤 한 점에서 동일방향의 사지와 반대의 사지가 해야할 것이 무엇인지를 고려하는 것이다. 신체의 많은 부분이 관여하는지 아니면 오직 몇 부분만 관여하는지를 알아야 하고, 팔은 함께 작용할지 동시에 다 른 방향£로 움직일지를 알아야 한다. 만일 다리와 팔이 유사한 형 태로 움직인다면 ’ 그 과제는 조직도가 합리적인 정도로 높아야 한 다. 상이한 형태와 다른 요소를 고려한다면 그 과제의 조직도는 낮 아야 한다. 그러므로 과제의 조직도나 부분의 상호 연관성은 수반 된 운동의 연계성과 과제 수행시 어떤 한 시점에서 일어나는 운동 의 형태, 범위, 요구와의 함수이다. 4-5- 3 심리적 연습 l 심리적 연습의 의미 심 리 적 연습 (mental practice) 은 운동반응에 관한 운동감각척 정
보와 사고를 이용함으로써 운동기능을 높이거냐 운동의 효과를 상 상함으로써 연습의 효과를 높이려는 동기에서 연구되어 온 연습 방 법으로, Singe r( 1 97 2 ) 는 대근활동을 수반하지 않고 신체활동을 상 상적 A 로 시연하는 것이라고 하였고, 류청무( 19 81 ) 는 실제로 몸을 움직여 활동하는 신체적 훈련에 대하여 외현척 운동을 수행하지 않 고 운동수행 장면을 상상함으로써 마음속으로 연습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심리적 연습이란 운통장면이나 운동을 상상하거나 시각척, 운동감각적인 이미지를 상기하여 운동의 개념화를 이룸으 로써 운동학습이나 퍼포먼스를 증진하려는 연습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성리적 연습 (mental practice) 이라는 용어가 가장 자 주 사용되 지 만 심 리 적 시 연 (mental rehearsal) (Whit eley, 1962), 상상적 연 습(i maginary practice) (Pe.IT Y , 1939), 상징적 시연 (s y mbolic re-hearsal) (Sackett, 1 934), 내 현적 연습(i mplicit practice) (Mor-risett, 1 956), 개 념 적 학습 (conceptualizing practice) (Eg strom, 196 4 ) 등으로도 불리어진다 . 심리적 연습은 구체적인 연습 방법 없이 운동수행중에 무의식적 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대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으 로 이루어지게 된다. 첫째는 학습자가 운동수행 직전에 자신이 운 동할 동작과 기술을 간단히 생각해 보는 것이고, 둘째는 운동수행 사이나 연습기간 사이의 휴식 시간에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수 행할 운동에 대하여 연상해 보는 것이며, 셋째는 경기 도중이나 연 습중에 경기의 전략이나 빠른 상황 판단을 위하여 자기의 동작을 분석해 보는 것이다 (Oxendine , 196 8) . 사람들이 심리적 연습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매우 오래되었다. 즉, 고대의 원시인들은 그들의 생존을 위하여 사냥의 전략을 짜고 이를 심리적으로 연습하였을 것이다 (.Ryan , 1981) . 18 99 년경에 신체 적 연습을 하지 않고 내면적 연습에 의하여 체조선수들의 동작이 학습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으나 심리척 연습에 관한 현대적언 개념은 192 0- 193 0 년대 사이에 형태심리학 (gestalt psychology) 과 관련하여 통찰력의 문제에 주의를 기울여 온
Kohler 의 연구에 의하여 비롯되었다. 그는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외현적인 시행착오 (overt trial and error) 에 의지하지 않 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Tolman 은 내면척인 시 행 착오 (im plicit trial and error) 에 의해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 음을 지적하고 심리적연습이 중요한 학습 방법의 하나이며 개인이 언어학습이나 운동학습에 있어서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결코 기 계적야고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고 믿게 되었다. 그 후 형 태 심 리 학자들은 심 리 적 활동 (mental activity) 이 나 사고 (thinking) 는 어떠한 기술을 학습하는 데 있어 중요하다고 가정하 게 되었다. 2 심리적 연습의 효과 형태심리학자들의 공헌에 따라 Jacobson(1930 , 1932) 이 EMG 를 사용하여 글씨를 쓴다는 상상이 전완근에 긴장을 가져오며 노래하 는 것을 상상만 하더라도 목근육의 긴장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는 등 심리적연습의 기초가 되는 연구를 과학적으로 실시하 게 되었다. 또한 Peπy(I939) 는 피험자에게 단순한 운동과제로부터 관념적이고 상징적인 활동을 요구하는 과제까지 다섯 개의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여 신체적 연습과 심리적 연습이 각 과제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 그 결괴 섬리적 연습이 전혀 연습을 하 지 않은 것보다 네 개의 과제에서 유의한 수행향상을 보임을 발견 하였다. 일반적으로 다른 연구자들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는데, 신 체적 연습은 심리적 연습보다 우수하며, 심리적 연습은 전혀 연습 을 하지 않는 것보다 낫다는 것이다. Clark (19 60 ) 는 신체적 연습과 심리척 연습 조건에서 피험자들에 게 슈팅을 학습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심리적 연습이 신체적 연습 만큼이나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Rawlings 등 ( 197 2 ) 은 심리적 연습과 외현척 시연이 회전판 추적과제의 학습에 미치는 효과가 거의 통일하다는 사실을 보고하였다. 그들은 세 집 단의 여성 피험자들을 이용하여 10 일 통안 연습을 실시하도록 하였 다. 첫 실험에서 외현적 연습집단과 내면적 연습집단은 10 일 연습
그룹 I
후 비슷하게 수행 성척을 얻었으며 연습을 하지 않은 집단보다 우 수하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그렴 4-36 참조 ). 두번째 실험에서는 남자 피험자를 대상으로 시행간 휴식기간을 주였다. 그 결과 학습 률은 집단 I 이 가장 빨랐는데, 이 집단은 외현적 연습 기간 후에 심리척으로 과제를 시연한 집단이며, 두번째 집단은 외현적 연습 다음에 색체-기억과제를 학습한 집단이다(그립 4-37 참조). 심리적 연습에 관한 최근의 연구틀은 심리적 연습으로 학습에 영 향을 줄 수 있는 많은 변언틀을 밝혀내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런 변인들 중에는 학습자의 기능 수준, 과제의 홍미성, 지능, 운통감 각, 신체척 연습과 심리적 연습의 비융 퉁이 포함된다. Feltz 와 Landers(I9 8 3) 는 심리적 연습의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표 4- 8 와 같이 제시하고 있다.
28
심리적 연습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심리 적 연습이 지각 운동기능의 습득에 효과가 있다는 견해가 대부분이 다. 그러나 심리적 연습을 단독으로 실시할 경우 아무런 효과가 없 다는 견해도 있다. Oxendine(19 68 ) 은 심리적 연습의 효과에 대하 여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심리적 연습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운동학습에 효과적 이다. i 심리척 연습은 신체척 연습을 대신히는 것이 아니라 함께 적용 되어야 한다. ·심리적 연습은 실시하는 운동에 대하여 경험이 있어야 효과적이 며 경험이 없는 사람에게는 효과가 없다. ·심리적연습으로 발생하는 근육반응은 아주 작기 때문에 신체의
표 4-8 심리적 연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피험자특성 성 연령 과제에 대한 사전 경험 과제의 특성 운동 근력 인지력 자기 페이스 셜계특성 주의통제 단순통제 사전/사후 설계 즉시적 사후검사 지연된 사후검사 연습기간의 수 청신연습의 길이
컨디셔닝을 위해서는 가치가 적다. ·지도자에 의하여 통제되는 심리척 연습은 자유로운 심리적 연습 보다 효과가 적다. ·심리적연습은 지능의 수준에 관계없이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 다. 경기수행 직전에 사용되는 기술을 상상함A 로써 경기수행에 도움 . 을 얻으려는 심리척 연습은 효과의 유무를 떠나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즉, 대부분의 체조선수들과 도약선수 그리고 다이 벙선수플은 이러한 방법으로 심리적 연습을 하고 있음이 찰 알려져 있으며, 이의 효융성에 관한 연구가 소련을 비롯한 기타 국가에서 보고되고 있다 (Richardson , 1967). Abelska arid SurkOV(I959) 는 높이뛰기선수들이 점프하기 전에 그가 사용할 상세한 통작을 상상한 경 71 .À}는 이러한 연습을 하지
않은 사람보다 기록의 향상을 가져온다고 하였으며, Waterland (195 6 ) 는 볼링 기술에 관하여 신체적 연습집단과 섬리적연습집단을 비교해 보았다. 즉, 신체적 연습집단은 정상척인 신체훈련 과정으 로 훈련되었고 심리적 연습집단은 경기대에 볼을 굴리기 전에 볼령 동작을 상상하여 느끼도록 하였다. 그 결과 심리적 연습집단을 신 체적 연습집단보다 경기수행 동작이 부드러워지고 던지는 볼의 속 도가 빨라지며 좋은 정수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 115 장 운동수행의 섬리적 요인 5-1 운동수행과 성격 5-1-1 성격의 정의 인간행동의 다양한 개인차를 설명하는 용어 가운데 성격 (personality) 이란 단어만큼 많이 쓰여지고 오용된 단어는 없었다. 성격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로는 인격 (character) , 기질 (t emperature) 등이 있다. 성격은 라틴어의 persna 에서 유래되어 인간이 가지고 있는 성질의 총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행동의 통일성 혹은 통합이라는 면을 중시하는 반면, 인격은 그리이스어에서 유래 된 말로서 마음에 새겨두는 것, 표식이나 특성 (traits) 등의 의미로 가치체계를 포함한 정의적, 의지적인 면을 강조하는 말이다. 반면 에 기질은 성격의 하부구조로서 감청적 특정을 나타내며 신경계나 내분비계의 기능에 의존하고 체질과 밀접한 관계를 지난 선천적으 로 타고난 것, 즉 성격의 생리적이고 체질적언 기초를 이루는 것으 로 파악될 수 있다. Allport (I9 6I ) 는 인격, 성격, 기질을 구분하여, 인격은 형가된 성격으로 윤리적인 개념을 시사하는 것이며, 성격은 평가절하된 인 격으로, 그리고 기질이란 생물학척 결정 인자와 밀접히 관련된 것 으로 성장해서도 별로 변하지 않는 소질( disposition) 이라고 보았
사회의 환경
다. 성격과 기질을 층위적으로 생각하면 기질은 보다 내면적이고 소질척인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성격은 외면에 나타나는 행동 양식 또는 반응의 경향으로서 성격의 최상부는 환경에서 영향을 받아 태 도로 표출된다고 할 수 있다(그림 5- 1 ). 성격에 관한 정의는 성격이론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는 특정 한 개념에 의하여 규정될 수 있기 때문에 성격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은 성격이론을 자세히 살펴본 뒤에야 가능하며, 성격연구를 전공 £로 하는 학자라 할지라도 성격에 대하여 의미 있고 조직적인 방 법으로 청의를 내린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성격에 대한 정의는 이를 연구한 사람만큼이나 많 A 며 또한 발전되 고있다고볼수있다. 성격을 심리학의 본질척인 주체로 규정한 Allport (1937) 는 성격 이란 〈자기의 고유한 환경에서 척응을 결청짓는 개체내의 역동적인 조직체〉라고 하였으며 Rogers(195 1 ) 는 〈근본척으로 현상척인 것 이며 주로 설명적인 개념으로서 자아의 개념에 의존한다〉고 하였다.
또한 Cattell (1965) 은 〈인간이 주어진 환경에 놓여 있을 때 무엇을 할 것인기를 구별짓는 것)~로 정의하였으며, Maddi (19 68 ) 는 〈언간 의 섬리학적 행동(사고, 감정, 행위 등)에서의 공통성과 상이점을 결청 해 주는 항상성 있는 특갱 (characteristics) 과 경 향성 (ten- dency)) 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성격에 관한 청의는 매우 다양하 며 다양한 정의들이 강조하고 있는 점은 개인의 특정, 유일성, 독 특성, 일관성, 지속성 등이다. 요약하면 성격이란 〈환경의 조건들과 시간에 걸쳐서 행동특성에 비교적 일관성 있게 영향을 미치는 한 개인의 독특한 심리적 특성들의 총체〉라고 할 수 있다. 5-1-2 성격이론 문헌에 의하면 19 60 년대 초에 100 가지 이상의 잘 정립된 성격이 론이 있었으며 197 0 년대 후반기에는 200 가지 이상의 성격이론이 발전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수많은 이론들은 성격이 성장하고 발달 하며 작용하는 요인은 개인의 특정을 모두 포함하고 있고 또한 다 양하고 복잡하며, 성격은 의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공통적인 겸해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성격에 관한 이론들은 사실을 일반적 으로 설명해 주는 데 그치고 있으며 성격의 모든 것을 수용할 수 있는 이론은 없다고 볼 수 있다. 성격에 관한 많은 이론들이 있지만 이론적 중요성과 스포츠 현장 에 척용될 수 있는 이론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1 심리역동척 접근 (psychodynamic approach) 심리역통적 접근에 의한 이론은 행동을 지배하는 무의식적인 동 기를 밝히려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가정에 업각하고 있다. 첫째, 심리적 결정주의 (psychologic determinism) 로 인간의 행동은 결코 우연히 일어나지 않으며 의식적이거나 무의식적인 동기가 있다. 둘 째, 인성기능 (personality function) 의 주요 측면들은 상황척 측면 에 반응동}는 적응과정의 산물이다. 셋째, 인간의 행동을 본능적인 측면에서 파악한다. 넷째, 언간의 사고와 정서 및 행동에 있어서
초자아(양성)
무의식적인 결정체를 강조한다. 다섯째, 목척주의적인 동기체계를 강조한다. 심리역동이론의 선구자인 Freud 는 이러한 가정을 전제로 역동적 체계로서 성 격은 원초아(i d) , 자아 (eg 이 , 초자아 (supereg 이 로 구성 되 어 있다고 보았으며 이들이 각각 자체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상호 작용에 의하여 행동을 지배한다고 보았다. 또한 이들은 인간의 내 부에서 끊임없는 갈등관계에 있다고 보고 갈등이론 (conflict the- ory) 을 주창하였다. 성격에 관한 최근의 심리역통척 이론은 자아의 역할을 캉조한다. 즉, 자아는 원초아와는 독립적으로 발달하며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고 본다. 첫째, 환경에 대응하는 방법을 배우고, 둘째 경 험에서 의미를 찾아낸다는 것이다. 자아의 만족에는 탐색, 조작 및 실행에서의 유능성이 포함되며 자아의 개념을 보다 더 인지과정에 연관시킨다. 그러나 심리역통척 접근은 개념이 모호하여 검증하기 어렵고 행
동의 원인으로 과거의 경험을 지나치게 강조하여 상황 조건을 무시 하기 때문에 인간의 본성을 비관적으로 본다는 비판이 가해지고 있 다. 특히 스포츠 창면에서 선수들의 성격을 설명하는 데에는 직접 적인 의미를 주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2 현상학적 접근 (phenomenologic a1 approach) 성격에 관한 현상학적 접근은 개인의 주관척언 경험을 강조하는 몇 가지 이론을 포함하여 개인의 동기적 내력이나 행동의 예언이 아니라 개인의 현상학, 즉 개인이 어떻게 사상을 지각하고 해석하 는가에 관성을 두고 있다. 무의식적인 충동에 의하여 동기화된다는 심리역동적 이론과는 달리 현상학적 접근은 현재 일어나고 있는 것 에 관한 개인의 주관적 관점에 관심이 있다. 현상학적 이론에는 인 본주의적 (humanistic) 언 이론들이 포함되며 인간의 성장과 자아설 현 (self -actualization) 을 향한 긍정 적 인 본질을 강조한다. Maslow(I943) 는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부분적이기보다는 전 체적으로, 분류적이기보다는 기능적으로, 정적이기보다는 동적으 로, 원인척이기보다는 결과적으로, 단순 기제보다는 목적적으로 파 악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자아실현된 사람의 특정은 @ 현실지향 적 @ 환경수용적 @ 자발척 @ 문제중심척 @ 초연척 @ 자율적이 며 독럽적 @ 인식의 참신성 @ 인류를 동일시 @ 정서적 @ 민주 척 @ 수단과 목적의 구별 @ 철학적 앵 창조적 @ 환경에 대하여 초월 @ 문화에 저항척이라고 하였다. Maslow는 인간행동의 기초 적 요구를 5 단계로 도식화하였다(그렴 5-3) • 즉, 인간의 본능적 욕 구인 배고픔, 목마름, 수면, 성욕 등의 생리적 욕구 (physiological needs) 를 기저로 그 위에 정서적, 신체적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으려 는 안전 욕구 (safety needs), 친밀과 애정, 소속의 욕구인 애정 욕구 (lov e needs), 목표 달성, 권력이나 사회적 지위에 대한 욕구언 폰 중 욕구 (esteem needs), 자기 만족을 위한 자아실현 욕구 (self actualization needs) 의 단계가 있으며 이들 욕구는 위 계 적 인 관계 를 갖고 인간행동을 결정한다고 하였다. 현상학척 접근은 사상에 대한 개인의 독특한 지각과 해석에 초점
자기실현의 욕구
을 두어 개인적인 경험의 역할이 성격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 청하에 인간 본성에 대한 긍정척이며 낙관척인 관점을 강조하였지 만 그 개념틀을 타당화하지는 못하였다. 즉, 자아실현이라는 개념 이 명확하게 정의되지 못했으며 기준이 모호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현실척으로 과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증명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갖 고 있다. 그러나 스포츠 성격의 구명에는 운동 수행의 성공도를 결 정해 주는 기초요인으로 자아실현 욕구의 정도와 관련시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많은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3 체질 혹은 체형이론 Cconstitutional or body type theories) 체질 혹은 체형이론들은 체격, 체형, 체질 동에 근거하여 성격을 분류하려는 것으로 멀리 희랍의 Hippocrates 에까지 소급될 수 있 다. 즉, 신체를 구성하고 있다고 믿어지는 체액에 따라서 성격의 유형이 결청된다는 것으로 다혈철, 우울철, 담즙질, 정액질 등으로 불렀었다.
표 5-1 신체 형 과 관련된 성 격 특성 (Sh 리 don , 1942) 내장긴장형 (내배엽형) I 신체긴장형 (중배업형) I 두뇌긴장형 (외배엽형) 1. 자세와 동작이 느리 1 1. 자세와 통작이 거철 1 1. 자세와 동작이 억제 다. 다. 되고 딱딱하다. 2. 신체척 안락을 좋아 1 2 . 신체적 모험을 좋아 12. 생리척 반웅이 도를 3. 느한린다 .반 응· 13. 강한력다한. 성질· 13. 너지무나친 뼈다}.른 반응· 4. 먹 는 것을 즐긴다. 14. 운동이 필요하고 좋 14. 파묻 혀 있는 것을 아한다. 좋아한다. 5. 식사의 사교화 5. 지배동}는 것을 좋아 15. 마음이 움직이기 쉽 한다. 권력을 갈망 | 고 민감하며 이해가 빠르다. 6. 수화 를 즐긴다. 6. 위험한 찬스를 바란 16. 감정을 밖으로 나타 다 . 내지 않는 정서의 억제* 7. 상류 의식을 좋아한 17. 대 당 솔직한 태도 17. 눈이나 얼굴의 움직 다 . 임에 마음을 쓴다. 8. 사교를 좋아한다· 18. 투쟁에 대한 육체적 18. 사교를 싫어한다. 용기‘ 9. 누구에게도 친절하 19. 경제적인 공격성‘ 9. 사회적 응대를 억 다. 제. 10 애정과 숭인을 강 I 10 냉담한 o} 음 10. 습관에 저 항하고, 하게 요구하다 일상적인 일이 서 툴다. 11 . 주위 사람에게 관 1 11 . 팍막힌 장소에 공 1 II. 넓은 장소에 공포 심을 갖는다 포 12. 정서의 흐름이 명 1 12. 냉정하고 신경질이 1 12. 태도를 예측할 수 탄 . 아니다 없다. *는 비교적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그 사랑의 성격 특성을 나타냄
체격유형론에는 독일의 정신의학자 ICr etschmner(I9 2 5) 와 미국의 심리학자 Sheldon (194 0 , 194 2 ) 의 주장이 었다. Kretschmner 는 체격을 세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뚱뚱한 것은 비만형 (pyknic type) , 호리호 리하고 마른 것을 세창형 (asthe 띠 c) ‘ 그리고 중간쯤 되는 모습을 투 사형 혹은 운동형 (athletic) 으로 구분하였다. Sheldon 은 내 배 엽 형 (endomorphy) 과 중배 엽형 (mesomorphy) 그리고 외배 엽형 (ecto- morphy) 으로 체격유형을 나누었다. 내배엽형은 둥글고 부드러우 며 내장이 발달한 사람, 중배엽형은 골격과 근육이 발달한 사람, 그리고 외배엽형은 가늘고 길며 뼈가 섬세하고 근육이 발달하 지 못한 반면 감각이 민감한 특정을 나타낸다고 한다. 그리하여 내 배엽형은 내장긴장성( viscerotonia) 을 나타내고 먹고 즐기며 태형스 런 성격을 가지며, 중배엽형은 신체긴장성 (soma totonia) 을 보이고 운동과 모험을 좋아하며 자기주장적 태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외배 엽형은 두뇌긴장성( cerebrotonia) 을 나타내며 행동과 태도의 신중 성을 보이고 감정을 억제하며 사교를 싫어하는 성격을 갖는다고 한 다. 체형이나 체격에 기초를 두는 이론들은 성격을 간단하게 보는 방 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언기가 있으나 실제로 성격은 이러한 이론이 시사하는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 체형 혹은 체질이론은 이러한 단순성 때문에 한계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무로 인간 의 행동은 아주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전체적 개인을 몇 개의 성격 범주로 분류하는 유용한 이론을 생각하기란 실질적으로 어렵 다. 4 특성 적 접 근
이며 일관성있는 차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대표척인 특성론자로는 Allport (196 4) , Guilford(1959), Cattell (1957), Eysenck (196 0) 등이 있다. Allport (1964) 는 특성이란 개인의 행동을 일관성있게 특정척인 방식으로 이끄는 추론된 성향들로서 특정한 자극과 반응들 사이에 서 이들을 통합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 A llport 는 이 러한 가정하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종류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첫째, 기본특성은 고도로 일반화된 성향으로서 이것을 중심으로 개 인은 자기의 생활을 체계화한다. 둘째, 기본 특성보다 행동을 다소 적게 지배하는 것이 중심 특성인데, 이 특성도 상당히 포괄적으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아주 제한된 방식으로 개인의 행동을 이끄는 특성을 이차 특성이라고 한다. Allport 는 심리적 현실의 주 요 결정자로서 환경 조건보다 성격구조를 들었다. 그리고 개인차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개언을 한 개체로 만드는 독특한 특성을 발견하 려는 입장에 있었다. 성 격특성을 가장 광범 위 하게 연구한 사람은 Cattell 이 다. Cattell 은 언성의 특성을 표면특성 (surface traits) 과 큰원특성 (source traits) 의 위계적 구조로 구분하였다. 그는 요인 분석을 통하여 171 개의 근원특성을 밝혔는데, 이것은 인간 행동의 독특성을 전체적으 로 파악한 것이다. 개인의 독특한 행동은 개인의 유전적 요인과 다 양한 근원특성의 상관 정도에 따른다는 가정하에 17 1 개의 근원특성 을 16 개의 특성요인으로 분류하였다. 그는 개인의 행동은 근원특성 의 결과이며 행동의 명백한 표명은 다양한 긍원특성의 상호작용, 즉 B=F(P.E) 로 보았다. 여기에서 B 는 행동 (behavior) 이며 P 는 성 격 (personality) E 는 환경 (environment) 이 다. 성격에 관한 특성적 접근을 시도하는 학자들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이란 한 개언의 행동을 시간과 상황에 걸쳐 일관 성 있고 개인적 독특성을 갖게 하는 결정척 소질이다. 툴째, 특성 적 접근은 인간 행동의 근본을 이루는 가장 근본척인 특성을 찾기 위하여 소질 (disposition) 에 초점을 둔 반면 상황적 요인의 힘을 중 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셋째, 특성은 가정된 특정 차원상에서 양
표 5-2 Cattell 의 16 성 격차원 인자명 높은 성향에 판한 이름 (8-10) 낮은 성향에 관한 이름 (1-3) A 내성척이다 개방척이다 B 버지척이다 지척이다 C 기분에 확우된다 정서척으로 안정되어 있다 E 복종척이다 지배척이다 F 심각하다 낙천척이다 G 수단척이다 양심척이다 H 겁이 많다 모험적이다 강언하다 감수성이 강하다 L 믿는다 의심이 많다 M 실제척이다 상상력이 있다 N 솔직하다 약삭빠르다 Q 자신감이 있다 걱정이 많다 Q1 보수척이다 개척척이다 Q2 집단에 의존한다 자주척이다 Q3 통제가되지 않았다 통제되어 있다 Q4 이완되어 있다 긴장되어 있다 A-O 까지는 하나람에 대한 다른 사람의 명가에 의해서 얻은 것이며, 4 개의 Q 요인은 자신에 대한 명가의 자료에서 얻어진 것이다.
적 측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인간의 비교 또는 집단간의 비교 연 구가 가능하다. 따라서 특성은 개인차를 나타내는 양적 개념이다. 성격에 관한 특성척 접근 방법은 객관척이기는 하나 연구에서 밝 혀진 성격 요인들은 수집한 자료의 종류나 분석 방법에 따라서 특 성요인이 달라진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인간의 행통이 상황에 따라 매우 다르기 때문에 성격연구에서 중요시 되어야 할 것은 개언차와 상황변인들의 상호작용이라는 점이다. 5 사회 학습접 근 (social learning approach) 성격에 관한 사회학습이론척 접근에서는 행동의 결정자로서 상황
요인을 강조하여, 행동이 개인과 환경간의 끊엄없는 상호작용의 결 과라고 생각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환경 조건들이 학습을 통해 개인의 행동을 형성하며 이러한 개인의 행동은 다시 환경 조 건을 형성하게 되어 서로가 상호적드로 영향을 준다는 것이 사회학 습이론에서 행동을 예언하는 핵심척인 것이다. 사회학습이론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행동주의 학파의 학자들로서 Pavlov, Watson, HuU, 그리고 Skinner, B andura, Mischel 둥이 었 다. 이들은 특정한 상황에서 개인의 행동은 상황의 특정, 상황에 대한 개인의 명가 및 그와 비슷한 상황에서 한 행동에 대한 과거의 강화에 달려 있다고 본다. 또한 개인이 특정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 할 것인가를 추론하는 데 있어서 사회학습이론은 동기적 특성들보 다는 인지적 발달과 사회적 학습경험에서의 개언차를 중요시하며
뉴
환경척 조건과 상호작용하여 행동에 영향을 주는 개언척 변인을 그 렴 5-4 와 같이 나타내고 있다 (Mischel , I973). 사회학습이론은 특정한 행동을 일으키는 환경적 변인을 규정함으 로써 성격이론에 크게 공헌하였다. 또한 인간의 행동을 특정한 환 경에 대한 반응으로 보도록 하였£며 환경이 행동을 통제하는 양식 과 아울러 행동을 수정시키기 위하여 환경이 변화될 수 있다고 하 였다. 따라서 부척응척 행동을 교정시키기 위하여 사회학습이론의 원리에 입각한 방법이 많이 쓰여졌다 . 그러나 사회학습이론은 행동 에 대한 상황적 영향의 중요성을 너무 강조하여 인간성의 상실이라 는 비판을 받고 있다. 5-1-3 성격의 측정 성격을 객관적 A 로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성격 검사는 크게 명정척도 (rating scales) 와 투사법 (projective tests) 그 리고 질문지법 (questionnaires) 으로 나눌 수 있다. 명정척도에 의한 방법은 피험자의 어떤 속성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질문이나 진술을 준비하여 개개의 단계에 대하여 피험자에게 속하는 정도에 따라서 평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주로 관찰과 면접에 의하여 수행하게 된다. 투사법은 객관적으로 애매하고 불확실한 경우에 개인의 반응은 그 상황에 따라 규청되지 않고 개인의 내적 특성에 의하여 규정된 다는 가정하에 성격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즉, 개인의 반응에 그 개인의 욕구와 감정 그리고 나아가서 무의식척인 경향 등의 성격특성이 투사된다는 것이다. 투사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 이 있다. ·시 각적 자극을 이용한 검 사 : 로르샤하 검사 (rorschach test) , 주 제 통각검 사 (thematic apperception test) ·언어를 이용한 검사 : 연상법, 문장 완성법 ·표현과 운동 : finger painting, mosaic, 인물화 테스트
·유회와 드라마 : 플레이 테스트, 성리극 현재까지도 자주 사용되고 있는 투사법은 로르샤하와 주제통각 검사이다, 로르샤하 검사는 영크의 얼룩이 무엇으로 보이는지를 검 사하여 그 사람의 성격이나 청신 내부의 상태를 알아내려는 방법이 다. 이 방법은 종이에 영크를 떨어뜨리고 그곳을 중심으로 둘로 접 었다가 펴면 불규칙적이며 좌우 대청인 얼룩이 생긴다. 이런 것 중 에 적당한 I 。매를 골라 피험자에게 일정한 순서로 보이면서 〈무엇으 로 보이는가) (무엇을 닮았는가〉를 묻는 방법이다. 주제통각 검사는 인물, 상황 등 애매한 장면이 그려져 있는 그럽판을 제시하여 과 거, 현재,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 하여 이야기에 나타난 욕구, 행동의 체계와 수준, 행동의 종류, 행동의 결말 등을 단서로 하여 판정하는 방법이다. 로르샤하 검사나 주제통각 검사를 실시하거나 활용하려면 전문적 훈련이 필요하며 개별적 검사이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피험자에 질문을 통하여 성격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려는 방법으로 질문지법이 사용된다. 표준화되어 성격검사의 질문지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는 Cattell’s Sixteen Personality Factor Questionnaire -r6PF, California Psychological Inventory -CPI,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 Edwards Personal Preference Schedule -EPPS, Gordon Personal Profile -GPP, Guilford-Martin Personality Inventory -MPI, The Omnibus Inventory, Maudsley Personality Inventory -MPI 등이 있다. 이 러한 측정 도구들은 특성이론을 근거로 하여 제작된 것 A 로 각각 목적과 대상 그리고 구성 요소가 다르기 때문에 신중하게 고려되어 사용되어야 한다. 5-1-4 성격과 운동수행 성격과 운동수행에 관한 연구에 많은 관심을 두는 까닭은 상황 척 • 환경척 요인으로서 스포츠 활동이 공통성을 지니고 있으며 활
동을 수행하는 인간의 내척 요인에도 유사성이 있으묘로 이들의 관 계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일정한 경향성과 항상성을 인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성격과 스포츠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스포츠에의 참가가 성격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운통선수들의 심리척 특성을 파악하여 스포츠 성격을 찾아내기 위한 목척으로 실시된다. 스포츠에 있어서 성격에 대한 연구 방법은 첫째, 성격의 특성을 파악하여 운동선수의 운동수행 능력을 설명하고 예언하는 과정 (process of explanation/ prediction) 의 업장으로 원인-결과의 상호 관련성을 강조하여 특정한 성격의 차원을 원인으로 보고 운동수행 의 효과를 결과로 보는 입장이다. 둘째, 특정한 스포츠에 참가하는 운동선수들이 공통척으로 지니고 있는 성격의 특성을 개인차에 의 하여 파악하려는 기술척 과정 (process of description) 으로 운동선수 와 일반인간에는 푸렷한 개인차가 존재하며, 이것은 스포츠 활동에 있어 상황척 변인언 성격의 변화를 파악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Caπon , 1980) . 이 두 입장의 도식은 그렴 5-5 와 같이 제시될 수
경기자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많은 학자들이 운동선수들의 성격특성을 연 구하고 그 성과를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의 유형은 첫째 운 동선수와 비선수의 성격특성, 둘째 개언경기 대 집단경기의 성격특 성, 셋째 남자선수와 여자선수의 성격특성, 넷째 스포츠 참여 기간 의 차이에 의한 성격의 발달, 다섯째 우수선수와 일반선수의 성격 특성, 여섯째 선수의 포지션에 따른 성격특성, 일곱째 스포츠 종목 별 흥미도와 성격특성에 대한 비교가 이루어지고 있t:} (Fisher , 198 2) • 1 선수와 비선수의 성격특성 스포츠와 성격에 관한 연구의 대부분은 선수와 일반인 사이의 성 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느냐 하는 문제를 규명하려는 데 있었다. 이 러한 연구 결과들은 대단히 혼란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추론하기에 는 상당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많은 연구자들은 운동선수는 독특한 성격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믿고 있다. Berger 와 Littl efield (1969) 는 43 명의 운동선수 집단과 49 명의 운 동경험 집단, 그리고 49 명의 비운동선수 집단을 대상으로 CPI 검사 를 실시한 결과 각 집단에 성격의 차이가 존재한다고 밝히고 있으 며, Hunt(19 6 9) 는 Gordon Personal Profile 을 이용하여 35 명의 백 인 및 22 명의 흑인 운동선수와 35 명의 백인 및 흑언의 비운동선수 의 성격특성을 조사한 결과 백언 및 흑인의 운동선수 집단은 유사 한 성격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흑인과 백인의 비운동선수 집단도 유 사한 성격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러한 Hunt 의 연구 결과는 백인과 흑인을 막론하고 선수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성격 특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논문들을 분석해 볼 때 운동선수는 일반인들과 구별될 수 있는 일반적인 성격특성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러 나 운동선수가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특성이 무엇이냐는 해 답을 구하기는 힘든 것 갇다. Golas 와 Dowell(197 1 ) 은 EPI 를 이용하여 4 1 명의 비운동선수와
82 명의 운동선수를 대상으혹 성격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운동 선수들은 비운동선수들보다 현저하게 외향척인 면을 나타내고 있음 을 발견하였으며, 0 ’ connor 와 Webb(197 6 } 은 16PF 를 이용하여 농 구 13 명, 체조 6 명, 테니스 9 명, 수영 13 명퉁 4 1 명의 운동선수와 14 명의 버선수를 대상으로 성격특성을 조사한 결과 지능, 과격성, 자기충족, 통제성 둥에서 차이가 있었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Shusher ( 19 64) 는 MMPI 를 이용하여 운동선수와 비선수의 성격 차 이를 연구하였다 . 그 결과 운동선수들은 외향성 척도와 지능에서는 낮은 수준을 보였지만 심기적 (心氣的) 척도에서는 높았는데, 이것 은 운동선수들이 신체건강에 대한 더 큰 염려가 있다는 것을 뭇하 는 것이다. Schenda I{ 19 6 5} 은 CPI 를 이용하여 고등학교와 대학의 운동선수와 버선수 사이의 성격특성을 조사한 결과 고등학교 운동 선수들은 비선수에 비하여 더 침착하고 지배력이 있£며 자신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운동선수들은 비선수보다 성취감과 잠 재성 그리고 지적 능력에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Schurr 등 (1977) 은 16PF를 이용하여 195 6 명의 대학생을 대상으 로 연구하였다. 이들은 피험자를 선수와 비선수로 구분하고 이들을 각각 그림 5-6 과 같이 운동종목별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선수와
1..!체ζ경 되와/경기\
비선수 집단의 차이를 특갱지워 주는 단일한 성격특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단체종목의 선수들은 개인종목의 선수들보다 외향척 (e xtroverted) 이 며 보다 의존적 (dependent) 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운동선수와 비선수간의 성격특성에 관한 연구는 대
표 5-3 선수와 비선수, 스포츠 형태별 성격특성비교 (Schuπ풍 , 1977) 준거집단 비교집단 성격특성 단체종목 개인종목 보다불안하다 보다의존척이다 멸 민감하고추상적이다 보다 외향척이다 비선수 럴 추상적이다 보다 외향적이다 보다의존척이다 자아개념이 강하다 접적적 종목 평행척 종목 보다 의존척이다 자아개념이 약하다 버선수 럴 추상척이다 보다 외향척이다 보다객관척이다 보다독립척이다 개인종목 버선수 럴 추상척이다 덜불안하다 보다독립척이다 보다 잭관척이다 형행척 종목 비선수 덜 추상척이다 럴불안하다 덜 독럽척이다 자아개념이 강하다
단히 혼란되어 있고 피험자 집단과 척도가 다르기 때문에 어떠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지만 일반척으로 운동선수들의 성격특성은 일 반인들에 비하여 정서척으로 안정되어 있고 무사태명하며 외향척이 고 활동척, 지배척 특성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특성이 운동경험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라고 결론을 내리기에는 많 은 문제가 있다. 원래 이러한 성격성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운동 선수가 되는 경향이 있는지 아니면 스포츠 경험에 의해 독특한 성 격특성을 가지게 되는지가 분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2 운동종목별 성격특성 스포츠는 종목별로 독특한 경기형태를 취하고 있다. 육상과 수영 같이 개인 스포츠가 있는가 하면 I 언으로 성럽될 수 없는 단체경기 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목의 발생은 고안된 나라의 국민성이 오 랜 역사를 통하여 전통으로 계숭된 것이므로 문화적 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성격이 소속된 집단에서의 생활 경험이나 행동 양식 이 습관화됨으로써 이루어 진다는 관점에서 볼 때 종목에 따라서 선수들의 성격특성에 차이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가질 수 있 다. Singer(19 6 9) 는 EPPS 를 이용하여 요하이오 주립대학에 재학중인 26 명의 대표 야구선수와 33 명의 I 학년 야구선수 그리고 10 명의 테 니스선수 등 69 명의 선수를 대상으로 성격구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야구팅은 굴욕요인에 있어서 다른 두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차단(방해)변수는 다른 두 집단보다 낮은 정수를 기록했 으며, 성취점수에 있어서는 테니스선수보다 낮은 것£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율성에 있어서 일반인보다 낮으며 지배성에 있어서 테니 스선수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목별 선수의 성격특성에 관한 연구는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하 여 제시되고 있 A 나 선수와 비선수의 성격특성에 관한 연구결과보 다 더욱 복잡하고 혼란스럽기 때문에 개인종목과 단체종목으로 유 형화하여 성격의 비교를 실시한 연구도 있다. Peterson 과 Trousdale (196 7) 등은 16PF 를 이용하여 여자들의 개
‘ 인종목과 단체종목 선수틀의 성격구조를 비교하였다. 피험자들을 AAU 와 미국의 올렴픽 선수들로 수영, 다이빙, 숭마, 펜싱, 카누, 체조, 육상 퉁 3 8 명의 개인경기 선수들과 배구 및 농구선수들로 구 성된 57 명의 단체경기 선수들이었다. 검사결과 개인종목 선수들은 지배성이 있고 공격성과 모험심이 많으며 자부심이 강하고 더욱 실 험적이라는 것이 발견되었다. 반면에 단체종목 선수들은 강한 의지 와 예민하고 세속적언 현명함이 있었다. 그리고 개인 대 단체종목 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한 표본으로 묶었을 때 냉정하고 내성적 이며 영리하고 정서적 안정성이 높았다. 또한 고집이 세고 모험을 좋아하며 의지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를 중심으로 종합해 보면 개인종목 선수들은 명균 적인 성격특성과 유사하고 단체종목 선수들은 운동선수의 성격특성 을 보다 잘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운동종목을 분류한 유형 등의 문제로 일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3 우수선수와 일반선수의 성격특성 많은 연구자들은 궁극적으로 성격이 운동수행의 차이를 일으킨다 고 믿어왔기 때문에 우수한 선수들이 가지는 성격특성에 대하여 관 심을 가져왔다. 또한 어떠한 성격변인이 경기의 성공에 도움을 주 고 필수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면 경기력 향상을 위하여 구 체적인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특정한 성격요인이 경기의 참가 와 성공에 기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실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Williams (1978) 는 16PF 를 이용하여 대학 농구선수 중에서 주전 선수와 후보선수 그리고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성격특성을 조사한 결과 주전선수들은 후보선수냐 일반학생에 비하여 지척 능력이 높 으며 자기통제성이 강한 반면에 후보선수보다는 정서척 안정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Kane(19 6 4) 도 16PF 를 이용하여 영 국의 프로 축구선수 100 명과 일반 축구선수들의 성격을 비교한 결 과, 프로선수들은 일반선수들에 비하여 정서적 A 로 안정되어 있£ 며 외향척이고 자기통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Johonson 과
Hutton 그리고 J ohonson (1954) 은 미국의 참피온급 선수 12 명을 대 상A 로 로르샤하 검사를 실시한 결과 뛰어난 운동선수들은 과격한 공격성, 감정척 억제로부터 벗어나려는 경향이 높고 일반화된 불 안, 지척 열망이 높은 수준이며, 특별한 자기확신 등의 감정이 있 었다고보고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들이 시사하는 바는 같은 종목의 선수들 중 에도 우수한 경기자와 일반경기자 사이에 다른 성격특성이 존재한 다는 것으로 특정한 성격요인이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뭇 하는 것이다. 그러나 또 다른 연구들은 우수선수와 일반선수 사이 에 특별한 성격차가 없음을 밝히고 성격특성이 경기력과 관련이 없 음을 제시하고 있다. RushalI (1970) 은 16PF 를 이용하여 캘리포니아와 인디아나 그리 고 뉴저지에 있는 팀들에 소속되어 있는 33 8 명의 수영선수들에 대 한 성격특성을 조사한 결과 성격이 수영의 성공적인 수행과 관련이 없었음을 밝히고 있으며 , Krol I (19 6 7) 도 미국의 올림픽팀과 NCAA 그리고 NAIB 의 참피온 결정전에 참여했거나 참피온언 최고 수준 의 운동선수와 경기에 60% 이상의 승률을 보이는 선수, 그리고 평 균 이하의 선수로 나누어 16PF 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이들 집단 간에는 어떠한 차이도 없었고 다만 레슬령선수들은 강인성 요인에 있어서 기준으로부터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성격과 운동수행 의 상호작용에 관한 어떠한 일반화를 시도한다는 것은 위험한 일이 라고 사료된다. 이러한 영역의 연구에 대한 가장 심각한 결점 중의 하나는 조사의 단일성에 있다고 보여진다. 즉, 운동 능력을 이해하 려는 시 .B r 성격 영역에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Morgan(I979) 은 우수선수와 비우수선수를 구분하기 위한 정신건 강모렐 (mental health modeI) 의 개 념을 도입 하여 좋은 시 사를 주고 있다. Morgan 은 Spielberger 의 상태-특성불안 척도와 Eysenck 의 내향성-외향성, 신경성-안정성 검사, 그리고 McNair 풍 (197 1 ) 의 청서상태 검사를 이용하여 10 개의 서로 다른 성격특성을 추출하였 다(그럽 5-7). 긍청척언 정신건강 프로파일은 우수선수의 특성을
심리적 요인 부저정 적 정신건주。 강 프로파고일 긍저정 적 정신건ZTυ 강 프로파고일
뭇하고 부정척인 정신건장 프로파일은 비우수선수의 특성을 의미한 다. 또한 Morgan (I 979) 은 세계적 우수선수를 나타내는 Ice berg Profile 을 제시하고 있다 . 본질척으로 빙산형 프로파일(Ic eberg profile) 은 정신건강모렐의 한 단면이지만 우수선수와 심리척 요인 간의 중요한 관계를 잘 제시해 주고 있다 . 우수선수는 전형적으로 용감성 (vigor) 을 제외한 모든 정서상태가 형균값보다 낮다 그렴 5- 8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우수선수들이 용감성에 있어서 편형한 모습을 보이는 반면 우수선수들은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5-1-5 스포츠 성격연구의 문제점 운동선수의 성격에 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에서 일 관성있고 명쾌한 해답을 구하기는 힘든 것 같다. 일반인들과 운동 선수 사이에 존재하는 성격유형, 우수선수와 일반선수를 구별짓는 성격 프로화일, 특정한 종목에 참여하는 선수들의 성격유형의 존재 를 결정적으로 지지해 주는 증거가 거의 없다. 예를 들면, 많은 연 구들은 달리기 선수들의 배구선수들보다 훨씬 내향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였지만 어떤 연구들은 이러한 차이를 발견하는데 실패하고 있다. 이처럼 연구결과들이 다양하고 상이한 결론을 내리고 있어 연구결과를 일반화 시킬 수 없기 때문에 운동수행과 성격의 관계에 관하여 의미있게 설명하거나 예측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었다. 결 과척으로 스포츠와 성격에 관한 연구결과들은 스포츠 현장에 충분 한 도움을 주지 못하였고, 대부분의 스포츠 심리학자들은 이 분야 의 연구에 회의론적인 관점을 나타내고 었다 (Fisher , Ryan, & Martens, 1976). 이러한 이유에서 스포츠와 성격 에 관한 연구는 I97 。년대 말과 I9 80 년대 초에 이르러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다. 스포츠 성격의 연구결과에 대한 관점은 크게 세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째는 스포츠 성격은 존재하며 업충이 가능하다는 낙관론적 인 관점이며, 둘째는 스포츠 성격연구는 무용한 시도이며 운동수행
에 직접척으로 도움이 되는 스포츠 성격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부정 척인 업장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재까지의 연구결과로는 낙관 이나 비관적인 업장을 취하기는 곤란하며 보다 집중척이고 체계척 인 실험연구가 필요하다는 중용의 관점이다 (Caπon , 198 0) . 성격연구들이 일관성 있는 결과를 꿀어내지 못하는 것은 성격 그 자체가 복잡하고 다차원척이며 개념규정, 즉 성격을 어떻게 볼 것 이냐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이며, 단기간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할 가능성은 현실적으로 희박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운제점을 해 결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수행되어진 성격연구들의 문제점을 연밀히 분석하는 가운데 현시점의 지식상태를 정확하게 진단, 형가함으로 써 앞으로 나야갈 방향을 결정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학자들에 의하여 분석되어진 성격 연구의 문제 점은 개념적 문제와 방법론적 문제 그리고 해석상의 문제로 대별될 수있다. 1 개념적인 문제 개념상의 문제들은 연구의 기초가되는 기본 이론이나 논거의 문 제이다. 연구는 문제를 의미있게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하고 이론적 틀로부터 시발되어야 한다. 다시말해서 연구자는 우선 관심 있는 운동행동을 고려하여 현존하는 이론이나 경험적 증거위에서 어떠한 성격변이들이 타당한지를 고찰하고 이러한 성격변이들과 운 동행동간의 논리적 관계를 검증할 수 있는 연구를 고안하여야 한 다. 불행하게도 대부분의 스포츠 성격연구들은 어떤 이론척 또는 개념적 틀에서 시작되었다기보다는 정연한 논리적 근거없이 수행되 었다고 볼 수 있다 (Gill , 198 6) . 많은 연구자들은 과거의 특성 심리학 (trait psychology) 과 새로운 기질 접근법 (dispositional approach) 을 구분하지 못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개념적인 문제 때문이다. 스포츠 성격의 연구자들은 행 동의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환경이나 당연한 상황의 중요성을 인식 하지 못하였다는 비판이 있다. 즉, 이들은 상황을 무시한 채 단지 성격특성만을 연구함으로써 행동을 예측하려는 업장을 고수하여 왔
다. 또한 어떤 연구자들은 개인차를 무시하고 환경척인 연구만으로 행동을 셜명하고 예측하려고 했다. 사회 심리학자들은 오래전부터 이러한 일원론척인 접근 방법을 지양하였는데, 아직도 스포츠 성격 의 연구자들은 그렇치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인간의 행동을 보다 체 계척으로 예측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성격과 그 사람이 처해있는 상 황을 고려한 상호작용 접근법을 수행해야 한다. 개념척인 문제에서 혼란을 일으키는 또다른 운제는 성격기질 (personality dispositions) 과 성 격 상태 (personality states) 간의 차이 를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하는 것이다. 본질상 기질은 반응하려는 경향성이고 상태는 실제척 표출 또는 행동발생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특성불안은 비위협적인 광법위한 자극에 대한 감정적 반응 경향성인 반면, 상태불안은 실질적인 긴장감이나 신경과민이다. 성 격은 특성이나 상태 또는 모두를 시험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으나 그 개념척 차이를 인식해야만 한다. 이러한 모든 개념적인 문제는 두가지의 근원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첫째, 스포츠 성격연구자들이 일반 성격학에 동조하지 못 했기 때문에 개념척인 발달에 보조를 맞출 수 없었고 더나아가 방 법론적인 변화에 대처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였기 때문이다. 둘 째, 스포츠 성격학자들의 연구가 이론에 근거를 두었다면 많은 개 념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스포츠 성격을 측정하 는 독특한 이론이 전혀 발달하지 못했고 일반적인 성격측정 기법을 그대로 스포츠 상황에 척용했다는 문제점 때문이다. 2 방법론적인 문제 가장 중요한 방법론적 문제는 운동선수, 다양한 법주의 운동 집 단, 운동능력 등과 같은 다양한 변인들에 대하여 조작적인 정의를 내리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Morgan , 1971). 예를 들면 운동 선수를 구성하는 성분이 무엇이고, 일반인이 조직척인 스포츠프로 그랩에 참여함으로써 운동선수가 될 수 있는가? 운동선수와 일반 언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분명히 구분할 수 없다면 양자의 성격차 에 대한 철문에는 답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능력을 소유
한 집단간의 성격차를 연구할 때 운동능력 평가의 신뢰도와 타당 도에 많은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를 얻지 못한다는 점 이다. 스포츠 성격연구의 방법론적 문제중 또 다른 원인은 선행연구의 대부분이 효용성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연구 셜계상의 문제로부터 기인된다고 볼 수 있다. 일단 연구자가 타당하고 검증 가능한 문제를 확인하였으면 표집과 측청내용이 적절하여야 하고 실험설계와 절차가 합리척인 가운데 연구문제가 해결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표집과 통계상의 오류가 많은 스포츠 성 격연구에서 표집된 표본은 특정한 관심집단의 모집단을 대상으로 무작위 표집을 한 것이 아니라 소수의 임의집단을 선택하여 이루어 쳤다. 즉, 모든 농구선수들의 대표치로서 단일 농구팀을 표집하여 검증하고 이 결 과로 모집단에 일반화시키는 오류를 범해 왔다. 성격특질 또는 기질의 측정기법에도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 다. 성격평가에는 투사적 검사법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객관 적 항목표(i nventory )가 사용되고 있다. 이 검사법이 채태되는 이 유는 이론이나 개념적 근거에 기초를 두었다기 보다는 쉽게 구할 수 있고 편리하다는 점 때문이었다. 측정도구는 제작의도 빛 검사 목적에 따라 측정내용이 다르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다르다. 따라서 성격의 측정도구는 연구목적에 따라 선택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문 제와 관련된 것으로서 정상적인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스포츠 성격 규명에 활용되었던 척도들이 비정상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작 된 척도들 이라는 점이다(예, 미네소타 다면성격 항목표 : MMPI) . 방법론상의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자료분석 및 통계상의 오류와 관계가 있다. 이는 상당히 기술을 요하는 문제이므로 자세하게 다 룰 수는 없£나 자주 오류를 범했던 문제점 두가지 만을 지적한다 면, 우선 어떤 성격검사의 개별 특성간의 차이를 검증하는데 판별 함수분석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이 나 변 량분석 을 사용한 것 이 아니 라 t 검충을 여러 번 사용했다는 점과 다변량 (multivariate) 분석을 적용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단변량 (univariate) 분석을 부적 절하게 사용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Maπens , 1975).
3 해석상의 문제점 해석상의 문제점으로는 상관 연구결과로부터 인과관계의 추론과 해석상의 오류(과일반화, 그릇된 괴변 등) , 그리고 긍정주의로 요약 될 수 있다. 스포츠 성격연구에서는 상관연구 결과에서 인과관계를 추론하는 경향이 있었다 (Martens , 1975). 자료 해석시 주의하여야 할 점은 버록 특정한 스포츠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특별한 특성을 소유했다 고 하더라도 이 특성이 스포츠 참여 또는 성공을 유도하거나 그 원 언이 되는 것으로 추론해서는 안된다. 또한 이러한 특성이 여하한 특정 행동과 관련이 있다고 추론할 수 없다는 사실을 기억해 두어 야 한다. 더우기 스포츠는 트레이닝, 세트 플레이, 코치의 지도, 팀 규범 등 많은 강력한 상황적 요인들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요인들이 특정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성격보다 더 강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완벽한 연구설계로 수행된 연구에서 배구선수 들이 일반인보다 훨씬 〈독립적〉이라는 사실을 알아 냈다고 가정 해 보자. 독렵성 차원에서 높은 정수를 얻은 선수들이 훌 륭한 배 구선수가 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는가? 그리고 선수 를 선발할 때 이러한 독립성 차원을 활용할 수 있는가? 배구선수 들 이 독립 적이라는 결과를 보고한 많은 연구결과들이 있지만, 그 결과들 은 서로 〈상관적〉일 뿐인 것이다. 상관은 어떠한 관계가 있다는 것 을 지적하는 것이지 반드시 원인-결과의 관계를 의미하는 것은 아 니다. 따라서 위의 질문에 대한 해답은 부정적이라고 생각된다. 두번째로 고려할 수 있는 해석상의 문제점은 연구결과를 과일반 화 (overgeneraliza ti on) 하는 것이다. 불행하게도 많은 연구자들이 자신들의 연구결과를 너무 과장하였다. 특정한 표집의 선수들로부 터 발견된 관계를 다른 운동이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사랑들에게 일반화 해서는 안된다. 또한 연구결과가 실용적 가치가 크지 않은 데도 불구하고 그럴듯하게 결론을 유도하는 그릇된 궤변을 삼가하 여야한다. 마지막 해석상의 문제점은 긍정주의 (positivism) 로서 스포츠 성격 연구자가 실험전에 기대했던 대로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증거를 액
면 그대로 수용하는 경향이 있다. Rushall(1972) 은 성격과 스포츠 참여간에는 상판이 없다고 주장하는 결과들을 언용하지 않거나 또 는 표집오류나 통제실패 등의 이유를 들어 인정하지 않으려는 경향 이 있었기 때문에 연구들의 내적 • 외적 타당도가 섬히 의심스렵다 는 결론을 내렸다. 4 스포츠 성격연구의 새로운 방향 앞에서 제시한 바와 갇이 여러가지 문제는 있었지만 스포츠 성격 연구의 상황을 그렇게 비관적으로 보고 싶지는 않다. Hyman 등 (1954) 은 〈오류를 시인하는 것은 과학의 발전된 단계를 예고하는 것 이며, 모든 과학척 연구는 오류를 범하기 쉽고 자료에 숨겨진 오류 를 무시하는 것 보다는 오류를 인식하고 감소시킬 수 있는 근원척 연구를 실시하는 것이 훨씬 발전적이다〉라고 제안하였다. 따라서 스 포츠 성격의 개선된 연구가 나오기 위해서는 오류를 인정하고 그것 을 제거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앞에서는 성격연구의 제반 문제점이 제시되었고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스포츠 성격연구들이 격감하고 있다는 사실 을 지적한 바 있다. 그러나 스포츠 성격연구는 아직까지 살아있고 발전할 수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싶다. 다음과 같은 몇가지 이유 에서 성격연구가 다시 훨씬!꽉 되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할 수 있다. 첫째, 특성이론 옹호자와 상호작용이론 주장자들 간의 논쟁이 실 제로 성격연구를 재생시키고 새로운 흥미를 부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Fisher , I98 4 ). 둘째, 심리학에서 성격 연구자들은 소위 〈인지 혁명〉이 쇄도함에 따라서 자신들의 방법론이 필요하였고 상호작용모형이 인지이론가 들의 연구의 틀이 되었는데, 스포츠 성격연구에서도 새 시대와 보 조를 같이하고 있다. Dishman (I982, I984) 의 심리 생물학적 운동 집착성 모형 (psychobi 이 ogical model of exercise a 빼 erence) 은 성격과 운동행동간의 관 계를 밝히는데 상호작용 접근법을 실증해 주고 있다. Dishman 은 모형내에서 어떠한 운동프로그램과 집착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개인적 특성과 상황적 요인들을 통합하였다. 논리척이고 경험 적으로 운동 집착성과 관계가 있다고 업증된 주요한 변인이 바로 자기동기 (self-motivation) 였다. 이 자기통기는 상황척 강화없이 독 립척 A로 꾸준히 힘쓰는 경향성을 의미한다. Dishman 퉁 (19 80 , 19 81 ) 은 자기동기 질문지를 개발하였고 운동 집착성을 예측하는데 이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업충시켰다. 그러나 자기통기만이 운 동 집착성의 척절한 예측인자는 아니다. 운동상황과 프로그랩 전략 등의 생물학적, 상황척 요인들이 운동 집착성에 영향을 줄 수 있 다. 이외에도 언간과 상황의 상호작용에 관한 중요한 면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독려한 새로운 방법론이 출현하였는데, S - R 자료의 개인 차 척도분석과 맥락-형판결합이 그 예이다. 셋째, 보다 타당하고 신뢰성 있는 스포츠 특정 측 정도구들이 제 작 활용되고 있다. 스포츠 경쟁 불안검사 (SCAT: Martens, 1977), 경쟁 상태불안 항목표 (CSAI: Martens 등, 198 2) 등의 측정도구들이 성격연구의 부활을 독려하고 있다. 넷째, 성격은 운동수행의 완벽한 예언자가 결코 아니지만, 최근 스포츠 심리학자들은 행동의 변화 를 설명하기 위하여 성격과 생리 학척 자료를 결합하고 있다(예 를 들변 Landers 등 , 198 1; Morgan, 1973a; Silva 등, 198 1) . 그들의 결과들은 심리 생리학적 행동모형의 효능성을 지지하고 있다. 5-2 운동수행과 동기 5-2- 1 동기의 개념 동기 (motive) 라는 말은 여러가지 맥 락에서 사용되 어 왔다. 범죄 학자는 동기를 사회적인 행동의 근원£로서, 생산자들은 노동자들 이 생산성 향상에 매진하도록 하는 유언으로서, 극작가들은 사실척 인 드라마를 창조하기 위한 도구로서 연구하여 왔다. 역사적으로 볼 때 오래 전부터 인간의 행동이 왜 일어나는지에
불내적안 청상한태 鍵一
대하여 관심을 가져왔다. 일찍이 그리이스인들은 행동이란 단순한 쾌락의 추구나 고통에 대한 회피에서 발생한다고 주장하였고 혜로 는 보다 복잡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하였으며, 최근의 동향 역시 이 러한 맥락에서 연구되고 있다. 신경학자 Li vingston 은 동기란 모든 행통에 대하여 실행할 것이 냐 하지 않을 것이냐에 대한 스위치 기능을 하는 것£로, 정서를 일정하게 활성화된 수준까지 발생시켜 실행하고자 하는 과제를 성 취하도록 하는 것 (Alderman , 1974) 이라고 하였다. 목적없는 행동은 유발되지 않으며 개체의 행동은 언제나 일정한 목표를 추구하게 된 다. 따라서 동기란 행동을 취하게 하는 준비 태셰이며 이러한 상태 로 개체로 하여금 목표로 이끌어갈 수 있게 하는 에너지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개개인마다 지니고 있는 동기의 양상은 매우 다양하여 시간과 공간 그리고 심리적 생리적인 제반 측면에서 볼 때 변화무쌍한 성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동기 자체를 명확하게 개념짓기란 쉽지 않다. 동기유발 (motivation) 은 여러가지 형태의 동기들로 이루어지는 다차원적인 과정 (multidimentional process) 이다. 즉, 한순간에 어 떠한 스포츠나 신체활동에 어느 정도의 강도로 참가할 것언가를 결 정하는 동기가 있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개인이 경험한 만족도 가 동기유발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러한 만족도는 과거의 모 든 경험과 특청한 시점에서 가장 우세했던 욕구에 기초를 두고 있다.
스포츠의 종목 선택에 있어서도 왜 그 사람이 그 종목을 선택했 느냐 하는 것은 매우 개인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인간은 제각기 다른 사람과 구멸되는 자신의 고유한 특질을 지니고 있다. 여기에 서 우리가 중시해야 할 중요한 사실은 개인이 특별한 스포츠나 신 체활동에 참여하게 되는 것은 그것이 그들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킬 충분한 이유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신이 그러한 활동에 참 여하는 과정에서 그것 자체로서의 의미를 수용하여 발전시킬 수 있 기 때문이다. Ward(I937) 는 운동선수의 동기유발에 관한 연구에서 동기유발은 내척 작용을 포함하는 컷으로서 타인의 퍼포먼스에 대한 자신의 한 계를 테스트하는 과정이라고 하였다. 그는 우수하지 못한 재능과 기능을 가진 선수들이 훌륭한 팅을 구성하는 경우와 그 반대의 경 우, 즉 우수한 재능과 기능을 가진 선수들이 보찰것 없는 팀을 구 성하는 것을 보고 운동선수의 동기유발에 관심을 갖게 되어 연구한 결과 스포츠의 참여가 경쟁심과 자아의 수호를 위한 노력에서 발생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인간이 스포츠 활동을 추구하게 되는 동기는 일반적으로 스포츠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우월성의 성취, 상쾌함, 즐거움, 그리고 도전 의식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인간이 가장 쉽게 자신의 우수성을 시연할 수 있는 것은 자신의 신체를 이해히는 방법에 의한 것으로, 이것이 사람들을 스포츠에 참가하게 하는 동기적인 요소로 작용한 다고 볼 수 있다. 운동학습이나 기능의 습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지도 자가 설정한 목표에 도달하려는 학습자의 동기가 있어야 한다. 여 기에서 동기란 특별한 환경척언 상황에서 목표를 성취하거나 만족 스런 정서상태를 이룩하려는 내적인 강한 충동이라고 할 수 있 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동기의 개념에 관한 견해는 일치하고 있지 는 않으나 개체 내부의 에너지에 의해 활통을 불러일으켜 심리적, 신체척 활동을 조직적으로 통합함으로써 개체를 목표로 향하게 하 는 기능을 갖는 내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5-2- 2 동기유발의 기능과 종류 、 동기유발이 갖는 기능£로는 행통을 일으키는 시딸기능, 맹목적 인 행동이 아닌 특수한 반응을 선택하는 선택기능, 행동을 목표에 방향짓는 지향기능, 목표에 도달했을 때 그 행동의 재현 가능성을 높이려는 강화기능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동기유발의 기능은 어떠 한 행통이 발생되면서부터 종료될 때까지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 여 상정된 가설척 구성체라고 할 수 있다. 내척인 힘을 제공해 주 고 정서척 흥분을 일으키며 기대적 방향을 제시해 주는 동기의 기 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기는 행동의 원동력으로서 작용한다. 동기는 욕구나 충 동의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기체는 이러한 욕구를 감소하거 나 제거하거나 강화시킬 수 있는 행동을 일으키게 된다. 욕구가 생 기면 그것을 충족시킴으로써 유기체의 내적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동기는 이와 같이 행동의 내적 동력으로서 에너지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행동의 강도를 올려주기도 하고 내려주기도 한다. 둘째, 동기는 정서적 홍분을 일으킨다. 어떤 욕구에서 동기가 형 성되면 심리적인 긴장상태를 가져오게 된다. 이때의 감정상태를 여 러 가지로 부르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정서 (emotion) 라고 부른다. 셋째, 동기는 목표의 선택과 결과에 작용한다. 동기유발이 된 사 람은 내적인 에너지 변화에서 생기는 긴장을 감소시키기 위한 행동 을 일으키게 된다. 즉, 목표지향적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행동의 방향을 결정하는 힘을 역동적 과정의 설명 방법에 따라서 유의성 (valence: 諸意性)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유의성은 행동을 적극적 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이꿀어갈 뿐만 아니라 소극적으로 피하게 하 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어떻든 통기는 목표지향적 반웅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행동언지를 생각하고 고르는 선돼적 행통을 하게 한다. MurraY(I959) 는 통기를 여러가지 특성에 따라 분류한바 스포츠 와 관련된 내용을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개체 내부의 생리척 안정성
(homeostasis) 올 가지 려는 형 형 상태 동기 (homeostatic motive) 에 는 기아, 갈충, 수연 등과 함께 고통의 회피 퉁이 포함된다. 격렬 한 운동은 생리척 안정성을 깨뜨린다. 특히 감량이 요구되는 종목 은 필연척£로 고통을 수반하게 되는데, 이 동기를 어떻게 극복해 야 할 것인가를 고려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정서동기는 외척으 로 환기되는 특수한 동기로서 일반척으로 스포츠의 경우에 있어서 경험되는 흥분이나 회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는 스포츠와 친숙해 짐 A 로써 척극척으로 참가하게 되어 습관화하기에 이르는 매우 중 요한 동기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공포나 불안이 반대 방향 으로 작용하는 외상성 불안 (harm avoidance) 은 극히 강한 회피반 응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스포츠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 내인적 동기는 외적인 보수가 아닌 활동 자체가 목적인 경우로서 내인적으로 동기화된 행동으로 볼 수 있다. 이에 관여하는 동기로서는 신체를 활발하게 움직이려는 활동 성 동기, 무료함에서 탈피하고 자극을 구하는 감성 동기, 새로운 기술을 경험하고 기술의 복장성을 찾는 호기성 동기 등이 관련되어 있다. 사회척 동물인 인간은 자기와 사회의 관계에서 강하게 이루어지 는 사회적 동기과제를 성취하려는 행동을 나타내려 한다. 욕구충족 을 지연시키며 원대한 목표를 설정하여 성공하기를 원하는 성취 동 기, 우청이나 애정으로서 우호관계를 형성하려는 친화성 동기, 본 능척£로 나타나는 공격과 방어에 의한 경쟁 속에서의 적극적인 공 격, 방어 동기, 스포츠에 있어서 승패를 가려내고 칭찬과 존경을 받으며 경기의 결과로 얻어지는 인정과 자율, 굴욕 등 스포츠와 강 한 관련을 갖는 사회척 동기가 많다. 이러한 동기들 중에서 어떤 것은 생득적으로 갖추어져 있는 것으 후 생물발생적 동기 혹은 일차적 동인 (primary drive) 이라 하고, 그외의 많은 동기는 사회척 접촉 중에 학습에 의하여 획득되거나 변용된 것으로 생각되어 사회발생적 동기 혹은 이차척 동인 (secondary drive) 이라고 한다. 또한, 공포나 실패와 같이 대상으 로부터 멸어지도록 작용하는 회피척언 동기와 접근하도록 작용하는
동기유발 수준 스포츠 동기유발의 I 차 원천
접근적인 동기로 나눌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심리학에서는 동기유발과 관련된 많은 연구가 실시되 었으나 초기의 연구자들은(예 : J ames, Fread, Lewin) 인간행동이 본능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주장하였으며, 최근에 와서는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의 만족과 관련된 충동의 측면에서 설명이 시도되었다 (Maslow, I9 43,I 9 54). 20 세기 초반에 들어와 행동주의자들이 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 체계, 즉 스포츠의 쾌락적인 면, 스포츠의 보상적 인 연, 스포츠의 성취적언 연 등과 같은 맥락에서 많은 연구를 하 고있다. 5-2- 3 동기이론 1 성취동기이론 성취와 관련된 풍기는 성격요인으로 셜명될 수 있다. 개인은 자
신의 퍼포먼스가 형가될 수 있는 어떤 과제를 수행할 때 타인과의 경쟁이나 어떤 우수한 기준에의 도달과 같은 사회척 변인이나 인자 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Smith,1 9 74) , 그 수행 결과에 책임을 지려고 한다 (Ma 빼 r , 1974). 이러한 환경은 많은 동기척 성향을 촉진 시키며 성취상황에서 인간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지적 판 단을 내리도록 자극한다. 성취동기 (achievement motivation) 는 일반적으로 퍼포먼스가 우 수하다고 형가받고자 할 때 개인의 포부 수준, 노력 및 지구력 등 을 결청짓는 요인이라고 정의되며, 성취통기이론이라고 부를 수 있 는 여러 이론에서 인간이 과제를 수행하려고 하는 의지가 대체로 성취욕구의 강도에 의해서 설명되고 예측될 수 있다는 것이 공통된 가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성취동기와 행동을 설명하려는 많은 이 론척 모형들이 제시되었는데, 이들 중 가장 영향력 있고 대표적인 이 론은 접 근동기 와 회 피 통기 를 강조한 McClelland (195 1 ) 와 Atkinson (1957) 의 성취동기이론이다. 그에 의하면 모든 동기는 학 습된 것이며 장차 얻고자 하는 목표반응에 의해서 설명될 수도 있 지만 그보다 과거의 쾌락이나 고통과 연계되어 있는 일정한 단서들 에 의해서 일어나는 강한 감정의 연합체라고 가정한다.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에게는 성취를 일으키는 상황이 유쾌한 감정을 유발시키 는 단서가 되며, 개인 내의 모든 동기들이 유쾌하거나 불쾌한 단서 들과 연합되도록 학습되어 있기 때문에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은 성 취로 인해서 유쾌한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상황을 만들려고 한다. 따라서 McClelland(1953) 등은 성취동기를 우수한 결과로 이끌기 위하여 높은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려는 비교적 안정된 욕구 라고 청의하였다. 이러한 McClelland 의 이론은 산업장면에 적용되어 직무 수행과 성취동기 수준 사이에는 정적 상관이 있다는 결론을 얻었£며 (McClelland & Atkinson, 1953), 또한 현장 및 실험실에서 이루어 진 연구에서 높은 성취통기를 지닌 자의 퍼포먼스가 높다는 가셜이 지지되 었다 (Cummin , 19 6 7 ; Handal,I9 7I ; Steers,I 9 73). 아울러 McClelland (1962) 는 성취상황에서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
성취 정위
과 낮은 사람들이 서로 다른 독특한 행동특성을 나타낸다고 전제하 고,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은 성취를 통해 얻게 되는 외적 보상보다 는 성 취 자체를 목적으로 추구하는 과제 지 향적 (task oriented) 경 향을 보이며, 중간 수준의 성공 확률을 지니는 모험적인 과제의 해 결에 흥미를 느껴 과제 난이도가 중간 수준인 과제를 선태하려는 경향이 있는 동시에 자신의 활동성취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믿고 행 동의 결과에 대해 더욱 책임진다고 주장하였다. 한현 Atkinson (1964 , 1966 , 1978) 은 성취행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성 격 심리학과 실험 심리학에서 얻은 다양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개 인이 지니고 있는 지배적이고 지속적인 동기 수준을 밝히고 동기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행동 양상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성취동기이 론을 확대시켰다. 여기에서 그는 다른 욕구 이론가들과 마찬가지로 개인의 욕구를 중시하면서 특히 외부환경 요인이 성취욕구와 상호 작용함£로써 개인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명백히 하였다. 즉, 개인성격에 따른 성취동기가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개인야 당연하고 있는 환경 혹은 상황요인(자아관여, 과제관여)도 역시 행 동을 촉진시키거나 제지하는 힘을 지닌다고 생각하였다. Atkinson 의 초 기 (I957-I9 68 ) 모 형 은 Edward (I954), Tolrnan (I938,1 9 5 I, 1955), Lewin (1944,I 9 51) 및 Rotter(1954) 등의 기대가 치이론 (expectancy-value theory) 에 기초를 둔 인지이론의 일종으
로서, 개인이 어떤 목표를 인지하고자 하는 최종척언 행동경향성을 밝히려면 개인이 지니고 있는 성공을 성취하려는 동기 (motive to achieve success : Ms) 의 강도와 실꽤를 회피하려는 동기 (motive to avoid failure : Mf ) 의 강도를 모두 고려 하여 야 한다고 주장하였 다. 이러한 관점에서 Atkinson(1964, 19 66 ) 은 성공을 성취하고자 하 는 행동경향성 (Ts) 과 실꽤를 회피하려는 행동경향성 (T C) 을 결정 짓는 세 요인, 즉 성취 장면에서 일반적£로 과거 학습을 통해 성 공하고자 하는 동기와 실패를 회피하려는 동기, 이전 경험에 따라 성공과 설꽤에 대한 주관적인 기대인 성공 기대치 (expectancy of success : Ps) 와 실패 기대치 (expectancy of failure: Pf), 성취라는 유인물이 지니고 있는 가치 (value of incentive : In) 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최종척으로 결정되는 성취행동 경향성 (the resultant ten-dency: Tr) 은 이 양자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고 하여 그 의 이론 모형을 제안하고 공식화하였다. Atkinson 은 성공을 성취하려는 경향과 실패를 회피하려는 요언 이외에 개인이 지니고 있는 위험 부담에 대한 선호 (risk prefer-ence) , 포부 수준 Oevel of aspiration), 성취와 관련된 과제의 압력 요인흐로 요구되는 청도 Oevel of task demands)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내척 동기 (intrinsic motivation) 이 외의 요인£로서 성 취 활동을 지원하고, 외적 동기 (extrinsic motivation , text) 를 포함해서 성공을 하고자 하는 전체 성취강도 (overall strength of the ten-dency: Tx) 가 형성된다는 공식을 제시하였다. Ts=MsxPsxls T-f=MfxP fx I f Tx=Ms+T-f= (Ms xPsxls) + (MfXP f xI f) 그러나 그 후 Atkinson은 성취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현재의 결 과뿐만 아니라 인간이 장래에 얻어지리라고 기대하는 성과에 대한 주판척언 예견이 통기과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표 5-.4 성취동기 구성개념 요인 셜명 부호명(약어) 성공 성취통기 성취과제에 창여하려는 개인의 기 M. 철척 동기 설꽤회피 동기 성취과제에 창여하는 것을 회피하 M, 거나 지연하려는 개인의 기절척 동기 성공기대치 수행이 성공척일 것이라는 개인의 PS 명가또는 판단 실패 기대치 수행이 실패일 것이라는 개인의 P, 명가또는 판단 성공의 유인가 성공척인 결과와 관련된 보상, 유 15 인 및 지각된 만족감 실패의 유인가 실패와 관계있는 지각펀 불만족, 1, 수치심 및 불쾌감. 성취지향 목표(토의) 성취지향적 과제에 참여하려는 기 Ta , 접근경향성 질, 성향 또는 . 경향성은 개인의 성격 (Ms), 성공확률 (P s ) 및 성공 유인가(I s) 와의 배수척인 함수 관계 를 갖는다. 성취지향목표 성취지향 과제(상황)에 참여하는 Ta , 회피경향성 것을 회피하거나 지연하려는 기 질, 성향 및 경향성, 이 경향성은 개언의 성격 (M, ), 설꽤 확률 (P ,) 및 실패 유인가(I,)와의 배수척인 함수관계를 갖는다. 성취행동 경향성 성취지향 과제에 접근하려는 경향 Tr 성과 회피하려는 경향성간의 차이
인간 행동의 미래 지향척인 측면, 즉 장래에 얻을 수 있으리라고 기대하는 목표들이 지니는 유인강도 (i ncentive stren 와 h) 를 포함시
켜 성취동기의 강도를 결정짓는 배경으로서 과거의 경험을 중시한 자신의 초기 모형을 수정하였다. 스포츠 상황에서 몇몇 연구를 제외한 성취동기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과제 선택이나 지속성 및 행동강도에 대한 동기의 관련성 을 예측하기 위해 가셜화된 성취동기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는데 (Atkinson & Feather, 1 966 ; Atkinson & Raynor, 1 974 ; Decharms, 1965 ; Raynor & Smith, 1966) 이러한 연구들이 가장 보면적으로 다룬 변인들을 보면 모험선택 (risk taking) 이나 수행 강도를 틀 수 있다 (Sarason et al, 1 960 ; Landers, 1973). 다른 상황에서와 마찬가지로 신체활동이나 스포츠 상황에서도 높 은 성취욕구를 가진 개인은 일반적으로 중간 정도의 난이도 과제를 선돼하며 (Ostrow, 1976 ; Robert, 1 972 , 1974 ; Streufert et al, 1 969), 낮은 성취욕구를 가진 사람은 모험 수준이 아주 낮거나 지나치게 모험척인 과제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aehr , 1974). 그러나 이러한 결과를 비판하는 연구자들은 낮은 성취욕구를 가 진 개인들이 모험 수준이 낮은 과제보다는 오히려 모험 수준이 높 은 과제를 선택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Robert , 1974, 1975). 이는 모 험 수준이 높은 과제에서의 실패는 모험 수준이 낮은 과제에서의 실패보다 그 발생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다는 가정을 근거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들은 성취동기가 낮 은 개인은 실패가 과제의 난이도에 의해 합리화되어질 수 있는 모 험 수준이 높은 과제를 선돼한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운동수행의 범주에서 성취동기가 높은 개인은 성취동기가 낮은 개인보다 일반적으로 더욱 좋은 수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Ostrow, 19 76 ; Roberts,1 9 72 ; Ryan, 1 965) , 이러한 결과가 단지 수 행의 초기 단계에서만 일어나는지 혹은 계속적으로 일어나는가에 대해서는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Carron , 1980 ; Healey et al, 1973) • 그러나 성취동기이론은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간의 수행 차이는 과제의 난이도가 안정척£로 지각되는 과제에서 얼마 간의 수행 후에는 점차 사라진다고 예측하고 있는데, 이 예언은 성
취통기가 높거나 낮은 개인 모두가 과제를 수행하고 난 후에는 성 공의 확률이 재할당된다는 가정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일반척으로 운동수행에 관한 연구에서 과제 난이도의 수준은 조 작되며 성공이나 설돼의 피드백이 제공되거나 암시된다. 따라서 성 취동기가 높은 개인은 성공의 확률이 50 % 수준일 혜 최적의 동기 유발이 예상되기 때문에 과제 난이도가 처음 생각보다 떨어지게 된 다. 이와 마찬가지로 성취동기가 낮은 개인 역시 과제 난이도가 그 들이 처음 생각했던 것보다 더욱 쉽게 지각되면 이들의 회피 동기 는 저하되고 수행은 증가하게 된다 (Roberts , 1972 ) . 이러한 맥락에 서 볼 때 얼마간의 수행 기간이 경과한 뒤 성취통기가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간의 수행차이가 사라진다는 가청은 타당한 것 같다. 한편, 과거 스포츠 상황에서 가장 두드러진 성취동기 연구의 주 요 형태는 성취욕구의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선수와 비선수를 구별 하 는 것 들 (Dunleavy et al, 1 979; Fodero, 1980 ; Lefebvre, 1979 ; Teevan & Yalof, 1980 ; Lisher, 1 975 ; W i1lis , 1968) 이 었으나, 이 런 연구의 대부분은 성취동기의 상황적 특수성에 대한 인식 부족과 부 적절한 측정 도구의 사용으로 말미암아 운동선수들의 성취동기 수 준이 비선수들의 그것과 구별되는지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만족스 러운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Kroll , 1970 ; Maehr, 1974; Martens, 1975 ; Mischel, 1 968 ; Sherif & Rattray, 1976 ; Stevenson, 1 975) . 결론적으로 초기 연구들은 선수와 비선수간의 성취동기 수준의 차이를 밝히는 데 실패한 반면 운동수행 장면에서 성취동기가 높은 개인의 과제수행과 모험선택의 변인에 대한 연구는 성취동기이론으 로부터 제시된 가설을 지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의 전부가 항상 지지되지 않는 것은 성취동기가 낮은 선수가 항상 중간 수준 의 모험 과제를 회피하려고 하며 낮은 퍼포먼스를 보인다고 예측할 수 없음을 시사해 준다 (Weiner , 1 972 ) • 따라서 스포츠 영역에서 MaClelland 와 Atkinson 의 성 취동기 이론을 적용한 연구들은 성취동 기의 결정적 변인으로서 성격에 너무 많은 비중을 두었다는 점 (Maehr, 1 974, 1979, 19 80 ) 과 문화 중심적 편파 (Duda , 1980 ; Ewing, 1981 ; Harris, 1978 ; Maehr,I 9 8 0), 그리고 특정 성취상황에서 성취
동기가 낮은 개언의 퍼포먼스 향상에 대한 명확한 해석을 내리지 못했다는 정 (Maehr, 1 974 ; Weiner, 197 2 ) 에서 많은 문제를 제기하 고 있다. 2 내적 동기이론 최근 심리학자틀은 특정 활동에 대한 개인의 내척 흥미(i nternal interest) 는 개언이 어떤 외척 목표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활동에 참여하도록 강요될 때 감소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스포츠는 단순한 인간 활동의 장이기 때문에 스포츠 활동 에서 내척 동기 (int rinsic motivation) 에 관한 연구들은 스포츠 심 리 학의 주된 판심의 영 역 이 되고 있다 (Halliwell , 198 2) . 내척 동기에 판한 연구는 인간 행동의 동기과정을 중요시하는 학 자들에 의해 내척 동기와 외적 동기를 구별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는 데, 학자들 사이에 견해차는 있으나 일반척으로 이 두 개념은 행동 상의 특정에 의하여 구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내적으로 통기화 된 행동은 보상보다도 활동 자체가 목적이 되며, 외척으로 동기화 된 행동은 보상의 획득이나 처벌의 회피와 같이 일정한 목척을 달 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인간은 외척 자극에 대하여 단순히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존재가 아니라 내적 과정을 통해서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내척 동기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내 적 동기를 중시하는 견해는 외척인 보상이나 제약으로 인간을 통기 화시키는 외척 동기에 대한 비판을 근거로 부각되었다. 내척 동기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내적 동기를 결정짓는 요인에 관한 여러 이론들이 제시되었다. Decharms (1968) 는 내척 동기를 결정짓거나 강화시키는 데 있어서 자신이 행동의 원인이라는 경험 이 가장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Deci (1975) 는 내적 동기에 대 한 인지적 평가이론 (cognitive evaluation theory) 에서 인간의 기 본 욕구를 자결성 (self-d e termination) 과 유능성 (competence) 의 욕 구라고 전제하고, 내척으로 통기화된 행동이란 자결성과 유능성의 욕구에 의해서 동기화된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또한, Deci (19 80 ) 는 내척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두 개의 하위과정으로 구분하였는데, 첫번째 과정은 내적 원인으로부터 외 척 원인으로 지각되는 인과성 소재 (perceived locus of causality) 의 변화를 통한 자결성의 감정 변화로서, 어떤 활동을 통하여 자신 이 유능하다고 지각하지 못하게 되면 그 활동에 대한 내척 동기는 저하된다고 하였다. 즉, 유능성에 대한 감청이 감소하면 내적 동기 는 저하된다는 것이다. 내적으로 동기화된 활동에 대해 외적인 보상이나 제약이 주어지 면 그 활동에 대한 내적 동기는 오히려 저하된다는 현상이 밝혀쳤 다. 이러한 현상을 Lepper 와 Green, 그리고 Nisbett(1973) 는 Bem ( 197 2 ) 의 자기지각이론 (self-perception theory) 을 적용하여, 원래 동기가 높았던 활동도 외부에서 주어지는 보상이나 제약이 뚜렷한 상황에서는 그 활동의 원인을 추론하는 과정에서 외적인 보상이나 내적 원인이 감소됨으로써 내척 동기가 저하된다는 것이다. 환언하 면 어떤 사람을 일정한 목표에 도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매우 흥미있는 활동에 참여시키면 그는 자신의 행위가 그 활동 자체에 대한 내적 흥미보다는 상황의 외적 연계성 (external contingency) 에 의해 동기화되었다고 추론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Staw(197 6 ) 도 외적 보상이 내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하는 포괄적인 모형을 제시하면서 자기지각이론의 예측 에 따라 내적 보상과 외적 보상이 모두 과정당화 (over-justifica tion) 되는 조건에서는 행동의 원인이 내적인 것에서부터 외적인 것 으로 이동하여 내척 동기가 저하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자기지각이론에 업각한 연구들 외에 많은 이론들이 내척 동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되었는데; Kruglanski (1975) 는 외척 보상에 대한 귀인이론적 분석에서 내 • 외 귀언(i nternal , vs. external attribution) 의 개념이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고 보고, 이에 대 치시 킬 내 생 적 • 외 생 적 귀 언 (endogenous vs. exogenous attribu- tion) 의 개념을 제안하였 A 며 Reiss 와 Sushinsky (1975, 1976) 는 Leper{I973) 등에 의해 주창된 과정당화이론에 대한 비판척 대안으 로서 반응경쟁가설 (competing response hypothesis) 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통해서 내적 동기의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변 인으로 밝혀진 것으로는 수행 수준에 따라 주어지는 보상 (And erson 등 1977 ), 단순히 참여하는 것에 대한 보상 (Bog giano & Ruble, 1979 ; Calder & Staw, 1975), 보 상 의 현 저 성 (ROSS,1 9 75) , 처 벌의 위 협 (Deci & Cascio, 1972 ), 감독 (Pittman 등 19 80 ) , 과제수행에서 타인에 의해 설정된 마감시간(Am abile , De Jong & Lepper, 1976), 외부로부터의 명가(Am abile , 1979) 및 경쟁상황 (Deci et al, 198 7)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변인들을 개관 해 보면 다양한 종류의 외척 보상이나 제약으로 인한 자결성의 상 실이 내적 동기가 저하되는 중요한 원인임을 알 수 있다. 지난 15 년간 스포츠의 주요 동기원언은 본질척으로 내적이라는 관점에서 내적 동기에 대한 연구들이 급중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내척 동기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이에 따 른 효과나 변화를 설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논의는 대부분 Deci(1975) 의 인지적 평가이론에 업각하여 이루어졌 다. Deci 는 내적으로 동기화된 행동이란 유능성을 느끼려는 개인의 선천적 욕구와 자신의 환경을 스스로 결정하는 자결성에 의해 동기 화되는 것이라 정의하고, 개인이 자신의 행위가 자기결정적이고 유 능한 것이라 지각하면 할수록 그의 내적 통기 수준은 높아지는 반 면, 타인에 의해 어떤 환경에 투입되거나 자신의 수행이 끊임없이 실돼하거나 부정적 피드백을 받는다 · 연 그의 내적 동기는 저하된다 고 주창하였다. 아울러 보상이든 의사소통이든 간에 모든 사태는 두 가지 기능적 측면언 통제적 측면 (controlling aspect) 과 정보적 측면(i nformation aspect) 을 갖는다고 가정하였다 (Deci & Ryan, 198 0) . 한 사태의 통제적 측면은 개인의 자결성에 대한 경험과 관련되는 데, 높은 통제성을 가진 사태는 개인으로 하여금 특정 방법으로 느 끼고 생각하고 행동하도록 강요한다. 이때 개인은 자결성의 정도가 낮다고 스스로 느끼며, 언과성 소재(l ocus of causality) 를 외적으 로 지각하고, 자신의 행동은 사태의 통제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추론할 것이다. 한편, 사태의 정보척 측면은 개인에게 효과척이고 관련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만약 이 정보가 긍정척일 때는 유 능성을 고조시켜 내척 동기를 증가시키는 반면 청보가 부정척일 때 는 무능함을 지각시켜 내척 동기를 저하시킨다. 이러한 관점에서 스포츠 심리학자들은 스포츠 장변에서 흔히 주 어지는 보상(트로피, 메달, 상금 등)이 내적 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먼저 보상의 통계적 측면을 다룬 연구들은 보상에 의 한 내적으로부터 외척으로의 지각된 인과성 변화를 논의하였다. 예 를 들면 Ortick 과 Mosher(197 8 ) 는 운동활동에 참여할 때 내적 동 기에 대한 보상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에서 보상의 통제적 측면이 현저하거나 강할 때 스포츠 참여에 대한 내적 동기가 저하됨을 증 명하였요며, 이 연구는 흥미있는 활동에 대한 어린이들의 동기는 외척 보상의 도업에 의해 저하된다는 연구들 (Halliwell , 1978 ; Thomas & Tennant, 197 8 ) 에 의해 지지되었다. 또한 Ryan(1977, 19 81 ) 은 이러한 가정을 대학 스포츠 상황에서, 남녀 대학 운동선수 들의 내적 동기에 대한 운동 장학금의 영향을 검증하였는바, 선수 생활을 함으로써 돈을 받는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선수들에 비해 자신들의 스포츠에 대한 내척 동기가 낮으며, 통일한 상황에서의
트로피 메달\ 상금
성차 (sex difference) 에 대한 추후 연구에서 여자선수들은 장학금이 그들의 스포츠에 대한 내척 동기를 저하시키지 않는 반면, 남자선 수들은 선수 생활에 따른 창학금에 대한 반웅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Ryan , 1981) . 내척 동기의 감소에 대한 통제의 효과를 검증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는데, 이러한 연구들의 한 유형은 외척 통제가 개인을 특 정 결과에 집중하도록 강요함에 따라 자신의 자결성이 적게 작용했 다고 느껴 과제에 대한 내척 동기가 저하된다는 것을 규명하기 위 한 자기존중이나 자아관여 (ego-involvement) 에 관련된 연구들 (Ryan et al,1 9 82; Deci & Ryan , 19 8o ) 을 들 수 있으며, 또 다른 유 형은 개인의 자결성에 대한 느낌이나 지각이 고조되는 경우, 개인 의 지각된 내·외 통제성은 더욱 내척드로 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 한 연구도 있다. 이 유형의 연구들은 활동의 선돼이나 지각된 자유 혹은 자결성은 보상이 존재하지 않을 때 스포츠 활동의 내적 동기 수준, 특히 지속성에 기초가 된다는 관점을 중요하게 다루었다 . 또 한 실제 스포츠 장변에서 인과성 소재의 중요성을 강조한 연구가 최근에 Brawley 와 Vallerand (19 8 4) 에 의하여 이루어졌는데, 이 연 구에서 비록 모든 형태의 신체 활동이 내적으로 동기화된다고 하더 라도 어떤 경우는 I 차적으로 외척 이유로도 신체 활동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람들은 활동 자체에는 관심이 없고 외적 목 표에만 관심을 두기 때문에 외적 목표의 중요성이 없어지거나 성취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과제 자체에 대한 내적 통기는 사라진다 는 것이다. 3 귀인이론 귀인 (attribution) 에 관한 이론은 Heider 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귀 언은 수행의 원인에 대한 지각 또는 추론을 의미한다. 많은 경우에 인간은 자신의 행동이나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에 있어 그 원안을 추론하며 그것을 기초로 하여 자기 자신이나 타인의 내적 상태나 행동 자체를 형가하려는 것이 일반척인 추세라고 할 수 있다. 이러 한 현상은 행동에 대한 반웅을 결정히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개인의 행동은 행위자의 의도, 능력, 노력과 같은 〈행위자 측의 사건〉과 파제의 난이도, 분위기와 같은 〈환경의 사건〉이 서로 관계되어 이루어진다. 귀언이론 (attribution theory) 은 Heider(1944} 의 현상적 인과성 (phenomenal causality) 에 의 하여 도출되 었으며 상식척 행동분석 (naive analysis of action) 에서 행동의 결정 요언으로 비개인적 (i mpersona l)인, 즉 환경적인 외적 요인과 개인척인 내적 요인이 제시되었다 (Heider , 1958 ). 따라서 행동의 원언을 내적 요인으로 지각하느냐 외적 요인으로 지각하는냐 하는 것은 그 행동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미래 행동에 대한 예측이나 그 행동의 행위자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이러한 주장은 Jones 와 Davis(1965}, KelleY(1967, 1972 } 등에 의하여 실험적으로 체계화되 었으며, 그 후 사회심리학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귀인이론을 연구한 학자들이 갖고 있는 공통적인 생각은 일반적 으로 일상생활에서 마주치는 사건이나 타인의 행동에 대한 인과적 흥미를 가지며 이러한 인과귀언이 인간 행동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Heider(195 8 } 의 〈 상식적 행동분석〉모렐에 의하면 인과성은 객관적 인 증거에 의해서만 아니라 주관적인 욕구와 소망에 의해서도 영향 을 받는다. 즉, 인간은 성공과 같은 정적언 효과는 내적인 요인에 귀인시키는 반면, 실패와 같은 부적인 효과는 외적인 요언에 귀언 시켜 책임을 회피하고 잘못을 전가시킴으로써 자존심을 보호하려고 한다. 또한 이러한 귀인 과정은 성취욕구, 습관, 적정 수준의 각성 과 같은 복잡한 구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노력이나 능력, 과제의 난이도, 운과 같은 단순한 개념체계를 사용, 해석하 고 있다. 그러나 Weine r( 1 97 2 ) 는 성취 상황에서의 성공과 실꽤에 대한 귀 인 과정과 성취통기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성취동기의 개인차를 귀언이라는 인지적 개념을 통해 설명한 성취동기 귀언이론 (attribution theory of acheivement motivation) 을 제시하였다. 이 이론에 의하면 현재의 성취 결과에 대한 귀인은 장차의 성취에 대
언과성 차원
한 개인의 기대와 아울러 성공이나 실패에 따른 개인의 감정에 영 향을 미첨으로써 행동의 강도나 지속성에 다시 영향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Weiner 등( 197 1 ) 은 Heider 의 〈상식적인 행동분 석〉모탤과 Rotter (1966) 의 통제소재 (loc us of contro I)모탤을 기초로 수행결과의 귀언에 대한 이차원적 분류체계(그렴 5- 1 3) 를제시하였다. 이 모렐에 따르면 성취와 관련된 상황에서 성공이나 실패는 일차 적£로 능력, 노력, 운, 과제의 난이도의 네 가지 인과요인들에 귀 인된다. 이러한 인과요인들은 크게 두 차원으로 묶여지는데, 그 하 나는 내 • 외 인과성 차원이며 다른 하냐는 안정성 차원이다. 이러 한 인과 요인들 중에서 능력과 노력은 비교척 개인적인 특성인 반 면 운과 과제의 난이도는 환경적 혹은 외적 특성인 것으로 보았다. 또한 능력과 과제의 난이도는 비교적 안정적이며 시간이 경과하더 라도 불변적인 반면 노력과 운의 정도는 매우 불안정적이고 가변적 인 것이다. Weiner 에 따르면 내 • 외 인과성 차원은 수행결과(성공이나 실 패)와 관련된 효과를 결정하며, 안정성 차원은 미래 수행에 대한 기대를 결정한다. 특히, 노력이나 능력에 관련된 성공은 자신감을
증대시키는 반면 미래 수행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기대를 야기시킨 다. 즉, 능력과 관련된 성공은 능력이 안정척 차원이기 때문에 미 래의 유사한 수행에 대한 기대를 가지게 되나, 노력과 연관된 성공 은 노력이 불안정적 요인이기 때문에 미래 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아울러 운과 과제의 난이도와 관련된 수행은 외적 요인이기 때문에 개인의 자신감을 감소시킨다. 또한 안정적 차원의 영향에 의해 미래 수행에 대한 상이한 효과를 나타 냉으로써 안정적 요인인 과제의 난이도는 미래에 유사한 수행이 기 대되는 반면, 운은 불안정적 요인이므로 미래에 유사한 수행을 기 대할 수 없다고 볼 수 있다. 이와 유사한 과정은 실패의 경우에도 적용되는데, 노력과 능력에 관련된 실패는 수치심을 자극시킨다. 또한 능력과 같은 안정적 차 원과 실패와의 연관은 미래에 유사한 실패의 기대를 야기시키는 반 면, 노력과 같은 불안정적 귀인과의 연관은 미래에 더 훌륭한 수행 의 기대를 유발시킬 수도 있다. 운과 과제의 난이도와 관련된 실패 는 수치심을 감소시키는데, 과제의 난이도와 같은 안정적 귀인과 관련된 실패는 미래에 유사한 실패를 기대하게 되며, 운과 같은 불 안정적 귀인과 연관된 실패는 운에 대한 변화의 기대를 야기시킴과 동시에 미래에 상이한 수행을 유도한다. 한편 Rosenbaum (197 2 ) 은 귀언 요인에 대한 Weiner 의 이원적 분 류체계를 비판하면서 우리가 타인을 〈게으른 사람이다〉 흑은 〈부지 런한 사람이다〉라고 형가할 수 있는 것은 노력 요인이 안정성 차원 에 속송}는 것£로 볼 수 있다고 가정하고, Weiner 의 。 l 원적 분류 체계에다 행동의 원인이 의도적인가 아니면 비의도적인가를 규명하 는 의도성 차원 (dimension of intentionality) 을 첨가시격 3 차원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성공과 실패에 대한 귀인 요인을 다룬 대부분 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Weiner 의 네 가지 요인 A로 귀언되는 것으 로 간주하고 있다. 신체 활동 및 스포츠 장면에서 귀인 연구에 가장 비중을 두고 다 루어진 상황은 성공과 실패 혹은 숭리와 패배의 문제들이다. 이러 한 연구들은 스포츠 창면에서 개인이 자신의 성공이나 실꽤에 대한
원언을 어떻게 귀언시키며 또한 타인의 성공이나 실패를 어떻게 귀 언시키는지를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스포츠 창면에서 이루어진 귀인에 관한 연구는 전형척으로 숭리 나 꽤배 혹은 성공이나 실꽤를 실험척으로 조작하거나 실제 장변에 서 일어난 것£로 하여 혹은 피험자들에게 자신의 결과를 상상하도 록 한 다음 연구자가 제공한 명정척도를 통해 그 결과의 원언을 진 술하도록 요구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들은 크게 인과 귀인의 결정 요인으로서 과거 경험에 대 한 연구와 수행 결과에 대한 자아중심 척 ( egocentricism) 관점 에 관한 연구 그리고 지각된 인과성에 따른 자부심과 수치섬에 관한 연구 등 세 가지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먼저 과거 경험, 즉 과거의 성공과 실패의 역사를 인과 귀인의 중요한 결정 인자로 들 수 있다. Freize 와 Weiner (19 81 ) 는 과거의 상이한 성공과 실왜의 양에 따른 인과 귀인에 관한 연구에서 현재 의 결과와 사전 수행간의 불일치가 크면 클수록 불안정적 요인에 더욱 귀언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즉, 그들은 과거에 항상 성공 을 경험한 후의 실패나 과거에 향상 실패한 후의 성공은 운이나 노 력과 같은 불안정적 요인에 강하게 귀언되며, 성공 경험의 역사에 따른 성공이나 실패 역사에 따른 실패와 같이 현재의 결과의 선행 경험 사이에 일관성이 있을 경우에는 능력이나 과제의 난이도 같은 안청적 요인에 귀인된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스포츠 장면에서 고등 학교 농구선수들의 귀언을 검증한 Spink (1977 , 197 8 ) 의 연구와 리툴 리그 야구선수틀을 대상으로 한 Roberts(1975) 등의 연구에서 지지 되었다. Miller(197 6 ) 와 Zuckerman (1979) 은 과거 경험이 개인에게 행동 의 결과를 이해하거나 셜명하기 위한 준거체계를 제공해 준다고 하 더라도 개인의 성공이나 설때에 대한 언과척 귀인은 향상 논리척인 정보처리 방법으로 이루어지지는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 장에 의하면 개인은 성취 상황에서 언과성을 귀언할 때 성공적 결 과는 개언척이고 내척언 요인에 귀언시키는 반면, 설꽤적 결과는 환경척이고 외척인 요인에 귀인시컴£로써 자기고양적 (self-e 떠 lanc-
ing) 혹은 자기방어척 (self-defensive) 귀 인 방법을 사용한다는 것 이다. 사랑들은 자기성상 (self~mage) 이 가장 긍정척으로 될 수 있 는 요인들에도 성공과 설때를 귀인시키려는 경향이 었다. 따라서 이러한 귀인적 자기편파 (self-bias) 모형은 자기 존중을 고양시키거 나 유지하려는 욕구로서 자아중심척 지향통기의 존재를 강조하고 있다 (Heider , 1958 ; Kelley,I 96 7). 최근 Weine r( I 9 8I ) 와 Haπe r( I 9 8I ) 는 감정이 행위와 귀언 사이 의 가장 중요한 조정자라고 주장하고 성공이나 실패에 대한 귀언이 형성될 때 내척(노력, 능력)인 귀언은 외척(운, 과제의 난야도)언 귀언보다 감정적 반응에 훨씬 더 많은 영향을 미치며, 아울러 내척 차원에서는 지각된 능력보다는 지각된 노력이 더욱 감정과 연계된 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가정과 연구 결과는 강한 자 부심이 노력에 귀인된 성공척 결과와 연계될 때 나타나며, 강한 수 치심은 실패와 노력 부족에 귀인될 때 나타난다는 Weiner 와 Kukla (197 0 ) 의 실험연구에서 도출되었고, 이것은 스포츠 장면에서 멈 성 과와 연관된 감정을 다룬 Is o- .따 101a(I97 6 ) 의 연구와 어린이의 성공 과 실패에 대한 귀인과 감정(즐거움, 만족)간의 관계를 검증한
귀인과정
Nicholls(I975 , I97 6 ) 의 연구에서도 지지되었다. 5-2- 4 동기유발의 최적수준 일반척으로 통기유발의 청도를 높험에 따라 학습의 효윷이 높아 지고 퍼포먼스도 향상된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동기유발의 수 준이 어느 정도 이상A 로 높아지면 학습 효율이나 퍼포먼스가 저하 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즉, 동기유발의 최척수준은 중청도의 동 기유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관계를 그럽으로 나타내연 U 자를 거꾸로 한 곡선이 얻어지므로 역U 자가설이라고 불린다. Hebb(I9 66 ) 은 이 역 U 자 곡션을 감각자극이 갖는 각성기능과 단 서기능에 의해 생리심리학적으로 설명하였다. 각성 (arousa I)은 깊 은 수연으로부터 흥분에 이르기까지 뇌의 일깨움(흥분성)의 수준을 말하는 것이다. 단서기능( cu e- function) 이란 개체가 받아들이는 감 각자극이 행동의 수행에 어느 정도 유효하게 활용되는가 하는 측 면, 즉 자극의 정보척 기능을 의미한다. 각성의 수준이 낮으면 피 질에서의 정보 전달은 충분히 전해지지 않고 반대로 높으면 너무 지나쳐 매우 많은 자극에 반응하여 혼란을 일으키게 된다. 피질의 기능은 중정도의 각성 수준에서 가장 잘 발휘되기 때문에 최대의 퍼포먼스가 얻어진다고 셜명한다.
최대
1 과제의 성질과 동기유발 수준 통기유발의 최척수준은 과제의 성질에 따라 변화한다. 이 점에 있어서는 Yerkes-Dodson 의 법칙이 성렵된다. 즉, 과제가 단순하고 용이할수록 통기유발의 수준이 높은 데 있고, 복잡하고 곤란할수록 낮아진다. 스포츠 상황에서는 커다란 험이나 스피드, 지구력이 요 구되는 운동일수록 비교적 높은 동기유발이 좋은 성적을 초래하고, 날카로운 지각적 판단이나 섬세한 운동의 조절, 정확성이 요구되는 운동은 보다 낮은 동기유발의 수준으로 최대의 성척을 올릴 수 있 다고 본다. 예를 들어, 농구의 2빠 투, 궁도, 사격 골프의 퍼트, 야구의 피칭, 볼링 등은 비교적 낮은 동기유발로 가장 좋은 성척을 기대할 수 있는 종목이며, 역도, 단 • 중 • 장거리 달리기, 수영 혹 은 운동능력 검사 종목에 포함되는 악력, 배근력, 제자리 넓이뛰기 등은 높은 동기유발의 수준에 의하여 좋은 성척을 기대할 수 있는 종목이다. 또한 동기유발의 최적수준은 학습의 정도(과제에 대한 숙련도)에
、\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학습의 횟수가 많아지고 숙련되며 과영학 습이 이루어짐에 따라 최대의 퍼포먼스를 얻을 수 있는 범위는 점 차로 넓어져 간다. 2 성격과동기유발수준 평소 연습 때는 찰하는데 교사가 앞에서 이제부터 테스트를 한다 고 하면 갑자기 잘 안되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테스트의 경우나 많은 사랑이 보고 있는 콧에 냐오면 힘을 내서 평소보다 찰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현상은 운동선수에게도 혼히 볼 수 있다. 큰 시합에서 관중이나 웅원의 규모가 커칠수록 최대의 퍼포먼스를 발 휘하는 선수도 있지만 그 반대의 선수도 었다. 이와 같이 동기유발의 수준에는 개인차가 있어 외현척, 객관적으 로 아주 같은 장변에서도 상이한 퍼포먼스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관계는 그립 5- 1 7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는데 곡선 (A) 는 최적의 동기 유발 수준이 비교척 낮은 데 있는 개인, (B) 는 보다 높은 동기유발 의 수준으로 최대의 퍼포먼스를 발휘하는 개인을 나타내고 있다. 동기유발의 수준으로 (a) 는 명소의 연습,
a b
발이 낮아 퍼포먼스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나 큰 시합 (b) 에서는 동기유발이 높아 최고의 퍼포먼스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갇이 동기유발에 있어서의 개인차와 관련을 갖는 성격 요언 으로는 불안 경향, 청서성, 신경척 경향, 향성 등이 있다. 5-2- 5 동기 유발의 방법 동기가 없£연 행동이 유발되는 일은 없다고 보아도 좋은 것이 다. 그렇지만 동기가 있다고 해서 당장에 행동이 일어나는 것은 아 니다. 그런 까닭에 효율척인 학습과 퍼포먼스를 위해서는 동기를 이해하는 일뿐만 아니라 어떻게 하여 동기를 불러일으키는가 하는 동기유발의 방법이 중요한 관심사가 될 수 있다. 1 목표설정의 명확화 목표는 활동의 방향과 도달점을 결정하는 것이므로 그 설정의 방 식은 행동에 큰 영향을 준다. 목표는 세계적언 선수가 되겠다는 멀 고도 먼 최종적인 목표로부터 오늘은 적어도 10m 를 헤엄치겠다는 활동과 직접 결부된 일시적언 목표에 이르기까지 여러 단계가 있 다. 전자는 이상목표, 후자는 현실목표라고 하며 그 중간에 위치하 는 목표는 중간목표라 불린다. 이상목표에 있어서는 목표에 도달하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며 가치가 있는 것인가 하는 것과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이 어느 정도 있는가가 동기유발의 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극복해야 할 단계적인 중간목표를 제시하여 노력하면 이상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실목표는 명확하고 구체척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 서는 몇 회라든가 몇 m 혹은 몇 초 따위와 같이 양적으혹 측정 가 능한 형태로 주어지면 좋다. 2 결과의 지식을 활용 동작이나 성척에 대한 결과의 지식 (knowledge of result : KR) 을
제공하는 것은 동기유발을 위한 매우 유력한 수단이다. 특히 동작 의 결과가 목표와의 차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는 반웅의 정확성에 대한 결과의 지식을 주는 것이 결청적으로 중요하 게 된다. 예를 들면 농구의 자유투의 경우에 행위자 자신이 움직염 의 결과와 목표와의 차이를 알고 다음 행동을 수정하는 것이 가능 하다. 그러나 체조나 스키 풍의 종목에서, 특히 초심자의 경우 목 표가 되는 동작과 자기 자신의 동작이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가를 스스로 알기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어지는 결과의 지 식은 통기유발 및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3 성공과 실패의 경험을 부여 성공이나 실왜의 경험은 동기유발을 높이기도 하고 저하시키도 한다. 일반척으로 과제가 너무 쉽거나 또는 아주 어려운 경우에는 성공 혹은 실패의 의식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성공과 실패의 의식 은 반드시 일정한 성적 수준이나 외부로부터 주어진 목표와 직접 결부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자신의 예상, 즉 이 정도는 가능할 것 이다라든지 이 청도의 성척은 올리고 싶다고 하는 목표와 깊은 관 련을 갖는다. 이러한 자신의 성척에 대한 개인적인 목표, 기대의 정도를 포부 수준 (lev el of aspiration) 이 라고 하는데 , 어 떤 성 적 이 성공£로 느껴지는지 실패로 느껴지는지는 요구 수준이 달성되었느 냐 되지 못하였느냐에 따라 상대적으로 결정된다. 성공은 요구 수준을 향상시켜 활동의 강도를 높이고 보다 어려운 과제로 향하게 하는 데 비하여, 실패는 일반적으로 그 반대 방향으 로 작용한다. 그러나 성공이 향상 동기 부여를 높이고 실패가 동기 부여를 저하시키는 것은 아니며, 양자의 작용은 아주 복잡하다. 따 라서 지나치게 높은 요구 수준을 갖게 해서 너무 많은 실돼의 경험 을 갖도록 하는 것은 좋지 않£며 개인의 능력에 맞는 과제를 가지 고 척당한 성공의 경험을 가지게 하는 것이 좋다. 4 상벌의 활용 칭찬과 질책, 포상과 벌 등은 통기유발을 위한 가장 i 명범한 방법
z。 칭찬그룹 ///
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을 적절하게 사용하면 동기 부여 를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기유발의 방법으로는 별보다는 상 이 유효하다고 한다. 그 이유의 하나는 벌은 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가르치지만 상은 그 행동을 계속하도록 하는 정보를 주기 때문이라 고 생각된다. 질책이나 벌을 주는 경우 때때로 감정적으로 되기 쉽다. 그 때문 에 강한 불안이나 긴장을 야기시킴으로써 퍼포먼스를 저하시키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이나 벌 어느 한쪽을 계속해서 주변 동기 부 여는 저하된다. 지나치게 엄격한 것이냐 지나치게 자유스러운 것도 동기부여의 좋은 방법이라고 볼 수 없다. 5 사회적 동기의 활용 경쟁이나 협동 동의 사회척 동기를 이용한 동기유발의 방법도 흔 히 사용된다. 경쟁 (competition) 은 개인간의 경쟁, 집단간의 경쟁, 자기나 기록간의 경쟁의 형식이 취해지는데, 가창 강하게 동기유발 이 되는 것은 개인 대 개인의 경쟁이다. 그러나 경쟁은 스피드나 근력, 그리고 지구력 등의 발휘를 조장하지만 정확성 등 작업의 질 을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다. 경쟁은 또한 배타적인 의식을 조장하
거나 이기는 것만을 최대의 목표로 삼거나 패자에게 열둥감을 갖도 록 하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협동 (cooperation) 은 집단의 생산성을 질과 양척 A 로 모두 향상 시킬 뿐 아니라 대인관계의 중대, 성원간의 만족감 향상 퉁 뛰어난 효과가 있음이 밝혀져 있다. 경쟁과 협동 외에도 관중과 그 웅원 둥이 동기 부여를 높인다. 또한 앞에서 언급한 상벌이나 성공과 실패 등도 사회적 동기와 밀 접한 관련이 있다. 6 내인적 동기의 활용 활동 자체에 강한 흥미나 매력을 갖게 함으로써 동기유발을 시키 는 상태를 내발적 동기유발이라고 하며 그 이외의 유인, 즉 칭찬이 나 보수 등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된 상태를 외발적 동기유발이라 한다. 지도자는 행위자의 내인적 동기를 손상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동시에 활동 자체의 흥미와 즐거움을 가르침으로 써 내인척 동기를 높이도록 해야 한다. 5-3 운동수행과 경쟁불안 5-3- 1 불안의 개념 인간의 생활에서 지식이나 감각 등 그 어느 것보다도 중요한 위치 를 점하고 있는 것이 정서라 할 수 있다. 언간은 어떠한 자극 사태 에 대하여 논리적으로 판단하고 언식하기에 앞서 쾌·불쾌와 같은 느낌을 가지게 된다. 스포츠를 하는 도중에 위기에 부딪치면 그 사 태를 지각하고 판단하기 전에 대상이 확실하지 않은 불안의 감청부 터 가지게 되는 것이다. 경기 장면에서 선수로 하여금 자신이 지니고 있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게 하는 여러가지 심리척인 요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냐는 과도한 경쟁불안이다. 스포츠 상황은 다른 활통 형
태와는 달리 그것을 수행함에 있어 계속척인 신체척 청신척 부담이 나 다양한 대언행동의 자극 및 미세한 환경척 자극을 받게 된다. 선수들의 심리척 부담을 나타내는 용어로서 불안 (anxiety) , 공포 (fear) , 각성 (arousal) , 스트레스 (stress) 등이 있는데, 이러한 현 상이 과도하게 나타나면 어떠한 형태로든 경기수행을 방해하게 된 다. 선수들이 주어진 시간에 특정한 장소에서 최고수준의 경기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경쟁불안을 적정 수준으로 감소시켜 정 서적으로 안정감을 갖게 하고 자신감을 가지고 경기에 임하도록 하 는 것이 중요하다. 불안이란 개념은 여러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불안은 공포의 일종 이지만 그 대상이 확실하지 않은 정서이다. 즉, 막연한 공포가 불 안이다. 그러므로 불안은 공포보다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었다. 설 존주의자들은 자기의 정체를 확정하지 못한 상태가 불안 정서상태 라고 하며, 그외에도 도덕척 행위에 대한 걱정, 실패를 두려워효}는 것을 불안이라고 정의하기도 한다. 불안이란 일반적으로 자기보존을 위한 생리학적 반응 혹은 억압 된 내적 욕구가 의식의 세계로 표출되는 경우에 나타나는 반응으로 외적 위협을 피할 수 없을 때, 직접척언 외적 위협이 존재하지는 않지만 공포가 만성화 되었을 때, 신경시스댐 자체 내의 어떤 혼란 으로 공포가 발생하였을 때 나타나는 심리적 동요라고 볼 수 있다. 경쟁불안이란 문자 그대로 경쟁 상황, 즉 경기 상황에서 선수가 느 끼는 불안을 말한다. 불안은 크게 특성불안 (trait anxiety) 과 상태불안 (state anxiety) 으로 나눈다.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의 개념적 차이는 195 。년대에 밝 혀졌지만 두 가지의 불안상태를 명확히 구분한 것은 19 66 년 Spielberger 에 의해서였다. 상태불안은 긴장과 우려에 의하여 발생 하는 직접적인 정서상태를 말한다. 특성불안을 위협과 같은 어떠한 상황을 지각하거나 다양한 수준의 상태불안으로 어떠한 상황에 반 웅하는 경향이다. Spielberge r( 1 9 66 ) 는 상태불안을 자율신경계의 활 성화 혹은 각성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긴장과 우려 등을 의식적 ξ 로 지각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특성불안은 객판척으로 전혀 위
험하지 않은 환경을 위협척인 것으로 지각하도록 개인을 경향지우 는 동기이거나 후천척 행동경향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특성불안 수 준이 높은 사람은 더 많은 상황을 위험한 것£로 지각하거나 위협 척인 상황에 더 높은 수준의 상태불안을 보이게 되며, 또한 두 가 지 경향을 다 나타낼 수도 있다. 즉,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의 관계 는 운동 에너지와 잠재 에너지의 관계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상태 불안은 어느 청도의 자극에 즉시 반응하는 것으로 운동 에너지와 유사하며, 특성불안은 적당한 자극이 주어지면 반웅을 일으킬 잠재 적 경향으로 잠재척 에너지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불안은 일반적이고 불분명하며 널리 미치는 반면에, 공포는 구체 적이고 명확한 자극에 의하여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즉, 공포는 그 원인을 확인할 수 있는 실제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두려운 사람의 주의는 환경척인 사건이나 있을 수 있는 유해한 사 건에 집중하며 이러한 유해공포보다 훨씬 복잡하다. 이것은 일련의 인지척 단계의 결과로서 자신을 둘러싼 위협을 유기체가 어떻게 형 가하느냐 하는 것이 중요하며 대개 산만한 정서적 반응, 불확실한 감정 그리고 무력함으로 특정지울 수 있다 (Spielberger & Sarason, 1975) . 스트레스란 압박, 압력 등을 의미하는데, 상황의 객관적인 자극, 즉 불안 상태 또는 상황을 가르키는 것으로서 어느 정도의 육체적, 심리적 위험성을 띤 껴관적 상황의 자극이다 (Lazarus , 1966). Cofer 와 Appley 는 스트레스란 유기체가 받아들언 어떠한 감정상태를 말 하며 그것의 내용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들고 있다 (Cratty , I973) . ·대개 동기유발된 상태보다 극단적인 경향을 보인다. ·어떠한 위협이 개인에 의하여 지각된 결과이다. ·개인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이다. ·개인은 그 상황을 정상적인 방법으로 대처해 나갈 수 없다. 과거에는 스트레스를 과제수행의 저해 요인으로 간주하였으나 후 에 이것은 환경과 퍼포먼스를 연결시켜 주는 개재단계 (intervening
stage) 로서 정의되었다. 스트레스는 주어진 상황에서 각 개인에 따 라 각기 다른 반웅형태로 나타나므로 이것의 측정과 정의는 궁극적 으로 동기유발, 욕구, 공포 퉁과 같은 개재변수 Ontervening variable) 와 더불어 내려져야 하기 때문이다. 스트레스는 사건과 퍼 포먼스 사이에 존재하면서 퍼포먼스에 영향을 미치는 연결로의 역 할을 하고 있다 (Cratty, 1973) 고 볼 수 있다. 한편, 인간은 수면, 침착, 안정, 불안, 주의집중과 같은 연속적 인 상황에서 살게 되는데, 이러한 정서상태와 신체운동 사이에 흥 분 수준을 각성 (arousa I)이라는 말로 표현한다. 각성이라는 개념은 상태불안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각성은 행동의 강도 측면에 관한 것이다. 즉, 깊은 잠에서부터 격렬한 흥분상태에 이르기까지 유기체의 다양한 상태를 나타낸다. 각성과는 달리 상태불얀은 강도 와 방향의 두 가지 측면을 묘사하는 데 사용된다. 상태불안의 방향 은 부정적으로 운동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높은 수준의 상태불안은 불쾌한 것이다. 상태불안이 행동의 강도와 방향 모두를 나타내는 반면에 각성은 단지 행동의 강도에 관한 측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상태불안은 위험의 개념에 의하여 이루어진 각성상태 라고할수있다. 5-3-2 불안의 원인과 결과 경쟁불안은 일반적으로 스포츠 상황에서 발생하는 경쟁이라는 요 소에 의하여 발생하게 되는데, 개언의 내적 요인에 따라 외부의 자 극을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 결정된다(그렴 5- 1 9 참조) . 객관적 경쟁상황이란 개인에 미치는 환경적 요구로서 과제의 성질, 상대방 과 관련된 자기능력, 타인의 참여 등이 여기에 속한다. 주관적 경 쟁상황은 개인의 성격 기질에 의해 객관적 경쟁상황이 어떻게 지각 되느냐에 따라 불안 수준이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경쟁자극과 반응간의 중요 매체로서 개인의 주관적 인식이 그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 경쟁불안의 낮고 높은 정도가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객관척 경쟁 --• 주관척 경쟁 ~ (개반인 의 응심리
또한 Ellis(I962 ) 그의 언지적 매개모형 (cognitive mediation mode I)에서 선수들에게 불안을 야기시키는 비합리적인 믿음을 다음 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자신이 가치있는 결과를 얻어야만 하고 능력을 업증받아야 한다 는믿음 ·유의미한 타자, 즉 부모, 가족, 친구로부터의 기대에 부응할 만 한 청도가 되어야 한다는 믿음 ·사람들이 좋아하지 않는 경기 방법을 피해야 , 한다는 믿음 ·자신의 불안은 완전히 외부척인 것이므로 자신이 그것을 통제할 수 없다는 믿음. ·어떤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 때, 그것이 꼭 얼어나고야 말것이라는 믿음 이와 같은 비합리척인 믿음들은 정신척인 측면에 부담을 줄 뿐 아니라 숨을 가쁘게 하거나 근육을 긴장시키는 등 신체적인 반응을 중가시키기도 한다. 과도한 각성이 나타나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 은 전형척언 징후들이 나타나게 된다 (Loehr , 1982) . ·근육이 굳어진다.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불규칙척이며 얄은 호홉을 하고 감정이 고
조된다. ·주의집중이 잘 안된다. ·모든 것이 실제보다 빨리 진행되는 것 같다. ·명확하고 정확하게 생각할 수 없다. ·주의집중이 한 군데로 집착된다(예 : 심판의 불리한 판정, 상대 방의 인신공격, 소음등), ·불안이나 콩포감이 높다. ·쉽게 피곤해진다. ·부정적요로 생각하게 되고 자기 비판적이 된다. ·감정 조절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되면 장비의 남용, 자기의 남용, 신체척 으로 상대방을 해치려는 욕망, 과대망상, 경기를 포기하고 싶은 충 동 등의 심리적 부작용이 나타나 결과적으로 경기력을 현저하게 저 하시키게 된다. 5-3-3 경쟁불안과 운동수행의 관계 불안수준과 운동수행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은 운동선수나 코치 그리고 스포츠 과학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 러한 주제에 대하여 그동안 많은 기초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스포츠 창면에 이용하기 위한 웅용 연구들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많 은 기초 연구들은 상태불안과 운동수행 또는 특성불안과 운동수행 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각성 수준이 중가함에 따라 운동수행이 높아진다는 추동이론 (drive theory) 과 각성 수준이 높아점에 따라 운동수행의 효융이 어 느 정도까지는 충가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진 각성상태에 서는 운동수행을 저해한다는 척정수준이론 (optimal level the 아 y) 은 이 분야의 연구를 이끌어 왔다. 불안 혹은 각성수준이 어떻게 운동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이론들을 살펴보 아야 한다.
1 추동이론 (drive theory) 추동이론은 1943 년 Hu l1에 의하여 발표되었다가 Spance(195 6 ) 에 의하여 수정된 이론으로 개인의 운통수행은 각성 수준이 중가됨에 따라 비례척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본다. 이 이론의 주된 내용은 행 동의 원리로서 행동의 기본 요소를 파블로프의 반사와 유사한 자극 -반응의 결합 (S-R bond) 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이 이론의 기본 골 격은 이른바 습관강도 (habit strength) 의 개념으로, 이것은 자극상 태와 반응을 연결하는 연합의 강도인 것이다. 그러나 만일 동물이 배고픔과 갈증을 느끼지 않는다면 비록 그 반응을 잘 학습했을지라 도 음식을 얻기 위하여 노력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단지 습관강 도 하나만으혹 행동을 예측할 수는 없다. 추통 (drive) 을 고려해야 만 한다. H 버 1 은 욕구를 D'( *D의 측정단위는 mote) 로 표시했다. 그는 통 물의 생리적 욕구가 중가할수록 D 가 층가하기 때문에 동물에게서 음식, 물, 성욕 등의 것을 결핍시키는 혐오척 자극을 가함으로써 D 를 조작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욕구가 행동에서 하는 역할은 습 관강도를 활성화시키는 일이다. **sEr = sHr x D **SER =reaction potential( 운동의 경 우 performance) SHR =habit strength, D=drive 즉, 반응잠재력은 욕구상태와 습관강도에 따라 달라지는 복합적 함수이다. 따라서 습관캉도가 캉화된 시행의 결과로서 욕구가 증가 하거나 또는 결핍이 증가함에 따라 욕구가 증가할 때 반응이 일어 날 가능성이 커진다. 만약 습관강도나 추동 중의 하나가 。이 되면 행동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여기에서 욕구란 각성과 유사한 의미 로 쓰이거나 각성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추동이론에서 중요시되는 반응문제의 경우, 바르고 그른 각 반응 은 처음에는 대동소이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반복척언 시행과 강화 를 거륨함으로써 정반웅을 나타내는 빈도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최고
정반응의 빈도가 높을 경우 각성의 증가는 퍼포먼스와 정적언 관계 가 있고 오반응의 빈도가 높을 경우 각성의 증가는 퍼포먼스에 역 효과를 미칠 것이다. 그러나 추동이론은 실험 대상이 주로 동물이었으며 간단한 실험 과제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복잡한 인간 행동에 적용하기에는 미홉 하다는 비판이 있다. 또한 습관강도가 청확하게 측정되기 어렵다는 것도 추동이론의 제한점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Martens (1974) 는 트레드밀 위를 걷게 하는 과제가 정반응이 지배적인가 아 닌가 (dominant response correct or incorrect) 에 대 하여 의문을 제 기하였다. 따라서 그는 추동이론이 단순한 운동기술에는 적합하지 만 복잡한 기술을 요하는 운동에는 적용되기 어려우므로 그 사용을 극히 제한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물론 Martens 의 주장을 반박하 는 사람 (Spence , 197 1 ) 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추동이론은 . 언간의 복 잡하고 다양한 운동행동을 설명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것에 일치하 고 있다 (Beck , 1978 ; Korman, 1974). 2 적정수준이론 (optim 메 level theory) 각성과 운통수행의 관계를 셜명하는 또 하나의 모렐은 적정수준
이론이다. 이 이론은 주창자의 이름을 따서 Yerkes-Dodson 법칙 혹 은 각성과 퍼포먼스 관계의 모양에 따라 역U 가셜 Onverted U hypothesis) 이라고도 한다. 척정수준이론의 주된 관점은 각성 수준 이 증가함에 따라 퍼포먼스의 효융이 어느 정도까지는 증가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진 각성상태에서는 퍼포먼스가 오히려 저 해된다고 가정한다 (Weinberg , 1 984) . 또한 과제의 성절에 따라 비교 해 보면 어렵거나 복잡한 과제의 최척 각성 수준은 척당한 난이도 의 과제 혹은 난이도가 낮은 과제보다 상대척£로 낮다고 본다. 그러나 Landers 풍( 197 8 ) 은 각성과 퍼포먼스의 관계가 단순하지 않음을 경고하며 다른 요인에 의하여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 한다. 역U 가설을 지지하는 많은 연구가 실제로는 두 가지의 스트레 스 요인만을 사용하여 간접척으로 실시되었다. 그러나 직접적인 테 스트를 위해서는 최소한 세 단계의 각성 연속점을 필요로 하는 것 이다. 또한 많은 연구가 실제의 상황에서 분명한 상태불안이 존재 한다는 것을 확실히 하지 못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Martens 와 Landers (197 0 ) 는 특성불안이 높고, 적절하고, 낮은 3 단계의 스트레스 수준에 소년들을 위치시키고 운동과제를 부여한 결과 상기의 제한점을 해결하였다. 이 스트레스 수준의 유효성은 맥박수, 손바닥의 발한반웅 동으로 증명되었는데, 스트레스 수준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퍼포먼스 수준은 역U 자형을 나타냈다. Martens 와 Landers (197 0 ) 의 이론은 Klavora (1977) 에 의하여 강 력히 지지되었는데(그럽 5- 21 참조) 육상경기에 있어서 경기 전 상 태불안의 수준과 퍼포먼스의 관계에서, 현저한 퍼포먼스 (op) 는 경 기 전의 단 하나의 수준(즉, 최척수준)과 관련되어 있음이 관찰되 었다. 반면에 낮은 퍼포먼스 (PPl 과 PP2) 와 평균 혹은 예상 퍼포먼 스 수준 (AP 1 과 AP2) 은 경기전 수준의 두 지점(각성이 최적 수준을 약간 상회하거나 하회한 지정)에 각각 나타나 있다. 따라서 척정수 준이론은 피험자가 받고 있는 스트레스가 너무 높거나 낮지 않고 척절할 때 더욱 현저한 운동성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 시 말하면 특성불안이 척정 수준인 소년들이 그렇지 않은 소년들보 다 퍼포먼스가 훨씬 높음을 알 수 있다.
수행
적정 각성 수준은 개인적인 특성과 종목별 특성 그리고 종목에 대한 숙련도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첫째, 스포츠에 있어서 높은 상태불안을 나타내는 경향은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것은 선 수틀 개개인의 경쟁 특성불안 수준이 다르고 이러한 차이가 같은 경쟁상황에서도 다른 수준의 상태불안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특수한 경쟁적인 상황이 어떤 사람에게는 적정할 것이고 다른 사람에게는 척정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둘째, 척정 각성 수준은 동작의 난이도, 즉 종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단순한 동작은 각성 정도가 높을 때 성척이 비교척 좋다. 이와는 반대로 복잡한 통작을 훌륭하게 표현하려고 하면 각성의 정 도는 낮아야 한다. 동작의 특성 역시 각성 수준과 퍼포먼스에 영향 을 준다. Eysenck 와 Gillen (19 6 5) 은, 각성 수준은 평형 및 정확성 이 요구되는 통작에 높은 영향을 주지만 힘이나 순발력에 관계되는
+
종목에도 도움을 준다고 생각했다. Oxendine(I97 0 ) 은 동작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각성의 정도를 지 적하고 그것을 표 5-5 로 만들었다. 정확성이 요구되는 동작에 필요 한 적정 각성 수준은 비교적 낮으나 힘과 속도에 관계되는 동작은 비교적 높은 각성 수준에서 좋은 퍼포먼스를 기록하게 된다. 그러 나 이러한 기준에 의하여 만들어진 종목별 적정 각성 수준은 운동 기능의 기타 요소인 동작의 지각조건, 인지과정,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조건, 주의력의 요구 동은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즉, 농구 에서 리바운드, 드리블, 슈팅 등과 방어통작 및 공격 동작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수영은 비록 속도와 힘을 위주로 하지만 경기상황에서 생리척인 과도한 항진은 퍼포먼스에 불리할 수도 있
각성 표수 준5- 5 전형l척 인 스포츠 기능의스 포척츠정 기각능성 수준 # 5{ 극도의 흥분상태) I 축구에서의 태클, Rog 해 체력지수, 달리기 {200, 4o om ) , 윗옴일으키기, 팔꿈혀펴기, 역도 #4 넓이뛰기, 단거리·장거리 달리기, 투포환, 경 영, 레스링, 유도 #3 농구의 각종 기능, 권투, 높이뛰기, 체조, 축 구의 각종 기능 #2 야구의 투구, 타격, 다이빙, 펜싱, 미식축구의 춰터백 기능, 테니스 #I(근소한 각성) 양궁, 볼령, 농구의 프리 드로우, 축구의 킥 킹, 골프의 퍼팅, 피겨 스케이팅 {8 자 그리기) O{ 정상상태)
다. 수영선수의 각성 수준이 지나치게 높을 때 출발 및 련시간이 맞지 않을 수 있으며, 주의력 또한 패배한다는 생각과 코치의 비 명, 부원들의 비난에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운동종목과 그 수행 에 필요한 적정 각성 수준을 완전하게 분류하고 구분하는 것은 대 단히 어려운 일이다. 셋째, 종목에 참여효}는 선수들의 숙련도에 의하여 적정 각성 수 준이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경기 경험이 적거냐 기능 숙달이 렬된 선수는 적정각성수준이 낮을 것이며, 경험이 많거나 기능이 완숙단계에 있는 선수는 척정 각성 수준이 높을 것이다. 01 와 같이 적정 각성 수준은 여러가지 요인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을 것이 다. 5-3- 4 불안의 측정 불안은 일반적으로 생리적, 심리척, 행동적 척도에 의하여 측정 되고있다.
1 불안의 생리적 척도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척 저항의 기제는 찰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스트레스의 요소가 있다는 것을 지각할 때에 뇌하수체는 대량의 ACTH( 부신피질자극호르몬)를 분비하여 생리척 반웅을 일으카게 된다. 스트레스를 받을 때 우리 옴은 호홉, 순환기능이 빨라지고 혈류는 내장, 소화기계통으로부터 사지 빛 옴통 부분으로 흐르며 근수축이 강해져 위험한 환경에 대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반응을 일반 척응징후 (general adaptation syndrom) 라 하고, 생리척 변화를 투쟁 또는 도피반응 (fight or flight response) 이라고 한다. 이 같은 정후에 기초를 두어 불안의 생리척 측청을 실시동}는데, 그 방법£로는 뇌파검사(E EG) , 피부저항 (GSR) , 심 전도 (EKG) , 근전도(E MG) , 발한률 (palmar sweat index), 심박수, 혈압, 안면근육 패턴, 신체 내의 생화학적 변화와 뇌반구의 비상청 (hemispheric asymmetry) 을 조사하는 방법 등이 있다. 2 불안의 심리적 척도 운동수행과 관련된 불안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종 자기보고식 (se !f reporting) 불안측정 방법 이 사용되어 왔다. 이 러한 심 리적 방법에 의한 불안측정 도구로는 Taylor 의 표출불안 척도 (manifest anxiety scale: MAS) 와 Spielberger 의 상 태-특 성 불 안 척 도 (state-trait inventory : STA I) 그리고 Martens 의 스포츠 경 쟁불안 척도 (sport competition anxiety test : SCA T) 등이 있다. Taylor 의 표출불안 척도는 일상적언 생활에서 높은 불안 수준을 나타내는 사람은 정서척으로 보다 반응척 (responsive) 이며, 이 러한 반응성의 정도는 선천적인 욕구 수준 (drive leve l)을 나타낸다는 가 정하에 타고난 특성으로서의 불안을 측정하는 것이다 (Carron , 19 80 ) . 그러나 Taylor 의 표출불안 척도는 행동척 특성으로서의 선천척인 불안, 즉 특성불안을 측정하고 있기 때문에 환경척 자극을 고려한 상황척 불안 (situational anxiety) 을 측정하지 않고 있다 (Landers , 1980) . 따라서 상황척 특수성을 고려한 상태불안을 찰 반영해 주지
않기 때문에 경험척으로 실용성이 낮다는 비명을 받고 있다. Spielberger 의 상태-특성불안 척도는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을 동시 에 측정할 수 있는 간편한 자기보교형 단일 척도로서 197 。년 Spielberger, G orsuch, Lusheme 등에 의하여 완성되었다. 이것은 본 래 정신척인 장애가 없는 청상 성인의 불안 현상을 조사하기 위한 도구로서 제작되었으나 계속적언 연구를 거치는 동안 중고생의 불 안수준 측정은 물론 청신, 신경증 환자나 외과 환자들의 불안 수준 을 측정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쓰이게 되었다. STAI 는 현재 여러가 지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연구를 목적 3 로 할 때, 특히 상태불 안을 측정할 때에는 측정하고자 하는 특정한 상태를 정확하고 분명 하게 지시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피험자가 방금 수행한 실험과제 에 대하여 어떻게 느꼈는지에 대해 응답하도록 지시를 받을 수 있 는가 하면 과제가 긴 경우에는 과제를 수행할 때의 초기, 중간 또 는 마지막 지시된 순간의 정서상태를 기록하도록 지시받을 수도 있 다 (Spielberger et al, I970). Martens (I 977) 는 Spielberger 의 상태및 특성불안이론에 따라 스 포츠 경쟁불안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제작했다. 그 의미는 경기 상황 속에서 특성불안이 있는 자가 경기중에 일으키는 정도가 같지 않은 상태불안의 정도를 측정함을 말한다. SCAT 은 아동용 (10- 1 4 세)과 성인용으로 구분된다. 3 불안의 행동적 척도 불안의 행동적 측정은 행동적으로 나타나는 불안의 증상이나 어 떤 과제의 수행상태를 측정하여 수행차에 근거해 불안상태를 파악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불안의 행통적 척도는 불안 여부를 직접적 £로 제시해주는 지표로서 선수를 지도하는 코치에게 가장 현실적 인자료가될수있다.
표 5-6 불안의 행동척 척도 반 응 연습중 경기전 경기중 경기성척 심장박동 근육긴장 피로감 - 엽의 창백함 손과발의 말한 속이 울렁거럽 소변이 마려움 시각척 이상 구토 설사 근육의 경련과 떨렴 숨가쁨 심박수증가 호흡률의 증가 하풍 목소리의 떨렴 피부의 붉어짐 초조감 혼동감 망각 집중력의 저하 의사결정력의 저하 습관화된 통작의 출현
5-3- 5 경쟁불안의 해소 과도한 경쟁불안을 어떻게 해소하느냐 하는 문제는 경기력을 극 대화시키려는 코치와 선수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과도한 경 쟁불안의 해소를 위하여 첫번째로 해야 할 일은 선수 개개인의 불
안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는 일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리척, 심 리적, 행동척 척도를 이용하여 선수들의 불안 수준을 정확하게 파 악하여야 한다. 그러나 선수들이 경기에서 이기느냐 지느냐를 결정 할지도 모르는 상태불안의 미묘한 차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은 없을지도 모른다. 어쩌면 현재의 측정 방법은 심리학적 A로 기민하고 통찰력 있는 코치가 관찰하는 것보다 부정확할지도 모른 다. 따라서 여러가지 측청 기법을 이용함과 아울러 코치의 세밀한 관찰에 의하여 선수 개개인의 불안수준이 파악되고 명가되어야 한다. 선수들의 불안 수준이 파악된 후 해야 할 일은 불안의 근본적인 원언을 파악하는 일이다. 선수들이 경기 장변에서 불안을 느끼는 이유는 선수 자신의 성격 요인, 실패에 대한 공포, 과도한 숭부욕, 환경에 대한 부적응, 관중의 존재, 상대선수의 좋지 않은 태도, 심 판의 불공정한 판정, 팀 구성원간의 문제 등등 수많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불안을 일으키는 요인들을 정확히 파악하여 제거함 으로써 경쟁불안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선수들의 불안 수준과 불안의 원인이 파악된 후에 해야 할 일은 경쟁불안의 해소를 위한 적절한 기법을 선돼하여 사용함으혹써 선 수들이 척정 각성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일이다. 불안의 원언을 제거시킴으로써 불안의 해소가 가능하지만 불안의 원언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실제의 경쟁상 황을 코치나 선수가 엄의로 변화시킬수는 없으므로 상황적 요인에 대 한 적응훈련과 아울러 경쟁불안의 해소기법을 사용함으로써 경쟁상황 에서 선수 자신이 심리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경쟁불안의 해소기법으로 각종 정신훈련 (mental training) 이 이용 되는데, 정신훈련이란 인간의 내적, 외적, 신체적, 정신적 행동과 경험을 제어하고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심리적 기법의 총칭 이다. 따라서 정신훈련은 심리적 조절 능력과 태도, 그리고 경기에 대한 전략 동을 의도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최대 운동수행능력의 발현을 위한 정신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경기상황에서 최대 운동수 행능력의 항상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려는 훈련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정신훈련기법들은 주로 미국, 소련, 동구의 공산권
표 5-7 각국의 정신훈련기법 나 라 l 정 신 훈 련 기 법 (제안자) 인 디 아|신-영상, 요가 중 국 l 풍 후 페 르 시 아| 선신(善神) 요법 정 진척 이 완법 (Ja cobson) 이 완방법 (Benson) 긴장훈련 (Atlas) 정력학 (Lwoen) 형 태 요법 (Perls) 구조통합 (Rolf) 미 국 | 체계적 둔감화기 법 (Wolpe) d상u징ra적) 모렐령 (Ban- 심시 상각요운법동 시(S 연ho (πS)u inn) 호홉요법 (Je ncks) 사고훈련 (Pulos) 주의집중 통제훈련 (Nideffer) 정 화요법 (Reyther) 차 나 다 ! 심 리 체 조 (Ju nova, Knobloch) 브 라 절 | 무 도 몽 환 (Akstein) 이 스 라 옐 | 운 동 인 식 (Feldekrans) 이 탈 리 아 | 청 신 통 합 (Assagiolj) 효 랑 스 | 자기 맛사지 (Ruffier), 수동운동 (Micheaux) 스 위 스 | 자기분석 (Bezzda), 활동심 상(J ung) 영 국 | 알렉산더 법 (Alexander) , 방출요법 (Blythe) 기능적 이 완 (Fuchs) , 자융훈련 (Sch 버 tz) , 지 각의식 독일! (Gindler) 러 시 아| 심리규제 (Roman) 덴 마 아 크 l 임 파마사지 (Vodder) A 웨 덴 | 내척 정 신훈련 (U nesta 비)
국가 등 스포츠 강대국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Loher( 19 83 ) , Gauron(198 4), Nideffer(198 5 ) , UnestahI( 19 86) 등의 연구에 의하여 그 효과가 업충되고 있다. 1975 년도에 설계되어 1979 년도에 완성된 Unest 하 11 의 정신훈련 프 로그랭은 12 , 000 명의 스웨덴 선수에게 적용해 본 결과, 그 효과가
뛰어나다는 사실이 업충되었다 (Unest 려 11 , 19 86 ) . 이 훈련프로그랭은 정신훈련의 전체적인 체계를 반영한 것으로서 개발훈련 (career training) 과 경기상황에서 심리척 상황을 조절하기 위한 정신척 준 비로 구성되어 있다.
표 5-8 Unestahl 의 정신훈련 프로그랩 시 l 훈련내용 훈련기법 비 고 기 1 / 심신이완훈련 |근 육 이 완 훈 련 1 I 간장과 이완의 차이 를 관찰하 주 고 이완을 경험 z 근 육 이 완 훈 련 2/ 이완의 축달 및 심화 T;;x . 3 I 자 기 최 연 | 청 신 이 완 훈 련 1 I 주의집중과 휴식의 관계파악 주 정 신 이 완 훈 련 21 최연법의 숙달을 위한 예비단 계 5 I 활 성 화!활 성 화훈 련 2f'- 6 명상 2f'- 7 I 주 의 집 중|주 의 이 완 2f'- 의식의 분리 및 초|특정 상황에 대해 관련이 없 연 함|는자극의분리 목표인식 및 목록 1(1) 휴식 : 운동관념 및 집단상 소 재|의시각화 (2) 경쟁인식 및 여러형태의 목표인식 10 1 목 표 셜 정 |목표분석 및 선 돼 1( 1) 여러가지 목표인식 주 1(2)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부
분목표분석 (3) 새롭고 긍정척 인 경 험의 창조 1 1 목표형성 및 공식화 | 프로그랩에 따른 목표형성 및 τ;<-. 공식화 1 2 I 목표공식 화|운 동 관 념 훈 련|생각과 심상이 신체에 미치는 주영향 인식 심상에 의한 반사 운동습득 1 3 운 동 목 표 18주 차까지 실시한 기본척인 T;< . 정신척 기술훈련에 담겨진 목 표에 대한 이해 14 제 조 건 과 n주 / 문제해결체계척=τ 감화
T;0 ζ 1 6 사 고 정 지 T;< . 1 7 인 지 재 구 성 1(1 ) 성공과 실패에 대한 느낌 T;< . 재구성 (2) 실패에 대한 부정척 생각 을제거 (3) 부정적 사고와 심상의 구 별 (4) 보다 긍정척인 형가방법 습득 181 태 도 훈 련 | 자동화단계 재 구성 !자기형가기술과 D-m, 뼈의 이 T;< . 완법 습득 z 。 자 신 감 훈 련 1(1 ) 모의 경쟁상황에서의 씨 T;< . 감습득 (2) 9. 10. 1 Í 주에 행한 훈련을 반복 (3) 자신감 강화개발훈련은 기능습득단계와 목표를 셜청하고 프로그랩멍하는 동 기화 훈련단계, 그리고 문제해결과 태도변화를 내용으로 하는 웅용 훈련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중요한 청신척 기술을 발전시켜 정신 력을 강화시키려는 것이다. 개발훈련은 비경기시즌에 20 주에 걸쳐 I 회를 실시하게 되는데 모든 경기종목에 보편적으로 척용될 수 있 다. 정신척 준비단계는 선수들의 심리적 컨디션을 조절하기 위하여 선수들이 자신의 심리적 요인을 조절하는 과정을 시즌 전, 경기 전 그리고 경기중에 실시하게 되는데, 그 내용은 모든 경기종목에 일 반척£로 적용될 수 있는 형태와 종목의 특성에 따라 독특하게 적 용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정신훈련기법들은 경쟁불안을 해소하기 위하여 경쟁불 안을 야기시키는 불안의 원인에 대한 적응훈련이나 불안을 느끼는 선수 자신의 심리적 상태를 조절하는 데 그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신훈련우로 쓰이고 있는 기법들은 정진척 이완기법 (progressive relaxation technique), 바이오 피드백 (biofeedback) , 무감화훈련, 인지대처 훈련 (cognitive coping strategies) 등이 있으 며 이 외에도 많은 기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1 점 진적 이 완기 법 (progressive relaxa 디 on technique) 점진척 이완기법은 운동선수들의 긴장을 줄이기 위하여 만든 근 이완 훈련법으로 신체의 신경 및 근육을 체계적으로 이완시키거나 긴장시키는 방법이다. 이완연습은 자기가 자신의 손목을 뒤로 젖혀 서 긴장감을 일으킨 후 다시 힘을 빼고 이완시켜 긴장감의 해소를 확인하는 순서로 진행한다. 위와 같은 순서를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한다. ·오른팔의 이완--사지의 이완 ·복근, 배근 등 폼통의 이완 ·안근등 안면의 이완 ·시각 이미지나 상상언어 등 정신활동 이완
2 바이오 피드백 (biofeedback) 바이오 피드백이란 인간의 생리척 기능에 대한 정보를 돗한다. 예를 들면 조깅할 때 그 전후의 섬박수를 셰어보면 생리적언 반웅 에 대한 정보를 알게 된다. 온도계, 맥박기, 청진기 등은 인체 내 부의 어떤 변화(i nternal body feedback) 를 알려주게 되는데, 이러 한 것이 피드백의 단순한 과청언 것이다. 바이오 피드백 훈련은 이 러한 과정이 수록되도록 하여 인체기능을 계속척으로 측정하여 개 인에게 자기의 사고방식, 느낌, 감정 등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신체 의 반응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결국, 바이오 피드백의 목적은 자신의 자제력 (voluntary -self regulation) 을 기르는 것으로 약이나 의료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신 체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한다. 혈압이나 맥박수를 낮추고 인체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일상생활 속에서 터득하 게 하는것이다. 바이오 피드백 훈련은 일반적으로 자기 자신의 문 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고 정신적, 신체적인 고통스러 운 문제를 방지하고 벗어나는 데 효율적인 것이다. 3 무감화 훈련 (desensitization σ 허 ning) 정서척인 불안의 심리적 요소는 두 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경험 혹은 체험의 과정이며, 둘째는 인지과정이다. 인지과 정은 문자의 학습 혹은 경험에 의하여 지속적인 기억을 형성하게 한다. 그러나 경험 혹은 체험은 비교적 지속적인 기억을 형성하기 이전의 중계과정으로 그 획득과정은 문자를 통할 필요가 없다. 불안의 인지요소는 불안상황에 대한 비논리적인 전환에서 유래될 수도 있다. 불안상황에서 위협을 느끼게 되는 것은 우리들이 가지 고 있는 논리적인 추론이 문제를 발생시킨 것이다. 우리 자신이 어 찌할 바를 모르거나 행통이 부자연스러운 행위를 보게 될 때, 이러 한 행위는 자신으로 하여금 사후에 번뇌하거나 심지어는 자기 버하 를 하게 된다. 체험은 불안발생의 횟수에 따라 증가되고 누적되며 만성 적 인 신경 질이나 무기 력 (helplessness) 을 조성 하기도 한다. 선수가 상처를 입거나 어떠한 좌절을 겪은 후에는 공포나 걱정을
야기시킴으로써 퍼포먼스에 좋지 못한 영향을 주게 된다. 어떤 선 수들은 넓은 운동장, 많은 관중들 앞에서 어찌할 바를 몰라 퍼포먼 스에 차질을 빚는다. 또 어떤 선수들은 코치나 통료, 친구, 관중들 이 자신의 퍼포먼스를 평가하러 나온 심사원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자신의 최적 운동수행능력을 발휘할 수 없다. 이러한 선수는 개별 척으로 불안을 조정해야 하는데, 체계적으로 정서척 민감성을 줄이 는 체계척 무감화 (systematic desensitization) 훈련에 의하여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민감성을 줄이는 훈련은 Wolpe (19 6 9) 에 의하여 처음으로 시작되 었으며, 이의 기본적인 원리는 인간에게 긴장과 이완이라는 두 가 지의 감수성이 동시에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불안에 대한 과민을 감소시키는 훈련을 불안의 상황과 이완의 정도에 따라 하나하나 배 합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불안을 둔감화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실시되고 있다. ·선수들에게 불안이 퍼포먼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실과 현상 및 불안을 통제,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선수와 상세한 면 담을 한 후 경기의 일반적인 상황과 불안증상을 확인하고 SCAT 등을 통하여 불안 수준을 파악한다. ·근육을 점진적으로 동시에 단시간에 이완운동을 할 수 있도록 계속적£로 연습시킨다. ·선수들에게 경기중에 번뇌와 불안을 야기시킬 수 있는 상황이 무엇인지 열거하게 하고 코치와 카운슬러, 그리고 선수가 공동 으로 불안에 영향을 주는 각종 상황을 가벼운 것에서 부터 무 거운 것에 이르기까지 조합한다. 여러가지 상황을 상상하면서 이완운동을 조합한다. 만일, 선수가 어떤 단계에서 이완운동을 했지만 불안과 긴장의 정서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면, 그것은 그 전단계와의 사이에 거리가 너무 떨어져 있음을 나타내는 것 으로 양자 사이에 중간의 단계를 다시 설정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열거한 이완운통을 조합해서 실행하고 이완되는 감각
을 획득한다면 이완 및 바이요 피드백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연습 혹은 경기현장에서 불안상태가 발생할 때에도 즉 시 응용할 수 있다. ·이론적이고 실험적인 불안의 무감화 훈련을 실제 경기 장면의 환경으로 옮긴다. 이렇게 상황을 옮기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 지만 바이오 피드백 및 자율훈련의 기구가 발전됨으로써 많은 도움을 얻고 있다. 4 인지대처훈련 (cognitive coping sσategies) 인지대처훈련은 주로 이완작용으로서 운동중에 주의력이 집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언데, 단기 이완훈련, 자율훈련, 심상기법 등이 있다. ·단기이완훈련 근육을 점진적으로 이완시키는 것은 일종의 기술로서 방법만 알 고 숙달시키지 않는다면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없다. 때와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아주 짧은 시간 (10 초 -1 。분 사이) 내에 이완운동을 되풀이한다. 전신에 힘을 빼고 운동 장변을 조용히 생각하며 동작 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이다. 처음에는 조용한 방에서 하는 것이 좋지만 익숙해지연 어디서도 가능하다. 이 방법 은 지시된 것을 단순히 되풀이하는 것이 아니며 동기유발의 한 자 극이 되도록 신체적인 피로를 느끼지 않고 임의로 하는 것이다. • 자율훈련 (autogenic training) 자율훈련은 심리적, 생리적 자기조절법으로 청신집중과 여기에서 생기는 이완을 기본으로 하여 자기이완, 자기조절, 자기개발로 진 행되는 자기훈련법이다. 연습자는 단계척 A 로 공식화되고 표준화된 짧은 문장을 통하여 주의 집중을 실시함으로써 점차 신체척, 심리 적 재체계화를 경험하게 된다. 연습자가 자기이완에 이르는 능력을 높이고 신체의 자융척 기능을 포함한 심리척, 신체척 변화를 조절 할 수 있게 되며 자기이해나 통찰력을 높이려는 목적으로 실시된
다. • 심 상훈련 (irnage training) 심상훈련은 심리척 컨디션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경기 장면에서 생기는 긴창이나 불안을 척절하게 해소시키기 위한 방법 이다. 이 기법은 이용되는 심상의 절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며, 심상의 선명도, 통제 가능성의 정도, 현실감의 정도 등 이 높을수록 효과가 커진다. 스포츠창면에서 효과척으로 척용될 수 있는 심상훈련기법으로 최면심상훈련과 자율심상훈련이 있다. 최면 심상훈련법은 최연상태가 갖는 특수한 심리적, 신체적 현상의 하나 언 심상체험이 생기기 쉽다는 점을 효과척으후 이용하는 방법으로 언어적 암시에 의하여 성상을 체험하고 연습하는 방법이다. 시각적 인 심상을 중심으로 다른 감각이나 신체 각 부위의 근운동감각 등 을 환각이라는 형태로 극히 선명하고 현실에 가깝도록 체험하며 경 기중의 심리척, 감각척 체험도 가능하다. 자율적 심상훈련법은 자 융훈련법의 심상연습 단계인 영상연습의 단계를 습득하면 자기 자 신이 자유롭게 심상을 조작할 수 있게된다. 자율훈련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심상은 최면에 의한 것과 같이 선명하고 현실성이 높은 것이며 자신이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5-4 운동수행과 공격성 5-4- 1 공격의 개념 우리는 경기장에서 우연치 않게 난폭한 행통, 거친 플레이, 적개 심을 가진 의도적 행동을 목격하게 된다. 사실 스포츠는 타인과의 경쟁을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른 어떠한 상황에서 보다 공격 적 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일반척£로 스포츠에서의 공격이 나 폭력은 선수들의 지나친 숭부 의식과 정서 불안 및 자제력의 부 족으로 인해서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스포츠 창면에서 공격성의 표출은 경기의 상황이나 중요성 그리고 감정의 유발 동으로 폭력으
로까지 번질 수 있으며 스포츠를 관람하는 관중들에게도 공격 감정 과 심리척 불안 및 긴장을 중가시킬 수 있다. 공격이라고 번역되는 (aggression) 이라는 단어는 〈앞요로〉 포는 (-을 향한〉이란 뭇의 접두어 (ad) 와 걸어가다의 뭇인 않 radior) 란 어간의 합성 어 언 (aggredi) 란 라틴어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이 낱말 은 〈어 떤 대상을 향하여 움직 언다 (go forward to approach)) 는 의 미를 가지고 있으며 행통주의자들과 초기의 학자들에 의하여 (타언 을 해치거나 해칠 수 있는 어떤 행동〉으로 정의되었다. 공격이란 개념을 정확하게 정의하기는 어려우나 조작척으로는 다 른사람에게 신체적, 정신척 상처를 주거나 고통, 혜를 주려는 의도 를 가진 행위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들은 매우 함축된 돗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포츠 장면에서 대부분의 행동이 공격적 행동£로 규정되어야 동}는 불합리한 점이 었다. 따라서 스 포츠 상황에서 공격적 행위의 정의와 공격척 행위와 유사한 개념에 관한 정의가 요구된다. 1 공격 적 행위 (aggressÎve beha 띠 or) 공격적 행위란 다른 사람이나 자신을 육체적으로나 혹은 청신적 으로 해칠 수 있는 외부로 표현된 신체적, 언어적 행위를 말한다. 이 때 그 대상이 다른 사람인 경우의 공격 행위를 외향적 행위 (extropunitive behavior) 라 하고 자신에 대한 공격적 행위를 내향 적 행 위 (int ropunitive behavior) 라고 한다. 공격적 행위는 우연한 행동이 아니고, 공격 행위자는 상대를 해 칠 것을 의도로 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택된 행동은 그 행위자의 의지에 의한 것이다. 결국 공격 행위자 는 어떠한 상황 속에서 비공격적인 행동을 포함하는 다양한 행위 중에서 공격척 행위를 선돼한 것이다. 이러한 공격척 행위는 그 행 위 속에 내재된 근본적인 보상 요인에 따라 척대적 공격 (hostile aggression) 과 수단척 공격 (ins trumental aggression) ~로 분류될 수 있다. 적대적 공격의 근본척인 보상요인은 애상에게 가해지는 고통이
나 상처와 같은 것들이다. 즉, 척대척인 공격은 그것이 수단이라기 보다는 목척인 셈이다. 척대척 공격은 주로 상대방에 의해 자신의 목척 달성이 좌절되었기 때문에 발생하게 된다 (Berkowitz , 1965). 수단척 공격은 상대를 해치려는 의도가 있다는 점에서는 적대척 공격과 같£나 수단척 공격 행위를 통하여 추구하는 근본 목척이 돈이나 숭리 또는 칭찬과 같은 보상을 획득하려는 것이다. 수단적 공격은 어떤 목척을 위한 수단언 셈이다. 공격 행위자는 결국 목적 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떤 대상에게 고통과 피해를 고의적£로 주려 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유형의 공격은 상대를 해치려는 의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상대를 해치려는 의도는 투기 종목을 제외하고는 정 당하게 설정된 경기규칙을 파괴하게 된다. 공격 행위에 대한 이와 같은 개념정의는 그 행위 속에 있는 의도와 그 결과, 그리고 사회 척 의의 등을 고려해야 한다. 2 권 리 적 행 위 (assertive beha 찌 o r) 신체적 충돌이 허용되는 대부분의 스포츠 종목에 있어서 공격성 이란 ‘ 용어는 매우 포괄적으로 사용되어진다. 그러나 규칙에 의하여 허용되는 여러가지 육체적 충돌이 상대방을 해철 의도를 동반하는 것은 아니다. 많은 스포츠 종목에 있어서 권리적 행동이 공격적 행 동과 동일하게 취급되어지는 경우가 많다. 권리적 행위는 경기중의 열띤 신체 활동에서 쉽게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목표지향적 행동은 합법척인 언어적, 신체척 혐의 사용을 통반하게 된다. 이러한 행동 · 들은 스포츠 창면이 아닌 일상생활에서는 공격적 행동으로 취급될 수 있을 정도의 높은 강도의 에너지와 의지적 활통이다. 권리적 행위는 다른 사람을 해치거나 다치게 할 의도를 나타내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해당 종목의 규칙을 위반하려는 것도 아니다. Si1 v a (1979) 는 스포츠에서의 이러한 행동을 활동적 혹은 능동적 권 리 (proactive assertion) 이라고 개념짓고 있는데, 이 말은 그 행동 이 용인될 수 있는 정도로 척극척이거나 힘을 발휘한다는 뭇을 함 축하고 있다.
1 . 해철 의도 없음
5-4-2 공격이론 역사적으로 공격성에 관한 주요 이론들은 공격 행위를 설명하기 위하여 발전되어 왔으며 공격성의 기원에 대한 몇 가지 기본적인 가정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나아가 이러한 공격성을 제거할 수 있 는 전망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 그 주요 이 론 들 은 본 능 이 론 Onstinct theory) , 좌 절→공 격 가 설 (frustration -aggression hypothesis), 그리고 사회학습이론 (social leaming the- ory) 을 들 수 있다. 1 본능이론 ünstinct theory) 본능이론이란 모든 사람들이 공격 에너지를 함축하고 있는 본능
척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가설이다. 이러한 에너지가 위험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싸움파 같은 척절한 반웅을 통하여 에너지를 경감시 격야 한다는 것이다. 공격 에너지의 감소나 청화는 에너지 소모를 돕고 새로운 싸이클을 형성시킨다 (Caπon , 198 1) . 일반척으로 공격성에 대한 본능적 접근은 동물사회에서 일어나는 현상의 관찰에 많은 기초를 두고 있다. Freud 와 Lorenz (1966) 는 인간은 투쟁하려는 생득척인 욕구나 본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 인간이 성적 A 로 홍분된 것을 느끼는 것과 마찬가지로 인간 은 공격척인 것을 느끼게 된다. 즉, 다른 욕구들과 마찬가지로 공 격도 기본척언 욕구로 간주되는 것이다. 공격척 충동은 공격을 단순히 표현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는 것이 다. Freud 는 이러한 과정을 공격척 감정의 정화라고 하였다. 다시 말해서 공격적 행위를 하는 것은 그 감정의 강도를 감소시킬 것이 라는 것이다. 사람은 본능적 공격 에너지의 저장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에너지 중 일정한 양은 반드시 풀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고 Freud는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검증하기 위하여 Hokason 과 Burgess (19 62 ) 는 생리적 흥분 상태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공격의 표현이 분노를 감소시킨다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여기에서 이들은 분노의 정도를 공격성으로 보았다. Lorenz(19 66 ) 는 공격성의 정화 수단으로 스포츠를 제시하였다. 그는 스포츠에 참여하는 사람에게서 렬 파괴적인 공격 행동들이 나 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공격성 본능이 정화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 다. 즉, 스포츠는 본능적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수단으로 이용된다 는 것이다. 여기에서 정화 (catharsis) 란 정서의 표현에 따르는 긴장 의 감소를 의미하는 것 A 로 공격 행동을 한 후에 공격성의 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말한다. Scott도 경쟁척 유희와 스포츠는 공격성을 감소시키며 스포츠의 존재는 인간의 공격척 본능을 제거하는 것 이외의 다른 이유들 때 문이라고 하였다. 특히 Johnson 과 Hutton(1955) 은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거나 관람하는 것은 공격성의 정화에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 또 그들은 레슬령 선수틀을 대상으로 하여 투사법으로 경기 전, 후
의 공격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시합 천 4 시간과 5 시간 사이의 공격 감정이 시합 다음날 아침보다도 더 높게 나타났다. 그 리고 Martin(195 6 ) 은 교내 운동선수와 레슬링 선수들에 있어서 숭 패가 공격성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농구선수들은 숭리 후에 외현척 공격성이 감소하였으며, 레슬령 선 수들은 패배 후에 외현적 공격성이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그는 이 와 같은 결과를 놓고 스포츠에서 이겼을 때에 공격성의 정화가 얼 어난다고 결론을 지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화이론에 몇가지 모순되는 경험적 증거가 있 다. 화가 나지 않은 사람이 공격을 하게 될 때, 그들은 흔히 그 뒤 에 더욱 공격척이 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그들은 화를 풀어버리기 보다는 축적하고 있다 (Doob & Wood, 197 2 ) 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정화이론에 관한 또 다른 견해는 스포츠에도 척용될 수 있다. 많 은 연구들은 스포츠에의 직접 혹은 간접적 참여가 공격 성향을 높 혀줄지 모른다는 주장을 지지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Husman (1954) 은 복싱 선수에 게 투사법 (thematic apperception test : T A T) 을 실시했는데 시즌 동안에는 선수들의 공격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공격적이고 활동적인 놀이나 스포츠는 공격성을 감소 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격렬한 스포츠에 서의 난폭한 분위기는 공격에 대한 억제를 감소시격 주거나 그들에 게 공격적 행동을 모방하게 만든다고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격성 증가셜은 스포츠에 직접 참여하지 않은 관람자들에게도 동 일하게 적용된다고 한다(Arm s , 1979). 2 좌절-공격 가섣 (frustration-aggression hypothesis) 좌절이란 목표 달성이 방해되거나 막히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 로 욕구 좌절은 공격척 감정을 일으키게 된다는 것이 화절-공격가 설의 기본 가청이다. 이에 대하여 Dollard 등 (1939) 은 대부분의 공 격적 행동들은 이전에 일어났던 여러 심리적인 사건들과 관련이 있 다고 주장하였다. 또 그는 공격성의 발생은 언제나 욕구 화절을 전 제로 하고 욕구 화절이 있으면 공격성은 어떠한 형태로든지 나타난
다고 하였다. 즉, 욕구 좌절이 공격성의 유일한 선행 단서란 것이 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경쟁척인 스포츠는 욕구 화절을 생산하고 경쟁척인 상황에서 불가피하게 누군가가 왜배하여야 한다. 그리고 패배한 사람은 화절함으로써 공격적이 된다. 이러한 견해에 대하여 Dickenson (1979) 은 화절과 공격성을 농구경기의 파울에 관한 연구 와 관련시켜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 있다. 〈공격 감정의 강도는 좌절의 양에 따라 변화한다. 즉, 좌절의 양 은 자극의 캉화에 영향을 미치며 공격 행통의 억제는 그 행위의 표 출에 따른 처벌의 강도에 따라 변한다. 그리고 화절의 정도가 크면 클수록 공격성은 크게 나타나며 처벌이 강하면 강해질수록 공격 행 위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Layman(197 o ) 은 어떤 의미에서 경기는 좌절과 관련되어야 한다 고 주창한다. 경기에서는 명백하게 패배자에게 화절이 따르고 패배 함으로써 분노하여 공격성이 증가할 것이라는 것이다. Bekowitz (19 6 9) 는 좌절-욕구가셜에 있어서 어떠한 공격 행위는 인간 행동의 타고난 선천적 자질에서부터 나온다고 하였다. 그는 많은 학자들이 주창한 것처럼 화절一공격가셜은 선행 자극 단서, 화절 그리고 연속 적 공격 반응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았으며 학습과 천부성은 언간에 게 서로 존재하므로 공격성은 인간이 타고난 것으로 특정한 학습이 없어도 어떠한 좌절이 단서가 되어 일어난다는 것이다.
그림 5-25 확절-공격 모형
그러나 반드시 좌절이 공격의 원인이 되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 다. BUSS(19 61 ) 는 Do l1 ard(1939) 가 주장한 확절→공격이론에 대하여 반론을 제기하였다. 즉, 좌절의 강도나 빈도가 얼치하는 이론척 근 거가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Rosenweig (1944) 는 위협이 없는 자극 은 공격성을 유발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한 Maslow(194 1 ) 도 단 순한 좌절은 공격척 행동을 유발하지 않고 단지 공격과 위협 때문 에 공격성이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Bandura ( 1973) 는 화절 과 분노는 공격성의 필요조건이 아니라 촉진제 역할을 한다고 하였 다. 또한 BUSS(19 61 ) 도 화절은 콩격성을 유발하는 유일한 선행 단 서가 아니라 단지 하나의 단서가 될 뿐이라고 했 A 며, 화철과 공격 성의 관계에 있어서 좌절은 목표지향적 반응을 방해동}는 형태이며 목척에 대한 가치추구가 강하면 강할수록 공격성과 화절 모두 다 강하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또한 인간의 본성 중에 공격성이 약탈과 침입에 대비한 안전의 필요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만은 아니며 독립의 달성, 지적인 성취, 그리고 인간이 그의 동료들 중에서 최고가 되려는 자존심에 의하여 발생할 수도 있다 (Stoπ , 196 9 ).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보면 스포츠에 서 상대방을 이기고 최고가 되려는 자존심과 관련되어 공격성이 나 타나는지도 모르며 공격성과 증오를 구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고 생각된다. 그러묘로 좌절이 공격성의 유일한 단서라고는 볼 수 없다는 것이 지배적인 견해이다. 3 사회 학습이 론 (social learning theory) 사람들은 공격적인 감정이 없이도 공격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공격 행동을 좌우하는 요인들은 처음에 공격 감정을 일으키는 요인들과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그리고 인간의 공격행동 을 결정짓는 기제로는 과거의 학습과 외부환경 등을 들 수 있다. 사회학습이론은 욕구 화절과 공격성의 관계가 반드시 본능적인 반 응에 의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학습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는 것 이다. 즉, 공격성은 사회환경 속에서 학습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Carron (19 80 ) 도 공격 행동은 학습되어진 사회척 반응£로 간주한
다. 인간은 어릴 때에는 완전히 통제되지 못할 방식으로 공격 감정 을 표현한다. 그러나 사회화과정 (socialization) 을 통해서 성안이 되어서는 자신의 공격 충동을 강력하게 통제하고 공격을 하더라도 어떤 한정된 상황에서만 하게 되는데, 이러한 발달이 주로 학습에 서 기인한다는 것이 사회학습이론이다. 여기서 사회화란 인간이 성 숙해 가면서 사회에서 기대하는 여러가지 행동을 배워 나가는 과정 을 말한다. Alderman(1974) 은 사회화과정에 따라서 공격성이 획득 되는 과정과 긍정적인 입장에서의 공격성을 표출시키는 수단으로 경쟁을 제시하였다(그럽 5-26 ) . Bandura (1973) 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학습하는 것은 공격의 표현 에 관한 사회규범이라고 본다. 어떠한 공격이 반사회적인가 아니면 친사회적인가, 그리고 인가된 공격인가라는 것에 대해서는 구별이 미묘하다. 그러나 그는 사람들이 사회에서 효율적으로 공격 행동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사회규범과 공격에 대한 학습으로 공격 이 좋은 것인지 혹은 나쁜 것인지를 학습해야만 한다고 제안했다. 매우 특이한 것은 거의 모든 사람들이 그러한 복잡한 규범들을 아 주 잘 학습한다는 것이다. 학습이 일어나는 첫번째의 기제는 강화이다. 어떤 특정한 행동이 보상을 받게 되면 사람은 그 행동을 반복할 가능성이 높고 처벌을 받게 되면 반복할 가능성이 적어진다. Bandura(1973) 는 처음의 새 행동 양식들은 학습과 선돼에 의해서 효율적인 양식들은 지속되고 나머지는 버려진다고 했다. 학습이 일어나는 두번째의 기제는 모방 이 다. Baron 과 Kepner(197 0 ) 는 모방이 공격성을 증가시 킬 뿐만 아 니라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학습이 일어냐는 세번째 기제는 단서이다. 습관적 반응으로서 공격하는 것을 학습하고 그러한 공격 을 일으키는 단서는 분노가 공격으로 전환되기 위해서 상황 속에 존재해야 할 필요가 있다 (Berkowitz , 1970). 공격의 표현은 어느 정 도 그러한 단서의 단순한 존재 유무에 의해서 좌우된다. 즉 단서가 상황 지각에 푸렷한 변화를 일으킬 때에 인간은 공격유 발단서의 존재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Silva(19 68 ) 는 공격성의 사회학습이론적 연구에서 개인은 어린
시절에 행동의 강화와 조건화를 통하여 공격성을 학습한다고 하였 다. 그는 특히 스포츠에서 어린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부 모, 형제, 동료, 교사, 코치 등의 지지나 동조, 그리고 벌칙이 예 상되는 규칙 등이라고 지적하였다. Moshe r(I9 6 5) 는, 공격적언 행동은 긍정적인 보상이나 또는 처벌 이 뒤따르게 되고 보상이나 처벌이 발생할 것이라는 예상은 개인의 학습 경험에 따라 변할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공격성에 관한 Mosher 의 사회학습이론을 식으로 표현한 것은 아래와 같다. SSEExxRPáaSS1l ++ PRVV áa ++ GGEExxaa’ 이 공식 아래의 분모 부분은 공격적인 행위를 억제하는 요인을 나타내고 위의 분자는 공격적인 행위를 촉진하는 요인을 변수화한 접근-회피모렐 (approach-avoidance modeI) 이다. 촉진인자는 공격 적 행위 (X) 가 현재의 상황 (S.) 에서 긍정적인 보상 (Ra) 을 받을 것 이라는 상황척 기대 (SE x ) 에 공격적 행위가 보상을 초래한다는 일반 화된 기대 (GExa) 와 긍정적 강화의 보상가 (RVa) 를 더한 것이다. 이러한 촉진인자는 공식의 아랫부분에 있는 억제인자에 의하여 재 명가되게 된다. 억제인지는 현재의 상황 (S.) 에서 공격적인 행위 (X) 가 벌을 (Pá) 받게 될 것이라는 상황적 기대 (SEx) 에 공격적 행위가 벌이나 죄책감을 초래할 것이라는 일반화된 기대 (GExá) 와 이러한 벌의 강도 (PVá) 를 더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촉진인자가 억제 인자 보다 크게 형가될 때에는 일반적으로 공격 행위가 일어나기 쉽다. 상황적인 기대 (SEx) 는 개별행위가 초래할 보상이나 처벌의 가능성에 대한 개인의 추측에 의해 만들어지는, 이제까지의 학습과 정에 의하여 결정되는 요소이다. 여기에서의 가능성은 현재 상황의 특성이나 그 구체성에 따라 결정된다. 보상/처벌척도 (RVa/PVá) 는 구체적인 공격 행위를 보여줌으로 써 그 뱃가로 개인이 받게 될 보상이나 처벌의 가능치에 대하여 개 인이 부여하는 주관적 중요도를 반영한다. 이것의 척도는 공격자가
속해 있는 집단이 중요한 것으로 믿고 있는 가치나 또는 공격자의 주요 타자 (si 맑 ificant others) 인 부모나 동료들이 선호하는 가치 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일반화된 기대치 (GExa/GExá) 는 버교척 긴 시간을 통하여 축적 된 정보의 반웅 결과이다. 이것은 비슷한 상황에서 공격적인 행동 을 나타냈을 때 일반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결과를 반영하는 것이 다. 수년간의 학습과정 속에서 형성된 스포츠를 통한 사회화의 역 할로서 일반화된 기대치는 개인에 있어서 공격 행동에 대한 촉진요 인으로서 혹은 억제요인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이다. 이러한 일반화된 기대치는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공격적인 행동이 바람직하고 용납될 것이며 긍정적인 결과를 끌어 낼 것이라는 것으로, 이러한 종류의 기대는 공격 행위를 촉진하게 될 것이다. 두번째 종류는 공격 행동에 대한 외적인 처벌이나 내적 인 죄책감과 같은 것으로서 이러한 유형의 기대는 공격적 행동의 유발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일반화된 기대치와 보상/처벌 척 도는 비슷한 상황 속에서 획득된 과거 학습의 함수로서 각개 상황 속에서 고려되는 사회심리적 변인이다. 이에 비하여 상황적인 기대는 구체적인 사회환경 조건이 변할 때 마다 그때그때 가변적인 것이다. 우리들은 분명히 이전의 생활 경 험 속에서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하거나 모방함으로써 어떤 행 위가 용납되며, 어떤 행위는 용납될 수 없음을 배우고 있다. 다양 한 사회적 환경 속에서의 관찰과 경험은 그 행위의 개인척인 기대 수준이나 보상, 그리고 사회적 억제의 기대치에 영향을 주게 되는 〈계속과 정지 (stop and g 이〉의 신호를 형성시켜 주게 된다. 그리하 여 각 개인은 스포츠 상황에서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 내에서 과 거의 경험에 근거한 독특한 〈계속과 정지〉의 역사를 갖게 되는 것이 다. 그래서 사회학습이론은 보상에 대한 일반화된 기대 수준이 높 고 보상의 가치가 처벌의 부정적 가치에 비하여 크기 마련인 스포 츠 창면에서 공격성이 쉽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상황적인 기대치는 선수들에게 지금이 공격 행위를 하기에 적 절한 때인지 아닌지에 관하여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본능이론 l 공격본능 l 공격행동
이상의 견해를 종합해 보면 개인의 사회화과정은 공격성의 정도 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사회화과정에서 성별, 성 장 시간, 현재 속해 있는 집단환경 등에 의하여 공격성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고 예측된다. 앞에서 제시한 세 가지 이론을 요약해 보면, 본능이론은 생리적 메차니즘으로 공격 에너지의 순환적 사이클에 따라 공격 행동이 얼 어난다고 보았으며, 화절-공격가셜은 요구의 화절, 즉 분노에 의하 여 공격행동이 일어난다고 보았다. 그리고 사회학습이론은 공격성 은 본능이나 욕구 확절로 생긴 충동이 아니라 다른 학습된 반응과 통일하다고 가정하였다. 즉, 공격성은 학습된 행동이고 스포츠에 참여함으로써 결과척으로 공격적 행동을 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
이다. 5-4- 3 공격성과 운동수행 스포츠에서 공격성이란 상대방에게 상해나 고통과 같은 혜를 끼 칠 의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폭력은 공격성의 과격한 표 출이라고 볼 수 있다. 스포츠에서 공격 행위를 일£키는 것은 사회 적 지위의 개선이나 물절적 보상을 얻기 위해서인데, 허용된 범위, 즉 규칙 내에서 그들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최대한 활용이 가능하 다. 다시 말해서 상대방에게 의도적으로 해를 끼치는 적대적 공격 (hostile aggression) 보다 어 떤 보상이나 목적을 위한 수단척 공격 (ins trumental aggression) 이 흔히 이용된다. 이와 같은 공격성 에 의 보상기능은 특히 높은 수준의 경기자에게서 많이 보인다. 선수들의 공격적 행위는 경기장에서의 지나친 행동으로부터 경기 전, 후의 신경전으로 벌어지는 심리적 공격까지 포함된다. 특히 표공〈후흐 에서는 개인의 기능이나 능력 수준에 따라 분배되는 명성이나 금전 적 보상이 주어지므로 이를 쟁취하기 위해서는 상대방과의 의도적 인 신체적 접촉이나 공격 행위의 표출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이렇 게 심화될 수 있는 공격 행위를 저지시키기 위하여 상대방을 혜치 는 공격 행위는 규칙흐로 금지되어 왔다. 스포츠의 공격 행위에 관한 연구에서 주로 규칙위반, 즉 파울 (fou l)을 이용하고 있다. Volkame r( I 97 2 ) 는 축구경기에서 공격성 을 연구하는 데 파울을 이용하였으며, Dickenson{I979) 도 농구경기 에서 공격성은 연구하는 데 파울을 사용하였다. 1 운동수행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에의 참여가 공격성을 감소시키는지 혹은 증가시키는지에 관하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능이론과 화절]공격성이론, 그리고 사회학습이론에 의하여 예측이 가능하다. 즉, 스포츠는 감정순화의 작용을 한다는 본능이론적 관점과, 스포츠는 공격성을 가르침£로 써 공격 행위를 증가시킨다고 보는 사회학습이론적 관점에서 접근
본능이론과
해 볼 수 있다(그림 5-28 ) . 사람이 화를 내는 것은 심리적으로 흥분한 상태이고 공격 행위를 준비하는 것이며 공격 행위가 이루어지면 긴장은 정화된다고 볼 수 있다. Lorenz 와 Ards ey, Morris 등은 인간은 활발한 신체 활동이 나 스포츠를 통하여 본능적 콩격 성향을 방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Scott(I97 0 ) 는 〈맹열한 연습은 자연적인 진정제〉라고 말하 고있다. 이 밖에 여러 학자들도 공격성의 억제를 위하여 신체 활동이나 스포츠가 중요하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StreSS(I979) 는 스트레 스를 가지고 일을 할 때 종종 불안이나 극도의 긴장상태에 있게 되 는데, 이경우 한 가지 효과척인 치료법은 활발한 신체 활동에 참여 하는 것이다. 그러면 신체는 생리적, 심리적으로 평야한 상태로 환 원되어 항상성이 유지된다. 만일 이와 같은 건전한 배출구를 통하 여 에너지를 방출하지 않으면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공격적이고 폭 력적인 행동£로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즉, 스포츠는 불안이나 긴장을 정화하고 욕구 불만에서 야기되는 공격의 표출을 위한 건전 한 배출구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공격성의 억제를 위한 수단으로서 스포츠를 언급했으나 실제로는 상당한 이견이 제시되고 있다. 스포츠에서의 공격성을 수단척 공격 성으로 간주할 때 이 목표지향적인 공격성은 경기 도중에 상대방을 자극하여 상대측의 공격성을 중가시키게 된다. 이리하여 수단척 공 격성은 내부의 감정을 유발시켜 실제로는 의도적인 적대적 공격성 으로 전환되므로 격 렬한 스포츠에 참가하는 선수들은 결국 스포츠 를 통하여 공격성이 증가한다고 보는 관점이다. 또한 Layman (197 0 ) 은 일반적으로 운동경기에서는 좌절이 있기 마련이고 그에 따른 반응으로 분노하게 되며 결국 공격성을 증가시킨다고 주장하 였다. 스포츠를 통한 공격성의 증가는 경기에 직접 참여하는 선수들에 게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관람이나 관전을 통해서도 일어난다. 스포츠에서의 공격이나 폭력은 관전자들의 공격성 억제를 감소시켜 주거나 관전자들에게 공격적 행동을 모방하게 만든다. 특히, 격렬 한 스포츠의 관람자는 비폭력적 경기의 관람자들보다 높은 공격성 을 보인다 (Goldstein & Arms, 1977) 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상으로 미루어 보아 스포츠와 공격성은 일정한 법칙을 지니는 것이 아니고 특정한 상황이나 여러가지 변인에 의하여 다양하게 나 타난다고 볼 수 있다. 2 공격성이 운동수행에 미치는 영향 공격적 행동은 운동선수의 경기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은 선수나 코치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하나의 신념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그 관계를 체계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별로 없다. 더욱이 공격성이 높은 선수 집단이 또는 선수의 공격적 성향이 높을 때 경 기 성척이 더욱 성공적이었다는 것을 직접적으로 증명해 주는 연구 결과는 없다. 스포츠 상황에서 공격적인 행동이 표출될 때에는 반드시 노여움 이 수반하게 되는데, Kauss(197 8 ) 의 연구에 의하면 노여움을 나타 내면서 시합을 할 때보다 과제 중심적 시합을 할 때 좋은 성척을 거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험이 부족한 선수들은 경험이
풍부한 선수들보다 ·상대편 선수들에게 자주 화를 내며 경험이 풍부 한 선수는 그들의 경기력이 별칙이나 설수로 인하여 영향을 받지 않도록 화나는 감정을 억제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Baπon(197 8 ) 은 마음의 갈피를 못잡는 흔란 상태는 그들의 정신 을 과제수행과 유판한 것으로부터 과제수행과 무관한 것에 쏟게 한 다고 하였다. 자신이나 타언을 향한 노여움이나 적개섬은 흔히 선 수들에 게 주의 집중의 갈등 (attentional conflict) 을 일요키 게 할 수 있다. 상대선수에게 상해를 입히려는 생각이나 노여움을 표시하려 는 생각 등은 원래의 운동과제 수행에 집중된 청신을 혼란에 빠뜨 리게 되어 결과적으로 경기력을 약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노여움과 공격척언 반웅은 각성 수준을 크게 증가시키며 주의 집중력과 경기 력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Silva , 1979). 5-5 운동수행과 주의집중 5-5-1 주의집중의 개념 주의 (attention) 는 개인이 외부 세계를 지각하기 위해 자신의 감 각을 이용동}는 과청을 셜명할 때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러한 주의 집중의 개념은 단순히 한 가지 일에 몰두함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 그 일과 무관한 자극을 배제시키는 과정을 함축한다. 스포츠 장면에서 우리는 〈볼에서 시션을 떼지 마라〉 혹은 〈볼에서 눈을 떼면 그 볼을 때릴 수 없다〉 퉁의 개인의 주의초점을 다루는 말을 자주 듣는다. 이러한 말들은 척절한 단서에 주의를 기울이는 능력이 스포츠 수행을 하는 데 상당히 중요한 요인임을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스포츠 창면에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주의 의 본질이나 수행과의 관계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검증은 불 과 몇 년 전에 시작되었으며, 이는 과거 10 。년 동안 실험심리학자 들의 주의에 관한 관심에 비하면 보찰것 없는 것이다. 스포츠에서 주의집중의 유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Nideffer, 1976) . 즉, 주의의 폭 (width) 과 주의의 방향 (direction) 이다. 주의의 폭은 선수가 한 순간에 다루려는 지각척 장 (field) 이 얼마나 넓으며, 얼마나 많은 정보와 관련되어 있느냐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축구나 농구에서 볼을 꽤스하기 위해 동료 선수를 찾는 것과 같이 서로 다른 많은 정보의 조작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선 수들은 넓은 주의의 초점을 필요로 한다. 반대로 사격이나 양궁 선 수와 갇이 장기간 하나의 표적판 중앙에만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선수는 좁은 (naπow) 초점의 주의가 요구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스포츠는 주의의 폭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좁은 폭의 주의에서 넓 은 폭의 주의로 혹은 넓은 폭의 주의에서 좁은 폭의 주의로 융통성 있는 변화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농구 경기에서 선수들은 코트 에 위치한 여러 동료 선수들(넓은 폭의 주의)을 주시해야 하며, 그 가 동료 중 한 선수를 선택하여 볼을 꽤스하려 할 때 그 선수에게 주의의 초점을 집중해야 한다(좁은 폭의 주의). 주의의 또 다른 유형은 주의의 방향언데, 이 방향은 선수들의 주 의 가 내적 (int ernaI) 이냐 혹은 외 적 (externaI) 이냐를 의미 한다. 스 포츠 장변에서 선수들은 자신의 사고나 느낌 혹은 내척 단서들에 주의가 집중될 수 있으며, 또는 경기 상황이나 상대의 전략 등 환 경적 외적 단서들에 주의가 집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구나 농 구 등의 팀 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는 선수들은 외척 주의 방향이 요 구되며, 마라톤이나 사격, 양궁과 같이 개인 스포츠에 참여하는 선 수들은 내적 주의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주의의 방향 역시 폭과 마 찬가지로 스포츠에서 훌륭한 수행을 위해서는 내척에서 외척으로, 혹은 외척에서 내적으로의 융통성 있는 변화 능력이 요구된다 하겠 다. 이상에서 주의과정은 선수가 수행을 하거나 기술을 학습할 때 결 청적 단서가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주의집중에 도움을 주거나 방해하는 요인을 규명하고, 최적 주의를 성취할 수 있는 방 법을 밝히는 것은 선수와 코치들의 일차척인 판심인 동시에 스포츠 심리학의 주요 연구 영역이다.
5-5-2 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주의는 일시척인 상황에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아 무엇언지를 규명함으로써 더욱 찰 이해할 수 있다 . 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크게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번째 영역은 개인 내척 (endogenous) 요인으로 생리적 각성 수준이나 성격특질 및 시신경 특성 퉁이 포함되며, 두번째 영 ‘ 역은 개인 외척 (exogenous) 요인으로 과제의 본질이나 특성, 사회 척 압력, 경쟁, 과제 주위의 청각척, 시각적 자극 등을 들 수 있 다. 이러한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시각적 특성 선수들은 연령에 관계없이 물체에 대해 눈이 습관적으로 움직이 거나 적응하는 방법이 모두 다르다. 이러한 개언차는 예를 들어 야 구에서 투수로부터 날아오는 볼을 얼마나 빨리 지각하느냐 하는 문 제와 운동 장변에서 물체에서 물체로 혹은 사람에서 사람으로 눈이 얼마나 효율척으로 움직이느냐 하는 방법에 영향을 준다. Kowler 와 Zingale(I9 8 5) 에 따르면 이러한 특성은 장시간 동안의 무의식적 과청을 통해서 학습되며 쉽게 변화되지 않는다. 2 각성 i 활성화 수준 개언의 습관척언 각성 수준 및 각성-활성화 수준을 조절하거나 유지시키는 능력은 장·단기간의 주의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단기간의 적정수행 수준이 요구되는 경기의 선수는 단기간의 주의 가 필요하며, 이러한 선수는 장기척 주의의 유지에는 비교척 효과 척이지 못하다. 또한 테니스나 양궁, 복싱과 같이 활성화 수준과 주의 수준의 융통성(고·저)이 요구되는 과제에서는 각성과 주의 수 준을 쉽게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3 성격특성 성격과 주의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들은 외향척 사람과 내성적 사
람 사이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주의의 경향이 서로 다르다는 결 과 를 제 시 하 였 다 (Ey senk, 1967; Revelle, Humphreyes, Simon & Gil 1ia nd, 1980). 즉, 외향척 사람은 내성척인 사람에 비해 심리실험 에서 더욱 찰 조건화되며, 그 환경에 대해 더욱 능동척이며, 또한 각성화된다는 것이다. 특히 G il1 espie 와 Eysenck ( 19 80 )는 외향척 사람이 단기간에 있어서 더욱 주의 능력이 좋은 반면 내성척언 사 람은 장기간의 주의를 요구하는 과제에 더욱 효과적인 주의 능력을 발휘한다고 제시하였다. 아울러, 내성척인 사람은 과제 학습시 주 의 혼란에 의해 쉽게 방혜를 받는 것 같다. 4 성 차이 주의의 질적 차원을 다푼 연구들은 남성과 여성을 비교하여 주의 유형에 차이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의 주의 유형은 포착하기 어렵고 미묘한 사회 .적 단서들을 탐지하여 반응하는 경향이 었으며, 또한 외현적으로 강한 자극을 축소시켜 반응하거나 정서적인 단서들에 반응하는 경 향이 있다. 그러나 남성들의 주의 유형은 비교적 사회적 자극에 대 한 반응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다. 5 학습수준 운동선수의 주의와 수행 관계를 연구할 때 고려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변인 중의 하나는 과제에 대한 개인의 학습 수준이다. 일반적으로 과제가 자동화될 때 과제에 대한 주의는 감소되며, 수행이 무의식적으로 된다. 운동경기에서 대부분의 과제는 한 순간 에 하나 이상의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예를 들어 농구에서와 같이 드리블을 하면서 걷거나 뛰는 것과 마찬가지로 소위 〈시간배당〉 (time-sharing) , 즉 통시 에 풀 이상의 과제를 의식적오로 수행해 야 하는 과제들이다. 이러한 과제에서 초보자들은 주의 요구와 각성→활성화 에너지 요 구가 증가하며, 주의 분산 역시 일어나기 쉽다. 그러나 완축 단계 에 있거나 많은 과제를 자동적 A 로 수행할 수 있는 노련한 선수는
단순히 기능을 발휘하거나 반웅해야 할 자극의 존재에 초점을 맞추 기보다는 주의 분산을 억제하거나 시합 결과 및 발휘된 기술을 해 석하고 명가하는 데 주의를 기울인다 (Navon , Gopher, Chillag, & Spitz, 1 98 4 ). 요약하면 기능이 우수한 선수는 주의 분배를 효과척 A 로 할 수 있는 반면 기능 수준이 낮은 선수는 자주 주의 노력을 분배해야 하며, 그 결과 수행에 지장을 받는다. 6 자극의 애매합과 예측 가능성 학습 수준과 밀접하게 관련된 변인은 상황적 자극의 애매함과 예 측 가능성 요언이다. 즉, 상대가 주어진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확 률은 수행자가 해야 할 반응의 질과 주의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야구 투수의 볼이 커브냐 직구냐 하는 선돼과 같은 확 률에 대한 충분한 지각적 학습은 수행을 고조시키며, 또한 주의를 경쟁 상황에서 보다 다른 예언 불가능한 구성요소들에 집중토록 배 당한다. 한편, 지각척으로 애매한 상황이 개인에게 나타난다면, 주의는 분산되거나 주의 부담이 발생하게 된다 (Navon , 198 5 ). 이와 같이 자극의 복잡성이나 발생할 자극의 확률은 고도의 인지적 처리 수준 을요구한다. 7 그날의 시간 앞에서 각성-활성화 수준은 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제시 했다. 여기에서 우리는 각성 수준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 주의의 질 을 변화시킨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각성-활성화의 조정자로는 피로나 수면유형 빛 그날의 시 간 등을 들 수 있다. Barton 과 Cattell (1974) 은 선태 판단이 요구 되는 복잡과제에서 주의와 수행은 〈정요〉경에 최적 수준이 됨을 제 시했으며, 단순과제에서는 이 시간보다 약간 전에 최적 수준이 나 타났다. 이러한 관점에서 선수들의 적정 주의-수행은 청오 즉, 전 날 장이 챈 후 약 4 시간 후에 나타난다고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Eysenck (19 82 ) 는 다음날의 경쟁이나 시합시간을 고려하여 수연의
표 4-9 주의집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내척 요인 외척 요인 감각기관 (시각, 청각 둥) 。 1 용 가능한 정보의 양 정보처리 용량 사회척 스트레스 특정한 상황에 학습된 행동 자극의 복잡성 성격 특성
유형과 시간을 조절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5-5- 3 주의집중의 모델 주의와 각성 및 수행 사이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려는 모렐들은 섬 리학의 역사만큼이나 오랜 19 00 년대초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그러한 상호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과제나 접 근 방법 및 해석 개념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각성 수준의 변화와 주의집중의 관계를 수행이라는 단일 차원에서 검증되고 추론된 경험적 연구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역사적으로, 최초의 주의집중 모렐 중의 하나는 Yerkes 와 Dodson(19 08 ) 의 주의-각성 모렐이다. 이들은 쥐를 대상으로 전기 충격을 회피자극으로 조작한 실험연구에서 각성과 수행 사이에 역U 형 곡션을 발견했다. 즉, 각성 수준이 증가할 때 적정 수행이 얻어 지며, 만약 이 각성 수준이 과도하게 높게 되면 수행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 모렐은 각성이 과도하지 않을 때 소음이나 높은 수준의 동기적 환경은 과제에 대한 주의와 노력을 증가시킨다고 가 정하고, 이 시점에서 수행은 주의와 노력이 감소함에 따라 저하되 기 시작한다고 제안 하였다. 그러나 이 모렐은 몇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데, 첫째, 이 모렐에서 사용된 회피자극이 각성과 불 안을 고조시키는 데 매우 척철함은 지지하나 만약 긍정척 유인가가 각성 고조를 위해 사용될 때 과제 수행과 각성 사이에 이 모렐이 예언한 상호관계성은 적어질 것이다 (W iIl ett , 1964). 둘째, 이 모렐
은 과제 난이도나 과제 요구가 중가함에 따라, 즉 과제가 어려워짐 에 따라 노력을 더 하게 되며 각성 또한 더욱 중가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여기에서 과제 난이도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다. 세번째 문 제는 해석상의 모순인데, 어떤 상황이나 과제에 모두 적용될 수 있 다는 각성의 단일 개념을 채태하고 있다는 데 있다. 그러나 이 점 은 추후 연구들에서 이 모델이 주장하는 각성과 주의 및 수행간의 상호관계가 더욱 복잡함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주의와 각성, 수행 간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려는 노력은 수 행할 과제에서 나타나는 단서 (cue) 의 질과 이들 단서의 조화에 초 점된 모텔이다. 예를 들어 Easterbrook (1959) 은 각성이 증가됨에 따라 과제수행과 관련없는 단서에 대한 주의가 감소히는 경향이 있 음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각성이 과도해점에 따라 더욱 더 관련 단 서가 차단되어 과제의 효융성은 저하된다고 제안하고 적정 각성 수 준과 과제 효울성 사이에 더욱 미묘한 관계를 설명하려고 노력했 다. 이러한 관점은 과도한 각성 수준에서 주의와 수행이 감소된다 는 추후 연구들에 의해 지지되었는데, 특히 Naatanen(19 8 5) 은 과 도한 각성 수준이 수행자들의 불안을 고조시격, 그들의 주의를 분 산시킴과 동시에 수행을 감소시킨다고 제시했다. Naatanen 의 각성 역효과에 대한 해석은 관중의 소음에 의해 활성화 되거나 코치의 훈계에 의해 활성화될 때 선수들의 주의집중은 저하되고 따라서 수 행이 감소된다는 관점과 맥락을 같이 한다. 최근의 또 다른 주의집중 모렐은 주의와 학습, 기억 및 기억으로 부터 인출과의 상호작용 효과에 초점을 둔 이론이다. 이러한 관점 에서 Broadbent (1953) 의 지각과 의사소통에 관한 저서는 20 세기 초반 행동주의자들에 의해 소외된 인지-주의의 관심을 재발시킨 저 서이다. 이러한 학파의 학자들은 많은 단서들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관련 단서를 수용할 예 신경체계의 과정기제로서 한정적 여과기 (narrow filter) 를 제 안하고 있으며 , 아울러 개 인의 주의 용량은 최 초 수행과제가 찰 학습되고 자동화될 때 확장된다고 주장하고 있 다. 예를 들어 Hirst, S pelke, Reaves, Caharack & Neisser(1980) 는 주의를 분산시키는 능력이 얼마나 많은 단서들이 획득되는냐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일차척으로 개인의 기능숙달 수준에 달려있다 고 제시했으며, Shiffrin 과 Schneider (1977) 는 농구기능 수준을 대 상£로 한 연구에서 드리블과 같은 기능이 찰 학습됨에 따라 주의 는 상대적£로 척어지게 되며 따라서 상황척 단서에 더 이상 주의 나 의식이 필요치 않게 된다고 제안하고 있다. 이상의 주의 모탤은 단서를 획득하기 위한 〈한정적 여과〉기제의 존재를 강조하고 있 A 며, 이렇게 여과된 단서들이 기억고로 할당 배치된다는 입장을 고 수하고 있다. 더욱 최근 Navon(1985) , Posner 와 Snyder (1975), Scheider (198 5) 및 Triesman 과 Gelade(19 8o ) 에 의해 발전된 주의이론은 하 위 과제들에 요구되는 주의와 자동화 단계에서 발휘되는 수행능력 사이의 차이를 강조하고 있다. 이상에서 논의한 주의의 모렐들은 피험자들의 신체 일부분이 요 구되는 최소의 복잡성을 가진 지각적 변별이 함축된 과제들에 초점 이 맞추어졌다. 그러나 대부분의 스포츠에서 선수들은 실제적으로 오랜시간 동안 많은 사건을 받아들여야 하며, 따라서 생리적 피로 와 심리적 피로를 수반한다. 이러한 · 관점에서 장기간의 주의 유지 에 관련된 모탤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Parasuraman , 198 5). 5-5- 4 주의집중의 방법 운동선수들의 주의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들은 많이 있으나, 일부 는 많이 연구되어진 반면 다른 대다수는 과학적으로 유용화되지 않 고 있다 (Cox , 198 5). 최근 이론적 문헌이나 현장에서 응용되고 있는 방법들은 대부분 주의집중을 방해하는 요인들을 찾아내어 이러한 요인들을 제거함으로써 주의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방법상 공통점 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생리적 피로가 주의 분산에 영향을 미 침에 따라 장기간의 경기에서 적정 체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방법이 나, 실제 경쟁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 요인을 연습시 모 렐령시킴으로써 이러한 요인들을 습관화시키는 방법, 각성 수준과 주의의 관계성에 기초하여 개인의 각성과 불안 수준을 조절함에 따
라 척정 주의 수준을 유도하기 위한 시각척 심상이나 인지척 조정 등 다양한 프로그랭들이 있다 (Kirschenbaum & Wittock, 1984). 일반척으로 선수들은 자신의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환경척인 스트 레스 요인에 대해 반응할 준비를 갖추고 있어야 하며, 자신이 가지 고 있는 주의집중의 강점을 신뢰하여야 한다. 이러한 상황척 스트 레스 요인에 대한 심리척 반응으로서 주의집중 능력은 크게 네 가 지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주의집중 형태는 통상 긴장 상태하에서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주의집중 형태를 상황에 적합한 주의집중 형태로 전환하는 능력 향상에 기초를 두고 있다. 네 가지 주의집중 형태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포괄적-내적 주의 력 (broad-i nte rnal) 이 방법은 지나간 과거의 경험을 상기하고 장래에 대한 계획을 수렵하고자 할 때, 포한 많은 정보를 조직화하는 것이 요구되는 과 제를 수행할 때 적합한 분석적 주의집중 방법이다. 2 포괄적-외 적 주의 력 (broad-e x ternal) 이 방법은 다양하게 변화하는 복잡한 환경적 상황에 신속하게 대 처동}는 것이 요구될 때 적합한 주의집중 형태이다. 즉, 미식축구의 쿼터백이나 축구의 최종 수비수들의 주의집중 능력을 향상시킬 때 효과적인 방법이다. 3 한정 적-내적 주의 력 (narrow-internal) 이 방법은 대다수의 선수들이 운동을 수행하기 전에 자기가 취하 고자 하는 통작을 마음을 가라앉히고 정신을 집중해서 그려보는 가 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역도선수가 바벨을 들어 올 리기 전에 집중적으로 바벨을 응시하면서 그 바벨을 들어 올리는 것을 상상하는 방법이다. 4 한정 적-외 적 주의 력 (narrow-extern 매) 이 방법은 외적인 환경 상황, 특히 물리적 상황에 반응하려고 할
때 요구되는 주의집중 형태로서 야구의 타격이나 테니스의 서비스, 골프의 퍼팅 상황에서 유용한 주의집중 방법이다. 한면, 선수의 주의집중 능력에 관해 이야기할 때 우리는 그 선수 가 처해 있는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그 선수의 주의 강정과 약 점을 논하게 된다. 아무리 세계적인 선수라 할지라도 상대적인 약 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그런 약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선수들 보다 운동을 찰 수행함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그들 각 자의 경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랩을 수립할 때 어떤 정들을 고려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정상적 인 조건하에서 일지라도 선수들은 환경적 단서들에 의하여 간섭을 받게 되면 주의집중에 상당한 간섭을 받게 되며, 아울러 경기력뿐 만 아니라 심리적 압박감이 증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압박감을 느끼는 상황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주 의집중 형태가 나타난다. 첫째, 변화된 환경적 요구에 반응할 때 그에 적절한 주의력을 선 택 적용할 가능성이 적어짐에 따라 정신적 유연성이 감소된다. 둘 째, 압박감이 증대됨에 따라 주의를 집중할 수 있는 시야가 좁아진 다. 이 경우는 특히 계속적으로 주의를 집중시키려고 서두름에 따 라 가중한 심리적 부담을 수반한다. 셋째, 신체적 징후(심박수 증 가, 위경련, 불안 등)가 발생함에 따라 주의력은 내적으로 집중 된다. 이 경우 선수는 자신이 성취할 운동 과제와 관련된 단서들 에 대해 주의가 산만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실수를 유발하게 된다. 그러나 주의집중의 능력은 개인간에 큰 차씨가 있으며 또한 선수 들은 표 5- 10 에서 제시된 네 개 차원의 주의력 가운데에서 다른 선 수들보다 두드러지게 강한 어느 한 형태의 주의력을 가지고 있다. 이상의 관점에서, 코치나 교사들은 선수들의 주의가 산만하게 된 원언을 찾을 수 있£며, 나아가 선수의 올바른 주의의 집중을 유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즉, 실수를 유발하는 원인이 선 수의 각성 수준 때문인지, 아니면 상황이 요구동}는 주의의 전환 능 력의 부족인지를 밝혀 선수의 주의집중을 위한 보다 효과적인 방법 을 제시해 볼 수 있다.
표 5-10 주의집중 차원 외척 (BET) 포괄척-외척 주의력 (NAR) 한정척-외척 주의력 강점-복잡한 환경상황을 찰 이해한 | 강점-목표물(예 : 볼, 골대)에 대해 다 서 정확히 집중한다. 약정-강게 생각하지 않고 서둘러 | 약점-실제 찰 이루어지지 않음에도 급하게 반웅한다 불구하고 동일반응에 대해서 집착한다. (BIT) 포괄적-내척 주의력 (NAR) 한정척-내적 주의 력 강점〕좋은 분석능력을 가지고 있으 | 캉점-사고 혹은 아이디어에 집중할 며 장기 계획을 수립한다 수 있으며 정신적(심리적)으 로 심사축고한다. 약점-너무 이론척이기 때문에 어떠 | 약정-새로운 정보에 적응하지 못하 한 일에 집착하지 못한다. 재 | 고 집중하지 못한다. 주위에 빨리 반응하지 못한다 서 어떠한 일이 일어나는가에 대해서 민감하지 못하다. 내척
구체적으로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경기 도중에 발생하는 어떤 오 류를 생체역학적 업장에서 분석하여 해결하려는 시도와 유사한 데, 즉 실수를 유발하게 한 원인을 찾아내어 그 원인을 제거하는데 필 요한 독특한 자기-통제 (self -control)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문제의 해결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우수한 선수들은 자신이 당면한 문제 에 주의를 기울이는 데 도움을 주는 한정척 주의력 (narrow attentional focus) 을 개발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 서 이들은 자신야 당연한 문제를 자기통제 방법을 이용하여 해결하
려는 생각을 가지게 될 것이며, 이때 점진척 근육이완이나 심리척 연습, 주의집중 통제훈련 등은 선수들에 의해 자기통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5-5- 5 주의 집중의 측정 선수들이 경쟁이나 시합동안 척절한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는 능 력의 개념은 선수들이 자신의 주의를 상황의 요구에 따라 넓게 (포 괄적) 혹은 좁게(한정적)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농구와 같은 경기에서 선수들은 자신의 볼을 패스하기 위해서는 포괄적인 주의가 요구되는 반면 프리드로 슛을 할 경우에는 관중이나 외부의 환경적 자극들에 의한 주의 분산을 방지하기 위해 한청척 주의가 요구된다. 여기에서 한정적 주의의 개념은 단서활용 (cue utilization) 이라는
A 필요한 실마리
벙주에서 찰 이해될 수 있는데, Easterbrook(1959} 은 환경척 단서 들이 선수틀의 기능화된 수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주장하고 이들 정보 중 일부는 직접척으로 수행에 관련이 있는 정보이며, 다 른 것들은 수행과 무관한 정보로서 선수들의 운동수행을 방해한다 고 제안했다. 또한 개인 각성 수준과 관련하여, 각성 수준이 낮은 조건에서 선 수들은 관련정보나 무관정보 모두를 받아들이나 각성 수준이 증가 함에 따라 주의의 폭은 좁아져 관련정보만 선택하게 된다. 즉, 척 정 각성 수준(적정 주의 수준)에서 수행은 최대가 되며, 각성 수준 이 너무 과도할 때 주의는 분산되어 수행을 감소시킨다. Nideffer( 19 76, 1980a, 19 80b ) 는 이상과 같은 선수들의 주의과정 이 두 개의 독립척인 차원의 기능에 의해 나타난다고 가정하고, 선 수들이 습관적으로 광범위한 단서를 이용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하 나만의 단서, 즉 비교척 적은 단서들을 사용하는지를 측정하기 위 해 Silverman (19 6 4) 과 Wachtel (19 6 7) 의 연구를 기초로 TAIS(test of attentional and interpersonal style) 를 개 발하였다. 이 검 사는 두 개의 독립적 차원, 즉 폭(포괄척 • 한정적)과 방향(내적·외적)에 대한 6 개의 하위 영역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각 하위 영역마다 12 개 의 질문을 둔 총 7 2 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었다. 이 검사의 각 하위 척도의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BET(broad-external) 효과적인 포괄척-외적 주의력을 가진 상태. 이 척도에서 높은 점수는 많은 환경적인 정보를 동시에 소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2 OET(external-overload) 과중한 외척 정보로 언하여 심리적 부담을 가진 상태. 이 척도에서 높은 점수는 능력에 비해 너무 많은 외적인 정보를 과중하게 받거나, 부척절한 정보에 의해 주의가 산만해져서 실수 유발의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3 BIT(broad-internal) 포괄척 내척 주의력을 가진 상태. 이 척도에서 높은 접수는 장기 계획을 수렵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그렇게 하는 것이 척합하 다고 판단될 때 동시에 많은 것을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 을 의미한다. 특히 이 능력은 우수한 지능이나 조직력과 밀접한 관 계가 있다. 4 OIT{ int ernal-overload) 과중한 내적 정보로 인하여 심리적 부담을 가진 상태. 이 척도에서 높은 점수는 선수 자신이 가지고 있는 사고나 주의 가 산만해져 실수 유발의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5 NAR(narrow-effective focus) 효과적인 한정척 주의집중력을 가진 상태. 이 척도에서 높은 점수는 한가지 과제에 대해 효과적으로 주의를 집중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이 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보인 선수는 주어진 일에 헌신적이고 열섬히 연습하며 꾸준 히 노력하는 것이 특갱이다. 6 RED(errors of underinclusion) 이 척도에서 높은 점수는 너무 한정된 좁은 영역에 주의를 집중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 척도에서 높은 정수를 보언 선수는 주 의를 넓게 확산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때 확산시키지 못함에 따라 실수를 유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지나치게 긴장하는 선수들이 이 척도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 검사는 다른 여러 심리검사들과 마찬가지로 대상자들 이 질문에 솔직히 반웅하느냐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 A 며, 특히 Landers(I9 82 ) 는 이 검사가 주의의 폭을 예측하는 데에는 유용하나 방향척인 차원(내척·외척)에서의 주의는 피험자들의 반웅£로부터 예측할 수 없다고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EtzeI( 1979) •
Van Schoyck & GraSha(I9 8I ) 는 보다 상황 부합척인, 즉 각 스포 츠 상황에 척합한 검사의 개발과 활용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상 황부합척 검사들로는 현재 Etzel ( I 979) 의 RAQ (riflery attention questionnaire) 와 Van Schoyck 와 Grasha(I98 I) 의 T -T AIS (tennis- TAIS) 가 있다. ~숫 6 주의집중의 원칙과 응용 일반척 A 로, 스포츠 종목마다 주의집중의 형태와 주의의 이동은 모두 다르며, 따라서 최적 수행을 위한 주의집중의 방법도 달리 해 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코치나 지도자들은 자신의 종목에 맞는 주의집중의 원칙을 선택하여 웅용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 하여 앞에서 제시한 이론과 모렐에 근거하여 8 가지의 주의집중 원 칙을 제시하고 이의 웅용척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원칙@ 선수들은 자신들이 받아들이는 정보에 따라 어렵게 반응 하기도 하며 쉽게 반응하기도 한다. 응용 : 선수들은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코치들은 선수들의 능력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원칙@ 선수들의 반응은 자신이 받아들이고 해석한 정보에 의해 서 쉬워질 수 있다. 응용 : 만약 타자가 처음 상대하는 투수를 맞이한다면 타자는 그 투수에 관한 정보를 근거로 그 투수의 구질을 미리 파악 하여야 하며 또한 그 투수가 던지는 구철의 종류와 빈도수에 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원칙@ 선수들의 반응은 자신이 받아들이고 해석한 정보에 의해 어려워질 수 있다. 응용 : 타자가 받아들이는 정보 측면에서 타자에 대한 투수의 난이도를 3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째, 투수는 가능한 한 다양 한 구질을 개발해야 하며 둘째, 개발한 구질을 다른 확률로 사용해 야 하며 세째, 타자가 투구 폼을 보고 구질을 예측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세 가지 요인의 조합이 타자에게 가장 많은 양 의 정보를 주기 때문에 타자의 반응이 어려워질 수 있다. 원칙@ 주의집중은 아마도 훌륭한 선수들이 가지는 하나의 가장 중요한 인지적 특성이다. 응용 : 모든 스포츠 종목은 나름대로 주의집중을 해야 할 결정 적인 열쇠나 문제해결의 핵을 반드시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배구 경기에서 블로킹은 가장 중요한 방어무기이기 때문에 블로커들은 공격자에 주의를 집중시격야지 세터의 통작이나, 속엄수를 쓰는 공 격수, 심지어 볼에 현혹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원칙@ 주의집중 능력은 학습될 수 있는 하나의 기술이다. 응용 : 주의집중 능력이 남보다 뛰어난 선수가 있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으며, 이러한 능력이 학습될 수 없다는 근거 또한 없다. 따라서 주의집중 능력은 코치가 문제해결의 핵심을 찾아낸 후 적절 한 순간에 선수들에게 제공해 줌에 따라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 어 농구 프리드로 슛의 경우 핵심은 바스켓에 주의를 집중하는 것 이다. 실제 시합 때에는 선수들의 주의집중이 산만해질 상황이 아 니기 때문에 시합을 통하여 주의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기술을 배울 수 없다. 따라서 관중과 상대편이 있는 유사 시합 상황을 통 하여 선돼적 주의의 기술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원칙@ 선수들의 정보처리 용량과 공간(능력)은 한정되어 있다. 응용 : 만약 코치가 선수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정보량을 초과 해서 주문한다면 실패를 자초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원칙@ 기술에 관한 정보가 줄어들면 줄어들수록 기술 외의 정 보처 리 용량은 증가한다. 응용 : 축구를 배우는 초보자에게는 공을 드리블하는 단순한 동 작도 많은 정보처리 용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드리블 외에 다른 것 을 생각할 겨를이 없다. 그 선수는 멀리 있는 선수에게 패스할 능 력도 없고, 게임이 전개되는 상황을 인지할 수도 없으며 더우기 상 대편의 동태를 파악할 겨를도 없다. 어떻든 일단 드리블이라는 기 술을 축달한 후라야 그 선수는 이와 같은 모든 것과 그 이상의 것 을 할 수 있다. 즉 정보처리 용량이 충가하는 것이 아니고 드리블
하는 데 필요한 정보의 내용이 거의 영에 가깝게 줄어드는 것이 다. 원칙@ 주의집중이 좁아지연 문제 해결에 필요한 단서의 활용이 줄어 든다. 웅용:포괄척인 주의 집중은 선수들에게 중요한 문제 해결의 단서를 제공하나, 불필요한 단서에 주의를 두어 경기를 망치는 경 우는 었다. 반연 제한적인 주의집중은 선수들에게 가장 결정척인 문제 해결의 단서를 제공할 수도 있으나 시합에 꼭 필요한 단서를 놓치는 경우가 있어서 경기를 실패하는 수도 있다. 따라서 상황마 다 척절한 주의집중의 이동이 필요하다.
제 6 장 운동수행의 사회심리적 요인 6-1 운동집단 6-1-1 운동집단의 특성 1 운동집단의 개념 대부분의 운동은 집단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 운동집단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일반적인 집 단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집단이란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하는 개언들의 집합 체이며, 집합체가 각 구성원에게 혜돼을 부여할 때 형성되는 것이 라 할 수 있다. 보통 집단이라고 하면 소집단을 말하는데, 이 소집 단에서는 구성원들이 얼굴을 맞대고 서로 상호작용을 한다는 점이 큰 집단인 조직이라는 단체와 다른 것이다. 집단이라는 사회심리적인 구성 개념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조 금씩 다른데, 이러한 다양성은 연구자의 관심이나 특수한 관심 영 역의 정위를 반영하는 것이다. Homan{I95 I ) 은 Hμ ma η Gro μp 이라는 저서에서 집단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집단은 종종 시간의 장내에서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하는 일련의 사람들의 집합체이며, 각 개인이 모든 성원들 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석 여유는 없으나 다른 사랑
들과 간접척이 아닌 직접 얼굴을 맞대고 의사소통핸 모임이다 ... ) 계속해서 그는 이 청의를 청교하게 발전시켰는데, <집단이란 집단 구성원들의 상호작용£로 정의할 수 있다〉고 하였다. 만약 개인 A, B , C , D 가 한 집단의 구성원들이라면, 최소한 이것은 다음 상황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주어진 시간 내에 A 는 주변인이나 다 른 집단 구성훤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M , N , L , O , P 보다 B , C , D , E 와 더 많은 상호작용을 하여야 하며, B 또한 주변인들보다 A , C , D , E 와 더욱 빈번한 상호작용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한 집단이 양적으로 다른 집단과 차이있는 것을 알아내려면 상호작용하는 횟수를 관찰 하는 것만으로 가능하다고 하였다. 유사한 관점을 갖는 Merton(1957) 과 Schein(19 6 5) 은 집단을 정 의하기 위해서 세 가지 기준을 제시하였다. Merton 은 〈상호작용의 빈도), <자신들이 구성원으로서 정의한 사랑들간의 상호작용), <집단 의 소속으로 타인들에 의해 정의된 사람들의 상호작용〉 등의 3 가지 를 객관적인 집단의 기준으로 보았고, Schein ( 19 68) 은 조직 내에서 집단의 섬리적 특성에 특별한 관심을 두었다. 그는 심리적 집단이 란 @ 다른사람과 상호작용하고 @ 타인을 심리적으로 인지하며, @ 그들 스스로가 하나의 집단이라고 지각하는 일련의 사람들의 집 합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집단의 크기는 상호작용과 상호인식의 가 능성에 의해 제한받는다. 단순한 사람들의 모임 (예를 들어 거리에 서 어떤 사건을 구경하고 있는 군중)은 이 정의에 맞지 않는데, 그 이유는 그들 스스로가 상호작용하지 않으며 서로 집단이라고 지각 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셜명하였다. 스포츠, 신체 활동과 관련하여 집단을 정의한 Newcomb (1951) 는 집단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의 규범적 특성을 강조하 면서 집단의 뚜렷한 특성은 집단 구성원들이 어떤 것에 대한 규범 을 공유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 집단 구성원들간의 상호 의존성 을 강조한 Lewin(194 8 ) 은 집단이란 유사성 (similarity) 보다는 상호 의존성에 입각한 통적인 총체로서 정의되어야 한다고 했으며, Cartwight 와 Zande r( 1 9 68 ) 는 집단이란 어느 정도 의미있게 상호 의존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가지고 있는 개인들의 집합이라
고 제의하였다. 다시 말하면, 집단은 구성원틀간의 상호 의존척인 공통특성을 갖는 사회척 설재 (social entity) 의 일종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정의에 비추어 보면 집단이란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 해 의사소통의 규범적 특성을 갖고 상호 의존적으로 활동을 조정하 는 사람들의 집합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집단은 분류 기준에 따라서 여러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크기에 따라서 대집단, 소집단으로, 집단의 형성 목적에 따라서 공식 집단 과 비공식 집단으로 나눌 수 있 S 며, 어떤 학자들은 전자를 과제집 단 후자를 정서집단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여기서 운동집단은 위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집단의 정의와 분류 방식을 따라서 정의할 수 있다. 단순하게 표현하자연, 운동집단이 란 운동을 하기 위한 사람들의 집합체라 할 수 있다. 보다 정의적 으로 기술하면, 모인 사람들간에 운동을 한다고 하는 공동 목표와 그것의 규범 (norm) , 그리고 우리들의 집단이라는 의식이 있고 그 런 사람들 사이에 어느 정도 안정된 상호작용이 계속되는 사회적 단위 또는 실재 (entity) 를 의미한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운동집단 이란 운동을 한다는 목표지향에의 공통점이 있고, 그 목표를 성취
αgα
하기 위하여 조화로운 팅원 (teamwork) 과 규법을 공유하며 집단과 일성체가 되는 사회척 단위가 계속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안정된 상호작용을 가지는 인간의 모임을 가리킨다. 분류의 방법에 따르면, 운동집단은 소집단에 속하며 공식집단 포 는 과제집단이라 말할 수 있고 그것은 운동이라는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공식 집단이기 때문에 정해진 목표가 없이 모여 상호간에 긴 밀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군접 (col1 e ction of individuals) 과 구멸된다. 이러한 집단과 군집간의 차이를 그렴 6-1 과 같이 도식화 할수 있다. 2 분석단위로서 개인 대 집단 집단의 특성과 연관된 오랜 문제 중의 하나는 분석 단위로서 집 단의 실재에 대한 이해관계이다. 즉, 집단은 두 개의 상이한 일반 적 관점£로부터 개념적으로 고찰할 수 있다. 첫째, 집단을 그것을 구성하는 개인들과 뚜렷한 구분이 되는 실재나 단위로 보는 관점으 로, 이 관점은 각 집단 구성원들이 개인적 욕망, 포부, 동기, 능력 등을 집단으로 유도하여 이것이 총집단 구성력과 그것의 결과에 영 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그러나 집단의 요구, 포부, 동기, 능력들은 개별 특성들의 단순한 종합과정을 거쳐 달성될 수 없다는 것을 명 심하여야 한다. 집단은 집단 본연의 권리로서 존재하며 총체로서 분석되어야 한다. 두번째 관점은 집단을 그것의 집합적 구성원들의 부가적 산물로 고려하는 것이다. 따라서 집단 내의 개별 구성원들이 공격적이거나 우호적이라는 등의 특성을 갖는다면 집합적인 설재는 이러한 국면 을 반영하게 된다는 관점이다. 여기서 집단은 집단 구성원들의 힘 으로 고려되고, 따라서 개별 구성원들이 분석을 위한 중요한 단위 가된다. Cattel1 (1948, 1953) 은 이 두 관점 중 어느 것을 선돼하느냐보다는 자신이 돼념 (pane l)이라 명명한 다양한 수준에 입각하여 집단을 묘 사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 패널은 개체성, 구조성, 통합성으 로서 개체성 수준에서 집단을 묘사히는 것은 개별척인 집단 구성원
들의 심리적 특성, 즉 성격, 욕구, 동기, 속성 등에 초정을 두는 것이며, 구조척 수준에서 집단의 분석은 집단 내의 상호작용 유형 을 고찰하는 것이다. 통합성은 집단이 어떠한 성격의 개인들로 구 성되었는지를 정확하게 정의하는 것으로, 자극 상황이 정의되었을 때 집단의 반응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Cattell , I953J. 따라서 개체성 (population) 은 집단 상황 내의 개인들에 관심을 가지며, 구조성 (structure) 은 구성 원간의 상호작용에 관심 을 두고, 통합성 (syntality) 은 총체로서의 집 단에 관심을 갖는다. 최소한 개념적 견지에서 이러한 세 개의 패널을 활용하여 집단역 동을 연구한 결과를 보면, 총체성으로서 집단을 강조하는 관점 (Cattell 의 통합성)이 가장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3 집단의 유형 사회에는 상야한 종류의 집단이 많기 때문에 여러 학자들이 집단 을 분류하고 유형화하려고 노력하여 왔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분류 도식들은 하나 또는 두 개의 주요한 특성이 존재하느냐 하지 않느 냐에 따라 구성된다. 대개는 가장 중요한 단일특성이 선택되고 그 특성이 존재·부재 여하에 따라 이분법이 설정된다. 이렇게 분류하 는 데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특성은 크기(집단 구성원들의 수) , 집단 구성원들간의 물리적 상호작용의 정도, 집단의 활동에 대한 통제의 소재, 집단의 조직적 구조의 특성 (집단 구성원들 사이의 인 간관계를 지배하는 공식적인 규칙이 정해져 있는지 여부) 등이다. 현재 집단의 연구문헌에서 집단의 분류 양상을 살펴보면 공식-비공 식 칩단, 회원춘거 집단, 일자이차 집단, 내-외 집단, 소집단}대 집단, 공개-폐쇄 집단 , 동질-이질 집단 등의 유형이 보고되어 있 다. 이들 각 유형은 상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집단 구성원들 에게 상이한 영향을 준다. 첫째, 가장 빈번하게 구분되는 집단의 분류 방식은 공식-비공식 집단이다. 공식 집단은 특정한 목척을 수행하거나 과제를 완수하기 위하여 설정된 집단으로 이 집단은 지속시간에 따라 일시적 집단, 영구적 집단으로 분류된다. 학교 운동시합에서 시상을 위해 설치된
경기위원회는 일시적 공식 집단의 예이며, 운동부 팀 그 자체는 영 구척인 공식 집단의 예이다. 한편 버공식 집단은 공식 집단 내에서 생기거나 집단 구성원들의 구체적인 욕구에 반웅하는 개인들의 집 합내에서 조직되는데, 팀 내에 존재하는 파당(하위 집단)이 비공식 집단의 예이다. 이 속에서는 공통적 관심 또는 언간척인 공동 소속 성 관계에 바탕을 두게 되며, 개개인의 지위가 규정이나 규칙을 통 하여 정하여 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성이나 여타 구성원과의 상호작 용에 의해서 결정된다. 두번째로 고려할 수 있는 집단 이분법은 일차-이차 집단이다. 일 차집단은 대인간의 친근성과 협동이 특정이고, 다소간 연속적이고 직접적인 구성원 사이의 접촉을 통하여 사회적 상호작용이 이루어 진다. 또 어느 한 인간에게 가장 중요하고 그를 가장 강하게 부상 시켜 주는 집단이다. 가족과 동료집단이 일차 집단의 주요한 예이 며 방대하게 연구되고 있다. Kolsa (19 6 9) 는 사업·조직행동을 논의하면서 집단을 회원 i 준거 집 단, 내-외 집단으로 이분하였다. 회원 집단은 우리가 현시점에서 소속하고 있는 집단이고, 준거 집단은 우리들이 결부되어 있다고 느끼고 있고 우리들 자신과 동일시하고 있는 그런 집단으로서 그것 은 우리들의 행동을 결정하여 준다(예 : 가정>. 또 내집단은 사회에 서 유력한 가치를 보유하고 있거나, 최소한 사회척 기능에서 지배 적인 위치를 갖고 있는 개인들의 집합을 나타내고, 외집단은 문화 에서 추종자 또는 주변인으로 간주되는 군집을 말한다. 이와 같이 집단을 분류하였지만 결코 집단의 분류 양상을 포괄적 으로 요약하지는 못하였다. 여러 연구자들이 내놓는 다양한 분류체 계는 연구자 나름대로 구체적인 관섬 영역을 조작하고 연구의 범위 를 정하기 위해서이다. 더우기, 집단을 필수적인 특성이나 집단 구 성원들에게 주는 영향력에 따라 이분화하였으나, 상담심리, 경영 학, 스포츠 등의 다양한 학문이 근본척£로 상이한 집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예를들어 스포츠와 체육은 소집단의 과제수행에 초점 을 두며 (Donnelly,C arron and Chelladurai,I9 78 ), 상담심 리 학은 치 료나 개별적인 교육을 위한 집단에 초점을 둔다. 결국 집단의 유형
이나 특성 및 구체적인 집단역동의 중요성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는 것이 필수불가결하다. 요약하면 집단으로서의 경기팀을 보다 찰 이 해할 수 있을 때까지는 사회학이나 사회심리학에서 주장된 범위 내 에서 집단을 고찰하여야만 한다. 6-1-2 운동집단의 발달 2 단위로서의 집단발달 과정 운동집단은 몇 명의 사람이 일정한 운동 종목을 수행하기 위하여 모일 때부터 시작되며, 시간이 경과하면서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이 나 종목의 특성에 따라 일청한 발달단계를 거치면서 구성이나 구조 가 뚜렷해진다. 집단이 발달흩}는 과정을 설명동}는 방법은 집단의 유형을 상이하게 분류하려는 학자들의 경향에 버추어 볼 때 무수히 많다고 볼 수 있으며, Hill 과 Grune r( 1 973) 는 연구문헌을 고찰한 결과 집단의 발달을 설명하기 위한 약 100 여 개의 독특한 이론들이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렇듯 이론의 홍수를 이루는 이유는 많은 이 론들의 타당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집 단의 발달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편의상 집단의 발달과정을 고찰하는 방법을 두 가지로 대 별한다면, 첫째 발전 단계별로 집단의 행동특성을 알아보는 것이 고, 두번째는 발전 단계에 따른 집단의 전반적인 분위기 및 경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Tuckman(19 6 5) 은 집단발달에 대한 많은 연구들 을 고찰하여 집단의 구조와 과제 생산성에 따라 집단의 발달 단계 를 형 성 기 (forming) , 격동기 (storming) , 청 리 기 (norming), 완성 기 (performing) 의 4 단계로 구분하였£며 , 4 단계 의 지속시 간은 집 단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단계의 계열적 특성은 집단발달 과정에서 필연적이라고 제안하였다. 형성기에서는 구성원간의 대인관계 특성이 서서히 나타나고 지도 자가 정해지면서 집단 내규가 생기고, 다음 단계인 격동기에서는 아직 확실히 정해져 있지 않은 개인멸 과제에 대하여 갈등과 대렵 이 발생하며, 대인관계에서의 변화뿐만 아니라 지도자에 대한 반항
및 집단의 통제에 저항하는 행동특성이 나타난다. 격동기를 거치면 정리기로 접어들게 되는데, 정리기에서는 집단 내부에 존재했던 각 종 갈등이나 상충되는 이해관계가 해소되면서 집단의 웅집이나 결 속력이 강해진다. 마지막으로 완성기에는 집단 구성원간의 관계가 안정되고 집단의 특성에 따라 구성이나 구조가 뚜렷해진다. 이러한 과제 분화나 뚜렷한 대인관계의 유형은 집단의 에너지를 과제에 집 중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집단의 효융성이 높아진다. 4 단계를 요약하여 도표화하면 표 6-1 과 같다.
표 6-1 집단의 구조와 과제 활동에 대한 집단의 발달 단계 발달단계 집단의 구조와 행동특성 과제활동과 관련된 행동특성 형성기 정 위 ( orientation) 의 문 제 가 제일의 관심사가 정위이며, 지배적이고 대인간 행동 경계 집단의 구성원들은 과제가 무 선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기이 엇이고, 어떻게 과제를 수행 며, 지도자, 다른 집단의 구성 해야 할지, 용인할 수 있는 원 또는 현존하는 규법적 기준 방법이 무엇인지를 결정한다. 과 의존관계가 설정된다. 격동기 대인간의 문제에서 갈등과 대 집단의 영향력과 과제 요구에 럽이 생기고 지도자에 대한 반 서 저항이 발생한다. 항과 집단의 통제에 대한 저항 이 일어난다. 정리기 저항이 극복되고 응집력과 결 집단 구성원들간에 과제에 대 속력이 강해지며, 집단의 역할 한 협동 체계가 구성되고 정 이 안정된다. 보의 자유로운 교환이 이루어 진다. 완성기 구조적 문제가 해결되며, 대언 집단의 에너지가 과제에 집중 간의 관계가 안정되고 대인간 되고 과제 해결을 위한 건설 의 구조가 과제 활동의 도구가 적인 노력이 구사된다. 된다.
SchutZ(19 66 ) 는 집단의 발달과정에 대해 Tuckman 과 조금 상이 한 계열척 도식을 만들었는데, 그는 집단 내부의 대인관계가 기본 적£로 두 사람 사이에서 출발한다는 전제하에 일단 형성된 집단은 시 간이 지 남에 따라 포용단계 (inc 1 u sion) , 통제 단계 (control) , 애 정 단계 (affection) 를 갖는 대인관계를 형성한다고 하였다. 포용단계는 집단의 형성시에 발생하는데, 개별 구성원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접 촉〉 상호작용 빛 의사소통을 어느 정도 해야 하는지를 결정해야 한 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고 나면 그 다음에 나타나는 현상은 통제단 계로서 집단의 과제를 결정하기 위한 의사 결정, 영향력, 권위 및 절차에서 개입의 정도가 지배적인 관심거리가 된다. 통제단계의 문 제가 해결되고 나면 마침내 집단은 구성원 상호간에 정서적으로 일 체감이 형성되면서 집단 내의 화해의 분위기가 높아진다. 이상의 세 가지 단계는 대인간 문제의 영역에서 동일한 서열로 취급되며 집단의 성창중에 특정한 단계를 캉조하는 것이지 단계를 구분지요려는 것은 아니다. 즉, 세 가지 문제 영역은 향상 존재하 지만 항상 동일한 특출성을 갖는 것은 아니며, 집단이 이러한 세 단계를 거친 후에는 계속적으로 재순환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Schutz, 1 966). Bales 와 Strodtbeck (195 1) 은 집단의 결정목표를 향해 집단들이 움직이는 문제 해결 과정에서 제시되는 위상이나 단계의 발달모형 을 개발하였다. 모든 문제 해결 집단들은 상호작용하여 세 개의 단 계(정위, 명가, 통제)를 통해 움직이는데, 이러한 단계에서 집단 상호작용의 상대적 인 중요성은 정위 (orientation) 의 문제 에서 평가 (evaluation) 의 문제나, 통제 (control) 의 문제로 변통한다. 이 러한 단계들을 통해 변화되는 동안 집단 구성원들의 부적인 반응과 정적 인 반응의 상대적인 빈도는 동시적으로 증가한다. Bales 와 Strodtbeck 모형의 조작적 성분을 도식적무로 개괄하면 그렴 6-2 와 같다. 여기에는 12 개의 범주가 제시되어 있는데, 범 주 6 , 7 은 정위의 문제를 다루고 5 , 8 은 형가의 문제, 4 , 9 는 통제의 문제 10 , 11 , 12 는 부정적인 반웅 1 , 2 , 3 은 긍정척인 반응을 나타낸 다.
1. 연대강 표출:타인의 지위 향
2 집단 내의 개인 상기의 개념적 모형들은 각각 단위로서 집단의 발달을 다루고 있 기 때문에 개별적 구성원들이 집단으로의 동화(집단을 형성하거나 이미 설정된 집단이거나 간에)와 크게 상이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 는다. 예를 들어 Mi l1s (19 6 7) 는 구성원들이 집단으로 동화하는 4 개 의 연속척 단계를 제안하였다. 즉, 첫 단계에서 개인들은 기본적인 욕구나 동기에 관심을 가지며, 이것이 집단인력을 유도한다. 두번 째 단계로, 집단규법에 순응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셋째 단계에서 개인들의 관심은 집단 내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집단목표의 추구에 있다. 마지막으로, 구성원들은 집단의 지도력과 집단이 취해야 할 방향에 관여한다. 여기서 제시한 모든 모형들은 서로 상호간에 어떠한 상관을 가지 고 있다. 즉, 집단발달의 초기단계에서는 환경에 순응, 수용태세, 지향성의 문제에 주로 관심을 가지며, 다음 단계에서는 통제, 지도 력, 영향력 행사와 관련된 문제와 밀접한 개인적 결속이 이루어진 다. 마지막 집단의 가장 효과적인 산물이 성취된다. 3 스포츠 조직에서 교체과정 집단의 발달과정 그 자체는 스포츠 집단과 관련지어 볼 때 제기 되는 문제가 없는데 , 그것은 다른 유형의 공식 조직과 비교해 볼 때 스포츠 팀은 매우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교내, 대학교, 프로, 아마츄어 스포츠 팀은 매년 계속 운영되지만, 졸업, 사임, 은퇴, 숭진, 전학, 해고 등의 이유로 팀 구성원의 규칙적인 교체 (replacement) 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새로운 선수의 통화를 둘러싼 문제가 관건으로 제기된다. Loy 등은 이 동화에 어떤 매개 변수들이 연관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여러 스포츠 조직의 경기 기록을 이용한 일련의 연구를 시 행하였고, Loy, Theberge, 빛 Donnelly (1975) 와 Ball(1974) 등도 상이한 연구들 사이에 일관적인 유형의 결과가 있는지 알아보려고 하였다. 안청성 (반대의 개념은 교체의 양)의 정도와 상이한 경기 위치 사
이의 상관은 무작위적이 아니라 체계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이 지척 되었다. 예를 들어 Ball 은 미식축구의 안정성 정도는 공격 위치에 따라 변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즉 가드 (75%) , 센터 (74%), 런닝백 (67%), 쿼터백 (67%) 등에 따라 안정성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Theberge(I973) 는 야구의 경기 위치, McPerSOn(I973) 은 하키의 경기 위치에 따라 안청성의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 러한 결과들은 경기 위치에 따른 교체윷의 특성은 스포츠마 · 다 특정 한 것이며 척절한 이론적 설명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 다. 구성원 교체가 수행효율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문제들은 매우 많다. 예를 들자연 신업 구성원들은 환경에 적응할 시간이 필요하 고 새로운 팀 체계를 배워야 하며 팀 동료들의 어떤 특성과 친숙해 져야 하고 래포 (rapport) 및 응집력 형성 등의 문제가 제기된다. 결국 Loy 등 (1975) 은 조직의 효율성이 구성원 교체율과 관련이 있 으며 교체를 많이 경험한 팀들은 교체를 적게 경험한 팀보다 성공 률이 적다고 결론지었다. 이 Loy 등의 가셜은 프로야구, 미식축구 팀을 대상으로 한 연구 와 고등학교 체조팀 연구에서 강한 지지를 받았다 Schwartz ( 1973) 는 19 6 0- 1 9 6 9 년도 사이의 프로 농구, 야구, 미식축구 팀들의 기록을 조사한 결과 숭률과 선수 계숭률사의의 상관은 각각 - .47, -.51, -.54 였음을 보고하였고, Theberge(I973) 는 1951 -19 6 。년간의 메이저리그 농구 기록을 분석한 결과 선수 계숭률과 승률, 선수 계승률과 리그의 지위, 선수 계승률과 패배율 사이의 상관은 각각 -.54, .55, .57 이 있음을 발표하였다. 따라서 선수 교체가 너무 찾으면 경기수행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 다는 것이 분명하다. 한편 Marin(I9 6 9) 은 재직기간과 팅효율성간 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재직기간이 오랜 팀이 항상 우숭하는 것은 아니지만 패배한 팀이 훨씬 재직기간이 짧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더우기 코치의 재직기간과 텀 효율성, 선수의 경험과 텀 효율성 사 이에는 역 U 자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척정한 팀 효율 성은 중간 정도의 재직기간을 보유하고 있는 코치나 선수를 갖고
있는 조직에서 나타난다. 다시 말해서 너무 오래거나 너무 초보인 코치, 또 매우 경험이 많거나 척은 선수들은 멸 성공척이라는 것이 다. 6-1-3 집단의 구조와 구성 집단구조란 일정한 발전 상태에 있는 집단 내에 존재하는 구성원 상호간의 비교적 안정되어 있는 상호작용의 형태이다. 예를 들면, 커다란 사회조직 속에는 신분의 차이나 교육, 정치 및 경제제도와 같은 사회구조가 존재하듯이 소집단 내에서도 뚜렷이 구별될 수 있 는 정형화된 구성원 상호간의 관계가 존재한다. 운동집단은 집단의 구성원이 늘어남에 따라 구성원의 지위나 역할이 점차로 분화하여 명확화-역할 분화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감독, 코치, 주장, 선수 등으로 나뉘고 구성원은 그 위치나 위치에 부과된 역할 을 숙지하여(역할인지) 그 역할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기대(역할기 대)에 따르도록 역할을 완수하는 행통을 하게 된다(역할수행). 이렇게 되면 상호간의 행동을 간파하는 것도 용이해지고 집단 구 성원간의 관계도 안정되어 운동집단으로서의 구조화가 명확해진다. 즉, 공통의 목표달성을 위한 행동이, 공유하는 규범 속에서 구성원 간에 교환되기 때문에 거기에 많은 상호작용이나 상호 의존관계가 성립되고, 특정한 지위·역할을 얻기 위한 집단 내의 세력관계가 밀 접하게 이루어지고, 이런 것이 부합하여 집적됨으로써 기능적 단위 가 형성될 때 운동을 하는 사람틀의 모임이 집단으로서의 안정된 구조와 기능을 갖게된다. 이와 같이 집단의 구조란 일반적으로는 복수의 개인에 의혜 영위 되는 상호작용 체계를 의미하고, 그 상호작용을 규정하는 여러 요 언이 반복되면서 지속 가능성을 고양시키는 유형으로 복합되어 있 는 것을 특정으로 한다. 따라서 운동집단의 집단구조를 포착한다는 것은 구성원간의 다양한 활통 중에서 집단 활동의 특정 국변에 따 라 나타나는 버교적 안정된 상호작용 또는 상호관계의 형태를 찾아 낸다는 것이다. 집단 내의 상호작용 유형은 집단과 그 구성원이 지
니고 있는 네가지 요인에 의하여 분류할 수 있다. 즉,Q)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의 특성에 따라서 @ 의사소통하는 구조에 따라서 @ 집단의 의사를 결정하거나 구성원 상호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특 성에 따라 @ 구성원간에 존재하는 우호관계의 구조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사소통의 특성으로 집단의 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면, 이 분야에 사용되는 전형척인 연구 방법, 즉 집단 구성원들 사 이에 허용되는 의사소통에 제한을 주는 방법을 사용하여 알아볼 수 있다. 이 분야의 전형척인 연구로 알려진 Leavitt (195 1 ) 의 연구는 우선 문제 해결을 위하여 5 명의 일집단으후 구성되는 4 집단들을 만 들고 사슬형, 바퀴형, Y 형, 원형의 의사소통망의 상대적 효율성을 고찰하였다. 그는 각 조직 내에서 의사소통을 바로 옆에 있는 사람 으로만 제한하였고, 다섯 집단 각각에 6 섯군의 기호(원형, 정방형, 다이아몬드형, 삼각형, 별표+기호)에서 발훼한 5 개의 기호들을 부여하여 그 중 다섯 개인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기호를 빨리 알 아내는 과제를 부여하였다. 집단의 효율성은 의사소통의 중심성 정 도와 일치하였고 효율성과 중심성 정도의 서열은 바퀴형, Y 형, 사 슬형, 원형 순이었다. 따라서 바퀴형 망의 집단이 가장 중심화된 의사소통망을 갖고 있고 수행이 가장 빠르며, 가장 적은 메시지를 보냈고, 지도자가 분명하게 엄명되지만 집단의 만족 경험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원형망의 집단은 가장 비중섬적인 의 사소통망을 가지고 있고 수행 속도가 가장 느리며, 상당수의 정보 를 교환했고 명확한 지도자 임명이 부족하지만 집단 경험이 가장 만족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의사소통밍L 들은 집단의 사기 (morale) 에도 영 향을 준다. Lea껴 tt(195 1 ) 는 집단 구성원들이 말할 자유를 많이 가질수록 더 만족을 느끼는 반면, 사슬형의 끝에 있는 바로 옆사람하고만 말할 수 있었던 사람들은 가장 만족이 척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 집 단의 전체 사기가 바로 핵심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 모든 집 단 구성원들의 만족에 놓여 있으므로 전체 집단의 만족은 모든 사 람이 동등한 의사소통 기회를 갖고 있는 원형에서 가장 높다. 의사
소통망들은 또한 집단의 문제 해결 효융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중 앙집중된 집단들은 단순한 문제를 푸는 데 효울척이지만 비중앙집 중된 집단들은 복잡한 문제를 푸는 데 더 효융척이다. 한편, 과제수행의 특성에 따라 집단구조를 살펴보는 한 예로서 야구팀의 특성은 경기 위치와 임무로부터 부여되는 과제 종속성과 경기위치가 주는 가시성으로 분류하여 고찰할 수 있다. 포수인 경 우 다른 선수들이 모두 포수를 향하여 있고 자신도 다른 선수를 마 주보고 있어서 가시성이 높£며, 포수는 어느 위치로나 볼을 배분 할 수 있어 경기의 흐름을 결정할 수 있고, 어느 위치에서나 포수 에게 볼을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과제의 종속성도 높아 야구팀 에서 지도적 위치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집단의 구성이란 집단의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들의 분포 를 말한다. 구성원의 특성으로는 능력, 성격, 태도, 사회적 성분 및 체력 등을 들 수 있으며 집단 구성원의 신체적, 심리적, 그리고 사 회적 특성에 따라 그 분포를 알아보는 집단의 구성은 크게 세 가지 방법으로 분석되고 있다. 첫째는 구성원들의 특성 분포나 그 분포 의 변동 사항을 살펴봄으로써 그 집단을 이해하는 것이고, 둘째 구 성원들이 소유하고 있는 각종 특성의 빈도나 명균을 가지고 집단을 이해하는 방법이며, 세째 각종 특성을 지닌 구성원간의 조화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세 방법은 집단이 구성된 유형을 서로 다른 측면에서 분석하고 있다. 6-1-4 집단동조 (group conformity) 집단의 상호작용, 의사소통 및 사회적 영향력 과정이 결합될 때 나타나는 현상이 집단동조이다. Hollande r{ I 97 I } 는 동조란 개별성 을 없애주는 어떠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하면서, 동조는 단일현상 이라기 보다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는 사회적 현상이라 고 지적하였다. 이것은 여러 실험연구에서도 입증되었으며, 사회적 영향, 추종, 통제, 지배력, 지위세력, 의존성, 버동조 등의 용어가 동조행동을 논의할 때 자주 사용된다.
1 동조행동의 분석 Sherif( 1935) 와 Asch (195 1 ) 는 동조행동을 실험실 상황에서 연구 하는데 유용하고 일반화 할 수 있는 실험기법을 만들어냈다. 그의 실험 전형은 한 명의 피험자를 시지각 (visual perception) 을 연구하 는 실험실로 배치한다. 이 피험자는 실험실 내의 집단 구성원(이 피험자들은 실험자와 공모한 자들이다)과 함께 의자에 앉아 스크린 에 비춰진 선을 3 개의 동일하지 않은 기준선과 결합시킬 것을 지시 받는다. 시행을 하는 통안 실험자와 공모한 집단 구성원들은 분명 히 틀린 반응을 보임으로써 동조행동을 유발하도록 피험자에게 사 회척 압력을 가했다. 실혐 결과 Asch 는 비록 피험자의 1 / 4 정도가 독립척으로 반응하였지만 전체척으로는 집단의 기준과 동조하고 있 는것을발견하였다. 2 상황적 요인과 동조 상황적 요구와 제약을 작용시켜 동조를 고찰한 연구는 비교적 일 판적인 추세를 보이고 있다. (동조는 지배자의 지위를 지각하는 정 도에 따라 달라진다〉 만약 어떤 개인이 준거차원(실험자, 코치, 집 단, 팀동료)보다 지위, 권력, 위광, 능력, 영향력 등이 상대적으로 작다고 느끼면 그들의 행동은 준거언이 보유하고 있는 위치로 변동 하는 동조현상이 나타난다. 반면 피험자 자신이 준거자원보다 지위 등이 높다고 생각한다면 그의 행동은 독립적이고 비동조적인 현상 이 두드러 진다 (Croner & Willis, 1961 ; Berkowitz & Macauley, I96 I ; H 이 lander , 1961 , 196 4 ; Kelley & Thibaut, I96 9 ; Wiggins, Dill & Schwartz, 1965). 이 현상은 스포츠와 체육에 적용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즉, 어떤 팀에 새로 업단한 신인선수들은 고참이 나 팀 지도자의 유력한 행동 양식과 태도를 빨리 받아들이고 전형 A 로 삼는다. 유사하게 코치들은 지위, 능력, 권력이 그들의 선수 에 비해 상대척으로 크기 때문에 경기 상황에서뿐만 아니라 비경기 상황에서도 선수들의 태도 풍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Hollander (1958 , 1964 , I97I) 는 집단 내의 지위, 능력 및 세력과 상 호관련이 있는 동조 차원을 특질신용(i diosyncrasy credit) 이 라 명
명하였다. 집단의 규범척 기대와 일치하는 행동과 사전에 지각한 통조의 힘, 그리고 지위나 능력이 커짐에 따라 개인은 신용을 축척 하게 된다. 즉 집단, 조직이나 사회적 상황에서 타인들이 그 개언 에 대해서 갖는 좋은 인상을 얻게 된다. 균형잡힌 명성을 얻음으 로써 개인은 후에 비동조에 대해서도 자유재량 범위가 커진다. 특 질신용 모형의 기본적 특성은 동조와 비동조를 집단의 모든 사람이 통일하게 동의할 수 있다고 기대하는 고정된 규범에 근거해 불변적 무로 정의되지 않는다는 견해이다. 오히려 버동조 행동은 집단에서 어느 특정한 개인이 어떻게 지각하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동조는 사람에 따라 특정한 것이며 지위와 기 능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드로 간주된다 (Hollander and Wil1i s, 1977) . 이것은 운동경기에서는 명백한 사실이다. 우수한 고참선수 는 신인선수냐 능력이 부족한 선수보다 기대 또는 정상행동으로부 터 일탈을 허용받는 정도가 훨씬 크다. 〈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사람들의 수(반대하는 사람의 크기)가 동조에 영향을 미친다 〉 연구 결과들이 다양하긴 하지만 반대자의 크 기나 동조행동 사이에는 독선적인 관계가 있다. 즉, 반대하는 사람 의 수가 한 사람에서 세 사람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함에따라 동조성 이 증가하지만 그 이상 반대하는 사람이 늘어난다 하여도 동조에는 어떤 부가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Asch , 1956 ; Rosenber- g,1 9 61 ) . 반대하는 사람이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동조행동에 미치는 부가적 영향이 부족한 것은 신용이 떨어지기 때문이며, 피험지는 반대하는 사람들간에 공모하였다고 의심하거나 반대하는 사람을 〈지 도자와 추종자 〉 같이 상호 의존성£로 지각하게 된다. 그러나 반대하는 구성원 증가 그 자체가 동조효과를 증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이 아닐 수도 있다. Wilder(I977) 는 반대하는 사람의 규모를 단일실재 (6 명의 I 집단)로 범주화하였을 때 가 그 규모를 다수 단위 (3 명씩 z 집단 2 명씩 3 집단)일 때보다 동조 를 만드는데 영향력이 작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러므로 분리된 실 재가 보여주는 공통 행동은 단일설재의 사람들이 보여주는 행동보 다 훨씬 정보척이고 믿을 만한 것으혹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특
별한 결정을 비명하는 코치는 만약 반대하는 사람이 단일실재 (선수 들)가 아니라 다수의 상이한 집단(부모, 행정가, 매체, 선수)이라 면 그 결정을 재형가하거나 변경할 가능성이 철다고 할 수 있다. Wilder ( 1977 )는 이러한 결과가 주는 함축척인 의미는 의사소통자가 유사하지 않으면 않을수록 그들의 영향력은 더 커지는 것이다. 상 호간에 서로 다르면 다를수록 관찰자가 그들을 한 집단으로 분류하 기가 더 어려워지고, 그들을 다수의 개인이라기보다는 오히려 단일 실재로 간주하는 경향이 커진다. 지지척인 동료나 공행자(사회척 지지자)의 존재는 사회적 영향이 동조에 미치는 효과를 감소시킨다 (Allen , 1975 ; Allen & Levine, 1971; Ach,1 9 51 ; Hollander & Willis,1 9 6 4 ; Kelley & Thibaut, 1 96 9 ; Milgram, 19 6 5 등). 사회적 지지자(공행자)의 존재는 신용과 그에 따른 다수의 영향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Allen and Levine, 1971 ) . 격렬한 경기 방식을 거부하는 하키선수는 만약 다른 선수들 이 동의할 것으로 생각하면 그 태도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더 강해 진다. 〈입력이나 상황적 압력이 모호하고 과제의 어려운 정도가 동조에 영 향 을 미 친 다 )(Nor 바 101m , 1975; Sistrunk and McDavid,1 9 71 ; Weiner,1 9 58 ). Bl ake 와 Mouton(19 61 ) 은, 동조행동은 자신의 결정 을 조정하는 데 타인의 반응에 심히 의존할 필요가 있을 때 증가하 며, 사실적이고 논리적인 항목에 반응하는 것보다 태도가 훨씬 쉽 게 변화하는데, 그 이유는 태도가 그 특성상 훨씬 사회적이기 때문 이다. 항목의 난이도가 중가하면 객관적 정보를 제공하는 외적 단 서가 감소하고, 순응행동 쪽으로 명령의 강도가 증가하는 것은 사 람의 반응 변동에 압력을 가하는 동조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한다고 주장하였다. 3 성격적 요인과 동조 어떤 개인을 통조행동으로 기울게 하는 특정한 성격특성이 존재 하는가? 직관척으로 볼 때 최소한 몇몇 특성, 즉 지배성, 자존심, 개언척 적웅 둥과 동조행통이 강한 상관이 있을 것 A 로 기대된다.
Mann(1959} 이 이러한 문제를 여러 연구 결과를 대상흐로 포괄척언 조사를 하였는데, 몇몇 연구에서는 척웅, 지배성, 외향성, 보수성 퉁이 정척인 효과를 보였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부척이거나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발표하고 있다고 하면서 그는 보수성과 동조가 상관이 있다는 강한 증거가 있다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동조성은 다양한 방법으로 명가할 수 있고 다양한 성격 차원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Mann(1959} 도 또한 보수성이 모든 조건에서 동 조를 예측할 수 있는 단일한 척도가 아니라고 지적했으며, 만약 이 상관을 계속 유지하려 한다면 수많은 조건들을 통제하는 것이 중요 하다고 시사하였다. 동조행동의 결정 요인이 성격 연구에서처럼 구 체척인 행동을 결정하는 요인과 비슷하다면, 동조현상은 인간과 상 황의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6-1-5 운동집단을 설명하는 이론들 운동집단이란 과제를 운동£로 하는 일반적 집단이기 때문에 운 동집단의 행동을 설명하는 데는 일반 집단이론이 사용된다. 일반적 으로 집단의 행동을 설명하거나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이론을 4 가 지로 분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근원적 인간관계 이론 근원적 인간관계 이론은 집단의 한 구성원이 다른 구성원에게 해 주기를 바라거나 하고 싶어하는 행동의 경향을 바탕으로 집단의 행 동이나 행동의 변화를 설명하고 예측하고자 한다. 이 이론에서는 집단의 한 구성원이 다른 구성원에게 갖는 대인관계의 경향을 포 용, 통제, 애정의 세 가지 측면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이 세 가지 측면의 대인관계 경향은 다시 행하고자 하는 표출의 측면과 받고자 히는 욕구의 측면으로 나누어지기 때문에 모두 여섯 개의 측면으로 구성된다. 즉, 포용의 측면은 포용을 받고자 하는 측면과 포용을 하고자 하는 두 측면으로 분류되며, 통제나 애정의 측면도 같은 방 법으로 구분된다. 이 이론이 주장하는 주요 개념은 기본적인 대언
판계의 세 측면에서 각각 표출하고자 하는 경향과 받아들이고자 하 는 경향이 양립할 때 해당되는 측면에서의 대인관계가 원만해지며, 이 원만한 대인관계의 수가 집단 내에 많을수록 집단은 원만한 목 표 성취를 향해 냐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2 집단적합이론 집단척합이론은 집단구성원들 각자가 지니고 있는 특성들인 연 령, 교육 정도, 수입, 직업특전, 서열 등과 현재 처해 있는 위치 사이에 차이가 척합한가 척합하지 않는가에 따라서 집단의 효율성 이 결정된다는 업창이다. 예를 들어 특정한 구성원이 자신이 지니 고 있는 자격이나 특성에 버추어서 기대하는 것보다 현재 주어진 칙책이나 특권이 낮다고 판단되면 현위치에 불만을 표시하게 되고, 더 나은 직책이나 서열을 획득하기 위하여 투쟁하게 될 것이다. 따 라서 이러한 구성원이 많으면 많을수록 집단 내에 안청성이나 응집 력 및 집단의 사기가 떨어지게 되고 이렇게 되면 목표 성취를 위한 집단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3 집단에너지 이론 집단에너지 이론에서는 집단이 유지되는 이유를 구성원의 욕구가 충족되는 데 있다고 본다. 그래서 구성원의 욕구의 강도 , 방향 및 집단 구성원의 수에 따라 욕구 충족을 하기 위한 상호작용을 하게 되는데, 그 근원이 되는 것이 집단의 에너지이다. 집단의 에너지는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집 단유지 에 너지 (group maintenance energy) 이고, 다른 하나는 집 단목표달성 에너 지 (group goal achive-ment energy) 이다. 집단유지 에너지는 집단 내에 흔히 존재하는 칼퉁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집단의 에너지가 집단유지에 많이 사용되면 집단의 목표달성에는 상대척으로 척은 에너지가 할 당되게 됨으로 집단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효율척인 집단을 이루어 구성원 모두에게 혜태이 돌아가게 되려면 구성원의 특성, 총체척인 집단 일체감 및 집단의 구조 등이 집단유 지에 가장 척은 에너지가 드는 방향으로 조직되어야만 더욱 많은
에너지가 집단의 목표 성취에 쓰이게 된다는 것이다. 결국 집단에 는 일을 강력히 추진하고 달성해 가려는 기능과 보다 바람칙한 인 간관계가 형성되는 집단의 기능이 함께 필요하다는 것이다. 4 교환이론 교환이론은 집단 내 구성원간의 대인관계와 집단행동의 진행과정 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안된 이론이나 이 이론 역시 칩단에너지 이 론과 마찬가지로 집단 존재의 이유를 구성원의 만족에 두고 있다. 따라서 이론의 초점은 구성원이 상호간에 어떠한 대인관계의 협상 을 통하여 만족을 얻으려 하는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예를 들면 〈갑〉이라는 사람이 〈을〉이라는 사람과 만나 상호작용을 한다고 가정 하면, (갑〉과 〈을〉은 자기가 가지고 있는 과거의 경험에 비추어 말이 나 행동을 하면서 각자 상대방의 행동에 반응을 한다. 이때 상호작 용 속에는 유쾌한 부분과 불쾌한 부분이 있게 마련인데, 이들은 각 기 보상이나 처별로 작용한다. 즉, 보상이 되는 부분은 강화되어 계속 유지되며, 처벌로 간주되는 상호작용은 회피하게 된다는 것이 다. 이러한 결과들은 결국 대인관계에서는 상호작용을 결정하며, 집 단의 진행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에서 주관적으로 판 단되는 보상과 처벌의 기준은 상대방이나 제 3 자의 행동과의 비교에 서 오기 때문에 상대적이라는 점이 강조된다. 6-2 집단응집력 6-2-1 집단응집력의 정의 흔히 우리는 어떤 경기에서 이기거나 진 경우에 그 이유를 단결 이 잘 되어서 이겼다든지 또는 개인행동을 하였기 때문에 꽤배하였 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이러한 말은 집단 구성원간의 관계, 즉 상 호작용 노력의 중요성을 찰 대변하여 준다. 그렇다면 과연 이러한
단결력이나 상호작용력이 경기 성척에 영향을 미치는지, 만약 영향 을 미친다면 그 험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경기의 숭 패 에 영 향을 주는 이 러한 힘은 단결 (toughteness) , 단체정 신 (team spirit) , 일체감 (team unity), 팀팩 (team work) 등의 용어로 표현 되는데, 이러한 다양한 용어를 포괄하는 공식척인 학술용어를 집단 응집력 또는 응집력이라 표현한다. 웅집 (cohesion) 이란 용어는 함께 결합시키거나 점착시키는 의미 를 가진 라틴어언 (cohaesus) 에서 유래하였다. 공식척인 학술 용어 로서 응집은 개인이 집단에 개입하고 헌신하는 정도, 즉 집단 구성 원을 하나로 묶는 정착척 특성을 갖는다. 점착 (adhesion) 시킨다는 개념은 다양한 웅집의 정의를 내포하고 있는데, Gross 와 Martin ( 195 2 ) 은 응집을 분열력에 대한 집단의 저항으로 지각한 반면, Festinger, S chachter 그리고 Back(195 0 ) 은 집단 구성원들이 집단 에 남아 있도록 유도하는 총체적인 힘의 장으로서 정의하였다. 최 근에 Carron (19 82 ) 은 스포츠 팀 응집력을 집단의 목적과 목표를 추 구당}는 동안 구성원들을 함께 결합시키려는 집단의 성질을 반영하 는 동적인 과정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집단 내에 기초가 되는 목적의 존재를 강조한 후자의 정의는 응 집과 정착을 구분하는 데 척절하다. 정착 (adhesion) 도 함께 묶는다 는 의미이지만 이것은 목적의 공유, 전체적인 단결, 전체에 대한 헌신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 않다. 정착과 응집간의 구별을 은유 적으로 표현하면, (구두 위의 흙과 조각상을 만든 정토간의 차이 〉 라 할수있다. 이러한 내용을 요약하여 보면, 응집력이란 집단을 구성하는 각 개인들이 상호작용이나 일체감이 없이 모인 군칩과는 달리 애착과 전체집단에 대한 인력 (attraction) , 헌신의 정도를 반영하는 집단유 지의 총체적인 험이라고 할 수 있다. 6-2-2 집단응집력의 구성 요인과 발달 집단웅집력을 결청하는 요언들은 실제로 집단의 형성과정과 밀접
한 관계를 맺는데, 그 이유는 한 개인이 집단에 가업하는 원언은 근본척으로 의식척이든 무의식척이든간에 가업하는 개인 자신의 욕 구를 총족시키는 데 있기 때문이다. 집단에 가업하는 동기가 개인 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이고, 집단의 목적과 목표 성취를 통 하여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집단응집력의 토대가 된다는 관점에서 보면, 집단응집력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네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는 개인의 집단에 대한 애착 및 헌신의 정도이며, 둘째 는 집단의 목표가 개인에게 가치가 있는지 여부이다. 세째는 개인 이 집단에 가입함으로써 사회와 접촉하게 되고 이로부터 보상을 받 는 것이다. 마지막무로는 개인이 집단에 남아 있음으로써 집단의 목표와는 상관없이 어떠한 혜돼을 받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금전 적인 소득이 있다든가 사회적인 명성을 획득하는 등의 혜택을 받는 다. 응집이 집단에서 어떻게 발달하는지는 집단의 발달과정에서 상세 하게 논의하였고 또 다른 집단역동의 장에서는 상당한 관심을 갖고 있는 논제이다. 연구문헌은 크게 세 가지 개념적 논쟁으로 핵을 이 루는데, 첫째는 집단이 일단 형성되면 응집이 점진적 선형유형으로 발달된다는 입장이고, 둘째는 응칩의 양은 칩단이 존재하는 한 진 자유형으로 변화한다는 입장이며, 셋째는 집단의 생활주기로 응집 이 설명된다는 관점이다. 선형모텔 Oine ar mode I)은 집단의 발달과정에서 다루고 있기 때 문에 생략하고 진자모델과 생활주기모렐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진자모델 (pendular mode I)은 정신치료학과 카운젤령에서 유래하 였으며, 집단응집력의 발달 중 대인간 관계에서 발생하는 지나친 변동을 강조한다. Budge(I9 8I ) 는 한 집단에서 응집력의 발달은 응 집-분회-갈등-해결(응집)-갈등웅집 등으로 진동한다는 모탤을 제 안하엿다. 이것은 풋볼 팀을 구성하는 선수집단 상황에서 예충할 수 있는데, 초기 단계에서는 연습을 하기 전 모든 선수들이 공통적 으로 보유하고 있는 경험(불안과 기대 공유, 장비 운반, 새로운 동 료와의 만남과 같은 친숙하지 못한 과제수행, 각본 전략 이해하기) 이 발산되어 일체감(응집)이 나타난다. 연습이 시작되면 분화가 일
어나고 집단은 상이한 코치 밑에서 물리척, 심리척으로 소집단 단 위로 세분된다. 그 다음은 팀에서 공격진과 수비진이 자신의 위치 를 확보하기 위하여 서로 경쟁하는 중에 개별선수들 사이에 갈퉁이 빚어지며 ’ , 팅 자체의 웅집력은 약화되어 있는 상태로 돌입한다. 진 자의 흐름이 다시 바뀌었을 때 팀성원들은 서로 끌어당기는 인력이 되살아나고 응집력이 새로 형성되며(해결) 팀 일체감이 조성되어 상대방에게 대항할 심리적언 준비를 하게 된다. 시즌 내내 이 갈등 -응집-갈등-응칩의 진자주기가 계속 순환한다는 설명이다. 생활주기모형 Oife cycle models) 도 또한 정신치료학과 카운젤령 집단에서 유래되었는데 아직도 스포츠 팀에서는 상당한 적절성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스포츠 팀들은 시간 제한을 받으며, 시즌과 정과 같은 고정된 기간 동안 존재한다. 그렇다면 응집력의 관점에 서 집단의 발달과 해체까지 진행되는 생활주기가 있게 마련이다. Miller(19 6 4) 는 응집의 생활주기를 @ 대면 @ 역할탄생과 그 한계 판단 @ 규범체계 형성 @ 생산단계 @ 분리와 해체 단계로 진행된 다고주장하였다. 6-2-3 응집 력 의 구조적 측면 사회생물학 (sociobiology )을 지지 하는 학자들은 친화욕구 (affilia-tion need) 와 집단응집은 종 (species) 의 재생산과 유지를 고양시키 는 고유한 유전적 생물학적 전략을 반영한다고 주장한다 (Plutchik , 1981 ) . 또한 동물에서의 집단생활의 역동과 응집력은 인간의 그것 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고 가정한다. 스포츠 팀에 영향을 미친다 고 보는 동물의 사회 생활로부터 유래한 집단의 특성들은 집단의 크기 , 물리 적 근접성 , 투과성 (permeability) , 역 할분화 (role differ- entiation) 구분, 정보의 유동 등을 들 수 있는데, 이것에 대하여 간 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응집력의 수준은 소집단에 적정한 것 같다. 만약 집단이 지나치 게 커지연 응집력이 감소하기 시작하며 집단은 더 작은 응집단위 내에서 물리척, 심리척으로 재조칙된다. 한 예로써 농구팀은 척정
웅집단위에 의해 공격진 수비진, 후보팀 동으로 구분된다. 물리 적 근접 성 (physical proxirnity) 이 또한 웅집을 높인다. 즉 경 기위치, 탈의함의 위치 둥에서 다른 선수와 가까이에 있는 사람은 훨씬 웅집력이 높다. 이것은 대개 과제를 함께 해결하고 사회책 의 사소통의 기회가 증가한 탓으로 볼 수 있다. 그러냐 물리적 근접성 에도 적정수준이 있기 마련이다. 집단의 밀도에 대한 연구 결과를 보면 군칩은 심리적 압박감을 유발하고 이것이 응집력을 감소시킨 다고 하였다. 의사소통 (cornrnunication) 또한 응집 력 에서 중요한 역 할을 한다. 예를 들면 집단이 다른 집단 또는 비집단 구성원들과 의사소통하는 정도를 투과성이라 부르는데, 집단의 투과성이 작으면 작을수록 집 단의 응집력은 커진다. 집단들은 사회적으로 분리되어 가고 모든 구성원들의 중요한 심리적 제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자기 자신 의 구성원끼리 가까이 지내게 된다. 이와 비슷하게 정보의 유동이란 집단 자체 내의 의사소통 수준을 의미하는데 정보의 유동이 크면 클수록 응집력이 커진다. 역할분화(구성원들이 전문화된 기능을 갖고 있는 정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응집력 수준을 크게 발전시킬 기회가 많다. 따라서 각 구성원들이 세터와 스파이커의 역할을 동등하게 완수할 수 있는 배 구팀은 이러한 역할이 분화되고 상야한 개별 선수에 의해 수행되는 팀보다 응집력이 작다. 또 어떤 팀에서는 하위집단들이 비교적 독 럽된 단위로 운영되는데, 미식축구에서 공격진(단위)과 수비진, 럭 비에서 스크럼진 대 백진으로 세분화하여 전문적인 하위집단을 구 성하는 예를 볼 수 있다. 경기중과 같은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전체 집단 내에서 보다는 이러한 전문화된 하위집단을 중심으로 응집력 이 크게 발달된다. 6-2-4 집단응집력을 설명하는 이론들 1 Car 때 right 의 집단응집 력 의 이론적 모형 CaπWTight ( 19 68 ) 는 집단의 응집력에 대하여 가장 포괄적인 관계
3. 2x집)) 중단집집대 단단응 에의집 력구대의성한 원 결애에과착 대 강한화 영 향 x. 23x집))) 단구집집 성단단웅의원의집 의 력목혜 의표태자 발성구적취성 에요동 소기대 한 기대
를 도식화하여 제시하였다(그렴 6-3). Cartwright 이 제시한 모형의 특징은 집단응집력의 원인과 결과를 연관시켜 설득력있게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의 모형에서는 응집력을 결정하는 요언을 @ 집 단이 구성원에게 줄 수 있는 혜택 @ 구성원의 자발적 동기 @ 집 단의 목표성취에 대한 기대 @ 다른 집단과 비교했을 때의 수준 등 으로 정하고 있다. 이러한 네 가지 요인이 구성원으로 하여금 집단 에 남아 있게 하는 힘을 발휘하며 여기에서 생긴 집단의 응집력을 통하여 다시 @ 구성원의 집단에 대한 애착은 더욱 강하게 되고 @ 집단이 개언에게 미치는 영향은 커지며 @ 집단활동에 대한 구성원 의 참여도가 높아지고 @ 구성원 각자가 자부심을 가지게 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2 Carron 의 스포츠 팀 응집력의 개념적 체계 Ca; π on(x9 82 ) 은 초기의 연구를 비형하는 단계를 넘어서 스포츠 팀에서 응집력의 선행조건과 응집의 결과를 구체화한 개념적 모텔 을 발전시켰다. Carron 의 개념척 체계는 스포츠 팅에서 응집력의
역할을 분명히 밝히고 연구의 툴 (framework) 을 제공하는 데 기 여 하였다. 그럽 6-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Carron 의 모탤은 네 개의 선 행조건 또는 환경척, 개인적, 리더십, 팀 요인들로 스포츠 응집력 에 기여하는 요인들로 구성된다. 환경적 요인들은 가장 보편척이고 간접적인 요인들이며, 어린이의 야구 프로그랩에서 경기시간을 구 체적으로 명시한 NCAA 의 선수모집 규칙과 같은 계약이나 법규 등 이 이에 포함된다. 개인척 요인들은 팀구성원들의 개인적 특성들이 고, 리더십 요인은 코치행동을 일걷는다. 환경적, 개인적, 리더십 요인들은 모두 가장 구체척인 선행조건인 팀 요인들에 기여한다. 팀 요인들은 집단과제의 특성, 규범, 안정성과 같은 집단 자체의
환경적 요인
특성이 포함되어 있다. Carron 은 이러한 모든 요인들이 웅집력에 기여하며 정척언 특성이라기보다는 동적인 과정 A 로 셜명하고 있 다. 더우기 그는 응집력은 최소한 두차원으로 분화시킬 수 있다고 주창하였다. 즉, 그는 @ 팅 목표와 수행 목표에 헌신하는 힘인 과 제 응집력과 @ 우정, 친화, 사회, 정서척 고무와 같은 대인간의 관심사를 지칭동}는 사회척 응집력으로 분화하였다. 6-2-4 응집 력 의 측정 일반적£로 집단의 응집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섯 가지로 분류 하고 있다 (Cart v.r right , 1968) • 첫번째 방법은 집단 구성원의 대인간 인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집단 구성원간의 우정의 정도를 반영하 며, 따라서 인력이 강하면 강할수록 그 집단은 응집력이 강해진다. 두번째 방법은 집단 전체로서의 매력의 정도를 측정하슨 방법이 다. 즉, 이 방법은 집단 구성원간의 우정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구성원들이 집단에 대해 갖는 매력에 초점을 둔다. 세번째 방법은 개인이 집단 속에 남아 있으려는 의욕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Schachte r( 1951) 는 집단응집력이 어느 정도인 가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였다 .CD 당신은 이 칩단의 구성원으로 남아 있고 싶습니까? @ 당신이 소속하고 있는 집단이 얼마나 자주 모임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 만약 당신이 속해 있는 집단의 구성원들이 집단을 해체하는 것이 좋다고 결정한다면 당신은 그 사렴들이 남아 있도록 설득할 생각이 있습니 까? 네번째 방법은 집단에 대한 친밀감 또는 동일시 (ide ntification) 청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소속감의 정도를 측정한다. 마지막으로 다섯번째 방법은 이상에서 측정되는 여러 요인을 척 절한 비율로 모두 측정한 후 그들의 접수를 이용하여 응집력의 정 도를 나타내는 합성지수 (composite index) 를 사용하는 방법 이 다. 실제로 스포츠 현장에서 쓰이는 표준화된 집단응집력 측정 도구 는 대부분 마지막 방법을 사용한다.
널리 쓰이는 웅집력 측정도구로는 @ 스포츠 웅집력 철문지 (Sport Cohesion Questionnaire : SCQ) @ 다차원 스포츠 웅집 력 질 문 지 (Muti-D im ensional Sport Cohesion Instrument : MSCI ) @
표 6-2 Martens 풍 (I97 2 ) 의 스포츠 응집력 질문지
집단 환경 질문지 (Group Enviornment Questinonaire : GEQ) 둥을 들수 있다. 스포츠 응집 력 절문지 (SCQ) 는 Martens, Landers, 그리고 Loy (197 2 ) 가 공동으로 개발하였고 대부분의 연구가 이 도구를 사용하 여 이루어졌으며, 스포츠 집단의 응집력 요인을 3 차원 7 개 항목으 로 분류하여 측정하고 있다(표 ' 6-2 참조), 다차원 스포츠 웅집 력 질문지 (MSCI ) 는 Yukelson, Weinberg, 그 리고 J ackson ( 19 8 4) 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기존의 스포츠 응집력질 문지가 갖고 있는 결점을 해결하고자 제작된 것이다. 즉, 스포츠 집단의 응집력을 결정하는 요인이 단순히 과제 관련요인과 사회척 관련요인만이 아니고, 규벙 요인과 기타 복합적 차원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네 가지 차원의 21 개 요인을 구성하였 다. @ 집단에 대한 인력 차원은 팅팩, 상호 격려 및 존중, 역할의 양립성, 타인 존중의 정도, 갈등 해소, 정립된 역할, 친밀도의 항 목으로 구성되며 @ 목표일치 차원은 즐거움, 구성원 유지 의지, 수용도, 집단 구성원으로서의 명예감, 구성원으로서의 가치, 중요 성과 유용성, 우정의 만족감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팀원의 질 차원은 팀 준비도, 팀 운영의 헌신도, 팀 목표의 명확성, 목표 재형가법 항목으혹 구성되어 있으며@역할가치 차원은 팀 동료의 인정 가치, 코치의 인정 가치, 소속감의 항목무로 구성되어 있다. 집 단 환경 질문지 (GEQ) 는 Carron, Widmeyer, 그리고 Brawley (19 8 5) 가 개발한 도구로서 특정한 스포츠 팀에서 응집력을 다차원 - 적 구성 개념으로 명가하였다. Carron 등은 응집력을 과제응집과 사회적 응집으로 분리하였으며, 개념적 응집모형은 집단 장의 통일 의 정도를 반영하는 집단통합과 개인을 집단에 머무르게 작용하는 동기의 상호작용을 반영하는 집단에 대한 개인의 인력 차원으로 구 성된다. 이 두 차원은 요인 분석을 이용하여 네 개의 하위 항목으 로분화된다. 1) 집단에 대한 개인의 인력 : 집단인력-과제, 집단인력-사회적 2) 집 단통합 : 집 단통합-과제 , 집 단통합)사회 적
6-2-5 집단응집력과 운동수행 1 집단응집과 운동수행 효율성과의 관계 여러가지 질문지를 사용하여 스포츠의 집단웅접력과 수행 결과간 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한 연구 결과는 많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팀 웅집력이 높으면 팀의 성공 정도가 커진다는 일반적언 신념을 항상 지지하여 주지는 못하고 있다. 즉 집단 응집과 성취도간의 관 계를 고찰한 연구결과는 향상 얼치하고 있지 못하며, 정적인 관계 와 부적인 관계가 동시에 보고되고 있다. 먼저 팀 응집력과 팀 성공간의 정적인 관계를 지적하는 연구문헌 을 살펴보면, Ball 과 Carron (1976 ) . 그리고 Martens 와 Peterson (197 1 ) 은 각각 성공적인 아이스하키 팀과 농구 팀이 팅획, 친밀감, 팀 구성원에 대한 가치 등에 비추어 평가했을 때 훨씬 응집력이 높 다는 것을 알아냈다. 또 Amold 와 Straub(197 2 ) 은 SCQ 를 이용하 여 10 개의 고등학교 농구선수 10 7 명을 대상£로 시즌 전·후에 응집 력을 측정하고 경기성적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성공률이 높은 팀에 소속된 선수들이 낮은 팀의 선수보다 응집력이 더 높 A 며, 고 등학교 농구경기에서는 응집력이 성공의 선결 요건이라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Landers 와 Crum(197 1 ) 도 SCQ 를 사용하여 26 개 고등 학교 야구선수를 대상£로 시즌 전과 후, 두 차례에 걸쳐 응집력을 측정하였다. 텀 성공률과 비교해 본 결과 팀 성공률은 팀 구성원의 친밀감과 팀워에 의하여 강하게 영향을 받으며 성공적인 팅이 강한 응집력을 보였다. 스포츠 응집력 문헌에서 가장 방대하고 대표적인 연구 중의 하냐는 대학 농구팅을 대상£로 연구한 Martens 와 Peterson 의 연구 결과이다. 일련의 연구 중 첫번째 연구에서 Martens 와 Peterson (1971) 은 시즌 전 응집력이 팀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응집력이 높은 팀이 낮은 팀보다 승률이 높다 는 것을 알아냈고, 두번째 연구에서는 팀 성공이 시즌 후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공한 팀이 실패한 팅보다 훨씬 응집 력이 높다는 사실을 관찰하였다. 이 와 마찬가지 로 Klein 과 Christiansen (196 9), N ixon (1977),
Widmeyer 와 Martens (197 8 ) 는 농구팀에서, Stogdill (19 6 3) 은 풋볼 팀에서, Ball 과 Caπon(1976} , Carron 과 Ball(1977} 은 아이스하키 팀에서, MeyerS(19 62 } 는 사격 팀, Bird(1977} 는 배구 팀에서 집단 응집력과 성취도간의 정척인 관계를 지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결 과와는 반대로 집단응집력과 성취도간에는 부척인 관계가 성립한다 는 반론이 었다. 먼저 Melnick 와 Chemers (1974) 는 Martens 와 Peterson (197 1 ) 과 통일한 SCQ 를 사용하고 연구방법을 동일하게 하 여 교내 농구 시합에서 시즌전 응집력과 팀 성공간의 상관을 살펴 본 결과 아무런 관계가 없음을 지척하였다. 더욱이 Fiedler{ 19 54}, Lenk(1969, 1977}, McGrath(196 2} 등은 집 단의 응집력과 멈 성적은 부적인 관계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Fiedler{ 1954} 는 고등학교 농구 팀을 대상으로 팀 구성원 상호간의 친밀도를 대인관계의 정도로 파악한 결과 14 팀에서는 승률과 친밀 도는 부척인 관계가 있었으며, 다시 승리한 7 개 팀과 패배한 5 개 팅을 대상 A로 한 z 차 연구에서도 대인관계가 좋은 선수의 친밀도 와 경기 성척은 부척인 관계가 있음을 알아냈다. 또한 Lenk (196 9, 1977) 는 두 차례의 사례연구에서 경기 성적이 우수한 독얼 조정 팀을 대상으로 응집성을 조사한 결과 심한 내부 갈등과 소원한 인간관계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세계선수권대회에 서 우숭한 사례를 들고 있다. 이것은 집단 구성원간의 인간관계가 원만할 때 경기력이 향상된다는 일반적인 견해를 반박하는 결과로 서 팅 내부의 갈등이 심하더라도 그 팀이 계속해서 존재한다변 경 기력은 약화되지 않는다고 해석하고 있다. Grace(1954} 는 Fiedler 의 자료를 근거로 하여 협동 정도가 높은 팅이 경기 성적과는 부적인 관계가 있음을 지척하였고, McGrath (19 62 ) 는 사격선수를 대상으로 하여 대인관계 팀 효율성을 측정하 였는데, 초기에는 대인관계에서 정적인 집단과 부적인 집단간에 성 적의 차이가 없었지만 6 주 후에는 정척인 대인관계 집단이 부척언 집단보다 성척이 뚜렷하게 차이가 있음을 알아냈다. 또 Landers 와 Luschen(1974} 은 볼링 팀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서 탬 성척과 집단웅집력은 부척인 관계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즉
실패한 볼링 탬이 성공한 볼링 팅보다 오히려 더 강한 대인간의 인 력을가지고 있었다. 그러면 위와 같이 연구 결과틀이 왜 일관척이지 못하고 확산적인 가? 집단응집력과 수행 효윷성간의 상반되는 연구 결과가 출현하 는 이유들을 설명하는 데 도움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면 첫째, 과 제마다 특수한 과제구조 및 요구가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Landers 와 Luschen(I974) 이 자신들의 연구에서 제안한 과제 차원 은 공행 상황과 상호작용 상황이었는데 이것들간의 중요한 차이는 팀 구성원들 사이의 상호작용의 비율이다. 즉, 팀 구성원간에 상호 작용이 요구되는 팀 스포츠인 경우 전체적인 집단노력은 구성된 각 개인의 상호 의존적인 작용(높은 수만장호 의존성 조건)을 통해서 개별 구성원들의 전문화된 다양한 기술을 결합한 팀원의 결과이다. 반대로 공행하는 상황에서 집단의 성과는 개별 구성원들의 노력을 단순히 종합한 결과(낮은 수만장호의존성 조건)이다. 따라서 집단 의 응집성 정도가 과제를 수행하는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은 곧 이 수단 - 상호 의존성 (means-interdependence) 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는 설명이다. 두번째로 고려해야 할 요인은 주요한 매개변수, 특히 Caπon 의 개념적 체계에서 팀 요인들을 고려하는 것이다. 이 팀 요인들 중에 스포츠 응집력 / 수행간의 관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집 단과제의 특성이다. 정적인 응집력/수행관계는 농구·배구와 같이 선수들 사이에서 긴밀한 상호작용과 협력이 요구되는 팀 스포츠에 서 보고되었고, 볼령·사격 팅과 같이 독립적인 수행과 상호작용이 거의 필요없는 스포츠에서의 응집력/수행 관계는 부적인 결과를 보였다. 단체로 출전하는 볼령 팀이나 양궁 등은 하나의 팀 단체이 긴 하지만 탐 구성원간의 경쟁도 허용된다. 따라서 팀 내의 경쟁이 허용되는 스포츠인 경우는 응집성/수행간의 관계가 성럽되지 않는 다는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집단 구성원간의 상호 의존성 정도에 따라 각 운동 종목을 다음과 같이 세 부류로 분류할 수 있다(표 6-3). 즉, (D 상호협력을 필요로 하는 종목 @ 상호협력과 상호반응을 동 시에 필요로 하는 종목 3) 상호 반응을 띔요로 하는 종목이다. 따라
서 과제의 특성에 따라 집단 웅집력파 집단의 경기력과의 관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세번째로 고려할 수 있는 사항은 웅집력/수행간의 인과성 방향 - 의 문제이다. 대부분의 스포츠 웅집력에 대한 논의는 집단웅집력이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지 아니면 수행성공이 집단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내려는 것이다. 대부분의 자료가 서로 상관이 있기 때문에 언과성을 설정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팀 성공과 시즌 후 응집력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들 (Landers & Crum, I97I; Myers, I96o;Peterson & Martens, I97 2 ) 은 시즌전 응집력과 시합 후 팀 성공간의 관계를 고찰한 연구들 (Martens & Peterson, I97I; McGrath, I962; Widmeyer & Martens, I97 8 ) 보다 훨씬 강하고 일 관된 결과를보였다. 인 과성 (causality) 을 훨 씬 직 접 적 £로 검 증 한 Bakeman 과 Helmreich (I975) 는 수영 팀의 응집력과 수행을 시간의 관점에서 고찰하기 위 하여 종단적 시 차비교법 (cross-lagged panel design) 을 사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응집력이 수행을 결정하는 중요한
l 응집 |• r1 ... 응집 |
표 6-3 과제의 특성에 따른 집단웅집력과 경기력의 관계
요인이 아니라 훌륭한 수행이 응집력의 원인이 된다는 결론을 지였 다. 또한 Carron 과 Ball (1977) 은 동일한 설계법 (시차비교법은 종단 적비교연구중의 하나로서 시계열이나 동일경험집단 연구와 같지만, 한번 조사한 사람들을 두번 또는 그 이상의 시점에서 다시 조사하 는 특수반복연구법으로서 동일인 반복연구라고 한다)을 사용하여 아이스하키 범을 연구한 결과 수행성공으로부터 응집력£로의 관계 가 그 역의 관계보다 더 큰 상관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최근에 Landers, W ikinson, Hatfield, 그리고 Barbe r( 1 9 82 ) 는 응 집력이 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수행이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은 시차 비교법을 사용하여 알아내었으나, 대부분의 상관이 행로 분석 (path analysis) 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Williams 와 Hacke r( 1 9 82 ) 는 시 차 버교법은 응집력과 수행의 인과성을 양 방향에서 모두 지지하여 주지만 행로 분석의 결과는 인과의 흐름이 수행에서 응집으로 유동 하는 편이 더 강하다고 시사하였다. 이와 같이 방법론적인 약점이 또한 버일관된 결과를 유도하고 있 다.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집단의 인력으로 청의되고 측정되는 응집력이 상호작용하는 스포츠 팀에서의 성공과 정적인
상관이 있음을 가설척으로 제안할 수 있다. 그러나 웅집력이 성공 의 필수척인 원인은 아니며 심지어 부분척인 성공의 원인이 아닐 수도 있는 사실을 결코 배제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고려할 수 있는 요인은 웅칩력의 .정의와 측정의 문제 이다. 대부분의 연구가 Martens, Landers, 그리고 LOY(197 2 ) 가 개 발한 SCQ 를 사용하였다 (Gill , 198 6) , Martens 등의 질문지는 크게 두 개의 항목 법주 즉 @ 집단의 친밀감이나 인력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과 @ 대언간 인력이냐 우정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구분된다. 칙접형가 향목과 우정평가 항목은 서로 높은 상관이 없으며, 종종 팀 수행에 차별적인 관계를 갖는다. 대부분의 응집력과 수행간의 정척인 관계는 직접형가항목에서 나타났고, 부적인 관계는 대인간 인력 형가항목과 관련이 있었다. 부적인 관계를 보고한 대부분의 연구 (Fiedler, 1954;Landers & Lueschen, 1974; Lenk, 196 9 ; McGrath, 19 62 ) 가 대언간 인력 항목을 이용하였다. 따라서 선수들 간의 우정반을 측정한 응집력의 지표로서는 그 집단의 시합결과를 예측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따라서 집단의 응집력을 정의하거나 측 정할 때는 집단 구성원간의 인력, 구성원이 집단에 대하여 갖는 매 력, 구성원이 집단의 목표수행에 헌신하는 정도, 집단이 구성원에 게 부과하는 구속력, 상황척·문화적 요인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2 응집력의 순환적 특성 스포츠 응집력의 초기 연구에서는 응집력이 독립변수로 취급되거 나(응집력의 정도가 상이한 팀은 성공 수준이 다를 것인가? ), 또 는 종속변수로 취급되었다(팀의 성공 수준은 응집력의 수준에 직접 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뒤이어 응집은 동적이고 그것은 또한 다 른 집단변수들과 순환형식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이 확증되었다 (Carren & Ball, 1977; Hacker & Williams, 198 1; Ruder & Gi1 l, 198 2) . 예를 들어 여자 필드하키 팀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Hacker 와 Williams(19 81 ) 는 응집, 수행, 만족 사이의 다양한 인과 관계의 결합은 이러한 변수들 사이에 순환적 특성 (circular nature)
응집
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결론지었다(그림 6-6). 즉, 응집력이 큰 집단은 보다 성공적이고 성공적인 팀은 만족의 정도가 훨씬 크며, 만족이 크면 클수록 응집력을 더 커지도록 유도 한다는 설명이다. 만약 우리가 응집력이 정적인 특성이라기보다는 동적인 과정이라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응집은 수행 결과, 만족도, 일치성, 역할수용, 팀 안정성 등과 같은 다른 집단특성들과 끊임없 이 상호작용하며 변동할 것이다. 결국 이러한 변인들은 실험적으로 종종 선행조건 또는 응집의 결과로 취급되기 때문에 그것들이 상관 관계를 갖는다고 보는 견해가 훨씬 적절한 것 같다. 3 집단응집력과 상호관계하는 요인들 지금까지 스포츠 팀에서 응집력과 명백하게 상관이 있는 요인 중 의 하나는 수행성공이다. Carron 과 Chelladurai (19 81 ) 는 스포츠 응 집력 질문지 (SCQ) 를 가지고 수행한 연구들을 요약하였으며, 최근 의 몇몇 연구 결과들을 함께 개괄한 결과를 표 6-4 과 같이 제시하 고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분명한 사실은 응집력과 수행이 상호작용하는 스포츠 팀에서는 매우 높은 상관이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앞에서
표 6-4 스포츠 웅칩력 질문지를 사용했던 연구들의 개관 (↑높다 ↓낮다) 연구자 운통정단 일반척언 결과 변별되는웅집요인들 Arno ld & StraUb(1972 ) 대학간 놓구 댐 웅정 • =수행 • 팀씩, 친밀감 Ball & Carron 대학간 하키 댐 웅집 • =수행 • 립팩, 친밀강, 즐거움 (1976 ) Lan ders & Crum 각 학교간 야구 웅정 ↑=수행 • 댐팩, 친밀강 (1971 ) 립 I‘an ders & Lueschen 교내 볼랭 법 응집↑=수행↓ 대언간인력 (1974) MaJt en s & Peterson 교내농구댐 응집↑=수행↓ 럽찍, 친밀강, 회원의 (1971 ) 가치 Melnick & Chemers 교내농구댐 옹집=수행과무관 (1974) Widm eyer & Martens 3 대 3 농구 응집↑=수행↑ 립씩, 친밀감, 회원의 (1978 ) 가치, 소속강 , 즐거움 Hacker & Willi ams 대학간 필드하키 응집 • =수행 • 팅찍, 친밀강, 회원의 (198 1) 가치, 소속감 , 우정, Gos set & Wiψneyer 대학간농구 응집↑=수행↑ 팅쩍, 친밀감, 회원의 (198 1) 대학깐하키 가치, 소속강, 즐거움 Ruder & GiI I 대학간배구 응집=수행과무관 (198 1) Carr on & Chelladurai 고등학교농구 웅정↑=수행↑ 소속강, 회원의 가치, (198 2) 즐거웅 교내배구 웅접↑=수행↑ 팀씩, 소속감, 응집 고동학교 레슬링 웅칩 • =수행 • 소속강, 회원의 가치, 즐거움
논의한 대로 이 관계는 순환척일 것이다. 스포츠 팀에서 웅집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또 다른 요인은 만족이 다. 두 가지 개념은 아주 유사하지만 응집이 집단의 구성 개념인데 반해 만족은 개별적 구성 개념이다. 많은 연구자들 (Caπon &
Chel1 a durai,1 9 82; Hacker & Williams,1 9 8 1 ; Martens & Peterson, 197 1 ) 은 웅칩과 만족간에 상당히 강한 정척인 관계가 있다고 하였 다. 또 일치성이 집단응집력과 상호관계가 있다. 응집력이 높은 집단 일수록 그 집단은 개별 구성원들에게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 (Festinger,1 9 50; Schacter, 1950). 결국 압력이 크면 행동이나 태 도에서 일치성을 발휘하기 위하여 개인들이 참게 된다. 동시에 응 집력이 높은 집단은 생산성을 위해 집단의 규범에 순응-a-}는 정도가 훨씬 크다 (Berkowitz , 1954 , 1956 ; Mikalachk, 196 9 ; Schachter, E l- lertson, McBride & Gregory, 1951; Seashore, 1954). 안정성은 구성원들이 집단에서 함께 있는 시간의 길이뿐 아니라 집단 구성원들이 파기되는 속도를 휩}는 것으로 이것 또한 순환적 유형으로 응집력과 관련이 있다. 집단이 함께 있는 시간이 길면 길 수록, 또 구성원들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가 많으면 많을수록 응집력이 발전될 가능성은 훨씬 커진다. 또 집단 응집력이 높을수 록 집단 구성원들이 탈퇴할 선택권이 점점 작아진다. 즉, 파기율이 감소된다. 6-3 리더십 6-3-1 리더십의 정의 어느 특정인 또는 소수인이 중심이 되어 집단이나 조직의 통제를 유지하고 그 활동의 방향을 결정짓는 현상은 집단이나 조직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사회현상이다. 이와 같은 지도→종속관계를 특정으 로 하는 현상을 리 더 십 Oeadership) , 지 배 , 사회 적 통제 (social control) , 지도적 지위 (headship) , 대중조작 등의 유사한 개 념으로 불리어 왔는데, 리더십은 이를 다루는 입장이나 관점에 따라서 상 이하게 정의되고 있다. Hemphill (195 0 ) 은 리더섭이란 집단이 공동으로 지향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집단 구성원들의 활동을 선도랜 지도자의 행동 이라고 정의하였고, Cartwright (19 68 ) 은 리더십을 @ 집단목표를 셜정하는 활동,@ 집단목표를 실현시키는 활동,@ 구성원간의 상 호작용의 질을 높이는 활동,@ 집단의 웅집력을 조성하여 이것을 집 단자원 (group resource) 으로 이용하도록 하는 집단 구성 원들의 제반 활동 동 4 가지 집단기능을 촉진시킨다고 하여 리더십에는 집 단에 의한 목표달성 기능과 유지 기능이 포함되어 있음을 시사하였 다. 이 청의를 운동집단과 관련시켜 생각하여 보면, 집단의 목표 (숭리 추구, 기술 향상 등)를 성취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지도계획 을 세우고 효과척인 연습 방법을 선돼하도록 집단 구성원들에게 지 시하고 명령하는 것은 지도나 연습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목표달성 기능이며, 연습 분위기를 조성하고 인간관계를 조정하며 집단 구성 원의 일체감, 연대감을 조창하여 바람직한 분위기 조성, 응집력, 사기를 높이는 기능은 유지 기능인 것이다. 또 PigOS(1953) 는 리더십이란 특정한 성격 소유자가 공통의 문제 를 추구하는 데 있어서 자신의 의지, 감정, 통솔력 등£로 다른 사 람을 이끌고 다스리는 특성이라고 주장하여 성격에 근거를 두고 정 의하였고, Sargent(195 0 ) 는 집단의 어떤 특정 개언과 구성원들과의 사회척 상호작용의 형태로서 지도자와 구성원과의 역할행동으로 정 의하였는데, 이는 인간관계와 상호작용의 측면을 중요시한 정의이 다. Loyd 와 Allport (19 2 4) 는 집단 상황의 면에 중점을 두어 리더십 이란 영향력과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집단 상황에 큰 변화를 유도하는 활동이라고 하였고, Allford 와 BeatleY(1955) 는 집단 구 성원이 자발적이고 바람직한 행동으로써 집단목표에 도달할 수 있 게 하는 행동으로 정의하여 지도자가 발휘하는 영향력에 중점을 두 었다. 한편 Carron ( 198 0 )은 리더십 과정을 개념화하기 위하여 세 가지 기본적 체계를 규정하고 있다. 그 세 가지 체계는 영향력 체계 (influence system), 상호작용체 계 (int eraction system), 권 력 체 계 (power system) 이다. 먼저 영향력 체계란 지도자(코치) , 선수, 팅 (종속자)그리고 상황척 요인이 서로 보상척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 N1 선수 그림 6-7 지도력의 영향력 체계
목표달성을 위하여 움직이며, 지도자(코치)는 자신이 모든 것을 결 정하고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팀 구성원인 선수나 현재 처해 있는 상황적 요인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이것을 쉽게 도 식화하면 그렴 6-7 과 같다. 상호작용체계라는 것은 코치나 선수간 의 상호작용 과정을 말하는 것으로 지도자(코치)와 선수는 상호 의존적인 행동을 달성하기 위하여 매우 상호 보상적이어야 함을 강 조한다. 물론 이것은 영향력 체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나 대인간 의 인간관계의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지도 장면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코치-선수간의 대인관계는 다시 두 개의 차원으로 분화되는 데, 그 하나는 성격체계로서 코치의 성격, 개인적 선호도, 욕구성
성격체계
그림 6-9 지도자의 권력체계(굵은 선은 코치가 더 많은 권력을 갖고
향과 선수의 성격, 개인척 선호도, 욕구성향으로 구성된 차원이며, 다른 하나는 상황적 체계로서 과제요구의 특성, 규범적 기준, 역할 기대, 공식적 집단의 조직력 청도, 집단/팀 상황 내의 기술수준, 팀의 크기 등을 포함한 차원이다 (Carron & Chelladurai, 1 978). 이 사회척 상호작용의 모형을 개관한 도식이 그립 6-8 이다. 마지막으 로 권력체계는 지도자와 종속자의 관계에서 지도자가 지배적인 역 할을 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콩식 조직에서 볼 수 있는 체계이다. 지도자가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일방척인 체계로서 코치나 선수간에는 종속관계를 갖게 된다. 이 체계에서는 선수들이 코치에 대하여 자기의 느낌이나 의견을 표현하는 것이 자유롭지 못하며, 권한의 근원은 보상, 강압, 권위, 전문성, 준거 등이다 (French & Rsaver,19 5 9 그렴 6-9 참조). 이상의 여러 학자들의 청의내용을 살펴보면 리더십의 정의는 어 느 한가지 업장으후 규정지울 수 없고 리더십은 상황에 따라 변화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리더십이란 조직의 목표를 효 과적으로 성취하기 위하여 집단 구성원으로 하여금 목표수행에 자 발적으로 헌신할 수 있도록 유도, 조정하는 리더 행동이라 할 수 있다. 6-3-2 리더십의 제이론 1 특성론(위대한 인간 이론) 리더십에 대한 초기의 연구들은 주로 경영학에서 이루어쳤는데, 지도자의 성격 특성을 묘사하는 데 주된 관심을 가져왔다. 이때에 는 위대한 지도자는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고 태어나면서 결정된다 고 보는 것이 지배적인 견해였다. 이 이론의 기본 가청은 능력있는 지도자들은 그들이 갖고 있는 특정한 특질에 업각하여 리더가 아닌 사람과 구별될 수 있다고 보는 업창이다 2 차대전 직후까지 지배적 이던 이 특성론은 지도자에게 알맞는 성격적 특성을 소유한 사람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위대한 지도자가 된다는 주장£로서, 이 특성은 행동의 일관성에 기여하고 결국 리더십의 세력과 안정성을 셜명해 주는 것이며 성격검사에 의해 추출할 수 있다고 보는 입장이다. 그 러나 이 특성론은 방법론적인 문제 (Cartwright & Zander , 196o) 와 개념적인 고찰 (Stogdill , 1959) 에 입각하여 상황을 중시하는 방향으 로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Stog d. ill(194 8 ) 은 12 4 편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다섯 개의 성격적 요언 또는 특성(즉, 지능, 성취동기, 책임 감, 참여도, 사회적 지위)이 성공적인 리더십과 연관이 있음을 밝 혀냈다. 그러나 Stogd ilI이나 다른 학자들의 연구 결과는 지도자의 특성과 운동수행은 일정한 관계가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으며 성 공적인 지도자의 상황적 특성을 지적하고 있다. 즉, 특정 상황에서 성공적인 지도자가 다른 상황에서도 반드시 성공적인 지도자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지능이나 성취동기 등의 성격적 특성이 지도자에게 유리한 변수로 작용할지 모르나 반드시 이러한 특성을 소유했다고 해서 성공적인 지도자가 된다고 보장할 수 없다 는 의미이다.
리더섭과 상판이 있다고 계속 지지를 받아온 소질척 특성은 지능 이었는데, Mann(1959) 과 Campbell, D unnette, Lawler 및 Weick (197 0 ) 은 방대한 문헌을 고찰한 결과 지도자의 지능과 과제의 성공 간의 상관은 낮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다시 말해서 지도자의 지능 은 과제수행의 변량을 약 7-9% 정도밖에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 다. 그러나 최근 Fiedler 와 Leister (1977) 는 상관이 낮은 이유를 지 도자의 지능과 과제의 관련 행통 사이를 연결하는 중재과정을 충분 히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시사하였다. 그들은 네 개의 중재 변인(지도자의 동기 수준, 지도자의 경험 정도, 지도자와 감독자 사이의 관계, 지도자와 집단 구성원간의 관계)이 조화를 이루지 못 ‘ 하였을 때는 지도자의 지능이 집단수행이나 운동수행에 미치는 영 향을 심히 감소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육군 보병 분대장들 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지도자의 지능과 과제수행간의 중재변인 의 역할모텔을 경험적으로 지지하였다. 네 개의 매개변인들이 조화 로운 상태일 때는 지능과 수행간의 상관이 .335 였으며, 반대인 경우 는 .145 청도의 상관을 얻었다. 그러나 이 상관 역시 낮은 것으로 지 도자의 지능과 집단수행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 결국 지도자의 효융성을 결정하는 데 보면적언 리더십의 특성이 확인된다 하여도 지도자의 특성론은 지지받을 수 있는 근거가 미약하다고 볼 수 있 다. 한편 스포츠 현장에서는 기도자 집단으로서 코치들은 독특하고 비범한 기질이나 특성을 가지고 있느냐는 문제가 제기되는데, 일반 적으로 코치는 상동형의 신체적 • 심리적 특성을 소유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HenrY , 1973). 그 특성으로는 융통성 부족, 다른 사 람과의 이해관계 미홉, 지배성, 공격성, 침착성 등이 강하고 (0 밍 lvie 와 Tutko, 1 96 6,1 9 70 ) 감정자제 능력, 조직력 등 (Henry , 1974) 이 강한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긍정척인 면도 있지만 부정적인 면도 무시할 수 없는데 부정적인 특성£로는 렴 구성원의 독립성에 대한 이해 부족과 경직성을 들 수 있다. 지도자 의 성격적 특성론은 최근 들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절대척 인 특성이라기보다는 상황적 특성에 따른 결합적 요소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2 보펀척 행동이론 위대한 인간론(지도력의 보면척인 특성을 강조)이 쇠퇴하면서 연 구의 추세가 리더십 과정의 보면적 행동 특성을 알아내려는 쪽으로 변화하였다. 이 접근법의 궁극척인 목적은 지도자의 특정한 행동 유형과 과제수행이나 부수적인 만족과 같은 결과 준거 사이의 관계 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 입장을 지지하는 학자에 따라 연구가 다양 하게 이루어쳤으나 가창 대표적으로 알려진 연구로는 오하이오 주 럽대학의 연구와 미시간 대학의 연구 결과가 있다. @ 오하이오주립대학의 연구 이 연구는 요인 분석법을 이용하여 지도자 행동의 여러 차원을 밝히려는 지도자 행동유형 연구로부터 시작되었다. 최초로 Hemphill 과 Coons(1957) 는 설문지를 통하여 9 가지 행동 차원을 확 인하였는 바, 그 차원들은 개시(새로운 이념과 실행 소개), 구성력 (집단의 상호작용), 구상(집단의 흥미, 행동에 대한 방책) , 통합 (집단 분위기 형성) , 조직(일에 대한 조직 형성) , 지배력(의사결정 과정에 집단 참여 허용) , 생산성(성취와 결과에 대한 청위)이었다. 그 이후 Halpin 과 Weine r( 1 957) 가 미공군 조종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토대로 Hemphill 등의 질문지를 수정 발전시 켰으며 9 개의 차원으로 부터 4 개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그 요인들은 배려성 (consideration) , 구조화 주도행동 Onitiating structure), 생 산성 강 조 (production emphasis), 감수성 또는 사회 적 인지 (sensitivity or social awareness) 이며 이 요인들의 행동측면틀을 요약하면 표 6-5 와같다. 더 나아가 Halpin 등 (1957) 은 이 네 요인 중 구조화 주도 행동과 배려성 요인으로 지도자 행동 차원을 축소하여 지도자 행동 기술 질 문 지 (Leader Behavior Description Questionnaire, LBDQ) 를 제 작하였다. 생산성 강조와 감수성 차원이 제외된 이유는 이 두 요언 이 지도자 행동을 설명하는 데 버교척 낮은 변량을 가질 뿐만 아니 라 결국 구조화주도 행동과 배려성과 같은 성질의 요인들임을 발견
표 6-5 지도자 행동기술질문지 (LBDQ) 에서 발춰 l 한 4 개의 리더섭 요 인들 요 언 기 술
배려성 지도자와 종속자 사이의 관계에서 우정, 상호신뢰, 존경, 동정 풍과 관련된 행동지표 구조화 주도 행동 지도자가 자기 자신이나 종속자간의 관계를 조직하 고 한계를 명확히 구분하는 행동 생산성 강조 종속자들이 더 큰 결과를 산출할 수 있도록 동기화 시키는 데 지향된 행동 감순성 집단 내·외부에서 일어나는 사회척 관계가 압력에 (사회척 인지) 대한 지도자의 감수성, 인지도를 지척동}는 행동지표하였기 때문이다. 한편 리더섭 연구에서 이 두 종류의 행동을 묘사하기 위하여 상 이한 용어나 단계를 사용하였다 하더라도 결국 유사한 개념적 접근 이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오하이오 주럽대학 연구노선에서 Fleishman(I957a, 1957b) 은 산업 상황에 알맞게 LBDQ 를 변형하여 감독자 행동기술 철문지 (SMPQ) 와 지도자의 태도를 평가하는 지도 자 의견 질문지 (LOQ) 를 만들었으나 양 질문지의 차원들이 배려성 과 구조화 주도행동 차원과 개념적으로 동일한 것이었음이 확언되 었다 (Caπon , I9 8I ) . 결국 오하이오 주립대학 연구에서는 이 두 요 인이 리더십 차원을 대표하고 있다. @ 마시간대학의 연구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집단의 생산성과 집단의 참여로부터 얻은 집단 구성원들의 만족에 기여하는 제원리들을 알아내려는 것 A 로, 요하이오 대학의 연구자들과 유사하게 지도자들이 모든 리더 십 상황에서 보편척으로 나타내는 행동 유형이 무엇인지를 확인하 는 데 관심을 · 가졌다. 이들은 리더섭이 네 가지 주요 요소로 형성 되고 있다는 입장으로서 네 가지 요소는 감독자 역할 분담, 감독의
완화, 피고용인 성향, 집단관계이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지도자 행동을 2 대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하나는 피고용자 성향 차원이 고 다른 하나는 생산성 강조 차원이다. 피고용자 성향 차원은 오하 이오 주럽대학 연구의 배려성 차원과 유사하고, 생산성 강조 차원 은 지도자의 과제 수행이나 생산성에 직결되는 행동의 정도와 직업 의 기술적 측면을 나타낸다. 결국 이 이론은 지도자가 두 가지 기본척 행동에 관여하고 있다 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데, 즉 지도자는 수행 결과를 확대하려는 행 동과 동시에 지도자와 피고용자간의 인간관계 개선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지도자의 유형과 상이한 상황적 연계성 사이의 연쇄를 경험 적으로나 이론적으로 발전시키지 봇한 점이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 다. 지금까지 고찰한 두 연구를 요약한다면 지도자가 보여주는 행동 이나 역할을 정의하고 묘사하는 데 크게 공헌했다는 점이며, 리더 십의 형태를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분류하고 있다. 그 하나는 종 속자와의 긴밀한 인간관계를 유지하는 가운데 그들로 하여금 하고 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자율적으로 일을 하게 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종속자들에 대한 인간적인 관심보다는 조직의 목표를 달성 하기 위하여 책임 완수와 복종을 타율적으로 강요하는 유형이라 할 수있다. 두 개의 행동 차원들을 측정하고 있는 오하이오 대학 질문지들 (예 : LBDQ, SBDQ, LOQ) 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여러가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스포츠와 신체 활동에서 리더십 연구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한 가지 문제는 지도 자의 행동들을 보면적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예 를 들어 지도자로서 코치들의 모든 행동이 배려성과 구조화 주도 행동 차원의 범주로 분류할 수 있겠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되는데, 그 탑변은 〈결코 아니다〉이기 때문에 특정한 상황에 알맞는 지도자 행동 차원을 고려할 필요가 생겨났다. 이에 Danielson, Zelhart 및 Drake(I975) , 그리고 Chelladurai 와 Saleh (1978 ) 등은 운동 상황에 적절한 지도자 행동 차원을 확인하
려는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Dainielson 퉁은 16 。명의 하키선수들을 대상으로 LBDQ 를 수정한 코치 행동의 다차원 척도를 이용하여 코 치의 행동 차원을 분류하였다. 그들은 코치의 행동 차원을 경쟁적 훈련, 주도성, 대인간 팀 운영, 사회성, 대표자의 역할, 조직적 인 의사소통, 인식도, 일반척 흥분도의 8 차원을 추출하였다. 이 연 구에서 그들은 하키 코칭 상황에서 공통척으로 지각되는 행동은 지 배성이 극히 척은 의사소통의 특성을 갖고 있다고 지척하였£며, 지배성, 공격성, 권위성이 코치 행동의 특성이라는 HendrY(197z ) 의 주장을 반박하였다. 또 Chelladurai 와 Saleh (197 8 ) 는 스포츠 지 도자 형가 척도 (LSS) 를 이용하여 선호하는 지도자 행동과 선호하 는 스포츠 참여 유형 사이의 관계성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선호 하는 지도자 행동 차원을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는데, 그 요인은 훈 련행동, 권위주위적 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 행동, 보상행 동이며, Danielson 등의 행동 차원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 상황특성론 (Fiedler 의 리더십 유관성 이론) 상황의 특성뿐만 아니라 지도자의 특질을 강조한 이론적 접근법 이 Fiedler 의 리 더 십 유관성 이 론 (Fiedler’s Contingency Theory of Leadership) 이다. 이 이론의 주요 가정은 〈리더십의 효율성은 집단 구성원들과 상호작용하는 지도자의 유형과 집단-과제 상황의 호의 성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이다. 그는 지도자가 상호작용하는 유형은 인간관계 지향척인 차원과 과제 지향적 차원에 따라 달라진다고 하 였으며, 이 지도자의 지향성은 안정한 성격척 특성이라고 전제하였 다. 인간관계 지향적이 되연 과제수행을 부차적인 것으로 간주하게 만들고 과제 지향적이 되면 과제의 수행에 관심을 갖게 휠 것이라 고 하였다. 따라서 그는 성공적인 과제수행에 관계되는 이 두 가지 지도자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LPC( 공행자 최소 선호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 척도는 지도자가 가장 싫어하는 자신의 립 구성원 에 대해서 갖는 최소의 선호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LPC 점수가 높은 사람은 인간관계 지향척 통기유발을 일으키며, 가장 적합하지 못하 거나 비생산척인 구성원에 대해 긍정척언 감정을 가질 수 있다. 반 면 LPC 가 낮은 지도자는 과제 지향적이 되며, 비협조적이며 호의
척이지 못한 감정 표현을 하게 된다. 또 그는 인간 지향성과 과제 지향성의 상대척 효융성은 집단-과 제 상황의 호의성에 달려 있다고 보는데, 이는 상황이 지도자에게 환경을 통제하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이 집단 i 과제 상황의 호의성은 φ 지도자구성원의 관계 @ 과제구 조 @ 지도자의 지위 권력의 세 가지 하위 요인에 의하여 결정된 다. 지도자구성원 관계는 지도자와 구성원간의 개인적 인간관계의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구성원이 지도자를 좋아하면 지도자가 영향 력을 행사하기 용이해진다. Fiedler 에 따르면 이 요인이 상황척 호 의성을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였다. 과제의 구조 는 과제의 목표, 목표성취 절차 등의 명확한 청도를 말하는 것으로 서 집단이 수행하는 과제가 조직적일수록 지도자가 영향력을 행사 하기 쉬워진다. 지도자의 지위 권력은 보상과 처벌에 대한 지도자 의 통제, 집단 구성원들에 대한 권위정도, 조직이 부여하는 지지도 에 따라 결정되며, 지도자의 지위가 크면 클수록 상황은 점점 더 유리해진다는 것으로 세 가지 요인 중 가장 중요성이 적은 요인이다. Fiedler 는 지도자가 구성원과 상호작용하는 유형과 상황의 호의성 정도간의 구체적인 상호관계를 그렴 6-10 과 같이 나타내고 있다. 그림 6-10 에서 보듯이 과제 지향적 지도자 (LPC 가 낮은 지도자)는 상황적 호의성이 가창 좋거나 가장 나뿔 때 최상의 리더섭을 발휘 하고, 인간관계 지향적 지도자 (LPC 가 높은 지도자)는 중간 정도의 호의성 상황에서 지도력이 가장 효율척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관성 이론의 주요 강령은 다음과 같다. 즉 〈집단-과제 상황은 호의성의 정도에 따라 달라지고 지도자들은 과제-인간 지향 성 연속체를 따라 다양할 것이며, 적정한 호의성 상황과 일치히는 리더십 유형을 갖는 지도자가 가장 효율적인 지도자가 될 수 있다〉 는것이다. 비록 Fiedler 의 이론은 1954 년 농구 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그 기원을 두고 있지만 운동 상황에서 이 이론을 검증한 연구자가 극히 적은 실정이며, LPC 를 이용한 연구에서도 이론이 지지받지 못했다. 특히 지도자 훈련 프로그랩의 효용성 및 가치에 대한 반론
고
은 Fie 버 er 이론의 경기 상황에서의 적용력이 미홉함을 지척하였다. 이에 대하여 Fielder 는 리더십 증가 프로그랩은 지도자의 성격 변화 와 상황 호의성 정도를 수정하는 것이라는 측면에서 가치 있다고 주장하였다. 3 상황-행동론 이 이론에서는 여러가지 행동에서 일어나는 지도자의 특정한 행
동에 중점을 두고 리더십 과정을 실행하는 데 존재하는 차이를 셜 명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다. 이 상황행동접근법을 대표하는 주요 이론들은 경로→목표이론 (House , I97 I ) , 상황이론 (Hersey 와 Blan-chard,I 9 6 9) , 다차원 척도 모형 (Chelladurai, I978) 등이 있단. @ 경로-목표이론 이 이론은 Fiedler 의 연구와는 대조를 이루는 것으로 Fiedler 악 이론이 지도자의 통기 지향성과 상황 호의성에 초점을 두는·데 반 해 종속자의 요구, 목표와 그들의 상황에 중점을 둔다. 이 이론의 기본 가청은 종속자(개별 구성원)는 조직이 부여하는 보상과 조직 이 가지고 있는 환경과 직선적인 지향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종속 자가 직접보상(목표)을 지향하기 때문에 지도자의 기능은 코청, 안 내, 후원, 보상 등을 제공하는 목표달성의 길잡이, 촉진자 역할을 하는 것이며, 이것이 수행을 효과적 A 로 증진, 성취시격 개인적 만 족감을 증대시키는 데 기여한다는 관점이다. 이것을 도식화한 것이 그렴 6-II 과 같다. 그러므로 리더십에 대한 행로목표이론의 관점은 동기의 기대이론에 기초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경로-목표이론의 두번째 전제는 이 동기적 기능을 효과적으로 달 성하도록 유도하는 최적의 지도자 행동은 지도자가 운영하는 상황 의 산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House 와 D 않 sle r( I 974} 는 최적의 지도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변수를 두 종류로 제안하였는 데, 첫째는 종속자의 특성이고, 두번째는 종속자가 자신의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극복해야 할 환경
초<) 서 깎’ ! 보상과목표
척 요구와 압력이다. 마지막 전제조건은 운동선수와 칙접 관련이 있는 것으로서 과제 가 변화하는 상황에서 지도자가 상호 의존척이며 명확하고 대인 지 향척인 행동을 하는 것은 집단 구성원들 사이의 응집력, 팀 노력, 사회척 지지, 천션 등을 중가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경로→목표이론은 Chelladurai 와 Sal 당 1(197 8 ) 에 의해 체육과 학생 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직접 검증되었는데, 그들은 I 단계로 5 차원 지도자 행동을 만들었고 z 단계로 피험자의 지도자 선호도와 스포츠 선호유형사이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 상황이론(생활주기론) 상황이론 또는 생활주기 이론은 구성원의 성숙도에 따라 리더십 이 결정된다는 이론으로서 두 가지 형태의 리더십, 즉 인간관계 행 동과 과제 행동을 강조한다. 구성원의 성숙도란 높지만 달성 가능 한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역량이며(성취동기), 책임, 교육(경험)을 받을 수 있는 의지와 능력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개인의 성격 과 능력이 성숙수준을 결정하는 데 상호작용한다 (Hersey 와 Blanchard, 1977). 리더십의 상황이론은 경험적으로는 검증이 되지 않았지만 Hersey 와 Blanchard 는 부모-자녀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야 이론의 훌륭한 범례를 제시하고 있다. 부모의 행동(지도자 유형)은 자녀 (개별 구성원)의 성숙도와 곡선적언 관계로 변화한다고 하였다 . 이 것을 도식화한 것이 그림 6-12 이다. 여기서 보면 개인이 미성숙했 을 때 지도자의 유형은 높은 과제 행동과 낮은 인간관계 행동으로 나타나며, 자녀가 성숙함에 따라 부모는 높은 과제 행동과 높은 인 간관계 행동을 보이고 있다. 더욱 성축해 감에 따라 부모의 과제 행동은 낮아지고 인간관계 행동은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자식 이 완전히 성숙했을 때는 부모의 인간관계 행동과 과제 행동이 모 두 최소로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운동선수들의 성축도 측정은 그 특성상 매우 어렵다고 하지만 Hersey 등의 이론을 운동 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고 본다~ <운동능력 성숙도〉가 국민학교, 중·고등학교, 대학교, 프로 수준£로 점차척으
효율성
로 증가한다고 가정한다면 상황이론에 따라 그 수준에 맞는 훨씬 특정한 지도자 유형이 권장되어야 한다고 말할 수 있다. 즉 , 초·중 등학교 시절에는 과제 행통이 높고 인간관계 행동이 낮은 형태의 코치가 적당하고, 대학 수준에서는 인간관계가 높고 과제 행동이 낮은 코치 , 또 완숙한 프로선수들인 경우는 인간관계나 과제 행동 이 모두 감소된 형태의 코치가 적정하다고 본다.
@ 규법적 의사결정 모형 이 접근법은 지도자가 종속자를 의사결정 과정에 어느 정도 참여 시키는가 하는 지도자의 행동 측면에만 관심을 갖는 것이 특정이 다. 이 모형의 기본 가청은 가창 척절한 의사결정 방법은 상황의 특성에 의거하여 변화한다는 것이다. Vroom 과 Yetton (1973) 은 의사결정 방법을 @ 지도자가 독단적 으로 결정하는 권위주의적 방법 @ 지도자가 결정은 내리지만 후에 종속자와 개별척으로나 집합적으로 협의를 통해 정보를 얻는 협의 적 방법 @ 지도자를 포함한 집단이 공동으로 결정을 내리고 그 다 음 지도자가 이 집단결정을 실행하는 집단결정 방법으로 대별하였 으며, 의사결정 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8 개의 문제 일람표를 제작 하였다. 그들은 551 명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의사결정 활용 유형을 파악한 결과, 문제의 속성(즉, 상황적 요인의 영향력)이 갖는 영향 력이 개인차 영향력의 약 4 배 정도가 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의사결정 모형을 운동경기 상황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Chelladurai 와 HaggertY(197 8 ) 는 운동경기 맥락에서 의사결정 유형 을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권위적 형태 (코치가 독단적으로 결 정) , 둘째 참여 형태(집단의 의사결정에 코치가 하나의 구성원으로 참여) , 셋째 위임 형태(코치가 집단의 특정한 구성원이나 다수에게 의사결정을 하도록 위임하는 형태)로 분류하고 운동경기 상황에 적 절하다고 판단되는 일곱 가지 요인의 문제를 제작하였다. 그 요인 들은 팀 구성원들과 협의할 수 있는 활용 시간의 제약 정도를 의미 하는 시간 압력, 둘째 결과와 가장 중요하게 접착된 의사결정의 질, 셋째 코치가 경기전략, 선수 선정 등의 결정을 동}는 데 가장 적절한 정보원을 꿀어내야 하는 정보의 소재, 넷째 상황이 복잡해 짐에 따라 좋은 결정을 할 수 있다는 문제의 복잡성, 다섯째 종속 자들의 결정을 인정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집단숭인, 여섯째 구성원 들이 지도자의 의견을 승인할 가능성을 의미하는 세력 요인, 마지 막으로 팅 구성원들의 대인관계의 질을 포용하는 집단의 통합 개념 이다. 결국 이 모형은 개별 요인들과 세 개의 의사결정 유형의 상 호관계를 개관하고 있다.
@ 다차원 리더십 모형 스포츠 상황에서 이루어진 리더십에 대한 연구들이 한 집단으로 서 코치가 갖는 사회섬리척 프로파일 (profile) 을 제공하려는 기술척 영역에 불과하였지만 Chel1 a durai (197 8 ) 는 코치의 행동이 선수의 만족도와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력을 마치느냐는 문제를 구명하려는 시도로 스포츠 상황에 척합한 다차원 리더십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에서는 선수의 만족도와 수행은 세 가지 유형의 지도자 행동, 즉 규정된 지도자 행동, 선수나 팀이 선호하는 지도자 행동, 실제 지도자 행동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본다. 또한 이러한 세 가지 행동을 결정짓는 선행조건을 상황의 특성, 지도자의 특성, 구성원 의 특성으로 간주한다. 이 모형의 개관을 도식적으로 표현하면 그
선행조건 지도자 행동 결과
럽 6- 1 3 과 같다. 한편 스포츠 조직은 현존하는 집단규범, 팀의 크기, 요구되는 조 직수준, 코치의 행동통제와 같은 상황적 변수의 작용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고 하였다. 예를 들어 조직의 목표가 명확하면 할수록 조 직은 관료척이 되고 과제는 정정 조직척이 되며, 조칙규뱅이 상세 할수록 코치 행동을 규정하는 정도가 커진다고 제안하고 있다. 만 약 코치의 행동이 이러한 상황적 매개변수들의 결과로 대부분 규정 되어 있다면(적웅행동) 이 처방만 따르연 되기 때문에 지도과정이 매우 용이해진다. 반면 임의척(반응적) 행동이 많이 요구되는 콧에 서는 선수들이 변하고 또 때때로 선호도가 갈등현상을 보이기 때문 에 환경이 매우 불리해지게 된다. 이 상황의 특성과 지도자 행동간 의 관계는 그림 6- 1 4 에서 찰 설명되고 있다. 그러나 상황적 요인들이 코치의 행동에 영향을 주기 때운에 코치 자신의 성격과 능력은 코치의 실제 행동을 결정동}는 주요 요인이 된다. 결국 리더섭이 다차원의 요소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이 모형 은 선수가 무엇을 선호하고 코치가 어떻게 반응하고 행동동}는가 하 는 것은 상호간의 기대뿐만 아니라 상황적 요구 또는 제약과 일치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Chelladurai , 1978 ; Chelladurai & Car- ron,1 9 78).
·반응행동
6-3-3 리더섭을 중재하는 상황적 요인들 앞에서 여러 이론들을 고찰한 결과 알 수 있듯이 리더십을 보는 현대의 관점은 특성론이라기보다는 상이한 상황의 특정한 요구에 따라 리더십이 결정된다는 업장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상황적 요 인 중에 스포츠 집단 내의 지도자의 역할을 유지하고 리더섭에 영 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은 지리적 위치와 현존하는 스트레스의 정 도이다. 1 물리적 · 지리적 요인들 〈집단 내에서 가장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개인들이 지도자로 서 가장 빈번하게 선택된다〉는 것은 실험 연구나 버실험 연구에서 거의 보면적으로 입증된 결과이며(예 Bass 와 Klubeck,1 9 52 ; Danzig 와 Galanter, 1955 ; Grusky, 196 3 ; Hearn, 1957 ; Kipnis, 1957 ; Leavitt, 1 951 등) 여러가지 이유로 이 결과를 설명하고 있 다. 첫번째 이유로서 Bavelas(194 8 ) 와 그 동료들은 중심 위치에 있 는 사람들이 집단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집단 내의 의사소통은 중심 위치를 통하여 여과되는 경향이 있다고 본다) 이 위치를 점유한 사람이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고 하였다. 이 주장에 대한 검증의 한 예로서 Leavitt(195 1 ) 는 다섯 사람의 집단을 이용하여 사슬형, 바퀴형, Y 형, 원형의 의사소 통망 (networks) 의 상대적 인 효율성을 고찰하였다. 각 조직 내의 의사소통은 바로 옆에 있는 사람£로만 제한하였고 각 집단에 문제 해결 과제(여러 기호 중에 집단 구성원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 는 하나의 기호를 알아내는 과제)를 부여하였다. 문제를 성공적으 로 해결하는 데 가장 효과적언 조직(수행시간, 오류의 수, 과제를 완료하는 데 필요로 한 정보의 수를 기준으로 형가)은 바퀴형, Y 형, 사슬형, 원형순이었다(그렴 6-15 참조). 두번째로 생각할 수 있는 요인은 가시성 (visibility) 으로서 다른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중심 위치를 볼 수 있는 청도가 커질수록 그 것에 귀속되는 지위가 정정 커진다는 것이다 (Steinzor , 1955) • 이것
사슬형 (chain)
의 예로서 법정에서 배섬원장의 위치, 소유자나 경영자의 탁자 위 치, 왕의 왕화, 교실에서 교사의 위치 등을 보면 다른 사람들이 한 개인을 완벽하게 관찰할 수 있는 공간적 위치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가시성이 클수록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물리적 • 표현 적 강도가증대된다. 또 Chelladurai 과 Carron (1977) 등은 가시성과 중심적 위치와 동 일한 중요성을 갖는 요인으로 시건을 계속 진행시킬 수 있는 인식 인 관찰력 (observability) 을 제안하였다. 그들은 대부분의 스포츠 상황에서 보면 리더십을 발휘동}는 위치에 있는 선수는 팀 구성원이 나 상대편의 활동지역 맨 후미에 있는 선수라고 주장하였다. 예를 들면 미식축구의 쿼터백, 야구의 포수, 농구의 가드는 그들을 중심 흐로 경기가 조칙, 운영되기 때문에 중심 위치에 있는 것처럼 보이
나 사실은 선수들의 위치에서 주변에 위치한다. 따라서 중심 위치 가 팀 내에서 반드시 지도척 지위를 차지한다고 볼 수 없다는 것이 다. GruskY(I9 6 3) 는 야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 세 개의 상호 작용 빈도에 기초한 모형을 개발하였는데,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 하고 개인의 콩간척 위치가 중앙에 있을수록 @ 의존적이거나 협응 적인 과제를 수행할 가능성이 커지고 @ 다른 위치에 있는 사람들 과 상호작용하는 빈도가 증가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상호작용이 높고 낮음을 기준으로 야구의 위치를 구별하였고, 포 상호 작용이 높은 선수(예를 들변, 포수나 내야수들)들이 상호작용이 낮은 사람 들(투수나 외야수)보다 장래 감독으로 선발될 가능성이 크다고 하 였다. 최근에 Chelladurai 와 Carron(I977) 은 지리적 인접성과 과제라는 두 차원으로 구성된 모렐를 제시하였다. 첫번째 차원인 인접성 (propinquity) 은 @ 특정 위치가 과제를 성취하기 위하여 진행중인 동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정도를 얼걷는 관찰력 (observability) 과 @ 운동장에서 특정 위치 에 있는 사람을 다른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주시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는 가시성
---y-
고 러닝• 백
(visibility) 이 결합된 특성을 갖는다. 또 두번째 차원인 과제는 다 양한 스포츠 위치에 특유한 과제 상호작용의 특성을 구체화한 것이 다. 어떤 위치는 매우 상호 의존적인 데 반해, 또 다른 위치는 매 우 독렵적이다(예를 들연, 하키의 골키퍼와 포워드의 대비) . 아울 러 이들은 이 차원에 따라서 야구의 여러 위치를 분류하였고, 미식 축구의 공격, 수비 위치를 분류하였다. 이 결과가 그렴 6-16, 6-17, 6-18 에서 잘 나타나 있다.
고
2 스트레스 상황에서 받는 스트레스 정도는 @ 지도자가 선택하는 의사결정 유형과 @ 유력한 지도자 행동 유형에 영향을 미친다. 스트레스는 집단간 경쟁이나 위협풍의 외척인 요인이나 집단 내의 갈등, 수행 무능력 동의 내척 요인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Korten ( I 962) 에 의하면 스트레스 조건에서 집단은 권위척 유형의 리더십을 갈구하여 받아들이게 되며, 스트레스가 없을 때는 민주척 유형의 리더십이 지배적£로 출현한다고 하였다. 이것을 도식화한 것이 그렴 6- I 9 이다. Korten 의 모형은 여 러 연구자들의 지지를 받았는데 Foder (I97 6 ) 는 실험실 연구에서 작업 집단의 한 구성원에게 감독자와 실 험 과제에 대해 비방하도록 하여 집단의 스트레스를 조작하였다. 그 결과 이 행동은 감독자에게 집단의 사기를 저하시키는 효과라고 판단하게 하여, 스트레스가 없는 상황에서보다 훨씬 더 권위적인 리더십 유형을 채택하게 하였고, 전체 집단의 수행 형가를 낮게 하 여 임금인상을 삭감시켰다고 하였다.
권위적
또 스트레스 상황에서 채돼된 지도자 유형이 집단수행에도 영향 을 미철 수 있는데, Rosenbaum 과 Rosenbaum(I97 I ) 은 집단 과제 가 경쟁척인 특성을 강조할 때 (스트레스 상황) 수행은 권위주의척 결정 유형 아래서 향상되고, 반면 스트레스가 낮은 조건(경쟁 압력 이 작을 때)에서는 집단수행이 민주적 유형의 리더십에서 가장 좋 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관계를 Fie d1 er 의 유관이론에 의하여 설명하면, 스트레스 근원 이 내부척(불일치)일 때는 지도자-구성원간의 관계 (Fiedler 의 이론 에서 상황적 호의성에 기여동}는 성분 중의 하나이다)가 악화되고 이것이 상황을 불리하게 만든다. 이때 지도지는 권위적인 경향이 된다. 사실 Fiedler 도 권위척이고 과제지향적인 지도자가 가장 효과 척이라고 하였다. 또 스트레스의 근원이 외부에 있을 때는 집단응 집력이 높아지고 지도자-구성원간의 관계가 좋아지므로 결국 지도 자가 권위적 유형의 의사결정을 채택하도록 상황이 유리해진다는 것이다. 집단에 대한 압력과 스트페스가 지도자의 행동, 집단수행 그리고 만족 사이의 조정자로서 작용한다는 사실도 보면적으로 인정된 결 과이다 (Fie 버 er , I967 ; Fleishman,H arris 및 BUrtt,I9 55 ; Lowin 과
과제 지향적
Craig, 1 968 둥). 비교척 느슨하고 스트레스가 없을 때는 지도자의 배 려성 행동이 종속자의 만족과 수행을 고양시키지만, 스트레스가 높 은 상황에서는 지도자의 구조화 주도 행동이 훨씬 효과적이다. 이 관계를 설명하고 있는 것이 그렴 6-2 。이다. 6-4 사회적 촉진 6-4-1 사회 적 촉진의 개념 모든 운동경기는 사실상 관중의 존재하에 이루어지며, 타인들과 상호작용하는 일종의 사회척 상황이다. 형소 연습 상황에서는 뛰어 난 기능을 발휘하는 선수가 시합 장면에서는 관중의 사회섬리적인 영향 때문에 자신의 기량을 최대로 구사하지 못하는 경우를 종종 목격한다. 심지어 혼자 달리는 크로스 컨츄리 선수들도 친구·가족· 동료 등의 보이지 않는 관중들이 자신이 행동을 주목하고 있다는 것을 의식한다. 이처럼 단순한 타인의 존재가 과제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관중 효 과 (audience effect) 또는 사회 적 촉진 (socal facilitation) 이 라고 한 다. 즉, 과제 수행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요인 중의 하나인 단 순한 관중의 존재가 수행 결과에 정적,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힘을 사회적 촉진의 효과라고 한다 (Carron , 198 0; Zajonc, 1965). 이 사회적 촉진 효과를 운동 상황에 적용시킨 최초의 연구는 싸 이클 광이며 심리학자였던 Triplette( 18 97) 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 는 자전거 경주에서 혼자 달리는 경우와 같은 길을 달리는 버경쟁 적 공행자가 있는 경우, 그리고 경쟁적 공행자와 함께 달리는 조건 으로 분류하여 수행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경쟁적 공행자 와 경쟁적 공행자가 있는 경우가 혼자 달리는 경우보다 마일당 약 35 초 정도 빨라지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그는 타인의 존재가 경쟁 충동을 각성시키고, 큰 힘을 유도하여 수행속도를 증가시켰다고 주 장하고 이를 역 생척 효과 (dynamogenic effect) 라고 칭하였다.
그 후 Allport (1924), Dasshiell (1935), Zajonc ( 1965), Cottrell (196 8) 퉁에 의하여 계속척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Al1 p ort (1924) 는 공행자 (coactor) 의 폰재가 운통수행을 증가시킨다는 결과를 언 급하면서 〈사회척 촉진〉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하였다. 그는 사 회척 촉진을 같은 운동을 수행하고 있는 타인의 소리나 시선 때문 에 단순히 반응이 증가하는 현상이라고 정의하였는데, 이 정의는 공행자가 운동수행에 미치는 영향만을 관중 효과의 근원으로 한정 시키고 있다. 뒤이어 Zajon c( 1 9 6 5) 는 조금 상이한 관점에서 사회적 촉진의 준거체계를 광의로 해석하면서 A l1 port 의 모형에 운동수행 을 지켜보는 수통적인 관중을 첨가시켰고 사회적 촉진의 영역을 구 체척으로 한정시켰다. Zajonc 에 따르면 관중의 존재 유형은 수동적 인 타인의 단순한 존재 (mere presence of passive others) 와 상호작 용적 타인의 존재 (presence of interactive others) 로 구분하였는데 , 단순한 임석자로서의 관중 유형에는 수행자에게 아무런 영향을 미 치지 않고 단순히 신체적으로 존재하는 관중과, 경쟁을 하지 않고
/
통일한 과제를 같은 상황에서 수행하는 공행자가 포함되며, 상호작 용척 관중의 존재 유형에는 경쟁척 공행자와 사회척 강화를 주는 관중이 속한다. Landers 와 McCullagh (1976), Zajonc ( 19 6 5) 는 사회 척 촉진이란 바로 이 수동척인 타인의 단순한 임석요로 인한 운통 수행의 효과만을 지칭하는 것£로 보았다(그렴 6-21). 여기서 상호 작용하는 타인의 존재 상황을 제외시킨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이 상황들(경쟁적 공행자, 격려, 칭찬, 철책 등의 매개물) 은 상야한 심리적 속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자체가 두드러진 효 과를 미치는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한계를 규정한 것은 사 회적 촉진의 연구에서 실험통제를 강화시키고 오염 요인들을 통제시 키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Landers & McCullagh, 1976). 결국 운동 상황에서 관중이나 경쟁자가 선수의 수행에 미치는 영 향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한정척언 관점에서 사회적 촉진 현 상을 분석하고 있는 위의 준거체계를 활용동}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본다. 6-4-2 사회적 촉진에 대한 연구들 사회적 촉진에 대한 문제는 18 97 년 Triplett 의 연구(자전거 경주, 낚시혈 감기) 후 후속 연구들이 그의 주장에 대한 모순된 결과를 보고하다가 19 6 5 년 Zajonc 가 추동이론에 업각한 사회적 촉진이론을 일반화하고 체계적인 가설을 구성하게 되었다. 한편 Cottrell 은 단 순한 관중, 공행자의 존재가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사 회적 학습의 결과로 설명된다는 평가우려 가셜을 주장하면서 큰 호 응을 받았다. 현대에는 인지적 측면을 강조한 대안모렐을 제안하고 있으나 아직 스포츠 상황에서는 경험적인 검증을 받지 못한 실정이 다. 1 초기의 연구 @ 정적인 효과 관중의 출현이 수행을 촉진시킨다는 결과는 다양한 과제에서 업
증되었다. MeUnannC(19 0 4) 은 근노력과 피로 테스트에서 초기에는 수행이 점근선 수준으로 떨어쳤다가 실험자가 테스트실에 나타나자 갑자기 수행 수준이 향상되는 현상을 발견하였으며, 이 결과는 연 속척인 실험에서 경험척£로 실충되었다. 또 Travis (19 2 5) 는 피험 자들에게 연속해서 2 일간 계속 수행 증가가 없을 때까지 매일 20 시 행씩 회전판 추척 과제를 실행하도록 하고 4- 8 명의 관중을 동원한 상태에서 일련의 수행을 하도록 하였다. 그런 후 흔자 있는 상황과 판중집단의 수행을 비교한 결과 관중집단이 혼자인 집단보다 수행 향상을 보였으며 명균 3% 의 집단 수행 향상을 보였다. Cottrell ( 19 72) 은 이러한 실험 결과를 t-test 기법을 사용하여 검 증한 결과 통계척으로 유의성을 발견하였으며 Pessin (1933) , Bergum 과 Leh rC(1963) 그리고 Singer( 19 6 5) 는 각각 무의미 철자 테스트, 경계과제 및 평형성 측정 검사를 과제로 한 실험에서도 숙 련 수준이 높을 때는 관중의 출현이 수행을 향상시킨다는 결과를 얻어냈다. 또한 여러 연구자들은 공행자가 존재할 때가 혼자 있을 때보다 월등한 수행 향상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18 97 년 Triplett 는 자전 거 경주에서 얻은 결과를 어린 소년들을 대상으로한 낚시 렬 감기 과제에서 실증하였고 공행 상황에서 수행이 증가한다는 역생적 이 론을 지지하였다. 최근 Landers 와 McCullagh (1976) 는 Triplett 의 자료를 T-test 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공행조건이 흔자인 상황보다 유의하게 빠르다는 것을 밝혀냈다. 공행자의 존재가 수행을 향상시 킨다는 견해를 지지하는 현장연구는 Lorenz (1933) 의 결과인데, 신 발공장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혼자서 작업할 때와 6 명이 동시에 한 탁자에서 작업할 때의 작업량을 비교해 보고한 결과, 공동작업을 할 때가 평균적으로 일당 43- 6 。컬레를 더 만들었다고 하였다. 또 A11 port (1920 , 1924) 의 연구는 초창기의 공행조건 연구 중 가장 의미 있는 것으로서 , 그는 수행자 사이에 칸이 막혀 있어서 타인의 운동 수행 결과를 전혀 알 수 없고 단지 자신의 전·후 기록만 비교할 수 있도록 통제한 상황과, 경쟁 없이 같은 책상 위에서 부여된 동일과 제를 수행할 때의 상황을 통한 과제수행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
과 문제 해결 과제, 판단력 검사 과제, 운동수행 과제의 경우에는 공행자 상황이 수행속도를 향상시킨다는 결론을 내렸고, 두 사람 이상이 존재할 때 다른 사랑과 경쟁의식을 조장하는 조건이 결합되 어 수행이 향상된다고 주장하였다. @ 부적인 효과 타인의 존재가 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는 연구들과는 반대로 관 중출현이 수행에 악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다수 있다(예 : Dashiell,1 9 30; Gates,1 9 2 4 ; Husband,1 9 31 ; MOOre,I 9 17; Pessin, 1933; Pessin & Husband,1 9 33 ; Wapner & Alper, 1952}. 대표적 인 예로서 Pessin 과 Husband (1933) 는 손가락 미로과제를 학습하는 데 관중이 있는 조건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했고, 관중의 존재시에는 상당수의 오류가 지적되었다(약 20% 의 효율의 차)고 보고하였다. Pessin (193 1 ) 은 무의미 철자 학습을 과제로 하여 혼자인 조건과 관 중조건을 비교한 결과 혼자인 경우가 관중이 있는 조건보다 약 15% 의 학습 효율이 높다는 것을 알아냈다. Da 밟 iell (193 0 ) 과 Moore (19 1 7) 는 조작과제를 이용하여, GateS(19 2 4) 는 형용사 명명 과제, Wapner 와 Alper(195 2 ) 는 단어 짝짓기 과제를 이용하여 유사 한 결과를 얻어냈다. 또 Allport(192 0, 19 2 4) 는 공행 상황이 양적인 측면을 향상시키지만 질적인 측면은 부적인 효과를 받는다고 지적 하였다. 이상의 초기 연구들은 상반되는 결과가 많았으나 일반화할 수 있 는 연구결과들의 공통점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Landers , 1975) . CD 타인의 존재는 수행 속도를 증가시킨다. @ 상황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사회적 촉진의 효과가 적거나 수 행을 저하시킨다. @ 사회척 촉진의 효과를 내기 위하여 반드시 설제적 존재가 필 요한 것은 아니다. @ 다른 공행자의 존재는 명준화의 효과를 유발시킨다. 즉 능력 이 낮은 사람은 수행 향상이 되고, 고능력자인 경우는 수행이 약간
감소하는 현상이 동반된다. 2 사회적 촉진에 대한 Zajonc 의 가셜 초기 연구들이 타인의 존재가 파제수행을 촉진한다는 Triplett 의 원가셜을 지지하기도 하고 반박하기도 하는 모순된 상황의 연속이 였으나, 이러한 모순된 결과는 19 6 5 년 Zajonc 의 사회척 촉진의 일 관성 개념이 대두되면서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선행 연구들의 비일관성을 지척하고 일반화의 필요성을 역설하연서, Hull-Spence 의 추동이론에 입각하여 타인의 단순한 존재가 각성을 유발하며 이 각성이 지배적인 반응의 방출을 촉진한다는 가설을 제안하였다. 그 럽 6-21 에서 개판된 바와 같이 Zajonc 의 주요 가셜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수 있다. i) 단순한 관중이거나 공행자이거나 간에 타인의 존재 그 자체는 각성이나 추동을 유발시킨다. ii) 각성수준이 높아지면 지배적인 반응이 일어날 확률이 증가한 다.
지배적인 반응의 부정확성 수행 감소
iii) 수행할 기능이 단순하거나 찰 학습되어 있다면 지배척인 반 응은 정확한 반웅이 되며 따라서 수행은 향상될 것이다. iv) 수행할 기능이 복잡하고 찰 학습되지 않았다면 지배척인 반 응은 부정확한 반웅이 되며 그에 따라 수행은 감소할 것이다. 이 Zajonc 의 가셜은 상당수의 연구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으며, 특히 Martens(19 6 9) 는 운통과제의 학습과 수행 에서 Zajonc 의 가설 을 검증하였다. 그는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복잡한 병발적 타이 밍 과제 (simultaneous timing task) 를 학습단계와 수행 단계로 나누 어 연구하였고, 혼자서 수행하는 경우와 10 명의 다른 학생이 존재 하는 관중조건에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손바닥 말한지수를 이용해서 각성을 명가한 결과 학습과 수행 국면 모두에서 관중조건 이 혼자인 조건보다 훨씬 각성 상태가 높다는 것을 알아냈다. 학습 단계에서는 혼자인 경우(형균 오분 {)9msec) 가 관중조건(명균 오류
수행 수행단계
- lo 3msec) 보다 더 나은 수행성척을 보였으나 수행단계에서는 관중 조건 (-36msec) 이 더 높은 각성 수준을 유발하고 혼자인 조건(명균 오류 -59msec) 보다 수행 성적이 우수하다는 결과를 얻었다(그렴 6 -22 참조). 따라서 Martens 의 결과는 관중의 존재가 각성을 유발 하고 복잡한 기능을 학습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부척언 영향을 미치 나 과제가 찰 학습된 후의 수행은 정척인 영향을 받는다는 Zajonc 의 예언을 확증하였다. 후속적인 연구에서도 이 가셜은 지지를 받 았는데, 공행자는 달리기 시간을 단축시키며 (Obermeier,L e nders & Ester,1 9 77) 단순한 근지구력 과제의 수행을 향상시키나 매우 복잡 한 운동과제의 수행에는 부적인 영향 (Burwitz & Newell,1 9 72 ; Martens & Landers, 197 2 ) 을 미친다. 3 Cottrell 의 가설 Cottrell (19 68 ) 은 단순한 타인의 존재는 반응을 촉진·억제하는 충 분한 조건이 되지 못하며 또 타인의 존재가 향상 각성을 유발시키 지 못하고 어떤 때는 오히려 각성 상태를 가라앉힌다고 주장하였 다. 그는 타인의 존재는 타인의 수행을 형가할 때만이 각성을 촉발 한다고 주장하면서 각성 또는 추동의 증가는 출현한 타인의 잠재적 형가 성분과의 함수관계에 있다고 하였다. 즉, 타인의 존재로 인하 여 자신의 수행이 관찰되고 평가되고 있다는 지각의 정도를 평가우 려 (evaluation apprehension) 라고 하는데, 이것이 각성을 결정하고 운동수행의 결과에 상이한 영향을 미친다 . 그 이유는 수행자의 사회학습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사회적 학습 경험은 관중의 특성에 따라 수행자가 느끼는 형가 잠재력을 결정하는데, 이러한 평가의 상황에 경험이 많을수록 사회적 학습이 잘 되어 있는 상태 가 되므로 타언들의 존재를 명가적 존재로 지각하는 정도가 낮아지 게 된다. 그러나 명가상황에 대한 경험이 적으면 타인들 또는 관중 을 높은 명가적 존재로 인식하게 되어 수행력에 부적인 영향을 받 게 된다. Cottrell 자신의 연구 이외에 운동과제를 대상£로 한 후속척 연 구 (Burtwiz & Newell,1 9 72; Martens & Landers , 1972 등)가 사회적
촉진에서 평가우려의 역할을 지지하고 있다. Cottrell 등 (19 68 ) 은 Zajonc 의 범례를 확장하면서 거짓인식 과제를 가지고 형가 잠재력 이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 피험자가 혼자서 학습동}는 조건 @ 주 의갚게 관찰하는 두 명의 관중이 존재하는 조건 @ 눈을 가련 두 명의 관중이 존재하는 세 가지 조건에서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혼 자 수행을 한 경우와 눈을 가린 조건의 결과는 차이가 없었으나 주 의깊은 관중조건의 결과와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Cottrell 은 눈 을 가린 관중조건이 혼자인 조건과 수행의 차가 없는 것은 수행자 가 눈을 가린 단순한 관중을 평가자로 지각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해석하였다. 이 결과 Zajonc 의 가셜은 오직 2 명의 관중조건에서만 지지되었는데, 결국 단순한 신체적인 존재자로서의 관중이 과제수 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관중의 존재로 인하여 유발되는 명가 잠재력이 반응을 촉진·억제하는 이유가 됨을 시사하였다. 또 Henchy 와 GlaSS(19 68 ) 는 통일한 과제를 사용하고 숙련된 관중조건 과 비숙련자가 지켜보는 관중조건 아래서 실험을 실시한 결과 유사 한 결과를 얻어냈다. 관중의 부재시에도 명가의 위협은 숙련된 관 중조건과 동일하게 촉진의 효과를 유발하였는데, 이는 타인의 존재 가 반응의 촉진·억제에 충분한 이유가 되지 못한다는 사실을 심층 적£로 업증한 셈이다. Klinger (1969) 또한 평가 잠재력이 사회적 촉진의 구성요소라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혼자 또는 확을 지어 경계과제를 수행하도록 한 결과 수행은 명가조건에서 촉진되었지만 단순한 공행에서는 수행 향상이 없었다. Martens 와 Landers (1972) 는 남자 대학생들에게 혼자 수행하는 조건과 z 명, 3 명, 4 명의 공행 조건에서 볼 굴리기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고, 다시 이들 피험자를 직접적인 평가조건(정상적인 공행 상황) , 간접적인 명가조건(시각 적 단서는 제거하였지만 타인과 공행하는 상황) , 그리고 무형가집 단으로 분류하여 공행과 명가 잠재력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여기서 홍미있는 사실은 공행자의 수가 클수록 운동수행이 약화되는 결과 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즉 4 명의 공행조건이 2, 3 명의 공행조건보다 수행 결과가 더 저조하였다. 또 세 공행집단의 피험자들은 간접적
으로 평가를 받거나 전혀 평가를 받지 않을 때보다 직접적으로 명 가받을 혜 분명히 수행이 감소하는 현%을 판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관중은 과제 수행자에게 명가우려를 느끼게 하는 존재로서 관중의 내·외척 특성이 수행자가 관중으로 부터 느 끼는 형가우려 수준을 결청하고, 평가우려 수준은 수행자의 추동 수준을 결정하며 그 추동 수준에 따라 과제수행의 결과가 상이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개념을 지지하고 있다 (Henchy & Glass, 196 8; Klinger, 1 96 8) • 다시 말해서 실제로 관중이 존재하여도 수행자가 그 들을 낮은 팽가잠재력을 소유한 사람으후 간주하면 추동이 상승하 지 않게 된다. 이와같이 관중이 소유한 평가우려 수준에 대한 수행 자의 판단은 사회척 학습경험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며, 이 학습경험 은 수행자가 관중 a 로부터 느끼는 평가우려 수준을 조절하는 중개 변인이 된다. Cottrell 의 가설에 대한 설명을 도식으로 나타내면 그 림 6- 2 4 와 같다.
관중을 전문적인
4 사회적 촉진에 대한 현대의 연구 추세 @ 공행과 관중전형의 등가성 사회척 촉진 이론과 연구에서 가장 오래된 가정은 공행과 관충전 형 사이의 등가성 (equivalence) 이 있다는 것이다. 즉 공행이나 관 중은 모두 동일한 행동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사실 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지지받지 못했 A 며, 어떤 경우는 수행의 효과가 상반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Bird , 1973; Carment & Latchfor, 1970 ; Martens & Landers,1 9 72 등 ). Landers 와 McCullagh(197 6 ) 는 콩행자이든 관중이든간에 타인의 존재는 명가우려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이 특색이라고 하였다. 예를 들어 수행은 공행자의 활동을 보거나 들음으로 해서 향상될 수 있 으며, 또 가장 효과적인 수행전략을 활용혐 데 관련 있는 유도 단서를 통하여 수행이 향상될 수도 있다. 또한 타인의 존재가 집중 력을 분산시킴으로 인하여 수행에 악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따라서 공행 상황은 본질적으로 이러한 가외요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일치된 결과를 얻기 힘든 것이다. 비록 이 공행과 관중의 등가척 효과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없으나 앞으로 해결하여 야 할 중요 과제 중의 하나이다. @ 사회적 촉진을 설명하는 대안모렐들 최근에 여러 연구자들 (Landers & McCullagh, 1975; Wankell, 1975 등)이 추동이론이나 각성 수준이 사회적 촉진의 효과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는 입장을 표명하면서 그 대안으로 인지적 과정을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Geen 과 Gange(1977) 는 인지적 정보처리 모탤을 강조하였고, Baron 등 (197 8 ) 은 명가우 려나 타인의 존재보다는 주의산만이 수행의 변화를 구체적으혹 설 명할 수 있다는 업장을 지지하고 있으며, Landers(19 80 ) 는 주의과 정에 초점을 둠으로써 사회적 촉진의 효과를 인지적으로 접근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 Duval 과 Wicklund (1972) 는 관중의 존재가 객 관적으로 자기를 지각하도록 하여 과제동기가 향상된다는 객관적 자각 인지이론을 주장하였다. 비록 이러한 제한된 언지적 접근법들 은 습관의 위계에 기초한 단순한 기계척 추통이론에서 인간이 입력
자극에 어떻게 반웅하는가를 밝혀내려는 방향으로 발전했다고는 하 나 아칙도 사회척 요인들의 정보척 효과보다는 그것이 갖고 있는 험에만 초점을 두어 왔다. 따라서 사회척 상황에서 청보를 어떻게 해석하는지 언지에 중점을 둔 보다 포괄척인 모탤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안 설명 중 가장 자주 인용되고 셜득력 있는 것은 귀인 모텔이다. Wanke I( I975} 은 수행을 이해하기 위한 동기적 체계로서 귀인이론이 어떻게 예언변수(사후 기술식 설명이 아닌)로서 활용될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Weine r( I 974} 의 귀언모탤에서 보면, 자극사건이나 상황이 예측 적인 인과성 지각을 유도하고 뒤이어 이것이 후속적인 행통을 결정 하는 정서척 반응과 목표 기대를 유발한다(그림 6-25 참조>. Wankel 은 공행자 또는 관중(즉, 자극)으로서의 타인의 존재와 그 에 수반된 형가우려가 자존심 또는 부끄러움 등의 정서적 반응을 예측하도록 한다고 지적하면서 이 예측의 효과는 여러가지 방법으 로 후속 수행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그 방법 중 하나는 형가적 타인의 존재로 인하여 생기는 정서의 증가는 피험자가 기대하는 행동에 대한 주관적 효용 (subjective utility) 을 증가시키며 또한 이것이 과제를 수행하려는 노력을 증가 시킨다는 것이다 (Wa 따 cel , I975) . 그러므로 성공으로 자긍심을 가졌 던 사람이나 실돼로 부끄러움을 경험하였던 사람은 더 열성히 노력 할 것이고 타인의 존재로 인한 수행 향상은 바로 이 증가된 노력의
정서척 \
소낼이라고 보는 것이다. Daval 과 Wicklund(I97 2 ) 는 다언의 존재로 인한 수행 감소는 기 능이 부족한 사람이 자신의 능력이상으로 수행하려는 의도 때문이 라고 귀인시켰으나, Wankel 은 주의산만 가셜의 관점에서 이 설명 을 재해석하고 있다. 즉, 사람들은 과제에 보다 많은 노력을 구사 하려고 동기화되어 있지만 높은 정서조건에서는 그 사람의 주의가 산만해지기 때문에 실제로 과제에 연관된 노력은 적어지고 따라서 수행은 감소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할 수 있는 방법은 타인의 단순한 존재는 피험자 로 하여금 과제와 관련된 자신의 능력을 과소명가하도록 하거나 당 면한 과제 난이도를 높게 형가하도록 한다는 설명이다. 결국 이러 한 인지는 피험자가 과제 난이도가 적은 과제에 의도적인 노력을 구사하려는 경향을 촉진시키지만 동시에 과제 난이도에 대한 자신 의 능력 판단을 매우 낮게 책정하게 함으로써 어려운 과제에 대해 서는 시도하려는 노력을 곧 포기하게 된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현 재로서는 운동기능 장면에서 사회적 촉진 효과를 귀인이론적 관점 에서 설명하려고 하는 연구가 없기때문에 대안적인 모렐로서 그것 의 유동성을 명가하기란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한다. 6-4-3 사회적 촉진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 변인들 명가적 타인의 존재가 특정한 개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를 청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요인들을 개인적 변수, 상황적 변수, 과제 변수로 크게 범 주화시킬 수 있다. 1 개인적 변인들 이 범주에서 가장 큰 관심을 받는 변수는 불안의 성격적 특성이 다. COX(I9 68 ) 에 의하면 불안 수준이 낮은 어린이들은 관중 앞에 서 수행이 증가하는 반면 불안 수준이 높은 어린이들은 수행이 감 소하였다고 보고하고 었다. 그는 불안 수준이 높은 어린이는 타인
의 존재를 평가척 상황으로 해석하기 때문에 불안이 야기되어 수행 이 방해를 받고, 불안 수준이 낮은 어린이는 관중을 보다 효과척인 수행을 할 수 있는 유인 A 로 생각하기 때문에 수행이 향상되는 것 £로 해석하였다. Ganze r( 1 9 68 ) 도 유사한 결과를 보고하였는데, 불 안 수준이 낮은 여성들은 판중의 존재에 의해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 데 비하여 불안이 높거나 중간 정도의 여성들은 판중의 존재 로 언해 해로운 영향을 받았다고 하였다. 그러나 Martens 는 개인 의 불안 수준은 운동과제에서 관중의 효과를 매개한다는 뚜렷한 증 거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아마 이러한 차이는 상이한 불안 척도, 상이한 피험자 집단, 상이한 과제로 인하여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개인척 변인으로서 고려할 수 있는 두번째 요인은 개인의 능력 수준이다. GateS(19 2 4) 는 숙력된 수행자는 관중에 의하여 수행 이 저하되었으나, 미속한 수행자는 관중에 의하여 도움을 받았다고 발 표하였으며, 이것은 Zajonc 의 가설과 상반되는 결과이다. Singer (19 6 5) 는 명형잡기 과제에서 일반 학생들은 선수들에 비해 관중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수행 향상을 보였다고 했는데, 그 이유를 다음 과 같이 들고 있다. 선수들은 자신이 그러한 기능에서 뛰어난 실력 을 발휘하겠다는 기대를 크게 갖게 되는데, 이것이 형가적 타인의 존재로 인하여 각성 수준을 높게 촉발하고 수행을 저하시켰을 것으 로 해석하였다. 이 문제는 앞으로 더 연구해야 할 숙제이다. 각성은 사회척 촉진의 효과를 설명하는 데 가장 중요한 변인이 다. 사회적 촉진 가셜에 따르면 지배척 반응이 정확한 반웅일 때 관중의 존재로부터 증가된 각성 수준이 수행을 촉진시킨다고 예측 할 수 있으나 각성 수준이 지나치게 높으면 지각이나 운동과정이 방해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적정한 각성 수준은 잘 학습된 과제 의 수행을 촉진시키나 계속적인 각성의 증가는 수행을 감소시킨다. 이러 한 관계는 역 u 자 가셜 {inv erted U hyphothesis) 로 찰 알려져 있다(그럽 6-26 창조). 각성과 수행간의 관계는 지배적인 반응이 정확한가 부정확한가에 따라 상이한 영향을 받으며, 개인의 성격, 상황척 요인, 과제 및
중간정도의
각성을 유발하는 조건 등의 영향을 받는다. 2 과제 변인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관중의 존재는 간단한 과제의 수행을 촉진하고, 복잡하거나 학습이 찰 되지 않는 과제의 수행은 방해한 다. 관중과 공행자가 유발하는 각성과 수행의 관계에서 고려해야 할 또 하나의 문제는 섬세한 기술을 필요로 하는 소근 운동기능과 대근 활동을 필요로 하는 운동기능은 적정 각성 수준이 다르다는 것이다 (Oxendine , 1970 ) • 이 가설에 따르면 역도나 유도는 높은 각 성 수준이 요구되고, 체조, 양궁, 사격 등은 낮은 각성 상태에서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 상황적 변인 상황적 변인으로는 우선 관중이나 공행자의 특성과 수행자의 특 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협조척언 관중은 비협조적인 관중보다 수행자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치는 7 t, 관중이나 공행자가 수행자와 잘 아는 사람언 경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판중들이 높은 지위 에 있는 사람일 경우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인가 퉁이다.
다른 상황척 변인으로는 판중들의 연령과 성척언 차이를 들 수 있다. 그리고 판중이나 공행자의 크기에 대한 영향과 관중효과에 대한 수행자의 사전 경험 여부도 주목하여야 한다. 6-4-4 관중효과의 현장적용 위와같은 여러 변인들을 긍정적언 방향£로 유도하여 선수들의 운동수행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 지도자의 주요한 엄무 중의 하나이다. 우선 코치는 새로운 복잡한 기능을 많이 학습해야하는 젊은 선 수들에게는 되도록 학습 환경에서 유발되는 평가우려를 제거해 주 도록 하여야 한다. 실패의 공포가 새로운기능을 수행하거나 학습 하는 데 억제요인으로 작용동}는데, 코치는 이 긴장된 상황을 극복 할 수 있도록 선수에게 정신적 준비를 시켜주어야 한다. 관중 상황 에 대한 개인의주관적 해석은 개인이 긴장되거나 산만한 상황에 정신척£로 어떻게 대처하느냐 하는 결정에 중핵적인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 결과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코치들
은 각성을유발하거나 산만한 환경을 조성하는 관중과 공행자의 효 과를 충분히 학습할 수 있도록 훈련시킴으로써 선수들의 정신적 준 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들면 실제의 관중과 비슷 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형관중을 만들어 선수들을 훈련시킬 수 있다. 모형관중들은 실제 경기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는 산만한 환 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선수들을괴롭히고 함성을 지르며, 심지어 야유를 퍼부어 경기수행을 방해하도록 한다. 이러한 훈련이 선수들 의 청신적 준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오며, 또 주의집중이나 스트레스 관리기법 등과 함께 연습 상황에서 경쟁을 유발동}는 환경 을 조성함으로써 경쟁척 공행자로부터 받는 영향에 대처할수 있도 록 해주어야 한다. 아울러 코치들은 선수들의 평가우려에 영향을 미치는 자신의 역 할을인지해야 한다. 위협이 큰 중요한 시합에서는 꽤배의위협에 집중하기 때문에 과도한 각성이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코치는 흥분과 각성을 억제해 주는 완충 역할을 하고 인간척인 격려와 패배 의 불안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안심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독려척인 렴 통료들 또한 위협척인 상호작용적 공행자의 상 황을 극복하는 데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요인이다. 코치들은 관중 이나 공행 상황에 반응하는 개인차를 인식해야만 한다. 성격적 기 질, 특히 불안 경향에 대한 정보가 이 개인차를 알아내는 데 유용 할지 모르지만 또한 개인이 상이한 상황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 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알아내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참고문헌 Adams, J.A. Motor behavior. Section VII. In M.J.M arx(Ed.), L earning pr κ esses. London : MacM 피 an , 1969. Adams, J.A. A closed-Ioop theory of motor learning. Journal 0/ Motor Beha 뼈 r. 1971, 3, 111-150. Ad 혀 ns , J.A. Learning and memory : An introduction. Homewood, 江 : Dorsey, 1976.( a) Adams, J.A. Issues for a closed-Ioop theory of motor learning. In G.E. Stelmach(Ed.) , M otor control : Issues and trends. New Y ork : Academic Press, 1976.( b) Adams , J .A. , & Dijkstra, S. Short-term memory for motor responses. Journal 0/ ExperimentaZ.Psychology, 1966, 71, 314-3 1 8. Alderman, R.B. PsychologicaZ behavior in sport. Philadelphia : Saunders, 1974. Alde rman, R.B ., & Wood. N.L. An an 매 ysis of incentive motivation in young Canadian athletes. Canadian Journal 0/ Applied Sport Sciences, 1976, 1, 169-1 7 6. Allen, V.L. Social support for nonconformity. I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8. (L.Be rlrowitz, Ec L), Academic press, 19n. Allen, V . L. , a nd Levine, J.M . Social support and conformity : The role of indepen-dent assessment of reality. Journal 0/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9n. 7, 48-58. Allport , F.H. πle influence of the guoup upon association 뻐 d thought. Journal qf Experimental Psychology, 1920, 3, 159-1 8 2. Allport , F.H. Social psychology. Boston : Houghton Mifflin, 1924. Allport , G.W. Persona 빠 : A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New York : H 때 1937.
AIlpo rt , G.W. Pattem and growth in personalit:>’. Holt, Rine hart and Winstion, 1964. A.ma bile, T.M. , DeJony, W., and Lepper, M.R. Effects of externally imposed deadlines on subsequent intrinsic motivation. Joumal 0/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76, 34, 92-98. Ama bile, T.M. Effects of e 었 ern 려 evaluation on artistic creativiy. Joumal 0/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ty, 1979, 37,2 2 1-233. Amm ons, R.B . Effects of pre-practice activities on rotary pursuit performance. Joumal O! Expe rimental Psycholo양 , 1951, 41, 187 -19 1 . Ammo ns, R.B. Effects of knowledge of performance : A survey and tentative theoretical formulation. Joumal 0/ General Psychology. 1956, 54, 279-299. Ammo ns; R.B ., A mmons. C.H., & Morgan, R.L. Transfrer of skill and decrement- ed factors along the speed dimension in rotary pursuit. Perceptual and Motor Skills, 1958,1 1 -43. Anderson, R ., Manoo 밍 na , S., a nd Camphell, T he understanding and enhancing of intrnisic motiva섭 on in preschool children. Joumal 0/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 양 1977, 34, 915-922. Arms, R.L. Effects on the hostility of spectators of viewing aggressive sport.‘ Sociomet η 1979, 42, 275-79. Arno ld, G.E., & Staub, W.F. Personality and group cohesiveness as detern 뻐 ants of success among 피 terschol 잃 tic basketball teams. Proceedings : Fo 따 th Canadian Symposium on Psychomotor Learning and Sport Psychology. Ott-awa : Health and Welfare Canada, 1972. Atkinson, J.W. An lntroduct ψ n to Motivation. Princeton, Nj : Van Nostrand, 1964. Asch, S.E. Effects of group pressure upon the modofication and distortion of judgements. In Grou ps, Le 뼈' ership and men(H. Gue tzlrow, Ed .), Camegie Press, 1951 . Asch, S.E. Social p 양 chology. Prentice-Hal~ 1952. Asch, S.E. Studies of independence and conformity : I.N .A minority of one ag 빼 st a unanimous majority. Psychological Monographs. 1956, 70, No, 9(W ho le No. 416). Atkinson, J.W. Motivational determinarits of risktaking behavior. Psychological Review, 1957, 64, 359-372. Atkinson, J.W., a nd Feather M.T.(Eds.), A Theory 0/ Achievement Motivation. New York : John Wiley and Sons, 1966.
Atkinson, R.C ., & S 피 ffrin , R.H . Human memory : A proposed system and its control πocesses. In K.W . Spence (Ed).,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 Motivation. Vol. 2, New York : Academic Press, 1968. Atkinson, J.W., a nd Ray nor, J .O. Motivation and Achievement. New York : John Wiley and Sons, 1974. B 허 πick , H.P., Fitts, P.M., & Briggs, G.E. Learning curves-facts or 따 tifacts. Psychological Bulletin, 1957, 54, 256-268. Bakeman, R., & Helmreich, R. Cohesiveness and perfonnance : Covariation 뻐 d causality in an undersea environment. Journal o} Experimental Social Psyclwl- O없 1975, 11, 478-489. Bales, R, F, and Strodtbeck, F.L. Phases in group problem solving. In Grou p Dynamics : Research and Theory (D. Cartwright and A.Za nder, Ed녕 끽 rd Ed ., Tavistock Publications, 1968. B 려 1 , D.W. Replacement processes in work organizations : Task evaluation and the case of professional football. Sociology o} Work and Occupations, 1974, 1, 197-217. B 외 1 , J.R. , & Carron, A.V. The influence of team cohesion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upon performance success in intercollegiate ice-hockey. Cana dian Journal of Applied Sport Sciences, 1976, 1, 271-275. Bandura, A. Aggression : A Social Learning Analysis. Englewood Cliffs, New Jersey : Prentice-Hall, I nc. 1973. Bandura, A., Walters, R.G .. A dolescent Aggress ωn. New Y ork : Ronald Press, 1959. Baron, R.A ., K epner, C.R. Model’s b ehavior and attraction toward the model as determinants of adult aggressive behavior. Journal o} Personalily and Social Psycholo없 , 1970, 14, 335-44. Baron, R., Moore, D., & Sanders, G.S. Distraction 잃 a source of drive in soci 혀 facilitation research. Journal o}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없 , 1978, 36, 816-824. Bass, B.M ., and Klubeck, S. Effects of seating arrangements on leaderless group discussions. Journal o} Abnormal Social Psychology. 1952, 47, 724 -7 27. Bass, B.M. Team productivity and individual member competencies. Small Group Behavior, 1980, 11, 431- 50 4. Bavelas, A. A mathematical model for group structures. Applied Anthropology, 1948, 7, 16-30. Beck, R.C . Motivation : The ory & Principle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78. Bem, D. J. Self-perception theory. In.L . Berkowitz(Ed.), A dvances in E:r pe rimental Social Psychology, New York: Academic Press, 1972, 6, 1.62. Berge r, R .A ., L ittle fild, D.H. Comparison between football athletes and nonathletes on personality, Research Quarterly, 1969, Vol. 40. Bemstein, N. The Coo rdination and Regulat ψn of movements. Elmsford, N.Y.: Pergamon press, 1967. Bergum, B.O. and Leh r, D .J. Effects of authoritarianism on vigilance performance. Joumal qf Appüed Psychologγ , 1963, 47, 75-77. Berkowitz, L. Group standards, cohesiveness and productivity. H 뻐 lan Relations, 1954, 7, 509-519. Berko 매 tz , L. Agg ress ψn : A Social Psychological Analysis, New Y ork : Mcgraw-H ill Book Co., 1962. Berkowitz, L . The Con cepts of aggressive drive: Some additional Consideration. In L. Berko 에 ta(Ed.) ,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 외 Psychology, 1965, 2, 301-329. Berko 쩌 tz , L., and Msacaulay, J_R . Some effects of differences in status level and status stability. Human Relations, 1967, 14, 135-148. Berko 찌 tz , S. Group norms among bomber crews: Patterns of perceived crew attitudes, “ac tive crew attitudes, and crew 파띠 19 related to air crew effective-ness in far eastern combat. Sociometry, 1956, 19, 141-153. Bilodeau, I.M . lnformation feedback. In E.A. Bilodeau(Ed.), Acquisition of 5 때, New York; Academic Press Inc., 1 966. Bilodeau, E.A., & Bilodeau, I.M . Motor skills learning, Annual Review 바 Psychology, 1961, 12, 243-280. Bilodeau, E.A., B ilodeau, I.M ., & Schumsky, D.A., Some effects of introducing and withdrawing knowledge of results early and late in practice_ Joumal of E:r pe rimental Psycholo없 , 1959, 58, 12-144. Bilodeau, E.A., S ome effects of various degrees of suppleme 뼈 information 밍 ven at two levels of practice upon 배 e acquisition of complex motor skill. Human Res ources Cen ter, 1952. Bird, A.M., Effects of soci 려 facilitation upon females' performance of two psychomotor tasks. Research Quarlerly, 1973, 44, 322-3 3 0. Bird, A.M ., Development of a model for pre 이뼈 19 team performance. Research Quarterly, 1977, 18, 24-32. Blake, R .R., and Mouton, J.S . , C on formity, resistance and conversion. In coπ form-
ity and Deviation(I .A . Berg and B.M. Bass, Eds.), Harper, 1961 . Boggiano, A.K. , and Ruble, D.N. Competence and the over justification effect: A developmental study. Journal 01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79, 37, 1462-1468. Broadbent, D .E. Noise, paced performance and vi 밍 lance tasks. British Journal 01 Psychology, 1953, 44, 295-303. Burwitz, L., & Newell, K.M. The effects of the mere presence of coactors on learning a motor skill. Journal of Motor Behavior, 1972, 4, 99-102. Campbell, J.P., Dunnette. M.D., Lawler. E.E., a nd Weick, K.E. Managerial behavior,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McGraw-H 피, 1970. Carment, D.W., and Latchford, M. Rate of simple responding as a function of coaction, sex of participant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experimenter. Psychonomic Science, 1970, 20, 253-254. Carron, A.V., C ohesiveness in sport groups : Inte rpretations and considerations. Journal 01 Sport Psycho ú. 갱 y , 1982, 4, 123-138. Carron, A.V., Social P.엉 chology 01 Sport. Ithaca, NY : Movement Publications, 1980. C 값 ron , A.V., & Ball, J.R., Cause-effect characteristics of cohesiveness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in intercollegiate hockey. InternatW nal Review 01 Sport Sociology, 1977, 12, 49-60. Carron, A.V., and Chehadurai, P . Cohesiveness as a factor in sport performance. International Review 01 Sport Sociology, 1973. Carron, A.V., & Chelladurai, P . Cohesiveness, c oach-athlele compatibility, partici-pation orientation, and their relationship to rela 디 ve performance and satisfac 디 OD. Paper presented at NASPSPA Conference, College Park, MD:1982. Carron, A.V., W indmeyer, M.N., & Brawley, I.R.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assess cohesion in sport te 뻐 lS : The group environment questionnaire. Journal 01 Sport Psychology, 1985, 7, 244-2 6 6. Cattell, R.B. Concepts and methods in the measurement of group synatality. Psychological Review, 1948, 55, 48-63. Cattell, R .B. New concepts for measuring leadership in terms of group Syntality. In Grou p α mamics : Research and Theory. (D.C. Cartwright and A. zan der Eds.), Row. Peterson, 1953. Cattell, R .B . Personality and MotivatW n St π cture and Measurement. New Y ork Book Company, 1957. Cattell, R.B. The Scien 핸 c Analys 양 01 Behavior. Baltimore : Penguin Books,
1965. Chansky, N. L 없 rning : A function of schedule and type of feedback. Psychological Reports, 1960, 7, 362. Chase, R .A . An information-flow model of the organization of motor ac 디 vity. Part II , Samp 파 19 , Cen tral processing and Untilzation of sensory information J. Neπ. Ment. Dis. 1965, 140, 334-350. Chelladural, P .S. A multidimensional model of leadershi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aterloo, Waterloo, Ontario, 1 978. Chelladur 떠, P., and Carron, A.V. A reanalysis of formal structure in sport. Can adian Journal 01 Applied Sport Sciences, 1977, 2, 9-14. Chelladural, P ., a nd C 짧 on , A.V. Leaadership. Canadian Association for Health, Physical Education and Recreation, 1978. Chelladural, P., and Haggerty. T.R. A normative model for decision styles in coaching, Athletic Administrato η 1978, 13, 6-9. Chelladural, P ., a nd Saleh, S.D . Preferred leadership in sport . Canadian Journal 01 Applied Sport Sciences, 1978, 3, 85-97. Clark, L.V . Effect of mental practice on the development of a certain motor sk 피. Research Quarlerly, 1960, 31, 560-69. Cottrell, N .B. Performance in the presence of other human beings : Mere presence, audience and a 퍼l iation effects. In E.C. Simme, R.A . Hoppe, & G.A. Milton(Eds.), Social Facilitation and Imitative Behavior(9 1 -11 0 ). Boston Allyn & Bacon, 1968. Cottrell, N.B. Social facilitation.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C . G . McClintock, Ed.) , H 이t, Rind hart & Winston, 197 2. Cox, F.N. Some relationships between test 따lXÌ ety , presence or absence of male persons and boys' performance on a repetitive motor task. Journal 01 Experi- mental Child Psychology, 1968, 6, 1-12. Cox, R, H. Attention and arousal. In R.D . Cox(EdJ, Sport Psychology : Concepts and Applications, D ubuque, IA : Brown, 1985. Cratty, B.J. A three level theory of perceptual-motor behavior. Quest, 1 966, 3-10. Cratty, B.J., a nd Duffy, K.E. Relationships between figural after-effects elicited by selected bodily movements. A study sponsered by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GB- 56 64, 1967. Cra야 y , B.J. Movement Behavior and Motor Learing, Phil. : Lee & Febiger, 1 967. Cratty, B.M. Physical Expressions 01 InteU ige nce. Prentice-Hall Inc., 1972. Cratty, B.M . Movement beha 뼈 r and motor learning. P hil. : Lea & Febiger, 1 973.
Cratty, B.M. Psychology in Con temporary Sport. Englewood Cliffs, N J : Prentice- H 려 1 , 1983. Cratty, B.M. Psychol 앵 y in Con temporary Sport (3r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0. Croner, M.D., a nd Willis, R.H . Perceived differences in task competence and a symmeσy of dynamic influence. Journal 01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γ , 1961, 62, 705-708. Cross, T.M. A comparison of whole method, the minor game method, and the whole-paπ method of tea 뻐 ng basketb 혀 1 to ninth grade boys. Research Qt띠 rter ly, 1937 Vol. 8, 4, 49-54. Culler, E . Nature of the learning curve. Psychological Bulletin, 1928, 25, 143 -14 8. Culler, E.M., G irden. E. The Iearning curve in relation to other psychomeσlC functions. American Journal 01 Psychology, 1951, 64, 327-349. Cummin, P.C. TAT correlateds of executive performance. Journal 01 Applied P 양 chology , 1967, 51, 78-81 . Danielson, R.R., Zelh 양 t , P.F., and Dr빼 e , C.M. Multidimensional sca 파 19 and factor analysis of coaching behavior as perceived by high school hockey players. Research Quarterly, 1975, 46, 323-334. Danzig, E.R ., and Galanter, E .H. The 어 namics and Structure 01 Small Industrial Work Grou ps. Institute for Research in Human Relations, 1955. Dashiell, J .F. An experimental anaysis of some group effects. Journal 01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1930, 25, 190-199. Dashiell, J.F. Experimental studies of the influence of social situations on the behavior of individual human adults. In C.Murchison(Ed.), A handbook of soci 떠 psychology (1097-1158). Worcester, MA : Clark University Press. De Charms, R. Personal Causation. New York : Academic Press, 1968. De Charms, R., and Dave. P.N. Hope of success, fear of f;하 lure , subjective probability and riskta 님 ng beha 띠 or. Journal 01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65, 1558. Dec~ E.S. The Psychol 앵 y 01 Sel{ -d etermination. Lexington, MA : D.C.S. Pub-lishers, 1980. Deci, E .L. , Betley, G.M., K ahle, M., Abrams, L., a nd Porac, J. When σ 피 ng to win : Competition 뻐 d intrinsic motivation.Pers. Soc. PsychoL Bulletin, 1981, 7, 79-83. Deci, E.L. , and R.M . :Py an, The empirical exploration of intrinsic motivational processes. In L.Be rkowitz(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1, New Y ork : Academic Press, 1980. Deci, E .L., and C 잃 cio , W.F. Changes in intrinsic motivation as a function of negative feedback and threats. Eastem Psychological Associat ψn Con venion. Boston, Mass : April, 1972. Dewhurst, D.M. Neuromuscular control system. IEEE Transactions on Bψ medical Engineering, 1967, 14, 167-171 . Dickenson, J. Aggression in Sp 야 t: A Study of Fouling in University Basket-ball Con tests. Ph. D. Diss ertation, Oregon State University, 1979. Dis 뼈l an , R.K. Contemporary spoπ psychology, In R.L. Te 디 ung(Ed.) , Exerc 않 and Sport Sciences Reviews(Vol. 10, pp. 120-159). Philadelphia: Franklin Institute Press, 1982. Dishman, R.K .. Motivation and exercise adherence. In J.M., Silva & R.S . Weinberg (Eds.), P sychological Foundations of Sport(p p .4 2 0-434). C ham 맹 ign , IL: Human Kinetics, 1984. Dishman, R.K ., & lckes, W . Self.motivation and adherence to therapeutic exercise. Jourmal of Behavwral Medicine, 4, 421-438, 1981. Di s 뼈 lan , R.K., Ickes, W., & Morgan, W.P. Self-motivation and adherence to habitual physical activity. Joum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980, 10, 115 -132. Dollard, J., a nd Others. Frustration and Aggresswn. N ew Hoven : Yale University Press, 1939. Donders, F .C. On the speed of mental processes. In W. G. Koster (Ed. & Trans.), Atten마 n 뻐 d Performance, Amsterdam: 1969. Doob, A.N., W ood, L. Catharsis and aggression : The effects of annoyance and retaliation on aggressive beha띠 or. Joumal of Personalily and Social P.양 chology 1972, 221, 156.62. Duda, J.L. Achievement motivation among Navabo Indians : A conceptual an 외 ysis with preliminary data . Ethons, 1980, 8( 4), 316-331 . Duda, J.L. A Cross-Cultural an 허 ysis of achievement motivaion 피 sport and the classroom. Unpublished doctoral dissa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Unbana, 1981 . Duffy, E. Activation and Behavior, N Y : Wiley, 1962. D 뻐 eavy , A.O., a nd Rees, C.R . The effects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sports expos 따 e upon the sports involvement of American college mates. lntemational Jounal of Sport Psychology, 1979, 10, 92-99. Duv 혀, S. and Wicklund, R.A . A Theory of Objective Self-awareness. Academic
Press, 1972. Easterbrook, J.A. The effect of emotion on cue utilization and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Review, 1959, 66, 183-201 . Eco, U., & Zorzoli, G .B . The Picture History of Inventions. New York : Macmil- lan, 1963. Edwards, W. The theory of decision making. Psycholological Bulletin, 1954, 51, 380-417. Edward, A.L. Experimental Design in Psychological Research. N.Y. : Holt Rine havt and Winston Inc., 1972. Eggleston, D. The Relative value of actual versus imagina η practice in a learning situation. Unpublished masler’s dissertation, C olumbia university. 1936. Ellis, A. Reason and Emotion in Psychology. N.Y. : Cycle Stua rt, 1962. Ellis, H.C. The Transfer of Learnin g . New Y ork : Macm 피 an , 1965 Elwell, J .L. , and Grind1 e y, G.C. The effect of knowledge of results on learning and performance. British Jounal of Psychology, 1938, 29 : 39-54 Estes, W.K. Toward a statistical theory of lear 띠 ng. Psychological Review, 1950, 57, 94 -1 07. Estes, W.K. The problem of inference from curves based on group data . Psychological Bullein. 1956, 53, 134-140. Estes, W.K. Learning Theory and Mental Development. New York: Academic press, 1970. Etzel, E.F . Validation of a conceptual model characterizing attention among international rifle shooters. Journal of Sport Psychology, 1979, 1, 281-290. Ewing, M.E. Achievement Orientations and Sport Behavior of Males and Female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1981 . Eysenck, H. The structure of Humon Personality. London : Metheun, 1960. Eysenck, H.J. The biological basis of personality. Spriflgfield, IL : Tho mal, 1 967. Eysenck, M.W. Attention and Arousal : Cognition and Performance. New York : Spring Verlag, 1982 Feltz, D.L. , and Landers, D.M. The effect of mental practice on motor s 없 II learning and performance : A Meta-analysis, J ournal of Sport PsychoL 앵 y , 1983 , Vol. 5, 25-57. Fentress, J.C. Development of grooming 피 mice with. amputated forelimbs. Science, 1973, 179, 7 04-705. Feshbach, S. The drive-reducing function of fantasy behavior. Journal of Abnor- mal and Social Psychology, 1972, 50, 3-12.
Fes 마 1ger , L. Informal social communication. Psycho/g ic al Review, 1950, 57, 171-282. Festinger, L ., Schachter, S ., ~ Back, K. Soci 허 pressures 피 informal groups. New York : Harper & Row, 1963. Fiedler, F.E. Assumed similarity measures as predictors of team effectiveness. Joumal qf Abnonnal and Social PsychoÚJgy, 1954. 49, 381-388. Fiedler, F .E. A Theor of Leadership EJfectiveness. McGraw-Hill, 1967. Fisher, A .C. PsychoÚJgy of Sport. M ayfield Publishing Company, 1976. Fisher, A .C. New directions in Sport Persorality reszarch. In J.M. Silva & R.S. Weinberg(Eds.) Psrchological Foundation of Sport. Cham 삐 gn , IL: Human Kine tics. Fisher, A .C., R yan, E.D., & M앙 tens , R.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personality research related to motor behavior and sport: Thre e panelists’ views. In A.C.Fisher(Ed.), PsychoÚJgy of Sport(p p . 400-43 1). Palo Alto, CA: Mayfield, 1976.' Fitts, P .M. The information capacity of the human motor system in controlI in g the amplitude of movement. Joumal of Experimental PsychoÚJgy, 1954, 47 , 38 1-391 . Fitts, P.M. Perceptual motor skills learning. In A.W: Melton(Ed.), Categories 01 Human Leaming. New York : Academic Press, 1964. Fitts, P.M., & Peterson, J.R. Information capacity of discrete motor responses. Joumal 01 Experimental Psychol 얘 Y , 1964, 67, 103-112. Fitts, P.M., & Posner, M.1. Human Pe 뼈 nnance. Belmont, CA : Brooksl Cole, 1967. Fleishman, E.A. , and Hempel, W.E. Changes in factor structure of complex psycho-motor task as a function of practice. Psychometrika, 1954, 19, 239-252. Fleishman, E.A . A leader behavior description for industry. In Leadership Behavior : Its description and measurement, ( R.M . Stongdil and A.E. Coons, Eds.), T he Ohio State University, 1957(a) Fleishman, E.A . The leadership opinion questionnaire. In Leadership behavior I양 description and measurement. (R.M. Stogdill and A.E. Coons, Eds.), The Ohio State University, 1957.(b) Fleishman, E.A ., H 값 ris , E.F., and Burtt, H.E. Leadership and Supervision in Industry, (Ed ucation Research Monograph No. 33). Ohio State University Personnel Research Board, 1955. Fleishman, E.A ., & Parker, J.F. Factors in the retention and relearning of perc .ep tual motor sk 퍼. ‘Jo umal 01 Experimental P양 choÚJgy , 1962, 64, 215-226.
Foder, E .M. Group stress, a uthoritarian style of control and use of pow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76, 61, 313-318. Fodero, J.M. An 뻐 alysis of achievement motivational tendencies among men and women collegiate gymnasts. InternationaZ JournaZ of Sporl Psychology, 1980, 11(2), 100-112. French, J.R. P. , a nd Rav en, B. The bases of power. In Studies in sociaZ p() W er(D . Cartwright, E d .), Institute for SociaZ Research, 1959. Freud, S. In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 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ond Freud. (J.Sσachey , Ed.), Hoganh Press, 1971 . Gallagher, J.D., & Tho mas, J.F. Effects of varying post-KP intervals upon children’5 motor perfonnance. Journal of Moter Behavior, 1980, 12, 41-4 6 . Gallistel, C.R. The Organization of Action. Hillsdale, MJ : Erlbaum, 1980. Ganzer, V.J. Effects of an audience presence and test anxiety on learning and retention in a serial learning situ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68, 8, 194-199. Gates, G.S. The effects of an audience upon perfonnanc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1924, 18, 334-342. Gentile, A.M. A working model of skill acquisition 찌 th application to teaching. Quest, M onograph XVH, 1972, 3-23. Gentile, A.M. Higgins, J.R ., Miller. E.A., & Rosen. B.M . Structure of motor tasks. Mouvement, actes du 7 symposium en apprentissage psycho-moteur et psychologie dy sport. October 1975, 11-28. Gibson, J.J., a nd Mowrer O.H. Determinants of the perceived vertic 혀 and horizon- tal. Psychological Review, 1938, 4, 415-421 . Gibson, J.J. The Senses Considered as Perceptual Systems. Boston : Hou 야 tom Mi 쩌 in , 1966. Giliespe, C.R ., & Eysenck, M.W. Effects of introversicm-extroversion on continu-ous recognition memory. Bulletin of the psychonomic Society, 1977, 84, 1267- 1288. Gill, D . L. Psychological Dynamics of Sport. Cham 따 gn , IL : Human Kine tics, 1986. Givens, R .J. Review of the literature of the feedback concep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texas speech commumication association, Houston , Texas: 1974. Glencross, D.J. Control of skilled movements. Psychologïcal Bulletin, 1977, 84, 14-29. Glencross, D.J. P.양 cholo g)’ and Sport. New York : McGraw-Hall, 1978.
Glencross, D.J. Ouφut and response process in skilled perfonnance. In G.C. Reherts & K.M . NeweU(Eds.), Psychology 0/ Motor Behavior and Sport, Ch 뻐1 paign : Human Kine tics publishers, 1979. Goals, R.W ., & Dowell, L. Selecte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athletes and nonathletes. Joumal 0/ P.양 chology , 1971 Vol. 1. Goldstein, J.H., a nd Arms, R .L. Effects of observing athletic contests on hostility. Sociomeσy , 1971, 34, 83-90. Gosset, D.M., & Wi 뼈 1eyer , W.N. Improving cohesion’s p rediction of performance outcome on sports. P.양 chology OJ Motor Beharior and Sport-19 81 Abstracts. Monterey, CA : NASPSPA, 1981 . Grand, R., & C 없 Ton , A.V. The relationship of task and social cohesion to role clarity, role accepiance and role performance.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1982. Green, R.C., & Ganage. J.G. Drive theorγ of soci 머 facilitation twelve years of theory and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1977, 84, 1267~1288. Green, R.F ., Z in피 ies. H.I., and Spragg, The effects of varying degrees of knowl-edge of result on know se 며 ng perfonnance. Naval training device center, 1955. Griffith, C.R. Psychology 0/ Coa ching. New Y ork : Charles Scribner’s S ons, 1932. Gross, N ., a nd M 따마 1 , W. On group cohesiveness. American Joumal 0/ Sociology, 1952, 57, 533-546. Grusky, O. Managerial success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merican ‘Jo umal 0/ SocioL 쟁 Y. 1963, 6 9, 2 1-31 . Grusky, O. The effects of fonnal structure on managerial recruitment : A study of baseball organization. Sociomelry, 1963, 26, 345-353. Guilford, J.P. Personalit,’. McGraw-Hill, 1959. Hacker, C.M., & Williams, J.M. Cohesion, satisfaction, and porformance in intercollegiate field hockey. PsychoL쟁 Y 0/ Motor Behavior and Sport, 1 981 . H 하 ris , D.V. Assessment of motivation in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In Sport Psycho.l o gy : An Analysis 0/ Athlete Behavior. edited by W.F. Straub, Ithaca, NY : Movement Publications, 1978. H 맙 ris , D.V., & Harris B. The athletes guide to sprt psychology. Mental skills for physical people, 1984, 29-48. H 하 ter , S.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motivation in the mastery of cognitive and physical skills : Is there still a place for joy? In Psychology 0/ Motor Behavior and Sport-19 79, edited by G.C. Roberts and D.M. Landers, Ch 허 n paign, IL : Human Kinetics, 1981 .
Head, H. Studies in Neurology. 1, L ondon : Oxford university press, 1920. Healley, T.R., L anders, D.M. Effect of need achievement and task difficulty on competitive and noncompetitive motor performance. Journal of Motor BehavÍOT, 1973, 5, 121-128. He 따 n , G. Leadership and the spati 외 factor in small groups. Journal of Abrwrmal and Social Psychology, 1957, 54, 269-272. Hebb, D.O. A Text Book of Psychology. Phil. Saunder Co., 1 950. Heider, F . Social perception and phenomenal causality. Psychological R 감 iew , 19 44 , 51, 3 58-374. Heider, F .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ùms. N.Y. :Willey, 1958. Heitmann, H. M., and Kneer, M. E. Physical Education Instruction Techniques.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Inc., 1976. Hemphill, J .K., a nd Coons, A.E. Development of the leader beha띠 or description questionnaire. In Leader Behavior : Its Eescription and Measurement, (R..M . Stogdill 뻐 d A.E. Coons, Eds.), The Ohio State University, 1957. Henchy, T., a nd Glass, D.C. Evaluative apprehension and the social facilitation of dominant and subordinate respor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 ogy, 1968, 4, 446-454. Hendry, L.B. ηle coaching stereotype. In Readings in Sports Psychology. (H.T.A. Whi 마 19 , Ed.), Henty Kimpton, 197 2. Hendry, L.B. The
Hick , W.E. On the rate of g 허 n of information. Quarterly Joumal 01 Experimental Psycho b. 껑 1, 1952, 4, 11-26. Higgins, J.R. Human movement : An integrated approach. St. Louis, Mo. : C.V. Mosby, 1977. Hig삐 en , P.S., and Bennett , B.B.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cessful nonsucessful elite wrestlers :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Sport Psychol-ogy 1979, 1, 123-137. H 피, W.F., and Gruner. L.A . Study of development in open 뻐 d closed groups. Small Grou p Behavior, 1973, 4, 365-381 . Hirst, W., Spelke, E.S., Reaves, C.C., C허 larack , G., & Neisser, U. Dividing attention without alteration or automaticity: Jounal 01 Experimental Psychol앵 )1, 1980, 109, 9 8-117. H 이d ing , D.H. Principles 01 training. Oxford : Pergamon Press, 1965. Hollander, E .P. Conformity, status and idiosyncrasy cre 버t. Psychological Review, 1958, 65, 117-127. Hollander, E.P. Competence and conformity in the acceptance of influence. Joumal 01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1960, 61, 365-370 Hollander, E.P. Some effects of perceived status on responses to innovative beha 꺼 or. Joumal 01 Abnormal and Social Psychol 앵)1, 1961, 63, 247-250. Hollander, E .P. Leaders, Grou ps and 11l flue nce. Oxford University Press, 1964. Hollander, E .P. Princ ψ les and Methods 01 Social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67. Hollander, E.P. Principles and Methods 01 Social Psychology.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1971 Hollerback, J.M. A Study 01 Human Motor Control Through Analysis and Synthesis 01 Handwriting. Ph D. dissertation. Massachusetts lnstitute of Technology, 1978. Homans, G.C. The Human Grou p. Routledge & Kegan, Paul, 1951 . House, R.J. A path-goal theory of leader effectiveness .. A 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971, 16, 321-328. House, R.J., a nd Dessler, C . The path-goal theory of leadership : Some post hoc and a priori tests. In Con tingency Approaches to Leadership. (J.A. Hunt and L. L. Larson. Eds.),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74. Howarth, C.I., Beggs, W.D.A., & Bowden, J.M. The relationship between speed and accuracy of a movement aimed at a target. Acta Psychologica, 1971, 35, 207-218.
H 띠 1 , C.L. Principle oJ Behavior. N.Y. : Appleton-Crofts, 1943. Hunt, D.H. Across racial comparison of personality traits-between athletes and nonathletes. Research Quarterly, 1969. Vol. 40. Husband, R.W . Analysis of methods in human maze learning. Journal oJ Genetic PsychoÚJgy, 1931, 3 9, 2 58-277. Human, B.F. Aggression in Boxers, Wrestlers, and Cross Cou ntry Runners an Measured by the Rosenweig P-F study, Selected TAT Pictures and a Setence Completion Tes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양 ylan d. College Park, 1954. Hyman, R. S 마 n 띠 us information as a determinant of reaction time. Journal oJ Experimental PsychoÚJ없 , 1953, 45, 188-196. Hyman, H.H., C obb, W.J., F eldman, J.J., H 값1, C.W., a nd Stembcr, C .H. Intervi- ewing in Social Research. Chicago : Univcrsity oJ Chicago Prcss, 1954. Jacobson, E. Electrical measurement of neuromuscular states during mental activities. American Jorunal oJ PhysioÚJgy, 1939, 91 . Jacobson, E. Electrophysiology of mental activies. American Journal oJ Psychol- ogy, 1932, 44. Jagacinski, R .J., H artzell, E .J., W ard, S., & Bishop, K. Fitts' law as a function of system dynamics and target uncertainty. Journal oJ Motor Behavior, 1 978, 10, 123 -13 1. Johnson, H.W. Skill=speed X accuracy X form X adaptability. Percepual and Motor Skills, 1961, 13, 163 -17 0. Johnson, W.R ., Hutton, D.C. Johnson, G.B . Personality 뼈 ts of some champion athletes as measured by two projective tests : The . Rorschach and H-T-P. Research Quarterly, 1954, VoI. 25, 484-485. . Jones, E.E., and Da띠 s , K.E. From acts to dispositions : The attribution process in person perception. In L. Berkowitz(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ÚJgy, New York : Academic Press, 1965. Judd, C.H. The relation of special training to general intelligence. Educational Review, 1908, 36, 28-4 2 . Kane, J.E. Psychological correlates of physique and physical abilities. In Interna- tional Research in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E. Joki and E. Simon (Eds.), 1964, 85-94. Keele, S.W . Movement control in skilled motor performance. Psychol 앵 ical Bulletin, 1968, 70, D 387-4 0 3. Keele, S.W. Attention. and Human PerJamance. Pacific Palisades, C 해 f :
Goodyear Publishing Co., 1973. Keele, S.W., & Posner, M .1. Processing of visual feedback in rapid movements. Journal qf Expe rimental Psychology, 1968, 77, 155-158. Keel, S.W., & Summers, J.J. The structure of motor programs. In G.E. Stelmach(Ed.), Motor Con trol : Issues and Trends. New Y ork : Academic Press, 1976. Kelley, H.H. Attribution theory in social psychology. In D. Levine(Ed.), N 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Lincoln :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67. Kelley, H.H. Causal schemata and the attribution process. In E.E. Jenes, D.E. Kanouse. H.H. Kelley. R.E . Nisbett . S. Vlins. & B Weiner(Eds.), Attribution perceiving the causes of behavior, Morristown, NJ : General Learning Press, 1972. Kelly, H.H., a nd Thib aut, J.W. Group problem solving. In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G. Lind zey and E. Aronson. Eds.), 2nd ed., Vol. 4, Addison-Wesely, 1969. Kelso, J.A.S., & Stelmach, G.E. Cen tral and peripheral mechanisms in motor control. In G.E. Stelmach(Ed.), M otor Control : Issues and Trends, N ew Yo rk : Academic Press, 1976. Kelso, J.A.S., S telmach, G.E. , & W 회 mamaker , W.M. The continuing saga of the nerve compression block technique. Journal of Motor Behavior, 1976, 8, 155-160. Kelso, J.A.S., Holt, K:G ., & Flatt, A.E. The role of proprioception in the perception 때 d control of human movement : Toward a theoretical reassessment. Perception & Ps: >’c ho physics, 1980, 28, 45-52 Keppel, G., & Underwood, B.J., Proactive inhibition in short-term retention of single items. ‘Jo urnalof Verbal Learning & Verbal Behevior, 1 962, 1, 153,- 16 1 . Ki p 피 s , D.M. Interaction between members of bomber crews as determinant of sociometric choice human relations. 1957, 10, 263-270. Kirsc henbaum, D.S., & Wittrock, D.A. Cognitive behavior때 intervention. In J.M. Silva, & R.S. Weinberg(Eds.), P sychological Foundations of Sport, p p. 84-98. Champaign, IL : Human Kinetics, 1984. Klap p, S.T. Short-term memory as a response preparation state. Memo η and Co gni 빼 n, 1976, 4, 721-729. Klap p, S.T. Feedback versus motor programming in the control of aimed move-ments. Joural of E:r pe rimental Psycholo없 , : Human Perception and Perfor- mance, 1975, 104, 147-153.
Klav ora, P., A n attempt to drive inverted-U curves based on the relationshlp of anxiety and athletic performance. In D.M~ Landers & R. W. Chri s 마 ta(Eds.) , Psycho/a g y of Motor Behavior and Sport, 1 977. Elinger, E. Feedback effects and social facilitation of 꺼밍 lance performance. Psychonomic Science, 1969, 14, 161-162. Knap p, B. Skill in Sport : The Attainment of Pro.fi cïe ncy. Lon don : Rou tledge & Kegan Pa띠 , 1963. Knigh t, A.A., & Dagnall, P .R . Precision in movements. Erog01 W1Tlics, 1967, 10, 321-330. Korman, A.K. The Psycho/a g y of Motivati on. Englewood 마 ffs , N.J. : Prentice- Hall, 1974. Korten, D.C. Situational detem 뻐 ants of leadershlp structure. Journal of co 에 1ic t Resolution, 1962, 6, 22, 222-235. Kowler, E., & Zing 려 f , C. Smooth eye movements as indicators of selective attention. In M.I. Posner & O.S.M. M 따피 (Eds.) , Attention and Performance XI (Chapter 15). H 퍼 sd 허 e , NJ : Erlbaum, 1985. Kret schmmer, E. Physique and Character(t ra ns. w. J.H. spratt). New York : Harcou rt, 1925. Kroll, W . Current strategies and problems in personality assessments of athletes. In Psycho/a g y of Motor Learning, edited by L.E. Smith, Chicago : Athletic Institute, 1970. Kr 이 1 , W. Sixteen personality factor profiles of collegiate wrestlers. Research Quarterly, VoL 38, 1967. Kruglanski, A.W. The endogenous-exogenous partition in attribution theory. Psycho/a g ical Review, 1975, 82, 387-406. Landers, D.M. Soci 외 facilitation and human performance : A review of contempo- r 하 y and past research. In Psycho/a g y of Sporl and Motor Behavior. Vol. 2. (D. M. Landers, Ed.),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75. Landers, D.M. Motivation and performance : The role of arous 허 and attentional functions. In Sporl Psychol 앵 j' : An Andysis of Athlete Behavior. (W.F. Sσaub Ed.), Movement Publications, 1978. Landers, D.M. The arousal-performance relationshlp revisited.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1 980, 51, 77-90. Landers, D. M., Chris 뻐a, R.W ., Hatfield, B.D., D 때 iels , F.S., W 파띠 son , M. 0., D oyle, L.A. , & Feltz, D.L. A comparison of elite and subelite competitive shooters on selected physical, p sychological an 닝 i>s ychophysiological tests, I n G.
C. Roberts & D.M., L anders (Eds.), Psychol 얘 ò/ motor behavior and sport -1980. Cham 뼈생n , IL: Human Kine tics, 1981. Land ers, D.M. Arousal, a ttention and skilled performance ;_F urther consideration. Quest, 1982, 33, 271-283. Land ers, D.M., Bauer, R.S . & Feltz, D.L. Social re-examination of Martens' audience study. Joumal of Motor Behavior, V ol. 10, 1978. Land ers, D.M. & Crum, T. The effects of team success and formal structur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hesiveness of baseball teams. lntemational Joumal of Sport Psychology, 1971, 2, 88-96. L없 lders , D.M., & Lueschen, G. Team performance outcomeand the cohesiveness of competitive coacting groups. lntemational Review 0/ Sport Socio ú. 쟁, 1974, 9, 57-71 . Land ers, D.M., a nd McCullagh, P .D. Social facilitation of motor performance. In Exereise and Sport Science Reviews, V ol. 4, (J.F. Keogh. Ed.), A cademie Press, 1976. Landers, D .M., W 파띠 son , M.O., H atfield, B.D ., & Barber, H . Causuality and the cohesion-performance relationship. Joumal 0/ Sport P.앙 chology , 1982, 4, 170-183. I 찌 19o 1f, G.D., C h 돼 n , D.B., & Foulke, J.A. An inves 디 gation of Fitts’ law using a wide range of movement amplitudes. Joumal ()/ Motor Behav ψr , 1976, 8, 113 -12 8. Lashley, K.S. The accuracy of movement in the absence of excitation from the moving organ. The American Joumal 0/ Physiology, 1917, 43, 169-194. Lawther, J .D. Sport Psychology.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1972. La때 her , J. D. The Leaming and Pe 뼈 rmance 0/ Physical Skills. Englewood Cliffs, New Jersey : Prentice-Hall, I nc., 1977. L 떼 man , E. Aggression in Relation to Play and Sports. Chicago : Athletic Insti-tute, 1970. Leavitt, H.J. Some effects of certain communication pattems on group perfor-mance. Joumal 0/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1951, 46 , 38-50. Lee, D.N. Visuo-motor coordination in space-time. In G.E. Stelmach & J. Req 띠 n(Eds.) , Tutorials in Motor Behav ψr, Amsterdam : North-Holland , 1980. Lee, W.A. Anticipatory control of postural and task muscles during rapid arm flexion. Joumal 0/ Motor Behavi 야; 1980, 12, 185-196. Lefebvre, L.M . Achievement motivation and causal attribution in male and female athletes. lntemational Joumal 0/ Sport Psychology, 1979, 10, 31-41 .
Le 빼, H. Top performance despite internal conflict : An antithesis to a fun- ctionalistic proposition. In J.W. Loy & G.S. Kenyon (Eds.), Sport , culture and society (pp. 393.397), New Y ork : Macm 피 an , 1969. Lepper, M. R., Greene, D., and Nisbett , R.E . Undern피 피 19 children’s intrinsic interest with exσinsic reward : A test of the
Maehr, M .L. Social culture origins of achievement motivation In : Social Psychol- ogy OJ Education : Thory and Ressarch, edited by D. Bar T며 and L. Saxe. New York : Hemisphere Corporation, 1979. Maehr, M .L. , and Nicholls. Culture and achievement motivation : A second look. In Studies in Cro$s-Cultural P.양 chol 뼈 edited by N. Waπen , New Y ork : Academic Press, 1980. M 앵i!, A.M. Motor learning, Concepts and Application. Dubuque, W m.:Brolon Com pany J>u blishers, 1980. M 앵u n , H.W. An ascending leticular activating system in brain system. Arch. NeuroL Psychiat, 6 7, 1952. Mann, R.D . A review of the rela디 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performance in small groups. Psychological Bulletin, 1959, 56, 241-270. M 하 in. V, Experience as a factor in pro-football success. Paper completed for an undergraduate course on the sociology of sport.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UCLA, 1969. M 하 tens , R. Effect of an audience on learning and performance of a complex motor skil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69, 12, 252-260. Martens, R . Arou sal and motor performance. Exercise and Sport Sciences Revie ψ s , VoL 2, 1974. Martens, R. Anxiety and motor performance : A review. Journal of Motor Behavior, 3 E, 1971 . Martens, R. Social Psychology and Physical Activil)’. New Y ork : Harper and Row, 1975. Martens, R. Sport Com petition Anxiety Test. Champ 머 gn , IL: Human Kinetics, 1977. Martens, R., Burton, D., Vealey, R.S., Bump, L.A. , & Smith, D.E.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 - 2.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lllinois at Urbana-Ch 없 npaign , 1983. M하 tens , R., & Landers, D.M., M otor performance under stress : A test of the inverted-hypothesi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Vol. 16, 1970. M 강 tens , R., & Landers, D.M. Evaluation potential as a determinant of coaction effect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 얘, 1972, 8, 347-359. M 양 tens , R., Landers, D.M., & Loy, J.W. Sport cohesiveness questionnaire. Unpublished report , University of Illnois at Urbana-C hamp 머 gn , 1972. Martens, R., & Perterson, J.A. Group cohesiveness as a determinant of success and member satisfaction in team performance. International Review of Sport
Sociology, 1971, 6, 49-61 . M따 te 띠 uk , R.G _ l riformation Processing in Motar SkilL New Y ork : Holt, Rine har- t, and Winston, 1976. M 따띠 1 , L. Effects of competition upon the aggressive responses of college basketb 려 1 players and wrest1 e rs_ Ph_ d_ dissertation, Sp 미 Igfield college, 1969. Maslow, A. Dynamics of personality organization. Psyclwlogical Rev iew, 1943, 50, 514-539. Maslow, A. H. Motivati. on and Personalitj’'. H arper, 1954 Massaro, D. Experimental Psychology and lriformati. on Processing. Chicago : Rand McNally Coll ege Press, 1975. Mayer, R .E . The Promise of Cgnitive Psychology_ San Francisco : W.H. Freedom and company, 1981 . McClelland, D. C. Personality. New York : Drvden, 1951 . McClelland, D.C The Achiëveing society. Van Nosσand. T oward a the 야 y of motive acquisition. American Psychologist, 1 962, 20, 321-333. McClelland, D.C., A tkinson. J.W., C lark, R.A . , a nd E.L. Lowell. The Achievement Motive. New York : Appletion-Crofts, 1953. McGrath, J.E . The influence of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 on adjustment and effectiveness in rifle teams.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1962, 65, 365-3 7 7. McGuigan, F.J. T he effect of precision, delay, and schedule of knowledge of results on performance. ‘To 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959. McLeod, P. Does probe RT measure central processing demand?,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978, 30, 83-89. McLeod, P. What can RT tell us about the attentional demands of movement? In G.E. Stelmach & J. Req 띠 n(Eds.) , Tutorials in Motor Behaviar. Amsterdam : North-Holland, 1980. McN떠 r , D.M. Lorr, M ., & Droppleman, L.F . Prqfile of Mood States. S an Ðieg o, CA : Education 때 d Industral Testing Seπice , 1971. McPherson, B.D . Personnel turn over and organizational effec 디 veness. Paper presented at the First Canadian Congress for the Multidisciplinary Study of Sport and Physical Activit y , Montrea1 : 1973. Melnick, M. J., & Chemers, M.M. Effects of group structure on the success of basketball teams. Research Quarterly, 19 74, 45, 1-8. Melnick, M.M., Lemsten, K.C., & Loc 넙 1 하t, A.S_ Retention of fast and slow learners fOllOwing overlearning of a gross motor skill. Journal OJ Motor
Behavior, 1972, 4, 187-1 9 3. Merkel, J . Die z eitlichen verhaltnisse der sillensthatig-keit. Phiwsophische Studien, 1885, 2, 73 -12 7. (Cited in Woodworrh, R.S . Experimental psychowgy, New York : Holt, 1938) Me버 1 , M.D. Taxonomies, classifications, and theory. In R.N . Singer(Ed.), The Psycho motor Domain : Movement Behaviors. Philadelphia : Lea & Febiger, 1972. Merton, P.A. How we control the contraction of our muscles. Scienti /c A merican, 1972, 226, 30-37. Merton, R.K . Social The07 γ and Social Structure. Free Press, 1957. Milgram, S. Some conditions of obe 버 ence and disobe 버 ence to authority. Human Relatψ n, 1965, 18, 57-76. Milgran, S. Libe rating effects of group pressure. Journal 0/ Personality, 1965, 1, 127-134. Mik 려 ac 빠 å , A. Grou p Coh esion Reconsidered. Canada :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1969. M 피 er , G.A. The magical number seven, plus or minus two : Some limits on our capacity for processing information. Psychowgical Revie ψ 1956, 63, 81-9 7 . M 피 s , T.M. The Sociowgy 0/ Small Grou ps. Prentice-Hall, 1967. Mischel, W . Toward a cognitive soci 려 learning reconceptualization of personality. Psychowgical Review, 1973, 80, 252-283. Moore, H .T. Laboratory tests of anger, f ear and sex interest. American Journal 0/ Psychowgy, 1917, 28, 390-395. Morgan, W . Personality and Assessment. New York : John Wiley and Sons, 1968. Morgan, W.P., & Hammer, W.M. Psychological effect of competitive wres 버 ng. AAHPER , 1971 . Morgan, W.P., Sport psychology. In R.N ., Singer (d.) , Psychomotor Domain Movement Behaviors. Philadclphia : Lca & Febiger, 1971. Morgan, W. P., Efficacy of psychobiologic inquiry in . the exercise and sport sciences. Quest, 1973, 20 : 39-47. Morgan, W.P. Prediction of performance in athletes. In P. Klavora & J. V. Daniel(Eds.), Coach, athlete, and the sport psychologist(pp. 173-186), Cham-paign, IL : Human Kinetics, 1979. Murray, H.A. Expwrations in Personality New Y 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38. Murray, H.A. Thematic Apperception Test ManuaL Cambridge : Harvard Univer-
sity Press, 1943. Myers, A.E. Team competition, success, and adjustment of group members. Journal of Abnonnal and Social Psychology, 1962,D 65, 325-332. Naatanen, R. Stimulus processing : Reflections in event-related potentials, m agne toencephalogram, and re 밍 on외 cerebr 허 blood flow. In M. I. Posner & O.S.M. Marin, (Eds.), Attention and Perfornamce XI(Chapter 19), Hills dale, NJ : Erlbaum, 1985. Navon, D., G opher, D ., C 뻐 agn , N., & Sprtz, G. On separab 피 ty of and interfer- ence between trac 힘 ng dimensions in dual-axis tracking. Journal of Motor Behavior, 1984, 16, 364-391 . Navon, D. Attention, division or sh 따 ing? In M.1. Posner & O.S.M_ M 값 in(Eds.) , Attention and Perfornance XI(Chapter 6), H피 sdate , NJ : Erlbaum, 1985. Naylor, J .C., & Briggs, G.E. Longterm Retention of Le 하 ned S 때 s : A review of the literature. ASD Technical Report 61-390, U.S. Department of Commerce, 1963. Newcomb, T.M. Social psychological theory. In Social Psychol 얘 y at the Cross- roads. (J.H. Roher and M. Sherjf, E ds.), Harper, 1951 . Ne well, K .M. The speed-accuracy paradox in movement control : Error of time and space. In G.E. Stelmach(Ed.), Tutorials in Mofor Behavior. Amsterdam : North-Holland, 1980. Newell, K .M., C arlton, L.G ., C arlton, M.J., & H 외 be rt, J .A. Velocity as a factor in movement timing accuracy. Journal of Motor Behavior, 1980, 12, 47-56. Newell, K .M . Carlton, L.G ., & Carlton, M.J. The relationship of impulse to timing error. Journal of Mofor Behavior, i n Press. Newell, K .M ., Hoshiz 와이, L. E.F. , C 따 lton , M.J., & H 혀 be rt, J .A. Movement time and velocity as detern 뻐 ants of movement timing accuracy: Journal of Motor Behavior, 1979, 11, 49-58. Newell, K .M ., & Kennedy, J.A. Kno wledge of res 띠 ts and children’s motor learn- ing. Developmenfal Psycholog γ , 1978, 14, 31-536. Nelson, D.L. Studies of transfer of !earning in cross motor skills. Research Quarterly, 1957, 28. Nelson, R.C ., Norsinger, M .R. Errecr of over load on speed of fIex ion and associared afrer effecrs. Research Quarterly, 1965, 36, 174-182. Neumann, E., & Amm ons, R.B. Acquistion and long term retention of a simple serial perception motor skill.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 없 1957, 53, 159-161 .
Nideffer, R .M . Test of attentional and interpersonal style. Journal 0]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76, 34, 394.404. Nideffer, R .M . The' relationship of attention and anxiety to performance. In W.F. Straub(Ed.), Sport Psycholog γ : An Analysis o! Athletic Behavior(2nd ed), pp. 119.127. Ithaca, N.Y. : Movement Publications, 1980. Nideffer, R .M . Attentional focus, self assessment. In R.M . Suinn(Ed.), P sycho~쟁 Y in Sports : Methods and Applications. pp. 56-67, Minneapolis : Burgess, 1980. Nideffer, R .M . Athletes Guide to Mental Training. Human Kinetics, 1985, 109-118. Nixon, H.L. D. Cohesiveness and tearn success : A theoretical reformulation. Review o! Sport and Leisure, 1977, 2, 36-57. Nordholm, L.A. Effects of group size and stimulus arnbiguity on conformity. Journal 0] Social Psychology, 1975, 97, 123-130. Noπdil tt, L.N. Jr. The role 0] Implier Practice in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πation , Yale Univerity, 1956. Obermeier, G .E., & Ester, M .A. Social facilitation of speed events : The coaction effect in racing dogs and σackmen. In R.W . Chris 비 1a & D.M. L 뻐 ders(Eds.) , Psychology 0] Motor Behavior and Sport-1976(Vol 2, pp. 9-23). Charnp 허 gn , IL : Human Kinetics, 1977. 0’c o nnor, J .L., Webb, Investigation of personality traits of college female athletes and nonathletes. Research Quarterly, VoL 47, 1976. Ogil 띠 e , B.C., and Tutko, T.A. Problem Athletes and How to Handle Them. Pelharn Books, 1966. O 때 vie , B.C. and Tutko, T.A. Self perceptions as compared with measured personality of selected male physical educators. In Con temporary Psychology 0] Sport. (G.S. Kenyon, Ed.), The Athletic Institute, 1970. Orlick, T.D., and Mosher, R. Exσinsic awards and par 디 cipant motivations in a sport related task. International Journal 0] Sport Psycho~ 쟁, 1978, 27-39. Osgood, C.E. The sim i1a rity paradox in human learning : A resolution. Psychologi- cal Review, 1949, 56, 132-143. Ostrow, A.C. Goal-setting behavior and need achievement in relation to competitive motor activity. Research Quarterly, 1976, 47(2), 174-182. Oxendine, J.B . Psychology 0] Motor Learning. Appleton, 1968. Oxendine, J.B. Effect of mental and physical practice on the learning of the three motor skills. Research Quarterly, 1969, 40, 755-763. Oxendine, J.B. Emotional arous 허 and motor performance. Quest, V ol. 13, 1970. Paras 따 aman , R. Sustained attention : A multifactorial approach. In M. I. Posner &
O.S.M. M따 in(Eds.) , Attentúin and Per]ormance XI (Chapler 27), H 피 sd 외 e , Nj : Erlbaum, 1985. Pem, H.M. The relative efficiency of actual and ima 밍 nary practice in five selected tasks. Archives 0] PsychoÚJgy, 1939, 243, 1-76. Pessin, J, The comparative effects of social and mechanical stimuation on memoriz-ing. American Journal 0] PsychoÚJgy, 1933, 45, 263-270. Pessin, J., and Husband, R.W. Effects of social stimulation on human maze le따 ning. Journal 0]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1933, 28, 148-154. Peterson, J.A., & Martens, R. Success and residen 디aI 화 filiation 앓 determinants of team cohesiveness. Research Quarterly, 1972, 43, 62-76. Peterson, L.R., & Peterson, M.M. Shoπ-term retention of individual verb 혀 items. Journal 0] Experimental Psychol 앵 y , 1959, 58, 193 -19 8. Peterson, S.L. , U피 er , J.C., T rous 뼈 e , W.W. Personality traits of women in team VS women in individual sports, Rese 따 ch Quarterly, Vol. 38, 1967. Pittman, T.S., Dacy, M.E ., Alafat, K.A ., Wetherill K.V. , and Kr윈 ner , N.V. Informa 디 onal versus controlling verb 외 rewards. Personality and PsychoÚJgy Bulletin, 1980, 6, 228-233. Pollock, M.L. , Gettman, L.R., Milesis, C.A., B ah, M., D urs 마 le , L., & Johnson, M. Effects of frequency and duration of training on attrition and incidence of injury.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1977, 9, 31-36. Poulton, E.C. On prediction in skilled movements. Psychowgical Bulleti π 1957, 54 , 467-478. Provins, K.A . The effect of peripheral nerve block in the appreciation and execu-tion of finger movements. Journal 0] PhysioÚJgy, 1958, 143, 55-61 . Raibert, M .H. Motor Control and Learning by the State-space Mode. Technical Report , Aritificial Intelligence Laboratory, MIT. 1977, (AT-TR-4 3 9). Raw lings, E.I., Raw lings. I.L., Chen, SS., & Y 파‘, M.D. The facilitating effects of mental rehearsal in the acquisition of rotary pursuit trac 힘 ng. Psychonomic Science, 1972, 26, 7-73. Ray nor, J.O., and Smith, C.P. Achievement-related motives and risk taking 띠 g 때 les of s 임 11 때 d chance JournaL 0] Personality, 1966, 34, 176-98. Reiss, S., and Sushinsky, L.W . Overjustification, competing responses, and the acquisition of intrisic interest. Journal 0]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J gy, 1975, 31, 1116-1125. Keiss, S., a nd Sushinsky, L.W . The competing response hypothesis of decreased paly effects : A reply to Lepper and Greene. Journal 0] personality and social
PSj ’ch o logy, 1976, 33(2), 233-244. Revelle, W., H umphreys, M.S., S imon, L., & G 피i1 and , K. The interactive effect of Epexrpseo rni’anlei tnyt,a 마l P lse yochf odloayg ya, n 1d9 8c0af,f e1i0n9e, :1 A-3 1t .e st of the arousal model. Journal 01 Rich ardson, A. Mental practice : A review and discussion Part 1, Research. Quarterly, 1967, 38, 95-107. Robb, M.D. Feedback. Quest, Monograph, N. 38-43, 1966. Robb, M.D. The dynamics of motor-ski1 1 acquisition. Prentice Hall, 1972 Roberts, G.c.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social environment on perfor- mance of a motor task. Journal of Motor Behavior, 1972, 4, 37-46. Roberts, G.C.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social environment on risk taking. Research Quarterly,1 9 74, 45, 42-5 5 . Roberts, G.C. Sex and achievement motivation effects upon risk taking and motor ‘ performance. Research Quarterly,1 9 75, 46, 58-70. Robinson, E.S. The simi1 a rity factor in retroaction. American Journal 01 P:잉 chol O없 , 1927, 39, 297-312. Rogers, C.R. Client-centred therapy : Its Current Practice, Imp/ic a tions, and Theory, Boston : Houghton, 1951 . Rosenbaum, R.M . A dimensional analysis of the perceived causes of success and fai1 u re. U npublished doctoral dissa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1972 . Rosenbaum, L.L., andRosenbaum, W.B. Morale and productivity consequences of group leadership style, stress, and type of task. Journal 01 Applied Psyc h ology, 1971, 55, 343-388. Rosenberg, L. Group size, prior experience, and conformity. Journal 01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1961, 63, 436-437. Ross, M. Salience of reward and intrinsic motivation Journal 01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75, 32, 243-254. Rotlor, J.B. Social Learing and Clinical Psychology.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1 954. Rotter, J.B. Generalized expectancies for internal versus ex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 Psychological Monograph, 80, (Who le No. 609), 1966. Ruder, M . K. , & G 피, D.S. Immediate effects of win-loss on perceptions of cohesion in intramural volleyball teams. Journal 01 Sport Psychology, 1982, 4, 227-234. Rushall, B .S., T he status of personality research and application in spoπs and physical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Physical Education Forum, Dalhousie
Univcrsity, Halifax, Nova Scotia (Ja nuary), 1972. Rushall, B . S.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variables and performance categories in swimmers. lntemational Joumal of Sporl PsycJw l ogy, VoJ. 1, 1970. Ryan, E.D ., and L 하 åe , W.L. Competitive and non competitive performance in relation to achievement motivation and manifest anxiety. Joumal of Personaüty and Social Psychology, 1965, 1, 344-345. Ryan, E.D . Attribu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athletics. In L.I. Gedivlas and M. E. Knect(e d s.), P roceedings of the National Coll ege Psysical Education Associa- tion for Men/ National Assoctation for Psysical Education of Coll ege Women , National Coπ ference. Chicago : Office of Publications Services, University of Illino is at Chicage Circle, 197 7. Ryan, E.D. Attribution and affect. In G.C. Roberts and D.M. Landers(eds.), Psychol 얘y of Motor Behavior and Sport-19 80. Champ 떠 gn . IL : Human Kinetics, 1981 . Ryan, F. Sports and P.쟁 chology.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I nc., 1 981 . Sanders, D.M., & 'M cCullagh, P_D . Soci 외 facilitation of motor performance. In J. Keough & R.S . Hution (Eds.), E xercise and Sport Sciences Reviews (VoJ. 4, pp. 123-162), S ama Barbara, CA : Journal Publishing Affil iares, 1976. Sarason, S.B. , Davidson, K.S. , L ighthall, F .F., W iten, R.R., and Ruebush. B.K. Anxiety in Elementa ηI School Children : A Report of Research. N ew Y ork : John Wiley and Sons, 1960. Schachter, S . Deviation, rejecticn 뻐 d r.o m' 1lu nication. Joumal of Abnormal and Social P.양 chol 얘 y , 46, 190 -~ 07 . Schachter, S ., E lerton, N., M cBdride, D., & Gregory, D. An experimental study of cohesiveness and productivity. Human Relations, 1951, 4, 229-238. ‘ Schein, E.H . Organizational Psychology. Prentice-Hall, 1965. Schend, J. Psyc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athletes and nonparticipants is athletics at three educational levels. Research Quarterly, VoJ. 36, 1965. Schmidt, R.A . Consistency of response components as a function of selected motor variables. Research Quarterly, 1969, 40, 561-566. Schmidt, R.A . Movement time as a determiner of timing accurac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969, 79, 43-47. Schmidt, R.A . Retroactive interfemce and amount of originallearning in verbal and motor tasks. Research Quarterly, 1971, 42, 314-326.(a) Schmidt, R.A . Proprioception 때 d the timing of motor responses. Psychological
Bulleti κ 1971, 76, 383-393.(b ) Schmidt, R.A . Molor Skills. New York : Harper and Row, 1975(a) Schmidt, R.A . A schema theory of discrete motor-skill learning. Psychological Review, 1975, 82, 225-260. (b) Schmidt, R.A . Control processes in motor-skills. Exercise and Sport Sciences Reviews, 1976, 4, 229-261 .(a ) Schmidt, R.A . Schema theory :Implications for movement education. Motor Skill Theory inlo Practice, 1977, 2, 36-38. Schmidt, R.A . Past and future issues in motor programming.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1980, 51, 122-140. Schmidt, R.A . Motor control 뻐 d lear띠 ng : A behavior 허 emphasis. Champ 허 gn , IL : Human Kinet ic Press, 1982.(a) Schmidt, R.A . More on motor Programs. In J.A.S. Kelso(Ed.), Human Motor Behavior : An Introduction . Hillsdale, NJ : Eribaum, 1982, 198-2 0 6.( b ) Schmidt, R.A ., & McGown. C.M. Terminal accuracy of unexpectedly loaded rapid movements : E 꺼 dence for a mass-spring mechanism in programming. Journal of Motor Behavior, 1980, 12, 149-161 . Schmidt, R.A ., Zelaznik, H.N., & Fr없 tk , J.S. Sources of inaccuracy in rapid movement In G.E. Stelmach (Ed .) , l.π {ormation Processing in Motor Control and Learning. New York : Academic Press, 1978. Schmidt, R.A., Zelaznik, H. N. , Haw 피 ns , B., Fr없 lk , J.S., & Quinn, J.T., Jr. Motor-output v 양 iability : A theory for the accuracy of rapid motor acts. Psychological Revie 따 1979, 86, 4 15-451 . Schneider, W. Toward a model of attention and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processing. In M.I. Posner & O.S.M. Marin (Eds.), Attention and Pe 깨 rmance XI (Chapter 26), H 피 sdale , NJ : Erlbaum, 1985. Suhurr, K .T., A shley M.A, and Joy. K.L. A m 버디 variate an 허 ysis of male athlete characteristics : Sport type and success. Multivariate Experimental Clinical Research, 1977, 3, 53-6 8 . Schutz, W.C. The Interpersonal Underground . 5th ed., Science and Behavior Books, 1966. Schwartz, G.A. Comparative an 외 ysis of succession, size and success among professional sport organizations. Paper completed for a graduate course on the Sociology of Spor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1973. Scott , J.P. Sport and Aggression. In G.S. Kenyon (Ed.), C on temporary Psychology of Sport, A thlete Institute, 1970,
Shannon, C.E. , & Weaver, W. The Mathematical Theory 01 Comm unicatio n. Urbana, IL : University of II1in ois Press, 1949. Sh 따 mon , C.E ., & Weaver, W. The Mathematical The01 γ 01 Com municat ψπ Urbana . : University of lllinois Press, 1962. Sheldon, W.H., Stevens, S.S. and Tucker, W.B. The Varieties 01 Human Physique. New-Y órk, Harper, 1940. Sheldon, W.A., and Stevent, S.S. The Varieties 01 Temperament. New-York : Harper, 1942. Sherif, C.W., and Ratt ray, G.D. Socio-social de 피 ance and activity in middle childhood (5-12years). The Child in Sport and Psysical Activily, 혀 ited by J. Albi nson and G. Andrews. Baltimore : University Park Press, 1976. Sherif, M .A. Study of some social factors in perception. Achieves 01 Psychology, 1935, 27 No. 187 Sherrington, C.S. The Integrative Action 01 the Nervous System . New Haven : Yale University Press, 1906. (Reprinted, 1947) Sherwood, D.E., & Schmidt, R.A . The relationship between force and force variability in minimal and near-maximal static and dynamic contractions. Journal 01 Motor Behavior, 1980, 12, 75-89. Shiffrin, R.M ., & Schneider, W. Controlled and automatic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 II. Perceptual learning, automatic attending and a general theory. Psychological Review, 1977, 84, 127-190. Shusher, H.S.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characteristics of selected high school athetes and nonathletes. Research Quarterly, Vol. 35, 1964. Silva, J.M., Shultz, B.B., Haslam, R.W ., & Murray, D. A psychophysiological assessment of elite wrestlers. Research Quarterly 10r Exercise and Sport, 1 981, 52 : 348-358. Silva, J.M. Behavioral and situational factors affecting concentration 뻐 d skill performance. Journal 01 Psychology, 1979, 221-227. Singer, R .N . Effects of spectators on athletes and non-athletes performing a gross motor task. Research Qua rterly, 1965, 36, 473-482. Singer, R .N . Personality difference between and within baseball and tennis player. Research Quarterly, Vol. 35, 1969. Singer, R . N. Readings in Motor Learning. Philadephia : Lea & Febiger, 1972. Singer, R .N . Coa ching, Athletes, a nd Psycholo8 γ. New Y ork : McGraw-H ill, 1972. Singer, R.N . The Psych01 no tor Domain : Movement BehavÌOT. Philadelphia : Lea & Febiger, 1 972.
Singer, R .N . Mytl ís and Truths in Sport Psychowgy. NY : Harper & Row, 1975. Singer, R.N . Physical Education Foundation. New Y ork : Holt, Rine hart & Winston, 1976. Singer, R.N . Sport psychology : An overview. In W.F. Sσaub(Ed.) , Sport Psychowgy. An Analysis of Athlete Behavior. l thaca, NY : Movement Publica-tions, 1978. Singer, R.N . Motor Learning and Human Performance(3rd ed.), New Y ork : Macm 피 an , 1980. Sisσunk , F., a nd McDavid, J. W . Sex variables in conforming beha 띠 or. Journal OJ Personaüt, ’ a nd Social Psycho ù.쟁 )', 1971, 17, 2 00.207. Skoglund, S. Anatomical and physiological studies of the knee ioint innervation in the cat. Acta Phys ψ wgica Scandinavica, 1956, 36, Supplement 124. Slater-Hammel, T . Reliability, accuracy and refractoriness of a transit reaction. Research Quarterly, 1960, 3 1, 2 17.228. Smith, J.L. Fusimotor neuron bwck and voluntary arm movement in man.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1969. Smith, W.E. The effects of social and monetary rewards on intrinsic motiv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rnell University, 1974. Smith, M.D. Social determinants of 꺼 olence in hockey : A review. Canadian Journal of Applied Sport Sciences, 1979, 4, 76.28. Snyder, E ., & Spreitzer. E. Social Aspects of Sport(2nd ed.), E 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1983. Spence, K.W . Anxity level & performance in eyelid conditioning. Psychowgical Bulletin, Vol. 61, 1964. Spence, K.W., F arber, I .E. and McFann, H.H. The relation of 없 αiety(drive ) level to performance in competitional and non-competitional paired-associates learn-ing. Journal of Experimental P.양 chowgy , 1956, 52, 296.305. Sper 파 19 , G. The information available in brief visual presentations. Psychowgical Monographs, 1960, 7 4(11, Who le No. 498). Spielberger, C .D. Anxiety and Behavior. New York : Academic press, 1966 Spielberger, C.D. Anxiety : Current Trends in Theory & Research. N.Y. : Aca-demic, 1972. Spielberger, C.D., and Sarason, I.C. Stress and Anxiety : New .Co ncepts and Appücation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 1976, 95.102. Spink, K.S. Attribution 뻐 d athet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1977.
Sp 피 k , K.S. Win-loss caus 허 attributions of high school basketball players. Canadian Journal of Applied Sport Sciences, 1978, 3, 195.201 . Staw, B.M.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 J.T. Spence, R .C . Carson and J. Thil bant(eds.), University Programs Modular Studies. Morristown, N.J. : Gen- er 외 Learning Press, 1976. Steers, R.M . Task go 떠 s , individual need strengths, and supeπisory perform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frequency of exercise behavior.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dchology. 1973, 10, 436.444. Stelmach, G.E . Learning and response consistency with augmented feedback. Erogonomics, 1970, 13, 421-425. Stelmach, G.E., R etention of motor skills. Exercise ans Sport Sciences Riviews, 1974, 2, 1.31 . Stelmach, G.E. , Kelso, J.A.S., & Wallance, S.A. Preselection in short-term motor memor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k영 y : Human Learning and Memory, 1975, 1, 745-755. Stelmach, G.E. Information-processing framework for understanding human motor behavior. In J.A.S. Kelso(Ed.), Human Motor Behavior. Hillsd ale :Lea Pub-lisher, 1982 Sternberg, S. The discovery of processing stages : Extensions of Donders’ method. In W.G. Koster(Ed.), Attention and PerJ or mance N. Amsterdam : North-Hottand, 1969 Stevenson, C.L. Socialization effects of participation in sport. Research Quarlerly, 1975, 46, 287.301 . Stogdill, R .M . lndividual Behavior and Grou p Achievement. New Y 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59. Stogd 피, R.M . Team achievement under high motivation. C 이 umbus , OH : Bureau of Business Research, Ohio State University, 1963. Stogdill, R.M . Group productivity, 바 1ve , and cohesiveness. Orga nizational Be-havional and Human Pe 찌 rmance , 1972, 8, 26.43. Storr, A . Human Aggression. New York : Atheneum, Intr oduction ix, 1969. Strefert, L., and Streufert, S.C. Effects of conceptual structure, f,허 lure , and success on attribution of causality and interpersonal attitud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양 chology , 1969, 11, 138-147. Stua rt, D.G., M osher, C .G., G erlack, R.L., & Reinking, R.M . Mechanical arrange-ment and transducing properties of Golgi tendon organs. Experimental Brain Research, 1972, 14, 274.292.
Summers, J.J. πle role of timing in motor program representation. J ournal of motor Behavior, 1 975, 7, 229'241. Taub, E., & Berm an, A.J. Movement and learning in the absence of sensorγ feedback. In S.J. Freedman(Ed.), The Neurop η chology 01 Spatially Oriented Behavior. Homewood, IL : Dorsey Press, 1968. Taub, E., Peπello , P., & Barro, G. Beha 띠 or메 development 하 ter forelimb deafferentation on day of birth in monkeys with and without blinding. Science, 1973, 181, 959-960. Teevan, R., and Yalof, J . Need for achievement in
Erlbaum, 197 7. Tutko, T. The identity of the sport psychologist. In P. Klav ora & J.V. DanieI( E ds.), Coa ch, Athlete, and the Sport PsychoÙJgist. Toronto : University of Toronto, 1979. Tyldesely, D.A., & Whiψ19 , H.T.A. Sport psychology as a science. In E. Geron(Ed.), lntroduction to Sport PsychoÙJgy, Jerusalem. lsrae : Wingate Insti-tute for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1982. Unestahl, L .E. Hypnotic preparation of athletes. Paper published at the department of sport psychology, Orebro University, Sweden : 1979. Unestahl, L .E. Inner mental training for sport . In Orlick, J.T. Par 마 1 망 on & J.H. Salmela (Eds.), Mental Traing 10r Coa ches and Athletes, 1982. Unestahl, L .E. Sport PsychoÙJgy in Theory and Practice, Orebro : Vejepub, 1983, 20-37. Unestahl, L .E. , S etterlind S. & K 때] B. Relaxation Training 10r Youth. Karistad : stress management center, 1986; 26-31 . Usher, D .M. Achievement motivation and levels of sport performance. Movement, 1975, 7, 249-353. V 외 lerand , R.J. , a nd Brawley, L.R. Self-determination 때 dinσinsic motivation : A look at outcomes and processes.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Quebec at Montre 려, 1984. Vandell, R .A ., D aves, R.A ., a nd Clugston, H.A. The function of mental practice in the acquisition of motor skills. Journal 01 General PSychaÙJgy, 1943, 29 , 243-50. Vincent, W.J. Transfer effects between motor skills judged similar in perceptual components. Research Quarterly, 1968, 39, 380-388. Volkaner, N . Investigations into the aggressiveness in competitive social systems. Sportwissensch 따 t, 1972, 1, 33-64. Vroom, V. H . & Yetton, P.W. Leadership .an d Decision Making. University of Pittsburg Press, 1973. Wadman, W.J., D enier van der Gon, J.J., G euze, R .H . , & Mol, C .R. Control oH잃 t goal-directed arm movements. Journal 01 Human Movement Studies, 1979, 5, 3-17. Wankel, L .M . Social facilitation : A review of theory and research pertaining to motor performance. In The Status 01 Psychomotor Learning and Sporl Psychomotor Learning and Sport psychoÙJgy Rescarch. (B.S. Rusha ll, Ed.), Sport Science Associates, 1975. Wankel, L .M . The effects of soci 려 reinforcement and audience presence upon the
motor performance of boys with 벼 fferent lev el s of initial ability. Journal of Motor Behav ψr, 1975, 7 , 2 07-2 1 6. Wapner, S., a nd A1p er, T.G. The effect of 뻐 audience on behavior in a choice situation. Journal of Abrwrmal and Social Psychowgy, 1952, 47, 222-229. Wargo, M.M. Human operator response speed, frequency, and flexibility : A review and analysis, Human Factors, 1967, 9(3), 221-238. Washburne, J.N. Viewpoint of learning. In C.E. Skinner(ed.), E ducational Psychol- O 밍 1947. Waterland, J.C. The effect of mental practice combined with kinesthetic perception when the practice preccedes each over performance of a motor skilI.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Wisconsin, 1956. Weinberg, D.R. , GUY, D.E., & Tupper, R .W . Variation of post feedback interval in simple motor learn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 L. 뺑 1 , 1964, 67,9 8 -99. Weinberg, R.S. , & Hunt, V.V. πle interrelationships between anxiety, motor performance, and electromyography. Journal of Motor Behavi띠 1976, 8, 219-224. Weinberg, R.S ., & Silva J.M. p양 , chowgical Foundations of Sport, Human Kine tics Publishers, Inc., C hampaign, IL:1984. Weiner, M . ceπ 따 nty of judgement as a variable in conformity behavior. J ournal of Social Psychowgy, 1958, 48, 257-263. Weiner, a. Theories of Motivation : From Mechanism to Cog nition. Chicago Rand MCn Na lly, 197 2. Weiner, B. The role of affect in spoπ psychology. In Psycho L. 쟁y of Motor Behavior and Sport 1980, edidited by G.D. Roberts and D.M. Landers, Champaign, IL : Human Kine tics, 1981 . Winer, B ., Frieze, S. K 따 cl a, A. Reed, L. Rest, C. and Rosenbaum. R.M . Perceiving the Causes of Success and Faüure. New York : General Learning press, 1971. Weiner, B., Frieze, L., Kukla, R., Reed, L., Rest, S., and Rosenbaum, R.M . Perceiving the causes of success and failure. In E.E. Jones, D.E. Kanouse, H. H. Kelley, R.E . Nishbett , S. V 려 ins and B. Weiner(eds.), A 검뻐 ution : Perceiv- ing the Cau se of Behavior, 95-1 2 0. Morristown, N.M. : General Learning Press, 1972. Welford, A.T. Fundamentals of SkilL London : Methuen, 1968. Welford, A. T. S, 빠 lled Performance : Perceptual and MOtOT Skills. Glenview, IL : Scott , Foresman, 1976. Weiss, A.D. ’The locus of reaction time change with sex, motivation, and age.
Joumal 0/ Gerontowgy, 1965, 20, 60.64. Wetzel, M .C., & Stua rt, D.G. Ensemble characteristics of cat locníotion 뻐 d its neural control. Progress in Neurobiowgy, 1976, 7, 1.98. Whi 마 19 , H.T.A. Acquiring Ball Skill : A Psyc/w w gical Interpretal ψπ Lon don : G.Bell, 1 969. Whi 파1 9 , H.T.A. Overview of the skilllearning process. Res earch Qt 따 rterly , 1972, 43 , 266.294. Whitley, J.D. Effects of practics distribution on learning a fine motor task . Research Quarterly, 1970, 48, 576.5 8 3. Wickelgren, W.A. The long and short of memory. Psychol 얘 ical BUlleti7 μ 1973, 8, 425.4 3 8. W i 뼈l eyer , W.N., & M 강 tens , R. When cohesion predicts performance outcome in sport. Research Quarterly, 1978, 49, 372.380. Wiener, N. Cybemetics. New York : M.I.T . Press & John Wiley, 1961. Wiggins, J.A., D 피, F., a nd Schw 하 tz , R.D. On status liability. Socψ meh γ 1965, 28, 197.209. Wig 밍 ns , S.L . 까 le history of sport psychology in North Ame rica . J.M . Silva III, & R.S. Weinberg(Eds.), Psychol 앵 ical Foundations 0/ Sporl. Champ 허 gn , 江 : Human Kinetics, 1984. Wilbery, R.B . Criteria for the definition of a field. Proceedings 0/ the Thir d lntemational Congress 0/ Sports Psychowgy, Madrid, 1973. Wilder, D .A. Perception of groupe, size of opposition, and socia influence. Joumal 0/ Experimental Social Psychol 앵 y , 1977, 13, 253.2 6 8. Willett, R.A . Experimentally induced 뼈 ve and performance on five.choice serial reactio n task. In H.J. Eysenck (Ed.), Experiments in Motivatψ 7L 0 성 ord : Pergamon, 1964. W피 iams , J.M ., & Hacker, C .M. Causal relationships among cohesion,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 women’s i ntercollegiate field hockey teams. Joumal oj Sporl Psychow 없 1982, 4, 324.3 3 7. Willis, J.D. Achievement Motivation , Success and Com petitiveness in Coll ege Wrestli 앤. (Ph. D. dissertation). C 이 umbus : Ohio State University, 1968. Wilson, D.M. The central nervous control of flight in a locust. Joumal 0/ Experimental Biowgy, 1961, 38, 471.490. Wood, G.G., & Holanson, J.E . Efects of induced tension on performance and the inveπ . ed U function. Joumal 0/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wgy, 1965, 5, 501.5 1 0.
Yerkes, R .M ., & Dodson, J.D. The relationship of strength of stimulus to rapidity of habit formation, Joumal qf Comp arative & Neurological Psychology, VoI. 18, 1908. Y띠 떼 son , D., W 앙 nberg , R., & Jackson, A. A multidimensional sport cohesion instrument for intercollegiate basketball teams. Joumal 0/ Sport Psychology, 1984, 6, 103-117. Zajonc, R.B . Social facilitation. Science, 1965, 149. 269.274.
기 가변적 특성 1 :Z。 가셜 연 역 법 hypothetic-deduc-
tive method 141 가현운동 apparant movement 61 각성 arousal :Z7 9 간섭 이 론 interference theory 85, 18:z 간섭 활동 interpolated activity 176 갈등이 론 conflict theory :z:z6 감각귀 결 sensory consequences 157 감각기 억 sensory memory 8:z 감각저 장 sensory storage 11 。 감각정 보 sensory information 9:Z 강화 reinforcement 143, 199 강화기 능 reinforcement func- tíon :z0 4 개 념 적 학습 concepuralizing practice :Z1 6 개방기능 open skills 147, 191 개 방회 로이 론 open-l o op theory 15:Z 개 방회 로체 계 open-loop system 101 결과의 지 식 kowledge of results 199, :Z0 1 :z0 6 결합설 14:Z고경 ‘계 계 원1 반열 。 토m1? 4 5척 사 방 p lat센 e야 옆 때au ι아이∞ m16때뼈 때-6 , n1 6“9%” 總빼 d‘ ”m 고원형상 168 고정화 fixation 147 고정 화 단계 associative phase 16:z 골기 건 수용기 g 이밍 tendon organs 93 공간적 변수 1:Z :Z 공간지 각 space perception 58 공격 aggression 30 : z 공격이론 30 5 공격 적 행 위 aggressive be-
havior 30 3 공포 fear :Z7 9 과잉 학습 over1 e aming 179 과회상 reminiscence 173 관철수용기 joint receptors 94 관찰법 observation :Z7 교감신경계 37 교환이론 355 구섬 성 신경 afferent nerve 10:Z 구심 성 차단 deafferentation 10:Z 구조적 간섭 structural interference 7:Z 국부 마취 법 local anesthesia 10:Z군단위 chunk 85 굴곡반사 flexor reflex 4 。 권리 적 행 위 assertive behavior 30 4 귀납법 inductive method 141 귀 인 attribution 266 귀 언 이 론 attribution theory 262 근방추 muscle spindle 42 , 92 근원적 인간관계 이론 353 근원특성 source trai ts 23 1 근육선돼 변수 122 기능 skill 189 기능의 습득 162 기 억 memory 148 기억고 memory drum 117, 145 기억고 이론 memory drum theory 145 기억의 과정 81 기 억 의 폭 memory span 84 기 억체계 memory system 8。 기억흔적 memory trace 154 기질 temperature 223 기 질 접근법 dispositional approach 245 긴창 tension 51 」 내 배 엽 형 endomorphy 23 。 내장긴장성 viscerotonia 230
내 장수용기 interoceptors 92 내 재 적 피드백 intrinsic feed-
back 199 내 적 동기 intrinsic motivation 262 내 적 동기 이론 intrinsic motivation theory 262 내 적 표상 internal representa-tíon 110 내 향적 행 위 intropunitive be- havior 303 내현적 연습 implicit practice 216 노출시 간 exposure time 176 뉴런 neuron 29 뉴런의 구조 30 I 다양화 diversification 147 단기 운동기 억 short-term motor memory 175 단기 감각저 장 short-term sen-sory storage 8 I 단기 기 억 short-term memory 81, 113 단순화 simplification 161 대 근운동기 능 gross motor skill 191 대 치 displacement 84 도식 schema 156 도식이론 schema theory 155, 156도형 잔효 figural aftereffects 63 동기 motive 차 O 동기유발 motivation 251 통기 유발기 능 motivation func-tíon 201 통일요소설 identical elements theory 186 두뇌 긴장성 cerebrotonia 230 E 로르샤하 검 사 rorschach test 234 리더십 leadership 373 口 말초신경계 35 망각 forgetting 85, 88, 173 망각이론 181 명료화 articulation 161 무감화 훈련 desensitization traíníng 299 미 로반사 labyrinth reflex 44 닙 바닥효과 floor effect 167 바이오 피드백 biofeedback 298 , 299 반복적 분습법 repetitive part method 213
반웅 형성셜 142 반응결과 response outcomes 157 반응계획단계 79 방응명 세 response specifica-
tions 157 반응산출 피드백 response producted feedback 92 반응선택 단계 response selec-tíon stage 79 반응시 간 reaction time 70 반응연쇄 가설 response chain-ing hypothesis 9 。 반향 reverberation 86 반향기 억 echoic memory 84 방추회로 spindle loop 119 방향결정 orientation 161 변별학습 discrimination learn-ing 163 보강적 피드백 augmented feedback 20 。 보편적 행동이론 379 본능이론 instinct theory 30 5 부교감신경계 37 부적 전이 negative transfer 185 부호화 encoding 81 분산연습 distributed practice 209 분습법 paπ method 212 분화 differentiation 163 불변적 특성 12 。 불안 anxiety 279비만형 pyknic type 230 비 연속척 과제 discrete task 176 버 연속적 운동 discrete move-ment 195 비트 bit 67. 148 벙산형 프로파일 iceberg profile 244 A 사회 적 촉진 social facilitation 397 사회 학습이 론 social learning theory 305 . 309 사회 학습접근 social learning approach 232 상대 파지 relative retention 175 상반신경지배 43 상상적 연습 imaginary practice 216 상식 적 행 동분석 naive analysis of action 267 상위 수행 계 획 higher order executìve program 154 상정 적 시 연 symbolic rehear-
sal 216 상태 -특성불안 척도 state-trait ìnventory 290 상태불안 state anxiety 279 상황적 불안 situational anxi-ety 290새로운동작 발현의 문제 novelty problem 156 생 리 적 욕구 psychological needs 227 선정의 에러 error in selection II8 선행성 기억상실증 antrograde amnesia 86 성격 personality 223 성격의 구조 224 성격이론 225 성취동기 achievement motiva-tion 255 성취동기 귀인이론 attribution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267 성 취동기 이론 achievement motivation theory 255 세 장형 asthenic 23 。 소근운동기 능 fine motor skill 191 소멸 decay 84 소멸이론 decay theory 85. 182 소질 disposition 223 속도 변별 역 difference thre-
shold of speed 59 속도-정 확성 상쇄 speed-accuracy trade-off 125 속도역 threshold of speed 58 속도정 speed height 59 수단적 공격 instrumental aggresslO n 303순서화 sequencing 122 순수 분습법 pure part method 212 순응 adaptation 63 순행 간섭 proactive interference 86, 183 순행 제 지 proactive inhibition 180 스트레스 stress 279 스포츠 경쟁불안 척도 sport competition anxiety test 290 스포츠 수행 sport performance 14 시각 vision 95 시 기 억 vision memory 82 시냄스 전달 32 시상화 phasing 122 시 지 각 visual perception 58 신경계의 구조 34 신경 자극운동 neurobiotaxis 140 신경충격 nerve impulse 3 。 신장반사 stretch reflex 4 。 신체 긴장성 somatotonia 230 실제 감각귀 결 actual sensory consequences 159 실 행 의 에 러 error in execution 118 실험법 experimentation 25 심 리 역통적 접근 psychody-
namic approach 225 심리적 결정주의 psychologicdeterminism 225 심 리 적 시 연 mental rehearsal 216 심 리 적 연습 mental practice 215 싱 상훈련 image training 30 2 。 안전욕구 safety needs 227 암송 rehearsal 85, 88 압대 기 법 cuff technique 102 애 청 욕구 love needs 227 언어척 운동단계 verbal motor stage 162 여 과 fi1t er ing 205 역 U 가설 inverted U hypothesis 273 역 행 간섭 retroactive interfer-
ence 86, 182 역 행 성 기 억 상실증 retrograde amnesia 86 역 행 제 지 retroactive inhibition 18 。 연속적 과제 continuous task 176 연속적 운동 continuous move-ment 195 연속체 continuum 196 연습의 법 칙 law of exercise 142 연역법 deductive method 141 연접이론 connectionism 142연합설 association theory 142 영구차단법 permanant deaffer-entatlO n 103 영 상척 기 억 iconic memory 82 예 상감각귀 결 expected sensory consequences 159 예상된 피드백 정보 expected feedback information 159 오류교정 error correction 152 오류탐지 error detection 152 오류탐지 의 문제 error detec- tion problem 156 외 배 엽 형 ectomorphy 230 외 재 적 피드백 extrinsic feed-back 199 외 적 보조정보 external sup-
plimental information 199 외 적 수용기 exteroceptors 90 외 향적 행 위 extropunitive be- havior 303 요소의 순서 order of element 122 운동 반응시 간 motor RT 71 운동감각적 단서 kinethetic cues 200 운동기능 motor skill 189 운동단계 motor stage 162 운동단위 motor unit 93 운동명 령 movement com- mands 89 운동발생 기 movement gener-ator 114운동속도 movement velocity 59 운동잔효 kinethetic after-
effects 64 운동전 반응시간 premotor RT 71 운동제 어 체 계 motor control system 89 운동지각 58 운동집단 335 운동프로그램 motor program 89, 117, 154 운동학습의 과정 160 운동학습의 단계 160 운동학습이 론 motor learning theory 144 운동행 동 movement behavior z 운동협응 152 운동형 athletic 23 。 원초아 id 226 위 계 적 제 어모델 hierarchical control models 144, 154 유관가 pertinance value 109 유관정 보 pertinance informa- tíon II 。 유인운동 induced movement 61 음성 잔효 negative aftereffects 63 의 사결정 decision making 148 이중과제 dual task 71 이중자극 double stimulation71 인간행동체계 human behaving system 106 인 격 character 223 인공두뇌 모댈 cybernetic models 144. 151 인공두뇌 학 cybernetics 197 인 지 cognition 54 인 지 대 처 훈련 cognitive coping strategies 301 인지설 cognitive theory 143 인지 적 지 도 cognitive map 144 인지적 체계 157 인 지 화 단계 cognitive phase 162 인 출 retrival 81 일반 기술적 모델 general de- scriptive models 144. 155 일반화 generalization ‘ 163 일반화된 운동프로그램 gener-alized motor program 158 일반화설 theory of generaliza-tion 187 임 상 및 사례 법 clinical & case study 28 ^ 자극의 강도 79 자극의 명료도 79 자극확인 단계 stimulus identification stage 79
자기 감각수용기 proprioceptors 9 。 자동운동 autokinetic move- ment 61 자동조절체 계 servosystem 151 자동화 automatization .16 1 지동화 단계 autonomous phase 162 자아 ego 226 자아실현 욕구 self actulation needs 227 자유도 degree of freedom 152 자율신경계 36 자율훌련 autogenic training 301 장기 운동기 억 long-term motor memory 175 장기 기 억 long-term memory 81, 1 II, 173 장기회로반사 II8 재 방향 결정 re-orientation 161 재 인 recognition 110 재 인도식 recognition schema 157 재학습 relearning 173, 174 저 장 storage 81 저 장의 문제 storage problem 156 척 대 적 공격 hostile aggression 30 3 적 응모텔 adaptive models
144. 154 적 정 수준이론 optimal level theory 283. 285 전습법 whole method 212 전이 transfer 184 전 이 이 론 transfer theory 186 천이표면 transfer surface 186 천정 기 관 vestibular appratus 95 전체 지속시간 변수 122 전체힘 변수 122 절대 파지 abs 이 ute retention 174 절대 판단 absolute judgement 84 절 약점수 saving score 174 절연피질변 isolated cortical slab 87 점 진적 분습법 progressive part method 212 점 진적 이 완기 법 progressive relaxation technique 298 접합이론 bond theory 142 정 보기능 information function 201 정보량 67. 148 정보의 전달 31 정보이 론 information theory 78 정 보처 리 information process 149 정보처 리 단계 information processing stage 79
정보처리모델 information processing models 144. 148 정보처 리 체 계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149 정 신건강모델 mental health model 242 정 신훈련 mental training 293 정 적 전 이 positive transfer 184 정 확성 참조기준 reference of correctness 90 조건반사셜 142 조력 grading 122 조사 및 검사법 survey & test 27 존중 욕구 esteem needs 227 좌절 - 공격 가 설 frustratio n - aggression hypothesis 30 5 . 30 7 주관적 강화 subjective reinfor-cement 158• 159 주의 attention 148• 318 주의의 폭 84 주제 통각검 사 thematic apper-ception test 234 중배엽형 mesomorphy 23。 중추신경계 37 즉시적 기 억 immediate memory 84 지각 perception 53. 81 지 각기 제 percepual mechanism 109. 112 지 각혼척 perceptual trace
152 질문지 법 questionnaires 234 집단구조 347 집 단통조 group conformity 349 집단발달 341 집단에너지 이론 354 집 단웅집 group cohesion 355 집단의 유형 339 집단적합이론 354 직 중연습 massed practice 209 ^ 차단 masking 84 참조기 제 reference mechanism 9t , 152; ' 208 천정효과 ceiling effect 167 청 각 audition 96 청 기 억 au 며 tory memory 84 체 질 이 론 constitutional theory 228 체 형 이론 body type theory 228 초자아 superego 226 최초조건 intrafusal fibers 157 추내 섬 유 intrafusal fibers 93 추동이론 drive theory 283, 284 추적 반응 tracking response 98 추정 elaboration 161 추체 론 , pyramidal tract 46
추체 외 로 extrapyramidal tract 46 충동저감셜 142 E 타이 밍 timing 60 탐색 exploration 161 탐지 detection 110 탐침 반응시 간'. probe reaction tíme 71 통로용량 channel capacity ---1_ 4 9 _ 통제 소재 locus of control 268 통찰 insight 143 통합이 론 consolidation. t heory 183 투사법 projective tests 234 특성 traits 223 특성론 377 특성불안 trait anxiety 297 특성 척 접 근 traits approach 230 .J.J. 파이 현성 phi phenomenon 61 파지 retention 173 파지이론 retention theory 181 평 정 척 도 rating scales 234 폐쇄기능 closed skills . 147, 191
폐쇄회로이론 closed-loop theory 152 폐 쇄회로체 계 closed-loop system 91 표면특칭 surface traits 231 표출불안 척도 manifest anxi-ety scale 29。 피드백 feedback 89, 92 , 115, 151, 197 피드백 제 어 feedback control 197 -피 드백의 기능 201 피드포워드 feedforward 114 피드포워드 제 어 체계 feedfor-ward control system 205 피부감각 수용기 cutaneous receptors 95 피츠의 법칙 125 τ 5 하위종속계 획 lower order
subordinate programs 154 학습곡선 learning curve 164 학습기 제 learning mechanism 142 학습이론 learning theory 141 현상적 인과성 phenomenal causality 267 현상적 접근 phenomen 이 ogical approach 227 형성화 shaping l42 형 태 설 gestaltic theory 187 형 태 심 리 학 gestalt psychology 216 활성 화 activation 48 형 태 설 gestaltic theory 187 형 태 심 리 학 gestalt psychogy 216 활성 화 activation 48 회상도식 recall schema 157 회 상오차 recall error 179 효과기 effector 1 1 5 효과의 법 칙 law of effect 142
류정무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 논문 「성취동기가 운동수행에 미치는 효과」 외 다수 저서 r 운동수행의 심리학적 연구 」 외 다수 이강헌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 • 박사 수료 한국체육과학연구원 스포츠 심리학성 선임연구원 논문 「빼}른 동작에 있어서 시각 피드백의 역할」 외 다수 저서 r 최적 운동수행을 위한 심리적 컨디셔닝 j 외 다수 찍 씨에은날빡 -스E - -。초-니아 19언9 0 년-댐 표 10에---네 월z 학- 샘 1 。일학- m 펴낸날 ---199 0 년 10 월 20 일 지은이 류정 무 .01 강헌 펴낸이朴굶浩 펴낼곳民훌社 출판등록 196 6.5 . 1 9 제 1-I , P 호 은행지로번호 300 7 78 3 우편대체번호 。 100'P.3 얘 5 2 3 282 135- 1 20 서울 강남구 신사동 506 , 강남출판문화센터 5 층 515-2000-2( 영엽부),’ 155 -1 25 -0 0203 0- 75( 팩 (시편밀집리부)) @ 류정무 • 이강헌, 199 。 인문사회과학, 체육 • 스포츠 KDC/692•8 Printed in Se o 띠 , Korea 값 8 , 500 원
대우학술총서 (인문사회과학) 1 .*國語의 系統 였 l 쫓 /5 ‘ αm 원 2 文훌社훌훌 김 련 / 강 3 .~ 윈 3 商周史 尹乃1강 6.~ 윈 4À 間의 知能 홉 i~ 좋/ 값 7 때윈 5 中國古代文훌史 金 $ 主/값 3.001 원 6 日本의 홈훌훌 짧빼/값 5.~ 원 7 現 ft i;味짧 총益뺏/값 5 ,~원 8 베트남史 힘 二홈/강 5.~ 원 9 印度哲훌史 좀熙 훌 /강 5 ‘~원 lO 뺑國의風水思뺑 훌昌하/ 값 6 . α 'IJ 원 ll 社홉科훌과 훌훌 중빼 찌 / 값 2. 뼈원 l2 훌商主훌 £光洙/ 값 2 . 500 윈 l3 方言훌 짧 쌓/값 5 . 000 윈 14 빼造主. 없 斗永/값 4αU 윈 I 5 外交制度史 金짧/값 2 ,~원 l6 兒훌心理훌 騙써/값 7 , α 뼈 l7 언어심리학 행 8 觸/값 5 뼈윈 l8 法사회학 찢 않 / 값 6 뼈윈 l9 海洋法 ~f 빼浩 ,柳炳 훌 /값 4 없원 20 한국의 정원 體와/값 6. 뼈윈 21 현대도시론 훌大훌/값 4 ,뼈윈 22 01 슬람사상사 김정우1/값 3 . 600 원
23 동북 oμl 아의 뿔빼훌 짧훌/강 5.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