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무장
저자는 경희대 중국문학과를졸업하고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고고인류학과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프랑스 ~ I 대학고고학과 대학원에서 고고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건국대학교박물관장을 역입했으며 현재는건국대학교사학과교수이댜 뀌로뎨讓의舊石器文化가 있댜
중국의 考古學
중국의 考古學
책 머리에 1920 년 초, 몽고와 중국국경지대인 오르두스지방에서 최초의 구석 기시대유적이 발굴되었다. 그로부터 60 여 년이 지난 오늘날 중국구석 기 시대문화연구는 정상괘도에 올랐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외국인 고고학자들과 지질학자들에 의해서 시작된 구석기문화에 대한 연구는 1970 년대까지 거의 개척 기간이 되었으며, 1980 년대 초부터 과거 약 60 여 년간의 축적된 업적들이 정리·분석되기 시작했다. 중국의 고생 물학자와 구석기고고학자들은 대단히 신중하게 과학적인 모든 방법을 이용하여 축적된 자료들을 분석하고 있다. 그 예로서 1927 년부터 정 식발굴된 周口店第 1 地點의 종합보고서가 1985 년 과학출판사에 의해서 『 北 京 猿人造址綜合硏究 』 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으며. 이 책에서는 지 충·동물화석분류·花粉분석·당시의 환경·퇴적물의 토양학적 분석 • 첨 단과학에 의한 연대측정의 결과 그리고 北京猿人化石에 대한 분석내 용아 보고되었다. 이 책은 또한 현재의 중국고고학계의 수준을 나타 내고 있다. 960 만 평방킬로미터의 땅속에서 발견되고 있는 엄청난 양의 유적의 발굴보고서와 논문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책자들을 외국인 학자가 소화하기에는 대단히 어려운 실정이다. 중국을 화북과 화남으로 나누어 전기구석기시대 • 중기구석기시대 • 후기구석기시대 그리고 중석기시대의 문화 순으로 살펴보았다. 화북의 구석기시대 유적에 대한 연구는 중국고고학계의 표준이 되 고 있다. 동물화석과 인류화석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화남의 유적에 대해서는 장래의 보다 알찬 연구가 필요하다. 중석기시대 유적에 대한 글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아 직 표준 유적은 발견되지 못한 상태이다.
이 책이 중국구석기시대문화, 더 나아가서 구석기시대문화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기를 희구하고 장래에 발표되는 자료들을 더욱 수집하 여 필자의 잘못된 부분과 미비한 점을 시정할 계획이다. 본문 뒤에 1988 년 (考古學報)에 실린 陳鐵梅의 「我國舊石器考古年 代學的進展與評述」, 중 〈중국 구석기시대와 인류화석 유적절대년대 표〉를 참고로 실었다 . 이 책이 출판되기까지 도면을 정리한 필자 연구실의 현미수, 원고 정리에 도움을 준 사학과 대학원 이상규군에게 사의를 표하며 이 책 울 출판할 수 있도록 배려하여 주신 대우재단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 1988 년 12 월 최무장
중국의 考古學
차례 책 머리에 -- 5 서론 -- 12 제 1 장 구석기고고학 연구사 • 16 1 중국 고인류의 생활환경 -- 18 2 중국 고인류와 구석기문화의 시간과 공간 분포 -- 22 3 중국 구석기시대 문화면모 -- 23 제 2 장 자연환경 • 27 1 제 4 기 연구범위 -- 43 2 제 4 기 침적물 -- 46 3 제 4 기 표준 유적 -- 51 4 기타 제 4 기 중요 유적 -- 55 5 제 4 기 고기후 -- 58 6 인류 화석 -- 60 제 3 장 華北의 전기구석기시대 문화 • 62 1 西侯度유적 -- 62 2 藍田유적 -- 74 3 區河유적 -- 814 周口店 -- 93
5 營口 金牛山유적 -- 115 6 廟后山유적 -- 116 7 東谷 -- 120 제 4 장 華北의 중기구석기시대 문화 • 127 1 周口店 제15지점 -- 128 2 陝西 大 유적 -- 129 3 丁村유적 -- 137 4 山西 曲沃 西溝유적 -- 143 5 陝西 乾縣의 구석기 지점 -- 145 6 陝西 長武유적 -- 147 7 大同 靑磁窟유적 -- 152 8 석편타격면 분류 -- 156 제 5 장 華北의 후기구석기시대 문화 • 161 1 陽高 許家照유적 -- 162 2 오르도스유적 -- 172 3 時裕유적 -- 177 4 下川유적 -- 183 5 小南海 동굴유적 -- 189 6 周口店 山頂洞유적 -- 195 7 陽原 虎頭梁유적 -- 201 8 大同市 小站유적 -- 206 9 甘肅 混川유적 -- 209 10 遼寧 海城 小孤山의 뼈도구 -- 213 제 6 장 華南의 전기구석기시대 문화 • 217 1 화남의 포유동물 -- 2I7 2 元謀人유적 -- 2273 쁩西 觀音洞유적 -- 230
제 7 장 華南의 중기구석기시대 문화 • 237 馬增유적 -- 237 제 8 장 華南의 후기구석기시대 문화 • 24I 1 四川 資陽人유적 -- 241 2 昆明 星貢 龍潭山 제2지점 -- 246 3 柳江유적 -- 248 4 競山유적 -- 250 5 雲南 宜良유적 -- 252 6 貴川 普定 白岩脚 동굴유적 -- 258 7 麗江 木家橋유적 -- 262 제 9 장 중석기시대 • 264 1 중석기시대 개관 -- 264 2 河南 許昌 靈井 -- 267 3 山西 蒲縣 薛關유적 -- 271 4 황하 상류 拉乙亥유적 -- 277 5 大賢莊세석기 -- 284 6 鳳凰領유적 -- 293 7 중국 세석핵 검토 -- 299 8 기타 세석기 유적 -- 307 제 10 장 결론 • 3l8 찾아보기 -- 339 訪 -- 330중국의 考古學
서론 중국 고고학은 지질학자와 고생물학자들에 의하여 발견 • 발굴된 자 료들을 기초하여 연구되어 왔다. 또한 각 유적의 충위에서 출토된 동 물화석에 근거하여 유적의 상대편년을 설정함과 동시에 홍적세의 표 준지층, 황토의 분석자료, 화분분석 등을 비교 검토한 결과도 참고되 고있다. 1964 년부터 중국 동남쪽의 大理 • 蘆山 • 太姑와 部陽 등의 氷推石을 근거로 삼아 중국 흥적세 빙하기의 표준을 삼고 있다. 근자에 중국과 학원 고고연구소와 북경대학 역사고고전업반에서 절대연대를 측정할 수 있는 실험실을 설치하였고, 그곳에서 山西 西侯度 유적을 古地磁 測定方法 (Palaeoma gn e ti c t es t)으로 약 100 만년을 산출하여 중국 구석 기시대 유적 중 가장 오래된 곳으로 취급하고 있다. 더욱 중국 구석 기시대의 표준유적으로 되어 있는 周口店 제 1 지접의 13 층위(현재 17 층lum위i) ne를 sc en高ce地 D磁at측i n정g ) 방, 법피, 씨 온우트라랙니 방움법세 (F리is 방s io법 n ,T rac熱k 釋Da光tin 法g) (Th등er으mo로 산출하여 1~3 층은 230,000~256,000 년, 13 층은 700,000 년 등으로 계 산하고 있다. 후기구석기시대 유적에 대한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이용은 상당히 활발하다. 許家察, 時裕,下川, 小南海, 山頂洞 유적 등에 대한 산출 연대가 발표되고 있다. 小南海 유적에 대한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은 B.P.13,075 士 220 년이 산출되었고 山頂洞유적의 연대가 B. P.18,865 士
420 년이 산출되었는데 중국 구석기 고고학자들은 위의 두 유적에서 출토된 동물화석에 근거하여 전자가 후자보다 오래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종래 구석기시대 유적에 대한 편년설정은 고생물학 위주였고, 동물 화석과 공존된 타제석기에 대해서는 무관심으로 일관되어 왔으나 근 래에 구석기에 대한 연구의 심충도가 점차 깊어지고 있다. 華南지역의 구석기시대 유적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은 문제점을 안 고 있다. 화남의 동굴에서 다량의 인류화석과 포유동물화석이 타제석 기를 동반하지 않고 출토되고 있다. 유적의 충위 안에서 타제석기를 동반한 곳은 오직 貴州省 쁩西縣 觀音洞 동굴 유적 한 곳뿐이다. 그 유적은 1964~1973 년까지 4 차에 걸쳐 발굴되었고, 그곳에서 출토된 동물화석에 근거하여 전기구석기 시대에 해당된다고 보고되었다. 한편 야의 유적 Op en s it합프료 1980 ~1981 년 사이에 발굴된 四川省 資陽縣 雄魚橋 유적에서는 타제석기 가 출토되었고, 그 유적에 대한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은 25,100 士 400 년으로 나타났다. 위의 두 유적을 제의한 기타 유적의 편년설정에는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예를 들면 雲南省 元謀 上持村에서 출토된 앞니 두 점은 元謀猿人 이라는 명칭으로 학계에 보고되고 있는데, 그 유적에 대한 고지자측 정은 170 만년이 산출되어 중국경내에서 최고의 人類化石으로 알려지 고 있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元謀人 유적은 70 만년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I) 중석기시대 유적으로 1949 년 이후에 沙苑,靈井, 西桃山과 鳳凰嶺, 拉乙亥, 薛關 등의 유적이 정식 발굴되었고, 薛州 大賢莊 유적의 발 굴자가 그간의 연구성과를 종합 정리하고 있는 점도 중요시되고 있 다. 지면 관계상 신석기, 청동기와 철기시대의 문화에 대한 연구는 다 음 기회로 미루겠다.
. ~·- . -寧..夏·\'回 J..\族· / . 內_ 蒙._ 古.自J治.區/ ..·I 、I. '· .一 -·f /f t>. ·f삭 1- /·. r뿐.·,I· , rI\. . . i / ·.^,Y굽•t /' ~굼 . . /\ - / '(`r`\ l. o. I J `` .\.. I . / \ . \.~. T
제 1 장 구석기고고학 연구사 중국대륙에서는 대단히 풍부한 인류화석, 동물화석과 타제석기가 발견되고 있다. 지금까지 구석기시대 사람들의 흔적이 남아 있는 곳 은 200 여 곳으로 발표되고 있지만 실지로 발굴된 곳은 그리 많지 않 다. 구석기시대 인류화석으로 가장 오래된 元謀人은 지금부터 170 만 년 전으로 계산이 나왔고, 구석기시대 문화로서 가장 오래된 곳은 西 侯度 유적으로 180 만년 전으로 계산하고 있다. 또한 다량의 라마피테 크스 화석이 발견됨에 따라서 중국대륙을 인류기원지의 하나로 생각 하고 있다. 구석기시대 인류의 체질은 몽고종과 연계가 있을 것으로 보며 후기구석기시대의 柳江人울 몽고인종의 대표자로 보고 있다. 중국 구석기시대 고고학 연구는 비교적 늦게 시작되었다. 1920 년대 초까지 중국에서 구석기시대 유적이 알려지지 않았다. 1920 년 프랑스 인 리쌍 (E. Lic e nt) 이 甘肅 慶陽縣城에서 북쪽으로 35km 지 점 의 越家 含과 55km 지점의 辛家溝 등의 황토충과 그 밀의 모래 자갈충에서 인공이 가해전 石核 한 점과 석편 두 점을 발견하였는데 그것이 중국 에서 최초로 발견된 구석기 유적이다. 1923 년 프랑스 고생물학자 떼 이아르 드 · 샤르댕 (P. Teil ha rd de Chard i n) 은 파리 국립박물관의 파견 으로 중국에 도착하여 리쌍과 함께 오르도스 (Ordos) 일대를 조사하였 다. 그들은 오늘날 寧夏 回族自治區 靈武縣 水洞溝에서 한 곳의 후기 구석기시대 유적을 발견하였다. 그들은 리쌍이 1922 년에 조사하였던 내몽고 사라-오소―골유적을 발굴하여 다량의 포유동물 화석과 석기
를 발견하였다. 동시에 사람(어린이)의 윗중간 앞니 (門齒) 한 점이 발 견되었으며, 후에 중국학자들은 이것을 〈i먀佳人〉이라고 불렀다. 周口店 北京人유적은 1921 년 스웨덴 지질학자 앤더슨 (Anderson) 에 의해서 발견된 후 1927 년부터 정식으로 발굴이 시작되었다. 초기에 발굴자들은 문화유물을 주의하지 않았다. 1929 년 裵文中이 최초의 북 경인 두개골을 발견한 이후에 인공이 가해진 석영편을 발견하였다. 1931 년 북경인 유적 동북 모서리에 있는 〈소0 子堂〉에서 대량의 석영편 이 발견되어 북경인이 제작한 석기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의에 고 척추동물학자 楊種健과 데이아르는 1929 년에 山西 서부와 陝西 북부 에서 신생대 후기지충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河曲縣의 長城 內外, 神 木縣 북쪽, 橋林縣과 米脂 사이의 輸林河 北岸, 吳堡縣 그리고 石樓 縣사이의 황하 양안에서 구석기 산포지를 발견하였다. 또한 周口店 제 13 지점, 제 15 지점과 山頂洞유적 등이 발굴되었다. 1949 년 이후에는 1929 년에 성립된 中國地質調査所 新生代硏究室의 기구를 확장하여 中國科學院 古背椎動物과 古人類硏究所룰 설립하였 다. 그리고 12 년 동안 계속된 周口店 발굴을 재개하여 북경인 이빨, 아래턱, 이마뼈, 뒷머리뼈 등을 발견하였다. 이전에 발견된 북경인 화석은 1941 년 태평양전쟁 때 모두 분실되었다. 그 이후에 山西의 丁 村, 區河, 西侯度, 時裕, 許家察, 下川, 陝西의 藍田, 大盆, 河 1 t의 虎頭梁, 東谷蛇, 河南의 小南海, 甘肅의 環縣, 遼寧의 廟后山, 小孤 山, 湖北의 大治, 四川의 漢源, 銅梁, 雲南의 路南, 元謀, 貴州의 觀 音洞, 砲灰洞, 猫猫洞 , 靑海의 小柴旦湖 등의 구석기시대 유적과 湖 北長陽, 廣東 馬增, 廣西 柳江, 安徽 和縣과 菓縣, 山東 祈源, 遼寧 金牛山등 중요한 인류화석 지점 등이 모두 최근 30 년 동안에 발굴 • 연구되었다. 현재는 북쪽의 흑룡강반에서 시작하여 남쪽으로 서남변 경의 雲貴高原과 廣東 • 廣西까지 이르고, 서쪽으로 靑藏高原에서 시 작하여 동쪽으로는 황해의 해변까지 27 省, 市, 自治區에서 구석기시 대의 인류화석과 인공이 가해진 석제품이 발견되고 있다. 그러한 지 점은 기본적으로 인류전화와 구석기문화 발전의 여러 시기를 대표한 다. 그러한 지점들에 대한 절대연대 측정을 위하여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 古地磁측정, 화분분석, 岩性분석 등을 이용하고, 포유동물 화 석과 비교 연구하고 있다.
1 중국 고인류의 생활환경 지질의 흥적세 시기는 고고학상의 구석기시대에 해당된다. 동물군 의 성질, 퇴적물의 특칭과 기타 환경변화의 인수에 근거하여 홍적세 롤 전기 • 중기 • 후기 동 3 기로 나누고 있다. 전기홍적세의 시작과 끝 연대는 300 만년에서 100 만년까지로 보고 있다. 이때는 구석기시대 초 기의 최초 단계에 해당된다. 중기홍적세는 100 만년에서 10 만년까지로 정하고 있는데 이때는 구석기시대 초기의 중기 • 후기 단계이다. 후기 흥적세는 10 만년에서 1 만년까지로 구석기시대 중기와 후기가 포함된 다. 중국에서는 4 만년부터 후기구석기시대의 시작으로 본다. 흥적세 때는 기후상에 극렬한 변화가 있었다. 북반구의 위도가 높 은 곳, 중간 정도 및 낮은 지대의 높은 산 위에 대규모의 빙하활동이 있었다. 빙하의 전전과 후퇴는 한랭한 빙하기와 온난한 간빙기를 여 러 차례 교체시켰고, 해수면도 증가와 감축을 시켰으며 氣候帶의 이 동, 동식물의 이동과 사멸 등을 가져왔다. 그러한 사건은 초기 인류 문화의 발전에 거대한 영향을 주었다. 또한 그로 인하여 많은 학자들 은 빙하서열이 홍적세 分期의 중요한 표준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였 다. 유럽은 빙하연구의 기초가 비교적 잘 되었다. 20 세기초 알프스산 북쪽 언덕의 빙되석과 상응된 단구지형을 근거로 해서 도나우강 지류 의 명칭을 따라 균즈 • 민델 • 리스와 뷔름 동 네 번의 빙하기를 결정 하였다. 두 빙하기 사이에 한 번의 간빙기가 있었다. 얼마 후에 균즈 빙하기 전에 도나우빙하기를 하나 더 추가시켰다. 중국 지질학자 李 四光은 알프스의 前 3 대 빙하기와 비교하여 중국 동부의 빙하 순서를 郡賜 大姑와 直山빙하기로 결정하고 두 빙하기 사이에 한 번의 간빙 기가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중국 동부 흥적세 빙하기현상은 유럽처럼 뚜렷하지는 않다. 그리고 연구의 역사도 짧아서 아직 학계의 의견은 일치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흥적세의 기후변화는 전 지구에 걸치 는 성격을 띠고 있어서 중국도 예의는 아니다. 중국의 홍적세 지층 보존과 노출상태는 상당히 양호하다. 화북에 있어서 동굴되적을 제의하고는 흥적세 각 시기마다 모두 발육이 양호
한 河流와 河湖相 퇴적충을 가지고 있는데 그 분포면적이 넓고, 두께 (충)도 두껍다. 그리고 연속된 시간이 장구한 黃土도 있다. 중국 납 쪽(화남)은 석회암지구의 동굴되적이 광범위하게 분포되었다. 그러한 지층들은 풍부한 인류화석, 문화유물과 포유동물 화석을 보존할 수 있는 지질조건을 가지고 있었다. 지충과 동물군은 또한 중국 구석기 문화 서열을 건립하는 중요한 기초가 되고 있다. 지층과 동물군 입장에서 보면 화북 홍적세는 4 개의 시간단위로 나 뉘어지는데 차례대로 泥河灣期, 公王嶺期, 周口店期와 馬蘭黃土期 등 이다. 泥iiiJ灣期는 전기홍적세에 해당되고, 公王嶺期와 周口店期는 중 기홍적세의 전기와 후기에 해당되고, 馬蘭黃土期는 후기흥적세에 해 당된다. 泥iiiJ灣期의 지층은 자갈, 모래, 泥灰岩 및 帖土로 구성된 河湖相 퇴적 등이 대표가 된다. 泥河灣동물군은 長鼻三址馬, 板齒코뿔소, 后 裂瓜獸 등 제 3 기말의 잔여 種屬이며 코끼리, 말, 낙타, 야생소, 양 등은 근대 포유동물의 屬울 구성하였다. 그 중에는 북방유형의 동물 이 많은데 그것은 당시에 비교적 서늘한 疏林草原 환경을 반영하고 있다. 泥灣灣期의 지층은 횡적으로 山西, 河北 兩省의 泥河灣盆地롤 제의하고, 황하 중류의 沿滑地區에서도 노출되어 있다. 이 지층에서 세 곳의 구석기시대 유적이 발견되었다. 山西 남부의 西侯度와 泥河 灣盆地 내의 小長梁, 東谷蛇 동이다. 당시의 환경은 사람들이 호수 가장자리, 강안단구에서 활동한 것을 보여준다. 公王嶺期 지층에 개재된 고토양의 두꺼운 충은 原生황토(일명 午城 황토)가 대표적이다 .. 그것의 표준지점은 陝西省 監田縣의 公王嶺이 다. 그곳에서는 藍田人 두개골화석과 석기가 발견된 이의에 38 종의 公王嶺동물군이 있다. 여기에는 제 3 기에 속하는 種屬으로 거대한 劍 齒忠 나왕瓜獸 등이 있으며 흥적세종속 현생종속 등은 전체 동물군 의 13% 를 차지한다. 公王嶺동물군 중에는 상당수의 南方종류가 있는 데 그것들은 大態猫, 東方 劍齒虎, 거대한 맥, 중국맥, 중국瓜獸, 毛 冠사슴과 소문영양 등으로 당시 화북의 기후가 온난, 습윤하였으며 특히 藍田地區의 기후는 열대의 특칭을 약간 가지고 있었다. 公王嶺 期의 인류활동 유적은 藍田 의에 山西 남부의 區河 등지에도 보였다. 당시 사람들은 강계곡 지대에서 활동하였다.
周口店期의 표준지점은 북경인 유적으로서 동굴되적이다. 이때 황 토는 화북에 널리 퇴적되어 지질학상 紅色 土 또는 離石황토라고 부른 다. 주구점동물은 100 여 종으로 조성되었는데 그것들은 세 가지 종류 로 나누어지고 있다 : 1) 泥河}천期 잔류 종속, 劍齒虎, 居氏큰해리, 三門말, 2) 전정한 홍적세 종속, 나마코끼리, 덜코뿔소, 큰뿔사슴, 중국하이에나, 동굴곰과 楊氏호랑이, 3) 상당수의 현대 포유동물종이 출현, 이리, 갈색곰과 많은 소형 설치류 등이다. 생태학적인 입장에 서 보면 이러한 동물군은 기후와 지리환경이 매우 복잡하였음을 반영 하여 준다. 그러나 대부분은 온대 古北界의 동물 종류이다. 그러한 사실은 당시 주구점 일대의 기후가 온대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으며 오늘날 화북의 기후와 접근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 주고 있다. 그러 나 그 사이에는 여러 차례의 추위 • 따뜻함 • 건조하고 습한 기후의 변 화가 반복되었다. 馬蘭黃土期의 지충은 분포가 대단히 광범위한 후기홍적세 馬蘭 黃 土 와 하류적 또는 하상적 퇴적이 대표가 되고 있다. 표준 동물군은 오 르도스 동남쪽의 河湖相 퇴적 중의 사라―오소―골 동물군이 대표적 이다. 그것들은 나마코끼리, 야생낙타, 普氏야생말, 털코뿔소, 노씨 낙타, 말사슴(馬鹿), 오르도스큰뿔사슴, 王氏물소, 옛소와 최후하이 에나 등으로 대부분 초원에 적응된 동물들이다. 그러나 상당수가 물 가와 산림을 좋아하는 것들도 있다. 동물군의 입장에서 보면 화북은 당시에 전 시기보다 한랭하고 건조하였다. 홍적세 기간에 東北과 華北의 기후는 차이가 그리 크지 않았다. 이 러한 사실은 근래에 遼寧과 吉林에서 발견된 중기홍적세의 동물군에 서 나타나고 있다 . 요령에서는 북경인과 대체로 같은 시기의 인류화 석과 문화유물이 발견되었는데 그것은 요령지구가 당시에 초기 인류 활동 범위 안에 포함된다는 것을 반영하여 주는 것이다. 후기홍적세 부터 동북과 화북의 기후상의 차이가 점차 명백하여졌다. 그 시기에 동북에서 활동한 것들은 〈 舊 象―털코뿔소 동물군〉이다. 그것들은 시 베리아동물군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예를 들면, 이리, 동굴곰, 舊 象(옛코끼리), 보통말, 털코뿔소, 말사슴, 큰뿔사슴, 옛소 등이다. 그것들은 중국 ·동 북쪽으로부터 시베리아로 이동하였고, 그곳에서 다 시 유럽 쪽으로 옮겨간 흔적도 있다. 그 동물군은 사라_오소―골 동
물군에서 볼 수 없는 舊象과 동물야생소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한 차이는 후기홍적세 동북의 기후가 비교적 한랭하고 습윤하였다는 것 을 나타내 준다. 위도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長江 이남지구는 홍적세 기간에 기후변 화가 북방처럼 뚜렷하지 않았다. 분포가 광범위한 석회암동굴 또는 균열된 퇴적충에서 大態猫―왔Jj齒象동물군이 발견되었는데 이러한 동 물군은 전기홍적세의 것들부터 후기홍적세까지 이른다. 그러나 그러 한 동물군은 전기 • 중기 • 후기로 분류되고 있다. 華南에도 河湖相퇴 적에서 홍적세 동물군이 존재하였다. 예를 들면 전기홍적세의 雲南 元謀동물군과 후기홍적세의 四川 資陽동물군이 대표적이다. 元謀동물 군은 서늘한 疏林草原 환경을 반영하고, 大態猫-왔 l j齒象동물군은 온 난 • 습윤한 山林환경을 반영한다. 資陽동물군은 물소, 물사슴과 劍齒 象 등 大態猫―劍齒 象 동물군의 성분을 제의하고 高寒지구에 사는 舊 象 울 포함하고 있다. 홍적세 빙하와 간빙기의 기후영향에서 식물 역시 상응된 변화를 가 져왔다. 華北은 한온대, 온대구역과 아열대구역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에 빙하기, 간빙기 기후교체 변화의 극심한 영향을 받았 다. 포분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전기홍적세 때부터 후기홍적세에 이르 기까지 그곳은 적어도 5 번의 冷期(추운)와 4 번의 온난기 (따뜻한) 기간 이 있었다• 냉기의 연평균기온은 지금보다 4~TC 낮았다. 온난기의 연평균기온은 지금보다 높았다. 냉기 때에는 暗針葉林( 雲 杉, 소나무), 冷杉林, 또는 雲杉, 冷杉, 松林 등이 있었고, 때로 雲 杉, 冷杉, 松林 등도 있었으며, 때로는 雲 杉, 冷杉, 소나무의 針葉闇葉混交林 등이 발육되었는데 그것들은 高山으로부터 강계곡과 平原 등 북쪽에서 남 쪽으로 퍼져나갔다. 냉기가 극성한 단계에는 건랭한 기후에 적응되는 草原性식물로 대치되었다. 온난한 시기에서는 침엽활영혼교립 또는 활엽립이 성행하였다. 公王嶺의 藍田人은 온난한 때에 생활하였으며 許家蒸人은 냉한기 때 생활하였다. 北京人의 시대는 50 만년까지 연속 되었다. 그 사이에 여러 차례 냉한기와 온대가 교체되었다. 빙하작용에 의한 해수면에 대한 증가와 하강 및 신구조운동은 중국 동부에 제 4 기 이래 여러 차례의 海侵과 海退가 발생하였다. 후기홍 적세 때 낮은 해수면 시기에 그 수준은 지금보다 130m 정도 낮아서
黃海北部大陸이 가교로서 노출되어 포유동물과 사람들이 육지로부터 연해의 섬들로 이전할 수 있었다. 전신세 (충적세)에 이르러서 기후가 서서히 따뜻하여짐에 따라서 해수면이 다시 증가되어 상당수의 육지 가 다시 바다 속으로 침수되었다. 2 중국 고인류와 구석기문화의 시간과 공간 분포 중국에서 발견된 인류화석은 상당히 풍부하다. 최초로 발견된 北京 人, 오르도스인과 山項洞人 등의 인류화석은 중국 인류전화사의 윤곽 을 제시하여 주고 있다. 초기 直立人의 화석은 元謀人, 藍田人(公王嶺)과 湖北 貝[縣의 자료 등이다. 후기 직립인의 화석은 특별히 풍부하여 北京人울 제의하고 和縣人, 金牛山人 및 安徽 菓縣, 山東 祈原, 河南 浙川과 南召, 湖北 郞西, 貴州 桐粹, 遼寧 廟后山 등에서 자료가 발견되었다. 초기 네안 데르탈인(智人)의 화석으로는 大芬人, 許家察人, 丁村人, 馬增人, 長 陽人 및 遼寧 땅左 등지의 자료 등이다. 후기네안데르탈인(현생인류) 의 화석은 柳江人, 오르도스인, 山項洞人, 資陽人 및 遼寧의 建平, 海城, 丹東, 甘肅 運川, 雲南 麗j I 과 台灣 省左鎭 등의 자료 등이다. 발견된 구석기지점(유적)은 인류화석 유적보다 훨씬 많다. 시대에 따라서 구석기시대 초기의 최초단계, 구석기시대 초기의 중기와 후 기, 구석기시대 중기와 후기 등 4 기로 나누고 있다. 전기구석기시대 초기의 유적지는 모두 4 곳이다. 山西省남부의 西 侯度유적, 雲南省 북부의 元謀人유적, 河北省 북부의 小長梁유적과 東谷蛇 구석기시대 유적 등이다. 西侯度유적은 古地磁 연대측정으로 지금부터 180 만년, 元謀人유적은 古地磁 연대측정으로 170 만년, 小長
梁과 東谷蛇는 고지자 측정으로 100 만년 정도이다. 지리적 입장에서 보면 元謀人유적은 중국 서남의 雲貴高原, 해발 1,250m 에 위치하고 있다. 西侯度유적은 황토고원지구의 강계곡지대, 해발 500~520m 지 점에 위치하고 있다. 小長梁과 東谷蛇는 화북평원에서 몽고고원에 이 르는 중간지점, 해발 900m 상에 위치하고 있다. 그것들의 분포는 북 위 25•13 에서 40·13' 사이에 있다. 4 곳 유적 모두 오래된 분지의 가장자리에 놓여 있다. 西侯度유적이 강물되적상에 있는 것을 제의하고 기타는 모두 河湖相 퇴적에 있었다. 전기구석기시대 중기와 후기는 北京人 시기에 해당되거나 또는 그 시기보다 다소 이르거나 늦은 유적들이다. 藍田人과 區iiiJ유적은 北京 人유적보다 다소 이른 시기이다. 여러 가지 동위원소 방법과 古地磁 측정 결과 北京人유적은 지금부터 70 만년에서 20 만년까지 지속되었 다. 北京人유적보다 다소 늦은 유적은 大蓋人유적과 許家察유적이 대 표적인데 그것들은 우라니움세리방법으로 전자가 지금부터 23 만년에 서 18 만년 사이, 후자는 12.5 만년에서 10 만년 사이이다. 지리적 위치 는 황하 중류 및 그 주요 지 류인 淸 iiiJ' 沿iiiJ 유역 등이 다. 중기구석기시대 문화유적은 지리적 분포상 전 일단계 문화의 범위 에 속한다. 화북에서는 일반적으로 馬蘭黃土의 아래 자갈충 또는 여 기에 상당하는 지층을 후기홍적세 초기로 보고 있다. 여기에 중기구 석기시대 문화 충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丁村의 시대는 지질학계 에서 아직도 쟁론이 되고 있으며, 몇몇 학자들은 이를 중기홍적세 후 기에 속한다고 보고 있다. 후기구석기시대에 이르면 유적의 분포는 대단히 광범위하다. 화북 지구에서는 구석기시대 유적이 황토고원에 분포되어 있다. 몽고고원 과 화북평원에도 상당수가 있다. 동북지구는 북쪽으로 흑룡강 유역의 漠iiiJ까지 분포되었다(북위 52'24'05~25'11, 동경 125'19'56~29 '30 ). 呼璃十八팜유적 (북위 52'24'05~25'11, 동경 125'11'56~29'30 )과 激 江 유역의 昴昴溪유적 (북위 47' 2' , 동경 123'53') 등지이다. 구석기문화 는 서쪽으로 확장되어 靑藏高原에 이르고, 서남과 화남에서는 분포가 더욱 확대되어 台灣省에서도 인류화석과 문화유물이 발견되고 있어 사람들이 대륙으로부터 연해도서로 이전한 좋은 예를 제시하여 주고 있다. 3 중국 구석기시대 문화면모 구석기시대 전기의 최초단계는 西侯度유적이 대표적인데 이 문화의 석편(石片) 제작방법은 직접타법, 모루상타격법, 모루상충격법(석제를
높이 쳐들어서 모루상에 충돌시켜 원하는 석편을 얻는 법) 등 세 가지 방 법을 사용하였다. 비교적 작은 깔때기형 석핵과 타격면상의 능을 타 격점으로 삼은 석편들의 존재는 석편제작기술의 수준을 설명하여준 다. 석기로는 긁개 (밀개 포함), 단一양면기, 그리고 지충으로부터 멀 리 떨어져서 발견된 삼릉대첨두기(주먹도끼 ?) 등이 있는데 전자는 비교적 간단하게 만들어졌다. 이 유적에서는 불에 탄 뼈가 출토되어 이미 불을 사용한 흔적을 보여준다. 그러나 상당수의 학자들이 불의 사용설에 의문을 품고 있다. 西侯度유적보다 늦은 시기의 束谷fC 와 小長梁유적에서는 직접타격법과 모루상타격법 (石材를 모루 위에 울려 놓고 망치로 타격을 가하여 석편을 얻는 방법)을 사용하여 석편을 얻었 다. 직접 타격법에 의해서 얻어전 많은 수의 석편들이 얇고 길어서 석편제작기술의 수준이 상당히 발전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석기로 는 여러가지 유형의 긁개, 첨두기와 칼 등인데 크기가 상당히 작다. 중국 전기구석기시대 초기단계의 문화는 그 수준을 말하기는 어렵지 만 그보다 이론 문화의 존재도 예상할 수 있다고 본다. 전기구석기시대 중 • 후기의 자료는 비교적 풍부하다. 북경인 유적 의 퇴적층은 40m 이상의 두께가 되며 그것은 40~50 만년의 간격을 가지고 있다. 북경인은 여러가지 종류의 석기를 제작하였을 뿐만 아 니라 불을 통제할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은 또한 사슴과 야생말 등의 대형동물들을 사냥하였다. 북경인의 석기 제작기술은 상당한 수 준에 도달되어 있었다. 예를 들면 맥석영은 周口店 부근에서 풍부히 산출되었다.그러나 그 석재에 직접타격을 가하여 원하는 석편을 얻기 는 쉽지 않았다. 그래서 북경인은 모루상타격법을 채택하여 원하는 석편을 얻을 수 있었다. 석기는 삼릉대첨두기, 주먹도끼 (手J'f:)' 사냥 돌과 여러 종류의 긁개(밀개 포함)와 첨두기가 있었다. 북경인 유적 의 후기충에서 발전된 유형의 석기, 조각기와 송곳 등이 출토되었다. 여러가지 기술이 전기구석기시대 중 • 후기 동안에 나타났다. 학자 들은 화북에 적어도 두 가지 문화계통이 존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나는 대형석기 위주의 區河―丁村系로서 대표적 유적은 藍田, 區 河, 三門峽 등이다. 다른 문화계통은 소형석기 위주의 周口店 제 1 지 접―時裕系이며, 대표적 유적은 周口店 제 1 지점, 제 15 지점, 大芬, 許 家察 등이다. 이 두 가지 전통은 석기 제작기술과 석기유형의 특색을
가지고 있다. 모루상충격법은 전자의 주요기술이고 후자는 모루상타 격법이 주요기술이다. 양면타격된 석기는 전자에 많고 후자에는 단면 가공된 것이 많다. 전자 석기의 기본유형은 단―양면기, 삼릉대첨두 기, 주먹도끼 (手芹)와 사냥돌 등인데 특히 단-양면기의 수량이 많 다. 후자 석기의 기본 유형은 긁개 (밀개 포함), 첨두기, 조작기와 단 ―양면기 등인데 그 중에서 긁개가 가장 많다. 그리고 단-양면기는 드물다. 두 문화계통은 여러 방면에 차이가 현저하다. 東北에서는 遼寧省 本溪縣의 廟后山에서 石物이 발견되었다. 貴州 省뿜西縣 觀音洞에서 발견된 石物은 화남의 대표적인 것 중의 하나이 다. 그 문화의 특징은 대부분의 석편이 직접타법에 의해서 만들어졌 고, 모루상충격법에 의한 것은 소수라는 점이다. 대부분의 석기는 석 편으로 · 만들어졌다. 크기도 비교적 작다. 단면가공의 석기가 대부분 이다. 날각은 상당히 커서 대부분 75· 이상이다. 석기는 긁개 위주이 다. 또한 밀개 (端섰舌 l j肖 I 澤), 단―양면기, 첨두기, 소량의 송곳, 오목 긁개와 조각기도 있었다. 그러한 것은 觀音洞의 석기가 북경인의 것 과 여러 면으로 같거나 접근됨을 표명하여 주고 있다. 중기와 후기구석기시대에 이르러서 중국 구석기문화는 대단히 발달 된 단계에 이르렀다. 전 시기에 이미 타격면을 준비한 기술이 발달되 었는데 중기의 丁村에서는 더욱 많이 응용되었다. 후기에 속하는 水 洞溝유적에서는 기다란 석핵과 긴 석편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석기 제작기술상 가장 중요한 변화는 화북의 후기구석기시대에 전형적 細 石器 제작기술이 출현한 것이다. 즉 간접타법으로 細石葉(소형석편) 을 만들고 압력법으로 제 2 차가공을 해서 석기를 제작한 것이다. 그 예로서 山西省 남부의 下川유적의 연대는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으로 23,000~16,000 년 (B . P) 이 계산되었다. 이러한 전형적인 세석기 제작 술은 소형석기 전통의 기초 위에서 발전되었다. 후기구석기시대 유적에는 여러 유형의 긁개, 첨두기, 조각기, 송 곳, 톱니석기 등이 출현하였다. 특히 화북에서는 석기가 소형화 추세 로 변하였다. 사라-오소―골, 時裕, 小南海, 劉家盆 등의 석기는 모 두 작다. 사라-오소-골의 석기는 일반적으로 2~3cm 의 크기이다. 그리고 무게는 1~2 g이다. 그러한 것들이 화남에도 존재하였는데 예 를 들면 富林석기 등이다.
遼寧 海城 小孤山, 周口店 山項洞, 四川 資陽, 寧夏 水洞溝, 貴州 興義 猫猫洞과 普定 察洞 등의 유적에서는 뼈바늘, 뼈작살, 뼈송곳, 뼈칼과 뼈삽 등이 출토되었다. 또한 周口店 山頂洞과 海城 小孤山에 서는 짐승이빨, 새다리뼈, 조개껍질, 잔자갈 동으로 장식품을 만들었 다. 몽고고원상의 水洞溝석기는 유럽 무스데리안문화(중기구), 오리냐 시안(후기구)문화와 유사한 점이 많다. 예를 들면 타격면을 준비한 긴석핵, 원형석핵, 긴석편, 삼각형석편 및 삼각형석편으로 제작한 무 스데리안 유형의 긁개와 밀개 등이다. 또한 예로서 황토고원에 분포된 下川문화와 薛關문화의 석기는 간 접타법에 의해서 만들어전 석편상에 압력법으로 제 2 차가공을 가하여 석기를 제작하였는데 이것은 전형적 세석기 제작방법이다. 華南, 중기 • 후기구석기시대 문화는 지역성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곳은 富林, 銅梁 猫猫洞, 百色盆地, 元謀-宣良 등 문화의 구역성 울 나누고 있다. 그러한 문화 중 觀音洞문화와 銅梁문화는 밀접한 관 계가 있다고 본다. 銅梁문화는 뼈, 뿔제의 공구와 모루상타격법에 의 한 석편을 가지고 있다. 猫猫洞유적 출토의 석기는 그 석편상에 벽개 면으로부터 삭박면상에 제 2 차가공을 하였다. 모두 강력한 지방색채 의 후기구석기문화를 대표하고 있다. 소형석기 위주의 富林문화와 대 형석기 위주의 百色盆地의 석기는 화북 양대 구석기문화 전통과 밀접 한 관계가 있다. 화남의 구석기문화는 지역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화북 구석기문화와 일정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2)
제 2 장 자연환경 중국은 아시아 제국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은 9,600,000 km2 로서 아시아에서 가장 크며, 세계 면적의 14 분의 1 을 차지하고, 유럽 전체 면적보다 크다. 중국은 복위 22·~53' 와 동경 73·~13T 사 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기후는 열대, 아열대, 온대의 지역으로 구분 되고 있다 .3) 6,000 만년 전(제 3 기 팔레오세)에 중국은 대략 북한 5.~ 40· 사이에 위치하고 있었다. 당시 중국 남부는 금일 적도 부근의 인도네시아, 말레이지아 일대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최북부의 黑龍江省은 금일의 北京 일대에 머물러 있었다. 대자연의 마력은 중국을 北向으로 2,000 km 옮겨 놓았다. 금일의 靑藏(靑海 • 西藏) 高原은 당시에 파도가 십 한 古地中海였고, 중국 동부의 渤海, 黃海와 東海는 아직 출현되지 않았다. 그곳은 원래 식물이 무성한 濱海平原(그립 2) 이었다. 제 3 기 중기 에오世(약 3,000 만년)에 이르러 印度板魂의 남쪽에서 北向으 로 물이 흘러 내려왔다. 古老의 亞洲大陸은 印度板魂의 충돌과 제압 을 받아서 아주대륙 남단의 西藏 • 育海地區전체가 상승되었다. 古地 中海에서는 동쪽에서 西向으로 중국대륙을 점진적으로 退出시켰다. 그때부터 西南의 모든 큰 산, 강즈스산(岡低斯山), 昆金山 등이 출현 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중국 동부는 지세가 낮아서 東海, 黃海가 강하되기 시작하였다. 대략 1,500 만년 전의 마이오世에 이르러 히말 라야산이 아주대륙의 남단에 융기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靑藏高原
시대 ~1 -j!,'ij:디 요i5 미 四川盆地 1 }이 \l\섭 海外島路 태평양 l 商渡 (M)
의 동쪽에 大興安嶺, 太行山, 雪峰山 등의 산맥이 서쪽의 광대한 지 역에 전개되었다. 왜냐하면 印度板魂의 北向과 太平洋板魂 등이 西向 의 압력을 받아서 부단히 융기되었기 때문이다. 당시에 天山, 알타이 산, 雲南貴州(雲賞)高原, 내몽고高原, 黃土高原 등이 高海 拔로 형성 되었다. 그것은 중국지세의 제 2 개 階桃(고도 1,000~6,000m) 가 조성 된 것이다. 중국 동부沿海는 히말라야 조산운동의 영향을 비교적 약 하게 받아서 1 계열 동북서남향으로 펼쳐진 저산구릉과 그 사이의 분 지 • 평원을 형성시켰다. 예를 들면 大興安嶺, 太行山, 雪峰 山, 長白 山, 股遼山地, 그리고 東南丘陵 사이의 松花江, 遼寧盆地, 華北平原, 長江中 • 下流平原 및 珠江三角洲 등이다. 대략 200 만년 이후의 제 4 기에 도달해서 중국의 산천지세는 금일의 면모와 기본적으로 접근되 었다. 약 5,000 만년 전의 에오世 때는 광활한 中原大地는 기후가 대단히 온화하였다. 順風이 불고 햇볕이 따뜻하고 가는 비가 때때로 내려서 생기가 · 만연하였다. 측정된 바에 의하면 당시 北京地區연평균 기온
은 15°~20·( 현재 연평균기온 12·c 이하)에 이르렀다. 울리고世에 이르 러 중국 동복, 화북지구 기온이 점차로 하강하고, 雨量이 감소되고, 大西北地區에서는 古오브海가 新疆으로 退出됨에 따라서 기온이 점차 건조하기 시작하였다. 마이오世에 이르러 기후는 약간 희전되었다(그 립 3). 胞粉 분석자료에 근거하면 화북지구 식물군에는 많은 열대, 아열대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다. 아열대기후의 북쪽 경계선은 적어도 현재보다 北向으로 1,000 리 (현재 아열대의 북쪽 경계선은 秦嶺―淮河 경 계이다)가 이동되었다. 중국의 서남지구는 인도양 난류의 영향을 받 아서 시종 열대, 아열대기후에 머물게 하였다. 그것은 중국 식물계의 3 대 活化石(水松, 水杉과 銀杏)을 서남지구에 보존하도록 만들어 주었 다. 플라이오世 이후에 대륙성기후가 진일보 발전하여 기온이 갑자기 하강되고, 강우량도 감소되었다. 서북지구는 더욱 건조하게 되었다. 최후 지질시기, 제 4 기에 전입되어 빙하기후가 출현되었다. 이 기간 에 기온은 冷, 暖 교체가 여러 차례(빙하기와 간빙기) 있었다. 그리고 지금부터 1 만년 전의 현세에 비로소 기후가 따뜻하게 변하여 금일의 기후에 접근하게 되었다.
지질시대 고기후 변화 곡선 고기후단계
상기한 고지리, 고기후의 영향에서는 5,000 만년 이전의 식물군의 면모는 현재와 완전히 달랐다. 에오世 (5,000 만년 ~3,700 만년) 때는 신 생대 식물군의 황금시대였다. 당시 神}사대지는 도처가 원시삼림이 무 성하였고, 사계가 푸르렀다. 죽 오늘날의 고비사막은 이끼의 대지처 럼 삼림이 무성하였다. 江河湖沼 중에는 각종 동식물 종류가 번성하 였다. 바로 그것들은 금일의 중국 신생대 油田(勝力油田, 大港油田) 중 석유의 물질 기초를 구성하였다. 올리고세 (8,700 만년 ~2,200 만년) 때에 이르러서 기온이 하강함에 따라 서부지세는 솟아오르고, 열대, 아열대에 적응하여 성장하던 상록활영립의 면적은 대대적으로 축소되 고(그립 4), 조생 초목생물이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마이오세 후기 에 이르러 기후는 더욱 건조해지고, 우량은 뚜렷이 감소되어 서북지 구 삼립은 대대적으로 축소되면서 초원이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그리 고 사계상록의 활엽립은 강남 고륙으로 물러갔다. 제 3 기말, 플라이 스토세 (500 만년 ~200 만년)가 되면 서북지구 초원은 전일보 확대되고,
닿燦 닳1添拍미닿燦 詞l>[0中t어ltF0>>曲 l어lF ll1`어宁p R ·三검= ·;·; 1; i;립:; 딜想” T..直 7 r 역 .~`., 밑• I •mU 뺑L .• *臨 .. ‘ :. ... ‘:;;
동시에 기후는 건조한 방향으로 발전하여 화북, 동북지구에 계영림 (松柏 위주)과 낙엽활엽립이 병존된 針間葉混交林을 형성시켰다. 그 러나 서남지구는 여전히 사계상록적이다. 제 4 기에 중국 삼림면적은 더욱 축소되고, 대 서북지구에서는 초원과 사막이 출현하였다. 4) 제 4 기와 제 3 기의 한계선은 아직까지 통일되지 않았다. 현재 세 가지 의견이 있다 : ® 180 만년설, @ 248 만년설, 그리고 ® 332 만년 설이다. 다수의 고생물학자들은 180 만년이라고 주장하고, 古地磁학자 둘은 248 만년, 다수의 빙하학자들은 332 만년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는 앞의 두 가지 설이 가장 합리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S) 중국 고생물학자와 구석기 고고학자들은 제 4 기와 제 3 기의 분(한) 계선을 180 만년으로 보고 있다. 중국의 제 4 기는 남북 두 지 역으로 구분되는데 그 중심은 秦嶺山脈 또는 양자강(長江)이다. 그 남쪽을 화남, 북쪽을 화북이라고 부른다. 전 대륙을 통하여 냇물, 강, 바다와 바람에 의하여 되적된 침전물 이 산재되어 있다. 특히 礎石과 帖土, 黃土 또는 모래언덕의 퇴적물 들은 중국의 지형, 지층과 인류사 발전에 중요한 역할울 하였다. 일 반적으로 점토와 역석은 전기흥적세에 속하고, 華南의 紅土(l a t er it e) 는 중기홍적세, 황토 또는 모래 (風成雄積物)는 후기홍적세에 속한다. 이러한 순서의 퇴적물은 중국 전 대륙의 홍적세 기간 동안의 시간과 공간의 여러가지 관계를 잘 나타내 주고 있다. 이러한 세 가지 지질상(홍색점토, 紅土, 황토)은 연속적이다. 馬蘭 의 黃土는 중기홍적세의 점토로 덮여 있으며, 중기의 접토는 湖水的 점토(전기흥적세) 위에 퇴적되어 있다. 전기홍적세 때에 華 1 t의 침전물은 대부분 湖水的이다. 중기흥적세 는 점토와 紅土(華南) 등이 대표적이다. 중기흥적세 때의 점토는 山 沙t1( (Soli flux io n ) 에 의 해 서 쌓여 진 충으로 제 3 기 最新世 (Pl ioc ene) 평원상에 퇴적되었다. 황토는 기후의 특수한 조건에서 퇴적되었는데 그 기원은 아직 지질학상에서 정확히 모르고 있다. 중국 제 4 기의 기후는 1941 년 헬므트 드 떼라 (Hellmu t de Terra) 가 인도의 히말라야 빙하기와 비교하여 정의를 내리고 있다(표 1). 또 한 그는 그립 5 6) 에서 다음과 같이 중국 흥적세 기간의 기후순환을 나타내고 있다.
표 1 중국 제 4 기 의 지 형 순환 히말라야 빙하 지질 형성 및 현상 황토순환 후기 현세 阜蘭 期 충적토 홍적세 4 번째 빙하 板橋 침식 3 번째 빙하 馬蘭期 황토 淸 水 침식 중기 2 번째 빙하 周口店期 고황토 홍적세 混水 침식 홍색 점토 離石 황토 전기 1 번째 빙하 三門期 午城황토 흥적세 沿河 침식 홍색 점토 제 3 기 ? 保德期 三址馬 풀라이오세 唐縣 침식 홍색 점토 de Terra Teil ha rd • 楊 • Barbour 柳·張
Il
I S imp son 의 방사선 Il Barbour 의 화북 기 후변화 fil de Terra 의 4 G. 차균 츠빙,하 기M . 순민환델 , R. 리스. w. 뷔름 (원, Hellmut de Terra)
口
2. Iii山지역의 빙하분포도 접선지역 : 鄭陽의 빙되석 발전 실선지역 : K i nch i ne 과 Tulu 지역의 점토球 발전 (원 李四光)
,, ,, ,,,/////,,, 그-〈
1. 풀라이오세초기 (뽕티안) 2. 빌라프란키안(馬의 충위) 3. 전기홍적 세(홍색점토) 4. 황토 G. 계곡, F. 단충 1~2 분지 중앙의 호수 3~4 화석 퇴적물 (원 Teil h ard) 중국 제 4 기의 빙하문제는 1922 년부터 중국과 외국학자들에 의해서 오랫동안 연구(그립 6) 되어 왔다. 1964 년 이후 동남지역의 大理, 麻 山, 大姑와 鄭陽 등의 빙되석을 정식으로 중국 제 4 기 빙하기로 인정 하기 시작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표 2 를 참조하기 바란다. 중국 제 3 기 말 플라이 오세 (Pli oc ene) 와 제 4 기 의 한계 는 1948 년 영 국 런던에서 개최된 국제지질학회에서 결정되었다. 이때 泥河灣地層 은건에 제서 4 기형초성에되었 속다하(그는립 것 으7)로. 이인 정충받 았위다에.서 泥는河 많灣은層 은포 유한동랭물한 기화석후이조 출토되었다. 그 중에서 三址馬(Hipp ar i on) 가 대표적이다. 三址馬의 점토충과 三門(泥河灣 또는 三門전기) 사이에 沿iiiJ라는 침식충(그립 8) 이 三門下에 놓여 있다. 三門의 퇴적은 호수적으로 한랭하고 건조 한 기후조건에서 형성되었다. 중국의 재 4 기 지질학자 楊鍾健은 泥河
沿河
-----125
a. 최신세 초기표토, b. 빌라프란키안 단구 C. 전기홍적세단구 (원 Teil ha rd) 灣 의 퇴적물, 周口店의 발굴과 중국 북쪽의 지질현상(그립 9) 을 연구 한 이후에 三門울 전기와 후기의 2 기로 나누었다. 三門의 기본적인 동물화석은 三址馬와 말 (Eq uus) 의에 많은 수의 제 3 기의 잔존 동물들 이다. 1923 년 周口店(三 r, 후기) 퇴적은 제 3 기 플라이오세로 고려되었 다. 그래보 (Amdeus W illiam s Grabau) 는 1972 년에 周 口店퇴적을 흥적 세 전기라고 주장하였다. 楊 鍾 健과 그의 동료들은 화북에서 홍적세의 세 가지 기본충위를 확인하였다. 三門(i尼河 潟 ), 周口店과 馬 蘭黃 土 (후기홍적세) 등이다. 이러한 세 층위는 1948 년부터 중국 홍적세의 기본 충위가 되고 있다. 華 北의 황토순환(그림 10) 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7) 2 차세계대전 이후부터 중국 홍적세 충위에 대하여 수차 수정을 가 하였다. 1940 년 중국지질조사소의 학자들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를 떼 이 아르 드 샤르댕 (Teil ha rd de Chardin ) 과 모비 우스 (Moviu s ) 가 정 리 발표하였다. 중국 홍적세 충위에 대한 모비우스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 下三門 은 紅帖土, 上三門은 紅赤色帖土, 그리고 馬 蘭 黃土의 세 가지 충위로 匡分하였다. 이러한 3 단계의 충위는 沿iiiJ' 禮 7k, 淸 7k 와 板稿 등 침 식에 의하여 나뉘어졌다. 이 세 가지 대단위 퇴적은 세 가지 중요한
黃 土
동물과 관계를 가지고 있다 : 下三門(泥河땝期)은 三址馬―馬, 上三門 期(周口店期)는 北京猿人―厚皮사슴, 그리고 黃 土時期(사라-오소―골) 는 코끼리-최후하이에나 등이다 .8) 이와 갇은 구분은 1949 년 이후에도 계속 홍적세 충위의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1950 년에 지질조사가 증가되고,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자료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특히 그 중에서 花粉學 (Palyn olog y) 자료는 제 4 기 지질연구에 새로운 면모를 제시하여 주 었다. 1959 년에 제 1 차 전중국충위학회가 개최되었다. 거기에서 제 4 기 (Q ua t erna ry)를 QI , Q2 , Q 3 와 Q 4 로 구분하였다. 처음 세 가지는 홍 적세 전기, 중기, 후기를 대표하고 마지막 Q 4 는 충적세(현세, Holocene) 를 대 표한다. 新疆, 타이 댐 (Taid a m) 분지 , 靑海―甘肅, 내 몽고 북쪽과 東北, 北中國, 長江 하류, 福建―浙江, 長江 중류, 廣西 一廣東,西南部, 티베트, 台灣 등의 홍적세 충위들은 상기한 네 가지 분류와 일치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 학회에서 柳東生은 북중국의 황토충위는 雨期 (Pluv i al) , 間雨期 (ln t er p luv i al) 와 관계가 있다고 주장 하였다. 1964 년 柳東生은 고생물학(포유동물, 무척추동물, 식물), 구석 기, 기후변화(氷椎石, 빙하주변, 황토, 湖岸線변화, 古壤土, 침식흔적, 카르스트와 石灰石湯花), 구조와 지형학, 철대연대 등을 근거로 해서 다음과 같은 작성하였다(표 2). 1975 년 다론 북중국 제 4 기지질학회가 湖北 平山에서 개최되어 층 위도표를 수정할 것을 결정하였다. 새로운 수정내용은 다음과 갇다 : 최근까지 중국 흥적세 편년은 상
뀔I!l:= 어펴→님··F ζ!{ι예~r…Hr‘·따”볕 E *플“ * 끓특~동:: f 좀특〕-;싸써을i ;얀 (:i H j륙 둔 ¥ b 젊썩:i끓E :i뚫mm{E{i·그i} 〉뼈고 혀‘「{‘‘J ‘ 뻗}월{h시 렀 쉰a흐ζ 꽃「:등X( i :←iii써’를’qj(l」딴 r-뚫 뿔1뀔뻐#- 뀔 $μ5훌~운도혐앓、‘{표S | R →•I!않-I내|너 :훨 、。.τ바뀔.I~{ :! 」.!i ;i놓뺑 셋특닫훌공얻크월혔 一 릎i1:!iiili;iI; -:필 FF짧봐패: '혜F0 쉴i;g!i 꿇t륙I띠옳 i # 행 ~ 머 얻(캘EZf ||I ||||!I|I 빼뼈 F 뚫끊 옳 :)뽀월 공뿔;ιS「{ 훨뀔엇{ 패 뚫| ( 릎 뚱쉴i댄!i!i:1;i !원:원뻐설감#·바g- 뚫 斷며훌 1양g({ 앓 |~ 듬l:T ,핏불,앓훌 .,
모획밟~뢰 a S4쉴+gl 터:d?싸흙 §¥혈£정 꿇서 ;! 꿇j< .. 를1:1r1’ μ다모1i*i; i:-;; 훌;:
”i(3j-: ~”·: 쉰y*~ N ,니}‘-(s1 ; : 쓴‘-‘:':=,H연:' jIIIII i꿀,- :·i :;‘ !iI’;I • ‘.뱅등=Ur그.o c -~: ·ιν동 !:’II ,암올.‘•I,- ’;}n-;-; 11I:’ 현.욕;:.:_ι 쁘:.; IlIII 인~~~-, .흥←;‘. 셔역틀깅숫{
대연대로서 지역적, 대륙적 동물화석을 기준으로 상호 비교한 후 설 정하였다. 유일하게 北京猿人 출토 충위에 대하여 우라니움-토리움 (Uraniu m -Thoriu m ) 방법을 사용하여 철대연대를 측정하였다. 文化革 命 이 후에 방사성 탄소측정 과 古地磁측정 (Palaeomagn e ti c Dati ng ) 방법 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방사성 탄소 연대를 측정할 수 있는 실험실 이 중국 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지질연구소, 桂陽 地化學연구소, 북경 대학 등에 설치되었다. 雲 南 元謀의 지질구성에 대한 古地磁측정방법 이 북경에 있는 중국과학원, 지화학연구소에서 실시되었다. 또한 元 謀의 샘플이 桂陽 지화학연구소에 우송되어 고지자측정이 의뢰되었 다. 그 산출결과는 상기 두 연구소가 모두 같았다. 홍적세 빙하 연구가 전쟁중에도 李四光에 의하여 계속되었으며, 이 러한 연구는 지난 10 년 동안에 더욱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빙하의 흔적이 東南의 大別山, 太行山, 秦嶺山, 天山, 四川 남북, 四川 서 남, 貴 州 동남, 졸모 룽마 (Jo lmo Lung rna ) 산(에 베 레스트산) 에서 발견 되었다. 이곳에서 部陽,大姑, 麻山, 大理등 네 번의 빙하기와 세 번의 간빙기 흔적을 발견하였다. 가장 중요한 새로운 발견은 1966~1968 년 사이에 발견된 졸모 룽마 산 지역이다. 빙하와 연관된 지역에서 지질 단면의 관찰, 동물과 고생물(花粉포함) 등의 분석으로 세 번의 홍적세빙하, 두 번의 간빙기, 그리고 세 번의 後氷期相이 확 인되었다. 이것들은 또한 동아시아 (Eas t As i a) 의 표준빙하 연속으로 알려져 있는 카시밀지역 (Kashm i rArea) 과 비교 연구될 수 있다고 보 고 있다. 홍적세 환경에 대한 연구의 하나로 花粉硏究 (Pal yn ol gi cal Stu d y ) 가 중국에서 1950 년부터 시작되 었다. 그 중요한 연구결과가 그 이후 10 년 동안에 이루어졌다. 그 연구결과 과거의 기후변화를 암시 하여 주는 긴 식물마디, 뿌리, 북경원인 동굴퇴적, 충적세 泥炭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졸모 룽마 지역에서 채취한 빙하관계의 화분샘플은 홍적세 동안에 히말라야산맥이 융기되고, 기후가 변화한 데 대한 정 보를 제공하여 주고 있다. 호수의 바닥과 泥炭퇴적층에서 채취한 포 자-화분 (Sp o ro-Pollen) 화석 은 식 물의 생 장 (Veg et a t i on al) 과 기 후의 역사에 대한 새로운 자료를 제공하여 주었다. 古人 (Early Man) 에 대 한 地史 (Geohis t o r ic a l) 연구와 고환경 의 복원 울 위하여 중국의 중요한 지역에 최근 몇 년 동안 조사단을 파견하여
조사를 시켰다. 예를 들면 티베트 졸모 룽마 지역, 雲 南 元謀, 陝西 藍田, 北京 周口店 등지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 洪積世史(지 질, 고지형, 고생물, 고식물―花粉)에 대한 자세한 복원을 할 수 있었 으며, 더 나아가 전 중국의 홍적세 충위를 수립할 수 있는 바탕이 제 시되었다. 중국 흥적 동안의 사건 (Even t s) 들, 동물화석과 빙하 편년을 유럽의 그것들과 비교를 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중국전역을 통한 것이 아 니고 지역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과 시베리아의 뚜렷한 홍적세 충위 서열은 내적으로 증거가 있는 중국의 지역들과 상대연대를 연결 지울 수 있다고 보고 있다. 8) 우리는 지금까지 홍적세 동안의 자연환경을 살펴보았다. 그것에 대 한 구체적인 내용을 다시 한번 살펴보겠다. 왜냐하면 흥적세 지질 죽 제 4 기 지질연구는 구석기시대, 중석기시대 그리고 신석기시대 문화 편년에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지질 제 4 기 연구는 지질발달사 중에서 가장 최신의 일장이며, 또 한 그 시기는 지질발달사에 있어서 가장 짧은 순간이다. 지질역사는 일반적으로 오래된 순서로부터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라고 분류되고 있다. 신생대는 또 제 3 기와 제 4 기로 나누어지고 있다. 제 4 기 동안 을 동위원소 측정으로 200 만년으로 보고 있는데 이때는 眞馬가 출현 한 시기이기도 하다. 오스트랄로피데크스인을 300 만년으로 보고 있기 도 하다. 제 4 기 중에 가장 중요한 사건을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 다. 첫째는 제 4 기 古氣候의 한냉과 온난의 변화로서 여러 차례의 빙 하기와 간빙기를 유발시킨 것이다. 두번째는 전 지구상에 해수면이 올라가고 내려오게 된 것이다. 세번째는 제 4 기 생물계의 발전과 대 규모 이동이며, 네번째는 인류 및 그 문화의 발생과 발전이며, 다섯 번째는 지각의 구조운동과 화산활동 등이다. 제 4 기의 연구는 현재의 자연환경과 인류의 발생과 발전에 대한 이 해와 연구이기도 하다. 이러한 연구의 범위는 제 4 기 지충학, 고기후 학, 제 4 기 지질의 침전학, 신구조운동학과 古人類 방면 등이다. 다시 말하면 제 4 기 지질은 地統學,기후학, 地史學, 고생물학, 고 고학, 沈積岩石學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제 4 기 (Q ua t erna ry)라는 명칭은 1829 년에 프랑스인 데노아이에르(J. Desno y ers) 가 최초로 제시하였다. 1839 년 영국의 유명한 지질학자 라 이엘 (C . L y ell) 이 洪積世 (Ple i s t ocene) 라는 용어를 제시하고 동시에 근 세 (Recent E p och) 로서 全新世 (Holocene) 라는 용어를 제시하였다. 이 러한 명칭이 포함하고 있는 의의는 오랫동안 수정과 토론을 거쳐 현 재는 통일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제 4 기는 또한 홍적세(統)와 전신세 (統)로 나누어지고 있으며, 홍적세는 전기흥적세, 중기홍적세, 후기홍적세로 또한 분류되고 있다. 1 제 4 기 연구범위 중국 제 4 기 침전물 연구 중 대표적인 것은 북방의 黃土이다. 북방 각 산간 분지의 古湖水沈積, 화북평원의 河流沈積과 湖水沈積, 동부 지구의 海相沈積과 海陸過渡相沈積, 남방의 紅土와 동굴퇴적 등이다• 그 중에서 황토에 대한 연구는 큰 성과를 얻고 있다. 제 4 기 표준지층의 구분과 地層表를 만드는 것은 제 4 기 지질학의 기본문제이다. 현재 각국은 자기 나라의 區域地層울 만들고 있으며, 중국도 제 4 기지층표(표 3) 를 제시하고 있다. 제 4 기는 비록 200 만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였지만 자연계의 발전 과 변화는 대단히 뚜렷하다. 제 4 기의 침전물은 시간의 先後를 따라 서 순서적으로 되적되었다. 죽 제 4 기의 침적층은 모두 일정한 침적 層序을 가지고 있다. 제 4 기 지층층서를 구분하는 것은 제 4 지질을 연구하는 기초가 된다. 제 4 기 지층구분에서 제일 중요한 문제가 제 3 기와 제 4 기의 한계 를 구분하는 것이다. 1948 년 런던에서 개최된 18 차 국제지질학회에서 이탈리아 북부의 육상되적물, 빌라프란키안 (V ill a-Franch i an) 과 해상 의 칼라브리안 (Calabr i an) 을 전기홍적세의 표준지층으로 정하여 줄 것을 건의하였다. 중국의 북방의 泥河灣組가 전기흥적세의 표준지층 이다. 제 4 기 古氣候는 매우 홍미있는 연구과제이다. 기후변천사상 제 4 기 고기후는 한냉으로 변한 것이 그 특징이며, 이것이 제 3 기와 제 4
표 3 中園 第四紀 ' 地円과 자연환경 | 지질 절 유럽 | 중국 고고학 시대 중국남쪽 중국북쪽 년 대 신세전 대년대 후빙기 臣河文 -化T 村 時周第 口裕1 店地文 點化- 시신 석기대 없毛口文化? 小南海文化 山頂洞人文化 후 時裕文化 기 후 50,000 뷔름 大理 기 홍 중 구 丁村人文化 許家符人 적_ 100, 000 -E간-e빙-m-기- - -- --丁---村--- - 馬長增陽人人 I 文化 가 석기 리 스 盧山 시 서 1 ------ 대 北京人文化 중기 500, 000 H간ol빙ste기 in -周-口 店 Ill.音洞 (地周點口포店함 )第 15 전 ------ 文 化 기 1,000,000 CT간-간e균r--민og빙빙--m즈 델e--기기 l--e e-- r n --郡太西公- - - - --侯王------度嶺姑陽--- 西藍臣田侯河度人f文 文文 1 化化t I’’Ii’I:’III’ ? ,'’I I III 전기 2,000,000 -도-나--우-- 빙元, · 하--기謀 元謀人文化 !iI’I 龍 川 빙하기 3,000,000
기 구분의 뚜렷한 표지이기도 하다. 제 4 기는 전 기구상울 한랭하게 만들었으며, 그 사아에 여러 차례의 춥고, 덥고, 건조하고 습한 파동 울 경과하였다. 상당수의 위도가 높은 지역과 高山지역에서는 빙하가 중가되고 해빙이 교체되었으며, 非氷河지역의 낮은 위도상에는 아열 대의 고압권에 들어갔으며 북부에는 雨期(潮濕期)와 間雨期(건조기)가 되었다. 근세기초 펜크 (A. Penck) 와 브뤼크너 (E. B rti ckner) 는 알프스 산에 서 균즈 (Gi lnz ) , 민 델 (Mi nd el) , 리 스 (Ri ss ) , 뷔 름 (Wurm) 등의 4 차 빙하기를 확인하였다. 이 4 차 빙하기는 전세계 제 4 기 빙하기를 대표하는 표준이 되었다. 후에 알프산에서 더 오래된 빙하기의 퇴적 물을 발견하여 도나우 (Donau) 라고 명명하였다. 중국 동부의 제 4 기 고기후 연구는 1930 년대 초기에 시작되었다. 당시 李四光은 麻山 및 중국 동부의 여러 지역을 근거로 해서 유명한 4 차 빙하기 :都陽, 大姑, 麻山과 大理롤 확인하였다.!) 이것은 중국 동부 제 4 기 고기후연구에 대한 새로운 章이 되었다. 제 4 기로 빙하기와 간빙기의 교체는 전 지구상의 水動型 海面昇降 을 직접적으로 유도하였다. 현 자료연구에 근거하면 뷔롬빙하기 전성 시기 (B.P. 15,000~17,000 년 전)에 전 지구상의 해면이 지금의 해면보 다 130m 정도 낮았다. 당시 대륙의 대륙붕이 거의 대부분 海面에 노 출되어 중국과 일본열도가 연결되고, 아시아의 숙지 (Chukch i)반도와 북아메리카의 알라스카반도 사이에 있는 베링해협이 유명한 陸橋로 변하여 양대륙 동식물들의 이동 통로가 되었다. 제 4 기 동안의 生物界의 변화와 발전은 제 4 기의 중요한 내용이다. 특별히 포유동물의 변화는 인류의 출현과 직접 관계되어 있고, 동시 에 제 4 기 포유동물의 변화 단계는 제 4 기 지층을 구분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제 4 기 식물군의 변화와 組合은 古氣候를 복원하는 중요한 표지가 된다. 바다 속의 제 4 기 무척추동물군과 미생물군의 조합은 대양의 古氣候 및 古海水 온도변화의 정항을 알려주었다. 제 4 기 동안은 비교적 짧지만 지곡운동은 계속되었다. 특히 화산활 동과 지진은 인류의 생활에 직접적 영향을 주었다. 중국에 근년래에 발생한 몇 차례의 강렬한 지진은 바로 제 4 기 이래 지곡운동의 직접 적 표현이다. 중국 신생대연구사를 잠깐 살펴보자. 중국 제 4 기 지질학의 연구는 19 세기말과 20 세기초에 시작되었다.
당시에 의국과 중국학자들이 황하 유역에 분포된 황토에 대하여 관심 을 집중하였다. 독일인 F. 리크토펜 (R ic h t o fe n) 이 중국의 황토를 상당 히 광범위하게 연구하였다. 동시에 그는 황토 구성의 요인은 바람(風 力)에 의한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러시아인 오브르치에부(B. A. Oap y g eB) 는 중국 서북부지역을 광범위하게 조사한 후 중국의 황토는 전 형적인 風成雄積物이라고 주장하였다. 근세기초 미국인 윌리스 (B. W illis) , 바부르 (G. B. Barbour) 와 스웨 덴 인 앤 더 슨 (J. G. Anderson) 등 은 중국북방의 신생대 지질을 조사하고 새로운 학설을 제시하였다. 앤더슨이 1923 년 발표한 『中國北部之新生界』라는 책은 화북의 신생대 지층을 광범위하게 묘사한 것이다. 중국학자로서 제 4 기 지질에 대하여 지대한 공헌울 한 사람들은 李 四光·楊鍾健·裵文中 2) .劉東生 등이다. 그들은 제 4 기의 빙하, 고 생물지충, 고인류와 考古 및 고지리 등 방면에 탁월한 업적을 남겼 다. 李四光은 중국 동부 제 4 기 빙하의 연구를 실시하여 독특한 견해 를 제시하고 중국 長江 유역 제 4 기 빙하퇴적을 발견하였다. 楊鍾 健 • 裵文中은 화북 • 서북 동지에서 유명한 표준지접 및 표준지층, 예 롤 들면 保德組 갑爭樂組 • 周 口店組 • 사라-오소-골組 등을 발견하였 다. 북경원인의 최초의 두개골 발견자는 裵文中이다. 中國第四紀硏究委員會는 1957 년 성립되고, (中國第四紀硏究)라는 잡지를 출간하였다. 2 제 4 기침적물 침적물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3 종분류법을 채용하고 있다. 2mm 로 서 자갈과 모래를 구분하고, 0.05mm 로써 모래와 고운 모래를 구분 하고 0.005mm 로써 고운 모래와 帖土를 구분하고 있다. 입자의 구분 법은 연구대상에 따라서 다르다. 類粒형상에 있어서 화강암자갈, 혈암자갈, 석영암자갈 등의 형상이 다르다. 예를 들면 沖積자갈, 海成자갈, 風成자갈과 빙하자갈 등은 서로 다르다. 모든 자갈은 모두 3 개 축 : 長軸(最大長軸) • 中軸(최대너 비) • 短軸(최대두께)를 가지고 있다. 3 축은 상호 수직적이다.
자갈(礎 石 )의 방위는 쇄설 운반방향과 동력조건에 따라서 놓여 있 다. 서로 다른 요인에 의해서 생긴 자갈은 그 長軸과 福平面의 배열 방향이 다르다. 層理는 침전물의 주요한 특징의 하나이다. 그것은 침전물이 동력조 건의 작용에서 물질성분, 색깔과 結構가 규칙적 순서로 되기 때문이 다. 이것들은 동력조건의 변화에 따라서 변화된다. 이로 인하여 서로 다른 총리가 출현된다. 충리는 운반 介質(개재물), 운반방향과 침적 환경을 연구하는 근거가 된다. 총리의 형태나 層系(細層)의 두께는 총리유형을 구분하는 기초가 된다. 침적층의 충서와 침적환경을 이해 하기 위해서 충리에 대한 자세한 묘사와 측량이 필요하다. 침전물의 물질성분은 침전물의 각종 특성을 결정하는 - 기초가 된다. 침전물 광물성분 조합을 연구하면 源區母岩의 성질을 이해할 수 있 다. 예를 들면 山城岩禁岩區의 광물조합으로부터 石英 • 正長石 나鼓斜 長石 • 黑 雲 母 • 인회석과 각산석이 나온 것이다. 침전물의 색깔은 가장 중요한 표지가 된다. 그것은 침전물의 성분 울 반영하고, 침전시의 기후 및 침전지역의 介質조건(관입조건)을 나 타내어 주며 제 4 기 지층을 구분하는 중요한 표지가 된다. 침전물의 색깔은 原色과 次色으로 나누어진다. 침전물 형성시 原生광물 조성의 색깔을 原色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石英모래는 백색, 長石모래는 피색, 자철광모래는 흑색이다. 침전물 형성 이후에 다른 작용 또는 풍화작용에 의하여 침전물 원 래의 성분에 변화를 가져오면 그 색깔도 따라서 변하는데 이것을 次 色이라고 부른다. 제 4 기 침적총 중에서 언제나 볼 수 있는 것이 古土壤來層이다. 특 별히 중국 북방의 新 • 老(古)黃土에 古土壤來層이 발육되었다. 고토 양충의 존재는 당시 成土作用의 조건을 표명하는 것으로서 주위 환경 의 일종 종합 표지이다. 토양은 일정한 공간의 산물일 뿐만 아니라 시간의 개념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離石黃土의 고토양은 갈색 森 林性토질이고, 馬蘭黃土中의 고토양은 흑색으로 건조한 草原기후의 산물이다. 빙하되적물, 빙하는 個體介質이다. 그 침식, 운반과 퇴적의 방식은 기타 介質과 다르다. 빙하에 의해서 운반되고, 퇴적된 물질을 氷推石
(morain e ) 이 라고 부른다. 중국 제 4 기 침적물의 발육은 기후, 地親와 구조인소의 통제를 받 았다. 중국지역은 광활하여 기후가 복잡하다. 그것들은 한온대, 온 대, 아열대와 열대를 경과하였다. 제 4 기 침적물은 기후 변화에 따라 서 緯向帶狀으로 분포되었다. 북에서 남으로 한온대의 凍土, 난온대 의 黃土와 類黃土, 아열대와 열대의 紅土로 분포되었다. 秦嶺 以~t의 광대한 북방지역은 沈積物이 알칼리성 성분 위주이며, 그 색깔은 백색, 회색 및 황색으로 과립(알갱이)이 상당히 거칠다. 秦嶺 이남은 침적물이 鐵質과 산성 위주로서 그 색깔은 紅色이며 고 운 알갱이의 점토가 보편적으로 분포되었다. 중국북방의 예로서 제 4 기 各期의 河湖相沈積과 黃土推積의 교체는 제 4 기 동안에 수차례 대 규모 기후변동이 있었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 華北地區 上新世로부터 침적물의 발전된 순서는 紅土 一 河湖相沈積 一 綜紅色 土狀淮積 一 河流沖積 一 綜黃色 黃土 一 河流沖積 一 灰黃色 黃土一河流沖積 등이다. 제 4 기 지충은 제 4 기 동안 각종 지질현상과 지질사건을 연구하는 기초가 되며 古地理와 고자연환경을 복원하는 근거가 된다. 제 3 기 말과제 4 기 지층의 구분에 있어서 호그 (Hau g)는 흥적세의 시작은 3 종의 포유동물 新層의 출현이 표지가 된다고 주장하였다. 그 것들은 코끼리屬 (Ele p has), 소屬 (Bos) 과 말屬 (E q uus) 등이다. 이것들 은 제 3 기에 없었다. 다론 한편 기후가 한랭하게 시작할 때가 제 4 기 시작이라고 주장하였다. 예를 들면 빙퇴석과 凍土層과 추운동물군의 출현을 제 4 기의 시작으로 보며 동시에 빙하기와 간빙기의 교체로써 제 4 기를 몇 단계로 나누고 있다. 포유동물 화석의 감정은 두 가지 의의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지충 연대를 확정하고 다른 하나는 동물군의 생활과 습성을 분석해서 그것 둘의 자연환경, 예를 들면 고기후, 고지형 등을 회복할 수 있다. 식물화석―식물군 조합은 고기후와 고지리의 가장 민감한 반응의 표지이다. 더욱 포자화분의 연구는 제 4 기 고기후와 고지리를 밝힐 수 있는 가장 가치있는 자료이다. 고인류와 고고학적 표지로서 祿豊라마 古猿, 中國猿人, 古人(네안 데르탈인)과 新人(현생인류)으로서 大芬人, 丁村人, 오스도스인과 山
頂洞 A 이 있다. 석기시대의 分J비와 제 4 기의 分ltJ I 는 종합적으로 비교 할수 있다. 제 4 기의 연대를 측정하는데 방사성 탄소 연대측정법 (Carbon), 熱 發 光 法 (Thermolumi ne scence Dati ng ) , 우 라 니 움 세 리 측 정 (Uraniu m Serie s Meth o d) , 烈斐槿跡法 (Fis s io n Track Dati ng ) 과 古地磁法 (Palaeo Magn e ti sm ) 등을 사용하고 있다. 古地磁地層法은 1963 년 콕스 (A. Cox) 등이 450 만년 이 래 地磁極性 시간표를 만들어 세계적으로 공인되었다. 고지자지충의 측정 대상은 주요한 것으로 화산암, 그 의에 황토, 古土壤, 홍색점토, 호수 (Varves) , 고운 점 토 등이 가능하다. 암석 중의 原生 잉여자성 방향은 암석생성 시기의 地球磁場 방향을 나타내어 준다. 이로 인하여 암석 중 고유의 이러한 잉여 磁性은 바 로 지구자장 역사의 소식을 알려주는 것이다. 최근에 중국에서 이 방면의 연구에 많은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 것은 地層年代, 層序, 古緯度 등이다. 특히 황토, 화산암과 동굴퇴적 에 대한 연구성과는 대단하다. 화북에 상당수의 단절되고 함몰된 지 역이 있다. 예를 들면 桑干iiiJ盆地, 沿iiiJ盆地, 黃河谷地와 淸河盆地 등은 히말라야 운동시 단절되고 함몰되었으며, 분지에 물이 모여 호 수를 이루었다. 특히 제 3 기말과 제 4 기초에 이러한 현상이 특히 많 이 발생하였다. 화북 각 분지 의 上新世 (P li ocene) 는 河湖相 沈積層과 三址馬紅土 雄積層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三址馬紅土는 대부분 분지 변두리에 분 포되었다. 三址馬紅土가 분포된 곳은 山西 保德縣, 靜樂縣, 福縣, 襄沿縣, 陝 西의 藍田,溝南, 韓城, 部陽 등지로서 大行山 동쪽의 산악과 南口山
脈 남쪽 언덕 등에 분포되었다. 紅土는 일반적으로 수십미터에서 수 미터에 이른다. 三址馬紅土의 岩相 특징은 深紅色 또는 紅色 砂質帖土 위주이다. 三址馬紅土에서 다량의 동물 화석, 포유동물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이 러한 것들을 三址馬동물군이라고 칭한다. 이 동물군은 온난한 삼림초 원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 동물군의 전형적인 동물은 三址馬 (Hippa rio n sp. ) , ' 劍齒虎 (Machair o dus sp. ) , 原 두 더 지 (Prosip h neusLic e nti ) , 束 方코뿔소 (Dice rorhin u s Orie n ta l is ) , 原始하이 에 나 (lchti the r- ium Gaudryi ) , 영 양 (Gazella sp. ) , 四 稷 코 끼 리 (Tetr a lop h adon Exoletu s ) , 마스토돈 (코끼 리 ) (Masto d on sp. ) , 큰코뿔소 (Chil ot h e riu m Grac ile ) , 劍齒코끼 리 (Ste g o don sp. ) , 중국이 리 (Ny c te r eute s Sin e nsis ) , 사슴 (Cervus sp. ), 하이에나 (H y aena sp. ) 등이다. 上新世의 河湖相 지층은 晋陝 일대의 분지에 분포되었다. 그곳들은 橘社, 武鄕 , 太谷, 需縣, 藍田과 淸南 등지이다. 그 岩 性 특징은 古 湖心 또는 수심이 상당히 깊었던 곳으로 그 색깔은 灰綠色 , 灰藍色과 灰白色 帖土岩과 泥灰岩 등으로 알칼리성이 대단히 풍부하다. 河湖相 地層에는 포유동물, 어류, 곤충류, 파충류와 양서류 및 식 물화석 등이 포함되었다. 포유동물들은 리크토폰 三址馬 (H ipp ar i on Ric h tn o fe n i) , 즈단스키劍齒코끼리 (St eg o don Zdansky ), 유사검치코끼 리 (Ste g o don Yt ish ensis ) , 비 氏三稷齒象 (Trilo p h odon W im ani) , 四稷齒 象 (Te t ralo p hodon), 保德영양 (Gazella cf. P aote h ensis ) , 원시하이에나 (lcti the riu m sp) , 巴 氏 검 치 호 (Machair o dus Palanderi ) , 큰 코 뿔 소 (Chil ot h eriu m sp) , 東方코뿔소 (Dice rorhin u s Orie n ta l is) , 멧 돼 지 (Sus Ery mo nth ius ) , 사슴 (Cervus sp) , 斯氏돼 지 (Chleusto choerus Ste h ti ni ) , 翁氏하이 에 나 (lcti ithe riu m Wong i) , 액 치 코끼 리 (前齒象 Zy go lop h odon sp. ) , 賀風三址馬 (Hi ppa rio n cf. houfe n ense) , 安樂 黃 iiiJ獸 (Huang h oth e r- ium Anlung e nsis ) , 고씨 영 양 (Gazella Gaudryi ) , 영 양 (Anti lop e sp. ) , 呂 氏원시고라니 (Procap re olus Ruti m ey e ri) , 小齒長頭鹿 (Palueo t ra gu s Mi - crodan, 기 린 ) , 사향노루 (Moschus sp) , 브랙 씨 영 양 (Gazella cf. Blacki) , 轉角영양 (An til os pi ra), 보르손씨乳齒象 (Mas t odon Borsonil ) , 山西사리 . (Ly nx Shansiu s ), 河 猪 (Po t amachoers sp .), 원 두 더 지 (Prosip h neus Tmucatu s), 수달 (Lu t ra sp. ) , 신아라사技角사슴 (Cerav it us) 등이다. 식 물화석 은 소나무 (Pin u s) , f百科 (Cup re ssaceae) , 버 드나무 (Pop u lus) , 가죽나무 (Qu ercus) , 떡 갈나무 (Fag us) , 단풍나무 (Acer) , 밤나무 (Casta n ea Molis s im a) , 가 죽 나 무 (Carp inu s) , 콩 科 (Leg u mi no sae) , 느 릅 나 무 (Ulmus), 山旺느릅나무 (Ulmus shanwang e nsis ) , 山西느릅나무 (U. shan-
sie n sis ) , 옹씨 들벚 꽃 (Amelanchie r Wong i) , 버 드나무 (Sali x sp. ) , 合歡 (Albiz z id Kolik ora), 翁格떡갈나무 (Zelkova Un ge ri) 등이다. 1933 년 楊鍾健과 떼 이 아르 드 샤르댕 (Teil h ard de Chardin ) 은 山 西동남부의 河湖相 지충을 조사하여 倫ffrH . ll라고 불렀다. 그 岩性과 동 물화석에 근거하여 倫社組를 상부, 중부와 하부로 나누고, 그것들이 전기홍적세, 전기上新世와 후기上新世에 속함을 발견하였다. 제 4 기 (Q ua t ernar y)―화북 각지에 제 4 기가 대단히 발전하여 산간 분지뿐만 아니라 광활한 평원과 山前地帶에 모두 제 4 기의 河湖相沈 積이 퇴적되어 있다. 제 4 기 초기에 화북 各 각 산간분지에 沈水湖泊 이 널리 발전되어 호수는 깊고 호수면은 광활하다. 현재의 桑干iiiJ, 沿iiiJ' 滑iiiJ 및 황하 중류 등의 분지에 湖泊이 존재하여 있었던 관계 로 湖相地層이 두텁게 퇴적되었다. 중기홍적세에 桑干iiiJ盆地에 湖泊 이 계속 확장된 의에 기타 湖泊은 대부분 사라지면서 河谷으로 변하 고 沖積層으로 발달되었다. 중기홍적세부터 후기홍적세에 이르기까지 중국북방에 기후가 건조하여 풍성충의 황토가 발달되면서 그 두께가 200m 정도의 황토 퇴적층을 이루었다. 이것이 유명한 중국의 황토 고원이 되었다. 全新世 이래 각 분지에 河流作用이 우세하여 산록지 대에 洪水 및 流水作用으로 전신세의 충적층과 홍적층을 형성시켰다. 3 제 4 기 표준 유적 (1) 전기홍적세 : 화북 전기홍적세 지충을 泥iiiJ灣組라고 부른다. 泥 河灣組의 전형적인 지점은 河北省과 山西省경계의 桑干iiiJ盆地에 위 치하고, 그곳이 河北省 陽原縣 泥iiiJ灣村에 있기 때문에 그 이름이 유 래된 것이다. 泥iiiJ灣組는 바부르 (G.B Barbour), 리쌍(E. L ic en t)과 떼 이아르 (Te il hard) 등에 의해서 1924~27 년에 명명된 것이다. 당시에 이 지층은 保德期의 후기와 황토 이전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1948 년 제 18 차 국제지질회의에서 泥河灣組는 빌라프랜키안 (V ill a fr an ch i an) 과 비교될 수 있는 것으로 인정받았다. 泥河灣組는 湖相沈積 위주로 그 특징은 灰錄, 灰藍, 灰白과 여러가 지 색깔의 점토, 泥灰岩과 모래질 점토가 대표적이다. 泥河灣흙.Ii에 포함된 포유동물 화석은 長鼻三址馬와 眞馬가 대표적으 로 이것을 長鼻三址馬―眞馬동물군으로 부르며, 또한 이것을 泥河灣 동물군이 라고 부른다. 이 동물들은 長鼻三址馬 (Probosci hi p pa rio n
Sin e nsis ) , 三 門馬 (Eq u us Sanmenie n sis ) , 板齒코뿔소 (Elasmoth e riu m sp. ) , 나마코끼 리 (Palaeoloxodon Namadic u s), 巨 낙타 (Paracamelus giga s), 불氏큰뿔사슴 (Eucladoceros Boulei) , 네뿔사슴 (Ela p hurus Bif ur - catu s ) , 중 국 옛 소 (Bi so n Palaeosin e nsis ) , 翁 氏 轉 角 영 양 (Sp iro cerus wong i) , 중국 영 양 (Gazella Sin e nsis ) , 이 리 (Canis Chih l ie n sis ) , 중국하 이 에 나 (Hy a ena Sin e nsis ) , 泥河 注한 검 치 虎 (Meg a nte r eon Ni ho wanensis ) , 丁氏두더지 (My o sp a lax Ti ng i) 등이며 이 외에 대량의 연체동물도 출 토되었다. (2) 중기홍적세 : 중기홍적세는 紅色土雄積 위주인데 여기에 동굴과 河湖相推積도 포함된다. 표준지충으로 周口店組, 離石 黃 土와 池湖組 가 있다. 周口店組, 北京 房山縣 周口店 제 1 지점의 동굴퇴적을 지칭한다. 여기에 북경원인 화석과 다량의 척추동물이 포함되어 중기홍적세의 표준지층이 되었다. 周口店 제 1 지점 岩 層 은 오르도비시안 石灰岩으 로 조성되었다. 동굴은 河床에서 약 80m 높이에 있다. 지충 두께 50 m, 원래 13 층까지 구분되었는데 1978~1979 년 사이에 周口店에 대한 종합연구 과정에서 다시 14 층으로부터 17 충까지 구분되었다. 周口店 組는 원래 제 1~13 층, 제 14~15 층을 龍 骨 山組라고 칭하였다. 절대연 대는 원인두개골 화석을 포함한 9 층이 피씨온트랙 연대측정법 (Fis s io n Track Da ti n g)으로 46 만년, 제 14 층에서 15 층까지, 古地磁측 정으로 70~80 만년이 산출되 었다. 周口店組 충위는 13 층까지 이미 필자가 소개하였고 4) 그 이후 구분 된 제 14 층은 갈홍색 점토질 모래와 자갈이 혼합된 帖土礎石 層 이다. 하부로 내려가면서 자갈이 감소된다. 두께 4m 이다. 제 15 층은 갈홍색 거친 모래와 자갈충이며, 두께 lm, 침식면이 15 와 16 충 사이 개재한 다. 제 16 층은 회색에 얇은 고운모래층이며, 두께 1.5m 이다. 제 17 충 은 황갈색 거칠은 모래와 자갈충으로, 두께 lm 이다. 周口店組 동물군은 中國猿人―厚皮사슴 동물군이라고 칭하며 북방 의 표준 동물군이 되고 있다. 이 동물군의 특징은 첫째, 제 3 기 잔류 의 種屬이 사멸되었다. 죽 三址馬, 그러나 劍齒虎 등은 소수가 잔류 되었다. 두번째는 중기홍적세의 대표적 종속 厚皮사슴, 동굴곰, 중국 하이에나와 동굴곰 등이 존재하였다. 세번째로 상당수의 새로운 종속
이리, 사리, 낙타, 轉角영양 등이 출현하였다. 네번째는 中國猿人 화 석과 석기가 존재하였다. 周 口 店 제 1 지 점 의 동물들은 북경 원 인 (Sin a nth r op u s Pekin e nsis ) , 규 비에르대하리 (Trog o nth e riu m cf. C urie r i) , 后丁氏두더지 (M yo spa lax Ep i -ting il) , 두더 지 (My o spa lax sp. ) , 대 쥐 (Rhiz o my s sp .) , 두더 지 (Hy s tr i x Subcris t a ta ) , 이 리 (Canis Lup u s) , 변종이 리 (Canis Lup u s var. Vari a- bil is ) , 중국삼괭 이 (Ny c te r eute s Sin e nsis ) , 표범 (Cuon alpi nu s var. An- tiqu a) , 동굴곰 (Ursus Sp e laeus) , 동굴고양이 (Ai lur op o da sp. ) , 너 구리 (Meles cf. Leucurus) , 담비 (Mart es sp .) , 중국하이 에 나 (Hy a ena Sin e n- _sis ) , 동굴하이 에 나 (Crocuta Ulti m a) , 劍齒虎 (Meg a nta r eon Inexp e c- ta tu s ) , 호랑이 (Felis cf. Ti gris) , 사자 (Feli s Pardus) , 삼괭 이 (Cy n ai- lurus sp. ) , 나마코끼 리 (Palaeoloxodon cf. Namadic u s) , 三門馬 (Eq u us Sanmenie n sis ) , 메 르 키 코 뿔 소 (Rhin o ceros Mercki) , 털 코 뿔 소 (Co- elodonta Anti qu it as ) , 리 데 커 멧 돼 지 (Sus Ly d ekkeri) , 巨 낙 타 (Para-camelus G{g a s), 그레이꽃사슴 (Pseudax i s gray i), 厚皮사슴 (Me g alocer os Pachy o ste u s) , 떼 이 아르물소 (Bubalus Teil h ardi) , 들소 (Bi so n sp. ) , 옹씨전각영양 (S ipi rocerus cf. Wong i), 영양 (Gazella sp. ) 등이다. 중기홍적세의 紅色土는 황하 유역과 북방의 넓은 지역에 분포되었 다. 그 低部와 중간에는 河流相의 모래 • 자갈충이 개재되었다. 紅色 土는 離石黃土라고 부른다. 이름은 山西 離石縣으로부터 유래되었다. 離石黃土는 그 충위가 상 • 하로 나누어진다. 그것은 중기홍적세 전기 와 후기로 나누어진다. 중기홍적세의 池湖組는 표준지점이 陝西 藍田油iiiJ의 제 3 과 제 4 급 階地上과 源區에 있다. 그 특징은 河流沖積의 모래 • 자갈과 紅色土이 다. 전자는 湖iiiJ 제 3 과 제 4 급 階地下部와 公王嶺 등지 에 분포되 었 다. 자갈충은 40m 두께이다. 紅色土는 上記한 두 階地의 상부와 黃 土源上에 분포되었는데 그 두께가 수십미터이다. 池湖組도 상하 양부 로 나누어진다. 그 하부는 黃土源區에 있는 것으로서 황갈색토(황토) 이며 그 대표적인 것으로 藍田 公王嶺 紅色土에서 藍田猿人 두개골과 동물화석으로 三門馬, 하이에나, 삼괭이 등이 발견되었다. 池湖組 상 부는 갈홍색 또는 갈홍색 黃土狀모래질 토양인데 古土壤을 가진 것 은 深紅色이다. 예를 들면 油河石岩陳家窓村의 紅色土에서 藍田猿人
아래턱과 동물화석으로 표범, 호랑이, 코끼리, 그레이꽃사슴, 리데커 멧돼지와 方氏두더지 동이 발견되었다. 후기홍적세, 표준지충은 사라―오소―골組와 丁村組이다. 사라―오 소―골組는 내몽고 오르도스 남부와 陝北 橘村에서 최초로 발견되었 는데 그것은 河湖相 沈積이다. 그 지충에서 오르도스인 화석과 대량 의 포유동물 화석을 발견하여 중국 북방 후기 표준동물군―사라_오 소―골 동물군으로 명명하였다. 사라―오소一골組의 황토상 침적물로 서 전 황하 중류와 화북지구에 분포되었다. 이러한 충위에서 발견된 동 물 화 석 은 털 코 뿔 소 (Coelodont a Anti qu it al is ) , 낙 타 (Eq u us Hemi on us) , 야생 마 (Eq u us Przewalsky i) , 雙峰낙타 (Camelus Knoblo-chi) , 赤鹿 (Cervus Canadensis ) , 오르도스큰뿔사슴 (Me g aloceros Or- dosia n us) , 완 스 조 키 물 소 (Bubalus Wansij oc ki) , 옛 소 ( Bos Prim i ge niu s ) , 轉 角 영 양 (Sp iro cerus Ki ak hte n sis ) , 브레 제 발스키 영 양 (Gazella Przewalsky i), 盤羊 (Ov i s Ammon), 나마코끼 리 (Palaeolox-odon Namanni) , 최 후하이 에 나 (Crocuta crocuta Ultim a) , 멧 돼 지 (Sus Scrofa ) 등이다. 이 동물군에 대한 절대연대는 40,000~50,000 년으로 추산되고 있다. 丁村組는 山西 襄沿縣 丁村 沿河 연안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에서 1954 년 대량의 동물화석, 인류 이빨화석 등과 석기 등이 발견되었고, 후에 사람머리의 노정골뼈를 발견하여 丁村人이라고 불렀다. 丁村組 는 沿河 제 3 급 階地深積에 속한다. 상부는 얇은 紅色향토이며 1~2 충에는 古土壤이 개재되었는데 그 두께는 3~5m 이다. 하부는 灰, 灰 黃 또는 갈황색 모래 • 자갈충으로 알칼리 성질이 많고 대량의 두터운 조개껍질 화석이 있었다. 두께는 15~20m 이다. 丁村組 모래 • 자갈충 의 동물화석은 方氏두더지, 야생말, 낙타, 나마코끼리, 메리키코뿔 소, 털코뿔소, 그레이꽃사슴, 옛소와 轉角영양 등이다. 동물화석 입 장에서 보면 周口店동물군보다 늦다. 丁村人은 네안데르탈인으로 周 口店期보다 늦다. 丁村組의 시대는 離石黃土 상부와 하부 사이 죽 중 기흥적세 후기에 속한다는 설과, 離石黃土 후에 다시 퇴적된 것 위에 馬蘭黃土가 퇴적되었다는, 죽 후기홍적세에 속한다는 설 등이 있다 (표 2).
4 기타 제 4 기 중요 유적 동북지구의 제 4 기는 한반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동북지구의 제 4 기 지층은 평원과 山前地帶에 분포되었다. 이 지구는 세계에서 가 장 추운 시베리아에 접근되어 제 4 기 이래 기후가 한랭하다. 특히 북 부지구에는 빙하, 빙하 주변과 凍土퇴적이 발달되었다. 그러나 온난 기에는 河流와 湖沼沈積이 발달되었는데 그 두께가 100m 에 달한다. 그 의에도 長白山區와 흑룡강의 1i大蓮池에 화산분출물이 제 4 기 동 안에 발생하였다. 東北區의 제 4 기 포유동물은 추운 동물의 코끼리, 털코뿔소동물군이 대표적이다. 후기홍적세 顧鄕屯組 때는 코끼리, 털 코뿔소 등의 화석존재가 유명한데 이러한 화석은 동북 각지에 널리 분포되었다. 東北區의 제 4 계는 다음과 같다. (1) 전기홍적세의 白土山組 : 상부는 灰白色과 灰黃色의 모래 자갈충 으로 松棒 위주의 花粉울 포함하고 있고 중간부분은 灰白, 灰와 黑色 帖土 및 모래 자갈충이며 벗나무(棒) • 가죽나무(樓) 위주의 활엽수 화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하부는 灰白, 灰色 亞帖土 및 모래 자갈충으 로 소나무, 삼나무, 벗나무 등 침 • 활엽수 화분이 포함되었다. 이러 한 것들은 松遼平原에 널리 분포되었는데 보통 깊이 100~120m 이하 에 매장되었다. (2) 중기홍적세의 荒山組 : 深黃色, 갈황색 또는 黃福色의 亞祐土로 조성되었다. 모래 자갈이 조금 포함되었으며 하부는 灰綠, 灰福色 湖 相亞帖土 및 黃色 모래 자갈층이다. 여기에서 메르키코뿔소 (Rh i noce ros Mercki) , 코끼 리 (Marnmuth u s tro g o nth e rii) 등이 발견되 었다. 吉 林 일대의 중기흥적세 상부에는 황토침적이 있다. (3) 후기홍적세 顧鄕屯組 : 표준지점은 하르빈 西南松花江의 階地上 에 있다. 이러한 것들은 松遼平原에 널리 분포되었다는데 顧鄕屯組 상부는 灰黃色亞帖土 및 고운 모래층이고 하부는 고운 모래와 沙礎石 이며 그 중에 深灰色 진흙이 개재되었는데 이것은 빙하주변 흔적이라 는 표현이다. 동물화석은 풍부하며, 코끼리-털코뿔소동물군이 대표 적 이 다. 그것 들은 옛 코끼 리 (Marnmuth u s Pr imige niu s ) , 털 코뿔소
(Coelodonta Anti qu it at i s) , 그레 이 야생 말, 옛 소 등이 동반되 어 모두 90 여 종이다.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으로 볼 때 12,000~40,000 년 사이 이다. 식물화석으로는 시베리아 소나무 (P i cea cf. A bo~ota ) , 삼나무 (Abie s cf. Nep h rolep is) , 與安낙엽송 (Lar i x Dahur i ca) 과 벚나무 등이 있다. 黑龍江 德都 五大蓮池에 화산암과 안정된 화산이 분포되었다. (4) 전신세(충적세) : 하부는 모래충, 중간은 검은 흙, 상부는 현무 암(五大蓮池) 등으로 조성되었다. 기타 지구는 風砂와 河流相 湖沼 침적충이다. (5) 華南의 紅土推積 : 화남지구는 紅土 또는 紅色 風化 穀 이 낮은 구 롱과 분지의 基岩石에 널리 분포되었다. 이것은 열대와 아열대의 기 후조건에서 형성된 風化穀이다. 아열대 지구에 분포된 紅色 高嶺土 風 化穀은 의관상 백색유충( 端 虫)狀의 홍토층으로 綱文紅 土 라고 부른다. 이러한 紅土帖粒에는 거친 石英알갱이와 소량의 雲 母가 별처럼 산포 되었다. 綱文紅土의 시대는 일반적으로 중기홍적세의 高 溫期에 형성 되었고 江西, 福建과 광동 • 광서의 200m 이하의 구릉에 발달되었다. 부분적으로는 300~600m 의 고도에도 있다. (6) 黃土는 중국의 화북과 서북지구에 널리 분포되었다. 그 색깔은 엷은 황토, 갈황토, 갈홍색 황토 등이다. 황토는 原生 黃 土로서 바람 에 의해 형성되었고, 流 7k 에 개조된 것은 次生 黃 土라고 부른다. 황토 는 제 4 기의 독특한 침적물이다. 중국 황토의 연구는 19 세 기 말에 품펠 리 (R. Pump e lly) , 리 크토펜 (F. Ric h th o fe n ) 과 윌리 스 (B. W illis) 등에 의 해 시 작되 었다. 그들은 중국 황토가 風力作用과 流水作用의 영향에서 조성되었다고 주장하였다. 20 세기초 앤더슨 (Anderson) 은 『中國北部之新生界』라는 책 속에서 황 토를 原生黃土와 次生 黃 土로 분류하였다. 1929 년 이후 떼이아르 드 샤르댕 (Teil ha rd de Chard i n) 과 楊鍾健은 晋陝 사이의 황토를 연구하 여 馬蘭黃土 및 紅色土 (Redd i sh y Cla y)로 구분하고, 紅色土는 三址馬 紅土와 馬 蘭 黃土 사이의 개재물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들은 馬蘭黃土 는 후기홍적세에 속하며 전정한 황토롤 대표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紅色土를 A,B,C 3 帶로 구분하고 그 차례로 지질 제 3 기의 上新世 (Pli oc ene), 전기홍적세와 중기홍적세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중국학자로는 중국과학원 지질연구소의 劉東生이 가장 널리 황토지 충을 연구하였다. 劉束生과 王永森 등은 황토를 전기홍적세의 午城黃 土, 중기홍적세의 離石黃土와 후기홍적세의 馬蘭黃土로 구분하였다. 午城黃土(전기홍적세)의 표준지점은 山西省 限縣 午城鎭에 위치하 고 있는데 황토는 한층의 자갈충 위에 있다. 색깔은 상당히 붉고 그 내부에 홍색 매장토를 포함하고 있다. 午城地區에서 이 黃土는 위쪽 에 있는 離石黃土와 직접 접촉하고 있다. 午城黃土에서 三址馬, 三門 馬, 中園絡(맥)과 브랙큰뿔사슴 등이 출토되었다. 설치류 화석은 드 물다. 포유동물 화석 입장에서 보면 전기홍적세의 환경은 습윤하고 중기홍적세 이후부터 점차 건조한 환경이 되었다. 離石黃土(중기홍적세), 山西離石縣의 陝家槿가 전형적 장소이다. 離石黃土는 직접 午城黃土 위를 덮고 있으며 그 위에는 馬蘭黃土가 있다. 離石黃土의 보통 두께는 100m 정도이며 그 특징은 그 사이에 홍색의 매장토양충이 개재된 것이다. 離石黃土의 상부 색깔은 갈황색 이고, 하부색깔은 상당히 붉은 빛깔이다. 여기에 포함된 동물화석은 丁氏두더지 (My o spa lax Ti ng i), 趙氏두더지 (My o spa lax Chaoy a ts e ni) , 아르비 골린두더 지 (My o spa lax Arvic o li nis ) , 厚皮사슴 (S i nome g aceros Pachy o stu s ) 등이다. 시대는 상부가 중기홍적세 전기, 하부가 중기홍 적세 후기에 속한다. 午城 단면의 離石黃土에는 胞粉의 기본 구성이 쑥속, 명아주속, 禾 本科가 우세하고, 木本식물로 松屬, 雲杉屬을 제의하고 다른 것은 드
지질시대 페 이 아르 • 楊鍾健 (1930 년) 황토되적 次生황토 次生황토 및 모래 전신세 자갈충 후기홍적세 馬蘭황토 馬蘭황토 제 4 기 紅色士 C 離石황토 상부 중기흥적세 離石황토 하부 전기홍적세 紅色士 B 午城황토 제 3 기 상신세말기 紅色士 A 三址馬 홍토
물다. 죽 초원성 식물이 절대수량을 차지한다. 馬蘭黃土, 馬蘭黃土期와 離石黃土의 岩性區分은 대단히 명백하다. 전자는 淡灰黃色이며 상당히 부슬부슬하고 層理가 없으며 함몰이 쉽 게 생긴다. 馬蘭黃土는 황하 하류지구와 화북평원 및 산록에 널리 분 포되었다. 馬蘭階地는 永定河支流인 淸水河 河谷左岸 馬蘭村 부근에 위치하며 河水面에서 30~40m 의 높이에 있다. 馬蘭황토 중에 동물화 석은 타조알과 方氏두더지 등이 있다. 황토충위의 대조표는 앞의 표와 같다. 5 제 4 기 고기후 제 4 기 동안의 건랭기후와 청장고원의 융기에 있어서 대기환류의 영향은 중국황토 퇴적시기의 대기환류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되고 있다. 당시 태양 福射의 相應온 감소되었다. 빙하시기에 시베리 아 빙하는 북위 60° 이남에 발달되고 영구 동토대는 북위 48° 정도에 이르렀다. 당시 낮게 함몰된 지역은 반작용이 증가되고 지면 증발은 감소되었으며 건조도는 증대되고 온도는 내려갔다. 동시에 빙하의 발 달로 해수면은 하강되고 대륙붕이 나타나서 陸橋룰 형성시켰다. 제 4 기 고기후는 빙하, 胞粉과 침전물 등의 분석으로 거의 명백하 게 밝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고기후 연구 중에서 특히 한반도와 관 계가 있는 시베리아 지역을 살펴보기로 한다. 아시아대륙의 복부, 제 4 기 동안의 대륙빙하는 유럽처럼 발육되지 못하였고, 빙하기와 간빙기의 구분도 유럽처럼 명백하지 않다. 최대 빙하기 때 시베리아 빙하는 스칸디나비아 빙하와 연결되었다. 마지막 빙하기 때 시베리아 빙하는 남쪽으로 북위 66. 까지 발육되었다. 아시 아대륙의 最東北部에 빙하는 고지대에만 발전되었는데 그것은 대단히 얇은 충이고 범위도 좁다. 시베리아 빙하 발전의 역사는 유럽 빙하의 進退時期와 일치하지 않 는다. 후빙하기에 시베리아는 건랭상태에 머물러 있었다. 氷雪은 축소되 고, 따라서 해빙양도 감소되어 빙하의 덮개가 평행을 유지하였다. 반
대로 빙하 주위 지역에는 凍土가 발육되고 그 범위도 넓어졌다. 이러 한 특칭이 유럽과 현저하게 차이가 난다. 죽 해양성 기후가 우세한 유럽은 빙하기에 대형의 빙하덮개와 산천빙하가 발달되고, 반대로 대 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은 시베리아와 아시아 북부의 기타 지역은 광 대한 凍土와 빙하주변현상이 발달하였다. 시베리아 제 4 기의 빙하기와 간빙기의 오래된 순서는 다음과 같다. 사마로브 (Samarov) 빙하기는 유럽의 사알 (Saale, Ris s ) 빙하기의 초 기에 해당된다. 빙되석이 오브강(鄧畢iiiJ) 중류에 분포되어 충적층을 덮었다. 후자는 온난기의 침적물이다. 메소 (Messo) 간빙기는 泥炭와 토양이 발달되었으며 사알 (Saale) 간 빙기에 해당된다. 타즈 (Taz) 빙하기는 사알 빙하기의 후기에 해당된다. 빙퇴석이 발 육한 의에 黃土침적물이 발달하였다. 카잔체 보 (Kazantz e vo) 간빙 기 는 유럽 의 임 무 (Eem) 간빙 기 (Ri ss /W U· rm 간빙기)에 해당된다. 이때 시베리아 북부에 대규모 海浚이 발생해 오브강과 예니세이강 하류가 海 7k 로 침몰되어 海相地層이 생겨났다. 海浚범위는 남쪽으로 북위 62.5 세까지 이른다. 이때 시베리아는 온 대 침 엽 림 , 雲杉 (Ab i es) , 冷杉, 소나무, 낙엽송이 대표적으로 나타났 다. 이때의 서늘한 해양성 기후의 광대한 지역이 현재보다 潮濕하여 1 월분 기후가 현재보다 4•c 높았고, 7 월은 3•c 높았다. 연평균온도는 3•c 높았고, 연강수량은 현재보다 lOOm 많았다. 지 리 안카 (Zy rian ka) 빙 하기 는 베 이 츠셀 (We ic h sel) 빙 하기 에 해 당되 며 그것은 곧 뷔롬 (Wurm) 빙하기와 동일하다. 대략 50,000 년 정도 이다. 카르진스키 (Kargi ns ky ) 간빙기는 충적층이 대표적이다. 그것은 전 기의 빙되석 위를 덮고 있다. 시기는 32,000~24,000 년 전이며 기후 는 현재 시베리아 북부보다 온화했다. 사르탄 (Sa rt an) 간빙기는 베이 츠셀 (We ic hsel) 중기 (죽 뷔름 중기)에 해당된다. 그 시작은 25,000 년 전이며, 종료는 10,300 년 전이다. 가장 발달된 시기는 19,900 년 전이 고, 16,000 년 전부터 해빙되기 시작하였다. 후기홍적 세 시 베 리 아 빙 하가 가장 발달될 때 이르쿠쓰 {H p k y Tck, 伊尔庫茨) 지구의 연평균온도가 약 -8.C 로서 현재보다 5·~6.C 낮았
다. 퉁구스강 하류 연평균온도는 현재보다 6.~8°C 낮았다. 야쿠츠크 (Yakuts k ) 지 구의 레 나강 중류 연 평 균온도는 지 금보다 9° ~ 10°C 낮았 다. 흑룡강 하구 연평균온도는 현재보다 4•~5°C 낮았다. 마지막 빙 하 때 삼림의 北界는 일본해의 해안대에 이르렀다. 그러나 현재의 삼 림북계는 흑룡강 하구 이북지역이다. 아시아 북부에서 간빙기와 영구동토대의 해빙, 泥炭沼澤의 발생 및 삼림의 확장은 동시에 발생한 것으로 이러한 흔적이 沿海地帶에서 海浚의 표시로 나타나고 있다. 빙하기는 거대한 영구동토대의 형성과 苦原(이끼지역)의 출현, 그리고 소규모 빙산의 형성으로 표현되었다. 혹독한 기후에서 추운 동물이 활동하였는데 그것들은 영구동토충에서 완전한 상태의 옛코끼리(舊象)와 털코뿔소의 화석으로 남아 있다. 시 베리아는 옛코끼리―털코뿔소동물군의 집중분포지역으로 빙하기 동안 에 이르러 이러한 동물들은 남쪽으로 이동하여 중국 동북지역으로 옮 겨갔다. 이것들은 또한 간빙기 동안에는 북쪽으로 이동하여 유쿠시아 (Yuku ti a) 와 타이몰(泰摩尔)반도에 이르렀고, 마지막 빙하기말로부터 전신세초에 이르는 동안 완전히 사멸되었다. 10) 6 인류 화석 지질 제 4 기는 인류출현과 발전의 시기이다. 제 4 기 지층 내에서 다량의 고인류화석과 인공이 가해진 석기가 출토되었다. 그 중에는 인류의 원조(猿組, 原組)라고 불리는 라마 古猿도 포함되었다. 인류가 석기를 사용하여 자연계와 싸운 것은 인류 전체 역사의 90% 를 차지한다. 고고학상에서 그러한 시기를 석기시대라고 부른다. 중국에서 발견된 인류화석을 오래된 순서로 살펴보자. 元謀人 : 운남 元謀분지 大那持村 부근의 하류상 충위에서 2 개의 猿 人 앞니가 발견된 것이다. 두 개의 앞니는 성년의 직립인에 속하는 것으로 直立人元謀人 (Homo erectu s Yurunounensis ) 이 라고 이 름짓고, 절대연대로 170 만년이 산출되었다. 藍田猿人 : 1963 년과 1964 년에 陝西藍田의 陳家寫子와 公王嶺에서 猿人의 아래턱과 두개골이 발견되어 藍田猿人 (S i nan t hro p usLa-
n ti enens i s) 이라고 불렀다. 陳 家窟子 의 猿人 아래턱과 북경원인은 접 근되는데 치아는 북경원인의 것보다 상당히 크고 그 시대도 이론 것 으로 보고 있다. 公 王 嶺의 藍田猿人 두개골은 동물화석과 함께 公王 嶺 의 두터운 홍색토에서 발견되었다. 그것은 약 30 세의 여성에 속하 며 시기는 고지자측정으로 80~100 만년이 산출되었다. 북경원인 : 북경의 서남방향에 있는 周口店의 龍骨山의 동굴퇴적에 서 다량의 동물화석과 함께 북경원인의 유해와 석기가 출토되었다. 다비드슨 블랙 (D. Black) 이 1927 년에 찾은 2 개의 이빨에 북경원인 (Sin a nth r op u s Pek i nens i s) 이라고 명명하였다. 1929 년에는 裵文中이 하 나의 완전한 두개골을 발견하였고 그 유적은 지금도 계속 발굴되고 있다. 古人(네안데르탈인) : 중기홍적세말에서 후기홍적세초까지 인류 역사 의 새로운 단계가 시작되었다. 그 시기를 고고학상에서 중기구석기시 대로 부르고 있다. 古人은 지금으로부터 20 만년에서 3,500 년까지 생 활하였다. 그의 뇌량은 1,4oo·c 정도이다. 중국에서 발견된 古人은 陝 西大席人, 山西丁村人, 廣東摩增人, 湖北長陽人과 내몽고 사라-오소 ―골의 오르도스인이다. 大盆人은 1978 년 陝西 大蓋段家公社 荊水溝 에서 발견되었다. 大盆人온 北京猿人과 馬增人과의 중간 사람이다. 丁村人은 1954 년 山西襄沿縣에서 3 개의 치아를 발견한 이후에 어린애 노정골뼈와 다량의 석기, 척추동물화석이 발견됨으로써 명명되었다. 丁村文化는 중기구석기시대에 속하며 그 문화의 특징은 거대한 첨두 기로 알려졌다. 新人(現生人類, Homo Sap ien s Sa pi ens) 과 그 문화 : 후기홍적세 지층 에서 현생인류에 속하는 廣西柳江人, 四川資陽人, 山西時裕人, 周口 店 山項洞人 동이 발견되었다. 현생인류의 문화는 후기구석기시대에 속하며 그 문화는 타제석기 의에 骨器 및 장식품 등이 발견되었다. 山項洞文化는 후기구석기시대 말기 문화이다. 山頂洞은 周口店 北 京猿人 産地의 정상에 위치하여 그 내부에서 8 개 體人의 뼈, 다량의 동물화석과 석기가 출토되었다. 山項洞人은 석기가 많지 않고 그 대 신 骨器,骨針, 장식품 등이 출토되었다. 山頂洞人은 불을 만들고 옷 울 꿰매 입었다. 그 절대연대는 지금으로부터 18,000 년이다.
제 3 장 華北의 전기구석기시대 문화 프랑스인 떼 이 아르 드 샤르댕 (Teil ha rd de Chardin ) 과 리 쌍 (E. Li- cent) 등이 오르도스에서 1922~23 년 사이에 최초의 구석기시대 유적 을 발굴한 이래 1985 년까지 華北에서 발견된 30 여 곳의 중요한 구석 기시대 유적지는 다음과 같다. 山西 丙城 西侯度, 陝西 藍田 公王嶺 陳家寫, 山西 丙城 區iiiJ' 北京 周口店 13 지점, 周口店 제 1 지점, 遼 寧 營口 金牛山, 遼寧 廟后山, 河北 東谷蛇, 北京 周口店 15 지점, 陝 西 大芬人, 山西 襄沿 丁村, 山西 曲沃 西溝, 陝西 幹縣, 陝西 長武, 山西 大同 靑磁, 山西 陽高 許家察, 내몽고 오르도스, 山西 朔縣 時 圈 山西 下川, 河南 安陽 小南海, 周口店 山項洞, 山西 大同 小站, 甘肅 經川, 河北 陽泉 虎頭梁 遼寧小孤山등 유적이 발굴되었다. 華南에서는 10 여 곳의 구석기시대 유적, 雲南 元謀人, 貴川 觀音 洞, 廣東 馬篇 四川 資陽 雄魚橋, 四川 資陽人, 雲南 混貢龍 潭山, 雲南 宜良, 貴川 普定 白岩脚, 雲南 麗江 木家橋 등. 중국 흥적세 자연환경과 중국 구석기시대 문화 관계는 앞 장에 제 시한 표 3 과 같다. 구석기시대 문화를 전기로부터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西侯度유적 西侯度 유적은 山西省 丙城縣 西侯度村 북동편의 작은 언덕 발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유적은 臣 河 유적에서 북동으로 35km, 黃河의 둑 (Bank) 에서 동쪽으로 3km 의 지점에 있다. 이 유적은 1960 년에 中國科學院 古背椎動物과 古人類硏究所 考古팀 에 의해서 발견되어 1961 년과 1962 년 사이에 山西省박물관에서 발굴 울 실시하였다. 西侯度 유적의 충위 단면은 다음과 같다(그림 11, 上에서 下로). 후기홍적세 : 회황색 고운 모래, 두께 7.lm 중기홍적세 : 붉은 점토, 자갈, 화석과 石炭과 혼합계재, 두께 48.5 m (그립 11 의 19 충) ~부식토~ 전기홍적세 (빌라프란키안) : 고운 모래와 거친 모래 교차, 자갈 포 함, 두께 18 .lm. 문화유물과 동물화석은 16 층에서 발견 (그립 11 의 l~18 충) ~부정합~ 후기鮮新世 : 칼슘질 점토와 갈홍색에서 진한 황색까지 여러가지 색 깔의 자갈충, 두께 59.lm, 傾向 130°, 傾角아 약 8° 이다(그림 11 의 3~10 충). ~부정합~ 후기선신세 (퐁티안) : 홍색점토와 역석, 傾向 160', 傾角 약 15°( 그 림 11 의 1~2 충) 이 유적에서 출토된 동물화석은 다음과 갇다. 어 류 : 잉 어 (Cy pr in u s Carpi o Linn .) . 파충류 : 바다거 북 (Amy d a sp. ) . 조류 : 타조 (Str u th i o sp. ) . 포유류 : 韓氏고슴도치 (Erin a ccus sp. ) , 海理 (Trog o nit he riu m sp. ) , 하이 에 나 (Hy a ena sp. ) , 平額象 (Archid i s k odon Planif ron s) , 검 치 상 (Ste g o don sp. ) , 나마상 (Palaeoloxodon cf. Narna- clic u s) , 리 데 커 멧 돼 지 (Sus. c f. Ly d ekkeri Zdansky ) , 양지 순록 (Elaph ur- us Bifur catu s Teil ha rd et Piv e te a u) , 전남순록 (Elaph urus Chin n anie n sis sp. nov.) , 불씨 사슴 (Eucte n oceros Boulei Teil ha rd et Piv e aute a u) , 租面 軸鹿 (Axis Reg o sus Chow) , 西 軸鹿 (Axis Shansiu s Teil ha rd and Trassert .) ; 鹿亞科 (Cervid a e Gen et sp. ind et. ) , 블랙 씨 영 양 (Gazella cf. Blacki Teil ha rd & Young ), 고중국들소 (B i son Palaeosin e nsis Teil h ar-d & Piv e te a u) , 거 친 소 (Lep tos Crassus sp. nov.) , 山 西 코 뿔 소
그림 11 西{'k l 얹 界 지 頂广柱鬪 I 두E께『 (m) 암석성질 7.1 1139.2 灰黃色 고운 모래 第뱌 期池 洪 新 湖Q 2ll9 48.51132.1.I 綜 黃色 : 浚綜紅色 고운모래 에 四 홍색古 토양이 포함됨 積 世
(統) 生 系 積世期前洪西侯組度 ,Q 1 15 :32..o1 1 II7797:..32 : :灰灰I白白:色色: 교붉::차은? 모모:래래::에층 자모갈섞률임 1.91 74.2 灰白色 붉은 교차 모래층 2.4 172.3 灰白色 고운모래층에접토섞임 4.2 169.9 灰白色 교차 모래층 o.2 65.7 붉은 모래동10 2.0 I65.5 1 綜福色 모래질 점토충 鮮 9 19.0163.5 I 綜紅色모래질 점토 第 9.5 144.5 자갈충(편마암, 화성암, 사암, 자갈직 경 3~5cm) 界 1 三 I 新 2.9 I 35.o l 綜黃色 모래 질 토양 I.I:iI1 1' rr J'.. 系 6 j. 「':T...: . -..*..··. ', . ,1 . '1.,I ,. ...1 4.9132.l 沒綜紅色 모래에 자갈섞임 ':ll :1 1 , ,, . 世 자갈층 6.9 115.8 I 모래층(자갈섞임) 8.9 I 자갈충(직경 l~5cm) 국 붉은색 泥岩
(Coelodonta Anti qu it at i s Shansiu s , Sub sp . nov.) , 코 뿔 소 亞 科 (Rhin o ceroti na eg e n. & sp. lndet. ) , 古 板 齒 코 뿔 소 (Elasmoth eriu m cf. Inexp ec ta t u m Chow) , 中 國 長 鼻 三 址 馬 (Probosci hi p pa rio n Sin e nsis Sefv e) , 三門馬 (Eq u us Sanmenie n sis Teil h ard & Piv e te a u) 등이 다. 이상의 동물화석으로 미루어 보면 西侯度 유적은 전기홍적세에 속 한다. 1930 년대부터 지금까지 河北省 陽原 泥河灣의 지층 단면이 중국 전 기홍적세의 대표가 되어 왔다. 1949 년 이후에 지질학자와 고생물학자 의 노력으로 화남, 화북지구에서 전기홍적세의 새로운 지층 단면을 발견하였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이 시기에 속하는 많은 포유동물 화 석을 발견하여 그의 공간분포와 시간분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져 왔다. 그러나 전기홍적세 지층에 대한 진일보한 비교가 아직 없어서 피차 의 전후 순서에 대한 통일된 의견은 없다. 西侯度의 구석기문화를 설 명하기 위하여 중국 북부 전기홍적세에서 중기 사이에 출현한 포유동 물 화석을 비교하였다(표 4). 西侯度 유적은 河相퇴적의 모래―자갈총으로 구성되어 소형 포유동 물의 보존상태가 동굴되적보다 좋지 못하다. 湖相퇴적 위주로 된 泥
표 4 絶屬 絶種(亞種포함) 現生種 (exti nc t. g e n.) (exti nc t sp. (Liv i n g form s) & sub sp. ) 周口店 제 1 지점 10. 94 % 63.07% 36.93% 周口店 제 13 지점 11.11% 66. 64 % 33.36% 藍田 公王嶺 藍田人 두개골 20.6% 67. 74 % 32.26% 화석 지접 北京 灰裕 제 18 지점 26. 3% 75% 25% 河北 陽原 泥河灣 33. 33 % 93.55% 6.45% 西侯度 47% 100%
河社천層은 비록 상당수의 소형 포유동물이 발견되었지만 동굴퇴적의 周口店 제 18 지점, 周口店 제 13 지점과 周口店 제 1 지점(北京人 유적)만 못하다. 陝西 藍田縣 公王嶺, 藍田人 두개골과 함께 발견된 포유동물 화석 에 관하여 지금 전일보한 연구가 계속되어 아직 그 연구결과가 발표 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전에 발표된 것에 의하면 그 시기는 균즈-민 델 간빙기가 된다. 이것은 포유동물 화석의 사멸屬과 사멸種의 통계 에 따른 결론이다. 西侯度의 포유동물군은 절대다수가 타조, 하이에나, 長鼻三址馬, 三門馬,코뿔소, 片齒코뿔소, 불씨영양과 軸鹿 등과 같은 초원동물이 다. 초원과 총립 또는 삼림에 적응하는 동물은 리데커멧돼지, 고중국 들소, 거친 소, 불씨사슴과 나마상 등이다. 兩枝角순록과 晋南순록은 비록 아직까지 이들 생활환경에 대하여 설명된 자료는 없지만 이들은 非密林 중에서 생활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유는 그들의 장대한 뿔은 밀림생활에 적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동물군의 입장에 서 보면 당시 西侯度 부근에 소림초원 환경이 있었던 것 같다. 西侯度 포유동물 화석의 절대다수가 난온대 이북의 종류로서 당시 의 기후가 지금보다 서늘하며 四季가 분명하고, 여름에는 녹음이 우 거지고, 동계에는 이것들이 柏死하였다고 본다. 이러한 가능성은 三 門馬, 코뿔소와 板齒코뿔소 등이 초식동물이기 때문이다. 西侯度의 석기는 자연의 힘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인공이 가해진 것 이 분명한데, 다음과 같은 표준으로 그것들을 감정하였다. 1, 인공제품 : 감정의 표준으로 石片의 타격면 (Pla tfo rm), 타격접 (Poin t of Percussio n ) , 원뿔 (Bulb of Percussio n ) , 부서 진 홈 (Scar) , 가 는 줄 (Fis s ure) , 파문 (Concentr ic Waves) 등의 존재 여 부를 관찰하였 다. 타격면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自然타격면으로 礎石 또는 암석 편의 원래의 평면이고 다론 하나는 人工타격면으로 礎石 또는 암석편 상에 의식적으로 타격하여 만든 평면이다. 타격점은 타격면 가장자리 에 타격을 받은 위치, 원뿔은 벽개면 상에 나타난 것으로 타격접에 가까이 있는 융기부분, 부서진 홈은 원뿔부분에 항상 나타나는 四面,
가는 줄은 벽개면상에 나타나는 것으로 타격점으로부터 向外하는 細 溝文, 파문은 타격접 주위에 항상 생기는 파도형의 문양이다. 2. 1 번의 특징을 관찰한 의에 엄격한 척도로 측정하였는데 죽 타 격흔적의 규율 여부를 확인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이 규율이 인공적 으로 석기를 제작하는 목적과 부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같은 규 율이 다른 표본(석기)에도 반복하여 나타나는가를 확인한 것이다. 3. 특별히 제 2 가공한 석기와 그의 가공 특성을 중시하였다. 왜냐하 면 石片製의 단면기 (Cho pp ers) 와 긁개 (Scra p ers) 를 만들려면 반드시 먼저 石核 (Core) 에서 석편을 떼어낸 후 그것의 가장자리를 가공하여 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반복된 흔적을 갖춘 표본(석기)은 자연의 힘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西侯度 유적의 2 차 발굴을 통하여 발견된 유물은 지층 밖에서 발 견한 한 점을 제의하고 엄격히 선별하여 人工흔적이 분명한 것 또는 비교적 분명한 것 등 32 점을 연구하였다. 西侯度 유적에서 발견된 유물은 석기 외에 절단된 혼적의 사슴뿔과 연소된 뼈들도 있었다. 石器의 石材는 한 점의 화산암과 세 점의 脈石英 의에 전체가 여러 가지 색깔의 석영암이다. 이 석기에는 石核 (Cores), 石片 (Flakes), 단면기―양면기 (飮硏똑 Chop pe r-Chop ping Tools), 긁개 (Scra p ers) 와 大尖頭器 (Heary Tria n g le -Poin t ) 등이 포함된다. 석핵 : 석재의 선택으로부터 시작하여 石核上에서 석편을 떼어낸 후, 이 석편을 다시 가공하여 석기롤 만드는 것이 석편석기 제작의 전 과정이다. 그리고 석핵의 관찰은 석편성질에 대한 부족한 면을 전일보 이해하 도록 하여 주기 때문에 석기성질을 판단하는 중요한 부분이 된다. 석 핵은 석편의 부족을 보충하고 반대로 석편은 석핵의 부족을 보충한 다. 예를 들어 小石核울 발견하고 小石片울 발견하지 못하였을 때 소 석핵이 간접적으로 소석편에 대한 것을 암시하여 주고, 거대한 석편 이 발견되고 이에 상응한 석핵을 발견하지 못할 때도 이 큰 석편은 동일하게 거대한 석핵의 존재를 충분히 암시하여 줄 수 있다. 西侯度 유적에서 발견된 석핵은 모두 일곱 점이다. 한 접은 회황색
그림 12 西侯度 석핵 (원대)
석영암 礎石제의 석핵 (Core on Pebble) 이다. 그 가장자리에서 석편을 떼어내었다. 무게 2.8kg , 한 가장자리에서 大小片의 두 점의 석편을 떼어내었다. 석편을 떼어낸 흔적이 뚜렷하다. 먼저 비교적 큰 석편을 떼어내고, 그 다음 작은 석편을 떼어내었다(그립 12). 다른 한 점은 회황색 석영제작의 석편으로 된 석핵 (Core on Heave-Flake) 인데, 邊緣上에서 석편을 때어냈다. 무게 8.3kg . 이와 같이 거대한 석편은 과거에 다른 유적에서 발견된 일이 거의 없다. 또 이 유적 부근에서 이 거석편에 상응하는 거대한 역석도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은 거대한 석괴를 두 손으로 높이 들고 巨礎의 가장자리를 내려치면 이와 갇이 커다란 석편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그림 13·l). 이 거석편의 석핵은 일부분 자연면을 가지고 있으며 벽개면은 1!!18 로 평탄하지 않고 타격점은 또 다른 석편을 다시 떼어내는 재타격에 의해서 파괴당하였다. 벽개면의 특징으로 보아 타격점의 위치를 측정 할 수 있다. 삭박면의 長軸을 따라서 稷이 융기되어 횡단면이 삼각형 이 되었다. 이 석핵은 벽개면을 타격면으로 삼아 한 변을 따라서 삭 박면 방향으로 연속 타격을 가하여 크기가 다른 다섯 점의 소석편을 떼어내었다. 타격각은 46°~92° 사이이다. 삭박면 능의 좌우에도 두 점의 대석편을 떼어낸 흔적이 있다. 兩極器 石核 (Bi po lar-Cores) 은 모두 두 점 이 다. 그 중 한 접 은 회 색 석영암제로 타원형이며, 횡단면은 부등변 삼각형이고 무게는 68 g이 다. 그것의 頂端에 작은 삼각형의 자연면이 남아 있다. 처음에 이 소
2
평면을 타격면으로 이용하여 석편을 떼어내었다. 그러한 증거로서 모 든 타격점이 삼각형의 자연면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 다(그립 13 • 2). 원래 두터운 석편이며, 각면에 가는 줄 (F i ssure) 이 부채형으로 방사되지 않고 장축을 따라서 평행으로 분포되었고, 동시 에 원단 (D i s t al, 尾遠端)은 압력에 의해서 파괴당한 흔적이 있으며, 이 것도 장축을 따라서 평행으로 분포된 가는 줄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접은 모루 위에 울려놓고 돌마치로 타격을 가한 결과이다. 이러한 표 본을 兩極石核이라고 부른다. 石片 : 西侯度 유적에서 출토된 석편은 모두 일곱 점이다. 이러한 석편들은 돌마치로 직접 때려서 만든 것, 양국타격법에 의한 것 (Bip o lar-Flake) 과 모루상타격 법 (Flake Str ike d on Sto n e Anvil ) 등 세 가지이다. 칙접타격에 의한 석편(그립 14) 은 회색석영암제로 무게 31 g이다. 삭박면상에는 자연면이 남아 있고, 타격면에는 세 점의 結晶面 흔적 이 있다. 타격각은 112· 이며, 벽개면상의 타격점과 가는 줄은 뚜렷하
0I 1, cm
다. 이러한 석편은 周口店 북경원인 유적에서도 출토되었다. 긁개 는 모두 여 섯 점 이 다. 그것들은 오목긁개 (Concave Scrape r) 두 점, 직선긁개 (Line ar S.) 두 점, 사용 흔적의 원형 긁개 (Round Scrap e rs wi th Utilise d Edg e) 두 점 등이 다. 오목긁개 (그림 15) 의 석재는 흑색 噴發岩이며, 사다리꼴형 (桃形)이 며 무게는 39 g이다. 벽개면은 움푹 파졌고, 삭박면은 약간 융기된 자연면이다. 타격면은 한 변연상에 위치하고 있다. 타격점과 가는 줄 은 뚜렷하며 벽개면에서 삭박면 방향으로 제 2 가공하여 예리한 오목날
0I 1, cm
0I 1I cm
을 만들었다. 날의 협각은 약 60° 이며 날의 직선은 4cm 이다. 한 점의 직선긁개는 회황색 석영암제이다. 자연면은 보이지 않고, 윤곽은 타원형이며, 약간 융기된 벽개면을 가졌다. 삭박면은 평탄하 고 가는 줄은 희미하고 타격점은 뚜렷하다(그림 16). 날의 협각은 56° ~65° 사이로 긁개나 자르개용으로 사용되었다. 무게는 20 g이다. 이 러한 직선긁개는 북경인에서도 자주 발견되었다. 이 석기는 또한 소 형석기를 西侯度人이 상당히 많이 사용하였음을 반영하여 준다. 단-양면기는 모두 10 점이다. 이 중에 양면기 (Double-Faced Chop - ping Tools), 단면기 (Sin g le Faced Chop pe rs), 사용한 단면기 (Chop pe r wi th Utilise d Edg e) 등이 포함된다. 한 점의 양면기는 회색 석영암의 두터운 석편으로 제작되었다. 타 원형이며 무게는 206 g이다. 일면은 자연면 (Cor t ex) 이고 다론 일면은 벽개면이다. 인공타격 흔적이 뚜렷하다. 다만 벽개면상의 가는 줄과 파문 (Concen t r ic Waves) 이 뚜렷하여 타격점의 위치가 변연상의 상단 에 있었음을 시사하여 준다. 삭박면은 자연면으로 장축을 따라 융기 되어 능을 이루었으며 단면은 사다리꼴이다. 소석편을 떼어낸 흔적이 13 곳으로 벽개면에서 삭박면 방향으로 처리되었다. 반대로 삭박면에 서 벽개면 방향으로 다섯 개의 소석편을 떼어내었다. 소석편이 떨어 져 나간 흔적이 대부분 깊은 것은 직접타법에 의한 것이라는 증거이 다. 날각은 55°~85° 사이이다• 단면기는 일곱 접이다. 그 중 한 점은 자색 석영제로서 윤곽은 삼
각형이며 무게는 333 g이다. 석기의 일면은 벽개면이고 일면은 자연 면이 그대로 남아 있다. 벽개면상의 타격점, 원뿔, 가는 줄과 과문은 뚜렷하다. 그것은 한 가장자리에 집중되었고 삭박면(자연면)에서 벽 개면 방향으로 소석편을 떼어내었다. 날의 직선길이 1lcm, 날의 협 각은 약 80° 이다. 큰첨두기 (Hevey Tr i an g ular-Po i n t)는 필자의 견해로는 단면기 (Chop - p er) 에 가까운데 그것은 동물화석과 함께 西侯度人砲塔 6053 지점에서 채집되었다. ’ 이 석기는 원 지층 (Ins it u) 에서 벗어났지만 부근에 다른 문화충이 없기 때문에 6053 문화충에서 나온 것으로 보고 있다. 石材 는 석영암, 뾰족한 磯石으로 만들어졌는데 인공이 가해진 흔적은 뚜 렷하다. 무게는 1,365 g이다. 뾰족한 역석 일단에서 세 점의 석편을 떼어내었는데 우측에서 한 점, 좌측에서 두 점이다(그림 17). 이러한 유형의 석기는 藍田 公王嶺에서 2km 지점에 있는 平梁에
0I I 3I cm
서 출토되었다. 이 의에 區iiiJ' 丁村에서도 발견되었다. 석 기 의 에 절 단 흔적 의 사슴뿔 (Antl er s wi th cut ting marks) , 불에 탄 뼈, 뿔과 말의 이빨이 발견되어 불(火)의 사용연대에 새로운 계시 를 주고 있다. 西侯度겁i土의 석기를 중국 구석기 고고학자들은 진정한 석기로 보 고있다. 이 유적은 충위가 명백하여 중국 전기홍적세로 보고 있다. 충위가 18 . lm 의 두께이며 모든 문화유물과 동물화석은 모래―자갈충과 모래 ―자갈충 사이의 모래충 (16 충)의 중간과 상부에서 출토되었다. 西侯度동물화석의 사멸屬은 47% 이며, 사멸種은 100% 를 차지하고 있다 . 泥iiiJ灣과 비교하면 泥iiiJ灣은 사멸속이 33%, 사멸종이 93.55% 이고, 현생종이 6 .4 5% 이다. 이에 따르면 西侯度 유적은 泥iiiJ灣 동물 화석보다 이른 시기에 속한다. 1947 년 李四光이 直山氷iiiJ期롤 발견함에 따라 중국 제 4 기 지질연구 는 상당한 진전을 가져왔다. 1949 년 이후 지질학자들의 노력으로 중 국 경내에 많은 氷iiiJ 유적이 발견되었다 . 제 1 간빙기, 죽 중국의 部陽―大姑間氷期는 유럽의 균즈―민델 간빙 기에 해당된다고 보고 있다. 藍田 A 의 처음 보고자는 藍田人 시기도 제 1 간빙기에 속한다고 보고 있다. 1930 년 초기에 버키트 (Burk itt, M . C. )는 석편석기의 제작은 중국에 서 확산되어 유럽 라인강 초원지구에 전해 주었고, 주먹도끼 (Hand axes) 제조자는 삼립거주자라고 주장하였다. 만약 이 논리에 따르면 주먹도끼문화는 삼림거주자의 전유물이고, 초원거주자는 석편석기를 사용하였다는 결론에 도달된다. 西侯度 문화 역시 석편석기 위주로 되어 있다. 西侯度 유적은 약 1 백만년 전 , 죽 전기흥적세의 석기문화로 고려되 고 있다 .11) 2 藍田유적 오래전부터 중국의 지질학자들은 藍田지역에서 제 4 기 지층을 찾기
시작하였는데 마침내 1959 년 신생대 퇴적층을 한 곳 발견하였다. 藍 田지역은 陝西省에 있는 것으로 滑河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藍田 지역에서 1963 년에 사람의 아래턱과 동물화석, 그리고 1964 년에 완전 한 사람의 머리뼈를 발견하였다. 1963 년 6 월 藍田 陳家寫의 홍색점토충에서 하나의 완정한 사람 아 래턱과 상당수의 동물화석을 발견하였다. 다음해에 같은 지역의 公王 嶺에서 하나의 완정한 사람 두개골과 동물화석을 발견하였다. 아래턱 과 두개골이 발견된 陳家窓와 公王嶺(그립 18) 등을 살펴보겠다. 陳家窓의 충위는 陳家窓村에서 남쪽으로 5km 의 지점에 있으며 浦 河의 강수준에서 160m 의 높이에 있다. 전체 충위 두께는 30m 아며, 위에서 아래로 다음과 갇이 분포되었다.
0* •2 •4 6 • km
18 충은 고운 모래에 석회석편이 섞였고 두께가 5.5m 이다. 17 충은 황색 점토, 두께 0 . 4m, 16 충은 古壤土, 두께 4 . 2m 이 다. 15 층은 붉은 색 모래 , 두께 0 . 7m 이 다. 14 층은 고양토, 두께 3 .lm 이 다. 13 층은 홍색점토, 두께 l.lm 이다、 12 층은 고양토, 두께 3.lm 이다. 11 층은 붉은색 점토, 두께 0.7m 이다. 10 충은 고양토, 두께 0.4m 이다. 9 층 은 고운 모래, 두께 0.6m 이다. 8 충은 홍색점토, 두께 0.8m 이다. 7 충은 古壤土, 두께 1.5m 이다. 6 충은 고운 모래질 점토, 두께 4.5m
o 2 4 6m
이다. 5 층은 고운 모래, 하부에 석회석편 혼합, 두께 3m 이며, 이 충 에 서 完 整한 사람의 아래 턱 과 이 리 (Cuon cf. A lpi nu s) , 호랑이 (Feli s cf. T i gris) , 멧 돼 지 (Sus Ly d ekkeri) 등이 출토되 었다. 4 층은 고운 모 래, 두께 0.3m 이다. 3 층은 古壤土, 두께 0.9m 이다. 2 층은 홍색 점토와 모래, 두께 l.lm 이다. 1 층은 자갈충이다(그립 19).12) 公王嶺(村)은 1964 년과 1965 년 2 년에 걸쳐 발굴되었다. 충위는 상 에서 하로, 12 층은 고운 갈색점토, 석회암 석편이 섞여 있다. 두께 l m. 11 층은 고운 모래 , 두께 1. 2m. 10 충은 고운 갈색 점토, 두께 0.5m. 9 충은 노란 淡色 모래질, 두께 1.4m . 8 충은 갈색 및 홍색 점토 , 석회암 석편 섞임, 두께 2m. 이 충위에서 석영, 수정화성암제 의 石物수정과 동물화석 출토. 7 충은 담황색 고운 모래 , 두께 0.2 ~ 0.6m, 소량의 동물화석과 석물 출토. 6 층은 황색 및 회색 고 운 모래, 두께 2.6m. 이 충위에서 사람 두개골 하나와 동물화석 출 토. 5 층은 황색 및 녹색 고운 모래, 두께 0.5m. 4 층은 갈색 및 혹 색점토, 두께 lm. 3 층은 노란 모래, 두께 1.35m. 2 층은 황색 및 갈색 모래질, 두께 1.35m. 1 층은 점토와 갈색 및 홍색의 거친 모 래, 두께 1.8m 이다. 公王 嶺 의 퇴적물에서는 8,7,6 층에서만 유물이 출토되었다. 두개골 과 동물화석은 6 충에서 출토되었고, 石物로는 단면기 한 점과 조각 기 한 점이 7 층과 8 충에서 출토되었다. 동물화석은 모두 38 종이다 (그림 20). 13) 陳家窓의 동물화석은 11 종이며 그 중에서 쥐토끼 (Ochoto n id e s Comp li c ide ns) 와 땅쥐 (My o spa lax Ti ng i) 는 周 口 店 제 1 지 점 보다 오래 되 었고, 公王嶺과는 동일 시기이다. 公王嶺의 동물은 38 종으로 그 중 옛 쥐 (Cric e tu l us Varia n s Zd.) 갈밭 쥐 (M icro tu s Ep ira tt ice ps Young) 등 23 종 (60%) 은 周 口 店 제 1 지 점 과 13 지점에서도 발견되었다. 쥐토끼 (Ochoto n id e s Comp li c ide ns B. et T.) 땅쥐 (My o spa la Ti ng i Young) 등 16 종 (42% )은 중국 전기흥적세 동물 이 다. 옛 두더 지 (Scap toc hir u s Moschasus M.E.) , 쥐 토끼 (Ochoto n a Dauri ca Pallas) , 쥐 토끼 (Ochoto n a Thib e ta n a M.E.) , 땅쥐 (My o spa lax Fonta n ier i M.E.), 산림쥐 (Ap o demus Sy lv ati cu s L.) 등 5 종이 발견되었는데 이 중 3 종은 중기홍적세에 처음 출현하였다.
EOOL·
그 의 쥐 토끼 (Ochoto n id e s Comp li c i d e ns B.e t T.) , 땅쥐 (My o spa lax Fo-nta n ie r i M.E) , i갑i iiiJ 쥐 (Bahomy s Hop so donta Chow et Li) , 땅 쥐 (My o spa lax Ti ng i Young ) , 산림 쥐 (Ap o demus Sy lv ati cu s L.) 등 5 종은 陳家腐 퇴적물에서 발견되어 公王嶺과 같은 시기라는 것이 증명되었 다 .14) 석기는 유감스럽게 陳家窓 퇴적물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公王嶺의 7,8 충에서는 일곱 점의 석물이 출토되었다 . 그것들은 석영 제 단면기(그립 21) 와 한 점의 조각기, 세 점의 석핵과 두 점의 석편 이다. 석재는 수정과 석영암이다 .15) 藍田人 화석의 아래턱은 1963 년 藍田지역의 陳家窓村에서 발견되어 「藍田猿人」이라고 불렀다. 1965 년 5 월 公王嶺村울 발굴하는 과정에서 사람의 이빨 한 점을 발견하였다. 여기에서 발견된 동물화석을 정리 하는 도중에 사람 두개골 하나를 발견하였는데 보존상태가 상당히 양 호하다. 顧項骨, 오른쪽 관자놀이, 코뼈, 위턱편 좌우의 두번째 오른 쪽 어금니와 세번째 어금니를 가지고 있었다. 1964 년 5 월 발굴시 왼 쪽 턱에 속하는 위아래 어금니를 발견하였다. 사람 두개골은 홍색점 토충에 있었고, 상당히 많은 검은 반점이 노정골의 뒤쪽에 남아 있 다. 두개골은 고고학자 吳汝康에 의해서 연구되었다. 두개골은 어떤
O! , 和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이마 의부 중심에 눈에 보일 정도로 홈이 파져 있었고, 두개골 주위의 압력받은 곳은 化石化 과정에서 부식되었다. 오른쪽 안공은 왼쪽 안공보다 돌기되었다. 그리고 왼쪽 노정골 하부 는 정상적인 것보다 높다. 冠狀終合은 봉합되었다. 두번째 오른쪽 어금니는 많이 사용된 것으 로 보아 약 40 세의 나이로 보고 있다. 일반적으로 구석기시대 사람의 관상봉합과 이빨은 현생인류의 것보다 더욱 중요하다. 藍田猿人의 것 은 약 30 세로 보며 성별을 구별하기는 대단히 어렵다. 아래턱의 이빨 이 적은 것으로 보아 여자로 보고 있다. 안공이 거칠고 큰 것은 북경원인이나 자바원인과 마찬가지이다. 미 간이 앞으로 돌기되었고 眉弓의 옆부분이 북경원인이나 자바원인의 것보다 크다. 후안공의 수축부분이 상당히 발달되었고, 眼孔의 모양 은 직사각형이며 그 천장은 아주 편편하다. 안공에는 小子 L 도 없고 눈 물구멍도 없다. 이마가 돌출되었고, 화살형 돌기부는 머리 위에서 찾아볼 수 없었 는데 그것은 화석화가 심하였기 때문이다. 周口店 제 1 지점의 인류화 석에는 모두 화살형 봉합점이 있다. 측정에 의하면 藍田원인의 미간은 북경원인과 자바원인의 것보다 크다. 남전원인의 두개골의 현과 弓狀部는 북경원인과 자바원인 사이 의 상한선에 가깝다. 이것은 남전원인의 이마가 돌출했음을 말해 주 는 것이다. 이마의 구멍은 없으며 上眼t L 은 상당히 거칠다. 이마는 최저 92mm, 최고 112mm 의 길이룰 가졌는데 정확히 측정하면 109 mm 가 된다. 결과적으로 남전원인의 이마는 자바원인의 것보다 크고 북경원인의 것에 가까우나 앞의 두 원인보다는 크다. 특히 이마의 내 부에 이마 돌기가 크게 발달되었는데 이러한 점은 인간의 성격을 확 실히 가지고 있는 것이 된다. 왜냐하면 영장류에는 그러한 것이 없기 때문이다. 남전원인의 노정골의 형태는 직사각형으로 이마와 前項의 각은 거 의 일직선이며 중앙봉합점의 弓狀돌기는 이마보다 짧다. 관자놀이 원 추상의 長軸은 원숭이와 현생인류 사이의 직접적인 매개체임을 보여 주고 있다. 관자놀이의 원추상이 얇은 것은 현생인류의 것과 같다. 관자놀이의 내부와 후부는 현생인류의 것보다 강하다.
남전원인의 두개골은 원인 중에서 가장 두꺼운 편이다. 이렇게 두 꺼운 것은 두개골의 어떤 병적 현상 때문이 아니고 그 내부와 외부의 볼륨에서 온 것이다. 두 개의 코뼈는 약 130 ° 의 각을 형성하고 있으 며 코와 이마의 봉합점은 잘 보존되었다. 이 봉합점과 이마―턱의 봉 합점과는 거의 일직선이다. 코는 현생인류보다 넓고 짧으며 턱은 비 교적 작다. 미루어 짐작컨대 여자의 것인 것 같다. 그 모습은 상당히 앞으로 나와 있고 턱의 내부는 콧구멍마루와 각을 이루고 있다. 그리 고 내부 코뼈가 있는데 이것은 인간의 성격을 잘 나타내 준다. 오른 쪽 턱의 측면부분에서는 齒租와 寫가 명백하게 보인다. 위에서 두번째 어금니의 冠狀은 직사각형이고 , 세번째, 어금니는 두번째 어금니를 닮았다. 그 관상은 작고 넓으며 삼각형이다. 두개골 에는 오른쪽 관자놀이뿐만 아니라 얼굴도 부분적으로 보존되어 복원 이 가능하다. 복원된 두개골은 길이가 189mm, 너비가 149mm 이며 관절 높이는 87mm 이다. 이 높이는 북경원인보다 작을 뿐만 아니라 트리닐이나 제티스 (D j e ti s) 에서 발견한 자바원인보다도 작다. 피어슨 (Pearson) 방식에 의해 뇌량이 측정되었는데 그것은 778cm3 이다. 그리고 두 개의 노정골이 찰 보존되어 두 노정골의 천장이 복 원되었다. 이것들의 측정 결과는 417.6cm 떠다. 뇌막 볼륨과 두 노 정골 전체의 비율은 775 : 78 . 3cm 떠다. 그 결과 남전원인의 뇌량은 780cm3 로 평 가되 고 있다. 종합하면 남전인의 두개골은 북경원인과 트리닐의 쟈바원인보다 오 래된 것이다. 형태학상으로 보면 남전인은 자바원인과 아주 가깝다. 죽 남전인의 두개골은 자바원인의 형태 중의 하나를 대표하며, 많은 형질인류학자와 분류학자들은 모든 자바원인형은 同種에 속한다고 생 각하고 있다. 이러한 개념은 상당히 논리적이고 발전적이다. 〈남전원 인 〉 은 1963 년 하나의 아래턱에 지칭된 것이지만 두개골과 같은 유형 으로 지질연대는 중기홍적세에 속한다 .16) 3 區河유적 1957 년 11 월 동안에 中國科學院 古背椎動物與古人類硏究所에서는
山西 丙城縣 區河에서 전기구석기시대에 속하는 중요한 유적을 발견 하였다. 이 유적은 1960 년 6 월 17 일에서 7 월 31 일까지 1 개월 반에 걸쳐 발굴되었다. 區河지역에서 모두 11 지점이 발굴되었다. 11 지접 중에서 가장 중요 한 지점은 6054 지점이다. 11 지점은 다음과 같다(그림 22). 6051 지점, 西陽村 남쪽 黃河岸邊, 區河村에서 남쪽으로 1.5km 지 접 (거리). 6052 지점, 蜀頭 俊潤河, 區河村에서 북쪽(偏西)으로 3.5km 지점. 6054 지접, 區河潤 左側, 區河村에서 동쪽으로 0.75km 지점. 6055 지점, 獨頭 南括(鐵路 東側), 區河村에서 북으로 4.0km 지점. 6056 지접, 獨頭 咸 7k 溝 區河村에서 북으로 4.2km 지접. 6057 지점, 長旺村 堯廟溝, 區河村에서 북으로 약 2km 지점. 6058 지점, 獨頭 北溝, 區河村에서 북으로 4.5km 거리. 6059 지점, 區河潤右側, 區河村에서 동으로 0.25km 거리. 6061 지점, 西陽村 北黃河岸邊, 區河村에 서 남으로 1. 3km 지점 .
35°
30m1i l{ :;> 藍i•fll ll (kehejii inl 6054&6060
6062 지점, 『山口 南溝 區iiiJ村에서 동남으로 9km 지점. 6065 지점, 東王村南艦下, 區iiiJ村에서 동남으로 8km 지점. 모든 지점에서 포유동물 화석과 석기가 출토되었다. 이것들은 모두 동일한 지질시대인 중기흥적세 전기에 속한다. 절대다수의 포유동물 화석과 석기가 6054 지접인 區iiiJ潤 左信 l 에서 발견되었다(그립 23). 6054 지점의 충위는 가장 중요하다. 충위는 상에서 하로 되어 있다. 동물화석. 포유동물 화석은 區iiiJ 6054 지점, 西陽 6051 및 6061 지 점, 獨頭 後洞iiiJ 6052 지점, 獨頭 咸水溝 6056 과 獨頭 6055( 철로 동 쪽) 등 지점의 홍색 토양 아래의 자갈충(泥灰層) 중에서 석기와 함께 발견되었다. 이러한 포유동물 화석은 연체류를 제의한 포유동물이 4 目 11 屬 13 種이다.
흥적세 QI 자갈을 포함한 모래질 황토층, 두께 1.5m. 현생인류 (Homo sap ien s sa pi ens) 의 아래턱과 석기가 출토 ~부식토~ 홍색점토, 두께 약 22m, 點性質 土円에 포함된 자갈충 의 두 충위 : 자갈충은 위충, 아래는 모래충 고운 모래충, 두께 lm 교차된 모래충, 두께 4m 엷은 감황색 자갈충, 두께 lm 동물화석과 석기 출토 ~부식토~ 진흙질 점토, 深度 5~10·, 점토 바닥 드러나지 않음
연체동물은 옛조개 (Lamp ro tu l a Anti qu e Odher), 설치류로서 소형설 치목의 앞니 한 점 외에 털코뿔소 (Coelodon t a sp. ) , 말 (E quus sp. ), 멧 돼지 (Sus sp. ) , 厚皮사슴 (Eury c eros Pachy o ste u s=Meg a ceros (Sin o me ga ceros) Pachy o ste u s Young ), 福 角 사 슴 (Euryc eros Flabellatu s= Mega ceros (Sin o meg a ceros) Flabellatu s (Teil h ard) ) , 꽃사슴 (Pseudaxis sp. ), 사슴아과 (Cerv i dae), 물소 (Bubalus sp. ), 들소 (B i son sp. ) , 쯔단 스 키 劍 齒 象 (Ste g o don Zdansky i Hop w ood) , 동 방劍 齒 象 (St eg od on cf. Or ien ta l is O wen) , 나마象 (Palaeoloxdon cf. Namadic u s F. & C.) 등이 다. 이 상의 11 속 13 종의 포유동물 중 〈種〉으로 밝혀 진 것 이 모두 7 종 이다. 이 7 종 중에 1 종은 鮮新世에 생존하여 중기홍적세에 사라전 동방검치상이고, 2 종은 전기홍적세에 생존하여 후기홍적세에 사라전 털코뿔소와 나마상이다. 나머지 4 종은 중기홍적세의 전형 또는 전형 에 가까운 동물이다. 다시 말하면 중기홍적세 에 속하는 포유동물이 상당히 많은데 그 중 에서 중기홍적세의 이른 시기의 대표적인 福角鹿과 그보다 더 오래된 쯔단스키검치상도 있다. 그래서 이러한 동물화석과 석기는 중기홍적 세의 가장 이른 시기인 周口店중국원인 화석산지인 하부되적(제 10 층 이하) 또는 周口店 제 13 지점의 시대에 해당한다. 석기 區iiiJ 6054 와 獨頭 南溝 6055 지점에서 석기가 가장 많이 출토
되었다. 區河 석기에 대한 설명은 이 두 지점이 위주가 된다• 석기들 은 어느 것은 진흙충에서 출토되고, 어느 것은 자갈충(樂石단)에서 출토되었지만 충위의 상하관계와 동물화석의 성질로 보아 석기들은 동일 지질시대인 홍적세 중기(周口店期)에 해당된다. 석재는 국소수의 맥석영 의에 모두 석영암제이다. 또한 區河 석기 의 대부분은 자연면 (Na t ural Co rt ex) 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당 시의 사람들이 부근의 강변에서 석영재 자갈을 주워다가 석기를 제작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石物은 크게 석핵과 석편으로 분류되고 있다. 석핵은 모두 52 점인 데, 석핵의 성질에 따르면 당시 사람들은 석편을 얻기 위하여 직접타 법 과 모루상타격 법 (Flake Str i k e d on Sto n e Anvil ) 등의 두 가지 방법 울 사용하였다. 소위 직접타법은 후기구석기시대에 창조된 〈간접타법〉의 상대적인 뜻이다. 직접타법은 돌마치 (전기구석기시대 후반기에 나무 또는 뼈 • 뿔 등을 돌마치 대용으로 사용)로 석핵에서 직접 때려 석편을 떼어내는 방 법이다. 52 점 석핵 벽개면(박락면)의 관찰에 의하면 타격점은 모두 대단히 집중되고, 석편 흔적이 상당히 깊고 (!!]되었다. 이러한 것은 돌마치로 직접 때렸다는 증거이다. 이러한 석핵은 삼종형식으로 구분 되고 있다. l. 礎石 平面을 타격 면으로 삼은 것은 모두 27 점으로 전체 의 55% 를 차지하고 있다. 형상은 긴 자갈(長礎石), 네모난 자갈(方礎), 기타 의 역석으로 구별되지만 하나의 공통성격은 역석 평면을 타격면으로 삼았다는 점이다. 區河 6054 지점에서 발견된 분홍색 석영암제 석핵 (그림 24 • 1) 은 크기가 11.5X10.5X9.4cm 이다. 형상, 보존된 자연면 및 능각에 의하면 한 점의 네모난 자갈로 만들어졌다. 석편은 역석 평면주위에서 대칭적으로 타격을 가하여 떼어내었다. 2. 작은 역석 주위의 한 면을 타격점으로 삼은 것은 모두 7 점으로 전체의 13% 를 차지하였다. 석재는 석영암이다. 진한 갈색 석영암제의 한 점 (그립 24 • 2) 은 죠河 6054 지점에서 출 토된 것으로 크기는 9.5X7.5x3 . 5cm 이다. 삭박면의 자연면에 근거 하면 원래 한 점의 작고 긴 역석이다. 벽개면 방향에서 보면 석편을 제거할 때 역석 주위를 따라서 한 방향으로 때렸다. 석편을 때어낸
2
흔적이 모두 중심부분에 집중되었다. 3. 結晶面 (Face t s) 을 타석면으로 삼은 것은 모두 15 점으로 전체의 28% 를 차지한다. 소위 이러한 타격면은 석핵상에서 이미 석편을 떼 어낸 면을 재타격면으로 삼은 것이다. 흑색 석영암제의 한 점은 獨頭 北溝 6058 지점에서 출토된 것으로 크기는 8.4x6.2x5.4cm 이다. 형 상은 위가 넓고 아래가 가는 깔때기 모양이다. 위의 넓은 부분에서 여러 편의 결정면을 떼어낸 흔적이 있는데 이곳을 타격면으로 삼았 다. 4. 모루상타격법으로 석편을 떼어낸 석핵은 한 점으로 전체의 2% 롤 차지하였다. 담황색 석영암제로 크기가 18x12x8.5cm 이다. 동일 방향으로 박락되 어 석 편흔적 (Facets ) 이 중복되 었다. 모든 석 편흔적 이 넓고 길며 타격점이 산만하고, 원뿔은 뚜렷하지 않다. 타격면의 가장 자리는 孤形 缺口이다. 이러한 석핵은 중국원인 화석산지 및 丁村유 적에서 많이 발견되었는데 區河에서는 드물다. 석편 底河석기는 석편석기 위주이다. 區河 및 그 부근의 역석층 또 는 진흙층에서 발견된 미가공 또는 약간 가공된 석편은 모두 66 점이 다. 석편의 타격흔적에 의하면 이 석편들은 석핵상에서 직접타법, 모 루상타격법과 投擊法(역석을 모루상에 던지는 방법) 등 세 가지 방법에
그림 25 區河 석편 (X2/3)
의해서 떨어져 나왔다. 직접타법에 의해서 떼어낸 것은 63 점이다(그 림 25). 석편각은 115°~120· 사이가 많고, 90°~100· 사이는 찾아볼 수 없다. 모루상타격법에 의한 석편은 두 점으로 그 중 한 점은 區河 6054 지접에서 출토된 것으로 회황색 석영암제로 크기는 ll. 3X 8. 2X 3.7cm 이다. 타격점은 산만하고 원뿔은 거칠고 크다. 각은 130° 이다. 타격면은 孤形으로 모루상에서 떼어낸 흔적을 가지고 있다. 부격법에 의해서 떼어낸 석편은 獨頭 6065 지점에서 출토된 것이 유일한 것이 다. 윤곽은 부채형으로 크기는 23.5X31.5x7 . 5cm 이며, 무게는 5.35 k g이다. 이 석편은 중국 구석기시대 유적에서 출토된 것으로 가장 크다. 타격점은 산만하고, 원뿔은 거칠고 크며, 가는 줄 (S tri es, F i ssure) 과 파문 (Concen t r ic waves) 이 뚜렷하다. 석편각은 130' 이며 삭 박면상에 자연면이 남아 있다. 이와 같이 두럽고 큰 석편은 돌마치를 사용하여 떼어낼 수 없다. 큰 돌을 높이 쳐들고 밀에 있는 모루(巨型 石核)의 가장자리에 맹렬히 내려쳐서 이와 같이 커다란 석편을 떼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투격법이라고 부른다. 區河 석기 중에는 석편석기 의에 석핵으로 만든 것도 상당수가 있 다. 석기는 단 • 양면기, 긁개, 삼각형 대첨두기와 소첨두기, 그리고 다면기 (사냥돌, 石球, bolas) 등이다. 단 • 양면기는 모두 7 점으로 그 중에서 석핵제가 네 점, 석편제가 세 점이다. 그림 2 6.'.본 거석편으로 사용 흔적이 있다고 하면서 단·양면기 범위에 넣고 있는데 이 석편 은 사용된 석편 범위에 넣어야지 단 • 양면기의 범위에 속하게 할 수
오 L1 표如
\ I 기
는 없다. 그림 27 도 갈색 석영암제의 두꺼운 석편제 단면기라고 보는데 이것 도 굵개로 보아야 할 것이다. 벽개면은 평탄하고 삭박면에는 능선이 있으며 일면은 오목하고 일면은 돌기되었다. 삭박면에 수정을 하였다 고 보았는데 이는 긁개라는 것을 설명하여 준다. 타격면은 자연타격 면이며 길이는 7cm, 날각은 60°~70° 이다. 양면기 한 점(그립 28) 은 6054 지점에서 출토된 것으로 회백색 석영
四야
그림 29 區河 긁개 (X1 /1)
암제이다. 크기는 17X15X4.5cm 로 상당히 크다. 이 석기는 크기 때 문에 양면기로 칭하고 있는데 실제 양면기로 보기는 어렵다. 예를 들 면 원석편의 타격면은 제 2 가공에 의해서 파괴되었다. 다만 가는 줄 방향과 부근의 융기된 상태에 따라서 타격점의 위치가 확인되었다고 한다. 커다란 석편상에 제 2 가공을 한 것은 다른 석기로 보아야 한다. 區河에 礎石이 풍부한데 석편으로 단 • 양면기롤 제작하였다고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생각된다. 양면기는 전기구석기시대에 자주 볼 수 있는 공구로서 中國猿人 화 석 산지, 周口店 제 15 지점과 丁村 유적 동에서도 출토되었다. 그것들 의 유형은 區河의 것보다 더욱 복잡하다. 단, 양면기는 주로 나무를 자르는 欲伐용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 공구는 다목적에 사용되었 다. 區河 각 지점 중 제 2 가공된 긁개는 수량이 많지 않다. 일반적으로 소석편 가장자리를 손질하여 긁개를 제작하였다. 그 석편의 너비는 길이보다 크다. 긁개는 모두 7 점이다. 소석편 가장자리의 벽개면에 서 삭박면 방향으로 손질하여 긁개를 만들었다. 그립 29 는 黑紫色 석 영암제로 크기가 4X4.5x 1. 8cm 이다. 넓고 두꺼운 석편으로 제작되 었다. 타격면은 크고 석편각은 120· 이다. 삼각형 대첨두기 한 점(그림 30) 은 1957 년 11 월에 區河 사이의 홍 색토 아래의 역석층 내에서 발견되었다. 석재는 갈황색 석영암으로
`
크기는 11.5x7.7X6.2cm 이다. 원뿔은 비교적 집중되고 거칠며 평탄 하다. 타격면과 벽개면 사이의 邊緣은 굽어졌다. 원단 (D i s t al) 에 자연 면 일부가 남아 있다. 석편의 세 곳 가장자리를 교차 타격하였는데 交角은 일반적으로 80° 이다. 어느 것은 90° 롤 초과하고 어느 것은 70° 정도이다. 삼각형 대첨두기는 丁村 유적에서도 상당히 많이 발견되었다. 區河 의 석기는 丁村의 타격방법과 기형 등이 동일하다. 소첨두기 (그림 30 • 2) 한 점은 淡紫色석영암제로서 獨頭 咸水溝 6056 지점에서 발견되었다. 크기는 3.4x2.7x1 . 3cm 이다. 이 석기는 두터운 석편으로 제작되었다. 석편각은 l1T 이며, 원단 (D i s t al) 은 경 사지고, 윤곽은 부동면 삼각형이다. 타격면은 자연타격면이며 원뿔은 뚜렷하지 않다. 이 석편은 모루상의 타격법에 의해서 떼어졌다. 다면기(石球 사냥돌, bolas) 는 底i마유적에서 3 점이 출토되었다. 다면기는 丁村유적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다면기 (그립 31) 한 점이 區河 6054 지점에서 발견되었다. 흑색 석 영암제로서 크기는 8.5X9.5cm 이며 무게는 1035 g이다.
그림 31 臣iiiJ 다면기 (X2/3)
이 다면기와 丁村의 것은 동일하다. 타격면과 결정면 사이의 각도 는 커서 110°~130° 이다. 다면기의 용도는 수렵용의 두척무기와 돌마 치용 등 두 가지 학설이 있다. 그러나 底i마의 것은 수렵용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위의 석기 의에 西陽 6051 지점에서 불에 탄 뼈가 발견되었다. 불에 탄 뼈는 周口店 중국원인 산지에서도 상당량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區河의 탄 뼈는 인공적인 것인지 자연적인 것인지 확인되지 않고 있 다. 區河의 충위에서 특별한 점은 진흙질 점토(泥灰質 帖土)상의 자갈충 (深石단)에서 석기와 전형적인 중기홍적세의 포유동물이 발견되었고, 이 자갈총상의 높이 30m 가 되는 모래와 홍색토가 퇴적되어 충위 되 적의 전후 관계를 뚜렷이 제공하여 주고 있다. 區河의 역석총에서 거의 전형적인 중기홍적세의 동물화석이 7 종 출토되어 충위를 구분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 區河의 석기는 석편석기 위주이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 전기구석기 시대 문화의 공통된 성격이나. 區河의 석기와 중국원인의 것들을 비교하면 중국원인의 석기는 그 유형과 타제기술이 모두 區河의 것보다 전보되었다. 區河와 丁村의 관계는 석기의 유형과 제작기술 등이 상호 始源關係 가 있다. 충원 석기, 화석 등에 근거하면 區河 유적은 중기홍적세 초기에 속하며 문화 자체는 전기구석기시대의 이른 시기에 속한다 .17) 4 周口店 周口店 마울은 북경에서 남서쪽으로 48k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周口店은 오르도비쓰紀의 석회암으로 형성된 작은 산이다. 이 석회암 산은 여러 곳이 크게 균열되고 풍화되었다. 석회를 채취하기 위하여 지하동굴을 많이 팠는데 이 속에서 많은 종류의 동물화석이 발견되었 다. 그후 학자들이 周口店 지역에서 22 곳의 퇴적동굴(그립 32) 을 발 견하였다. 그 중에서 1 • 13 • 15 와 山頂洞은 구석기시대 유적이다. 이
NA-
러한 지점들은 제 3 기 풀라이오세에서 시작하여 후기홍적세까지 연속 된 것들이다. 프랑스 지 질 및 고생물학자 떼 이 아르 드 샤르댕 (P.Teil ha rd de Chardin ) 은 周 口 店 동굴퇴 적 의 일부 (그림 33) 를 보여주고 있다. 제 22 지점은 후기흥적세에 해당된다. 5 점의 石物 (2 점의 석핵, 4 점 의 석편)과 최후하이에나, 鹿 등 2 종이 출토되었다. 위치는 제 1 지 점에서 2km 지점에 있으며 해발 40m 이다 .20)
그림 33 周 口 店 (Teil ha rd, 1941)
A 周口店 제 13 지점 고고학자 • 고생물학자인 裵文中이 周口店 제 13 지점을 발굴하였다. 1933 년 11 월 에 시 작하여 1934 년 7 월까지 발굴하였다. 400m 떡 발굴 에서 161 상자의 화석을 발견하였다. 충위 제 13 지점은 제 1 지점에서 남쪽으로 1km 지점에 있는 석회암 언덕의 경사전 곳에 위치하고 있다. 해발 150m 이다. 동서쪽 방향에 서 처음 발견된 퇴적층은 하나의 둑(Dy ke, 길이 15m, 높이 6m) 으로 나타났다. 이 지점의 퇴적은 2 층으로 구분되었다(그립 34). 상충은 두께 4m, 모래질 붉은 점토층으로 약간의 석회석 파편을 포함하고 있다. 충위의 상면이 검게 변화한 것은 기후 변화에서 오는 결과로 보았다. 상당수의 석회석 파편과 종유석편이 혼합된다. 하층 퇴적相 이 약간 변하고, 석회석 파편이 더욱 증가하여, 점토질 내에 석회석 이 침투되어 있었다. 부분적으로 종유석도 섞여 있었다. 동물화석은 대부분이 상충에서 발견되었다. 이러한 동물들은 周口 店 제 1 지점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동물들은 고슴도치 (Er in aceus sp. ) , 이 리 (Canis Lup u s Varia b li s P ei) , 여 우 (Vulpe s cf. Corsac L.) , 곰 (Ursus sp. ) , 오 소 리 (Meles cf. Leueurus Hodg .) , 족 제 비 과 (Mus·
E
tel i da es) , 하이 에 나 (Hy a ena Sin e nsis ( Owen.) Z d) , 개 (Cy n ail ur us sp. ) , 沙 ~ (Arct om y s sp. ) , 받 쥐 (Sip h neus Ti ng i Young ) , 두 더 지 (Hy s tr i y sp. ), 쥐토끼 (Ochoto n a sp. ) , 둘토끼 (Lep u s sp. ) 三門馬 (E q uus cf., San-menie n sis T. et P.), 코뿔소 (Rh i noceros Merck Kaup ), 털코뿔소 (Rh i noceros Ti ch orhin u s Cuv.) , 멧 돼 지 (Sus Ly d ekkeri Zd.) , 꽃 사 슴 (Pseudaxis . s p. ) , 사슴 (Eury c eros (Sin o -Meg a ceros Diet r i c h ) sp. nov) , 식 물화석으로 박수자 (朴樹子, Celtis s p. ) (周口 店 제 1 지 점 에서 도 출토) 등이다. 동물상은 일반적으로 周口店 제 1 지점과 갇다. 그러나 고생 물학적 입장에서 보면 제 13 지점의 밭쥐와 사슴 등은 周口店 제 1 지점 의 것들보다 오래되었다.
4cm
석기. 사람이 존재한 증거로서 한 점의 양면기 (그립 35) 가 상충의 맨 밀에서 출토되었다. 석재는 珪質岩이며 크기는 78.5X58. 0X 36.3 mm 이다. 석기 주위에 탄 혼적이 있는 뼈조각편이 발견되었다 .2 1) B 周口店 제 1 지점 1921-23 년 사이에 앤더슨과 쯔단스키는 周口店에서 하나의 동굴되 적을 발굴하여 2 점의 사람 어금니와 약간의 동물화석을 발견하였다. 발견된 동물화석을 분석하는 도중에서 또 하나 사람의 세번째 어금니 를 발견 하였 다. 다비 드슨 블랙 (David s on Black, 1884 ~ 1934) 은 이 어 금 니를 〈北京猿人〉이라고 이름지었다. 그 결과 이 동굴을 周口店 제 1 지점이라고 번호를 부여하고 1927 년부터 정식 발굴을 시작하였다(그 립 36). 裵文中아 발굴책임을 말았다. 1928 년 여름발굴에서 사람 두 개골편 수 점, 2 편의 턱뼈와 독립된 몇 점의 이빨울 발견하였다. 1929 년 12 월 3 일 裵文中이 자바원인 (P it hecan t hro p us) 과 거의 같은 하 나의 완정한 사람 두개골을 발견하였다. 1931 년 裵文中이 불을 사용 한 흔적의 塘地와 인간이 제작한 석제 공구가 있다고 발표하였다. 동 시에 떼이아르 드 샤르댕과 楊鍾健은 周口店 제 1 지점의 퇴적층과 고
주- 石灰石
생물을 자세히 연구하였다. 1927~37 년에 이르기까지 모두 147 점의 사람 이빨이 발견되었다. 그 중에 83 점은 턱 속에 있었고 64 점은 홑 어져 독립되어 있었다. 그 중의 상당수가 젖니였으며, 모두 32 인의 개체와 88 종의 동물화석이 발견되었고 10 만여 점의 石物이 발견되었 다. 10 여 년이 지난 1949~51 년 사이에 5 점의 사람 이빨, 한 점의 사 람 넓적다리뼈, 한 점의 정강이뼈가 발견되었다 .22> 1959 년에 제 1 지 점의 10 층에서 하나의 사람 아래턱이 발견되었다 .23) 이로써 현재 발 견된 동물화석은 97 종이 된다. 제 1 지점은 周口店 지역에서 제일 중요한 장소이다. 충위는 1929 년 에 떼이아르 드 샤르댕과 楊鍾健에 의해서 10 층으로 구분되었다. 1949 년과 1951 년 사이에 3 층을 더 발굴하여 13 층(그림 37) 이 되었 다. 1959 년 동굴바닥 충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 1 지점 남쪽벽 부근에 깊이 lOm 의 굴착을 실시하였다 .24) 이 굴착은 4 층으로 분류되어 14 충에서 17 충(그립 38) 까지 확인되었다. 14 층과 15 층은 중기홍적세 전 기의 龍骨山組에 해당되고, 16 층과 17 충은 전기홍적세에 속한다. 14 충은 홍색점토, 역석충, 15 층은 갈홍색 거친 모래 • 역석충이다. 이 두 충을 용골산조라고 부르는 것은 14 층에 빙되석이 인정되었고, 그 러한 빙퇴석으로 龍骨山빙하기가 성립되었기 때문이다. 16 층은 회
二角 礎灰岩華
( 표m9 1)고 F수广 평- 0°후 300. 동 궁 바 닥 표고 91 .iOm
색 • 갈회색 엷은 점토질 모래충, 17 충은 황갈색으로 역석 • 고운 모래 와 거친 모래층이다. 이 네 충에서는 동물화석이 발견되지 않고 14 층 과 15 층에서 식물화석, 그리고 16 충에서도 식물화석이 발견되었다. 14 와 15 층은 古地磁측정으로 890,000 년, 중기홍적세 초기에 해당된 다. 그러나 17 충에 대해서는 별다른 설명이 없다 .25) 1~13 층까지가 周口店 제 1 지점의 주된 충위이다. 이유는 14 충에서 17 층까지는 식물화석만 출토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퇴적층은 길이 lOOm, 두께가 약 40m 이며 붉은 점토로 형성되었고 부분적으로 모래, 석회석, 커다란 암석, 그리고 잿더미가 있다. 13 층 퇴적물을 賈 蘭坡 가 크게 3 층으로 분류하였다. l~3 층은 C 군, 4~10 충은 B 군, 11~13 층은 A 군이다. C 군 (1~3 층) : 1~2 층은 角礎岩層과 石灰華層, 두께 4.5m, 3 충은 천장에서 굴러 떨어진 암석, 두께 3m, 周口店 제 15 지점과 갇운 위치 에 있다. 제 15 지점은 제 1 지점에서 70m 의 거리에 있다. C 군은 후기 홍적세에 속한다. B 군 (4~10 층) : 4~5 층의 상부는 잿더미충이다. 잿더미가 모래질 점 토에 섞여 있다. 赤鹿, 사슴, 들소, 야생양과 코끼리 출토. 이 충에 3 곳의 고고학충(문화충)이 있는데 그것들은 정상, 중심부와 하부에 있다. 두께 5.9m 이다. 북경원인의 독립된 상당수의 이빨과 털조각편, 두개골편과 손뼈 등 이 동시에 발견되었다. 중심부에서 북경원인의 두 점의 어금니가 쯔단스키와 볼린 (Boh li n) 에 의해서 발견되었고, A 지점에서는 턱조각편이 발견되었다. 6 층은 화석화된 각력암, 부분적으로 종유석이 깔려 있다. 두께 8m. 7 층은 모래충, 멧돼지, 물소가 출토. 두께 6.5m. 8~9 충은 각력암충, 동물 화석으로 곰, 호랑이, 해리, 고슴도치, 沙權 등이다. 두께 6.5 m . 동 시에 C 지점에서 북경원인 아랫니 6 점과 다른 이빨 3~4 접, 그리고 D 지점에서 하나의 두개골편이 발견되었다 .26) A 군 (10~13 층) : 10 층은 붉은 모래와 잿더미충, 동물화석은 三門馬, 멧돼지와 몇 점의 독립된 猿人 이빨, 식물 등이 출토. 두께 1.6m. 11 층은 각력충, 동물화석 코뿔소, 큰원숭이 등이 출토. 두께 2m. 12 충은 붉은 모래충, 두께 2m. 13 층은 붉은 진흙, 굵은 모래와 사암
(砂 岩 )이 섞였다. 두께 2m. 동물화석은 三 F1. 構, 중국 하이에나와 2 점의 석물(굵개 한 접, 석편 한 접)이 출토. 11 층의 사슴 (Eur y ceros fl abella t us) 은 13 층과 C 군에 없으며, 단지 周口店 제 13 지점에서만 출토되었다. 여기에 근거하면 A 군은 중기홍 적세 초기 죽 周口店 제 13 지점과 같은 시기로 보고 있다 .27) 습屈子堂(동굴, 그림 36 참조)에도 고고학충이 존재하였다. 많은 숯과 동물화석이 출토되었는데 동물로는 코뿔소, 영양, 코끼리 등이 있다. 이 충에서 또한 완정한 사람턱 한 점과 두개골편 두 점이 출토되었 다. 북경원인의 턱은 한 점의 쇄골과 함께 G 지점에서도 출토되었다. 이 충은 각력암이 섞여졌는데 시기는 8~9 충과 동일한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서는 특히 석영제 공구가 많았다 .28) 周口店 제 1 지점의 인류화석출토 위치를 A~G 지점으로 표시하고 있다. 충위에 관계없이 나열되었다. A 지점의 세번째 어금니 한 점이 5 층에서 쯔단스키에 의해서 발견 되었다. 아래 첫번째 어금니가 1927 년 볼링에 의해서 발굴되었고, 1928 년에 성인의 오른쪽 턱뼈가 알려졌다. B 지점의 4 층에서 어린애의 독립된 이빨, 어린이의 턱, 허리뼈와 상당수의 두개골편이 발견되었다. C 지점에서 1928 년 6 월 13 일 裵文中은 8 충에서 성인의 앞어금니, 작은 機骨, 아랫니 5 점 (송곳니 1 점, 어금니 2 점, 앞어금니 1 점과 앞니 l 점)을 발견하였다. D 지점에서 1929 년 9 월 裵文中은 9 충에서 한 점의 아래 앞어금니, 한 점의 아래 앞니, 위쪽의 중심앞니를 발견하였다. 1930 년 3 월 실 험실에서 화석을 조사하던 과정에서 마모가 심한 한 점의 아래 어금 니를 발견하였다. 1930 년 6 월 같은 충에서 두개골편이 발견되었다. E 지점에서는 1929 년 12 월 2 일 裵文中이 10 층에서 완정한 사람 두 개골 하나를 발견하였다. F 지점에서는 같은 해 가울에 동일'7-]점에서 위턱편이 발견되었다. G 지점에서는 1931 년 6 월 습軒子堂의 석영 2 층을 발굴하던 도중 裵文 中이 성인의 두개골 3 편, 위턱뼈 2 편울 발견하였다. 모든 유물은 동일구역에서 출토되었다. 그것들은 석편과 재(灰)를 동반하였다. 그 리고 같은 총위에서 왼쪽 쇄골 1 편이 발견되었다.
• 1949 년 이후부터 周口店 제 1 지점의 인류화석 출토지에 대해서는 A 또는 B 지점으로 구분하지 않고 충위를 밝혔다. 1959 년 7 월 6 일 하나 의 완정한 사람 아래턱이 10 충에서 출토되었다 .29) 제 1 지접의 동물화석은 대단히 풍부하며 97 종이 된다. 그 중 대표적 인 것을 살펴보겠다. 식충류 : 사향두더지 (Scap toc hir u s Prim i tivu s Zdansky ) , 물 생 쥐 (Neomy s Sin e nsis zd.) , 고 슴 도 치 (Erin a ceus Olga i Young ) ; 익 수 류 (Chorop ter es) : 박 쥐 (My o ti s sp. ) , 갈 색 박 쥐 (Pip is- tre llus sp. ) . 설치류 : 주머니쥐 (마르모토, Marmota Bobak(Raddle)), 갈 밭쥐 (Mi cro tu s Ep ira tt ice p s Young ) , 쥐 토끼 (Ochoto na sp. A ind et. ) . 長 鼻類 (Probos i d i en) : 나마상 (Palaeoloxodon cf. Namadic u s (F.et c)). 기 제 류 : 코 뿔 소 (Decerorhin u s cf. Ki rc hberge nsis (Ja ig e r)), 털 코 뿔 소 (Coelodonta sp. ) . 우 제 류 : 멧 돼 지 (Sus Ly d ekkeri) , 厚 皮 사 슴 (Meg a ceros Pachy o ste u s(Young )) , 누 렁 이 (Cervus sp. ind et. ) , 영 양 (Gazella sp. ind et. ) , 양 (Ovis sp. ) , 물소 (Bubalus Teil h ard Young ) , 들 소 (Bi so n sp. ind et. ) . 영 장류 : 큰원숭이 (Macaca Robustu s Young ) . 무 척 추 동 물 (lnverte b res) : 강 달 팽 이 (Gastr o p o de Fluvia t i le) , 달 팽 이 (Planorbis Chil ien s Pin g ) , 육지 달팽 이 (Gastr o p o de Terrestr e ) , 주구접 소라 (Hel i x Choukouti en s Pin g ). 척추동물 : 양서류, 두꺼비 (Bubo Bufo Lin n aeus) , 루나 (Runa cf. Asia t i ca Bedria g a) , 파충류, 뱀 류 (Op h id e a ind et. ) , 도마뱀 (Lacert ilia ind et. ) , 거 북이 (Chelonia ) . 30> 학문적으로 가장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1~13 층에 모든 〈種〉의 동 물화석이 존재하였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동물은 중국 제 4 기 지질연 구뿐만 아니라 중국 인류사를 연구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필자의 논문, 「中國 舊石器時代의 晴乳動物」 31) 을 참고하여 주기 바란다. 석기. 1920 년경 앤더슨(J .A) 은 周口店의 화석퇴적에서 출토된 석영 파편에 대하여 대단한 관심을 표명하면서 이 석영 석편이 인간에 의 해서 제작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1927 년부터 周口店 제 1 지 점에서 석영편이 상당수 발견되었지만 아무도 사람에 의해서 만들어 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다비드슨 블랙은 周口店 제 1 지점에서 는 사람이 만든 석기나 불의 사용 흔적이 전혀 없을 것이라고 발표하 였다.
1931 년 4 월 裵文中은 제 1 지점에서 한 곳의 석영충을 발견하였다. 석영 제 1 층은 4 층(지층)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었다. 같은 해 7 월에 裵文中은 습軒子堂에서 또 한 곳의 석영충을 발견하여 석영 제 2 층이라 고 불렀다 .32) 1932 년 제 1 지점의 고고학충은 때이아르 드 샤르댕과 裵文中에 의해 서 3 층으로 나뉘어졌다 .33) 1931 년부터 1966 년까지 제 1 지점에서 석물(石物)이 약 10 만 점 발견 되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진정한 석기는 많지 않았다. 석재는 석 영암, 영정, 규질암, 사암과 석회암 등이다. 석기 제작방법에 관해서는 1962 년 中國科學院 古生物學會의 구석기 연구실에서 10 만의 석물 중 5,897 점을 엄선하여 분석한 결과 세 가지 제 작방법 을 발견하였다. 첫 째 는 직 접 타법 (延擊法, Di re ct Percussio n wi th Hammersto n e) 으로 이 것은 강자갈 (礎石) 을 한 손에 들고 다른 손에 돌마치를 든 다음 강자갈에 타격을 가하는 방법이다. 두번째는 양국타격법 (Dire ct Bip o lar Percuss i on) 으로 강자갈(역석 또는 석핵과 석 편)을 모루 위에 올려놓은 다음 돌마치로 내려치는 방법이다• 세번째 는 투척 법 (Dire ct anvil (B lock on Block) Percussio n ) 이 있는데 이 것은 강자갇(또는 판석 등)을 모루상에 직접 내려쳐서 석편을 얻는 방법이 다. 세번째는 모루상에 납작한 강자갈을 직접 내려쳐서 석편을 얻는 방법인데 언제나 잘 깨지는 砂岩을 이용하였다. 타격면은 언제나 비 스듬하고 크다. 원뿔 (Bulbe) 은 찾아볼 수 없으며 타격각(타격면과 벽 개면 사이각)은 120· 를 초과하였다. 이러한 석편상에 제 2 차가공을 거 칠게 하였다. 긁개를 만들기 위하여 석편의 일면 또는 양면을 거칠게 손질하였다. 이것이 북경원인의 독특한 석기 제작방법이다 .34) 周口店 제 1 지점에서 6 가지 유형의 석기가 출토되었다. 단면기, 양 면기, 긁개, 첨두기, 새부리형기(鴨形器)와 밀개 등이다. 이러한 석 기들은 고고학충, A, B 와 C 충에서 출토되었다(그립 39). C 충 출토 석기는 단면기, 양면기, 긁개, 첨두기, 새부리형기, B 충에서는 단면 기, 양면기, A 충에서는 긁개 한 점, 밀개 한 점, 새부리형기 한 점 등이다. A 군 (10,11,12 와 13 층)에서는 13 층에서만 긁개 한 점이 출토되었다. C 고고학총은 약 160m 까 발굴되었는데 이곳에서 3,000~4,000 점의
w
역 석 , 100 여 점 의 석 편과 상당수의 돌마치 (다면기 , Bolas) 가 발견되 었다. 이 중에서 2~3 점만이 규질암과 석회암이고 그 의는 모두 석영 과 사암이다. 석영과 사암은 모두 周口店 강변에서 가져왔다. 단면기 (그림 40) 한 점은 역석의 一端에서 소석편 2~3 점을 떼어내 고 만들었다. 단면기는 모두 4 점인데 어느 것은 일단에서 몇 편의
龜
0’ 3’ cm
그림 42 周口店 제 1 지점 수석제 블록긁개
소석편을 떼어내고, 어느 것은 역석의 양단에서 소석편을 떼어내어 만들었다. 사암제 단면기 한 점은 역석 한 면 전체에서 소석편을 떼 어내서 만들었다. 양면기 (그림 41) 한 섬은 역석의 양면에서 석편을 떼 어내며 만들어졌는데 일면의 한 부분에 자연면(역석면)을 남겨 놓았다. 석편 석기는 긁개, 첨두기, 새부리형기 등이다. 긁개는 단 • 양면기 와 함께 C 고고학충에서 보편적으로 출토되었다. 긁개는 세 가지 유 형이다. 직선 긁개, 볼록 긁개(그립 42), 오목 긁개 등이다. C 고고학 충의 긁개는 다른 충위의 것들보다 상당히 크다. 첨두기는 수정과 遂石(그림 43) 재로 만들어졌다. 석편의 원단
----• --_—_ —
(Di s t al) 부분을 거칠게 제 2 가공하여 뾰족하게 만들었다. B 고고학충 (7 층과 갇은 수준)에서 출토된 단면기와 양면기는 C 고고 학충의 것과 대단히 유사하다. 다만 석재가 석영으로 된 것이 많다. 한 접의 양면기 (그림 44) 는 사암재로서 양극타격법에 의해서 만들어 졌다. 周口店 제 1 지점에서만 볼 수 있는 특수한 석기 제작법의 하나 이다. A 고고학충 (4 층과 5 층 수준)은 3 곳의 아충으로 나뉘어진다. Aa, Ab, Ac 등이다. Ac 는 石灰華層으로 석영석편이 많이 출토되었으나 진정한 석기는 드물다. 여기에서 출토된 긁개는 후기구석기시대의 것 과 갇이 세련된 솜씨로 만들어졌다 .35)
0 1 2 3 4cm
。 4 8cm
A 군 (10, 11, 12 와 13 층)에서는 단지 두 점의 석물이 출토되었다. 그 중에서 한 점의 긁개(그립 45) 는 수석재로서 커다란 석편으로 만들어 졌다. 삭박면에는 자연면이 그대로 남아 있다. 이 긁개는 1958~1960 년 사이에 13 층에서 출토되었다. 이 석기는 다른 충위에서 출토된 긁 개와는 달리 석편의 양면을 제 2 가공 (B ifacial flak e t ool) 하였다 .36) 최근에 중국원인 석기, 즉 周口店 제 1 지점의 석기에 대한 종합보고 서가 출간되었다. 裵文中, 張森林의 『中國猿人石器硏究』, 中國古生物 志總號 158 冊, 新丁種 第 12 號, 科學出版社, 1985, pp. 1~277, 도판 1~44 이다. 骨器. 지금까지 많은 학자들이 북경원인 또는 자연현상에 의해 긁 히고, 찰린 흔적이 있는 깨진 뼈 (周口店제 1 지점 출토)에 대하여 연구 하여 왔다. 이 문제를 프랑스 선사고고학의 석학이였던 앙리 브뢰이 (Henri Breu i l) 가 두 차례 (1931 년과 1935 년)에 걸쳐 연구발표하였으나 누구도 앙리 브뢰이의 관찰에 동의를 표하지 않고 있다. 더우기 裵文 中은 사람에 의해서 굵히거나 자연적으로 긁히고, 찰리고, 깨진 뼈조 각을 골기로 생각할 수 없다고 주장하여 왔다 .37) 이러한 주장에 대하 여 다비드슨 블랙이 주장하기를 일반적으로 구석기 문화에 뼈의 사용 과 자름의 문제는 단순하게 말할 수 없으며, 뼈는 인위적 또는 자연
적으로 쉽게 깨지고 갈라질 수 있기 때문에 조금 더 세심하게 충위마 다 출토된 뼈를 조사하여야 한다고 했다. 다시 말하면 각 유적의 충 위마다 주어진 특수 여건을 충분히 검토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죽 앙 리 브뢰이의 주장, 裵文中의 생각 등도 발굴완료 후 모든 뼈를 다시 재검토하고 각 충위의 유물을 재검사하여 종합적인 판단을 내려야 한 다고 보고 있다 .38) 인류화석. 앤더슨과 쯔단스키는 1921~23 년 사이에 周 口店에서 최 초로 동물화석 지점을 발굴하였다. 그 결과 그들은 2 점의 사람 어금 니를 발견하였다. 세번째 어금니는 동물화석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볼 링에 의해서 발견되었는데 이 이빨에 대하여 다비드슨 블랙은 〈북경 원인〉이라고 지칭하였다. 1928 년 여름, 발굴 도중에서 裵文中이 두개골편, 턱뼈 2 점과 독립 된 이빨 3~4 점을 발견하였다. 1929 년 裵文中이 자바원인과 유사한 완정한 두개골을 발견하였다. 1931 년 그는 周口店 제 1 지점에 불을 사용한 노지와 상당수의 석기 (공구)가 있다고 표명하였다. 1935 년에 도 이미 북경원인에 속하는 상당수의 뼈가 발견되었다. 3 점의 불완정 한 두개골편, 12 편의 턱뼈, 50 여 점의 독립된 이빨, 한 점의 쇄골, 한 점의 상박골, 한 점의 機骨, 그리고 4 점의 指骨 등이 그것이다. 바이 덴라이 히 (Franz Weid e nreic h ) 가 주장하는 소위 〈周 口 店人 口 〉는 10 명의 어린이, 두 명의 청년과 한 명의 성인인데 남녀의 수는 비슷하 다. 1939 년 인구수는 38 명으로 증가하였으며 어린이와 청년의 수는 15 명 이 되 었다(그림 46) . 39) 1949~51 년 사이에 5 점의 앞니빨 한 점, 앞어금니 2 점 (한 점은 오른 쪽 위의 것, 다른 한 점은 왼쪽 위의 것), 2 점의 어금니 (한 점은 왼쪽의 아래 것, 한 점은 끝에서 두번째) 등이 발견되었다. 동시에 한 점의 上 膳骨과 麗骨도 발견되었다 .38) 1959 년 10 층에서 여자의 아래턱 하나가 출토되었다. 모든 두개골은 아래턱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바이덴라이히의 논문에서는 아래턱이 없는 두개골은 심히 파손되었다고 언급되었다. 그의 글 속에서는 모 두 14 개의 두개골 중 5 개가 거의 완정한 것으로 언급되었다. 최초로 발견된 두개골 〈 N0.3 〉은 〈 E 지점〉에서 출토되었다. 이 두개골(그림 47) 에 대하여 다비드슨 블랙은 청년으로 보았고, 바이덴라이히는 8~9 살
2
[
가량의 어린애라고 하였다. 〈 D 지점 〉 에서 출토된 No.2 의 두개골에 대 하여 다비드슨 블랙은 성인, 바이덴라이히는 14~18 세의 청년이라고 보았다. 1936 년 〈 L 지점〉에서 출토된 3 개의 두개골 중 2 개는 남녀 성인, 나 머지 1 개는 청년이었다. 이러한 인류화석들은 동물화석, 석기와 함께 출토되었다. No. 3( 그립 47) 의 두개골은 자세히 연구되었다. 위와 측면, 두계지 수, 전체적인 형, 납작한 것, 안공의 처마형, 후안공의 수축, 이마의 돌기, 후두부의 돌기 등이 자바원인과 대단히 흡사하다. 이마의 혹과 顧項骨은 아주 특수하다 . No.2 의 두개골은 아직 자세히 연구되지 않 았으나 의형 (Con t our) 은 자바원인에 접근되고 있다. 이러한 두개골은 현생인류보다 상당히 크고 거칠다. 그들의 평균 두께는 10mm 정도이다. 어떤 것은 18mm 에 이르는 것도 있다. 어 린애의 것은 아주 특수하여 비교가 어려우나 청년과 성인의 것은 그 두께가 정상이다. 두께가 다소 두꺼운 것은 형질인류학자의 분류법에 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고 한다. 두개골 아래의 경사진 부분은 자바원 인에서는 볼 수 없는 것으로 특히 안공의 천장과 두 개의 관자놀이뼈 가 찰 보존되어 있다. 후두부의 구멍 주위는 깨졌다. 두개골의 후면에서 관찰하면 후두부가 상당히 크고 관자놀이 부분 은 원숭이나 자바원인과 거의 비슷하며 높지 않다. 그러나 노정골 부 분은 사람과 같이 밀 부분이 아래로 늘어져 있다. 관자놀이는 이상하 게 혼합되어 있다. 그것은 형태가 길고, 밑으로 내려왔으며, 약간 활 처럼 휘어졌고 껍질은 원인 같다. 반대로 〈關節窓孔達 7 깊어 현생인 류와 같다. 고막은 뒤쪽에 있는데 상당히 거칠다. 두 점이 불완전하 게 봉합되었다. 그것은 긴 균열에 의해서 분리되어 있다. 종합하면 북경원인 두개골의 전체적인 구성은 원숭이와 상당히 비 슷하다. 인간적인 유일한 성격은 관절와공이 흔적에 뚜렷이 나타나 있는 점이다. L 지점 출토의 3 개의 두개골은 거의 같은 특색을 가지고 있다. 그 것들의 안공 주위와 후두부는 상당히 발달되었다. 그리고 두 개의 귀 부분이 상당히 크다. 그러한 현상은 어느 인류화석이나 현생인류에서 도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홍미있는 사실은 얼굴의 거의 대부분이
보존되고 있는 점이다. 코가 넓고 낮으며, 안공은 낮은 부분에 위치 하고, 어금니들은 상당히 크다. 위턱이 앞으로 많이 돌출되었고, 송 곳니의 흔적은 없다. 입천장은 높고 크다. No.3 의 뇌량은 다바드슨 블랙의 연구결과 960cm3 , 바이덴라이히는 915cm 떠다. 이것은 트리닐 (Tr i n il)의 자바원인과 같다. L 지점의 두 개골둘은 상당히 발전되었다. 여자가 l,015cm3 , 남자는 1,030cm3, 1,225cm 떠다. D 지접의 두개골은 성별을 구별할 수 없다. 뇌량은 1,030cm 떠다. 이러한 예들은 자바원인과 대단히 접근되고 또 밀접 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 준다. 다른 한편 그러한 화석들은 네 안데르탈인의 古形이라고 보고 있다. 북경원인의 모든 성격이 아직도 巨猿 특히 고릴라롤 많이 닮았다. 그러한 원시형의 성격을 소유함에 도 불구하고 그들의 뇌량은 고릴라보다 크고 문화적으로 발달되었음 을 석기가 증명하여 주고 있다. 아래턱과 이빨은 다른 뼈들보다 그 수량이 월등히 많다. 그러한 수 량은 남녀 성별, 개체 수와 연령을 알려주고 있다. 또 하나의 중요한 점은 아래턱이 현생인류와 같이 돌출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턱의 형 태는 말발굽형이다. 반대로 고릴라의 턱은 U 형이다. 다시 말하면 북 경원인의 턱은 원숭이와 인간의 턱이 혼합되었다고 말할 수 있으나 이빨은 인간과 같지 않다. 바이덴라이히가 147 점의 이빨을 연구하였 는데 그 중에서 83 점은 턱 속에 있고, 64 점은 독립된 것(빠진 것)이 었다. 그 중에는 많은 젖니가 있었다. 전체 개체 수는 32 명이다. 일반적으로 남자의 이빨은 여자의 것보다 크다. 북경원인의 이빨온 현생인류의 것보다 크고 거칠다. 그것들의 상아질은 두럽고, 齒根도 더 깊다. 앞니의 혀쪽(안쪽)은 홈이 파져 삽 (Pell) 모양이다. 이러한 현상은 원숭이와 현생 몽고인종 중에서 볼 수 있다. 북경원인의 위 송곳니는 특별히 커서 마치 〈작은 뿔〉과 비견할 만하다. 송곳니는 물 론 다른 이빨보다 크게 돌출되었다. 자바원인과 원숭이와 비슷한 북 경원인의 턱에 있는 이빨을 관찰하면 이빨과 이빨 사이에 〈齒院〉가 없다. 반대로 아래 송곳니는 커다란 앞니와 같다. 첫 앞어금니는 상 당히 원숭이적이고 뒷어금니는 현생 영장류와 흡사하다. 바이덴라이 히는 북경원인의 이빨을 연구한 후에 그것들은 낮고 길지만 사람科의 높고 짧은 것과 쉽게 구별된다고 발표하였다.
결국 북경원인의 턱과 이빨의 특색은 북경원인이 하나의 거대한 영 장류로서 고릴라보다 인간에게 더욱 가깝지만 아직 완전한 사람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북경원인의 아래턱은 모에르 (Mauer) 것보다 오래되지 않았음이 증명되었다. 그 의 한 편의 쇄골조직, 두 편의 상박골, 7 점의 대퇴골 骨幹 등이 발견되었다. 4 점의 指骨이 1929 년에 블랙에 의해서 발견되었는데 그 러한 것들도 북경원인과 관계가 있다고 보고 있다 .40) 북경원인 유적의 충위는 l~2 층, 3, 4, 6, 7, 8~9 충, 10 층에서 17 충까지 모두 14 개 충위로 구분하고 있다. 충위의 절대연대를 측정하 기 위하여 샘플로서 재충중에 부스러기 돌(楠石)을 裂變經跡法 (Fis s io n Track Dati ng ), 석 영 광물을 熱發光法 (Thermolum i nescence Dati ng ) , 뼈 화석 을 우라니 움세 리 방법 (Uraniu m Serie s Meth o d) 그리 고 동굴퇴적물을 古地磁法 (Paleoma gn e ti sm) 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1~3 층은 우라니움세리방법으로 230,000~; :겁엷년, 4 층도 우라나움세리방법으로 256,000~ 問겔\년, 열발광범으로 292,000 士 26 , 000 년 과 312 , 000 士 28 , 000 년 이 산출되 고, 7 충은 고지 자법 으로 370,000~400,000 년, 8~9 층은 우라니움세리방법으로 >350,000 년, 고지자방법으로 390,000 년이 산출되고, 10 층은 열변경적법으로 462,000 士 45,000 년, 열발광범으로 >417,000 년과 <592,000 년 그리고 고지자방법으로 462,000 士 45,000 년, 13 층 이하는 고지자방법으로 690,000 년 (730,000 년)이 산출되었다. 41) 5 營口 金牛山유적 1974 년과 1975 년 동안에 발굴된 遼寧 營口縣大石橋 金牛山 구석기 시대 유적은 하나의 · 고립된 작은 산에 있는 동굴 유적이다. 그곳을 C 點이라고 부르며, 그 하층은 전기구석기시대, 상충은 후기구석기시 대에 속한다. 그 외 산 동쪽의 다른 하나의 동굴 (A 點)에는 전기구석 기시대 유물이 소량 존재하였다. 두 지점 (0 섭, A 점) 하층에서 불에 탄 흙덩이, 재, 숯, 불에 탄 뼈
등이 발견되었다. 출토된 석기는 모두 18 점으로 석재는 맥석영이며, 석편 제거방법은 칙접타법과 모루상타격법(또는 투척법)을 사용하였 다. 석기는 단면가공 위주이다. 석기는 긁개 위주인데 그 중에 반원 형 긁개도 있다. 이것은 중국 남북지역 구석기시대 유적에서 자주 출 토되는 기형이다. 또한 소형의 첨두기도 있다. 대량의 동물뼈 중에 인공이 가하여전 긁개, 끌 형태의 공구가 있다. 하층 출토의 동물화석은 26 종이다• 그 중에 사멸종이 많다 : 三門 馬, 메르키코뿔소, 후피사슴, 변종이리, 큰원숭이 등이다. 그것들은 모두 중기홍적세의 대표적인 동물이다. 동물들은 온난 습윤한 기후 조건에서 생활하였다. 시대는 중기홍적세 후기로 周口店 제 1 지점에 해당된다• 석기도 북경원인 산지인 周口店 제 1 지점의 것과 대단히 접근되고 있다 .4 제 1 차 원발굴보고서를 구입하지 못하였다. 6 廟后山유적 1978~80 년 사이에 시굴과 발굴된 廟后山 유적 (동경 1247 '50 , 북위 40°14'49 )은 遼寧省 溪縣 山城子鄕山城子村 동쪽 廟后山 남쪽의 자 연동굴이다. 그곳은 표고 325m 이다. 퇴적층은 13.5m 이며 8 층으로 구분하는데 상에서부터 하로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8 총 : 회갈색 사질 점토, 灰岩角礎 소량 포함, 두께 0 . 5m, 아르만두더 지 (My o spa lax Armandi) 출토. 7 층 : 角礎層 갈황색 점토질 모래, 두께 5.2m, 대량의 화석, 오르도스큰뿔사슴, 최후하이 에나 등 모두 16 種과 屬. 6 층 : 갈황색 모래질 점토, 두께 1.2m, 다 량의 동물화석, 카나다말사슴, 중국하이에나 등 19 종과 속, 그리고 人骨과 소량의 石物. 5 층 : 갈황색 점토질 모래, 두께 1.5m, 三門馬, 큰원숭이, 메르키코뿔소, 후피사슴 동 20 종. 4 층 : 갈황색 사질점토, 두께 1.6m, 三門馬, 안더슨河(海)理 등 6 종과 속. 3 층 : 각력충, 갈홍 색 접토 혼합, 두께 1.15m, 화석 없음. 2 층 : 얇은 갈홍색 모래 자갈 충, 소량의 점토 혼합, 두께, 1.6m, 화석 없음. 1 층 : 엷은 황색 점 토충, 두께 0.75m, 화석 없음.
퇴적층위를 크게 3 단으로 나누어 제 1 단 1~3 층은 중기홍적세 초 기, 제 2 단 4~6 충은 중기홍적세 , 제 3 단 7~8 충은 후기홍적세에 해 당된다. 제 2 단의 동물화석은 三門馬, 메르키코뿔소, 큰원숭이, 중국하이에 나와 후피사슴 등이며 그것들은 중기홍적세의 〈周口店동물군〉에 해당 된다. 당시의 기후는 지금보다 潮顯溫暖하였다. 모두 76 점의 석물이 출토되었다. 제 4 • 5 층에서 9 점, 제 7 층에서 5 점, 그 나머지는 6 충에서 출토되었다. 7 층의 5 점을 제외한 71 점 중에 석핵 3 점, 직접타격법에 의한 석편 20 점, 양국타격법에 의한 것 7 점, 모루상타격법에 의한 것 1 점 등이 있다. 석기는 모두 26 점으로 긁개, 단 • 양면기, 사냥돌과 골기(그림 48) 등이 있는데 골기가 다량으로 출토되었다. 그것들은 인공을 가한 흔적이 뚜렷하다. 모두 6 충에서 출토되었다. 동물화석은 76 종이 다. 그 중 포유동물은 8 目 23 科 45 屬 72 種이며 , 새류는 2 종으로 들오리와 꿩이다. 물고기류도 2 종으로 草魚와 잉어가 있다. 포유동물은 옹씨 새 앙쥐 (Croc idu ra Wong ipe i) , 두더 지 (Mog e ra sp. ) , 긴 날 개 박 쥐 (M ini o p ter s cf. Schreberii Kuhl) , 기 름 박 쥐 (油 編 Pip is- tre lles sp. ) 쥐 귀 박 쥐 (My o ti s s p. ) , 홍 적 세 박 쥐 (Rhin o lop h us Pleis - toc enic u s Young ) , 흰박쥐 (Muri na cf. Leucog a ste r M.-Ed.) , 큰원숭이 (Macaca Robustu s Young ), 옹씨토끼 (Lep u s Wong i Young ), 유럽들토 끼 (Lep u s Europ a eus Pallas) , 들토끼 (Lep u s Lep u s L.) , 다우리 쥐 토끼 (Ochoto n a Dauric a Pallas) , 코스로부취 토끼 (Ochoto n a Koslowi Buch-ner), 復齒모르모트 (Marmo t a Comp licide ns Young ), 히말라야?근 꾸 트 (Marmota Bobak Raddle) , 앤 더 슨海理 (Sin o casto r Zdansky i Young ) , 회 색 창 곡 쥐 (Cric e tu l us cf. Gris e us Mi lne -Edwards) , 변 종 창 고 쥐 (Cric et u l us Varia n s Zd.) , 얼 룩 쥐 (Cleth r io n omy s Rofu c anus Sundvell) , 브 란 트 밭 쥐 (Mi cro tu s Brandio d es Young ) , 上頭밭 쥐 (Mi cr otu s Ep ir- att ice p s Young ) , 아르만두더 지 (My o spa lax Armandi M-Ed.) , 중국두더 지 (My o spa lax Fonta n ie r i M-Ed.), 검은쥐 (Ratt us Ratt us L.), 날씬한쥐 (Ap o demus Sy lv ati cu s L.) , 두 더 지 (Hy st r ix sp. ) , 이 리 (Canis Lup u s L.) ' 변 종 이 리 (Canis Vari ab il is F ei) , 중 국 담 비 (Ny ct e r eute s Sin e nsis
너一` ' .
Schlosser) , 여 우 (Vulpe s Corsac L.) , 승냥이 (Cuon Dubis Teil ha rd) , 북 쪽승냥이 (Cuon cf. Alpi nu s Pallas) , 갈색 곰 (Ursus Arcto s L.) , 동굴곰 (Ursus Sp e laeus R.) , 앤 더 슨 담 비 (Marte s Anderssoni S.) , 중 국 담 비 (Marte s sp. ) , 알타이 족제 비 (Muste l a Alta i c a Pallas) , 시 베 리 아족제 비 (Muste l a Sib i r i c a Pallas) , 에 베 르스만족제 비 (Muste l a Eversmanni Les-
son) , 賈 氏 너 구 리 (Meles Chia i Teil ha rd) , 너 구 리 (Meles cf. Meles Lep o ryn chus M. Ed .) , 중국하이에나 (H y aena Sin e nsis Zdansky ), 최후하 이 에 나 (Crocuta Ulti m a Mats u moto ) , 劍齒虎 (Homoth e riu m sp. ) , 중국 범 (Felis Chin e nsis Gray ) , 楊氏호랑이 (Panth era Young i Pei) , 사자 (Ac ino ny x sp. ) , 호랑아 (Panth era Ti gr is L.), 프르제 발스키 야생 말 (Eq u us Przewalsky i Polia k of) , 三 門 馬 (Eq u us Samenie n sis Teil ha rd et Piv e te a u) , 메 르키 코뿔소 (Di ce rorhin u s Mercki Jae ge r) , 북경 사향노루 (M . Moschif er us var. P ekin e nsis Young ), 플리 코동사향노루 (M . Mos- chif er us Plic o don Colbert et Hooij er ) , 후 피 사 슴 (Meg a loceros (S) Pa-chy o ste u s Young ) , 물사슴 (Cervus (R.) Unic o lor , (Kerr) ) , 그레 이 꽃사 슴 (Cervus(P.) G ray i Zdansky ) , 홍 적 세 노 루 (Hy d rop o te s Inermi s Var. Pleis t o cenic a Tei! . et Pei) , 동 북 고 라 니 (Cap r eolus manchuric u s Noack) , 동북말사슴 (Cervus(E . ) Xanth o p ygu s M.-Ed.), 카나다말사슴 (C, (E.) canadensis Erxleben) , 키 아크렌전각영 양 (Sp iro ceros Ki ak hte e n- sis (Pavlow)) , 프르제 발스키 영 양 (Gazella Przewalsky i Buchner) , 산양 (Cap r a sp. ) , 리 데 커 멧 돼 지 (Sus Ly d ekkeri Z d.) 등이 다. 廟后山 동물군은 북경인 동물군 , 營口 金牛山 동물군과 대단히 근 접되고 있다. 당시의 기후는 온난조습하였다. 포유동물군, 동위원소 연대측정, 磁性地層과 암성분석에 근거하여 廟后山 유적은 3 단으로 나뉘고 있다. 제 1 단 (1~3 층) : 동굴의 底部퇴 적, 유물 없음, 고지자측정으로 연대는 지금부터 73 만년이 산출되었 다. 제 2 단 (4~6 층) : 동굴의 중앙퇴적, 동물화석, 인류화석 (송곳니 일 점 (5 층)), 어금니 1 점과 어린애 다리뼈 (6 층)는 지금부터 24~ i4 만년으 로 계산되고, 동시에 석기도 출토되었다. 그러나 우라니움세리측정은 지금으로부터 40~14 만년으로 계산되어 중기홍적세 중기와 후기에 속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제 3 단 (7~8 층)은 동굴의 상부되적으로 동물 화석, 인류화석과 석기가 출토되었다. 우라니움세리측정으로 지금부 터 10 만년에서 17,000 년이 산출되어 후기홍적세에 속하는 것으로 보 고 있다. 廟后山의 석기는 중국의 〈區iiiJ一丁村系〉와 공통점이 많으며, 특히 한반도의 全谷里석기와 유사하다고 보고 있다. 그리고 全谷里 석기 는 그 타제기술과 석기의 유형이 丁村의 석기와 접근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廟后山 문화는 요동반도 전기구석기시대의 문화를 대표한다고 주장 한다 .43) 7 束谷蛇 河北省 陽縣 東谷蛇의 전기홍적세 泥河灣層에서 다량의 석물이 발 견되어 중국 구석기 고고학계에 커다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981 년 東谷蛇지점이 시굴되었다. 대략 1,000 평방미터 범위에 5 개 의 탐색 트렌치 (번호 Ti - Ts) (그립 49) 를 넣었다. 시굴면적은 약 45 평 방미터이다. 그 중 T1 은 15 평방미터, T2 가 5 평방미터, T3 는 6 평방 미터, T. 는 12 평방미터, Ts 는 7 평방미터이다. 東谷蛇지점 시굴에서 모두 1,443 점의 석물이 출토되었다. 석재는 유문질 화산쇄설암, 석수와 수석 등이다. 그리고 소량의 마노와 석회 암재도 있다. 석물은 석핵, 석편과 석기로 나누어전다. 석기로는 긁개, 첨두기와
NA
단-양면기 등이다. 그 중에 긁개의 수량이 가장 많다. 석핵은 152 점으로 전체의 10.5% 를 차지하였다. 크기가 일정하지 않으며 무게 는 가장 큰 것 이 758g , 가장 작은 것 이 llg, 평균은 108g 이다. 대부분 석핵에 자연면이 남아 있다. 석핵은 타격면에 따라서 일타격면 석핵, 이타격면 석핵, 다타격면 석핵 (그립 50) 등으로 나누
廳
4 5
---
4 멜胤 • .. ;; ; ' 무
어전다. 석편은 839 점으로 전체의 58.1% 를 차지하였다. 타격면의 보존 여 부에 따라서 타격면 석편과 무타격면 석편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 중 타격면 석편은 또한 자연타격면 석편, 타격된 (Ch ipp ed) 타격면 석편, 준비(修理)된 타격면 석편 그리고 양극 석편으로 분류되고 있다(그립 51). 석기는 452 점으로 전체의 3 1. 3% 를 차지하였다. 그 중에 단면기는
7-`
9 , 2,an
9 점이다(그림 52). 그 중 그림 52 의 1 은 크기가 157x75x53cm 이며 무게는 728 g이다. 그 의 날각은 60°~70° 사이이다. 굵개가 391 점으 로 전체의 86.5% 를 차지하였고 그 중 84% 가 석편으로 만들어졌다. 긁개는 직인, 오목, 볼록, 이중 등 다양하다. 제 2 차가공 방법도 일 면 가공과 교차가공이 있다. 크기는 보통 2~4cm 이며, 10cm 를 초과 하는 것은 없다. 무게는 평균 16.5 g이다(그립 53). 첨두기는 52 점, 전체의 11. 5% 를 차지하였다. 모두 석편으로 제작되었다. 제 2 차가공 이 대단히 정교하다. 크기는 2.1~7.6cm 로 일정하지 않다(그립 54). 골기(그립 55) 도 출토되었다. 석기와 더불어 대량의 포유동물 화석이 출토되었다. 그 중에 인공이 가해전 골기도 존재하고 있다. 그런데 전기홍적세의 泥河灣충에서 출토된 상당히 발달된 석기는 장래 중국 구석기 고고학 연구에 많은 문제점을 제시할 것으로 발굴 보고자도 보고 있다. 44) 동물화석과 고지자측정으로 약 1 백만년, 죽 전기홍적세 말기로 보 는 발굴자의 견해 45) 와 공존된 동물화석을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유적의 위치는 桑幹河 泥河灣村 對岸의 東谷蛇村에서 서북방향으로 許家坡라는 곳에 있다. 東谷蛇의 충위 단면은 다음과 같다. 10 층 : 황토, 약 12m. 9 층 : 회록색 모래질 점토, 1.5m . 8 층 : 황록색 접토질 고운 모래, 1.5m. 7 층 : 회록색 모래질 점토, 1.5
m. 6 층 : 갈색 모래질 점토, 4.2m. 5 층 : 회색 고운 모래질 점토, 2.8m. 4 층 : 황갈색 고운 모래, 15m. 3 층 : 회록색 모래질 점토와 황록색 고운 모래 혼합충, 8 . 6m, 부정 합. 2 층 : 주라계 자갈충, 20~50m. 1 층 : 下古生界 화산각력암, lOOm. 동물화석은 중국두더지 (My o spa lax cf. Fonta n ie r i) , 이리 (Canis sp. ) , 곰 ( ? Ursus sp. ) , 고 능 치 상 (Palaeoloxodon sp. ) , 三 門 馬 (Eq u us San-menie n sis ) , 털코뿔소 (Coelodonta Anti qu it at i s) , 들소 ( Bis o n sp. ) , 영 양 (Gazella sp. ) 등이 다.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전기홍적세 泥下灣충에서 출토된 석기는 대 단히 발달된 유형이고 공존된 동물화석은 고지자측정으로 약 1 백만 년, 죽 전기흥적세 말기에 해당되어 소위 東谷蛇 구석기는 앞으로 보 다 철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제 4 장 華北의 중기구석기시대 문화 중기구석기시대 문화는 전기의 문화를 계승하였다. 특히 북경원인 문화 파급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이다. 중기구석기 문화의 분포 범위 는 동경 104°50'~119°50', 북위 24°45'~41°15' 지역이다. 중국 경내에 중기구석기시대 문화와 古人 단계, 네안데르탈인 단계 룰 약 47 곳으로 보고 있다. 분포지역은 北京,遼寧, 河北, 山西, 陝 西, 甘肅, 湖jt, 廣東과 貨川 , 그리고 西藏自治區까지 포함된다. 그 중 중요 유적은 陝西省 大就縣 荊水淸 지점, 山西省 襄沿縣 T 村 지 점 (특히 그 중의 54 : 100 지점), 河北省 陽原縣侯家 경계 지점 등이다. 상기한 유적에서는 인류화석과 다량의 석기가 출토되었다. 또한 북경 周口店의 제 15 지점, 遼寧 땅左 습§子洞 유적 등에서 다량의 석기가 출 토되었고, 廣東省 曲江縣 馬覇程山에서 인류화석이 출토되었다. 상기한 석기 중에 석편제의 첨두기는 단면이 삼각형이며 삭박면의 일부에 자연면이 남아 있는 접 등은 분명히 주먹도끼로 분류하여야 한다. 상기한 석기들은 藍田 • 區iiiJ의 석기 제작기술의 전승을 받은 것으 로 보고 있다 .54) 중기구석기시대는 일반적으로 약 10 만년에서 4 만년(B. C. 35,000) 까 지로 보고 있다. 그러나 중국 구석기 고고학자들은 周口店 제 1 지접의 下限이 약 20 만년 되는 것을 고려하여 중기구석기시대의 상한울 약 20 만년으로 보고 있다.
특히 화남지구에서는 열대 또는 아열대의 동물들이 많이 살고 있었 다. 그것들은 큰곰―검치상동물군으로 큰원숭이 (Macacas sp. ), 큰곰 (Ai lur op o da Melanoleuca) , 두 더 지 (Hy s tr i x sp. ) 큰 맥 (Meg a ta p iru s Ang us tu s ) , 동 방 검 치 상 (Ste g o don Orie n ta l is ) , 인 도 코 끼 리 (Elep h as Maxim us), 물사슴 (Rusa Unic o lor), 물소 (Bubalus Bubalus) 등이다. 화북지구에서는 비교적 추운 동물들이 많았다. 그것은 온대에서 서 늘해지는 기후 변화를 나타내어 주었다. 당시에는 큰뿔사슴 (Snomega ceros Pacy o stu e s) , 三門馬 (Eq u us Samnenie n sis ) 등은 사멸되 었다. 현생종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것들은 중국두더지 (M y os p alax Fonta n ie r i) , 최 후하이 에 나 (Crocuta Ulti m a) , 보통이 리 (Canis Lup u s) , 인도코끼 리 (Eleph as Maxim us), 메 르키 코뿔소 (D i cerorh i nus Merki) , 오르도스큰뿔사슴 (S i nome g aceros Ordosia n us), 야생말 (E q uus Przewal-sky i) , 당 나 귀 (Eq u us Hemi on us) , 옛 소 (Bos Prim i ge nniu s ) 와 적 록 (Cervus Canadensis ) 등이다. 그러한 동물들은 초원형 동물들이다. 중기구석기시대 유적이 47 곳으로 알려졌으나 실지로 발굴된 곳은 10 곳 미만이다. 1 周口店 제 15 지점 周口店 제 15 지점은 周口店 제 1 지점에서 남쪽으로 70m 거리에 있 다. 제 15 지점은 1935~37 년에 발굴되었다. 제 15 지점에서는 다만 2 종의 동물화석, 큰사슴 (Eu ry ceros pa chy o s- teu s) , 누렁 이 (Cervus eleph us) 와 소량의 수석 제 석 기 가 발견되 었 다. 46) 출토된 석기 중 전형적인 것은 드물다. 직접타법에 의해서 얇고 긴 삼각형 석편을 떼어내어 긁개(그립 56) 를 만들었다. 타격면은 준비되 었다. 커다란 사암제 석편으로 등칼(吹伐器)을 제작하였다. 한 변을 손잡이로 삼고, 대칭되는 다른 한 변은 날로 삼았다. 소형의 주먹도 끼(그립 57 • I. )도 발견되었다. 주먹도끼는 周口店 제 1 지접에서는 발 견되지 않았다. 첨두기(그림 57·2,3. )도 발견되었다. 그 제작방법은 제 1 지점의 것들과 상당히 유사하다. 그러나 제 2 가공은 제 1 지점의 것 들보다 정교하다 .47)
그림 56 周口店 제 15 지점 출토 석기결 사암제 긁개
동물화석과 석기의 관찰에 따라서 周口店 제 15 지점은 丁村문화보다 이르고 周口店 제 1 지점보다 늦다고 보고 있다. 2 陝西 大筋人유적 大芬人두개골 화석은 1978 년 봄에 陝西省 大芬縣段家公社 해방촌 부근의 荊水溝 북벽에서 발견되었다. 두개골화석은 거의 완정하다. 두개골은 거칠고 두꺼우며, 대부분 봉합점은 뚜렷하고, 일부는 봉합 되었다. 30 세 미만의 남정으로 보고 있다. 두개골과 공존된 동물화석 은 古萩齒象, 三門馬,코뿔소, 후피사슴, 큰뿔사슴, 물소, 安氏타조 등이다. 동물군은 북경원인의 동물군보다 늦고, 丁村의 그것들보다는
1
이르다. 大筋人 진화계통에 대하여 두 가지 견해가 표시되고 있다. 한 가지 는 王永炎의 주장으로 직립인의 후기 단계로서 북경인보다 전일보 발 전된 유형아라고 보는 견해와 다른 한 가지는 吳新智의 견해로서 大 芬人 두개골의 최대길이, 최대너비, 머리높이, 머리가로길이, 머리 가로曲度, 정수리결절 머리밀(底)지수, 이마방위, 후두골 발달 정도 등이 직립인과 현생인류 사이를 중개하는 초기 네안데르탈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 의 머리 밑바닥, 나비뼈, 머리뼈 두께 등은 북경 원인과 접근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大筋人은 초기 네안데르탈인의 일종으로 새로운 〈亞種〉을 대표하고 있다. 인류 전화과정중에 두개골은 원래의 錢頭形으로부터 점차 발전되어 현생의 近球形으로 발전하였다. 따라서 冠狀面도 일계열변화가 발생 하였다. 북경원인, 초기네안데르탈인, 후기네안데르탈인과 현생인류 에 대한 관상면의 윤곽을 비교한 결과(표 5) 보여주고 있다. 표 5 에서는 머리최대너비, 귓구명높이, 머리최대너비위치높이, 머 리최대너비위치지수, 귓구멍에서 머리높이 등의 비율 등을 나타내고 있는데 그것은 점차 증대되는 추세롤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면, 북 경원인은 작고, 초기 네안데르탈인은 상당히 크고, 후기 네안데르탈 인과 현생인류는 더욱 크다. 大器人 두개골 관상면 윤곽에서 머리최대너비는 148.5mm 이고 실 제 실측은 149mm 이다. 관상면 윤곽의 귓구멍높이는 102mm 이며 실 제 실측도 동일하다. 도표 5 의 비교 결과 북경원인의 귓구멍에서 머 리높이는 귓구멍높이의 18~30% 를 차지하고, 大器人 수치의 좌우양 측은 각각 47.35% 와 66.07% 롤 차지하여 북경원인보다 크다. 기타의 항목도 북경원안보다 크다. 大筋人 귓구멍에서 머리높이와 귓구멍높 이의 비율은 좌측이 그 한계치보다 크다. 기타 항목도 각자의 한계치 롤 초과하고 있다. 여기에 근거하면 大芬人은 직립인 단계에 속하지 않는다. 大魏人의 귓구멍높이는 102mm 로서 후기네안데르탈인 (112~124mm) 과는 거리가 멀다. 그리고 현생인류의 최저수치보다 약간 크다. 그러 나 평균치 (113.22mm) 에 비하면 상당히 작고 로데시아인 (105mm) 보다 작다.
ψ딩)악{(딩 휴7'=rp맘i •'니i〈。 l 3프'- 。며;;'J< {‘@i여1{ Y· (‘i){l벼3y[‘ .Li∞。r-{ - 표 6 가운데 矢狀 I l'li 삼단길이 의 크기 순서 비교 (단위 : mm) 시상길이 이마 정수리 후두골 (n-o) (n-b) (b-1) (I·0 ) 크기 순서 자바猿人 289.5 95 92.5 102 후두골-이마-정수리 北京猿人 322.5 110.3 98.2 114 후두골-이마-정수리 大器人 379 136 109 134 이마-후두골-정수리 昴棟人 355.4 129. 2 109 117.2 이마-후두골-정수리 馬翁人 357 134 114 109 이마-정수리-후두골 柳江人 374 136. 2 132 105.5 이마-정수리-후두골 山頂洞人 388.5 132 132 124.5 이마구성수리,후두골 貸陽人 357 134 114 109 이마-정수리-후두골 근대중국인 368. 67 121. 43 129. 67 117.57 정수리-이마-후두골 (原 周春茂)
矢狀面 크기의 비교(표 6) 에서 大就人 두개골 시상길이 (379mm) 는 자바원인 (289 . 5mm) 과 북경원인 (322.5mm) 보다 크고, 네안데르탈인 및 근대중국인 (355.4~374mm) 보다 크다. 이 마뼈 시상길이도 자바원 인 (95 . 0mm) 과 북경 원 인 (110 . 3mm) 보다 크다. 정 수리 (breg ma ) 시 상길 이 (109mm) 도 자바원인 (92 . 5mm) 과 북경원인 (98.2mm) 보다 크다. 후 두골 시상길이 (134mm) 도 자바원인 (102mm) 과 북경원인 (114mm), 기 타 네안데르탈인과 근대중국인보다 크다. 인류머리 가운데 시상면은 삼단계의 크기 순서가 있다. 삼단계의 크기 순서는 뚜렷한 규칙적 변화를 가지고 있다. 직립인은 후두골이 가장 크고 이마가 그 다음이며 정수리가 제일 작다• 죽 후두골-이마 -정수리 순서이다. 네안데르탈인의 이마는 정수리보다 크고 정수리 는 후두골보다 커서 이마―정수리―후두골 순서이다. 근대 중국인 다 수가 정수리-이마-후두골 순서이다. 표 6 에서 나타난 바에 의하면 직립인으로부터 근대인에 이르기까지 발전된 것은 정수리가 가장 작 은 위치로부터 가장 큰 위치까지 발육된 점이고, 반대로 후두골은 가
표 7 미간돌출도 지수 자바원인|북경원인| 大 m I 초기 1 후기 1 현대 네 안데르탈인 네 안데르탈인 중국인 지수 I 26.7 I 27.3 I 27.7 20. 5 18.3 10.4
장 큰 위치로부터 가장 작은 위치까지 퇴보되었다. 大器人의 삼단 길 이의 순서는 이마―후두골-정수리이다. 그것은 직립인 그리고 근대 인과 뚜렷한 차이가 있다. 그러나 초기네안데르탈인에 속하는 昴棟人 과는갇다. 직립인으로부터 현대인에 이르는 동안 미간융기도는 점차 낮아졌 다. 미간돌출도의 지수는 큰 것에서 작은 것으로 변하였다(표 7). 大魏人 미간돌출도 지수는 27.7 인데 그것은 북경원인과 비교하면 L I (24.7) 와 LIII (25.7) 보다 크고 나머지 3 개의 두개골보다는 작다. 그것은 또한 직립인의 평균치보다 약간 크다. 초기네안데르탈인의 미 간돌출도 지수는 20.5 이며, 그것은 大芬人보다 작다. 大魏人 두개골 관상면 윤곽의 여러가지 항목 실측수치는 북경원인 보다 크고 후기네안데르탈인 및 현생인류의 절대치 또는 평균치보다 작고 초기네안데르탈인에 접근되고 있다. 大魏人 두개골의 많은 특징은 서구 초기네안데르탈인과 다르다. 이 러한 특징은 중국 인류화석의 공통점이다. 그러나 그것들은 현대의 황색인종과 유사하다. 얼굴뼈가 납작하고 앞으로 돌출되지 않았으며 광대뼈가 높이 돌출 된 것이 현대 황색인종의 주요한 특징의 하나이다. 大芬人 얼굴뼈가 낮고 작으며 앞으로 돌출되지 않았는데 이 점이 서구의 네안데르탈인 과 다른 점이다. 大就人 정수리와 후두골 사이에 印加骨이 있으며 정수리 중간에 矢 狀背이 있다. 인가골은 현대 황색인종 중에 출현율이 가장 많고, 시 상척 역시 상당히 보편적이다. 그러나 서구 초기네안데르탈인 다수가 시상척이 없다. 삽형 (Pell) 앞니(門齒)는 현대 황색인종 중 출현율이 가장 많고, 기 타 인종 중의 출현율은 낮다. 아직 大魏人의 이빨은 발견되지 않았
다. 元謀猿人, 藍田猿人 , 北京猿人, 大芬人, 馬增人, T 村人, 山頂洞人 과 柳江人등 중국전기에서 후기홍적세까지의 인류화석들의 공동 특 징은 삽형 앞니, 시상척, 인가골, 광대뼈돌기, 아래턱이 광대뼈 방향 으로 각을 이루며 굽고, 코이마 봉합과 광대뼈 이마봉합이 서로 연결 된 것 등이다. 종합하면 大芬人 두개골의 주요 성격은 초기네안데르탈인의 이른 유형에 속한다 .48) 석물은 모두 181 점인데 석재는 석영암 위주이며 그 다음이 수석과 맥석영이다. 석편은 직접타법에 의해서 떨어져 나왔다. 석기는 대부 분 석편제의 긁개인데 기형이 상당히 작다 .49) 大芬人 화석지점 제 2 차 발굴이 1980 년 가을에 실시되었다• 발굴면 적은 깊이 15m, 상부너비 5m, 하부너비 3~4m 이다. 제 2 차 발굴의 중요한 결과는 제 5 • 4 • 3 층위의 발굴이다. 제 5 층에서 포유동물 화석, 당나귀 (Eq u us Hem i onus) 와 厚皮大角鹿 (Si no meg a ceros cf. P achy os te u s) 동이 다. 후피 대 각록은 周 口 店 제 1 지 점의 것과 동일한 종으로 보고 있다. 석물은 모두 13 점으로 석핵 3 점, 석편 6 점, 긁개 2 점, 첨두기 1 점 (그립 58 • 1) 등이다. 석편은 직접타격법과 양국타격법에 의해서 떼 어졌다. 제 4 층은 화석 이 많지 않다. 芹足類 바다조개 (Un i on i dae) 와 포유동 물로서 赤鹿 (Cervus Canadensis ) 등이 다. 석물은 4 점으로 석핵과 석편 등이다. 석물은 직접타법에 의해서 처 리되었다. 제 3 층에서는 포유동물, 두더지 (My o spa lax sp. ) 海理 (Cas t er sp. ), 古萩齒 象 (Palaeoloxoden sp. ) , 말 (Eq u us sp. ) 털 코 뿔 소 (Coelodonta sp. ) , 소 (Bovid a e ge n. et sp. ind et. ) , 프 르 제 발 스 키 영 양 (Gazella Przewalsky i), 영 양 (Gazella sp. ), 후피 대 각록 (S i nome g aceros cf. Pa-chy o ste u s) , 큰뿔사슴 (Sin o meg a ceros sp. ) , 사슴 (Cervus sp. ) 등이 다. 석물은 모두 384 점이다. 석핵은 24 점으로 직접타격법과 양극타격법 으로 처리되었다. 석편은 226 점으로 전체 석물의 59% 를 차지하였다. 석편도 직접타격법과 양극타격법에 의해서 떨어져 나왔다. 자연타격
、
면을 가전 것이 55% 이며 기타는 29.6% 이다. 석편각은 74°~140° 이 다. 대부분은 100·~110· 이다. 석편상의 타격점은 뚜렷하고, 원뿔은 작고 가볍게 융기되었으며 방사선도 명백하다. 석기는 모두 116 점이다. 그것들은 긁개, 첨두기, 송곳과 조각기 등 이다. 거의 다 석편으로 제작되었고, 길이는 40mm 미만이다. 모두 직접타격법으로 제 2 차가공이 이루어졌다. 첨두기는 기본적으로 작으 며 전체의 19.7% 를 차지하였다. 첨두기 날이 둔중하고, 삭박면이 융 기되고 상당히 두껍다. 1980 년 2 차 발굴에서 제 5 와 4 층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동물화석 과 석물은 많지 않다. 제 3 층의 포유동물 화석은 周口店의 것과 접근 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大魏人 화석지점은 주구점의 것보다 늦고, 周口店 제 15 지점(중기구석기시대)에 상당하거나 조금 늦은 것으 로 판단하고 있다. 제 5 층과 4 층은 제 3 층보다 늦다. 그러나 제 5 층 의 후피대각록은 중기구석기시대에 해당된다는 증거를 제시하여 주고 있다 .50)
3 丁村유적 1954 년 9 월 22 일부터 丁村지역의 발굴이 시작되었다. 동시에 발굴 자들은 주위의 제 4 기 지질을 관찰하여 9 곳의 동물화석 퇴적지를 발견 하고 54 : 90 에서 54 : 98 까지의 일련번호를 붙였다. 퇴적지 중에서 두 곳 54 : 90 과 54 : 94 를 선택 하여 9 월 25 일부터 발굴하기 시 작하였다. 두 장소에서 동물화석과 석물 등이 홍점토 아래의 자갈충에서 발견되 었다. 몇 주일 후 조사자들은 또 다론 5 곳의 화석 되적지를 발견하여 54 : 99 에서 54 : 103 까지 번호를 첨가하였다. 모두 14 지점 (그림 59) 중 11 지점에서 많은 수의 동물화석과 석물이 발견되었다. 11 장소 중 에서 54 : 92 와 54 : 101 을 제의하고 9 장소를 체계적으로 정식 발굴하 였다. 충위 . 54 : 97 과 54 : 100 지접 중 전자(그림 60) 는 T 村에서 남쪽으로 0.5km 의 거리에 있고, 후기는 沿iiiJ의 남쪽으로 1km 거리에 있다. 54 : 97, 54 : 98, 54 : 99, 54 : 100 지점 등 4 지점에서 많은 동물화석과 석물이 출토되었다. 54 : 100( 그림 61) 지점에서는 사람 이빨 3 점이 출 토되었다. 발굴은 1955 년 11 월 12 일에 종료되었다. 출토된 동물화석 중에 는 무척 추동물, 옛조개 (Lamp ro tu l a) 가 출토되 었다. 모든 유물은 자갈충과 모래층에서 발견되었다. 丁村지역의 일반적인 층위는 하에서 상의 방향으로 다음과 같다. 4 충 : 황토, 후기홍적세. 3 층 : 홍점토 • 자갈 • 녹색진흙(綠色泥尖), 중 기홍적세(周口店期). 2 층 : 모래층, 전기흥적세(泥河 灣 ). 1 층 : 전한 홍 점토, 유럽 뽕띠안期. 재미있는 현상은 丁村지역은 황토가 직접 자갈층위를 덮지 않고 있 는 것이다. 그 의 모든 지역 (중국 북쪽)은 언제나 자갈충이 황토 아 래에 놓여 있다. 이곳의 황토와 홍점토층에서는 아무런 유물이 발견 되지 않았다. 한편 진한 홍점토(뽕띠안기) 위에 놓여 있는 모래층(전기홍적세)에 서는 三門馬와 옛조개 (Lam p ro t ulas) 가 출토되고, 그 위에 녹색 진흙
史村
12m
충에 서 도 달팽 이 (Planobis ) 가 출토되 었다. 51) 丁村지역에서 14 지점이 발견되었으나 발굴한 지점은 54 : 90, 92, 96, 98, 99, 100 과 102 등 9 지점이다. 그곳에서 출토된 동물화석은 다음과 같다. 54 : 90 지점, 모두 5 종 : 털코뿔소 (Coelodon t a Anti - qu it at i s) , 메 르키 코뿔소 (Rhin o ceros Mercki) , 멧 돼 지 (Sus sp. ) 도구나 가 코 끼 리 (Paleoloxodon cf. Tokunag a i) , 인 도 코 끼 리 (Eleph as cf., In- dic u s) . 54 : 96 지 점 , 13 종 : 이 리 (Canis sp. ) 오소 리 (Meles sp. ) , 곰 (Ursus sp. ) , 야생 말 (Eq u us Przewalsky i) , 털코뿔소 (Coelodonta Anti - qu it at i s) , 꽃 사 슴 (Pseudaxi cf. Grayi ) , 중 국 庸 角 鹿 (Sin o mega ceros sp. ), 오르도스편각록 (S i nome g aceros cf. Ordosia n us), 나마象 (Ele p has cf. Namadie u s). 54 : 98 지점, 14 종 : 당나귀 (Equ us Hemi on us), 야생말 (Eq u us Prje w alsky i) , 털코뿔소 (Coelodonta Anti quitat i s) , 멧 돼 지 (Sus
22m NE SW
sp. ) , 赤鹿 (Elep h as Canadensis ) , 꽃사슴 (Pseudaxis cf. G ray iil) 영 양 (Gazelle sp. ) , 轉角 羊 (S pi roceros sp. ) , 물소 (Bubalus sp. ) , 첫 (옛)소 (Bos Prim i ge niu s ) , 도구나가코끼 리 (Palaeoloxodon cf. Tokunaga i) , 나 마상 (Ele phas cf. Namadic u s), 인도코끼리 (Eleph as cf. Indic u s). 54 : 99 지 점 , 5 종 : 당나귀 (Eq u us Hemi on us) , 야생 말 (Eq u us Przewalsky i) , 털 코뿔소 (Coelodonta Anti qu ia t i s) , 멧 돼 지 (Sus sp. ) , 꽃사슴 (Pseudaxis cf. Grayi ) . 54 : 100 지 점 , 16 종 : 두더 지 (Talpi da e ind et. ) , 여 우 (Vulpe s sp. ) , 곰 (Ursus sp. ) , 해 리 ( ? Coasor sp. ) , 쥐 과 (My o id a e ind et. ) , 퐁타
니 에 르 밭쥐 (Sip h neus Fonta n ie r i) , 짧은꼬리 토끼 (Ochoto n a sp. ) , 당나 귀 (Eq u us Hemi on us) , 야 생 말 (Eq u us Przewalsky i) , 털 코 뿔 소 (Coelodanta Anti qu it at i s) , 중국편 각록 (Sin o meg a ceros sp. ) , 오르도스 편 각 록 (Sin o meg a ceros cf. O rdosia n us) , 영 양 (Gazelle sp. ) , 물 소 (Bubalus sp. ), 옛 (첫)소 (Bos Prim i ge niu s ), 현생인류 (Homo sp. ). 54 : 91 지 점 , 1 종 : 꽃사슴 (Pseudaxis Grayi ) . 54 : 92 지 점 , 2 종 : 당나귀 (Eq u us Hemi on us) , 야생 말 (Eq u us Przewalsky i) . 54 : 94 지 점 , 1 종 : 이 리 (Canis (Ny c te r eute s ) cf. Procy o noid e s) . 54 : 102 지 점 , 4 종 : 털코뿔소 (Coelodonta Anti qu it at i s) , 멧 돼 지 (Sus sp. ) , 물소 (Bubalus sp. ) , 옛 소 (Bos Prim i ge niu s ) 등이 다. . 丁村의 54 : 90,91 , 92 , 94 , 96,98,99,100 과 102 지점 등에서 모두 28 종 의 포유동물 화석이 출토되었다. 丁村의 동물화석 중에 3 종, 메르키코뿔소, 털코뿔소와 꽃사슴 등은 周口店 제 1 지점에서도 출토되었다. 또한 丁村의 6 종 동물, 당나귀, 야생말, 털코뿔소, 적록, 오르도스편각록과 옛소 등은 사라―오소 -골 (S j ara-Osso - Gol) 에서도 출토되었다. T 村의 · 동물화석 중 이리, 퐁타니에르밭쥐, 당나귀, 야생말, 적록과 인도코끼리는 현생종이다. 사라―오소―골의 동물화석과 동종이거나 현생종에 속하는 동물은 모두 19 종으로 정촌 동물화석의 67.8% 를 차지한다. 이 러 한 상황은 丁村의 동물화석 이 중국 북쪽의 황토시기 (Loessic Per i od) 에 상당하며, 사라―오소―골 시기에 접근하거나 상당하다는 것을 시사하여 주고 있다. • 丁村의 동물화석은 삼림과 산지에 분포하며, 당시의 기후는 온난하 였다. 석기의 검토 결과 사라―오소―골, 水洞溝의 것들과 대단히 가깝 고, 사람의 이빨도 현생인류 (Homo Sap ien s Sa pi ens) 에 속한다. 종합하면 丁村의 충위, 동물화석, 인류화석과 석기의 연구결과 丁 村의 시기는 중국 후기홍적세의 황토시기에 해당되며 52), 철대연대는 북경대학 역사계 考古전업반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실험실에서 丁村 출토의 목탄으로 >41,000 년이 산출되었다 .53) 丁村의 구석기시대 지점은 중기구석기시대의 대표로 간주되고 있 다. 10 곳의 동물화석과 석기지점에서 석물이 모두 2,000 여 접 출토되
었다. 석재는 角夏岩 위주이다. 석핵과 석편의 관찰에 의하면 석편을 떼어낼 때 모루상충격법에 의하여 처리되었다. 그러한 방법으로 떨어 져 나온 석편의 각도는 크고, 원뿔은 언제나 2 개이다. 소량의 직접타 법에 의한 석편도 있는데 그러한 것들의 석편각은 작다. 석기는 석편 제가 많고, 석핵제는 삼분의 일 정도이다. 석기는 단면가공 위주이나 교차가공은 사분의 일이 못된다. 석기의 유형은 단-양면기, 단변형
3
기(긁개 ?), 첨두기, 두꺼운 첨두기, 사냥돌 등이다. 그 중에서 두터 운 3 롱 첨두기는 소위 丁村첨두기라고 부르는데 그것은 丁村의 대표 적 석기(그립 62) 이다. 그러나 도면상으로 보면 석기분류에 많은 문 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그림 62 • 2 대첨두기는 긁개로 보아야 되며, 그림 62 의 1 삼릉 대첨두기는 주먹도끼 (?)이며. 그립 62 • 3 은 긁개이다. 4 山西 曲沃 西溝유적 西溝 유적은 1956 년 발견되어 1983 년 8 월에서 9 월까지 10m2 가 발굴되었다. 유적에서는 동물, 인류화석 (이빨)과 석물이 출토되었다. 유적은 山西 曲沃縣城에서 북서방향으로 약 11km 되는 沿河 지류 에 위치하고 있다. 그곳에서 서북방향으로 약 12km 지점에 유명한 丁村 유적이 있다. 西溝 유적 단면은 약 18m 두께이다• 그것은 12 층 으로 나누어진다. 12 층 : 갈황색 양토, 두께 0.3m. 11 층 : 갈황색 고 운 모래, 두께 3m. 10 층 : 얇은 갈홍색 고운 모래, 두께 2m. 9 층 : 갈홍색 아점토, 두께 lm. 8 총 : 회록, 회남색 점토와 아점토, 두께 4 m. 7 층 : 갈색 점토, 동물화석, 두께 3m. 6 층 : 회남색 아점토. 5 충 : 녹(鉉)황색 아점토, 두께 lm. 4 층 : 회남색 아접토. 3 층 : 얇은 갈색 거친 모래, 두께 1.8 m. 2 층 : 회갈색 거친 모래, 자갈, 두께 0.9m, 石獅 사람이빨 1 점, 동물화석, 문화충 1 층:녹(鉉)황색 모래층, 노출 0 . 5m( 바닥 未着). 동물화석 은 辨聽類 (Pelceyp o da) , 복족류 (Gastr o p o da) , 타조 (Str uth-io sp) , 당나귀 (Eq u us Hemi on us) , 야생 말 (Eq u us Przewalsky i) , 털코뿔 소 (Coelodonta Anti qu it at i s) , 소 아 과 (Borin a e Genin d et. ) , 영 양 아 과 (Anti lop ina e ge n. ind ) , 포분은 화본과 (Grami ne ae) , 명 아주과 (Che- nop o dia c eae), 쑥속 (A rt em i s i a) 등이 절대 다수이고, 국화과 (Com po sit ae ) , 사초과 (Cy pe raceae) , *形科 (Umbll ifer ae) 와 소나무 (Pin u s) 등은 많지 않다. 석물은 모두 514 접이다. 석재는 대부분 수석제 강자갈이다. 석핵은 單타격면 석핵과 多타격면 석핵으로 분류하고 있다. 전자는 모두 2 점으로 타격면은 준비되었고 타격각은 65° 정도이다. 후자는 17 접이
다. 표면에 자연면을 간직한 것이 삼분의 일 정도이다. 그 중 두 점 의 타원형으로 된 것은 許家窓 것과 접근되고 있다. 석핵상의 석편 흔적은 중복되었다. 타격점과 원뿔은 상당히 뚜렷하다. 방사선과 同 心波(파문)는 명백하지 않다. 석편은 모두 150 점이다. 타격면은 대부 분 손질되었다. 형상은 사다리꼴과 능형 위주이다• 불규칙한 것이 1 1. 3% 를 차지하고 있다. 긴 석편 중 두 점이 細石葉과 흡사하다. 타 격면은 모두 절단되었다. 양극 석편은 모두 7 점이다. 그 의 타격점 이 뚜렷하지 않은 34 점은 모두 부스러기이다. 석기 94 접은 단면기 2 점, 사냥돌 1 점, 양면기 2 점, 긁개 69 점, 톱니석기 1 점, 첨두기 10 점, 조각기 8 접, 돌마치 1 점 등이다. 긁 개는 69 점으로 윤곽이 삼각으로 된 것이 제일 많다. 유형은 수직, 오 목, 볼록, 철벽날(徒잤)과 배형긁개 등이다. 수직긁개가 25 점으로 수 량이 제일 많다. 일변 볼록긁개 19 점은 형태상 下川의 등칼과 같다. 일변 오목긁개는 비교적 크고 거칠다. 양날긁개는 10 접이다. 날각은 50° 정도이다. 9 접은 석핵으로 만든 절벽날(徒섰)긁개로서 두껍다. 너비 • 두께지수가 평균 71 이다. 날각이 크다. 모두 80° 가 초과된다. 날이 둘쑥날쑥이다. 배형밀개는 백운암 석편으로 만들어졌다. 무게 46g , 원단 부분에 제 2 가공을 하였다. 날각 80° 이다. 조각기 8 점, 대부분 날을 경사지게 만들었다. 가로로 자른 흔적을 보면 어느 것은 여러 번 타격하였다. 그 중 가장 큰 것은 98°, 가장 작은 것은 36° 이 다. 1 점은 집용 마루형이다. 첨두기 10 점, 양측 협각이 가장 큰 것 이 86° 이며 가장 작은 것은 43• 이다. 끝이 뾰족한 것이 절반을 차지 하고 어느 것은 송곳 같다. 두 개의 뾰족끝을 가전 것이 있고, 사용 또는 절단 여부가 확실하지 않은 것이 있으며, 2 점은 서로 엇갈린 방향으로 제 2 가공하여 만든 것도 있고, 대단히 두꺼운 것도 있다. 대부분 저부도 손질하였다. 특별히 큰 것의 크기가 92.8X48.2X40.7 mm, 무게 155 g인데 이것은 丁村의 삼릉첨두기와 유사하다. 기타 단 면기, 사냥돌, 양면기, 톱니석기와 마치가 있다. 西溝 석기는 수석제가 37% 가 된다. 이것은 좋은 석재 사용을 표명 하여 준다. 석편 제거방법은 직접타법, 소량의 양극타법과 모루상타 법(雍擊法) 동이다. 석편의 크기는 비교적 작다. 30mm 이내에 41.5%, 100mm 이상은 겨우 3.2% 이다. 유형은 긁개가 제일 많고,
다음 첨두기와 조각기 순서이다. 제 2 가공은 벽개면에서 삭박면 방향 위주이며 간혹 엇갈린 타격도 보인다. 종합하면 동물화석 중 털코뿔소는 소멸종이고, 타조도 중국 경내에 서 사라졌으며 기타는 현생종이다. 西溝 유적은 지질 제 3 급 階地에 위치하였으며 그 시대는 후기홍적세 약 B.P 30,000 년에 해당된다. 그러나 충위 대조는 丁村의 54 : 100 지점과 동일하다고 보고 있으며, 丁村의 54 : 100 은 B.P. 70,000 년에 해당되며, 이 연대는 西溝 유적의 문화충에 해당된다고 보고 있다. 북경대학 고고계 연대측정 실험실에 서의 우라니움세리 측정으로 西溝 유적의 연대가 B.P 50,000 년이 산 출되었다. 중기구석기시대의 전형적 유적은 丁村 유적이며 후기구석기시대 초 는 사라―오소―골 유적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들의 연대는 37,000~70,000 년이 된다. 西溝 유적의 연대는 이 양자 사이에 위치 하며, 중기구석기시대말 또는 후기구석기시대초에 해당된다. 석기성질, 시기, 지리 위치 등은 許家蒸와 時裕과도 접근되고 있 다. 西溝와 許家蒸는 소형긁개, 첨두기 위주이며, 모두 직접타법으로 가공하였다. 그러나 西溝의 배형밀개, 조각기, 소형첨두기는 許家蒸 보다 정교하다. 또한 西溝의 단면기, 양면기, 삼릉첨두기는 時裕에서 는 볼 수 없다. 西溝와 丁村을 비교하면 삼롱첨두기, 대석편단면기, 사냥돌과 긁개 등이 유사하다. 그러나 西溝는 수량이 적고, 유형이 간단하다. 또한 西溝의 조각기, 배형밀개 등은 丁村에는 없다. 丁村은 모루상타격법 (펠石占法) 위주이며 西溝는 직접타법 위주이다. 다만 西溝 유적의 문화는 긁개 조각기 전통의 許家窓와 時裕에 상 당히 접근되고 있다 .55) 5 陝西乾縣의 구석기 지점 석물 8 점이 陝西 乾縣 大;It溝 황토 아래의 모래, 자갈, 점토 혼합
충에서 포유동물과 함께 출토되었다. 大北溝 부근에서 주먹도끼 (Hand axe) 1 점이 채집되었는데 그것은 藍田의 것과 유사하다. 大北溝의 구석기 출토 지점은 세 곳이다. 첫째는 大北溝 水庫區 潤 河唄의 對岸으로 나마상이 발견된 63546 호 장소이며 두번째는 大北溝 下流 周城公社 東保子 (63547 호 장소)이며, 세번째는 東堡子 남쪽 梁村 公社 賈 £½ (63548 호 장소) 이 다. 세 곳의 퇴적물은 모두 점토에 모래 , 자갈이 섞인 충위이다. 그 위가 황토이며, 그 위는 또한 신석기시대 유물이 포함된 회색토충이다. 석기와 포유동물 화석이 출토된 충위 아래는 홍색토이다. 63546 지점의 단면은 대단히 명백하다. 상기한 세 지점에서 출토된 포유동물 화석은 화북 후기홍적세 충위 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동물이다. 그것들은 식충류 1 종, 설치류 2 종, 우제류 4 종과 기제류 2 종 등 모두 9 종이다• 동물화석은 두더 지 (Scap toc hir u s sp. ), 중국두더 지 (My o spa lax Fonta n ie r i) , 밭쥐 (M i- crotu s SP.) , 꽃사슴 (Pseudaxis SP.) 큰뿔사슴 (Meg a loceros sp. ) , 고라 니 (Cap re olus sp. ) , 영 양 (Gazella SP.) , 털 코 뿔 소 (Coelodonta Anti -qu it at i s) , 야생 말 (Eq u us Przewalsky i) 등이 다. 동물화석과 동반된 석물은 8 점으로 그 중에 3 점은 대표적이다. 회록색 석영암 석편은 63547 지점에서 출토되었다. 크기는 24X42mm 이며, 원뿔은 산만하고, 석편각은 130° 이다. 다론 한 점은 원형의 석 영암 소역석제의 긁개로서 63548 지점에서 출토되었다. 최대 직경은 44mm, 두께는 20mm 이고, 일면은 자연면, 다른 일면에서는 8 점의 소석편을 떼어내었다. 길이 18mm, 너비 12mm, 날각은 55 ° 이다. 세 번째는 석영암 석편으로 63548 지점에서 출토되었다. 타격면은 준비되 었고, 원뿔은 파괴되었다. 삭박면과 벽개면상에 타격점이 각각 하나 씩 있다. 그 의 63547 지 점으로부터 100m 지 점 에 있는 龍頭의 단애 아래 의 황 토 표토층에서 한 점의 주먹도끼 (Hand axe) 가 채집되었다. 석재는 석영암 역석이며 길이 170mm, 너비 100mm, 무게 1145 g이다. 일단 은 둥글고 일단은 뾰족하다. 윤곽은 혀형(舌形)이다. 둥근 일단에는 자연면이 남아 있다. 중국에서는 주먹도끼가 1954 년에 丁村 沙女溝에 서 채집된 1 접, 1963 년, 藍田 湯池iiiJ에서 채집된 1 점과 1965 년 藍 田平梁 紅色土 내에서 발굴한 1 점이 있다. 丁村 石器 중 몇 점의 양
면타격된 것을 원 보고자는 단-양면기라고 주장하고 프랑스학자 브 뢰이 (Breu i l) 는 주먹도끼로 보았다. 乾縣 大 1 t溝의 주먹도끼는 丁村 i少女溝의 것과 상당히 접근되고 있다. 56) 乾縣의 구석기 지점에서 출토된 동물화석에 의하면 이 세 곳 지점 의 석기(역석석기 1 점과 주먹도끼 1 점) 등은 후기홍적세초, 죽 중기 구석기시대에 해당된다고 보고 있다. 6 陝西 長武.유적 長武유적의 위치는 混滑 중류에 있는데 이곳은 陝西省 西部와 甘 肅省의 경계지역이다. 유적은 1972 년에 발견되었다. 유물은 長武縣 城關 부근의 察頭溝의 황토 밀의 회색 모래질 토양과 모래 • 자갈충 (砂礎層)에서 출토되었다. 석기와 동반된 동물화석은 두더지 (My o spa lax sp. ) , 야 생 말 (Eq u us cf. P rzewalsky i) , 당 나 귀 (Eq u us Hemi on us), 털코뿔소 (Coelodon t a sp. ) , 편각록 (S i nome g aceros sp. ), 꽃 사슴 (Cervus Pseudaxis s p . )과 소 (Bov i dae ind et. ) 등이다. 동물화석과 석기유형에 따르면 유적은 후기홍적세초, 죽 중기구석 기시대에 해당되며 특히 석기는 丁村의 석기와 비교가 된다고 보고 있다. 석물은 약 200 점이 된다. 그 중 석영제 석핵 40 점, 석편 120 점, 첨 두기 2 점, 긁개 11 점, 단-양면기 3 점, 그리고 수석제 석핵 10 접, 석편 35 점 등이다. 석핵은 다타격면(多疑面)석핵, 역석석핵과 납작한(福平) 석핵으로 구분하고 있다. 다면석핵(그림 63 • 1) 은 석영암제로서 다면체의 석편 흔적을 가지고 있다. 타격점은 석편이 떨어져나가는 과정에서 파괴되 었다. 석편 흔적은 너비가 길이보다 크다. 석핵의 각은 90· 이다. 역 석석핵 (그립 63 • 3) 은 회갈색 석영암제이며, 원래 긴 타원형 자갈이 다. 석핵상에는 녹 (Pa ti ne) 이 나 있다. 타격면은 자연타격면이다. 석 편의 흔적은 상당히 길다. 납작한 석핵 (그립 63 • 2) 은 타원형이다. 석재는 황색 석영암이며, 타격면은 자연타격면이다. 타격각은 90· ~95· 사이이다. 타격각이 작은 것은 水洞溝의 특칭과 유사하다.
0I I 2Ic m
석편은 건 석편, 넓은 석편 , 삼각형과 역석석편으로 구분하고 있 다. 건 석편(그립 64 • 2) 은 회색 석영암제로서 타격각은 작고, 자연 타격면을 가졌으며 원뿔 흔적이 뚜렷하다. 다른 1 점의 석편(그림 64 • 1) 은 붉은색 석영암제이다. 타격면은 자연타격면을 가졌고 가로 단면은 삼각형이다. 넓은 석편(그림 64 • 3) 은 흑색 석영암제이다. 너 비가 길이보다 크다• 타격면은 자연타격면을 가졌다. 삼각형석편(그 립 64 • 4) 은 타격각이 90° 이며 흑색 석영암제이다. 타격면은 준비되었 는데 적어도 3 접의 결정면을 떼어내었다. 타격점은 뚜렷하다. 석편 의 최대 두께는 2cm 이다. 역석석편(그립 64 • 5), 황색 석영암제이 다. 의형은 타원형이다. 타격면은 자연타격면을 가졌다. 벽개면상 타 격접은 뚜렷하고 원뿔은 넓고 크다. 삭박면상에는 대부분 자연면을 가지고 있다.
OI I 21a n
석기 중 단면기(그림 65) 는 황갈색 석영사암제이다. 윤곽은 삼각형 이다. 결정면(또는 소석편)을 떼어낸 부분은 강자갈 주위의 절반 정도 이다. 긁개는 일변 곧은긁개, 오목긁개와 볼록긁개로 구분된다. 일변 곧은(수직)긁개 (그림 66 • 2) 는 두터운 석편제로서 윤곽은 삼각형이며,
\ -• -. .- . ~\ \
제 2 차가공은 벽개면에서 삭박면 방향으로 처리되었다. 오목긁개 (그 립 66 • 3) 는 윤곽이 삼각형으로 회백색 석영암제이다. 한 변 가장자 리에 자연면이 남아 있다. 제 2 차가공 흔적이 상당이 작다. 사용 혼 적 이 있다. 볼록긁개 (nosed scrap e r) (그립 66 • 4) 는 황갈색 석 영 암제 이 다. 석편의 삼분의 이 정도를 제 2 차가공하였다. 제 2 차가공 흔적은 상당이 작다. 첨두기 (그립 66 • 5) 는 회황색 석영암제이다. 두꺼운 석편으로 제작 되었다. 단면은 삼각형이다. 석편 일단의 양변을 계단식으로 제 2 차 가공하여 첨두기를 만들었다. 날각은 69° 이다. 다른 첨두기(그립 66· 1) 는 백색 석영암제이다. 윤곽은 삼각형이다. 두꺼운 석편으로 제작 되었다. 삭박면은 부분적으로 자연면이 남아 있다. 일단의 양변을 계 단식으로 제 2 차가공하여 뾰족하게 만들었다. 날각은 58° 이다.
0 2cm
종합하면 석재는 석영암 위주로서 전체의 80% 를 차지하고, 맥석영 은 5%, 수석제는 10% 이다. 석기 분석내용 중 이해할 수 없는 점은 원 보고자들이 석편석기의
긁개 • 첨두기도면을 제시할 때 벽개면상의 石片軸을 정확하게 표시하 지 않았으며, 특히 굵개의 분류도 활모양 긁개 (5!1 lif}., Arcurate scra p er) 와 돌출 긁개 (87} ., Nosed scrape r) 등으로 표시하여 설명문과 도면을 참고하게 되면 당황하게 된다는 점이다. 察頭溝의 지질단면은 아래충이 離石黃土(或稱 홍색토), 그 위는 모 래 • 자갈충(혹칭 황토저부 자갈충), 그리고 위충은 황토충 순서이다. 이러한 速滑문화는 중기구석기시대에 속한다. 이 문화와 丁村문화 를 비교하면 다음과 갇다.
沿iiiJ(丁村) 문화 混滑(長武) 문화 석재 각혈암위주 석영암 위주 석핵 대형 다면체 소형 납작한 (福平) 석 핵 입방체 소형 다면 석핵 방추형 석편 대석편 소석편·긴석편·삼각형석편 투정 법 (Blockon block) 석기 유형 많음 유형 간단 대형 석기 우세 소형 석기 위주 사냥돌(石球) 자갈돌석기―일면가공단면기 丁村형 대형 첨두기 소형 긁개 많음 소형 긁개 많음 소형 첨두기 드물고 거짊 소형 첨두기 드물고 정교함
종합하면 混滑문화는 水洞溝문화와 가장 접근되고 있는 중기구석기 시대 문화이다 .57) 7 大同 靑磁蒸유적 山西 大同 靑磁察 유적에서 석물 1,000 여 점, 포유동물 화석 8 종 등이 출토되었다. 지질시대는 중기홍적세 후기에 속하며 문화는 중기
구석기시대에 해당된다. 원 발굴자는 三門馬의 존재로 전기구석기시 대에 속한다고 보지만 필자는 털코뿔소와 석편석기, 죽 긁개 위주 문 화는 중가구석기시대로 판단한다. 1975 년 大同市 서쪽 교의의 靑磁蒸 媒鑛 부근에서 도로공사를 하는 도중 포유동물 화석 이 출토되 었다. 그곳을 1976 년 6 월과 1977 년 10 월에 발굴하여 석물 1,000 여 점과 상당수의 포유동물 화석을 발견하 였다. 靑磁蒸 유적은 大同古城과 雲 南石窟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大同古 城은 그곳에서 동쪽으로 8.5km 지점에 있으며, 서쪽으로 5km 지점 에 雲 南石窟이 있다. 지리좌표는 동경 113°11', 북위 40•6' 이며, 해발 은 1,130m 이다. 지질단면은 4 층으로 구분되고 있다. 4 층(후기흥적세), 각력(角礎) 충에 고운 모래가 개재됨. 각력은 큰 것이 40cm, 작은 것이 10cm 이 다. 소량의 포유동물 화석, 두께 10~30cm. 3 층(중기흥적세), 고운 모래 속에 각력 포함, 다량의 석물과 포유동물 화석, 두께 6m. 2 충 (중기 홍적 세 ) , 모래 자갈충, 두께 2m. 1 층 (쥐 라계 , Ju rassic ) , 얇은 회색과 자색 사암. 3 층 출토의 포유동물 화석 은 이 리 (Canis Lup u s) , 古稷齒 象 (Palaeoloxodon), 털코뿔소 (Coelodon t a Anti qu it at i s) , 삼문말(三門馬 Eq u us cf. Sarunenie n sis ) , 영 양 (Gazella sp. ) , 소亞科 (Bovid a e) , 拉角 羊 (Sp ice ros sp. A) , 뉴각양 (Sp ice ros sp. B) . 이 중 사멸종은 삼문말과 털코뿔소이다. 석물 920 점 중 640 점이 자세히 검토되었다. 그것들은 석핵, 석편, 돌마치, 모루 등이다. 석기는 2 1. 5% 를 차지하고 있다. 석핵은 125 점 으로 19.53% 롤 차지하였다. 석핵은 단일타격면 석핵 18 점, 다타격면 석핵 (자연면 가진 것) 80 점, 다타격면 석핵 (자연면 없는 것) 27 점이다. 석편은 모두 375 점으로 58.6% 를 차지하였으며, 직접 타격에 의한 것 은 370 점, 양극타격법에 의한 것 5 점 등이다. 돌마치와 모루는 각각 1 점씩이다. 석기는 긁개 110 점, 79.71%, 첨두기 15 접, 10.87% 를 차지하고, 단一양면기 13 점으로 9 .4 2% 를 차지하였다. 석핵은 가장 큰 것이 2,377g , 작은 것은 15 g이며, 50~700 g이 보 편적이다.
2
4
석기는 모두 138 점으로 긁개, 첨두기와 단-양면기 등이다. 긁개는 볼록긁개 , 오목긁개 , 직 선긁개 (Str a ig h t edg ed scrape r s) 와 두터 운 긁 개 (Thic k edg e d scrap e rs) (그 림 67) 등 이 다. 밀 개 (Rounded edg e d scrape r ) (그림 68 • 1, 2) 와 양변긁개 (그립 68 • 3 , 5) , 첨 두기 (그립 69 • 5) 도 있다. 단―양면기 (그립 70 • 1,2) 는 13 점인데 전자를 單面?)., 후자 를 雙面섰라고 칭하고 있다. 유적의 연대는 삼문말(三門馬)의 존재로 중기흥적세로 판단하지만 털코뿔소와 소형 석기의 공존은 후기홍적세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 유는 유일하게 1 종의 동물화석의 존재에 따라서 상대편년을 설정하 는 것은 옳지 못한 생각이기 때문이다. 털코뿔소는 후기홍적세 초기 의 대표적 동물이다. 석기의 석재는 석영암과 맥석영 위주이고 수석과 화산암 등도 있 다. 직접타격법에 의한 석편이 전체의 98.6% 를 차지하였다• 석기가
2
1.c...m.. 0` 1‘c m
긁개 위주인 점은 중기구석기시대에 해당됨을 시사하여 주고 있다. 이 유적에서 양국타격법에 의한 석편은 극히 드문 편으로 오직 1. 33% 를 보여주고 있다. 이 유적의 발굴자들은 삼문말의 존재에 의해서 전기구석기시대 59) 로 보고 있으나 털코뿔소가 존재하고 소형의 석편석기들이 긁개 위주라 는 점은 중기구석기시대에 해당된다고 본다. 우리는 지금까지 전기, 중기구석기시대 문화 면모를 살펴보았다. 후기에 둘어가면 석기가 점차 작아지면서 정교화되는 추세이다. 후기 구석기시대 문화에서 가장 중요한 석편석기 분류법의 연구는 어느 정 도인지 살펴보고 다음 장을 살펴보겠다. 8 석편타격면 분류 중국구석기시대 고고학 연구가 이미 50 년이 경과되었다. 그러한 연 구 결과 석편 분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尸<
석편타격면을 자연타격면(그립 71 • 1) 과 인공타격면으로 구분하고 있다. 자연타격면은 자갈면, 結核의 표피, 암석의 節理面 또는 광물 의 物理面또는 結晶面으로 암석이 자연적으로 형성되거나 풍화된 면 이다. 자연타격면온 일정하지 않고, 평탄, 오목 또는 볼록하거나 稷 이 있다. 한 점의 석편은 언제나 일부분은 자연면이고 다른 일부분은 인공이 가해전 흔적을 가지고 있다. 인공타격면은 자연타격면과 반대되는 말로서 평탄 (Pla i n) 타격면(그 립 71 • 2) , 상처 있는 (Scarred) 타격 면 (그림 71 • 3) , 능 (Creste d ) 타격 면 (그립 71 • 4) , 준비 된 (Prepa red) 타격 면 (그림 71 • 5) 등을 포함하고 있다. 석편타격면이 하나의 석편을 떼어낸 흔적으로 구성되어 그 표면에 석편을 떼어낸 상처가 없거나 능이 없게 되면 평탄타격면 (Pla i n
p la tfo rm) 이라고 부른다. 만약 평탄타격면상에 소석편을 떼어낸 흔적 이 있으면 상처 있는 타격면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타격면은 준비된 타격면으로 오인되기 쉽다. 석편 등(삭박면)의 석편 흔적은 석편박락 이전의 석편 제거작업을 나타내 준다. 석편타격면상의 작은 석편 흔적은 비교적 복잡하지만 때로는 그 원인을 규명하기 쉽고, 또한 준비된 타격면과 구별할 수도 있다. 그러나 때로는 타격면 등(背) 가장자리에 연속타격 흔적이 있 울 때 그것이 준비된 타격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석편타격면상 稷 (Cres t ed) 은 석편의 평탄한 위에 놓여 있는 융기된 선이다. 이 선은 때로 석편평면상에 비스듬히 교차되게 놓여 있다. 능은 흔히 2 편의 소석편을 연속적으로 떼어내고 남은 혼적이다. 때 로는 3 또는 4 소석편을 떼어낼 경우도 있다. 이러한 타격면의 구성 은 때로 한 부분이 평탄하고 다른 한 부분은 오목하다. 그러나 두 부 분이 연결된 접은 융기되어 있다. 타격면은 능의 위나 부근에 있다. 능은 직선과 굽은 것이 있다. 타격면 두 부분이 맞물린 각도는 둔각 으로서 작은 것은 g o· 이다. 교차 타격된 석핵은 흔히 타격면상에 능 이 있는 석편을 만들어 낸다. 능이 있는 석편과 상처난 타격면은 서로 다르다. 전자는 등의 가장 자리로부터 중심부를 통과한다. 때로 석편타격면 등의 가장자리에서 이러한 흔적의 타격접을 발견할 수 있다. 능이 있는 타격면상의 흔적 은 석편박락 전에 생간다. 때로 석편박락 후에 생기거나 박락과 동시 에 생길 수도 있다. 준비된 타격면은 의식적으로 석핵의 타격면상에 계통적으로 손질을 한 것이며, 이로 인하여 타격면상에 작은 석편(결정면) 흔적 또는 능 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행위는 石片上보다 石核上에 있어 쉽게 관찰 된다. 석편타격면상에 흔히 볼 수 있는 준비된 흔적은 두 가지 유형 으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寬型이고 다론 하나는 좁은 형이다. 전자 는 제 2 차가공과 근사하다. 그것은 타격면 동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 속으로 분포되고, 그 말단은 腹의 가장자리까지 도착하거나 또는 腹 의 가장자리를 초과하고 있다. 때로 그것들은 不平行하고, 그 말단은 타격접 부근에 집결되었다. 觀音洞의 석편은 특수하다. 그것은 두 가지로 분류되고 있다. 하나
는 點狀타격면 (1~6) 을, 다른 하나는 線狀타격면 (1~7) 을 가진 것이 다. 이것들은 인공적이다. 석편의 등상에 이미 박락당한 석편 흔적이 있다. 선상타격면은 近端이 파괴당하여 선상이 생겼는데 이것은 우연 히 발생된 것이다. 타격면이 더욱 축소되면 날처럼 되거나 삭박면과 연결되어 그 한계 가 없어진다. 전자를 날상타격면 (Cutt ing pla tf or m) (그립 71 • 8), 후자 를 零타격 면 (Null pla tf or m) (그립 71 • 9) 이 라고 부른다. 周 口 店 북경 원 인 유적에서 발견된 兩極石片 중 일부분의 것이 삭박면과 벽개면이 동일하다. 모두 박락된 잔편의 흔적을 가지고 있으며 타격면은 날상 (Cu tti n g)이다. 그것들은 뚜렷한 평탄한 타격면이 없다. 석편각은 모 두 90° 이하이며 타격점은 크고, 대부분 너비가 길이보다 크다. 원뿔 은 융기되지 않았고, 대부분 움푹 파였다. 이러한 석편은 興義猫猫 洞穴유적에서 발견된 일이 있다. 水城 砲灰洞과 興義 猫猫洞의 양극 석편(錢核碩擊石片)의 타격면은 영타격면이다. 臺灣省 臺東縣 長濱鄕 에서 발견된 것 중 상당수가 영타격면을 가졌다. 중국 고고학자들은 석편타격면을 분류할 때 타격면의 성질로 구분 하고 있다. 최초의 분류는 許家窓 출토의 석편을 5 종으로 분류하였다. 1) 자 연평면을 이용한 석편 2) 손질된 석편 3) 타격면의 융기된 것을 이용 한 석편 4) 수직으로 타격을 가한 〈兩極石片〉 5) 준비된 타격면석편 등이다. 이러한 예는 석편 분류시 실제적으로는 석편타격면을 분류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종합하면, 1976 년을 전후로 觀音洞 석편을 분류한 것을 기초로 해 서 위에서 말한 9 가지 석편타격면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겠다. 1. 영타격면 : 北城 砲灰洞과 興義 猫猫洞의 양극석편(銃核甄擊石 片). 2. 날타격면 : 영타격면과 유사하고, 상당히 예리하여 칼날상이다. 周口店 북경인 유적의 양극석편이 좋은 예이다. 3. 點狀타격면 : 觀音洞의 예와 기타 지접. 4. 線狀타격면 : 觀音洞과 기타 지접. 5. 자연타격면 : 모 모든 유적에서 보인다. 6. 평탄타격면 : 손질한 타격면, 모든 유적에 보인다.
7. 상처 있는 타격면 : 모든 유적에서 보인다. 8. 능타격면 : 북경인 유적, 기타 거의 모든 유적에서 보인다. 9. 준비된 타격면 : 북경인 유적 , 觀音洞, 丁村, 許可蒸, 7k 洞溝에 서 출토. 이러한 분류는 중국의 중요 유적에서 출토된 석편 예이다. 상처난 타 격 면 은 Platf or m wi th Scar, Platf or m wi th Scars 또 는 Scarred Pla tfo rm 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분류는 처음 이루어전 시도로서 장 래 많은 보충이 필요하겠다• 59)
제 5 장 華北의 후기구석기시대 문화 후기구석기시대는 약 4 만년 전부터 1 만년 전까지이다. 후기구석기시대 석기와 그것을 만든 현생인류 (HomoSa pi ens Sa pi ens) 가 중국경내에 분포된 것은 동경 81°01'~126°42', 북위 22'40' ~53 · 20’ 의 광대한 지역이다. 중국 15 개 省(자치구 포함)에서 현생인류가 발견되었다. 그 중에서 13 개 성(자치구 포함)에서 구석기가 동시에 출토되었다. 구석기시대 유물이 출토된 곳은 모두 23 개 성(자치구 포함)이다. 발견된 석기는 수만 점에 이르고 골기와 角器도 상당수 발견되었으며 장식품도 100 여 점이 된다. 화북의 석기는 점점 작아지는 추세이다. 그러나 길이 • 너비 지수의 변화는 그리 크지 않다. 석편은 80 정도이며, 공구는 70 정도이다. 화북은 소석기 위주의 문화전통과 간석편 위주~세석기 위주의 문화 전통을 가지고 있었다. 화남은 석기가 대형과 소형으로 구별되었는데 그것은 지역적 특징을 나타내었다. 화북의 소석기 위주 문화전통은 周口店 제 1 지점으로부터 周口店 제 15 지점을 경유하여 許家蒸에 도착 해서 時裕등 문화로 발전되면서 점차 작아지기 시작하였다. 小南海 문화는 직업적 공인이 제작한 것과 같이 석기가 정교하게 발달되었고 그 문화의 계승자로 보이는 山頂洞은 석기문화의 정점에 이론 것으로 보고 있다.
1 陽高 許家蒸유적 1974 년 가을 중국과학원의 고척추동물과 고인류연구소의 고고팀은 山西省 陽高縣 許家窓에서 유적 한 곳을 발견하였다. 그곳은 許家蒸 마울에서 동남쪽 방향으로 1km 지점에 있는 桑幹河의 지류인 梨益溝 의 서쪽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그곳은 해발 980m, 동경 11359', 북 위 40°06' 이다. 許家察 지층의 충위는 다음과 같다(그립 72). 유물과 동물화석은 현 지표로부터 8m 깊이의 회갈색 점토와 황록색 점토 내에서 발견되 었다. 충위는 8 층 : 표토, 0.3~0.5m. 7 충 : 황갈색 모래질 토양, 3~5 m. 6 층 : 황갈색 모래질 점토, 두께 5m, 타조, 털코뿔소, 중국두더 지 출토. 5 층 : 담황색 모래질 점토, l~3m. 4 층 : 황록색 모래질 접 토, 4m. 3 층 : 갈홍색 점토, 모래 자갈 포함, 상부 모래질 結核 (Concreti on s) , 석 물과 동물화석 출토, 두께 5m. 1 층 : 회 남 (藍) 회 록
20M. E 梨益
회갈색 아점토, 4~6m. 동물화석 은 소라 (螺, Op e as Py rg u la Schmceker & Boett ge r) , 달팽 이 (Brady b aena Sim i lar is Ferussae) , 間 齒 소 라 (Meto d onti a hausaie n sis ) , 소라 (Py r ami du la Pota n in i ) (Moellendorff ) , 타조 (St ru th i o sp. ) , 쥐 토끼 (Ochoto n a sp. ) , 중 국 두 더 지 (M yo spa lax Fonta n ie r i Mi ln e~Edwards) , 브란트밭쥐 (Mi cr otu s Brandti oi d e s Young ) , 털코뿔소 (Coelodonta Anti - qu it at i s bl. ) , 야생 말 (Eq u us Przewalsky i Polia k ov) , 영 양 (Gazella Sub- guttur osa GU!densta e dt) , 반양 (Ovis sp. ) 등이 다 . 상기한 연체동물은 모두 현생종이다. 타조는 중국 경내에 지금은 사라졌지만 신석기시대까지 생존하고 있었다. 브란트받쥐와 털코뿔소 는 사멸종이며 기타는 현생종이다. 브란트밭쥐는 周口店 제 9 지점, 周口店 제 3 지점과 山項洞 유적에서 출토되었다. 털코뿔소는 전기홍 적세에 출현하여 후기홍적세까지 널리 분포되었다. 그것들은 황하 상 류에서 동북지구까지 분포되어 있었다. 출토된 동물화석의 분석에 의하면 許家蒸 유적은 후기홍적세에 속 한다. 동물의 입장에서 보면 유적의 하한은 丁村문화의 후반기에 이 르고 상한은 時浴문화와 접촉되고 있다. 출토된 연체동물은 온습한 수림 또는 관목을 좋아한다. 털코뿔소와 야생마도 전형적인 초원성 동물이다. 중국두더지는 현재 중국북부의 밭, 초원, 강계곡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쥐토끼는 초원과 산지 역석 지대에 생활하고 있다. 털코뿔소를 제의하고 기타 동물들은 중국북방 또는 고원지대에서 생활하고 있다. 유적의 면적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문화 유물도 많다. 출토된 석물 이 모두 589 점이다. 그 중에 14 점의 다면기(球形)와 석핵 의에 가공 된 석기는 대단히 작다. 석재는 맥석영 (190 점, 32.26%), 석영암 (33 집 5.60%), 화석 (Fli nt , 178 점, 30. 22 %), 변질회암 (22 점, 3.7 4 %), 화산암 (117 집 19. 86 %), 규 질암( 2 점, 0.34%), 마노 (47 점 , 7.98%) 등이다. 석물 589 점 중 200 점이 부스러기와 미완성품이다. 그리고 389 점은 가공 흔적이 명백한 것들이다. 그 중에는 석핵석편과 석기가 포함되 었으며 전체 66.05% 를 차지하고 있다(표 8).
표 8 許家窓 출토 석기 비율 유 별 수량 백수 분량비 분 류 蠶 백분 분류비 석핵 46 11.38 기둥형 석핵 23 50.00 원형 석핵 23 50,000 석편 147 37. 79 자연타격면 석편 6 4.05 준비된 자연면 석편 100 68.03 (하나의 결정면을 가진 석편) 占核타격면 석편 24 16.33 수직타격한 양극석편 13 8.5 4 준비된 타격면 석편 4 2.72 (2 개 이상의 결정면을 가진 석편) 긁개 150 38.56 칙선 가로놓인 긁개 45 30.00 오목 일변긁개 26 17.33 양변긁개 13 8.67 볼록 일변긁개 35 23.33 자라동긁개 13 8.67 양면긁개 13 8.67 작은 원형 긁개 5 3.35 첨두기 18 4.1 1 톱니형 첨두기 5 27. 77 타원형 첨두기 3 16. 66 코형 첨두기 3 16.66 양면 교차가공 첨두기 4 22. 22 새부리형 첨두기 3 16. 16 —원형첨밀두 개기 1 0.2 6 조각기 10 3.08 조각기 7 71 .43 용마루 조각기 3 28. 57 송곳 2 0.52 다면기 14 3.60 소형단면기 1 0.26 총 계 389 100. 00
0 1 2 3cm
석핵 중 가장 큰 것은 537g , 제일 작은 것은 9 g이다. 석핵은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첫째는 원시 기둥형 석핵 (그림 73) 으로, 준비된 타격면 가장자리에 서 소석편을 떼어내었다. 자연타격면을 이용한 것도 있다. 그러한 석 핵은 세석기 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기둥형(稷柱狀) 또는 원추형(雜 形) 석핵의 원형이다. 석편 제거 기술상 원추형은 기둥형으로 발전된 것이다. 석핵의 양단에 타격면이 존재하고 그곳에서 소석편을 떼어낼
0 1 2 3cm
경우 기둥형이 형성되고, 일단에 타격면에서 소석편을 때어낼 경우 원추형이 이루어진다. 두번째 원형 석핵(그림 74) 은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 무게는 10~240 g이다. 그것은 역석 또는 석괴의 주위에서 양 면을 교차 타격하여 소석편을 떼어낸 것으로 굴곡있는 원형이다. 양 면의 중심 부분은 상당히 두껍다. 위에서 말한 유형의 석핵은 周口店북경원인 유적에서도 발견된 바 있다. 그러나 그 수량이 許家察 유적의 것에 미치지 못한다. 석편들은 비교적 작다. 보통 30g 이하이며, 제일 작은 것은 l g이 다. 제일 큰 것은 120 g이다. 석편들은 일반적으로 넓고 두꺼우며 불
<
규칙하고 직접타법으로 떼어낸 것이 분명하다. 석편은 다섯 가지 유 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 1) 자연타격면 석편, 역석의 자연면을 타격면 으로 삼은 것이다. 2) 단순타격면 석편, 1 점의 소석편 또는 결정면 울 떼어낸 것(그립 75 • 1,3), 석편각은 100· 이상이다. 타격면은 일반 적으로 작다. 석편의 너비가 길이보다 큰 것이 상당히 많다. 긴 석편 도 일반적으로 상당히 두껍다(그립 75 • 1). 그것은 삭박면에 능이 있 고, 단면은 삼각형이다. 3) 돌출된 타격면 석편(그립 75 • 4,5) 은 원형 석핵에서 떼어내었을 가능성이 크다. 특징은 석편의 타격면상에 모두 능이 있다. 타격점은 능 위에 있다. 周口店 북경원인 유적에서도 그 러한 석편이 출토되었다. 4) 양극 석편의 석재가 있었다. 그러한 것 은 周口店 북경원인 유적, 周口店 제 15 지점과 山頂洞 유적 등에서 보 편적으로 출토되고, 또한 중국 세석기 유적에서도 출토되었다. 5) 결 정타격면 석편(그립 75 • 6,9) 은 많지 않다. 타격면에 가로축(橫軸)을 교차 타격한 흔적이 있는 것이다. 긁개(밀개 포함)는 가장 보편적인 공구이다. 그것들은 7 개 유형으 로 분류되고 있다 : 1) 가로긁개 (그립 76 • 1,2) 가 수적으로 가장 많다. 특징은 석편 또는 석괴의 한쪽 가장자리에 가로날을 만들었다. 가장 큰 것이 112g , 제일 작은 것이 3 g이다. 이러한 긁개가 周口店 원인
白 33;c
지점, 제 15 지점, 時裕유적 등에서 발견된 바 있다. 2) 오목긁개 (그림 76 • 5~8) 역시 수량이 많다. 오목한 날 부분이 큰 것은 36mm 이고, 작은 것은 7mm 이다. 동일한 유형이 북경인 유적과 제 15 지점에서 발 견된 바 있다. 3) 양변긁개 (그림 76 • 3 , 4) 는 상당히 작다. 가장 큰 것 은 12 g으로 크기가 31X30X11mm 이다. 가장 작은 것은 2 g으로 크기 가 18X18X5 . 5mm 이다. 석기 제작방법은 석편 좌우양변을 평행하게 가공한 것이다. 가공시 어느 것은 석편의 삭박면 양변을 어느 것은 삭박면 일변과 벽개면 일변을 가공하였다. 동일한 유형이 時裕유적에 서도 많이 출토되었다. 4) 볼록굵개 (그림 76 • 9) 는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 석편 너비가 길이보다 크다. 석편 삭박면 가장자리를 가공하여 날을 만들었다. 배형 (Rounded carenate scra p er) 과 대단히 유사하다. 동일한 유형이 周京人 유적, 제 15 지점, 水洞溝와 사라―오소―골, 時 裕 등에서 출토되었다. 5) 자라등긁개(그립 77) 는 두꺼운 석편 가장 자리를 벽개면에서 삭박면 방향으로 가공하여 자라등 형태로 만들었 다. 삭박면은 상당히 융기되었다. 6) 다변긁개는 형상이 일치하지 않 는다. 벽개면에서 삭박면 방향으로 가공하였다. 때로 삭박면에서 벽
0 1 2 3cm
개면 방향으로 가공한 것도 있다. 7) 원형밀개 (그립 76 • 10~14) 는 모 두 5 점으로 기형은 가늘고 짧다. 가장 큰 것은 6g, 가장 작은 것은 l g이다. 일반적으로 벽개면에서 삭박면 방향으로 가공하였다. 일단 (원단, Dis t a l ) 부분을 크게 가공하여 원형의 날을 만들었다• 동일한
3
유형이 時裕과 사라―오소―골에서 출토되었다. 기형은 세석기 유적 에서 자주 출토되는 엄지손가락형 밀개 (Thumb nail scra p er) 와 상당 히 접근되고 있다. 다만 許家察의 것은 비교적 거칠다. 이로 인하여 許家察의 밀개를 엄지손가락형 밀개의 원형으로 보고 있다. 첨두기의 수량은 긁개 다음이다. 그것은 전체의 4.11% 를 차지하였 다. 중국 구석기시대 유적 중 제일 많은 편이다. 가장 큰 것은 13g 으로 크기는 51X29Xl9mm 이고, 가장 작은 것은 14.3X6.7X7.3 mm 이다. 그것들의 공동 특징은 석편 원단의 양측을 뾰족하게 가공 한 것이다. 첨두기는 5 개 유형으로 나누고 있다. 1) 톱니형 첨두기 (그립 78 • 1,2), 비교적 크다. 원단 부분의 양측을 거칠게 가공하여 뾰족하게 만들었다. 2) 타원형 첨두기, 윤곽이 타원형이다. 3) 코형 첨두기 (꿀형 첨두기) (그림 78 • 3,4), 석편의 중앙 (Mes i a!) 부분으로부터 원단 방향으로 완만하게 가공하였다. 4) 양면 교차가공 첨두기 (그림 78 • 7), 두꺼운 석편울 주먹도끼와 유사하게 양면의 원단울 가공하여 뾰족하게 만들었다. 5) 새부리형 첨두기 (그립 78 • 5,6), 원단이 예리 하며, 한쪽으로 가볍게 굽었다. 단면은 삼각형이다. 첨두기는 중국 구석기시대에 보편적인 공구이다. 許家察 첨두기는 북경인 유적과 제 15 지점에서 출토된 것과 특별히 접근되고 있다. 원형 밀개-첨두기 (그립 79 • 1), 한 석편 일단의 벽개면에서 삭박
, 2 < 35m岭;\: 4 \델 \、 5[`
면 방향으로 가공하여 원형의 밀개를 만들고 대칭의 일단을 가공해서 새부리형 첨두기를 만들었다. 대단히 드문 예이다. 조각기, 가장 큰 것은 7 g이며 크기는 30X23.5X9mm 이고, 가장 작은 것은 l g으로 크기는 19X16.6mm 이다. 조각기는 두 가지 유형 / 으로 나누어전다 : l) 경사날 조각기(그림 79 • 4,5,6), 한 변을 오목 또는 볼록되게 가공하여 그 경사된 곳에서 다시 소석편(또는 결정면) 한 점울 떼어내어 조각기를 만들었다. 2) 지붕 용마루형 조각기(그립 79 • 2,3) 는 석편 원단 양측좌우 경사된 곳에서 각각 결정면 1 점씩 떼어내어 조각기를 만들었다. 동일 유형이 周口店 15 지점, 사라_오 소―골, 時裕과 중국 북쪽의 수많은 세석기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송곳(그립 79 • 7,8) 도 석편 일단의 양측울 교차타격하여 뾰족하게 만들었다. 동일한 유형이 周口店 제 1 지점과 세석기 유적에서 발견된 바 있다. 소형 단면기, 다떤기(球形똑 사냥돌)와 골기 등이 출토되었다. 許家蒸 유물은 회록색과 회갈색 점토충에서 출토되었다. 일찌기 그 러한 지층을 泥河灣層이라고 불렀다. 泥河濁層은 1924 년 바부르 (G.B. Barbour) 에 의해서 陽原縣 泥河灣村 桑幹河南岸臺地의 하부에서 발 견되었다. 泥河灣層은 1948 년 국제지질학회의 건의를 받아들여 전기 홍적세로 결정되었고, 1954 년 중국 지질학계에서는 화북 전기홍적세 의 표준충으로 결정되었다. 그러나 許家察퇴적물은 泥河洞層 상부의 후기흥적세 침전물로 확 인되었다. 許家察문화는 화북 세석기 문화전통에 속하며, 북경원인문화와 時 裕문화 사이의 중간에 놓여진 것으로 보고 있다. 許家蒸문화는 북경 인문화의 성분을 많이 가졌고, 또한 時裕문화의 성분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시대는 유럽의 발달된 무스테리안문화 (Advance Mous t er i an) 에서 오 리냐시안 (Aur ign a ci an) 문화의 전기단계로 보고 있다 .60) 許家察 문화연대에 대하여 북경대학 고고전업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실험실에서 40,000 년 이상이 산출되었고, 1981 년 중국과학원 고 고연구소의 실험실에서 許家察의 코뿔소 화석을 방사성 탄소 연대 측 정 결과 16,920 士 2,000 년이 산출되고 그 다음해 1982 년 북경대학 역
사계 고고전업반의 연대측정 실험실에서 우라늄세리 측정 (Uran i um serie s Meth o d) 으로 許家蒸 유적 의 동물화석 으로 10 만년 이 산출되 었 다. 이상의 연대측정 수치 중 어느 것을 받아들여야 하는가 하는· 문제 는 장래의 연구에 기대한다. 許家蒸 동물군 19 종 중 사멸종은 8 종으로 전체 42% 를 차지하고, 丁村 27 종 중 사멸종은 11 종으로 전체 41% 를 차지하였다. 사라-오 소―골 동물군은 10 종으로 그 중에서 사멸종은 40% 이고, 山項洞동 물군은 42 종으로 사멸종은 5 종, 12% 를 차지하였다. 상기한 동물화석 사멸종의 비율에 따르면 동물군 시대의 전후는 許 家盛 丁村, 時裕, 사라―오소―골, 山頂洞 순으로 구성되고 있다. 중국의 고고학자들은 許家蒸유적의 연대는 사라-오소―골보다 이 른 시기로서 60,000 년은 초과되고, 10 만년은 넘어서지 못하며 대체적 으로 丁村의 동물군과 같은 시기로 보고 있다 .61) 그러나 필자는 1978 년 C” 측정이 40,000 년’이상이고 1981 년도 측정 이 16,920 士 2,000 년으로 산출되어 나온 결과에 따라서 許家察유적은 40 , 000 년 ~ 16 , 920 년 사이 약 25 , 000 년 정 도로 본다. 다시 말하면 許 可察유적은 丁村유적 연대보다 늦고 時裕유적과 거의 동일한 시기로 생각한다. 그 외 許家蒸 유적에서 1966 년에 인류화석으로 어린이 위턱 제 2 어 금니 1 점, 정수리뼈 6 편, 후두골 1 편과 1977 년에 노인 남녀 인골 등 모두 다섯 사람의 뼈가 출토되었다. 이러한 인류화석의 연구결과 는 북경원인의 성질도 아니고 완전한 네안데르탈인도 아닌 양자 혼합 형으로 보고 있다 .62) 2 오르도스유적 프랑스인 떼이아르 드 샤르댕과 리쌍 (E. L ic en t)은 1922~23 년 사이 에 중국 북쪽에서 오르도스 (Ordos) 라고 불리는 가장 중요한 구석기유 적 한 곳을 발견하였다. 그곳은 고비사막에 인접한 황하의 상류에 위 치하고 있다. 오르도스 지역에서 水洞溝, 淸水營, 사라-오소-골과 油
104 ' l06° 108 ' 1l0°
房頭 등 모두 네 곳의 구석기시대 유적(그립 80) 이 발견되었다. 그 중의 水洞溝와 사라-오소―골의 모래충에서는 다량의 동물화석 과 약간의 석기가 출토되었다. 떼이아르 드 샤르댕은 두 유적의 지질 상이 서로 다르지만 같은 시대 죽 중국 북쪽의 황토시기에 속한다고 주장하였다. 水洞溝의 부근에 높이가 약 25m 되는 斷崩가 있었고 유적은 지표로 부터 12m 높이에 있었다. 충위는 단면도(그립 81) 에서 보여주고 있 다. 발굴 면적은 80m2 였다. 사라-오소-골은 오르도스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사라-오소 ―골의 河谷침심이 대단히 심하여 깊이가 지표에서 69m 이다. 강의
SW NE
양쪽 기슭에 황색과 남색의 고운 모래가 퇴적되었다. 그 사이에는 흙 충이 개재되었는데 그것은 湖相퇴적임을 설명하여 준다. 사라-오소 -골(河)의 서안에 小橋따: 이라고 부르는 마울이 있다. 그 북쪽 강계 곡 중 지표에서 약 50m 높이에 유적이 위치하였다. 그 유적은 그곳 에 살고 있던 몽고인 완스죠크 (Wans j ock) 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水洞溝 유적에서 코뿔소, 하이에나, 영양, 소 등 5 종의 동물화석 이 발견되었다. 사라-오소―골 유적에서는 33 종의 포유동물과 11 종 의 새가 출토되었다. 그것들은 長 鼻 類 (Probosc i d i ens) 1 종, 기제류 3 종, 우제류 11 종, 식육류 3 종, 식충류 2 종, 설치류 12 종과 익수 류 1 종이 다. 나마코끼 리 (Elep h as cf. Namadic u s Falcet Cautl ey ) , 털 코 뿔 소 (Rhin o ceros Ti ch orhin u s cur.) , 야 생 말 (Eq u us cf. P rzewalsky i Pali ak of) , 멧 돼 지 (Sus Scrofa L.) , 낙타 (Camelus Knoblochi Brandt. ) , 누렁 이 (赤鹿 Cervus Elap h us L.), 이 리 (Canis Lup u s L.), 하이 에 나 (Hy a ena Crocuta Erxl) , 고슴도치 (Erin a ceus sp. ) , 토끼 (Lep u s sp. ) , 쥐 토 끼 (Ochot o na sp .) , 갇 밭 쥐 (M icr otu s sp .) , 매 (Bute o cf. Fexox Gmeli n) , 메 추라기 (Perdix cf. Perdix L.) , 타조 (Str u th i o Lithu s) 등이 다. 오르도스 석 기 는 프랑스 석 학인 고고학자 앙리 브뢰 이 (H. Breuil ) 에 의해서 연구되었다. 水洞溝에서는 긁개, 첨두기, 조각기 등이 출토되 었다. 그것들은 후기구석기시대에 속하는 유형들이다. 석재는 적색 석영암, 규질 석회암, 검은색 • 장미색과 회색의 석희석, 약간의 수장
또는 玉 핼 등이다. 앙리 브뢰이는 오르도스 석기를 유럽 무스테리안 의 석기들과 비교하였다 .63) 1957 년 떼이아르 드 샤르댕과 리쌍 등이 水洞溝의 황토충에서 50 여 점의 석물을 발견하였다. 그 중에는 첨두기 2 점, 굵개 1 점과 조각 기 2 점 등이 있었다 .64) 1960 년 中 • 薛 고고학자들은 水洞溝에서 또 다른 한 곳의 유적을 발견하였고 그곳에서 2,000 여 점의 석물이 모래충에서 출토되었다. 발굴충 위면는적 은8 층너으비로 6m구2분, 되깊었이다 .1 1m위 였에다서. 아래로 살펴보기로 한다. 8 충 : 황백색 모래충. 7 층 : 회백색 고운 모래. 6 층 : 황회색 모래, 조 개 껍 질 출토. 5 층 : 모래 • 잔자갈 • 숯. 4 층 : 회 색 모래 . 3 층 : 자갈 충 2 층 : 황회색 모래, 다량의 석물 출토. 1 층 : 모래질 토양. 동물화석은 소량의 뼈와 독립된 이빨 등 의에 아무것도 없었다. 2,000 여 점의 석재는 석영암, 규질 석회암, 규질 泥灰岩과 석회석
’ 6그더림 82제 57 k장 洞 溝華순출 1 t토의 석후기V<기 구석기 시대‘ 문1화 175 ’順9) '
이다. 석기는 대단히 드문 편이다. 첨두기, 긁개와 밀개 (그림 82) 등 을 제의하고 기타 석기는 거의 없다. 첨두기는 유럽의 무스데리안 것 과 유사하지만 크기가 상당히 작다 . 그러한 석기들은 丁村과 周口店 제 15 지점의 것들과 비교가 어렵다고 보고 있다 .65) 이유는 丁村과 제 15 지점의 것들은 크고, 두꺼우며 형태상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다만 오르도스 석기는 비록 지질상이 서로 다르지만 후기구석기시 대초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사라-오소-골의 석기는 비교적 크다. 석재는 적색 석영암과 벽옥 등이다. 석기는 첨두기, 긁개, 밀개와 조각기 (그림 83) 등이다. 水洞溝와 사라―오소―골 두 곳의 석기는 대단히 작아서 세석기와 유사하다. 그러나 사라-오소―골의 석기는 水洞溝의 것보다 발전되 었다고 앙리 브뢰이는 보고 있다. 그는 또 두 유적의 세석기는 석재 의 빈곤에서 연유되었다고 생각하였다. 두 유적의 공통점은 석기의 유형이 일치하고 상하의 계속된 문화충이 없는 점이다. 다시 말하면 水洞溝의 유물은 황토충, 사라―오소-골의 것은 모래충에서 출토되 었다.
兪 蟲
1922 년 리 쌍과 때 이 아 르 드 샤르댕 은 사라―오소―골의 모래 충에 서 홍적세에 속하는 사람 이빨 1 점을 발견하였다. 이 이빨은 다비드슨 블랙에 의해서 〈 오르도스인 〉 으로 명명되었다. 그것은 7~8 세 되는 어 린이의 위, 옆, 앞니였다. 그 후 30 여 년이 지난 1957 년에 사라-오소-골 모래충에서 사람의 오른쪽 顧項 骨片 한 점과 왼편 대퇴골편 한 점을 발견하였다. 그러 한 인류화석은 북경원인과 현생인류를 중개하는 매개체로 보고 있 다 .66) 3 時裕유적 1963 년 중국과학원 고척추동물과 고인류연구소에서 山西 朔縣 時裕 村 부근에서 대단히 중요한 후기구석기시대 유적 한 곳을 발견하였 다. 50 일간의 발굴 결과 사람의 후두골 한 점, 석물 15,000 여 점, 불 에 탄 돌과 뼈 다수, 각종 동물 이빨 5,000 여 점과 다량의 인공이 가 해진 동물뼈둘을 발견하였다. 朔縣 時裕村(동경 112°17', 북위 39·25' )은 桑幹河의 발원지에 위치하 고 있다. 黑朔山의 동쪽 언덕에 있으며, 朔縣城에서 서북으로 15km 의 거리에 있다. 時裕 구석기시대 유적은 또한 小泉溝와 時浴河가 합 류되는 河口의 작은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유적의 충위(그림 84) 는 상에서 하로 다음과 같다. 4 층 : 고운 모래층, 두께 18m. 3 층 : 회 백색 모래충, 두께 8.9 m . 2 층 : 회색, 혹회색, 갈색 모래충과 숯, 숯의 두께 0~2.5cm, 대량의 석물과 동물화석, 불에 탄 자갈, 두께 0.9~1 .5 m. 1 층 : 자갈충, 두께 0.5~lm. 時浴유적의 충위는 사라―오소―골유적 충위와 같다. 다만 층위의 수직 분포가 사라―오소-골유적보다 집중적이고 석기가 상당히 많 다. 동물화석의 절대다수가 제 2 충에서 출토되었다. 제 3 층 바닥에서는 다만 호랑이, 털코뿔소, 야생말 동이 출토되었다. 화석은 일반적으로 보존상태가 좋지 못하다. 동물들의 머리뼈와 아래턱은 거의 없으며, 대다수가 독립된 이빨과 깨어진 뼈들이다. 한 편의 현생인류 (Homo
I.
Sap ien s Sapi en s) 의 후 두 골 뼈 의 에 타 조 (Str u th i o sp. ) , 고 슴 도 치 (Erin a ceus sp. ) , 얼 룩하이 에 나 (Crocuta sp. ) , 호랑 이 (Panth e ra Ti gris L.) ' 두 더 지 (? My o spa lax sp. ) , 누 렁 이 (Cervus elap h us L.) , 영 양 (Procap r a Pic t i ca uda Przewalskii = Gazella Przewalskii ) , 오르도스큰뿔 사 슴 (Meg a loceros Ordosia n uis Young ) , 영 양 (Gazella cf. S ubutu r osa Gti ld ensta e dt) , 소과 (Bovid a e gen . ind et. Z.) , 완스죠키 물소 (Bubalus cf. Wansij oc ki Boule et Teil ha rd) , 소 (Bos sp. ) , 털 코 뿔 소 (Coelodonta Anti qu it at i s Blumenbach) , 몽고 야 생 말 (Eq u us Przewalsky i Poli ak ov) , 당나귀 (Eq u us Hemi on us Pallas) 등이 출토되 었다. 동물화석 중에 현생종이 6 종, 사멸종이 4 종으로 40% 를 차지한 다. 時裕의 포유동물군과 사라―오소―골의 그것들은 대단히·근접되 고 있다. 그 동물군은 山項洞의 것들보다 이른 시기에 해당되고 丁村 의 그것들보다 늦은 시기에 속한다. 丁村의 동물군에 포함된 도구나가古稷齒象 (Arch i d i skodon To- kunag a i Mats u moto ) 은 전기 홍적 세 에 보이 고 丁村의 메 르키 코뿔소는 중기홍적세에 많이 보이는데 예를 들면 周口店 제 9 지점, 제 19 지점, 북경인 지점에서 출토되었다. 도구나가고능치상과 메르키코뿔소는 마
지막 화석의 기록으로 보고 있다. 時裕의 동물군은 사라―오소-골 동물보다 이른 시기의 것으로 볼 수 없다. 이유는 時裕 동물의 대부분이 사라―오소―골의 동물군 내 에 있기 때문이다. 포유동물군이 서식하던 환경은 時裕 일대에 광활한 초원지대가 있 었고, 어느 지역은 관목림이 개재되어 있었다. 그것은 겨울과 여름의 온도 차이가 심한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연평균 기온은 현재보다 추 웠다. 석물은 모두 818 점이다. 석재는 맥석영, 석영암, 규질회암, 玉懿와 흑색 화성암 등이다. 상당수의 석편상에 자연면이 남아 있다. 석핵은 양극석핵과 다면석핵 (Nucleus Pal y edr iq ues) 의 2 종이다. 양 국석핵의 양단에는 박락당한 흔적이 있으며 각 면에도 역시 소석편을 떼어낸 흔적(그림 85) 이 있다. 주구점 북경인유적, 藍田유적, 山項洞 유적 등에서도 양극석핵이 출토되었다. 時裕유적에서 출토된 다면석핵은 화성암, 규질회암의 소역석으로 만들어졌다. 역석상에 먼저 타격면을 준바하고 그 타격면을 따라서 여러 편의 석편을 떼어내었다. 때어낸 석편 흔적은 모두 깊지 않다. 석편의 떼어낸 흔적이 좁고 깊지 않은 흔적 (결정면 흔적, Face t s) 을 가진 것들은 세석기 문화상의 석핵과 같다. 타격면과 벽개면의 협각 은 g o· 정도이다. 원뿔은 분산되고, 타격점은 뚜렷하지 않거나 발견할 수 없는데, 그것은 부드러운 망치(나무 뼈 또는 뿔)를 사용하였기 때 문이다. 석편은 길이와 너비가 비슷한 보통 석편 (Ecla t)과 길이가 너비보다 큰 細長石片 (Lamelles) 등 두 종류이다. 타격점, 원뿔, 부서진 홈 등이 뚜렷한 것은 돌마치로 직접 떼어진 것을 나타내어 준다. 준비된 석핵상의 타격면에 재타격을 가하여 능 각이 나타나면 이 능각을 따라서 소석편을 떼어내었다. 그러한 석편 은 상당히 길고, 얇으며 타격면과 벽개면의 사이각은 일반적으로 90° 이다. 세장석편의 타격점은 뚜렷하지 않고, 타격면은 상당히 작으며, 원 뿔은 작고 둥글게 융기되었다(그립 85 • 4,5). 그 중에 몇 편의 세장석 편은 단면이 사다리형 (桃形) 또는 삼각형 (그립 85 • 4,5) 이다. 그러한
\|||_AHU &lo 。 , -ai4v 13 5
세장석편은 小南 海 동굴 유적에서도 출토되었다. 세장석편은 간접타 법으로 · 만들어졌다. 時裕유적의 석기는 소형이고 대형은 거의 없다. 단-양면기는 ' 출토 되지 않았다.
첨두기가 時裕유적에서 다량으로 출토되었다. 어느 첨두기는 석편 의 양변을 따라서 삭박면에서 벽개면 방향으로 가공하여 석편의 원단 부분을 뾰족하게 만들었다. 석재는 석영암, 石§1, 석영, 규질회암 등 이다. 어느 첨두기는 석편의 양변을 교차가공하였는데 한 변은 삭박면에 서 벽개면 방향으로 다른 한 변은 벽개면에서 삭박면 방향으로 처리 하여 원단부분을 뾰족하게 만들었다. 그러한 유형의 석기는 周口店 북경인유적, 사라―오소―골유적에서도 출토되었다. 밀개도 時裕유적에서 상당히 많이 출토되었다 . 밀개는 이중밀개, 의날밀개 등이며 일반적으로 벽개면에서 삭박면 방향으로 제 2 가공하 였는데 이때는 나무와 뼈 등의 망치를 사용하였다. 時裕의 조각기들은 석편의 형태가 일정하지 않다. 조각기는 세 가 지 유형으로 구분되고 있다. 첫째는 프랑스 도르도뉴 (Dordo gn e) 후 기구석기시대의 소위 피리주둥이형 (Bee de Flo t)과 같은 것이 있다. 그것은 일단의 좌우에서 결정면을 떼어 조각기를 만든 것이다(그림 85 • 15). 경사전 조각기 (斜段 조각기)도 수량이 상당히 많다. 한 변에 서 결정면을 떼어내고 다른 한 변은 제 2 가공을 하였다(그림 85 • 16,17). 그러한 것은 사라一오소―골에서도 출토되었다• 그러한 조각 기는 오리냐시안문화의 전형 유물로서 각조각기 (Burin d'an g le) 라고 부른다. 송곳형 조각기는 한 변에서 결정면을 떼어내고 다론 한 변에 제 2 차가공을 하여 송곳 형태를 만들었다(그림 85 • 18). 이 의에 칼과 석촉(?)도 있다. 그 중에 석촉을 도면상으로 보면 송곳 달린 조각기 (burin a p er~o i r) 로 볼 수 있다. 그것은 석편의 절단 면 (Tronca t ure) 상에 조각기를 만들고 그 대칭되는 일단의 좌우를 제 2 가공하여 송곳을 만들었다. 골기가 상당히 많이 발견되었다(그림 86 • 5~10). 뼈로 만든 송곳 또는 첨두기가 있다. 길이가 3.9cm, 너비가 2 . 75cm 이다. 그 의에 많은 뼈 위에 그은 흔적이 있는데 그 의도는 이해 못하고 있다. 소역석에 구멍 있는 장식품(그립 86 • 4) 1 점은 山頂同人의 그것과 대단히 유사하다. 석기의 입장에서 보면 후기홍적세에 속한다. 동물화석 중 오르도스 큰뿔사슴과 털코뿔소는 사라-오소―골에서도 출토되었다. 오르도스
2
큰뿔사슴은 후기홍적세의 전형적인 동물이다. 그 동물은 丁村유적에 서도 출토되었다. 털코뿔소는 전기홍적세에서 후기홍적세까지 존속되 었다.
時俗유적은 丁村유적보다 늦은 시기에 속한다. 이유는 T 村 동물군 의 사멸종은 58 . 3% 인데 時裕의 그것은 다만 40% 이기 때문이다. 종합하면 時裕유적은 후기홍적세에 속하며 사라-오소-골유적과 동일 시기에 해당된다. 또한 時裕과 사라-오소一골유적에서는 세석기형 유물이 많이 출토 되었다. 時裕의 동물화석으로 야생말은 120 필, 야생당나귀는 88 두로서 주로 말을 사냥하였다. 사라-오소―골은 영양뿔이 330 여 점으로 주로 양 울 사냥하였다. 그러한 동물둘은 모두 초원성 동물이다. 時裕유적의 문화는 소석편 문화 계통인 周口店 제 1 지점, 周口店 제 15 지점一朔縣 後訖塔峯一사라―오소―골과 小南海문화 계통에 속한 다. 時裕유적을 발굴한 賈蘭坡는 다음과 같이 문화 계통을 나타내고 있 다 .67)
제 1 지점_時裕時代表 지질시대 문화시대 유적 전신세 신석기시대 세석기 문화 유적 훈入i :閃 ]중:問기 時裕 周?口 店小後 南?제I|訖 海 塔1 사지峰라점 一 오소一골 周口店 제 15 지점
4 下川유적 下川유적은 中條山 동쪽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그 지역은 山西省
垣曲 • i必永 • 陽城 등 3 縣에 접하고 있다(북위 35. 23 ' ~3 1°, 동경 111. 58 ~ 112.16') . 그곳의 종횡으로 20~30km 범위 내에서 16 곳의 세 석기 지점을 발견하였다. 그러한 석기 지점들은 지리적 위치의 상호 연관과 문화성질의 일치점을 보여주기 때문에 동일문화의 整體로 간 주하고 있다. 滅、永縣 下川 일대의 석기가 풍부하고 충위가 명백하여 그곳 지점들 중 대표로 선정되었다. 그래서 그것들을 통칭하여 〈 下川문화유적 〉 이 라고 부른다. 下川유적은 1970 년 여름에 발견되어 1972~75 년 사이에 발굴이 실 시되었다. 下川유적에서는 석기만 출토되었다. 석기는 제 2 급 계지의 정상부에 있는 회갈색 아점토충에서 출토되었다. 석재는 수정, 석영사암 동이 다. 석기는 일반적으로 세석기이다. 그것들은 조각기, 첨두기, 모루, 석촉(?)' 원형밀개, 배형밀개, 톱니석기, 등칼과 석핵제 석기 등이 다. 下川문화는 山頂洞 것과 동시대로 보고 있다. 그러나 석기 중에 석 촉형 석기의 존재는 山項洞 (Cu 측정, 18,865 士 420 년)보다 늦은 유럽의 아질리안 문화 (Az ili an) 와 같은 시기 약 10,000 년 전후로 보고 있 다 .68) 下川문화를 조금 더 자세히 이해하기 위하여 小南海유적 출토 석기 와 비교하여 보자. 화북지구 후기구석기시대 문화 연구에 있어서 중 요한 수확의 하나는 전형적인 세석기 문화 유적을 발견한 것이다. 그 러한 유적은 山西 雅北 지구의 時裕유적, 山西 동남부의 下川유적, 河南 安陽지구의 小南海유적 등이다. 下川유적은 충위가 분명하고 출토 유물이 풍부하다. 그곳에서 출토 된 세석기는 상당히 거칠게 만들어졌다. 그러나 가공기술은 전형적인 세석기 특칭을 가지고 있다. 下川 분지 중 가장 오래된 퇴적충은 진홍색 점토이다. 그것은 후기 풀라이오세 (P li ocene) 에 해당된다. 그리고 기타는 대부분이 후기홍적 세 퇴적물이다. 퇴적층은 삼단계의 침적층으로 구성되었다. 세석기와 대형 타제석기를 포함한 퇴적물은 상부에 있는 회갈색 아점토충이다. 下川유적은 상문화충과 하문화층으로 구분되었다. 下川문화의 중심접
은 상문화충이다. 下1 1| 유적에서는 석기만 출토되었다. 석기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누어 졌다. 하나는 대형의 타제석기이고 다른 하나는 세석기이다. 대형 타 제석기는 상문화충의 하부에서 출토되었다. 석재는 석영암, 석영사암 과 맥석영인데 수량은 많지 않다. 드물게 수석제도 있다. 석편을 떼 어내는 방법은 직접타격법과 모루상타격법 등 두 종류이다. 타격면은 자연타격면을 가졌다. 석기는 모두 24 점으로 첨두기, 긁개(밀개 포 함), 단-양면기, 마치, 숫돌과 연석 등이다. 석기는 단면가공 위주 이고 드물게 교차가공한 것과 양면가공한 것도 있다. 단-양면기에 대한 가공은 거칠고 기타는 상당히 정교하다. 첨두기는 기형이 작고, 대단히 규칙적이다. 타원형 긁개는 단면가공되었다. 긁개 중에 마제 석부형 (鎔形器)이 전체 수량의 22% 를 차지하였는데, 제작방법이 두 터운 석편을 사다리꼴형으로 만든 다음 넓은 일단의 한면을 경사지도 록 가공하여 날을 만들었다라고 한 것은 필자의 판단에 긁개가 아니 고 밀개로 본다. 그것은 또한 형상이 신석기시대의 돌도끼(石篠)와 같다 한다. 그래서 그것은 돌도끼의 祖型으로 보는 학자도 있다. 그 의 숫돌(歌石) 1 점과 연석 (磯石)도 있었다. 상충문화의 상부에서 출토된 세석기는 下川유적의 대표적 석기이 다. 그것은 전체 석기의 99% 를 차지하였다. 석물 중 78% 가 수석제 이고 기타는 맥석영, 석영, 석영사암 등이다• 석핵은 원추형 (維狀), 기둥형 (柱狀), 쐐기형 (模形 )69) 등이다(그림 87). 이것들은 세석기 유적에서 언제나 출토되는 전형적 유물이다. 세석기편을 때어낸 석핵은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하 나는 타격면을 준비한 것과 다른 하나는 자연면을 이용한 것이다. 전 자 석핵은 상당히 정교하다. 특히 원추상 석핵과 쐐기형 석핵은 정교 하게 준비되었다. 깔대기형 (漏斗狀) 석핵과 하나의 타격면을 가진 것 또는 여러 개의 타격면울 가진 석핵둘 중 어느 것은 간접타법으로 석편을 떼어내고 어느 것은 직접타격법으로 석편을 떼어내었다. 副體石核 범위에 속하 는 깔대기형 석핵은 상당히 원시적이다. 그러한 석핵에서 직접타격법 으로 떼어낸 짧고 둥근 석편제 밀개는 세석기유적에서 흔히 출토되고 있다. 그러나 밀개를 만들기 위한 제 2 가공은 간접타격법으로 처리되
고방었2다 향.세으 A석血W'o오텔,로 또기 한유처 적리삼 되각중었형에는홈 인--`서5데소 형언下 제川첨델'휩 나유두 적기제A기里B 는에 (타2북원쐐 서 차한지기추석는)가접형형핵 공 3그에 출석석은러시서 토핵핵 베한 의 삭리직 ll 박 예석아접下下면핵가 타川川 우 격 비방없스22교다법 츠 . 으조시 선4로베 리 일石 떼아본 1어 l.o 낸 ®
그림 87 下川, 아시아, 아메리카 등 3 일본 북해도 4 알라스카 북해도 5 아라스카 펠 반크스 석편으로 제작되었는데 제 2 차가공도 직접타격으로 처리되었다. 그리 향에서 벽개면 下川의 석촉형 석기는 하부가 둥근 것과 뾰족한 것 등 두 종류이 다. 그 기형 자체가 상당히 원시적이다. 그외 下川유적의 특수한 점 은 등칼(背刀), 석핵제 석기, 그리고 대형 타제석기 중에 돌도끼 (辨 形器)형 석기와 연석 등이 존재하는 점이다. 下川유적의 세석기와 중국 북방 세석기는 하나의 계통에 속하며 下 川의 몇 종 세석기는 전형적이며, 가공기술과 유형은 상당히 원시적 이다. 小南海출토 석물은 모두 7,000 여 접이다. 석기는 상당히 작아서 세석기와 유사하다. 석기는 역석석기와 석편석기로 나누고 있다. 그 중에서 석편석기가 대종을 이루고 있다. 석재는 수석이 90%, 석영 9.6%, 소량의 火石, 석수와 석회암 등인데 모두 동굴 부근 계곡에서 가져왔다.小南海 출토 석핵은 기둥형(柱狀), 네모난형(方魂狀), 장방형(長方 魂), 三角維狀, 尖維狀과 福平狀 등이다. 일반적으로 석핵의 타격 면은 준비되지 않았고, 때로 역석의 절단면 또는 평탄한 면을 이용하 였다. 그리고 핵 자체를 수정한 것도 드물다. 그래서 대부분의 석편 상에 자연면이 남아 있다. 예를 들면 小南海의 긴 석편(長石片)은 대 단히 두껍고, 단면이 삼각형으로 직접타격법에 의해서 떼어내었다. 小南海의 편평석핵과 세석기 유적 중의 배(船)형석핵, 쐐기형석핵(模 形石核)은 모두 편체석핵에 속한다. 小南海의 편평석핵은 석편을 직 접타법으로 떼어내고 남은 것이다. 그렇게 떨어져나온 석편은 폭이 좁고길다. 주의할 점은 중국 고고학자들은 세석핵과 잎형석기(細石葉)의 존재 를 근거로 해서 세석기의 범위를 결정하고 있는 점이다. 下川유적을 그러한 범위에 넣고 있다. 그러나 小南海유적에서는 전형적안 세석핵 과 잎형석기가 보이지 않는다. 다만 기형상 두 곳 석기가 유사하다는
;1.,. 凰
것이다. 예를 들면 下川의 첨두기는 평면이 삼각형으로 석편 한면의 원단을 뾰족하게 만들었다(그립 88·2). 小南海유적 출토의 3 형(冊 型)첨두기도 평면이 삼각형이며 일면의 원단 부분을 정교하게 제 2 가 공하여 뾰족하게 만들었다. 下川유적의 삼각형 첨두기 (그립 88 • 7) 와 小南海의 Il 식첨두기는 모두 일면(단면)을 가공하였고, 삭박면의 능 이 융기되었다(그림 88 • 3,8). 小南海 IV 식첨두기 (그림 88 • 9) 는 水洞 溝의 것과 동일하다. 그것은 또한 下川의 첨두기와도 대단히 접근되 고 있다(그립 88 • 4). 호선 (5 북)의 긁개는 小南海유적의 특징의 하나이다. 그것은 석편 의 일변을 제 2 가공하여 날을 만들고 그 대칭되는 일변은 자연면(그 립 88 • 10) 을 가지고 있다. 단면은 삼각형이다. 그러한 석기는 下川 ` 유적에서도 보인다(그림 88 • 5). 下川의 것은 날부분이 孤狀이고 그 대칭 일변은 두터운 손잡이이며, 단면은 삼각형이다. 이상의 비교에 의하면 두 유적은 한 계통 죽 周口店 제 1 지점―時 裕系(혹칭 배(船)형 긁개-조각기 전통)에 속한다. 下川문화와 小南 海문화의 석기 제작기술의 일치점은 양자가 갇거나 유사한 요소가 존 재한다는 것을 반영하여 주고 있다. 물론 양 문화 사이에는 차이점이 많이 있다. 下川문화는 세석기 위주이고, 小南海는 다만 세석기와 근 접된 문화이다. 석편 제거기술을 보면 下川문화는 직접타격법과 간접 타격법을 동시에 사용한 반면에 小南海문화는 오로지 직접타격법만 사용하였다. 종합하면 下川문화와 小南海문화 사이에는 공통요인도 존재하고 부 동한 차이도 있다. 그러나 두 문화가 하나의 문화계통에 속함은 분명 하다. 下川유적의 상문화충에 대한 8 개의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결과가 나왔다. 그 중 6 개가 B.P. 21,700 土 1,000(ZK 384), B.P. 16,400 士 900 년 (ZK 385) , B.P. 20 , 700 土 600 년 (ZK393) , B.P. 23 , 900 士 1, 000 년 (ZK417) , B.P. 18 , 375 土 480 년 (ZK494) , B.P. 18 , 500 士 480 년 (ZK 762) 등이다. 이것들의 연대는 대체적으로 B.P. 23,000 년 ~16,000 년 사이 이다. 下川유적의 舜王坪 석기지점에 대한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의 2 개 샘 플은 B.P. 19 , 600 土 600 년 (ZK628) 과 B.P. 13 , 900 士 300 년 (ZK762) 이 산출되었다. 대체로 B.P. 20,000 년 ~13,000 년 사이이다. 이 수치
에 근거하면 下川유적은 20,000 년부터 13,000 년 사이 죽 약 7,000 년 정도 발전되었다. 小南海유적에 대한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은 B.P. 13,075 士 220 년이 다. 이 수치는 下川유적의 마지막 한 개의 샘플 수치에 해당된다. 그 러나 小南海유적의 발굴자들은 小南海유적 출토의 동물화석과 석기에 근거하여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수치보다 오래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時裕유적에서도 전형적 세석기가 출토되었는데 그것은 간접타법으 로 제작된 잎형(細石葉)석기이다. 이 유적의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은 B.P. 28 , 945 土 1,370 년이 산출되었다. 여기에 근거해서 중국 세석기 제작기술은 후기구석기시대초에 시작되어 후기구석기시대말에 이르러 서 그 체계가 성숙되었다고 보고 있다• 그래서 小南海문화는 세석기 祖形으로 보고 전통적 직접타격법이 이미 완숙단계에 이르렀다고 분 석하고 있다. 下川문화와 小南海문화의 차이는 지역적인 것으로 보고 그것들의 발전과정 중 모종 단계에 이르러서 병행된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중국 고고학자들은 세석기의 기원을 중국으로 보면서 두 가지 의견 울 제시하고 있다. 하나는 세석기 기원이 화북이라는 설이며, 다른 하나는 석영, 마노, 석수와 수석 등 좋은 석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간접타법을 파악하여 세석기를 제작하였다는 주장이다. 죽 小南海문화의 직접타격법에 대한 완숙단계와 우수한 석재의 사 용 등으로부터 세석기 기원 문제를 찾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한 下川유적 출토의 유물 속에서 중국 신석기시대 마제석기의 祖 形울 발견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70) 下川유적의 연대에 대하여 王向前과 陳淳 등은 B.P. 23,900 土 100 년 울 강조하면서 일본 고고학자 岸澤長介가 중국을 방문하여 下 )11 의 석 기를 관찰한 후 일본 九州 福井동굴 출토의 세석기와 유사한 것으로 보았다고 설명하고 있다 .71) 5 小南海 동굴유적 小南海는 중국 북쪽 河南省 安陽의 마울 이름이다. 小南海는 남북
X 구석기시대동혈 밑廟 ==公路 一-河流
이 산으로 둘러싸인 安陽에서 서남쪽으로 30km 거리에 있는 하나의 석회암 계곡에 위치하고 있다. 동굴은 黃iiiJ에서 약 500m 의 거리에 위치하고, 해발은 197m 이다. 동굴 천장이 무너져 그 형태를 알 수 없다. 그래서 동굴의 크기, 입구의 위치 및 방향을 구분할 수 없다 (그림 89). 약 10m3 의 퇴적물이 채석장의 인부에 의해서 파헤쳐졌는데 이룰 安志敏이 발굴하였다. 처음 동쪽에 길이 3.6m 의 구덩이, 서쪽에 길 이 3.9m 의 구덩이, 남쪽에 길이 3.15m 의 구덩이, 북쪽에 3.lm 의 구덩이를 각각 발굴하였다. 깊이는 4m 까지 내려갔다. 더 이상 내려 가지 못한 것은 주위에 쌓인 흙이 무너질 위험 때문이었다. 조건이 상당히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결과는 의의로 좋았다. 퇴적층을 5 층으로 나누고 있다(그립 90). 위로부터 보면 다음과 같다. 1 층은 la 충, 1 1).;층과 le 충 등 세 개 의 亞層으로 나누고 있다. la 충은 두께 0.07~025m 이며 회갈색 토양이다. 천장석이 포함되었다.` lb 충은 0.15~0.95m, 황갇색 토양이다. 10 접의 수암제 석물과 11 종의 동물 화석 출토. le 충은 두께 0.30~0.80m, 딱딱한 황토, 많은 석회석편 포함, 수암과 석영암제 석물 3 점 출토, 고슴도치와 사슴 출토. 2 층 은 두께 0.20~0.65m, 딱딱한 황갈색 토양, 많은 석회석편(전장석) 포합 465 점의 석영과 규석제의 석물과 동물화석 5 종 출토. 3 층은
++ +++ + +4+ + + + ++
두께 0.10~0.60m, 백회색 황토, 모래, 약간의 숯 포함, 425 점의 수 석, 석영 및 규석제의 석물과 8 종의 동물화석 출토. 4 층은 두께 0.32~2m, 황갈색 토양, 6,080 점의 수석, 석영, 규석, 벽옥, 석회석 제의 석물 출토, 전체의 85.89% 를 차지, 11 종의 동물화석 출토. 5 충은 두께 0.25~0.9 0 m, 백회색 황토, 90 점의 수석과 석영제의 석물
및 동굴곰, 말과 하이에나 배설물 출토 .72) 각 충마다 동물화석 이 출토되 었으며 그 중에 4 충이 가장 많아서 17 종의 포유동물과 1 종의 타조가 있었다. 동물화석은 고슴도치 (Erin a ceus sp. ) , 땅쥐 (My o spa lax Fonta n ie r i M.-E.) , 집 쥐 (Rutt us sp. ) , 동굴곰 (Ursus cf. Sp e laeus B.) , 오소리 (Meles Leucurus Hodg so n) , 최 후하이에나 (H y aena Ulti m a Mats u moto ), 이리 (Canis cf. Lup u s L.), 범 (Felis Pardus L.) , 말 (Eq u us Hemi on us Pallas) , 털 코뿔소 (Coelodonta Anti qu it at i s B.) , 멧 돼 지 (Sus sp) , 동북고라니 (Cap re olus cf. M anchur- icu s Ly d deker), 꽃사슴 (Cervus(Pseudax i s) sp .), 물소 (Bubalus sp. ), 영 양 (Gazelle Przewalsky i Bti sh ner) , 노 루 (Cap ri c o rnis sp. ) , 원 숭 이 (Pong o sp. ) , 타조 (Str u th io Andersson, Lowe) 등이 다. 최후하이에나, 말, 털코뿔소와 영양 등은 제 1 층과 4 층에서 출토 되었다. 그것들은 같은 시기에 해당된다. 타조, 동굴곰, 최후하이에 나와 털코뿔소는 사멸종이며 그것들은 전체의 22% 를 차지하였다. 그 나머지는 현생종으로 전체의 78% 를 처지한다. 동물화석 입장에 의하 면 小南海유적은 후기홍적세에 속한다. 동물화석 중 8 종이 사라―오 소―골에서 출토되었고, 그 중 9 종이 山頂洞유적에서 출토되었다. 동물화석은 두 집단으로 구분되고 있다. 하나는 산림성이고 또 다 른 하나는 초원성이다. 산림성 집단은 원숭이, 멧돼지, 범 및 사슴 등이고, 초원성은 말, 털코뿔소, 이리 및 영양 등이다. 그러한 것에 근거하면 小南海 부근에 산림지대와 초원지대가 있었고, 물소 (Bubalus) 의 존재로 보아 강 또는 늪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 다. 특히 퇴적층 내에 2 점의 원숭이 이빨(성성이 또는 오랑우탄)이 있 는데 이것들은 중국 화북 후기홍적세 유적에서는 최초로 발견된 예이 다. 원숭이는 원래 중국 남쪽 廣西省에서만 살던 동물이다 .73) 석물은 모두 7078 점이다. 그것들은 대부분 석편이다. 그 중 약 100 점이 거칠게 제 2 가공되었다. 전형적인 석기는 드물다. 석재는 수석, 석영, 규석, 벽옥, 석회암 등이다. 석편석기는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뉘고 있다. 첨두기(그립 91), 긁개 (그림 92) , 장석 편 (그립 93) 등이 다. 밀개는 그 유형 이 상당히 다양하 다.
1乞 2나二 三3
二 二 之
소I 2 3 5
1 층의 동물화석 내에서 석제, 장식품(그립 94) 1 점이 출토되었다. 타원형으로 된 돌에 수직으로 구멍을 뚫은 것이다. 직경 0.2cm, 석 회석제이며 표면은 광택이 나고 있다 .74)
孛
6 周口店 山頂洞유적 山項洞유적은 1933 년과 1934 년, 2 년에 걸쳐 裵文中에 의해서 발굴 되었다. 山頂洞 동굴은 제 1 지점 정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발굴 결과 완정한 사람의 두개골 4 점과 기타 다량의 사람뼈 그리고 보존상태가 양호한 동물화석과 석물 5 점이 발견되었다. 山項洞의 퇴적물은 점토, 석회암편, 석순편으로 구성되었다. 충위 는 6 층으로 나뉘어지고, 두께는 8m 이다(그림 95). 상에서 하로, 1 층 : 입구 주위, 약간의 사람뼈와 구멍 뚫린 동물 이빨 1 점, 두께 30cm . .2 층 : 약간의 사람뼈, 뼈바늘과 28 점의 구멍 뚫린 여우와 오 소리 이빨과 공구 3 점, 두께 lm. 3 층 : 2 점의 석물, 석순편과 불에 탄 석회석편, 60cm 두께. 4 층 : 사람 두개골편과 구멍 뚫린 조개껍질
OM
2 점, 3m 두께. 5 충 : 독립된 소량의 사람 아빨과 다량의 구멍 뚫린 동물이빨(목걸이), 사람뼈 수편과 3 점의 완정한 사람의 두개골, 3.9 m 두께 6 충, 황토충, 25 편의 사슴과 곰의 뼈. 동물화석이 거의 각 충에서 출토되었다. 그것들은 사향두더지 (Scap toc hir u s sp. ) , 박쥐 (Chir o p ter e ind et. ) , 이 리 (Canis sp. ) , 너 구리 ( Ny c te r eute s Procy o noid e s Gray) , 최 후 하 이 에 나 ( Hy a ena Ulti m a Mat- sumoto ) , 범 (Felis Teil ha rd Pei) , 갈박쥐 (M icr otu s brandti pa llas) , 밭 쥐 (Sip h neus cf. Armand M.E.) , 쥐 토 끼 (Ochoto n a SP.) , 말 (Eq u us cf. Hemi on us Pallas) , 코뿔소 (Rhin o ceros sp. ) , 멧 돼 지 (Sus cf. Ly d ekkeri Zdansky ) , 누렁 이 (Cervus Elaph us L.) , 영 양 (Gazelle Przewalsky i Bil - sher) , 달 팽 이 (Helix (Eulota ) pyr rhozona Phil ippi) , 달 팽 이 (Helix (Eulota ) Schensie n ensis Hi lbe r), 주구점 달팽 이 (Heli x( Eulota ) Cho- kouti en sis Pin g ) , 두꺼 비 (Bufo Buo Asia t i cu s Ste i n d achner) , 두꺼 비 (Bufo Raddei Sta u ch) , 뱀 (Elap h e sp. ) , 타조 (St ru th i o ) 등이 다. 식 물화 석으로 朴樹子 (Cel ti s Karalhensis Haka i)가 1 종 출토되었다. 석물은 모두 5 점으로 석재는 규석과 수정 등이다. 석기는 굵개 1 점, 밀개 1 점과 조각기 1 점(그림 96) 등 모두 3 점이 2 충에서 출 토되었다. 기타 2 점은 석핵으로서 3 층에서 출토되었다. 골기 2 점 이 출토되었는데 그 중에서 1 점은 뼈바늘로 바늘구멍의 한쪽이 깨졌 고, 가볍게 휘어졌다. 길이는 82.0mm 이다(그림 97 • 1). 그것은 1 층 에서 출토되었다. 다른 1 점은 지휘봉? (? ba gu e tt e) 으로서 6 충에서 출토되었다(그림 97 • 2). 1 점의 구멍 뚫린 돌(그림 97 • 3) 이 4 층에서 출토되었다. 구멍 뚫 린 사슴의 이빨장식(그림 97 • 4 a, b) 과 여우와 오소리 이빨장식(그림 97 • 4 c, d, e) 등 60 여 점이 출토되었다. 28 점 여우의 송곳니는 2 층에 서 출토되었는데 뚫어진 구멍은 모두 불규칙하였다. 뼈로 된 목걸이는 모두 4 점인데 그 중간에 홈이 파졌다(그립 97· 5). 구멍 뚫린 바다조개 3 점이 4 층에서 출토되었다. 구멍의 형태는 불규칙 하다. 4 층에 서 는 그 의 약 20 점 의 물고기 등뼈 (Cy pr in u s Carpi o L.), 소량의 이빨 등이 출토되었다 .75) 山項洞에서 3 점의 완정한 사람의 두개골, 3 편의 두개골편, 3 편 의 턱, 10 점의 이빨과 3,4 점의 팔다리뼈가 출토되었다.
O‘ 2 ?
송1 s_I' . .,곳 시札 i깝i뼈 니°바〈` k卽섭'圈盧川갑~I’li尸u _: 늘 5 2뼈 뼈장2지식 2휘품戶广 봉(그(목림 걸? 이) 9)7。3 석山드회、〕頂'1I석洞제 출 凰m 떨토유2A4meb ' 공 유 물E장` O식4c e품m 1 4d 5?사 an3 슴 과 오소리
이것들과 周口店 제 1 지점에서 출토된 인류화석들은 모두 2 차 세 계대전 때 분실되었다. 그러나 두개골의 모형 (101 번, 102 번과 103 번)과 3,4 점의 위턱과 아 래턱은 보존되었다. 그 중 한 점의 위턱(1 04 번), 2 점의 완정한 아래 턱 (101 번과 104 번) , 2 점 의 아래 턱 편 (108 번과 109 번) 등이 보존되 었다.
3,4 점의 요골편, 1 점의 대퇴골편과 1 점의 술개골도 남아 있었다. 충위, 동물화석과 석기는 裵文中에 의해서 연구되었고, 인류화석은 1939 년 바이덴라이히에 의해서 연구되었다. 바이덴라이히는 101 번의 두개골은 크로마뇽 (Cro-ma g non) 을 닮았고, 그 형태는 옛 몽고인이며, 102 번의 두개골은 말레지아인, 103 번은 에스키모인이라고 주장하였 다. 101 번의 두개골은 가장 완정하며 아래턱도 가지고 있다. 그의 미간 과 후두부는 육중하고, 뇌의 용적이 큰 것은 남성임을 설명하여 준 다. 봉합집도 뚜렷하다. 그러나 코뼈를 제의한 대부분의 봉합점은 지 워졌다. 그것은 나이가 중년임을 표시한다. 홍미있는 점은 이마의 봉 합점이 완전히 지워진 것이다. 그것은 그가 60 세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의 이빨도 상당히 마멸되었다. 102 번의 뇌용량은 적으며, 乳樣突起도 역시 작고, 관상돌기도 납작 하다. 그것은 여성임을 나타내어 주었다. 동시에 미간도 돌기되었다. 현생인류 (Home Sap ien s Sa pi ens) 의 미간은 현인보다 돌기되었다. 102 번의 봉합점은 대단히 뚜렷하다. 세번째 윗어금니는 아직 생기 지 않았고, 두번째 것은 생겨난 지 오래되지 않았다. 더욱 후두부와 앞정수리가 아직 접근되지 않았다. 그것은 소녀라는 것을 나타내어 준다. 103 번은 남성이다. 봉합점은 깨졌으나 뚜렷하고 후두부와 앞정수리 는 접합되었다. 이빨둘은 많이 사용되었다. 세번째 윗어금니는 존재 하지 않았다. 이것을 근거로 하면 103 번은 102 번보다 나이가 많다. 아래턱 101 번은 의심할 여지없이 101 번의 두개골에 속함이 확인되었 다. 104 번(아래턱)의 두개골은 찾지 못했다. 109 번의 아래턱은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이빨들은 모두 생겼고 그 지수에 따르면 남성이다• 위턱 110 번은 파편이다. 이빨은 모두 생겼 고, 상당히 마멸되었다. 성별은 남성이다. 위턱과 아래턱으로 연령을 구별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그것들은 청년에서 중년에 이르는 나 이로 보고 있다. 山項洞에서는 어린애와 태아가 출토되었다. 그곳의 개체는 모두 8 명이 되는데 그것은 죽 102, 103, 106 번과 2 점의 두개골, 어린애 ( 5 세) 1 명과 태아 하나, 그리고 104 번의 아래턱이다. 아래턱 108 번과
109 번은 아직 감정 을 하지 못하였으나 102, 103 번 또는 llO 번의 두개 골에 속할 가능성 이 있다고 보고 있다. 아래 턱 109 번은 102 번과 103 번 두개골에서 3m 의 거리에 있었다. 아래턱 108 번에 대해서는 자세 한 언급이 없다. 108 번과 109 번의 아래 턱은 두 사람을 대표하는 것으 로 보고 있다. 그렇다면 개체의 수량이 모두 10 명이 된다. 예를 들면 노인 (101 번), 성인 또는 청년(1 08 번), 그리고 다른 또 한 사람의 청년 (110 번), 여인 3 명 (103, 104 번과 109 번), 청년 (102 번), 미정(1 06 번), 어린이 (5 세)와 태아 하나 등이다. 인류화석이 각 충마다 출토되었는데 2 충에서 5 층까지의 퇴적층 두께가 8.8m 이다. 그래서 그것들 개체를 한 가족으로 보기는 어렵 다. 3 점의 두개골 (101, 102 번과 103 번)의 공통 성격은 첫째 윗얼굴이 낮고, 두번째 眼孔이 모두 직사각형이며 세번째 두 안공 사이가 넓으 며 아래턱의 의부 끝이 돌기된 점이다. 이 3 점의 두개골은 모두 크 다. 길이는 101 번이 204mm, 102 번이 196mm, 그리고 103 번이 184 mm 이고 너비는 101 번이 143mm, 102 번이 133mm, 그리고 103 번이 137mm 이다. 이마의 최저 너비는 101 번이 107mm 이고, 102 번이 102. 5m m, 103 번이 101mm 이다. 이렇게 커다란 두개골은 현인에게 는드물다. 이 3 점의 두개골 길이 지수 (Ind i ce) 는 101 번아 70.1mm, 102 번이 69.4mm 와 103 번이 7 1. 2mm 로 이 지수는 현생인류에게 공통적인 것 이다. 이마가 돌기되었고 앞정수리의 각에서 보면 45,48° 및 46° (101 , 102 번과 103 번)인데 이 점도 정상이다. 중국 현생인류의 윗얼굴 지수는 유럽의 것과 같다. 유럽 현생인류 의 지수는 47 . 1~54.0 이다. 이 두 집단은 상당히 접근되고 있다. 현 중국인 54.6, 에스키모 53 . 4( 남, 여), 일본인 53 . 6( 남) 등으로 山頂 洞人과 상당히 가깝다. 3 점의 두개골 얼굴도 상당히 비슷하다. 현 중국인 얼굴각은 83.6° 코각 85.4, 치조각 76.8, 雲 南人은 82.6°, 85.0 파 73.4° 이다. 3 점의 두개골의 일반적인 현상은 정상이며 그들 은 크고 육중하며 이마가 돌기되어 있다. 윗얼굴과 안공이 낮고 수직 얼굴각도 비슷하다. 넓은 코와 낮은 안공은 중국 후기구석기시대인의 특징이다. 102 번과 103 번 두개골의 蓋頂이 높은 것은 멜라네시아인과 에스키
모인을 닮았다. 그러나 그들은 몽고인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101 번의 안면높이 지수는 아메리칸 인디언에 상당히 접근되고 있다. 山 項洞人은 현 중국인, 에스키모인과 아메리칸 인디언과 접근되고 있지 만 특히 몽고인과는 모든 점이 유사하다. 아래턱으로 미루어 102 번과 104 번이 각각 다른 개체라면 山頂洞人 은 모두 8 명이다. 남자 2 명은 노인과 청년이고, 여인 3 명은 두 중 년과 한 소녀 (20 세 전후)이다. 그리고 청년 1 명과 성별을 알 수 없 는 어린이 (5 세) 1 명, 하나의 태아 등이다 .76) 7 陽原 虎頭梁유적 河北 陽原縣 虎頭梁유적은 양원분지 桑幹河 왼쪽 언덕의 虎頭梁村 일대에 위치하고 있다. 그 주위의 약 10km 의 범위 내에서 9 곳의 석 기지점을 발견하였으며 1972 년부터 1974 년까지 그곳을 발굴하였다. 후기구석기시대 문화 충은 모래질 황토충의 아래에 있었다. 출토된 동물화석은 중국두더지, 야생말, 낙타, 그레이영양, 전각영양, 털코 뿔소, 나마코끼리 등 15 종으로 그것들은 화북 황토기의 초원동물군에 속한다. 73101 지점에서 세 곳의 노지를 발견하였다. 하나의 노지는 타원형 으로 길이 1.7m 이며 대량의 숯과 불에 탄 동물뼈, 타조알 껍질 그리 고 소량의 석기가 있었다. 그 주위에 네 개의 커다란 역석을 놓았는 데 거기에는 많은 뼈조각과 소량의 석기가 있었다. 다른 하나의 노지 가 전자와 가까이 있었고, 그곳에서 5~6m 의 거리에 또 하나의 노지 가 있었다. 그 속에 숯, 불에 탄 동물뼈, 구멍 뚫은 조개껍질과 赤鐵 鑛으로 물들인 것 등이 있었다. 세 곳 주위에 대량의 석편, 돌 부스 러기, 여러 가지 석핵과 정교한 석기가 있었다. 석기는 대부분 화살 축형(投射器頭)이다. 동물뼈는 대부분 나이가 든 것들이다. 그러한 지점의 문화충은 두껍지 않다. 73101 지점은 사냥꾼들의 야영지이다. 그러나 그곳에 사람들이 오래 머물러 있지 않았다. 동시에 그곳은 석기제작 장소이기도 하다. 각 지점의 석재는 석영암 위주이다. 석핵은 쐐기형 석핵이 절대적
으로 우세하여 모두 236 점이다. 그것들은 이 유적의 대표적 유물이 다. 석핵상에서 떨어져 나온 석편과 세석편( 石 葉)은 40,000 여 점이 된다. 쐐기형 석핵은 두 종류로 나누고 있다. 한 가지는 타격면이 평 탄한 角形이고 다른 것은 타격면이 경사되었다. 전자는 사라―오소 ―골유적에서 가장 전형적이고 후자는 虎頭梁의 것이 대표적이다. 그 러한 두 종류의 쐐기형 석핵은 화북에 대한 것과 세석기 기원 문제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虎頭梁 석핵에 대하 여 이 유적 설명 끝에 다시 자세히 살펴보겠다. 석기 중에 밀개가 221 점으로 가장 많고, 기타는 첨두기, 조각기, 긁개, 단―양면기 등이다. 그것들은 각각 30~40 점 정도이다. 첨두기 의 하부는 평행, 오목과 뾰족하다(그림 98). 그러나 그립 99 • 1,2 의 첨두기는 주먹도끼로 보아야 한다. 장식품도 13 점 출토되었다. 그것 둘은 구멍 뚫린 조개껍질, 구멍 뚫린 돌구슬, 타조알 껍질과 새뼈로 만든 구술들(그림 98 • 8,9,10) 이다. 그러한 장식품들은 마연해서 구멍
@8 @lo®“
울 뚫었다. 그것은 양면을 대칭적으로 구멍을 뚫었다. 이 유적은 후기구석기시대의 상당히 발달된 시기에 해당된다. 또한 부근에 許家 盛 時裕 등의 유적이 있다. 석기유형과 제작기술 입장에 서 보면 화북의 소석기 계통에 속한다. 이 유적의 문화는 許 家 察 一 時裕 一 虎頭梁 등의 발전 서 열로 보고 있다. 77)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虎頭梁의 세석핵에 대하여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다. 특히 그러한 세석핵을 일본 북해도의 岭下형과 비교하고 있다. 쇄기형 석핵(模狀 石 核)은 첨두기, 조각기, 긁개와 직접 관계가 있 다. 종래까지 쐐기형 석핵에 대하여서는 타격면, 석편 제거방법 등만 고려하여 왔다. 낼슨 (Nelson) 은 아시아와 아메리카대륙의 세석핵을 비교하였고, 러 시아인 지코프(Ti ukob) 는 북아메리카의 세석핵 기원이 캄차카반도라 고 주장하고, 스미스 (Sm it h) 는 그 기원이 시베리아 또는 중국 화북이 라고 주장하였으며, 러시아의 오크라드니코프 (Ok Ti a Ti hukob) 는 몽고 동부라고 주장하였고, 몰란 (Morlan) 은 일본 북해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고 보았으며, 모챠노브 (Mochanov) 는 스키타이문화와 관계가 있었다고 보고 있다. 세석핵은 모두 마지막 작품이 아니고 사용 과정중에 있는 단편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한 입장에서 보면 세석핵을 형태에 따라 서 분류할 수 없는 것이다. 실제상 세석핵은 독립된 유형이 아니고 언제나 그 석핵에서 떼어낸 소석편과 함께 생각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다시 살펴보려는 석핵은 虎頭梁에서 출토된 석핵 54 점, 석편 10 점과 석핵 예비품 15 점이다. 그러한 석핵은 적어도 4 번의 공정을 거쳤다고 본다. 첫째는 석핵 예비품을 만들고, 두번째로 석핵 예비품 가장자리를 손질하고, 세번 째 타격면을 준비하고 개선하며 마지막으로 그 석핵에서 소석편을 떼 어낸다. 이러한 과정을 조금 더 정밀하게 분석하면 첫째 석핵 예비품 울 만드는데 마지막 단계는 횡단면이 D 형, 죽 일면은 평탄하고 다른 일면은 볼록하게 만든다. 자연석괴를 사용할 경우 평탄한 자연면은 손대지 않는다. 그림 99 • 2 의 표본은 회색 규질암제로서 前端에서 7 편의 소석편을
떼어낸 흔적이 있다. 석핵의 우측면은 평탄하다. 그곳은 원래 석편의 벽개면이다. 그 좌측면의 상부는 수정(손질)하였다. 그 하부도 수정 되었다. 석핵의 횡단면은 D 형이다. 석핵 전단의 위와 아래는 수축되 고, 타격각은 82 ° 이다. 이 석핵은 석편을 막 떼어내기 시작한 것이 다. 그것은 석핵의 예비품(준비품) (그림 99 • 1) 과 대조적이다. 두번째
뿌
로 석핵 예비품의 가장자리를 수정한 것이다. 이 공정은 그립 99 • 1 공정 다음의 작업 순서이다. 이 두번째 공정은 다음 세번째 공정의 필요조건이다. 그림 100 • 4 표본은 혹회색 규질암제이다. 원래 두꺼 운 석편이다. 그 좌측은 평탄하고 그 우측면은 돌출되었다. 석핵의 횡단면은 D 형이다. 석핵 위의 가장자리 뒷면에 원래 예비품의 가장 자리를 가지고 있다. 그 전면은 앞에서 뒤로 타격한 평면인데 이것이 곧 석핵의 타격면이다. 그림 100 • 1 표본은 자색 규질암 석재이다. 석편을 떼어낸 흔적이 없다. 한 측면은 원석편 벽개면이고, 다른 측 면은 수정한 것으로 위 가장자리에 한 개의 홈(缺口)이 있다. 그립 100 • 4 표본은 자색 규질암제로서 우측면이 평탄하고, 좌측면이 위와 아래의 가장자리에 손질한 흔적이 있다. 위 가장자리에는 석편 흔적 이 남아 있다. 세번째로 타격면을 준비하고 개선하는 것이다. 이 공
三二〈: 1@
정은 두번째 공정의 계속이다. 그림 100 • 6 표본은 혹회색 규질암제 로서 그 횡단면은 D 형이다. 타격면은 평탄하다. 앞(전단)에서 뒤쪽 으로 타격을 가하였다. 그러나 석핵의 끝까지 가지 않고 가로에 나 있는 홈까지 와서 중단되었다. 그림 100 • 2 는 분홍색 규질암제이다. 이 석핵은 이미 세번째 공정과정을 경과하였지만 아직 소석편을 떼어 내지 않았다. 이 표본의 의형은 긴 타원형이고, 가공 후에는 횡단면 이 D 형이 되었다. 위 가장자리에 있는 하나의 홈은 좌측에서 우측으 로 타격이 가하여진 것이다. 위 가장자리 전단에서 홈 방향이 평면인 것은 준비된 타격면이다(그림 100 • 3). 상기한 홍은 유럽에서 조각기 제작시 사용한 기능(그림 100 • 7) 과 같다. 그림 99 • 3 표본은 자색 규 질암제이다. 가공 후 석핵의 횡단면은 D 형이 되었다. 위 가장자리를 따라서 우측면에서 좌측면으로 석편 흔적을 계속적으로 남겼다. 그곳 세로 방향의 흔적은 타격면을 개선한 흔적이다. 마지막 단계 즉 소석 편 제거는 상기한 세번째의 공정을 마무리한 후 전정한 이용 단계로 들어간다. 이론상 이 단계는 연속적 석편 제거과정이 된다. 사실상 석핵은 충분히 이용되지 못하고 도중에서 폐기되는데 이유는 암석의 節理面과 균열선 (裂文) 이 있기 때문이 다. 그립 99 • 6 표본은 자색 규 질암제이다. 이 표본은 虎頭梁석핵을 대표한다. 그 특징의 하나는 전단에 다섯 줄의 석편 제거 흔적이 있는 것이다. 두번째 우측면은 평탄하고, 좌측면은 돌출되었다. 석핵의 단면은 D 형이다. 세번째의 타격면은 돌출된 좌측면으로 경사되었다. 이 물방울 형태의 석핵은 아류 2 형 (그립 100 • 5) 과 공통성을 가지고 있다. 석핵계열의 관찰에 의하면 석핵 자체는 석편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타격면이 부단히 개선된다는 접이다. 상기한 여러가지 관점에 따르면 陽原 虎頭梁 석핵은 일본의 岭下형 석핵과 동일하다고 보고 있다 .78) 8 大同市 小站유적 1984 년 山西省 大同市 小站유적을 시굴하여 채집한 결과 석물이 432 점 발견되었다. 석기의 특징은 許家蒸와 時裕유적의 것과 유사하 다. 충위와 문화유물을 근거하면 후기구석기시대에 해당된다.
小站유적은 大同분지의 서북편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곳에 서 동쪽으로 6km 되는 곳에 大同市가 있다. 지리좌표는 북위 40°6'15, 동경 113 ° 12'50 이 다. 구석기가 제 2 급 계지 뒤편과 제 3 급 계지 앞편의 퇴적물에서 출토 되었다. 충위 는 상에 서 하로 나누어 지는데 3 층은 표토충, 두께 20~30cm, 전신세(충적세)에 해당된다• 2 층은 회황색 고운 모래, 소량의 역석 포함, 석기 출토, 두께 약 1.50m. 중간은 부정합. 1 층은 편마암. 석물 432 점 중 원충위 (In s it u) 에서 출토된 것은 40 점, 지표에서 채 집된 것이 392 점이다. 석재는 석영암, 석영과 수석 등이다. 석핵 12 점, 전체의 3% 차지, 석편을 떼어내는 방법은 직접타법과 양국타격법을 사용하였다. 직접타법에 의한 석핵은 9 점으로 타격면은 단타격면과 다타격면으로 구분하고 있다. 단타격면 석핵 1 점이 지표 에서 채집되었다. 그것은 반구상(半球體狀)의 석핵이다. 그 석핵은 또한 靑磁察 유적의 것과 유사하다. 다타격면 석핵 8 점, 타격점이 집 중되었고, 석핵상의 석편 흔적이 불규칙하다. 양극타격법에 의한 석 핵은 모두 3 점인데 그것들은 지표에서 채집되었다. 유형은 多稷柱形 또는 대추씨형이다. 석편은 직접타법에 의한 것이 76 점으로 전체의 18% 를 차지한다. 그것들은 세 종류로 나누어지고 있다. 첫째는 자연 타격면 석편 17 점, 대부분 자연면을 그대로 이용한 것, 그 중 한 점 의 석편각이 116° 이다. 단순(打製)타격면 석편, 모두 55 점, 결정면을 1 편 또는 2 편 정도 떼어낸 타격면이다. 준비된 타격면석편 4 점, 타격 면상에 결정면을 2 점 이상 규칙적으로 떼어낸 것, 양극석편은 1 점으 로 지표에서 채집되었다. 석기는 343 점이며, 그 중 24 점이 충위에서 출토되었다. 석기는 긁 개, 첨두기, 조각기 등이다. 긁개는 단인긁개 (Sin g le Str a ig h t Edg e d Scrap er s) , 양 인 긁 개 (Double Str a ig h t S.) 와 다 인 긁 개 (Poly- s id e Scra p ers) 로 분류되고 있다 . 단인긁개는 74 점으로 수량이 가장 많다. 그것은 유적울 대표하고 있다. 제 2 차가공은 삭박면 방향으로 처리되 었다. 한 점의 정교한 단인긁개 (그림 101 • 3) 는 우측의 삭박면을 제 2 가공하여 수직인으로 만들었다. 날각은 60° 정도이다. 오목긁개 (Sin g le Concave S . )는 모두 59 점이다. 볼록긁개 (Sin g le Convex S.) 는
모두 51 점으로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 계단형 굵개 (Sin g le Ste e p S.) 는 12 점이다. 모두 두꺼운 석편상에 수칙으로 제 2 가공을 처리하였다. 날각은 85° 정도이다. 밀개 (端섰利削器, End-Scrap e r) 5 점, 길이가 너 바보다 크다. 크고 얇은 석편으로 만들어졌다. 제 2 차가공은 원단 (D i s t al) 부분에 이루어졌다. 날각은 75° 정도이다. 양 인 긁 개 (Double Str a ig h t Scrap er ) 는 양 오 목 긁 개 (Double Concave Scrap er ) , 양직 선굵개 (Double Str a ig h t S.) , 양오목—볼록긁개 (Concave -Convex S.) , 볼록긁개 (Convex Str a ig n t S.) , 오목긁개 (St ra ig h t- C on-cave S.) 등 다섯 유형 으로 나누고 있다. 다 변 긁 개 (Poly- s id e Scrap e r) 는 짧 은 원 형 밀 개 (Short Round End -Scrap e r), 다변긁개 (Poly- s id e S.) , 원 형 긁개 (Di sc oid S.), 등긁개 (High backed S.)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있다. 첨두기는 모두 24 점이다. 주로 석편으로 제작되었으며 간혹 석핵으 로 만든 것도 있다. 첨두기는 새부리형 첨두기 (Beaked Poin t ) , 삼각 형 첨두기 (Tria n g ula r Poin t ) , 끌형 첨두기 (Chis e led Poin t ) , 양변가공 첨 두기 (Di ed ra! Reto u ched Poin t ) 등 네 유형 이 다. 그 외 조각기 6 점 도 세 종류로 나누고 있다. 가공된 조각기 (Burin wi th Reto u ched Edg e) 1 점 (그림 101 • 1) 은 양변 이 제 2 가공된 조각기 이 다. 近端 (Proxim al) 우측의 삭박면 방향을 제 2 가공하였다. 그 좌측에 조각기 룰 만들기 위해서 하나의 삼각형 결정면을 떼어내었다. 조각칼의 너
오 cm 2 3
비는 7mm, 날각은 79 • 이다. 원단 (D i s t al) 좌측의 가장자리를 삭박면 방향으로 제 2 가공하였다. 날각은 55· 이다. 원단의 우측에도 조각기 를 만둘기 위하여 결정면을 떼어내었다. 조각칼의 너비는 5mm, 날 각은 51° 이다. 양면조각기 (Dehedral Bur i n) 는 4 점이고, 조각기―긁개 (Bur i n-Scra p er) 는 1 점이다. 송곳 (Borer) 도 3 점이 출토되었다. 시굴지역에서는 동물화석이 출토되지 않았다. 그래서 충위와 석기 를 근거로 해서 연대를 논할 수밖에 없다. 지질연대는 후기홍적세 말, 그리고 문화는 후기구석기시대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석물의 석재는 석영암 위주이며, 그 다음이 수석과 석영이다. 석편 제거기술은 직접타법 위주이며 때로 양극타격법도 보인다. 직접타법 에 의한 석편이 전체의 99% 가 된다. 석물은 석핵, 석편과 석기 등인 데 그 중에서 석편은 수가 적고, 석기는 수량이 많다. 석기는 긁개, 첨두기, 조각기와 송곳 등이다. 석기 중 긁개가 가장 많으며 전체 석 기수의 89% 이다. 석기는 소형석기 위주로 크기는 4cm 이하가 303 점 이나 되는데, 그것은 전체의 88% 이다. 석기의 가공방법은 삭박면 위 주이다. 小站 석기는 許家蒸의 것과 상당히 접근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79) 9 甘肅 i對 I| 유적 甘肅省 平涼지구 混川縣의 牛角溝와 合志溝 두 곳에서 인류화석(두 개골)한 점과 상당수의 석물, 그리고 포유동물 화석이 출토되고, 合 志溝의 표토에서는 다량의 석물과 포유동물 화석이 채집되었다. i륀 Il 은 龍東황토고원 남쪽 끝에 위치하고 있다. 牛角溝는 混河 左 岸에 위치한 하나의 커다란 개천이다. 江床으로부터 약 400m 지접에 있다. 그 개천물은‘큰 동쪽 개천과 합류되어 埋iiiJ로 들어간다. 석기 출토지는 2 개의 개천이 합류되는 삼각지대이다. 混川縣城(북위 35·20', 동경 107 22') 동쪽으로 35km 에 埋川縣 白家大除 源生隊가 있 다. 두 지점의 충위상태는 牛角溝(牛角개천)가 대표적이다. 충위는 6 층 으로 구분되고 있다. 6 층 : 현대 하상 자갈층. 5 층 : 馬蘭黃土. 4 층 :
회갈색 모래질 점토, 인류화석과 동물화석 출토. 3 총 : 고토양의 紅色 土 (離 石黃土 ), 중기홍적세. 2 총 : 홍색 점토(사 :. 城 黃土 ), 전기홍적세. l 충 : 자홍색 암석 , 백 악기 (Creta c eus pe rio d ) . 제 4 층(후기홍적세)에서 출토된 동물화석은 말 (E q uus sp. ) , 사슴 (Cervus sp. ) , ? 털코뿔소 (Coelodon t a Anti qu it at i s) , 소과 (Bov i dae), 중국두더 지 (My o spa lax Fonta n ie r i) 동아 다 . 인류화석 은 하나의 불완 정한 두개골이다. 그것은 이마뼈 일부분, 오른쪽 정수리 뼈대 부분 과, 거의 완정한 오른쪽 광대뼈, 뒷머리뼈 대부분과 왼쪽 정수리뼈 일부분이다. 이 두개골은 20 세 정도의 여자의 것으로 보고 있다. 석물은 모두 88 점이다. 그것들은 석핵 12 점, 석편 39 점과 석기 38 점 등이다. 석편은 모두 직접타법에 의해서 떼어내었다. 牛角溝에서 출토된 두 점의 球形 석핵상에는 모두 자연면이 남아 있다. 석편 39 점 중 직접타법에 의해서 떨어져 나온 것은 25 점이며, 양극타법에 의
Ol I 2Ic m 0I I 2I cm
한 것은 14 점이다. 상당수 석편의 타격면은 자연타격면이다. 그러나 석편 중에 길고 얇은 것은 보다 발달된 타법에 의해서 떼어졌다. 양 국타법에 의한 석편은 석재가 맥석영이며 석편의 양단에 박락당한 혼 적이 있다. 석기는 단―양면기, 긁개와 돌마치(다면기) 등이다. 合志溝의 단면 기 (그림 102 • 2) 는 석영암 역석제이다. 무게 795g , 날각은 60°~70° 이 다. 牛角溝의 단면기(그림 102 • 3) 는 석영암 석편으로 제작되었다. 무 게 115 g으로 일면에 만 가공되 었다. 合志溝의 단면기 (그림 102 • 4) 는 수석제 석편으로 제작되었다. 무게 294g , 일면에만 가공되었다. 날 각은 70° 정도이다. 긁개의 수량이 가장 많은데, 불규칙한 석편으로 제작되`었다 . 合志 溝의 볼록긁개 (그립 103 • 1,5) 와 牛角溝의 오목긁개 (그림 103 • 2,3,4,7) 는 상호 대조적이다. 직선긁개 (그립 103 • 6,8) 의 2 점은 전자가 合志溝
OI I 2cI m
2
에서 그리고 후자는 牛角溝에서 출토되었다. 첨두기는 수량이 많지 않으며 전형적인 것도 아니다. 牛角溝의 첨 두기 (그림 104 • 1,2,3) 와 合志溝의 첨두기 (그립 104 • 3,5) 외에 조각기 도 있다. 첨두기는 모두 불규칙한 석편으로 제작되었다. 돌마치 (Bolas, 사냥돌) (그립 102·1) 는 석영암 역석제이며, 무게는 968 g이다. 돌마치상에는 약간의 자연면이 남아 있다. 牛角溝와 合志溝의 석재는 석영암과 맥석영 위주이다. 석편 제거방 법은 직접타법과 양극타법 등 2 종이다. 타격면은 자연타격면과 준바 된 타격면 등 2 종이다. 석기는 단면기, 긁개, 첨두기와 사냥돌 등이 다. 석기는 대부분 석편으로 제작되었는데 그것들은 크기가 비교적 작다. 사냥돌(돌마치)은 직접타격법에 사용되어 다면체를 이루었으 며, 그것들은 藍田, 區河, 丁村의 사냥돌(돌마치)과 접근되었다. 사라-오소―골유적은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Carbon1•) )으로 B.P. 50,000~37,000 년이 산출되었고, 時浴은 28,945 士 1,370 년으로 계산되 고 있으며 i卽 1| 유적은 그것들과 비교를 하고 있다. 그러나 i田 I1 문화 의 윤원관계는 丁村과 접근되고 있음을 시사 하고 있어 so i iiJ II 문화에 대한 것은 앞으로 연구가 더욱 요망된다.
10 遼寧 海城 小孤山의 뼈도구 海城 小孤山의 뼈도구는 작살, 표창끝(머리)과 뼈바늘 등이다. 그 것들은 유럽 후기구석기시대의 막달레니안시대의 것과 유사하다. 그
내
리고 小孤山의 뼈바늘은 山頂洞에서 출토된 것과 유사하다. 小孤山의 장식품으로는 유공 이빨과 조개껍질 등인데 그것들도 山頂洞의 것들 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小孤山의 시기는 연대측정 결과 B.P. 40,000~20,000 년 정도이다. 1983 년 遼寧城小孤山유적의 발굴에서 대량의 석물, 동물화석과 약 간의 인류화석 외에 뼈제품의 도구와 장식품이 발견되었다. 고기 작살 1 점(그립 105), 길이는 180.1mm, 머리부분 너비 10.6 mm, 두께 5 . 9mm, 중심부분 너 비 16 . 2mm, 두께 11. 5mm, 끝부분 최 대너비 18.2mm, 두께 10.5mm, 그 말단두께 1.0mm, 작살 양날개 너 비 24.2mm 이다. 그러한 두 줄의 작살은 유럽 막달레니안 후기에 유 행되었다. 표창머리 (끝) 1 점 (그림 107 • 6), 동굴퇴적물의 3 층에서 출토되었다. 표창 끝의 부러 진 부분이 다. 잔장길이 76 . 3mm, 하부너 비 17 . 7mm, 두께 7.6mm 이,J다. 중‘국 내에서는 최초이고, 유럽Ia에서i는. 오리냐i,시 안 U세甘니IF_ i1'f仙 “i · I II| '.-l2 1._'.1I. 3, 1 I I111· i1 JLH__UU ” ' 오a n 그림 106 小孤山 출토 뼈바늘
중기에 유행되었다. 뼈바늘(그림 106), 동굴 중심부 3 층에서 출토되었다. 모두 3 점이 다. 그림 106 • 1 은 길이 77. 4m m, 구명 위쪽너비 4.5 m m, 구멍 내경 1.6mm, 외격은 3.5 m m, 다론 일면은 3 . 2mm 이다. 두번째 그림 106 • 2 는, 바늘 길이 65. 8m m, 바늘구멍 위쪽너비 4.0mm. 구멍은 양쪽에서 갈아서 뚫었다. 구멍 내경 2.1mm, 의경 일면 3.4mm 등이 다. 중국 내에서 최초로 상태가 양호한 3 점의 뼈바늘이 출토되었다. 유공 이빨장식은 맥, 야생고양이, 사슴 등의 이빨로 만들었다(그림 107 • 1,2,4,5). 유공 이빨장식은 山頂洞에서 116 점이 출토되었다. 이 빨장식은 유럽 막달레니안에서 출토되었다.
2
조개껍질 장식 (그림 107 • 3) 은 직경 25mm, 두께가 약 2.0mm 이다. 구멍은 양쪽에서 갈아서 뚫었다. 구멍 벽에는 붉은색 염료가 남아 있 다. 1983 년 6m 이상 두께의 동굴퇴적을 발굴하였다. 퇴적은 모두 5 층 으로 나누어졌다. 뼈도구와 장식품은 모두 1~3 층 사이에서 출토되었 다. 小孤山의 뼈도구와 장식품은 B.P. 40,000~20,000 년으로 보고 있 다. 그리고 山頂洞유적보다 이론 시기라고 보고 있다 .81) 그러나 필자 생각에는 후기구석기시대 마지막 시기 죽 막달레니안 시기(유럽, B. P. 20,000~10,000 년)에 해당된다고 본다.
제 6 장 華南의 전기구석기시대 문화 화남의 구석기시대 문화 연구에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은 각 유적 중에 석기는 드물고 반면에 고생물학적 자료 즉 동물화석과 인류화석 은 풍부하게 출토되고 있기 때문이다. 화남의 홍적세 자연환경을 이 해하기 위하여 각 유적에서 출토된 포유동물을 살펴보겠다. 1 화남의 포유동물 중국인은 고대부터 포유동물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그것들을 일반 적으로 〈 龍骨〉과 〈龍齒 〉 라고 불렀다. 漢代부터 龍骨과 龍齒룰 藥村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宋代에 沈括이라는 학자가 龍骨의 생성에 대하여 정확한 해석을 내 렸지만 봉건제도와 미신사상의 속박으로 龍骨과 龍齒에 대한 전일보 한 과학적 연구를 할 수가 없었다. 서구문화의 유입과 더불어 소수의 서구학자가 중국에 가서 龍骨과 龍齒에 대한 수집과 연구에 종사하기 시작하였다. 중국 포유동물 화석을 최초로 연구한 학자는 영국인 R. Owen 이다. 아편전쟁 이전에 Owen 은 四川의 약재상에서 상당량의 포유동물 화석 을 구하였다. 얼마 후 프랑스 신부 David , 파리 자연사 박물관의 Gaudry , 독일
지 질 학자 Ric h th o fe n 과 고생 물학자 Kohen 및 문니 히 박물관의 Max Schlosser 등이 중국 포유동물 화석에 대한 수집과 연구를 하였다. 1916 년 스웨 덴 학자 J.G . Andersson 이 중국에 가서 척 추동물 화석 을 채집하였다. 1920 년대에 북경 周口店에서 중국원인의 이빨이 발견되었다. 그 발 견은 많은 서방국가의 고생물학자들의 관심을 집중시켜 그들이 중국 에 가서 포유동물 화석을 채집하기 시작하였다. 이어서 중국에 조사를 떠난 학자들은 미국 뉴욕 자연사 박물관이 조칙한 〈中亞探險隊〉였다. 탐험대는 四川縣 鹽井溝에서 다량의 포유 동물 화석을 채집하였다. 탐험대가 채집한 자료는 Ma tt hew 와 Grang e r 등이 초보 분석을 하고 최후의 작업은 1953 년에 Colbe rt와 Hooij er 등 2 인이 완성하였다. 1949 년 이전에 중국 고생물학자들은 周口店에서 발굴작업을 실시하 여 정식으로 중국 척추동물 화석의 과학적 연구에 착수하였다. 그 이 후에 雲南 富民河上洞 및 四 )1l 萬縣鹽井溝에서 발굴을 실시하여 발 견된 화석을 깊이 연구하였다. 廣西 경내에서 화석이 출토되는 동굴 둘을 고찰하고 소규모 채집울 실시하였다. 그때에 비로소 고생물학자들은 華南(江南)의 동굴 내에서 다량의 포유동물 화석이 출토되고, 농민들이 그것들을 수집해서 약재상에 판 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그러나 당시의 고생물학자들은 그것들이 특수 한 동물군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그러한 동물군에게 합당한 명칭을 부 여하지 못하였다. 그러한 동물군의 시기에 관해서 Ma tt hew 와 Gran g er 는 선신세로 생각하였는데 근거는 四川 萬縣의 동물군 연구 의 결과였다 . 후에 Colber t와 Hoo ij er 는 그것은 중기홍적세에 속하며 화북의 북경원인의 동물군과 동일한 시기라고 주장하였다. 화남 동굴되적물에 대하여 당시의 지질학자들은 廣西의 고찰을 통 하여 두 가지의 다른 충위를 인식하였다. 하나는 중기홍적세 동물군 을 포함한 〈黃色推積〉이고, 다른 하나는 그 상충으로 신석기시대 유 적을 함유한 〈灰色淮積〉이다. 廣西각 동굴에서 출토된 포유동물 화석의 종합적 고찰에 의하면 종류가 상당히 많다. 그러나 대부분 치아만 보존되어 種屬을 감정하 는데 어려움이 대단히 많았다. 다만 홍적세 어느 시기에 해당되는가
하는 문제는 밝혀졌다. 가장 보편적인 동물화석은 다음과 같다. 영장목 : 성성이 (Poin g o sp. ), 금실원숭이 (Rhin o p ithe cus sp. ) , 원숭이 (Mackace sp. ) . 식 육목 : 중국곰 (Ursus Thib e ta n us) , 오소리 (Arcto n y x Collaris F. Cuvie r ), 큰곰 (A il uro p oda sp. ), 하 이 에 나 (H y aena sp .= Sin e nsis Owen) . 설 치 목 : 筋 猪 (Hy s tr i x sp .) . 기 제 목 : 막 (猿, Tap iru s(Meg a ta p iru s) sp. ) , 코 뿔 소 (Rhin o ceros sp. = Rh. Sin e nsis Owen). 우제목 : 멧돼지 (Sus Scrofa L.). 사슴류, 검은사슴 (Rusa sp. ) 및 큰고라니 (Munti ac es). 소류 : 물소 (Bubalus sp. ) 및 들소 (B i son sp. ) , 장비 목 : 동방검 치 상 (Ste g o don Orie n ta l i s O wen) , 코끼 리 류 (Ele- ph anti da e) , 나마코끼 리 (Elep h as Namadic u s F. and C.) 등이 다. 과거의 일반적인 견해는 큰곰―동방검치상 (A il uro p oda-S t e g odon) 동물군은 중기홍적세에 속하는 것으로 통용되었다. 그러나 柳城巨猿 동굴 발굴 이후에는 그러한 동물군은 홍적세 전기 • 중기 • 후기로 나 누어져야 된다고 주장되고 있다. 본문에서는 다만 전기 홍적세에 속하는 유성 거원동굴 출토의 동물 군을 살펴보겠다. 유성 거원동굴은 당지 사람들에 의해서 砲岩洞이라고 불리어졌다. 후에 그 동굴에서 다량의 거원화석이 출토되자 巨猿동굴로 부르기는 하였다. 동굴은 廣西 柳城縣 社沖人民公社 社;中村의 하나의 고립된 작은 산, 楊塞山上에 위치하고 있다. 동굴 입구는 부근 지면에서 90m 의 높이에 있었다. 유성 거원동굴의 정식발굴은 제 1 차가 1957 년 1~3 월까지, 제 2 차 가 1957 년 11 월부터 1958 년 2 월까지, 제 3 차가 1958 년 9 월부터 1959 년 1 월까지, 제 4 차가 1959 년 11 월부터 1960 년 2 월까지, 그리고 제 5 차가 1960 년 10 월부터 1961 년 1 월까지, 그리고 1961 년 겨울부터 1963 년까지 계속되었다. 그 사이에 거원 2 동굴과 거원동굴이 완전히 개통 되었다. 제 5 차의 발굴작업을 통하여 유성 거원동굴의 형태와 퇴적상황의 전모가 완전히 밝혀졌다. 거원동굴의 입구는 상하에 두 개가 있었다. 상의 입구는 상당히 작 았다. 입구로 들어가서 밑으로 약 lm 되는 지점에 종유석층
·머tJ .∞-QK믿--셔-”γk버혈룹ψ{ 꺼r 꽉•r갚{갚』*|||↑뷰:。rg- r l뻐때망에뼈{에양빼{l캉파짜)뼈{망|버흉( 빼빼배뿌’망빼π텀머뻐- )핸F써{@뾰( 團←-}펀파머낀파든핑-…·빼K뻐-F 그FE ,l,ll’‘’‘’ ’’!’’’’’ ’ 5 /’' ’’ J’’ 뇨-핀”나때(rp\1:f 1JI -망 K ‘ 4필?·川?·뻐κ뻐(명 m맏버댄깎V’*패rw내
(Sta l ag mitic Crust) 이 내 의 로 펼쳐 져 있었다. 그것은 동굴 바닥까지 내려갔다. 입구의 굳은 종유석충 (Hard crust) 아래의 약 lm 두께 되 는 곳에 화석을 포함한 딱딱한 황색퇴적을 발굴하였다. 종유석충 아래에 깊이 약 1m 되는 텅 빈 공간이 있었는데 그 아래 에 화석 퇴적물(그립 108 • 3) 이 있었고 그 내부에서 거원 제 1 下預骨 (아래턱)이 출토되었다. C 구역으로부터 동굴은 북쪽으로 완곡되었다. D 구역에서는 화석이 적고 일부분의 퇴적물(그림 108· 1) 이 있었다. c 구역에서 E 구역으로 가는 방향은 서북쪽인데 그곳에서 화석이 많이 출토되었다(그림 108 • 2). C 구역의 퇴적물은 약 lm 두께로 종유석의 평탄총으로 덮여 있었 다. 퇴적물은 각력암, 붉은 황색의 모래질 점토, 그 사이에 석회암편 개재, 그리고 그 밑으로 황색 모래질 진흙이 있고 그 사이에 붉은색 점토의 小球가 있었다. 거기에서 거원의 제 2 와 제 3 의 아래턱이 출 토되었다. 퇴적물의 최하층은 윗부분이 자홍색 모래질 토양 그리고 그 아래는 붉은 점토인데 화석은 없었다. C 구역의 퇴적물 입장에서 보면 최하층 생성시에는 동굴 입구가 밀 폐되었고, 온난하고 습윤한 기후에서 자홍색 토양이 생성되었다. 그 러나 물이 유입되자 상부에 모래충이 생겼다. 그 후에 동굴 내에 유 수가 점점 많아지고 대량의 황색 진흙모래가 동굴 내에 반입되면서 小帖土球를 형성시켰다. 퇴적 내의 분석에 의하면 거원동굴의 생성시기는 지질 제 3 기가 된 다. 그리고 전기홍적세에 퇴적작용이 시작되었으며 동굴 입구는 밀폐 되었다. 당시 기후가 온난하고 습윤하기 때문에 석회암의 풍화작용이 심하여 자홍색의 점토를 생성시켰다. 그리고 얼마 후에 물이 유입되 어 동굴 바닥상의 종유석을 平板으로 생성시켰다. 그 후에 동굴 입구가 확대되고 동굴 밖의 물질이 동굴 내로 진입되 어 퇴적되었다. 그러한 예로서 동굴 내에 살던 筋猪 (H y s t r i x sp. ) , 하 이에나 (H y aena sp. ) 등도 발견되었다. 동물화석에 의하면 당시의 기 후가 온난하고 습윤하였다. 종합하면 거원동굴 내의 퇴적물은 하나의 지질연대를 나타내어 준 다. 죽 동굴 내 퇴적물은 일개 시간단위 내에서 퇴적된 것이다. 그래 서 그 시기는 전기홍적세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82)
화남지구의 元謀人, 馬增人, 資陽人, 柳江人, 謨麟山人, 宣良 등의 유적을 살펴보겠다. 화남지구에서 雲南지구가 비교적 연구가 찰되어 다음과 같은 표를 제 시 하여 주고 있다(표 9)83). 2 元謀人유적 1965 년 중국 지질과학원에서 成昆철도 건설계획을 위하여 지질학자 둘이 雲南省 元謀분지에 대한 제 4 기 지질과 지진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질학자들이 화석퇴적지 부근에서 소를 방목하는 노인에게 龍骨이 있는 장소를 문의하자 노인은 九龍口에 있다고 알려주었다. 九龍口는 현재 의 那持村 溝 口 이 다. 그곳은 元謀縣城 (북위 25°38' 동경 101 5 8') 에 서 동남 방향으로 5km 의 지점이다. 노인이 지적한 那持村에서 대량 의 동물화석(龍骨)이 발견되었다. 龍骨은표.유동물 화석으로 중국에 서 오래전부터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元謀분지는 전체 1,000m 이상의 두께를 가전 각종 제 4 기 퇴적물 로 구성되었다. 그 분지 내의 元謀系H 는 695m 의 두께를 가전 河湖相 沈積物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침적물의 특징, 화분분석과 포유 동물 화석의 종합적 검토 결과 모두 28 층으로 구분되었다• 그것은 또 한 크게 4 단으로 나누어졌다. 하에서 상으로, 제 1 단은 1~4 층, 제 2 단은 5~17 층, 제 3 단은 18~23 층, 제 4 단은 24~28 층 등이다. 元謀 人의 이 빨은 元謀충 바닥상의 약 600m 에 있는 제 4 단의 25 층에서 발 견되었다. 그 25 층은 다시 4 개 부분으로 나누어졌다. 바닥은 갈황색, 황색 고운 모래가 섞인 아점토, 하부는 갈색 점토로 이 충에서 元謀 人의 이빨이 발견되었다. 중간 부분은 모래가 섞인 자갈층, 윗부분은 황갈색의 고운 모래가 섞인 아점토이다. 元謀충 제 4 단에서 발견된 포유동물 화석은 리쌍하이에나 (H y aena Lice nti ), 泥河灣 劍齒虎 (Meg a nte r on Ni ho wannensis ) , 운 남 말 (Eq u us Yunnanensis ) , 瓜 瓜 水 (Nesto r ith e riu r n) , 중국코뿔소 (Rhin o ceros Sin e nsis ) , 山 西 사슴 (Axis Shansiu s ), 못생긴사슴 (Ax i s Rug o sus), 스텔리사슴 (Cervus Ste h li ni) , 호 수 큰 고 라 니 (Munti ac us Lacustr i s ) , 최 초 고 라 니 (Procap r eolus Ste n osis ) 등 29 종이다. 그 동물들은 모두 사멸되었다.
古地磁方法 (Paleoma gn e ti c t es t)으로 전체 元謀組 지충을 측정한 결 과 대략 150 士 10 만년에서 310 士 10 만년까지 산출되었다. 元謀人화석 충위는 170 土 10 만년이 산출되었다. 화분분석에 의하면 元謀組 제 2 단에는 대량의 아열대 포자화분이 있었다. 제 3 단의 아래 죽 가장 저부의 제 1 층에서 위로 약 450m 충 위까지는 포자화분이 대단히 영세하였다. 그것은 기후가 갑자기 한랭 해진 것을 나타내어 준다. 450m 이상은 다시 식물이 나타났지만 열 대나 아열대의 성분은 현저히 감소되었다. 죽 수생식물은 대량으로 사라지고 반대로 낙영송, 紫杉, 소나무속, 벚나무과와 버드나무속아 출현하였다. 그것은 기후가 비교적 서늘한 것을 나타내어 준다. 제 4 단에 이르러서는 화분아 영세하다. 元謀人 화석충의 포자화분구성은 초목식물 40%, 소나무속이 33%, 떡갈나무속이 13% 를 차지하고 있 다. 이러한 현상은 당시의 기온이 계속 하강한 것을 설명하여 준다. 자연경관은 당시의 기후가 현재보다 서늘하여 산 언덕과 평원에 잡초 가 무성하였다는 것을 표명하여 주었다. 그 중에는 화분과, 명아주과 와 쑥속 등이 있었고, 물가에는 상당수의 침엽수와 활엽수가 성장하 였다. 그곳에서는 비단사슴, 말, 코뿔소와 코끼리가 생활하였을 뿐만 아니라 元謀人도 살고 있었다. 元謀분지의 1,000m 두께 이상 되는 각종 제 4 기퇴적물 중에 빙하되 적물도 발견되었다.元謀組 상면의 부정합된 곳에 4 차 빙하와 3 차 간 빙기가 덮여 있었다. 특별한 것은 元謀組의 하부에 빙되석 (氷碩)-빙 수퇴적, 죽 龍川빙하기가 , 퇴적된 것이 확인되었다. 중국 제 4 기지질 에서 발견된 가장 이른 1 차 빙하기는 현생인류 기원 문제상 대단히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170 만년 전의 元謀人은 두 개의 앞니 (門齒)에게 부여된 명칭이다. 두 개의 앞니는 중앙 윗앞니로서 하나는 왼쪽, 다른 하나는 오른쪽으 로 성인의 이빨들이다. 齒冠은 찰 보존되었고, 齒根은 조금 깨졌다. 이빨 표면은 얇은 회색이고 石化 정도가 심하며 이빨상에 많은 균열 이 생겼고, 그 사이에 갈색 점토가 끼여 있었다. 이빨은 대단히 크고 육중하다. 입술을 향한 쪽은 편편하고 혀를 향한 쪽은 대단히 복잡하 다. 그렇게 크고 육중한 앞니는 현인 중에는 없다. 그것은 대단히 오 래된 성질이다. 인류학자 胡承志는 그 두 개의 앞니가 북경원인의 것
과 유사하다고 주장하였다. 북경인의 것 역시 대단히 크고 육중하며 그 구조도 대단히 복잡하다. 그러나 그것들 사이에는 다른 면이 있 다. 元謀人 앞니의 絶緣이 넓고, 바닥은 수축되었다. 혀 쪽 또는 입 술쪽에서 보면 이의 윤곽이 삼각형인데 북경인의 것은 거의 방형이 다. 주의할 가치가 있는 것은 앞니의 혀 쪽이 모두 움푹 파진 삽 (shovel-sha p e) 형이다. 북경인 역시 삽형의 앞니를 가졌다. 미국 인 류학자 바이덴라이히 (F. We i denre ic h) 는 1930 년대에 북경인의 치아 연 구에서 북경인과 현 몽고인종은 관계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삽형의 윗앞니는 몽고인종 중에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삽형 윗앞니를 가전 몽고인 남녀 양성은 9 1. 5% 를 차지한다. 중국인 남성 은 89.6%, 여성은 94.2% 를 차지한다. 에스키모 남녀 양성 중 삽형 을 가전 사람은 84 . 0% 를 차지하고 있다. 흑인종과 백인종은 그것을 가진 비율이 상당히 적다. 아메리카의 흑인 중에 남성이 12.5%, 여 성이 11 .6 %, 아메리카 백인 중에 남성 9.0%, 여성 7.8% 를 차지하
그림 109 元謀人 산지 출토 긁개 ( X 2/3)
고 있다. 삽형의 앞니는 중국 인류화석 중에 두드러진 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것은 대단히 홍미롭다. 元謀人의 이빨이 발견된 충위에서 소량의 석기와 대량의 뜬 숯 (C i nder) 이 출토되었다. 석기는 석영과 석영암제 긁개 3 점(그림 109), 석핵 1 점, 석편 1 점 과 첨두기 1 점 등이다. 賈蘭坡는 그것들이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석기 라고 주장하고 있다. 뜬 숯 (C i nder) 은 자연적인 화재의 소산인가 또는 인간의 고의적인 것인가 등의 의문을 제시하면서, 賈 蘭坡는 周口店 제 1 지접에서도 재 와 탄 뼈가 출토되었고, 公王嶺 藍田人유적에서도 숯편이 출토되고, 또한 약 100 만년으로 추산되는 西侯度에서도 탄 뼈 (Charred bones) 가 출토된 것은 元謀人도 이미 불을 사용하였을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보 고 있다 .85) 元謀人 유적 에 대 한 고지 자측정 방법 (Palaeomagn e ti c tes t) 으로 170 만년이 산출되었다. 그런데 다른 학자가 약 700,000 년이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어서 명확한 연대는 장래의 연구에 기대하여야겠다 .85) 3 船西 觀音洞유적 貴州 뿜西縣 沙井 觀音洞은 長江 이남지역에서 가장 큰 전기구석기 시대의 동굴유적이다 . 약 90m 의 동굴 내부에 되적층이 동굴 입구에 서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점접 얇아졌다. 동굴입구에서 안쪽으로 약 50m 지점은 동굴 자체가 넓어지며 그곳에 석물과 동물화석이 포함된 두꺼운 퇴적층이 있었다. 발굴은 1964, 1965, 1972 와 1973 년 4 차에 걸쳐 실시되었다. 석물은 3,000 여 점, 포유동물 화석은 20 여 종이다. 충위는 9 층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1 층 : 표토, 흑색 사질토, 두께 15~70cm. 2 층 : 홍토충, 상부 색깔은 전하고 하부는 가벼운 황색이 댜 동 물 화 석 은 중 국 코 뿔 소 (Rhin o ceros Sin e nsis Owen) , 검 치 상 (Ste g o don sp. ) 등이다. 두께 40~240cm. 3 층 : 갈황 • 회황색 사질토, 회색 암괴와 각력 섞이다. 소량의 석기 존재, 두께 30~160cm. 4 층 : 갈홍, 홍황색 사질토, 화석 과 석 기 출토, 두께 90~ 150cm. 5 층 : 회색 사질토, 화석과 석기 출토, 두께 10~15cm. 6 층 : 4 층과 동
일. 화석과 석기가 4 총보다 많다. 두께 20~60cm. 7 충 : 회황색, 잡 색 사질투 화석과 석기 출토, 두께 15~75cm. 8 충 : 황색 잡색의 거 친 모래, 각력, 소량의 화석과 석기 출토, 두께 15~50cm. 9 총 : 거 천 모래 • 자갈과 점토 혼합총, 두께 450cm. 바닥 보이 지 않음. 퇴적층은 표토충을 제의하고 크게 三組로 나누고 있다. A 組(제 2 충) : 퇴적물은 홍색, B 組 (3 충 ~8 층) : 廣西 동굴 중의 황색퇴적에 속 함, C 組 (9 층) 등이 다. 동 물 화 석 : 중 국 달 팽 이 (Eulota (Cath a ic a) sp. ) , 거 북 이 과 (Tes- tud in i d a e ind et. ) , 큰원숭이 (Macaca sp. ) , 두더 지 (Hy st r i x cf. S ubcris- tat a Swi nh oe) , 대 나무쥐 (Rhiz o my s cf. S in e nsis Gray) , 이 리 (Vulpe s cf. Vulga ris L.) , 고 겐 씨 곰 (Ursus Thib e ta n us Kokeni M. et G.) , 大 態 猫 (Ai lu rop o da Melanoleuca Foveali s M. et G.) , 족 제 비 과 (Muste l i da e icnfd. eT t. i) g , ri최s L후.)하 , 이 *에 나齒 (象Cr 科oc uta (G Uolmtipm h a o tMh ea rtisi du am eo to in) d, e호t.) 랑, 이東 (方P a웠n l jt 齒h e r象a (Ste g o don cf. Orie n ta l i s O wen) , 貴 州劍齒虎 (Ste g o don Guiz h ouensis Li et Wen sp. nov.) , 말 (Eq u us sp. ) , 巨 模 (Meg a ta p iru s aug u stu s M. et G.) , 중 국 코 뿔 소 (Rhin o ceros Sin e nsis Owen) , 멧 돼 지 (Sus cf. S crofa L.) , 고라니 (Munti ac us sp. ) , 사슴 (Cervus (cf. Pseudaxis ) sp. ) , 물사슴 (Rusa sp. ) , 소아과 (Bovid a e) , 수마트라영 양 (Capr ic o mi s Sumatr ae nsis Bechste i n ) 등이 다. 86) 석기의 석재는 遂石이 대부분이다. 석편 제거방법은 직접타법 위주 이며 약간의 모루상타격법(迎站法)도 있다. 석편과 석핵의 형상이 대 부분 불규칙하지만 상당수는 일정한 사다리꼴과 삼각형 석편이다. 제 2 차가공은 대부분 삭박면 가장자리에 처리하여 물고기 비늘형태를 만들었다. 제 2 차가공된 1 , 500 여 점의 석기 중 80% 가 긁개이며 기타 는 밀개, 단_양면기, 주먹도끼상의 단―양면기, 첨두기 그리고 조각 기 등이다(그립 110). 觀音洞문화는 전기구석기시대에 속하며 四川 銅梁西廊水庫에서 발 견된 석기와 일정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87) 觀音洞 문화를 조금 더 확실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雄魚橋문화와 비교하여 살 펴보자. 觀音洞유적에서 동남 방향으로 152km 지점에 貴陽市가 있다. 그
3
곳에서 4 차의 발굴 (1964 년 ~1973 년)을 통하여 석기 3,000 여 점, 포유 동물 화석 20 여 점이 발견되었다. 지충, 고생물과 석기에 근거하여 전기구석기시대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 시기는 또한 이 른 시기와 늦은 시기의 두 시기로 구분된다. 이른 시기는 북경원인보다 약간 빠르고 늦은 시기는 북경원인시대 에 상당한다고 보고 있다. 그러한 자료는 화남의 광대한 지구 구석기 시대 문화의 기원과 발전을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雜魚橋유적은 四川省 資陽縣 小院地區 同心公社四大除 1 小除에 위 치하고 있다. 1973 년 이래 이 일대를 수차 조사하여 동일 성질의 구 석기 지점을 상당수 발견하였다. 1980 년말부터 1981 년초까지 雄魚橋 유적을 정식 발굴하였다. 석기 63 점, 포유동물 화석 4 종과 대량의 식 물표본과 완전한 충위자료를 얻어서 雄魚橋문화라고 불렀다. 식물표 본의 C 연대측정 결과 B.C . 25100 土 100 년, 후기구석기시대가 산출되 었다. 雄魚橋 후기구석기시대 문화의 발견은 四川 구석기시대 문화의 내
용이 풍부함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문제를 제시하여 주고 있 다. 죽 그 문화는 어느 곳에서 왔느냐 하는 문제이다. 그 문화가 四 川 기타 구석기 문화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하는 문제로 대두되고 있 다. 蝶魚橋문화 銅梁문화와 富 林문화 88) 사이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 다. 또한 그것들은 동일유형 문화가 아니라고 보고 있다. 다만 雄魚 橋문화는 觀 音 洞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觀 音 洞과 雜魚橋유적의 거리는 대단히 멀리 떨어져 있고, 두 문화의 시대 차이가 상당히 크다. 전자는 전기구석기시대 문화이고, 후자는 후기구석기시대에 속한다. 觀 音 洞문화의 특칭은 석핵에서 직접 석편을 떼어내었다는 점이다. 죽 소수의 석핵과 석편상의 타격면이 준비되었다. 소수 석편상에 모 루상타격법의 특징이 있다. 대부분 석핵과 석편의 형상은 불규칙적이 다. 몇 편의 석편은 삼각형 또는 樣形이고 긴 석편은 드물다. 제 2 가 공도 돌마치로 직접 하여 그 흔적 ?l 깊고, 날이 일정하지 않다. 석기 상에는 대부분 단면가공을 하였었는데 그것은 삭박면(背面) 위주였 다. 부분적으로 교차타격한 것도 있다. 그러한 석기는 긁개 위주이고 그것은 전체의 80% 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이 밀개, 단―양면기, 첨두기, 오목긁개와 조각기 등이다. 석 기의 절대 부분이 석편제이다. 석핵과 석괴로 만든 것은 소수이다. 석기의 형상은 불규칙하다. 雄 魚橋문화의 특징도 역석자연면을 타격면으로 삼은 것이다. 준비 된 타격면을 가진 것은 드물다. 석편을 떼어낼 때 돌마치를 직접 사 용하였다. 그래서 석핵과 석편은 불규칙하다. 그러나 소량의 장석편 도 있다. 석핵은 단순(유일)타격면 위주이다. 때로 2 개의 타격떤울 가진 것도 있다. 제 2 차가공시 돌마치를 직접 사용하였다. 석편의 일 면가공, 교차타격과 대칭타격도 있다. 그 문화는 첨두기 위주이다. 그 의 긁개, 단-양면기와 조각기 등 이 있다. 대부분 석기는 석편제이다. 소수의 석기가 석괴 또는 석핵 제이다. 석기형상은 불규칙하다. 이상 두 문화의 특징을 통하여 두 문화가 대동소이함을 발견하게 되었다. 관음동 석기의 석재는 수석 위주인데 灰岩, 細小沙岩, 火成 岩 등도 사용되었다. 雄魚橋의 석재는 鐵質石英岩 위주이다. 그 의
석영암과 수석도 있다. 석핵상에서 타격면을 준비하지 않고 직접 석편을 떼어내었다. 단, 소수의 석핵과 석편상에 타격면을 준비한 흔적이 있다. 그것이 두 문 화의 공통점이다. 석편을 떼어낼 때 두 문화 모두 돌마치를 사용하였 다. 觀音洞문화에서는 모루상타격법이 사용되었다. 두 문화의 석핵과 석편은 그 형상이 불규칙하다. 그리고 모두 소량의 長石片을 가졌다. 석편석기는 일반적으로 그것들의 넓이가 길이보다 크다 . 그러한 석편 이 두 문화의 공동특칭이다. 觀音洞의 석기는 1 개 타격면, 2 개 타격 면과 여러 개 타격면을 가전 것으로 구별된다. 雄魚橋문화에서는 단 지 단순 (1 개)타격면과 2 개 타격면 석핵이 존재하고 다(여러 개)타격면 석핵은 없었다. 대부분 석기는 돌마치로 직접 제 2 차가공하여 만들었 다. 제 2 차가공한 흔적은 상당히 깊고 날이 고르지 못하다. 제 2 차가 공시 일면만 가공하였는데 그것은 벽개면에서 삭박면 방향으로 처리 되었다. 소수가 교차 또는 대칭으로 처리되었다. 석기의 유형상 觀音洞문화는 긁개 위주이고 雄魚橋문화는 첨두기 위주이다. 觀音洞문화에는 그 의에도 밀개와 오목긁개가 있다. 외형 적인 입장에서 관찰하면 두 문화 사이에 차이가 상당히 크지만 실제 로는 그렇지 않다. 구석기 유형 분류에 대한 표준이 중국에는 아직 없다. 그래서 동일유형의 석기, 심지어 동일한 석기에 대해서도 학자 마다 그들에 대한 명칭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觀音洞문화와 雄魚橋 문화의 석기에 대한 유형 분류도 같은 문제에 봉착한다고 보고 있다. 예를 들면 雄魚橋문화의 석기(그립 111 • 10) 는 긁개라고 칭하고 그립 79 • 9 는 첨두기라고 칭하고 있다. 그러나 觀音洞문화 중 위에서 말한 2 류 석기는 三섰긁개 (그림 111 • 1,2,3) 라고 칭하고 있다.:거느 학자는 위에서 말한 석기를 모두 四邊긁개라고 칭하고 있다. 다시 예를 들면 雄魚橋의 첨두기 2 류 b 式(그림 111 • 12) 은 觀音洞문화 내에서 원형긁 개 (盤狀利削꼽 그립 111 • 5) 라고 칭하고 있다. 雄魚橋의 긴 첨두기 (그 립 111 • 13) 는 觀音洞문화에 서 건 긁개 (그립 111 • 6) 라고 칭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대단히 많아서 일일이 예거가 불가능하다. 그 러나 이 兩種 문화가 실질적으로 동일유형 석기라는 것을 발견하기는 어렵지 않다. 이 의 에 雄魚橋문화 중의 긁개 (그림 111 • 10 , 14) 와 觀音洞문화 내 의
蝶區魚福二文化
三섰굵개(그림 111 • 1,2,3) 는 유사하고, 전자의 첨두기 2 류 C 式(그림 111 • 11) 과 후자의 첨두기 (111 • 4) 와는 동류로 볼 수 있다. 觀音洞문화는 煙魚稿문화보다 몇십만년 이론 시기이다. 觀音洞 유 적은 동굴 유적이고, 雄魚橋유적은 야의 (經魚橋iiiJ의 1 급대지상) 유적 이다. 종합하면 觀音洞문화와 煙魚橋문화는 석기 제작기술이 기본적으로 동일하고, 석기의 유형과 형식에 많은 일치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四川 資陽 經魚橋문화는 貨州 麥西縣 觀音洞문화에서 발전된 한 가지 로 판단되고 있다. 89) 중국 구석기고고학자 자신들이 인정하고 있는 바와 같이 구석기유 형학에 대한 관심의 소홀 때문에 위에서 말한 내용의 평가를 장래의 연구에 기대할 방법 외에 다른 길이 없다.
제 7 장 華南의 중기구석기시대 문화 馬場유적 1958 년 6 월 일꾼들이 廣東省 馬場마을에 있는 〈사자계 곡〉의 석 회 석 동굴에 서 자연적 인 비료 (eng rai s n atu r els) 를 채 취 하다가 사람 두개 골 1 개 와 동물화석 , 하이 에 나, 곰, 거 대 한 곰 (Ail ur op o da) , 범 (Felis ) , 호랑이 (Tig ris) , 模 (Tap iru s) , 코뿔소 (Rhin o ceros) , 멧 돼 지 (Sus) , 큰 사 슴 (Cervus) , 소 (Bos) , 豪 猪 (Hy s tr i x ) , 나 마 象 (Paleoloxdon Namadie u s), 들토끼 (Lep u s), 큰곰 (S t e g odon) 등을 발견하였다. 두개골은 하나의 커다란 2 편의 이마뼈로서 노정골과 완전한 코뼈, 그리고 右眼子 L 이 상당히 잘 보존되어 있었다. 이 두개골은 많은 검은 반점과 엷은 회황색으로 얼룩져 있었고, 봉합점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 두개골은 현생인류보다 더욱 발달되었다. 그것은 바이덴라이히의 면밀한 연구 결과 원시안의 봉합점이 현생인류보다 더 뚜렷하다고 판 명된 데서 비롯된다. 머리 관절돌기부는 육중하지 않으나 두개골 전 체가 상당히 강하게 보임은 성별이 남성임을 명시한다(그립 112). 수 직으로 보면 두개골은 타원형이고 관자놀이의 선은 명백하지 않다. 그리고 노정골 좌우의 구멍이 없다. 측면에서 보면 두개골은 북경원인과 자바원인의 것보다 크나 이마
v -리’ , .. - ?? -2 L
\G 戶 c그m림 11Y2 馬增人x 두 개 골 。P ‘ -2 , -2 ’ , ’ / ’ ',I,\\','二 。 는체 는내 상려당앉히았 으돌며기 되자었바다원.인 右처럼觀 骨윗 돌미기간가이 보매존우되 깊었다는.데 그上러眼나孔 미 環간狀,' 線전 르로었에다다 .솟.이 아르측馬나러면增왔 에다人이.서의마 ―보두두胡면개개蝶 골골骨코 은-과형 이 태중접마는간,해 에 네 이있안활었마데다모_.르양턱 는탈 주과冠 인上위 狀과이―에울 마서乳같 ―가 頭고.눈지突 평물북고起행구경 궁멍冠있원륭의는狀인선 데線과을봉 는합북쪽,,'이 접경으다루 을 식별할 수 있고 면상에서 보면 머리며과원 인미寫은간를 그 환자것상연이과스 없 럽코다게.의 접또윗합 부上시분眼키이孔고 쉽環있게狀다 .이구 별이현된러저다한하. 여 것 상은북안 경공북원 경환인원상과인이 에유 서사매', 는하우 · 두껍고 앞과 측면으로 현저하게 돌기되었다. 그것의 윗면은 이마麟片 발견되지 않았다. 네안데르탈인의 冠狀線년 은 자바원인과 북경원인보다 두껍다. 바이덴라이히는 자바원인과 북경원인 안공 주위의 내부는 거의 일 칙선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네안데르탈인의 것은 전방으로 솟아나고 굴곡되었다. 馬增人의 안공위 주위의 내부는 자바와 북경원인 것과는 달리 솟아나왔다. 이러한 관점에서 馬增人은 자바―북경원 인과 네안데르탈인의 매개인으로서 현생인류에 근접된다고 보고 있 다. 하부를 제의한 오른쪽 눈 주위가 보존되었는데 眼形은 둥글어 네안 데르탈인과 같으나 자바-북경원인과는 다르다. 오른쪽 눈의 길이는 44. 3m m, 그 높이는 39mm 이다. 안계지수는 88.0 으로 중류에 속한 다. 북경원인의 눈구멍 길이는 44mm, 그 높이는 36mm 이고, 안계지 수는 81 . 9 로 중두이 다. 馬增人의 눈구멍 사이의 너비는 20.8mm 로 현생인류보다 크다. 그 리고 자바원인처럼 馬增人에게도 눈물구멍은 없다. 코부분과 이마뼈 의 모든 봉합점은 분류되었고, 턱과 눈물선은 거의 갇은 높이에 있 다. 이러한 점은 북경원인, 자바원인, 로데지아인과 같다. 그러나 유 럽의 네안데르탈인들의 코―이마 봉합접은 궁륭형이다. 마파인은 미간에서 鼻骨까지의 선이 13mm 로 자바원인 (평균 17 mm) 의 것보다 짧다. 북경원인의 것은 자바원인 것보다 3,4 배 짧다. 콧동은 가볍게 파져 있다. 안공 위 冠狀은 측면으로 돌출되었고 관자 놀이 뒤 구멍은 안공 후면과 상당히 깊게 접근되었다. 좌우 눈구멍은 中隔에 의해 분리되었는데 상당히 두껍다. 눈구멍의 크기는 이마벽과 일치한다. 오른쪽 눈구멍의 넓이는 26mm, 왼쪽은 21mm 이고, 오른 쪽 눈구멍의 너비는 16mm, 왼쪽은 10mm 이며 오른쪽 눈구멍의 최대 높이는 24mm 인데 왼쪽도 마찬가지다. 자바원인은 각 열에 넓은 이 마의 눈구멍 하나씩 中 F 룹과 같은 것을 가졌다. 그러나 구멍은 안공 사이 부분에만 있었는데 북경원인처럼 안공의 영역을 측면으로 발전 시키지 못하였다. 馬增人의 노정골의 두께는 7mm 이고 자바원인의 것은 평균 9.4 mm, 북경원인은 16.4mm 이다. 이마뼈의 봉합선의 길이는 115.6 mm, 활모양의 길이는 134.0mm, 이마뼈의 선―시상의 지수는 86.3 이고 북경원인은 89.9, 현생인류는 85.7 이다. 이와 같이 마파인의 이 마는 현생인류보다 돌기되었다. 마파인의 노정골 선은 길이가 107 mm 이고 활모양은 114mm, 지수는 93.9 이다. 북경원인의 지수는 94.3 이고 현생인류의 것은 89.7 이다. 마파인의 노정골은 북경원인과 현생인류의 중간이다.
마파인의 前頂의 위치는 현생인류의 것보다 뒤에 있다. 마파인의 중간 봉합 호상의 길이는 377mm, 그러 나 이 마의 활모양은 133mm 이다. 네안데르탈인의 몇 개 두개골의 전정 위치는 현생인류보다 뒤 에 있다. 그리고 북경원인의 것은 네안데르탈인보다 뒤에 있다. 마파 인 두개골의 종단면에 의하면 후두부의 봉합선은 87.2mm 이다. 그 활모양은 109.9mm 이다. 북경원인의 후두부의 지수는 72. 1, 현생인 류의 것은 82.8 이다. 이 점에 의해서도 마파인의 두개골은 북경원인 과 현생인류의 매개인이다. 이마 瞬片은 이마돌기 아래서는 사라졌고 반대로 현생인류는 분리되지 않았다. 腦膜動脈의 흔적은 분명하다. 두개골 종단면얘 의한 두개골 높이의 지수, 전정 위치의 지수전정의 각과 이마 각의 측정에 의하면 네안데르탈인에 속한다. 두개골과 동 반된 동물화석에 근거하여 시기를 중기홍적세 또는 후기홍적세초로 보고 있다. 이로 인하여 마파인은 후기홍적세초 즉 중기구석기시대인 으로 간주하고 있다. 90)
제 8 장 華南의 후기구석기시대 문화 1 四川 資陽人유적 1951 년 四川省 資陽 黃 峰溪 (R i ver) 위에 橋梁을 설치할 때 많은 포 유동물 화석이 발견되었다. 그곳의 정식발굴은 1951 년 9 월 27 일 시작되었다. 먼저 黃慧橋 一號 激(받침대)의 서쪽에 15X7 . lm2 의 구덩이 하나와 다리 동쪽에 13.7X 7 . 3m2 의 또 하나의 긴 구덩이를 설정하여 발굴하였다. 사람 두개골 은 -號橋激과 동쪽 구덩이 중간에서 발견되었다(그립 113). 같은 해 10 월 30 일 발굴이 종료될 때 다리 에서 동쪽으로 480m2 토 량과 다리 서쪽의 590m 떡 토량을 합하여 모두 1070m2 의 토량을 파 내었다. 발굴지점은 成i兪 鐵路 資陽驛 서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곳은 資 陽 縣城에서 2 . 5km 의 거리이며 黃緖江의 南岸에 있다. 黃峰溪의 大 橋 橋基롤 파다가 깊이 약 7~8m 에서 나무와 동물뼈를 발견하게 되 어 다시 채집과 발굴작업이 진행되었다. 資陽 縣城에서 남쪽으로 약 1.5km 거리에 동남과 서북 방향의 天 台山이 있고 북쪽에 동서 방향의 北嶽山이 있으며 城의 남쪽은 泥江 이고 黃緖溪河는 서북에서 이 두 산 사이로 흘러들어 하나의 소평원
^- \黃 4t 을® 이麟一루0 鬪 고 있다. 걸그河m림流 는11 3 이 四 川소 평資성연안숑원陽 상발을굴훑 지우역회 하평면여도 資陽城 동남쪽 약 S ® 麟발굴지역 1.5k2m 층 거: 리회에황 색있 는점 토沈 (江Gr과a y 합cl류ay된) 魯다평.균 약 lm 두께. 대량의 부식된 충위 단면 (그립 114) 은 상에서 하로 다음과 같다• 1 층 : 홍황색 점 토 (Yellowi sh red clay) 평 균 6cm 두께 . 유기물 포함. 3 층 : 모래 와 소역 석 충 (Sands and Pebbles) 약 1 ~ 1. 5m 두께 . 이 층은 상하 부분으로 나뉜다. 상 , 모래 많고 자갈 적다. 나뭇잎과 나무줄기 보존상태 양호하다. 약간의 동물뼈가 양호한 상태로 보존 되었다. 인두개골이 출토되었다. 하, 모래 적고 자갈(小礎石)이 많 다. 동물뼈가 출토되었다. 4 층 : 큰 역 석층 (Gravels) , 화석 없다. 충위가 4 층으로 분류되 지 만 각층 중간에 명백한 한계가 없다. 좀더 구체적으로 논하면 상부 는 점토, 하부는 모래, 다시 그 아래에 작은 자갈, 다시 그 밀에
A
큰 자갈이 있고 모래는 접점 사라져서 . 맨 아래충 4 층에는 모래가 거의 없고 모두 큰 자갈이다. 이러한 현상은 하나의 계통 죽 하나 의資 陽연 속黃된緖 溪지에질서현 상채이집다된. 동물화석은 2 개의 부동한 시기의 동물군으
로 나누어진다. 늦은 시기의 동물군 : 현생인류 (Homo Sap ien s), 말 (Eq uu s sp .) , 고라니 (Munt iac us cf. R eevesi) , 사향노루 (Moschus sp .) . 털코끼 리 (Mammuth u s Prim i ge niu s ). 이 른 시 기 의 동물군 : 코뿔소 (Rkhin o ceros cf. Sin e nsis ) , 적 록 (Cervus (Rusa) Unic o lor) , 東方劍齒象 (St eg o clon Orie n t a li s) 등이 다. 다만 하이에나 (H y aenas p.), 범 (Fe li sT igri s) 筋猪와 대나무쥐 (Hy s tr i x and Rhiz o my s ) , 멧 돼 지 (Sus sp .) , 稿牛 (Bibo s Gaums) 등은 어느 동물군에 속하는지 감정하지 못하였다. 아마 2 개 동물군 중에 모두 있는 것 갇다. 코뿔소, 적록과 검치성의 동물군은 華南(江南)동굴 중의 성성이 (Pong o) , 큰곰 (Ai lur op o da) , 검 치 상동물군과 같은 시 대 에 속한다. 특 히 四川 鹽井溝의 동물군과 더불어 지질시대가 같은 중기홍적세에 속 한다고 할 수 있다. 늦은 시기(홍적세 후기)에 속하는 현생인류, 고라니와 옛코끼리 동 물군은 아마 화남에서 분포된 또 다른 일종으로 그 분포범위가 상당 히 넓다. 그러나 현재는 그러한 동물군이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지 질, 충위와 고생물의 종합 관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중기홍적세에 成漁鐵路 黃緖溪大橋 부근에 있는 黃緖溪 의 하류는 대단한 급류로서 河灘上에 거대한 자갈충(제 4 층)을 이루 었다. 이때 양쪽 제방에 나무가 자라고 沼澤低濕의 초지에는 코뿔소, 검치상과 적록 등이 서식하였다. ® 후기홍적세에 黃緖溪 河流가 완 만하게 우회하면서 서서히 흘러서 작은 자갈과 모래를 퇴적시켰고 양 쪽 제방에 옛코끼리, 사향노루와 사람 (Homo Sa pi ens) 이 생활하였다. 그것들의 유해와 과거 하탄상의 퇴적물은 작은 자갈과 모래와 혼합되 어 제 3 층을 이루었다. ® 후에 하류의 우회가 더욱 완만하고 완곡이 크고, 흐르는 속도가 감소되 어 옛날 河灘上에 수목과 수초가 자라고 홍수기간에 수목이 물에 쓸려 진흙모래와 혼합되어 제 2 층을 이루었 다. ® 마지막에 하류의 우회가 더욱 느려(완만하여)졌고 당 지역의 기후 역시 건조하여 양쪽 제방에 1 층의 상당히 두꺼운 홍황색 점토를 이루었다. ® 현재에 이르러 黃緖溪의 하류가 더욱 우회되어 하수가 상당히 깊고, 이 지역의 각 층위를 퇴적시켜 그리 높지 않은 단애를 이룬 것이 발견된다.
資陽人 두개골화석은 1951 년 성두철로 건설시 노동자들에 의해 四 川 資陽縣黃珪溪 橋基 근처에서 포유동물 화석과 함께 출토되었다. 資陽人 두개골의 천정은 거의 완전하다. 정수리뼈도 완전하다. 이 마뼈는 眼腐 부분을 제의하고 거의 보존되었다. 후두골은 後頭骨 大 孔後綠 앞의 부분이 결손되었다. 왼편 側頭骨은 維體部의 頂端이 약 간 결손되었고 蝶形骨 左側의 大翼은 그것의 밀부분을 제의하고 대부 분 보존되었다. 기타 右側 頭骨, 蝶形 左側 大翼 이의의 부분은 , 모두 떨어져 나갔다. 面骨은 대부분 결손되었다. 다만 上預骨體의 일부분과 齒權와 腸骨 및 腸骨 의 수평부가 남아 있어 완정한 骨性硬預을 이루었다. 上預의 齒牙는 모두 탈락되었는데 다만 왼쪽 제 2 앞어금니의 齒根이 齒窓內 에 보존되었다. 各齒寫의 외벽은 제 2 앞어금니와 오른쪽 제 2 • 3 두 어금니 의에 나머지는 모두 파열되었다. 鼻骨은 다만 鼻根의 국소 일 부분만 남아 있다. 두개골의 최대 길이 169.3mm, 넓이 131.1mm, 두개골 지수 77.4 로서 中頭型 (Mesocran y)에 속한다. 이마 능선상에서 수평의 머리둘 레 (頭周)는 473mm 이다. 현대인의 평균보다 작다. 자양인의 耳高 (auric u la he ig h t)는 110mm, 높너비지수는 84.0 이며 현대인 두골의 높너비지수는 평균 85 . 3(75.6~93.2) 으로서 자양인의 두개골은 현대 인보다 낮다. 그러나 이 두개골은 현대인의 변이범위 내에 있다(그림 115). 자양인 두개골은 작고 그 표면은 매끈하며, 이마는 잘 발달되었다. 정수리와 이마결절 (Par i en t al and Fronta l Tuberos iti es) 은 대단히 돌기 되어 여성이라는 것을 나타내어 준다. 이로 인해서 자양인은 50 세 이 상인 여성으로 확인되었다. 顧蓋骨지수 (Ca i var i al heig h t ind ex), 정수리지수, 정수리각과 이마 각의 수치로 판단하면 자양인은 현생인종 (Homo Sapi en s Sa pi ens) 의 이른 유형으로 유럽의 크로마뇽인과 周口店 山頂洞 A 보다 이른 시기 의 사람이다. 자양인 두개골은 한편 산정동인의 제 101 호와 103 호 두개골과 유사 하다. 예를 들면 넓고 깊은 前鼻窓, 失狀崎의 돌기, 失狀緖 양측의 정수리뼈가 상당히 편평한 것, 그리고 코가 상당히 높고 좁은 것 등
v
이다. 또 다른 한편 자양인 두개골은 중국원인과 유사한 성질이 있 다. 예를 들면 失狀崎 (sa gittal crest) , 角圓杭(t orus ang u li air s ) 그리고 眼窓根이 납작한 점과 잘 발달된 관절결절을 갖추었으며, 後―關節窓 突起가 없는 접둘이다. 다시 말하면 자양인, 산정동인과 북경원인은 일정한 관계를 가전 것을 나타내어 준다. 資陽人 上預骨의 齒檀突起에 그가 생전에 대단한 만성 골수염 또는 만성 牙檀限種에 걸렸다는 것이 나타나고 있어 齒痛의 역사에 대한 자료도 제공하여 준다 .91) 2 昆明里貢 龍潭山 제 2 지점 雲南昆明市 里貢縣 大漁區에 위치하고 있는 龍潭山은 하나의 고립
된 산으로 동서길이 0.3km, 납북길이 0.4km, 해발 1941m 이다. 지 리좌표는 동경 102'49', 북위 24°49' 이다. 시굴된 단면은 다음과 같 다. 1 층 : 갈색 표토, 두께 약 lm. 2 층 : 갈색 사질 접토충, 석기와 화석두께 약 1m. 3 층 : 석탄화충, 굵은 모래 섞임, 두께 약 0.3m. 4 충 : 갈색 사질 점토층으로 상하로 분리됨, ® 下部에 길이 2m, 넓이 0.2~1m, 두께 O.Olm 의 灰土, ® 점토충, 상하에 모두 탄 뼈, 석기 와 화석 출토, 두께 약 2m. 2 층과 4 층 출토 동물화석 은 중국코뿔소 (Rh i noceros Sin e nsis ) , 소 (Bovid a e, et sp. ind et. ) , 사슴 (Cervus sp. ) , 멧 돼 지 (Sus sp. ) 등이 다. 연 대는 북경대 고고학과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실험실에서 B.P . 30,500 士 800 년으로 계산되었다. 시료는 숯과 탄 뼈를 4 층 ®에서 채 취한 것이다. 인류화석으로 한 개의 왼쪽 아래턱 어금니가 발견되었다. 석물은 모두 107 점으로 그 중에서 석핵은 3 점, 인공이 가해전 석편 이 57 점, 석기는 9 점이다. 석재는 석영암, 규질암, 화성암과 사암 등 이다. 석핵은 3 점인데, 암편석핵, 다면체석핵과 稷上의 타격면석핵(有背 台面石核)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것들의 크기는 각각 84X46X50, 55X42X33, 69X62X27mm 이다. 석핵상의 타격면 가장자리는 어느 것은 굴절되고 어느 것은 일직선이다. 타격각은 석편석핵이 90°, 다 면석핵이 80°, 능상타격면 석핵이 75•~100· 사이이다. 타격법은 직접 타격법을 사용하였다. 석편은 57 점으로 길이가 넓이보다 큰 것이 25 점, 길이가 넓이보다 작은 것이 32 점이다. 제일 긴 것과 넓은 것은 89mm 와 91mm 이며, 제일 작은 것의 길이와 넓이는 26 과 28mm 이다. 보통은 30~38mm 와 30~60mm 사이이다. 37 점의 석편타격면은 자연타격면이고 18 점 은 준비된 타격면이며, 1 점만이 稷(背)上 타격면을 가졌다. 타격면은 일반적으로 모두 작다. 타격각은 18 점 중 제일 작은 것이 95', 제일 큰 것이 129° 이며, 보통은 100·~115° 사이이다. 타격접은 일반적으로 뚜렷하고, 원뿔도 명백하다. 석기 9 점은 전체 석물 중 0.8% 를 차지하며, 그것들은 단-양면기 와 긁개로 분류된다. 단-양면기는 모두 4 점이며 모두 석편제이다.
그 중 1 점의 크기는 72X61X30mm 이다. 타격면은 뚜렷하지 않다. 삭박면에 지연면이 일부 남아 있다. 굵개는 모두 5 점, 날은 볼록, 대패형, 원형 등이다. 볼록긁개 1 점 의 크기는 54X54X22mm 이다. 삭박면의 일변에 제 2 차가공을 하였 고, 그 위에 자연면이 많이 남아 있다. 타격면은 자연타격면을 가졌 다. 벽개면상의 원뿔은 명백하고, 타격각은 115° 이다. 날각은 65° 이 다. 중국 구석기고고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단면기 (Cho pp er) 와 양면기 (Cho ppi n g-t ool) 를 분류하지 않고 欲硏器로 표현하고 긁개와 밀개도 턴消 l j器로 부르고 있다. 1 점은 밀개이다. 삼각형 규질암제의 석편상의 원단 (d i s t al) 부근에 제 2 차가공을 하였다. 날각은 60°~70° 사이이다. 종합하면 석기는 모두 직접타법에 의해서 제작되었다. 석기 수량은 많지 않다. 원 보고자들이 분류한 석편제 단면기도 작은 도끼 (Cleaver) 또는 긁개로 분류되 어 야 한다. 도면상의 단면기 는 단면기 로 보기가 대단히 어렵다. 이 유적의 석기 제작방법은 후기구석기시대의 水洞溝와 접근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c1 ◄ 측정에 의하면 B.P. 30,500 土 800 년이 계산되고 있다 .92) 3 柳江유적 1958 년 9 월 중순 중국 남쪽 廣東省 柳江地域의 東泉동굴에서 사람 들이 인산석회를 채취하다가 사람 두개골을 발견하였다. 동굴은 柳州 의 동남쪽으로 16km 의 지점에 있었다. 두개골편과 같이 나온 동물화석은 큰곰 (A i luro p oda Melanoleucus), 豪猪 (Hy st r ix ) , 코뿔소 (Rhin o ceros Sin e nsis ) , 東 方 劍 齒 象 (St eg o don Orie n ta li s) , 巨模 (Meg a ta p iru s) , 멧 돼 지 (Sus) , 곰 (Ursus) 등이 라는 것 이 裵文中에 의해 판명되었다. 석물은 없었다. 두개골은 콘곰의 머리와 함께 동굴 입구에서 발견되었고 동굴의 퇴 적물은 석회암, 각력암, 모래와 회갈색 점토로 구성되었으며 두개골
은 각력암 속에 박혀 있었다. 재미있는 현상은 중국 남쪽에 있어 제 4 기 동안에 사람은 언제나 큰곰과 같이 있었다는 것이다. 두개골은 거의 완전하게 보존되어 있었으며 아래턱이 없다. 4 개의 흉곽뼈도 발 견되었다. 腦部의 척추뼈 5 개가 仙骨에 부착되어 있었는데 뼈색은 회 백색이었다. 두개골의 모든 봉합점은 거의 접합되었고, 치아들이 많 이 사용된 것으로 보아 40 살쯤 되어 보인다. 두개골은 상당히 크고 눈두덩도 상당히 크며 이마는 뒤로 벗겨졌고 미간은 두텁다. 이마와 노정골의 융기는 표시되지 않았고 관상돌기는 희미하며 유양돌기는 육중하여 남성의 것으로 보인다. 또 척추는 상당히 작고, 선골 가운 데가 넓으며 상면부분이 가볍게 휘어져 이 선골도 역시 남성의 것으 로보인다. 膜骨부분이 상당히 넓지만 움푹 파여져 있고 대되골의 여러 편은 가늘다. 척추와 골반이 두개골과 같이 발견되었는데 색과 화석화 정 도가 아주 유사하여 한 사람의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두개골은 상면에서 보면 타원형이고 노정골과 이마의 융기는 현저 하지 않다. 두개골의 정상은 건축의 합각머리처럼 생기지 않았고 후 두부는 납작하다. 유양 돌기는 축소되고 오른쪽만이 젖꼭지 모양으로 남아 있다. 두개골의 길이는 189.3mm, 나비는 142.2mm 이며 머리 의 지수는 中類이다. 基底點(후두부 주위점)-前項(前項骨과 활모양 봉 합점의 교차점)의 높이는 134.2mm 로서 보통(중간)이고 이마궁의 길이 는 136.5mm 이다. 이 柳江人의 전정은 지금사람보다 뒤쪽에 있다. 柳江人의 머리높이지수는 42.9 이고 그의 전정은 44.2, 전정의 각 은 45·, 그리고 이마각은 76.5° 이다. 얼굴 부분은 아주 특색이 있어 크며 (兩顧骨의 너비 136. 0m m), 길이는 짧다(윗얼굴높이 65.9mm). 眼 弓이 넓고 낮으며 안공의 나비는 왼쪽이 42. 0m m, 오른쪽이 43.1mm 이다. 눈의 지수는 왼쪽이 68.3, 오른쪽이 63.7 이다. 眼角이 무디고 지금의 몽고인처럼 안공이 동그랗지 않다. 두 안공의 너비는 98.8mm 로서 지금의 중국인(남성, 96 . 1mm) 보다 넓고 이마의 지수는 15.7 이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유강인은 몽고인 과 오스트레일리아인-혹인 사이의 중개인이다. 코는 낮고 넓으며 코의 길이는 45.8mm, 코의 옆길이는 26.8mm 이 고, 코의 지 수는 58 . 5 로 낮은 코 (Chamaerhin i e n s) 계 동에 속한다. 몽
고인의 코뼈는 일반적으로 대단히 납작하고 코뿌리도 납작하다. 콧등 도 낮고 코의 옆모습은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鼻骨의 침하의 결핍은 몽고인의 특징이다. 송곳니 구멍의 흔적은 없고 위턱은 상당히 넓고 돌출되었으나 현몽 고인만큼 돌출하지는 않았다. 또 齒櫓의 돌출은 정상이며, 口蓋의 크 기도 정상이고 짧고 넓으며 깊이 피겨서 U 형태를 이루었다. 구개가 짧기 때문에 3 번째 어금니가 생길 수 없었다. 치아의 크기는 지금 사 람과 갇고 오른쪽 앞니는 삽 모양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柳江人의 지수는 山項洞人보다 작으나 북경원인보다는 크다. 결과 적으로 유강인의 두개골, 4 개의 마지막 흉곽뼈, 5 개의 腹部뼈, 하나 의 선골, 골반의 오른쪽편과 대되골의 2 편은 찰 보존되었다. 柳江人 은 오스트레일리아인-흑인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중 국 황토시기에 속한다. 유감스러운 것은 유강유적의 충위를 구분하지 못한 것이다 .93) 4 lit麟山유적 1959 년 중국 남쪽 광서성 來賓지구 기린산 동굴에서 하나의 사람 두개골, 3 점의 석물, 사슴 (Cervus) 과 돼지 (Sus) 등의 치아 2 점과 다 량의 조개껍질이 발견되었다. 동굴은 약 7m 의 깊이이며, 퇴적은 2 층으로 구분되었다(그립 116). 상충은 황회색의 각력암으로 밀에는 석순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곳에 서 사람뼈가 출토되었다. 하층은 홍점토, 숯과 탄 뼈와 재가 있었다. 상충에서 1 점의 석영제 단면기(그림 117) 와 2 점의 석편이 출토되었 다. 두개골은 하나의 커다란 위턱편과 하나의 구개, 우권골과 후두부를 가지고 있었다. 이 3 점은 결합되어 있지 않았고, 가볍게 화석화되었 으며, 색은 회색을 나타내고 있었다. 치아는 많이 사용되었고, 두개 골 껍질은 거칠었다. 이것은 남자 노인임을 표시하여 준다. 위턱과 구개는 잘 보존되었다. 구개는 높고 위턱의 구멍은 코부분보다 아주 낮다. 이것은 지금 사람을 나타내는 것 갇다. 코부분은 평등하고 송
。 2m
그림 117 謨麟山 출토 단면기
곳니의 구멍은 조금 깊다. 송곳니의 돌기는 현저하나 齒檀의 돌기는 경미하다. 口蓋는 U 형이고 윗면은 지금 사람처럼 까칠까칠하다. 모 든 치아는 많이 사용되었고 어금니의 冠狀은 직사각형이다. 후두부의 비늘 부분, 왼쪽 뼈 끝의 둥근 돌기(ff), 왼쪽 기초골이 찰 보존되었다. 뒷머리호 길이(후두부의 맨 밀 끝점)는 약 121mm, 그 의 선 (corde) 은 101mm, 지수는 83.5 인데 지금 사람의 평균 후두부 지수는 82.8 이므로 기린산인의 후두부선은 지금 사람과 아주 가깝다. 후두부 윗면의 활모양은 길이가 70mm, 반대로 아래는 51mm 이며 지 금 사람의 경우도 윗면은 아랫부보다 아주 길다. 후두부의 내부 윗면 이 깊게 파져·있다. 그것은 4 개의 구멍이 십자처럼 이루어졌기 때문 에 서로 나누어져 있다. 윗면 구멍은 아주 작고 깊은데 하부는 상당 히 넓다. 십자의 표시는 좌우가 높은데 그것은 지금 사람도 마찬가지 이며 후두부의 내부돌기는 의부의 선과 일치한다. 그러나 棋麟山人의 두개골은 현생인류의 형에 속함이 분명하며 동 물화석과 지층이 그것을 찰 설명하여 주고 있다. 또 코가 넓고 광대 뼈가 편평함은 지금 몽고인과 너무도 흡사하다. 지금 몽고인의 광대 뼈는 모두 돌출되었고 습관적으로 코부분 근처에 하나의 구멍(fo sse) 이 있다. 다시 말하면 隸麟山人은 전정한 몽고인은 아니지만 몽고인 계통이 중국 남쪽에도 이전되었다는 것을 설명하여 주고 있다 .94) 5 雲南 宜良유적 1961 년 1 월말 중국과학원 고척추동물과 고안류 연구소 연구원들이 雲南 동부 曲靖專正에서 제 3 기 지층과 척추동물 화석을 조사할 때 宜 良縣 板橋河 연안의 3 곳(그림 118) 에서 인공이 가해진 석물이 발견되 었다. 그곳은 雲南省 경내에서 최초로 발견된 확실한 구석기시대 유 적이 되었다. 운남 宜良에서 석물이 발견된 세 장소는 路南山;中, 板橋 安仁材, 板橋白 石嶺 등이다. 路南山沖은 구 路南縣성에서 서북쪽으로 약 1 km 의 거리에 있는 山}中村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곳에서 인공이 가해전 석편이 여러 점 채집되었다. 그 석편의 출토지는 제 3 급 계지
樣街
(그립 119) 에 해당된다. 그 석편들은 제 4 기 퇴적물 가장자리에서 채 집되었지만 원래는 제 4 기 퇴적물 내에 있었던 것이 확실하다. 板橋 安仁村은 宜良縣 板橋衛 安仁村(원래 董家項) 부근의 板橋iiiJ에서 남쪽 으로 약 5km 지점에 있다. 그곳에서 약 20 여 편의 석물이 채집되었 다. 모두 점신세 (O lig ocene) 의 白色 泥質灰岩上에서 채집되었다. 그 부근에 두께 약 lm 되는 제 4 기 퇴적물이 있는데 그것은 부근 강 수 면으로부터 10m 의 높이이다. 그것은 그림 119 의 제 2 급 계지에 해당 된다. 板橋 白石嶺은 板橋衛에서 남쪽으로 약 1.5km 거리의 산 언 덕에 위치하고 있다. 그곳은 板橋 河面으로부터 25~30m 의 높이이
2o1o- O
鄕 e
다. 그곳의 침식면상에 두께 lm 를 초과하지 못하는 제 4 기 퇴적물이 있다 . 소량의 석물이 퇴적물 부근의 침식면상에 채집되었다. 宜良 3 곳에서 채집된 석물은 비록 지표채집되었지만 모두 제 4 기 퇴적물 내에 있었던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白石嶺과 山沖의 제 4 기 퇴적물은 리스 (R i ss) 에 생성되었고, 安仁 村부근의 것은 뷔름 (W ti rm) 기에 생성되었다. 석기의 유형과 제작기술은 후기구석기시대에 해당된다. 석재는 玉 隨와 遂石이다 .95) 1961 년 1 월의 宜良조사에 이어서 동년 3 월에 의량현 경내를 조사하 여 4 곳의 석기 출토지를 발견하였다. 그곳은 靑山口, 小野馬伴, 亂石 溝와 羊角基(그립 120) 등이다. 석재는 옥수와 수석 그리고 소량의 석영과 석영사암이다. 석기는 석핵 7 점, 석편 73 점, 첨두기 1 점, 밀개 10 점 등 모두 91 점 이다. 석핵(그림 121) 상에 석편을 떼어낸 흔적은 그리 크지 않고 길 이와 너비가 거의 같다. 타격점은 집중되었다. 타격면과 벽개면 사이 의 교각(타격각)은 모두 90° 보다 작으며 75° 정도가 가장 많다. 결정면 의 입장에서 보면 모두 직접타법에 의해서 석편을 떼어내었다. 크기 는 최대가 10cm, 최소 4cm, 보통 6~8cm 이다. 석편(그림 122) 의 크 기는 최대 7cm, 보통 5~6cm, 최소 2~2.5cm 이다. 석편각은 큰 것
그림 121 雲南 宜良 小野馬伴에서 채집된 석핵(原大)
eJc
이 go· , 보통 102~105° 이며, 115· 정도가 가장 많다. 타격점은 뚜렷 하고 원뿔은 상당히 작고 돌출되었는데 간혹 2 개의 원뿔울 가진 석편 도 있다. 제 2 가공한 석기는 많지 않다 . 석물 중 12 점으로 전체의 13% 를 차지한다.
그림 123 雲南 宜良 石溝에서 채집된 첨두기
모든 석기는 석편으로 제작되었다. 유형은 첨두기, 긁개 등이며, 주먹도끼 ( 石 芹)와 양면기는 1 점도 없다. 첨두기 (그림 123) 1 점과 배형 긁개(그림 124) 등은 두꺼운 석편으로 만들어졌다. 석기가 발견된 높 은 계지, 제 3 급 계지, 제 2 급 계지로부터 제 1 급 지상에 이르기까지 신석기시대의 석기나 토기편은 한 점도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한 석 기들은 유럽 구석기시대 중 후기의 것들과 유사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래서 裵 文中 • 周明鎭 등은 의량 출토 석기를 중기 또는 후기구석기 시대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하였다 .96) 필자는 의량 출토 석기는 후기구석기시대말에 해당된다고 본다. 이 유는 석기 중에 밀개 (End - Scra p er) 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 다.
그림 124 雲 南 宜良 小野馬伴에서 채집된 굵개 (X1/1)
6 貴川 普定 白岩脚 동굴유적 白岩脚 구석기시대 동굴유적은 貴 川省 普定縣에서 서남 방향으로 약 9km 의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유적은 1978 년에 발견되었고, 그 다음해와 1982 년, 1984 년 등 3 차에 걸쳐 발굴되 었다. 유물로는 석물 1 , 000 여 점, 동물화석 22 점, 골기 2 점이 출토되었다. 동물화석은 큰 곰-검 치 상동물군 (Ai lur op o da-Ste g o don) 에 속한다.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에 의하면 그것은 B. P. 12,080±200 년(제 3 층)과 B. P. 14,430 士 200 년(제 5 층)으로 추정된다. 동굴퇴적 白岩脚 동굴은 貴川省 普定縣에서 서남 방향으로 약 9k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그곳은 貨陽市에서 142km 이다. 그 지리좌표 는 동경 105'41 ', 북위 260'15' 정도이다. 해발 128m 이며, 동굴바닥 은 근처의 木洪江 하상으로부터 약 40m 이다. 동굴되적은 상에서 하로 8 층으로 구분되고 있다. 1 층 : 흑색, 혹갈색 고운 사질 점토, 두께 4~16cm, 석물, 동물화 석과 자기편 혼합. 2 층 : 회색, 회갈색 고운 모래, 두께 18~50cm, 석물, 동물화석과 근대잡물 혼합. 3 층 : 풍화각력과 회갈색 고운 모래질 점토, 두께 22~45cm, 검치 상, 大熊猫 석물과 골편 그리고 불에 탄 뼈. 4 층 : 재 (灰) 충, 두께 14~ 24cm, 석 물과 동물화석 . 5 층 : 갈색 고운 모래질 점토, 두께 30~70cm, 석물과 동물화석. 6 충 : 재충, 두께 8~15cm, 석물과 동물화석. 7 층 : 갈색, 혹갈색 모래질 점토, 두께 4~14cm, 소량 석제품과 동 물화석. 8 층 : 황색 점토, 두께 60cm, 바닥 보이지 않음. 동물화석. 이 유적 출토의 동물화석은 심하게 분쇄되어 완정한 것이 드물다. 8 층 출토의 동물화석은 다음과 같다. 새 앙 쥐 과 (Soric ida e ind et. ) , 박 쥐 (Hi ppo sid e dros sp. ) , 큰 원 숭 이 (Macaca sp. ) , 대 나무쥐 (Rhiz o my s sp. ) , 검 은쥐 (Ratt us Ratt us L.) , 두 더지 (Hy st r i x sp. ), 고겐씨곰 (Ursus Thib e ta n us Kokeni M. et G.), 족제 비 과 (Muste l i da e ind et.) , 최 후 하 이 에 나 (Crocuta Ultim a Mastu m oto ) , 호랑이 (Panth e ra Ti gris L.) , 동방검 치 상 (Ste g o don Orie n ta l i s O wen) , 巨猿 (Meg a ta p i ru s Aug us tu s M. et G.) , 중국코뿔소 (Rhin o ceros Sin e nsis Owen) , 멧 돼 지 (Sus sp. ) , 고라니 (Munti ac us sp. ) , 사슴 (Cervus sp) , 산 양亞科 (Capr i n a e ind et. ) , 소亞科 (Bovid a e ind et. ) . 제 3 층에 서 7 층까지 의 동물화석은 큰원숭이 (Macaca sp. ) , 대 나무 쥐 (Rhiz o my s sp .} , 두 더 지 (Hy s tr ix sp .) , 大 熊 猫 (Ai lur op o da Melanoleuca Foveali s M . et G.) , 너 구 리 (Arto n y x sp .) , 劍齒象
p(Sri tne ag eo dinodn e stp. ). ,) , 소亞멧 科돼 지(B (oSvu i ds asep . i)n ,d et사. ) 슴 등 이다(C.e rvus sp. ) , 산양亞科 (Ca- 유물은 석물, 불에 탄 뼈와 재 등이다. 관찰된 석물은 모두 1576 접 이다. 석재는 수석, 규질회암, 수정, 회암, 사암과 석영 등이다. 그 중에 서 수석과 규질회암이 가장 많다. 석영은 대부분 맥석영이다. 석핵은 모두 80 점으로 크기와 너비는 4~8cm 이다. 양국석핵도 1 점 있다. 석 편은 모두 960 점으로 석물 전체의 60.91% 를 차지하고 있다. 대부분 길이와 너비가 2~5cm 정도이다. 타격면은 자연타격면이 대부분이 다. 원뿔은 융기되지 않았다. 융기된 것은 드물다. 석편각은 80° ~130° 사이이다. 삭박면은 자연면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것과 부분적 으로 남은 것, 그리고 자연면을 모두 제거한 것 등 3 종류이다. 石葉 (첨두기)은 14 점으로 그 석편의 길이는 너비의 2 배이다. 길이는 2~3 에서 6~7cm 정도이다. 세석영 (소형첨두기) (그립 126) 이 8 접으로 길이 는 너비의 2 배이다. 너비는 1.2cm 가 못 된다. 의형은 불규칙하고, 상당히 두꺼운 것도 있다. 단―양면기 47 점은 역석제 37 점, 석괴제 6 점이다. 길이는 4~12cm 사이이다. 그 중에서 7~8cm 가 제일 많다. 긁개는 400 점으로 석물의 1/4 을 차지한다. 2/3 가 여러가지 석편으로 만들어졌고, 1/3 이 절단된 석편(t ronca t ure) 으로 제작되었다. 긁개의 크기는 1~10cm 사이이다. 가장 많은 것이 2~7cm 사이이다. 긁개 는 일변긁개, 양변긁개, 삼변긁개와 다변긁개 등 4 종류이다(그립 125). 긁개는 또한 수직, 볼록, 오목, 세로날 등으로 다양하다. 칼 2 점 , 밀개 (端利器) 4 점 , 3 점 이 삭박면의 遠端 (dis t a l ) 부분에 제 2 차가공 울 하였고, 1 접이 벽개면(破裂面)의 원단을 가공하였다. 첨두기 20 접, 크기는 1~5cm 로 다양하며, 그 중에서 2~3cm 가 가장 많다. 조 각기는 5 점이다. 이 유적의 동물군은 大熊猫-劍齒象동물군에 속한다. 제 3 층의 방 사성탄소 연대측정은 B.P . 12,080 士 200 년 또는 11,740 士 200 년으로 산 출되었다. 이 유적은 후기구석기시대 말기에 속하며 문화는 貴川 興義의 猫猫 洞穴, 普定寫동굴, 水城 砲灰洞穴 등과 상당히 접근되고 있다 .97)
二『`\:노 ;' 1 \{ A/,11 /,II1‘mm_ 0乙 1 2an
드c m I-
7 麗江 木家橋유적 1984 년 봄 雲南省 麗江 細西族 自 治縣 金山公社淡西大除木家橋 화 석지점에서 16 점의 석기를 발견하였다. 麗江 木家橋지점은 麗江縣城에서 남동으로 28°, 縣城 중심으로부터 약 11km 이며, 田心村에서 남동으로 80°, 약 200m 의 潔弓江 兩岸에
위치하고 있다. 지리좌표는 북위 26°47'03 , 동경 100 ° 16'52 이다. 淡 弓江의 되적단면은 하수면에서 3.5m 높이이다. 1 층 : 고운 모래 질 점토, 두께 0.2~0.3 m . 2 층 : 모래 자갈충, 두께 0.5~3m. 3 층 : 점토, 두께 2.6m. 2 층 모래 자갈충에서 검치상 (S t e g odon sp. ) , 象類 (Eleph anto i d s ) , 코뿔소 (Rhin o ceros sp. ) , 꽃사슴 (Cervus Nip po n) , 운 남축록 (Ax i s Yunnanensis ) , 물소 (Bubalus Bubalus), 楊牛 (B i bos Gaur-us) 등의 화석이 출토되었다. 이 중에서 검치상은 후기홍적세에 소멸 되었고 기타는 모두 현생종이다. 전체 16 점의 석물 중 14 점을 살펴보면 석핵, 석편, 긁개, 단―양면 기와 사냥돌(石球) 등이다. 석핵 2 점, 하나는 석회암제의 석핵으로 크기는 52.3X73.9X62.2mm, 무게 349 g이다. 타격점은 집중되었고, 타격각은 약 go· , 석편 흔적은 넓고 깊지 않다. 하나는 갈색의 수석 제로서 크기는 55.7X101.9X82.3mm, 무게는 522 g이다. 타격점은 뚜렷하지만 산만하고, 타격각은 so·~90° 이며 석편 흔적은 넓고 깊지 않다. 길이는 30~40mm, 너비는 40~50mm 이다. 이 석기들은 특징 이 없고 중국 구석기시대 유적에서 흔히 출토되는 것둘이다. 석편은 4 점이며 석재는 옹회암, 수석, 현무암 등이다. 제일 큰 석 편의 크기는 128.2X172.8X42.4mm 이며, 무게는 962 g이다. 삭박면 에는 자연면이 남아 있다. 타격접은 파괴되고, 벽개면상 방사선은 뚜 렷하다. 그 의 3 점은 비교적 작다. 긁개 2 점은 수석과 석영암제로서 한 점은 일면의 벽개면에서 삭박면 방향으로 제 2 차가공하고, 다른 면은 삭박면에서 벽개면 방향으로 제 2 차가공하였다. 다른 한 점은 크기가 46.lX32 . 2X15.4mm 이며, 무게는 17 g이다. 단면기 1 점은 혹 색 역석제이다. 크기는 78.6x66. 5X 38.3mm, 무게 240 g이다. 석구 (사냥돌, bollas) 5 점, 둥근 강자갈(역석)로 만들었다. 그 중 두 접은 상당히 세련된 가공법으로 만들어졌다. 종합하면, 木家橋 지점, 죽 麗江 화석지점에서 모두 28 점의 석물, 죽 석핵 8 점, 석편 5 점, 긁개 2 점, 단면기 1 점, 석구 10 점 등이 발견 되었다. 사냥돌(石球)은 藍田 稷水溝, 梁山, 區河, 許家察, 西桑子, 丁村, 下川, 河南 三門峽,廟后山, 鎭厚紗溝, 姜家灣 및 黃土梁, 劉家1G' 뽑川 東溝, 合志溝와 南裕溝 등에서 발견되었다. 사냥돌은 구석기시
대 전기 • 중기 • 후기의 유적 등에서 모두 출토되었다 .98) 발표자는 木家橋의 연대까지는 발표하지 않았지만, 동물화석과 석 편, 긁개 등의 소형은 후기구석기시대로 평가할 수 있다고 본다 .
제 9 장 중석기시대 1 중석기시대 개관 중국의 중석기시대 유적은 구석기시대와 산석기시대 사이의 과도기 단계이다. 중석기시대 유적은 전국적 범위를 갖지 못하고 다만 황하 유역의 유적이 대표적으로 부상되고 있다. 그곳의 기본 특징은 고기 잡이 • 사냥생활을 한 것이다. 공구는 타제석기 위주였는데 간접타법 으로 만든 전형적 세석기가 유행하였다. 단 극소량의 마제석기도 있 었으나 토기는 아직 없었다. 중석기시대 유적 존재 문제는 1930 년대에 제시되었다. 1935 년 廣西 武鳴包橋, 色勳, 勝翔과 桂林 부근에서 4 곳의 동굴유적이 발견되었 다. 그 동굴에서 타제석기와 마제석기가 공존되었고, 동물도 현대의 種屬으로 시기는 중석기시대로 인정되었다. 그러나 그곳에서 연석과 유공자갈이 출토되어 그 시기는 늦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1949 년 이 후 江西 萬年仙人동굴, 廣西 桂林 甄皮岩유적 등에서 타제석기와 유 공자갈이 출토되었는데 그것들은 武鳴包橋 등의 것과 유사하며 토기 가 공존되어 소위 廣西의 중석기시대 유적은 아직 문제점으로 남아 있다. 흑룡강 하르빈 顧鄕屯과 내몽고 만주의 자라이놀 등 두 곳 유적에 서 후기흥적세의 동물화석과 인공유물이 출토되어 후기구석기시대로 인정받고 있지만, 유물 중에 전형적 세석기의 배형 석핵, 밀개, 원형
밀개, 뼈송곳, 뼈끌 등이 있었다. 후자 유적에서 세석기와 마제 돌마 치, 유공 사슴뿔마치 등이 있어서 시대가 비교적 늦은 것으로 판명되 었다. 그러나 공존된 동물화석은 충적세에 해당된다고 보는 견해가 제시되었고, 자라이놀에서는 사멸된 동물화석과 세석기가 공존되었으 나 토기를 동반하고 있기 때문에 시기가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顧鄕屯유적은 流 7k 에 의해서 운반된 것으로 보고 있다. 1933~34 년에 발굴된 周口店 山項洞人의 유적이 방사성탄소 연대측 정으로 B . C.8520 士 360 년(미교정)이 산출되어 중석기시대에 속하는 것 으로 보고 있기도 하다. 황하유역 중심의 화북지구에서는 전형적 세석기 유적으로 沙苑과 策井유적이 대표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沙苑유적은 陝西 大芬에 위치하고 있는데 1955~56 년 사이에 15 지점이 발견되었다. 당시에는 유물이 지표에서 채집되었고, 1980 년 재조사에서 충위단면이 확인되 었고, 그 충위 내에서 소량의 숯이 발견되었다. 그래서 퇴적은 충적 세에 속함이 확인되었다. 세석기로서 전형적 배형 석핵, 쐐기형 석 핵, 원추형 석핵 동과 소형의 밀개 및 정교한 석촉, 첨두기, 긁개 등 이 출토되었다(그림 127). 그래서 沙苑문화로 명명되었다. 靈井 유적 은 河南 許昌에서 서북방향으로 15k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1965 년 샘을 파던 도중 상당량의 석기가 채집되었다. 그 중에 쐐기형 석 핵, 원추형 석핵과 잎형 석기 등 전형적 세석기가 발견되었다. 그것 둘은 지표에서 10m 깊이의 모래충에서 출토되었다. 소량의 포유동물 화석도 동시에 채집되었으나 충위는 확실하지 않다. 그의 山西 秘水 下川유적과 河北 陽原 虎頭梁유적은 후기구석기시대 말기에 해당되는 데 전형적인 세석기를 포함하고 있었으나 동물화석은 공존되지 않았 다. 전자는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으로 가장 낮은 것이 14,000 년 정도, 후자 유적은 9,000 년 (미교정) 정도이다. 그래서 그것들의 하한 연대 는 중석기시대에 해당된다고 보고 있다. 황하 상류의 靑海省 貴南縣 拉乙亥유적은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으로 4,795 士 85 년(미교정)이 산출 되어 이미 신석기시대에 들어갔지만 그 유적에서는 중석기시대의 마 지막 면모가 나타나고 있다. 東北, 내몽고와 신강 등 북방 초원지대는 세석기의 주요한 분포지 구이다. 내몽고 海拉尔松山과 신강 哈密七角井 등에서 세석기의 배형
m9 2 )8J t0 6107 &13
석핵과 쐐기형 석핵 등 전형적 유물이 토기편 없이 출토되었다. 西藏高原에서도 세석기 유적이 발견되었다. 1966 년 서장 남쪽 晶拉 木에서 그곳의 유적이 확인되었다. 1976 년 서장 북쪽 申札 8 雙湖 등지 에서 18 곳이 확인되었다. 석핵은 쐐기형 의에 원추형, 각주형, 반원 추형과 기등형 및 斜面원추형 석핵 등이 출토되었다. 이상이 근래까지 조사된 세석기 분포지이다. 중국 중석기시대 세석 기의 전형적 석핵은 배형, 원추형, 쐐기형 등이며, 석편제는 잎형(石 葉) 석편 등이다. 그러나 전형적 유적과 계통적 발굴작업의 미비로 중석기시대의 성 격과 면모를 이해하기는 아직 시기상조이다. 세석기 제작은 간접타법이 기초로 되어 있다. 각종 석핵과 가늘고
좁고 긴 석기가 제작되었다. 그것들의 석기는 잎형 석편으로 제작되 었다. 세석기의 출현은 후기구석기시대에 시작되었다. 내몽고 사라―오소 _골, 山西 朔縣 時裕과 河南 安陽 小南海유적 등에서 출토된 석핵과 잎형 석편은 세석기의 祖型이다. 후기구석기시대 말기의 下川유적과 虎頭梁유적에서 전형적 세석기가 출토되었다. 특히 배형 福體석핵은 초기 세석기를 대표하는 전형적 유물이다. 沙苑, 靈井, 鳳凰嶺유적 등에서 대표적 세석기가 출토되었다. 그것들은 상기한 유적들과 계승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농업이 시작되면서 화북지구에 세석기가 서서히 사라졌다• 화남지구에서는 초기 신석기시대의 동굴유적에 타제석기가 원시성 울 가지고 출토되고 있기 때문에 중석기시대 단계와 구분하는 것은 장래의 연구에 기대할 수밖에 없다 .99) 구석기시대의 소석기와 중석기시대 문화 관계의 논문 100) 을 필자가 자세히 소개한 예가 있다. 참고하기 바란다. 2 河南 許昌 靈井 1965 년 河南 許昌 靈井에서 다량의 석물이 채집되었다. 靈井皆는 河南 許昌에서 서북쪽으로 약 15km 의 지점이며 북쪽으 로 황하가 약 100km 의 거 리 에 있다. 유물은 지표에서 10m 깊이의 회색의 고운 모래와 오렌지색 모래 내에서 출토되었다. 채집된 석물은 모두 1,535 점이다. 석재는 석영이 가장 많아 942 점 으로 전체의 69.9% 를 차지하고, 수석은 271 접, 각종 석영암은 98 접 이다. 기타는 42 점으로 편마암, 규질분 사암, 혈암과 경사암 등으로 3.1% 를 차지하였다. 靈井의 석물은 기본적으로 역석석기, 석편석기와 세석기로 나누어 졌다. 그 중에서 세석기가 가장 많다. 석기의 제작방법은 직접타법 (석편석기)과 간접타법(세석기) 그리고 소수의 모루상타격법도 있다• 석핵(그립 129) 은 원추상 석핵, 반원추상 석핵, 기등형 석핵, 편추
1스면《렵》E 619 1 14 2’0 2鬱 g嶋多61 急1112 쇼a 13 罰 탤712 處’22 4 . ' 51 3G 鬱@1 e
’ zo1O g`
상 석핵과 부채형 석핵 등으로 구분된다. 석편(그림 130 • 1~5) 은 대표적인 것이 112 점이다. 그것들은 대석편 35 점, 소형 긴 석편 77 점으로 구분된다. 역석 석기 (그립 128 • 2) 는 2 점으로 모두 석영암제이다. 그립 131 • 1 의 크기는 12.7X8.9X5.8cm 이다. 모두 단면기이다. 역석제 긁개 (그림 128 • 2,5) 도 3 점 있는데 모두 석영제이다. 석편석기는 모두 74 점으로 첨두기 (그립 128 • 4,5) 12 점, 조각기 (그 립 130 • 3,6) 4 점, 소형토끼 (그립 128 •_6 , 28) 2 점, 긁개 (그림 128) 56 접 등이다. 석기 중 긁개가 가장 많이 있다. 기타 뼈긁개 (그립 128 • 27) 1 점도 있다. 인류화석으로 歷骨 2 점이 출토되었다. 그것은 남성으로 추측되고
,42 ,’5 入
있다. 동물화석 은 18 종이 다. 꽃조개 (Lamp r atu l a sp. ) , 굴 (Ostr e a sp. ) , 아 세 아두꺼 비 (Bufo Bufo Asia t i cu s), 안더 슨타조 (S t ru t h i o Anderssoni) , 너 구리 (Meles sp. ) , 물소 (Bubalus sp. ) , 소속 (Bos sp. ) , 적 록 (Cervus Elaph u s) , 꽃사슴 (Cervus(Pseudaxis ) Hort ul orum) , 양 (Ovis sp. ) , 멧 돼 지 (Sus Seroba) , 털 코 뿔 소 (Coelodonta Anti gu it at i s) , 몽 고 야 생 마 (Eq u us Przewalsky i) , 당나귀 (Eq u us Hemi on us) , 말 (Eq u us sp. ) , 코끼 리 (Eleph as cf. l ndic u s) 등이 다. 安陽 小南海와 周口店 山項洞유적과 비교하면 靈井유적에서는 12 종 동물화석이 사멸종으로 전체의 16.7% 를 차지한다. 小南海 동물의 사 멸종은 30%, 山頂洞과 동종은 8 종으로 靈井 전체 동물의 50.8% 를 차지한다. 동물화석에 의하면 후기흥적세의 마지막 시기로 山頂洞과 대체적으로 일치한다. 종합하면 靈井의 석기는 山西 時裕유적의 것과 대단히 접근되는 것 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時裕과 다른 것은 靈井에서는 대형의 석편석 기, 세석기 문화 중의 표준 유물, 원추형 석핵, 연필끝형 석핵, 좁고 긴 소석편 등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또한 靈井의 상당수의 석기가 小 南海 것과 접근된다. 그러한 예가 역석에서 직접타법으로 석편을 떼 어낸 접이다.
2
靈井 유적의 연대는 동물화석, 석기 등에 의하면 후기구석기시대 마지막 시기에서 중석기시대로 넘어오는 과도기로 보고 있다 .101) 3 山西 蒲縣 薛關유적 山西 蒲縣 薛關의 세석기는 깔때기 석핵을 위주로 하고 있는 전형 적 세석기의 제작기술을 가지고 있다. 薛關 세석기 유적은 山西省 蒲縣 薛關村의 서쪽으로 약 1km 되는 지점의 B斤 7k iiiJ 左岸에 위치하고 있다. 지리좌표는 동경 nr, 북위 36°37' (그립 132) 이 다. 1964 년 중국과학원 古背椎動物과 고인류연구소의 周明鎭 교수 등이 蒲縣 薛關 후기홍적세 황토대에서 인공석편과 세석기를 발견하였다. 그들은 1979 년 7 월말에서 8 월초까지 시굴과 조사를 실시하고, 다음해 10 월에서 11 월까지 정식 발굴을 하였다. 전후 2 차에 걸쳐서 석물 4,777 점과 상당수의 포유동물을 발견하였다.
陝
석기를 출토시킨 斬水河 左岸 황토는 두께가 14.8m 이다. 충위단면 은 상에서 하로 다음과 같다. 1 층 : 표토충, 두께 0.2m. 2 층 : 회황색 고운 모래층, 얇은 자갈충 개재, 석기와 화석 출토, 화석은 말 (Equ us cf. P rzewalsky i) , 당나귀 (Eq u us Hemi on us) , 영 양 (Gazella sp. ) , 소 (Bos . sp. ), 사슴 (Cerrus sp. ), 타조 (S t ru t h i o sp. ) 등이다. 두께 5.9 m. 3 층 : 갈홍색, 담황색 모래 혼합총, 층리가 남에서 북으로 경사, 경사각 60~10°, 두께 7.2 m . 4 층 : 각력석충, 두께 1.5m. 석물, 석재는 避石, 석영암, 각하암 등이다. 석핵, 모두 240 점, 전체의 5.2% 를 차지한다. 이것은 6 종류로 나누 어진다. 模狀石核여기형 석핵), 모두 19 점, 석재는 수석제이다. 핵 자체는 가로가 넓고 편평하다. 타격면은 좁고 길다. 석핵 윤곽은 측 면에서 보면 扇形 또는 삼각형 (그립 133 • A) 이다. 설핵의 크기는 19X32X12mm( 그립 134) 이다. 보통 크기는 30X61X20~14.X 20X10 mm 사이이다. 배형석핵(船底形), 모두 53 점이다. 1 점은 각하암이고, 나머지는 수석이다. 핵 자체를 측면에서 보면 배형 또는 사다리형(桃 形)이다. 타격면은 벽개면 또는 자연타격면으로 대부분 타격면을 준 비하지 않았다. 윤곽은 타원형이다. 이것들의 크기는 12X24X10mm
8
노
가 많이 있다. 가장 큰 것은 27X58X28mm 이고, 가장 작은 것은 10Xl6X9mm 이다. 일부분의 것들이 下 )11 유적 출토의 것들과 같다. 반원추상석핵(半圓維狀石核), 모두 10 점으로 수석제이다. 의형은 원추 롤 절반 자론 것과 같다. 한 측면에서 細石葉을 떼어내었다. 다른 측 면은 자연면 또는 벽개면이다. 타격면은 등쪽으로 경사되었다. 석편 제거 흔적은 그 너비가 5mm 이다. 기타로서 깔대기형 석핵(漏斗狀石 核)이 수석제로서 4 접, 그리고 기타 석핵이 154 점이다. 석편, 모두 4,310 점으로 전체의 90% 를 차지한다. 석편은 3 종류로 구분된다. ® 細石葉, 모두 110 점, 수석제로서 타격면이 작고, 양측 이 평행하고 石葉의 背面에 보통 한 줄 또는 두 줄의 稷(育)이 있으 며 그 너비는 5mm 정도이다. 길이 너비 비율은 3 : 1~6 : 1 사이이 다. ® 보통석편, 570 점, 수석제가 70% 이상을 차지한다. 그 의는 석영암, 각하암 등이다. 타격점은 명백하다. 최대 타격각은 134°, 최 소는 90° 이며, 평균 109° 이다. 길이 너비 비율은 2 : 1 이다. ® 불규 칙 석편, 모두 3,630 점이다. 크기와 형상이 다르고 타격점은 뚜렷하 지 않다. 석기, 모두 227 점으로 전체의 4.8% 를 차지하며 석재는 遂石이 82%, 석영암이 14%, 기타가 4% 이다. 이 유적의 석기는 거의 다 작 다. 그 중 長軸이 2mm 되는 것이 51%, 21~40mm 가 27%, 41~70 mm 사이가 16%, 큰 것으로 71~100mm 사이가 5%, 100mm 이상 이 단 1 점이다. 석기는 대단히 정교하다. 긁개, 186 점, 석기 수의 83% 차지. 直섰긁개, 16 점으로 그 중에서 석영암은 8 점, 避石 7 점, 각하암 1 점 등이다. 제 2 가공은 건 석편은 일측 長邊에 그리고 넓은 것에는 원단 (d i s t al) 에 처리하였다. 그것은 벽개면에서 삭박면 방향으 로 처리하였다. 길이와 너비가 가장 큰 것은 85X44mm, 가장 적은 것은 28X22mm 이다. 50X30mm 의 길이와 너비롤 가전 것이 상당히 많다. 반월형 긁개 6 점, 그 중에서 4 점은 각하암, 2 접은 석영암이다. 대 형에 속한다. 석편의 한 변을 삭박면 방향으로 제 2 차가공하였다. 날 각은 60· 정도이며, 다른 한 변에는 자연면이 남아 있다(그림 135). 이것은 이 유적의 전형적 유물이다. 볼록긁개 12 접, 그 중 遂石 9 접, 석영암 3 접이다. 석편의 한 변을
i
볼록하게 제 2 가공하였다. 대칭되는 일변에는 자연면이 남아 있다. 가공방법은 삭박면 방향으로 일면을 가공한 것과 다론 하나는 양면을 가공한 것이다. 양면가공한 것은 날이 얇고 예리하다. 날각은 50· 이 다(그립 136). 다변긁개는 모두 9 점이다. 그 중 避石이 7 점, 석영암과 부하암은 각각 1 점이다. 2 점의 얇은 수석 의에 모두 삭박면 방향으로 제 2 가공 하였다. 기형은 작고, 불규칙하다. 각 유물은 모두 2 개 이상의 날을 가졌다. 그것들은 直if}., 볼록, 圓if}., 오목 등이다. 거북이등상 긁개 3 점, 그것들은 避石 2 점, 각하암 1 점이다. 가공방 법은 석편 주위를 삭박면 방향으로 제 2 가공하여 그 등(삭박면상)을
> 4
거북이등상으로 융기하게 만들었다. 수석제의 1 점은 날각이 45 ° 이다. 밀개 143 점, 기형이 작다. 대부분 석편 원단 (d i s t al) 부분을 벽개면 에서 삭박면 방향으로 두텁게 圓셨을 만들었다. 이 긁개는 일반적으 로 圓頭긁개라고 부른다. 첨두기 29 점, 기형이 일정하고 제 2 차가공이 정교하여 이 유적의 전형적 유물이 되었다. 모두 석편 장축 양측을 벽개면에서 삭박면 방 향으로 제 2 가공하였다. 원단 (d i s t al) 을 교차가공하여 三稷狀의 첨두 기를 만들었다. 첨단 양측의 협각은 최대가 10·, 작은 것이 43°, 평 균 58° 이다. 兩端첨두기 1 점 (그립 137) 은 석영암제로서 길이가 가장 큰 것 중의 하나이다. 삭박면 전체를 손질하였다. 일단은 예리하고, 다른 일단은 약간 무디다. 조각기 4 점, 모두 수석제이다. 먼저 석편 양측을 삭박면에서 손질 하여 뾰족하게 한 다음 첨단부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경사지게 두 편 의 小石葉(결정면)(그립 138·A) 을 떼어내었다. 다른 일단은 얇은데 그것은 造型美觀한 것으로 보인다.
무
I 忽
등칼 2 점, 모두 수석제이다. 한 접은 얇고 긴 석편(長石片)을 절단 한 후 일측을 제 2 가공하며 칼의 등(刀섰)으로 만들었다(그림 138 • B). 假주먹 도끼 (Ax-lik e Imp le ment) 1 접 , 灰綠岩片으로 제 작, 윤곽은 장방형이다. 석편의 주위를 따라서 제 2 가공하였다(그립 139). 길이 와 너비는 118X50mm 이고, 무게는 180 g이다. 기형은 신석기시대의 打製石芹와 동일하다. 돌마치(石鏡) 2 점, 모두 납작한 사암역석이다. 표면이 광택이 나 며, 무게 314 g이다. 礎石 양면에 타격을 가한 흔적이 보인다. 종합하면 薛關문화의 특징은 석기가 작고, 타격기술은 직접과 간접 의 두 가지롤 사용하였다. 각 석기는 단면가공 위주이다. 석기는 긁 개(밀개 포함), 첨두기 위주이다. 이 두 가지는 전체 석기의 96% 를 차지하고 있다. 기타는 조각기, 등칼, 가주먹도끼와 마치 등이다. 세 석핵은 쐐기형이 대표적인데 배형 석핵도 상당히 많다. 이러한 유물 은 중국 구석기 문화전통을 갖는 동시에 이곳의 특칭도 보여주고 있 다. 즉, 이 유적은 쐐기형 석핵(模形石核) 특징의 전형적 세석기술
km,
전통을 가지고 있다. 山西 時裕, 河南 小南海의 석기는 직접타법으로 제 2 가공을 하였 고, 西藏 面拉木과 河南許 昌 鑑井 등에도 비록 원추형 (維形), 쐐기 형 석핵과 밀개가 있지만 薛關과 비교가 어려운 점은 지역과 석재 관 계라고 보고 있다. 河北 虎頭梁의 석기들 즉 첨두기와 양월형 긁개가 특징적으로 薛關 과 비교가 되지만 가공방법은 다르다고 보고 있다. 다만 내몽고 淸水 河 등지의 첨두기와 양월형 긁개가 薛關과 가장 상이하여 비교가 가 능하지만 아직은 전자와 후자의 관계를 이해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또한 下川의 석기의 유형과 가공방법이 薛關과 일치점을 보여주지 만 下川의 전형적 원추형, 柱狀석핵과 압력법에 의한 제 2 차가공 등은 薛關에는 없다. 현재 薛關의 석기들과 관계를 가전 유사한 유적은 찾지 못하고 있 다. 薛關유적의 충위는 모래질 황토이다. 이 유적은 후기흥적세 말기에 속하며, 그 시기는 후기구석기시대말, 또는 신석기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중석기시대 초기)에 해당된다. 이 유적의 시대는 下川보다 늦 고 虎頭梁보다 이르다. c” 의 측정은 B.P. 13550 土 150 년이 산출되었 다 .102) 4 황하 상류 拉乙亥유적 이 유적은 절대연대로서 B.P. 6,745 土 85 년 (b y Carbon”) 이 산출되어 중원지구의 신석기시대에 해당되지만 출토된 유물 내에서 토기편과 마제석기가 한 점도 없었고, 더욱 높은 계지의 퇴적물 내에 매장되어 있었다. 유물은 대량의 타제석기로서 화북 후기구석기시대의 것과 대 단히 유사하다. 이 유적은 海南 藏族自治州 貴南縣 拉乙亥公社에 위치하고 있다(그 립 140). 이 지 역에서 6 곳의 지점 (번호 8021, 8022, 8023, 8024, 8025, 8026) 을 발견하였다. 그 중에서 1980 년 가을 8021 지점을 발견하였다 .
101·
NW —
돌마치 10 점, 한 종류는 강자갈 마치이고 다른 것은 석핵제 망치이 다. 석핵은 40 점으로 대석핵, 소석핵과 세석핵으로 구분된다. 대석핵의 면적은 236m2 이며 출토 유물은 1 , 489 점이다. 유적의 위치는 해발 2,580m 이다. 8021 점 의 단면은 상에 서 하로 다음과 갇다. 1 층 : 질은 회 갈색 모래 충, 두께 0.60m, 인공석괴에 불에 탄 석괴. 2 층 : 가벼운 황색 고운 모래와 모래질 점토충, 두께 1.50m, 대량의 유물. 3 층 : 가벼운 갈황
오_ 1cm
색 모래충, 두께 5m 이다(그립 141). 2 층에서 유물과 같이 출토된 동물화석은 꿩 (Phasia n us Colochic u s Sta u chi Przewalsky i), 쥐토끼 (Ochoto na sp. ) , 모래쥐 (Merio s sp. ), 히 말라야마르모트 (Marmo t a Hi m alay a na Robusta ) , 이 리 (Vulpe s Vu- lpe s), 양 (Ov i s sp. ) 등이다. 拉乙亥유적 출토의 유물은 1,489 점이다. 그 중에 석물은 1,480 점, 골제품 7 점, 장식품 2 점이다. 석재는 여러가지 색깔의 석영암, 璃瑞, 避石과 안산암이다. 석재는 석영암이다. 대석핵은 세 가지로 구분된다. ®자연타격면 석 핵, 모두 3 점으로 편평한 강자갈이다. ®준비된 타격면 석핵, 모두 4 점으로 자라등 모양과 납작한 형이다. ®다타격면 석핵(그립 142), 모두 4 점으로 삼각형과 다면체이다. 세석핵은 39 점이다. 그 유형은 크게 오르도스제작법 죽 깔대기형 석핵(그림 143·1) 과 그 석편(그립 143•2) 등이고 다른 것은 拉乙亥의 제작법으로 반깔때기형 석핵 (그림 144) 등이다. 석편, 모두 1,358 점이다. 석편은 長型, 寬型, 礎石, 부스러기 (Sp al l) 와 石葉 동 5 종류로 분류된다. 拉乙亥석 핵 등은 발전과정 (그립
그림 143 拉乙亥출토 석기
Q__jan L___jcm
145) 을 보여주고 있다. 석기 중 단―양면기 4 점, 모두 석영암제이다. 그 의 굵개와 밀개, 조각기와 칼 등이 있다. 신석기시대 석기로서는 연석, 숫돌, 공이 등 이 출토되었고, 뼈도구로서 뼈송곳, 뼈바늘 (5 점)과 장식품 등이 출토 되었다. 유적에서 현생인류의 젖니의 송곳니 한 점이 출토되었다.
그림 145 拉乙亥 석기 제작기술
종합하면 拉乙亥는 靑海省에서 최초로 발견된 중석기시대 유적이 다 •103) 5 大賢莊 세석기 江薛省에서 최초로 발견된 중석기시대 유적이다. 1979 년 채집된 252 점의 석물이 발견되었다. 그것들은 잎형 석편, 석핵, 배형 석핵, 연필끝형 석핵, 엄지손톱형 밀개, 원저형 석촉, 조각기 등이다. 석기 둘은 下川의 것과 유사하고 시대는 B.P 16,000~10,000 년으로 보고 있다. 大賢莊은 江薛省 東海縣 서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 지리위치는 북위 34°35', 동경 118°26'20 이 다. 세석기는 馬稷山頂에서 채집되었는데 그곳은 해발 90m 이다. 채집
2 圖~ -- 龜•
된 252 점 내에는 전형적 세석기가 포함되었고, 마제석기와 토기편은 없었다. 석재는 遂石, 玉隨,馬랩, 수정, 석영, 석영암과 맥석영 등 이다. 그것들은 모두 馬陵山體에서 가져온 것이다. 세석기의 특징을 보면 잎형 석기 (細石葉) 4 점 (그립 146 • 1~4) 은 세 석핵에서 간접타법으로 떼어낸 길고 얇은 석편이다. 세석핵은 잎형 석편을 떼어낸 모체이다. 또한 그것은 잎형석편의 대응물이다. 세석 핵은 배형 석핵 (그림 146 • 5~15)I 연필끝형 석핵과 깔대기형 석핵 등 3 종(그립 147 • 5~20) 이다.
曰렬 15胃 二冒iW1鴨6 二 m O'_1`7
세석핵 석기는 모두 잎형 석편을 떼어낸 흔적을 가진 세석핵으로 만든 석기이다. 모두 3 점이다. 첫째, 기둥형 석핵-원형 긁개, 수석 제로서 크기는 2 . 1 x l.5 x O . 8cm( 그립 147 • 21) 이다. 두번째, 좁은 쐐 기형 석핵― 2 중 조각기, 수석제, 크기는 2.3 x 1.5 X 1.2cm( 그립 147 • 22) 이다. 세번째, 좁은 쐐기형 석핵一호인 긁개, 맥석영제, 크기는
니-,-g ,
2 x 1.7xO.8cm( 그림 147 • 23) 이다. 기타 석기로 첨두기 2 점이 있다. 1 점은 잎형 (그림 148 • 24) 으로 크 기는 3.3x1 .8 XO.9cm 이다. 下川의 첨두기와 유사하다. 다른 1 점은 필자가 보기에 송곳인데 첨두기로 분류하였다. 크기는 1.8 X0.9X0.8 cm( 그림 148 • 25) 이다. 부리형 첨두기 (吸形 尖狀器) 3 점, 그 중 2 점 (그림 148 • 26,27) 은 필자가 보기에 송곳이지 첨두기는 아니다. 돌검(石鈴) 2 점, 필자의 견해로는 1 점은 첨두기이고 1 점은 송곳인 데 石鉛(보습검)으로 보고 있다. 전자의 크기 2.2xO.9xO.3cm( 그림 148 • 28), 후자(송곳)의 크기 2.5x25x 1. 4cm( 그림 148 • 29) 이다. 돌 창(石牙)이라고 보았는데 필자의 견해로 긁개이다. 크기는 4.lX 2 .4 XO.7cm( 그림 148 • 30) 이다.
》글6 Q I ? , 2,cm 츨
석촉은 5 점 (그림 148 • 31~35) 으로 분류하였는데 그 중 1 점 (그림 148 • 31) 은 석촉이라기보다 첨두기라고 볼 수 있다. 밀개 8 점 (그림 149 • 36~43) 은 모두 엄지손톱형 밀개에 속한다. 석 재는 옥수와 석영이다. 8 점의 밀개는 대부분 크기가 길이 1.6 ~2.4 cm, 너비 1.4 ~2.3cm, 두께 0.4~0.8cm 등이다. 단변一양변긁개 8 점 (그립 150 • 45~54), 모두 소형이다
~ 45 @~94 6 '
조각기 3 접(그립 150 • 53~55) 역시 소형이며, 조각기―톱니석기 1 점(그림 150·58) 의 크기는 l. 4X0.9X0.4~0.02cm 이다. 톱니석기 2 점 (그립 150 • 59,60) 역시 소형으로 그 길이가 1cm 를 초과하지 못한 다. 그 의 등칼 3 접도 있다. 역시 細小型이다. 大빴莊 세석기 출토지에서는 후기홍적세 동물화석 및 토기편도 없 었다. 세석기 유적으로 昴昴溪가 연구된 이래로 오늘날까지 수백의 출토지가 알려졌지만 실제 중요한 장소는 70~80 곳이 된다. 중국 세석기 연구는 아직까지 그 시대구분조차 해결되지 못하고 있 는 상태이다. 그 명칭도 類似세석기, 眞正세석기, 廣義세석기와 典型 세기 등 통일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중석기시대 (세석기)도 전기 • 중기 • 후기로 나누고 있다. 전기의 세석기는 거의 후기홍적세 충위에서 출토되고 있다. 동반된 동물화석은 털코뿔소, 오르도스큰뿔사슴, 최후하이에나와 옛소 등 모 두 사멸된 동물종이다. 그 시기의 세석기의 특징은 없다. 다만 전형 적 세석기의 조형 또는 모형 등으로 각주상 석해, 밀개 및 긴 석편 등(그림 151) 이다. 특징적인 것은 석촉이 출현되는 것이며, 세석기 제작법이 직접타법으로 이루어지고 간접타법은 드물다. 전기세석기 또는 조형세석기라고 부른다. 시대는 후기구석기시대이다. 그 시기의 유적은 許家察, 時裕, 사라一오소―골, 水洞溝, 蓋井, 小南海, 西八 間房 등으로 절대연대 (Carbon14) )로 B.P. 28,945 년(時裕)에서 13,075 년 (小南海)까지이다. 중기세석기는 일반적으로 중석기시대라고 부른다. 그 시기의 세석 기는 대부분 지표에서 채집되는데 동물화석은 드물다. 그 시기의 세 석기로는 배형 석핵 (또는 쐐가형 석핵, 우산형 석핵, 혀형 석핵 등으로 부론다), 연필끝형 석핵, 엄지손톱형 밀개와 圓底 석촉 등(그림 151) 이다. 중기세석기를 또는 〈전형적 세석기〉라고 칭한다. 세석기 제작 방법은 간접타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중에 석촉은 압력법으로 만들어 졌다. 대표적 유적은 下川, 虎頭梁, 海拉尔(하이랄), 沙苑, 喝査, 十 八站, 鷄毛口, 西桃山, 申札, 曲拉木, 元謀, 七角井, 鳳凰嶺 등 유적 으로 시기는 B.P. 16,400 년(下 )1| )에서 10,000 년 전후이다• 후기세석기는 모두 전신세(충적세)의 충위에서 발견된다. 신석기시
홉‘-.L- ~.。
{K{써N ~옐c義윷 훌늦 mEQ --‘쏠~톨뚫? ;;혈-‘yt ]등
대의 유적과 무덤에서도 발견된다. 신석기시대 이후의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의 유적과 무덤에서도 소량이 출토된다. 전자는 일반적으로 마제석기와 초기 유형의 토기가 동반된다. 그 시기에 농업 생산기술 이 증가하면서 세석기가 감소된다. 다만 수렵에 적합한 장소는 細石 鐵의 기술이 대단히 정교하다. 초기 석촉은 삼각형이며 후기에 이르 러 버들잎형으로 변한다(그립 151). 후기세석기는 표준세석기 또는 발달된 세석기라고 칭한다. 그 시기의 세석기는 중국 북방과 동방 각 성에 널리 전파되었다. 시기는 이른 것이 6,000 년의 裵李岡문화를 시 작으로 仰紹문화, 龍山문화 및 夏家店문화를 경유하여 마지막에 기원 200 년의 漢代까지 이른다. 그 시기의 세석기 지점이 가장 밀집된 곳 은 흑룡강성 姬江 東岸에 약 100 곳이 있다. 그런 이후에 청동촉과 철 촉이 보편화되면서 한대 이후에 세석촉은 사라졌다. 위에서 말한 내용을 요약하면 1) 전기세석기는 후기구석기시대의 것으로 사멸된 동물화석과 공존된 〈祖型 세석기〉이다. 2) 중기세석기 는 사멸된 동물화석과 초기의 토기가 없는 중석기시대의 세석기이다. 그것을 〈전형적 세석기〉라고 칭한다. 3) 후기세석기는 신석기시대 및 그 이후의 〈표준세석기〉 또는 〈발달된 세석기〉라고 칭한다. 이상의 세 가지 분류에 따르면 大賢莊 세석기는 중석기시대의 세석 기 죽 전형적 세석기에 해당된다. 또한 大賢莊의 세석기는 下川유적 의 세석기와 상당히 유사(그림 152) 하다. 시기도 거의 비슷하다. 과 거에 세석기는 장성 이북의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출토되는 것으로 인 정되었으나 남방의 江薛省에서 세석기가 발견됨에 따라서 그러한 견 해는 수정되어야 한다. 또한 중국 세석기는 황하 유역 및 황하 유역 북쪽의 桑幹河 유역에서만 분포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그 분포범위 가 광범위하다는 것도 인식되었다. 그로 인하여 중기세석기 유적 분 포가 황하 유역 의에 신강, 西藏, 운남, 광동, 華東 및 동북 등(그립 146) 에도 분포된 것을 재인식할 수 있다. 104) 6 鳳凰領유적 山東 臨祈縣 鳳凰領은 臨祈顯 相公公社 王家黑激村 동쪽에 위치하
0 6km
고 있다. 그곳에서 서쪽으로 12km 지점에 縣城이 있다. 그곳은 魯 南洞의 臨, 郞, 蒼 등의 평원이다(그립 153). 1982 년 5 월에서 7 월 사 이에 克川, 石臼所 철로가설 공정과정중 알려졌다. 발굴에 의해서 700 여 점의 세석기가 출토되었다. 세석기가 출토된 작은 언덕은 지면 에서 10~20m 높이이며, 해발은 약 60~70m 이다. 언덕 위에 붉은색 모래가 퇴적되었는데 그 위에 많은 漢代의 무덤이 산재되어 있었다. 700 여 점의 타제석기와 석편 중 소량의 거대한 타제석기와 마제석 기 4 점이 있었다. 세석기의 대부분에는 2 차가공이 가해졌고, 소량의 석편상에 제 2 차가공이 드물거나 없는 것이 있다. 그 중에서 세석기 150 점, 타제석기 8 점, 마제석기 4 점을 선택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 고있다. 세석기는 석핵석기와 석편석기 2 종류로 나누고 있다. 석핵은 배형 석핵 (船底形石核), 원추형 (습佳形) 석핵, 角柱狀(p r i sma tic core) 석핵, 쐐기형(模形) 석핵, 깔대기형 석핵과 그 타격면 석핵 등이다. 석편석 기로서는 엄지손톱형 밀개, 자라등 원형 밀개, 細長石片, 도끼형 긁 개, 斜섰 긁개, 석편제 원형 밀개, 소석편 긁개, 첨두기, 끌, 조각기 등이다. 석핵석기는 세석기 문화전통의 전형적인 성격을 가졌다.
상기한 석기들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배형 석핵 5 점, 제일 작은 것이 2.5cm 이며, 큰 것은 4 . 5cm( 그림 154 • 1~5) 이다. 그 중의 1 점 (그립 153 • 2) 은 江蘇省 東海縣 大『f莊 출토의 배형 석핵과 갇다. 원추형 석핵 8 점, 제일 작은 것 0.6cm, 제일 큰 것 2cm( 그림 154 • 6.7 , 8,12) 이다. 타격면을 준비한 것은 3 점 이다. 몸체는 타격면 주위에서 수직으로 때려졌다. 각주상 석핵 1 점, 길이 2.5cm, 최대 가로 경 2.1cm, 타격면은 타원형이며 준비되지 않았다(그림 154 • 9). 쐐기형 석핵 2 점, 길이 2.8~2.9cm, 모두 타원 형의 경사된 타격면을 가졌고, 저부에는 교차타격된 날을 가졌다(그 림 154 • 10,11). 깔대기형 석핵 1 점, 높이 1.2cm, 너비 2.5cm, 타격 점은 장방형에 가깝고, 그 주변은 수직으로 타격되었다. 2 개 타격면 석핵 1 점, 높이 2cm, 너비 3.3cm 이다. 타격면은 모두 2 차수정을 가 하였다(그림 154 • 34). 석편석기, 엄지손톱형 밀개 20 점, 보통 길이 1. 6~ 1. 7cm 이며, 일 면만 제 2 가공되었다. 대부분 하나의 작은 타격면을 가졌다. 몇 점은 능메)이 상당히 높다(그립 154 • 13~20). 자라등 원형 밀개 6 점, 제 일 작은 것 2.5cm( 그림 154 • 36), 제일 큰 것은 6cm( 그림 154 • 35) 이 다. 대부분 일면만 제 2 가공되었다. 2 점은 타격면이 준비되지 않았 다. 세장석편 25 점, 제일 작은 것 1cm, 제일 큰 것 5.4cm 이다. 그 중 에 5 점이 길게 등이 굽었고, 나머지는 얇고 긴 잎형 또는 불규칙형이 다. 많은 석편 날에 사용 흔적이 있다. 얇고 건 잎형의 길아 • 너비 비율 등은 보통 길이가 너비의 1. 5 배에서 4 배까지이다(그립 154 • 21,22,23). 도끼형 긁개 14 점, 제일 작은 것의 길이 1.6cm, 너비 2.2cm( 그립 154 • 40) 이며, 제일 큰 것의 길이는 3.9cm, 너비 4cm( 그 림 154 • 37) 이다. 그러한 유형 중에서 2 점만 양면가공되었고, 나머지 는 1 점만 가공되었다(그림 154 • 38,39). 사인 긁개 6 점, 보통 길이 3 cm, 너비 2.5cm 이다. 타격면은 모두 준비되지 않았다. 대부분 일면 가공이다(그림 154 • 41,42). 석편제 원형 밀개 10 점, 대부분 타원형이 다. 직경은 보통 2.5~5cm 이다. 양면가공의 1 점을 제의하고 나머지 는 모두 일면만 가공되었다(그림 154 • 65, 66 ). 소석편 긁개 (밀개 포함) 21 점, 크기 1. 5~4cm 이며, 형상도 불규칙하다. 그러한 석편은 일면
73 74 75 78
만 가공되고 타격면은 준비되지 않았다. 그것들은 전체 수량상 큰 비 중을 차지하고 있다. 첨두기 13 점, 화살촉형 5 점, 그 중에서 다만 1 점만 일면가공되고 나머지는 모두 양면가공되었다. 길이 1~3 . 5cm 이다(그림 154 • 45~49). 꿀 4 점, 보통 길이 2~2 . 8cm 이다. 능(育)상에서 석편을 떼 어낸 흔적이 있다(그림 154 • 54,55,5 6 ). 조각기 5 접, 경사면 또는 수 직변을 수정하여 만든 조각기 2 점 (그림 154 • 57, 58 ), 이중 조각기 2 점 (그립 154 • 59 , 60) , 뾰족한 조각기 1 점 (그림 154 • 61) 등이 다. 반기 둥 형 4 점, 제일 작은 것은 길이 1.1cm, 너비 1.5 c m, 제일 큰 것은 길 이 2cm, 너비 1.3cm 이며 모두 일면만 가공되었다(그림 154 • 43,44). 긁개 2 접, 길이 4.3~4. 4c m, 전면을 제 2 가공하고 모두 하나의 작은 타격면을 가졌다(그립 154 • 64,74). 이상의 석기들은 압력법에 의해서 제작된 세석기들이다. 소수에는 직접타법과 간접타법이 병용되었다. 그 의에 상당히 커다란 타제석기 수점이 발견되었다. 그것들은 모 두 직접타법으로 제작되었다. 긁개 7 점, 그 중 다변형 긁개 3 점 중 2 점은 일면만 가공되고, 1 점은 양면가공되었다(그림 154 • 67, 68 ,69). 긁개 1 점 (그립 154 • 73) 은 일변을 제 2 가공하여 만들었다. 자연면을 가진 긁개 3 점 (그림 154 • 70,71,72) 도 있다. 삽형 석기 1 점, 길이 8.7 cm, 마제석기의 미완성품이다(그림 154 • 75). 그 의 마제석기 4 점, 둘낫 2 점 (그림 154 • 76,77), 석촉 1 점 (그림 154 • 79), 돌끌 1 점 (그립 154 • 78) 등이 있다. 기타 동물뼈(化石?) 1 점, 포유동물의 址骨이다. 석화 정도는 보통 이다(그림 150·98·80) . 鳳凰 嶺 의 세석기는 제작이 정교하고 전형적인 특 칭을 가지고 있다. 그것들에 대한 제 2 차가공은 대부분 압력범 (간접 타법)을 사용하였다. 석기의 수량, 석편, 부스러기 등의 입장에서 보 면 鳳凰嶺유적은 석기 제작장소 또는 주거지이다. 석기는 불에 탄 혼 적을 가지고 있다. 석재는 상당히 먼 장소에서 가져왔다. 臨祈縣 및 臨祈지구에서 세석기가 발견되고 있다. 예를 들면 臨祈 顯 護台유적에서 대량의 타제석기가 발견되었고, 日照縣 東海裕, 堯 王城 유적 등에서도 그것들이 발견된 것은 鳳凰嶺 세석기와 관계가 있다.
1987 년 江薛城東海縣 大賢莊유적에서 발견된 1 점의 배형 석핵은 鳳凰嶺의 그것과 유사하다고 보고 있다. 이유는 두 곳의 거리가 56 km 떨어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鳳凰嶺 세석기의 발견은 山束省 에서 최초의 예이다 .105) 전체적인 문화내용은, 그 시기를 정확히 원 보고자가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석기의 입장에서 보면 중석기시대에 속하는 것은 확 실하다. 지금까지 중석기시대에 속하는 유적들을 살펴보았다. 중석기시대유 적의 표준이 될 수 있는 세석핵의 분류를 살펴보자. 상기한 臨祈縣 鳳凰嶺에서 세석기가 발견된 후 세석기의 臨祈지구 분포상황을 이해하기 위하여, 그리고 江薛 東海 大贊莊유적과의 관계 롤 탐구하려는 목적에서 1982 년 10 월 다시 山東 郞城縣 馬陵山 산맥 을 조사하였다. 黑龍潭 지점은 却城縣에서 동남방향으로 약 20km 거리이며 江薛 省 東海縣과 경계지점이다. 석기 분포지는 馬陵山 서쪽 언덕이다. 黑龍潭은 馬陵上에서 동서
그림 155 1 타격면 2 흥면 3,4 측면 5 쐐기 가장자리 6 전면(홈면)
방향으로 흐르는 물을 저장하는 곳이다. 黑龍潭 부근에서 가장 오래 된 퇴적층은 회색 점토질 모래이다. 그 지질시대는 후기홍적세(Q 3) 에 속한다. 黑龍潭 부근의 지표와 基岩上에는 중기홍적세의 역석충이 있다. 석기는 黑龍潭 충위의 제 1 층, 회갈색 점토질 모래에서 출토되었 다. 충위 두께 5m, 석기는 세석기와 타제석기 그리고 동물화석도 동 반되었다. 석재는 석영, 마노, 수석, 석수, 수정과 板岩 등이다. 동물화석은 모두 심하게 파손되었고 부근에서 코끼리와 사슴화석 등이 발견되었 다. 석물은 모두 351 점이 출토되었다. 세석핵은 배형 석핵 17 점, 원추형 석핵 2 점, 기등형 석핵 2 점, 3 稷 狀 석핵 2 점, 모루상타격된 석핵 21 점 등이다. 소석편도 모두 16 점 출토되었다. 세석기로서는 긁개 • 밀개 등이 많은데 엄지손톱형 밀개 14 점, 원형 밀개 6 점, 원형 긁개 6 점, 밀개 (단인) 4 점, 오목긁개 7 점, 긁개 3 점, 긴 긁개 8 점, 이중긁개 2 점과 조각기 2 점, 첨두기 8 점 등이다. 석편석기는 모두 215 점인데 그 중에는 직접타법의 석편과 석편으로 제작된 석기가 포함된다. 석편각은 보통 80°~100· 이다. 석핵석기는 양면기 4 점, 원형긁개 2 점, 밀개 5 점, 두터운 긁개 2 점 과 단면기 2 점 등이다. 黑龍潭과 상기한 大賢莊 지점의 거리는 10km 사이이다. 그 문화 면모도 대단히 접근되고 있다. 그리고 黑龍潭 지점의 연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고 下川문화에 대체적으로 일치한다고 보지만 106) 필자는 당분간 중석기 범위에 놓는 다. 이유는 이 유적의 유물이 大賢莊의 것과 대단히 유사하기 때문이 다. 7 중국 세석핵 검토 중국 10 곳 중요 세석기 유적에서 출토된 세석핵을 중국 고고학자
陳淳이 비교 검토한 것을 살펴보자. 중국 중석기(세석기) 전동은 후기구석기시대에 이미 출현된 것을 위의 내용들에서 살펴보았다. 1906 년 내몽고에서 세석기가 지표에서 채집되었다. 1920~30 년대에 넬슨 (Nelson) 과 샤르댕 (Teil h ard de Chardin ) 등은 몽고 사파라크, 新 疆 吐魯番(투루번) 七角井子, 하르빈 顧鄕屯 등에서 세석핵을 발견하 였다. 安志敏은 세석핵, 잎형 석편(세석편, 細石葉)과 잎형 석편 가공 석기 등이 세석기의 특징이라고 보았다. 세석기의 특징은 세석핵으로부터 세석편(잎형 석편)을 떼어내는 기 술을 말한다. 그것은 간접 또는 압력법에 의해서 떼어낸 것이다. 세 석편은 작고 가늘며, 양쪽 가장자리는 평행하고 깊이는 너비의 두 배 이상이다. 세석편제의 석기는 나무 또는 뼈손잡이에 끼워서 사용된 다. 그러한 도구의 편리한 점은 그것을 다시 바꾸어 끼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세석핵은 細石葉(細長石片)을 떼어내기 위하여 여러가 지 형상으로 만들어졌다. 그것은 細石葉울 만드는 과정을 나타내어 준다. 세석기 연구는 세석핵 분석이 열쇠가 된다. 下川의 세석핵을 중심으로 虎頭梁, 靈井,沙苑, 하이랄(海拉尔), 銀根, 자라이놀, 面 拉木, 西椎山과 元謀 등의 것들을 살펴보고 있다. 아곳의 석기들은 王建, 安志敏,黃慰文, 周國興, 載尔儉과 曾暎 등이 연구하였다. 그 중 銀根과 자라이놀 석기는 袁復禮와 裵文中아 연구하였다. 下川의 세석핵은 쐐기형(模形), 원추형(維形), 半維形, 기둥형(柱 形), 배형(船形), 깔대기(漏頭)형 등 6 가지이다. 쐐기형 석핵은 세석핵 중에서 큰 것에 해당된다. 下川의 寬型석핵 의 홈(fl u t ed sur fa ce) 의 길이 1.2 ~2.5cm, 좁은 석핵의 홈의 길이는 3~4cm 이다. 이것은 길이가 서로 다른 세석편(細石葉)을 떼어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寬型쐐기형 석색은 핵 양면을 가공하는 것으로서 쐐 기 가장자리로부터 타격면과 홈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세석편을 떼 어내는데 그 흔적은 깊지 않고 길게 나타난다. 타격면에는 2 종이 있 다. 하나는 벽개면 또는 철리면을 타격면으로 삼은 것, 그러나 홈의 일단은 세로로 수정하여 실질적인 타격면으로 만든 것이다(그립 155). 다른 하나는 먼저 가로 방향으로 타격 또는 압력을 가하여 약 간 경사전 면을 만든 다음 세로 방향으로 실질적 타격면을 만들었다
<; <卜 i L L:
(그림 156 • 2). 좁은 쐐기형 석핵은 下川에서 발견되는데 석핵 자체의 앞뒤가 좁고, 홈은 길다. 좁은 석핵에서 떨어져나온 석편은 寬型석핵 에서 나온 것보다 길이가 한 배 정도 길다. 타격면은 홈 일단(앞면) 에서 뒤쪽으로 경사지게 만들어졌다(그림 156 • 3). 기타 9 곳 유적의 쐐기형 셔핵 과 下川의 것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寬 型石核 중 虎頭梁, 靈井, 沙苑, 하이랄, 자라이놀과 西椎山에서는 모 두 벽개면 또는 철리면을 타격면으로 삼았다. 이 점은 下川과 일치한 다. 타격면이 下川에서 볼 수 없는 것은 타격면을 가로로 만든 것이 다. 핵의 상단에서 가로로 내려쳐서 썰매형태의 석편을 떼어내는데 이것은 虎頭梁에서 보이며 일본에서는 이러한 타법을 〈i雨別技法〉이라 고 부른다(그림 156 • 3). 타격면이 편평하다. 그 가장자리롤 따라서 중심을 향하여 타격을 가하는데 항상 아랫부분은 오목하다. 이러한 유형은 하이랄, 자라이놀과 西椎山에 보인다. 銀根, 하이랄, 자라이 늘의 좁은 석핵 타격면은 마찬가지이고 동시에 원추형(습尉形), 柱形 石核의 타격면도 같다(그림 156 • 4). 좁은 석핵으로서 下川과 동류 석 핵타격면을 가전 것이 虎頭梁, 靈井, 銀根과 西椎山에서 보인다. 타 격면은 모두 가로로 놓여 있다(그림 157 • 1). 기타 유적의 좁은 석핵 타격면을 가전 것으로 下川에서 보이지 않는 것은 〈多方向修理法〉이 다. 타격면을 여러 각도에서 때려서 만든 후 다시 실질적 타격면을
출二 ...
만드는 것으로 이러한 것들은 하이랄, 銀根과 자라이놀에서 보인다. 동시에 이것들은 원추형, 柱形타격면을 모방한 것이다(그립 157 • 2). 虎頭梁 석핵은 좁고, 길며 타격면은 작고, 뒷면과 하단에는 모두 쐐기형 가장자리가 있다. 먼저 양면의 상단에서 하나의 작은 평면을 떼어낸 다음 다시 아래쪽으로 세석편을 떼어낸다. 이러한 방법을 일 본에서는 〈忍路子技法〉이라고 부른다.석핵은 넓어졌다가 다시 좁아진 다(그림 157 • 3). 쐐기형 석핵의 가공, 죽 타격면 준비기술은 세석핵 내에서 가장 복 잡하다. 下川 쐐기형 석핵 타격면은 상당히 간단하다. 虎頭梁에 와서 복잡하게 되었고, 다시 銀根, 자라이놀에 와서 간단하게 되었다. 원 추, 柱形석핵도 마찬가지이다. 전기에 쐐형 석핵이 간단한 것으로부 터 점차 복잡하여지고, 후기에 이르러서 기술상의 숙련으로 간단해졌 다 . 원추형 석핵. 下川유적 내에서 수량으로 상당히 많다 . 전체 또는 대부분에 긴 석편흔적이 있다. 이 석핵은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
_、懿/’
는 타격면을 준비한 것(그립 158 • 1), 다른 하나는 타격면을 준비하지 않은 것 (벽개면 또는 철리면 이용) (그림 158 • 2) 이다. 준비된 타격면은 세석편을 떼어내는 과정에서 가장 좋은 석편각을 조정할 수 있으며, 타격면의 실질적인 효력을 상실할 때 다시 새로운 타격면을 만들 수 있다. 기타 9 곳 유적 중 원추형 석핵은 銀根, 자라이놀에서 상당히 우세하였고, 하이랄에서는 발달하지 못하였고, 虎頭梁에서는 발견되 지 않았다. 靈井 원추형 석핵은 대단히 원시적이다. 후기에 이르러서 원추형 석핵은 크게 변하고 다양화되었다. 반원추형 석핵. 독특한 형태이다. 핵의 홈이 孤形으로 넓고, 뒷면 은 타격된 평면 또는 절리면이며, 일측 혹은 양측이 가로타격에 의하 여 넓어졌다. 그 상단에서 타격을 경사전 타격면에 가하여 석편을 떼 어낸다. 타격각은 90° 가 못 된다. 어느 타격면은 준비되었고 어느 것 은 준비되지 않았다(그림 159 • 1). 반원추형 석핵은 磁井, 銀根, 자라 이놀, 晶拉木(스라무)와 西椎山에서 발견되었다. 타격면 처리기술은
亡 ?f ► 눅1 ►1 -i \
下川과 유사한 것 의에 자라이놀과 西桃山은 벽개면과 절리면을 타격 면으로 이용하였다. 銀根과 晶拉木은 타격면 가장자리를 손질한 것이 보인다(그림 159 • 2). 초기논 석핵이 작고, 후기에는 높아지고 넓어졌 다. 기등형 석핵(柱形石核). 下川에서는 이러한 석핵이 상당히 작고 수 량도 많지 않다. 상하단 모두 타격면으로 윤번제로 석편을 떼어낸다. 대개 상하단을 절반씩 번갈아 가면서 석편을 떼어내었다(그림 160). 기둥형 석핵은 沙苑, 銀根과 西椎山에서 보였다. 기둥형 석핵 타격면 은 고정되지 않고 원추형으로 변하기도 하였다. 초기의 것은 작고, 후기논 커졌다. 배형 석핵(그림 161). 이 석핵은 下川에서는 일정한 수량을 가졌
그립 160 기등형 석핵
二二 w 亡
다. 이것의 타격면은 넓고, 그 자체는 두껍고, 형은 배형이다. 타격 면은 벽개면 또는 절리면으로 준비하지 않았다. 타격면으로부터 아래 쪽으로 손질하는 것인데, 쐐기형 석핵은 쐐기 가장자리로부터 타격면 과 홈울 향하여 손질하는 것이 서로 다르다. 이러한 석핵은 虎頭梁에 서 보이는데 그것은 작다. 깔대기형 석핵(漏頭形석핵). 下川의 것은 거친 편이다. 타격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타격면의 經이 그 자체의 높이보다 크다. 모두 절리면이 타격면이다. 깔대기형은 석편 흔적이 일정하지 않다(그림 162). 수량도 드물다. 자라이놀의 한 점 석핵은 풍화면을 타격면으로 삼았다. 석편 흔적이 일정하다.
그림 162 깔대기형 석핵
위에서 말한 10 곳의 세석기 유적은 중국의 세석핵 유형을 대표하지 않지만 세석기 연구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다. 중국 세석핵은 쐐기 형, 원추형이 가장 보편적이다. 원추형은 초기부터 후기까지 변화가 크고 다양화되었다. 그러나 석편 흔적은 일정하다. 쐐기형은 좁은형, 넓은형으로 구분되고 있다. 초기에서 후기까지 변화가 크고 정교하 다. 주변지역과 비교하면 몽고와 시베리아 것은 중국 것과 같다. 사바 라크 유적에도 좁은형 쐐기형, 원추형, 반원추형과 기둥형 석핵이 출 토되었다. Mar ig er 는 몽고석핵은 원추, 기둥형이 제일 발달하였다고 보는데 이것은 중국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시베리아 세석기 유적은 대단히 많다. 특히 바이칼호수 지역과 알단강 유역에 널리 분포되었 다. 濱海區의 Us ti novka( 우스티노브카)와 Os ip ovka( 오시포부카)가 대표 적 유적이다. 전자는 배형 석핵, 후자는 쐐기형 석핵이 대표적이다. 바이칼의 Makarovo 유적은 쐐기형 석핵이 대표적이다. 알단강 유역 에서는 쐐기형 석기가 일찌기 출현하였다. 그 문화는 D i ukda i에 속한 다. 이 문화는 북으로 북빙양에서 시작하여 흑룡강, 레나강에서 캄차 카반도에까지 이른다. Ikh i ne( 이크한)과 Groma t ukha 유적에서 출토된 쐐기형 석핵은 하이랄(海拉尔) 것과 유사하다. D i uka i문화는 B.P. 10,000~9,000 년 계산되고 있다. 이 문화는 Sumna gi n 문화로 대치되 면서 쐐기형 석핵이 소멸되고 원추형, 기등형 석핵이 출현하였다. Gromatu k ha 의 깔대 기 형 석 핵 은 Diu k dai 문화에 속하며 , 그것은 자라 이놀 것과 혹사하다. 한국 석장리의 쐐기형 석핵은 많지 않다. 그러나 유형은 많다. 그 것은 下川, 虎頭梁과 공통성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의 것과 접근되고 있다. 일본 남부 九州 福井洞동굴과 북부 북해도의 세석핵은 비교할 만하다. 福井 제 4 층의 쐐기형 석핵은 거칠고, 제 3 층에서는 좁은 쐐 기형 석핵이 출현하였고, 제 2 층에서는 넓은 석핵이 출토되었다. 좁 은형은 중국 것과 같다. 가로타법은 일본에서 〈西海技法〉으로 칭하는 데 이러한 것은 下川과 虎頭梁에서 발견되었다. 福井 제 4 층은 B.P. 14,000 士 400 년이 계산되었다. 북해도에서는 원추형 석핵이 쐐기형보다 먼저 출현하였다. 쐐기형 중 〈蘭越型〉이 下川 것과 상이하다. 일본의 세석핵은 중국에서 同類
롤 찾을 수 있지만 그것들은 그들 나름의 특징이 있고, 그곳에서 사 용된 마찰법의 실질적 타격면 기술은 〈廣鄕型〉이라고 칭하는 특수형 태가 있다. 종합하면 몽고, 시베리아 세석핵 유형은 중국 내몽고, 동북의 세석 핵과 접근되고, 한국, 일본의 세석핵 유형은 화북 황하 유역의 세석 핵과 접근된다. 몽고, 동시베리아는 중국 내몽고, 동북 세석기 전통의 영향을 받아 서 그 유형과 기술이 간단하고, 한국, 일본은 직접 중국 황하 유역의 세석기 영향을 받아서 쐐기형 석핵이 출현하였다. 이것은 몽고, 시베 리아와 뚜렷이 구별된다. 下川유적의 연대는 B.P. 23,900 士 1,000~16,400 士 900 년이다. 虎頭
梁은 11,000~9,000 년으로 본다. 靈井은 비교적 오래되었다. 沙苑과 하이랄은 신석기시대 토기는 없지만 마제석기가 공존되어 후기구석기 시대말로 본다. 넬슨은 사파라크유적을 중석기시대로부터 신석기시대 로 보면서 연대는 대개 10,000 년 전후로 보고 있다. 일본 福井동굴은 제 4 층 연대를 14,000~400 년으로 계산하고 있다 .107) 세석기 문화의 상한은 下川유적의 경우 대략 23,000 년, 그리고 하 한은 대략 10,000 년 전후 시기로 보면서 그 문화의 발생지가 황하 유 역인 것으로 주장하고 있는데 이 문제는 장래 계속 연구가 필요하다. 8 기타 세석기 유적 세석기롤 동반한 기타 유적을 중석기시대 범위에 넣고 살펴보겠다. 이 글에 취급되는 유적은 그 시대가 신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까지 다양하다. 세석기를 동반한 유적들이 중국 북방에 특히 많이 있다. 그러한 문 화는 그 지역의 특수한 문화라고 볼 수 있다. 그러한 문화를 가전 대 표적 유적은 자라이놀(札質), 龍江(昴昴溪), 林西, 赤峯 등이다. 裵文 中은 세석기 문화가 시베리아 바이칼호 부근에서 발원한 것으로 보고 있었다. 세석기 문화인들이 바이칼호 부근에서 머물 때는 아직 후기 구석기시대였다. 그런 얼마 후에 기후가 따뜻해지자 그들은 남쪽으로이동하였다. 그러나 고비사막이 가로막게 되자 방향을 동쪽으로 전향 하여 혹룡강 경내로 진입하였다. 그들은 처음에 呼倫湖 주위에서 생 활하였는데 그때는 이미 중석기시대였다. 그러한 시기를 자라이놀期 라고 불렀다. 그것은 呼倫湖 부근의 자라이놀에 부여된 명칭이다. 자라이놀의 세석기 문화 한 가지 (一支)가 興安을 넘어서 綠江 유역 에서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중요한 지점은 龍江 부근의 昴昴溪이다. 그래서 龍江期라고 부론다. 그때는 신석기시대의 초기이다. 자라이놀기와 龍江期 문화인들은 고기잡이와 수렵생활을 하였다. 龍江期 이후에 광대한 송화강 유역에서 점차 농경 • 수렵 또는 농경으 로 변하였다. 그 시간은 신석기시대 중기 또는 후기로부터 周漢 또는 周漢 이후에까지 해당된다. 자라이놀의 다른 한 가지 또는 龍江期로부터 전하여졌을 가능성이 있는 문화가 熱河 북부의 林西에서 세석기 문화로 발달하기 시작하였 다. 林西에서 출토된 유물은 대부분 역석제 석기, 농업공구, 세석기 등이다. 그래서 林西期라고 명명되었다. 그것은 지방성의 신석기시대 초기 또는 중기에 해당된다고 본다. 당시 사람들은 농경 • 수렵 위주 의 생활을 하였다. 세석기 문화는 일찌기 몽고 동부 錫林郭勒盟 일대 에도 파급되었다. 그 문화는 고비사막의 변경을 따라서 남쪽으로 전 파되어 長城 일대에 이르렀다. 그 문화의 주인공이 곧 황하 유역에서 彩陶文化롤 구비한 민족이다. 成長 부근에서 2 종의 문화가 접촉되었 다. 채도문화가 세석기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그래서 전자의 성분이 많고, 또한 세석기 문화가 채도문화의 영향을 받아 일종의 세석기 위 주로 변하여 채도문화가 손님격이 된 복합문화(혼합문화)가 탄생되었 다. 그러한 2 종의 문화는 서로 다론 문화로서 장성 일대에서 발달되 었다. 예를 들면 赤峯과 沙鎬屯에서 복합문화를 볼 수 있다. 전자는 세석 기가 많고, 채도가 적은 복합문화이고, 후자는 채도가 많고 세석기가 적은 복합문화를 가졌다. 赤峯온 哈達이라고도 부른다. 그곳에는 유적이 대단히 밀집되어 있 다. 그러한 유적들을 두 시기로 나누고 있다. 일본인의 소위 赤峯제 1 문화기 및 赤峯제 2 문화기이다. 裵文中은 赤峯제 1 기문화를 일종의 복합문화로 보았다. 세석기 문화의 赤峯期는 신석기시대 말기에 해당
되며 황하 유역과 바교하여 늦게는 龍山 또는 小屯시기에 해당된다. 沙鎬屯온 遼 寧 錦 西 縣에 위치하고 있는 동굴유적이다. 그곳은 1921 년에 앤더슨 (Andersson) 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그는 동굴 내에서 인 골 • 석기 • 골기 등을 발견하였다. 그 중에서 석기가 가장 많았다. 석 기 중에 채도가 수편 있었다. 그래서 그 유적이 채도문화의 표준 산 지가 되었다. 裵文中은 沙鎬屯동굴에서 출토된 혹회색 토기, 석촉 등 이 모두 세석기 문화를 대표한다고 보았다. 108) 상기한 바와 같이 중국 세석기 문화의 발원지를 바이칼호 부근으로 보고 있다. 그 일대에서는 마노 • 옥골수 등 좋은 석재가 산출되어 삼 각형 석촉, 석편제의 돌칼, 송곳 등을 만들 수 있었다. 그래서 그곳 이 곧 중국 경내 세석기 문화 발전의 시발점이 된 것이다. 바이칼호 부근에서 살던 사람들이 자라이놀 부근에 거주할 시기에 기후가 변하기 시작해서 추운 기후에 적응하는 털코뿔소 (Rh i noceros tich orhin u s) , 털코끼 리 (Eleph as pri m i ge niu s ) 등이 남방으로부터 그곳 으로 모여들기 시작하였다. 그러한 동물들에 의해서 일본 학자들은 자라이놀 사람들이 구석기시대에 속한다고 주장하였지만 裵文中은 발 견된 유물의 관점에서 중국 세석기 문화의 최초의 한 단계로 판단하 고 세석기 문화의 〈자라이놀기〉로 명명하였다(그림 163).
應@ 결°4一 一 an 霞초츠V Z `邊 급3 - 3
자라이놀 사람들의 자손들이 동북 경내에 다시 깊이 들어가서 外興 安嶺을 넘어서 敵江 유역에 도착하여 齊齊哈爾 부근에 거주하기 시작 하였다. 그러한 증거가 昴昴溪에서 유물이 출토된 점이다• 당시에 이 미 마제석기 제작기술이 시작되고, 조잡한 질그릇이 만들어지기 시작 하였다. 그것이 곧 중국 세석기 문화의 〈龍江期〉이다. 그러나 마제석 기의 제작기술이 아직 미숙하여 신석기시대 초기에 해당된다. 그들
0 3 2 ~ 4cm ~(km
생활은 아직 고기잡이와 사냥 위주였다. 昴昴溪에서 상당히 많은 뼈 작살과 삼각형 석촉과 창머리가 발견되었다(그립 164). 용강기 세석기인들의 한 가지가 송화강 유역에 도착되었다. 그곳은 광대한 평원지구이다. 그래서 그곳에서 역사시기까지 머물렀다. 그들
I kP.’ v6 '’
의 문화는 중국 소수민족 문화의 한 가지를 형성시켰다. 송화강 유역 에서 발전된 세석기 문화는 용강기보다 늦다. 거기에 관계된 자료가 吉林 延吉 부근에서 발견된 많은 석기들로서, 역사시기의 유물을 동 반하고 있었다. 그 중의 세석기의 형식과 제작기술은 상기한 문화들 과 완전히 유사하다. 용강기 세석기 문화의 . 다른 한 가지가 남쪽으로 전파되어 내몽고 林西지구에 전파되었다. 그러나 그곳에서는 호수, 큰 강과 기름진 토 양이 없기 때문에 물고기를 포기하고 농업으로 전향하였다. 임서의 세석기 문화가 농업방면으로 발전된 증거는 돌보습(石J/1.)' 연석, 돌 공이(그립 165) 등이 발견된 점이다. 임서의 사람들은 둥근 역석(강자 갈)을 타제하여 석기를 제작하였다. 그곳의 작은 석기 (그립 166) 와 토 기 등은 昴昴溪에서 발견된 것과 대단히 유사하다. 다만 마제석기의 마연기술이 상당히 정교하다. 그러한 문화를 중국 세석기 문화의 〈林 西期〉라고 부르며 시기는 신석기시대 중기에 해당된다.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작은 석기와 토기가 유사한 것을 봉 때 임 서기의 문화는 용강기로부터 발전된 것이 확실하고, 시기는 용강기보 다 늦다. 그것은 임서기의 마제석기가 기술상 용강기보다 정교하기 때문이다• 임서기의 세석기 문화는 계속 남쪽으로 이동하여 赤峯과 長城 부근에 전래되고 남쪽에 전래된 채도문화와 만나서 일종의 복합 문화를 형성시켰다. 그때는 이미 신석기시대 후기가 된다. 遼西省 錦 西縣의 沙鎬屯, 張家口 부근의 高家營子, 靑海 西寧 부근 朱家塞 등 지구에서 모두 그러한 복합문화의 유적이 발견되었다. 세석기 문화는 長城 부근에서 강력한 채도문화의 저지롤 받아서 長 城 이북에 머물게 되었다. 그래서 서쪽의 고비사막 변두리로 나아가 新疆에 도착되었다. 그러한 복합문화는 신석기시대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남쪽으로 전래 된 중국 고대문화와 殷周문화 및 서북에서 전래된 스키타이 (Sc ythi an) 문화의 영향을 받아서 접차 고대 북방 각 민족의 문화를 형성시켰다. 그것이 곧 현재 북방 각 소수민족의 조상이라고 보고 있 다 .109) 내몽고 서남부(張家口 서쪽) 및 甘肅(前寧夏 경내) 일대에서 300 여 곳의 세석기 유적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그곳에서 발견된 유물은 모
gA_ 戱 A
두 지상에서 채집된 것이다. 그것들은 세석기 위주이며 토기편은 드 물었다. 각 유적 내에서 모두 전형적 세석기가 채집되었고, 그 중에 서 원형밀개의 수량이 가장 많았다. 그 의에 대형의 타제석부(그립
2 3 4
'16 7), 양면기와 마제석부도 채집되었다. 오르도스 남부 유적에서는 石環도 출토되었다. 연석은 드물고 돌보습, 돌마치 등도 없었다. 토 기는 모두 모래가 섞인 거친 것이다. 문양은 무문(素文) 의에 대조리 무늬(籠文), 藍文, 繩文과 방격문 등이다. 남부 일부 유적 중에 소량 의 채도편이 출토되었는데 그것은 仰紹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그 일대 세석기 문화유적의 공동 특징은 농업생산 공구가 결핍된
- 럴
점이다. 그래서 당시 사람들은 수렵과 목축의 경제생활을 하였을 가 능성을 보여준다. 新疆 維吾爾 자치구 지역 내에서 다량의 세석기 유적이 발견되었 다. 그곳에서도 세석기는 지표에서 채집되었다. 주요한 곳은 三道嶺 子, 紫 1我 堡, 章格爾, 羅布浦爾과 旦末 등 유적이다. 그 유물은 석기 위주이다(그림 168). 토기편은 극히 드물다. 토기 편들은 거친 홍갈색의 무문, 대조리무늬 등 2 종이다. 석기들의 주요 특징은 대형 타제석기, 계수나무잎형 석기 등이고 농업용공구는 없 다. 당시 사람둘은 수렵과 목축업에 종사한 것으로 보고 있다. 熱河省 赤峯山 부근에 신석기시대 유적이 대단히 풍부하다. 1908 년 부터 수차례 지표조사가 실시되었다. 1935 년에 정식 발굴된 곳을 소 위 赤峰제 1 기문화와 赤峰제 2 기문화로 나누었다. 제 1 기문화만 살펴 보자. 제 2 기문화는 마연된 홍도 및 청동기문화로서 中原의 東周時期 에 해당된다. 赤峰紅山은 英金iiiJ랴에 위치하고 있다. 그곳은 수면으로부터 약 200m 높이의 화강암의 낮은 산이다. 그곳에서 출토된 석기는 4 종류 로서 세석기(그립 169), 세장석편, 긁개, 석촉 등이다. 강자갈석기(그
16
립 169 • 13~16), 계수나무잎형 석기, 돌보습 및 양면기와 돌도끼도 있다. 마제석기는 소형의 돌도끼와 石碑 등인데 날부분만 갈았고, 기 타 돌도끼(전면 마연), 연석, 유공 돌마치, 숯돌 및 반월형 석도 등 이다. 토기는 2 계통으로 하나는 고운 점토의 홍도, 수제이며 홍갇색으로 표면은 마연되었다. 문양은 무문 의에 劃文, 彩繪 등 2 종이다. 채도 는 표면에 붉은색을 입히고 그 위에 홍색을 칠하고 때로 흑색의 평행 문 또는 소용돌이문을 처리하였다. 기형은 평저 위주의 사발(腕), 대 접(盆), 크고 작은 耀類와 원저의 사발(鉢)도 있었다. 다른 한 가지 는 거친 갈색 토기로서 태도 내에 모래가 섞이고, 수제이며, 혹갈색 또는 갈색이다. 기형은 구연이 넓고 배가 부론 緖이다. 문양은 무문 의에 대조리무늬(籠文)의 호선문 위주이며, 평행선의 획문과 손톱으 로 처리한 瓜形文(손톱무늬)도 있다. 상기한 대조리무늬의 호선문은 동북 일대에 널리 분포되었다. 그것들의 대부분은 세석기를 동반하였 다. 그것들은 세석기 문화의 산물로 여겨지고 있다. 沙鎬屯은 遼寧省 錦四縣 沙§尉t의 동굴유적이다. 그곳은 해변으로 부터 260m 높이 되는 석회암 산상에 위치하고 있었다. 동굴 북벽 길 이 4.9m, 남벽길이 6m, 동굴입구 1.8m 등이다. 1921 년 발굴되었 다. 동굴퇴적층은 6 층으로 나누어졌는데 발굴 당시에 동굴되적은 모 두 동일시기로 보았다. 출토 유물은 돌송곳, 석촉, 첨두기, 원형 밀 개 등 세석기(그립 170) 와 마제석부 등이다. 토기편은 심히 파손되어 복원이 불가능하였다. 그것들은 고운 점토의 홍도 계통으로 수제의 홍갈색이었다. 표면은 마연되었고, 다른 4 편의 토기편상에는 평행흑 선문이 처리된 채도도 있.었다.\ 기형l은 사 발(腕) 및 손잡이 달린 緖 A2 '&
70긁 隨” 屯 석 출촉토 3 3病]O A등이다. 그곳의 세석기는 중국 북부의 일종 신석기문화의 산물이다. 그 문 화는 중석기시대부터 시작되어 청동기시대까지 연속되었다. 연속된 시간이 대단히 길었다. 그리고 그 분포범위도 대단히 광범위하였다. 다만 과거의 조사는 모두 지표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충위상의 증거 와 정밀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세석기 문화인의 경제생활을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나누고 있다. 하나는 고기잡이 수렵형으로 昴昴溪가 대표이고 다른 하나는 농업 겸 목축수렵형으로 林西 • 赤峰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紅山문화 계통은 농업 위주의 색채가 농후하다. 목축 • 수렵형은 內蒙 • 甘肅과 新疆 등 의 유적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곳에서는 농업생산 공구가 거의 없다. 세석기 문화가 장기적으로 연속된 이후에 점차 청동기문화로 대치 되었다. 東北지구의 세석기 문화는 赤峰제 2 기문화 또는 그와 유사한 문화로 대 치 되 었다. 110)
제 10 장 결론 중국 구석기시대 연구사, 자연환경, 구석기시대 문화를 화북과 화 남으로 나누어 전기 • 중기 • 후기 등의 순서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마 지막 빙하기가 종료되고 지구상에 따뜻한 기후가 도래한 충적세 (전신 세) 문화 죽 세석기(중석기시대) 문화도 간추려 보았다. 구석기시대 문화유적을 모두 36 곳 살펴보고 중석기시대 유적 6 곳을 살펴보았다. 각 시기의 유적에 대한 철대편년을 중심으로 종합하여 보겠다. 西侯度유적은 동물화석, 타제석기를 동반하였으며 그러한 유물들에 근거하여 중국 구석기문화에서 가장 오래된 전기구석기시대 죽 100 만 년 이상으로 보고 있다. 藍田유적은 약 80 만년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區河는 周口店 제 1 지점보다 오래된 약 70~80 만년으로 보고 있다. Ill) 周口店 제 1;鬪 :i덟 우라니움세리방법으로 1~3 층은 230,000 士蓋器 년, 256,000 士 40,000 년, 4 층은 열석광범으로 290,000 년, 7 층은 고지 자법으로 370,000 士 400,000 년, 10 층은 피씨온 트랙 방법으로 462,000 士 45,000 년, 그리고 열석광범으로 520,000~620,000 년, 13 층 이하는 고지자법으로 >700,000 만년이 계산되고 있다 .112) 또한 최근의 화북지구 구석기유적에 대한 우라니움세리 측정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오고 있다. 周口店 제 1 지점 1~3 층 22~29 만년 大~ 78006 A 지점 3~4 층 18~23 만년
丁村 54 : 100 지점 16~21 만년 周口店 新洞(새동굴) 3~7 충 13.5~17.5 만년 許家蒸 74093 지점 지표하 8m 화석충 10~12.5 만년 遷安瓜村 4 . 2~5 만년 사라-오소―골 구석기 문화충 3.7~5 만년 水洞溝 구석기 문화충 3.2~4 만년 小南海 제 6 층 1. 8~2.3 만년 山項洞 1. 8~2.3 만년 등이다 .113) 또한 1985 년 吳汝康 의 7 인, 『北京猿人遺址 綜合硏究』, 과학출판 사, 본문 267 페이지, 도판 29 등 종합보고서가 출판되어 그간의 周口 店 제 1 지점 연구를 총결산하고 있다. 營口 金牛山유적은 周口店 제 1 지점과 동일한 시기로 보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周口店 제 1 지점의 어느 충위와 일치한다는 것은 밝히지 않고 있다. 廟后山유적도 종합보고서가 출간되었다. 시기는 제 1 단인 제 1~3 층 은 B.P. 73 만년, 제 2 단인 제 4~6 층은 40~14 만년, 제 3 단인 제 7~8 충은 10~ l. 7 만년 등으로 우라니움세리와 방사성탄소 연대측정법으로 계산되었다. 결론적으로 제 4~6 층은 周口店 제 1 지점과 동일한 시기이며, 제 7~8 충은 許家察亂 丁村組와 사라-오소―골과 동일한 시기로 보고 있다 .114) 東谷蛇유적은 대략 1 백만년으로 상기한 西侯度유적과 동일 시기로 보고 있다. 周口店 14 지점은 대략 중기구석기시대로 보고 丁村유적보 다 이른 시기라고 주장하지만 아직 절대연대 측정 예는 없다. 석기 출토가 빈약해서 현재로서 상대연대를 어림으로 주장하기는 어렵다. 大嘉人유적과 丁村유적은 위에서 우라니움세리 측정의 연대가 나왔 지만 동물화석과 석기에 따르면 10 만년을 초과하기는 대단히 어렵다. 山西 曲沃유적에서 동물화석, 인류화석과 석기가 출토되고 시기는 대개 37,000~70,000 년으로 계산되어 중기구석기시대초에서 마지막 단계로 볼 수 있다. 陝西 幹縣유적에서 주먹도끼가 출토되었는데 시기는 丁村과 같은 연대로 보고 있다.
陝西 長武유적도 丁村과 동일시기로 보고 있다. 大同 靑磁察유적은 동물화석과 석기에 의해서 전기구석기시대말로 보지만 발달된 석기, 그 중에 긁개의 다수는 중기구석기에 해당된다 고 필자는 생각한다. 후기구석기시대 유적에 대한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은 상당히 활발하 다. 화북 후기구석기시대 유적으로 가장 이론 시기는 山西 陽高 許家蒸 유적으로 1974, 1976, 1977 년에 발굴되었다. 동물화석, 인류화석과 석 기가 대 량으로 출토되 어 발굴자는 B.P. 60 , 000~30 , 000 년으로 보았 으며, 유적은 중기구석기시대에 해당된다고 보았지만 코뿔소화석에 대한 CU 측정은 B.C. 14970 士 2000 년이 나왔고, 우라니움세리측정은 100,000 만 전후가 산출되었다. 山西 朔縣 時浴유적에서는 1963 년 발굴에서 대량의 석기와 동물화 석을 출토시켰다. 소뼈에 대한 C” 측정은 B.C. 26995 士 137 년이다. 山西 t心水 下川은 1973 년 시굴, 1975~78 년의 발굴에서 대량의 석 기를 출토시켰다. 동물화석은 드물다. 4 개 샘플에 대한 C” 측정은 B. C. 21950~14450 년 사이이다. 북경 周口店 山頂洞 발굴은 1933~34 년 에 실시되었다. 현재의 C” 측정은 2 개 샘플에 대하여 하나는 B.C . 8 , 520 士 360 년이 산출되어 중석기시대에 속함을 시사하여 주고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B.C . 18,865 土 420 년이 산출되어 종래의 주장에도 후 기구석기시대 말기에 해당됨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山頂洞에서 출 토된 동물화석과 석기에 의하면 후자의 수치가 적당하다. 河南 安陽小南海 동굴유적은 1960 년과 1978 년 2 차의 발굴이 실시 된 곳이다. 3 개 샘플에 대한 C” 측정은 B.C. 11125 士 200 년 나왔고, 6 충의 숯 샘플은 B.C. 9050 士 500 년이 산출되었다. 그리고 2,3 층에서 출토된 최후하이에나와 털코뿔소 등의 사멸종은 c14 측정 결과와 부합 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115) 오르도스유적에서 대표적인 사라_오소一골 하부총이 약 37 , 000~50,000 년, 그리고 水洞溝 하층이 32,000~40,000 년(표 10) 으 로 연대가 산출되고 있어서 중기구석기시대 마지막으로부터 후기구석 기시대 초기에 해당됨을 보여주고 있다. 河北 陽原 虎頭梁유적에서는 동물화석과 석기가 출토되었다. 시기
표 10 화남화북지구 구석기 지접의 우라니움세리 측정 화남지구 화북지구 지점과 충위 연대 (만년) 지접과충위 연대(연대범위) (만년) 제大 治1 층 石龍頭 25• 6 -+ 23..64 .' -31.2+-64 •. 23 제周 口l~店3 층제 1 지점 2(2 52 •~ 12 9+-)34 ..11 '. 제大 ~3 층 78006A 지점 2( 1。8 •~ 92 3+—)2 1..93 .' 丁村 54 : 100 지점 2 。 • 。 -+11..85 •. 사력충 (16~21) 長陽龍洞 1199.• 6 4 +-~ 22i:. ~.04 .' 桐粹岩洞 제 4 층 18.1~5 :§ 周口店 新洞 6~7 15•6 +- 11 ..31 .• 수평충 17 • 1 +_11..35 .’ (13 . 5~ 17. 5) 馬增 獅子山二層 12.9~}:5 洞裂隊 桐粹岩灰洞 제 4 층 11.3 士1. 1 : 11. 5 士 0 . 7 醉西觀音洞 제 8 층 11.5:8:; 許家察 74093 지점 10.4 士 0.4 : 지하 8m (10 . 0~ 12 . 5)
建德 鳥龍洞 상부 19.07. 土8 !0~.8: i ; 對西 觀音洞 7.6 士 0.4 ; 8.4 土 제 5 층 0.5 ; 10.4 土 0.6 柳江 通天岩 >6.7 색:t? (柳江人) 탉西觀音洞 5.7 土 0.3 제 2 층 水城確灰洞 5 . 2 士 0.3 제 3 층 遷安瓜村 흑색 4.8 士 0 . 2 ; 이회토충 4 . 4 士 (4.2~5) 薩拉鳥蘇 하부 약 3.7 ; 문회충 4.95 士 0.22 ; (3.7~5) 水洞溝下 문화충 3.4 士 0 . 2 ; 3.8 士 0 . 2 ; (3.2~4) 里貢 龍潭山 號洞 2 . 1 土 0.1 ; 2 . 86 士 제 2~4 층 0.13 柳州 白蓮洞 西部 2 . 8 土 0 . 2 淮積 제 6 층 安陽 小南海 제 6 1. 89 士 0.15; · 추。 2.14 士 0.13 ; (1.8 ~2. 3) 山項洞下層 2.1 士 0.4 ; (1. 8~2 . 3) 桐粹 馬毅山 1. 8 土 0.1 제 3 층
는 후기구석기시대에 해당되며, 유적에서 출토된 석기의 유형에 따라 許家窓 --> 時裕 一 虎頭梁의 발전서 열로 보고 있다. 아직 구체 적 시 기 를 밝힌 것은 없다. 山西 大同市 小站유적에서는 시굴과 채집에서 432 접의 석물이 발견 되었다 . 아직까지 구체적 시기를 논한 것은 없고 다만 석기의 유형에 따라서 許家窓의 것과 접근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 甘肅省 混川縣의 牛角溝와 合志溝에서 동물화석, 인류화석과 석물 이 채집되었다. 그곳에서 출토된 석기들은 사라-오소-골과 時裕유 적의 것들과 비교가 될 만하다고 보고 있다. 遼寧 海城 小孤山 동굴유적에서 38 종의 동물화석, 10 , 000 점 이상의 석물과 정교한 뼈도구가 출토되었다. 116) 본서에서는 다만 뼈도구와 장식품만 살펴보았다. 시기는 유럽의 막달레니안시기 즉, 화북의 山 項洞과 일치하다고 보고 있다. 화남의 자연환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화남에서 출토되는 포유동물 화석과 그 예로 柳城 巨猿동굴의 동물화석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아 직까지 확실한 연대를 설정할 수는 없다. 다만 기타 지역과 비교할 정도의 자료만 제시되고 있다. 雲 南省 元謀人유적의 연대에 대하여 2 가지 주장이 제시되고 있다. 하나는 170 만년으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인류화석이라는 주장과, 그것은 찰못된 계산으로 약 70 만년에 해당된다는 설이 대두되어 그 결과는 장래 연구에 기대할 수밖에 없다. 貴 州 뿜西縣 觀音洞유적은 화남에서 가장 큰 동굴유적이며, 시기는 전기구석기시대에 해당된다고 보고 있다. 출토 유물은 석기와 동물화 석 등이다. 시기는 四川 銅梁 西廊水庫에서 발견된 것과 동일하게 전 기구석기시대로 보고 있다. 이 유적을 화남의 전기구석기시대의 대표적 유적으로 주장하고 있 으며 화북 周口店 제 1 지점보다 이론 시기로 보고 있다. 동일 시기의 煙魚橋 석기와 비교하여 보았다. 중기구석기시대에 속하는 馬場人유적은 다량의 동물화석을 동반하 고 석기는 없었댜 출토된 인류화석으로 중기구석기시대에 해당된다 고고 보있았는다데. 인근류래화에석 과우 라동니반움된세 리동측물정화(석표에 1 0따) 르12면 . 9 -+111( .. )01 만만 년으이 로초 과계된산다하
는 것은 납득이 되지 않는다. 후기구석기시대에 속하는 資陽人유적에서는 많은 동물화석과 인류 화석이 발견되었다. 동물화석과 인류화석에 의해서 후기구석기시대에 속한다고 주장하면서 구체적 연대는 밝힌 것아 없다. 그러나 C” 측정 에 따르면 B.C. 7485 士 130( B. C. 5535), 7275 士 130(B . C . 5325), 6740 士 120 (B.C. 4790) , 6550 土 120 (B.C. 4 , 600) , 7360 士 140 (B.C . 5410) 이 라는 계산이 나온 것은 신석기시대 초기에 해당된다. 117) 昆明 里貢 龍潭山 제 2 지점에서는 동물화석 , 인류화석과 석기가 출 토되었다. 대체적으로 水洞溝와 같은 연대로 보고 있다. 이유는 석편 제거시 모두 직접타법에 의해서 떼어내었기 때문이다. 柳江人유적은 1958 년 발굴되었다. 동물화석과 인류화석 그리고 소 량의 석기가 출토되었다. 그러나 유물 출토 충위가 확인되지 않았고, 인류화석은 오스트레일리아인―흑인계통과 접근되는 것으로 보고 있 다. 柳江 通天岩(柳江人 유적)은 우라니움세리측정으로 >6.7~~:~? 만년(표 10) 이 산출되고 있는데 그 수치는 믿기 어렵다. 광서성 來賓지구 隸麟山 동굴유적에서는 소량의 동물화석, 인류화 석(두개골)과 소량의 석기가 출토되었다. 구체적인 연대는 아직 발표 되지 않았으며, 두개골은 몽고계통에 속하는 현생인류 (Homo Sap ien s Sa pi ens) 로 보고 있다. 화남의 구석기시대 유적은 대부분이 동굴유적이다. 雲南 宜良의 야 의유적에서 상당수의 석물이 발견되었다. 시기는 후기구석기시대로 보고 있는데 밀개가 전체 수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절대적인 것에 의하면 후기구석기시대 마지막 시기인 막달레니안 시기에 해당된다. 貴州 普定 白岩脚 동굴유적에서는 동물화석과 석기가 출토되었다. C” 측정에 의하면 3 층은 B.P. 12,080 士 200 년, 5 층은 B.P. 14,630 士 200 년으로 B.C. 12000~10000 년 사이에 해당된다. 세석기 또는 중석기시대 유적과 편년은 장래의 연구에 기대하여야 한다. 다만 세석기시대 죽 중석기시대에 대한 개념으로 大賢莊에서 출토된 유물을 바교적 확실하게 분석하고 있다. 大賢莊에서 발견된 세석기는 후기구석기시대의 유적에서 세석기가 출토되는 유물을 〈祖 型세석기〉, 전정한 중석기시대의 유물을 〈전형적 세석기〉 그리고, 신 석기시대부터 그 이후에 출토되는 세석기를 〈표준세석기〉 또는 〈발달
된 세석기 〉 라고 정의를 내리고 있다. 세석기 유적 중에서 자라이놀유적은 6 층인데 그 중에 4 층의 저부, 5 층 상부는 C” 측정으로 B.P. 11,460 士 230 년이 산출되었고, 4 층 상부 는 B.C. 4760 士 200 년이 산출되었다 .118) 후자의 산출에 근거하면 전형 적 세석기시대 또는 표준세석기 유적에 해당된다. 중국 구석기시대 문화에 대한 연구는 자연과학적인 방법이 총동원 되고 있는 실정이다. 화북의 구석기시대 문화연구는 독자들에게 비교 적 설득력을 제시하고 있지만, 동굴유적이 절대수롤 차지하는 화남의 구석기시대 문화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세석기 문화, 죽 중석기시대 문화연구는 아직까지 정식으로 발굴된 유적이 소수이기 때문에 유적의 발견수와 유물의 수량에 비하 여 전정한 중석기시대 문화면모를 대표할 수 있는 유적을 제시하기에 는 아직 시기상조이다. 중국 구석기시대 문화에 대한 자료가 대량으로 발표되어 정리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발표된 모든 내용을 곧 수용하여 소개하기에는 어 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함을 이해하여 주기 바란다. 그것은 그들 자체 의 이해능력과 상대편 이해능력이 전후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중국구석기시대와 인류화석 유적절대연대표 地點 円位 연대치(萬年) 方法 山西西候度 180 PM 얗南元謀 人化石円位 170 士 10, 163 —164 PM 陝西藍田公王嶺 人化石답位 80-75, 98 PM 陝西藍田陳家窓子 人化石層位 65, 53 PM 北京間口店第 1 地點 11-13 <70 PM 11 46 R 10 46. 2 土 4. 5 Ft 10 59. 2-41. 7 TL 8-9 39 R 7 40-37 PM 34-1 2391--2229 TuL 3 37 R 遼寧本溪店后山 1-3 >70 PM 4 層5 頂4層 部 32~434 .037 ++-485 .•. 8o3' 33. 7 +一 95.. 43 PuuM 6 層底 22 • 8+-45.. 96 u 677 層層담中下上 491..4 6•5• 2土士--+ o041..1 ..83. 103 uuu 77 層1!上-上距距頂項1 1.. 36 米米 21.. 74577± 士o 0.1. 605 7 uC 方法 : PM (古地磁法) U( 우라니움세리법) C 혹은 AMS (방사성 탄소측정 법 (Cu) ) F t(裂變經遊法) TL( 熱釋光法) R( 아미노산법)
遼寧菅口金牛山 6/B -, 人化石 H 23-30 u 5 層 21-26 u 湖北大治石龍決 1 25. 6+-23.. 64 ' 31. 2+-46.. 32 u 陳 西 大 'li,78 006 A 3 23-18 u 地點 丁村 54 : 100 地點 砂硏層 21-16 u 安敏果縣銀山 上部人化石層位 20-16 u 安徵化縣 19-15 u <20 TL 湖北衣腸龍洞 21. 5-17. 5 u ·i lt 1 사桐粹岩灰洞 4 18.1+— 1o.. 1 9 ' 17. 3 士 1.1 , u 11. 5 士 o. 7 周口店新洞 6-7 水平層 17. 5-13. 5 u 下部灰造用 25. 7 士 3. 6 TL 廣束馬 r줍 獅子山 2 層洞裂隊 +1.1 u 12. 9-1. 0 賞 州쁩西觀 音洞 8 層 +0. 7 u 11. 5-0. 6 5 層 10. 4 士 o. 6, 8.4 士 o.5, u 7. 6 士 o. 4 2 層 5. 7 士 o. 3 u 山西許家 '!!.74093 地點 地表下 8 米 12. 5-10. 0 u 浙江建德鳥龜洞 上部 9. 7 士 o. 8, 10. 8+— oo• . 8 g u 및t 1'Wk 城砲灰洞 3 層 5. 2 土 o. 3 u i可~t遷安瓜村 黑色泥灰土層 5-4.2 u 內蒙 사라-오소-골 下部文化層 5-3.7 u 文化層 3. 534 土 0. 170 C
寧夏水洞溝 下文化円 4-3.2 u 7/f 1. 725 士 o. 021, 2, 619 士 C 0.080 雲南里貢龍潭山 1 號洞 下部 3. 107 士 0. 230 C 上部 1. 992 土 0. 025 C 32 號號洞洞 34 層 層或下 2部 層 223... 180 56土 士± 0 0.0.1. 1 083 uuC 4 層上部 1. 86 士 o. 03 C 下部層位 3. 041 士 0. 090 C 上部層位 1. 786 士 0. 143 C 廣西柳州白蓮洞西壁 160 層 層 32.. 87 0土 士 o .o .2 20 uC 4 2, 668 土 0. 063 C 2 1. 991 士 0. 018 C 東壁 5 層 1. 167 士 0. 015 C 廣西柳州大龍潭 下層 2. 333 士 o. 025, 2.102 士 C 0,045 下層 1. 856 士 0, 030 C 上層(人骨層) 1. 288 土 o. 022, 1. 021 土 C o. 015 廣東陽春獨石子 3 層 1, 668 士 0, 057 C 2 層 1. 717 士 o. 018, 1. 535 士 C 0.025 2 層 1. 426 士 0, 013, 1. 77 士 o. C 02 l 層 1. 322±0. 013 C 廣東英德靑塘失屋岩 1. 714 土 0. 026 C 四川銅梁西廊 7k 庫 深 8 米 2. 545 士 0. 085 C 基底 2.155 士 0. 031 C 貴州桐粹鳥數山 3 層 1. 8 土 o.1 u 1. 51 士 0.15 C
北京周口店山頂洞 JK 7 : 33 : 88 1. 077 土 0. 036 C H8 : 33 : 109 UC : F9 : 34 : 44 1. 877 士 o. 042 C UC : J-1 1 : 33 1. 320 士 0. 016 AMS UUUCCC ::: FJ363g ::: 433144 ::: 014612 123... 2190 土土0 o0.. 14 AMuu S 下窓 5-3.25 TL 山西i心水 )II T2-6@ 2.17 士 0.10 C ITl® 下部 1. 64 土 o. 09 C .II T2® 2. 07 士 0. 06 C IT8@) 2. 39 士 0.10 C 山西i't vk 迪岩 IIITl-2® 1. 838 土 0. 048 C IVT!Ol-103@ 1. 856 士 0. 048 C 山西i心水舜王坪 T2® 下部偏上 1. 96 土 0. 06 C T3@) 上部 1. 39 士 o. 03 C 山西`i心 7k 富裕河 Tl® 3 62+o. 35 C • -0.25 山西襄沿柴寺 砂礎円 2. 64 士 o. 08 C 山西朔縣時裕 2/H - 2. 894 士 o. 137 C 河南安陽小南海 66 22.. 341- 土1 .o .8 0 5 uC 2 及 3 1. 10 士 0. 05 C 吉林捨樹周家油坊 2.5 米以下 >4 C 第 1 地勳 第 4 地點 深 4.4 米 2. 414 士 0. 080 C 深 5.4 米 2. 414 士 0. 050 C 2. 610 士 o. 085C 深 6.5 米 2, 674 士 o. 074 C 6.7 米以下 >4 C
언主) 1) 香港博物館編 r 中國古人類』 香港市政局 出版, 1983, p. 50. 2)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考古學』 中國大百科全書, 1986, pp.6 82~689. 3) 崔茂藏 『中國의 考古學』, 電波 科學社, 1978, p. 8. 4) 王憲曾 『古往今來話浦桑』 (六千萬年以來中困古環境 變遷), (化石) 1, 1984, pp. 14~15. 5) 龍進 『地質年代表』 , (化石), 1883, p. 31. 6) H. de Terra, 「 Ple isto cene Formati on and Sto n e age Man in ch i na 」, Insti tut de Geo-bio l og ie, pe kin , 1941 p.g . 7) P. Teil ha rd de Chardin , 「 Early Man • in Ch i na 」 , Insti tut de Geo-bio l og ie, pek in , 1941, p.g. 8) Mou-chang choi, 「 Le pal eolith iq u e de la Ch i ne 」 , Univ e rsit e de Paris i , These, 1973, pp.4 ~ 71. 9) K.c. chang, 「 Ch i nese . p aleaoan t hro p olo gy」, Ann, Rev, Anth rop o log y, 1977, 6. pp. 140~145. 10) 曹家狀編, 『第四紀地質』, 商務印書館, 1983, pp.1 ~ 132. 참고서적 • 中國科學院地質硏究所抱粉分析組等, 『第四紀 抱粉分析考古環 境』, 科學出版社, 1984, p. 123, 도판 7 • 李四光, 『中國第四紀氷川』, 科學出版社, 1975, p. 160, 도판 13. • 中國地質學會第四紀氷川與第四紀地質專業委員會編, 『第四紀 氷川與第四紀地質論文集』, 제 1 집, 地質出版社, 1984, p. 268 11) 賈蘭坡 • 王建, 『西侯度』 (山西更新世早期古文化遺址) , 文物出版 社, 1978, pp. 1~77. 12) 張玉津, 黃萬坡 • 湯英俊, 許雄祥 • 丁素因, 「陝西藍田新生界的 初步 • 觀察」古背椎動物與古人類 第 8 卷第 2 期, 1964, pp.
134~ 148. 13) 吳新智 • 袁振新 • 韓德芬 • 齊陶 陸度五, 「陝西藍田 公王嶺猿人 地點 1965 年 發桐報告」, 古背椎動物與古人類 第 10 卷 1 期, 1966, pp. 23 ~ 28. 14) 黃萬坡 • 張玉洋, 陝西藍田地區 第四紀晴乳動物化石地點」, 古育 椎動物與古人類, 第 10 卷 l 期, 1966, pp. 35~44. 15) 載尔儉, 「陝西藍田公王嶺及其附近的 1 日石器」 古背椎動物與古人類 第 10 卷 1 期, 1966, pp. 30~32. 16) 吳汝康, 「陝西藍田發見的猿人頭骨化石」, 古背椎動物與古人類 第 10 卷 1 期, 1966, pp.I ~ 13. 17 賈蘭坡·王擇義·王建 『區iiiJ』(山西西南部 1 日石器時代初期文化遺址), 科學出版社, 1962, pp. 1~35. 18 Teil ha rd de Chardin , (p) 「 Early Man in ch i na 」 Insti tut de Geo-bio l og ie, No. 7, 1941, pp. 11~46. 19) 周本雄, 『周口店 第 20 地點的 周口店岸的頭骨』, 古育椎動物與古 人類, 第 7 卷 第 1 期, 1966, pp. 62~66. 20) 張森水, 「周口店第 22 地點的 1B 石器」, 古育椎動物與古人類 第 7 卷 第 1 期 1966, pp. 84~85. 21) Pei w.c., 「 Rep o rt on the excavati on of the locality 13 in chou- kou ti en 」 , Bulleti n of the Geolog ica l soc iet y of Chin a , vol. X III, no. 3, 1934, pp. 359~367. 22) 郭洙若 등 5 人, 『中國人類化石的 發見與硏究』, 科學出版社, 1955, pp. 39 ~ 49. 23) Woo Ju -kang . Chao Tze-kuei, 「 New dis co very of sin a nth r o-p u s Mandib l e fro m Choukou tie n 」 , (古背椎動物學報) vol. III, No. 4, 1959, pp. 169~172. 24) Chia Lanp o , 「 Rep o rt on the excavati on of sin a nth r op us site i n 1958 」, vert eb rata pa lasia t i ca , vol. m. No. 1, 1959, pp. 41~45. 25) 吳汝康等 『北京猿人遺址綜合硏究』, 科學出版社, 1985, pp. 36~49. 26) 趙資奎 • 載尔儉, 『中國猿人化石産地 1960 年 發堀報告』, 古育椎 動物與古人類, 第 4 期, 1961, pp. 374~ 377.
27) Black(D) Teil h ard Young Pei, 「 Foss i l Man in Ch i na 」, Mem. Geol. Surv. Chin a , Serie s A, No. 11, 1930, p.5 0 . 28) Black(D) Teil h ard Young Pei, Ibid , 1930, pp. 20~22. 29) Chao Tze-kuei Li ye n-hsie n , 「 Re p o rt on the excavati' on of the choukoutz' en sin a nth r op us site in 1959 」, vert eb rata pa lasia t i ca, vol. IV No. 1, pp. 30~32. 30) H.D. 卞尔克 • 周本雄, 「周口店 第 1 地點下部各層的地層古生物 學觀察及 第 1 地點時代」, 古背椎動物與古人類, 第 3 期, 1961, pp. 212~233. 31) 崔茂藏 「中園 1 日石器時代의 晴乳動物」, 建園大人文科學논총, 제 16 집 , 1984, pp. 7 ~ 11. 32) Pei W.C., 「 No ti ce of the dis c overy of Quar tz and Ot he r sto n e art ifact s in the lower Pleis toc ene homi ni d - b e a r ing sedim ents of the choukouti en de p os it」, Bul. Geol. Soc. Chin a , vol IX. No, 4, 1932, pp. 317~58. 33) Teli ha rd de Chardin P. dnd Pei W.C. 「 The lithi c ind ustr y of the Sin a nth rop us dep o sit s in Choukou ti en 」, Bull. Geol, Soc. Chin a ll, pp. 315~364. 34) 張森水, 「對中國猿人石器性 質 的-此認 認 」 古背椎動物與古人類 ; 第 6 卷第 3 期 1962, pp. 270~278. 35) Black(D) Teil h ard, Young • Pei, Ibid , 1930, pp. 100~131 . 36) 趙資奎 • 載尔儉, 「中國猿人化石産地 1960 發堀報告」, 古背椎動 物與古人類, 第 4 期, pp. 374~377. 37) 裵文中, 『關於中國猿人骨器問題的意見」, 考古學報 2, 1960, pp. 1~7. 38) Black(D ) Teil ha rd • Young • Pei, Ibid , 1930, p. 130. 39) Boule(M), 「 Les Hammes Foss i ls 」 , Masson(pa ris ) , 1952, pp. 133~145. 40) 郭洙若等, 上摘 書 , pp. 39~47. 41) 吳汝康, 上摘 書 , 1985, pp. 239~260. 42) 遼寧省地質局文化地質大隊, 『遼寧第四紀』, 地質出版社, 1983, pp. 1 ~ 28 과 107.
43) 遼寧市博物館 • *溪市 博物館, 『廟后山』 (遼寧市本溪市 IB 石器文 化追址), 文物出版社, 1986, pp. 1~102. 44) 衛奇, 『東谷蛇 1 日石器初步觀察』, 人類學學報第四卷四期, 1985, pp. 289 ~ 300. 45) 衛奇 • 孟活 • 成勝泉, 『i尼河灣層中開現一處 1 日石器地點』, 人類學 學報第 4 卷 第 3 期, 1985, pp. 223~231 . 46) 郭洙若外 5 人, 上摘書, pp. 61~63. 47) 賈蘭坡, 『 1 日石器時代文化』, 科學出版社, 1957, pp. 32~35. 48) 周春茂, 『大魏人在人類進化課程中的位置, 種族特徵及 其意義』, 史前硏究 2, 1983, pp. 106~ 111 . 49) 香港博物館編, 上摘書, pp. 63~64. 50) 張森水,周春茂, 『大芬化石地點 第二次 發堀簡報』, 人類學學報 第 3 卷 第 1 期, 1984, pp. 19~29. 51) 郭洙若 外 5 人, 上摘書, pp. 91 ~ 104. 52) 裵文中 • 吳汝康 • 賈蘭坡 • 周明鎭 • 劉憲亭 • 王擇義, 『山西襄沿 縣丁村 1 日石器 時代遺址 發堀報告』, 科學出版社, 1958, pp. 23~109. 53)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編, 『中國考古學中破十四年代數振 集』, 文物出版社, 1983, p.2 1 54) 崔茂藏, 『중국 구석기시대의 石器類型分類에 대한 小考』, 전 대, 인문과학논총 제 19 집, 1987, pp. 9~12. 55) 劉源, 『山西 曲沃縣西淸新發現的 1 日石器』, 人類學 學報 第 5 卷 第 4 期, 1986, pp. 325 ~ 335. 56) 邱中郞, 『陝西乾縣的 1 日石器』, 人類學學報, 第 3 卷 第 3 期, 1984, pp. 212 ~ 214. 57) 善培 黃萬坡, 「陝西長武發見的 1 日石器時代中期文化唯物」,人 類學學報, 第 1 卷 第 1 期, 1982, pp. 18 ~ 29. 58) 李招榮 • 謝廷琦 • 唐雲俊, 『大同靑磁石器遺址的發堀』, 人類學學 報, 第 2 卷 第 3 期, 1983, pp. 236~246. 59) 李炎賢 「關於石片台面的分類」, 人類學學報, 第 3 卷 第 3 期, 1984, pp. 253 ~ 258. 60) 賈蘭坡 • 衛奇, 「陽高許家察 1 日石器時代文化遺址」, 考古學報 2
期, 1976, pp. 97 ~ 114. 61) 吳茂採 「許家蒸人 生活社付公 時代」, 化 石 3, 1983, pp. 18~19. 62) 賈蘭坡 「中國大陸上的遠古居民」, 天津出版社, 1978, pp. 91~101 . 63) Boule(M.) Breuil (H .) Lic e nt( E) Teil ha rd(p) , 「 Le pal eolith iq u e de la ch in e 」, Archiv e s de I.P .H. , M asson(pa ris) , pp. 1~131. 64) 注宇平, 「水河溝村的 (日石器文化遺址」, 考古 11 期, 1962, pp. 588~589. 65) 賈蘭坡, 藍培, 李炎賢, 『水洞溝的石器時代遺址的新資料』, 古背 椎動物與古人類, 第 8 卷, 第 1 期, 1964, pp. 75~80. 66) 吳汝康, 『河奎人類頂骨和股骨化石』, 古背椎動物學報 第 2 卷 第 4 期, 1958, pp. 208 ~ 210. 67) 賈蘭坡, 蓋培, 犬培柱, 『山西時裕裕(日石器時代遺址發堀報告』, 考古學報 1 期, 1972, pp. 39~58. 68) 賈蘭坡, 上摘書, 1978, pp. 128 ~ 132. 69) 王向前 • 陳淳, 『下川遺址考察散記』, (化石) 2, 1983, p. 19. 70) 吳加安, 『試論下川文化考小南海文化之間的關係』考古與文物 1, 1984, pp. 100 ~ 106. 71) 王向前, 陳淳, 上摘論文, pp. 18~19. 72) 安志敏, 『河南安陽小南海(日石器時代洞穴淮積的試堀』, 考古學報 第 1 期, 1965, pp. 1~4. 73) 周本雄, 『河南安陽小南海(日石器時代洞穴遺址育椎動物化石硏 究』, 考古學報第 1 期, 1965, pp. 29~49. 74) 安志敏, 上摘報告書, 1965, pp. 4~26. 75) Pei W .C., 「 A pre lim i na ry repo r t on the late pal aeolith ic cave of choukou ti en 」, Bui. Geol. Soc. Chin a , xol. X III, No.3 1934, pp. 327~350. 76) 吳新智, 「周口店山項洞人化石的硏究」, 古背椎動物與古人類 , 第 3 期, 1961, pp. 181~202. 77)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編, 『新中國的考古發現和硏究』, 文 物出版社, 1984, pp. 23~24.
78) 蓋塩 「賜原石核的動態類型學硏究及其工藝思想分析」, 人類學學 報 第 3 卷 第 3 Jt. 1984, pp. 244~252. 79) 李超榮 • 鮮廷琦 • 胡平, 『大同市小站 a q l 日石器』, 人顔學學報 第 5 卷 第 4 1 바, 1986, pp. 336~344. 80) 劉玉林 • 黃慰文 • 林一環, 「甘肅i힙 Il 發現的人類化石和 |B 石器」, 人類學學報, 第 3 卷 第 1 期, 1984, pp. 9~18. 81) 黃慰文, 張鎭洪, 傳仁義, 陳賓峰, 劉景玉, 祝明也, 吳洪寬, 「海城小孤山的 骨制品和裝飾品」, 人類學學報, 第 5 卷 第 3 期, pp. 259 ~ 266. 82) 裵文中, 『柳城 巨猿洞的 發堀和廣西其他山洞的探査』, 科學出版 社, 1965, pp. 1~19. 83) 張興水, 「三十年來 雲南發現的古猿, 古人類和 1 日石器」 史前硏究 2, 1983, pp. 23 ~ 31. 84) Jia Lamp o , 「 Earl y Man In Ch i na 」, Foreig n Lang u ag e s pre ss, 1980, pp. 6~9. 周園興, 張興氷編, 『元謀人』, 雲南人民 出版社, 1984, pp. 1~188. 85) 香港博物館編 上描書, p. 50. 86) 李淡贊 • 文本享, 『觀音洞』 (貸川 黑今西 1 日石器時代初期文化遺 址), 文物出版社, pp. 1~181. 87) 中國社會科學院 考古硏究所編, 『新中國的 考古發現和硏究』, 文 物出版社, 1984, pp. 10~ 12. 88) 香港博物館編 上摘書, p.7 8 89) 范桂杰 胡昌廷 『經魚橋與 觀音洞 文化關係구꺼菜』, 考古與文物 4, 1984, pp. 39~41 . 90) Woo Ju- k a ng pe ng Ru-ce, 「 Foss il Human skull of Early pal eanth r op ic sta ge Jo u 꼬d of Mapa , Shaop ua n, Kwang tun g p rov i nce 」 , Verte b rata pa lasia t i ca , Vol'. III, No. 4, 1959, pp. 176~182. 91) 裵文中 • 吳汝康 『資陽人』 科學出版社, 1957, pp. 1~27. 92) 邱中郞 • 張銀運 • 胡紹錦 「昆明里貢龍潭山等 2 地點的 人化石和 1 日石器」.
人類學 學報 第 4 卷第 3 期 1984, pp. 233~241 . 93) Woo Ju- kang , 「 Human Fossil fou nd in Li uk ia n g kwang s i, ch i na 」, verte b rata pa lasia t i ca , vol. III, No 3, 1959, pp. 109 ~118. 94) Chia Lan-po , 「 Woo Ju- kang , Fossil Human skull base of late pa laeolith ic sta ge fro m chil in s han, Leip in Di stric, kwang si , ch i na 」, vert eb ra pa lasia t i ca , vol. III, No. 4, 1959, 37, 39. 95) 裵文中 • 周明鎭, 『雲南宜良發現的 1 日石器』, 古背椎動物與古人類 2 期, 1961, pp. 139~ 141 . 96) 李炎賢 • 黃慰文, 『雲南宜良(日石器 調査簡報』, 古音椎與古人類 6, 1962, pp. 182 ~ 188. 97) 李炎賢 • 蔡同陽, 「貴川普定白岩脚洞 1 日石器時代造址」, 人類學 學報, 1986, 第 5 卷 第 2 期, pp. 162 ~ 171. 98) 類衍 黃慰文 • 張興永, 「麗江木家橋新發現的 18 石器」, 人類學 學報, 第 3 卷 第 3 期, 1984, pp. 225~233. 99) 中國大百科全集書出版社, 上摘 書 , pp. 720~721 . 100) 崔茂藏, 『中國后期 1 日石器時代의 小(細)石器와 中石器時代文化 關係』, 건대인문과학논총 17 집, 1985, pp. 251~277. 101) 周國興 『河南許昌靈井的石器時代遺存.Jl, 考古 2, 1974, pp. 91~98 과 108. 102) 王向前 • 丁建平, 『山西蒲縣 薛關細石器』, 人類學學報, 第 2 卷 第 2 期, 1983, pp. 162 ~ 171 . 103) 蓋培 • 王國道, 『黃河上流拉乙亥中石器時代遠址發堀報告 .Jl , 人類 學學報, 第 2 卷 第 1 期, 1983, PP. 49 ~ 59. 104) 葛治功 • 林一環, 『大賢莊的中石器時代細石器』, 東南文化 1 輯, 1985, pp. 2 ~ 17. 105) 徐淑彬 『山東臨祈縣鳳凰嶺發見細石長』, 考古 5 期, 1983, pp. 395~388. 106) 臨祈地區文物管理委員會. 郞城縣圖書館, 『山束却城黑龍潭細石 器遺址』 考古 8 期, 1986, pp. 673~670. 107) 鎭淳, 『中國細石核類型和工藝初探®』 (兼談與東北亞, 西北美的 文化聯系), 人類學學報, 第 2 卷 第 4 期, 1983, pp. 331~341 .
108) 裵文中, 『 中國史甘ij !Hf j비之硏究』, 商務 ~ll ,lij l j館, 1948, pp. 129~ 131 . 109) 裵文中, 『中國石器時代的文化』, 中國 靑年 出版社, 1954, pp. 30~38. 110) 安志敏「細石器文化」, 考古通試 2, 1957, pp. 36~48. 111 ) 賈蘭坡 • 王擇義 • 王建, 『區河』, 科學出版社, 1962, p. 35 112) 香港博物館編, 上摘 書 , p. 17. 113) 鎭欽梅 • 原思깁 I1 • 高世君, 『細子系法測定骨化石年齡的可算性硏 究及華北地區主要 1 日石器地點的細子系年代序 5l j』, 人類學 學報, 第 3 卷 第 3 期, 1984, pp. 259~269. 114) 遼寧省博物館, 本溪市 博物館, 『廟后山』, ' 文物出版社, 1986, pp. 1~110. 115) 安志敏, 「中國晩期 18 石器的破一 14 斷代和問題」, 人類學學報, 第 2 卷 第 4 期, 1983, pp. 342~351 . 116) 崔茂藏, 『中園東三省(遼寧省 • 吉林省 • 黑龍江省)의 1 日石器文化』, 建大學術誌, 제 31 집, 1987, pp. 58~63. 117)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編, 『中國考古學中破十四年代數振 集』, 文物出版社, 1983, p. 111 . 118) 犬玉柱, 『論華北 1 日石器 晩期造址的 分布, 埋葬以及地質時代問 題』, 人類學學報, 第 3 卷 第 1 期, 1984, pp. 73~74.
찾아보기
기 賈蘭 城 183,230 가로굵개 167 각조각기 (Burin d'a n g le ) 181 각주상 석 핵 (Prism ati c Core) 294, 295 간빙 기 I8,41,42,48 간접타법 25 幹縣 62 幹縣 유적 319 甘肅 16,312,317 감숙성 147 監田縣 19 姜家想 263 강즈스산 27 거북이등상긁개 275 거원동굴 219 거원 2 동굴 219,323 거원화석 219 경 사진 조각기 ( 斜段 조각기) 171, 181 慶陽縣城 16 經 川 52 經 川유적 209,212 계 단형 굵개 (Sin gle Ste e p S) 208 桂林 264 계수나무잎형석기 315,316 高家營子 3I2 고인류 연구소 I7,63 古 地 '炫 測 定 方 法 I2,I3,17,22,23,41, 49,52,61,115,119,125,126,228,230 古育椎動物 I7 顧鄕屯 265 고호수침적 43 曲沃유적 3I9 昆論山 27
곧은 긁개 149 골렌트 2I8 公王嶺 동물군 I9 갑t縣 50 觀音洞 l3,l7,158,l59,160,234 관음동 문화 26,231,233,234,236 관음동 유적 230,323 舌 l j肖 l j器 248 廣束馬~ 17 廣西柳江 17 廣西柳江人 61 廣義세석기 290 교요산지 128 교차가공 125 溝口 227 九龍口 227 賞 州 省 13 균즈四光 18 균즈 (Gi inz) 45 그로마 두카 유적 306 그래보 36 긁개 (Scrap er s} 68,71,72,87,89,104,107, 109 기둥형 (柱狀) 185,i:8 7 誤麟山 동굴 유적 324 郞麟山유적 250 麟麟山人 227,252 길림 312 金牛山 17,62,119 金牛山유적 115,3.1 9 金牛山人 22 깔대기형 (i居斗狀)석핵 185,274, 282,286,294,295,305 끌형 청 두기 (Ch ise led point) 288
l- 那持村 27 亂石溝 255 날상타격연 159 南f后 6055 지 점 82,84 南溝 6062 지점 83 南召 22 藍田 17,24,42,146,212 藍田人 19,21,22,23,67,74 藍田猿人 53,60,61,80,81,135, 남전인유적 230,318 晶拉木 266,279,290,300 拉乙亥 13,284 拉乙亥유적 265,279,282 네모난형 (方魂狀)석핵 187 네 안데 르탈인 48,54,61,114,127,131, 133, 172,228,239 군 40 넬슨 (Nelson) 203,300 路南 17 魯南洞 294 녹풍라마 고원 48 능타격 면 I6o 니 하 만 충(i尼 河 ifl.f Is-) 120,125,126, 171 C: 多方向修理法 301 다버드슨 불랙 61,97,103,109,110, 113,114,177 다면기 72,73,87,89,104,105,107,108 다비트 217 다변긁개 168,208,275 다타격연석핵 147 潭山 62
大家橋유적 262,263 大同古城 153 大}JiJ 山 4I 大 4 t溝 I46 大~ 17,265 大芬人 22,48,61,62,I 3 I,I 34,I35,I36 大器人유적 23,I2,3I9 대조리무늬 (羅文) 315,316 大治 I7 大貸莊 I3,295,298,299 大貸莊세 석 기 284,293 대홍안령 28 데 노아이 에 르 0. Desnoy er s) 43 도끼 형 긁개 294,295 도나우 (Donau) 18,45 도르도뉴 (Dordo g ne) 181 독두 6065 지접 87 독두북구 6058 지 접 86 돌도기형 (金葬形器)석기 186 돌마치 (Bolas) 105,212,278,314 돌보습 316,314 束谷花村 125 束谷i'i::: 17,19,22,24,62,122,126,319 東溝 263 銅梁문화 26,233 동물화석 16,41,49,83,84,95,97,98, l0l,l03,I I6,I l7,I25,m6,l4l,l43, 163,172, l77, l91,209,217,2l9 군 30, 243,248,258,265,270,282,290,299, 323,324 桐粹 22 東周時期 315 東海裕 297 등긁개 208 디연체석핵 247 떼 이 아르 드 샤르댕 (Teih a rd de Chardin ) 16,17,36,51,56,94,97,
98, I 04, 172, I73, I75, I 77 三 라마피데크스 유적 16 라이 엘 (C.L y el l) 43 레나강 306 로데시아인 131,239 리스 (R i ss) 45,255 리쌍 (E. Lic e nt) 16,51,62,172,175,177 리크토펜 (Ri ch th ofe n ) 46,56,218 □ 마란황토 (후기 홍적 세 ) 3,36,56,57 ,58 馬j¥i 1 t : tj비 19,20 馬陵山頂 284 마이오세 29,270 馬 r굽 人 22,63,135,227 군 38,239 군 40 마제석부형 (銃形器) I85 막달레니 안시 기 2I3,214,2l5,216, 323,324 漠河 23 메이제르 유적 306 猫猫洞 I7,I59 猫猫洞유적 26,159 廟后 山 l7,22,25,62,l19,l20,263 廟后山유적 II6,319 武鳴;g m 264 무스테 리 안 175,176 무스레 리 안문화 (Advance Mouste ria n ) 26,l7l 武鄕 50 經濟문화 152 문화유물 19,20,23 민 델 (Mi nd el) 45
t:I 바부르 (G. B. Barbour) 46,51,171 바이 덴 라이 히 (Weid e nreic h ) I 10,113, 114,199,229,237 바이칼호수 306 반원추상석 핵 (半圓維狀石核) 274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17,49,319 裵李尙문화 293 裵文 中 17,46,61,102,104,109,l10,195, 199,248,257,300,397,308,309 배형긁개 144 배 형 석 핵 187,2 야 ,265,274,278,286, 290,294,295,299 배형밀개 144,145,184 白石嶺 252,253,255 白岩脚 62 白 岩脚 동굴유적 258,324 白土山組 55 버 키 트 (Burkit t, M. C) 74 베링해영 45 베이츠셀 빙하기 59 福井 동금 3°7 볼 록 굵 개 1 어 ,125,149,I50,I55,168, 208,211,248,274 볼록 일변긁개 164 볼린 (Bohlin ) 101 }1';./~嶺 13,290,297 봉황령 세석기 298 鳳凰嶺유적 267,293 부리형 청두기 (麻形尖狀器) 288 富 林문화 26,233 북경 원인 41,46,53,61,80,81,97,101, 102,104,109, I 14, I 15, ll6, I 27,129, 13 I, 133,134,159, I 66,167, 179,218, 228,232,238,240,246
北京人 17,20,21,22,24,25,119,229 북경인 유적 20,23,24,160,168,218 북경인 화석 17 북방유형 19 北嶽山 241 분류인류학자 81 분하분지 49 뷔름 (W'urm) 45,59,255 브뢰 이 (Breuil ) 147 브뤼 크너 (E. Bruclcner) 45 빌라프랜키안 51 氷推石 12 빙 하기 41,45,48 人 沙鎬屯 308,309,312,316 사 라-오 소-골 16,25,54,61,145,I72, 173,174, 176, 177, 178, 179, 181,192, 202,203,212,267,290,3 19,3 20,3 23 사라탄 간빙기 59 사르댕 300 사마로브 빙하기 59 沙苑유적 13,265,267,290,300,30I 四川省 13 군 32 사천 자양 26,61 四川資陽 도물군 21 社;中村 219 山東祈原 22 麻山氷河期 74 山西省 22,51,57 山西時浴人 61 山 項洞 12,27,62,93,161,163,167'172, 176,184, 192,196, i99 ,214,215,216, 270,298,319,320,323 산정동문화 61 산정동인 250,22,49,61,135,181,
200,245,246,250,265 山沖 255 三角維狀석핵 187 삼각형 대 첨 두기 90,92 삼각형 소형 첨두기 186 삼각형 첨 두기 (Tria n g ul ar Poin t) 188,208 三道嶺子 315 삼릉청두기 144 三門 36 三門下 35 三門峽 24,263 三址馬 35 三址馬紅土 49 幹干下 57 上蝶村 13 上新世 49,5°5 岭下형 석핵 203 새부리형기 104,107 새 부리 형 첨 두기 (Beaked Poin t) 1 야 ,170,171,208 西溝 유적 62,143,145 西入間房 290 西藏高原 266 西桃山 13,290,301,303,304 西海技法 306 西侯度 12,16,17'19,22,23,24,62,63,66, 67,68,79,74, 2 3 0,3 18, 3 19 서후도인砲塔 6053 지점 73 서후도인 72 西侯度組 64 석영광물 115 석촉형석기 186 석편석기 186,192,295 석핵석기 69,294 석핵제 석기 186 宣良 227
鮮新世 64,84 薛關문화 I3, 26, 27I, 278, 279 설봉산 28 池湖 64 세석기 유적 I67,I70,I7I,I76,185, I 86, I 87,266, 290, 297, 306, 3 07,308, 310,312,313,3 I7,3 I8,325 細長石片 179,180,294,295,315 小孤山 17,26,62,2l3,214,216,323 小橋탸 I74 小南海 I2,l7,62,161,180,183,184,l86, 187, l88, I 89, 192,267,270,279,290, 320 소석편 긁개 295 小柴旦湖 I7 小長 梁 유적 19,22,24 小站유적 63,206,207,209,323 小泉溝 I77 染縣 17 손톱무늬 (瓜形文) 316 송곳형조각기 181 송화강 28,3u,312 水 洞 溝 25,147,160,II8,I72,I73,I74, 175,176, 188,248,290,319,329,324 수직굵개 144 舜王坪 188 스미 스 (Smi th) . 203 스키타이 문화 3I2 勝翔 264 식물화석 48,96,101,196 신구조운동 21 新疆 317 沈括 217 十八站 290 雙湖 266 쐐 기 형 (膜形)석 핵 185,187,201,203, 265,266,272,278,294,295,300,305,
306 。 安徽果縣 22 安仁村 252, 253, 255 安志敏 190,300 岸澤長分 I89 安徽和縣 I7 알타이 산 28 岩省 분석 I7 臣 河 : I7,19,23,24,5I,62,74,8I,82,83, 84,85,86,87,90,9 2 ,93, r r9, r 37,212, 263,318 암편석해 247 昴棟人 I34 앙리브뢰 이 (Henri Breuil ) 109,uo, I74,I75 仰鉛문화 293,314 昴昴溪 23,290,317 앤 더 슨 (Anderson) 16,46, 56,97, 103, l I0,2I8 野馬件 255 야쿠츠크 지구 60 羊角基 255 兩極石核 69,70,259 양극 타격 법 (Bi po lar Flake) 70,104, I I7,I35,144, I 5 3, I 56,207,209,2 IO, 2I2 양면 교차가공 첨두기 I 야 ,I70 양면긁개 I 야 ,168,289 양면조각기 (Dehedral Brui m) 양 변 가 공 첨 두 기 (Died ra! Reto uched Poin t) 208 梁山 263 양월형 긁개 279 양자강 3I
楊種健 17,35,36,46,50,97,98 엄지손톱형밀개 I70,290,294,295 에스키모인 199,200,201 에오世 28,30 역석석기 I86 역석석핵 147 역하 308 연길 3I2 연필끝형 석 핵 286,290 熱發光法 (Thermolum ine scerke Datin g) 49,II5 列變經跡法 II5 烈變經跡法 49 烈釋光法 I2,3I8 鹽井溝 218,244 靈 井 l3,267,279,290,300,301 靈井 유적 265,271 零 타격연 I 영하 수동구 26 예니세이강 59 오르도비시안 石灰岩 52 오르도비쓰기 93 오르도스 (Ordos) 62,172,173,181,3 나 오르도스 석 기 l74,I75,I76 ?己 干人인 22,48,6I,I77 오르도스제작법 282 오리 냐시 안 문화 (Aurig n aci an ) 26, I7I,2I4 오 목 긁 개 IO7,I25,I49,150,I55,I68, 207,208,211,233,234,299 오목 일변 긁개 I64 오브르치 에 부 (B. A.O op yyeb ) 46 오스트랄로피데쿠스 42 오시포부카 306 吳新智 I 吳汝康 79,319 오웬, R 2I7
오크라드니 코프 (Ok1ra1rhukob) 203 올리고世 29,30 완스죠크 (Wansjo c k) 274 王建 300 王永森 I3I 王向前 I89 의홍안령 3IO 요녕분지 28 蒸頭溝 152 요서성 312 堯王城 유적 297 용강기 310,312 龍江 3°7 용골산 6I 용골산 빙하기 98 龍骨山組 52,98 龍潭山 246 용마루 조각기 I64 龍山문화 293 牛角溝 209,210,212,323 우라늄세 리 측정 12,23,49,1I5,145, 172,318,319,320,323,324 우스티노브카 306 雲貴高原 I7 운남석굴 153 雲南 省 13,22,227,323 雲 南元謀 동물군 2I,42 雲 南人 200 圓頭긁개 276 元謀 13,17,290 원모인 유적 22,323 원모인화석 228 圓底석축 290 원추형 석 핵 (維狀) 181,265,294,295, 299 원형긁개 208,287,291
원형밀개 169,170,184,208,295,31 滑河 5I 윌리스 (B. W illi s ) 46,56 劉家ft 263 柳iI 유적 248 유공돌마치 316 柳東生 37, 46, 57 油房頭 I73 類似세 석 기 50,290 銀根 300,302,303,304 哈密七角井 265 宜良 63, 252, 255 이르쿠쓰지구 59 李四光 41,45,46,74 이석황토 57,152 泥岩 64 雄魚橋 62,323 理魚橋문화 231,233,234,236 蝶魚橋유적 132,233,234,236 梨益溝 l62 이중긁개 l25 이크한 유적 306 泥河潟期 l93 泥河沿저 35,55,67,74,227 泥河땝組 51 忍路子技法 302 인류화석 13,16,.17 ,19,20,2_2 , 23,103, I 19,141, 143,172,177, 198,200,210, 217,222,230,247,269,3 23 林西 307,312,317 잎형석기 (細石葉) 187,189,265.286 잎형석편 266,267 습§子堂 17,102,104 , 자라등 긁개 I62,I68
자라등원형 밀개 294 자라이놀기 3o9 자 라 이 놀 300,301,302,303,304,305, 307,308,3 IO 자바원인 80,93,I IO,I I3,I 14,133,238 紫假堡 7I5 資陽人 62,227 군 45 査陽人유적 241,324 資陽縣 I3,232 자연타격면 I57 장강중 28 章格爾이 3I5 張武유적 62,147,320 장방형 (長力魂狀) 석 핵 I87 장백산 28 張森林 IO9 長陽人 22 載系劍 300 赤峯山 315 적봉 제 I 기문화 3I5 적봉 제 2 기문화 3I5,3 전기구석기 22,24,82,85,90,II5,I20 전기상신세 5I 전 기 홍적 세 19,21,31,32,43,51,63,64, 66,74,84,98, I 20,I 25,I 26,I7I,2 I O, 22I 전신세 (충적세) 22,43,51,56,60,290 전형적 세석기 290,293,324 點狀타격면 159 점 신세 (Ol igo cene) 253 丁村문화 61,152,163 丁 村 유 적 62,74,86,90,92,93,137,139, 145,1 '·16 o ,176,178, 182,183,212, 263,319 丁村人 22,48,135 丁村組 54 丁村첨두기 143
제티스 (D j e tis) 81 祖型세석기 290,293,324 졸모롱마산(에레베스트산) 41 朱家塞 312 周京人유적 168 주구점 제 1 지접 24,52,53,67,77,So,95, 96,97,98,101,103,104,108,109,110, l16,127,128, l3 5, 16l, l7l, 183, l88, 198,230,318,319,323 周口店期 19,20 주구점신동 319 주구점원인 167 周口店 제 I3 지점 17,62,67,84,95, 102 주구점 제 14 지점 319 주구점 제 15 지점 17,24,62,90,128, 129,136, 161,167,176,183 주구접 제 18 지점 67 주구점 제 3 지점 163 주구점 제 9 지점 163,178 주구정조 52 周園興 300 주먹 도끼 (Handaxes) 74 周明鎭 271,257 주상석핵 279 稷永溝 263 중국원인 48,53,90,93,109,246 중기 흥적 세 19,20,31,32,43,52,55,56, 57,61,63,64,77,81,83,84,98,IOI, I 16,1 I7,119,152,210,218,240,244 중석기 (세석기) 13,42,300 曾~ 300 飯皮岩유적 264 지리안카 빙하기 59 지붕 용마루형 조각기 171 지코프 (1rukob) 203 직선긁개 107,21I
직인긁개 I25 직 접 타법 23,24,25,70,72,85,86,I04, I 16,117,128,135, l36, 142,144, l55, 167,180,\ 8 5, 186, l87, 188, 189,207, 209,210,212,231,248,255,267,270, 279,290,297,299,3 24 陳家窓 75,77,79 秦嶺山脈 31 陳淳 189 眞正세석기 290 鎭 厚 紗溝 263 쯔단스키 97,101,110 旦末 315 * 채도문화 308,309,3I2 척추동물화석 218,252 遷安瓜村 3I9 첨두기 IO4,IO7,II6,I20,I25,I8m84 尖維狀석핵 I87 靑 山口 255 淸 水 營 I72 淸 水河 279 靑 班 62 靑磁 察 유적 62,153,207,320 초기 네안테르탈인 22,134 砲岩洞 219 충적세 37,265,318 時裕문화 17I 時裕유적 I2,17,62,145,161,168,I70, 177,178,179,180,181,183,184,189, 203,206,212,267,270,279,290,329, 332 七角井 290
구 카르진스키 간빙기 59 카잔체보 간빙기 59 코헨 218 코형첨두기 (끌형첨두기) 164,170 크로마농인 (Cromag no n) 199,245 큰첨 두가 (Hevey Tria n g ul ar Poin t) 73 E: 泥江 241,242 타격면석핵 294,295 타원형첨두기 I 야 ,I70 타즈 빙하기 59 太谷 50 太行山 28,4I 돕니석기 I84 몹니형 첨두기 164,170 通別技法 30I 投擊法 86,87 두가트 문화 306 퉁구스강 60 트리 닐 (Trin il) 81,u4 티테드 졸모롱마지액 42 끄 色動 264 板橋主河 253 펜크 (A. Penck) 45 偏體石核 185,187,267 編平狀석핵 I87 포유동물 화석 ,x7,x9,35,48,49, 83, I 25, 149,15 3,209,2 I 7,2 I 8,23 2, 245,265
폼펠 리 (Pump cl ly) 56 표준세 석 기 293,324,325 풀라이스트세 30 풀라이온世 29,32,35,36,94 피 리 주둥이 형 조각기 (Bee de Flut) I87 피씨온트랙방법 I2,52 피 어 슨 (Pearson) 방식 8 I 눙 夏家店문화 293 河拉爾松山 265 하류침적 43 하북성 22,51 하이 랄 301,302,303 下川 I2,17,62,263,290,306 下川문화 26,184,299 下川유적 I83,I85,186,I88,I89,265, 267,293,302,307 河湖相지층 하호상침적 48,51,52,54 하호상침적물 227 하호상침적층 17 漢源 I7 咸水溝 82,83,92 合志溝 211,212,263,299 許家蒸 I7,62,144,145,159,160,161, 170, I717203,209,263,290,263,290, 319 許家察유적 12,23,162,163,166,172, 266,300 許家照人 22 許家坡 125 許昌 265 헬므트드떼라 31 현생 인류 48,161,177,200,237 군 39,
240,244,252,283 형질인류학자 81 호그 (Hau g) 48 虎 頭 梁 17,63,203,279,290,300,301, 303,305,306,307,323 虎頭梁석 핵 206,302 虎頭梁유적 201,202,265,267,320 呼璃十八팜유적 23 湖北長陽 17 호선문 316 湖沼沈積 55 胡承志 228 호아제르 218 護台유적 297 紅山문화 317 흥적 세 12,18,19,20,21 군 3,31,32,36,42, 43,48,54,61,63,84,85,94, I O, I 17, 13 5, 146, 163, 171,217,222,299 화분분석 12,17
和縣人 12 環縣 17 荒山組 55 황색되적 218 黃緖溪 241,243,244 黃慰文 300 黃土梁 263 황토퇴적 48 黃河岸邊 6051 지점 82 後測河 82,83 후기 네안데르탈인 (현생인류) 22 후기선신세 (퐁티안) 63 후기 풀라이오세 (Pli oc ene) 184 뿜西縣 13 흑룡강 23,306,308 흑룡강반 혹룡강성 27 히말라야 조산운동 책
최무장 경희대 중국문학과 졸업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고고인류학과 대학원 졸업 (석사) 프랑스 파리 1 대 학 고고학과 대 학원 수료(고고학박사) 건국대학교 박물관장 역임. 현재 : 건국대학교 사학과 교수 저서 : 『韓國 의 Vi 石器文化』 등의 다수 논문 중국의 考古學 대• 우학술총서 • 인문사회과학 35 찍은날_ 1989 년 1 월 5 일 :1 낸날_ 1989 년 1 월 10 일 지은이_崔茂藏 펴낸이―_-朴孟浩 펴낸곳――民音社 ■ 출판등록 1966.5.19 제 1-142 호 우편대체계좌번호 010041-31~523282 은행지로번호 3007783 110-111 서울 종로구 관철동 44-1 734-4234,6110( 편집부) 734-2000,2101, 735-8524( 영업부) 7©값••3 36-1,7950801g0 0, 원( 최팩 시무밀장리 ) 인문사피과학, 고고학 • KDC/900,5
대우학술총서 : ::사회油 l 轉國語의 系統 金芳漠 /5 . CXXl 은 2 文學社 會 學 김 현/값 3.500 원 3 商周史 尹乃 1£/ 값 6. 있훈 4 人間의 知能 黃禎奎 /~)6. 600 원 5 中國古代文學史 金보主 /;;3 . OOO 원 6 日本의 萬葉集 金思燁 /~)5, 500 원 7 現代意昧論 李益煥/값 5. 500 원 8 베트남史 읽仁품/값 5 . ~ 9 印度哲學史 吉熙星/값 5 .500 원 10 輯國의 風水思想 崔昌祚/값 5. m) 원 11 社 會 科學과 數學 李承勳 9l/ 값 2. 500 원 1 2 重商主義 金光洙/값 2.100 원 1 3 方言學 李翊빛/값 5. 야迷 1 4 構造主義 蘇 斗永/값 4 . CXX)훈 1 5 外 交 制度史 金洪 M/~/2. WJ원 1 6 兒童心理學 崔敬淑/값 7 .CXXl 은 17 언어심리 학 趙明翰/값 5,CXXl 은 1 8 法사회 학 梁 煙 /값 5 . CXX)은 1 9 海洋法 朴椿浩 柳炳華 /~)4. 500 원 2 0 한국의 정원 鄭 HB f/값 6 . CXX)원 21 현대도시론 姜大基/값 4. 아 3 원 22 이슬림사 상 사 김정우 1/ 강 , 3, Hn 혼 23 동幸f 시 아의 岩 젖 I J I 황용훈/값 5. 500 원 24 자연법사 상 朴恩正/값 4. 500 원 2 5 洪大容評傳 검태준/값 5.CXXl 원 2 6 歷史主義 李敏錫 /~4. 500 훈 27 인 꿔 ti 묘엔 서 학 金允濱/값 10. 00J원 28 뻬誌代흩麟畢 文蘆臺/값5. m 썩 29 ••의 住툴民僞廳 金光彦/값 1 8,띠 “한고 허흥식/값 7, 있迅 l 31 역-ti묘인어학 김방한/값,6 . 虹透! 3 2 록자 김학주/값&꼬速 영의 수 평파운등 일회완 ro4. 따逆 M 때 金讚姬/값6.奭 3' 중華촐古畢 최무장尾t C 따훈 %를의方滋 梁秉治/값3. m 透! 1 류畵畵·史 특론텐 · 宋基中 율검尾i6.띠透! 2 수터의 획실성 뾰|스 를라인 · #ft!tII!! 을김 ro1. 이虎 3 증법flW J. R. 와인버그·庸英롬 을김凡t5, 떠훤 6 말라사를 마솁푸코 · 李光東 을검凡 k7 . 야泥 7~ 鎖파파획촬확 徒만와일 · 김상툰옮김尾i 7 . 印虎 8 아성 ·쟌리·역 사 힐러리 파트남金鵬 月 距길心 6. 띠泡 9 가學 진 화 로널드 피어슨·김준민 을김/값 4 . 띠透! 10 사1 의嶋環諭 쿠푸래반 박 재호 옮김 RC 떠透! 11 영 신 필리스 단를慶派李廷雨 율김 ro4.70 透! 12 헨뺀왜 토마스론 外·조숭육 · 김동식 옮검 R& 야璃 13 있을割 됩으로 일리야 프리고잔이절수 을김凡 7. 띠훈 14 비교졸교贊 요아혈 바하·김종서 을김 ro4 . 이虎 g.혈통학 로버트 A. 혀인드 · 장현갑 을검凡t C 떠逆 16 헨~ D. W . AIOI 마 · 額醉 옮김 Ra 虹훤 17 샤擊料와섀기내 V. 다 오세지 外 · 죄길성 옮김 ro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