商文明

商文明

張光直 지음 尹乃鉉 옮김 民音社

리지( 李濟 , 1896~1979) 교수의 영전에 바치다

商文明

차례

그림 - 9

표 - 12

책 머리에 - 13

감사의 글 - 16

이 책을 옮기면서 - 19

일러두기 - 27

서론 : 상문명 연구의 다섯 가지 접근 방법 • 29

1 전통적 역사 문헌 - 31

2 청동기 - 52

3 갑골문 - 66

4 고고학 - 78

5 이론적 모형 - 95

제1편 안양(安陽)을 통해 본 상(商)사회 • 103

1 안양(安陽)과 왕도(王都) - 105

1 왕도와 안양(安陽)의 중심지 - 105

2 샤오룬(小屯) - 111

3 시뻬이깡(西北岡) - 152

4 안양(安陽)의 다른 상(商)유적 - 167

5 안양(安陽) 밖의 상(商) 도읍지역의 고고학 - 174

6 문헌 기록에 나타난 왕도 - 176

2 자연자원과 경제자원 - 181

1 서기전 2,000 년대 중국 북부의 자연환경 - 181

2 야생동물과 가축 - 188

3 야생식물과 경작식물 - 191

4 암석과 진흙 - 198

5 구리와 주석 - 200

6 귀중물- 203

3 상(商)왕조와 그 통치기구 - 209

l 족(族)과 읍(邑) - 210

2 안양(安陽)의 왕족 - 218

3 왕족의 내부 분파와 계승 법칙 ― 230

4 그밖의 지배 계급의 구성원들 - 247

5 군사력 - 253

6 법률 - 259

7 제사의식 - 261

8 왕실의 상징 - 264

4 상(商)왕국의 경제와 정치적 질서 - 271

1 상(商)왕국의 국가 조직망 - 271

2 왕국 내에서의 자원의 유동 - 286

3 다른 나라(方)와의 관계 - 317

제2편 안양(安陽) 이외의 상(商)시대의 역사 • 331

5 정저우(鄭州) ― 333

1 상(商)문명의 얼리깡(二里岡)단계 - 333

2 얼리깡(二里岡)단계에서의 정저우(鄭州)의 상(商)시대 도시 344

3 허난(河南)북부의 고대의 문화 지충과

얼리깡(二里岡)단계와의 관계 - 357

6 안양(安陽)과 정저우(鄭州) 밖의 상(商) 고고학 - 365

1 얼리깡(二里岡)단계의 주요 유적 - 366

2 왕조기 안양(安陽)단계의 주요 유적 - 390

3 일반적 논의 - 399

7 상(商)문명에 관한 일반적 문제 - 405

1 절대 연대기의 근거 - 405

2 언어와 신체 구조 - 415

3 상(商)시대 초기 • 시아(夏) 그리고 상(商)의 기원문제 - 423

맺음말 : 고대 세계에 있어서의 상(商)왕국 - 449

l 원초성 (pristineness) 의 문제 - 450

2 진화론적 체계상에서의 상(商)의 위치 - 454

3 국가의 기원과 문명, 도시화의 문제 - 458

후기 - 463

부록 : 夏 • 商 • 西周 유적지의 방사성 탄소 측정연대 - 467

참고문헌 - 469

찾아보기 - 503

그림

차례

그림 l 商王朝의 도읍지 추정도 - 37

그림 2 商 • 周 청동기의 기본 형태 - 59

그림 3 칼그렌의 청동기 A양식과 B양식 - 63

그림 4 로우얼의 청동기 양식 - 64

그림 5 문자가 새겨진 甲骨片 - 72

그림 6 문자가 새겨진 日骨 - 73

그림 7 1982~37 년에 殷猿를 발굴했던 주요 고고학자 - 82

그림 8 1983 년대의 殷坡 발굴 광경 - 83

그림 9 殷시기의 商 도읍지역 추정도 108

그림 10 殷시기의 商 도읍지역 구조 상정도 - 109

그림 11 안양 주변의 고고학적 유적 위치도 - 110

그림 12 바둑판 모양으로 구획된 小屯 북부의 유적 - 113

그림 13 小屯의 배수구 — 115

그림 14 小屯의 왕조 이전 시기의 움집 집단 - 116

그림 15 小屯의 왕조 시대 이전 움집의 주요 형태 - 118

그림 16 M 188호 묘에서 출토된 유물 - 121

그림 17 M 188호 묘 발굴시의 유물 분포 - 122

그림 18 M 232호 묘에서 출토된 유물 - 124

그림 19 婦好墓에서 출토된 유물의 일부 - 128

그림 20 婦好墓에서 출토된 婦好와 后辛의 청동기 명문 - 129

그림 21 흙을 다져 만든 집의 기초 - l31

그림 22 小屯의 3종류 지상건물 복원도 - 132

그림 23 小屯의 3집터 집단의 평면도 - 133

그림 24 小屯의 중부집단의 집터 및 그와 관계된 묘지 평면도 - 135

그림 25 乙-7 집터 및 그와 관계된 매장 - 136

그립 26 董作賓이 확인한 武丁시기의 제1기 貞人集團 - 142

그림 27 島邦男이 분류한 5기의 貞人 - 143

그림 28 苗 北地의 묘지에서 출토된 전 4기의 殷城 질그릇 - 148

그림 29 小屯 남부지역 전3기의 자기 - 149

그림 30 뼈머리핀의 양식 변천에 따른 安腸의 지층 - 150

그림 31 西北岡의 거대한 王陵 평면도 - 154

그림 32 西北岡에 있는 王陵 M1001호 - 155

그림 33 西北岡의 王陵 M1001에서 출토된 돌조각품 - 157

그림 34 西北區의 王陵으로부터 출토된 흙 위의 나무조각 흔적 - 159

그림 35 中 • 日전쟁 전에 발굴된 西北岡 동부지역의 소형 묘들 - 163

그림 36 근래에 발굴된 西北岡의 소형 묘 - 164

그림 37 西北岡의 소형 묘에서 발견된 사람의 뼈 - 166

그림 38 安陽의 도시조직에 관한 구조적 모형 - 173

그림 39 건물을 나타내는 商시대의 문자 - 178

그림 40 고대 安陽에 대한 추정 古地圖 - 182

그림 41 安腸을 중심으로 본 구리광과 주석광의 분포도 - 201

그림 42 오늘날 Monetz와 Annulus 보패의 분포지역 - 205

그림 43 商시대 청동기에 보이는 腦象記號 - 217

그림 44 고대의 청동기 명문에 10개의 간자가 나타나는 빈도 - 223

그림 45 왕조 구조의 4가지 유형 - 234

그림 46 商王朝의 왕위 계승 방식의 가설적 모형 - 236

그림 47 商시대의 무기 - 256

그림 48 孝民屯에서 발견된 전차와 말의 유물 - 257

그림 49 商시대 전차의 복원도 - 258

그림 50 商시대 청동미술에 나타난 2 마리 호랑이와 사람얼굴 - 266

그림 51 亞形의 문자 - 267

그림 52 旗의 요소를 지닌 商시대의 문자 - 269

그림 53 商王園 조직망의 계층도 - 283

그림 54 商王國의 제후 분포도 - 284

그림 55 商시대 方의 위치도 - 285

그림 56 漢시대 미술에 나타난 美 - 288

그림 57 쟁기의 고대 형태와 精耕 - 289

그림 58 농사에 전쟁 포로를 이용한 기록의 탁본 - 292

그림 59 전쟁 포로의 限倫 - 293

그림 60 농업생산에 있어서 商王國의 경제적 계급 - 295

그림 61 전문직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 圖商記號 - 297

그림 62 청동기 주조를 위한 흙를 - 299

그림 63 馮阪문화 유적의 질그릇 문자 - 311

그림 64 다른 나라로부터 기습당한 사건이 기록된 商시대 명문의

탁본 - 327

그림 65 二里岡段階 질그릇의 주요 유형 - 335

그림 66 鄭州의 청동그릇의 주요 유형 - 337

그림 67 鄭州의 二里岡에서 발견된 명문 - 340

그림 68 鄭州의 商시대 고고학 유적 - 345

그림 69 鄭州의 商시대 성벽의 부분 - 347

그림 70 鄭州의 商시대 궁궐터의 도랑에서 발견된 사람의 두개골 - 349

그림 71 鄭州의 銘功路유적에서 발굴된 청동 그룻 - 354

그림 72 鄭州의 商시대 도시의 조직망 - 356

그림 73 城의 商시대 유적에서 발견된 질그릇의 명문 - 369

그림 74 城의 商시대 유적에서 발견된 청동그릇 - 370

그림 75 嘉山의 商시대 유적에서 발견된 청동그릇 - 377

그림 76 盤龍城의 商시대 유적 - 378

그림 77 盤龍城의 商시대 유적의 집터 - 379

그림 78 盤龍城 商시대 건물의 복원도 - 379

그림 79 李家喝에서 발견된 商시대 묘 M-2 - 380

그림 80 盤龍城의 청동그릇 - 382

그림 81 輝縣과 鄭州의 청동기 장식과 대비하여 놓은 盤龍城의 청동기

장식 - 383

그림 82 盤龍城의 청동도끼 - 384

그림 83 岐山 京當의 商시대 유적에서 발견된 청동기 - 387

그림 84 二里岡段階 유적의 분포도 - 389

그림 85 山束 森鳩屯의 商시대의 묘지 - 393

그림 86 江蘇 丘 에 있는 商시대의 묘지 - 395

그림 87 丘 의 商시대 묘지 중앙에 세워진 바위 - 396

그림 88 王朝期 安腸段階 考古學 유적의 분포도 - 402

그림 89 商시대 미술에 나타난 사람 얼굴 - 416

그림 90 楊希枚가 분류한 商시대 두개골 - 420

그림 91 商시대 두개골의 삽 모양의 앞니 - 422

그림 92 3王朝시대에 걸치는 방사선 탄소 측정연대 - 442

그림 93 3시대의 文明의 평행적 발전 모형 - 446

차례

표 1 머리핀의 유형에 따른 '小屯과 西北岡의 연대상의 상호관계 - 160

표 2 殷城에서 발굴된 5대 전차의 치수 - 258

표 3 河南北部의 문화 층위 - 358

표 4 商文明의 상대연대표 - 406

표 5 바빌로니아날짜에 따른 商시대의 5건의 월식의 발생연도 - 411

표 6 로마날짜에 따른 商시대의 5건의 월식의 발생연도 - 412

표 7 中國에 있어서의 考古學 文化와 진화 단계 - 456

책 ’머 리에 이 책은 가능한 모든 종류의 자료를 이용하여 고대중국의 상(商)문명에 관한 간략하면서도 포괄적인 역사(기원전 18~12 세기)를 제공한다. 왜 이 러한 책이 지금 이 시접에서 적절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우선 다음과 같은 점이 가장 중요하다. 첫째 우리는 상(商)시대의 사료(여러 기록 자료에 중접을 둔)에 관해서 뿐만 아니라 상(商)시대의 역사에 관해서까지도 서술된 책을 . 필요로 한 다. 상(商)시대에 관한 역사 서술이 발전되어 온 과정 (다음의 도론을 참 조)이 그러했기 때문에 상(商)시대를 전공한 학자들은 고전, 갑골문, 청 동기의 명문 또는 고고학 등 특정한 자료에 초점을 맞춘 개별적 분야에 한해서 전동적으로 훈련받아 왔다. 이 자료들은 모두가 중요하기는 하지 만 각 분야는 단지 상(商)문명의 어떤 특정한 양상 또는 양상들만을 강조 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이 모든 자료의 종합적인 근거에 의한 연구 가 필요하며 그것은 각 분야 내에서 달성할 수 있는 것보다는 훨씬 완전 한 상(商)시대 역사의 묘사에 도달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지난 10 년간 중국 전역에 걸쳐서 진행된 상(商)문명의 유적과 유 물의 고고학적 발견으로 인해서 한편으로는 이 특수한 문명과 그보다 선 행한 문화에 관한 우리의 지식이 상당히 풍부해졌으며 상(商)시대 사회의 성격과 상(商)시대의 특징에 관해서 의문이 제기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商)에 관한 약간의 기본적인 전제믈 다시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 다. 이 책은 이미 알려진 것과 친숙해진 그 내용을 종합한 이상의 의미 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그것은 상(商)시대 연구의 결정적 상황에서 새로 운 생각과 이해를 하도록 우리를 자극할 것이다.

셋째 상(商)문명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지금 상(商)시대 사회의 비교연 구를 시도할 수 있는 시접 죽 우리가 그것을 세계적 관련 안에서 이해하 기에, 그리고 세계사가들(비교사회사가와 진화인류학자 를 포함한)이 보 편성을 지닌 것으로 공언하는 진화적 모델을 공식화하거나 적어도 평가 할 수 있는 위치에 질적으로 도달해 있다. 중국문명은 인류문명의 중요 한 부분이며 그 연구 자체가 일반적 관심이 되는 이론적 문제 를 밝히는 데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 것임에는 틀림없다. 국가의 기원, 이른바 아시 아적 사회 및 보편적 진화 모델과 같은 중요한 문제에 관한 우리의 입장 울 확인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는 자료와 연구성과 를 검토하여야 할 때라고 필자는 믿고 있다. 중국을 다론 지역과 비교관계에 위치시키는 것 역시 중국 자체 를 보다더 찰 이해하는 데에 도움 을 줄 것임을 덧붙여 둔다. 상(商)시대에 관한 이러한 책이 반드시 씌어져야 한다는 사실은 아무에 의해서나 그것이 씌어질 수 있을 만큼 그 자체가 충 분 히 갖추어져 있다 는 뜻은 아니다. 이 책의 기술에 관하여 전문가둘이 이의 를 제기할 수 있는 몇 가지 점이 있는데 이에 관해 한 두 마디 설명해 두고자 한다. 첫째로 필자가 포괄적— — 한 분야가 아닌 __」 연구 를 주장했지만 필자 자신도 다른 사람과 같이 하나의 전통적 분야 죽 고고학에 한해서 훈련 받았기 때문에 이 책은 틀 림없이 그러한 사실을 반영할 것이다. 둘째 일 차자료와 중요한 연구성과의 절대적 분량이 매우 압도적이기 때문에 필 자는 자료 이용과 · 다양한 선정 항목에 대한 기술에 있어서 지극히 선택 적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필자는 소수의 상(商)시대사 전문가 이의의 사 람들도 읽을 수 있는 책을 쓰려고 한다. 그런데 가끔 필자는 이 책의 내 용 선정뿐만 아니라 어떤 문제에 대해서 기술하고 설명하는 방법에서 다 소 주관적이고 독단적일 것이다. 필자가 모든 각주 아래에 문헌 해제의 굴을 기입하지 않은 것에 대하여 동료 전문가들의 양해들 바란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내용을 풍부하고 확실하게 하기 위한 자료의 여러 문제에 대한 필자의 의지는 심사숙고하여 결정한 결론에 의한 것이다. 필자가 논의하는 모든 문제에 대해서 당시대의 기록(죽 갑골문과 청동기 명문)을 이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그 기록은 그 시대의 상황을 묘 사하는 데 있어서 생명력과 정신을 불어넣어 주기에는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필자는 상(商)시대의 상황을 재구성하는 데 도움을 얻기 위하여

다음 두 가지 조건하에서만 저우(周)와 심지어 그 이후의 고전 기록까지 도 이용하게 될 것이다, 첫째는 그것이 어떤 비판적 입장의 기초가 되는 결정적 자료가 아닐 때, 둘째는 관련 기록이 이용되는 사회와 문화의 지 역에 있어서 기본적인 연속성을 믿거나 증명할 수 있는 근거가 있을 때 이다. 1978 년 3 월 8 일 메사추세츠 케임브리지

감사의 글 필자는 누구보다도 먼저 리지 ( 李濟 )교수, 스장 루 ( 石璋 k n) 교수, 까오취 쉰(t:i 去야’ )교수 그리고 고 똥쭤뻔( 캄泊 宅 f)교수와 필자가 대학시 절 에 가르 침을 받은 그 밖의 모든 분에게 감사 를 . 드린다. 이분 둘 은 필자에게 고고 학을 가르쳐 주었으며 필자는 이분들의 가르침을 통하여 안양( 安陽 )에 관 한 많은 고고학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그 후로 안양( 安 陽)은 필자에게 있어서 하나의 특별한 존재가 되었다. 그러므로 필자가 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상(商)시대에 관한 이 책을 쓰게 된 것은 바로 안양.( 安 陽)에 대 한 이와 같은 감상적인 애착 때문이었다. 고인이 된 판거(t番 慈 )씨, 리광 위 ( 李 光 宇 )씨 그리고 후잔퀘이 (胡占 奎 )씨는 대일항전(對日抗戰) 이전에 안 양(安腸)의 발굴 조사에 참가하였던 분들이며 필자는 이분들의 귀중한 경 험을 비공식적으로나마 배울 수 있었다. 항전 이후의 안양(安陽)의 발굴 조사에 관한 정보와 직접적인 자료에 대해서 필자는 시아나이(夏邱)박사, 안즈민(安志敏)씨, 왕스민(王世民)씨, 천즈따(陳志;達)씨, 양시장(楊錫璋)씨, 양빠오청 (楊寶成)씨, 타이통성 (戴同 興)씨, 쉬찡위엔(許禁元)씨 그리고 정전샹(鄭振香)씨와 리우이만(劉一§!) 씨 여성 두 분 등의 아낌없는 도움에 감사를 드린다. 이분들은 필자가 1975 과 1977 년에 만나서 함께 의견을 나누었던 분들이다 .. 특히 필자는 1977 년 7 월에 안양(安陽)에서 양빠오청 (楊貸成)씨, 천즈따(陳志達)씨, 정 전샹(鄭振否)씨 세 분과 함께 나누었던 이틀 밤낮 동안의 길고도 보람있 었던 대화를 언제고 기억할 것이다. 이 연 구 저 작 은 국 립 인 문 과 학 재 단 (Nati on al Endowment for the Human iti es) 으로부터의 연구 보조비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런데 이 책

에서 제출된 연구 결과와 결론이 재단의 견해를 대표하는 것은 결코 아 니라는 점을 분명히 밝혀 둔다. 이 책에서의 상(商)시대의 연대 편년에 관한 논의는 . 판우쑤(潘武 k ! :T)와 프레운드 (El i zabe t h Freund) 의 두 편의 미간행 논문 원고의 도움을 받은 것이다. 하바드대학의 천문학과의 교수 사오정위엔씨는 천문학 자료에 대해 도움을 주었다. 버클리대학(t he Univ e rsit y of Cali forn ia at Ber- kele y)의 키이 틀 리 (David N. Ke ig h t le y)교수는 상(商)시대의 역사서술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문제에 관하여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만큼 필자의 사고에 영향을 주었다. 하바드-엔칭도서관 (Harvard-Yench i n g Li bra ry)의 라이용샹씨의 관대 한 참고문헌상의 도움과 포우웰 (Wh it ney Powell) 씨 프랜쳐 (Donna Ple t cher) 씨 그리고 페르날드 (Nanc y Fernald) 씨 세 분의 미술작품에 대 한 도움에 필자는 고마움을 느낀다. 부르켈 (H ill el Bur g er) 씨와 부르네트 (Chris t o p h er Burne tt)씨는 사전에 대하여 도움을 주었으며 구빈츠 (Mary Clare Gubb i ns) 양은 필자의 원고를 타이핑하였다. 이분들에게도 사의 를 표한다. 끝으로 예일대학출판부 (Yale Univ e rsit y Press) 에서 그녀 자신이 중국 학 학자인 세라핌 (Sally Cobb Sera fi m) 씨는 세심한 주의와 무한한 인내 를 가지고 출판하는 데에 필요한 원고를 준비하여 주었다. 그녀에게 감 사 를 드린다.

이 책을 옮기면서 버 클 리대학 의 키이 틀 리 교수 1) 는 이 책을 상(商)시대 연구의 〈산약성서〉 라 고 극찬하였 다. 그리고 그는 최근 중국 본토 를 방문하면서 구미 언어 로 된 단 한권 의 책을 지참하였는데 그것은 바로 이 『 상문명 』 이었으며 이 책 이 야말로 상( 商 )왕국의 고고학, 인류학 및 문화 를 이해하는 데 있어 서 무한한 가치 와 백 과사전과 같 은 안내 를 해주기 때문이라고 술회하였 다민 이 책을 읽어 보면 이러한 키이 틀 리 교수의 극찬이 결코 과장이 아 님 을 알 수 있다. 상 (商 ) 왕국 에 관한 자료는 갑골문, 청동기의 명문, 문헌상의 기록, 고 고학적 유 적 과 유물 등이 있는데 이러한 자료는 동시대의 세계 어느 지 역보다 도 풍부하다. 이와 같이 풍부한 자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商) 왕 국 에 관한 그간의 연구는 이 책의 저자인 광즈 장 교수가 지적하였듯 이 각분 야 상호간에 충분한 연계성을 갖지 못하고 독립적으로 진행됨으 로써 한계성을 극복하지 못하였다. 그 뿐만 아니라 각분야 를 연구하는 학 자 들은 대개가 그 분야에 대한 전문가일뿐 다론 분야에 대해서는 깊은 지식 을 가지고 있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그들은 근래에 구미 인 류학자 들 에 의하여 제출된 고대 인류사회의 발전과정에 대한 이론에 대 해서 충분한 인식을 가지고 있지 못하였다. 그 결과 상(商)시대는 그 많 1) David N. Keig h tl ey 교수는 현재 Univ e rsit y of Cali forn ia , Berkeley 사 학과 교수로 있으며 대표적인 저서로는 Sources of Slzang Hi s t o ry라는 갑 골 문 관계의 역작이 있다. 2) David N, Keig h jt ly, Shang Chin a is Comi ng of Ag e -A Revie w Ar ticle The Jou n1al of Asia n Stu d ie s , vol. XL, No 3, 1982, p.~ 49.

은 자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 결과는 만족할 만한 단계에 도달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제 꽝즈 장 교수에 의하여 상(商)시대에 관한 모든 분야의 자 료가 총망라하여 정리되고 이것이 사회전화에 관한 인류학적 이론에 따 라 분석 • 종합됨으로써 상(商)시대의 역사와 문화는 물론 사회구조와 성 격에 이르기까지 오늘의 학문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 경지에 이르는 연 구 업적이 나오게 된 것이다. 상 (I 衍)시대에 관한 이러한 종합적인 연구 를 하는 데 있어서 그 어느 누 구보다도 적절한 자격을 갖춘 학자가 바로 꽝츠 장 교수가 아닌가 생각 된다. 광즈 장 교수는 대만대학 시절에 이미 역사학자인 후 쓰 니엔(ft,l斯 年) , 갑공학자인 똥쭤 뻔 ( ;t(作賓) , 고고학자인 리 지 ( 李濟 ) 등과 같 은 대 가 둘 로부터 역사학, 갑골학, 고고학에 대한 심도있는 훈련을 쌓았고 그후 하 버드대학에 유학하여 인류학 이론을 포함한 보다 깊고 폭 넓은 연구 를 거 쳐 박사학위 를 받은 후 예일대학과 하버드대학에서 30 년에 가까운 기간 동안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그는 『 고대중국의 고고학 』 3>(Th e Arc- haeology of Ancie n t Ch i na) 으로 명성을 얻은 후 왕성한 학문활동과 수 준 높은 연구업적으로 인하여 인류학과 고고학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 의 학자로서 인정을 받고 있다. 특히 중국 고고학에 있어서는 다론 학자 의 추종을 불허하고 있다. 근래에는 자주 중국을 방문하여 유적과 유물 을 직접 관찰하고 발굴자들과 충분한 의견 교환을 가침으로써 자신의 연 구에 보다더 확실성을 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중국 고전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인식, 갑골문 해독에 대한 넓은 지 식, 청동기의 형태 • 문양 • 명문에 대한 이해, 고고학 유적과 유물에 대 한 분석능력, 인류사회 진화에 관한 인류학 이론 등을 골고루 갖춘 학자 가 바로 광즈 장 교수인 것이다. 이렇게 볼 때 광즈 장 교수가 아니고는 이러한 깊이 있고 종합적인 저서를 낸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닐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그간 학계의 각분야에서 성취 한 연구업적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중국의 고대문명인 상(商)문명을 해 명할 수 있는 학자로서 광즈 장 교수가 누구보다도 적격자인 것이다. 독자들은 이 책을 대하면서 적어도 세 가지 접에서 우선 탄복하게 될 3) Kwang -c hih Chang , The Archaeology of Anc ien t Chin a , Yale Univ e rsit y Press, 1963. 1987 년에 4 판 수정판이 출간되었다.

것이다. 첫째는 거의 완벽한 참고자료의 수집과 이용이다. 지금까지 발 표된 발 굴 보고서와 연구업적들 을 거의 빠짐없이 수록 • 활용하고 있는데 이 것은 꽝 즈 장 교수의 학자적 성실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 분야에 관 심있 는 학자 들 에게 자료 수집의 안내서 역할도 해줄 수 있을 것으로 믿 는 다. 둘 째 로 는 각분야에 걸친 그 많은 자료 를 소화하고 그것들을 빈톰 없이 소 개하 고 있는 꼼꼼함이다. 이것은 광즈 장 교수의 학문에 대한 정 직성 • 진실 성 과 더 불 어 세심한 일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그의 학자적 양 식과 자 세라 고 말 할 수 있 을 것이다. 셋째로는 앞에서 이미 언급하였듯 이 여 러 방 면 에 걸친 그의 해박한 지식과 판단력이다. 이것은 광즈 장 교수가 중국 인이기 때 문 에 중 국에서 받은 교육과 중국인으로서의 생활체 험을 통해서 중국 의 문 화 전통 과 학문전통을 몸에 익히고 깊이있게 이해 할 수 있 었으며 그러한 바탕 위에 구미의 문화와 학문전통을 섭렵하고 몸 에 익혀 폭 넓은 학 문 적 시각 을 가질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으 로 생 각된 다. 다시 말하면 그는 중국 문화와 학문, 구미 문화와 학문을 함께 볼 수 있 는 겹눈의 소유자인 것이다.

이 책 은 1980 년에 출 판되어 이미 8 년이라는 세월이 흘렀기 때문에 그 간 상( 商 )시대에 해당되는 새로운 유적이 많이 발굴되었고 지금도 발굴이 진 행중에 있다 . 4) 따라서 현시점에서는 상(商)시대에 관한 자료가 이 책 에 수 록 되거나 언급된 것보다 훨 씬 증대되었다. 그렇지만 그러한 자료들 이 광 즈 장 교수의 논리 전개와 주장 을 뒤엎기보다는 오히려 보완해 주 고 있 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 책이 담고 있는 학문의 내용은 한층 가치 를 더해 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5)

4) 그간의 고고학적 발 굴과 연구 를 종합하여 정리한 것으로는, 中國 社合 科學院 考古 硏究所 編 『 新 I| 때 (I98,1 i發JJl,f1 ( 硏究 』 , 文物出版 , t, 1984 를 참조할 것. 5) 이 책 이 출 판된 후의 문헌으로는, Kwang -c hih Chang , Art, My th, and Ri tua l, Harvard Univ e rsit y Press, 1983. Kwang -c h ih Chang edit ed , Stu d ie s of Shang Archaeology , Yale Univ e r-sit y Press, 1986. David N. Keig h tl ey edit ed , The Or igins of Chin e se Ci vi l iz a ti on , Univ e r-sit y of Cali for nia Press, 1983.

그렇다고해서 광즈 장 교수의 주장이 전혀 문제점이 없이 모 두 가 완 벽 한 것은 아니다. 광즈 장 교수와는 다른 견해가 학계에 제출 되어 있는 문제들도 있다. 그 가운데 중요한 것 몇 개 를 들 어 보면 다음과 갇 다. 첫째로 상(商)시대 문화보다 앞선 문화로 간주되고 있 는 얼리터우 문화 ( 二里 頭文化)에 대해서는 그것을 완전히 시아문화( 夏文 化) 로 보아야 할 것 인지, 부분적으로는 상(商)문화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 인지 학계 에서는 견해의 일치 를 보지 못하고 있다. 죽 얼리터우( 二里頭) 유 적은 4 시 기의 문화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 • 2 기는 시아 (夏 ) 문 화 충 이 고 3 • 4 기는 상(商)문화충이라는 견해, 3 기까지는 시아( 夏)문화충 이 고 4 기부터는 상 (商)문화충에 속한다는 견해, 4 기까지 모 두 가 시아 ( -以 )문호 H 중 에 속한다는 여러 견해가 제출되어 있으나 결 론 이 나지 않 고 있 다 . ° 얼리터우( 二 里頭) 문화 유적에서는 문자는 발견되지 않았고 단지 출토된 유 물의 분석과 방 사성탄소측정에 의하여 얻어전 연대에 의하여 여러 다 른 견해가 재출 되 어 있는데 유물에 나타난 문화의 변화가 반드시 정치세 력 의 변화 와 동 시 에 일어나는 것은 아니며 시아( 夏 )의 멸망과 상( 商 )의 건국 연대 도 분 명하 지 않기 때문에 얼리터우( 二里頭 )문화의 소속문제에 대 한 논 쟁 은 쉽 게 결 말이 나지 않을 것이다. 둘째로 상(商)족의 기원문제에 대해서 꽝즈 장 교수 는 그 지배계 층 이 동부 해안 지역에서 이주해 왔을 것으로 보았는데 이것은 그의 스승이었 던 후쓰니엔(tIJ.j訴年)이 상(商)족의 기원지 롤 발해만 연안으로 보았던 것 을 다소 수정한 것이다. 그런데 상(商)족의 기원지 를 발해만 연안으로 본 견해는 원래 쉬종수(徐中웅f)에 의해서 제출되었는데 그것은 상(商)문화의 전신인 몽산문화(龍山文化)의 주요소인 겁은색 질그릇의 기원지가 발해만 연안일 것이라는 가정에서 상정된 것이었다.” 그후 고고학적 발굴과 연 구가 진전됨에 따라 검은색 질그릇의 기원지가 발해만 연안일 것이라는 가정은 무너졌고 허난성(河 南 省) 룡산(龍山)문화는 그 지역의 양사오문화 (仰紹文化)에서 발전된 것임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광즈 장 교수가 상 (商)족의 지배층이 동부해안 지역에서 이주해 왔을 것으로 본 근거로 제 6) 尹乃鉉, 『 中國의 原始時代 』 , 禎大出版部, 1982, pp.45 3-466 참조. 7) 徐中舒, 「再 論 小屯與仰船」 『 安陽發堀報 告』 키마, 民國 20(1931), pp.5 23 -57.

시한 상(商)문화와 동부해안지역 문화 사이의 공통성은 상(商)왕국 후기 문화인 안양(安腸)지역 문화에서 나타나는 것임으로 그러한 요소가 상 (商)왕국 초기 문화에서 나타나지 않는 한 그 근거가 빈약하다. 따라서 현재 학계의 공통된 의견은 상(商)족이 초기에 허난성(河南省)과 산똥성 (山束省) 경계지역에서 활동했었을 것으로 보는 것이다 .8)

8) 尹乃鉉, 『商 1 月史』, 民꿉社, 1984, pp.2 3-31 참조.

세째로 꽝즈 장 교수는 점복행사에 종사했던 정인집단(貞人渠閣)에 대 해서 똥쭤뻔 ( 萊 作賓)의 설을 받아들여 제사제도에 있어서 상(商)왕국을 구성한 여러 부족의 수호신을 공동으로 제사 지낸 구파와 상(商)왕실의 조상만을 중심으로 제사제도를 정리한 신파가 시기에 따라 번갈아 득세 하여 구파一신파一구파一신파의 변화를 보였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현재 타이완을 제의한 중국학계를 비롯한 많은 학자들은 이러한 똥쭤뻔 의 설을 따르지 않고 상(商)왕국의 제사제도는 상(商)왕국을 구성한 여러 부족의 수호신을 공동으로 받들던 제도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 상 (商)왕실 조상 중심으로 정돈되어 가는 것으로 파악하고 이것은 바로 상 (商)왕실의 왕권 강화가 반영된 것이라고 보고 있다. 따라서 정인집단의 구파와 신파는 존재하지 않았다고 보는 것이 근래에 학계의 주된 경향을 이루고 있다 .9)

9) 陳烽洪, 『甲竹文簡論』, 上海古籍出版社, 1987, pp. 161-169 참조.

네째로 꽝즈 장 교수는 왕위상속법에 대해서 상(商)왕들의 명칭에 사용 된 간자의 규칙성에 근거하여 상(商)왕국의 왕위상속법은 몇 개의 통치집 단에 의해서 교대로 계승하였다는 견해를 제출하고 있다. 이것은 매우 새롭고 신선한 것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왕위상속제도에서 상(商)왕이 갑 골문이나 문헌의 기록에 나타난 것과 같은 강력한 왕권을 가질 수 있었 을지 의문시되며 상(商)왕국 말기에 보이는 적장자상속제도는 어떻게 설 명되어져야 할지가 문제로 남는다. 광즈 장 교수가 제시한 여러 집단의 교대에 의한 왕위상속법은 상(商)왕국에 있었던 것이라기보다는 통치권력 이 강해지기 전인 상(商)왕국 이전에 있었던 제도였는데 그 가운데 형식 적인 것만이 유풍으로 남아 상(商)왕의 명칭에 간자가 규칙적으로 사용되 었을 뿐이고 상(商)시대에는 실제로는 형제상속과 부자상속이 이루어졌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이상에 지적된 문제점들은 결코 이 책의 학문적 수준이나 꽝즈 장 교 수의 학자적 권위에 상처 를 주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이 문제들은 어 차피 현시점에서 완벽하게 해결 될 수 없는 것들이어서 광츠 장 교수는 나름대로 자신의 견해 를 개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한국 독자들에게 적어도 다음과 같 은 점에서 크게 유익할 것 이다. 첫째는 동아시아의 후앙하문명 ( 黃 河 文 明)으로 일컬어지는 상(商)문 명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인식시켜 줄 것이다. 둘째는 상(商)왕국의 국 가구조와 사회성격을 분명하게 밝혀 줌으로써 동아시아 고대국가의 모형 울 인식하게 해줄 것이다 .10) 셋째는 바로 이러한 고대국가의 모형 을 통 해서 동아시아 고대국가가 고대 메소포타미아지역이나 그리 스 지역의 고 대국가와는 다론 특성을 발견하게 될 것이며, II) 한국의 고대국가는 도시 국가와 같은 성읍국가 1 2 ) 또는 부족국가나 읍락국가일 수가 없으며 봉건 제도 즉 구조적으로는 읍제국가(邑制 國家 )였 을 것임을 알게 될 것이다 .13) 넷째로는 고대에 한국민족의 활동지역인 만주지역(랴오닝速 휴省 , 지린성 吉 林省)의 청동기문화가 후앙하( 黃 河)유역의 청동기문화보다 수백년 앞섰으 10) 이 책 4 장 「상왕국의 경제와 정치적 질서」 ‘상왕국의 조직망' 참조. 11) ,; ' ff卓:] (: , 대이서정 1l ·秦 漢 : 國 家 形態 (I 羽힘成」 『 中國史硏究 』 1986 年 4JY J, pp. 35-43 참조. 12) 李),t r'I, 「,A j{iJJJ'店의 國 家 )距成 |Rl 題」 『 翰國 古 {t의 國家 와 社 令 』 , 一 海j 18l, 1985, pp.8 3-90, 13} 봉건제도 를 원래 서양의 중세제도의 명칭인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학 자가 있는데 (李),t l’. k 다,가iJi A F 의 國 家 형성」 『 # 料낍 史市民 ,1 尉 玉 』 제 2 집, 19!1 8 , p.1 5) 그것은 원래 동아시아의 초기국가에 대한 전통적 명칭이었 다. 그런데 서양의 중세제도인 Feuda li sm 을 동아시아의 고대국가와 유 사한 것으로 인식하여 봉건제도로 번역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그후 봉건 재도라면 서양의 중세제도 를 뜻하는 것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손 님이 남의 집에 들 어와 주인을 쫓아낸 것과 같은 모순인 것이다. 만약 동아시아 고대의 봉건제도와 서양 중세의 Feudal i sm 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면 봉건재도는 동아시아 고대국가제도의 명칭으로 사용되어야 하고 서양 중세에 대해서는 원어나 다른 번역어 를 사용하는 것이 옳다. 邑制 國家도 서양의 도시국가와 같은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학자가 있으나 요즈음 &制國家라는 말은 小& • 大邑 • 都邑 등이 상하관계로 쌓인 국가 구조운 말하는 것으로서 전동적인 용어의 동아시아 봉건제국가의 사회구 조문 뜻한다는 접을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며 그것 이 후앙하(黃河)유역의 청동기문화(상商문화)에 영향을 주었을 가 능성이 크다는 점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될 것이다 .14) 다섯째는 인류사회 의 초기 발전과정을 이해하기 쉽고 간단 명료하게 제시해 주고 있음을 발견 하게 될 것 이 다. 특히 추방사회 단계 (chie f d o m) 와 국가사회 단계 의 특 징적 요소에 대해서 그간 여러가지로 설명되어 왔는데 추방사회의 주된 특 징은 빈부의 차이와 사회계충의 분화이고 국가사회의 특징은 법에 의 하여 뒷받침되는 합법적 권력의 출현 이 기준이 된다는 점도 알게 될 것 이다. 여섯째 광즈 장 교수가 거대한 문명의 상징품일수록 위대한 예술 품임 에 틀 림 이 없지만 그것은 과도한 인간의 희생을 전제로 해서 이루어 졌다 는 점 에 주목하고 있다는데 큰 시사 를 받을 것이다. 위대한 문명으 로 간 주 되는 사회일수록 심한 계급분화와 착취가 있었을 것은 의심의 여 지가 없다. 문명 의 정상에 포함되지 않은 사람들의 생활에 대한 의미가 충분히 고려되 어야 한다는 광즈 장 교수의 충고는 깊이 기억되어야 할 것이다 .

14 ) 만주지역의 청동기문화 개시연대는 서기전 2 천 4 백년이 넘는데 그 지역 과 접한 한반도의 청동기문화 연대 문 한국학계가 너무 낫게 잡고 있다는 접은 깊이 생각해 불 문재이다.

역자는 1979 년부터 1981 년까지 그리고 1983 년과 1987 년 세 차례에 걸 쳐서 하버드대학에서 연구와 자료수집의 기회 를 갖는 동안 광즈 장 교수 의 후원과 학문적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가 역자에게 준 도움이나 영향 은 학문의 내용 자체에만 그친 것이 아니라 학자적 자세까지 포함된 것 이다. 단 1 분의 대화시간을 내달라고 하기가 미안할 정도로 항상 연구에 전념하던 그의 생활을 보면서 그간 나름대로 성실하게 생환해 왔다고 자 부해 왔던 역자는 크게 자국을 받은 바 있다, 이제 광즈 장 교수의 승낙 을 얻어 이 책을 번역하게 되어 깊은 감회 를 느끼면서 혹시 잘못된 번역 으로 인하여 그의 학문에 누를 끼칠까 매우 염려된다. 이 책운 소개한 내용이나 번역 가운데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그것은 전적으로 역자의 책 임임을 밝혀 둔다. 끝으로 이 책을 옮기는 데 도움을 준 단국대학교 대학원생 문광웅 • 십 재훈 • 이병두 제군에게 고마운 뜻을 전한다. 1989 년 9 월 1 일 北漢 (ll 기슭 虹觀if1에시

일러투기 전체적인 참고문헌은 저자 이름의 알파베트순에 따라 이 책의 끝에 배열되어 있다. 각주에는 저자의 이름과 저작의 명칭만을 기재하기로 한다. 간행물에 저자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을 경우에 모든 저작은 저자의 이름을 표제어로 하여 열거한다. 저작이 익명으로 또는 기관의 명칭으로 간행되는 경 우에 저작을 실은 정기간행물이나 연속간행물의 명칭을 표재어로 기재한 다음 에 저작의 제목의 알파베트순에 따라 저작을 열거한다. 다음은 이 책에서 사용 되는 정기간행물 이나 연속간행물의 약칭이다. CR Chin a Re con str u cts JH ]en -m i n Hua-pa o 人民造報 KK K' a0 ·ku 考古, l('ao -ku t'u ng -l zsil n 考古通机 KKHCK l('ao -k u -lzsile h c/zu an k'an 考古學팸刊 KKHP /Cao-ku lzsil eh pao 考古學報 C/umg -k uo !Cao-ku lzsii eh pao 中國考古學報 T'ien -y e / z k'ao-k u pao -kao 田野考古報告 SS Sc ien ti a S in i c a WW Wen-wu 文物, Wen-wu ls'an-k'ao /zu./iao 文物參考箕料 책의 권수보다는 발행연도를 사용하여 구분하는 일부 중국의 정기간행물을 제외하고는 서양식 표준에 따라 정기간행물을 권수에 의해 열거한다.

서론 : 상문명 연구의 다섯 가지 접근방법 상(商) (D 온 고대 중국의 3 대 (三代) -시아( .以 ), 상 (1(1 i). 저우 (Ikl) ——· 가운데 두번째 왕조인데 3 대 시대는 중국의 선사시대의 끝과 중국문명의 서두 를 장식한다. 그런데 상(商)은 누구인가? 아니 보다 적절하게 말해 서 상(商)이라는 명칭이 무엇을 뜻하는가? 상(商)이란 상인(商人)이 자 신들의 선조의 도읍을 말하는 데 사용했던 명칭이며,” 상인 (1 (1i A) 다음으 로 중국의 정치 무대에 등장했던 저우인 (lkIA) 은 성벽으로 둘러싸인 도읍 에서 권력을 가지고 거주했던 왕조의 지배자들을 상인 (1 fli人)이라고 불렀 다 .2) 그러므로 상(商)은 우선 저우(周)의 문헌에서는 왕조의 지위픕 부여받 은 왕실( 王圭 )의 이름이다. 그 용어는 상(商)왕실에 의하여 동치되는 국 1) 陳夢家, 『 殷j.1 卜辭綜述』, pp.2 55-258 참조. 그리고 이 책의 4 장 참조• 2) 예 를 둘어 『詩經』 〈魯須〉의 시「楊Jf;」 : 〈后稷之係 .tt1i X I:. I 沮 ;k 之 'I,~ t'f始 罪商 于牧之……郭商之族〉 참조. ® 종래에는 商을 殷 또는 殷商 • 商殷 등으로 불렀다 .. 중국 고대문헌에는 商이나 殷이라는 명칭이 모두 보이지만 商시대 기록인 1111•~ 文에는 't은 보이지 않는다. 이로 보아 당시의 사람들은 자신들이나 자신등의 국명운 gt이라 부르지 않고 商이라 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인본·홉 새의 한 국제학계에서는 대체로 商이라는 명칭으로 봉일되어 있다.

가를 상징하게 되었으며 그것은 상(商)나라 사람 및 상(商)과 동시대의 다른 나라 사람이 창조한 문화에까지 확대되어 사용되었다. 상(商)은 또 한 중국사에서 상(商)왕조가 통치했던 시기 를 명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위에 말한 여러 용어와 개념은 사용하기에는 까다롭지만 이것은 이후 우리의 연구 과정에서 분명해질 것이다. 이 연구의 출발접 에서 다만 우 리가 기술하고 있는 역사의 주인공이 누구인가 를 분명히하여 두는 것만 은 필요하다. 이 책에서는 전통적으로 서기전 1766 년과 서기전 1122 년 사이에 놓이는 상(商)시대 (전통적인 연대에는 문재접이 있는데 여기에 대해 서는 후에 논의하기로 한다)에 중국에 거주했던 주민을 다루-기로 한다. 우 리는 일차적으로는 상(商)나라 안의 거주민에게 관심을 갖지만 아울러 상 (商)의 문화와 비슷하거나 거의 동질성을 지닌 문화 를 가진 상(商)왕국 밖의 일부 거주민에 대해서도 디두께 될 것이다. 상(商)은 문자를 사용한 문명이었지만 왕조 몰락 이 후 왕조의 문서는 도읍이 파괴된 후에 남아 있었던 것마저도 점차로 산실되었다. 상(商)왕 국의 멸망 후 거의 600 년이 지난 콩쯔(孔子)의 시대에 콩쯔(孔 子 )는 다음 과 갇은 사실을 슬퍼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는 인 (O 文) 죽 상(商)왕조의 예( j' )에 대해 더 능히 말할 수 있지만 (그 후손의 나라인) 쏭(宋)에는 나의 말을 입증할 만한 증거가 부족하 다. 거기에 관한 문헌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만약 그것들이 충분하다 면 나는 그것을 근거로 제시하여 나의 말을 증명할 수 있을 것이다. ( 『論語』 「八僧」) 서기전 1 세기에 쓰마치엔(司馬遷)이 『 사기 』 (史記)를 편찬하게 되었을 때 상(商)시대사를 집필하기 위해 그가 이용할 수 있었던 기록은 조금밖 에 없었다. 그래서 『 사기 』 (史記)의 상(商 또는 인殷) 시대편은 왕실의 계 동과 약간의 사건들로 구성된 단순한 윤곽에 지나지 않는다. 상(商)에 관 한 이 적은 양의 지식이 중국사의 거의 전시대에 걸쳐서 우리가 함께 씨 름해야 했던 전부였으며 중국의 학자들은 잔존해 있는 약간의 기록을 활 용하여 구체적인 역사를 서술하는 전통을 발전시켰다. 고대 중국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한(漢)시대로부터 알려져 3 대 (三代)의 것으로 간주되었던 많은 청동제의 제사용 그릇에 전지하게 주의를 기울

이기 시작한 것은 12 세기 경의 뻬이쏭(北 宋 )왕조 때였다. 그들은 대체로 청동기에 주의 를 기울였다. 최근세기 동안에 이들 청동기는 미술사가(美 術史家 ) 들 에 의하여 여러가지 중요한 연구의 초점이 되면서 일본과 서구 의 박 물 관 수집품 사이에 모습 을 나타냈다. 칭( 淸 )왕 조 말기에 또 다른 상(商)시대사의 자료 ___ 점을 치기 위해 상( 商) 나라의 지배 층 이 사용했던 글자가 새겨진 소의 어깨뼈와 거북껍데 기 _가 의외로 골 동품시장에 나타났으며 결국 그것은 고대사가의 손 에 들 어왔다. 이러한 뼈와 껍데기에 대한 연구一一 f 갑골학( 甲 骨學) —— - 는 상( 商) 의 사회 와 종교에 관한 많은 정보의 일차적 자료가 되었다. 그 • 러나 그것은 콩 쯔 (孔 子 )나 쓰마치엔( 司島遷 )에게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아 주 중 요 한 자 료 인 것이다. 최종적으로는 중 국과학원 (Academ i a S i n ic a) 이 상(商)왕국의 마지막 도 읍의 유 적 인 안양( 安陽 )에서 과학적 발굴 을 시작했던 1928 년을 기점으로 하여 현 대 고 고 학은 상( 商 )시대사에 관한 새롭고도 끊임없이 증가하는 자 료를 제공하 고 있다. 이 렇 게 되어 상( 商 )시대사의 주요 자료들은 모두 동시에 이용될 수 없 었고 오히려 이것 들 은 역사서술의 무대에 단계적으로 나타나 각각 그 이 전 자료가 출 현한 이후 오랜 기간이 지난 후에야 이용될 수 있었으며 그 동안 길고도 세련된 역사서술의 전통이 저술과 인습, 옹호자라고 하는 특수한 체제 를 가지고 수립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오늘날 까지 상(商)시대 를 전공하는 학자들은 흔히 협소한 전문가로서 훈련을 받 아 왔다 . 이 책은 이용이 가능한 모든 자료 를 사용하여 처음으로 포괄적 인 상(商)시대사 를 서술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그러나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몇 가지 역사서술의 전통―~갇은 상(商)시대사의 연구에 대한 몇 가지 방법 ― ― 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을 함과 더불어 서술을 시작할 필 요가 있을 것이다. l 전통적 역사 문헌 . 상(商)에 관한 하나의 가장 중요한 전통적인 내용은 쓰마치엔(iiJ ., ·! 沮 L )

의 『 사기 』 (}).:, l e) 가운데 한 장인 「은본기」(Jjll:本紀)에 나타나 있다. 쓰마 치엔 (1 iJ.!!沮遷)은 한(漢)왕조의 황제 우띠(武帝, 서기전 140~87 년) 밀에서 사관(史官) 경 문서담당관으로서 일했다. 중국의 첫번째 공식적인 역사 연대기인 그의 저서 r 사기 』 (史記)는 기원전 104 년 그가 42 세였을 때 집필 을 시작했다. 궁정의 사관 경 문서담당관이었던 쓰마치엔(司馬遷)은 한 (漢)의 궁정에 보존되어 있던 기록에 접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그때에도 상(商)왕조에 관하여 그가 얻을 수 있었던 자료는 지극히 한정되어 있었 다. 상(商)시대 편에 대한 그의 주요 자료가 『 서경 』 (!t 움 }E ,1m 序 포함), 『 시경 』 (,詩 經 ), 『 국어 』 (國悟), 『 좌전 』 (左傳), 『 세본 』 (世本), 『 대대례 』 (大政 h5 帝맵 8 편)와 그 외의 문헌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우리는 알고 있다. 3) 이 책들 가운데 일부는 오늘날까지 남아 있지만 대부분이 불완전한 상태이 고 나머지는 산실된 지 오래되었다. 다음의 몇 페이지에서는 「은본기」(Jj比本紀)에 실려 있는 주요사건과 기 본적인 지식의 범주들을 다른 자료들을 보충하면서 열거하여 기 술 할 것 이다. 상 (HH) 의 혈연 기원 상(商)왕조의 왕실은 신화상의 시조가 시에 (契)였는데 쯔( f)라는 명칭 의 혈연집단으로부터 유래하였다. 「은본기」 (n 比本紀)는 시에 (契)의 탄생설 화와 함께 시작된다; 인 (8 t)의 시에(契)는 그의 어머니가 지엔띠(簡秋)였는데 그녀는 여 우롱씨 (1 i城氏)의 딸이며 띠쿠(사if})의 두번째 부인이었다. 세 사람 (지엔띠簡秋룹 포함)이 목욕을 하러 갔는데 그둘은 현조(쇼1 .b) 가 알을 떨어뜨린 것을 보았다. 지엔띠(簡秋)는 그것을 집어삼키고서 잉태하 여 시에(契)를 낳았다. 시에(契)는 장성하여 위(禹)를 도와 치수사업 에 공을 세웠다. 띠쉰(·,'(r舜)은 시에 (契)를 상(商)에 봉하고 쯔({·)라 는 성을 내려 주었다. 3) 1:11 ,:,:,; 111_, 「史,i Cl] !.l:本,i C& 其他紀 s*'I, 所 ‘l&O !.l: 1 !li ll.\.: {텐 (I ~J史 ·J~」, p.8 7 ; 金街述 • 'i l.'.! 辻遷所 兄 ,1 인;- ...

이러한 쯔(子) 성의 조상에 대한 신화는 『시경』(詩經)에서도 보이는데 4) 재-알의 탄생이라는 주제를 갖는 것으로 이러한 주제는 초기 역사시대에 있어서 중국의 동부 해안지역에서 널리 보이는 것이다 .5)

4) 『詩經』 〈商찌〉의 시 「玄島」 : 〈天命玄 I. t 開而산재t〉. S) 傅斯革 『火.g ·來 西說』.

왕의 계보와 도읍 상(i!'Ii)왕실의 계보는 쓰마치엔(司馬遷)이 기록했듯이 두 부분으로 구성 되어 있다. · 죽 왕조 이전인 시에 (契)로부터 왕조의 창시자였던 탕(iij)까 지, 그리고 · 왕조 기간인 탕(i~)부터 저우(村)까지이다 .6) 왕조의 개창 (IJ H !itJ)에 앞서서 14 세대 를 이어 왔던 14 명의 왕조 설립 이전의 군주들이 있 었음은 일반적으로 인식되어 있다 .7) 「은본기」 (0 如本紀)와 그 밖의 자료에 따른 여러 견해에 보이는 그 군주들의 이름은 다음과 갇다 ;

6) 저우(周)나라 사람들은 商의 마지막 왕읍 저우(討)라 불렀다. 독자듈은 발음이 같은 이 두 명칭을 혼동하지 않기을 바란다. 7) 『國語』 「周語」下 : 〈玄王勤商, +1f 四 1 Itjfij興〉. 『 1 /i · 子』 「成相」 : 〈契玄王…… ' 1·1 i四世, 乃 4 j天乙, Jl:.서tj서〉.

시에(契) 자오밍(昭明) 샹두(相 土 ) 창뤄(晶若) 차오위 (\i團) 〔 『世 本』을 인용한 『史記索隱』에는 稅園 ; 『漢 -1t 』 「古今 人 表 」에는 根圓 ; 『fil本』을 인용한 『視記』 「祭法正義」에는 根園〕 민(}:) 〔 王國g ffi에 의하면 「天間」에서는 李〕 전(振) 〔 王國維 에 의하면 王亥〕 웨이 (徵) 〔 『國語』 「썬語」에서는 上甲〕 빠오명(報丁) 빠오이(報乙) 빠오벵(報丙)

주런(主壬) 주꿰이(主矣) 티엔이(天乙) 또는 청당(成湯) 이 이름들 가운데 일부는 갑골문(후에 기술될 것임)에서 발견되었는데 뒷부분에 있는 명칭은 왕조 이전 상(商)의 군주였을 가능성이 있는 인물 의 명칭이 다르게 기록된 것이다. 위에 열거된 14 명의 이름을 쓰마치엔 (司馬遷)이 선택한 것은 확실하지 않은 근거를 토대로 했다. 그러나 전통 문헌과 갑골문은 모두 한 가지 접에서는 분명하다. 죽 웨이(徵) 또는 상 지아(上甲)부터 모든 왕의 이름은 열 개의 간자(干字), 죽 갑(甲) • 을 (乙) • 병 (丙) • 정 (丁) • 무(戊) • 기 (己) • 경 (庚) • 신 ( 辛 ) • 임 (壬) • 계 (~) 가 운데 하나와 결합되어 있다. 상의 역법(府法)은 10 개의 간자 를 가지고 주 기적인 순(句)을 표시하며 각 순(句)은 갑(甲)의 날로부터 시작되면서 10 일로 구성된다. 이러한 명칭을 갖게 된 데 대한 전통적 설명은 상(商)시 대의 어린이들은 그들이 태어난 순(句)의 간지날에 따라 이름이 지어졌다 는 것이었다 .8) 이에 대해서 필자의 것 9) 을 포함한 다론 견해둘이 제출되 어 있다. 우리는 적당한 곳에서 이 문제로 돌아울 것이다. 왕조 이전의 군주들은 여러 도읍에서 통치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상(商)나라와 그 왕조 이전 형태의 정확한 성격은 이 책에서 나중에 상세 히 논의할 주제이지만 지금은 왕조 이전의 상(商)의 군주들이 아마도 상 당한 규모를 가진 하나의 정치적 실체의 대군주였을 것이며 도읍은 그러 한 실체의 필수적인 요소였다는 것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말했듯이 상(商)의 시조 시에(契)는 상(商)에서 자리를 잡았다 고 한다. 『사기집해』(史記渠解)에 인용되었듯이 상(商)은 정쉬엔(鄭玄, 200 년에 사망)과 황후미 (皇甫論, 3 세기 후반)에 의해 산-시 (陝西) 동중부에 있는 상현(商縣)에 위치했었다고 주장되었다 .10) 그러나 왕꿔웨이(王園維) 는 상(商)이 허난(河南) 동부 지금 상치우(商丘)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었 8) 『白虎通』 「姓名篇」에는 〈商(殷)나라 사람들은 아들의 이름을 태어난 날 에 따라 지었다〉고 되어 있다 ; 董作賓, 「論商人以十日爲名」 ; 屈萬里, 「益法造崩於殷代論」 등을 참조. 9) 「商王廟號新考」. 10) 屈萬里, 「史記glt本紀及其他記錄中所載殷商時代的史事」, pp.1 0,-106.

다고 설득력 있게 논증하였다. 11) 왕씨의 견해는 근대 역사가들에 의하여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12 )

11) 王 國維, 「說商」. 12) 屈萬 里 , 앞 글, p.1 06.

『 서서 』 ( 간序 )에 의하면 시에 ( 契 )부터 탕(湯)까지 상(商)의 정치 권력의 중심지는 8 번이나 옮겨졌다고 한다• 왕꿔웨이 (王國維)는 여러 문헌에 산 재해 있는 잡다한 기록에 따라서 8 곳의 도읍 모두의 명칭을 확인하는 시 도 를 했 는 데 그것들은 허난(河 南 ) 동부와 북부 그리고 산똥(山束) 서부 등지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13) 그는 자신의 고증에 매우 불 확 실 한 접이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

13) 王國 維 「說 自 契至成i8 j넙률」 ; 趙鐵馮 『古史考述』 동 참조.

탕( i晶) 부터 저우( 村 )까지의 상(商)왕의 정확한 수는 어딘가 불확실하여 왕 들 의 세대적 관계도 모두가 분명하지 않다. 다음은 「은본기」(殷本紀)에 실려 있 는 왕의 계보이다 : 1 청당(成 湯 ) [ 타이땅 ( 太丁 ) ; 태자, 청당(成 湯 )의 아들, 죽위에 앞서 사망〕 2 와이뻥 (外 丙 ) : 타이명 ( 太丁 )의 동생 3 종런 (仲 壬 ) : 와이 U 생 (外 丙 ) 의 동생 4 타이지아( 太甲 ) : 타이땅(太丁)의 아둘 5 워땅 ( 沃丁 ) : 타이지아( 太甲 )의 아들 6 타이껑 ( 太 庚) ; 워땅 (沃丁)의 동생 7 샤오지아(小甲) : 타이껑 (太庚)의 아들 8 용지 ( 5 l t己 ) ; 샤오지아(小 甲 )의 동생 9 타이우( 太 戊) ; 용지 (雍 己 )의 동생 10 종명 (f1l1 T) : 타이우(太戊)의 아둘 11 와이 런 (外 壬 ) : 종명 (仲丁) 의 동생 12 허단지아(河 뾰 甲) ; 와이런(外 壬 )의 동생 13 쭈이 ( 祖 乙) ; 허탄지아(河 뾰 甲)의 아들 14 쭈신 ( ij [l 辛 ) ; 쭈이 ( ,, [l乙) 의 아들 15 워지아(i天甲) ; 쭈신( 祖辛 )의 동생

16 쭈명 (祖丁) ; 쭈신 (祖辛) 의 아들 17 난껑 (南庚) : 워지아(沃甲)의 아들 18 양지아(陽甲) ; 쭈명 (祖丁)의 아들 19 판껑 (盤庚) : 양지아 (F尉 甲)의 동생 20 샤오신 (小辛) : 판껑 (盤庚) 의 동생 21 샤오이 (小乙) ; 샤오신(小辛)의 동생 22 우명 (武丁) : 샤오신 (小辛) 의 아들 23 쭈껑 (祖庚) ; 우땅 (武丁) 의 아들 24 쭈지아(祖甲) ;쭈껑(祖庚)의 동생 25 린신(鹿辛) ; 쭈지아(祖甲)의 아들 26 껑명 (庚丁) ; 린신(鹿辛)의 동생 27 우이 (武乙) ; 껑명 (庚丁)의 아들 28 타이 땅 (太丁) : 우이 (武乙) 의 아들 29 띠이 (帝乙) ; 타이명 (太丁)의 아들 30 띠신(帝辛) : 띠이 (帝乙)의 아들 여기에 기록된 30 명의 이름 대부분은 갑골문에서 확인되었지만 약간의 차이접과 수정해야 할 점이 있는데 이 점에 대해서는 3 장에서 기술하게 될 것이다.

왕조의 역대 30 왕들은 왕조의 역대 7 곳의 도읍지에서 통치했다고 일반 적으로 알고 있다. 탕(i8 ) 은 휘(基)에 도읍했던 것으로 오래전부터 알려 져 왔는데 많은 역사가들은 그곳이 안훼이(安徽)의 휘현(표縣)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위치했었을 것으로 믿고 있다.”) 19 대 왕 판껑(盤庚)은 도읍 울 인(tlt)으로 옮겼다고 한다. 『서경』(양經) 「반경」(盤庚)편에는 그가 천 도하기 전의 다섯 차례 천도를 말하고 있는데 아마도 첫번째 도읍지인 휘(홍) 이후에 5 번 천도하였을 것이다. 양수따(楊樹達 )15) 는 그것을 다음 과 같이 열거하였다:

14) l:냄維, 「說퐁」 ; 董作賓, 다、 辭中的基與商」 ; 趙鐵寒, 위 책. ) 『積微居i - I' ti E 』, p.1 .

휘(풍) ; 당(溫 1 대) 통치하의 옛도읍 샤오(t1 ) 또는 아오(澈) ; 종명 (中丁, 10 대) 통치하에서 천도

’~.J . / .`J L ~ .· \ ·

。 \. ···•. )~ ~-- K버f寸 (_./.E,. .. , , r. r · 可u器酒 lKo버버l 움

H守

시양(相) ; 허단지아(河뾰甲, 12 대) 통치하에서 천도 껑 (耿) 또는 싱 (邪) ; 쭈이 (祖乙, 13 대) 동치하에서 천도 뼈(底) : 홍수에 의하여 껑(耿)이 파괴되었을 때 쭈이(祖乙)의 통치하에 서 천도 옌(庵) : 난껑 (南底 17 대) 통치하에서 천도 인(殷) : 판껑 (盤庚, 19 대) 통치하에서 천도

이들 7 곳의 도읍은 모두 허난(河南) 북부와 동부, 산똥(山束) 서부 그 리고 안훼이(安徽) 북부 등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16) 다시 말하면 그곳들은 왕조 이전의 군주들의 도읍이 위치하였으리라고 믿어지는 곳과 대체적으로 같은 지역에 있다(그립 1). 지금의 안양(安陽) 시 가까이에 있는 인(殷)은 Ag (商)이 멸망할 때까지 왕조의 도읍이었다. 『고본죽서기년』(古本竹얀紀年)에는 〈판껑(盤庚 { 이 인(殷)으로 옮긴 때부터 저우(周)에게 멸망될 때까지 273 년 동안) 그들은 도읍을 옮기지 않았다〉 라는 기록이 있다 .0 주요 인물과 사건 ; 44 명의 상(商) 군주와 왕 각각에 대한 문헌 기록은 그 분량과 상세함에 있어서 상당한 차이가 있다. 대 무 분 은 이름만 나타난 경우가 많은 반면 에 다른 일부는 인격과 사건의 행위자로서 알려져 있다. 필자는 「은본 기」(殷本紀)를 근거로 하고 다른 자료들의 보조를 받아 주요 인물들에 대 해서 아래에 간략하게 설명하겠다 .18)

16) 唐蘭 「從河南鄭州出土的商代前期靑銅器說起」 ; 屈萬里, 앞 글 : 趙鐵寒, 앞책. 17) 다론 판본에는 773 년으로 되어 있다. 18) 이러한 설명은 다소 믿을 만한 자료를 토대로 하여 가장 중요한 사건에 만 한정될 것이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周鴻翔, 『商殷帝王本紀』를 참조. ® 『史記』 「殷本紀」에는 盤庚이 殷으로 천도한 후 27 대 武乙이 商의 첫번째 도읍이었던 홍으로 다시 도옵을 옮긴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 『竹얀紀年』 과는 다른 내용을 전하고 있으나 그간의 安陽지역 발굴 결과가 『竹휴紀 年』의 내용과 일치하므로 이에 따르고 있다.

왕조이전의 군주(先公) ; 시조 시에 (契)를 제외하고 그 밖의 왕조 이전 의 다른 군주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어떤 기록(여러 문헌에 인용된 『世本』)에서 시양투(相 土 )는 말을 사용했다고 하며 그가 해안지역에까지 통 치 영역을 넓힌 〈명예로운〉 왕으로 불 리어졌다고 한다(『 詩經 』 「長發」). 또 다론 군 주 전에 七 왕꿔웨이 王 國維의 말에 따르면 19) 갑골문에 있는 왕하이 王 亥와 같은 인 물 )은 처음으로 소를 사용했다고 하며( 『 世本』) 전(振)으로 인하여 분 명히 상( 商 )나라 사람들은 후뻬이 (湖北)의 이수( 易 水)지역에 있 던 의인집단 여우이( 有易 )와 심각한 전쟁을 치르게 되었던 것 갇다 .20) 여 우이( 有易 )에 관해서 는 전(振)이 여우이(有 易 )의 손님이었을 때 도덕상 는경 솔이 한야 기일 가을 있저다 질. 러 4 년여 우후.아.... ...( ;전_ (有 .振易 ))의의 아왕들 미 웨엔이천 (( 縣徵) 臣는) 에보게복 으죽로음 을미 엔당천했(다絲 臣)을 습격하여 죽였다. 탕(청탕成 湯 티엔이天乙) ; 멍쯔( 孟子 )는 탕( 湯 )의 최초의 영토는 사방 70 리 ( 里 )에 지나지 않았으나 (『孟 子 』 「梁惠王」 下) 얼마 지나지 않아 탕 · ( 湯 )은 이웃 꺼 (易)의 정벌을 시작으로 하여 11 번의 잇따른 정복 후에 최 고의 정치권력자에 올랐다고 말했다. 꺼 (易) 이의에도 당은 웨이 ( 1t )와 꾸( 卽 쿤우(昆 吾 ) 를 성공적으로 정복했다. 「은본기」 (殷本紀)나 『 맹자 』 (孟 子)에서는 탕( 湯 )의 성공을 상대방보다 뛰어난 그의 도덕성으로 돌리고 있다. 예 를 들어 처음 꺼澤)의 정복은 단지 탕(湯)이 수차례 간청하고 도움을 제공했음에도 불구하고 꺼(品)의 군주가 자신의 조상을 숭배할 것 을 거부했기 때문에, 또 들에 있는 농부에게 음식을 날라 주고 있던 아 이를 죽였기 때문에 행하여졌다(보다 자세한 것은 4 장을 참조). 여우롱(有 城)의 폐허에서 시아왕조(夏 王 朝)의 왕 지에(架)에게서 거둔 그의 최종적 인 승리논 지에 (架)가 미움받는 폭군이었기 때문이었다. 정복된 나라의 백성들은 탕(湯)의 정복을 목이 마르게 기다렸다. 죽 당(i8 ) 이 그의 군사 롤 동으로 향하게 했을 때 서쪽에 거주한 사람들은 〈우리에게는 왜 이리 늦는가?〉라고 불평했으며 그가 군사를 남쪽으로 몰았을 때 북쪽에 있는 사람들도 갇은 말을 했다. 당(湯)은 심지어 금수(萬默)까지 공정하게 다 19) 王國維, 「殷 卜 辭中所見先公先王考」. 20} 顧韻剛, 「周易卦父辭中的故事」.

루었다. 죽 그는 언젠가 사냥그물의 3 면을 트게 하여 희생을 원하는 짐 승만이 잡히도록 하였다. 이 이야기가 널리 알려지자 36 개 나라들은 자 진하여 탕(i8 ) 에게 속국으로서 항복했다. 탕(i 易 )의 도덕적 지도력에 관한 또 하나의 이야기는 오랜 가뭄이 계속되자 탕(i &} )은 뽕나무 숲에서의 기 우제에 자신을 회생으로 바쳤다는 것이다. 탕(湯)이 타기 전에 비가 내려 제사의 불이 꺼졌다. 이 이야기들은 말할 것도 없이 저우(周)시대 후기에 지배적이었던 사상인 〈어진 정치( 仁 政)〉라는 원리가 반영된 것이지만 아 마도 똑갇은 원리가 고대의 세계 질서의 유지와 변화에 대한 요인 가운 데 하나가 되었을 가능성 또한 크다. 여기에 대해서는 뒤에 다시 논의할 것이다. 재위기간 동안 탕(it})은 그의 가장 중요한 신하 이인(伊 尹 )에게 도움을 받았다. 「은본기 」 (g如本紀) 는 이 인 (伊 尹 ) 이 어 떻 게 그 지 위 에 올랐는가에 관한 두 가지의 설을 싣고 있다. 하나는 이인(伊 尹 )은 여우신씨(有莘氏) 로부터 왕비가 데려온 하인이었는데 그의 특출한 요리 솜씨로 인하여 탕 (iL} )의 은혜를 받게 되었다는 것이다. 다론 하나는 이인(伊 尹 )은 그의 현 명함 때문에 찰 알려진 농부였는데 탕(if,})이 그의 궁정에서 일하여 달라는 끈질긴 초청을 결국은 수락하였다는 것이다. 어떤 문헌들은 이인(伊 尹)이 한번은 당(iJ})을 떠나 시아(夏)의 관리가 되었으나 그가 시아(夏) 에서 본 것을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에 다시 탕(i易)에게로 돌아왔다고 한 다. 대부분 후기 저우(周)의 기술을 토대로 한 이러한 많은 이야기들은 분명히 모순되며 믿을 바가 못되나 이인(伊 尹 )과 당(i!,})이 어떤 때는 상 반하고, 어떤 때는 합치하여 행동했다는 것이 공통의 주제인 것 같다.

이것은 탕(if,})의 사망 후에 분명해진다. 탕(湯)의 치하에서 태자였던 타 이명 (太丁)이 탕(湯)보다 먼저 죽었다. 탕(i易)의 사후 타이명 (太丁)의 동 생 와이뱅(外丙)과 종런(仲壬)이 순차적으로 왕위에 올랐다. 그들은 각각 3 년과 4 년 동안만 통치했을 뿐이다. 종런(仲壬)이 죽은 뒤 이인(伊尹)은 타이지아(太血 太丁의 아들이며 if,}의 손자)를 왕위에 맞아들였다. 그러나 3 년도 못되어 타이지아(太甲)는 탕(i 8) 의 전통에 거슬리는 정치를 하기 시작했다고 하며 그래서 이인(伊尹)은 그를 통(桐)이라는 궁으로 추방시 키고 스스로 섭정을 하였다. 그 이후에 관하여는 기록들이 다르다. 「은 본기」(殷本紀)에서는 3 년 후에 이인(伊尹)은 타이지아(太甲)를 맞아 다시 왕위에 복위시켰고 후에 타이지아(太甲)는 훌륭한 통치자가 되었다고 말

하고 있다. 그러나 『고본죽서기년』(古本竹苦紀年)에서는 다르게 말하고 있다. 죽 타이지아(太甲)는 통궁(桐宮)을 탈출하여 이인(伊尹)을 암살하 고 그 관직을 이인(伊尹)의 아들 이지(伊涉)와 이훤(伊布)으로 하여금 계 승하게 하면서 그의 토지와 가옥은 그 아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기술하 고 있다. 이러한 대조적인 이야기들에 대해서는 나중에 새로운 해석을 가지고 조정을 꾀할 것이다. 타이지아(太甲)로부터 양지아(陽甲) ; 타이지아(太甲, 4 대)부터 양지아 (陽甲, 18 대)까지의 시대에 관한 중요한 이야기는 알려진 것이 없다. 「은 본기」(殷本紀)에서는 상(商)의 권위의 상승과 하락에 관해서 말하고 있다. 죽 상(商)의 권위가 하락하였을 때는 여러 나라의 제후들이 예방울 하지 않 았고 상(商)의 권위가 다시 상승하였을 때는 제후들이 충성을 표하기 위 하여 예방했다고 한다. 「은본기」 (8 ll:本紀)에 의하면 심각하게 위신이 떨어 졌던 시기는 종명 (f 1l1T) 을 기점으로 하여 9 대의 재위기간 (10 대부터 18 대까 지)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한 가지 크게 일치하지 않는 점이 기록들 가 운데에서 나타난다. 『 서경 』 ( :; \t 經 ) 「무일」(無逸)편에 의하면 종쫑(中宗)은 훌륭한 왕으로 여겨졌으며 75 년 동안의 재위를 누렸다고 한다. 「은본기」 (殷本紀)에서는 종쫑(中 宗 )을 종명(i 1l1 丁)의 아버지 타이우(太戊)로 보고 있으나 왕꿔웨이( 王 國維)는 이 훌륭한 왕이 사실은 쭈이(祖乙)였다는 것 을 설득력 있게 주장했다. 판껑 (盤庚)과 우명 (武丁)의 헉신 : 문헌에서 판껑 (tlt lk) 과 우명 (武 l . ) 은 탕(iL } ) 다음으로 가장 잘 알려진 왕들이다. 판껑 (盤庚)이 명성을 얻었던 중대한 공헌은 후앙하(黃河) 를 건너서 옌(低)으로부터 인(殷)으로 도옵운 옮긴 사건이었다. 이 사건은 『 서경』 (lF 經)의 「판껑」(盤 IJ £)편이라고 하는 3 부분으로 구성된 기록에 의하여 영구히 남게 되었는데 여기에서 판껑 (盤/k)은 타성 때문에 이동을 좋아하지 않는 신하와 백성들에게 자신의 결정의 배경을 이루는 어쩔 수 없는 이유를 들어 훈계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갇이 시작된다. 우리의 왕 쭈이 (組乙)는 껑 (耿)에 와서 도옵을 정했다. 그는 백성운 중하게 여겨 옛도읍의 재난에서 백성들이 모두 죽게 되는 일이 없게

하려는 것이었다. (옛 도읍에서는) 서로 서로 도우며 살아가려 해도 되 지 않기 때문이었다. 이에 나는 점을 쳐서 어찌하면 좋을지를 물은 결 과 〈여기는 우리가 살 곳이 못된다〉라는 응답을 얻었다. 선왕들은 어떤 중요한 일이 있을 때는 하늘의 명에 경전히 주목했다. 그런데도 그들 은 평안함이 계속되지 못하여 그들의'도읍을 일정한 곳에 갖지롤 못하 였다. 그래서 지금까지 도읍을 5 번이나 옮겼다. 지금 우리가 옛 선례 · 를 따르지 않는다면 하늘은 (우리 왕조에 대한) 명을 끊을지도 모른다. 이러고서도 우리가 선왕들의 모범된 길을 따르고 있다고 할 수 있겠는 가? 쓰러진 나무의 그루터기로부터 싹과 가지가 돋아나듯이 하늘은 이 새로운 도읍에서 우리를 위하여 그의 명을 영원하게 할 것이다. 그 리고 선왕들의 큰 위업은 계승될 것이고 회복될 것이다. 그의 설득은 분명히 성공적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천도가 이루어졌고 인(殷)은 상(商)왕국의 도읍지로서 상(商)왕조의 마지막까지 남아 있있 다. 「판껑」(盤庚)편은 상(商)에 관한 가장 중요한 문헌 가운데 하나로 여 겨지고 있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진실한 상(商)의 요소를 많이 담고 있는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이며 또 그 내용이 변명하고 위협하는 두 가지의 말로 구성됨으로써 상(商)왕조 통치술의 본질을 어느 정도 보여주기 때문이다. 판껑 (盤庚) 이 사망한 뒤 그의 조카 우명 (武丁) 이 왕좌에 오르기 전에 그의 두 동생이 왕위를 계승했다. 『서경』(苦經)의 「무일」(無逸)편에서 우 리는 다음과 같은 기록을 볼 수 있다 ; 까오쫑(高宗, 또는 우명武丁)에 이르면 그는 오랫동안 궁궐에서 멀리 나와 평민들 사이에서 열심히 일했다. 그가 왕위에 오르고 빈소에서 거처할 때 3 년 동안 말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에도 그는 말을 하려 고 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가 말을 하면 그의 말은 지혜로 가득 차 있 었다. 그는 결코 헛된 편안함에 빠지지 않았고 인(殷 또는 商)나라를 훌륭하게 그리고 평화롭게 다스렸다. 젊은이나 늙은이를 막론하고 그 에 대하여 조금도 원망을 품지 아니하였다. 그래서 까오쫑(高宗)께서는 59 년이나 재위하여 나라를 다스렸다• 「은본기」(殷本紀)와 그 밖의 약간의 저우(周) 후기 문헌에 의하면 우명

(武 丁 )은 그의 통치에 있어서 후위에(傅說)로부터 상당히 도움을 받았다 고 한다. 꿈속에서 우명(武 丁 )은 위에(說)라는 이름을 가진 현인을 만탔 다. 그래서 그 를 찾고 있던 중 우명(武丁)은 후시엔(傅險)에서 꿈속에서 본 사람과 동일한 사람을 찾아내었다. 그는 그곳의 공사장에서 흙을 다 져 성 을 쌓는 일을 하고 있었다. 우명(武丁)은 그에게 말을 건냈는데 그 의 말에 만족하여 후위에 (傅說)라는 이름을 그에게 내렸고 그 를 재상으로 삼았다. 이러한 부지런함과 올바른 사람을 등용하는 모든 능력 때문에 분명히 우땅(武 丁 )은 동치 를 찰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는 몇 차례 중요 한 군사 활 동을 수행했는데 『 역경 』 ( 易經 )에 보이는 하나의 중요한 활동은 북서부에 있는 꿰이황(鬼 方 )과의 전쟁이었으며 우명( 武 丁)은 결국 3 년 후 이 를 제압했다. 이 정벌의 결과 『시경 』 ( 詩經 )의 「현조」(玄島)라는 시편에 는 우명(武丁)이 거대한 나라 를 다스린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의 직할지는 사방 천리에 달하였는데 ’ 그곳에서 백성들은 머물러 살았고 저 멀리 사해(四海)까지 영토 를 개척하였네. 사해로부터 모두가 귀순해 왔는데 귀순해 오는 사람 많기도 했어라. 광대한 강역은 강에까지 이르렀다. 인(殷)나라가 받은 천명 모두가 합당하니 갖가지 복록을 받았네. 그리고 멍쯔(孟子)는 그에 대해서 〈우명 (武丁)은 제후들에게 복종을 명 하여 천하 를 장악하였는데 손바닥 위에 있는 물건을 움직이듯 뜻대로 나 라를 통치하였다〉(『孟子』 「公孫丑효句」上)라고 말했다. 상(商)왕조 말기 ; 전통적 문헌에서는 우명 (武丁) 이후로부터 저우(討) 까지의 왕들에 대해서는 그리 많은 것을 말하고 있지는 않지만 한두 가 지 관심을 끄는 것이 있다. 쭈지아(祖甲, 24 대)는 「은본기」(殷本紀)에서 음란에 빠져 왕조를 몰락으로 이끈 왕으로 말하고 있다. 그리고 『 국어 』 (園 語 )에서는 그가 전동을 지키지 않음으로써 7 대 후에 왕조의 멸망을 가 져왔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 서경 』 ( : M 經 ) 「무일」( 撫 逸)편에서는 그룬

하나의 오범적인 상(商)의 왕으로 적고 있다. 쭈지아(祖甲)에 이르러 그는 자기가 왕이 되는 것이 불합리하다고 생 각하여 오랫동안 평민으로 생활하였다. 그는 왕위에 오름에 이르러 곧 평민이 의지해야 할 바를 알아 서민들을 보호하고 그들에게 은혜를 베 풀 수 있었다. 그리고 고독하며 의지할 데 없는 사람들까지도 감히 업 신여기지 아니하였다. 그래서 쭈지아(祖甲)는 나라를 다스리는 것이 33 년에 이르렀다. 똥쭤 U센 (萊作賓)의 갑골문 연구를 통해서 쭈지아(祖甲)가 실제로는 중요 한 개혁자였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을 보면 문헌의 기록들에 있어서 이러 한 상반된 견해는 중대한 것이다. 이 접에 대해서는 3 장에서 다룰 것이 다. 쭈지아(祖甲) 이후 왕조는 전통적인 문헌에 의하면 계속해서 쇠퇴의 길 울 걸었는데 그것은 저우(周)의 정복으로 절정에 이르렀다. 『서경』(얀經) 「무일」 (無逸) 편에서는 다음과 갇이 말하고 있다. 이후의 왕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안일함을 누렸다. 태어나면서부터 안 일함을 누렸기 때문에 그들은 씨뿌리고 거두어들이는 어려움을 알지 못하였고 서민들의 노고에 대해서도 듣지를 못했다. 그들은 지나친 쾌 락만을 추구했다. 그래서 이후부터는 왕들이 오래 살지 못했다. 그들 은 재위기간은 10 년 혹은 7 년이나 8 년, 혹은 5 년이나 6 년, 혹은 3 년이 나 4 년에 불과하였다. 여기에서 도덕적으로 가장 퇴폐한 왕은 물론 저우(討)라고 말한다. 「은 본기」(殷本紀)에서의 저우(討)에 관한 부분을 완역하여 소개할 필요가 있 • 다. 띠저우(帝討)는 천성이 말에 능하고 행동이 민첩하였으며 듣는 일과 보는 일에 매우 기민했고 재능과 힘이 보통사람보다 뛰어나 맨손으로 맹수를 때려잡을 정도였다. 그의 지혜는 간함을 물리칠 만하였고 그의 언설은 비행을 감싸기에 충분하였다. 신하들에게는 능력으로써 자신을

과시하였고 천하에 대해서는 명성으로써 윗자리에 울라 세상의 모든 것이 자신의 아래에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술과 음란한 놀이를 즐 겼으며 여자를 좋아했다. 그는 따지 (坦己)를 사랑하여 따지 (~旦나)의 말 이라면 전부 따랐다. 그리하여 그는 음악사(昔樂師)인 쥐엔(i n) 에게 명 하여 새로운 음란한 가요, 북리의 춤(北里之舞), 미미의 음악(邸点之~) 울 짓도록 하였다. 그는 공물과 세금을 늘려서 녹대 (鹿梨)를 금전으로 가득 채우고 거교(距柏)를 곡물로 가득 차게 하였다. 그는 개와 말, 진 기한 물품을 계속 수집하여 궁실에 가득 채웠다. 그리고 사구(沙 G. ; 離宮의 별칭)의 뜰(苑)과 대(장)를 더욱 넓혀서 많은 야수와 새들을 구 하여 그곳에 넣었다. 그는 귀신에 대해서 태만히 했다. 사구(沙丘)에서 큰 연희를 베풀었는데 술로써 연못을 만들고 고기를 매달은 것이 숲처 럼 보이게 하였다. 그는 남자와 여자들이 나체로 서로 쫓으며 그 사이 를 뛰어다니게 하고 밤이 새도록 술을 마셨다. 이러한 상태가 되자 백성들은 그를 원망하였고 제후 가운데 상(商)왕 국을 등지는 자가 나타나게 되었다. 그리하여 저우(村)는 형벌을 무겁 게언 하였는데 포락의 법 (抱格之法)을 만들었다. 그는 서백 (西伯) 창<.'J 1), 지우후(九侯), 어후(鄒侯)를 삼공(三公)으로 삼았다. 지우후(九侯)는 아 름다운 여자 한 명이 있어서 그녀를 저우(村)에게 헌납했다. 지우후 ()L 侯)의 여자는 음란한 행위를 좋아하지 않았다. 저우(村)는 화가 나서 그녀를 죽이고 지우후(九侯)를 고기것으로 만들었다. 이에 어후(郡 1 犬) 는 저우(村)의 비행에 크게 반발하여 강하게 간하였다. 그러자 저우 (村)는 어후(郡侯)를 고기포로 만들었다. 서백 (西伯) 창(呂)은 이 사실 을 듣고 몰래 탄식하였다. 총후(崇侯) 후(虎)는 그가 탄식한 것을 둘고 는 저우(村)에게 일러바쳤다. 저우(村)는 서백 (西伯)을 여우리 (~.!J I.) 에 다 가두었다. 서백 (西伯)의 신하 홍야오 (OO 天) 등이 아름다운 여자와 진기한 물품, 좋은 말을 모아 저우(村)에게 헌납하자 그때서야 저우 (村)는 서백 (西伯)을 풀어 주었다. 풀려나온 후 서백 (西伯)은 뤼하(i各 河) 서쪽의 땅을 헌납하고 포락의 형을 없앨 것을 저우에게 요청했다. 저우(村)는 그것을 허락하고 그에게 선물로서 활과 화살, 까뀌, 도끼픕 하사함으로써 그로 하여금 제(帝)의 명을 받들어 정벌을 하도록 하고 서백 (西伯)으로 삼았다. 그리고 저우(村)는 훼이종(中)을 등용하여 정치를 맡겼다. 훼이종(費中)은 아첨을 찰하고 이익을 좋아하여 인 ('2.

商)나라 사람들은 그를 가까이 하지 않았다. 처우(村)는 또 어라이(惡 來)를 등용했다• 어라이(惡來)는 남을 헐뜯고 이간질을 잘하니 이로써 제후들은 상(商) 왕실과 더욱 멀어졌다. 서백(西伯)은 귀국한 후 조용히 덕을 쌓고 선을 행하니 많은 제후들이 저우(村)을 배반하고 서백 (西伯)에 게 귀속되었다. 서백 (西伯)의 권위는 점차 커지게 되었고 저우(村)는 이런 연유로 점차 권위를 잃게 되었다. 그래서 왕자 삐깐(比干)이 간하 였으나 저우(村)는 듣지 않았다. 상롱(商容)은 현명한 인물이었다. 따 라서 백성들은 그를 사랑하였다. 그러나 저우(糸寸)는 그를 관직에서 파 면시켰다. 서백(西伯)이 사망하자 저우(周)의 우왕(武 王 )은 동쪽의 정 벌에 나서 멍진(孟津)에 이르니 제후로서 인(殷)나라를 배반하고 저우 (周)나라에 모인 자가 8 백명이나 되었다. 제후들은 모두 말하기를 〈저 우(村)는 토벌을 받아 마땅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우왕(武 王 )은 〈여러 분들은 아직 천명을 모른다〉고 말하고 다시 귀국하였다. 저우(討)는 계속해서 음란한 행위를 그치지 않았다. 웨이쯔({紋子)는 그에게 여러 번 간하였으나 듣지 않자, 태사(太師) • 소사(小師)와 더불 어 상의한 끝에 마침내 국의로 떠났다. 삐깐(比干)은 〈신하된 자로서 죽음을 무릅쓰고 간하여 싸우지 않으면 안된다〉고 말하고는 저우(村)에 게 강력하게 간하였다. 저우(村)는 화가 나서 〈나는 성인의 심장에는 구멍이 7 개가 있다고 들었다〉고 말하고는 삐깐(比干)을 해부하여 그의 심장을 보았다. 이에 지쯔(箕子)는 두려워하여 거짓으로 미천 척하여 노예가 되었는데 저우(村)는 또 그롤 가두었다. 이렇게 되자 인(g文)나 라의 태사(太師)와 소사(小tiJi)는 제기와 악기를 가지고 저우(周)나라로 도망하였다. 이렇게 되자 저우(周)의 우왕(武王)은 마침내 제후를 이끌 고 저우(村)를 정벌하였다. 저우(討) 또한 군사를 일으켜 무예 (牧野)에 서 항거하였다. 갑자(甲子) 날에 저우(討)의 군사는 패했다. 저우(討) 는 도망하여 녹대(鹿갓)에 울라 보석으로 장식된 옷을 입고 불 속으로 몸을 던져 죽었다. 저우(周)의 우왕(武王)은 마침내 저우(村)의 머리를 베어 그것을 커다란 흰 깃대 꼭대기에 매달았다. 우왕(武王)은 따지(旭 己)를 죽이고 지쯔(箕子)를 감옥에서 풀어 주었으며 삐간(比干)의 무덤 에 봉분을 만들고 상몽(商容)이 살고 있는 마을의 입구에 그의 송덕을 표시하고 저우(討)의 아들 우껑 루후(武庚 綠父)에게 인(殷)나라 조상의 제사를 잇도록 하고 그에게 판껑 (盤庚)의 정치를 모범삼아 행하도록 하

니 인 (8 ll:)나라의 백성들은 크게 기뻐하였다. 저우 (/81) 의 우왕(武王)이 죽은 뒤 우껑 (武庚)은 판수(管叔) , 차이수(蔡叔) 와 공모하여 반란을 일 으켰다. 청왕(成 王 )은 저우꽁(周公)에게 명하여 그들을 주멸하게 하고 는 웨이쯔(微 子 )를 쏭(宋)에 봉하여 인(tt)나라의 뒤를 잇도록 했다. 상(商)의 연대 문헌의 기록에서 시저우(西周) 왕조 때의 꽁허 (共和) 섭정시대 원년인 서기전 841 년은 특별히 중요한 의미 를 갖는다. 『 사기』(史記)는 이 해 이 후의 사건을 연대순으로 싣고 있다. 그러나 그 이전에 관해서 쓰마치엔 ( 司 馬 遷 )은 왕들의 각 재위에 대한 정확한 연대를 기입할 수 없었으므로 그들 을 단지 상대적인 계승 순서로 배열할 수밖에 없었다. 저우(周)와 상 (商) 왕조시대의 여러 나라에서는 조상의 숭배를 위해서 혈연적 계보에 대한 정확한 기록이 왕실과 귀족 가문에 분명히 보관되어 있었을 것이지 만 쓰마치엔( 司馬 遷)시대 이전에 그 대부분이 없어졌을 것임에 틀림없으 며 아마 그가 가지고 있었을 자료는 충분하지 못하거나 서로 맞지 않았 을 것이다. 나중에 문헌 이외의 여러가지 방법과 자료들을 이용하여 상(商)에 관한 몇가지의 더욱 중요한 연대 문제를 논의할 기회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 기서는 대체로 문헌에 기록된 범위 안에서 약간의 연대 문제를 기술하겠 다. 이 문제들은 첫째로 우왕(武王)이 상(商)을 정벌했던 연대, 둘째로 상(商)왕조의 전체 동치기간인데 이것을 우왕(武王)의 정벌 연대에 가산 했을 때 탕(i 易 )이 상(商)왕조를 건립한 연대를 밝혀낼 수 있게 된다. 세 째로 30 대 왕들의 각 통치기간에 관한 것들이다. 전통적 문헌에는 기본적으로 우왕의 정벌연대와 직접 관계가 있는 4 개 의 기록이 있다. 1 『 국어 』 (國語) 「주어」(周語) : 〈昔武王伐殷 歲在챕)火〉 〈옛날 우왕(武王) 이 인(殷)을 정벌했을 때 그해의 별 목성은 게-사자좌 (Cancer-Leo 자 리)에 있었다.〉 2 『 서 경 』 (얀經) 「무성 」 (武成) ( 『漢 ?. !.t』 「t k 曆志」 의 주석 에 실 린 『i U:~ J 에 인용된 바와 같이〕 凶惟-月壬辰芳死篇 若笠 U 矣巳, 武王遇朝步自J/;J于

fiE伐討. 터若來三月 班死術, $1i B 甲子, 咸f l j商王討. 唯四月 晩望, 帝生$j'j, 와 ·/ '야미父戌, 武王燒于店l Wn, 젼 日 辛亥, 祀于天位. 좌五 日 乙卯, 乃以庶國祀 賊于/지月.〉(위의 문장은 대략 다음과 갇이 번역된다 : 〈첫달 임신(壬 辰)일에 달은 방사패(帝死衛) 자리에 있었다. 다음날인 계사일(榮巳 日), 우왕은 아침에 저우(周)를 출발하여 저우(討) 정벌의 장도에 올 랐다. 다음 세 번째 달에 달은 기사패(班死$i) 자리에 있었고 5 일 후 갑자일(甲 子t.:i)에 [저우(周)는] 상왕(商王) 저우(村)를 멸했다• 네째 달에 달은 기망(班望), 방생패 (帝生®'i) 자리에 있었다. 6 일 후 경술 일(庚戌日)에 우왕(武王)은 저우(周)의 종묘에서 료(規)라는 제사의식 울 올렸다. 다음날 신해일(辛亥日)에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5 일 후 을묘일(乙JJ n 日)에 저우(周)나라를 받드는 제후가 저우(周)나라의 종 묘에서 행하는 상(商)나라 사람의 머리를 희생으로 사용한 제사의식 을 행하였다.〉 3 『 고본죽서기년 』 (古本竹얌紀年) 〔『新唐방 』 「曆志」에 인용되어 있는 바 와 갇이 ]凶 (武王) 十一年庚寅, 周始伐商〉 (〈[우왕] 11 년 경 인 (庚寅) 년 저우(周)는 상(商)의 정벌을 시작했다.〉) 4 『고본죽서기년』(古本竹杏紀年) 〔『史記』 「殷本紀集解」에 인용된 바와 갇이〕 저自武王減g.I!:t).至幽王凡二百五十七年〉(〈우왕(武王)이 나라를 멸 망시킨 때부터 위왕(幽王)때까지는 257 년 @l 지났다〕» 위에 소개된 내용을 토대로 하고 보다 간접적인 다른 자료를 보충하여 우왕(武王)의 정벌연대에 관한 몇 가지 가설이 제시되어 왔다. 그 가운데 가장 영향력있는 것은 위의 첫째와 둘째 기록을 토대로 하여 계산한 리 우신(劉M-, 서기전 46- 서기 23 년)이 제출한 것이었다. 첫번째 기록은 별들 가운데서 12 년을 주기로 하여 운행하는 목성의 위치에 대해서 말하고 있 으며 두번째는 음력 1 월과 3 월, 4 월에서의 몇 개의 날짜의 간지(干支) 명 칭에 관한 지식을 싣고 있다. 리우신(劉飮)의 계산에 따르면 두 가지 기 록에 모두 들어맞는 유일한 연대는 〈태초의 연대로부터 142, 109 년〉이다. 우리는 리우신(劉훌 k) 의 계산방식에서 서기전 206 년(漢 商祖 원년)은 태초 의 연대로부터 143,025 년임을 알고 있으므로 태초의 연대는 서기전 143, 231 년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서기전 143,231 년에서 142,109 년을 제 하면 서기전 1122 년을 얻는다. 이 서기전 1122 년이라는 우왕(武王)의 정

벌연대가 이른바 전통적인 연대이다. 그러나 리우신(劉欽)이 「무성」(武成)편에 있는 기록에 따라 음력의 달 과 간지의 날짜에 들어맞는 상(商) 말기-저우 초기의 달력을 재구성하는 데에 사용한 역법은 다소 부정확한 것으로 오랫동안 여겨져 왔다. 서기 721 년에 불교 승려인 이싱(一行)은 개량된 역법에 따라서 「무성」(武成)편 에 있는 기록을 다시 계산했는데 그 결과 서기전 1111 년을 얻었다. 『당 서』(唐합) 「역지」(府志)에 보이는 이 새로운 연대는 12 년이라는 짧은 기 간의 운행주기를 가진 목성의 자리에 항상 들어맞았을 것이며 그것은 또 한 세번째 기록과도 일치되었을 것이므로 말하자면 서기전 1111 년은 경 인년(庚寅年)이었다는 것이 된다. 그러나 간지는 후한(後漢)시대 말까지 연대 기록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이 기록은 원래의 『죽서』(竹잔)의 내용으로부터 오랜 세월이 지난 후에 보완된 것을 보여주 고 있음에 틀립없다. 그러므로 이 서기전 1111 년이라는 연대는 서기전 1122 년의 전통적인 연대보다 크게 진보된 면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지만 똥쭤벤(董作賓)에 의해 받아들여집으로써 보다 중요하게 간주되었다. 우왕(武王)의 정복연대에 관한 마지막 문헌 기록은 위의 두 연대 산출 방식을 조금도 뒷받침하여 주지 못하며 또한 그것들로부터 뒷받침받지도 못하면서 스스로 지탱하고 있다. 우리는 여우왕(幽王)의 마지막 해가 서기 전 771 년임 을 알고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770 년에 257 년 (西周시대 왕들 의 총 재위 기간)을 더할 수 있고 그 결과 서기전 1027 년에 도달하게 된 다. 이 연대는 레이하이쫑('Jr海宗 )21) 천멍지아(陳夢家 )22) 버나드 칼그렌 (Bernhard Karlgr en )2'> 그리고 그 밖의 현대 학자들)이 채택하고 있다. 이 3 가지 연대, 서기전 1122 와 1111, 1027 년은 가장 경향력 있는 것이기 는 하지만 어느 것도 문헌의 근거만으로는 그 타당성을 유지할 수 없다. 한편 다소 문제점이 있는 다른 가설들도 있다 .25) 이 문제에 대해서는 나 21) 압海宗, 「殷周年代考」. 22) 陳夢家 『西周年代考』. 23) Bernhard Karlgr en , Some Weap o ns and Tools of the Yi n Dy na sty . 24) 何炳樣, 「周初年代平;祖」. 25) 董作賓 「武王伐討年月 8 今考」 丁,., 「歲在輯火與武王伐村」. 周法腐 Cert ai n Date s of the Shang Peri od .

중에 새로운 근거를 덧붙여 논의할 것이다. 여기서 기억해야 할 것은 위 의 모든 문헌기록은 우왕(武王)의 정벌 이후 수백년이 지난 똥저우(束周) 시대 사람들의 지식을 나타내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런데 그러한 기록들 이 일치하지 않게 보인다는 사실은 똥저우(束周)시대에 이미 그러한 사건 에 대해서 서로 다른 견해가 있었음을 말하여 준다. 그 가운데 일부는 현 존하는 정확한 내용을 보여줄 것이고 다론 것들은 잘못된 것으로 보인다. 우리가 자신있게 정벌 연대를 추정하기에 앞서 당시의 기록들이 참으로 필요하다. 두번째 연대문제는 왕조의 기간에 관한 것이다. 저우(周)시대의 문헌에 는 이에 대해서 3 가지의 기록을 싣고 있는데 다음과 갇다. 『좌전』(左傳) 「선공」( 宣 公) 3 년 : 〈지에 (架)는 부덕하였으므로 제사용 그릇인 정(鼎)이 상(商)으로 옮겨졌는데 그곳에서 600 년 동안 제사가 행하여졌다.〉 架有香德, 鼎遷于商, 載祀六百. 『맹자』(孟子) 「진심」( 삼t 心) 하 : 〈탕(湯)으로부터 원왕(文 王 )에 이르기 까지는 500 여 년이었다.〉 由湯至於文王, 五百有餘歲. 『고본죽서기년』(古本竹苦紀年) : 〈당(湯)이 시아(夏)를 멸한 후 서우 (受)에 이르기까지 모두 29 왕과 496 년이었다〉 湯滅夏以至於受, 二十 九 王, 用歲四百九十六年. 처음의 두 기록은 어림잡은 것이지만 서로 상당히 부합된다. 멍쯔(孟 子)는 원왕(文王)까지의 시기만을 말하고 있는데 원왕(文 王 )은 오랜 기간 (『杏經』 「無逸」편에 따르면 50 년) 왕위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그의 재위 기간을 멍쯔(孟子)가 말한 500 여 년에다 더하면 총 연수는 『좌 —, 「西JliJ年代考」. 王保德 , 「武 王 伐村渡于孟i上的年代考」. 勞幹, 「武王年代!!!]返與月 相 1 비題的新看法」. 중국의 역사기록에 보이는 헬리 혜성에 관한 근래의 연구인 「哈孟i낸星的 軌道演斐的越勢和宅的古代座史」에서 南京 紫金山 天文상의 천문학자 張 任哲은 武王이 상을 정벌할 때에 하늘에 혜성이 떠 있었다는 『淮南子』 「兵略訓」의 기록을 인용하여 그 사건이 중국북부에 헬리 혜성이 나타났 을 때인 서기전 10 :57 -10 :5 6 에 일어났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지 금 우리가 이 견해를 받아둘이기에는 불확실한 접이 너무나 많다.

전 』 ( 左 傳)에 있는 600 년이라는 수에 가까워질 수 있다. 서기전 1122 년에 600 을 더하면 서기전 18 세기에서 탕의 건국연대를 얻을 수 있지만 정확 한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다 .26) 『죽서』(竹싼)의 496 년이란 숫자는 너무 짧은 것으로 보아 아마도 찰못된 것일 것이다.

26) 劉欽은 夏에 대한 정벌 연대(i 8 의 재위 16 년)를 서기전 17,1 년으로 잡았 다.

상(商)왕조의 개시연대가 정확하지 못하므로 30 왕들의 재위 연대도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여러 연구 27) 에서 얻어진 정확한 숫자란 단지 배 당 놀이밖에는 될 수가 없다. 저우(周)의 문헌에 실려 있는 단지 기록상 으로 정확단 재위 연대는 다음과 같다.

27) 그러한 재위년수는 『今本竹얌紀年』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갈은 것이다. 周鴻翔 『商殷帝王本紀』를 참조.

l 탕( iL } ) ? 2 와아뻥(外丙) 2 년 (『孟子』) 3 종런(仲任) 4 년 (『孟子』) 4 타이지아(太甲) 12 년 (『竹딴』 『史記』 「썬世家索 E 」에 인용되어 있 음) 5 워땅 (沃丁) 6 타이껑(太康) 25 년 (『史記』, 『太平御뾰』 권 8 에 인용되어 있음) 7 샤오지아(小甲) 17 년 (『史記』, 『太平御떴』 권 8 에 인용되어 있음) 8 용지 (처[己) 9 타이우(太戊) 10 종명 (中丁) 11 와이런(外任) 12 허 탄지 아(iiiJ뾰甲) 13 쭈이 (祖乙) 75 년 (『守經』 「撫逸」) 14 쭈신(祖辛) 15 워지아(沃甲) 16 쭈명 (祖丁) 17 난껑 (南庚) 18 양지아('尉甲)

19 판껑 (盤I)t) (가 箕距 에 있는 여러 다른 기록에 의하면 판껑 부터 저우(村)까지는 773 년, 275 년, 또는 273 년 이 됨) 20 샤오신(小 辛 ) 21 샤오이 (小乙) 22 우영 (武 I.) 59 년 ( 옛璃 & 「無逸」) 23 쭈껑 ( 폐 l/J t ) 24 쭈지아(祖 甲 ) 33 년 ( 엠底 「無逸」) 25 린신( 康辛 ) (10 년, 7 년 또는 8 년, 4 년 또는 3 년〔 『향 經』 「無逸」〕 그러나 『 後漢 참』 에 인용된 바에 의하 면 『 竹 얀』 에서는 우이 35 년과 따이영 . 11 년을 말하고 있다.) 26 껑 땅 (Jj£ 丁 ) 27 우이 (武乙) 28 타이명 ( 太 丁) 29 띠이 (帝乙) 30 띠신( 帝辛 ) 2 청동기 제사용의 청동제 그릇은 일반적인 상(商)시대 제품으로 오랫동안 알려 져 왔다. 「은본기」(殷本紀)에서는 청동솥의 손잡이 위에 한 마리 꿩이 날 아와 앉았던 우명(武丁)시대의 한 제사 때에 있었던 사건을 기록하고 있 다. 『 국어 』 (固語) 「진어」(晋語)는 심지어 상(商)의 몰락 연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청동그릇의 명문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한편의 문장을 싣고 있다. 적어도 한(漢)시대 이후부터 고대 중국의 청동기는 왕실과 개인의 골동품 수집 가운데 중요한 몫이 되어 왔으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도 록은 뤼따린(呂大臨)에 의하여 1092 년에 발간된 『고고도 』 (考古 圖 )아다. 이 『 고고도』(考古圖) 도록은 여러가지 중요한 방법을 제시하여 고대중 국의 청동기 연구의 분야를 창시하였다. 황실(宋朝) 소장과 37 명의 개인 소장 가운데서 자료를 선택하였는데 그것은 148 정의 상(商)과 저우(周)의

제품, 63 점의 친(秦)과 한(漢)의 제품, 그리고 13 접의 옥(玉) 제품에 대 한 도면과 설명 (각 제품의 크기 용적, 무게, 출처)을 포함하고 있다. 각 제 품은 고전에서 사용한 고대중국의 용어에 따라서 유형별로 이름이 불여 졌다. 그리고 상(商)의 제품은 주로 명문을 토대로 하여 저우(周)의 제품 과 구별하였는데 상(商)왕들의 명칭이 갖는 형식에 따라 10 간(十干)이 복 합되어 있는 명칭 (父떤 母乙,祖丙, 兄丁 등)이 명문 가운데 보이는 것들 은 대체로 상(商)시대의 것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고고도』(考古圖)의 방식은 이후의 다른 도록들에서도 반복되는데 이후의 도록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으로는 『 박고도 』 (博古鬪 1123 년 후에 개정), 『서청고감』(西淸古 鑑 1755), 『 영수감고 』 ( 寧홉 鑑古, 1755 년과 1795 년 사이에 출간), 『서청속 감 』 ( 西淸紹鑑 1793) , 『 도재 길금록 』 (~넓땄 吉 金錄, 1908) 등을 비 롯하여 다수 이다. 아 도록들에 수록되어 있는 수집품이 계속해서 보존된 것은 아니 다( 宋 f탑의 도록에 기록된 6,000 여 접 가운데 단지 2 접만이 현존하고 있다 ).28) 이 도록들은 근대 고고학이 고고학 유물뿐만 아니라 출처가 확실한 새로 운 청동기의 발견을 가져오기 이전에 있어서 상(商)과 저우(周)의 문명에 관한 고고학 연구에 중요한 일차자료가 된다. 아주 최근에 발간된 상(商) 과 저우(周)의 청동기 명문의 한 도록에는 29) 4,835 접의 청동제품에 명문이 있 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그것들은 중국어와 일본어, 서양어로 된 192 권의 책으로부터 선택한 것들이다. 이 책들은 대부분이 명문이 있는 청 동기뿐만 아니라 명문이 없는 것을 포함하여 출처가 분명하지 않는 청동 기 등을 싣고 있다. 이러한 책에 수록된 가장 오래된 도록은 위에서 말 한 r 고고도 』 (考古圓)이며 가장 최근의 것은 1970 년대에 출판되었다. 이 도록들은 청동기를 사용한 상(商)과 저우(周)의 문화에 관한 당시의 모든 방면의 연구에 있어서 기본적인 자료가 되고 있다. 상(商)의 역사,문화,사회를 조명하기 위하여 어떤 방법으로 청동기를 연구할 수 있을까? 과학적으로 발굴된 청동기는 전체 고고학적 유물의 집합체 가운데 한 부분으로 역할하게 되는 것으로서 다른 종류의 고고학 적 유물을 연구할 때와 갇은 방법으로 연구할 수 있다. 이 과학적인 고 고학적 연구방법과 결과에 대해서는 다음에 다시 말할 것이다. 그러므로 28) 容底 『商周효器通考』, p.2 57. 29) 周法益 『三代吉金文存苦錄表』.

여기서는 고고학적으로 출처가 분명하지 않은 청동기, 죽 미술수집품 가 운데서 발견되는 청동기에 관심을 집중키로 한다. 상(商)과 저우(周)의 청동기에 관한 연구를 학자들은 4 가지 방면의 연구 죽 명문과 유형분류, 문양, 제작기술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각 분야에서의 주요 연구결과를 간략히 기술하겠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기술을 진행하기에 앞서 여기에서 상(商)의 청동기 를 저우(周)의 청동기와 구별하는 문제에 관해서 참깐 언급해 둘 필요가 있다. 전통적으로 청동기는 〈 3 대 (夏 • 商 • 周 三 代)의 것〉으로만 간주되어 왔는데 그것을 구별한다는 것은 항상 가능한 일은 아니다. 그러나 〈 3 대〉 라는 말에는 두 가지 뜻이 있을 수 있다• 죽 그것은 3 개의 계속된 연대 의 기간을 표시하며 또한 그것은 3 개의 중복된 정치적 실체도 가리키고 있다. 청동기 가운데는 분명히 상(商)시대의 것으로서 저우(周)의 영역에 서 발견된 것들이 있다. 3 대가 계승적이었다는 연대적 의미가 강조되었 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이것들은 상(商)의 청동기로 분류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상(商)왕조로부터 저우(周)왕조로의 정치적 추이는 미술에서는 분 명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시저우(西周) 초기의 청동기는 상(商) 말기의 청동기와 구별하기가 어렵다. 아래에서 모든 시대의 청동기에 적 용할 수 있는 연구의 방법과 결과에 관해 언급할 것이며 필요가 있을 때 에는 상(商)시대의 것만을 상세하게 논할 것이다. 며o Tt:J 현존하는 상(商)과 저우(周)의 청동기 가운데 아주 일부에만 있는 명문 은 일반적으로 제품 전체를 만드는 과정에서 음각(陰刻)으로 주조되었다. 가장 짧은 명문은 하나의 문자로 되어 있으며 가장 긴 것으로 알려진 것 은 시저우(西周)의 제품인 마오꽁명(毛公사 1} )에 주조된 497 개의 문자에 달 하는 명문이다 .30) 모든 명문은 두 종류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그것은 〈부 호〉와 〈설명〉이다. 부호는 다음 요소들 가운데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분된다 : (A) 일 30) 毛公開}은 그 진위에 관하여 논쟁이 되고 있는 물건이다. Noel Barnard, Chou Chin a : A Revie w of the Thir d Volume of Cheng Te-K'un's Archaeology in Chin a ; 張光遠 「西周軍器毛公鼎」.

족의 상징이나 성족(姓族)의 상칭으로 간주되는 여러 문자(주로 상형문자) 가운데 하나 ; (b) 남자 조상( 祖 )과 여자 조상(~It). 아버지(父), 어머니 ( 母 ), 형 (兄), 왕의 배우자( 婦 ), 왕자( 子 )와 같은 친족상의 용어 ; (C)10 개 의 간자( 甲 , 乙, 丙 , 丁, 戊, 己, 庚 , 辛 , 壬 . ~) 가운데 하나이다. 이러 한 기호에 대한 통상적인 해석은 그 청동기 를 사용했거나 그 청동기가 바쳐진 대상의 조상집단이나 개인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예 를 들어 〈도상 기호 아버지 갑(父 甲 ) 〉 으로 구성된 것은 다음과 갇이 해석된다. 죽 그러 한 도상기호로 표시되는 성족(姓族)에 속하는 아버지 갑(개인적 하나의 조 상)으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서 필자는 수정된 해석을 제안했는데 죽 아 버지의 갑( 甲 )은 특 정한 개인이 아니라 그 제사용 제품이 만들어진 목적 이 되는 대상의 세대 (아버지의)와 가계 ( 家 系)의 단위 ( 甲 ) 를 말한다는 것이 다 .31 )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기호에는 아무런 설명도 없으며 단지 그 대 상의 사회적 지위 를 표시하는 것으로만 주조되었다. 학자들은 여러가지 목적으로 이 기호들을 연구해 왔다. 도상기호들과 그 밖의 기호 들 은 그 사용자들에 관한 사회학적 지식을 위하여 연구되어 왔다 .3 2 ) 연대 연구 를 위해서도 그것들이 사용되었는데 일반적으로 대부 분의 도상기호는 저우(周)보다는 상(商)의 것으로 생각되어지고 있으며 33) 선조의 기호 를 사용한 것은 상(商) 말기의 제도로 간주되어 왔다 .34) 이러 한 도상기호 들 은 흔히 상형문자로 되어 있으므로 그것들은 중국문자의 초기단계 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그래서 중국에 있어서의 문자 의 역사 를 연구하는 데 이용되고 있다 .35) 설명문을 싣고 있는 명문에서도 기호까지 있는 경우가 많은데 그것들 . 은 대개 그 그릇을 주조하게 되었던 상황에 관한 설명이다. 설명문의 대 부분은 왕의 하사의 결과로 청동기 를 만들게 된 경위에 관한 것인데 대 개의 경우는 하사품의 일부가 되는 금전의 액수 를 언급하고 있지만 어떤 31) 張光直 「商J,炳 꿉 銅器器形 裝 飾花紋與銘文 綜 合硏究구JJ步報告」. 32) 郭洙若 「殷 井 中岡形文 字 之一,?」 ; 林巳奈夫, 「 O i 1t I 時代(l) ~l~ J 벼兒」. 33) 容 底 『 商 周 먀 器 通 考 J , p.6 7 ; Karlgr e n, Yi n and Chou in Chin e se Bronzes, 34) Vi rg ini a Kane, The Chronolog ica l Sig nifica nce of the Inscrib e d Ances- tor Dedic a ti on in the Bronze Vessels ; KKHP, 「安卽刻 & 1i.就g的發批」. ) 萊作賓, 「中國文 字 之起源」.

것들은 군사작전이나 왕의 순행과 같은 다른 사항에 관한 것들도 있다. 이 설명문은 실제로는 역사적인 것이 아니라하더라도 매우 중요한 여러 정보들을 부수적으로 싣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시저우(西周)의 역사에 관 한 많은 지식이 이 자료에서 유래되었음에 틀림없다. 상(商)의 것으로 간 주되는 청동기 가운데 극히 일부만 설명문이 있는데 그것들은 기껏해야 50 개 문자 정도의 비교적 짧은 문장이다 .36) 이 명문들은 당시의 기록이 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믿을 만한 당시의 기록이 아주 적은 중국사의 한 시대에 관한 지극히 귀중한 기록이 되고 있다. 아까쯔까(赤塚忠)는 상 (商)의 청동기 자료 1959 년도 수집 37) 에서 설명문이 있는 60 개의 명문을 수집하여 연대기록과 정벌, 하사, 잔치, 여성, 그 밖의 잡다한 일 등의 표제어를 붙여 분류했다. 그러나 그보다 훨씬 광범위한 자료 색인이 저 우화까오(周法高) 의 몇 사람에 의해 편찬되었는데 이 책에서는 특정한 명칭, 용어 구분 등울 보여주는 상세한 항목을 발견하게 된다 .38) 유형 상(商)과 저우(周)의 청동기는 동시대의 것 또는 고고학적 명칭에 따라 어느 쪽으로도 분류될 수 있다. 청동기의 종류에 대한 명칭은 문헌에서 보이는데 그 명칭이 그 명문 자체에서 보이는 경우도 있다. 실제로 송 (宋)시대의 도록에서는 고전의 자료에서 얻어낸 명칭의 범주에 제품들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관례가 만일 성공적인 것이라면 아마 상(商)과 저우 (周)의 문화를 재구성한다는 목적을 위해서는 최상일 것이지만 실제로 그 것은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없다. 명문에 보이는 명칭둘은 모든 유형들 울 포괄하고 있지는 않으며 그것들은 총괄된 것의 여러 단계이다. 고전 에 보이는 명칭들은 실제 제품과 항상 믿을 수 있을 만큼 일치하지는 않 는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청동기를 연구하는 거의 모든 학자들은 가능 하다면 전동적인 명칭을 사용하지만 전동적인 명칭이 없거나 확실하게 적용할 수 없을 때는 새로이 만든 다른 명칭을 사용하면서 어떤 종류의 고고학적 분류를 채택하고 있다. 가장 널리 채택되고있는 상(商)과 저우(周) 청동기의 분류 방식은, 이 36) 容底 『商周먀器通考』, p.8 2. 37} 赤塚忠, 『殷金文考釋』.

미 알고 있거나 추측에 의한 제품의 용도에 기초한 것이다. 천멍지아(陝 夢家) 에 의 한 다음과 같은 분류 39) 는 하나의 예 이다. l 음식그릇 a 요리그릇 (1) 명 (사 1 t), 리 (函), 옌(ti) (2) 루(SJ옵), 자오(요) (3) 루메), 리 ($~)' 짜오(i'M) b 음식을 담는 그릇 냐1 1 이(設) 쉬(組), 후(直), 떠우(豆) c 음식 뜨게 : 쑤(七) 2 술그릇 a 술을 데우는 그릇 : 지아(11'=)' 허 (益), 쥐에 (爵), 쟈오(角), 쟈 오준(錦tr.) b 술을담는그릇 (1) 준(합·-잔)계동 : 준(~). 꾸 (Alll)' 광(統) (2) 핑(紙―병)계통:레이(#), 잔(船), 정(효), 펀(盆) (3) 후 (盛-호로) 계 통 : 위 (孟) , 후 (:,:'i) c 술뜨게 : 사오(여) 3 그릇받침 4 물그릇 5 악기 6 무기 7 마차와 마구 8 도량형기 9 농기구와 공예기구 10 의류와 화장도구 11 잡다한 도구 큰 항목의 분류 (1-11) 는 그릇의 용도물 가상하고 그것윤 토대로 한 것 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이차적인 분류이다. 그 경우에 각 종류의 무수한 여러 형태는 전통적인 용어에 따라 이름이 불여진다. 이것은 박물관 소 38) J서法 &S 의, 『金文誌林』.

장품의 청동제품이나 새로 발견된 제품을 분류하는 데에 있어 현재 거의 보편적으로 따르는 원칙이지만 우선 추측된 용도를 토대로 한 분류 기준 이라는 것이 명확할 수는 없기 때문에 그것에 대한 정확한 분류와 용어 는 크게 달라진다 40) (그립 2) . 한편 방금 말한 것과 같은 분류 방식의 부정확성에 반발하여 리지 (李 濟 )는 안양(安陽)의 상(商)문명의 유적에서 발굴된 제기를 이용하여 이례 적으로 그릇의 형태를 근거를 하는 일차적 분류의 새로운 방식을 제출했다. 41) 1 밀이 둥근 그릇 2 바닥이 편편한 그릇 3 발(굽)이 둥근 그릇 4 세발 그릇 5 네발 그릇 6 동물모양의 그릇 7 그릇에서 분리된 뚜껑 위에 분류된 각 종류 가운데 더욱 특수한 형태의 그릇은 전동적 용어 에 따라 이름이 붙여진다. 그러나 이들 용어에는 〈-모양의 그릇〉이라는 말이 붙는다. 예를 들어 <4 네발 그릇〉 종류 가운데 하나의 형태는 〈땅 (!Il t)-모양의 그릇〉이다. 다시 말해서 리지 (李濟)는 이것이 정말로 명이 라 불리어졌던 것이건 그렇지 않던간에 사람들이 명(}!!})으로 보는 것과 같은 모양의 것이 분명하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 방식과 명 (M t)으로 부르는 것과의 차이점은 매우 미묘하다. 죽 그것은 신중의 정도를 말하 고 있는 것이다. 바닥과 발의 모양에 따른 리지(李濟)의 일차적 분류가 그가 의도했던 방식으로 항상 사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현대의 중국 고 고학자들은 이 〈-모양의 그릇〉이라는 관례를 채택하여 왔다. 상(商)의 청동기를 분류하는데 있어서 이론적으로 다듬어야 할 여지는 39) 『 海外中園銅器岡錄』. 40) 林巳奈夫, 「gll:]61꿉銅먀器(7)名稱 & 用途」 ; 梅原末治, 「古銅器形態 m 考古學 的硏究」 ; 容庚. 『 商周井器通考』. 41) 李濟, 「 i t小屯出土之꿉銅器」, 上篇 ; 「殷城出土꿉銅禮器之總檢討」. pp. 789-795. 806-807,

땅 (}I ll ) 리 (AA ) 옌(紙) 웨이(敦) 떠우( 豆 )

꿰이 (惡 斑 ) 후(重) 쥐에 (ID ) 지아오( 섬t ) 지아( ~ ) 허( 益 ) 준( ~t .) 亨 § 꾸( 鍾 ) 즈 ( 輝 ) 위( 孟 ) 광( 航 ) 이 ([ID ;) :=판샌설) 지엔( 鑑 ) 냐오준 (l. 넜i) 후of( ~A)n cie n t Chin a 레, 이fig(. 墓1 7태) 4 에(K서. C인. `용C)h.an g, The Archaeo l o근gy 이 (區) 위 (J,.i) 그림 2 商問 청동기의 기본 형

많다. 그리고 실제로 이것은 중국 고고학에 있어서 모든 분야의 유물 분 류에서도 역시 그러하다. 브루우(J . 0. Brew) 는 30 여 년 전에 다음과 갇 이 말했다. 연구될 유물의 집단은 학자들이 얻기를 바라는 지식에 따라서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되어져야 하며 일반적으로 그 분류된 종류 둘은 일치하지 않을 것이다 .42) 우리가 얻고자 하는 지식에 따라서 우리가 다루는 청동기는 여러 방법 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것은 하나의 문화전통 내에서 그리고 다양한 문 화전통 가운데서 유물의 각 유형의 역사 를 추적하는 목적 을 위하여. 시 간과 공간상에 분포되어 나타날 수 있는 형태와 양식으로 분류될 수 있 다 .43) 그 예가 청동무기와 청동그릇의 각 형태의 역사에 관한 · 리지(李濟) 의 연구이다.”) 위에서 말한 방법으로 도 출 된 개별적인 청동 유물의 역 사는 다양한 문화들의 상호관계 를 제시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45) 각 유물 집단의 형태 변화로부터 각시대의 그 유물 집단의 집단적 특징을 살필 수 있으며 특징이 뚜렷한 유물은 그것과 함께 발견된 전체 유물의 연대 측정의 목적을 위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46) 전체 유물 내의 청동 제품은 단지 서술만을 위해 분류할 수도 있다. 여기에 대해서는 능률적 이며 경제적인 어떤 분류 방식도 유용할 것이지만 비교연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널리 적용할 수 있는 자기 자신의 방법을 끊임없이 찾고 있 다. 47) 상호연관이 있을 때 청동 유물은 다른 재료의 유물과 함께 갇은 유형으로 분류되는데 그것은 그 문화의 구성 자체 를 가리킨다. 상(商)과 저우(周)의 음식그릇과 술그릇을 분류하는 것이 그 예이다 .48) 끝으로 칭 42) Archaeolog y of Alkali Rid g e, South e aste r n Ut ah , p.46 . 43) Prehis to r y in Ha iti에서 Irvin g Rouse 가 정의한 분류 방식이다. 44) 李 流 「記小屯出 土 之 · 'h갭 •1 器」, 上, 中. 45) 한 예로는 李混 「殷域出j · 銅器五種及其相關之 IHI 題」. 46) 李i貸 「豫 4 t H,, L ,!f£t •1 씩兵分類岡解」. 47) 北光 U 외. 개 U Jt I 삽銅器與銘文的 綜 合硏究 .I. : Vadim e Eli ss eeff , Pos- sib i l ites du scalog ram me dans l'etu d e des bronzes Chin o is archaiq u es : Vadim e Eli ss eeff , Bronzes archaiq u es Chin o is au Mt tSe e Genzsuchi. 48) K. C. Chang , ·'Food and Food Vessels in Anc ien t Chin a .

동유물은 그 내재적인 용어체계에 따라 거의 서열조직처럼 묶을 수 있 다. 그런 분류는 적어도 상(曲)나라 사람의 고유의 분류방식과 일치할 것 이다. 위에서 말한 상(商)의 청동기를 분류하는 방법 가운데 몇 가지는 아직까지 시도되지 않은 것들이다. 장식미술

상(商)의 청동기에 사용된 장식미술은 동물양식으로 특징지워지는데 ~9) 동물계로부터 취한 신화적 주제가 특색이다. 전통적인 중국의 골동품연 구는 장식미술연구에 힘을 쓰지 않으며 장식이 언급될 때는 그것은 도덕 적 의마가 있는 상징으로 취급되었다 .50) 이러한 상징적인 접근방법은 근 대 학문에서도 계속되었다. 죽 상(商)과 저우(周)의 청동기 미술에 있어 서의 동물 주제는 고전에 보이는 신화적 전설적인 주제로 확인되며 재사 에서의 그것들의 중요성이 확인된다 .51)

49) Karlgr en , Some Characte r is t ic s of the Yi n Ar t ; Li Chi, Hunti ng Records, Faunis t ic Remain s and Decorati ve Patt er ns from the Archaeo-log ical Sit e of Any a ng ; Cheng Te-K'un Anim al Sty le s in Prehis t o r ic and Shang Chin a . 50) 容底 『商fll l~ 器通%, p.9 9, 51) Phy llis Ackerman, Rit z((JI Bronzes of Anc ien t Ch ina . Florance Wate r bury, Early Chin e se Sy m bols and lilera/ ure : Vesti ges and Sp eC l(/a li o n s.

청동기의 장식무늬는 위에서 말한 유형학적 목적을 위한 청동기의 형 태와 같은 방법으로 다루어질 수 있다. 상(商)시대를 연구하는 학자들 가 운데 주로 미술사학자들에 의해서 청동기의 이러한 면에 관해서 많은 연 구가 있었지만 칼그렌 (Karl g ren) 과 로우얼 (Loehr) 의 연구가 가장 크게 영 향을 끼쳤다.

1930 년대에 발표된 일련의 논문 52) 에서 칼그렌은 상(商)과 저우(/,'i))의 청동기를 고대(t E 과 서기전 950 년 이전의 周 초기)와 저우(周) 중기(서기전 약 950~650 년), 그리고 화이 (溫 서기전 약 650-200 년)의 3 집단, 죽 A · B • C 로 다음과 갇이 나누었다.

52) The Exhib i t ion of Early Chin e se Bronzes ; Yi n and Chou in Chin e se Bronzes ; New Stu d ie s on Chin e se Bronzes,

A 요소 : 얼굴모양의 도철( 容谷 ), 몸체 모양의 도철, 소모양의 도철, 매 미, 곧추선 용, 단일 장식 B 요소 : 해체된 도철, 동물의 세 겸의 띠, 꼬리 없는 새, 눈모양의 나 선형 띠, 대각선이 있는 눈모양의 띠, 초승달 모양이 있는 사 각형, 복합 마름모형, 날카로운 끝, 맞물린 T 모양, 곧추선 갈 빗대 모양의 살 C 요소 : 비뚤어진 도철, 용모양의 도철, 몸통부분의 용 , 부리부분의 용, 턱부분의 용, 회전하는 용, 것부분의 용, 날개부분의 용, S 모양의 용, 비뚤어전 용, 새, 뱀, 소용 돌 이 모양의 원, 잎사 귀, 눈모양의 잎사귀, 나선형의 띠 칼그렌이 500 개가 넘는 견본에서 이러한 요소들이 분포되어 있는 것을 근거로 확인한 바에 의하면 이러한 무늬 요소들은 상(商)과 저우(周) 초 기의 그릇에 유형화된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고 한다. 그 유형은 이러 하다. 죽 일반적으로 A 요소와 B 요소는 같은 그릇에서 하나로 결합될 수 는 없지만 각각 C 요소와는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칼그렌은 이것을 상(商)시대의 청동미술에는 두 가지 대립하는 양식, 죽 A 양식과 B 양식 (그립 3) 이 있었음을 뜻하는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그는 A 를 1 차 양식으로 보며 B 를 A 에서 유래한 2 차 양식 죽 〈아마도 새 로이 시작한 경쟁적인 주조가들이 초기 A 양식을 토대로 하면서도 그것에 서 급격히 벗어난 새로운 양식인 B 양식을 만들어낸 업적〉으로 보고 있 다 .53) 칼그렌의 분류는 상(商)시대 청동미술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분석인 데 그것은 연대순으로 나타났을 내재적인 차이를 분류의 기준으로 제시 한 최초의 시도였다. 그의 방법을 따른 보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그의 A 와 B 양식이 개개의 청동그릇뿐만 아니라 전체 고고학 유물들에서도 나타 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시도, 죽 시차적으로보다는 사회학적으로 유래되 어 일어난 양상일 것으로 보는 시도가 있었다 .54) 한 새로운 통계학적 연 구에서는 4,000 여 점의 상(商)과 저우(周)의 명문이 있는 청동기가 번호 H) Karlg ren , New Stu d ie s on Chin e se Bronzes, p.9 1. ~4) K. C. Chan g, Some Duali sti c Phenomena in Shan g Soc iet y .

a b c

그림 3 칼그렌의 청동기 A 양식 (a) 과 B 양식 (b, c) (容庚, 『 武英殿 井 器 [ 세 錄 』 에서 인용).

로 배열된 새로운 광범위한 도록 55) 을 이용하여 칼그렌의 A, B, C 요소에 관한 연구 를 한 결과 〈그 자료 역시 다른 유물들이 양식에 있어서 칼그렌 의 A, B, C 분 류와 일치하지만 다른 주제로 구성된 집단의 존재 가능성을 배재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그 자료는 칼그렌의 가설이 잘못된 것이 라는 어떠한 증거도 제시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었다 .56)

SS) 張光直 의, 『 商周 :, !t銅器與銘文(內綜合硏究 』 . S6) Bruce Sp en cer, Archaic Chin e se Bronzes : A Sta ti st ic a l Stu d y of Moti f Co-occurrence, p.1 2.

막스 로우얼 (Max Loehr) 의 청동기 양식 분류는 오로지 칼그렌 분류 방 식 중 고대에 한해서 적용할 수 있으며, 실재로 상(商)시대로 추정되는 것 을 토대로 뽑은 청동그릇과 안양(安陽)의 유적에서 출토된 청동그릇을 근거로 했지만 그의 분석은 단일한 요소나 주제 를 토대로 한 것이 아니 라 〈그릇의 전체 인상 죽 그릇의 모양과 장식(주재, 주재의 형태 그리고 이러한 주제의 배열), 기술적인 특징들〉을 토대로 한 것이다 .57) 로우얼은 다음과 갇이 5 가지 양식 을 간단히 요약하여 설명하고 있다 .58)

H) Loehr, The Bronze Sty le s of the Any a ng Per i od( 서 기 전 1300-1028 년) , ” p.42 . sa) Ri tua l Vessels of Bronze Ag e Chin a , p.1 3.

a b c

d e 그립 4 로우얼의 청동기 양식 I -V ;a, I ;b, Il ;c, Ill ;d, N ;e, \' . (a 와 b 는 뉴욕의 Arth e r M. Sackler 수장품, 수입 번호 V59 와 Vl08 ; C, 샌 프 란 시 스 코 Asia n Art Museum 의 Avery Brundag e 수집 품 ; d, 캔 사스시 W illiam Rockwell Nelson Gallery of Art 의 Mo ; e, The Cin c inn ati Art Museum-Charles F. W illiam s 부부 자녀들이 부모 이 름으로 기증).

양 식 I : 가늘 게 돌출한 선 ; 단순한 형태 ; 밝고 신선한 효과 양 식 n : 돌출한 띠 ; 거칠 고 무거운 형태 ; 패여진 외관 양 식 冊 : 이 전 양 식 에서 발 전 된 , 조밀하고 거침없으며 보다 곡선적 인 장 식들. 양 식 1\' : 이 제는 작 아지고 바탕 무늬의 기능 을 하는 나선형 무늬로 부터 본 래 주제 의 최초 의 분 리. 주제와 나선형은 같은 평 면상 에 있 음 . 양식 V : 처음으로 주재가 돌출 하여 출 현 ; 주 제가 바탕의 나선형 무늬 위 에 울라 오 는 데 나선 형 무늬 는 한꺼번에 배제 될 수도 있다. 로우얼은 이 5 가지 양 식 ( 그립 4) 으로 부 터 2 가지 결론 에 도 달 한다. 첫째 는 이 러한 양 식들은 발전 의 진화단계 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로는 그 장식은 순수한 문 양으 로 서 존 재하게 되었으며 뚜렷한 의미 一一국중교 적 또는 우주론적 , 신 화적 -를 띠고 있지 않았다는 것이다. 어쨌든 이 두 개 의 결론 가 운 데 첫번 째 것 은 곧 서술하겠지만 1950 년대의 고고 학적 발굴로써 근본적 으 로 확 인되었다 .59) 제 작 전통적 인 연구에서 상(商)시대 청동기 제작은 크게 관심있는 주제는 아 니었다. 초 기의 몇 편 의 연구에서 고대 청동기는 납형주물( 峨型 5쏴 物) 방 식에 의해서 제작된 것으로 기 술 되어 있는데 60) 그러한 방식은 중국에 매 우 늦 게 소개된 것으로 현재 알려져 있다. 이 분야에 대한 진정으로 진 지한 연구는 근대 학문이 중국에 소개 될 때까지 기다려야 했으며 그러한 연구 는 3 가지 분 야의 문 제 에 초점 을 맞추고 있다. 죽 상(i(Ii)시대 기술의 물 리학적 • 화학적 분석과 재구성 ,6“ 사용된 금속의 출 처와 그것이 상시 ~9) A. C. Sop er , Early, Mi dd le and Late Shang : A Note 참조 60) '#-JJt, 『 商/서 住器 通考 』, p.l H. 61) Noel Barnard and Sato Tamots u , Me ta ll urgi ca l Re m ain s of A11c ie11 t Chin a ; Noel Banard, Bronze Casti ng and Bronze Allo>'S in Anc ien t Chin a ; R. ]. Ge /le n s , The fre er Chin e se Bronzes : II, Te e/ m i ca / Stu d ie s .

대의 경제에 제공한 것에 관한 지식 62) 그리고 제작기술과 장식미술간의 상호관계이다 .63) 이러한 연구 분야들 가운데 몇 가지는 박물관의 표본품 둘을 토대로 행하여졌지만 그 모든 분야는 분명히 발굴자료에 의존해야 만 한다. 이러한 주제 가운데 몇 가지에 관한 중요한 문제들은 뒤에 계 속해서 언급될 것이다. 3 갑골문 저우(周)의 지배층은 거북의 도움으로 점 을 쳤던 것으로 오랫동안 알려 져 왔다. 『 시경 』 ( 詩經 )에 실려 있는 「면」( 糸1 \ )이라 는 시에 는 저우 (),1i l) 왕 실의 조상들이 어떻게 거북을 이용하여 그 들 이 산-시 (陝西)의 치산(illJi 1l1) 가까이에 도읍을 건설하는 것을 돕게 하였는가 를 기 술 하고 있다 : 저우(周)의 벌판은 매우 기름져, 그 오두나 씀바귀도 엿같이 다네 여기에서 시작하려고 계획할 적에 우리 거북에 금을 그어 새겨서 점을쳐보니 〈머물러라〉 말하며 〈좋은 곳이다〉 말하자 이에 여기서 집울 지으셨네 그러한 의논을 하는 데에 씌어졌던 거북의 유물은 1977 년 말에 치산 (岐山)에서 가까운 저우(周)의 유적에서 발견되었지만) 그때까지 학자들 은 저우(周)의 거북껍데기 가운데 일부에 명문이 새겨져 있다는 사실을 62) 石璋凱 「 C ll:f\'.:t l~1. :1銅 工 生」 ; 天野元之助, 「殷代産業':: U 십寸 5 若干(1)|:i l 題」. 63) Wi lliam Fair b ank, Pie c e-Mold Craft sm anship and Shang Bronze Desig n ; 李濟, 「殷坡出土꿉銅租器之總檢討」. 64) (美洲華f욥日報) 1977 년 11 월 1 일자 신문에 실린 新華社 발송기사에 따른 내용이다.

알지 못했다. 그들은 또한 점을 쳐서 결정하는 방식이 저우(周)시대에 있 어서도 하나의 풍속이었다는 사실도 알지 못했었다. 그러나 1977 년 훨씬 이전__一거기에 새겨진 문자에 관한 지식까지도-에 점을 치는 풍속 에 관한 사실은 알고 있었다. 상(商)나라 사람들이 사용한 문자가 새겨진 뼈는 19 세기 말경에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그것의 발견은 상(商)시대사에 관한 우리의 지식을 급격히 바꾸어 놓았다. 상(商)시대의 접뼈는 근대 고고학의 산물에 가깝다. 죽 중국의 기록 역 사의 상당한 기간에 걸쳐서 연구되어 왔던 청동기와는 달리 최초의 점뼈 발견은 상(商)시대의 고고학적 발굴이 진행되기 30 년 전이 채 안되어 일 어났다. 그러나 점뼈는 여기에서 상(商)시대의 고고학과는 분리된 부분으 로 기술되는데 그 이유는 그 명문을 연구하는 데에는 고고학 지식보다는 문헌의 지식의 더 요구되기 때문이다. 필자는 먼저 이와 같은 점뼈의 기본적인 특징에 대해서 간단히 기술하 고자 한다. 65) 안양(安陽)의 상(商)시대 점장이 (貞人이라 부름)는 뼈에 열 울 가하여 생기는 금을 해석함으로써 점을 치는 관습을 이어받으면서도 그 수법을 새로이 발전시켰다. 먼저 그들은 뼈를 고르고 그것을 연마하 여 광을 내고 그 각 뼈에 여러 줄로 오목한 구멍을 파서 준비작업을 한 다. 그들이 사용하는 뼈는 두 가지였다. 한 가지는 집소 (Bos ex iq us) 와 물소 (Bubab (S mep lzi s to p h e les) 그리고 그 밖의 다른 동물들의 뼈인데 66) 대 개가 어깨뼈였다(여기에서 〈어깨뼈 점술 Sca p u li manc y〉과 〈불꽃어깨뼈 점술 P y rosca p u li manc y〉이라는 용어가 유래했다). 다른 한 가지는 거북의 배딱지 (l 切甲)와 등껍데기 (1相 F, 거의 드물다)였는데 거북의 껍데기를 정복에 사 용한 것은 상(商)나라 사람들만의 습속으로서 사용된 거북은 다음의 종류 죽, Ocadia sin e nsis 와 Chin e my s reevesi, Mauremy s mulic a , Cuora sp, 6~) 사료로서의 갑골문에 관한 2 가지 포괄적인 연구저작이 1978 년에 발표되 었 다 ; David N. Keig h tl ey , Sources of Slza11g Hi sto r y ; 嚴 一 部 『 11’ 11· 學 』 . 이 책에서는 위 두 저작이 최근의 것이라서 광법위하게 인용되지 않았 다. 商시대사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이 저작들운 철저히 참조하여야 항 것이다. 66) Pie r re Teih a rd de Chardin and C. C. Young , On tlze Mammali an Remain s fro m tlze Archaeolog ica l Sit e of An-ya ng, p.45 . 56. 58.

Testu d o emy s 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67> Chin e my s reevesi 외의 다 른 거북둘은 현재 중국북부에서 서식하지 않은 종류인데 그 껍데기는 상 (商)시대에 다른 지역으로부터 수입되었을 것이다. 어깨뼈는 점을 치기 · 위한 준비작업으로 남아 있는 살을 제거하고 표면 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서 손질되었다. 거북껍데기는 배딱지와 등껍데기 롤 분리하기 위해서 그 연결부분인 다리(橋) 를 톱으로 자른다(연결 부분 인 다리는 배딱지와 함께 붕 어 있게 했는데 그 표면에는 껍데기의 출처와 그 수량이 새겨져 기 록 되어 있었다). 그리고 나서 매끄럽게 손질되었다. 뼈와 껍데기는 모두 그것을 부드럽게 하여 옴폭하게 구멍을 파고 불로 지져 금을 내고, 글씨 를 새기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준비작업의 부분 으로서 어느 시점에선가 어떤 액체에 담겨졌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자세 한 사항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68) 동물의 뼈나 거북껍데기의 한 면에 여러 줄의 옴폭한 구멍을 만들었는 데 이것은 뼈와 껍질을 얇게 하여 금이 가기 쉽게 하고 열 을 가할 때 반 대 면에 나타날 금을 적절히 위치시키기 위해서였다. 이러한 구멍은 몇 점의 신석기시대의 점뼈에도 파여 있었다. 그러나 상( 商 )시대의 것에서만 구멍이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되었으며 정교하게 뚫려져 있었다. 대부 분의 구멍들은 두 가지 형태의 구멍이 겹쳐서 이루어지는데 하나는 바닥 이 편편하거나 둥근 원형이고 다른 하나는 단면이 골로 패인 V 형의 밑바 닥을 한 옆에서 본 렌츠모양(타원형)이다. 열을 가했을 때 보통 두 가지 금이 반대면에 나타나는데 하나는 옆에서 본 렌즈모양 구멍의 축을 따라 서 수직으로 만들어지고 다른 하나는 원형 구멍의 직경을 따라서 가로 놓이는데 그 한쪽 끝은 수직의 금과 맞닿는다. 일반적으로 옆에서 본 렌 즈 모양의 구멍과 원형의 구멍은 렌츠 모양 구멍의 가장 깊은 부분인 수 직선상의 중간 지점울 중심으로 하여 겹침으로 결국 옆에서 본 렌즈 모 양의 구멍과 원형의 구멍의 중심점은 겹치게 되고 그곳에서 수직금과 가 로놓인 금이 만나게 되므로 가로놓인 금은 항상 같은 방향을 보일 것이 다. 점을 칠 때에 구멍의 바닥에 열을 가하면 반대면에 금이 나타나게 되 67) Keig h tl ey , Soures of Shang His tor y , ap pe ndix 1. 68) Chou Hun g -hs i an g과의 개인적인 의견교환에 나온 그의 견해이다.

는데 그런 후에 조상에게 제시한 물음에 대한 해답을 구하기 위하여 그 금을 해석했다. 상(商)시대의 전반적인 접술제도에 대한 논의는 나중에 이 책에서 다루겠지만 여기에서는 기초자료로서의 갑골문(甲骨文)을 설명 하기 위해서 관계되는 점들을 언급해 두기로 하겠다. 점복행위는 상(商)시대 사회의 여러 분야에 널리 퍼져 있었을 것이지만 실제로 모든 갑골문은 왕의 의문을 점친 결과로 남겨졌기 때문에 우리는 우리의 서술을 궁정에서의 의식으로 제한하게 된다. 분명히 여러 사람이 점복행위 과정과 그 결과에 관련되었을 것이다. 죽 이따금 직접 물음을 행하기도 하지만 어떤 경우에도 그의 이름으로 모든 물음이 행해지는 왕 자신, 왕의 공식적인 대리인으로서 물음(貞)을 행하는 사람인 정인(ti 人), 점복행위 를 수행하는 사람인 복인(卜人), 갈라진 금을 해석하는 전 문 예언자인 접인(占人) 그리고 전체 물음에 관한 내용을 새겨 넣고 보관 하는 직책인 사(史) 등이었다 .69) 그러나 이러한 역할둘은 기본적으로 업 무 종류와 같은 숫자의 개인들이거나, 그 기능들 가운데 몇 가지를 경했 던 보다 적은 수의 사람들이 수행할 수 있었던 것들이었다. 궁정에서의 점복은 왕실의 인물과 국가에 관한 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듯한 중대한 행사이었다. 접복의 기록들은 다음의 사항과 관계되 는 것들이었다. 죽 제물을 바치는 제사, 군사작전, 사냥 여행, 외출과 귀가(出入), 다음 〈열홀(句)〉 동안의 안녕, 다가오는 밤이나 낮 동안의 안 녕, 기후, 농작물의 수확, 질병, 삶과 죽음, 출생, 꿈, 건축공사 등이었 다 .70) 이러한 물음들 가운데 몇 가지는 일정한 일정(예 를 들면 몇 건의 제 사, 다가오는 주, 낮 또는 밤에 관계되는 사항)에 따라 행하여졌으며 그 밖 의 것들은 필요가 생길 때마다 점을 치도록 지시가 내려졌다. 이 사항들 가운데 어떤 한 사항에 관해서 물음을 행하기 위하여 물음자는 점장이에 게 점칠 것을 요구하며 접을 치고 나면 예언자는 점장이가 조금전에 접 촉했던 조상신으로부터 해답을 받아냈을 것이다. 그리고는 기록관은 필 요에 따라서 그 물음과 예언 그리고 거의 드물지만 그 결과의 정확성 69) 여기에서 필자는 仇宗願이 『殷代貞 卜 人物通考』에서 더욱 구체화시킨 이 역할들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을 따른다. David Ke ig h tl e y는 1972 년의 원 고인 Shih Chen : A New Hy po th e sis about the Natu r e of Shang Divi- na ti on” 에서 貞올 새로이 해석하였다. 70) 張秉權, 「甲竹文的發現與竹 卜 円慣的考證」, p.8 ,7.

여부 를 기록했던 것이다. 우리가 점복행사의 과정에 관하여 알게 된 것 은 이러한 기록들을 통해서이다. 한 가지 물음에 관한 접복 행위는 동물 뼈나 거북 껍데기의 여러 다른 부분에 여러 번 불을 가하고 금을 내는 여러 번에 걸친 반복행위로 이루 어질 수 있다. 장뻥취엔( 張秉 權 )7 은 거북의 배딱지 를 이용한 점복에 관 한 한, 이 반복된 불로 지져 금을 내는 행위는 5 가지의 가능한 순서의 방법 가운데 하나 를 따르고 있음을 알아냈다. 그 5 가지는 위 끝에서 아 래 끝으로, 중앙으로부터 바깥의 가장자리로 그리고 위에서 아래 끝으 로, 바깥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그리고 위에서 아래 끝으로, 아래 끝에 서 위 끝으로, 불규칙적인 순서 등이다. 이러한 반복된 물음은 〈 이것일 까?〉 또는 〈이것을 할까? 〉 라는 긍정과 〈 그렇지 않을까? 〉 라는 부정 두 가지로 표현되었다. 한 줄 이상의 불지지기 를 행하였을 때 긍정 물음과 부정 물음은 흔히 거북껍데기의 동일한 면의 양쪽에 자리잡고 있었다. 금을 낸 후에 점장이는 이따금 그 금을 따라서 홈을 파서 금이 분명하고 오래 보존되게 하였을 것이며, 각각의 금 가까이에 번호 를 매겨넣어 정 확한 순서 를 가리키고 나서는 각각의 금 옆에 예언적인 부호 를 적어넣었 울 것이다. 예언자가 어떻게 그 금을 정확히 해석했는가 를 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장뻥취엔( 張秉 權)은 72) 가로금이 수직금과 만나는 어떤 각 (ffj, 70' 이상의 무딘 각)둘은 다른 각들보다 더 자주 상서로운 예언과 관 련되지만 다른 예언 부호들이 똑같은 각에 관련되어 나타나므로 각 이의 의 다른 요인들도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견해 를 제출했다. 따라서 그 는 아마도 접장이는 어떤 경우에는 금의 형태에 대해서 조상신과 예정하 지 않았던 일치 를 보았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73) 점복행사 후에는 기록관이 계속해서 그 행사에 사용된 뼈나 껍데기에 다가 그 점복행사의 내용을 기록했다. 그 대부분은 칼로 새겨졌는데 H) 어떤 때는 솔질을 하고 나서 새기거나 또는 먼저 새긴 후에 붉은색 또는 검은색, 갈색 물감을 채워 넣었다. 각 기록은 전형적으로 다음과 갇은 71) 「 卜 龜 llu 甲的)t:數」, pp.2 31-236. 72) 「殷城 卜 龜之 卜J k 及其有 1 i십 Ib1 題」. 73) 「 I1’ 骨文 (I~ 發現與骨 卜 챔 ft (I:J 考證」, pp.8 ~9-860. 74) /.'ii消 H1, 「 8 t{\凌 l j字刀的推 ull] 」.

부분들로 구성되어 있다. 1 머리말 : 이 부분은 대개 간지(干支)에 의한 점복의 날짜(口口 卜)와 묻는 사람(貞人)의 이름(口貞)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2 물음 : 조상에게 제출하는 물음. 3 예언 : 이 부분은 대개 반대면에 짤막한 표시로 구성되지만 그러나 가끔(왕 자신이 예언자였을 때) 물음의 뒤를 잇는 기록의 일부를 이룬 다. 4 입증 : 이것은 예언이 옳았음이 증명된 일이 있은 후에 제시된다. 이 4 부분 모두가 매번 기록에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3 번과 4 번은 대체 로 생략된다. 물음을 반복했을 때 그 기록이 뼈나 껍데기에 반복되지만 두번째 이후의 기록은 대개 압축된 형태로 나타났다• 더우기 물음은 혼 히 긍정과 부정 두 가지 형태로 거북 껍질의 양쪽에 대칭적으로 위치하 여 나타났다 .75) 이렇게 되어 기록은 하나의 완전한 〈세트〉를 이루었던 것 이다 .76) 갑골(동물의 뼈나 거북껍데기)은 흔히 깨진 상태로 발견되기 때문 에 완전한 상태의 기록 세트는 오히려 예의여서, 부서져서 홀어진 한 세 트의 조각을 다시 맞추기 위 하여 77) 이 따금 컴퓨터 의 도움을 받으면서 78) 많은 노력을 해왔으며 아직도 노력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기록들은 그것이 조각이든 원상태이든 또는 복원된 세트이든 간에 상(商)시대 역사의 매우 중요한 새로운 자료를 제공해 주었는데 19 • 세기말까지는 자료로 사용되지 못하였다. 상(商)의 궁궐에는 분명히 기록 을 보관하는 관청이 있었는데 그곳에서는 그러한 기록을 새겨놓은 거북 껍데기(그립 5) 와 동물 뼈(그립 6) 가 보관되어 있었다. 왕조 멸망 이후 이 기록들은 인쉬(殷城)의 일부가 되어 땅에 묻혀서 알려지지 않았다. 1978 년 이후에 착수했던 인쉬의 고고학 발굴에 의하여 쉐이 {r,i, 581-618) 75) 周鴻翔, 『 卜 辭對貞述例』. 76) 張采攝 「論成奈 卜 辭」. 77) 그러한 예로는 ; 郭若愚 외, 『殷城文字綴合』 ; 張秉權 『殷虛文字丙編』. 78) H. H. Chou, Comp u te r matc h in g of oracle bone frag me nts : 童恩正 • 張 陸梧 • 陳采春, 「關於使用屯子 it n機 綴合商代 卜 甲粹片的-in 步報告」.

P • • • 죽 , • • r ` ’ 그림 5 문자가 새겨진 甲骨片, 컸:r. l 中央硏究院 소장 (Sm it h and Weng , Chin a , A Hi sto r y in Ari, p. 26.)

/

-_ -=- 凶 빼-l· 그림 6 문자가 새 겨 진 HlT1.} , 中央硏究院 소장.

와 탕(rJI-, 618-907) 왕조 동안에 많은 사망자가 안양(安腸)에 묻혀졌으며 그들을 매장하는 과정에서 갑골 조각들이 흐트러진 후 다시 묻혀진 사실 이 밝혀졌다. 사망자를 매장했던 사람들이 그 조각들을 보았다 해도 그 것을 널리 알릴 만큼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그 이후 언젠가 이 고대의 갑골은 일종의 〈용골(龍骨)〉로서 의약용으로 수집 되기 시작했으며 그것은 오늘날 고대의 (흔히 화석화된) 동물뼈로 알려진 것으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전통적인 이러한 용골 가운데 어떤 종류 는 서양의 고생물학자의 주의 를 끌게 되었으며 그 출 처 를 추 적하는 노력 의 과정에서 결국 뻬이징인(北京人)을 발견하게 되었는데 이 이야기는 오 늘날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79) 、 용골로 인하여 또 갑골문을 발견하게 되었다. 1899 년 어 느 정도 이름 있는 베이징의 학자인 왕이몽( 王 鈴榮)은 말라리아에 걸 려서 용골아 들어 있는 처방의 약을 복용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 집의 손 님이 던 , 학자아며 유명한 소설 『 라오찬의 여행기 』 (老殘 遊記 ) 작가인 리우어 ( 劉 ~ r; ) 가 우연히 그 약재를 보고 언뜻 약간의 글자가 새겨진 조각 들 이 들 어 있음을 발견 하였다. 리우어 (劉 ?E ) 가 그것을 주인이던 왕이롱( 王 礎榮 )에게 보이자 두 사람 모두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옛문자 를 보고 깜 짝 놀랐으며 곧 이 조각의 출처를 추적하기 시작했다 .80) 오랜 수소문 끝 에, 그들과 다른 학자들의 노력은 성공을 거두어 이들 글자가 새겨진 용골이 수집되어 왔 던 허난성(河南省) 안양(安腸)의 고고학 유적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렇게 되자 학자와 상인 모두가 죽시 열렬한 수집 활 동 을 시작했으며 그로 인 하여 그 유적은 더욱더 크게 손상을 입었다. 결국 1928 년 과학적인 고고 학 발굴이 안양(安陽)에서 시작되었으며 그 결과 처음으로 갑골이 원위치 에서 발견되었다. 리지( 李濟 )는 그의 새로운 저서인 『 안양 』 ( 安 l냐 )에서 점 뼈에 집중을 했던 그곳에서의 . 수집활동과 발굴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므로 그 책은 여기에서 언급한 것보다 자세한 지식과 일화에 대해서 독자들에게 참조가 된다. 똥쭤 U센 (究泊作賓)에 의하면 8 1) 모두 약 10 만 편의 문자가 새겨진 갑골이 79) Harry Shap iro , Pekin g Man. 80) ft( 作賓, 「甲骨年 表 」. 81) 『 甲 骨學六十年 』 , pp.1 1 -13.

있는데 아마도 모두가 안양(安'서)에서 출토되었을 것이다. 이것들은 크기 에 있어서 완전한 거북 껍데기 및 어깨뼈로부터 깨진 갑골에서 나온 못 크기 의 작은 조각에 이 르기 까지 다양하다. 이 10 만 편 가운데 똥쭤 뻔 (fi 作賓)은 단지 두 무더기만을 발굴품으로서 열거했다. 24, 918 점, 1928-1937 년에 중앙연구원 역사어언연구소(中央硏究院 歷史 語 言 硏究所)가 발굴. 3,656 점, 1929 년과 1930 년에 허난성 박물관(河南省 博物館)이 발굴.

똥쭤뻔( f t(作 賓 )이 이것을 기록한 이후로 계속해서 안양(安 l냐 )으로부터 갑골이 추가 발굴되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1973 년에 발굴된 약 5,000 여 점이다 .82) 그리하여 1928 년 이후로 약 33,500 여 점이 발굴되었으 며 반면에 10 만여 점 가운데 나머지는 대개 1928 년 이전에 고고학적인 출처의 도움없이 수집되었다. 이것들은 지금 중국과 해의의 여러 공공기 관과 사 설 기관에 보관되어 있다. 1956 년 천멍지아(陳夢家)의 설명에 의하 면 83) 그 분포는 다음과 갇다.

82) KK, 「 1973 年安陽小屯術地發堀簡報」. 83) 『 殷坡 卜 辭綜述 』 , p.4 7 ,

중국, 공공기관 소장 : 약 51,000 여 점 중국, 사설기관 소장 : 약 4,000 여 점 대 만 ( 장 짜) : 약 26,000 여 점 유럽과 북미 : 약 7,000 여 점 일본 : 약 10,000 여 점 그러나 상(商)시대사의 학자들이 언제나 원갑골 조각을 이용하여 연구 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죽 탑본(損本)이나 사전 또는 무사(透tt) 형태 의 갑골문 도록옹 이용함으로써 실제로 대부분의 연구 주제들을 만족스 럽게 다룰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갑골문 도록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 들은 아래 표(몇 점의 완전한 어깨뼈가 포함되어 있어 중요성을 지닌 3 번째 항을 재의하고는 단지 500 접 이상이 둘어 있는 목록만을 열거한다)에 열거된 것들이다.

저자 목록명 연대 제품수 劉햄 『鐵雲藏龜』 1903 1058 羅振 I ;. 『殷虛書契前編』 1913 2229 羅振.• l;. 『殷虛害契菩華』 1914 68 羅振 _: l. ; . 『殷虛뺨契後編』 1916 110 4 姬佛 1:t 『殿壽堂所藏殷虛文字』 1917 655 明義 . k 『殷虛 卜辭』 1917 2369 Oames Menzie s ) 林泰輔 『龜甲獸骨文字』 1921 1023 : I.:襄 『靈室殷契徵文』 1925 1125 容庚•뿔潤婚 『殷契 卜辭』 1933 874 郭洙若 『 卜辭通墓』 1933 929 羅振: 1,. 『殷虛害契組編』 1933 2016 商承神 『 殷契俠存 』 1933 1000 )j法敏 『庫方二氏藏甲骨 卜辭』 1935 1687 (Frank F. Chalfa n t) 郭洙若 『 殷契莘編』 1937 1595 係海波 · 『甲骨文錄』 1937 930 方法跋 R.S. Brin t o n Seven Collecti on s of Inscri be d 1938 527 Oracle Bone 金祖同 r 殷契迫珠』 1939 1459 孫海波 『 誠齊殷虛文字』 1940 500 胡 I q. 4죠 『甲骨六錄』 1945 659 胡 1'1 -宜 『戰後平津新獲甲骨集』 1946 538 策 11 羽t 『殷虛文字甲編』 1948 3942 .'t(作貧 『殷虛文字乙編』 1948•1949 6272 胡 l'I. f〔 『戰後京津新獲甲骨集』 1949 854 胡 l'i ft 『戰後寧速新獲甲骨集』 1951 1143 胡 1 l/-ft 『戰後南北新獲甲骨集』 1951 3276 郭若愚 『殷契捨援』 1951~53 550 LU 들茂樹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所藏 1959 3446 甲骨文字』

許進雄 The Menzie s Collecti on of 1972 3176 Shang Dy na sty Oracle Bones, Vol. I

지금까지 출판된 것과 출판되지 않은 모든 갑골을 대조하여 그것들을 몇 권의 책 , 『갑골문합집 』 (甲骨文合集)이라는 제목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려는 야심에 찬 계획이 지금 후허우쉬엔(胡 l/. 宣)의 감수 아래 뻬이칭에 서 진행되고 있다 . O 이 분야의 학술 연구에 가장 도움이 되는 것은 리샤 오명 ( 李孝定 )85 ) 의 각문자에 관한 연구집과 시마쿠니오(f.~ : 邦男 )8” 의 문자 와 일반명칭, 용어 등에 관한 색인이다. 점뼈에 는 종교적인 행사에 관하여 새겨져 있기 때문에 그것이 담고 있 는 지식 은 일차적으로 상(商)의 종교에 속하는 것이지만 상(,!'Ii)시대 를 연 구하는 학자들 은 지혜로운 안목으로 그것을 이용하여 상 (l!H) 문화와 사회 의 거의 모 든 분야 를 연구하여 왔다. 뤄전위(羅振 .: I i. )의 최초의 갑골문 연 구 가운 데 하 나 86) 는 다음과 같 은 주제 를 논하고 있다. 죽 도읍명, 왕명 과 인명, 지명, 서 체 , 정복, 명문(銘文)과 제사 , 점복의 방법 등이다. 꿔 뭐뤄( 郭洙tt ) 는 넓 고도 예리한 시야 를 갖춘 학자로서 상 (I | H) 의 사회 및 간지 ( 干 支), 숫 자, 가계 ( 家 系), 천문과 기상, 경제, 전쟁, 사냥 등과 같 은 상( 商 )문화의 양상에 관한 갑골문 연구를 개척하였다 .87) 이러한 선구 자적인 저작이 출판된 이후에 상(商)문화의 모든 면을 다룬 수많은 연구 업적이 나왔으며, 그 성과는 지금 이 책이나 어느 상(i衍)시대사 연구에 있어서도 없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88)

84) 李孝定 『甲骨 文 字菓驛』 . 85) 島邦 男 , 『 殷 坡 卜 辭綜類』 . 86) 羅振玉 『 殷虛. it 契 考f.JIJ . 87) 『中國古 代 社 合硏究 』 : 『 卜 辭 通따 』 • 88) 갑골문 연구의 간략한 역사에 대해서는 : ]. A. Lefe u vre, Les ins crip - tion s des Shang sur carap a ces de tor tu e et sur os .윤 참조. ® 『 甲骨文合梨 』 (中 國社 合科學院 歷史硏究所 編 , 서내t ,'F/ 사f |l{ i)은 1983 년에 13 권으로 완간되었으며 , 편집에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내용은 『 II11' t久{? 梨 』 과 비슷한 『商f! J IP 1' 1 文總集』, 全 16 J1Jj-(嚴一셔 ( 編 ,1 fli務t II ,1 t館)이 1984 년에 타이완에서도 출간되었다.

4 고고학 상(商)시대사 서술의 성격은 갑골문의 출현으로 두 가지 점에서 급격히 변했다. 첫째 이 갑골문은 먼저 그 자체의 기록을 통한 상(商)시대사의 직접적인 접근 방법을 마련하여 주었다. 둘째 점뼈는 마침내 안양(安'~) 의 고고학 유적과 그곳의 과학적 발굴로 인도하였다. 글자가 새겨져 있 는 점뼈가 시장에 처음 나왔 을 때 상인들은 그것이 당인( 湯陰 )과 안양(安 '11,}) 두 지역에서 나왔다고 주장했다. 1910 년에 뤄전위 ( 羅振 玉 ) 는 안양(安 F냐 ) 북서쪽 샤오문(小屯) 마을이 점뼈의 출처임 을 추적해내고, 그 출처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인 들 이 당인( 湯陰 )을 그 출 처인 것처 럼 돌 려댄 것을 알게 되어 탕인( 湯 陰)을 출처에서 배제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갑골학자 둘은 그 유적 들 을 직접 보기 위하여 샤오 툰 (小屯)에 왔 는 데 19 1 4 년에 제 임스 멘지스 Oames Menz i es) 가, 1915 년에 뤄전위 ( 羅振 玉 )가 그 리 고 1918 년 에는 하야시다이스케(林 泰 輔)가 각각 왔었다. 그러나 이 학자 들 은 단지 갑골 위에 새겨진 기록에만 관심을 두었고 논리적으로 그 다음으로 생각 해야 할 단계인 안양( 安 陽)의 상(商)시대 유적지에 있는 문 화 유물의 발 굴을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근대 고고학적 훈련이 결여되어 있었다. 근대 고고학은 바로 이 시기 경에 중국에 소개되었다. 서양의 중국학 학자들에 의한 고고학적인 중국 탐험은 늦어도 19 세기말과 20 세기초 중 국의 터키스탄 (Turk i s t an) 과 깐쑤(甘 r. l : i)에서의 헤딘 (Sven Hed i n) 과 코크 (Le Coq ), 스테인 (Aurel S t e i n) 의 원정으로부터 출발점을 잡아야 하며 그 탐험에서 다른 발견물들과 함께 저 유명한 둔후앙(敦 煥 )유적을 발견하게 되었다. 일본의 고고학자들에게 있어서 그들의 초기 담사는 만주(滿州)에 서 19 세기말에 시작되었다• 그러나 중국 학자들의 경우 그들의 관심은 일차적으로 전 중국인의 전설적인 선조들인 3 황 5 제 (三 皇 五 帝 )와 3 대 (三 代, g_ • i衍 • /l! I) 의 요람이었던 지역인 중앙평원, 죽 종위엔(中原) ――허 난(iiiJ I tj)과 산-시(陝西), 산시(山西), 허베이(河北), 산똥(山束) __- 에 집 중되어 있었다. 따라서 땅을 파서 고대문명인의 유물을 찾아낸다는 생각 은 뻬이칭인(北京人)이 출토된 저우커우띠엔(周口店)과 최초의 중국 신석

기시대 유적지인 양사오촌(仰部村)이 발견된 1920 년까지는 깊은 인상을 만들지 못하였다. 1920 년대에는 또한 고대 중국의 역사서술에 관하여 의 문을 가진 이론바 의고파(疑 古 派)가 일어났다. 꾸지에깡(顧語剛)이 이끄 는 젊은 세대의 중국역사가둘은 3 황 5 제뿐만아니라 3 대 가운데 앞의 두 왕조의 사실성 (史t[性)에 대하여 의문을 품었다 .89) 그리하여 1920 년대는 중국의 고대역사 서술에 있어서 결정적인 시기였 다. 지금까지 중국문명에 대한 정통적 시발점이었던 고대의 모든 문헌적 역사는 이제 의문을 받게 되었지만 새로이 출현한 갑골문은 활력소를 마 련해 주었으며 새로운 분야의 학문인 고고학이 이번만큼은 전반적인 문 제 를 해결할 만병통치약으로 보였다. 그런데 1928 년에 난칭(南京)에서 지 양지에시(蔣介 石 )가 이끈 국민당 정부가 세워졌고 중앙연구원(中央硏究院) 과 그 산하인 국립 역사어언연구소(歷史 語言 硏究所)가 광똥(廣東)에서 설 립되었다. 그 해에 그 새로운 기관의 젊은 소장이며 1919 년 베이징의 ·:; • 4 운동 때에 꾸지에깡 (h碩 韻剛)의 동지였던 후쓰니엔(f\!)訴年)의 첫번째 활동 가운데 하나는 똥쭤뻔( 캄( 作賓)을 안양(安腸)에 파견하여 아직도 발 굴할 만한 가치가 있는 문자가 새겨진 점뼈가 남아 있는지의 여부를 조 사하도록 한 것이었다. 그 당시 안양( 安 腸)이 위치한 허난성(河南省) 출신 33 세의 중국학 학자 였던 똥쭤뻔( ft( 作賓) ― ― 그의 출신지가 그의 임무에 무관한 것은 아니었 다 __ 은 1928 년 8 월 12 일부터 14 일까지 안양(安腸)에서 머물렀다. 다음 은 그의 여행보고서 를 번역한 것이다. 내가 안양(安陽)에 도착한 때는 8 월 12 일이었다. 기차에서 내린 후 나는 허난성(河南省) 제 11 중학교의 교장 〈장티엔지〉씨 물 방문하러 갔다. 장씨는 내가 안양(安,J,~)에 온 목적을 들은 뒤에 그 자신이 1925 년에 조 사했던 일들에 관하여 나에게 말을 해주었다. 그는 문자가 새겨진 접 뼈가 안양(安腸)읍 북서쪽으로 5 리 (里) 떨어진 샤오문(小屯)이라는 마 울에서 발견되었다고 말했다• 후안수(i g 水)라는 강이 그 마을 북쪽으로 1 리 쯤에서 흐르고 있으며 그 강둑을 따라서 모든 농지에 점뼈가 산재 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일부의 학생들을 데리고 그곳으로 소풍운 89) 顧類 r41 J, 『古史辨』.

갔는데 그들은 농지 도처에서 문자가 새겨져 있지 않은 많은 점뼈를 발견했다. 그들이 막대기로 땅을 파내려가자 1 자(尺) 깊이에서 굴자가 새겨진 점뼈 를 만났다. 그는 또 그 마을에서 그것 을 사기는 쉽다고 말 했다. 만약 살 생각이 있음을 알리면 부녀자와 아이 들 이 모여든다는 것이다. 그는 은전 1 원으로 한 중 이상의 작은 조각 들을 샀으며…… 더우기 장씨는 최근에 그것들이 계속해서 나타났고 모씨가 완전한 상 태의 거북껍질을 획득했음을 진술했다. 13 일에는 비가 내려서 샤오문(小屯)에 갈 수 없었다. 대신에 나는 점 뼈 를 찾으러 읍에 있는 골 동품 상접에 갔다…… 서 문 (西 lI) 안의 장씨 (위와 다 른 인물)의 상접에는 손톱 크기 만한 몇 조각 점 뼈 가 있었다. 나는 그것이 어디에서 발견되었는지 또 최근에 발견물 의 상태 들 이 어 떤지 그에게 물었지만 그는 대부분의 나의 질 문 에 모른다고 시치미댔 다. 다른 골동품 상인 들 도 한결갑았다…… 마지막으 로 나 는 종루 가(鍾 樓街)에 있는 준꾸자이 상점에 갔다. 주인 장씨 ( 또 다 론 인 물 )는 훨씬 친절했다. 그는 나에게 많은 점뼈가 민국(民 國 ) 초 기에 발견 되었으며 1920 년과 1925 년, 1928 년 등 최근 여러 해에 대량이 무더기로 출 토된 것을 보았다고 말해 주었다. 이 가운데 어떤 것들은 아 직 팔 리지 않았 다고 하면서 그는 나 를 위하여 찾아 볼 것 을 약 속 했다. 그는 그 가 가지 고 있는 몇십 점을 보여주었지만 그것 들 은 작 은 것 들 로 가장 큰 것이 불과 1 치 (W 정도의 길이였다…… 디음날은 약간 개었다. 나는 나의 천구 쉬자오지에 를 안내자로 데리고 가기 위하여 제 11 중학교로 가서 그와 함께 샤오 문 (小 r tt)으로 향했다…… 샤오둔(小屯)에서 나는 장씨가 말한대로 부녀자와 아이들이 가지고 온 몇 무더기의 점뼈 를 은전 3 원에 100 조각 이상을 샀다. 이따금 2 치 내지 3 치 길이의 것이 있었지만 부르는 값이 1 점 당 약 4 원, 5 원 정도 로 높아서 나는 사지 않았다. 그러나 이 모든 것들은 많은 접뼈가 아 직도 발견되고 있으며 마을의 모든 집마다 약간씩은 소유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마을사람들의 말에 의하면 골동품 상인들이 정기적으로 글

자가 새겨진 점뼈 를 사러 오지만 그들은 조그만 조각에는 관심이 없어 서 마을 사람들이 파낼 때에 조그만 조각들은 내버릴 뿐이었는데 바로 그것들을 부녀자와 아이들이 수집하였던 것이다. 그러므로 나는 후자 에게서 구입하게 된 것이다. 그 작은 조각에는 가끔 글자 하나 또는

반이 있을 뿐이지만 내가 그것을 산 목적은 다량의 좋은 것을 얻기 위 한 것이라기보다는 차라리 발견물의 상태에 관해 알아두자는 것과 이 여행의 기념품을 얻자 는 것이었다. 우리는 점뼈의 발견 장소 를 찾으려고 어떤 조그만 아이에게 돈을 주 고 마 을 북쪽으로 안내해 달라고 했다. 그는 어느 모래더미 를 가리키 고는 그 밀에서 점뼈가 나왔다고 말했다. 나는 다소 놀랐다. 왜냐하면 뤄전위 ( 羅振玉 )는 1915 년에 직접 점뼈의 출토지역에 있었는데 그가 〈점 뼈는 목화발과 밀 밭 에서 나왔다〉고 말했으며 장씨 또한 농지 를 말했기 때문이었다. 그 것이 다 론 지점에서 출 토될 수 있을까? 아니면 가까운 지점에서 출토될 수 있 을 까? 그 모래더미 서쪽 을 자세히 조사한 뒤에 목화 받 가까 운 지역에서 나는 열 군데 새로이 파낸 후 다시 채운 구덩 이 룰 찾 아냈다. 그 중 한 구덩이 가까이에서 나는 글자가 새겨진 뼈 하나 를 주웠는 데 그 것 은 진짜 점뼈였다. 그 아이가 사실대로 말하고 있었음 을 알았다. 모 래더미는 받보다 몇 자()`) 위였는데 그 동쪽 경사 면 은 후 안 수(i E 水) 의 둑 으로 내려가 닿았다. 모래더미 꼭대기는 경작할 수 없 는 땅이었지만 누런 풀로 무성했으며 흰 모래로 길이 덮여져 있 었다.

우리 가 조사 한 것 은 이 정도였다. 이 조사로부터 우리가 알아낸 것 은 점 뼈가 아 직 완전하게 바닥날 정도로 발굴되지는 않았다는 사실이 었다. 인쉬 (殷城)에서 나온 점뼈는 1899 년에 처음 알려졌지만 1910 년이 되어서야 뤄 전 위( 羅振玉 )는 광범위한 조사 를 시작했으며 그 뒤 몇년 동 안 수만 점의 점뼈가 발 견되었다. 뤄전위(羅振 玉 )의 생각은 〈귀중한 발 굴물이 이제는 고갈되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민국 수립 (1912) 이후 골동품 상인에 의하면 여러 번 발굴이 진행되었고 결실이 있었음이 입 증되었다. 장씨의 1925 년 발굴 역시 농경지 도처에서 점뼈가 발굴되었 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모든 사실들은 인쉬 (8 訪 & )의 점뼈가 아직까지 완전히 바닥나지 않았다는 증거이다. 우리가 발견 지역에 관하여 말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은 그곳들은 후안수(i Ji 水) 를 따라 모래더미 지역과 농경지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이다…… 국립연구소의 과학적 발굴이 지 체없이 착수되어야 한다 .90)

90) itc 作효 「民國十七年 - l 2 月 試批'!i. l9 小屯報告 ,'t」, pp.3 -6.

a 16

d, cl 그림 7 1928-37 년에 8 妹 E 를 발굴했던 주요 고고학자 (a, 李濟 ; b, 染 思永 ; c, 萊作賓 ; d, 石璋如 ; e, 高去尋 ).

똥쭤뻔( 萊作賓 )의 제안은 죽시 받아들여졌으며 안양(安腸)의 상(商)시대 유적지에서의 제 1 차 현장 작업이 갇은 해 10 월에 행하여졌다. 그리하여 잇따른 15 차의 고고학 . 발굴이 중앙연구원 역사어언연구소의 고고학자들 (제 2 차가 시작되면서 리지 李濟 가 지휘했다) (그립 7) 에 의해 안양(安腸)에서 시작되었는데 그것은 중일전쟁(中 日戰爭 )을 격발시켰던 7 • 7 사건 바로 전 인 1937 년에 끝났다(그립 s). 1928-37 년 사이의 고고학 자료는 중앙연구

..~

` t'`? (' . 스- . ,: 그립 8 1930 년대의 殷 樓 발굴 광경 ( 石璋 MII, 『 乙 l~ J .~ :. 1J U 上 下的基 4 k 』 도판 3).

원의 간행물에 수록되어 있는데 국민당 정부의 이동된 소재지와 함께 연 구소의 위치도 계속해서 이동했으므로 1920 년대와 1930 년대는 뻬이징 (北 京 )에서, 1930 년대 후반과 1940 년대는 남서부에서, 1940 년대 말은 난징 (南 京 )에서 1950 년대는 타이완(성버 )에서 간행되었다 .91) 중화인민공화국 91) 1928-1937 년 사이의 安 陽 발굴에 관한 주요 문헌에 대해서는 ; 『 安陽 發 批

이 성립된 해인 1949 년 이후 안양(安 l냐 )의 상(商)시대 유적은 계속해서 더욱더 고고학 활동의 초점이 되었다. 다음은 이용할 수 있는 간행 자료 와 함께 안양에서의 고고학 연구의 간략한 연대기이다.

1928 역 사어 언 연 구소 (다음부터 는 the Insti tut e of Hist o ry and Phil o log y 영어 명칭의 약칭인 IHP 로 표기)의 제 1 차 발굴 ; 10 월 13-30 일 샤오둔(小屯), 샤오툰(小屯) 북부, 샤오툰(小屯) 북동부를 집중 발굴 .92)

報告 』 , 1929-1923, 第 l-4 JI/I ; 『 中國考占報告渠之 二 , 小屯 』 1948-1976 ; 『 中國考 古報告梨之三 , 侯家.J(f 』 , 1962-1976 ; 『 中國考古報告渠新編』, 1964 . -1972 참조. 위의 문헌들은 모두 中央硏究院 r佐 史 言 語硏究所에 의해 간행되었다. Li chi, Anya ng ; 胡 /l /. i't, 『 殷城發打t 』 ; 石璋女 n, 『 考古年表 』 ; 張光直 「殷 城發堀五十年」. 92) ifi:.作효 「民國十七 1F(- 月 試堀安賜小屯報告 :-l F 」.

1929 IHP 의 제 2 차 발굴 ; 3 월 7 일 -5 월 10 일 샤오문(小屯), 샤오툰(小 屯) 북부, 그리고 샤오문(小屯) 남부 • 93> IHP 의 제 3 차 발굴 ; 10 월 7 일 -21 일과 11 월 15 일 -12 월 12 일 샤오툰(小屯) 북부와 샤오문 (小 屯) 북서 쪽 빠타이 (.tfAiJ:) . 9 ◄)

93) 李濟, 「小屯地面下情形分析初步」 ; 「殷商陶쉽J-tl l 論」. 94) 李iff, 「民 國十八年秋季發堀殷城之經過及其重要發現」 ; 「小屯與仰照」 ; 「fl{f 身성距.

1931 IHP 의 제 4 차 발굴 ; 3 월 21 일 -5 월 11 일 샤오툰(小屯) 북부 ,95) 4 월 16 일 -30 일 쓰판뭐 (四겹t l;정 ), 96) 그리고 4 월 16 일 - 5 월 12 일 허우 깡(後岡 ),97> IHP 의 제 5 차 발굴 ; 11 월 7 일 - 12 월 19 일 샤오툰(小屯) 북부, 11 월 10 일 -12 월 4 일 허우깡(後岡). 98)

95) 李濟, 「安賜最近發堀報告及六次工作之總佑 t I . 」 ; 郭賓鈴, 「 B 區發堀i C 之一」. 96) 李濟, 「安 µb}1& 近發堀報告及六次工作之忠佑t I. 」 ; 吳金 MI}, 댜廊記小屯造西之 三處小f인제」. 97) 梁밉 .7k, 「後 ( M l ~ 支堀 小 Jt」 ; 「小屯龍山與仰照」. 98) 李濟, 「安陽最近發堀報告及六次工作之忠佑 J· I . 」 ; 91rg句, 「 B 區發堀記之 二」 . ; 染思.;;k , 위 글 참조.

1932 IHP 의 제 6 차 발굴 ; 4 월 1 일 -5 월 31 일 샤오툰(小屯) 북부, 4 월

8-16 일 까오징타이쯔(j',.:j : J I 깡규), 4 월 15 일 쓰미엔메이 (I서 ,mr,\'. ). 4 월 14 일 -5 월 10 일 왕위커우( 王裕口 )와 후워자아샤오창(i l t家小莊)• 99) IHP 의 제 7 차 발굴 ; 샤오문(小屯) 북부. 100)

99) 위의 주 96 참조. 100) 石璋柚 「第七次殷坡發堀 : E 區 工作報告 」.

1933 IHP 의 제 8 차 발굴 ; 10 월 20 일 -12 월 25 일 샤오문(小屯) 북부. IO I) 11 월 15 일 - 12 월 21 일 쓰판뭐 (四盤府), 11 월 15 일 -1 월 3 일. 1 월 15 일 -24 일 허우깡(後岡). 102)

101) 石璋畑 「殷j,ti 1& 近之重要發現tf寸t金小屯地 H 」 ; 「小屯((.J文化 H 」. 102) 石璋 ln, 「河南安腸後 IM J( I ~J O Jl:墓」.

1934 IHP 의 제 9 차 발굴 . ; 3 월 9 일 -4 월 1 일 샤오문(小屯) 북부, 3 월 15 일 -4 월 1 일. 4 월 10 일 -20 일 허우깡(後岡), 4 월 30 일 -5 월 22 일 난 빠타이 (南.11)j~) 4 월 2 일 -5 월 31 일 허우지 아창(侯 家i IE) 남부. 103) IHP 의 제 10 차 발굴 ; 10 월 3 일 -12 월 30 일 허우지아창 (1 幻 家 l[ t) 부 근의 시메이깡(西北岡), 10 월 29 일 -12 월 5 일 통러자이 (l,;J~ ~). 104)

103) 위의 주 101 참조. 104) 石印女 rl, 「小屯 (I(J 文化 H 」.

1935 IHP 의 재 11 차 발굴 ; 3 월 10 일 -6 월 15 일 시베이깡(西北岡 ).105) IHP 의 제 12 차 발굴 ; 9 월 5 일 -12 월 16 일 시베이깡(西~t[,' ll l), 10 월 20 일 -12 월 5 일 따쓰콩촌(大 司空村 ) 남부, 10 월 20 일 -11 월 7 일 환 지 아랑( i' ii. 당ii [E ) 북부. 106)

105) 梁思j k • i• ;겁去야., 『侯家ii: !: 1001 號大墓 』 : 『 1002 91ft大십』 : 『 1003 1/1£大墓 』 ; 『 1004 號大墓 』 . 106) 石璋'!I n, 「殷j,ti 1& 近之重要發現 W·I, ;습 小屯地 H 」. 楊思永 • tji去年}, 『侯家i l f l217 1/1£大墓 』 : 『 1500~ 大慕』 : 『 1' 就人-~ 』 : Kao CllU-hsUn, The Roy a l Cemete r y of the Yi n Dy n asty of An-ya ng ; Paul Pell iot , The Roy al Tombs of An-ya n g , 1937-1938.

1936 IHP 의 제 13 차 발굴 ; 3 월 18 일 -6 월 24 일 샤오둔(小屯) 북부. 107) IHP 의 제 14 차 발굴 ; 9 월 20 일 -12 월 31 일 샤오문(小屯) 북부 그 리고 10 월 24 일 -12 월 10 일 따쓰콩촌(大司 空村 ) 남부. 108)

107) 石璋女 n, 「殷J~ l& 近之重要發現,tt論小 屯地서」. 108) 위 글 ; 石璋女 n, 「殷城最近……後 ,1 t」.

1937 IHP 의 제 15 (최종)차 발굴 : 3 월 16 일 -6 월 19 일 샤오툰(小屯) 북 부 .109) 1937 - 45 전쟁 기간 중 일본의 게이오( 慶 應)대학, 도쿄(來 京 )대학의 고고 학자들이 1938 년과 1940-1941 년에 안양(安 閣 )에서 발굴을 행했 다. IIO) 1939 년 한 스 포드 (S .H. Hans fo rd) 는 그 곳을 잠깐 들러 당 시 의 상황에 관하여 보고했다. 111) 1950 중화인 민공화국 성 립 후 첫 발굴이 중앙연구원 고고연구소 ( 考古 硏 究所)에 의해 진행되었는데 4 월 12 일 - 6 월 10 일 시베이깡(西北岡 우관 촌武官村 북부로 개명되었다)과 샤오 툰 (小屯) 서 쪽 의 후안수 (lE 水) 남쪽 여러 지역이 발굴되었다 .11 2) 1953-54 고고연구소의 발굴 ; 3 - 4 월 • 6 - 7 월 그리 고 1 월 따 쓰 콩 촌 (大 司 空 村) 남동부 .11 3) 1955 허난성 (河南省) 문화국 문 물공 작 대 제 1 대 (河 南省 文 化 局 文物 工 作 隊 第 一 ,家 )의 발굴 ; 8 월 18 일 - 10 월 2 3 일 샤오 툰 (小屯 ) 남부. 114) 1957 허난성 (河 南 省) 문화국 문 물 공작대의 발 굴 ; 8 월 - 9 월 쉬에지아랑 (i !k 家i I E ) 남부, 115 ) 11 월 초 쉬에지아창( 薛家i l E ) 북 부 .11 6 ) 1958 위 공작대의 발굴 ; 2 월과 3 월 따 쓰 콩촌( 大司空村 ) 남부. 117) 그해초에 안양( 安 腸)에서 고고연구 소 (t he Insti tut e of Archaeolog y 의 약칭 IA 로 표기)의 잇따 른 발 굴 , 1958 - 59 년에 발굴된 지역들 가운데 샤오툰(小屯) 서부, 먀오푸(苗 冊 I) 북부, 장지아훤(張家 th) , 빠이지아훤( 白家 Jtt)' 메이위엔랑(梅園 莊 ), 샤오민문(孝民 屯), 베이신창(北 辛 lIE) , 환지아랑( i '彭 家i l l:), 허우깡(後岡), 따쓰콩 109) 위의 주 108 참조. 110) 胡厚 g , 『 殷城發堀 J , pp.1 17-118. 111) A Vi si t to An-y a ng , 112) 씨演錄 「 一 )다 i O 年春殷城發堀報告」. 113) 馬맙志 • 周永珍 • 張 없 :鵬 「一九五三年安陽大司空村發堀報告」. 114) KKHP, 「 1955 年秋安陽小屯殷城的發堀」. 115) 趙t1 光, 「安賜市西써 5h 引殷代文化迫:l:II:」 ; 周到 • 劉束亞, 「一j나더 5 年秋安腸 高樓莊殷f백:l:II:發堀」. 116) KK, 「河南安 ,.!,}6¥ 家i l .l:nlt代迫.I.JI:墓葬和唐 秘 發堀簡報」. 111) KK, 「 一 九五八年春河南安賜市大 류 )空村'l1:ft墓葬發堀簡報」.

촌(大司空村), 우판(武官) 북부들이 포함되어 있다 .118)

118) KK, 「 1958 - 1959 年 )}這鬪禪」 ; 郭l;1澤 「安 lt )U\lh'L}, '이매}銘考 ·m ; 趙 低tt, 「安 VJ M &l 卿 I ]杉抗f l : 1T(I( J ,F t, ; 습」 .

1959 IA 의 연구 작업이 계속 진행되었다. 야외 기지 (基地)와 박물관 이 샤오둔(小屯) 마울 바로 서쪽에 설치되었다 .119)

119) KK, 「 1958 - 1959 年 8 謀幽輝簡報」.

1962 IA 의 발굴 ; 가을 따쓰콩촌(大司空村) 남동부 .120) IA 의 조사 인쉬 (I} 訪城)와 바로 맞닿은 주위 외부의 후완수(i UIk) 지역.

120) KK, 「 1962 年安賜狀fil空村發堀簡報」.

1963 인쉬 (8 訪JJ..t ) 의부 후안수(i 旦 7k) 지역에 대한 계속되는 조사 .12,)

121) KK, 「安陽 桓 河流域幾 {I 사迫.\JI:(隨J輝」•

1969 IA 의 발굴 ; 봉 우관촌(ji..t ' g·村) 북부 시대이깡(Jlli~t l 폐). 122)

122) KK, 「安勘殷城奴祿祭ii Eh'L(I 羽發 !h i」.

1971 IA 와 안양(安陽)시 문화교육국의 허우깡(後岡 )123) 발굴. IA 의 발굴 ; 12 월 8 일 샤오문(小 'E) 서부 갑골 현장. 이 발굴은 1973 년 5 월까지 간헐적으로 계속되었다 .124)

123) KK, 「 1971 年安 F. t)f &l 唱隸繼報」. 124) ~11 洙若, 「安 ,Mf r /I ,1 J.:之 'I•· Ji 1 1'1' I 及Jt亥 I J~r,」.

1972 IA 의 발 굴 ; 1 월 28 일 -3 월 30 일 허우깡(後岡), 125) 3 월 -4 월 샤오민 툰 ( 李民 屯) 남부 .1 2 6)

125) KK, 「 1972 年 1 1'安賜後岡發堀 ITT i報」. 126) KK, 「安腸新發現 (I{ J O ll:{다i ,!!;b t」.

1973 ,I티A . 의 1 2 7) 발굴 ; 3 월 -8 월 10 일과 10 월 4 일 -12 월 4 일 샤오둔(小屯) 남

121) KK, 「 1973 年安賜小屯 It .jj也發堀簡報」.

1975 IA 의 발굴 ; 겨울 샤오문(小屯) 북부 .128)

12s) KK, 「 1975 年安 l§ 殷JJk (I (Jtf發現」.

1976 IA 의 발굴 ; 4 월 16 일 -6 월 30 일 우판촌(武官村) 북부 129) IA 의 발굴 ; 7 월 샤오문(小屯) 북부 .130)

129) KK, 「安賜殷城奴隸祭 @Ek]L(I 羽輝」 ; 楊錫璋 • 楊 1 畑成, r 從商代和月 Ebt .(j · '耶 好謀社f-t (1\J A tt」 ; KK, 「安 FJ J O2( ttti!i E 月i M'I·( tjt1 :}ll 서내混遠」. 130) KKHP. 「安陽殷坡 m虎 A'5( 隋輝」 : KK, 「殷J~硏if m((j 又 一 布要 4 차役­ 小 屯發現一 H 卯 M f·‘Jt整 (I 이J O t(t 1: 屯 俗 4 t」.

똥쭤뻔(;f( {1 濱)이 처음으로 안양(安陽)에서 유적을 파헤천 후 이제 50 여 년이 지났으며 안양(安陽)의 발굴 작업은 아직 계속되고 있다. 거의 안양(安'상)에서만 발견된 접뼈의 기록“이 제공하여 주는 문헌적 지식뿐 만 아니라 그곳 유적으로부터의 고고학 자료는 상(商)문명에 관한 기초자 료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지금의 이 책의 중요한 바탕이 되고 있다. 안양(安助) 이외의 지역에서 고고학은 안양(安腸)의 문명과 분명한 관 련이 있거나 유사한 문명 형태를 지니는 수많은 유적을 밝혀 주었는데 특히 정저우(鄭州)에서만은 뚜렷한 충위학상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광범 위한 고고학적인 성과가 있었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작업 성과를 요약하 기 위하여 아래에 정저우(鄭州)와 기타 지역에서의 상(商)에 관한 고고학 활동을 열거해 두고자 한다. 정저우(鄭州)에서의 상(商) 고고학 정저우(鄭州) 지역에서의 최초의 유물은 1950 년에 정저우시 (鄭州市) 남 동쪽 얼리깡(二里岡) 언덕에서 한 교사에 의해 발견되었다 .132) 그 뒤 1951 년 허난성 (河南省) 문물관리위원회 (文物管理委貝台 )133) 와 중국과학원 고고연구소(中國科學院 考古硏究所)의 134) 직원들이 얼리깡( 二 里岡)을 조사 했다. 1952 년과 1953 년에 그 유적은 문화처 (文化處), 뻬이징 (北京)대학, 고고연구소가 공동으로 후원하는 단기고고학훈련소(短J !/1 考古學訓鍊所)의 야의작업 계획을 위한 현장이 되었다 .135) 이러한 조사로부터 얼리깡(二里 岡)은 정저우(鄭州) 지역의 다른 몇 개 지역과 함께 상당한 규모의 상 (商)의 거주지였으며 더우기 그곳의 상(商) 유물 가운데에는 안양(安腸) 의 인쉬(殷城)에서의 유물보다 시대가 이르게 보이는 문화단계에 속하는 유물이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t3 G) 1953 년 정저우시 (鄭州市) 문물공작 131) 安µ샤 이외의 지역에서 발견된 점복기록에 대해서는 : 陳夢家, 『殷城 卜辭 綜述』 p.2 7 ; 李學跡 「談安陽小屯以外出土(f(J;有字甲 1' t」 참조. 132) KKHCK, 『鄭州二里岡』, p.l . 133) 趙全胡, 「河南幾個新石器時代迫址」. 134) JiJ.:籠 「河南成i\廣武區考古紀略」. 135) 安志敏 「一 )L 1i二年秋李鄭州二里岡發堀i E 」. 136) WW, 「鄭州市殷商泣址地 H 關係介紹」.

대 (이후에는 시문화국과 시립박 물 관. 허난성iiiJ,tJ 省 박물관)의 직원 들 에 의해 철저한 조사작업이 착수되기 시작했다. 다음에 열거된 것은 지금까지 알 려진 그 들 의 발굴활동과 간행물들이다. 1953 정저우시 (鄭州市)에서 도시건설계획과 함께 계속적인 조사 착수. 최초의 장소는 1952 년 발굴 유적인 얼리깡( 二 Il!1h i l) 이었다 .137) 1954 네 곳의 주요 유적 발굴 : 인민공원(人民公 l 세), 138' 빠이지아창 (1'l 家 nD , 139) 쯔칭산(紫 荊 山) 북부, 140) 난관와이 (사사사(外). ” 1955 전 년에 시작된 빠이지아창( 白家 莊) 발굴이 계속 진행되었다. 추 가 발굴이 밍꽁루 ( 5 t功路) 서부, 142) 얼리깡( 二 I I_!_ (,I I ]), 143) 난판와이 ( 南 l !M外)에서 진행되었다. 1956 다음 지역에서 전면적인 발굴이 진행되었다 ; 밍꽁루(jy,JJ)路) 서 부, 14 5) 쯔 정산(紫 W1 i 1l1) 복부, 146) 뤄따먀오(洛述廟), 147) 난관와이 ( tt 1 1! ~ ]外)` 148) 꺼라왕 (I g沿 王 ).149) 이 해에 또한 상(商)의 도시의 성곽 을 추척하여 지도 를 작성하려는 광범한 작업이 시작되었으 며 이 일은 1973 년까지 계속되었다. 150) 1957 1956 년 이후 지금까지 간행된 보고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저 우( 鄭 州)의 상(商)문화 유적에서의 고고학 활동은 아직 계속되고 137) WW, 「 一 年來鄭州市 (l 邪J文堀 工 作」 : KKHCK, 『 那州 二 . 'IU ,'rl l 』 138) 安 志 敏 「鄭州市人民公叫國 /llJ 8 Jt(\'.;迫存」. : WW, 「鄭州 rl i A~公 園第 二 十五號 商代墓 8 k t ,! t J1Jl.簡報」. 139) WW, 「鄭州市 白家 IE 商(Ct % 甲輝禪」 ; 「鄭t H 白家J II 迫 h tf禪」. 140) KKHP, 「 鄭 州商代迫 h I: (I 羽 접輝 」, p.5 6. 141) 위 글. 142) WW, 「鄭州發現((.J商(\':製廊碩」. 143) WW, 「鄭州第五文物 (I , 떄第규 [AG 禪」. 144) KKHP, 「鄭州 W i HU 夕躍i(백 h I: (I(J f輝」. 145) ·'·!}全 「鄭州市銘功路西 O! 1J (I 引商代迫{i.J. 146) l ~hk 民, · 「鄭州市發現 (I\] 一 處商 (\':/1 ;住 9! iJi製造銅器迫 h t簡介」. 147) WW, 갱i 1 서'fH 商(백 h I:,印町簡報」. 148) KK, 「鄭 1 사南勳瑾i(t迫Jif : {批簡報」. 149) KKHP, 「鄭州旭꿉 王 村迫址發堀報告」. 150) WW, 「鄭州商代 h IJ. h I:쩌堀簡報」.

있지만 집중적이지는 못하다. 불과 몇 편의 보고서가 나왔을 뿐 인데 1957-59 년 상지에 ( 上 街), 151) 19 '5 5 년 밍꽁루(銘功路) 서 부, 1521 1973 년과 1974 년 궁궐 기초 유적 153) 그리고 1974 년 장자 이 난지 에 (張泰南街) 15 ◄) 의 발굴에 관한 것 이 다.

1'5 1) KK, 「鄭州商街商代迫址的發凱 ; 「河南 껏 B1 사 上 街商代迫址發堀報告」. 1'5 2 ) KK, 「鄭州市銘功路西 Ol lj (I 頭兩 座 商代墓」. 1'5 3 ) WW, 「鄭州商城迫.!JI:內發現商代芳 土쏴 基和奴 隸 頭 1 '. t」. 1'5 4 ) WW, 「鄭州.:I : (I 疆ift前期大銅 M t」.

정저우(鄭州)에서의 고고학적 발굴은 안양( 安 腸)에서와 같 이 아직도 계 속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안양(安 F사 )보다는 훨씬 집중적이지 못한 데 그 이유의 하나는 상(商)시대 도시의 중심지와 현 정저우시 ( 鄭 州市)의 중 심지가 겹쳐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간의 발굴에 따라 지금까지 연구 된 바에 의하면 155) 정저우(鄭州)의 상(商)시대 고고학은 전 체 적 인 면에서 안양(安腸)보다는 빠르고 후대 도읍의 원형이 되는 상( 商 )시대의 거주지 에 관한 자료 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5) 鄭州 유적에 관한 종합적인 저작은 다음과 갇다 ; WW, 「鄭州市殷商迫址 地뮤關係介紹」 : KK, 「鄭州市 古 迫.iJI: 墓당 ¥(1{] 道要發現」 ; 鄒腐 「試論鄭州新 發現的殷商文化迫址」 : KKHP, 「鄭州商代迫址的發堀」 ; 安金楓 「鄭州地 I I,:i(J'.j古代迫存介紹」 ; 냐t,論 鄭州商代城址-激都」 ; 安志敏, 「關于鄭州 ‘1 衍城 '(1{] 幾i IAIl! i l 펩」 ; 劉啓益, 「'激租 1’ 質疑」 ; 唐 OO, 「從河南鄭州出土的商代 I iijj U) · '! tg미밉납,沈起」 ; WW, 「鄭)사商代迫址」.

기타 지역의 상(商) 고고학 지난 30 여 년 동안 안양(安 腸 )이나 정저우( 鄭 州)의 유 물 과 유사한 유물 이 출토되거나 상(商)시대의 것으로 밝혀진 고고학 적 유 적 이 북 쪽으로는 랴오닝(遼 휴t )으로부터 남쪽으로는 창강( 長江 , 揚子江 )의 남 쪽 에 이르기까 지 중국의 전지역에 걸쳐서 발견되었다. 이 유적들 가운데 어느 곳도 안 양(安tL } )과 정저우(鄭州)에서 볼 수 있는 정도로 발굴이 진행되지는 않았 다. 그러나 앞으로의 조사에 의해 그 밖의 유적들은 중요한 것으로 아니 어떤 점에서는 훨씬더 중요성을 보일 것 갇다. 유적 분포에 따른 각 주 요지역에 대하여 이용이 가능한 정보 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허난(河南) 북서부와 산시(山西) 남부 ; 이 지역은 고고학 문헌에서 보 통 상(商)시대 초기로서 언급되고 있는 얼리터우(二里頭)유형의 유적들이 분포되어 있는 지역이다 .156) 이 책에서 나중에 자세히 논할 부분인 얼리 터우(二里頭)유형 문화와 상(商)문명의 기원문제에 관한 보다 최근의 연 구 결과에 따라“ 이 문화를 상(商)의 범주로부터 제의할 것이다. 얼리 터우(二里頭)유적들을 제외하면 이 지역은 정저우(鄭州)지역의 유적들과 는 달리 그 동쪽 가장자리에 비교적 극소수의 상(商)문화 유적들(정저우 鄭州나 안양安 F 냐의 변형)이 있다. 그 유적들 가운데에는 산-현(陝縣)의 치 리푸(七里tfi )158) 와 미엔츠(i圓池)의 루쓰(鹿寺), 159) 멍현(孟縣)의 지엔시 (i!!!1 溪), 160) 원현(溫縣)의 샤오난장(小南張), 161) 뤄양(i各p b} ) 근교의 일련의 지 역들, 162) 꽁현(深縣)의 사오차이 (租紫), 163) 린루(臨tk ) 의 매이산(媒 III)16%) 에 서 발견된 유적들이 포함되어 있다. 산시(山西)중부와 산-시(陝西) ; 상(商) 양식의 청동기는 1949 년 이전에 후앙하(黃河) 유역 산시 (山西) 중서부의 스러우(石樓)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 주로 우연한 발견물인 이 유물의 집단들은 오늘날 북쪽으로는 빠 오떠 (保德) 에 이 르는 후앙하(黃河) 유역을 따라서 모두 보고되 었으며 지 금은 스러우(石樓)의 여러 지역(얼랑뭐二 n 訪 k.165) 타오후아캉桃 1&II : 166l 허우란 156) K. C. Chang , The Arcluie o logy of Anc ien t Chin a , pp.2 58-259. 157) 張光直 「殷商文明起源硏究上的一,셔 U 십挑|i!!旭」 ; 「從 .以 商J,t l 三代 8 갑,김合 三 代 關係與中國古代國家的形成」. 158) KKHP, 「河南陝縣七里補商代迫jJI:(發 h i」. 159) KK, 「河南illi池鹿寺商代迫址試堀簡報」. 160) KK, 「河南孟縣潤溪迫址發堀」. 161) WW, 「溫縣出土的商代銅器」. 162) 郭ft 1~ • 林홉晋, 「 1952 年秋李洛陽束女羽發堀報告」 ; KKHP, 「i各 l t}i Il!l i K,I,女 化迫址及漢墓」 ; KK, 「一九五四年秋李洛 Fg pq kM 發堀flijtu」 ; 「 19,8{I:· i各陽束 乾溝迫址發堀簡報」. 163) f冬柱臣 「從二里頭類型文化試談中國的國家起ii|!i團」, p.2 9. 164) KK, 「河南臨汝媒山迫址調査與試堀」. 16 기 WW, 「山西石樓縣二郞坡出 : t,lfi l l, 1,! t針器」. 166) 謝꿉山 • 楊紹舞, 「山西呂梁縣石樓iit又f 1 現섭 ' l t 8 」.

지아저우後蘭 家 h Yt , 167) 이띠에義謀 1 68 ) 등지 )169) 과 빠오떠 170) (保 德 ) 그리고 빠오 떠 (1 쏘t gi )로부터 강을 건너서 산-시 (陝西)의 쉐이떠 ( 緩德 )171) 로부터의 중요 한 출 토품 들을 이용할 수 있다. 타이위엔( 太 原)과 신현 (1 斤縣) 갇은 산시 (山西) 중부의 훤하( 治河 )유역과 2) 산-시 (陝 西 ) 중부의 츠산(岐山 )173) 에서 는 상의 것과 유사한 고립된 출 토 유물들이 확인되었다. 허난(河南) 북부와 허뻬이(河北) 남부 : 이 지역은 타아항산맥( 太 行山脈) 의 동쪽 면을 따라서 북 으로 뻗 으면 서 안양( 安 l냐 ) 을 그 중 심지로 하고 있 는 후앙하( 黃河 ) 하류의 평원 지역이다. 이미 알려진 이 지역의 유적들 가운데 에 는 신 향 ( 新鄕 ) 의 루 왕훤 ( 路于H t ) 1 74) 과 훼 이 현 ( 柏 | i縣 ) 의 여 러 유 적 ,17 5) 당인( i L} 陰 )의 차오꺼( 朝: fk ),1 76) 츠 현 (磁縣) 의 지에 뚜 안잉(界段 걸} ), 177) 한딴 (1 問罰 II ) 의 지엔꺼우 촌 ( i I : 0 溝村), 178) 성타이 ( 邪값· )의 여러 유 적, 17 9 ) 까오청 ( 站 城)의 타이시 촌 ( 값西村 ), 18 0) 링 서우( 磁海 )의 메이자이촌 167) 갑] 백 「 石樓後 1 M i 家f ,'% E 現 商代 1 ! i銅器節 i f社 」. 168) KI <, 「山 西石 樓 義謀發刀璋 ift f1 히器 」 ; ww , 「山 西石樓義謀倉 k I i 發 現商代兵 器」. 169) WW , 「山西 石 樓 新徵梨至 I J (I 댔) 幾 i1 1 : 商 代기 때釋 」. 170) 吳振衆 「保 篠섀 熙: 新發 gl (l ( JJj 戈 { 합대麟 」. 111) WW , 「陝西 緩tti j JiI i 村發現 一 . 麟i ft 31 ·1器 」• 172) WW , 「山西省 十年來 的文 物考古新 收 稷 」, p.2 : 沈 振中 , 「 1 斤縣連寺 溝出 土 的 - ,![·銅器」. 173) WW , 「陝西省 岐 山 縣發 現 R H ft 福 」. 174) KKHP, 「 河南新鄕路印r t ,m( 나 ·h l : f1 J /iil報告 」. 175) j. l i :w § 月 • ·哀 鼎 외 , 「 # 1 i 縣접있 자 1 報告 」 : KK, 「河 南t /,i riiiJ潘 洪 工程 中的 考古 調査 簡報」 • 「i iiJif j 拍 I i 縣 諸丘』 L t (IW) 前i (- tf1 미器」. 176) 安金楓 「湯陰朝J k 鎭發 現龍 I J I f IIRH( t T 文化 迫 :IJ1 : 」. 177) KI <, 「細縣界段 정發 堀簡 報 」. 178) KK, 「 1957 年 1 t B 郡發 堀簡 報 」 ; 「iiiJjt 1 郁 셉 h i ||l 溝村 古 迫:!J I : 發 堀簡 報 」. 179) KK, 「河北邪깡東先貸村商代迫 h t 調査 」 ; KKHP, 潭갚쎈演莊迫址發堀報 告」 ; WW, 「邪깊:iii發現商代造 h t」 ; 「冊꽈 商代迫址中的關오 ; f삽 認 明, 「邪잦商大 j] i村商(t迫:IJtf采 堀簡報」 ; WW, 「邪 갚성 '1村商代迫:!Jt試堀簡報』 ; 潭 깡尹 郭村商(店i h t及戰 1~ :검 g 8 保,試堀簡報」. 1so) KK, 「河北梨城縣 Hb( t迫 h t.f1 I g대 감 \;(I t) 調査 」 ; 「iiiJ 1 t梨城갚西村 (I 떄商代迫址」 ; WW, 「iiiJ 4 t梨城縣값西村商代迫址 1973 年 (I 떄重要發現」.

(北宅村), 181) 쥐양(曲陽)의 팡지아안(馮家岸), 182) 데이징 (北京)의 리우지아 하(劉家河 )183) 가 포함되어 있다. 북으로 훨씬더 멀리 랴오닝 (遼 ' , 5 t )에서 발 견된 청동그릇의 집단 역시 상(商)에 속하는 것으로 기술되었다 .1 8 4) 산똥(山東) ; 1972 년까지의 개관(槪觀) 자료에 의하면 상(商) 유물은 산 똥(山束) 최북부의 떠저우(德州) 지구를 제의한 산똥성(山束省) 전역에서 보고되었다고 한다 .185) 그러나 상(商)시대 유적들 가운데 가장 유명한 곳 은 여러 해 전에 발견된 두 지역인데 새로운 조사작업에 의해 중요한 자 료들이 밝혀져 있는 이곳들은 지난(濟南)의 동쪽 교의에 있는 따신창(人­ 辛莊 )186) 과 이뚜( 益 都) 북동쪽 쑤후문(蘇鳩屯 )187) 이다. 허난(河南), 지앙쑤(江蘇) 북부 그리고 안훼이 (安徽)의 화이하(淮河) 평원 : 허난(河南) 동부, 산똥(山束) 남서부, 자양쑤(江蘇) 북부와 안후 1I 이 (安 徽 )에 있는 화이하(淮河) 평원은 대부분은 역사가들이 (앞에서 언급된 바 있듯이) 휘 ( 基 , i t} 의 도읍)를 상치우(商邱)의 근교에 위치했던 것으로 보기 때문에 상(商) 고고학에 있어서 잠재적으로 중대한 지역이다. 그러 나 화이하( i t t iiif) 지역이 초기의 상(商) 고고학자들의 표적이었다는 사실 에도 불구하고 188) 이곳의 상(商)문화 유적은 아직까지 그리 많지 않다. 상(商)문화 유물은 허난(河南) 중부 옌린(邪陵)의 후꺼우(tk t ,yt ).1 8 9) 지양 1s1) KK, 「河北 없홉 縣 I t宅商代迫址 調 査」. 182} 安 志 敏 「河北 (ll(l尉 調査i E 」. 183) WW, 「北 京 市 平 谷縣發現商代墓 감 k 」. 184) KK, 「遼 却 客 左 縣北洞村發現殷ft ’ ,!潭器」 ; 「遼양客 左 lltf:ifn1 村t I', I : (I( j l jll:/,사 ,!t銅 器」 ; 삿院, 「北 京 遼 宇 出 土 銅器 91}‘ 서;fJJ (1< J燕」. 185) 齊 文磁 「恨述近年來山가대냐(內商 n3 집t銅器」 : KK, 「 I _ l _ 1 가디沈遷\i:'j책溫 代迫 h t」 참조. 186) F. S. Drake, Shang Dy n asty Fin d at Ta-hsin - chuang , Shantu n g : Ta- hsin - chuang Ag a in ; WW, 「濟南大辛莊商代迫址勘京紀災」 : 付 久忍 懷 述近年來山束出 土 的商周갑銅器」. ; KK, 「 濟 南大辛 lIE 迫 h t처輝it I i」 : ~;이/1'A :it , 「 濟 南大辛ii±商代迫址的 調 査」. 187) ift ll i\鎬, 「山東益都蘇鳩屯出土銅器調査 ,1 t」 ; WW, 「 UIA£ 益都 선 K J回\r lI.~~ 就 奴隸狗葬墓」. 188) 李談隨 「豫束商邱jk h& 調査及造 {I t깡熟孤 HH”£ 三 處小發j k i」. 189) KK, 「河南部陵扶i,Yt商水幾處古文化迫址的調在」.

쑤(江~) 북부 쉬저우(徐州) 지역의 여러 유적 특히 까오후앙먀오(高旦 J ❖) j) 190) 와 치우완(丘羽), 191) 안휘 l 이 (安徽) 북부의 후난(阜南 )192} 과 서우현(합 縣 )193) 지아산(〉.{;山) '인) 그리고 심지어는 창강(長江) 유역의 안훼이 (安徽) 중부 훼이시 (IIE 西 )195) 의 여러 유적에서 보고되었다. 한수(漢水)와 창강(長江) 중류 유역들 : 이 지역은 최근에 고고학적으로 밝혀지면서 상(商) 문명의 납부의 범위를 대표하고 있다. 처음 상(商)문 화 유적은 한수(漢水) 상류의 허난(河南) 남서부인 난양(南陽)의 스리먀오 (十里廟 )196) 와 시찬(浙川)의 시아왕깡(下 王岡 )197} 에서 알려졌다. 한수(漢 水) 를 따라 아래로 더 내려가서 일련의 중요한 상(商)문화 유적이 후앙피 (黃賊) 지구에서 발견되었다. 198) 창강(長江) 남쪽에서의 상(商)문화 유적 은陵 ) 20후1) 데. 이닝(시湖 양北()寧의鄕 ) 총• 양창(닝崇V (b常}寧 )1)99 ), 과202 ) 후지난 앙(시湖 南(江)西의) 의스 먼칭( 지石 양門( )淸200江) )• 20리3}링 과( 뚜盟 190) KKHP, 「徐州!,:j 1.tl.fvli迫址淸埋報告 」 ; KK, 「 1959 年徐州地 區考古調査 」. 191) KK, 「江깊듐銅山丘羽古追址 (I 羽發堀」 ; 兪節越 「銅山丘갑: }商代社祀迫述的推 定」 ; 王宇 1 급 • 陳紹才.R , 「 ,~1 于江森銅山丘짜商代祭祀迫址」. 192) 慕介J#., r 安 徽다나村發現殷商時代 (1'.) 1! f銅器」 : 石志應 「 談談龍虎효 的 Orn1 題」. 193) 王 湘 「安 徽합縣史jf,j追i.11:開査報告 」 ; 李混 「殷城有렀石器岡說」, p.6 12. 194) WW, 「安 徹,~’ 江山J\.lf.i BI 패引iiiJt U 土的四件商代銅器」. 195) The Commi ttee of the Exhib i t ion of the Archaeolog ica l Fin d s of the Peop le 's Rep u bli c o f Chin a , The Exhib i t ion of Archaeolog ica l Fin d s in the Peop le 's Rep ub lic of Chin a , p.1 s . 196) KK, 「河南南陽市十里廟發現商代迫址」. 197) WW, 「河南浙川下 王岡迫 h t h 罪試堀」. 198) WW, 「一九六三if!i Nl~ t黃賊선운龍城商代追址的發堀」 ; 「盤龍城一九七四年度 nI 野考古紀災」 ; 「합驛fj代 二 lll 卿 )的갑濁器」 ; 郭jk 慮 「湖北黃阪楊家 싸(內古갚th t調在」 ; KK, 「i Nl~ t '!,1!皮 韻山 7k Jj1 i工jti!.發現了맙銅器」 ; 郭德維 • 陳 貸一, 「湖 4 t黃阪盤龍城商代追i.11:和墓葬」. 199) WW, 「湖北崇 F냐 出土一ft HH 鼓」. 200) Jli]i l t菜 「i N Jii H5I''I 縣팁 I II 發現商殷迫址」. 201) 熊傳羅 「湖南閃陵發現商代銅象합」. 202) ,:沮책, 「湖南 :휴鄕黃 材發現商代銅i맙 II 迫址」 ; 「商對人面方 MI t」 ; WW, r1t - 紹幾 11 정t I 션銅기 1 棟選出來 (I ~J重要文物」. 203) WW, 「 ;r.' qi,!ii[吳城商 @h tg堀報告」.

창(都 昌 )204) 에서 발견되었다. 위에서 열거한 상(商)문화 유적과 유물의 대부분은 최근에야 발견되었으며 그 자료는 아직 빈약하다. 그러나 이 유물들이 그렇게 광범위하게 가리켜 주는 한 문명의 지리적 광환함은 이 미 상(商)시대사에 대해서 매우 커다란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이 러한 암시적 의미에 대해서 나중에 약간 논의할 것이다. 5 이론적 모형 중국에 있어서 상(商)시대 역사서술에는 두 가지 명백한 이론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 죽 사료학(史科學, Da t a i sm) 과 마르크스주의 (Marx i sm) 가 지배하여 왔다. 〈데이터이즘 〉 이란 용어는 사료의 연구를 뜻하는 중국어 시랴오쉬에(史 料學)의 시도적인 번역이다. 사료학과 사학(史學, H i s t or i o g ra ph y)의 등식 ( 等式 )은 1928 년 꽝똥(廣束)에서의 설립부터 현재 타이완에서의 활동까지 의 중앙연구원 역사어언연구소의 기본적인 철학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 연구소가 안양( 安腸) 발굴에서 수행하였던 중요한 역할 때문에 그것이 연 구소 내에서 발생된 것이든 또는 이 연구소가 깊이 영향을 준 의부에서 행하여진 것이든간에 중국의 상(商)시대 역사 서술은 주로 새로운 사료 획득과 그것의 단편적인 연구에 집중하여 왔다. 사료학적 인 선언은 1928 년부터 1950 년 사망할 때 까지 이 연구소 소장 이었던 후쓰니엔(傅斯年)이 쓴 중앙연구원 『 역사어언연구소집간』 (l 佐史,i!i」 硏究所梨刊)의 제 1 집에 있는 〈서문〉에 나타나 있다. 근대 사학은 자연과학이 제공하는 모든 도구를 사용하여 이용이 가 능한 모든 사료를 정리하는 사료학에 지나지 않는다…… 중국에서 언어학과 역사학이 찬란한 과거를 가지고 있는 까닭은 확 실히 그것이 사용했던 자료를 확대 발전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나중에 그것이 쇠퇴하게 되었던 이유는 정확히 그 주제가 변함 204) TH 昌札 「江西都 昌 出土商代銅器」.

이 없게 되어 그 자료가 그리 확대되지 못했으며 그 도구도 바뀌어지 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땅에는 유럽인들이 찾 기는 어렵지만 우리가 무시하여 사멸된 것으로 보였던 상당한 언어학 적 • 역사학적 자료가 있다. 우리는 이러한 사태 를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하며 물질자원뿐만 아니라 학술자원까지도 유럽인들이 이전시켜 버리거나 심지어는 훔쳐 가야만 하는 것에 대해 크게 개탄한다. 우리 는 새로이 얻는 약간의 자료 를 취급하기에 낡지 않은 약간의 도구를 빌리기 를 매우 기대하며 이것이 역사어언연구소 설립의 취지이다…… 우리가 가장 주의 를 기울이는 것은 새로운 자료의 획득이다. 우리 계획의 첫단계는 데이징(北 京 )-한꺼우(漢溝) 철로 를 따라 안양(安陽)과 이저우(易州) 를 향하여 울라가는 것이다. 안양( 安 腸)에서는 인쉬(g訪t) 로부터 약탈품이 완전히 발굴되지 않았으며 이저우( 易 州)와 한딴(1!!1떠 B) 은 옌(링유)과 자오(趙)의 옛도읍이었고 게다가 이 전 지역은 웨이(魏)와 뻬이 (j바)의 옛영토였다…… 둘째 단계는 뤄양(i各 l냐 )과 그 주변으로 가 는 것이다. 앞으로 우리는 점차로 서쪽으로 향하여 중앙아시아로 옮겨 갇 것이다…… 요컨대 우리는 독자가 아니다. 우리는 사물을 찾으러 위로는 하늘, 아래로는 황천에 이르는 모든 길을 열심히 갈 것이 다 ! 205)

205) 傅斯年, 대손史語 급 硏究所作之 旨迎」.

그리하여 자료 획득이라는 명백한 목적을 가진 역사어언연구소의 협조 로 안양(安賜~) 발굴이 진행되었는데 새로운 자료 를 얻었을 때마다 새로운 문제가 제기되고 해결되었으며 상(商)시대사는 풍부해지고 확대되었다. 안양(安 l L} ) 연구활동에 가담하였던 학자들은 여러 집단의 자료와 관련을 맺었는데 똥쭤뻔( ? t야作賓)은 문자 기록을 연구하였으며 반면에 리지 (李濟) 는 그 밖의 모든 유물을 다루었고 206) 체질인류학자(p h y s i cal anth rop o lo- gist ) 우명리양(吳定良)은 인체 유물을 맡았다 .207) 안양(安 l 1,} ) 발굴의 공식 계획보고서는 자료의 범주에 따라 구성되었는데 그것은 다음과 갇다 .208)

206) Li Chi, An;,a? 1g , p.5 9. 207) 위 책 , p,1 22. 208) 李濟. 「編後語」 ; 「安陽發堀與中國古史臣)題」.

1 발굴 보고 2 건축 유적 3 어깨뼈점술과 거북배딱지점술, 갑골문 4 청동 야금술(治 金 術)과 청동기 및 그 밖의 금속제품 5 질그릇 6 돌제품, 뼈제품, 조가비 제품 등 7 동물뼈 8 부근의 고고 유적 9 무덤 10 종교와 예술, 사회 구성 긍정적인 면에서 상(商)시대에 관한 지식이 안양(安陽)에서 얻어낸 새 로운 자료에 의하여 크게 확장되고 풍부하여졌다는 데에 의문이 없다. 오히려 문제 는 사 실 이 있었던 그대로의 사실을 정확하게 말하는가이다. 자료의 종 류들 은 고대문명의 분류 체계를 제시하여 준다. 이것이 연구의 대상이 된 문명의 내적 질서를 가장 찰 밝혀 주는 체계일까? 다시 말해 서 사료학 (Da t a i sm) 그 자체는 하나의 이론이다. 이것이 고대사학에 대 한 최상의 이 론 일까? 명백한 이론을 가지고 상(商)사회를 연구하여 왔던 유일한 학자 집단인 마르크스주의자들은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마르크스주의적인 중국사 해 석의 최초의 제창자들 가운데 가장 뚜렷한 한 사람이었던 꿔뭐뤄(郭it 1’;) 에게 있어서 리지( 李濟 )와 똥쭤뻔( 萊 作賓)과 갇은 사료학적인 학자들은 〈금으로 된 밥그릇을 쥐고 있는 거지〉였다 .209) 일찌기 1930 년 역사어언연 구소 학자들이 새로운 자료 를 입수하기 시작하였던 바로 그때 꿔뭐뤄(郭 洙 若 )는 선구적인 작품이었던 『 중국고대사회연구 』 (中國 古 代싸令硏究 )210) 에 서 처음으로 엥겔스의 『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 』 에 나타난 과학적 역사관에 따라 역사의 연구와 해석을 시도하였다. 꿔뭐뤄 (~l li ~1'i )는 이 저서에서 마르크스와 엥겔스에 따라 인류사회의 진화 단계들-원시사 회, 노예제사회, 봉건사회, 자본주의사회 -울 간단히 특칭지운 뒤에 계속해서 갑골문과 청동기의 명문을 포함한 이용이 가능한 사료 을 분석 209) 郭洙 若 『 奴隸制時代 』 . 이 인용문은 1950 년에 씌어졌다. 210) 1964 년도판•

하여 상(商)사회는 씨족제가 남아 있지만 계급제가 이미 시작되고 있었던 원시사회의 마지막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어처구 니없이도 그 분야에서 새로운 자료들이 쌓이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꿔뭐 뤄 (郭洙若)는 할수없이 진화상에서 상(商)사회의 위치에 관한 그의 결론 을 수정하였다. 1954 년에 그가 말했듯이 〈올바르고 과학적인 역사관에 정 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것이 일차적인 문제이다. 그러나 올바른 역사관을 부여한다 하더라도 충분하고 올바론 자료가 없거나 그 자료의 연대가 잘못 추정된다면 또한 올바른 결론은 있을 수 없다. 〉 211) 보다 최 근의 자료를 근거로 하여 꿔뭐뤄(郭洙 若)는 그의 견해를 수정하였으며 이 제 상(商)사회를 사회 진화 가운데 노예제사회단계 안에 분명하게 위치하 였던 것으로 보고 있다 .21 2) 이러한 상(商)사회에 대한 구분은 오늘날 중 국 마르크스주의 역사가들의 확고한 관접이다 .213) 진화적 관점에서의 상(商)사회의 위치에 관하여는 나중에 좀더 깊이 언 급하게 될 것이다. 여기서는 단지 상(商)시대 사료의 접합에 대한 명백한 이론적 모형으로서 마르크스주의 진화이론 一_- 중국의 마 르크스 주의 사 가들이 해석하듯 __- 에만 관심이 있다. 죽 그것은 문화적 • 사회적 요소 둘이 각 진화단계의 정연한 구조에 일렬로 정돈되고 이러한 구조들이 한 단계에서 다음단계로 질적으로 변형되며 문화적 • 사회적 요소들이 그와 함께 다시 일렬로 정돈되는 데 대한 이론적 모형이다. 일단 어느 사회 ―예를 들면 상(商)사회 __- 를 그 전화상의 위치에 대하여 구분할 때 그것은 순서와 충위에 따라 구조상 의미있는 방법으로 자료를 배치하여 그것들이 이루고 있는 체계의 이해에 대하여 우리에게 도움을 주고 이용 할 수 있는 자료가 비어 있는 간격을 메우는 것이다. 이러한 해석적 방 법론은 마르크스주의 역사가들뿐만 아니라 모든 지역의 문명의 기원을 연구하는 현대 고고학자들 사이에서 일어나고 있는 새로운 진화론자들의 강력한 도구이기도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엘만 서비스 (Elman Serv i ce) 의 진화단계들 214) -~무리(群 또는 郡渠, band), 부족(部族 또는 部沿 211) 『 中國 占代社合硏究J, 1954 년도판의 서문. 212) 『 奴謀制時代 』 , 1952 년, 1954 년, 1972 년에 각각 수정판이 간행되었다. 213) 史抽 『 奴誌社合 』 ; 張泉.,t, 『中國 奴隸社合』. 214) Elman R. Servic e , Pr imi tive Soc ial Orga niz a ti on : An Evoluti on ary Perspe c ti ve .

tri b e ), 추방(합邦 또는 部族聯盟體, 部落聯盟體, chie f d o m), 국가(國 家 , • sta t e ) 一— 은 분명 히 자료의 접 합을 위한 마찬가지 의 목적 에 봉사하며 원시사회 를 하나의 사회단계로서가 아니라 3 단계로 구분하는 특징의 장 점까지 더하고 있다. ® 자료와 폭넓은 전화이론은 모두 상(商)문명 또는 어떠한 문명에 대한 어느 정도 능 률 적이며 정확한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만 우리는 자료와 이론의 결합 을 도우는 중간총의 이론적 모형 역시 필요하다. 앞서 말하 였듯이 사료학은 이론이 결여된 것이 아니라 단지 그 이론이 분화되어 있지 않고 함 축 적이며 검증이 불가능할 뿐이다. 반면에 우리는 보편적 이론에 의하여 자료 를 해석할 수 있다고 말하기 앞서 지금까지 세계의 다른 지역 들 로부터의 자료 를 토대로 하는 그 이론이 정말로 보편적인지 를 확실히 해두는 것이 좋다. 그러기 위해서 그 이론과는 별도로 내적 근거에 따라 자료 를 함께 결합시킴으로써 그 이론이 우리의 자료에 적용 될 수 있다 는 것을 증명하여야 한다. 〈내적 근거 〉 란 무엇인가? 이것에 근거하여 필자는 자료 그 자체의 고 유한 특질 을 말하려 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료학자들은 이미 자료의 가 ® 미국의 인류학자 들 이 사용하는 band 라 하고 tri b e , chie f d o m, s t a t e 란 용 어와 개념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말이 전동적 한국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다. 인디안 사회에서 이동생활을 하는 가장 작은 규모의 사회집단을 band, band 보다는 규모가 크고 정 착생 활을 하는 사회 집 단을 t r i be 라 한 다. 그리고 여러 t r i be 가 통합되어 추장을 중심으로 한 정치권력이 출현 하고 계충의 분화, 빈부의 차이 등이 나타난 사회 를 ch i e f dom 이라고 한 다. Ch i e f dom 은 인류학자에 의하여 새로 만들어진 말이다. ch if dom 보 다 규모가 크고 정치권력이 법에 의하여 뒷받침되어 한층 강화된 사회문 s t a t e 라고 한다. 인류학자들은 여러 지역의 미개사회와 고고학 자료의 연구 결과 인류가 초기에 위 4 개의 사회단계를 거쳐 발전했운 것으로 믿 고 있다. 위 용어들의 뜻은, band 는 이동생활을 하는 무리, t r i be 는 氏 族 또는 部族 단위의 집단이 이룬 部落, ch i e f dom 은 氏族 또는 部族 단 위의 집단이 이룬 部落 여러 개가 동합되고 그 구성원 사이에 계충분화 가 일어난 사회, s t a t e 는 여러 개의 ch i e f dom 이 동합되고 전지역이 법에 의하여 동치되는 사회이다. 고고학적으로는 대체로 구석기시대 • 중석기 시대는 band, 전기신석기시대는 tri b e , 후기신석기시대는 chie f d o m, 청 동기시대는 sta t e 단계의 사회에 해당된다.

치 를 주목하여 왔다. 차라리 나는 경험적 자료의 상호관련이라고 말한 다. 죽 그것은 어떤 구조물의 건축설계 를 이루어야 하는 상호관련이다. 하나의 구조에서 어느 요소는 다른 요소들과 참으로 복잡하게 어느 것은 수평으로 어느 것은 경사로, 어느 것은 충위로 그리고 어느 것은 위의 모든 것이거나 그 대부분의 결합으로 모든 방향에서 접합된다. 그래서 그것들은 하나의 복잡하고 동적인 전체로 구성된다. 문명이 거쳐 간 뒤 이 모든 요소들은 해체되고 그것들 가운데 어떤 것들은 사라진다. 우리 의 작업은 그것들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것을 위해서는 확실하고 견고 한 자료가 필요하며 그런 것이 많을수록 더욱 좋다. 또한 모든 인류 사 회의 일반적 모형을 확신하면서 정확하고 전체적인 이론적 관리도 필요 하다. 그러나 우리는 특정한 단계에서 자료의 복잡한 상호관계 를 복원시 키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명확하며 믿을 만한 도구 들 역시 필요로 한 다. 이 도구둘 가운데 어떤 것들은 자명하다. 죽 상호관계 를 공간적으로 밝혀 주는 고고학적 선후관계 및 문헌적 설명이 이러한 것 들 이다. 그러 나 그 밖의 것들은 그만큼 분명하지 못한데 바꾸어 말하면 그것들은 중 간단계의 이론적 모형이다. 중간단계의 이론적 모형은 별개 _ _ 선 역사기록에서 독립하여 존재할 수 있는 의미에서의 별개 ―― -의 문화 요소들 사이의 상호관계 를 결정하는 법칙이다. 문화 요소들은 함께 변화하며 별개의 요소들은 명확하고 구체 적인 법칙에 따라서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것들은 법칙들이다. 역사 가들(그리고 고고학자들)은 과거의 사회들을 재구성하고 그 사회가 잃어버 린 요소들을 복원하는데 이러한 법칙들을 사용한다. 어디에서 규칙을 얻는가? 필자가 믿건대 단편적인 자료로부터 완전한 체계―― - 아니면 적어도 그 기본적 구조- 를 복원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법칙을 개발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있는데 그것은 이론 적 모형 죽 같은 시대 상황들에 관한 연구로부터 또는 상세한 기록을 이 용할 수 있는 역사 시기로부터 얻어낸 사회와 문화의 작용체계나 그 하 부체계의 청사전을 사용하는 것이다. 동시에 한 가지 분명히 해두어야 할 사실은 이러한 작업이 우리가 가지고 있는 사실들을 어떤 예정된 이 론에 맞추거나 심지어 적용시키려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우리의 이론 은 알려져 있는 상황의 청사진이다. 따라서 만약 우리의 부분품이 그것 둘 중 어느 것에도 맞을 수 없다면 그것은 이것이 완전히 새로운 상황이

라는 것이거나 아직 우리가 충분한 부분품들을 갖지 못하였다는 것을 의 미할 뿐이다. 중국 속담에서 말하듯이 〈발을 잘라서 신발에 맞춘다〉라는 것은 있을 수 없는 것이다. 만약 우리가 발동기의 부품을 몇 개 가지고 있다면 맞는 발동기에 그것을 맞추어 보기에 앞서 지금까지 있었던 모든 발동기들의 청사진이 있어야 한다. 이 부품들이 나왔던 발동기는 아마도 그 기계장치가 인간의 지식에서 영원히 사라진 것일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우리는 새로운 발동기를 조립할 수 있거나 아니면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유추논법이 반드시 적절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역 사가들이 종종 다뤄 온 인간제도는 발동기가 아니며 그 작용은. 비록 잠 재적으로는 훨씬 복잡하지만, 보다 단순한 원리에 입각하고 있기 때문이 다.

문화 • 사회 행위의 민족학적 법칙은 통문화적 (通文化的)으로 얻어낼 수 있다. 〈근래에 많은 통문화적 연구성과들이 보고되었는데 그것은 통문화 적 비교 를 통하여 인간 존재에 있어서의 어떠한 변화 사이의 관계를 확 립하고자 하는 연구둘이다.〉 215) 비교에 포함되는 문화의 수가 반드시 많 아야 할 필요는 없지만 그 목적은 그 변화에 있어서의 동계적 공존물(jt 存物) 및 이 공존물에 대한 만족할 만한 설명을 구하는 것이다 .216)

215) G. S. Ford, On the Ananlys i s of Behavio r for Cross-cutu r al Comp a ri- sons 216) S. F. Nadel, Wi tch craft in fou r Af rica n Soc iet i es : An Essay in Comp ar - 1son Fred Eg ga n, Soci al Anth r op o log y and the Meth o d of Contr o lled Com- pa nson

제 1 편 안양(安陽)을 통해 본 상(商)사회

1 안양(安陽)과 왕도(王都) 1 왕도와 안양(安陽)의 중심지 대부분의 상(商)에 관한 문헌들은 상왕조(商王朝)의 19 번째 왕인 판껑 (盤庚)이 자신의 도읍을 인(殷)으로 옮기고 거기서 왕과 그 후손들이 왕 조가 멸망할 때까지 살았다고 전한다.” 갑골문의 내용에 의하여 우명(武 丁, 판껑션&/Jt의 조카인 22 번째 왕)에서 띠신(帝辛, 30 번째 마지막 왕)에 이르 는 시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점복기록이 샤오문(小屯)에 있는 저장 구덩이 에서 보존된 채로 발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따라서 이전의 문헌 자료와 새로운 자료들은 모두 인(tll:)의 도읍으로서의 위치를 입증해 준 다. 그렇지만 인 (O ll:)이라는 이름은 단지 저우(周)의 문헌에만 나타날 뿐 이고, 반면에 상(商)의 문헌과 일부 저우(周)의 문헌, 점복기록에는 상 (商)나라 사람들 스스로가 그들의 도읍지를 칭했던 것으로 상(商)이라는 이름이 자주 나타난다. 시마쿠니오 (Lb 打맹)의 『 은허복사종류 』 ('ll:J.I&卜辭綜 類)에는 12 번 언급된 대옵상(*g占)을 포함하여 상(~ 혹은 占)이라는 단 어가 무수히 기재되어 있다 .3) 그렇지만 현재의 지리학적인 측면에서 이 이름의 위치에 대한 견해는 다양하고 단지 극소수의 학자들만이 그 곳의 1) 『古本竹얌紀年』 : 〈自盤庚徒殷至討之滅[二]百七十三年史不徒 H i.〉 2) 島邦男, 『殷猿 卜 辭硏究』, pp.3 5-49. 3) 島邦男, 『殷坡 卜 辭綜類』, p.2 79.

위 치 가 갑 골 문이 발견되었던 안양( 安賜 )지역일 것으로 보고 있다. ◄) 이 문 재 는 상(商)의 정치 질 서 를 논의할 때 다시 다 룰 것이다. 어쨌든 상(商)의 마지막 왕인 저우( 討 )가 그의 최후 를 맞이했던 곳이 인 (Ij l1:)이었다. 바로 그후에, 저우왕( 村 王 )의 사악 한 행위에 반대하여 자 진하여 망명을 했다고 하 는 왕의 숙부인 지 쯔 ( 箕 子 ) O 는 정복자인 저우 (/서)의 예우받는 빈객이 되었다. 『 사기 』 (史記 ) 「 송 세 가 」( 宋世 家 ) 편 에는 지쯔 ( 箕子 )가 경의 를 표하기 위 하 여 저우 (周) 로 여행 을 하 였다고 기록 되어 있다. ( 그 여행에서) 옛 인 쉬 ( Jj밌城 , 인 l] ll: 의 옛터) 를 지나면서 궁실은 파괴되어 폐 허가 되었고 기장 만 이 그곳 에서 무성 함을 보고 는 술 품 에 잠 겼다. 그래서 왕 조 가 멸 망 했던 바 로 그 당시( 혹은 적어도 저우 村 의 아 들 이 일으 켰던 일 시 적 인 반란 ® 이 진 압 된 직후 ) 상 (商) 의 마지막 도읍지가 인쉬 (t妹城 4) f. b 귀맹 , 『 殷城 卜 辭硏究 』 , pp.3 6 0 ~ 361 ; 陳夢 家 『 殷城 卜 辭 綜 述』 , pp.2 55 一 258 . ® 『 史 , i E 』 「기 遷 [T- Il t 家 』 에 는 箕 子 가 朝 鮮 으로 망명했다고 기록 되어 있다. 이에 근거 하여 조선시 대 이 후 일부 학자 들 은 箕 子 가 古 f. J-i A f 에 와서 損君 의 뒤 운 이어 갑 ,가 벼 B f의 통치자가 된 것으로 해석하였는가 하면, 반대로 箕 ( · 가 朝鮮 으 로 망명 했 다 는 것은 중국 인 들 이 만 들 어낸 한 낱 허구에 지 나지 않 을 것 으 로 보는 학자들도 있었다. 그러 나 역 자가 고증한 바로는 ,1 i ❖J 1 A r- 의 서부 변경, 죽 중국과 의 접경지역 에 는 〈 朝鮮 〉 이라 는 일개의 지 명이 있었 는 데 箕 f는 그 지 역 에 망명와 , 5 ;; 1 ij 8, '(, 의 재 후 가 되었다. 따라 서 箕 (· 가 朝鮮 으 로 망명 했 다 고 하 는 것은 허구 로 꾸 며진 것 은 아니지만 箕 f가 망명했다 는 朝鮮은 古朝鮮 전지역 을 뜻하지 도 않고 箕子 는 古朝 鮮 의 통치자가 된 적 이 없다. ( 尹 乃 鉉 , 「 箕 子 · 홍 R 考 」 『 韓國古 代史新 論 』, 一 , J.; /li t, 1986, pp. 176~ 239 참 조 ) . ® lkI 武 E 은 商 응 멸 망시킨 후 商지역 을 직접 동 치하지 않고 그 지역을 商 I:.l 쇠 마지막 왕 사i 辛 의 아 들 武庚 祿 父에게 동 치하도 록 하고 周 武王의 형재 들 인 管叔 鮮 • 蔡 叔 }.!t • 雀叔 處 룹 주 둔시켜 武庚 祿 父 물 감시하도 록 한 후 /kl 武 王 자신 은 / , I i]族의 본거지인 鎬京 으로 철 수하였다. 그런데 2 년 후 },1il 武 ]: 이 사망하고 나이 어린 成 王 이 죽 위하여 周 武王의 동생 인 J,'J公 H . 이 섭정 운 하게 되었는데 이에 분 만 을 품은 管叔 鮮 • Ji.叔 度 • 1\ t , 叔 處가 武 J)t j3; 父와 합세 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이 반란은 3 년간 의 정벌 끝 에 평정되었다( 尹 乃鉉, 『 商周史 』 . 民 꿉社 , 1984, pp. 99-101 참조).

혹은 商坡)였음을 알 수 있다. r 사기 』 (史, i t)에는 이전의 도읍지역에서 발 생했던 사건들을 설명하면서 이 두 지명을 언급하고 있다. 「항우본기」 (項羽本紀)에서 쓰마치엔(司馬遷)은 시양위(項羽 B. C. 202 사망)가 그의 군대를 〈후안수(i g 水)의 남쪽인 인쉬 (殷城)〉로 이끌었다고 언급했고 「위세 가」(衛世 家 )에서는 죽은 우왕(武 王 )의 동생이자 섭정을 하고 있었던 저우 꽁(周公)이 어떻게 그의 동생 캉수(康叔)를 〈허 (河, 黃河)와 치 (i j !)의 사이 에 있는 상의 옛터 (商城)〉에 봉했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한(漢) 초기까지는 상(商)의 마지막 도읍지의 옛터가 지금의 허난(i IIIl tj) 북부지역인 후안수(i n 水)의 남쪽지역에, 그리고 후앙하(黃河)의 옛 수로 와 치 (i其)강 사이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1928 년에 안양(安 µL } )에서 상(商)의 옛터가 발견된 이래로 학자들은 인 쉬(殷城)가 그 지역의 고고학적 유적에 의해 윤곽이 잡혀진 지금의 안양 시 (安 F L} T II) 의 북부, 죽 〈 후안수(i 旦 水)의 서쪽〉에 위치했을 것이라는 근거 를 가지게 되었다. 그렇지만 미야자키이치사다(宮崎市定)는 그것이 〈허 (河)와 치 (洪) 사이 〉 에 위치한다는 상쉬 (商坡)에 대한 기술을 인용하면서 인쉬(殷樓 혹 은 商坡)는 웨이(t泊)국이 세워졌던 곳의 남쪽에 이르는 동로 에 위치했음에 틀 립없다고 믿고 안양(安陽)의 고고학 유적들은 단지 왕실 의 거대한 묘에 불과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5) 허난(河南) 북부에서의 인 (殷)의 위치가 의문의 여지가 없다 해도 그것 울 비교적 좁은 지역으로만 한정할 필요는 없다. 사실 인 (8 t)이라는 이름 은 상당한 규모의 왕의 영토를 포괄하였을 수도 있다. 『 고본죽서 』 (古本竹 :; ~t)의 한 구절에는 〈저우(村)의 시대에 그는 자신의 읍을 약간 확장했다. 남쪽의 차오꺼 (朝歌)에서 북쪽의 한딴 (1 郁郡)과 사치우(沙丘)에 이르는 지 역에 (그의) 이궁(離宮)과 별궁(別宮)이 가득했다〉고 기재되어 있다. 차오 꺼 (朝歌)는 보통 지금의 치현(i及縣)으로 확인되고 한딴 (11! 덥 II) 은 현재의 한 딴시 (郡郡市), 사치우(沙丘)는 성타이시 (邪갇市)와 쥐루시 (I i鹿 ,I i> 근처로 확인된다 .6) 싱타이(邪장)에서 치현(波縣)까지의 남북의 거리는 약 165 킬 로미터이다. 『 한서』(漢 ; F) 「지리지」(地理志)에도 저우(周)는 상(商)운 정 벌한 후 상(商)의 도읍을 뻬이(jtjl)와 용(郡), 웨이(衛)의 세 나라로 나누 ') 宮崎市定 「中댑上代(1)都市國家& 군(1)墓地-商邑|ift1 J處 1.:;,'? t:.#」. 6) 『史記媒解』와 『史記定義』 참조.

· 巨鹿

.... '. /.. \. ., ’ ·I 、 • . ·\ ., r· J. .\ 一

)`fm\ . 9 그림 殷시기의 商 도옵지역 추정도.

었다고 명시되어 있다. 메이 (j바)와 웨이 (衛)는 치현(波縣) 근처에, 용(郡) 은 남쪽으로 40 킬로미터 더 떨어진 신향(新鄕)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 지역 내에서 상(商) 유형의 유물들이 분산된 채로 발견되었다. 아마도 위 의 모든 지역들이 쓰마치엔( 司 馬遷)의 시대에는 인쉬(殷城)의 일부로 간 7) 叫 師 그리고 i 3 i의 위치에 대한 위의 해석은 程發動의 『春秋左氏傳地名 l1~l( 考 』 , p. 10~. 213 참고.

。유또 묘—OI 泊國都

°I “t 。磁縣 0 。 ‘C) 그림 10 殷시기의 商 도읍지역 구조 상정도.

주되었겠지만 8) (그립 9) 안양(安~)}) 근처의 상(商)의 유적들에서 점뼈와 상당히 풍부한 유물이 출토됨으로써 특별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음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우리는 아마도 왕도(王都)인 인(殷)의 거주 형태를 그림 10 과 갇이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쓰마치엔(司馬遷)의 시대에조차 도, 비록 인쉬 (殷城)나 상쉬 (商樓)를 〈후안수(j旦水)의 남쪽〉 혹은 〈허 (河) 와 치 (洪)강 사이〉에 위치한 것으로 알고 있었다고 해도, 아마도 인쉬 (殷 城)의 정확한 범위는 그때에 이미 모호해졌을 것이다. 그리하여 그때까 지 존재했던 지상의 흔적은 모든 것이 곧바로 완전히 사라졌음에 불립없 으며 광범위한 인(殷) 지역은 덮여진 고고학 유적이 되어 버렸다.

8) 陳夢家 『殷城 卜辭綜述』, pp,2 0-34.

。 그5림00 11 10—0안0 양1 5주0-0 변-의2.0. 0 0고 m 고. 학적 유적 위치도(梅原末治, 『河南安陽遺

寶』, p. 13).

인쉬 (0 魏城) 유물의 발굴은 안양(安陽) 지역에서 시작되었고 그 지역에 서 중접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안양(安 lL }) 지역에서 발굴된 청동그 릇둘 은 쏭(宋)왕조시대에 문헌에 기록되기 시작했는데, 최 초의 이러한 발견은 1079 년에 일어났다 .9) 그렇지만 과학적인 발굴은 1899 년의 갑 골 문의 발견 이후 1928 년까지 기다려야만 했다. 지난 50 년 동안 많은 고고학적 유적이 안양(安陽)에서 발굴되었고 기술되었다. 안양 (安陽)의 외부이지만 왕도의 영역으로 볼 수 있는 지역 내에서도 다른 유 적들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장에서 우리가 다룰 자료는 거의 안양 (安陽) 유적 둘 과 관련된 것뿐이다. 필자는 안양(安陽) 유적들이 몰려 있 는 지역 을 안양(安腸) 중심부로 부 를 것이며 안양(安陽) 중심부를 그 일 부로 포함하 는 허난(河 w . i) 북부의 보다 넓은 상(商)유적들이 있는 지역을 왕도로 부 를 것 이다. 안양(安腸) 중 심부의 고고학 유적들은 후안수(i H 7k) 양쪽 제방을 따라 안양시 (安腸市)의 북서쪽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대략 길이가 강을 따라 6 킬로미터, 너비가 4 킬로미터에 달하는 지역에 걸쳐서 산재되어 있다(그립 11). 남쪽 제방에서의 주요한 유적은 궁전과 종묘의 복합지역에 있는 문 자가 새겨진 점삐의 주 요한 저장소인 샤오문(小屯)이고, 북쪽 제방에서의 두드러진 유적은 왕릉이 있는 시베이깡(西北岡)이다. 따라서 안양(安陽) 중심부의 상(商)시대 유적에 대한 설명은 샤오둔(小屯), 시대이깡(西 1 t(페) 그리고 다른 유적들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서 행해질 것이다. 2 샤오툰(小屯) 샤오툰(小屯 작은 마을)은 안양(安,J,}) 성벽의 북서쪽으로부터 약 3 킬로 미터 떨어진 작은 취락이다. 후안수(i旦水)는 샤오문(小屯) 북쪽의 약 600 미터 지점에서 서쪽으로부터 동쪽으로 흐르는데 남쪽으로 진로를 바꾸어 마을로부터 동쪽으로 약 160 미터 떨어진 지접으로 흐른다. 상(,fli)의 유적 은 마을에서 강으로 이르는 북쪽과 북동쪽의 여러 지역(복부지구)에서 발 9) 위 책 , pp. 39-40.

견되었고 마을의 남반부와 그 남쪽지역(남부지구)에서 그리고 마을의 서 쪽지역(서부지구)에서도 발견되었다. 샤오문(小屯)의 북부지구는 1928 년과 1929, 1931, 1932, 1933, 1934, 1936, 1937, 197 :5, 1976 년에 고고학적 발굴이 진행되었는데, 안양(安腸) 중심부 에서 가장 발굴이 찰 된 지역이다. 이 지구에서 건물의 기초와 배수도랑, 순장묘, 주거 구덩이와 저장 구덩이. 작업장, 부장품이 풍부한 몇자리의 묘 등의 유적들이 발굴되었다. 많은 유물들이 이러한 부분적으로 남아 있 는 건축물과 묘로부터 발견되었고, 실제적으로 문자가 새겨진 점뼈는 모 두가 샤오툰(小屯)지역, 특히 북부지구에서 발굴되었다. 불행히도 이곳에 서의 발굴성과는 아직까지 완전히 보고되지 않았다. 우리가 이 유적의 유물들과 문자가 새겨진 점뼈에 대해서 설명하고 논의하는 데에 관계되 어야 하는 자료, 죽 유적의 건축물에 관한 매우 풍부하지만 불완전한 자 료는 스장루(石璋 ~n) 교수의 여러 저서 를 통해서 알려졌다. 그 저서들은 40 년동안 저술된 것들이다. 뒤이은 샤오문(小屯) 북부지구에 대한 설명 ―층위(竹位)관계와 각 문화충 기간의 건축물의 설계, 주 요한 유물의 범주를 포함하여―― { 은 상당히 불완전한 자료 를 토대로 하여야 했 고, 따라서 거기에는 추측과 불확실이라는 중대한 요소가 내포되어 있다. 북부지구는 중국과학원(中困科學院)의 발굴에 의해 발굴지역이 A, B, C, D, E, F, G, H, I 의 사각형의 9 구역으로 나누어졌다(그립 12). 모든 특징 에 대한 설명은 이 구획체계에 따라 언급될 것이다. 충위학상에서 북부 지구는 주요한 4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그 4 단계는 선사시기, 왕조 이 전의 상시기 (판껑션紅g이 인g E 으로 천도하기 전까지), 왕조의 상(商)시기 (판 껑盤庚에서 띠신帝辛까지), 그리고 상(商)왕조 이후의 시기이다. 마지막 단계는 여기서의 우리의 논의에서 생략될 것이다. 샤오둔(小屯)의 북부지구의 선사단계에 대해서는 간단한 언급만으로도 충분하다. 허난(河南) 북부의 양사오(仰昭) 양식의 채색질그릇 조각 하나 가 1929 년에 샤오툰(小屯)에서 발견되었지만 10) 최근의 연대 측정에 의해 서 서기전 '.5 000 년에서 서기전 3000 년까지 거슬러올라가는 11) 양사오(但 I Afl) 문화의 주거 지층이 안양(安陽) 지역 내의 다른 곳(허우깡後|내과 따쓰콩촌 10) 李洲 『小屯與仰船』, pp.3 37-347. 11) KK, 「 1958~1959 」年殷城發堀簡報 p.6 3.

N.'u

눕접 뭉 ~一 - 도 로 - 묘지 —_- 지 작 역 업 지분역 리 선 •••• 발굴시 기구 분 선 ? , ', 1 2 尸 그립 12 바둑판 모양으로 구획된 小屯 북부의 유적(Li Chi, Anya n g , 도판 6) .

大司空 村에서 뚜렷한)에서는 발견되지만 이곳에서는 그러한 지층이 발견되 지 않았다. 12 ) 반면에 최근의 연대 측정으로 서기전 2300 년에서 서기전 2800 년까지 거슬러울라가는 양사오(仰節)문화 다음의 선사문화단계인 허 난롱산(河 南 龍山)문화 유적은 매우 광범위하게 남아 있다. IS) 스장루(石璋 ll n) 의 말에 따르면) 샤오문(小屯)에 있는 룡산(龍山) 유적의 중십지는 D 구역이고 그것들은 또한 B,C,E 구역에까지 퍼져 있다고 한다• 리지(李 濟 )는 위 아래로 겹쳐진 40 쌍의 저장 구덩이의 유물을 연구하여 단지 아 래층에 있는 구덩이 가운데 3 쌍만이 롱산(龍山) 문화층에 속하는 것을 발 12) ~祖 「破 -14 測定年代和中國史前考古學」, p.2 22. 13) 위의 주 12 참조. 14) r g있 닳最 近之須要發現附 論 小屯地層」.

견했는데, 15) . 그는 샤오분(小屯)에 롱산(龍山)문화충이 있기는 했지만 그 것은 단지 방대한 상( 商 )문화의 정착에 의해 위축된 비교적 적 은 취락을 대표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하였다. 북부지구에서 왕조 이전의 상(商)의 점유 안양( 安 t냐 )지역 내의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이 곳 에 서 의 상 (商) 점유시 기의 문화적 충위는 발표된 기록 을 통해 볼 때 아 주 분 명히 드 러난 것은 아니다. 필 자는 왕조시기의 출발 점으로서 1976 년에 발굴된 제 5 호 묘의 고고학적 유물집단 을 이용할 것이다. 그러 므 로 더 앞 선 것 으로 보이는 유물 들을 왕조 이 전 의 시기에 편 입시 켰 다. 이러 한 결정을 내린 이유는 왕조시기에 대한 기 술 의 첫머리에서 언 급할 것 이다. 판껑 ( 성t }J t ) 이전의 시기에 샤오 문 (小屯)에서의 주요한 건축 상의 특징은 〈거대한 일련의 지하구덩이와 지하 실 , 지하 주거 〉 16) 이 며 이 러한 주 거방식 과 저장구덩이와 관련된 것으로서 거대한 배 수 도랑 체계가 있었고, 많 은 묘 들 도 관련이 있었 을 것인데 그 묘 들 가 운데 일부는 청동 제기 를 포 함하고 있었다. 대일 항전 전에 발굴되었던 일부의 고고학 자 료 에 대 한 보고 서가 지금 까지 출간되었지만 지하구덩이는 아직도 완 전 히 설 명되 지 않 고 있다. 따 라서 유적의 도처에 있는 이와 같은 구덩이에 대한 세 부적 인 도해 (l1'::il A t ) 가 부족하며 각구덩이에 있는 모 든 유물에 대한 세 부 적 설 명 또한 부족 하다. 스장루( 石璋 -fi n) 가 결론 을 내렸듯이 17 ) 물이 흐르는 도랑이 배수 체 계로서 샤오문의 반지하식 주거에 도움을 주었다면 이곳의 왕조 이전 시 기의 점유지는 아주 넓었음에 틀 림없다. 됴랑이 걸쳐 있 는 지역은 대략 남북으로 170 미터 동서로 거의 90 미터에 달하는데 18) 지하구덩이가 도랑 을 따라 밀집해서 모여 있다고 한다. 19) 그래서 그 도랑이 상당한 규모의 15) St ud ie s of the Hsia o -t'u n Pott er y : Yi n and Pre-Yi n , p.1 1 3. 16) Li Chi, Anya ng , p.1 04. 17) 石璋 女 11, 『 殷城述築迫存 』 , p.2 68 ; 「殷代的芳 土 版築與 一 般建築」, pp.1 3 9 -141. 18) 石璋 女f], 『 殷城建築迫存 』 , p,2 03. 19) 위 책 , p,2 68.

둘서왕 의조웅 집이배 전열(의에주그 거 림용주대 거해구1,지,J 덩F23 K 의 발小 l이42 표)屯윤들 한곽이 을바집 그구 있단二〔:1려다적~ (으준/그로다립K ( 모O그1 여4립)l , 》KrS[s있1이 一一3 음)곳 .01 을 KJ의 또 한가남 리북m그키 는2주。0 ·미거 흔터지적 들동내이서에

i # K22 h) ' L< I、 『델 1 3 q r p 1 4 ,I, 있다. 스장루(,fi璋 ~n) 는 그 유적의 C 구역의 남서쪽 구석에 있는 구덩이

0- 1 2. .....3 따

그립 14 築小追屯蹟의」 ,왕 1조6 8)이. 전 시기 움집 집단( 石璋 女l l, 「小屯殷代((.J述

18 미터에 이르는 지역에 5 개 집단으로 나뉘어전 47 개의 구덩이가 있었는 데 각각의 집단은 1 개의 반지하식인 대형 움집과 그것을 에워싼 여러 조 그마한 저장구덩이로 구성되었다. 구덩이의 밀집 상태가 주거지 전체에 걸쳐 비교적 일정하다면 앞서 말한 도랑이 걸쳐 있는 지역은 약 200 개의 주거구덩이를 수용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움집들은 〈대개 다소 곧은 벽과 오르내리기 위한 경사면이나 계 단이 있는 크고 얕은 구조였다. 구덩이의 직경과 깊이를 비교하면 대부

분의 경우에 직경이 깊이보다 길다. 때때로 비슷한 것도 있지만 깊이가 칙경보다 큰 경우는 아주 드물게 있을 뿐이다. 이것들은 의부의 형태와 계단의 위치에 따라 6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그 6 가지 유형 은 벽을 따라 계단이 있는 원형, 중간에 계단이 있는 원형, 하나의 벽을 따라 계단이 있는 타원형, 두 개의 벽을 따라 계단이 있는 타원형, 중간 에 계단이 있는 타원형, 벽을 따라 계단이 있는 사각형으로 나누어진다 ……. 이러한 각 구덩이들의 위 부분에는 지붕이나 덮개가 있었을 것이 다. 비교적 작은 구덩이들의 중심부에는 보통 큰 바위가 있었는데 이것 은 중앙의 기둥을 받쳐 주었을 것이다. 비교적 큰 구덩이에도 중앙에 커 다란 바위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보통 더 작은 바위들이 구덩이 윗부분 의 테두리 를 따라서 구덩이를 둘러싸고 있었다. …… 일부 구덩이에서는 무너진 지붕의 유물인 듯한 흙에 풀을 섞어 바론 지붕의 조각들이 되적 물 사이에서 발견되었다〉 20) (그립 15).

20) 石璋柚 『小屯殷代的述築追 'n 』, pp.1 3 1-136.

주거구덩이에 대한 고고학의 결과가 아직 체계적으로 발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구덩이들 속에 들어 있던 내용물에 대한 이용이 가능한 정보는 아직 얻지 못하고 있다. 리지(李濟)는 『은허도기집성』(殷植隣器集 成 )21) 에서 자신의 분류체계의 유형 표본으로서 질그릇 견본들을 섣명했는 데 그 견본들 중에는 위에서 말한 5 개 집단의 47 개 구덩이의 일부에서 나온 것으로 나타난 9 점의 완전한 그릇이 있다. 이 그룻들에는 전형적으 로 먀오푸북지 (苗圓北地) 1 기의 질그릇 22) 이나 샤오문(小屯) 납부지구 초 기의 특칭을 지닌 리 (퓸, 세발솔, YH190 구덩이에서 빌굴), 궤이 (I, 굽사 발, YH3o2), 여우(孟, 주전자, YH285), 밀이 편편한 판(福 단지, YH272) 이 포함되어 있다 .23) 샤오문(小屯)에서 발견된 질그룻의 유형에 따른 연대기는 곧 자세히 언급될 것이다. 여기서는 이러한 질그릇 집단 의 유형은 이 구덩이들이 참으로 이른 시기의 것임을 분명히 보여주며, 인쉬 (殷城) 질그릇의 일반적으로 통하는 4 단계 체계의 첫번째 시기는 적 어도 부분적으로는 아마도 왕조 이전 시기에 해당될 것이라는 말로 충분 하다.

21) 李弁, 『小屯園器』. 22) 中困科學院 考古硏究所 安陽 현장의 전시관에 분류되어 전시되어 있다. 23) KK, 「 1973 年 安陽小屯南地發堀簡報」.

N . .

“`,sg. -._- ..- • ---。 •-• i• ` ` ' ~一c 5 m. .. `` ,.,.,'1, ·•`,•\` . •.. ` •` `. ` ` .a.oo 그립 '5 g'l、 i屯의{ 아왕따조 따人1, . 대l· 1떄34)”. 의 단면 구조군印k \\` r,\、 屯

샤오문(小屯) 유적지에는 상(商)시대의 것이 확실한 많은 묘가 있다. 아래에서 언급되겠지만 이러한 묘들은 흔히 왕조시기의 지상식 전축과 관련하여 설명되어 왔다. 그렇지만 공간적으로 말하면 독립적인 그 밖의 다른 묘들이 있으며 그것 들 의 연대 추정은 충위에보다는 제품의 유형에 더욱 근거 를 두어야 한다. 제 5 호 묘가 왕조시기가 처음 시작될 당시의 묘라면 유형상에서 재 5 호 묘보다 앞선 제품을 포함하는 모든 샤오문(小 屯)의 묘들은 왕 조 이 전 시기에 속하는 것일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막스 로우얼 (Max Loehr) 이 제시한 안양(安腸) 청동그릇의 5 가 지 양식의 도움 을 받 을 수 가 있다. 적어도 이제까지 발표된 제 5 호 묘의 청동그릇은 l 확실히 로 우얼의 양식 W 와 V 에 속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근래의 발견은 청 동 기의 연대 설정에 아주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것은 로우얼 (Loehr) 이 가장 마지막 단계로 분류했던 양식이 한때 생각되었던 것과 같이 인(tt)의 마지막 시기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안양(安'냐) 왕도 시기의 초기에 아 주 가까운 우땅(武丁)의 통치기에 이미 나타났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또한 로우얼에 의해 양식 1 기 I 으로 분류될 수 있는 샤오 툰 (小屯)의 청동그릇이 만약 후기의 양식을 동반하지 않는다 면 왕조 이전의 시기에 속할 가능성이 있음을 암시한다. 이러한 묘들에 서 출토된 청동그릇에 대한 버지니아 케인 (V i r gi n i a Kane) 의 분석에 따 르면, 25 > M is s, M222, M232, M333, M388 과 같은 묘가 그런 부류에 속 한다. 그것들 중에 M232 와 M333 은 쩌우헝(til l 衡)이 자신의 분류체계에 있어서의 가장 빠른 분기로 분류하였으며 M388 과 Ml88 은 두번째 분기 로 분류하였다 .26) M222 에 대한 스장루( 石 璋 kn) 의 상세한 설명에 근거하여 우리는 그것이 후기의 특칭을 내포하고 있어서 왕조 이전의 집단에 포함시켜서는 안된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7) 나머지 4 자리의 묘 중에서 2 자리는 건물 기초 24) KKHP, 「安賜殷城1i.號墓的發堀」. 25) A Re-exami na ti on of An-Yang Archaeolog y, p.1 08. 26) 鄒衡의 「試 論 殷城文化分J UI 」 참조. 27) M222 는 동서로 향하고 있고 길이는 2.2 미터, 폭은 1. 05 미터, 깊이는 o. 31 미터인 황색과 회색의 흙으로 메워진 직사각형의 구덩묘이다. 사람의 해골 3 개가 내부에서 발견되었다. 하나는 西,衍깝에서 삭쪽운 향해서 히 리가 구부러지고 얼굴이 엎어진 채로 있었다. 다몬 두 개는 A£,r. t l; 에서

둘의 중부(乙) 집단 내에 위치하고 (Ml88, M232), 다른 2 자리 (M333 과 M388) 는 남부 (丙) 집 단에 속한다. 스장루 (石范 11n) 는 28) 그것 들을 건물의 기초에 부속된 묘, 죽 건물의 건축과 관련된 의식의 제물로서 그곳에 설 치된 묘일 것으로 간주했지만 Ml88 과 M232, M333, M388 은 모두 독립 적인 묘이기 때문에 이것은 단지 그것들의 위치를 근거로 하였을 뿐이며 층위상의 근거는 없다. 이 4 자리의 묘에 대한 이용이 가능한 설명은 다 음과같다.

서쪽을 향해서 있었는데 북쪽의 해골은 얼굴을 위로 하고 남쪽의 것은 엎어진 채로였다. 부장품은 청동그릇 4 접 (鳩 2 접, 爵 2 접)과 질그릇 3 점, 사슴뿔이 있었다. (石璋女 u, 「乙區基址上下的墓葬」, pp. 159-166 참 조)• 바닥이 둥근 躍과 윗부분에 손잡이가 달린 堡를 포함하는 질그릇은 小屯북부지구에 있는 중부그룹의 질그릇 표본의 형태와 비슷하다 (KK, 「 1973 年安陽小屯南地發堀簡報」, pp.3 5-36 참조). 충위학적으로 그 묘는 건물기초에 끼워져 있었다(石璋女 n, 위 책 p.1 60). 이러한 이유 때문에 M222 는 그곳에서 출토된 청동그릇의 유형적인 특성에도 불구하고 왕조 이전 시기에 포함시켜서는 안된다. 28) 石璋女 n, 『殷植建築遺存』.

Ml88 ; Ml88 묘는 동쪽에서 서쪽을 향하고 있는데 길이가 동서로 1. 8 마터, 너비가 남북으로 1. 08 미터, 깊이가 0 . 55 미터이며 다져지지 않은 황토로 채워진 직사각형의 구덩이식 묘이다. 사람의 뼈 2 명분이 그 안에 있었다. 하나는 묘의 동반부(束半部)에 위치하여 머리는 북쪽을, 얼굴은 동쪽을 향하면서 무릎을 꿇은 채, 팔은 앞으로 포개져 있었다. 다른 하 나는 묘의 서반부(西半部)에 있었는대 머리는 북쪽을 향했지만 얼굴은 서 쪽을 향했으며 역시 무릎을 꿇고 팔을 등 위로 포개고 있었던 것 같다. 대부분이 서쪽에 있는 사람의 머리말에 있었던 묘의 부장품은 1 점의 명 (세f, 세발솔), 1 점의 시엔(ti, 세발솝), 1 점의 휘 (鉢, 대접), 2 점의 지아 馮 세발술동), 1 점의 삐엔(철 높은 궁사발 혹은 꿰이五, 굽사발), 1 점의 꾸(麻, 술잔) 등으로 구성된 8 점의 제기를 포함하고 있다(그립 16, 17). 스장루(石璋女 n) 는 그 두 사람들(그들의 팔이 앞뒤로 묶여 있었던 접으로 판 단하여 남녀 1 쌍이었을 것이다)이 그릇둘을 관리하면서 제사의 시중을 드 는 사람이 었다고 믿고 있다. 29)

29) 石璋女 n, 『北組墓葬』, pp.3 43-350.

4

6 5 o 5_ 10 15 20cm. 그림 16 小屯의 왕조이전 시기 Ml88 호 묘에서 충토된 유문(石璋 如, 『 北 Hl 墓非 』 , 도판 10~) .

그림 17 MlBB 호 묘 발굴시의 유물 분포(石璋 *n, 더tgJl강 E 』, 도판

242).

M232 ; 이 묘는 1976 년에 제 5 호 묘가 발견되기 전에는 샤오문(小屯) 에서 발견된 가장 큰 묘였다. 그것은 구덩이식 묘였지만 그 내부에는 나 무로 된 묘실(외부의 치수는 길이가 남북으로 3 . 10 미터 너비가 동서로 2.15 마 터 깊이 1. 3 5 마터였다)과 나무로 된 관(빨간색의 옻이 칠해졌고 남북 2.1 마터 동서 0.9 미터 깊이 0 . 8 미터였다)이 있었다. 아마 묘의 주인은 관에 매장되 었을 것이지만 이전에 도굴되었기 때문에 그의 뼈는 찾을 수가 없었다. 8 명의 순장된 사람의 뼈가 묘실 속에 있었고, 4 마리 개의 뼈도 1 마리는 구덩이의 바닥에 나머지 3 마리는 묘구덩이 맨 위쪽 근처에서 발견되었 다. 대부분이 묘 실 내부에서 발견된 묘의 부장품(그립 18) 은 10 점의 청동 그릇( 脈 2 점 . 爵 2 점. 伴. 2 점, 鉢 2 점, !Ill 1 접, 盤 1 접)과 9 점의 무기 (청동창 戈 6 자 루 , 돌창 戈 2 자루, 돌 도끼 1 자루), 9 벌의 머리 장식품(옥 • 터기옥 • 조 가비 • 돌 • 청동 • 뼈로된), 1 점의 돌철구를 포함하고 있다 .30) M333 ; M 3 33 은 지상에서 0 . 95- 1. 75 미터 정도 내려간 구덩이식 묘인 데 거기에 있 는 4 명의 사람의 뼈 중에서 3 명은 순장된 사람의 뼈인 것 같고 바닥의 중앙에는 1 마리의 개가 매장되어 있었다. 부장품은 10 점의 청동그릇 ( AA 2 접, 爵 2 점, 鼎 2 점, 1f: 2 접, 鉢 2 접), 1 점의 청동칼, 12 점의 옥 장식품과 돌 제품, 29 점의 뼈제품과 조가비제품, 2 점의 진흙제품 등을 포한한다 . 31) M38B ; M388 은 4 명의 사람의 뼈가 들어 있었던 지표에서 0.95-2.06 미터 정도 내려간 구덩이식 묘인데 뼈 가운데 3 명의 뼈는 순장된 사람의 뼈 였던 것갇으며 바닥의 중앙에 1 마리의 개가 매장되어 있었다. 부장품 은 10 점의 청동그릇(AIJl 2 접, 爵 2 정, 鼎 1 점, 罪 2 접, 鉢 2 접, Jfl\lJ:j l 점)과 5 점의 청동창(戈), 33 점의 옥조각과 돌조각, 2 점의 떠우 (I J.-굽보시기)가 있었다 .32) 샤오문(小屯) 북부지구에서의 왕조이전의 상(商)문명의 점유시기의 것 으로 알려지거나 추정된 위의 자료들을 요약하면 주거지역의 크기가 적 어도 동서로 90 미터, 남북으로 170 미터는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 지역 내에 200 채 이상의 주택들이 밀집되어 있었을 것이다. 집들 사이에는 물 30) 石璋女 ll, r 南組墓 4k 』 . 31) 石璋i n, 「小屯 8 t{t丙耕基 h t及;Ji 1 i UEI 現{仇」, pp.7 9,-798, 32) 위 책.

0I 1_0 20 cm.

,~ \ lffll l'/ 요- H-鼻、 \

이 훈러내리는 도랑으로 된 배수체계가 갖추어져 있었다. 이러한 집들에 서 발견된 유물들 중에는, 비록 이용가능한 자료에 근거하여 정확한 목 록을 작성하는 것은 불 가능하지만, 질그릇(인쉬의 질그룻 연대기에서 l 기 에 속하는), 돌제품, 문자가 새겨지지 않은 점뼈, 청동기로 보이는 제품 들이 있었다 . 아마 4 자리의 묘가 이 시기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며 그 가 운데 2 자리 는 거주지역의 남쪽 집단에 속하고 다른 2 자리는 도랑체계에 의해 윤곽이 잡혀진 주 거지역의 중앙에 있었다. 이 묘들은 이 단계의 상 (商)의 예 술 과 기술이 정저우( 鄭 州) 후기의 것과 유사한 수준에 있었으며 사회의 수준이 왕조시기의 그것과 그다지 다르지 않았음을 가르쳐 준다. 그 묘들이 모두 주거지와 같은 시대의 것인지 혹은 그 주거 가옥들이 귀 족(묘의 주인으 로 매 장된 )의 것을 포함하는지에 대한 언급은 불가능하다. 그렇지만 비 록 소 규모이기는 하더라도 샤오문(小屯)은 도읍의 지위를 차 지하기 이전에도 인구가 조밀하였으며 그 거주자들 중에는 정치적 지위 가 높은 사람도 포함되어 있었다는 것은 분명하다. 북부지구에서의 왕조기의 상(商)의 점유 왕조시기의 샤오문(小屯 그리고 안양安陽의 그 밖의 다른지역) 유적은 보통 규모의 주거지로부터 고고학적으로 세 가지의 새로운 특칭이 출현 하는 왕도로 질적인 변모 를 하였다. 그 세 가지 새로운 현상이란 상당한 규모의 건물 기초(궁궐 기초)와 문자가 새겨진 점뼈, 〈왕릉〉이라는 명칭에 어울릴 만한 정도로 거대하고 부장품이 풍부한 묘이다. 문헌기록에 따르 면 재위 14 년( 『古 本竹 杏 紀年』에 따름)에 도읍지를 인 (0 t)으로 옮기고, 그 14 년 후에 사망했던 왕이 판껑(盤庚)이다. 판껑(盤庚)의 뒤 를 이어 번갈 아 계승했던 두 동생 (小莘 小乙)이 그 후 30 여 년의 세월을 통치했는 데 ,33) 대략 45 년 정도 되는 초기의 이 시기는 아직까지 확실하게 고고학 상의 기록과 세부적으로 일치하지 않고 있다. 그렇지만 모든 문헌에 59 년간 동치했다고 기록되어 있는 다음 왕 우명(武丁)은 아주 활동적이었으 며 두드러진 기록을 남겼다. 1976 년에 발굴된 제 5 호 묘는 일반적으로 허 우신(后辛)으로 알려지기도 했던, 우명 (武丁)의 주요한 배우자들 중 한 33) 董作賓, 『殷府 譜 』 上編 卷 4, pp.9 -11.

/ 사람인 후하오 ( ~11 好 또는 子 姓 출 신의 여성)의 묘인 것으 로 믿어지고 있 다. 이 묘는 유문이 아주 풍부했고 잘 보존되어 있었다 . 그러므로 필자 는 이 묘 를 우명 ( 武丁 ) 시기 를 대 표 하는 것으로 이용하 고 자 한다. 45 년 동안의 우명왕( 武丁 王 ) 이전의 왕조시기 는 차 후 의 고 고학적 발 굴이 진행 되어 다론 증명이 있 을 때까지 당 분 간은 우명 ( 武丁 ) 시기의 개시 단계로 간주할 수 있다.

후하오( 婦 好) 묘 ; 상(商)의 유 물들 은 1975 년 겨 울 에 C 구 역의 남쪽 끝 지점에서 서쪽으로 대략 200 미터 떨어진 , 샤오 툰 (小屯) 촌락 의 북서쪽에 있는, 그 주변 을 둘 러싼 들 판보다는 약간 튀어나온 토지 에 서 농경작업을 하던 도중에 발견되었다. 1976 년 여 름 에 이 유 적은 중국과학원 의 고고연 구소 안양발굴대에 의해 발굴되어 그곳에서 12 자리 이상 의 상(商 )의 건뭉 기초와 8 개의 구덩이, 12 자리 이상의 상( 商 )의 묘 가 발 굴 되 었 다. 그 묘들 중에서 제 5 호 묘가 가장 규모가 크고 중요하다 .3 4)

34) KKHP, 「安 Fg g訪猿 五 賊 墓 的發堀」 ; KK, 「殷城 考古發 堀的又 一重 炭收稷」 ; CR, Best- P reserved Yi n Dy n asty Tomb ; JH , 「殷城考 古 的新發現」.

제 5 호 묘의 구조는 주로 위의 왕 조 이전 단계에서 설 명 한 M232 와 동 일한 전통 을 지녔지만 제 5 호 묘가 더욱 복 잡했 고 부 장 품도 더욱 풍부했 다. 그것은 또한 주로 방향이 북에서 남으로 향 한 직 사 각형 의 구덩이식 묘였다. 묘구덩이의 출 입구 는 단지 지표에서 0.5 미터 아래에 있었고, 아 마도 지하의 매장에 대한 재사용의 구 조물 로 지어 졌을 것 으 로 보이는 길 이 5.5 미터 너비 5 미터의 지상식 건물의 기초가 묘구덩이의 바로 위에 위 치하고 있었다. 묘구덩이의 입구는 남북 5.6 미터 동서 4 미터였고, 구덩이 의 깊이는 7.5 미터였으며, 구덩이의 벽이 약간 안쪽으로 기울어져 있었 다. 구덩이의 입구에서 약 6 . 2 미터 내려오면 폭이 0 . 3 미터 높이가 1. 3 미터 인 토대 ( 土?J: , 二沿장 )가 사방의 벽을 따라 만 들 어져 있었다. 동쪽과 서 쪽 벽에 있는 토대의 바로 위에는 2 미터 이상의 긴 벽감( 뽀 6 t , 장식 물 따 위 룹 놓는 벽의 움푹 둘 어간 곳)이 각 벽에서 하나씩 발견되었는데 그 안에 순장인이 매장되어 있었다. 나무로 짜여진 묘실이 토대 안의 구덩이에 들어찼으며, 묘실 내부에 관이 하나 있었다. 그 구덩이 바닥에서 사람과 개의 순장을 위한 작은 구덩이 하나가 중심부의 서쪽에서 발굴되었다.

그 묘의 여주 인 은 아 마 그 관 에 놓 여 졌을 것 이며` 1 6 명의 순 장인( 묘신 의 위부분 에 ‘ 1 명이. 동쪽 벽감 아 래 의 내 부 에 2 명 이, 서쪽 벽감 내 부 에 l 밍이. 묘 실 바 닥 에 파 진 구 덩 이 에 1 명 이 각 각 발견되 었으며 그들은 원 래 위치 선 알 수 없 지만 묘실 내 부 에 있었을 것 으 로 보 이 는 나머지 8 명은 지하수에서 찾 아내었 다 ) 과 순장된 개 6 마리 (바 닥 아래 의 구 덩이에 한 마리. 나머지 는 묘실 윗부분 에 서 ) 가 함께 매 장 되어 있었다 . 16 명의 순 장인 들 중에서 4 명은 남자인데 그 들 중 한 사 람은 젊은 사람 이었 고 , 여 자 어 린 이가 2 명 있었으며 나머 지 사 람 들 의 성 별과 나이 는 명확 하지 않았다. 적 어 도 한 명은 살해된 뒤 에. 다 른 한 명은 허 리가 반으로 잘려진 뒤에 매장되었다. 많은 양의 부장품 이 묘의 여 러 부분 죽 관의 내 부 와 묘실 내부, 묘 입 구의 1 미터 지점 에 이 르는 묘구덩 이 룰 채운 흙 더미 속 에 놓 여 있었다. 전체적으 로 약 7 천점 의 화폐 용 조가 비와 함 께 1 , 600 점 이상의 유 물 이 부 장되어 있었다 . 그 유물 들 가운 데 44 0 점 이상의 청동기, 590 접 이상의 옥 제품. 560 점 이상의 뼈제품 , 7 0 점 이상의 돌 제 품 , 몇 점의 상아조각품 몇 접 의 흙 제 품 . 1 2 접 이 상 의 조가 비 제 품, 3 점 의 바다 조가비가 있었다 ( 그립 19 참고) . 이러한 것 들 은 구 덩이 를 채운 충충 이(각 충 의 깊이 는 10 - 11 센티미터) 다져진 흙 더 미 사 이와 묘 안에서 발 견되었다. 재 5 호 묘는 도굴 꾼 들 이 적 어 도 800 년 동안 활 동했던 지역에서의 대다 수 의 상 ( , m) 시대 묘와는 달 리 묘 가 만 들 어진 이래 도굴 을 당하지 않았다. 따 라서 그 부장품 의 풍부함 때 문 에 이것은 상( i R i)시대 고고학사에 있어서 가장 중 대 한 발 견 이 된 다. 1928 년에서 1937 년 사이에 안양(安陽)에서 발 굴된 모 든 청동그릇은 전체 숫 자가 176 점에 불 과하여 그 수 는 이 하나의 묘 에서 발굴된 청동그룻 의 숫자 보다 훨 씬 적 다. 그러므로 재 5 호 묘는 인 (殷) 시대 초기 의 상 ( 商 )의 예 술 과 기 술 의 수 준 과 성취에 대하여 더욱 사 실적 인 척도 을 제공해 준 다. 게다가 그 묘의 여 주 인의 이 름 이 알려져 있 는 데 그녀 는 이전의 갑 골 문 연구에서 잘 알려진 역사 적 인 물 이다 . 많은 청동재 그릇 과 무기, 약간의 옥재 풍 과 돌 제 품 에 문 자가 새겨져 있었 는 데. 그 명문 중에 는 이 · 상이나 상징인 7 가지의 문 자가 포 함되어 있다. 후 하오 ( h t h f)라 는 이 곱 은 60 점 이 상의 재 품 에서 나타나고, 허우신 (I 급 f: )은 거대한 사각형의 솝 2 접운 포 함 한 적 어도 5 점의 제품에 나타나며. 허우 두 (/급 菜) 는 20 여 점의 재 품 에 나 타난다. 상징부호인 3 개의 야 (1:: ! ) 아무개라 는 이 름 과 속찬 (~Ui l 또는 {束

c d

e f g 그림 19 婦好慕에서 출 토된 유물의 일부(人民 曲 報, 1977 : 6, 1978 : 1),

1s ;

홉, • : •후 璃

·..:. . ‘ k-_ 一 Y:'’ 그립 20 婦女子墓에서 출토 된 婦好(왼쪽)와 后辛 (오른쪽)의 청동키 銘文 (KKHP. 「安 FJ ,} 0 妹城五號짜硏輝 」) .

泉)이리는 이 름은 비교적 적은 수의 제품에 나타난다. 또한 후하오(§錢f, 子 姓 출신의 여성)는 그녀의 이름과 활동이 우명(武丁)시기의 갑골문에 자 주 나타나 는 두드러진 인 물로 서 이미 알려진 우명 (武丁)의 64 명의 배우자 중의 한 사람이다. 갑골문에 의하면 그녀는 군사원정의 지도자로 알려져 있으며 , 0 왕도 밖에 토지 를 소유한 여자 지배자였고, 때때로 특별한 제 사의식 을 담당했으며, 그녀의 병·출산·일반적 행복에 관련된 우명(武 丁)의 접복의 대상이기도 했다. 그녀는 우명(武丁)의 긴 재위기간 동안에 죽었다 .35) 허우신( 后辛) 이라는 이름 또한 중요하다. 죽 후기 상황(商王) 35) 王宇信 • 張永山 • 楊升南, 「試 論 殷坡五號 墓 的面 WF 」. ® 甲骨文에는 婦好가 3 천명의 병사 를 이끌고 전쟁에 참가한 기록이 있다. 婦女r 를 武丁의 王 kE 로 봉 때에는 왕비였던 婦女F 가 군사원정의 지도자 또 는 여장군이었다는 것이 된다. 그러나 婦好가 여자 개인에 대한 칭호이 기도 하며 동시에 그 여자의 출신부족에 대한 명칭으로도 사용되었다는 견해에 따르면 군사 를 거느리고 전쟁에 참가한 것은 婦女 F 라는 여자가 아 니라 그의 출신부족 족장이었다는 것이 된다(尹乃鉉, 『 商 王朝 史의 硏 究J, 禁仁文化忠 1978, pp. 197-202 참조).

의 제사력 (t1 頂 El 任, 뒤에 설명되겠지만)에서 우명 (it J . )은 신( '(:). 꿰이 (笑), 우(戊)라는 3 명의 공식적인 배우자와 짝을 이루어 나타났기 때문이 다. 이러한 이름들은 죽고 난 후에 붙여진 이름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왕 비 허우신(后辛)은 명백히 생전에는 후하오 (M ltf)로 알려졌던 배우자의 사후에 붙여전 이름이었다. 이 묘에서 갇이 나온 청동기 집단 중에 후하 오(婦好)나 허우신(后辛)이라는 이름이 함께 나타난다 는 사실 은 이 두 개 의 이름이 우명(武丁) 시기의 갑골문에서는 후하오 ( M /Jf) 로 알려졌던 동 일한 사람을 칭하는 것이었다는 합리적인 증거가 된다(그림 20 ). 이것은 상(商)시대 역사에서 하나의 고고학상의 발견이 역사상의 개 인으로 확인 될 수 있는 최초의 사례이다 .36) 궁궐 기초 ; 왕조시기 동안의 샤오툰(小屯)의 가장 두 드 러진 고고학적 특징은 중국의 고고학적 `용어로는 기지( 基 址, 건 물 기 초의 유적 ) 로 알려진 지상식 건물의 항토(芬 土 , 흙을 다진)식 기 초 이다. 엄 격 히 말 하면 기지는 항토기법을 쓰지 않고도 굳건하고 평평한 땅에 지어 질 수 있지만. 샤오 문(小屯)에 있는 대부분의 지상식 건물은 적어도 얇 은 두 께의 항토 기초 위에 세워졌고, 건물 중 일부는 30 충 이상의 다져진 흙 으 로 이루어진(그 립 21) 깊이 3 미터의 두꺼운 기초 위에 축조되었다. 그 기초 가운데는 일 부 불규칙한 것이 있지만 대부분이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이었다. 위에 는 목조 건축물이 지어졌는데 이따금 받침대의 역할을 하는 큰 돌이나 청동판 위에 기둥이 세워졌으며 그리고 나서 그 위에 초벽과 초가 지붕 을 만들었다. 현존하는 고고학적 유물 가운데에는 건물의 기초와 기둥 구멍, 일부 큰 돌이나 청동으로 된 기둥 받침대, 벽에서 떨어졌을 것으 로 보이는 초벽의 파편 등이 있다 .37) 일부 기둥 구멍과 큰 돌들에서는 이러한 건물들이 불에 타서 소실되었음을 암시하는 불이 났던 증거가 보 36) 후기의 갑골문에 다른 婦好· 가 있는데 일부 학자들은 제 5 묘 를 후기의 hi 好묘와 동일시하려는 경향이 있다 : KK, 「安陽殷城五號gg l4 선,i炎紀吳i」 참 조. 그렇지만 婦好와 后辛의 결합이 처음에 확인했던 것을 강력히 뒷받 침해 주고 婦好묘에서 발굴된 집합물 전체의 양식이 후기의 것보다는 앞 선 연대임을 지적해 준다. 37) 石璋凱 「小屯殷代的述築迫蹟」 ; 『殷城建築迫存 』 ; 『 8 차 \;:(l~ J* l·.)~ i築 9F 一 ,i 建築」.

그림 21 흙을 다져 만 든 집의 기초(石璋女 n, 『 殷城述築迫存 』 ).

인다 . 38) 기둥 구멍과 큰 돌의 형태 를 근거로 하여 스장루(石璋加)는 샤오 툰(小屯)의 상왕조(商 王 朝) 시대의 3 채의 건물을 재구성했다 39) (그립 22). 53 자리의 항토식 기초가 대일항쟁 전에 샤오문(小屯) 복부지구에서 역 사어언연구소( 歷史語 言 硏究所)에 의해 발굴되었다. 가장 긴 기초는 길이 85 미터 너비 14 . 5 미터이고 가장 거대한 것은 길이 70 미터 너비 40 미터이 다. 스장루(石璋女 n) 는 이러한 건물들을 3 집단으로 나누었는데 그것들은 15 자리의 기초로 구성된 북부집단(甲그품), 21 자리의 기초인 중부집단(乙 그룹), 17 자리의 기초인 남부집단(丙그룹)이다 40) (그립 23). 그러한 건물들 이 때로는 규모가 방대하고 배치가 규칙적이며 일부 건축물과 관련이 있 38) 石璋女 1l, 「殷城述築迫存』, pp.4 9-SO. 39) 石璋女 1l, 「殷代地上建築復原之一例」 ; 「殷代地上建築復原的第二伊 l 」 : 「殷代 地上建築復原的第三ff!J」. 40) 石璋 1111, 갱밌虛述築遣 1: f. 』 .

` ~tµ 中

,

+

~1\I도 선「 E

l

炤}된r

픽 r

:

:f.( -lJ .fH떤효u. 11서쭙1 出 l-i 可,中f.B)l버F숭EY II1Jl°(모 H·--!nf·교:입4:rll [二

中K 도 曲 1

c 1시 '可판『i)-nt 『慰

` 언

守 H

.

// 一. ... — _0_A1_ .’

\/三 -:도 ·홍 ; 4C2I/ :\ 三 ';/\\ 一 잡:C懿1C' 행.C정1g7! S3 그립 23 판小 屯4의) . (3 집A-터 북 부집집단 의단 : 평B면-도 중(부石집璋 如단, ; C『-殷 남城부建집築 追단)存 』. , 도

는 것으로 보이는 순장인(뒤에 설명 됨)이 많았다는 측 면에서 보아 이러 한 건물들이 궁궐이나 종묘로 설명되었고 일반 적 으로 샤오툰(小屯) 북부 지구는 안양(安 陽 ) 중심부의 중앙으로 믿어진다. 북부집단의 15 자리의 기초는 대략 남 북 이 100 미터, 동 서가 90 미터의 지역인 D 와 E 구역에 위치하였는데 대 부 분이 남 북으로 길 게 세워져 서로 평행되게 배열되어 있다. 대형 건물은 문이 동쪽을 향했지 만 작은 것은 남쪽을 향했다. 이 지역에서는 인간이나 동물 의 순장 이 발 견되지 않았 다. 스장루( 石璋 女 N) 는 이러한 건물들이 거주 용이 었다고 믿고 있다. 충위 와 관련된 자료에 근거하여 스장루( 石璋 !i n ) 는 또한 북부집단 의 건축물 들 은 비록 그 건축물들이 인(t反)시대의 말 기 까지 계속해서 남 아 있었다고 해도 아마도 우명(武丁)의 통치기 동안에 최초로 지어졌을 것 이라고 믿고 있다. 만약 그가 옳다면 왕조시기 최 초 의 기 간 동안 샤오툰( 小屯)의 거주 배치형태는 북부의 거주지역과 남서쪽으로 300 미터 가량 떨 어진 매장지 역(후하오婦好· 의 묘가 위치한)으로 구성되었 을 것 이 다.

중부집단은 대략 납북으로 200 미터, 동 서로 100 미터 정도 의 튀 어나온 지역에 있고 주로 B 구역과 C 구역 내에 있 는 21 자리의 건물 기 초 로 구성 되었는데 스장루( 石璋 女 n) 는 이 집단이 북 부집 단 다음에 지어진 것이며 아 마도 쭈지아( 祖 甲)의 재위기간에 축 조가 시 작 되었 울 것 이라고 생각한다. 이곳에서의 대부분 (16 채)의 건물은 문이 남 쪽을 향했고 단 지 몇 채 (4 채)만 이 동쪽을 향했다. 많은 거대한 건물들은 전 체 적 인 계획 에 따라 서로 관 련되어서 위치가 정해진 것 갇다. 그 배열은 순수 한 황토의 정사각형 토 대인 乙 -1 기초 를 기점으로 북쪽에서 시작되었다. 다 른 전 축 물 들 은 아마 도 동서로 대칭되게 2 줄을 지어 남쪽으로 내려오면서 건 축 되었던 것 갇 다. 乙 -1 토대의 남쪽인 중간지역에는 3 채의 건물(乙 - 3, 乙 -9, 乙 -11) 과 남 쪽을 향해 연결된 5 개의 문(乙 -3 에 3 개, 乙 -9 에 1 개 , 乙 - 11 에 1 개)이 있었 다. 게다가 이 지역에는 많은 사람과 동물, 마차가 순장되어 있었다. (그 립 24). 스장루(石璋女 1l) 는 특히 乙기초 근처 (그립 25) 의 이러한 매장이 기 초 를 놓거나 기둥을 세울 때 그리고 문을 설치하거나 공정을 완수할 때 제물로 제공되었으며 일부 건물의 건축과정의 일부였다고 믿고 있다.'

41) 石 璋 柚 「小屯 C 區 的 墓葬 群」.

c

五 广 g1I ,O'” & o i □ 그다림言: 픽건n2『o4 盟, 땅i'g간:如小건 .o印f',ml :屯. Jgg ij “의aa 『G g Og1 北f8 S 5 J 중組 墓부葬’‘I 집II_』I儒 였ILI IIIa단, I_- I ag 의T I머 삼一} 8g 도 ' -­판i덤쌉 一I홉집m S峰 gg요 섬터 - 82f- ).범i및n'm t';z f心Sm〔 .r. n그 ., 와序e 1Z+ , 관'' I o·I,。 II,계 I2 •IIIIa'mzO'' l된 '홀I,I 回`''m r' 업 ‘ , ,묘2 1111II I IIIII,' ·'1I''L 'II'j지I,III필』'III'I-Il'',',L ' ---乙평.-”-묘면 도 보.-­칼t zi i(기 I'­II-IIIII'III 「j石 -璋, •g i ----一-'r h--2-----~ 건물기초 □ g

0 5 10 15 20M

,---------------

i] 乙 t ~t'II國O ~ HIR 協9당 1 0 1 탑t'g n E9” g 2 • 器逸 n 11l 0 [—” 玉zm책2X)陣1 @서 1 n껑`-`, 乞nr`1 어' b •°nI‘ ’ N ----------- ;홍J-;t -급-『§ -5二- °n85갑-t1껍n ’ n f‘o-nm m'U’-:頃,훑O훌l l'Do-OU :Ono -'f된 sOnn ~- s'stnrJI5 . 닮R 3 2 - C iM J- 1 `-汀汀 - -[巨·-\ 汀f〕템 따껍-\[ ,J-I f C턴孛-O융:-서0 〕t巴 f門:- : - 면-0던-널 円二-OQM H- 니5- )門- -®〕三- 言~- -RmCnn, 二 .1I,m-1 H”3 융9 · -{DI .]l 0 보기 巨충입문 ·'강 Z2 주추 .,강 rD:.J 머복 리원만 에강 屋업겹 묘건가물기+초강 서대 강 f수 에 ° 'll 이 부강틸 § 꿇 어앉은 간사 l 그곳이 부강필 ---멘Es) 一...... -- _. ._.__ -,,-갑감 드냐--..t.. .i.; `. .i:.;. .:..:uJ@-”- -t랑`..-:-김등 커” 어 린이1 0 @방 1 2부강0필M O 조가비가부강필 fo ) *n 紅驛 그립 25 믿小屯어의지 는중 매부장집(단石의璋 i乙 n, - 7 『 北집組터墓와葬』 그, 도건축판과 3 ).연 관된 것으로

그러나 모든 매장이 건축과정과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은 희박하고 일부 는 건축과는 무관한 순장이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순장은 이 건 뭉둘의 제사의식적인 성격을 가르쳐 주며 따라서 이 건물들은 참정적으 로나마 종묘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남부집단은 17 자리의 작은 건물기초로 구성된 가장 이색적인 집단이 다. 길이 50 미터 너비 35 미터에 불과한 지역에서 건물들은 북쪽에 위치 하여 남쪽을 향해 있었는데 그 집단에서 가장 큰 건물기초인 丙 -1 이 있 고 그리고는 그것으로부터 작은 건물들이 동쪽과 서쪽의 두 집단으로 나 뉘어 북쪽에서 남쪽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사람은 오른쪽에 동물은 왼쪽 에 배치되었던 많은 순장묘들도 건물 기초에 딸려 있었는데 그러한 기초 둘은 특별한 제사의식용으로 별도로 설정된 구역이었던 것 갇다 .42) 스장 루( 石璋 k II) 는 이 집단은 가장 늦게 건조되었으며 아마도 인 (0 t) 시대 말 기에 건조되었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 부속건물 계속 확장된 지상식 건물의 구역과 후하오(婦好)묘로 대표되 는 것과 갇은 중요한 사람을 위한 매장지역(왕실의 매장이 후안수沮水 북쪽 의 시대이깡西;Jt l 패에 집중되었던 반면에 중요한 사람을 위한 매장지역으로의 사용은 궁궐 건축 이 확장됨에 따라 우명武丁 이후에는 중지되었을 것이다) 이 외에도 샤오툰(小屯)에서의 상(商)의 거주는 다른 건축물과 그것들과 관 련된 활동을 포함하고 있었다. 모두 반지하식이거나 지하식인 이와 같은 건물의 적어도 3 가지의 주요한 범주는 주거(움집)와 저장구덩이, 작업장 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기본적으로 움집은 둥그스름한 형태, 임시 계단, 일부 경우에 있어서 의 낮은 벽을 특칭으로 하는 왕조 이전의 전통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러 한 움집 안에 들어 있었던 것은 대부분이 동물의 뼈와 모두 생필품인 질 그릇 조각이었다〉 43) 이러한 수많은 움집들이 샤오문(小屯)에서 발견되었 는데 일부는 지상식 건물 기초의 아래에 있었고 다른 일부는 기초의 옆 과 사이에 지어졌으며 또 다른 일부는 그러한 건물 기초에 끼어서 발견 42) 石璋女 11, 「小屯殷代丙용[l基址及J~1-T I UJ現像」. 43) 위마 85, 「 B 區發堀 i E 之二 」 , p.6 03.

되었다. 이러한 가옥둘은 그것들이 각각 존재했던 기간은 다양했지만 그 것들을 오랫동안 사용한 흔적을 입증해 준다 .”l 지상식 건물들이 왕실과 다른 중요한 사람들의 거주지를 포함하고 있었다면, 비록 이러한 움집들 에 대한 세부적인 보고가 없어서 특정한 웅집과 특정한 지상식 건물과의 정확한 관계를 연구하기는 불가능하다고 해도 이러한 움집 들 은 아마도 후원자나 관리자 또는 봉사 를 담당하는 사람들이 거주했을 것이다. 저장구덩이는 평면도에는 직사각형이나 원형으로 나타났고 보통 평면 의 너비보다 더 깊었다. 이러한 많은 저장구덩이들은 순 수한 녹 색의 토 양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확실히 곡물 창고였다. ◄5) 그 밖의 다 른 저장구 덩이들에서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는데 ◄ 6) 甲 -2 지상식 건 물 가까이의 H -16 구덩이에서는 수많은 청동무기 • 점뼈 • 흰색질그 릇 이 출 토되었으며 甲 -6 근처의 H-20 구덩이에서는 수많은 점뼈 • 악기로 사용 되 었던 돌조 각이 출토되었고 乙 -7 근처의 H-196 구덩이에서는 13 점 의 질그릇 떠우 ( 豆 -굽 보시기)와 단지가 1 벌을 이루면서 출 토되었으며 乙 - 5 근처 의 H -001 구덩이에서는 수십 개의 불로 지져진 어깨뼈가 나왔다. 그 리고 대 단히 중요한 것으로 乙 -7 과 乙 -12 근처의 H-127 구덩 이가 있 는 데 그 구 덩이에서는 1936 년에 300 개 이상의 거북 배딱지와 1 만개 이상의 점뼈 . 파 편 조각이 발견되었다. ◄7) 여기에서 분명한 것은 곡 물 과 정 교한 제품, 점 복 문서를 포함한 왕실의 재화의 거대한 일부분이 지상식 건 물 과 관련된 많은 지하 저장 구덩이에 저장되었던 내용물이었디 는 · 사 실 이다. 움집에 대한 산재된 설명에 비추어 볼 때 일부의 움집의 거 주 자들은 전문화된 생산활동에 종사했음이 분명하다. 꿔빠오쥔( 郭賓 g fJ )은 일찌기 1933 년에 중부 집단의 북쪽지구의 지상식 건물 지역에 있는 주 요한 제조 업 지역을 관찰하였는데 수백개의 청동기 주조 틀 과 수십개의 도가니가 청동기를 주조하는 곳이었음을 알게 하는 지역이 B-15( 중부그 룹 의 남쪽 끝부분의 지상식 전물 지역)에서 발견되었고, 수십정의 가공된 돌 • 옥 • 조 가비 제품 및 그리고 수천점의 돌칼을 통하여 돌과 옥의 작업장이었음을 알 수 있는 지역이 B-14 의 북쪽 또는 그 근처에서 발견되었으며, 약 천 4454)) 郭石貸璋f~抽. 『「 B殷 區城發建楓築記迫之存二」 』 ., pp.6 0~— 606 . 46) 石璋 ~n, 「殷代的芬土版築與一般述築」, p.1 33, 47) 石 璋 hII, r t밌虛最近之重要發現附論小屯地 H 」, pp.7 -8,

접의 뼈화살 촉 과 수백개의 뼈재료 조각이 뼈를 가공하는 곳이었음을 알 게 하는 지역이 B-12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48) 또 하나의 청동기 제조장 이 진흙 틀 ( 그 가운데 한 집에서 1610 접이 출토)을 지니고 있는 10 채 정도의 움집으로 인하여 밝혀졌는데 0) 그 움집들 가운데 두 채는 지하에 금속 용액을 부어서 주조하는 작업 방법과 상호관련되어 있었을 것이다 .50) 이 제조장은 . B - 15 근처의 청동기 제조장의 약간 북서쪽에 위치하는데 아마 도 그것은 B- 1 5 근처의 제조장이 확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주요 제조 지역 밖에 위치한 적어도 2 곳의 다른 작업장이 샤오문(小 屯) 북부 지구 의 북쪽 지역과 남서쪽 끝 부근에서 각각 발견되었다. 전자 는 E-1s1 저장 구 덩이 로 대표되는데 그곳에서는 질그릇 조각 의에도 760 점의 동 물의 뼈조각 , 102 접의 뼈 제품, 535 점의 연체동물의 조가비, 78 점 의 조가비 제품 조각, 89 점의 돌조각 , 444 접의 돌칼, 여러가지의 돌제 품, 1179 점의 거북등딱 지, 163 점의 화폐용 조가비, 그 밖의 잡다한 여러 가지 유 물 들 이 발견 되었다 . 5 1 ) 아와 다른 작업장이 1975 년에 발견되었는 데 그 곳은 한 집단 의 움집이 모여 있는 지대와 1 개의 저장구덩이, 수많 은 숫 돌 (g rind in g sto n e ) , 마감이 되 지 않은 돌제 품들, 아직 가공되 지 않 은 석재 를 포함하고 있었다 . 5 2) 왕조시기의 연대 편년 『 고본 죽서 기년 』 ( 古本 竹 딴 紀 年 )과 그 밖의 다른 자료들에 따르면 샤오문 (小屯)에서의 왕조시기는 273 년 동안 지속되면서 12 명의 왕이 재위에 올 랐다. 제 품이나 건물 또는 고고학적으로 기러한 짧지 않은 시기에 속하 는 사건 들 의 연대 를 설정하는 문제는 상(商)시대의 고고학과 역사에서 상 당히 중요하다. 샤오문( i j、屯) 전역의 충위 관계가 발굴자들에 의해 해결 되지 않았기 때문에 충위관계는 한정된 상황에서만 유용할 뿐이다 .53) 지 48) 郭賓 錫 「 B 區發堀記 之 一 」, p.5 94, 49) 石印 柚 『 殷坡述築迫tf· 』 , p.7 5. 50) 石璋 Ull, 「t H t (I 羽 E i 銅 工住 」, p.1 24-125, ,1) 石璋 ~ll, 「第七次殷城發 Ii i : E 區工 作報 告 」, pp.7 22-723, ,2) KK, 「 1975 年 安 l i},妹J底的新發現」. ,3) 鄒 衡 , 「 試論 殷坡文化分J UI 」는 그가 붕완전하개 반표되었던 자료에서 얻은

상식 건물들은 겹쳐 있지 않아서 그것들의 시기적 상호관계는 다른 건축 물과의 지층상의 관계 및 유물의 관련을 통해서 추정되어질 수 있을 뿐 이다. 그렇지만 이상적 연대기의 순서는 두 가지 범주의 고고학적 유물, 죽 갑골문과 질그릇의 변화하는 특징을 이용함으로써 찾 을 수 있다. 뼈 머리핀은 참재적으로 유용한 세번째 연대기적 표준을 제공한다.

갑골문의 연대설정 ; 인 (殷)에 도읍한 후의 첫번째 3 왕( 판 껑 선산 /)t, 샤오 신小華 샤오이小乙)의 시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갑골문은 아 직 까지 확인되 지 않았다. 54) 그러므로 지금까지 샤오툰(小屯, . 그리고 안양 ':H t }의 다 른 지 역)에서 발견된 모든 갑골문은 상(商)시대 역사에서 최후의 9 명의 왕이 재위했던 시기에 속하는 것이다. 그 9 명의 왕은 우명 ( 武丁 ), 쭈 껑 (IiI l IJ £ ), 쭈지아(祖甲), 린신(底 辛 ), 캉명 (康丁), 우이 (武乙), 원우영 ( 文武 「 ), 띠이 (帝乙), 띠신(帝 辛 )이다(여기에 제시된 이 름들 은 「은본기」(殷 本紀)와 일 치하 지 않는 수정된 왕의 계보에 따른 것이다. 자세한 것은 3 장 참고 ). 갑골 문의 연대설정은 사실 9 명의 왕 각각의 재위기간에다가 갑 골 문 을 연결 시켜 추 정한 것이다. 그렇지만 어떤 갑골문의 내용에도 당시의 왕 이 름 이 표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것은 쉬운 작업이 아니다. 그러나 거의 모든 갑골문이 왕실 내부의 활동과 관련된 것이어서 사망한 왕은 자 신의 혈연 관계와 더불어 그들에게 사후에 붙여지는 주기적인 표시(간 자 )에 따라 칭 해졌다• 그러한 왕의 칭호는 그 칭호가 어느 왕을 지칭하 는 지 구체적으 로 확인될 수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왕들 가운데 간자가 같 은 왕이 많았으며 왕의 아버지와 아버지의 형제가 구분없이 같은 용어인 부(父)로 일컬어졌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갑골문에 부이 (父乙)로 나타나는 이름은 우명(武丁)의 아버지인 샤오이(小乙), 원우명(文武 丁 )의 아버지인 우이(武 乙), 띠신(tf辛)의 아버지인 띠이 (帝乙) 가운데 어느 한 사람인 것이다. 또한 부명 (父丁)은 쭈껑 (祖 )k) 과 쭈지아(祖甲)의 아버지인 우명 (武丁), 우 이 (武乙)의 아버지인 캉땅 (J i l t丁), 띠이 (帝乙)의 아버지인 원우땅 (文武丁 ) 가운데 어느 한 사람인 것이다.

정보를 발췌해야만 했기 때문에 시도는 훌륭했지만 결정적인 근거로서 이용될 수는 없다. 54) 陳夢家 『殷猿 卜 笛綜述』, p.1 39,

갑골문에 나타났던 조상의 신원은 일반적으로 잘 쓰이지 않는 간자가 나타난다거나 여러 부(父)들이 함께 언급되었을 경우에 더욱 확인하기가 쉬워진다. 아버지 신(父 辛 )이라는 이름이 기재되어 있는 갑골편은 우명 ( 武丁 ) 시기 아니면 우이(武乙) 시기에 속했을 것이고, 아버지의 이름 모 두, 죽 아버지 지아(父甲), 아버지 껑(父庚), 아버지 신(父 辛 ), 아버지 이 (父乙)가 나타나 있는 갑 골 편은 우명 (武 丁 ) 시기에서만 찾 을 수 있다. 갑 골문 연구 초 기에는 이런 식의 연대설정의 방법이 이용되었지만 55) 그것 이 결코 대부 분 의 경우에 정확하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많은 왕들이 갇 은 간자 를 사용 했을 뿐만 아니라 이전의 왕들 이외에도 왕의 사망한 다 른 많 은 조 상의 이 름 도 또한 갑 골 문에 나타나서 신원문제 를 상당히 혼란 스 럽 게 만 들 었기 때 문 이 다. 56 ) 조상의 이 름 이 확실하게 확인되었을 때는 그것을 근거로 하여 보충하 고 확인되지 않았 을 때는 그것 을 대신하는 연대설정의 가장 중요한 기준 은 정인 (l ' i人 ) 의 이 름 아 된다. 똥쭤뻔( 캅( {1 땅{)은 갑골문에서 정 (l i, 묻다) 이라 는 문자 앞 에 나오는 문 자가 점을 쳐서 신에게 묻는 사람 (l1 人)의 이 름임 을 알 아내었으며, 가끔 동일한 점뼈나 거북껍데기에 함께 나타나는 그 들 의 이 름은 각 왕의 조정에서 봉사했던 정인들을 〈정인의 집단〉으로 분류 할 수 있 는 확실 한 근거 를 마련해 준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했 다 . 57) 그 리하여 똥쭤뻔( 弁데 땅 f)이 주로 정인들의 서명이 함께 나타나는 두 개의 거북 배딱지 를 근거로 하여 작성했던 첫번째의 이와 같은 집단 은 58) 그림 26 에 나타난 이름 들 로 구성된 것이었다. 그 가운데 몇 명의 이 름이 서명되어 있는 점복 기록이 〈아버지 이(父乙)〉와 〈어머니 껑(母庚)〉과 관계된 제사의식에 대한 점복행사의 기록이기 때문에 이 집단은 확실히 우명( 武丁 )의 통치기에 속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59) 이름이 껑(庚) 인 배우자 를 가졌고 이(乙)라는 이름으로 칭해졌던 왕은 샤오이(小乙)뿐 이어서 위의 정안들이 우명 (武 丁 )의 조정에서 봉사했음에 몰 립없다는 사 ,5) 王 國繼 「祖其父깃5 Uk 」. 56) 陳夢 家 「商ft l fri號%, p.5 ; 貝 塚 1戈 樹, 『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所藏 r p 骨文 字』 , pp.1 0 6-109. 57) 갑마{佳 H, 「大龜四版 考 譯」. 58) 위 책, p.4 40. 59) 1 f沿 {佳 K, 「甲骨文斷代硏究例」, p.3 47.

a

-A 몹0 47매J 스 0千 그립 26 萊作賓이 확인한 武丁시기의 제 1 기 ti A 渠|11/l(ffd 1 : ff, 「人· 龜四版考釋」).

실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이와 똑갇은 방법은 계속 증가되 는 자 료를 고려하면서 반복되어 진행될 수 있었다. 1933 년에 똥쭤뻔( f t(f 1 濱)이 자신의 획기적인 『갑골문단대연구예』(甲骨文浙代硏究 W1 J) 을 출간했을 때 60) 그는 정인의 집단들과 그 밖의 다른 기준들을 근거로 하여 9 명의 왕을 아래와 갇이 다섯 시기로 분류할 수 있었다 . 1 기 우명 (武丁) (그리고 그 이전의 3 명의 왕) 정인 11 명 2 기 쭈껑 ( 月 1l 庚) 쭈지아(祖甲) 정인 6 명 3 기 린신 (鹿辛) , 깡명 (庚丁) 정인 8 명 4 기 우이 (武乙) , 원우명 (文武丁) 정인 0 명 5 기 띠이 (帝乙), 띠신(帝辛) 처0 이'- 1 명 똥쭤벤(f야作賓 ) 자신과 그의 지도를 받은 여러 학자들의 계속적인 연구 에 의하여 각 시기 내에서 확인될 수 있는 정인의 수가 상당히 증가하였 으며 , 학자들은 많은 경우에 몇몇 시기를 더 세분화할 수 있었다. 똥퀴 뻔 ( 'iJ(作賓)의 마지막 저작에서는 각 시기의 정인의 수가 증가했는데 1 기 는 25 명으로 , 2 기는 18 명으로 , 3 기는 13 명으로, 4 기는 17 명으로, 5 기는 4 명으로 각각 늘 어 났다 . 8 1) 시마꾸니오(島邦男)는 1 기에서 5 기까지 각각의 60) 위 책 . 61) r1 pf] -l f六十年』, pp.7 9-86.

1[ 빙택命쁩펩픕티 거:'fl 0 대냐

鬪어뮤&t내%)허 입 韓윤 2[ 卞荷떼나님'적!!$,닝 잦룽 3[ 러나白 §AA t m 四 鬪fj I~ f 4a 썸강 01~ 잡 뻬 성軒나요輕 00('\ 센 5a ~~ 'y' 5b ~軒자穴^ 그림 27 시島기邦,男 가5a 는분 류帝乙한시 5기 기,의 ,貞b 는人. 帝 4辛a 시는기 武 (乙『시殷기猿, 卜 辭4硏b究 는』 )文.武 丁

정인의 수를 36 명, 24 명, 24 명, 24 명, 7 명으로 더욱 증가시켰다 62) (그립 27). 위의 두 기준__근조상의 이름과 정인의 서명-_一은 이러한 두 가지 62) 『 殷坡 卜 辭硏究』, p.3 4 .

항목의 정보 혹은 적어도 후자만이라도 갑골문에 나타나게 되는 모든 경 우에 갑골편의 연대 를 다섯 시기 중의 한 시기에 또는 확실한 한 왕의 시가에까지도 충분히 편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불행히도 현재 갑골문의 연대기적 연구에 있어서 약간의 중요한 정인들을 1 기나 4 기로 편입시키 는 문재와 관련된 주요한 논쟁점이 있다. 이는 중요한 두 정인 집단과 관련된 것인데 한 집단은 6, 卞, 익과 그 밖의 다른 관련된 이름들(보통 왕 자신인 쵸 을 포함하는)로 구성되었고 다른 집단은 우, 令, /II}, 랴, 問, f참과 그것들과 관련된 이름들을 포함하는 집단이었다. 첫번째 집단은 천 멍지아(陳夢 家 )에 의해 6 집단으로 언급되었지만 63) 카이즈카시게키(貝塚]戈 梅)에 의해서는 〈왕실〉의 정인 집단으로 파악되었고 ,64 ) 두번째 집단은 천 멍지아(陳夢家)에 의해서는 우집단으로 카이즈카시게키 (n 塚茂樹) 에 의해 서는 〈왕자 집단〉으로 파악되었다. 비록 천멍지아(陳夢家)가 그러한 집단 둘을 1 기의 후반기에 속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천멍지아(陳夢家) 나 카 이즈카시게키( 貝塚茂樹 ) 둘 다 그것들을 1 기에 속하는 우명(.ii{「)의 통치 기에 편입시켰다. 또한 천멍지아(陳夢家)는 이 정인의 집단둘이 왕실이 포함되거나 그렇지 않은 귀족집단에 봉사했을 것이라고 믿었지만 카이즈 카시게키 (貝塚茂樹)는 왕실의 정인들을 왕의 사족(私族)의 관심사( 우땅武 丁 시기의 다른 정인들이 봉사했던 조정의 공적公 (IT) 인 관심사에 반대되는 것으 로)에 봉사했고 왕자집단의 정인들은 왕자 들 의 준군사조직으로 추측되는 왕자집단에 봉사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반면에 똥쭤뻔 ( 1 t( {1 宅t)은 이 두 정인 집단 모두를 자신이 설정했던 연대기의 4 기 (우이ji奴 2 와 원우명文 武丁의 통치기)에 편입시켰다 .65) 그는 자신이 4 기에 편입시켰던 갑골문의 이차적인 특징의 중요한 내용들이 1 기의 것과 유사하다고 쉽게 인정을 했지만, 이러한 자신의 정인집단 구분 을 인 (8 t) 시대의 〈구파 ({I i派)〉 와 〈신파(新派)〉의 대립이라는 자신의 이론의 주요한 근거로 삼았다. 구파와 신파의 대립이란 구파의 우명(武 T, 違循古法), 2 기(주로 쭈지아!i ll 甲)의 석 63) 陳夢家, 「甲{ ‘넵 f(텐功t{t- 甲骨浙代學丁篇」 ; r g밌虛 卜 辭綜述』 , pp.1 4 5 -155. 64) 只塚茂樹, 더屯섬 ,5(- t史身(1)發屈 』 ; 貝塚茂樹 • 伊森道治, 「甲 11· 文斷代法 m 1 마습 ,Pt ―갑따氏(1)文武丁時代 卜辭순中心& L -c」. 貝塚茂區 『京 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所藏甲骨文字 』 . 65) 『 flll: l ff,; 휴』 ; 『殷虛 文字乙編序』.

신(改사.:新制), 4 기의 구파로의 환원(依復古法), 5 기의 개혁으로 환원(依復 新制)을 의미한다(아 문제는 3 장에서 다시 다룰 것이다). 갑골문의 연대설정을 위한 주요한 두 기준――동일한 뼈에 동시에 나 타나는 조상의 이름과 정인의 이름_~에 근거해서는 이 논쟁점을 해결 할 수 없다. 이 두 정인 집단과 관련된 조상의 이름에 우명(武丁)과 우이 (武乙)-원우명 (文武丁)의 이름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들의 이름만 한정되 어 나타나는 것은 아니어서 이러한 이름들이 결정적인 근거가 될 수는 없다. 게다가 이러한 이름들은 기존의 1 기의 어떤 이름과도 서로 연관되 어 발견되지 않는데 66) 천멍지아(陳夢 家 )와 카이즈카시게키 (貝塚茂樹)는 그 것들이 별도의 접복기구에 속해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그렇지만 이 점에서 그 들 이 속했던 별도의 정복기구들이 있었는가를 증명해야 하 는 부담 을 지고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양측 모두가 안고 있는 과제들의 대부분은 비교적 부차적으로 나타나는 것과 관계를 맺거나 또는 흔히 여 러가지로 해 석 되는 어느 한쪽의 단 하나의 중거가 갖는 강도에 의존하고 있다 .6 7) 이 문 제에 대해 중요한 새로운 근거를 제시한 2 편의 최근의 연 구논문이 있 는 데 하나는 1 기 편입설을 지지하는 68) 반면에 다른 하나는 4 66) 접복기록 甲 - 2361 (甲 編 )에는 賓(I 기 정인)과 머 · (IV 기 정인)의 문자가 있었 지 만 문 맥이 명확하지 않고 그것들이 정인의 이름으로 씌었는지도 확 실 하지 않다. 許 進 LI E 의 「 卜骨上的堅 8 t形態」 p.4 . 참조. 67) 萊 作 賓 의 견해 와 같은 것으로는 다음과 갇다 ; fJ,邦男, 『殷坡 卜 辭硏究』 ; 李頭) j, 「 評 陳 夢家 殷城 卜 辭 綜 述」 ; 嚴 一 뿐 「甲骨文浙代硏究新例」 ; 嚴一 罪 『 甲 1 ' l 學』 ; Hsti Chin - hsiu n g , The Menzie s Collect ion of slzang Dy n asty Oracle bones. 陳夢 家 와 貝塚茂樹의 견해와 갇은 것으로는 ; 胡厚 宜 , 『 甲fi 舒 璋 』 ; 池田末利, 『島氏殷城 卜 辭硏究순 i R t』 ; 競宗願, r gt{t貞 卜 人物通 考 」 ; 屈萬里, 『 殷 許 文 字 甲編考稱 』 . 68) KK, 「 1973 年小屯南地發堀簡報」 ; 肖楠, 「安µ~,J、屯南地發現的‘gfJl 卜 甲' 一兼 論 ‘自組卜辭 '(I ~J時代及其相關 IL團 」. 문자가 새겨진 점뼈의 고고학 상의 관계 (캄(의 연대 설정을 위한 열 가지 기준에서 〈구덩이 위치〉)는 실 제적인 비교의 표준으로는 아주 복잡하다. 많은 1 기와 4 기의 조각들이 갇은 구덩이에서 발견되었지만(石璋女 n, 『殷城述築迫存』 참조) 구덩이의 연대설정은 명문의 연대설정에 따르는데 반면에 대부분의 경우에 명문의 연대설정이 구덩이의 연대설정에 따르지는 않는다. 사실 이러한 두 그룹 의 점뼈의 관계는 陳이나 貝塚의 분할 점복으로 설정(분할된 저장 시설 이 요구됨)된 것을 제의하고는 동시대의 것이라는 이론보다는 萊의

기 편입설에 사실적인 근거 를 부여했다 .69) 필자는 똥쭤빈( 갑( f円f)이 최초 로 제시했던 견해와 후자의 연구가 더욱 설득력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한 다. 결정적인 근거 (정인의 이름들이 동시에 나타나므로써 이 론 의 여지가 없 고 계속적으로 새로이 발견되는 유물과 갇은)가 부족한 상황에서 필자는 더 욱 복잡하지만 확증이 없는 카이츠카시게키( 貝塚茂 樹)와 천 멍지아(陳夢 家 ) 의 견해보다는 똥쭤뻔( f이 겨 f)의 간단한 이론 을 따 르 고자 한다. 참정적으로 결정이 내려진(아직 완전히 해 결 되지 는 않 았 지만) 이 논쟁점 이 되는 문제 를 지니고서도 정인에 대한 정보가 이용가능 할 때 많 은 문 자가 새겨진 갑공편의 연대 를 설정할 수 있 을 것이다. 그렇지만 많은 갑 골편이 반드시 이러한 정보 를 주는 것은 아니어 서 그 것 을 보 충할 만한 기준 __· 모두 이미 연대가 확 실 히 결 정된 갑 골편 의 톡 칭에 서 얻 어진 ―이 채택되어야만 한다. 똥 쭤 뻔 ( 萊 作 賓 )은 자 신의 19 33 년의 연구 에서 갑골문의 연대설정을 위한 열 가지 기 준을 다음과 같 이 작성했 다. 죽 왕 의 계통, 표현의 형태, 정인 들 의 이 름 , 구덩이 위 치 , 언급된 부족과 나 라, 인물, 정복의 대상이 된 사건의 종류 , 문 법, 문자 의 구조 , 문체 이 다 .70) 그의 계속적인 연구 는 이러한 부 차 적 인 기 준 의 일부 믈 더욱 상 세 하게 만 들 었는데 ,71 ) 마지막의 두 기 준―― { 문자 의 구조와 문체 一― 은 든 실제적으로 방금 설명된 논쟁점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 어 깨뼈의 후면에 파여진 구멍에 대한 쉬진슝( 許進雄 )의 최근 의 연 구는 그러 한 구멍의 구조 를 연대설정의 기준으로 첨가시키기에 이 르렀다 . 72) 질그릇의 연대설정 ; 항일전 이전의 발굴에서 질그릇은 샤오 툰 (小屯) 으로부터의 고고학 유물의 상당한 부분 을 차지했 는 데 73> 27 , 565 점 의 질그 派〉이론(함께 저장된 것은 갇은 파의 공문서) 을 뒷 받 침 하 여 준 다. 小屯 납부지구에서 나타난 自 집단의 점뼈와 초기 질 그 릇 과의 관 계 는 아주 의 미가 있는 것이지만 문 제의 뼈조각이 발견된 지 층은 다 른 지 충 과 복 잡하 게 얽혀 있었고 후에 저장된 접뼈나 질그 릇 의 선 후관 계가 바뀌었 을 가능 성 을 배제할 수 없다. 金 祥恒 , 「 論 貞人扶的分jtJ] !hl 題」, pp .90 - 91 도 참조. 69) il1f進雄 『 卜 1.LL(I 앤맑 ft形態 』 . 70) 「甲ft文斷代硏究例」. 71) 「甲骨學六 十 年」. 72) l 汗進雄 『甲骨上的 堅 5R 形態 』 . 73) Li Chi, Stu d ie s of the Hsia o -tu n Pott er y : Yi n and Pre-Yi n , p.1 0 4

릇 조각과 1,500 점 이상의 완전하거나 거의 완전한 제품이 있었다. 74) 이 리한 질그릇 집단에 대한 리지 (李濟)의 형태적인 연구는 오랫동안 이용되 었으며 75) 그의 『 은허도기집성』(殷抵限器媒成)은 중국의 고고학 분야에서 어떤 물질로 된 그릇이전간에 분류의 표준용어를 제공하는 데 상당한 영 향을 미쳤다. 불행히도 질그릇에 대한 층위적(円位的)인 자료는 아직 나 타나지 않고 있다. 인(殷)의 질그릇에 대한 일반적인 논문에서 리지(李 濟)는 자신이 이미 40 쌍의 겹쳐진 구덩이에서 발견된 질그릇에 대한 자 료를 가지고 있었는데,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갇이 아래층에 있는 구덩이 중에서 단지 3 쌍만 롱산(龍山) 문화기에 속하는 것이라고 했다 .76) 이는 그가 이미 상( 商 )시대 내에서의 질그릇의 변화를 나타내는 37 쌍의 겹쳐진 구덩이에 대한 자료 를 가지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필자가 아는 바로는 이러한 자료는 발표된 적이 없고 안양(安腸) 발굴에 대한 리지(李 濟 )의 최근의 종 합연구 77) 에서도 나타나지 않았다. 샤오 문 (小屯) 을 포함한 안양(安 lE) 의 상(商) 시대 유적지에서 현재 작 업을 하고 있 는 고고학자들은 4 단계의 질그릇 연대기를 채택하는대, 이 것은 따 쓰 꽁 촌 ( 大司空 村 )78) 과 먀오푸북지 79)( 苗lilll北地, 그립 28), 샤오문 (小屯) 북 부지구 8 0 ) (그립 29) 의 상(商)시대 유적들을 근거로 한 것이다. 이 연대는 몇 가지 특 징적인 그릇 유형의 형태 변화를 기준으로 아주 찰 작 성된 것이다. 떠우( 豆 , 굽보시기)는 1 기에는 날카롭고 V 자를 거꾸로 한 형태의 가장자리와 함께 받침대가 낮고 얕은 모습이었는데 2 기에는 가장 자리가 둥그스름하게 변했고 3 기의 것은 드물지만 받침대가 더욱 높고 가늘었으며 가장자리는 안으로 구부러진 모양이었다. 4 기의 것은 상당히 드물었고 장난감 모양의 작은 기물로 변했다. 리 (AA, 세발솝)는 초기에서 후기로 갈수록 입이 넓어지고 다리는 짧아졌다. 꾸(脈, 술잔)는 2 기가 되 74) 李濟 『小屯 F 떠쉽유』, p.3 6. 75) 위 책. 76) 위 책, p.1 1 3. 77) Anya n g , 78) KK, 「 1958-1959 年殷城發堀簡報」 ; KK, 「 1962 年安'田大司空村發堀簡報」. 79) 필자는 1977 년 7 월 殷猿 박물관에 전시된 것들에 의거하여 연구하였는데 楊貸成씨와 陳志達씨, 鄭振香여사가 설명해 주었다. 80) KK, 「 1973 年安陽小屯南地發堀簡報」.

M, ,,r

M 2 7 그립 28 苗國北地의 묘지에서 출토된 전 4 기의 殷猿 질그롯 M248: 1 기 : M11 : 2 기 : M237 ; 3 기 : MlOS : 4 기 (사진은 저자가 殷猿 전시관에서, 1977).

巴 巳털

囚 도덮 尸 : }/? 나 낱亡 @\ 그림 29 小屯 남부지역 전 3 기의 자기 (아래줄 : 전기 ; 가운데줄 : 중 기 ; 위 줄 : 후기) (KK, 「 1973 年 安陽小屯南地發堀簡報).

어서야 땅딸막하고 낮은 형태로 나타났는데 3 기에는 더욱 높고 가늘게 변했다. 꿰이(鉉, 세발솔)는 1 기에는 가장자리가 날카롭고 V 자를 거꾸로 한 모양이었지만 4 기에는 바깥 표면에 절개된 세발이 윗부분까지 뻗어 있었다. 예전에는 1 기의 질그릇은 왕조 이전시기에, 2-4 기의 것은 왕조 시기에 해당될 것이라고 언급되었다. 질그릇의 유형에 관해 지금까지 발 표된 자료는 아직도 개략적이고 불충분하지만 그것들은 이미 리지(李濟) 의 집성을 연구하는 데 연대기적 관접을 제시해 준 바 있다. 뼈머리핀의 연대설정 ; 상(商)시대 샤오룬(小屯) 유물 가운데 유형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_- c^2-c-투-T'山’ •上-T · i .C‘.H1.?m1._---1_ ’u0-mi H___.狩m - --,igfi · jf i :`一 ._ l .걸답류 ll'— | gm| a, 問叫 HPK M u 5HI_uE5-_; g디g口_0 _r -훈門 Il 霞團니 -'_ it g} - -g-- i 불

--- ` - --_ _ - -- - ~----- --- -- - - -- - -- ------ - -----· 庫

의 변그화립를 30보 여뼈주머어리 핀一연의대 의양식 설변정천에에 도따움론을 安 줄 Fg 의수 지충있(는李 濟또, 다「론拜形 八범 주의 類及其文飾之演맞」). 제품은 뼈머리핀인데, 이것은 비교적 단순하고 가치가 없는 잇접을 지니 고 있어서 도굴이 된 묘에서도 보통 그대로 남아 있어 그 유적의 연대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준다. 뼈머리핀에 대해서 쓴 탁월한 논문에서 81) 리지 (李濟)는 안양(대부분이 샤오문小屯과 시뻬이깡西北JM], 왕위커우王裕口, 따쓰 81) 「坪形八類及其文飾之演俊」.

꽁촌大司空村에서 출토된 것)에서 발견된 388 접의 머리핀을 윗부분의 형태 에 따라 다음과 같이 8 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설명했다. 죽 그 유형은 평평한 모양, 새겨진 모양, 모자 모양, 꼭지 모양, 양 갇은 문자 모양, 기하학적인 모양, 새 모양, 동물 모양의 것이었다. 그는 또한 각 유형을 여러가지 종류로 세분했다. 충위관계와 그 밖의 다른 연대 차이 를 나타 내는 것들을 근거로 하여 리지( 李濟 )는 머리핀둘의 유형상의 발전의 양식 둘을 얻어낼 수 있었으며 더우기 그는 앞으로의 보다 진전된 연대 설정 에 이용하기 위하여 유형상의 근거에 입각하여 그 발전의 양식들을 확대 하고 세밀하게 설 명하였다. 그립 30 에 제시된 몇 곳의 유형 지역과 그곳 에서 발굴된 머리 핀 표본 의 연대적 배열은 머리핀에 근거하여 연대 물 설 정하는 데 유용 한 지침 이 된다. 샤오툰(小屯) 촌 락의 그 밖의 다른 고고학 발굴지역 비록 샤오 문 (小屯 ) 에 서 의 고고학 발굴이 지금까지 촌락의 북부지역(북 부지구)에 집 중 되었 지 만 상( 商 ) 시대 주거지의 정확한 주변부에 대해서는 명확히 기술되지 않 았다. 후 안수(i 旦 水)는 고고학 발굴지역의 북부와 서부 경계를 따라 흐르지 만 그 강의 옛날의 수로는 정확하게 확인되지 않았고 그 강이 마 을 의 북 쪽을 따라 흐르다가 남쪽으로 꺾어진 것은 상(商) 시대 이후의 일이었다. 왜냐하면 그 강이 중부그룹에 속하는 지상전물들의 심 장부를 가로질렀고 그것 들 의 동쪽 부분을 침식했음이 확실하기 때문이 다. 촌락의 서부지역은 작업이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1929 년에 몇 개의 시험 구덩이가 1 구획 서부에 있는 샤오문(小屯) 북서지역(위치상 빠타이 增장로 알려진)의 작은 언덕에서 시굴되었지만 묘와 재구덩이만 발견되었 을 뿐이다 .82) 궁궐지역이 서쪽으로 그렇게까지 확장된 것 같지는 않다. 그러나 샤오툰(小屯)의 바로 서쪽지역에는 또 다른 사실이 있다. 후하오 (婦好)의 무덤이 촌락으로부터 바로 북서지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 (商) 문명의 점유지가 바로 거기에서 끝났다고 가정할 이유가 없다. 19,8 년에서 59 년 사이에 재가 가득 찬 폭이 7-21 미터 깊이가 5-10 미터의 거 82) 李 混 「安腸 最 近發抵報 告 及六次工作之總佑 J t」.

대한 도랑의 일부가 샤오문(小屯)에서 서쪽으로 약 200 미터 떨어진 곳에 서 발견되었으며 그 근처에는 질그릇 조각과 조약돌로 덮여진 도로면이 있었다 .• 일부 고고학자들은 그 도랑이 방어를 위하여 궁전 주위를 둘러 싼 성호(城~) 갇은 것의 유적이라고 믿고 있다 .83) 21 개의 소의 완전한 어깨뼈_그것들 중 10 개는 문자가 새겨져 있다_가 보관된 저장소 가 1971 년에 서부지구에서 발견되었다 .84) 현재 주로 샤오둔(小屯) 남쪽의 인접한 촌락으로부터 샤오툰(小屯)을 분리하는 도로상에 걸쳐 있는, 샤오문(小屯)으로부터 남쪽지역인 후아위 엔 창 (4£1 세 !IE) 은 1929 년과 1955 년, 1973 년에 발굴되었다. 지상식 건물의 기초가 여기에서 발견되었고 1973 년에는 사람이 순장된 구덩이 (5 명의 성 인――한 사람은 그의 왼쪽 다리뼈에 청동화살촉이 박혀 있는 채로 ― ―-과 2 명의 어린이, 1 마리의 말의 뼈가 들어 있었다)가 발굴되었고 또한 1 기와, 3 기, 4 기, 5 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4 천접 이상의 문자가 새겨진 점뼈 조각 도 발견되었다 .85) 지상식 건물과 순장, 문자가 새겨진 접뼈로 특징지워 지는 궁궐지역이 아주 멀리 확산되어 있었는지는 의문이지만 그것은 샤 오문(小屯) 촌락으로부터 서쪽과 남쪽으로 확산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3 시메이깡(西北岡) 중앙연구원의 제 4 차 안양(安腸) 발굴기간이었던 1933 년 말에 경사로가 있는 대형 묘가 샤오문(小屯)의 동쪽으로 대략 1. 3 킬로미터밖에 떨어지지 않은 작은 언덕인 허우깡(後岡)에서 발굴되었다 .86) 이곳이 샤오문(小屯) 바깥의 왕릉지역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 때문에 고고학자들의 주의를 끌 었고, 스장루( 石 璋 ~n) 와 리우야오(劉耀 지금은 인따 尹達 로 알려진)가 가장 가능성이 큰 지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안양(安陽) 전지역을 조사하는 책임 B3) KK, 「 1958-1959 年殷城發堀簡報」, p,6 6. 84) 郭洙若, 「安陽新出土之牛甲骨及其刻辭」. B5) KKHP, 「一九1i.Ii.年秋安賜小屯殷坡之發堀」 : KK, 「 1973 年安腸小屯發堀 簡報」. 86) .fifRh ll, 「河南安陽後 1 패((.Jt幻墓」.

울 부여받았다. 1934 년에 광범위한 담사가 끝난 후에 그들은 샤오둔(小 屯)에서 강의 반대편인 북서쪽으로 3 킬로미터에 약간 못미치는 높은 지 대 (그러므로 고고학적으로는 이 지역을 〈북서쪽의 높은지대〉의 의미인 西 4 t I1l i l 으로 부름)의 구조에 관심을 기울였는데 이곳에서 새로이 청동그릇이 도 굴되었다는 소문이 나돌았다. 당시 안양(安腸) 발굴계획의 현장 감독관이 었던 리양쓰용(梁思永)은 그러한 소문에 동감하여 1934 년 10 월 3 일부터 12 월 30 일까지 허우지아랑(侯 家 莊)의 북동쪽 우판촌(武 n· 村)의 북쪽에 있 는 유적지에 그들의 노력을 집중시켰다(그러므로 이 유적지는 허우지아좡侯 家莊 시뻐 l 이깡西北岡, 우판촌북지武官村北地로 다양하게 칭해졌다) 그·리~ 첫번째 시도에서 대형 묘들을 발견했다 .87) 발굴은 1935 년까지 계속되어 주거유물은 없었지만 엄청나게 풍부한 매장 • 제사 지역이 빛을 보게 되 었다 .88) 추가발굴이 1950 년에 행해졌고 89) 1958 년 이래로 간헐적으로 발굴 이 진행되었다 .90) 1934-35 년의 발굴은 까오취 쉰 (高去 尋 ) 이 1958 년에 발표한 논문에 상당 히 잘 요약되어 있다 .9 1) 그의 요약은 그때 이후로 이용가능했던 여기저 기에서의 추가자료 를 보충하여 아래에 기술될 것이다. 대형 왕묘 ; 왕의 묘지는 100 미터 씩 분리된 동부와 서부지역으로 나 누어져 있었다. 1934 년의 발굴에서 고고학자들은 서부지역에 있는 묘지 의 주변부 서부 • 북부 • 동부의 위치를 알아냈는데, 주변부 남부는 확실 하게 확인되지 않았지만 까오취쉬엔(高去 용} :)은 발굴된 지역의 남쪽으로는 더이상 대형 왕묘가 없다고 믿었다. 이렇게 규정된 서부치역 내에서 7 자 리의 대형 묘 (M 1001 , M 1002 , M 1003 • M 1004 , M 1217 • M ooo , M 1550) 와 1 개의 대형 직사각형의 구덩이 {Ml567, 아마도 완성되지 않았고 사용되 지 않았던 여덟번째 묘일 것이다)가 발견되었다. 묘지의 동부지역은 1934 87) 石璋凱 「殷城最近之祖要發現附論小屯地 H 」, p.2 . 88) 梁思永 · 高去공, 「侯家莊 Nos, 2-8 」 (M 1001, Ml002, Ml003, Ml004, Ml217, M i,oo , Ml550 의 대형묘와 관련되었다). 89) 郭賓錄 「一九五十年春殷城發堀報告」. 90) KK, 「 1958-1959 年 8 Jl:j..!£發堀簡報」 ; 「安陽殷城奴隸祭而t ht (I%m 」 淵錫ff;l• 楊賓成, 「從商代 ?R 祀抗看商代奴隸社合的人?}.」. 91) The Roy al Cemete r y of the Yi n Dy n asty at Any a ng .

12

A .FE7_ -거대한 王陵평면도(祀K .抗C .石 C商h代an奴g,깊T 社he合 A的r人c l性wep」o. log1f 3oy에 An의해ec n i보tC 충zl되1i었1a.읍 ) . 판 - - 도西北岡의 「從商代采

31

립 그

그림 32 西 ~t岡에 있는 王 陵 MlOOl 호(梁思ik • ,:·:i去꾸f, 『 侯家 1E

1001 號大 墓 」).

-35 년에 15,000 평방미터의 면적이 발굴되었는데 묘지의 북쪽과 서쪽의 가 장자리가 그 지역에 위치해 있었고, 그 지역에서 매장지 전체의 4 분의 l 로 추산되는 지역과 3 자리의 대형 왕릉 (M 1129 • M 1400 • M 1443) 이 모습 올 드러냈다. 1950 년의 발굴에서는 1935 년에 발굴된 M 1400 의 동쪽으로 40 미터 떨어진 곳에서 네번째 묘가 추가 발견되었으며 또 하나의 구덩이 가 1959 년에 확인되었는데 보고에 의하면 1 점의 정사각형의 대형 청동솥 이 1940 년대에 그 구덩이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그립 31). 모든 대형 묘들은 북에서 남으로 향해 있었고 북쪽의 끝부분이 약간 동쪽으로 기울어 있었다(그립 32). 구덩이로 내려가는 데 편리하도록 만 들어진 경사로의 수와 위치에 따라서 묘는 경사로가 4 개 있는 것과 2 개 있는 것 2 종류가 있다. 경사로가 2 개 있는 묘는 모두 직사각형 구덩이인 데 구덩이의 바닥에 있는 남쪽벽과 북쪽벽에서 2 개의 경사로가 지상에까 지 연장되어 있다. 경사로가 4 개 있는 묘는 직사각형이나 십자형이었는 데 경사로가 하나씩 각벽의 바닥에서 위로 뻗어 있다. 각묘의 크기는 다

양한데 예를 들면 M 1004 는 길이가 17.9 미터 (북에서 남으로), 폭이 구덩 이 입구에서는 15.9 미터 바닥에서는 10.8 에서 13 . 2 미터였으며 깊이가 12 미 터였다. 사방의 경사로의 길이는 북쪽이 3 1. 4 미터 남쪽이 14 . 1 미터 동쪽 은 15.2 미터 서쪽이 13 . 8 미터였다. 대형 묘의 축조 과정은 다음과 갇이 재구성될 수 있다. 우선 묘구덩이 룰 판 다음에 순장인의 배치 를 위한 많은 작은 구덩이를 바닥에 팠던 것 이다. M 1001 하나의 묘에서 9 개의 이러한 작은 구덩이가 있었는데 각 구덩이에 사람 1 명과 도끼창(戈) 1 개, 개 1 마리가 묻혀 있었다. 바닥면이 드러났던 그 밖의 모든 묘에서는 각 묘마다 사람의 뼈와 무기가 발견된 이러한 구덩이들이 하나씩 있었 을 뿐이다. 묘구덩이 바닥의 중앙에는 나무로 된 묘실( 木構) 이 만들어져 있었다. 그 묘실은 경사로가 4 개 있는 묘에서는 십자형이었고 2 개 있는 묘에서는 직사각형이었다. 까오취쉬엔(高 去g¥ )은, 비록 샤오 문(小 屯)에서 발견된 지상식 건물 가운데 십자형의 묘실과 같은 모양을 한 것은 전혀 없지만, 이러한 묘실은 상시대의 종묘( 宗 )衍) 를 상징적으 로 모방한 것이었다고 믿 고 있다 .92) 처음에 그 묘실의 바닥이 직경 20-30 센티미터인 둥글고 긴 나무들로 만들어졌고 그후에 측 면벽이 세워 졌으며 묘실 이 메워진 후에 지붕이 씌워졌던 것 갇다. 십자형 묘실 들은 높이가 대 략 3 마터 정도였고 직사각형의 묘실들은 그것보다 약간 낮았다. 직사각형의 묘실에 대해서 말하면 벽을 세운 뒤에 묘실과 벽 사이의 공간에 묘실 지붕의 높이에까 지 흙을 채워넣었는데, 흙은 묘실 밖에 부장품과 순 장 을 배치시키기 위 한 소위 숙토이충대 (?.A 土二사장 , 뒤집어엎은 흙 위에 만든 이 충 대 土갚: )를 만 들기 위해 충충이 굳게 다져졌다. 관과 부장품은 지붕을 을리기 전에 묘 실 내부에 배열했다. 십자형 묘실도 그 과정은 비 슷했지 만 남쪽벽에 문 이 하나 만들어졌던 것 갇다. 묘실의 크기에 대하여 M 1004 를 다시 예로 들면 직사각형의 기초는 길이가 남북으로 5 . 75 미터였고 너비가 동서로 3 - 9 미터였으며, 각벽에서 밖으로 약간 뻗어나간 부분은 길이와 너비가 각 각 2 미터 정도였다. 묘실은 묘의 주인을 위한 안식처였기 때문에 아마도 부장품이 가장 풍부하게 비치된 부분이었겠지만 불행히도 시베이깡 (l i 4 t 岡)의 묘는 계속해서 도굴을 당했기 때문에 우리는 단지 약간 남은 부장 92) ji:j去규, 「it(t* ~삼 IIW 墓至及jti函義之 1{ tii Ill 」.

-,.

1 ···,. . ; 포,1 \ . .• . 忍 , ,. 그림 33 西 北 岡 의 王 陵 MlOOl 에서 출 토된 돌 조각품( 染 !J1.* • 高 去 尋 , 『侯家 n r 1001 號大墓J ).

품에 비추어 묘실의 부장품이 원래는 풍부 했 을 것 이라고 추 측 할 수 있을 뿐이 다 (그립 33, 34) . 나무로 된 묘실 밖에 있는 묘구덩이와 경사로에는 새로이 추가된 부장 의풍 이윗 부매분장 에을 에동워반싸하고여 있배는치 되다어져 진있 었흙다 .위 에일 부평의평 한묘 에표 면는 을나 만무들로어 된서 —묘실— 이충대 __: 그 위에다 여러 제품과 순장인 을 두 었다. MlOOl 의 2 충대 위 에서 나무연장의 조각과 11 명분의 유 골 이 발견되었 는 데 나무는 썩은 지 오래되었지만 흙 위에는 장식적인 도안의 무늬와 그립 물 감 , 상감(象底)된 물 품이 남아 있었다(그립 34). M 1400 과 M uoo 에 는 묘실을 둘러싸고 있 는 다져진 흙 에서 사람의 두개골 (29 개와 111 개 씩) 만이 발견되었을 뿐이 다. 경사로는 두개골 둘 이 여러가지로 부장되어 있었다. M1001 을 예로 들 면 사람의 순장이 북쪽 경사로와 서 쪽 경 사 로 에 서 각각 1 명씩 발견되 었고 남쪽 경사로에서는 머리가 없는 50 명 분 의 뼈가 11 열을 이루고 있었 으며 그러한 1 명분의 뼈가 동쪽 경사로에서 발견되 었 다 . 4 개의 경사로에 서 모두 사람의 두개골이 줄 을 지어 발 견 되었 는 데 이 것들은 27 조 를 이루 고 있었으며 모두 73 개였다. M 100 4 에 는 남 쪽 경사로 의 북쪽 끝부분에 4 충의 부장품이 있었다. 맨 아래충은 전차 의 부품과 가죽 으로 된 갑옷과 두구, 방패의 잔재로 구성되었으며 아래에서 두번째충은 100 개가 넘는 두 구와 360 여 개의 청동 도끼창( 戈 )으로 이 루 어 졌고, 그 위 충 에는 36 개의 청동 도끼창으로 이루어졌으며, 맨 위 충은 1 개의 사용되었던 돌 , 옥으로 된 막대, 2 점의 대형 청동 솥 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시뻬이깡( 西~ ti페)에서의 이러한 대형 왕묘 는 그것들 의 구조적인 특칭 및 부장품 외에도 두 가지 중요한 점에서 주 의 를 끈 다. 첫 째는 그러한 묘 들 사이의 각각의 상대연대상의 위치 및 시 베 이깡 (西 北 岡 )과 샤오문(小 屯) 묘의 순서에 대한 연대상의 상호관계에 대한 문제이다. 첫번째와 관 련된 두번째 문재는 그러한 묘 들 에 대한 사회 학적 인 의문인데, 그것은 그러한 묘들이 누구의 것이었느냐 하는 점과 상왕 실 의 연구에 있어서 그 것 들을 만든 시기와 설계의 중요성에 대한 문제이다. 두번째 문제는 다 음에 논하겠지만 이러한 묘 들 이 상시대의 최상류충 죽 왕과 아마도 왕비 의 묘였다는 사실은 명확하다. 묘 들 의 연대상의 순서는 서로가 접해 있었던 그러한 묘들의 충위학적 인 상호관계 를 통하여 다음과 갇이 3 부분(아래 표에 나타난)으로 설정된

뿐-jIgli *B~일 g5 』-g*ig교)中F {서마 Tkrki ufJF4뻐 27때午T 이었田 可巨 1

F固 V

C 而H

다 .93)

93) 李濟, 「gll:城白限發展之程序」, p.8 61.

M 1500 一 (보다 앞선다) ―一 M 1217

M 10 01 一 M 100 4 一 M 1102 一 M1550 M 1443 一 M 140 0

이러한 분류들과 그 밖의 다른 개개의 묘의 한충 진전된 연대상의 위 치설정은 제품의 유형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글 자가 새겨져 있건 않건간에 어떠한 점뼈도 그 묘지에서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묘들이 계속해서 도굴을 당했기 때문에 이와 갇은 유형학적인 연구는 극소수의 기형적인 표본을 토대로 해야 한다. 따라서 그것은 매우 참정적인 것이다 . 뼈머리핀의 여러가지 유형의 출현 형태를 토대로 하여 리지 (李濟)는 시베이깡(西北岡)의 서부구역에 있는 1대5형5 0-묘M들 1을00 4다-M음 과10 03갇— 은M 1 연50대0기-M적 12순17서— 로M 1 배17열4 했이다다. .9 4) 죽 더 M 나10아0가1-서M 그는 시뻬이깡(西北岡)과 샤오툰(小屯)에서 발견된 뼈머리핀의 한 유형의 출현 형태에 따라서 표 1 에서와 갇은 상호관계를 세우고자 했다 .95) 이 견 해에 의하면 샤오문(小屯) 중부 집단의 집터들은 시베이깡(西北岡) 서쪽 지역의 가장 연대가 앞선 묘들과 갇은 시기의 것이었다고 한다 . 리지(李 濟)는 스장루 ( 石璋女 ll) 가 샤오문(小屯)에서의 집터를 북부-중부-남부의

94) 李濟, 「罪形八類及其文飾之演윗」, p.6 8. 95) 「由箕形演變所컨見的小屯遺址與侯家莊墓葬之時代關係」 .

표 1 머리핀의 유형에 따른 샤오문(小屯)과 시메이깡(西北岡)의 연대상의

상호관계 머리핀의 유형 샤오문 시대이깡 1 일부의 움집 대형묘 이전 2 울 -7 집터 M 1001 3 병 -1 집터 M 1002 4 상충의 재더미층 M 1174 5 흐트려진 지표층

차례로 구분한 견해 를 따르기 때문에 그의 결론은 시폐이깡( 西 1t 幅 l) 왕묘 가 왕조기의 중기까지는 만 들 어지기 시작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렇지 만 근래의 후 하오( ~갑好 )의 묘의 발견은 이러한 견해 를 재검토하게 한다 . 주석가 들 은 후 하오( 婦好 )의 묘와 시베이깡( 西 北岡)의 M 1001 에서 출토된 제품들의 유형이 유사하므로 그 묘 들 이 거의 동시대의 것이라는데 의견 이 일치되 고 있다 . 96)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적어도 을 (乙)그 룹 에 속하는 일부 집터의 연대 를 우명 ( 武丁 )시기로 잡거나 M 1001 의 연대 를 우명의 시기의 바 로 다 음 으 로 추 정하는 것이 필요할지도 모른다. 이 두 가지의 연대 설정 가운 데 어 느 것이든 현시점에서 이용이 가능한 증거로 볼 때 가능한 것 이 다 .

96) KKHP, 「 安腸 殷坡 五號墓 的發祖, p . 94 」 KK, 「安,片tll: 城五 號墓座 談紀 要」, p. 341 . 345. 350, 鄭振杏과 李學,J), 胡厚i l , 王世民의 해설이 있다.

후하오 (~잡女子) 묘 와 비 슷 하다는 이유로 해서 가장 연대가 앞선 묘로서의 지위 를 얻 은 M 1001 은 알렉산더 소퍼 (Alexander So p er) 의 견해와 관련지 어 고 찰될 수 있는데 그는 M 1001 이 다름아닌 우명 ( 武丁 ) 자신의 묘였다 고 주장 하였다 . 죽 그는 〈 1001 은 다른 3 자리의 묘 (1002 • 1004 • 1550) 보다 오래되었 다 . 또한 다른 묘 와 관련된 그 묘의 위치가 의미 를 지니는데 그 것은 대 략 중심부 에 위 치 하고 있었으며 1550 은 남동쪽에서 그 묘 를 감싸 고 있었 던 반면 에 100 2 와 1004 는 각각 남서쪽과 북서쪽에서 대각의 축을 이루며 100 1 을 에워 싸고 있었다. 필자는 이러한 위치가 왕가에서의 인접 한 2 세대인 아버지와 그의 3 아들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러 한 형태 는 안양 (安腸 ) 시기에서 한 번만 나타나는데 그러한 여건에 맞는 아버지가 우명 (.iit丁 )이었다 〉 97 ) 고 주장했다. 양식상의 근거 (M1004 의 정사 각형 솥 이 우명 武丁 다 음 의 세대에 해당되는 시대만큼 빠 를 수 없다는)를 토대 로 한 이러한 견해에 대한 반대 98) 는 이제 후하오(婦好) 묘의 발굴 결과로 제거 될 수 있지만, 사회학적인 근거 를 토대로 이의가 제기될 수도 있는 데 말하자면 아버지와 아들이 동일한 부분에 속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 이다 .9 9) 이것은 뒤에서 다시 검토해야 할 문제이다.

97) Early, Mi dd le, and Late Shang : A Note , p.2 6. 98) V. Kane, A Re-exami na ti on of Any a ng Archaeolog y. pp.1 0 5-106. 99) K. C. Chang , Some Duali sti c Phenomena in Shang Soci et y .

동부구역에 관해서는 왕묘와 그것들에 인접한 소형 묘들에 대한 근래 의 분석에서 양시장(楊錫璋)과 양빠오청 (楊 Ti 成)은 대형의 정사각형의 쓰 무우(司 母戊) 청동솥이 발견된 묘인 M 1400 과 1950 년에 발굴된 우판촌(武 官村) 북부의 묘를 1 기 또는 2 기에 편입시켰으며 그 묘들을 M 1001 과 동 시대의 것으로 추정하였다 .100) 소형 묘들 ; 시베이깡(西北岡)에서의 1934-35 사이의 U갈 굴에서 10 자리 의 대형 묘와 사용되지 않은 1 개의 구덩이가 발견된 이외에도 1221 개의 소형 묘들이 발견되었는데 이들 중 1117 자리는 동부구역 (그립 35) 에서 발 견되었으며 단지 104 자리가 서부구역에서 발견되었을 뿐이다. 이들 중에 서 단지 643 자리만이 분류상의 목적에 이용이 가능하다. 까오취쉰(j::j去 궐. )의 집계에 따르면 131 자리는 1 인묘였고 57 자리는 여러 사람의 합장묘 였으며 (각묘에 2 명에서 11 명까지) 72 자리는 두개골이 몸체의 나머지 뼈와 분리된 채로 매장된 묘였고(각묘에 1 명에서 10 명까지) 209 자리 (모두 동부에 있다)는 두개골만이 매장된 묘였으며 (각구덩이마다 3 개에서 39 개까지) 192 자리는 몸체의 뼈만이 매장된 묘였고(각묘에 1 명에서 10 명까지) 9 자리 (모두 서부에 있다)는 질그릇조각총둘 사이에 어린이들이 매장된 묘였으며 20 자 리는 말들이 매장된 묘였고(구덩이마다 1 마리에서 37 마리까지) 2 자리는 코 끼리가 매장된 묘였으며 20 자리는 그 밖의 다른 동물이 매장되었고 1 자 리는 마차가 들어 있는 구덩이였으며 1 자리는 청동그릇들이 부장된 구덩 이였다. 이러한 소형 묘의 대부분은 동에서 서로 뻗어 있었고 대형 묘들 의 옆이나 근처에서 평행을 이루며 줄줄이 배치되어 있었다. 이렇게 열 울 지어 배열된 묘들은 뚜렷한 집단을 이루며 모여 있었는데 그러한 집 단이 서부구역에는 1 개가 있었고 동부지역에는 9 개의 집단이 있었다. 1950 년에 동부구역에서 네번째로 발굴된 대형 묘와 함께 그 남쪽에서 소형 묘 18 자리가 발굴되었다. IOI) 10 자리의 다른 묘들도 1958-59 년에 집단 으로 발굴되 었다. 102) 1969 년과 1976 년에 1934-35 년의 발굴지 역 의 동쪽과 1950 년에 소형 묘들이 발굴된 지역의 서쪽에 위치한 지역에서 추가 발굴 100) Kane, 앞 글 : 楊錫璋 • 楊 1t 成, 「從商代?곳iii E 抗沿商代奴隸社合的人性」, p.1 4, 101) 郭貨 §5, 「一九五十年 4 ft밌虛發堀報告」. 102) KK, 「 1958-1959 年殷JJl發堀簡報」, pp.7 0-72.

립그 oG C3 °

O8bb O °O°,0?麟亭쪼下. ... 繼틀田 •. ,.•O?O.8O '‘ 8 m繼 88갱88紗8,o}8000句@ 사안;T'J''l『검'' 0 x @~ f: i 嚴 ?8뭍8『888!'8'!8-틀 Q O卿8°A牌W겔O 0oDJ)teO00,8:史 0隨c킹'988 뻔oo@0) B8f& Oo o ooOOo 0ooo D o ::t= 0D0o00000三 Oo 0oPC 0oID @c ,,맵없고건:흐 ?馮工' 'll홉 ’ ’, ’I‘ ’’I ”현』. ,.:•: . o .ooo;. :7 • ?.' ':·O•• “'' .-:;訂8•::O亨 •• , , oo oo o o.--,\oO : g\-o.i , . :D: aO·9I .:• ..8 戶'giE;.·m 0깝뗄 .;l °%i ;.磁g ;?: : 9 .g. •• • • •’8 •••&레• P 6; !!‘’ .•. 。 。DOO C3 :' 'I「Io &'흙 : :1 ;::;앙”Ri:蛇쏴: : :”‘· ' “8郞硏` %Fr 0 . C3C !: :::: II9 £)9: O u, ,0 m: L.o :o ::: c 싸0Oe i •••• •틀~~:~u福급 g,。뿔잽';•• •. •:.·.8· 0.:.@: .: o • ,• •a • • •鴻 맵o o._.; : •soo a ’‘’•. :; ; ••098P 90 0000 :•?g탄? 혼g.o c 0 。 。 : •. ;' 0~

출:B토닷 릅되。\0} 에\1 08i'. : “: ’:hi이n g 82i1H323』 :3 1!R三 1 器g,3 ,` 0' , ?“' f'',i J:Si 읽i :RO3;J〕nI :J', 바 3-S뮬단;,\S' 2 J \ 31'4S-.8g 103 6 .8:‘ ·I 마l R '7 I;”• t1',' 3 • b4; , ’2; 5 0 8 8 : !:~'寧l I學I;I. J::43 \”산 f5I ' 2fl ’J 127 0 , 5的 ’ ” 낀2 1q8 1 Oo 022o0 어 2 1 g,21g27g10 I II Jg2 Ng 1 BO , ‘lnIl

,,.8 2342-3-52-3--21603-7 , 12-- 1133 6 s' 2IO 'I,때 印gg 9 I. Il 다 8 2S0 2 ‘ 圖 기보 .□1 1997766 년 년에에 확발인굴되 었지만目EJ 11995509 년년에에 발발굴굴 | 틸0 01 12 발굴되지는 않았음 ~1930 년대에 발굴 。 20m. 그립 36 1969 년과 1976 년에 西北岡 동부 구역에서 발굴된 소형 묘 (楊錫璋淵責成 「從商代祭祀抗看商代奴隸社行的人性」) .

이 진행되어 그러한 소형 묘 250 자리가 확인되었지만 그 가운데 191 자리 만이 발굴되었다. 그러한 묘 들 은 앞의 묘들과 마찬가지로 무리 를 이루고 있어서 발 굴담당자 들 은 1 자리로부터 47 자리까지로 형성된 22 개의 집단을 확인했다( 그 립 36). 매장 형태는 까오취쉬엔( 高去t })이 앞에서 묘사한 것 과 비 슷 하지만 1976 년의 발굴자들은 많은 사람의 뼈가 해체되어 있거나 훼손되어 있었으며 묶 여 있었다고 명확하게 언급했다 .103) 그곳에서 발견 된 1178 개 의 해 골과 두개 골 가운데 715 명 내지 718 명분의 뼈가 성별과 나이에 따 라 연구되었다. 이 들 중 339 명은 남성으로 35 명은 여성으로 믿 을 수 있었 지만 나머 지는 분 명치 않았다. 14 세 이하의 어린이일 것으로 보이 는 19 명을 제 외하 고 는 모두 성인이었는데 여자는 평균연령이 20-35, 남자 는 15 - 2 5 세 로 추정 되었다. 남자와 여자는 갇은 구덩이에 매장되는 경향 을 보였다 . 104) 연 대 설 정에 관련하여 발굴자 들 은 충위상의 표지를 동 해서 볼 때 북 에 서 남으 로 향하는 묘 들 이 동에서 서로 향하는 묘들보다 연대가 앞서며 1 9 69 년 과 1976 년에 발굴된 묘의 모든 집단이 초기(기본적 으 로는 2 기이지만) 에 속하는 것 이라고 하였다.

103) KK, 「安pg g魏坡奴~t~ i 祀抗'(.J發 堀 」. 104) KK , 「安 F1 ,} 8 ll:{t祭祀抗사 ' i ·(I 吐性}J l j年齡 鑑 定」.

까오 취쉬엔(高去T }) 은 모 든 작은 묘들이 〈어떤식으로든 10 개의 대형 묘 와 관련 이 있음 에 틀림 없다 〉 고 믿고 있지만 묘지의 동부구역에서 〈소형묘 9 개의 집단 들 이 10 자리의 대형 묘 가운데 어떤 묘 를 위하여 희생으로 바 쳐졌 는가 에 대 한 문 제 〉 에는 확실한 의견을 갖고 있지 않다 .105) 그렇지만 소형 묘 들 이 동 부 구 역에서 집단(까오취쉬엔高 去꿈 의 9 개의 집단과 1950 년의 4 개의 집단 , 1 9 58 - 1959 년의 1 개 집단, 1976 년에 발굴된 22 개의 집단을 포함하 여 적 어 도 36 개의 집단 ) 을 이루고 있었기 때문에 만약 각집단이 한 번의 재사행위 를 상징한다면 그곳에서 진행된 제사 행사들은 왕묘의 건조와 사용에 일 치 하여 행해졌던 단순한 순장에 한정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 양시장(楊 錫璋 )과 양빠오청(楊?(成)의 해석 -죽 일부의 소형 묘들이 왕의 매장의식과 관련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할지라도 이러한 묘들은 갑골문에 풍부하게 기재되어 있는, 제사의식에서 인간을 제물로 사용하 는 행사 를 가르쳐 준다는 __ _은 확실히 사실과 일치한다(그립 37).

105) The Roy al Cemete r y of the Yi n Dy n asty at An-ya ng , p.9 .

、 。 1 m. 그립 37 西~tr.ii]의 소형 묘에서 발견된 사람의 뼈 (楊錫璋. 楊혔成, 「從商代?紅ffi EHL 看商代奴謀社合的人性」) .

인간제물은 어느 사회계층의 구성원만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부의 묘에서 부장품이 발견되었지만 이러한 부장품의 성격과 양은 매장 방식에 따라 다양했다. 1934-35 년의 자료에서는 1 명의 완전한 사람 뼈가 묻혀 있는 131 자리의 1 인 묘 중에서 58 자리는 질그릇과 청동그릇, 무기, 연장, 악기 등과 관련이 있었으며, 여러 명의 완전한 사람 뼈가 매장되 어 있는 많은 합장 묘에서도 질그릇과 청동그릇, 무기, 장식품이 발견되 었다. 그렇지만 머리와 몸통이 분리되어 있는 52 자리의 묘 가운데 단지 9 자리만이 부장품이 있었는데 이러한 부장품은 질과 양에서 훨씬 빈약했 다. 두개골만 매장되어 있는 묘 중에는 3 자리만이 부장품이 있었고 몸체 만 매장된 묘에서는 기껏해야 칼-도끼―숫돌이 조를 이루어 부장되어 있었다 .106) 이러한 형태는 1976 년의 자료에서도 되풀이되는데 죽 191 자리 의 발굴된 묘 중에서 13 자리만이 매우 적은 부장품이 있었으며 그 중 12 자리의 묘는 완전한 해골이 매장된 것이었다 .107) 제사의식에 사용된 인간 제물 중에는 적어도 모두 부장품을 동반하거나 가끔 동반하여 매장된 사 람과 부장품이 없는 채로 목이 잘려서 매장된 두 부류가 있었던 것 같 다. 또한 약간의 주목을 끌 만한(아직 해석될 수는 없지만) 하나의 문제가 있는데 그것은 1976 년에 발굴된 22 개의 집단 중에서 한 집단 (M 26 • M 32 • M 33) 은 다른 모든 집단에서 발견된 것보다도 건강하고 큰 사람의 뼈가 매장되어 있었다는 것이다.i OB) 4 안양(安腸)의 다른 상(商) 유적 발굴 또는 조사되었던 안양(安陽)지역 내부의 고고학 유적들은 안양시 (安陽市)의 북서쪽으로 후안수(j료水)의 양쪽 제방을 따라서 대략 길이 6 킬로미터 너비 4 킬로미터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되어 있었다. 다시 말하 떤 강의 남쪽 제방에는 동쪽은 허우깡(後岡)에서 서쪽은 환지아창(i'ii.‘* 莊) 북부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북쪽 제방에는 동쪽은 따쓰꽁촌 (x, i)空 106) 위 글, pp.6 - 7. 101) KK, 「安陽殷城奴謀祭祀抗的發陶 pp.2 6-27, 108) 위 글, p.2 6.

村) 남동부에서 서쪽은 통러자이(同樂塞, 치우커우촌秋口村 근처)에까지 이 르는 지역에 유적들이 분포되어 있다. 그 지역에 대한 1958-59 년의 조사 에 근거하여 상(商)의 거주지들이 다음과 갇은 형태를 나타내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죽 〈대체로 (상商의 거주지들은) 후안수( 沮 水)의 남쪽 제방에 있는 인(殷)의 궁궐(현재의 샤오문小屯 촌락 근처)에 집중되어 있었고, 궁 권 지역을 둘러싸고 주거지역과 수공업 작업장, 묘지들이 있었다. 강의 북쪽 제방에서는 우관촌(武官村)과 허우지아랑(候 家 IE) 의 북쪽지역이 중 심지의 역할을 하였는데 그곳에서 인(殷) 왕조의 거대한 왕릉, 귀족들의 묘, 수천개의 순장 구덩이가 발견되었고 그 외곽지역에서도 인(殷) 왕조 의 거주지와 묘지들-o l 발견되었다. 그것들은 지하저장소가 보여주듯이 샤오문(小屯)지역에서 가장 풍부했는데 이 중심지 를 에워싸고 다양한 규 모의 거주지들이 있었다. 비록 이러한 거주지들이 연속적인 구역을 이루 지는 않았지만 그 분포는 상당히 조밀했고, 중심지에서 멀어질수록 약간 씩 산재되어 있었다〉 109) 1976 년에, 후하오 (M~ 子)의 묘가 발 견된 후에 〈인 (殷) 왕조의 초기에는 궁궐지역이 그다지 넓지 않아서 일 부 왕묘가 궁궐 가까이에 있었다〉 110) 는 견해가 제출되었다. 앞에서 샤오문(小屯)과 시베이깡(西~ti패)에 대하여 기 술 했으므로 이제 는 고고학적으로 조사되었던 상(商)의 다른 거주지 를 남쪽 제방에서 시작 하여 동쪽에서 서쪽으로 설명해 볼까 한다. 후안수(iii水)의 남쪽 제방 l 까오러우창(,:·:i l 要i IE) , 허우깡(後岡). 까오러우창(j:':jf樓 i IE) 촌락은 안양 시 (安勘 I i)와 샤오문(小屯)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데 촌락 북쪽의 허우깡 (後 l,' 1J, 뒤에 있는 언덕)이라고 불리는 작은 언덕은 상(商) 유물의 중심지 로 발견되었지만, 그 유물들은 또한 언덕의 북쪽과 남쪽 그리고 촌락 내 부에서도 발견되었다. 이곳에서의 주요한 고고학적 작업은 1931 년 (2 차 례). 1933, 1934, 1958-60, 1971, 1972 년에 각각 진행되었다. 1931 년에 양 사오(仰船), 몽산(龍 III), 상(商)문명의 연속적인 관계가 처음으로 드러난 109) KK . 「 1958-1959 年 1 j訪城發堀簡報」. p.6 5. 110) KKHP, 「安 F90 ll:j)& _l i b泥 lil (l ,-Jf m 」, p.9 6.

유명한 허우깡(後岡)충이 바로 이곳에서 발견되었다 흡 상(商)의 유물에 관한 한 그것 들 은 문자가 새겨진 점뼈와 2 개의 경사로(남쪽과 북쪽), 십 자형 묘실, 순 장인들을 지니고 있는 1 자리의 거대한 규모의 묘 를 포함하 고 있다. 이 지역은 적어도 귀족 들 이 거주했을 것으로 보인다 .111) 2 쉬에지아캉 북부지구(薛 家i I tjt地). 1957 년의 소규모적인 발굴로 재구 덩이와 묘가 발 견되었다. 일부 구덩이에서는 일상 용품과 매장 구덩이가 없는 몇 명의 사람의 뼈가 발견되었고 명기 (明器)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 다. 묘에 는 부 장 품 이 약간 있었지만 순장인은 없었다. 이 지구는 비교적 신분이 낮 은 사 람들 의 거 주 지였던 것 갇다 .112) 3 쉬에지아 랑 남 부 지구(i ¥家i ll :r付 地). 역시 1957 년에 진행되었던 소규모 발굴로 청동기 주조 장과 뼈제품 제작터 그리고 간단한 부장품이 있는 무 덤들이 드러났 다. 이 곳은 확실히 작업장 지역이었다 .113) 4 먀오 푸 북부 지구( 苗冊 l1 tj也). 대략 샤오툰(小屯)의 남동쪽으로 1 킬로 미터 지역인 먀 오푸 ( 집i UO l, 싹나무 재배지) 북부의 고고학 지구는 중요하고 방대한( 적어도 10 , 000 평 방미터) 지역이다. 근래에 이곳에서 발견된 무덤둘 은 상( 商) 질그릇 의 전 형적인 발전 순서 를 제공해 주며, 1958-59 년에는 상당량의 청동기 주조 장 유물(도가니파 편 , 진흙모형, 진 흙룹 )과, 지상식건 물의 바 닥 , 저장 구덩이 들 이 빛을 보게 되었다 .114) 이곳은 확실히 또 다 론 청동기 주조 장이었 는 데 이곳에서 동쪽으로 단지 400 미터 정도밖에 떨 어지지 않은 쉬에지아랑(i! 篠 G IE) 남부지구와 같은 공업 구역의 일부분 이 111) 梁 思 7 k. 「後岡發堀 小 記 」 ; 石璋 凱 「 河 南安 VJ ,} i &I 퍼 (I98 ll:감;」 ; g I i洙 칸두 , 「安陽 ill 1 村L 상·다 메}銘 考t澤 」 ; KK, 「 1971 年安 l 8 f紅 I M l 發堀簡 報 」 ; KK, 「 1972 年 4 g安 賜 後岡 發堀 簡 報 」. 112) KK, 「河 南 安 陽 薛 家i IEl} ll:代迫址 상대 상 µ가1 1/ g墓發堀簡報」. 113) 趙 fi 光 「安 F片 I I I 西 숫 b(I 이 )'t代文化迫.IJI:」, p.3 1 , 周到 • 劉 東亞 , 「 一 j L 1i.七年秋安賜t:j樓i IE tll:{' \':fil址發 h i」. 114) KK, 「 1958-1959 年 殷城發堀簡報」, pp.6 7 -69. ® 당시까지 仰昭文化는 서부지역에, 龍山文化는 동부지역에 분포된 문화로 만 인식되었을 뿐 그 시기적인 선후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는데 1931 년에 梁떤 J k 에 의하여 아래는 仰照文化, 중간은 /l'tl ll( 文化, 위는 商久化로 형 성된 後 I 베유적이 발굴되어 仰炤文化가 t UU( 文化보다 앞선 문화였음이 방 혀졌다(染思永, 「後岡發堀小記」 『 安,J ,% H屈報 {E 』 第 4 )!11 . 사’央硏究院 I!t 史 급 , I 吾 硏究所, 1933, pp. 609-625).

었을 것이다. 그곳에서의 지상식 건물 바닥은 왕실과 귀족들뿐만 아니라 청동기 제조공도 지상식 건물을 사용했음을 암시해 주는데 이와 유사한 관계들이 정저우(鄭州)의 상(商) 유적에서도 나타난다. 5 후아위엔캉 서북지구(花 I 如 I1[ 西~t地). 문자가 새겨진 많은 점뼈가 샤 오툰(小屯) 서부지구에서 발견되었음은 앞에서 언급되었는데 이것은 어떻 게 샤오문(小屯)의 궁궐지역이 서쪽으로 그렇게 멀리까지 확산되었을까 하는 의문을 품게 한다. 떨어진 쓰판뭐(西器 磨 ) 지구(아래 참고)로부터의 유물들은 그 지역이 궁궐구역의 의부지대였다는 것을 명확하게 해준다. 샤오문(小屯)과 쓰판뭐(西선산 1m 사이에는 발굴이 행해졌던 두 곳의 고고 학적 지역이 있을 뿐이다. 북쪽에 있는 하나는 소위 〈 싼스치무띠〉(三十七 敵鳩 후아위엔캉.(t| .:l l i lE 촌락의 북서쪽)이고 남쪽의 다 른 하나는 왕위귀우 G: r.1 11) 와 후위지아샤오랑( 祗家 小 i IE)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후아위엔랑(花i 8 hIE) 서북지구는 1950 년에 발굴되었지만 단지 적은 양의 유물(질그릇조각 • 뼈공구 • 돌재품 • 정뼈)만이 출토되었 을 뿐으로 115) 이 지 역이 왕실이나 귀족들보다는 평민들의 주거지역이었음 을 가 르 쳐 준다. 6 왕위커우( T: 裕 n) 와 후워지아샤오창( ‘租家 小 i IE ). 1932 년에 발굴된 왕위 커우( 王 裕口) 북쪽과 후워지아샤오랑(說 家 小 i I ·E ), 동쪽, 후아위엔랑(花 IIll iIE) 서쪽의 평지인 그 지구에서는 움집들과 항토(다져진 흙)와 약간의 부 장품이 있는 무덤둘이 발견되었는데, 이곳은 평민들과 하류 귀족들의 거 주7지 쓰역판과뭐 매 (I장서선지산 I;역. 5 ) 이. 었쓰을판 뭐것 (I갇밉선산다/ ~ .1 )1 6)촌 락 근처 에 서 는 여 러 번의 고고학 상의 발견이 있었는데 1931 년과 1933 년, 1950 년에 발굴이 진행되었지만 그 유물들의 공간상의 상호관계가 밝혀지지 않고 있다. 항토(芳 土 )식 무 덤둘이 1931 년과 1933 년에 발굴되었고, 지상식 건물 바닥과 문자가 새겨 전 점뼈, 부장품이 풍부한 묘와 부장품이 거의 없거나 완전히 없는 묘가 발굴되었다 .117) 확실히 이 지역은 귀족들이 거주하는 하나의 작은 중심지 이자 묘지였다.

115) 까앙합 5, 「 一 1L li I· 年 1 t’虹虛發堀報 告 」, p.5 8. 116) %令 !IIk 「 {l 衍 ,1 C 小屯造西之 三 處小發堀」, pp.6 31-633. 117) j|i 1Y 跡 「一 )L] 다· :年 8 밌虛發堀報 싣 i」, pp.4 8 -58. ; 李混 「安 F尉 最近發堀報告 及六 ;k I• . (1 文.總 (Ik,t I. 」. p.5 68 ; 吳金 I f, 대때, i C 小屯造西之三處小發堀」, pp, 627-628.

8 빠이지아훤( 白家 th ). 주거터와 매장의 유물이 1958-59 년에 발굴되었 지만 아직 세부적인 보고가 부족하다. 이곳은 확실히 상(商)의 질그릇 연 대 설정에 있어서 중요한 지역이다 .118) 9 메이위엔랑(梅 園 1E) . 안양(安陽) 인쉬(殷城)의 서쪽 끝에 있는 메이위 엔장(梅園 莊 )은 유물들이 거의 없는 작은 유적이다. 그렇지만 이곳은 정 저우(鄭州)의 얼리깡( 二里 岡) 아래충의 것과 유사한 질그릇을 지닌 전형 유적이며 따라서 샤오툰(小屯)의 왕조 이전 시기에 앞선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매 우 중요하다. 119) 10 샤유민툰 납부지구( 孝 民屯南地). 전차 구덩이 3 개가 1958-59 년과 1972 년에 발견되어서 상(商)의 전차의 재구성을 위한 귀중한 자료 를 제공 해 주었다 .1 2 0 ) 11 대이신 창 남부지구(北辛莊南地). 역시 1958-59 년에 발굴된 이 지구 는 뼈 작업장의 유물로 잘 알려져 있다. 죽 200 평방미터 이상의 지역 내 에 지상식 전물 바닥과 삐재료로 가득찬 1 개의 구덩이 및 삐재료,반쯤 가 공된 뼈제품 , 뼈가 공 공구 등의 유물이 있었다 .121) 12 환지아창 북 부지구(范 家莊 ~t地). 1935 년에 조사되어 1958-59 년에 발 굴된 이 지 구 에서는 일반적으로 보다 단순한 유물들이 발굴되었지만 청 동기가 있 는 묘도 발견되었다 .122) 후안수(i 旦 水)의 북쪽 제방 1 따쓰꽁촌 남부지구(大 司空 村 南 地). 이 지구는 사실상 샤오문(小屯) 복 부지구에서 바로 강을 가로질러 강의 동쪽 제방에 위치하고 있어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이곳에서 고고학적인 발굴이 여러 번 (1935, 1936, 1953-54, 1958, 1958-1959, 1962 년) 진행되었지만 비교적 소규모 로 행해졌고 단지 적은 부분의 유물에 대한 보고서만이 활자화되었을- 뿐 11s) KK, 「 1958-1959 年殷幻發堀簡報」, p.6 3 ; 楊賓成의 서 신. 119) 위 글, p.6 5. 120) 위 글, pp.7 2-73 ; KK , 「安陽新發現 (n gl!:{t 1 t.!!넓抗」. 121) KK, 「 1958-1959 年殷城發堀簡報」, p.6 9. 122) 위 글, p.6 3.

이다 .123) 이러한 보고서는 구덩이, 지상식전물 바닥, 전차와 말의 무덤 들, 사람의 무덤들에 관하여 싣고 있다. 무덤 들 은 구덩이의 형태와 나무 로 된 묘실의 사용, 부장품의 성격과 양에 따라 뚜렷이 구 분 되었다. 문 자가 새겨진 점뼈 2 개가 1958-59 년에 발견되었 는 데 이것 은 이곳이 상당 한 규모의 거주지였으며 그 거주인 가운데에 는 높은 신 분을 가진 귀족이 포함되어 있었음 을 가르쳐 준다. 2 쓰미엔메이 (西而碑). 1932 년에 단지 개 략 적으로만 조사되었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의 상태는 잘 이해되지 않고 있다. 이 곳 은 샤오 쓰 꽁촌(小司公 村) 남쪽에 있는데 샤오문(小屯) 북부지구의 바로 강 건너 편 에 위치하여 상당히 중요한 유적일 가능성이 있다. 3 우판촌(武 官 村) 남쪽의 빠타이( 消깜· ). 이 것은 쓰판뭐(四器磨 )의 바로 강 건너편에 위치한 작은 언덕에 있다. 이 지구와 쓰판무] (四뾰磨 )는 원래 동일한 유적지였는데 후안수( jg 水)에 의해 두 유 적 으 로 분리되 었다고 주 장되어 왔다. 1934 년의 소규모적인 발굴로 구덩이와 무덤 , 점 뼈가 발견 되었다 .12 ◄ ) 4 허우지아랑 남부지구( 侯家 1E 南 地). 이 지구 는 문 자 가 새 겨 진 점뼈에 관한 보고서가 제출된 뒤에 1934 년에 한번 발굴 되었으 며 이 곳 에서 그러 한 점뼈 외에도 구덩이와 지상식건 물 터, 흙을 다져 채 운 항토(芳土 )식 무 덤이 밝혀졌다 .125) 이곳은 문자가 새겨진 점뼈 가 나타난 안양( 安腸 )지역 에서의 다섯번째 고고학 지역이다(다 른 4 곳은 샤오 둔 小屯 허 우깡後岡], 따 쓰꽁촌大 司空 村, 쓰판뭐西器 磨 이다). 5 까오징타이쯔( 高j 1 정 t 子 ). 구덩이 들 과 간단한 유 물들 이 1932 년에 이 곳에서 발견되었다 .12 6 ) 6 동러자이 (同樂 깅급 ). 1934 년의 소규모 발굴로 청동그 릇 이 있는 무덤들 123) KK, 「 1958-1959 年殷坡 發 堀簡 報 」, p,6 5 . 66. 69. 73. 75 : 「 1962 年 安陽大司 空 村發堀簡 報 」 ; 「 一 J L Ji 八 年 春河南安陽市大 司空 村殷代 墓葬發堀 簡報」 ; 馬 1 . ! i,志 • 周永珍 • 張 않 臨 「 一 )L Ji 三 年安賜大 司空 村發堀報 告 」 ; 石璋女 n, 「殷 城最近之 重 要發現,tt ; 台小屯j빠 규 」, p.7 5 ; 「後 ,1 E 」. 124) 石 璋女 Il, r g있 藍 最近地重要發現附 論 小屯地 H 」, p.7 5 ; 「小屯文化月」. 125) 石 璋 女 II, 「殷J.1£最近之重要發現 F tt i습 小屯地 H 」, p.7 4 ; 萊作賓, 「安陽侯家莊 t U 土 之甲骨文 字 」. 126) 吳金빠 「t:j:Jt장子三tJi'江業槪 論 」.

_500 1_000 1500 _2000 m.

N 귀족 C 서민 1 각종재조장 Ch 마차무덤 X 갑골조각 그림 38 고고학적 유적에 기초하여 만든 商 王朝 기간의 安 lb 의 도 시조직에 관한 구조적 모형.

이 드러나게 되었다. 이 근처에서 아마 묘지였을 것으로 보이는 커다란 항토(芳 土 )지역을 찾아내었지만 아직 발굴되지 않았다 .127) 강의 양쪽 제방에 있는 위의 고고학적 지구들은 다음과 갇은 마디둘로 구성된, 그물 같은 조직망을 이루고 있었다. 죽 부속 시설 • 작업장(약간 의 기간 동안) • 대형 무덤을 지닌 왕궁과 신전 구역으로서의 샤오문(小屯) 과 시 뻐 1 이깡(西北岡)의 왕묘지역, 일부는 사회계층에 따라 다양하였으며 127) 石璋女n . 「殷城最近之重要發現附 論 小屯地 H 」, p.7 5

그 나머지는 평민들의 거주지였지만 거의 대부분 그것들 자체 내의 묘지 를 갖추고 있었던 주거 촌락둘, 작업장들이나 작업장 구역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러한 부분들은 가옥들과 거리가 조밀하게 모여 있는 도시 지 역을 형성할 만큼 공간적으로 인접하고 있지는 않았지만 전체 조직망은 왕도의 정치 • 제사의 중심지였고, 상(商)왕국에 있어서는 전국의 중심이 었다(그립 38). 5 안양(安陽) 밖의 상(商) 도읍지역의 고고학 상(商)이 인 (l j文)에 도음했을 때의 공간적인 범위에 관하여 이 장 서두 에서 진행된 논의가 확실한 근거가 있는 것이었다면 안양( 安 F냐 )의 유적들 로 이루어진 안양(安腸) 조직망은 단지 도읍의 중심부에 불과 하였을 뿐이 며 그 도읍은 더욱 광범위한 조직망을 구성하는 그 밖의 다론 마디둘을 보다 높은 단계의 조직 수준에서 포괄하였을 것이다. 남쪽의 신향(新鄕) 에서 북쪽의 싱타이(邪장)에 이르는 지역을 더욱 광범위한 도읍지역으로 간주한다면 이것은 웨이수(t!ii 7k) 로 흘러들어가는 여러 작은 강(치洪 • 후안 沮 • 장璋)에 의해 배수되는 타이항(太行)산맥의 동쪽 평원에 있는 대략 남북 200 킬로미터에 이르는 지역이다. 안양(安腸)은 이 지역의 공간상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그 양쪽 끝에서 약 100 킬로미터씩 떨어져 있었으며 고고학상으로는 광대한 도읍의 주도적인 핵심부를 차지하고 있었다. 안양(安腸)의 의부에 있는 이 광대한 도읍지역에 대한 고고학적인 작업 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1 곳의 상(商)의 유적이 후안수(i旦水) 위쪽으로 15 킬로미터 울라간 지점 (따정지大正集)에서, 다른 1 곳이 강 아래쪽으로 15 킬로미터 내려온 지점(꿔촌郭村)에서 발견되었는데 두 곳에서 모두 규 모가 작고 연대가 이른 농경 부락들(따정지大正渠는 샤오문小屯 이전이고 꿔촌j 1 休t은 l 기나 혹은 더 앞선 시기)의 존재를 가르쳐 주는 약간의 도구 와 질그릇이 발굴되었으며 따라서 이 유적들은 왕조 도읍의 일부에 속하 지 않았을 것 같다. 128) 안양(安腸) 북쪽의, 탕인 (湯陰)의 행정구역에 속하는 차오꺼 (朝:f k) 는 많 12s) KK, 「安陽沮河流域幾f l 점迫址 (I 抽園」 pp.3 32. 335.

은 학자들이 저우(周)가 상(商)을 정벌할 때의 마지막 전쟁터이자 실패한 수도방위의 전초선이었던 무예(牧野)의 바로 동쪽에 위치했을 것으로 보 고 있다 .129) 그 지역의 민속전승에 의하면 중심이 갇은 것으로 보이는 3 개의 항토(芬 土 )식 성벽이 상(商)왕조시대의 것들이라고 하는데 고고학적 인 연구에 따르면 오히려 그것들이 똥저우(束 L' i l) 시대의 것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샤오문(小屯)과 샤오둔(小屯) 이전 유형의 풍부 한 유물들이 넓은 지역에 걸쳐서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상(商)문명이 광범 위하게 분포되어 있었음을 가르쳐 주는 것이다 .130) 더욱 남쪽으로 내려와서 상의 유적들은 회이현(輝縣)과 신향(新鄕)에서 보고되었다. 회이현(輝縣)의 상(商) 유적들은 그 현의 서쪽의 후아무촌 (花 目 村)과 추 치우( 猪丘 ) 그리고 남쪽에 있는 리우리꺼(f/iiJ ~!l&I) 의 3 지역 에서 밝혀졌다 .131 ) 대부분이 돌제품과 질그릇인 주거 유물들은 3 유적지 모두에서 발견되었고 이것들은 정저우(鄭州)의 앞선 단계에 속하는 것으 로 보인다. 매장지역은 리우리꺼 (琉Jlil l&I) 에서만 나타났는데 전기 (샤오문小 屯 왕조 이 전 ) 단계와 후기(샤오문小屯 왕조기) 단계를 모두 포함하고 있 다. 일부 후기의 묘들은 요갱 (매장된 사람의 허리 부분 아래에 파놓은 구덩 이)을 갖추고 순장인을 동반한 상당한 규모였다 .132) 이 지역이 상(商)의 도읍지역 안에 있었다면 이곳은 통치계급의 구성원들이 거주하는 작은 중심지였을 것이다. 더욱 남쪽에 있는 신향(新鄕)에서는 질그릇 가마와 무덤 3 자리 가 루왕훤 (路 王 th ) 에 서 발굴되 었는데 전기 와 후기 단계 의 유물 이 모두 나타났다. 133) 안양 북쪽의 상(商)유적들은 안양에서 장(源)강 건너편의 츠현(t炫縣)의 시아판왕(下潘 注 )과 13() 지에뚜안잉 (界段츈 )135) 에서, 그리고 한딴 (Inml) 의 129) 屈1~里, 『 尙 쟌 今 注 今 1澤』, p.7 0. 130) 安金楓 「iL H 샷朝歌鎭發現郡山和商代等文化迫J.11:」. 131) KK, 「河南衛河沿洪工程中的考古 i ,Ll 査簡報」 ; 「iiiJitI 沿賤먀丘 /l 냐((,J商代銅 器」 ; 郭賓鈴 • 及it 外, 『沿 l i縣發堀簡報』. 132) 치아병과 영양부족 상태의 희생제물이 많이 나타난 사례는 毛炭均 • 嚴期 의 「安腸輝縣殷代人牙的硏究報告」 참조. 133) KKHP, 「河南新鄕混王in 商代迫址發堀報告」. 134) KKHP. 「磁縣下潘江迫址發堀報告」, pp.9 8-99. 135) KK, 「磁縣界段정發堀簡報」, pp.3 60-363.

지엔꺼우촌(i I:U ti맑村 )136) 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는데 모두 허베이성(河北省) 의 남단에 위치하고 있다. 이 유적들에서 발굴된 유물(돌공구와 질그릇)들 은, 비록 지위가 높은 어떤 사람의 묘에서 나왔을 것으로 보이는 1 점의 정교하게 만들어진 질그릇인 술그릇이 시아판왕(下潘 江 )에서 . 출토되었다 고해도, 이 지역이 상(商)시대 전기와 후기 모두에 속하는 주거 촌락이었 다는 것을 암시해 준다. 더 북쪽으로 허대이(河北) 남부인 싱타이(ffll~) 지역에서는 일련의 많은 상(商)유적들이 발견됨으로써 안양(安 F島 )식을 본 뜬 소규모 거주지들의 조직망이 드러났다(비 록 안양(安 陽 )과 같 은 귀족적인 중심부는 없었지만). 유물들은 움집과 돌제품, 질그 룻 , 약간의 청동기(화 살촉 • 송곳 • 까뀌 등과 갇은), 점뼈(문자가 새겨지지 않은) 를 포함하는 주거 용이 압도적이었지만 많은 질그릇 가마도 출 토되었다. 아직까지 묘는 발 견되지 않았으며 지상식건물 바닥, 명문(질그 릇 에 새 겨진 것은 제의), 청 동그릇 또는 통치계급을 나타내 주는 그 밖의 어떤 유 물들 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 지역이 도읍지역에 포함되었다면 농부와 도공 들 의 거주망에 불과했을 것 갇다. 137) 6 문헌 기록에 나타난 왕도 위에서 기술되었던 왕도에 대한 고고학은 지금까지 대략 남북 200 킬로 미터에 달하는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규모와 중요성이 다론 유적지들의 조직망을 드러내었는데 그 조직망은 그보다 낮은 차원의 조직 수준에서 또 하나의 조직망을 이루고 있는 안양(安 lL } ) 을 그 중심부로 하고 있었다. 안양(安 l t}) 의부의 유적지들은 아직까지 충분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것 둘은 농경 촌락의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안양(安陽) 중십부는 아주 세련되고 뚜렷한 고대문명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샤오 136) KK, r ii II itit[1패ii IIl} ,Yi村 ,l j迫 h t합산打i簡報」, p.2 01. 137) WW, 「邪·:tt!i發現商 @h t」 ; 「Jffl깡商代迫 h t中的限窟」 ; 唐 2; 1l月 , r itJ k~ll 村商{t迫探堀簡報」 ; WW, 「邪갚買村商代迫址試堀簡報」 ; KKHP, 「 1f l벼t{'ii賓 'II 玉i h t發堀報告」.

툰(小屯) 지구에서는 일부는 토대 위에 세워졌고 일부는 이충 건물인 지 상식전물의 구역들이 발견되었는데 건물들은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었고 1 채의 건물에 하나의 정사각형의 토대와 여러 개의 문이 딸려 있었으며 모두 북-남 방향이었다. 그렇지만 이것은 3 천년 전에 번성했던 문명이며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파괴되어 흙으로 변해 버린 도읍이다. 건조하고 무겁게 침식된 중국 북 부의 황토 지역은 고고학적인 보존에 그다지 도움을 주지 못하였으며 중 국의 농민들은 수천년 동안 계속하여 토양의 표면을 뒤집어 일구었다. 게다가 골동품 도굴꾼들은 적어도 천년 동안 매장된 보물들을 도굴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는 고고학상에서 나타난 양상이란, 단지 하나의 예를 들어, 이제까지 세상에 나타난 가장 훌륭한 청동 그릇이 제조되었던 도 시생활의 희미한 반영에 불과하다는 것을 쉽게 느낄 수 있다. 문헌 기록이 고고학상에서 나타난 양상에 약간 도움을 주기는 하지만 현존하는 것들은 단지 왕들과 그들의 행동에 관계된 것뿐이다. 갑골문에 는 궁궐 지역 내부에서의 왕의 제사의식과 그 밖의 다른 활동들이 자주 기재되어 있는데 그러한 왕의 행위가 이루어졌던 곳은 아마 샤오문(小屯) 북부지구나 그 주 변지역에 있는 지상식건물들 중 어느 곳이었을 것이다. 그러한 곳에는 많은 문 (11) 이 있었다. 죽 종( 宗 , 제사실)으로 이르는 문 과 안마땅으로 들어가는 문, 울문(乙 |'1), 정문(丁 I]), 남문(南 lD' 삼문 (三 r1) 등이 있었다. 또한 실 ( 室 )도 있었는데 태실 (太室, 가장 중요한 내 실)과 4 방향에 있는 4 실이 있었으며 직무장소였던 궁(宮), 왕실의 침실로 쓰였을 듯한 침 (店), 흙으로 만든 제단인 단(打합)이 있었다. 그런데 그 당 시에 가장 중요했던 것은 조상의 위패(位牌)가 모셔져 있었던 여러 종 (宗) 이 었다. 138) 숭배와 거주를 위한 상(商)의 방들이 공간적으로 어떻게 배치되어 있었 는지를 접복기록에 나타난 개략적인 언급을 통해서 보아도 명확히 알수 없다. 천멍지아(陳夢家)는 상(商)의 묘당에 있는 종과 침실은 〈동서남북에 모두 방울 지닌 (오늘날의) 사합원(四合院) 건축의 양삭(중십부에 있는 안 마당을 감싸며 네 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건물양식)과 비슷하다. 침실은 동방 138) 陳夢家, r g魏猿 卜 辭綜述』, pp.46 8-482 ; 陳邦幽 『殷代社合史科r. H i-J, pp. 14-21

。서 'D•b l

크 ga 값 內 C d e f 옵 A 며 (1' g h J 그림 39 당文編시의 』 그건 외뭉을는 K나K타H내C는K, 商『 甲시骨대文의 編 』문 ).자 (b 는 KKHCK, 『 金

(束房)과 서방(西房)으로 불린다…… 남실(南 室 )과 태실(太 圭 )은 제사를 위한 장소인 묘당에 있는 종방( 宗 房)이었다. 남실은…… 북쪽을 등지고 남쪽을 향하고 있는 태실의 남쪽에 있어야만 한다〉 139) 라고 추 측 했다. 4 개의 종방이 모두 중앙의 태실을 향하고 있었다는 이러한 생각은 왕 꿔웨이( 王 國維)가 고대 중국의 종묘를 재구성한 것과 유사한데, 이 종묘 는 『 주례 』 (J,'i') 禮 ) 「고공기」(考工器)에 따르면, 시아(夏)시대에는 세실(世 室)로 상(商)시대에는 중옥(重屋)으로. 저우(周)시대에는 명당(明党)으로 불리었으며 조상이나 신에게 거행되는 중요한 제사의식을 위한 장소라고 한다 .1 ◄ 0) 까오취쉰(ii:i*국})은 왕꿔웨이 (王國維)의 재구성이 근본적으로 근 139) 陳夢家, 떄虹藍 卜 辭綜述 J , P.,4 81, 140) 王냄維, 「明堂f초廟通考」.

거가 있을 것이라고 믿었으며, 그것에 근거하여 시뻬이깡(西 1 t I 때)에서의 십자형 매장 구덩이 를 지하의 신전에 비유하였지만 그는 인(殷)의 모든 궁궐과 사원의 구조가 반드시 이러한 형태 를 취하였다고는 믿지 않는 다.” 어떠한 · 지상식전물이나 그것들의 설계가 엄격하게 이러한 형태에 비유 될 수 는 없 을 것이다. 그 재구성이 사실적이기보다는 상상적일 수도 있으며 또한 상왕( 商王 )의 진짜 종묘가 아직까지 지하에 매장되어 있을 수도 있 는 것 이다.

141) 「 O l):{t 大慕 的 墓室 及Jti닭義之사대 11 」.

상( 商 )의 갑골문 에 나타나는 몇 몇 문자는 건물과 관련이 있어서 우리들 이 상 (商)의 도읍 의 실 상 을 그려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옵(邑 그립 39a) 과 위 (t:'rr , 그림 39 b) 의 문 자 는 둘다 읍의 본질이 성벽을 두른 성터였 음 을 보여준다 . 정저 우( 鄭 州)의 상읍(商邑)은 이러한 성터가 있었지만 (5 장 참고), 안양(安 VL}) 에서 는 이러한 성벽이 발견되지 않았다. 아마도 벽 울 두른 성터는 샤오둔(小 屯) 중심부 근처에서 존재했 을 것인데 그 유물 둘이 고고학자 들 의 시 야에서 벗어나지 않았나 생각된다. 그렇지만 또한 마지 막 왕도는 너우 방대하고 그 주 둔군이 상당히 집중해 있어서 이러한 상황에 서 는 성벽 이 불필 요했 을 것이라는 생각도 가능하다. 〈읍의 성벽〉 ( Tf =때 그립 39c ) 을 나타내 는 문자는 2 개 혹은 4 개의 망루 를 지닌 성벽 울 나 타 내 주는데 그것은 그러한 성벽이 참으로 일반적인 모습이었음을 암시 한다. 많 은 문자들 ( d , e, f)은 양쪽으로 경사진 지붕 을 가진 건물의 기초가 되 는 토대 를 표 시하여 준다. 스장루( 石璋 女 n) 가 재구성한 샤오문(小屯)의 일 부의 지상 식건물 은 이러한 문자들에서 나타나는 건물의 형태와 일치하지 만 후 자 는 높 은 토대의 뚜렷한 특징을 유난히 강조한다. 많은 두드러진 건 물 에 대한 문 헌상의 기록에서 대( 장 )라 는 단어는 항상 똑갇은 경향을 가리키 는 명칭의 일 부 분이었다. 의식을 위한 건물을 표시하는 문자(g, h, i, j)는 2 가지 요소 를 지니고 있는데 그 하나는 방금 언급된 십자형이며 다른 하나는 제사의식을 거행하는 방의 상징인 양쪽으로 경사진 지붕이 다.

2 자연자원과경제자원 1 서기전 2,000 년대 중국 북부의 자연환경 안양( 安腸) 이 그 중심이었던 왕도(王都)는 대략 북위 36' 와 동경 114· 의 평원지대에 위치하고 있었는데 그 평원지대는 남쪽과 북쪽 방향으로는 길게 펼쳐져 있었으나 서쪽으로는 타이항(太行) 산맥이 가로막고 동쪽으 로는 부분적으로 물속에 참기지 않았다면 늪지대였을 후앙하(黃河) 하류 의 충적토충과 경계를 이루고 있었다. 후앙하(黃河) 하류는 역사시대 동 안 계속하여 그 수로를 바꾸었지만 일반적으로 역사지리학자들은 역사시 대에는 휘하이만(渤海}!)으로 흐른 후앙하(黃河)가 윈강(沈江, 지수濟 lk 의 상류)과 교차한 뒤에 도중에서 서에서 동으로 흐르는 3 지류인 칭(淸) • 치 ( 洪 ) • 장( 源 )을 흡수하면서 북쪽으로 홍렀다고 믿고 있다(그립 40), I) 도 읍 지역은 원래 이 3 강이 후앙하(黃河)와 합쳐지기 전에 이 강들을 통하 여 배수되었던 평원지대였다. 후앙하(黃河)가 점뼈에 새겨진 기록 가운데 에-단순히 허(河)로一一-나타나고 있으므로 2) 중국 북부의 평원은 그 1) 鄕道元, 『 水經注 J , pp.7 9-103 ; 注士汀 『水經注園』 pp.9 -10. 2) 陳夢家 「古文 字中 之商周祭而 E 」, pp1 24-130.

초기 에』凶注 經『水 한l겁 :王( 圓地占 정 추한대·I에}, .k. 대고 40 립그

것을 포 괄 할 만큼(동-서방향으로) 넓었을 것임에 틀 림없다. 일부 지리학 자들은 그 당시까지도 충적평원의 대부분이 바닷물에 잠겨 있었으며 타 이항( 太行 ) 산맥을 따라 분포하여 있는 상(商) 문화의 유적 들 이 바로 그 해안에 위치하고 있었다고 믿고 있다.” 그들의 견해에 따른다면 그 평원 에는 당시에 후 앙하( 黃 河)가 존재하였다고 볼 수 없다. 그러나 만약 후앙 하( 黃 河)가 상( 商 )시대에 평원 위로 흐르고 있었다고 한다면 그 평원은 벌써 오래 전 에 나타났음에 틀 림없다. 우리는 상(商) 유적은 해안에 있지 않았으며 후 앙하( 黃河 )에 의해 해안지역에서 약간 떨어져 분리되어 있었 울 것으 로 믿는 다. 왕도 가 위 치 하 고 있던 강 유역의 평원에 식물이 무성하였으며 그 지역 의 기 후는 지금 보다 더 따뜻했고 습기도 많았다고 믿을 만한 충분한 이 유가 있다. 일 찌기 1959 년에 지형학과 동물군(動物群), 식물군 등에 있어 서의 그 당시 의 이용 가능한 증거둘을 근거로 하여 그러한 결론에 도달 할 수 있 었다 . 4 ) 지난 몇 년 사이에 랴오닝(遼 :휴 ) 남부에서의 현세통기의 퇴적물에 대한 꽃가루 연구( 특 히 泥 炭에 대한 꽃 가 루 연구)는 다음과 같은, 확실한 근거가 있 는 기 후 의 연속관계 를 밝혀 주었다. 죽 지금으로부터 10,300 - 8 , 000 년 전 의 푸란티 엔 (p'u - lan-ti en ) 기 와 8 , 000-5,000 년전의 전기 따꾸산 ( T a - Ku - s h a n ) 기 , 5 , 000-2 , 500 년전의 후기 따꾸산기, 2,500 년전부터 현재까지의 좡 허 ( Chuan g -ho) 기이다. 흥적세가 끝난 뒤에 기후가 더 좋아 지는 일반 적 인 경향이 있었으며 따꾸산기에는 그 최적조건에 도달했었 다. 〈 전기 따꾸산기 동안에는 연평균기온이 현재보다 3-5 c 가 높은 13 .. C 로서 가장 따 뜻 하고 습기가 많은 기후였다…… 후기 따꾸산기는 전기보 다는 건조한 기후였지만 연평균기 온이 12 · C 로서 현재보다는 그래도 2~4·· C 가 높은 기 후 였다 〉 .5) 가장 최근의 연구에서 얻어진 이러한 결론은 중국 의 그 밖의 다른 지역에서 행해진 다른 연구들과도 합치된다 .6) 안양( 安腸 )지역에서 서기전 2,000 년대 동안의 기후가 지금보다 더 따뜻 하고 습기가 많은 기후였다는 것은 바로 상(商)의 고고학 유적에서 직접 3) 丁 !5 , 「 華 北地形史與商殷的歷史」, pp. '-l62. 4) 張 光 直 「中 댑 新 石 器 時 代 文 化 斷 代」 : Tlze Arc/1 1 1eo/og y of Anc ien t Chin a , l 장 참조. 5) ss, 「遼 宇 省 南 部一萬年來 自 然環境(l';Jiii«맞J, p.6 09, 6) 空 可 植 , 「中固近五千年來氣候맞遷的初步硏究」, pp.1 5-18,

발견된 동물군 자료들에 의해 뒷받침 된다. 이 자료에 관한 떼이야르 드 샤르댕 (Te i lhard de Chard i n) 과 양종지엔(楊鍾健), 리우똥성(劉束生)의 연 구 7) 에 따르면 안양(安陽)의 상(商) 유적에서 나온 포유류 동물의 유물 가 운데에는 아래와 갇은 동물들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한다. (산출된 각 동 문의 총수의 순서로 아래 표에 나열되어 있음) :

7) Teil ha rd de chardin and Young , On the Mammalia n Remain s from the Archaeolog y Sit e of Any a ng ; C. C. Young (Yang Chung -C hie n ), Budorcao, a New Element in the Proto - his t o ric Any a ng Fauna of Chin a : 楊鍾健 • 劉束堡 「安陽殷猿之唯乳動物群補迫」.

1,000 마리 이상 물소 (Buba/us mep/ zislo p lz eles) 멧 돼 지 (Sus Villa /us var. /ro11/alis) 사불상사슴 (遠 四不像鹿, Elap/ zu rus menzie s ia n ttS) 100 마리 이상 개 (Canis fam i lia r i s) 돼 지 (Sus cf scro/a) 물사슴 (Hy d rop ot e s ine nnis ) 시 카사슴 (Pseuda, xis lzotu l onmz) 상 (商) 의 토종의 양 (Ov is slzang i) 들소 (Bos exiq m t s) 10 마리 이상 너구리 (Can i江 Ny s lereu/ 띠 Procyo nid e s) 곰 ( Urs11S sp . ) 오소리 (Me/es leucuntS ) 호랑이 (Fe/is lig ris) 쥐 (Ep iny s rat/ us ) 대 나무쥐 (Rlriz o my s cf /rog lo lyl e s) 둘토끼 (Le /;11S sp .) 말 (Eq u us caba/1 1 1s)

10 마리 미만 여 우 ( Vulpe s cf vulga ri s) 우수리 곰 ( U,-sz tS cf jap o nic zt S ) 표범 (Felis par dus) 고양이 (Fe/is sp.) 고래 (Ceia c ea ind el.) 둘취 (Sip lm eztS psi l u ras) 맥 ( 참섯 , Tap int S cf ind ic 1t S ) 의뿔소 (Rhin o ceros sp. ) 영 소 ( Cap, ,a sp. ) 영 양 (Budocras laxic o la) 코끼 리 (Elep / z as ind ic t tS ) 원숭이 (Macacz(S /cl zih l ie n sis )

양종지엔(楊 鍾 健)과 리우똥성(劉가대 1 ) 은 이 동물군이 현재 안양(安陽)지 역의 동물군과 확실히 다르다는 것에 주목하면서 이 차이는 다음과 같은 요인, 죽 사냥에 의한 소멸과 삼림의 벌채, 인공적인 이동, 기후의 변화 등의 요인 가운데 어떤 것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렇 지만 그들은 물소가 많은 것은 이 동물의 토착적인 성격과 지금보다 더 욱 따뜻하고 습기가 많은 당시의 기후를 지적해 주는 것이라고 느끼고 있다. 8) 근래에 물소뼈둘이 서기전 5,000 년대나 그 이전으로 추정될 수 있 는 창강(長江) 하류의 신석기시대 유적들에서 광범위하게 발견되었다 .9) 안양(安陽)에 물소의 뼈가 풍부하다는 사실은 당시에 그곳의 기후조건이 창강(長江) 하류의 그것과 비슷했다는 것을 암시해 준다. 근래의 연구 101 에 의해 원서식처가 화이하(i佳iiiJ) 유역이었음이 밝혀진 사불상사슴 (ela p hure) 는 원래 평탄한 늪지대에서 서식을 하던 동물로 오랫동안 여겨 져 왔다 .l 수가 가장 많은 야생동물인 멧돼지도 숲속에 사는 동물이다.

8) 楊鍾健 • 劉束生, 위 글, p.1 51. 9) KKHP, 「河娘渡追址動植物迫存 (I 漏鑑定硏究」, p.9 6. 101. 10) 曹克油 「上海ttt近全新世四不像鹿亞化石 I t,J發現以及 1k 國這써사)物((.JJ也史地 里分布」. 11) J. G. Andersson, Researchs int o the Prehis t o ry of the Chin e se, pp.3 8-4 0 .

더 따뜻하며 특히 습기가 더 많고 숲이 무성한 환경이 본래의 서식지였 다는 이 사실은 그 다음으로 수가 많은 야생동물들一―- 물사슴·시카사 슴·대나무쥐 등――.oJ l 도 마찬가지로 해당된다. 이 3 종의 동물들은 모 두 산-시 (陝西) 시안( 西安 )근처의 반퓌 (半坡)에 있는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확인되었다. 뼈 를 연구한 동물학자들은 〈오늘날 물사슴과 대나무쥐는 창 강(長江) 유역과 창강( 長 江) 남쪽에 분포되어 있다. ……(이것은) 시안(西 安)의 기후가 그때에는 지금보다 더 따뜻하고 습기가 많았다는 것을 가 리키고 있다. 물사슴은 늪지에 살며 대나무쥐는 대나무 숲에 산다. 이 사실은 시안(西安) 지역에 늪지와 대나무 숲이 있었다 는 것을 암시하여 준다…… 시카사슴은 신석기시대에 반퓌( 半 坡) 지역에 나무가 많은 언덕 들이 있었음을 가르쳐 준다 〉 12) 라고 결론 을 지었다. 안양( 安 賜)에서 발굴된 약간의 물고기의 뼈와 새의 뼈 둘 의 종 류가 확인 되 었 다. 6 종의 물고기 들 중에 서 5 종 (P e ll eo ba rg n tS /ttlv id r aco, C y primt S carp io, My !o p ha ,yn g o don, Cte n o p ha ry n g o don ide ll us , Sq ua lio b a rbu s curri czt l ztS ) 은 모두 안양(安陽)지역에 지금까지도 흔히 있 는 것 이나 나머 지 숭어류는 해 안이나 강어귀의 물에서만 보이고 내지(內地) 로부 터 는 보고 된 적이 없 다 .13) 이 사실은 안양(安 FJ ,} )이 지금보다도 더 해안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 었다는 위에서의 지형학적인 논의를 강화시켜 준 다. 새의 뼈 둘 중에서는 닭뼈일 가능성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단지 3 종 류 만이 알려졌는데 그 것들은 공작 (Paco cf mul i cz )과 챗빛 독수리 (Ae gy pic1t S monach z tS ), 은빛 핑 (Gemzae1tS cf n y c t hermerus) 이었다. 15) 이것들 중에서 공작과 은빛 핑이 관심을 끈다. 이것들이 만일 공작에 속한다는 것이 확인된다면 문제가 되고 있는 바로 그 새는 추운 날씨를 견디지 못하는 녹색 공작 아니면 쟈바산의 공작이었을 것이다. 16) 오늘날의 은빛 꿩들은 중국 동남부와 동 12) KKHCK, 『 西安半坡 』 , pp,2 6 7-268. 13) ffi憲文, 「 i c g밌虛出土之,{.{\tt」, p.1 40. 14) 石璋血 「河南安腸小屯殷墓中的動物迫賊」, p,1 2. 15) 1960 년 1 월 14 일 하바드대학의 비교동물학박물관에 있는 Ray m ond A. Payn te r , Jr . 로부터 서신운 받았다. 그의 확인은 李 濟 가 마련해 준 뼈의 견본들에 대해 이루어졌다. 16) N. G. Gee. L. I. Moff et t . G. D, W ilde r, A Tenta tive Lis t of Chin e se Bi rd , p. n ; B. F. Ki ng , E. C. Dick in s on, A Fie l d Guid e to the Bi rd s of South East Asia , p.1 10.

남아시아 전역에서 발견되나 l? ) 순종의 은빛 꿩 (G. n y c t hemencs) 은 중국 납부와 통킹 (Tonkin ) 동부의 숲에서만 발견된다 .18) 안양(安陽)에서 나온 동물군 자료는 강 유역의 평원인 그 지역은 숲이 무성하였고 늪지에 가까웠으며 오늘날의 그 지역보다 다소 따뜻하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정적인 것이 되는데 19) 이 결론은 중국 내의 그 밖의 다 른지역에서의 꽃 가루의 연구 결과와 전적으로 일치한다. 이 결론은 문자 로 된 자료 들 에 의해 한층 강화된다. 후허우쉬엔(胡Jg. •i f. )은 점복 기록상 에 나타나는 많은 지명들은 그 취락이 언덕이나 작은 산꼭대기에 위치하 였음을 가리켜 주 거나 암시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는데 20) 이 사실은 멍원 통( 蒙 文通)이 고 대의 문헌 들 을 근거로 해서 오래전에 이미 지적했다 .21) 일부의 취 락둘 이 높 은 지대에 위치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낮은 지대가 축 축하였거나 늪지였음을 의미함에 틀림없는데 이것은 이미 논의된 고생물 학상의 결론과 어 긋 나지 않은 것이다. 상시대의 기후 에 관 한 가장 직접적인 증거는 점복기록 자체에서 나을 수도 있다. 후허우쉬 엔(胡 厚宣 )은 그 당시에는 현재보다 더 따뜻하고 습 기가 많은 기후가 지 배적이었음을 증명하여 주는 기상학상의 증거로서 다음과 갇은 것들을 들 고 있다. (a) 정월부터 3 월까지 ――휴!재는 이 때 가 겨울에 해당 되어 이 계절 동안에 강수 (l 年 7k) 는 눈이 내리는 형태 를 띠 게 된다 -를 포 함하여 1 년 내내 비가 내렸음을 가리키는 기록들이 있 으며 눈에 대 한 기 록 은 매우 드문데 그것도 눈이 비와 섞여서 내리거나 저녁에 내렸음 을 말하여 주는 기록들이다. (b) 10 일 이상의 긴 기간 동 17) Jea n Delacour, The Pheasants of the World, pp.1 3 9-155 ; Phil ip Way re , A Guid e to the Phea s ants of the World, . pp.1 5 5-156. 18) Delacour, 위 책, pp.1 53-154 ; Ki ng and Dic k in s on, 위 책, p.1 05 ; Gee 외 , 위 책 , pp.5 2 -53. 19) 그렇지만 何炳 樣 는 최근의 저작들( 『 黃土與中댐/:l菜,,~J起源 』 , The Loess and the Orig in of Chin e se Ag ri c u ltu r e, The Cradle of the East ) 에 서 이 결론에 강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북중국은 최근의 지질사문 동하여 초 원지대와 같았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何炳樣가 꽃가루 자료 윤 사용한 것은 Ric h ard J. Pearson 과 丁, ‘ 에 의해 비판을 받았고 그의 견해에 근 거가 되는 문헌자료는 이러한 목적에 이용하기에는 너무 늦은 것이다. 20) 胡 )1 효 , 「 卜辭地名與古人居丘說」. 21) 蒙文通 「古代河域氣候有t r1 今i I域說」.

안(어느 한 경우에는 18 일 동안) 계속해서 비가 내렸다는 기록들은 상(商) 시대에 안양(安腸) 지역에 몬순 현상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해 주는 것 갇 다. (c) 추수에 관한 기록들은 기장과 벼 2 종의 곡물 모두가 안양(安Ii) 지역에서 매년 수확되었었음을 가리켜 준다. (d) 벼와 코끼리 그리고 의 뿔소에 대한 언급이 점복기록에 나타난다. (e) 외뿔소와 코끼리, 호랑 이, 사불상사슴 (ela p hure), 멧돼지, 늑대 꿩과 갇이 칭해져던 동물등을 사냥한 기록이 있는데 이것은 또한 당시의 환경이 현재보다 더 따뜻하였 으며 숲이 더욱 무성하였음을 가리켜 주는 기록이 될 것이다 .22) 2 야생동물과 가축 앞 절에 제시된, 안양(安陽) 지역으로부터의 고고학자료 에 근거한 동물 군의 표는 당시 도읍의 거주자들이 이용할 수 있었던 동물들 의 종류상의 범위 를 보여준다. 야생 동물들 - 특히 맷돼지, 코 끼리,시카 사슴,물사 습―은 안양(安腸)의 주위와 그 동쪽의 숲과 늪 지에서 살 았으며 그 가 운데 일부는 산양과 영양 같은 그 밖의 다른 포유류 동 물들 과 함께 그 서쪽의 타이항(太行)산맥으로부터 왔을 것이다. 의심 할 것 없이 이러한 동물들 중의 많은 것들은 상(商)나라 사람들에게 고기와 가죽, 뿔, 뼈를 제공해 주었지만 그 동물들을 사냥하는 것은 또한 왕의 주요 스포츠였 다. 23) 상(商)나라 사람들이 과연 어느 정도까지 야생 동물들에 식량을 의존하 였는가에 대해서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갑골문에 나타난 사냥에 대한 기록들에 관한 한 사냥은 생계를 위한 활동이라기보다는 하나의 스포츠 였는데 아마도 사냥하여 잡은 짐승은 전부 소비되었을 것이다 .24) 사냥에 22) 胡厚효, 「&tt哀맞遷與殷代氣候之檢討」 ; Karl A. wi ttfoge l, Mete o rolog• ical Records from the Divi n a ti on Inscrip tion s oi Shang ; 萊 作 賓, ri' 魏特夫商代 卜 辭中的氣象J t錄」 ; 張秉權 「商代 卜 辭中的 氣 床紀錄之商桂」. 23) Li Chi, Huti ng Records, Faunis t i c Remain s , and Decorati ve Patt er ns from the Archaeolog ica l Sit e of Any an g . 24) 島邦男, 『殷猿 卜 辭硏究』, p.5 03 ; 陳夢家, 『殷城 卜 辭綜述』, p.5 52.

대한 기록에서 보면 적어도 한 가지 사실은 분명하였다. 죽 숲에 동물들 이 조밀하게 서식하였다는 것이다. 우명(武丁)왕 시기로 추정되는 기록에 다음과 갇이 사냥하여 잡은 짐승을 기재하고 있다.

무오(戊 午 ) 일에 점을 쳐서 꾸(故)가 묻습니다 : 치우( 丘 )에서 사냥하려고 하는 데 잡을 수 있겠읍니까? 이 날 사냥을 해서 (우리는) 실제로 잡았다 : 호랑이 l 마리 ; 사슴 40 마리 ; 여우 164 마리 ; 뿔 없 는 사슴 159 마리 ; 등등 . 25)

2 기 f대접f, 『殷虛文字 乙編』 (乙 -2098) ; Li chi, Tlze Beg inn in g of Chin e se Civ i l iz a ti on , p.2 3.

이와 같 이 서술 된 사냥에 대한 기록들은 많은데 그 가운데 가장 많은 짐승을 잡은 사례는 348 마리의 사불상사슴을 잡은 것이다 .26) 천멍지아 (陳夢 家 )는 사냥기록에 500 번 이상 나타나는 동물은 사불상사슴과 여우, 물사슴, 사슴이었으며 100 번 이상 나타나는 동물은 멧돼지와 둘소이었고 호랑이, 큰 사슴 그리고 아직까지 판독되지 않은 그 밖의 다른 동물들은 열 번도 나타나지 않았다고 한다 .27) 따라서 사냥기록에 동물들이 나타나 는 비율은 동물학자들이 동물뼈의 유물을 분석해서 작성한 동물군 표와 대체적으로 일치한다.

26) 島邦罪 『 殷猿 卜辭硏究』, p., o3. 27) 陳夢菜 『殷猿 卜緖綜述』, pp.'-'% ; 黃然偉, 「殷猿王 m1 鼠考」(中)도 참 조.

가축은 고기 • 가죽 • 뿔 • 뼈를 공급해 주는 원천으로서 아마도 야생동 물들보다 훨씬더 중요하였을 것이며 이 동물들 가운데 일부는 제사에 있 어서 중요한 의미 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이 동물들 가운데에는 개, 소,물소,양,말,돼지 등이 있었는데 노루도 틀림없이 포함되었을 것이며 이것들은 개별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사불상사슴 (ela p hure) 은 다른 동물들과 똑갇은 의미로 길들여진 것은 아니었지만 사불상사슴 떼둘은 사냥한 동물들에 대한 보충으로서의 지속 적인 공급의 역할을 확실히 하기 위하여 가끔 울타리 안에 가두어졌을 것으로 생각된다 .28) 반명에 물소는 완전히 길들여진 동물이었으며 정인 둘이 점을 치는데 사용하였던 어깨뼈의 주요 공급원이었다 .29 ) 개와 소, 양, 말, 돼지, 닭은 제사상의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따라서 매장지에서 발견된다 .30) 이것들 중에서 말 을 제의하 고는 모두 쓰레기더 미에서도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식용으로도 쓰 였 음 이 분 명하다. ’ 그러나 말은 아마도 전차 를 끄는 데에만 사용되었 을 것 이다. 그것은 그곳에서 사육되지 않았을 것이므로 수입해야만 했을 것 이다. 점복기록 에는 말의 〈유입〉에 대해 언급하고 있 는 데 후 허우 쉬 엔 (胡J ! /-효)은 그것들 이 북서쪽에 서 수입되었을 것으로 믿고 있다 . 3 1 ) 가축들이 상( 商 )시대의 생 활 에 있어 아 주 중 요 한 재원이었음을 언급해 야만 하는데 후 허우쉬엔(胡 厚 直 )의 점복기록 목록 에 따 르면 32) 의식에 사 · 용된 소의 수는 다음의 경우 들 에서 보이 는 것처럼 정말 놀랄 만한 정도 이다. 죽 점복기록에 한 차례의 제사에 1 , 000 마 리가 1 번, 3 00 마리가 3 번, 100 마리가 9 번 사용된 사례 들 이 각 각 나타난다 . 32) 이 러한 수자들 을 토대 로 소때의 규모에 대한 인식의 실마리 를 얻 을 수 있다 . 실제로 왕조 이 전의 상( 商 ) 의 선조인 왕하이 ( 王亥 ) 가 소의 사 육 을 처 음으로 창 안한 사람 으로 『 세본 』 ( 世 本)에 기록되어 있으며 왕꿔웨이 ( 王 國維)는 그를 상(商)나 라 사람들 을 교화한 문화상의 진실한 영웅으로 특징지 었다 . 33) 『 역경 』 ( 易 經 )에서는 그가 북방 부족인 여우이씨( 有易 氏)의 손 에 의해 죽음을 당한 사건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는데 그 사건은 아마도 방 목 지 를 둘 러싼 분쟁 의 결과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3 ◄)

28) Teil ha rd de chardin • C. C. Young , On the MamMalia n Remain s from the Archaeolog ica l Sit e of Any a ng , p.3 8. 29) 陳夢 家 , 『 8 밌城 卜 辭綜述』 , p.5 . 30) ,{_ i璋 UII, r iiiJ I ti安賜小屯gll:浴中的動物 迫核 」. 31) 「武 丁 II 足 Ji和Ji ,1 t 1 璃 l j 辭考 」, p.H , 32) 「 O ll:(\ 卜 他 之來源」, pp.5 -6, 33) l:I~ 維, 「'll: 卜 답g rI . , 所見先公先 王考 」. 34) Jiiii Mi셉 l j, 다,t I 易卦父 辭 1 j 1 (l'.J故 .' Ji」.

3 야생식물과 경작식물 2 개의 나무조각을 제외하고는 35) 어떠한 식물 표본도 과학적인 분석을 거치지 않았으며 안양( 安腸 )지역에서 상(商)시대의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었던 식물 자원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전적으로 갑골문을 통해서 얻어 지는 것인데 그것은 고대의 식물에 관한 일반적인 문헌의 자료에 의해서 보충되기도 한다. 현재의 안양(安腸)지역 _ 그리고 사실상 중국북부의 동부지역의 대부 분이 ―—은 낙엽성의 오크나무가 위주인 활영수립으로 특징지워지는 자 연 식물지대에 속한다 . 36) 그러나 상(商)시대에 연평균 기온이 지금보다 2-4·C 높았다고 한다면 안양 지역은 창강(此江) 유역의 혼합 중생식물림 지대로 쉽게 편 입되었을 것이다 .37) 상(商)시대의 것으로 확인된 2 개의 나 무조각이 지금 창강(長江) 상류 유역에서 자라고 있는 혼합 중생식물립의 범주에 속하는 Rhederodendron sp. (木瓜紅싸 一種 )와 Mellio d endron sp. (接 木出 - 4 種 )라는 사실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38) 그러나 우리는 안양(安陽) 지역의 고고학 유물들에 대한 더 많은 추가적인 식물학상의 연구를 기다 려야만 상(商)시대의 안양(安腸)지역의 토착 식물군에 대한 인식을 더욱 진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안양( 安腸)지역 의 식물에 대한 가장 직접적인 언급은 『 시경 』 (詩經)에서 발견된다. 허뻥띠(何炳棟)는 『 시경 』 ( 詩經 )에 기재된 식물의 이름을 모두 모으고 그 이름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그것들이 〈고대의 황토지역은 정 35) 何天 *n, 「中困之 古木 (二)」, pp.2 74-275. 280-281, 36) C. W. Wang , The Forests of Clzin a , pp.1 0 -11. 37) Wan g의 위 책 p. 71 에 따르면 安陽의 바로 남쪽에 있는 j uI it1省 I J H 士t의 연평균기온 (MAT) 은 14.4·C 이다. 여기에 2-4 를 더해 주면 연평균기온은 16. 4- 18. 4 까 될 것이다. 낮은 쪽 (16. 4'C) 은 抗 +H 의 현재 연평균기온과 일치하고(p .97) 높은 쪽 (18. 4'C) 은 浙江 납부와 福建 북부의 기온지대와 비슷하다(p .131). 38) Wang , 위 책 . p.2 26.

말로 반 건조한 대초원 지대의 자연환경을 가졌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결 론지었다 .39) 이러한 결론의 토대가 되는 일차적인 증거는 『 시경 』 (詩經)에 서 쑥 종류에 속하는 식물이 나타나는 횟수이다. 죽 〈 lO 가지 다양한 이름 응 지닌 단일한 쑥 종류의 식물명이 상당히 빈번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 식물은 이 고대의 작품 속에 기록된 수목성(樹木性)과 비수목성의 모 든 식물들을 압도한다…… [이것]은 황토지대가 반 건조한 대초원지대였 다는 명백한 표지이다.〉 40)

39) 「黃土與中國店業的起源」, p.8 5 . 40) The Cradle of the East, p.3 3.

고대에 중국의 북부지역이 〈반 건조지대〉였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허 뻥띠(河炳棟)가 『시경』(試經)에 보이는 쑥 종류의 식물에 전적으로 의존하 고 있는 것은 리차드 피어슨 (R i chard J. Pearson)41) 과 월리암 팅 (W illiam T i n g )42) 에 의해 비판을 받았다. 죽 윌리암 팅은 『시경 』 ( 詩經 )에서의 쑥 종류 의 식물에 대한 빈번한 언급-..J. 문제에 관한 한 다른 어떤 식물에 대해 서라도 __- 이 그 지역의 기후 조건을 일반화하는 데보다도 미기후(微氣 候) ®와 토질(土質)을 결정짓는 데에 더 쓸모가 있다고 지 적 하였다. 더 나 아가 시저우(西周)시대의 중국 북부(축 『시경』( 詩經 )의 내용에 관계되는 시기와 지역)의 기후 조건은 아마 지역에 따라서 달랐을 것이며 이러한 이 유 때문에 『 시경』(詩經)의 시들은 우선 지역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되어야 한다는 지적도 가능하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갇이 저우(周)가 저우(村) 왕을 정복한 후에 상(商)의 도읍지역은 3 나라, 죽 뻬이 (j 태 ) • 용( /세! ) • 웨이 (衛) 로 나누어졌다( 『 漢 :, !} 』 「地理志」). 『 시경 』 ( 詩經 )에는 베이 (j 태 )에서 수집된 19 편의 시, 용 (I 郞)에서 수집된 10 편의 시, 웨이 ( 衛 )에서 수집된 10 편의 시가 있다. 기후 조건을 결정해내는 데 있어서 쑥 종류의 식물이 진실로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던간에 기후조건이 한 번씩이라도 언급되어 있 는 안양(安腸)지역에 관계된 시가 39 편이나 발견된다. 이 시들로부터 나 타난 경관은 나무와 수풀, 대나무 숲, 많은 물이 있는 그런 모습이다 .43)

41) Pearson, P..:,llen Count in North Chin a . 42) 丁! 멸 , 「中國地理民族文物與傳說史」, p.8 6. 43) 『詩 經 』 . ® 微小환경의 기상, 예 를 들면 한 나무의 잎 사이의 습도, 기온, 일광 따 위로서 여기에 사는 곤충에게는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치수(洪水) 둑 위에서 물굽이진 곳 바라보니 푸른 대나무 ! 아름답고 무성하구나. ’ 「위풍(衛風)」 〈기오 〉(洪奧) 치수의 물은 아득히 넘실거리고 전나무 노에 소나무 배 떠간다. 「위풍」( 衛 風) 〈개간〉(介뚜) 강물은 넘실넘설 북쪽으로 콸콸 흘러가는데 찰랑 찰 랑 고기 그물에 잉어 • 붕어가 파닥거리네. 「위 풍」 (衛風) 〈석 인〉 (碩人) 여기에 머물다가 여기서 쉬다가 말 (馬)을 잃고 말았네. 여기에서 다시 찾아보네 숲속 나무 아래에서. 「패풍」 (j뱌風) r 격고〉(擊鼓) 이 시구들이 (우연하게) 그려내고 있는 경관은 분명히 〈반 건조한 대초 원지대〉는 아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시경 』 ( 詩 經)에는 이 시구들이 쓰 이기 바로 전의 몇 세기 동안에 이 지역에 살았던 상 (1 (ij)나라 사람들에 의해 불리어전 것들과 갇은 민요둘은 수집되어 있지 않다. 갑골문에는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어느 정도 제공하여 줄 수도 있는, 나무와 풀의 복합요소들을 지니고 있는 많은 문자들이 있기는 하지만 풍경을 묘사하 는 구철은 없다. 아마 이러한 문자들은 상(商) 나라 사람들이 식료, 목 재, 섬유, 다양한 수공예품 재료 등의 원천으로 삼았던 식물을 명명하는 데에 사용했던 문자들이었을 것이다. 리샤오명 ( 李 孝定)은 『 갑골문자집석 』 (甲竹文字梨)”)에서 나무(木)의 요 44) 李孝定, 『 甲骨文字渠 m 』 , pp.1 937-2047.

소가 있는 48 개의 문자를 수집하였는데 그것들 가운데 살구나무,버드나 무, 모과나무 (L y s i um chin e sis ) , 사이프러스 등과 같이 그 이름이 확인된 나 우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그 책에는 벼 (禾)의 요소가 있는 25 개의 글자 도 수록되어 있다 .45) 위성우(于省 吾 )는 이것들(그리고 『 설문 』 (說文)에 따라 서 달리 분류된 약간의 문자들) 가운데에서 다음의 7 개, 죽 서 (~) • 직 (稷) • 도(稱) • 맥 (麥) • 래 (萊) • 니 (f尼) • 화(禾)를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가려냈다 .46) 이것들 중에 상(商)나라에서 재배되었던 주요 곡물이 있을 것이므로 각 문자는 개별적으로 설명하고 논의할 만한 가치가 있 다. 서(委,수) 서(委)라는 굴자는 점뼈 기록들 중에 다론 어느 곡물보다도 자주 나타 난다. 따라서 갑골학 전문가둘은 이것이 상(商)왕국의 거주인들의 주된 곡물이었다는 데에 동의하고 있으며 47) 또한 고대중국의 농업을 연구하는 대부분의 학자들은 서 (禁)가 기장 (Pan i cum m i li acem 지울 가리키고 있다는 데에도 동의하고 있다 .48) 상(商) 시대의 고고학은 아직 위 사실을 강력히 뒷받침해 줄 수 있는 기장(또는 다른 어떤 기장류)의 유물은 찾아내지 못 하였으며 신석기시대의 고고학에서는 기장이 단 한 번 나타나긴 하지만 이것이 발견된 상황은 불확실하고 49) 그 밖의 다론 모든 기장류의 유물들 은 조 (Se/ar i a it al i ca) 로 확인되었다. 이런 상황은 신석기시대로부터 상 (商)시대에 이르는 동안에 곡물에 대한 기호가 크게 변화한 결과였을 수 45) 위 책, pp,2 349-2420. 46) T-省 픕 「商代 (I~~ 類作物」. 47) 1 U:Ji얘h , 「殷代(ltJ/!業與氣洙」, pp.3 03-304. 于省吾 앞 굴 p,8 8. 48) T-;;백, 「采稷栗梁與?::i梁」 : Te-tz u Chang , The Or igin and Early Cul- tur es of the Cereal Grain s and Food Leg um es, p.2 . 그렇지만 Edward Scha f er 는 委룹 이 기 장의 변종으로 간주한다. Edward Schafe r , T'ang , K. C. Chang ed, Food in Chin e se Cultu r e, p. 88. 49) Carl W. Bis h op , The Neolith i c Ag e in Noth e m Chin a , p.3 95.

도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그것은 고고학의 성과가 아직 불충분하였음을 가라켜 주는 표시일 것이다. 기장과 조 2 가지 모두 중국 북부에서 경작되었다고 많은 사람들이 생 각하고 있지만 50) 잭 헬런(J ack Harlan) 은 〈 2 가지 모두 지금으로부터 6,000 -5000 년 전 사이에 유럽 전역에 산재해 있는 몇 곳의 신석기시대 촌락의 유적들에서 발견된다. …… Panic u m ® 은 지금으로부터 5,000 년 전에 메소 포타미아의 젬드트 나스르(J emde t Nasr) 에 있었던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아마도 서기전 약 7,500 년에 그리스의 아르기사 (Ar gi ssa) 에도 있었을 것 으로 보고되었다 〉 51) 고 지적하였다. 그는 2 가지가 모두 유라시아대륙의 여 러 곳에서 제각기 재배되었을 수도 있다고 추측하였다. 그러나 지금으로 서는 어떻든간에 서(禁)가 중국 북부의 토착의 지배품종이었으며 상 (I(6) 의 주요 생산물이었다는 데에 의문이 없다. 직(稷. *) 위성우( 于 省 吾 )가 직(稷)으로 해석하고 있는 갑골문자는――:직(陵)은 고대의 문헌에서는 고대의 곡물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문자이다―~다른 학자들에 의해 다른 곡물로 여러가지로 해석되었으며 52) 리샤오명(李孝定) 은 그의 『 갑골문자집석』(甲骨文字集釋)에서 그것을 서(~) 자의 변형으로 해석하였다 .53) 그런데 상(商)시대의 명문에 보이는 다른 어떤 문자도 직 (稷) 자로 납득될 만한 것은 없으며 또한 직 (稷) 이 주요곡물이 었으므로 위 싱우( 于 省 吾 )의 해석은, 그 언어학적 금석학적인 성과를 제쳐 두고라도, 상당한 호소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직 (稷)을 식물학적으로 확인하는 것은 큰 논란이 되고 있다. 학 자들 중의 반수는 그것울 기 장 (Pan ic z t m mi liace um : 찰기 장이 거 나 매 기 장) 50) The Cradle of the East ; Te-tz ' u Chang , The Orig in and Early Cultu r es of the Cereal Grain s and Food Leg u mes. 51) The Orig ins of Cereal Ag ricu ltu r e in the Old World, pp.3 79-380. 52) 于省吾, 「商代的穀類作物」, p.9 2. 53) 李孝定, 『甲骨文字媒釋J, p.2 387. 54) 위 책, p.2 3 51. ® 수수, 피 등이 속하는 pa nic u rn /rJ.

으로 확인 하고 있으며 나머 지 반수는 조 (Set a r ia itali c a ) 로 확인 하고 있는 데 〈이 2 종류의 기장을 둘러싸고 있는 학명상의 혼란은 현재 이용가능한 증거와 기록들로써는 해결될 수 없을 것이다. 〉 55) 그러나 Pan i cum 과 Se/aria 모두 고고학적으로 확인되었다. 위성우( 于 省 吾 )는 점복기록들 가 운데서 서 (采)자와 직 (稷)자를 확인하였다(서 (委)는 100 번 이상, 직 (稷)은 40 번 나타난다). 서(委)와 직(稷)은 모두 『 시경 』 ( 詩經 )에도 자주 나타난 다. (서(采)가 19 번, 직(稷)은 18 번 그리고 12 번은 함께 나타남 ).56) 이렇 게 균형을 이루며 나타나는 현상에 의해서 직 (稷)은 거의 확실히 조 (Selmi a it a/ i ca) 였으며 서 (禁)는 기장 (Pan i ann m ilia c e zmz) 이었다는 결론에 대체적으로 동의하게 된다. 57) 상(商)시대 동안 직 (稷)은 그것이 비록 점 복기록들 중에 비교적 빈번하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실상은 조상숭배 제 사용으로 서(委)보다 더 자주 사용되었다 . 5 8 )

55) Te-tz ' u chang , The Orig in and Early Cultu r es of the Cereal Grain s and Food Leg um es, p.2 8. 56) 料 .Ig .저), 「毛詩穀名考」, p. 268, 57) 郁尉文, 「,詩 經 禁稷처f」. 58) 于省퓨, 「商(t(t)·穀類作物」. p.9 3 ; 張秉權, 「殷代的店業與 i tt4l」, pp.3 04 -306.

도(稱, 성) 항아리에 들어 있는 곡물을 묘사하고 있는 이 문자 ~ 위성우( 于 省 吾 )에 의해서 콩으로 ,59) 천멍지아(陳夢 家 )에 의해서 기장의 변 종 으로 60) 간주되 고 있기는 하지만 이것은 벼 를 뜻하는 단어인 도(稱)로 일반 적 으로 해석 되고 있다 .6 1) 장뻥취엔(張Jt權)의 견해에 따르면 벼는 상(商)시대 점복에 서는 기장에 필적될 정도로 중요하였는데 왜냐하면 벼의 수확에 관한 점 복이 기장의 수확에 대한 것과 함께 자주 행해졌기 때문이라는 것이 다 .62)

59) 李孝定, 『 甲骨文字渠 m 』 , pp.2 355-2358 ; 張秉權, 「殷代的店業與氣梨」, pp.3 04-306. 60) 于省욥 「商代的裁類作物」. pp.9 5. 61) 陳夢·~. r 'jll:城 卜 辭綜述 』 , p.2 57. 62) 張Jttili. 앞 굴, pp.3 05-306.

벼 (Or yza sal i va) 의 유물은 허난(河南)의 신석기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는 데 63) 오늘날에는 관개의 개선으로 중국 북부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상(商) 시대 동안 중국 북부의 기후가 앞에서 특징지워진 대로라면 벼의 재배는 안양(安陽)지역의 상(商)의 경작에서 그리고 상(jfij) 영토 내의 그 밖의 어느 곳에서도 환경상의 제약을 받지 않았을 것이다. 벼는 아마도 중국 남부나 그 주위에서 처음으로 경작되었을 것이지만 l 그것은 상(商) 시대가 시작되기 오래전에 이미 중국북부로 유입되었음에 틀 림없을 것이다. 맥(姜 :r) 보리는 제사에 쓰였지만 갑골문에는(기장이나 벼의 수확에 대한 언급과 갇 은) 보리 수확에 대한 확실한 언급은 하나도 없다. 서아시아에서 유입 되었음이 거의 확실한 6 5 ) 보리 ―― - 정복기록에서는 〈온 것〉이라는 뜻의 래 (來)라 고 도 불 리었음-는 상(商)의 농경지에서 중요한 작물은 아니었 울 것이다. 점 복기록에서 맥(麥)이라는 단어는 자주 고( 告 , ……에 대해 말하다, …• •• 에 대해 알리다)라는· 단어 뒤에 놓여 있다. 위싱우 ( 1 따f 1 t)는 그것에 관하여 〈 변경지대의 상(商)왕의 관료는 인접 부족들의 맥의 수확 울 유심히 지켜보고 상(商) 왕에게 그것에 관한 정보 를 보냈다. 왕은 그 러한 정보 를 토대로 하여 습격을 하고는 했다〉 66) 라고 해석하였다. 니 (泥, 1i) 돌벼(피)라고 해석되고 있는 니('尼)라는 단어는 점복기록에 단 한 번 63) G. Edman • E. St> d erberg, Auff ind ung von Reis in eine r Tonscherte ais ein e r etw a fU nf tau sendjl ihr ig e n Chin e sis c hen Sie d , ~ng . J. G. Andersson, Pre-his t o r ic Sit es in Honan. 64) Te-tz ' u Chang , The Orig in, Evoluti on , Cult iva ti on , Diss emi na ti on , and Dive rsif ica ti on of Asia n and Af rica n Ric e s. 6 기 Jac k Harlan, The Or igins of Cereal Ag ricu lt ur e in the Old World. 66) 于省 吾 , 「商代tr:J穀類作物」, p. 97. 그렇지만 于 는 麥을 보리로 해석하고 또 다른 단어인 來는 밀로 간주하 고 있다. 대부분의 다른 학자들은 麥과 來문 같은 곡물 죽 밀로 보고 있 다.

나타나지 만 67) 그 의 미는 분명 하다. 돌벼 (피 ) 가 안양(安陽) 근처 (아마 안양 安勘 서쪽)에서 〈수확되었다〉는 사실은 중국의 벼 경작의 역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 를 갖는 것이다 .68 ) 그 밖의 다른 곡물 들 을 가리키는 문자들이 있으며 그것 들 에 대한 언급 도 있지만 69) 그것 들 은 아직까지 그다지 중요하지도 않으며 또 그 식물학 상의 실체도 명확히 확인되지 않았다. 옛부터 중국 북 부 에서 재배되었던 것으로 알려진 식료나 섬유, 그밖의 경제상의 물 자 를 얻 는 데 필 요한 많 은 종류의 작물들과 채소들 7 0 ) 가운데 대부분이 상( 商 ) 시대에 존 재하였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다소 의문이 있다. 그러나 기 록 이 잘 되어 있는 식물 의 하나 는 누에에게 아주 중요한 먹이용 나무인 뽕 나우이다. 점 복 기록 에는 뽕나무와 누에, 비단 을 표시하 는 문 자들 이 있으며 안양 (安陽 )에서 발굴된 고고학적 유물 들 중에는 청동기와 나무에 새겨진 비 단 자국의 무 늬와 청동 미술품에 나타난 누에 주 제, 옥으로 된 누에의 조 각상 등이 있다. 71) 4 암석과 진흙 암석학자 들 이 연구한 인쉬(殷城)에서 출 토된 44 4 점의 돌로된 도구와 무 기들 중에서 405 점 (약 91%) 은 다음의 8 가지 암석으로 만 들 어졌다. 죽, 접판암( # 사反 岩 , 273 점, 61 .4 9%), 휘록암 ( % I i綠岩 , 37 점 , 8.3 3 % ), 석회암( 石 灰岩, 16 점, 3.60% ) , 석영암( 石 英 器 16 접), 천매암( 千 枚 岩 , 1 4 점, 3.1 5 %), 사암(砂岩, 11 점, 2.4 8 %) 그리고 옥( 玉 , 7 점, 1 . 58% )이다. 비록 리지 ( 李 67) 1 U Jt權 「殷代(f(JJ.: & 業與 AU µ 」, p.3 08, 68) 何炳樣, 『 黃 I : 與中 國 /~ 菜 r,~ 起 源』 , pp.1 40-160 참조. 69) 1kr t:ttt. 앞 글, pp.3 08-309 참조. 70) 弁,'驛), 「毛 詩跋 名 考」 : Li Hui- li n , The Orig in of Culti va te d Plants in South e ast Asia ; The Veg e ta b les of Anc ien t Chin a . 71) 胡 )I/. i. 〔, 「殷代的 E 桑和絲織」 ; 萬 家 保 「從西陰村的효 藏談 至 l j中댐 早 期的絲 織 E 業」 ; V. Sy lv an, Sil k from the Yi n Dy n asty ,

濟)는 〈일반적으로 말해서 점판암·석회암·휘록암 갇이 보편적으로 사용 된 암석들 가운데 일부는 아마도 안양(安 V~) 근처에서 생산되었을 것이 다〉 72) 라고 기술했지만 이러한 암석들의 원산지가 과학적으로 확정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옥의 문제는 이 장의 마지막 절에서 다루고자 한다. 여러 다른 제품들을 만드는 데에는 종류가 다론 암석들이 선택되었음 이 분명하다. 휘록암과 석회암은 도끼와 까뀌롤 만드는 데에 가장 흔히 사용되었으며 수확용 칼둘의 거의 대부분은(전체의 95.88% 인 243 점) 점판 암으로 만들어졌고 무기들의 대부분은 점판암과 옥으로 만들어졌다 .73) 한편 무덤에서 발견된 도끼창(戈)은 대리석 • 옥수(玉ffi) • 옥으로 만들어 졌는데 움집에서 발견된 것들은 석회암 • 석영암 • 얼룩마노(J.!l,;겨ij ony x ) • 단백석(盛 白石 ) • 옥수 • 깨끗하고 자그마한 규화석(珪化石)으로 만들어졌 다 .74) 상(商) 시대의 안양(安 lL} )에서 나온 질그릇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은 이 제 겨우 시작되었지만 지금까지의 분석 결과가 분명히 지적해 주는 것은 각각의 질그릇을 만들기 위해 매우 신중하게 진흙을 선택했다는 점과 그 진흙 모두가 간단히 그 지역에서 얻을 수 있었던 혼합물들이 아니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리지 (李濟)는 안양(安陽)에서 나온 질그릇을 5 가지의 주요한유형――-흰색과검은색, 회색, 단단하면서(또는단단하거나) 유약 이 칠하여진 것, 채색이 된 것_으로 분류하고 있다. 채색질그릇과 검은색 질그릇은 상(商)과는 거의 관계가 없는 안양(安陽)의 선사시대의 문화층에 속했지만 리지(李濟)는 그것들의 화학적 성분을 다른 곳에서 출 토된 비슷한 종류의 질그릇에 대한 분석과 비교함으로써 채색질그릇은 아마도 현지에 있는 진흙으로 현지에서 만들어졌을 것이지만 검은색 질 그릇은 훨씬더 세심하게 진흙이 선택되어 만들어졌을 것이라는 시사를 받았다. 리지(李濟)의 말에 따르면 샤오문(小屯)의 회색질그릇, 흰색질그 릇, 그리고 유약이 칠해진 질그릇으로 대표되는 상(商)의 질그릇은 상당 한 진보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한다. 〈그것들은 진흙의 선택과 혼합에서 고도로 발달한 기술을 보여준다. ·… .. 채색질그릇 시기에 질그릇의 제작 에 필요한 원자재는 현지의 이용가능한 산지에서 구해졌으나 이 조건이 72) 李濟, r g밌虛有겼石器圖說」, pp.5 24-'· 73) 위 글, p.5 25. 74) 위 글, pp.5 34-535.

인-상(1]£내'fi) 시기에 바뀌어졌던 것이다〉 75) 안양(安腸)의 유약이 칠해진 질그릇은 더 주의해 볼 가치가 있다. 정저 우(鄭州)와 장지아뭐 (張 家 坡)에서 나온 비슷한 질그릇은 중국남부로부터 ―아마도 창강(長江) 하류 델타지대로부터-수입되었던 것으로 여 겨져 왔다 .76) 안양(安陽)의 유약아 칠해진 질그릇은 약간의 특색이 있으 나 그것이 현지에서 만들어진 것인지 아닌지는 아직 확정지울 수가 없 다. 5 구리와 주석 청동기의 제작은 상(商)시대에 주요한 산업이었다_이 경우 〈주요 한〉이라는 것은 무엇보다 수요에 충족키 위해 녹여졌던 광석의 양을 의미 한다. 앞 장에 서 언급된 바와 같이 1976 년에 발굴된 후하오 ( &} 女 子 ) 묘는 왕실의 제 2 인자급의 딴 한 사람이 생존지와 사망시에 400 점이 넘는 청동 기 를 모을 수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들 중에는 200 접 이 상의 제기가 포함되어 있는 데 그 중에서 가장 큰 것은 한 쌍의 사각형 의 대형 솥(서 1}) 으로 무게가 각각 117.5 킬로그람 (258.'.> 파운드)씩이나 되었 다 .77` 어디에서 그 원료인 구리와 주석을 입수했을까? 중국 북부는 구리와 주석의 매장량이 비교적 빈약한 것으로 간주되어 온 반면에 중국 남부는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많은 학자들은 한동안 상(商)시대의 구리와 주석의 산지로서 남부에 주의를 기울였다 .78) 그러나 아마노모토노수케 (天野元之助 )79) 와 스장루(石璋 kn) 80) 는 상(商)나라 사람들이 오늘날에는 광석이 고갈되어 버린 크고 작은 광산들에서 채굴 75) 李混 「小屯陶器質料之化석년分析」. 76) J M 仁 • 李家治 • 鄭*1i1il, 「張 家 坡西周居住迫:1:l1:t距究碑片的硏究」. 77) KKHP, 「安陽'll:jJli五號墓的發堀」, p. 63, 78) !il l 洙若, r , 잡銅器時代 』 ; 荊伯한, 「中固史綱」 1 권 : 梅原未治, 『 東亞考古學 論考』 ; 關野雄, 「中國?t銅器文化(7)一性格」. 79) 天'fjt之助, 「殷代産架i각싸寸 5 若干(7) IHl 坦」, pp.2 31~237. 80) 石璋 11n, 「 U ll:f -\'.:(1 '-J~銅工맛」.

주 과1)1. 본구로리 광ah, I,C i 도판 중.: !으 '어,진심lk}안 Raem'’MceAiil1 O S/ 심본로으 석주광-- 에4lImj l의하들 만여 aIrelc Mlugi a따Sa/ 운F女 중『§ 리과광구 O 0OJ l .I,_•, mk.r \t\..l . .석 강주•구리 광 41립 그

2 A}~AH!}부一x사x= } {IZ O

을 하였을 수도 있으므로 중국 북부의 고대 광산에 관한 역사적 기록들 이 그러한 광산들을 이용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데에 참고되어야 한다고 매우 합리적으로 주장하였다. 아마노모토노수케 (天野元之助)는 구 리와 주석 모두가 북중국의 4 개의 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가능했다는 것 을 발견했는데 죽 허난(河南)에는 6 곳의 구리 광산과 6 곳의 주석 광산이, 산똥(山束)에는 2 곳의 구리 광산과 2 곳의 주석 광산이, 산-시 (陝西)에는 15 곳의 구리 광산과 6 곳의 주석 광산이, 허베이(河北)에는 4 곳의 구리 광 산과 1 곳의 주석 광산이 있었다고 한다. 스장루(石璋女 II) 는 안양(安陽)에 서 100km 이내의 지역에서 3 곳의 구리 광산과 4 곳의 주석 광산을. 200km 이 내 의 지 역 에 서 6 곳의 구리 광산과 3 곳의 주석 광산을, 300km 이내의 지역에서 11 곳의 구리 광산과 4 곳의 주석 광산을, 400km 이내 지역에서 6 곳의 구리 광산과 6 곳의 주석 광산을 각각 확인하였다(그립 4I). 스장루(石璋女 11) 는 아래와 같이 결론을 맺었다. 〔도읍지에서〕 400km 이내에 있는 지점들―—특히 상호간에 잦은 교류를 가졌던 지접들――-로부터 〔구리의〕 운송이 가능했는데 왕복하 는 데에 반 달 내지 한 달 정도가 걸렸다. 명원지양(丁文江)은 『 중국 광업기요 』 (미사점鑛菜紀要, An Outl ine of Mi ne ral Industr ies in Ch i na) 에서 〈구리 광석은 중국에 폭넓게 매장돼 있었고 그것들의 채굴은 일찍 시작 되었다. 그러나 광업의 역사가 보여주는 바로는 한(漢) 시대에는 허난 (i ’I J,i.j)과 저지양(浙江)에, 탕(唐) 시대에는 산 - 시 (陝西)와 허베이 (河北) 에, 쏭(宋)시대에는 후지엔(福述)과 지양쑤(江 §k) 에, 밍 (明)시대 및 칭 (i,!i)시대에는 쓰촨(四川)과 윈난(많南)에 구리 채굴 산업의 중심지가 있었다. 어느 한 곳도 300 년 이상 번성했던 곳은 없다〉고 언급했다. 만 일 그렇다면 인 (Ij t)의 구리는 굳이 창강(長江) 유역이나 심지어는 후앙 허(黃河)의 남쪽에서 찾을 필요가 없다. 지위엔(濟源)에서 위엔취(垣 1ll1) 와 지양현(降縣), 원시 (IUl . g. )까지의 통로는 종탸오 (~l? f~> . 산맥에 이르렀 는데 그곳에는 구리 매장량이 풍부했었다 .81) 더 나아가서 스장루 (1 i璋 UIl) 는 꽁황(,I;· ;j)으로 알려진 이방국가――후 81) 위 글, p.1 02.

허우쉬엔(胡厚 宣 )은 그 위치를 산-시(陝西) 북부로 설정하였다 82)- 가 상(商)에서 사용하는 구리 광석의 주요 공급원이었을 것이라는 홍미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갑골문에는 꽁황( 곰 方)에로의 군사 원정에 관한 기 록들이 자주 나타나는데 스장루( 石 璋t n) 는 만일 꽁황( 곰 方)이 정말로 중 요한 구리 광석의 공급원이었다면 이 전쟁들은 상(商)이 필수적인 것으로 여겼음에 틀 림없는 이 특정의 중요한 자원과 어떤 관계가 있지 않았을까 생각하였다. 83) 주석 광산에 대 하여 말하면 산-시 (陝西) 남부도 역시 주석 의 주요 산지였다. 아마노모토노수케 ( 天 野 元 之助)와 스장루( 石 璋t n) 의 연구는 구리와 주석 이 상(商)의 채굴자들에게 이용가능하였다는 것을 설득력있게 보여주기는 하지만 그 광 석들 이 실제로 상(商)나라 사람들에 의해 채굴되었는가는 증명해 주지 못 한다. 이 문제 를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광산에서 얻 어진 고고학 적 증 거나, 안양( 安 腸)에서 발견된 광석들을 그 광산에 연결 시킬 수 있 는 과학적 증거가 있어야 한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우리는 그 어느 것도 가지고 있지 못하고 있다. 6 귀중물 상(商)사람 들 이 가졌던 모든 귀중물들 중에서 보패 (貸貝, 화폐용 조가 비. Cyp r a ea mone ta 와 c. a1111ul11s) 는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였음에 틀림없 다. 오늘날의 서체에서와 마찬가지로 갑골문에서 〈귀중한〉이라는 단어인 보(fi)는 보패의 형상을 나타내며 많은 청동기 명문들에는 조가비를 줄에 깬 많은 줄의 보패가 증여된 사례에 대한 기록이 있다. 아마 5 개나 10 개 정도의 조가비로 이루어졌을 1 줄의 보패는 상(商)시대 동안에 하나의 기 본 화폐단위였다 .84) 후하오 (hr i l f)의 묘에서는 거의 4,000 점의 보패가 발 견되었는데 85) 이것은 이 묘의 주인공이 캐 부유한 여자였다는 사실을 보 82) 胡 I!/. '.i1 , 「 곱 方考」. 83) 石印 UrI, 앞 글, pp.1 0 2-103, 84) 高去f'}, 「殷 ij~ (I\ J含貝世貝」. 85) KKHP, 「安賜殷JjJjJdf, ~(l~ J發堀」, p. 62.

여준다. 보패의 가치는 부분적으로는, 도읍으로 수입되기까지의 그 운송 거리에 근거하여 산출되었을 것이 분명하다. 가장 흔히 화폐로 사용되었 던 moneta 조가비 와 annultt S 조가비 는 모든 보패 들과 마찬가지 로 바다 에 사는 연체동물이 다. annulus 조가비는 오늘날에 창강(長江) 델타 남 쪽의 중국 동부해안에서 찾아볼 수 있지만 moneta 조가비는 중국대륙의 해안에서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그립 42).86) 갑골문에는 보패들이 어떻게 입수되었는지에 관한 정보가 거의 없다. 상(商)의 또 다른 귀중물은 점을 치는 데에 사용된 거북껍데기였는데 우리가 지금 갖고 있는 문자화된 기록들은 상당수가 이것에서 나온 것이 다. 실제기록과 잘 훈련된 산출방식 을 토대로 하여 후 허우쉬엔(胡厚 宣 )은 적어도 총 160,000 개의 거북껍데기의 조각 _ 글씨가 새겨지거나 새겨지 지 않은 것 모두 다 합하여――-이 안양(安 腸 )에서 출 토되었다고 믿고 있 다 .87) 껍데기 1 개에 10 조각씩 나왔을 것이라는 대략 적 인 계산을 이용하 여 그는 16,000 마리라는 거북의 숫자 를 산 출 해냈던 것이다. (각각의 거북에 서 등껍데기와 배딱지 2 가지의 껍데기가 나오는데 글 씨가 새 겨 진 조각들의 대 부분은 배딱지였으며 등껍데기는 드물게 사용되었으므로 1 마리의 거북에 2 가지 의 껍데기가 나온다는 것 을 계산에 넣어서 16,000 이라 는 수 자 가 크게 삭감될 필요는 없다.) 정확한 수자는 의심스러울 수도 있지만 상당히 많은 수의 거북 껍데기가 입수되어 점을 치는 데에 사용되었다 는 사실만은 반박하 지 못할 것이다. 그러면 이 껍데기들은 어디에서 왔 을 까?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여러 종류의 거북은 발굴된 껍데기들을 통해 서 확인 이 되 었는데 그것 들은, Ocadia sin e n sis , Chin e m y s reevesi, Mauremy s muti ca , cuora sp. , Testu d o emy s 이 다. Chin e m y s reeves i는 오 늘날 중국 북부에서 보이고 있지만 다른 종류 들 은 모두 창강(長江) 유역 과 보다더 남쪽으로 내려간 지역에서만 발견된다 . 8 8) 이러한 동물학적인 사실은 고대의 문헌과 오늘날의 지명사전에서 모두 거북은 어떤 종류이 건간에 창강(長江) 유역과 그보다 훨씬 남쪽으로 내려간 지역에 있는 중 국의 여러 성(省)들에 압도적으로 그 존재가 기록이 되어 있으며 북부의 성들에는 아주 드물게 언급되어 있다는 후허우쉬엔(胡厚 宣 )의 연구 결과 86) C. M. Burge ss, The Liv i n g Cowr ies, pp.3 41-344. 87) 「殷代 卜 龜之來源」, p.5 . 88) C. H. Pop e, The Rept iles of Chin a , pp.3 3-34. 45-47. 48-50. p.5 4.

he

sn Anluu` . 이와하 a· . .. t aoMne : :•. .. . ., .. . . .a .. 사~모0 •. ,. ,:. .... g,sreTus B(포 분역의패지보 --一` 아시아` •-~ ~ sAnlu nu tenMo 날 •. a와 늘오 ’24립 그 2A~~;부(선H노! _x夕} 205

와 일치한다 .89) 다행히 갑골문에는 수입되어 온 그러한 거북껍데기들에 관계된 풍부한 기록이 있다. 일부의 거북껍데기에 (등껍데기와 배딱지 를 연결하는 뼈인 〈다리부분〉위에, 배딱지의 꼬리 끝부분에, 그리고 등껍데기의 가장자리에) 상 (商)나라 사람들은 가끔 다음과 같은 형태의 기록들을 새겼다. 죽 〈그렇 고 그런 사람들이 아주 많은 (껍데기들을) 들여왔다〉는 것으로 이것은 x 개의 거북껍데기 한 묶음이 이러저러한 사람이나 부족, 나라로부터 들어 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후허우쉬엔(胡 厚 宣 )은 그의 다론 중대한 통계적인 연구에서 90) 이런 유입에 관한 기록들을 모아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 다. 통틀어서 48 번의 거북껍데기의 납입에 관한 기 록 이 있다. 그것들 중 에서 20 번은 개인이 들여온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4 번은 관리들이 …… 11 번은 여러 나라에서 들여왔는데…… 13 개의 명칭은 그들이 어떤 신분인지 결정지을 수 없는 것들이다…… 대체적으로 말해서 거북껍데 기는 인 (8 t)의 궁정관리나 인 (8 t) 왕가 밀접하게 관련있는 사람들이 가 져왔다. 거북의 산지가 비록 남부였다고는 해도 남쪽에서만 들여온 것 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후아( 造 )와 핑(鳳)은 인(殷)의 동쪽에 있는 나 라였고 취에(갑; )와 띠엔(莫), 취엔(犬)은 서쪽에 있는 나라였다.…… 들여온 껍데기의 수는 매번 다양했다. 1 번에 500 개의 껍데기가 들어 온 것이 1 차례, 300 개가 2 차례, 250 개가 1 차례, 200 개가 1 차례, 150 개 가 1 차례, 130 개가 1 차례, 120 개가 2 차례, 100 개가 12 차례, 50 개가 6 차례 등이었는데…… 기록상에서 산출된 거북의 수는 모두 12,334 마리 였다. 여기에 언급된 나라들 가운데 일부는 상(商)의 정치 질서에 관해서 논 의할 때에 보다 완전한 상황적 배경하에서 다루어질 것이다. 상(商)의 또다른 일상적인 귀중물인 옥( 玉 )은 산지를 결정짓기 위한 과 학적 분석에 훌륭한 재료를 제공해 주지만 이러한 분석은 아직 시작되지 89) 胡 l’ 凡 또 , 「 8 t{t 卜 龜之來源」. 90) 「武丁 ll i\':li.種 J c : ! Jl'.刻辭考」, p.5 5.

않았다. 우리가 말하는 옥이란 보통 2 가지 형태의 돌인 연옥(t x I ;. )과 경 옥(硬 玉 )을 포함한다• 〈연옥은 잠정질(i 11 .11 ,1!)

조각들이 허우깡(後岡) (13 조각 )99) 과 시페이깡(西北岡) (북쪽 구역의 7 자리의 묘에서 77 조각 )100) 에 있는 대형 묘에서 출토되었고 작은 금덩어리와 금판 둘이 샤오둔(小屯)의 움집들에서 발견되었다. IO I) 금으로 만둘어진 대형의 공예품은 하나도 나타나지 않았다. 요시다미쯔쿠니( 吉田 光邦)는 금의 산 지가 산똥(山東)지방으로 오랫동안 알려져 왔으나 산똥(山束)지방이 항상 상(商) 왕국의 직접 통제하에 있지는 않았다는 사실이 상(商)의 금속제품 목록에 금이 드물게 명시되어 있는 것을 설명해 줄 수도 있다고 지적하 였다 .102) 그렇지만 그 밖의 다른 희귀한 물자들은 수입되었으며 산똥(山 J£)과 상(if 6) 의 관계는 아주 밀접하였다고 보아야 한다. 103) 상(商)에 금이 드물었다는 사실은 상(商) 자체 내의 가치에 의해서 해석될 수 있을 뿐이 다.

99) 石璋 ~II. r 河南安陽後 I 삽]~{J I J!l:墓」. 100) Ji!:思.J k • l·1 j 去야, 『 侯家i lE 第 1001, 1002, 1003, 1004, 1005, 1500, 1550 號大墓』 101) 李濟, 「安陽最近發堀報告及六次工作之總佑 it 」, p.5 66 ; 石璋女 1l, 「第七次 殷J.Ji發堀 : E 區工作報告」, p.7 26. 102) ?i IU 光邦, r g M 代技術小it」, pp.1 75-178. 103) 殷之作, r 山束益都蘇鳩屯墓地和‘亞酸'銅器」.

3 상(商)왕조와 그 통치기구 안양(安 腸 )에서 발견된 자료들을 통하여 나타난 상(商)문명의 중십 초 점은 왕이다. 『 사기 』 (史 記 )에 기록된 바와 갇이 상(商)시대의 역사는 실 제로는 왕의 역사이고 갑골문도 거의 왕의 정복만을 기록하고 있다. 시 저우(西周)시대의 시 「북산」(北山)에는 〈넓은 하늘 아래 왕의 땅이 아닌 곳이 없고 온 국토 끝까지 왕의 신하가 아닌 사람이 없다〉고 공표되어 있 는데 시저우(西周) 시대에 통용되었던 사실은 상(商)시대에도 역시 동용 되었을 것임에 틀림없다. 또한 앞 장에서 언급된 모든 자원은 왕이 마음 대로 처리할 수 있었으며 왕은 복잡하고 고도로 계층화된 정부 조직을 통하여 통치했다. 그러므로 상(商) 사회가 어떻게 운영되었는가를 이해하 기 위하여 우선 상(商)왕의 왕권에 대해 자세히 고찰해야 할 것이다. 상(商)왕의 왕권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중요한 요소를 지닌 제도로 특 칭지울 수 있을 것이다. 첫째 그것은 중앙 집중적인 경제의 중심부의 역 할을 담당하면서 합법적인 권력과 분명한 법률에 의존하는 거대한 국가 구조의 정점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고, 둘째 그것은 사실적이고 전설적 인 혈연에 근거하면서 국가 구조와 연결되어 있는 광대한 혈족 조직의 핵십부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장에서는 후자의 특성을 자세히 논할 것이고 전자의 국가 구조에 대해서는 다음 장에서 논할 것이다.

1 족(族)과 읍(邑) 왕도( 王 都)의 사회 구조는 의십할 여지없이 복잡하다. 그렇지만 그것은 본질적으로 상(商)의 기본적인 정치 • 사회 단위의 구조, 죽 읍(邑)의 복 갑한 형태에 불과하다 . 그러므로 상(商)의 사회 구조에 대한 설명은 당연 히 단순한 상(商)의 소규모 취락인 읍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취락을 상(商)시대에는 읍(邑)이라고 불렀는데 그 문자는 두 가지 요소 로 구성되어 있다. 죽 위부분은 사각형의 울타리로, 밑 부분은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요 소 는 그 경계를 본표질시을하 는나 타성내벽는과 것그이곳다의. ”거 갑주골인문으에로서 형 우성리된는 상 (〈 읍 商의 ) 시건대 설 ) 취을 락의의미 하두 는가 지작 읍(作邑)에 관한 점복을 많이 찾을 수. 있는데 2 ) 이러한 읍은 점차적이고 자연적으로 성장한 것이기보다는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결 과에 의한 것이 었다. 예 를 들어 변경지방에 새로운 농경지 를 개척하기 위한 읍의 건설 과 같은 특수한 경우에 3) 왕은 물리적으로 읍을 건설하기 위하여 한 집단 을 파견하곤 하였으며 백성들을 그곳에 이주시키곤 하였다. 『 시경 』 ( 詩 經) 에는 저우(周) 인민들의 작읍 활동을 생생하게 묘사한 시가 여러 편 있는 데 이것은 우리에게 상(商)나라 사람들의 그것과 유사한 활동에 대한 암 시 를 준다. 타이왕(太 王 )의 저우위엔(周原)에서의 작읍 을 묘사한 다음과 같은 시가 있다 .

1) 李孝定, 『 甲骨文字集 釋J , p.2 16~. 2) 島邦봤 『 殷遣 卜 辭綜類』, p .43 에 作邑에 관하여 기록된 44 항목이 기재되 어 있다. 3) 張政浪, 「 卜 辭哀田及其相關諸 rJ ]題」, p.1 14,

꾸꽁딴후(古公 뾰 父)께서는 일찌기 말을 달려 오시기 를 서쪽의 치수(漆水) 가에서부터

치산(岐山) 밑에까지 이르시어 치앙( 姜 ) 성 (姓)의 여인과 더불어 이곳에 와 함께 살게 되었네. 저우( 周 )의 벌판은 매우 기름져 그 오두나 씀바귀도 엿갇이 다네 여기에서 시작하려고 계획할 적에 우리 거북에 금 을 내어 새겨서 점을 쳐보니 머물러 라 ” 말하며 좋은 곳이 다” 말하였으니 이에 여기에 집 을 지으셨네. 여기에 머 물 러 정 착 하게 되고 좌우의 각처 에 경계 를 긋고 도랑 을 파서 길을 내고 받을 일 구 어 이랑 을 내시니 서쪽에서 동쪽 에 이 르 기까지 일을 손 에 잡지 않은 자가 없네. 집짓는 일 을 맡은 사공을 부르고 백성 을 다 스 리는 사도 를 불러 집을 세우도 록 하니 땅은 먹 줄을 따라 곧아지고 담 틀을 묶고 흙을 다져 장엄한 묘당 을 이룩하였네. 훔 수레로 척척 흙울 담아다 담틀에다 퍽퍽 흙을 쳐넣고 탕탕 흙을 다지고 평평 높은 곳을 쳐내리어 모든 담벽 을 다 세우니 복소리도 다 들리지 않네.

바깥문을 세우니 바깥문은 우뚝하고 정문울 세우니 정문은 장엄하여 대사(大社)를 세우니 나쁜 오랑캐들이 물러가네. 오랑캐들에 대한 노여움이 없어지지 않으셨어도 그들을 돌보심은 멈추지 않으시고 갈참나무 백유나무 뽑아내시고 다니는 길을 열어 놓으시니 오랑캐 (昆夷)들이 기뻐서 뛰며 어찌할 바를 모르네 다음은 다양한 작읍 활동을 묘사한 그 밖의 다른 시의 구절둘이다. 명성(定星)이 하늘 한가운데 뜬 계철 추(楚)에 궁을 짓네 해 그림자 헤아려 방위를 잡아서 추(楚)에 집을 짓네 개암나무 밤나무 심고 가래나무 오동나무 노나무 옻나무 심어 뒷날 베어서 거문고 만들리라 「용풍」 (郭風), 〈정지방중〉(定之方中) 조상의 뜻을 이어 큰 집 짓고 긴 담 쌓아 서남으로 문을 내네 이곳에서 거처하며 웃고 얘기하며 살리라 담틀 널판대기를 꽁꽁 동여매어

공이로 그 흙을 쳐서 다지네 그래서 비바람을 피하고 새와 쥐들이 들어오지 못하니 군자가 여기서 거처하게 됐네. 「소아」 (小雅) , 〈사간〉 (斯 干 )

토성으로 둘 러싸여 있고 제후 를 위한 큰 건물이 있는 상(商)의 소규모 읍에 대한 좋 은 예는 1963 년 후베이성(湖北省)에서 발굴된 판룬청(盤龍 城) 유적이다. 이곳에는 납북 290 미터, 동서 260 미터에 이르는 항토(芬 土) 기법으로 축조된 성벽이 있었는데 그 안에서 회랑 ( U I li1 l i )으로 둘러싸 인, 4 칸으로 된 하나의 대청이 있는 큰 궁궐터가 발견되었다. 회랑 밖의 사방에는 원래 처 마가 지탱하는 나무기둥이 있었던 43 개의 큰 기둥 구멍 이 있다. 취락의 성벽 안과 밖에서는 조각된 목곽과 3 명의 순장인이 있 는 대형 묘 1 자리 를 포함한 많은 무덤이 발견되었다 .4)

4) 도론의 주 198 참조.

새로 건설된 그 읍의 거주자가 누구였을까 하는 문제는 『 설문 』 (說文)에 서 읍자에 대해 명확히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읍의 크기와 정치적 중요도 에 귀착된다. 『 설문 』 (說文)에는 〈옛왕의 법칙에 따르면 (그것들은) 그 지 위의 높고 낮음에 따라 크기가 달랐다〉라고 설명되어 있다. 갑골문에는 많은 상( 商 ) 왕실의 관료뿐 아니라 왕자와 왕비둘이 도읍지역 밖에 각자 의 성읍(城邑)을 소유한 기록이 나타나는데 아마 이곳들로부터 약간의 개 인적 재화 를 획득하였을 것이다 .5) 『 좌전 』 (左傳)의 두 구절에서 저우 (1 t I) 시대에 왕이 친척이나 관료를 보내어 각자의 성읍을 건설하도록 할 때에 왕은 그들에게 다음과 같은 것을 다른 것과 함께 수여했음을 알 수 있 다.

') 胡厚 宣 , 「殷代封建制度考」.

1 그 집단의 원래 명칭(姓) 2 토지(봉토封土) 3 족(族) 단위의 거주민 4 새로운 정치집단을 명명하는 새로운 명칭 (氏)

5 그들의 새로운 정치적 지위와 읍의 정치적 지위에 합당한 제기(祭 器)와 표장(臣帳) 마지막 항목은 조상의 계보와 관련지어서 자신의 가문을 상징하는 사 당(祠堂)인 종(宗, 제사실)에 조상의 위패와 함께 두어졌다 .6)

6) 위의 요약에서 필자는 姓, 氏, 宗 , 族을 포함한 일부 아주 복잡하고 기본적으로 논쟁점이 되는 문제들에 대해서 간단하게 언급하였다. 고대 중국에 대한 전문가들은 관련된 논쟁점뿐만 아니라 필자가 위의 문제를 다음과 갇은 『左傳』의 결정적인 두 구절에 근거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 을것이다. 隱公八年 : 〈天子述街, 因生以賜姓, 詐之土以命之氏 〉 . 定公四年 : 〈昔武王克商, 成王定之, 選建明德以蕃 1H ff;]' 故周公相王室以 尹天下, 於周爲睦, 分魯公以大路大旅, 夏后氏之瑾, 封父繁弱, 殷民六族, 條氏 • 徐氏 • 蕭 氏 • 索氏 ••長 CJ • 氏尾 • CJ氏 , 使t IIl1[ 宗 氏, 輯:J.[分族, 將 其類酸, 以法則周公, 用卽命于周, 是使之職 TJ t于 19, £J IIB) 서公之明街, 分 之土田階敦, 祝, 宗 , 卜, 史, 備物典策, 官司多屈:f , 因商 1t 之民, 命pA 1h 食, 而封於少降之虛〉. 分康叔以大路 • 少fA • 운拍tf썼病施 • 大呂 • 殷民七族, 陶氏 • 施氏 • 繁氏· 銃氏 • 吳氏 • 賊氏 • 終蔡氏, 封珍土lil'6 . 自武父以南及lifil lE 之北党取 於有間 之土, 以共王職, 取於相土之束ffl l, 以合 王 之束%, 朋季授土 , 限叔授民, 命p).ri1t誌而封於殷虛, 皆啓以商政, 眼£).)세索. 分唐叔£上大路, 密須之鼓, ,~ ~浩洗 i밌姓九 宗 , 職官五正 , 命以唐諾而封於 夏城, 啓以夏政, 疆以戒索〉. Jam es Legg e 는 族을 〈 clan 〉으로 번역했지만 〈 li nea g e 〉가 더욱 적절한 것임은 명백하다. 일부 이러한 사례들이 1976 년 陝西省 扶風에서 발견된 盤에 나타난 西周시대 명문에서 확인된다. 唐i써의 「略 論西周微史家族깐藏銅器갚的m:~~:義」, p .29 에 따르면 〈(썹 盤에 새겨진 명문에는) 그의 조상은 원래 微因에 살았다…… 武王이 周 公에 명하여 그에게 토지 를 주고 그를 岐周에 살게 했다. 그의 아들은 瑞의 乙祖上이었다…… 唱의 祖父는 亞祖上인 祖辛이었다…… 그는 조상 의 종묘에서 분리되어 그 자신의 새로운 族울 세웠고, 자신의 원래 관칙 에 따라 李冊이라는 이름의 氏를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되어 있다.〉고 한 다. 왕실의 혈연 조직에 대한 그 밖의 다른 중요한 설명은 Paul Wheate l y, The Pi.vo l of the Four Qu arter s ; Leon Vandermeersch, Wang d ao ou la voie rO}l( l/e , tom e l, 특히 상족

이러한 저우(周)의 읍의 전 설 과 백성을 이주시켜 정착시키는 체제가 상 (商) 시대에 얼마나 적용될 수 있을까 하는 문제는 논쟁점이 되어 왔 다 .7) 그렇지만 근래에 상(商)사회에 대한 지식의 증가로 인하여 학자들 은 비록 전부는 아니지만 대부분이 저우(周) 제도의 본질적인 특징을 상 (商)시대에 적용시켜서 파악하는 데에 더이상 주저하지 않는다. 성(姓)의 명칭과 토지, 제기와 표장 등에 관한 쟁점은 결코 문제되지 않는다. 족 (族), 씨 (氏), 종 ( 宗 )의 본질에 대한 오늘날의 해석은 거의 의십할 바 없 는데 족에 대 한 해 석 이 중십적인 문재가 된다. 읍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족 집단의 구성원이었으며 , 족은 제사상의 관계에서 종으로 구분되고 정 치적 지위나 정치적 상징 을 표시할 때는 씨로 표현된다. 또한 남성은 자 신의 읍명이나 씨명으로 알려졌지만 여성은 보통 그 집단의 본래 명칭인 성으로 알 려졌다 . 8) 좀더 논 의 를 진전 시켜 보자. 갑골문에 나타난 『 죽 족이라는 문자는 위 부 분 이 깃발, 아래 부 분 이 화살의 두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그것이 군사 조직을 암 시 한 다는 명산( 丁 山)의 해석 9 ) 이 일반적으로 통용된다 .10) 고대 중 국 에 서 군사 조 직과 깃발의 관계는 잘 알려진 사실이고 1 1) 갑골문 에서 족은 군 대 원정 시의 전 두 집단으로 나타난다 .12) 그 규모는 평균 백 명 정도 였을 것 인데 100 호에서 1 명씩 나온 100 명의 성인 남자로 구성된 것 같 다. 13 ) 그 러나 군사 행동만이 족의 유일한 기능은 아니었고(다른 기 능은 농 경지 를 경작 하는 것임)”) 그 구성은 확실히 혈연 관계에 기초하는 에 관해서 는 5 장 참고. 7) 王國維, 「 殷 周制 度論 」. 胡 厚 宣 , 「 殷代封述 制度 考 」. 8) 鄭柚 『 通 志』 「氏 族 略」 ’ 氏 族序 : 〈 三 代之前, 姓氏分而爲二, 男 子 稱氏, 婦 人稱 姓 , 氏所以}J 1J 1't)l:l, i' t 者有 氏, 賤名有名 無 氏>. 또한 張Jt HR 의 논문 「 甲骨 文中所見人地 信 ]名 考 」 참조. 9) 丁山, 『 甲 骨 文所見氏 族 及 ;lt 制度 』 , p.3 3. 10) 李孝 定, 『甲 骨文 字 梨 釋』 , pp.2 231-2233. 11) 林巳 奈 夫, 「中 國 先 秦時 代 m 旗」. 12) 陳夢 家 , 『 殷 城 卜 辭綜 述 』 , p.4 9 7. 〈그것 들 은 주로 군사적 업무에 관련된 것들아었다〉. 13) 張政遠 「 卜 辭夏 田及 J 나마싸 i 읽 Hl 題」, pp.1 10-111. 14) 앞 책, p.1 11.

것이었다. 『백호동 』 (白虛通 서기 79) 에는 족에 대하여 〈증조부에서 증손 자까지〉의 혈연단위라고 정의했는데 이러한 견해가 상(商)시대의 족에는 정확히 적용될 수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한(漢)시대에 족을 부계(父系) 에만 한정했던 동일한 원칙이 상(商)시대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었을 것 이다. 명산(丁山)은 상(商)의 족과 씨를 같은 것에 대한 다론 표현으로 생각했다. 죽 족은 그 집단의 군사 방면의 조직을 의마하고 씨는 그 상 징적 측면이며 문제의 집단은 본질적으로 〈토뎀 〉 조직이었 을 것으로 생각 하였다. 그는 또한 200 개 이상의 족을 구별할 수 있다고 믿었다. 15) 상 (商) 사회가 족이라 불리는 분리된 토템 씨족으로 이 루 어 졌 다는 그의 견 해는 상왕조 지배기의 중요한 여러 족을 방대하게 연구한 시라카와시츠 카( 白 川靜)의 견해와 일치한다 .16)

15) 丁山, 위 책. 16) 白 川靜, 「gll: m 基礎社合」 ; 「g,11: rn 王族 & 政治 m 形態」 ; 「殷代雄族考」.

토템적 성(姓)의 개념은 청동기와 갑골문에 빈번히 나타나는 소위 성을 상칭하는 도상기호에서 주로 도 출 되는데 이는 대부 분 이 동 물 의 상징에서 파생되는 상형문자이다(그립 43). 그러나 하야시미나오( 林巳奈夫 )가 설득 력있게 지적한 바와 갇이 동물에 근거한 상칭은 대다 수 가 출 처가 다르고 집합적으로 발견되기도 하여 그것 들 이 여러 계 층 집단 을 의미하는 것임 에 틀림없다. 그러므로 엄격한 의미에서 전부 를 토템이라 는 용어로 칭할 수는 없다. 17) 각각의 상징적 도상기호에 따라서 분류된 상( 商 )시대 청동 기의 외형적인 특질과 장식적 특성을 연구하면서 필자 는 장식 스타일의 선택에 따라 청동기에 나타난 각각의 도상기호가 약간씩 다르게 묘사되 는 경향을 간파했는데 이는 다양한 족집단 사이의 하부 문화상의 차이점 에 기인하는 것일 수도 있다 .18) 이러한 몇몇 족들은 확실히 갇은 성에서 갈라져 나온 것이고 반면에 다 른 것들은 다른 성 들 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 성읍의 거주민들로 사회 단위를 이루는 족집단은 적어도 두 가지 요소로 구분된다. 첫째 그들이 각각 다른 성의 일원이라는 것이고, 둘째 각각 다른 정치적 신분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17) 林巳奈夫, r gll:周時代 m 圓朱 記 號」. 18) 張光直, 「商周꿉銅器器形裝花紋與銘文綜合硏究初步報告」.

這巳않길 O 춥 oGB 국@& ®壬臣듈경또융춥합尊콩따 층 ~,t ~:홉 .OS@ 춥馨回된 2 _ .. g 多J :누톤沼:%.뇨 o 느 서’ 켜::상」, •L念 교守'후술.근근示~』~숙롭f&―국조웅 죽 條..L 之 ~ L- EE< 따: e - I~~ : 가4g려 나 ~良~극적~七 ◄ ~나~요.下&숍~조 i덥 t今풀 툴궁근하一죠¢는속 흡늄 距. 在中 것 5 주.스리零 `?수수수훈 : ` 홉 효金€눕>`i~옳<쵸따터 ; 玲버門%中\+혹모六햏 亨仁 : 표〈한책 용조草霞롱>뿐훑薛 : =으축{=군=/尸沒조丘、판 '며:E虹 흡학구노 2꼽 스嶋尸후t麟댜惑… 내位 U*低 연-표B 국-t :;: 효 훑零究 1\ 으-e-亡모근주印조= 때마홑.~.t JI-[Di:巨순도~_ 표싸면성 떼i--i E'물 갑급 ..、 틀 도\ 홑\ .:.효 겹正 도? 핵:g 守 따 따 «l=든 巳 다며따낸 k p ao 年亞떠’

2 안양(安陽)의 왕족 앞에서 대강 설명한 읍의 족 조직은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고 다수 의 상(商)의 중소규모 읍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갇은 원칙이 왕도 (王都)에도 적용되지만 이곳에서는 그것이 훨씬 더 다양하고 계층 또한 훨 씬 세분화되어 있었다. 갑골문을 통해서 상충부 지배계충의 성격을 알 수 있는데, 혈연적 집단화의 관점에서는 다음과 같다. 쯔 성(子姓)은 비록 모든 그 구성원들이 왕이 될 수는 없었지만, 지배 집단이었다. 쯔 성 (子姓) 내에 왕족이 있었는데 여기서 왕을 선출하였고 자족(子族) 또는 다자족(多 子族 )의 구성원은 보통 왕에게 충성스러운 군 사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쯔 성의 몇몇 여성(아마도 왕족에서 나왔을 것이 다)은 왕의 동성 배우자가 되었고 다른 성 출신의 여성도 왕과 족의혼을 할 수 있었다. 다른 성의 구성원들 또한 왕의 신하로서 통치권을 부여받 았다 .19) 먼저 갑골문에 자주 나타나고, 시마쿠니오 (I. b 邦男 )의 『 은허복사종류』 (Oll :jJk 卜硏綜類)에 20 번의 실례가 기재된 왕족( 王 族)에 대해 살펴보자. 이 집단의 주변부에 있는 것이 무엇인지 그 기능이 어떠한 것인지 파악하기 는 어렵다. 카이즈카시게키(貝塚茂樹)는 그것을 특별한 정인(貞人, 卜官) 집단이라 했지만 20) 앞 부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카이즈카시게키 (貝塚茂 樹)의 견해는 따르기 어려운 논쟁의 여지가 있는 문제이다. 그러나 왕족은 확실히 왕조의 규칙에 따라 왕이 된 자와 의식에 의하여 인정받은 배우 자가 그 핵심이라고 묘사될 .수 있다. 앞 부분에서 『 사기 』 (史記) 「은본기」 (殷本紀)의 기록에 따라 왕의 계보를 설명했는데 갑골문 연구는 많은 면 에서 그 계보를 입증해 주었지만 수정된 부분도 있다. 갑골문에는 상(商)왕이 제사를 지낸 많은 원조선공(遠祖先公)의 이름이 나타나지만 그들 사이의 관계는 체계적으로 이해되지 않고, 역사적이라 19) 胡厚효 「殷代婚姬家族宗法生育制度考」 ; 丁山, 『甲 骨文所見氏族及其制 度』 ; 白川靜, 「tll:(l)基礎社合」. 20) 1 장 p. 102 참조.

기보다는 오히려 전설적(신화적이기도 함)인 관계인 듯하다. 천멍지아(陳 夢家 )는 중요하다고 생각되어지는 원조선공 10 명을 다음과 갇이 작성했는 데 그 인명은 쿠( 선; )' 왕하이 ( 王亥 ), 두( 土 ), 지 ( 李 ) , 왕형 ( 王恒 ), 위에 (敗), 허 ( 河 ), 슝(兒) 야오(天) 예 (班 )2” 이다. 이들 중 『 사기 』 (史 記 ) 「온 본기」(殷 本紀 )에 수록된 계보와 비교될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은 왕하이(王 亥 )인데 『 사 기 』 ( 史記 )에는 전( 振 )으로 기록되어 있다 .22) 왕하이 ( 王 亥)는 옛 문헌과 갑 골 문에 따 르 면 상(商)시대의 아주 중요한 인물이다 .23) 갑골 문에는 왕하이 ( 王 亥 )가 고조( 高祖 )의 칭호 를 받은 3 명의 조상(다른 2 명은 쿠 쌈 와 따이 大 乙이다) 중 한 사람으로 나타나 있고 ,24) 그는 또한 조상에 대한 제 사 순서 에 첫 번째로 등장하는 상지아( 上 甲)의 아버지로 알려져 있 다. 25 ) 왕 하 이 ( 王亥 )의 갑 골 문자는 흔히 새와 관련된 모양으로 발견되는데 이는 상 (商) 나라 사람 들 이 새의 토템 을 가졌을 가능성을 암시해 준다 .26) 『 산해경 』 (山 海 經 )과 『 역 』 ( 易 )에서 왕하이( 王 亥)는 상(商)나라 사람들이 소 와 관련된 사건 @ 의 문 화적 영웅으로 기재되어 있다. 27) 비록 그의 이름이 간자 로 구성되 어 있지 는 않지만 그에게 행해졌던 제사는 거의 신( 辛 )일에 거행되었 다 . 이 러 한 제사방식은 기록이 남아 있는 다른 전설적인 선공 (先公)에 게 거 행했던 제사와 마찬가지이다 .28 ) 상( 商) 왕 이 작 성한 제사 계보에 열거된 첫번째 상(商)의 조상은 상지 아( 上 甲) 이 다 . 갑 골문 에는 그의 뒤 를 이어 빠오이(報乙), 바오벵(報丙), 빠오명 ( 報丁 ), 스 런( 示壬 ), 스꿰이 (示矣)의 순서로 기재되어 있다. 「은본 기」 ( 殷本紀) 에 는 빠오명 ( 報丁 ), 빠오이 (報乙), 빠오뱅 (報丙)의 순으로 되 21) 陳夢 家 , 떄밌虛 卜 辭 綜 述』 , pp.3 3 8-345, 22) 王 넴繼 「殷 卜 辭中 所見先公先 王 考」. 23) 內 森 ]I t *: OI i, 「 王亥 J, 「 8, t 王 亥」. 24) Nllf/ -n , r 甲 骨文 商族,(. 謀肺 E h 맑gt』1 」, pp.1 ,0-151. 25) 胡 J切 r , 「 甲 f l · 文(ofr見商 族 ,(. 述 U E 的新 證 操」, p.8 4 , 26) 胡 厚 u , 주 24 • 25 참조. 27) 顧類 凰 「周 易 卦父 辭 中的故 事 」. 胡 厚g , 「甲骨文商族f , t腦朋的迫 ’l i」. 28) 張光直, 「 談王 亥與伊 尹 的祭 日 並再 論 殷商王制」. @ 王亥 가 소 를 길 들 인 인물로 묘사되어 있다. 이에 근거하여 商族은 E 亥 시대에 유목생활 을 했을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李亞 E, 「 0 t{t 社 合生 活」 『 李 亞店史論 梨 J , 上 海人民出版 社 , 1978, pp. 403-404).

어 있는데 이는 확실히 찰못된 것이다. 갑골문에는 또한 스런(示壬)과 스 꿰이 (示옷)의 배우자인 피껑 (批庚)과 피지아(ylt甲)의 이름도 보인다. 그런데 갑골문을 토대로 하여 학자들이 재구성한 상(商)왕(그리고 그의 배우자)의 계보는 왕조의 창시자인 따이(大乙)로부터 시작하여 다음과 갇 이 정리된다.

1• (1) 따이 (大乙) =피벵 (Y lt丙)

2• (0) 따명 (大丁) =피우 (Y lt戊) (2) 푸뱅 ( 卜丙) [(3) 종런(仲壬)]+ 3• (4) 따지아(大甲) =피신 (Y lt辛) 4• [ (5) 워명 (沃丁)〕 (6) 따껑(大쩌 =피런(yJt壬) ” ((78)) 샤뤄오지지 (아呂(己)小 甲) (9) 따우(大戊) =피런 (9 lt壬) 6· (10) 종명 (仲丁) =피지 (批己), 피꿰이 (1 lt笑) (11) 푸런(卜壬) 7• (12) 치엔지아(英甲) (13) 쭈이 (祖乙) =피지 (P it己) 〔피껑, P lt庚〕 s• (14) 쭈신 (祖辛) =피껑 (9 1t庚) 피지아 (P it甲) 9 (1 기 치양지아(光甲) =피껑 (P it庚) 10• (16) 쭈명 (祖 T) = 피 껑 (P it庚) , 피 신 (P it辛) , 피 지 (91t 己), 피꿰이 (P it榮) (17) 난껑 (南庚) 11• (18) 후지아(虎甲) (19) 판껑 (盤庚) (20) 샤오신 (小辛) (21) 샤오이 (小乙) =피껑 (tit庚) 12• (22) 우명 (武T) =피신(批辛), 피꾸 !l 이 (tit~)' 피우(批 戊)

13• (0) 쭈지 (祖己)

(23) 쭈껑 (祖庚)

(24) 쭈지 아(祖甲) =피우 (9 lt戊) 14• (25) 후신 (父辛) (26) 캉명 (庚丁) =피신 (9 lt辛) 15• (27) 우이 (武乙) =피우(iIt戊) 16• (28) 원우명 (文武丁) =피꿰이 (tit~) 17• (29) 푸이 (父乙) 1a• (30) [ 띠 신 (帝辛) ]

·첫번째 숫자는 세대를 표시한다. 괄호 안의 숫자는 「은본기」(殷本紀)에 따 른 재위의 순서이다. +큰 괄호 안의 이름은 「은본기」(殷本紀)에 따른 것이다. 그것들은 갑골문에 서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다.

위의 왕계표와 서론에서 언급한 「은본기」(殷本紀)의 그것과 비교해 보 면 세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는 몇 명의 왕의 이름 이 다르다는 것이고 둘째는 몇명 근접한 왕의 관계가 바뀌었으며 세째는 새로운 왕계표에는 몇몇 배우자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는 것인데 이 세 가지 문제는 모두 약간의 설명을 필요로 한다. 첫째로 왕의 이름인데 그것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왕의 이름 의 두번째 문자가 중요한데 그것은 십간 (十干) 가운데, 지아(甲), 이 (乙), 뻥(丙), 땅(丁), 우(戊), 지(己), 껑(庚), 신(辛), 런(壬), 꿰이(榮) 중의 하나가 씌어지고 있다. 약간의 중요성이 얼한 첫번째 부분은 아버 지 (父), 조상(祖), 위대한(大), 적은(小)을 의미하는 하나의 문자(한 사람 의 경우만 두 자) 혹은 알려지지 않거나 의미가 불확실한 운자로 이루어 져 있다. 이름에 같은 간자를 사용한 왕들을 구별하는데 쉽게 이용되었 던 이 부분에 대해서는 뒤에 논할 것이다. 십간은 중요한 부분인데 위 계보의 왕명에 사용된 간자와 「은본기」(殷本紀)에 기재된 그것이 일치하 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특정한 왕의 이름이 위의 계보의 특정한 순서 에 위치하게 되었다. 그런데 왕명에 날짜를 표시하는 간자를 사용한 이 유는 무엇인가 ? 사실 상(商)과 저우(周) 초의 청동기 명문에 왕족 이의 의 사람도 조상 이름에 간자를 사용한 흔적이 확실히 나타나기 때문에

이는 일반적으로 중대한 의의 를 지닌다. 필자는 전에 발표된 논문 29) 에서 이 문제에 관하여 상세하게 논한 적이 있는데 여기서 그것을 요약해서 설명해 보겠다. 전에는 상(商)나라 사람 둘이 그둘이 태어난 순(句)의 간자날에 따라 사후에 시호( 盆號 )에 그 간 자 를 쓴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래서 상지아( 上甲 ) 왕은 갑( 甲 )일에 태어 났기 때문에 그러한 시호의 묘호(J領 號 )가 주어졌고 따이( 大 乙 湯 ) 왕은 울(乙)일에 태어났기 때문에 그러한 시호 를 받게 되었다고 주 장된 바 있 다 .30) 갑골문이 발견되어 연구가 진행된 후에는 사망한 왕에 대한 제사 가 왕명의 간자와 같은 일진의 날에 자주 행하여졌음이 확 인되었다. 똥 쭤빈( fi 作賓)은 왕의 이름이 태어난 날이 아니라 죽은 날 에 맞추어 부여 된 묘호()節 號 )라고 주장했지만 31) 천멍지아(陳 夢 家 ) 는 이러한 간자의 사용 은 세대, 나이, 죽위, 사망에 따라 계속적인 순 서 가 있었다고 생각했 다 .32) 모든 이러한 가설들은 개인과 간자와의 관계 가 출 생 , 사망 또는 일생의 중대한 사건과 갇이 우연한 것이었다 는 원 칙 에 근거 를 두고 있 다. 그렇지만 이러한 관계는 사실 그와 갇 은 우연 한 관 계에 근 거한 것이라 고 할 수는 없다. 만약 그렇다면 일정한 인구 중 에서 이 름 에 각 각의 간 자 를 사용하는 일정한 규칙이 적용될 수 없 울 것 이다. 그러 나 통계학상 으로 볼 때 그것은 결코 임의로 사용되지는 않았다. 문 자 가 새겨진 청동 기의 목록에서 1 , 295 접의 청동기는 조상의 이 름 에 간 자 를 쓰고 있으며 이 적은 인구 가운데 각각 간자 를 사용한 인구의 분 포 는 아래 그립에 나타 난 바와 갇다(그립 44). 그림에서 본 바와 갇이 각 각 의 간자 를 사용한 형 태가 임의적이거나 우연한 관계에 근거한다 는 가 설 은 받아 들 일 수 없다. 10 개의 간자 중에서 5 개의 간자가 집중적으로 1 , 134 점의 청동기 (전체의 8에6 퍼해센당트)하에는 나간타자난이다 조.상 어의떻 이게름 에1,2 95보 명이의는 데적,은 그인 구5 개 의중 에간서자 는86 퍼모센두트 가짝 수’ 29) }幻光直 「商 王 廟號 新考 」 ; T'ien Kan : A Key to the Hi st o r y of the Shang , 30) 『 白虎通 』 「姓名fttlJ : n ll: A 은 태어난 날에 따라 이름이 붙여졌다고함. 董 作賓, 「 論 商人以十 日 爲名」 참조. 31) 萊 作賓, 위 글 ; 『 gt l f i 円』 ; 「甲骨文斷代硏究例」. 32) r 商王名號考」 ; 『 殷坡 卜辭 綜 述 』 .

+ DII 30.0

'\ IIIDIIIIIIIIIIDIIUlffl 閃C f flllll lllUIIIIIIIIIIIIID 반 1DD1 己 IDDDUIIDI 爲? I一I~lll ll ltUll D UI I , 그림 448 1295 개빼의 청 동기 명l문 f에fl l1l0 l개 f의fl l간 자가 나타나는 빈도.

개의 짝수 간자의 날에 태어나거나 사망하였다고 볼 수 있겠는가? 상(商) 왕조 가계에 나타나는 10 개 간자 사용의 유형도 독특한 체계를 보여준다. 아래 표에는 앞에서 명시했던 가계의 순서에 따라 왕과 그 배 우자의 이름에서 그 이름의 두번째 부분인 간자만 적어본 것이다(「온본 기」 (O Jl:本紀)와 다른 접은 곧 설명하게 될 것이다).

乙(=丙)――-丁(=J戈)_甲(=辛)-__庚(=壬)_戊(=壬)一_-丁(=己,

丙 丁 甲 壬 壬 己

矣)_乙(=己 庚)_辛(=庚, 甲)-甲(=庚)_丁(=庚, 辛 , 己, 젖)

甲 庚 ―乙(=庚)_丁(= 辛 , 榮, 戊)一――甲( = 戊)_ 丁 ( =辛 )― _ - G(=1 戈) 甲 己 辛 庚 庚 辛 ― T( =榮)――-乙 辛

이 표는 왕의 이름에 간자를 배열하는 두 가지 중요한 특징을 보여준 다. 첫째로 왕명에 나타난 일부 간자가 각 세대 내에서 혹은 한 세대를 건너뛰어 공통되는 무리를 이루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왕의 이름을 한 세대를 건너뛰어 명기하면 우리는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집단 을 얻게 된다.

A B

乙丁甲丙戊壬己庚辛庚 辛

이들 중 지아(甲), 이 (乙), 우 (r戈 ), 지 ( 己 )가 같은 집단에 속하고 벵 (丙), 명 (T), 런(壬)이 다른 집단에 속한다. 껑 (庚)과 신( 辛 )은 양쪽에 다 나타나지만 꿰이(榮)는 따이(大乙) 이후의 왕의 이름에는 나타나지 않 는다. 이러한 독특한 현상은 생일날(혹은 사망날)의 간자 를 이름에 차용 했다는 가설로는 도저히 설명할 수 없다. 위 표에서 나타나는 두번째 특징은 제사의식을 통하여 인정된 왕의 배 우자는 그 왕과 같은 간자를 쓸 수 없다는 것이다 .33) 앞에서 언급했듯이 「은본기」(殷本紀)에는 배우자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지 않았지만 상(商) 33) 楊樹達, 『 說殷先公先王與其ilt日名之不同 』 ; 『尉 林 R i甲文說 』 .

시대의 갑골문 가운데 제사에 관한 기록들로부터 그것들을 찾아낼 수 있 었다. 상(商) 왕은 그들의 남성조상은 물론 어머니나 여성조상에까지 제 사의식을 거행했는데, 갑골문에는 많은 그러한 이름들이 나타난다. 우명 (武丁) 왕 을 예로 들 어 보자. 그의 갑골문 기록에는 지아(甲), 이 (乙), 벵(丙), 명( 丁 ), 우(戊), 지( 己 ) , 껑(庚), 런(壬), 꿰이(榮)의 간자를 사 용했던 여성 조 상 들 의 이름이 나타나 있고, 지아(甲), 뻥 (丙), 명 (丁), 우 (武) , 지 ( 己 ), 껑 ( 庚 ), 신( 辛 ), 런(壬), 꿰이 (矣)를 썼던 그의 어머니들 (분류상의)의 이 름 또한 찾아볼 수 있다 .34) 그러나 쭈지아( 祖 甲), 띠이 (帝 乙), 띠신( 帝辛 ) 왕의 갑골문 기록에 나타난 일부 여성조상과 어머니들은 특별한 신분인 듯 하다. 이 왕 들 의 통치기에 남녀 선조들의 제사는 찰 조 직화된 의식 체 계에 따라서 거행되었고, 여성선조들이 제사의 대상이 되 었을 때는 보 통 갑 골 문에 〈남자조상〔왕〕 간자의 처우(奭)인 여자 선조의 간자 〉3 5) 로서 묘 사되어 있다. 처우(奭)라는 단어는 다양하게 해석이 되어 왔지만 학 자들은 그것이 〈배우자〉를 의미하는 것이라는데 의견을 갇이하 고 있다 . 36 ) 위 표 에 나타난 배우자 이름은 이러한 방식으로 갑골문에 명 시되어 있 는 경 우만 을 포함시킨 것이다 .37) 왜냐하면 이러한 여성 조상들 만이 의식 을 통 하여 신분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배 우자가 왕과 동 일한 이름을 쓸 수 없다는 견해도 단지 이렇게 의식을 통 하여 인정받 은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다. 대부분(전부는 아님)의 경우에 한 왕에 대하여 인정 을 받은 배우자의 수는 다음 세대의 왕의 숫자와 일 치한다 .38 ) 위의 사실 들 로부터 상(商)왕(그리고 그들의 배우자와 가신들)의 작명 (作 名)이 생일, 사망일, 죽위의 순서와 같은 우연한 사건에 근거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필자가 내린 가설은 왕의 족 조직이 십간을 사용한 명칭을 지닌 10 개의 제사단위로 구성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왕은 이들 족 조직들로부터 선 출 되어 사망한 후에 그들 각조직의 간자에 따라 이름 34) 陳夢 家 『 殷坡 卜 辭 綜 述 』 , pp.44 7-449. 35) 위 책 , p.3 8 0, p.3 8 3, 36) 李 孝 定, 『甲骨文字集釋』, pp.1 1 61-1195, 37) 청동기명문에 이름이 나타난 tit武와 武乙왕은 제의. 38) fie 作賓, 『甲骨學六十年』, p.7 8,

울 받았고 간자는 또한 왕들에게 행해지는 제사를 규정했다. @ 이 제사의 체계에 대해서는 다음 절에서 상세하게 논할 것이고, 왕의 이름에 관한 한 여기서는 그 이름들의 두번째 부분인 간자를 설명한 것만으로도 충분 하다. 다음으로 왕명의 첫번째 부분은 각각의 왕을 확인시켜 주고, 같은 간 자를 사용하는 다른 왕족(다론 왕도 포함)으로부터 각왕울 구별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따이(大乙)의 아들은 그롤 단순히 후(父, 아버지)이(乙)로 부롱 수 있었고 그의 아들 따명 (大丁)은 그의 아들 따지아(大甲)에 의하 여 후땅(父丁)으로 불릴 수 있었다. 그렇지만 처음으로 갑골문 기록을 남 겼던 우명 (武丁) 왕의 신대까지 이미 을(乙)자 를 사용한 세 명의 왕 죽 따이(大乙), 쭈이(祖乙), 샤오이(小乙)가 있었다. 그러므 로 그들을 식별해 주는 첫번째 부분의 단어를 선별할 필요가 있는데 그러한 단어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상(上) ; 〈높은 쪽, 위쪽, 제일급〉. 이 용어는 쭈지아( 祖 甲)가 행한 제사 체계에서 첫번째로 제사가 받들어진 조상인 상지아(上甲)에게 만쓰인다. 보(報) ; 〈제사를 거행하는 방〉. 제당(祭 堂 ). 빠오이 (報乙), 빠오빙 (報 丙), 빠오명(報丁)의 연속적인 세 조상에게만 쓰인다. 시(示);〈제사 위패〉. 빠오명의 뒤를 이은 2 명의 선공인 시런(示壬)과 시 꿔1 이 (示榮) 에 나타난다.

® 본문에 설명된 왕위상속법은 Kwang -c hih Chang 교수가 재출한 독창적 인 것인데 아칙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지만 그 자 신은 그것을 굳게 믿고 있다. 商 王 國의 왕위 상속법에 관한 그간의 통설 은 商王朝 전기에 兄弟상속을 했으나 말기에는 父子상속을 했다는 것이 다. 이의에도 왕비와 왕위를 상속한 왕자의 수가 대체로 일치한 것에 착 안하여 각 왕비의 왕자들이 차례로 상속했을 것이라는 견해도 제출되어 있다. 역자는 商王朝 전기에는 王室에서 가장 어른되는 사람이 왕위를• 계승했고 중기에는 왕자들 사이에 형제상속이 이루어졌으며 말기에는 장 자상속이 이루어졌는데 이러한 변화는 왕권의 강화 과정이 반영된 것이 라고 본 바 있다(王냅維, 「殷周制度論」『罰堂集林 』 , 卷 10 ; 伊藤道混 r g H 代 1:s1 t o 祖先祭祀貞人渠團」 『硏究』, 28 號, 神戶大學, 1962, pp. 10 -11 : 위 책, 『商王朝史의 硏究』, pp. 237-239 참조).

(위의 세 단어로서 명시된 6 명의 조상은 따이大乙가 왕조 물 설립하기 전에 이름에 간자 를 사용한 조상 들 이다. 많은 학자들은 이들이 실제인물이기보다는 조상의 본체 를 나타내 는 데 사용했던 제사의 상칭이라고 여긴다 )39) 대 ( 大 ) ; 〈 위대한 〉 . 이 명칭은 왕조의 설립자인 따이 (大乙)로부터 시작하 여 5 번 사용된다. 5 번 모두 그것은 가계의 처음으로 등장한 간자와 결 합되어 사용되었는데 그들은 대종(大 宗 ) 계통의 왕으 로서 따이( 大 乙), 따땅(大丁), 따지아(大 甲 ), 따껑(大庚), 따우 ( 大 戊)와 같 은 왕에만 사용된다. 소(小) ; 〈적은〉 . 가계에 두번째 등장하는 간자와 함께 두세 번 나타난 다. 중(仲) ; 〈 중간 〉 . 같은 간자가 적어도 3 번 사용될 때 두번째 선조에 쓰 인 다 . 조( 祖 ) ; 〈조 상 〉 . 같은 간자 를 사용하는 앞선 왕이 다론 문자를 사용하 여 명명되었기 때문에 이 일반적인 명칭은 왕조의 후기 단계 에 서 쓰 여진다. 나머지 것 들 ; 와이 (外), 워 ( t天 ), 용( 雍 ), 뤼 (呂), 치엔(英), 치양(光), 난( 南 ), 후 (虎), 판(盤), 우(武), 린( 度 ), 캉(康), 원우(文武). 천 멍지아( 陳夢家 )는 이러한 이름 가운데 일부는 일생동안에 불 린 왕 개인의 이름이었을 것이며, 나머지는 후대에 황제에게 사 후 에 중여되었던 시호와 유사한 맥락으로 적용될 수 있는 〈 명예스러운〉 혹은 〈경의 를 표하는〉 이름인 것으로 믿었다. ◄ 0) 그러나 장벵취엔( 張秉 權)은 〈상지아( 上 甲) 이전의 간자를 사용 하지 않았던 초기의 지배자들이나 원조선공(遠祖先公)들의 이 름은 그들이 받았던 지역의 명칭인 듯하고 반면에 상지아(上 甲) 후의 시 ( 示 , 시런 示 壬, 시꿰이 示 吳), 탕(ig, 따이大乙), 용 (gE , 용지 雍己 ), 치양(%, 치양지아 光 甲) , 난(南, 난껑 南 庚), 후 (f)보, 후지아虎甲), 우(武 우명武丁, 우이武乙), 캉 (I¥ ., 캉팅康 丁 ), 린( 鹿, 린신 厚 辛)과 갇은 이름은 그들이 〔왕으로〕 죽위하 39) 위 책, p.n . 40) 陳夢 家 『殷 城 卜 辭綜述』, p.4 39.

기 전에 〔귀족으로서〕 통치했던 읍의 명칭이 아닐까〉 라고 추 측했다 .41)

41) 張秉權 「甲骨文中ffr見人地 I 류)名考」.

왕의 이름을 설명하는 데 확실한 근거가 있든 그렇지 않든간에 마지막 장뻥취엔(張秉權)의 의견은 왕족이 그들 자신의 족(族)을 수여받았으며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상(商)의 통치 귀족이 이용하였던 것과 똑갇은 방식 으로 도읍 지역 밖에서 자신의 읍을 통치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것이다. 이제 왕의 명칭에 관한 문제는 어느 정도 논했으므로 여러 왕들의 상 호관계의 문제점에 관해서 지금까지 언급했던 왕의 가계와 「은본기」(t本 紀)에 나타난 가계를 비교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갑골문에 있어서 가계 에 관한 가장 중요한 근거는 다음과 같은 왕들의 대종(大 宗 , 한 세대에 한 왕만 해당됨)의 일람표로 구성된다.

1 〈상지아(上甲), 10 ; 빠오이 (報乙), 3 ; 빠오뱅 (報丙), 3 ; 빠오명 (報 丁) , 3 ; 시 런 (示壬) , 3 ; 시 꿰 이 ( 示 榮) , 3 ; 따이 (大乙) , 10 ; 따땅 (k 丁), 10 ; 따지아(大甲), 10 ; 따껑 (大庚), 7 ; ……쭈이 (祖乙), 10 ; ……>42 )

42) 郭洙若, 『殷契粹編』, No.112.

2 〈상지아(上甲)에서 시작하여 따이 (大乙), 따땅 (大丁), 따지아(大甲), 따껑 (大庚), 따우(大武), 종명 (仲丁), 쭈이 (祖乙), 쭈신(祖辛), 쭈땅 (祖丁) [에까지] 전부 10 개의 위패〉 43)

43) 商承祚, 『殷契俠存』, No.986,

3 〈명왕 (이祖 丁예) 언이 하〔여혼 란말하하다기]를 ., 따시[ 불(길大示하)다 쭈! 이]. ( 난祖乙껑) (, 南쭈庚)신이 (祖혼辛란)하 , 다치. 양 지쭈 아(光甲) 〔또한] 혼란하다〉 44)

44) 張秉權 『殷虛文字丙編』, 中二, No.395, pp.45 9-462,

4 〈땅(丁), 쭈이(祖乙), 쭈명(祖丁), 치양지아(光甲) 쭈신(祖辛)의 5 개의 위패에서 말한다.〉 45)

45) 郭洙각;;. 『殷契粹編』, No.no. 여기에 주어전 조상의 서열은 더욱 앞선 것에서 비롯된다.

5 〈왕은 쭈이(祖乙), 쭈명(祖丁), 쭈지아(祖甲), 캉쭈명(店祖丁) 우이(武 乙)와 의사소통을 요청한다〉 46) 6 〈왕은 원우명(文武丁)과 띠이(帝乙)를 위하여 고기를 담는 귀중한 그 릇을 사용하라고 말한다〉 (이 번역은 잠정적인 것임 )47) 빠오이이것 들(報로乙부) 터_ 빠다오음뻥과 ( 報갇丙이) —순 빠서오를명 맞 (추報丁어) —볼 시수 런 있(다示壬.) —상지 시아 제( 上이甲 ()示 矣—) — 따이 (大乙) — 따땅 (大丁) — 따지 아(大甲) — 따껑 (大庚) — 따우(大戊) _ 종명(仲丁) ―쭈이(祖乙) ―쭈신(祖辛) 一치양지아(光甲) ―쭈명(祖丁) — 샤원오우이명( (小文乙武)丁 )― _우명 띠(이武 (丁帝)乙 )― —쭈 지[아띠신((祖帝辛甲))] .― 캉이명와( 康갇丁이) 대―우체이로( 武갑乙골)문 에— 나타난 순서가 「은본기」(tll:本紀)의 기록과 일치하여 후자의 역사적 확실 성이 상당한 신뢰를 얻게 되었다. 그렇지만 몇 가지 차이점도 있다. 첫째로 처음 4 왕의 순서가 지아(甲), 이 (乙), 뻥 (丙), 땅 (丁) 이어야 하는데 「은본기」(殷本紀)에는 잘못 기재되 어 있다. 두번째는 「은본기」 (8 ll:本紀)에 워지아(沃甲)로 기재되어 있는 쭈 신(祖辛)의 아들이자 쭈명 (祖丁)의 아버지인 15 번째 왕의 이름이 치양지 아(光甲)로 정정되었다는 것이다. 이 정정은 위의 3 번과 4 번 항목에서 충 분히 증명이 되지만 갑골문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두 가지 이유 때문에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죽 위의 왕 이름이 기록표 2 에는 쭈신(祖辛)과 쭈 땅(祖丁) 사이에 치앙지아(光甲)가 나타나 있지 않고, 쭈신(祖辛)의 아버 지인 쭈이(祖乙)가 제사 행사표에는 두 명의 배우자를 가진 것으로 되어 있어 왕위에 오른 아들이 한 명이 아니라 두 명 있어야만 한다는 것이 다 .48) 이들 중 어떤 것도 확실하게 증명할 수 없다. 그래서 2 번 항목과 3,4 번 항목이 상충됨을 알 수 있는데, 3,4 번이 타당하려면 2 번에 대해 적절한 설명이 있어야만 한다. 실제적으로 왕 이름의 기록표 2 에는 10 개 의 위패에 10 명의 이름이 나타나는데, 이 이름들이 뒤바뀔 수도 없지만 그렇다고 그 이름들을 모두 포함시킬 필요도 없다. 다른 경우에 〈 3 개의 46) 羅振玉, 『 殷虛딴契後編』上, No.205. 47) 萊作賓, r g £l f譜後 i c 」, p.1 99, 48) 許進雄, 「對張光直先生的 ‘商王廟號新考' 的錢點갔見」, p.1 30 ; 張秉權, 『殷虛文字丙編』, pp.4 59-462,

위패〉가 한 단위로 언급되기도 하지만 그들은 결코 연속적인 세대로 인정 될 수 없는 따이(大乙), 따지아(大甲), 쭈이( 祖 乙)이다. ◄ 9) 두 명의 인정된 배우자를 가진 쭈이(祖乙)에 대해서도 인정된 배우자의 수와 다음 세대의 왕의 수가 같아야만 한다는 규칙을 위반했다고 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각세대의 왕의 수가 항상 정확하게 알려질 수만은 없기 때문이다. 위의 대종의 일람표에 나타나지 않은 다른 왕의 경우에 있어서도 위에 열거한 가계는 갑골문 연구자들의 일반적인 견해와 매우 접근된다 .50) 그 런데 원래 종명 (仲丁)의 형제로 믿어져 왔던 치엔지아( 装甲 ) (허단지아河 豆甲) 를 필자가 종명(仲丁)의 아들이자 쭈이(祖乙)의 형제로서 배열한 것 은 갑골문 연구나 「은본기」(殷本紀)의 체계 를 벗어난 유일한 것이다. 필 자는 이 문제에 대해서 『 한서 』 ( 漢딴 )의 견해 를 따랐고 , 필 자의 이러한 정 정은 쉬진슝( 許 進雄)에 의해 받아들여진 바 있다 . 5 1) 3 왕족의 내부 분파와 계승 법칙 이미 왕족에 대해서는 통치집단인 쯔 성 ( 子姓 ) 내부의 특 별 한 집단으로 가정했고, 이 집단은 당시와 과거의 모든 왕들, 그 들 의 공식적인 배우자 둘, 왕위 계승자로 뽑힐 수 있는 남자 구성원과 왕의 공식적인 동성배우 자로 뽑힐 수 있는 여자 구성원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 족(왕족)은 또한 고위 관직에는 뽑힐 수 없으나 왕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예 를 들면 왕위 계승자로 뽑힐 만한 자격이 있는 사람의 부모나 형제 자 매), 당시나 과거의 성원들도 포함시켜야만 한다. 이러한 왕족에 관하여 이룰 더욱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는 자료들이 발견될 때까지 위에서 설 명한 내용 이상의 정의를 내릴 수는 없었다. 그렇지만 이 최소 한도의 정의만 가지고도 이미 족이 성별이나 세대, 출생 순서, 혈연관계 또는 인적 관계에 의해 결정된 고유의 분할 기준에 따라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49) 商承祚, 『殷契俠存 』 , No.917. 50) 陳夢家 「甲骨斷代學甲編」 : 『 殷坡 卜 辭綜述 』 , pp.3 6 7-369 ; 王 멈維, 「殷 卜 辭中所見先公先王考」 : 「積考」 ; 郭洙若, 『 卜 辭通표 』 : 감(作賓. r n 재子譜 』 . ,1) 許進雄, 앞 글.

구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내부 분할은 본질상 제도적이나 구조적인 것이었다. 이 (乙)-땅 (丁)체계와 신구파(新舊派) 상(商)왕의 이름에 나타난 간자는 가계표에 나타난 그것들의 발생 형태 에 따라 두 집단으로 모인다는 것을 앞에서 지적한 바 있다. 두 집단은 A( 甲, 乙, 戊, 己 )와 B( 丙, 丁, 壬 )인데 껑 (rJt)과 신( 辛 )은 양쪽에 다 나 타난다. 나머지 간자인 꿰이(榮)는 잠정적으로 B 집단에 나타날 뿐이다. 이러한 이유와 또 다른 요인 때문에 왕의 사후의 이름( i 盆號)이 그들의 출 생일에 근거한다는 전통적인 견해가 명백하게 부정되었다. 간자의 사용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그것들이 나타나는 방식을 설명할 수 있는 어떠한 대체 해석이 나와야만 하는가? 간단히 이에 대한 옛문 헌들의 설명 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 사기 』 (史 記 )의 탕(唐)시대 주석인 『사기색은 』 ( 史記索隱 )에는 쟈오저우( 誰 胤 약 AD 250) 의 『 고사고 』 ( 古 史考) (현존하지 않음)에 〈 사후에 종묘에 있는 위패에 따라 일컬어졌기 때문에 [그는〕 갑(甲)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라고 기재되어 있는 것을 인용 하고 있다. 어떠한 방식으로 사후에 특정의 종묘 위패를 할당받게 되는 가? 종묘( 宗)衍 )에서 위패는 종묘의 핵심부를 형성하는 혈연 단위의 내부 구조에 따라 할당받는다는 가정이 보다 적절한 것이다. 그러므로 왕실의 가계에 보이 는 간자에 따라 분리된 두 집단은 왕족 내부의 두 분족(分族) 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乙)와 명(丁) 간자의 출현 횟 수가 가장 많고 또한 이 두 간자는 왕의 어떤 인정받은 배우자(곧 바로 언급될)에게도 차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필자는 이 (乙) 집단과 명 (丁) 집 단의 두 분족으로 부 를 것이다. 간자 차용방식에 대한 해석에 설득력 있는 근거 물 제공하기 위해서 반 드시 지금 제시되어야 하는 이 (乙)-명 (丁) 체계와 관계물 갖는 몇 가지 사실들이 있다. 이미 언급했듯이 첫번째 사실은 의식운 통하여 인정된 왕의 배우자는 그의 남편인 왕과 갇은 간자 를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이 다. 우명 (武 丁 )시대의 갑골문에는 부 (h~ t , 배우자) +여 (女, 여성)를- 요소로 하여 만들어진 문자로 형성된 이름이 많다. 많은 학자들은 그것이 여러 다론 성(姓) 출신의 여자로서 왕족과 혼인한 배우자 를 지칭하는 것이고,

두번째 글자는 그들의 출신 성의 명칭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믿고 있 다 .52) 이러한 부+아무개라는 이름들 중에 후하오(~ri女子)라는 이름이 있고 이 부(婦)가 쯔 성(子姓) 출신이라는 사실에 비추어서 명산(丁山)은 일부 왕의 결혼이 동성결혼이었다고 추측한 바 있다 .53)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갇이 후하오(婦好)의 묘에는 후하오(婦好)의 이름과 쓰무신(司母辛) 혹은 허우신(后辛)이라는 직함이 새겨진 많은 청동그릇이 부장되어 있어 후하 오(婦好)가 우명(武丁)의 인정된 세 배우자들 중 한 사람으로 갑골문에 나타난 피신 (P it辛)이었다는 결론을 더욱 설득력 있게 한다. 실제로 후하 오(婦好)라는 이름은 한 개인만이 아닌 동성혼을 한 모든 왕의 동성 배우 자를 칭하는 말이었음에 틀 림없다. 우왕(武丁)의 많은 배우자 이름(다른 성 출신) 중에서 후하오(婦好) 의 이름이 가장 자주 나타난다. 54) 그 이름 은 피신(ilt辛), 피꿰이 (9 lt榮), 피우 (P it戊)로 알려진 적어도 3 명의 실제인 물을 칭하는 이름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왕의 인정된 배우자는 왕족 출신이지만 왕 자신과는 다른 위패단위 출신 이었다.

52) 胡厚宣, 「殷代婚姬家族宗法生育制度考」 ; 丁山, r 甲骨 文所見氏族及J l 制 度』. 53) 丁山, 앞 책, p.5 6. 54) 王宇 1 급 • 張永山 • 楊升南, 「試論殷猿五號墓的 ‘婦好'」, p.1 .

이 (乙)-명 (丁) 체계와 강한 관계를 가지는 다른 사실은 따이 (大乙, iM) 시대의 유명한 재상이었던 이인(伊 尹)과 관련된 것이다. 문헌 기록에는 따이(大乙)가 사망한 후에 이인(伊 尹) 이 따지아(大 甲)에 대항하는 권력 두 쟁에 연루되었다고 한다. 일부 기록에는, 결국 따지아(大甲)가 이인(伊 尹)에 의해 유배되었다고 하고, 다른 기록에는 따지아(大甲)에 의해 이인 (伊尹)이 살해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55) 또한 갑골문에는 이인(伊尹)이 우명(武丁) 통치기에는 숭배 를 받았지만 쭈지아(祖甲)의 통치기에는 그렇 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가 숭배받았을 때 제사는 규정에 의하여 명(丁)일에 거행되었다 .56) 이러한 조그만 근거는 이인(伊 尹) 이 왕조의 설 립기에는 땅 (丁) 집단의 우두머리였고 왕권이 이 (乙) 집단의 수중(이 경 우에는 따이大乙)에 있었을 때는 왕의 재상 역할을 담당했을 가능성을 강 하게 지적하여 준다.

) 陳夢家, 「甲fH 析代學甲編」, pp.2 2-25, ,6) 張光直, 「談王亥與伊尹的祭 日 並再論殷商王制」, p.1 15.

비록 그것들이 직접적이기보다는 더욱 보강하여 주는 정도의 중요성을 지니는 것이기는 해도 이 (乙)구명 (丁) 체계와 관계 를 갖는 약간의 다 른 근 거들도 있다. 갑골문에는 이문(乙 11) 과 명문(丁 1111) 이라는 기 록 이 있는데 이것들은 아마도 종묘의 절반에 해당하는 두 곳으로 통하는 출 입문이었 을 것이다. 57) 시저우(西周)시대 청동기 명문에 따르면 이 (乙)와 땅 ( J.) 둘 다 시저우(西周)시대에 많은 제사가 거행되던 날이다 .58) 사실 필자가 전에 지적했듯이 59) 차오(昭)세대의 저우(周) 선조에 대한 제사는 보통 명 (丁)일에 거행되었고, 반면에 무(穆)세대의 선조는 보통 이(乙)일에 거행 되었다. 그러 므 로 상(商)의 이 (乙)구성 (丁) 체계와 저우(周)의 차오 (II 서)-무 (穆) 체계가 상당히 유사성이 있음을 시사받을 수 있다. 위에서 상(商)의 왕족 내부의 분족 체계인 이 (乙)구성 ( 丁 ) 체계의 가능 성과 관계된 본질적인 문제들을 알아보았다. 그것들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이 문 제에 대해서는 인종학적 모형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 모형들은 상(商)의 그것과 유사한 성분을 지닌 일부 실제적 체계에 관해 서 우리에게 말 하여 줄 것이고 그래서 그것을 통해서 우리가 알고 있는 서로 미 결 합된 사실 들을 실제적이고 합리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가능 한 방법 을 보여 줄 것이다. 고위 관 료 의 계승법칙에 대한 총괄적인 연구에서 잭 구디 (Ja ck Goody ) 는 왕조의 제도 를 4 가지 유형으로 구분했다 .60) 죽 일반적으로 남 반두 (Bantu ) 나 많은 다른 사회 경 우 같은 〈왕의 혈통집 단〉 ; 곤자 (Gonja ) 나 로 지 (Lozi) , 하우사 (Hausa), 누페 (Nup e) 그리고 일부 모시 (Mossi) 국가의 경우처럼 사회 내에서 유일한 중요한 혈족단위 를 구성하는 〈왕조〉의 형 태 ; 19 세기 바간다 (Bag anda) 나 더욱 특수하게는 오토만 터키 (Ot tom an Turks) 와 같은 〈엄밀한 가계 왕조〉 ; 근대 유럽에서 유사한 유형이 발견되 는 〈양면적이거나 가족적인 왕조〉의 4 가지 형태이다(그립 4~). 상(商)왕은 10 개의 위패단위에 속해 있었고 그러한 사실에 비추어볼 때 왕족 내에서의 왕권은 결코 하나의 집단에서 계승하지 않았고 위패단위 57) 陳夢 家 , 『殷坡 卜 辭綜述』, p.47 8. 58) 張光直, 「商王廟號新考」, p.9 3. ,9) 위 책. 6 이 Successio n to Hig h Q/fice, p.2 6.

x

A B 亡 .L--- c D

그림 45 왕조 구조의 4 가지 유형. A. 혈통왕조(시 간이 흐르면서 부 자상속). B. 문벌왕조(영국유형, 비상속녀의 딸들과 비상 속자의 손자 손녀는 제외). C. 왕조의 혈족 집단, 위의 작 은 사각형은 세습왕조와 순회조직에서의 구분된 계층을 나 타내고 긴 사각형들은 다론 계층을 나타낸다. D. 왕족집 단. 각 사각형은 가계가 아닌 혈족집단을 나타낸다(J ack Goody , Successio n to Hi gh Off ice. p. 27). 사이에서 이동되었으므로 분명히 상(商)의 제도는 혈족 체계나 가족적 왕 조 체계와는 전혀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다른 두 체계는 구디 (Ja ck Good y)가 〈순환적 계승〉이라고 불렀던 아주 공동된 관례를 가지고 있다. 이는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태평양에서 광범위하게 발견되는데 비록 그것이 많은 변수를 갖고 있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중요한 원칙은

복잡하지 않다. 이와 같은 체계의 사회에서는 왕권은 통치계층 내부의 여러 분파 또는 부분 사이를 순환하면서 한 계층에만 한정되어 있다. 이 러한 분파들은 관련없는 혈통 집단( 〈 왕의 혈통집단/)일 수 있고. 하나의 혈연에 기초한 통치단위(〈왕조〉 혹은 〈 왕조적 혈통 집단 A 가 작게 나누어진 것일 수도 있다. 많은 경우에 이러한 분파는 세대마다 차례로 두 집단의 구성원들 중에서 왕위를 차지하는 이중적 집단화의 경향을 띠고 있다. 2 개나 혹은 그 이상의 계통둘 사이에서 번갈아가면서 왕위를 교체하는 경 우에 각 집단의 우두머리들이 모두 권좌에 있을 수는 없어 보조자나 부 수령(副首領), 혹은 재상의 칙책을 담당하기도 한다. 이러한 왕의 혈통 조직 사이에는 일반적으로 정교한 혼인 결합이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계통둘이 한 왕조의 분파를 구성할 때 그 왕조는 대개는 동족 결혼으로 이루어진다. 상(商)시대의 상황은 이상할 정도로 앞에서 설명한 체계와 유사한데 특 히 〈왕조적 혈통 집단〉과 유사하다. 역사가들은 뒤로 소급하여 생각하지 않고 앞으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중국의 부계 혈통왕조가 다름아 닌 상(商)의 체계로부터 발전해 왔다는 것을 기억해야만 한다. 상(商) 시 대사를 폭넓은 시각으로 진실하게 연구하는 학도는 이와 갇은 순환 계승 체계에 대한 인류학적 설명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것인데 특히 말라야 (Mala y a) 나 61) 엘 리 스 (Ell i s) 섬 의 푸타푸니 (Futa fu n i) , 62) 유니 온 그룹 (Unio n Group ) 의 파카오포 (Fakaofo ) , 631 태 평 양의 로무마 (Rotu m a) ”)와 갇 은 사회의 계승 체계는 고대 중국의 그것과 어떤 역사적 유사성을 지닌 다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예증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설명들의 유용성은 단지 스스로 문 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것일 뿐이다. 비록 인종학적인 유추가 최초의 암 시를 주었을지도 모르지만 상(商)의 계승체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상 (商)사회로부터 나온 연구대상이 되는 자료들을 설명할 수 있는 일련의 61) J. M. Gull ick , /nd ige n 寧 Politi ca l Sys t e m s of Wes/em Mala;,a. 62) Robert W. W illiam son, The Socia l and Politi ca l Sys t e 1 ns of Centr a l Polyn esia , vol. 1, pp.3 7 8-379. 63) A. M. Hocart , Chie f t ai n s hip and the Sis t e r 's Son in the Pac ific. 64) F. L. S. Bell, A Functi on al Inte r p r eta t i on of Inheri tan ce and Successio n in Centr a l Polyn esia .

A B

S 1 l t 計 후 門 0 1 * ~E_小­ _El R런|k _) 런 o _I 望fI ~ 짦- r 벼 컴*1I - |I ~0.-~j ·\·-tT+ =::: - 紹,후、 °요 s 요 ―=요 alt ' `` ` 뱉수 1 후

그림 46 商 王 朝의 왕실에서의 10 개의 제사단위와 왕위의 순회계승 에 대한 하나의 가설적 모형. 법칙 을 서술하도록 시도해야만 한다. 다음은 상(商)왕의 가계 를 설명하기 위하여 필자가 만들어낸 법칙이다(그립 46). 1 상(商) 사회는 하나의 혈족적 기원(子姓)을 가진 세습적인 통치 계급 에 의해 통치되었다. 왕권(왕족)과 적극적인 관계가 있는 쯔(子)성의 구

성원들은 제사의 목적을 위한 지아(甲), 이 (乙), 뻥 (1 시). 땅 ( l.). 우 (I 戈). 지(己), 껑(庚), 신( 辛) , 런(壬), 꿰이(笑)의 10 개의 분파로 나누어져 있 었다. 이것을 간(干) 조직으로 부르기로 하자. 이러한 제사의식적 간 조 직은 또한 정치적 실체였고 그것은 결혼을 통한 연맹관계에 있어서 중요 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우리는 그것의 다른 특성에 대해서는 알 수 없지 만 10 개의 단위가 동등하지는 않았을 것 갇다. 죽 지아(甲), 이 (乙), 명 (丁)과 같은 세 조직은 다른 조직보다 정치적으로 강한 힘을 가지고 있었 고 인구도 더 많았으며 제사의식면에서도 두드러졌다. 2 10 개의 간 단위의 조직은 2 개의 주요한 분할 조직인 A 와 B 두 분파 집단을 형성하여 거기에 속하였다 . 지아(甲)와 이(乙)는 의심할 바 없이 A 집단, 땅 (丁)은 B 집단의 구성원이었다. 이 단위 조직이 정치적으로 가 장 강력한 힘이 있었다. 다른 간 단위도 마찬가지로 두 집단의 구성원이 되는데 뻥( 丙)은 B 집단의 구성원이고 우(戊)와 지(己)는 분명히 A 집단에 속하며 런(壬)과 꿰이(笑)는 아마 B 집단에 속했을 것이다. 껑(JJt)과 신 (辛)은 어느 집단과도 제휴하지 않았거나, 적어도 신(辛)이 B 집단과 자 주 짝이 되기는 하였지만, A 와 B 분파집단보다 높거나 대등한 분파 집 단을 형성했 을 가능성이 있다. 3 왕위계승은 다음과 같은 두 경우를 제의하고는 자동적인 법칙을 따 르지 않았다. 첫째 왕권은 동일한 간 단위 내에서 계속 이어질 수 없었 고, 둘째 왕권이 A 나 B 어느 한쪽의 분파 집단 내에 있을 때에는 앞의 왕과 갇은 세대인 다른 간 단위의 후계자에 의해 왕권이 계승되어야만 하고, 만약 왕권이 다른 분파 집단으로 넘어간다면 다른 세대의 후계자 에게 계승되어야만 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하여 왕권이 다음 세대로 넘 어갈 때는 그것을 상대편 분파집단으로 옮겨 가야만 한다는 것이다. 껑 (庚)과 신( 辛)은 두 분파에 다 포함되지만, 다른 상대편 분파조직과 동일 한 왕위계승법칙이 적용되었다. 4 왕은 중요한 공직자들의 (공식적이거나 비공식적인)회의에 의해 보조 를 받는데 그 회의의 최고 관료는 상대편 분할 집단 내에 있는 한 간 단 위의 우두머리가 맡는다. 그 후계자는 왕이 살아 있을 때 선발되었던 것 같은데 비록 왕이 사망한 후에라도 새로운 계승자가 나타날 수 있었다. 계승자의 선발은 우선 후계자로서의 적격성 여부, 그리고 그 다음으로는 능력과 정치적 추종 세력에 의해 결정되었다. 이 과정에서 유혈 혹은 무

혈의 두쟁이 일어날 수도 있었다. 재상이 권력의 이동에 중대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었고, 그는 그 자신이 속한 분파 집단의 구성원, 요컨대 그 의 아들이나 적어도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의 연소 성원들 중에서 한 사 람이 왕위에 오르기 때문에 분파 집단이나 세대를 교차하여 계승하는 방 식에 호의를 가졌던 듯하다. 5 왕조적 혈통 집단의 남자 성원은 그가 육체적 정신적으로 정치적, 군사적, 종교적 지도력을 필요로 하는 힘든 임우 를 맡을 능력이 있다면 후계자로 선발될 수 있었다. 그렇지만 세대가 들어맞아야만 했는데 선발 되고자 하는 자가 왕과 갇은 분파 집단일 경우에 그는 왕과 감은 세대여 야 하고 상대편 분파 집단일 경우에는 그 왕의 다음 세대여야만 한다는 것이다. 후계자는 또한 그의 어머니가 10 개 간 단위 중의 한 단위 조직 에 속하는 사람이어야만 했망. 만약 두세 명이나 그 아상의 적임자가 있 을 경우에는 군사력이나 정지적 추종세력이 실제적인 선발을 결정지었 다. 그렇지만 상대방들보다 훨씬 능력이 있거나 어머니가 정치적으로나 제사의식적인 측면에서 보다 높은 계급의 간 단위 출 신인 후보자가 다른 사람들보다 훨씬 유리한 점이 있었다. 6 10 개의 간 조직은 어느 정도 질서 있는 동성흔체계 를 갖추었던 듯하 다. 뛰어난 단위조직들이 가장 바람직한 배우자의 원천으로 간주되었지 만 통혼 방식은 A-B 분파 집단과 같은 원칙에 따른 것 같지는 않다. 왕 은 적어도 배우자를 여럿 거느렸는데 후계자의 자격이 있는 아들의 지위 는 대체로 그 어머니가 속한 간 단위의 서열에 따라 결정되었다. 여기서 왕의 인정된 배우자들이 그들의 이름자에 이(乙)와 땅(丁)의 간자를 사용 하지 않았다는 중요한 문제가 등장한다. 부계적 이성사촌(堤姓四寸) 결혼 의 모델이 이 사실에 적합될 수 있을 것이다. 죽 A 집단(이乙 단위의 유력 한 위치운 가진) 출신의 왕은 다른 유력한 단위인 땅(丁) 출신의 여자와는 결혼이 금지되어 있었고, 그의 아들은 자신(왕)과 같은 세대에 속하는 B 집단의 종형제의 아들보다 정치적으로 열등한 지위를 물려받는다. 또한 땅 (丁)조직의 후손일 가능성이 있는 이 B 집단의 종형제의 아들은 이 (乙) 조직의 여자와 결혼이 허용되었는데 그녀는 또한 그의 아버지의 누이의 딸일 수도 있었다. 그래서 왕위는 자신의 부모가 이 (乙)와 명 (丁) 단위를 각각 대표하는 다음 세대의 후계자에게 양위되어 A 집단에서 B 집단으로 옮겨갇 수 있었다. 이러한 것이 두 단위조직 사이에서 왕위의 교체물 설

명하는 유일한 가능성 있는 모델이기는 하지만. 왕위의 교체 방식을 정 확하긴 설명해 주는 것은 아니다. 위의 법칙들은 사실들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비록 사실이 충분하지 못하고 그에 대한 해석이 다양하다고 할지라도 필자는 왕족이 통치권을 번갈아 교체하는 두 집단으로 구분되어 있었다는 것이 사실로 서 고려되어야만 하고 만일 사실이 아니더라도 적어도 이 가설은 지금까 지 필자에게 알려진 어떤 다른 가설보다 훌륭한 가설이라고 확신하는 바 이다. 또한 명심해야만 하는 중요한 것은 이와 갇은 체계하에서 근접한 세대의 왕 들 은 분류상의 부자관계였을 뿐 혈연상의 부자관계는 아니었다 는 것이다. 이 는 기이하게 느껴질지는 모르지만 상(商)시대에는 혈연상의 관계가 아니면서도 이러한 친척을 칭하는 용어가 분명히 사용되었다. 필 자가 1963 년에 처음으로 이러한 가설을 주장한 이래로 많은 부정적인 반 웅이 일어났다 .6 5) 필 지는· 비록 후의 저술에서 약간의 이차적인 의견을 명백히 주장하기 는 했지만 , 6 6) 이 가설에 근거하여 상(商)의 귀족을 분석 한 67) 폴 웨 툴 리 (Paul Whea t l y)를 주목하지 않울 수 없다. 이 문제에 대해 서는 논쟁의 여지가 없지만 필자에 대한 어떠한 비평도 그러한 사실을 반박할 수 없었고 그 사실을 설명하기 위한 어떠한 대체가설도 나오지 않았다는 점 을 지적하고 싶다. 갑골문 연구자들도 필자가 주장한 사실들 을 근본적으로 무시하면서 그 문제에 대하여 고의적으로 침묵을 지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들은 상의 왕권에 대한 가장 중십이 되는 문제 이고 그것 들 은 반드시 밝혀져야만 한다. 또한 이(乙)구성(丁) 체계는 논쟁점이 되는 다른 가설, 죽 우명(武丁)부 터 띠신( 帝辛 )까지의 상(商) 왕들의 시대 동안에 행하여졌던 상(商)의 제 사의식들을 신파와 구파라는 두 파로 나누었던 똥쭤뻔(f(作賓)의 가설에 65) 丁 !g , 「 論 殷 王 *It祖法」 ; 「再 論 商王~It廟號的兩 ,11 說」 ; 許悼았, 「關於商王廟 號新考 一 文的幾點 炫 見」 ; ;1 J斌雄, r gll:商王室十分組制試論」 ; 林衡立, 「評 張光直’商 王 廟號新考’中的論證法」 ; 許進雄, 「對張光直先生的‘商王廟號 新考 '0% 虹點慈見」 ; 楊希枚, 「聯名制與 卜 辭商王廟號 l t I 題」 : 陳其南, 「中 國古代之親周制度-再 論 商王廟號的社合結情悲義」 ; 伊藤道治, 『古代殷王 朝 m t꾸』 ; 林巳奈夫, 「殷周時代 m 圓象i E 號」. 66) The Pivo t of the Four Qttar lers, pp.5 2-61, 67) Revie w of K. C. Chang , Early Chin e se Ci vi l izat io n , p.5 44,

대해 제도적인 설명을 부여하여 줄 것이다. 그러나 사실상 이 가설에 대 한 논쟁은 단지 이 양파가 주기적으로 번갈아서 교체되었는가 그렇지 않 았는가에만 집중되어 있다 . 우영 (武丁)시대의 제사 의식이 쭈지아(祖甲) 시대에 상당한 변화 를 겪었다는 사실은 의심할 바 없다. 문제는 옛 관례 가 전부는 아니더라도 상당한 부분이 원우명(文武丁) 시대에 부활되었는 가라는 점이다. 천멍지아(陳夢 家 )와 카이즈카시게키( 貝 塚茂樹)가 주장한 것처럼 똥쭤뻔 ( 1 t(作賓)이 제 4 기(우이武乙, 원우땅文武丁)에 편입시켜 정리 한 많은 갑골문 기록들이 제 1 기인 우명(武丁)시대의 것으로 분류된다면 그 변화는 단일 선상에서 이루어졌을 것이다 . 0 그렇지만 필자와 마찬가 지로 똥쭤뻔 ( 1 (( 作賓)의 견해에 동조한다면 구 - 신 - 구-신의 반복 교체라는 偶듯순이환 . II · 法적)그인 — 변현회상화복 에는신 제직준 (면순依하고i게1법新 (制될造) 循라것 古는이 法다직 ). 선— 적그개인러혁 나신연 제속똥 쭤(현改맨상革( 新에 f f 制 례)불作 一賓과) 하이회 였복생기고각 법하때 (였문依 에 이 를 설명하는 데에 이 (乙)구성 (丁) 체계 를 도입할 필요는 없다. 그렇 지만 이 (乙)구성 (丁) 체계는 신 • 구파 를 당시의 왕족 내부에서의 A • B 집 단의 하부 문화적인 변형들로 보는 관점에서 근거 를 마련하여 준다. 똥쭤뻔 ( T t泊濱)의 연대기에 따르면 ,68) 샤오툰(小屯)에서 9 명의 상(商) 68) 『 0 文 I 任 i 作 』 . ® 甲骨文을 각 시기로 분류하는 가장 기본되는 기준은 갑골문에 나타난 貞 人이다. 만약 ft 沿{佳 K 이 4 JU I 에 활동한 것으로 본 貞人 둘 이 l J UI 에 활동하 였다면 그 貞人둘이 나타난 4 J UI 의 갑골문 내용은 모두 1 j 0l 의 상황을 전 하는 것이 된다. 그럴 경우 1 j UI 의 구제도에서 2, 3 J비의 신제도로의 변화 를 거친 다음 4 j비에는 다시 1 j비의 구제도로 복귀된다는 논리가 성립될 수 없게 된다. 죽 신구제도의 반복교체설이 성립될 수 없게 된다. 왜냐 하면 f f(氏가 4 J U J로 본 구재도에 관한 기록이 모두 1 j비로 속하게 되어 결 국 1 j UI 의 구재도에 관한 내용을 보강하여 주고 4 J UI 는 2, 3 기의 재도를 계승한 것으로 되어 2 기에 제도가 개혁된 후 商 王 園 말기까지 그것이 계 승된 것으로 되기 때문이다. 현재 갚·뀝 학계는 대체로 萊氏의 新fi派의 반복교체설을 따르고 있지만 中國(中共) 학계는 이에 반대하는 경향아 강하다. fd E 의 견해에 대해서는 일찌기 儀宗願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그 문재접이 지적되었고 캅d 氏가 4 J UI 로 본 貞人은 1 j비에 속해야 한다는 견해 도人 物제通출考된 』 바r- J1I있J -, 다(否위港책大,學 ,『 商王19J5 U9I, 史 p의p. 2硏02究-』2,03 ;P ,郭 9洙 ;若 儀主宗編願,, 『『 殷甲代骨貞文 合卜 集 』 · '1 기 E,' t k i, 1983 ; 嚴一沖編, 『 商周甲骨文總梨 J , 1984 동 참조).

왕들의 시대에 속하는 갑골문 기록들이 발견되었으며 그 9 명의 상 (l!b) 왕 둘의 통치기 간들은 아래 표와 갇다.

우명(武 丁 ) 59 년

쭈껑(祖庚) 7 년 쭈지아(ffi[l甲) 33 년 린신(原辛) 6 년 캉땅(康丁) 8 년 우이(武乙) 4 년 원우땅(文武丁) 13 년 띠이 (帝乙) 35 년 띠신(帝 辛) 52 년

똥쭤 U 맨( Ifi沿천{)은 갑골문 기록에 나타나는 제사의식이 우명(武丁)시대 의 것을 표준으로 시작하여 적어도 3 번의 변화를 겪었을 것이라고 믿었 다. 첫번째 변화는 쭈지아(祖甲)시대에, 두번째는 원우명(文武丁)시대에. 세번째는 띠이 (帝乙) 시대에 일어났다. 그는 4 번의 변화의 시기를 대표하 는 4 왕을 중심으로 이용이 가능한 자료에 따라 다른 왕들도 각각 4 시기 에 편입시켰다 .69) 그래서 왕들은 다음과 갇이 구파와 신파로 분류된다.

구파 신파

판껑 (선산庚), 샤오신(小辛), 샤오이 (小乙) 우명 (武 丁 , 59 년) 쭈껑 ( 亂 l/) t , 7 년) 쭈지 아 ( h IllII, 33 년) 린신 (底華 6), 캉명 (IJt I\ 8) 우이 (武乙, 4 년) 원우명 (文武丁, 13 년) 띠이(帝乙· ”년)띠신(ttf:· ’2 년)

우명 (武丁)에서 쭈지아(세 UII) 까지의 제사의식의 주요한 변호 H 근 다음과 69) 『 8l t l ffJ션 』 ; 『 n .2: ,1 文字乙編 r(: 』 ; 「殷代 i,店 1 ffifI i兩派」.

갇이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우명(武丁) 1 퀘 이 (炭), 왕하이 ( 王 亥), 지 (李)와 같은 전설상의 선조에 게 제물을 바침. 2 자연신 (났, 山, 河, 土 , 이들 모두가 선조로 간주되기도 하였 다)에게 제물을 바침 3 이인(伊尹)과 우시엔(巫咸) 갇 은 주요 선신(先臣)에게 제물 을 바침. 4 상지아(上甲) 이후의 대종(大 宗)인 선왕에게만 제사의식을 거행하고 제물을 바침. 5 5 대 조상까지의 대종의 선왕의 배우자인 선비 (先~lt)에게 재사 의식을 거행하고 제물을 바침. 6 선조에 대한 재사는 날짜와 제 물의 양을 묻는 점복행사 를 포 함하여 각각 예정된 날짜가 없 이 별도로 거행됨. 7 여러 종류의 제사가 있었음.

쭈지아(祖甲) 1 상지아(上甲) 이전의 선조에게 제물을 바치지 않음. 2 자연신에게 제물을 바치지 않 음. 3 선신에게 제물을 바치지 않음. 4 대종( 大宗 )과 소종(小 宗 )의 모 든 선왕에게 제사의식을 거행 하고 제 물을 바침. 5. 시런( 示壬 )부터 시작되는 모 든 대종의 선왕 배우자인 선비 에게 제사의식을 거행하고 제 물을바침. 6 선조에 대한 연중의 제사 일정 이 예정되어 선조의 이름에 들 어 있는 간자의 날에 맞추어 일정한 날짜에 순차적으로 제 사가 행하여짐. 7 일부의 제사는 갇았지만 다른 새로운 재사도 있었다. 다섯 종류의 주요한 제사(북 음악 多, 깃털 춤천 술과 고기然, 기 장꿉 대화합@)가 있었다. 이 5 가지의 제사들은 순차적으로 거행되었지만 부분적으로는 중 복되기도 하였고, 이 다섯 가

8 음력으로 달은 1 년에 12 개월이 었고, 윤년에는 그해의 마지막 에 13 월이라는 13 번째 달 을 추 가시켰다 . 9 간지나 60 일 의 주 기는 별도로 사용되었다. 10 갑 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 은 문 제에 대하여 점을 쳤다. 죽 그 문 제 는 제사, 전쟁, 사냥, 순수 ( 巡狩) , 제 물 , 왕의 활동, 다가오 는 순 (1 TJ ) 동안의 안녕, 다 가울 밤의 안녕, 조상에게 행하 는 보고, 불 행, 수확, 일 식과 월 식, 출 생, 꿈, 병, 사 망, 비, 좋 은 날씨에 대한 기 원 등이었다. 11 여러 가지 문제에 관한 접복 행사에 대해서 거북 껍데기와 어깨뼈 를 체계가 없이 사용함. 12 일부 문자의 세부적인 형태가 특징적이다. 예 를 들어 왕은 A 으로 표시되었다.

지의 제사가 모두 끝 나는데 1 년이 걸렸는데 이 를 사 (l i E) 라 고불렀다. 8 태음력의 첫번째 달은 정월이 라 불렀다. 수시로 필요할 때 마다 윤달 을 추가시 켰는데 13 번째 달을 만들지 않고 두번째 달을 2 번 정하거나 세번째, 네 번째 등등의 달도 2 번을 둘 수 있었다. 9 간지의 주기는 태음월(太[令 )1) 과 결합되었는데 하나의 간지 날짜는 일정한 태음월 내에 있 는 것으로 말하여졌다. 10 대체로 점복행사가 왼편 항목 의 처음부터 여덟번째 항목까 지만 제한되어 행하여졌다. 11 갇은 종류의 점복행사에 대해 서는 거북껍데기와 동물뼈 가 운데 동일한 재료 를 사용함. . 12. 갇은 문자라도 세부적인 형 태에 있어서는 뚜렷이 구별된 다. 예 를 들 어 왕이 A 로도 표 시되었다.

위의 실례들은 쭈지아( 祖 甲)가 정말로 혁신적인 왕이었다는 것을 분명 히 설명해 준다. 그는 제사의식 을 상당히 간소화시켰고 그것들을 더욱 체계화하고 일상화하였다. 그러나 많은 그의 개혁 둘 이 원우명(文武丁) 시 대에 와서는 폐기되었음이 분명하며 옛의식이 다시 부활되었는데 ,70) 원 우명 (文武丁)의 비교적 짧은 재위기간 (13) 이 끝난 뒤에 띠이 ( 帝 乙) 시대에 와서 쭈지아( 祖 甲)의 개혁들이 다시 부활되었다.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똥쭤뻔( 萊 作 賓 )이 제 4 기의 복 사( 卜 辭 ) 를 원우명(文 武 T) 시대로 편입시킨 편년법 울 우리가 받아 들 인다면 우명 (武丁) 시대의 제도들이 원우명(文武 丁 ) 시대에 부활되었다 는 것 을 받아 들 이지 않을 수 없다. 주로 구파의 제사의식을 옹호한 두 왕( 우 명 武丁 , 원우명文武丁)이 명(丁) 집단의 왕이었다는 사실과 신파의 것 을 옹 호 한 두 왕(쭈지아祖탄 띠이 帝 乙)이 이(乙) 집단이었다는 사실은 매우 의미있 는 시사 를 주는 것 이다. 그러므로 소위 신파와 구파란 사실 은 이 (乙)집단 하부문화와 명 ( 丁 ) 집단 하부문화였을 것이라 는 가능성이 도출되게 되 는 것은 거의 불 가피하다. 땅( 丁 ) 집단에서 왕이 나왔 을 때 , 땅 (丁) 집단 하부문화는 공 식적인 제사의 기록문서에 기록되었지만 이( 乙 ) 집 단 하부 문화는 아마도 왕이나 왕실의 행사와 는 관계가 없는 지역에서 이(乙) 집단에 의해 나름 대로 실행되었 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乙) 집단 에 서 왕이 나왔을 때는 한 왕의 통치에서 다른 왕의 통치로 변화되 는 직 선 적 인 변 화 가 있었던 것은 불가피하였지만, 상황은 역전되었다. 물론 왕위가 우명( 武丁 )부터 왕조의 멸망까지 분 파 집단 사이에서 6 번 이나 교체되었지만 제사의식은 신 • 구파 사이에 서 4 번밖에 바뀌지 않았 다는 사실을 주목하고 강조하여야 한다. 앞으로 캉명 (庚 丁 ) 시대와 특히 띠신(帝 辛 ) 시대의 점복기록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신 • 구파의 제사의식 의에도 왕족 내부에서 그 밖의 다른 하부문화적 양면성 또한 주목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기 술 되었듯이 시 데 이깡(西北 岡)의 〈왕족묘지는 동부 구역과 서부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시저우(西 周) 시대의 관례에 따르면 차오(昭)시대의 조상은 왼쪽의 묘당에 모셔졌 는데, 그 왼쪽이란 남쪽을 향하여 북쪽에 자리한 태조( 太祖 )의 왼쪽, 바 꾸어 말하면 동쪽 을 의미하는 것이다. 반면에 무( 租 )시대의 조상은 오른 70) 1' t(作賓, 「文武丁f炎 1U 舊制」 『 殷庫文 字 乙 編 序 』 , p.1 2 .

쪽, 죽 서쪽의 묘당에 위치하고 있었다. 그런데 상(商)의 이 (乙)구명 (丁) 체계에 있어서 이 (乙)는 저우(周) 시대의 차오(昭)에 명 (丁)은 무(穆)에 해당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앞에서 말하였다. 따라서 이(乙) 집단 충신 의 상왕은 서쪽에, 반면에 명 (丁) 집단 출신의 상(商)왕은 동쪽에 매장되 었을 것이다. 서부 구역에는 7 자리의 대형 묘가 있었으며 동부구역에는 지금까지 4 자리의 대형묘가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안양(安陽)에서는 마침 7 명의 이 (乙) 집단 출 신의 왕(판껑盤底 샤오신小辛, 샤오이小乙, 쭈껑 iill 庚, 쭈지아 祖 甲, 우이 武 乙. 띠이 帝 乙)과 4 명의 명 (丁) 집단 출신의 왕(우명武丁. 린신 厚辛 , 캉명 庚丁, 원우명文武 丁 )이 있었던 셈이다(마지막 왕 띠신帝辛은 저우 뮤] 에 의해 참수형 을 당하였으며 그가 대형 묘에 매장되었는지의 여부는 알 려지지 않았기 때 문 에 이러한 왕 들 사이에 포함되지 않는다). 까오취쉰(高 去 공 )의 말에 의하면 7 1 ) 서부 구역은 광범위하게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새로 운 대형묘가 발 견되라라고는 믿어지지 않으므로 서부지역의 7 자리의 묘 의 7 이라 는 숫자는 이 (乙) 집단출신의 왕들이 숫자와 일치한다고 한다. 그렇지만 동 부구 역은 아직까지 조사가 완전히 진행되지 않아서 왕의 배 우자(아마도 허우우 后 戊 일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곳에서 출토된 것으로 알려 져 있는 대 형 의 청동 그 릇 에 그 이 름 이 새겨져 있다 )72) 의 무덤일 수도 있는 다섯번째의 대형 묘가 있 을 가능성이 크다. 동부구역이 완전히 조사될 때까지 그 곳 에 있 는 대형 묘의 수 그리고 그 수와 명( · 丁) 집단 출신의 왕 의 수와의 일 치 여부 를 단정짓기는 어렵다. 그러나 이러한 묘지가 동· 서의 두 구역으 로 분할되어 있다는 사실은 그것만 가지고도 아주 중요한 사실이며 , 이것은 대칭적인 형태로 동부와 서부로 분할되어서 배치되어 있는 샤오 툰 (小屯)의 집터 들 의 설계 배치와 함께 주목되어야 할 것이다. 대종(大 宗 )과 소종(小 宗 )의 왕 상(商)왕조의 왕들이 왕족 내부의 여러 위폐 단위의 집단에서 선발되었 는지, 어쩌면 상(商)왕들이 근접한 세대의 숙부와 조카 사이였을지 그 밖 71) The Roy a l Cemete r y of the Yi n Dy n asty at Any a ng . 72} KK, 「安 lg g妹 城 奴 球 祭 iii E 抗的發堀」.

의 다른 모든 세대의 할아버지와 손자 사이였을지는 문제되지 않는다(부 父라는 용어는 바로 위 세대의 모든 남성 친척에게 적용되었고 모母도 바로 위 세대의 모든 여성 친척에게 적용되었다). © 왕으로 선출된 자는 연속적인 순 서에 따라서 앞뒤로 함께 정복기록에 등장하였으며 따라서 그들의 다양 한 출신 계통이 모호해졌다. 결과적으로 한 왕은 다음 왕의 아버지가 되 었으며 그들의 진실한 관계가 과거 3,000 년 동안 밝혀지지 않은 채로 남 아 있었다. 그러나 대종과 소종의 새로운 구분이 점복기록에 계통성 있게 나타났 는데, 대시 (大示)와 소시 (小 示 )는 또한 대종과 소종에 상당하는 말로 생 각된다. 시(示)는 확실히 조상의 위패 를 의미하며 한 지봉 아래의 갇은 위패를 상징하는 종( 宗 )은 위패 롤 모시기 위한 사당( 祠堂 ) 을 의미한다. 이렇게 볼 때 이것들은 서로 바꾸어 쓸 · 수 있는 단어였을 것이다 .73) 아 래의 점복기록에서 대종으로 숭배된 선왕이 소종으로 숭배된 선왕과는 다르게 모셔졌음을 알 수 있다. 을미(乙未)날에 묻습니다 : 상지아( 上 甲)부터 시작되 는 13 명의 대시(大 示)를 숭배하기 위해 소〔 를 사용하려고 하 는 데 괜찮겠읍니까〕 ? 소시 (小示)〔 .를 숭배하기 위해〕 양〔을 사용하려고 하는 데 괜찮겠옵니 까〕 ? 74) 을묘(乙卯)날에 묻습니다 : 〔지아(甲)부터〕 시작되는 6 명의 대시(大 示)에게 추수를 기원하기 위해 소 를 . 사용하려고 하는데 괜찮겠옵니 까? 소시(小示)에게는 양을 사용하여…… ?75) 대시 (大示) 〔를 위하여〕 머우(昭)의 제사의식을 거행하기 위해 소의 73) 金祥低 「 卜 辭中所見殷商 宗 廟及殷祭考」. 74) 羅振玉, 『殷虛 1t 契後編』 上, 288. 75) 董作賓, 『殷虛文字甲編』, 甲 -712. ® 商時代에는 언어의 개념이 세분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비슷한 것은 동일 한 말을 사용하는 類J; lj 呼稱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伯父, 叔父는 모두 親父와 동일하게 父, 伯母, 叔母도 親母와 동일하게 母로 불리어졌는데 이러한 類glJ呼稱은 祖나 兄들에게도 적용되어 갇은 항렬은 동일한 명칭 으로 불리어졌다.

머리 1 개를 사용하려고 하는데 괜찮겠읍니까? 소시(小示)를 위하여 그 것을 거행하기 위해 양을 사용하려고 하는 데 괜찮겠읍니까 ?76) 대종(대시)과 소종(소시)의 범주에 대한 다소 상이한 해석이 있다 .77) 한 세대마다의 한 왕이 각각의 제사의식에서 특별한 위치를 흔히 부여받 았던(위 참조) 쭈지아(祖甲) • 띠이(帝乙) • 띠신(帝辛) 시대의 제사의 역보 (曆 幣 ) 를 근거로 하여 볼 때 후허우쉬엔(胡厚 宣 )의 해석은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보인다. 그는 제사의 역보에서, 대종의 왕들은 그들의 배우자들 만이 제사의 역보에 울라 있고 그들의 아들이 왕위에 오르게 되었던 왕 둘로서 그 들 은 왕위 계승에 있어서 대종을 대표하였으며 반면에 소종의 왕들은 아 둘 이 그 들 의 뒤 를 이어 왕위에 오르지 못했기 때문에 소종이었 다고 해석하였다. 그렇지만 이 (乙)-명 (丁) 체계의 해석에 따르면 새로운 왕은 앞 세대의 전왕의 아들일 수는 없었으며 따라서 대종의 왕과 소종 의 왕을 구 분 하 는 기준도 달라져야 할 것이다. 4 그 밖의 지배 계급의 구성원들 왕족이나 왕이 아닌 지배계급의 구성원으로는 부(婦)와 자(子), 신(臣) 둘이 있다. 그 들 모두 도읍지역에서 특별한 임무가 있었을 것이지만 적 어도 그들 중 상당수는 경작지가 있는 성읍을 소유하는 작위가 있었을 것이다. 부(婦) 구파의 점복기록에서는 보통 〈여성〉의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두번째 이 름자와 함께 앞 글자가 부(婦)인 이름이 자주 발견된다. 대부분의 갑골문 연구자들은 꿔뭐뤄 (郭洙若)의 견해에 따라 78) 부(婦)는 〈왕의 배우자〉로 두 76) 商承祚, 『殷契快存』 , No.6. 77) 金祥低 「 卜 辭中所見殷商宗廟及殷祭考」, p.3 15 ; 胡I!/.'ii., 「t H 代婚朗家族 宗法生育制度考」, p.1 6 ; 陳夢家 『殷溫 卜辭綜述』, pp.4 65-466. 473, 78) 「竹臼刻辭之-考京」.

번째 이름자는 그녀가 원래 속하였던 성(姓)의 명칭으로 간주하고 있지 만, 두번째 이름자를 개인의 이름으로 파악하려는 견해도 있다 .79) 후허 우쉬엔(胡厚宣)은 부 (lu) 자가 앞에 붙은 64 가지의 이름을 확인하였다 .80) 그런데 접복기록에 나타난 다부(多婦)라는 말 81) 은 상(商)시대의 언어에 있어서는 많은 부들이 하나의 집단적인 범주 를 이루고 있었음을 가르쳐 주는 것으로 보인다.

79) 陳夢家 『 殷坡 卜 辭綜述』, p.4 93. 80) 胡 I! f , 「殷代婚朋 家族宗法生育 制度考」, p.8 . 81) 商承祚 『 殷契俠存 J, No.321.

부의 이름이 그녀의 원래의 성을 지칭하는 것이라면 부의 이름은 상 (商) 시대의 여성의 사회적 근원에 대한 유용한 자료 를 제공해 줄 것이 다. 그렇지만 그 이름들 중에는 상(商) 자신의 성의 명칭인 자(子)와 여 성을 뜻하는 요소가 합성된 호(好)라는 이름이 있다. 그러므로 왕족은 동 성 (同姓)과 이성 (異姓) 모두와 결혼을 한 것으로 보인다. 82) 방금 시사하 였듯이 결혼의 형태에 있어서의 이러한 변형은 정치적인 의도 를 토대로 하여 성립되었을 것이다.

82) 丁山, 「甲骨文所見氏族及其制度」, pp.5 5 -56.

왕의 배우자들은 활동적이었고 높은 지위 를 가졌다. 〈그들은 제사를 거 행하거나 군사 작전을 지휘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들은 왕의 가까운 신하와 다름없이 왕을 위한 일상적 업무 를 수행하기 위해 분주히 활동하 였다〉 .83) 1976 년에 후하오(婦好)의 묘가 발굴되었는데 묘에서 발견된 풍 부한 부장품에 비추어볼 때 후하오(婦好)는 아주 높은 작위를 지닌 여성 이었음에 틀림없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후하오 (M 好)는 군사적인 지도 자였고, 자신의 성읍을 가지고 있었으며, 제사의식을 거행하였다. 또한 그녀는 그녀의 질병과 해산, 일반적인 그녀의 안녕에 관련된 우명 (武丁) 의 정복행사의 대상이기도 했다 .84)

83) 胡厚宜, 「殷代封述制度考」, p.4 . 84) 王宇信 • 張永山 • 楊J I·I執 「試論殷城五號墓的‘婦好'」. ® 이 묘를 婦好· 라는 인물의 묘로 보는 것에 의문을 갖는 견해도 있다. 이 묘에서는 婦女 F 라는 명문이 있는 청동기가 출토되었는데 이 청동기는 婦 好가 사망한 후 그에게 재사 를 지내던 祭器일 것인데 婦好·의 제사에 사 용되던 祭器가 어떻게 婦好 자신의 묘에서 출토될 수 있느냐는 접을 지 적하고 있다.

자(子) 구파의 점복기록에는 또한 많은 이름들-후허우쉬 엔 (胡J!I f I ) 의 집 계 에 따르면 53 명 8 5 ) 이 나타나는데 그 이름들은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그 첫째 부분은 자( 子 )이며 , 둘째 부분은 보통 개인의 이름으로 해석되는 글 자(물론 읍명에서 유래하였 을 수도 있다)이다. 점복기록에는 다자(多 子 )나 다자족(多 子族 )이라는 단어도 포한되어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자( 子 ) 자 를 가진 많 은 이 름들 에 대한 집합적인 용어였을 것으로 일반적으로 간주 된다 .86) 똥쭤맨( 萊作賓 ) 은 처음에 자( 子 ) 를 가지고 있는 이러한 모든 이 름 을 우 땅( 武丁 )의 아 들들 의 이 름 으로 간주했다 .87) 왜냐하면 우명(武丁)이 64 명 의 배우자 를 가질 수 있었다면 확실히 53 명의 아 들 을 가질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 똥쭤뻔(fi( . 1 衍f )의 해석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으며, 카이츠 카시게키 ( 貝塚 茂附 ) 는 더 나아가서 자( 子 ) 들 혹은 왕자들이 자체 내에 접 복 담당자( 貞 人) 들을 가지고 있 는 정치 • 군사상의 강력한 집단을 구성하 였다는 견해 까지 내 놓 았다 . 8 8 ) 그렇지만 이러한 집단들이 토대로 하였을 수도 있 는 유일 한 혈 연 적 기준은 세대였지만 이 경우에 그것은 족이라는 말에 대한 본 래의 정의와는 양립할 수 없다. 그래서 이름에 자( 子 ) 를 쓴 모든 사람이 우명( 武丁 )의 아들이라는 견해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명산 ( 丁 山)은 쯔 양( 子羊 ) 이 우명의 부모와 함께 숭배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일 부 의 자 아무개라는 이름을 가진 개인들이 우명(武丁)과 같은 세대였 을 것 이라고 믿었다 .8 9 ) 카이츠카시게키 ( 貝塚茂樹 )가 지적했듯이 자 아무개라는 이름은 도상기 호로서의 기능 을 지니고 청동기에 자주 나타난다. 자가 상(商)의 동치 집 단 명칭이었기 때문에 자 아무개라는 이름 을 쯔 성( 子 !tt) 내에서 분화된 85) 胡 厚 宣 , 「 8 t{t 封建制度 考 」, p.9 . 86) 胡 厚宣 , 「殷代婚 幽家族宗法生 育制度考」, pp.2 6-27 ; 陳夢 家 , r gll: 城 卜 辭餘 述 』 , p.4 9 6 ; 貝塚 茂樹, 『 中 댐古 代史 4w (l) 發 I成 」, pp.2 9 1-292. 87) 캅( 作 賓 , 「甲骨文斷代硏究{fl j」 ; 「 五節 爵在. tll:商」. 88) 貝塚 茂樹, 『 中國 占代史 1 }M (l)發/Pt 』 . 89) 丁 山 , r g t 商氏 族 方 國志 』 , p.7 5.

하나의 부분으로서 간주하는 것이 가장 간단할 것인데 여기에서 자 자는 그 밖의 다른 모든 족 들 과 구별되기 위하여 사용되었을 것이다 .90) 족과 성의 이름, 그 집단들이 거주하는 읍의 이름, 그리고 그 개인들의 이름 이 서로 혼용될 수 있었다는 견해가 안정되었기 때문에 9 1) 이러한 해석은 갑골문에 나타난 자 아무개라는 이름 을 각 개인의 이름으로 간주했던 전 통적인 해석과 양립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자 아무개라는 이름은 갑 골 문에서 왕이 참가한 사냥과 전쟁, 제사의식 의 거행과 연결되어 나타난다. 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왕자들〉 은 그들의 족벌적인 잇점에 편 승하여 왕의 궁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 하였음이 분명할 것이다. 주요한 왕실의 관직 천멍지아(陳 夢家 )는 점복기 록 에서 20 개 이상의 관직 을 찾 아내어 그것들 울 대신(臣)과 장군(무관), 기록보관인의 세 범주 로 나누었다 .92) 많은 개 별적 관료들이 문헌이나 갑골문 기 록 에 잘 나타나 는 데 따이(大乙) 시대의 재상인 이인(伊 尹 )과 ,93) 우명( 武 丁)시대의 장군인 무 (rR) 나 지무(j止成) 는) 그러한 실례이다.그러나 이용가능한 자료만 가지고 본다면 가장 중 요한 관직의 범주는 점치는 사람인 복인(卜人)과 정인(J.-t人)이다. 라오쫑 이 (ftl't 宗 願)는 점복기록에서의 117 명의 복인과 정인의 활 동을 열거하였으 며 95) 천멍지아(陳夢 家 )는 120 명을 들 었다 .96) 상(商)시대에는 점복행사가 동치술로서 중대한 역할을 담당했기 때문에(아래 를 참조) 비록 왕이 흔히 가장 중요한 예언을 행하였던 유일한 자였다고 하더라도 복인과 정인도 90) 張光直, 「商片 r, 打銅器器形裝飾花紋與銘文 綜 合硏究初步報 告 」, p.2 69 ; 儀 宗 願, rgl l:{tii 卜 人物通考 』 , p.1 1 98. 91) 張Jtttt, 「甲骨文中所見 A j也信]名考」. 92) 陳夢 家 , 『 lj 밌虛 卜 辭 綜 述 』 , p.5 03. 93) 張光直 「 談王 亥與伊 尹 的祭 日 並再 論 殷商王制」. 94) 胡厚宣, 「殷代封建制度考」, pp.8 - 13. 그러나 白川靜은 ·i止戒가 군대의 제 사 임 무릅 말은 冊관리 였다고 믿고 있다. 그의 r ft=冊考」 참조. 9') 競宗願, 『殷代貞 卜 人物通考』. 96) 陳夢 家 , 『殷猿 卜 辭綜述』, p.2 0 2.

상당한 권력 을 지닌 사람이었음에 틀 림없다. 천멍지아( 陳夢家 )가 관직의 범위에 집어넣지 않았던 다른 중요한 궁정 의 영향력 있는 관직 중에 하나는 성직자이다. r 서경 』 ( \ 'F 經 )의 「군석」(.fl 奭)에서는 유명한 상( 商 )시대의 신하 를 열거한 저우꽁 (lM 公)의 말 을 인용 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 옛적에 탕(i 상 )왕이 이미 명 을 받았 윤 때 이인 (伊 尹 )과 같 은 이가 있어 그 는 그의 덕 을 위대한 하늘의 덕과 갇이 닦았고, 타이지아( 太甲 ) 때 빠오층( 保衡 ) 같 은 이가 있었으며, 타이우( 太 戊) 때 이 지(伊 涉 )와 천후 ( 臣惡 ) 같 은 이가 있어 그의 덕이 상제( 上帝 )에까지 영향 울 미쳤고 우시엔( 巫咸 )은 왕가 를 다스렸다. 쭈이( 祖 乙) 때 우시엔(巫안) 같은 이가 있었고 우명 ( 武丁 ) 때는 깐판( 甘션t ) 갇은 이가 있었다〉 9 7) 고 되 어 있다. 우 시 엔( 巫咸 )과 우시엔( 巫貸 )은 유명한 이인(伊 尹 )과 함께 기재 되어 있고 그들 의 왕 국 에서의 중요성은 근거가 있다. 점복기록에는 우시 엔(戊咸)이 라는 이 름 이 확 인되는데 직함을 뜻하는 부분인 무(戊)자는 성 직자 를 의미 하는 무 (巫 )자에 상당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그리고 무자가 붙 은 그 밖 의 · 다른 여러 이 름들 도 나타난다 .98 ) 제후( 諸侯 ) 왕의 배우 자 나 왕자 들을 포함한 대부분의 왕실 관리들은 추수 를 하여 소득 을 얻 을 수 있 는 토지와 그 들 의 족 인(族人) 들 이 거주할 성읍 을 수여 받았던 듯 하다 .99 ) 명산( 丁 山)은 이러한 제후들 을 2 가지 집단으로 나누었 는데 그 하나 는 도읍의 내부나 근처에 있는 토지 를 수여받았던 사람들이 며, 다 른 하나 는 도읍의 밖에 있는 토지와 읍 을 수여받았던 사람 들 이다• 명산( 丁 山)의 이러한 구분은, 각 집단 내부의 계급 구조에 대한 그의 면 밀한 설명과 그가 사용했던 용어가 무리가 있고 납득할 수 없는 점이 있 기는 하지만 , . 100) 상당히 근거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 문제에 대해서는 다음 장에서 상세히 논할 것이다. 도읍지역 내부에 자신의 봉지(封地)가 97} 『 얀經』 , 「 君 奭」. 98} 陳夢 家 『 殷 城 卜 辭綜 述 』 , p.36 5. , 「商代的 神話 與巫 術』 , p.B 7. 99) 胡1!7- E: , 「殷代封述制度考」. 100) 丁山, 『 甲ft文所見氏族及其制度 』 .

있었던 제후들은 전면적으로 왕실의 업무에 충실할 수 있었지만, 도읍 지역 밖-때로는 아주 멀리-에 자신의 봉지가 있었던 제후들은 일정한 합의하에 왕실의 업무나 자신의 읍에 대한 사무 를 번갈` 아 서 담당 했던 것 갇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합의의 세부적인 내용은 알수없다. 각 제후들은 자신의 족과 성읍, 봉지 를 대표하였는데 제후 자신 및 그 의 족, 읍은 모두 같은 이름으로 알려졌다. 그렇지만 갑 골 문과 청동기 명문에서 발견된 그러한 모든 이름은 기록에 나타난 그것들 사이의 관계 에 의하면 서로간에 계급적으로 차등있게 관련되어 있었다. 명산(丁山)은 그러한 이름을 200 개 이상 찾아냈지만, 그 이상으 로 확인 될 수 있으리라 확신했고 101) 장뻥취엔(張 秉 權)은 개인의 이 름 과 읍명이 일치되는 173 개의 실례 를 제시했다 .10 2 ) 이러한 이름 들 중에는 특 히 중 요한 일부 이름들이 있는데, 이들은 보다 규모가 큰 봉지, 보다 규모가 크 고 보다 많은 읍, 많은 수의 거주민을 소유하였으며 궁정에서 보다 큰 영향력 을 행사하였 울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러한 족의 뚜렷한 실 례의 하나는 후허우 쉬엔(胡厚 宣 )과 103) 명산(丁山)과 104) 시라카와시 즈 카( 白 川 h업 )10 5) 가 연구했 던 취에(雀)족이다. 취에(雀)족의 족장은 왕의 가까운 친척 이었다고 생각 되었다. 왕(우명武丁)은 그의 행복과 건강, 그리고 왕래에 대한 점복을 자주 거행했고, 그는 때때로 사냥이나 제사의식의 거 행 또는 왕에 대한 봉사를 요청받았으며, 그의 영토는 왕이나 그 밖의 누군가에 의해 도읍 으로부터 방문을 받았던 것으로 흔히 말하여졌다. 그 는 또한 도읍지로 일정한 수량의 거북 껍데기를 가지고 왔던 것으로 자주 기록에 나타나며 이웃하고 있는 읍(邑)과 전쟁 상태에 있었던 것으로도 기 록 되었는데, 그 • 의 영토는 산시(山西) 남부나 허난(河南) 중부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 된다. 제후들의 계급구조에 대해서는 다음장에서 상(商) 왕국의 정치적 질서 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히 논의할 것이다.

101) 위 책, p.3 2. 102) 「甲骨文中所見人地同名考」. 103) 胡)! / . 宜 , 「 O !l:ft封建制度考」, pp,1 3 -17. 104) 丁山, 「甲骨文所見氏族及其制度」, pp.1 23-12 :5. 10:5 ) 白川靜, 「殷代雄族考, 其二, 雀」.

5 군사력 대외적으로나 대내적으로 상(商)의 통치자들은 그들의 휘하에 방대한 군사력 을 소유했다 . 정복기록에는 3 천명, 5 천명 혹은 1 만 3 천명을 거느리 고 출전하거나 한꺼번에 3 만명을 포로로 획득한 군사활동에 관한 내용이 상당히 많다. 10 6) 그들의 사회 내 에서 그처 럼 많은 수의 전쟁 포로 를 감금 하고 회생의 제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압도적인 주둔군이 필요했음에 틀림없다. 갑골문 에 는 조상을 숭배하는 제사의식을 위하여 300 명의 치앙 ( 光 )인 을 제물로 바 친 기록이 있으며, 107) 고고학적인 발견에 의해서 샤오 문(小屯)에서 한 채의 건물 축조를 위하여 600 명 이상이 희생의 제물로 바쳐졌음이 밝혀졌고, 108) 시베이깡( 西 北岡)의 한 자리의 묘의 내부에는 164 명이 순장되 어 있었다 .109) 『시 경 』 ( 詩經 )에는 탕(溫 따이大乙) 왕이 시 아( 夏 ) 를 정벌하기 직전에 자신의 백성들에게 자신의 의도를 설명하는 연 설을 행하여서 그들을 훈계하여 전장으로 끌어내었다는 기록이 있다. 너희 들은 모두 나 한 사람을 도와 하늘이 [시아 .g ]에 내린 벌을 수 행하라. 내 너희에게 크게 보답하리라. …… 너희가 내 서언( f'f업 )을 따 르지 않는다면 나는 너의 처자까지 죽일 것이니 너희는 용서받지 못할 것이다 . 110) 또한 판껑(선산庚)이 도읍을 인(殷)으로 옮기는 취지 를 백성들에게 설득 시킬 때 이에 불응하는 자에게 다음과 갇은 경고 를 했다. 〈이제부터 후일 에 이르기까지 각각 너희의 임무에 신중히 하며, 직위를 정제하며, 입을 106) 楊尙 奎 , 『中國古代社合與古 代思想硏究』, pp,2 0-21. ; 陳夢家, 『 殷坡 卜辭綜 述』, pp,2 7 6-277. 107) 陳夢家 위 책 , pp.2 79-280, 108) 石璋女 n, 『 北읍[l 墓葬』 ; 『中gn 墓 강k 』 . 109) 梁思永 • 高去귬., 『侯家 I1 :I:: 1001 號大 &t』 . 110) 『얀經』 , 「i~ : g」.

함부로 놀리지 말라 .• 벌이 네 몸에 미치면 후회해도 소용없을 것이 다. >11 1)

111) 『 . ,'F 經』, 「뾰庚」.

이는 많은 체형(體Jf l j)이 실제적으로 가해전 광범위한 고고학적인 증거 가 있기 때문에 확실히 단순한 위협만으로 끝난 것은 아니었다(아래를 보 라). 그러한 무력의 주체는 무엇인가? 왕이 대내의적으로 사용했던 군 대의 규모와 형태는 어떠했는가? 이러한 의문점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그것들과 관련된 몇 가지 사실은 알 수 있다.

첫째로 상(商)의 기본적인 사회 조직은 강력한 군사적 형태를. 띠고 있 다. 이 장의 서두에서 언급하였듯이 상(商)의 기본적 사회단위인 족은 많 은 학자들에 의해 군사단위로 간주되었다 .112) 그들의 거주지이자 방어시 설인 소규모의 성읍에서 족은 그들의 필수적인 활동인 군사적인 기능을 수행했고, 족의 수령은 군사적 지도자였다. 도읍에서는 이러한 족의 군 사적인 양상이 더욱 확대되고 계충화되었을 뿐이다. 왕은 읍(나아가서는 왕국)의 군사적 지도자가 되었고, 물리적인 힘을 소유해야만 했다. 왕 아 래에는 바로 앞에서 언급했듯이 왕 자신이나 왕의 배우자, 왕자들이 이 끌었던 족 집단을 포함한 많은 족들이 있었다. 그래서 모든 족은 사회정 치적 단위였을 뿐만 아니라 군사적 단위이기도 하였다. 평화시에는 여 (旅)라고 불리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113) 상비군에 의해 질서가 유지되었는 데, 여 (旅)에는 보동 족 구성원의 일부만이 포함되었지만 빈번하게 일어 났었을 유사시에는 족 구성원 가운데 상당수가 군사원정에 참여하기 위 하여 동원되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우명 (武丁)시대의 점복기록에는 치양 (光)을 정벌할 때 1 만명 병력의 여군(旅軍)에 왕의 배우자인 후하오(婦 好) 족에서 3 천명이 추가된 군사원정에 관한 기록이 있다 .114) 더이상의 원조가 요구되면 상(商)왕국의 여러 지역에서 여러 성(姓)의 족· 구성원들 이 통치하는 여러 성옵으로부터 병사와 부대를 충당했다 .115) 사실상 위의 원정에 참가했던 후하오 (M g子) 족의 구성원들은 도읍지역 밖에 있는 그들 의 성옵에서 거주했던 것 같다.

112) 金 m ttf1., 「從甲骨 卜 辭硏究殷商iI ( 旅中之王族三行三 n ili」. 113) 陳夢家, 『殷城 卜 辭綜述』, p.2 77, 114) 위 책 , p.2 76, 115) 胡 l' I-ft, 「殷代封建制度考」, pp.3 0-31,

그러나 이제 전문적인 군대에만 관십을 집중해 보자. 우선 정복기록에 는 군대의 관직을 의미하는 듯한 많은 직함이 있다. 천멍지아(陳夢家)는 그것들을 마(馬, 말 관리인 ? ), 야(亞 상당히 중요한 군대의 직책), 후(ilil, 弓術t효의 지휘관?), 서(妹 궁술대의 지휘관?) 웨이(t5 i, 주둔군의 지위 관? ), 취엔( 犬 개 관리인 ? ), 쉬 (戌, 변경의 지위관? ) 등으로 분류했 다 .116) 이들의 역할과 의무가 명확하지는 않지만 이러한 직함둘은 상(商) 의 군대가 상당히 큰 규모와 매우 복잡한 구성을 갖추고 있었음을 분명 하게 지적하여 주는 것이다. 그러나 군대는 왕이나 왕의 배우자, 왕자, 족의 〈민간인 〉 지도자 들 에 의해 지휘되기도 하였다. 정복기록에 따르면 상(商)의 보병과 궁술대는 1 백명의 한 중대를 구성 하였고 좌, 중 , 우로 포진되는 세 중대가 한 연대 를 구성했던 것 같 다 .117) 이와 갇 은 구성은 고고학적으로 입증되지는 않았지만 샤오문(小 屯)의 乙 - 7 집터에 부속되었 을 것이 분명한 일련의 순장된 매장은 상(商) 의 전차대가 다음과 같이 편성되어 있었다고 하는 스장루(石璋加)의 견해 의 근거가 되었다 .118 ) 1 5 대의 전 차가 1 개 분대 를 이루고 5 개의 분대가 1 개 중대 를 이룬다. 2 각 전차 는 3 명의 전차병을 거느리는데 중간에는 채찍을 휘두르는 운 전병이 있고, 왼쪽에는 도끼창을 든 공격수가, 오른쪽에는 활과 화 살 을 든 궁수가 있었다. 병기의 고고학적 유물은 비록 일부의 사람과 동물의 무덤에서도 그것 이 발견되지만, 대부분은 전차가 매장된 곳에서 발굴되었는데 활, 화살, 도끼창(戈), 방패, 소형의 칼, 날카롭게 깎은 돌이 한 조의 병기물 이루 었던 것 같다 •119) 고고학상의 . 발견과 금석학 지식을 근거로 한 스장루(,{j m~n) 의 재구성에 따르면, 상(商)의 활은 사람의 키 정도의 길이인데 소 의 힘줄과 뿔로 만들어전 혼성의(공을 들여 재작된) 븐폰한 것이다. 화살 은 돌뼈, 뿔, 조가비 또는 청동으로 만든 화살촉과 후미에 깃털이 부착 116) 陳夢家 『 殷城 卜 辭綜述 』 , pp.5 08-517. 117) 위 책, p.5 13. 118) 「小屯 C 區的墓#群」 ; 「殷城發堀對於中國占代文化(tJii獻」. 119) 石璋女 n, 「小屯 8 t{t(前成食兵器」.

i

E. u0ZO : l- ^ \一/ ~ :\:l:I .言 _—그 -i,.,. In , .' … _ 도 \ 、 。 廳롤구 一 ~ o E.u oz 。 4L}T 0 oEu广」》. ... .t . .f.W. ...\.. 5 . . . .E . - o -LO , ' ’0I - ::-, . 주도-- · · - ·-으.으·· · - °O,'0 Eu O EuOl ·鼻 g- v o »- .., ,' ]

그림 48 孝 民屯에서 발견된 전차와 ·말의 유물 (KK, 「安陽新發現的

殷fl;: 1 1 단 . g h' i」) .

된 활길이의 반정도 되는 나무대로 만들어졌다. 도끼창(戈)은 1.1미터 길 이의 나우창대에 청동날의 자루를 달아서 만들어졌다. 방패는 전차에서 사용했던 대형(도끼창보다 길다)과 보병들이 썼던 소형(도끼창보다 짧다)의 두 종류가 있었는데 두 종류는 모두 그 틀이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틀의 표면이 가죽이나 바구니 모양의 것으로 만들어졌는데 표면의 바깥면에 호랑이 모양의 무늬가 새겨져 있었다. 청동단도는 칼집이 있는 개인용 무기였음이 분명하다. 연마하는 돌은 지금의 군인들의 기름동에 해당되 는 것임에 틀림없다(그립 47). 상(商)의 병기에 대하여 논할 때 전차를 빼놓고 말할 수 없다. 7 대의 상(商)시대의 전차 유물이 발굴되어 그것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와 재구성 에 이용할 수 있다. 7 대 중에서 3 대는 대일항전 이전에 샤오문(小屯 M 20 묘와 M 4o 묘)에서 발굴되었고 120) 1 대는 1953 년에 따쓰콩촌 (k ii l’와 ·I) 에 120} 石璋女 Il, 『 北용 1l gg강~ J .

그림 49 M20 묘에서 발견된 商시대 전차의 복원도( 石璋 畑 『 北組墓당 k 』).

서 발굴되었으며 121) 나머지 3 대는 1958-59 년 1 22 ) 과 1973 에 샤오민문(孝民 屯)에서 발굴되었다(그림 48). 1 23) 이러한 전차 들 의 기본적 구조는 모두 유 사하다. 이들 전차는 바퀴와 차축, 차축 위에 있 는 몸 체, 차축과 멍에를 이어 주는 장대 그리고 멍에의 5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2 마리의 말 이 끌었다(그립 49). 가장 잘 보존된 전차 5 대의 치 수는 표 2 와 같다.

121) 馬맙志 • I 급]7k 珍 • 5& :~淵 0, 「 一 j L 1i三年安腸大司空村發堀報告」. 122) KK, 「 19:'.>8-1959 年 lj Jl:JJAt發堀簡報」. 123) KK, 「安陽新發現 (I98 ll:{t !1I. I.g ht 」.

표 2 인쉬 (Ij 訪城)에서 발굴된 5 대의 전차의 칫수(센티미터)

U} 퀴 차축 몸체 장대 멍에 M-40, 290 높이 80-85 255 210 샤오문(小屯) 넓이 l20 M-20(1), 샤 290 높이 88·94 265 170 오문(小屯) 넓이 115 M-20(2), 샤 270 높이 66-74 220 140 오문(小屯) 넓이 115 따스콩촌(大 146 300 넓이 94 280 司空村) (살 18 개 ) 샤오민문(孝 133-144 306 높이 74 256 110 民屯) (살 22 개) 넓이 129-133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다소 작은 M-20{2) 를 제외하고는 크기가 거의 비슷하다. 축 대 끝의 쐐기 를 사용하여 바퀴 를 분리시킬 수 있는 샤오문 (小屯)의 표본 전차는 바퀴 를 매장하기 전에 떼어 버렸지만 그 밖의 다른 2 대의 전차는 바퀴에 대한 좋은 자료를 제공하여 주었다. 오르내리는 공 간이 주로 뒤 를 향하여 나 있는 몸체 부분은 뼈대가 나무로 만들어졌으 며 뼈대에 걸치는 부분은 가는 나무줄기로 엮은 것과 가죽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재료로 만 들 어졌다. 차축과 멍에 를 잇는 장대는 구부러져서 뒤 끝이 차체의 아래에 있게 되어 있었지만 앞끝은 말의 높이에 알맞게 되 어 있었다. 말 과 전 차는 모두 청동장식품과 청록빛의 옥 장식품으로 풍 부하게 장 식 되었다. 그리고 전차의 몸체에는 동물 도안이 그려져 있었을 것으로 생 각 된 다 . 6 법률 레오 폴드 포스피실 (Leo p old Pos pi s il )1 2 악본 법적인 판결에 있어서 4 가지 속성, 죽 권 위 , 보 편 적 적용의 의지, 의무, 처벌 등을 찾아내고 그 속성 둘의 공존이 법을 정의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법적인 판결에 대한 상(商) 시대의 자료 는 거 의 없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드물지만 이러한 각각의 4 가지 속 성 은 이용가능한 상(商)시대의 자료에 어느 정도 나타난다. 그러 면 우선 이와 같 은 법적인 판결에 관련되는 부류들을 생각해 보자. 쉽게 생각할 수 있 는 것은, 한편으로는 왕과 그가 지닌 권위이고 다른 한편으 로는 그의 피지배자 들 이다. 왕의 피지배자들은 『 서경 』 (,'t經)에 언급되어 있는 백성 들 인데 그들은 확실이 주어진 의무의 부분을 이행하지 않았거 나, 이행하지 않았다고 간주되었기 때문에 왕의 처벌의 결과 를 육체적으 로 감수하여야 했다. 『 서경 』 ( 1 t經 )의 「당서」(湯烈)에서 우리는 〈권리가 부여된 집단의 권리와 복종해야 하는 집단의 의무 를 규정하는 법적인 판결옹 하는 부분〉으로서 124) The E/hnology of Law. 125) 위 책, p.2 2 ,

의 의무 규정과 함께 의무의 속성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왕의 측에서는 백성들에게 〈내가 너희에게 말한 것에 복종하라. 그렇지 않으면 너희와 함께 너의 처자불 죽일 것이니 너희는 용서받지 못할 것이다〉라고 요구했다. 그렇지만 또한 왕(i&} 王 )은 은연중에, 자신이 시아(哀)의 지에 (架)왕이 자행했던 만행은 저지르지 않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지에(架) 왕의 만행에 대해서는 〈왕이 백성들의 힘을 다하게 하고 읍에서 억압을 자행했다〉고 기재되어 있다. 시아(墓)의 왕이 이러한 죄 를 범하여 벌을 받아야만 했는데 『 서경 』 ( ~ 'r- 經 )에는 또 〈백성들이 모두 태만해져서 왕을 도우려 하지 않았다. 그들은 ‘이 나라는 연제 망할까 ? 우리 모두 왕과 함께 망하리라 ! ’라고 말했다 〉 라고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의무의 등 식은 왕측이 관대한 통치 를 하겠다는 약속과 피지배자 측 이 복종을 할 것 이라는 기대로 이루어졌다. 왕이나 그의 후계자가 이러한 약속을 어겼을 때-상 (I 衍) 왕조의 말기에서처럼 ―― 냐 근 적어도 저우 (I t])인들의 관 점에서 볼 때 그 왕조가 전복될 수 있는 명분이 생기는 것이다?(그렇지만 현존의 「당서」i L} 1 ! t는 그 이전의 기록이 똥저우東周 사람 들 에 의해 그들의 관점 에 따라 다시 기술된 기록으로 간주되는 것이 보통인데 그것이 상商이나 저우 周 시대의 이데올로기를 대표한다고 볼 수 있을까? 그것을 증명할 길이 없다. 그렇지만 왕의 제후에 대한 책임은 적어도 국경지역에서의 아민족의 침입을 보 고한 사실에 대한 점복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확실히 이러한 상호간의 이해는 동등한 지위 를 가진 집단들 사이에서 의 공정한 이해에 근거한 것은 아니었다. 왕의 징벌을 위해서는 왕조의 흥망과 같은 대변동을 기다려야만 했지만 피지배자에 대한 징벌은 즉각 적이고 엄격했던 것이다. 상(商)시대의 문자 를 근거로 하여 몇몇 저자들 은 상(商)시대의 다음과 같은 체형이 가해졌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죽 다리의 절단, 코의 절단; 귀의 절단, 눈을 찌르는 형, 거세, 언굴이 나 이마에 문신을 새기는 형, 족쇄형 등이다 .126) 이러한 체형을 가한 저 우(J kI) 시대의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상(商)시대에도 대체적으로 이러 한 형벌들이 있었을 것이다.

126) 沈文( ❖, 「Ix 與서}」. 胡 l/· ·1.t, 「Jjt{t (I: J nl j }f l j」.

상(商)왕조시대에 법률상의 판결과 관련된 그 밖의 약간의 점복기록의 자료들이 있기는 하지만 확실하지가 않다. 천빵화이(陳邦 l 웠)는 인 (8 t)의 법 률 상의 절 차에 관한 다섯 가지 실례가 점복기록에서 발견된다고 하는 데 그 실 례는 다음과 갇다. <(a ) 두 집단 사이에서 소송이 있었는데 재 판관이 그 것을 주 재했고 그는 공정한 사람으로 간주되었다. (b) 왕은 소 신(小 臣 )에게 투 옥의 문제에 대해 물었고 왕의 동쪽에 서 있던 소신(小 臣)이 정식으 로 응답했다. (c) 범죄자가 재판관에 의해 사형을 선고받았 지만 집행이 미뤄져서 그 범죄자는 다시 감금되었다. (d) 범죄자가 사형 을 선고받았지만 왕에 의해 사면되었다. (e) 범죄자가 노동형인 곡식 갇 기형 을 선 고받 았 는 데 신 (I 컬 )이 그 를 위하여 면제 를 신청했다.〉 1 2 7) 그러나 이러한 각각 의 경 우마다 천 빵화이(陳위서 덧 )의 판독은 l • 2 개의 문자의 해 석이 불확실한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므로 상(商)의 법 률 제도는 법 률 상의 규 칙 이 성 문 화된 일부 문헌이 발견되어야만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을 것 이 다 . 결 국 『 서 경 』 ( /l t 經 )의 「다사」( 多士 ) 편에 있는 〈인(殷) 왕조 의 선인( 先人) 들 은 그들 의 책 ( j U} )과 전(典) 을 두었다〉 1 2 8 ) 는 구절 을 찾을 수 있다. 점 복 기록 도 책 의 일 부 였을 것이지만 상(商)의 법전의 자취는 지 금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7 제사의식 점복기 록들 이 본 질적으로는 종교적아고 의식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상 (商)의 종교와 제사의식은 다소 과다하게 연구되는 경향이 있는 129) 반면 에 상( 商 )의 정치 • 문화에 있어서 제사의식과 그 기초 를 이루는 종교적 127} 『 殷代 社 合史 料 微 1f 』 , p.2 . 128) 『 얌經 』 「多 士 」. 129) 陳 夢家, 「 古 文 字 中之商周祭 面 E 」 : 「商f \;(1 ';J ij 1!1 話 與 ~ [{術」 : 打 Il y.ft, 「 8 !.I: 卜 a f사’ 的 上帝 利) 王帝 」 ; fJ t ii 道治, 「 宗 敎i(ij力나요f. .:O i{t(l)二, 三 (l) |111 .wi」 : Tsung -tun g Chang , Der Kull der Slza11g - Dy 11 asti e im sp iege / der Ora- kelin s chr ifte n : Eine Pallio gr a pl z is cl ze Stu d ie zur Reli gion im arclzais cl 1e11 Chin a .

개념이 담당한 역할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적다 .130) 그렇지만 데비드 키 이틀리 (David N. Ke ig h t le y)의 글을 인용한 다음 구절은 짧지만 훌륭하게 그 상황을 설명하여 준다.

130) Paul Wheatl ey , Piv o t • of the Four Qu arte r s ; David Keig h tl e y, The Relig iou s Commi tme nt : Shang Theolog y and the Genesis of Chin e se Politi ca l Cultu r e ; P'an Wu-Su, Reli gion and Chronolog y in Shang Chin a : fJt~道溫 「宗敎面力냐,.R.t.. ::8 ltft(T) 二三 (T)|:!團」 『 中國古·(t - E 朝(I) 形成 』 .

상(商)의 종교는 상(商)왕국의 기원과 그 합법성에 밀접하게 관련되 어 있었다. 상(商)시대에는 최고의 신인 제 (帝)가 풍성한 수확과 전쟁 에서의 신성한 도움을 부여하며, 왕의 조상들이 제와 중재를 할 수 있 고 왕은 자신의 조상들과 교류할 수 있다고 믿어졌다. 그러므로 상(商) 의 조상숭배는 상(商)왕의 정치적 지배에 대한 강력한 심리적 • 이념적 토대를 제공하여 주었다. 점복을 통하여 결정을 내리는 왕의 능력과 기도나 제사를 통한 그의 영향 및 조상의 영 혼의 의지는 왕 개인에게 정치권력이 집중화되는 현상을 정당화시켰다. 왕은 일반 평민들에게 미치는 조상의 축복이나 저주 를 호소하거나 없앨 수 있었던 〈 유일한 사 람〉 죽 중개자였기 때문에 모든 권력이 그러한 신권정치로부터 나왔다. 회생의 제물을 바침으로써, 제사의식을 거행함으로써 , 그리고 접복을 행함으로써 왕이 풍성한 수확과 전쟁에서의 승리 를 가능케 한다고 믿 어졌다. 왕의 점복행사에 주문과 마술의 요소가 어느 정도 포함되어 있었다면 그럴 가능성이 클 것이다. 점을 쳐서 의의로 풍성한 수확과 전쟁의 승리 를 거두어들였던 왕의 능력에 의해서 왕은 자신의 정치적 권위 를 더욱 강고히하였을 것이다 .131)

131} Keig h tl ey , 위 글, pp.2 12-213.

그러므로 통치술에 있어서 점복은 모든 다른 행위에 대한 선례였을 뿐 아니라 모든 다론 제사의식의 기초가 되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점복은 20 개 정도의 여러가지 문제들에 관해서 행하여졌는데, 그 문제들은 4 가 지 범주로 다시 나눌 수 있다.

1 제 물 과 비나 좋 은 날씨 를 위한 요청과 갇은 미래에 대한 제사행위. 2 한 시기 동안(예 를 들 어 한 순 句 이나 하루 저녁)의 왕의 운수. 3 전쟁 을 위한 원정이나 사냥, 이동, 순수( 巡 1 守)와 갇은 심사숙고하여 결정된 행위로부터 일어날 수 있는 결과. 4 꿈이나 자연 재해, 출 생, 질병, 사망과 갇은 독자적인 사건으로부터 일어 날 수 있 는 결 과에 대한 해석.

위의 모 든 의 문 에 대 한 응답은 왕 측 이 점복의 결과에 따라 수행하는 행위에 대 한 근거 와 정 당성 을 제공하여 주었다. 일부 기록에는 왕의 예 언이 있 고 곧 이어 그것 에 대한 입증이 뒤따른다. 죽 〈왕이 예언하여 말하 기 를 이 것은 그러하 니 그럴 것이다 〉 라고 정확히 기재되어 있고, 계속되기 를 〈 참으 로 때가 왔을 때 그것은 그래서 그러했다〉고 나타나 있다. 그러 므로 조상이 뼈 와 거북 껍데기 를 통해서 말하였을 것이라는 데에 대해서, 왕이 올바 론 예 언 을 하 였 을 것이라는 데에 대해서 어떠한 의문도 품을 수 없었 다 . 따라서 왕이 규정했던 행위는 취해야 할 울바른 행위로 간주 되었음이 틀 림 없 을 것 이다. 판껑 ( 선W )k) 왕이 말하기 를 〈점을 쳐서 ‘이곳은 우리가 살 곳 이 아니다 ’ 라 는 응답 을 얻었다. 만일 우리가 역대 왕의 정신 을 따 르지 않는다면 천 명( 天 命)이 우리 를 거부하여 왕조가 멸망될 것이 다〉 13 2 ) 라 고 했지 만 물론 그러한 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132) 『 1l 經』 「盤庚」 .

심사 숙고 하여 결 정된 행위 가운데 일부는 특별히 부가된 재사의식이었 는데 그것 은 조 상의 동의 를 얻어야만 수행될 수 있었던 것이었다. 구파 의 시대에 는 제사의 시기와 제물의 양이 그것을 먹을 조상 자신에 의해 승인되어야만 했다. 신파의 시대에서조차도 비록 제물이 정연한 제사의 식의 일정에 따라 바쳐졌다하더라도 제물의 내용에 대한 물음은 매 순 (句)이 시작되기 직전에 여전히 일상적으로 이루어졌다 .133)

133) 萊 作賓, 『 殷府 譜』 ; 島邦罪 『 殷 坡 卜 辭硏究 』 ; i 距進雄, 『 O JI: 卜 辭 r|I 1i種然祀 的硏究 』 ; r g文 卜 辭 中Ji種祭祀硏究的新觀念」 ; 「1i種蔡(!(r',J新觀念與殷'f(r',J 探 討 」.

8 왕실의 상징 이 장의 서두에서 인용된 『 좌전 』 ( 左 傳)의 구 절을 통해서 우리는 새로운 읍이 건설되었을 때 저우(周)왕에 의해서 귀족에게 하사되었던 필수적인 물품 가운데에는 전차, 기 (旗), 옥( 玉 ), 깃 털 이 달 린 활 , 동종(銅 鍾 ), 북 과 같은 물건을 포함한 제기와 상징적인 표장이 있었음 을 알 수 있었다. 또한 『 서경 』 ( 인 t 經 )의 「목서」(牧 {껏 ) 편에는 상(商)의 저우( 討 ) 왕 을 공격하 기 바로 직전에 저우(周)의 우왕( 武 王 )이 〈 자신의 군 대와 추 종자들을 무 예 (牧野)에 모아놓고 맹세 를 하였다. 왼 손 에 는 누런 도 끼 를 잡고 오른손 에는 흰색 기 를 들고 있었다 〉 라고 묘사되어 있다. 위에 기재된 다른 물품 들뿐만 아니라 도끼와 깃발은 저우왕 (Ik] )의 그 것 과 마 찬 가지로 상(商) 왕 에게 있어서도 왕의 권위 를 나타내는 상징아었다. 그러 나 아래의 『 예기 』 ( 月 8 , i C) 의 구절에 보이듯이 여러 다른 색깔은 각 각 다 른 나라의 특 징을 나 타내 주는 요소였음에 틀 림없다. 〔루꽁 (1(} 公)은〕 종이 달린 여우위씨 쉰( 有處 氏 舜 )의 수레인 난거 (性 ·'|i ) , 앞부분이 구부러진 시아허우씨 ( 及后 氏)의 수레인 구거 (i{1l | i ) , 나무 로 된 인 (l jt)의 수레인 대로( 大 路), 옥으로 장식된 저우(/사)의 수레인 승로(乘路)〔 를 가지고 있었다〕. 〔루꽁(t<>公)은〕 여우위씨 (有I~氏)의 기 (旗)인 기 (方 弁 )와 것대에 모우 (托牛 야크)의 꼬리 를 단 시아허우씨 (:[ 后 氏)의 기 (旗)인 유(緩), 흰색 의 커다란 인 (it)의 기 (旗)인 대백 (大 白 ), 붉은색의 커다란 저우(周)의 기 (旗)인 대적 (大赤 M 을 가지고 있었다〕. 〔루꽁(魯公)은〕 흰 바탕에 검은 갈기가 섞여 있는 시아허우씨( -以 后 氏)의 말인 낙마혹영(船.I,!녔熟跋), 몸체가 희고 머리가 겁은 인(殷)의 말 인 백마혹수(白馬?묘t) 그리고 누런 바탕에 붉은 갈기가 섞여 있는 저 우(周)의 말인 황마번영 (黃馬蕃跋). 〔울 가지고 있었다〕.

위의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루꽁(f~公)은 자신의 권위 를 내세우기 위 해 4 왕조의 상징물을 모두 사용하였다. 이러한 표장과 도구가 단순히 명 령에 따라 새로이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었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 그것들은 제각기 과거의 권위있는 왕조의 체제와 결합되었던 역사 를- 지 니고 있었으므로 지금에 그것들을 소유한다는 것은 옛 왕조의 권위의 이 전을 의미하였으며 따라서 지금의 통치자의 합법성을 의미하는 것이었 다. 권위의 이 전 과 지금의 그 소유자의 합법성이라는 그러한 개념은 왕 국의 상칭으로서의 청동제기에 대해 서술한 r 좌전 』 ( 1E f 4/. ) 의 구절(宣公 3 년)에 가장 잘 묘사되어 있다. 추 ( 楚 ) 창 왕 ( i I [ 王 )은 루훈(陸洲)의 오랑캐인 롱( :J 戈)을 정벌하고 마침 내 러 ( f l t ) 에 이 르 러 저우(周) 국경에서 군사열병을 하였다. 저우 (lkl) 의 명왕( 定 王 ) 은 왕 쑨 만( 王 孫 滿) 을 보내어 추( 楚 )의 임금을 위로하게 하였 는데 이때 추 ( 楚 ) 왕은 저우(周)의 보배인 명 (!!!} 솥 )의 크기와 무게 등 울 물 었 다 . 왕 쑨 만( 王 孫滿)은 대답하기 를 〈땅 (}l}) 의 크기와 무게는 그것 을 가지고 있 는 사람의 덕에 달려 있지 땅 (MI} )에 달려 있지는 않습니 다. 옛 날 시아 ( c哀 )의 천자가 훌 륭한 덕을 가지고 있었을 때 먼곳에 있 는 나 라 들 은 자 기의 기아한 풍물을 그려서 바쳤고, 구주(九州)의 우두 머리 들 에게 쇠 를 바치게 하여, 그것으로 명(!!i)을 만들어 지방에서 바 친 풍 물을 새기고 온갖 물건의 형태 를 나타내어서 백성들로 하여금 귀 신과 괴 물을 알게 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백성들은 강이나 연못, 산림 에 들 어가도 리 물을 만나지 않게 되었으며 산천의 괴물인 이매망랑(福 ~~,m) 을 만나도 그 해 를 당하지 않게 되었읍니다. 그렇게 하여 상하 가 서로 화합하고 하늘의 은혜 를 누렸던 것입니다. 그런데 시아(以)의 마지막 임금 지에 (架) 왕은 악덕을 가지고 있어서 땅 (}1l!) 은 상(商) 나 라로 옮겨 가서 육백 년이 되었으나 마지막 임금 저우(村) 왕이 포학했 기 때문에 결국은 그 명이 저우(周)로 넘어가게 되었던 것입니다. 명 (鼎)을 가진 임금의 덕이 아름답고 밝으면 땅 (!I} )이 비록 작을지라도 무거워 옮기기 어려우며, 그 덕이 삐뚤어지고 어지러우면 땅 (ll i)이 비 록 크다고 해도 가벼워서 옮기기 쉬운 것입니다. 하늘이 명덕윤 주는 것도 한도가 있는 법입니다. 저우(Jli l) 의 청(成)왕이 땅(!!i)을 지아루 (郞 t- l| i)에 안치했을 때 저우(J ‘\l) 가 얻마나 계속됩 것인가운 접운 쳤는데

그립 50 商時代의 청동재 기 의 손잡이에 나란히 마주 보는 모양으로

새겨진 2 마리의 호랑이와 가운데 새겨진 사람의 얼굴 (Kodansha In t erna ti onal 의 허 락을 얻고 伊藤道治, 『 關說 中國 m 歷史 』 , 1 卷의 표지에서 참조하였다).

그림 51 亞形 의 문자 (KKHCK, 『 金 文 編 J ).

30 대 700 년 이 라는 점 이 나왔읍니다. 이것이 바로 천명 ( 天 命)입니다. 이 제 저 우(周) 의 덕 이 바 록 쇠미해졌다고 하지만 천명은 아직 다하지 않 았기 때 문 에 땅 (!I I } ) 의 무게 를 물 어서 는 안됩니다 〉 라고 말했다. 비 록 위의 대화가 저 우 ( / .';) )시대의 후기에 행해졌던 것이지만 이러한 원 칙이 상 (商)시 대에 서도 적 용되었 을 것이며 『 일주서 』 (逸 / , 1 il l F ) 에서 상(商) 왕조가 정 복 당했홀 때에 상( 商 )의 도읍에서의 약 탈 과 구명 ()L i II f)을 옮긴 것에 대 한 기록 을 분 명히 찾 아 볼 수 있다. 상(商)시대 사람 들 의 이러한 궁극적인 왕의 상징 은 그 들 이 가장 존엄하게 여겼던 청동제기 들 을 말하 는 것인데, 이 청 동 제기 들 의 고고학적 유물은 물 론 풍부하게 발견되었 다. 고고학이나 금 석 학의 자료로써 확실하게 입증할 수 있 는 상 (1 ! 1i)왕의 상징 들 은 다음과 같 이 열거될 수 있다. 1 상당히 정교한 일부의 청동제기 들 . 청동제기는 상충 계급에서 조상 에 대한 제사 를 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귀중한 물건이었기 때문에, 모 든 청동기 는 어떤 의미에서는 높은 신분의 상징이었다. 그러나 청동재기의 크기나 무게, 형태, 장식, 명문에 따라 등급이 있었을 수도 있다. 가장 큰 청동기인 사각형의 네발솥(方 MI f)에서 나타난 두 호랑이의 벌려진 입 사이에 위치한 사람의 얼굴(그립 ,o) 은 간혹 왕의 배우자 을 새긴 것이며, 그것은 최고의 신분을 나타내는 상징이었을 것이다 .134) 아형 (법i形)의 밍 134) David N. Keig h tl ey , The Late Shang Sta t e : When, Where, and What ? p, 79.

문(그림 51) 은 왕국의 상징이나 135) 관직의 명칭 등 136) 여러가지로 해석된 다. 2 기(旗)는 고대 를 통하여 중요한 권위의 상징이었음이 분명한 것이 다. 137) 어떠한 고고학적인 유물도 이 를 입증할 수는 없지만 갑골문이나 청동기 명문에는 기의 요소 를 지닌 많은 문자가 나타난다. (그립 52). 『 예 기 j ( i 8 晶)에는 상(商)의 기가 흰색이었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나무로 된 상(商)의 제기와 138) 무기 139) 에 많은 호랑이 도안이 있는 것으로 보아 호랑 이가 또한 왕국의 색채 를 장식하여 주었을 가능성이 크다. 3 전두용 도끼는 저우(周) 우왕(武 王 )이 그의 군대에게 연설을 할 때 왼손에 들고 있었던 것으로 특히 그것이 지니고 있 는 처벌이라는 명백한 의미에 비추어 본다면, 그것은 상(商)왕의 권위 를 나타내는 필수적인 상 징물 중의 하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린윈(林 ti:; )140) 은 왕이라는 문자 자 체가 도끼의 상형문자에서 파생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원형의 구멍이 있 는 많은 대형의 청동도끼는 여러 수집물의 도록 (l i에 錄)에서 나타난다. 그 런데 이것들 가운데 산똥(山가£)의 이뚜( 益 都) 쑤후문( 森 써屯)의 상(商)시 대 유적에 있는 1 자리의 대형묘 141) 에서 묘구덩이의 북쪽 벽을 따라서 발 굴된 동물의 얼굴이 새겨진 청동 도끼 2 점은 그 들 의 상징적 중요성에 대 하여 특별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4 청동, 나우, 뼈, 또는 그 밖의 다른 물질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 던 전체적인 동물 양식의 장식 미술은 정치적 관점에서 주목될 수도 있 으며 하나의 상징적인 미술로서 간주될 수도 있을 것인데 그 상칭적인 미술은 그것의 기초가 되는 종교적인 개념과 결합하여서 통치의 권위를 부여받은 상(商)사회의 지배계급에 대한 상징적인 분위기 를 마련하여 주 는 데에 하나의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보편적으로 관찰할 때 특징적인 상(商)의 미술은 여러 종류의 동물의 얼굴과 몸체부분을 주제로 하는 동 135) 高去 尋 , 「殷代大墓 (1{J 墓室及 l t l 函義之 1l t UI lj」. 136) 陳夢家, 『 殷城 卜 辭 綜 述 』 . pp.5 10-511. 137) 林巳奈夫, 「中因先秦時代 m 旗」. 138) 梅原末治, 『 殷墓發現木器 ~n r; ~1 짧錄 』 . 139) 石璋柚 「小屯gJl: {\'.:(IW 成禁兵器」. 140) 林云, 대t’王’」. 141) WW, 「山東益都蘇鳩屯第一號奴隸陶麟」.

$門『tt固

갑 b 尸 눕 信下 T1T 和땅 之 信 偉 R \ 閔 \ K 읽 그 E 차 운 中 汝 \ h 겁中 습 中 o 由 I | 그림 52 旗0 의旗」 )요. 소 를 지닌 商시대의 문자(林巳奈夫, 「中國先秦時代

물미술인데 그 가운데 호랑이와 소, 새가 주제의 주류를 이루었던 동뭉 이다. 호랑이는 스포츠로서의 왕의 사냥의 대상이었다 .142) 소는 전설상의 선공인 왕하이( 王 J:,.. )와 연관이 있는 가축이었고, 새도 왕하이의 이름을 표시하는 문자와 관련이 있었다 .143) 또한 모든 동물들은 조상과의 소통의 매개자로서 중요한 의미 를 가지면서 상(商)시대의 전설상의 설화에 등장 하였는데 이러한 역할은 왕이 자신과 멀리 떨어진 선조와의 소통을 위해 서 동물의 어깨뼈나 거북의 껍데기 를 사용한 것에 의해 가장 잘 상칭되 고 있다 .144) 요컨대 상(商)의 동물미술은 그것이 동물의 왕국과 관련을 맺고 있었던 것처럼 왕실 집단의 구성원의 생활 을 동물과 연관시켜 묘사 하고 반영하였던 것이다.

142) Li Chi, Hunti ng Records, Faunis t ic Remain s , and Decorati ve Patt er ns from the Archaeolog ica l Sit e of An-ya ng , 143) ;'t(('\E'it, 「'.2:(\;;(i~l. r,1F」 ; 胡 n g·g , r 甲{'t文商族 ,r.M 짧朋 的迫遊」, 「甲 1 '. t文所 兄商族島 1,'::~ IIP:fi~J l : ' 溫' g 」. 144) ~u 光”· 「商 )kl n 버,活與美術 rI1 所見人與動物關係之演 맞 」.

4 상(商)왕국의 경제와 정치적 질서 앞 장에 서는 상( 商 )의 통치권의 성격을 규명하려고 했다. 이번에는 상 (商)의 통 치자들 이 어 떻 게 통 치 했는지, 죽 경제적 자원이 유통되는 각단 위들 을 어 떻게 조직화 하고 유지했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단위들을 우리가 지 금 특 징 지우려 하는 상( 商 )왕국과 관련지어 논의할 것이다. l 상(商)왕국의 국가 조직망 앞에서 성읍(城 邑 )이 상(商)의 기본적인 통치기구였고, 성읍은 족을 기 본단위로 하는 단일한 혈연집단둘의 거주지였다고 언급한 바 있다. 상 (商)왕국은 상(商)왕의 직접적인 통제 아래에 있었던 이와 같은 읍둘의 조직망으로 간단히 특 징지워질 수 있다. 여기서 〈직접 통재〉라는 말은 상 (商)왕이 읍 을 통치하는 제후에게 읍의 유지 기반이 되는 토지와 그 읍에 대한 통치권 을 부여할 책임이 있었음과 왕은 이에 대한 댓가로 제후에게 봉사 를 받거나 곡물을 징수하는 권리 를 가지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갇은 조직망은 방대했고 __- 똥쭤벤( 黃 作賓)은 천개에 가까운 읍의 이 름 을 갑골문에서 찾아냈다고 말한다.”-―_그것에 대한 동치는 위계조직옵 l} 나 辭 中的 품 與商」, p.8 .

가지고 행하여졌으며 그 주변의 조직은 유동적이었다. 이러한 모든 것들 은 상(商)왕국의 성격을 규명함에 따라 명확해질 것이다. 상(商)왕국의 구조의 특칭을 파악하려 할 때 가장 먼저 해야만 하는 구 분은 내복(內服 도읍지역)과 의복(外 H&, 지배지역)의 구분이다. 저우꽁(周 公)이 옛 상(商)의 도읍지역인 웨이 (衛)의 통치자로 캉수(庚叔)를 봉(封) 하면서 상(商)왕조의 마지막 왕의 통치기에 그곳에서 만연했던 음주에의 담닉에 대비하여 캉수(J天叔)를 훈계하기 위하여 상(商)의 도읍지역의 상 황을 다음과 갇이 묘사했던 기록이 있다. 의복(外服)에 있는 후(侯), 전(句), 남(男), 위 (衛), 방백 (邦伯)과 내 복(內服)에 있는 백료( 百 僚)와 서윤 (l f f尹 ), 아 ( 3 E) 와 복

이다. 이러한 의문점은 검토할 만한 여지가 있다. 상(商)이라는 말은 상(商)나라 사람들이 스스로 사용하였으며 또한 저 우(周)나라 사람들이 상(商)왕국을 지칭하는 데에 사용했던 이름이었다. 상(商) 시대를 노래한 「현조」(玄島)라는 시에는 〈하늘이 현조(玄島)에게 명하시어 내려와 상(商)의 조상을 낳게 하시어〉라는 구절이 있고, 저우 (周)의 시 「비궁」 (I 밟 宮) 에는 위대한 왕을 묘사하여 〈치산(岐山) 남쪽 기슭 에 거하시며 상(商)나라를 치기 시작하네〉라고 나타나 있다. 상(商)이라 는 단어 는 항상 읍을 의미하는 말로 갑골문에 아주 빈번히 나타나는데 이러한 읍은 또한 대읍상(大邑商)이나 천읍상(天邑商)으로 불리우기도 했 다. 갑 골문 연구가 초보단계에 있을 때에는 상(商)이 안양(安腸)에 있었 던 상( 商)의 도읍지를 칭하는 이름으로 당분간 간주되었지만 3) 똥쭤뻔 (1t( 作賓)은 상(商)이 당시의 도읍지로부터 상당히 떨어져 있었음을 밝혀내었 댜 이러 한 결론은 띠신(帝辛)이 동방의 이족(災族)인 런황(人方)을 정벌 하기 위해 감행했던 군사원정의 경로를 똥쭤벤( 'i fi.作賓)이 재구성한 것에 근거하여 얻어졌다. 런황(人方)을 정벌하기 위한 왕의 여정과정에서 띠신 (帝 辛)의 재위 10 년째와 11 년째 동안에 ◄) 남겨진 글자가 새겨진 갑골을 근 거로 하여 똥쭤뻔( f t대(伊5) 은 왕의 이동이 상(商)과 미(珪)를 포함한 많은 읍명에 대한 열쇠가 되는 자세한 원정 경로를 재구성했다. 이렇게 재구 성된 원정 경로의 발췌 부분은 다음과 갇다 .5)

3) 羅振 玉 . 『 殷虛' 1 r-契考 m, 序와 下의 p.5 4 ; 王國輯 「,脫商」 ; 胡 l '-l. i .1 , 「 卜 辭中所見之 n Jl:{t l; i業」, p.42 . 4) 李싸![~ )은 떄았代 地理簡 論 』 에서 이 윤 人 1j 에 대한 군사원정운 수행한 帝辛 이라기보다는 사t乙로 믿었다. 그렇지만 그의 논거는 선득력이 없다. ') ff 沿{信t, 떄 111, 은,i !t -』 (「帝辛 日 ;# 」) ; 丁flt!, 맹,i琦南」 EA1 i HL 円 」.

10 년 9 월

갑오(甲午)일

왕이 시후( :.::'.侯 )와 함께 런항(人方)을 정 벌하기 위한 원정에 대해 점을 쳤는데 호의적인 대답을 얻었다 .6)

6) 이는 ~ll i末若이 편찬한 『 卜 辭通따 J , No. 592 에 기재된 명문운 토대로 했 다. 갇은 구철에 〈 告與大邑商 〉(대옵상에서 [선조들에게] 고합니다)이라고 되어 있었다. 陳夢家(『殷城 卜 辭綜述』 , p. .3 01) 와 李 l}! J)] (rn _u:{\:;J也理簡論』,

9 월(윤달) 11 월 12 월 11 년 1 월과 2 월 5 월 6 월

계해(矣亥)일 신축(辛丑)일과 임인(壬寅)일 계축(矣丑)일과 갑인(甲寅)일 병오(丙午)일 을사(乙巳)일에 서 계유(榮西) 일까지 병오(丙午)일 계유(矣酉)일

왕은 꾸(風 산똥의 환현范縣에서 남동쪽으 로 25km) 에 있었다. 왕은 상(商)에 있었다. 왕은 휘(표)에 있었다. 왕은 화이(淮)에 있었다. (화이淮는 화이 하淮河 유역에 위치했었다. ) 왕은 여우({衣)에 있었다. (여우收는 화이하 淮河 남쪽에 위치한 시후 喜侯 의 봉토였다.) 왕은 돌아와서 상(商)에 있었다. 왕은 허(河, 후앙하黃河)에 위치한 읍인 윈( 浜 )에 있었다

그 원정은 7 월에 계속되었지만, 그때 왕과 그 일행은 거의 그들의 본 거지에 도달해 있었을 것이다. 이는 거의 일년동안 지속된 주요한 원정 이었지만 여기서 중요한 점은 왕이 런황(人方)으로 떠날 때와 귀환할 때 두 번 다 상(商邑)에 들렀던 것으로 나타난다는 점이다. 동쪽으로의 원정 에 대한 결정은 10 년 9 월의 갑오(甲午)일에 내려졌다. 출발한 날짜는 알 수 없지만 윤달인 9 월의 계해(榮亥)일에 왕은 산똥성(山束省) 남서쪽에 도달했고 바로 한달 후에 상(商)에 도착했다. 귀환하는 도중에 상(商)으 로부터 후앙하(黃河) 근처의 읍에까지 도달하는데 또 한달 정도 걸렸는데 그 당시의 후앙하 (1 tiiiJ)의 수로는 지금의 수로보다 안양(安腸)에 더 가까 이 있었다. 단지 원정의 기간과 거리만을 근거로 할 때 필자는· 똥쭤뻔 ( : ((대겨f)이 상(商)을 상치우(商邱)로, 휘(품)를 m] 현(풍縣) 근처로 고증한 p .41) 은 告함이 대읍상에서 행해져서 그곳이 당시의 도읍이고 원정의 출 발접이라고 믿었다. 그렇지만 究대作賓은 이를 (人方을 정복하고 대읍상에 서 선조들에게 고하기 위한)원정의 또다른 목표지점으로 해석했다(「帝辛 日i州」, 『 殷曆譜』, p.6 1 참조). 캅혼의 해석은 도읍명의 일반적 용례와 일 치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의 해석을 따랐다.

것이 정확하다고 확신한다. 상읍(商邑)이 상치우(商邱) 근처에 위치하고 있었던 것(안양安腸 밖의 다른 지역에 위치했다는 사실)은 상(商)이 왕조의 움직일 수 없는 중심지였 다는 접과 그 왕국을 상(商)으로 불렀다는 점에서 중요한데, 그들의 왕과 도읍지는 상당히 유동적이었던 것으로 판명되었다. 앞에서 보았듯이 탕 (i냐)이 상(商)왕조 를 건립한 이후에 허난성 (河 南 省)의 동쪽 절반 지역에 서 광범위하게 이동하면서 왕조의 도읍지가 여러 곳에 생겨났지만 상읍 (商邑)은 그들 왕국 영토 안에서 하나의 고정된 지점으로 규정되었다. 죽 인(殷)의 인민 들 은 그들의 조상의 도읍지를 대읍상(大邑商)이라 하여, 이 곳이 중심이라는 의미에서 중상(中商)이라고도 부르면서 이를 중십으로하 여 다른 지역 을 방위에 따라서 동토(가[ 土 ) • 서토(西 土 ) • 남토(南 土 ) • 북토 (北 土 )라고 나누었다.” 상읍(商邑)은 상(商)왕들이 그들에게 있어서 가장 신성한 종묘와 위패, 왕위의 표징품(表徵品) 등을 모셔 두었던 곳이었을 것이며 특정한 제사의식과 많은 군사작전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면서 등장하였던 것이다 .8) 그런데 상(商)왕조 이전 또는 상(商)왕조 초기의 역사와 밀집하게 관련 이 있는 것으로 상정된 상치우(商邱)와 휘현(표縣)은 앞으로 상(商)시대 고고학에 있어서의 중요한 지역으로 증명될 가능성이 크다. 불행히도 후 앙하(黃河)의 수로가 이 지역에서 자주 바뀌어 홍수에 의한 되적이 적어 도 몇 미터 이상의 두께로 유적을 덮어 버렸으며, 따라서 이 지역은 고 고학상에서도 카이핑 (I J l l 封)에서 대운하에 이르는 중국 북부의 미발굴 지 역에 속한다. 당시의 도읍지 ; 똥쭤뻔( 감i { 佳 K) 이 주장한 대로 상(商)이 고정된 지명 으로서 상(商)왕조 전기간을 동하여 이동할 수 없는 . 것이었다면 상(商)왕 조의 도읍지는 각각 다른 명칭을 가지고 있었음에 틀림없다. 이러한 명 칭들이 옛문헌에 나타나는데 휘 (珪), 샤오(t l : 아오 1ik) , 시양(相), 싱 (邪), 옌('ft)' 인(殷) 등이다. 휘( 珪 )라는 명칭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갇 이 갑골문에 나타나지만 인(ti)이라는 도읍명은 아직까지 갑골문에서 확 7) 캅(作賓, 『 殷歷값t 』 (「帝辛日 ; 作」, p.6 2). 8) 陳夢家 『 殷城 卜 g. 比 綜 述 』 p.2 , 7.

인되지 않았으며 ,9) 사실상 갑골문에서는 상(商) 왕조 말기의 273 년 동안 ( 『 竹 衛 에 기재된 바와 갇이) 상(商)시대 사람들이 자신들의 도읍을 지칭하 였던 어떠한 특별한 이름도 확인된 적이 없다. 단지 그 러한 지칭으로 쓰 였던 것은 〈이 읍〉의 의미인 〈자읍(炫 邑 ) 〉 뿐이었다. 점복기록에서 자읍(鉉 邑)은 후안수( 垣 水)가 범람하는 경우에 때때로 우려의 대상으로 나타나므 로 그것이 후안수( 桓 水) 가까이에 있는 읍을 말한 것임에 의문의 여지가 없는데 그 폐허는 중요한 고고학상의 발견 기록으로 우리의 손에 들어와 있는 것이다. 10) 아마도 그 읍의 이름은 지금까지 해독되지 않은 많은 문 자 속에 파묻혀 있겠지만, 어쨌든 상( 商 )시대 사람 들 의 관념 속에 상(商) 이라는 그둘 조상의 도읍지가 그들의 정치 및 종교의식( 宗 敎儀 式 ) 세계의 고정된 중심지역이었고, 이 룰 둘러싸고 왕의 도읍지 롤 포함한 다른 취락 들이 산재해 있었다는 사실은 중대한 의미 를 지닌다 . 주로 고고학적인 유물들로부터 안양( 安腸 ) 지역이 당시의 도읍지로 확 인되었는데 필자는 1 장에서 그것 을 설 명한 바 있다. 왕실의 수렵지 ; 갑골문에 가장 빈번히 나타나 는 왕의 활 동 중에 하 나는 사냥이었다. 모든 점복행사 중의 거의 절 반이 사냥에 관계된 것이 었다는 극단적인 집계가 있지만, 1 보통 다른 집계에서는 사냥이 차지하 는 비율이 더 낮고 그것이 더욱 믿을 만하다고 할 수 있 을 것이다 .12) 그 렇지만 사냥이 왕( 특 히 일부의 왕 들 )이 종사했던 중요한 활동 중의 하나였 다는 사실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리지( 李濟 )는 갑골문에 기재된 대규모 의 사냥은 〈확실히 왕실이나 귀족계급에만 제한되어 있었다 〉 13) 고 명확히 지적했다. 그러나 〈고대의 명문에 언급된 왕성한 사냥 행위는 경제적인 목적에서라기보다는 확실히 운동과 오락을 추구하기 위한 것〉 U) 이라고 주 9) 정뼈 명문에서의 殷이라는 이름에 대해서는 陳夢' * 의 위 책, p , 264 를 참 조할것. 10) 島邦男, 『 殷坡 卜 辭硏究 J , p,3 60. 11) 鍾柏生, 『 卜辭中所見i EE 田游地名考―兼 論 游地名硏究方法 』 , p.6 . 12) 黃然亂 「t EE 田臘考」 (上) 1. 13) Hunti ng Record, Faunis t ic Remain s and Decorati ve Patt er ns from the Archaeolog ica l Sit e of Any an g , p.1 2. 14) 위 글.

장했던 그의 견해는 이러한 사냥 활동의 경제적 • 상칭적 중요성을 낮게 평가한 것임에 틀림없다. 2 장에서 언급했듯이 이러한 사냥의 수확은 대 량의 고기 • 가죽 • 뼈 • 뿔 등을 주방과 작업장에 공급하는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사냥의 경제적 중요성 때문에 왕이 행했던 사냥의 영토적 범위가 어느 정도였는지 알아낼 필요가 있다. 왕이 이러한 물품들의 공급자였다면 그 가 그것들을 공급할 수 있었던 영토의 단위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갑골문에서는 이 결정을 위하여 두 종류의 자료가 이용되었는데. 하나는 사냥이 행해졌던 지역의 이름이고, 다른 하나는 시간으로 측정되는 각 지접둘 사이의 거리, 죽 왕과 그 사냥대가 이동하는 데 소요되었던 날짜 수에 따라 파악된 거리였다 .15) 그렇지만 불행히도 일치되는 의견은 나오 지 않고 3 개의 아주 상충된 결론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다음과 갇이 주 장되었다. 1 왕실의 사냥은 주로 도옵지역에 제한되어 있었다 .16) 2 사냥은 도읍지 밖의 제한된 지역에서 행해졌는데, 가장 좋은 곳은 허난성(河南省) 중서부의 친양(秘陽) 지역이나) 산똥성(山東省) 서부 의 상치우(商邱) 근처였다 .18) 3 왕의 사냥대는 상(商)왕국 영토의 전지역을 배회하였다 .19) 위의 가설들 가운데에서 가장 믿을 만한 가설이 이느 것인가를 결정하 는 것은, 비록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매우 어려운 일이다. 왜냐하면 하나의 가설을 뒷받침하는 것은 단지 두 가지의 근거뿐인데 둘 다 의문 의 여지 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당시의 사냥터의 이름이 지금의 어디라 고 확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시간에 의해 측정된 거리는 공간으로 1 기 鍾柏生, 앞 책. 16) 松丸道繼 「殷城 卜 辭中(l)田服地i:가 ^T- ti代國家構造硏究(l)t고이간. ’ 17) 李學J)J, 『 殷代地理簡論』 ; 陳夢家, 『殷坡 卜 辭綜述』 ; 王國維, 「殷坡 卜 辭다’ 所見地名考」 ; 郭洙若 『 卜辭通 E 』 . 18) 萊作賓, 『 殷 )H 游』. 19) t浦맹, 『 殷J~ 卜 辭硏究』 ; 林泰f.ili, 『支那上{t(l)硏究』 ; 黃然f/l , 「殷王 lll1 鼠 考」.

측정된 거리보다 훨씬더 불확실하다. 그렇지만 필자는 상(商)시대부터 후 대에 이르기까지의 많은 지역명이 기본적으로 연속성을 가진다는 점을 충분히 믿으므로 위의 두번째와 세번째 가설을 결합하여 작업가설(作 業 假 說)을 추출해내는 것이 신중한 방법일 것 같다. 죽 왕실의 사냥이 행해 졌던 지역이나 그 근처의 지역명이 상(商)왕국 전체에 걸쳐서 분포되어 있었지만 그들 중 많은 지명이 천양( i 싸 房 ) 지역에 집중되어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 작업가설은 상(商)왕국의 자원의 유동 형태 를 연구하는 데 중 요한 참고가 될 것이다. 지배지역(外服) 여기서 말하는 지배지역이란 개념상으로 는 상( 商 )왕이 직 접적으로 경제 적 자원을 얻 을 수 있는 영토의 단위 를 의미한다 . 저우( 周 )의 시 「북산」 (北山)에는 〈하늘 아래 왕의 땅이 아닌 곳아 없고, 온 국토 끝 까지 왕의 신하가 아닌 사람이 없다〉 2 0) 라는 구절이 있다. 이것이 저 우( 周 )시대에 그 랬던 것처럼 상(商)시대에도 똑같이 적용되었음이 틀 림없 을 것이겠지만, 어쨌든 우리는 왕이 이 지역에서의 모든 생산 물 과 모 든 노동력의 일부 를 취할 권리 를 부여받았을 것이라고 상상할 수 있다. 그러한 권리 부여는 방계 혈족인 소종(小 宗 )의 대종( 大宗 ) 죽 직계 혈 통의 우 두 머리로서의 왕 의 신분에 의해 이루어졌던 것만은 아니었다. 그것은 왕의 군사력과 왕 이 왕국의 모든 구석에까지 임명하여 먼 곳 으로부터 가까운 지역에까지 분포되어 있는 성읍들을 왕 대신 다스리게 했던 제후 들을 통하여 확실하 게 보장되었을 것이다. 그러므로 실제적인 자료 를 가지고 우리는 다음과 갇은 기준에 의하여 안양(安 陽 )의 자료로부터 나타난 상( 商 ) 왕국을 인식 하기로 한다. 1 수확에 관한 점복. 갑골문에는 왕이 자신의 도읍지와 상( 商 ), 모든 그의 영토(캄ll;, 〈우리들 모두〉라는 뜻), 각제후들의 봉지에서의 수확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그것에 관해 점을 천 기록이 있다 .• 그렇지만 왕은 어느 방(方)의 수확에 대해서도 점을 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난다 . 2 1) 아마도 20) 『詩經』 「小처t」의 시 〈 1 t山〉• 21) 陳夢 家 , 『 殷坡 卜 辭 綜 述 』 , p.6 39.

수확에 관한 점복의 대상이 되는 지역은 왕이 직접적으로 경제적 이득을 취할 수 있었던 지역과 일치했던 것 같다. 2 왕실의 수렵지. 앞에서 언급했듯이 이 지역은 왕이 직접적으로 약간 의 경제적 자원을 취했던 지역을 가리킨다.

3 사방이 방(方)에 의해 둘러싸인 지역. 점뼈기록에 나타난 방(方)이라 는 단어는 상(商)의 통치 아래에 있는 읍과는 다른 독립된 정치 단위 를 명백히 의미하는 것이었다. 〈정착〉을 의미하는 단어는 울타리가 쳐진 사 각형인 읍인데 읍과 방(方)은 확실히 대조적인 영토 단위였다. 시저우(西 周) 청동기 명문에 나타나듯이 〈주둔군〉을 의미하는 단어는 두 가지로 해 석이 되는데 I]에의 접근을 방어하는 보병이라는 해석과 才에의 접근을 방어하는 의미의 다론 해석이 있어 22) 이 양자가 다른 개념이거나 혹은 연속적인 단위조직이었음을 암시한다. 따라서 동서남북의 사토(四土)로 사등분된 상(商)왕국의 영토는 4 개의 방(方)에 의해 둘러싸여 있었다.

22) KK, 「陝西岐山買 家 村西周墓葬」, p.3 4.

4 제후 들 이 거주하던 지역. 〈제후〉에 대해서 필자는, (a) 왕에 의해 수 여되었을 직위 롤 통하여 성읍을 통치했고 , (b) 점복기록에는 그들의 읍의 이름으로 나타났으며, (c) 그들의 이름 앞에 놓인 백(伯), 전(田), 후(侯) 와 같은 직함으로 표시되었던 남성(일부는 여성)으로 정의하려고 한다. 이러한 왕의 신하인 제후들은 왕의 기록에 〈다백(多伯)과 다전(多田)〉 등 과 같이 집단적인 용어로 집합적으로 나타난다 .23) 이와 갇은 직함으로서 단지 후( 侯 )와 백 (伯)만을 인정했던 시마쿠니오(島邦男)는 35 명의 후 (1 곳) 의 이름과 40 명의 백 (伯)의 이름을 찾아내었다 .24) 게다가 앞에서도 언급 했듯이 왕실에서 활동적인 인물이었던 많은 부(~?)나 자( 子 )들 또한 그들 의 읍을 소유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자(子)와 부(M), 후 (1 良), 백 (伯)과 같은 제후들이 점유했던 봉지는 왕의 영토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그 렇지만 왕의 영토 내에서 왕의 통치력이 미치는 정도는 각 지역마다 달 랐고 그 통제력의 범위도 시기에 따라 변했다. 더우기 많은 제후와 그들 의 읍은 전체 왕국 내에서의 전면적인 읍의 계층구조에 따라 중요성이 달랐을 것이다.

23) 캅야 羽f, 「五 等 爵在殷商」 ; 胡f!/..宜, 「 0 t{t封建制度考」. 24) 島邦罪 『 殷城 卜 辭硏究 J , p.4 27. 43S.

왕의 많은 읍들에 대한 통제나 접촉의 정도, 그리고 읍둘의 다양한 중 요성 을 어 느 정 도 파악하기 위 하여 데 비 드 키 이 틀 리 (David Keig h tl ey ) 는 상(商)왕국의 연맹국, 속국 또는 하위의 나라와 같은 어떤 지명에 대한 〈나라별 © 점수 〉를 정하는 공식을 고안했다. 이 것 은 시마쿠니오(島邦 男 )의 r 은허복사종류 』 (殷 坡 卜 辭綜類 )에서 각지명이 나타나는 횟수에다가 그 지 명에 관련된 명문 들 이 이것을 목적으로 키이 틀 리가 공식화했던 39 개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횟수 를 곱하여 만든 것이다 . 25) 그 기준 의 예 를 들어 보면

n) The Late Shang Sta t e : When, Where, and What ? . @ 여기의 나라는 원문에 s t a t e 로 되어 있는데 그것은 사회 발전 단계에서 의 국가단계라는 개념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한문의 國을 뜻하 는 것으로서 國은 근대적 학문 개념 을 가진 國家 와는 달 리 전통적으로 다소 막연한 개념으로 정치집단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념의 본 래의 뜻은 諸侯國을 말하였다. 따라서 역자는 그것을 저자의 의도에 맞 추기 위하여 다소 막연한 개념의 한국어인 나라로 번역하였다.

통치권 1 왕은 X 에게 명령 ( 令 )한다. 2 상(商)왕국의 구성원이 X 에게 명하 거 나 ( Y 는 X 에게 명 한 다) 혹은 X 가 Y 에게 명한다. 3 왕이 X 에게 행동 을 취하도 록 요청한다( 平) . 4 X 가 왕의 업무 를 돕는다( 固王事 ). 5 X 가 관료들이나 인민 들을 이끌거나 데리 고 간 다. 영토권 10 왕은 X 에서 사냥이나 시 찰 혹 은 약간의 다 른 활동을 한다. 11 왕은 X 로 가거나 X 로부터 가거나 X 로 들 어 가거 나 X 로 돌아온 다. 12 왕은 X 로 사람을 보내거나 X 로 관리나 사람이 가도 록 요청하거 나 혹은 Y 가 X 로 가는 것에 관하여 점을 친다. 13 왕은 X 에서 명령 을 발하고 X 의 인민 들 이 무엇인가 하도록 명한 다.

14 왕은 X 에서 점을 친다. 20 X 는 후 (1 곳 혹은 백伯), 자( 子 ), 부 (M) 혹은 보다 낮은 직함을 경 했다. (21 A - 방(국)이라는 용어는 상(商)의 계통이 아닌 집단에 대하여 쓰 이는 말이다. 반대의 기준.) 종교와 왕권 22 왕은 X 에게 제물을 바치거나 X 에서 제물을 바친다. 23 왕은 X 나 쯔(子 )- X 를 위하여 제사의식을 거행하거나 제물을 재 공한다. 24 X 는 상(商)의 제사의식에 참여한다. 27 왕실은 X 의 건강을 걱정한다. 28 X 의 안녕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주문. 29 X 는 풍년, 바가 오는 것을 얻게 될 것이다. 연맹과 전쟁 31 왕( 또는 그의 관료)은 X 를 따르고 X 는 Y 를 따른다. 32 왕은 Y 에서 A 를 파괴할 것이다. 33 왕은 X 가 중(衆)과 인 (人)을 잃을 것이라고 점을 친다. 교환:무역과공납 38 수입 표시 : X 는 거북껍데기와 동물 어깨뼈를 보냈다. 39 X 는 다론 물품을 공급할 것이다. 키이 물 리가 초보적이지만 아주 명확한 자신의 연구에서 지적한 바와 갇이 이러한 기준들은 아직까지 공식화되는 과정 중에 있으며 단일한 기 준에 대한 충족이 어떤 것도 의미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특별한 명칭들을 대상으로 추정해낼 수 있는 __- 기준둘이 출현의 횟수 룹 만족시킨――〈나라별 점수들〉은 중요한 의미가 있옵 것이다. 다음의 상(商)의 지역들이 키이톨리의 초보 연구에서 200 점 이상운 획득했던 지 역이다.

지역명 iT, (차) 'v ( 지) 曰 (저우) 占 (상) g (위에) 7( 왕) 후 (쇤) 요 (위) ®(꽁) 白 (후) 춘(쌍) 9 (회이 ? ) 3 ( 때 이) u (수) g (우) 찮 (시양)

접수 6480 3312 1648 1529 1350 1328 1144 1092 845 792 696 459 406 384 240 200

예상되는 위치 산시(山西) 산시(山西) 산-시(陝西) 허난(河南) 산시(山西) 허난(河 南 ) · 허난(河南) 허 베 이(河北) 허베이(河北) 산시(山 西 ) 산똥(山 束 ) 산똥(山 束 ) 산시(山西) 허난(河 南 ) 허난(河 南 ) 산똥(山 束 )

위의 나라별 점수 가운데 일부에 대해서는 왕국 내에서의 읍둘의 서열 울 정하려는 우리의 의도를 고려할 때 의문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 어 상(商)은 그것이 상(商) 자체였기 때문에 빠져야만 하고 위(효)는 자 주 방(方)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왕국의 고정불변한 구성원으로 간주되어 서는 안된다. 그렇지만 위와 같은 연구는 다른 것들과 비교하여 보다 높 은 서열의 계층적 위치에 있는 일부 읍들에 초점을 둔 것이고, 이러한 읍들은 그 주위에 다른 읍둘을 거느리는 이차적인 중심지 를 형성하였을 것이다(앞에 예 를 들었던 X-Y 한쌍의 활동에서 이러한 경향을 찾아볼 수 있 다). 왕국의 조직망과 영토 위의 모든 것을 고려할 때 상(商)왕국의 구조적 조직망은 그립 53 과 갇 이 도표로 나타날 수 있다. 이제 임시적인 구조적 틀을 설정했기 때문에

商 h

당〔 때

나 라별fL 접 수 呼

子 婦 伯 田 등 (諸 侯) 그림 53 商 王 固 조직망의 계층도.

우리들의 다음 작업은 그러한 구조들을 중국 전체의 상황에 맞게 확대시 키는 것이다. 이 룰 위해서 우리는 단지 옛 문헌에 최초로 나타난 이름과 상(商)의 지명 을 확인하기 위하여 이름을 하나하나 고증한 문헌사가(文獻 史 家 )들과 갑 골 학 전문가들의 꼼꼼한 업적에 의존할 수 있을 뿐이다. 그 과제는 두 가지 방향으로부터 달성할 수 있다. 첫째는 후(侯)와 백 ({H) 의 이름들의 위치 를 상(商)의 영토상에서 표시하는 시도이고, 둘째는 이방국인 방( 方 ) 또는 연맹국의 위치를 왕국의 주변부에 표시하려는 것이 다. 그래서 영토는 후(侯)와 백(伯)의 이름으로 가득 · 채워지고 동시에 방 (方)의 위치 표시에 의해 비워진 영역이 채워짐으로써 안양(安腸)에서의 여러 시기 동안에 걸친 상(商)왕국의 영토 확장이 구성된다. 이러한 작업을 위하여 우리는 시마쿠니오(島邦男)의 연구 성과에 의존 할 수 있다. 그립 54 는 후(侯)와 백(伯)의 분포를 보여주는데, 이들은 지 금의 허난(河南) 중부와 북부, 산똥(山束) 남서부, 산시 (山西) 남서부, 산 -시 (陝西) 중동부에 위치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립 '5 는 많은 방 (方)들의 대략적인 위치를 보여주는데 이것들은 산시(山西)와 산-시(陝 西)의 북부, 허베이 (河北) 중부 그리고 지양쑤(江蘇) 복부에 위치한 것으 로 나타나 있다. 26) 후(侯)와 백 (伯)을 그린 지도와 방(方)을 그린 지도 26) !.1;邦男, 앞 책, p.42 3. 433. 441,

© £212§

o3. 1 서 년gRa 3Ae 'G胤re e3i a A 호55- 설i )

'meIe 向템’ 1@서® ,sn 1@ n사 o''터 닙F e*1'n’° 衍 @ 그립 54 島邦男에 의해 만들어진 商王國의 제후 분포도(『殷猿卜辭 硏究』, p. 441), (1) i a 의 대체적 위치, (2) 모든 제후의 대체적 위치.

1

mc , ® 3 그립 55 島邦 9} 에 의해 만들어진 1 기부터 5 기까지 사이의 ,Bi시대 方의 위치도( 『 殷城 卜辭硏究』, p. 423).

사이에서 나타나는 중복된 부분은 산시(山西) 북서부와 화이하(淮河) 유 역의 남동부인데 이 지역은 상(商)의 국경지방으로서 안정되어 있지 않았 으며 상(商)왕국의 토대가 되는 지역은 항상 허난(河南) 중부와 북부 그 리고 산똥(山束)의 남서부 지방이었음을 제시하여 준다 .27) 2 왕국 내에서의 자원의 유동 위에서 윤곽이 드러난 정치적 구조는 특별한 방법으로 산물과 상품 및 봉사와 갇은 경제적 자원의 유통을 촉진하고 편리하게 하는 조직으로 볼 때 특히 의미를 지니게 된다. 이 절에서는 상(商)의 경제, 죽 경제적 자 원의 생산과 그것들의 유통 형태와 동태를 서술하고 재구성하려 할 것이 다. 농업 생산 2 장에서는 상(商)에서 재배되었던 농작물에 이름을 붙였지만 . 생산체계 를 완전히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다른 요소들이 필요하다. 죽 우리는 또 한 약간의 조직화된 방식으로 토지에 기술을 응용하여 농작물을 생산하 는 인간의 노동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이제 상(商)의 농업 생산에 있어 서 이러한 다른 요소들 죽 토지와 기술, 조직화된 노동에 대해 논의해 보자. 상(商)시대의 어떠한 시기에 있어서도 토지가 사적으로 소유되었다는 근거는 없다. 반대로 상(商)의 점복에는 이방 국가어 l 의해 침입을 받았던 북서부 변경지방에 있는 경작지가 〈나의 땅〉 또는 〈우리 땅〉이라는 뜻인 〈아전(我田)〉으로 언급되어 있었다 .28) 아(我)라는 문자는 점복기록에는 의 27) 李學勤, 『殷代地理簡論』. 왕국 내부에 있는 것들과 왕국 의부에 있는 것 둘 사이의 명확한 상반접에 대한 논의는 Lie n sheng Yan g의 Hi st o r ic a l Note s on the Chin e se World Order” 를 참조. 28) 羅振玉, 『 殷~ : ,!,t契밖華』 ; 于省吾, 「從甲骨文看商代社合性質」, pp.1 0 1 -102 참조.

심할 것 없이 국가나 왕 측에서 스스로를 칭하는 것이었는데 ,29) 그 형태 (旗가 있는 무기)는 그 본질이 군사적 통제에 있음을 암시한다. 토지에 대한 이와 갇은 관념은 앞에서 묘사했던 〈하늘 아래 왕의 땅이 아닌 곳이 없다〉라는 시저우(西周)시대의 그것과 일치한다. 새로운 토지는 왕의 명령으로 농경을 위하여 벌목되고 개간되었다. 점 복기록에 새로운 경작지를 개간하는 행위는 퍼우(p 'ou) 라는 단어로 표현 되었는데 여기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지만 모두 일을 하는 손의 요 소와 땅의 요소가 합성된 닝의 형태로 씌어졌다 .30) 장정랑(張政浪)의 연 구에 따르면 새로운 경지의 개간은 주로 6 월(하지의 달)이나 12 월(동지의 달) 동안에 착수되었는데 그 시기는, 저우(周) 후기와 한(漢)시대의 여러 문헌에 따르면, 껍질을 벗겨내어 나무를 죽이고 다음 해에 그것을 태우 도록 준비하는데 적합했던 연중의 시기였다 .31) 장정랑(張政浪)은 효과적 인 벌목(伐木) 기구(예 를 들어 금속)가 없었기 때문에 껍질 벗기는 작업이 이용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주장이 당시의 상황에 적합할지 또는 않을지 모르지만 농업에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는 상(商)시대의 기구들은 아마도 대부분이 나무와 돌, 뼈, 조가비로 만들어졌을 것이다. 때때로 반대의 주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32) 청동기는 도구로는 흔히 사용되지는 않았다. 인쉬(殷 城 )에서 발굴된 작업날을 지닌 332 개의 청동기물 중에서 317 개는 무기이고 단지 15 개만이 공구로 분류되는데 이들은 모두 농구가 아니라 목재 작업용 공구였다 .33) 반면에 무수한 양의 점판암(點板岩)으로 만든 칼둘이 출토되었는데, 소위 샤오문(小屯)의 둘칼인 이것들은 추수용 칼인 낫으로 무리없이 간주되었다 .34) 또한 돌도끼나 가래도 농업과 관련 된 용도에 기여했을 것으로 믿어지는데 상(商)시대의 가장 중요한 농구 29) 陳夢 家 『 殷城 卜 辭綜述』, p.3 18, 30) 張政遠 「 卜 辭哀田及其相關諸 F0 題」 ; 于省吾, 「從甲竹文看商代((.JJl田합! 殖」. 31) 張政浪, 위 굴 ; 石登漢, 『拜民要術今』, p.3 , 32) 陸戀德, 「中固發現之上古銅梨考」. 또한 上海市 박물관에 있는 고대 중국 의 청동농구 특별 전시관. 33) 李濟 「記小屯出土之꿉銅器, 中t,f, 錄섰器」. 34) 李混 「殷城有셨石器圖說」, p.6 1 6, /j내i에서만 전부 3,600 개 이상의 이러 한 칼둘이 나타났다. 위 글, p., 90 참고.

그림 56 ~l, 茂시대 武氏fi,,j •,::r; 의 ,{i 亥 l j에 묘사된 고대의 성인이 들고

있는 來(谷 I J£, 『 漢it; ; .: ITi I WH I(i f. .' k 』 ), 왼 쪽 : 겁 111 1: ~1°\:. 오론 쪽:以,야.

가운데 하나로서 지금까지 대체적으로 고고학자 들 의 연구 대상에서 재의 되었던 것은 목재 공구라고 할 수 있 을 것이다. 이 것은 옛문헌에 광범위 하게 언급된 레이(禾)이다. 농경과 관련된 많은 갑골문자는 한(漢)시대의 미술(그립 %)에 나타난 레이(禾)의 형태와 유사하게 보이는 두 갈래전 따비 모양의 요소 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경작을 위해서 흙을 뒤엎는 기본적인 상(i!ti)의 공구도 이와 같은 따비였 을 것 같 다 .3 5) 아마도 그 작 업은 혼자서 따비 를 잡고 땅을 일구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아니면 짐승) 그것을 끄는 것을 도와야 했을 것인데 (그림 57) 일반적이고 힘든 일이었을 것이다. 36) 일부 학자들은 상(商)의 농부들이 쟁기 를 사용했다고 35) 徐 111 웅f, 「未:*8);.」 : 孫'1꾸갭女, 『 未 lR(I 뱌起源及jt?갖 l災 J . 36) 係썹塩t, 위 책 ; 劉 hII i州, r ,hI 셔占代店架機械發 I J 1 史 』 , p.8 .

`

~` .. 려 그림 57 쟁기의 고대 형태에 있어서 構fJt에 대한 상상 선명도(別 f1l1i lli. 다 1 |!'tI ! 'i (U 싫 業機 械發 l~ j 史 』 , p. 8) ,

믿었지만 37) 그 들 이 필수적인 것으로 제시한 근거는 당기거나 끌 수 있었 던 레이 (禾)와 관련이 있다. 이와 같은 원시적 공구(목재 레이*, 돌낫과 조가비낫, 돌도끼와 듄가래) 의 도움으로 상(商)이 거대한 문명을 구축하기에 충분한 식량을 생산한 수 있었다는 사실은, 상(商)의 농업에 있어서 최고의 에너지를 두입 받은 것은 노동의 수준이었다고 추측할 만한 충분한 근거가 된다. 갑골문은 이러한 사실을 분명하게 뒷받침해 준다. 다음의 점복이 좋은 예이다. 왕이 중인(衆人)에게 명하여 말하기를, 경작지성 〈집단적으로 징작 ) 37) 胡,,;:•,'(, 「 1, ~t ~I, 所兄之 V '.J: {U: :菓」.

(1',) 하라 그러면 훌륭한 수확이 있을 것이다 ! 열한번째 달 .38) 이 구절에서 2 개의 낱말이 주목을 끈다. 첫째는 일반적으로 〈집단적 으로 경작한다〉라는 의미로 해석되는 39) 시에(i!1)인데 아마도 때로는 우 경(精耕)으로 언급되었던 짝을 지어 레이(*)를 끌고 당기는 관행을 포 함할 것이다 .40) 이러한 관행은 어느 정도 크기의 농업 생산단위와 41) 규 율, 왕이나 그의 정부에 의한 감독을 강력하게 암시한다. 갑골문에 기 록되어 있는 소신(小 臣 )들 중에는 집단적 농업에 종사한 노동집단을 감 독하는 임무와 관련된 직책도 있었을 것이다 .42) 아러한 집단적 농업 작업조의 주된 구성원은 누구였는가? 위의 구 절에 따르면 중인 (衆人)이다. 중인이나 중(衆 )43) 은 일반적으로 〈다수〉를 의미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감독 하에서 집단적 단위로 작업을 하는 중 (衆)은 마르크스의 노예제 사회의 노예 노동자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믿 고 있다.”) 그렇지만 그 밖의 대부분의 학자들은 왕이 그의 도읍을 옮 기기 위한 결정을 공표하고 중(衆)에게 그것을 정당화시키려고 하는 내 용이 실려 있는 상(ifti)시대의 기록인 『 서경 』 (1 t 經 ) 「반경」(정산庚) 편을 이용하면서 중(衆)을 동치자 자신과 같은 집단의 구성원― ―- 분명히 신 분이 낮은-이었던 자유농으로 간주했다 .45) 그러나 후자의 관점을 38) 羅振 - E, 떄t!i杭: lF 契紹 編 』 , No.2, 2s. 5. 39) 于 省 퓨 , 「從 IP1’l · 文看商 f\:: iiU : 合性質」, pp.1 02-103, 40) ,맵#Jt에 대해서는 ; i王:유대:, 「精耕新解」 ; 1J i;國 !II i, 「 精耕考」 ; 何炫全, 「 談 構서t」을 참조. 41) 張政浪은 상태가 좋은 점뼈와 문헌상의 근거에 의존하여 새로운 경작지 개간을 위해 100-200 명을 동원했을 것이라고 한다. 「 卜 굽江 IIII 及Jt相 II 십,tK IHl 週」. p.1 12 참고. 42) 胡 l/4. t, 「 卜 3F1 가斤見之 0 t {\·I싫 業」. p.6 7 ; r-t정 (1 卓, 「民與精」. p.3 3 8. 43) 陳夢성{가 재시한 衆과 衆人 사이의 구분은 설득력이 부족하다. 殷坡 卜 辭綜述 』 , pp.6 05-611. !U III : 蘆 「以'만1 1I 衍 ,\:(1{ J奴謀t I i l j」, p.4 2 참조. 44) l·: l;.1f . 「試述 lj ll:{t (lWJ 奴球制度和國家 (I {J形成」. 45) 서),,,?,.〔, 「 卜 辭 I1, 所見之殷代災業」. p.7 1-72. JU III: 泣 「以{만1 ll!U{ t (I 뱌奴祿制」. p.42 ; 1:. 省 吾 , 「從甲骨文看商代社合性 質」. pp.1 14-115.

적용할 때조차도 중(衆)이라는 경작자는 〈자유〉라는 말의 어떠한 의미 에 있어서도 정말로 자유로운 상태는 아니었을 것이다. 장정랑 (';Id 쌌ii) 의 다음과 같은 해석은 아마도 중(衆)에 관한 가장 적절한 요약일 것이 다.

〈 중인 (衆人) 〉 은 동부였고 전쟁에서의 전사였다. 그들은 귀족과 반 대로 보통 아주 낮은 신분을 차지했다. 그들은 토지에 대한 권리도 없었으며 확실히 농업집단과 연결되어 통치자에 의한 통제를 받았고 군인으로 징집되었으며, 공물을 납부했고, 부역을 이행했다. 그들이 군인이었을 때 생포되면 노예로 되었고, 그들이 칭집을 거절했다면 그들과 그들의 가족 역시 노예가 되었다. 그들은, 생명과 재산은 왕 과 귀족에 의해 동제되었으며 본질적으로는 왕과 귀족의 도구요 소 유물이었다 .46)

46) 張政低 「 卜 gg un& Jt +· Il|4U,; t I! i l 旭」. p.1 17,

위와 같이 번역된 그의 주장은 그 당시의 증거에 의해 강력하게 뒷받 침될 수 있다. 3 장에서 살펴보았듯이 기본적인 상(il'fi)의 사회 단위는 족 (bk) 이었는데 그 구성 단위의 계속적인 분파에 의해서 족은 그 차체 내에 서 또한 서로간에 사회 계층화의 근원이었다. 각족의 내부에 높고 낮은 구성원이 있었고 많은 족들 사이에도 차이가 있었다. 아마도 중인(衆)\.) 은 상(商)왕국 내부의 여러 다른 성(!t I :. )들 중에서 특히 낮은 각족의 비천 한 구성원이었을 것이다. 그들은 농업 노동에 직접 참여하였고(갑골문에 많은 예가 나타남), 훈계를 들었으며 불복종했을 때에는 생명의 위협을 받 았다(「반경」(정산1Jt)편). 또한 그들의 도망(신i;俊)은 왕실의 접복에 있어서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었다 .47) 그들이 노예제 사회의 〈노예〉의 모습에 적 합하건 적합하지 않던간에 확실히 그들에게 경지에서 노동을 하도록 족 쇄는 채우지 않았다 하더라도 중인(衆人)은 상 (I 衍)의 농업 • 노동의 토대 였고 전체적으로 낮은 하나의 경제적 계급을 이루었다.

47) 胡 l'/. 箕 「 卜 辭 II, 所見之 0 t(t ll 又」, pp.7 1-72,

이러한 낮은 노동 계급이 전쟁포로에 의한 새로운 구성원을 보충받았 다는 신뢰할 만한 근거도 있다. 하나의 명문을 읽어 보자(그립 58).

g

_

-

_

-

_

-

_

그림 58 포로가 된 光 )\이 새 로 운 농경지 을 개 간 하 도록 명령 을 받은 것으로 보이 는 기 록 의 탁본 (:/I ii未才', : , 『 l} Jt契粹 組 』 , 1222g · ).

묻습니다 : 왕이 많은 치양( 多% )에게 새로운 경지 를 개간하도록 명령 하려고 하는데 괜찮겠읍니까 ?48) 여기서 중요한 단어인 치양(光)은 원래의 갑골 조각에는 문장이 불완전 하게 나타나지만 다강(多 光 )이라는 숙어가 혼한 것이었기 때문에 49) 많은 48) !/I ii未若, r gl!:契粹 編 』 , no.1122. 49) 趙錫Jt은 「對 '試述J]Jl:f \':(I ~J奴球制度和國家 (I 切形成'一文 (I 加 : g;見」에서 그 단어

'

그립 59 전쟁 포로 의 | 面 (中央硏究院 소 장. 사진 은 L ife , t,t. 에서).

치양( 光) 의 의미인 다강(多 光 )으로 판단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상 (I iti) 의 서쪽에 있었 을 것으로 보이는 나라인 치양황( 光 )j)의 인민인 치양( Ji:) 은 빈번하게 상( ft i)의 전쟁 포로의 원천이 되었고(그립 59) 이러한 포로 를 羊족 의 많은 구성원인 多 Yi 으로 추정했다. 이러한 용례는 아주 이례 적일 수 있다. 李싸 8))( 『 0 t{tj也i l!OW, ,台 』 , p . 80) 은 원갑 공편 운 조사하여 出 錫元과는 전적으로 다 르 게 판 독 했 는 데 그 갑 공편 에 는 光이라는 단어 는 없고 농업의 경작과도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둘은 소와 양, 영소와 같은 방식으로 제물로 사용하여 상(商)의 조상의 제사의식을 거행할 때 빈번한 희생물이 되었는데 접복기록에는 다음과 갇이 언급되어 있다. 쭈이 ( ffl ll 乙)에게 여우(祐) 제사 를 거행하고 치양(光)인 10 명 ? 치양 (光)인 20 명 ? 치양(光)인 30 명 ? [울 제물로 바치려고 하는데 괜찮겠읍 니까 ? ]50 ) 갑오(甲 午 )날에 점을 쳐서 묻습니다. 오는 을 미(乙 未 )날에 쭈이(祖乙) 에게 여우 ( 6 {i ) 제사 를 거행하고 치양( 光 )인 15 명[울 제물로 바치려고 하는데 괜찮겠읍니까〕 ? 마오(JJ Il) 제사 를 거행하고 염소 [를 사용하려고 하는데 괜찮겠읍니까?] 여우( 祐 ) 제사 를 거행하고 소 한 마리 를 사용 하려고 하는데 괜찮겠읍니까? 다섯번째 달 • 5 1) 점 을 쳐서 묻습니다 : 쭈 X( ifi llX) 에게 [제사 를 거행하고] 치양(光)인 400 명〔울 제물로 바치려고 하는데……?〕 5 2) 이와 갇은 내용의 복사 를 몇 페이지는 열거할 수 있 을 것이다 . 후허우 쉬 엔 (NJ l1/. :C f) 은 제 물로 간주된 치 양J 光 ) 인 의 숫자가 제 시 된 접 복기 록에 서 이러한 방법으로 희생되었다고 생각되는, 적 어도 7, 4 26 명의 치양( 光 )인을 가려내었다 .53) 치양( 光 )인만이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되었던 것은 아니었 지만 ,54) 그 들 은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유일한 〈 이방족 〉 이었다 .55) 그리고 인간 제물은 상(商)의 전쟁포로 들 이 만날 수 있 는 운명 들 가운데 하나였 다고 무리없이 추정할 수 있다. 앞에서 인용된 점복기록은 농업 노동이 다른 ――· 의심할 것없이 더욱 환영할 만한 一_― 운명이었다는 것을 암시 50) JiW f tt(F rank H. Chalfa n t) . 『 hl ( 方 二 氏 藏 甲骨 卜 웁우 』 , No.1535. 51) 商 I fx ,jii : , r gg . 契 1 失{i. 』 , No.1 5 4. 52) NJl '/. W. r 戰後南北所兄 IIj f' Wk 』 , 師 1.4 0 ; 『 甲 1 ' l · 紅't 1 i- 』 , 上 , p.2 9 5. 53) 「中國奴祿 N I : -fr- (1\ J A~1 J.ft l 人祭」, p.5 7. 54) 사J)'/.'i'.£. 위 책. l···Ik tH . 「,凶 論 )}ll:{t (I:J ‘笑', 姿’, ‘l i '(I (J 社 令身(分」. 55) 1·1111~11. 「 光 族考」 참조. 1, 넘겨맹은 光옹 羽 Et’로 해석하여 그들이 제물로 희생되었다는 것을 부인 했지만 ( r gtJ足 卜 辭fJf)t 』 ) 그의 논거는 지지받지 못했다.

I I I.一 I _/ _ / /]――왕/ l ./족- l 관· /과 i _ \ 리 -x\i n`_ . . \ 후i l •.一- . \ . . . '—i \.. `` `

[포一 로 7\ ; 光 A I \ · · ·· ~ ._ 그림 60 농업생산에 있어서 商 ] :R l 의 경재적 계급.

해 준다. 많은 치 양( 多光 )은 또한 갑골문에 왕의 사냥에도 참여했던 것으 로 나타나 있어서 56) 그 들 이 중인 ( 衆 人)과 함께 농업 생산에 합류한 것은, 비록 이용 가 능한 자료 중에 이러한 기록이 드물다고 하더라도, 이례적 인 경우로 간 주 되어서 는 안된다. 위의 논의 는 , 농업 생산 그리고 농업 생산에서의 상(商) 사회의 여러 구성원 둘 의 역할에 관한 한 그 구성원들이 그립 60 에 나타난 계층들로 구분될 수 있음 을 밝혀 준다. 그 밖의 다른 물품의 생산과 봉사 농업이 상(商)의 식량 생산에 있어서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는 사실은 의심할 바 없고 생산품은 아마도 곡물과 채소, 과실, 견과 (1~ 果) 를 포함 하고 있었을 것이다. 고기는 부분적으로 사냥과 어로(i虹?)에 의해 충당 되었지만 제물로 쓰였던 가축(주로 소와 양)의 수가 상당했던 점에서 봉 56) i b 邦 男, 『 0 밌 虛 卜 辭 綜 類 』 , p,1 8.

때 육류의 주요 원천은 가축이었던 것 같 다. 가축과 관련이 있는 일부 문자 들 의 형태에서 소와 양, 말이 직사각형의 우리에서 사육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그러한 우리 는 안양(安 FL } )이나 다 른 지방의 고고학적 유적지에서 확인되지 않고 있는데. 우리 들은 집단 사육 형태, 집단사육 과 특별 한 혈족 집단 과의 결 합 관계에 관한 증 거 를 찾 기 위하여 가축 우리 들 의 구조, 크기 그리고 특 히 거 주 지 내에 서 의 분포 에 관심을 가질 것이다. 족 집단 들 은 다양한 공 산 품의 생 산과 전문적 인 직종 에 종 사하는 직업 단위였던 것 같 다. 앞에서 효 l- 전 』 (A : N/ - ) 에 저 우 (周) 의 제후를 봉할 때 상 (商) 족 의 인민 을 하사 한 기 록 이 있 는 것을 보 았 는 데 이 러한 족들 의 이름 은 일반 적 으 로 직종과 관련된 것 이었 다 . 그들을 명기하면 타 오( 陶 , 도자 기)와 스 (廊 기), 치 ( 紅 요 리그릇 ), 창숴 (長 4J , 술그릇 )와 웨이쉬 ( 尾/:::J , 숭 그 릇 ) , 쑤] ( 泰 밧 줄 ), 환 ( 盛 말 깃털 ). 환(吳 , 울타리)과 같은 것 들 이 다 . 57 ) 상(商)과 저 우(/ .'ii ) 초 기의 청동기 에 나 타난 많은 도 상기호는 성 (姓)과 족 의 상징으 로 간 주 되기 때 문 에 58) 족의 이 름 이 확실히 이러한 도 상기호 들 에 나타나고 그 것들 중 에서 많은 것은 그들의 전문화 된 직종을 묘사한 것일 수 있다. 필 자 가 동료들과 함게 편집했던 목록 59 ) 에 포함된 청 동 기상에 도상기호일 것 으 로 보이 는 것들 가운 데 그립 61 에 보이는 것 둘은 직종과 관 련 되었 을 것 이다 . 60) 이 러한 도상기호들은 명백한 __ -결 코 의 문 이 없 는 것은 아니라 고 할지라도 __? 것 이 지만 많은 다 른 도상기 호 들도 또 한 직 종과 관 련된 것 일 수도 있다. 상 (1 l'f i )시 대의 공산 품이 기술 자 으로 세련된 높 은 수 준 의 · 것 이었다 는 점 에 서 볼 때. 석공 ( 石 T. ) . 나무 츠각 가, 가죽공, 칠 기제 작 자, 마구( 馬具 ) 생 산자 , 많은 특산물 요리사와 같은 다 른 직종도 있었 을 것이며 지 금 까지 발전 되 거 나 기 록 에 나타난 것 의의 다 른 모 든 종류의 제품 을 생산할 책임이 있 는 다 른 직종이 있었을­ 것인데 전부는 아니지만 많은 직종 들 이 여러 족( 族 )과 지 족 ( 支族 )의 전문 업이었 을 것이다. 대부분의 이러한 직종 _ 전부 는 아니라고 해도 __- 둘이 도읍에서 실제로 상설되어 있었 을 것이며 그것 들 이 각 지방에서는 57) 성::it3 , 『 tll:{\;: .,r J : 合生活 J , p.5 0 , 58) 郭洙 1·,: , 「 l jll: 서i Ihl i i ! } f多文宇之 一 A t」. 59) 『 1! '1iJ M ,!i· f l ,1 }89U t文的綜合硏究 』 . 60) /])t에 대한 1,h 'jl의 해석은 여기에 따른 것이다 ; 그의 「作)冊考」 참조.

a R 0d§ 卜e tf 'lf~g ~ •b ~ j/wj !k ~ I ~m _) .h &--~ ·0aV i 나 q J r s W 'uuu‘ v w 납x ‘六z ) Yaa bb

그립 61 전문직과 관계가 있운 것으로 보이는 tU 久 ,1 떄t. a. 목축인 ; b. 교역 인 : C. 운반인 ; d. 요리 사 ; e. 도장공 : f. 기록인 ; g. 목자 : h. 도살자 ; i. 보초 : j, 매 달인 : k. 칸 재 소인 ; I. 활 재조인 ; m. 화살 재조인 ; n. 화살몽 재조인 ; o. 창 재조인 :p. 방패 재조인 :q. 환쏘는 사람 ;r. 창쓰는 사람 ;s. 사형 집행인 ;t. 기 재조인 ;u. 수레 재조인 ;v. 배 제조인 ; w. 건축인 : X. 명-세받손 재조인 ; y. 옌-세반손 제조인 : z. 리-세받솝 제조인 ; aa. 취에-술잔 재조인 : bb. 양조인 ; cc. 비단 제조인 ; dd. 벌목인 ; ee. 과수 관리인, ff. 그물 사냥꾼(대부분 KKHCK, 『金文 編』 에서 취하였 음).

더욱 희소하였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1 장에서 안양(安陽)지역에 있 는 몇몇 작업장의 고고학적 유물을 설명한 바 있는데, 이곳저곳에서 계 속되고 있었던 생산활동은 바로 그러한 유물을 통하여 어느 정도 접근할 수 있을 뿐이다. 청동기 제작 : 1 장에서 설명한 바와 갇이 2 곳의 중요한 청동기 작업 장이 안양(安陽)지역에 있었는데 하나는 샤오툰(小屯)의 중심부에 다른 하나는 먀오푸북부지 역 (W i ['l jt地) /쉬 에 지 아창 (i浮* 'll : ) 에 있 었다. 후자의 유적에서 흙으로 다진 기초 위에 흙으로 다져서 벽을 쌓아 지은 대략 길 이 8 미터 너비 4 미터의 지상식 건물의 유적이 진흙으로 된 주물틀과 도 가니의 파편과 함께 발견되었다 .GI) 지상식 건물들과 흙으로 다지는 건축 방식은 비교적 높은 신분을 지닌 사람 들 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청동기 제작자나 적어도 그들 중에서 높은 지위에 있었던 자들은 상층계급에 속 하게 되는 이득을 누렸을 것이라고 추론할 수도 있다. 상(商)시대의 야금 기술자들이 고도로 숙련된 장인이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그 추론은 결코 불합리한 것은 아니다. 상 (1? ti)시대의 청동 야금 술 에 대한 노엘 버나드 (Noel Barnard) 의 포괄적인 연구에 바추어서 62) 필자는 그 기술에 관한 세 부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그의 연구저작에 양보하면서 그것에 관한 약간 의 지식만을 언급해 두고자 한다. 작업장의 유적에서 는 구리와 주석이 거의 원질의 상태로는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는 제련이 광산에서 행해졌 음을 시사한다. 일부의 광산이 상(商)의 영토 내에 있었다면 우리는 옛 광산이나 제련이 행해졌던 작업장 유물의 발견을 예기할 수 있고. 그렇 지 않았다면 일부의 광석이나 제련된 구리와 주석은 왕국의 외부로부터 수입되었을 것이다. 그렇지만 여하튼간에 청동 합금을 위한 금속자원의 조달은 아직까지 고고학적 유물로서 나타나지 않는 전체적인 청동기 재 작 활동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음에 툴 림없을 것이다. 안양(安 陽)의 작업장 유적에는 제기 (r,몬t\)의 모형과 일부 무기나 도구를 위한 거 푸집(단형이나 쌍형)을 만들도록 진홍이 준비되어 있었다. 장인들은 모형 에다가 필요한 세부 장식을 준비했을 것이고 그것에 맞추어 부분(그러므 61) KK, 「 1958-1959 年殷J.,1/,t發 lkl i簡報」. p.6 7. 62) Noel Barnard and Sato Tamots u , Meta l lurgi ca l Remain s of A11c ie11 I Chi1 1 a ; Barnard, Bronze Casli11 g and Bronze AlloJ, S I.n Ancie n I Chi, Ia .

-~---···-- II \

’, 1 .1 I.,' \ `· -· OI 1_0 20 cm. .,··, . · ... 0 50 cm. 늘.닐 늘 ..... 그림 62 商시대에 있어서 청동기 주조를 위한 거푸집 (石璋女 Il, 「殷 代 (I(j i; ;ig•1 工 싼」, 113, 117).

로 부분이나 조각몰로 부른다)별로 진흙물을 만들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 둘은 틀의 내부 표면에 세부 장식을 완료하고, 모형의 표면으로부터 진 흙을 한 꺼풀 긁어내어 부분틀과 축소된 모형(지금은 〈심〉으로 알려져 있 다)을 결합하고(그립 62. ) 그것들을 적당하게 설치된 단형이나 쌍형의 거 푸집과 분리시키거나 결합시켜 지상에 세웠을 것이다. 그 후에 어떤 상 서로운 날이나 순간에 63) 그릇을 만들기 위해서 용해된 금속을 모형과 거 푸집 사이의 툼에 부어넣었다. 그 합금은 합리적인 표준(대략 구리가 8, -90 퍼센트이고 주석이 5-20 퍼센트, 약간의 납과 다른 금속들)이 있었다. 일부 제기들의 규모 (하나의 청동 鼎一네발순은 길이가 110-180 센티미터이고 무게 63) !:!~Ji., 「商代 卜 辭사’'治 3; ;史科」, p.2 99.

는 875 킬로그램이었다)에 비추어 보면 청동기의 세삭에든 서대하고도 정밀 한 노력이 뒤따랐을 것이며 따라서 숙달된 집단 작업이 행하여졌음에 틀 림없을 것이다. 질그릇 제작 : 비록 질그릇 작업장들이 고고학적으로 위치가 확인되 었다고 해도 그곳들 중 어떠한 곳에서도 이용 가능한 세부적인 자료를 얻어내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질그릇 제작자들의 생활 여건에 대해서 명 확하게 알 수 없다. 그렇지만 질그릇은 인쉬 (I} 妹J;&)의 고고학 발굴 품목 중에 중요한 항목이었고 안양(安陽) 자체 내에서도 많은 질그릇 공급처가 있었음에 틀림없다. 더우기 다양한 제품에 필요한 진흙의 신중한 선택, 물레의 사용, 흰색 질그릇의 무늬 새김에 있어서의 세련미 그리고 유약 사용의 중대성에 비추어 볼 때 상(商)시대의 안양(安 ll}) 에서의 일부 질그 릇의 제작은 아주 숙련되어 있었다 .6 ◄) 그렇지만 압도적인 다수의 질그릇 은 꼬은줄무늬가 새겨진 단순한 회색 질그릇 이었다. 안양(安賜)에는 여러 종류의 질그릇 중심지가 있어서 제품들을 전문적으로 취급하였을 것이며 이러한 중심지들이 상호간에 상하의 충서 (h . f l j.:) 관계 를 이 루었음 에 틀 립 없을 것이다. 돌과 옥(玉)의 가공 : 여러 기술상의 단계들과 작업상의 규모들이 돌 제품의 제작에서 뚜렷이 드러났다. 점판암으로 만든 수확용 칼과 갇은 돌 공구는 아마도 일상제품을 취급하는 작업소에서의 주생산품 이었겠지 만, 옥조각품과 대리석 조각상은 대규모의 공정과 숙련된 장인을 필요로 했음에 틀림없다. 뻬이징(北京)에 있는 옥제품 공장의 경험많은 노동자들 은 일부 상(商)시대 옥조각품을 실험적으로 조사한 후에 그것들이 고도로 높은 수준의 기술과 상당한 크기의 작업장을 필요로 했을 것이라고 결론 지었다. 청동제의 홈 새기개와 송곳도 사용되었음에 틀 림없다 .65) 돌제품 과 옥제품의 제조장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믿어지는 1 자리의 건물의 유 적이 19n 년에 샤오둔(小屯)에서 발견되었다. 건물의 벽은 흙으로 다지고 석희를 발랐을 뿐만 아니라 내부의 벽은 2 가지 색의 크롬 물감으로 채색 64) 李濟, 『 小屯限器 』 ; 「 0밌 虛t1i土/t-J 工業成紹 ― 三 5 Il 」. 6~) KK, 「對商代塚 玉工四 的一堂初步갑法」.

된(검은색과 붉은색) 벽화들로 장식되어 있기도 했다. 건물 내부에는 제사 의식과 관련된 유물인 듯한 66) 1 점의 청동 그릇 뚜껑(명문이 새겨진)과 함 께 절단된 두개골이 들어 있는 구덩이가 발견되었다. 이와 갇은 유물은 상당한 사회적 신분을 가리키며, 이 작업장을 관리했던 가족이나 혈족 혹은 적어도 그 우두머리는 그 밖의 다른 제품 제작장의 관리인들의 지 위와 유사한 지위 롤 누렸음을 암시하여 준다. 상층적이고 구심적인 경제적 자원의 유동 식료품과 공산품이 왕국 도처의 촌락과 작업장에서 생산된 후에 어디 로 홍- 러 들 어갔 을 까? 일부 다른 고대문명(수메리아 Sumer i a 와 같은)과 비 교해 볼 때 상 ( 商 )만이 유일하게 경제상의 거래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이 것은 그 자체의 중요한 특징이며 앞으로도 더욱 논의될 일이지 만, 바 로 이 것 때 문 에 우리가 이 시점에서 직접적으로 그리고 완전한 기 록상의 근거 를 제시하여 위에 주어진 간단하고 필수적인 문재에 대답할 수 없 는 것 이다. 그렇지만 우리는 비록 때로는 추론에 근거하고, 거의 모든 방 면 에서 세 부 적 내용이 결핍되어 있다고 해도 확실히 어떠한 대답 을 제공하 도록 노력할 수는 있다. 안양(安 µ9, 점복기록이 보존되었고 최상 의 고 고 학 적 증거 의 이용이 가능한 지역인) 쪽에서 볼 때 경제적 자원의 유 입은 곡 물 과 사냥한 짐승과 가축, 공산품, 봉사로 이루어진 것으로 모두 가 막중한 것이었다. 반면에 유 출 되는 것은 일차적으로 지방의 제후에게 주는 왕의 하사품, 군사적인 조직의 유지 및 그들의 안녕을 왕이 희망하 는 뜻의 종교의식적 표현 등으로 이루어진 보다 가벼운 것이었다. 우선 수입 을 보자.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왕실의 수입은 아마도 기 장이 위주인 곡물이었을 것이다. 점복기록은 왕이 왕국의 네 지역(동토· 서토 • 남토 • 북토)의 수확에 관심을 가졌고, 그의 배우자나 왕자 그리고 재후의 영지에서의 수확에도 관심을 가졌던 반면에 이방국가(方)의 기장 수확에 대해서는 관십을 가지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기록들로부 터 왕이 그의 왕국 전체에 걸찬 곡물의 수확의 일부를 받았옵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67) 게다가 다른 품목들이 왕국 내의 여러 제후들에 의 66) KK, 「 19n 年安 Vi }1} ll:J郞)if發JJl」. 67) 胡 l'/. •i t , 「 卜 辭나’所見之 0 차t E 架」 : 陳夢家, 『 殷J.Ql 卜 辭綜述』, pp.3 13-316.

해 헌납되었는데 우땅 (Ji-\'. 「)의 통치기 동안에는 때때 로 이러한 수입원이 거북의 등껍데기와 배딱지의 연결부 분 (I| 나g) 위에 또 는 어깨뼈의 연결구 멍 밀이나 그것의 평평한 면 을 따라서 기록되어 있었다. 이 기 록 으로부 터 우리는 거 북 의 등껍데기, 소의 어깨뼈, 조 가비, 소 ` 말 ` 코끼리, 전 쟁포로, 치양( 光 )인 포로 등등이 각각의 영 주들 의 이 름 으로 〈 유입 〉 되었음 을 알 수 있다. 시베이깡(西北岡)에서 발 견된 1 점 의 뼈 로 만 든 머리핀에 는 그것이 베이 (H) 공에 의해 헌납된 한 쌍 중 의 하나 라고 기 록 되어 있 다 . 68 ) 이와 같 은 증여품은 아마도 지방에서 도 읍으 로 헌 납된 많은 희귀 한 물 품 중에 아주 적은 부분을 차지 했을 것 이다. 그렇지만 왕은 도읍에 눌러앉아서 그의 제 후들 에게 서 거두 어 들 이는 공 물과 증여품 을 기다리고 있지만은 않았으며 때때 로 그는 그것을 획득하 기 위해 사적으로 순행하기 도 했다. 앞 에 서 언 급했던 왕 의 사냥은 그의 왕국의 도처에 걸 쳐서 행해 졌는 데 아마 도 이 것은 하나의 스포츠였을 뿐 만 아니라 왕 측 에서의 지방의 경제 적 착취 의 도구였을 것 이 고 그 소득 은 때로는 상당한 양에 달 하였다. 왕 은 또한 그 의 인 접국가 에 대한 군사적 원정은 말할 것도 없고 각 지방으 로 각 가지 순 행에 나 섰 다 . 69) 이러한 여 정의 도중에 왕과 그의 대규 모 일 행 은 의 심할 것 없이 그들 이 지나쳤던 지역에 그의 신하 를 남겨 두었다. 아마 도 이 러한 여행 중 에 일 어났던 착 취 기록의 일부였 을 것으로 생각되 는 7 0 ) 말 • 소 • 양의 수취 (J Ik J[ \ )와 관련 된 점복기록이 있다. 성공적인 군사원정 을 끝 내 면서 상당 수 의 포 로 들을 도읍으로 잡아왔는데 이것은 도읍 을 부 유하게 하 는 데 기여하였다. 왕도에서 지 출 되 는 항목에서 유일하게 중요한 기 록은 왕의 지방 제후 에 대한 사여품과 관계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 록들은 갑골문 에는 드물게 우연히 나타났지만, 왕이 청동기나 보패 (~ l!!. 화폐용 조 가비) 를 사여할 때 보통 이 를 기념하는 제가 을 주조했기 때 문 에 그러한 사실은 때로는 청동기 명문에도 기록되었던 것이다. 앞에서 언급했던 상(, l'f i)-저우 (IkI) 의 청동기 목록에서 상(商)시대에 주조되었을 50 개 정도의 청동기에 왕의 사 여 를 기념하는 명문이 기재되어 있다.?” 확실히 이러한 사여품은 단지 68) 胡 l !f -. ll , 『 武丁 II `& 五 種i t 1 峻 l jg흡考」. 69) -j? (作賓, 『 8 Jt I 任 譜』 (下. 卷 19, 「武丁 日 請 」) • 70) 陳夢 家 『 殷城 卜 辭 綜 述 』 , p.3 1 8. 71) 張光直 의, 『 商 ),~I,!;: 銅器與銘文 (I9 綜 合硏究 』 .

사회의 최상층부에서만 왕국의 재산을 〈재분배〉했음을 나타내 준다. 사실 비록 우리가 상정한 수출입의 대차대조표가 불완전하기는 해도 그것은 재산(곡물과 고기, 상품, 봉사)의 유동이 상(商)사회의 상류계층과 거주 조직망에서의 거대한 읍(특히 그것들 중에서 가장 큰 도읍)에 유리하 도록 매우 불공평했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준다. 샤오문(小屯)에 있는 지 상식 건물과 시메이깡(西~ti페)의 왕묘의 고고학적 유물은 상(i1li)시대의 재산이 정상이나 중심지에 의미있게 집중되어 있음을 나타내어 준다. 후 하오(Ai갑女子)의 묘에 부장된 다음과 갇은 물품의 목록은 위의 사실에 더욱 설득력 있는 근거 를 제시해 주는 좋은 예이다 .72)

72) KKHP, 「安,J,} 8 ll:J.w. l i . !'(.J發堀」.

나무로 된 묘실(木構)과 옻이 칠해진 관 (h' i) 16 명의 순장된 사람 6 마리의 희생된 개 거의 7 , 000 개의 보패 (화폐용 조가비) 200 점 이상의 청동 제기 청동으로 만 들 어진 5 개의 큰 종과 18 개의 작은 종 44 점의 청동 공구(그 들 중 27 접은 칼) 4 점의 청동 거울 1 점의 청동 주걱 130 여 점의 청동 무기 4 점의 청동 호랑이 상이나 호랑이 머리상 20 여 점의 각각 다른 묘사들이 새겨져 있는 청동제품 590 여 점의 옥과 옥모양의 재품 100 여 점 의 옥구슬과 옥판 옥조각 20 여 점의 오팔(供t l `石 ) 구슬 2 점의 수정제품 70 여 점의 돌 조각품과 다른 돌제품 5 점의 뼈공구 20 여 점의 뼈화살촉 490 여 점의 뼈머리핀

3 접의 상아 조각품 4 접의 질그릇과 3 점의 진흙 호루루기 이 1 자리의 묘에 상(商)왕국의 안과 밖에서 모여들었고 아마도 안양(安 t b}) 이나 그 밖의 다른 지역에 있었을 수없이 많은 작업장에서 많은 노동 자들에 의해 제조된 희귀한 물품들이 부장되어 있었다. 그녀는 실재로 상(商)사회의 중심지 (안양安 FL } ) 에 있었으며 거의 최고의 지위 (우땅武丁 왕 의 왕실의 매우자)에 있었던 것이다. 위의 사회계층과는 정반대의 위치에 있던 계층의 구성원들은 위에 나타나는 정도의 부 를 조금도 누리지 못했 음이 분명한데 그들의 움집과 무덤의 고고학 유물은 풍부하게 발견되었 지만 그것들은 단지 간략한 또는 통계적인 설명의 근거만을 주었을 뿐이 다. 그들의 생활이 점복기록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 시경 』 (詩經)에 있는 일부 시저우 (l q rl J)시대의 시에는 그것이 확실하게 묘사되어 있다. 광광 박달나무 베어 후앙하(黃河)가에 버려 두니 후앙하(黃河) 물만 맑게 잔물결친다. 씨뿌리지도 않고 거두어들이는 일 않고서 어이 삼백호의 곡식을 거두어들이며 짐승 사냥도 하지 않으면서 어이 그대 집 뜰엔 담비(오소리)가 보이는가? 저 전정한 군자란 일 않고는 밥 먹지 않는 법인데. 「벌단」 ({차t . t) 큰 쥐야 큰 쥐야 우리 기장 먹지 마라 삼년동안 너몰 섬겼건만 나를 돌보려 않는구나 이제 너를 떠나 저 줄거운 땅으로 가련다 즐거운 땅 즐거운 땅에서

내 편히 살 곳 구하리라 「석 서 」 (i(iLl ) 칠월에 화성이 기울면 구월에 겹옷을 준비하네 동짓달에 싸늘한 바람 일고 섣달에 매서운 강추위 몰아쳐 옷이 준비되어 있지 않다면 이 해 를 어이 넘길까? 정월에 쟁기 손질하여 이월엔 밭을 가는데 내 아내와 자식들이 함께 남쪽 밭으로 밥을 날라오면 권농관(iFJJJ;&fi)은 이 를 보고 기뻐한다네 〈 봄날은 길어져 다복쑥 수복이 캐노라면 여인네 마음은 서글퍼지니 공자(公 子 )님께 시집가고 싶어지네〉 7 월에 화성이 기울면 8 월엔 갈대를 벤다네 누에치는 삼월 되면 뽕을 따는데 도끼를 가져다 길게 뻗은 가지 쳐내고 어린 가지 무성히 자라게 한다. 칠월에 외가리 울면 팔월에 길쌈울 하는데 검은 천 누런 천 짜고 〈제일 고운 붉은 천으론 공자(公어님께 겉옷 지어 드린다네.〉 사월에 아기풀 이삭이 나면

오월에 매미가 울고 팔월에 곡식을 거두어들이면 시월달엔 낙영이 진다네. 동짓달에 담비 잡으러 가서 여우와 삼괭이 잡아 공자님 모피옷 지어 드린다네. 섣달엔 모두 함께 사냥을 가서 무술을 계속 닦는데 작은 침승은 우리가 갖고 큰 침승은 임금께 바친다네. 오월에 여치는 다리 비벼 울고 유월에 베짱이는 날개 떨어 운다. 칠월에 들에서 지내다가 팔월에 처마 밑에서 살고 구월에 문 안에 있다가 시월에 귀뚜라미는 내 침상 밑으로 들어온다네. 벽구멍 막아 연기 쪼여 쥐 내쫓고 북항창을 막고 문을 진흙으로 바른다네. 〈아아, 내 아내와 아이들아 해가 바뀌려 하고 있으니 이 방에 들어와 편히 쉬기를〉 「칠월」(七J 1) 시저우(西周)시대의 농부들의 생활이 상(商)시대의 농부들 그것과 일치 하지 않았을 수도 있지만 상(商)의 농부들은 시를 남겨 놓지 않아서 이러 한 저우(周)시대의 농부들의 생활의 일면과 후하오(tl~女子) 묘의 발굴 품목 을 비교하는 것은 양 왕조에 공통적이었던 상향적 구심적인 자원 유동현 상을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통신과운송 우리는 상(商) 왕국의 조직망이 계층적으로 상호관련된 수백개의 성읍 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경제적 자원은 근본적으로 상향적이고 구심적인 형태로 읍들 사이 를 유동했다는 것을 알았다. 그 유동을 효과적이거나 적어도 쉽게 하려면 확실히 도구들이 필요했는데 그것들 가운데에는 우 선 그 조직망의 여러 단위들 사이의 그리고 특히 도읍지와 지방 사이의 동신과 운송이 포함되었다. 필자는 자료가 거의 없기 때문에 우선 운송에 대해 언급할 것이다. 위 에서 설명된 자원의 유동과 산업상의 전문화의 본질은 원자재, 곡물과 그 밖의 식품 들 그리고 공산품을 아주 먼 지역에까지 운반하기 위한 효 과적인 운송 조직망을 전제 조건으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의심할 것 없 이 광석, 곡 물 포대, 바위 덩어리, 진흙 그리고 그 밖의 무겁고 가벼운 침들은 여러 취락 들 을 연결시키는 길게 뻗은 길을 따라 운송되었음에 불 림없다. 그렇 지만 상(商)시대에 방대한 운송을 수행하기 위한 노력으로 인간의 노동 이외에 다른 어떤 수단이 있었겠는가? 청동기와 갑골에 배 모양의 문자가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의십할 것 없이 크고 작은 강은 배로 건널 수 있었다. 또한 사람이나 다른 동물(말과 소)이 끄는 이륜마차와 사륜마차가 있었을까? 짐을 그 등에 지고 운반하는 동물(소와 갇은)이 있었 을 까? 이러한 모든 것들이 가능하다. 바퀴가 달린 차량은 전차의 형태로 분명하게 알려졌지만 운송 수단으로서는 고고학 유물에서나 문자 의 모양에서도 확인되지 않았다. 『 서경 』 (1 t 經 )의 「주고」(丙誌)에 〈민첩하 게 거우 (I| V I : ) 를 끌어〉라고 언급되어 있는데 오히려 수레를 소가 끌었던 것은 아닐까? 상(商)의 제사의식에서의 왕하이(王亥)의 중요성과 소를 처음으로 사육한 왕하이 ( 于 亥)의 전설적인 역할 73) 에서 알 수 있듯이 어느 경우에든 소는 상(商) 문명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을 것이다. 우리들은 누가 물품의 운송을 관리했는지에 대해서도 명확하게 알지 73) : E 國維 「殷 卜辭 rI - , 所見先公先生考」 ; r 禎考」 ; 吳Jt,',1, 다、辭所見殷先公先 1 :. 三 h1 考」 ; 紙類lfj lj , 「 I [i l 易封父辭 rhhw&1 t」 ; 陳夢家, r illift((.J神 ;印 與巫 術」 ; 胡 l’ I-ft, 「 11' t文商族 ( . ~~I Htff.J迫跡」 ; 內森 I1은 ;knII, rE 亥」, 「續 .- E 亥」.

못한다. 일부의 족이 전문적인 교역(交易) 집단이었고 보패가 교환의 화 폐로 이용되었기 때문에 교역자들이 상(商)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 했다는 데에는 의문이 없으며 사실 상(,!ti)나라 사람들은 그런 솜씨좋은 교역자였으므로 많은 그들의 후손들은 교역에 종사하였는데 오늘날 장사 꾼의 의미인 상인(商人)은 상(商)의 인민을 칭하는 말과 같다. 불행히도 우리는 상(商)의 교역이나 교역자들의 구체적 실상에 관한 어떠한 믿을 만한 정보도 갖고 있지 못하다. 자원이나 물품과 함께 정보와 전달사항, 명령도 여러 취락 사이를 통 과했음에 틀림없는데 언어와 문서의 형태로 된 의사의 전달은 상(商)왕국 조직의 구성을 위한 다른 선결조건이었음에 틀림없다. 이와 관련하여 중 국 문자의 기원을 살펴보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죽 우리는 문자가 기록 울 위하여 처음으로 고안되었다는 문화의 양상에 주의한다면 하나의 문 화를 전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을 것이다. 비록 상(商)시대 문자의 대부분이 거북의 껍데기나 소의 어깨뼈에 새겨 전 점복기록의 형태라고해도 최초의 중국 문자의 형태는 질그릇에서 발 견되었다. 고대 중국에까지 거슬러울라가는 문자가 새겨진 질그릇의 첫 번째 예는 1870 년대에 산똥 (UI J£)과 허베이 (iIII1 t ), 특 히 린쯔(臥璋)지방에 서 빛을 보게 되었다 .74) 이러한 제품들은 거의 저우(周) 후기에 치(好)와 루(~(})나라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판명되었는데 그것들에 새겨진 문자는 질그릇 제작자들의 거주지와 신원에 관계된 것이다. 저우(周) 후기의 것 으로 추정되었지만 문자가 새겨진 아주 다른 양식의 질그릇이 1920 년대 말기와 1930 년대 초기에 산똥(山 `來 )에 있는 청쯔야이 (城子I·i : ) 유적에서 과학적인 발굴을 통하여 발견되었는데, 여기에서는 또한 문자가 새겨진 질그릇 조각이 선사시대의 롱산(龍山) 문화충에서 발견되어 보고되기도 했다 .75) 동시에 문자가 새겨진 질그릇이 안양(安腸)의 상(商)유적지에서 도 발견되었다 .76) 1930 년대에는 유사한 부호가 있는 질그릇이 중국 최남 단의 꽝똥(廣來) 해안지방)과 중부의 항저우만(杭州싸)에서 78) 발견되었 74) 맨처음에 吳大i갔, 댕t文古f兪f l fi 』 와 劉?g, 『 鐵認藏句 』 에 기록되었다. 75) 傅斯年 • 李濟 외, 『城子 /, 11 』. 76) 李濟, 『小屯陶器』. 77) D. J. Fin n , Archaeolog ica l Fin d s on Lamma Island near Hong Kong . Part II .

다. 그래서 전쟁 전에 이미 질그릇에 새겨진 문자가 최초의 역사적 시기 (시아葛 상沿i, 저우 /l i l 의 뒤의 두 왕조) 뿐만 아니라 선사시대에도 마찬가 지로 거슬러올라가는 것으로 고고학상으로 잘 알려졌다. 그렇지만 비교 적 아러한 문자에는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상(商)시대에 대한 그 러한 관심은 물론 절대량의 갑골문 기록에 의해 압도되었고 극소수의 선 사시대의 단편은 너우 희소하고 훈어져 있으며, 아마도 너무 간단해서 그 당시의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던 것 갇다. 최근에 이러한 고대 중국의 질그릇 명문에 많은 학문적인 관십이 두입 되어 왔다. 1949 년 이래의 새로운 고고학적 발견에 의해서 정저우(鄭 州 ) 79) 와 옌스(fl!i師 )80) 의 초기 역사시대의 유적지에서 질그릇 명문이 발견 되었을 뿐만 아니라 반퓌 ( 半坡 )의 신석기시대 전기 유적에서 문자와 유사 한 부호가 새겨진 질그릇둘이 발견되었는데 이 만푸](半坡) 유적은 방사성 탄소 측정 에 의해 서기전 4 천년대 전기로 추정될 수 있다 .81) 최근에 여러 역사가들과 고고학자들은 중국 문자의 기원 문제에 관십을 집중하면서 이러한 고대 의 명문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82) 리샤오명(李孝定)은 딴 퓌 ('t나}Ji)의 질그릇에 나타난 부호들이 〈문자〉로 간주되기에 충분한 근거 가 있으며 중국 문자의 기원을 이 중요한 유적의 문화 시기로 추정한다 고 결론지었다 .83) 이러한 논의를 더욱 진전시켜 허뻥띠(何炳才泉)는 딴퓌 ( ! I 낵t)의 부호 가운데 일부는 숫자 를 나타내는 것이며 그것들은 〈인간이 W. Schofi el d, The Proto -H ist o r i c Sit e of the Hong Kong Cultu r e at Shek Pek, Lanta u , Hong Kong ; R. Mag lion i, Arclzaeolog ica l Dis co very in Easte m /(wang tun g . 78) {IIJ.X 1 t , 『 f,'t縣良洛鎭之石}:)'與黑’周』 ; 施斬返 『 良i:X 』. 79) ’女志敏 「 一 九五 二年 秋季鄭州二里 1 페發堀記」, p.7 7 ; KKHP, 「鄭州商代迫 :f:Jl: (1 (Jf마屈」, p.8 3 ; KKHCK, 『鄭 州二fil l /Il l 』 , p.1 7, 80) KK, 「河南 1 世tiji 二里頭追 h l:發堀 f11if U 」 p.2 22, Bl) KKHCK, 『 西安半坡J, 82) 李꾸:定 「從幾種史iiij #11- i 史 早 j Ulµ 넓文 (n 觀京죠 3l i)中國文字(內起源」 ; 郭洙若, 「 古代文字之辯證 (l 羽)發城」 ; 鄭從사’, 「 rH 갱上占數名((.Jjiit맞及Jt ’8111 」 : T 省 晶 「關於古文字硏究 (1\ J若干· IHl 題」 ; Ho Pin g -ti, The Cradle of /he &st, Chap ter 6, 83) 李孝定 위 글 ; 「中國文字(內原始利 l j資딪」.

지금까지 만들어낸 최초의 ‘숫자'〉라고 믿었다 .84)

s4) Ho Pin g -ti, The Cradle of th~ East, p.2 23,

중국 문자의 기원 문제와 각자의 문자 역사에 대한 관점에서 그것이 다른 지역과 어떻게 비교되는가 하는 문제는 필자가 여기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필자에게 있어서 고대 중국의 질그릇 명문에 보다 중요한 문제는 그것들의 독특한 문체와 중국 문명 내에서의 그러한 명문들의 위치와 관련된 것이다. 우선 지금까지 질그릇 명문이 발견된 선사시대와 상(商)시대의 고고학 유적들을 열거해 보자. ®

@ 1987 년 12 월 13 일자 (人民日報)의 보도에 의하면 河南省 舞陽縣의 8 천년 전 신석기시대 유적에서 문자가 새겨진 甲骨片이 출토되었다고 하는데 이것이 사실이라면 중국문자 기원에 관한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 다. 그러나 역자의 생각으로는 신석기시대 초기에 해당하는 8 천년 전에 문자가 출현했을지 의심스러우며 혹시 유적의 교란에 의하여 후대의 것 이 흔입된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선사시대 산-시 (陝西) 시안(西安) 반퓌촌(半坡村) (양사오仰照 문화 )85) 산-시 (陝西) 시안(西安) 친뚜지 (秦渡鎭) 우러우(五樓) (양사오仰照 문 화 )86) 산-시 (陝西) 허양현(合腸縣) 신예촌(莘野村) (양사오仰昭 문화 )87) 산-시 (陝西) 린통(臨流)지양자이 ( 姜 泰) (양사오仰昭 문화 )88) 칭 하이 (淸海) 러 뚜 (樂都) 리 우완 (柳羽) (마창馬版 문화) 89) (그립 63) 산똥(山束) 쥐현(宮縣) 링양허 (陵腸河) (따원커우大汶口 문화 )90) 산똥(山束) 주청 (諸城) 치엔자이 (前塞) (따윈커우大汶口 문화 )91) 산똥(山束) 룡산전(龍山鎭) 청쯔야이 (城子庄) (룽산龍山 문화 )92)

85) KKHCK, 『西安半坡』. 86) KK, 「펀읽}-帶考古訓査簡報」, p.2 9 , 87) KK, 「黃河三 r1 峽 7k 庫考古調査簡報」, pl. I, No.2. 88) WW, 「臨溫姜寒新石器時代迫址的新發現」. p.8 2, 89) KK, 「꿉海樂都柳和原始社合墓址反映出的主要間題」. 90) KKHCK, 『大汶口』, p.1 17. 91) 위 책. 92) 傅斯革 李濟 의, 『城子illJ.

• \ I - Ii

十 。 x 。 © # 꾹 # # Cl 祖 n 그 戶 i Crj,i $^ XL `EV' fA 六V 天V 目4 Ill/ lf A~ 繼4\f- L @中 중€亡 그림 63 ~ !;-i1ij의 柳싸유적 馬板문화의 질그릇 문자 (KK, 야ti~J樂都 柳싸原始社合墓地反映出的主要 1 바題」, p. 376).

상하아 ( 上 海) 칭푸(淸ii I) 쏭쩌 (恐澤) (쏭쩌恐澤 문화 )93) 상하이 (上海) 항현(杭縣) 리양주(良洛) (리양주良浩문화 )94) 타이완( 쌍 싸) 까오슝(高雄) 핑삐터우(鳳i l jjn ) (왕미터우瓜鼻頭 문화 )95) 꽝똥(廣束) 하이팅 (海 ll) 빠쯔위엔(萩任園) 빠오러우(꼈樓) (기하무늬 질 그릇 문화 )96) 홍콩 람마섭 따완(大wt) (기하무늬 )97) 홍콩 란타우성 석픽 (石壁) (기하무늬 )98)

93) KKHP, 「上海 rI i i l tii I i蘇根澤這:IJt的試堀」, p.7 . 9945)) 何K天w行an,g -c 『h 杭i縣h 良C洛h鎭an之g石 器의與. .!F!e;n'g서 p』ito u: , 施T硏ap返e n ke『良njg:/ fa』n. d the Prehis t o r y of Taiw an, p.1 00. 96) R. Mag lion i, Arel끄 eolog i cal Dis co very in Easte r n Kwang lt m g . 97) D. J. Fin n , Archaeolog ica l Fin d s on Lamma Island near Hong Kong , Part D . 98) W. Schofi el d, The Proto - his t o r ic Sit e of the Hong Kong Cultu r e at Shek Pik , Lanta u , Hong Kong .

초기 역사시대 허난(河南) 옌스(個師) 얼리터우( 二里 頭 )99) 허난(河南) 정저우(鄭州) 얼리깡( 二里 岡 )100) 허난(河南) 정저우(鄭州) 난판와이 (南關外 )101) 허뻬이 (河北) 까오청 (期城) 타이시촌(갚西村 )103) 지 양시 ( 江 西) 칭 지 양 ( 淸 江) 우청 ( 吳 城) 104) 여기서 위의 모든 유적지에 있는 질그릇 명문 을 완전히 재생하거나 자 세히 설명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여기서 필자가 추 구하는 문제점은 질그릇에 새겨진 기호가 만들어졌던 의도와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 문제에 대한 필자의 의견은 상(商)시대와 선사시대의 질그 릇 에 새겨진 압 도적인 다수의 기호가 가( 家 ), 족(族), 성 (姓) 혹 은 이러한 것들의 하부 단위들의 상징과 표시였으며, 그러한 부호 들을 이미 알려진 문자와 대조 시키고 의미있는 문장으로 번역하는 것은 분명히 대부 분 의 경우에 소득 이 있을 것 갇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찰에 는 고 려할 점이 두 가지 있다. 첫번째는 이러한 기호 를 쓴 목적에 관한 것 이 고 , 둘 째는 기입자의 신분에 관한 것이다. 첫째 이러한 기호들이 새겨졌던 의도에 대해 알아보자. 중국의 고고학 울 연구하는 많은 연구자들은 질그릇을 굽기 전에 새겨졌던 기호들은 아 마도 제작자들 개인의 솜씨 를 확인하기 위해 새겨졌고 반면에 굽고 난 후에 새긴 것은 사용자의 소유권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고 믿어 왔다. 린쯔(臥 璋 )에서 발견된 많은 질그릇 명문이 질 그 릇 제작자나 질그릇 제조 장의 이름으로 나타나는 것은 사실이지만 ,105) 이러한 질그 릇 들은 질그릇 제작자들과 그 밖의 다른 기능인들이 전 시간 을 자신의 전문직의 작업에 두하하는 전문인이나 장인이었던 시기인 저우 (l li]) 후기 동안에 생산되었 99) KK, 「河 南 1 區 師 二 里頭迫址發堀簡報」. 100) 주 79 참조. 101) KKHP, 「鄭州南 IUI 外商代迫址 /I 羽輝」, p.8 3 . 102) 李混 『 小屯限器 』 . 103) WW, 「却城 쌍 西商代迫址發現 h9 t句器文 字 」. 104) 1.!f OO , 「關於江西吳城文化迫iJI:與文 字 的初步探索」. 105) 顧廷龍, 『古 십文 17(- 錄 』 , p.8 .

다. 그러나 양사오(仰昭)의 질그릇은 전문가에 의해 제작되지 않았음이 거의 확실하며 반퓌촌( 半 坡村)에서의 질그릇 제작은 모든 가정의 가내 활 동이었 을 것 이다. 반푸]( 半 坡) 유적에서 출토된 일부 질그릇에 새겨진 명 문은 촌 락 내의 특 정한 지역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다는 다음과 갇은 근거가 있다. 우 리는 많 은 유사한 기호들이 같은 저장구덩이나 같은 지역에서 나 타난다 는 것을 알았다. 예 를 들어 가장 일반적인 기호인 하나의 수직 으 로 그 어 진 막대기 모양의 표시에 관한 자료 를 분석하면 이러한 표시 가 있 는 72 점 의 대부분은 기본적으로 100 평방미터 내의 지역에 서로 인 접 하여 있 는 여섯 구역에서 발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H341 저 장구 덩이에서 우리는 똑같은 기호가 있는 2 점의 그릇조각을 발견했 다. 모 두 5 개의 Z 자 형 기호는 사각형의 두 구역에 밀집해 있었다 .106) 유 사한 지적 이 타이완( 깁羽 )에 있는 핑삐터우(鳳鼻頭) 유적에도 적용되 는 데, 거기 에 는 X 표 시가 새겨진 질그 릇 조각들이 촌락의 남쪽 끝에 있는 한 지 역 에 몰려 있다 .107) 이러한 결정적인 현상은 또한 많은 학자들이 선 사시대의 기호로 부터 판독한 이른바 숫자들이 공교롭게도 고대 중국의 일부 숫자 들 과 형태 가 일치하는 기호에 불과할지도 모른다는 것을 암시 한다. 1, 2, 3 과 4 를 표시하는 숫자는 단순히 짧은 막대기 를 한 개, 두 개, 세 개 혹 은 네 개 를 그려 놓은 문자였고, 5 는 X 표시이며 7 은 단순한 십자 모양이었다. 이러한 형태 들 은 많은 유적에서 공통적이다 .108) 다른 106) KKHCK, 『 西安半學 , p.1 9 8. 107) Kwang -c h ih Chang 의 , Fe ng pitou , Tap e nk e ng , and /he Prehis t o r y of Taiw a n, p.5 4 . 108) 사 실 그것 들 은 또한 중국과 유사한 숫자 물 사용할 수 없었던 세계의 일 부 에서도 발 견되었다. 필자의 예일대학 시절의 동료인 Harvt: y Weis s 교 수는 Qa br She y khe yn 에서 발견된 유사한 부호가 표시되어 있는 수십개 의 조각 들운 필자에게 보여주었다. 그곳은 1971 년에 발굴된 이란 남서부 의 Khuz i s t an 에 있는 후기 Ubaid 유적 (c. 4000 B.C.) 이 다. 중국의 숫자 1, 2, 3, 20( 예 를 들 면 V) ' 그리고 30( V에 막대기 모양이 추가된)과 동 일하고 풀의 형태인 새김 부호 들 이 대형 그릇의 바닥 부근에 표시되어 있었다.

중국의 숫자들인 6, 8, 9 는 숫자체계에 있어서 더욱 독단적인 형태로 만들 어져 있고, 그러한 것들이 나타나는 질그릇 명문은 발견되지 않았다. 샤 오둔(小屯)의 질그릇 명문에 관하여 리지( 李 b구 )가 의문을 품었던 것과 같 이 〈어떻게 일부의 숫자들 (7) 은 그렇게 자주 나타나고, 다른 것들 (1, 3, 4) 은 드물게 나타나며 나머지 것들 (2, 6, 8, 9) 은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는 것일까 ? >10 9) 하나나 다수의 막대표시, 십자표시, X 표시는 질그릇 집단 을 확인하고 구별하는데 일반적으로 여러 문화에서 사용되었던 부호이기 때문에 이러한 것 들 은 아마도 어떤 사회의 하부집단과 관련되어 그 질그 릇둘이 어떤 질그릇 집단에 속한다는 것 을 가리키기 위하여 질그릇에 표 시되었을 것이다. 이름이나 상징으로서 볼 수 있 는 문자 들 은 한 단계 더 나아가서 질그릇들이 명칭이 있는 특 수한 인간 집단 들 에 속한다는 것을 나타내지만 원칙적으로 이름과 도상기호로서 볼 수 있 는 문자와 질그릇 집단의 확인 표시로 이루어진 기호와의 차이점은 거의 없었다. 이러한 견해가 정당한 것으로 입증된다면 그것은 샤오 문 (小屯)에 있는 질그릇 명 문의 대부분의 유형들을 설명해 줄 것이다. 샤오 문 (小屯)의 〈위치 표시 기호〉에 관해서 똥쭤 ll센 ( 萊 作었)은 〈왼쪽 〉 과 〈 중간 〉 , 〈 오 른 쪽 〉 을 표시하는 문 자들이 사람들을 부르는 데 쓰일 수도 있었다고 지적한 바 있다 .110) 우리 가 갑골문으로부터 배운 바와 같이 사람의 이름은 사회 집단과 정치집단 의 이름과 일반적으로 구별될 수 없다. 111) 일부의 또는 대부분의 선사시대와 상(商)시대의 질그 릇 명문에 대한 해 석은 ――· 그 질그릇을 사용한 사회적 집단의 표지나 상징으로서 _一많 은 상(商)시대의 청동기 명문의 용례와 일치되는 점이 상당히 많다. 필자 는 다른 지면을 통해 상(商)시대 청동기의 도상기호들을 약간 상세하게 논한 적이 있는데 112) 그 결론의 하나는 많은 명문이 다양한 계층적인 수 준의 사회집단들을 지칭하는 많은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113) 문 자가 새겨진 질그릇에 나타난 다수의 문자 중에서 특별한 경우, 죽 적어 109) 李濟, 『 小屯限器』, p.1 24. 110) 위 책, p.1 47. 111) 張秉權 「甲骨文所見人地同名考」. 112) 張光直 「商 IH 잡銅器器形裝飾花紋與銘文綜合硏究初步報告」. 113) 張光直 「談王亥與伊尹的祭日並再 論 殷商王店 l j」.

도 일부의 경우에 있어서는 사회집단들의 계층에 관련지어 설명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아러한 견해에 따르면 질그릇 명문은 조가비와 뼈, 대나무와 나뭇가 지 그리고 비단과 같은 많은 다른 매체에 나타나는 문자와 갇은 맥락에 서 보아서는 안되는 특수한 문자의 체계 를 이루고 있다. 이것은 뤄전위 (羅振 玉 )가 다음과 갇이 오래전에 주목한 것이다. 죽 〈질그릇 명문은 고 대문자의 하나의 변형이며 인장이나 동전에 새겨진 글자와 함께 일반적 인 고대의 명문과는 다르다. 우따정(吳大徵)이 질그릇 명문과 고대의 명 문을 결합했지만 이것은 사실상 부적절하다. 질그릇에 새겨진 글자는 많 은 생략과 변 화를 내포하고 있고 ‘고문자학적' 설명이 강요되어서는 안된 다. 〉 11 사 여기서 필자는 뤄전위 (羅振 玉 )의 우따정 (吳大汝)에 대한 비판이 전적으로 옳 다 고 확신할 수 없는데, 왜냐하면 위의 논의에 내포된 바와 갇이 일부 청 동 기 명문 - 도상기호 __. 은 아마도 질그릇 명문과 갇은 체계에 속 했 을 것 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질그릇에 새겨진 글자가 통상 적인 고대의 글 자보다는 인장과 동전의 글자에 가깝다는 그의 관점은 탁 월한 것이다. 저우(周) 후 기의 질그릇 명문이 인장과 동전의 명문과 닮았던 이유는 아마도 이러한 것 들 이 비단이나 대나무에 봇으로 글을 썼던 공문서 보관 인이나 역사가 들 과는 생활의 장이 달랐던 사람들인 장인이나 상인들의 필체였기 때문일 것이다. 선사시대와 상(商)시대의 질그릇 제작자들은 똥 저우(束周)의 그 들 에 상당하는 지위를 지니지는 않았겠지만 갑골문과 청 동기 명문의 기록자들보다는 참으로 평민에 가까왔다. 앞에서 언급한 바 와 같이 학자 들 은 중국 문자가 매우 오래되었다는 것을 논의하기 위해 질그릇 명문을 이용해 왔다. 필자는 중국 문자의 기원에 대한 문제에 있 어서 질그릇 명문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파악한다. 죽 중국 에서 문자의 발명은 경제적인 거래보다는 사회적인 집단 소속 확인과 더 욱 관련이 있고 그것은 사회의 영웅이나 천재들(倉韻과 같은)보다는 평범 한 질그릇 제작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씌어졌다. 확실히 딴퓌(半坡) 촌락 은 계층이 분화된 사회는 아니었고 그 문자는 전문가나 통치자들보다는 일반 마을사람들에 의하여 사용되었다. 이러한 질그릇에 문자윤 새기는 114) 羅振 王 , 『 夢庵森섬』 J-.f···

동일한 촌락의 전통은 비록 상(商)시대에 더욱 세련된 체계를 갖춘 문자 가 아주 다른 사회적 신분의 사람들에 의해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었다고 할지라도 115) 상(商)시대에까지 계속되었다. 그렇지만 서아시아 지역의 문 자가 계산 체계에 뿌리를 두고 있는 것과는 매우 대조적으로 116) 중국 문 가가 사회집단의 소속을 확인하기 위하여 질그릇에 기호 를 표시하는 것 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는 그럴 듯한 사실은 고대 중국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강력히 암시해 줄 수도 있다. 죽 혈연집단에로의 소 속 은 그것이 고대 중국의 사회적 질서 를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였기 때문에 문자로 기록했던 최초의 것이었다. 앞에서 설명했던 경제적 조직 망의 운영에 필수적인 정보는 혈족 조직망의 내부로 전달되었다. 경제적 거래의 기록이 이와 갇은 구조 하에서는 불필요했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상(商)의 문자에 대한 이용가능한 고고학상의 기록 들- 우리가 발견하 기를 희망할 수 있었던 유일한 정보전달 공구 - 은 집단 확인 표시(질 그릇 표시와 청동기 상칭기호)와 점복기록(갑 골 문), 사여품 교환에 관한 기 록(그들 중 대부분이 장문의 청동기 명문과 우명 武丁 왕의 재위기간 동안의 〈공 물기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단지 마지막 세번째 기록만 은 경제적인 측면의 것이라 불릴 수 있지만 그것 역시 명백한 의도는 정 치적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문자기 록 인 점복기록은 정치적 의도에서 기록된 것이다. 데비드 키이 틀 리는 11 7) 왕이 자신의 조상들과 접 촉하고 미래의 활동과 사건의 과정을 성공적으로 예 측 하는 능력이 그의 통치와 경제력의 합법적 도구였다는 것을 밝혔다.

115) 현대 중국에서조차 사회적 위치에 따라 약간씩 다른 문자체계 를 쓰는 경 우가 있다. 그러한 실례들은 학술적인 논문이나 정부의 조서에는 쓰이지 않운 것같은 이른바 俗 字 와 같은 민간에서 사용된 숫자체계에서 나타난 다. 116) Denis e Schmandt, The Earlie s t Precursor of Writ ing . 117) Leg itim ati on in Shang Chin a .

3 다른 나라(方) ® 와의 관계 상( 商 )의 인 접 나라와의 접 촉 에 관하여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무엇인 가 ? 현존하는 갑 골문 이 기록된 시기 동안에 다방(多 方` 여러 다 른 나라) 중에서 1 기 복 사에 기재된 것이 가장 많았다. 시마쿠니오(島邦男)는 그 시기에 33 개의 방( 方 )의 이름 을 집계했고 반면에 2 기에는 2 개, 3 기에는 13 개, 4 기 에 는 23 개 , 5 기에는 8 개 를 확인했다 .118) 이들 중 꽁황( 십 方)이 486 번 무황( I :. 方) 이 92 번 나타나 가장 빈번히 언급되어 있다. 다음으로 많이 언 급된 국가는 5 기 복 사에 28 번 나타나는 런황 (人 方 )이다. 그 렇 지 만 다 른 나라 들 의 중 요성이 항상 점 복 기록에 그것이 언급된 빈도에 따라 표시 되 는 것은 아니다. 갑 골 문 연구자 들 의 연구에 근거하여 8 개의 브다 중요 한 나 라 들 과 그것들 의 추 정 가능한 위치 를 간략하게 살펴보자. 1 꽁황 & 才 . 대 부분 의 학 자 들 은 꽁황( 감•• 方 )의 위치 를 북서쪽 멀리, 죽 산_시 ( 陝西) 북쪽 이나 더 북 쪽의 오르도스 지역으로 잡고 있다 .119) 비록 우명 ( 武丁) 의 통치 기에 꽁황( 곰 方)과 빈번한 상호영향이 있었지만 꽁황 ( 집~ · 方 ) 은 아마 도 아 주 강 한 나라는 아니었다. 그들의 습격에 따른 손실 이 크지 않았 고 , 최 대 6,000 명의 군대로 웅전했다 .1 2 0 ) 또한 상(商)과 꽁황 (- 方 )이 좋은 관계 를 유지했던 때도 있어서 상(商)의 점복기록에서 상 (商)이 꽁황 ( 감’ . ) i )에게 왕의 심부름 을 시킬 것인가 를 묻는 기사가 발견된 다 . 12 그 이 름 은 1 기 이후에는 자주 나타나지 않는다. 똥쭤뻔( f( {1 才 f)에 118) f..넘 겨 W} , r g 밌城 卜 辭 硏究 J , pp.3 84-385, 119} 까ii4:?. 'i , 『 卜 辭 通 었 』 ; 1 t( 作 賓 , 『 0 t I tf i션 』 ; 섭j l q. 宜 , r ·J , . 方考 』 : r.MIi) }, r,jt 城 卜 辭 硏究 』 ; 陳夢家 , 『 殷 城 卜 辭綜述J , pp.2 73- 2 74 , 120) 李 서! 8h , 『 8 t {t地 理 簡 論 』 , p.6 4. 121) 張 J£ i it . 『 O £l 恨 文 字丙編 』 , 下 二 , pp.6 7 -68. ® 여기서 언급된 나라는 甲骨文에 方으로 나오는 것으로 商 I 淸 l 에 복속되 지 않고 대등한 관계로 독립되어 있었던 정치세력을 뜻하 는 데 이것운 학 자 들 은 方 國 이라고 부 르기도 한다. 그러나 이것이 사회진화 단계에서 국 가사회에 진입하여 있었는지의 여부는 확인할 수 없다. 저자는 이것물·운 s t a t e 로 표현하였지만 그 의미가 사회전화상의 〈국가단계 〉운 뜻하지 않기 때문에 역자는 〈나라〉로 번역하였다.

따르면 꽁황(곰方)의 인민들은 유목민이었다고 한다. 122) 2 두황 Q 才. 1 기에 중요했던 또 하나의 나라인 무황( . I:)j)은 아마도 산시 (山西) 북쪽에 위치했던 것 같다. 그 이름이 1 기 이후에는 사라지는 데 아마 우명 (武丁)의 정벌에 의해 소멸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123) 3 치양황 T 才. 이 나라는 상(商)에게는 특별한 나라였는데 왜냐하면 치양황(光方)은 상(商)의 조상에 대한 제사의식에 그 인민들이 제물로 언 급되었던 유일한 나라이고 이들에 대한 전쟁에는 때때로 대규모의 상(商) 의 군대__한 예로 13,000 명 __- 가 두입되었기 때문이다 .12 ◄) 치양황 (光方)이 상(商)의 서쪽에 있었음에는 의문이 없지만 그들의 위치는 허난 (河南) 서부, 125) 산시 (山西)의 남쪽 끝과 산-시 (陝 西 )와 허난(河南)의 인접 한 지 역 , 126) 혹은 꽁황 ( 곰 方) 남쪽인 산-시 (陝西) 북부 12 7 ) 등으로 다양하 게 추정되었다. 『 설문 』 (說文)에는 치양(光)자 를 양치는 목자로 설명하고 있는데 갑골문에서 치양(光)자의 윗부분이 양모양 을 하고 있어 그것을 확 인해 준다. 치양(光)은 상(商)이 계속적으로 관계 를 유지한 나라 중의 하 나였는데 그 이름은 1, 3, 4, 5 기의 복사에 나타난다. 치양( 光 )은 또한 저우 (周)가 최종적으로 상(商)을 정벌할 때에 저우( 周 )에 가담한 나라들 사이 에 끼여 있었다(『서경 』 ( # 1\t 經 ) 「목서」(牧 쨩 ) 를 보라). 4 저우황 田 才. 저우황 (Ml 方)이나 저우(周)라는 이 름 은 1,2 와 4 기의 기 록에 나타난다. 그렇지만 상(商)의 처벌을 받은 후 5 기의 말에는 정복자 가 되는 저우(周)가 같은 저우(周)였기 때문에 5 기의 복사에 저우(周)가 나타나지 않는 것은 우연한 일이었음이 분명하다. 상(商)의 접복기록에 나타나는 모든 방(方) 중에서 바록 저우(周)는 그 왕조 성립 이전의 시기 가 충분히 기록되어 있지 않고 저우(周)의 최초의 원거주지가 아직까지 숙고와 논쟁의 대상이기는 하지만 저우(周)는 그들 자신의 기록된 역사를 가전 유일한 나라였다. 저우(周) 왕조가 성립되기 전에 그들의 활동 중십 지는 일반적으로 산-시 (陝西)의 웨이수(i껍水) 유역이었던 것으로 알려졌 122) 萊{佳 K, 『 n~,m~ 』 : 『武丁 日 i 作』, p.3 8. 123) 島邦罪 『殷城 卜 辭硏究』, pp.3 88-389. 124) 陳夢家 『 殷猿 卜 辭綜述』. 125) 白川靜, 「光族考」, p.6 1 . 126) 陳夢家 『殷城 卜 辭綜述』, p.2 82. 127) 島邦男, 『殷樓 卜 辭硏究J, pp.40 4-405

지만 128) 치엔무(錢 ~)129) 는 타이왕(太 王 )과 왕지( 王 李)의 시대전에 저우 (周)인이 산시 (山西) 남부의 훤수(沿水)유역에서 살았다고 믿는다. 이러 한 의견 차이는 아직까지 해결될 수 없지만 130) 치산(岐山) 근처의 웨이수 (消水)의 중류와 하류의 유역이 타이왕(太 王 ) 통치기 이래로 저우(周)의 정치적 중심지였다는 것은 의십할 여지가 없다. 루(魯)의 시 「비궁」 (I81 宮 )에서 말하기 를 , 허우지 ( 后 稷)의 자손이 바 로 대왕 ( 타이왕 太王 ) 치산( 岐 山)의 남쪽 언덕에 사시며 상 (商 )나라의 명맥 을 끊기 시작했다. 저우( 周 )의 세력은 타이왕( 太王 , ‘위대한 왕')의 통치기 동안 웨이수(消 水) 중 류 유역에서 신장되었던 것으로 나타난다. 『 고본죽서기년 』 (古本竹 1 F 紀年 )에 는 상( 商 )과의 주요한 접촉과 충돌이 타이왕의 아들 지리(李歷)의 재위기간 동안에 일어나기 시작된 기록이 있다. 우이( 武 乙)왕 34 년 : 저우(周)왕인 지리( 李 歷)가 그의 경의 를 표시했 다. 따명 ( 大丁 , 원 우영文武丁)왕 4 년 : 저우(周)왕 지 (李)는 인(殷)의 목사 (牧師)로 임명되었다. 원명 (文 丁 ) 왕 : 왕은 지 리 ( 李歷 ) 를 살해시 켰다. 지리( 季康 )의 아들인 원왕(文 王 )은 일부 문헌에는 서백(西伯) 창( 昌 )으 로 일컬어졌으며 그의 아들 우왕(武 王 )은 그의 재위 11 년째에 상(商)의 정벌 을 감행했다. 비록 시마쿠니오(f& b 邦男)는 정복기록에 저우(周)가 치 산(岐山)지역에 위치하고 있었음을 확고히 뒷받침해 준다고 믿고 있지 만“ 문헌에서 보이는 이러한 모든 기록이 접복기록에서 명확히 나타나 128) 丁山, 「由三代섭達됴 i 1 t民族文化」 ; 쩐 思和, r 西周地理考」. 129) 錢穆, 「周初地理 考 」. 130) i 'f{ 卓책 「周人的與起及周文化((.J基礎」. 131) /.~邦男, 『 殷 坡 卜 辭硏究 J , p.4 10,

는 것은 아니다. 초보조사의 뉴스 보고서에 따르면 1321 1977 년 후반에 문 자가 새겨진 100 편 이상의 점복기록(갑골문)이 산-시 (陝西)의 치산현(岐山 縣)에 있는 칭땅(京常)지구에서 발견된 1 채의 〈궁전 건물〉 내의 1 칸의 방 에서 무더기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기록들은 원왕(文王)의 통치기의 것으 로 보고되었으며 상(商)-저우(周)의 접촉에 관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는 데 이 정보들에 대해서는 나중에 논의할 것이다. 5 즈황 臼. 이것은 4 기의 우이(武乙)의 통치기 동안에 주목을 받았 던 방(方)이다. 즈황(旨方)에 대한 우이의 군사원정은 왕 자신이 사령관 이 되고 왕족의 성원으로 군대를 구성한 상당한 규모였다 .133) 이 나라 역 시 상(商)의 서쪽에 위치했는데, 치양황(光方)과 인접하여 있었으며 아마 도 산-시 (陝西) 중부지방에 있었을 것이다 .134) 6 여우황 옵 才. 이 이름은 점복기록에 단지 두 번만 나타나는데 두 번 의 기록은 모두 제 4 기의 원우명(文武丁) 시대의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135) 이 이름이 나타나는 문헌들은 여우황( 삽i 方)이 상(商)의 남부 지방인 납토(南 土 ) 밖에 위치했다는 것을 명확하게 해준다. 이것이 전쟁 과 관련된 우명 (武丁) 시대의 기록들(천멍지아陳 夢家 에 의한 이들 점복기록 의 추정연대)에서의 납토에 대한 유일한 언급이었다고 지적했던 천멍지아 (陳夢家)는 136) 여우황(尙方)의 위치 를 상치우(商 UI i)의 남쪽인 화이하(淮河) 유역으로 잡았다. 그렇지만 화이하(淮河)는 명확히 상(商)의 납토(南土) 보다는 동토(東土)와 더욱 연관이 있어 여우황(없f 方)이 한수(漢水) 유역의 후베이(湖北)지방에 있었다고 추정한 리쉬에찬( 李 學勤)의 견해가 더욱 섣 득력 있게 보인다. 137) 다론 나라로부터의 대부분의 침략이 상(商)의 북쪽과 북서쪽으로부터 야기되었다고 오래전에 지적되었지만 138) 상(商)의 남쪽 측면에서도 분규 132) 1977 년 11 월 1 일 新 華 社 뉴스 발송. 133) 陳夢家, 『殷坡 卜 辭綜述 』 , p.2 87. 134) 위 책, p,2 87 ; 島邦男, 앞 책, p.4 04. 135) 董作賓, 『 殷虛文字甲編 』 , p.2 902, 2907. 136) 陳夢家 『殷城 卜 辭綜述 』 , p.2 89. 137) 江鴻, 「盤龍城與商朝的南土」, p.4 5. 138) 郭洙若, 『 卜 辭通따 J , No.549. 陳夢家 『 殷城 卜 辭綜述 』 , p.2 67.

가 없었던 것은 아니었다. 『 시경 』 ( 詩經 )의 송(領)인 「은무」 (8E 武)에는 우 명( 武丁 )이 한수( 漢 水) 유역의 깊숙한 곳까지 원정을 한 것운 다음과 갇 이 묘사하고 있다. 날 렵 한 저 인( 殷 )나라 무사 들 분 연히 징 O i' r i)과 추 ( 楚 ) 를 공격하여 깊숙이 험한 곳 까지 들 어가 징 ()i'l j) 의 무 리 를 사로잡아 그 땅 을 평정 한 것 은 당 (i易) 의 후손 의 공이어라. 그 대 들 징 ()i'l i)과 추 ( 楚 )만이 우리나 라 남 쪽 에 있고 옛 날 탕 왕 (it}.T: )이 성했 을 때는 저 띠 (氐)와 치 양( 光 )에서까지 감 히 조공을 바 치 지 않는 나라가 없고 감히 세현(t t tJI ) 오지 않는 나라 없어 〈 상( 商)은 영원하다 〉 라고 말한다. 여기서의 정복자 의 오만함은, 남방의 나라가 참으로 드물게만 언급되 었기 때 문 에, 그의 행위에 의해 아마도 뒷받침될 것이다. 비록 남방과 관계가 있었음이 분 명한 약간의 다른 언급이 있기는 하지만 여우황 (.v tJi) 에 대한 점복은 드 물게 나타난다 .139) 우리는 이 문재 를 한수(漢水) 유역 의 7고 런고황학 ?자t 료. 를 런 논항할 (A 때J i)다은시 점 다복 룰기 록것 에이 다줄. 곧 언급되었지만 상(商)왕조 말에 이 르 러서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띠신(저t年)의 직접적인 지휘 아래 런황(人方)에 대한 두 번의 중요한 군사원정이 감행되었는데 첫번째는 그 의 재위 8 년에, 두번째는 10 년에 행해졌다. 후자의 원정은 전에 상옵(商 邑)의 위치와 관련하여 언급한 적이 있다. 이러한 원정 들 이 상(商)의 정 치적 영향력 을 약화시켰고 저우()i))가 상(商)을 정벌하는 데 도움옵 주었 139) ffi'J}, 앞 글, pp.42 -46.

다는 데에는 일반적으로 의견이 일치한다 .140) 런황(人方)의 위치 또한 오 늘날의 지양쑤(江선 k) 와 산똥(山가£) 납부지역인 화이허 ( 서ti I I J)의 중류와 하 류유역이었다는 견해에 대부분의 학자들이 일치하고 있다. 8 위황 갚才. 이것은 안양(安陽)지역에서 북동쪽으로 멀리 떨어져 있지 않은 아마도 허베이 (河北) 중부에 있었을 “ 하나의 중요한 정치 단위의 이름이다. 이곳은 상(商)왕이 왕실의 사냥을 자주 행했던 지역이었으며 그 동치자는 아마 〈제후〉로 간주되었을 것이다. 그렇지만 5 기에 띠신('rYi 辛) 으로 하여금 중대한 군사 행동 을 취하게 했던 1 건의 반란이 일어났 다 .142) 위의 여덟 개의 방(方)은 전체 기록에서 작은 부분에 불과하지만 3) 대 략적인 상(商)왕국의 영토의 범위 를 다음과 같 이 윤곽 을 잡는 데는 충분 하다. 죽 허난(河南)을 양분한 부분의 그 북부 , 허뻬이(iiiJ~t)를 양분한 부분의 그 남부, 산똥 (Il 陳) 서부, 안회이(安 徽 )의 북단 그리고 지양쑤 (江~) 남서부 를 포함하는 영토이다. 이 지역의 주 위에서 북쪽(산시 1 J 1 plj 북부)에서는 두황(土方)이, 서북쪽(산 ~ 시陝西 북부) 에서 는 꽁황(섬方)이, 서쪽에서는 산-시 (陝西) 중부와 그 인근지역의 치양황( 光 )j) • 저우황()서 方) • 즈황(旨方)이, 남쪽에서는 한수( i英 水) 중류 유역의 여우황(j,lj')j)이, 동쪽에서는 화이하(淮河) 유역의 런황(人方)이, 동북쪽에서는 허데이(i III 北) 중부의 위황( 孟方 )이 각각 상(商)왕국 을 둘러싸고 있었다. 위의 영토의 정의는 대략적이고 추측이 상당히 가미되었을 뿐 아니라 유동적이고 가변적이다. 따라서 나라 대 나라의 관계 를 평가하는 데 여 러가지 문제가 고려되어야만 한다. 첫째 나라는 정치적 단위이지 문화 단위나 종족 단위는 아니라는 것이다. 때때로 고대 중국을 여러 지역단 위나 지방단위로 구분하려고 열심히 노력하는 역사가들이 충분한 근거없 이 부당하게 정치 집단들 사이의 문화적, 인종적 그리고 언어적 차이점 둘을 과장해 왔다. 예를 들면 시아( _以 ) • 상(商) • 저우(周) 3 왕조를 별개 140) 島겨맹, 『 殷城 卜 辭硏究 』 , p.3 9 1. 11442I)) 1f.t bc 邦n ~ ,f~t. . 위『 lj t I책 tf., ;션』p p(.下3 ,7 4-375. Vol. 2, pp.45 -46) . 陳夢家, 『 殷城 卜 辭綜述 』 , pp.3 09-310. 143) f.~겨맹, 앞 책, pp.3 84-424 ; 陳夢家, 『 殷城 卜 辭綜述 』 , pp.2 6 9-310 ; 李學 勤, 『 8 차\;;J也理簡論 』 .

의 세 인종 집단들의 정치적인 표출로 특칭지웠던 144) 명산( 丁 山)과 3 왕조 에 대하여 문화상의 차이뿐 아니라 언어상의 차이 를 부여한” 볼프람 에 버하르트 (Wol fr am Eberhard) 가 그러하다. 그렇지만 확실히 문화적인 분 류는 문화적――정치적이 아닌――차이에 관한 증거를 토대로 하여야 한다. 다음 장에서 고고학에 근거하여 논의할 것이지만 상(商)시대의 방 ( 方 ) 지역에서의 고고학 유물의 문화적 분류는 방(方)들의 정치적인 결속 관계와 일치하지 않았다. 둘째 여러 나라의 인민들이 문화적으로 유사하였을 수도 있을 뿐만 아 니라, 그 들 이 때로는 가장 찬밀한 느낌으로 관계 를 가졌을 수도 있다. 여러 다 른 나라의 구성원들은 서로간에 정규적인 결혼상대가 되었을 수 도 있 는 데, 지성( 姬姓 )인 저우(周) 왕실의 잘 알려진 결혼상대인 치양 성 ( 光姓 )이 상 (商 ) 시 대의 치양황( 光方 )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시라카와시즈 카( 白 川 靜 )에 의해 제기된 바 있다 .146) 청동기 명문에 나타난 개별적 도 상기호 들 의 분포를 살펴보면 그 분포가 정치적 경계와 일치하지 않았음 이 발견된다. 예 를 들 어 도상기호 쥐 (용)는 치산(岐山)에서 산똥(山東)으 로 그 리 고 허난( 河南 )에서 후난( 湖南 )으로 펼쳐진 지역에서 발굴된 것으 로 알려진 청동기에 나타난다.” 고대 중국의 혈족의 분할과정이 하나의 나라 안에 한 해서 진행된 것은 아니었음이 분명하다. 그러한 관 점 에서만 보다라도 나라의 경계선은 유동적이었고 나라와 나 라와의 관계는 지속적인 것이 거의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적어도 어떤 경우에는 상( 商 )왕국이 국경에 인접해 있는 토지의 일부나 소국 전체까지 를 집어삼킴으로써 영토 를 확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좋은 자료도 있다. 장정랑( 張 政 炫 )이 다음과 갇이 묘사하는 그 과정은 완전히 번역할 만하 다. 고대 중국에 있어서 지역은 광할하였으며 사회와 경제의 발전은 고 르지 않았다. 시아(夏)시대와 상(商)시대 동안에도 채집, 고기잡이 사 냥의 생활 혹은 목축생활이 잔존하는 후진지역이 많이 있었다. 그렇지 144) 丁 111. 「 rl( 三 代섭過 論 其民族文化」. 145) W . Eberhard., L okalkult ur en im Allen Chin a . 146) 「 光 族 考 」. 147) 張光直, 「i衍 / k I ,!;·銅器器形裝飾花紋與銘文綜合硏究ti}步報告」, p.2 69.

만 그때 농업경제는 그 우월성을 보여주었으며 점차적으로 주도적인 지위 를 획득했다. 상(商)시대에 농경과 수렵은 사실상 두 가지 다른 활 동이었지만 그것들은 공동으로 언덕과 늪울 태우는 일을 행하여 마침 내는 많은 사냥터가 농경지로 바뀌었다. 앞에서 인용했던 갑골문 중에 다음과 갇은 것이 있다. 계 ( 榮 )일에 〔점 을 쳐서〕 ( ) 묻습니다 : ( )이 [이름]에게 명하여 시엔허우(先 侯 )의 토지에서 새로운 〔경지] 를 개간하려고 하는 데 괜찮겠읍니까? ……오늘 시엔허우(先 侯 )[의 토지에 ] 새로운 경지 롤 개간하려고 하 는데 괜찮겠읍니까? 시엔허우(先 侯 ) 는 아마도 경계선이 인정된 자신의 토지 를 소유하였을 왕의 제후였다. 그렇지만 그때 왜 · 상(商)왕이 사람 들을 보내어 새로운 경 지 를 개간하도록 하여야 했을까? 다음의 기 록을 살 펴보자. 계사( 矣 巳)일에 접을 쳐서 뻔( 賓 )이 묻습니다: 중 인( 衆 人) ( )에 게 명하여 양황( 羊 方)으로 들어가서 새로운 경지 를 개간하려 하는데 괜찮 겠읍니까? ·… •• 양황( 羊 方)은 그들 자신의 국경 밖에 있었다. 그래서 위에서 〈……으 로 들어간다〉라고 말한 것이다. 상(商)왕국이 새로운 경지 를 개척하기 위 해서 다른 국가의 영토로 들어간 것은 약간 이상하지만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고대의 국가들은 경제가 달랐고 사회의 발전도 차이가 있 었다. 농업국가들의 인구가 증가하여 새로운 경지가 필요할 때 그들은 경작되지 않은 땅을 찾아서 밖으로 나갈 수 있었고 인접한 사냥터와 목 초지 를 농경지로 바꿀 수 있었다. 이러한 고대의 용어로 기전( 寄 lfl)이 있 는데 ……기전은 다른 나라의 새로운 땅을 경작한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상(商)의 인민들이 새로운 경지 를 개간하고 오랫동안 그것들을 경작하게 되었을 때 그들은 자연히 경작지를 양도하는 데는 신경쓰지 않게 되고 따라서 새롭게 개간된 경지는 상(商)왕의 토지의 일부가 되는 것이다. 『 맹자 』 (孟 子 ) 「등문공 하」(談文公 下)에는 『 상서 』 (尙 ; \t )에 근거하여 상

(商)왕조가 건립된 역사의 일부분을 묘사했다 : 〈탕(i .I,} )임금이 뽀( 청 )에 거 주할 때 꺼( 葛 )와 인접하여 있었는데 꺼(&. )의 백(伯)이 방종하여 제사 를 지내지 않으니 탕이 사람 을 보내 묻기 를 꽤 제사 를 지내지 않는가' 하니 꺼(慕)의 백( 伯 )이 말하기 를 ‘바칠 만한 희생이 없옵니다’라고 하여 탕 ( #J )이 소 와 양 을 보냈는데 꺼(iii.)의 백(伯)이 그것을 먹고 또 제사 를 지 내지 않으니 탕( i L }) 이 다시 사람을 보내어 묻기 를 예 제사 를 지내지 않 는가 ' 하고 묻자 꺼 (& . ) 의 백 (伯) 이 말하기 를 ‘바칠 만한 곡식 이 없읍니다' 라고 하여 탕( i易 )이 휘 ( 품 )의 인민으로 하여금 가서 밭을 갈라 하시고 늙 은이나 어린이에게 는 먹을 것을 보내니 꺼(십. )의 백(伯)이 그 인민을 거 느리 고 거 기에 있 는 술 과 밥과 기장과 벼 를 요구하여 탈취하고 바치지 않는 자 를 죽 이며 기장과 고기 를 가지고 가는 한 소년을 죽이고 이 를 빼 앗으니… … 그 소 년 을 죽였으므로 결국 이 를 정벌하였는데 사해(四海) 안 의 모든 사람 이 말 하기 를 ‘ 천하 를 차지하고자 한 것이 아니라 필부(四夫) 와 필부(四婦) 를 위하여 원수 를 갚은 것이다’라고 했다.〉 148)

148) 『 孟 -{.』 「談文公」 F.

꺼 ( 沿. ) 는 시아( .夏 )왕조의 한 제후였는데 잉 (致)성의 집단이 설립한 동 이( 東~ ) 나라였다. 그 인민들은 어로와 수렵에 종사했을 것이지만 소와 양, 기장, 벼가 부 족 했고 상(商)과는 관습, 풍속 그리고 종교적 신앙이 달랐다. 탕( i &} )은 토지의 경작 을 위해 휘( 표 )의 인민을 꺼(莫)에 보냈고 그 결과 소년을 축 인 것 을 구실로 하여 꺼( .& . ) 를 병합한 것이다. 접복기 록에 있 는 양황( 羊 方 )은 아마도 목축 을 위주로 하는 나라였을 것이다. 1 기 기 록 에 〈 새 로 운 경지 를 개척하기 위해 양황( 羊方 )으로 들어간다〉고 언 급되었고 또한 〈 양( 구i )이 5 개의 [거북 껍데기] 를 가지고 왔다〉라는 언급 도 있다. 이 기 록 은 그 당시 상( 商 )과 양황( 羊 方)이 아마도 동등한 나라 는 아니었 을 것이지만 평화 를 유지하고 있었음 을 지적해 준다. 3 기의 점 복기 록 에서 진 술 하기 를 이 해 가 을 ,……양( 羊 )에 대한 군사작전에 관하여 )에게 전 하려고 하는데 괜찮겠읍니까? …… 4 기 기록에 말하기 를 ,

( ), 묻습니다 : 양(羊)에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게 하도록 많은 (관리들)에게 명하려고 하는 데 괜찮겠읍니까? 이 마지막 기록은 우명(武丁)의 동치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양( 느t )이 더 이상 방(方)으로 언급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아마 이때 이미 상(商)왕 국의 일부가 되었던 것 같다. 이를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상(商)의 양황 (羊方)과의 관계는 우선 새로운 경지를 개간하고 군사행동을 취한 다음에 마침내는 양황(羊方)을 상(商)의 영토의 일부로 복속시킨 것으로 특징지 어진다 .1 ◄ 9) 위에 기술된 과정은 또한 역으로 되었을 가능성도 있는데 상(商)은 인 접 나라에게 영토를 잃었을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목축이 지배적인 생계 방식이었던 인접한 나라로부터의 약탈자에게 적어도 가축과 곡식을 매았 겼을 수도 있다. 다음의 우명 (武丁)시대의 명문은 잘 알려져 있다. 계사(榮巳) 일에 접을 쳐서, 꾸(故)가 묻습니다 : 그 순('i U) 동안에 액 운이 없겠읍니까? 왕이 예언하여 말했다 : 악운이 있을 것이다. 세 번 와서 해를 입힐 고난이 있을 것이다. 5 일 후 정유(丁西)날 서쪽으로부 터의 고난이 정말 가해졌다. 지무(i止成)는 두황( 土 方)이 동쪽 국경지역 에 도달하여 두 읍에 피해를 주었다고 보고했다. 꽁황( 古: 方) 또한 서쪽 국경 지역에 있는 우리의 경지에서 방목하러 왔다 .150) (그립 64) ……왕이 예언하여 말했다 : 악운이 있을 것이다. 세 번 와서 해를 가할 고난이 있을것이다. 7 일 후 기사(己巳) 날 서쪽으로부터의 재난이 정말 가해졌다. 창우쟈오(長友角)는 꽁황( 검方 )이 75 명의 [인명 피해를 내면서〕 스라이 (示菜)에 있는 우리의 경지에 방목하려고 나타났다고 보 고했다 .151) 이러한 성격의 국경분쟁은 아마도 나라 사이의 전쟁을 야기하는 주요 한 이유 가운데 하나였을 것이며 전쟁은 그밖의 다른 경제적 이유 때문 149) 張政煥 「 卜 辭哀 m 及Jtt nuu 諸 ,~1 題」, pp.1 07-108. 1:5 0 ) 羅飯玉, 『 8 ti 8\1F 契봅華 』 , No.2. 1:5 1) 위 책.

닌Bo

그림 64 土方 과 舌方 으로부터 기습을- 당한 사건이 기록되어 있는 商시대 명문의 닥본(羅振玉, 『 殷虛 ` ,'F 契꿉 · IE 』 二卷).

에도 일어났다. 갑골문에는 밀의 수확에 대한 정보가 자주 언급되어 있 는데 위싱우( 于 省 吾 )는 이러한 기록이 실제로는 일부 인접한 나라만큼 밀 울 심지 않아서 그들의 밀에 대한 수요의 일부 를 약 탈 에 의존해야만 했 던 상(商)이 국경 침략을 위하여 준비한 사전 정보였 을 것으로 믿고 있다. 152) 상(商)이 북동지역에서 치렀던 많은 전쟁은 경제적인 이유 들 이 배후에 깔려 있었을 수도 있다. 앞에서 행한 영토의 정의에서 산시 (山 西 ) 남부지 역을 빠뜨렸는데 그것은 산시(山 西 ) 남부에 있 는 정 치 집 단들 이 확실히 상(商)과의 관계에 있어서 매우 유동 적 이었 기 때 문 이다. 죽 때로는 그들 은 독립국이었던 것 같 고 다 른 때 는 상( 商) 에 복속한 제후 국으로 나타나 기도 한다. 천멍지아( 陳夢家 ) 는 비 록 저우( 周)가 실제적 으로는 산-시(陝 西)에 위치했고 취에 (雀)도 허난( 河南 ) 서부지역에 있었다고 해도 〈우명 (武丁) 통치기 동안의 산시 (山 西 ) 남부의 나 라둘 〉 로 서 저우( 周 ), 타오 ({fr) ' 취엔(犬), 촨에), 꿔 ( 9 1 i), 쉰 (' T !j ) , 지( 旨 ), 지 ( i 止 ), 취 에(雀)를 돌고 있다. 153) 그 나라들은 또한 더욱 멀리 떨어진 꽁 황 ( 둡 方 ) 과 같은 나라들과 상(商) 왕국 사이 의 〈 완충국 〉 이 기 도 했 는 데 상 (商) 의 기 록은 그 국가들과 다른 나라들과의 분쟁에 대한 많은 관십을 나타내 고 있다. 산시(山西) 남 부지방이 상(商)의 경제상의 막대한 양의 수입대상 지 역 이었다는 것도 주 목되어야만 한다. 스장 루 ( 石璋女 II), 노 엘 버나 드 와 사또타모쯔 (Noel Barnard and Sato Tamo ts u) 에 의해 작성된 1 54 ) 안양( 安 lg )으로부터 400 킬 로미터 반경 내에 있는 것으로 알려진 28 곳의 동광( 銅삼t ) 산지 중에서 13 곳이나 혹은 거의 철반이 산시(山 西 )에 있는데 주로 산시(山 西 ) 전 지역 가운데 3 분의 1 정도가 되는 납부지역에 있으며 17 곳 의 주 석광 산지중 6 곳이 산시(山西) 지방에 있다. 산시(山 西 ) 남부지역은 또한 중국 최초의 어엿한 청동기문명인 시아( );[ ) 왕조의 전설적인 기원지 (7 장 을 보라)이기 때문에 산시(山西) 남부의 풍부한 구리와 주석의 매장은 중국에서의 청동 기시대 문명의 발생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인식되어 왔던 것보다 더욱 중 요한 역할을 담당했을 것이다.

n2) 于 省 吾 「從甲 11· 文石商代 社 合性質」, p.1 04, lB) 陳夢家, 『 殷城 卜 辭 綜 述 』 , pp.2 91-298, lH) 石 璋~ n, 「 8 tf\노 (lW] 銘銅工 生 」. Noel Barnard and Sato Tomats u , Meta l lurgi ca l Remain s in A11c ie11 t Chin a .

산시(山西) 남부지역은 또한 소금생산의 중요한 중심지였다. 산시 (lll 西) 남부에 있는 시에현 (A lf.縣)의 루촌(坂村) 근처에 있는 소금 늪은 산 -시(陝西) 지방에 인접한 북중국의 핵지역에서의 유일한 소금광이며 서쪽 방면에서 안양(安陽)으로의 가장 가까운 소금 원산지였는데 안양(安 FLW) 에 서 가까운 성들인 허난(河南), 허베이 (河北), 안훼이 (安徵), 후때이 (iNl4 t ) 등지에는 소금 매장지가 1 곳도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155) 최 근에도 시에현(解縣)의 소금이 서부의 산-시(陝西)와 동부의 허난(ii Ih tj) 지방의 많은 소금 수요를 충당했다. 156)

1,,) 胡翔앓, 『全國最 近鹽場tk 』 ; 來鴻섹 『石雅』, p.1 a,. 1,6) 黃칸軌 『 中國鑛産』, p.1 1 .

산시(山西) 남부지역이 상(商)에게는 구리와 주석, 소금의 주요한 공급 처였다면 산시(山西) 남부의 나라들이 북쪽과 서쪽 방면의 이방국과 상 (商)의 상호작용에 있어서도 그러한 활동적인 역할을 담당했는지에 대해 서는 약간의 의문이 남게 된다. 타이항(太行) 산맥 (죽 산시山西 납부)의 서쪽에 있 는 나라들의 충성정도가 상(商)시대 후기에 저우(J kI) 와 상(商) 의 홍기와 멸망의 중요한 요인이었다는 천멍지아(陳夢家)의 관찰은“ 이 러한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닐 수도 있다.

lH) 陳夢家 『 殷城 卜 辭綜述』, p.3 12.

이유야 어떠하든 나라와 나라의 역학 관계에 있어서 긴장상태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었으며, 전쟁은 끊임없이 일어나지는 않았지만 그럼에도 불 구하고 그것이 점복기록에서 중요한 기사였다는 것은 자신있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우리는 전쟁의 결과로서 포로를 획득했고 그 포로 가 때로는 전쟁 발발의 자국제가 되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위성우(于省 吾)는 또한 일부의 기록이 전장에서 적의 인명 피해의 숫자를 언급한 것 으로 믿었는데 그 가운데 맞부딪친 한 전무에서의 사상자는 2,6% 명이었 다. 158) 성공적인 전쟁의 결과로 적의 우두머리는 보통 살해되었고 그들의 머리는 전승 기념품으로 간주되었다. 후허우쉬엔(胡厚立)은 그간 발견된 명문이 있는 사람의 두개골 조각 11 개를 열거했다 .159) 물론 띠신(帝辛)에 게도 그의 도읍이 저우(周)의 군대에 의해 함락된 후 똑갇은 운명이 찾아 왔다.

D8) 「從甲ft文看商代社合性質」, p.1 11. 1,9) 胡JI/. n, 「中園奴갔社合的人狗和人祭」, p.6 0. 63.

이방국과 상(商)에 복속된 제후국들이 어떤 상황 하에서는 상호 교체될 수 있는 실체들이었기 때문에 키이룰리 (David N. Ke ig h t le y)에 의해 상 (商)왕국 내부의 밀착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시되었던 나라별 점수의 기준은 적어도 전쟁이 빈번하지 않았던 기간 동안에는 이방국과 이방국 의 관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왕은 이방국이나 자신의 제후국에 대해 접 을 쳤던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러한 점복은 그들이 화가 없기를 바라는 〈무화(無禍)〉와 왕의 직무에 대한 그들의 활동인 고왕사(固王事) 그리고 그들의 상(商)왕국 영토로의 유입과 상(商)나라 사람들이 그들의 영토로 들어가는 문제에 관련된 것이었다.

제 2 편 얀양(安陽) 이외의 상(商)시대의 역사

5 정저우(鄭州) 안양( 安腸 )은 풍부한 고고학 유적을 산출하였을 뿐만 아니라 상(商)나 라 사람 들 의 접 촉 이 미쳤던 안양(安陽) 이의의 세계상을 묘사하는 데에 도움 을 주기에 충분한 기록자료가 출토된 유일한 상(商)문화의 유적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안양은 상(商)시대의 역사 서술에 있어서 매우 중요 한 의미 를 가지고 있다. 그러면 그 자체의 유물로부터 나타난 세계는 어 떠한가? 지난 30 년 사이의 상(商)의 고고학 성과로부터 그 세계상에 관 한 약간의 실재 자료 를 얻어내기 시작하였으며, 안양(安陽) 이의의 가장 중요한 유적 ―—아직까지 중요한 유적 ――은 1950 년에 정저우(鄭州)에 서 발견되었다. l 상(商)문명의 얼리깡(二里岡)단계 안양(安陽)으로부터 남쪽으로 1,0 킬로미터 떨어진 후앙하(黃j nI) 의 바로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정저우(鄭州)는 인구가 100 만 이상인 번잡한 도시 이며 1954 년 이후부터 허난성 (i n J南省)의 성도(省都)이다. 그 도시의 중요 성은 부분적으로는 그 도시의 위치의 중요성을 반영한다. 중국 복부는

서부고원과 동부평원으로 나누어진다. 후앙하( 黃 河)는 허난성 (河南省) 북 부의 서부 황토고원에서 흘러나와서 지금까지 수로 를 여러 번 바꾸면서 동부평원으로 흘러들어갔다. 정저우( 鄭 州)는 후앙하( 黃 河)가 고원으로부 터 흘러나오는 출구 죽 서부와 동부의 합치점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정저우(鄭州)는 또한 전국을 하나는 북에서 남으로( 베 이칭北 京 -광똥廣束 사이의 철로) 다른 하나는· 서에서 동으로(란저우 蘭 州-리엔윈連 線 사이의 철 로) 가로지르는 중국의 두 주요 철로의 교차점에 있다. 중심부에 동서로 약 1.5 킬로미터 남북으로 약 1 킬로미터의 옛성터가 있 는 현 도시는 3 개의 작은 강-진수( 金 水) • 지아루하( 賈 {仰河) • 슝얼강 (熊兒江) ―一 - 으로 배수되는 평지에 위치하며 그 강 들 의 시원은 쏭산(r.t 山)의 동부 종착지인 정저우(鄭州)의 서부와 남서부에 이르는 바위 구릉 이다. 이곳에서 발견된 상(商)시대 도시의 유 물 의 분포 범위 ― -1950 년 가을에 옛 성읍으로부터 남동쪽으로 1 킬로미터 떨 어진 작은 언덕인 얼리 깡( 二里 岡)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__- 는 옛 성읍보다 훨씬 넓은 지금 의 도시 지역과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 책 의 서두에서 이미 고고학 발굴의 역사 를 약술하였으므로 몇 가지 문 제 접을 재론할 필요는 없으며 여기에서는 추정된 연대에 따라서 상( 商 )문화의 유물을 토대로 기 술해 나갈 것이다. 그런데 이곳의 상(商)시대의 도시는 현 주거지의 바로 아래층에 묻혀 있기 때문에 (안양 安 lJ ,} 의 상商 문 화 유 물 이 밀발과 목화받 아래 에 묻혀 있는 경우와는 다르다) 이곳에서의 고고학 발굴 작업은 매우 힘들 고도 더디었으며 따라서 상(商)문화의 유적에 관한 지식이 아직까지는 단 편적이라는 사실을 덧붙여 둔다. 선사시대와 초기 역사시대의 여러 문화단계의 유물이 1950 년 이후로 정저우(鄭州)에서 발견되어 왔지만 이제 우리가 다룰 문화단계는 얼리깡 ( 二里 岡) 유적으로 특징지워지며 따라서 얼리깡( 二里 岡) 단계로 부르게 된다. 그런데 우선 이 문화단계의 주요 특징이 무엇이며 왜 그것을 상 (商)문화의 범주에 포함시키는가를 설명할 것이다. 얼리깡( 二 里岡) 단계 가 안양(安陽)의 왕조시기보다 이르다는 것은 일반적 견해이며 그렇게 분 류하는 이유는 다음의 설명에 의해 분명해질 것이다. 1 얼리깡(二 里 岡) 단계의 상(商)문화 유물 가운데 가장 풍부하고 특칭 적인 유물은 회색질그릇이다. 이것은 입자가 찰은 진흙이나 모래질의 진 흙을 재료로 하였으며 손으로 제작한 것도 있지만 흔히 틀에 넣고 만든

a c

b d e g 그림 65 二里 l 明]段階 질그릇의 주요 유형. a-M, b-~ . C 一 1~, d _ !&, e- 盆, f-.lis., g-.tt.

후 물레로 마감하였고 꼬은줄무늬로 장식하였는데 주로 실용의 목적에 사용되었던 것이다. 가장 일반적이거나 특징적인 질그릇의 유형으로는 발이 길고 뾰족하며 발의 속이 빈 리( 薛 ―세발 솥 )와 입이 크고 벌어진 대 형의 준(효_술잔), 밀이 편편하고 둥근 훤(盆―자배기)과 판(羅-단지)을 둘 수 있다(그립 65). 또한 맨 윗부분이 붙어 있거나 떨어져 있는 질그릇 솥(炫들-이세 발있솥)는 데• 떠명우 ((사 豆 1} - 一세굽발보솥시)기 )• 쥐등에의 ( 爵형― 술태 잔를) •갖 지추아 고( 先있-다 세.발 ”술 통위)에 서• 꿰 이든 모든 질그릇 유형은 안양(安µ;})의 샤오 문 (小屯)에서 발견된 왕조시기의 회색질그릇 형태와 유사하며 따라서 그 것 의 앞선 형태로 간주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얼리깡( 二里岡 ) 단계의 질그릇 과 유사 한 질 그릇은 안양 (安閣) 지역의 동남부에 있는 메이위엔창(서 1j. 1 & hI E) 에서 확인되었다. 그 밖의 질그릇제품으로는 붉은색 질그릇 과 거친 질그릇 , 유약칠을 한 질그릇이 있다. 거친 질그 릇 은 흔 히 기하형 무늬가 새 겨져 있으며 그것은 창강(長江) 하류와 남동해안 지대의 이 른 바 기하형무늬질그릇 과 유사하 다 .2) 유약은 황록색이었으며 돗자리 무 늬와 바 구 니 무늬 가 새겨져 있는 갇 색질그릇이나 회색질그릇에 칠하여져 있었 다 . 3) 이 두 종류 의 질그릇은 매우 드물게 보이는 것이지만 그 지역에서의 수준 높은 질그릇 을 대표한 다. 안양(安陽)의 흰색질그릇과 유사한 것이 발굴 결 과보 고 서에 언급되었 지만° 그것에 관하여 충분히 설명되지는 않았다. 2 얼리깡( 二 里岡) 단계에서의 돌제품 • 뼈제품 • 뿔제품의 제조공업은 형 태상으로는 안양(安µ사)의 것과 유사한 공구와 도구 를 특 징으로 한다. 3 얼리깡(二里岡)단계의 청동제품은 매우 특 칭적이다(그립 66). 청동제 기(祭器)는 그 수량이 극히 적었고 대부분이 묘에서 발견되었지만 5) 그것 1) KKHCK, 『 鄭州二里岡] 』 , pp.1 6-30. ; 安志敏 「 一 J L 1i二 年秋李鄭州二里|대 發堀記」. 2) WW, 「江西地區限商器何形拍印紋樣綜述」. 3) Clarence Shang row , Early Chin e se Cerami cs and Ki lns ; KK . r 鄭f H rli 銘功路西 OI i)的兩座商代墓」, p.'.5 0 3. 4) 安金楓 「鄭州地區的古代迫存介紹」, p.1 9 : 「試 論 鄭州商代城 h t _ 附 都」, p.7 8. ') WW, 「鄭州市白家 HE 商f\.,. 袋葬發堀簡報」 ; KK, 「鄭州市銘功路西I)的兩座商 代墓」 : WW, 「鄭州新出土的商{대關)大銅 MI i」.

그립 66 鄭州의 二里岡段階의 유적에서 발굴된 청동그릇의 주요 유

형 (Commi ttee of the Exhib i t ion of A rchaeolog ica l Fin d s in the Peopl e 's Rep u bli c o f C hin a , Tlze Exhib i t ion of Arc/U Je o- log ica l Fin d s in 賊 Peop le' s Repu b lic of Chin a ).

의 주조방식과 형태는 안양(安 l L} ) 의 것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그것은 안 양(安腸)의 것보다는 두께가 얇고 가벼웠으며 양식에 있어서는 안양(安 µ상)의 것과 같이 동물주제를 특칭으로 하는 전동을 따랐지만 보다 단순 하였다. 장식은 대개 몸체 를 두르는 넓은 띠모양의 부분에 한정되어 있 었으며 동물도안은 배경을 이루고 있는 나선형무늬와 분리되어 있지 않 았다 .6) 막스 로우얼 (Max Loehr) 의 용어에 따 르면 양식 I -매은 이 얼리 깡( 二里 I M J) 단계의 청동기에서 찾을 수 있지만 양식 I\ ' 와 V 는 찾을 수 없 다. 이 단계의 청동무기에서 도상기호들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글자가 새 겨져 있는 청동그릇이 있다고 할 수 없음 은 물론 이다 . 7) 얼리깡( 二里岡 )의 청동기는 여러가지 이유 때문에 상(商)문명의 연구에 있어서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막스 로우얼 (Max Loehr) 이 제시한 청 동기 양식의 진화체계에 맞추어 보면 얼리깡( 二 l1! I 페)의 청동기의 양식은 안양(安腸)의 왕조시기의 양식 W 와 V 의 앞선 형태로 나타나는데, 문제가 되고 있는 샤오툰(小屯)의 청동기의 연대는 거의 전적으로 청동기의 유형 에만 근거하여 〈왕조 이전 시기 〉로 추정하였지만 샤오문(小屯)의 왕조 이 전 시기의 4 자리의 묘에서 발견된 그 청동기 들 이 얼리깡( 二 里岡)의 것과 유사하였던 것은 일찌기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얼리깡( 二 里岡 ])단계가 샤 오툰(小屯) • 시베이깡(西~ti패)단계보다 시대가 앞선다고 믿어지는 다른 이유들이 있고 따라서 얼리깡( 二 里 1 패)의 청동그릇은, 중국고고학에 있어 서 그 계통과 초기 발달의 역사가 오래동안 난제로 남아 있었던 안양(安 陽) 청동기보다 앞선 형태로 볼 수 있는 광범위한 청동제기 집단을 제공 하여 준다 .8) 얼리깡( 二里岡 )의 청동기가 안양(安 腸 )의 앞선 형태였을 수 는 있지만 원시적인 형태는 아니며 그것이 정저우( 鄭州) 에서의 상충의 사 회계급의 존재를 충분히 입증하여 주기 때문에 그것은 상(商)나라 사람들 의 예술•생산기술 및 정치의 역사 를 연구하는 데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4 청동기 집단 외에도 얼리깡( 二里岡 )단계에서의 복잡한 사회구조와 계 충분화를 지적하여 주는 주요 득징이 있다. 얼리깡( 二里岡 )의 상(商)문화 유적을 특정짓는 흙을 다져서 쌓은 성벽은 각면의 길이가 1690-1870 미터 6) }.!t r 써, 「從jiiJil-i鄭 1 사 /h : I:(I 에 m Jjijj Ul? ;•銅器說起」, p.6 . 7s)) A}‘V.r 써C의. S o윗p e글 r,에 서Ea r거ly북, M 모i d양d l의e, a상nd징 L기at호e 를Sh a참n조g. : A Note .

이며 둘레가 거의 7 킬로미터인 사각형을 이루고 있었다. 항토(芬土)식의 신축기법은 안양( 安腸 )의 가옥기초와 흙을 다져 묘 를 채운 흔적을 동해서 찰 알려져 있지만 안양( 安 FL } )에서 아직까지 상(商)시대의 흙성벽이 발견 된 적은 없다. 항토기법으로 축조된 성벽은 중국사의 모든 시대에 걸쳐 중국북부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특칭이었으며 얼리깡( 二里 岡)의 성벽의 선례로 볼 수 있는 유사한 성벽이 산똥성 (山東省) 청쯔야이 (城子ill) • 허난 성 ( 河南省 ) 안양( 安殿 ) 허우깡( 後區 ])의J O) 몽산(龍山)문화 부락과 산시성 (山 西 省) 시아 현(夏縣 ) II) 의 얼리터우( 二里頭 )문화의 성읍 유적에서 발견되었 는데 얼 리깡( 二 里岡) 의 성벽은 가장 이른 성벽둘 가운데 하나였다 (7 장 참 조). 정저우(鄭州) 얼리깡( 二里區] )의 성벽은 건축기법상에서도 중요한 의 미 를 가지고 있 지 만 그것 은 대규모의 공공사업으로서 ,1 2 ) 그리고 방위용 건 축물로서 그 내 부 의 복 잡한 사회상 을 민감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성터 내 부의 북동부 에 는 큰 기등구멍이 길게 열을 이루고 있는 항토기 법의 대 형의 건물 기 초 로 특 징지워지는 얼리깡(二 里 岡) 단계의 거주지역이 있었 는 데 아마도 이 것은 궁궐 규모의 주거지의 유적이었던 것 갇다 .13) 이 유 물 에 대 해서는 다음 절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얼리 깡( 二 里福 ] ) 단 계의 정저우( 鄭 州)가 사회 내의 계충분화가 뚜렷하였고 정치 적으로 매우 중요하였 을 상(商)시대의 성읍이었다는 전술을 더욱 뒷 받침하기 위해서 언급해 둘 것이다. 그러면 상(商)시대에 얼리깡( 二里 岡)단계의 정저우(鄭州)는 어느 정도의 중요성 을 가지고 있었겠 는 가? 단지 중요한 읍 정도였을까? 아니면 대 읍( 大邑 ) , 심지어는 도읍이었 을 까? 앞에서 말한 청동기에 있는 도상기호 이외에도 그 중요성에 대하여 단서 를 제공하여 주는 2 가지의 문자 기록 에 남아 있다. 그 중 하나 는 질그릇제작자가 표시한 기호들로 이루어졌 는데 주로 대형 용기의 밖으로 벌어진 테두리의 내부에 표시되었으며 m 9) t I J析 4F • 李濟 외 , 『 城 子 l t』 . 10) 石璋 kII, 「河 南 安勘後 區] (I:J O l!: 검£ 」. 11) 胡厚 宣 과의 개인적인 의견교환에서 얻어진 그의 견해, 1978 년. 12) 安 金 楓 「試 論鄭 州商{t h&h I: 一 一 限都」. 13) WW, 「 鄭 州商代城址 試堀 禪」, pp.2 5 -27. 14) KKHCK, 『鄭 州 二李協] 』 , p.1 7 ; 安志,iX, 「 一 J L Ii. 二年秋 李 鄭州 二 李岡發攝 ,i c 」 p.7 7 ; KKHP, 「 鄭 州 W -j掛斑商距g h I: (n 發陶 p.8 3.

M .«.’

\

그림 67 鄭}脂 l 의 二里個]의 유적에서 발견된 갈비뼈 위에 새겨진 명 문 (KKHCK, 『鄭州二里岡』, p. 38).

다른 하나는 3 개의 뼈 (갈비뼈 1 개, 다리뼈 1 개, 뼈조각 1 개)에 새겨진 명문 이었다 .15) 3 개의 뼈 가운데 2 개에는 문자가 각각 1 개씩 있었으며 다른 1 개의 갈비뼈에는 10 개의 문자가 있었는데 (그립 67) 그 문자 중에는 정 (tl, “묻다를 의미한다), 양(羊, 동물이름 또는 국명을 의미한다), 수(受, 받다를 의미한다) 그리고 토(土, 땅을 의미한다) 등이 포함되어 있었 다. 16) 천명지아(陳夢家)는 문자가 새겨진 뼈는 문자를 새기는 관습의 결 과였으며 그 문자는 상(商)시대 후기의 서체로 보인다고 주장하였다 .17) 그런데 그 뼈의 원제품을 구해서 검토할 수도 없고 그 출판된 복제품도 문자가 분명치 않기 때문에 그 문자들에 대해서 성립이 가능한 어떤 의 미를 제시하고자 하는 학자가 있다 하여도 그것의 의미(또는 천멍지아陳夢 15) 陳夢家 『殷溫 卜 辭綜述』, p.2 7. 16) KKHCK, 『鄭州二里岡』, p.3 8. 17) 陳夢丞 『殷猿 卜 辭綜述』 ; 李學勤, 「談安陽小屯以外出土的有字甲骨J, p. 17

家가 그것을 소유하고 있을 것이기 때문에 의미상의 결여라든지)에 관해서는 천멍지아(陳夢 家 )의 말을 믿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 문자를 상(商)시대 후기의 것으로 보는 견해는 심각한 오류이다. 문자가 새겨진 갈비뼈는, 비록 그 정확한 충위가 밝혀지지 않았지만, 얼리깡(二 !!UM J)에 서 발견되었다. 그리고 얼리깡(二里岡)에서는 얼리깡(二Jl!fill))단계보다 연 대가 늦은 것으로 추정되는 고고학 유물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 갈비뼈를 얼리깡(二 里 岡) 문화의 필요불가결한 부분으로서, 다시 말하면 샤오문(小屯)의 왕조 이전의 상(商)시대에 해당하는 시기의 유물로서 간 주하지 못할 이유란 하나도 없다. 이러한 문제들은 모두 매우 중요한 것 들인데 왜냐하면 문제의 뼈의 연대가 얼리깡(二里岡)단계였음이 확실하다 면 그리고 그것의 명문이 공식적인 접복행위 (貞)에 관련된 복사( 卜급우)로 이루어진 것이었다면 얼리깡(二里岡)단계의 정저우(鄭州)는 상(商)왕조의 도읍이었을 가능성이 더욱 커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 책의 서두에서 기술하였듯이 문헌의 기록에 따르면 탕(iij)의 도읍인 휘 ( 홍 ) 다음의 상(商)왕조의 두번째 도읍은 샤오(i{) 또는 아오(殿)였는 데 이곳은 허탄지아(河뾰甲)가 샹(相)으로 천도하기까지 26 년 동안 종명 (仲丁)과 와이런(外壬)의 도읍이었다고 한다. 탕란(唐蘭)의 말에 의하면 샤오( i{ )읍 또는 아오 (Fk) 읍은 정저우(鄭州) 지역에 위치하였다고 한다. (6 세기의 데이웨이北魏시대의) 리따오위엔(鄭道元)의 『수경주』 (7k 經注) 「지수」( 濟 水)조에 의하면 〈지수(濟水)는 아오산(微山)의 동쪽으로 흐르 며 …… 아오산 ('k 山)에는 성읍이 있는데 그곳은 종명 (f 1l1 丁)이 천도하 였던 곳이다〉라고 한다. 뻬이웨이(北魏)시대에 남아 있던 이러한 상 (商)시대의 옛 읍은 대체로 지금의 정저우(鄭州) 지역에 위치하고 있었 다……. 문헌의 자료에서 상(商)의 도읍인 아오(殿)는 구릉지대에 위치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말을 처음으로 한 사람은 후앙후미(.Q. ' 1 1ili)였는데 그는 〈어떤 사람들은 아오(澈)를 허난(iiiJ南)의 아오창(放介)으로 본다〉라고 말하였다. ·'… •• 역사상으로 불 때 지금의 정저우시 (鄭州 ,I i)는 저우 (1 t l) 시대 초에 판수(管叔)가 분봉된 판(管)으로 불 수 있다 .•• …·이제 우리 는 종명(仲丁)이 도읍한 아오(激)가 아오산(激山)의 명칭에 따라 아오 (殿) 불리우게 되었으며 또한 인쉬(殷城)라는 말이 역사상으로는 차오

(趙)국을 포함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아오 (l 放)도 그 지역의 동쪽에 있는 판(管)의 유적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8) 탕란 (I Jt蘭)아 상(商)시대의 도읍인 아오(淑) 지역을 넓게 잡아서 그 지 역에 얼리깡( 二 里 1 패)단계의 성터를 포함시켰는데 이것은 우리가 안양(安 '냐)지역에 관련하여 도읍지역을 넓게 잡은 것에 비추어 볼 때 매우 타당 한 것이다. 그리고 단편적이며 다소 상충이 되는 문헌의 자료를 근거로 한 그 이상의 구체적이며 정확한 확인아란 비생산적이며 불필요할 것이 다. 최근에 쩌우헝(t那衡)은 매우 이례적인 견해 롤 제출하였는데 그것은 정저우(鄭州)의 상(商)시대 성읍을 상(商)의 최초의 도읍인 탕(湯)의 휘 璋)로 보는 견해이다 .19) 그러나 정저우(鄭州) 지역에는 이 견해를 뒷받 침할 만한 상(商)의 도읍인 며 ( 珪 )에 관한 기록상의 전설이 전혀 없다. 그리고 휘(풍)의 위치에 대하여 역사상으로 많은 고증이 행하여졌지만 그 가운데 어떤 것도 정저우(鄭州)지역을 미( ![:, )와 관련짓지 않았다. 단지 이 견해에 부합되는 유일한 것은 얼리깡( 二 里岡)단계의 성읍이 규모가 컸 울 뿐만 아니라 상당한 기간 동안 존속하였다는 사실일 것이다. 아오 ('k) 는 불과 26 년 동안의 도읍이었지만 휘( 是 )는 183 년 동안의 9 세대의 왕들 ―똥쭤뻔( f t泊作賓)의 연대편년에 20) 따르면 一― 2 의 도읍이었다. 얼리깡( 二 里 1 패)단계의 성읍이 과연 상(商)의 도읍이었는지 그리고 그렇 다면 그것을 문헌상의 역사에서 알려져 있는 도읍 둘 가운데 어느 도읍으 로 보아야 하는지는 앞으로 새로이 추가될 증거, 가능하다면 특히 문헌 의 증거를 토대로 하여 연구해야 할 주제이다. 그러나 두 가지 점에 대 에서는 큰 의문이 없을 것 같다. 첫째는 얼리깡( 二里 岡)의 성읍이 상(商) 왕조의 일부였다는 점이며, 둘째는 성읍의 주요 거주시기 ― ―-얼리깡(二 里岡)단계 ___ 는 안양(安腸)보다 빨랐다는 점이다. 어떠한 고고학적 발견을 〈상(商)〉으로 명명하는 일은 새로운 발견을 안 양(安陽)의 전형 유적과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겉으로 보기에는 간단한 작 업같이 보인다. 그러나 그 작업은 상(商)에 관한 고정된 인식을 시간상으 18) 「從i I J IW 鄭 1H ill土的商ftijijj UI l f銅器 ,1 炎起」, pp.7 -8 ; 安金棟, 「試論鄭州商代 城 h t __- t 放都」 : 홉 lj 啓益 「',!t KI i' 質疑」. 19) 鄒衡, 「鄭州商城 Ul i냐 HI 풍,沈」. 20) 『 O lt l tf淸』, 上編 卷 4.

로나 공간상으로나 확산시키고 있는 광범위한 발굴 성과에 의해 점차로 어렵고 불확실하여지고 있다. 공간적인 의미에서 상(商)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유물이 발견된 지역은――북쪽의 랴오닝(遼\忠)으로부터 남쪽의 허난(河 南 )남부까지 그리고 서쪽의 산-시 (陝西)로부터 동쪽의 태평양연안 까지 이르는 ― —상(商)왕조가 직접 통치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넉넉하게 추산된 __- 영토보다 범위가 훨씬 넓다. 따라서 상(商)이 라는 말은 문명의 양식과 시대 물 모두 표시하는 넓은 의미 를 지니고 있 다. 그러나 시간적인 관계에 있어서 중국고대의 문명의 발전은――:적어 도 3 대 (세 왕 조 시아JiL • 상商 • 저우周) 동안의 __서 분견속성보다는 연속성 울 특정으로 하는 것으로 보인다. 저우(周)시대의 사람들은 이 사실을 오 래전에 인식하고 있었다. 죽 『 예기 ( ijfl: i c) 』 에는 〈 3 대 ( 三 代)의 예법은 하나 이다 〉 라 는 기 록 이 있고 『 논어 ( 論語 ) 』 에는 〈인 (8 t)은 시아(又)의 예법을 따 랐는데 그것 에다 대거나 더한 것을 알 수 있다. 저우(J L1) 는 인(it)의 예 법을 따랐는데 그것에다 빼거나 더한 것을 알 수 있다〉라는 기록이 있다. 상(商)문명은 위로는 시아(夏)로 아래로는 저우(周)로 확대되며 따라서 그 발단은 단순한 정치적 사건이었던 데에 비해 문화와 사회의 전화는 연속하였던 것이다. 우리가 중국북부의 어느 곳에서 하나의 유적을 발견 한다면 문 화의 특징만을 근거로 하여 그 유적을 시아(夏) • 상(商) • 저우 (周) 가운데 어느 것에 속하는 것으로 간단히 분류할 수 없음을 알게 될 것이다. 이 점에 대해서는 나중에 우리가 중국고대 를 전체적으로 검토하여 시 아(Jil) • 상(商) • 저우(周)의 각각의 고고학적 특징을 기술할 때에 다시 논의할 것이다. 확실히 그와 같은 관계에서 얼리깡(二里岡)단계는 상 (1 1li) 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믿을 수 있는 기준은 시간과 공간의 기준이다. 우리가 말하는 이러한 기준이란, 정저우(鄭州)의 얼리 깡( 二 里岡)단계는 상(商)의 전동적인 영토의 중십부에 자리잡고 있었으며 이 지역에 남아 있는 종명(i 1l1 丁)의 도읍인 아오 (I:h) 에 관한 민속 전통에 의해 뒷받침되는 고고학 증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대상에 있어서 얼리깡(二里岡)단계는 전동적인 상(商)왕조시기의 전반기 내에 위 치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해서 혹자는 문헌과 민속의 전승이 크게 강조된 점을 지적할 것이다. 그러나 종합적인 접근방법 _순전한 고고 학적인 방법 이외의 __ 울 이용하여 연구한다면 모르지만 당시의 증거

가 결정적이지 못할 때에는 이것은 불가피한 것이다. 얼리깡( 二里 岡)단계의 연대는 여러 가지의 근거 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 을 것이다. 먼저 얼리깡( 二里 岡)단계의 정저우(鄭州)의 성벽으로부터 얻 어낸 2 개의 방사성탄소측정연대의 수치 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21) ZK-177 3215 士 90B.P. (수정연대 서기전 1560 土 160} ZK-178 3235 士 90B . P. (수정연대 서기전 1590 土 160) 두 연대는 모두 상(商)왕조 통치기간의 전반부의 범위 내에 둘어온다. 나중에 제 7 장에서 상(商)문명의 절대연대 편년에 대한 문제 를 전반적으로 논의하겠지만 일단 여기에서 분명히 말해 둘 것은 이 방사성탄소측정연 대들이 속하는 연대상의 부분은 안양(安 腸 ) 샤오툰(小屯)의 왕조시기보다 대체로 이르다는 사실이다. 얼리깡( 二里 岡)단계가 안양( 安 閣)의 왕조시기보다 연대상으로 앞선다는 사실은 연대추정에 관계되는 모든 주요 지역에서 도 뒷받침된다. 충위상 에서 얼리깡( 二里 岡)단계는 정저우( 鄭 州)의 상(商)시대 말기 단계의 아래 충에 있는데 이 말기 단계는 유형상으로 왕조기의 샤오 툰 (小屯)에 해당하 는 인민공원(人民公 關 )단계이다 . 2 2) 제품의 유형에 있어서 특 히 청동그릇 과 질그릇에 관련해서 얼리깡( 二 里 岡)은 왕조기의 샤오 툰 (小屯)과 허난롱 산(河南龍山)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이 정도의 설명으로 그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2 얼리깡(二里岡)단계에서의 정저우(鄭州)의 상(商)시대 도시 정저우(鄭州)의 상(商)시대 도시는 규모와 개념에 있어서 안양(安陽)의 상(商)시대 도시와 유사하였다. 진수(金水)와 슝얼강(熊兒江)으로 배수되 2212)) W)iWi社, 「「鄭破} 卜- I1 r4l i ifJlll l jl:il定liil年'l:代itl:和:lt中l!lt國f I 싸史係前介考 紹古學 」 」: m, p.2 2「9.試 따 鄭州新發現的殷商文化 迫j_Jt」.

... 보기 - 商 Ir8 ft의 성벽 _옛 성벽 翼 유적 ~ 청동기 제작소 -O -뼈제품- 제작소 •질그릇가마 D 궁궐기초 0 500M 그립 68 鄭州의 商시대 고고학 유적.

는 약 25 평방킬로미터의 지역에서 많은 상(商)시대 (얼리깡二里岡 단계)의 능취별락둘로이 세 분조된직 망성을터 형주성위하의였 는많데은 취그락 조둘직로망 이은루 어거졌대다한( 그규립모 의68 ).성 터성터와 기내 부지역은 현재의 정저우시(鄭州市)와 겹쳐 있기 때문에 완전히 발굴되지 는 않았지만 그것은 안양(安陽)의 상(商)시대 도시의 조직망 내의 샤오룬 (小屯)과 시뻬이깡(西~t岡)에 상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성터 1955 년에 처음으로 발견되어 1956-73 년에 걸쳐서 발굴된 상(商)시대의 흙성벽 23) 은 사방의 길이가 약 7 킬로미터이며 성벽의 북면이 구부러진 두 박한 사각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4 면의 길이는 각각 북쪽벽 이 1,690 미터, 동쪽벽과 남쪽벽이 1,700 미터 그리고 서쪽벽이 1,870 미터 였다. 성벽은 부분적으로는 지금도 드러나 있지만 대부분은 아직까지 지 표 아래에 묻혀 있다. 성벽을 따라 11 개의 톰이 있는데 적어도 그 중 일 부는 원래의 성문의 유물일 것으로 보인다. 성벽은 항토(杏 土 )식으로 축조되었는데 그것은 성벽의 양옆에 널판을 세우고 널판 사이에 흙을 채운 다음에 무거운 기구로 충충이 흙을 다져 서 쌓는 건축기법이다. 각총마다의 두께는 대부분이 8-10 센티미터이며 간혹 그 중에는 두께가 3 센티미터 정도로 얇은 충 이나 20 센티미터 정도 로 두꺼운 충도 있었다. 각충의 위 표면(그 위 충을 제 거하였 을 때)에는 조 밀하게 배치된, 밀이 둥글고 뾰족한 원형의 구멍 들 (지 름 이 2-4 센티미터 깊 이가 1-2 센티미터)이 나타난다(그립 69). 성벽의 횡단면은 4 변이 평행을 이루지 않는 부등변 사변형이었다. 횡단면 을 보면 중간총들은 수평을 이 루고 있는데 비해 위와 아래의 양끝의 충들은 밖으로 기대어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중간충들(길이가 약 2 . 5-3 . 3 미터 너비가 약 0 . 15-0 . 3 미터인 널판 사이에 흙을 넣고 다졌으며 성벽의 안쪽부터 바깥쪽까지의 길이 축 너비는 약 10.5 미터였다)은 성벽의 주요 몸체를 이루었으며 길이가 약 3.8 미터인 부 분들로 축조되었다. 성벽을 보강하기 위하여 성벽 안밖의 기초에 흙을 다져서 약 5 미터 너비의 경사전 충이 안팎의 기초에 형성되었다. 이 보 강된 기초 위표면에는 자갈이 한충 깔려 있었다. 성벽의 높이는 전체적 으로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의 일부분들 가운데 가장 높은 것은 기초에서부터 9.10 미터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벽이 처음으로 발견되었을 때는 그 개략만이 보고되었으므로) 그 23) WW, 「鄭州商代城址試堀簡報」 ; 安金棟, 「試 論 鄭州商代競 一 BU 都」 : WW, 「鄭州商聖迫址內發現商代芳土갚基和奴隸頭ft」. 24) 安金棟, 윗 글.

그림 69 鄭'附 1 의 商시대 성벽의 부분 (197' 년에 펀자가 찍은 사진).

성벽의 정확한 연대에 관해서 많은 의문이 일어났다 .25) 그 후에 그 성벽 을 따라서 광범위한 조사 를 진행함으로써 몇 가지 사실이 밝혀졌다. 그 것들은 성벽이 얼리깡( 二里 岡) 이전의 단계들의 주거충 위에 축조되었다 는 사실과 얼리깡( 二里 岡)과 그 이후 단계의 주거흔적, 묘지, 부스러기 등이 성벽 안으로 침투해 있었으며 이것은 그 성벽이 얼리깡(二里岡)단계 의 거주시기의 초기에 완성되었을 가능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이었다 .26)

25) 安,넓放 「關 于 鄭 #l ‘商城 的幾個|~Jilli」 ; 劉啓益 「맙 k 郡 質疑」. 26) WW, 「鄭州商代城 h t試堀簡報」, pp.2 3 -24,

성벽의 내부에서는 여러 종류의 유물들이 흩어져 있는 채로 발견되었 다. 그 가운데 가장 주목할 만한 유물은 1974 년에 발굴된 성터의 북동지 역에 있는 한 무리의 항토식의 건물기초들이었다. 그 가운데 하나의 ?1 다란 주거바닥은 남아 있는 부분이 남북으로 34 미터 동서로 10.2 미터의 사각형인데 그것은 항토식의 건축기법으로 만 들 어졌으며 7 줄의 기둥이 다소 정연하게 배열된 흔적이 있었다. 그리고 그 바닥은 남북으로 이어 진 도랑에 의해 갈라졌는데 그 도랑 안에 잡다한 쓰레기와 많은 사람의 두개골이 버려져 있었으며 일부의 두개골은 반으로 갈려져 있었다. (그립 70} 두개골의 대부분아 젊은 성인 남자의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 전 체는 정치 • 제사에 있어서 어느 정도 중요한 의미 를 지닌 건축물 집단의 일부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 밖의 성터 내부 지역은 여러 곳에서 진행된 시험 발굴에 의해서만 알 수 있었다. 성터 내부의 북동부 • 북서부의 구석지역에서는 많은 주거 바닥둘이 발견되었는데 그 가운데 보존상태가 비교적 좋은 일부의 바닥 둘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을 이루고 있었고 입자가 잘은 황색 진흙이 나 흰 석회진흙 한충을 바른 뒤에 닦아서 광을 내었으며 그 중에 어떤 바닥들에는 벽의 기초가 남아 있었다. 일부의 가옥들은 남쪽벽에 출입구 가 하나 있으며 북쪽 내벽의 중앙에 흙으로 쌓은 제단이 기대어 있었다. 질그릇조각과 조가비연장, 돌연장, 뼈연장, 점뼈 등을 포함하는 폐물이 또한 성벽의 주위와 맞은편의 여기저기에서 발견되었다. 저장구덩이에서 도 몇 가지의 폐물이 발견되었다. 동쪽 • 북쪽 • 서쪽의 벽을 따라서 질그 릇이 부장되어 있는 구덩묘 29 짜리가 발견되었는데 질그릇 부장품 가운 데에는 쥐에(而-술잔)와 지아(先-세발술통) 등과 갇은 술그릇이 있었다.

그립 70 鄭 1 서의 商시대 궁궐터의 도랑에서 발견된 사람의 두개골

(1975 년에 필자가 찍은 사진).

북동쪽과 북서쪽에 있는 두 지점에서 개의 뼈가 들어 있는 구덩이들이 발견되었는데 3 열을 이루고 있는 북동쪽의 8 개의 구덩이에는 상당한 수 의 개뼈가 들어 있었다―—구덩이마다 적게는 6 마리분, 많이는 23 마리 분이 들어 있었다. 그 가운데 한 구덩이에는 2 명분의 사람뼈가 개뼈 바 로 아래에서 발견되었으며 다른 한 구덩이에서는 작고 얇은 금조각들이 있었다. 이와 갇은 잡다한 유물들을 가지고 성벽 내부의 주거형태를 분명히 이 해하기에는 유물이 충분하지 못하지만 그 상황이 상당히 복잡하였다는 것은 명백하다. 성터 안에 궁궐터가 있었는가 하면 일반민들의 생활구역 과 묘지 그리고 성격상 제사에 관계되는 것으로 보이는 유물둘도 있었던 것이다. 그런 복잡한 상황은 샤오문(小屯)에서도 나타났다. 따라서 어떤 결론도 아직까지는 끌어낼 수 없지만 이 성벽의 내부 지역이 앞으로 집 중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점은 분명하다•

성터 외부의 북부지역 북쪽 성벽으로부터 북쪽으로 약 200 미터 떨어진 지 점 에는 청동기주조 와 관계 있는 것으로 보이는 고고학 현장( 쯔 징 산紫沿 i IU 북부 로 알려져 있 는)이 있다. 275 평방미터의 지역에서 4 개의 집터가 발 견되었는데 각각 약 10 미터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었다. 그 집 들 은 길다란 축 선(軸線)이 동서로 놓여 있는 직사각형 을 이루고 있었다. 각집마다 2 칸의 방이 있었 다. 남쪽을 향하는 방문은 각칸마다 하나씩 또는 1 칸에만 하나가 있었 다. 그 방문을 마주보며 흙 으로 쌓 은 제단이 북쪽 벽에 붙 어 있었다. 바 닥과 제단에는 흰 석회질의 진 흙을 발랐다• 바 닥은 지 표 로부터 0.2-0 . 5 미 터 아래에 설치되었으며 벽은 항토식으로 충충 이 축조 되었다. 그 가운데 어느 한 집의 바닥과 그 부근에서 는 청동으 로 보이 는 퇴적물 이 들어 있 는 밀이 둥글고 뾰족한 구덩이 들 , 청동 무 기와 청동그릇을 주 조하는데 쓰 였던 184 개의 진흙으로 만든 거푸집, 부서진 도가니 조각들 그리고 청동 그릇의 다리 안쪽 부분을 패이게 하기 위하여 거푸 집 의 일부로서 사용된 심 (心) 등이 발견되었다. 이 유물들과 함께 발 견 된 질그릇 의 특칭은 이 유적이 얼리깡( 二 里 I 러) 단계의 유적임을 가르쳐 주는 것이다 .27) 이곳에서 의 청동기 제작소와 향토식의 건물과의 결합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 고 있으며 그것은 안양(安 lL } )의 의 상황과 유사한 것이다.

27) ~;}c民, 「鄭f M ,I i~산現 一 處商{t },1; tt 與鄒때,1器迫 h I:簡介」.

그곳에서 북쪽으로 100 미터 더 떨어진 지점에서 발견 된 1 개의 상(商)시 대의 구덩이에서 약간의 질그 릇 조각 외에도 많은 삐재품이 발견되었는데 뼈제품 가운데에는 제품의 재료로서 쓰기 위하여 자 르 고 갇아서 윤을 낸 뼈와 폐기된 뼈재료, 반쯤 다듬어진 뼈제품, 뼈화살 촉 , 뼈머리핀 등이 있었다. 그 밖에도 제품을 갈아서 윤을 내는 데 쓰인 뼈연장이 발견되었 다. 그 뼈들은 소와 사슴, 사람의 뼈였다. 이 유물 들 은 이 근처에 뼈제 품 제작소가 있었음을 분명히 가리키고 있지만 이것은 앞으로의 새로운 발굴결과를 기다려야만이 확실히 밝혀질 것이다 .28)

28) KK, 「鄭}卜 lrl i古這獻대사 1: J,Ti要發現」, pp.1 s-19 ; KKHP, 「鄭州商距g h t的 發堀」, pp.5 7-58.

\ 성터 외부의 동부지역 성읍으로부터 북동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빠이지아창 (I'l 家 )1E) 이라는 촌락이 있는데 그 부근에서 1954-1955 년에 고고학 발굴이 진행되어 주거 유물과 청동그릇이 둘어 있는 묘들이 발견되었다. 주거유물로는 흰 석회 질의 진흙 을 바른 건물바닥과 벽 기초들과 저장구덩이들, 1 개의 항토식 의 건물뼈대, 1 개의 도랑, 쓰레기더미 등이 있었다 .29) 4 자리의 묘가 마 을의 서쪽에 있는 작은 언덕에서 발굴되었다. 직사각형의 구덩이를 이루 고 있는 제 2 묘에서는 5 점의 청동그릇(레이짤_술병, 爵쥐에_술잔, 盤판 一쟁반, 지아 先一 세발 술 통, 땅'仁써 1 발솥)과 1 점의 옥제품, 1 점의 상아질의 병이 나왔다. 제 3 묘도 역시 너비 1.1 7 미터 길이 2.9 미터 깊이 2.13 미터의 직사각형의 구덩이 를 이루고 있었는데 그 안에는 안벽을 따라서 흙으로 쌓은 이 충 대 ( 二 府 疑 )가 있었으며 바닥의 중앙에는 1 마리분의 개뼈가 들어 있는 〈 요갱 〉 ( 談 抗, 매장된 시체의 허리부분 아래에 파 놓은 구덩이)이 있었 다. 2 명의 유 골 도 발견되었는데, 하나는 묘실 내부의 관 (h t) 안에서, 다 른 하나 는 순 장된 희생자였을 것으로 보이는 것으로서 이충대의 서쪽면 위에서 각각 발견되었다. 그 이충대 위에서 9 점의 청동그릇(명세 F 세발솥 3 접, 지아 싸 -세 발 술통 2 점, 레이世_술병 1 접, 꾸紙_술잔 2 접, 쥐에爵―술잔 1 점), 2 점의 옥제품, 1 점의 상아머리빗 그리고 그 밖의 약간의 제품 등이 발견되었는데 그 가운데 대부분이 이충대의 남서쪽 구석에서 발견되었 다. 그 청동기들은 모두 로우얼 (Max Loehr) 의 양식 1 과 Il 로 분류할 수 있다 .30) 그런데 제 3 묘의 구조가 안양(安腸)의 묘와 같은 전통을 따르고 있었으며 이러한 묘들은 이곳이 상당한 사회적 지위 를 가졌던 사람들의 묘지였음을 암시하여 준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한 의미몰 갖는다. 이 상(商)시대의 성벽으로부터 남동쪽의 구석지역 가까운 또 한 곳의 묘지가 양창(揚莊) 부근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그 묘지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아직 이용할 수 없다 , 3 1)

29) WW, 「鄭州白家 UE 迫址發堀簡報」. 30) WW, 「鄭州市白家莊商代墓報」. 31) KK, 「鄭州市古迫址墓葬的重要發現」, p. 17,

성터 외부의 남부지역 남문(옛 정저우시鄭州市의)으로부터 남동쪽으로 약 500 미터 떨어진 지접 에서는 1954 년에 두번째 청동기제작소가 약 1,050 평방미터의 범위에서 발 견되었다. 그곳에서 발견된 3 가지의 도가니 안에는 입이 벌어진 대형 준 (안-술잔), 화살촉, 칼, 까뀌와 리 ( 商 -세발솥), 지아(伴―세발술동), 쥐 에(爵_술잔) 등의 제기를 주조하는 데 쓰였던 진흙으로 만든 거푸집의 부서진 1 천여 개의 조각과 소형의 청동연장돌, 재와 숯의 흔적, 수많은 산화된 청동찌꺼기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32) 그곳에서 동쪽으로 더 가면 롱하이 (R i海)도로와 얼리깡(청똥로城束路)도 로의 교차점에 한 무리의 주거유물이 있다. 그 유물둘 가운데에는 저장 구덩이와 쓰레기더미, 질그릇조각, 돌연장, 점 을 치는 데 쓰인 뼈와 거 북 껍데기(甲骨), 소형의 청동연장, 그 밖의 일상용품 등이 포함되어 있 었다. 일부의 퇴적된 쓰레기더미 안에서는 사람의 뼈들이 발견되었는데 그 뼈의 주인들은 묘구덩이나 부장품도 없이 그곳에 매장되었음이 분명 하였다 .3 3 ) 그곳에서 또 동쪽으로 더 가면 옛 성벽의 남동쪽의 구석지역으로부터 약 1 킬로미터 떨어진 지점에 바로 얼리깡( 二 里 岡)이 있다. 얼리깡(二里 岡)은 동서의 길이가 1, 500 미터이고 납북의 길이가 600 미터이며 높이가 주위의 평지로부터 5-10 미터 정도로 올라온 구릉이다. 이 지역에 매우 중요한 주거터가 있었음이 분명한데 그 유물 가운데에는 저장구덩이와 쓰레기더미, 쓰레기터에서 발견된 약간의 질그릇이 부장되어 있는 묘, 특수한 경우로서 1 점의 돌도끼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유물 가운데서 보 이는 제품으로는 질그릇, 돌제품과 뼈제품, 소형의 청동제품 등이 있다. 청동제품 가운데 1 점의 청동송곳은 점뼈에 흥을 파거나 구멍을 내는데 쓰이는 연장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유물들은 이곳이 일반인들 이 거주하였던 지역이었음을 가리켜 주지만 앞에서 언급하였던 글자가 새겨진 갈비뼈가 발견된 곳도 바로 이곳이었음을 주목하여야 할 것이 32) KKHP, 「鄭州商代迫 h t的發堀」, pp.5 6-57. 33) WW, 「鄭州第五文物區第一小 I }簡報」 ; KKHP, 「鄭州南關外商代遺址 的發堀」.

다 .34) 성터 외부의 서부지역 상(商)시대의 성벽으로부터 서쪽으로 300 미터 떨어진 지점에서 1974 년 에 2 접의 정사각형의 청동네발그릇이 지금의 지표로부터 약 6 미터 아래 에서 나란히 묻혀 있는 채로 발견되었다. 그것들은 똑같이 사각의 한 면 의 길이가 60 여 센티미터이지만 그 가운데 하나는 높이가 100 센티미터 무게가 86.4 킬로그람이고 다른 하나는 높이가 87 센티미터 무게가 64.25 킬 로그람이었다. 따라서 전자보다 후자가 더 가볍고 작았는데 바로 그 후 자의 청동그릇 안에서 청동제의 리(高-세발 그릇) 1 점이 발견되었다. 그 세발 그릇은 띠무늬만이 장식되어 있었으며 2 점의 네발그릇은 모두 양식 l 의 무늬로 장식되어 있있다 .35) 발굴담당자들은 이 청동기들이 묘의 부 장품이거나 비장품려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하였지만 이 청동기들이 중 요한 제사에 쓰였던 제기였을 가능성도 있다. 그곳에서 더 서쪽으로 가면 성벽으로부터 서쪽으로 1 킬로미터 떨어진 바로 그 지점에서 중요한 상(商)시대의 묘지가 인민공원(人民公園) 자리 에 있다. 그런데 이곳의 대부분의 묘들은 얼리깡(二里岡)단계 이후의 시 기에 속하며 샤오문(小屯)의 왕조시기의 지층에 해당하지만 36) 그 묘지가 얼리깡(二里岡)단계에서 처음으로 사용된 것은 분명하다. 비교적 이른 시 기의 것으로 보고된 1 자리의 구덩묘에서는 유약이 칠해져 있는 1 점의 질 그릇 준(합-술잔)과 1 점의 청동 쥐에 (爵-술잔), 1 점의 청동칼, 1 점의 옥 제품, 그 밖의 제품들이 발굴되었다 .37) 그곳에서 서쪽으로 더 가면 밍꽁로(銘公路)의 서쪽에 얼리깡(二里區])단 계의 규모가 큰 고고학 현장이 있는데 이곳에서 주거유물, 저장구덩이, 청동그릇(그립 71) 이 부장된 묘 그리고 질그릇 제작소 1 곳이 발견되었 다. 그 북쪽에는 흰 석회진흙을 바른 한 무리의 집바닥둘이 있었다. 그 가운데 가장 큰 것은 동서의 길이가 16.2 미터 남북의 길이가 7.6 미터였 34) KKHCK, 『鄭州二里岡』 ; 安志放 「一J L li二年秋李鄭州二里岡發振,i L 」. 3 기 WW, 「鄭州新出土的商代前期大銅鼎」. 36) 安志敏 「鄭州市人民公園附近的'l1:代迫存」. 37) WW, 「鄭州市人民公園第二十五院商代墓 4µ itiJIJ!簡報」.

므I

난[ .^ .< 깊 戶c '/ 4, / (...~- - _`_―― 一 一· 소~ ..,.__ 一,_ ._ .5. < `./ ` ` · - ·- 。· - -.. ~~- • • . . .. 그립 71 그鄭州릇의 (K K銘, 功「路鄭 州서市쪽銘에功 路있西는 01 g商的시兩대座의商 代묘 墓에 」)서. 발견된 청동

다. 바닥과 함께 저장구덩이와 묘도 발견되었다. 일부의 묘는 개의 뼈가 들어 있는 요갱과 질그롯, 약간의 옥제품, 1 접의 청동그릇을 포함한 묘 의 부장품이 있었다. 요갱이 있는 1 자리의 묘에는 시체 믈 화장하고 납은 뼈가 둘어 있는 1 점의 질그릇 판( 羅 _단지)이 발굴되었다(이것은 상商시대 의 묘에 대하여 기록되어 있는 유일한 화장이며 그 단지가 상商시대의 묘에 무 리하게 끼어 들 었 을 가능성 을 매제할 수 없다 ).38) 1,250 평방미터의 지역에서 가장 큰 건물터의 남쪽에는 한 무리의 질그 릇가마 들 이 있었다. 이 가마들은 연료 를 공급하기 위한 화구(火口)와 구 을 질그 릇을 놓기 위한 창살로 덮인 또 하나의 화구가 있는 원형의 가마 였다. 그 부 근의 많은 구덩이에서 구워지지 않은 질그릇, 잘못 구워진 질그 릇 , 짓 거나 섞는 데 쓰인 노 모양의 기구 그리고 무늬 를 찍는 데 쓰 인 노 모양의 기구 등이 발견되었다. 그 부근의 흰 석희 를 바른 집바닥 은 일 부 의 가마 들 과 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39) 그 질그릇가 마 들 로부터 남쪽으로 약간 떨어진 지점에는 1965 년에 발굴 된 또 1 곳 의 묘지가 있었다. 5 자리의 묘가 발굴되었는데 그 가운데 비교 적 부장 품 이 풍부한 2 자리만이 보고되었다 .40) 2 자리는 모두 구덩묘였으 며 이 충 대가 없었다. 묘의 부장품으로는 청동무기, 청동그릇, 옥제품, 유약이 칠 해져 있는 질그릇 준(휴_술잔)과 뼈제품, 조가비구슬 등이 둘 어 있었다. 그 2 자리의 묘는 빠이지아랑(白 家 莊)에서 발견된 청동기가 부 장된 묘의 주 인들의 사회적 지위에 상당하는 지위를 가진 사람들의 묘였 음이 분명할 것이다. 개요 위에서 기술된 유물은 41) 이용 가능한 것으로 보이는 자료 전체 가운데 38) WW, 「鄭州市銘功路西-0 l11 점訪現商代製區 E .t翻房基等這址」, p.6 4 ; },요全 「鄭 州市銘功路西 O! 1) (IT 商代迫存」• 39) WW, 「鄭州市銘功路西側發現商代製 lM 工 場房基等迫址」, p.6 4 ; WW, 「鄭 州發現的商代製限迫跡」 ; KKHP, 「鄭州商代迫樹硏輝」, p.5 7. 40) KK, 「鄭州市銘功路西 Ol 1) (I 頭兩座商代墓」. 41) CKiKv iH l iPza, t「i on鄭 州; 商安金代植迫,址 的「試發 論幽 鄭 ;州 H商si代a 城Na址i, —W—o 殿rk都sh」o p; WofW C,h i「n a鄭 's州 O商ld代e城st 址試堀簡報」 ; WW, 「鄭州商代迫 h t」.

g

C' 보기 판노 ••• ? ~-,O! )O _ 15: 00 m ―--商時代 X··- -- ----발 견 지점 0··-----• 仰昭 유적 ••••••••• 郡山 유적 0·--_ .. - 商時代 유적 W .... 제작소 P --· 궁궐 그립 72 鄭}止 l 의 商시대 도시의 조직망.

일부를 대표하며 이용 가능한 자료조차도 주로 복구작업으로부터 얻어낸 결과였다. 이 개략적인 자료를 통해서 나타나는 얼리깡( 二 里岡])단계의 도 시의 양상은 대체로 우리가 안양(安µ냐)에서, 보다 풍부하고 보다 잘 발굴 되었으며 보다 찰 보고된 자료를 기초로 하여, 관찰하였던 모형과 매우 유사하다. 또한 이 얼리깡(二里岡)단계의 도시의 유적에서는 계충분화와 전문적 분업이 고도로 발전된 사회의 양상뿐만 아니라 사회의 계급, 직 업에서의 차이가 공간상으로 나타나는 주거모형까지도 보게 되었다. 그 중심부에 있는 성터는 성읍의 지배자들과 그들을 보좌하는 관리들이 거 주하였던 곳이었을 것이다. 여러 종류의 제작소들이 성벽의 주위에서 사 방으로 홀어져 있었다. 그 가운데 일부는 바닥과 벽이 항토식으로 건조 되었거나 그렇지 않은 그곳의 지상식 건물과 관계가 있는데 이것은―― 안양(安陽)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일부의 장인들이 하층민으로 편 입되었기보다는 상층민으로 편입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여 주는 것이다. 성읍의 북쪽 교외에서는 부장품과 구조에 있어서 상당히 공을 들여 꾸며

진 묘들이 그 주인이었을 귀족들의 거주구역과 함께 발견되었다. 그 묘 에는 이충대와 요갱, 순장된 사람의 뼈, 개의 뼈, 청동제기 등이 있었 다. 반면에 일반민들의 거주지와 쓰레기구덩이에서 발견된 그들의 묘들 은 남쪽 교의에서 널리 확인되었다(그립 72). 이러한 상(商)시대의 거주형태는 아직 개략적인 자료에 근거하여 조합 한 것에 불과할 뿐이다. 우리는 관심을 가지고 앞으로의 연구, 득히 성 터 내부의 동쪽과 성터의 남서쪽에 위치한 외곽지역으로부터의 추가 자 료 를 기다려야 할 것이다. 3 허난(河南)북부의 고대의 문화 지층과 얼리깡(二里岡)단계와의 관계 여기에서는 이후의 왕조기 안양(安陽)단계와 함께 얼리깡(二里區])단계 를 허난(河南)북부의 문화연대편년의 전반적인 선후관계에 위치시키는 간 단한 작업을 시도할 것이다. 이러한 시도와 관련되는 문제점들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우리가 안양(安陽)과 정저우(鄭州)를 제외한 중국의 다른 지역에서 입수된 상(商)문화의 고고학자료를 제출하고 중국 고대사와 고 고학에 관한 여러 일반적인 문제를 다룬 뒤에야 가능할 것이다. 허난(河 南 )북부의 고대 문화의 충위관계는 표 3 에 간략히 정리되어 있 다. 이 표에 대해서는 나중에 이 책에서 보다 충분히 설명할 것이며 여 기에서는 예바적인 언급을 해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석기시대와 중석기시대의 문화 (1 • 2). 허난(河南) 북부는 늦어도 구 석기시대 상충시기 이후부터 사람이 거주하였던 곳인데 이것은 안양(安 腸) 남서쪽의 샤오난하이(小南海)에 있는 동굴과 ◄ 2) 정저우(鄭州) 남쪽의 쉬창( 許昌 )에 있는 링징( 磁 井) 부근의 모래언덕에서 ◄ 3) 발굴된 돌제품집단 에 의해 입증되었다. 동물군의 분포를 근거로 할 때에 두 유적 가운데 샤오난하이 (小南海)가 더 이른 것으로 간주되지만 두 유적은 모두 격지석 기와 소형격지석기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그 연대들은 경신세와 현세동 사이의 경계에 가까울 것으로 추정된다. 이 유물집단은 종위엔(中原)지역 42) 安志敏, 「河南安腸小南海舊石器時代洞穴 HH f In 試堀」. 43) 周國典 「河南許昌 磁 井的石器時代迫存」.

표 3 허난(河南)북부의 문화 충위

문화 9 상(商) 8 상(商) 7 시아(~) 6 몽산(龍山) 5 양사오(仰照) 4 양사오(仰船) 3 초기 신석기 2 중석기 1 구석기

단계 왕조기 안양(安t L} ) 얼리깡( 二里岡 ) 뤄따먀오(洛達廟) 따스콩촌( 大司空村 ) 허우깡(後岡)

전형 유적 안양(安µ .!,~ ) 정저우(鄭 J 1 · I) 정저우(鄭 ) · I · I) 뤄따먀오(洛達 1 f/j) 안양(安腸) 허우깡( 後岡) 안양( 安陽) 따스콩촌( 大司 空 村) 정저우(鄭州) 따허촌( 大河村) 안양(安陽) 허우깡(後 福 ]) 신정( 新鄭 ) 페이리깡(装李岡]) 쉬창( 許昌 ) 링징 ( 寂井 ) 안양(安陽) 샤오난하이(小 南海 )

C-14 수정년대 (서기전) 1210 士 160 1280 士 150 1560 土 160 1590 士 160 1 4 70 土 190 2340 土 140 3070 土 190 3130 士 190 342 5 士 130 3685 士 125 4 185 土 2 00 43 90 士 140 5935 土 480 (수정되지 않 은 연대) 10760 土 220

에서 사람이 계속해서 거주하여 문화 를 지속시켰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농경생활로의 이행은 바로 이 거주민 사이에서 일어났던 것인데 그 이행 의 과정은 앞으로 고고학자료에 의해 충분히 입증되어야 할 문제이다. 신석기시대 초기 (3) ; 중국북부에서 진정으로 신석기시대 초기로 명명 뮐 수 있는 극소수의 유적 가운데 하나는 정저우(鄭州) 남쪽의 신정(新 鄭) 부근에 있는 페이리깡(装李 I ii)유적이다. 이 유적은 1977 년 초에 발견

되자마자 곧 발굴되었다. 이곳에서 발굴된 마제석기 가운데에는 돌삽과 낫 모양의 돌제품, 갈돌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것들은 당시에 곡초( ·갔 1 } ) 를 재배하였음을 암시하여 주는 유물이다. 질그릇도 물병, 단지. 사 발, 땅( 사 !f - 세발 솥 )의 형태로 발견되었는데 그것들은 붉은색의 거친 질그 릇이며 그 가운데에는 간혹 빗살무늬나 활등 모양을 찍은 무늬가 새겨진 것도 있지만 대부분이 표면에 무늬가 없는 편편한 질그릇이었다.”) 이 유적에 는 그 문화의 오랜 연대 를 입증할 만한 충위상의 증거는 하나도 없지만 1 개의 방사성탄소 측 정연대는 지금으로부터 7885 士 480 년전 (5730 士 40 년 전 의 반감기 를 근거로 한 수치)으로 난타났다. 페이리깡( ~ 1: 1 :t l) 의 질 그 릇 과 유사한 질그릇이 발굴된 또 하나의 유적은 허대이(i n J 4 t) 남부 우 안( 武安 )의 츠 산('炫山)에서 보고되었다. 그곳에서 얻어낸 2 개의 방사성탄 소 측 정연대 (지금으로부터 7355 士 100 년전 • 7330 士 105 년전 )45) 는 페이리깡( 装 쑤 岡)의 것 과 가까운데 이것은 이 종류의 문화유물집단들이 신석기시대 초 기에 속 한다 는 것 을 확증시켜 주는 것이다. 츠산(磁 111) 유적에서는 질그릇 의에 도 탄화된 곡물의 유물과 가축으로 사육되었을 돼지, 개. 소, 양 등 의 동 물 의 뼈가 발견되었다. 새로이 발견된 이 문화에 대한 앞으로의 연 구의 진 전 에 의해서 중국 북부에서의 식량생산의 기원에 관한 지식이 증 대되기 를 당연히 기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중대한 변화 과정이 발생되었 던 넓은 범위의 지역 내에 허난(j i ,Jftij )북부가 분명히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양사오(仰昭)문화 (4 • 5) ; 채색질그릇으로 잘 알려져 있는 양사오문화 시대 (1 印織 서기전 5000-3000 년)에 4 6) 허난(i IIh ti)북부지역에는 사람들이 많 이 거 주 하였다. 가장 이른 것으로 알려진 아 문화의 유적은 안양(安 l 상)의 허우깡(後 區 ]) 유적인 것으로 보이는데 4 7) 서기전 4000 년 경에 이 문화는 이미 광범위한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안양 (‘kl L} )지역에서는 따쓰콩촌(人· 司 空 村)의 양사오(仰昭)단계가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유적이며 48) 정저우(鄭 44) KK, 「河南新麗岭 I 페祈 mm t냐i h t」. 4~) KK, r 河北磁山新福記i hI : 피堀」. 46) rI.JUi. 멜t -14 ·J I l j定年(단 II 『 11I 쇠史,iij考古學」. p.2 22 ; 1 陶回i. 야 1 쇠~-,,;'}나 ·. 的放射性破索年(口及J U.L깝 義」. p .38 에 따론 연대. 47) KK, 「 1971 年安 F i}f &I 갑]f批簡報」 ; KK, 「 1972 年 l f 'kl 陣 1&1 대發批簡t u 」.

48) KK, 「 1958-1959 年殷J~發批簡報」.

州)지역에서 잘 발굴된 2 곳의 유적은 린산자이 (林山 뜹 )49 ) 와 따허촌(大河 村 )50) 에 있다. 롱산(龍山)문화 (6) ; 대략 서기전 3,000-2000 년의 롱산(龍山)문화 시기 에 허난(河南)북부의 인구는 상당히 증가하였는데, 이것은 그곳에 있는 상당수의 롱산(龍山)문화유적에 의해 입증되고 있다. 앞에서 논의하였던 안양(安陽)과 정저우(체;•)사)의 많은 상(商)시대의 유적에서 동산(龍山)형태 의 회색 질그릇과 검은색 질그릇에 의해 특징지워지 는 상( 商) 시대 이전의 문화지충이 있었다. 질그릇, 돌제품, 뼈제품, 점 을 치는 데에 어깨뼈를 사용한 점 그리고 문화의 전체적인 복합적상황 등 을 근 거로 하여 볼 때 롱산(龍山)문화가 상(商)문명과 그와 유사한 역사시대 초 기 문화의 기초 룰 마련하여 주었음을 알 수 있다 . 이 문제에 대해서 는 마지막 장에서 보다 상세히 논의할 것이다. 시아(夏)문명 (7) ; 시아(夏)문명은 지충의 위치와 문화의 유형에 있어 서 룡산(龍山) 문화와 얼리깡( 二里 岡)단계의 상(商)문명 사이에 위치하는 문화단계이다. 이 문화의 전형유적으로 이용된 3 곳 의 유 적 ―一- 뤄따먀오 (洛 達 Jm) 51) 상지 에 (上街) 52) 난판와이 ( 南 關外) 하층 53 ) - 울 토대 로 하여 이 문화의 두드러진 특징들을 다음과 같이 지적할 수 있다. 죽 이 문화 의 질그릇 가운데 가장 전형적인 것은 깊고 뚜렷한 꼬은 줄무늬가 새겨 져 있는 것이며 이것은 롱산(龍山)의 질그릇과 유사한 특 징인데 바둑판무 늬가 새겨져 있는 질그릇이 흔히 보이는 것 또한 롱산(制山)문화의 특징 이다. 땅(t―세발솥)은 혼히 부이는 질그릇이었으며 한두 형태의 단지는 매우 독특한 질그릇이었다. 질그릇의 내부에 홈이 파여져 있는 1 점의 훤 (盆-자배기)도 특징적인데 ,그것은 간혹 〈압착기〉 〈채칼〉로도 불리는 것이 다. 점을 치는 데 쓰인 어깨뼈는 사전에 별다른 준비작업이나 손질이 없 49) 毛탸貸 1· 1 :;. 安「金鄭棟州 西「邪鄭仰州照地文區化的追古址代發迫堀存簡介報紹」」. ; 趙p 1.1 炳 6. E , 「 1957 年鄭州西邪發堀 50) KK, 「鄭州*iiiJ村I,文化的房基迫址」. 51) WW, 「鄭船 @h t試堀簡報」. 52) KK, 「鄭州上街商(백址的發堀」 ; KK, 「河南鄭州 上 街商(心요址 發 堀報告」. B) KK, 「鄭州南 UM 外商(덕追發堀簡報」 ; KKHP, 「鄭州南關外商代追iit的發 堀」.

이 곧 불로 지졌던 것으로 보이며 거북 껍데기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모든 특징들은 이 단계 (문헌상에서의 뤄따먀오洛達廟 단계)가 얼리 깡( 二里 岡)단계보다 시기상으로 이르다는 것을 가리켜 주고 있다(뤄따먀오 洛 達廟 유적에서 얻어낸 1 개의 방사성탄소측정연대가 얼리깡 二 里岡의 연대보다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더라도). 그러나 동시에 이 단계와 얼리깡( 二 里 岡)단계와의 유사한 관계 를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 에 이 문화는 오랫동안 상(商)시대 초기로서 간주되어 왔는데 상(商)시대 초기로 불리는 단계는 고고학상으로는 서쪽으로 뤄양(洛陽)지역에까지 확 대되었으며 그곳에서 상(商)시대 초기단계는 얼리터우( 二 里頭)유적으로 대표되는 문화단계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1960 년대 초에 〈상(商)시대 초 기단계 〉 (그 전 형유 적 은 얼리터우 二 里頭와 뤄따먀오洛達 l 術)는 상(商)문명의 최 초의 발 전 단계 믈 설명하는 데에 쓰이는 용어가 되었다 .54) 그러한 양상은 1970 년대 말기에 바뀌기 시작하였다. 상(商)시대 초기 (얼리터우 二 里頭 또는 뤄따먀오洛 達 蘭 단계)라는 용어는 이재 그것을 역사 상의 시아( 夏 )문명으로 보는 관점에 의해서 면밀히 재검토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마지막 장에서 제시할 것이지만 여기에서 간 단히 언급해 두고자 하는 것은 롱산(龍山)문화 말기의 허난(河南)북부지 역은 그 활 동의 중심지 를 훨씬 서쪽인 뤄하(洛河)유역과 산시 (山西)의 훤 하( 沿河 )하류 유역에 두고 있었던 시아( .f l.)문명 영역의 동부 내에 포함되 어 있었다는 것이다. 상( 商 , 8) ; 뤄따먀오(洛 達 廟)단계에서 얼리깡( 二 里 I 때)단계로의 변화에 는 기본적인 문화의 연속성은 있었지만 거기에는 정치적으로 중요한 격 동적인 사건이 따랐다. 허난(河南)북부지역은 이 새로운 단계에서 새로운 지배자_상(商)나라 지배층――:의 출현을 보게 되었다. 이것은 정저 우(鄭州)의 상(商)시대 도시의 유적에 의해 가장 찰 예증되었으며 또한 정저우(鄭州)의 것과 연대와 양식이 유사한 다른 지역에서의 고고학 유물 집단에서도 분명히 나타나는 변화였다. 이 유물집단은 안양(安µ-) 지역의 메이위엔창(梅園莊) 하층과 왕조 이전의 샤오문(小屯). ;; 3’ 회이현(輝縣)의 54) Kawang -c hih Chang , The Archaeolog y of Anc ien t Chin a . pp.2 69-271, 55) KK, 「 1958-1959 年殷城發批簡報」. p.6 5, 73,

리우리커(琉璃 IHI) 와 주치우(용t丘 ),561 신향(新鄕)의 루왕훤(混王項 )5 그리고 당인(i8 陰)의 차오꺼(朝!J ~)58) 등의 유적에서 발견된 것이다. 보다더 넓은 의미의 상(商)시대 말기의 도읍지역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본다면 얼 리깡( 二 里岡)단계에서 그 전 지역에 걸쳐서 실제로 상(商)나라 사람들이 거주하였음이 분명한데 이것은 얼리깡( 二 里岡)단계로 연대가 추정되는 유 물이 츠현(磁縣)과 591 한딴 (1NI~ i l l), 00) 성타이(Jfll깡 )6” 에서도 발견되었다는 사 실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상(商, 9) ; 마지막으로 왕조기의 안양(安腸)단계에서는 그 이전 단계 의 허난(河南) 북부의 유적지에서 계속하여 사람이 거주하였다. 그러나 그 활동의 중심지는 정저우(鄭州)에서 안양(安 µL} )으로 옮겨졌다. 우리가 제 1 장에서 알아보았듯이 왕조 이전시기의 안양(安腸)은 바교적 적은 수의 촌락둘로 구성된 지역이었다. 그리고 그곳의 상충계급의 인원수도 적었 을 것으로 보이는데 그 상충민의 묘는 샤오문(小屯 아마도 그 당시에 조 차도 규모가 작은 행정중심지였을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왕조시기 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안양(安腸)은 번잡한 도시로 변모하였다. 반면에 정저우(鄭州)에서의 활동은 다음의 지방적인 단계인 인민공원(人民公園) 단계로 급격히 하락하였는데 이 단계는 왕조기의 샤오문(小屯)시대에 해 당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 말기 단계의 유물이 발 견된 고고학 현장은 상(商)시대의 성벽 (그 당시에는 폐기되었을 것이다)으 로부터 1 킬로미터 떨어전 지점에 있는 인민공원(人民公園)유적 62) 과 그 성 벽으로부터 서쪽으로 6 . 5 킬로미터 떨어진 지접에 있는 꺼라왕(旭꿉王)유 적 6“ 인데 이 발견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인민공원 56) 郭 lhi 鈴 • ~以 屈 외, 『 싸馮發堀報告 』 . 57) KKHP, 「河南新鄕混 .: E t!t商代迫址發堀報告」• ,8) 安金棟, 「i상條朝 :lk 鎭發現龍山和商代等文化迫址」. 59) KK, 「磁縣界段츈發堀簡報」. KKHP, 「磁縣下潘江迫 h I:發堀報告」. 60) KK, r19n 年郡 R! i Il 溝村古迫 h t發批簡報」. 61) KKHP, 「邪잦 V '1 1 賓i IE 這址發堀報告」. 62) 安占敏 「鄭州市人民公 l 십附近 h: jttit迫 1- i-」. 63) KKHP, 「鄭州h! l,' ti탸「遠i.JI:發堀報告」.

(人民公園)묘지에는 순장된 사람의 뼈와 청동그릇이 발견된 묘들이 있는 대 이것은 이 지역이 제후의 관할하에 남아 있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결국 이곳의 상(商)시대의 도시가 휘 (基)였든지 아오 (FH) 였든지간에 도읍 이 안양(安陽)으로 곧바로 옮겨진 것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商)시대의 도읍들에 한해서 말한다면, 비록 문화단계들에 비추어 볼 때 안양(安陽)과 정저우(鄭州) 두 도시 사이의 시간상의 간격이 현저할 만큼 크지는 않지만 그래도 그 간격은 여전히 남아 있는 것이다.

6 안양(安陽)과 정저우(鄭州) 밖의 상(商) 고고학 이 장에서는 중국북부와 그 인접 지역에서 발견된, 안양(安陽) • 정저우 (鄭州)와 동시대의 문화들에 대한 현재 이용가능한 고고학적인 증거를 제 출할 것인데 그 문화들의 연대는 대략 서기전 1700 년부터 1100 년까지의 600 년 사이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I) 그런데 고고학자들은 자신들이 발견한 문화와 유물을 항상 분류하고 있으며 고고학 문헌상에 그것들을 발표할 때에 〈상(商)의 유적〉이나 지방문화 또는 이 둘 사이의 것으로 분 류하여 제출한다. 이와 갇은 고고학상의 문화의 분류를 해체하고 처음부 터 다시 우리 나름대로의 분류를 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또한 반드시 필요한 것도 아니다. 그러나 우리는 지금의 모든 명명방식을 잠정적인 것으로 간주할 것이며, 다음의 자료를 제출함에 있어서 논의가 진행됨에 따라 그것에 대한 필요한 재감정과 평가를 행할 것이다. 이러한 동시대의 인정문화들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 기술될 것인데 그 가운데 하나는 얼리깡(二里岡 정저우鄭州)단계와 동시대로 간주되는 문 화들이며 다른 하나는 샤오문(小屯 안양安陽)단계의 왕조기와 동시대로 간주되는 문화들이다. 이와 같은 문화들의 동시대적인 분류는-전부 는 아니지만――대부분의 경우에 질그릇이나 청동기의 유형을 근거로 1) 절대연대에 관한 논의에 대해서는 7 장 1 철을 참조.

하여 결정되며 특별한 경우에 명문과 방사성탄소측정연대, 그 밖의 유용 하고 이용가능한 자료에 의해서 보충될 것이다. 그리고 허난(河南)북부 지역에 대해서는 이 책의 마지막 장에 간략히 논의할 것이기 때문에 여 기에서는 생략할 것이다. 1 얼리깡(二里岡)단계의 주요 유적 1962 년에 출판된 상(商)시대 고고학에 관한 최종적인 종합보고서에서는 얼리깡(二里岡)에 의해 특칭지워지는 상(商) 문명의 단계에 대하여 다음 과 갇이 일반적인 정의를 내렸다 : 상(商)시대 초기 문화는 정저우( 鄭 州) 얼리깡( 二 里岡) 의 발 굴에 의해 서 1952 년에 확인되 었다. 그 이후에 같은 문화의 유 적 이 안양(安陽)의 인쉬(殷城) 를 포함하는 허난의 여러 지역과 허 베 이( iiiJ 1 t)의 한딴(郡 덟 Fi) 에서 발견되었다. …… 상(商)시대 초기의 문화의 특 징 들 은 다음과 갇 이 질그릇에서 뚜렷이 나타나는데 질그릇의 벽 은 비 교 적 얇고, 장식무 늬는 주로 가는 꼬은줄무늬이지만 또한 여러가지의 새김무늬뿐만 아니 라 청동그릇에 장식되어 있는 것과 유사한 도 철 ( 완谷 )무늬와 천둥구름 무늬 등이 있다 : 그릇의 형태로는 리( 兩 ―세 발솥 )와 시엔( 紙 ―세발 솥 ) 떠우( 豆 ―굽보시기), 항아리, 단지, 커다란 나팔 꽃 모양의 주둥이가 달 린 자배기, 상(商)시대 말기에 드물게 보이는 지아( 伴 ―세발 술 동\ 등이 있다. 특히 세발솥은 상(商)시대 말기의 질그릇의 형태와는 현저히 달 라서 그 발은 끝이 뾰족하고, 가늘고 길며 가장자리는 밖으로 드러나 있거나 안으로 뒤집혀져 있다. 청동그릇은 두드러지게 평평한 바닥, 얇은 벽, 비교적 거칠고 드문드문하게 배치된 장식 무늬로 특징지워진 다 .2) 비록 위에서 열거한 질그릇과 청동그릇의 기본적 요소들아 바뀌지 않 2) KKHCK, 『新中國的考古收稷 』 , pp.4 ~-46.

았다고 해도 16 년 동안 계속된 발굴에 의해 얻은 새로운 성과로 인해 위 에 제출된 유물의 성격이 이제 풍부해지고 확대될 수 있다(마지막장 서두 를 참조). 위에 제출된 유물의 특칭에 부합되는 유물이 발견된 고고학 유 적은 동쪽으로 산똥(山束) 중부로부터 서쪽으로는 산시(山西)나 혹은 아 마도 산-시(陝西) 중동부까지, 북쪽으로 데이징(北京)으로부터 남쪽으로 는 창강( 長江 ) 중류에까지 걸치는 지역에서 발견되어 보고되었다. 이 지 역의 도처에서 발견된 유물 집단은 고고학적 분류상의 의미에서 상(商)문 화의 유물로 간주된다. 이 시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는 당시의 역사 기록이 사 실 상 하나도 없기 때문에 정치적 통치 영역의 규모에 관해서는 단지 추측 만이 가능할 뿐이다. 북부 얼리깡( 二 里 1 패 ) 유형의 유물이 왕조의 마지막 몇세기 동안에 상(商)의 도읍이었 을 가능성이 있는 지역의 도처에서, 죽 츠현(磁縣)과 한딴 (111l 邪 ), 싱타이 ( 邪젊· )에서 발견되었음이 밝혀졌다. 더 북으로는 스지아랑(石 家莊 ) 근처 의 까오청( 梨 城) 서쪽에 있는 타이시촌(갚西村)에서 중요한 상 (商) 문화 의 유적 한 곳이 발견되어 1965 년 3) 과 1972 년, ◄) 1973 년 S) 에 발굴 되었다. 우명 (武 丁 )왕시대 문화의 특칭을 보이는 후하오 (~l女子) 묘에 의하 여 유 물 의 대부분은 왕조기 샤오분(,J마 1) 단계보다 앞선 상(商)문명의 시 기에 속하는 것으로 확실하게 추정할 수 있지만 고전적인 얼리oL ( 二里岡) 단계보다 늦은 것이 분명하며 아마도 후기 얼리깡(二里區]) 하부 단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타이시촌( 집西 村) 유적은 면적이 약 0.1 평방킬로미터의 지역에 위치하 고 있는데 그 중심지에는 서대(西 갚· ), 남대(j距군), 북대(北갓)로 불리고 있는 3 개의 토대가 있다. 토대는 각각 너비가 100 미터, 길이가 60-80 미 터, 높이가 6-7 미터인 직사각형이었다. 대부분의 유물은 북대의 동부 • 3) KK, 「河北梨城縣商代追J.II:구1 l 墓葬((.JJ羽t」. 4) KK, 「河北梨城 갚西 村(J~商代追址」. 5) WW , 「河北'.!i村商代這.l:Jt l973 年的重要距魏」 ; WW, r 占城쩌頭 代迫 h tf갖現(미jt句器文字」 ; 耿器庭 • J1J3 °~. 「梨城商 1 t迫.l:Jt中 /U .:I:(따兆仁셔 IH i李 仁」 ; 河北省博物館 의, r ~ 城갓西商代這址』.

서부 • 남부와 그 인접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 그 가운데에는 건물바닥둘 과 우물 1 자리, 묘들이 있었다. 건물들(그 가운데 11 곳이 발굴되었다)은 지상식이었으며 (1 칸의 반지하식 건물을 제의하고) 건물의 벽은 아래 부분이 항토식으로 위 부분이 굽지 않은 진흙벽돌로 축조되었다. 건물은 방이 1 간뿐인 것이 있었으며 2 간이나 3 간이 붙어 있는 것도 있었다. 방이 3 개 가 있는 가장 큰 건물은 남북의 길이가 14 . 2 미터, 동서의 너비가 4-4.35 미터였다. 기둥구멍 및 돌과 질그릇 조각으로 이루어진 기둥 기초는 규 모가 크고 구조가 복잡한 목조건축물을 가리켜 주고 있다. 건물 주위와 입구 근처, 바닥 아래 그리고 기둥 기초 아래에서 제사에 대한 희생물이 었거나 순장되었을 것이 분명한 동물과 사람들의 뼈(목이 잘린 성인과 어 린 소녀들을 포함하여)들이 매장되어 있었다. 이 건물들은 샤오툰(小屯)에 서 발견된 궁궐 건물들과 이것들과 관련된 묘에 비할 만한 것이며 따라 서 귀족의 거주지로 불리어졌다. 그 가운데 1 채의 건물 가까이에 깊이가 거의 6 미터나 되는 우물(너비가 약 3 미터)이 있었다. 그 밑바닥에는 나무 로 짜놓은 틀이 있었는데 그 안에는 물을 뜨기 위해 줄 끝에 매어 떨어 뜨렸을 때 우물 안으로 빠졌을 것으로 보이는 여러 질그 릇 항아리들이 들어 있었다. 적어도 58 자리의 묘가 서대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모두가 너바 약 1 미 터 길이 2 미터인 직사각형의 구덩이묘였으며 이것들은 두 집단으로 분류 되었는데, 죽 이 묘들 가운데 5 자리는 다른 나머지 묘보다 컸으며 순장 인과 청동제기나 무기 그리고 점뼈, 금제품, 옥제품, 뼈제품, 옻 칠한 제품을 포함하는 그 밖의 다른 부장품들이 들어 있었다. 순장방식은 대 체로 묘 1 자리마다 1 명씩 이충대 위에 묶여서 위치하고 있는 형태였다. 나머지 묘들은 부장품이 빈약했는데 질그릇이 1-2 점, 이따금 청동도끼나 청동화살촉 1-2 점 정도가 부장되어 있었다. 대부분의 시체는 요갱 (!要月 L) 위의 관 속에 한 구씩 엎드린 자세로 묻혀 있었다. 관 하나에 2 명이 둘 어 있는 묘가 2 자리 있었는데 그 중 하나는 남자 2 명, 다른 하나는 남녀 1 명씩 둘어 있었다. 남자 2 명 가운데 1 명과 여자 1 명은 그들 주인을 따 라 함께 순장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같은 묘지에 부자와 가난한 자들의 무덤이 함께 있었으며 서로 섞여서 매장되어 있었다는 . 사실은 그 둘이 같은 혈통에 속하였고 그 혈통 내부의 구성이 고도로 계충분화되었 음을 암시하여 주는 것이다. 이것은 갑골문이나 고전의 문헌을 통해서

龜 - ―

그 림 73 梨 城의 商시대 유적에서 발견된 질그릇의 명문 (WW, 「謀 城 갚西 商代迫址發現 (l9 t周器文字」, p. 50) .

우리 가 상(商) 시대의 혈연 조칙에 관하여 묘사한 양상과 완전히 일치하는 결론이 되 는 것 이다. 타이시 촌(장西 村) 유적의 주거유물과 매장유물로부터는 관심을 끄는 중 요한 여러 유물을 언급할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3 종류의 복숭아와 자 두 (Pn m t is Pe rsic a , P. tom e nt o s a, P. jap o n ic a ) 가 들어 있는 30 개 이 상의 구 덩이가 발견되었는데 아마도 의약용으로 쓰기 위해 모아 놓았었던 것으 로 보안다. 12 개의 질그릇 조각에는 문자로 보이는 것이 새겨져 있었는 데 그것은 혈족의 도상기호였을 것이다(그립 73). 그리고 약간의 흰색 질 그릇조각과 단단하고 유약을 칠한 강도가 높은 여러 질그릇제품이 보고 되었다. 이 유적에서 출토된 쇠날이 달린 청동도끼는 상(商)시대의 철뭄 주조에 관한 어느 정도 열띤 논쟁의 중심이었는데 사용된 쇠가 운석이라 는 최종적인 결론이 나왔다.° 끝내는 많은 청동제기들이 발견되었다(그 6) r& :S 明, 「 梨 城 상西 商代鐵섰銅鐵間返的探討」 ; 李衆 「關於 菓 城商代銅鎖鐵 섰的分析」.

{}

阜 0 5 10cm. I:::: 뇨 그림 74 梨 城의 商시대 유 적 에서 발견된 청동그릇 ( KK , 「 河 北 梨 城 縣商代 迫 i:Il: f1 l 墓당 ~ (1\ J :,A ] 査 」 ) .

립 74). 그 가운데 몇 접의 쥐에 (爵 - 세 발솥 )와 지 아 (伴-세발승동 )는 밀이 둥글고 몸체와 부속품이 견고하게 조립되었 는 데 이 것들은 왕 조 기 샤오 문 (小屯)의 표본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보고된 동물을 주제로한 이 청동제기들의 장식 무늬는 로우얼 (Max Loehr) 의 양식 I 와 빼으로 분 류할 수 있으며 양식 W 와 V 의 제품은 보고된 것이 없었다. 그릇 의 유형 에 따 를 때 그 유적이 왕조기의 샤오 문 (小屯) 단계 를 포함하고 있을 가능 성이 크다고 하여도 이용 가능한 자료 를 근거로 할 때 역시 그 최초의 거주시기는 왕조 이전의 샤오문(小屯)단계, 죽 얼리깡( 二里岡 )단계에 해 당한다고 결론지어야 한다. 그러나 청동기의 유형을 가지고 말할 때 타 이시촌( 장 西村, 초기 거주) 단계와 왕조 이전시기의 샤오 문 (小屯)단계는 모두 후깅 얼리깡(二 里 區]) 지방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북쪽으로 더 가면 타이시촌(상西村) 유적에 비할 만한 성격을 가진 또 하나의 고고학 유적이 페이칭(北京)의 동쪽 교외의 핑꾸현(平谷縣)에 있 는 리우지아하(劉 家 河)에서 발굴되었다. 그것은 1 자리의 구ii묘였으며 그 안에서 16 점의 청동제기, 쇠날이 붙어 있는 또 1 점의 청동도끼, 청동제 의 말 과 마차의 비품, 약간의 금제 장식품(금팔찌 2 개, 금귀걸이 1 개, 금머 리 핀 1 개, 조그만 금판들 ), 몇 점의 옥제품, 9 개의 청록색 구슬 그리고 대 마 로 짠 직물 의 자국 들 이 발견되었다. 이 청동그릇둘은 후기 얼리깡(二里 岡 ) 유 형 에 속 하 는 것이 분명하다 .7) 적 어 도 얼리깡 ( 二 里區 ]) 단계에 관련시키는 한 뻬이칭(北京) 지역은 상 ( 商 ) 문 명 으로 특 징지 울 수 있는 것과 그것의 바로 북쪽에 있는 동시대의 문 화인 시아 지 아띠엔 하층문화( 夏家店 下 用 文化) 사이의 경계선상에 위치 한 다. 시 아 지 아띠 엔 ( 夏家店 ) 하충문화는 랴오하(遼河) 상류 유역 의 츠핑 (赤 峯 ) 근처 의 시 아 지 아띠엔( 표家店 )에 있는 그 전형유적의 지명에 따라 명 명되 었는 데 0 이 문화의 전형적인 유물집단은 그 유적의 아래층에서 1959 -1960 년 에 발견 되었다 .8) 그리고 이 문화는 뤼엔하( 漠 河) 유역에 있는 청 떠 t 承德) 지 역을 중심으로 하여 남쪽으로는 탕산(唐山)까지, 서쪽으로는 장 지 아 커우(張家口 )까지 널리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9) 뻬 이징 (北 京)- 티엔진( 天津 ) 지역에서는 시아지아띠엔(夏 家 店)하층 문화의 유 적이 보 편적 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이 입증되었다 .10) 시아지아띠엔(夏 家 7) WW , 「北 京市平谷 縣 發 現商 露潭 」. 8) KKHP, 「 赤距藥注廟 夏 家店 迫址 試 堀 報 告」. 9) 鄭紹宗 , 「 有 IUl i iiJ~t長城 區 域原始文化類 型 的討 論 」, p.6 64. 10) KK, 「河北 大澈回 族 自 治縣 大 印頭迫址 試堀 簡報」 : KK 「北京琉璃iiiJ夏 家 店下 H 文 化 墓t ~. ® 葛家店 유적이 발 굴된 이후 _夏 家 店 下用文化와 갇은 유형의 문화 유적이 여러 곳 에서 발 견되었는데 그 가운데 덮下 유적이 유적의 규모나 유물의 질과 양으로 보아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근래에는 夏 家 店 下 H 文 化 룹 豊 下 文化라고도 부른다. 이 문화는 遼 寧 省 • 吉 林省지역의 청동기문 화로서 黃iiiJ유역의 청동기문화보다 3-4 백년 앞서며 그 유적이 현재 3 천 여 곳아나 발견되어 있으며 그 문화의 분포범위가 黃iiiJ 동쪽지역에 이르 r기 文까物지考 넓古다工 고•作 三하十는 年 정 』 ,에 文대物해出서版 社관 십, 운19 7가9, 질p. 1 필03요. ;가 遼 寧있다 省文(物?文\物r. 編rf輯. il .委1 11 練U班 -,ft, 「 1979 年朝陽地區文物팹究 發 堀 hTE 要收底 『 遼 寧 文物』 1986 年 1 期 참조).

店) 하층문화는, 그 제품에 있어서 특히 리(商-세발솥)와 시엔(紙-세발 솔)을 특칭으로 하는 꼬은줄무늬의 회색질그릇은 상(商)문명과 유사한 점 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제품의 형태상에서 충분한 차이점들_청 동제기와 쥐에 (爵), 지아(lfi:) 형태의 세발솥 질그릇둘이 결여된 점, 리 (兩―세발솥)와 시엔(紙-세발솥)의 손잡이, 눌러서 아플리케무늬로 장식 한 융기선 등과 갇은 독특한 장식적인 양식, 전체 질그릇제품 가운데 붉 은색 질그릇의 상당한 구성비율 그리고 세석기 (細石器)를 포함하는 독특 한 돌제품 집단――을 찾아볼 수 있으며 이 차이점들은 시아지아띠엔 하층문화라는 것이 상(商)문명과 구별되는 문화명칭을 갖게 되었던 충분 한 이유가 되는 것 갇다.© 시아지아띠엔(夏家店) 하층문화가 진정한 상(商)문명의 일부분은 아니 었을 것으로 보이지만 특히 이 문화와 상(商)문명과의 관계에 있어서 이 문화의 앞으로의 고고학적인 수확에 대해서는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지금 이 문화에 대해서 이용 가능한 3 개의 방사성탄소측정연 대 (서기전 2410 士 140 년, 서기전 1890 士 130 년, 서기전 1690 士 160 년 )II) 에 의하 11) 처음 두 연대는 夏邱의 「破 -14 測定年代t1 1 中園史前考 古 保」, p .231 에서, 그리고 세번째 연대는 KK, 「放射性破素測定年代報告( Ji )」, p . 285 에서 이 용하였다. @ 夏家店 下用文化 죽 豊下文化는 물론 그 이전의 신석기시대 문화도 중국 동북부(만주)지역은 황하유역과는 기본적으로 다른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면서도 부분적으로는 상호 영향을 주고받은 흔적이 있다. 이러한 부분적인 문화의 유사성은 세계 어느 지역에서나 확인된다. 여기 서 한 가지 주목해야 할 것은 중국의 옛문헌에 기록된 바에 의하면 占朝 鮮의 영토가 북경 근처까지였으므로 그 분포영역으로 보아 맛『下文化는 古朝鮮의 청동기문화인 것이다(尹乃鉉, 「古朝鮮의 위치와 原城」 「占朝鮮 의 社合性格」, 『韓固古代史新論』, 一志社, 1986 참조). 이러한 역자의 견해에 대해 일부 학자는 빴下文化는 黃iiiJ유역의 商文化와 서로 영향을 준 흔적이 있으므로 古朝鮮의 문화가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李基麻 「古朝 B무 의 園家 형성」 『韓國史市民講座』 2 집, 一효 R1 삼 1, 1988, p, 11 참 조). 그러나 뺐下文化와 商文化의 접촉이 빴下文化가 古朝鮮의 문화가 아니라는 근거는 되지 못한다. 오히려 古朝鮮지역과 黃iiiJ유역은 일찍부 터 문화의 접촉을 가졌으며 특히 청동기문화는 개시연대가 빠른 古朝鮮 의 청동기문화, 죽 덮下文化가 黃iiiJ유역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면 이 문화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商)문명의 얼리깡(二里岡)단계보다 약간 이른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이와 갇은 연대측정에 의해서 시아지 아띠엔(夏 家 店) 문화유적 12) 으로부터 나온 구리제품은 중국 고고학에 있어 서 가장 빠른 금속제품 가운데에 위치하게 된다. @ 더우기 점뼈(사슴과 양 의 어깨뼈였을 것으로 보이는)의 최초의 고고학적인 발견은 랴오하(遼iiiJ) 상류 유역에서 일어났는데 이것은 서기전 약 3350 년 이전으로 추정되는 문화지층으로부터 나왔다 .13) 상(商)문명이 시아지아띠엔(夏家店) 하층문 화에 전달하여 주었던 것뿐만 아니라 상(商)문명이 시아지아띠엔(夏家店) 하층문화로부터 전달받았던 것은 상(商)의 기원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중 요한 주제가 되고 있으며 이것에 대해서는 뒤에 다시 논의할 것이다 .0

12) 『 夏 家 店 下用』 : KKHP, 「赤峯藥王廟夏家店迫址試堀報告」, p.1 27 ; 『寧城 小捨樹林 子 』, 鄭紹 宗 , 「有關河北長城區域原始文化類型的討論」, p.6 66. 唐 山 大 城山, KKHP, 「河北唐山市大城山迫 h t發堀報告」. 『 遼 적{ II g,f品達盟兒漢旗大句子公社』, KK, 「放漢旗大句子迫址」, p.9 9. 13) KK, 「內 蒙古 巴林左旗富河溝門迫址發堀簡報」. 그 연대추정에 대해서는 夏鼎, 「破 -14 測定年代和中國史前考古學」, p. 231 참조. @ 청동기문화인 豊下文化(夏家店 下用文化)는 그 연대가 서기전 2410 년까 지 올라가는데 이것을 古朝鮮의 문화로 본다면 그 연대가 古朝鮮의 건국 연대인 서기전 2333 년보다 약간 앞선다는 점이 관심을 끈다. 대개 청동 기시대에 인류사회는 국가단계에 진입하므로 古朝鮮의 건국연대는 신빙 성이 있을 것임을 알게 된다. 흔히 한국의 청동기문화를 비파형 동검을 기준으로 하여 서기전 9 백년 경으로 상한연대를 잡고 있는데 비파형동검 과 갇은 정교한 청동기가 나오기까지는 청동기의 발달과정이 있는 것으 로 한국 청동기문화의 개시연대는 훨씬 올려잡아야 한다. 만주 죽 遼寧 省 • 吉林省지역에서도 비파형 동검의 연대는 서기전 9 백년 경이지만 청 동기문화의 개시연대는 그보다 훨씬 앞선 서기전 2410 년까지 올라간다는 사실을 참고해야 한다. 그리고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그 북쪽과 남쪽의 청동기문화 개시연대가 무려 1 천 4 백여 년의 차이가 날 수 있는지도 생각 해 볼 일이다. @ 적석총의 규모와 공동묘지의 부장품 차이에서 나타난 사회신분과 빈부의 차이, 접을 친 동물의 뼈와 여신상 및 사당터의 발견에서 확인된 종교적 권위자의 출현, 성터에서 확인된 전쟁의 흔적, 정교한 옥기의 대량 출토 가 보여주는 전문기능 집단의 존재 등에서 중국의 동북부(만주)지역은

드o口T 갑골문자에서 보이는 대읍상(大邑商)이 위치하고 있는 (4 장 참조) 허난 (河南) 동부와 그 인접 지역은 초기의 상(商)시대 고고학에 있어서 중요 한 지역이었음에 틀림없을 것이다. 이것은 인쉬(殷 城 )의 발굴이 시작되자 마자 확인되었다. 인쉬 (殷 城 ) 발굴에 처음으로 참가하였던 학자들 가운데 하나였던 리징딴( 李 泉昞)은 다음과 갇이 기술하였다. 지양쑤(江蘇)와 산똥(山 束 )에 인접한 지역의 허난(河 南 ) 동부에 상치 우(商邱)라는 지방이 있다. 그것은 그 이름만 가지고도 우리의 주의를 끌기에 충분하였다. 이 지역은 후앙하( 黃 河)의 옛 수로상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상(商)왕조가 처음으로 자리잡았던 곳이었 을 가능성이 크다 ……. 그러므로 인쉬(殷.t.!li) 이전의 도읍 들 이 상치우( 商 邱) 지역에 위치 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이와 같은 점 들을 고려하여 허난고물연구회(iiiJ 南古物硏究合)의 1936 년 후반기 업무 배정에 관한 논의 결과의 일부로 서 후쓰니 엔 (傅斯年) 과 리 지 ( 李濟 ) , 리 양쓰용 ( 梁 思 永 ) , 똥쭤 벤 ( 葉 作賓) , 꿔빠오쥔(郭夜 g 5) 둥은 허난(河南) 동부의 상치우( 商 邱) 지역의 탐사에 일찌기 서기전 3 천 5 백년 경에 이미 정치권력이 출 현하 고 여러 부족이 몽 합(흔히 연맹이란 말 을 사용하지만. 연맹이란 서로 대등한 관계 물 뜻하 게 되는데 여러 부족이 모여서 집단세력 을 형성하는 단계의 사회는 이미 평등한 사회가 아니므로 연맹이란 용어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역자는 통합이라는 말을 사용하고자 한다)된 사회단계 죽 白 邦사회에 진입했음 울 알 수 있다. 이러한 사회발전은 黃河 중류유역보다 5 백년 이상 앞선 것이다. 이러한 빠른 사회발전의 기초 위에서 일찌기 古 朝 鮮 이 건국되었 4을3 6-것44으7 로; 앞생 각책,된 다(『 韓尹 固乃古鉉 ,代 史『新 中 論國』의 , p原p始. 1時46代— 』1 , 47租 ; 大遼出 字版 省 部文 ,物 考19 8古2 ,硏 p究p. 所, 「遼寧牛iiiJ梁紅山文化‘女神廟'與積石塚群發堀簡報」 ; 孫守道 • 郭大順, 「牛河梁紅山文化女神頭像的發現與硏究」 『 文物 』 , 1986 年 8J tl], pp. 1-16 참 조). 고대 韓民族의 활동지역이 문화적으로나 사회발전면에서나 중국 黃 河 중류유역보다 훨씬 앞선다는 사실은 앞으로 韓民族史 연구에서 크게 관심을 가지고 다루어져야 한다.

착수할 것을 결청하였다 .l4) 그리하여 리징딴(李섰冊)은 한웨이저우(韓維周), 멍창루(孟常祐)와 함께 한 달 이상이 걸린 조사 여행에 착수하였다. 그런데 그 결과는 실망이었 다. 일부의 롱산(龍山) 유적들이 발견되었을 뿐 상(商)문화의 유적은 한 곳도 확인되지 않았다. 이 지역은 홍수가 계속되었고 그 거대한 평야는 두꺼운 침적충으로 덮여 있었기 때문에 현상조사가 매우 어려웠다. 리칭 딴 ( 李 )i(制) 의 말에 따르면 971 년부터 1699 년까지 약 730 년 동안에 후앙하 (黃河)의 둑이 무너져서 발생된 17 차례의 대홍수에 관한 기록이 남아 있 다고 한다. 〈 대체로 지면은 두께가 약 2 . 5 미터인 침적토이며 그 아래에는 황색 모래충아 있었다• 그러므로 역사 이전시대의 유적은 차치하고라도 한시대 (漢時代)의 그릇조각마저 그곳에서 볼 수 없었던 것은 당연했 다. 〉 1 5 ) 그로부터 40 년 후에 중국과학원 (Academi a Sin i c a ) 고고연구소의 뤄 양 (洛賜) 현장조사반의 주창으로 1976 년 조사단이 조직되어 원시사회 말기 에 관련된 문제와 시아(J[)와 상(商) 시대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상치 우(商邱) 지역의 조사작업이 착수되었다 .16) 이전의 현장조사에서와 똑갇 은 어려움에 부딪혔으며 따라서 역사 이전시대의 유물은 지면에서 7 미터 나 8 미터 아래에 묻힌 채로 이따금씩 나타났다• 17) 약간 높은 언덕에서 후기롱산(龍山)유적 한 곳이 발굴되었지만 18) 그 밖의 다른 유적이 발견되 었다는 보고는 지금까지 없다. 그러나 상치우(商邱)지역에서 발견되었다 고 하는 쥐에(爵一세발솥)는 벽이 얇고 밀이 평평하며 일반적으로 조잡하 게 보이는 질그릇으로서 티엔진(天i 1!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9) 그곳에서 동쪽으로 더 떨어진 산똥성 (山東省)의 전 지역에서는 상(商) 문화의 유적이 풍부하게 발견된다고 하지만 유일한 얼리깡(二里岡) 단계 의 유물은 산똥(山束) 중부의 지난(濟南) 부근의 따신창(大辛莊)에서 1970 14) 「豫束商邱永城調査及造 ~I t~ .黑 孤雄쎈柏三處小發堀」, p. 84_ 15) 윗글, p,8 8. 16) KK, 「 1977 年河南永城王i IIU}j 迫址發獻庫」. 17) 夏籠와의 개인적인 접촉에서 얻어진 그의 진승. 1s) KK, 「 1977 年河南永城王it}混址發副槪iyt」. 19) WW, 「天津市新收渠編 ]!I:,! t銅器」, p.3 3.

년에 발견된 약간의 청동그릇이었다 .20) 일찌기 1935 년에 유사한 유물이 청동무기와 돌제품, 뼈제품과 함께 발굴되었다 .21) 이 청동그릇의 유형과 장식은 까오청 (棋城)의 유물집단과 유사하며 후기 얼리깡( 二 里岡)에 속하 는 것으로 보인다. 납부 남부에서는 4 점의 청동그릇 집단이 (그립 75) 화이하( 淮 河) 유역의 중심 부인 안훼이 (安 徽 ) 북동부에 있는 지아산 ( 5· 江山)에서 발견되었는데 그것들 은 후기 얼리깡( 二里 岡) 하부단계의 유형과 장식의 특 징 (앞에 기술된 모든 후기 얼리깡 二里 個 l 의 유물집단에 상당하는)을 보여주고 있다. 22) 그러나 창 강(長江) 유역에서 근래에 발견된 2 곳의 유적은 지아산( ;;' { UI) 유적보다 잘 알려져 있으며 보다더 주목할 만한 것이다. 이것 들 은 판롱청(선산龍城) 과 우청 (吳城)에 있는 상(商)시대의 유적들이다. 판롱청 (정산龍城)은 남북으로 290 미터 동서로 260 미터의 성터이며 우한시 (武漢市)로부터 북쪽으로 약 5 킬로미터 떨어진 후대이 (湖北) 후앙피현(黃 阪縣)의 니에커우촌(ii ll 村 )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성터의 남쪽으로는 창강(長江)의 조그만 지류( 支 流)인 후하(f{.fiiiJ)라는 강이 있으며 그 북쪽으 로는 일련의 낮은 구릉둘이 있다. 그 동쪽에는 작은 호수인 판롱호(盤龍 湖)가 있는데 수면이 높은 계절 동안에 이 수면은 성터 남쪽의 낮은 지 대 를 따라서 그 서쪽에 이르기까지 사방으로 펼쳐진다. 상(商)문화의 유 구은 1954 년에 처음으로 발견되었으며 23) 동서로는 1. 1 킬로미터 남북으로 는 1 컬로미터의 구릉지대에 있는 성터의 내부와 주위에 흩어져 있었다. 이곳에서의 발굴작업은 1950 년대)와 1960 년대 25) 에 진행되었으나 1974 년 20) 1'f文滋 「槪述近年來 I (jj£i h _1 ·· (I:J Il 'Ii lli ] · '!t銅器」. 21 ) F. S. Drake, Shang Dy n asty Fin d At Ta-his i n - chua11g , Shantu n g ; Tahsin - chuang Ag a in . 22) WW, 「安徽嘉山縣泊岡引河出土的四件商代銅器」. 23) 藍闇 「湖北黃阪縣선g:城發現 古 城迫址及石밤유 천 F 」. 24) 郭永 11,. 「湖jt 1 針淸밝崩鉛 Hh:J 古 迫:I.JI:調究」. 25) 郭也維·陳?t一, 「湖~t:l{f.'皮盤龍城商代迫:IJt저)샤 8k 」, pp.42 0-421 ; WW, 「一 J L 六三年湖~t黃阪盤龍城商代迫 h I: (I:J 發堀」.

솔 J.. I 二t J、.,.f\

1.· .·1 . . .,.... .. .. ......... · • •••1•• , `. .. ·` . . .. 뇨==j / 급『' O 5 cm. 그림 75 嘉山의 商시대 유적에서 발견된 청동그릇 (WW, 「安徽嘉山 縣泊 I i l 5l 河出土 (I 情 91 牛商代銅器」) .

이후에서야 비로소 이 유적의 주목할 만한 중요성을 밝혀내기에 충분한 대규모의 발굴이 진행되었다 .26) 이제까지 밝혀졌듯이 이곳의 상(商)문화 유적은 그 중심부에 판동청(盤 龍城) 성지가 있고 그 서쪽(러우쯔만樓子i£f)' 북쪽(양지아만楊家if!f)' 동쪽 (리지아웨이李家噴)에 1 곳씩 모두 3 곳의 묘지가 있다(그립 76). 흙으로 벽을 쌓은 성터는 복-북동으로 20· 방향이었으며 성벽은 약 8 -10 센티미터 두께의 항토식으로 쌓은 흙층들로 건조되었다. 지금은 성벽 의 기초부분만이 남아 있는데 너비 10 미터의 의호(外淡)가 성벽 전체를 둘러싸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성터의 내부 가운데 북동부의 지대가 가장 높으며 남서부의 지대가 가장 낮다. 너비가 동서로 60 미터이며 길 이가 납북으로 적어도 10 미터나 되는 항토식으로 지은 대형의 건물 기초 26) WW, 「盤龍城一jl,七四年 1虹 'f考古紀要」.

.• . . . ' / ., ., ,,/ “ -•‘ ? . ., o? ” ---- ---- - -- -- -...

그림 76 盤龍城의 商시대 유적 (WW, 「 선산龍 城 一 九七四年度田野考古 紀要」, 그립 l}.

가 성읍의 북쪽 벽으로부터 약 10 미터밖에 떨어지지 않은 북 쪽 가장자리 에 지어졌다. 그 기초 위에 커다란 직사각형의 건 물 (궁 궐 ) 들 이 그 당시의 북쪽 벽과 평행으로 나란히 지어졌다. 그러한 건 물 3 채가 발견되어 그 연대가 추정되었지만 그 가운데 북쪽으로부터 첫번째 건물만이 완전히 발굴되었다(그립 77). 그 건물은 길게 이어진 복도로 둘러싸인 4 간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대청(너비 6 미터, 길이 34 미터)으로 되어 있었다. 복도 주위의 4 면에는 처마 를 받치는 나무기둥을 지탱하여 주는 43 개의 큰 기 등구멍이 있었다. 이 건물 전체는 넓은 항토식 기초로 부터 약 20 센티미

IILL •® ®

E ® ] 3 曰口그曰립 77 慈龍城의 商시대 유뇨적크의 집터 F-l(W。 W, \二「盤龍曰城 一。 九七。 四 。 。 O 2 m. 年度田野考古紀要」, p. 9). 그립 78 盤龍城의 商時代 유적에 있는 집터 F-1 의 건물 복원도(楊 鴻勘, 「從塾龍城商代宮殿遣址談中國宮廷建築發展的畿個間 題」).

터。

, 尸,;`집\if 상/1 -i回겹`순 ,'',',iIIIl' \及 따 4 0' .-50 c m . 그립 79 李家 噴에서 발견된 商時代묘 M2(WW, 「盤龍城一九七四 年度田 野考 古紀要」, p. 12).

터 정도 올라온 직사각형 (동서 40 미터, 납북 12 미터)의 커다란 토대 위에 지어졌다(그립 78), 이 건물들의 전체적인 설계와 기능은 유적의 전체가 발굴 • 보고되고 나서야 밝혀질 것이지만 그 설계와 기능이 안양(安陽) 샤 오문(小屯)과 정저우(鄭州)의 궁궐터(역시 성터의 북동부에 있다)에 상당하

였던 것이 틀림없을 것이다. 묘지가 있는 3 곳의 외곽 지역이 발굴되었는데 그 가운데 양지아만(楊'* 써) 유적이 가장 초라하였다(약간의 질그릇과 또는 이따금 l 접의 청동그릇이 부장된 소형의 구덩이묘홀로 이루어졌는데 일반 자유민의 매장지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27) 1963 년에 발굴된 러우쯔만(樓 子 i£f) 현장에서는 주거유물과 5 자리의 묘가 발굴되었다. 이 묘지는 요갱과 이충대가 있는 구덩묘들로 이루어졌으며 각각의 묘에는 약간의 청동제기, 청동무기와 청동연장, 옥 제품, 질그릇(일부에는 유약이 칠해져 있었다) 등이 부장되어 있었다 .28) 그 러나 가장 풍부한 묘는 리지아퀘이( 李 家喝) 현장에서 발견되었는데 이곳 에서 이제까지 4 자리의 묘가 보고되었다. 그것들은 나무로 만든 묘실(都) 과 관(相)이 있는 구덩이묘였다. 이충으로 되어 있는 묘실은 그 의부가 정교하게 조각이 되어 있었으며 채색이 되어 있었고 요갱이 그 바닥에서 발견되었다. 묘의 부장품으로는 청동제품과 옥제품, 나무제품, 질그릇 등이 있었다. 22 점의 제기가 제 1 무덤에서 발견되었으며 청동제의 그릇, 무기, 연장 63 점이 제 2 무덤에서 발견되었다. 제 2 무덤에서도 순장된 3 명 의 사람의 뼈가 발견되었는데 이것들은 분명히 묘실의 멘 위부분에 위치 하고 있었다(그립 79) . 연장 18 점과 무기 51 점, 말의 가면 1 점 그리고 제기 68 점을 포함하여 모두 159 점의 청동제품이 판롱청(盤龍城)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29) 이 청 동기들은 일반적으로 얇고 깨지기 쉬운 것들이었다. 4 점의 표본을 분석 한 결과 각각 다음과 갇이 함량 비율이 밝혀졌는데 구리가 81 .8 2 • 88. 68 • 71 .5 9 • 70.76 이었으며 주석이 8.4 1 • 5.54 , 3.92 • 6.16 이었고 납이 6. 78 • 1.3 8 • 24.4 5 • 2 1. 76 이었다. 이 유적의 여러 지역에서 도가니 파편, 동 광석 ( 銅鑛石 ), 숯, 불에 구운 점토 등이 출토되었는데 이 유물들은 청동 기가 각지역에서 주조되고 제련되었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주물틀의 분리되는 부품 조각이 발견되었다는 보고는 없었지만 분리된 부품이 합 쳐져서 전체의 툴을 이루는 부품틀 방식에 의해 청동그릇이 주조되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두 종류의 합금에 의해 여러 다른 색의 청동이 만들 27) 윗글, p.1 1. 28) WW, 「一九六三年湖北黃阪盤龍城商代迫 h t If .J發堀」. 29) WW, 「盤龍城商代二里 'n 꼽銅器」.

( 間 I

脂 릇질그의l ,WW 盤「市路功州{西銘

o cm 5널 1i11널의줄릇질} 윗과琉 ]삼(鄭 I璃)그 」內.阪北堀(商th城黃發龍迫盤代 K ,K은鄭 형고유리그 I+ 鄭「1 의輝縣湖三年에』서

六告

广고 동盤줄)城청 아랫의龍그 .릇(W ,Wf형 (九t一은유「城U盤 報輝夏 『發은. 형의유堀縣藏 .)다8 0 립

1 a 그립 81 輝縣 (2a, 3a, 6a) 과 鄭州

(la, 4a, 5a) 의 청동기 장 1 b 식과 대비하여 놓은 盤龍 城의 청 동기 장식 ( lb-6b) (참고 문헌은 그립 80 의 것 과 갇다). ooQ o ooo 2a 2b 3a 雲― 3b 麟鹿瞬 4a [ 一_― — J 4b 雲 5a 一―臘麟- 5b '---—— 一―- 堂尸雲」 6 a 麟墨한堅雲 ~6b

그립 82 盤間城의 商시대 유적에서 발견된 대형의 청동도끼 (WW,

「盤龍城商代二里岡]J UI(I 衍荷銅器」, p. 33).

어졌는데 납의 함량이 낮은 합금은 푸른 빛이 났으며 납의 함량이 높은 것은 회색빛이 났다. 유형과 장식 무늬에 관한 한, 판롱청( 盤 龍城)의 청 동제품은 정저우(鄭州)와 회이현(輝縣)의 청동제품과 사실상 일치한다(그 립 80, 81). 판롱청(盤龍城) 유적이 상(商)시대의 고고학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데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30) 발굴담당자들이 지적하였 듯이 판롱청 (盤龍城)은 그곳에서 500 킬로마터 떨어진 정저우(鄭州)의 거 의 정확한 재판이었다. 이 두 곳은 성벽의 축조수법과 궁궐건축수법, 매 장습속 및 청동기, 옥제품, 질그릇의 생산기술 등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31) 그 의에도 판롱청(盤龍城)의 거주형태는 성터, 북동쪽 모퉁이 에 위치한 성터 내부의 궁궐터 그리고 성터 의부의 거주지역과 묘지 등 에 있어서 또한 정저우(鄭州)의 축소판이라는 사실을 덧붙일 수 있다. 그 러나 판롱청(盤龍城)은 정저우(鄭州)보다 훨씬 작았으며 따라서 성읍의 내부 질서에는 한층 뚜렷한 중십정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3 집단의 묘에 의해 묘의 산분구조가 명확하게 나타났다. 이곳에서 발견된 대형의 청동 30) Robert W. Bag le y, Pan-lung -c heng : A Shang Cit y in Hu p e i에 있 는 우수한 요약과 논평을 참조. 31) WW, 「盤龍城一 .) L 七四年 1i m 野考古紀要」, pp,1 4-15.

도끼는 안양( 安陽 )에서의 왕의 상징문을 상기시켜 주는 것이다(그립 82). 그리고 청동제 연장이 비교적 풍 부 한 것 또한 주목할 만한 접이다. 판 롱 청( 선幻副 城) 유 적 의 남 쪽 문 턱 에 위치하는 창강(長 江 )은 ―― -지금의 증거 를 토대로 하여 엄밀히 정의하면 ――거 얼리깡( 二里 岡)단계의 상(商)문 명의 남 쪽 경 계로 볼 수 있다. 창강( 長江 )의 이남에서 얼리깡( 二 里 r/Jj))단 계의 상( 商)문 명과 동 시대의 문 화 는 아직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다. 그런 데 지양시 ( 江西 )의 상 (商 )시대 유적은 상(商)문명과의 밀접한 관계가 뚜 렷이 나 타나지 만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하나의 문화― ― -또는 일련 의 문 화 ――서춘 알 아내 기 에 충분 한 정도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 ―-상 (商) 문 명 과 의 관계가 뚜렷 이 나타나는 지방문화 ― ~지양시( 江西 ) 칭지양 ( 淸江 ) 지역의 우청 (吳城) 가까 이에 있 는 상(商)시대 유적에 의해서 잘 예증되 고 있다 . 이 곳 에 서 197 3 년 에 집 중적인 거 주 형태 를 가 르 쳐 주는 상 (商) 시 대의 유물 이 거 의 4 평 방 킬로 미터의 지역에서 여기저기 산재되어 발 견되었 다. 1 973 년과 1 974 년 에 유 적 의 중심 부 에 있 는 흙 으 로 벽을 쌓은 옛 성 터의 내부와 그 부근의 발굴 에 의해 집터 1 자리와 저장구덩이 48 개, 묘 1 3 자리 , 질그릇가마 1 개 등 이 밝혀 졌 다. 이 곳 에서 발견된 500 여 점 이상 의 개개의 가공품 가 운데에 는 청동무기(戈-도끼창· 칼 )와 청동연 장(도끼 ) , 무기 (칼 • 화살 축 ) 와 연장( 도 끼 • 까뀌 • 끌)의 주조용 돌틀 , 한 자 리의 묘에 서 발굴된 청동그릇 지아( !ii: --세 발술통 ) 1 점, 돌연장(도끼 • 충이 진 까뀌 • 끌 • 칼 • 낫 )과 돌무 기 ( 戈- 도끼창 • 창끝}, 흙연장(칼 • 방추차 • 그 물 추 • 홍모루 ) 그 리 고 질그릇 등 이 있었다. 질그 릇 가운데에서 가장 일 반적인 유형 은 리 ( 函- 세 발솥 ), 항아리, 시엔(紙- 솔 ), 떠우( 豆 ―굽보시기) 입이 밖으 로 벌어진 자배기, 사 발 , 지아 ( 1 1:)와 쥐에 (爵)의 것으로 보이는 세발그 릇들 의 발 등이다 .3 2) 많은 질그릇과 돌들에는 기호가 새겨져 있었 다. 그 가운데 일 부 의 제품에 는 여러 문자가 있었는데 어떤 제품은 12 자 정도가 있었다. 이 문자 는 상( 商 )시대의 서체와 기본적으로 유사한 특징 을 어느 정도 나타내지만 아직까지 해독이 불가능하다 .33) 우청 (吳城) 유적에서는 얼리깡( 二里 I 페)단계와 그 이후 단계의 상(商)문 명의 것과 유사한 많은 제품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리( 函 -세발손)와 떠우( 표 ―굽보시기), 자배기와 갇은 질그릇은 북부의 질그릇과 유형에 있 32} WW, 「 江 西淸 江 吳城劑잡i h t 發 勘 n,i 報」. 33) l .!t r 싸 「關 于 江西吳城迫JJJ :1! :SC'.:'f((.J:fJJ步探삽j」.

어서 유사하다. 유일한 청동그릇―밀이 평평한 지아(先-세발술통)一은 얼리깡(二里 1 패)단계에서 흔히 보이는 유형이다. 일부의 문자에 있어서도 유사한 점이 나타난다 .3 ◄) 다른 한편으로 이 유적은 독특한 여러가지 지 방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한 특칭으로서 1 점의 그릇뚜껑(지면에서 수집되었다)에 천둥 구름무늬로 이루어진 동물얼굴을 주제로 장식한 점, 질그릇장식에 있어서 여러 작은 원으로 이루어진 띠무늬를 광범위하게 사용한 점, 흙칼을 널리 사용한 점, 단단하고 유약을 칠한 질그릇을 매 우 광범위하게 사용한 점, 청동기 주조용으로서 돌틀을 사용한 접 등을 둘 수 있다 .35) 이의에도 당시의 중국북부의 서체와 중요한 차이점이 있 는 문자체계를 사용한 접을 덧붙일 수 있다. 실제로 기하형의 인장무늬 가 있는 단단한(이따금 유약칠을 한) 질그릇-남부로부터의 침투요소로 볼 수 있는 정저우(鄭州)의 인장무늬 질그릇에 유사한-을 광범위하게 사용한 점에 의해서 우청(吳城) 유적은 지방문화상의 전후관계 내에 간단 히 위치하게 되는데 왜냐하면 기하형 무늬의 단단한 질그릇으로 특칭지 워지는 신석기문화는 오랫동안 남동해안지대의 산물 36) 로서 특히 지양시 (江西)의 특수한 토착산물 3” 로서 알려져 왔기 때문이다. 이 토착문화와 상(i衍)문명은 창강(長江)을 가로지르며 긴밀하고도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유지해 나갔을 것이며 많은 문화요소들이 상호교환되었을 것으로 보인 다. 남부로부터 유약을 바른 질그릇과 기하형무늬의 질그릇이 북쪽으로 전래되었으며 북부로부터 일부의 질그릇의 유형과 청동제기의 유형이 남 쪽으로 전래 되 었다. 38) 서부 얼리깡(二里|배)단계의 상(商)문명이 서부로 확산된 양상은 다론 지역에 34) 그러나 1 접의 질그릇에 있는 문자를 商王의 이름인 上甲으로 판독하는 것은 납득이 가지 않는다. 趙~. 「淸江t M 文及Jt素反映的 8 .!tft l:¼ 菜和祭Jii E 」 참조. 35) WW, 「i Il !iii!ii r吳 城商代迫iJt」, pp.5 8-59, 36) 답昭橘 • 尹煥范 「古代江蘇歷史上的兩個 |ll 組」, pp.1 5-16, 37) WW, 「江西地 l .Ifi何形t h f.p紋樣綜述」. 38) 二 'I t I 빠]유형의 청동그릇의 추가 발견에 대해서는, WW, 「近年江西出.::I:的 ,l'li代,!t銅器」 참조.

0l 5노 • •‘1 0 cm.

0I 5늘 10 cm. 그림 83 岐 1 L 1 京 갑t의 商시대 유적에서 발견된 청동기 (WW, 「 111plj 省岐山 縣發 現商代銅器」).

비해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정저우(鄭州) 서쪽의 허난(河 南 ) 지역은 얼 리터우( 二里頭 )단계의 영역이었는데 얼리터우( 二里 頭)단계는 이전까지는 상(商)시대 초기로 믿어졌으나 지금은 접차로 시아 (U) 로 간주되고 있다. 이 점에 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논의할 것이다. 그런데 이 지역 전체에 서 얼리깡( 二里flil l) 단계의 상(商)문화 유물이 발견되었다는 분명한 보고는 확실하지 않았다. 얼리 깡(二 里 岡) 유형 의 유물이 산시 (山西) 중부의 타이 위엔( 太 原) 지역 3 9 ) 과 산시(山 西 ) 납부의 시아현( .보 縣 )40) 에서 발견되었다는 보고가 있지만 이 발견의 자세한 내용은 아직까지 이용할 수 없다. 산 -시(陝 西 )의 웨이하( 消 河) 유역의 깊숙한 지역인 후링(扶風)에서 발견된 39) WW , 「山西省 十年 來的文物 古;;i h 收樹, p.2 . 40) 방사성탄소 측 정연대에 관한 근래의 보고서에는 二 1I!.1 세유형으로 분류된 ·父 縣의 표본이 포함되어 있다. WW, 「破十四年 1 tii l 定報告, 紹 一 」 참조.

한 무리의 질그릇재품 가운데에는 까오청 (梨城) 유형과 유사하며 왕조 이 전의 샤오둔(小屯)의 연대에 해당되는 것으로 믿어지는 제품들( 面 -세발솥 과 \L- 굽보시기, 단지 등의 형태의)이 포함되어 있다 .41) 그러나 이러한 분 류는 결코 최종적인 것이 아니다. 그렇지만 웨이하(消河) 유역에 있는 치 산 (U戈 lll) 의 칭땅촌(:;(,,l :1; -t,t)에서 발견된 한 무리의 청동제기 (그림 83) 는 후 기 얼리깡( 二 里岡) 아류상(商) 문명이 이곳에서 실재하였음을 확실히 알 려준다. ◄ 2) 서쪽으로 더 떨어진 지역에 있어서 얼리깡( 二 里岡) 단계의 상(商)문명 의 경계는 웨이하(i l1 河) 상류와 깐수(tt · i: 1 :r)동부의 타오하( #ti III) 유역에서 치지아문화(丹家文化)가 서기전 3000 년대 말과 서기전 2000 년대 초기 몇 세기 사이에 분포되어 있었으며 그 후에 그 지역은 청동기 를 가진 여러 지방문화들이 자리을 잡았다. 이 문화들에 대해서 는 다 른 저작에서 잘 설명하였다. ◄3) 그러나 치지아(규t家)문화가 얼리깡( 二 'I!·I .Yi ])단계의 상(商)문 명보다 약간 이른 시기에 구리연장과 접뼈를 사용했다 는 점 만큼은 재론 할 가치가 있을 것이다. 요약 현재 이용 가능한 고고학적인 증거에 의해 얼리깡( 二 里 1 1(; ])단계의 상 (商)문명을 2 가지 하부단계 죽 원 얼리깡(原 二 里岡)과 후기 얼리깡( 二 里 l 때)으로 나눌 수 있다. (정저우섯防 I 의 얼리깡 二 里 1 패 i l 은 보몽 얼리깡 二 里岡 상 충과 하충으로 나누어진다. 상 • 하층 모두 여기에서는 얼리깡 二 ]먀 1 단계로 간 주한다). 그 분류의 기준은 청동제기의 유형과 장식 양식을 토대로 한다. 얼리깡( 二 'l!. l~·, J)의 청동기는 밀이 편편한 지아 ( A i E ―세 U갑 술통)와 쥐에 (爵 一세반손) 그리고 로우얼 (Max Loehr) 의 분류법에서 양식 I , n에 주로 속하는 장식무늬에 의해 특징지워 지는데 지아(석?)와 쥐에 (爵)는 몸체가 두 부분을 이루지 않는 원통형이었다. 후기 얼리깡( 二 II l lb t I) 의 청동기 가 운데에서 지아( ~ i:)와 쥐에(爵)는 밑이 약간 볼록하며 몸체는 윗부분과 아 41) WW, 「 {kl i. \m·g ,kI'kII', 1·· (I: J I!U}1\l 久1 t」. 42) WW, 「陝西省岐 1l1 ft W:~ 산 I則 1 fm { t禪」. 43) K. C. Chang , The Archacoloro• of Anc ien t chin a , pp.1 95-199, 397-409.

그림 84 二 ll l 岡 ]段階 유적의 분포도(가운데 타원형의 점선은 二里 I 읍]

段階의 대략적 지역을 나타내며 가운데 을 향하여 구부러진 3 개의 선은 後J UI 二 ! l!.I M J 유적의 대략적 지역윤 가르키고 사 선이 그어진 부분은 200 미터 이상의 고원지대 를 표시한다.

랫부분으로 나누어지고 장식무늬도 또한 보다 장식적인 로우얼 (Max Loehr) 의 양식 III 에 속하는 것이었다. 원 얼리깡(原二里岡) 유적의 분포지역은 한정되어 있다. 그 분포지역 가운데에는 북부의 정저우(鄭州)와 회이현(j;,fl縣) 그리고 남부의 판롱청

(盤龍城) 이 포함되며 만약 티 엔진 (天 津 ) 박물관의 쥐 에 (爵―세 발솥) 가 상치 우(商邱)에서 출토된 것이 사실이라면 허난(河 南 ) 동부도 또한 포함된다. 후기 얼리깡(二 里 岡) 유적은 훨씬더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서 발견되었다. 그 분포지역은 복부의 뻬이칭(北 京 ), 동부의 산똥(山 東 ) 중부, 남동부의 화이하(淮河)유역, 서부의 웨이하(i月河) 중류 유역 등으로 알려져 있다. 상(商)문명의 영역 외부에서 시아지아띠엔 하층문화( 夏家店 下屈 文化)는 북부에서 상(商)문명과 마주 대하고 있었고 기하형무늬 질그 릇 문화는 남 부에서 창강(長江)의 건너편에 있는 상(商)과 인접하고 있었으며 , 서부에 서는 치지아( 齊家 )와 그 후속 문화가 웨이하( i뀜 i iiJ ) 상류 유역에서 상(商) 문명과 나란히 병존하였다. 이렇게 개관해 본 상( 商 )문명의 테두리 (그립 84) 내에서 상(商)시대의 고고학 발굴 유적은 서 부 에서 보다 동 부에 훨씬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시아지아띠엔 하층문화( ~家店 下府文 化)와 치지아 (齊 家 )문화는 모두 구리연장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남부에서 일찌기 구리 와 청동을 사용하였을 가능성은 항상 고려의 대상으로서 남아 있는 것이 다. 2 왕조기 안양(安陽)단계의 주요 유적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안양( 安 腸)의 상(商)문명의 왕조기의 시초 를 특징 짓는 데에는 샤오둔(小屯)의 후하오( 섭t 女 子 )묘에서 발견된 청동기의 유형 • 장식의 양식이 이용된다. 그런데 범위가 더 넓은 도읍 지역(그 중심부는 안양安 陽 이다)을 벗어나서 보면 왕조기의 안양( 安腸 )단계의 청동그 릇 , 그 리고 그것과 관련된 질그릇이 지금까지 기술하였던 얼리깡( 二 里 岡)단계의 분포지역과 대체로 갈은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다는 것과 그리고 그 지역 에 걸쳐서 상(商)문화 유적이 사방으로 조밀하게 확대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러나 납부 변경지대에서의 상황은 확실히 쉬운 것 같지는 않다. 왜냐하면 왕조기의 상(商)과 납부 사이의 상호작용이 속도와 강도 를 가지 고 증대하였을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의 고고학 기록에 나타나는 상(商)문 명의 거주유적은 아직까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이제 여기에 관해 논의 할것이다.

북부 샤오문(小屯) 및 시뻬이깡(西 1 t岡)과 대체로 갇은 시기의 상(商)문화의 유적은 타이항(太行)산맥을 따라 북쪽으로 츠현(磁縣)과 한딴(郡郞), 싱타 이(邪성.), 까오청(梨城), 링서우(磁海 ),44) 취양 (1 1lJ V~) 에서 확인되었다. ◄ 5) 더 북쪽의 빠오명(保定)은 유명한 〈상(商)왕조의 3 자루의 도끼창〉의 지역 으로 단정된 유적이었다. ◄6) 북으로 더 가면 삐이칭(北京) ◄7) 으로부터 랴오 닝(遼 적t) 서부의 뤼엔하(油河)유역과 랴오하(遼河) 상류유역 ◄8) 까지에 걷쳐 서 상(商)시대의 혈연집단으로 알려진 혈족들의 상칭기호가 있는 많은 청 동그릇이 발견되었다. 이 유물들의 연대는 여러가지로 추정되었지만 허 메이 (iII I1 t ) 북부와 랴오닝 (遼쌤 C) 서부가 옌허우(燕侯, 죽 쳉追 l 의 諸侯)의 영토였을 때인 시저우(西周)시대의 초창기에 이 유물들이 남겨졌다는 것 이 지금의 일반적인 견해인 것으로 보인다. ◄9) 후기 얼리깡(二里岡)양식의 청동기가 아미 페 이징 (北京)지역에까지 도달하였기 때문에 뻬이징 (北京) 에서의 상(商)문명은 왕조기의 안양(安腸)단계 동안에도 게속되었으며 그 것이 시아지아띠엔 하층문화(夏 家店 下片文化)의 영역 안으로 멀리 침투해 들어갔으리라는 추측이 가능할 것이다. 저우(周)가 상(商)을 정복한 이후 에 우왕(武 王 )은 자오꽁(召公)을 베이옌(北燕)에 봉하여 그 제후로 삼았는 데 정복 과정에서 그곳의 상(商)의 영토와 그곳의 상(商)의 혈족을 그대 로 접수하였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청동기들이 시저우(西周) 초기로 추 정될 수 있다 하여도 그것들은 아 지역에서 상(商)문명이 존재하고 있었 음을 알려주는 근거로서도 역시 유용하다.

44) KK , 「i l i I1t 磁闇縣 ~t宅村商代迫 h t調査」. 45) 安 志敏 「河北 1ll1V~ 調査 it 」. 46) 羅振玉 『夢씨i 1;瑾 :吉金 ~I 』 2 卷 pp.1 -3. 47) KK, 「北京附近發現 r1 t1 m,' i l 奴祿陶麟」. 48) WW, r 熱河凌源縣海島츈子村發現的古代淸銅器」 ; KK, 「遼寧哈左縣~ti同村 發現殷代꿉銅器」, 「遼寧瑢左縣~ti同村出土的殷週집f銅器」. 49) lfk麻 「北京遼寧出土銅器與 WI 구n l 內뿐」.

도o 고-r- 왕조기 안양(安 l9) 에서 발견된 유형의 청동그릇과 질그릇이 오랫동안 산똥 (I(I 束) 전역에 걸쳐서 발견되었다 .50) 그러나 그 지방에서의 가장 중 요한 고고학 발견으로서 바다로부터 약 70 킬로미터밖에 떨어지지 않은 산똥 (III 가£) 중부 이뚜(益都)의 쑤후툰( i fj衍t)에 있는 대형묘 들을 들 어야 할 것이다. 이 묘들은, 도굴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1931 년에) 한 무리의 묘가 1936 년에 치옌페이 ( 而 B 延 婦 )에 의해 연구된 이후로 그 부장품인 청동 기 때문에,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 51) 그러나 1965-1966 년에서야 바로소 4 자리의 대형 묘가 발굴되었는데 그 가운데 1 자리만이 보 고 되었다 .52) 그 런데 이것은 가장 인상적인 대형묘였다(그립 85). 그 묘의 구덩이는 길이 가 남북으로 15 미터 너비가 동서로 10.7 미터였다. 그 묘에 는 4 개의 경사 로가 있었는데 남쪽에 있는 것이 길이 26 미터로 가장 길어서 구덩이 바 닥까지 이르는 유일한 경사로인데 반하여 다른 경사로 들은 이 충 대 위에 까지만 다달았을 뿐이다. 묘의 중심부에 나무로 만 들 어진 십자형의 묘실 (木掃)이 있었는데 묘실 안에 관 (h t)이 요갱 (栗 Ht ) 위에 특 이하게 위치하 고 있었으며 요갱 안에는 희생된 1 마리의 개와 순장된 1 명의 사람의 뼈 가 들어 있었다. 묘의 부장품으로서 많은 청동그릇과 청동무기 그리고 옥제품이 있었지만 대부분이 오래전에 도굴되어 버렸다. 거의 4,000 점이 나 되는 조가비(화폐로 쓰였던 보패)가 아직까지 그 묘실 안에 남아 있었 다. 발굴 담당자 들 은 이 묘의 규모와 형태에 따르는 동원인력과 순장된 사람의 수, 2 점의 청동도끼의 발견 등을 근거로 하여 안양(安腸) 외부에 서 가장 큰 이 묘룹 상(商)과 동맹국인 휘꾸(it't///i)라는 나라의 왕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상(商)시대 제후의 묘로서 특징지웠다 .53)

50) F. S. Drake, Shang Dy n asty Si te at Lich 'eng Wang -sh e-je n -chuang , Shant un g ; WW, 이때마!i Il', 1_•. ( I : J , !t이澤」, WW, 「 1I 대야 111 縣 ,'I', I: ,!;·fl,1 器」 ; 代文i.g, 「槪述近年來 1l1 .!U II', f·.(1 \ . J1 f!iJ ,1; J , !.-ii,1器」 : WW, 「 III JR세때析: X f섣 現,tli(나澤」 ; KK, 「 111 退縣發現,t'!j(합대,1器」. 'l) II 신요 「 I[ 대£습t HI 산 KKU t Il ,1 ,-.유서:니 ~1 t,i~」. 52) WW, r111 輯따따 IE 第 一 幻好田町麟」. ,3) 殷之! ~ . 「 11 대£益 KI i선 K J印屯Jii;J也.f1 1 남마陳'鎖器」.

.'I'’

---·--··-· ---------;l': ,-,-------1', H 、` `:’, ------、'-, \,- _`>, .、.';: - ---- -------- --------- ------0--- ---------5-M--- --- ‘ 4l £?@?A f ” / I 그립 85 一山號束奴 隸益拘都葬 墓蘇」짜)屯.의 商시대의 묘 (WW. 「 Ill 東益都蘇뱌屯第

남부 앞에서 기술되었듯이 얼리깡(二里岡)단계에서 상(商)문명이 존재하였음 을 알려주는 유용한 증거를 산출한 화이하(淮河) 유역에서 많은 상(商)시 대 말기의 유적이 보고되었다. 그 가운데 주목할 만한 규모를 가진 유일 한 유적은 지양쑤(江蘇) 북동부 쉬저우(徐州) 북쪽의 치우완(丘때)에 있는 주거 • 매장 유적이며 이 유적은 1959 년에 발견되어 1959 년과 1960 년, 1965 년에 발굴되었다 .54) 주거지역으로부터 집터(항토식으로 닦은), 기둥구 멍 벽난로, 저장구덩이 등이 밝혀졌는데, 여기에서 돌연장과 질그릇, 청동칼 1 개, 청동끌 1 개 등이 발굴되었다. 질그릇 가운데 특징적인 후기 인쉬 (殷城) 유형은 유적의 위충에서 그보다 이른 유형은 아래충에서 발견되 었다. 어깨뼈와 거북껍데기를 재료로 한 점뼈가 발견되었는데 어떤 것들 은 끌질을 하여 뚫은 구멍들이 있었다. 주거지역의 남쪽에 위치한 약 75 평방미터의 지역 안에서 22 명분의 사람의 뼈와 2 명 분의 사람의 두개골, 12 마리분의 개뼈가 발견되었다(그립 86), 4 개의 큰 바위들이 매장지역 중 앙에 세워져 있었는데 (그립 87) 사람과 개를 그 주위에 매장하였던 것으 로 나타났다. 사람들은 모두 무릎을 꿇고 대부분 손이 뒤로 묶인 채로 엎드려 묻혀 있었다. 묘구덩이, 관 또는 무덤부장품은 하나도 확인되지 않았다. 이 매장지역은 사람과 개를 희생의 제물로서 바치는 제사의 장 소였던 사(社)의 유적으로 확인되었다• 55) 그리고 쉬저우(徐州)를 포함하 는 지역은 따펑(大彭) 또는 평(彭)이라는 나라가 위치했던 곳으로 생각되 는데 전통적인 문헌과 정복기록에 의하면 이 · 나라는 수시로 상(商)과 동 맹관계를 맺기도 하거나 적대상태에 있기도 하였다고 한다 .56) 쉬저우(徐州)로부터 남쪽으로 내려가면, 화이하(淮河) 유역에 있는 더욱 남쪽의 여러 지역과 창강(長江) 유역은 상(商)시대 말기의 몇 곳의 취락 유적의 존재에 관한 암시의 실마리만을 제공하고 있다 .57) 그러나 상당히 54) KK, 「 1959 年冬徐州地區考古調査」. p.2 5 ; KK, 「江森銅山丘泊古迫址的調 令」. ) 兪f 1 jl:.ti, 「jl-1 I LJ丘円商代社祀追述的推定」. ,6) I:·Ff, t 내凍앓休 R, 「關子江蘇銅 1L1 丘싸商代祭祀追址」. 57) J,'/J 111 榮, 「湖 m|''l 縣온市發現商殷迫址」 ; KK, 「安徽含山縣孫家區)商代遺

그립 86 江蘇 徐州 丘泊에 있는 商시 대 의 묘지 (KK, ®j)

「江蘇銅山丘料古迫址的發堀」). N11 O 제 1 층 ◊ 재 2 층 OI ....1, m. 心8 & 台 ©,~,•.

그립 87 丘싸의 商시대 묘지의 중앙에 세워진 바위 (KK, 「 i T.~ ii-1 III

丘서古迫.1_]1:( 1\ J發堀」) .

많은 청동제기가 이 지역으로부터 보고되었는데 이것 들은 유형상에서 상 (商)시대 후기로 분류되었지만 그 출처에 관한 지식은 불투명하다 . 이 청 동기 가운데 적어도 13 점의 청동그릇이 안훼이 (安 徹 )의 후난 (1,1. rH) 에 서 ,58) 적어도 2 점의 청동그릇은 안훼이(安徽)의 훼이시(J I!'.!I) 서)에서 ,s91 l 점 의 대형의 청동북은 후데이 (湖北)의 총양(崇 FL}) 에서 ,60) 적어도 J O 점의 청 동그룻(사람 얼굴모양의 무늬가 있는 유명한 황명 1 i l \l~-사각형의 솝을 포함하 여)은 후난(湖南)의 낭시양( 寧鄕 )에서 ,61) 1 점의 청동코끼리 춘(tt.)은 후난 址調介與試批」. ,8) A介 屈 「安 꿈t (,1_, ♦ g갖現殷商 n.打 UI(I:J ,q.井1 器」 ; ;r,.却: U t, 멜, i 炎{l'd ,' g;. ((j幾 II 서 1::l 題」. '9) Foreig n Lang u ag e Press, Hi sto r ic Relics Unear/lled in New Chin a , no. 40 ; Commi tee of the Exhib i t ion of Archaeolog ica l Fin d s in the Peop le 's Rep u bli c of Chin a , Til e fahibil io n of A rcllaeolog ica / Fi nd s iu tile Peop le ' s Repu b lic of Cllin a , no.9 0 . 60) WW, 「i NI4 tg .: '서 /l', l·· 一 f't·禪」. 61) ,::iifi}'(., 「t lb( t A i)i 'I 」 : ,:':j~ 써 「湖南: 유鄕 b t材發 現商(\;:jJ미 &W1l 迫 h t」.

(湖南) 리링( 熙陵) 에서 .62) 적어도 1 접의 청동그릇이 후난(湖南)의 창닝('i(; i忠)에서 ,63) 1 접의 청동 시엔 ( h1 Ii.―세발솝) 이 지양시(江西)의 뚜창(都g,)에 서 64) 그리고 3 접의 청동그릇과 약간의 청동무기가 쓰촨(西川)의 평현(~多 縣)에서 65) 각각 발견되었다. 이 그릇둘은 상(商)시대의 말기의 문명이 창 강( ·反 江) 중류유역의 전역에 걸쳐서 분명히 존재하였음을 확실하게 나타 내 주고 있다. 그러나 취락, 묘지 또는 그러한 청동기를 생산한 청동기 제작소 등의 고고학적 유적이 없기 때문에 상(商)문명의 실재에 관한 상 세한 내용은 불두명한 것으로 간주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 청동그릇 의 유형과 장식의 양식이 안양( 安陽) 의 청동그릇의 그것과 유사하거나 십 지어 동일한 점을 나타내며 동시에 남부적인 뚜렷한 특칭이 있음을 불 수 있다. 케인 (Vi rg i ni a Kane) 은 한 예로서 후난(阜南)의 청동기에서 그 규모의 안양(安i'.la)청동기의 전기와 후기의 특징이 혼합된 1 점의 청동그릇 울 보면서 〈 아마 이러한 그릇 유형( .합 , )의 전 • 후기 표본을 찰 알고 있었 지만 그 모든 요소 를 올 바로 결합시킬 줄을 모르는, 따라서 자기 도안의 부조화( 不調和) 를 알아채지 못하는 어느 지방예술가의 솜씨〉를 밝혀내었 다 . 66) 그녀는 후난(湖南) 의 청동기를 〈 안양(安 FL } )으로부터 수입된 원형을 토대로 한 것으로 보지만 또한 때로는 대담할 만큼 독창적인 양식을 지 닌 것으로 보기도 한다.〉 67) 이러한 상(商)시대 말기의 안훼이(安 徽 )와 후 난(湖,t.i)의 청동그릇 가운데에는 지방의 청동기제조업의 생산품이 포함되 어 있었으며 그것들이 안양(安 lL } )의 원형에 바탕을 두었다 해도 납부에서 의 독창적인 양식 을 결합했다는 것이 그녀의 결론이었는데 여기에 일반 적으로 동의할 수 있을 것이다.

62) 熊(J Ir斤 , 「湖 南面陵發現 1! '!if-t銅象 t ?」. 63) Commi ttee of the Exhib i t ion of Archaeolog ica l Fin d s in the Peop le 's Rep u bli c of Chin a , 앞 굴, no.9 1 . 64) J.!f,맙札 「江西i 11 삼 , i L 」·.,商代銅器」 . ; WW, r 近 1 t m !i /l ,1 : I·. 的商f-\'.; j!;:銅器」, p. 60 65) : r:家i!T{i, 「, i E 四 川彭縣竹瓦 1EIl’1 : I ,_ (IW1 澤」 기余서’홉r-' 「 I /_g )11 杉縣t찌 ,~ ~j,'t /.l L l:( t-J 殷f\'.:二鄕」. 66) The Indep e ndent Bronze Industr i e s in the South of Chin a Conte m p o rary wi th the Shang and Weste r n Chou Dy n asti es , p.s o. 67) 위 글, p.8 5.

서부 안양(安腸)의 왕조기와 갇은 시기의 문화로부터 수집한 서부에서의 고 고학 자료는 두 집단을 이루고 있는 매우 중요한 유적들로부터 얻어낸 자료가 그 주요 부분이 되고 있다. 첫째집단의 자료는 산시(山西)중부와 북서부 그리고 산-시(陝西)내의 그 인접지역에서 발견된 많은 청동그릇과 청동무기의 집단(일부는 묘와 관련된 상황에서 발견되었다)을 포함하고 있 다 .68) 그 가운데 많은 제품에는 상징기호가 있는데 그것들은 안양(安腸) 지역과 가까운 곳에서 발견된 청동기에서 보인다. 둘째집단의 자료는 산 -시 (陝西) 중부 치산(岐山)에 있는 징땅(京當) 마을에서 새로이 발굴된 시 저우(西周)시대의 궁궐을 포함한다. 이 둘째집단의 자료에 관한 과학적인 보고는 아직 이용이 불가능하지만 일차단계의 발송기사에는 전체를 번역 해도 무방할만큼 중요한 정보가 실려 있었다. 저우위엔 \' I st I 原 저우의 평원)은 북쪽의 치산(岐山)과 남쪽의 웨어하(消 河) 사이에 있는 산-시 (陝西) 판종(關中)의 서부에 위치하며 저우(周)나 라의 발상지(일반적으로 간주된다)이다. 저우위엔(周原)의 고고학 지역 은 저우 (IEI) 나라가 저우위엔(周原 지금 후왕현扶辰l ~ 에 있는 화먼法 |'1 마 운과 후앙퀘이 마을黃淮公社 그리고 치산현岐山縣에 있는 징땅京當 마을을 포함한다)에 있었을 때의 도읍지와 일치한다. 징땅(京常)마을의 핑추(鳳 雄)에 있는 궁궐구내 제 1 집단(宮殿區內第一渠團)의 서쪽면에 있는 한 채 의 건물 안의 저장지역으로부터 점뼈가 무더기로 발견되었다. 이 귀중한 점뼈는 15,000 개 이상에 달했는데 이 가운데 14,800 개 이 상이 거북껍데기이고 120 개 이상이 어깨뼈였다. 일부의 거북 껍데기를 씻어서 연구한 결과 이 가운데 127 개가 문자가 새겨진 것으로 나타났 68) WW, 「山西 石樓縣二 nII i皮사 'I .-L 商fk l 銅器」 ; WW, 「石樓縣發現古代銅器」 ; 謝 ,!;-111 • 楊첩 l~. 「山西呂染縣石樓鎭又發現銅器」 ; 郭勇, 「石樓後 I 싸家t,Yi發現 商代,껍1-1 r.v -簡報」 : KK, 「山西짜맑義謀發現商代銅器」 ; WW, 「山西 1 i樓義 課合坪發現商代兵器」 ; WW, 「山西石樓新敎渠至 I J h~ 幾件商代꿉銅器」 ; 沈振 屯 「析縣述 寺溝 IH J: h~ J ,打銅器」 ; 吳振衆 「保從縣新發現的殷代겁t銅器」 ; WW, 「陝西緩園出頭村發現一批窓藏商代銅器」.

다. 일차 연구를 통해서 접복의 기록들이 제사의 시행 및 조상에게 보 고하는 제사, 오고 가는 일, 사냥, 전쟁, 수확, 그 밖의 항목 등에 관 한 것임을 알아냈다. 문자가 새겨진 1 개의 거북껍데기에는 저우(周)의 원왕(文 王 )이 상(商)의 띠이 (帝乙) 를 위하여 행한 제사에 대한 기록이 있었다. 또 하나의 거북껍데기에는 산-시(陝西)에서의 상왕(商王)의 방 문이 언급되어 있었다. 그 밖의 다른 것들에는 〈인왕(gll: 王 )의 사냥〉, 〈원우띠이 (文 武帝 乙)에 대한 헌납〉, 〈청당(成湯)〉, 〈타이지아(太甲)〉, 〈저 우황(周方)의 휘 (伯)〉 등이 언급되어 있었다. 이러한 갑골문들은 이 건 물들의 연대가 저우(周)의 원왕(文 王 ) 시대로 추정됨을 확고히 뒷받침 하였으며 우왕(武 王 )이 상(商)을 정복하기 전에 서부의 저우(周)가 상 (商)의 종 속 국이었음 을 알려주는 것이다 .69) 이 발견으로 말미암아 고대의 문헌과 안양(安腸)에서 발굴된 갑골문으 로부터 얻어낸 저우(周)에 관한 지식은 확실시되었다. 우리는 극히 중요 한 이 발견에 대한 과학적 연구발표를 깊은 관심을 가지고 기대한다 .70) 3 일반적 논의 실제로 이 장과 앞의 여러 장에서 기술하고 논의했던 고고학 자료의 69) 西安으로부터 의 충府 衍 : 발송기 사. ( 美 洲華ff-7 日 報), New York Cit y, 1977 년 11 월 1 일. 70) 北京大學의 탄소 -14 실험실에서 발표된 근래의 방사성탄소측정연대 (WW, 「破十四測定年代驛, 組一」) 가운데에는 鳳難, 京臨 岐山으로 부터의 견본들에 대한 3 개의 연대가 있다. 이 연대들은 다음과 갇다 (5730 士 40 半減J버에 근거). BK77011 서기전 1080 士 90 수정연대 2120 士 150 BK76018 서기전 1040 士 90 수정연대 1880 土 150 BK11012 서기전 890 士 110 수정연대 1000 土 170 수 정 연 대 는 P. E. Damon°C . W. Fergu s on•A. Long •E . I. Wallic k , Dendro- chronolog ic Cali br ati on of the Radio c arbon Ti m e Scale” 에 재 시 된 표에 따라 설정되었다.

전부는 1950 년 이후부터 이용할 수 있었다. 1950 년까지 상(商)문명은 그 마지막단계로 알려져 있는 안양(安腸)의 형태만을 토대로 인식되었을 뿐 이다. 지난 28 년 동안에 안양(安陽)과 그 밖의 지역에서 밝혀진 새로운 자료들은 안양(安陽)의 형태까지 도달한 만족할 만한 일련의 문화발전단 계뿐만 아니라 상(商)문명 및 상(商)문명과 동시대인 다 른 문화의 보다 확대된 실상을 제공해 주었다 . 그러나 그 실상은 그리 완전하지 못하다. 지난 30 년 동안의 중국의 새로운 고고학 연구로 부터 깨달았어야 했던 가 장 중요한 교훈 가운데 하나는 사실이란 상상보다 기묘한 것이라는 옛 격언이라고 필자는 믿는다. 장(商)의 발전단계에 관하여 우리가 이전에 가지고 있던 많은 가설들은 새로운 자료에 부딪혀 부서져 버렸다. 〈 사료 학〉(史料學, Da t a i sm) 의 결점이란 자료 그 자체가 결코 아니다. 사료학 (서론 5 철 참조)이란 사료 를 위한 사료 를 뜻하지만 사료 는 분명히 역사의 이해를 위해서는 중요한 것이다. 위에서 말한 것을 조심스럽게 염두에 두면서 상(商)시대의 고고학 과, 그것이 상(商)시대의 역사서술에 끼친 공헌에 관한 우리의 입장을 살펴보 자. 이 책에서 우리는 주로 상(商)문명의 두 발전 단계 를 이 루는 얼리깡 ( 二里 岡)단계와 왕조기 안양(安陽)단계 를 알아보았다. 그런데 안양(安腸) 왕조기보다 이르지만 정저우(鄭州)의 고전적인 얼리깡( 二 里岡)유적 (상충과 상충의 아류로 구분이 가능하다)보다 늦은 것으로 보이는 유적이 상당수가 존재하고 있다. 이 유적들은 후기 얼리깡( 二 里岡) 아류 로 분류 되는데 이 러한 분류는 왕조기 안양(安陽)단계의 시작의 표지로서 후하오 (t,t l 子)의 묘를 이용하면서 이 유적들이 왕조기의 안양(安µ .!,))보 다 이 르다는 것을 분 명히 밝히기 위한 것이다. 그리하여 다음의 상대년대에 귀착된다 : 왕조기 안양(安腦 전형유적 : 왕조기 안양安µ냐 . ) 후기얼리깡(後J Ul 二 里區 l, 왕조 이전의 상商, 안양'女腸) 얼리깡( 二 里 1 페,정저우鄭州의 얼리깡 二里岡 ) 이 3 단계와 그 아류의 분포는 다음과 갇이 알려져 있다. 죽 얼리깡( 二 里岡)의 상(商)문명은 지금은 허난(河,tj) 중부와 후메이 (iNH t ) 북부(그리 고 아마도 그 사이의 지방)에서 알려져 있으며, 허난(i u ti) 동부 등지에서 도 알려져 있을 것으로 보인다. 후기 얼리깡( 二里 岡)시대에 와서 상 (1 Bi)

문명은 대략 그 최대 지역에까지 도달하였다. 죽 북부의 데이징(北겨\.)에 서 남부의 화이하(淮iiiJ)와 한수(漢水) 하류까지 그리고 동부의 산똥(山 .* ) 에서 서부의 아마도 산시(山西)와 산-시(陝西) 동부까지에 걸쳐서 분포되 어 있다. 북쪽의 후기 얼리깡(二里 13)) 단계와의 동시대의 문화~ 시아지아 띠엔 하충문화(夏家店 下用文化)이었으며 남쪽으로는 기하형 인장무늬질그 릇 문화였고 서쪽으로는 치지아문화(齊家文化)와 그 후속문화였다. 문명 의 중심부는 대체로 왕조기 안양(安陽)단계와 같은 공간에 자리잡고 있었 지만 북부에서 그 문명은 시아지아띠엔(夏家店) 하층의 영역 안으로 조금 씩 침투해 들어갔으며 납부에서는 창강(長江) 이남 지역에서 상당수의 지 방적인 상(商)문명의 양식을 일으켰는데 서부에서 그것이 산시 (山西) 중 부와 북동부 지역에 퍼져나간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그립 88). 이 분포도는 30 년이 채 안되는 기간 동안 수집해 온 자료를 근거로 했 기 때문에 그 중요성을 평가함에 있어서 사실이 아닌 것보다는 사실에 역점을 두어야 한다. 근래의 연구에서 얻어진 첫번째의 중요한 결과는 2 단계나 3 단계 전부와 그 아류의 상(商)문명의 지역적 확대에 관한 설명이 다. 이것은 얼리깡( 二 里岡)을 상(商)으로 분류하는 것을 강력히 뒷받침하 는 것인데 왜냐하면 왕조기 안양(安陽)을 상(商)으로 분류하는 데에는 의 문의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 두번째 입장은 상(商)은 후기단계에서 상당 한 팽창을 보았다는 것, 그러나 그러한 팽창은 절대적인 지역의 확대에 의해서보다는 상호작용의 정도와 유적의 조밀도가 더욱 증대함으로써 두 드러졌다는 것이다. 세째로 상(商)이라는 표식을 달고 있는 고고학 유적(시아지아띠엔夏家店 이나 기하형, 치지아齊家 갇은 다론 문화의 표식을 지닌 것으로 분류되어야 하 는 고고학 유적의 집단에 대립하는 것으로서)의 지역적 범위를 4 장에서 논 의한 여러 다른 나라와 상(商)의 재후들의 지역적 분포와 비교할 때 우리 는 안양(安陽)에서 발견된 점복기사에 언급되어 있는 전부는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동맹 또는 적대적 정치단위들이 고고학상의 상(商)문명의 영역 내에 분포되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고고학적인 공간적 설명을 시마꾸 니오 (I沮 맙男)가 작성한 나라들의 지도 위에 옮겨 놓으면, 고고학상의 상 (商)문명의 지역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서 안양(安pb ) 의 점복기사에 보이 는 그 나라들이 예외적인 존재였음을 발견하게된다. 상(商)나라는 나름대 로의 발전 수준에 오른 주민 __- 우호나 전쟁 관계에서――과 우선적으

그립 88 王朝期 安腸段階 考古學 유적의 분포도(사선이 그어진 부

분은 200 미터 이상의 고원지대 를 나타낸다).

로 접촉하였거나 그들하고만 접촉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명확한 사실 은 다소 홍미있는 암시를 주는 데 여기에 대해서는 다음장에서 논의할 것이다. 네째로 얼리깡(二里岡)단계의 상(商)의 유적과 왕조기 안양(安腸)단계의 상(商)의 유적과의 사이에 홍미있는 비교를 할 수 있다. 전기단계에서 상 (商)문명은 창강(長江) 유역의 판동청 (盤龍城) 유적에서 실재하고 있었으

며 판롱청(盤龍城) 문화는 정저우(鄭州)의 사실상의 재판이었다. 후기단계 에서는 창강(長江) 이남에 상(商)문명의 유적이 전기에서보다 더 많이 있 었지만 그곳에서 상(商)문명은 보다 독창적인 변화 를 보였으며 한편으로 상(商)문명은 산시 (山西) 북부로 의미있는 침투를 하였다. 바글리 (Robert Ba g le y)는 〈지방중심지의 성장〉을 〈상(商)의 직접적인 동치권위의 몰락〉과 시기적으로 일치하는 사건으로 보고 있다. 〈납부에서는 이러한 몰락이. 도읍을 북쪽으로, 죽 정저우(鄭州)에서 안양(安 F 냐)으로 옮겼을 때와 거의 갇은 시기에 판롱청 (盤前城)을 사실상 방치한 것에서 분명하게 반영되고 있다. 후 베 이 (湖北)의 한수(漢水) 유역에서의 왕의 군사작전에 관한 기사 둘이 우명 (武丁) 시대의 갑골문에서 수많이 언급되어 있는 사실은 그 지 역이 더이상 안양(安陽)의 상(商)왕의 확실한 소유가 아니었다는 것을 보 여주며 적어도 그러한 사실에 부합하듯이 안양(安陽)시기의 상(商)유적의 실재에 대한 고고학적 중거가 후베이 (湖北)에서는 지금까지 거의 없다〉. 그리하여 그는 〈 왕조의 전기의 세력팽창이 지방의 청동기 사회의 성장을 자극하였지만 반대로 이 사회들은 안양(安,~)시대의 초기 무렵에 왕조의 축소 를 압박하였다 〉 고 말하였다) 이러한 가설이 매력있게 보이지만 전제되고 있는 왕조의 축소란 지금 안양(安 腸 )시대의 유적이 후뻬이 (湖北)에서는 없다는 것에 근거를 두고 있는 것이므로 새로운 고고학 발견이라는 우발적 사건에 대비하여 양자 택일의 2 가지 가설들을 세워 두는 것이 좋다. 양자택일의 2 가지 견해들 가운데 하나는 창강( 長 江) 이남에서의 지방양식의 성장을 납부에서의 지 역적으로 다양한 하층문화를 가지고 있는 문화들과의 증대되고 있거나 또는 증대된 상호영향의 증거로 보는 것인데 그리하면 더 많은 상(商)의 청동기의 수와 더욱 다양한 그 양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다 론 하나의 가설은 일부의 변방의 상(商)의 부락을 특수한 임무를 가진 식 민개척지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판롱청(盤龍城)의 방치는 정저우(鄭州) 에서 안양(安腸)으로(중간에 다른 곳에서 잠시 머문 후에) 상(商)의 도옵울 옮겼을 때와 시기상 일치하였을 뿐만 아니라 또 하나는 구리와 주석의 대규모의 원산지이며 또한 영택(鹽澤)이 있는 산시(山西) 남부의 개막과 도 시기상 일치하였다. 우명(武丁)시대 동안의 납부전선에서의 전쟁기록 71) P'an-lung -c h'eng : A Shang Cit y in Hup e i , p.2 12,

이 접복기사에서 드물게 보이는 점과 귀중품의 주요 원산지로서 납부를 이용하였음이 분명한 접은 상(商)과 남부와의 관계가 오히려 안전하였을 가능성을 말하여 준다. 그러므로 상(商)시대의 고고학 연구를 진행하면서 이 2 가지 설명에 세밀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그 2 가지 설명은 도읍 자체가 더욱 북쪽에 위치한 안양(安陽)지역으로 이동되었던 사실을 설명하여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암시하여 준다.

7 상(商)문명에 관한 일반적 문제 지금까지는 안양(安陽)과 그 밖의 지역에서 얻어낸 근거를 토대로 하여 상(商)시대의 문화사와 사회사를 서술하였다. 이 마지막 장에서는 상(商) 에 관하여 아직까지 남아 있는 전체적 문제와――-상(商)의 발전단계의 절대 연대 편년에 필요한 자료와 그들의 체질인류학, 언어에 대한 · 문제 ―그들의 기원에 관한 전반적인 문제를 논의할 것이다. 1 절대 연대기의 근거 문헌의 자료가 서기전 841 년 이전의 중국사의 확고한 절대 연대기를 마련하여 주기에 충분치 못하다는 점은 이미 도론에서 분명히 밝혀 두었 다. 여러 각도에서 제출된 고고학 증거(금석학 중거도 포함하여)는 유물의 양식과 유물의 집단, 제도 변화 등의 상대연대를 추정하는 데 필요한 기 초를 마련하여 준다. 표 4 는 몇 가지 단편적인 주요 연대를 정리한 것이 다. 그런데 과학적 자료가 아직까지는 문헌에서 보이는 불확실한 접을 해결할 수 있을 만큼 정확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금으로서는 연구상의 진 전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 같다. 단지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라도 알아보

표 4 상(商)문명의 상대연대표

똥쭤뻔( 董 作賓)의 고고학상의 단계 재위한 왕 연대편년 질그릇 청동기 양식 I Il 띠신( 帝辛 ) 띠이( 帝 乙) 5 기 신파 인쉬 (t妹 ~ ) 4 원우명(文 武 구파 丁 ) 우이(武乙) 4 기 왕조기 안양(安陽) 껑땅(庚丁) 인쉬 (殷j.!& ) 3 IV, V 린신( 廈辛 ) 3 기 쭈지아( 祖 甲) 신과 인쉬(殷 ~ )2 쭈껑( 祖 庚) 2 기 우명( 武 T) 1 기 구파 샤오이 (小乙) 샤오신(小辛) 판껑( 盤 庚) 인쉬( 殷城 ) 1 浮기 얼리깡(二里岡) I , ll, 패 얼리깡( 二里 [ Ill ]) 상충 I , Il , 얼리깡 (二里岡) 얼 리 깡(二 里 m( 드물다) 岡) 굴H

기 위해서 과학적 자료를 검토할 것이다. 상(商)문명의 철대연대의 편년에 관계되는 과학적 자료는 2 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하나는 상(商)문화 유적에 대한 방사성탄소측정연대이며 다른 하나는 갑골문에서 보이는 월식과 일식에 관한 기록이다 . 상(商)문화 유적으로부터 얻어낸 방사성탄소측정연대는 5 개만이 이용이

가능한데 그 중 2 개는 정저우(鄭州)의 얼리깡(二 里 岡)에서, 1 개는 후기 얼리깡( 二里 區]) 유적에서, 나머지 2 개는 왕조시기의 안양(安 F냐 )에서 얻어 냈다. I) 그 연대들은 다음과 같다(나무의 나이테에 의거한 수정연대). 얼리깡( 二里 岡) 정저우 (鄭州, ZK- 1 78) 서기전 l '.5 90 士 160 정저우 ( 鄭 州, ZK- 1 77) 서기전 l '.56 0 士 160 후기 얼리깡( 二 里 岡) 까오청 ( 菜 城, BK-noo7) 서기전 1500 士 170 왕조시기의 안양( 安 陽) 샤오 툰 (小屯 ZK- 8 6) 서기전 1280 士 150 우판촌( 武官 村)의 묘 (ZK-5) 서기전 1210 士 160 안양( 安 Fg )의 연대 수치들은 극히 적어서 결정적인 가치가 없지만 3 개 의 얼리깡( 二 里 岡)의 연대 수치들은 매우 중요하다. 얼리깡(二 里 岡)의 연 대 수치들은 서로 일관되어 서기전 1500 년과 1600 년의 사이의 범위에 둘 어 오며 모두가 서기전 1330 년보다 이른 연대들이다. 그 중 가장 늦은 까오청( 謀 城)의 연대 수치는 상(商)왕이었던 판껑(盤庚)이 안양(安陽)으로 천도하기 이전 시기의 말기에 가깝기 때문에 서기전 1300 년은 왕조의 마 지막 도읍으로서의 안양(安陽)의 설치연대의 하한으로 볼 수 있을 것이 다. 만약 정저우(鄭州)가 아오 (Fk) 였다면 탕(i易)의 왕조 건립시기는 얼리 깡( 二里岡 ) 유적의 가장 빠른 연대보다 훨씬 앞에 와야 한다. 다시 말해 서 종명 (f1!1 T, 아오殿로 도읍 을 옮겼던 상商왕)으로부터 판껑 (盤庚) 까지 의 상(商)왕조사의 부분은 ― ―극소수의 방사성탄소측정연대에 의하면 __- 서기전 1300-1600 년보다 늦울 수는 없고 상당히 앞선 시기였을 것이다. 따라서 탕(i 8) 의 왕조 건립시기는——종명(仲丁)시기보다 9 대가 앞선 __ 서기전 1700 년보다 앞선다는 결과가 나오게 된다. 판껑 (盤庚)부터 띠신(帝辛)까지의 시기를 추정하는 데에 이용가능한 연 대 수치는 2 개밖에 없다. 그런데 노엘 바나드 (Noel Barnard) 가 지적하였 1) 이 연대들에 대해서는 부록 참조.

듯이 2l 이 2 개의 연대 수치는 그 시기의 연대편년을 천멍지아(陳夢家)보다 길게 잡었던 똥쭤뻔(萊作賓)의 설을 뒷받침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렇지만 납득할 만한 견해를 제시하기 이전에 보다 많은 연대 수치가 필요할 것 이다. 한편 우명(武丁)의 재위 시기의 것으로 추정된(상대연대 편년방법으 로) 갑골문에는 월식에 관한 5 건의 기사가 있다. 그 기사들은 다음과 갇 다.

2) The firs t Radio c arbon Date s from Chin a , p.3 0,

1 임신(壬車 9) 일의 월식 순(句), 임신(壬申), 밤에 월식이 있었다 .3) 2 계미 (矣未, 20) 일의 월식 계미(矣未)일에 (접을 쳤다) 정(爭)이 묻습니다 : 다음의 갑신(甲申)일 에 해가 뜨겠읍니까? 그날 밤에 월식이 있었다. 갑(甲) ( )[일 에〕 비가 오지 않았다 .4) 3 을유(乙酉, 22) 일의 월식 계미 (矣未) [일에〕 정 (爭)이 점을 쳐서 묻습니다 : 다음 순(句)에 재화 (災禍)가 없겠읍니까? 3 일 후 울유(乙酉)일 밤에 월식이 있었다­ [그래서 그 일이] 알려졌다. 여덟번째 달에 .5) 4 갑오(甲午, 31) 일의 월식 기축(己丑)일에 뻔(賓)이 점을 쳐서 묻습니다 : 다음 을미(乙未)일에 쭈이(祖乙)에게 술과 기장을 바치려고 하는데 어떻겠읍니까? 〔왕이] 예언하기를 : 재화가 있을 것이며 비가 [오지 않을 것이다]. 6 일 후 갑오(甲午)일 밤에 월식이 있었다 .6) 5 경 신 (l)t申, 57) 일의 월식 계축(榮丑) 일에 점을 쳐서 묻습니다 : 다음 순(句)에 재화가 없겠읍니 까? 왕이 예언하기를 : 재화가 있을 것이다. 7 일 후 기미(己未)일에 인( .~ ). 경신(庚申)일에 월식이 있었다.

3) 王襄 『靈室殷契徵文』, no.2. 4) 張秉權, r 卜 辭矣未月 食的新證操」. '\. '대커t, 다、辭中八月乙西月食考」 ; 嚴一뀝t, 「八月乙酉月食腹甲的持合與考 證的經過」. 6) '/ti;{衍 R, 『殷虛文字乙編』, no.3317,

계해 (榮亥)일에 점을 쳐서 묻습니다 : 다음 순('a 1 J)에 재화가 없겠읍니 까? 계유(矣西)일에 점을 쳐서 묻습니다 : 다음 순 (1d) 에 재화가 없겠읍니 까? 계미(矣 未 )일에 정(爭)이 점을 쳐서 묻습니다 : 다음 순 (1I J)에 재화가 없겠읍니까? 왕이 예언하기 를: 재화가 있을 것이다. 3 일 후 을유 (乙西)일 밤에 인( 쌉i ). 병오(丙午)일에 정말로 와서 치아 속으로 들 어갔다. 열세번째 달 .7) 마지막 기사에서는 인( .栗 ) 에 대한 상이한 해석 때문에 월식이 일어난 날짜에 관한 여러 다른 해석이 나오게 되었다. 똥쭤뻔( ; f( {1 땅{)은 인(tl!.) 울 의식(~~ 式)의 행사 를 뜻하는 말로 이해하였으며 인(법 : )의 다음 시기 죽 〈월식이 있었다〉는 구절 앞에 날짜 표시인 경신(/)£中)을 월식날로 재 시하였다 .8 ) 그러나 호머 더브즈 (Homer Dubs) 는 인( ~Yi. ) 을 〈……에 계속해 서〉라는 뜻으로 해석하였는데 그의 해석은 월식이 기미 (己未, 56) 일날에 일 어나서 경신([)t rI -I, 57 일)날에 계속되었음을 주장한 것이다. 왜냐하면 더 브즈는 상(商)의 날짜 변경 방식은 로마의 방식과 같이 하루가 자정에 시 작하여 자정에 끝나는 방식이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9) 똥쭤뻔( ? t沿才f)은 물론 상(商)의 날짜 변경 방식은 하루가 새벽에 시작하여 새벽에 끝나는 바빌로니아의 방식이었다고 믿었다 .10) 그런데 인( :世 )의 용법의 일관성과 인準)에 대한 근래의 고문서학적인 연구결과 11) 를 토대로 할 때 필자는 낮이 새벽부터 일몰시까지이고 밤이 일몰시부터 새벽까지이며 낮과 밤의 기간이 하루가 되는 바빌로니아 방식의 해석을 따르고 싶다. 그렇지만 우선은 어느 해석에도 치우치지 말고 그 차이가 무엇인지 알기 위하여 7) 方法냈k , 「 III( 方二氏 }un누 ,1'H gf」, no.l~9~ ; }j'(;.l.;~. 『 金j n 所歲 I1’1' t 卜 gr., . no.594. 8) 「tJl:{t月 食考」, pp.1 40-142. 9) The Date of the Shang Perio d ; The Date of the Shang Perio d -A Posts c rip t. 10) On the Meth o d of Recordin g the 'Day ' in the Yin Dy n asty . 11) 龍宇純 「!협 I pft文 유::-t :兼 hf 1 孔t中」.

두 가지 방법 모두의 증거를 검토해 보기로 한다. 다섯 건의 월식 기사에는 다음으 1 해석하기에 까다로운 정보, 죽 다음 의 5 개의 날짜에 안양(安陽)에서 상(商)나라 사람들이 월식을 보았다(그 리고 월식이 있었다는 것을 들었다)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9 ―임신(壬申) 20 _도― 계 미 (榮未) 22 __ 을유(乙酉) (이 날은 여덟번째 달에 속했다) 31 ―갑오(甲午) %―기미(己未) 또는 (이 날은 열세번째 달에 속했다) 57 ―경신(庚申) 서기전 2000 년대 (second mi llen niu m B. C.) 후반 동안에 안양(安腸)지역 에서 볼 수 있었던 월식은 과학적으로 산출해낼 수 있는 천문학 사건이 므로 이제 월식이 실제로 일어났던 월 • 일에다가 위에 들었던 5 건의 월 식을 대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서기전 1500 년에서 서기전 1000 년 사이 에 중국북부에서 볼 수 있었던 그러한 월식 사건들은 사실상 천문학자들 이 마련한 〈월식목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와 갇은 월식목록으로는 호 머 더브츠 (Homer Dubs) 가 먼저 정리하고 나중에 리우빠오린(劉寶林)이 확대 수정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12) 그런데 리우빠오린(劉꼈林)의 월식목록에다가 위에 든 월식을 맞춰보기 에 앞서 두세 가지의 가정을 전제로 내세워야 한다. 첫째 상(商)시대 이 후에도 계속해서 간지(干支)라는 주기표시가 사용되어 왔다는 것을 우리 는 가정해야 하는데 그러한 가정은 우리가 모든 간지 날짜에 율리우스력 (Ju li an calender) 의 가치를 부여하고자 한다면 불가피하게 되는 가정인 것이다. 둘째 음력의 월을 양력의 년과 결합시켰던 상(商)의 역법은 율리 우스역법과 유사하므로 갑골문에서 보이는 여덟번째 달은 7 월 또는 8 월, 9 월에 해당되었으며 열세번째달(윤달)은 11 월, 12 월 또는 1 월에 해당되었 12) Homer H. Dubs, A Canon of Lunar Eclip s es for Any a ng and Chin a , -1400 to- 1000 ; 劉寶林 「公元前 1~00 年至公元前 1000 年月 食表」.

표 5 바빌로니아날짜(새벽부터 다음 새벽까지)에 따른 상(商)시대 5 건의 월

식의 발생년도(서기전) 9 일 20 일 22 일 31 일 57 일 (여덟번째달) (열세번째달) -1379. 8 -1376. 12 -1356. 5 -1310. 11 -1281 . 11 -1278. 9 -1277. 2 -1263. 5 -1258. 8 -1231 . 8 -1228. 12 -1226. 5 -1217. 11 -1211 . 2 -1200. 7 -1197. 11 -1188. 10 -1184. 2 -1182. 1 -1180. 11 -1179. 5

을 것이라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13) 위에 말한 전제들이 사실이라고 가정한다면, 더 나아가서 갑골문의 월 식기사들 자체가 정확한 것이었다고 가정한다면, 이제 리우빠오린(劉였 林)의 월식목록에서 5 건의 월식기사를 찾아내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건의 월식 모두 약 59 년(문헌상의 우명武丁의 재위 기간)의 기간 내에 일 어났던 것들이어야 한다. 아래에 두 가지 월식표를 제시한다. 첫째 표 (표 5) 는, 리우빠오린(劉寶林)의 월식목록에 의하면, 문제가 되고 있는 날 13} 蓋作賓, 『殷府譜』.

짜의 낮 바로 다음의 밤 12 시간 동안에 일어났던 모든 월식의 년 • 월을 기록한 것인데 이것은 바빌로니아의 날짜 변경 방식을 따른 것이다. 둘 째 표(표 6) 는 문제가 되고 있는 날짜의 낮 바로 전의 밤의 후반 시간 동 안에. 그리고 그 날짜의 낮 바로 다음의 밤의 전반 시간 동안에 일어났 던 모든 월식의 년 • 월을 제시한 것인데 이것은 로마의 날짜 변경 방식 을 따른 것이다 . 예를 들어 설명하면 바빌로니아방식의 첫째 표(표 5) 의 9 일 아래에 표시되어 있는 년 • 월둘은 리우빠오린(劉寶林)의 목록에서의 9 일 저녁에 일어났던 모든 월식과 그 목록에서의 10 일 자정부터 새벽까지 의 시간에 일어났던 모든 월식의 날짜둘이다. 그러나 로마방식의 둘째 표(표 6) 에서는 리우빠오린(劉寶林)의 목록에서의 9 일의 모든 월식의 년 • 월을 열거하였는데 그 목록에서의 9 일은 (8 일 바로 다음의) 자정부터 (9 일이 끝나기 직전의) 자정까지의 시간을 잡은 것이다.

표 6 로마날짜(자정부터 다음 자정까지)에 따~ 상(商)시대 5 건의 월식의

발생년도(서기전) 9 일 20 일 22 일 31 일 57-57 일 (여덟번째달) (열세번째달) -1376. 12 -1367. 6 -1358. 6 -1345. 10 -1324. 8 -1321 . 12 -1306. 3 -1303. 1 -1231 . 8 -1226. 11 -1226. 5 -120,. 4 -1200. 7 -1197, 11 -1188. 10 -1191 . 12 -1184. 2 -1180. 11 -1179. ,

이 두 가지 표를 자세히 살펴보면 5 건의 월식기사가 목록의 것과 합치 될 수 없 을 뿐 아니라 합치되기에 필요한 조건들도 만족시킬 수 없음을 알게 될 것이다. 먼저 필자가 채택하고자 하는 바빌로니아방식의 표 를­ 볼 때 그 표의 22 일 아래에서 월식의 달이 들어맞는 해는 -1278 이다. 57 일 아래에서 달이 들어맞는 해는 -1310 과 -1217 이다. 우명 (武 丁 )의 59 년 의 재위기간 범위 를 크게 벗어나지 않고는 5 건의 월식에 달이 들어맞는 5 개년도의 조합 을 찾아낼 수 있는 방법은 없다. - 1310 과 -1228 이 들어 있는 조합의 기간은 무려 82 년이며 -1278 과 -1217 이 들어 있는 조합은 -1281 에서 시작하거나 -1188 에서 끝 나야 하므로 그 기간 또한 너무 길 다. 두번째로 로마방식의 표 를 보면 56-57 일 아래에서 가능한 해는 -1191 뿐이며 그 해 를 출발 점으로 삼아야 한다. 그렇지만 여기에서도 모 든 조건 을 갖춘 5 개년도의 조합 을 찾 을 수 없다. 실제로 22 일 아래에서 는 달이 둘 어 맞는 월 식이 일어 났던 해가 하나도 없다. 리우빠오린( 劉 11 'l林 )의 목록 에 천 문 학자만이 판정할 수 있는 오류가 없 다면 앞에서 말한 가정 가운데 무엇인가가 찰못되었다는 결론에 도달하 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그 가정 가운데 어느 것을 버린다면 적어도 하 나의 조합 을 찾 아낼 수 있 을 것이다. 예 를 들면 임 · 의대로 월식의 달을 무시한다면 여러 가능성이 나타나며 그 때는 선택의 방법이 문제가 된 다. 여러 학자 들 이 나름대로의 가능성을 선택하여 연구하였지만 그 과정 에서 어떤 일련의 증거 를 무시해야 했으므로 선택된 그 어느 가능성도 과학적으로 결함이 없다고 할 수가 없다) 장래에 그 이상의 중거가 밝혀진다면 월식기사 를 둘러싼 문제를 해결 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그러나 그러기 이전에 필자는 잠정적 인 제안을 하고 싶다. 그것은 57 의 월식기사의 〈열세번째달〉이라는 기록 이 길다란 기사의 끝에 있다고 하는 이유를 둘어 그 기록을 무시하자는 것이다. 바빌로니아방식의 표에서 그 〈열세번째달〉이라는 기록에 관한 까 14) 萊 {伊f, 「殷代月 食 考 」. Homer H. Dubs, The Date of the Shang Perio d ; The Date of the Shang Peri od -A Posts c rip t. 陳夢 家 『殷坡 卜 辭 綜 述』 : Chou Fa-kao (周法高) , “Cert ai n Date s of the Shang Peri od ; On the Dati ng of a Lunar Eclip es es in the Shang Perio d ; P'an We-su {i !r :ii대) , “The Date s of Wu Ti ng 's Reig n.

다로운 조건을 제의시키면 그 밖의 다른 조건둘을 만족시키는 5 개 월식 년도의 조합을 얻을 수 있다. 그 조합은 -1281 로 시작해서 -1228 로 끝나 거나(그 기간은 53 년) 또는 -1226 으로 시작해서 -1188 로 끝나는(그 기간은 38 년) 것이다. 그런데 방사성탄소측정연대를 근거로 할 때 안양(安陽)으 로 천도하였던 시기가 서기전 1300 년 이후가 될 수 없다는 것은 앞에서 언급되었다. 그 경우에 -1281 의 월식은 우명 (武丁)의 재위기간의 초기에 일어났음이 틀림없으며 따라서 우명(武丁)의 재위기간은 똥쭤뻔(萊作賓) 이 제시하였던 서기전 1339-1281 년보다는 늦었을 것이고 천멍지아(陳夢 家 )가 믿었던 서기전 1238-1180 년보다 앞섰울 것이라는 주장이 성립된 다.

이와 같이 우명(武丁)시대의 월식을 보다 이른 시기의 것으로 설정하는 참정적 시도는 일식에 관한 갑골문의 기사에 의해 뒷받침된다. 난징(南 京) 쯔진산(紫金山)천문대의 장페이위 (張培玲)의 연구에 의하면 제 4 기에 속한 갑골문에는 일식에 관한 기사가 있는데 그 일식은 다음의 6 개 년도 죽 경신(庚申) • 임자(壬子) • 계유(笑酉) • 신사(辛巳) • 무신(戊申) • 울사(乙 巳)의 해에 일어났다. 이 6 개의 년도와 합치하는 6 건의 일식의 조합은 그 중 4 건이 각각 기원전 1198 • 1178 • 1176 • 1172 년에 일어났으며 나머 지11 982 -건11이6 1 년11의61 년시 (기5 월가 7 갑일과골 문10단 월대 3 1 편일)년에 제일 4 기어에났 던속 한일다식면들 이그다 시 .15기) 보기다원 전’ 세대가 빠른 우명 (武丁)의 재위시기는 서기전 13 세기의 전반기에 놓을 수 있으며 안양(安腸)으로의 천도시기는 서기전 1300 년 전으로 설정할 수 있 게 된다.

1~) 張培璋 「甲骨文日月食紀辭 (I\) 整理硏究」.

이 책의 의도를 살리기 위해서 이용 가능한 모든 계통의 증거를 토대 로 한 다음의 대략적인 연대 수치들은 상(商)시대사의 절대연대 편년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당(i~)의 상(商)왕조 건립 서기전 1700 년 이전 안양(安陽)으로의 천도 서기전 1300 년 이전 상(商)왕조의 멸망 서기전 약 1100 년

2 언어와 신체 구조 상(商)나라 사람들의 언어에 관해서는 갑골문으로 나타난 언어가 지금 까지 알려진 최초의 중국어의 형태였다는 사실 이외에 그 분류에 관해서 는 많은 설명이 필요하지 않다. 돕슨 (Dobson) 이 분명히 말하였듯이 〈고 대 중국어는 후대 중국어의 선구적 형태이며…… 상(商)왕조의 정인(貞 人)들이 사용하였던 문자에서 유래되었는데 그 정인들의 문자는 오늘날 까지 갑골에 새겨진 문답기사의 형태로 보존되어 있다.〉 16) 4 장에서 제시 하였던 상(商)나라 사람들의 질그릇의 명문이 갑골문의 복사( 卜 辭)와 문 자체계가 같기 때문에 지금까지 알려진 최초의 중국어는 상 • 하 계급의 모든 구성원들이 함께 사용하였던 언어였을 것임에 틀림없다. 그리고 상 (商)사회의 계급체제는 종족상의 의미에서의 정복 • 피정복의 계급 분화를 특칭으로 하였기보다는 혈족 내부와 혈족들 상호간의 차별을 특징으로 하였다. 그러므로 상(商)의 문명이 혈연상의 구분에 의해서 언어상의 다 양성을 가지고 있었다는 증거란 하나도 없다. 상(商)나라 사람의 신체 형태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는 2 가지의 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하나는 사람의 얼굴을 나타낸 미술 작품들로 이루어전 자료이다. 그림 89 에서는 그 작품 중의 몇 개의 표본이 제시되어 있는데 그것들은 눈의 안쪽 구석에 몽고인종의 주름이 있는 명백한 증거와 광대 뼈가 높은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평민의 모습이라기보 다는 지배자의 모습을 상징하였을 것으로 보이는 청동가면에서부터 지배 자의 모습보다는 평민의 모습에 더 가까울 것으로 보이는 진흙으로 만든 소형의 사람의 머리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그러므로 우리는 다양한 사회계층 출신의 얼굴 표본을 추출할 수 있다. 반면에 다론 한 가지의 자료는 매장의식과 조상에 대한 제사의식의 희 생 제물로 충당되었던 사회계층에만 관계된 것이다. 그 중거 자료로는, 안양(安陽) 시뻬이깡(西 1 t岡)에 있는 대형 묘와 제사(할 때에 파 놓았던) 16) W. A. C. H. Dobson, Ear[y Archaic Chin e se, p.l .

a b

그립 89 1 衍시대의 美行i에 나타난 사람의 얼굴(K. C. Chang , Tlze Archaeology of Ande11t Chin a , 그립 133).

구덩이에서 발굴된 사람의 몸통뼈와 두개골 그리고 회이현(輝縣) 리우리 꺼 (琉璃閣)에 있는 상(商)시대의 묘에서 발굴된 훨씬 소수의 유골이 있 다. 그 유골의 주인들은 모두 제사의 희생 제물이었을 것이며 그 누구도 상류계급에 속한 무덤의 주인이 아니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모든 대형 묘들은 근대적인 조사가 시작되기 이전에 이미 도굴을 당하였으며 따라 서 묘의 내실의 중심부는 언제나 흐트뜨려져 있었기 때문이다. 리지( 李濟 )의 말에 따르면 〈 제 15 차 안양(安陽) 발굴로부터 수집된 사람 의 뼈는 수천개에 달하였다……역사어언연구소에서는 특별전담반을 편성 하였으며 런던에 있던 칼 피어슨 (Karl Pearson) 박사의 생물측정연구소에 서 전문적인 훈련을 쌓고 있었던 생물측정학자 우명리양(吳定良)을 초빙 하여 이 귀중한 수집자료에 대한 과학적 조사를 담당하게 하였다. 그러 나 일본의 침략과 대일항전이……그 계획을 중단시켰으며……그 자료의 상당수가 상실되었다 〉 고 한다 .17) 결국 타이완(표濁)에서 전문적인 생물학 자였던 양시메이(楊希枚)가 남아 있는 수집자료에 대한 연구와 간행을 위 촉받았다. 최종 집계된 수집자료는 410 명분의 두개골뿐이었는데 그 중 대부분 (398) 이 시베이깡(西北岡)에서 발굴된 것들이고 나머지 (12) 는 샤오 툰(小屯)과 허우지아랑(侯家莊)에서 발굴된 것들이다. 이들 두개골 가운 데 전부는 아니었다 하더라도 대부분이 몸통뼈와 강제로 분리되어 따로 묻혀 있는 채로 발굴되었다 .18) 이러한 자료에 대한 양시메이(楊希枚)와 그의 동료들의 연구 결과는 이미 여러 차례 간행되었다 .19) 미국의 여러 인류학자들은 제각기 그 수집자료를 부분별로 나누어 계량 • 측정을 하였 다. 그들 가운데에서 필자가 알고 있는 학자는 쿤 (C. S. Coon) 과 하우웰 즈 (W W Howells). 로우링 브래이스 (Lor i n g Brace), 크리스티 터너 17) AnJ' an g, p.2 ,s. 18) 楊希拔 「河南安陽殷猿墓葬中人體骨格的整理和硏究」, p.2 3,. 19) 楊希採 윗 글. Yang Hsi- m ei, A Preli m i na ry Rep o rt of Human Crania Excavate d from Hou-chia - chuang and Ot he r Shang Dy n asty Sit es at An-ya ng , Honan, North Chin a ; Li Chi, Note s on Some Metr i c a l Characte r s of Calvaria of the Shang Dy n asty Excavate d fro m Houchia c huang , Any a ng ; 許澤民 「殷猿西北尙組頭骨與現代臺灣海南系列頭竹的顧頂間竹 的硏究」 ; 林純玉, 「河南安陽殷城頭骨腦容仇的硏究」 ; 藏振華, 「安陽殷猿 頭 1' . tJt形門齒的硏究」.

(Chris t y Turner) 이다. 그러나 그들의 조사 결과의 체계적인 보고서는 그 내용이 개략적이었으며 그 주제도 산발적이었다 .20) 안양(安陽)의 표본이 몽고인종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에 대하여 연구자들 사이에서 의견의 일치 를 보았다는 것이 놀랄 만한 일은 아니더 라도 두 가지 문제에 대해서는 다소 중대한 의견차이 를 보이고 있다. 한 가지 문제는 상(商)나라의 거주민이 역시 몽고계통이었던 신석기시대의 중국인과 어느 정도가 달랐는가이며, 다른 한 가지 문제는 상( 商 )나라의 거주민은 단일 계동의 종족이었는가 아니면 자체 내에 여러 계통의 종족 을 포함하고 있었는가이다. 상(商)나라의 거주민을 신석기시대의 두개골과 비교하 는 문제에 당면하 여 리지 (李 濟 )는 데비드슨 (Dav i dson) 이 발표한 상( 商) 시대인의 표본과 신 석기시대인의 표본에 보이는 두개관(頭 輩冠 )의 특 징 을 세밀히 조 사하면서 양자 사이의 상당한 차이접을 발견하였다. 그는 〈 그러한 중 대한 변화는 중국 북부에서의 상(商)나라의 제국적인 권력의 확립에 따라 더욱 다양한 머리의 요소가 혼입된 데서 기인 〉 하였을 가능성 을 시사하 였 다 . 2 1 ) 다른 한 편으로 하우웰즈는 중국의 고고학 유적에서 근래에 발 굴 된 많은 수의 신 석기시대의 거주민의 유골에 유의하면서 리지 ( 李濟 )와는 다 른 방향의 결 론을 다음과 갇이 끌어내었다. 필자는 비교가 가능한 그런 평균 치수상에서는 안양( 安陽 )의 표본이 신석기시대의 표본과 눈에 뛸 만큼 다르게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 하였으며 오래전에 데이비드슨 블랙 (David s on Black) 은 당시에 이용 가 능한 증거를 통하여 신석기시대의 거주민과 현대 중국인 사이에 근본 적인 차이가 없다는 견해에 도달하였다 .22) 하우웰즈는 계속해서 새로운 의문을 던졌다. 죽 안양(安陽)의 거주민 20) C. Turner, Denta l Evid e nce on the Orig ins of the Ai nu and Jap a nese ; W. W. Howells, Orig in of the Chin e se Peop le s : Inte r pr e ta t i on s of the Rareocuenndt tEhev idW e nocrled. ; .C. . S. Coon, An Anth r op o g e og rap h ic Excursio n 21) Li Chi, 앞 글, p.'• 22) Howells, 앞 글, p.l ~.

(그 대부분이 재사의 희생자)의 인종 기원이 혼성적이었는가의 문제였다. 리지( 李濟 )는 허우지아랑( 侯家 莊)의 남성 거주민의 두시수(li n 示數, Cep h ali c i ndex) 에 있어서의 차이의 정도 를 찾아내고 이것은 허우지아랑 ( 侯家i lE ) 에서 수집된 유골의 주인들이 한 계동의 인종이 아니었을 가능성 울 가리키는 것 이라고 하였다 .23) 쿤 (C . S. Coon) 은 이 허우깡(後[페)의 거 주민에게서 적어도 몽고인종의 한 유형과 북유럽인이 혼합된 인종의 특 징을 찾아 볼 수 있다고 믿었다 .24) 그는 자신의 저서인 r 현생 인종 』 (Th e Liv i n g Race s of Man ) 에 서 다음과 갇이 말하였 다.

23) Li Chi, 앞 글. p.5 58, 24) C. S. Coon, 앞 글.

이 허우 지 아 창(侯家 IE ) 의 수집물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여성의 두개 골 은 눈구 멍 과 코 뼈에서 코카서스인의 특 질을 나타낸다. 다른 소수의 두개 골은 현 재 의 브리 야트인 (Buria t s , 바이 칼호의 남쪽과 서쪽에 살고 있 는 몽 고 인 종 의 한 부류 )의 두개골처럼 머리가 짧으며 몽고인의 특징이 과다하게 나 타 난다. 나머지는 보통의 북중국인의 형인데 두개골의 크 기는 중 간 정도 이며 얼굴 부분이 적당히 길고 편편한 특질을 지니고 있다 . 25)

25) p.1 3 3,

양시메이 ( 楊希 才父)는 허우지아창( 候家 莊)의 거주민의 인종 기원이 여러 종의 혼성이라 는 견해 를 한 단계 더 진전시키면서 자신이 말한 〈두개골 전체의 형태학상의 구조 〉 에 따라서 그 거주민을 다음의 5 개의 하부집단으 로 분류하였다(그립 90).

하부집단 I - 고전적인 몽고형 하부집단 U 一_- 대양주의 흑인형 하하부부집집 단단 Il\ll' _- _ - 코에카스서키스모형형 하부집단 V __」 명칭이 없는 형 26)

26) 楊希枚. 앞의 주 18 참조.

II Ill

NO.j o IV v 그립 90 楊希枚가 분류한 5 개 집단의 商時代 두개골의 표본(楊希 枚, 「河南安陽殷城墓葬中人體骨格的整理和硏究」).

양시 메 이 (揚希枚) 는 허우지 아랑(侯家莊) 의 두개골 가운데 70 개를 몽고 인종의 두 하부집단( I 과 1V) 의 유형 표본으로서 분류하였으며 그 가운데 40 개를 흑인계의 하부집단 (Il) 의 유형 표본으로, 2 개만을 코커서스계의 하부집단의 유형 표본으로 그리고 무려 50 개를 다섯번째의 분류가 불가 능한 하부집단의 것으로 분류하였다. 하우웰즈는 또다시 이러한 결론에 대하여 날카롭게 의문을 제기하였 다. 그는 판별 분석을 사용하여 두개골의 모든 특징상에 있어서 안양(安 陽)의 거주민의 대부분은 하이난도(海南島)에 거주하는 현대 중국인과 홋 카이도(北海島) • 류큐(琉球) 출신의 일본인과 닮았지만 유럽인이나 아메 리카 인디안, 폴리네시아인과는 닮지 않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더 나아가서 그는 양시메이(楊希枚)가 분류한 하부집단 I • Il • N • V 에서 각각 1 개씩 모두 4 개의 유형 포본을 발췌하여 선별적 분류를 시도한 뒤 에 〈 4 개의 유형 표본 가운데 2 개는 안양(安陽)의 계통으로 다른 2 개는 하 이난(海南)의 계통으로 분류되며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가장 그럴 듯한 2 차 분류는 안양(安腸)과 하이난(海南) 두 계통 가운데 어느 하나에 4 개의 표본을 속하게 하는 분류〉라는 것을 알아내었다 .27) 그리하여 하우웰즈는 비록 이 유형 표본들이, 의관상으로나 구체적인 특칭에 있어서, 비교 대 상이 되는 그 밖의 다른 거주민의 여러 표본과 닮았다 하여도 〈전체적인 구조를 고려하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때 그 ‘유형들'(typ es) 의 의관상의 개별적 특칭들은 그것들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에 의해서 배제되는 것이 분명하다〉고 결론지었다. 여러 다른 견해들은 용어상의 불일치한 점을 어느 정도 나타내고 있 다. 실제로 허우지아랑(侯家莊)의 거주민 자체 내에서 인종상의 다양성이 상당히 존재한다는 데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문제는 그 다양한 정도 가 그곳에서는 정상적인지 어떤지 그리고 그것이 인종상의 구분이 뚜렷 한 집단들의 혼합을 나타낼 만큼 크지 않는지 어떤지에 관계되는 것이 다. 그 밖의 연구결과들은 그 거주민이 일반적으로 지니고 있는 몽고인 종의 특징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인다. 쉬쩌민(許澤民)은 허우지아랑(侯家 莊)의 전체 두개골 376 개 가운데 26 개 (6.91%) 의 두개골에 잉카인의 특징 이 뚜렷한 증거가 있는데 그 구성비율은 지금의 남중국인의 구성비율 (5. 27) Howells, 앞 글, p.2 1.

그립 91 商時代 두개골의 삽 모양의 앞니 ( 威 i b : · I 'i f , 「安賜殷 城頭 11. Jt

形 F1 齒 (1\ J硏究」 ) .

7% )에 필적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28) 허우지아랑({ 忠家 ]t)의 두개골의 용 량을 비교 연구한 린춘위(林純 玉 )는 양시메이(楊希才父)가 분류한 하부집단 I • III 의 특징을 그 두개골에서 확인하였지만 하부집단 Il • 1V 는 확인하 지 못하였다고 주장하였다 .29) 끝으로 짱전후아( 威 振 ·A E ) 는 〈각각의 하부집 단의 삽 모양의 앞니 를 개별적으로 검토〉하여 모든 하부집단에서 그러한 앞니의 출현 빈도가 〈매우 높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그립 91). 따라서 그는 〈삽모양의 앞니의 출현 빈도에 관한 한 5 개의 하부집단은 인종상으 로는 모두 몽고인종에 속한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30) 짱전후아(威振華) 28) ,汗澤民, 앞 글. 29) 林純 I~. 앞 글, p.4 8, 30) 減振 i'1\i, 앞 글, p.4 8,

의 연구 결과는 1950-1953 년에 안양(安陽)과 희이현(輝縣)에서 발견된 두 개골에 관한 비슷한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데 후자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 삽모양의 앞니가 전체 가운데 80-90% 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한다 .31) 결국, 〈이 북부지역에서의 중국거주민은 신석기시대 이후로 신체 구조에 있어서나 또는 적어도 두개골의 형태에 있어서 변함이 없었으며 의의로 동일한 인종에 속하였다는 것이 현재로는 가장 안전한 가설이 될 것이다 〉 라는 하우웰즈의 견해에 필자는 동의하고 싶다 .32)

31) 毛斐均 • 嚴間, 「安陽輝縣殷代人牙的硏究報告J, p.8 ~. 32) Howells, 앞 글, p.2 2.

3 상(商)시대 초기 • 시아(夏) 그리고 상(商)의 기원문제 상(商)문명의 기원은 고대 중국에 대해서 학문적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나 상(商)시대의 미술 또는 상(商)문명의 다른 어떤 양상에 단순히 매혹된 사람 모두가 품고 있는 궁극적인 의문이다. 그리고 확대해 보면 상( 商 )의 기원이 중국문명의 기원이기 때문에 상(商)의 기원 문제를 커다 란 의미 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는 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 다. 그러나 〈 기원 〉 이란 말 자체는 복잡하고도 상호연관되는 여러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商)의 기원이라는 표제하에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있다. 죽 상(商)나라 사람들은 어디에서 왔는가――상 (商)나라 사람들은 그들이 활동하였던 바로 그 지역의 토착민이었는가 아 니면 다른 어디에서 왔는가? 정복전쟁을 동하여 토착민의 상층부에 귀 족 침입자들이 지배계충을 이루게 되었을까? 복잡하고 계층이 분화된 상(商)사회는 정복의 결과였는가 아니면 길거나 짧은 사회 진화과정의 최 종적인 산물이었는가? 어쨌든 고고학 기록―一-문자체계, 국가, 도시, 뛰어난 예술 등과 같은 문명 특칭들의 개별적인 발전의 역사와 그것들의 개별적인 발전 과정의 상호관계를 동해서 본 상(商)의 발전의 역사는 무 엇이었는가? 마지막으로, 무엇이 상(商)문명을 발전시켰으며 또한 무엇 이 그러한 양식으로 발전시켰는가?

확실히 우리는 상(商)족이 단일 조상에서 기원되었는가 아니면 각각 다 른 여러 조상에서 기원되었는가, 토착인이었는가 의부에서 왔는가, 아니 면 부분적으로 토착인이고 부분적으로 의부에서 왔는가와 같은 문제에 대해 간단하고 분명한 해답을 줄 입장이 아니다. 그러나 상(商)의 고고학 적인 선조들-얼리깡(二里區])단계와 안양(安陽) 단계 ――-울 세밀히 검토하고 지금 지적해낼 수 있는 분명한 요접이 무엇인가를 그리고 앞으 로의 연구가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 나갈 것인가를 알아볼 수 있을 것 이다. 그러나 이러한 간단한 검토를 하는데 있어서 우리는 그 문제를 하 나의 역사적 시각이나 새로운 고고학적 발견과 금석학 연구에 의하여 제 출된 여러 견해와 그것을 극복한 상(商)족의 기원에 관한 근래의 역사서 술을 반복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보다는 오늘날의 자료가 담고 있는 내 용과 오늘날의 관점에서 이 문제를 고찰하게 될 것이다. 상(商)족의 기원에 관한 어떤 연구에 있어서도 분명히 먼저 말해 두어 야 사실은 상(商)은 오랜 문화와 사회 발전 역사의 마지막 단계에(서기전 18 세기의 시점에서) 진입하였다는 사실이다. 허난(河南) 북부지역에서의 문화의 계승 관계는 5 장에서 간략하게 설명했다. 그런데 상(商)이 출현하 였던 보다 큰 배경을 찾아보기 위하여 후앙하(黃河) 유역 전체와 심지어 그곳을 넘어서까지 시야를 확대할 때, 똑갇은 계승관계가 유지되고 있지 만 상황이 다소 복잡해지는 것을 불 수 있다 .33) 신석기시대 초기. 질그릇과 농경(?)의 자취가 있는 중국 북부에서의 최초의 문화 유물은 산재되어 있는 여러 유적에서 발견된 것들이다. 그 중 일부의 유적에서는 그 유물이 충위상(用位上)으로 다음에 언급될 양사 오(仰節)문화층 아래에서 발견되었으며 그것은 꼬은줄무늬나 빗살무늬, 활등 모양의 찍은 무늬가 새겨지고 그립이 없는, 모래질의 거친 질그릇 에 의해 톡칭지워진다. 이 시기의 중요한 유적들은-―一일부의 유적들은 방사성탄소측정연대에 의해 서기전 8000 년대 (eig h th mi llen niw n B. C.) 로 추정된다@――·중국 북부의 서부(산-시陝西와 허난河南 북서부)와 동부(허 33) K. C. Chang, Tlze Arclzaeology of Ancie n t Chin a 와 The Conti nu in g Qu est for Chin a 's Orig ins 참조. @ 이 연대는 河南省新鄭縣에서 발견된 裵李位1 유적의 것이다. 이 유적에서 는 서기전 5935 년, 5195 년, 73,0 년의 방사성탄소측정연대가 얻어졌으나

난河南 신정新鄭과 허뻬이河北의 우안武安)에서 발견되었다. 아직 발표되지 않은 서부의 유적들은 꼬은줄무늬질그릇에 의하여 특징지워지며 서부의 유적보다 비교적 찰 알려진 동부의 유적들은 빗살무늬질그릇(새김무늬)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이 유적들은 아직까지 충분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구석기시대의 사냥, 고기잡이, 채집의 생활방식에서 농경으로 넘어가는 중대한 변화에 대한 최초의 증거를 제공하여 주며 이 유적들의 질그릇 집단 가운데에는 양사오(仰昭)문화를 특징지우는 양식과 유형(예를 들면 명사 I} -세발솔과 꼬은줄무늬질그릇)들이 포함되어 있다. 양사오(仰昭)문화와 산똥(山東)의 그 동시대 문화. 양사오(仰節)문화 는 1921 년에 어난 서부 미엔츠현(i Ill 池縣)의 양사오촌(仰照村)에서 발견된 그 전형 유적의 지명에 따라 불리게 되었으며 그것은 중국에서 가장 일 찌기 가장 잘 알려진, 완전한 부락 농경인의 문화이다. 방사성탄소 측정 에 의해 서기전 6000 년대 (six t h mi llen niu m B. C . ) 말기와 3000 년대 (third mi llen niu m B. C.) 초기 사이로 확고히 추정되는 양사오(仰館)문화는 꼬은 줄무늬가 찍히거나 다양한 종류의 동물모양과 기하형무늬가 그려져 있는 붉은색 질그릇을 제작하였고 기장을 경작하였으며 돼지를 사육하였던 사 람들의 문화이다. 성 (姓)과 족(族)의 구성원들이 거주하였던 농경 부락은 분명히 기본적인 사회단위였으며 부락보다 규모가 큰 정치 집단이 존재 하였던 증거나 전쟁이나 사회계급분화가 발생하였던 중거는 없다. 지금까지 알려진 양사오(仰照) 유적들은 중국 북부의 넓은 지역에서 발 견되었지만 그것들은 사실상 크고 작은 ' 화천 유역들을 따라서 있는 서부 고원지대에 한정되어 있다. 이 유적들은 산-시 (陝西) 웨이하(淸河) 유역 에서 발견되어 서쪽으로는 깐쑤(甘凡f) 동부와 칭하이(淸海), 동쪽으로는 후앙하(黃河) 유역을 따라서 산시 (山西)와 허난(河南) 서부에까지, 북쪽으 로는 타이항(太行)산맥의 동부 경사지대와 인접 평원을 따르는 허뻬이 (jI 北) 그리고 남쪽으로는 한쉐이(漢水) 상류유역까지 미치고 있다. 양사오(仰節)문화 영역의 동쪽인 산똥(山束)반도 중심부에는 칭리엔깡 맨 뒤의 것은 수치가 너무 높으므로 혹시 오차가 아닌가 하여 일반적으 로 학자들은 맨 앞 수치의 수정연대인 서기전 6280 년을 사용한다. 그러 나 저자는 가장 빠른 연대인 맨 뒤 수치의 수정연대를 소개하고 있다(위 책, 『中園의 原始時代』, pp. 162-163 참조).

(갑f蓮岡)문화로 불리는 고고학 유물을 포함하고 있는 유적들이 있다. 그 당시에 허난(河南) 중부와 산똥(山束) 중부 사이의 평원들은 대부분이 습 지였을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물에 잠겨 있었을 것이며 타이산( 泰 山)과 그 인접 고원들은 중국 북부 해안에서 가까운 하나의 섬을 이루고 있었을 것이다. 칭리엔깡( 꿉蓮 岡) 유적들은 이 섬지역의 가장자리 를 따라 지금의 화이하(淮河)평야의 일부인 산똥(山束)과 지양쑤( 江~ ) 북 부 에서 발견되었 다. 발견된 이 문화의 유적들은 매우 적었으며 그 중에 서 도 발 굴된 유적 들은 더욱 적었다. 그곳의 질그릇은 붉 은색이며 이따금 평 행선이 그려져 있거나 새겨져 있다는 것과 그 유형 들 가운데 사 발 과 땅 ( h1 尸- 세발 솔 )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동시에 이 지역의 남 쪽으로는 쌀이 특징인 초기 농경문화의 중심지가 있 는 데 어 떤 학자들은 산똥(山來)의 칭리엔깡( 집f蓮 岡) 유적에다 이 남 쪽 의 유 적들을 묶 어서 그 유적 모두 를 칭리엔깡( 집 f 蓮 岡) 문화로 부른다. 그러나 이 러한 분 류는 성 급한 것일 수도 있다. 산똥(山 束 )의 질그 릇 이 양 사 오 (仰昭) 질그릇 과 특 히 허난(河南) 북부 단계의 질그 릇 과 유사한 것 은 매 우 중요한 의미가 있 으며 그 주민들의 생존 방식이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그 방 식 의 중요부분 이 양사오(仰昭)에서처럼 기장이었는지 아니면 남 쪽 의 그 동시 대의 문화 에서처럼 쌀이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 다. 그 러나 산 똥(山束) 칭리엔깡( 잡蓮 岡)문화가 기본적으로는 양사오(仰 昭 ) 문 화의 한 갇 래였을 가능성이 유력하다. 롱산(龍山)문화. 일반적으로 몽산(龍山)형성기로 분류되는 서기전 약 3000 년부터 3000 년대 (thi r d mi llen iu m B. C.) 말기 까지 의 문화들은 다음과 갇이 분류할 수 있다. 허난(河南) : 먀오띠꺼우 (l卽 底 溝 ) 제 2 기문화一허난룡산(河 南 龍山)문화 산똥(山東) : 따원커우(大汶口)문화一산똥몽산(山束龍山)문화 산똥(山束)과 지양쑤(江 蘇 ) 북부에서의 칭리엔깡( 감옛 E 岡)문화의 기원이 무엇이든 허난(河南)과 산똥(山來)에서의 몽산(龍山)형성기 문화의 발전단 계들이 별도의 길을 걸었던 것은 분명하다. 허난(河南)단계는 꼬은줄무늬 가 찍혀 있는 회색제품의 리( 硏 -세발솥), 지아( 坐 ―세발솥), 항아리에 의

해 특칭지워지며 반면에 산똥(山束)계열은 꼬은줄무늬가 없는 회색과 붉 은색 제품의 땅 (MI f-세발솥)과 궁이 높은 사발(둘레 를 따라서 구멍이 있는 것이 많다)로 대표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발전단계에 비추어 볼 때 내륙과 해안의 롱산(龍山)형성기 문화들은 모두 비슷한 변화의 경향을 나 타내고 있다. 허난(河南)쪽을 보면, 일부의 허난(河南)몽산문화 유적 34) 에 서 발견된 흙 으로 만든 남자의 성기는 남성 조상 숭배를 입증하기에 충 분한 증거 이 며 어 깨 뼈 점 술행 사 (sca pu li manc y) 는 그 당시 의 종교적 신앙 과 정치 구 조를 암시하여 준다. 물레를 사용하여 만든 질그릇은 또한 고 도의 전 문 적인 수공업을 나타낸다 .35) 1957 년 가을에 베이징(北京)대학 고 고학연구계 획 원의 한딴(郡 郞 ) 고고발굴대원들이 허베이(河北) 납부 한딴 (郡 마 I i ) 지엔꺼우촌 ( W U 溝村 )에 있는 동산(龍山)문화 유적에서 건물기초 1 자 리와 마 론 우 물 2 곳 을 발견하였다. 〈건물기초 내에서 타격을 받은 표시와 머리가 죽 이 벗겨진 흔 적이 있는 4 개의 사람의 두개골이 발견되었는데 이 주것은는 것이 이회다 생 .자 … 들;…一 이 우살물해은된 먼후저에 머리가죽아 벗겨졌음을 분명히 가리켜 폐기된 뒤에 여기에 남자, 여자, 노인, 어린이 를 모두 포함한 사람유골이 5 층으로 매장되었는데 그 중에 일부는 목이 잘 리운 채로 또 다른 일부는 몸부립치는 자세로 묻혀 있었다. 따라 서 사망 자 가운데 일부는 살해되었거나 산채로 매장되었을 것이 틀림없 울 것이다 .〉 3 6 ) 이러한 매장 양상은 부락 사이의 전쟁이 치열하였음을 나 타내는 증거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것은 허난롱산(河南龍山)문화 시기 에 중국 북부 사회가 〈대내적인 형법제도와 대외적인 군사력〉(『商君 ;; !.t』에 기술되어 있는 후앙띠黃帝시대 사회의 성격)의 단계에 도달하였음을 알려주 는 것이다. 안양(安腸) 허우깡(後岡)에서 룡산(龍山)문화 유적을 둘러싸고 있는 흙으로 쌓은 성벽이 발견되었는데 37) 이 유적 또한 동일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허난(河南)과 유사한 발전단계가 산똥(山束)지역에서도 나타난다. 지난 몇 년 사이에 간행된 그 사회의 배경에 관한 수편의 논문들은 다음과 갇 34) J. G. Andersson, Researches int o the Prehis t o r y of the Chin e se, pl.30 ; Prehis to r ic Sit es in Honan, pl.31 : 3. 3') KKHCK, 『 I fn 底溝與三里相』, p.9 2. 36) KK, 『 19,7 年 1 1!1郭發堀簡報』, pp., 3 1-'3 2 . 37) 石璋 UI, 「河南安 l사 f &IMl(' 인墓」.

은 점들에서 일치하고 있는데 죽 따윈커우(大汶口) 사회의 구성원 사이에 빈부의 차이가 나타났으며(개인묘의 부장품의 수량과 성격에 따라서), 전문 적인 질그릇 제조업이 발생하였고(물레로 마감하는 질그릇), 혼인생활은 아마도 일부일처제였을 것(남녀 쌍쌍의 합장묘)이라~ 점들이다 .38) 산똥롱 산 (III*胤 UII) 문화시기에서 새로이 추가된 문화요소들-어깨뼈점복행 사와 수량과 질에서 더욱 발전된 물레로 마감된 질그릇, 흙울 다져 쌓은 성벽, 금속재품――국본 한충 높은 수준의 사회발전단계를 나타내고 있 다. 이와 같은 점에서 허난(河南)과 산똥(山束)의 롱산(龍山)문화가 결국에 는 상 (I (lj)문명을 건설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를 마련했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롱산(龍山)문화가 바로 상(商)문명으로 이행하지 는 않았다는 것 또한 분명하다. 롱산(龍山)에서 상(商)으로의 변화과정에 는 연속성과 함께 혁신이 있었던 것이다. 롱산(龍山)에서 상(商)으로의 연속성을 나타내는 것들은 기본적으로 〈대중〉수준에서의 문화요소들이다. 가장 특칭적인 상(商)시대의 질그릇인 꼬은줄무늬의 회색 리(商―세발솔)는 역시 허난몽산(河南龍山)문화의 두드 러진 특징이다. 그 밖의 상(商)시대의 꼬은줄무늬의 회색 질그릇형태들도 ―실용적 목적으로 일반대중이 사용했던 종류-주로 허난몽산(河南 im lll) 문화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이따금씩 산똥몽산(山束龍山)문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상(商)시대의 돌, 뼈, 조가비 제품들은 기본적으로 일반 부락민이 사용하는 생산기구였으며 이것들도 롱산(龍山)문화의 유산이다. 상 (1 (lj)나라 사람들을 신석기시대의 그들의 선조들로부터 구별지어 주는 유일한 석기는 접판암의 돌낫인데 이것은 공산(龍山)유적에서보다 상(商) 유적에서 더 많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하나의 새로운 기술을 나 타내는 것이라기보다는 상(商)의 보다 높은 생산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다. 이따금 회색점토를 바른 반지하식의 상(商)시대의 건물 그리고 그 목 조 구조와 초벽방식은 또한 룡산(龍山)문화의 전동을 따랐으며 二 항토 38} 魏 ,h, 「從大汶 口 文化墓葬看私有制的起源」 ; 單達 • 史兵, 「從大汶 口 文化追 存行 1k 困古代私有制的卒育和萌茅」 ; 于中航, 「大汶口 文化和原始社合的解 体」 ; ~~i蔚 「從大汶 口 文化看我國私有制的起源」 ; 唐蘭, 「從大汶 口 文化的 ’出器文字看我國故早文化的年代」.

건축기법의 선례가 되는 것은 롱산(龍 111) 부락의 담이다. 상 (1 fli)시대의 기 초적인 농작물이었던 기장과 기초적인 섬유작물이었던 삼도 역시 신석기 시대의 산물이었다. 기본적인 필수품으로 살아가는 상 (1 Ri)시대의 농민의 물질 생활은 롱산(龍山)문화의 그들의 선조들의 생활로부터 큰 변화가 없 었으며 그들이 받았던 변화는 경제적 • 정치적 성격이었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을 것이다. 상(商)시대의 혁신은 주로 상류계층의 생활에 관련된 것이었다. 『 중국 문명의 기원』 (The Beg ini n g s e of Chin e se Civ i l izat i on ) 에 서 리 지 (수濟)는 신석기시대의 그들의 선조로부터 상(商)나라 사람들을 구별지어 주는 것 둘로서 다음의 문화적 특칭둘을 들었다.

1 질그릇 제조업의 새로운 발전 2 기구와 무기 제기(終器)를 주조하는 데에 청동의 사용 3 고도로 발달된 문자체계의 존재 4 묘 안에 내실(村!)을 두는 매장방식과 사람을 제물로 바치는 관습 5 2 륜마차의 사용 6 진보된 돌 조각물 39)

39) p.l ~.

여기에서 질그릇의 새로운 발전이란 유약을 바른 흰색 질그릇을 말하 는데 그것은 역시 상류계층 사람들만이 사용하도록 제작되었던 물품으로 서 희소하고 진귀한 품목이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상 (I (lj)나라 사람들의 기원을 찾는 것이 어떤 의미에서는 왕조의 지배계층의 기원을 찾는 것이 될 수 있다. 그들은 어디에서 왔는가? 어떻게 해서 그들은 그들의 통치 롤 상정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가능케 하였을 특징적인 고도의 문화 내 용을 이루었는가? 상(商)의 안양(安陽)과 얼리깡(二里 IM J) 단계들은 상(i(lj)문명의 연속되는 두 단계를 대표하지만 그 최초의 단계는 아니다. 고고학상으로 최초로 알려진 상(商)문화를 넘어서 문명의 역사를 한 단계 앞으로 끌어울리면 관념상으로 룡산(龍山)문화와 얼리깡(二里岡)문화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 로 보이는 얼리터우(二里頭)문화 유형을 만나게 된다.

왕조시기의 안양(安 腸 ) 얼리깡( 二里 岡) 얼리터우(二 里頭 ) 허난롱산(河 南 龍山) 먀오띠꺼우(廟底 溝 ) 제 2 기 양사오(仰節) 얼리터우(二 里 頭)는 허난(河 南 ) 서부 뤄양( 洛陽 )의 동쪽 옌 스 (1 區 t iji) 현 가까이에 있는 한 마을이며 이곳에서 1959 년에 새 로 운 이 문화 의 전 형 유적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 문화는 1956 년 정저우 (鄭州) 의 뤄 따먀오 (洛 達 廟)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 뤄따먀오( 洛 達 廟) 와 얼리터 우 ( 二 里 頭)에서 뿐만아니라 정저우( 鄭 州)의 상지에 ( 上街 )와 뤄 양 (洛陽) 의 똥 깐꺼 우(東乾 hY /.)' 산-현(陝縣)의 치리푸(七 里섭 n) 등에서도 발견된 고고학 유물 에 의하여 특징지워지는 이 새로운 문화 는 , 상(商)시대 초기(얼리깡 二 里 I패 단계)의 여러 두드러진 특 징을 포 함하 고 있을 뿐 아니라 약간의 허난몽산(河 南龍 山) 문화 의 요 소 를 지니고 있었다. 예 를 들면 질그 릇 장식에 있어서 가장 풍 부한 양 식은 가는 꼬 은중무늬이며 다음으로 바구니무늬 그리고 아 플 리케 (a ppliq u e) 무늬가 그 뒤 를 따르고 있었다. 질그릇의 형태로는 땅 ( ! !!} - 세 발송 )과 단지, 자 배 기 (basin ) , 주전자, 발굽이 달려 있는 사발, 쥐 에 ( 而- 세 발솝 ) , 입 이 벌어지고 목이 가는 술잔이 있다. 명(세i)은 이 문화의 가장 전 형적인 그릇이며 매우 널리 발견되는데 대체로 그것은 밀이 둥근 단지나 자배 기로 몸체 를 이루며 평평하고 다채로운 발이 붙 어 있다. 어떤 명 ( M ! i )들 은 아풀리케무늬로 둘러져 있다. 자배기 형태 또한 특 칭적인데 몸체는 깊이 들어가고 밀이 둥글며 2 개의 평평한 손잡이가 가장자리 아래에 수평으로 붙어 있다. 생산기구는 주로 돌제품과 뼈제품이며 조가비 제 품은 매우 드물었다. 주목할 만한 것으로 청동칼 을 들 수 있는데 이것 은 드물게 보이는 유물이다. 이외에도 불로 지진 흔적만이 있는 점뼈 40) 徐旭 '- I:, 「 19,9 年像西 調査 ‘及J~ 'h9 in 步報告」. 41) WW, 「鄭州洛達廟商代迫址쩌堀簡報」.

둘이 있었다 .42) 꼬은줄무늬의 회색질그릇을 지닌 이 새로운 문화 유형은 분명히 허난 롱산(河南龍山)문화와 얼리깡( 二 里岡)의 상(商)문명을 연결시켜 주었으며, 얼리깡( 二 里岡)은 상(商) 중기로 안양(安 FL}) 은 상(商) 말기로 내려감에 따 라서 그것은 곧 상(商) 초기로 불리어지기 시작하였다. 1959 년 중국과학원 고고연구소의 쉬뻥창(徐炳IN!) 등은 중국고대의 전설상 의 역사에서 상(商)문명에 앞선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시아(夏)문명의 유물 울 찾아내기 위하여 허난(河南) 서부와 산시 (山西) 남부의 담사에 착수하 였다. 그 지역을 선택한 이유는 〈 『 좌전』(左傳) • 『 국어』(國語) • 『 고본죽서 기년 』 ( 古 本竹 Lt 紀年 )에서 시아(夏)왕조의 도읍에 대하여 30 회 정도로 언급 하고 있 는 사실이 지적하여 주듯이 두 지역이 시아(夏)의 활동 지역을 찾 는 데에 는 특별 히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죽 첫번째 지역은 뤄양(i各 F L} ) 평원과 허난(河南) 중부의 그 인접지역, 특히 잉하(領河)상류 유역의 땅핑( 登 封), 위현(禹縣)지역이다. 두번째는 산시(山西) 남서부의 훤하( 沿 河)하류 유역(대략 후워산사 El .lJ의 남쪽)이다〉 .43) 옌스 (1 區師)로부터 서 쪽으로 9 킬로 미터 떨어진 뤄하(i各河) 남쪽 둑에 위치한 얼리터우(二 !l!. 頭) 는 탐사 를 수행하고 있던 쉬뻥창(徐炳利)과 그의 동료들이 발견하였던 유 적들 가운데 하나였다. 그러나 〈이곳의 유물은 성격상으로는 정저우(鄭 州)의 뤄따먀오(洛達廟)와 뤄양(洛陽)의 똥깐꺼우(東乾i,路)의 유물에 유사 하였기 때문에 그것은 상(商)시대 초기에 속할 것으로 보였다.〉 44) 발견 당시에 쉬뻥창(徐炳利)은 얼리터우(二里頭) 유적을 탕(i L}) 의 도읍인 휘 (품)로 보았다. 옌스 (1 區師)를 상(商)시대의 탕(t L}) 의 도읍으로 보는 것은 만꾸 (IlEIA1) 에 의해 비롯되었을 것인데 그는 『한서 』 (漢,!t) 「지리지」(地理志)의 허 난군(河南郡) 옌스현 (1 區師縣)조에 대해 주석을 불이기를 〈스향(/ ’鄕)은 인(殷)나라 탕(湯)의 도읍이었다.〉라고 하였다. ……이 담사에 앞서 쉬 쉬성 (徐旭生, 쉬뻥창 1 余炳利을 말함)은 옌스 (1 恩師)를 시휘 (西廷)로 보는 42) KKHCK, 『新中國的考古收~J, p.4 4. 43) 徐旭生, 앞 글, p., 94. 44) 위 글, p.5 98.

가설에 대하여 다소 회의적이었지만 그것이 한(漢)시대의 사람들에게서 나온 오랜 견해였기 때문에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었다. 『옌스지』(限師 志), (칭i,!f시대 치엔몽乾陸 시기에 편찬되었다)에는 그곳의 정확한 위치에 관한 확실한 자료가 실려 있기 때문에 이번의 람사여행 중에서 우리는 그 확실성을 겁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이제 우리는 이 유적 을 찾아내었으며 우리가 이 유적의 경계를 묘사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 지만 이 유적의 규모는 거대한 것이다. 그 지역의 주민들이 우리에게 • 한 말(그 거대한 지역에 대하여)이 사실이라면 그곳은 상(商)시대의 탕 (ii})의 도읍이었을 가능성이 많은 중요한 도시였음에 틀림없을 것이 다. 45) 이러한 잠정적 견해는 그 유적에서 제각기 수행된 새로운 조사작업에 의하여 강화되었다. 1965 년의 보고서에서는 〈얼리터우(二里頭) 유적이 상 (商)시대의 당(i 8) 의 도읍인 시휘 (西홍)였을 가능성이 크다났근 견해를 볼 수 있다. 46; 궁전전물의 유물에 관한 1974 년의 보고서 47) 와 얼리터우(二里 頭) 유적의 3 구역과 8 구역의 발굴에 관한 1975 년의 보고서 48) 에는 새로운 고고학 자료들이 얼리터우(. 二里頭)를 탕(湯)의 도읍인 휘 (표)로 보는 견 해를 강화시켜 주었다는 확신이 한층 강하게 나타나 있다. 실제로 얼리터우(二里頭)의 새로운 발굴에 의하여 강화된 것은 얼리터 우(二!!!.ii n) 를 역사적으로 중 ·요 한 읍으로 보는 견해이지만 그 읍이 바로 휘(基)였다는 견해를 . 뒷받침할 만한 새로운 중거는 제출되지 않았다. 오 히려 1970 년대의 새로운 고고학적 발견에 의하여 그러한 견해에 대한 심 각한 의문이 제출되었으며 두 가지 방향에서 시아(夏)문명에 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첫째, 얼리터우(二里頭)문화가 시아(夏)의 일부인가 또는 상(商)시대 초기에 속하는가에 대한 판단은 결국 시간과 공간상의 기본적인 증거를 토대로 하여야 한다. 공간상으로 얼리터우(二里頭)문화는 〈옌스(個師)의 얼리터우(二.!I!.頭)와 훼이퀘이 (灰噴), 뤄양(洛陽)의 똥깐꺼우(束乾溝), 꽁 4,) 위 글 pp.:59 8-600. 46) KK, 「河南個師二里頭遣址發堀簡報」, p.2 24. 47) KK, 「河南限師二里頭早商宮殿坦 h t發堀簡報」, p,2 48. 48) KK, 「河南限二里頭遺址三 • 八區發堀簡報」, p.3 08.

현(盜縣)의 사오차이 (租紫), 정저우(鄭州)의 뤼따먀오(洛達廟), 싱양(榮陽) 의 상지에 (上街), 산-현(陝縣)의 치리푸(七里負 I), 그 밖의 수십여 곳의 유 적에서 확인되었다. 산시(山西) 남부에도 허난(河南) 서부에서와 비슷한 유적들이 있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얼리터우(二里頭) 문화가 지리적 으로 분포되어 있는 지역은 문헌에서 보이는 시아( .g )나라 사람들의 활동 지역 ――-이하(伊河)와 뤄하(洛河), 후앙하(黃河), 지수(濟水)에 의하여 윤곽이 설정되는 __- 과 정확히 들어맞는다는 것이다〉 .49) 시간상에 있어서는 얼리터우(二里頭) 유적으로부터 다음의 5 가지의 표 본이 보고되 었다 : 50)

49) f冬柱臣 「從二里頭類型文化試談中國的困家起姬t !1 題」, p,2 9. '0) 자세한 것은 부록 참조.

ZK-31— 1 ZK-212 ZK-2s5 ZK-2s6 ZK-257

얼리터우(二里頭) 〈상(商)시대초기〉 얼리터우(二里頭) 1 기 얼리터우(二里頭) 1 기 얼리터우(二里頭) W 기 얼리터우(二里頭) III 기

서기전 2390 士 190 서기전 1910 土 160 서 기 전 1880 士 150 서기전 1620 士 1,0 서기전 1430 士 160

얼리터우( 二 里頭) I 기의 두 표본들은 서기전 1730-2030 년의 범위에 둘 어오는 집단으로 상(商)시대를 완전히 넘어 시아(夏)시대 안으로 둘어오 게 된다. 궁궐터 1 자리와 쥐에 (爵―술잔) 형태의 청동그릇 4 점, 옥제품 등을 포함하고 있는 얼리터우(二里頭) 매기는 그 유적의 문화발전단계의 절정을 대표한다. 이 문화층에서 얻어낸 하나의 표본은 연대 범위가 서 기전 1270-1590 년이지만 얼리터우(二里頭) IV 기에 속하는 4 번째 표본은 연대가 Il1 기의 표본보다 빠르며 시아(夏)시대 내에서도 매우 늦은 시기에 둘어을 수 있다. 두 표본 중 어느 것이 찰못되었을 수 있다. 그러나 4 개 의 얼리터우(二里頭) 문화층은 그 開기 문화충이 그 문화의 절정을 이루 면서 하나의 연속적인 문화발전을 나타내고 있다. 시아(夏)의 마지막 왕 인 지에(架)의 재위기간 동안의 도옵이었던 전쉰(黃|部)은 권위를 인정받 는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뤄양(洛陽)의 주변 지역으로 인식되고 있다 .SII

,1) 趙鐵寒, 『古史考述』.

얼리터우(二里頭) 1 기와 n기 를 시아(夏)로, 얼리터우( 二 里頭) 빼 기와 W 기를 시아( .父 )의 마지막 도읍지로 보는 견해는 얼리터우( 二 里頭) 유적 자 체의 역사와 부합될 수 있다. 요컨대 얼리터우( 二里 頭)문화유적에 대한 근래의 연구성과에 의하여 그 문화를 상(商)초기로가 아니라 시아(夏)로 보는 견해는 강화되는 경향을 · 보이고 있다 .52) 둘째, 1970 년대에 따원커우(大汶口)문화에 관한 지식이 증가함에 따라 상(商)의 전설상의 역사에 있어서 항상 호의적으로 연관되어 있었던 상(商) 의 동부지역과의 관계를 재평가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이러 한 새로운 발견성과에 비추어 상(商) 초기와 시아(夏)에 관한 문제를 검 토한 필자의 논문에서 상(商)문명과 해안의 롱산( 龍 山)형성기문화(상商과 허난동산河南龍山이 아니라)가 공통으로 지니고 있는 문화의 특 징과 복합 성을 필자는 다음과 갇이 들었다 : 53) l 풍부한 부장품 2 나무로 만든 묘의 내실(木權)과 이충대 3 거북껍데기의 사용 4 흰색질그릇을 포함하는 약간의 질그릇 유형과 양식 5 뼈주걱과 뼈조각물, 청록색의 상감도안, 약간의 장식미술도안 필자는 이러한 공통의 특징을 상세히 설명하고 논의하기 위하여 필자 의 이전의 저작을 참고할 것이다. 그 논문에서 필자가 지적하였듯이 이 러한 항목의 대부분은 〈종교와 의식생활, 지배계충의 예술과 관련된 것들 ,2) 이러한 견해는 또한 山西 납부와 河南 서부의 그 밖의 다른 곳에서 이루 어전 발굴 성과에 의해 강화되었다. 綠 李 유적의 二 里頭문화지충의 방사 성탄소측정연대는 서기전 2110 土 220 년(수정연대)으로 설정되었다 (KK, 「i各腸辻李迫.IJI:試堀簡報」 참조). 西山 夏縣의 束下馬유적에서 성옵유적이 발견되었는데 그 연대는 二里頭단계로 추정할 수 있다. 그곳의 발굴에 관한 보고서가 아직 간행되지 않았지만 충위상의 정보 없이도 상당수의 탄소 -14 연대수치들 (WW, 「破十四年代測定報告 紹一」에 재출되어 있 다. 부록 참조) 의 이용이 가능하다. 殷璟璋, 「 二 U lii!i文化探,tt」 ; KK, 「 1975 年豫西考古 調 査」 등도 참조. ,3) 張光直, 「J]ll: 1 8i文明起源硏究上的一個關鍵 ll! )題」.

이었다. 〉5 4) 이러한 문화특징의 성격은 상(i面)왕조의 시베자들이 동부에서 온 정치집단이며 정복자였음을 암시하여 주는 것 갇다. @ 이러한 암시는 확실히 상( 商 )왕조의 기원을 동부에 두는 전설상의 기록 을 침해하는 것은 아니다. 오늘날의 고대사가들은 상(商)왕조 초기의 도읍들은 허난(i III itj) 동부와 산똥(山 束 )서부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상(商)왕조 이전의 상(商)의 선 조들 이 통치하였던 영역은 해안에까지 미쳤다는 견해에 일치하고 있다 (도 론 참조 ). 그들 은 검 은 새 ( 玄 島)가 쯔성 ( 子姓 )의 시조 를 낳았다는 설화 가 명백히 상( 商 )나라 사람과 고대 중국의 동부 해안지역의 거주민을 관 련 지 어 준 다 는 데에서도 또한 일치한다 .55) 주목할만한 점은 갑골문에서 상( 商 )왕 조 이 전 의 선 조 가운데 하나인 왕하이( 王亥 )라는 이름이 새 모양 의 부호로 흔 히 장식되어 있 는 것이다 .5 6 ) 왕하이 ( 王亥 )가 허뻬이 (河北) 중 부 휘 하이만( 渤海f.~ ) 서부와 시아지아띠엔( 夏家店 )문화 영역의 남부에 있 는 이 족(與族) 의 집 단 여우이씨( 有易 氏)와 격 렬 하게 충돌한 사건이 문 헌에 기록되 어 있 다 는 사실은 이 책의 맨 앞에서 설명하였다. 앞서 말하 였 듯 이 시 아 지 아띠엔 (哀家店 ) 하층문화는 상( 商 )에 인접한 최초의 금속사 용 문화 가운 데 하나였으므로 상(商)의 가장 중요한 혁신 가운데 하나 __- 청동기 주조 __2 의 최초기원 을 동부해안 쪽에서 찾는 것은 가능할 것이다. 리지( 李濟 )가 열거한 상(商)왕조의 혁신적인 문화 요소들의 개별 54) 위 글 , p.1 6 5. 55) 1\ !}. j 訴 革 「 夷夏東西 說」 ; 陳 夢家 , 「 商 代(內 ~ 111 話 與 巫術 」, pp.49 4-497 ; :: 1·. 省 吾 , 「 B 各論岡騰與宗 敎起 源 和 夏商 1 세 脫」. 56) 胡 n I , 「 甲 骨文商 族』 「사 잡 I 杜사 1\ J迫跡」 ; 「甲f l· 文所見商族 ,RI I~,i I JI.硏 (I {J新證 8& 」. @ 저자가 언급한 商 王國 의 지배계층문화와 동부 해안지역문화와의 공통성 은 商 王國 의 후 기문화인 安 ~ J,~ 에서 출토된 유물을 중심으로 하여 검토된 결과인데 安 賜 보다 빠른 시기의 商 文化인 鄭州의 二里福 ]과 夏文化와 商 代초기의 문화가 복합되어 있는 1 1Y 師縣의 二 里 頭文化에서는 동부 해안 지역문화와의 연관성 을 찾아 볼 수가 없으므로 安 Fg 의 商文化 가운데 보 이는 동부 해안지역의 문화 요소 를- 지배집단의 이주 를 뜻하는 것으로 보 A는g e것 —은— 무 A리 R 일ev i것e w 이 A 다r t(iDc la evi dJ o Nu .r nKael igo fh t lA eys ,i a n S hSatu ndg i eC s ,h iVn oa l .i sX CLoIm, Ni nog . o3f, 1982, p. 552 참조). 安,J ,除 의 商文化에 보이는 동부 해안지역의 문화 요소 는 商 王國 의 세력이 강하여진 후에 동부지역 거주민들과 접촉운 가지면 서 수입된 문화 요소일 것이다.

적인 역사를 추적해내는 것은 아직까지 불가능하지만 적어도 깊이 생각 해 두어야 할 것은 상(商)시대 중기와 말기에 이러한 혁신적인 요소들은 선례없이 갑자기 도래하였던 사건이 아니었다는 점과 시아(夏)와 상(商) 사이의 시기에서 이러한 혁신적인 요소들 가운데 적어도 몇 가지의 기원 울 찾을 수 있다는 접이다 .57) 이와 같은 추론은 상 (商 ) 시대 중기와 말기 의 문화에는 허난(河南)과 산똥(山束)의 롱산(龍山)문화에 공통적으로 속 한 것으로 불 수 있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 을 간단히 설명하여 줄 것이다. 요컨대 상(商)시대의 역사에 있어서 왕조이전의 선공(先公) • 선왕(先 王 )들이 동치하였던 시대는 중국북부의 동부해안 지대의 왕조 이 전의 문화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중복될 것이며 상(商)고고학에 있어서 의 상(商)시대 초기는 상(商)왕조 이전시대의 마지막 단계와 왕조초기의 몇 세기에 대한 전제로 제시되어야 하고 따라서 이러한 상(商)시대 초기 는 허난(河南)극동부, 산똥(山束) 서부, 안훼이 (安 徽 ) 북서부 등의 지역으 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 지역은 중국사의 전반에 걸쳐서 후앙하 (黃河)가 범람하던 유명한 홍수지역의 일부이며 후 앙하( 黃 河)의 옛 수로 (水路)는 이 지역을 통하여 지나갔었다. 〈이 지역의 고대 유 물 은 여러 세 기에 걸쳐서 이곳에 쌓인 침적층 아래에 깊이 묻혀졌다. 이러한 이유만 으로 해서 중국북부의 고고학 가운데에서 이 지역 __- 카이팡(開 封 ) 동부 와 대운하(大運河)의 서부-__은 문화유물의 발굴 성과가 가장 적은 지 역이었다. 필자는 실재의 상(商)시대 초기의 문화가 앞으로 이 지역에서 발견될 수 있다면 이 문화는 한편으로는 얼리터우( 二里 頭) 유형의 시아 (夏)문화와 기본적으로 유사한 성격을 어느 정도 보여줄 것이며 다른 한 편으로는 따원커우(大汶口) • 룡산(龍山)문화와 이후의 상(商)문명의 단계 사이의 중간단계를 구성할 것으로 믿는다. 따라서 이후의 상(商)문명은 동부와 서부의 문화들이 서로 혼합되어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58) 다음은 위에서 논의한 고대 중국북부의 문화들을 열거한 것이다.

,7) 문제가 되고 있는 몇 가지 技術에 관한 논의에 대해서는, Ho Pin g -ti The Cradle of the &st 를 창조하는 것 이 유용하다. ,8) 張光直, 앞 글 (앞의 주 53) , pp.1 6 8-169.

왕조기의 안양(安陽) : 상(商)시대 말기

얼리깡(二里岡) • 정저우(鄭州) : 상(商)시대 중기 시아(夏) (상(商)시대 초기) 허난룡산(河南龍山) -산똥룡산(山束龍山) 먀오띠꺼우(廟底溝) Il 기-따원커우(大汶口) 양사오(仰昭)-칭리 엔깡(靑蓮岡) 신석기시대 초기 고대 중국북부의 문화를 특히 시아(夏)와 상(商)시대 초기와의 상호관 계에 관련지어 이와 갇이 재정리함으로써 중국고대사에서 3 대(시아夏 • 상 商 • 저우周)의 상호관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가능하게 된다. 3 대의 전 체적인 전후관계는 상(商)의 발전단계를 올바른 관계로 설정하는 데에 있 어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보다 큰 문제로 확대하여 논의하 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시아(夏) • 상(商) • 저우(周)의 3 시대는 분명히 중국고대사에 있어서 매 우 중요한 시기이다. 문자의 기록이 이 시기에서 시작되었으며 국가라는 정치형태들도 이 시기에서 처음으로 형성되었는데 그 정치 형태둘이 결 국에는 결합하여 후대에서 중국이라고 불리는 통일체를 이루게 되는 것 이다. 중국사 전체에 걸쳐서 볼 수 있는 여러 관습과 제도의 기초도 이 시기 동안에 마련되었다. 그러므로 20 세기의 초기 몇십년 사이에 중국에 서 과학적 고고학이 시작된 이후로 많은 학자들은 3 대의 역사에 관한 연 구에 고고학이 기여할 공헌을 학수고대하여 왔다• 고고학이 기여할 그러 한 공헌은 지난 십년 사이에 발견된 중요한 고고학의 성과에 의해서 이 제 가까이 다가오게 되 었다. 필자는 이제 우리가 3 대에 관한 연구가 나아가야 할 새로운 방향을 다 소나마 인식할 수 있는 단계에 도달해 있다고 믿는다. 현재 이용 가능한 자료상에서 연구할 가치가 있는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 중 한 문 제는 중국고대에서의 국가들의 형성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3 대의 역사 에 대한 이해의 기초를 이루어 왔던 두 가지 요소가 이제 근본적인 검토 을 받아야 한다는 것은 명백해졌다. 이 두 가지 요소란 세 왕조의 수직 적인 계승관계를 강조하는 관념과 세 왕조의 발전의 연속상황을 미개한 동시대의 집단이라는 바다의 한 가운데에 홀로 존재하는 문명의 섬으로 보는 관점이다. 그런데 필자는 이전의 자료와 근래의 고고학에서 추출된

새로운 자료를 보고 재고해 본 결과, 이러한 두 가지 관접이 중국고대사 에 대한 이해에 중요한 장애가 되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필자는 세 왕조를 수평관계로 보는 관점이 중국고대 국가들의 형성과정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관건이 된다고 확신한다. 이러한 관점을 명백히 하고 지금 과 앞으로의 고고학 자료들을 적절한 전후 관계에 따라 배열하기 위해서 필자는 고대의 문헌에서 보이는 세 왕조의 상호 관계의 성격에 대한 증 거를 논함으로써 이 철을 결론지울 것이다. 3 대라는 말은 저우(周)시대 말기에 성립된 개념이었다( 『 맹자 』 孟子 「등문 공」談文公 上 : 〈 3 대는 그것을 공유하였다 〉 ). 중국에서 근대 역사학이 출현한 이후로 많은 학자들이 세 왕조의 상호관계의 성격에 대한 논의에 참여하 였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의 관심은 세 왕조의 문화적 공통점과 차이점 및 그에 따른 그 구성원들에 대한 종족상의 분류 문제에 집중되었다. 이와 는 반대로 필자가 여기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평행적인 또 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중복되는 세 정치형태로서의 시아( 夏 ) • 상( 商) • 저우(周)의 정치적인 상호관계이다. 문화적 분류와 정치적 분류는 반 드 시 동일한 것 은 아니며 두 가지 분류는 모두 고려될 수 있다. 지금의 일반적인 사실 과 부합되는, 3 대에 관한 관점은 시아(夏) • 상(商) • 저우(周)는 하나의 공통적-중국고대의-문화 내의 하부문화였으면서도 특 히 정치적 으로는 서로 대립하였던 집단이었다는 것이 될 것이다. 3 대의 발전과정 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관건이 되는 것은 그 연속관계가 아니라 수평 관계이며 따라서 그러한 수평관계의 관점은 중국고대 국가 들 의 형성과정 의 이해에 중요한 관건이 되는 것이다 .59) 연대 세 왕조는 각각의 상대적인 정치의 우월이라는 관점에서 서로를 계승 하였다. 죽 탕(湯)이 시아 (U) 를 멸하면서 상(商)왕조가 시작되었으며 우 왕(武 王 )이 상(商)을 정벌하면서 저우(周)왕조가 시작되었다. 처음 두 왕 조인 시아(以)와 상(商)의 존속기간에 대해서는 1J' 고본죽서기년 』 (古本竹苦 ~9) Noel Barnard, Revie w 'of Chou Hung -h sia n g , Shang - Yin ti-w ang pen -clzi ( IR i'i삽 드 E 本紀) pp.48 8-489 참조.

紀年)에 〈(시아 夏 왕조는) 위왕(禹 王 )부터 지에왕(架 王 )까지 17 세대였으며 …… 471 년 동안 존속하였다. 그리고 (상商왕조는) 탕( 湯 )이 시아(父) 를 멸하고서부터 저우왕( 村王 , 또는 띠신 帝辛 )까지 29 세대이었으며 496 년 동 안 존 속 하였다 〉 라는 기 록 이 있다. 저우(周)왕조 는 전통적으로 서기전 1122 년에 일어났다 고 하는 상( 商 )의 저우( 糸 寸) 왕에 대한 우왕(武 - E ) 의 정 벌 6 0 ) 에 서 시 작 되어 서 기 전 256 년에 천( 秦 )이 저우(周)의 도읍 을 함락시켰 던 사건으로 멸 망하기까지 모두 37 세대이며 867 년 동안 존속하였다고 한 다. 그러므로 세 왕 조 의 존 속기간은 모두 1800 년이 넘었다는 말이 된다. 그러나 시 아 ( 11) • 상 (商) • 저우 (周 )가 단순히 연대기상에 존재했던 3 개의 부 분만은 아니었다 는 사실을 주목 해야 한다. 왜냐하면 상( 商 )은 시아 (U) 를 멸하기 이 전 에 이미 강력한 정 치 집단이었으며 저우(周)도 역시 상(商) 울 멸하기 이 전 에 이미 강력한 정치집단이었기 때문이다. 바꾸어 말하면 시아 (夏)와 상 (商)은 연대상으로 평행적인 一— -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 복되는 __· 두 개 의 정치 집단이었으며 상( 商 )과 저우( 周 )도 역시 그러 한 정치집단 이었다는 것 이다. 그러면 대략 500 여 년의 시아( 夏 )왕조의 기간 동안에 상(商)은 어느 정 도의 기간 동 안 중 요한 정치집단으로서 존재하였는가? 저우(J 8 ) )시대 말 기와 한( i/ A)시 대 초기 에 성립된 신화와 전승(예 물 들 면 『 세본 』世 本 과 『 대 대례 』 大戴禮 「제계」 帝緊편 에 기 록 되어 있는 신화와 전승)에 의하면 시아 ( 夏 )왕 조 의 시 조 인 위 (禹)는 후앙띠 ( 黃帝 )의 후손인 뚜안쉬 (離項)의 후손 이었으며 상( 商 )왕 조 의 지배씨족 쯔성( 子 姓)의 시조인 시에( 契 )는 후앙띠 ( 黃帝 )의 또 다른 후손 인 띠쿠( 帝깜 )의 후 손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 사 기 』 ( 史記 )에 는 세 왕조의 시조인 위 (禹), 시에 ( 契 ), 허우지 ( 后 稷)는 띠야 오( 帝堯 ) , 띠쉰( 帝舜 )의 궁전에서 그 신하로서 그 들 을 섬겼다는 기록이 있다. 이러한 기 록들 로부터 알 수 있 는 것은 적어도 시아( `以 )와 상(商)은 후앙띠( 黃帝 ) 시대부터 나란히 존재해 왔던 2 개의 정치집단이었다는 사실 이다. 그러나 보다 믿 을 만한 자료 를 토대로 할 때, 말할 수 있는 것은 상(商)나라 사람들이 시아(及) 를 정벌하기 이전의 자신들의 영예로운 역 사, 죽 왕조 성립 이전의 선공(先公) • 선왕(先 王 )의 시기로 알려진 역사 60) 商문명의 연대에 대해서는 이 장의 서두 룹 , Ml 의 정벌연대에 관한 논의 에 대해서는 서론 을 각각 참조.

물 당당히 내세울 수 있었다는 사실뿐이다. 상(商)의 14 세대의 선공(先 公) • 선왕(先王)들은 『사기』 (史記)와 그 이후의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천명지아(陳夢家)는 〈시아(夏)의 14 세대의 왕들은 아마도 상(商)의 14 세대 의 선왕(先王)이었을 것으로 보이며 이른바 랑우(湯武)의 혁명은 실제로 는 동일 혈족 내에서의 권력투쟁에 불과한 것이었다〉고 주장하였다 .61) 그 러나 시아(夏)의 왕들이 참으로 왕조 이전의 상(商)의 선왕(先王)들이었 는지는 특히 앞에서 기술한 새로운 고고학적인 양상에 비추어 볼 때 매 우 의심스러운 사실이지만 천멍지아(陳夢 家 )의 주장은 상(商)이라는 정치 집단이 시아(夏)왕조의 통치기간 동안에 시아(夏)왕조와 공존하고 있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시아(夏)와 상(商) 사이의 직접 적인 접촉에 관한 자료는 시아(夏)의 지에 (架)왕과 상(商)의 당(湯)왕의 시기에 관해서부터 기록되어 있는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을 뿐이다. 그 렇지만 후쓰니엔(傅斯年)의 연구에 의하면 시아(夏)는 왕조 통치기간 동 안 상(商)과 동맹관계에 있었던 동방의 국가들과 끊임없이 충돌하였다고 한다. 상(商)시대와 시저우(西周)시대 이전이나 상(商)시대와 시저우(西周) 시대 동안에 지금의 산똥(山束)과 허난(河南)동부, 지양쑤(江蘇)북부, 안훼이(安徽)북동부의 구석지역, 아마도 허폐이(河北)의 휘하이만(渤海 洲)연안과 휘하이만(渤海洲)을 건너서 랴오똥(遼束)반도와 한국의 두 방 면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종족 집단이 거주하고 있었다. 문헌상의 기록에서 나타나는 그러한 종족집단 가운데에는 따하오(大峰), 사오하 오(少峰), 여우지(有濟), 쉬황(徐方) 등과 갇은 부족단위들과 핑(風), 잉(益), 옌(限) 등과 갇은 성(姓)의 명칭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그것들 은 모두 이(夷)라고 불리었다…… 시아(夏)왕조시대 동안의 주요 사건 둘은 바로 이들 이(夷)집단들과의 충돌이었다 .62) 후쓰니엔(傅斯年)은 〈상(商)은 이 (夷)는 아니었지만 때로는 이 (夷)들을 지배하기도 하였으며 그들의 문화를 흡수하였고 마침내 그들의 지원을 61) 陳夢家, 「商代的神話與巫術」, p.4 91. 62) 傅斯革 「夷夏束西說」, p.1 112,

받아서 시아(夏)를 정벌하여 멸망시켰다. 따라서 그 정벌 전쟁의 승리는 시아(夏)에 대한 이(夷)들의 승리였다고 할 수 있다〉라고 주장하였다 .63) 시아(夏)와 이 (夷)나라들 @ 사이의 대립의 상황에서 상(商)은 확실히 이 (夷)나라들 중의 하나였고 시아(夏)의 전체 통치기 동안에 확고한 정치적 지위 를 유지하고 있었다. 상(商)왕조의 통치 기간(대략 '00 여 년)의 후반부 동안에 저우(周)가 상 (商)과 시기상으로 중복되는 사실에 관계되는 자료는 양과 내용에서 상 (商)과 시아( 夏 )의 중복에 관한 것보다 훨씬 많다. 그것은 상(商)에 관한 문헌의 기록이 시아( 夏 )에 관한 것보다 더 풍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 료들은 제 4 장에서 이미 저우황( 周 方)과 관련시켜서 논의되었다. 결국 이전과 근래의 문헌 자료 를 동해 불 때 정치적 권력 집단으로서 의 시아( 夏 )와 상(商) 사이, 상(商)과 저우(周) 사이에는 상당한 시간상 의 중복이 있었다는 결론이 나온다. 그리고 이와 갇은 증거는 방사성탄 소측정연대에 의해서 입증되기 시작하고 있다(그립 92), 바꾸어 말하면 상(商)은 저우( 周 )시대의 문헌에 시아(夏)가 지배권을 장악하고 있었던 기간 동안에 존재하였던 것으로서 기록되어 있는 나라들 가운데 하나였 으며 저우(周)도 또한 상(商)이 지배권을 장악하고 있었던 기간 동안에 존재하였던 나라들 가운데 하나였다는 것이다. 다른 각도에서 말하면 시 아(夏) 를 직접 계승한 나라인 치(祀)는 상(商)시대와 저우(周)시대에 실 재하였던 나라들 가운데 하나였으며 상(商)왕조의 멸망 뒤에 상(商)을 계 63) 윗 글, p.1 117. ® 여기서 夷 는 중국 내의 동부지역에 거주하는 부족을 포함하고 있다는 접 에 유의해야 한다. 한국 학자들 가운데는 夷 또는 束 夷룰 韓民族으로만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으나 중국 내의 동부에 거주했던 모든 부족이 韓民 族과 혈연관계가 있었는지는 의문이다. 중국 동부에 거주했던 夷 가운데 韓 民族과 혈연관계가 있는 부족이 일부 있었을 수 있고 夷는 韓民族과 가까운 곳에 있었으므로 문화적으로 깊은 연관이 있을 것은 상정해 불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은 중국민족의 구성원이 되었다는 접울 상기할 필 요가 있다. 그리고 중국이 통일된 이후의 夷 개념은 중국 영토 밖의 동 쪽에 거주한 사람들을 지칭하는 것이었지만 중국이 통일되기 이전인 商 • 周 시대에는 黃iiiJ 증류유역 동쪽에 거주한 모든 사람들을 지칭하였 다. 시대에 따라 夷 개념의 공간적 위치가 변화되었다는 접에 유의해야 한다.

陽”

腸 I/ 1I 夏z K 3 z | 53 門州 安'E\(' I_1曲|g|’ || 2 I I ¢l :~|Tll8商I8K~l 周西 k | 洛 이 \

I~\ 〕··函-.끓 2s 키~00: 11 r요 포 :^,쇼 doI 」., t

승한 쏭(宋)은 저우(周)시대에 실재하였던 나라들 가운데 하나였다는 것 이다. 따라서 세 왕조의 상호관계는 연속적인 계승관계만은 아니었으며 그것은 또한 세 왕조가 갇은 시기의 나라로서 평행적으로 존재하였다는 사실에 의해서도 특칭지워지는 것이다. 따라서 중국 북부라는 전체적인 상황을 고려할 때 세 왕조의 평행적인 관계가 일차적인 관계로 간주되어 야 하며 왕조들의 연속적인 계승관계는 세 나라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세 력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지역 세 왕조의 통치 활동의 지리적 중심지는 그 도읍의 위치에 따라 설정 할 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으로 의견이 일치하고 있다. 죽 저우 (周)는 서부에, 시아(夏)는 중부에 · 상(商)은 동부에 각각 그 중심지를 두 고 있었다 는 것이다 . 이러한 일반적인 통설은 오랜 기간에 걸쳐서 확립 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미 이 책에서 상세히 논의된 것이다. 문화와사회 시아( 夏) • 상(商) • 저우(周)는 공동의 문화를 가졌으며 그 문화의 세부 적인 내용에서 각각 달랐을 뿐이라는 것은 이전과 근래의 문헌의 자료를 볼 때 학자들 사이에서 통설로 되어 있다. 『예기』(禮記) 「예기」(禮器)편 에는 〈 삼대 ( 三 代)의 예 (祖)는 한 가지였는데 모든 민(民)이 그 예를 따랐 다 〉 라는 기록이 있다. 『 논어 』 (論語) 「위정」(爲政)편에는 〈인(殷)은 시아 ( -표 )의 예법을 따랐는데 그것에다 빼거나 더한 내용을 알 수 있다. 저우 (周)는 인(t文)의 예법을 따랐는데 그것에다 빼거나 더한 내용을 알 수 있 다 〉 라고 한 콩쯔(孔子)의 말이 있다. 일부 고대사가들은 콩쯔 (1L 子)가 말 한 〈빼 고 더한 것〉에 역점을 두고 시아(夏) • 상(商) • 저우(周)는 종족이 다른 세 집단이었다고 주장하였다. 예를 둘어 명산(丁山)은 『논어』(論 語), r 맹자 』 (孟子), 『 주례 』 (周禮) 「고공기」(考工記), 『예기』(禮記) 등에 기 록되어 있는 제사의식에 있어서의 세 왕조 사이의 차이정을 토대로 하여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였는데 그의 결론은 시아(夏)의 문화는 종위안(中 胤 중부평원)의 토착문화였으며 상(商)은 옌휘 (戀표)와 제휴하였던 북동

부의 거주민족이었고 저우(周)는 롱(구戈)과 띠(秋)와 관계를 가졌던 북서 부의 거주민족이었다는 것이다.”) 이 견해는 세부적인 면에서의 차이점 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러나 〈민족〉이란 언어와 문화의 특칭을 근거로 분 류된 범주이다. 우리는 시아(夏)나라 사람들의 언어에 대하여 자세히 알 수는 없지만 지금까지 남아 있는 시아(夏)에 관한 자료를 근거로 볼 때 그것이 상(商)나라 사람들의 언어나 저우(周)나라 사람들의 언어와 어떤 차이가 있었다고 생각할 이유는 없을 것이다. 문화의 분류란 흔히 정도 의 분류이다. 어느 정도로 문화들이 달라야만 개별적인 종족집단이 구별 되는가는 흔히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내리는 주관적인 판단이다. 옌이핑 (嚴一非)이 지적하였듯이 65) 토지신에 대한 제사에 쓰이는 성스런 나무는 분명히 왕조마다 달랐으며 시아(夏)는 소나무를, 상(商)은 상록수를 그리 고 저우(周)는 밤나무를 각각 사용하였다고 한다. 그렇지만 세 왕조가 모 두 그러한 의식을 정하고 성스런 나무를 사용하였던 것은 공통적인 관례 인 것이다. 옌이핑(嚴一淳)은 세부적인 면에서의 차이점보다는 문화의 전 체적인 공통점을 토대로 하여 시아(Jr) • 상(商) • 저우(周)는 각각 동일한 문화 전통 내에서의 다양한 변용 문화였다는 결론을 내렸다. 사회 구성과 사회의 발전단계에 있어서 시아(U.) • 상(商) • 저우(J,t I) 는 한 가지 매우 중요한 특질을 함께하고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성읍에 거 주하면서 동치의 도구로서 기능하였던 족(族) 집단들의 존재였다. 시아 (夏)는 쓰(似)라는 성 (姓)의 왕조였으며 상(商)은 · 쯔성 ( 子 姓), 저우(周)는 지성(姬姓)이었다. 세 왕조의 지배자들이 각각 다른 성(姓)에서 나왔지만 세 왕조 모두가 성(姓)의 내부의 왕족 집단에 의해 동치받았던 형식은 공 통적이었다. 또한 왕위계승제도에 있어서도 약간의 기본적인 공통점이 있었는데 이 문제에 대해서 필자는 이미 제 3 장에서 자세히 논의하였다. 다른 논문)에서도 필자는 상(商)의 왕위계승방식은 시저우(西周)의 이른 바 차오무(昭穆)제도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것이었다는 견해를 제출하였 다. 시저우(西周)의 차오무(昭穆)제도는 저우(周)사회의 근본적인 변화의 64) 丁山, 「由三代都邑論其民族文化」. 6,) 嚴一P¥, r 夏商周文化異同考」, p.3 94. 3 대의 수평적인 상호관계에 대한 논의는 ; Noel Barnard, Revie w of Chou Hung -h sia n g , Shang -Y i n ti-w ang p en-ch i에서 명확하거 1 전개되어 있다. 66) 張光直 「商王廟穀新考」 ; 張光直, r 談王亥與伊尹的?꿈 rI Jt 1 샤,論殷商 l:. 制」.

결과로서 똥저우(束周)시대에는 거의 사라졌으며 지금까지 남아 있는 똥 저우(束周)시대의 문헌에서는 그 제도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유사한 상(商)의 제도에 대한 새로운 이해에 의하여 그 제 도의 성격에 관하여 이제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시아(夏)의 왕위 계승제도는 아칙까지 분명히 알 수는 없지만 시아(夏)도 역시 열 간자 중 의 하나로써 휘호(i R 號)를 붙였으며 67) 따라서 시아(夏)의 제도가 세부적 으로 중요한 내용에 있어서 상(商)의 제도와 유사하였다고 믿는 데에는 타당한 이유가 있다 .68) 그러므로 시아(夏)에도 역시 차오무(昭穆)제도가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세 왕조의 왕위계승제도가 동일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클 뿐만 아니라 적어도 그 중에 상(商)과 저우(周)는 왕족의 일원들을 분봉하는 제도를 가지고 있었는데 그것은 중국고대에서의 성읍의 초기 역사와 분리시켜 논의할 수 없는 성격을 가진 제도이다 .69) 세 왕조는 모두 성읍을 건설하 였다. 『 세본 』 (世本)에서는 위(!Fi)의 부친인 꾼(~홈)이 처음으로 성읍을 건 설한 사람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은 시아(夏)의 역사에 있어서 이 제 도의 중요성을 암시하여 주는 것이다. 상(商)시대의 읍에 대해서는 이미 앞에서 자세히 논의하였다. 저우(周)의 성읍 건설활동은 『시경』(詩經, 예 를 들면 「면」糸9 ) 에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결국 이러한 모든 양상은 · 세 왕조의 공통적인 사회 발전단계를 가리키는 것이다. 지금까지 중국고대에 관한 우리의 사고를 지배하여 왔던 중국 고대문 명의 발전에 대한 〈편협한 모형〉-_―세 왕조가 미개문화들에 의해 둘러 싸인 하나의 문명의 섬으로서 연속적인 계승관계에 따라 나타나게 되는 모형 ――이 적철하지 못하다는 사실은 이제까지의 논의에 의해 명백하 67) 楊君 1T, 「康庚與夏諱」. 68) 張光直 「談王亥與伊尹的祭 日 並再論殷商王制」. 근래 에 출판된 연구논문 인 「從‘天 Ib1' 컨夏初述園史」에서 孫作없은 『天間』에 의하면 夏왕조의 건립 자 禹가 같은 혈족의 여성인 倉山氏와 혼인을 맺었으며 瓜가 죽은 뒤에, 그리고 그의 아둘이 죽은 뒤에 왕위는 여러 계열 사회에서의 치열한 경 쟁의 대상이 되었다고 지적하였다. 그러한 양상은 우리가 商에 관련지어 추측한 왕위계승방식에 비추어 쉽게 설명될 수 있다. 69) Kwang -c hih Chang, Early Chin e se Ci vi l izat i on : Anth r op ol og ica l Pers pe c- liv e s, pp.6 8 .

H 200 來 周 s11i1·g7IE05 00 周 夏 i 』ee1=dP UI?』SpIUJa!a-s e-8e-p 2200 陝西龍山文化 河 南龍 山文化 山束龍 山 文 化 2500 廟 底溝 2 J UI 文{t 大汶口文 化 3200 仰 昭 文化 집 f蓮 I 습 l 5000 그립 93 3 시대의 文明의 평행 적 발 전 모 형.

여졌다. 반면에 세 왕조에 관한 현재의 고고학 발굴성과 는 중 국 문명의 기원에 대한 모형이 상호관계의 평행적인 발전에 의해 특 징 지 워진다는 점 을 지적하고 있다. 죽 그 모형은 여러 문명 나라 들 이 거대한 중국북부 와 남부지역의 도처에서 존재한 것들로서 나타나고 그 나라 들 의 형성이 평행적이고 상호관련 을 가지며 상호작용 을 주고받았던 것으로 나타나는 모형이다. 시아( U: ) • 상( 商 ) • 저우( 周 )라는 왕조의 명칭은 적어도 두 개 의 다른 의미 를 가지고 있다. 첫째로 각 명칭은 한 시기 를 말하는데, 죽 시아( 及 )는 서기전 약 2200-1750 년, 상( 商 )은 서기전 약 1750-1100 년 그 리고 저우(J 서 )는 서기전 약 1100 ~ 220 년을 각각 의미하는 것이다. 둘째로 각 명칭은 왕조의 지배 를 말하는데, 죽 시아( 夏 )왕조시대 동안에 시아 ( _표 )라는 나라의 지배자들은 여러 나라에 의해 최고의 지위 를 부여받았으 며, 상(商)왕조시대 동안에는 상(商)나라의 왕실이, 그리고 저우(周)왕조 시대 동안에는 저우(周)나라의 왕들이 각각 최고의 지위에 올랐다는 것은 저우(周)시대 말기와 그 이후의 역사가들이 믿고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과 동시에 시아(夏) • 상(商) • 저우(周)는 3 개의 정치형태 또는 나라 였으며 그 상호관계는 평행적인 것이었다. 다시 말해서 세 나라의 상대 적인 정치권력이 바뀌어졌기는 하였지만 세 나라(각 왕조의 멸망 후에 그 것을 계승하여 제사 를 이은 나라 를 포함하여)는 모두 세 왕조의 전 시대 동 안에 걸 쳐 실재하였 을 것이다. 그림 93 은 이 다양한 의미 사이의 관계 를 명백히 하고 있다.

전 통적 인 문헌에서 나타난 이러한 세 왕조의 평행적 상호관계는 갑골 문에 의해서 재구성된 세계질서와 고고학에 의해 밝혀진 양상과 부합되 고 있다. 제 6 장에서 우리가 살펴보았듯이 고고학에 의해 확립된 중국 고 대 문 명의 지역적 범위는 갑골문에 나타나는 상(商)과 그 동시대 나라들과 의 상호작 용의 범위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갑골문에서는 상호작용하는 수 많은 정치집 단이 나타나는데 상(商)나라와의 관계에서 그들이 대등하게 겨 루거 나 또는 복속 되거나 하였던 정치적 지위는 동적인 것이었다. 예 를 들 어 상(商) 에 대한 저 우 (周 )의 종속적인 지위는 쉽게 가정할 수 있고 또 한 거의 확실한 사 실 이라 해도 저우( 周 )는 평행적인 나라로서 갑골문의 도 처 에 서 나타난다. 물론 시아( 夏 )는 상(商)시대의 마지막 단계의 것인 갑 골문 에 는 나타나지 않지만 시아( 夏 )의 후계인 치(祀)나라는 제후의 영 토 로서 나타난다. 70 )

70) 島邦男, 『 殷城 卜 辭硏究』, pp.4 27-428,

맺음말 : 고대 세계에 있어서의 상(商)왕국 고대 세계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전인류의 문제에 대하여 오로지 서양 문명의 역사에 근거하여 일반화하는 습성이 몸에 배어 있었다. 그렇지만 이제는 그렇지 않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우리는 신세계 (NewWorld) 선 사역사가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데 지난 세기에 그들은 서반구에서 인 간은 서양문명으로부터의 본질적인 도움 없이 득자적으로 문명화된 지위 를 달성했으므로 문명의 보편적인 유형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도 인류문 화 구성요소의 한 가지 이상을 개별적으로 겁증해야만 한다고 논증하였 다. 그래서 로버트 맥 아담스 (Robe rt McC. Adams) 는 도시 사회의 진화에 대한 저명하고 상당한 관십을 끄는 그의 연구에서 각 문명들의 비교를 위한 주요한 근거로서 구세계 (Old World) 와 신세계 (New World) 를 실례 로 들면서, 이는 〈유사성들이 (문화)발생의 상호관련에 반영된다는 것 죽 독립적으로 일어나는(그러므로 〈법칙적〉이고 인과성이 있을 것 갈은) 규칙성 보다는 문화 전파가 작용된다는 가능성을 낮게 평가하기 위한〉” 것이라 고 언급했다. 그러면 어떤 방법으로 보편적인 유형의 연구에 기여할 만한 중국 최초 의 문명화된 인류의 구성 성분에 대한 개별적인 검증이 가능할까? 비교 연구를 위한 구세계의 유일한 실례로서 메소포타미아를 선택하면서 아담 1) The Evoluti on of Urban Socie t y , p.2 0:

스는 누구나 〈이집트와 인더스 유역, 중국〉의 고대문명보다는 고대 메소 포타미아문명의 원시적 성격에 더욱 확신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부분적 으로 이러한 결정을 내린 것이라고 설명한다. 아담스는 자신이 둘 수 있 는 구세계의 실례에서 중국이 적합하지 않는 두 가지 이유 를 열거했다. 그 하나는 (메소포타미아와 비교하여) 중국의 첫번째 문명이 늦 게 출 현해 서 서쪽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문명으로부터의 직간접 적 인 영향이 계속 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었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 는 도시 혁 명 과정 동안 의 고고학적인 기록이 불완전했다는 접이다 .2) 고대 세계에 대하여 상당한 지식이 있고 공정한 생 각을 지 닌 어떠한 사람도 메소포타미아와 멕시코 를 자신의 비교 연구 를 위한 주 요한 근거 로 선택한 아담스의 견해에 반대하지 않을 것이다. 동시 에 그도 또 한 전 세계적으로 적용됨을 의미하는 일반화 를 위한 유 일한 근거로서 이러한 한쌍의 고대문명에 만족해서는 안된다. 고대세계의 여러 주 요 한 구 성요 소에 대한 오늘날의 고고학적 기록의 끊 임없 는 재 검토 와 이 러한 지 역 들 로부터의 정보가 수정하는 추가의 근거 를 제공할 수 있 는지 의 여 부를 살 펴보는 것은 실로 매우 중요하고 유용할 것이다. 상(商)왕국이 고대중국에서 유일하게 문명화된 집 단은 아니었 고 최초 의 • 문명은 더욱 아니었다. 그렇지만 우리가 지금까지 살펴 보았 듯 이 상 (商 )은 초기 중국문명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 을 담당했고 이제까 지 우리가 그 자 신의 세계질서에 관한 적절한 문헌 정보 를 지니는 유일한 문 명이었다. 그리고 아담스가 자신의 책을 저술한 이래로 중국의 고고 학 자 들 은 상( 商 ) 에 관한 기록 을 증대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고대 중국과 고 대 세계 몰 연구하는 학생에게는 보다 광범위한 관련이 있 을 수도 있는 상(商)사회와 상(商)문명의 몇 가지 양상들을 검토하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l 원초성 (p r i s tin eness) 의 문제 중국 역사는 신화와 전설로만 가득찬 공백기 를 뒤이은 3 대(시아 及 ·상 商 • 저우周) 전까지는 올라갈 수 없다고 했던 때가 있었다. 약간 성급하 2) 위 책, pp. 21-22

기는 했어도 서양 학자들이 근대적인 역사학과 고고학이 중국보다 훨씬 먼처 시작되었고 이른 시기의 문명이 오랫동안 알려저온 근동(近束) 지역 에서 중국문명의 조상을 찾으려한 것은 그다지 터무니없는 것만은 아니 었다 .3) 선사시대의 공백기는 많은 시간을 경과했다. 장기간 계속된 문화 발전 은 이제 신석기혁명의 시작과 함께 북중국에서 확고하게 자리 를 잡게 되 었고 이는 결과적으로 계층화된 사회의 출현과 문자 를 지닌 문명을 유도 했다. 확 실 히 이러한 결과에는 차이점들이 있고 우리는 미래의 고고학으 로부터 그 러한 발전에 대한 더욱 세부적인 사항들을 기대하고 있다. 그 렇지만 지 금 까지의 성과만 가지고도 중국의 선사시대사 4) 와 세계의 선사 시대 , 5) 문 화 진화 6 ) 를 연구하는 대부분의 학자들이 중국 문명이 〈토착적〉 으 로 발 전했다는 기본적 전제 를 인정하기에 충분하다. 그 렇 다 면 〈 토 착적 〉 이라는 단어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인가? 우리는 지 금 문화 생태 학적 전제에 몰두해 있기 때문에 많은 인류학자와 인류학의 영향 을 받은 선 사사가 들 이 지방적이고 지역적인 생태체계 를 강조하는 경 향이 있고, 어떠한 의부의 자극에도 모든 지방적 지역적 발전은 생태체 계 적 인 기 반 을 갖고 있음에 틀 림없어서 그러한 의미에서 토착적이라는 견 해 를 제시하기도 한다. 문화의 수준에서조차도 〈외래 제도의 통합이 가 능하 거 나 바람직하기 전에 영향을 받은 문화의 정치적 • 경제적 발전은 위태로운 수준에 도달해 있어야만 했다〉”고 한다. 이러한 견해를 가진 많은 학자 들 은 문화적 • 사회적 원동력의 중요한 요소로서의 전파를 간과 하 는 경향이 있었다. 그렇지만 전파가 그렇게 쉽게 간과되어서는 안된 다. 문화적 • 사회적 체계는 체계적 변화 를 야기할 수도 있는 방향으로 3) 그것에 관련된 여러 견해에 대해서는, K.C. Chang , The Orig in of Chin e se Civ i l iza ti on : A Revie w . 4) K. C. Chang, The Arc/i ae ology of Anc ien t Chin a . ; T. K. Cheng , The Beg inn in g of Chin e se Civ i l iza ti on ; M. Sull iva n, The Arts of Chin a . ; L. Sic k man and A Sop e r, The Ari a nd Archit ec tu r e of Chin a . 5) G. Danie l, The Fir s t Civ i l izat i on . ; B. Fag a n, Peop le of lite Earth. 6) M. H. Frie d , The Evoluti on of Po/i lia / Soc iety ; Elman Servic e , Or igin of the Slate and Civ i l izat i on . 7) Bruce G. Trig ge r, Tim e and Tradit ion s : Essays in Arclta e olog ica l Inte r - pre ta t i on , p.2 27.

의부의 자극을 포함한 많은 자극에 대웅한다. 〈채택된 제도는 사회체계의 발전을 한층 촉진시키는 데 중요한 촉매가 〔될 수 있다 L 그것들은 또한 풍속과 관례 그리고 기원이 지방적이 아니거나 토착적인 발전과 밀접하 게 균형을 이물 것 갈지는 않은 세계관을 [도입할 수도 있다]〉 .8) 중국 문명이 다른 지역의 몇몇 문명보다 늦은 시기에 충현했다는 사실 때문에 중국문명의 가까운 조상이 이러한 다른 문명들로부터의 자극에 의하여 출현했을 가능성은 크다. 이와 같은 사례는 상(商)문명의 식용작 물로 경작된 밀이 출현했다는 접에서 가장 찰 논증되는 데 밀 재배의 역 사는 근동지역에서 많은 문서로 증명되기 때문이다 .9) 그렇다면 과연 중 국문명이 이와 같은 의부의 자극없이도 출현할 수 있었는가라는 의문접 이 재기된다. 이러한 의문은 반박할 수 없는 것이지만 확실히 우리는 중 국과 근동(어떤 다른 지역도)지역이 공유했을지도 모르는 물질문화와 제도 의 각항목의 역사를 검증하고 그것들이 중국의 발전에 끼친 촉 매 역할의 가능성 여부를 결정하도록 해야만 한다. 허벵띠(何炳 棟 )는 『 동방의 요람 』 {The Cradle of Eas t)에서 이러한 검증을 시도하여 〈고대 중국으로 문화적 으로 수입된 전체 항목은 양적으로 빈약할 뿐 아니라 질적으로나 연대기 적으로도 주요한 중국의 문화적 요소의 시발이나 전체적인 중국의 기원 에 대하여 어떤 관계도 없었다〉 10) 고 결론을 내렸다. 허뺑띠(何炳律)의 이론이 유력한 근거를 지니고 세워졌기는 하지만, 그 의 이론을 그 문제에 대한 결론적 주장으로 간주할 수는 없을 것이다. 허벵띠(何炳樓)의 저서에 서문을 썼던 맥네일 (W illi am H. McNe il)은 그의 설득력 있는 논증에 매료되어 〈어떤 종류의 중거도 이 저작의 일반적인 결론을 뒤집거나 십각하게 수정한다는 것울 상상하기 . 어렵다〉 1” 고 했다. 갇온 저작에 대한 서평에서 키이를리 (David N. Ke ig h tl e y)는 이의 를 제기 하여 스스로 생각하기에 허벵띠(何炳棟)의 이론을 심각하게 뒤집을 수 있 는 근거가 되는 여러가지 의문점을 열거했다. 12) 필자 자신이 중재인이 8) 위 책, p.2 27. 9) Charles A. Reed, ''A Model for the Orig in of Ag ricu lt ur e in the Near East. 10) p.3 62. 11) 위 책, p.x iv . 12) Ho Pin g -ti and the Orig in of Chin e se Civ i l liza ti on , p.4 ll.

되고 싶지는 않지만, 비록 허벵띠(何炳棟)의 이론이 최종적 결론은 아닐 지라도 우리는-키이불리도 이렇게 생각할 것이다――조그 이론을 반 박할 수 있는 납득할 만한 성격을 지닌 미래의 중거가 나타날 때까지의 허벵띠 (何炳才茂)의 일반적인 결론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싶다. 그렇지만 이 시접에서의 진정한 문제는 중국의 발전이 토착적인가 아 닌가의 문제가 아니다. 현재의 유력한 증거가 그것을 확인해 주기 때문 이다. 우리들의 의문접은 보편적인 형태의 연구를 위하여 중국의 증거를 이용하는데 중국의 원초성의 문제가 얼마만큼 관심을 끌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맥네일의 답변은 아주 확실하고 단정적인 것이었다. 죽 그의 답변은 〈[토착적이라는 견해]는 모든 인류가 본질적으로 동일한 문명의 동로를 답습한다고 하는 그들의 낡은 주장――공교롭게도 인류 가 원시 공산사회로부터 자본주의의 착취 그리고 그보다 나은 사회로의 보편적인 발전단계를 거친다는 마르크스주의의 교리에서 신성시되어 버 린 하나의 견해 -_ _ 을 버 릴 것을 축구하는〉 13) 것이다. 보편적인 유형과 분할된 통로가 상호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194' 년에 미국에서 최초로 원자탄 폭발이 있었고 모든 계속적인 폭발이 영국과 소 련, 프랑스, 중국, 인도에 파생되었던 것은 사실이다. 전체 경우에 있어 서 그 지식의 실마리는 직접 로스 알라모스 (LosAlamos) 로 더듬어 올라 갈수있다. 그렇지만 모든 경우에 있어서 산업적인 환경과 기술적인 절차는 폭발 이 일어날 수 있기 전에 되풀이되어야만 했다. 지식과 기술의 진보가 세 계의 어느 곳에서고 일어나기만 하면 그것은 방사망의 중추를 형성하기 시작했고 그 뒤를 이은 모든 사건을 예측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후속의 사건이 최초의 것에 영향을 받는 범위는 각 경우마다 연구되어야만 하고 철저한 연구가 행해져서 문제가 증명되고 난 후에야 뒤에 일어난 사건이 원초적인지 아닌지를 추측할 수 있을 뿐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결론이나 가정이 우리들의 해석적인 과제에 차이정을 나타내든가 그렇지 않든가의 여부는 그러한 과제의 본질에 달려 있는 어떤 것이다. 우리가 체계적인 변화의 원인이 된다고 믿어지는 자국의 출처를 철저히 열거하려면, 이를 완수할 수 있기 전에 물질문명과 제도의 각 항목에 대한 역사가 완전히 13) Ho Pin g -ti, The Cradle of tlze &st, p.x v.

알려져야만 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자국들이 존재하거나 발생하는 상황 하에서 우리들이 내재적이거나 유발적인 변화의 형태나, 이러한 변화들 의 유형과 방향을 결정했던 요소들 혹은 그것들 뒤에 숨어 있는 수많은 현상과 원인들을 살펴볼 수 있다면 그 문명의 지위가 원초적인가 부차적 인가 혹은 그 밖의 어떠한 지위 를 가지는가의 문제는 본질적으로 중요하 지 않은 것이 되어 버릴 것이다. 2 진화론적 체계상에서의 상(商)의 위치 사회진화의 관점에서 고대 중국문명의 형성 과정은 다음과 같 은 중요 한 단계 를 거쳤다. 1 부락사회 단계 ® 양사오(仰器) 문화와 칭리엔깡( 꿉蓮岡 ) 문 화. 개 개의 부락둘은 정치적 경제적으로 가장 기본적인 사회단위였다. 2 부락 상호간의 통합 단계 @ 이 단계에서 부락은 정치 적 , 경제적, 군 사적인 결속체로 발달했는데 그 결속체의 본질은 고고학적 기 록 에서 다 음과 갇은 현상으로 나타난다. 죽 사회 내부에서 빈부의 차이 발생, 내 의부에서의 폭력행위의 증거, 전문화된 수공업(질그릇과 같 은), 아마도 상류층에게만 기여했을 종교전문가의 존재이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다소 영속성을 띤 부락 상호간의 연맹체가 결속되어 전임 통치자에 의해 통치 @ 이 사회단계는 Elman R. Servic e 등이 말하는 t r i be 단계 를 뜻하는데 저 자는 동아시아 용어물 사용하여 〈부락사회〉로 부르고 있다. 동아시아인들 에게는 부족사회보다는 부락사회가 개념이 분명하여진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 단계는 고고학적으로 전기 신석기시대에 해당된다. @ 이 사회단계는 Elman R. Servic e 등이 말하는 ch i e f dom 단계 를 뜻한다. 저자는 다른 논문(張光直, 「從夏商周三代考古論三代關係與中멤 古 代國 家 的形成」, 『中댐上古史 r읊 文選梨』, 華世出版社, 民國 68) 에서는 chie f d o m 운 학술용어로 직역하여 합邦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여기서는 동아시아 의 용어로 〈부락 상호간의 동합사회〉=〈부락동합사회〉라고 부르고 있다. 저자는 위의 논문에서 村群이라는 표현을 쓴 바도 있다. 부락동합사회가 동아시아인들에게는 개념이 분명하게 들어온다는 점에 관십을 가질 필요 가 있다. 이 사회단계는 고고학적으로 후기 신석기시대에 해당된다.

되었음에 틀림없다. 우리는 산-시 (陝西), 허난(河 南 ), 산똥의 롱산(山束龍山) 문화들 을 이 단계로 분류하는데, 동부 해안의 따원커우(大汶口)문화도 이 발전단계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내륙의 먀오띠커우( 廟 底 溝 ) 2 기 문화 를 이 단계로 분류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는 아직 불확실하다. 3 국가사회 단계 @ 이 단계는 중국 고대사에서 3 대의 시기인데 고~학 적 으로 는 얼리터우( 二里頭 )와 그 동시대 문명과 상( 商 )문명, 저우(周)문 명으 로 일컬 어 진 다. 이 단 계에서 주거지는 복잡하고 영구적인 조직망(보 통 여 러 단계로 계층화 된) 을 형성한다. 이러한 조직망의 전임 통치권은 특 정의 성 (姓) 이나 족 ( 族 )이 독 점하게 되어 통치자 들 은 비교적 영속적인 통 제수단과 행 정 기구에 의해 보조 를 받았는데, 이러한 행정기구에는 내의 적으로 무력을 사 용하여 억압할 수 있는 기구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 단계 에 속할 수 있는 가장 이 른 고고학상의 문화는 허난(河 南 ) 서북 부의 얼리터우( 二 星頭)문 화인데 이 문 화와 시아 (頁 )의 동일성은 위에서 논 의되었다 . 시 아 (夏) 와 동 시대에 존 재했던 나라들 중에서 상(商)은 확실히 가장 중 요 한 나 라이고 상( 商 )의 초 기 문화 를 나타내는 유물들이 허난(河 南 ) 동부 와 산똥(山東) 서 부, 안훼이( 安徽 ) 북단에 걸 쳐서 발견될 것이라고 믿 어 진다 . 상( 商) 의 중기 이후의 많은 유적들이 중국 북부와 중부에서 발견되 었다 . 이 유 적 지 들 에 거주했 던 사람 들 은 확실히 여러 나라에 편입되어서 살 았 겠 지 만 상 ( 商 )의 유적이 분포되어 있는 지역 내부의 동시에 존재했던 많 은 나 라들 중 에서 상( 商 )은 확 실히 가장 강 렬 한 나라였다. 우리는 〈피지배〉 라 는 단어가 상(商) 〈 왕조〉시기에 상(商)이 다른 나라와 가졌던 계급적 관계 의 측 면에서 명 확 히 무엇 을 수반하 는 것인지 정확히 알지는 못한다. 지배 적인 지 위라 는 것 은 의십 할 여지 없이 정치적 • 의식적(儀 式 的)인 최고 권리 를 내포하 는 것이고 아마도 일종의 조공을 위한 조직망이 있었겠지만 이 조 직이 어느 정도의 진정한 경제적(의식적 • 상징적인 것은 제외) 중요성을 지니 는 것인가는 명확하지 않다. 이러한 조직망의 본질적인 면모는 4 장에서 언 급되었다. 우왕(武 王 )의 정벌 이후에 ......이 러한 지배적 지위는 저우(周)에게로 옮겨갔고 저우(周) 이후에 서로 항쟁하던 나라들의 춘치우잔꿔(春秋 戰國 ) 시대 보다 고도의 국가 사회 형태, 죽 친(秦) • 한( 漢 ) 제국의 중앙집권화된 @ 국가사회 단계에 대해서는 그 기준이 법에 의하여 뒷받침되는 정치권력 이 출현한 사회임을 저자는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는데 고고학적으로는 청동기시대에 해당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관료 정권으로 대체되었던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위의 고대 중국사회에 대한 진화론적인 결론은 비교 사 희전화론을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중요한 새로운 자료들을 제공하는데 그 자체가 훌륭한 업적이 될 수도 있다. 지난 십수년간 미국의 인류학자들 의 사회진화론에 대한 관심이 접차로 증대했음을 알 수 있고 많은 고고 학자들은 이러한 이론의 일부를 세계의 다양한 지역에서의 고고학적 결 과에 적용하려고 하였는데 그들은 특히 국가의 기원 문제에 그들의 관심 울 집중시켰다. 이러한 논의에서 비교적 당시 중국의 자료는 거의 이용 하지 않았고, 반면에 중국 고대의 역사적 문제들을 연구하는데 일반적 • 비교적인 관접에서 조명하기보다는 마르크스의 상무적인 이론에 따르려 고 해왔다. 이제 3 대의 고고학에 관한 현재 우리의 사고가 사회전화론적 인 체계와 국가 기원의 문제에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현재 미국 고고학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채택되고 있는 진화의 체계는 엘만 서비스 (Elman Serv ic e) 의 그것인데 14) 그의 〈동합의 4 단계〉, 죽 무 리 • 부족 • 추방 • 국가의 단계는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표 7 에는 이 러한 체계와 중국에서 보편적으로 차용되고 있는 마르크스의 시대구분 체계에 따르는 중국의 발전단계가 명시되어 있다. 비록 중국의 고고학적

표 7 중국에 있어서의 고고학 문화와 진화 단계

고고학문화 엘만서비스 마르크스주의 학자 구석기 무리 중석기 원시 양사오(仰紹) 부족 통산(龍山) 추방 3 왕조(춘치우春秋시대까지) 국가 노예 저우(周) 후기, 친(秦), 힌 봉건(초기) (漢)

14) Primi tive Socia l Org an iz a ti on ; Or igins of the Sta te and Civ i l iz a ti on ; The Process of Cutu r al Evoluti on .

인 편년에 아직까지 큰 시간적인 공백이 있기는 하지만 적어도 필자의 견해로는 서비스의 체계에 따른 구분이 비교적 명확한 것 같다. 3 대 시 대를 추방사회 단계로 분류할 것인가 혹은 국가단계로 분류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약간의 논쟁이 있어 왔다. 이 두 단계의 구분은 개념적으로는 명확하지만 이 두 단계를 분리하는 일부 특칭적인 성격은 본질상 양적인 것이고 보통 실제 자료로 확인하기도 어려운 것이다. 샌더스 (Sanders) 와 프라이스 (Pr ic e) 에 따르면 15) 추방사회의 주요한 특징은 그 정치적 서열이 혈연체계와 연결되어 있는 반면에 국가 단계는 기본적으로 합법적인 권 력에 의해 특칭지워진다. 이러한 구분은 플레너리 (Kent V. Flanne ry)에 의해 다음과 같이 더욱 명확하고 정교하게 표현되었다. 국가는 전문화된 동치계급이 있는 아주 강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중앙집권화된 형태인데, 대체적으로 단순한 사회를 목칭짓는 혈연적인 결속과는 동떨어전 형태이다. 또한 국가는 혈연이나 인척관계보다는 보통 직종의 전문성에 따른 거주 형태를 지닌 내부적으로 고도로 계층 화되고 극도로 다양화된 것이다. 국가는 무력의 독점을 유지하려고 시 도한다. 그리고 진정한 법에 의해 목칭지워진다. 어떠한 죄라도 거의 국가에 대한 범죄로 간주되어질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에 칭벌 은 단순한 사회에서와 갇이 가해자측이나 그의 혈족에 책임이 부여되 기보다는 규정된 절차에 따라서 국가가 처리하는 것이다. 개개의 인 민은 폭력을 버려야만 하는 반면에 국가는 전쟁을 수행할 수 있고 군 사를 징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금을 거두고 공물을 강요할 수 있 다 .16) 이 견해에 따르면 국가사회는 두 가지 선결 조건――-국가조직에서는 혈연적 유대가 지역적 결속에 의해 대체되고 합법적인 권력을 소유해야 한다는-울 구비해야만 한다. 이러한 기준을 상(商)에 적용해 보면 첫 번째 조건은 적용이 되지 않고 두번째는 적용이 가능하다. 상(商)이 과연 국가사회였을까? 중앙아메리카지역에서의 추방단계에서 국가단계로의 1,) W illiam T. Sanders and Barbara J. Pric e, Mesoameri ca. 16) The Cultu r al Evoluti on of Civ i l iza ti on a, pp.4o ,-4o4,

이행을 논의하는데 샌더스 (sanders) 는 하나의 고고학적 기준으로 건 축 물을 사용할 것을 제시했다. 추방사회의 통치자들은 신전과 묘 를 짓는데 강제노동 을 이용할 수 있었지만 국가의 통치자들은 그들이 거주할 궁궐의 건 축을 위 하여 노동력을 이용할 수도 있었다 .17)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궁궐의 규모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이다. 상(商)의 궁궐과 신전, 묘들은 모두 참으로 인상적인 구조였지만 그 건축의 규모와 명구성에 있어서는 확실 히 천(秦) • 한(漢)제국과 후의 왕조의 그것보다는 열등한 것이었다. 그렇 다면 상(商)은 추방단계이고 국가단계는 아니란 말인가? 그렇지만 그렇 게 결정하는 것은 불합리할 것이다• 왜냐하면 상(商)은 합법적인 무력과 계급적 통치구조, 사회계층의 문제에 관한 한 국가의 정의에 부합되기 때문이다. 간단히 말해서 상(商)의 자료들은 상(商)을 추방 혹은 국가단 계로 분류하는 것에 대한 일부 정의상의 문제점들 을 제시해 준 다. 그러 한 문제들을 해결해 주는 두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하나 는 상(商)을 그러한 법칙의 변형된 형태 혹은 예외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 방법 의 실 례로서 조나단 프리드만 (Jo nath a n Frie d man) 은 정 치 권 력 의 분배 가 혈연적 관계에 기초한 고대의 국가를 〈아시아적인 국가 〉 로 명명했 다 .18) 두번째 방법은 고대 중국의 자료 를 일반적인 국가의 정의 를 위한 근거 자료로 포함시키려는 것인데, 죽 국가의 정의 를 내리는 데 있어서 혈연과 지역적 결속의 상호관계를 재평가하려는 것이다. 물론 사회진화 의 일반이론에 있어서 3 대 고고학의 중요성은 후자의 접근방법 을 통해서 만 명백해지게 된다. 3 국가의 기원과 문명, 도시화의 문제 국가와 문명, 도시는 그것들의 초기 발생이 동시적일 뿐만 아니라 그 17) W illiam T. Sanders, Chie f d o m to Sta t e : Poli tica l Evoluti on at Kami na lju y u, Guate m ala, p.1 09. 18) Trib e s, Sta t e s , and Transfo r mati on s, p.1 95 ; 아시아적 국가에 대한 그 밖 의 근 래 의 논 의 에 대 해 서 는, Centr e d'f:t ud es et de Recherches marxis t e s , Sur le mode de pro ducti on As iati q u e ; Perr y Anderson, Li ne age s of the Absolute Sta te 등을 참조.

둘 발생의 원인에 있어서도 모두 상호연관되어 있는 것 갇다. 그렇지만 •• 인류학자 들 은 학문의 풍조에 따라서 그것들을 고집스럽게 분리시켜 연구 하는 듯하다. 1950 년대는 도시에 관한 연구가 활발했는데 고든 차일드 (Gordon Ch i lde) 의 〈 도시 혁명〉 1 9 1 에 관한 유명한 논문을 시발접으로 하여 『 무 적 의 도시 』 (Ci ty In v i n ci bl e ) 2 0) 와 『 도시 생 활로의 과정 』 (Courses Toward Ur ban L i/e ) 2 1 1 을 출 간하게 했던 학술회의와 함께 종결되었다. 문명은 지 속적 으 로 중요한 주제가 되어 왔지만 1960 년대에는 『 문명의 여명 』 (The Daw n of Ci vi l iz a t i on ) 2 2) 에 서 『 최 초의 문명 』 ( The Fir s t Ci vi l izat i on } 23) 까지 의 그러한 주제 에 따 른 거대한 저술을 보게 되었다. 지난 10 년간, 죽 1970 년 대에 는 국가에 관심 을 둘 차례가 되었는데 〈국가의 기원〉이나 〈국 가의 형 태 〉 에 관 한 저서와 논문이 연속적으로 쏟아져나와 이 를 입증해 준 다 . 24) 마지 막 으로 유행되었던 국가의 기원에 관한 문제는 비록 그것이 미 국으로부 터 보급된 결과는 아닐지라도 중국에서도 관심의 대상이었음 을 알 수 있다 . 25) 이 러한 개념 들 은, 함께 관련시켜서 볼 때 그리고 그것들을 전반적인 진 화론상 의 문 제 들 가운데 일부로서 볼 때, 가장 잘 드러날 수 있다. 우 선 이 른 바 문 명이라는 것 뒤에 숨어 있는 사회의 본질적 면모를 살펴봄 으로 써 이 문 제 를 살펴보기로 하자. 문명이란 무엇인가? 그 용어에 대한 여러가지 정의가 있고 그것들 중 많은 것은 아주 자세하고 복잡하다. 그렇지만 우리들 대다수 적어도 독 서하 는 대중의 대다수에게 있어서 문명은 양식이고 특성인데, 그것은 대 개 기념비적 건 축 물이나 종교예술과 같이 고고학적인 기록에서 물질 문 화의 형태로 독특하게 나타난다. 쉽게 말하면 이러한 것들은 일용품이나 19) 195 0. 20) Carl H. Kraeli ng and Robert McC. Adams, eds. 21) Robert J. Braid w ood and Gordon R. W illey , eds. 22) Stu a rt Pig go tt , ed. 23) Glyn Danie l . 24) Robert L. Carneir o , A Theory of the Orig in of the St at e : Elman R. Servc ice , Or igins of the Sta t e and Ci vi l iz a ti on ; R. Cohen and E. R. Servic e , eds., O r igins of the S/a /e . 2 기 예 룹 들면, {冬柱臣 「從二 里 頭刻型文化試 談 中 國 的 댐家 起源 I t I 題」.

생필품과는 거리가 먼 물품들이고 효용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사치품들이 다. 우리는 고대사회가 의관상 무용한 일을 위하여 상당한 부를 기꺼이 바칠 수 있었다고 파악할 때 그 당시 사람들에 대해 감탄할 것이고 그들 이 문명화되었다고 할 것이다. 그들이 사치하면 할수록 우리의 눈에는 그들의 문명이 더욱 위대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본다면 문명은 그것이 산출되는 사회 내부에 풍부한 부의 잉여가 있을 때에만 가능하디는· 것이 확실하다. 그렇지만 생활의 발달은 항상 독단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어떠한 잉여도 전보된 기술만으로 서 자연적으로 생겨날 수 없다는 것을 주목하여야만 한다. 잉여는 인간 이 만든 부의 일부인데, 그 사회의 자원과 부가 재조합된 결과와 같이 그 사회에 독단적으로 부과된 것이다. 이러한 재조합은 사회의 부를 그 사회의 소수의 집단의 손아귀에 집중시켜서 그들에서 이른바 문명의 사 치스런 특성들을 창조해내기 위한 가능성과 필연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자원의 재조합을 가능케 하는 사회의 이분성이나 양면성이 적어도 세 가 지는 존재한다. 필자는 문명을 계급과 계급, 도시와 비도시, 국가와 국 가와 갇이 사회적 양면성을 지닌 대립된 쌍둘이 문화적으로 규명되어 고 고학적으로 인식된 것이라고 칭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경제적 계층분화 와 도시화, 국가 상호간의 관계가 문명을 사회적으로 결정짓는 데 필요 한 세 가지 요소이다. 이에 대한 명확한 설명들이 충분히 있다. 죽 경제적 계층분화는 국가 내부에서 자원의 집중을 가능케 하고, 도시화는 그것에 의하여 국가가 지역적 경제의 영역 내에서 그러한 집중을 이루는 기구이다. 또한 전쟁 과 무역의 형태로 나타나는 국가들 사이의 상호작용은 자원과 정보의 유 입을 더욱 높은 수준으로 가능케 하는데 이러한 자원과 정보는 국가 내 부에서 경제의 체계적인 영역을 더욱 확장시키고 자원의 집중을 더욱 용 이하게 한다. 이러한 모든 것들은 상(商)사회에서 작용되었던 원칙들에서 나타났다. 최근의 연구는 상(商)사회가 경제적 계급으로 엄격하게 계충분 화되었고, 고도로 세분화된 지역적 경제 조직망이 있었으며, 상당히 복 잡한 당시의 여러 정치조직 중의 하나였다는 사실을 일반적인 것으로 인 정한다• 상(商)의 고고학은 우리가 문명으로 간주했던 모든 특성들에 의 해 특칭지워지는 것이다. 우리는 이로부터 필자가 감히 고대 문명의 발전법칙이라고 부를 법칙

을 산출함으로써 이를 더욱 일반화할 수 있다. 첫째 초기 문명은 두 나 라 이상이 포함된 정치적 상황하에서만 발생했다. 적어도 두 나라가 관 련이 있어야만 했는데 거의 그 이상의 나라가 연루되어 있었다. 그러므 로 야만족들에 에워싸인 한 나라에서는 문명이 발생할 수 없었던 것이 다. 헨리 라이트 (Hen ry Wr ig h t)가 지적한 바와 갇이 〈[복잡한 추방사회 둘〕은 조건이 양호한 섬에서 존재할 수 있지만 그것들이 거대한 체계로 확산될 때까지는 국가상태로 발전하지 못할 것 갇다. 우리의 관심은 전 쟁과 동맹에 의해 규정된 추방의 조직망이다〉. 그리고 〈추방사회와 마찬 가지로 [국가]도 일반적으로 나라들 사이의 조직망 안에 존재한다. 형태 가 단순한 나라들 사이에서는 추방사회에서 간략하게 주목되었듯이 이러 한 조칙망둘이 경쟁과 동맹을 통하여 조정되었던 것 같다.〉 26) 우리가 주목하였던 것과 갇이 중국의 상황에서는 다양한 나라들이 一―­ 시아(~). 상(商), 저우(周)와 그 밖의 다른 것들-~중국 북부와 중부 의 여러 다른 지역을 점유하고 있었는데, 각각은 명확히 다른 자원으로 특칭지워진다. 더 나아가서 상(商)시대의 점복기록이 상(商)이 그에 비길 만한 수준의 문명을 가진 다른 나라와 일차적으로 접촉하였음을 암시하 여 준다는 것도 주목되어 왔다. 그 발전이 상당한 수준이었을 세 나라들 —혹은 그 이상의 ――사이의 경제적 상호관계는 북부와 중부의 중국 에 걸쳐서 원자재와 생산품의 유통을 어느 정도 가능케 했을 것인데 그 러한 유통은 하나의 나라 안에서나 혹은 국가단계의 사회와 더욱 원시적 사회 사이의 관계에서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이러한 상품의 유통은· 각각 의 상호작용을 하는 국가들 내부에서의 부의 집중과 잉여의 생산을 위한 유리한 조건을 제공해 줄 것이다. 게다가 의부로부터의 무력적 위협은 내부의 통합을 촉진시키는 경향이 있었을 것이고, 무력적 위협이 없었다 고 하더라도 이러한 주장은 인간의 역사를 통하여 호의적인 정치적 기술 로 존재해 왔다. 트리거 (Trig ge r) 가 언급한 바와 같이 〈초기 문명의 본질 에 대한 서비스의 최근의 주장을 위한 출발점을 제시해 주는 자명한 이 치는 어떠한 국가도 단지 무력만 가지고는 단결이 계속될 수 없다는 관 찰이다. 하나의 정치체제가 오래 유지되려면 그 신민(臣民)의 대다수는 그 체제가 그들의 이익에 더욱 찰 부합될 수 있는 체제로 대체될 만한 26) Henry Wrig h t, Recent Research on the Orig in of the Sta t e , p.3 82, 3s,.

합리적인 가능성이 전혀 없다는 것을 확신하고 있어야만 한다.〉 27) 수세기 에 걸쳐서 각 국가들 내부에서 형성될 수 있었던 국가들 사이의 경쟁과 약간의 민족의식은 각 국가들 내부에서의 주요한 안정 요소들 중의 하나 였음에 틀립없다.

27) Bruce G. Trig ge r, Ineq u ali ty and Communic a ti on in Early Civ i l iza ti on , p.36 .

두번째로 산출될 수 있는 발전법칙은 국가 내부에서 자원의 재조합이 한층더 고르지 않거나 불평등할수록 생성될 문명의 징표는 더욱 두드러 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바꾸어 말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원칙은 그 사회에서 표출되는 문명에 근거하여 경제적 계충분화와 지역 경제체 계의 복잡성의 정도를 예측할 수 있게 한다. 우리가 고고학 을 통하여 살 펴볼 가능성이 높은 문명일수록 실생 활 의 측 면에서는 과도하게 사치스러 울 정도로 복잡하고 덜 실용적이다. 예 를 들면 고대 이집트에 관한 어떠 한 지식이 없이도 두탄카멘 (Tu t ankhamen) 왕의 묘 를 바라보고 우리는 효 과적으로 운영되었으며 지역적으로 분화된 경제체계 를 갖 추 었고 국가 사 이의 또는 정치체제 사이의 경쟁이 치열했던 극도로 계충이 분화된 사회 를 바라보고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그 묘가 위대한 예 술 품임에는 의문 의 여지가 없지만 그것이 과도한 인간의 희생을 전제로 한 것임도 튤 립 없는 사실이다. 문명의 성장은 무엇을 의미하고 몰락은 또한 무엇울 의 미하는 것인가? 이러한 가치를 부여하는 표현들은 그 사회의 정점을 이 루어 왔던 것에 대한 평가적인 판단을 의미한다. 문명의 성장과 몰락에 관한 판단을 내리는 데 있어서 필자는 그것보다도 우리가 정상에 포함되 지 않는 사람들의 생활에 의하여, 그리고 사회전화의 과정에 따라서, 이 러한 개념들의 의미를 고려하지 않는 것을 우려하는 것이다• 종종 한 문 명의 몰락은 한 사회의 진보를 이룩한다. 죤 페이퍼 (Jo hn. E. P f e iff er) 의 말과 갇이 〈한 인간의 타락은…… 다른 사람의 부흥을 초래할 수도 있다. 재화와 보다 높은 생활수준이 널리 확산된 것과 갇은 그러한 것들에서, 사회의 정예들을 보호하고 양성하는 데는 작은 노력이 소요되었지만 그 의의 일반 주민들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노력이 소요되었다〉 .28)

28) The Emerge n ce of Soc iety , p.47 0.

후기 지 금 까지 설 명되었던 상( 商 )문명의 구조는 상당한 부분이 근래의 고고 학 적 자료와 금석학 의 연구성과에 근거하였기 때문에 혹자는 그것이 새 로 운 자료와 연구에 따라서 바뀔 수도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이 책의 원 고가 완 결된 1978 년 말 이래로 이용가능하게 된 새로운 자료들은 우리 의 견해 롤 바꾸어야 할 정도는 아니다. 그렇지만 몇 가지 중요한 첨가사 항이 주목 되어야만 한다 . 안양( 安腸) 에서 1969 년부터 1977 년까지 행해졌던 인쉬 (殷 ~ ) 서쪽 지구 의 새 로 운 발 굴이 보고된 바 있다 [KKHP. 1979{1), pp. 27-146]. 상(商) 왕 조 의 묘 1 , 003 자 리와 마차가 매장된 5 개의 구덩이 를 발견해낸 이 발굴 은 빠이지아 훤 ( 白家 tR ) 과 메이위엔랑(梅 園 莊), 뻬이신창(北辛莊), 샤오민 툰 ( 孝民 屯) 지역에 의해 윤곽이 잡혀진 30 만 평방미터에 이르는 지역을 포함한다. 구조와 부장품에 따라 정교함의 정도가 다양한 그 묘들은 8 개 의 집단으로 나누어지는데 〈각각은 각집단에 속하는 묘의 방향과 매장 방 식, 질그릇 집단에 따라 구분된다.〉 발굴자들은 각묘의 집단이 분리된 족 (族)의 매장지역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믿고 있다. 묘의 부장품이 각 집단 내부에서 상당히 차등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각 집단 내부에서의 족들 이 계충분화되어 있었다는 특성을 지적하는 것으로 주목되어야 한다. 이는 족과 그들 내부의 계층분화에 대한 3 장에서의 논의 를 보강해 주는 것이다. 목곽(木 構 )과 순장인이 있고 샤오문(小屯)의 M 333 묘(p .82) 의 장식도안 과 유사한 도안이 새겨진 청동제기가 부장되어 있는 묘가 우판촌(武官村) 북부, 죽 시뻬이깡(西~t岡)의 매장지에서 발굴 보고되었다 [KK 1979(3), pp. 223-226]. 이는 안양(安陽)의 왕조 이전 문명 (1 장)의 점유가 후안수 ( i!i 水)의 북쪽 제방에까지 확산되었음을 지적하는 것이다.

허빼이(河北)의 최남단(왕도지역에 해당하는 ; 1 장 창조)에 위치한 츠현 (磁縣)의 시아치위엔(下七 垣 )에서 새로 보고된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유 적은 4 개의 문화층을 포함하고 있다고 하는데 맨 아래층에서부터 얼리터 우(二里頭)문화 , 상(商) 초기의 문화. 상(商) 중기의 문화. 상(商) 후기의 문화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KKHP 1979(2), pp.1 85-214). 질그릇류로만 나 타나는 이곳의 얼리터우(二 里 頭)문화는 처음으로 허 데 이( 河 北)에서 모습 을 드러낸 것이다. 그 지역의 보고자에 의해 한딴(tlfl 郞 )에 있는 지엔꺼우 ( 潤 溝)의 상(商) 유적과 비교되었던 〈상(商) 초기의 문화층〉도 또한 정저 우(鄭州)의 얼리깡(二 里 岡) 질그릇보다 〈유형적으로 앞선 〉 질그릇으로 나 타난다. 위의 자료로서 상(商) 초기의 중심지가 광범위하게 분포된 얼리 깡(二里岡) 단계의 내부에 있었다는 것을 지적하기에 충분한지의 여부 를 논하기에는 아직까지 시기상조이다 . 이와 관련하여 새로 보고된 약간의 방사성탄소 측 정연대가 홍미 를 끈 다. 고고연구소의 방사성탄소 실험실에서 보고된 아주 방대한 새로운 방 사성탄소측정연대들〔 KK, 1979(1), pp .89-94 〕에는 3 대 시대의 것으로 추 정퍼 되거 는슨 (F다er음gu 과so n갇) , 은룡 표(Lo본ng들 ) , _월마 릭 지(W막all ie항) 에목 은의 해1 97측4 년 정 에되 었다 다몬 _ (—Da m이o n )포, 함되어 있다.

표본번호 문명 유적 (C반 - 감14 7측 l =정연5 5대70 ) 수정연대 (B .C .)

ZK-Hl 二里頭 夏縣의 束 - F 馮 368~ 士 100 2200 士 16, ZK' II II 351’ 士 150 197, 士 200 ZK-436 II II 342, 士 100 184’ 士 110 ZK- 48 6 商 iiiJi +j 拓城의 孟莊 3185 士 80 1530 士 9, ZZZKKK-·444848867 吳””城 江”II 西 淸汀.의 吳城 3333336780~0 士士士 99lS00O 111777888000 士士士 1110000 ZZKK--444e7o 夏家店”下 H 遼” 寧 放漢성(의 ·k 32,0 士 150 16n 士 10~ 句 子 3320 土 8, 1720 士 95 ZKS30-1 西써 陝張西家 坡長 安 風西의 2660 士 8 '.5 875 士 100

똥시아핑 (가다엘 5) 과 핑시 (風西)의 연대는 그것들이 속했던 시아(夏)와 시저우(西周)의 연대와 일치하지만 모든 다른 연대들은 예측했던 것보다 약간 이른 것으로 측정되었다. 얼리깡(二里岡)과 동시대의 유적으로 추정 되었던 남쪽의 우청(吳城)과 북쪽의 따띠엔쯔(大句子)의 연대도 얼리깡(二 里岡])보다 200 년 정도 앞선 것으로 나타난다. 멍창(孟莊) 유적은 아직 보 고되지 않았는데 그 초기의 연대와 위치(허난 동부의 뽀현풍縣 근처에 있는 최초의 상商왕조 소재지)는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모든 것들은 너 무 단순한 설명에 불과하여 상(商) 문명 초기의 역사 서술은 아직 상당히 유동적인 상태이다. 필자는 이 책의 독자들이 예리한 예측력과 개방적인 사고 를 갖추고 필자와 함께 미래의 학문 발전을 주시하기를 기대한다.

부록 : 夏 • 商 • 西周 유적지의 방사성 탄소측정 연대

실험실編號 유 적 지 충 위 c- 14 연대 B . P . c -1 4 연대 B . P . 수정연대B. C . •

반 감기 573 0 반감기 ’’70 ZK-86 安腸 小屯 3065 土 90 2978 士 90 1280 士 150 ZK -5 安陽 武官村 商 왕 릉 3035 土 100 2949 士 100 1 210 土 160 ZK-178 鄭州 商城 3330 土 95 3 235 土 90 1~90 土 160 ZK-177 鄭州 商城 3310 土 95 3215 士 90 1560 土 160 BK-7500 7 媒城 商 3 2 50 士 100 3 1 55 士 100 noo 士 170 ZK-199 鄭州 洛達廟 二里頭문 화 3230 土 130 31 4 0 士 1 30 1470 土 190 ZK-253 洛腦 ZK-31-1 假姓師李 ” 3 6 4 5 土 1 30 35 4 5 土 130 2010 土 220 二里頭 II 3955 士 11 5 38 4 5 土 115 2390 士 190 ZK-212 ZZKK--2288 6'.i ”I”I 二里頭I”I IV 기 3 570 土士 9850 33447550 士士 98,0 11898100 士士 116’0° 문 화 3340 土 85 3245 士 85 1620 土 150 ZK -25 7 ” 二里문頭 화 매 기 319S 土 90 3105 土 90 1430 士 160 ZK - 3 82 夏縣 76SW26 束下馮 T,01 (4B) 36n : 上 1 1' 3535±115 1 980 士 210 BK- 76 042 II If 80 土 80 (3470 士 80) 1910 士 150 BK-76038 II 74 S W26 T21(3A) 3370 土 90 (3270 土 90) 1660 土 160 ZK- 38 8 ” 7T65S0W1(246B ) 3360 士 90 326’ 士 90 1620 土 160 BK-7603 7 II 74SW26 Hl2 3320 士 80 (3220 土 80) 1590 士 150 ZK- 3 42 II nSW26Hl (초기) no,: 土 110 3210 土 110 1,60 土 170

실험실編號 유적지 충위 C-14 연대 B . P. C - 14 연대 B . P . 수정연대 B.C.•

반감기 5730 반감기 5,70 ZK- 3 40 II 74SW26:4B (후기) 3260 士 110 3170 土 110 1~00 士 170 BK-76040 II 74SW26 Hl0~(2) 3230 土 100 (3130 土 100) 1470 土 170 BK-76039 II 74SW26 H9 3170 土 140 (3075 土 140) 1400 土 190 ZK-339 ” H7l45S(W 중2기6 ) 3080 土 10~ 2990 土 105 1280 土 170 BK- 7 7011 岐山 鳳雄 西周 3030 士 9 0 (2940 土 90) 1210 土 l~O BK-76018 II II 2990 土 90 (2900 土 90) 1180 土 l~O BK-77012 II II 2840 士 110 (2755 土 110) 1000 土 170 BK-75052 晶平 (北 京 ) II 3070 士 90 2980 土 90 1280 土 l~O WB-77-5 II II 289' 土 100 (2810 土 100) 1060 土 160 WB-77-10 朝賜 魏썹 子 (遼 ~ ) II 2725 土 100 (2640 土 100) 850 土 160

아래의 자료에 근거함. 及社 「破 -1481 1 ] 定年代저 1 中 國史前考古싸 」. KK, 「放射 ti激索 i IIl 定年代報告( Ii. )」. WW, 「破十四年代測定驛, 紹一」. WW, 「液體 |~I ~ 法破十四年 代 Ulll 定」. * 수 정 연 대 는 P. E. Damon • C. W. Fergu son • A. Long • E. I. Wall ick , Dendro- chronolog ica l Cali br ati on of the Radio c arbon Ti m e Scale 에 따름.

참고문헌 개설서 Chuano pL uib nl i趙 sh林 ed . mShoannogg rsa hpih h , tawi i ttihng a k afuo ll 商 t a央b l持e 定of稿 c o.n (tAe n pts r, e fias c es eteon thin i s J aes n yyei ti She-hui 人與i.:I:.令 1 [3] 1973, 101-103.) Cheng Te-k'u n 鄭 德 沖 . Shang Chin a . Cambrid g e : Heff er, 1960. Ito Mi ch ih aru 伊孫道治 . Kodai In Ocho no nazo 古代殷王朝 ~ i:i.· ,:t' . Toky o: Kadokawa shoden, 1967. Kaiz u ka Shig e ki 貝 塚茂樹 . Kodai In daig o ku 古代殷帝 00 . Toky o : Misu zu shobo, 1967. Li Chi 半 淸 . Any a ng. Seatt le: Univ e rsit y of Wash ing ton Press, 1977. PePkein kgin g U , n 1i9v7e 9rs. i t y, Dep ar tm ent of Hi st o r y. Shang Chou k'ao-ku 商 周 考 눔 Shir a kawa Shiz u ka 白 JI1 靜 . Kokots u bun no sekai- K odai In Ocho no kozo Um甲eh骨ar文a S0u e世ji界 梅 ―原 古末代 治殷 . 王lns朝ho 0 P .I沿 JA造 . T. oTkoyk oy : o A : Hsaehi bi :;o h n inshb au,n 1sh97a2, . 1964. Yang Chie n -fa n g *,rt* . An-ya ng Yin hsii 安陽殷Jj: . Pek ing: Chung - hua Shu-c h ii , 1965. 자료및연구논저 Ackerman, Phy llis. Rit ua l Bronzes of Anc ien t Chin a . New York : Dryd en Press, Ad1a9m4s5,. Robert McC. The Evoluti on of Urban Soc iet y . Ch ica g o and New York : Aldin e -At he rto n , 1966. AkTaotsk u yk oa, 1K9i5y 9o. shi 赤 塚 ,범 (Kohon) In kin b un koshaku ( 稿 本 ) 殷 金 文 考 釋 Amano Moto nosuke 天野 元之助 . “Indai s ang yo no kansuruj ak kan no mondai 殷代産業 0 間十 5 若干 0 問題 . Tohoga k uho (Ky ot o ) 23 (1953): 231-258. An Chih - m in 安 志 값 Cheng -c hou shih Je n-mi n kung -yu an fu-c hin ti Yin tai —yi-ts.' u nH o ~-n州a n 市 A人n-氏ya 公 ng 因 H 附sia近 o -的na殷n-h代ai遣 c存hiu W- sheinh -w- cuh '文i s物hi h1 - 9t5a 4i (t6u)n: g3 -2 h-s3ii7e .h tui-c h i ti shi h chueh 河南安陽小南海섭石 混時代洞穴뱌社的試抵. K'ao-—ku H.s iie Hh -op-a p oe i考 七C學h:'ifi- lyta n 1g9 6ti5a o( 1-c):h '1a -2ch7 .i 河j§째査1e, . K'ao-ku T'ung - hsiin 考七通 a 1955 (1): 39-44.

-. Kuan-yi i Cheng -c hou 'Shang ch'eng ' ti ch i-k o wen-t' i 闇於鄭州 荷썩 的氣個 MM. K'ao-ku 考七 1961 (8): 448-450 . . Yi -c hiu - wu-erh nie n ch'iu ch i Cheng - chou Erh-li- k ang fa- chii eh ch i -九Ji.:::..年秋李郞州 .:::..모 円分抵if. . K'ao-ku Hsiie h -pa o 考古學:tit 8 (1954): 65-107. An Chi.n -hSuhaihi l安un金 C祖hen g -C chhoeun gS -ch ahnogu tatii- cc hh''iein gti ckh uih-—t a i A yoi -t tus'u nt\' .. ~ch 鄭ieh 州-s h商a 代o 鄭州比巨的눌代遣存介緖. Wen-wu 1957 (8): 16-20. 域址―~:tjt . Wen-wu 1961 (4/5): 73-80. . T'ang -yin Ch'ao-ko-chen fa- hsie n Lung - shan ho Shang tai ten g wen-hua yi-c hih 沿陰朝*섯分現 ! t山和商代 等 文化 遣 墓 Wen-wu 1957 AAnn(dd5e)e:rr ss8os6on.n , ,P Je.r rGy.. LPin re eahgie s st oo f r ic t h Se iAt ebss oinlu Hti sotn Satna . te . BLuollnedtio nn o :f N tLhBe , M19u7se4u. m of Far Eofa Fstae .rr n E RAaesnstteei raq nru c iAht ineesst i iq1n9ut io (t 1 ite9hs4 e 17 P5) .r (e1h9 i4s3to ) .r y of th e Ch ine se. Bulleti n of the Muse u m Bag le y , Robert W. P'an-lung - ch'eng : A Shang Cit y in Hup ei . Artib u s Asia e 39 (1977) : 165- 2 19. BaSrnearircd a , MNooenlo. gB rra opn hz e1 4C, aTstoik ngy oa, n 1d9 B6r1o . nze Alloy s in Anc ien t Chin a . Monumenta Archa..e TohlCoegh F yoi ur isn t C RC hhaiind n a i oa :c. aA rMb oRonen vDuimae wet en s tfoa r f o S mtehr ieC c haT in2 ha4 ir, d(n 1 e9Vw65o a)l un: md3 0ee7 no-la f4 r 5gC9e h d. e .n Mg oTneo-gk r 'a u pn h'ss on Far Easte r n Hi st o ry, 8. Canberra: Austr a li an Nati on al Univ e rs i t y, 1975 . . Revie w of Chou Hung -h sia n g , Shang - Yi n ti- w ang pen -c h i. Monu- menta , Saenrdi c aS a1t9o ( T19a6m0o) t:s 4u 8. 6M -5e1t a5 l .l urgi ca l Remain s of Anc ien t Chin a . Toky o : Ni ch io s ha, 1975. BBiesC lhl ,e onpFt ,.r a CLl .a PrSol .l yWn A.e s iTFa u.h ne cO Ntci oeeaon nlaii lta h I i3n c t( e1A 9r pg3 er2 e ) i tn:a t 1 iN 6o7on -r 2toh0 f e 6 rI.nn hCehr iitna an .ce Aanntdi q uS iut cy c 7es, s nioo n . 2in8 (1933) : 389-404. BrC;ihd iw ca~ goo d : , ARlodbine er t, J1.9, 6a2n. d Gordon R. W illey , ~ds. Courses tow ard Urban Lif e. Brew, Jo hn 0. Archaeolog y of Alkali Rid g e , South e aste r n Ut ah. Pap er s of Butrhge e sP se, aCb.o Mdy. MThues eLuimv i ,n gH Carovwar rides . U Nniev we r sYitoy r,k 2 :1 A (.1 S9.4 B6)a. rn es & Co., 1 970. Carneir o , Robert L. A Theory of the Orig in of the Sta t e . Sc ien ce 169 (1970) : 733-738. Centr e d 'Etu d es et de Recherches marxi st e s . Sur la mode de pro ducti on As iat i qu e. Paris : Edit ion s Soc ial es, 1969. Ch金alf 5a* n 所t, 藏Fr a,n, k骨 H 卜. 辭(se e[ Talhseo HFaonpg k i Fn as -lcioe lnl e).c tCi ohni n o- fc h ianns gc rsio b et ds ' aanrga c clhe ia b- oknue sp].' u N-tez w' u York : The Chalfa n t Publi ca ti on Fund, 1939. —, and R. S. Bri tton . Chia - ku p'u -tz ' u ch'i chi ,, 흉 卜 辭七~ [Seven collecti on s of ins crib e d oracle bone] . New York : The Ch alfan t Publi ca ti on

Fund, 1938. Ch卜a n辭g 哀Ch田en及g其 -l :anmg 張llJljk$_fjr~J l ,Y. aP .' uK-'tazo '-u k up 'Ho us iti'e ihe -np ca ho i 1c 9h7'i3 h s(1ia) n: g9 -3 k-u1a1n8 c. hu wen-t' i'' Chang Chin g-h sie n 張륭 ~ . Chung -k uo nu-Ii she-hui 中 因 炫律社合 . Pekin g : Chung -h ua, 1974. Chang Hung -c hao 章鴻刻 . Shih ya -ii 雅 [Lap ida riu m sin i c u m]. Ti- c hih Chuan- pao ~債후:fl , serie s 2, no. 2, 1917. Chang Kuang -yu an 張光述 . Hsi- C hou chung ch'i M ao kung ting vJi 周 重 誘 毛 公 鼎 . Ku-k u ng Chi K'an 故宮 후키 7, no. 2 (1973) : 1-69. (An Eng lish abrid g - ment of this art icle , by Jo hn Marney, ap pe ars in Monumenta Seri ca , 31 [1974/75) : 446-474). Chang Kwang -c h ih 張光효 . The Archaeology 。if Anc ien t Chin a . 3d ed. New Haven and London : Yale Univ e rsit y Press, 1977 . 代 文化. 新Ch 代u n,g -B kuulole thi nsi no fs h t ihhe - cIhn'si tsi thu iht e - t aof i wHei snt- oh r uy a atnuda nP-tha ii l o lo中gy 國, A新c石ad e팠m 時i a Sin i c a , 30 (1959) : 259-309. Dchepi a c r.h t'mi C e ynhitu- yno g fi - k Au中rco h 固ak考e'oa七olo*-gkJy u :-ah.nsd.il e 的Ah 放n st射hh ir aon生pg o破 lot*gi 年y f,a代 nN及 ga 其-ts i-h oe;n -ath ls .iTn_ ag i w. t 'Baanun l-lUseutni ninv ie oe rfns i-ttt hyae , i 37/38. (1T97h5e) C: 2o9n-ti 4 n3u .i ng Qu est for Ch ina 's Orig ins . Archaeology 30 (1977): 116- 1 23, 186-193. . Early Chin e se Civ i l iza ti on : Anth r op o log ica l Persp e cti ve s. Cambrid g e : HYaorrkv .a.A rcdTFa Udoheoenm d iOv y are ionrgfs diin S t Fyc o io efP on Cr dcehe ssiVsn, , e es1s ses9ere7 .lC 6sIiI .v, i in 3l i5zA a(n 1tic9 o i7ne3 n : ) t A: 4C r9he 5ivn-ia5e .w2 0. . T Jrao nusrancatli oofn s t hoe f A tmhe e rNi ceaw n Or ien ta l Soc iet y 98 (1978) : 85-91 . . Shang Chou ch'in g-t'u ng- ch'i ch'i-h sin g chuang -s h ih hua-wen yii —m銘i n文g 綜-.w “合 eSn硏h tas究nug n初 gC步 -hh o札ou y송 esnh. -ec nh-Bihuu u lcaleh t'yiu ni-l p mou f e p iat- hso eh - kuIa nocs'h’t ui t商nugt e서 s oo유f- c銅 hEi te릅 hn n 릅ojle o形n g y 泉y, il鈴A tc u花and g紋e -m w與i au Sin i c a 30 (1970) : 239-315. kBInuusaltlnei t-t..u ih nt sSe i S oo o fhfm ac Etenhh tgiDe hl iun I woanllasyoit nsgei tg ytn i u c , - tp mAPe i h ecio anaef od n -Eeohmmt商a hoie na 周no hSlao神si gini nny i鈴 c , S ak與h ,A 'aa1c美noa5g d術 ( e S1mo9中商c6i a i3王e所 )tS: y 扇 凡6. 5就人 J-9o新與 4u考r .動 na 物.l oBf闇u A係l lsei之tai n n 演 S otf u 붓 d t ih.e ”es ini c a 16 (1963) : 115-146 . 24 (1964): 45-61 . 談王.亥 T與'a伊n 尹W的an祭g H aa i꾜 y 튜il 論Yi殷 Y商in 王 t쓸i cJh i. ji hB pu lilnegt i tns a o fi l uthne YInin s tSi thuat ne g o fw Ea nt hgn -oc lho gihy , Academi a Sin i c a , 35 (1973): 111-127 . . T'ien Kan : A Key to the Hist o ry oft he Shang . In Stu d ie s in Early C iv i l i- ——zkaut—oi o nk . u“ p-Tptas. 'i u1kn3ug-o 4H -2csh,i ai ea Sd th. ia bhnysg i CnD g ha -ovcuihd s' eaRnnog-ty a ia k.n'fadlo Tt -k夏. u商H 周l.u 三nT ss代iaen n考 -.t a*H i ko論unag三 n K- 1hoUsniM gy 1 :i 흙lC C具hh in中une sg國e - Univ e rsit y of Hong Kong , 1978.

七代 因 案的 形 成. In Pap e rs Presente d to Mr. Ch'ii Wan-Ii on Hi s Seven tiet h Bi rt h day, pp. 287-306. Taip e i : Lie n -chin g Publi sh in g Co., 1978. — . Yi n hsi.i fa- chi.i eh wu-shih nie n 殷Jb!-ft-抵五十우 In Chung -ya ng Yen-chiu Yuan Wu-shih Chou Ni en Chi- n ie n Lun-wen Chi 中 *硏究 院五十通年 紀念 ~ j:_jf.., pp. 291- 3 11 . Taip e i : Academi a Sin ic a , 1978 . . Yi n Shang wen-mi ng ch'i-y ilan ye n-chiu shang ti yi-k o kuan-cb ien wen-t' i /Jt商 文明走源硏究J:_的 -1 困 1111~f ai. J 1Ji. Pap e rs Presente d to Mr. Shen Kang - p o on Hi s Eig h ti et h Bi rt h day, pp. 151-169. Taip e i: Lien -chin g , 1976. , et al. Feng pitou , Tap e nkeng , and the Prehis t o ry o f Taiw an. Yale Univ e rsit y Publi ca ti on s in Anth rop o log y, no. 73, New Haven : Dep a rtm ent of Anth ro- po log y, Yale Univ e rsit y, 1969 . . et al. Shang Chou ch'ing - t'u ng - ch'i y ii mi ng - wen ti tsu ng - ho ye n- c h iu 商 周 유銅 器少gg文的綜合硏究 . Monog r ap h s of th e Insti tut e of Hi st o ry and Phil ol og y, Academi a Sin ic a , 62. Taip e i: Academi a Sin ic a , 1972. Chang , P'ei- y i .i 張培玲 Chia - ku-wen jih yi.ieh shih chi- s hih ti chcng -li ye n-chiu 甲 骨文 日 月 令紀事的整埋硏究. Acta Astr o nomi ca Sin i c a 天文坐机 Ch1a6n g( 1P9i7n 5 g )-: c h 2'1il0a -n 2 張24 .* 批 ‘'Chia - ku wen chung so-chie n je n ti t'u ng mi n g k'ao 甲 骨文 中 所 凡J.....j七 同 名 考 . In Pap e rs Present ed lo Mr. L i Chi on Hi s Seventi et h Bir t h day, pp. 687-774. Taip e i : The Tsin g h ua Jo urnal, 1967 . 現與 .유 C卜h 챕ia - 慣ku 的 w 考en 益 ti faB- huslilee tn i ny i .io fk u tphe ' u Ihnssi-t ik tuuat e n toif k 'Haoi s-ct oh r eyn ga n d甲 骨Ph 文il o的lo g分y , Academi a Sin i c a , 37 (1967) : 827-879 . . Lun ch'eng t'a o p' u-tz 'u -t,令 成쏭 卜 綿 In Pap e rs Presen te d to Mr. Tung Tso-pi n on Hi s Six ty -fifth Bi rt h day, pp. 389-401 . Taip e i : Insti tut e of Hi st o ry and Phil olo g y, Academi a Sin ic a , 1960 . of Hi .s t o P ry'u a knude Pi h fuil o clohgiy a , tAi hcsaidl shu 卜 龜腹 甲 的序 • . Bulleti n of the Insti tut e emi a Sin ic a , 28 (1956) : 229-272 . -hit . A. nnPa'lus -otfz ' tuh ek uAecia- dw eemi iy ai lSeihn -i sc ha ih3 t(i1 9h5s6in) :c 2h3e9n-g 2- c5h0i . i 卜 辭矣永月 令的新菜 . Shang tai p' u-tz 'u chung ti ch'i-h sia n g cbi- l u chih shang - ch'ile h 商 代 卜辭中的氣象 5 t之商才,ff . Hsiie h -shu Chi- k 'an J¥-術李키 6, no. 2, (19 57): 74-98 . . Yi n hsi.i p'u kuei chih p' u chao chi ch'i y u -kuan wen-t' i 殷坡 卜 龜之 卜 j k 及. 其Yin有 h 1s11i1 i 閑,wYeiin -.t zA u n Pnain lgs op fit ehn e! ; A,t 虛cad文em 字i a丙 S,i~n i .c Ta ali p (1e 9i :5 4In):s t2i 3tu1t- e 2 o4f5 .H i st o ry and Phil ol og y, Academi a Sin ic a , 1957-72. the In. stiY tui tne toaf i H tii snt ou rny ga -nyde hP hyiil lo lco ghy 'i,- hA sciaa tn i egm i 殷a S代in 的i c a 及 , 4常2 (與 19氣70 象) : .2 B67u-ll3e3ti 6n. of Chang Te-tz ' u. The Orig in and. E arly Cultu res of th e Cereal Grain s and Food Leg u mes. Manuscrip t, 1978 . . The Orig in, Evoluti on , Cult iva ti on , Di ss emi n ati on , and Di v ersif ica ti on of Asia n and Af rica n Ric e s. Eup h y tica 25 (1976): 425-441 . Chang Tsung -tun g . Der Kult d er Shang - Dy n asti e i m Sp ieg e l der Orakelin s chr iften : Ein e pa liio g r ap h is c he St u die zur Relig ion im archais c hen Chin a . W ies baden : Ot to Harrassowi tz, 1971. Chang Yil -c he 張任哲 ''Ha-lei hui- h sin g kuei- tao ye n-pi en ti ch'ii- sh ih ho t'a

ti ku-ta i li-s hih ~雷慧표仇這演史的迎#和乞的古代底;)?__ . T'ien -wen Hsiie h -p a o 天文*:fll. 19 (19 78): 109-118. Chao Ch'in g -yi.in M 유雲 ''1957 nie n Cheng -c hou hsi chia o fa- chi.i eh chi ya o 1957 年鄭州 函!i~,ft--i.!tjf.* - K'ao-ku T'ung -h siin 1958 (9): 54-57. Chao Ch'i.ia n -ku 述 全#:t . Ho-nan chi ko hsin - shih - ch'i s hih - ta i yi-c hih 河 南 退 個新石 器時代遠J止. Hsin Shih - hsiie h T'ung -h siin 新丈 4杓 通~ 1, no. l (19 51): 16. Chao Feng ,-\u 峯 . Ch'in g - chia n g t'a o-wen chi ch'i s o fan -yi ng ti Yin tai nung -ye h ho ch i -ssu' 씨.):L.f~]文及其所反映的IJt 1 tg帝和祭祀. K'ao-ku 1976 (4): 221- 228. Chao Hsi- yi.ian 述錫元 . “Tui 'Shih shu Yin tai ti nu-Ii chih - tu ho kuo-chia ti hsin g - ch'eng ' yi wen ti yi -ch i en' 아 ‘試 述IJt 1\ h9 女q k 갑냐터마지 象 的形 成` - Ch文ao的 H숑sia見 - k .u Lani-gs h 述ih 1 IY.. e; \n:. 겁 . c h iA u n底-y 史a n硏g 究sh i1h 9 h5s9i ( c1h0i)a :o 7t0i -Y8i0n . tai wen-hua yi-c hih 헛軒釋숫피t 1 文化遠}止. Wen-wu 1958(12): 31. Chao P'ei~ h sin ,-tu低~- An-ya ng Hou-kang yi.ian -hsin g k'eng hsin g -c hih ti t 'ao - lun’' 학용後丙.[il)形J亢 ,1 댑t. K'ao-ku 1960 (6): 31-36. Chao T'ie h -han M#- 寒 Ku shih k'ao shu 七丈考述 Taip e i: Cheng - chung , 1965. Ch'en Ch'i-n an r,tt 其 南 . “Chung - kuo ku-ta i chih ch'in - shu chih - tu -tsa i Jun Shang wang mi ao hao ti she-hui chie h -kou yi-yi 中 因 古代之 ~ll , -$•1 Jl — .{j- 論 荷王廟就的~.±.令g H§ 意>A.· Bulleti n oft he Insti tut e of E t hn ology , Academi a Sin ic a , 35 (1973): 129- 1 44. Ch'en Meng - chia r,tt夢 ~- Chia - ku tua n-ta i hsi.i eh chia pien 甲 骨斯代 坐 T .2 사 . Yen-chin g Hsiie h -pa o t4t)}J::fll. 40 (1951): 1-63 .• . Chia - ku tu an-ta i yi.i k'eng - wei— Chia - ku tua n-ta i hsi.i eh ting p'ien 甲 骨 斯代 與J尤 1 호一 甲 骨 t¼- 1 민# T j; . Chung -k uo K'ao-ku Hsii eh -pa o 中 因 考 古 塔석 ll5 (1951): 177-224 . . Hai- w ai -Ch ung - kuo t'u ng - ch'i t'u lu 海,卜中 囚銅 器 固錄. Peip ing : Nati on al Peip ing Lib r ary, 1946 . . Hsi Chou nie n -ta i k'ao ®周年 1 -t~ - Shang h ai: Commerci al Press, 1945 . . Ku wen-tz u chung chih Shang Chou chi- s su'’ 七文 字 中 之 商 周 祭 tl . Yen-chin g Hsiie h -pa o 19 (1936): 91-155 . . Shang tai ti shen-hua yi.i wu-shu 商代的神妹與巫衍 . Yen-chin g Hsiie h -pa o 20 (19 36) : 486-576 . . Shang wang mi ao -hao k'ao— Chia - ku tu an-ta i hsi.i eh yi p'ien 商 王 싸 就考_甲 骨斯代坐 L 爲 . K'ao-ku Hsiie h -pa o 8 (1954): 1-48. . Shang wang mi ng hao k'ao 商 王 名 就考 Yen-chin g Hsiie h -pa o 27 (1940) : 115-142 . Ch'en P.a nYign - h husiai ip rt'u -邦t z 傾 'u t sYu inn g t sa hi us h殷e-h城u i 卜sh 辭ih 綜- li述a o. c hPeenkgi n tsg ' :u nS ch ti e代n c e社 P令re s央s,朴 1 9微56存. Tie n ts i n : Je nmi n Press, 1959. Ch'eng Fa-je n 租ft-tn. Ch'un-ch'iu Tso-shih - chuan ti mi ng t'u k'ao 春秋左 氏{#j七 名 岡 考 . Taip e i : Kuang - wen, 1967. Cheng Shao-ts u ng 갑[ gg 宗 . Yu kuan Ho-p e i Ch'ang - ch'eng ch'i.i- yi.i yi.ian -shih wen-hua lei- h sin g ti t 'ao-lun” 有 闇 河 北 紀成 區 域 原 始 文化 1J i型 的 -;;,t ;;,.')' . K'ao-ku 1962 (12 ) : 658-671 . Cheng Te-k'un 鄭德서 Anim al Sty le s in Prehis t o ric and Shang Chin a.

—Bull.et i n“ T ofh eth eB eMg iunsn euinm g oof f F Cahr iEn ea ssete rC ni v Ai ln iztia q tui oitn ie.s 3A5n (t1i q96u 3it) y : 4172 9(-1193793.) : 197-. 209 . . The Carvin g ofJ a de in th e Shang Perio d . Transacti on s oft he Or ien ta l Cerami c Socie t y 29 (1957) : 13-30 . . Chung - kuo shang - ku shu mi ng ti ye n-pi en chi ch'i y ing -yu ng 中 困 上七鼓名 的演 史 及其息 用 . Bulleti n of the Chin e se Univ e rsit y of Hong Kong 1 (1973) : 37-58. Chi Fo-t'o ii.佛 ft and Wang Kuo-wei 王 困 雄 Chie n -shou-t' a ng so ts' ang Yin Jzs ii wen-tz u lit 속 堂 所 藏 紋虛 文 字 . Shang h ai : Ts'ang - sheng -r nin g - chih Ta-

Chh'is iS i eshu -h*o ~휴明~智 :fa大 . ~H.1si9 1C7h o. u ti-Ii k'ao vb 周 j口꼬考 Yen-chin g Hsiie h -pa o it京~tit 30 (1946): 63-106. —. ''Mao Shih ku mi ng k'ao 毛詩섰名 考 Yen-chin g Hsiie h -pa o 36 (1949) : 263-311 . Ch'i W en-t'a o ff-;:_ 1j-. Ka i shu chin - nie n lai Shan-tu ng ch'u-t' u ti Shang Chou ch'ing -t'u ng - ch'i 槪述近年糸山求出.±..的商周유鉛렀 Wen-wu 1972 (5): 3-5. Ch'i Y cn-p' e i 가 F 延 益 “Shan-tu n g Yi- tu Su-fu -t'u n ch'u-t' u t'un g - ch'i t iao -ch'a chi 山 求요카나 t 出 .±..鉛 器 째 査 ie. . Chung -k uo K'ao-ku Hsiie h -pa o 2 (1947): 167-177. Chia n g Hung i#써 P'an-lung -c h'eng yii Shang ch'ao ti nan t'u 盤能域與商 朝 的 南 .±.. . Wen-wu 1976 (2) : 42-46. Ch'ie n Mu iJ.tj. Chou ch'u ti-Ii k'ao 周 수n jg뾰考 Yen-chin g Hsiie h -p a o 10 (1931): 1955-2008. Chie n Po-ts a n 前伯 1t . Chung -k uo slzih kang 中 固 央朗 . Shang h ai : San-lie n , 1950. Chil de , V. Gordon. The Urban Revoluti on . Town Plannin g Revie w 21, no. 1 (19 50): 3-17. ChJiVn ! rHJ, s蓮i a n gI n-h Penapg e 金rs~ ifn iMl.. e. mLoruy n ocf h Menr-.j eT nu nFgu Ttis foe-pn i cnn o•ni wthee n -Fto' iu''r t論e e n貞t h 人 A扶nn 的iv 分e r- sary o f Hi s Death , pp. 89-101 . Taip e i : Yi- w en, 1978. . P'u-tz ' u chung so-chie n Yin Shang tsu ng - mi ao chi Yin chi k'ao 卜 爵} 中 f k 見紋商 宗廟及殷祭考 . Ta-lu Tsa-chih *往雜誌 . 20 (1960): 249- 253, 278-283, 312-318. . Ts'ung chia - ku p'u -tz ' u ye n-chiu Yin Shang chii n- lii chung chih wang tsu san hang san shih 從 T 骨 卜 辭硏究殷商軍泳中之王族三 1 f三峰 Clzun~-kuo Wen-tz u 中 因 文字 52 (1974): 1-26. Chin T~-chie n ¾-!t.lt. Ssu-ma Ch'ien ·so chie n shu k'ao 히 .t 這所見言꿈 Shang ha i : Je n-mi n, 1963. ChLin ib rT asruy-, t'1u 9n3g9 . 金丑同 Yin ch'i y i chu 紋契遣J¼,.. Pekin g : K'ung -te 孔德 Chou Fa-kao 周 法 흙 . “Certa i n Date s of th e Shang Perio d . Harvard Jo urnal of Asia t i c Stu d ie s 23 (19 60/61): 108-113. —Stu d .ie. s' ' HoOf sn it h C et h hCo ehu Dinn aei ets ien n gUt a ni o i kvf ' e aaros iLt y u inJoJfa 周r H Eo年nc代gli p~K so. en giJn o4 u t(rh1n e9a 7lS1 oh)f a:t nh1ge7 3IPn-e2srt0ii o5t u d . t .e o fH C ahrivn ae rsed

Jo urnal of A sia t i c S tu d ie s 25 (l964/65) : 243-245 . . ed. San tai chi chin wen ts' un chu lu piao 三代 吉 金文存 各錄 表 . Taip e i : San-mi n , 1977 . . et al. Chin wen ku Lin 金 文誌 林 . Hong Kong : The Chin e se Univ e rsit y of Hong Kong , 1974. Chou Hung - hs ia n g 周 鴻 沮 Comp u te r Matc h in g of Oracle Bone Frag m ents , Archa. ePo 'l uog-ty z 2'u6 t(u1i 9 c7h3e)n: s1h7u6 -I i1 8 卜1 . 硏 캬 貞 述if•] . Hong Kong : Wan-yu Shu-chii , 1969 . . Shang Yin ti wang pe n chi 商殷帝王本 $ e. . Hong Kong : (pr iv a te l y pri n te d ), 1958 . . Yin tai k'o tzu tao ti t'ui - t s' e /Jl 代 刻 宇 7J h91!t ;ll'l . Lic n -ho Shu-)'U d II Hs iie h - p a o 聯 合 송 f.t *-tll 6 ( 1967/68) : 9- 4 4. Chou Je n 周 仁 , Li Chia - c h ih 半 宗治 , and Cheng Yii ng -fu 것 g永패 . ‘‘Chang - chia - p 'o Hsi Chou chii -ch u yi-c h ih t'a o -tz ' u sui- p 'ien ti ye n-chiu 張宋坡函 Ch周ou 居 K 住uo遠~h }s i止n fg 句 究周 碑囚片 與 的 . 硏H究o- n. aKn' a Ho -skiui - c1 h 9'6a0n g( 9 L):i n 4g 8 ~- c 5h 2in. g ti shih - ch'i s hih - t a i yi-ts' u n 河 南 許옮 효 뷰的石 器 時代遠存 . K'ao-k u 1974 (2): 91- 9 8. Chou Shih - j u ng 周 世 참 Hu-nan Shih - me n hsie n Tsao-s h ih fa- hsie n Shang Yi n yi-c hih 湘 南 石 f1 輯 욘 市分現 商 殷遠j止 . K'ao-k u 1962 (3) : 144- 1 46. Chou Ta o 周 지 , and Liu Tung -y a 11 ~죠 . ’'Y i -c hiu - wu-c h 'i n ie n ch'i u An-y a ng Kao-l o u -c h uang Yin tai yi-c hih fa- chii eh 一 IL 五七年 秋 安 f몹 商 樓莊 gi 1\ 遠 j止 分抵 K' ao -ku 1967 (4): 213- 2 16. Chu K'o - c h en 쓰 可才 ti . Chung - ku o chin wu-ch'ie n oie n lai ch'i-h ou pien -ch'ie n ti ch'u-p u ye n-chiu 中 因 近五千年糸 欲 候央 這 6~~ -JP-litt~. K'ao-ku Hs iie h - pa o 1972 (1): 15- 3 8. Ch'ii Wan-I i /& 萬 里 . Shang Shu chin chu chin shih 尙 古 今 辻 今 ,ff. Taip e i : The Commerci al Press, 1972 . . Shih - c h i Yin pe n chi chi ch'i-t ' a chi- Ju chung so tsa i Yin - Shang shih - ta i ti shih shih 丈追殷本 g c 及共也 5 t tf戈 I1l 商時代的央 事 Bullet i n oft he College of A rts , Nati on al Taiw an Univ e rsit y, 14 (1965): 87- 1 18 . . Shih fa lan-shang yii Yi n tai lun .ll;i. 法 溫 ~ f:'-fl l 代 ~ . Bullet i n of the Insti tut e of Hi st o r y and Phil olo gy , Academi a Sin i c a , 13 (19 48) : 219 크 26. . Yin hsii wen-tz u Chia pien k'ao shih 殷虛 文 字 甲 編 考 ,ff . Taip e— i : ChIunnsgti tPuot -e s hoef nHg i s錢t o 柏 ry生 a.n dp 'uP ~htiz l o' u l o cgh yu,n gA scoa-dcehmie ni a Y Siin n w ic aa ,n g1 9t6'ie1 n. -yu ti-m i ng k'ao chie n lun t'ien -yu ti-m i ng ye n-chiu fa ng -fa 卜 辭 中 fk 見殷王 田 游Je. . t 考― 米 Co쑥he n田, 游Rjonia名ld 硏, a究nd方 E法. .R. TSaeirpv ei ci e: ,( pedr isv .a Ote rl iyg ipnsr ion f t e tdh )e , S1t9a 7 te2 :. The Anth r op o log y of Poli tica l Evoluti on . Phil ad elph ia : Insti tut e for the Stu dy of Human Issues, 1978. Commi ttee of th e Exhib i t ion of Archaeolog ica l Fin ds in th e Peop l e's Rep u bli c o f Ch ina . The Exhib i t ion of A rchaeolog ica l Fin d s in the Peop l e's Rep u bli c o f Chin a . CoWona, sCh.i n S g. tonA , nD .A Cn. t 1h 9 ro7p5 .o g eo g ra p hi c Excursio n around th e World. Human —Bio l o.g y T h3e0 L(1iv9 i5 n 8g ) :R 2a9ce-s4 2of. M an. New York: A. A. Knop f, 1964.

CR. Best- pr eserved Yin Dy n asty Tomb. Chin a Reconstr u cts 1977 (10) : 38-39. Damon, P. E., C . W. Fergu son, A. Long , and E. I. Wall ick . Dendrochronolog ic Cali br ati on of th e Radio c arbon Ti m e Scale. Americ a n Anti qu it y 39 (1974) : 350- 3 66. DDaenlaice ol ,u Gr,l yJen a. n T. hTeh Fe iPr s ht e Casiav in l itzs a o tfi o tnh se . W Neowrld Y. oLrokn :d Corno :w Ceollu, n1t9r y6 8 L. i f e, 1951 . Dobson, W. A. C. H. Early Archaic Chin e se. Toronto : Univ ersit y of Toronto Press, 1962. Drake, F. S. Shang Dy n asty Fin d at Ta-hsin - chuang , Shantu n g . Chin a Jo urnal 31 ( 1939) : 77-80 . . Shang dy n asty sit e at Li- c h'eng Wang - she-je n -chuang , Shantu ng. Chin a Jo urnal 31 ( 1939) : 118-120 . . Ta-hsin - c h uang Ag a in . Chin a Jo urnal 33 (1940) : 8- 1 0. Du-b1s0,0 H0.. .omTT Hhhearee r HvDD.aaa rttdee A Joo offC u ttarhhnne eoa nlSS ohhfoaaf Ann Lg gs ui PPan ete ai rrcrii o oS E d dtcu— .l dip iA eTs s e ' oPsIuO o fns og(tr1s Pc9 A4rai7nop )y t4 :.a 01n 6g(T2 1 'a9-o n5u1 0dn7g) 8 C : . P h3 ai2no2a -4, 23 - 31(541 .09 503 t)o: 101-105. Eberhard, Wolf ram . Lokalkultu r en im a/te n Chin a . I, London : Brill ; II, Pekin g : Cath oli c U niv ersit y, 1942. Edman, G., and E. Soderberg. Auff ind ung von Reis in ein er Tonscherte aus ein er etw a filnf t au sendji ihr ig e n Chin e sis c hen Sie d lung . Bull. G eo. Soc. Chin a 8 ( 1929) : 363-368. Eg ga n, Fred. Soc ial Anth rop o log y and th e Meth od of C ontr ol led Comp a ris o n. Ameri ca n Anth rop ol og ist 56 (1954) : 743-763. Eli ss eeff , Vadim e. Bronzes archaiq u es Chin o is au Musee Gernuschi, vol. l. Paris : L'Asia t h eq ue , 1977 . . Possib il ites du scalog r amme dans l'etu d e des bronzes Chin ois archa- Fagiq a un e, sB.ri aM n .a Pth e eomp la et io qf u t ehse eEt aS rct ihe .n cBeoss htou nm :a Lini te tsl e1, 1B (r1o9w65n) .& Co., 1977. FaiAr br cahnikv ,e s Wof i ltmhe a .C hiPn e ies ec eA-Mrt oS lodc ieCt ry a foft s Am manesrhi c iap 1a6n (d1 96S2h)a :n 8g 一 1B5r.o nze Desig n . Fang Fa-lie n 方法欽 [Frank H. Chalfa n t] . K'u Fang erh shih ts' ang chia - ku p' u-tz ' u 拜方二氏藏甲 유 卜 硏 Shang ha i: The Commerci al Press, 1935. Fin n , D. J.g Arcgh aeolog ica l Fin ds on Lamma Island near Hong Kong , Part II. FlaTnhne eHryo, n K eKnot n V . NaTthu e ra Clius tl t u4 ,r anlo E. v1o (l1u9t3i o3n) :o 6f 0 C-i6v 3 il. i za ti on s. Annual Revie w of Ecolog y and Sy s te m ati cs 3 ( 1972) : 399-426. Ford, C. S. On th e Analys is of Behavio r for Cross-Cultu r al Comp a ris o ns. In Cross-Cultu ral Ap pro aches, C. S. Ford, ed., pp. 3-4. New Haven : Human Relati on s Area Fil es , 1967. Foreig n Lang u ag e Press. Hi st o ric Relic s Unearth e d in New Chin a . Pekin g : FriFe od r, eiMg n. LHa.n gT uh aeg eE vPorleustsi ,o n1 9o7f2 .P oliti ca l Soc iet y . New York: Random House, 1967. FriAe d nmalyans i, s aJno dn aStoh c a ianl. AnTth rr iobp e so, l ogS yt,a Mt e s. , Blaoncdk , eTdr.a Lnsofno dr mona:t iM ona sla.b y I Pnr :e sMs, a1r9x7i5s t,

pp. 161-202. Fu Ssu-nie n 傳斯우. '‘Li-s hih Yu-ye n Yen-chiu So kung -tso chih chih - ch'ii 歷史語古硏究所工作之旨達. Bulleti n of the Insti tut e of Hi st o ry and Phil o- logy , Academi a Sin ic a , 1, no. l (19 28) : 3-10. —. ’'Yi Hsia tu ng hsi shuo gt;[_~~~-P ap e rs Presente d to Mr. Ts'ao Yuan P'ei o n His S ix t y -fifth Bi rt h day, pp. 1093-1134. Nankin g : The Insti tut e of Hist o ry and Phil ol og y, Academi a Sin ic a , 1935 . . Li Chi 李짜 et al. Ch'eng -tzu -ya i ~子,t. Nankin g : The Insti tut e of Hist o ry and Phil olo g y, Academi a Sin ic a , 1934. Gee, N. G. , L . I. Moff ett , and G. D. W ilde r. A Tenta t i ve List of Chin e se Bir d s. Pekin g : The Pekin g Soc ie~ y of Natu r al Hi st o ry, 1926. Gett en s, R. J. The Freer Chin e se Bronzes: II, Technic a l Stu d ie s . Washin g ton , D. C. : Freer Gallery of Art, 1969. Goody , Ja ck. Succes s io n to Hi gh Off ice. Cambrid g e , Eng . : Cambrid g e Univ e rsit y Press, 1966. Gull ick , J. M. Indig e nous Politi ca l Sy s te m s of Weste r n Malaya . L. S. E. Mono- gra p h s on Soc ial Anth rop o log y 17. London, 1958. Hansfo r d, S. H. A Vi si t to An-ya ng . Transacti on s of the Orie n ta l Cerami c Soc ie t y 24 (19S i) : 11- 2 2. Haorfla An g, rJi ca cu lk t .u r eT, hCe. OAr. igR ienes d ,o fe dC.e, rpe pal. A35g 7r -ic 3u 8l3t u. r T e hien Hthae g uOe ld: MWoourtlo dn ., 1In9 7O7.r ig ins Hay a shi Mi na o 林 巳 奈 夫 . Chug o ku senshin jida i no hata 中 OO 先 秦 時 代 0 旗 Shir i n 史林 49 (1966): 234 一 262 . . In Shu jida i no zush6 kig 6 殷周 時代 0 因 象記뭉 . Tohoga kuho (Ky ot o ) 束 方 半 報 ( 京都) 39 (1968): 1-117 . . In Shu seid 6 ik i no meis h 6 to yo to 殷周*銅휴 끓 0 名투요 用途 Tohoga k uho (Ky ot o ) 34 (1964) : 199-297. Hay a shi Tais u ke 林 券t,fi . Kik o jiiko ts u moji ~ 甲 欲 骨 文 字 . Shoshii em onkai, 1917 . . Shin a j o dai no kenky ii 支 那모t 0 硏究 . N. p., 1927. Ho Pin g -ti 付炳-if:. Chou ch'u nie n -ta i p'ing yi 周初年代平議. Jo urnal of the Chin e se Uni ve rsit y of Hong Kong 1 (1973) : 17-35 . —.. HThuea nCgr -atd'ul ey ioif C thhue n gE -a ksuto. nHuonngg - y Kel zo ntig c :h T'i-hy eii aCn h in랏 e -s.e± .U.niv e rsit y of Hon`g. Kong and th e Univ e rsit y of Chic a g o Press, 1975. Hong Kong : The Ch ine se Univ ersit y, 1969. — . The Loess and th e Orig in of Chin e se Ag r ic u ltu re. Americ a n Hi st o ric a l Revie w 75 (1969): 1-36. Ho T'ie n -hsia n g 何 天 相 . “Chung - kuo chih ku mu (2) 中 囚 之七 木 ( 二 ) Chung - kuo K'ao-ku Hsiie h -pa o 5 (1951): 247-293. Ho T'ien -hsin g 付天行 Hang Hsie n Lia n g - chu chen chih shih - ch'i y ii hei- t'a o 抗幹 良洛섯之石 器與.黑 fliJ . Shang h ai: Wu Yueh shih - ti ye n-chiu - hui *越 史比硏究令 1937. Ho Tzu-ch'iia n 付 辻 全 ''T'an ou keng 茨稿 耕 . Chung - hua wen-shih fun ts' ung 中후文史 論 袁 3(1963):101-109. Hocart, A. M. Chie f t ains hip and th e Sis t e r's son in th e Pac ific. Ameri ca n Anth r op ol og ist 17 (1915): 631-646.

Ho-pe i sheng Po-wu-kuan 河北右t午物館 et al. kao-ch'eng T'ai- h si Shang tai yi-ch ih !?_ 域 台 西 商 代 遠 ~JI:. . Pekin g : Wen-w.u , 1977. Howells, W illiam W. Orig in of th e Chin e se Peop l es : Inte rpr eta t i on s of th e Recent Evid ence. Manuscrip t, 1978. Hsia Nai Ji. 兼 ‘'Ho-nan Ch'eng - kao Kuang - wu ch'il k'ao-ku chi li.ie h 河 南 成 우廣武臣考古je_~ . K'o-hsiie h T'ung- pa o 科坐通 : ♦ a. 2, no. 7 (1951): 724- 729. —. “T'an-14 ts' e-ti ng nie n -ta i ho Chung - kuo shih -ch'ie n k'ao-ku hsil eh —破 -l.4 ;' ' IW 定o年rk代sh和op中 o f因 C史hi前n a考's* O~ld-es tK C'aiov -i kl iuz a1 t9i o7n7 :(•4 )C: h2in1 7a -R 2 e3c2o. nstr u cts 1957 (2). 18 크1. Hsia o Nan 肖 梅 An-ya ng Hsia o -t' un nan-ti fa- hs ie n ti 'Shih tsu p' u chia '- chie n Jun 'Shih tsu p' u tz'u ti shih -ta i chi ch'i h sia n g - kuan wen-t ' i 安 陽小 t南j七分現的 ‘ .1l ?' -兼 玲 ‘ .n. 卜 辭' 的時代及其才g Il1l f대,'l/i . K'ao-ku 1976 (4) : 234-241 . Hsie h Ch'in g - shan 싸유 山 and Yang Shao-shun 楊 緖 -f;t: . Shan-h s i Lil -lian g hsie n Shih -Jo u chen yu fa- hsie n t'u n g - ch'i 山 西 呂 器輯石 樣 54 又分現銅 법 Wen-wu 1960 (7): 51-52. Hsiu ng Ch'uan-hsin 熊 傳祈 Hu-n a n Li- ling fa- hsie n Shang tai t'u ng hsia n g tsu n ~Jl南確rt1:t-JR,商代鉛象후. Wen-wu 1976 (7): 49- 5 0. Hsi.i Chin - hsiu n g ~進準 The Menzie s Collecti on of S hang Dy n asty Oracle Bones, Vol. I. Toronto : The Roy al Onta rio Museum, 1972 . . P'u ku shang ti tsa o tsu an hsin g -t 'ai 卜 {1-J :_ 的 麥 鎖 形 悠 . Taip e i : Yi- wen, 1973. . Tui Chang Kwang - chih hsie n -sheng ti 'Shang wang mi ao hao hsin kB'ualole' ti nti ofct hhi e t Iinesn t i tyuit -e c ohfie En th n ,oltog~ y ;1c9 (.1효96先5)生: 싸12商1-王 1廟 35 就 . 新考' 6 상훈凡. 的新魏. 念W與u殷 ch用u的ng採 c#hi-. s s uC htiu nhgsi -nk ukou Wane-nn-ite z n u y中i.i Y因 in 文 字Ii .ti 4t1'a n( 1-9t'7a 1o): 1J1i p.p1 .i 祭祀 . Yin p' u-tz 'u chung wu chung chi- s su tiyen -chiu 殷 卜 辭 中 Ji.ft祭祀的硏 究 . Taip e i : Wen Shih Ts'ung K'an No. 26, Colleg e of Arts , Nati on al Taiw an Univ e rsit y, 1968. . Yi n p' u-tz ' u chung wu chung chi- s su ye n-chiu ti hsin kuan-nie n 殷 卜 辭中 Ji.~祭~e..硏究 的新觀念 Chung- k uo Wen-tz u 35 (1970): 12 pp. Hs周i.i C人h的o- y與i .i走n 及-.周t-伴 文雲化 的Ch基ou셋 je nB util lehtsi inn go f- c hth'ie c Ihn is tCi thuot ue owf e Hn-i hstu o ar y t i acnhdi - Pc hhi'ul o - logy , Academi a Sin ic a , 38 (1968) : 435-458 . 闇于商. 王Ku扇an就-y新i l 송Sh-an文g 的w웠an點g m意i a見o -.ha oB husllien t ik n' a oof y tih we eInn sttii tcuht ie - toief n Eyti h-nc ohlioe gn y , Academi a Sin i c a , 19 (1965) : 81-87. Hsi.i Chung - shu 徐中서 Lei ssu k'ao 未相꿈 Bulleti n of the Insti tut e of Hi st o r y and Phil o logy , Academi a Sin ic a , 2 (1930) : 11-59. ———. “Ssu-ch'uan P'eng hsie n Meng -ya ng - chen ch'u-t' u ti Yin tai erh chih 四川 3多 幹洙陽싯出土的殷代二峰. Wen-wu 1962(6): 15-18. Hspi.ia oH- ski.ai no -s h1e9n5g9 .+徐 豫迅西生 책 査“ 1,95겨9t ’n ie 的n 初Y i步l h札si송 t i.a Ko -'caho -'ak u' H19si5a9 h{1s1i.)i ' : t5i9 c2h-6'u0-0p.u Hsi.i Tse-mi n -.t->f ~ . Yi n hsi.i Hsi- pe i- k ang tsu t'o u-ku yi.i hsie n -ta i T'ai- w an

Hai- n an hsi- lieh t'o u-ku ti lu-ti ng -c hie n -ku ti ye n-chiu ht J.효 西 北 向 血 5n * 與現代台淸海南 糸 5Il 頭骨的統頂f비유的硏究. Bulleti n of the Insti tute of Hi st o r y and Phil o log y, Academi a Sin ic a , 36 (1966) : 703-739. Hu Hou-hsiia n 胡昇宜 . Chan-hou Chin g Chin hsin huo chia ku chi 萩後京津祈 獲 甲 骨~ - Shang h ai : Ch'iin - yi 洙 ~ Press, 1949. —. Chan-hou nan pe i so chie n chia - ku lu 戰後南北所見甲 骨錄 . Pekin g : Lai- h s ii n- ko f.薰1'/1, 1951 . ' . Chan-hou Ni ng Hu hsin huo chia - ku chi 戰{t후滋新獲甲 {1-~. Pekin g : Lai- h sii n- ko, 1951 . . Chan-h o u P'ing Chin hsin huo chia - ku chi 戰後平津新獲甲 骨# · Ch'eng -tu : Ch'i-l u Univ e rsit y, 1946 . . Ch'i-h ou pien -ch'ie n yii Yin tai c h'i-h ou chih chie n -t'a o ~候 史 達與 • 殷{챠 A 1 홋之檢 # . In Chia ku hsiie h Shang shih fun ts' ung 甲 骨坐商 史論菜 vol. 2. Ch'eng -tu : Ch'i-l u Univ e rsit y, 1945. —. Chia ku hsii ts' un 甲 유玲存 . Shang h ai: Ch'iin - lie n 韋聯 Press, 1955. —. Chia ku Liu lu· 甲 介六錄 . Ch'eng -tu: Ch'i-l u Univ e rsit y, 1945 . . Chia - ku wen Shang tsu nia o t'u -t'e ng ti yi-c hi 甲 유 文 商 才 M t 的 遠跡 In Li- s hih Lun-ts ' ung 歷 J?..~1:, vol. l, pp. 131-159. Pekin g : Chung - hua, 1964. . Chia - ku wen so-chie n Shang tsu nia o t'u -t'e ng ti hsin cheng - chii 甲 骨 文f k 見商族(引 퍼皓的新証抵 Wen-wu 1977 (2): 84-87 . . Chung - kuo nu-Ii she-h u i ti jen hsii n ho jen chi hsia p'ien 中 因 섰北 社合的人拘和人祭 , 下篇 . Wen-wu 1974 (8): 56-67. —. Kung fan g k'ao 둠 方考 . In Chia ku hsiie h Shang shih lun ts' ung, vol. l. Ch'eng -tu : Ch'i-l u Univ e rsit y, 1944 . . P'u-tz ' u chung so chie n chih Yin tai nung -ye h 卜 辭 中 所 見之't 1\ 及帝 . In Chia ku bsiie h Shang shih lun ts' ung, vol. 2. Cheng -tu : Chi- l u Univ e r-

sity , 1945 . . P'u-tz 'u ti mi n g yii ku jen chii ch'iu shuo 卜 辭比名 與七人居丘it . In Chia - ku hsiie h Shang shih lun ts' ung, vol. L 1944 . . Wu Tin g shih wu-chung. chi- s hih k'o-tz ' u k'ao ~ T Q寺1i... 1 泥事 刻 —辭쏭. IYnin C hhsiia i fkau-c h hsiii eie h h 殷Sh城an分g s抵hi h. S luhna ntgs 'h u anig: Hvosil.i elh. - h1s9i4 S 4h. eng - huo 學챕 生活 Press, 1955. . Yi n p'u -tz 'u chung ti shang -ti ho wang -ti 殷 卜 辭 中 的 J:. 帝 和王 帝 . Li- s hih Yen-chiu 歷 史硏究 1959 (9): 23-50; 1959 (10): 89-110 . Shang. shYiih n lutani t fse' un ngg - c vhoiel .n 1c. h 1i9h 4- t4u . k'ao 殷代封丈令 l 及考. In Chia ku hsiie h . Yi n tai hun-yi n chia - ts u tsu ng -fa sheng -yii chih - tu k'ao 殷代싸燁 宋 族 宗法生 有솝JR..考 . In Chia ku hsiie h Shang shih lun ts' ung, vol. 1. 1944 . . Yi n tai p'u kuei chih lai- yiian 殷代 卜 龜之糸源 . In Chia ku hsiie h Shang shih lun ts' ung, vol. 1. 1944. —. Yi n tai ti ts' an sang ho ssu-ch ih 殷代的蠶#和錄續 . Wen-wu 1972 (1) : 2-7. -: Yi n tai ti yiieh hsin g 殷 4 만 1) ;If<]. K'ao- ku 1973 (2): 108-117. Hu Hsia n g -yiin 胡 用 索. Ch'iia n kuo tsu i chin ye n ch'ang lu 全 國 及近鼠Jl-'l. Pekin g : Ch'iu - chih Hsueh-she 求志 學社 , 1915.

Huang Cho-hsii n -j黃,l'fj/J. Chung - kuo K'uang - ch'an 中 因 破 産 . Shang h ai : The Commerci al Press, 1930. Huang Ja n-wei 黃~-ff{:. Yi n wang t'ien lieh k'ao //,l王田 猿 꿈 Chung - ku o Wen-tz u 14 (19 64): 21 pp.; 15 (1964), 25-46; 16 (19 65): 47-70. Ikeda Sueto s hi ~ 田 末사 '‘Shim a shi Inky o bokuji kenky ii o yo mu 島 氏 殷坡 卜 궁打硏究 a-t ~ t: . Koto t s u g ak u 甲 骨?f 7 (1959): 12- 2 7. Ito Mi ch ih a ru 伊店這治. ’'Bokuji ni mi er u sorei kannen ni tsu it e 대 1: 見 i 5 祖 雲 截念 1: -? \ , 1. Tohoga k uho (Ky o t이 26 (1956): 1- 3 5. 一 _ _ . Chug o ku kodai ocho no keis e i 中 떠 古代 王 朝 <1) 形 成 . Toky o : Sobunsha, 1975 .. Kodai In ocho no nazo 古代1: 1 .I. ¥11 <1) i• 주· . Toky o : Kadokawa Shote n , 1967. -. Shii ky o men kara mi ta I ndai no ni- s a n no mondai 宗敎面 b 、 5 見 t.: _—’文 — 1t < .1 Z)u.s.e:t:s u. 、C三問h題u g. oTk ouy on soh ri e kkeisn hk iy ii因 束 說洋 中史 oo硏 <1究) 歷 2史0 .( 1T9o6k1y) o: :3 K6-o 5d 8an. sha, 1976. Ja o Tsung -yi ffl宗 패 Yin tai chen p' u je n-wu t'un g k'ao /JH ~ 貞 卜 人物通考 The Hong Kong Univ e rsit y Press, 1959. JH . Yi n hsii k'ao-ku ti hsin fa- hsie n 殷坡考七的新分現. Je n- m i n Hua-pa o ”}It~ 1978 (1): 26- 2 9. Ju ng , Keng 容戌. Han Wu-li an g tz' u hua-hsia n g lu 溪 武器才 船t 1 냐. Peip ing : K'ao-ku Hsii eh -she, 1936. 一. Shang Chou yi-c h'i t'u n g k'ao Wi ~ $ is .ifft.~ . Yen-c h in g Jo urnal of Chin e se Stu die s Monog r ap h s 17. Pekin g : Harvard-Yenchin g Insti tut e , 1941 . . Wu-y i ng -tien yi-c h'i t 'u -l u 武英 殺非 器 園 錄 . Peip ing : Harvard-Y enchin g Insti tut e , Yenchin g Univ e rsit y, 1934. , and Ch'ii Ju n-mi n .fi: 洞 싸 Yin -ch 'i' p 'u-tz 'u f:x. M-卜 辭 . Peip ing : Harvard-Yenchin g Insti tut e , 1933. Kaiz u ka Shig e ki 貝 塚茂樹. Chug o ku kodai shig a ku no hakken 中 OO 古代 史 석 <1) 운展. Toky o: Kobundo, 1946 . . Ky o to Daig a ku Jinb un Kag a ku Kenky iijo shozo kokots u moji 京 都 大 半 人 文 科 半 硏 究所 所 藏 甲 서. . 文 字 . Ky o to : Ky o to Univ e rsit y, Insti tut e of Human- Tis6t is ch S i cn ioe n Bceusn,b 1u9te6 i 0 j .i da i bokuji o chii sh in to shit e 甲 骨 文 斬代 法 <1) 再捨 討 — , and Ito Mi ch ih aru 伊社道治 ''K6kots u bun dandaih o no saik e nto — ;f 氏 <1) 文武丁 時代 卜 굽f t 中心 t L 1 . Tohog ak uho (Ky ot o ) 23 (1953): 1-78. Kane, Vi rg i ni a . The Chronolog ica l Sig n if ica nce of th e Inscrib ed Ancesto r Dedic a ti on in th e Bronze Vessels. Arti bu s Asia e 35 (1973) : 335-370 . po rar.y wTih teh Ithn de eSph ea nndge nant dB Wronezsete rI nn dCuhsotru i eD s y inn a sthti e e s S.o u Athr c hoifv eC sh oifn a A Csioa nn t eA m rt- 28 (19 74/75) : 77-107 . . A Re-exami na ti on of A n-ya ng Archaeolog y. Ars Or ien ta / is IO (1975): pp. 93-110. Kao Chih - hsi 尙 토 흥 . Hu-nan Ni ng - hsia n g Huang -ts' ai fa- hsie n Shang tai t'u ng - ch'i ho yi-c hih 湖南후鄕*#分現商代銅 器和遠墓 K'ao-ku 1963 (12): 646-648. —57-5.8 .“ Shang tai je n mi en fan g ting 商代人面方鼎 Wen:.wu 1960 (10):

Kao Ch'i i- h sii n 商 去후 . “The Roy a l Cemete r y of th e Yin Dy n asty at An-ya ng , Bulleti n of the Dep a rtm ent of Archaeolog y and Anth r op o log y, Nati on al Taiw an Univ e rsit y, 13/14 (1959) : 1-9 . . Yi n Ii t i han pe i wo pe i /Jt:ifl 的 令 貝 援 貝 . Annals of the Academi a Sin i c a 1 (1954) : 373-401 . . Yi n tai ta- mu ti mu shih chi ch'i h an-yi chih t'u i- t s ' e 殷代大基的 木 室 及 其 油 孔 之 4 /t ~R• I . Bulleti n o ft he Insti tute o f H i st o r y and Phil olo g y, Academi a Ka~rlignr iec an ,, 3B9e (r1n9h6a9r)d: . 1 T7h5e- 1B8o8o.k of Odes. Sto c kholm : The Museum of Far Easte r n Anti qu it ies , 1974 . . The Exhib it ipn of Early Chin e se Bronzes. Bulleti n of the Museum of Far East e r n Anti qu it ies 6 (1934) : 81- 1 36. . Ne w Stu die s on Chin e se Bronzes. Bulleti n of the Mu~eum of Far East e r n Anti q u it ies 9 (1937): 1-117 . . Some Characte ris t i cs of th e Yin Art. Bulleti n of the Museum of Far Ea s te r n Ant iq u it ies 34 (1962): 1-28 . . Some weap o ns and too ls of the Yin dy n asty . Bulleti n oft he Museum of Fa ,· E as te r n Anti qu it ies 17 (1945) : 114-121 . . Yin and Chou in Chin e se Bronzes. Bulleti n of the Museum of Far Easte r n Anti qu it ies 8 (1936). Ke ig h tl e y , David N. Ho Pin g - ti and th e Orig in of Chin e se Civ il iza ti on . Har- va rd Jo urnal of A s ia t i c Stu d ie s 37 (1977) : 381-411 . . The Late Shang Sta t e : When, Where, and What? Manuscrip t, 1978 . . Leg itim ati on in Shang Chin a. Manuscrip t, 1975. . The Reli giou s Commi tme nt : Shang Theolog y and th e Genesis of Chin e se Poli tica l Cult ur e. Hi st o r y of Relig ion s 17 (1978), pp. 211-225. —— . “S hih Chen : A New Hy po th esis about th e Natu r e of S hang Di v in a ti on . Manu. sScoriup rtc,e s1 9o7f 2 .S hang Hi st o r y . Berkeley and Los Ang e les : Univ ersit y of Cali for nia Press, 1978. Keng Chie n -t ' i n g 耿~JfJ_ and Liu Lia n g 11 ~ . Kao-ch'eng Shang tai yi-c hih chung ch'u-t'u ti t'a o je n ho yii-li jen 榮 域商代遣址中 出 .±.的i.::.和郁李 1.::. . Wen-wu 1974 (8) : 54- 5 5. Kin g , B. F., a nd E. C. Di ck in s on. A Fiel d Guid e lo the Bir d s of South -East Asia . Bosto n : Houg h to n-M i fflin, 1975. KK (K'ao-k u .) An-hui Han-shan Hsie n Sun-chia - kang Shang tai yi-c hih tiao -ch'a yii shih ch ii eh' 경혜 E 令山幹孫家向 商代遠}止째査與試掛 K'ao-ku 1977 (3) : 166-168. ——. “An-ya ng hsin fa- hs ie n ti Yin tai ch'e-ma k'eng 安陽新分現的殷代 우馬 3 尤 . K'ao-ku 1972 (4) : 24-28. —. “An-ya ng Huan ho liu- yi i chi- k o yi-c hih ti shih chii eh 安 陽 ;헉-I itt.域 -. 1 점遣址的試抵 . K'ao-ku 1965 (7): 326-338. — . '‘An-ya ng Yi n hsii nu-Ii chi- s su k'eng ti fa- chii eh 安陽殷猿久律祭祀 3 尤的分抵 K'ao-k u 1977 (1): 20-36. — . An-ya ng Yi n hsii wu-hao mu tso -t' a n chi- ya o 安陽殷城五仇 拔, L 홋. K'ao-ku 1977 (5): 341-350. -. An-ya ng Yin tai chi- s su k'eng jen ku ti hsin g -pieh nie n -li ng chie n -

ting 安陽紋代祭i C3尤 人骨的 , ''l 年岭忠定 . K'ao-ku 1977 (3): 210-214 . . Ao-ban ch'i T a-ti en -tz u yi-c hih 1974 nie n shih chi.i eh chie n pao 故汗4 \* 句 子 遠}止 1974 年試抵 簡 机 . K'ao-ku T'un g -h siin 1958 (2): 6-9. . Cheng - chou Nan-kuan-wai Shang tai yi-c hih fa- chi.i eh chie n pao 鄭州 南 間 外商代遣址分抵 簡 :tit . K'ao-ku T'un g -h siin 1958 (2): 6-9. —. “Cheng - chou Shang - chie h Shang tai yi-c h ih ti fa- chi.i eh ~州 上街商 代遣}止的分抵 . K'ao-ku 1960 (6): 11-12. —. ‘'Cheng - chou shih ku yi-c hih mu-ts a ng ti chung -ya o fa -hs i en'’. 鄒州 市 *遣:J;I:.基葬的重要分現 . K'ao-ku T'ung -h siin 1955 (3): 16 一 19. . Cheng - chou shih Mi n g - kung - lu hsi ts' e . ti lian g tso Shang tai mu 鄭州市銘 1/ J 3& i!if미的雨座商代基 . K'ao-ku 1965 (10): 500 一 506. . Cheng - chou Ta-ho-ts ' un Yang - shao wen-hua ti fan g chi yi-c hih 것 D 州 大河村 {'r -oo文化的房基遠};I:. . K'ao-ku 1973 (6): 330- 3 36 . . Chi- n an Ta-hsin -chuang yi-c hih shih chi.i eh chie n pao 漆 南 大辛 莊 這};I:.試抵簡ill. . K'ao-ku 1959(4): 185-187 . . Chia n g - su T'ung - shan Ch'iu - wan ku yi-c hih ti fa- chi.i eh 江 蘇銅 山 丘濬古遠J止的分抵 . K'ao-ku 1973 (2): 71-79 . . Ch'in g - hai Lo-tu Liu -wan yi.ian -shih she-hui mu-ti fan -y i ng ch'u ti chu-ya o wen-t'i '’ 유海뽕都朴“ 꿍 原끓녀.±.令品j也反映 出 的 主要f4 迪 K'a o -ku 1976 .( 6)F :a 3n6g5 - s-h3e7-7h .s in g t'an -su ts' e-ti ng nie n -ta i pao -kao (wu) ~射性破素 ;' ' I 定年代札송(Ji.) . K'ao-ku 1978 (4): 280-287 . . Feng Hao yi-tai k'ao-ku tiao -ch'a ch ien pao ~ ~ - 帶考 古 째 査 簡 ill K'ao-ku T'ung -h siin 1955 (1): 28- 3 1. . Ho-nan An-ya ng Hsi.i eh -chia - chuang Yin tai yi-c hih mu-ts a ng ho rT,1j 'ialnl g. Km'auo -fkau- cTh'iu.i enhg -hc shiiien n 1 9p5a8o (8 )河 : 2南2安-2陽6薛 . 宗莊fJt 1 炤如址墓 葬 和店 墓 分抵 . Ho-nan Cheng - chou Shang - chie h Shang tai yi-c hih fa- ch i.i eh pa o-kao 河向것上街商代遣}止分抵杖告 . K'ao-ku 1960 (1): 1-7 . . Ho-nan Hsin - cheng P'ei- li-k ang hsin -shih - ch'i s hih -t a i yi-c hih 河 南 新것나 向 新石 器 時代遣J止. K'ao-ku 1978 (2): 73-79 . . Ho-nan Hui hsie n Ch'u-ch'iu ch'u-t'u ti Shang tai t'un g - ch'i'' 河 南 輝 —輯 格丘. 出H o土-n的an 商 L代in銅- ju 器 M. eKi-' as ho-aknu y1i9-c6 h5i h( 5 )t:i a2o5 -5c.h 'a yi.i shih chi.i eh 河向 臨汝 쏴 山這J止색査與試抵 . K'ao-ku 1975 (5): 285-294 . . Ho-nan Meng hsie n Chie n -hsi yi-c hih fa- chii eh 河 南 孟 幹 洞 溪 遣址 仕抵 . K'ao-ku 1961 (1): 33-39 . . Ho-nan Mi en -ch'ih Lu-ssu Shang tai yi-c hih shih chi.i eh chie n pao 河南;를泣虎寺商代遣J止試抵 PJjill . K'ao-ku 1964 (9): 435-440 . . Ho-nan Nan-ya ng shih Shih - li- m i ao fa-h sie n Shang tai yi-c hih 河 命 荀 陽市十里扇仕現商代遣:J;I:. K'ao-ku 1959 (7), 370. —. Ho-nan Wei ho chih -hung kung -ch 'eng chung ti k'ao-ku tiao -ch 'a chie n pao 河南衛河濁洪:::r..租中的考七째査 簡~- K'ao-ku T'ung -h siin 1957 (2) : 32-35. . Ho-nan Yen-lin g Fu-kou Shang - shui chi ch'u ku wen-hua yi-c hih ti tiao -ch'a 河南邸戊扶津商 1k 氣良七文化遣址的책査. K'ao-ku 1965 (2): 94-96.

. Ho-nan Yen-shih Erh-li- t'ou tsa o Shang kung -tien yi-c hih fa- chi.i eh chie n pa o 河南個坪二里頭우商宮殿這j止分抵머:ti!.. . K'ao-ku 1974 (4): 234- 2 48. . Ho-nan Yen-shih Erh-li- t'ou yi-c hih fa- chii eh chie n pa o 河 南 個 坪 二 里頭 遣i止分抵 簡 :tll . K'_a o -ku 1965 (5) : 215-224 . . Hq - nan Yen-shih Erh-li- t'o u_y i -c hih san pa ch'i.i fa- chi.i eh chie n pa o 河南個師二里頭遣i止三 、 /\區分抵簡:tlJ... K'ao-ku 1975 (5): 302-309. . Ho-p e i Han-t a n Chie n -kou ts' un ku yi-c hih fa- chi.i e h chie n pa o 河北曲郭 洞 溝 村七 遠 i止分抵 簡 :ti!.. . K'ao-ku 1961 (4): 197-202: . Ho-p e i Hsin g -t'a i Tung - hsie n -hsie n ts' un Shang tai yi-c hih tiao -ch'a 河 Jt邪台 求先 k 村商代遣}止째査 .K'ao-ku 1959(2): 108-109 . . Ho-p e i Kao-ch'eng hsie n Shang tai yi-c hih ho inu -ts a ng ti tiao -ch'a 河 北 .榮 咸Ho幹-p 商e i 代 K遣ao}-c 止h 和'e n基g. 葬T' a的i- 째h s i査 t s. ' uKn'a oti- k$uh a1n9g7 3t a(i 1 y):i -2c5 h -i h 2 9 . 河 北 策 咸 台 西 村的 商 代 遠 :J;l:. . K'a o -ku 1973 (5): 266-271 . . Ho-pe i Lin g - sh ou hsie n Pei- c hai- ts' u n Shang tai yi-c hih tiao -ch'a 河 北 효축幹 北宅村商代 遠 }止 째 査 . K'ao-ku 1966 (2): 107- 1 08. . Ho-p e i Ta-c h 'a n g Hui- t s u tzu -chih - hsie n Ta-t' o -t ' ou yi-c hih shih ch i.i e h c h ie n p a o 河北大臥四族自治§&*沈頭遠i止試抵簡:ti!.. K'ao-ku1966 (1) : 8- 1 3 . . Ho-p e i Tz'u-shan hsin - shih - ch'i y i-c hih shih chii eh 河北磁 山新石 器 遠 J止 試抵 . K'a o -ku 1977 (~: 361-372 . . Hu-p e i Huang -p'i K'uang - shan sh!- li-k 'u kung -ti fa- hsie n liao ch'in g - t'u ng -c h 'i ilJJ J l:. 黃 彼 殺 山 ,)<.拜 .:i:.j七分現 1 * 銅 器 . K'ao-ku T'ung - hsiin 1958 (9) : 72- 7 3 . . Huang - ho San-men-h s ia shui- k 'u k'ao-k u tiao -ch'a chie n pa o 黃河 척 1 山A 7)<. 洋 考古 째 査 簡 '¥\l. K'ao-ku T'ung -h sii n 1956 (5) : 1- 1 1. . Liao - ni n g l('o -ts o hsie n Pei- tun g ts' un ch'u-t'u ti Yin Chou ch'in g - t'u n g - ch 'i 述후멤左輯北洞村 出 .±.的g] 유銅 器 . K'ao-ku 1974 (6): 364- 372. . Liao -nin g K'o - t s o hsie n Pei- tun g ts' un fa- hsie n Yin tai ch'in g -t'u ng - ch ' i '냐 오 후 맹左幹Jti R 村分現殷代 유 斜 器 . K'ao-k u 1973 (4): 225-226 . . Lo-y a ng Ts'o - li yi-c hih shih chii eh chie n pa o 洛陽辻李遣}止武抽 簡 :ti!.. K'a o -k u 1978 (1) : 5- 1 7. . Nei- m eng - ku Pa-lin - ts o -ch'i F u-h o -kou-men yi-c hih fa- chi.i eh chie n —p a o . “內P e蒙i- c七 h i巳n g林 fu左- c旗hi金n f河a- h沿s ire, n 遣 ti址 H分si 抵 C h簡o u-M nt u. -KIi' a ho s-ik.i un t1s9a 6n4g (1m):u 1 -北5. 京 附 近分現的西周休 休 拘葬墓 K'ao-ku 1974(5): 309-321 .. - . Pei- c hin g Liu- Ii- h o Hsia - chia - ti en hsia ts' eng wen-hua mu-ts a ng 北京琉. 璃Sh河an夏-h床si 店C h下'i -層s h a文n 化Ho 基-c 葬hi a .- Kts '' auon- kHus i1 C 97h6o u(1 m): u5-9ts- a 6n 0g . 陝 西 셧 山 T 床 村西周 基.#- . K'ao-ku 1976 (1): 31-38 . . Shan-hsi Shih - lou Yi- tieh fa- hsie n Shang tai t'u ng - ch'i 山 @ 릅 • K'a o -ku 1972 (4) : 29-30. 一. Shan-tu n g Hui- min hsie n fa- hsie n $hang tai ch'in g -t'u ng - ch'i 山 永 -. Shan-tu ng P'in g - •y Kin' a hos-ike un 1C9h7u4- (c3h)i:a 2- c0h3'.i a o Yin tai yi-c hih 山 求

'&朱宋格gi 1\ 遣j..d:. . K'ao-ku 1961 (2): 86-93 . . Tui Shang tai cho yii kung -yi ti yi-h sie h ch'u-pu k'an-fa 캬 商 代塚 玉工성的 -쓰初步看法. K'ao-ku 1976 (4): 229-233 . . Tz'u hsie n Chie h -tu an-yi ng fa- chii eh chie n pa o 磁 昧 界段쑹分抵 簡 輯 K'ao-ku 1974 (6): 356-363 . . Yi -c hiu -wu-ssu nie n ch'iu -chi Lo-ya ng hsi chia o fa- chii eh chie n pa o -九.1i. 四 年秋李 洛陽 西 짜分抵 簡 -tll. K'ao-ku T'ung -h siin 1955 (5) : 25- 3 3 . . 1957 nie n Han-ta n fa- chii eh chie n pao 1957 年郡郭分抵 ,Jj 격 ll . K'ao-

ku 1959 (10 ): 531-536 . . 1958 nie n Lo-ya ng Tung - kan-kou yi-c hih fa- chii eh chie n pa o 1958 年 洛 陽 求乾 淸 遣j..d:.分抵 簡 -tJl . K'ao-ku 1959 ( 10) : 537- 5 40 . . Yi -c hiu - wu-pa nie n ch'un Ho-nan An-ya ng shih Ta-ssu-k'ung ts' un Yin tai mu-ts a ng fa- chii eh chie n pa o -九1i..八年春河南安陽市 大司 空村 殷代基葬分抵 簡 며 ll . K'ao-ku T'un g -h siin 1958 (10) : 51- 6 2 . . 1958-1959 nie n Yin hsii fa- chii eh chie n pa o 1958-1959 年iE j쵸分抵 簡 :tll . K'ao-ku 1961 (2) : 63-76. * 째 査.. .1 1K996'5a29o -nkniuie e n 1n 9 AH6n0s- u(y3- a)c n: h g2o 5uT- a2t-i9-sc s. uh-'iki ' ukn'ago -tsk' uu nt ifaao -- cch hii' aeh c1h9i5e 9n 年 p 徐ao 州 地19 6區2 考年 安陽大司 空村分抵,llj:t ll . K'ao-ku 1964 (8).: 3 80- 3 84 . . 1971 nie n An-ya n g Hou-kang fa- chii eh chie n pao 1971 年安陽後丙 仕抵 ?Jl . K'ao-ku 1972 (3) : 14-25 . . 1972 nie n ch'un An-ya n g Hou-kang fa- chii eh chie n pao 1972 年 春 安陽後떠分抵簡켜Jl. K'ao-ku 1972 (5): 8- 1 9 . . 1973 nie n An-ya ng Hsia o -t' un na_n-ti .fa- chii eh chie n pa o 1973 年安陽 ,J, ~사”七分抵 簡 삼 ll . K'ao-ku 1975 (1) : 27-46 . . 1975 nie n An-y a ng Yin hsii ti hsin fa- hsie n 1975 年安陽殷j쵸的新分 現 . K'ao-ku 1976 (4) : 264-272 . . '1 975 nie n Yii hsi k'ao-ku tiao -ch'a 1975 年孫西考七 째 査 . K'ao-ku 1978 (1): 23-34 . . 1977 nie n Ho-nan Yung - ch'eng Wang -yu -fa n g yi-c hih fa- chii eh kai k'uang 1977 年河南永威王油坊遣}止分抵槪沈 . K'ao-ku 1978 (1): 35-40 . fa- hsi.e n Y yii n- t shos ipi a ko'-atos '- uknu wfaa-n c-hcihi eehn gt it iy Yui n y tia i c whuanngg -- ysha oih smhuo-uts- a hnug- H !JsVi a& o - 考t' u * n 仕抵 的 又- 重要 收杖― ·l 、 t分j見- 座 1 系存 完 整 的 殷代王 室 基 -J~ . K'ao-ku 1977 (3): 151-153. KKHCK (K'ao-ku-hsiie h Chuan K'an 考古學우케) Cheng -c hou Erh-li- ka ng 것따 二 里 f!] . Pekin g : Sc ien ce Press, 1959 . . Chia ku wen pien 甲 유 文 I~ . Pekin g : Chung - hua, 1965 . . Chin wen pien 全文鎬 Pekin g : Sc ien ce Press, 1959 . . Hsi- a n Pan-p 'o if,安半Jt. . Pekin g : Wen-wu Press, 1963 . . Hsin Chung - kuo ti k'ao-ku shou-hu 新中 因 的考*lft.,fl. . Pekin g : Wen- wu Press, 1962 . . Mi ao -ti -k ou yii San-li-c h'iao 扇 底淸與三里橋 . Pekin g : Sc ien ce Press, 1959 . KKHP .( KT'aa-ow-keun -kH'osiuie h大 -p汶a o o~. P*ek 學in • g : .S) c ieAn nc-ey Pa rnegs sY, i1n 9 7h4s.i i wu-hao mu Ii fa-

ch ii eh' 경합E i.1i.就基的分抵 K'ao-ku Hsiie h -pa o 1977 (2): 57-98. — . “Cheng -c hou Ko-la-wang -ts' un yi-c hih fa- chii eh pa o-kao 鄭 州 旭잡 王 村這址分抵삼1l..告 . K'ao-ku Hsiie h -pa o 1958 (3): 41-62 . . Cheng -c hou Nan-kuan- w ai Shang tai y i-c hih ti fa- chii eh 鄭州 南 闇 外 商 代遠J止的分抵 . K'ao-ku Hsiie h -pa o 1973 (l) : 65-91 . K'ao-.k u CHhseinie gh -- cpha oo u 1 9S5h7a n(1g ) :t a5i 3 y구i- 3c h. ih ti fa- chii eh 것”서 商代遠겨止的f.l-抵 . . Ch'ih - fe n g Yao-wang -m i ao Hsia - chia - ti en yi-c hih shih chueh pa o-kao 赤冬 fA 王廟及案店遠J止試抵:ti!..%. K'ao-ku Hsiie h -pa o 1974 (1): 111-144 . . Ho-mu-tu yi-c hih tu ng chih wu yi-ts' un ti chie n -ti ng ye n-chiu 河却 渡遠 J서i 4 如這存的吳定硏究 . K'ao-ku Hsii eh -pa o 1978 (1): 95-106 . . Ho-nan Hsin - hsia o g Lu-wang -fen Shang tai y i-c hih fa- chii eh pa o-kao 河南新鄕湘王增 商代遠J止分抵격ll..告 . K'ao-ku Hsiie h -pa o 1960 (1): 51-60 . . Ho-n a n Shan Hsie n Ch'i-l i-p'u Shang tai y i-c hih ti fa- chii eh 河 南 陝'& 七里 銃 商代這J止的分抵 . K'ao-ku Hsiie h -pa o· 1960 (1): 25-47. . Ho-pe i T'ang - shan-shih Ta-ch'eng -s han yi-c hih fa-c hii eh pa o-kao 河北 店 山市大j成山遠址分抵札告 . K'ao-ku Hsiie h -pa o 1959 (3): 17 一 34 . . Hsin g -t'a i Ts'ao-ye n-chuang yi-c hih fa- chueh pa o-kao 邪 台 '1f, 演 莊 這 J止分抵싶ll..告 .. K 'a o -k u Hsiie h -pa o 1958 (4): 43-50. . Hsii -c hou Kao-huang -m i ao yi-c hih ch'in g -li pa o-kao 徐州 尙 오 廟 遠J止流뾰輯 告 . K'ao-k u Hsiie h -pa o 1958 (4): 7 一 17 . . Lo-y a ng Chie n pin ku wen-hua yi-c hih chi Han mu 洛 陽洞 濱 古 文化 遠 J止及 漢it . K'ao-ku Hsii eh -pa o 1956 (1): 11-28 . . Shang -h ai shih Ch'in g -p'u hsie n Sung -tse yi-c hih ti shih chii eh 上海 市 유 浦§g莊 澤遠J止的ti\ 44 . K'ao-ku Hstie h -pa o 1962 (2): 1-28 . . Tz'u hsie n Hsia - p 'a n-wang yi-c hih fa- chii eh pa o-kao 磁 幹 下潘 5조 遣 i止仕抵輯告 . K'ao-ku Hsiie h -pa o 1975 (1): 73-115 . . 1955 nie n ch'i u An-ya ng Hsia o -t' un Yin hsii ti fa- chii eh 1955 年秋安 爾 l 、 tfJJ..JA:的分抵 K'ao-ku Hsiie h -pa o 1958 (3): 63 구 2. Ko Chie h -p 'ing 葛 介,Qf. . An-hui Fu-nan fa- hsie n Yin Shang shih - ta i ti ch'in g - t'u ng - ch 'i 安徽우南分現lJ1..商時代的유銅 器 Wen-wu 1959 (1): ins id e cover. Kraeli ng , Carl H., and Robert McC. Adams, eds. Cit y Invin c ib l e. Chic a g o : Uni- versit y of Chic a g o Press, 1960. Ku的 Ch故ie 事h - k. aYnegn -.lc}Jhi -iin 傾g 다 H siCie hh -opua oY i6 k (u1a9 y30a )o: t9z7' u1 c-9h7u5n .g ti ku-shih 周 易 j卜 丈 辭 中 . Ku shih pien 古 丈叫 no. 1. Pekin g : P'u-she, 1926. Ku T'in g - lung .l}Ji )!_ill. Ku t 'ao wen yi lu -ii fS;J 文 숍 il . Peip ing : Kuo-Ii Pei- p'ing Yen-chiu - yi ian Shih - hsii eh Yen-chiu - hui Wen-tz u Shih - Hao Ts'ung -pien chih yi 因호北千硏究院央坐硏究令文字史料食給之- , 1936. Kuo Jo -yi i 郭 若 返 Yin ch'i s hih tuo 殷~:!tt.t. Pekin g : Lai- h sii n- ko, 1951 . Kuo Jo -yi i f~*~i et al. Yin hsii wen-tz u chui- h o 殷虛文字 lA合. Pekin g : Scie n ce Press, 1955. Kuo Mo-jo 郭 洙씁 '‘An-ya ng hsin ch'u-t'u chih niu chia - ku chi ch'i k 'o tz' u 安陽新 出 .±.之+JI민유及其刻 辭. K'ao-ku 1972 (2): 2 구 . . An-ya ng yu an k'eng mu chung ting mi ng k'ao-shih 安 陽 떠 J尤 品 中 鼎銘考if . K'ao-ku Hsiie h -pa o 1960 (1): 1-5.

一 一 ― . Ch'ing -t'u ng ch'i s hih - ta i 유銅 器 時代 . Ch'ung - ch'in g : Wen-chih , 1945. —. Chung - kuo ku-ta i she-hui ye n-c h iu 中 因 古代社令硏究 . Shang h ai: Hsin -hsin , 1929. . Ku chiu k'o tz' u chih yi k'ao-ch'a 유 臼 刻 깎 之 - 考 察 . In Ku-ta i mi ng k'o hui k'ao hsii pien 七 1 t £& -!!J ,f; 考 玲 '~ . Toky o : Bunky u do, 1934 . . Ku-ta i wen-tz u chih pien -cheng ti fa- chan *代 文字之洪證的1tn... . K'ao-ku 1972 (3) : 2-13 . . Nu-li-c hih shih - ta i ~謀i•J 時代 . Pekin g : Je n-mi n, 1972 . . P'u-tz 'u t'u ng ts' uan 卜 辭通~ . Toky o , ~933 . . Yin ch'i t s' ui pien /J文洪棒 !-Ji. Toky o : Bunky ii.do , 1937. —. ’'Yi n yi chung t'u -hsin g wen-tz u chih yi chie h /J文휴 中 固 形 文字之一 i¥f. . In Yin Chou ch'ing - t'u ng - ch'i mi ng - wen ye n-chiu flt周 유銅 器 銘 文硏究 , vol. 1. Shang ha i : Ta-tu ng , 1931 . —KuAo n-Py.aa o n -’g'cB hf-aici- nhc h i i i i 郭efah -究p c ha釣oi i -e.k ha ocB h安-ic 'hc'h$iii h 分f a抵e- rc札hhi告i eB h 4기 (효 c1h9分i3 3抵c) h :3 i 5eh .7之 .9:y:-: .i5. 9 . 68A. -nI 효-y 分a n抵g f3a e-. ch之i一i e h. pa o-kao 4 (19 33) : 597-608 . . Yi -t:h iu -wu-lin g nie n ch'un Yi n hsii fa- chii eh pa o-k a o - 九五 0 年 春 /JE j.!, 分抵H삼s1ila . .N告 a.i K1'a[ o肅-k u eHt saiile .h -Hpau oi 5h s(i1e 9n 5 1f)a:- c phpii. e h1 -p 6 a1 o . -kao 輝 겁& 分抵 tll..告 . Pekin g : Scie n ce Press, 1956. , and Lin Shou-chin 林 축 융 ‘'1952 nie n ch'iu -chi Lo-y a ng tu ng chia o fa- chii eh pa o-kao 1952 年秋 李~~~~~-ft-¥.t:tll..% . K'ao-ku Hsiie h -pa o 9 (19 55): 91- 1 16. Kuo Pin g -lien - 郭 永Ji . Hu-p ' e i H uang -p'i Yang - chia - w an ti ku yi-c hih tiao -ch'a P}'la:n.- -lxu-nF友 g 楊- c家h'·en冷g的 S古ha遠njg 止ta째i y査i-.c h iKh ' a hoo - kmuu T-t'su a nn gg - h s ii湘 n 1jl:9. *58 f( 1): 56-U 5 8 知. 商 代 遠 Kuo Te-wei 郭 徒維 and Ch'en Hsie n -yi 잃~t- . Hu-pe i Huang -p 'i hsie n J止和1t~~ . K'ao-ku 1964 (8): 420- 4 21 . Kuo Yung 郭 勇 . “Shih - Jo u Hou-lan-chia - k o u fa- hsie n Shang tai ch'in g -t'u ng - ch'i chie n pao ,f;樓 1 家游分現商代유銅 器 ?Jl... Wen-wu 1962 (4/5): 33- 3 5. Lan Wei 뵤 ,1.t . Hu-pe i Huang -p'i hsie n P'an-t'u -ch'eng fa- hsie n ku ch'eng yi-c hih chi shih - ch'i ten g 洲jl:.슛사快幹盤土成分現古j成遠J止及石 器茶 Wen-wu 1955 (4) : 118— 1 19. Lao周 ,Ktain] 구勞 .1ft t .r . oChuou c才h 'u niUe n 서-'ta, i f w r佑e法n.- t' il youii tyn i aiel h ohfs ia tn hge wIenns-tti t' iu ttie h soifn kC'ahnin fe ase Cultu re, Chin e se Univ e rsit y of Hong Kong , 7 (1974) : 1-24. Lau, D. C. Menc ius . London: Peng ui n Books, 1970. Laufe r , B. Ja de. Fie l d Museum of N atu ral Hist o ry Publi ca ti on 154 (Anth rop o log y Serie s 10). Chic a g o : Fie l d Museum of Natu ral Hi st o ry, 1912. Lefe u I/re , J. A. Les in scrip tion s des Shang sur carap a ces de to rtu e et sur os. T'ou ng Pao 61 (1975): 1- 8 2. Leg ge , Ja mes. The Ch'un Ts'ew, wi th the Tso Chuen, vol. 5 of The Chin e se Classic s . Oxfo r. dC :o Cnflau cr eian n d oAnn Palreecssts, , 1v8o7l2. . 1 of The Chin e se Classic s . Oxfo r d : Clarendon Press, 1893.

Lei Hai- tsu ng 雷海宗 . Yi n Chou nie n -ta i k'ao 紋周 年代웅 Wen Shih Chi K'an 文丈후키 2, no. 1 (1931): 1-14. Li C固h 古i 半 :k ~. fo1 ., 'l8_A .n B-yua l lnegt i fna -o cfh iti ehhe yIniis Cti htuutn e g -o kf u Ho ik sut o sr hy ih a nwde nP-ht'i il o lo 安g y ,陽 A仕c抵ad e與m 中i a Sin i c a , 40 (1969): 913-944 . ku-c h . i A n安-y陽a 及 ng近 t分su 抵i-札 c h告in及 六fa-次 ch.ii: ehC p.a o1 令-k之ao 迷ch倭i l야iu tzA' un- ykau n ngg -Jtsao- c chhiii eh h tspu ano g- kao4(1933): 559- 5 78 . . Any a ng : A Chronic l e of the Di sc overy , Excavati on , and Reconstr u cti on of the Ancie n t Cap i ta l of the Shang Dy n asty . Seatt le : Univ e rsit y of Washin g ton Press, 1977 . . The Begi nn in g s of the Chin e se Civ i l iza ti on . Seatt le : Univ ersit y of Wash- in g ton Press, 1957 . . Chi Hsia o -t' un ch'u - t'u chih ch'in g -t'u ng ch'i 집 e.小 t 出 .±..之유鉛 끊 —.C±.h. 之u .n유g -‘銅'k Cu h o器i KH , 'sa中ioa -$o k i-u t 'C uHhn us nicige hh - 'ku- p u-ato 'o u K 3c'a h(o1 i-h9k 4uc 8 hH)':i ns1 ig i-e -9ht '-3up .na og - 4c h('1i 9c 4h9u) n: g1 p- 7'i 0e .n 泥小 t 出 . Fu she n tsa ng 僚 身 葬 . An-ya ng fa-c h ii eh pa o-kao 3 (1930) : 447-480 . . Hs ia o -t '· un t 'ao-ch 'i. (See Yin - h s ii ch'i-w u chia pien ... below.) . Hsia o - t' un t'a o-ch'i c hih - li ao chih hua-hsii eh fen -hsi ,J , it'., fSiJ ~ ~ ~ 之 化 坐 分析 . In T'ai- t a Fu ku hsia o -chang Ssu-nie n hsie n -sheng chi- n ie n lun-w e n chi 台 大 셉 故校長斯年先生 5 t念 論 文#, , pp. 123-138, Taip e i: Na ti on al Taiw an Univ e rsit y, 1952 . 形 分析.. 初HH ss步iiaa o o -A-tt'n' u u- yn n a tn iy-gim i f ia Ye-n ac n hhgisi -ei sha h pcahaoo' i- nk g,a J-o、 h ts1i與n (g 仰1 9잡f2e«9n ).- h: s3Ai 7 cn-h-4y'8ua .-n pgu Ja -,c Jh, iii te'h. .!p'a1 !o.-uki댜a·o情 2 ( 193 0) : 337- 3 47 . th e A.r chHaueonltoi ng gi c a Rl eSciot erd o sf, AFnayu an nis gt i. c BRuemlleatii nn s o,f a tnhed DDeepca o rrtam t ie vne t oPfa At t recr hnase oflroogm y and Anth r op o log y, Nati on al Taiw an Univ e rsit y, 9/10 (1957) : 10- 2 0. . Mi n- kuo shih - p a nie n ch'i u - chi fa- chii eh Yin hsii ch ih chin g - kuo 現ch i. cAhn'i- y c a hn ugn fga --yca h oi i efah -p hasoi e- nk ao 2氏 ( 1固9 3十0)八: 年21 84 火- 2후 52分 . 抵殷虛之 §로 過及其重홋分 . Note s on Some Metr i c a l Characte r s of Calvaria of th e Shang Dy n asty Excavate d from Houchia c huang , Any a ng . Annals of the Academi a Sin i c a 1 (1954): 549-558. — . “Pie n hou yii t~ .ftt용. An-ya ng fa-c hii eh pa o-kao 4 (1944): 732- 7 33. —之演. ~ ‘' P. iBe n u llhestii nn g o fp at hle e i I cnhsit i ctuht'ei w of e nH-si sht io h r y c hainh d yP ehn-il poil oe gn y 1A Tc-ad形e八m類i a及 S其in 文 ic 仲a , 30( 19 59): 1-69. —. “Stu die s of th e Hsia o -t' un Pott er y : Yin and Pre-Yi n . Annals of the Academi a Sin i c a 2 (1955): 103-117 . 延的 新. Y;:«e~n~- c. hBiu u Cllehtui nn g o -f k utohe k uIn ysitii twuteen -otf' i Hti i hsst oi n r y t zau n-dli aPo h il 硏olo 究gy ,中 AOOc 七ad e五m 서i a 一Si.n i c a , Yi1n3 h(1si9i 4 c8h)':i -w1 7u9 -c /11i 8a 2 p. ien T'ao-ch'i s hang p'ien 殷虛 몄 1WP 編 µt ..t.g. Taip e i : Insti tut e of Hi st o ry and Phil ol og y, Academi a Sin ic a , 1956. (Abbrcvi-

유ate銅 d 禮.i n Y器no i 之nt e h然s sai松.is c H합hs'ui a- Bot '-uu tl l' uce nhti 'niTn o' gaf o- tt-'hcue hn 'Igin. ) ls i t-ic t uht'ie. c o hf i Hh it sst u o nr yg acnhdie nP -hti' al oolo g yf,l tA虛c 出ad .e±-. rnia S.i n Y ic ia n , 4h7s i.i( 1c9h7'u6-) t:' u7 8 t3i -k 8u 1n1g . -ye h ch'e n g - chi— san Ii /Jt~ 出 .±. 的 .:r. 常 成 g fr-터',J . Bulleti n of the College of Arts , Nati on al Taiw an Univ e rsit y, 25 (19 76) : 1- 6 4 . . Yi n hsi.i ch'u-t'u t'u ng - ch'i w u chung chi ch'i h sia n g - kuan chih wen- t'i 殷虛 出 .±.銅 器 五枝及其才 81 비 之fo i M . In Pap e rs Presente d to Mr. Ts'ai Yuan P'ei on Hi s Six t y -fifth Bir t h day, pp. 73-104. Nankin g : Insti tute of Hist o ry and Phil ol og y, Academi a Sin ic a , 1933 . . Yi n hsi.i pa i t'a o fa- chan chih ch'e n g - hsi. i /J t 虛 白 向分 辰 之 租 序 Bulleti n of the Insti tut e of Hi st o ry and Phil olo g y Academi a Sin ic a , 28 (1957) : 853-882 . . Yi n hsi.i yu jen shih -ch'i t'u shuo 殷虛 有永石 器 固 it . Bullet i n of the In. stiY tui tne oSf h Hani sg t o tr y'a oa-ncdh 'Pi h cil ho'luo g-l yu, nAc afdJ.e文 m商 i 向a S器in 初 ic a~ , 2. 3 A(1n9-y5 a1 n) g: 5f2a3-- c h6 i1i e5h. pao -kao l (19 29): 49-58 . . Yu pien hsin g ye n-p ien so k'an-chie n ti Hsia o -t' u n yi-c hih yi.i Hou-chia - chuang rnu-ts a ng chih shih - ta i kuan-hsi 由 井 形演 밧 所 看 見 的 小 t 遠 J止與侯玄莊基葬之時代間係 Bulleti n of the Insti tut e of Hi st o r y and Phi- lology , Academi a Sin ic a , 29 (1958) : 809- 8 16 . 銅 句 兵. Y分i 類i p 써e i ~ ch .' uB-ut'l ul e tci nh ' ionf g t -hte 'u Inngs tki touute- p of i n Hg if set n o - rlye ia tn'du -Pchhiiel oh lo g 豫y, 北Ac 出ad 土em유i a Sin ic a , 22 (1950): 1-18. Li Chin g -tan 李몫訥 . Yi. i tu ng Shang - ch'iu Yung - ch'eng tiao -ch'a chi Tsao-li.i -t'a i Hei- k u-tu i Ts'ao-ch'ia o san ch'u hsia o fa- chi.i e h lt ~商 丘p ,k 城째 査 及 造律台 ,黑孤뱌반 橋三쵸 'l-1 굿抵 . Chung -k uo K'ao-k u Hsii eh -pa o 2 (1947): 83- 1 20. Li Chung 半衆 . Kuan-yi .i Kao-ch'eng Shang tai t'u ng yi.ieh t'ieh jen ti fen -h s i 間於紀成商 1UH ii鐵永的分才t . K'ao-ku Hsiie h -pa o 1976 (2): 17- 3 4. Li Hsia o -ti ng 李李 定 . Chia - ku wen-tz u chi- s hih 甲 骨 文字 4 口홉 . Insti tut e of Hi st o ry and Phil o log y, Academi a Sin ic a , Monog r ap h s 50. Taip e i : Insti tut e of Hi st o ry and Phil olo g y, Academi a Sin ic a , 1965 . 的原晶. 和Ch演un 史g - k,uJo: .w싹e nB-tuz lu le ttii n y i.oiaf n -tshhe i h I hnsot iy teu nt e- p o ief n Hshi satn o g r y p 'iaenn d 中Ph 因il o 文lo g字y , Academi a Sin i c a , 45 (1974) : 343-370 . . Ts'ung chi chung shih -ch'ie n ho yu -shih tsa o-ch'i t 'ao wen ti kuan- ch'a li-ts'e Chung - kuo wen-tz u ti ch'i y i.ian {It. ~ 才支 央前 和 有 央우期 尙 文 的 觀gF 去 ;'H 가피文字的迫源 Nan-ya ng Ta-hsiie h Hsiie h -pa o 南洋大~~:t ll 3 (1969) : 1-28. Li Hsi.i eh -ch'in 李學勤 . “P'in g Ch'en Meng - chia Yin hsii p' u-tz ' u tsu ng shu 坪凍夢宋紋坡 卜 辭綜述. K'ao-ku Hsiie h -pa o 1957 (1): 119-129 . . T'an An-ya ng Hsia o -t' un yi-w ai ch'u-t'u ti yu tzu chia ku 談安 陽 小 tt)...±.的有字甲-ft-. Wen-wu 1956(11): 16-17 . . Yin ta i ti-Ii c hie n lun At 代 比표 簡 ~ . Pekin g : Scie n ce Press, 1959. Li Hui- Jin 후 忠林 . “The Orig in of Cult iva te d Plants in South east Asia . Eco-

nomi c Bota ny 24 (1970) : 3-19. . The Veg e ta b les of Anc ien t Chin a . Economi c Bota n y 23 (1969) : 253-260. Li Tao-yi .ian 鄧這元. Shui chin g chu 水錢注 . Shang h ai: Commercia l Press, 1933. Li Ya-nung 半표~. Yin tai she-hui sheng -h uo 紋代社令生活. Shang h ai: Je n- mi n, 1955. Lian g Ssu-yu ng 器忍 永 ''Hou-kang fa- chi.i eh hsia o chi 後 円 分抵 l 겁e. . An-ya n g fa-c hii eh pa o-kao 4 (19 33) : 609-626. . Hsia o -t' un Lung - shan yi.i Yang -s hao 小 t 선t 山 與仰緯 In Pap e rs Presente d to Mr. Ts'ai Yii an P'ei o n Hi s six t y -fifth Bir t h d ay pp. 555-567. 1935. Lia n g Ssu-y u ng 器思 永 and Kao Ch'i.i- h sii n 尙 去후 . Hou-chia - chuang 1001-hao ta mu 侯 宗 莊 1001 就 大 墓 Taip e i : Insti tute of Hi st o ry and Phil olo g y, Academi a Sin i c a , 1962 . . Hou-chia - chuang 1002-hao ta mu 侯宗莊 1002 就大£.. 1965 . —.. HHoouu--cchhiiaa -- cchhuuaanngg 11021073--hhaaoo ttaa mmuu 侯侯宗宗莊莊 11020137 就就大大墓基 11996678 .. . Hou-chia - c h uang 1004 -ha o ta mu 侯宗莊 1004 就大墓 1970 . . Hou-c h ia - chuang 1500-hao ta mu 侯宗莊 1500 就大墓 1974 . . Hou-chia - chuang 1550-h a o ta mu 侯宗莊 1550 就大墓 1976. Lia o Yung -m i n 4l 永 氏 Cheng -c hou sh ih fa- hsie n ti yi ch'u Shang tai chi.i -c hu yii chu-ts a o t'u ng - ch'i y i-c hih chie n chie h :' 鄒州 市分現的 -쵸 商代居住與 챠 造 斜 器 遠:J.J:.簡 介. Wen-wu 1957 (6): '73- 74. Lin Ch'un-y i .i 林&t玉 Ho-nan An-ya ng Yin hsi.i t'o u-ku nao-ju ng -lian g ti ye n- chiu 河南安陽殷坡頭유腦客갚的硏究. Bulleti n oft he Dep a rtm ent of A rchae- ology and Anth r op o logy , Nati on al Taiw an Univ e rsit y, 33/34 (1973) : 39-58. Lin Heng -I i 林 衡 호 . “P'in g Chang Kwang - chih Shang wang mi ao hao hsin k'ao cthhe u Inngs tit tiu t Je u on f Ecth hen noglo gfy a, A c評ad張em光i a쇼 Si商n i c 王a , 廟19就 (1新96考5) 中: 1的15玲-11証9.法 Bulleti n of Lin Yi.i n 林淮. '‘Shuo 'wang '-Jt '.£'. K'ao-ku 1965 (6): 311-312. Liu Ch'i-y i 劉~~ - 'Ao tu' chih yi 戱켜 F' 1f 疑. Wen-wu 1961 (10): 39-40. Liu Eh JJ1 쳅 T'ieh -yi in ts' ang kuei 1Jt 雲藏 龜 Pekin g (7) : Pao-ts ' an shou-ch'iie h chai, 1903 . . T'ieh -yi in ts' ang t'a o ilt雲;~ ~ . Pao-ts ' an shou-ch'i.ie h chai, 1904. Liu Hsie n -chou JJ H 山 께 Chung - kuo ku-ta i nung -yeh chi- h sie h fa -mi ng shih . 中 因 古代及常機械分明 丸 Pekin g : Sc ien ce Press, 1963. Liu Pao-Ji n .J1 'f 林 . Kung -yi.ian ch'ie n 1500 nie n chih Kung -yi.ian ch'ie n 1000 nie n yi.ieh -shih piao A、元前 1500 年至公元前 1000 年月 ,ftJ<.. Stu d ia Astr o nomi ca Sin i c a 天文jt커 l (1978): 43-60. Liu Pin - hsiu n g 劉 斌 單 Yi n Shang wang -s hih shih - fe n -ts u chih shih lun g王室十分Afl.·l' l ti:,~ . Bulleti n of the Insti tut e of Eth n ology , Academi a Sin ic a , 19 (1965): 89-114. Lo Chen-yi i 羅振玉 Meng - an ts' ang t'a o JJ--,l. fil . N.p. , 1922. —. Meng - wei- ts' ao-t' a ng chi chin t'u 때 N.p. , 1917 . . Yin hsii shu ch'i c h'ien pien 殷虛台洪前編. N.p. , 1913 . —.. Y~iinn hhssiiii sshhuu cchh'i' i h co hu' ipngi e nh u!at IAJ. t !虛 含~.*fl.*~ 부. N .. pN. .,p 1. ,9 1169.1 4. —. Yin hsii shu ch'i h sii pien 殷虛 含契玲 編. N.p. , 1933.

. Yin hsii shu ch'i k 'ao shih 紋虛-t~考 :ff. N.p. , 1915. Loehr, Max. Ancie n t Chin e se Ja des. C ambrid g e : Fog g Art M useum, 1975 . of the .. CRThi tihun eae s lBe V rAoesnrstz eeS ls oS cotfiy e ltB ye rs oo fonf zA et m hAeeg r Aei c nCa- hy7ia n (na1 g9. 5NP3ee) rw:i o4 Yd2 o一(r 15k33 : 0. T0-h e1 0A2s8i aB .Sc o. )c. ie tA y ,r c 1h 9i v6 e8 s . Lu Mao-te ft 惑-it . Chung - kuo fa- hsie n chih shang - ku t'u n g Ii k'a o 中 困 分現 之J:.古銅꾸考 Yen-chin g Hsiie h -pa o 37 (1949): 11- 2 6. Lu P'o ·8 淡 Ts'ung Ta-wen-k'ou wen-hua k'a n wo-k u o ssu-yu -c h ih ti ch'i- yu an 從大汶 0 文化看我國私有써的起源 . Wen- w u 1976 (7): 74- 8 1. Lung Yii -c h'un i t宇 ~ . Shih chia - k u wen yin tzu chie n chie h hs i tsu n ;ff 甲 유 文 법 字 兼 符 社 후 . In Pap e rs Pr esen te d to Mr . S h en Ka n g -po on Hi s Eig h ti et h Bir t h d ay, pp. 1-15. Taip e i : Lie n -chin g , 1976. Ma Ch'i.ia n 馬 全 Cheng - chou shih Mi ng - ku ng - lu hsi ts' e ti S h a n g tai yi-ts ' un 깃 D 州 市銘 1/ J 3&®1 미的 商代 遣 存 We n- w u 1956 (10): 50- 5 1 . Ma Te-chih 馬符志, Chou Yung - chen 周 永 珍, and Cha n g Yi. in -p ' en g 張雲璃 三Y年i -c安 hi陽u - 大w u司-s a 空n 村nie分 n 抵An :♦-lyl 송a n .g K T'aao-s -sk u u- k H' us in ie gh -- tp s a ' uo n 9 f a(1- c9 h5 i5i )e:h 2p5a- o 9- k0a. o '' - 九Ji. Mag lion i, R. Archaeo l og ic a l Di sc ov ery in East e r n Kw ang t un g. Hong Ko ng Archaeolog ica l Soc iet y , Jo urnal Monog r ap h 2. Ho n g Ko n g : Ho ng Kong MaAor cHhsaiee hl o-gc hiciai nl S毛oc 촛 ie t 均y , a1n9d7 5Y (erne pY r einn t) ~. ri) . An-y a ng Hui hs ie n Yin tai je n -ya ti ye n- ch iu pa o-kao 安陽 輝輯/Jt 1-\: 人牙 的硏究 : ♦ fl뭄 Ku Chi- c hui Tung - wu Mayfaoii- cKPhuai. oi Je-ehJ in a c-n lhegii e 七n 毛 p朴 究a o雅 ~E y ./ J~ 4 硏 C州h與 e®古n g짜人 - c1 ,h類r o섭 ug1 文 (h1s化9 i-5 c9 遠h)i:a힙 8o 1 仕 -Y 抵8a 5n n . g il -: s ♦ fh l a. oK 'a o-ku T'un g - hs ii n we n -h u a yi -c h ih 1958 (2): 1- 5 . Mats u maru Mi ch io f다며頃 In Shii kokka no koz o 殷 周 OO 家 이 格造 Iw an ami Kozo sekais h i 岩 波 沿 座 받 界 史 , vol. 4. Toky o : Iwanami Koz o , 19 70 . • . Inky o bokuji chu no denryo chi ni tsu it e- Indai kokka kozo kenky u no tam e ni 1:1 .l ll 卜 굽} 中 0 田 1 n t地 I: ' T - fi i代 OO 家 稽造 硏 究 m f.: ii) 1: . Toyo Bunka Kenky iijo Kiy o 束洋 文化硏究所紀要 31 , no. 1 (19 63): 1- 1 63 . Men古g 代W河en域-t氣'u n候g有 蒙i 文 o 今迫江 域''1K jul-t a. i Y Hii o k-uyni ig c .h,,~' ij-[h o1u ( 1y9u 3 j4u) :c h14in - 1C 5h. ia n g -yi.i shuo Menzie s , Ja mes (see Mi ng Yi- s h ih ) . Mi Pni ge h Y-fia- s Yhaih n g -明h a孔n g士 , 1[9J1a 7m. es Menzie s ]. Yin hsii p' u-tz 'u 殷坡 卜 辭 . Shang h ai Mi ya zaki Ichis a da 官서 市 定 Chug o ku jo dai no to shi kokka to sono bochi— Shoy u wa doko ni att ak a f 00 J:.{l(, q) 都市 OO 家 E 구 D 墓地―商 邑 lifl ?l!: 1: i ..., f.: fJ'. Toyo shi Kenky ii 束 5 부史硏究 28 (1970): 265-282 . . Hoi 捕遠 Toyo shi Kenky ii 29 (1970): 147-152. Nadel, S. F. Wi tch craft in Four Af rica n Soc iet i es : An Essay in Comp a ris o n. NaAit mo e Troi craa nji rAon t內h r o庫p 虎ol 次ogi ispt. 5 4 009i5 2王) :亥 1 8-a2n9d. Zoku Oi ~ 王亥 Geib u n 藝文 4169196-5- 02 0l. . T(Roekpy r o in: te Td s uiknu mNaa itS oh oKboon, an1 97Z0e.n) shii 內 庫 }加朽 全~ , vol. 7, pp. P'an Wu-su 潘~ I; . The Date s of Wu Ti n g 's Reig n , manuscrip t. —. Reli gion and Chronolog y in Shang Chin a : The Scheduled Ancesto r

Worship Rit ua ls and th e Chronolog y of th e Late Shang Perio d . Ph. D. dis s ., Univ e rsit y of Pennsy l vania , 1976. Pearson, Ri ch ard J. Pollen Counts in North Chin a, Anti qu it y 48 (1974): Pel2l7io6 t ,- 2P7a8u. l . The Roy al Tombs of An-ya n g . In Indep en dence, Converge n ce and Borrowi ng , Harvard Univ e rsit y Tercente n ary Publi ca ti on , pp. 265- 2 72. Cambrid g e : Harvard Univ ersit y Press, 1937 . Pfe Iin f dfeiar ,.n JIoTn hfhln ue eER n.co eTys ha. e lL ETomonmdeorbgnse :n ocIfne dAofian S - Soyoca c ine i egt y t ..y ,N I 1ne9 w3S 8tY.u od riek s : iMn cCGhrian we s-eH Ai llr,t 1 a9n7d7 .S ome Pig g o tt , S tu art, ed. The Dawn of Civ i l iza ti on . New York: McGraw-Hi ll, 1961 . PPoo Nsp pee i, wsiC l Y,. L oHer. ko p:T oAh ledm .R e Treiphce ta inlEe ts M h n oufo sl oeCguhy mi n o fao .f L NNawaatt.u u A r raadll dHHisi i so stn to o - rW ryy, e o1sl9fe 3 yC5 e.m ntor da ul leA sinia ,a nVtoh rl.o p1 o0 -. log y , no. 12. Readin g s Mass. : Addis o n-Wesley , 1972. Ra lp h , E. K., H. N. Mi ch ael, and M. C. Han. Radio c arbon Date s and Reali ty. MASC A Ne wsle tt er 9, no. 1 (l973). Re ed , Cha rl es A. A Model for th e Orig in of Ag r ic u lt ur e in th e Near East. In Orig ins of A g r ic u l lllre, C. A. Reed, ed., pp. 543- 5 67. The Hag u e: Mouto n, 197 7. Ro u se , Irvin g . Preh i s t o ry in Hait i : A Stu d y in Meth o d. Yale Univ e rsit y Pub- lic a ti o n s in Anth rop o log y, no. 21. New Haven : Dep a rtm e nt of Anth rop o log y, Ya le U niv e rs it y, 1939. Sanders, W illi a m T. Chie f d o m to Sta t e : Poli tica l Evoluti on at Kami na lju y u , Gua te m ala. In Reconstr u cti ng Comp l ex Socie t i es , C. B. Moore, ed. Sup ple ment to th e Bulleti n of th e Americ a n School of Orie n ta l Research, no. 20. Cam- brid g e , Mass. : Americ a n School of Orie n ta l Research, 1974. Schafe r ,, aEnddw Baradrb. arTa 'Ja.n Pgr ,ic eI n. M Foeosdoa imn eCrhici an .e sNe eCwu lYtuo rr ek, :K R. aCn. dCohma nHg o, uesde.,, 1p 9p6. 88. 5- 140.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 e rsit y Press, 1977. Schmandt- B esserat, Denis e . The Earli es t Precursor of Writi ng . Scie n t ific Americ a n 238 no. 6, (1978): 50-59. Schofi el d, W . The Proto -his t o ric Sit e of th e Hong Kong Cult ur e at Shek Pik , Lanta u , Hong Kong . Proceedin g s of the Thir d Cong r ess of the Prehis t o r i an s of the Far East, pp. 236- 2 84. Sin g a p o re, 1938. Sekin o Takeshi 闇 野雄 Chug o ku seid o ki bunka no ich i seik a ku 中 OO 슈炯 뿔 文 化 0 一 ·I 生格 . Tohoga k u ilt方ij~ 2 (1951): 88-96 .. Servic e , Elman. Orig ins of the Sta te and Civ i l iza ti on . New York : Norto n, 1974 . . Prim i tive Soc ial Orga niz a ti on : An Evoluti on ary Perspe cti ve . New York : Random House, 1962. Shang Ch'eng -tso 商永祚 Yin ch'i y i ts' un 殷洪快存. Nankin g : Chin -lin g Ta-hsii eh Chung - kuo wen-hua ye n-chiu so ts' ung - k'an chia chung ½ft 大學 Sha中n g因 r o文 w化, C硏la究ren所c袁e. 수E ’ la 甲rl才y로 C,h 1in 9e 3s3e. Cerami cs and Kil ns . Archaeolog y 30 {1977) : 382-393. Shap iro , Harry. Pekin g Man. New York : Sim on and Schuste r , 1974. Shen Chen-chung 沈拔 中. Hsin hsie n Lien -ssu-kou ch'u-t'u ti ch'in g -t'u ng -

ch'i ·t達寺溝出..±..的유銅븀 . Wen-wu 1972 (4): 67- 6 8. Shen Wen-cho 沈文伴 ‘'Fu yii chi ll 與抽 K'ao-ku 1977 (5): 335- 3 38. Shih Chang -ju 따후 -io . Chung -tsu mu-ts a ng 만.n. 墓 葬 Taip e i : Insti tut e of Hist o ry and Phil o lgy , Academi a Sin ic a , 1971 . . Ho-nan An-ya ng Hou-kang ti Yin mu 河 南 安 陽 後 岡 的 殷£_ . Bulleti n of the Insti tut e of Hi st o ry and Phil olo g y. Academi a Sin ic a , 13 (19 47) : 21- 4 8 . . Ho-nan An-ya ng Hsia o -t' u n Yi n mu chung ti tu ng - wu yi-h s ie h 河 南 安 陽플 ,J、 tfJt墓中 的 y/J 4 硏효갑t. . Bulleti n of the College of A rts , Nati on al Taiw an - U—niv .e r‘s'Hit syi,a 5o -(t1' 9u5n 3 C):- c1h-'1ii4 t.i mu-ts a ng ch'iin ,J 、 -1'... C 區 的 !t .Jf-~ . Bullet i n of the Insti tute of Hi st o ry and Phil olo g y, Academi a Sin ic a , 23 ( 1951) : 447- 4 87 . . Hsia o -t' un ti wen-hua ts' eng 小 t 的 文化 /fJ . Liu- t ' un g Pie h - l u 六 同 끼 慕 vol. l. Li- c huang : Insti tut e of Hist o ry and Phil o log y, Academi a Sin ic a , 1945. 42 pp . . Hsia o -t' u n Yi n tai Pin g tsu chi- c hih chi ch'i yu -kuan hsie n -h s ia n g 小t/Jt 1 -t丙꾜基:J.J:.及其有Ill!J~~. In Pap e rs Pres en te d to Mr. Tung Ts o- pi n on Hi s Six t y -fifth Bir t h day, pp. 781- 8 02. Taip e i, Insti tut e of Hi st o ry and Phil ol og y, Academi a Sin ic a , 1961. • . Hsia o -t' un Yin tai ti ch'eng t'ao ping - ch 'i 小 -!'...flt代 的 成 奈兵 器 . Bulleti n of the Insti tut e of Hi st o ry and Phil o log y, Academi a Sin ic a , 22 (19 50) : —1 9-84. . ’'Hsia o -t' un Yi n tai ti chie n -chu yi-c hi ,J 션 4 gt 1\ 的 文墓 遠玲 . Bullet i n of the Insti tut e of H i st o ry a nd Phil olo g y, Academi a Sin ic a , 26 (1955) : 131- 1 88. —— . K'ao-ku nie n piao 考七年表 Insti tut e of Hi st o ry and Phil ol og y, Academi a Sin ic a , Monog r ap h 35, 1952. . Nan tsu mu-ts a ng 南 #.n. £_ .Jf-. Insti tut e : of Hi st o ry and Phil ol og y, Academi a Sin ic a , 1973 . . Pei tsu mu-ts a ng 北!.ill.£- -ff-. Insti tut e of H i st o ry and Phil o log y, Academi a Sin ic a , 1970 . . Ti ch'i t z' u Yi n hsii fa- chii eh : E-ch'ii kung -tso pa o-kao ~~ ~七 次g丈J& 分抵 . : YEi c區h. ':ici .c 1h 'iJ-: c마 1hl 告ih . s hAann-gy ah ns gia f tai- cmh uii- eths a pnago -kI'...a., o區 4소 k ( 1:J.J9:. 3J:3..) 下: 7的0 9&-l -7i 2f- 8. .I nsti tut e of Hi st o ry and Phil ol og y, Academi a Sin ic a , 1976. . Yin hsii chie n -chu yi-ts' un /Ji虛 丈墓 遠存 . Insti tut e of Hi st o ry and Phil olo g y, Academi a Sin ic a , 1959 . . Yi n hsii fa- chii eh tu i- yii Chung - kuo ku-ta i wen-hua ti kung - hsie n 殷효分抵針於中囚古代文化的甘戱. Hsiie h -shu chi- k 'an ~ 術후 키 2 no. 4 (19 53): 1- 1 6 . . Yi n hsii tsu i- c hin chih chung -ya o fa- hsie n fu lun Hsia o -t' un ti-ts' eng '文J& 此近之重要分J見 WE 令J, ~Jll!../?r. Chung - kuo K'ao-ku Hsiie h -pa o 2 (1947): 1-81 . . Yi n hsii tsu i- c hin chih chung -ya o fa- hsie n fu Ju n Hsia o -t' un ti-ts' eng hou chi' , ggt近之重홋分現 W· 昆令,J, ~沮내t-i l JE. . Chung - kuo K'ao-ku Hsiie h -pa o 4 (l94 9) : 291-302. —. Yi n tai ti chu t'u ng kung -yi 殷代的챠銅 .:c.-i-. Bulleti n oft he Insti tut e —of H.i s t oY r y i n a ntadi tPih hila onlog g -y t',u A pcaa nd-ecmhui a y Siiin y ici -ap , a2 n6 ~(h19ie 5n 5~) c: h9u5-1 2I9J_t. 代的 芬..±..版墓與

-4氏 丈墓 . Bulleti n of the Insti tute of Hi st o r y and Phil o log y, Academi a Sin i c a , 41 (1969): 127-168 . 之一 {서 .. AYnni na lst aoi f t tih- es hAancagd ecmhii e an S-c inh i uc a ,f u1- y( 1ii9a5n 4 )c :h 2ih6 7y-2i 8I0i . IJH \: Jtl!..J:..J.t墓 {l 原 %다 .재 Y iB nu tlalei t ti in- s ohf a nthge cIhnies nt i -tcuhteu offu -Eyti hian no lotig t yi,- e Arhc aIdie mIJiH a\ :S iJn t ilc !a. ,. J2:9. .J( 1.t9墓7復0原)的 : 321- 3 41 . 策 三{. f, J Y. Bi nu ltlaei t i t ni- osfh athne g Dcehpie a n r-tmc h eun tf uof-y A iiracnh ateio tlio-gs a yn a nIid AInJH th \:r oJptl o !l.o.gJy :,. .NJ.att墓i 復o原n 的al Taiw an Univ e rsit y, 39/40 (1976): 140-157. Shih Chih - li en .,?; .志底 ‘'T'an-t'a n lung hu tsu n ti chi- k o wen-t' i 談哉저 L 沈후 的幾 100M .J/Ji . Wen-wu 1972 (11): 64-66. Shih Hsin - keng 施明 吳 Li ang -chu 一 Han g -hs i en ti-e rh ch'il hei- t'a o wen-hua yi-c h ih ch 'u-pu pa o-kao 良*―抗昧%二區黑向文化遠따n ll 告. Hang - ch ou : Hsi- h u Museum, 1938. Shih Hsin g 3t_포 . Nu-Ii s he-hui rt.~.lt社令 . Shang h ai: Je n-mi n Press, 1973. Shih Sheng - ha n .,?;$漢 Ch'.i -m i n- ya o-shu chin shih ~氏要衍今if. Pekin g : Sc ien ce Press, 1957. Shim a Kunio 島 邦 男 . lnky o bokuji kenky ii 殷坡 卜 굽 硏 究 . Toky o : Ky iiko Shoin , 1958 . . lnky o bokuji sorui ~:민哀 卜 굽料奈 tfi . 2nd rev. ed. Toky o : Ky iiko Shoin , 1971. Shir a kawa Shiz u ka 白 川 ltt . In no kis o shakai IJ.t ~ 基 礎 社 令 . In Ri tsu meik a n sorits u go ji shi i ne n kin e n ronbun shii Bung a ku hen 立命館創 立五十退年紀念 論 文 禁 文 ~: 1i, , pp. 260- 2 96. Ky o to : Rit su meik a n, 195l . . In no ozoku to seij i no keit ai hl ~ 王 方芸 E 政 治 0 形 態 . Kodaig a ku 古代~: 3 (19 54): 19- 4 4. . Indai yiizo ku ko, sono ni, Ja ku 殷代 雄 族 考 , .)t...:::. , ~ . Kokots u Kin b u..n gKS aayk kuou z Rsoaoktnus su ok ko甲o 骨 ~作 ~金冊 考文.考 半 K 論Kokotoko ts t6us u ( K 1K9in 5ibn 7ub ) nu: gn1g a- ak 6ku 2u R . Roonsnoso 9 2 ( 1(9195855) .) . Sic k man, L., and A. Sop e r. The Art a nd Archit ec tu r e of Chin a . Peng u in Books, 1971 . Smi th, Bradley, and Wan-go Weng . Chin a , a Hi st o ry in Art. New York : Harpe r and Row, 1972. Sop e r, A. C. Early, Mi dd le, and Late Shang : A Note . Arti bu s Asia e 28 (1966) : 5-38. Sp e ncer, Bruce. Archaic Chin e se Bronzes : A Sta t i st ic a l Stu dy of Moti f Co- occurrence. Manuscrip t. SS (Scie n t ia Sin i c a .) Lia o -nin g sheng nan-p u yi-w an nie n lai tzu -ja n huan-chin g chih ye n-p ien 遣후사 南심 F- 禹年來自 然環 3尤 之演 샛 Chung - kuo K'o-hsiie h 中 因 科* 1977 (6): 603-614. Su Shih - cheng ~世激. ’'Hsia tai ho Shang tai ti nu-Ii chih 夏代和商代的久北 Su서ll i.v aL ni,- s hMih i c Yh aene-lc. hiTu h e1 9A56r t(s1 ):o f3 1C-h6in1 .a , rev. ed. Berkeley and Los Ang el es : Univ e rsit y of Cali for nia Press, 1977. Sun Ch'ang - hsii 孫常fl. Lei ssu ti ch'i-y iian chi ch'if a-ch an *格的追源及其仕

/l. Sh ang ha i: Je n-mi n Press, 1959. Sun Hai- p'o 孫海淡 Ch'eng - chai Yin hsii wen-tz u 滅盛放虛文字. Pekin g : Hsiu - wen-t'a ng , 1940 . . Chia ku wen lu 甲 骨 文錄 . K'ai Feng : Ho-nan T'ung - chih Kuan 河 南 通 志館 , 1937. Sun Tso-yi in ~作 雲 Ts'ung 'T'ien -wen' k'an Hsia ch'u chie n kuo shih 災 ‘차0 1' 右 ml ]丈 國 J:.. . Shih - hsiie h 史-!¥- 116, Kuang - mi ng Jih- pa o 7t,明 El 祖 29 Aug us t 1978. Sy l van, V. Sil k from th e Yin Dy n asty . Bulleti n of the Museum of Far Easte r n Anti qu it ies 9 (1937): 119-126. Tan Ta 早 it and Shih Pin g ~兵 . “Ts'ung Ta-wen-k 'o u wen-hua yi-ts ' un k'an wo-kuo ku-ta i ssu-yu -chih ti ju n-yi i ho meng -ya {It大汶 0 文化遠存看我 因 七代私有 *I 的쿠有和萌 茅 Wen-wu 1976 (4): 84- 8 8. T'ang Ch'ang -p'u Ji £ 朴 . Chia n g - hsi T u-ch'ang ch'u-t'u Shang tai t'u n g - ch 'i 江西키 k .±..商代鉛 器 . K'ao-ku 1976 (4): 273. T'ang Lan Ji 사 Kuan-yi i Chia n g - nsi Wu-ch'eng wen-h u a yi-c hih yii wen-t z u ti ch'u-pu t'a n-so ’于江西吳咸文化遣址與文字的初步探 慕 Wen-wu 1975 (7) : 72-76 . . Lii eh lun Hsi Chou Wei shih chia - ts u chia o -ts ' ang t'un g - ch'i c h'iin ti chung -yao yi-yi ~ tJt &周 微史家族 客 藏炯 器洙的 重 要 意~ . We n- w u 1978 (3): 19-24 . . Ts'ung Ho-nan Cheng -c hou ch'u-t' u ti Shang tai ch'ie n -ch'i c h'in g - t'u ng - ch'i t 'an ch ' i'’從河南것”냐 .±..的 商代前期유 銅 器 談 ~ . We n- wu 1973 (7): 5-14 . . Ts'ung Ta-wen-k'ou wen-hua ti t'ao -c h 'i w en-tz u k'an wo-kuo tsu i- tsa o wen-hua ti nie n -ta i 從大汶 0 文化的 向 器 文字看我 固 社 우文化的年 1 -t . Shih - hsiie h , in Kuang - mi ng Jih- pa o 14 Ju ly 1977. T'ang Yun-mi ng Ji 雲 맹 Hsin g -t'ai Nan-ta - kuo ts' un Shang tai yi-c hih t'a n- chil eh chie n pa o ~~ 台 南 大郭村商代遠}止採抵 簡 :♦ J l. . Wen-wu 1957 (3): 61- 63. —. Kao-ch'eng T'ai- h si S hang tai t'ieh je n t'u ng yileh wen-t' i ti t'an -t' a o 紀成台 函 商代鉉永銅 5& r4 述的採-tt . Wen-wu 1975 (3): 57-59. Teil ha rd de Chardin , Pie r re, and C. C. Young . On the Mammalia n Remain s f ro m the Archaeologi ca l Sit e of An-ya ng . Palaeonto l og ia Sin i c a C, vol. 12, fas c. 1. Pekin g , 1936. Tin g Shan T 占 Chia - ku wen so-chie n shih - ts u chi ch'i c hih - tu 甲 骨 文所見氏族 及其써ff.. . Pekin g : Sc ien ce Press, 1956. . Yin Shang shih - ts u fa ng -k uo chih 紋 商 氏 族 方 因 志 . Pekin g : Sc ien ce Press, 1956 . . Yu san-ta i tu-yi Jun ch'i m i n- ts u wen-hua 由 三代』 F & 論 其 氏族文 化 . Bulleti n of the Insti tute o f H i st o r y and Phil olo gy , Academi a Sin ic a , 5 (1935) : 89-129. Tin g Su T 써 Chung - kuo ti-Ii mi n- tz u wen-wu yii ch'uan-shuo shih 中 囚 比 꼬 氏族文物與{#札史 . Bulleti n o ft he Insti tut e of E th n ology , Academi a Sin ic a, 29 (19. 70C):h 4'u3n-g9 8ti .n g Ti Hsin cheng Je n Fang jih p ' u -t tr 帝 *. iE. 人 方 El 培 In Tung Tso-pi n Hsie n -sheng shih - shih shih - ssu chou-nie n chi- n ie n k 'an i: 作 省

先生造世十四通年 5C 念f•] , pp. 16-35. Taip e i: Yi- w en, 1978. —fI1:. ~. - B Hululeat iP ne oi f t it-hhe s iInn gs tsi thuith e y oif. i ESthh an noglo gYy i,n Atic laid-seh mihi a S•i.n : icI at ,j 七20形 央(19與 65商) :殷 l5的5 - —162.. ‘‘Lun Yi n wang p'i shih fa ~殷王此溫法 . Bulleti n of the Insti tute of Et hn ology , Academi a Sin i c a , 19 (1965.): 71-79 . . Sui tsa i Ch'un-huo yi.i Wu Wang fa Chou I,:, 項武 王 伐 샤 Hua-hsiie h Yii eh -k'an 半坐月 키 71 (1977): 36-46 . 的 A'J ~.J l. aT s a.i B luulnle Stih na nofg twhea nIng spti' tiu mtei a oof hEato h n toi lJoigay n ,g Atscu a dshemuoi a S-filin- ~i c~ a商 , 2王1 此( 1廟96 6筑) : 41- 7 9. Trig ge r, Bruce G. Ineq ua li ty and Communic a ti on in Early Civ i l iza ti on s. Anth r op ol og ica n.s . 17 (1976) : 27-52 . . Tim e and Tradit ion s: Essays in Archaeolog ica l Inte r pr eta ti on . New York : TsC'aoi l Fuemnbg i-a s h Uun ~iv e 鳳rs i-tt y. PCrehssi-, n 1a9n7 T8a. -hsin - chuang Shang tai yi-c hih ti tiao -ch'a 沼 荀 大 辛 莊商代遠J止的째査 . K'ao-ku 1973 (5): 272-275. Tsang Chen-hua 滅jft 半 ''An-ya ng Yin hsi.i t'o u-ku ch'i-h sin g men-ch'ih ti ye n-c h iu 安f文J쵸頭삼其形 r1 齒的硏究. Bulleti n 아 the Dep a rtm ent 이 Ar ch aeo l og ;• a nd Anth r op o log y, Nati on al Taiw an Univ e rsit y, 35/36 (19 74) : 69- 8 2. Ts'ao K'o-c h 'in g '1f1 j l, 冷 . “Shang - hai fu-c hin ch'i.ia n -hsin - shih ssu-p u -hsia n g - lu ya -h u a-s h ih ti fa- hsie n yi-c hi wo-gu o che shu tu ng - wu ti ti-s hih ti-Ii fen -pu 上 海 附近 全,1f 世 四 不 像 · 鹿 포 1 t石 的 分現'/.. 及我 因誌島 yh4 屈的 j七丈j L j모分布 . Ve tc b rata Palasia l ic a 13 (1975): 48-57. Tsen g Chao-y i .ieh 합 ag : llfi and Yin Huan-chang 尹 煥幸 Ku-ta i C hia n g -s u Ii-s hil l cshh'aun-gt ' ut i lwiaenn g-w - kuo hw:,eiina n- t-'c ihi -5도 l§;七代右따 U :l:: E.± ..丈 文J :4 v.; 的it l雨1f..個 . 서P,e'lkfii n . g I n : WCheia nn -gw - usu -Pshreesnss, 1963. Tsou Heng 鄒 肯 Cheng - chou Shang ch'eng chi T'ang tu Po shuo :입 輝 Up 沿 키臼 企說 . Wen-wu 1978 (2) : 69-7l. • . Shih Ju n Cheng - ch ou hsin fa- hsie n ti Yin Shang wen-hua yi-c hih 試 갑 1r 1tJR.的殷商 文化遠J止 . K'ao-ku Hsiie h -pa o 1956 (3): 77-103 . . Shih Jun Yin hsi.i wen-hua fen -ch'i '' ti;,~殷J,t 文化力닙 ~I . A·1-ch i11‘서 Ta-hsii eh Je n-wen Hsiie h -pa o 北京大塔人文*-.t ll 1964 (4): 37-58; 1964 (5): 63-90. Tsou Shu-wen 鄒樹;::_ . Shih -chin g shu chi pien ·;H9 .~ ~ltlf . Nung - shih T'uY~egn -cEhni-u c hCchni-g k '~an , 망~ .i~E 硏, 究Cjhfa,nfg •S )h e2n g( -1 k9'6a0i ) 張: 1 世8 -輯34 . and Ch'cn Chin g - ch'un r'l!:, 몫 春 . Kuan-yi .i shih - y u ng tien -tz u chi- s uan-chi chui- h o Shang tai p'u chia sui- p'ien ti ch'u-pu pa o-kao l\lj 千 使 用 맡 子 1 tJt機娑合 荷 代 卜 甲 碑 )f (t1 初 步각11..% . K'ao-ku 1977 (3) : 205- 2 09. T'ung Chu-ch'en 1冬 柱 臣 '‘Ts'ung Erh-li -t'o u lei- h sin g wen-hua shih t'an 囚C h宋u追ng源 - k.u ro., tli_i .k Wuoe-nc-hwiua 1c9h7'5i- y (i6.i)a: n 2 9w-e3n3-.t ' i {It..::. 里 j汶 1 因 的 Tutnzg u Ts安o- 陽pi n侯 i末: 莊作 省:l:: ,. ±.A.之n 甲-y 骨a n 文g H字o .u T-c'ihein a --y ce hh u ka'nago -ckhu' up-ato' u - kcahoi h r oc h가ia 수 k u古 w:teint유-

I (1936): 91- 1 65. —. (Yen Yi- p'ing 4l-;우 , ed.) Chia ku hsiie h liu - shih nie n 甲유坐六十年 . Taip e i : Yi- w en, 1965 . . Chia ku nie n piao 甲 骨 年 表 Bulleti n of the Insti tut e of Hi st o r y and Phil o log ;,, A cademi a Sin c a, 2 ( 1930) : 241-260. (Revis e d and enlarge d edit ion , pr ep a red by Hu Hou-hsii an 胡 昇 흐 , pu bli sh ed in 1937) . . Chia - ku wen tu an-ta i ye n-chiu Ii tp 骨文斯代硏究判 In Pape rs Presente d to Mr. T s'ai Yii an -p ' ei on Hi s Six t y -fifth Bir t h day pp. 323- 4 24. 1933 . . Lun Shang jen yi shih jih wei mi n g ~ 商人以十 El #i名 Ta-lu Tsa-chih 2, no. 3 (1951): 6- 1 0. . Mi n -kuo shih - ch'i nie n shih yi.ieh shih chii eh An-y a ng Hsia o -t' un pao -kaoshu 氏固 十七年十月 試抵安 F 융小 t며 ll 告 -j r . An-ya n g fa-c hii eh p ao -kao 1 (1929): 3- 3 6 . . On th e Meth o d of Recordin g th e 'Day ' in th e Yin Dy n asty . Annals of the Academi a Sin i c a 2 (19 55) : 51- 5 8 . . P'u-tz ' u chung pa yiieh yi-yu yiieh shih k'ao 卜 萌 中 八 月 L 酉 月 食 考 Ta-lu Tsa-chih T'e- k'an 大陸雜誌特키 1 (1952): 281- 2 94. . P'u-tz ' u chung ti Po yii Shang 卜 萌 中 的 쏘與 商 . Ta~/u Tsa-ch ih 6 (1953): 8-12 . . Ta kuei ssu pan k'ao shih 大亂四版考 怨 An-ya n g fa-c h ii eh pao -k a o 3 (19 31): 423-441 . . Tu Wei- t'e -fu Shang tai p'u -tz 'u chung ti ch'i-h sia n g chi- l u 1 나 夫 商 代 나F 中 的 氣 象 $L 錄 . Hua-hsi Ta-hsiie h Chung -h uo Wen-hua Yen-chiu So Chi K'an 華西大坐中 回 文化硏究ffr 4t 구 ’ I 3 (1943): 81- 8 8. . Wu ten g chi.i eh tsa i Yin Shang Ji. 等 爵 .(i. fJ.t ;8j . Bulleti n of the Insti tut e of Hi st o ry and Phil olo g y, Academi a Sin ic a , 6 (1936) : 413- 4 30 . . Wu Wang fa Chou nie n yi.ieh jih chin k'ao 武王 1 El 今쏭 Bulleti n of the College of A rts , Nati on al Taiw an Univ ersit y, 3 (1951) : 177-212 . . Yin hsii wen-tz u Chia pien 殷虛 文 字 甲 編 . Nankin g : Insti tut e of Hi st o ry and Phil ol og y, Academi a Sin ic a , 1948 . . Yin hsii wen-tz u Yi pien fJ.t虛 文字 C.., !~ . Nankin g : Insti tut e of Hist o ry and Phil o log y, Academi a Sin ic a , 1948-49. . Yin hsii wen-tz u Yi pien hsii 殷虛 文 字 g¢& 序 . Nankin g : Insti tut e of Hi st o ry and Phil ol og y, Academi a Sin ic a , 1948. . Yin Ii p' u fJ.tlff ~ . Li- c huang : Insti tut e of Hi st o ry and Phil ol og y, Academi a Sin i c a , 1945 . . Yin Ii p ' u hou chi 殷用 持後검e. . Bulleti n of the Insti tut e of Hi st o ry and Phil olo gy , Academi a Sin ic a , 13 (1948): 183-207 . . Yi n tai li-c hih ti hsin chiu lian g p'a i 殷代禮쉽•]lr-J;祈섭 雨派 . Ta-lu Tsa-chih 6 (1953): 69-74 . .. YYi in n tati a ti i ynii.ia eo h s-shhuih fJkH 'a반 or-, Jf~JU -$t .月 T a食-l考u T. saB-uc lh leiht i 6n (o 1f 9 5t3h)e : 3In4s5t-i t3u4t7e. of Hi st o ry and Phil olo gy , Academi a Sin ic a , 22 (1950) : 139-160. Turner, Chris t i e. Denta l Evid e nce on th e Orig ins of th e Ai n u and Ja p a nese. Scie n ce 193 (1976): 911-913. Umt;iJe hiatr .a K Sy uoet jo i : 梅B原en r末id o 治, 1. 9ln5b9o. hats u g e n mokki in' ei zuroku 殷 墓 운現 木惡 tp 影

. Kanan An ya iho 河 南 安 陽 遺 숯 . Ky o to : Kobay a shi, 1940. . Kodoki keit ai no kokog a kute k i kenkyi i 古 銅 器 形 態 !/) 考 古 牛 的硏究 . Ky ot o : Toho Bunka Kenky uj o , 1940. -. Toa kokog ak u ronko 束 亞 考 古 半 論 考 . Ky ot o : Hoshin o Shote n , 1944. Vandermeersch, Leon. Wang d ao ou la voie Roy a le, vol. 1. Publi ca ti on s de l'Ec ole Franc; a is e d'Extr e me-Orie n t, vol. 63. Paris : !'Ecole Franc; a is e Wadl'eEyx, tAr e rmthe -uOr,r iter n a tn, s1. 9 T7h7e. Book of Song s. New York : Grove Press, 1960, Ever- gr een edit ion . Walt ha m, Clae. Shu Chin g (a moderniz e d edit ion of the tra nslati on by Ja mes Leg ge ). Chic a g o : Henry Reg n ery Co., 1971 . Wan Chia - pa o ~합 家係 . “Ts'ung Hsi- yin ts' un ti ts' an-chie n t'an tao Chung - kuo tsa o-c h 'i t i ssu-chih kung - y e h 從西 陰村 的 았 菌 談到 中 回 우JIJJ 的 絲 ~ .:r. 훈 Ku-kung Chi- k 'an 故宮후키 11, no. 3 (1977): 1 一 17. Wan Kuo-t i ng 萬 因 鼎 . Ou- ke ng k'ao'' 타 ~~ . In Nung - shih Yen-chiu Chi- k 'an Wa及n g史 , C硏. 究W .4 fTah키e ,F oprpe.s i7s5 o-f 8 C1 h. iPn ea k. iMn g a :r iSa c M ieno coers P Creasbso, t 1 F9o5u9n. dati on Publi ca ti on s, no. 5 . Cambrid g e , Mass. : Bota n ic a l Museum, Harvard Univ e rsit y, 1961 . Wang Ch'e n g - chao 王 承篠 Shih Jun Yin tai ti 'hsi' 'ch'i e h ' 'fu' ti she-hui shen-f e n tt 玲 殷代짜箕` 、 ‘ 옷’ 、 ‘ 及내.:I:令身條 Pei- c hin g Ta-hsueh Hs u eh - p a o Je n-wen K'o-hsueh 北京大學塔격 ll 人文科,l,f:- 1955 (1): 111-118. Wang Chia - y u 王 幻꿇 Chi Ssu-ch'uan P'eng hsie n Chu-wa-chie h ch'u-t' u ti t'u ng -c h 'i '’ 강 요 )II 彩幹竹瓦 4 테다며鉛 器. Wen-wu 1961 (11): 28-31 . Wang Hsia n g 王 ,\l . Fu sh' ih Yin ch'i c heng wen 冀 室殷洪微文. Tie n ts i n : Ti en - tsi n Museum, 1925. Wang Hsia n g 王 湘 ‘‘A n-hui Shou hsie n shih -ch'ie n yi-c hih tiao -ch'a pao -kao 安 微츄輯 丈前遠j止패티 ll 씀 Chung -k uo K'ao-ku Hsueh-pa o 2 (1947): 179- 250. Wang Kuo-wei 王 困 鎭 Mi n g -t'a ng ch'in mi ao t'u ng k'ao 明 堂 哀廟 通뇽 In Kuan-t ' a ng c hi /in 觀堂 4 fa林, vol. 3, pp. 123-144. N. p. 1921 . (1959 Pekin g , Chung - hua Shu-ti en edit ion ) . . Shuo Po'’ 1jl ~ , In Kuan-t ' ang chi /in, vol. 12, 1921. —. “Shuo Shang 說荷 In Kuan-t' a ng chi /in, vol. 12, 1921 . —. “Shuo tzu Hsie h chih Ch'eng T'ang pa ch'ie n it tJ #!-토成沿八退 In Kuan-t ' ang chi /in, vol. 12, 1921 . . Tsu mou fu mou hsiu ng mou 迪其父茶凡茶. In Kuan-t' a ng chi /in, vol. 9, 1921 . . Yi n Chou chih - tu lun 殷周 -ti ll 論. In Kuan-t' a ng chi /in, vol. 10, —192.1 . p Yi n hsii 'u-tz ' u chung so chie n ti mi n g k'ao 殷埃 卜 辭 中 考 . - Hsiie h. -t Y' a in ng p T'us '-utnz g 'u -k c'oh u雪ng 堂 食soi 'cJh,ie nv ohl.s i1e 1n . k1u9n15g. hsie n wang k'ao 殷 卜爵t 中 所凡先i、 先王考, and hsii k'ao ~考. In Kuan-t' a ng chi /in, vol. 9, 1921 . Wang Ni ng - sheng il-후 生 Ou keng hsin ch ieh ,1J, 耕 新 짜 Wen-wu 1977 (4) : 74-78. Wang Pao-te 王係急 Wu Wang fa Chou tu yii Meng - chin ti nie n -ta i k'ao 武王 1\ iti.t.于孟津的年 1 七考 Chung -yiian Wen-hsie n 中 原 j:_J.tl 6, no. 2

(1974): 12-17. Wang Shih -to 江士~ . Shui- ch in g - chu t'u 水錢注 떠. Ch'ang - sha, 1861 . Wang Yii -ch e 王 玉 哲 “Shih shu Yin tai ti nu-Ii chih -tu ho kuo-chia ti hsin g - ch'eng 1;t 述紋代 的 久 11 及 和 困 宋 的 形 ~ . Li- s hih Chia o -hsiie h 歷 史敎 學 1958 (9). Wang Yil -h sin 王 宇 信 , Chang Yung - shan 張永 山 , and Yang Sheng - nan 楊 升 南 . Shih lun Yin hsil wu-hao mu ti 'Fu Hao' 1;\'.. tt1殷坡 五就 墓 的 •~~• . K'ao-ku Hsiie h -pa o 1977 (2): 1-22. Wang Yil -h sin 王宇 1 t , and Ch'en Shao-ti ~緖祖 ''Kuan-yi l Chia n g - su T'ung - shan Ch'iu -wan Shang tai c h i-s su yi-ch ih 間 于 江 妹銅 山 丘淸 商 代 祭祀 遠墓 Wen-wu 1973 (12): 55-58. Wate r bury, Florance. Early Chin e se Sy m bols and Lit er atu r e: Vesti ge s and WaSpyr r: ecu, lPahti iol inp s.. NAe wGu Yid oe r kto: Eth. e W Pehye hae s,a n19ts 4 2of. the World. London : Countr y Lif e, 1969. Wei Ch'in ~勤 . “Ts'ung Ta-wen-k'ou wen-hua mu-ts a ng k'an ssu-y u -chih ti Whceha'it-l ye . yil ,aR nP eav uile .從 w T 大hoef汶 PK i.0 v Co 文.t oC化fh ta基hne g 葬 ,F o看Euar私r lQy有 u Ca 송hrti 1e n 的 r e ss迫.e C源Ch.iiv c i a Kl giz' oaa o:t -iA oknul d. 1i n 9 Je 7o,5 u 1(r59n)7a:2l 2 . o6f4 A- 2s i7a0 n . WSi ltli ua dmi e ss o n3,6 R(1o9b7e7r)t : W54 .3 -T5h4e5 S. ocia l and Politi ca l Sy s te m s of Centr a l Polyn esia . Cambrid g e , Eng . : Cambrid g e Univ e rsit y Press, 1924. W ittfoge l, Karl A. Mete r olog ica l Records from th e Di v in ati on Inscrip tion s of Shang . Geog ra p hi c a l Revie w 30 (1940): 110-131 . WWurofi g C Ah htn,e tnHh - rleounp r o*yl o .g ~fy

莊遠J. 止C分h抵e nMg -ic lhl o- uW Senh-awnug 1c9h5'e6n (g4 ):y i~:c- 5h.ih nei fa- hsie n Shang tai hang -t'u t'ai - c hi ho nu-Ii t'o u ku 것 D 知tJ止內分現商代分上台基和虹北頭유. Wen-wu 1974 (9): 1-2. -. Cheng -c hou Shang tai ch'eng -c hih shih chii eh chie n pao 鄭 州商 代 域J止試抵 簡 :tll. Wen-wu 1977 (1): 21-31 . . Cheng - chou Shang tai yi-c hih ~州 商代遣 3止 . Wen-wu 1975 (5): 91-92. — . “Cheng -c hou shih Je n-mi n kung -yiian ti erh-shih - wu hao Shang tai m簡 u:t-ltl. s a Wnge nc-whu'i n1 g 9 -5li4 (c1h2i)e n: 25p-a o2 7. 鄭州市人氏i『 n t二十Ji.꼬 一 . Cheng - chou shih Mi ng - kung -l u hsi ts' e fa- hsie n Shang tai chih t'a o kung -c h 'ang fan g - chi ten g yi-c hih 鄭州市銘功路西側分現商代梨尙다 8 房基 等 這J止 . Wen-wu 1956 (1): 64. - . Cheng - chou shih Pai- c hia - chuang Shang tai mu-ts a ng fa- chii eh chie n pao 鄭 州 市 白 宗莊 商代墓jgg 簡 :tJl . Wen-wu 1955 (10): 24-42. . Cheng -c hou shih Yin Shang yi-c hih ti-ts' eng kuan-hsi chie h -shao' 鄒 州 市. jC知h商en遠gJ -c止 hjo七u사 ti 1w1u w介e~n.-w Wu ecnh-'wiiu t i~ y95i 4h s(1ia2 o) : c8h6'i-i9 f3a -. chii eh chie n pao 郡 州 %.1i.文物區~-,J,I&ft¼rJj:f ll. Wen-wu 1956 (5): 33-40 . . Chi- n a n Ta-hsin - chuang Shang tai yi-c hih k'an-ch'a chi ya o ~t, 大 辛 莊商代遠J止勘査妃홋 Wen-wu 1959 (11): 8-9 . pao . 江C西hia 沿n g江 - hgs냐i C hi'in 1 -g \: .- c遠 hJia 止n g分 W抵 u簡- c:thJl' e.n Wg eSnh-awnug 1ta9i7 y 5 i(-7c )h:i h5 1fa--7 c1h . ii eh chie n - . Chia n g - hsi t i-c h'ii t'a o-tz ' u-ch'i c hi- h o-hsin g p'a i- yin wen-ya ng tsu ng shu 江西j티학 泉付形 4h C p m 樣綜述 . Wen-wu 1977 (9): 40-57 . . Chie h -s h ao chi chie n ts' ung fei - t'un g chung chie n hsii an ch'u-lai ti chung -ya o wen-wu 介緖幾件從J료鉛中檢退出來的重要文物 Wen-wu 1960 (3): 75 . . Chin nie n Chia n g -h si ch'u-t'u ti Shang tai ch'in g -t'u ng - ch'i 近年江 —西 出 .. ±‘'.F的u 商-fe代 n g유 P銅ai- c器 hi a W- yea n o- wshuu 1i- 9k 7'7u (c9h):' u5-8t'-u 6 3ti. Shang Chou wen-hua 扶風 白 家寄 7k 拜 出 .±.的 商 周 文化 . Wen-wu 1977 (12): 84-86 . 下王 .向 H遠o-만nan댜 Hs抵i- c hW'ueann- wHus ia1 -9 w72a n(1g -0 k ):a n1g3 -y1i-4c. h ih ti shih chii eh 河命浙J ll —. Ho-pe i Kao-ch'eng hsie n T'ai- h si ts' un Shang tai yi-c hih 1973 nie n ti chung -ya o fa- hsie n 河北 策J成幹 台 西村商代這J止 1973 年的重홋,ftJ,\!.. Wen- WU 1974 (8) : 42- 4 9 . . Hsin g -t'a i Chia ts' un Shang tai yi-c hih shih chii eh chie n pao 邪 台 f 村商代遠J止試抵簡祖 Wen-WU 1958 (10): 29-31 . . Hsin g -t'a i Shang tai yi-c hih chung ti t'ao ya o 邪 台 商 代 這J止 中 的 向 幕 Wen-wu 1956 (12) : 53-54 . . Hsin g -t'a i shih fa- hsie n Shang tai yi-c hih 邪 台 市分現商代這}止. Wen-wu 1956 (9): 70. -. Hsin g -t'a i Yin - kuo ts' un Shang tai yi-c hih chi Chan-kuo mu-ts a ng shih chii eh chie n p ao 邪台尹 'i 1 t這}止及設 OO 基#試抽 簡 가 l , Wen-wu 1960 (4) : 42-45.

. Hu-pe i Ch'ung -ya ng ch'u-t' u yi-c h ien t'u ng ku 湖 北 硏다 .±.. 크+ 銅 鼓 . Wen-wu 1978 (4) : 94. Je -ho Ling -yiian hsie n Hai- tao -yi ng -tzu -ts ' ung fa- hsie n ti ku-ta i ch'in g -t'u ng - ch'i 熱河凌源迫隨&쑹子村仕現的古代유銅 蓋 Wen-wu 1955 (8): 16- 2 7 . . Kao-ch'eng T'ai- h si Shang tai yi-c hih fa- hsie n ti t'a o-ch'i w en-tz u 紀成台 西 商代遠)止섰現的 尙 器 文字 . Wen-wu 1974 (8): 50-53 . . Lin - t' u ng Chia n g -c hai hsin - shih - ch'i s hih - ta i yi-c hih ti hsin fa- hsie n 臨;호美 泰新石 器時代遠J止的新分 1見 . Wen-wu 1975 (8): 82-83. . P'an-lung - ch'eng Shang tai Erh-li- k ang ch'i ti ch'in g -t'u ng - ch'i 低f IL j成商 1-\:-=- 里 떠期的유銅 器 . Wen-wu 1976 (2): 26- 4 1 . . P'an-lung - ch'eng yi-c hiu - c h 'i-s su nie n tu t'ien -ye h k'ao-ku chi ya o m tj成-九七四年Ji.. ro Jf·考七妃홋 Wen-wu 1976 (2): 5-15 . . Pei- c hin g shih P'in g - ku hsie n fa- hsie n Shang tai mu-t s a ng 北 京 市 千 谷昧分J見商代~~~- Wen-wu 1977 (11): 1-8 . . Shan-hsi sheng Ch'i-s han hsie n fa- hsie n Shang tai t'u ng - ch'i 陝西사 &丈 山幹分現商代銅 器 Wen-wu 1977 (12): 86- 8 7 . . Shan-hsi sheng shih nie n lai ti wen-wu k'ao-ku hsin shou-hu 山 ® ;J;i· 十年糸的文物考七新i!l ~l - Wen-w u 1972 (4): 1-4 . . Shan-hsi Shih - Jo u hsie n Erh-lang - p 'o ch'u-t'u Shang Chou ch'in g -t'u ng - ch'i 山西石祖妹-=-p냐 .±..商周 유銅 器. Weh-wu 1958 (l): 36 . . Shan-hsi Shih - J o u hsin cheng - chi tao ti ch i-c h ie n Shang tai ch'in g - t'u ng - ch'i 山西石樓新쌌休궂 瓦 件商代 융銅 器 We n- wu 1976 (2): 94. —— .. “ SS hhaann--hhssii S Suhii- h te- J oY u e nY-ti'- ot iue-ht s ' Hunu i-f ap-' hinsgi e n fa y- hi-spie' in cShiha ao n-gts ' taani g p Sinhga -n cgh 'tiai 山西石樓&猫令坪分現商代兵器 Wen-wu 1974 (2): 69. t'un g - ch'i 陝西線德jg頭村分現 -4 tt.客 哉 商代銅 器 Wen-wu 1975 (2) 82-83 . . Shan-tu ng Ch'ang - ch'in g ch'u-t'u ti ch'in g -t'u ng - ch'i 山 求紀요 .±..的*銅 器 . Wen-wu 1964 (4): 41-47 . . Shan-tu ng Ts'ang - shan hsie n ch'u-t'u ch'in g -t'un g - ch'i 山 求蒼 山 幹 出 .±..유銅 器 . Wen-wu 1965 (7): 27- 3 0 . . Shan-tu ng Tsou hsie n yu fa- hsie n Shang tai t'u ng - ch'i 山 求鄒 縣 又 分現商代銅 器 . Wen-wu 1974 (1): 77 . . Shan-tu ng Yi- tu Su-fu -t'u n ti-yi-h ao nu-Ii hsii n- ts a ng mu 山 求죠겨 F 妹싸t%-就~JiJ{iJJ~£_. Wen-wu 1972 (8): 17-30 . . Shih - lou hsie n fa- hsie n ku-ta i t'u ng - ch'i 石 樓昧分現古代銅 器 Wen-wu 1959 (3): 71-72. —. ‘‘T'an-shih - ssu nie n -ta i ts' e-t i ng pa o-kao, hsii -yi 破十四年代쳐定:t ll 告서- . Wen-wu 1978 (5): 75- 7 6 . . T'ien -chin shih hsin shou-chi ti Shang Chou ch'in g -t'u ng - ch'i 天 津 市新收北的商周유銅법 Wen-wu 1964(9): 33 . . Wen Hsie n ch'u-t'u ti Shang tai t'u ng - ch'i 溫幹 出 .±..的 商代銅 법 Wet1- WU 1975 (2) : 88-91. —. Yeh-t' i shan-li- fa t'a n-shih - ssu nie n -ta i ts' e-ti ng 液將閃燁法破十四 —年 代. il •I‘ ~'Y i .- c Whieu n- -liwu u- s a1n9 7n8i e( 5n ) :H 7u0--p7e 4i . Huang -p'i P'an-lung - ch'eng Shang tai

yi-c hih ti fa- chii eh '' -九六三年湘北黃陝盤ftj成商代遠}止的分抵 Wen-wu 1976 (1) : 49-55 . . Yi nie n lai Cheng - chou shih ti wen-wu tiao -c h 'a fa- chii eh kung -tso Yan-g 年Ch糸ii n鄭- s州h i市h ~的 君文 1物f 째. K査'a分ng抵 k工en作g y . iiW Hesni-a w huu i1 9 5原4 反(4)與: J3i5.--t3t 9. .T a-lu Tsa-chih 20, no. 3 (1960) : 83-88. Yang Chung - chie n (see Young , C.C.). Yang Hsi- c hang ~~璋 and Yang Pao-ch'eng ~ 'f ~ . Ts'ung Shang tai chi- s su k'eng k'an Shang tai n u-Ii she-hui ti jen sheng 從 商 代 祭 iC J尤 4쳅 i 1\ 久律社令的人!f1 . K'ao-ku 1977 (1): 13-19. Yang Hsi- m ei ~希杖 . Ho-nan An-ya ng Yin hsii mu-ts a ng chung jen -t'i ku-ko ti cheng -li ho ye n-chiu 河南安陽殷坡墓葬中人將骨將的整뾰和硏 究 . Bulleti n of the Insti tut e of Hi st o r y and Phil olo gy , Academi a Sin i c a , 42 (1970) : 231-265 . . Lien mi n g chih yii p'u -tz ' u Shang wang mi ao hao wen-t' i 聯 名 상 ’l 與 卜 游 商 王 廟 就 ro1 迪 . Bulleti n of the Insti tute of Eth n olog y, Academi a Sin i c a , 21 (1966): 17- 3 9. . A Preli m i na ry Rep o rt of Human Crania Excavate d from Hou-chia - chuang and Ot h er Shang Dy n asty Sit es at An-ya ng , Honan, North Chin a . Annual Bulleti n of the Chin a Council for E ast A sia n Stu d ie s 5 (1966) : 1-13. Yang Hung - hsiin ~ 鴻 賊 Ts'ung P'an-lung - ch'eng Shang tai kung -tien yi-c hih t'an Chung -k uo kung -t'ing chie n -chu fa- chan ti chi ko wen-t' i'' 災盤 1 t域商代宮殿遠}止拔中 因 宮廷丈慕分辰的退 1 월fo 1 蓮 Wen-wu 1976 (2): 16-25. Yang Lien -sheng ~聯 맵 Histo r ic a l Note s on the Chin e se World Order. In The Chin e se World Order, J. K. Fair b ank, ed., pp. 20-23. Cambrid g e , Mass. : Harvard Univ e rsit y Press, 1968. Yang Shang - k'uei ~ 尙 홋 Chung - kuo ku-ta i she-hui yii ku-ta i ssu-hsia n g ye n- chiu 中 因 七代社令與七 1\,思 想硏究 . Shang h ai: Je nmi n Press, 1962. Yang Shu-ta 楊;!ii't .it. . Clzi- w ei- c hii tu- shu chi ;ff[ .r.tll; ~,\ -5 :·,e . . Pekin g : Chung -h ua Shu-chii , 1962 . . Nai- lin- ch'ing chia wen shuo 며林商甲 文궁il . Shang h ai : Ch'iin - lie n Press, 1954. Yen Wan 옻 Jfe, . Pei- c hin g Liao -nin g ch'u-t' u t'un g -c h'i y ii Chou ch'u ti Yen Yen北 Y京i- 述p'i 후ng 出 , a.±.-.銅; 우器 . 與Ch周ia 수 1k}u 的 h s#fi..i e .h K 甲'a o骨-k u器 1 9T7a5i p( 5e) i :: 2Y7i- 4w -e2n7,9 .1 978. ——.. ‘ 'CHhsiiaa - kSuh awnegn Cthuo aun -twa i e ny-eh nu-cah iyu i hts'ui nn gI ik 'a甲o 骨 文Ji. W商 H周U 文 t化究 1異H 同, 1l .考 I n Pap e rs Presente d to Mr. Tung Tso-pi n on Hi s Six t y -fifth Bir t h d ay, pp. 483- 549. Insti tute of Hi st o ry and Phil olo g y, Academi a Sin i c a , 1961. Ta-lu Tsa-chih T'e- k'an 1 (1952) : 387-421 . . Pa yiieh yi-yu yiieh -shih fu chia ti p'in- ho yii k'ao-chcng ti chin g -k uo 八月 L 酉月 食腹甲 的折合與考 3으過 . Ta-lu Tsa-chih 9, no. 1, (19 54) : 17-21 . Yen Yun 燕 ¥: . Shang tai p'u -tz ' u chung ti ye h chu shih liao 商 代 卜 針 中 的 治 玲 史料 K'ao-ku 1973 (5) : 299. Yin Chih - yi 殷之非 . ’'Shan-tu ng Yi- tu Su-fu -t'u n mu-ti ho 'Ya Ch'ou' t'u ng -

ch'i'’ 山 求죠키µt t陶&和 ‘표魂' 銅 器 K'ao-ku Hsiie h -pa o 1977 (2): 23-33. Yin Wci- c hang 紋球璃 Erh-li- t'o u wen-hua t'a n t'a o -=-모頭 文化採 -tt . K'ao-ku 1978 (1): 1-4. Yoshid a Mi tsu kuni 吉 田 光 }~ . Indai g ijut s u shoki IJ.t1-\ :, 4l 術 小 ie. . Tohoga kuho (Ky ot o ) 23 (1953): 175- 1 78. YoPurnogt ,o - Ch. is Ct o. r場ic 錢A 徒n- y[a Y nagn gF aCuhnua nog f- c Chhie inn ]a .. BAumdoerrcica a on, Ja o Nurenwa l Eolfe m Sec nietn cien 2th46 e (1948): 157-164. and Liu Tung -s h eng ~,J 求生 ''An-ya ng Yin hsii chih pu -ju tun g - wu ch'iin pu yi 安陽殷坡之대 념 냐/J 4 뉴 챠捕 遠 . Chung - kuo K'a o -k u Hsiie h - pa o 4 (1949): 145-153. Yii Chin g -jan g 千 봅t -zl . Shu chi su lian g yii kao-l ia n g 泰稷葉梁與 高 梁 . Ta-lu Tsa-chih 13 (1956): 67-76, 115- 1 20. Yii Chung - hang 千 中 航 . ’'T a-wen-k'o u wen-hua ho yiian -s h ih she-h u i ti chie h - t'i *汶 口 文化和原鈴社令的Aq. ',ltl. Wen-wu 1976 (5): 64- 7 3. Yii Hsin g - wu 千 사 용 . Kuan-yi i ku wen-tz u ye n-chiu ti jo- k a n wen-t' i 間於古文字硏究的若千 rJ ]通. Wen-wu 1973 (2): 32- 3 5 . 略 玲岡. 鳩Li與i eh宗 l敎un起 t源'u -糸t'켓e n?g yiii 固ts Mu n g. -L cih-isah o i h c hY'ie -ny - iciha inu h1o9 H59s ia( 1 0S)h:a n6g0 一t '6u 9- .t ' e ng . Shang tai ti ku lei tso -wu 商代的 섰類 作 物 . Tung -p e i Je n- m i n Ta-hsiie h Je n-we n K'o-hsiie h Hsiie h -pa o .t,.;Jl:.A.氏大 學 人文科 坐坐輯 1957 (1) : 81- 1 07 . . Ts'ung chia - ku wen k'a n Shang tai s he-hui hsin g - chih 從 甲 骨 文 介 商 代社 令 · I 生 ~. Tung -pe i Je n-mi n Ta-hsiie h Je n-wen K'o - hsiie h Hsiie lz - p a o 1957 (2/3) : 97 一 136 . . Ts'ung chia - ku wen k'an Shang tai ti nung - t' ien k'en-chih 從 甲 유 文 介 商 代 的 及 田맛 殖 . K'ao-ku 1972 (4) : 40-41, 45. Yii Wci- c h'ao 令偉迪 ''T'ung -s han Ch'iu - wan Shang tai she ssu yi-c hi ti t'u i- ting 1J.l 山丘 淸 商代社祀 遠 這的 4 it~ . K'ao-ku 1973 (5): 296- 2 98.

-, 가래 287,289 『가족, 사유재 산, 국가의 기 원』 97 간지 (干支) 49,140,; 그 립 233. 십간 (十干) 참조 갑골문(정복기록, 점뼈명문) 61-81, 105,204,206,209,261,308,309,316 ; 거 북껍 데 기 유입 204,206 ; 건물 177, 179 ; 군사원정 (활동) 253-254,273, 302,317-330,403 ; 그립 72,73 ; 기후 187 ; 까오러우창(高樓莊) 169 ; 농업 191, 193-198,278,2 86-290,294,301, 328 : 도상기호 216,268 : 동물 188 -1 90 : 따쓰콩촌(大司空村) 172 ; 방 (方) 203,278,317-330 : 부(婦) 231, 247 ; 빠타이 (jfi~) 172 ; 휘 (~) 275 ; 사냥 188,276,277,295 : 샤오문 (小 屯) 78,80,105,112,125,140-146, 170,177-179,240,241 ; 삼 대 (三 代) 447 ; 상(商) 105,272 ; 언어 415 ; 왕 의 사여품 302 ; 왕의 이름 34,36,218 -219,221-222,229,231,245-247 ; 왕 하 이 (王亥) 219,435 : 월식 408-414 ; 읍(邑) 210,213 ; 이명 (乙丁)체계 232 -233 : 이 인 (伊尹) 232 : 일식 414 ; 자읍(효邑) 276 ; 족(族) 215,252 ; 쭈지아(祖甲) 44 : 허우지아랑(侯 家莊 )172 ; 후아위엔랑(花園莊 )1,2 ; 후양하(黃河) 181 『갑골문단대 연구례』 (甲 骨文斷代硏究 例) 142 갑골문목록 76-77

『 7J --공문자집석』 (甲骨文字集釋) 193 갑골학 31 강(江, jiiJ) 181,183,185,334,385,386 개 : 샤오문(小屯) 123,127 : 시빼이깡 (西北岡) 156 ; 쑤후문(蘇鳩屯) 392 : 정저우(鄭州) 349 : 치우완(丘 ~) 394 거북껍데기 67-70,204-205,361 ; 그립 72,73. 갑골문 참조 건 (축)물(주 거 지) 114-125,130-139, l77-179,339,428,458 : 구덩 이 105,112 -1l7,137-139,168,169,304 : 그립 116, 118,131-133,135,136,379 ; 샤오문(小 屯) 112,114,115,117,l19,120,123,125, 130-138,300,301 ; 쉬에지아랑(薛家 莊) 169,298 : 성타이 (Jlll표) 176 : 쓰 판뭐 (四盤磨) 170 : 왕위귀우(王裕 口) 170 : 정저우(鄭州) 336,348, 350,355 : 지엔꺼우촌(潤溝村) 427 ; 치우완(丘濟) 394 : 타이시촌(간西 村) 369 : 판롱청 (盤龍城) 231,381 결혼 248,323 경신(庚申) 409 경 제 203-208,279,301-304,460-462 ; 군사원정 302,326-328 ; 사냥 276- 278,302 ; 자원유입 286-316 『고고도』 (考古圖) ,2 고고연구소 86 : 삼대(三代)의 연대 464 : 상치우(商丘) 375 : 샤오문(小 屯) 86,126 : 시빼이깡(西北岡) 86 ; 시아(夏)문명 431 ; 얼리깡(二里岡) 88 고고학(일반) 78-95,400-- 40 1,45l : 그

립 402 ; 문자가 새겨진 질그릇 308 -316 ; 상(商) 초기 435,436 ; 첨 가 463-465 ; 청동기 52 고기 295 고든 차일드 (Gordon Chil de ) 459 『고본죽서 기 년』 (古本竹 f, !.t紀年) : 도읍 38,107 ; 얼리터우문화(二里頭文化) 431 ; 연대 (기 ) 50,139,438-439 ; 이인(伊尹) 41 ; 저우(岡)의 정벌 48,319 『고사고』 (古史考) 231 고조(高祖) 219 곡물창고 138 공구(기구, 도구) 287-289,300,307, 428 공작 186 관직 : 군대 255 ; 왕식 250-251 교역 308 구디 (Ja ck Goody ) 234 구리 200-203,298,329,373 ; 그립 201 구석기시대문화 357 국가(나라) 4,,-458 ; 나라(方國) 279,280,282,317-330 ; 상호관계 401 -402,437-447 국가조직망 271-286,454-4'7 : 그립 283 『국어』 (댐語) 32,43,47,52,431 군사력 (군대) 2'3 -2 59,329 : 경제 301, 302,328,329 ; 꽁황(곱 方) 317,326 ; 런황(人方) 321 : 여우황(.&方) 320 -321 : 우명 (武丁) 254,319,320,403 ; 위황(孟方) 322 ; 츠황(旨方) 320 ; 치양황(光方) 2

궁궐 458 ; 샤오문(小屯) 130-137,168, 170,177 ; 저우(周) 398 ; 판동청 (盤 龍城) 213 권위의 상칭 264 금 207,208 기 (旗) 215,268 ; 그립 269 기록(문자) 29-31,32-52,176-l79,191- 194,301,302 ; 갑골문과 청동기 참조 기 장(~) 194-196,301,429 기지 (基址) 130 기호(부호) 54,55,308-316,339,385 ; 그 립 311 까뀌 149 까오징타이쯔( 高井짚子 ) 85,172 . 까오청 (迷城) 391,407 ; 그립 369,370 까오취쉰(高去~) 153,165,1 7 8,245 ; 그립 85 까오후앙먀오 (高 皇廟 ) 94 꺼 (易) 39 꺼라왕(.hlll沿王) 89,362 꽁허 (共和) 47 꽁황( 곰 方) 202,317,318,322 꾸지 에 깡 (顧類剛) 79 꾼 (lf .) 445 꿔 뭐뤄 (郭洙若) 77,97-98,247 꿔 빠오쥔 (郭꼈釣) 138 꿩 186,187 꿰이황(鬼方) 43 L 나라별점수 280-282,330 난껑 (南庚) 36 난판와이 (南關外) 89,360

납형주물 65 노동 : 농업 290,2 9 1,294,304-306 ; 운 송 307 노엘 버나드 (Noel Barnard) 298,328, 407 『논어』 ( 論語 ) 443 농업 286-295,301,304-306,428,429. 식 물참 조 니 ( 症 ) 197 닝시양( 寧鄕 ) 94,396 c: 다자족( 多子 族) 218,2 4 9 『 당서 』 ( 唐杏 ) 49 대나무쥐 186 『대대례 』 (大 裁祖 ) 32 대 시 ( 大示 ) 246,2 4 7 대읍상( 大邑 商) 105,273 대종(大 宗 ) 245- 24 7 데비드슨 블 랙 (David s on Black) 418 데비드 키이 를 리 (David N. Ke ig h tl ey ) 262,2 8 0,281,316,330,452,453 도(稱) 196 도끼 199,268,287,2 8 9 ; 그립 384 도끼창 199,255 도상기호 : 그립 217,297 ; 성 (姓)과 족(族) 55,216,2 9 6,314,323 ; 얼리깡 (二里岡) 단계 338 ; 질그릇명문 314. 상칭 참조 『도시 생 활로의 과정 』 (Courses Toward Urban Li fe) 459 〈도시혁명〉 459 도시화 460

도읍 34- 3 6,41,271-276,341-342,361 -363 : 그립 37. 아오(Mt), 휘 (i1G). 상(商), 인 (ti) 참조 『도제 길금록』 (關꿨 吉 金錄) 53 돌낫(정판암) 428 돌연장 255,359,385,428 돕슨 (Dobson) 415 동물 61,184-190,218,270,294 두개골(머리뼈) : 그립 349,420,422 ; 명문 329 ; 시 빼 이깡(西北岡) 158, 162,165-167,417 ; 신체형태 417 ~423 : 정저우(鄭州) 348 : 지엔꺼우 촌 (洞 溝 村) 427 ; 치 우완 (丘濁) 394 따꾸산기 183 따신랑(大辛莊) 93,3 7 5 따쓰콩촌(大司空村) 85,87,171,257,358 따원키우문화(大汶口文化) 427,4 2 8, 434,436,4 5 5 따이(大乙) 탕(湯)을 참조 따지아(大 甲 ) 232 따티 엔쯔 (大句 子) 46, 따펑 (大彭) 394 때 이 야르 드 샤르댕 (Teil ha rd de Chardin ) 184 똥깐꺼우(束乾溝) 430 똥시 아링 (束下i 馬 ) 46, 똥쭤뻔(萊作賓) 96 : 그립 82 ; 꽁황 ( 곰 方) 317 ; 도읍 273-27, ; 묘호(廟 號 ) 222 : 연대 (기) 49,141-143,146, 408,414 ; 월식 409 ; 읍(邑) 271 ; 자 (子) 249 ; 접 뼈 (갑골) 발견 74,79- 82 ; 제사의식 240,241,244 ; 질그릇명문 314 ; 쭈지아(iill甲) 44

뚜안쉬(顯項) 439 뚜창(都 昌 ) 94,95,397 둔후앙(敦~) 78 띠 신 (帝辛) 105,140,225,244,273,32l, 329 띠 이 (帝乙) 140,225,244 띠쿠(帝~) 439 명산(丁山) 215,216,249,251,252,444 명 (丁)집단 231,244,245 근 라오쫑이 (親宗願) 250 『라오찬의 여행기』 (老殘遊記) 74 라오닝(遼寧) 93 러우쯔만(樓子ief) 377,381 런황(人方) 273,317,321-322 레 이 (*) 288-290 : 그립 288 레이하이쫑(얇海宗) 49 로버 트 맥 아담스 (Robert McC. Adams) 449-450 로우링 브레이스 (Lor i n g Brace) 47 몽산문화(龍山文化) 360-361,375,426 -428 ; 따원귀우(大汶口) 427-428, 434,436,455 ; 산똥(山束) 427-428, 436,4,5 ; 청쯔야이 (城子崔) 308, 339 : 허난(河南) 112,344,427-428 ; 허우깡(後區)) 168,339,427 루(참) 264 루쓰(鹿寺) 91 루왕훤 (溫王坦) 175,362 뤄따먀오(洛達廟) 89,360,430 루]전위 (羅振玉) 77-78,315 뤼따린(呂大臨) ,2

리 따오위 엔 (鄧道元) 341 리 링 (體陵) 94,397 리샤오명 (李孝定) 77,1~3,195,309 리쉬에친(李學勤) 320 리양쓰용(梁思永) 153 : 그림 85 리우똥성 (劉束星) 184-185 리우리꺼(琉璃閣) 175,362,417 ; 그립 282 리우빠오린(劉寶林) 410-413 리우신 (劉欽) 48-49 리우야오(劉 耀 ) 152 리우어 (劉 1A ) 74 리우지아하(劉 家 iiiJ) 371 리 지 (李 濟 ) 96 ; 그립 82 ; 두개 골 연 구 47- 4 18 ; 사냥 276 ; 샤오 문 (小屯) 112,147-151,314 ; 상(商)의 혁신 429, 435 ; 시 페 이깡(西~t岡) 160. ; 질그릇 199,134 ; 청동기분류 58-60 리지아퀘이 ( 李家 1111t) 377,381 리징딴(李菜섀~) 374-375 리 차드 피 어 슨 (Ri ch ard ].Pearson) 192 린신( 皮 辛) 140 린윈(林ii) 268 린쯔(臨il U) 300,312 린춘위 (林純玉) 422 링서우( 祖홉 ) 391 링칭 ( 重 井) 358 □ 마르크스주의 9S,97-98 마오꽁명 (毛公鼎) 54 막스 로우얼 (Max Loehr) 61,63,6S,

119,338,351,370 말 (馬) 39,162,189 매장(묘, 무덤) 74,190,255,463 : 그립 122,380,393,395-396 ; 따쓰콩촌(大司 空村) 171 : 리우리꺼 (琉璃 OO) 175, 417 ; 리우지아하(劉家河) 371 ; 빠타 이 (增잦· ) 172 : 샤오문 (小屯) 112, l19-130,134,160,253,257,4l7 (負1 好묘 참조) ; 쉬에지아창(薛家莊) 169 ; 신 향(新鄕) 175 ; 쑤후문(蘇鳩屯) 392 ; 쓰판뭐 (四盤磨.) 170 ; 왕위커우 ( 王 裕口) 170 ; 정저우(鄭州) 351 -352,355,357 ; 지엔꺼우촌(iJUI溝村) 427 ; 치우완(丘ill ) 394 ; 타이시촌 ( 梨 西村) 369-370 ; 통러 자이 (同樂 泰) 172 ; 판롱청 (盤龍城) 213,381 ; 허우깡(後岡) 152-153,168,208 맥 (麥) 197 맥 네 일 (W illiam H.McNeil ) 452 먀오띠꺼우(廟底溝) 2 기문화 426,455 먀오푸(苗圓) 86,169,298 ; 그립 148 멍원동(蒙文通) 187 멍랑(孟莊) 465 멍쯔(孟子) 39,43,50,443 멍 창루 (孟常祐) 375 메이산(媒山) 91 메이위엔랑(梅園莊) 86,171,336,361 멧돼지 185 명당(明堂) 178 몽고인종 418-419,421~422 묘지 167-168 ; 시뻬이깡(西北岡) 111,137,1 H-167,174, 179,244-24:5 , 302 -303,415,463 : 쓰판뭐 (四盤磨) 172 ;

정저우(鄭州) 부근 353,363 ; 통러자 이 (同樂塞) 173 무기 156,167,199,255-258,268,397 ; 그 립 256 무예 (牧野) 175,264 문명 459-461 『문명 의 여 명 』 (The Dawn of Civ i l iza - tion ) 459 문헌 29-51,191 문화국문물공작대 86 문화전파 451 물고기 186 물소 67 미야자끼이치사다(宮崎市定) 107 미엔천(緖臣) 39 밀 197,328,452 밍꽁루(銘功路) 89 k 바글리 (Robert Bag le y) 403 『박고도』 (博古&ti) ,3 「반경」 (盤庚) 36, 41, 42, 290, 291 방(方) 279,282,283,317-330 : 그 립 28, 방사성 탄소측정 연대 40,-407,424-42,, 441,464,467-468 ; 그립 442 방패 2 배 307 배수도랑 112,114,12 ' 배우자 이름 22 ',23 2,238 백 (伯) 279,281,283 『백호통』 (白虎通) 216 버나드 칼그렌 (Bernard Karlgr en )

49,61,63 버 지 니 아 케 인 (Vi rg i ni a Kane) 119, 397 벌목 287 법 률 259-271 벼 196-198,426 복숭아 369 복인 ( 卜 人) 69,2 '0 볼프람 에 버 하르트 (Wolfr am Eber-

hard) 323 부 (婦) 247-248,279 부락 425,4 「북산」(北山) 209 「비궁」(ri I 宮 ) 273,319 비단 198 빠오명(保定) 391 빠오명(報丁) 219 빠오뻥(報內) 219 빠오이(報乙) 219 빠이지아랑(白 家 莊) 89,3:5 1 빠이지아훤(白 家 !ft) 86,171 빠타이( 馮~ ) 172 딴꾸(班固) 431 딴퓌 (半坡) 186,309-310,3 1 3 뻬 이 (邸) 107-108,192 빼이리깡(裝李岡) 358-359 빼이신랑(北辛莊) 86,171 빼이옌(北燕) 391 빼이칭 (北京) 391 빼 이 칭 인 (北京人) 74,78 뻐머리핀 140,149-1:5 1 ,160,302 : 그립 150 뼈제품 : 얼리깡(二里岡) 326 : 작업장

169-170,350 뽕나무 198 휘 (~) 36,93,273,274,275,363 ; 얼 리 터 우(二 里 頭) 431,4 3 2 ; 정저우(鄭州) 341,3 4 2 휘꾸 (U專 姑) 392 삐 (底) 38 人 사( 社 ) 394 『사기 』 (史 記 ) 30,3 2 ,209,4 3 9 : 도읍 33 -34: 연대기 47: 작명 231: 저우 (周)의 정벌 106- 1 07. 「은본기」 (殷 本紀) 참조 사냥 188-190,276-278,295,3 0 1 : 사냥 지역 278 사료학(史料 學 ) 95,97,99,400 사방(四方) 279 사불상사슴 (elap h ure) 184-185,1 8 8 -190 사슴 184 사오차이(稽紫) 91 사치우(沙丘) 107 사토(四土) 279 사토타모쯔 (Sato Tamots u ) 328 사학 (史 學 , his t o rio g rap h y ) 95 사회전화 97-99,454-462 사회집단의 소속확인(사회지위) 291, 314-318,338-339,4l7,4 5 4-455. 족 (族) 참조 산똥룡산문화(山束龍山文化) 426- 428,436,455 산-시공산문화(陝西郡山文化) 455

『산해경』 (山海經) 219 삼대 (三代) 29,343,437-447,450,464 ; 그립 442,446 : 방사성탄소측정연대 441,464 : 진화론적 체계 455-457 ; 청동기 30,54 상(商, 도읍) 29,34,105,272-276,278, 374 상(商)의 기원 423-424 상인(商人) 308 상지아(上甲) 219,222 상지 에 (上街) 90,360,430 상칭 (부호) 60,216,264-270,435. 도상 기호와 기호 참조 상치 우 (商丘) 34,374-375,390 새 186-187,219,270,435 샌더스 (W illi am T. Sanders) 457-458 샤오($J) 36,341 샤오난장 (小南張) 91 샤오난하이 (小南海) 357-358 샤오민문(孝民屯) 86-87,171,258 샤오문 (小 屯) 84-87,111-114,1l7-139, 168,175,361 : 건 (축)물 112,114-115, 117, 119-120, 12 3 , 125 , 130-138,300 -301 ; 금 208 ; 매장(묘) 112,119 -130,134,160,253,257,417 ; 연대 139 -151,160-161,240-241 ; 직업장 139, 298 : 전차 255,257 : 점뼈 (갑골) 78 -80,105, 112,125,140-146, 170, 177-179, 240-241 ; 질그릇 112,117,125,140,146 -149,314,326 : 청 동 기 114,119,125, 138,200,232,338,390 ; 칼 287 ; 타이시 촌(장西村) 370 서 (~) 194-196

『서경』( :양 經) 32 : 관칙 251 ; 군사력 253-2,4 ; 도읍 36 ; 법재 259-261 ; 상칭 264 : 우명 (武丁) 42-43 ; 운송 307 ; 저우(周) 정벌 47 : 종쫑(中宗) 41 서비스 (Elman R.Se rvic e ) 456 「서서」 (序잔) 32,35 『서청고감』(西淸古鑑) 53 『서청속감』(西淸領鑑) 53 석회암 198-199 선공(先公) 439 선왕(先王) 439 『설문』 (說文) 213,318 성벽 : 그립 347 ; 옵(邑) 179,213,339, 346-350 성직자(巫) 251 『세본』 (世本) 32,190,445 『세실』 (世室) 178 소 39,67,189-190,219,270,307 소금생산 329 소시 (小示) 246-247 소종(小宗) 246-247 소퍼 (Alexander Sope r } 161 쇠날 369,371 수립 (樹林) 191 수입 301 수확접복 278,301,328, 농업 참조 숙토이충대 (!~土二層갓) D6 순(句) 34,263 숫자(질그릇) 310,313-314 쉬벵창(徐炳,kl) 431 쉬에지아랑(薛家莊) 86,169,298 쉬저우(徐州) 94

쉬 진슝 (許進雄) 146,230 쉬쩌민 (許澤民) 421 스꿰이(示矣) 219 스러우(石樓) 91 스런(示壬) 219 스리먀오(十里廟) 94 스먼(石I'~) 91 스장루 (石璋女 n) : 광석공급 200,202-203, 328 ; 그립 82 ; 무기 255 ; 샤오 문 (小 屯) l12-115,119-120, 131, 134,152,1 6 0, 179,255 ; 시 태 이깡(西北岡) l.52 시 ( 示 ) 246 『 시경』( 詩經 ) : 거북껍데기에 접천 기 록 66 ; 군사 활 동 43,3 2 1 ; 농부생 활 304-306 ; 읍(邑) 건설 210- 2 13, 44 요 작물 191-193 ; 쯔성 (子姓)의 기원 33 시라카와시즈카(白川 靜 ) 216,2,2.323 시마쿠니오(島邦男) 283 ; 나라의 위 치 401 ; 『 殷 坡 卜 笛綜 類』 77,1 0 5, 218,280 ; 방(方) 317,319 시 뻬 이깡(西北岡) 85-87,152-162 ; 그 립 154-155,157,159,163,1 6 4,166 ; 금 208 ; 뼈 머 리 핀 160,302 ; 왕릉 (묘) lll,137,152-167, 173, 179,244,303,417, 463 ; 희생 (순장) 156,158,165,167,253, 417,463 시 아 (夏) 29,39,328,343,360-361, 436 -437 ; 얼리터우(二里頭)와 관계 360 -361,387,431-434,4 5 5,464 시아왕깡(下王岡) 94 시아지아띠엔(夏 家 店) 371-372,390 -391,401,435

시 아치 위 엔 (下七 垣 ) 464 시아현( 夏縣 ) 339 시양(相) 38 시양위 ( 項 羽) 107 시양 루 (相 土 ) 39 시 에 ( 契 ) 32- 3 4,3 9 ,439 시에 ( 짬 ) 290 식 량 188,2 9 5,3 5 9 식물 191- 1 98,2 9 5,301,3 2 8 ,4 2 5- 4 2 6 ,452. 농경 참조 신석기시대 문화 451 ; 베이리깡( 装李 岡) 358- 3 59 ; 석 기 359,4 2 8 ; 식 물 194 ; 신체형태 418 ; 양 사 오 촌 (仰 照 村) 79,425-4 2 6 ; 질 그릇 386,42 4 ; 신 체 형태 (학) 415~4 2 3 ; 그 립 416, 420,422 신향( 新鄕 ) 108,1 7 5 십 간( 十干 ) .34 ,53,5 5 ,2 2 1- 2 2 5 ,2 3 1- 2 33. 237-239,4 4 5 싱 (邪) 38 싱 타이 (ffli 갓 ) 107,174,1 7 6,362,367,391 싼스치무띠 ( 三十 七臥地) 170 쏭(宋) 31,111 쑤후문( 蘇 뱌屯) 93,268,392 쑥 192 쎄 이 (隋) 71 쓰마치엔( 司馬遷 ) 30-34,47,107-109 쓰무우( 司 毋戊) 청동솥 162 쓰미 엔 빼 이 (四面碑) 85,172 쓰성 (i갔姓) 444 쓰판뭐 (四盤 磨 ) 84-85,170,172

。 아까즈까기요시(赤塚忠) 56 아마노모토노수케 (天野元之助) 200 -202 아형 (亞形) 267 안양(安腸) 333 ; 고고학일반 31,86, 105- 3 30,390-399,463 ; 방사성 탄소측 정연대 407 ; 양사오문화(仰照文化) 112-113,168,359 ; 얼리깡(二里岡)과 의 관계 88,334-339,357,361-362 ; 역 사서술 95-97 ; 연대 400,429-430 ; 월식 408-414 ; 천도(遷都) 38,107 -1 08,125,403-404,407,414 ; 청동기분 류 58,6 3 ,338. 갑골문, 샤오문(小 屯), 시대이깡(西北岡), 인(殷)도 참조. 『안양』 (Any a ng ) 74 안양(安陽) 중십부 11 암석 198-200 양사오문화(仰昭文化) 112-113,168, 313,359,424-425,454 양사오촌(仰照村) 424-425 양수따(楊樹達) 36 양시메이 (楊希枚) 417,419,421-422 양시장(楊錫璋) 162 양종지 엔 (楊鍾健) 184-185 양지아 (Fg 甲) 41 양지 아만 (楊家jllf) 377,381 언어 415,444 얼리깡문화(二里岡文化) 88-89,333 -390,429,464 ; 그립 335,337,340, 389 ; 연대 342-343,361,400-401,405 -407 ; 질그룻 334-336,350,3,9,3g ,

-386,430,464 ; 청 동기 338-339,3SO -3SS,37S-376,38S-386,388 얼리터우문화(二里頭文化) 91,387,429 -434,464 ; 성읍 339 ; 시아(夏)문명 360-361,387,43l-434,4SS,464 엥겔스 97 여우롱(有峨) 39 여우왕(幽王) 49 여우이(有易) 39 여우이씨 (有易氏) 190,435 여우황(因方) 320-322 『역 경 』 (易經) 43,190 역법 34,49,410 역 사서술 30-31,79,9S-101,333,400,438, 465 역사어언연구소 79,82,84,95-96,131,417 『역사어언연구소집간』 95 연대 (기) 30,47-52,400-401,405-414, 438-439 ; 기후 183 ; 삼대 (三代) 438 -440 ; 샤오문(小屯) 139-lSl,160 -161,240-241 : 시뻬이깡(西北岡) 160-161 ; 왕 49-S2,140,219-230 ; 얼 리깡문화(二里岡文化) 342-343,361, 400-401,40S-407 ; 얼리터우문화(二 里頭文化) 433 『영수감고』 (寧홉鑑古) ,3 『예 기 』 (禮記) 268,443 옌(菴) 38,41 옌스(假師) 309,431 『옌스지』 (恨師志) 432 옌이핑 (嚴一Pf{) 444 옥 127,199,206-207,300 와이런(外壬) 341

와이뱅(外內) 40 왕(일반) 35-36,38-47,209-210,216 -248 : 계 승 230-247,444 : 국가조직 망 271-330 ; 명칭 34,53,141,220 -245 : 법 률 259-260 : 연 대 49-52, 140,219-230,241 ; 정복행위 69 왕꿔웨이 (王國維) 34-35,41,178,190 왕위계승 231-247,445 : 그림 234 왕위커우(王裕口) 85,170 왕이몽(王懿榮) 74 왕족 218-230 왕하이 (王亥) 190,219,270,307,435 의복(外月 R, 지배지역) 272,278 요시다미쯔쿠니(吉田光邦) 208 용(~) 107-108,192 용골 74 우판촌(武官村) 87,162 우띠 (武帝) 32 우명 (武丁) 41-43,105,1 3 0,140,145 : 관 직 250 ; 꽁황( 곰 方) 317 : 군사원정 43,254,320,321,403 ; 배우자 125-126, 231 ; 사냥 189 : 수입 302 : 시 뻐1 이깡 (西北岡) 161 ; 여우황(i쟈方) 320 -321 ; 월식 408,413,414 ; 자(子) 249 ; 제사의식 52,239,244 ; 조상 229 ; 청동기 52,119 ; 취에 (雀) 105 ; 무황(土方) 318 우명리양(吳定良) 96,417 우시엔(巫咸) 2 우시엔(巫貸) 251 우왕(武王) 48,107,264,319,438 우이 (武乙) 140,142,144,320 우청 (吳城) 376,385,386,465

운송 307-308 원왕(文王) 50,319 원우명 (文武丁) 140,145,240,241 원초성 (Pris t i ne ness) 450-454 월식 408-414 웨이 (微) 39 웨 이 (衛) 107-108,192,2 7 2 위 (禹) 439,445 위성우(于省 吾 ) 194-197,328 윌 리 암팅 (W illiam Ti ng ) 192 유곱(사람의 뼈) : 그립 166 ; 샤오문 (小屯) 120,1 2 3 ; 시데이깡(西北岡) 156-158,162,165-167 ; 신체형태 417 -418 ; 쑤후문( 蘇 堤屯) 392 ; 정저우 (鄭州) 349,350,352 ; 지엔꺼우촌(i !l 溝村) 427 ; 치 우완 (丘if-: ¾ ) 394 ; 타이 시촌(장西村) 368. 개뼈 를 참조 「은본기」 (殷本紀) 32-33,38,40-41 ; 왕 의 계보 218-219,221,223-224 ; 우명 (武丁) 42-43 ; 이인(伊尹) 40 ; 저우 (討) 44-47 ; 제사의식 52 ; 쭈지아 (祖甲) 43-44 ; 탕(湯) 39-40. 『은허도기집성』(殷城陶器渠成) 117, 147,149 『은허복사종류』 (殷城 卜 辭綜類) 105, 218,280 음주(술) 272 읍(邑) 209-216,228,251,252,264,445 ; 건철 (作邑) 210-213,264,445 : 성벽 179,213,339,346-350 의고파(疑古派) 79 의무 259-260 이 (夷) 440

이명 (乙 T) 체계 231-240,244-245 이싱 (一行) 49 이인(伊尹) 40,232,no 이지(伊涉) 41 이 (乙)집단 231,244-245 이훤(伊fB') 41 인( 栗 ) 409 인 {gJt) 105-179,275 ; 그립 108,109, 110 ; 안양(安陽) 중심부 111 ; 천도 38,41,105,125,403-404,407,414 인 민공원 (人民公園) 89,344,362-363 『일주서』 (逸周 杏 ) 267 ': 자(子) 218,249-250,279 자두 369 자읍(鉉邑) 276 장뻥 취 엔 (張秉權) 196,227,252 장정랑(張政娘) 287,291,323 장지 아난지 에 (張寒南街) 90 장지 아퓌 (張家坡) 200 장지 아훤 (張家項) 86 장티엔지 79 장페이위 (張培~) 414 잭 핼런 (Ja ck Harlan) 195 쟁 기 288-289 ; 그림 289 쟈오저우(입 k 周) 231 저우(周) 29,46,343,437-447 ; 계승제 도 444 ; 궁궐 398 ; 똥저우(東周) 50,175,260,44 요 방(方) 318,322, 328 ; 법률 260 ; 상(商) 정벌 48,105 -107 ; 상칭 264-26 요 시저우(西周) 47,54,209,233,244,287,304,391,398,444,

405 ; 왕의 지 배 278,287 ; 조상숭배 244 ; 차오무(昭穆)체계 233,444 : 청 동기 52-65,233,279,296,391,397-398 저우(討) 35,44-46,106-107,264.4 3 9 저우꽁(周公) 107,251,272 저우위엔(周原) 210,398 저우화까오(周法高) 56 저우황(周方) 318-320,322,441 전 (振) 39,219 전쉰 (Wl &n) 433 전쟁포로 253,291,293-294,329 ; 그립 293 전차 172,190,255-259,307 ; 그립 258 전두용도끼 268 접복 68-70,250,261 정판암 199,428 정쉬엔(鄒玄) 34 정인 (貞人, 점장이) 67-69,141_;146, 250 정저우(鄭州) 88-91,175,333-363,388, 403 ; 그립 345,347,349,354,356 ; 방사 성탄소측정연대 407 : 질그릇 200, 309,334,336,357 ; 청동기 338-339,375 -376,388 : 판통칭 (盤龍城) 과의 관계 384,403 제 사의 식 52,261-263 : 동물 189 -190 : 삼대 (三代) 443-444 : 시빼이 깡(西北岡)의 묘 165,167 ; 왕족 218 -219,231-233,239-247 : 정 복 68-71, 250-251,263 (갑골문 참조) : 조상 219,224-226,253,294,318 ; 족명 (族名) 249-250 ; 치우완(丘灣) 394. 희생제 물(순장) 참조

제 조장 (작업 장) ; 뼈 169- 1 70,350 : 샤 오문(小屯) 138-139 ; 석기 300 ; 정 저우(鄭州) 350,352 ... 353 ; 질그릇 175-176,3 0 0,353 ; 청동기 138- 1 39, 169,298-299,350,352 제 후 25l-252,278-279,302 조가비 ( 夜貝 ) 127,2 0 3-204,308,392 ; 그립 72 조나단 프리드만(J ona th an Frie d man) 458 족 (族) 215~218,228,2 4 9-250,252,463 ; 경재생산 291,296,308 : 군사력 215, 2,4-255 종( 宗 , 제사실) . 177 종교 261-262. 제사의식 참조 종명 (仲 丁 ) 3'.5, 41 ,229,341,407 종런(仲 壬 ) 40 종쫑(中 宗 ) 41 『 좌전』 (左傳) 32,50,213,265,4 6 1 랑허 (Chuang -h o) 기 183 『주례』 (周 視 ) 178,443 죤 페 이 퍼 (Jo hn E.Pfe i f fer) 462 주석 200,202, 298,3 2 8 『 중국고대 사회 연구 』 97 중국과학원 31 ; 고고연구소, 역사어 언연구소 참조 『 중국문명 의 기 원 』 ( The Beg inn in g s of Chin e se Ci vi l izat i on ) 429 중석기시대문화 3 중옥(重낭) 178 중인 (衆人) 289-291,295 취무 (a 鹿) 107 취에 (爵) ',390

즈황(旨方) 320,322 지리 ( 李歷 ) 319 지 성 (姓) 323,4 4 4 지아(~) 388 지아산( 嘉 山) 376 지양지에스( 蔣 介 石 ) 79 지 에 ( 架 ) 39,4 3 3 지에뚜안잉 (界殷 營 ) 175 지엔꺼우 촌 ( i!때溝村 ) 176,42 7 지엔시 ( WO 溪 ) 91 지 쯔 ( 箕子 ) 106 직 ( 稷 ) 195- 1 96 진화이론 98- 9 9,4 5 4- 4 58 진 흙 198,1 9 9 질그 릇 199- 2 00,4 2 8,4 2 9 ; 그립 148, 149,311,335,369 ; 메이위엔랑( 梅園 莊 ) 171,3 3 6 ; 명문 308- 3 16 ; 산똥롱 산(山 束 龍山) 427 ; 샤오 문 (小屯) 112,ll7,ln,140,146-149,314,3 3 6 ; 시 뻬 이 깡(西 北 岡) 167 ; 시 아(夏) 360 ; 시아지아띠엔(夏 家 店) 372 ; 시 아리 위 엔 (下七 垣 ) 464 ; 시 아판왕(下 潘ff) 176 ; 신석기시대 386,424 -425 : 양사오(仰節) 425 : 언어 415 ; 얼리터우( 二 里頭) 430,463 -464 : 우청 (吳城) 385-386 : 작업 장 1n-I76,300,3H,355 ; 정저우(鄭州) 200,309,334-336,348,359,360 ; 치우완 (丘 濁 ) 394 ; 칭 리 엔깡( 담 蓮岡) 426 ; 타이시촌( 갓 西村) 369 ; 허난룡 산(河南龍山) 426-427 : 후킹 (扶風) 388 칭땅(京當) 320,388,398

짱전후아(藏振華) 422 쩌 우형 (fj] I 衡) 119,342 쭈껑 (祖庚) 140 쭈명 (祖丁) 229 쭈신(祖辛) 229 쭈이 (祖乙) 38,41,230 쭈지 아 (祖甲) 43-44,134,142,225-226, 240-241,244 쯔성 (子姓) 32-33,218,230,232,248-249 쯔양(子羊) 249 云 차오꺼 (朝歌) 107,174,362 차오무 (昭程) 제 도 233,444 창강(長江, 楊子江) 191,385,386 창닝 (常~) 94,397 천명지아(陳夢家) : 갑골분포 75 : 건 축 177 ; 관직 144,250,255 ; 묘호(廟 號) 222,227 : 산시 (山西) 남부의 정 치집단 328 : 삼대 (三代) 61 ; 식물 196 ; 얼리깡(二里岡) 명문 340 ; 여 우황('꿉方) 320 ; 연대 49,144-146, 408 ; 제사의식 240 ; 조상 219 ; 청동 기분류 57. 십간(十干)도 참조 천빵화이 (陳邦懷) 261 천옵상(天邑商) 273 철로 334 청 동기 30,,2-6,,200,391 : 그립 '9,63, 64,121,266,337,3'4 ,3 70,377,382 ; 닝시 양 (寧鄕) 396 ; 랴오닝 (遼寧) 93 ; 리 링 (虛陵) 397 : 리우지아하(劉家河) 371 : 부호(도상기호) 52-54,216,249, 296,323 ; 상칭 264-268 ; 샤오문(小

屯) 114,119,125,138,200,232,338, 390 ; 스러우(石樓) 91 ; 시뻬이깡(西 北岡) 161,167,463 ; 시아지아띠에 (夏 家店) 391 ; 쑤후문 (蘇鳩屯) 392 ; 얻 리 깡(二 里 岡) 338-339,350-355,375 -376,385-386,388 ; 저우(周) 52-65, 233,279,296,391,397~398 ; 재조장 138 -139,169,298-299,350,352 ; 창닝 (常 寧) 397 ; 총양(崇陽) 396 ; 통러자이 (同樂塞) 172 ; 평현(彭縣) 397 ; 후 난 (阜南) 396 ; 훼 이 시 (肥西) 396 청동기목록 52-53,56 청동기문명 328 청 동기 제 작 65,298-300 ; 그립 299 청쯔야이 (城子ill) 308,339 총양(崇腸) 94,396 『최초의 문명』 (The Fir s t Civ i l iza - tion ) 459 추방(합邦) 456-458,461 추치우(稽丘) 175,362 취양(曲陽) 391 취에 (雀) 252 츠산(磁山) 359 츠현 (磁縣) 175,362,367,391 치리푸(七里~) 91,430 치양성(光姓) 323 치양지아(光甲) 229 치양황(光方) 254,292-295,318,332 치엔무(錢穆) 319 치옌페이 (婦廷jj~) 392 치우완(丘if'f) 94,394 치지아문화(콴家文化) 388,390,401 치현(波縣) 107

친(秦) 439 침실(~) 177 칭리엔깡문화(집영[岡文化) 425-426, 454 칭지양(淸江) 안 구 카이즈카시게키 (貝塚茂樹) 144-146, 218,240 칼 199,255,287 칼 피 어 슨 (Karl Pearson) 417 캉명 (康丁) 140 캉수 (康叔) 107,272 코끼리 162 코카서스인 419 콩쯔(孔子) 30-31,443 쿤(C. S.Coon) 417,419 크리스타 터너 (Chris t y Turner) 417 -418 E 타이명 (太丁) 40 타이 시 촌 (갓西村) 367,369-371 타이완(갓뀐) 313 타이왕(太王) 210,319 타이우(太戊) 41 타이지아(太甲) 40,41 탕(溫 大乙) 33,39,40,220,222 : 군사 력 2,3 : 도읍은 휘 (ill) 참조 ; 연대 50,407 : 의무 260 : 이인 (伊尹) 40, 232,250 탕(唐) 74 탕란(唐蘭) 342

당인(湯陰) 78 토착적발전 451,453 동러자이 (同樂泰) 85,172 동신 367 무황(土方) ,17,,18,322 트리거 (Bruce G.Trig ge r) 461 티 엔진 (天津) 박물관 375,390 고 판껑 (盤庚) 36,38,41-42,1 0 5,125,407 ; 군대 253-254 ; 도옵은 인 (殷) 참 조 ; 정복행사 42,263 판롱청 (盤龍城) 213,376-386,389,402 -403 ; 그립 378,379,380,382,383 .38 4 판몽호 (盤龍海)) 376 퍼 우 (P'ou) 287 펑 (彭) 394 펑현(彭縣) 397 포스피 실 (Leop o ld Pospi si l) 259 폴 웨몰리 (Paul Wheatl ey ) 239 푸란티 엔 (P'u-lan-ti en ) 183 프라이스 (Barbara J. Pric e ) 457 플레너리 (Kent V. Flannery ) 459 피껑(~It庚) 220 피 꾸l 이 (9 1t榮) 232 피신 (~It辛) 232 피우 (9 1t戊) 232 피지아(tit甲) 220 굽 하야시 다이스케 (林泰輔) 78 하야시 미나오(林巳奈夫) 216 하우웰 즈 (W.W. Howells) 417-418,

423 한(漢) 32,49,1 0 7,216 한딴 ( IIIIY jl ) 107,175,362,367,391 한딴 (Ill 백! ) 고고발굴대 427 『한서 』 ( 漢딴 ) 107,230 한人 꾸 :s. (S.H .Hansfo r d) 86 한웨이저우(翰 維 周) 375 항토( 芳土 ) 428 ; 샤오문(小屯) 130 -1 31 ; 쓰 판뭐 (四 盤磨 ) 170 ; 왕위커 우( 王 裕口 ) 170 ; 정저우(鄭州) 339, 346,3 4 8 ,350 ; 타이시촌(쌍西村) 368 ; 동러자이 (同樂寒) 172 ; 판공청 ( 뾰 龍城) 213,377-378 ; 허우지아랑 ( 侯 家 莊 ) 172 허난 몽 산문화(河 南 龍山文化) 133,344, 427-428,430.4 3 4,455 허난성 ( 河 南省)문화국문물공작대 86 허 벵 띠 (何炳 樓 ) 19l,192,309,452,453 허우깡(後岡) 84-86,168-169,359, 419 ; 묘 152,208 ; 성 벽 339,4 2 7 허 우신 (后 辛) 125,127,129. 후하오(婦 好)참조 허우지 (后稷) 439 허 우지 아랑(侯 家 莊) 85,153,172,417, 419,421-422 허단지아(河뾰甲) 35,230,341 헨리 와이트 (Hen ry Wrig h t) 461 『 현생인류』 (The Liv i n g Races of Man) 419 「현조」 (玄島) 43,273 형 벌 (법 적 ) 259-261 호(好) 248 호랑이 267,268,270

호머 더브즈 (Homer Dubs) 409-410 화살 255 화장(火葬) ' 환지아랑(& 家 莊) 85,86,171 활 255 황후미 ( 皇 甫讓) 34,341 회 이 현 (輝縣) 175,361,384,389,4l7 후(侯) 279,283 후꺼우(扶溝) 93 후난( 阜 南) 396,397 후쓰니 엔 (傳斯年) 79,95,440 후아무촌(花木村) 175 후아위 엔랑(花園莊) 152 후앙띠 (黃帝) 439 후앙하(黃河) 181,334 후워지아샤오랑(粒家小莊) 85,170 후위에(傳說) 43 후하오(婦好) 126-130,232,248,254,303 후하오(婦好)묘 126-130,134,151,161, 168,303 ; 그립 128,129 ; 부장된 청동 기 127,200,232,390 : 옥기 127,207 ; 조가비 (보패 ) 127,203 후허우쉬엔(胡厚宣) : 거북껍데기 유입 206 ; 말(馬) 190 ; 부(婦) 248 ; 사람 의 두개곱조각 명문 339 : 자(子) 249 ; 전쟁포로 294 ; 제사역보 247 ; 지명 187 후킹(扶風) 387 킹뼈터우(鳳鼻頭) 313 킹시 (風西) 46, 훼이시(肥西) 396 휘록암 199 혹인계 421

회생 (조상에 대한 제사) 218,224-226, 253,294,318 희생재물(순장) : 샤오문(小屯) 127, 134,137,253 ; 시뻬이깡(西北岡) 156 -158 ; 신체특칭 415-418 ; 쑤후문(蘇 坦屯) 392 : 전쟁포로 253,293-294, 318 ; 치우완(丘it') 394 ; 타이시촌 (장西村) 368 : 판동청 (盤龍城) 381

尹乃鉉 단국대학교 문리대 사학과 졸업 동대학원 석 • 박사과정 졸업, 문학박사 • 철학박사 하바드대학교 객원교수 역임 현재 단국대학교 문리대 사학과 교수이며 단국대 학교 중앙박물관 관장으로 있음 저서로는 『商王朝史의 硏究』 (1978), 『中園의 原始時代』 (1982), 『商周史』 (I984), 『韓園古代의 멈歌와 社合』 (공저, 1985)' 『韓國古代史新 論 』 (1986) 등이 있음

商文明 대우학술총서 • 번역 21 찍은날 -1989 년 IO 월 l5 일 펴• 낸날―― 1988 년 IO 월 25 일 지은이 -3& 光直 옮긴이一—尹乃鉉 펴낸이-朴孟浩 펴낸곳-民音社 ■ 출판등록 1966 5.19 제 1·l42 호 우편대체번호 010041-31-0523282 은행지로번호 3007783 ll0-l ll 서울 종로구 관철동 44·l 4·6ll0( 편집부) 734·2000·2l0l, 735·8,24( 영업부) 733·70l0( 팩시밀리) 파본은 바꾸어 드립니다. • 값 9,300 원 ©尹乃鉉, 1989 인문사회과학 • 중국고대사 KDC/9m.om

대우학술총서(번역) l 遊牧民族帝國史 뚝년·菊評옮갑/값 6,500 원 2 수학의 확실성 또虫틀 EI 인·朴世熙옮김/값 7. (XX)원 3 증세철학사 J. R.오肥뱌 1· 康英啓옮감/값 5,500 원 4 日本語의起源 R. A . 왕서·全芳負옮갑/값 2 , 200 원 5 古代漢語音韻學槪要 U iLF-칼玉』 ·ID 凌銀/값 2,500 원 6 말과사물 0 뗄푸코·李光 k 옮김/값 7. 야)은 1 쳅철학과과학철학 헤르만와일·김상문옮김/값 7,500 원 8 이성·진리·역사 햏-!2 1TI~ 숲限明뚫설/값 6, (XX)원 9 기후와진화 로널드피片은·김문민옮김/값 4, (XX)원 10 사회과학에서의場理論 콴圭겁반백睦옮김R,J. 6, (XX)원 11 영국의 산업혁명 팔라스 만節 룻 洙휘師옮김/값 4,700 원 12 현대과학철학논쟁 퇴쏘콘 9 f·조솽곡·길동식옮갑/값 8, (XX)원 13 있음에서 됨으로 堂p E 라고진·이칠수옮김/값 7,500 원 14 비교종교학 었덤뱌 51· 걸병서옮김/값 4,600 원 15 동물행동학 뢰進책. 0 빈드·집변갑옮김/값 6. 야虎! 16 현대우주론 D.W. APIOI·~ 뻗옮김/값 8 , 500 원 17 시베리아의 샤머니즘 V.[ 12). l !A I9 f·좌길성옮김/값 10 . 띠達! l8 조형미술의 형식 紅1 똑신트· l!I ~~/값 3,700 원 i1o9 원힐 시버국트가-의數 學진과화삶 죠 丘己하또스냐·스崔 2喇Ei·~0R1 앱,村J옮.갑 5,/5값00 원l0 . 따泡